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한식당 디자인 가이드 메뉴얼

Page 1

해외 한식당 인테리어 디자인 메뉴얼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CONTENTS

BASIC GUIDE 서론

2

BASIC GUIDE BG_ 디자인배경 및 목적

3

BG_ 디자인 기준

4

DESIGN GUIDE DG_한국음식의 사상적 배경

7

DG_ 디자인 컨셉

9

DG._고급형 디자인 컨셉

12

DG_ 고급형 (100py)

13

DG._전문형 디자인 컨셉

27

DG_ 전문형 (60py)

28

DG._대중형 디자인 컨셉

42

DG_ 대중형 (30py)

43

APPENDIX_ 한국적 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56

AP_ 색채적 요소

64

AP_ 패턴적 요소

65

AP_ 문화적 요소

66


Basic Guide BG_ 디자인배경 및 목적 BG_ 디자인 기본방향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서론

어느 지역 또는 국가를 막론하고 그들이 즐겨먹는 음식에는 나름대로의 오랜 전통과 역사가 간직되어 있다. 그 전 통과 역사 속에는 지리적 특성, 기후적 특성, 생태적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으며, 이것이 오랜 시간을 통해 변 화와 발전의 과정을 거치며 하나의 문화로 정착하게 되었다. 한국의 음식문화는 흔히 동양 3국이라 일컬어지는 한국, 중국, 일본의 3개국 중에서도 유일하게 대륙과 바다 양쪽 으로 소통하는 지형적 특성과, 4계절과 24절기가 뚜렷한 기후적 특성을 갖고 5,000년을 이어져 내려왔다. 다양한 대외교류를 통해 이국의 식재료가 유입되면서 이를 한국의 특성에 따라 새로이 변화, 발전시켜온 것이 한국음식 문 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계절에 맞추어 변하는 계절음식이 그 하나의 특징이요 채소와 나물, 고기와 생선 모두가 들어가는 복합재료의 총체적 연출이 또 하나의 특징인 것이다. 본 해외 한식당 인테리어 디자인 매뉴얼에서는 한식당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통해서 한식당을 찾는 해외 한국인 및 외국인들에게 한국음식을 태동시킨 한국사람과 한국이라는 국가의 생활문화를 소량하게나마 체험하여, 한국음식 의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한식을 세계적인 국가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데 기본발판이 되도록 한국적 생활문화 이미 지를 인테리어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음식이 만들어지고 그것을 향유하는 공간으로서의 집은 그런 면에서 식문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상중의 하나로 기능한다. 본 디자인 매뉴얼에서는 전통한옥 생활소품, 장신구등에 나타난 디자인적 요소들을 차용하여 한국음식 과 관련된 생활문화의 심미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식당에서 한식을 먹으며 한국음식 뿐만이 아니라 한국문화를 향유하는 문화공간으로서의 한식당 조성을 위한 인 테리어 디자인을 위해 한국음식문화, 생활문화와 관련된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02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BASIC GUIDE

BG_디자인 배경 및 목적 메뉴얼 북 배경 글로벌 시대에 한류에 대한 관심의 급증과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 고조, 열악한 해외 한식당 시설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한국음식을 국가의 경쟁력을 가진 고급 상품으로 만들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

한식에 대한 관심급증

한식당의 체계화 미흡

글로벌 시대에 한류에 대한 관심급증

열악한 해외 한식당 시설의 심각성

한식의 우수성과 가치를 인정

한식의 상품화 미흡

한식의 장점을 살려 산업화, 글로벌화 필요

메뉴얼 북 목적 메뉴얼 북의 사용자는 유형별 디자인을 숙지하기 전에 메뉴얼 북의 목적을 이해하고 해당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도록 한다. - 해외에서 시행하는 모든 한식당의 기본구상 단계에서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 해외 한식당의 철학과 기본원칙을 정립하고, 기본방향을 설정하며 이에 따라 해외 한식당 기본구상을 수립하는 것이다. - 적용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디자인과 관련된 사안의 의사를 결정하기 위한 자료이다.

기본 방향 및 기본 원칙 해외 한식당 메뉴얼 북은 해외 이주민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음양오행’이라는 동양사상을 적용하여, 세련되고 개성있는 해외 한식당 디자인 표준모델 제시를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이다. 기본방향

기본원칙

세련된 한식당 디자인을 통해 한식의 이미지 제고

고급/전문/대중형에 따른 디자인 제안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디자인 제안

현장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제시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소개

03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BASIC GUIDE

BG_디자인 기본방향 디자인 기준

a. 유형

A(고급형)

B(전문형)

C(대중형)

b. 메뉴

한정식

구이류

분식류

c. 면적

100py

60py

30py

주방면적 15%

d. 좌석수

주방면적 10%

영업면적 85%

영업면적 90%

100~120석

70~80석

주방면적 15%

영업면적 85%

50~60석

04


Design Guide DG_ DG_ DG_ DG_

디자인 고급형 전문형 대중형

컨셉 (100py) (60py) (30py)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CONTENTS

DG.한국 음식의 사상적 배경

7

DG.한국 식사공간의 의미

8

DG.디자인 컨셉

9

DG.고급형-기본계획

12

DG.고급형-디자인계획

13

DG.고급형-대안

23

DG.고급형-가구계획

25

DG.고급형-소품계획

26

DG.전문형-기본계획

27

DG.전문형-디자인계획

28

DG.전문형-대안

36

DG.전문형-가구계획

40

DG.전문형-소품계획

41

DG.대중형-기본계획

42

DG.대중형-디자인계획

43

DG.대중형-대안

50

DG.대중형-가구계획

53

DG.대중형-소품계획

54

06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한국음식의 사상적 배경

예로부터 한국인은 생활 전반의 모든 것을 자연과의 조화와 상생에서 찾아왔다. 즉 사물을 바라볼 때 그것을 상호대립적 관계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부조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모든 대상과의 관계를 극복이 아 닌 보완으로써, 완성을 이루려는 사상을 견지해 왔다. 우주 만물은 음과 양, 이기(二氣)의 조화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오행(五行)의 순화에 따라 생성 되고 소멸한다는 음양오행사상은 오랜 세월동안 한국인의 세계관의 일부분을 차지해 왔다. 음양오행사상은 고대의 농경 생활로부터 비롯된 세계관이다. 양이론은 낮과 밤, 하늘과 땅, 남과 여, 밝음과 어 두움, 태양과 달, 짝수와 홀수 등 만물이 음과 양의 이원적 구조로 이루어져있다는 이론이다. 한편 오행설은 우 주만물의 모든 것은 목화토금수의 5가지 요소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소들의 성쇠에 의해 인간의 삶도 영향 을 받게 된다는 것으로 인생전반의 이치를 설명하는데 이용되었다. 그러므로 삼라만상과 우주창조의 근본이 치가 음양오행에 있다고 믿었다. 의학, 기상학, 천문학, 역사학 등 제반학술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식문 화의 이념적 토대가 되었다. 한국음식의 주재료를 음과 양의 두 가지로 나눈다면 음은 땅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식물과 과일 등이며 양은 땅 위로 열매와 과실을 맺는 식물과 동물, 생선 등이다. 따라서 한국음식은 반드 시 음, 양의 조화가 맞추었으며 오행에 준하여 만들어 졌다. 식재료의 음, 양 혼용이 조화를 이루고, 오행의 기 운과 색깔을 맞추어낸 한식의 상차림은 음식에 정성과 혼이 가미돼 음식을 보약이라 일컬었다. 이는 모든 생활문화에 영향을 끼쳐왔으며 음식문화의 체계에도 적용되었다. 다양한 식재료의 조화로 다섯 가 지의 색깔을 내는 오색(五色), 다섯 가지 맛을 나타내는 오미(五味), 다섯 가지의 조리법을 지칭하는 오법(五法) 등이 바로 음향오행 사상이 음식문화에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식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약식동원(藥食同源) - (약이 되는 음식, 음식을 잘 먹으면 약이 된다.)- 의 이론도 이러한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생활문화와 음식문화에 반영된 음양오행의 사상은 한국인의 생활이 단순한 기능적 욕구충족이 아니라 세계관의 실천과 생활이 밀착되어 있는 체계성을 갖추고 있음을 드 러내는 것이다.

