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 보고서 2과제(2 2) 2010년

Page 1

별첨 4 계획서번호

CUH_KOREAN_FOOD_2-2_2010

임상시험용 식 이

한 식 일 반 식

임 상 시 험 성 적 서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2010년

CONFIDENTIAL 본 임상시험은 Good Clinical Practice(GCP)를 준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이 성적서는 기밀사항이며, 의뢰자의 승인 없이 다시 작성 되거나 공개될 수 없습니다.



임 상 시 험 성 적 서 임 상 시 험 제 목 :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단

계 : 임상시험

임상시험실시기관 및 기관장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터장 채 수 완 임 상 시 험 책 임 자 : 전북대학교병원 심장내과 교수 고 재 기 임상시험공동연구책임자

전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박 태 선

임 상 시 험 담 당 자 : 전북대학교병원 소병옥, 최은경, 허민주, 박은옥, 이정현, 조명진, 오경선, 이효정, 전북대학교병원 이선화, 김설애 전북대학교병원 김민걸, 황민호,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정수진, 전지영,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김혜미, 박성은, 유일한, 한수미, 신자현, 이미자, 노수미, 김종옥, 이누리, 문은실, 양지영, 최윤희, 정진아 심장내과 임상연구소 임용진

임 상 시 험 용 식 이 : 한 식 :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사유형 일반식 : 별도의 식이 처방 없이 기존에 섭취하던 식이 대

환 : 고혈압 및 당뇨병

법 : A open, parallel, controlled study 자원자에 한하여 임상시험 예정일(1일)로부터 ‐28일~ ‐1일 이내에 문진, 신체검진, 검사실검사 등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여 본 임상 시험에 피험자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를 선정하여 각 군에 배 정하였다. 피험자는 0주(‐3일~3일)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 원센터에 방문하여 기저치 검사를 실시하였다. 한식군으로 배정 된 피험자는 매일 오전 7시(아침식사), 오후 12시(점심식사), 오 후 6시경(저녁식사) 시험자가 제공하는 식이를 정해진 장소에서 섭취하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대조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평소 섭취하던 대로 식사를 섭취하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피험자는 4주(26일~32일), 8주(54일~60일), 12주(82일~88 일)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여 정 해진 검사를 받고 총 12주간의 임상시험 일정을 마쳤다.

임상시험계획서번호 : CUH_KOREAN_FOOD_2‐2_2010 임 상 시 험 시 작 일 : 2010. 9. 9 (최초 피험자 등록일) 임 상 시 험 종 료 일 : 2011. 1. 7 (최종 피험자 방문일) 임상시험성적서 작성일 : 2011. 3. 18


요 약 (Synopsis)

임상시험제목 :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 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목

적 : 1. 일차목적 ‐ 한식 섭취가 혈압 조절 효과가 있는지 평가한다. ‐ 한식 섭취가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지 평가한다. 2. 이차목적 ‐ 한식 섭취가 지단백양상 및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 평가한다. ‐ 임상시험의 의학적 결과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및 한식식사유형 지수(KDPS)와의 관련성을 검증한다.

임상시험실시기관 및 기관장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터장 채 수 완 MD, PhD 시 험 책 임 자 : 전북대학교병원 심장내과 교수 고 재 기 MD, PhD 공 동 연 구 자 : 전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박 태 선 MD, PhD 시 험 담 당 자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소병옥, 최은경, 정수진, 전지영,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허민주, 박은옥, 김혜미, 박성은, 유일한, 한수미, 신자현, 이미자, 이정현, 조명진, 노수미, 김종옥, 이누리, 문은실, 양지영, 최윤희, 오경선, 이효정, 정진아 전북대학교병원 심장내과 이선화, 김설애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연구소 김민걸, 황민호, 임용진 선정 및 제외기준 : 1. 선정기준 • 스크리닝 검사 당시 연령이 만18세 이상 • 고혈압과 당뇨병 진단을 받은 자 • 본 임상시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완전히 이해한 후, 자의로 참여를 결정하고 주의사항을 준수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


2. 제외기준 • 스크리닝 시 측정한 평균 혈압(좌위)이 DBP ≥ 116mmHg 또는 SBP ≥ 200mmHg인 환자 • 스크리닝 시 선택된 팔의 혈압 차이(좌위)가 DBP ≥ 10mmHg 또는 SBP ≥ 20mmHg인 환자 • 이차성 고혈압 또는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되는 환자(대동맥축착증,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신동맥 협착증, 갈색세포종 등) • 중증의 심질환자(심부전; NYHA class Ⅲ, Ⅳ의 심부전) 및 최근 3개월 이내의 불안정형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이나 판막성 심질환 및 치료를 요하는 부정맥 등이 관찰된 환자 • 최근 6개월 이내 뇌경색, 뇌출혈 등의 뇌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중증의 뇌혈관장애 환자 • 제1형 당뇨병 및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HbA1c > 9.0 %) • 중증 또는 악성 망막병증으로 알려진 환자 • 다음과 같은 실험실 검사 결과에 이상이 있는 환자 - 간기능 이상 환자(AST/ALT > 정상범위 상한치의 2배) - 신기능 이상 환자(Serum Creatinine > 정상범위 상한치의 1.5배) •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급성 또는 만성 염증상태에 있는 환자 • 약물이나 알코올에 의존병력이 있는 환자 • 임상시험용식이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과적 또는 내과적 상태에 있는 환자(위절제, 위장관 우회술 또는 문합술 등 주요 위장관 수술병력, 12개월 이내의 활동성 염증성 장증후군의 병력, 위장관/직장 출혈이 있는 환자, 요로계 협착 또는 배설장애 등 요로 폐색이 있는 환자) • 스크리닝 검사 결과 임산부, 수유부 및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로 적절한 피임방법(예: 호르몬 이식, 자궁내장치, 경구 피임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환자(최소 12개월 이상 무월경이 지속된 경우 폐경으로 간주하며, 경구용 피임제 등 호르몬 제제를 이용한 피임 방법을 사용할 경우 스크리닝 시부터 병용하여야 함.) • 과거 5년 이내에 백혈병 및 임파종을 포함하는 악성 종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 식이처방에 따른 음식물 섭취를 수행할 수 없는 자 • 첫 섭취일 전 2개월 이내에 타 임상시험에 참여한 자 • 기타 시험자에 의해 임상시험 참여가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환자


피 험 자 수 : 총 48 명 (한식군 23명, 일반식군 25명) 시 험 방 법 : A open, parallel, controlled study 자원자에 한하여 임상시험 예정일(1일)로부터 ‐28일~ ‐1일 이내에 문진, 신 체검진, 검사실검사 등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여 본 임상시험에 피험자로 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를 선정하여 각 군에 배정하였다. 피험자는 0주(‐3일~3일)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 문하여 기저치 검사를 실시하였다. 한식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매일 오전 7시(아침식사), 오후 12시(점심식사), 오후 6시경(저녁식사) 시험자가 제공 하는 식이를 정해진 장소에서 섭취하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대조군으로 배 정된 피험자는 평소 섭취하던 대로 식사를 섭취하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피험자는 4주(26일~32일), 8주(54일~60일), 12주(82일~88일) 전북대학 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여 정해진 검사를 받고 총 12 주간의 임상시험 일정을 마쳤다. 섭 취 방 법 : 한식군에 배정된 피험자는 조식, 중식 및 석식을 정해진 시간에 지정된 장소에 서 섭취하였다. 지정된 장소에서 식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도시락에 임상시험 용식이를 포장해주어 정해진 시간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사와 간식을 포함해 성별을 고려한 칼로리를 산정하여 식사를 제공하였다. 시험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가능한 제공되는 식사만 섭취하도록 하였고 제공되 는 식사 외의 식품 섭취 시에는 식사기록지에 섭취한 음식을 모두 기록하였다. 일반식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별도의 식이처방 없이 기존에 섭취하던 식사를 그대로 유지하였고, 12주 동안 섭취한 모든 음식을 식사기록지에 기록하였다. 평가기준 및 방법 : 1. 안전성 평가 • 자·타각 증상 등 이상반응 모니터링 • 검사실검사 • 활력징후 및 신체검진 2. 유효성 평가 정해진 일정에 따라 다음 항목들을 평가하였다. • 1차 유효성 평가 - 24시간 BP monitoring을 통한 혈압


- 공복혈당(FPG) • 2차 유효성 평가 - 방문별 혈압(좌위) -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 hs‐CRP, PAI‐1, fibrinogen, homocysteine, MDA - 혈중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 :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Apolipoprotein A1, B & E, free fatty acid, adiponectin -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 : 당화혈색소, C‐peptide, insulin, HOMA‐IR, HOMA‐β - 항고혈압 약물, 항당뇨병 약물, 인슐린 사용(용량 포함) 시간 - 체질량지수(BMI, kg/m2) 및 체중 - 고혈압 약제 사용량 변화 - 당뇨병 약제 사용량 변화 - 심초음파 - 경동맥 내중막 두께 - 자율신경기능검사 - 유전자검사 (SNP): Axiom Asian‐Optimized array - 장내미생물 변화 - 임상시험의 의학적 결과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및 한식 식사유형지수(KDPS) 와의 관련성 2. 통계분석 • 인구학적 자료는 각 섭취군 배정 이후 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 여 섭취군간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 안전성 평가를 위해 이상반응의 발생 양상 등을 비교하였다. • 유효성평가 항목을 섭취군 간 비교하였다. 결

론 : 본 임상시험은 고혈압과 당뇨병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한식 섭취가 혈압과 혈당 조절, 지단백 및 심혈관계 생체표지자에 미치는 영향, 유전자형에 따른 차이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총 48명으로, 한식군에 배정되었던 23명 중 21명, 일반식군의 25명 중 20명이 12주간의 임상시험을 마쳤다. 한식군 피 험자에게 임상시험 기간에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의 한식식사유형지수


(KDPS)는 평균 44.7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해당하였다. 한 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 방문 시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는 각각 39.0점과 38.4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임 상시험 기간 한식군은 한식식사유형지수 평균 59.3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 였고 한식군의 임상시험용식이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반면 일 반식군은 임상시험 기간 평균 약 38.6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다. 한편 제 1‐2세부과제에서 개발된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한 경우, 한식 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 방문 시 식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는 각각 28.3점과 27.8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 다. 또한 임상시험 참여기간 동안에도 한식군과 일반식군 모두 평균 27.8점 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여 군 간 차이가 없었다. 한식군은 당질 제한 없이 현미밥과 같은 전곡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하루 평균 총 1,883kcal 열량에 해당하는 음식을 섭취하였다. 이는 일반식 군보다 약 335Kcal 많은 열량이다. 또한 한식군에서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발효식품과 전통식품을 충분히 섭취함에 따라 염분 섭취량이 비교적 많아서 나트륨 섭취량이 일반식군보다 1.4배 많았다. 정리하면, 한식군은 일반식군보 다 전곡류인 현미밥과 나물류 등의 채소류, 김치류, 콩류 및 두류 식품 그리고 전통발효식품 등을 많이 섭취하고, 빵류 및 면류, 동물성 식품인 육류와 난류, 그리고 과일류는 적게 섭취하였다. 따라서 일반식군보다 당질 섭취량이 많고 열 량 중 탄수화물 섭취율이 높았다. 단백질과 지질은 열량 중의 섭취율만 고려하 면 한식군의 지질 섭취율이 약간 높고 단백질 섭취율은 약간 낮으나, 총 단백질 량과 총지질량은 일반식군보다 많을 뿐 아니라 식물성 식품에서 기원한 단백질 과 지질이 주를 이루고 그 섭취량 또한 현저히 많았다. 반면 일반식군 피험자 들은 하루 평균 총 1547kcal의 열량을 섭취하고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 질, 콜레스테롤, 동물성철분, 레티놀 같은 동물성식품에서 기원한 영양소 섭 취가 많았다. 즉 한식군에 비해 총열량, 당질, 염분과 식이섬유소 섭취량이 훨씬 적으면서 단백질과 지질이 대부분 동물성식품에서 기원하고 그 섭취량 또한 많았다. 유효성 평가 항목 중 한식군의 24시간 활동 중 및 안정 시 혈압과 맥박 수, 부교감신경기능,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및 혈중지질 등에서 일반식군에 비하여 의미 있는 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신체계측 지표 중 체중, 체질량지 수,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허리둘레에서도 일반식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 효과가 있었다.


현재 단백질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복부 비만이 감소하며46), 곡류로부터 섭취한 탄수화물은 복부 비만 증가와 관련을 보이고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체중감량과 혈당 조절에 더 효과적40)41)이라는 결론을 내린 연구들이 다수 있다. 그러나 본 임상시험 결과, 밥을 규칙적으로 잘 먹는 탄수화물 식 사가 당뇨병, 고혈압 및 비만 등의 질환에서 오히려 이로운 의학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았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대상 환자들이 전곡류와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질과 지방을 섭 취한 것에서 일부분 찾을 수 있다29)35)고 제안하고자 한다. 즉 식품 속에 포 함된 불포화지방, 식이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은 미량영양소의 익히 알 려진 이득 작용과 전곡류에 함유된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리그난 (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과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36)고 판단하였다. 또한 전곡류 섭취를 통해 체 내 혈당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 점은 혈당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자율신경 계를 안정화시키는 역할도 하여 혈압과 맥박수에 이로운 작용을 일으켰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염분을 비교적 자유롭게 섭취해도 혈압 상승이 없었 는데 그 이유의 하나로 발효식품과 천일염 섭취를 들 수 있겠다. 천일염은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 함유량이 적고 마그네슘,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 물이 포함되어 있어서51)52) 신장에서의 배설이 용이하고 따라서 체내에서 염 분저류를 덜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동안 발효식품의 과도한 염분 함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천일염으로 만든 발효식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요약하면, 한식 섭취는 환자의 순응도가 좋고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혈압과 맥박 수 감소, 자율신경기능 안정화, 혈당 및 지질 조절상태 개선 및 체중 감량에 유효하였고,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가 의학적 치료, 운동 요법 과 함께 한식 섭취를 규칙적으로 함으로써 생활습관을 교정 할 때 장기적으 로 질병과 관련한 예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이 대조군에게 대조식을 직접 제공하지 않아서 대조 군 피험자들의 식이섭취 보고에 의존한 분석결과를 한식군 임상시험용 식 이와 비교 하였고, 한식군이 섭취한 식이는 친환경 국내산이였으나, 일반식 군은 평상시 섭취한 음식은 잔류농약 등의 노출위험 가능성이 있었다. 또 한, 한식군은 매일 3차례 임상시험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식사를 하였기 때


문에 일반식군과 운동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행 연구들의 보고 내용과 다르게 도출된 결과들을 해석하고 추정되는 기전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향후 대조식을 직접 제공하 는 등, 임상시험을 보다 정밀하게 계획하고 반복하여 수행 할 필요가 있겠 다.


표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ⅩⅤ 그림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ⅩⅥ ● 임상 시 험성 적 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요 약 (Synopsi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약어 및 용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Ⅱ. 윤리적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Ⅲ. 시험자 및 기타시험참여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Ⅳ.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Ⅴ. 임상시험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Ⅵ. 대상 질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Ⅶ. 임상시험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임상시험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검사방법 및 대조식의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3. 피험자의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4. 임상시험 진행 일정 및 임상시험용식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5. 유효성 및 안전성 관련 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6. 임상시험 계획서의 통계적 분석방법 및 피험자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7. 자료의 질 보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8. 임상시험 수행 및 분석방법의 변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Ⅷ. 피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1. 피험자의 임상시험 참여 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2. 임상시험계획서 위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3. 순응도 및 임상시험용식이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Ⅸ. 효과 평가기준, 평가방법 및 해석방법(통계분석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Ⅹ. 피험자의 인구학적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Ⅺ. 유효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1. 1차 유효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1) 24시간 BP monitoring (24시간 활동 중 혈압계)을 통한 혈압과 맥박수의 변화 · · · · · · · · · · ·34 2) 공복혈당 (FP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2. 2차 유효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1) 좌위 혈압과 맥박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2)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3)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4) 혈중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5) 항고혈압, 항당뇨병 및 항고지혈증 약물 사용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6) 신체계측 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7) 심초음파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8) 경동맥 내중막 두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9) 자율신경기능 검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10) 유전자 검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11) 장내미생물 검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Ⅻ. 안전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1. 자·타각 증상 등 이상반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2. 검사실검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3. 심전도 검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6

ⅩⅢ .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7

ⅩⅣ .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4 <별첨2‐1. 임상시험용 식단 작성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9 <별첨2‐2. 임상시험용 식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 <별첨2‐3. 유전자검사 방법 및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4 <별첨2‐4. 장내미생물검사 방법 및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0 <별첨2‐5. 중대한 이상반응 보고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0 <별첨2‐6. 외국인 대상 임상시험성적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8


표 목차 표 1. 탈락현황 및 사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표 2. 피험자 순응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표 3. 임상시험 참여 전 ․ 후의 음식군별 섭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4. 한식군과 일반식군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표 5. 인구학적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표 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그룹 내 24시간 활동 중 1일 평균 혈압과 맥 박수의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표 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그룹 간 24시간 활동 중 1일 평균 혈압과 맥 박수의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표 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그룹 간 24시간 활동 중 주간 혈압과 맥박수 의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표 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그룹 간 24시간 활동 중 수면 시 혈압과 맥 박수의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9 표 10. 방문별 공복혈당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표 1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공복혈당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표 12. 방문별 혈압과 맥박수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1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혈압과 맥박수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43 표 14. 방문별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표 1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변화 (PP 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표 16. 방문별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 1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표 18. 그룹 내 방문별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표 19. 그룹 간 방문별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표 2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 (PP군) 58 표 21. 고혈압 약물 사용량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 22. 당뇨병 약물 사용량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 23. 고지혈증 약물 사용량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 24. 방문별 신체계측지표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2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신체계측지표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68


표 2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심초음파 변화 (PP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 표 2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경동맥 내중막 두께 변화 (PP군) · · · · · · · · · ·75 표 2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자율신경기능 검사 결과 (PP군) · · · · · · · · · · · · ·76 표 29. 유전자 검사 샘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표 30. 고혈압 ․ 당뇨병 환자군과 일반인군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SNP 79 표 31. 고혈압 ․ 당뇨병 환자군과 일반인군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SNP 상위 20개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표 3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장내미생물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 표 33. 이상반응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표 34. 방문별 검사실검사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5


그림 목차

그림 1. 피험자 참여실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그림 2. 임상시험기간 동안 한식식사유형지수(KDPS)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변화 25 그림 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최소 수축기혈압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평균 수축기혈압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최대 수축기혈압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최소 이완기혈압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평균 이완기혈압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최대 이완기혈압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최소 맥박수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1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평균 맥박수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1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최대 맥박수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그림 12. 방문별 공복혈당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1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공복혈당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그림 14. 방문별 수축기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1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수축기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16. 방문별 이완기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그림 1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이완기혈압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그림 18. 방문별 맥박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그림 19. 방문별 맥박수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2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맥박수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그림 21. 방문별 hs-CRP (C-reactive protein)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그림 2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hs-CRP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23. 방문별 PAI-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2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PAI-1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25. 방문별 fibrinogen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그림 2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fibrinogen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그림 27. 방문별 homocysteine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그림 2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homocystein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50 그림 29. 방문별 MDA (malondialdehyde)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그림 3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MDA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그림 31. 방문별 당화혈색소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그림 3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당화혈색소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그림 33. 방문별 공복 시 C-peptide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그림 3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C-peptid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그림 35. 방문별 공복 시 인슐린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그림 3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공복 시 인슐린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54

그림 37. 방문별 HOMA-IR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그림 3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HOMA-IR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그림 39. 방문별 HOMA-β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그림 4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HOMA-β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그림 41. 방문별 총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그림 4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총콜레스테롤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그림 43. 방문별 중성지방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그림 4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중성지방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그림 45. 방문별 HDL 콜레스테롤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그림 4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HDL 콜레스테롤 변화량

· · · · · · · · · · · · · · · · · · ·60

그림 47. 방문별 LDL 콜레스테롤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그림 4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LDL 콜레스테롤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61 그림 49. 방문별 아포지단백 A1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그림 5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아포지단백 A1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61 그림 51. 방문별 아포지단백 B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그림 5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아포지단백 B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그림 53. 방문별 아포지단백 E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그림 5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아포지단백 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63 그림 55. 방문별 free fatty acid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그림 5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free fatty acid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63 그림 57. 방문별 아디포넥틴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그림 5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아디포넥틴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그림 59. 고혈압 약물 사용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그림 60. 당뇨병 약물 사용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그림 61. 고지혈증 약물 사용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그림 62. 방문별 체중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그림 6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체중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그림 64. 방문별 체질량지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그림 6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체질량지수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그림 66. 방문별 체지방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그림 6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체지방량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 그림 68. 방문별 체지방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그림 6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체지방율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그림 70. 방문별 골격근량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1 그림 7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골격근량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그림 72. 방문별 허리둘레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그림 7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허리둘레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그림 74. 방문별 엉덩이둘레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그림 7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엉덩이둘레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그림 7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Breathing scor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77 그림 7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ECG 30/15 ratio score 변화량 · · · · · · ·77 그림 7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Valsalva scor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77 그림 7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Upright scor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78 그림 8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Handgrip scor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78 그림 8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Total score 변화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그림 82. 한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장내미생물 군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그림 83. 한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12주 후 장내미생물 군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그림 84. 일반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장내미생물 군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3 그림 85. 일반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12주 후 장내미생물 군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



Ⅰ. 약어 및 용어의 정의 ABP

Ambulatory Blood Pressure

ADR

Adverse drug reaction

AE

Adverse event

ALP

Alkaline phosphatase

ALT

Alanine transaminase

ANS

Autonomic Nervous System

Apo A1

Apolipoprotein A1

Apo B

Apolipoprotein B

Apo E

Apolipoprotein E

AST

Aspartate transaminase

BMI

Body mass index

BP

Blood Pressure

BUN

Blood urea nitrogen

Cl

Chloride

CK

Creatinine Kinas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EF

Ejection Fraction

FPG

Fasting Plasma Glucose

γ‐G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CP

Good Clinical Practice

HbA1c

Glycated Hemoglobin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OMA‐β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Beta‐cell Function

- 1 -


HOMA‐IR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C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MT

Intima‐Media Thickness

K

Potassium

LDH

Lactate dehydrogenase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VEDV

Left Venticular End‐Diastolic Volume

LVESV

Left Venticular End‐Systolic Volume

LVIDd

Left Venticular Internal Dimension‐Diastole

LVIDs

Left Venticular Internal Dimension‐Systole

Na

Sodium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PPA

Phenylpropanolamine

PAI‐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RBC

Red Blood Cell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SBP

Systolic Blood Pressure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E

Standard Error

WBC

White blood cell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WMSI

Wall Motion Score Index

- 2 -


Ⅱ. 윤리적 고려 1. 임상시험실시기관에서의 임상시험계획서 심의 임상시험계획서는 피험자의 안전을 충분히 고려하여 작성되었으며, 전북대학교병원의 기능 성식품인체시험심사위원회(IRB)가 심의하여 임상시험 수행을 결정하였다.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인체시험심사위원회 최초 승인 일자 : 2010. 08. 03

2. 피험자 동의 피험자에게 임상시험의 목적과 내용 및 임상시험용식이의 효과, 이상반응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히 설명한 후, 피험자의 서면 동의를 받아 시험을 진행하였다.

Ⅲ. 시험자 및 기타시험참여자 1. 임상시험 실시기관 및 기관장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채 수 완 MD, Ph.D.

2. 시험책임자 전북대학교병원 심장내과 교수 고 재 기 MD, Ph.D.

3. 공동연구책임자 전북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박 태 선 MD, Ph.D.

4. 시험담당자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소병옥, 최은경, 정수진, 전지영,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허민주, 박은옥, 김혜미, 박성은, 유일한, 한수미, 신자현, 이미자, 이정현, 조명진, 노수미, 김종옥, 이누리, 문은실, 양지영, 최윤희, 오경선, 이효정, 정진아 전북대학교병원 심장내과 이선화, 김설애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연구소 김민걸, 황민호, 임용진

- 3 -


5. 모니터요원 ㈜헬스케어크레임스엔드멘내지멘트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949‐10번지

6. 임상시험용식이 관리영양사의 성명 및 직명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정수진,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허민주, 박은옥, 김혜미, 유일한 영양사

Ⅳ. 서 론 심혈관계 질환은 대부분 선진국에서 제 1사망 원인이며1),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및 흡 연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2). 급속한 경제 발전과 더불어 노인 인구가 폭발 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한국인의 질병 양상도 크게 변하여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및 뇌혈관 질환 등 심혈관계 질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만성적인 고혈압은 혈관 벽의 구조적인 재구성과 혈관의 저항도의 증가를 초래하고 양성 피드백 현상에 의해 고혈압이 지속되어 결국은 심장, 혈관, 신장, 뇌와 같은 말단 장기 손상 (end organ damage)을 초래하게 된다3). JNC 7차 보고(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에 의하면 혈압이 115/75 mmHg 부터 20/10 mmHg 상승할수 록 심혈관 질환 위험률이 두 배씩 증가한다4).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이나 인슐린 저항 등에 기인하는데5) 지금까지의 역학적 연구와 임상 시험 결과에 의하면 고혈당이 망막증, 신경병증, 신병증과 같은 미세혈관계 당뇨병성 합병증 과 관상동맥 질환, 뇌혈관 질환, 말초동맥 질환과 같은 대혈관계 당뇨병성 합병증을 일으키 는 원인으로 밝혀져 있다6). 결국 고혈압 및 당뇨병의 합병증을 미리 예방하여 예후를 개선 시키고 사회 경제적인 손실을 줄이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 다7)8)9)10).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은 약물치료 이전에 선행되는 식이조절만으로도 그 진행 을 호전시킬 수 있고 잘못된 식습관 교정으로 당뇨병, 고혈압, 비만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 들을 감소시켜 줌과 동시에 약물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켜 줄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1). 세계 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에 따른 좋은 먹거리, 건강 지향적 식품을 선택하는 새로운 식 품소비의 경향이 정착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한식의 영양학적 우수성을 검증하여 국내외적 으로 홍보할 수 있는 임상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 4 -


한식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건강한 식사로 잘 알려진 지중해식 식사에 못지않게 비만과 만성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인 근거 자료가 매우 미흡하다. 또한 세계적으로 한식 우수성은 인정하지만 한식섭취 식사유 형의 명확한 기준(Specific Standard) 근거 부족으로 인해 “얼마만큼 섭취했을 때, 한식이 건강식으로 대표성을 가질 수 있는가”와 같은 한식 식사유형(Dietary pattern)에 대한 명 확한 지침이나 규정은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한식의 영양학적 특성도 역학연 구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먼저 한식 식사유형(Dietary pattern)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국내 관련학회 전문가에 의한 고증문헌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역학조사 등을 한 후, 이러한 특성을 가진 한식 식사유형이 인체에 미치는 건강과 질병에 대한 관련성을 밝히 는 임상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자들은 한식 식사유형 지수를 근거로 만들어진 한식식단을 섭취하는 임상시험을 수행하여 한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한식의 과학적인 우수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역으로 임상시험 기간 대상 환자들이 실제 섭취한 식사를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를 적용한 식이분석이 본 임상시험의 의학적 결과와 얼마나 일치 하는지 검증하였다.

Ⅴ. 임상시험의 목적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나타나는 다음의 변화 양상을 살 펴보고자 하였다. 1. 한식 섭취가 혈압 조절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지 평가한다. 2. 한식 섭취가 지단백양상 및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에 효과가 있는지 평가한다. 3. 임상시험의 의학적 결과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및 한식식사유형지수 (KDPS) 와 의 관련성을 검증한다.

Ⅵ. 대상질환 고혈압 및 당뇨병

- 5 -


Ⅶ. 임상시험계획 1. 임상시험 방법 본 임상시험은 Open, Parallel, Controlled Study이다. 한식과 일반식 2가지 섭취군에 대 하여 한식군 23명, 일반식군 25명씩 선정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자원자에 한하여 임상시험 예정일(1 일)로부터 ‐28일~‐1일 이내에 문진, 신체검진, 검사 실검사 등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여 본 임상시험에 피험자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를 선정하고 피험자 번호를 부여하였다. 피험자는 0주(‐3일~3일)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여 기저치 검사를 실시하였다. 섭취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매일 오전 7시(아침식사), 오후 12시(점심 식사), 오후 6시경(저녁식사) 시험자가 제공하는 식이를 정해진 장소에서 섭취하고, 일상생 활을 하였다. 대조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평소 섭취하던 대로 음식물을 섭취하고, 일상생활 을 하였다. 피험자는 26 일 ~ 32 일(4 주), 54 일 ~ 60 일(8 주), 82 일 ~ 88 일(12 주) 전북대 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여 정해진 검사를 받고 총 12주간의 임상시 험 일정을 마쳤다.

2. 검사방법 및 대조식의 선정 1) 검사방법 (1) 인구학적 정보 피험자의 신분증을 통하여 성명, 성별, 연령 등 인구학적 정보를 확인하였다. 연령은 만

- 6 -


나이로 기록하였다. 만약 피험자의 실제 상황과 신분증의 기록이 다를 경우(예, 출산신고를 잘못하여 연령에 차이를 보이는 경우) 피험자의 실제 정보를 기록하였고 그 내용을 근거문 서에 기록하였다. 피험자에게 흡연, 음주 여부를 확인하였다. (2) 신체계측 신체계측은 매 방문 전 3일에서 방문 후 3일 사이에 시행하였다. 신장은 단위를 cm으로 하며,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였다. 체중 은 단위를 kg로 하며,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기하였다.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는 줄자를 이용하여 3회 측정(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측정)하며 측정치 의 평균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기하였다.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kg/m2), 체지방량, 체지방율, 근육량 등을 Inbody 720(Biospace, Kore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병력조사 피험자가 동의서에 서명한 시점에서 5년 이내에 가지고 있는 과거 병력을 기록하였다. 임 상시험기간 동안 질환이 처음으로 발생하거나 병발질환이 시험기간 동안 악화된 경우에는 이상반응으로 간주하고 기록하였다. (4) 신체검진 신체검진은 문진, 시진, 청진, 타진, 촉진 등을 수행하였다. 피험자가 오한을 느끼지 않도 록 수행 장소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피험자와의 면담을 통해 병용약물 등을 확인하였다. (5) 활력징후 활력징후는 매 방문 전 3일에서 방문 후 3일 사이에 시행하였다. 활력징후는 좌위 혈압, 맥박 수, 체온 항목을 측정하였다. 피험자의 혈압 측정 팔의 선택 은 기능적, 해부학적 이상이 없는 팔로, 가능한 양쪽 팔의 혈압을 스크리닝에 측정한 후 높 은 혈압(평균 sitDBP 혈압기준)을 나타내는 팔을 선정, 이후의 방문에서 혈압은 같은 쪽의 팔에서 측정하였다. 혈압은 피험자의 팔이 심장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측정하였으며, 단 위는 mmHg이고 정수로 표기하였다. 급격한 체위변동 없이 5분 이상 좌위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혈압, 맥박수를 측정하였으며 2분 간격을 두고 3번 측정하여 sitDBP와 sitSBP의 3개 값 평균을 구하였다. (6) 24시간 BP monitoring (24시간 활동중 혈압계 검사) 24시간 BP monitoring은 1차, 4차 방문 전 3일에서 방문 후 3일 사이에 시행하였다. ABP

- 7 -


monitor는 검사자가 피험자에게 착용시켰다. 이 장치는 daytime에는 30분 간격으로 자동으로 측정되도록 조절하였으며 nighttime 동안에는 피험자의 취침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매 1시간 마다 자동으로 측정되도록 조정하였다. 이 장치의 검사는 시작 시점으로부터 중단 없이 24시간 동안 계속되었다. (7) 심초음파 심초음파는 1차, 4차 방문 전 3일에서 방문 후 3일 사이에 시행하였다. 모든 피험자에게서 심초음파를 통하여 좌심실 비대 감소를 평가하였다. (8) 12‐lead 심전도 피험자가 앙와위로 5분 이상 안정을 취한 후 수행하였다. 심전계의 감도 1(10 mm/Mv), 기록지 이동속도 25 mm/sec, 휠터 off 등의 표준측정조건으로 기록하였다. (9) 검사실검사 원칙적으로 공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뇨 검사

WBC

Calcium

Specific gravity

RBC

Phosphorus

pH

Hemoglobin

BUN

Protein

Hematocrit

Uric acid

Glucose

Platelet

Total‐cholesterol

Ketone

Neutrophil (seg)

Total protein

Bilirubin

Lymphocyte

Albumin

Blood

Monocyte

Total bilirubin

Urobilirubin

Eosinophil

ALP

Nitrite

Basophil

ALT

Microscopic (RBC,

AST

WBC)

γ‐GT CK (CPK) LD (LDH) Creatinine Na K Cl Triglyceride HDL‐C LDL‐C

- 8 -


(10) 지질대사 관련 지표 지질대사 관련 지표로 공복 시 free fatty acid, adiponectin, Apolipoprotein A1, Apolipoprotein B, Apolipoprotein E를 측정하였다. (11)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변수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변수는 공복 시 glucose, insulin, C‐peptide, HbA1c, HOMA‐IR, HOMA‐β를 측정하였다. 원칙적으로 8시간 이상 공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하였다12). • HOMA‐IR

• HOMA‐β

= =

공복 시 혈당(mmol/l) × 공복 시 혈중 인슐린 농도(μU/ml) 22.5 20 ×

공복 시 혈중 인슐린 농도(μU/ml) 공복 시 혈당(mmol/l)‐3.5

* 혈당(mmol/l) = mg/dl/18

(12)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검사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검사는 상완정맥 등 정맥에서 채혈하여 hs‐CRP, PAI‐1, fibrinogen, homocysteine, MDA 항목을 측정하였다. (13)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정 (IMT)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1차, 4차 방문 전 3일에서 방문 후 3일 사이에 시행하였다. 경동맥 측정 위치는 총 경동맥에서 경동맥 팽대부로 이행하는 경계부로부터 근위부 1cm 구간의 원위부 벽을 사용하였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초음파상 혈 관 내강과 혈관 내막의 경계부위로부터 혈관 중막과 혈관 외막의 경계 부위까지의 거리로 정의 하고, 이를 좌우 각각 2군데씩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석회 침착이나 초음파상 비균일성 을 보이는 죽상경화반이 있는 경우에는 죽상경화반이 포함되지 않은 근위부에서 측정하였다. (14)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 검사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 검사는 1차, 4차 방문 전 3일에서 방문 후 3일 사이에 시행하였 다. 아침에 검사를 하는 경우에는 밤 사이 금식을 하거나 적어도 3시간 전에는 금식을 한 후 시행하였다. 컴퓨터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심호흡 시 호기와 흡기 시의 심 박동수 차이(Breathing), 체위변동에 따른 심박동수 차이(ECG 30/15 ratio), 발살바 수기 에 의한 심박동수 차이(Valsalva), 체위변동에 따른 수축기 혈압의 변화(Upright), 악력운동 에 의한 확장기 혈압의 변화(Handgrip) 등 5가지 검사를 하였다.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정 상은 0점, 경계범위는 0.5점, 이상은 1점으로 계산하였고 5가지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5 점을 최대값으로 정의하였다13).

