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 보고서 2과제(2 1) 2010년

Page 1

별첨 3. 2-1과제

계획서번호

CUH_KOREAN_FOOD_2-1_2010

임 상 시 험 성 적 서

한국인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에서 입원 중 식이처방이 혈압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

2010 년



결 과 보 고 서 연

: 한국인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에서 입원 중 식이처방이 혈압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

시험기관 및 기관장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터장 채 수 완

시 험 책 임 자

: 전북대학교대학원 의학영양치료학과 주임교수 조 백 환

시험공동연구책임자

: 대구의료원 신경외과 박사 황 성 수 전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박 태 선 국립암센터 암역학연구과 박사 김 미 경

임상시험담당자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소 병 옥, 최 은 경, 정 수 진, 김 선 영, 백 향 임, 수 현, 허 민 주, 김 혜 미, 박 성 은, 유 일 한, 한 현, 이 미 자, 이 정 현, 조 명 진, 노 수 미, 문 은 이 누 리, 이 효 정, 김 종 옥, 양 지 영, 최 윤 희, 정 진 아, 박 은 옥

오 미 라, 박 수 미, 신 자 실, 오 경 선,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연구소 김 민 걸, 임 용 진, 황 민 호 대구의료원 제1신경외과 박수현 연

: 대구의료원

: 고혈압, 당뇨병

: 1)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제외기준에 적합한 환자를 대상으로 문진 기록을 얻는다. 2) 문진 기록을 통해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들의 인구학적 변 수, 혈압, 혈당, 생체 표지자의 검사치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증례기록서에 기록한다. 기록된 정보들을 엑셀에 입력하여 data화 시킨다. 3)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식이처방 및 식사량 및 염분량의 정보를 확인한 후 식이분석을 한다. 4) 환자들의 식이처방 전, 후에 따른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 의 내용(기간과 종류와 용량)을 확인한다. 5) 환자들의 입원기간 동안의 혈압 및 혈당의 변화를 확인한다. 6) 환자들의 입원기간 동안의 혈압 및 혈당의 분포를 확인한다. 7) 환자들의 식이처방 전, 후에 따른 각종 생체 표지자의 검사 수치의 변화 및 체중 변화를 확인한다.

연구계획서번호

: CUH_KOREAN_FOOD_2-1_2010

연 구 시 작 일

: 2010년 9월 28일

연 구 종 료 일

: 2010년 12월 27일

결과보고서작성일

: 2011년 3월 18일


요 약 (Synopsis) 연

명 : 한국인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에서 입원 중 식이처방이 혈압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

적 : 고혈압과 당뇨병을 진단받고 6개월 이상 약물치료 중인 환자를 대상으 로, 이들을 입원시켜 강력한 식이중재를 단행하고 원내감시를 하여 의 학적 치료효과를 확인하고, 투약을 중단하였을 때 그 효과가 안정적이 며 지속적인지 확인한다. 또한 대상 환자들의 식이처방 기록 자료를 조 사하여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 등의 식이분석 결과를 얻고 한국인 식 사유형지수(KDS)와 한식 식사유형지수(KDPS)를 적용하였다.

시험기관 및 기관장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터장 채 수 완

시 험 책 임 자 : 전북대학교대학원 의학영양치료학과 주임교수 조 백 환

공 동 연 구 자 : 대구의료원 신경외과 박사 황 성 수 전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박 태 선 국립암센터 암역학연구과 박사 김 미 경

시 험 담 당 자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소 병 옥, 최 은 경, 정 수 진, 김 선 영, 백 향 임, 오 미 라, 박 수 현, 허 민 주, 김 혜 미, 박 성 은, 유 일 한, 한 수 미, 신 자 현, 이 미 자, 이 정 현, 조 명 진, 노 수 미, 문 은 실, 이 누 리, 이 효 정, 김 종 옥, 양 지 영, 최 윤 희, 오 경 선, 정 진 아, 박 은 옥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연구소 임 용 진, 김 민 걸, 황 민 호 대구의료원 제 1신경외과 박수현


선정 및 제외기준 : 1) 선정기준 ① 연령이 만 18세 이상 ② 6개월 이상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한자 ③ 식이중재 입원치료에 동의한 사람 2) 제외기준 ① 입원기간이 10일 이하인 환자 ② 관상동맥질환으로 중재적 시술이 필요한 환자 ③ 뇌졸중의 후유증으로 연하장애 등 섭식장애가 있는 환자 ④ 정신질환이 있는 자 ⑤ 죽상동맥경화 후유장애에 의한 운동장애가 있는 환자 피 험 자

수 : 2009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대구의료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정보, 혈압, 혈당 및 각종 생체 표지자의 수치 정보 가 있고, 식이처방과 투약 내용에 대한 정보가 있어서 조사가 가능한 모든 환자 를 대상으로 평가 하였는데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합당한 대상자는 총 160명으 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절차 및 방법 : 1)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제외기준에 적합한 환자를 대상으로 문진 기록을 얻는다. 2) 문진 기록을 통해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들의 인구학적 변수, 혈압, 혈당, 생체 표지자의 검사치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증례기록서에 기록한다. 기록 되어진 정보들을 엑셀에 입력하여 data화 시킨다. 3)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식이처방, 식사량 및 염분량 등의 정보를 확인한 후 식이분석을 하고 한국인 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 식사유형지수(KDPS)를 적용하였다. 4) 환자들의 식이처방 전, 후에 따른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의 내용(기간과 종류와 용량)을 확인한다. 5) 환자들의 입원기간 동안의 혈압 및 혈당의 변화를 확인한다. 6) 환자들의 입원기간 동안의 혈압 및 혈당의 분포를 확인한다. 7) 환자들의 식이처방 전, 후에 따른 각종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의 변화 및 체중 변화를 확인한다.


평 가 방 법 : 1) 인구학적 변수 및 생활습관 조사 2) 식이처방 정보 조사 3) 혈압 및 혈당 변화와 분포 조사 4) 약제 사용량 변화 5)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 조사 6) 체중 변화 조사

통계분석 방법: 1)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학적, 영양학적 정보에 대하여 기술통계학적 분석을 한다. 2) 입원 일, 약물치료 중단 일, 퇴원 일에 따른 혈압 및 혈당의 분포를 살펴본다. 3) 식이처방에 따른 혈압 및 혈당의 변화 양상과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자료 분석을 한다.

론 :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입원 시켜 철저한 식이중재를 단행하였을 때 혈압 및 혈당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그 식이중재에 사용된 식사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관찰연구이다. 대구의료원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철저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적용한 병원이며, 의료전달체계상 2차 기관으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이 에 대한 급여를 모두 인정받고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합당한 총160명 환자의 진료기록 자료를 조사하여 혈압, 혈당, 체중, 검사실 검사 등의 변화를 평가하고 식이처방 기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160명의 대상 환자들은 입원 당시 하루 평균 약 3.5개 의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평균 입원기간은 43.5± 21.1 일 이었다. 입원 후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투약 중단할 수 있었던 환자는 전체의 86.2% 에 해당하는 138명이었고 이들이 약물 투약을 중단하기까지 평 균 12.9± 15.6일이 걸렸다. 대구의료원에서 입원 기간 제공한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는 평균 54.9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는 평균 23.9점으로 3분위수(5분위수 기준)에 해당하는 식단이었다. 하루 열량섭취는 평균 1,573Kcal 이었고 이 열량 중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비율이 63%, 단백질 과 지질은 각각 14%와 23% 이었다. 또한 당질 제한이 없고 현미밥과 같은 전


곡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며 염분 섭취를 자유롭게 하였다. 동물성식품을 제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열량 중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비율, 단백질 및 지질 섭취 비율은 적정수준이었다. 김치류와 장류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에서 권장한 하루1인 섭취량보다 각각 1.3배, 4배 많이 섭취하였다. 식이섬유소 하루 섭취량은 45.9±3.7g(23.69g/1,000kcal)으로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 준에서 제시한 식이섬유소 충분섭취량보다 약 2배가량 많았고 나트륨 하루 섭 취량은 한국인 19세 이상 성인의 나트륨 하루섭취량보다 1.4배, WHO(2003)의 권고 섭취량보다 3.3배 정도 많았다. 입원치료를 시작한 후 대상 환자들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투약 중단 이후에도 감소한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공복혈 당과 식후혈당도 모두 투약 중단 후 재증가 없이 감소 또는 유지 되었고 혈당 조절 지표인 당화혈색소(HbA1c) 또한 입원 시에 비해 퇴원 시에 7.6%에서 7.2%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대상 환자들의 혈당조절이 유의하게 개선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체중과 체질량지수도 입 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대상 환자들이 전곡 류와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질과 지질을 섭취한 것에 서 일부분 찾을 수 있다고 제안하고자 한다28)33). 즉 식품 속에 포함된 불포화지 방, 식이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은 미량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전곡류에 함유된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리그난(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과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34)

고 판단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염분을 자유롭게 섭취해도 혈압 상승이 없

고 오히려 약물 투약을 중단 할 수 있었는데, 발효식품과 천일염 섭취를 그 이유 의 하나로 들 수 있겠다. 천일염은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 함유량이 적고 마그네 48)49)

슘,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신장에서의 배설이

용이하고 따라서 체내에서 염분저류를 덜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동안 발효식품의 과도한 염분 함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천일염으로 만든 발효식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전체 160명의 대상 환자들은 하루 평균 섭취 열량 1,573Kcal, 한식 식사유형 지수(KDPS) 평균 54.9점과 한국인 식사유형 지수 (KDS) 평균 23.9점의 식단으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당질 및 염분 섭취 등을 제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혈압과 혈당 감소와 더 불어 혈중 지질, 체중 등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대상 환자 중 138명이 투약을


중단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혈압과 혈당이 투약을 중단한 상태에서도 투약 중일 때와 다름없이 유지됨을 관찰하여 식이중재도 약물치료만큼 강력하고 효과 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밥, 국, 김치 중심의 식사가 자 칫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편견을 줄 수 있었던 선행연구들52)53)54)55)에 의한 잘못된 인식들을 불식시키고, 전곡류로 만든 밥을 규칙적으로 잘 먹는 식사유형 이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환에서 오히려 이로운 의학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후향적 관찰연구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추후 전향적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그 기전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결과 보 고서 ● 요 약(Synopsis) 표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Ⅺ 그림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Ⅻ

Ⅰ. 연구 명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윤리적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Ⅲ. 시험자 및 기타시험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Ⅳ.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Ⅴ. 연구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Ⅵ. 연구 내용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연구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연구 대상자 선정/제외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2) 연구 대상자 제외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 연구 대상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4. 연구 수행 기간 및 추진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5. 연구 절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6. 관찰 항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7. 관찰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Ⅶ. 통계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Ⅷ. 연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1. 대구의료원 환자의 일반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2. 식이섭취 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1) 음식군별 섭취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2) 열량 및 영양소 섭취 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3) 식이처방 식단의 식사유형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3. 입원 중 투약 중단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1) 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2) 혈압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3) 고혈압 치료제 사용 정도별 입원, 투약중단, 퇴원에 따른 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24 4. 입원 중 투약중단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1)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2) 혈당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3) 당뇨병 치료제 사용 정도 별 입원, 약물치료 중단, 퇴원에 따른 혈당 변화 · · · · · · · ·30 4) 당뇨병 치료제 용법에 별로 입원, 투약중단, 퇴원에 따른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32 5. 약제 사용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6. 생체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1) 전체 138명 환자의 생체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2) 성별에 따른 생체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7. 고지혈증 치료제 중단 여부에 따른 혈중지질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8. 체중과 체질량지수(BMI)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1) 전체 138명의 체중, 체질량지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2) 성별에 따른 체중, 체질량지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9. 입원 중 투약을 중단하지 못한 대상자들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Ⅸ.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Ⅹ.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표 목차 표 1. 제 2과제 2-1세부과제 월별 추진 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표 2. 전체 환자와 입원 중 투약중단 여부에 따른 환자의 일반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표 3. 대상 환자의 음식군별 섭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표 4. 조사대상자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표 5.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에 관찰된 혈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표 6. 수축기 혈압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표 7. 이완기 혈압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표 8.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사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표 9.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표 10.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표 11.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에 관찰된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표 12. 공복혈당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13. 식후2시간 혈당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표 14.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사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15.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16.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표 17. 입원 시 경구치료제+인슐린 치료제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32 표 18. 입원 시 경구 치료제만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19. 생체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표 20. 성별에 따른 검사실 검사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21. 고지혈증 치료제 중단 여부 따른 검사실 검사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22. 입원 기간 동안 체중 및 체질량지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23. 입원 기간 동안 성별에 따른 체중 및 체질량지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24. 투약을 지속한 대상자들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목차 그림 1. 식이처방의 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그림 2. 연구 대상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그림 3. 대구의료원 입원기간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그림 4. 투약중단 대상자들의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기에 따라 관찰된 혈압

· · · · · · · · · · · · · · · ·22

그림 5. 수축기 혈압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그림 6. 이완기 혈압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그림 7.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그림 8.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그림 9. 투약중단 대상자들의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기에 따라 관찰된 혈당 · · · · · · · · · · · · · · · · · ·27 그림 10. 공복 혈당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그림 11. 식후 2시간 혈당 분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그림 12.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그림 13.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그림 14. 입원 시 경구 치료제와 인슐린치료제 모두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32 그림 15. 입원 시 경구 치료제만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그림 16. 입원기간 중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 사용량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그림 17. 입원, 퇴원 시의 당화혈색소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18. 입원, 퇴원 시의 총 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19. 입원, 퇴원 시의 중성지방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20. 입원, 퇴원 시의 HDL-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21. 입원, 퇴원 시의 LDL-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22. 입원, 퇴원 시의 BUN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23. 입원, 퇴원 시의 Creatinine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24. 입원, 퇴원 시의 혈색소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25.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당화혈색소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26.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총 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27.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중성지방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그림 28.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HDL-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29.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LDL-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30.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BUN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31.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Creatinine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그림 32.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혈색소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그림 33.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34.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중성지방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35.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HDL-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36.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LDL-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그림 37. 입원, 퇴원 시의 체중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38. 입원, 퇴원 시의 체질량지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39.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체중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그림 40.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체질량지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Ⅰ. 연구 명칭 한국인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에서 입원 중 식이처방이 혈압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을 평가하기 위한 관찰 연구