07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한국에서의 식사공간의 의미

서양과는 달리 한국인에게 음식을 먹는 공간은 식탁과 조리대가 함께 있는 식당내의 공간이 아니다. 그 선과 모양이 아름답고,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온 한국의 상과 소반은 음식을 나르는 운반기구로, 이동식 식탁으로 기능한다. 상차림이 완성되고 수저가 놓이면 바로 그곳이 식당이 된다. 찬바람 부는 겨울밤의 뜨끈한 안방이든, 화롯불곁 손님과의 대화가 정겨운 사랑이든, 무더운 여름날의 시원한 대청마루든 그곳에 사람이 있 고 상차림이 있다면 바로 식당인 것이다. 식사하는 사람의 많고 적음도 문제가 없다. 작은 상차림 여럿이면 많 은 사람이 음식을 나눌 수 있고, 좀 더 격식을 차린다면 다인 상을 구성하면 그 뿐이다. 이처럼 한국의 식사공 간은 다양하다. 그것은 한국이 공간과 공간의 특징에 맞춰 사람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움직임에 맞 추어 공간의 기능을 바꾸기 때문인 것이다. 서양에서는 음식이 차려진 식탁으로 사람이 이동을 하고, 식사가 끝나면 저마다 자신들의 공간으로 다시금 이동을 한다. 이와는 반대로 한국에서는 사람을 따라 식탁이 이동을 한다. 식사가 끝나고 밥상이 치워지면 그 공간은 다시금 사랑으로, 서재로, 대청마루로, 안방으로 그렇게 일상 의 공간으로 되돌아오는 것이다. 사람 중심의 공간, 이것이 바로 한국인이 음식을 먹는 식당의 풍경이다. 한옥 의 방안에는 방 한켠을 점유하는 침대가 없다. 전통한옥의 침대는 지난밤 자신의 역할을 마치고 장롱 안에서 휴식을 취하고, 낮 동안의 공간은 다시금 사람에게 내어준 것이다. 오늘 밤 사람이 침소에 들면 침대는 다시금 공간으로 나와 제 역할을 할 것이다. 보자기 또한 마찬가지다. 상자와는 달리 보자기는 물건을 담고, 운반하는 제 역할이 끝나면 조신하게 개어져 최소한의 면적만을 차지하고 다소곳이 앉아있다. 비어있음으로 무엇을 채 울 수 있는 곳, 그곳이 바로 한옥의 공간이며, 비움으로 채우는 것이 한국인의 마음이다.

08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디자인 컨셉 디자인 컨셉

디자인 컨셉은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오행순환을 기초로 하여 고급형, 전문형, 대중형 3가지 디자인으로 구성하였다. 고급형은 금(金)과 수(水)의 두 가지 질료가 표상하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과 한국음식을 표현한다. 솟을 대문 드높은 양반가의 사랑에서 맛보는 격조있는 음식은 손님으로 하여금 스스로가 양반사대부가 된 듯한 느 낌을 받도록 연출하였다. 문방사우로 연출된 사랑채에서 손님은 사대부가의 사랑채 주인이 되고, 수식, 패식 의 노리개와 조각보, 골무 등으로 치장된 안방에서 반가의 안방마님이 된다. 학문과 수양, 덕행으로 무릇 사람 의 모범이 되고 품격있는 생활로 자신을 가꾸는 선비정신을 표현한다. 빠르고, 쉽고, 가벼운 음식이 아니라 느 리되 차분하며, 정갈하고 질박하며, 깊은 한식의 맛은 누구나가 맛볼 수 있는 요리가 아니다. 시대를 견인하는 품격있는 사람의 격조높은 음식이다. 전문형은 토(土)의 질료를 중심으로 검박하고, 단순하며 꾸미지 않은 한국전통미를 표현한다. 자연스러운 원 목위주의 마감재를 적용하여 복잡하지 않되 지루하지 않은 질박한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눈쌓인 장독대의 모 습과 수묵담채로 극히 절제된 한국수묵화와 진경산수화의 풍모를 연상케하는 중후하고 풍요로운 공간의 창 출이 전문형 디자인의 컨셉이다. 한국의 전통회화중 수묵화를 차용한 느낌이 드는 공간은 여유롭고도, 친숙하 며, 은은한 모습을 연출하여 중후한 느낌을 나타내었다. 대중형은 목(木)과 화(火)의 이미지를 디자인 요소로 차용하여 기운생동, 생기발랄한 모습을 연출한다. 무늬목 과 칼라풀한 조각보의 간색을 활용하여 발랄하되 가볍지 않은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의 해학적 그림과 매치가 되는 공간구성이 대중형 디자인의 컨셉이다. 한국의 민화속 까치호랑이 그림이 연상 되는 공간구성은 자유분방하면서도 절제가 있는 일상의 풍경이다. 신명이 있는 해학의 공간이다. 세 가지의 디자인에 공통되는 디자인 요소는 한국의 전통 생활문화를 대표하는 한옥의 외부형상과 추녀, 사 래, 도리, 평주, 창방 등을 이루는 각종 부재의 속성과 질감, 그리고 전통회화에 기반한 한국적 정조로 이를 통 해 자연친화적이며 상호부조적인 한국의 정감을 표현한다. 전체적인 색조는 오방정색과 오방간색의 십색을 사용하며 이는 전시용 소품으로 활용되는 고가구, 소반, 장신 구, 병풍, 조각보 등의 색상을 통해 표현되도록 한다.

09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디자인 컨셉 음양오행의 개념 음,양의 2기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5행으로 자연현상이나 인간, 사회의 현상을 설명하는 사상이다. 음양 : 생성원리의 근본이며 존재질서의 상징관념 오행 : 우주를 형성하는 원리이자 질서의 원리

River/Active Winter(겨울) 유동성, 창조, 변화

Stone/Spiritual

Earth/Center

Autumn(가을) 물질이나 성질이 단단하거나 견고하면서 응집되는것

저장, 숙성

Wood/New Spring(봄) 생명의 작용,근원

Fire/Interactive Summer(여름) 열, 빛, 분열, 폭발, 발산 에너지

동양사상의 근간이 되는 음양오행을 공간 컨셉으로 설정하고 그 의미인 음과양 그리고 자연의 구성 요소인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각각의 공간에 대입시켜 디자인을 접목하고자 한다.