- 9 -


(15) 유전자 검사 (SNP) Axiom Asian‐Optimized array를 사용하여 1차방문 시에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16) 장내 미생물 검사 1차방문과 4차방문 전 3일에서 방문 후 3일 사이에 피험자들에게 소량의 대변을 채취하 여 RT‐PCR이용하여 장내 미생물 검사를 시행하였다. (17) 임상시험용식이 제공 한식군에 배정된 피험자는 매일 오전 7~8시 30분(아침식사), 오후 12~1시30분 (점심식 사), 오후 6~7시30분 (저녁식사)경 시험자가 제공하는 식이를 정해진 장소에서 섭취하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지정된 장소에서 식사가 불가능한 경우 도시락에 임상시험용식이를 포장 해주어 가능하면 정해진 시간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식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평 소 섭취하던대로 음식물을 섭취하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18) 이상반응모니터링 이상반응을 알아내기 위해 피험자의 자발적인 보고뿐 만 아니라, 피험자에게 “기분이 어 떠십니까?” 등 원하는 대답을 유도하지 않는 방식의 질문을 하였다. (19) 병용약물 (Concomitant medication) 모든 병용약물의 일반명, 용량, 용법, 투여기간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20) 순응도 및 섭취량 한식군 피험자들의 임상시험용식이 순응도를 계산하고 잔반량이 있을 경우 잔반량을 측 정하여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0‐4 주간 순응도는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순응도(%) =

4 주동안 섭취해야 하는 식사 수 - 미섭취식사 수 ´ 100 4주동안섭취해야하는식사수

‘4주 동안 섭취해야 하는 식사 수’는 (하루 3회 * 28일간) 84 끼니이며, ‘미섭취 식 사 수’는 피험자가 전북대학교병원에서 제공하는 식사를 하지 않을 경우를 조사하여 계산 하였다. 각 방문별로 순응도를 계산하여 매 달 순응도가 70 %를 초과하여야 하며, 이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 10 -


(21) 식이섭취조사(식사기록법) 및 식이섭취분석 모든 피험자가 스크리닝 방문에서 1차 방문 전까지의 기간동안 섭취한 모든 음식과 음료 수를 기록하였다. 1차 방문 예정일에 피험자들이 작성해 온 식이섭취 기록지를 통하여 해당 피험자의 식이섭취조사 및 분석을 시행하였다. 일반식군은 1차 방문뿐만 아니라 임상시험이 진행되는 12주 동안 1주에 3일씩 섭취한 모 든 음식, 음료수 등을 기록하였다. 2차, 3차, 4차 방문 예정일에 피험자들이 작성해 온 식이 섭취 기록지를 근거로 하여 분석하였고, 한식군의 임상시험기간 동안 식이섭취 조사는 실측 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 전․후 무게를 측정한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① 식이섭취조사 - 식사뿐만 아니라 간식, 양념, 조미료, 알코올, 음료, 캔디 등 모든 것을 기록하였 다. 집 밖에서 섭취된 음식의 양과 구성 식품에 대한 기록을 하고 각 식품에 대 한 눈대중량을 기록하였다. - 각 페이지 위쪽에는 날짜를 기록하며 새로운 날의 기록을 시작할 때에는 반드시 새로운 페이지에 시작하였다. - 음식의 구성 식품을 적을 때는 한 줄에 한 구성 식품만 쓰며 음식을 섭취한 장 소, 시간을 기록하였다. - 만약에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하였다면 하루에 먹는 양, 상표, 라벨에 나 타나 있는 정보를 기록하였다(라벨 그 자체를 기록에 붙일 수도 있다). - 음식을 기록할 때에는 조리 방법을 같이 기록하였다. 예) 병어 조림, 시금치 나물, 닭튀김, 햄샌드위치 - 음식을 구성하는 구성 식품들의 종류와 조리상태 등을 기록하였다. 예) 닭고기 껍질 벗긴 것 혹은 벗기지 않은 것, 검은 빵 혹은 흰빵, 통조림 과일, 생과일 등 - 사용 전 식품에 상표명이 있으면 상표명을 같이 적어 두었다. 예) 푸르네 치즈, 켈로그 시리얼 등 - 조리에 사용된 양념류, 소스 종류, 향신료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 될 수 있는 대로 기억력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사 직후에 기록하였다. ② 식이섭취분석 - 피험자가 방문 일주일 전에 작성한 식이섭취기록지를 통해 일주일 동안 섭취한 식품군과 음식군을 CAN‐Pro 3.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섭취량을 계산하고 영 양소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2) 대조식(일반식) 선정 일반식군에 배정된 피험자는 별도의 식이 처방 없이 평소에 섭취하던 식사를 유지하였다.

- 11 -


3. 피험자의 선정 본 임상시험의 피험자는, 모든 선정기준 항목에 합당하면서 제외기준 중 어떠한 항목에도 해당되지 않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선정하였다. 단, 검사실검 사에서 사소한 일과성 이상을 보일 때(AST, ALT를 제외한 화학일반검사에서 각 검사항목 의 정상범위 상한치의 1.5배 이하이거나, 소변 검사 상 albumin, ketone trace(±) 이하 등) 또는 시험자가 이러한 변화가 본 임상시험에 미치는 영향이 작고 피험자에게도 위해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적격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그 내용을 증례기록서의 해당란 에 상세히 기록하였다.

1) 선정기준 (1) 스크리닝 검사 당시 연령이 만 18세 이상인 자 (2) 고혈압과 당뇨병 진단을 받은 자 (3) 본 임상시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완전히 이해한 후, 자의로 참여를 결정하고 주의사항을 준수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

2) 제외기준 (1) 스크리닝 시 측정한 평균 혈압(좌위)이 DBP ≥ 116 mmHg 또는 SBP ≥ 200 mmHg인 환자 (2) 스크리닝 시 선택된 팔의 혈압 차이(좌위)가 DBP ≥ 10 mmHg 또는 SBP ≥ 20 mmHg인 환자 (3) 이차성 고혈압 또는 이차성 고혈압이 의심되는 환자(대동맥 축착증, 원발성 알도 스테론증, 신동맥 협착증, 갈색세포종 등) (4) 중증의 심질환자(심부전; NYHA class Ⅲ, Ⅳ의 심부전) 및 최근 3개월 이내의 불안정형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이나 판막성 심질환 및 치료를 요하는 부정맥 등이 관찰된 환자 (5) 최근 6개월 이내 뇌경색, 뇌출혈 등의 뇌혈관 질환 병력이 있는 중증의 뇌혈관장 애 환자 (6) 제 1형 당뇨병 및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HbA1c>9.0 %) (7) 중증 또는 악성 망막병증으로 알려진 환자 (8) 다음과 같은 실험실 검사 결과에 이상이 있는 환자 - 간기능 이상 환자(AST/ALT > 정상범위 상한치의 2 배) - 신기능 이상 환자(Serum Creatinine > 정상범위 상한치의 1.5 배) (9)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급성 또는 만성 항염증상태에 있는 환자 (10) 약물이나 알코올에 의존병력이 있는 환자

- 12 -


(11) 임상시험용식이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과 적 또는 내과적 상태에 있는 환자(위 절제, 위장관 우회술 또는 문합술 등 주요 위 장관 수술병력, 12개월 이내의 활동성 염증성 장증후군의 병력, 위장관/직장 출혈 이 있는 환자, 요로계 협착 또는 배설장애 등 요로 폐색이 있는 환자) (12) 스크리닝 검사 결과 임산부, 수유부 및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로 적절한 피임방 법(예: 호르몬 이식, 자궁내장치, 경구 피임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 환자(최소 12 개월 이상 무월경이 지속된 경우 폐경으로 간주하며, 경구용 피임제 등 호르몬 제 제를 이용한 피임 방법을 사용할 경우 스크리닝 시부터 병용하여야 함.) (13) 과거 5년 이내에 백혈병 및 임파종을 포함하는 악성 종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14) 식이처방에 따른 음식물 섭취를 수행할 수 없는 자 (15) 첫 섭취일 전 2개월 이내에 타 임상시험에 참여한 자 (16) 기타 시험자에 의해 임상시험 참여가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환자

4. 임상시험 진행 일정 및 임상시험용식이 1) 방문별 임상시험 진행 일정 (1) 스크리닝 검사 대상 피험자의 적합성 스크리닝 검사는 개별 피험자에 대하여 임상시험 수행일(1d)로부터 4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다음 검사에 의해 임상적으로 유의한 이상이 있는 대상자는 제외 하였다. - 인구학적 정보 조사 - 흡연력, 음주력 조사 - 병력조사 - 약물 투여력 조사 - 신체검진 - 신체계측 - 활력징후: 좌위 혈압, 맥박 수, 체온(고막) - 검사실검사 -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변수 - 임신반응검사 - 12‐lead 심전도 - 피험자번호 부여 및 섭취군 배정 - 13 -


(2) 제 1차 방문 - 약물 투여력 조사 - 신체검진 - 신체계측 - 활력징후: 좌위 혈압, 맥박수, 체온(고막) - 24시간 BP monitoring - 검사실검사 - 지질대사 관련지표 검사 -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변수 검사 -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검사 - 심초음파 검사 -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정 - 심혈관계 자율신경기능 검사 - 유전자 검사 - 장내 미생물 검사 - 식이섭취조사(식사기록법 및 실측법) -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 배변습관 등에 대한 설문조사 - 임상시험용식이 제공 - 임상시험용식이 순응도 및 섭취량 확인

(3) 제 2차/3차 방문 - 약물 투여력 조사 - 신체검진 - 신체계측 - 활력징후: 좌위 혈압, 맥박수, 체온(고막) - 검사실검사 - 지질대사 관련 지표 검사 -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변수 검사 - 식이섭취조사(식사기록법 및 실측법) - 임상시험용식이 제공 - 임상시험용식이 순응도 및 섭취량 확인 - 이상반응 모니터링

(4) 제4차 방문 - 약물 투여력 조사

- 14 -


- 신체검진 - 신체계측 - 활력징후 : 좌위 혈압, 맥박수, 체온(고막) - 24시간 BP monitoring - 검사실검사 - 지질대사 관련 지표 검사 -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변수 검사 -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검사 - 심초음파 검사 -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정 - 심혈관계 자율신경기능 검사 - 장내 미생물 검사 - 임신반응검사 - 12‐lead 심전도 - 식이섭취조사(식사기록법 및 실측법) -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 배변습관 등에 대한 설문조사 - 임상시험용식이 순응도 및 섭취량 확인 - 이상반응 모니터링

2) 배정방법 (1) 스크리닝번호 부여방법 임상시험에 참여하고자 서면 동의한 자원자에게 스크리닝 번호를 부여하였다. 스크리닝 번 호는 S001로 시작하는 전체 네 자리, 숫자 세 자리로 구성되며, 동의서를 받은 순서대로 부 여하였다. (2) 피험자번호 부여방법 스크리닝 검사를 최종적으로 통과한 피험자를 각 군에 배정하여 피험자 번호를 부여하였 다. 피험자번호는 K01로 시작하는 전체 세 자리, 숫자 두 자리로 일정한 규칙을 갖는다. 피 험자번호 숫자부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숫자와 두번째 숫자는 참여한 피험자의 순 서를 나타내며 01~99까지 나타낼 수 있다. 각 피험자에게 부여된 피험자 번호는 임상시험 이 끝날 때까지 피험자를 인식하는 피험자식별코드(subject identification code)로 사용되 었다.

- 15 -


3) 병용금지 약물 다음에 열거하는 약물은 임상시험 기간 동안 병용투여를 금지하였다. ‐ 항비만제제 : sibutramine 등 ‐ 기타 임상시험용의약품 및 혈압 및 혈당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기능식품

4) 임상시험용식이 (1) 임상시험용식이의 선정 • 한식 본 연구의 세부과제 일환으로 진행하였던 ‘한식의 식이유형기준 마련’ (제1‐1과제) 연 구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한식상차림의 원형과 변천에 대한 고증자료를 토대로 한국식 사유형기준과, 한국인 식사유형과 질병관련 인자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한식식사유형지수 (KDPS)가 개발되었다. 이를 근거로 3첩 반상차림 식단을 구성한 후 전문가의 검토 및 자문 을 받아 임상시험용식이 식단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식재료는 일정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여 균일한 질을 보장하도록 하였다. 식 재료 중에는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엄선된 발효식품(장류, 김치류, 천일염, 젓갈류)과 전통 식품이 포함되었다. 재료의 구매는 영양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시험식 품질의 변화가 없는 한도 내에서 식재료의 보관 기간은 가능한 짧게 유지하며, 표 준화된 레시피를 이용하였다. • 일반식 일반식군의 피험자들은 별도의 식이처방 없이 평소에 섭취하던 식사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2) 임상시험용식이의 섭취 • 임상시험용식이 섭취량 및 섭취열량 설정근거 본 연구에서 한식군에게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의 식단 구성은 제 1‐1과제에서 마련된 한식 식사유형과 한식식사유형지수(KDPS)에 우선순위를 두고 이루어졌으며 섭취량 결정은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권장한 적정 칼로리 1,800~2,000kcal 에 근거하였다. 그 결과 한식군에 제공된 식단의 한식식사유형지수는 평균 44.7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해당하고 하 루 평균 섭취열량은 식사와 간식 포함하여 2,047kcal 이었다. <별첨 2‐1>에 준하는 임상시험 용식이 제공을 원칙으로 하나 임상시험 진행 도중 식단에 사용되는 식자재 수급 상황에 따라 불가피 한 경우 식품성분과 영양상 구성이 유사한 항목으로 대치하여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시험자에 의해 제공되는 표준화된 1인 1회 분량의 식사를 자유롭게 섭취하였으 며, 그 외에 피험자가 추가로 섭취하는 음식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았다. <별첨 2‐1> 임상시험용 식단 작성 기준 <별첨 2‐2> 임상시험용 식단

- 16 -


(2) 섭취방법 한식군에 배정된 피험자는 조식, 중식 및 석식을 정해진 시간에 지정된 장소에서 섭취하였 다. 지정된 장소에서 식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도시락에 임상시험용식이를 포장해주어 정해 진 시간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사와 간식을 포함해 성별을 고려한 칼로리를 산정하 여 식사를 제공하였다. 피험자들은 시험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가능한 제공되는 식사만 섭취하였다. 제공되는 식사 외의 식품 섭취 시에는 식사기록지에 섭취한 음식 목록을 기록하였다. 일반식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평소 섭취하던 대로 식사를 섭취하였으며 12 주 동안 섭취한 모든 식품을 1주일 마다 3일씩 식사기록지에 기록하였다. (3) 섭취기간 식사는 오전 7~8시 30분(아침식사), 오후 12~1시 30분(점심식사), 오후 6~7시 30분 (저녁식사)경에 시험자가 제공하는 식이를 12주간 정해진 장소에서 섭취하였다. (4) 순응도 및 섭취량 확인 한식군 피험자들의 임상시험용식이 순응도를 계산하고 잔반이 있을 경우 잔반량을 측정하 여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5. 유효성 및 안전성 관련 변수 1) 유효성 평가 (1) 1차 유효성 평가 변수 한식 섭취 전후 24시간 BP monitoring을 통한 혈압과 공복 혈당의 변화를 평가하고, 일 반식군과 비교하였다. (2)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한식 섭취 전후 방문별 혈압변화,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혈중 지질 및 지질대 사 관련 지표,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 체질량지수 및 체중, 고혈압 약제 사용량의 변화, 당뇨병 약제 사용량 변화, 심초음파, 경동맥 내중막 두께, 심혈관계 자율신경 기능 검사, 장내미생물 등의 변화를 평가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유전자 검사를 통하여 고 혈압과 당뇨병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탐색하였다. 또한 임상시험의 의학적 결과와 한국 인식사유형지수(KDS) 및 한식식사유형지수(KDPS)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 17 -


2) 안전성 평가 (1) 이상반응 임상시험 기간 동안 보고된 모든 이상반응을 도표화한 후 이상반응의 발생률을 구하였다.

(2) 검사실검사, 활력징후, 심전도 검사실검사, 활력징후, 심전도 등은 기술통계학적으로 분석하고, 섭취 전후 변화양상을 비 교하였다.

6. 임상시험 계획서의 통계적 분석방법 및 피험자 수 1) 통계적 분석방법 SPSS®, SAS 등 통계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유의수준 0.05에서 통 계분석을 시행하였다. (1) 인구학적 정보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연령, 신장 등 인구학적 정보에 대하여 기술통계학적 분석을 하였다. (2) 안전성 평가 이상반응 발생에 대해서는 그 양상을 투여군간 비교하기 위하여 chi square test를 적용 하였다. (3) 유효성 평가 24시간 BP monitoring을 통한 혈압(좌위), 공복 혈당,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지표,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 체질량지수 및 체중, 고혈압 약제 사용량 변화, 경동맥 내중막 두께, 심혈관계 자율신경기능, 장내미생물 등의 변 화를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ž후, 섭취군 간의 변화를 linear mixed model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18 -


2) 피험자 수 (1) 목표한 피험자 수 – 48명 2가지 섭취군 별로 24명씩 총 피험자 수 48명을 목표로 하였다. (2) 설정근거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 및 당뇨 환자에서 12주간 한식 섭취 시 심혈관계 위험 감소 효 과가 일반식을 섭취한 군과 비교하여 우위에 있음을 증명하고자 함이다. 본 임상시험에서는 임상시험용식이의 우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을 이용하여 피험자 수를 산출하였다.

n=

2 ´ ( Za / 2 + Zb ) 2 ´ s 2 ( m 1 - m 2) 2

S:공통표준편차, μ1, μ2: 두 군에서의 평균강하정도

임상시험용식이를 12주간 복용한 후 한식의 수축기 혈압 감소효과가 7.4 ± 2.7mmHg, 일반식은 4.0 ± 2.7mmHg으로 가정하였을 때, 유의수준 0.05에서 80% 검정력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피험자 수가 40명으로 산출되었다. 위의 계산으로부터 필요한 피험자 수를 산출하고 중도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임상시험 에 필요한 최종 피험자 수를 산정하였다. 그리하여 두 섭취군을 통틀어 요구되는 총 피험자 수는 48명으로 산정하였다.

7. 자료의 질 보증 임상시험 자료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조치로는 적합한 자격요건을 가진 임상시 험자와 시험기관을 선정하여 임상시험이 실시되기 이전에 임상시험책임자 및 담당자에 의한 임상 시험계획서의 검토, 임상시험 의뢰자에 의한 주기적인 시험기관 모니터링 방문, 검사실로부터 얻 은 임상시험 자료들을 임상시험 의뢰자에게 자료파일로 전송하는 일 등이 포함되었다. 혈액, 혈청 및 소변 샘플의 수집, 준비와 운송에 대한 서면으로 된 지시사항이 제공되었다. 임상시험 시작 전 에 증례기록서 완성지침이 제공되고, 임상시험 담당자들 사이에서 검토되었다. 임상시험 의뢰자는 시험기관 방문 동안, 그리고 증례기록서가 의뢰자에게 회수된 후에 증례기록서의 정확성과 완결 성을 검토되었다. 내용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임상시험책임자 또는 담당자와 함께 적절한 방법 으로 해결하였다. 자료는 임상시험 데이터베이스로 보내져 정확성을 확인 받았다.

8. 임상시험수행 및 분석방법의 변경 임상시험 수행 중 몇몇 항목에 대하여 최초 승인된 계획서로부터 변경사항이 있었다. 그러 나 임상시험 전체 일정에 영향을 줄 정도의 중대한 사항은 없었다.

- 19 -


Ⅷ. 피험자

1. 피험자의 임상시험 참여 실태

본 임상시험의 목표 피험자 수는 각 군당 24명씩 48명으로 총 50명의 자원자가 스크리닝 검사를 받았다. 자원자는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피험자적합성 평가를 통해 적격 피험자로 선정되었고, 무작위배정 과정을 통해 해당 섭취군에 배정되었다. 그러나 12주 동안 전북대학 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여 3끼를 섭취해야 하는 임상시험의 특성상 피 험자의 모집이 원활하지 않아 한식군은 목표 피험자 수보다 모집이 1명 미달되어 23명이 참여하였고 일반식군은 25명이 참여하여 총 48명의 피험자가 본 임상시험에 참여하였다. 임 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 48명 중 7명이 중도탈락하여 총 41명만이 시험계획서에 따라 정상 적으로 시험을 종료하였다(표 1, 그림 1).

표 1. 탈락현황 및 사유 그 룹

사 유

N(명)

동의철회

1

중대한 이상반응

1(ACUTE MI)

동의철회

3

피험자 선정기준 위반

1

중대한 이상반응

1(Calcified plaque at Rt. Bulb&homogeneous plaque at Lt. ECA/Increased Rt. CCA IMT)

한 식군

일반식군

- 20 -


그림 1. 피험자 참여실태

- 21 -


2. 임상시험계획서 위반 임상시험용식이를 투여하는 동안 임상시험계획서를 위반한 사례는 6건 발생하였다. 1) 피험자 GGS(F/57, K26)은 스크리닝 검사를 통해 본 임상시험의 피험자로서 적합하 다고 판단하여 선정되었다. 그러나 1차 방문 검사 후 피험자 제외기준(HbA1c > 9.0 %)에 해당됨을 알게 되어 계획서 위반으로 중도탈락 처리를 하였다. 이로 인해 추가 로 피험자 1명을 등록하였다(K48). 사안에 대하여 임상시험책임자는 피험자 제외기준에 해당되므로 피험자 K26은 탈락 시키고 이에 대한 피험자를 추가 등록하도록 하였다. 2) 피험자 CSS(M/69, K24)는 2010년 09월 14일, GGS(F/57, K26), GSS(F/55, K27), SOS(F/58, K28)은 2010년 09월 16일에 스크리닝 검사를 통해 본 임상시험 의 피험자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선정되었다. 계획서 상에 스크리닝 검사를 최종적으로 통과한 순서대로 피험자 번호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어 피험자 CSS, GGS, GSS, SOS는 각각 K17, K22, K25, K26번을 부여 받 는 것이 옳으나 1차 방문 시에 피험자 번호를 부여 받았다. 사안에 대하여 임상시험책임자는 계획서 위반 사유에 해당하므로 기록을 남기고, 이미 부여받은 피험자 번호는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3) 피험자 GSJ(F/66, K22)는 2010년 11월 05일 교통사고 후 타박상으로 2010년 11 월 08일 ○○정형외과로 입원하였으며, 2010년 11월 09일 연구자에게 보고하였다.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중도탈락 되어야 하나, 임상시험용식이와 인과관계가 없는 사안 이며, ○○정형외과에서 처방한 약물은 복용하지 않고 물리치료만 하였고, 2010년 11 월 10일 퇴원하였다. 따라서 임상시험용식이의 평가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 로 판단하여 계속해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사안에 대하여 임상시험책임자는 피험자 탈락기준에는 해당하나 이상반응 사유가 임 상시험용식이와 인과관계가 없으며, 증상 또한 경미하여 모두 회복이 된 것으로 판단 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임상시험에 참여하여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4) 피험자 GSU(M/77, K08)는 2010년 11월 20일 오전 7시 15분경에 임상시험용식이 섭취를 위해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였으나 어지러움증 등을 호소하고 임상시험용식이 섭취를 거부하였다. 이에 PI 판단 하에 응급실에 입원 하여 검사실검사, CT검사 등을 진행하였으나 별 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오후 6시 경 퇴원하였다.

- 22 -


중대한 이상반응으로 중도탈락되어야 하나, 과거 2005년도에 심근경색이 있었으며, 임상시험용식이와 인과관계가 없는 사안으로 당일 바로 퇴원하였다. 따라서 임상시험 용식이의 평가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해서 임상시험을 진행 하고자 하였다. 사안에 대하여 임상시험책임자는 피험자 탈락기준에는 해당하나 이상반응 사유가 임 상시험용식이와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임상시험에 참여 를 하여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5) 본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는 매 방문 시마다 Inbody720을 이용하여 신체계측(체중, BMI, 체지방 등 측정)을 시행하였다. Inbody720을 이용하여 신체계측을 할 때 피험 자의 신장을 입력하는데, 임상시험 계획서 상 신장은 “단위를 cm으로 하며,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런데 2010년 09월 16일 피험자 BJH(M/73, K20), GJA(M/63, K21), GJJ(F/70, K25), GSS(F/55, K27), SOS(F/58, K28)의 스크리닝 검사 당시 Inbody720에 신 장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잘못 입력하여 측정을 시행하였다. 이에 Inbody720 측정 결과지 중 입력된 신장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 수로 표기하도록 오기 수정하였고, 신장의 영향을 받는 유효성 평가 항목인 BMI는 피 험자의 신장과 체중을 이용한 계산치(kg/m2)로 오기 수정하였다. 사안에 대하여 임상시험책임자는 임상시험 평가항목의 baseline이 1차 방문 측정치이 므로 임상시험의 유효성 평가 항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Inbody720 측정 결과지의 임상시험 유효성 평가항목 중 신장 변경에 의한 수치변화 가 BMI 외의 항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측정 결과지 중 신장 과 BMI 측정치를 오기 수정하여 진행하여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6) 2010년 09월 27일부터 임상시험계획서 상에 제시되어 있는 13일주기 식단으로 임상 시험용식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임상시험이 진행되는 도중 식단에 사용되는 채소 류 및 과일류를 식자재 수급 상황에 따라 불가피한 경우 식품성분과 영양상 구성이 유 사한 항목 내에서 대치하여 식단을 변경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기존 임상시험계획서에서 피험자에게 제공되는 열량은 하루 평균 약 1,800kcal 정도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간식 제공, 양념류 및 조미료 사용 등을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 실제 제공 열량은 하루 평균 약 평균 2,047kcal 이었다. 이에 따르는 식단으로 변경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였고 임상시험책임자는 이에 대해 임상시험용식이 식단의 부분적 변경은 본 연구 목적 또는 유효성 평가항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 단하였다.

- 23 -


3. 순응도 및 임상시험용식이 평가 1) 순응도 한식군 피험자들은 1일 3회씩 12주 동안 총 252회 방문 예정이었고 1인당 약 250회 전 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였다. 순응도(%) =

4 주동안 섭취해야 하는 식사 수 - 미섭취식사 수 ´ 100 4주동안섭취해야하는식사수

이에 따라 총 순응도는 99.4%로써 순응도 미달로 인한 탈락자는 없었다. 표 2. 피험자 순응도

섭취일 (일)

미섭취일 (일)

순응도 (%)

섭취일 (일)

미섭취일 (일)

순응도 (%)

K01

249

3

99

K13

252

0

100

K02

252

0

100

K14

252

0

100

K03

249

3

99

K15

252

0

100

K04

251

1

100

K16

252

0

100

K05

249

3

99

K17

249

3

99

K07

251

1

100

K18

252

0

100

K08

247

5

98

K19

245

7

97

K09

251

1

100

K20

252

0

100

K10

250

2

99

K21

250

2

99

K11

252

0

100

K22

251

1

100

K12

250

2

99

K23

252

0

100

2) 한식 섭취율 한식군 피험자가 제공되는 임상시험용식이에서 잔반을 남길 경우, 잔반량을 측정하여 임상 시험용식이의 총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한식군 피험자들은 제공되는 임상시험용식이의 약 85%를 섭취하였으며, 일반식군 피험자 들은 평소 본인이 섭취하던 식이를 섭취하였다.

3) 임상시험용식이 평가 임상시험 참여 전과 참여 후(임상시험 기간 12주)의 식이기록지 내용을 근거로 한식군과 일반식군의 전체 피험자들이 섭취한 식이에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와 한식식사유형지수 (KDPS)를 적용하여 분석하고, 음식군별 섭취량,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에 대해 조사 하였 다.

- 24 -


(1) 임상시험용 식이 식단의 식사유형 본 연구에서 한식군에게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의 식단 구성은 제 1‐1세부과제에서 마련된 한식 식사유형과 한식식사유형지수(KDPS)을 근거로 하였다. 즉, 전곡류(현미) 80~90%에 잡 곡류(콩, 팥, 흑미, 조 등)를 10~20% 섞은 밥류를 주식으로, 국과 김치를 기본으로 전통 3첩 상차림 형태를 띠었다. 부식은 숙채, 생채, 구이나 조림으로 이루어진 3찬으로 구성되고 채소 위주의 반찬이 하루 6회, 김치가 하루 3회, 생선류와 육류는 1~2주마다 1회 정도로 제공 되도 록 하였다. 장류, 김치류와 젓갈류를 주로 이용한 조리법을 택하여 전통 재래식 방법으로 만들 어진 발효식품을 빈번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식단을 구성하였다. 식재료는 국내산 친환경 농산 물을 사용하고 소금은 천일염을, 당류로는 조청을 사용하여 조리하였다. 그 결과 임상시험용식 이의 한식식사유형 지수는 평균 44.7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해당하는 식단이었 다.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 방문시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 (KDPS)는 한식군과 일반식군 각각 39.0점과 38.6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임상시험 참여기 간 동안 한식군은 한식식사유형지수 평균 59.3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고 일반식군의 경우는 평균 38.6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다. 한식군은 임상시험 참여 후 한식식사유형지수가 높은 한 식을 섭취하였고 이에 반해 일반식군은 임상시험 참여 전ž후 한식식사유형지수 변화가 없는 식사 를 하였다(그림2).

그림 2. 임상시험기간 동안 한식식사유형지수(KDPS)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 변화

반면 제 1‐2세부과제에서 개발된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하여 평가하면, 한식군 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 방문 시 식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 는 각각 28.3점과 27.8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임상시험 참여기간 동안에도 한식 군과 일반식군 모두 평균 27.8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여 역시 군 간 차이가 없었다. 즉 한 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섭취한 식사와 임상시험 참여기간 섭취한 식사의 한국 인 식사유형지수가 모두 약 28점 정도로 거의 일치하여서 두 군 간 차이뿐만 아니라 임상시 험 전․후에 따른 차이 또한 없었다.

- 25 -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까닭은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가 발효식품, 전곡류, 생채, 숙채 등과 같은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먹어 온 한국 음식의 특성과 특질을 구별하여 평가하고 반 영할 수 있는 점수화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본 연구에서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섭취한 식사의 식사유형을 변별할 수 없었다고 판단된다. 반면, 한식식사유형지수(KDPS)는 한국의 전통 반상차림을 속성으로 내포하고 있고, 식사유형지수가 높을수록 질병위험도가 낮아지는 비교적 일관되고 긍정적 결과를 제 1‐1과제에서 이미 도출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도 ‘한식군 이 임상시험 기간 동안 얼마나 한국식으로 섭취하였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한식 식사유 형지수가 평균 59.3점으로 높은 한식을 섭취하였다고 대답 할 수 있었고 또한 한국인식사유 형지수(KDS) 보다 한식식사유형지수(KDPS)가 ‘임상시험을 통한 한식의 우수성을 구명’ 을 위한 임상시험 수행에 적용할 한식식사유형기준과 식사유형지수로서 더욱 적합하다고 판 단된다.

(2) 음식군별 섭취 조사 전체 피험자의 식이기록지 자료와 실측법 자료를 근거로 임상시험 참여 전과 참여 후(임 상시험 기간 12주)를 구분하여, 매 끼니 별 섭취한 음식을 조리법에 따라 음식군으로 분류 한 후 음식군별 하루 섭취량을 조사하였고 그 평가 결과는 표 3에 제시하였다. 임상시험 참여 전 하루 밥 섭취량은 한식군과 일반식군에서 유사하였으나 임상시험 참여 후에는 한식군의 밥 섭취량이 일반식군보다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01). 백미밥 섭취량 은 한식군의 경우 임상시험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일반식군은 그 섭취량이 증가하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현미밥 하루 섭취량은 임상시 험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두 군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한식군의 경우 섭취량이 3배 정도 더 증가하여 일반식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반면 빵류와 면류는 한식군의 경 우 임상시험 참여 후 전혀 섭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일반식군은 임상시험 참여 전 보다 참여 후에 섭취량이 증가하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국류(찌개류) 하루 섭취량은 임상시험 참여 전에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한식군에서 임상시험 참여 후에 2배 정도 증가하고 일반식군의 경우 변화가 없어서 두 군 간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P<0.001). 발효식품 하루 섭취량은 임상시험 참여 전에는 두 군에서 유사하였으나 한식군의 경우 임 상시험 참여 후에 188.6g으로 1.6배 정도 증가하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김치류(김치류/장아찌) 하루 섭취량은 임상시험 참여 전보다 임상시험 참여 후에 두 군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장류는 하루 섭취량이 임 상시험 참여 전에는 두 군에서 유사하였으나 한식군의 경우 임상시험 참여 후에 42.7±6.5g 으로 1.7배 정도 증가하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14)에 서 한국인 50세 이상 성인의 장류 하루 섭취량은 약27.6g(간장 8g, 고추장 6.5g, 된장 13.1g)이어서 이와 비교 시 한식군은 임상시험 참여 후 일반 성인에 비해 1.5배 많은 장류 15)

섭취를 한 셈이다. 한편 한국영양학회 에서 제시한 김치류와 장류의 1인 하루 섭취분량 권

- 26 -


장량은 각각 150g과 15g이다. 한식군의 육류 하루 섭취량은 임상시험 참여 전 51.3±36.2g이었고 임상시험 참여 후 14.3±4.8g로 감소하였으나, 일반식군의 경우 임상시험 참여 전보다 임상시험 참여 후에 증 14)

가하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의 ‘한국인 식품군별 1인 평균에너지 섭취비율의 변화 추이 보고에 의하면 1971년의 우리나라 동물성 식품 식품군별 1인 하루 섭취량 20g이었다. 채소류 하루 섭취량은 임상시험 참여 전에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시험 참여 후 에 한식군의 경우 2.9배 정도 섭취가 증가하고 일반식군의 경우 변화가 없어서 두 군 간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과일류 하루 섭취량은 한식군의 경우 임상시험 참여 전 169.4±112.0g에서 임상시험 참여 기간에 95.7±6.3g으로 감소하였으나 일반식군의 경우 임상시험 참여 전 127.3±108.7g에서 임상시험 참여 동안 197.4±120.2g으로 증가하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콩류 및 두류 하루 섭취량은 임상시험 참여 전에는 두 군 간 차이 없었으나 임상시험 참 여 후에 한식군의 경우 섭취량이 증가하고 일반식군의 경우 섭취량이 감소하여 두 군 간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3). 요약하면 임상시험 참여 전에 비해 임상시험 참여 후, 한식군의 현미밥 섭취량이 증가하고 과 일류 섭취량은 감소하며, 일반식군은 백미밥, 과일류, 육류 및 면류 섭취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식군에서 나물류 등의 채소류, 김치류, 두류 식품 그리고 전통발효식품 등의 섭취 가 증가하고 빵류 및 면류, 동물성 식품인 육류와 난류, 그리고 과일류 섭취량은 감소하였다.

