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 파 리 】 ......................................................................................................................13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15 Ⅰ. 파리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 20 1. 파리 시장환경 및 특성 ......................................................................................................... 20 가. 파리 외식산업 분석 ............................................................................................................................. 20 나. 파리 상권 특성 ...................................................................................................................................... 26 2. 파리 한식 및 한식당 외식행태 분석 .................................................................................. 27 가. 파리 현지인 한식 취식 행태 .......................................................................................................... 27 나. 파리 현지인 한식에 대한 관심...................................................................................................... 28 다. 파리 한식 대표메뉴 분석 ................................................................................................................. 29 라. 파리 한식당의 한식 현지화 이슈 ................................................................................................. 32 Ⅱ. 파리 에스닉 푸드 식당 및 한식당 사례 연구 ......................................................................... 34 1.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 34 Ⅲ. 한식당 마케팅 전략 ..................................................................................................................... 36 1. 파리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 36 가. 파리 한식당 SWOT 분석 .................................................................................................................. 36 나. 파리 한식당 핵심 마케팅 요인 분석 .......................................................................................... 37 다. 파리 한식당 마케팅 기회 ................................................................................................................. 38 2. 파리 고객 세분화 전략 수립 ................................................................................................ 39 가. 파리 외식 고객 세분화 ...................................................................................................................... 39 나. 파리 한식당 표적 고객층 도출...................................................................................................... 40 3. 파리 한식당 유형 별 사업모델 ............................................................................................ 42 가. 사업모델 아이템 대안발굴 및 평가 ............................................................................................ 42 4. 한식당 사업모델 별 구체 전략 ............................................................................................ 45 가. 한식당 사업모델 구체전략 예시 ................................................................................................... 45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49 Ⅰ. 도시별 시장조사 비교에 따른 한식당 진출 전략 도출 .......................................................... 53 1. 파리 및 싱가포르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단계 ................................................................. 53 가.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인의 외식행태 및 한식 수용도 비교 ......................................... 54 3
나.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의 한식당 경쟁력 비교 ..................................................................... 56 다.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인에 어필하는 한식 대표 메뉴 ..................................................... 57 2.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및 한식당 포지셔닝 .......................................................... 58 가.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포지셔닝 ................................................................................... 58 나.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포지셔닝 .............................................................................. 63 3.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및 한식당 진출전략 ........................................... 65 가.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 65 나.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해외 진출전략 ................................................................... 67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79 Ⅰ. 파리 내 한식당 현황 ................................................................................................................... 83 1. 파리 내 한식당의 발전 현황 ................................................................................................ 83 2. 파리 내 한식당 경영주 식당 운영 기간 ............................................................................. 83 3. 파리 내 한식당의 입점 위치 ................................................................................................ 84 Ⅱ. 파리 내 한식당 운영 현황 ......................................................................................................... 85 1. 파리 내 한식당 운영 형태.................................................................................................... 85 2. 파리 내 한식당 메뉴 운영.................................................................................................... 86 3. 파리 내 한식당 인력 운영.................................................................................................... 87 4. 객단가 및 매출 관리 ............................................................................................................. 88 Ⅲ. 파리 내 한식당 시설 현황 ......................................................................................................... 89 1. 파리 내 한식당 규모 ............................................................................................................. 89 2. 주차장 현황 ............................................................................................................................ 89 Ⅳ. 한식당 고객 특성 ......................................................................................................................... 90 Ⅴ. 한식당 향후 발전 방향 관련 제언 ............................................................................................ 90
파리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91 Ⅰ. 파리 내 식재료 유통 현황 ......................................................................................................... 95 Ⅱ.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시장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 97 Ⅲ.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 100 Ⅳ. 파리 식재료 시장 개척 성공 사례 .......................................................................................... 101
4
Ⅴ. 한식 식재료 수출 활성화 방안 ................................................................................................ 102
파리 공항 입점관련 정보 ............................................................................................ 103 Ⅰ. 샤를 드골 공항 .......................................................................................................................... 107 1. 샤를 드골 공항 관련 세부 정보 ........................................................................................ 107 2. 샤를 드골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107 3. 샤를 드골 공항 입점 ........................................................................................................... 108 Ⅱ. 파리 오를리 공항 ....................................................................................................................... 109 1. 파리 오를리 공항 관련 세부 정보 .................................................................................... 109 2. 파리 오를리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109 3. 파리 오를리 공항 입점 ....................................................................................................... 110 Ⅲ. 보베 국제 공항 .......................................................................................................................... 111 1. 보베 국제 공항 관련 세부 정보 ........................................................................................ 111 2. 보베 국제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111 3. 보베 국제 공항 입점 ........................................................................................................... 111
파리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113 Ⅰ. 한식당 운영관련......................................................................................................................... 117 Ⅱ. 한식당 성공사례......................................................................................................................... 118 1. 성공적인 한식의 현지화.................................................................................................................... 118 2. 식당의 특성에 맞는 메뉴 구성 ...................................................................................................... 118 3. 한국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식당의 인테리어........................................................................ 118 4. 친절한 서비스 ........................................................................................................................................ 119 Ⅲ. 한식당 실패 사례 ....................................................................................................................... 120 1. 상권에 부적합한 음식점 컨셉 ........................................................................................................ 120 2. 재무 운영의 문제 ................................................................................................................................. 120 3. 불법 고용 .................................................................................................................................................. 120 Ⅳ. 식재료 관련 Issue ..................................................................................................................... 121 Ⅴ. 종업원 수급 관련 사항 ............................................................................................................. 121 Ⅵ.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 122
5
【 싱 가 포 르】 .......................................................................................................... 123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 125 Ⅰ. 싱가포르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 130 1. 싱가포르 시장환경 및 특성................................................................................................ 130 가. 싱가포르 외식산업 분석.................................................................................................................. 130 나. 싱가포르 상권 특성 ........................................................................................................................... 140 2. 싱가포르 한식 및 한식당 외식행태 분석 ......................................................................... 141 가. 싱가포르 현지인 한식 취식 행태 ............................................................................................... 141 나. 싱가포르 현지인의 한식에 대한 관심 ...................................................................................... 142 다. 싱가포르 한식 대표메뉴 분석 ...................................................................................................... 145 라. 싱가포르 한식당의 한식 현지화 이슈 ...................................................................................... 149 Ⅱ. 싱가포르 에스닉 푸드 식당 및 한식당 사례 연구 ................................................................ 151 1.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 151 Ⅲ. 한식당 마케팅 전략 ................................................................................................................... 154 1. 싱가포르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 154 가. 싱가포르 한식당 SWOT 분석 ....................................................................................................... 154 나. 싱가포르 한식당 핵심 마케팅 요인 분석 ............................................................................... 155 다. 싱가포르 한식당 마케팅 기회 ...................................................................................................... 157 3. 싱가포르 고객 세분화 전략 수립 ...................................................................................... 158 가. 싱가포르 외식 고객 세분화........................................................................................................... 158 나. 싱가포르 한식당 표적 고객층 도출 .......................................................................................... 159 4. 싱가포르 한식당 유형 별 사업모델 .................................................................................. 161 가. 사업 모델 아이템 대안 발굴 및 평가 ...................................................................................... 161 5.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모델 별 구체 전략 ......................................................................... 165 가.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모델 구체전략 예시 ............................................................................ 165 6. 싱가포르 한식당 홍보 판촉 전략 ...................................................................................... 166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 169 Ⅰ. 도시별 시장조사 비교에 따른 한식당 진출 전략 도출 ........................................................ 173 1. 싱가포르 및 파리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단계 ............................................................... 173 가. 싱가포르 및 파리 현지인의 외식행태 및 한식 수용도 비교 ....................................... 174 나. 싱가포르 및 파리 현지의 한식당 경쟁력 비교 ................................................................... 176 다. 싱가포르 및 파리 현지인에 어필하는 한식 대표 메뉴 ................................................... 177 2.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 및 한식당 포지셔닝 ........................................................ 178 6
가.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 포지셔닝 ................................................................................. 178 나.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당 포지셔닝 ............................................................................ 182 3.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및 한식당 진출전략 ......................................... 184 가.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 184 나.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당 해외 진출전략 ................................................................. 186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 197 Ⅰ. 싱가포르 내 한식당 현황 ......................................................................................................... 201 1.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발전 현황 ...................................................................................... 201 2. 싱가포르 내 한식당 경영주 식당 운영 기간 ................................................................... 201 3.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입점 위치 ...................................................................................... 202 Ⅱ.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현황 ................................................................................................ 203 1.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형태 .......................................................................................... 203 2. 싱가포르 내 한식당 메뉴 운영 .......................................................................................... 204 3. 싱가포르 내 한식당 인력 운영 .......................................................................................... 205 4. 객단가 및 매출 관리 ........................................................................................................... 206 Ⅲ. 싱가포르 내 한식당 시설 현황 ................................................................................................ 207 1. 싱가포르 내 한식당 규모 ................................................................................................... 207 2. 주차장 현황 .......................................................................................................................... 207 Ⅳ. 한식당 고객 특성 ....................................................................................................................... 208 Ⅴ. 한식당 향후 발전 방향 관련 제언 .......................................................................................... 208
싱가포르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 209 Ⅰ. 싱가포르 내 식재료 유통 현황 ................................................................................................ 213 Ⅱ. 싱가포르 내 식재료 시장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 214 Ⅲ. 싱가포르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 ............................................................................. 218 Ⅳ. 싱가포르 식재료 시장 개척 성공사례..................................................................................... 219 Ⅴ. 한식 식재료 수출 활성화 방안 ................................................................................................ 220
싱가포르 공항 입점관련 정보 .................................................................................... 221 7
Ⅰ.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 관련 세부 정보 ............................................................................... 224 Ⅱ.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224 Ⅲ. 싱가포르 창이 공항 입점 방식 ................................................................................................ 225 1.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 (The direct approach) .............................................................. 225 2. 정부와의 입찰 방식 (The tender process ; Government tender) ............................... 226 Ⅳ.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운영 관련 사항 ................................................................... 227 1. 입점 위치에 따른 매장 컨셉 결정 .................................................................................... 227 2. 청결 관련 문제 .................................................................................................................... 227 3.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대상 품질 관련 모니터링 ............................................ 227