10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디자인 컨셉

고급형

전문형

평수

100PY

60PY

30PY

메뉴

한정식

직화구이류

단품 분식류

키워드

빛, 밝음과 어두움, 세월, 시간, 역사, 전통, 흔적, 손맛, 장인정신

CENTER[중심의] 흙, 근본,기본

NEW[새싹의], 불, 열정 자라남, 청춘, 색의대비 색의 조화, 자연과의 조화

대중형

컨셉

칼라

바닥

마 감 재

천정

고급형 한식당은 특급호텔 수준의 시설 및 서비스를 갖춘 일류 음식점을 목표로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하여 금(金), 수(水)의 개념을 도입 하였다. 물처럼 고요한 정적인 이미지와 금처럼 강직한 이미지를 담고자 한다. 전문형 한식당은 다양한 한식 메뉴를 모던한 분위기에서 제공하는 일반 고기구이 및 한식전문점으로 오행 중에서 토(土)의 개념을 접목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중심, 흙, 근본, 기본의 키워드를 통해 전문성 있는 한식당을 연출하고자 한다. 대중형 한식당은 표준화된 메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해주는 소규모의 시스템화된 기업형 한식당의 표준모델로서 다양한 한식 메뉴를 캐쥬얼한 분위기에서 제공하는 단품분식점으로 오행 중에서 목(木), 화(火)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젊음의 열정과 새로움의 설레임의 키워드를 통해 활기차고 자유분방한 공간을 연출하고자 한다.

11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CONCEPT

고급형 디자인 컨셉 전통 한옥의 사랑채에서 식사를 하는 양반 사대부의 일상을 주제로 구성한다. 자신에게는 엄격하며 남에게는 관대하고 수양과 덕행을 좇는 선비의 생활모습을 보여준다. 자연에 역행하지 않고 순리를 따르며,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하는 정신세계를 소유한 사람의 식생활이 바로 한정식이다. 식 재료와 조리법, 상차림과 반상기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음양오행의 조화를 기본으로 한 한정식을 담은 공간 의 미학 역시 음양오행사상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금생수(金生水)- 쇠와 물의 조화를 통해 공간을 구성하였 다. 쇠의 강고하고 장엄함은 흙으로 구워 단단해진 기와로 처마로 올린 한옥의 지붕에서 나타난다. 입구와 전 실에 기와와 원목으로 치장된 대문과 담장을 지나면 중앙 홀에서 쇠를 만나 한층 신선해진 물의 공간을 만나 게 된다.(화병에 동전을 넣어 물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식물이 오래 자라게 하거나, 사막에서 물통에 쇳조각을 넣어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이는 계곡을 흐르는 물을 집안으로 끌어들여 인공연못을 만들 고 그 위에 정자를 지어 다과와 주안상을 마련하고 세월을 논했던 옛 한국인의 풍류와 아취를 상징한다. 완자 문의 창살은 액을 막아주고 복을 기원하는 중간 문 이다. 테이블의 경계를 구성하는 완자창은 외부의 악기를 막아주고 내부의 좋은 기운을 보존한다. 창살에 덥혀진 은은한 한지는 송두리째 드러나는 경박함을 완화하며 완전 밀폐되어 격리되는 아픔을 보완한다. 반투과의 한지는 드러나되 경박하지 않고 감춰지되 밀폐되지 않 는 완미의 정신을 보여준다. 병풍으로 치장된 벽면에서는 정신, 육체 모두의 강건함과 수복을 기원하는 십장 생도가 보약이 되는 음식- 한정식을 먹는 손님의 안녕을 빌고 있다. 오색으로 화려하게 수놓은 흉배에는 선비 의 품격과 우아함이 저절로 베어난다. 공간을 장식하는 마감재는 오행에 맞추어 한옥에 사용되는 기와와 고벽돌, 한지, 갓 등을 활용했으며 소품으 로는 양반사대부와 선비정신을 표상하는 문방사우, 십장생도 병풍, 서안, 경상 등을 활용하여 사랑채의 모습 을 표현했다. 여성 손님을 배려한 안방장식에는 여성용 노리개인 옥잠과 떨잠 그리고 바느질에 쓰이는 한복, 오색수실, 골무, 경대, 떡살, 청자주병, 자개장 등 생활소품을 활용하여 한국의 생활문화와 화사하고 탐스러운 아름다움을 표현하였다.

12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CONCEPT

금(金), 수(水) 금이 의미하고 있는 견고한 미와 수의 정적이지 않는 유동성, 창조,변화 의미를 공간에 적용하였다. - 평 수 : 100py -메 뉴:한정식 - 키워드 : 빛의 밝음과 어두움, 세월, 시간, 역사, 전통, 흔적, 손맛 [장인정신] - 친환경 소재와 컬러의 사용으로 모던 스타일의 차가운 느낌을 따듯하게 표현한다

COLOR

MATERIAL

바닥

우드 플로어링

고벽돌

한지벽지

우드 플로어링

판석(부정형)

슬레이트석

한지벽지

현무암

대나무발

흑경

대리석

화강석(혹두기)

원목

슬레이트석

천정

전통기와

한지

각재

도장

도장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13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공간구성 해외한식당은 홀, 좌식공간(홀, 룸), 입식공간(홀, 룸), 주방, 화장실로 구성된다. 세부 공간구성은 홀이 27%, 좌식 룸이 7%, 좌식 홀이 15%, 입식 홀이 10%, 입식 룸이 12%, 주방이 15%, 화장실이 7%이다. 이 공간은 장소에 따라 조금씩 변화가 가능하다.

홀 (27%)

공간(비율)

좌식 홀 (7%)

좌식 룸 (15%)

입식 홀 (10%)

입식 룸 (12%)

주방 (15%)

화장실 (7%)

26350 5250

10600

6500

4000

좌식홀

입식홀

13650

3230

좌식홀

3500

주방

화장실

좌식홀

13650

7100

좌식룸

2100

2050

6920

전실

2400

입식룸

2300

1200

7750

1200

4050

1200

3800

1200

3650

26350

동선도

관리자 동선

진입

고객 동선

14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평면도 고급형 한식당은 홀 중앙에 수 공간을 두어 평온한 느낌을 주도록 하였으며 동선의 재료적 특성을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계획하며. 또한 좌식과 입식을 병행하는 좌석의 방식을 채택하여 다양한 공간을 제공한다. -금생수(金生水)- 쇠와 물의 조화를 통해 공간을 구성한다. 26350 10600

6500

4000

13650 2400

2050

6920

2100

13650

3500

7100

3230

5250

2300

1200

7750

1200

4050

1200

3800

1200

3650

26350

천정도 각재와 전통기와를 이용한 천정과 한지 조명박스를 통하여 빛의 밝음과 어두움을 표현한다. 전통 갓을 이용한 팬던트로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NAME

LOCATION

다운라이트

홀/룸/복도/전실

할로겐

홀/룸/복도/전실

IMAGE

형광등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15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조도분포도

16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E

입면도

B DC

Keyplan A

입면도 A

화강석(혹두기)

원목

고벽돌

화강석(혹두기)

원목

외부 파사드는 거친 석재의 거대한 매스감과 원목의 조화로 한옥의 모습을 재현한다. 기둥 마감은 화강석(혹두기)의 거친 느낌을 살리 고 전통창살을 반영한 폴딩도어 혹은 고벽돌과 원목을 이용한 창문을 통해 한국적 멋을 재현한다. 특히 간판의 경우 전통한옥의 추녀와 사래 등을 절제있게 적용하여 한옥구조의 개념을 도입하여 한국적인 느낌을 최대한 살린다.

입면도 B

흑경

입면도 C

현무암

화강석(혹두기)

입면도 D

무늬목

원목

슬레이트석

슬레이트석

전실의 경우 카운터, 대기공간, 전시공간의 기능을 충족시키고자 측벽에 전시부스를 조성하고 한국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소품을 전 시하기로 한다. 카운터 마감은 한국이미지의 연관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파사드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한다.