- 27 -


표 3. 임상시험 참여 전·후의 음식군별 섭취량 음식군

한식군 (n=21) (g/day)

일반식군 (n=20) (g/day)

P-value

임상시험 참여 전

임상시험 참여 후

임상시험 참여 전

임상시험 기간

밥양

323.4±89.5

629.1±41.3

334.4±105.2

467.2± 233.4

<0.001

백미밥

131.8±60.5

0.0±0.0

198.9±172.7

236.7±185.4

<0.001

현미밥(잡곡밥)

191.6±97.4

629.1±41.3

135.5±102.9

230.5± 220.5

<0.001

4.6±1.3

9.0±0.6

4.8±1.5

6.7± 3.3

<0.001

47.6±94.8

99.7±2.1

52.6±91.3

95.1±112.8

0.683

국(찌개)

295.2±123.8

600.3±111.5

314.6±193.1

317.4±142.8

<0.001

발효식품

115.4±69.30

188.6±49.80

102.4±65.80

133.2±80.90

0.001

김치/장아찌

88.4±53.5

138.1± 38.8

72.8±34.8

104.2± 58.2

0.086

장류

24.5±10.3

42.7±6.5

23.7±15.1

24.4±13.4

0.001

간장

9.4±6.4

15.8±3.1

10.4±12.1

11.4±6.8

0.003

된장

10.5±9.2

17.8±3.5

7.2±6.2

8.8±7.7

0.002

고추장

4.6±3.3

9.0±2.7

6.1±5.9

4.2±2.8

0.001

청국장

2.1±4.9

5.2±3.4

5.4±14.6

4.1±8.7

0.016

식 초

0.4±0.6

2.6±1.1

0.5±1.3

0.5±0.6

0.001

생채/숙채류

121.5±51.9

350.4±48.7

127.0±89.2

129.0±54.2

<0.001

마른반찬/젓갈/전

72.0±83.2

51.5± 8.1

21.5±31.8

47.1± 41.5

0.004

생선 및 어패류

58.7±33.0

54.9±13.4

67.7±60.2

70.9±70.1

0.726

육류

51.3±36.2

14.3±4.8

28.1±26.3

48.7± 66.0

0.001

계란

24.0±12.7

14.6±4.8

27.2±36.8

17.7± 29.1

0.854

콩류 및 두류

46.7±24.6

61.3±19.0

51.8±38.7

31.1±35.9

0.003

과일류

169.4±112.0

95.7±6.3

127.3±108.7

197.4± 120.2

<0.001

빵류

32.6±58.4

0.0±0.0

59.6±72.3

67.3± 71.4

0.017

면류

159.6±118.5

0.0±0.0

54.6±98.2

140.5±119.8

<0.001

밥공기 기준(⅓공기 70g) 고구마/감자류

구이 /찜 /조림류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D

- 28 -


(3) 열량과 영양소 섭취량 조사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12주의 임상시험 기간 섭취하였던 음식물의 열량과 영양소 분석 결 과를 표 4에 제시하였다. 하루 총열량 섭취는 한식군의 경우 평균 1,883.1 ± 15.9kcal, 일 반식군은 평균 1,547.90 ± 41.9kcal 으로서, 한식군이 일반식군보다 약 335kcal 정도 높 게 섭취하여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열량 중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비율이 한식군과 일반식군 각각 67.1%와 63.4%로 한식군 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지질로 섭취하는 비율은 한식군과 일반식군 각각 19.2%와 18.2%로 한식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P=0.050), 단백질로 섭취하는 비율은 한식군에서 15.8%로 일반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1). 한식군과 일반식군의 경우 탄수화물 63~67%, 단백질 15~17% 와 지질 18~20%로 섭취하여 두 군 모두 2010 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탄수화물 55~70%, 단백질 7~20%, 지질 15~25%)의 적정비율에 해당하였다. 일반식군에서 총 열량섭취량은 한식군보다 낮으면서 동물성 단백질(P<0.001), 동물성 지 질(P<0.001) 및 콜레스테롤(P=0.034)의 섭취량이 한식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 다. 또한 식물성지질 섭취량(P<0.001)은 한식군보다 낮을지라도 동물성 지질(P<0.001)과 총지질 섭취량(P<0.001)은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러한 점은 일반식군에서 한식군보다 콜레 스테롤 하루 섭취량이 높아짐과 무관하지 않겠다. 한식군과 일반식군의 당질 하루 섭취량은 각각 315.5 ± 식군의 g과 243.1 ± 5.8g로 한식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이는 전곡류를 이용한 밥을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 섭취하 면서 하루 밥 섭취량이 일반식군에 비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다시 하루 총 열량 섭취가 일반식군보다 많아진 이유도 되겠다. 한식군의

식이섬유소

하루

섭취량은

44.2±0.5g(23.48g/1,000kcal)로,

일반식군

(14.41g/1,000kcal)보다 1.63배가량 많이 섭취하였고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 또한 이를 2010년 한국영양섭취기준15)에서 제시한 하루 식이섬유소 충분섭취 량인 12g/1,000kcal와 비교하면 한식군이 1.96배, 일반식군이 1.2배 많이 섭취하는 셈이 다. 한식군의 나트륨 섭취량은 5863.3 ± 103.3mg으로 일반식군(4165.3 ± 167.0 mg)에 비해 1.4배 유의하게 많았다(P<0.001). 또한 한국인 성인의 나트륨 하루 섭취량 4,749.7mg(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16)과 비교 시에도 한식군의 경우 1.14배 많이 섭취 하였고 일반식군은 0.8배 만큼 섭취하였다. 요약하면 한식군은 일반식군보다 당질 섭취량이 많고 열량 중 탄수화물 섭취율이 높았다. 단백질과 지질은 열량 중의 섭취율만 고려하면 한식군의 지질 섭취율이 약간 높고 단백질 섭취율은 약간 낮으나, 총 단백질량과 총지질량은 일반식군보다 많을 뿐 아니라 식물성 식품

- 29 -


에서 기원한 단백질과 지질이 주를 이루고 그 섭취량 또한 현저히 많았다. 반면 일반식군 피 험자들은 한식군보다 하루 평균 적은 열량을 섭취하고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질, 콜레스 테롤, 동물성철분, 레티놀 같은 동물성식품에서 기원한 영양소 섭취가 많았다. 즉 한식군에 비해 총열량, 당질, 염분과 식이섬유소 섭취량이 훨씬 적으면서 단백질과 지질이 대부분 동 물성식품에서 기원하고 그 섭취량 또한 많았다. 따라서 한식군에게 제공하였던 임상시험용식이 식단은 동물성식품 섭취를 되도록 줄이고 식물성급원 식품인 전곡류, 채소류인 나물류, 해조류, 콩류 및 두류, 김치류 및 발효식품 섭 취를 증가시키고 우유 및 유제품류 섭취를 제한되어 구성된 식단이었으나,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균형 잡힌 한식 식사유형이겠다.

- 30 -


표 4. 한식군과 일반식군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열 량(kcal)

1883.1±15.9

1547.9±41.9

<0.001***

총 단백질(g)

74.3±0.9

64.1±1.8

<0.001***

식물성단백질(g)

54.3±0.6

34.9±0.9

<0.001

동물성단백질(g) 총단백질섭취율(%) 총 지질(g) 식물성지질(g) 동물성지질(g) 총지질섭취율(%) 당질(g) 총탄수화물섭취율(%) 식이섬유(g)

20.1±0.4 15.8±0.1 40.2±0.5 33.5±0.4 6.7±0.3 19.2±0.1 315.5±2.3 67.1±0.2 44.2±0.5

29.1±1.5 16.6±0.2 31.4±1.3 15.4±0.7 16.0±1.1 18.2±0.5 243.1±5.8 63.4±0.8 22.3±0.6

<0.001*** 0.001** <0.001*** <0.001*** <0.001*** 0.050 <0.001*** <0.001*** <0.001***

회분(g)

31.0±0.4

18.8±0.6

<0.001

총 칼슘(mg)

917.8±13.4

555.9±22.3

<0.001

식물성칼슘(mg)

593.2±8.6

313.9±8.9

<0.001***

동물성칼슘(mg)

324.6±6.14

248.9±18.8

<0.001***

인(mg)

1743.2±18.3

936.4±25.4

<0.0001***

총 철분(mg)

24.1±0.3

12.8±0.3

<0.001

식물성철분(mg)

21.5±0.2

10.0±0.3

<0.001

동물성철분(mg)

2.6±0.0

2.9±0.1

0.041

나트륨(mg)

5863.3±103.3

4165.3±167.0

<0.001***

칼륨(mg)

4810.7±57.9

2559.9±63.6

<0.001***

아연(mg)

10.9±0.1

8.1±0.2

<0.001***

1510.7±25.2

738.0±35.4

<0.001

28.3±0.7

71.9±6.9

<0.001

β-카로틴(㎍)

8728.4±153.7

3804.7±206.1

<0.001

비타민B1(mg)

2.0±0.0

1.0±0.0

<0.001***

비타민B2(mg)

1.5±0.0

1.0±0.0

<0.001***

비타민B6(mg)

4.4±0.0

1.9±0.1

<0.001***

나이아신(mg)

26.3±0.3

13.8±0.5

<0.001

비타민C(mg)

195.9±2.9

115.7±4.8

<0.001

엽산(㎍)

553.6±7.8

253.5±9.5

<0.001

비타민E(mg)

20.6±0.3

10.9±0.5

<0.001***

콜레스테롤(mg)

196.9±2.9

225.8±13.0

0.034

비타민A(㎍ RE) 레티놀(㎍)

Values are presented by mean ± SE 1)

Independent t‐test,

**

P<0.01,

***

P<0.001

- 31 -

***

*** ***

*** ***

*** *** ***

*** *** ***


Ⅸ. 효과 평가기준, 평가방법 및 해석방법(통계분석방법)

연구결과의 내적 타당성(Internal validity)과 외적 타당성(external validity)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과 통계방법론(statistical methods)의 원칙을 준용하였다. 탈락 등으로 인한 결과의 비뚤림(bias)을 통제하기 위하여 계획서 위반여부에 따라 intention‐to‐treatment (ITT) 와 Per‐Protocol (PP) 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때 계획서 위반은 특정 결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의미하며, 사소한 위반(minor violation)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안전성 평가를 위한 변수 인 검사실검사가 실시되지 않은 증례의 경우 유효성평가에 포함하게 되었다.

Ⅹ. 피험자의 인구학적 정보

본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총 48명으로 이들 중 23명을 한식군에 25명을 일반식군에 배정하였다. 임상시험을 완료한 피험자의 인구학적 정보는 임상시험에 참여하여 최소한 1회 이 상 임상시험용식이를 섭취한 피험자, 즉 Safety군 43명(한식군 22명, 일반식군 21명)에 대하 여 분석하였다. 전체 피험자 중 남자는 24명(54.5%), 여자는 20명(45.5%)이었고 전체 피험자의 평균 연령 은 61.53±1.36 세 (한식군 62.63±2.00 세, 일반식군은 60.38±1.84 세)였다. 평균 신장은 162.07±1.27 cm (한식군 163.07±1.55 cm, 일반식군 161.01±2.05 cm), 평균 체중과 BMI는 67.06±1.83 kg (한식군 68.95±3.03kg, 일반식군 65.09±1.99kg), 25.55±0.56 2

2

2

kg/m (한식군 25.81±0.88kg/m , 일반식군 25.28±3.22kg/m )이었다. 1차방문

당시

피험자들의

평균

수축기혈압은

127.19±14.03

mmHg

(한식군

126.30±12.17 mmHg, 일반식군 128.13±16.00 mmHg), 이완기혈압 73.33±10.07 mmHg

(한식군

70.92±5.53

mmHg,

일반식군

75.84±12.95

mmHg),

맥박

73.79±11.15 BPM (한식군 77.27±9.72 BPM, 일반식군 70.14±11.59 BPM)이었으며, 평 균 공복 혈당과 HbA1c는118.72±4.56mg/dL (한식군 118.64±6.89mg/dL, 일반식군 118.81±6.11mg/dL), 6.75±0.13% (한식군 6.76±0.17%, 일반식군 6.75±0.20%)이었다. 모든 평가항목에서 시험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피험자들의 자세한 인구학적 정보 - 32 -


는 표 5에 요약하였다.

표 5. 인구학적 정보 한식군 (n=22)

일반식군 (n=21)

Total (n=43)

P‐value1)

나이(세)

62.63±2.00

60.38±1.84

61.53±1.36

0.413

키(cm)

163.07±1.55

161.01±2.05

162.07±1.27

0.425

68.95±3.03

65.09±1.99

67.06±1.83

0.299

체질량지수(kg/m )

25.81±0.88

25.28±3.22

25.55±0.56

0.642

수축기혈압(mmHg)

126.30±12.17

128.13±16.00

127.19±14.03

0.675

이완기혈압(mmHg)

70.92±5.53

75.84±12.95

73.33±10.07

0.120

맥박 수(BPM)

77.27±9.72

70.14±11.59

73.79±11.15

0.034*

공복 시 혈당(mg/dL)

118.64±6.89

118.81±6.11

118.72±4.56

0.985

HbA1c(%)

6.76±0.17

6.75±0.20

6.75±0.13

0.965

Sex(M/F)

13/9

11/10

24/20

체중(kg) 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E 1) Independent t‐test 2) Chi‐square test

- 33 -

2)

0.658


Ⅺ. 유효성 평가 1. 1차 유효성 평가 1) 24시간 BP monitoring (24시간 활동 중 혈압계)을 통한 혈압과 맥박수의 변화 (1) 1일 평균 혈압과 맥박수의 변화 전체 피험자가 1차, 4차 방문 시에 24시간 활동 중 혈압계 검사를 하였다. 수축기 및 이 완기 혈압과 맥박수의 1일 평균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을 구한 후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그룹 내 및 그룹 간 비교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 7 (그림 3~11)에 요약하였다.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두 군 모두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에 비해 섭취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맥박수는 임상 시험용식이 섭취 전에 비해 섭취 후 한식군에서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 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그룹 내 24시간 활동 중 1일 평균 혈압과 맥 박수의 변화 (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최소 수축기혈압 (mmHg)

102.38±2.48

101.24±2.09

평균 수축기혈압 (mmHg)

132.12±2.10

최대 수축기혈압 (mmHg)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0.761

99.90±3.30

94.85±3.36

0.190

133.40±2.12

0.376

131.20±2.89

130.96±2.42

0.878

178.57±5.31

173.14±4.23

0.448

169.26±10.76

174.20±6.15

0.708

최소 이완기혈압 (mmHg)

58.57±1.46

56.76±1.49

0.446

56.85±2.27

55.10±2.43

0.354

평균 이완기혈압 (mmHg)

81.75±1.67

80.90±1.32

0.889

82.72±2.24

82.22±2.06

0.682

최대 이완기혈압 (mmHg)

130.43±6.85

118.95±4.52

0.131

127.55±8.77

125.10±6.23

0.808

최소 맥박 수 (BPM)

55.24±1.84

52.14±2.04

0.226

53.60±2.08

53.75±1.81

0.952

평균 맥박 수 (BPM)

75.75±2.01

72.83±2.14

0.129

74.22±2.40

75.22±2.08

0.752

최대 맥박 수 (BPM)

125.67±6.68

108.38±5.03

0.091

122.40±6.67

112.20±4.77

0.225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P <0.05

- 34 -


표 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그룹 간 24시간 활동중 1일 평균 혈압과 맥박 수의 변화 (PP군) 한식군 (n=21) 1차방문 4차방문

일반식군 (n=20) 1차방문 4차방문

P‐value1)

최소 수축기혈압 (mmHg)

102.38±2.48

101.24±2.09

99.90±3.30

94.85±3.36

0.384

평균 수축기혈압 (mmHg)

132.12±2.10

133.40±2.12

131.20±2.89

130.96±2.42

0.465

최대 수축기혈압 (mmHg)

178.57±5.31

173.14±4.23

169.26±10.76

174.20±6.15

0.505

최소 이완기혈압 (mmHg)

58.57±1.46

56.76±1.49

56.85±2.27

55.10±2.43

0.927

평균 이완기혈압 (mmHg)

81.75±1.67

80.90±1.32

82.72±2.24

82.22±2.06

0.831

최대 이완기혈압 (mmHg)

130.43±6.85

118.95±4.52

127.55±8.77

125.10±6.23

0.512

최소 맥박수 (BPM)

55.24±1.84

52.14±2.04

53.60±2.08

53.75±1.81

0.387

평균 맥박수 (BPM)

75.75±2.01

72.83±2.14

74.22±2.40

75.22±2.08

0.324

최대 맥박수 (BPM)

125.67±6.68

108.38±5.03

122.40±6.67

112.20±4.77

0.61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최소 수축기혈압 변화량

그림 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평균 수축기혈압 변화량

- 35 -


그림 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최대 수축기혈압 변화량

그림 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최소 이완기혈압 변화량

그림 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평균 이완기혈압 변화량

- 36 -


그림 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최대 이완기혈압 변화량

그림 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최소 맥박수 변화량

그림 1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평균 맥박수 변화량

- 37 -


그림 1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최대 맥박수 변화량

(2) 주간 혈압과 맥박수의 변화 전체 피험자가 1차, 4차 방문 시에 24시간 활동중 혈압계 검사를 하였다. 그 중 낮시간 (주간) 동안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맥박수의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등을 구한 후 체 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그룹 간 비교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8 에 요약하였다. 수축기, 이완기, 맥박수, 수축기혈압 >135mmHg 이상인 수치의 비율, 이완 기혈압 >85mmHg 이상인 수치의 비율 모두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표 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그룹간 24시간 활동중 주간 혈압과 맥박수의 변화 (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최소 수축기혈압 (mmHg)

109.05±3.19

106.38±2.10

104.50±3.20

100.80±3.84

0.784

평균 수축기혈압 (mmHg)

134.55±2.30

135.03±2.21

133.17±2.96

133.39±2.49

0.757

최대 수축기혈압 (mmHg)

177.29±5.45

170.86±4.10

175.15±7.23

174.20±6.15

0.685

수축기혈압 >135mmHg (%)

44.26±5.77

45.79±5.07

39.69±6.43

39.96±5.25

0.894

최소 이완기혈압 (mmHg)

63.29±1.79

60.71±1.47

60.85±2.12

58.10±2.67

0.962

평균 이완기혈압 (mmHg)

83.44±1.81

82.40±1.42

84.67±2.36

84.60±2.30

0.658

최대 이완기혈압 (mmHg)

125.57±7.40

118.67± 4.54 124.90±8.74

124.70±6.30

0.217

이완기혈압 >85mmHg (%)

31.11±5.26

31.44±4.47

38.15±6.64

40.31±5.91

0.341

최소 맥박수 (BPM)

58.57±2.15

53.29±2.10

56.15±2.56

56.40±2.13

0.637

평균 맥박수 (BPM)

79.34±2.71

74.79±2.20

77.23±2.58

77.26±2.16

0.696

최대 맥박수 (BPM)

111.86±7.16

106.00±4.52

122.40±6.67

111.70±4.70

0.88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 38 -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3) 수면시 혈압과 맥박수의 변화 전체 피험자가 1차, 4차 방문 시에 24시간 활동 중 혈압계 검사를 하였고 그 중 밤시간 (수면시) 동안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맥박수의 최소값, 평균값, 최대값 등을 구한 후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그룹 간 비교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에 요약하였다. 수축기, 이완기, 맥박수, 수축기혈압>125mmHg이상인 수치의 비율, 이완기 혈압 >80mmHg 이상인 수치의 비율 모두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표 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그룹간 24시간 활동중 수면시 혈압과 맥박수의 변화 (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최소 수축기혈압(mmHg)

104.19±2.56

109.10±2.90

105.90±3.23

101.55±3.31

0.056

평균 수축기혈압 (mmHg)

127.16±2.57

128.04±3.20

124.20±3.32

122.99±3.08

0.560

최대 수축기혈압 (mmHg)

150.57±3.44

152.86±4.69

142.50±3.85

145.95±3.73

0.894

수축기혈압 >125mmHg (%)

52.85±7.35

50.57±6.52

43.31±8.01

40.95±6.65

0.645

최소 이완기혈압 (mmHg)

61.00±1.75

60.76±2.11

60.60±2.17

59.25±2.31

0.930

평균 이완기혈압 (mmHg)

77.86±1.80

75.93±1.97

75.87±2.25

74.34±1.90

0.913

최대 이완기혈압 (mmHg)

98.67±4.13

95.62±3.24

93.80±4.11

90.60±2.98

0.371

이완기혈압 >80mmHg (%)

38.20±6.92

31.62±6.37

29.28±6.24

30.28±6.96

0.089

최소 맥박수 (BPM)

57.86±1.45

57.81±1.73

56.60±1.89

59.40±2.33

0.095

평균 맥박수 (BPM)

67.22±1.87

65.93±2.22

63.82±2.01

68.75±2.49

0.865

최대 맥박수 (BPM)

93.05±6.72

83.33±5.35

75.25±2.62

82.40±4.18

0.645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2) 공복혈당 (FPG)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공복혈당을 측정하였고,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문별 공복혈당의 변화가 두 섭취군 간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4) 이를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검정한 결과, 한식 군에서 1차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방문 시 공복혈당이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방문 시 공복혈당이 증가하는 정도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04). - 39 -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의 공복혈당 변화량, 즉 1차 방문과 4차 방문 시에 측정한 공복혈당을 비교하면 한식군과 일반식군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 피험자들의 공복혈당 결과는 표 10, 11 (그림 12, 13)에 요약하였다. 표 10. 방문별 공복혈당 변화(PP군) 한식군 (n=21)

공복혈당 (mg/dL)

일반식군 (n=20)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19.81 ± 7.12

104.95 ±4.06a

107.24± 5.73b

113.33 ± 5.49

119.30 ±6.40

121.40 ± 5.38a

132.10 ± 7.00b

117.90 ± 6.58

P‐value1) 0.014*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 <0.05)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a: P<0.05, b: P=0.04)

표 1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공복혈당 변화(PP군) 한식군 (n=21)

공복혈당 (mg/dL)

일반식군 (n=20)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119.81± 7.12

113.33± 5.49

119.30±6.40

117.90± 6.5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12. 방문별 공복혈당 변화

- 40 -

P‐value1) 0.640


그림 1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공복혈당 변화량

- 41 -


2. 2차 유효성 평가 1) 좌위 혈압과 맥박수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안정 시 좌위 혈압과 맥박수를 측정하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문별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혈압의 변화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9,

P<0.001). 이를 각각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검정한 결과, 수축기혈압의 경우 한식군에서 1차방문 시에 비해 2차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방 문 시 감소하는 정도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3). 이완기혈압 은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방문 시 한식군에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에서 1차방문 시에 비해 2차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러나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의 혈압 변화를, 즉 1차 방문과 4차 방문 시에 측정한 혈압을 비교하면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문별 맥박수의 변화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07) 한식군 에서 맥박수가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를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검정한 결과,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 ․ 4차 방문 시 맥박수가 감소하 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 ․ 4차 방문 시 맥박수가 증가하는 정 도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1, P=0.001, P=0.008). 또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과 섭취 12주 후 맥박수를 비교하면, 한식군에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증가하는 정도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3). 피험자들의 혈압 및 맥박수 측정 결과는 표 12, 13 (그림 14~20)에 요약하였다. 표 12. 방문별 혈압과 맥박수 변화(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

P‐value1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수축기혈압 (mmHg)

127.19± 2.56

118.21± 2.11a1

123.75± 2.43

128.35± 1.39

128.25± 3.67a1

127.22± 3.51

128.58± 3.36

127.35± 3.39

0.009

이완기혈압 (mmHg)

71.16± 1.21

64.79± b1 1.34

70.40± 1.52

73.35± 1.39

75.60± 2.96

77.55± b1 2.46

77.25± 2.79

77.68± 2.49

<0.001

맥박 수 (BPM)

77.24± 2.17

72.81± 1.95c1

70.00± 2.17c2

70.14± 2.3c3

70.60± 2.62

73.10± 3.37c1

74.00± 3.12c2

72.15± 2.52c3

**

***

0.00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 <0.01, ***P <0.001) a=이완기혈압, b=맥박 수, 1=2차방문‐1차방문, 2=3차방문‐1차방문, 3=4차방문‐1차방문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a1: P=0.023, b1: P<0.001, c1: P=0.031, c2: P=0.001, c3:

- 42 -


P=0.008)

표 1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혈압과 맥박수 변화(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수축기혈압 (mmHg)

127.19±2.56

128.35±1.39

128.25±3.67

127.35±3.39

0.428

이완기혈압 (mmHg)

71.16±1.21

73.35±1.39

75.60±2.96

77.68±2.49

0.711

맥박수 (BPM)

77.24±2.17

70.14±2.31

70.60±2.62

72.15±2.52

0.003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P <0.01)

그림 14. 방문별 수축기혈압 변화

그림 1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수축기혈압변화

- 43 -

**


그림16. 방문별 이완기혈압 변화

그림 1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이완기혈압 변화

그림18. 방문별 맥박수 변화

- 44 -


그림 19. 방문별 맥박수 변화량

그림 2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맥박수 변화량

- 45 -


2)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hs‐CRP, PAI‐1, fibrinogen, homocysteine, MDA)를 검사 하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문별 검사결과에서 fibrinogen과 homocysteine의 변화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19). 각각을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검정한 결과, fibrinogen의 경우는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 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 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01). 그리고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4차 방 문 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4차 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가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또한 homocysteine은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3차 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 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3차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가 두 섭취군 간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8 P=0.007). 그리고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4차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4차 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 가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검사결과에서 PAI‐1은 한식군에서 감소하는 정도 와 일반식군에서 증가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25), fibrinogen 과 homocysteine은 한식군에 비해 일반식군에서 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P=0.003, P=0.024). 피험자들의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검사 결과는 표 14, 15 (그림 21~30)에 요약하였다. 표 14. 방문별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변화(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hs‐CRP (mg/L)

0.68± 0.16

0.71± 0.29

0.40± 0.13

0.93± 0.47

3.30± 1.82

4.07± 2.32

7.45± 6.05

10.28± 8.74

0.368

PAI‐1 (ng/mL)

24.67± 3.50

22.92± 4.30

20.10± 4.16

17.12± 2.81

23.43± 2.51

25.92± 2.91

24.91± 2.75

24.91± 2.75

0.178

Fibrinogen (mg/dL)

240.71± 285.76± 276.43± 217.90± 336.15± 286.95± 232.45± 232.45± 16.42 14.89a1 14.21a2 11.63a3 16.59 18.79a1 23.61a2 23.61a3

<0.001***

Homocysteine (μmol/L)

13.94± 0.72

15.57± b1 0.84

14.58± b2 0.84

12.90± b3 0.64

14.61± 0.59

14.22± b1 0.92

13.34± b2 0.82

12.10± b3 0.74

0.019**

MDA (μmol/L)

1.85± 0.09

2.34± 0.11

2.22± 0.12

1.83± 0.09

1.70± 0.08

2.17± 0.07

1.90± 0.06

1.90± 0.06

0.19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 46 -


1)

***

**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P <0.001, P<0.01) a=Fibrinogen, b=Homocysteine, 1=2차방문‐1차방문, 2=3차방문‐1차방문, 3=4차방문‐1차방문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a1: P<0.001, a2: P<0.001, a3: P<0.001, b1: P=0.008, b2: P=0.007, b3: P=0.023)

표 1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체표지자 변화(PP 군) 한식군 (n=21) 1차방문 4차방문

일반식군 (n=20) 1차방문 4차방문

P‐value1)

hs‐CRP (mg/L)

0.68±0.16

0.93±0.47

3.30±1.82

10.28±8.74

0.296

PAI‐1 (ng/mL)

24.67±3.50

17.12±2.81

23.43±2.51

24.91±2.75

0.025

Fibrinogen (mg/dL)

240.71±16.42 217.90±11.63 336.15±16.59 232.45±23.61

*

**

0.003

*

Homocysteine (μmol/L)

13.94±0.72

12.90±0.64

14.61±0.59

12.10±0.74

0.024

MDA (μmol/L)

1.85±0.09

1.83±0.09

1.70±0.08

1.90±0.06

0.149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 <0.05, **P<0.01)

그림 21. 방문별 hs-CRP(C-reactive protein) 변화

- 47 -


그림 2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hs-CRP 변화량

그림23. 방문별 PAI-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변화

그림 2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PAI-1 변화량

- 48 -


그림 25. 방문별 fibrinogen 변화

그림 2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fibrinogen 변화

그림 27. 방문별 homocysteine 변화

- 49 -


그림 2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homocysteine 변화량

그림 29. 방문별 MDA(malondialdehyde) 변화

그림 3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MDA 변화량

- 50 -


3)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PP군)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HbA1c, C‐peptide, fasting blood insulin, HOMA‐IR, HOMA‐β)를 측정하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당화혈색소(HbA1c)는 방문별,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비교 시 모두 한식군 에서 일반식군에 비해 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04). 공복 시 인슐린(Fasting blood insulin)과 C‐peptide, 인슐린 저항성을 대변하는 지표인 HOMA‐IR은 방문별,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비교 시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슐린감수성을 대변하는 지표인 HOMA‐β 는 한식군이 일반식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 을 보였으나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 변화에 대한 결과는 표 16, 17 (그림 31~40)에 요약하였다. 표 16. 방문별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당화혈색소 (%)

6.77± 0.17

6.52± a1 0.15

6.40± a2 0.14

6.05± a3 0.15

6.77± 0.21

6.95± a1 0.20

6.98± a2 0.20

6.52± a3 0.20

<0.001

C‐peptide (ng/mL)

2.03± 0.23

1.89± 0.16

1.89± 0.16

2.02± 0.20

2.24± 0.18

2.28± 0.21

2.57± 0.36

2.45 ±0.26

0.492

공복 시 인슐린 ( U/mL)

7.62± 1.25

5.78± 0.61

6.43± 0.86

8.13± 1.23

8.46± 1.18

8.67± 1.26

12.02± 3.45

8.57 ±1.11

0.120

HOMA‐IR

2.51± 0.60

1.53± 0.19

1.77± 0.31

2.31± 0.41

2.45± 0.33

2.63± 0.41

4.55± 1.65

2.58 ±0.40

0.080

HOMA‐β

52.39± 7.17

58.28± 8.39

70.00± 14.77

73.97± 15.92

70.54± 13.78

61.17± 8.83

60.58± 10.66

72.77± 13.56

0.190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 <0.001) a=HbA1c, 1=2차방문‐1차방문, 2=3차방문‐1차방문, 3=4차방문‐1차방문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a1: P<0.001, a1: P<0.001, a3: P<0.001)

표 1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혈당조절 및 인슐린 감수성에 대한 지표(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당화혈색소 (%)

6.77±0.17

6.05±0.15

6.77±0.21

6.52±0.20†

0.004**

C‐peptide (ng/mL)

2.03±0.23

2.02±0.20

2.24±0.18

2.45±0.26

0.580

공복 시 인슐린 ( U/mL)

7.62±1.25

8.57±1.11

8.46±1.18

8.57±1.11

0.426

HOMA‐IR

2.51±0.60

2.31±0.41

2.45±0.33

2.58±0.40

0.801

- 51 -


HOMA‐β

52.39±7.17

73.97±15.91

70.54±13.78

72.77±13.5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 <0.01)

그림 31. 방문별 당화혈색소 변화

그림 3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당화혈색소 변화량

- 52 -

0.149


그림 33. 방문별 공복 시 C-peptide 변화

그림 3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C-peptide 변화량

그림 35. 방문별 공복 시 인슐린 변화

- 53 -


그림 3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공복 시 인슐린 변화량

그림 37. 방문별 HOMA-IR 변화

그림 3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HOMA-IR 변화량

- 54 -


그림 39. 방문별 HOMA-β 변화

그림 4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HOMA-β 변화량

4) 혈중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PP군)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혈중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총콜레스테롤, 중 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Apolipoprotein A1, Apolipoprotein B, Apolipoprotein E, Free fatty acid, Adiponectin)를 측정하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을 보정 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문별 총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 Apolipoprotein B는 한식군 내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01, P<0.001, P<0.001)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는 않았고 Apolipoprotein E는 일반식군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 55 -


(P=0.007)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ree fatty acid는 방문별 검사결과(P=0.001)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비교 시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2) 이를 각각 Bonferroni 방법에 의한 사후검정 결과, free fatty acid가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3차, 4차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3차, 4차 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가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P<0.001,

P<0.001). 이는 free fatty acid가 한식군에서 일반식군보다 방문별로 유의하게 감소하 고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12주후 감소 정도도 더 큼을 의미한다. Apo A1과 Adiponectin도 방문별 검사결과에서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44, P=0.009). 이를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검정한 결과, ApoA1의 경우, 한식군에 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 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 3차 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6, P=0.012). Adiponectin의 경우,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와 일반식군 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2차 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가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고(P<0.001),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3차 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와 일반식군 에서 1차 방문 시에 비해 3차 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가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004). 이는 adiponectin이 방문별 검사에서는 한식군보다 일반식군에서 증가하 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하나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비교 시에는 섭취군 간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험자들의 혈중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지표에 대한 결과는 표 18~20 (그림 41~58)에 요약하였다.