Ⅱ. 윤리적 고려 1. 임상시험실시기관에서의 연구계획서 심의 연구계획서는 전북대학교병원의 기능성식품인체시험심사위원회(IRB)가 심의하여 연구 수 행을 결정하였다.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인체시험심사위원회 최초 승인 일자 : 2010. 9. 27

2. 피험자 동의 본 연구는 피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관찰하여 진행되는 연구로서 피험자 동의 취 득 면제 사유서를 제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Ⅲ. 시험자 및 기타시험참여자 1. 시험기관 및 기관장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터장 채 수 완

2. 연구책임자 전북대학교대학원 의학영양치료학과 주임교수 조 백 환 MD, PhD

2. 공동연구책임자 대구의료원 신경외과 박사 황 성 수 MD, PhD 전북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박 태 선 MD, PhD 국립암센터 암역학연구과 김 미 경 PhD

- 1 -


3. 연구담당자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소병옥, 최은경, 정수진,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허민주, 김혜미, 박성은, 유일한, 한수미, 신자현, 이미자, 이정현, 조명진, 노수미, 문은실, 이누리, 이효정, 김종옥, 양지영, 최윤희, 오경선, 정진아, 박은옥

•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연구소,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김민걸, 임용진, 황민호

• 대구의료원 제 1신경외과 박수현

4. 연계기관 • 대구의료원 주소 : 대구 서구 중리동 1162번지

Ⅳ. 서 론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최근 식습관 변화 및 활동량 감소,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인하여 제2형 당뇨병, 고혈압 과 같은 생활습관병의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환자 수는 2000년도에는 약 1억5천만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2025년에는 약 3억 명에 이를 것으 로 추정된다. 한편 2007년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당뇨병 기초통계연구 Task Force Team 보고서에 의하면 2003년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5.9%로 2백80만명 으로 추정된다. ○ 당뇨병과 고혈압은 만성질환으로서 이환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심각한 합병증이 뒤따르 며 잘못된 생활 및 식습관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 생활개선보다는 약물치료에 의존하는 환자가 훨씬 많은 실정이다. 이들 질환의 합병증 에 따른 이환율 및 사망률의 증가는 의료비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도 막대한 손실을 주고 있다. 최근에는 이런 의료비의 절감을 위해 당뇨병의 치료에 앞 서 당뇨병의 예방 및 조기 치료가 중요시 되어 지고 있다.

- 2 -


○ 미국임상학회 및 정부기관들이 나서서 DASH 식사(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교육 프로그램을 고혈압의 치료식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건강식으로써 권장하고 있다(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one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of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The 201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US guidelines for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and, the DASH diet formed the basis for the USDA MyPyramid). 또한 제2형 당뇨병의 치료는 식사요법부터 시작하 는 것이 교과서적인 원칙이다. 이는 건강과 질병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일 뿐 만 아니라 약물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과다한 약물 사용을 막고자 하는 의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질환이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람들에서 운동을 포함한 식사 요법으로 개선 효과를 얻기는 힘들며,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치료비가 급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이유 중 일부는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들이 가지고 있는 영양학에 대한 편견도 한 몫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아직 대부분의 의사들은 전곡류로 밥을 섭취하고 채식 위주로 식사하는 것보다 탄수화물을 극도로 줄이고 동물성식품을 골고루 잘 먹는 것이 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식사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구의료원 에서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의 투약을 중단시키기 위해 현미와 채식 식단으로 입원 치료 한 경험이 상당히 진척되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이 없었다. '하버드 의대 가…당신의 식탁을 책임진다‘`는 책에서는 채식 식사로 ‘심장병은 80% 제2형 당뇨병 은 90% 뇌졸중이나 일부 암은 70%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용성 생체이물질(xenobiotics)과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등이 생명체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특성과 최근 질병발생추이의 연관성이 무관하다고 할 수 없는데 장기적으로 국민들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지역농업을 활성화시키고 유기농으로 제 철 먹거리를 생산하여 소비자인 국민에게 근거리에서 공급하는 것이 제약산업을 수출산 업으로 육성하는 일보다 중요한 일일 수 있다고 생각하며, 정부가 주도하여 심도 있게 연 구할 가치가 있는 분야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소비자를 위하는 정책이 세계인에게도 호응 이 높으리라 판단된다.

○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에 따르면 2009년도 우리나 라 총 진료비는 약 44조원, 7대 만성질환의 총 진료비는 약 13조원, 7대 만성질환 중 당뇨병과 고혈압 두 가지 만의 총 진료비는 약 3조8천억원에 이르러 우리나라 총 진료 비의 약 8%, 7대 만성질환 진료비의 약 35%를 차지하며 또한 우리나라 6대 암의 총 진료비는 약 2조원을 훨씬 웃도는 비용이었다.

- 3 -


○ 식이요법은 보조요법으로 각인되어 입원치료가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되어 왔으나 우리 나라 대구의료원에서 일정기간 입원하여 의료진의 철저한 감시 하에 투약을 중지하고 식이요법만으로도 지내는 환자가 있고 TV 방송에 소개 된 이후 그 증가세가 두드러지 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출판된 논문들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대구의료원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강력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시행한 유례가 없다. 따라서 일부 의료계의 우려처럼 강력한 식이중재가 안전한 치료인 지, 그 부작용은 무엇인지 관찰해 볼 필요가 있고, 실제 환자들이 섭취한 식이처방 내 용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대구의료원 식이중재 치료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구명하여 식생활 개선이 안전하며 동시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2.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 ○ 본 연구를 통해 대구의료원에서 시행한 식이중재치료가 고혈압 및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 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 검증자료를 제시한다. ○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를 적용한 식이분석을 통해 대구의 료원 식이중재 치료의 객관성과 과학성을 구명한다. 이는 곧 식이조절이 생활습관병에 대한 근본적 치료임과 동시에 우리 음식(한식)이 과학적으로 얼마나 우수한지 밝힐 수 있는 해 답이 될 것이다. ○ 식이조절의 치료효과를 통하여 건강증진사업의 당위성을 이해시키고, 질병의 구조가 만성 화하고 다양해지고 있으나 간단하고 경제적인 식생활개선을 통하여 우리국민 모두가 육체 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정상인 상태를 유지하고 나아가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토록 하여야 한다. 또한 아픈 사람을 줄여 사회적 비용 및 의료비를 절감하도록 선순환에 기여 할 것이다. ○ 수집된 자료와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언론과 온라인상의 매체를 통해 한식의 우수성 을 홍보ᆞ교육에 활용하고, 한식관련 산업과 농어촌의 소득증대에 기여한다.

3. 연구개발의 국내ᆞ외 현황 1) 국내 현황 - 식사 다양성이 생활습관병과 관련이 있는 비만도, 혈압, 혈중 지질패턴에 미치는 영

- 4 -


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1)가 진행되었고,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에서 의 학영양치료를 병행하여 혈압에 미치는 영향2), 고혈압 전단계 집단에 식이보건교육 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3)에 관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4)5)

- 한식 섭취 시 내장지방 및 혈중 지질농도 개선

, 한국남성에서 고혈압과 식이패턴

의 영향6) 연구, 쌀밥에 보리나 콩 등을 섞어 먹을 경우 GI에 미치는 영향7)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한식 식이조절에 의한 고혈압과 당뇨병의 개선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 본 연구를 통해 식이중재가 고혈압, 당뇨병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지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ᆞ객관 적인 근거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2) 국외 현황 - 대표적인 비전염성 만성질환인 심혈관계 질환이나 제2형 당뇨병은 비만에 의해 유 발되며, 세계적으로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약 75% 인 것으로 발표되었다⁸⁾. - 미국심장학회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적극적인 식이치료 접근 방법을 제안 하고 있으나⁹⁾, 고혈압 조절을 위한 식이인자로써 한식의 역할을 구명하는 임상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 전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질병은 의료비 상승 등 사회경 제적 비용을 높이기 때문에 만성퇴행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생활습관 지도와 올바른 식사요법 마련이 필요하다. - 전세계 식이유형 중 건강한 식이 유형으로 알려져 있는 지중해식 식사에 대해서 수 십 년에 걸쳐서 이루어진 영양역학 연구들, 즉 관찰적 역학연구와 실험적 역학연구 를 통하여 지중해식 식사가 만성질환의 위험을 낮춘다는 과학적 근거자료가 많이 도출되었다. - 지중해식 음식 섭취가 혈중지질개선10), 체중감소11), 심장병을 포함한 대사성증후군 12)

13)

위험도 감소 , 심박변동성(HRV, Heart Rate Variability) 개선 , 심장병 관련 치 사율 개선14) 등과 관계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고혈압, 신장질환, 심장질환 등의 치료를 위해 DASH diet, Kempner rice diet과 같은 식이조절에 대한 연구가 15)

16)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식이 섭취 시 당뇨병 , 고혈압 등의 심혈관계질환 위험을 개선시킴을 알 수 있었다. - 그러나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대구의료원에 서 행한 것과 같은 강력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시행한 유례는 없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 5 -


Ⅴ.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모두 진단 받고 6개월 이상 약물치료 중인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대구의료원에 내원하여 식이중재 입원치료에 동의한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조사함 으로써 철저한 식이중재 치료가 혈압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1. 최종 목적 한국인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에서 식이중재가 의학적 치료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 효 과가 나타나는 시기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2. 일차 목적 한국인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에서 식이중재 치료가 혈압과 혈당 및 각종 생체 표지자의 검사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약제 사용량의 변화를 확인한다.

3. 이차 목적 대상 환자들의 식이처방 기록 자료를 조사하여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 등의 식이분석 결과를 얻고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를 적용하여 그 식사유 형에 대해 분석한다.

Ⅵ.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6개월 이상 투약 중이던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 어진 식이중재의 내용과 그 결과에 대한 관찰연구로써 생활습관병인 동시에 만성질환인 고 혈압 및 당뇨병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 동안 환자를 입 원시키고 교육과 함께 강력한 식이중재가 약물치료만큼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실시 하였다. 때문에 혈압 및 혈당 강하 속도와 투약량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고 이는 개 개인에서 치료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강력한 식이중재의 치료효과가 얼마나 신속 하고 효율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 6 -


대구의료원에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들은 지난 몇 달 혹은 몇 년간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해 왔다. 환자들은 대구의료원에 입원하여 철저 한 식이중재치료를 받으며 재원 중 혈압 및 혈당이 일정 수준으로 호전되면 기존에 복용하 던 약물을 중단하고 식이중재 치료만으로 혈압 및 혈당을 유지하며 퇴원하게 된다. 본 연구 자들은 치료를 시작하기 전의 혈압 및 혈당, 입원기간 중 투약을 중단했을 때의 혈압 및 혈 당, 그리고 퇴원 시의 혈압 및 혈당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시에 대상 환자들의 식이처방 기록 자료를 조사하여 에너지 및 영양소 섭취량 등의 식이분석 결과를 얻었고, ‘총160명의 대상 환자들이 대구의료원 입원기간 동안 얼마나 한국식으로 섭취하였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를 적용하여 그 식사유형에 대 해 분석하였다.