입면도 E

고벽돌

패브릭

대리석

중앙 홀의 경우 수(水)의 공간에 정자형태인 좌식공간을 형성하여 우리나라의 풍류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Material

현무암(혹두기)

현무암

원목

패브릭

고벽돌

대리석

흑경

슬레이트석

디딤돌(화강석)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17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H’

DESIGN GUIDE

I

H F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G

입면도

Keyplan

입면도 F

입면도 G

원목

현무암 켜쌓기

현무암 켜쌓기

슬레이트석

입식 홀의 경우 원목을 이용한 공틀과 전통창살을 통해 전통 한옥의 멋을 연출하며 전통 갓으로 연출한 팬던트로 은은한 공간을 연출한 다. 입식룸의 경우 한지와 전통창살로 짜여진 도어를 이용하여 빛의 스며듬을 표현한다.

입면도 H

입면도 I

각재

흑경

현무암

화강석(혹두기)

입면도 H’

한지조명

한지벽지

한지벽지

원목

좌식공간은 조밀한 각재의 엮음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내부는 전통창살과 한지를 이용한 조명박스를 통해 한국의 은은한 멋을 연출한다. 특히 좌식룸의 경우 창밖에 돌담과 대나무 모습을 담은 공간연출을 통해 한국 자연의 풍경을 담는다. 화장실은 거친 석재를 세면대 하부에 사용하여 자연 그대로의 멋을 연출하고 고가구 서랍장 손잡이의 장식적 요소를 은경 주변에 부착하 여 고가구의 고풍스러움을 연출한다.

Material

원목

현무암(켜쌓기)

한지

한지벽지

슬레이트석

각재

흑경

한지벽지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18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예상투시도 ISOMETRIC

한옥 구조의 개념을 도입한 파사드 : 전통한옥의 추녀와 사래, 도리 등을 적용한 입구와 평주와 창방의 형태를 단순화한 외부 파사드 전통음식체험 및 식음 시설 : 물이 내려다 보이며 물이 흐르는 소리를 직접 접하면서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공간 자연 정원-물의 공간 : 홀 중앙에 물의 공간을 구성하여 자연과 함께하는 공간 계획 다양한 좌석 체험 : 좌석의 방식을 좌식과 입식을 병행하여 다양한 공간 체험 제공 대문과 전통담장 : 전통 패턴의 문과 현대적 토분타일 등 전통의 담장과 화담의 공간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하여 토속적 이미지를 현대적 이미지로 해석

19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VIEW 1

DESIGN GUIDE

DG_고급형_디자인 계획 VIEW 2

예상투시도

Keyplan

VIEW 1

VIEW 2

20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대안 평면도 기존안

ALT 1

Material

화강석

판석(부정형)

우드 플로어링

홀 중앙에 수 공간과 정자의 형태를 중첩시켜 평온한 느낌을 주도록 연출한다. 좌석의 방식을 좌식과 입식을 병행하고 좌식홀에 OPEN KITCHEN을 설치하여 다양한 공간체험을 제공한다. 중앙 좌식홀에 대나무를 이용한 조명으로 자연스러운 빛의 밝음과 어두움을 표현한다.

천정도 기존안

ALT 1

Material

각재

패브릭

도장

각재와 패브릭을 이용하여 볼륨감 있는 천정을 연출한다.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21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대안 입면도 A 기존안

ALT-1

슬레이트석

슬레이트석

기둥 마감을 화강석(혹두기)에서 슬레이트 석으로 변경한다.

ALT-2

전통기와

절제된 한옥대문의 표현을 전통기와를 사용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ALT-3

유리기와

유리기와

전통기와를 본 떠 제작한 유리기와를 사용한다.

Material

슬레이트석

전통기와

유리기와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22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대안 입면도 B ALT-1

기존안

ALT-2

Material

전통기와

원목

전통기와

고벽돌

원목

고벽돌

카운터의 경우 흑경을 원목으로 화강석(혹두기)을 전통기와 혹은 고벽돌로 변경한다.

입면도 C 기존안

ALT-1

Material

전통기와

전통기와

전실 측면의 전시부스를 확장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마감재는 현무암을 전통기와로 변경한다.

입면도 D 기존안

ALT-2

ALT-1

포인트 벽

포인트 벽

한지벽지

전실 측면의 전시공간을 일월오봉도와 십장생도 등의 그림으로 연출하여 포토존을 형성한다. 또한 전통창살과 한지벽지를 이용하여 공간을 구성한다.

Material

한지벽지

포인트 벽

포인트 벽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23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대안 입면도 F 기존안

입식홀과 룸에 원목을 이용하여 공틀과 전통창호를 보다 간결하게 적용 하고, 마감은 슬레이트석에서 전통기와로 변경한다. ALT-1

Material

전통기와

전통기와

입면도 H’ 기존안

좌식공간의 경우 전통창살을 좀더 단순하게 적용하고, 룸 내부는 한국의 산 능 선을 한지벽지로 표현하여 은은한 조명 연출을 한다.

ALT-1

Material

한지벽지 한지벽지

입면도 I 기존안

화장실의 경우 내츄얼한 원목으로 세면대를 연출, 따뜻한 이미지로 공간을 구성한다. ALT-1

Material

대리석

원목

대리석 원목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24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F-04 F-05

F-03

DESIGN GUIDE

DG_고급형_가구계획 Keyplan

NAME

F-01 F-02 F-03

F-01

Material

가구알람표 CODE

F-02

카운터 입식 6인 테이블 좌식 중앙홀 6인 테이블

F-04

좌식 6인 테이블

F-05

좌식 4인 테이블

F-01 카운터

F-02 입식 6인 테이블

TOP VIEW

FRONT VIEW

SIDE VIEW

REAR VIEW

F-03 좌식 중앙홀 6인 테이블

FRONT VIEW

SIDE VIEW

F-04 좌식 6인 테이블

TOP VIEW

TOP VIEW

FRONT VIEW

TOP VIEW

SIDE VIEW

FRONT VIEW

SIDE VIEW

F-05 좌식 4인 테이블

TOP VIEW

FRONT VIEW

SIDE VIEW - 제시된 가구를 모두 세팅할 것을 권장함. - 동일한 디자인 가구가 없을경우, 유사한 가구로 대체 가능함.

25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고급형_소품 - 한국 전통의 소품중에 귀족과 선비들이 사용하던 소품들을 이용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여 선비의 품격과 우아함이 저절로 베어나게 한다.

바닥용 소품

고가구

고가구

솟대

물확

벽면용 소품

황룡포

홍룡포

잡상

풍경

병풍

왕관

해금

도자기

익선관

거문고

노리개

자개

- 제시된 소품을 모두 세팅할 것을 권장함. - 동일 디자인 소품이 없을경우, 유사한 소품으로로 대체 가능함.

26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CONCEPT

전문형 디자인 컨셉 전문형의 디자인은 오행중 토(土)의 운행을 기반으로 모든 것의 중심이 되는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시간 의 흐름을 따라 본다면 중후한 멋이 풍기는 공간으로 완숙미와 익숙한 여유로움 속에 다양함을 포용하는 공간으로 연출되었다. 바람결에 부드럽게 흔들리는 나뭇가지의 여유로운 부드러움은 흔들리지 않는 뿌리의 굳건함에 바탕 하고 있다. 생각하는 갈대가 되기 위해서 그 뿌리만큼은 어떠한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고 굳게 자리 잡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상큼한 봄날 물오른 수양버들의 낭창거림을 담은 공간이다. 물은 토양에 의지해 나무를 키워낸다. 고급형에 적용된 물의 기운은 이제 전문형에서 흙과 함께 나무를 키워낸다. 한국의 정원에는 나무가 있다. 전통 정 원의 나무는 억지로 심어낸 것이 아니다. 그저 자연에 있는 그대로를 잠시 빌어 감상한 연후에 다시 자연으로 되돌 릴 뿐이다. 이를 상징하기 위해 중앙홀 부분에는 나무를 식재하여 흙과 나무가 조화로운 자연을 담아내었다. 예로 부터 한국인은 경치를 만든다고 하지 않고 경치를 빌어 온다고 하였다. 자연과 더불어 즐길 줄 아는 안빈낙도, 여유 로움의 표현이다. 크게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중후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한국의 수묵담채화와 내 땅의 아름다움 을 있는 그대로 자신있게 표현해낸 진경산수화의 절제된 담백함이 우러나오는 화선지이다. 소품으로는 진중한 아름다움이 묻어나오는 철화백자, 풍자와 해학이 묻어나는 탈, 산수화병풍, 대금, 합죽선 등이 활용되었다.