싱가포르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 229 Ⅰ. 한식당 운영 관련 ....................................................................................................................... 233 Ⅱ. 한식당 성공 사례 ....................................................................................................................... 234 1. 다른 식당들과의 차별화 ..................................................................................................... 234 2. 싱가포르 시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 .................................................................................. 234 3. 한국적인 서비스 제공 ......................................................................................................... 234 Ⅲ. 실패 사례 .................................................................................................................................... 235 1. 전문점 형태의 음식점 ......................................................................................................... 235 2. 자금 부족 문제 .................................................................................................................... 235 3. 현지인 고객 유치 문제 ....................................................................................................... 235 Ⅳ. 식재료 관련 Issue ..................................................................................................................... 236 Ⅴ. 종업원 수급 관련 ....................................................................................................................... 236 Ⅵ.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 236
【 북 경 】 ................................................................................................................... 237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39 Ⅰ. 북경 사업 환경 분석 ................................................................................................................. 241 1. 현지 시장환경 및 특성 ....................................................................................................... 244 가. 중국 경제 환경 .................................................................................................................................... 244 8
나. 중국의 소비 트렌드 ........................................................................................................................... 246 다. 중국 식문화 특징 ............................................................................................................................... 247 라. 북경 소비인구 특성 ........................................................................................................................... 248 마. 북경 외식시장 현황 ........................................................................................................................... 250 2. 북경 내 경쟁 환경 분석 ..................................................................................................... 251 가. 북경 내 에스닉 푸드 현황............................................................................................................ 251 나. 북경 내 외식 경쟁 현황.................................................................................................................. 253 3. 북경 고객 외식행태 분석 ................................................................................................... 254 가. 일반 외식 행태 .................................................................................................................................... 254 나. 한식 외식행태 ...................................................................................................................................... 256 다. 한식 관련 인식 및 태도.................................................................................................................. 257 4. 북경 고객의 비빔밥 외식행태 분석 .................................................................................. 259 가. 비빔밥 외식행태 .................................................................................................................................. 259 나. 비빔밥 관련 인식 및 태도 ............................................................................................................. 261 Ⅱ. 북경 비빔밥 전문점 고객 및 포지셔닝 전략 ......................................................................... 262 1. 북경시 외식 고객 시장의 구분 .......................................................................................... 264 2. 비빔밥 전문점 표적 고객층 도출 ...................................................................................... 265 가. 세분 집단별 평가 ............................................................................................................................... 265 나. 표적 고객층 선정 ............................................................................................................................... 266 3.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방향 ............................................................................................ 268 Ⅲ. 비빔밥 전문점 마케팅 전략...................................................................................................... 270 1. 점포 전략 .............................................................................................................................. 274 가.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 274 나. 비빔밥 전문점 점포 모델 ............................................................................................................... 282 2. 상권 및 입지전략 ................................................................................................................. 288 가. 북경시 분석 ........................................................................................................................................... 288 나. 최적 상권 제시 .................................................................................................................................... 290 다. 추천 상권 투자 및 손익 분석..................................................................................................... 294 3. 홍보•프로모션 전략 ............................................................................................................. 296 가. 홍보•프로모션 전략 개요................................................................................................................ 296 4. 가격 수립 .............................................................................................................................. 299 가. 북경 비빔밥 전문점 적정 메뉴 가격 ........................................................................................ 299 Ⅳ.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 300 1.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 302 2. 한식당 해외진출 전략 유형 및 사례연구 ......................................................................... 304 가. 비빔밥 전문점 중국진출 사례연구 ............................................................................................. 304 나. 시사점....................................................................................................................................................... 308 9
3.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로드맵............................................................................... 309 가. 비빔밥 전문점 진출 전략 로드맵 ............................................................................................... 309 Ⅴ. 개업 정보 및 식자재 유통 정보 .............................................................................................. 313 1. 세무 정보 .............................................................................................................................. 315 가. 세금 부과 절차 .................................................................................................................................... 315 2. 중국 식자재 유통 현황 ..................................................................................................... 318 가. 현지 식재료 유통 전반 .................................................................................................................... 318 나. 식자재별 유통 현황 ........................................................................................................................... 321
【 상 해 】 ................................................................................................................... 323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325 Ⅰ. 상해 사업환경 분석 ................................................................................................................... 327 1. 현지 시장환경 및 특성 ....................................................................................................... 330 가. 중국 경제 환경 .................................................................................................................................... 330 나. 중국의 소비 트렌드 ........................................................................................................................... 332 다. 중국 식문화 특징 ............................................................................................................................... 333 라. 상해 소비인구 특성 ........................................................................................................................... 334 마. 상해 외식시장 현황 ........................................................................................................................... 336 2. 상해 내 경쟁 환경 분석 ..................................................................................................... 337 가. 상해 내 에스닉 푸드 현황 ............................................................................................................. 337 나. 상해 내 외식 경쟁 현황.................................................................................................................. 339 3. 상해 고객 외식행태 분석 ................................................................................................... 340 가. 일반 외식 행태 .................................................................................................................................... 340 나. 한식 외식행태 ...................................................................................................................................... 342 다. 한식 관련 인식 및 태도.................................................................................................................. 343 4. 상해 고객의 비빔밥 외식행태 분석 .................................................................................. 345 가. 비빔밥 외식행태 .................................................................................................................................. 345 나. 비빔밥 관련 인식 및 태도 ............................................................................................................. 347 Ⅱ. 상해 비빔밥 전문점 고객 및 포지셔닝 전략 ......................................................................... 348 1. 상해시 외식 고객 시장의 구분 .......................................................................................... 350 2. 비빔밥 전문점 표적 고객층 도출...................................................................................... 351 가. 세분 집단별 평가 .............................................................................................................................. 351 나. 표적 고객층 선정 .............................................................................................................................. 352 3.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방향 ........................................................................................... 354
10
Ⅲ. 비빔밥 전문점 마케팅 전략...................................................................................................... 356 1. 점포 전략 .............................................................................................................................. 361 가.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 361 나. 비빔밥 전문점 점포 모델 .............................................................................................................. 369 2. 상권 및 입지전략 ................................................................................................................. 375 가. 상해시 분석 ........................................................................................................................................... 375 나. 추천 상권 제시 .................................................................................................................................... 377 다. 추천 상권 투자 및 손익 분석..................................................................................................... 381 3. 홍보•프로모션 전략 ............................................................................................................. 383 가. 홍보•프로모션 전략 개요................................................................................................................ 383 4. 가격 수립 .............................................................................................................................. 386 가. 상해 비빔밥 전문점 적정 메뉴 가격 ........................................................................................ 386 Ⅳ.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 387 1.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 389 2. 한식당 해외진출 전략 유형 및 사례연구 ......................................................................... 391 가. 비빔밥 전문점 중국진출 사례연구 ............................................................................................. 391 나. 시사점....................................................................................................................................................... 395 3.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로드맵............................................................................... 396 가. 비빔밥 전문점 진출 전략 로드맵 ............................................................................................... 396 Ⅴ. 개업 정보 및 식자재 유통 정보 .............................................................................................. 400 1. 세무 정보 .............................................................................................................................. 402 가. 세금 부과 절차 .................................................................................................................................... 402 2. 중국 식자재 유통 현황 ..................................................................................................... 405 가. 현지 식재료 유통 전반 .................................................................................................................... 405 나. 식자재별 유통 현황 ........................................................................................................................... 408
11
【 파 리 】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Executive Summary
1.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파리의 전략적 중요성 파리는 세계의 음식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도시이기 때문에 파리에서 한식당이 활성화되었을 때 파급력이 세계의 어느 도시보다 큼. 또한 전세계의 관광객이 연간 3천만명 이상 방문하는 도시이기 때문에 파리를 거점으로 전 세계인에게 한식을 경험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2. 파리 현지에서의 한식의 확산 단계와 가능성 본격적인 붐 업 단계에 도달하기 위한 준비 기간에 해당함. 파리인들의 한식 취식 경험률 30.7%이며 한식당은 70개가 존재함(2010년 10월 기준). 한식당과 밀접한 경쟁 관계에 있는 일식당의 경우, 점차 쇠퇴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으며 일식당의 운영 주체가 대부분 중국인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기존의 고급스러움이 차츰 희석되어 가고 있음. 아울러 중식의 경우, 최근 위생 문제가 TV 고발 프로그램에 보도되면서 중식당의 위생 상태에 대한 현지인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어 성장세가 한풀 꺾인 상황임. 3. 파리 한식당 활성화의 주체와 식당의 규모 파리의 한식당 점주들은 대부분 현지 정착의 수단으로 한식당을 개업한 경우임. 아울러 현지인들이 대체적으로 작은 규모의 식당을 선호하기 때문에 대형 한식당의 성공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현지에 정착한 한국 교민보다 큰 규모의 자본투하가 가능한 기업의 경우, 글로벌 사업 관점에서 파리 이외의 지역이 상대적으로 더 유리한 사업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한국에 대한 인지나 호감 관점에서) 외식 시장에서 차지하는 파리의 상징성을 고려 시 장기적 투자 관점의 한식당 홍보차원의 시도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여겨짐. 4. 파리 내 한식 이미지 및 대표적인 한식 메뉴 파리 현지인들은 아직 한국 및 한식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상황임. 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으며, 88올림픽, 현지에서 개봉되거나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한 영화, 뉴스를 통해 알게 되는 북한 관련 소식, 전자제품 회사 등을 통해 갖는 이미지가 거의 전부임. 한식에 대한 파리 현지인들의 이미지는 ‘건강하다, 지방이 적다, 야채가 많다, 맵다, 음식 양이 많다, 자연적이다’로 요약될 수 있음. 타 에스닉 푸드 대비하여
17
파리
상대적으로 ‘건강한’ 이미지에 있어 차별적 포지셔닝이 가능하다고 보여짐. 고기 구이류와 함께 제공되는 야채, 야채가 많이 들어간 비빔밥으로 인해 건강에 좋다고 인식하며, 다양한 반찬이 함께 제공되는 점 등으로 인해 다른 에스닉 푸드에 비해 양이 많고 푸짐하다고 인식함 매운 맛, 한국 및 한식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없어 자신들이 먹는 음식이 진짜 한식인지에 대한 의구심, 한정적인 한식 메뉴의 경험이 부정적으로 언급되기도 하나 이러한 부분은 매운 맛은 강도 선택에 대한 옵션을 제공하고 한국 및 한식에 대한 적극적 홍보를 통해 극복 가능할 것으로 여겨짐.
파리 한식당 판매 인기 TOP 10 한식메뉴 불고기(37.9%), 돌솥비빔밥(10.3%), 비빔밥(6.9%), 보쌈(6.9%), 감자탕(3.4%), 바비큐(3.4%), 만두(1.7%), 갈비살(1.7%), 떡볶이(1.7%), 갈비찜(1.7%)
파리 소비자 만족도 TOP 10 한식메뉴 대체로 한식 메뉴에 대해서는 80%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임 삼계탕(100%), 냉면(98.5%), 불고기(98.4%), 김치찌개(98.1%), 비빔국수(95.8%), 갈비구이(94.9%), 쌈밥(94.2%), 김밥(94.2%), 보쌈(93.9%), 순대(93.9%)
불고기와 비빔밥은 전문점 형태로의 가능성을 일부 보이고 있으며 실제로 전문점 형태로 운영되는 곳도 있음. 그러나, 이를 일반화하여 추진하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음. 아직은 다수의 强小 한식당 중심으로 다채로운 한식 메뉴를 선보이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대표 메뉴를 특화하는 형태로 전이되는 것이 바람직함.
본요리
코스에서의
메뉴
구성에는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있으나
한식스러우면서도, 차별적인 전식과 후식에 대한 과제가 남아있는 상태임.
5. 파리 현지 한식당 마케팅 기회 및 사업모델 파리 현지에서 한식당의 진입 단계는 시장진입 초기에 해당하며 경쟁 관계에 있는 일식과 중식은 최근 몇몇 이슈들로 인해 하락세에 접어들고 있는 상황임. 따라서, 한식의 건강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한식당 사업모델 개발로 다른 에스닉 푸드와 차별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이 기본 방향임. 또한, 파리의 외식 시장 특성상 대형 음식점보다는 소규모 한식당의 성공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18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파리 현지 시장 및 경쟁 분석,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시사점을 통해 파리 현지에서의 마케팅 기회를 다음과 같은 2가지 방향으로 압축함. 첫 번째 방향은 ‘신선한 야채와 함께 먹는 한국 불고기의 정수 – 신선한 야채가 푸짐하게 제공되는 불고기 전문점’이며, 두 번째 방향은 ‘정성을 다해 만든 푸짐한 음식 맛은 물론 영양까지 고려한 정통 한식당’임.