- 56 -


표 18. 그룹 내 방문별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PP군) 한식군 (n=21) 1차방문 총콜레스테롤 (mg/dL)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P‐value1)

4차방문

165.67± 137.14± 142.86± 141.24± 174.85± 163.20± 160.60± 161.70± <0.001*** 10.76 6.83† 7.21† 7.82† 9.61 9.36 8.20 7.20

0.112

100.29± 101.33± 114.71± 104.38± 13.25 11.60 15.38 12.93

0.210

132.05± 141.65± 154.70± 152.40± 11.18 13.49 16.17 13.04

0.192

HDL 콜레스테롤 (mg/dL)

43.76± 2.13

40.86± 2.30

40.90± 2.02

42.43± 2.26

0.097

39.25± 1.84

LDL 콜레스테롤 (mg/dL)

96.43± 10.05

73.19± † 6.39

78.90± † 7.00

78.71± † 6.64

<0.001

Apolipoprotein A1 (g/dL)

1.36± 0.04

1.26± 0.05†

1.26± 0.04†

1.25± 0.04†

0.001**

1.26± 0.04

Apolipoprotein B (g/dL)

0.74± 0.07

0.58± 0.04†

0.62± 0.05†

0.60± 0.05†

<0.001***

Apolipoprotein E (mg/dL)

3.4± 0.22

3.18± 0.20

3.22± 0.26

3.21± 0.18

0.665

중성지방 (mg/dL)

Free fatty acid ( Eq/L) Adiponectin ( g/mL)

***

39.15± 2.34

38.95± 2.02

39.05± 2.20

0.996

105.85± 96.40± 9.10 8.16

92.40± 7.66

95.60± 6.16

0.132

1.27± 0.05

1.27± 0.04

1.21± 0.05

0.230

0.86± 0.06

0.81± 0.06

0.76 ±0.05

0.81± 0.04

0.085

4.29±0.2 2

3.43± † 0.20

3.77± 0.28

3.77± 0.28

0.007

*

824.29± 536.86± 480.67± 473.38± 559.90± 482.15±5 463.70± 463.70± <0.001*** 41.65 52.65† 51.21† 49.15† 67.74 8.81 70.26 70.26 9.06± 1.43

8.50± 1.20

9.39± 1.19

11.95± † 1.92

**

0.016

5.42±0.6 4

7.84± † 1.11

8.69± † 1.04

8.69± † 1.04

0.201 ***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 <0.01, ***P <0.001) †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1차방문 vs. 2차방문 P<0.05, 1차방문 vs. 3차방문 P<0.05, 1차방문 vs. 4차방문 P<0.05)

표 19. 그룹 간 방문별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PP군) 한식군 (n=21) 1차방문

일반식군 (n=20)

P‐value1)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총콜레스테롤 (mg/dL)

165.67± 137.14± 10.76 6.83

142.86± 7.21

141.24± 7.82

174.85± 9.61

163.20± 9.36

160.60± 8.20

161.70± 7.20

0.234

중성지방 (mg/dL)

100.29± 101.33± 13.25 11.60

114.71± 15.38

104.38± 12.93

132.05± 11.18

141.65± 13.49

154.70± 16.17

152.40± 13.04

0.874

HDL 콜레스테롤 (mg/dL)

43.76± 2.13

40.86± 2.30

40.90± 2.02

42.43± 2.26

39.25± 1.84

39.15± 2.34

38.95± 2.02

39.05± 2.20

0.461

LDL 콜레스테롤 (mg/dL)

96.43± 10.05

73.19± 6.39

78.90± 7.00

78.71± 6.64

105.85± 9.10

96.40± 8.16

92.40± 7.66

95.60± 95.60

0.275

Apolipoprotein A1 (g/dL)

1.36± 0.04

1.26± 0.05a1

1.26± 0.04a2

1.25± 0.04

1.26± 0.04

1.27± 0.05a1

1.27± 0.04a2

1.21± 0.05

0.044*

0.81± 0.06 3.43± 0.20 482.15± b1 58.81

0.76± 0.05 3.77± 0.28 463.70± b2 70.26

0.81± 0.04 3.77± 0.28 463.70± b3 70.26

7.84± c1 1.11

8.69± c2 1.04

8.69± 1.04

Apolipoprotein B 0.74± 0.05± 0.62± 0.60± 0.86± (g/dL) 0.07 0.04 0.05 0.05 0.06 Apolipoprotein E 3.4± 4.29± 3.18± 0.203.22± 0.263.21± 0.18 (mg/dL) 0.22 0.22 Free fatty acid 824.29± 536.86± 480.67± 473.38± 559.90± b1 b2 b3 ( Eq/L) 41.65 52.65 51.21 49.15 67.74 Adiponectin ( g/mL)

9.06± 1.43

8.50± c1 1.20

9.39± c2 1.19

11.95± 1.92

5.42± 0.64

0.072 0.238 **

0.001

0.009**

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 <0.05, **P <0.01) a=Free fatty acid, b=Adiponectin, 1=2차방문‐1차방문, 2=3차방문‐1차방문, 3=4차방문‐1차방문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a1: P=0.016, a2: P=0.012, b1: P=0.004, b2: P<0.001, b3: P<0.001, c1:

- 57 -


P<0.001, c2: P=0.004)

표 2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혈중 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총콜레스테롤 (mg/dL)

165.67±10.76

141.24±7.82

174.85±9.61

161.70±7.20

0.402

중성지방 (mg/dL)

100.29±13.25

104.38±12.93

132.05±11.18

152.40±13.04

0.468

HDL 콜레스테롤 (mg/dL)

43.76±2.13

42.43±2.26

39.25±1.84

39.05±2.20

0.488

LDL 콜레스테롤 (mg/dL)

96.43±10.05

78.71±6.64

105.85±9.10

95.60±95.60

0.589

Apolipoprotein A1 (g/dL)

1.36±0.04

1.25±0.04

1.26±0.04

1.21±0.05

0.183

Apolipoprotein B (g/dL)

0.74±0.07

0.60±0.05

0.86±0.06

0.81±0.04

0.278

Apolipoprotein E (mg/dL)

3.4±0.22

3.21±0.18

4.29±0.22

3.77±0.28

0.261

Free fatty acid ( Eq/L)

824.29± 41.65

473.38±49.15

559.90±67.74

463.70±70.26

0.002

Adiponectin ( g/mL)

9.06±1.43

11.95±1.92

5.42±0.64

8.69±1.04

0.39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그림 41. 방문별 총콜레스테롤 변화

- 58 -

**


그림 4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총콜레스테롤 변화량

그림 43. 방문별 중성지방 변화

그림 4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중성지방 변화량

- 59 -


그림 45. 방문별 HDL 콜레스테롤 변화

그림 4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HDL 콜레스테롤 변화량

그림 47. 방문별 LDL 콜레스테롤 변화

- 60 -


그림 4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LDL 콜레스테롤 변화량

그림 49. 방문별 아포지단백 A1 변화

그림 5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아포지단백 A1 변화량

- 61 -


그림 51. 방문별 아포지단백 B 변화

그림 5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아포지단백 B 변화량

그림 53. 방문별 아포지단백 E 변화

- 62 -


그림 54.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아포지단백 E 변화량

그림 55. 방문별 free fatty acid 변화

그림 5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free fatty acid 변화량

- 63 -


그림 57. 방문별 아디포넥틴 변화

그림 5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아디포넥틴 변화량

5) 항고혈압, 항당뇨병 및 항고지혈증 약물 사용량 변화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매 방문마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치료약물 사 용량을 조사하였다. 고혈압 약물 투여량은 21명의 한식군 중에서 임상시험 섭취 전에 비하여 섭취 12주 후 증가한 사람이 1명, 감소한 사람이 3명, 그대로 유지한 사람이 17명이었고, 20명의 일반식 군 중에서 증가한 사람이 20명 중 1명, 감소한 사람은 없었으며 그대로 유지한 사람이 19 명으로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당뇨병 약물 투여량은 한식군에서 임상시험 섭취 전에 비하여 섭취 12주 후 증가한 사람 이 1명, 감소한 사람 10명, 그대로 유지한 사람이 10명이었고, 일반식군에서는 증가한 사람 1명, 감소한 사람 3명, 그대로 유지한 사람이 16명으로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 64 -


를 보이지 않았다. 고지혈증 약물 투여량은 한식군에서 임상시험 섭취 전에 비하여 섭취 12주 후 감소한 사 람 8명, 그대로 유지한 사람 13명이었고, 일반식군에서는 증가한 사람 1명, 감소한 사람 4 명, 증가한 사람 15명으로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약물 변화량은 표 21~23(그림 59~61)에 요약하였다. 표 21. 고혈압 약물 사용량 변화(PP군)

1)

한식군

일반식군

증 가 (%)

1 (4.8)

1 (5)

감 소 (%)

3 (14.3)

0 (0)

유 지 (%)

17 (81)

19 (95)

총 피험자 수 (%)

21 (100)

20 (100)

P‐value1)

0.232

Fisher’s exact test

표 22. 당뇨병 약물 사용량 변화(PP군)

1)

한식군

일반식군

증 가 (%)

1 (4.8)

1 (5)

감 소 (%)

10 (47.6)

3 (15)

유 지 (%)

10 (47.6)

16 (80)

총 피험자 수 (%)

21 (100)

20 (100)

P‐value1)

0.051

Fisher’s exact test

표 23. 고지혈증 약물 사용량 변화(PP군) 한식군

일반식군

증 가 (%)

0 (0)

1 (5)

감 소 (%)

8 (38)

4 (20)

유 지 (%)

13 (62)

15 (75)

총 피험자 수 (%)

21 (100)

20 (100)

1)

Chi‐square test

그림 59. 고혈압 약물 사용량 변화

- 65 -

P‐value1)

0.306


그림 60. 당뇨병 약물 사용량 변화

그림 61. 고지혈증 약물 사용량 변화

6) 신체계측 지표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신체계측 지표(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 율, 골격근량,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측정하였다. 방문별 체중(P<0.001), 체질량지수(P<0.001), 체지방량(P<0.001), 체지방율(P<0.001) 의 변화에서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한식군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율이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는 증가하였다. 이를 각각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검정한 결과, 한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서 2차·3차·4차 방문 시 감소하는 정도와 일 반식군에서 1차 방문 시에서 2차·3차·4차 방문 시 증가하는 정도가 체중(P=0.016,

P<0.001, P<0.001), 체질량지수(P=0.014, P<0.001, P<0.001), 체지방량(P=0.022, P<0.002, P<0.001), 체지방율(P=0.049, P<0.001, P<0.001)에서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66 -


또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에 비해 섭취 12주 후를 비교 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 량, 체지방율이 감소하는 정도에 있어서 한식군이 일반식군보다 감소하는 정도 커서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P=0.002, P<0.001, P<0.001). 방문별 허리둘레의 변화가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6). Bonferroni 방법에 의한 사후검정 결과, 한식군에서 2차 방문 시에서 3차 방문 시 허리둘레 가 감소하는 정도와 2차 방문 시에 비해 4차 방문 시에 허리둘레가 감소하는 정도가 한식군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5, P<0.001). 그러나 임상시험용식이 섭 취 전·섭취 12주 후 비교 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계측 지표 중 골격근량과 엉덩이둘레는 방문별,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험자들의 신체계측 지표에 대한 결과는 표 24, 25 (그림 62~75)에 요약하였다.

- 67 -


표 24. 방문별 신체계측지표 변화(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체중 (kg)

68.82± 3.17

66.95± a1 2.90

66.17± a2 3.00

66.57± a3 2.95

65.73± 1.98

65.74± a1 2.02

66.15± a2 2.11

66.06± a3 2.18

<0.001

체질량지수 (kg/m2)

25.86± 0.93

25.18± 0.84b1

24.88± 0.87b2

25.03± 0.85b3

25.57± 0.67

25.58± 0.66b1

25.74± 0.70b2

25.70± 0.73b3

<0.001***

체지방량 (kg)

20.97± 1.67

19.66± c1 1.65

18.47± c2 1.66

18.90± c3 1.64

20.97± 1.41

21.21± c1 1.32

21.42± c2 1.35

21.57± c3 1.44

<0.001

체지방율 (%)

29.86± 1.38

28.69± d1 1.49

27.20± d2 1.57

27.69± d3 1.50

32.01± 1.97

32.38± d1 1.82

32.45± d2 1.82

32.77± d3 2.00

<0.001

골격근량 (kg)

26.29± 1.15

25.97± 1.04

26.17± 1.11

26.15± 1.06

24.41± 1.24

24.33± 1.22

24.44± 1.22

24.28± 1.31

0.707

92.76±2. 91.19±2. 89.33± 88.97±2.2 91.26± †‡ † ‡ 32 06 2.07 0 1.65

90.12± 1.62

90.09±1. 87

89.72± 1.92

0.016

93.64±1. 93.86±1. 16 11

94.06± 1.22

0.445

허리둘레 (cm) 엉덩이둘레 (cm)

94.41± 1.67

93.49± 1.68

92.65± 93.57±1.8 94.31± 1.55 1 1.12

***

***

***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P <0.001) a=체중, b=체질량지수, c=체지방량, d=체지방율, 1=2차방문‐1차방문, 2=3차방문‐1차방문, 3=4차방문‐1차방문 Multiple comparison by Bonferroni correction (a1: P=0.016, a2: P<0.001, a3: P<0.001, b1: P=0.014, b2: P<0.001, b3: P<0.001, c1: P=0.022, c2: P<0.001, c3: P<0.001, d1: P=0.049, d2: P<0.001, d3: P<0.001, †: P=0.005, ‡: P<0.001)

표 25. 임상시험용제품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신체계측지표 변화(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68.82±3.17

66.57±2.95

65.73±1.98

66.06±2.18

0.002

체질량지수 (kg/m )

25.86±0.93

25.03±0.85

25.57±0.67

25.70±0.73

0.002

체지방량 (kg)

20.97±1.67

18.90±1.64

20.97±1.41

21.57±1.44

<0.001

체지방율 (%)

29.86±1.38

27.69±1.50

32.01±1.97

32.77±2.00

<0.001

골격근량 (kg)

26.29±1.15

26.15±1.06

24.41±1.24

24.28±1.31

0.991

허리둘레 (cm)

92.76±2.32

88.97±2.20

91.26±1.65

89.72±1.92

0.052

엉덩이둘레 (cm)

94.41±1.67

93.57±1.81

94.31±1.12

94.06±1.22

0.060

중 (kg) 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0.01,

- 68 -

***

P <0.001)

**

**

***

***


그림 62. 방문별 체중 변화

그림 6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체중 변화량

그림 64. 방문별 체질량지수 변화

- 69 -


그림 6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체질량지수 변화량

그림 66. 방문별 체지방량 변화

그림 6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체지방량 변화량

- 70 -


그림 68. 방문별 체지방율 변화

그림 6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체지방율 변화량

그림 70. 방문별 골격근량 변화

- 71 -


그림 7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골격근량 변화량

그림 72. 방문별 허리둘레 변화

그림 7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허리둘레 변화량

- 72 -


그림 74. 방문별 엉덩이둘레 변화

그림 75.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엉덩이둘레 변화량

- 73 -


7) 심초음파 변화 전체 피험자는 1차, 4차 방문 시에 심초음파를 측정하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심초음파 측정치(LVIDs, LVIDd, LVESV, LVEDV, EF, Peak E velocity, Peak A velocity, E/A ratio, E’velocity, A’velocity, E/E’)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험자들의 심초음파 검사 결과는 표 26에 요약하였다.

표 26. 임상시험용제품 섭취 전·섭취 12주 후 심초음파 변화(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LVIDs (mm)

32.52±0.81

32.19±0.80

32.30±0.63

32.05±0.60

0.872

LVIDd (mm)

48.90±0.78

48.43±0.77

48.80±0.72

48.45±0.57

0.897

LVESV (cc)

30.05±2.84

40.57±12.02

27.20±1.42

25.70±1.73

0.316

LVEDV (cc)

85.90±16.64

76.00±3.66

70.40±3.63

68.00±3.80

0.716

EF (%)

59.52±1.20

62.57±1.11

61.10±1.13

62.40±0.84

0.250

Peak E velocity (cm/s)

65.48±2.65

67.33±2.94

64.80±4.11

67.60±3.78

0.821

Peak A velocity (cm/s)

76.95±3.37

76.57±3.76

75.35±3.64

79.35±2.94

0.209

E/A ratio

0.89±0.07

0.91±0.05

0.86±0.06

0.88±0.06

0.977

E’ velocity (cm/s)

5.10±0.30

5.19±0.30

5.25±0.30

5.35±0.39

0.971

A’ velocity (cm/s)

8.24±0.33

8.00±0.41

8.25±0.26

8.50±0.48

0.454

E/E’

13.41±0.60

13.62±0.79

12.52±0.76

13.18±0.68

0.627

WMSI

1.10±0.07

1.07±0.04

1.01±0.01

1.01±0.01

0.299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74 -


8) 경동맥 내중막 두께 변화

전체 피험자는 1차, 4차방문 시에 경동맥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 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임상 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심초음파 측정치(오른쪽 경동맥 내중막 두께, 왼쪽 경동 맥 내중막 두께, 평균 경동맥 내중막 두께, 최대 경동맥 내중막 두께, 플라크 수, 플라크 점 수)를 비교하였을 때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험자들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검사 결과는 표 27에 요약하였다.

표 27. 임상시험용제품 섭취 전·섭취 12주 후 경동맥 내중막 두께 변화(PP군)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오른쪽 경동맥 내중막 두께 (mm)

0.80±0.03

0.82±0.04

0.73±0.03

0.72±0.04

0.345

왼쪽 경동맥 내중막 두께 (mm)

0.90±0.04

0.85±0.03

0.77±0.03

0.76±0.03

0.293

평균 경동맥 내중막 두께 (mm)

0.85±0.03

0.84±0.03

0.75±0.03

0.74±0.03

0.919

최대 경동맥 내중막 두께 (mm)

0.90±0.04

0.89±0.04

0.78±0.04

0.79±0.04

0.693

플라크 수

1.05±0.22

1.14±0.22

0.45±0.15

0.45±0.15

0.351

플라크 점수

2.02±0.43

2.24±0.50

0.79±0.30

0.87±0.34

0.67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 75 -


9) 자율신경기능 검사 결과 전체 피험자는 1차 및 4차 방문 시에 자율신경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 을 보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한식군 피험자 중 1명에서 자율신경기능검사 항목 중 체위변동에 따른 수축기 혈압의 변화(Upright) 검사와 악력운동 에 의한 이완기 혈압의 변화(handgrip) 검사가 누락되어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검사결과, 자율신경기능검사 항목 중 부교감신경 기능을 평가하는 발살바 수기에 의 한 심박동수 차이(Valsalva) 검사 점수가 한식군에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 증가하여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P=0.012). 반면 자율신경기능검사 항목 중 교감신경 기능을 평가하는 체위변동에 따른 수축기 혈압의 변화(Upright) 검사 점수는 한식군에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섭취 12주 후 증가하고 일반식군에서 감소하여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0). 그 외 반복적인 심호흡 시 호기와 흡기 시의 심박동수 차이(breathing)검사, 체위변동에 따른 심박동수 차이(ECG 30/15 ratio), 악력운동에 의한 이완기 혈압의 변화(handgrip) 검 사 점수, 총 점수는 두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험자들의 자율신경기능검사 결과는 표 28(그림 76~81)에 요약하였다. 표 28. 임상시험용제품 섭취 전·섭취 12주 후 자율신경기능 검사 결과(PP군) 한식군 (n=20)

일반식군 (n=20)

P‐value1)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Breathing score

0.60±0.11

0.65±0.10

0.50±0.10

0.55±0.11

0.937

ECG 30/15 ratio score

0.25±0.09

0.28±0.08

0.15±0.06

0.20±0.09

0.928

Valsalva score

0.25±0.09

0.10±0.06

0.03±0.03

0.20±0.08

0.015*

Upright score

0.15±0.05

0.25±0.06

0.25±0.07

0.13±0.05

0.045

Handgrip score

0.05±0.05

0.15±0.08

0.08±0.06

0.10±0.07

0.408

Total score

1.30±0.17

1.43±0.14

1.00±0.18

1.18±0.20

0.85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0.05)

- 76 -

*


그림 76.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Breathing score 변화량

그림 77.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ECG 30/15 ratio score 변화량

그림 78.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Valsalva score 변화량

- 77 -


그림 79.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Upright score 변화량

그림 80.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Handgrip score 변화량

그림 8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Total score 변화량

- 78 -


10) 유전자 검사 결과 고혈압·당뇨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피험자들은 1차방문 시 SNP chip (Axiom Asian Optimized array)을 사용하여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특정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샘플이 필요하나 본 임상시험 은 총 피험자가 48명이었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 시 심혈관계 위험인자 개선에 미치는 효과’(제2‐3과제)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15명) 의 샘플과 합하여 일반인 유전자 데이터(대조군)와 비교하였다. 총 고혈압·당뇨병 환자군 52명 중 본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ITT군 42명 중 37명 (남성 19명, 여성 18명, ‘심혈관 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 시 심혈관계 위험인자 개선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15명(남성 9명, 여성 6 명)이었다(표 29). 본 임상시험에 참여한 ITT군 피험자 42명 중 1명은 성별이 명확히 감지 되지 않았고, 4명은 call rate가 낮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표 29. 유전자 검사 샘플 남성

여성

총 샘플 수

고혈압·당뇨병 환자 (Study11) /Study22))

28 (19/9)

24 (18/6)

52 (37/15)

일반인

33

117

150

총 샘플 수

61

141

202

1)

Study1: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Study2: 심혈관 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 시 심혈관계 위험인자 개선에 미치는 효과

2)

분석대상 SNP는 총 580,420개로 총 SNP 중 일반인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인 SNP는 총 26,734개였으며(표30), 일반인군과의 유의한 차이가 높은 순서로 상위 20개의 결과를 표 31에 정리하였다. 표 30. 고혈압·당뇨병 환자군과 일반인군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SNP P‐value

SNP 개수

SNP 누적개수

P<0.00001

14

14

P<0.0001

65

79

P<0.001

596

675

P<0.01

4,928

5603

P<0.05

21,131

26,734

NS

484,665

511,399

- 79 -


표 31. 고혈압·당뇨병 환자군과 일반인군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SNP 상위 20개 결과 Region

rs‐number

Chr

Position

1

rs12206319

6

142405419

0.00000159

2

rs12806296

11

105842879

0.00000233

3

rs4555590

4

89185024

intron

PKD2

0.00000296

4

rs6843032

4

89194708

intron

PKD2

0.00000328

5

rs7216404

17

24239828

intron

FLOT2

0.00000345

6

rs1979804

12

91776514

CDS

MAT2A

0.00000357

7

rs17754755

14

65699262

0.00000423

8

rs28488143

5

127361652

0.00000480

9

rs4978900

9

112074201

0.00000672

10

rs3130954

6

31280916

0.00000726

11

rs6614289

23

54806567

12

rs7749578

6

142467245

13

rs728523

6

152344884

intron

ESR1

0.00000915

14

rs7748205

6

152321384

intron

ESR1

0.00000967

15

rs7506734

18

38261477

16

rs2237777

7

126429691

17

rs581364

11

104357313

18

rs7970286

12

91726932

19

rs11754599

6

28679263

20

rs7074356

10

82181314

intron

Gene

P‐value

No.

ITIH5L

0.00000747 0.00000778

0.00001100 intron

GRM8

0.00001120 0.00001250

CDS

EEA1

0.00001340 0.00001380

intron

C10orf58

0.00001380

표 31에서 유의 SNP가 존재하는 구역(region)과 유전자(gene)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 분은 유전자간역(entergenic region)으로 이 구역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 로 사료된다. 고혈압·당뇨병을 가진 환자군과 일반인군에서 유의 SNP 상위 20개를 살펴보았을 때 PKD2, FLOT2, MAT2A, ESR1 등이 고혈압·당뇨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추측 할 수 있었다.

- 80 -


(1) PKD2 (Polycystic kidney disease 2) gene Polycystin 단백질을 부호화하는 유전자이다. Polycystin 단백질은 신세뇨관의 성장, 형 태, 기능 등에 영향을 미치고 세포 내 칼슘 항상성의 조절, 그 외 신호전달 과정 등에 영향 을 미친다. 이 유전자의 변이가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질환(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7),

18)

.

(2) FLOT2 (Flotillin 2) gene Flotillin 2라는 단백질을 부호화하는 유전자로, 신경 신호물질이라고 알려진 막 관통 단백 질인 caveolae가 이에 포함된다. Caveolae는 세포막 내의 신호 전달과 지질 전달에 관여한 다19),

20), 21)

.

(3) MAT2A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 Ⅱ, alpha) gene MAT1A와 함께 S‐adenosylmethionine (비타민 B12, B6 등과 함께 작용하여 인체 내에 서 면역계, 세포막 유지, 뇌 화학물질의 생성과 분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의 생합성을 담당 하는 세포 내 필수 효소인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를 하향조절(down‐regulation) 하는 유전자로써 간 외 조직과 간 암세포에서 발현된다22),

23)

.

(4) ESR1 (Estrogen receptor 1)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부호화하는 유전자로서, 에스트로겐과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성 성숙, 생식기능뿐만 아니라 뼈와 같은 다른 조직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유방암, 자궁내막암, 골관절염 등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24),

25)

.

<별첨 2‐3> 유전자 검사 방법 및 결과

11) 장내미생물 검사 결과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시 장내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4차방문 시에 장내미생물

검사를

시행하여

Acidobacteria군,

Actinobacteria군,

Bacteriodetes군,

Cyanobacteria군, Firmicutes군, Planctomycetes군, Proteobacteria군, Tenericutes군, Verrucomicrobia군, 기타 미생물군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미생물 군집에서 Acidobacteria군, Cyanobacteria군, Planctomycetes군, Tenericutes군,

- 81 -


Verrucomicrobia군 등은 대부분 피험자들에게서 검사결과가 나오지 않아(데이터 missing)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총 미생물 군집 수는 한식군에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평균 10953.49개에서 섭취 12주 후 7091.75개로 감소하였고, 일반식군에서 섭취 전 3455.42개에서 6663.93개로 증가하였다. 특히 비만과 관련된 장내미생물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 Bacteriodetes군과 Firmicutes군 의 군집 변화량을 살펴보면, Bacteriodetes군은 한식군(68% à 58%)과 일반식군(56% à 49%)에서 모두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에 비하여 섭취 12주 후 그 비율이 감소하였고 Firmicutes군은 한식군(20% à 34%)과 일반식군(31% à 40%) 모두 섭취 전에 비하여 섭취 12주 후 그 비율이 증가하였다. Bacteriodetes군과 Firmicutes군은 일반적으로 전체 장내미생물군의 약 90%(Bacteriodetes 약 50%, Firmicutes 약 40%)를 차지하며26),

27)

, 정상 또는 마른 사람들에 비해 비만인에게서

Bacteriodetes군의 비율이 Firmicutes군에 비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7),

28)

.

이외 한식군에서는 Proteobacteria군과 Tenercutes군이 일반식군에서는 Actinobacteria 군과 Tenericutes군이 섭취 전에 비해 섭취 12주 후 비율이 감소하였고, 한식군에서 Actinobacteria군, Cyanobacteria군, Verrucomicrobia군이 일반식군에서 Cyanobacteria군 이 섭취 전에 비해 섭취 12주 후 비율이 증가하였다.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의 장내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표 32(그림 82~85) 에 요약하였다. <별첨2‐4> 장내미생물 검사 방법 및 결과 표 3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장내미생물 변화

한식군 (n=21)

일반식군 (n=20)

1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4차방문

Acidobacteria (%)

1.33 (0.01)

‐ (‐)

4.67 (0.14)

‐ (‐)

Actinobacteria (%)

520.81 (4.75)

449.55 (6.34)

223.15 (6.46)

259.20 (3.89)

Bacteroidetes (%)

7402.67 (67.58)

4096.10 (57.76)

1922.15 (55.63)

3265.35 (49)

Cyanobacteria (%)

4.00 (0.04)

8.50 (0.12)

14.00 (0.41)

37.75 (0.57)

Firmicutes (%)

2230.71 (20.37)

2385.24 (33.63)

1074.20 (31.09)

2692.00 (40.40)

Planctomycetes (%)

‐ (‐)

‐ (‐)

1.50 (0.04)

‐ (‐)

Proteobacteria (%)

358.86 (3.28)

89.90 (1.27)

164.05 (4.75)

307.00 (4.61)

Tenericutes (%)

33.33 (0.30)

12.20 (0.17)

29.78 (0.86)

56.46 (0.85)

Verrucomicrobia (%)

2.33 (0.02)

14.60 (0.21)

4.50 (0.13)

8.77 (0.13)

Etc (%)

399.44 (3.65)

35.67 (0.50)

17.43 (0.50)

37.4 (0.56)

total

10953.49 (100)

7091.75 (100)

3455.42 (100)

6663.93 (100)

- 82 -


그림 82. 한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장내미생물 군집

그림 83. 한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12주 후 장내미생물 군집

그림 84. 일반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장내미생물 군집

- 83 -


그림 85. 일반식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12주 후 장내미생물 군집

Ⅻ. 안전성 평가 본 임상시험은 한식과 일반식을 섭취하였을 때, 체내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 다. 안전성 평가는 시험에 참여하여 최소한 1회 이상 임상시험용식이를 섭취한 피험자 43명 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 자·타각 증상 등 이상반응 이상반응 발생율에 대한 결과는 표 33에 요약하였다. 임상시험용식이를 섭취한 43명의 피 험자 중, 시험기간 동안 16건의 이상반응이 발생하였다. 발생한 이상반응은 오목가슴 통증 1건, creatinine 수치 증가 1건, 왼쪽 귀 통증 1건, 왼쪽 머리 통증 1건, 어지러움증 1건, 허리통증, 저혈당, 임플란트 재건술, 감기 4건, 왼쪽 팔 감각 둔화, 다리에 힘이 빠지고 열이 나는 증세, 관절염 치료, 방광염, 교통사고, 혈중 ALT·AST 상승 1건으로 두 섭취군 간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은 2건으로 acute MI 1건, 경동맥 초음 파 상 이상소견 발생 1건이다(별첨 2‐5). 표 33. 이상반응 여부

이상반응 발생 여부 (Yes/No)

한식군 (n=22)

일반식군 (n=21)

총 (n=23)

10/22

6/21

16/43

1)

Chi‐square test

- 84 -

P‐value1) 0.252


2. 검사실검사 전체 피험자가 4주 간격으로 방문하여 검사실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 결과는 체중을 보 정하여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문별 검사실검사 결과 비교 시 pH, WBC, lymphocyte, sodium, chloride, creatinine, uric acid, CK가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49, P=0.010, P=0.029,

P=0.001, P=0.001, P=0.001, P=0.005, P=0.007). 정상 범위 안의 수치이므로 임상적으로 의미는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외의 다른 항목에서는 섭취군 간 유의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표 34. 방문별 검사실검사 결과 한식군 (n=22)

일반식군 (n=21)

P‐value1)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4차방문

Sg

1.02± 0.00

1.02± 0.00

1.02± 0.00

1.02± 0.00

1.02± 0.00

1.02± 0.00

1.02± 0.00

1.02± 0.00

0.122

pH

5.50± 0.10

5.50± 0.13

5.26± 0.07

5.69± 0.14

5.95± 0.19

5.85± 0.19

5.90± 0.20

5.73± 0.15

0.049*

WBC (x 103/uL)

6.03± 0.36

5.77± 0.34

5.60± 0.36

5.78± 0.39

5.53± 0.24

6.31± 0.43

6.89± 0.79

6.63± 0.59

0.010**

RBC (x 100 /uL)

4.54± 0.11

4.56± 0.09

4.45± 0.10

4.45± 0.10

4.42± 0.07

4.54± 0.08

4.47± 0.09

4.44± 0.08

0.691

Hb (g/dL)

13.98± 0.31

14.07± 0.27

13.83± 0.30

13.86± 0.30

13.60± 0.26

14.02± 0.29

13.92± 0.35

13.84± 0.30

0.769

Hct (%)

41.15± 0.83

41.68± 0.70

41.32± 0.75

41.45± 0.77

40.15± 0.71

41.47± 0.78

40.89± 0.90

40.65± 0.80

0.521

PLT (x 103/ul)

226.73± 8.20

238.19± 9.52

245.14± 10.67

240.62± 10.82

234.24± 9.80

238.95± 10.33

231.65± 11.51

245.90± 17.22

0.183

SEG (%)

52.82± 1.58

51.99± 1.98

49.41± 1.59

51.79± 1.67

51.41± 1.80

52.59± 1.71

54.02± 2.85

54.31± 2.65

0.107

Lymphocyte (%)

36.96± 1.57

38.08± 1.69

40.45± 1.50

38.90± 1.56

38.94± 1.84

37.93± 1.56

36.47± 2.39

36.07± 2.50

0.029*

Monocyte (%)

6.42± 0.22

5.98± 0.23

6.41± 0.32

6.07± 0.31

6.63± 0.40

6.09± 0.47

5.98± 0.28

6.43± 0.35

0.452

Eosinophils (%)

3.35± 0.65

3.50± 0.71

3.24± 0.55

2.87± 0.48

2.62± 0.34

3.01± 0.48

3.11± 0.57

2.85± 0.46

0.616

Basophils (%)

0.44± 0.06

0.46± 0.09

0.50± 0.08

0.38± 0.04

0.39± 0.06

0.39± 0.06

0.43± 0.07

0.35± 0.04

0.935

Sodium (mmol/L)

141.77±

142.00±

141.57±

141.38±

143.29±

140.80±

144.05±

142.20±

3

- 85 -

***

<0.001


0.36

0.28

0.37

0.30

0.41

0.26

0.51

0.25

Potassium (mmol/L)

4.65± 0.09

4.74± 0.09

4.58± 0.09

4.58± 0.07

4.40± 0.08

4.56± 0.08

4.43± 0.08

4.39± 0.12

0.936

Chloride (mmol/L)

104.41± 0.43

106.76± 0.34

107.52± 0.59

105.86± 0.36

105.67± 0.42

105.05± 0.58

106.50± 0.59

107.25± 0.60

<0.001***

ALP (IU/L)

68.00± 3.00

71.43± 4.05

69.86± 3.64

70.81± 3.66

68.95± 3.48

71.80± 3.61

71.35± 4.15

70.30± 3.63

0.876

GGT (IU/L)

28.82± 4.45

20.24± 3.58

17.14± 3.15

19.81± 3.19

29.95± 4.09

31.95± 5.66

26.80± 4.13

33.85± 4.95

0.104

AST (IU/L)

27.73± 2.73

25.05± 1.40

22.05± 1.01

22.43± 0.97

26.62± 2.66

25.25± 2.10

24.65± 2.06

26.85± 2.50

0.105

ALT (IU/L)

29.77± 4.54

24.86± 2.11

21.71± 1.67

23.10± 1.56

25.71± 4.07

25.10± 3.60

24.45± 3.50

27.15± 3.87

0.222

Total bilirubin (mg/dL)

1.00± 0.10

0.78± 0.08

0.80± 0.07

0.84± 0.09

0.69± 0.06

0.75± 0.08

0.76± 0.09

0.78± 0.10

0.365

Total protein (g/dL)

7.45± 0.07

7.42± 0.07

7.32± 0.08

7.17± 0.10

7.47± 0.09

7.54± 0.08

7.51± 0.09

7.35± 0.08

0.295

BUN (mg/dL)

16.23± 0.90

14.57± 0.87

14.71± 1.15

16.00± 0.97

14.81± 0.75

14.90± 0.73

14.80± 1.32

15.65± 1.07

0.434

Creatinine (mg/dL)

0.86± 0.06

0.89± 0.07

0.84± 0.07

0.82± 0.06

0.82± 0.05

0.81± 0.05

0.83± 0.06

0.85± 0.05

<0.001***

Uric acid (mg/dL)

5.70± 0.27

5.63± 0.26

5.43± 0.23

5.13± 0.24

4.98± 0.32

4.96± 0.33

4.82± 0.31

4.95± 0.28

0.005**

Total Ca (mg/dL)

9.44± 0.07

9.34± 0.07

9.14± 0.07

9.23± 0.07

9.40± 0.09

9.40± 0.08

9.30± 0.08

9.33± 0.10

0.367

Phosphorus (mg/dL)

3.36± 0.11

3.65± 0.10

3.62± 0.08

3.48± 0.09

3.57± 0.12

3.84± 0.10

3.62± 0.12

3.64± 0.12

0.377

CK (IU/L)