27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CONCEPT

토(土) 토(土)의 의미에서 지구의 근본이 되는 흙과 Center의 의미를 공간에 적용한다. - 평 수 : 60py -메 뉴:직화구이류 - 키워드 : CENTER[중심의] 흙, 근본,기본

COLOR

MATERIAL

바닥

우드 플로어링

화강석

토카타일

토카타일(베이스)

각재

무늬목

화강석

토카타일(포인트)

한지벽지

디딤석(화강석)

토카타일(포인트)

한지벽지

토카타일

판석

한지벽지

천정

각재

한지

도장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28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공간구성 해외한식당은 홀, 좌식공간(홀, 룸), 입식공간(홀, 룸), 주방, 화장실로 구성된다. 세부 공간구성은 홀이 20%, 좌식이 16%, 입식 홀이 13%, 입식 룸이 25%, 주방이 10%, 화장실이 8%로 한다. 이와같은 공간의 넓이는 변화가 가능하지만 제시된 넓이를 권장한다.

홀 (20%)

공간(비율)

좌식 (16%)

입식홀 홀 (13%) (13%)

입식룸 룸 (25%) (25%)

주방 (10%)

화장실 (8%)

15000 3500

2330

2860

2860

3450

3430

4310

입식룸

전실

주방

좌식

9450

화장실

2825

6190

입식홀

7355

13600

3100

5550

동선도

진입 관리자 동선 고객 동선

29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평면도 중앙홀에 고재를 이용한 공간 구획과 식재를 둠으로써 현대적이면서 모던한 공간을 연출하였다. 좌식과 입식을 구분하여 동선을 정리한다.

15000 2860

2860

3450

3430

2330

2825

6190

7355

13600

3100

4310

3500

9450

5550

천정도 고재를 이용한 평면구성과 함께 천정을 구성하였으며 한지조명 박스와 무늬목 조명박스로 인해 다양한 천정 연출을 시도한다.

NAME

LOCATION

다운라이트

홀/룸/복도/전실

할로겐

홀/룸/복도/전실

IMAGE

주방 형광등 홀/룸/전실

30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조도분포도

31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A

B C

입면도

Keyplan 입면도 A

무늬목

토카타일

각재 판석

파사드는 우드를 사용하면서 게이트부분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전통적인 패턴과 토카타일을 같이 매치하였으며, 입구문은 전통문을 사 용하여 한옥의 대문의 느낌으로 연출한다. 입면도 B

한지벽지

디딤석(화강석)

한지벽지

우드창살

한지벽지

무늬목

좌식에는 넓은 창을 두어 외부의 각재의 느낌을 내부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연출하였으며, 입구부분의 전통적인 패턴의 우드살을 사용 한다. 입식룸에는 한지와 전통물품을 포인트로 전시하여 공간을 연출한다. 입면도 C

각재

우드창살/한지 무늬목

각재

토카타일 무늬목

중앙홀은 각재와 조경을 같이 매치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카운터는 토카타일과 각재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통일감을 연출한다.

Material

무늬목

토카타일

각재

한지

토카타일

무늬목

판석(부정형)

디딤석(화강석)

한지벽지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32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E

DESIGN GUIDE

D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G

입면도

F H

Keyplan 입면도 D

우드창살/한지

단조

토카타일

무늬목

한지벽지

조경과 장승을 매치하여 실외의 느낌을 전실에 연출하며, 입식룸의 입구를 전통적인 문양을 이용한 단조와 전통창살문을 사용하여 연 출한다. 입면도 E

한지벽지

각재

한지벽지

각재와 전통장식품을 사용해 포인트를 주어 입식룸의 공간을 연출한다. 입면도 F

한지벽지

한지조명

한지벽지 무늬목

한옥의 구조인 공틀과 한지를 사용한 조명을 포인트를 주어 좌식공간에 연출한다. 입면도 G

입면도 H

무빙월:우드창살/한지

각재

우드창살/한지

각재

토카타일

한지벽지

타일

한지와 우드창살을 사용한 슬라이딩도어를 사용하여 좌식룸의 공간을 나눌 수 있도록 연출하며, 중앙홀은 자연적소재인 흙을 이용한 토 카타일을 사용하여 벽면에 포인트를 주고, 각재를 사용하여 중앙홀에 공간감을 연출한다. 좌식공간은 전통용품인 탈을 D.P하여 포인트를 준다. 화장실의 경우 전통가구를 세면대 하부에 사용하여 한국적인 느낌을 살렸다. Material

도장(단조)

각재

토카타일

토카타일

토카타일

토카타일

타일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33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입면도 ISOMETRIC

전통의 멋 : 우리 전통의 한지를 이용하여 좌식의 분위기 연출 자연의 분위기를 살리는 룸 : 큰 룸은 자연과의 친밀감을 주기 위한 공간 연출 전통패턴의 모던한 룸 : 전통 패턴의 창문과 우드로 모던한 분위기 연출 중앙 홀 식재 : 홀 중앙에 고재와 어울리는 식재를 심어 한국의 자연을 느끼며 식사 할 수 있는 공간 연출

34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VIEW 2

DG_전문형_디자인 계획 VIEW 1

예상 투시도

Keyplan VIEW 1

VIEW 2

35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대안 평면도 기존안

ALT-1

Material

우드 플로어링

대리석

룸에 각각 조명을 설치하여 모던한 느낌의 공간을 연출한다. 중앙 홀에 OPEN BAR를 두어 주방과 홀의 공간을 친밀감 있게 연출한다.

천정도 기존안

ALT-1

Material

무늬목

도장

한지

전실은 전통문양을 사용하여 중앙에 포인트를 주고, 홀은 중앙에만 우드를 사용하여 심플하게 연출하며, 입식룸은 한지와 우드를 사용하여 전통창호의 느낌을 연출한다. 좌식룸은 우드를 사용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은은한 느낌을 연출한다.

36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대안 입면도 A 기존안

게이트부분을 토카타일의 어두운 톤을 사용하여 포인트를 주며, 전통문양의 창살영 역을 넓혀 강조한다.

ALT-1

Materal

토카타일

우드창살

토카타일

입면도 B 기존안

좌식은 전통창살을 사용하여 한옥의 느낌을 살리며, 입식룸은 양옆에 우드를 사용하여 포인트를 부여한다. ALT-1

무늬목

우드창살/한지

입면도 C 기존안

각재를 제거하여 오픈된 중앙 홀을 연출한다. ALT-1

37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대안 입면도 D

기존안

전실에 각재를 넣어 홀과의 통일성을 부여한다. 입식룸 게이트와 벽은 화려하게 은경에 전통패턴의 조명과 금색한지를 사용하여 연출한다. ALT-1

각재

은경

각재

한지

Material

한지

은경

입면도 F 기존안

한국화 벽지를 사용하여 입식룸에 포인트를 준다. ALT-1

포인트 벽지

Material

포인트 벽지

포인트 벽지

포인트 벽지

38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 대안 입면도 G 기존안

ALT-1

한지조명을 중앙에만 두어 포인트를 주며, 한쪽은 공간을 나눌 수 있도록 전통패턴의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한다.