6. 파리 한식당 홍보 프로모션 한식의
홍보/프로모션,
한식당의
홍보/프로모션으로
구분하여
전략을
제시하였음.
파리의 경우, 2010년에 함께 조사된 타 도시 대비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취식 경험율이 낮은 점을 고려하여 ‘한식 인식 및 취식 경험 제고’에 중점을 둔 전략을 제시하였음. 한식당 프로모션은, 프로모션의 실행 주체가 한식당인 점을 고려하여 적은 비용과 인력으로도 추진할 수 있는 프로모션 안을 다수 포함시켰음.
19
파리
Ⅰ. 파리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 파리 시장환경 및 특성 가. 파리 외식산업 분석 1) 프랑스 외식산업 현황 •
프랑스 통계청의 „외식시장 거래량 지표‟에 의하면 외식산업은 2010년 5월 이후 호조세를 보이고 있음. [그림] 외식 시장 거래량 지표 150
97.5
100
104.9
85.2
80.3
95
101.4
93.7
102.5
50 0 2009 평균 2010 1월 2010 2월 2010 3월 2010 4월 2010 5월 2010 6월 2010 7월 *Source : 프랑스 통계청, 2010년
•
외식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상위업체는 맥도날드 등의 패스트 푸드 체인임. [표] 프랑스 외식기업 매출 순위 [단위: 천유로]
순위
기업
2008년 매출액
전년 대비 성장률
비고
1
Mcdonald’s
3,300,000
10.0%
미국
2
Quick
893,000
3.2%
프랑스
3
Buffalo Grill
303,076
7.4%
프랑스
4
Hippoptamus
190,981
4.5%
프랑스
*Source : 프랑스 통계청, 2010년
20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2) 프랑스 외식비 지출 현황 •
대도시 가구의 경우, 1년 외식비는 평균 €1,336며, 가구별 소비지출 중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5% 수준임. [표] 거주지 유형에 따른 가구별 외식 지출 비용 구분
1년 식품 평균 소비 지출 (€)
1년 외식 지출 (€)
식품 소비 지출 대비 외식 지출 비중 (%)
농촌
5,835
1,126
19.3
2만명 미만 거주 소도시
5,871
1,161
19.8
2만명~10만명 거주중소도시
5,287
996
18.8
10만명 이상 거주 대도시
5,648
1,336
23.7
*Source : Insee, enquetes “Budget de Famille” 2001 et 2006
[표] 가구별 소비 지출 구조
비중 (%)
식품
주류 담배
의복
주택
용품
교통
보건 교육
여가
외식
기타
15.5
2.6
7.9
16.2
7.3
15.7
4.3
9.0
5.5
16.0
*Source : Insee, enquetes “Budget de Famille” 2001 et 2006
•
한국의 경우, 2010년 기준으로 소비지출 중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7.9%임.
•
소비자 정량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볼 때, 54.2%의 현지인들이 외식 관련 지출 비중이 전체 소득 대비 10% 미만이라 응답했으며 10% 이상의 지출 비중을 차지하는 현지인들은 45.8% 수준임. [표] 소득 중 외식 관련 지출 비중
비중
외식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미만
외식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20% 미만
외식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 이상
54.2%
36.4%
9.4%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프랑스가 음식의 나라이기는 하나, 외식산업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 비중(5.5%)은 우리나라(평균 7.9%)와 싱가포르(평균 13.5%) 대비 낮은 수준에 속함.
21
파리
3) 외식 및 식문화 관련 Trend •
Well-being, LOHAS 등의 글로벌 메가 트렌드가 그대로 적용되면서 동시에 패스트 푸드가 동반 성장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두 가지 모순적인 트렌드가 하나로 합쳐지는 새로운 식문화 Trend가 감지되고 있음.
① 건강 추구형 식문화 •
유기농 식품 등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Bio 상점이 늘어나고 있음.
•
대형 슈퍼마켓에도 Bio 상품 전문 코너가 활성화되어 있음.
•
유기농 빵에 대한 수요 증가 [그림] Bio C’Bon – 파리 최대 규모의 유기농 식품점. 2010년 오픈
② 패스트 푸드 추구형 식문화 •
즉석식품, 파스타 소스, 샐러드 드레싱에 대한 수요 증가
•
맥도날드 등 햄버거 패스트푸드가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20억유로 이상)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성장 중임.
22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③ 패스트 웰빙 푸드형 식문화 •
패스트 푸드에 Wellbeing 개념을 도입하는 형태로 글로벌 패스트 푸드 체인들이 전략을 수정하고, 철저하게 현지화(맛&메뉴)하여 성공하고 있음. [그림] 프랑스 맥도날드 홈페이지. 2008년 브랜드 리뉴얼 시점
•
맥도날드는 2008년부터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위해 녹색 계열로 브랜드 컬러를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2010년
10월
말에는
파리
서부
라데팡스에서
커피류와 샐러드바는 제공하지만 햄버거는 팔지 않는 '맥카페'를 개점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시작함. •
이 매장에서는 각종 과일과 치즈, 허브 등 28가지의 재료 가운데 주문받은 것들을 즉석에서 샐러드로 제공하는데 가격은 약 7유로 수준임. 또함 커피류와 각종 차(茶), 케이크, 쿠키 등도 제공하나 패스트 푸드의 대명사인 햄버거는 판매하지 않음. [그림] 파리 라데팡스 지역의 MC Café 내부
23
파리
4) 경쟁 에스닉푸드 현황 ① 현지인 선호 에스닉 푸드 •
프랑스 현지인들은 프랑스 요리를 가장 선호하고 있으며, 에스닉 푸드 중 한식의 선호 순위는 7위임. [그림] 프랑스 현지인들의 에스닉 푸드 선호도 (단위 : %)
61.4
70 60 50 40 30 20 10 0
47.0
45.5 23.9
1순위
45.8
1+2+3순위
31.4 18.8
18.0
19.5
17.0 7.7
5.9
13.4 2.8
8.2
2.3
17.0 1.5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② 에스닉 푸드별 시장 점유율 및 객단가 [표] 에스닉 푸드별 시장 점유율 및 객단가 유럽 및 지중해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시장 점유율
48.1%
32.1%
17.2%
2.4%
평균 객단가
€28
€20
€20
€7
*Source : 프랑스 대사관, 2011년 3월 발표자료
③ 프랑스 내 에스닉 푸드별 교민 수 [표] 프랑스 내 에스닉 푸드별 교민 수(명)
교민 수
중국
이탈리아
인도
일본
한국
태국
650,000
300,000
180,000
40,000
14,000
8,000
*Source : 프랑스 대사관, 2011년 3월 발표자료
24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④ 에스닉 푸드 관련 주요 트렌드 •
유럽의 에스닉 푸드 시장은 매년 15% 이상 성장함.
•
2004년부터 파리에서는 „finger food‟가 큰 유행임.(finger food :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먹는 음식. Tapas, amuses bouche, mignardise 등)
•
Noodle bar가 새로운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음.
•
무슬림 이민자를 목표 고객으로 하는 Halal Food가 자리를 잡고 있음. (프랑스 내 무슬림은 2005년 기준 700만명으로 추산되고 있고, 2위 외식업체인 Quick은 무슬림을 위한 Halal 버거를 출시함)
25
파리
나. 파리 상권 특성 1) 파리의 주요 상권 •
파리의 상권은 1구부터 20구까지 총 20개의 지역으로 구분되며 파리 중심부부터 달팽이 모양으로 숫자가 매겨지는 것이 특징임. 1800년대 후반 나폴레옹 3세가 지금의 20개 구로 개편한 것이 지금까지 내려져 오고 있음.
•
특히, 1구와 2구, 그리고 15구에 대부분의 한식당들이 몰려 있음. [그림] 파리의 상권 구분
*Source : 위키피디아(http ://en.wikipedia.org/wiki/Arrondissements_of_Paris)
[그림] 파리의 주요 상권 분류 및 한식당 분포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26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2. 파리 한식 및 한식당 외식행태 분석 가. 파리 현지인 한식 취식 행태 •
파리에서 한식 취식 경험율은 30.7%로,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취식 경험율이 87.2% 인 것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한식 취식 의향율은 75.6%로 한식 취식 경험율에 비해 높게 나타남. [그림] 한식 취식 경험율
[그림] 한식 취식 의향율 (n=500, %)
(n=500, %)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한식 취식 경험이 있을 경우, 한식 취식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92.2%, 없다는 응답이 7.8%로 나타났으며 한식 취식 경험은 없지만 향후 취식 의향이 있는 경우는 68.3%, 취식 의향이 없는 경우는 31.7%임.
•
한식 취식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한식 취식 의향이 23.9% 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한식 취식 의향율(한식경험 有) (한식 취식 경험이 있는 경우 n=153, %)
[그림] 한식 취식 의향율(한식경험 無) (한식 취식 경험이 없는 경우 n=347, %)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27
파리
나. 파리 현지인 한식에 대한 관심
파리 현지인의 한국 이미지 •
파리 현지인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63.2%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36.9%로 나타남.
•
파리 현지인들이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은 소비자 그룹 토의를 통해 88올림픽, 현지에서 개봉했거나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한 한국 영화, 발달한 IT 및 전자제품 등 때문이며,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한 이유는 소비자 그룹 토의를 통해 „북한‟ 등의 이미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그림] 한국에 대한 이미지 (n=500, %)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28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다. 파리 한식 대표메뉴 분석
파리 현지인의 취식 한식 메뉴에 대한 만족도
경험율이 높은 한식 메뉴는 김밥이 55.6%이며, 잡채는 47.6%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남. 김밥의 경우, 파리 현지에서 일본 스시와 비슷한 느낌으로 인해 취식 경험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임.
항목으로 제시된 대부분의 한식메뉴에 대해 취식 경험자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만족도가 가장 높은 메뉴로는 삼계탕이 100%로 나타났으며 냉면, 불고기, 김치찌개, 비빔국수 등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취식 한식 메뉴에 대한 만족도(4점척도) (한식 취식 경험자 n=153, %)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위의 표는 각 메뉴별로 취식 경험과 취식 했을 때의 만족도를 물어보는 방식으로 결과를 얻음. 만족도(Top2)의 경우, ‘1. 전혀 만족하지 않음 2. 만족하지 않음 3. 만족함 4. 매우 만족함’의 보기를 제시하고 3, 4번을 응답한 사람의 비율을 나타냄. 만족도(Mean)의 경우 각 메뉴에 대한 응답의 평균 값을 구한 것임.