132.86± 10.76

119.81± 14.60

114.33± 13.27

89.95± 7.22

84.43± 7.63

76.15± 8.08

85.45± 10.00

116.85± 33.08

0.007**

LDH (IU/Lf)

374.05± 8.81

376.38± 8.17

375.38± 9.78

361.24± 7.51

368.95± 16.81

351.55± 15.01

356.10± 14.71

382.85± 25.47

0.084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E 1)

Linear mixed model for repeated measures data (*P<0.05,

**

P<0.01,

***

P<0.001)

3. 심전도 검사 심전도 검사 결과 시험 기간 동안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 86 -


ⅩⅢ . 결론 본 임상시험은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한식 섭취가 혈압 및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고 한식 섭취가 지단백양상 및 심혈관계 위험에 대한 생 체표지자에 미치는 영향, 유전자형에 따른 각 항목의 변화 양상 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 었다. 본 임상시험에 참여한 피험자는 총 48명으로 이들 중 한식군에 23명이, 일반식군에 25명이 배정되었고 한식군 23명 중 21명, 일반식군 25명 중 20명이 12주간의 임상시험을 마쳤다. 한식군 피험자들은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매일 방문하여 본 센터 에서 제공하는 임상시험용식이를 하루 세끼 12주간 섭취하였고, 일반식군 피험자들은 특별 한 식이처방 없이 평소와 다름없는 식사를 하였으며, 1주일마다 3일씩 식사기록지를 작성하 였다. 본 연구의 세부과제 일환으로 진행하였던 제 1‐1과제 “한식 식사유형기준 마련” 연구에 서 한식상차림의 원형과 변천에 대한 고증자료를 토대로 한국 식사유형기준이 개발되고, 국 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한국인 식사유형과 질병관련 인자와의 상관성을 분석한 한식 식사유형지수(KDPS) 또한 개발되었다. 이를 근거로 전문가의 검토 및 자문을 받아 임상시 험용식이 식단을 선정하였고 하루 섭취량은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권장한 적정 열 량 1,800~2,000kcal 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한식군에 제공된 식단은 전곡류(현 미) 80~90%에 잡곡류(콩, 팥, 흑미, 조 등)를 10~20% 섞은 밥류와 국류 및 김치류를 기 본으로 하며 2가지 반찬을 곁들인 전통 3첩 상차림의 형태를 띠었고, 그 한식 식사유형지수 는 평균 44.7점으로써 한식식사유형지수 상위군에 해당하고 하루 평균 제공 열량은 식사와 간식을 포함하여 2,047kcal 이었다.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 방문 시 식사의 한식식사 유형지수는 각각 39.0점과 38.4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시험 기간 한식군은 한식 식사유형지수 평균 59.3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고 한식군의 임상시험용식이에 대한 순응 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반면 일반식군은 임상시험 기간 평균 약 38.6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다. 한편 제1‐2과제에서 개발된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한 경우, 한식군과 일 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 방문 시 식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 (KDS)는 각각 28.3점과 27.8점으로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임상시험 참여기간 동안 에도 한식군과 일반식군 모두 평균 27.8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여 두 군 간 차이가 없었 다. 즉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섭취한 식사와 임상시험 참여기간 섭취한 식 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가 모두 약 28점 정도로 거의 일치하여서 두 군 간 차이뿐 만 아니라 임상시험 전․후에 따른 차이 또한 없었다. 한식군은 당질 제한 없이 현미밥과 같은 전곡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하루 평균 총

- 87 -


1,883kcal 열량에 해당하는 음식을 섭취하였다. 이는 일반식군보다 약 335Kcal 많은 열량 이다. 열량 중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비율이 67.1%, 단백질 15.8%, 지질 19.2%로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탄수화물 55~70%, 단백질 7~20%, 지질 15~25%)의 적정비율에 해 당하였다. 또한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발효식품과 전통식품을 충분히 섭취함에 따라 염분 섭 취량이 비교적 많아서 한식군의 나트륨 섭취량은 일반식군보다 1.4배 많았다. 다시 말하면, 한식군은 일반식군보다 전곡류인 현미밥과 나물류 등의 채소류, 김치류, 콩류 및 두류 식품 그리고 전통발효식품 등을 많이 섭취하고, 빵류 및 면류, 동물성 식품인 육류와 난류, 그리 고 과일류는 적게 섭취하였다. 따라서 일반식군보다 당질 섭취량이 많고 열량 중 탄수화물 섭취율이 높았다. 단백질과 지질은

열량 중의 섭취율만 고려하면 한식군의 지질 섭취율이

약간 높고 단백질 섭취율은 약간 낮으나, 총 단백질량과 총지질량은 일반식군보다 많을 뿐 아니라 식물성 식품에서 기원한 단백질과 지질이 주를 이루고 그 섭취량 또한 현저히 많았 다. 반면 일반식군 피험자들은 하루 평균 총 1547kcal의 열량을 섭취하고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질, 콜레스테롤, 동물성철분, 레티놀 같은 동물성식품에서 기원한 영양소 섭취가 많았다. 즉, 한식군에 비해 총열량, 당질, 염분과 식이섬유소 섭취량이 훨씬 적으면서 단백질 과 지질이 대부분 동물성식품에서 기원하고 그 섭취량 또한 많았다. 유효성 평가에 대해 살펴보면, 혈압과 맥박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안정 시 좌위 혈압과 더불어 24시간 활동 중 혈압을 측정하였다. 한식군에서 안정 시 좌위 수축기 혈압이 1차 방 문 시에 비해 2차 방문 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좌위 이완기 혈압은 1차 방문에 비해 2차 방문 시 한식군에서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안정 시 맥박 수가 1차 방문 시에 비해 3차 및 4차 방문 시 한식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는 증가하였고, 안정시 맥박수를 섭취 전·섭취 12주 후로 비교하면 한식군에서 일반식군에 비하여 맥박수 의 감소 정도가 유의하게 더 컸다. 한편 자율신경기능검사 항목 중 부교감신경 기능을 평가하는 발살바 수기에 의한 심박동 수 차이(Valsalva) 검사 점수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에 비해 섭취 12주 후에 한식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한식군의 부교감신경기능이 활성화 또는 자율신경기능이 안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런 점은 앞서 언급한 안정 시 혈압 과 맥박수 및 24시간 활동 중 맥박수가 감소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기전과 무관하지 않 을 것으로 생각된다. 체위변동에 따른 수축기 혈압의 변화(Upright) 검사 점수가 임상시험 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 유의하게 한식군에서 증가하고 일반식군에서 감소하였는데, 이는 한식군에서 자율신경기능 손상에 의해 교감신경이 억제되었다는 부정적 결과로 보통 해석할 수 있으나 대상 환자들의 교감신경 또한 안정화되어 항진이 억제되었을 가능성도 배 제할 수 없겠다. 혈당 조절 개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는데, 공복혈당은 한식군에서 1차 방문과 3차 방문 시 각각 119.8mg/dL와 107.2mg/dL로, 일반식군에서 각 각 119.3mg/dL, 132.1mg/dL로 측정되어 두 군간 변화하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88 -


또한 당화혈색소(HbA1c)도 한식군에서 1차 방문과 4차 방문 시 각각 6.77%와 6.05%로, 일반식군에서 각각 6.77%와 6.52%로 측정되어, 한식군에서 일반식군보다 측정치의 감소 정도가 유의하게 컸다. 이는 한식군에서 일반식군보다 혈당 조절 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하겠다. 심혈관 질환 위험표지자 검사결과를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로 비교 시 PAI‐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이 한식군에서 감소하고 일반식군에서 증가하여 이는 향후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 기여하는 요인이 된다고 판단되나 fibrinogen과 homocysteine은 한식군보다 일반식군에서 감소 정도가 더 크므로 심혈관 질환 위험 측면에 서의 통합적 해석은 신중해야겠다. 혈중지질 및 지질대사 관련 지표 중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지질 운반체로써 동 맥경화 억제인자로 알려진 아포지단백 A1 및 동맥경화 촉진인자로 알려진 아포지단백 B가 한식군 내에서 방문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이 한식군에서 일반식군보다 방문별로 유의하게 감소하고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12주후 감소 정도도 더 컸다. Adiponectin은 방문별 검사에서는 한식군보다 일반식군에서 증가하는 경향 이 있었으나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12주 후 비교 시에는 섭취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식군에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B, 유리지방산 등의 감소는 혈중 지질 조절 상태가 개선되었음을 의미하나 아포지단백 A1의 감소, adiponectin의 감소가 동반되어 전체적인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신체계측 지표 중 제지방량을 제외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율이 방문별 뿐 만 아니라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섭취 12주 후에 한식군에서 의미있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허리둘레도 방문별 비교 시 한식군이 일반식군에 비해 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한식섭취를 할 때 일반식에 비하여 근육량 손실 없이 체지방만을 감소시키면서 체중감량을 유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향후 혈당, 혈압, 혈중 지질 조절을 개선시키고 심혈관질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비록 치료약물의 변화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으나 한식 군에서 일반식군보다 많은 수의 환자가 실제로 고혈압, 당뇨병 및 고지혈증 치료 약물을 감 량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한식군에서 혈압, 맥박수, 혈당 및 혈중 지질의 개선 정도가 상 대적으로 낮게 평가 되었을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겠다. 한국인의 식생활 변화 중 뚜렷한 변화는 당질의 섭취가 감소하고 단백질과 지질의 섭취는 증가하여 총 섭취열량 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45). 이러한 현상 은 식량이 부족하였던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 쌀 절약을 위해 혼식, 분식을 장려 하는 등, 밀의 영양만을 크게 부각시킴에 따라 쌀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확산되었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되며, 아직도 그 인식이 국민에게 팽배하여 밥을 먹으면 비만을 초래한다는 오해 도 있다. 또한 이전 연구들에서 단백질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복부 비만이 감소하며46), 곡류 로부터 섭취한 탄수화물은 복부 비만 증가와 관련을 보인다43)고 보고하고 있어서 밥, 국, 김

- 89 -


치 중심의 식사를 하면 자칫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편견을 줄 수도 있었다.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약제의 선택 뿐 만 아니라 생활 방식의 수정이 특히 중요하다는 사실은 이미 확립 되었다. 또 제 2형 당뇨병의 식이요법에서 열량섭취 제한이 가장 중요함은 널리 인식되고 있으나 식사에서 거대영양소의 최적 구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란이 남아 있다. 의견 합일된 최근의 식사 권고에 의하면, 하루 권장섭취량 중 탄수화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서 하루 총 열량의 45~65%를 차지하며 지질의 비중은 낮아서 하루 총 37)

열량의 30% 미만이 되도록 하고 있고 , 본 임상시험에서 한식군이 섭취한 식사의 영양소 구성도 탄수화물이 총 열량의 66%, 단백질이 15%, 지질이 19%로 위의 권고 내용에도 부 합한다. 또한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탄수화물 55~70%, 단백질 7~20%, 지질 15~25%)의 적정비율에도 해당하였다. 그러나 이 권고안은 고탄수화물 식사가 고혈당과 이상지질혈증을 악화시킨다는 연구 결과 들38)39)에 의해 계속 위협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이 고전적인 고탄수화물, 저지방 식사에 비해 체중감량과 혈당 조절에 더 효과적이라는 내용의 단기간 식 사중재 연구 결과들도 나오고 있다40)41). 하지만, 단기간의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체 중감량에 적당한 대사적 이익을 줄지라도 장기간 지속 시에는 어떠한 효과를 나타낼지 아직 정확히 보고되지 않았고, 고단백질 식사와 신장 기능 악화42), 골다공증과 신결석43) 등의 관 련성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최근 보고된 한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체중감량 을 위한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를 비교적 장기간 섭취하게 하였는데, 12개월간의 고단백 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고탄수화물 식사에 비하여 혈당 조절을 향상시키지 못하였다44). 본 임상시험에서도 한식군 피험자들은 당질 제한 없이 현미밥과 같은 전곡류 식사를 규칙 적으로 하였고 섭취 총열량은 하루 평균 1883kcal로 일반식군보다 약 335kcal 많았다. 또 한 염분 섭취량과 탄수화물 섭취율이 일반식군보다 많음에도 한식군의 혈압, 혈당, 체중 등에 서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밥, 국, 김치 중심의 식사를 다루었던 선행연 55)56)57)58)

구들

에 의한 잘못된 인식들을 불식시키고, 밥을 규칙적으로 잘 먹는 탄수화물 식사

가 당뇨병, 비만 등의 질환에서 오히려 이로운 의학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최근 발표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에서 저탄수화물식사와 총사망률 사이의 관련성은 약하다 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동물성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저탄수화물식사는 남녀 모 두에서 총사망률을 증가시키며, 식물성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저탄수화물식사는 총사망률와 심혈관사망률 감소와 관련 있다고 하였다35). 이는 동물성식품과 식물성 식품이 사망률에 다 른 영향을 끼침을 의미하며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는 식물성 기원의 불포화지방, 식이섬 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은 미세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비타민, 미네랄, 식물 유래 화합물(Phytochemicals) 과 같은 기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서 어느 정도 기인할 것 36)

이라고 제안하였다. 다시 말하면 저탄수화물 식사의 의학적 효과는 탄수화물 양보다는 단

백질과 지방의 종류에 달려 있고, 식물성 기원의 단백질과 지방으로 이루어진 식사가 동물성 기원의 식사보다 효과적이라 하였다35).

- 90 -


본 임상시험에서도 한식군 피험자들이 일반식군에 비해 전곡류와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였 고 단백질과 지방의 주공급원이 식물성식품이었다. 따라서 앞서 인용한 연구 결과들은 한식 군의 전체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섭취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혈압, 혈당, 체중 등 에서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는 뒷받침이 되겠다. 전곡류의 중요성이 대해 다시 언급하면, 최근 발표된 대규모 전향적 연구에서 전곡류 섭취 는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며, 전곡류의 배아(germ)보다 겨(bran)와 더 관련 29)

31)33)34)

있다 하였다 . 이때 전곡류 섭취가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을 감소시켜 주는 기전

저혈당지수 음식 섭취에 의한 것만으로 설명 할 수는 없으며, 전곡류는 식이섬유소, 비타민, 미네랄, 리그난(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의 중요한 급원이므로 이러한 요소들이 제 2 형 당뇨병의 위험을 감소시켜주는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크다29)고 하였다. 실제로 식이섬유 소 섭취를 많이 할수록 제 2형 당뇨병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은 여러 코호트 연구에서 보고 되고 있고32) 전곡류 섭취는 인슐린 민감도를 증가시키며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을 낮추는 것과도 관련성이 있다33)34). 또 전곡류를 많이 섭취 할수록 체중이 감소한다고 다른 여러 코 호트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다30). 본 임상시험에서도 한식군에서 전곡류 섭취를 통해 체내 혈당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는 혈당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를 안정화시키는 역 할도 하여 혈압과 맥박수에 이로운 작용을 일으켰을 것이라 여겨진다. 당뇨병에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예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고혈당, 고지혈증, 고혈 압 등 기존의 모든 위험인자를 통합적,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당뇨병에서의 고혈압은 인슐린 저항성, 레닌-안지오텐신계 이상, 교감신경계 항진 등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나 정확한 기전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형편이다.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에서 약제의 선택뿐만 아니라 생활 방식의 수정이 중요함은 익히 알려져 있고54), 식사요법 중 한 방법으로 저염식을 일반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주지하 였듯 본 임상시험에서도 염분 섭취를 제한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임상의사가 고혈압에 대한 저염식의 기대효과는 막연하나마 보편적이며 상대 적으로 큰 감이 있다. 저염식을 실시하고자 할 때는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함께 저염식의 효과를 어떻게 객관화 하고 평가할 것인지 임상적으로 흔히 간 과되고 있다. 따라서 저염식에 대한 논리적 근거가 되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먼저 고 찰해 보면, 염분섭취가 고혈압 발생과 유지에 관여할 것이라는 근거는 많은 실험적인 연구와 역학적인 조사의 결과, 그리고 임상적인 경험에서 비롯되었지만 이들의 결과가 일관되지 않 고 사람에 따라 염분에 대한 혈압변동의 예민도가 다양하다 하였다. 또한 염분 섭취가 어떻 게 혈압을 올리는지에 대한 생리적 이론 근거는 잘 정리 되어 있지 않으며 저염식이 혈압을 낮춘다는 결론을 얻기에 불충분하였다48). 우리나라 음식은 먹다가 남기고 또 다시 먹게 되는 반찬이 많고 지역적, 가족적으로 음식 중 염분 함유량이 다르고 개인의 식성이 다양하여 조리된 음식 중 염분, 칼륨 등의 함량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따라서 이에 대한 보고들이 많지 않다. 본 임상시험에서 대상 환자

- 91 -


들의 염분 섭취량은 식사기록지, 잔반량 측정 등을 근거로 계산되었기에 비교적 정확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한식군의 경우는 더욱 정확하다. 한식군에게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에는 재래 식 방법으로 만든 발효식품과 전통식품이 충분히 포함됨에 따라 염분 섭취량이 비교적 많았 다. 한식군의 나트륨 섭취량은 한국인 성인(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과 본 연구의 일반식 군의 섭취량보다 높았다. 소금은 인체의 생리 기능에 없어서는 안 되는 무기물인 동시에 음식의 맛과 식품 저장을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 된장, 간장 제조 에 있어 소금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발효식품에 의해 염분의 과도한 섭취가 우려 된다 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발효식품 속의 소금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비하며 김치 발효에 미치는 소금의 종류의 영향에 대한 연구49)50)가 소수 있을 뿐이 다. 또한 천일염은, 염분을 99.8% 함유하고 있는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을 80~99% 정도 함 유하고 있으며 마그네슘,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물이 포함되어 있어서51)52) 최근 주목 받고 있으나 역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국내 천일염으로 제조한 된장의 발효 특 성에 대한 연구에서도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다는 정도만 보고53) 할 뿐이다. 따라서 향후 발 효식품, 천일염 또는 발효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소금들이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더 이루어져야 하겠다. 요약하면, 한식군에 배정되었던 23명 중 21명, 일반식군은 25명 중 20명이 12주간의 임 상시험을 마쳤으며 한식군과 일반식군이 임상시험 참여 전, 평소에 섭취하던 1차 방문 시 식사의 한식식사유형지수는 두 군 모두 38점으로 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시험 기간 동 안 한식군은 한식식사유형지수 평균 59.0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고 한식군의 임상시험용 식이에 대한 순응도는 매우 우수하였다. 반면 일반식군은 임상시험 기간 동안 평균 약 38.6 점에 해당하는 식사를 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식사유형지수(KDS)를 적용하면 한식군과 일반 식군의 임상시험 참여 전 식사와 임상시험 참여기간 섭취한 식사의 한국인식사유형지수 (KDS)가 모두 약 28점 정도로 거의 일치하여서 두 군 간 차이뿐만 아니라 임상시험 전․후 에 따른 차이 또한 없었다. 한식군의 하루 평균 총열량 섭취는 1883kcal로 일반식군보다 약 335kcal 높은 열량을 섭취하였고 당질 제한 없이 현미밥과 같은 전곡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재래식 방법으로 만든 발효식품과 전통식품을 충분히 섭취함에 따라 염분 섭취량이 비교적 많았다. 또한 일반 식군보다 현미밥과 채소 반찬을 많이 섭취하여 당질 섭취량이 많고, 열량 중 탄수화물 섭취 율이 높았다. 단백질과 지질은 열량 중의 섭취율만 고려하면 한식군의 지질 섭취율이 약간 높고 단백질 섭취율은 약간 낮으나, 총 단백질량과 총지질량은 일반식군보다 많을 뿐 아니라 식물성 식품에서 기원한 단백질과 지질이 주를 이루고 그 섭취량 또한 현저히 많았다. 유효성 평가 항목 중 한식군의 24시간 활동 중 및 안정 시 혈압과 맥박 수, 부교감신경 기능,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및 혈중지질 등에서 일반식군에 비하여 의미 있는 개선 효과가

- 92 -


있었으며, 신체계측 지표 중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허리둘레에서도 일반 식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 효과가 있었다. 현재 단백질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복부 비만이 감소하며46), 곡류로부터 섭취한 탄수화 물은 복부 비만 증가와 관련을 보이고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가 체중감량과 혈당 조절에 더 효과적40)41)이라는 결론을 내린 연구들이 다수 있다. 그러나 본 임상시험 결과, 밥을 규칙 적으로 잘 먹는 탄수화물 식사가 당뇨병, 고혈압 및 비만 등의 질환에서 오히려 이로운 의학 적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았다. 본 연구자들은 이러한 의학적 개선 효과가 있었던 이유를 대상 환자들이 전곡류와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식물성 식품을 통해 단백질과 지방을 섭취한 것에서 일부분 찾을 수 있다 29)35)

고 제안하고자 한다. 즉 식품 속에 포함된 불포화지방, 식이섬유소, 마그네슘과 칼륨 같

은 미량영양소의 익히 알려진 이득 작용과 전곡류에 함유된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리 그난(lignans), 기타 식물유래 화합물과 같은 여러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이러한 의학적 개 선 효과가 나타났다36)고 판단하였다. 또한 전곡류 섭취를 통해 체내 혈당이 일정하게 유지 되고 이 점은 혈당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를 안정화시키는 역할도 하여 혈압과 맥박수에 이로운 작용을 일으켰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염분을 비교적 자유롭게 섭취해 도 혈압 상승이 없었는데 그 이유의 하나로 발효식품과 천일염 섭취를 들 수 있겠다. 천일염 은 정제염에 비하여 염분 함유량이 적고 마그네슘,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물이 포함되 어 있어서51)52) 신장에서의 배설이 용이하고 따라서 체내에서 염분저류를 덜 일으킬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동안 발효식품의 과도한 염분 함유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서 충분히 섭 취하는데 제한이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토대로 천일염으로 만든 발효식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한식 섭취는 환자의 순응도가 좋고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혈압과 맥박 수 감소, 자율신경기능 안정화, 혈당 및 지질 조절상태 개선 및 체중 감량에 유효하였고 고혈압 및 당 뇨병 환자가 의학적 치료, 운동 요법과 함께 한식 섭취를 규칙적으로 함으로써 생활습관을 교 정 할 때 장기적으로 질병과 관련한 예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이 대조군에게 대조식을 직접 제공하지 않아서 대조군 피험자들의 식이섭취 보고에 의존한 분석결과를 한식군 임상시험용 식이와 비교 하였고, 한식군이 섭 취한 식이는 친환경 국내산이였으나, 일반식군은 평상시 섭취한 음식은 잔류농약 등의 노 출위험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한식군은 매일 3차례 임상시험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식사

를 하였기 때문에 일반식군과 운동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행 연구들의 보고 내용과 다르게 도출된 결과들을 해석하고 추정되는 기전 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향후 대조식을 직접 제공하는 등, 임상시험을 보다 정밀하게 계획하 고 반복하여 수행 할 필요가 있겠다.

- 93 -


ⅩⅣ . 참고문헌 1. Whelton PK. 1994. Epidemiology of hypertension. Lancet. 344: 101‐106. 2. Jousilahti P, Toumilehto J, Vartiainen E, Korhonen HJ, Pitkaniemi J, Nissinen A, Puska P. 1995.

Importance of risk factor clustering in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and incidence in eastern Finland. J Cardiovasc Risk. 2(1): 63‐70 3. 이경헌, 최여원, 최수희, 이광호, 서기우, 김은영, 이광제, 김상욱, 김태호, 김치정, 류왕성. 2008. 고혈압 환자에서 좌심실 중벽 기능과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의 상관관계. 대한 내과학회지. 74: 376‐384 4. Chov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Jones DW, Materson BJ, Oparil S, Wright JT Jr, Roccella EJ;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National High Blood Pressure Education Program Coordinating Committee. 2003.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AMA. 289(19): 2560‐2572 5. Cavaghan MK, Ehrmann DA, Polonsky KS. 2000, Interactions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insulin secretion in the development of glucose intolerance. J

Clin Invest. 106(3): 329‐333 6. Warren RE. 2004, The stepwis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Diabetes Res Clin Pract. Suppl 65 Suppl 1: S3‐8 7. Heather A. Liszka, Arch G. Mainous, Ⅲ, dana E. King, Charles J. Evertt, Brent M. Egan. 2005. Pre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morbidity. Ann Fam Med. 3: 292‐293 8. Vasan RS, Larson MG, Leip EP, Evans JC, O’Donnell CJ, Kannel WB, Levy D. 2001. Impact of high‐normal blood pressure on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N Engl J Med. 345: 1291‐1297 9. Dia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Research Group: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 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1993, 329:977‐986 10. DeFronzo RA. 1999. Pharmacologic therapy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Ann

Intern Med. 131(4):281‐303 11. Fisher NDL, Willianums GH. 2004. Hypertensive vascular disease. Harrison’ Principles of International Medicine. 16ed New York: McGraw‐Hill: 1463‐1480 12.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rner RC. 1985.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Insulin resistance and β‐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 in man. Diabetologia. 28:412‐419

- 94 -


13. Low PA. 2003. Testing the autonomic nervous testing. Semin Neurol. 23:407‐421 14. 2005년 국민건강조사, 질병관리본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민건강영양조사 3기 (2005) 심층분석 ; 영양부분.2007 15. 2010년 한국인영양섭취기준, 한국영양학회, 보건복지부 식품의약안전청 16.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고서 17. Hoffmeister H, et al. 2010. The human polycystin‐2 protein represents an integral

membrane

protein

with

six

membrane‐spanning

domains

and

intracellular N‐ and C‐terminal. Biochem J 18. Chen J, et al. 2011. PKD2 mediates multi‐drug resistance in breast cancer cells through modulation of P‐glycoprotein expression. Cancer Lett. 19. Ge L, et al. 2011. Flotillins play an essential role in Niemann‐Pick C1‐like 1‐ mediated cholesterol uptake. Proc Natl Acad Sci USA. 20. Solis GP, et al. 2010. Cellular roles of the prion protein in association with reggie/flotillin microdomains. Front Biosci. 21. Rajendran L, et al. 2009. Flotillins are involved in the polarization of primitive and mature hematopoietic cells. PLoS One. 22. Torres, L., Avila, M.A., Carretero, M.V., Latasa, M.U., Caballer a, J., L pez‐ Rodas, G., Boukaba, A., Lu, S.C., Franco, L., Mato, J.M. 2003. Liver‐specific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 MAT1A gene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a specific pattern of promoter methylation and histone acetylation: implications for MAT1A silencing during transformation. FASEB J. 23. Yang, H., Sadda, M.R., Yu, V., Zeng, Y., Lee, T.D., Ou, X., Chen, L., Lu, S.C. 2003. Induction of human methionine adenosyltransferase 2A expression by tumor necrosis factor alpha. Role of NF‐kappa B and AP‐1. J. Biol. Chem. 24. Zhang Y, et al. 2010. Effect of estrogen receptor alpha gene polymorphism on the variations of T lymphocyte subsets and its related cell factors in female patients with primary cholestasis cirrhosis. Zhonghua Gan Zang Bing Za Zhi. 25. Kretzer NM, et al. 2010. A noncompetitive small molecule inhibitor of estrogen‐ regulated gene expression and breast cancer cell growth that enhances proteasome‐dependent degradation of estrogen receptor{alpha}. J Biol Chem 26. Ley RE, Turnbaugh PJ, Klein S, Gordon JI. 2006. Human gut microbes associated with obesity. Nature. 27. Peter J, Turnbaugh, Ruth E. Ley, Michael A, Mahowald, Vincent Magrini, Elaine R. Mardis&Jeffrey I. Gordon. 2006. An obesity‐associated gut microbiome with increased capacity for energy harvest. Nature. 28. Ley R, Backhed F, Turnbaugh P, Lozupone C, Knight R, Gordon J. 2005. Obesity alters gut microbial ecology. Proc Natl Acad Sci USA.

- 95 -


29. de Munter JS, Hu FB, Spiegelman D, Franz M, van Dam RM. Whole grain, bran, and germ intak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and systematic review. PLoS Med. 2007 Aug;4(8):e261. 30. Koh-Banerjee P, Franz M, Sampson L, Liu S, Jacobs DR Jr, Spiegelman D, Willett W, Rimm E. Changes in whole-grain, bran, and cereal fiber consumption in relation to 8-y weight gain among men. Am J Clin Nutr. 2004Nov;80(5):1237-45. 31. Jenkins DJ, Wolever TM, Taylor RH, Barker HM, Fielden H, Gassull MA. Lack of effect of refining on the glycemic response to cereals. Diabetes Care. 1981 Sep-Oct;4(5):509-13. 32. Schulze MB, Schulz M, Heidemann C, Schienkiewitz A, Hoffmann K, Boeing H. Fiber and magnesium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Arch Intern Med. 2007 May 14;167(9):956-65. 33. McKeown NM, Meigs JB, Liu S, Wilson PW, Jacques PF. Whole-grain intake is favorably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for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m J Clin Nutr. 2002 Aug;76(2):390-8. 34. Sahyoun NR, Jacques PF, Zhang XL, Juan W, McKeown NM. Whole-grain intake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6 Jan;83(1):124-31. 35. Fung TT, van Dam RM, Hankinson SE, Stampfer M, Willett WC, Hu FB. Low-carbohydrate diets and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two cohort studies. Ann Intern Med. 2010 Sep 7;153(5):289-98. 36. Hu FB, Willett WC. Optimal diets for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JAMA. 2002 Nov 27;288(20):2569-78. 37. Connor H, Annan F, Bunn E, Frost G, McGough N, Sarwar T, Thomas B; Nutrition Subcommittee of the Diabetes Care Advisory Committee of Diabetes UK.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al advice for people with diabetes.Diabet Med. 2003 Oct;20(10):786-807. 38. Coulston AM, Hollenbeck CB, Swislocki AL, Chen YD, Reaven GM. Deleterious metabolic effects of high-carbohydrate, sucrose-containing diets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m J Med. 1987 Feb;82(2):213-20. 39. Garg A, Grundy SM, Koffler M. Effect of high carbohydrate intake on hyperglycemia, islet function, and plasma lipoproteins in NIDDM. Diabetes Care.

- 96 -


1992 Nov;15(11):1572-80. 40. Samaha FF, Iqbal N, Seshadri P, Chicano KL, Daily DA, McGrory J, Williams T, Williams M, Gracely EJ, Stern L. A low-carbohydrate as compared with a low-fat diet in severe obesity. N Engl J Med. 2003 May 22;348(21):2074-81. 41. Skov AR, Toubro S, Rønn B, Holm L, Astrup A. Randomized trial on protein vs carbohydrate in ad libitum fat reduced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9 May;23(5):528-36. 42. Wylie-Rosett J. Evaluation of protein in dietary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988 Feb;11(2):143-8. 43. Breslau NA, Brinkley L, Hill KD, Pak CY. Relationship of animal protein-rich diet to kidney stone formation and calcium metabolism. J Clin Endocrinol Metab. 1988 Jan;66(1):140-6. 44. Larsen RN, Mann NJ, Maclean E, Shaw JE. The effect of high-protein, low-carbohydrate diets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a 12 month randomised controlled trial. Diabetologia. 2011 Apr;54(4):731-40. Epub 2011 Jan 20. 45. Kim MK (2000): A study of blood lipids concentration by sex, ageand life habit. Korean J Community Nutr 33(3): 343-352 46. Halkjaer J, T jnneland A, Thomsen BL, Overvad K, S rensen TI. Intake of macronutrients as predictors of 5-y changes in waist circumference. Am J Clin Nutr. 2006 Oct;84(4):789-97. 47. 윤영숙, 여성의 비만: Background of Epidemiology, 2004.대한비만학회2004 춘계학 술대회, Vol.0, No.0,

Startpage 211, Endpage 224, Totalpage 14

48. 홍세용, 1999년도 연수강좌 및 심포지움 : 신장-염분-고혈압.1999.대한신장학회지 부 록, Vol.18, No.3,

Startpage 265, Endpage 272, Totalpage 8

49. Shin. M.S. the properties of salts and their effects on salt vegetables.(1983) J. Korean Home Economic Assoc. 21: 55-63 50. Park SJ. Effects of commercial salts on growth of kimchi-related microorganism. (2001) J. Korean Soc.Food Sci. Nutr.30: 806-813 51. Kong, C.S., Bak, S.S., Jung, K.O., Kil, J.H., Lim, S.Y. and Park, K.Y. (2005)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salted mackerel with various kinds of salts.J. Kor. Fish. Soc., 38, 281-285 52. 박정욱,김선재,김설희,김보희,강성국,남상호,정순택. 연구노트 / 소금의 종류별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2000. 한국식품과학회지. 32(6) 1442~1445 53.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and Jung, S.T. (2000)

- 97 -


Fermentation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65-1370 54. 홍그루, Goal of systolic Blood pressure reduction in DM. 2010년 대한고혈압학회 추계학술 대회 및 연수강좌 55. Lee JE, Kim JH, Son SJ, Ahn Y, Lee J, Park C, Lee L, Erickson KL, Jung IK.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with nutrient intake and health-risk factors in Korean men. Nutrition. 2011 Jan;27(1):26-33. Epub 2010 Feb 19. 56. Cho ER, Shin A, Lim SY, Kim J. Dietary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ealth behaviours in Korea. Public Health Nutr. 2011 Feb;14(2):356-64. Epub 2010 Oct 19. 57. Song Y, Joung H.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metabolic syndrome abnormalitie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11 Jan 5. [Epub ahead of print] 58. Halkjaer J, Tjønneland A, Thomsen BL, Overvad K, Sørensen TI. Intake of macronutrients as predictors of 5-y changes in waist circumference. Am J Clin Nutr. 2006 Oct;84(4):789-97.