Material

한지

한지

입면도 H 기존안

ALT-1

Material

원목

원목

세면대의 하부를 각재의 단면을 사용하여 공간의 전체적인 느낌을 통일한다.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39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F-03

F-02

DESIGN GUIDE F-01

DG_전문형_가구 계획

Keyplan F-04 가구알람표

F-05

Material

CODE

NAME

F-01

카운터

F-02 F-03

입식 6인 테이블 입식 4인 테이블

F-04

좌식 6인 테이블

F-05

좌식 4인 테이블

F-01 카운터

F-02 입식 6인 테이블

TOP VIEW

SIDE VIEW

TOP VIEW

FRONT VIEW

REAR VIEW

FRONT VIEW

F-03 입식 4인 테이블

F-04 좌식 6인 테이블

TOP VIEW

FRONT VIEW

SIDE VIEW

TOP VIEW

SIDE VIEW

FRONT VIEW

SIDE VIEW

F-05 좌식 4인 테이블

TOP VIEW

FRONT VIEW

SIDE VIEW - 제시된 가구를 모두 세팅할 것을 권장함. - 동일한 디자인 가구가 없을경우, 유사한 가구로 대체 가능함.

40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전문형_소품 바닥용 소품

고가구

장승

벽면용 소품

노리개

부채

한복

소고

버선

장구

- 제시된 소품을 모두 세팅할 것을 권장함. - 동일 디자인 소품이 없을경우, 유사한 소품으로로 대체 가능함.

41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 디자인 컨셉 디자인 컨셉

대중형 디자인 컨셉은 오행의 기운중 목(木)과 화(火)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목과 화는 계절로는 봄과 여름 을 상징하여, 생장과 발육의 왕성함을 나타낸다. 오행의 의미와 걸맞게 인테리어 디자인도 경쾌한 색상의 조 각보와 칼라풀한 무늬목을 사용하여 생동감 있는 공간의 의미를 전달한다. 소품으로는 한국전통의 식재료 중 에서 그 색이 강렬한 송화와 치자 그리고 이를 활용해 천연염색하여 오색찬란한 색동저고리 등을 활용하여 밝고 젊은 이미지를 보여준다. 장구와 북의 소리는 다양하면서도 당당하다 이 소리 또한 양의 소리이며, 봄 과 여름, 목과 화의 기운인 것이다. 전통민화에 나타난 까치호랑이와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와 같 은 밝고 재기넘치는 공간이다.

42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디자인 계획 CONCEPT

화(火), 목(木) 화(火),목(木)이 가지고 있는 빛과 에너지라는 의미를 공간에 적용하였다. - 평 수 : 30py -메 뉴:단품분식류 - 키워드 :NEW[새싹의], 불, 열정 자라남, 청춘, 색의대비 색의조화, 자연과의 조화

COLOR

MATERIAL

바닥

타일

무늬목

한지

우드 플로어링

무늬목

한지

타일

한지

판석

한지

인조대리석

한지

한지벽지

천정

무늬목

도장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43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디자인 계획 공간구성 해외한식당은 홀, 좌식공간(홀, 룸), 입식공간(홀, 룸), 주방, 화장실로 구성된다. 세부 공간구성은 홀이 33%, 좌식이 13%, 입식이 32%, , 주 방이 15%, 화장실이 7%이다. 이와같은 공간의 넓이는 변화가 가능하지만 제시된 넓이를 권장한다. 홀 (33%)

공간(비율)

좌식 (13%)

입식 (32%)

주방 (15%)

화장실 (7%)

14975

화장실

8275

좌식

3500

주방

930 1840

주방

7700

1155

입식

2800

7200

7200

홀 입식

4450

3275

1650

1100

1650

1550

4300 14800

동선도

진입

관리자 동선 고객 동선

44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 디자인 계획 평면도 표준화된 메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해주는 소규모의 시스템, 한식 메뉴를 캐쥬얼한 분위기에서 제공하는 단품분식점으로 오행 중 에서 목(木), 화(火)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14975 1650

8275

3500

7200

1155

1840

4450

930

7200

1100

3275

1650

1550

2800

7700

4300 14800

천정도 새싹, 불, 열정의 키워드를 가지고 한국의 조각보 느낌을 표현한 한지 등박스와 무늬목 천정을 연출한다.

NAME

LOCATION

다운라이트

홀/룸/복도/전실

할로겐

홀/룸/복도/전실

IMAGE

주방 형광등 홀/룸/전실

45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 디자인 계획 조도분포도

46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C

DESIGN GUIDE

DG_대중형_ 디자인 계획

A

D

Keyplan

입면도

B

입면도 A

입면도 B

무늬목

인조대리석

무늬목/오일스테인

무늬목

타일

외부 파사드는 조각보의 느낌을 살려 칼라풀한 무늬목으로 연출한다. 단품 분식류의 메뉴를 한글와 영어를 반복하여 새겨 넣는다.

입면도 C

타일

무늬목

인테리어 필름

한지

인조대리석

무늬목

인테리어 필름

좌식공간은 전체적으로 밝은 무늬목으로 연출하고, 카운터의 경우 take-out 공간의 연장선에 위치시킨다. 전통 소반을 이용하여 메인사인 을 구성한다.

입면도 D

타일

한지 조명

무늬목

패브릭

입식공간은 조각보의 이미지를 활용한 벽면 구성으로 new, 열정, 청춘의 키워드를 표현하고자 한다.

Material

무늬목

한지

인조대리석

한지

타일

한지

무늬목

한지

한지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47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G

DESIGN GUIDE

F

DG_대중형_ 디자인 계획

G

E

Keyplan

입면도 입면도 E

무늬목

무늬목

판석

타일

홀의 경우 전체적으로 밝은 타일로 마감하고, 그와 어울리는 무늬목으로 가구를 배치한다. 홀을 중심 좌측에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서비 스 테이블을 배치하고 우측에는 전통적 요소를 배치할 수 있는 전시공간을 놓는다. 입면도 F

입면도 G

타일

단조

판석

각재

무늬목

무늬목

서비스 테이블에서 홀 전체 상황을 볼 수 있도록 눈높이 라인에 단조를 구성하고, OPEN KITCHEN과 좌식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각재를 세움으로써 공간을 구획하면서 전시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파티션에도 전통창살을 넣어 한국적 이미지를 형상화한다.

입면도 H

화장실의 경우 조각보의 칼라풀한 느낌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색감이 있는 모자이크 타일을 활용한다. 타일

모자이크타일

Material

무늬목

모자이크 타일

판석

무늬목

도장(단조)

각재

모자이크 타일 - 동일한 재질이 없을경우, 동급 이상의 유사한 마감재로 대체 가능함.