29
파리
파리 한식당의 인기 판매 메뉴 •
현지 한식당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메뉴는 불고기가 37.9%로 나타났으며, 돌솥비빔밥이 10.3%, 비빔밥이 6.9%, 보쌈이 6.9%로 나타났음. [그림] 파리 내 한식당의 인기 판매 메뉴 (복수응답, 파리 내 한식당 운영점주 n= 69, %)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표] 파리 한식당 판매 인기 메뉴 (복수응답, 파리 내 한식당 운영 점주 n=69, %) 한식당 판매 인기메뉴
쇠고기류
돼지고기류
닭고기류
쌀류
면류
김치 기반
기타
전체 응답률(%)
불고기
69.2
갈비살
5.1
갈비찜
2.6
돼지불고기
25.6
오삼불고기
10.3
보쌈
12.8
삼겹살
5.1
제육볶음
5.1
감자탕
2.6
모듬순대
2.6
치킨닭강정
2.6
삼계탕
2.6
돌솥비빔밥
41.0
비빔밥
30.8
떡볶이
2.6
김밥
5.1
잡채
15.4
국수
2.6
쭈꾸미소면
2.6
칼국수
2.6
김치찌개
7.7
김치 돼지고기 볶음
2.6
만두
18.1
전골류
20.5
부침개류
10.3
찌개류
5.2
튀김류
10.4
생선류(회, 찜, 조림 등)
18.2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30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한식 평균 가격 •
파리 현지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메뉴의 가격대는 평균 €3~28 사이로 나타났으며, 불고기의 경우 €10~28까지 가장 넓은 가격대를 갖고 있음. [그림] 파리 한식당 대표 메뉴 가격 (복수응답, 파리 내 한식당 운영 점주 n=69, %)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31
파리
라. 파리 한식당의 한식 현지화 이슈
제품 측면(음식의 맛) •
파리의 경우, 짠 맛과 단 맛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매운 맛의 경우, 크게 싫어하지는
않지만
아직까지는
파리사람들에게
낯선
맛이기
때문에
여러
한식당에서 매운 맛의 강도를 조절하고 있음. •
매운맛의 강도 조절 -
프랑스 사람들은 매운맛을 크게 싫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하지만 한국의 본래 매운맛은 장애물이 될 수 있으므로 매운 맛의 조절에 대한 현지화가 필요함.
-
때문에 덜 매운 고춧가루를 주로 사용하여 색은 빨갛지만 맛은 덜 맵게 요리함. 또는 단계별로 매운맛을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고추장과 고춧가루 대신 간장으로 요리를 하기도 함.
•
마늘 사용 조절 -
„세종‟의 경우 마늘향에 익숙하지 않아 거부감을 느끼는 파리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끓이는 조리방법을 사용하는 음식에만 마늘을 사용하거나 그 양을 소량으로 줄여서 조리함.
서비스 측면(서빙 및 프리젠테이션) •
식사자체를 즐기며 그 식사를 전식-본식-후식의 순서대로 음식을 즐김. 때문에 한식도 그에 맞추어 전식과 후식을 갖춘 현지의 방식으로 제공함.
•
한식의 코스화 -
파리의 대부분의 한식당은 전식-본식-후식으로 제공되는 프랑스식 음식 서빙 방법에 따라 한식당에서도 전식(주로 샐러드, 군만두, 잡채 등), 본식(고기류, 식사류), 후식(차, 다과류)의 순서에 맞게 음식을 제공함.
-
„오도리‟의 경우, 파리 현지인들이 본식으로 제공되는 음식뿐만 아니라 전식, 후식 메뉴에도 관심이 많으며 그 메뉴를 즐긴다는 것을 알고 다른 음식점들에 비해 전식 및 후식 메뉴에도 신경을 쓰고 있음. 현재 제공하는 후식 메뉴는 한과, 호떡 또는 아이스크림임.
공간 측면 •
화기 고기 구이류를 많이 판매하는 파리 한식당의 특성상 냄새 및 실내 환경을 위해 환기 시설을 설치함. -
고기 구이류를 취급하는 한식당의 경우에는 한식을 먹고 난 뒤, 냄새가 많이 난다는 고객들의 의견 및 실내 환경을 위해 대부분 환기 시설 설치함.
-
„씨알‟의 경우, 환기구 모양에 흥미를 갖는 손님들도 있음. 특히 호기심이 많은 아이들을 가진 부모들의 경우 환기구 모양을 재미있어하는 아이들 때문에 한식당을 다시 찾는 경우도 있음.
32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그림] 음식점 실내 구성의 현지화 – 환기 시설 설치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문화 및 경험 측면 •
한국적 느낌이 많이 나는 도자기, 전통 장 등을 비치하여 파리 현지인들의 관심을 유발함. -
파리의 경우, 다른 어떤 도시보다도 한국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한국에 대해 신비하다는 느낌을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한국 전통 느낌이 강한 도자기, 장 등을 비치하여 한국적 느낌을 살림.
-
„씨알‟의 경우,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의 수상 경력으로, 파리 현지인들이 알고 있는 영화 „봄,여름,가을,겨울 그리고 봄‟의 배경인 주산지 사진을 한국으로부터 공수 받아 비치해 둠. 실제 주산지의 사진을 알아보거나 관심을 보이는 손님들이 있음.
33
파리
Ⅱ. 파리 에스닉 푸드 식당 및 한식당 사례 연구 1.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
파리 현지에서 성공한 에스닉 푸드 음식점에 대한 사례 연구와 한식당 경영주 인터뷰를 통한 성공 요인 분석, 실패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도출을 종합하여 파리 현지에서의 한식당 핵심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음.
•
WK마케팅그룹의 고유 외식산업 가치 4단계 모델에 따라 시사점을 정의해보면 다음과 같음. [표] 한식당 경영주 인터뷰 성공요인 분석
구분
제품 가치
서비스 가치
핵심 레시피 노하우 보유 한국 본래의 맛 유지 현지 식문화와 특성을 고려한 메뉴 개발 고객의 취향을 맞춘 레서피의 유연성 확보 철저한 식재료 관리 한국적인 차별적 서비스 제공 고객 맞춤형 서비스 언제나 준비된 접객 서비스 제공 고객 관리를 위한 특별 서비스 제공
공간 가치
컨셉과 타겟을 고려한 명확한 타겟팅을 통한 입지 선정 인테리어나 소품 등 공간을 통한 한국적 이미지 표현 철저한 위생 관리
문화 가치
한국적 정통성을 문화 측면에서 표현 한국의 고유한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공연/퍼포먼스 마련
기타
성공 요인
정확한 세무관리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인력관리 현지인 대상의 지속적인 프로모션 및 홍보 활동 전개
제품 가치 •
파리 현지에서 한식당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한식의 정통성과 현지화의 균형 유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 즉, 한식 특유의 맛을 최대한 살려 그 독특성을 인식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프랑스인의 식습관과 식문화에 맞추어 음식의 형태를 변형시켜 먹기에 부담 없는 메뉴를 개발하여야 함. 또한 음식의 형태 뿐만 아니라 와인 등과 같은 식습관 상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부메뉴와의 궁합이 맞도록 음식 맛에 변화를 주는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며 한국 음식의 독특한 맛은 살리되 프랑스인들이 좋아하지 않는 맛에 대해서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레서피에 유연성을 확보하여 상황에 따라 맛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함. 34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훌륭한 식재료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는 프랑스인의 특성에 따라 고급적인 컨셉의 한식당에서는 철저한 식재료 관리가 매우 중요함. 또한 현지에서 조달할 수 있는 식재료들을 이용하여 한국적인 맛을 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걸리므로 이에 대한 꾸준한 연구를 하는 것이 필요함.
서비스 가치 •
서비스에 있어서도 역시 한국의 정통성을 느낄 수 있는 한국적인 차별적 서비스 제공이 중요한 요소임. 예를 들어, 종업원의 복장, 응대 방식 등을 한국 전통의 분위기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함. 서비스에 대해 다소 까다로운 프랑스인들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가 중요함. 또한 서비스 매뉴얼 및 접객 매뉴얼을 작성하고 이를 직원 교육을 통해 직원들이 언제나 준비된 접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고객의 이름 및 연락처가 포함된 고객 리스트를 마련하여 새로운 메뉴와 이벤트에 대해서 알리고 연말이나 휴가철에 카드나 간단한 사은품을 보내는 꾸준한 고객관리가 필요함.
공간 가치 •
식당 개업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입지 조건임. 하지만 아무리 좋은 입지를 얻더라도 상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컨셉의 한식당을 낸다면 성공 가능성은 매우 낮아지므로 컨셉과 타겟을 고려한 명확한 타겟팅을 통한 입지 선정이 중요함. 또한 마치 한국에 와있는 듯한 이국적인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공간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현지 고객들에게 한국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외관/ 인테리어 설계 및 소품 배치를 하는 것이 필요함. 또한, 현재 프랑스 현지에서는 중국 음식에 대한 위생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므로 중국식당과는 다르다는 점을 느낄 수 있도록 한국적인 인테리어를 설계함과 동시에 철저한 위생관리를 통해 중국식당과의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해야 함.
문화 가치 •
현지인들이 한식당을 포함한 모든 에스닉 푸드 레스토랑을 방문하는 이유는 현지인들에게 단순히 타국의 독특한 음식을 접할 수 있다는 의미에 더하여 그 나라의 이국적인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 있으므로 앞서 언급한 제품, 서비스, 공간가치에서 모두 한국의 정통성을 느낄 수 있는 문화적 요소를 담는 것이 문화 가치 제공의 기본임. 이에 더하여 한국 특유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전통 음악 공연, 전통 무용, 퍼포먼스 등과 같은 이색적인 이벤트가 문화 가치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화제 및 입소문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35
파리
Ⅲ. 한식당 마케팅 전략 1. 파리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가. 파리 한식당 SWOT 분석 파리 한식당 SWOT 분석
•
파리 현지 한식당이 취해야 할 기본 전략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SWOT 분석 기법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표] 파리 한식당 SWOT 분석
기회 요인 *에스닉 푸드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웰빙/유기농 트렌드 증가 *경쟁 에스닉 푸드인 일식과 중식의 하락세 *한식당 1회 지출비용이 타 에스닉 푸드 대비 높음
강점 요인 *타 에스닉 푸드 대비 차별적 이미지 : 건강함, 다채로움, 신선함, 독특함, 창의적인 *한식 경험 후 재취식 의향율 높음
위협 요인 *자국음식(프렌치푸드)에 대한 높은 선호도 *강한 경쟁 강도 *엄격한 법률 체계 및 집행
[강점-기회 활용 전략] 한식을 건강하고 다채로운 웰빙 푸드로 포지셔닝하고 차별화 관점에서 접근 한식 확산 초기 단계로 다양한 전략 전개가 어려움. 따라서, 기본적으로 강점-기회를 살리는 강점-기회 활용 전략에 집중해야 함
약점 요인 *접근성이 제약요건으로 작용 (개선 필요요인 1위 : 42%) *한국에 대한 연상 미미 *가격에 대한 불만 *전식/후식 메뉴 부족 *타 도시 대비 낮은 한식 취식 경험율(34%)
36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나. 파리 한식당 핵심 마케팅 요인 분석
주요 시사점 •
지금까지 파리 현지 시장에서의 한식당 마케팅 기회를 도출하기 위해 파리 한식당 SWOT 분석 및 핵심 마케팅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그림] 파리 현지 한식당 마케팅 기회 도출 분석
한식당 마케팅 기회 도출
•
파리 현지 소비자 조사를 통해 도출된 기회 요인을 정리해 보면, 채소에서 연상되는 ‘건강하고 신선한’ 이미지를 최근 경쟁 에스닉 푸드인 일식과 중식의 상대적 하락세, 건강/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 트렌드와 연결시켜 강조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메뉴와 함께 푸짐하게 제공되는 반찬에서 연상되는 ‘다양한’ 이미지를 경쟁 에스닉 푸드인 일식(21.55% 포인트 우위)과 비교하여, 새로운 음식을 좋아하고 다양한 메뉴를 선호하는 현지인들의 식습관과 연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또한, 경영주 면담을 통해 파악된, 퓨전보다 오히려 한국의 전통적인 맛을 더 선호하고, 불고기 종류를 선호하는 현지인들의 한식 이용 행태를 고려했을 때, 대표 인기 메뉴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점 형태’의 마케팅 기회도 존재할 것으로 보임.