형 그림 1. 식이처방의 효과

- 7 -


2. 연구 대상자 선정/제외 기준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진단 받고 대구의료원에 내원하여 채식위주의 식이치료에 동의하여 입원한 환자 중에서, 다음의 모든 선정기준 항목에 합당하고 제외기준 중 어떠한 항목에도 해당되지 않는 사람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 ① 연령이 만 18세 이상 ② 6개월 이상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한자 ③ 식이중재 입원치료에 동의한 사람

2) 연구 대상자 제외 기준 ① 입원기간이 10일 이하인 환자 ② 관상동맥질환으로 중재적 시술이 필요한 환자 ③ 뇌졸중의 후유증으로 연하장애 등 섭식장애가 있는 환자 ④ 정신질환이 있는 자 ⑤ 죽상동맥경화 후유장애에 의한 운동장애가 있는 환자

3.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식이중재를 시행했을 때 나타나는 혈압 및 혈당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관찰 연구이다. 2009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대구의료원에 내원하여 철저한 식이중재 입원 치료에 동의한 사람들 중, 입원 전에 6개월 이상 고혈압과 당뇨병에 대한 투약을 받았고 인 구학적 정보 및 혈압, 혈당, 각종 생체 표지자의 수치 정보가 있고, 식이처방과 투약 내용에 대한 정보가 있어서 조사가 가능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2009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조사된 대구의료원에 입원한 환자 226명 중에서 진료 자료가 없는 1명을 제외하여 총 225명의 진료자료를 얻었다. 이들 중 고혈압 및 당뇨병 모 두를 진단 받은 환자는 189명이었고, 고혈압만 있는 환자는 20명, 당뇨병만 있는 환자는 16명이었다. 고혈압 및 당뇨병 모두를 진단 받은 환자 189명 중에서 입원기간 동안 식이처방을 받지 않은 환자 1명, 입원기간이 10일이 되지 않은 환자 12명을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하였고 이 들 176명을 다시 대구의료원에 입원하기 전에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하던 환자 160명과 치료제를 복용하지 않았던 환자 16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대구의료원에서 담당 진료의는 환자가 식이처방 입원치료를 받기 전에 기존에 복용하고

- 8 -


있던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의 복용 여부를 파악하고 식이처방 입원치료를 받는 동안 치 료제의 복용을 중단시킨다. 입원치료를 받기 전에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하던 환자 160명 중에서 식이처방 입원치료 중 치료제 복용을 모두 중단한 환자와 중단을 하지 못한 환자는 각각 138명, 2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16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림 2)

그림 2. 연구 대상자

- 9 -


4. 연구 수행 기간 및 추진일정 표 1. 제2과제 2-1세부과제 월별 추진 일정 구

월별 추진 일정

2010년

수 행 내용

비고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0

30

50

70

90

100

P r o t oc ol 및 증례기록서 작성 제

2-1

2

세부

과제

환자 챠트 자료 수집 및 입력 피험자 식이섭취조사 및 분석 자 료 분 석

통 계 분 석

제 보

추진 진도 (%)

100

5. 연구 절차 1)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제외기준에 적합한 환자를 대상으로 대구의료원 입원 환자의 진료 자료를 얻었다. 2) 대구의료원 입원 환자의 문진 기록을 통해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들의 인구학적 변수, 입원 기간 동안 측정 하였던 혈압, 혈당, 생체 표지자의 검사치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증례기록서에 기록하였다. 증례기록서 항목으로는 인구학적 정보, 신체 계측 정보, 개 인력(흡연 및 음주력), 과거력(고혈압 및 당뇨병 여부), 입원 기간 동안 측정 하였던 혈압, 혈당 수치, 대구의료원에서 조사한 환자들의 약물 기록, 입원기간 동안의 식이처 방 정보, 입원 일과 퇴원 일에 조사한 생체 표지자의 검사기록이 있었다. 증례기록서 작성은 환자들의 진료 기록을 가장 정확하게 볼 수 있는 대구의료원 제 1신경외과 간 호조무사 박수현 선생님이 작성하였다. 3)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 작성 완료된 증례기록서는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 험지원센터에서 엑셀에 입력되었다. 2명의 입력자가 동시에 입력하고, 입력 완료 후 더블 체크를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을 위한 DATA의 자료 입력 및 검증을 하였다. 4) 인구학적 변수에 따른 환자들의 분포와 특성을 확인하였다. 5)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식이처방, 식사량 및 염분량 등의 정보를

- 10 -


확인한 후 식이분석을 하고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를 적 용하였다. 6) 환자들의 식이처방 전, 후(입원 일, 퇴원 일)에 따른 고혈압과 당뇨병 치료제의 내용 (기간과 종류와 용량)을 확인하였다. 7) 환자들의 입원기간 동안의 혈압 및 혈당의 변화와 분포를 확인하였다. 8) 환자들의 고혈압과 당뇨병 치료제의 내용(종류와 용량)에 따른 혈압 및 혈당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9) 환자들의 식이처방 전, 후(입원 일, 퇴원 일)에 따른 각종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6. 관찰 항목 1) 인구학적 변수 및 생활습관 조사 2) 식이처방 정보 조사 (식이섭취조사) 3) 혈압 조사 4) 혈당 조사 5) 약제 사용량 변화 6)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 조사 7) 체중 및 BMI(kg/m2) 변화

7. 관찰 방법 1) 인구학적 변수 및 생활습관 조사 - 문진 기록을 통해서 고혈압 및 당뇨병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 령, 키, 체중 등), 흡연 및 음주력, 사회경제적 요인, 질병 과거력, 기타 관련요인들을 확인하였다.

2) 식이처방 정보 조사 (식이섭취조사) - 입원기간 동안 아침, 점심, 저녁 식이처방을 받은 식단을 확인하여 식이섭취조사 및 식이섭취분석을 시행하였다. - 식이처방의 음식을 CAN-Pro 3.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섭취량을 계산하고 영양 소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 식이처방 식단의 식사유형을 알기 위해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식사유형 지수(KDPS)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11 -


3) 혈압 조사 - 입원기간 동안 측정된 혈압을 확인하였다. - 입원 당시의 혈압, 식이처방을 받은 후 약물 치료를 중단했을 때의 혈압, 퇴원 당 시의 혈압을 확인하였다.

4) 혈당 조사 - 입원기간 동안 측정된 혈당을 확인하였다. - 혈당은 아침 식사 전과 식사 2시간 후 (공복혈당, 식후혈당) 측정 되었다. - 입원 당시의 혈당, 식이처방을 받은 후 약물 치료를 중단했을 때의 혈당, 퇴원 당 시의 혈당을 확인하였다.

5) 약제 사용량 변화 - 입원 일에 환자가 복용하고 있던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의 종류 및 용량/용법을 확인하였다. - 퇴원 일에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의 종류 및 용량/용법을 확인하였다. - 환자가 입원 기간 중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의 복용 중단 시기를 확인 하였다.

6)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 조사 - 입원 일과 퇴원 일에 검사한 검사실 검사항목들을 확인하였다. - 검사실 검사항목 화학일반검사 HbA1c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Creatinine BUN Hemoglobin

7) 체중 변화 조사 - 입원 일과 퇴원 일의 체중 및 BMI(kg/m2)를 확인하였다.

- 12 -


Ⅶ. 통계분석 1.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학적, 영양학적 정보에 대하여 기술통계학적 분석을 한다. 고혈압 및 당뇨병으로 대구의료원에 내원하여 식이중재 입원치료에 동의한 사람들을 대상 으로 2009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조사된 환자들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환자들의 나이, 신장, 체중과 같은 연속형 변수들은 평균±표준편차로 요약하였고, 성별, 흡연력, 음주력과 같은 범주형 변수들은 빈도(비율)로 요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 들에게 동일한 식이처방을 하였고 그 외의 특별한 intervention이 없었기에 환자들의 분포와 특성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2. 입원 일, 약물치료 중단 일, 퇴원 일에 따른 혈압 및 혈당의 분포를 살펴본다. 대구의료원에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대부분이 지난 몇 년 혹은 몇 달간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던 환자들이다.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는 동 안 대부분의 환자들은 기존에 복용하던 치료제를 중단하고 식이중재만으로 혈압 및 혈당을 유지하며 퇴원하게 된다.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기 전인 입원 시 혈압 및 혈당, 식이중재 입원치료 도중 기존에 복용하던 약물 치료제를 중단했을 때 혈압 및 혈당, 식이중재 입원치 료 후 퇴원 시 혈압 및 혈당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3. 식이중재에 따른 혈압 및 혈당의 변화 양상과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 변화 양상 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자료 분석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기 전인 입원 했을 때 혈압 및 혈당, 식이처방 치료 도중 기존에 복용하던 약물 치료제를 중단했을 때 혈압 및 혈당, 식이처방 입원치료 후 퇴원 했을 때 혈압 및 혈당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각 시점에 따른 혈압 및 혈당의 변화량의 차이 가 있는지 반복측정자료 분석을 위한 선형혼합효과모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환 자들의 입원기간 및 약물치료중단 기간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 대해 혈압 및 혈 당이 측정된 실제 기간을 모형에 보정시켜주었다. 고정 효과로서 혈압 및 혈당을 측정한 각 시점(입원, 약물치료중단, 퇴원), 실제 혈압 및 혈당이 측정된 기간(day)을 설정하고 random effect는 각 환자들(subject)로 설정하여 모형에 적용시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 의 혈압 및 혈당이 측정된 기간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각 시점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나는지 확인하였다. 시점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을 때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를 통하여 시점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 13 -


Ⅷ. 연구 결과

1. 대구의료원 환자의 일반적 특성

환자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43.5 ± 21.1일 이었으며, 입원 이후 투약을 중단하기까지의 평균 기간은 12.9 ± 15.6일로 나타났다. 입원 당시 평균 수축기 혈압은 135.5 ± 15.4, 이완기 혈압 84.1 ± 10.9mmHg 으로 나 타났다. 입원 환자 중에서 흡연을 하는 환자는 9(5.6%)명, 흡연을 하지 않는 환자는 151(94.4%)명이며,

음주를 하는 환자는 21(13.1%)명 음주를 하지 않는 환자는

139(86.9%)명이었다. 환자들은 하루 평균 3.5±1.3 개의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 하고 있었으며 그 중 고혈압 치료제는 1.7±0.8 개, 당뇨병 치료제는 1.7±0.9 개 정도 이 었고 인슐린 주사제의 사용도 있었다.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 이외에 고지혈증 치료제를 복용하는 환자들도 있었으며 0.8±0.7 개 정도를 복용하고 있었다. 대구의료원에 입원할 때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던 전체 환자 160명은 식이처방 입원치료를 받는 도중에 투약을 중단한 환자 138명과 투약을 중단하지 못한 환자 22명으로 다시 나눌 수 있었다. 투약중단 여부에 따른 환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2에 요 약하였다.

그림 3. 대구의료원 입원기간의 특성

- 14 -


표 2. 전체 환자와 입원 중 투약중단 여부에 따른 환자의 일반적 특성 전체 (N=160)

투약중단 군 (N=138)

투약지속 군 (N=22)

나 이 (year)

61.1±9.0

61.4±8.5

59.6±11.7

0.514*

키 (cm)

158.4±8.0

158.5±8.1

157.7±7.5

0.651*

몸무게 (kg)

65.0±11.1

65.7±11.2

60.9±9.3

0.059*

BMI (kg/m2)

25.9±3.9

26.1±3.9

24.5±3.8

0.078*

남자(%)

45(28.1)

39(28.3)

6(27.3)

여자(%)

115(71.9)

99(71.7)

16(72.7)

0.924

총 입원기간 (day)

43.5±21.1

44.0±19.1

40.5±31.4

0.625

투약중단까지의 기간(day)

12.9±15.6

12.9±15.6

-

입원 시 수축기혈압 (mmHg)

135.5±15.4

135.1±14.5

137.7±20.7

0.578*

입원 시 이완기혈압 (mmHg)

84.1±10.9

84.1±10.5

84.1±13.3

0.990*

예(%)

9(5.6)

7(5.1)

2(9.1)

아니오(%)

151(94.4)

131(94.9)

20(90.9)

예(%)

21(13.1)

16(11.6)

5(22.7)

아니오(%)

139(86.9)

122(88.4)

17(77.3)

0.173

고혈압 & 당뇨병 치료제

3.5±1.3

3.6±1.2

3.3±1.7

0.298‡

고혈압 치료제

1.7±0.8

1.7±0.8

1.9±1.1

0.417‡

당뇨병 치료제

1.7±0.9

1.7±0.9

1.7±0.8

0.859‡

기타 치료제(고지혈증)

0.8±0.7

0.8±0.7

0.8±0.8

0.974‡

p value

성 별

*

흡연력

0.358

음주력

약제사용량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or frequence (percentage) *: independent t-test †: chi square test(Fisher’s exact test) ‡: Wilcoxon rank sum test

- 15 -


2. 식이섭취 조사 대구의료원의 식이처방 기록자료를 사용하여 대상 환자들의 음식군별 섭취량, 열량 및 영 양소 섭취량에 대한 결과를 얻고 한식식사유형지수(KDPS)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를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단, 식이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대상 환자들이 식이처방을 통해 제 공된 음식물을 모두 섭취하였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대상 환자들의 잔반량을 조사하지 않아 실제 섭취량을 알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으며 이는 환자들의 치료 기록을 후 향적으로 관찰 조사한 연구이기 때문이다.

1) 음식군별 섭취 조사 매 끼니 별 섭취한 음식을 조리법에 따라 음식군으로 분류한 후 대상 환자들의 음식군별 하루 섭취량을 조사하였고 그 평가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대구의료원의 식이처방 식

단은 주식인 전곡류(현미)밥에 반찬류를 곁들여 하루 3끼의 식사, 그리고 1일 1회 과일류를 함께 제공하는 내용으로 구성되고 동물성식품 섭취를 일체 제한하고 있다. 전통적인 한국 음 식 상차림처럼 주식과 부식의 구분이 뚜렷하고 부식으로 발효식품인 김치류와 장류(간장/된 장/고추장 등)를 빈번하게 사용하며, 나물류, 조림, 찜 및 구이 등의 조리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전세계적으로 전곡류 섭취가 권장되는 것처럼 대구의료원에서도 전곡류 섭취를 위해 100% 현미만을 사용해 밥을 짓고 있고 한 명의 환자당 밥 섭취량은 하루 평균 499.6± 214.6g, 한 끼에 166.5g 이며 이는 한국인 1공기 섭취 권장기준의 80%에 해당한다. 또한 현미밥만을 주식으로 하므로 면류 및 빵류 등의 기타 곡류를 이용한 음식은 전혀 섭취 하지 않았다. 김치류(김치/장아찌) 하루 섭취량은 201.5± 16.5g이였고 장류는 하루 69g정도를 섭취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에서 권장한 김치류와 장류의 하 루 1인 섭취분량은 각각 150g과 15g이어서 본 대상 환자들은 김치류를 권장량보다 1.3배, 장류를 4배 많이 섭취한 셈이다. 또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19)에 따르면 한국인 50세 이상 성인의 장류 하루 섭취량은 약27.6g(간장 6.1g, 고추장 3.5g, 된장 13.3g)이어서 이와 비교 시에는 대상 환자들이 1.4배 많게 섭취하였다. 또한 본 대상 환자들은 채소류를 주로 생채나 숙채류의 형태로 하루 총 568.0± 28.1g을 20)

섭취하였다.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에 따르면 균형잡힌 식사유형 중에 포함된 채소류 섭취량 은 김치류를 1일 3회 포함하여 1인 1회 분량 70g, 하루 7회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채 소류를 생채나 숙채 형태로 하루 8회 정도 섭취하고 김치류를 따로 하루 3회 섭취하였으므 로 총 채소류 섭취 횟수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의 권장 횟수 보다 약 4회나 많다. 20)