- 98 -


<별첨2‐1. 임상시험용 식단 작성기준>

1. 식단 작성 근거 1) 한국인의 한식 3첩 반상 기준 메뉴 구성 : 밥(현미위주 90%), 국, 김치, 3찬(숙채, 생채, 구이나 조림)

2) 주 식 : 밥을 주식으로 3끼 제공 3) 부 식 : 채소 위주의 반찬 6회/일 , 김치 3회/일 생선류 1회 50g (2회/주), 육류 1회/주 (50g이하), 견과류 10~20g (4회/주), 건어물 육 수용 : 6회/주, 멸치조림 : (15g) 3회/주, 식물성유(콩기름, 옥수수유) : 10g/일, 해조류 : 4~5회/주, 과일: 1~2회/일

2. 에너지 산정 기준

1) 에너지 산정방법 (한국인영양섭취 기준 ) ① 에너지 산정 근거 : 평균 1,800kcal - 남 : 2,100kcal(50~64yr :2,200, 65~74yr :2,000) - 여 : 1,700kcal(50~64yr :1,800, 65~74yr : 1,600) ②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비율(%) = 65 : 15 : 20

2) 식단구성 ① 주 식 : 일일 평균 칼로리 제공(평상시 식습관 유지하면서) ② 부 식 : 밥, 국 + 3찬 + 김치의 구성

3) 임상시험 식단 작성 기준 ① 주 식 : 주곡류(현미 90g) + 부곡류(기타곡류 : 10~20g) - 주곡류 : 현미쌀(현미찹쌀(45g) : 현미멥쌀(45g) = 1 : 1 + 부곡류 (10~20%) - 부곡류 : 서리태콩, 팥, 동부콩, 흑미, 조, 보리, 수수, 강낭콩 등 다양하게 사용

- 99 -


② 부 식 : 채소류 매끼 반찬 3찬 (숙채 1~2종, 생채 1~2종) 위주 ③ 단백질 : 식물성 위주 => 콩류(20g) 및 두부류 1~2회/일 - 오메가‐3계지방산 생선류(등푸른생선, 흰살생선) : 1주 2회 (50g) - 육류(살코기) : 50g이하/1주 - 멸치, 북어포, 건새우등 육수용 위주 5회 (5g)/주, 조림용 멸치 (15g) 3회/주 ④ 발효식품 : 김치 매일 3끼 제공 (천일염 사용) ⑤ 유 지 류 : 포화지방 가급적 섭취를 줄이고 트랜스지방은 제한 - 식물성유 : 들기름(들깨) 참기름(참깨)위주 사용, 식물성유 콩기름 사용하나 가급적 소량 사용 ⑥ 조 리 법 : 튀기는 조리방법은 가급적 자제, 굽기, 끓임, 삶기 등 습열 조리법 이용 ⑦ 당

류 : 단순당(설탕), 과당(물엿)은 피하고 조청을 사용

⑧ 양 념 류 : 재래식 전통장류(된장, 고추장, 간장 등), 천일염 사용 ⑨ 음 식 간 : 싱겁게 (조선간장, 천일염) ⑩ 과 일 류 : 1~2회/일 (100~200g)=>제철과일 이용 ⑪ 가공식품류 : 가급적 사용 제한

- 100 -


<별첨2‐2. 임상시험용 식단>

- 101 -


- 102 -


- 103 -


<별첨2‐3. 유전자검사 방법 및 결과>

당뇨/고혈압 환자의 GWAS 연구 1. Axiom™ Genome-Wide Human Array의 특성 ™

○ 기존 affymetrix사의 one-color system에서 Axiom

Genome-Wide Human

Assay는 차세대 SNP genotypeing system으로 AT base 와 GC bases가 두 개의 형광염색물질과

함께

ligated

되는

two-color

system으로

hybridization의

sensitivity와 ligation의 specificity를 향상시켜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졌음.

○ 18,000여개의 simple insertion/deletion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졌으며 SNP 당 probes 수를 2개로 감소시켜 feature size의 감소 및 scan 시간의 줄일 수 있게 되었음. 또한 50-150bp의 짧은 길이의 fragmentation으로 보다 정확한 결과와 높은 call rate의 결과를 얻음.

- 104 -


○ Axiom Array는 X, Y염색체 부위, 미토콘드리아 SNP 및 1000 genome project에서 새롭게 규명된 SNP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높은 정보력을 나타냄으로 새로운 질병관련 SNP 발굴의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다음은 염색체별로 포함된 SNP의 수를 나타낸 것임.

- 105 -


○ 다음은 SNP의 인종별 MAF 빈도를 나타낸 것임

MAF범위

YRI

CEU

CHB

JPT

Monomorphic

90,299

10,916

108,611

116,281

0<MAF<2%

6,460

9,104

21,506

16,949

2%≤MAF<5%

23,880

35,179

39,987

38,983

5%≤MAF<10%

41,346

50,621

54,205

53,279

10%≤MAF<20%

50,857

50,429

101,049

98,942

20%≤MAF<30%

34,069

31,577

78,594

79,775

30%≤MAF<40%

39,005

35,937

84,578

84,894

MAF≥40%

281,180

343,333

78,566

77,993

MAF

YRI

CEU

CHB

JPT

Monomorphic

15.90%

1.90%

19.20%

20.50%

0<MAF<2%

1.10%

1.60%

3.80%

3.00%

2%≤MAF<5%

4.20%

6.20%

7.10%

6.90%

5%≤MAF<10%

7.30%

8.90%

9.60%

9.40%

10%≤MAF<20%

9.00%

8.90%

17.80%

17.40%

20%≤MAF<30%

6.00%

5.60%

13.90%

14.10%

30%≤MAF<40%

6.90%

6.30%

14.90%

15.00%

MAF≥40%

49.60%

60.50%

13.90%

13.80%

- 106 -


○ Axiom Array는 Tagging SNP 방식을 이용한 illuminia chip과 비교했을 때 서구인에 서의 gene coverage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GWAS 연구의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 MAF<0.05의 rare SNP에서의 coverage는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 고 sample수에 따른 GWAS 연구의 검증 power 향상 측면에서도 Axiom이 효율적으 로 보고되었음.

<Coverage (fraction of SNPs covered at r2〉0.8) and average max r2 results for CEU and four genotyping platforms>

- 107 -


○ 1000 genome project에서 발굴된 SNP 및 HapMap DB의 tagging SNP이 포함된 Affymetrix Axiom chip은 24개 또는 96개 시료에 대한 다중분석이 가능한 자동화된 시스템으로서 질환관련 유전자의 감수성 SNP을 발굴할 기회를 확보하였으며 2009년 10월에 미국 최대의 보험사인 Kaiser Permanent사와 10만 명의 유전자 시료를 이용 한 유전역학 분석에 합의하였음.

○ Axiom Array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단시간에 효율적 분석으로 정확한 data를 생성할 수 있음.

- 108 -


2. 실험방법 (가) DNA quality 측정 분석대상자의 genomic DNA 10ng X 1μl를 reference DNA 1μl과 함께 1% agarose gel에서 40v로 2시간~2시간30분간 전기영동하여 정량된 DNA의 농도의 재확인 및 double band DNA의 여부, DNA degradation 등을 아래 그림과 같이 확인하여 quality가 낮은 시 료는 분석에서 제외함.

(나) Axiom

Genome-Wide Human Assay

분석 대상자의 genomic DNA 200ng을 이용하여 Affymetrix protocol에 따라 분석이 진 행되며 분석원리와 자세한 방법은 다음과 같음. 다음과 같은 4 과정을 Beckman Coulter Biomek FXP Target Prep Express liquid handler통해 자동화 분석법으로 진행함으로 실험자에 의한 hands on 시간을 줄이고 대량의 시료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

- 109 -


Part 1. Target preparation 24 또는 96개의 시료를 AxiomTM Genome-Wide Human Array Plates 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할 수 있음. 1. DNA준비 - 각각의 시료의 DNA농도는 정량하고 1% agarose gel상에서 QC 한 다음 - reduced TE로 10ng/μL로 희석한 DNA를 총 200ng 준비함. - 20μL의 DNA를 Beckaman Deep Well Titer plate에 분주함. - Reference Genomic DNA 103 control를 함께 20μL 준비함. Step 1. DNA Amplification - 다음의 시약을 실온에서 녹임 Axiom Genome-Wide Human Reagent Kit Axiom Denat Soln 10X Axiom Neutral Soln 10X Axiom Amp Soln Axiom Amp Enzyme Axiom Water

Module

Module 1, –20°C

- 모든 시약을 vortex와 잘 섞어 얼음에 둠. - Affymetrix GeneChip Hybridization oven을 30℃로 예열함 - 각 시약을 plate 의 다음 그림과 같이 위치시키고 DNA Amplification 을 시작함

- 10x Denat Soln(24 samples : 232 L/96 samples:538 L)과 Axiom Water (24 samples : 2088 L/96 samples:4842 L)를 D1 reservoir에서 mix하여 20 L씩을 sample plate에 분주 후 잘 섞은 후 3분 동안 실온에서 incubation - 4℃10X Neutral Soln (24 samples : 280 L/96 samples:730 L)과 Axiom Water (24 samples : 2520 L/96 samples:6570 L) 을 N1 reservoir에서 혼합 후 sample plate에 40 L씩 분주 후 잘 혼합

- 110 -


- Amp buffer (24 samples : 9880 L/96 samples:33820 L)과 4℃ Amp Enzyme (24 samples : 520 L/96 samples:1780 L)를 NM reservoir에서 혼합 후 320 L 씩 sample plate의 각 well에 분주 후 잘 섞은 다음 30℃ 오븐에서 22-24시간 incubation 진행함. Step 2. Fragmentation and Purification Reagent From the Axiom Genome-Wide Human Reagent Kit Axiom Frag Enzyme (leave at –20 °C until ready to use) Axiom 10X Frag Buffer Axiom Precip Soln 2 Axiom Frag Diluent Axiom Frag Rxn Stop Axiom Precip Soln 1 User-supplied Isopropanol, 99.5%

Module

Module 2

Box 1, –20°C

Module 2 Box 2, 2~8°°C 96 samples: 65 mL 24 samples: 20 mL

1. 준비과정 - 만일 증폭된 DNA 시료를 냉동보관 하였을 경우 Waterbath를 이용하여 모든 well이 다 녹을 때 까지 50분 정도 해동한 후 1000rpm에서 30초간 spin down - Axiom 10X Frag Buffer, Axiom Precip Soln 2는 실온에서 해동 2. 다음과 같이 시약을 정 위치에 놓고 Fragmentataion step 을 실시함.

- sample plate을 deck을 이용 65 ℃에서 20분, 40℃에서 20분 incubation하여 DNA amplification 반응을 중단시킴. - Fragmentation buffer을 45.6 L씩 sample plate의 각 well에 분주 후 잘 섞음 - 4℃의 Frag diluent (24 samples : 425.6 L/96 samples:1515.5 L) 와 Frag Enzyme (24 samples : 52.4 L/96 samples:186.5 L)를 Frag R Tube에서 잘 혼합한 후 11.4 L

- 111 -


sample plate에 분주 후 잘 섞고 deck에서 40℃로 30min incubation함 - Precipitation soln2 (24 samples : 48 L/96 samples:192 L)와 Precipitation soln1 (24 samples : 5760 L/96 samples:23040 L) 를 Preceip soln reservoir에 서 잘 섞은 후 precip plate에 240 L씩 분주 - stop solution 19 L를 sample plate에 분주 후 잘 혼합하여 fragmentation을 중지시 키고 precip plate의 내용물을 sample plate로 분주 후 혼합 - Isopropanol 600 L를 precip plate에 이전한 후 sample plate의 용액을 precip plate로 이전 후 잘 혼합하여 precipitation과정을 완료함. 3. Precipitation - deck에서 precipitation plate을 제거함 - plate 윗부분은 잘 닦고 밀봉함 - -20℃냉동고에 밤새 넣어둠 4. Centrifuge and Dry Pellets - 오븐을 48 ℃로 예열함 - plate을 3200xg 4℃에서 40 분간 원심분리함 - plate 의 덮개를 벗기고 뒤집어 불순물을 버림 - plate의 물기를 다 제거하고 다시 뒤집어 오븐 48℃에서 20분간 말림 - Fragmentation 후 25-125 bp의 DNA 절편이 있는지 gel QC로 확인함

- 112 -


Step3. Resuspension and Hybridization preparation Reagent From the Axiom Genome-Wide Human Reagent Kit Axiom Hyb Buffer Axiom Hyb Soln 1 Axiom Resusp Buffer Axiom Hyb Soln 2 Other Reagents Required Nuclease-Free Water, ultrapure MB grade (USB, P/N 71786; for OD and gel plate preparation) TrackIt Gel Loading Buffer, diluted

Module Module 2 Box 1, –20 °C Module 2 Box 2, 2–8 °C To fill line of divided reservoir 24 array plate: 4 mL 96 array plate: 8 mL

- pellets에 Axiom Resus buffer를 실온에서 1-1.5시간 부어둠 - Axiom Hyb Soln 1을 실온에서 해동함 - 그림과 같이 시약을 정 위치에 놓고 Resuspension and Hybridization preparation step을 진행함

- Precip plate에 Resusp Buffer 35 L를 넣고 잘 혼합. - 4℃ Hyb soln2 (24 samples : 468 L/96 samples:1197 L)와 4℃ Hyb soln1 (24 samples : 13468 L/96 samples:33.3 L)와 Hyb buffer (24 samples : 3679 L/96 samples:9409.8 L) 를 Master mix reservoir에서 잘 혼합한 후 80 L씩 precip plate 에 분주 후 잘 혼합 - Water reservoir에서 55 L씩 분주하여 dilution QC plate에 90 L씩 분주하여 OD QC plate를 준비하고 Dye reservoir plate에서 60 L 씩 QC plate에 분주함 - Hyb rex plate에서 5 L을 분주하여 QC plate에서 희석함 - dilution QC plate에서 10 L씩 분주하여 OD QC plate에서 잘 혼합 - Precei plate에서 115 L씩 Hyb Rxn plate에 분주하여 Hybridization을 진행

- 113 -


Step 4 — Preparation for GeneTitan™ - Hyb Rxn plate 는 PTC 200 thermal cycler에서 denaturing 함 - denatured sample을 Hyb Tray에 이전 - Axiom Wash A: 1. 30초간 Vortex 2.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3. precipitant을 눈으로 확인하여 존재 시 30초간 vortex 4. Axiom Wash A 를 reagent reservoir 에 부워둠 - Axiom Ligate Buffer: 1. 30분간 실온 방치 2. precipitant를 눈으로 확인하여 존재 시 30초간 vortex 3. precipitant를 재확인하여 여전히 존재한다면 손으로 따뜻하게 한뒤 30초간 vortex 4. Axiom Ligate Buffer를 reagent reservoir 에 부워 둠 - sample 이 -0℃ 에 저장되어 있었다면 30초간 1000rpm에서 vortex 후 얼음에 둠 - Preparation for GeneTitan™ Step 을 진행함 - GeneTitan MC 기기에 사용할 시약 tray에 다음과 같이 각각의 시약의 이름을 표기함

- 114 -


- 필요한 시약을 다음 그림과 같이 정 위치에 준비함

- Hyb Rxn plate을 PTC200 thermal cycler에서 95℃ 20분 48℃ 3분 동안 incubation함 - Scan Tray는 150 L hold buffer로 채움

- 115 -


- 4℃ stabilize diluent (24 samples : 332 L/96 samples:1208 L)와 water(24 samples : 2496 L/96 samples:10727 L)와 4℃ stabilize soln(24 samples : 39.84 L/96 samples:144.96 L)를 stabilize solution reservoir에서 잘 혼합 후 105 L씩 stabilize plate에 분주함 - Wash 7를 각각 stain I reservoir에는 (24 samples : 6278.4 L/96 samples:22233.6 L), stain 2 reservoir (24 samples : 3187.2 L/96 samples:11596.8 L) 씩 분주 - 4℃ stain buffer를 잘 혼합한 후 stain 1 reservoir (24 samples : 130.8 L/96 samples:463.2 L), stain 2 reservoir (24 samples : 66.4 L/96 samples:241.6 L)를 담고 각각 잘 섞이도록 함 - 4℃ stain1-A (24 samples : 65.4 L/96 samples:231.6 L)과 4℃ stain1-B (24 samples : 65.4 L/96 samples:231.6 L)를 stain 1 reservoir에서 잘 혼합 후 105 L씩 stain 1 plate 1과 stain 1 plate2로 분주 - 4℃ stain2-A (24 samples : 33.2 L/96 samples:120.8 L)과 4℃ stain2-B (24 samples : 33.2 L/96 samples:120.8 L)를 stain 2 reservoir에서 잘 혼합 후 105 L씩 stain 2 plate 에 분주 - 4℃ Ligation soln1 (24 samples : 415 L/96 samples:1510 L)와 4℃ Ligation soln2 (24 samples : 99.6/96 samples:362.4 L)와 4℃ Probe soln1 (24 samples : 332 L/96

samples:1208 L)와 4℃ Probe

soln2

(24

samples

:

332 L/96

samples:1208 L)와 Ligation buffer (24 samples : 2091.6 L/96 samples:7610.4 L) 와 Ligation enzyme (24 samples : 49.8 L/96 samples:181.2 L)를 Master mix reservoir에서 잘 혼합 후 105 L씩 ligation plate에 분주 - Axiom Genome-Wide Human Assay Array를 준비

- 116 -


- Hyb: array plate를 기기내부의 Hyb oven에 넣음. 각 Hyb Tray의 DNA를 array Plate로 옮겨 hybrizide 하는데 23.5 시간 소요 (24 , 96 samples 기준) - array에서 ligation, wash, stain 하고 고정하는 데 약 5시간 소요 - 스캔 : array plate를 scan 하는데 24개 시료는 약 2시간 96개 시료는 7.5 시간정도 소요됨(시료 당 약 5분)

- Array의 모습과 plate tray을 Genetitan system에 장착한 모습

- 다음은 scan후 BRLMM-P 에 기반 한 Axiom GT1 Algorithm 으로 plate에 따른 특 정 SNP의 genotype call의 예임.

- 117 -


3. 분석결과

(1) 대상샘플

Female

Male

Total

CASE

24

28

52

Control

117

33

150

Total

141

61

202

(2) 분석대상 SNP 개수 Chromosome

Count

Percent

분석대상

Autosome

579759

96.89%

Total

Pseudo-autosomal region of X

430

0.07%

Total

Mitochondrial

231

0.04%

Total

소계

580420

97%

X chromosome

16077

2.69%

Female

Y chromosome

1878

0.31%

Male

소계

17955

3%

총계

598375

100%

(3) 유의 SNP 개수 p-value

Count

cumulative

<1E-05

14

14

<1E-04

65

79

<1E-03

596

675

<0.01

4928

5603

<0.05

21131

26734

484665

511399

NS

- 118 -


(4) Manhattan Plot

(5) 유의 SNP 상위 20개 결과 No. 1

rs_number rs12206319

Chr 6

Position 142405419

Region

Gene

P_value 1.59E-06

log10P 5.798602876

2

rs12806296

11

105842879

3

rs4555590

4

89185024

intron

PKD2

2.33E-06

5.632644079

2.96E-06

4

rs6843032

4

89194708

intron

5.528708289

PKD2

3.28E-06

5.484126156

5

rs7216404

17

24239828

6

rs1979804

12

91776514

intron

FLOT2

3.45E-06

5.462180905

CDS

MAT2A

3.57E-06

5.447331784

7

rs17754755

14

65699262

8

rs28488143

5

127361652

4.23E-06

5.373659633

4.80E-06

9

rs4978900

9

112074201

5.318758763

6.72E-06

5.172630727

10

rs3130954

6

31280916

11

rs6614289

23

54806567

intron

7.26E-06

5.139063379

7.47E-06

5.126679398

12

rs7749578

6

142467245

13

rs728523

6

152344884

intron

ESR1

7.78E-06

5.109020403

9.15E-06

14

rs7748205

6

152321384

intron

ESR1

5.038578906

9.67E-06

5.014573526

15

rs7506734

18

38261477

16

rs2237777

7

126429691

intron

17

rs581364

11

104357313

18

rs7970286

12

91726932

CDS

19

rs11754599

6

28679263

20

rs7074356

10

82181314

intron

ITIH5L

GRM8 EEA1 C10orf58

- 119 -

0.000011

4.958607315

0.0000112

4.950781977

0.0000125

4.903089987

0.0000134

4.872895202

0.0000138

4.860120914

0.0000138

4.860120914


<별첨2‐4. 장내미생물검사 방법 및 결과>

당뇨/고혈압 환자 대상 임상실험 진행 후 메타지놈 변화 연구 Metagenomic DNA 준비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해 metagenomic DNA를 분리할 때 가장 조심해야 할 점은 원래 군집 구조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metagenomic DNA를 얻는 일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실 에서 대장균의 genomic DNA를 뽑는 방법은 대장균과 같은 그람 음성균에 비해 세포벽이 견고한 그람 양성 균의 DNA가 상대적으로 적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그람 양성균 의 두꺼운 세포벽을 파괴할 수 있는 protocol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ysozyme과 같 은 효소의 사용도 가능하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Physical disruption을 이용하는 것 이다. 미세한 고체 구슬(bead)을 세포와 섞고 agitation을 통해 물리적으로 세포벽을 파쇄하 는 bead beating 방법이 가장 널리 쓰인다. 토양과 분변 등에 그람 양성 세균이 비교적 많 으므로, 이를 Target으로 하는 Commercial Kit가 다수 나와 있으며, 시료의 종류(물,분변, 토양 등)에 상관없이 이들 Kit을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문제없는 metagenomic DNA를 얻을 수 있다. 다음은 본사에서 추천하는Metagenomic DNA 준비 절차를 설명한다.

Metagenomic DNA분리할 때 추천하는 Kit MoBio 사 (http://www.mobio.com/)에서는 용도에 맞게 Soil, Biofilm, Food, Fecal 용 DNA extraction kit를 판매하고 있다. 가장 PCR이 어려운 Soil 용 kit를 일반적으로 다른 종류에 적용해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다. (그림 1.) M 3

1 4

5

2 6 M. 1kb marker 1. Soil sample 2. Soil sample 3. Water sample 4. E. coli 5. Haloarcula marismortui 6. Streptomyces coelicolor 1% agarose gel (TAE)

그림 1. UltraClean TM Soil DNA Isolation Kit (cat. No. 12800‐50, MO BIO) 를 이용해 추출한 DNA

- 120 -


분리된 Metagenomic DNA의 검증 분리된 DNA는 순도나 양도 중요하지만, PCR이 되느냐가 결국 관건이다. 일반적으로 다 음의 PCR 조건을 이용해서 PCR이 되는지를 확인한다.

Primers Bacterial 16S rRNA의 경우 Forward

GAGTTTGATCMTGGCTCAG

Reverse

WTTACCGCGGCTGCTGG

Bifibacterium 16S rRNA의 경우 :

Bifibacterium은 Forward부분이 Bacteria 용 Primer와 상당히 다르다. 이 경우 Bifibacterium용 forward primer를 bacterial 16S rRNA primer에 10% 정도 섞 어 주면 모든 Bacteria분석과 함께 Bifibacterium도 분석이 가능하다. (fecal 시료 의 경우 추천함) Forward

GGGTTCGATTCTGGCTCAG

Reverse

WTTACCGCGGCTGCTGG

Archaeal 16S rRNA의 경우 Forward

TCCGGTTGATCCYGCCGG

Reverse

GGTDTTACCGCGGCKGCTG

Fusion Primers 실제 본사에서 Pyrosequencing 에 사용하고 있는 primer는 Fusion primer로, sequence 는 다음과 같다. l 참고로 위의 primer (Target region 의 sequence는 동일) 와 Fusion primer 로 PCR 을 했을 때의 결과는 다를 수 있다. Bacterial 16S rRNA의 Fusion Primers Forward

CCTATCCCCTGTGTGCCTTGGCAGTCTCAGACGAGTTTGATCMTGGCTCAG

Reverse

CCATCTCATCCCTGCGTGTCTCCGACTCAGATCAGCACACWTTACCGCGGCTGCTGG

- 121 -


Archaeal 16S rRNA의 Fusion Primers Forward

CCTATCCCCTGTGTGCCTTGGCAGTCTCAGAGTCCGGTTGATCCYGCCGG

Reverse

CCATCTCATCCCTGCGTGTCTCCGACTCAGCAGAGATGAGGTDTTACCGCGGCKGCTG

분석 의뢰 접수 전, PCR 을 확인할 때 위에서 제시한 primer 중 어떤 primer를 사용해도 무관하나, Fusion primer 를 사용할 실 경우, 본사의 PCR 결과와 최대한 동일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

PCR 조건 다음은 본사의 PCR 조건이다. 아래 조건과 최대한 유사하게 테스트해서 PCR이 성공적으 로 실행되면, 같은 DNA를 본사로 보냈을 때 성공확률이 높다 (그림 2). 시약/기기

Company/Model

Catalogue No.

PCR cycler

Applied Biosystems/ PTC‐200

Taq DNA polymerase, dNTPack

Roche

04 728 882 001

PCR Master Mix : Reagent

1 Tube

M olecular Biology Grade Water

40.7 ml

Buffer 10X + M gCl2

10X

5

ml

dNTPs

10 mM

1

ml

Primers (Forward/Reverse)

20 pM

2

ml

Taq Polymerase

5U/ml

0.25 ml

DNA (~100 ng)

1

Total

50

ml ml

* DNA 1 ml 를 넣어서 PCR 이 될 수 있도록 DNA를 희석 또는 농축하여 PCR을 수행한다. 시료의 종류에 따라 PCR에 적당한 농도가 다를 수 있다.

PCR program : Touch‐down Step

o

C

M in

Cycle

Initial denaturation

94

5:00

Denaturation

94

0:30

Annealing

60

0:45

10 o (-0.5 C/cycle)

Extention

72

1:30

Denaturation

94

0:30

Annealing

55

0:45

Extention

72

1:30

Hold

4

oo

20

* Touch‐down program 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 의뢰자가 사용한 프로그램을 시료 접수 시 제시한다.

- 122 -


M 3

1

2

4

M. 1kb marker 1. Soil sample 2. Water sample 3. E. coli 4. negative control

2% agarose gel (TAE)

그림 2. DNA 1 ml 를 이용해서 PCR을 수행한 산물

1. 실험방법 (emPCR & bead recovery, enrichment) 1.1 Preparation of the Live and Mock Amplification Mixes 1.1.1

Amplification Reagents enclosure내에서, 각각의 실험에서 필요한 emulsion의 수 에 따라 Live Amplication Mix를 준비한다. GS FLX Titanium SV emPCR kit – small, M/S, medium region gasket용

1.1.2 준비한 mix는 5초 동안 vortex하고 사용하기 전까지 2℃~8℃에 보관한다. 1.1.3 다른 tube에 MBG water 8ml(SVE:4ml)에 5X Mock Amp Mix 2ml(SVE:1ml)을 희석하여 vortex한 후 사용하기 전까지 2℃~8℃에 보관한다. 1.2 DNA Library Capture 1.2.1 10X Capture Bead Wash Buffer TW를 1X로 희석한다. 1.2.2 Emulsion enclosure 내에서 2개의 DNA capture beads를 vortex한다.(SVE: 1tube). 1.2.3 10초 동안 spin한 후 supernatant를 버린다.

- 123 -


1.2.4 각각의 bead tube를 1X Capture Bead Wash Buffer TW 1ml로 2번 씻어주고, 각각의 wash마다 spin-down하여 supernatant를 버린다. 1.2.5 Emulsion enclosure 내에서 DNA library를 녹이고 각각의 capture bead tube에 정확한 양의 DNA library를 첨가하고 5초 동안 vortex한다.( LVE :

6

6

35X10 ,SVE:2.4X10 )

1.2.6 각각의 emulsion reaction마다 library DNA mix를 포함하는 DNA Capture Beads를 준비한다. 1.3 Emulsification 1.3.1 TissueLyser에서 Emulsion Oil을 25Hz에서 2분 동안 미리 흔들어 섞어준다. 1.3.2 위에서 준비한 각각의 Emulsion Oil tube에 1X Mock Amp Mix 5ml을 첨가하고, 2~3번 뒤집어 섞어준 후 TissueLyser 25Hz에서 5분 동안 흔들어 섞어준다. 1.3.3 2에서 준비된 Captured library를 첨가(SVE : ~255ul)한 후 2~3번 뒤집어 섞어준다. 1.3.4 TissueLyser 12Hz에서 5분 동안 흔들어 섞어준다. 1.4 Amplification 1.4.1 emulsification후에 emPCR amplification mix를 96-well thermocycler plate에 well당 100ul씩 분주한다.(SVE : 10wells). 1.4.2 plate를 sealing하여 Amplification reaction을 진행하기 위해 amplicon room으로 이동한다. 1.4.3 Plate를 thermocycler에 넣고 아래의 amplification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Temperature

Time

94℃

04:00

94℃

00:30

58℃

04:30

68℃

00:30

10℃

Cycles

50 cycles

1.5 Bead Recovery (SVE) 1.5.1 1X Enhancing Fluid TW와 1X Annealing Buffer를 준비한다. 1.5.1.1

4X Enhancing Fluid TW에 187.5 ml 의 MBG water를 첨가한다. Mix and keep on ice.

- 124 -


1.5.1.2 10X Annealing Buffer TW에 72 ml의 MBG water를 첨가한다. Mix and keep on ice. 1.5.2 10ml syringe의 끝에 16 gauge blunt, flat tip needle을 직접연결하고, emlusion을 draw한다. (up to the equivalent of 4 emulsion tubes) Draw 할 때 한번에 3~4개 well을 draw하고, air를 제거한 후 다시 draw한다. 1.5.3 각 well에 100 ul 의 isopropanol을 첨가하고 같은 syringe로 isopropanol rinse needle로 잘 섞어준 후 draw한다. 1.5.4 모든 well에서 emulsion을 draw한 후 air를 3ml draw한다. 1.5.5 Blunt needle을 제거한다. 1.5.6 Syringe에 blue filter를 연결한다. ( without over tightening ) 1.5.7 Vortex 위에 kimwipe를 놓고, 5 sec 동안 vortex한다. 1.5.8 Syringe의 모든 content를 filter를 통해 waste jar에 버린다. 1.5.9 Bead를 isopropanol로 세 번 washing한다. 1.5.9.1 Syringe를 invert하여 3 ml 의 air를 draw한다. 1.5.9.2 Fresh isopropanol 3 – 5ml draw한다. ( syringe가 꽉 차 있으면 첫 번째 wash는 생략 ) 1.5.9.3 5초 동안 vortex한다. 1.5.9.4 Syringe의 모든 content를 filter를 통해 waste jar에 버린다. 1.5.10 Bead를 1X Enhancing Fluid TW로 세 번 washing한다. 1.5.10.1 Syringe를 invert하여 3 ml 의 air를 draw한다. 1.5.10.2 Fresh 1X Enhancing Fluid 3 – 5ml draw한다. 1.5.10.3 5 sec 동안 vortex한다. 1.5.10.4 Syringe의 모든 content를 filter를 통해 waste jar에 버린다. 1.5.11 아래 step을 두 번 반복 하여 filter에서 washed bead를 모은다. 1.5.11.1 Syringe를 invert하여 3 ml 의 air를 draw한다. 1.5.11.2 1X Enhancing Fluid TW를 syringe의 0.5 ml mark 까지 draw한다. 1.5.11.3 5 sec 동안 vortex한다. 1.5.11.4 즉시 syringe를 invert하여 3ml의 air를 세게 draw하여 filter에서 resuspended bead가 떨어져 나오도록 한다. 1.5.11.5 Syringe로부터 filter를 제거한다. 1.5.11.6 하나의 fresh 1.7ml tube에 bead suspension을 dispense한다. 1.5.11.7 첫 번째 collection 후에 syringe에 filter를 재결합한다. 1.6 DNA Library Bead Enrichment 1.6.1 Preparation for Indirect Enrichment 1.6.1.1 Heating dry-block을 켜고, 65℃로 맞춘다. 1.6.1.2 필요에 따라 Melt Solution을 준비한다.

- 125 -


1.6.1.3 Bead를 10초 동안 spin-down한 후, supernatant를 버린다. 1.6.1.4 dsDNA amplification product를 아래와 같이 처리하여 ssDNA bead를 준비한다. - Bead tube당 1ml의 Melt Solution을 첨가한 후 vortex하고 2분 동안 둔다. - minifuge에서 spin-down하여 bead를 pellet상태로 만든다. - Supernatant를 제거한다. 1.6.1.5

Bead pellet에 1ml의 1X Annealing Buffer TW를 첨가한 후 centrifugation 하는 방법으로 2번 씻어준다.

1.6.1.6

각 tube에 1X Annealing Buffer TW 45ul, Enrichment Primer 25ul를 첨가 한다.

1.6.1.7 65℃ heat block에 5분간 두고, 즉시 ice에 옮겨 2분 동안 둔다.. 1.6.1.8 1X Enhancing Fluid TW 800ul를 첨가하고 vortex한다. 1.6.1.9 centrifugation하여 bead를 pellet상태로 만들고 supernatant를 버린다. 1.6.1.10 Centrifugation을 이용하여, 1ml의 1X Enhancing Fluid TW로 두 번 씻어준다. 1.6.1.11 Supernatant를 제거한 후에 800ul의 1X Enhancing Fluid TW을 첨가하여 bead pellet을 풀어주고 vortex한다. 1.6.2 Preparation of the Enrichment Beads 1.6.2.1 Enrichment Bead를 잘 풀어주기 위해 1분 동안 vortex한다. 1.6.2.2 Enrichment Bead를 MPC에서 pellet상태로 만들어준다. 1.6.2.3 Enrichment Bead를 건드리지 않고 supernatant를 제거한다. 1.6.2.4

MPC를 이용하여 1ml의 1X Enhancing Fluid TW로 pellet 상태의 bead를 두 번 씻어준다.

1.6.2.5 Supernatant를 제거한 후에 MPC에서 tube를 분리하여 320ul의 1X Enhancing Fluid TW를 첨가하고 vortex한다. 1.6.3 Enrichment of the DNA-Carrying Beads 1.6.3.1 Washed Enrichment Bead의 80ul를 amplified DNA bead(I)의 각각의 tube에 첨가한다. 1.6.3.2 실온상태에서 5분 동안 rotation한다. 1.6.3.3 MPC에 tube를 놓고 pellet상태가 될 때까지 3~5분 기다린다. 1.6.3.4 Tube의 뚜껑을 잘 닫고 여러 번 천천히 뒤집어 섞어주면 supernatant가 milky 한 상태가 될 것이다. 1.6.3.5 Enrichment Bead를 건드리지 말고, 각 tube로부터 supernatant만 제거한다. 1.6.3.6 Bead를 1ml의 1X Enhancing Fluid TW로 supernatant에 bead가 없을 때까지 MPC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씻어준다. 1.6.4 Collection of the Enriched DNA Beads 1.6.4.1

MPC에서 tube를 분리하여 bead pellet을 700ul의 Melt Solution으로 잘 풀어 준다.

- 126 -


1.6.4.2 5초 동안 vortex하고 Enrichment Bead가 pellet상태로 되도록 tube를 MPC에 둔다. 1.6.4.3 두 개의 tube(one cup)로부터 enriched DNA를 포함하는 supernatant를 1.7ml microfuge tube로 옮긴다. 1.6.4.4 더 좋은 bead recovery를 위해 1~3의 과정을 반복한다. 1.6.4.5 Bead를 10초 동안 spin-down하고 supernatant를 버린다. 1.6.4.6

Melt Solution을 중화시키기 위해 Bead pellet을 1ml의 1X Annealing Buffer TW로 씻어준다.

1.6.4.7 마지막으로 bead pellet을 200ul의 1X Annealing Buffer TW로 잘 풀어준다. 1.7 Sequencing Primer Annealing 1.7.1 위에서 얻어진 product에 Sequencing Primer 50ul를 첨가한 후 vortex한다. 1.7.2 위의 tube를 65℃ heat block에 5분 동안 두었다가, 즉시 ice로 옮겨 2분 동안 둔다. 1.7.3

800ul의 1X Annealing Buffer TW를 넣고, pellet 상태로 만든 후 supernatant를 제거한다.