37
파리
다. 파리 한식당 마케팅 기회
파리 현지에서의 소비자 조사 및 경영주 면담 결과, 한국의 국가 이미지, 일반 외식 산업에서의 중요 가치, 현지 시장 트렌드, 현지에서의 한식/한식당의 강점 영역 등 네 가지 측면을 살펴볼 때 파리 현지에서 성공 가능성이 있는 한식당의 마케팅 기회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방향으로 압축됨.
•
방향1 : 대표 한식 메뉴 중심의 전문점 -
파리 현지 고객들이 선호하는 인기 한식 메뉴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점 컨셉으로 현지 고객들의 선호도가 높은 대표 메뉴에 집중함으로써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단, 건강을 중시하는 현지 트렌드와 한식이 지니고 있는 건강 이미지를 연계하여 타 에스닉 푸드 식당과의 차별화를 가져가야 함.
•
방향2 : 다양한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중급 한식당 -
다양한 메뉴를 선호하는 파리 현지 고객들의 외식 특성과 한식의 푸짐한 이미지를 연결하여 현지 고객들이 선호하는 인기 메뉴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중급 수준의 한식당이 또 다른 마케팅 기회 방향임.
•
방향3 : 건강에 초점을 맞춘 고급 유기농 한정식 식당 -
파리 현지에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건강/웰빙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반영, 프리미엄 수요를 흡수할 수 있는 한식의 건강 이미지를 강조한 고급 유기농 한정식 식당이 세 번째 마케팅 기회 방향임. [그림] 파리 현지 한식당 마케팅 기회
38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2. 파리 고객 세분화 전략 수립 가. 파리 외식 고객 세분화 •
500명의 파리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소비자 외식생활 태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추구 가치별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파리 현지 소비자들을 추구 가치별로 유사한 외식 성향을 지닌 5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음. [표] 파리 외식 고객 요인 추출 및 군집 도출 세분 시장
추구 가치
기본 중시 탐험적 고관여자 이색음식 추구자
얼리어댑터 (먼저 찾아가고, 정보에 밝고, 트렌드 추구)
기본 실용 추구자
자기 중시 분위기 추구자
★★★
★
★★
★
★
이국 음식 중시
★★★
★★
건강식 추구 (칼로리, 유기농)
★★
★★
서비스/분위기 고관여
★
개성 추구자
★★
★★
★★★
깐깐함 (위생, 청결, 서비스, 싞선, 재료) 채식 선호
★★★
자기 중시/돈보다 음식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 비선호)
★
★
맛, 기본 중시
★★★
★★
★★★
39
★★★
파리
나. 파리 한식당 표적 고객층 도출 군집 분석을 통해 도출된 5개의 소비자 집단을 주요 항목별로 평가한 후
•
공략해야 할 파리 한식당 표적 고객층을 선정함. •
각 소비자 집단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에 따라 한식당 표적 고객층을 도출함. -
첫째, 한식은 파리 현지 고객들에게 타국의 에스닉 푸드이므로 시장 수용성 관점에서 에스닉문화에 대한 현지 고객의 수용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함.
-
둘째, 한식당은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한국의 식당이므로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한 인식이 식당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영향을 줌. 따라서, 과거 한국 방문 경험,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고려함.
-
셋째, 시장성 관점에서 각 소비자 집단의 과거 한식 취식 경험율과 향후 취식 희망율은 어떻게 되는지, 한식당을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지, 또한 1회 방문 시 얼마나 많은 돈을 쓰는지와 같은 한식 이용 행태를 마지막으로 고려함. [표] 파리 한식당 표적 고객층 도출
항목
기본 중시 이색음식 추구자
자기 중시 분위기 추구자
개성 추구자
에스닉 문화 수용도(5점척도)
3.5
3.9
3.3
3.4
2.4
한국방문경험율
3.8%
13.4%
1.7%
1.4%
2.9%
한국 국가이미지 긍정율
64.0%
70.7%
70.7%
58.8%
51.0%
한식 취식 경험율
38.8%
41.1%
27.5%
29.9%
17.7%
한식 향후 희망율
85.3%
65.2%
84.1%
79.6%
57.1%
한식당 방문 빈도
0.4회
2.1회
0.3회
0.5회
0.7회
한식 1회 외식 지출 금액
27.6유로
22.2유로
21.5유로
27.8유로
22.4유로
탐험적 고관여자 기본 실용 추구자
국가 이미지
한식 취식 행태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위와 같은 세 가지 기준에 따라 5개의 소비자 집단을 평가한 결과 „기본 중시 이색음식
추구자‟와
„탐험적
고관여자‟가
고객층으로 도출됨.
40
파리
현지
한식당의
최종
표적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① 기본 중시 이색음식 추구자 -
에스닉 문화 수용도, 한식 향후 희망율, 한식 1회 외식 지출 금액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② 탐험적 고관여자 -
에스닉 문화 수용도, 한국 방문 경험율, 한국 국가 이미지 긍정율, 한식당 방문 빈도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남.
파리의 경우 한식의 진입 단계가 초기에 해당하고 한국에 대한 이미지 자체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시장 수용도 관점에서 에스닉 문화 수용도 및 한국 방문경험율을 우선적으로 고려함. -
에스닉 문화 수용도 측면에서는 „탐험적 고관여자‟와 „기본 중시 이색음식 추구자‟가 상위 2개 집단으로 나타남.
-
한국
방문경험율
측면에서는
„탐험적
추구자‟가 상위 2개 집단으로 나타남.
41
고관여자‟와
„기본
중시
이색음식
파리
3. 파리 한식당 유형 별 사업모델 가. 사업모델 아이템 대안발굴 및 평가 •
앞서 언급되었던 파리에서의 한식당 마케팅 기회별로 가능한 사업모델 아이템 대안들을 충분한 아이디에이션을 통해 발굴하고, 이러한 대안들을 평가하여 최종적인 사업모델을 확정짓게 됨. 즉, 이러한 아이템 대안 발굴 및 스크리닝 과정을 거침으로써 가능한 모든 기회를 충분히 고려함과 동시에 사업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
1)
사업모델 아이템 대안발굴 [표] 한식당 마케팅 기회별로 가능한 사업모델 아이템 대안
구분
형태
정통 한국 분위기의 유기농 한정식 유기농 한정식
전문점 형태의 한식당
건강식 개념의 한식당
모던하고 세련된 분위기의 유기농 한정식
차별화 포인트 유기농 재료만 사용한 다양한 한식 메뉴를 코스로 제공하며 인테리어, 내부장식, 종업원 복장 등 한국적 전통을 느낄 수 있음. 유기농 재료만 사용한 다양한 한식 메뉴를 코스로 제공하는현대적이고 모던한 분위기의 고급 한정식
제공 혜택/가치 이국적 경험, 정통성, 건강, 영양가 높은 현대적이고 세련된 분위기, 건강, 영양가 높은
쌈을 강조한 불고기 전문점
신선한 야채가 풍성하게 제공되는 불고기 전문점
건강, 영양가 높은, 푸짐한 음식, 신선함
비빔밥 전문점
빠른 시간 내에 간편하게 비빔밥을 먹을 수 있는 패스트푸드형 비빔밥 전문점
빠른 서비스, 건강한 음식, 편리함
다채로운 건강식 요리를 제공하는 정통 한식당
다채로운 건강식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편안하고 친근한 분위기의 소규모 한식당
건강식을 제공하는 모던한 분위기의 한식당
대표 인기 한식 메뉴를 선택해서 먹을 수 있는 모던한 분위기의 소규모 한식당
42
건강, 다양함, 친절하고 친근한 분위기 건강, 현대적, 편안한 분위기, 저렴한 가격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2) 사업모델 아이템 대안평가
제시된 각 한식당 사업모델 아이템을 아래와 같은 체크 포인트를 통해 스크리닝을 실시하여 최종 사업모델 예시 아이템으로 선정함. [표] 한식당 사업모델 아이템 스크리닝 메뉴 수용도
메뉴/ 서비스 차별화
공간의 새로움
이국적 문화 체험
운영 용이성
●
◐
◐
◐
○
●
◐
○
○
○
쌈을 강조한 불고기 전문점
●
●
●
◐
◐
비빔밥 전문점
●
◐
○
◐
●
다채로운 건강식 요리를 제공하는 한식당
◐
◐
●
●
●
캐쥬얼하고 모던한 분위기의 한식당
●
◐
◐
◐
●
구분
형태
유기농 한정식
정통 한국 분위기의 유기농 한정식 모던하 세련된 분위기의 유기농 한정식
전문점 형태의 한식당
건강식 개념의 한식당
최종 선정 컨셉
∨
∨
*Source : 엑센추어 조사 분석(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06)
선정 근거 : 대표 한식 메뉴 중심의 전문점 - 쌈을 강조한 불고기 전문점
•
메뉴의 수용도 : 파리 현지인들은 육식을 선호하는 식습관을 지니고 있으며 파리 내 한식당 운영 점주 인터뷰 결과, 파리 한식당 판매 인기메뉴로 „불고기‟가 69.2%로 월등히 높게 나타나 불고기를 대표 메뉴로 선정 시 메뉴 수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 불고기와 신선한 야채를 함께 제공하고 석쇠를 통해 불에 직접 고기를 굽는 직화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파리 현지인들이 기존에 경험했던 서비스 방식과의 차별화 수준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
공간의 새로움 : 한국 전통 문화가 느껴지는 실내 인테리어와 환풍구 및 테이블 위 불판으로 독특한 분위기를 형성하여 공간적 측면에서 기존과 다른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이국적 문화 체험 요소 확보 : 이국적인 문화 체험 요소 제공 측면에서는 기존 고기집과의 차별성은 중간 정도 수준으로 판단됨.
•
운영 용이성 : 한국식 불고기를 제공하는 전문점 형태이므로 환풍구, 불판 등의 초기 투자가 필요하며 중급 규모의 식당이므로 운영 용이성은 중간 정도 수준으로 판단됨. 43
파리
선정 근거 : 다양한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한식당 - 다채로운 건강식 요리를
제공하는 정통 한식당 •
메뉴의 수용도 : 최근 파리 현지에서 확산되고 있는 건강/웰빙 중시 트렌드에 따라 현지인들은 외식 시 건강을 고려하므로 다채로운 한국식 건강 메뉴를 제공할 경우 중간 수준의 수용도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됨.
•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 한국 전통 방식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경험했던 서비스와의 차별화 수준은 중간 정도로 판단됨.
•
공간의 새로움 : 한국 전통 문양의 외관 및 소품, 전통 복장 차림을 한 종업원 등을 통해 정통 한식당에 온 느낌을 전해 줄 수 있어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새로움이 클 것으로 판단됨.