앞서 언급했듯 과일류를 1일 1회 제공하였는데 그 섭취량은 100g 정도로써 한국영양학회

- 16 -


에서 1인 1회 과일류 섭취량으로 제시하고 있는 양(100g)과 유사하였다. 여러 선행 연구에서 식이섬유소 섭취량과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대해 보고한 바에 따르면, 총섬유소 섭취량 증가는 체중, 허리둘레 감소와 관련 있고17), 전곡류를 통한 식이섬유소 섭취 증가는 당뇨병 발병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난소화성 전분이 인슐린민감도 와 내당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하였다18). 본 연구에서 제공하였던 식이중재 식단도 100% 전곡류(현미)로 이용한 주식(밥)류를 공급하고 다양한 반찬과 발효식품 위주로 이루 어져 있으므로 식이섬유소 섭취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표. 3 대상 환자의 음식군별 섭취량 음식 군

섭취량 (g/day)

백 미 밥

0.0± 0.0

현미밥(잡곡)

499.6± 214.6

밥공기 기준(⅓공기 70g 기준)

7.1± 3.1

고구마/감자류

0± 0

국/찌개/탕류

476.8± 33.2

김치/장아찌류

201.5± 16.5

김 치

168.2± 14.6

전통장류

69.3± 6.9

간 장

21.5± 2.8

된 장

28.5± 3.5

고추장

19.3± 2.0

식초

7.7± 1.5

생채/숙채류

568.0± 28.1

구이/조림/ 찜류

137.3± 23.8

마른반찬/ 젓갈/ 전

59.2± 14.7

구이

생선 및 어패류

1.3± 6.3

/찜

육 류

0± 0

/조림류

계 란

0± 0

기 타(채소류/곡류)

142.9± 23.0

과일류

135.8± 21.9

빵 류

0± 0

면 류

0± 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 17 -


2) 열량 및 영양소 섭취 조사 대상 환자들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를 분석한 결과는 표 4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 피험자 들은 하루 평균 1,573Kcal 열량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고 영양소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63%, 단백질 14%와 지방 23%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도 피험자들의 체중감소, 혈압 및 혈 당 감소를 확인하였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19)에 따르면 탄수화물로부터 얻은 열량섭 취 비율이 55~70%인 경우, 70% 이상 섭취한 경우보다 수축기 혈압, 혈당, 체질량지수, 허 리둘레 및 혈중 중성지방이 유의적으로 낮고 만성질환 관련 생화학적 지표의 위험을 낮춘다 고 보고되고 있다. 지방의 과다 섭취는 비만을 유도하기 쉽고 포화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증가하 면 심혈관질환 등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대상 환자들의 지방섭취비율은 23%로 나타나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20)에서 권고사항으로 제시한 적 정비율인 15~25%에 속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국 NCEP ATPⅢ(2002)21)에서는 심혈 관 질환 예방을 위해 콜레스테롤 섭취는 300mg/일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권고하는데 본 연 구에서는 동물성식품 섭취를 일체 제한하므로 콜레스테롤 섭취가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 환자들의 식이섬유소 하루 섭취량은 45.9±3.7g(23.69g/1,000kcal)로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20)에서 제시한 식이섬유소 충분섭취량인 12g/1,000kcal 에 비 교하면 약 2배가량 높았다. 본 임상시험에서의 나트륨 하루 섭취량은 6,660±126.2mg이었다. 이는 한국인 19세 이 상 성인의 나트륨 하루섭취량 4,749.7mg(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22)과 WHO(2003)⁸⁾의 섭취 권고량 2,000mg과 비교할 때 본 연구 환자들이 섭취한 나트륨은 각각 1.4배와 3.3배 정도 높게 섭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0)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 에 의하면

성인과 노인의 칼슘 하루 권장섭취량은

600~800mg이며 실제 한국인 하루 칼슘섭취량(1969년~ 2008년)은 400~600mg으로 나 타나 칼슘은 전 국민에게 부족한 영양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식단은 우유 및 유제품류를 제한한 식단임에도 불구하고 칼슘섭취가 권장수준을 상회하는 722mg로 나타나 채식 위주의 식단만으로도 충분한 칼슘을 공급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대상 환자들의 철분 하루 섭취 량은 22.1±2.4mg, 엽산 하루 섭취량은 573.4±48.5㎍ 이었다. 이를 각각 한국인 성인 철 분 권장섭취량인 남자 9.5mg/일, 여자 11mg/일, 엽산권장섭취량 400㎍/일과 비교하면, 본 임상시험의 식이처방으로도 철분 및 엽산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약하면 본 연구의 입원기간 대상 환자들은 하루 평균 1,573Kcal 열량에 해당하는 식사 를 하고 동물성식품을 제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총열량섭취량 중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의 섭취비율은 적정수준이었다. 한국인이 밥, 국, 나물류(채소류), 김치로 구성 된 전통 한식 에 가까운 식단으로 식사를 할 때 발효식품인 장류와 김치류 등의 섭취가 많아짐으로 인하

- 18 -


여 염분 과다 섭취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본 연 구에 의하면 대상 환자들이 채식위주의 한식 식사유형으로 식사를 하고 비교적 자유롭게 염 분 섭취를 함에도 불구하고 체중감소와 함께 혈압과 혈당이 감소함을 관찰하였고 충분한 영 양소 섭취가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한국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인 칼슘, 철분 및 엽산은 한국인영양섭취기준20)의 권장 수준 이상으로 섭취함을 확인하였고, 채식 위 주의 한식 섭취만으로도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를 충원할 수 있고, 동물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제한식이 건강에 이로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4. 조사대상자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실태 영 양 소 열량(kcal) 식물성단백질(g) 동물성단백질(g) 총단백질섭취량(g) 총단백질섭취율(%) 식물성지질(g) 동물성지질(g) 총지질섭취량(g) 총지질섭취율(%) 당질(g) 총탄수화물섭취율(%) 식이섬유(g) 회분(g) 식물성칼슘(mg) 동물성칼슘(mg) 총칼슘섭취량(mg) 인(mg) 식물성철분(mg) 동물성철분(mg) 총철분섭취량(mg) 나트륨(mg) 칼륨(mg) 아연(mg) 비타민A(㎍ RE) 레티놀(㎍) β-카로틴(㎍) 비타민B1(mg) 비타민B2(mg) 비타민B6(mg) 나이아신(mg) 비타민C(mg) 엽산(㎍) 비타민E(mg) 콜레스테롤(mg)

1573.9±342.3 57.9±8.1 0.0±0.2 57.9±8.3 14 41.9±3.8 0.0±0.0 41.9±3.8 23 254.0±68.7 63 45.9±3.7 31.7±1.4 720.9±38.3 1.7±8.1 722.6±46.3 1350.4±259.1 22.1±2.4 0.0±0.0 22.1±2.4 6660.0±126.2 4762.5±331.2 9.8±1.5 1782.2±100.9 0.0±0.0 10257.3±651.7 1.7±0.3 1.3±0.1 3.9±0.6 21.6±3.5 228.6±19.9 573.4±48.5 24.7±1.8 1.5±2.3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19 -


3) 식이처방 식단의 식사유형지수 ‘총160명의 대상 환자들이 대구의료원 입원기간 동안 얼마나 한국식으로 섭취하였 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식이처방 식단에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를 적용하여 평가 하였다. 제1-1과제에서 예로부터 한국식의 가장 기본적인 반상차림인 ‘3첩 반상’을 기준으 로 7가지 항목인 ① 밥/죽/떡국/만둣국/국수류, ② 국/찌개/전골류, ③ 김치/장아찌류, ④ 장류 ⑤ 생채/숙채류 ⑥ 구이/조림/전/찜류 ⑦ 마른반찬/젓갈류 ⑧ 한식섭취빈도(하루) 의 항목까지 총 8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각 항목별 10점씩 점수를 부여하고 밥류 중 잡 곡밥을 섭취한 경우 20점을 부과하는 방법으로 총점 100점의 한식 식사유형지수가 개 발되었다. 이 지수의 점수에 따라 한식 식사유형을 상위군(35~100점), 중위군(26~35 점), 하위군(0~26점)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구의료원 식이처방 식단의 경우 평균 54.9±9.6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KDPS) 상위군에 해당하였다.

즉 본 연구의 식

단이 주식인 현미밥, 국류와 김치류를 기본으로 하며, 생채나 숙채인 나물류 반찬과 구 이/조림/볶음 등의 조리법을 주로 사용하여 만든 반찬을 곁들이는 식사유형으로써 식단 구성에서 동물성식품과 가공식품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였다는 한계가 있지만, 한식식사 유형지수(KDPS)에 근거할 때 높은 한식 식사유형의 식사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제 1‐2과제에서 개발된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하여 식단을 평가한 결과 본 식 단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는 23.9±5.9점으로 3분위수 중위군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가 한국인 권장식사패턴에 근거한 식품군별 섭취 빈도를 적용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발효식품, 전곡류, 생채, 숙채 등과 같은 한국인 이 전통적으로 먹어 온 한국 음식의 특성과 특질을 구별하여 평가하고 반영할 수 있는 점수 화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대상 환자들이 섭취한 한식의 식사유형을 변별할 수 없었다 고 여겨진다. 반면,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는 한국의 전통 반상차림의 속성을 내포하고 있고, 식사유형지수가 높을수록 질병위험도가 낮아지는 비교적 일관되고 긍정적 결과를 제 1‐1과제에서 이미 도출하였기에 본 연구에서 “대구의료원에 입원한 대상 환자들이 얼마나 한국식으로 섭취하였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대상 환자들이 한식식사유형지수(KDPS)가 평균 54.9점으로 높은 상위군 한식 식사유형을 섭취하였다고 대답할 수 있겠다.

- 20 -


3. 입원 중 투약을 중단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는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수축기/이완기 혈압 분포와 변화를 살펴보았다.

1) 혈압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 시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변화를 표 5 (그림 4)에 요약하였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모두가 입원 이후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 소하였으며 입원 이후 퇴원 시까지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투약중단 이후 퇴원 시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으면서 퇴원 시까지 감소한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표 5.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에 관찰된 혈압 입원

투약중단 †

수축기 혈압(mmHg)

135.1±14.5

이완기 혈압(mmHg)

84.1±10.5

p value

퇴원 †

128.3±11.2 ‡

80.8±7.0

*

130.5±12.1

<.001

<.001

82.5±7.8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nas estimate(95%CI) p value (입원-투약중단 -8.7(-11.5 to -6.0) p<.001, 입원-퇴원 -11.0(-15.4 to -6.5) p <.001, 투약중단-퇴원 -2.2(-5.9 to 1.4) p 0.685) ‡

: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nas estimate(95%CI) p value (입원-투약중단 -4.3(-6.3 to -2.4) p<.001, 입원-퇴원 -5.4(-8.5 to -2.2) p 0.002, 투약중단-퇴원 -1.1(-3.6 to 1.5) p 1.000)

- 21 -


그림 4. 투약중단 대상자들의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기에 따라 관찰된 혈압

2) 혈압 분포 입원 당시 수축기 혈압이 130mmHg이하인 환자는 69(50.0%)명, 131-140mmHg인 환 자는 36(26.1%)명, 141-150mmHg인 환자는 19(13.8%)명, 151-160mmHg인 환자는 13(9.4%)명, 161mmHg 이상인 환자는 1(0.7%)명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입원기간 중 투약 을 중단했을 때의 수축기 혈압이 130mmHg이하인 환자는 89(64.5%)명, 131-140mmHg 인 환자는 37(26.8%)명, 141-150mmHg인 환자는 7(5.1%)명, 151-160mmHg인 환자 는 5(3.6%)명, 161mmHg 이상인 환자는 0(0%)명이었다. 퇴원 시 수축기 혈압이 130mmHg이하인 환자는 93(67.4%)명, 131-140mmHg인 환자 는 21(15.2%)명, 141-150mmHg인 환자는 20(14.5%)명, 151-160mmHg인 환자는 4(2.9%)명, 161mmHg 이상인 환자는 0(0%)명으로 분포하고 있었다(표 6, 그림 5).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 원 시의 이완기 혈압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입원 당시 이완기 혈압이 80mmHg이하인 환자는 76(55.1%)명, 81-90mmHg인 환자는 43(31.2%)명, 91-100mmHg인 환자는 18(13.0%) 명, 101-110mmHg인 환자는 0(0%)명, 111mmHg 이상인 환자는 1(0.7%)명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입원기간 중 투약을 중단했을 때의 이완기 혈압이 80mmHg이하인 환자는 75(54.4%) 명,

81-90mmHg인

환자는

58(42.0%)명,

91-100mmHg인

환자는

5(3.6%)명,

101-110mmHg인 환자는 0(0%)명, 111mmHg 이상인 환자는 0(0%)명이었다. 퇴원 시 이완기 혈압이 80mmHg이하인 환자는 81(58.7%)명, 81-90mmHg인 환자는 49(35.5%)명, 91-100mmHg인 환자는 8(5.8%)명, 101-110mmHg인 환자는 0(0%)명, 111mmHg 이상인 환자는 0(0%)명으로 분포하고 있었다(표 7, 그림 6). 즉, 입원 전에 비해 입원하여 약물 투약을 중단한 후에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모두를 권

- 22 -


고 범위로 유지하는 환자들이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표 6. 수축기 혈압 분포 수축기 혈압

입원

투약중단

퇴원

(mmHg)

N(%), N=138

N(%), N=138

N(%), N=138

130이하

69(50.0)

89(64.5)

93(67.4)

131-140

36(26.1)

37(26.8)

21(15.2)