48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디자인 계획 예상 투시도

Keyplan

VIEW 1

ISOMATRIC

TAKE-OUT 형태의 OPEN KITCHEN :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 좌석의 방식을 입식과 좌식 병행 : 다양한 공간 체험 제공 평상좌식 테이블 공간 : 평상에 앉아 음식을 체험하고 한국의 음식문화에 대해서 이해하는 공간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전시공간 : 그동안의 세련되지 않은 이미지를 제고하고 개선을 하기 위한 전시 공간

VIEW 1

49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대안 평면도 기존안

ALT-1

Material TAKE-OUT 형태의 OPEN KITCHEN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TAKE-OUT 고 객과 홀 고객의 공간을 구분하여 종업원과 고객의 편의를 도모한다. 좌석의 방식을 입식과 좌식 을 병행하면서 다양한 공간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타일

우드 플로어링

천정도 기존안

ALT-1

Material 입식 홀의 공간구성의 통일감을 주기 위해 바닥과 천정 패턴을 동일하게 한다.

무늬목

도장

50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대안 입면도 A

입면도 B

기존안

기존안

ALT-1

ALT-1

Material

고벽돌

도장

도장 고벽돌

ALT-2

ALT-2

무늬목/오일스테인

무늬목/오일스테인

외부 파사드의 경우 기둥 마감을 도장과 고벽돌로 변경하거나 길이를 연장시켜 공간을 연출힌다.

입면도 C 기존안

ALT-1

Material

한지벽지

무늬목

한지벽지

ALT-2

무늬목

좌식공간의 벽 마감은 무늬목에서 한지벽지로 변경하거나 전통마루깔기 방식을 활용한 무늬목으로 연출한다.

51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대안 입면도 D 기존안

ALT-1

단조

한지

입식공간의 조각보 느낌의 한지조명박스의 색감을 한가지 톤으로 정리한다. 그리고 유리면에 단조를 추가하여 전통적인 이미지를 연출 한다. Material

도장(단조)

한지

입면도 H 기존안

ALT-1

Material

모자이크 타일

모자이크 타일

모자이크 타일 모자이크 타일

화장실의 경우 모자이크 타일의 칼라를 변경하고, 세면대 하부 마감을 타일에서 모자이크 타일로 변경한다.

52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F-03

DESIGN GUIDE

DG_대중형_가구 계획 Keyplan F-01 가구일람표

F-02

Material

CODE

NAME

F-01

입식 4인 테이블

F-02 F-03

입식 2인 테이블 좌식 4인 테이블

F-01 입식 4인 테이블

F-03 입식 4인 테이블

TOP VIEW

FRONT VIEW

TOP VIEW

SIDE VIEW

FRONT VIEW

SIDE VIEW

F-01 좌식 4인 테이블

TOP VIEW

FRONT VIEW

SIDE VIEW

- 제시된 가구를 모두 세팅할 것을 권장함. - 동일한 디자인 가구가 없을경우, 유사한 가구로 대체 가능함.

53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DESIGN GUIDE

DG_대중형_소품 바닥용 소품

장독대

맷돌

소반

절구

지게

벽면용 소품

짚신

소쿠리

홍두깨

복조리

금줄

- 제시된 소품을 모두 세팅할 것을 권장함. - 동일 디자인 소품이 없을경우, 유사한 소품으로로 대체 가능함.

54


APPENDIX AP_ AP_ AP_ AP_

조형적 색채적 패턴적 문화적

요소 요소 요소 요소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①주(住) 한옥[韓屋]은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은 집이며, 서양식 주택, 즉 양옥에 대비한 말이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 은 난방을 위한 온돌과 냉방을 위한 마루가 균형 있게 결합된 구조를 갖추고 있는 점이다.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공존하는 한반도의 더위와 추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독특한 주거 형식이다. 기와집 기와집은 기와로 지붕을 이은 집이다. 보통 참흙으로 만든 검은색 기와를 많이 썼으나, 신분이 높은 사람이 거주하는 집은 푸른 유약을 발라 만든 청기와로 지붕을 이기도 하였다.

초가집 갈대나 새, 볏짚 등으로 지붕을 인 집이다. 단열과 보온성은 우수하나 화재의 위험이 많고, 특히 볏짚으로 인 것은 매년 1번씩 다시 이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너와집 지붕을 붉은 소나무 조각으로 덮은 집이다.

귀틀집 통나무를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삼은 집이다. 한국의 경우 두 개의 방만 귀틀로 짜고 정지나 외양 등의 부속 공간은 널벽으로 마감하는데, 현재 울릉도 나리분지에 문화재로 지정된 몇 채가 남아 있다.

56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②식(食) 장독대 장류가 담긴 독과 항아리 등을 놓아 두는 곳이다.

우물 우물은 물을 얻기 위하여 땅을 파고 물이 괴게 만든 시설이다. 우물 속의 물은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흙과 바위사이에 고인 것으로 토양으로 여과된 물이다.

맷돌 밀 같은 곡물을 가루로 만들고 팥 ·콩 ·메밀 · 녹두 등을 거칠게 타거나 물에 불린 콩을 가는 데 쓰는 농기구이다.

되 곡식이나 액체 등을 되는 분량(分量)의 한 단위, 또는 그에 맞도록 만든 그릇이다.

소반 음식을 먹을 때 음식 그릇을 올려 놓는 작은 상이다.

57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복조리 섣달 그믐날 한밤중부터 정월 초하룻날 아침 사이에 사서 걸어놓고 복을 빌었던 조리이다.

키 곡식 따위를 담고 까불러서 쭉정이 검부러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이다.

절구 사람의 힘으로 곡식을 찧거나 양념을 빻을 때 또는 메주를 찧거나 떡을 찧을 때에 쓰는 매이다.

58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③의(衣) 왕관 왕위를 상징하는 관으로써 존엄을 나타내거나 고귀한 신분의 표시로 머리에 쓰는 관을 말한다.

관모 머리에 쓰는 쓰개의 총칭이나, 좁은 의미로는 벼슬아치들이 쓴 모자를 말한다.

갓,패랭이 갓은 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며, 패랭이는 옛날 신분이 낮은사람이나 상제가 쓴 갓이다.

비녀 한자로는 잠(簪)이라고 한다. 쪽을 고정시키는 것이 주목적이면서 장식의 구실도 겸하였고, 재료와 형태에 따라 명칭 · 용도 등이 달랐다.

[사진제공_한국관광공사]

왕의옷 왕과 왕비가 입었던 옷이다.

59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한복 한민족(韓民族)의 고유한 의복이다.

노리개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등에 다는 패물이다.

버선 무명 · 광목 등으로 만들어 발에 꿰어 신는 것이다.

흑혜,짚신 흑혜는 검은 가죽으로 만든신이고, 짚신은 볏짚으로 삼은 신발이다.

홍두깨 옷감을 감아서 다듬이질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60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④예술 탈 얼굴을 가려 변장을 하거나 얼굴을 방호하기 위하여 쓰는 조형물이다.

도자기 질흙으로 빚어서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제품이다.

자개 금조개 껍데기를 썰어 낸 조각으로, 빛깔이 아름다워 여러 가지 모양으로 잘게 썰어 가구를 장식하는 것이다.

병풍 바람을 막거나 장식용으로 방 안에 둘러치는 물건이다.

국악기 국악연주에 사용되는 모든 악기이다.

61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부채 손에 쥐고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덜거나 불을 일으키는 데 쓰는 물건이다.

부채 2컷 [사진제공_한국관광공사]

금줄 신성한 곳임을 표시하고 부정한 사람의 접근을 막으며 잡귀의 침범을 방어할 목적으로 늘이는 새끼줄이다. 설치 장소에 따라 형태가 조금씩 다른데, 신성한 곳에 늘이는 것과 출산시 산기(産忌)의 표시로 늘이는 것 2가지 형태가 있다.

돌탑 돌로 쌓은 탑이며, 소원성취 의미를 담아 정성을 다하여 쌓는 탑이다.