•
이국적 문화 체험 요소 확보 : 한국 전통 복장의 직원, 한국 식문화 소개 등 한국적 문화에 대한 체험 제공이 가능하여 이국적 문화 체험 측면에서의 차별화 수준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운영 용이성 : 한국적 인테리어, 소품, 종업원 복장 등 초기 투자가 필요하므로 운영 용이성은 중간 정도 수준으로 판단됨.
44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4. 한식당 사업모델 별 구체 전략 가. 한식당 사업모델 구체전략 예시 앞서 최종 선정된 사업모델은 다음 2가지 유형임.
C-MESTAF™(Concept- Menu,
Experience, Space, Target, Area, Financials) 기법을 활용하여 구체화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
쌈을 강조한 불고기 전문점 - 신선한 야채와 함께 먹는 한국 불고기의 정수, 신선한 야채가 풍성하게 제공되는 불고기 전문점으로 기름에 튀기거나 굽지 않고 불에 직접 굽는 직화 방식임.
•
다채로운 건강식 요리를 제공하는 한식당 – 맛은 물론 영양까지 고려한 정통 한국음식점으로 동양의 멋진 나라,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경험할 수 있으며 솜씨좋은 한국인 요리사가 직접 한국의 전통 방식 그대로 한국의 맛을 전함. [표] 파리 한식당 사업모델별 구체전략 요약 쌈을 강조한 불고기 전문점
다채로운 건강식 요리를 제공하는 한식당
업태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객단가 25 유로 수준의 불고기 전문점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객단가 30 유로 수준의 한국 민속음식점
기본 컨셉
신선한 야채가 풍성하게 제공되는 불고기 전문점
다채로운 건강식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편안하고 친근한 분위기의 소규모 한식당
포인트
기름에 튀기거나 굽지 않는 직화 구이로 신선한 야채가 함께 먹는 육식이면서도 건강식임을 강조
균형잡힌 영양과 다채로운 맛의 한국 정통방식 그대로 한국의 맛을 한국인 요리사가 요리
주요 고객층 및 외식 동기
트렌드에 민감하며 정보탐색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음식점 방문을 선호하는 20 대30 대 젊은 직장인들 대상의 친구 모임
외식 시 건강을 고려한 메뉴 선정을 하는 편으로 음식점의 분위기 및 셋팅보다도 맛을 더욱 중시하는 성향의 30-40 대 가족 동반 혹은 회식, 모임
메뉴 컨셉
신선하고 풍성한 야채와 불고기를 메인 메뉴로 제공하면서 기본반찬 역시 푸짐하게 제공
한국식 숯불구이를 메인으로 다양한 반찬이 푸짐하게 제공되는 한상 차림 메뉴
서비스 경험 컨셉
불고기 굽기 및 먹을 만한 크기로 컷팅 서비스
한국 전통복장의 직원, 한국 식문화에 대한 소개 등 한국 정통 식사체험이 가능함.
점포 공간 컨셉
한국전통문화가 느껴지는 실내 인테리어와 환풍구 및 테이블 위 불판으로 독특한 분위기
한국 전통문양외관 및 소품, 전통복장 차림의 종업원 등으로 한국 식당에 온 느낌
차별화
입지 조건
유동인구가 많은 시내 중심부 1,2 구와 젊은층 중심의 5 구가 적당함.
45
파리
6. 파리 한식당 홍보 판촉 전략 [그림] 한식당 홍보판촉 전략 개념도
•
파리에서의 한식당 홍보 판촉 전략 역시 3개 하위 전략의 기본 Frame은 그대로 유지하나 현지의 문화적인 특성 상 할인을 통한 집객이나 단골 고객 창출보다는 서비스의 제공, 특별한 Care 개념으로 접근한 것이 더 적합함.
•
이에 파리와 같은 각종 할인 쿠폰 등을 통한 할인 행사는 가급적 지양하고 보다 전통적인 방법, 특히 ‘대면 서비스’ 관점에서의 Care를 주된 수단으로 제시함.
단계별 홍보 판촉 전략목표 및 개요 •
한식당 창업에서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착 단계에 이르기까지 홍보판촉의 주요 시점 및 목표를 크게 5가지로 단계화할 수 있음. -
사전홍보: 새로운 매장이 오픈함을 알리고 고객의 호기심과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홍보
-
그랜드 오픈: 매장의 오픈 시점에 대대적이고 일시적으로 진행
-
최초방문 유도: 식당에 대한 첫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프로모션
-
신 메뉴 홍보: 신메뉴 출시를 알리기 위한 홍보 프로모션
-
단골 고객확보: 자주 방문하는 손님에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단골 고객으로 만드는 프로모션
46
파리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표] 단계별 홍보판촉 전략목표 및 개요 단계
1 단계 사전홍보
2 단게 그랜드 오픈
3 단계 최초방문 유도
4 단계 신 메뉴 홍보
5 단계 단골 고객 확보
새로운 메뉴에
전략 목표
인지도 확보 (개점 위치,
인지도 확보
업종)
초기 방문
대한 고객의
고객 충성도를
유도로 경험
시도 유도,
높여 재방문
고객 확보
성공적인 메뉴
유도
확장 새로운 매장이 오픈 함을
개요
알리고 고객의 호기심과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홍보
방문 경험이
시점에
없는 고객의
신 메뉴가 개발
대대적이고
최초 방문을
되었음을
일시적으로
이끌어 내기
적극적으로 홍보
행하는 프로모션
위한 프로모션
• 오픈 3 개월 간 식당 인지도
• 실질적
증대를 위한 적극적인 광고
세부 내용
• 인근 지역
• 한국/한류에
고객 대상
대한 호감을
사전 홍보
한식당에 대한
• 식당오픈
선호도로
예정임을
전환시킬 수
알리고, 관심
있는 이벤트
환기
자주 방문하는
매장의 오픈
관심 자극 이벤트
고객화 할 수 있는 프로모션
47
고객으로 만드는
• 단골고객화를 위해
대한 호감도
• 초기 신메뉴
포인트/멤버쉽
형성 목적의
트라이얼을
카드 작성 시
이벤트 및
촉진할 수
할인 혜택 등
쿠폰 행사
있는
불러 일으키기
지속적인 단골
제공하여 단골
• 신메뉴에 대한
위한 한식당에
싶다는 욕구를
고객을
서비스를
프로모션
방문유도를
• 먹어보고
• 첫 방문
손님에게 특별한
할인,쿠폰 이벤트 • 시식 행사,
적용 • 단골 고객 재방문 활성화를 위한
위한
서비스로
쿠폰 행사,
대표메뉴에
무료음식 제공
특별 서비스
대한 관심
시 신메뉴
제공
자극 이벤트
활용
파리
[표] 단계별 한식당 사용가능한 홍보 판촉방법 요약
구분
구체 방법
1 단계 사전홍보
2 단게 그랜드 오픈
현지/ 교포신문
∨
현지/교포잡지
∨
인터넷 검색광고
∨
전단지 광고
∨
3 단계 4 단계 최초방문 유도 신 메뉴 홍보
5 단계 단골 고객 확보
광고
시식
시식 샘플링 한류 팬클럽 정기모임 지원
∨
∨
∨
∨
∨
∨
∨
단골 손님 초대 ∨
온라인 경험담 올리기
∨
∨
∨
생일 이벤트
∨
∨
한복 모형 포토존
∨
∨
선착순
∨
∨
단골 무료증정
할인 프로모션
∨ ∨
한식 요리 클래스 이벤트
∨
∨
요일별 프로모션
∨
모닝/런치세트
∨
트라이얼(Trial) 세트메뉴
∨
포인트/멤버쉽 프로그램
∨
∨
∨
∨
∨
∨
∨
∨ ∨
포스터
∨
테이블 리프렛
∨
∨
인쇄물 캘린더(쿠폰) 공사 가림막(쿠폰)
∨ ∨
쿠폰 신용카드 바우처
∨
명함 추첨
∨
무료 증정품
∨
한국 기념품
∨
∨
∨ ∨
판촉물
48
∨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Executive Summary 1. 파리 및 싱가포르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단계 2010년 10월 기준으로 파리에는 총 70개, 싱가포르에는 총 49개의 한식당이 영업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각
도시
거주인구
만
명당
한식당의
수는
파리가
0.28개,
싱가포르가 0.1개로 파리가 거주인구 대비 약 2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싱가포르의 경우 푸드코트(호커센터 포함)에서 영업하는 한식 취급점은 금번 조사에서 제외된 수로 푸드코트에 진입해 있는 70여개 한식취급점을 포함한다면 0.25개 수준으로 두 도시가 유사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음. 싱가포르의 경우 한국과 한식에 대한 관심과 경험율이 파리 대비 상대적으로 높으며 최근 한류 붐으로 본격적인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로 볼 수 있으나, 파리의 경우 한국과 한식 자체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싱가포르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 본격적인 확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보임. 또한, 한식 취식 경험율은 파리가 30.7%, 싱가포르가 87.2%로 싱가포르 현지인들의 한식 취식 경험율이 파리에 비해 2배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싱가포르의 한식 및 한식당이 파리 대비 상대적으로 더 확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2.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및 한식당 포지셔닝 한식을 홍보하는 데 있어서 타 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만의 차별적인 포지셔닝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영역은 '건강하고 영양가 많은 음식'임. 파리는 고기와 함께 푸짐하게 제공되는 야채 혹은 비빔밥의 건강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단, 일식과 차별화된 건강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비빔밥 혹은
불고기의
채소에서
연상되는
건강한
이미지를
부각시킴으로써
일식
스시의
날생선의 신선한 이미지에서 오는 건강한 이미지와의 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짐. 싱가포르는 보양식으로 인기가 많은 삼계탕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영양가 많은 건강한 음식으로 한식의 차별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짐. 싱가포르에 비해 한식에 대한 관심 및 경험이 낮은 파리의 경우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과 동시에 한식 자체를 알리고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홍보 활동이 필요함.
51
파리
3.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및 한식당 진출전략 한식 세계화의 사업 주체는 한식이 확산되도록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원하는 정부와 실질적으로 한식당 사업을 전개하는 주체인 기업 및 개인으로 구분될 수 있음. 정부, 기업, 개인 각 사업 주체별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 성공적인 현지 한식당 진출과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고 한식 세계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주요 전략 목표는 파리 한식당의 경우 성장기로 이행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어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되어야 하며, 싱가포르 한식당의 경우 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위치해 있으므로 한식당 사업 모델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되어야 함. 한식당의 성공적인 진출 및 성장을 위해서는 진입 초기 테스트샵 운영을 통해 현지 시장 노하우를 습득하고, 현지 네트워크 활용을 통해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현지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업기반 확보 및 현지화 모델 구축 이후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파리의 경우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한식당 활성화의 전제 조건이므로 파리 현지인들에게 한국 문화와 한식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행사와 국가 차원의 캠페인이 전개되어야 하며, 싱가포르의 경우 한식에 대한 관심 및 한류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싱가포르 현지인들로 하여금 실제로 한식을 경험해보고 한식당 방문까지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들이 필요함. 현지 한식당 활성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한식당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52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Ⅰ. 도시별 시장조사 비교에 따른 한식당 진출 전략 도출 1. 파리 및 싱가포르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단계
파리 및 싱가포르 두 도시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두 도시의 한식에 대한 수용도, 그리고 현지 한식당들의 경쟁력을 비교해 본 결과,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한식에 대한 수용도 및 시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할 수 있음.