141-150

19(13.8)

7(5.1)

20(14.5)

151-160

13(9.4)

5(3.6)

4(2.9)

161이상

1(0.7)

0(0.0)

0(0.0)

그림 5. 수축기 혈압 분포

표 7. 이완기 혈압 분포 이완기 혈압

입원

투약중단

퇴원

(mmHg)

N(%), N=138

N(%), N=138

N(%), N=138

80이하

76(55.1)

75(54.4)

81(58.7)

81-90

43(31.2)

58(42.0)

49(35.5)

91-100

18(13.0)

5(3.6)

8(5.8)

101-110

0(0.0)

0(0.0)

0(0.0)

111이상

1(0.7)

0(0.0)

0(0.0)

- 23 -


그림 6. 이완기 혈압 분포

3) 고혈압 치료제 사용 정도별 입원, 투약중단, 퇴원에 따른 혈압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입원 당시 복용하고 있던 고혈압 치료제 사용량을 확인하였다. 입원 당시 고혈압 치료제 1개를 복용한 환자는 71(51.5%)명, 2개를 복용한 환자는 45(32.6%)명, 3개를 복용한 환자는 20(14.5%)명, 4 개를 복용한 환자는 2(1.4%)명이었다(표 8). 표 8.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사용량 고혈압 치료제 사용 정도

N (%), N=138

1

71(51.5)

2

45(32.6)

3

20(14.5)

4

2(1.4)

전체 138명의 대상자를 고혈압 치료제 2개 미만으로 복용한 환자군과 2개 이상으로 복용 한 환자군으로 다시 나누어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 시의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의 변 화를 살펴보았다. 고혈압 치료제를 2개 미만으로 복용한 환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시의 혈압 변 화를 표 9 (그림 7)에 요약하였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모두가 입원 이후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 24 -


하였으며, 입원 이후 퇴원 시까지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투약 중단 이후 통 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으면서 퇴원 시까지 일정 수준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표 9.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 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입원

투약중단

퇴원

p value

수축기 혈압(mmHg)

134.1±13.4†

126.0±10.3†

127.5±11.6†

<.001*

이완기 혈압(mmHg)

84.4±10.7

79.6±6.7

80.6±7.4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nas estimate(95%CI) p value (입원-투약중단 -9.5(-13.6 to -5.4) p <.001, 입원-퇴원 -12.4(-18.8 to -5.9) p 0.001, 투약중단-퇴원 -2.9(-8.3 to 2.6) p 0.920) ‡

: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nas estimate(95%CI) p value (입원-투약중단 -5.4(-8.3 to -2.5) p 0.001, 입원-퇴원 -6.1(-10.8 to -1.5) p 0.029, 투약중단-퇴원 -0.8(-4.7 to 3.2) p 1.000)

그림 7.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 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고혈압 치료제를 2개 이상으로 복용한 환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시의 혈압 변 화를 표 10 (그림 8)에 요약하였다. 수축기 혈압이 입원 이후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입원 이후 퇴원 시까지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투약중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는 않으면서 퇴원 시까지 일정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이완기 혈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지만 입원 이후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약간 감소하고, 투약중단 이후 퇴원 시까지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입원 이후 퇴원 시 까지 전체적으로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경향이었다.

- 25 -


표 10.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 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입원

투약중단

퇴원

p value

수축기 혈압(mmHg)

136.3±15.6†

130.7±11.6†

133.7±11.9†

0.002*

이완기 혈압(mmHg)

83.7±10.4

82.1±7.1

84.4±7.8

0.12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nas estimate(95% CI) p value (입원-투약중단 -8.3(-13.1 to -3.6) p 0.002, 입원-퇴원 -10.8(-17.8 to -3.7) p 0.009, 투약중단-퇴원 -2.4(-8.1 to 3.3) p 1.000)

그림 8. 입원 시 고혈압 치료제 2개 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압 변화

4. 입원 중 투약을 중단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는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혈당 분포와 변화를 살펴보았다.

1) 혈당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 시의 공복혈당 및 식후 2시간 혈당의 변화를 표 11(그림 9)에 요약하였다. 공복혈당은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하는 단계를 거쳐 퇴원 할 때까지 통계적으로 유의

- 26 -


한 변화는 없었고 일정 수준을 유지 하였다. 식후 2시간 혈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아니지만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감소하고, 이 시점부터 퇴원 시까지 더욱 감 소하였다. 따라서 공복혈당과 식후혈당 모두 투약중단 후에도 혈당 측정치의 재 증가 없이 감소 또는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표 11.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에 관찰된 혈당 변화 입원

투약중단

퇴원

p value

공복혈당(mg/dL)

130.9±43.3

131.3±34.8

130.6±39.8

0.597

식후2시간혈당(mg/dL)

193.4±75.2

188.0±65.8

180.1±76.7

0.552

*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9. 투약중단 대상자들의 입원, 투약중단, 퇴원 시기에 따라 관찰된 혈당

2) 혈당 분포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 원 시의 공복혈당 및 식후 2시간 혈당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입원 당시 공복혈당이 126mg/dL미만인 환자는 77(55.8%)명, 126mg/dL이상인 환자는 61(44.2%)명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입원기간 중 투약을 중단했을 때 공복혈당이 126mg/dL미만 인 환자는 78(56.5%)명, 126mg/dL이상인 환자는 60(43.5%)명이었다. 퇴원 시 공복혈당이 126mg/dL미만인 환자는 80(57.9%)명, 126mg/dL이상인 환자는 58(42.1%)명으로 분포하고 있었다(표 12, 그림 10).

- 27 -


입원 당시 식후혈당이 200mg/dL미만인 환자는 87(63.0%)명, 200mg/dL이상인 환자는 51(37.0%)명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입원기간 중 투약을 중단했을 때 식후혈당이 200mg/dL미만 인 환자는 90(65.2%)명, 200mg/dL이상인 환자는 48(34.8%)명이었다. 퇴원 시 식후 혈당이 200mg/dL미만인 환자는 102(73.9%)명, 200mg/dL이상인 환자는 36(26.1%)명으로 분포하고 있었다(표 13, 그림 11). 따라서 공복 및 식후 혈당 모두에서 입원치료 시작 시점에 비해 퇴원 시점에 정상범위로 조절되는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정상범위를 벗어난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줄 어들었음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즉, 입원 전에 비해 입원하여 약물 투약을 중단한 후에 공 복혈당과 식후2시간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환자들이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 었다.

- 28 -


표 12. 공복혈당 분포 공복혈당

입원 시

투약중단

퇴원 시

(mg/dL)

N(%), N=138

N(%), N=138

N(%), N=138

126미만

77(55.8)

78(56.5)

80(57.9)

126이상

61(44.2)

60(43.5)

58(42.1)

그림 10. 공복 혈당 분포

표 13. 식후2시간 혈당 분포 식후 2시간 혈당

입원 시

투약중단

퇴원 시

(mg/dL)

N(%), N=138

N(%), N=138

N(%), N=138

200미만

87(63.0)

90(65.2)

102(73.9)

200이상

51(37.0)

48(34.8)

36(26.1)

그림 11. 식후2시간 혈당 분포

- 29 -


3) 당뇨병 치료제 사용 정도 별 입원, 투약중단, 퇴원에 따른 혈당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대상자들의 입원 당시 복용하고 있던 당뇨병 치료제 사용량을 확인하였다. 입원 당시 당뇨병 치료제 1개를 복용한 환자는 67(48.5%)명, 2개를 복용한 환자는 47(34.1%)명, 3개를 복용한 환자는 17(12.3%)명, 4 개를 복용한 환자는 7(5.1%)명이었다(표 14).

표 14.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사용량 당뇨병 치료제 사용 정도

N (%), N=138

1

67(48.5)

2

47(34.1)

3

17(12.3)

4

7(5.1)

전체 138명의 대상자를 다시 당뇨병 치료제 2개 미만으로 복용한 환자군과 2개 이상으로 복용한 환자군으로 나누어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 시의 공복 및 식후 혈당의 변화를 살 펴보았다. 당뇨병 치료제를 2개 미만으로 복용한 환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시의 혈압 변 화를 표 15 (그림 12)에 요약하였다. 공복혈당은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약간 감소하였고 투약 중단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없이 퇴원 시까지 감소한 정도를 유지하는 경향이었다. 식후혈당은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감소하였고 이 시점 이후부터 퇴원 시까지 더욱 감소 하였다. 따라서 공복혈당과 식후혈당 모두 입원 이후 특히, 투약중단 이후에 혈당 측정치의 재 증가 없이 감소 또는 유지되는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표 15.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 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입원

투약중단

퇴원

p value

공복혈당(mg/dL)

127.2±39.7

125.4±30.3

125.2±36.6

0.971*

식후2시간혈당(mg/dL)

177.3±67.6

174.3±66.0

168.8±69.2

0.644*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30 -


그림 12.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 미만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당뇨병 치료제를 2개 이상으로 복용한 환자들의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시의 혈압 변 화를 표 16(그림 13)에 요약하였다. 공복혈당은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하는 단계를 거 쳐 퇴원 시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식후혈당은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지만 감소하였고 이 시점 이후 퇴원 시까지 더욱 감소하였다. 따라서 공복혈당과 식후혈당 모두 투약중단 후에도 혈당 측정치의 재 증가 없이 감소 또는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표 16.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 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입원

투약중단

퇴원

p value

공복혈당(mg/dL)

134.5±46.5

136.8±38.0

135.8±42.2

0.313

식후2시간혈당(mg/dL)

209.0±79.4

201.0±63.4

191.5±82.7

0.93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13. 입원 시 당뇨병 치료제 2개 이상 복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 31 -

* *


4) 당뇨병 치료제 용법 별 입원, 투약중단, 퇴원에 따른 혈당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의 대상자들을 다시 경구 치료제와 인 슐린 치료제 두 가지 모두 사용하는 환자군(21명)과 경구 치료제만 사용하는 환자군(117명)으 로 나누어 입원 시, 투약중단 시, 퇴원 시의 공복 및 식후 혈당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인슐린 치료제를 사용하는 환자군(21명) 중에서 하루 한번 사용하는 환자는 12명(57.1%), 두 번 사 용하는 환자는 6명(28.6%), 3번 이상 사용하는 환자는 2명(9.5%) 이었고, 1명(4.8%)은 인슐 린 치료제를 사용하였지만 진료기록 정보가 없었다. 또한 인슐린 치료제를 사용하는 환자군에 서 하루 평균 인슐린 투여량은 31.9±15.5단위 이었다. 경구 치료제와 인슐린 치료제 두 가지 모두 사용하고 있는 환자군(21명)의 혈당 변화를 표 17(그림 14)에 요약하였다. 공복과 식후혈당 모두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하는 단계를 거쳐 퇴원 할 때까지 통계 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음을 관찰하였고 이는 공복과 식후혈당 모두가 약물 투약중단 후에 도 혈당 측정치의 재 증가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하겠다. 표 17. 입원 시 경구치료제+인슐린 치료제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입원

투약중단

퇴원

p value

공복혈당(mg/dL)

131.2±51.0

146.3±43.5

146.8±48.9

0.552

식후2시간혈당(mg/dL)

181.1±71.1

213.6±71.3

218.9±88.7

0.33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14. 입원 시 경구 치료제와 인슐린치료제 모두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경구 치료제만 사용하고 있는 환자군의 혈당 변화를 표 18(그림 15)에 요약하였 다. 공복과 식후혈당 모두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하는 단계를 거쳐 퇴원 할 때까 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오히려 식후혈당은 입원 이후

- 32 -


부터 투약을 중단할 때까지, 그리고 이 시점에서 퇴원 할 때까지 측정치가 더욱 떨어 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공복과 식후혈당 모두가 약물 투약중단 후에도 혈당 측정 치가 재 증가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하겠다. 표 18. 입원 시 경구 치료제만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입원

투약중단

퇴원

p value

공복혈당(mg/dL)

130.9±41.9

128.4±32.4

127.4±37.1

0.934*

식후2시간혈당(mg/dL)

195.8±76.0

183.1±63.9

172.7±72.4

0.67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15. 입원 시 경구 치료제만 사용한 대상자들의 혈당 변화

5. 약제 사용량 변화 본 연구에서 총 160명의 조사 대상자들은 입원 당시 하루 평균 약 3.5개의 고혈압 및 당 뇨병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평균 입원기간은 43.5± 21.1일, 입원 이후 약물투약을 중 단하기까지 평균12.91± 5.5일이 걸렸다. 총 160명의 조사 대상자들 중 식이중재 입원치료 후 모든 약물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환자는 138명이었고 이들의 약물 사용량의 변화를 그림 16에 나타내었다. 입원치료 약 7일 경과 후에는 전체 대상자 중 약 50% 가 투약을 중단했고, 약 14일 경과 후엔 대상자 중 약 80%가 투약을 중단했다.