정자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이며,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는 것이다.

원두막 참외 · 수박 따위를 심은 밭을 지키기 위하여 밭머리나 밭 한가운데 지은 막이다.

[사진제공_한국관광공사]

[사진제공_한국관광공사]

62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조형적 요소 잡상 잡상은 모든 기와지붕위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궁전건물과 궁궐과 관련이 있는 건물에 한정된다. 또한 궁전건물 중에서도 양성 으로 되어 있는 내림마루와 귀마루에만 배치되고 기와로 마감된 지붕마루에는 설치하지 않았다.

연꽃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고결한 모습을 잃지 않으며, 연못에서 흔히 자라지만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특히 연꽃을 신성 시하여 부처님의 좌대를 연꽃 모양으로 수놓는데, 이를 ‘연화좌’라 한다. 꽃의색이 깨끗하고 고와서인지 꽃말도 청결, 신성,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연꽃 3컷 사진제공_한국관광공사]

63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 색채적 요소 ①오방색 오방정색이라고도 하며, 황(黃) 청(靑) 백(白) 적(赤) 흑(黑)의 5가지 색을 말한다. 음과 양의 기운이 생겨나 하늘과 땅이 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목(木)ㆍ화(火)ㆍ토(土)ㆍ금(金)ㆍ수(水)의 오행을 생성 하였다는 음양오행사상을 기초로 한다.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고 방위가 따르는데, 중앙과 사방을 기본으로 삼아 황(黃) 은 중앙, 청(靑)은 동, 백(白)은 서, 적(赤)은 남, 흑(黑)은 북을 뜻한다 -지극히 한국적인 색상을 현대적인 개념을 통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각 공간에 한국의 미 를 더한다.

②한국의 자연색 청록색계 천청색 天靑色 1.2PB 6.9/7.1 /#62C8D1 /R98 G200 B209 /C59 M0 Y20 K0

하늘색을 서술하는 구체적인 관용색명이다.

양록색 洋綠色 5.1G 6.4/9.1 /#40B87A /R64 G184 B122 /C74 M0 Y74 K0

석록(石綠)과 같은 색이며, 밝은 풀색이다.

벽청색 碧靑色

하엽색 河葉色

5.4GY 4.9/8.5 /#4F90CC /R79 G144 B204 /C72 M36 Y0 K0

9.5GY 3.7/3.6 /#375D4D /R55 G93 B77 /C83 M43 Y75 K39

녹이 슨 구리의 푸르스름한 녹색을 말한다.

단청색의 하나이며, 진채(옛 단청의 색)의 하나다.

연두색 軟豆色

녹색 綠色

6.6G 8.5/8.4 /#C1D957 /R193 G217 B287 /C29 M0 Y87 K0

연한 콩의 색이며, 특히 녹두색을 말한다.

0.1G 5.2/6.2 /#4D774D /R77 G119 B77 /C82 M44 Y95 K9

오간색의 하나로 대나무의 푸르름을 상징하며 어여쁜 처녀(규수)를 상징하기도 한다.

뇌록색 磊綠色

5.3BG 4.6/5.4 /#467B6B /R70 G123 B107 /C74 M27 Y59 K26

단청색과 진채(옛 단청의 색)의 하나로 중간 명도가 칙칙한 녹색이다.

황색계 황색 黃色

토색 土色

6.4Y 8.4/10.3 /#F9D645 /R249 G214 B69 /C3 M13 Y89 K0

9.3YR 5.3/5.4 /#9F7140 /R157 G113 B64 /C30 M54 Y91 K20

글자의 어원은 밭을 나타내며, 황토색은 밭의 색이며 넓게 펼쳐진 땅의 색을 대변한다.

흙색의 일종으로 우리말로 땅색 또는 흙색으로 부른다. 산에 있는 다소 어두운 땅의 색을 말하기도 한다.

송화색 松花色

금색 金色

소나무의 꽃과 꽃가루를 말하며 식욕을 왕성하게 하고 입맛을 돋구는 데 널리 사용되어온 귀한 다식의 색이다.

가장 화려한 색으로 오정색 중 위계가 가장 으뜸이며 중앙의 황색을 대표한다.

행황색 杏黃色

치자색 梔子色

5.6YR 7.4/9.2 /#F1A862 /R241 G168 B98 /C3 M40 Y73 K0

4.7Y 8.2/8.4 /#F6D07F /R246 G208 B127 /C3 M18 Y61 K0

2.0GY 9.0/7.0 /#F8E884 /R248 G232 B132 /C4 M4 Y62 K0

살구와 은행을 모두 말하는 색이다.

토황색 土黃色

예부터 우리 선조들이 옷이나 소품에 즐겨 사용했던 대표적인 전통색의 하나이다. 치자나무의 열매로 색을 얻는다.

6.9YR 5.8/7.6 /#C9893D /R201 G137 B61 /C18 M50 Y97 K5

누런 땅빛을 대표하는 상징적 색채로 현대에 와서는 어순이 바뀌어 황토색이라도고 한다.

자색계 자색 紫色

다자색 茶紫色

6.7RP 3.3/8.2 /#73334E /R115 G51 B78 /C41 M95 Y45 K40

9.7R 2.7/2.2 /#52403E /R82 G64 B62 /C75 M86 Y85 K35

검은 색의 기운과 붉은 색의 기운이 모두 있으며 간색 중 가장 어두운 색이다.

단청색의 하나이며, 진채(옛 단청의 색)에도 속한다. 찻잎을 잘 가공하였을 때 보이는 색이다.

포도색 葡萄色 0.6RP 3.0/6.0 /#4644269 /R100 G66 B105 /C70 M90 Y35 K20

잘 익은 포도의 열매색을 말하며 결실과 자손번창의 의미가 깃든 정성적 색채이다.

64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패턴적 요소 ①창살

띠살

완자살

아자살

빗살

소슬빗꽃살

귀자살

용자살

귀감살

귀감살

숫대살

복합형

②와당 기와의 마구리이며, 막새라고도 한다.

③마루 집채 안에 바닥과 사이를 띄우고 널빤지를 깔아 놓은 곳이다. 마루는 땅바닥보다 높게 설치하여 마루 밑으로 통풍이 가능하며, 집안으로 스며드는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④담 대지경계선 확정, 사람이나 동물의 침입방지, 외부의 시선 차단, 방화·방음 등의 목적을 가진다.

65


Interior Design Manual for Korea Restaurant in foreign countries

APPENDIX_한국적이미지

AP_문화적 요소 ①다도 찻잎 따기에서 달여 마시기까지 다사(茶事)로써 몸과 마음을 수련하여 덕을 쌓는 행위이다.

②상차림 한국의 전통적인 음식상을 차리는 형식의 총칭으로써 한국요리에는 갖가지 특색 있는 음식이 있고 거기에 따른 조리법이 있으며 또한 독특한 상차림이 있다. 상차림의 유형은 그 시대의 정치·경제·문화 체제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한편으로는 의복이나 주거양식과도 연계성이 크다. (종류: 반상차림, 죽상, 면상, 교자상, 주안상, 다과상, 제삿상 등이 있다)

상차림 2컷 [사진제공_한국관광공사]

③좌식문화

앉아서 생활하는 문화로써 서양문화와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겨울철에 난방을 온돌로 했기 때문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坐式)문화’가 발달하였다.

④젓가락, 놋그릇 젓가락은 한쌍의 가늘고 짤막한 나무나 쇠붙이로 음식을 집어 먹는 기구이다 놋그릇은 놋쇠로 만든 그릇이다.

[사진제공_한국관광공사]

66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