경계를 걷는 그리스도인
web: sfmissio.wordpress.com | twitter: @sfmissio | contact: sfmissio@gmail.com
October 28, 2012
“경계를 걷는 그리스도인”은... 열림의 대화, 나눔의 영성, 자유의 복음을 지향합니다. 주일 기도 모임: 매주 일요일 오후 5시 목요 대화 카페: 매주 목요일 오후 7시~9시 Chromatic Coffee, Lawrence & Stevens Creek, Santa Clara 이뤄 사시는 분이나 외로움을 느끼기는 비슷하다 고 합니다. 열정적인 사랑도 젊은 시절 한때라고 맞장구치며 떠들기도 했습니다. 그러다가 한국과 한인 사회에서 이혼율 높은 것을 들어 결혼의 의미 가 뭘까 하고 생각하기도 했지요. 참사랑은 무엇일 까요?
목요 카페 풍경 우리가 모이는 카페 의 집주인이 바뀌어 이름도 달라졌습니 다. Chromatic Coffee 라네요. 다양 한 ‘색채가 깃든’ 카 페로 풀어보니 아마도 우리 목요 대화 카페를 염두 에 두고 이름을 바꿨나 봅니다. 목요 대화 카페는 다양한 삶의 색채가 깃들어서 서로 나누고 어우러 지는 곳입니다.
700여 년 전 어느 신학자는 변하지 않는 사랑의 가 장 좋은 표현은 ‘우정’이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아 무래도 ‘열정적인 사랑’이 희미해지는 지점에서 ‘우정’으로 옮아가야 영원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 어봅니다. 친구든 남녀이든 부부이든 가족이든, 이 제는 “우리가 나누는 우정이 뭘까?” 하는 물음을 두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이번 대화 카페에서는 스스로 신앙인도 아니요, 종 교인도 더더욱 아니라는 분도 찾으셔서 종교 바깥 에 선 입장에서 삶의 이런저런 문제와 고민을 들려 주셨습니다. 삶은 다채롭지요. 그러니 어떤 하나의 종교가 모든 대답을 줄 수는 없습니다. 아니, 종교 는 대답을 주는 곳이 아닙니다. 종교는 물음을 가 진 사람들과 함께 대화하며 동행하는 곳이라고 해 야 더 옳습니다.
주일 기도 모임 앞이 보이지 않는 사 람이 한 손에 빵을 들 고 마실 것을 찾아 더 듬는 이 그림에 시선 을 멈춥니다. 우리는 이 바쁜 삶 속에서 무 엇을 더듬으며 찾고 있나요? 주일 기도 모임은 이 질문을 두고 서로 생각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우리는 삶의 외로움에 관해서 이야기 나누었습니 다. 나이가 조금씩 들어가고 자녀가 커서 떠나가면 부쩍 외로워진다고요. 홀로 사시는 분이나 가족을 1
어 / 바로 거기로 빛이 들어오리니 / 바로 거기로” ~ Leonard Cohen, “Anthem”
깨진 상처와 틈에 드는 구원의 빛
상처는 모두 꿰매고 틈은 모두 메우는 것이 문제의 해결인 양 말하는 세상입니다. 꿰매고 메워도 상처 의 자리는 남습니다. 또 그 자리마저 감추려다가 무 리한 일을 저지르기도 합니다. 삶은 그 상처에 난 틈 을 통해서 새롭게 펼쳐지곤 합니다. 완전하기 위하 여 모질어지기보다는, 자신의 연약함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때, 그 약함에 구원의 빛이 스민다는 것이 고 금(古今) 현자들이 들려주는 노래요, 지혜입니다.
“아직 소리나는 종을 울려야 하리 / 너를 완전히 하여 봉헌할 생각일랑, 잊어야 하 리 / 깨지고 금 간 틈 이 있지, 모든 것에는 그런 깨진 틈이 있
정지 - 자유 - 의식
정지 - 자리에 앉아 지금 있는 그 대로 우리 자신을 생각합니다. 하 느님께서는 지극한 사랑으로 우 리를 바라보고 계십니다. 하느님 당신 안에 우리를 고이 안아 품어 주십니다. 모든 생각을 멈추고 그 순간을 머릿속에 그려봅니다. 자유 - 하느님, 우리가 얻은 자유 를 그저 당연한 것으로만 생각하 지 않도록 하소서. 하느님께서 우 리 영에 내려 자유롭게 살라고 하 신 축복을 기억하게 하소서. 하느 님 당신의 평화와 당신의 기쁨을 우리 영 안에 채워 주소서.