- 33 -


그림 16. 입원기간 중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제 사용량의 변화

6. 생체 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1) 전체 138명 환자의 생체 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환자의 입원 시와 퇴원 시에 측정된 생 체 표지자 검사수치들의 변화를 표 19(그림 17~24)에 요약하였다. 환자들 각각의 입원기간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생체 표지자 검사수치 변화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생체 표지자 검사 항목들 중 당화혈색소(HbA1c), 중성지방(Triglyceride), BUN, Creatinine의 값이 입원 시에 비 하여 퇴원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심혈관 질환 위험 억제 기능이 있는 HDL-콜레스테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심혈관 질 환 위험인자인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혈색소(Hemoglobin) 수치 또한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19. 생체 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전체 (n=138)

p

평균변화 †

입원

n

퇴원

n

(95% CI)

value

당화혈색소(%)

7.6±1.5

136

7.2±1.2

105

-0.8(-1.4 to -0.4)

0.001

총 콜레스테롤 (mg/dL)

165.1±37.5

138 155.9±38.2

107

-10.4(-32.5 to 11.7)

0.356

중성지방 (mg/dL)

167.4±107.6

136

94.7±41.8

109

-98.4(-147.8 to -49.0)

<.001

HDL-콜레스테롤 (mg/dL)

48.1±11.7

136

50.2±11.8

109

4.1(-1.0 to 9.3)

0.115

LDL-콜레스테롤 (mg/dL)

85.1±31.7

131

87.5±34.8

106

7.5(-12.5 to 27.5)

0.461

BUN (mg/dL)

17.7±8.4

138

11.9±5.9

112

-6.3(-8.9 to -3.7)

<.001

Creatinine (mg/dL)

1.1±0.7

138

1.1±0.9

112

-0.2(-0.3 to -0.04)

0.016

혈색소 (mg/dL)

12.6±1.4

138

12.8±1.3

105

0.3(-0.1 to 0.8)

0.152

†: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an estimate(95% CI)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34 -


그림 17. 입원, 퇴원 시의 당화혈색소 변화

그림 18. 입원, 퇴원 시의 총 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19. 입원, 퇴원 시의 중성지방 변화

- 35 -


그림 20. 입원, 퇴원 시의 HDL-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21. 입원, 퇴원 시의 LDL-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22. 입원, 퇴원 시의 BUN 변화

- 36 -


그림 23. 입원, 퇴원 시의 Creatinine 변화

그림 24. 입원, 퇴원 시의 혈색소 변화

2) 성별에 따른 생체 표지자 검사수치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의 환자들의 입원 시와 퇴원 시에 측정된 생체 표지자 검사수치들의 변화를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고 표 20(그림 25~32)에 요약하였다. 환자들 각각의 입원기간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생체 표지자 검 사수치 변화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남자에서는 생체 표지자 검사 항목들 중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 (Triglyceride), BUN의 값이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 억제 기능이 있는 HDL-콜레스테롤 값은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증가하였다. 당화혈색소(HbA1c)와 Creatinine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 37 -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혈색소(Hemoglobin) 수치가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 여자에서는 생체 표지자 검사 항목들 중 당화혈색소(HbA1c), 중성지방(Triglyceride), BUN, Creatinine의 값이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입원 시 에 비하여 퇴원 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심혈관 질환 위험 억제 기능이 있는 HDL-콜레스테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인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혈색소(Hemoglobin)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 20. 성별에 따른 검사실 검사의 변화 남자 (n=39) 입원

n

퇴원

평균변화 p † ‡ n (95% CI) value

-1.0 (-2.1 to 0.1) -39.8 총 콜레스테롤 158.6±27.9 39 153.7±26.6 27 (-77.3 to (mg/dL) -2.3) -111.3 중성지방 (mg/dL) 144.9±64.9 39 80.7±30.2 28 (-186.3 to -36.2) 0.3 HDL-콜레스테롤 43.6±10.3 39 50.2±9.4 28 (-12.2 to (mg/dL) 12.8) -20.7 LDL-콜레스테롤 86.0±24.1 39 87.1±24.4 27 (-53.3 to (md/dL) 11.9) -7.4 BUN (mg/dL) 19.5±8.4 39 14.1±5.9 31 (-14.4 to -0.4) -0.01 Creatinine 1.3±0.8 39 1.3±1.0 31 (-0.3 to (mg/dL) 0.2) 0.9 혈색소 (mg/dL) 13.0±1.8 39 13.1±1.7 26 (-0.5 to 2.3) †: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an estimate(95% CI)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당화혈색소 (%)

7.4±1.5

39

7.0±1.1

27

0.072

여자 (n=99) 입원

n

퇴원

7.7±1.5

97

7.2±1.2

평균변화 p † ‡ n (95% CI) value 78

0.038 167.7±40.5 99 156.7±41.5 80

0.004 176.5±119.6 97 99.5±44.3

81

0.003 49.9±11.7 97 50.2±12.6

81

0.208 84.8±34.5 92 87.7±37.8

79

0.038

17.0±8.4

99

11.1±5.7

81

0.909

1.0±0.6

99

1.0±0.8

81

0.196

12.5±1.2

99

12.7±1.2

79

- 38 -

-0.9 (-1.5 to -0.3) -5.2 (-32.4 to 21.9) -96.7 (-158.7 to -34.6) 3.7 (-1.8 to 9.2) 13.2 (-11.3 to 37.8) -5.5 (-8.1 to -2.9) -0.2 (-0.4 to -0.1) 0.3 (-0.2 to 0.8)

0.005

0.705

0.003

0.180

0.289

<.001

0.014

0.212


그림 25.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당화혈색소 변화

그림 26.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총 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27.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중성지방 변화

- 39 -


그림 28.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HDL-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29.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LDL-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30.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BUN 변화

- 40 -


그림 31.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Creatinine 변화

그림 32.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혈색소 변화

7. 고지혈증 치료제 중단 여부에 따른 혈중지질의 변화 입원 당시 고지혈증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던 85명을 대상으로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고지 혈증 약물 투약을 중단한 환자군(26명)과 퇴원 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복용한 환자군(59명) 로 나누어 혈중 지질 수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고지혈증 약물 투약을 중단한 환자군의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과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가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약물 투약을 지속한 환자군에서는 중성지방(Triglyceride)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총콜레스테롤 과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없었다. 심혈관 질환 위험 억제 기능 이 있는 HDL-콜레스테롤은 투약중단 군과 투약지속 군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41 -


(표 21, 그림 33~36). 표21. 고지혈증 치료제 중단 여부 따른 검사실 검사의 변화 투약중단 군 입원

n

퇴원

n

p 평균변화 (95% CI)† value‡

-33.8 총 콜레스테롤 168.2±47.0 26 138.6±35.5 22 (-101.6 to (mg/dL) 34.0) -85.6 중성지방 163.7±107.1 25 93.3±43.4 23 (-216.5 to (mg/dL) 45.3) -5.9 HDL-콜레스테롤 47.7±8.5 25 49.1±10.8 23 (-18.5 to (mg/dL) 6.7) -17.4 LDL-콜레스테롤 91.2±40.3 24 70.5±34.0 22 (-77.8 to (mg/dL) 43.1) †: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an estimate(95% CI)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투약지속 군 입원

n

퇴원

n

p 평균변화 (95% CI)† value‡

25.0 (-10.4 to 60.4) -92.9 0.002 172.8±117.7 58 101.7±44.2 47 (-173.7 to -12.1) 7.5 0.413 50.7±13.4 58 52.1±12.5 47 (-1.0 to 16.0) 35.6 0.082 82.8±31.1 57 98.6±40.8 46 (4.4 to 66.8) 0.035 167.4±37.2 59 170.3±44.6 46

- 42 -

0.967

0.002

0.638

0.074


그림 33.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34.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중성지방 변화

그림 35.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HDL-콜레스테롤 변화

- 43 -


그림 36. 고지혈증치료제 투약 여부에 따른 LDL-콜레스테롤 변화

8. 체중과 체질량지수(BMI) 변화 1) 전체 138명의 체중, 체질량지수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환자들의 입원 시와 퇴원 시에 측 정한 체중 및 체질량지수의 변화를 표 22(그림 37~38)에 요약하였고. 환자 개개인의 입원 기간이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체중 및 체질량지수 변화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체중과 체 질량지수 모두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표 22. 입원 기간 동안 체중 및 체질량지수 변화 전체 (n=138)

체중 (kg) 2

체질량지수 (kg/m )

입원

n

퇴원

n

65.7±11.3

137

59.9±9.7

70

26.1±3.9

137

23.9±3.3

70

†: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an estimate(95% CI)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44 -

평균변화 (95%CI)† -2.8 (-4.7 to -0.9) -1.1 (-1.8 to -0.4)

p value‡

0.004 0.003


그림 37. 입원, 퇴원 시의 체중 변화

그림 38. 입원, 퇴원 시의 체질량지수 변화

2) 성별에 따른 체중, 체질량지수 변화 식이중재 입원치료 중 투약을 중단할 수 있었던 138명 환자들의 체중 및 체질량지수의 변 화를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고 표 23(그림 39~40)에 요약하였다. 체중과 체질량지수 가 여자군에서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남자군에서는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체중과 체질량지수를 측정한 기간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감소를 보이지는 않았다.

- 45 -


표 23. 입원 기간 동안 성별에 따른 체중 및 체질량지수 변화 남자 (n=39)

체중 (kg) 체질량지수 2

(kg/m )

입원

n

퇴원

n

71.6±11.8

38

66.9±9.2

18

25.3±3.2

38

23.6±2.7

18

p 평균변화 (95%CI)† value‡

여자 (n=99) 입원

n

퇴원

n

63.4±10.3

99

57.5±8.6

52

p 평균변화 (95%CI)† value‡ -3.4

2.9 (-2.5 to 8.2) 1.1 (-0.8 to 2.9)

0.270

(-5.1 to

<.001

-1.8) -1.5 0.245

26.4±4.1

99

24.0±3.5

†: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an estimate(95% CI)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39.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체중 변화

그림 40. 성별에 따른 입원, 퇴원 시의 체질량지수 변화

- 46 -

52

(-2.2 to -0.8)

<.001


9. 입원 중 투약을 지속한 대상자들의 특성

강력한 식이 중재가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투약 중단을 성공적으로 시도하지 못한 환자 가 22명으로 전체환자의 약 13.8% 에 해당하였다. 투약 중단을 성공적으로 시도하지 못한 환자군(22명) 중 9명(40.9%)은 기존 투약내용(고혈압 제재 1.3±0.9, 당뇨병 제재 1.0±0.7) 을 유지하고 있었고, 13명(59.1%)은 감량을 하였다. 고혈압 제재 사용량은 평균 2.2±1.1에 서 0.8±0.4로 줄었으며, 당뇨병 제재 사용량은 평균 2.0±0.9에서 0.2±0.4로 줄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투약 중단을 시도하지 못한 환자군(22명)에서 진행된 조사는 일부 검사항목들이 누 락되어 있어 통계적 의미가 떨어졌다. 입원 중 약물 투약을 중단하지 못한 환자군 대상자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이들은 투약 중단 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군에 비해 체중감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당화혈색소 를 비롯한 검사실 검사 성적이 현저히 개선되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 47 -


표 24. 투약을 지속한 대상자들의 특성 투약지속 군 (n=22) 입 원

퇴 원

수축기 혈압 (mmHg)

137.7±20.7

137.7±18.9

이완기 혈압 (mmHg)

84.1±13.3

85.2±10.4

공복 혈당 (mg/dL)

116.4±40.0

141.0±65.2

식후 2시간 혈당 (mg/dL)

198.5±85.3

205.1±108.4

7.5±2.0

7.5±1.9

총 콜레스테롤 (mg/dL)

171.0±49.8

141.9±32.5

중성지방 (mg/dL)

146.8±64.3

98.4±33.4

HDL 콜레스테롤 (mg/dL)

52.7±16.4

50.2±10.9

LDL 콜레스테롤 (mg/dL)

92.1±39.6

72.0±29.6

BUN (mg/dL)

18.1±9.4

14.8±6.9

Creatinine (mg/dL)

1.2±0.5

1.3±0.6

혈색소 (mg/dL)

11.8±1.6

11.5±1.3

체중 (kg)

60.6±9.5

58.6±8.0

체질량지수 (kg/m2)

24.4±3.9

22.2±4.0

평균변화 (95% 신뢰구간)†

p value‡

압 8.9 (-5.7 to 23.5) 4.8 (-4.9 to 14.5)

0.224 0.320

당 28.3 (-29.9 to 86.5) 8.7 (-80.0 to 97.4)

0.329 0.841

검사실 검사 당화혈색소 (%)

-1.3 (-3.1 to 0.5) -15.4 (-112.6 to 81.8) 30.2 (-118.4 to 178.7) -4.2 (-33.3 to 24.9) -1.7 (-77.0 to 73.5) -2.6 (-16.7 to 11.6) 0.03 (-0.2 to 0.3) -0.3 (-1.9 to 1.2)

0.126 0.733 0.679 0.744 0.960 0.710 0.806 0.660

신체계측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D †: Difference of Least Squares Mean estimate(95% CI) ‡: Linear mixed effect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48 -

-3.8 (-9.0 to 1.5) -1.1 (-2.6 to 0.4)