한식에 대한 수용도 측면 •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 이미지가 높은 편이며, 이에 더불어 한식에 대한 취식 경험 역시 월등히 높게 나타남. (한식 취식 경험율 : 파리 30.7%, 싱가포르 87.2%)
•
파리와 싱가포르 모두 한식에 대한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에 대한 만족도는 높음. 파리의 경우 한식 취식률에 비해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을 한 번이라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
한식당의 확산 및 경쟁력 측면 •
각 도시 거주인구 만 명당 한식당의 수는 파리가 0.28개, 싱가포르가 0.1개로 파리가 거주인구 대비 약 2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싱가포르의 경우 푸드코트(호커센터 포함)에서 영업하는 한식취급점은 금번 조사에서 제외된 수로 푸드코트에 진입해 있는 70여개 한식취급점을 포함한다면 0.25개 수준으로 두 도시가 유사한 수준이라고 볼 수도 있음. 또한, 한식당의 평균 좌석수 측면에서도 싱가포르 한식당이 파리에 비해 2배정도 큰 규모로 운영되고 있어 이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비슷한 수준임.(평균 좌석수 : 파리 46.2석, 싱가포르 94.3석)
•
즉, 싱가포르의 경우 단순 생계형 목적의 한식당 창업과 달리 사업성을 높이 평가한 자본력을 갖춘 사업가들이 한식당 창업에 뛰어들어 상대적으로 중대형 규모의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됨.
•
한국인 대비 현지인 고객의 비중은 두 도시 모두 상당히 높아 현지인 중심의 비즈니스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임. (현지인 고객 비중 : 파리 71.7%, 싱가포르 82.4%)
•
또한, 에스닉 푸드 1회 지출 금액 대비 한식당의 객단가가 파리, 싱가포르 모두 높이 나타나 에스닉 푸드 중 한식이 차지하는 위상은 중급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한식당 확산 및 경쟁력이 높다고 판단됨.
53
파리
가.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인의 외식행태 및 한식 수용도 비교
파리 및 싱가포르 한식 취식행태 비교 •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 이미지가 높은 편이며, 이에 더불어 한식에 대한 취식 경험 역시 월등히 높음. : 한류 열풍으로 싱가포르인들은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한식에 대한 높은 취식율(87.2%)과 향후 한식 취식 희망율(85.4%)과 직접적으로 연관됨. - 파리는 한국 국가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률이 63.2%인 것에 반해 싱가포르는 95.6%가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
•
파리와 싱가포르 모두 한식에 대한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파리의 경우 한식 취식률에 비해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을 한 번이라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 - 파리의 경우 한식을 취식한 경험이 있는 30.7%의 사람들 중 92.2%가 재취식 의향율을 보이며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싱가포르 역시 응답자 중 한식 경험자 87.2% 중 91.1%가 재취식 의향을 보이며 한식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음.
•
아시아 스타일의 음식에 익숙한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매운 맛‟등 아시아 계통 음식에 익숙한 싱가포르의 한식 선호도는 총 9개의 에스닉 푸드(일식, 중식, 태국식, 인도네시아식, 인도식, 한식, 이탈리아식, 베트남식, 독일식) 중 6.1%로 6위로 나타남. 파리의 경우 총 8개의 에스닉 푸드(이탈리아식, 중식, 일식, 인도식, 태국식, 멕시칸식, 베트남식, 한식) 중 2%로 8위로 나타남.
•
한식당 방문빈도는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높은 편이나, 한식
1회 외식
지출금액은
지출함.
파리가
싱가포르보다
외식평균
대비
높은
금액을
:
싱가포르의 경우 에스닉 푸드에 익숙하고 한식당에 대한 접근성과 선호도가 높아 한 달 이내에 한식당을 방문하는 빈도는 높은 편이나,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비용보다는 적은 금액을 지출함. - 싱가포르의 한식당 방문빈도는 31.8%(월 1회 이상 외식 %)이며, 한식 1회 외식지출 비용은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보다 낮은 금액임. (한식 1회 외식 지출금액 SG$17.89 <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 SG$19.2) - 파리인의 한식당 방문 빈도는 21.2%(월 1회 이상 외식 %)이며, 한식 1회 외식지출 비용은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보다 높은 금액을 지출함. (한식 1회 외식 지출금액 €24.7 >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 €23.2)
54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표] 파리 및 싱가포르 한식 취식 형태 비교 파리
싱가포르
한국 방문 경험율
4.1%
22.4%
한국국가 이미지 긍정율
63.2%
95.6%
한식 취식경험율
30.7%
87.2%
한식 향후 취식희망율
75.6%
85.4%
한식 재취식 의향율
92.2%
91.1%
한식 선호도(현지식 제외)
8위, 2.0%
6위, 6.1%
한식당 방문빈도
1. 2. 3. 4. 5. 6.
분기에 1회 40.1% 거의 가지 않음 38.7% 한 달에 1회 12.1% 주 2회 이상 3.7% 주 1회 3.1% 2주에 1회 2.3%
한식 1회 외식지출액 -1인1회기준
맛에 대한 선호
1. 2. 3. 4. 5. 6. 7.
€24.7 1. 2. 3. 4. 5.
짠 맛 95% 단 맛 94.0% 매운 맛 82.8% 신 맛 53.0% 쓴 맛 28.0%
분기에 1회 41.6% 한 달에 1회 19.8% 절대 가지 않음 13.8% 거의 가지 않음 12.8% 2주에 1회 9.2% 주 1회 2.2% 주 2회 이상 0.6% SG$17.89
1. 2. 3. 4. 5.
매운 맛 89.8% 단 맛 85.6% 신 맛 78.8% 짠 맛 56.0% 쓴 맛 28.0%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55
파리
나.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의 한식당 경쟁력 비교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 경쟁력 평가 지표 •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 운영 중인 현지 한식당의 경쟁력을 비교 평가해 봄으로써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각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을 도출하는 데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두 도시에서 운영 중인 현지 한식당의 경쟁력 평가를 위해 한식당 성장세(식당 수 증감 추이, 폐점 수), 확산수준(거주인구 당 한식당 수, 한식 취식 경험율), 현지 한식당 형태 및 경영주의 현지 체류경험 및 식당운영 경험, 한식의 프리미엄 수준(한식 평균 객단가, 현지인들의 1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 식당 규모(좌석 수), 식당의 형태(프랜차이즈 점포 수 비중, 전문점 형태의 매장 수)와 관련된 지표를 살펴 보았음. [표] 파리와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경쟁력 비교 파리 현지 한식당 한식당 확산 수준
한식당 프리미엄 수준
한식당의 유형
49개
현지 거주인구 만 명 당 한식당
0.28 개
0.1 개 0.25 개(푸드코트 한식취급점 포함 시)
한식 평균 객단가
€ 20.2 (약 32,000 원)
SG$21 (약 18,000 원)
에스닉푸드 1 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
€ 23.2 (약 36,000 원)
SG$ 19.2 (약 16,000 원)
프리미엄 지표
0.9
1.1
프랜차이즈 점포 수 비중
없음
4.1%
전문점 형태의 매장 수
2개
없음
5년 미만 3.9% 5~10년 미만 17.6% 10~15년 미만 27.5% 16~20년 미만 11.8% 20년 이상 45.1%
1년 이하 4.8% 2~3년 이하 9.5% 4~5년 이하 23.8% 6~9년 이하 33.3% 10~15년 이하 23.8% 20년 이상 4.8%
5년 미만 42.3% 5~10년 미만 34.6% 10~15년 미만 13.5% 16년 이상 9.6%
1년 이하 20.0% 2~3년 이하 40.0% 4~5년 이하 16.0% 5~9년 이하 16.0% 10년 이상 8%
한식당 주요타겟 고객 비중(현지인: 한국인)
현지인 71.7 : 한국인 28.3
현지인 82.4 : 한국인 35.3
평균 월임대료
평균 €2,078 (320만원)
평균 SG$15,878 (1,390만원)
테이블 수
평균 17.1개
평균 22.4개
좌석수
평균 46.2석
평균 94.3석
평균 서빙종업원수
평균 1.9명
평균 4.7명
평균 조리사 수
평균 1.9명
평균 3.3명
경영주 현지 체류기간 경영주 현지 체류경험 및 식당운영경험 경영주 식당 운영경력
현지 한식당 현황
싱가포르
70개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환율은 2011년 6월 기준임
56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다.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인에 어필하는 한식 대표 메뉴
파리 및 싱가포르 소비자 조사에서 나타난 한식 메뉴별 취식 경험율과 현지 한식당 경영주가 응답한 인기 판매 메뉴를 분석하여 도시별 한식의 대표메뉴화 가능성이 높은 메뉴 아이템을 도출해 냄. •
파리에서는 불고기 및 비빔밥 메뉴가 취식경험율 및 현지 한식당에서 판매가 높은 메뉴로 향후 한식 대표메뉴로서의 가능성이 높음 : 파리에서 불고기는 가장 인기있는 한식 메뉴이며 취식 경험율로는 김밥, 잡채, 비빔밥 순으로 높음. 김밥의 경우는 취식 경험율이 높으나 한식만의 독자적 메뉴로 인식되기 어렵기에 대표 메뉴 고려군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함.
•
싱가포르에서는 삼계탕, 비빔밥 메뉴가 현지 한식당에서 판매가 높은 메뉴이며 또한 취식 경험율이 50%를 상회하여 이미 한식 대표메뉴로 어느정도 인식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갈비구이 및 불고기의 경우도 한식 대표메뉴로서의 가능성이 높음 : 싱가포르 인구 중 75%를 차지하는 화교들에게 한국산 인삼의 인식이 좋아 보양식으로 삼계탕의 인기가 높은 것으로 추정됨. 이를 증빙하듯 싱가포르의 대표적 외식업체 크리스탈 제이드에서 운영하는 한국 음식점의 이름은 „삼계탕과 바베큐(Jinseng Chinken & BBQ)‟임. [그림] 파리 한식 취식경험 및 한식당 인기메뉴 매트릭스
* 한식당 인기메뉴 : 파리 내 한식당 운영 점수(n=69) * 취식경험율 : 한식 취식 경험자(n=171)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그림] 싱가포르 한식 취식경험 및 한식당 인기메뉴 매트릭스
* 한식당 인기메뉴 :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점수(n=39) * 취식경험율 : 한식 취식 경험자(n=431)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57
파리
2.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및 한식당 포지셔닝 가.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포지셔닝 •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 실시한 소비자 조사를 통해 한식을 포함한 대표적인 에스닉 푸드 5종(한식, 이태리식, 일식, 중식, 태국식)을 제시하고 각 음식별로 가장
잘
어울리는
형용사를
5가지씩
선택하게끔
함으로써
에스닉
푸드별
이미지를 평가하였음. •
위 데이터 분석 결과, 한식의 차별적 포지셔닝을 위해 가장 유의미하게 해석되는 속성들을 추려되었고 이를 기준으로 포지셔닝맵으로 도식화하였음. -
가로축 1(건강한) / 가로축2(영양이 풍부한) : „건강한‟, „영양이 풍부한‟이라는 속성에서 한식이 상대적으로 차별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기준으로 각 에스닉 푸드의 도시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한식의 향후 타에스닉 푸드 대비 차별성이 높은 포지셔닝 방향을 도출함. -파리의 경우 한식에서 제공되는 채소로 인해 „건강한‟의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싱가포르의 경우 보양식으로 삼계탕이 큰 인기를 얻고 있어 한식이 상대적으로 „영양이 풍부한‟ 이미지를 강하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됨.