면, 마음 깊은 곳에 어떤 부담과 무거움이 자리하고 있나요? 우리 는 어쩌면 지금 이곳에서 평화롭 고 행복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 지로, 우리는 어쩌면 지금 이곳에 서 절망감을 느끼며, 화가 난 마 음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모습 그대로 나 자신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모습 그대 로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 시기 때문입니다.
복음 - 마르코 10:46~52 그 때 바르티매오라는 앞 못 보는 거지가 길가에 앉아 있다가 나자 렛 예수라는 소리를 듣고 "다윗의 자손이신 예수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십시오!" 하고 외쳤다.
여러 사람이 조용히 하라고 꾸짖 었으나 그는 더욱 큰소리로 "다윗 의 자손이시여, 저에게 자비를 베 풀어주십시오!" 하고 소리질렀 다... 소경은 눈을 뜨고 예수를 따 라 나섰다.
성서 대화 길잡이 우리 주위에는 여러 가지 신체적 인 장애를 딛고 사람들에게 큰 용기와 힘을 보여주며 살아가는 이들이 아주 많습니다. 그 가족 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이번 여름 런던 올림픽에서 단거 리 육상 선수로 나왔던 남아프리 카공화국의 피스토리우스 선수 는 두 발이 없이 태어났지만, 의 족을 차고 경기장을 뜁니다.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에는 앨리 슨 래퍼라는 사십 대 여인의 전 신상 조각이 있습니다. 두 팔은 없고 발도 짧게 태어난 그가 임 신한 모습을 담은 상입니다. 그 는 두 팔 대신 짧은 두 발로 아이 를 키웁니다.
의식 - 오늘 내 마음과 감정은 어 떤가요? 가벼운 발걸음처럼 내 마음도 지금 가벼운가요? 아니 2
장애를 불행이나 불운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삶에 더 깊은 성찰을 가져다주는 선물로 변화시 키는 이들과 그 가족이 우리 곁에는 참으로 많습 니다.
장애와 한계를 인정하면서 하느님께 도와 달라고 외치며, 이웃과 더불어 겸손하게 살아가고 있나 요?
이분들이 던지는 질문은 분명합니다. 어떤 장애 도 없이 모든 능력을 갖추고 태어났다는 이른바 ‘정상’인 우리는 그 능력을 하느님의 선물로 깨닫 고 다른 사람에게 깊은 감동을 나누는 삶을 살고 있나요? 우리가 태어나면서 얻은 신체적인 조건 을 두고 감사하며 살아가고 있나요? 그 건강한 손 과 발로 부족한 이들의 손과 발이 되어주고 있나 요? 그러기는커녕 우리는 ‘정상’과 ‘비정상’이라 는 이분법을 무의식 속에서나마 당연시하여 그분 들을 불편해하며 차별하지는 않나요?
시각 장애 탓에 거지가 된 바르티매오는 자신이 앞을 볼 수 있다는 분명한 확신이 있었습니다. 게 다가 그는 남들의 구박을 무릅쓰고 당당하게 외 치는 사람입니다. 예수님은 그 태도를 그의 신앙 으로 인정하십니다. 그의 당당함이 그의 눈을 뜨 게 했습니다. 아니 그를 구박했던 ‘수 많은 제자 들’의 눈을 뜨게 했습니다. 그는 예수님을 따르는 기쁜 제자가 됩니다. 예수를 따랐다는 ‘많은 제자 들’과, 시각 장애인이요 거지였던 바르티매오는 어떤 점에서 달랐을까요? ‘쫄지 않는 당당함’은 신앙의 큰 덕목인 것이 분명합니다. ***
눈에 보이는 장애가 없더라도, 우리는 여러 모양 으로 내적인 장애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그리고 우리는 오늘 Ubi Caritas “사랑 베푸는 곳 마다” 를 함께 불렀습니다.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