0.117 0.119


Ⅸ. 결론 본 연구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모두 진단 받고 6개월 이상 약물치료 중인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시행 했을 때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시기를 확인하고 안정적 이며 지속적인 치료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즉 대구의료원에 내원하여 식이중재 입원치료에 동의한 사람을 대상으로 입원 기간 진료기록을 조사함으로써, 철저한 식이중재 치료를 하였을 때 혈압, 혈당, 각종 생체 표지자의 검사수치 및 체중 등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구의료원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입원환자에게 채식위주의 철저한 식이중재를 적용한 병원이며, 의료전달체계상 2차 기관으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부터 이에 대한 급여를 모두 인정받고 있었다. 2009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받기 위해 대구의료원에 내원하였 던 환자 226명 중에서 진료자료가 없는 1명을 제외한 총 225명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그 중에서 고혈압 및 당뇨병을 모두 진단받고 이에 대한 약물치료를 시행하던 160명 대상자에 대한 자료를 후향적으로 관찰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선정/제외 기준에 적합한 대상 환자 160명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 환 자의 평균 연령은 61.1 ± 9.0세, 평균 신장은 158.4 ± 8.0cm, 평균 체중은 65.0 ± 11.1kg 이었으며 전체 160명 중 남자가 45(28.1%)명, 여자가 115(71.9%)명으로 분포하 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총 160명의 조사 대상자들은 입원 당시 하루 평균 약 3.5개의 고혈압 및 당 뇨병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그 중 고혈압 치료제는 하루 평균 약 1.7±0.8 개, 당뇨병 치료제는 하루 평균 약 1.7±0.9 개 이었다, 또 당뇨병 조절을 위해 인슐린을 투여하는 환 자와 고지혈증 치료제를 복용하는 환자가 있었으며 고지혈증 치료제 하루 평균 복용량은 0.8±0.7개 이었다. 총 160명의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43.5± 21.1 일이었으며, 입원 이후 진료 의사가 환자의 임상적 호전을 확인하여 투약을 중단하기까지 평균 12.9 ± 15.6 일이 걸렸 다. 입원치료 약 7일 경과 후에는 전체 대상자 중 약 50%가 투약을 중단 했고, 약 14일 경 과 후엔 약 80%가 투약을 중단했다. 이들 중 식이중재 입원치료 후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약물을 투약 중단할 수 있었던 환자는 전체의 86.2% 에 해당하는 138명이었다. 대구의료원에서 입원 기간 제공한 식사의 한식 식사유형지수(KDPS)는 평균 54.9점으로 써 한식 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한국인 식사유형지수(KDS)는 평균 23.9점으로 3분위수 중 위군에 해당하는 식단이었다. 하루 열량섭취는 평균 1,573Kcal 이었고 이 열량 중 탄수화물

- 49 -


로 섭취하는 비율이 63%, 단백질과 지질은 각각 14%와 23% 이었다. 또한 당질 제한이 없고 현미밥과 같은 전곡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며 염분 섭취를 자유롭게 하였다. 동물성식 품을 제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열량 중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비율, 단백질 및 지질 섭취 비 율은 적정수준이었다. 김치류와 장류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에서 권장한 하 루 1인 섭취량보다 각각 1.3배, 4배 많았다. 식이섬유소 하루 섭취량은 45.9±3.7g (23.69g/1,000kcal)으로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한 식이섬유소 충분섭취량보 다 약 2배가량 많았고 나트륨 하루 섭취량은 한국인 19세 이상 성인의 나트륨 하루섭취량 보다 1.4배, WHO(2003)의 권고 섭취량보다 3.3배 정도 많았다. 약물 투약을 중단한 138명에서 유효성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대상 환자들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모두 입원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투약중단 이후에는 감소 한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고 또한 입원 전에 비해 입원하여 약물 투약을 중단한 후에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모두 권고 범위로 유지하는 환자 비중이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 가 있었다. 식이중재 입원치료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고혈압 치료제 복용량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 보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반응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았 을 때는 약물 사용량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고 판단된다. 즉 복용량에 관계없이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모두가 입원 이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투약중단 이후 에도 감소된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공복혈당은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하는 단계를 거쳐 퇴원 할 때까지 통계적으로 유의 한 변화 없이 유지되었고, 식후혈당은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 할 때까지 감소하고 이 시 점부터 퇴원 시까지 더욱 감소하였다. 따라서 공복혈당과 식후혈당 모두 투약중단 후에도 혈 당 측정치의 재 증가 없이 감소 또는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입원 전에 비해 입원하여 약물 투약을 중단한 후에 공복혈당과 식후2시간 혈당을 모두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환자 비 중이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식이중재 입원치료가 혈당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당뇨병 치료제 복용량에 구분하여 살펴보면, 복용량에 따라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전체적인 관점에서 보면 공복과 식후혈당 모두 입원 이후부터 투약을 중단하는 단계를 거쳐 퇴원 할 때까지 통계적으로 유 의한 변화 없이 유지됨을 관찰하였고 이는 공복과 식후혈당 모두 투약 중단 후에도 혈당 측 정치의 재 증가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더불어 혈당조절 지표로 알려진 당화혈색소(HbA1c) 또한 입원 시에 비해 퇴원 시에 7.6%에서 7.2%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대상환자들의 혈당조절이 유의하게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혈중 지질 측면에서는 전체 160명 대상 환자들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나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중

- 50 -


성지방(Triglyceride)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남자에서는 총콜레스 테롤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심혈관 질환 위험 억제 기능이 있는 HDL-콜 레스테롤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인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한 증 가가 없어서 혈중 지질 측면에서 개선 효과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한편 전체 대상자 160명 중 입원 당시 고지혈증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던 환자가 85명이 었다. 이들 85명 중 26명이 고지혈증 치료제 투약을 중단 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약물 투약 을 중단했음에도 불구하고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 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퇴원 시까지 고지혈증 치료제 투약을 지속한 59명의 환자군에서는 중성지방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들에서 총콜레스테롤 등 에서 개선이 없었던 이유로는 비교적 흔한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은 질환이 동반된 대상자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또한 전체 대상자 160명에서 혈중 노폐물 축적 정도를 반영하는 생체표지자인 BUN과 Cr 이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혈중 혈색소 (Hemoglobin) 값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빈혈(혈색소 감소 상태)은 고혈압 또 는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데 고혈압 또는 당뇨병의 속성인 우리 몸의 만성 염증 상태가 그 원인 병태이다. 따라서 원인 질환을 교정해 주어야 빈혈이 개선되 는데 본 연구에서 대상 환자들이 비록 빈혈 상태는 아니었지만 만성 염증 상태가 개선되었 을 가능성이 있겠다. 마지막으로, 전체 대상자 160명에서 체중과 체질량지수가 모두 입원 시에 비하여 퇴원 시 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향후 혈당, 혈압, 혈중 지질 조절을 더욱 개선시 키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약제의 선택 뿐 만 아니라 생활 방식의 수정이 특히 중 요하다는 사실은 이미 확립 되었다. 또 제 2형 당뇨병의 식이요법에서 열량섭취 제한이 가 장 중요함은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식사에서 다량영양소의 최적 구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 란이 남아 있다. 의견 합일된 최근의 식사 권고에 의하면, 하루 권장섭취량 중 탄수화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하루 총 열량의 45~65%를 차지하며 지질의 비중은 낮아서 하루 총 열량의 30% 미만이 되도록 하고 있고35), 본 관찰 연구에서 대상 환자들이 섭취한 식사의 영양소 구성도 이 권고 내용에도 부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권고안은 고탄수화물 식사가 고혈당과 이상지질혈증을 악화시킨다는 연구 결과 36)37)

들에 의해 계속 위협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이 고전적인

고탄수화물, 저지방 식사에 비해 체중감량과 혈당 조절에 더 효과적이라는 내용의 단기간 식 사중재 연구 결과들도 나오고 있다38)39). 또한 식량이 부족하였던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 쌀 절약을 위해 혼식, 분식을 장려 하는 등, 밀의 영양만을 크게 부각시킴에 따라 쌀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확산되고 아직도 그 인식

- 51 -


이 국민에게 팽배하여 밥을 먹으면 비만을 초래한다는 오해도 있다. 한국인의 식생활 변화 중 뚜렷한 변화는 당질의 섭취가 감소하고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는 44)

증가하여 총 섭취열량 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 국민건강영양 조사 결과에 의하면 식품별 섭취량이 변화하면서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별 섭취량도 변화하 였다. 가장 많은 변화를 나타내는 영양소는 지방으로 1971년 13.1 g 에서 1981년 20.3 g, 1991년에는 35.6 g 이며 2001년에는 41.6 g 이다. 반면 단백질의 섭취량은 연도별 큰 차 이는 없으면서 동물성 단백질의 비율은 1971년 11.6%에서 2001년 47.9% 로 크게 증가하 여 질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는 컸다. 하지만, 단기간의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체중감량에 적당한 대사적 이익을 줄지라 38)39)

도 장기간 지속 시에는 어떠한 효과를 나타낼지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단백질 식

사가 신장 기능 악화를 가속시키며30) 칼슘 배설을 증가시켜 골다공증과 신결석을 유발하며 41)

지방 섭취가 더불어 증가함에 따라 이상지질혈증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42). 최근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체중감량을 위한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를 비교적 장기간 섭취하게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12개월간의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고탄수화 물 식사에 비하여 혈당 조절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다43).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같은 거대영양소의 구성 비율이 아닌 질적인 면을 다룬 연구결과 들을 살펴보면, 최근 발표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 저탄수화물식사와 총사망률(all-cause mortality) 사이의 관련성은 약하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동물성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저탄수화물식사는 남녀 모두에서 총사망률을 증가시키며, 식물성식품을 주로 섭취 하는 저탄수화물식사는 총사망률와 심혈관사망률 감소와 관련 있다고 하였다33). 이는 동물 성식품과 식물성 식품이 사망률에 다른 영향을 끼침을 의미하며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 가 불포화지방, 식이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은 미량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비타민, 미네랄, 식물 유래 화합물(phytochemicals) 과 같은 기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어 34)

느 정도 기인 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즉, 동물성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저탄수화물식사와 식물성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저탄수화 물식사에 포함된 중요 거대영양소는 유사할 것으로 생각되나 거대영양소의 급원이 무엇인가 에 따라

지방산, 단백질, 식이섬유소, 비타민, 미네랄, 식물유래 화합물(phytochemicals)

등의 섭취 구성물에 큰 차이가 생기고 결국 이들 요소에 의해 사망률에 다른 영향을 미치 는 것 같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저탄수화물 식사의 의학적 효과는 단백질과 지방의 종류 에 달려 있고, 식물성 기원의 단백질과 지방으로 이루어진 식사가 동물성 기원의 식사보다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탄수화물 양보다는 오히려 생리활성 물질에 기인하는 것 같다 고 하였다33).

- 52 -


본 관찰연구에서도 대상환자들이 전곡류를 충분히 섭취하였고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원이 식물성 식품이었다. 따라서 위에서 인용한 연구 결과가 본 연구에서 혈압, 혈당, 체중 등의 개선이 있었던 이유 또는 기전을 설명하는 뒷받침이 되겠다. 전곡류의 중요성이 대해 다시 언급하면, 최근 발표된 대규모 전향적 연구에서 전곡류 섭취 는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며, 이때 전곡류의 배아(germ)보다 겨(bran)와 더 28)

관련 있다고 하였다 . 또한 전곡류 섭취가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는 기전 29)31)32)

을 저혈당지수 음식 섭취에 의한 것만으로 설명 할 수는 없으며, 전곡류는 식이섬유

소, 비타민, 미네랄, 리그난(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의 중요한 급원이므로 이러한 요 소들이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감소시켜주는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크다28). 실제로 식이섬 유소 섭취를 많이 할수록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은 여러 코호트 연구에서 보 고30)되고 있고 전곡류 섭취는 인슐린 민감도를 증가시키며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을 낮추는 것에도 관련성이 있다31)32). 당뇨병에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예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고혈당, 고지혈증, 고혈 압 등 기존의 모든 위험인자를 통합적,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51). 당뇨병에서의 고혈압은 인슐린 저항성, 레닌-안지오텐신계 이상, 교감신경계 항진 등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나 정확한 기전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형편이다.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약 제의 선택뿐만 아니라 생활 방식의 수정이 중요함은 익히 알려져 있고, 식사요법 중 한 방법 으로 저염식을 일반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본 관찰 연구에서 대상 환자들이 섭취한 식사에는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발효식품과 전통식품이 충분히 포함됨에 따라 염분 섭취량 이 비교적 많았다. 일반적으로 임상의사가 고혈압에 대한 저염식의 기대효과는 막연하나마 보편적이며 상대 적으로 큰 감이 있다. 저염식을 실시하고자 할 때는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함께 저염식의 효과를 어떻게 객관화 하고 평가할 것인지는 임상적으로 흔히 간과되고 있다. 그러나 저염식에 대한 논리적 근거가 되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먼저 고찰해 보면, 염분섭취가 고혈압 발생과 유지에 관여할 것이라는 근거는 많은 실험적인 연구 와 역학적인 조사의 결과, 그리고 임상적인 경험에서 비롯되었지만 이들의 결과가 일관되지 않고 사람에 따라 염분에 대한 혈압변동의 예민도가 다양하다45) 하였다. 또한 염분 섭취가 어떻게 혈압을 올리는지에 대한 생리적 이론 근거는 잘 정리 되어 있지 않으며 저염식이 혈 압을 낮춘다는 결론을 얻기에 불충분하였다. 소금은 인체의 생리 기능에 없어서는 안 되는 무기물인 동시에 음식의 맛과 식품 저장을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 된장, 간장 제조

- 53 -


에 있어 소금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발효식품에 의해 염분의 과도한 섭취가 우려 된다 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발효식품 속의 소금에 대한 연 구는 극히 미비하며 김치 발효에 미치는 소금의 종류의 영향에 대한 연구46)47)가 소수 있을 뿐이다. 또한 천일염은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을 적게 함유하고 있으며 마그네슘, 칼륨과 칼 슘 등의 각종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어서48)49) 최근 주목 받고 있으나 국내 천일염으로 제조 한 된장에서 발효 특성에 대한 연구에서도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다는 정도만 보고 할 뿐이 50)