1.7.4 Bead pellet을 1ml의 1X Annealing Buffer TW로 두 번 씻어준다. 1.7.5 마지막으로 bead pellet에 1X Annealing Buffer TW 1ml을 첨가하고 잘 풀어준다. 1.7.6 아래 공식에 따라 %bead enrichment 를 결정한다. - Particle counter로 bead 3ul를 덜어 수를 센다.

- Percent enrichment 값이 5~15%사이일 때 좋은 secuencing결과를 얻을 수 있 는 library이다. 1.7.7 위의 bead(immobilized, clonally amplified DNA library)를 2℃에서 8℃에 보관한다.

- 127 -


2. 실험방법 (Sequencing Run단계 ) 2.1 Pre-Wash ( 매 단계마다 장갑을 교환한다.) 2.1.1 이전의 run에서 사용되었던 시약들을 버리고, reagents cassette를 헹구어 건조시킨다. 2.1.2 모든 Sipper Tube를 교환한다.

2.1.3 Pre-wash cassette를 준비한다.(pre-wash Tube Holder, Pre-wash Tubes, pre-wash Buffer) 2.1.4 PTP Cartridge를 교환한다. 2.1.5 시작버튼을 누르고, pre-wash를 선택한 후 다시 시작버튼을 누른다. ( 약 1시간 소요) 2.2 PicoTiterPlate Device Preparation 2.2.1 Bead buffer 2(BB2)를 준비한다 – 미리 차갑게 한 Titanium Bead Buffer 200ml에 1.2ml의 Titanium Supplement CB와 34ul의 Apyrase를 차례로 첨가한다. 각 시약을 첨가할 때는 ice위에서 하고 첨가할 때마다 부드럽게 섞어주다. 2.2.2 Prepare the PicoTiterPlate and Bead Deposition Devices 2.2.2.1 PTP ID 번호를 기록하고, PTP device를 BB2에 담근다. Bead Deposition Device(BDD)에 조립할 때까지 적어도 실온에서 10분 정도 둔다. 2.2.2.2 Bead loading Gasket과 BDD를 Sparkleen solution으로 씻어주고, 완전히 헹군 뒤 건조시킨다.

- 128 -


2.2.3 Prepare Packing beads 2.2.3.1 Packing bead를 9300Xg로 5분 spin하여 1ml의 BB2로 3번 씻어준다. 2.2.3.2 세 번 씻어준 bead는 550ul의 BB2로 잘 풀어주고, ice에 둔다. 2.2.4 Prepare the DNA Beads(Sample and control) 2.2.4.1 사용할 gasket에 크기에 따라 필요한 샘플 DNA의 수를 결정한다. 아래표 참조. 2.2.4.2 필요한 bead의 수와 library의 농도에 따라 DNA library bead suspension의 양을 계산한다. 2.2.4.3 적절한 크기의 깨끗한 tube에 계산된 양의 샘플 DNA library를 pipette으로 재서 넣는다.(large region:2ml, medium,M/S:1.7ml, small:0.2ml tube사용) 2.2.4.4 적정량의 Control DNA bead를 첨가한다. 아래표참조 2.2.4.5 1분 동안 spin-down한다. 2.2.4.6 아래표에 따라 사용할 gasket의 target volume을 초과하는 supernatant의 volume을 계산한다.

2.2.4.7 아래 표에 따라 DNA Bead Incubation Mix(DBIM)을 준비한다.

2.2.4.8 아래 표에 따라 각각의 DNA bead tube에 DBIM을 첨가하고 섞어준다.

2.2.4.9 샘플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lab rotator에서 incubation한다. 2.2.5 Prepare the s(BeadLayers1,3&4) 2.2.5.1 Enzyme과 PPiase Bead를 vortex하고, MPC에서 pellet상태로 만든 다음 supernatant를 제거한다.

- 129 -


2.2.5.2 MPC를 이용하여 Enzyme과 PPiase Bead를 1ml의 BB2로 3번 씻어준다. 2.2.5.3 Enzyme에는 BB2를 1000ul 첨가하고 PPiase Bead에는 500ul첨가한 후 vortex한다. 2.2.5.4 아래표와 같이 layer에 따라 bead를 준비하고, vortex한 다음 ice에 둔다.

2.2.6 Combine the DNA and Packing beads(Bead Layer2) 2.2.6.1 DBIM에서 DNA bead를 incubation한 후에 DNA bead가 있는 tube에 아래 표를 참조하여 washed Packing Bead와 BB2의 적정량을 옮기고 vortex한다.

2.2.6.2 실온에서 적어도 5분 동안 lab rotator에 둔다. 2.2.7 Assemble the BDD with the PTP Device and Bead Loading Gasket 2.2.7.1 장갑을 끼고, tray에 담겨 있는 PTP Device를 모서리부터 제거한다. 2.2.7.2 남은 BB2를 버리고 PTP device의 뒷면을 닦는다. 2.2.7.3 BDD에 Device와 bead Loading Gasket을 순서대로 끼워 장착한다.

- 130 -


2.2.8 Deposit the Four Layers of Beads on the PTP Device 2.2.8.1 Bead layer 1의 tube를 5초간 vortex하고, 아래표에 따라 PTP device region에 loading한다.

2.2.8.2 Loaded PTP device를 1620Xg에서 5분 동안 spin한다. spin하는 동안 3-I를 진행한다. 2.2.9 Deposit Bead Layer 2 : the DNA and Packing Beads 2.2.9.1 가능한 많은 layer 1 supernatant를 제거한다. 2.2.9.2 rotator에서 layer2 bead를 꺼내 아래 표에 따라 PTP device의 region에 load한다.

2.2.9.3 loaded PTP device를 1620Xg에서 10분 동안 spin한다. spin하는 동안 3-II를 진행한다. 2.2.10 Deposit Bead Layer 3 : the Enzyme Beads Post-Layer 2.2.10.1 Reagents cassette를 다룬 후에 장갑을 바꾼다. 2.2.10.2 Layer 2 supernatant를 제거한다. 2.2.10.3 Bead layer 3을 vortex하고, 아래표에 따라 PTP device의 region에 load한다.

2.2.10.4 loaded PTP device를 1620Xg에서 5분 동안 spin한다. spin하는 동안 5.2.3~4를 진행한다. 2.2.11 Deposit Bead Layer 4 : the PPiase beads

- 131 -


2.2.11.1 가능한 많은 layer 3 supernatant를 제거한다. 2.2.11.2 Bead layer 4를 vortex하고, 아래표에 따라 PTP device의 region에 load한다.

2.2.11.3 loaded PTP device를 1620Xg에서 5분 동안 spin한다. 2.3 Sequencing Run 2.3.1 Remove the Pre-Wash Cassette and Clean the Fluidics Area Deck 2.3.1.1 Pre-Wash Cassette를 제거하고, Fluidics Area Deck을 청소한다. 2.3.1.2 50% EtOH로 Fluidics area deck을 닦고, 건조시킨다. 2.3.2 Prepare and Load the Sequencing Reagents Cassette 2.3.2.1 Kit에 들어있는 Titanium Buffer CB 4개의 병에 6.6ml의 Titanium Supplement CB와 1000ul의 DTT를 차례로 첨가한다. 2.3.2.2 cassette에 Titanium Buffer CB와 Sequencing Reagents tray를 놓는다. 2.3.2.3 45ul의 Inhibitor TW reagent에 5ul의 PPiase reagent를 희석한다.(Reagents tray의 9번 위치) 2.3.2.4 한 Tube씩 차례로 아래 표에 따라 시약을 첨가한다.

2.3.2.5 시약을 다 첨가한 Sequencing Reagent tray를 20번 뒤집어 섞어준 후 용해되지 않은 입자들이 있는지 확인한다. 2.3.2.6 모든 시약병과 tube의 뚜껑을 열고 기계에 Reagents cassette를 장착한다. Sipper manifold를 아래로 내리고, 외부의 Fluidics door를 닫는다. 2.3.3 Clean the PTP Cartridge and the Camera Faceplate 2.3.3.1 이전에 사용된 PTP device와 cartridge seal을 PTP cartridge에서 제거한다. 2.3.3.2 50% EtOH로 catridge의 표면을 닦고, 건조시킨다. 2.3.3.3 Pre-moistended Zeiss tissue로 camera의 앞 표면을 부드럽게 닦는다. 2.3.3.4 10% Tween-20 용액으로 PTP cartridge의 표면을 닦는다. 2.3.3.5 기계의 computer에서 Run Wizard를 열고 Start를 누른다. 2.3.3.6 Run Wizard창에서 run setting을 위해 Wizard를 진행한다.

- 132 -


2.3.4 Insert the PTP Device and Launch the Sequencing Run 2.3.4.1 Cartridge seal을 설치한다. 2.3.4.2 Bead layer4의 centrifugation이 끝나면 각각의 PTP region에서 supernatant를 제거한다. 2.3.4.3 BDD에서 PTP device를 꺼내 PTP frame안으로 밀어 넣는다. 2.3.4.4 PTP frame을 닫고, PTP device의 뒷면을 kimwipe로 닦은 후 camera door를 닫는다. 2.3.4.5 Run Wizard의 마지막 창에서 Start버튼을 누른다.

- 133 -


- 134 -


- 135 -


- 136 -


분석결과 Group1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Cyanobacteria Firmicutes Planctomycetes Proteobacteria Tenericutes Verrucomicrobia Etc

1차 1.33 520.81 7402.67 4.00 2230.71 ‐ 358.86 33.33 2.33 399.44

Group2 2차

‐ 449.55 4096.10 8.50 2385.24 ‐ 89.90 12.20 14.60 35.67

1차 4.67 223.15 1922.15 14.00 1074.20 1.50 164.05 29.78 4.50 17.43

2차 ‐ 259.20 3265.35 37.75 2692.00 ‐ 307.00 56.46 8.77 37.4

변화 그룹 1 변이 그룹 2 변이 ‐ ‐ ‐71.26 36.05 ‐3306.57 1343.20 4.50 23.75 154.52 1617.80 ‐ ‐ ‐268.95 142.95 ‐21.13 26.68 12.27 4.27 ‐363.77 19.97

Mann‐Whitney test 전, 후 차이값에 대해서 두 그룹간에 동일한 지 검정함. 전, 후 차이값이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지 않음(Kolmogorov‐Smirnov test)

Actinobacteria P‐value : 0.9676 변수

Group1 N

평균값

Group2 표준편차

N

평균값

표준편차

Actinobacteria 변이

20

‐97.25

548.6019432

20

36.05

217.5554315

Actinobacteria_after

20

449.55

423.9371198

20

259.2

231.8453659

Actinobacteria_before

21

520.8095238

606.9764097

20

223.15

269.4308377

- 137 -


Bacteroidetes

P‐value : 0.0095

Group1

변수

N

평균값

Group2 표준편차

N

평균값

표준편차

Bacteroidetes 변이

21

‐3306.57

6266.66

20

1343.2

1872.22

Bacteroidetes_after

21

4096.1

1860.47

20 3265.35

1927.28

Bacteroidetes_before

21

7402.67

6467.13

20 1922.15

634.3021258

Firmicutes

P‐value : 0.0007

변수

Group1

Group2

N

평균값

표준편차

Firmicutes 변이

21

154.5238095

1490.07

Firmicutes_after

21

2385.24

935.2492665

Firmicutes_before

21

2230.71

1457.95

- 138 -

N

평균값

20 1617.8 20

표준편차 1313.06

2692

1526.1

20 1074.2

414.0474928


Proteobacteria

P‐value : 0.0008

변수

Group1 N

평균값

Group2 표준편차

N

평균값

표준편차

Proteobacteria 변이

21

‐268.952381

683.4671518

20

142.95

382.7075942

Proteobacteria_after

21

89.9047619

108.6604366

20

307

427.8798405

Proteobacteria_before

21

358.8571429

691.2329047

20

164.05

281.9573456

- 139 -


<별첨2‐5. 중대한 이상반응 보고서> (별지 제 8호 서식)

중대한 이상반응 보고서 기능성식품인체시험윤리위원회 위원장귀하 연구과제명 시험책임자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소속

의 뢰 자

전북대학교병원

직명·성명

고재기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1. 피험자 정보 (1) 피험자 이니셜 : SIS

(2) 피험자식별코드 : K41

(3) 생년월일 : 1945년 06월 23일

(4) 성별 : 남

2. 시험품 (1) 품

명 : 일반식‐ 별도의 식이 처방 없이 기존에 섭취하던 식이

(2) 투여경로 : 해당 없음 (3) 투 여 일 : 해당 없음 3. 중대한 이상반응 (1) 발생일 : 2010년 10월 14일 (2) 내 용 : □ 사망 (사망일 : 년 월 일), 사망원인 : □ 생명 위협 þ 입원 또는 입원기간 연장 (입원일 : 2010년10월14일) □ 중증 또는 영구장애 □ 선천성 기형 및 이상 □ 기타 중요한 의학적 사건 (구체적으로 기술) 4. 이상반응에 대한 처치 내용 기술 2010년10월 11일 동의서 작성 후 본 임상시험 일반식 군에 참여하여 2010년 10월13일 에 방문1을 진행 하였습니다. 본 임상시험의 계획서 상 방문1을 기준으로 ±3일 기간이 적용되어 2010년10월14일 심장초음파와 경동맥 초음파를 진행하였고, 심장초음파 결과

- 140 -


Conclusion 1. Calcified plaque at Rt. bulb & homogeneous plaque at Lt. ECA 2. Increased Rt. CCA IMT 나왔습니다. 입원치료를 요하여 심장초음파 후 바로 심장내과 에 입원하였습니다. 5. 시험품과의 연관성 □ 명확히 관련이 있음 (Certain) □ 상당히 관련이 있음(Probable / Likely) □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Possible) þ 관련이 없을 것으로 생각됨 (Unlikely) □ 관련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움 (Conditional / Unclassified) □ 평가 불가 (Unassessible / Unclassifiable) 6. 시험품 투여 중지 후 이상반응의 소실여부 □ 예 (구체적으로 기술)

þ 아니오

본 임상연구와 관련 없이, 원래 가지고 있던 질환을 임상시험 방문1 심장초음파를 통해 확인된 사항임. 7.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시 공존한 의학적 문제, 치료, 결과 등에 대해 기술 입원 8. 중대한 이상반응에 대해 추후관리 정보를 의뢰자에게 발송하였는지 여부 þ 예

□ 아니오

9. 서면동의서 양식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 □ 예 (필요 시 개정 서면동의서 양식 첨부)

þ 아니오

작 성 일 : 2010 년 10 월 15 일 작성자:

- 141 -

고재기( 서명)


(별지 제 8호 서식)

중대한 이상반응 보고서(초기) 기능성식품인체시험윤리위원회 위원장귀하

연구과제명

시험책임자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소속

의 뢰 자

전북대학교병원

직명·성명

고재기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1. 피험자 정보 (1) 피험자 이니셜 : GSJ

(2) 피험자식별코드 : K22

(3) 생년월일 : 1944년02월 05일

(4) 성별 : 여

2. 시험품 (1) 품

명 : 한식 ‐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사유형

(2) 투여경로 : 해당 없음 (3) 투 여 일 : 해당 없음 3. 중대한 이상반응 (1) 발생일 : 2010년 11월 05일 (2) 내 용 : □ 사망 (사망일 : 년 월 일), 사망원인 : □ 생명 위협 þ 입원 또는 입원기간 연장 (입원일 : 2010년11월08일) □ 중증 또는 영구장애 □ 선천성 기형 및 이상 □ 기타 중요한 의학적 사건 (구체적으로 기술) 4. 이상반응에 대한 처치 내용 기술 2010년 09월 17일 동의서 작성 후 본 임상시험 한식군에 참여하여 2010년 09월 27일부 터 한식을 섭취하시던 분으로 2010년 11월 05일 교통사고 후 왼쪽 어깨와 목의 타박상 으로 2010년 11월 08일 OO정형외과로 입원하심. 연구자에게 보고 하지 않은 상태로 한

- 142 -


식군 식이를 진행하다가 2010년 11월 09일 아침 식사하시러 와서 입원하여 식이를 도시 락으로 받겠다고 연구자에게 보고함. 중대 이상반응으로 중도 탈락되어야 하나 책임 연 구자 판단 하에 연구자 파일 작성 후 중도 탈락 없이 임상시험 진행하기로 함. K22 GSJ 피험자는 OO정형외과에서 처방한 약물은 복용하지 않고, 물리치료만 하였고 2010년 11 월 10일 퇴원 예정임. 5. 시험품과의 연관성 □ 명확히 관련이 있음 (Certain) □ 상당히 관련이 있음(Probable / Likely) □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Possible) þ 관련이 없을 것으로 생각됨 (Unlikely) □ 관련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움 (Conditional / Unclassified) □ 평가 불가 (Unassessible / Unclassifiable) 6. 시험품 투여 중지 후 이상반응의 소실여부 □ 예 (구체적으로 기술)

þ 아니오

7.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시 공존한 의학적 문제, 치료, 결과 등에 대해 기술 입원 8. 중대한 이상반응에 대해 추후관리 정보를 의뢰자에게 발송하였는지 여부 þ 예

□ 아니오

9. 서면동의서 양식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 □ 예 (필요 시 개정 서면동의서 양식 첨부)

þ 아니오

작 성 일 : 2010 년 11 월 09 일 작성자:

- 143 -

고재기( 서명)


(별지 제 8호 서식)

중대한 이상반응 보고서(추후) 기능성식품인체시험윤리위원회 위원장귀하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연구과제명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시험책임자

소속

의 뢰 자

전북대학교병원

직명·성명

고재기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1. 피험자 정보 (1) 피험자 이니셜 : BJN

(2) 피험자식별코드 : K06

(3) 생년월일 : 1961년10월 11일

(4) 성별 : 남

2. 시험품 (1) 품

명 : 한식 ‐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사유형

(2) 투여경로 : 해당 없음 (3) 투 여 일 : 해당 없음 3. 중대한 이상반응 (1) 발생일 : 2010년 10월 22일 (2) 내 용 : □ 사망 (사망일 : 년 월 일), 사망원인 : □ 생명 위협 þ 입원 또는 입원기간 연장 (입원일 : 2010년10월22일) □ 중증 또는 영구장애 □ 선천성 기형 및 이상 □ 기타 중요한 의학적 사건 (구체적으로 기술) 4. 이상반응에 대한 처치 내용 기술 초기보고 ‐ 2010년 09월 09일 동의서 작성 후 본 임상시험 한식군에 참여하여 2010년 09월 27일부터 한식을 섭취하시던 분으로 2010년 10월 22일 07시30분 식사 하시던 중 가슴이 답답하고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꼈다고 합니다. 07시45분

- 144 -


조백환 교수님께서 피험자 확인 후 심전도 Check, O2 Inhalation 하였습니 다. 심전도 상 ACUTE MI로 판독되어 시험 담당자 Dr. 최은경, RN 이누리 동행하여 응급실로 모시고 갔습니다. 응급실에서 추가적인 진료 받도록 임상 시험 관련 자료 COPY하여 드렸습니다. 추후보고 ‐ 진단명 ACUTE MI로 2010년10월22일부터 2010년10월25일까지 심장내과에 입원하여 퇴원하신 상태입니다. 2010년10월22일 응급실 통해 검사 후 CAG 시행하였고, single vv disease(mixed vasospasm) 진단되어 PCI 시행하였 습니다. 시술 이후 complication 소견 보이지 않아 medication에 CCB 추가 하여 외래 진료하기로 하고 퇴원하셨습니다. 2010년11월08일 외래 심장내과 와 내분비대사내과 진료 후 다른 처치 없이 증상 지켜보는 중입니다. 5. 시험품과의 연관성 □ 명확히 관련이 있음 (Certain) □ 상당히 관련이 있음(Probable / Likely) □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Possible) þ 관련이 없을 것으로 생각됨 (Unlikely) □ 관련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움 (Conditional / Unclassified) □ 평가 불가 (Unassessible / Unclassifiable) 6. 시험품 투여 중지 후 이상반응의 소실여부 □ 예 (구체적으로 기술)

þ 아니오

7.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 시 공존한 의학적 문제, 치료, 결과 등에 대해 기술 입원 8. 중대한 이상반응에 대해 추후관리 정보를 의뢰자에게 발송하였는지 여부 þ 예

□ 아니오

9. 서면동의서 양식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 □ 예 (필요 시 개정 서면동의서 양식 첨부)

þ 아니오 작 성 일 : 2010 년 11 월 10 일 작성자:

- 145 -

고재기( 서명)


(별지 제 8호 서식)

중대한 이상반응 보고서 기능성식품인체시험윤리위원회 위원장귀하 연구과제명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시험책임자

소속

의뢰자

전북대학교병원

직명·성명

고재기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1. 피험자 정보 (1) 피험자 이니셜 : GSU

(2) 피험자식별코드 : K08

(3) 생년월일 : 1933년07월 20일

(4) 성별 : 남

2. 시험품 (1) 품

명 : 한식 ‐ 한국인이 섭취하는 식사유형

(2) 투여경로 : 해당 없음 (3) 투 여 일 : 해당 없음 3. 중대한 이상반응 (1) 발생일 : 2010년 11월 20일 (2) 내 용 : □ 사망 (사망일 : 년 월 일), 사망원인 : □ 생명 위협 þ 입원 또는 입원기간 연장 (입원일 : 2010년11월20일) □ 중증 또는 영구장애 □ 선천성 기형 및 이상 □ 기타 중요한 의학적 사건 (구체적으로 기술) 4. 이상반응에 대한 처치 내용 기술 2010년 09월 17일 동의서 작성 후 본 임상시험 한식군에 참여하여 2010년 09월 27일부 터 한식을 섭취하시던 분으로 2010년 11월 20일 07시15분 어지럽고 오른쪽 팔의 느낌 이 안좋다고 표현함. 혈당 104mg/dl, 혈압 136mmHg, 맥박 88회 체크됨. PI 박태선 교 수님께 보고 후 응급실 진료보기로 함. 응급실에서 일반 혈액검사, CT, MRI 체크 후 이상 없다고 하여 17시25분에 퇴원함.

- 146 -


5. 시험품과의 연관성 □ 명확히 관련이 있음 (Certain) □ 상당히 관련이 있음(Probable / Likely) □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Possible) þ 관련이 없을 것으로 생각됨 (Unlikely) □ 관련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움 (Conditional / Unclassified) □ 평가 불가 (Unassessible / Unclassifiable) 6. 시험품 투여 중지 후 이상반응의 소실여부 □ 예 (구체적으로 기술)

þ 아니오

7.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시 공존한 의학적 문제, 치료, 결과 등에 대해 기술 응급실 입원(6시간 이상) 8. 중대한 이상반응에 대해 추후관리 정보를 의뢰자에게 발송하였는지 여부 þ 예

□ 아니오

9. 서면동의서 양식의 변화가 필요한지 여부 □ 예 (필요 시 개정 서면동의서 양식 첨부)

þ 아니오

작 성 일 : 2010 년 11 월 22 일 작성자:

- 147 -

고재기( 서명)


<별첨 2-6. 외국인 대상 임상시험성적서> 임상시험계획서번호 : CUH_KOREAN_FOOD_2‐2_F_2010

1. 임상시험제목 외국인 비만 피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체지방과 복부지방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2. 시험자 및 기타시험참여자 임상시험실시기관 및 기관장 :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터장 채 수 완

1) 시험책임자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영양치료학과 교수 조 백 환 MD, Ph.D.

2) 시험담당자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소병옥, 최은경, 정수진, 전지영,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허민주, 박은옥, 김혜미, 박성은, 유일한, 한수미, 신자현, 이미자, 이정현, 조명진, 노수미, 김종옥, 문은실, 이누리, 양지영, 최윤희, 오경선, 이효정, 정진아 전북대학교병원 임상연구소 김민걸, 황민호, 임용진

3) 모니터요원 ㈜헬스케어크레임스엔드멘내지멘트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 949‐10번지

4) 임상시험용식이 관리영양사의 성명 및 직명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정수진, 김선영, 백향임, 오미라, 박수현, 허민주, 박은옥, 김혜미, 유일한 영양사

- 148 -


3. 윤리적 고려 1) 임상시험실시기관에서의 임상시험계획서 심의 임상시험계획서는 피험자의 안전을 충분히 고려하여 작성되었으며, 전북대학교병원의 기능 성식품인체시험심사위원회(IRB)가 심의하여 임상시험 수행을 결정하였다.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기능성식품인체시험심사위원회 최초 승인 일자 : 2010. 10. 15

2) 피험자 동의 피험자에게 임상시험의 목적과 내용 및 임상시험용식이의 효과, 이상반응에 대하여 사전에 충분히 설명한 후, 피험자의 서면 동의를 받아 시험을 진행하였다.

4. 서론 한식의 우수성 구명에 외국인 대상의 임상시험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국내에 거주하는 서양 백인을 대상으로 한식의 선호도와 비만과 혈중지질의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를 추가 진 행하였다.

5. 임상시험의 목적 비만 피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나타나는 다음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 한식 섭취에 의한 체지방 및 복부지방 감소 평가 2) 한식 섭취에 의한 지질과 지단백지표 감소 평가

6. 대상질환 비만

7. 임상시험계획 1) 임상시험 방법 본 임상시험은 a 8‐week, non‐comparative, open label study로써 비만한 외국인(서양 백인) 피험자 2명을 선정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자원자에 한하여 임상시험 예정일(1 일)로부터 ‐28일~‐1일 이내에 문진, 신체검진, 검사 실검사 등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여 본 임상시험에 피험자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를 선정하고 피험자 번호를 부여하였다. 피험자는 0주(‐3일~3일)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여 기저치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군으로 배정된 피험자는 총 8주 간 매일 오전 7시(아침식사), 오후

- 149 -


12시(점심식사), 오후 6시경(저녁식사) 시험자가 제공하는 식이를 정해진 장소에서 섭취하 고, 일상생활을 하였다. 피험자는 26 일 ~ 32 일(4 주), 54 일 ~ 60 일(8 주) 전북대학교 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 방문하여 정해진 검사를 받고 총 8주간의 임상시험 일정 을 마쳤다.

2) 검사방법 및 임상시험용식이의 제공 (1) 검사방법 - 인구학적 정보 - 가족력 (Family history) - 신체계측 - 병력조사 - 신체검진 - 활력징후 -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복부지방 CT 촬영은 피험자가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64채널 다중검출 CT(64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SOMATOM Sensation 64, SIEMENS. Germany)로 촬영하며 촬영부위는 S1에서 위로 120mm이며, 촬영 간격은 5mm, 지방의 Hounsfield값은 ‐195~‐45로 하였다. 총 지방과 피하지방, 내 장지방 측정단위는 부피(cm3)로 하였다. - 12‐lead 심전도 - 검사실검사 원칙적으로 공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혈액학적 검사 WBC RBC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Neutrophil (seg)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혈액생화학적 검사 ALP ALT AST γ‐GT Total protein Albumin BUN Creatinine CK (CPK) Glucose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 HDL‐C ApoA1, ApoB, ApoE

- 150 -

뇨 검사 Specific gravity pH Protein Glucose Ketone Bilirubin Urobilirubin Nitrite Microscopic (RBC, WBC)


- 임상시험용식이 제공 - 이상반응모니터링 - 병용약물 (Concomitant medication) - 순응도 및 섭취량

** (1)~(6), (8), (10)~(13) 본 연구에 사용한 검사방법은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중 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과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3) 피험자의 선정 본 임상시험의 피험자는, 모든 선정기준 항목에 합당하면서 제외기준 중 어떠한 항목에도 해당하지 않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단, 검사실검사에서 사소한 일과성 이상을 보 일 때(AST, ALT를 제외한 화학일반검사에서 각 검사항목의 정상범위 상한치의 1.5배 이하 이거나, 소변 검사 상 albumin, ketone trace(±) 이하 등) 또는 시험자가 이러한 변화가 본 임상시험에 미치는 영향이 작고 피험자에게도 위해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적격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그 내용을 증례기록서의 해당란에 상세히 기록하였다.

(1) 선정기준 - 외국인 - 스크리닝 검사 당시 연령이 만18세 이상 65세 이하인 성인 남녀 - 스크리닝 검사 당시 BMI 30 kg/m2 이상이고, WHR(Waist Hip Ratio)가 남성 0.95, 여성 0.90 이상을 만족하는 자 - 본 임상시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듣고 완전히 이해한 후, 자의로 참여를 결정하고 주의사항을 준수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

(2) 제외기준 - 스크리닝 검사 전 3개월 이내에 10% 이상 체중이 감소한 피험자 - 5년 이내에 특정질환의 병력 및 과거력이 있는 자 - (간, 신장, 신경계, 호흡기계, 내분비계, 혈액∙종양, 악성종양, 정신질환, 심혈관계 질환) - 임상시험용제품의 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장관계 질환 (예 : 크론씨 병) 이나 위장관계 수술(단, 단순 맹장수술이나 탈장수술은 제외)의 과거력이 있는 자 - 약물이나 알코올에 의존병력이 있는 환자

- 151 -


- 임신 혹은 수유 중인 여성 - 임신 가능성이 있는 가임여성 중 적절한 피임법의 시행을 수용하지 않은 경우 (단, 불임수술을 받은 여성은 제외) - 식이처방에 따른 음식물 섭취를 수행할 수 없는 자 - 첫 섭취일 전 2개월 이내에 타 임상시험에 참여한 자 - 진단검사의학 검사결과를 비롯한 기타 사유로 인하여 연구책임자가 연구 참여에 부 적합하다고 판단한 자

4) 임상시험 진행 일정 및 임상시험용식이 (1) 방문별 임상시험 진행 일정 ○ 스크리닝 검사 대상 피험자의 적합성 스크리닝 검사는 개별 피험자에 대하여 임상시험 수행일(1d)로부터 4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다음 검사에 의해 임상적으로 유의한 이상이 있는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 서면동의 - 인구학적 조사 - 병력 및 약물투여력 조사 - 음주 / 흡연 조사 - 선정/제외기준 점검 - 신체검진 - 체지방측정 (Inbody 720) - 활력징후 - 신체계측 - 심전도 - 검사실검사 ○ 제 1차 방문 - 병력 및 약물투여력 조사 - 음주 / 흡연 조사 - 신체검진 - 체지방측정 (Inbody 720) - 활력징후 - 신체계측

- 152 -


- 검사실검사 - 복부지방 CT 촬영 - 임상시험용식이 제공 - 식이섭취조사(식사기록법) ○ 제 2차 방문 - 제1차 방문과 동일(복부지방 CT 촬영 제외) - 임상시험용식이 순응도 및 섭취량 확인 - 이상반응 확인 ○ 제3차 방문 - 제1차 방문과 동일(복부지방 CT 촬영 포함) - 심전도 - 임신반응 검사 - 임상시험용식이 순응도 및 섭취량 확인 - 이상반응 확인 (2) 배정방법 ○ 스크리닝번호 부여방법 임상시험에 참여하고자 서면 동의한 자원자에게 스크리닝 번호를 부여하였다. 스크리닝 번호는 S01로 시작하는 전체 세 자리, 숫자 두 자리로 구성되며, 동의서를 받은 순서대로 부여하였다. ○ 피험자번호 부여방법 스크리닝 검사를 최종적으로 통과한 순서대로 배정하여 피험자 번호를 부여하였다. 피험자 번호는 KF01로 시작하는 전체 네 자리, 숫자 두 자리로 일정한 규칙을 갖는다. 피험자번호 숫자부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숫자와 두 번째 숫자는 참여한 피험자의 순서를 나 타내며 01~99까지 나타낼 수 있다. 각 피험자에게 부여된 피험자번호는 임상시험이 끝날 때까지 피험자를 인식하는 피험자식별코드(subject identification code)로 사용되었다. ○ 병용금지 약물 다음에 열거하는 약물은 임상시험 기간 동안 병용투여를 금지하였다. - 항비만제제 : sibutramine 등 - 체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 : 경구용 스테로이드, 갑상선 호르몬, 싸이프로 헵타딘, 페노다이다진, 혈당강하제, 이뇨제, 체중감소제, 식이보조제, 완하제, 암 페타민, 모든 항우울제, 항세로토닌약, 바비투레이트, 항정신병약 등 - 비만개선 건강기능식품 및 연구자가 인정하지 않는 약물 및 식품 등

- 153 -


○ 임상시험용식이 - 임상시험용식이의 선정 및 섭취기간, 섭취방법, 순응도 및 섭취량 확인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과 동일한 식단으로 임상시험 용식이를 8주 동안 제공하였다. ○ 임상시험용식이의 섭취량 및 섭취열량과 설정근거 - 각 피험자 별 적정 칼로리를 산정하여 식사와 간식을 제공하였다. 피험자는 시험 자에 의해 제공되는 표준화된 1인 1회 분량의 식사를 자유롭게 섭취하였다. <별첨 2‐1> 임상시험용 식단 작성 기준 <별첨 2‐2> 임상시험용 식단

5) 유효성 및 안전성 관련 변수 (1) 유효성 평가 ○ 1차 유효성 평가 변수 한식 섭취 전 후 체지방 수치와 복부지방 면적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 2차 유효성 평가 변수 한식 섭취 전 후 피험자 개인별 체중, 허리·엉덩이 둘레, 상완 둘레, 허벅지 둘레, 체질량 지수(BMI, kg/m2), 피부두겹두께(삼두근, 견갑골 하부 측정), 지질 및 지단백의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2) 안전성 평가 ○ 이상반응 임상시험 기간 동안 보고된 모든 이상반응을 기술하였다. ○ 검사실검사, 활력징후, 심전도 개인별 검사실검사, 활력징후, 심전도 등을 기술하였다.

6) 임상시험 계획서의 통계적 분석방법 및 피험자 수 (1) 통계적 분석방법 본 연구는 외국인 피험자의 한식 섭취 가능성 및 그에 따르는 문제점 파악과 더불어 한식 섭취 후의 체지방 감소에 대한 유효성을 알아보고자 한 임상시험이다. 따라서 이는 시험의 성격상 반드시 통계적 가설검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피험자 개인별 사례연구로 대신하고자 하였다. - 154 -


(2) 피험자 수 ○ 목표한 피험자 수 – 2명 ○ 설정근거 본 임상시험은 외국인 피험자의 한식 섭취의 가능성 및 그에 따르는 문제점 파악과 더불 어 한식 섭취 전ᆞ후의 체지방 및 복부지방 변화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임상시험 이다. 이는 전형적인 통계적 가설 검정을 위한 시험과는 성격이 다르며, 어떤 수식에 의한 근거보다는 그 목적을 충족시키는 한도 내에서 경험적으로 요구되는 최소한의 피험자 수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임상시험 피험자 수를 2명으로 설정하였다.

7) 자료의 질 보증 임상시험 자료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조치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과 동일 하게 시행하였다.

8) 임상시험 수행 및 분석방법의 변경 임상시험 수행 중 몇몇 항목에 대하여 최초 승인된 계획서로부터 변경사항이 있었다. 그러 나 임상시험 전체 일정에 영향을 줄 정도의 중대한 사항은 없었다.

9) 피험자 (1) 피험자의 임상시험 참여 실태 본 임상시험의 목표 피험자 수는 2명으로 2명의 자원자가 스크리닝 검사를 받았다. 자원 자는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피험자적합성 평가를 통해 적격 피험자로 선정되어 시험계획 서에 따라 정상적으로 시험을 종료하였다. (2) 임상시험계획서 위반 임상시험계획서를 위반한 사례는 2건 발생하였다. ① 프로토콜 상 스크리닝 시에 피부두겹 두께를 측정하여야 하나 본 임상시험 수행 과 정에서 2010년 10월 18일 스크리닝 시에 피험자 KF01(DJ), KF02(JA)의 허리. 엉덩이 둘레만 측정하여 임상시험계획서(protocol)를 불이행하였다. 이에 대하여 임 상시험책임자는 임상시험 데이터의 baseline이 스크리닝 방문이 아닌 1차 방문이므 로 여타 임상시험 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② 본 연구에 참여하는 피험자는 매 방문 시마다 음주 및 흡연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

- 155 -


KF01(DJ)의 음주량이 탈락기준을 초과하기는 하였으나 본 연구는 최소한의 피험자 수로 진행이 되는 임상시험이기 때문에 피험자 KF01(DJ)가 탈락 될 경우 임상시험 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식이교육 및 상담을 통해 알코올 섭취를 줄이도 록 지도하였다. (3) 순응도 및 섭취율 평가 피험자들의 총 순응도는 96.4% 이었고 평균적으로 제공되는 식이 중 약 73.3%를 섭취하 였다.

10)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방법 및 해석방법 (1) 사례연구1‐KF01 ○ 인구학적 정보 피험자 KF01은 40세의 캐나다 남성으로 1차방문 당시 키 182 cm, 체중 100.9 kg, BMI 30.5 kg/m2, WHR 1.03으로 피험자 선정/제외기준에 부합하여 본 임상시험에 참여하 였다. (표 1). 표 1. 인구학적 정보 Age (years)

40

Sex (M/F)

M

Height (cm)

182

Weight (kg)

100.9

2

BMI (kg/m )

30.5

WHR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1.03

음주력(Units/week)

6.7

흡연력(Pieses/day)

2

○ 1차 유효성 평가 - 체지방 피험자 KF01의 체지방량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28.2 kg에서 섭취 4주째 25kg, 섭 취 8주 후 21.6kg 으로서 총 6.6kg 감소하였다(표 2).

- 156 -


표 2. 방문별 체지방 변화

Body fat mass (kg)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28.2

25

21.6

- 복부지방면적 피험자 KF01의 총 복부지방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6203.77 cm3에서 섭취 8주 후 4792.17 cm3으로 1411.6 cm3 감소하였다. 내장지방은 섭취 전 2827.26 cm3에서 섭취 8 주 후 1886.77 cm3으로 940.49 cm3 감소하였으며, 피하지방은 3376.51 cm3 에서 2905.4 cm3 로 471.11 cm3 감소하였다 (표 3, 그림 1~2). 표 3.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 섭취 8주 후 복부지방면적 변화 1차방문

3차방문

Total fat (cm3)

6203.77

4792.17

3

2827.26

1886.77

Subcutaneous fat (cm )

3376.51

2905.4

Visceral/Subcutaneous fat ratio

0.84

0.65

Visceral fat (cm ) 3

그림 1.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복부지방 CT

그림 2.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8주 후 복부지방 CT

○ 2차 유효성 평가 - 체중 및 체질량지수 피험자 KF01의 체중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00.9 kg에서 섭취 8주 후 93kg으로 2

2

2

7.9kg 감소하였으며, 체질량지수는 30.5 kg/m 에서 28.1 kg/m 으로 약 2.4 kg/m 감소하 였다 (표 4).

- 157 -


표 4. 방문별 체중, 체질량지수 변화

Weight (kg)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100.9

96.5

93.0

30.5

29.1

28.1

2

BMI (kg/m )

- 허리·엉덩이·상완·허벅지 둘레 및 허리·엉덩이 둘레 비 피험자 KF01의 허리둘레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12.9 cm에서 섭취 8주 후 103.3 cm로 9.6 cm 감소하였으며, 엉덩이둘레는 110.0 cm 에서 106.7 cm 로 3.3 cm 감소하였 다. 허리엉덩이둘레 비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03에서 섭취 8주 후 0.97로 0.06 감소 하였다. 상완둘레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34.5 cm에서 섭취 8주 후 35 cm로 0.5 cm 증가하였으며, 허벅지둘레는 61 cm 에서 56 cm 로 5 cm 감소하였다 (표 5). 표 5. 방문별 허리·엉덩이·상완·허벅지 둘레 및 허리·엉덩이 둘레 비 변화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Waist circumference (cm)

112.9

108.5

103.3

Hip circumference (cm)

110.0

110.2

106.7

WHR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1.03

0.98

0.97

Mid upper arm circumference (cm)

34.5

33.2

35

Thigh circumference (cm)

61

58.5

56

- 피부두겹두께(삼두근, 견갑골 하부) 피험자 KF01의 삼두근 피부두겹두께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8.7mm에서 섭취 8주 후 20.4mm로 1.7mm 증가하였으며, 견갑골 하부 피부두겹두께는 23.7mm 에서 21.7mm 로 2mm 감소하였다 (표 6). 표 6. 방문별 피부두겹두께 변화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Triceps skinfold thickness (mm)

18.7

18.1

20.4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 (mm)

23.7

22.3

21.7

- 혈중지질 및 지단백 피험자 KF01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224 mg/dL 에서 섭취 8주 후 202 mg/dL로 22 mg/dL 감소하였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 158 -


은 섭취 전 40 mg/dL에서 섭취 8주 후 38 mg/dL로 2 mg/dl 약간 감소하였으나 변화량에 임상적인 의미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41mg/dL에서 섭취 4주째 101 mg/dL 로 감소하였다가 섭취 8주 후 133 mg/dL 다시 상승하였는데, 섭취 전과 8주 후를 비교하면 8 mg/dL 감소하였다. 그리고 중성지방 (trg/lycergde)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337 mg/dL에서, 섭취 4주째 809 mg/dL 로 증 가하였다가 섭취 8주 후에 200 mg/dL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4주째에 중성지방 수치가 809 mg/dL 로 높게 측정된 이유는 검사 전날 피험자가 육류 및 알코올을 상당량 섭취하였기 때 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섭취 전과 섭취 8주 후를 비교하면 137mg/dL 감소하였다. 또한 지질 운반체로 알려진 혈중 아포지단백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아포지단백 A1은 동맥 경화의 억제인자, 아포지단백 B는 동맥경화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피험자의 아포지단 백 A1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43mg/dL에서 섭취 4주째 1.27mg/dL로 감소하였다가 섭취 8주 후 1.32mg/dL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아포지단백 B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09mg/dL에서, 섭취 4주째 0.9mg/dL 로 감소하였다가 섭취 8주 후 0.97mg/dL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아포지단백 E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6.0mg/dL에서, 섭취 4주째 8.1mg/dL로 증가하 였다가 섭취 8주 후 4.9mg/dL으로 감소하였다. 아포지단백 B/ 아포지단백 A1비(Apo B/Apo A1 Ratio )는 대사증후군과 동맥경화증에 관련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0.76, 섭취 4주째 0.71, 섭취 8주 후 0.73 로 측정되었다 (표 7). 표 7. 혈중지질 및 지단백 변화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Total cholesterol (mg/dL)

224

206

202

HDL‐cholesterol (mg/dL)

40

32

38

LDL‐cholesterol (mg/dL)

141

101

133

Triglyceride (mg/dL)

337

809

200

Apo A1 (g/dL)

1.43

1.27

1.32

Apo B (g/dL)

1.09

0.9

0.97

Apo E (g/dL)

6.0

8.1

4.9

Apo B/Apo A1 Ratio

0.76

0.71

0.73

○ 안전성 평가 - 자 ·타각 증상 등 이상반응 피험자 KF01에게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후 8주 동안 1건의 이상반응이 발생하였다. 발생 한 이상반응은 인후통으로 임상시험용식이와 인과관계는 없었다.

- 159 -


- 검사실검사 방문 별 측정 결과는 표 8에 요약하였다. 검사실검사 결과 임상시험용식이 섭취기간 동안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8. 방문별 검사실검사 변화 3

White blood cell (×10 /μL) 3 Red blood cell (×100 /μL) Hemoglobin (g/dL) Hematocrit (%) 3 Platelet (×10 /μL) SEG (%) Lymphocytes (%) Monocytes (%) Eosinophils (%) Basophils (%) ALP (IU/L) GGT (IU/L) AST (IU/L) ALT (IU/L) Total bilirubin (mg/dL) Total protein (g/dL) Albumin (g/dL) BUN (mg/dL) Creatinine (mg/dL) Creatine kinase (IU/L) Glucose (mg/dL)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7.34 5.18 15.7 45.6 242 57.4 29.2 7.5 5.6 0.3 77 91 43 64 0.35 6.6 4.4 14 0.73 437 92

7.66 5.24 16.4 47.4 244 50.4 37.2 5.1 7 0.3 65 65 28 47 0.26 6.3 4.4 14 0.47 137 94

6.68 5.39 16.3 46.9 253 62.2 29 5.5 3 0.3 74 65 23 35 0.81 6.8 4.7 15 0.85 184 106

- 활력징후 방문 별 측정결과는 표 9에 요약하였다. 임상시험용식이 섭취기간 동안 활력징후에 유의 한 임상적인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9. 방문별 활력징후 변화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SBP (BPM)

123

119

115

DBP (BPM)

78

73

72

Pulse (bpm)

79

75

79

- 심전도 검사 1차, 3차 방문 시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심전도 검사 결과 시험 기간 동안 임상적 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 160 -


◯ 식이섭취 조사 - 섭취열량 과 영양소 본 피험자 KF01에게 임상시험 기간 본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에서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조사 및 분석 결과는 표 10 에 제시하였다. KF01에게 제공된 임상시험용식이의 하루 평균 섭취 열량은 2,100kcal 이었으며 KF01가 제공된 시험식 이외 섭취한 음식을 고려하면 실제 하루 평균 2396.5 kcal을 섭취하였다. 한편 스크리닝 기간에 하루 평균 4932.4 kcal 열량에 해당하는 음식을 섭취하여 임상시 험 전보다 참여 후에 약 2,500kcal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그러나 스크리닝 기 간 중 3일만 식이기록법에 의한 식이섭취조사를 하였고 본 피험자 KF01이 평소 매우 불규 칙한 식생활을 하였으므로 식이섭취분석 자료가 피험자의 평상시 식생활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표 10. 식이섭취 조사 및 분석결과

열량(kcal) 식물성단백질(g) 동물성단백질(g) 식물성지질(g) 동물성지질(g) 당질(g) 식이섬유(g) 회분(g) 식물성칼슘(mg) 동물성칼슘(mg) 인(mg) 식물성철분(mg) 동물성철분(mg) 나트륨(mg) 칼륨(mg) 아연(mg) 비타민A(㎍ RE) 레티놀(㎍) β-카로틴(㎍) 비타민B1(mg) 비타민B2(mg) 비타민B6(mg) 나이아신(mg) 비타민C(mg) 엽산(㎍) 비타민E(mg) 콜레스테롤(mg)

스크리닝

임상시험 기간

4932.4 87.3 63.7 92.1 39.5 468.9 20.3 28.8 655.7 280.1 1894.5 193.9 4.8 6444.4 2946.4

2396.5 61.6 18.6 47.5 7.1 369.2 43.9 31.7 586.5 316.2 1861.1 23.2 2.4 5699.0 5348.1 12.6 1296.0 38.5 7380.7 2.2 1.5 4.6 32.1 175.5 530.7 24.3 163.2

2.1 587.9 601.7 434.3 2.3 2.1 2.1 33.6 51.9 324.4 45.1 698.9

- 161 -


- 임상시험용식이 외 추가 음식 섭취 본 센터에서 제공한 임상시험용식이 이외에도 다양하면서 많은 양의 간식 섭취, 알코올 및 육류 섭취가 있었다. 주로 하루 평균 햄버거 1개와 스낵랩 2개와 같은 패스트푸드, 하루 평 균 24 units (300ml / 1units = 12.5ml) 레드와인과 12 units (150ml / 1units = 12.5ml) 위스키와 같은 주류를 자주 즐겨 마셨다. - 선호도 조사 KF01 피험자의 임상시험용식이 잔반량 측정 자료를 토대로 선호 및 비선호 음식을 구분 하여 그 결과를 표 11에 제시하였다. 본 피험자는 캐나다인으로 6년째 한국에 거주하며 직업 특성상 주로 야근을 하는 경우가 많고 업무가 끝난 후에도 외국인 친교모임 및 사교활동에 참여도가 높았다. 따라서 불규칙한 생활, 잦은 음주와 고칼로리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다. 한국음식에 대 한 거부감은 없었으나 해조류와 어패류를 전혀 먹지 않았다. 주로 육류을 이용한 제육볶음과 불고기, 비빔밥류, 두부류, 버섯류, 난류 등의 음식 선호도 가 제일 높았으며, 한국전통 발효식품인 김치. 된장국, 청국장, 고추장, 참기름, 전류, 나물류 등도 어느 정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비선호 음식은 미역, 김, 다시마 등의 해조류와 고등어, 삼치, 멸치, 새우, 조개 등의 어패 류 해산물을 거의 먹지 않았다. 표 11. 선호 및 비선호 음식 조사 식품 군

선호군식품

비선호군

곡류 및 그제품

현미, 보리, 흑미, 조

두류 및 그제품

두부, 청국장

채소류 및 그제품

호박, 콩나물, 당근, 양파, 고사리, 고구마순

파, 시금치, 깻잎, 취, 부추

버섯류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어패류 및 그제품

조개, 동태, 오징어, 새우, 북어

해조류 및 그제품

미역, 김, 다시마, 파래

육류 및 그제품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난 류

달 걀

○ 피험자 KF01 사례연구 결론 본 피험자 KF01은 40세의 캐나다 출신 백인 남성이며 키 182 cm, 체중 100.9 kg, 체질 량지수는 30.5 kg/m2 이었다. 이 피험자는 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였고 직업 특성 상 야간에 활동을 많이 하고 업무 후에는 백인들의 사교활동을 위한 특별한 모임을 운영하

- 162 -


는 등 사회성이 풍부한 사람이었다. 때문에 야식을 즐겨 하고 폭음도 자주하는 생활습관이 있었다. 주간에는 한식섭취 임상시험에 참여하였으나 야간 활동을 계속 유지하며 술과 음식 이 절제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주일 동안의 한식 섭취 임상시험에 참여한 후 체지방이 6.6kg 감소하 였고 복부지방 또한 총지방 면적이 6203.77 cm3 에서 4792.17 cm3로, 내장지방 면적은 2827.26 cm3 에서 1886.77 cm3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체중은 7.9kg 감소하였고, 체질량 2

지수는 28.1 kg/m 로 감소하였다.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 · 엉덩이둘레비, 허벅지둘레 및 견갑골하부 피부두겹두께에 있어서도 감소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각각의 변화정도를 살펴보면 허리둘레는 112.9 cm에서 103.3 cm로, 엉덩이둘레는 110.0 cm 에서 106.7 cm 로, 허리엉덩이둘레 비는 1.03에서 0.97로, 그리고 허벅지둘레는 61 cm 에서 56 cm 로 감 소하였다. 견갑골하부 피부두겹두께는 23.7 mm 에서 21.7 mm 로 2 mm 감소하였다. 혈액 검사에 있어서는 혈중 지질 중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감소하였고, 아포 지단백 B농도 및 Apo B/Apo A1 Ratio 에 있어서도 감소 경향이 있음을 관찰 하였다. (1) 사례연구2‐KF02 ○ 인구학적 정보 피험자 KF02은 27세의 미국 남성으로 1차방문 당시 키 184 cm, 체중 247.3 kg, BMI 73.1 kg/m2, WHR 0.99로 피험자 선정/제외기준에 부합하여 본 임상시험에 참여하였다. (표 12). 표 12. 인구학적 정보 Age (years)

27

Sex (M/F)

M

Height (cm)

184

Weight (kg)

247.3

2

BMI (kg/m )

73.1

WHR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0.99

음주력(Units/week)

11.5

흡연력(Pieses/day)

0

○ 1차 유효성 평가 - 체지방 체지방량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32.5kg에서 섭취 4주째 126.6kg, 섭취 8주후 126.6kg으로 총 5.9kg 감소하였다 (표 13).

- 163 -


표 13. 방문별 체지방 변화

Body fat mass (kg)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132.5

126.6

126.6

- 복부지방면적 복부CT 촬영 장비의 한계 체중을 상회하여 측정 하지 못 하였다. ○ 2차 유효성 평가 - 체중 및 체질량지수 피험자 KF02의 체중이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247.3 kg에서 섭취 8주 후 231.3kg으로 16kg이 감소하였으며, 체질량지수는 73.1 kg/m2에서 68.3 kg/m2으로 약 4.8 kg/m2 감소 하였다 (표 14). 표 14. 방문별 체중, 체질량지수 변화

Weight (kg) 2

BMI (kg/m )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247.3

239.7

231.3

73.1

70.8

68.3

- 허리·엉덩이·상완·허벅지 둘레 및 허리·엉덩이 둘레 비 KF02의 허리둘레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91.7 cm에서 섭취 8주 후 181.9 cm로 9.8cm 감소하였으며, 엉덩이둘레는 193.3 cm 에서 173.2 cm 로 20.1 cm 감소하였다. 허 리엉덩이둘레 비는 섭취 전 0.99에서 섭취 8주 후 1.05로 0.6 증가하였다. 상완둘레는 섭취 전 52cm에서 섭취 8주 후 49.5cm로 2.5 cm 감소하였으며, 허벅지둘레는 112.5 cm 에서 101.2 cm 로 11.3 cm 감소하였다 (표 15). 표 15. 방문별 허리, 엉덩이, 상완, 허벅지 둘레 변화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Waist circumference (cm)

191.7

187.8

181.9

Hip circumference (cm)

193.3

175.7

173.2

WHR (Waist/Hip circumference ratio)

0.99

1.07

1.05

52

51.5

49.5

112.5

97

101.2

Mid upper arm circumference (cm) Thigh circumference (cm)

- 164 -


- 피부두겹두께(삼두근, 견갑골 하부) 피험자 KF02의 삼두근피부두겹두께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44.3 mm에서 섭취 8주 후 40.5 mm로 3.8 mm 감소하였으며, 견갑골 하부 피부두겹두께는 41.1 mm 에서 48.3 mm 로 7.2 mm 증가하였다 (표 16). 표 16. 방문별 피부두겹두께 변화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Triceps skinfold thickness (mm)

44.3

43.5

40.5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 (mm)

41.1

51.5

48.3

- 혈중지질 및 지단백 피험자 KF02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68 mg/dL 에서 섭취 4주째 157 mg/dL 로 감소하였다가 섭취 8주 후 172 mg/dL 다시 상승하였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33 mg/dl에서 섭취 8주 후 35 mg/dL로 2 mg/dl 증가하였으며,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은 123mg/dL에서 128mg/dL로 5mg/dL 증가하였다. 그리고 중성지방(triglyceride)은 임상시 험용식이 섭취 전 180mg/dL 에서 한식을 섭취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섭취 8주 후 에는 80 mg/dL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지질 운반체에 해당하는 혈중 아포지단백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아포지단백 A1은 동 맥경화의 억제인자, 아포지단백 B는 동맥경화 촉진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피험자의 아포지단백 A1은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1.16mg/dL 에서 섭취 4주째 1.19mg/dL로 증가하였다가 섭취 8주 후 1.12mg/dL으로 다시 감소하였고 섭취 전과 8주 후를 비교하면 총 0.04mg/dL 감소하였다. 아포지단백 B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0.8mg/dL에서 섭취 4주째 0.74mg/dL 로 감소하였다가 섭취 8주 후 0.77 mg/dL으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섭취 전과 8주 후를 비교하면 0.03 mg/dL 감소하였다. 아포지단백 E 는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4.1mg/dL에서 4주째 3.8mg/dL로 감소하였다 가 섭취 8주 후 3.6 mg/dL으로 감소하여 섭취 전과 8주 후를 비교하면 0.5 mg/dL 감소하 였다. 아포지단백 B/ 아포지단백 A1비(Apo B/Apo A1 Ratio)는 대사증후군과 동맥경화증에 관련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전 0.69, 섭취 4주째 0.62, 섭취 8주 후 0.69 로 측정되었다 (표 17).

- 165 -


표 17. 혈중지질 및 지단백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Total cholesterol (mg/dL)

168

157

172

HDL‐cholesterol (mg/dL)

33

34

35

LDL‐cholesterol (mg/dL)

123

117

128

Triglyceride (mg/dL)

180

124

80

Apo A1 (g/dL)

1.16

1.19

1.12

Apo B (g/dL)

0.8

0.74

0.77

Apo E (g/dL) Apo B/Apo A1 Ratio

4.1 0.69

3.8 0.62

3.6 0.69

○ 안전성 평가 - 자·타각 증상 등 이상반응 피험자 KF02에게 8주간의 임상시험용식이 섭취기간 동안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 검사실검사 방문 별 측정 결과는 표 18에 요약하였다. 검사실검사에서 임상시험용식이 섭취기간 동안 유의한 임상적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18. 방문별 검사실검사 3

White blood cell (×10 /μL) 3 Red blood cell (×100 /μL) Hemoglobin (g/dL) Hematocrit (%) 3 Platelet (×10 /μL) SEG (%) Lymphocytes (%) Monocytes (%) Eosinophils (%) Basophils (%) ALP (IU/L) GGT (IU/L) AST (IU/L) ALT (IU/L) Total bilirubin (mg/dL) Total protein (g/dL) Albumin (g/dL) BUN (mg/dL) Creatinine (mg/dL) Creatine kinase (IU/L) Glucose (mg/dL)

1차방문 9.63 5 14.4 44 237 63.9 24.4 8.4 3.1 0.2 96 22 19 25 0.47 6.2 3.9 10 0.68 167 102

- 166 -

2차방문 9.44 5.13 15.3 46.4 233 62.5 26.3 7.9 2.9 0.4 90 23 20 32 0.56 6.6 4.2 8 0.78 137 108

3차방문 7.95 5.2 15.1 46 239 69.8 20.8 7.7 1.4 0.3 89 28 26 34 1.14 6.9 4.5 8 0.8 139 102


- 활력징후 방문 별 측정결과는 표 19에 요약하였다. 활력징후에 임상시험용식이 섭취기간 동안 유의 한 임상적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표 19. 방문별 활력징후 변화 1차방문

2차방문

3차방문

SBP (BPM)

123

140

116

DBP (BPM)

63

59

56

Pulse (bpm)

76

48

65

- 심전도 검사 1차, 3차 방문 시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심전도 검사 결과 시험 기간 동안 임상적 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 식이섭취 조사 - 섭취 열량과 영양소 본 피험자 KF02에게 임상시험 기간동안 식이섭취조사 및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20에 제시하였다. 피험자에게 제공된 임상시험용식이의 하루 평균 섭취 열량은 2,200kcal 이었다. 시험식 섭취 시 밥을 남기지 않는 반면 선호하지 않는 반찬은 잔반량이 많았다. 식물성단백질, 식물 성지질, 당질, 식이섬유, 회분, 칼슘, 인, 나트륨, 칼륨, 아연, 비타민A, 엽산 및 비타민E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증가하였고, 주로 동물성식품에 기인한 동물성단백질, 레티놀 및 콜 레스테롤 섭취는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피험자 KF02는 스크리닝 기간에 평균 1,290kcal/일에 해당하는 음식물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스크리닝 기간 중 3일 만 식사기록법에 의한 식이섭취조사를 하였고 본 피험자 역시 평소 매우 불규칙한 식생활을 하였으므로 식이섭취 분석자료가 피험자의 평상시 식생활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였을 가능 성이 있다.

- 167 -


표 20. 식이섭취 조사 및 분석결과

영양소 섭취

스크리닝

임상시험 기간

1,290.6

1,970.2

식물성단백질(g)

20.8

51.3

동물성단백질(g)

19.6

10.0

식물성지질(g)

27.8

37.5

동물성지질(g)

24.5

4.0

당질(g)

164.3

343.0

식이섬유(g)

11.7

38.8

회분(g)

11.6

26.2

식물성칼슘(mg)

185.2

493.0

동물성칼슘(mg)

129.2

154.3

인(mg)

597

1588.1

식물성철분(mg)

5.6

20.3

동물성철분(mg)

1.1

1.2

나트륨(mg)

1180.8

4699.3

칼륨(mg)

3404.5

4527.7

아연(mg)

5.8

10.4

비타민A(㎍ RE)

749.9

1066.9

레티놀(㎍)

300.1

15.9

β-카로틴(㎍)

2678.8

6115.4

비타민B1(mg)

0.7

2.0

비타민B2(mg)

0.5

1.2

비타민B6(mg)

1.4

4.3

나이아신(mg)

13.8

28.1

비타민C(mg)

35.0

154.4

엽산(㎍)

147.6

447.5

6.3

20.1

113.4

100.4

열량(kcal)

비타민E(mg) 콜레스테롤(mg)

- 임상시험용식이 외 추가 음식 섭취 임상시험용식이 섭취 이외에도 다양하면서 많은 양의 간식 섭취 그리고 알코올 및 육류 섭취가 있었다. 주로 음료류를 선호하였는데 주 평균 오렌지쥬스 2리터와 이온음료 1리터 정도를 마시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168 -


- 선호도 조사 KF02 피험자의 임상시험식이 섭취 후 잔반량을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선호/ 비선호 음식 을 조사한 결과는 표 21에 제시하였다. 미혼 남성 미국인으로 한국에 거주한지 8개월째 접어들며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으며, 사교성이 뛰어나고 활동적인 성격의 소유자였다. 직업 특성상 주/야간 업무를 하는 경우가 많고 업무가 끝난 후에는 학업 공부로 밤샘을 하는 등 불규칙한 생활을 하였다. 외국인친교 모임 및 사교활동 참여 빈도수가 높아 잦은 음주 및 고칼로리 음식을 폭식 할 수 있는 환경 에 노출 되어 있었다. 임상시험용식이 제공 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지 않은 식행동과 코스별 음식섭취 때와 유 사하게 한가지씩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섭취하였다 육류을 이용한 제육볶음과 불고기, 비빔밥류, 두부류, 버섯류, 난류 등의 선호도가 제일 높 았다. 한국전통 발효식품인 김치, 고추장과 참기름, 전류, 나물류 등도 어느 정도 특별한 거 부감 없이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해조류인 미역, 김, 다시마 섭취, 그리고 해산물 중 특히 생선류인 고등어와 삼치, 어패류(멸치, 새우, 조개 등) 등은 거의 먹지 않았다. 표 21. 선호 및 비선호 음식조사 식품 군

선호군식품

비선호군

곡류 및 그제품

현미, 보리, 흑미, 조

두류 및 그제품

두부

청국장

채소류 및 그제품

숙주, 얼갈이, 가지, 콩나물

파, 시금치, 깻잎, 취, 부추, 총각무, 갓, 고사리

종실류 및 그제품

들깨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어패류 및 그제품

해조류 및 그제품

‐ 멸치, 새우, 동태, 고등어, 조개, 오징어, 북어, 삼치, 꽁치 미역, 김, 다시마, 파래

육류 및 그제품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달걀

감자류 및 전분류

감자

○ 피험자 KF02 사례연구 결론 본 피험자 KF02은 27세의 미국 출신 백인 남성이며 키 184 cm, 체중 247.3 kg, 체질량 지수 73.1 kg/m2 으로서 피험자 KF01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된 생활습관을 보였으나 역시 거의 매일 야식을 하고 간식을 즐기며 폭식 및 음주도 자주 하는 식생활습관이 있었다. 주간 에는 한식섭취 임상시험에 참여하였으나 야간 활동도 계속 유지하며 술과 음식이 절제되지 않았다.

- 169 -


그럼에도 한식 섭취 임상시험에 8주일 동안 참여한 후 체지방이 5.9kg 감소하였다. 복부 지방면적은 측정 장비의 한계체중을 상회하여 검사하지 못 하였다. 또한 체중이 16kg 감소 하고 체질량지수도 68.3 kg/m2으로 약 4.8 kg/m2 감소하였다,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상완 둘레, 허벅지 둘레 및 피부두겹두께에 있어서도 감소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 각각의 변화정 도를 살펴보면 허리둘레가 191.7 cm에서 181.9 cm로, 엉덩이둘레가 193.3 cm 에서 173.2 cm, 상완둘레가 52cm에서 49.5cm 로, 허벅지둘레는 112.5 cm 에서 101.2 cm 로, 그리고 삼두근피부두겹두께가 44.3 mm에서 40.5 mm로 감소하였다. 혈액검사에 있어서는 혈중 지질 중 중성지방이 감소함을 관찰 하였다.

10. 외국인대상 한식 임상시험 수행 시 어려운 점과 제안사항 본 연구는 본래 고혈압과 당뇨병을 가진 한국인에게 한식섭취가 의학적 기능개선에 미치 는 영향과 그 우수성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한식의 우수성 구명에 외국인 대상의 임상시험의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국내에 거주하는 서양 백인을 대상으로 한식의 선 호도, 비만과 혈중지질의 변화를 관찰하는 연구를 추가 진행하였다. 한식은 곡류 중심의 주식인 밥과 김치를 비롯한 반찬을 기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찬류는 주로 나물류, 두부, 된장, 고추장 및 간장 등 다양한 식물성식품과 발효식품까지 곁들여진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음식이다. 임상시험용식이 시험식은 밥과 전통 발효식품을 사용한 반찬 류를 제공하는 3첩 반상차림으로 제공하였다. 그러나 전통식에 가까운 한식을 그대로 외국 인에게 적용하여 임상시험을 수행하였을 때 여러가지 제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식이섭취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된 어려운 점, 개선점, 임상시험 시 고려사항 은 다음과 같다. (1) 어려운 점 ○ 상차림이 밥, 국, 김치 및 나물류로 이루어진 3첩 반상차림을 기본으로 하므로 하루 3끼 반복 제공시 단조로운 구성으로 느껴져 장기간을 요하는 임상시험의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 아침식사 시간에는 단시간 내에 섭취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외국인에게 친숙 한 음식 형태를 섭취하기 원하였다. 또한 비교적 오래 걸리는 식사시간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국에 말아서 먹거나 밥과 반찬을 섞어 한꺼번에 섭취하는 경우 가 많았다. ○ 육류가 주식인 백인 외국인에게 채식 위주의 한식 제공은 장기간을 요하는 임상 시험의 순응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 170 -


○ 익은 김치보다는 생김치를 선호하므로 발효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게 하고 또한 김치류는 선호음식에 속하면서도 아침 식사시 간에 제공시에는 자극적인 냄새와 맛에 부담을 느껴 거의 섭취하지 않았다. ○ 선호 채소와 비선호 채소가 뚜렷하여 질기고 거친 나물류 반찬을 매끼 2종류씩 제공시 잔반량이 많았다. ○ 해조류, 해산물 섭취를 거의 하지 않았고 이 이유는 개인적인 선호도 이외에 문 화적 거부감도 어느 정도 반영된 듯하다. (2) 개선점 ○ 채소류 반찬의 선호도 조사 필요 채소류의 선호도를 우선 조사하고 그 후에 조리법은 우리전통의 것을 고수하면서 선호하 는 식재료를 이용한 나물류 메뉴를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순응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예) 비선호 채소 : 마늘 파, 부추, 깻잎, 시금치, 취나물 등 선 호 채소 : 호박, 콩나물, 당근, 양파, 고사리, 고구마, 버섯류

○ 해조류나 해산물은 선호도도 낮으므로 한식 식단 구성 시 사용 빈도를 줄이는 방안 과 조리기술 개발을 통해 외국인의 거부감을 줄인 음식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방 안을 고려해야겠다. ○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다양한 김치를 개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겠다. ○ 다양한 비빔밥 형태의 메뉴를 개발하고 사용 빈도를 높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로 써 비빔밥의 부재료인 고추장, 참기름과 나물류 섭취를 늘리고 반복적인 한식 상차 림 제공의 지루함을 극복하여 한식을 지속적으로 맛있게 섭취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외국인 대상 한식임상시험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한식대표 음식 선호도 평가 후 선호 음식의 중점적인 제공을 고려한다. ○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건강기능성을 가진 동시에 한국적 색채가 살아있는 상차 림 형태를 제시할 수 있어야한다. ○ 다양하고 전통적인 식재료를 사용한 비빔밥 등의 일품요리를 개발하여 한식 상차 림을 기본 골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차림의 다양성을 살린다. ○ 외국인의 기호도에 맞으면서 전통발효식품을 충분히 사용하는 메뉴와 식단을 개 발한다. ○ 외국인이 선호하는 식재료에 전통적인 조리법을 접목한 메뉴와 식단을 개발한다. ○ 한국 식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임상시험 수행과 동시 에 제공한다. ○ 외국인 식이섭취조사 및 분석을 위해서는 이들의 식이섭취 행태를 정확하게 반영 할 수 있는 조사법이 필요하다.

- 171 -


11. 결론 본 연구는 비만한 외국인에게 한식을 규칙적으로 장기간 섭취하게 하여 한식 섭취의 가능 성 및 그에 따르는 문제점을 파악함과 더불어, 한식 섭취 전ᆞ후의 체지방 및 복부지방 변화 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임상시험으로써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 터에서 수행되었다. 이는 전형적인 통계적 가설 검정을 위한 시험과는 성격이 다르므로 피험 자 수를 최소한으로 설정하여 서양 백인 남성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임상시험용식이는 ‘고혈압 및 당뇨병 치료중인 환자에게 한식을 공급 한 후 이에 대한 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과 동일하게 8주 동안 제공되 었다.

피험자 KF01와 KF02은 한식 섭취를 8주 동안 시행한 후, 1차 유효성평가 항목인 체지 방 및 복부지방면적이 감소하였고, 2차 유효성 평가 항목 중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피 부두겹두께 등에서도 감소 효과가 관찰 되었다. 또한 혈중 지질, 및 아포지단백 B 농도에 있 어서도 감소 효과 또는 감소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들은 임상시험기간 동안에도 평소 생활습관을 바꾸지 못하고 다 양하면서 많은 양의 간식 섭취 그리고 알코올 및 육류를 섭취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 한 피험자들은 임상시험용식이에 거부감은 없었으나 생선류, 해조류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낮았고, 비빔밥 형태의 식이섭취 기호도가 높았다. 전통식에 가까운 한식을 그대로 외국인에 게 섭취하게 하는 임상시험을 수행하였을 때 순응도를 비롯한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었지만 하루 세끼의 규칙적인 한식 섭취가 비만한 외국인의 체중, 복부지방 및 혈중 지질 개선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유발하였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 172 -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