다 . 따라서 향후 발효식품, 천일염 또는 발효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소금들이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더 이루어져야 하겠다. 그러나 투약 중단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환자도 13.8%에 달하여 식이중재의 한 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투약 중단을 성공적으로 시도하지 못한 환자 22명 중 9명(40.9%) 은 기존의 투약내용을 유지하고 있었고, 13명(59.1%)은 투약 중단은 하지 못했지만 투약량 이 줄었다. 이들 투약지속 군에서는 투약중단 군에 비하여 체중감소와 검사실 검사 수치의 개선이 효과적이지 못한 특성이 있었다. 이는 식이중재가 환자의 적극적 의지에 의존하여 이 루어지기 때문에 대상자가 감시소홀을 틈타 별도의 음식물을 섭취하였거나 적절한 식이중재 가 제공되지 못한 상황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또 잔반량 기록이 없어서 제공된 식사 중 대 상 환자의 실제 섭취량을 알 수 없었고 이는 후향적 연구의 한계로 생각되며 다음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잔반량 기록이 필수적임을 알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전체 160명의 대상 환자들은 하루 평균 섭취 열량은 1,573Kcal, 한식식사유형 지수(KDPS) 상위군(평균 54.9±9.6점), 한국인식사유형 지수(KDS) 중위군 (평균 23.9점)에 해당하는 식단으로 식이중재 입원치료를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당질 및 염분 섭취 등을 제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혈압과 혈당 감소와 더불어 혈중 지질, 체중 등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대상 환자들 중 86.2%인 138명에서 투약을 중단 할 수 있었다. 이들은 투약을 중단한 상태에서도 혈압, 혈당이 투약 중일 때와 다름없이 유지됨을 관찰하여 식이중재도 약물치료만큼 강력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이 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대상 환자들이 전곡류와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질과 지방을 섭취한 것에서 일부분 찾을 수 있다고 제안하고자 한 다28)33). 즉 식품 속에 포함된 불포화지방, 식이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은 미량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전곡류에 함유된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리그난(lignans), 기 타 식물유래 화합물과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나타났 다34)고 판단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염분을 자유롭게 섭취해도 혈압 상승이 없고 오히려 약물 투약을 중단 할 수 있었는데, 발효식품과 천일염 섭취를 그 이유의 하나로 들 수 있겠 다. 천일염은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 함유량이 적고 마그네슘,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물

- 54 -


이 포함되어 있어서48)49) 신장에서의 배설이 용이하고 따라서 체내에서 염분저류를 덜 일으 킬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동안 발효식품의 과도한 염분 함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천일염으로 만든 발효식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즉 본 연구는 밥, 국, 김치 중심의 식사가 자 칫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편견을 줄 수 있었던 선행연구들52)53)54)55)에 의한 잘못된 인 식들을 불식시키고, 전곡류로 만든 밥을 규칙적으로 잘 먹는 식사유형이 당뇨병, 고혈압 등 의 질환에서 오히려 이로운 의학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후향적 관찰연구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추후 전향적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그 기전을 확 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55 -


Ⅹ. 참고문헌 1. 최미경, 전예숙. 고혈압 환자와 정상인의 이소플라본 섭취와 혈중 지질상태 비교연구, 대 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6. 11(2): 271~278. 2. 김지영,김윤영,김혜랑,윤숭섭,김완식,예현수,정진영,이인회,조여원.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 압 환자에서 의학영양치료와 병행한 생리활성 펩티드 함유 유산균 발효유 섭취가 혈압 에 미치는 영향,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2008. 18(6): 918-926. 3. 심정하. 고혈압 전단계 집단 식이보건교육이 식이습관과 혈압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 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 23(4): 1-12. 4. 홍상필, 한찬규, 이민아, 양지나, 신동범. 한식첨가식이 고지방식을 급여한 흰쥐의 내장 지방과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8. 23(1): 90-96. 5. 임현정, 조금호, 조여원. 고지혈증 환자에서 의학영양치료와 병행하여 섭취한 기능성차 (상엽, 구기자, 국화, 대추, 참깨, 나복자)의 혈중 지질 농도 저하 및 항산화 효과, 한국 식품영양과학회, 2005 34(1) : 42-56. 6. Shin A, Lim SY, Sung J, Shin HR, Kim J. Dietary intake, eating habit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J Am Diet Assoc, 2009. 109(4): 633-40. 7. 윤석권, 김명애. 한국인 대표 식단 및 당뇨 식단의 정상인에 대한 혈당반응, 한국식품영 양학회지, 1998. 11(3) : 303-311. 8. WHO (2003) World

Health Organiz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the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2003 9. Appel, L., Brands, M.W., Daniels, S,R., Karanha, N., Elmer, P.J.,& Sacks, F.M. Dietary approachs to prevent and treatment hypertens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Hypertention , 2006. 47, 296-308. 10. Escurriol V, Cof n M, Serra M, Bull M, Basora J, Salas-Salvad J, Corella D, Zazpe I, Mart nez-Gonz lez MA, Ruiz-Guti rrez V, Estruch R, Ros E. Serum sterol responses to increasing plant sterol intake from natural foods in the Mediterranean diet.Eur J Nutr. 2009 Sep;48(6):373-82. Epub 2009 May 3. 11. Corbal n MD, Morales EM, Canteras M, Espallardo A, Hern ndez T, Garaulet M.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based on the Mediterranean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Nutrition. 2009 Jul-Aug;25(7-8):861-9. 12. Babio N, Bull M, Basora J, Mart nez-Gonz lez MA, Fern ndez-Ballart J, M rquez-Sandoval F, Molina C, Salas-Salvad J; Nureta-PREDIMED - 56 -


Investigators. Nutr Metab Cardiovasc Dis. Adherence to the Mediterranean diet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2009 Oct;19(8):563-70. Epub 2009 Jan 26. 13. Dai J, Lampert R, Wilson PW, Goldberg J, Ziegler TR, Vaccarino V. Mediterranean dietary pattern is associated with improved cardiac autonomic function among middle-aged men: a twin study. Circ Cardiovasc Qual Outcomes. 2010 Jul;3(4):366-73. Epub 2010 Jun 15. 14. Singh RB, Dubnov G, Niaz MA, Ghosh S, Singh R, Rastogi SS, Manor O, Pella D, Berry EM. Effect of an Indo-Mediterranean diet on progress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high risk patients (Indo-Mediterranean Diet Heart Study): a randomised single-blind trial. Lancet. 2002 Nov 9;360(9344):1455-61. 15. Liese AD, Nichols M, Sun X, D'Agostino RB Jr, Haffner SM. Adherence to the DASH Diet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the insulin resistance atherosclerosis study. Diabetes Care. 2009 Aug;32(8):1434-6. Epub 2009 Jun 1. 16. Smith PJ, Blumenthal JA, Babyak MA, Craighead L, Welsh-Bohmer KA, Browndyke JN, Strauman TA, Sherwood A. Effects of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iet, exercise, and caloric restriction on neurocognition in overweight adults with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2010 Jun;55(6):1331-8. Epub 2010 Mar 19. 17. SCAN 2008 Statement on dietary fiber.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on Nutrition. United Kingdom, August , 2008(www.scan.gov.uk) . 18. Park OJ, Kang NE, Kim WK. resistant starch supplementation influences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glucose control in overweight subjects. J Nutr Sci Vitaminol(Tokyo). 2004. 50(2):93-99 . 19. 2005년 국민건강조사 질병관리본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민건강영양조사 3기(2005) 심층분석 ; 영양부분. 20. 2010 한국인영양섭취기준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식품의약품안전청 : 식사구성안 부분. 21. NCEP, ATPⅢ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 57 -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adults(Adult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reatment

Panel

Ⅲ):

Final

High blood cholesterol in

report

;

circulation.

2002.

106(25):3143-3421 22.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고서. 23. Wild S, Roglic G, Green A, Sicree R, King H: Global prevalence of diabetes: estimates for the year 2000 and projections for 2030. Diabetes Care 27:1047-53, 2004 24. Hertzel C. Gerstein, Michael E. Miller, Robert P. Byington, David C. Goff,. Effects of Intensive Glucose Lowering in Type 2 Diabetes. N Engl J Med, 358:2545-59(2008). 25. WilliamC. Cushman, Gregory W. Evans, Robert P. Byington, David C.Goff, Richard H. Grimm,. Effects of Intensive Blood-Pressure Control in Type 2 Diabetes Mellitus. World J Surg, N Engl J Med, 362:1575-85(2010). 26. Jing Chen, Dongfeng Gu, Jianfeng Huang, Rao, Cashell E. Jaquish, James E. Hixson, Chung-Shiuan Chen, Jichun Chen, Fanghong Lu, Dongsheng Hu, Treva Rice, Tanika N. Kelly, L. Lee Hamm, Paul K. Whelton, Jiang He. Metabolic Syndrome and Salt-Sensitivity of Blood Pressure among Persons without Diabetes. Lancet. 373(9666): 829(2009). 27. Gaetano Di Vita, Rosalia Patti, Fausto Fama, Carmela Rita Balistreri, Giuseppina Candore, Calogero Caruso. Changes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Obese Patients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orld J Surg, 1432-2323(2010). 28. de Munter JS, Hu FB, Spiegelman D, Franz M, van Dam RM. Whole grain, bran, and germ intak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and systematic review. PLoS Med. 2007 Aug;4(8):e261. 29.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M, Fielden H, Gassull MA. Lack of effect of refining on the glycemic response to cereals. Diabetes Care. 1981 Sep-Oct;4(5):509-13. 30. Schulze MB, Schulz M, Heidemann C, Schienkiewitz A, Hoffmann K, Boeing H. Fiber and magnesium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Arch Intern Med. 2007 May 14;167(9):956-65. 31. McKeown NM, Meigs JB, Liu S, Wilson PW, Jacques PF. Whole-grain intake is favorably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m J Clin Nutr.

- 58 -


2002 Aug;76(2):390-8. 32. Sahyoun NR, Jacques PF, Zhang XL, Juan W, McKeown NM. Whole-grain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6 Jan;83(1):124-31. 33. Fung TT, van Dam RM, Hankinson SE, Stampfer M, Willett WC, Hu FB. Low-carbohydrate diets and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two cohort studies. Ann Intern Med. 2010 Sep 7;153(5):289-98. 34. Hu FB, Willett WC. Optimal diets for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JAMA. 2002 Nov 27;288(20):2569-78. 35. Connor H, Annan F, Bunn E, Frost G, McGough N, Sarwar T, Thomas B; Nutrition Subcommittee of the Diabetes Care Advisory Committee of Diabetes UK.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al advice for people with diabetes.Diabet Med. 2003 Oct;20(10):786-807. 36. Coulston AM, Hollenbeck CB, Swislocki AL, Chen YD, Reaven GM. Deleterious metabolic effects of high-carbohydrate, sucrose-containing diets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m J Med. 1987 Feb;82(2):213-20. 37. Garg A, Grundy SM, Koffler M. Effect of high carbohydrate intake on hyperglycemia, islet function, and plasma lipoproteins in NIDDM. Diabetes Care. 1992 Nov;15(11):1572-80. 38. Samaha FF, Iqbal N, Seshadri P, Chicano KL, Daily DA, McGrory J, Williams T, Williams M, Gracely EJ, Stern L. A low-carbohydrate as compared with a low-fat diet in severe obesity. N Engl J Med. 2003 May 22;348(21):2074-81. 39. Skov AR, Toubro S, Rønn B, Holm L, Astrup A. Randomized trial on protein vs carbohydrate in ad libitum fat reduced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 May;23(5):528-36. 40. Wylie-Rosett J. Evaluation of protein in dietary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988 Feb;11(2):143-8. 41. Breslau NA, Brinkley L, Hill KD, Pak CY. Relationship of animal protein-rich diet to kidney stone formation and calcium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1988 Jan;66(1):140-6. 42. St Jeor ST, Howard BV, Prewitt TE, Bovee V, Bazzarre T, Eckel RH Dietary protein and weight reduction: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Nutrition Committee of the Council 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1 Oct

- 59 -


9;104(15):1869-74. 43. Larsen RN, Mann NJ, Maclean E, Shaw JE. The effect of high-protein, low-carbohydrate diets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a 12 month randomised controlled trial. Diabetologia. 2011 Apr;54(4):731-40. Epub 2011 J an 20. 44. Kim MK (2000): A study of blood lipids concentration by sex, ageand life habit. Korean J Community Nutr 33(3): 343-352 45. 홍세용, 1999년도 연수강좌 및 심포지움 : 신장-염분-고혈압.1999.대한신장학회지 부 록, Vol.18, No.3,

Startpage 265, Endpage 272, Totalpage 8

46. Shin. M.S. the properties of salts and their effects on salt vegetables.(1983) J. Korean Home Economic Assoc. 21: 55-63 47. Park SJ. Effects of commercial salts on growth of kimchi-related microorganism. (2001) J. Korean Soc.Food Sci. Nutr.30: 806-813 48. Kong, C.S., Bak, S.S., Jung, K.O., Kil, J.H., Lim, S.Y. and Park, K.Y. (2005)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salted mackerel with various kinds of salts.J. Kor. Fish. Soc., 38, 281-285 49. 박정욱, 김선재, 김설희, 김보희, 강성국, 남상호, 정순택. 연구노트 / 소금의 종류별 무 기질 및 중금속 함량.2000. 한국식품과학회지. 32(6) 1442~1445 50.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and Jung, S.T. (2000) Fermentation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65-1370 51. 홍그루. Goal of systolic Blood pressure reduction in DM. 2010년 대한고혈압학회 추계학술 대회 및 연수강좌 52. Lee JE, Kim JH, Son SJ, Ahn Y, Lee J, Park C, Lee L, Erickson KL, Jung IK.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with nutrient intake and health-risk factors in Korean men. Nutrition. 2011 Jan;27(1):26-33. Epub 2010 Feb 19. 53. Cho ER, Shin A, Lim SY, Kim J. Dietary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ealth behaviours in Korea. Public Health Nutr. 2011 Feb;14(2):356-64. Epub 2010 Oct 19. 54. Song Y, Joung H.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metabolic syndrome abnormalitie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1 Jan 5. [Epub ahead of print] 55. Halkjaer J, Tjønneland A, Thomsen BL, Overvad K, Sørensen TI. Intake of macronutrients as predictors of 5-y changes in waist circumference. Am J Clin Nutr. 2006 Oct;84(4):789-97.

- 60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