-
가로축 3 (전통적인) – 에스닉 푸드로서의 이국적이고 새로운 느낌을 제공하는 지가 향후 한식을 지속적으로 소개하고 전파시키는데 있어 주요한 속성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기준으로 한 에스닉 푸드별 포지션을 살펴봄.
-
세로축(고급스러운) : 각 에스닉 푸드별 얼마나 고급스러운 음식으로 혹은 값싸게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고급스러운‟ 값을 기준으로, 그 반대축은 „적당한, 간단한, 편리한‟을 기준으로 각 에스닉 푸드별 포지션을 도출함.
58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
결과적으로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포지셔닝은 고급감을 기본 축으로 건강, 영양, 전통/새로움 측면에서 각각 도출한 결과는 아래와 같음.
고급-건강 측면 •
고급감 측면에서 파리에서는 일식이, 싱가포르에서는 이태리식이 확고하게 높고 고급스러운 음식으로 포지셔닝되어 있음. 한식의 경우는 고급감 측면에서는 타에스닉 푸드 대비 중간 정도의 이미지를 구축 중임.
•
건강 측면에서는 파리 및 싱가포르 모두에서 일식이 건강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단, 한식의 경우 파리보다는 싱가포르에서 한식이 일식에 근접하게 건강한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어 소비자 인상 상에서의 한식의 차별적 포지셔닝 기회는 싱가포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됨.
고급-영양 측면 •
영양 측면에서는 파리 및 싱가포르 두 도시 간 에스닉 푸드별 인식 차이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남. 파리의 경우는 이태리식이 영양가가 높은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경우는 한식이 일식 및 중식에 비해 근소한 차이로 더 영양가가 높은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고급-전통/새로움 측면 •
에스닉
푸드의
친숙도
측면에서는
파리에서는
이태리식이,
싱가포르에서는
중식이 가장 친숙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파리에서의 한식은 평균보다 낮은 친숙도를 나타내고 있어 상대적으로 새롭고 독특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으며, 싱가포르에서는 타 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이 중간수준의 위치를 점유 중임.
59
파리
[그림] 파리 및 싱가포르 한식 포지셔닝(1) 파리
싱가포르
[Luxurious – Healthy]
[Luxurious – Healthy]
[Luxurious – Nutrious]
[Luxurious – Nutrious]
[Luxurious – Traditional]
[Luxurious – Traditional]
* 한식 및 각 에스닉 푸드의 위치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나타냄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60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건강-영양 측면 •
건강-영양이라는 두 가지 속성으로 각 에스닉 푸드를 맵핑하였을 경우 한식의 차별적 포지셔닝 구축이 가장 강력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음.
•
특히, 싱가포르에서는 일식대비 건강 이미지는 유사하나 영양적 측면에서는 한식이 더 영양가가 많은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이는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이 화교가 많은 싱가포르인들에게 어필한 결과로 여겨지며, 파리에서는 이러한 영향력이 낮으므로 파리인에게 어필될 수 있는 한식만의 영양 측면 차별화 포인트 발굴이 필요함.
건강-창의적 측면 •
에스닉
푸드가
제공할
수
있는
창의적/현대적(Creative/Modern)인
이미지에
있어서 파리에서는 일식이, 싱가포르에서는 이태리식이 그 이미지를 강하게 점유하고 있음. •
이태리식의 경우는 건강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 일식이 건강하면서도 창의적이고 새로운 이미지로서의 차별적 위치를 두 도시 모두에서 점유하고 있음. 한식은 건강-창의적 이미지 측면에서 일식보다 다소 낮지만 유사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음.
영양-창의적 측면 •
창의적 이미지 측면에서 파리에서는 한식은 에스닉 푸드로서의 새로움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창의적 이미지로, 싱가포르에서는 서양식 대비 아시안 음식으로 익숙하다는 점 때문에 전통적 이미지에 다소 가깝게 자리잡고 있음.
•
두 도시 모두에서 한식은 에스닉 푸드로서의 새롭고 창의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유지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짐.
61
파리
[그림] 파리 및 싱가포르 한식 포지셔닝(2) 파리
싱가포르
[Healthy - Nutritious]
[Healthy - Nutritious]
[Healthy - Traditional]
[Healthy - Traditional]
[Nutritious - Traditional]
[Nutritious - Traditional]
* 한식 및 각 에스닉 푸드의 위치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나타냄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62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나.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포지셔닝 •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 실시된 한식당 진출현황 조사를 통해 수집된 여러 데이터 가운데 두 도시별 차이를 보여주는 ‘타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당의 프리미엄 수준, 한식당의 규모, 한식당을 방문하는 주요 외식상황’과 같은 지표로 두 도시 간 한식당 포지셔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향후 각 도시에서의 한식당 전략방향을 살펴보고자 함. 한식당의 프리미엄1 가치
•
한식당
프리미엄
수준은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남.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프리미엄 지표는 1.1, 파리는 0.9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싱가포르 한식당이 타에스닉 푸드 대비 더 높게 음식의 가격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볼 수 있음.
한식당 규모(평균 좌석수 기준) •
파리에 비해 싱가포르 내 한식당이 규모면에서 대형화되어 있음. 싱가포르 내 한식당 평균 좌석는 94.3석으로 파리 내 한식당 평균 좌석 수인 46.2석에 비해 2배 가까이 큰 것으로 나타남. 이것은 두 도시의 한식당 창업계기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파리의 경우 한국인 유학생이 현지 정착을 위한 단순 생계형의 목적으로 중소형의 한식당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고, 싱가포르의 경우는 현지에서의 한식당 마케팅 기회를 높이 평가하고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좋은 사업가들이 중대형 한식당을 운영하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됨.
외식상황별 한식당 방문 •
파리가 싱가포르에 비해 비즈니스 목적, 사회적 관계 등 격식이 필요한(Formal) 상황에서 에스닉 푸드 음식점을 방문하는 경우가 다소 높게 나타남. 또한, 두 도시
모두에서
한식은
타에스닉
푸드
대비
좀더
격식이
필요한(Formal)
외식상황에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남. •
단, 한식 및 한식당 이미지의 고급화를 통해 한식이 좀더 고급 음식으로 포지셔닝되어진다면 격식있는 외식모임 시의 대안으로 음식의 가격 가치가 한결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임.
1
프리미엄 지표는 각 도시의 한식 평균 객단가와 에스닉 푸드 1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을 비교하여 산출해 냄. (프리미엄 지표 = 한식 평균 객단가/에스닉 푸드 1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 1을 기준으로 지표가 1보다 클 경우, 상대적으로 한식이 프리미엄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음.
63
파리
[그림] 파리 및 싱가포르 한식당 포지셔닝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한식 및 한식당의 포지셔닝 방향 •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한식을 향후 홍보하는 데 있어서 타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만의 차별적인 포지셔닝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영역은 '건강하고 영양가가 많은 음식'임.
•
파리에서는 고기와 함께 푸짐하게 제공되는 야채 혹은 비빔밥의 건강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파리 현지인들은 일식 다음으로 한식을 '건강한' 에스닉 푸드로 인식하고 있음. 단, 일식과 차별화된 건강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비빔밥
부각시킴으로써
혹은
일식
불고기의
스시의
채소에서
날생선의
연상되는
신선한
'건강한'
이미지에서
오는
이미지를 '건강한'
이미지와의 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짐. 이에 반해 싱가포르는 보양식으로 인기가 많은 삼계탕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영양가가 많은 건강한 음식으로 한식의 차별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짐.
•
또한, 싱가포르에 비해 한식에 대한 관심 및 경험이 낮은 파리의 경우 위에서 제시한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적극적인 한식 홍보활동이 필요함. 장기적으로는 두 도시 모두에서 에스닉 푸드로서의 새롭고 창의적 이미지를 고급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한식당들의 성공 사례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져야 함.
64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3.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및 한식당 진출전략 가.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한식 세계화의 사업 주체는 한식이 확산되도록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원하는 정부의 역할과 실질적으로 한식당 사업을 전개하는 주체인 기업 및 개인의 역할로 구분될 수 있음.
정부, 기업, 개인 각 사업 주체별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 성공적인 현지 한식당 진출과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고 한식 세계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그림]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① 정부
한식 세계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및 지원 활동 •
각 도시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관심도 및 선호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한식관련 홍보 활동임.
•
현지에서의 한식당 창업 및 운영 전반에 걸친 지원활동임.
•
현지 한식당들의 서비스 및 품질 제고, 그외 전반적인 한식당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한 지원활동임.
•
해외 각지에서의 한식 활성화를 통한 한식 식재료의 수출 촉진 도모함.
65
파리
② 기업
한식 세계화의 첨병이 될 한식당 사업모델의 구축과 현지 사업 전개 •
기존 국내에서 운영중인 성공적인 한식당 중 해외 진출에 유망한 한식당 사업모델 혹은 현지에 맞는 새로운 한식당 사업모델 개발을 통해 해외에 진출함으로써 한식을 전파하고 선보이는 역할임.
•
해외 현지에 맞는 한식 메뉴와 서비스 현지화 작업 등을 통해 한식 세계화의 구체적 성공모델을 제시하는 역할임.
•
시장 포화상태인 국내 외식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사례 창출로 외식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함.
•
국내 외식업 관련 대기업과 중견 외식업체, 그리고 한식당의 시장 유망성을 높이 평가하는 현지의 외식관련 기업들이 이에 해당함.
③ 개인
한식 세계화의 스피디한 전개를 위한 실전병과 같은 역할 •
현지에서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한식당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거나 현지인에 어필할 수 있는 한식당 사업아이템을 직접 개발하여 운영하는 경우로 현지에서 한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단순 생계형의 목적을 뛰어넘어 한식당의 사업성을 높이 평가하고 참여하는 개인 사업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임.
•
해외 투자 진출에 관심이 있는 국내 거주 개인과 현지 거주 경험을 바탕으로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거나 창업을 하고자 하는 개인들이 이에 해당함.
66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나.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해외 진출전략 1) 한식 확산수준에 따른 진출전략 목표 및 유형
각 도시에서의 한식당 해외 진출전략은 해당 도시별 한식 확산 수준 및 진입 단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전개되어야 함.
실질적 한식당 사업 주체인 기업/개인 중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초기 시장 침투 능력 및 파급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 중심으로 진출 전략을 제시하며 일반적으로 채택 가능한 단계별 진출 전략 유형을 제시함.
단, 실제 진출 시점에서 기업 상황과 현지 환경에 따라 적합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종 진출전략 유형을 선택해야 함. [그림] 한식 확산수준에 따른 진출전략 목표 및 유형
67
파리
① 대기업 •
초기 자본 및 시장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대기업의 경우에도 시장 진입 초기,
사업모델의
현지화를
위해
테스트샵과
같은
형태의
직영
방식으로
진출하여 현지 시장 노하우를 습득하고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현지 네트워크를 확보해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함. 인수 자금 및 마케팅 경영 능력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고 빠른 시장 진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수합병 방식도 선택 가능한 옵션이나 이 역시 파견 인력보다는 현지전문가 및 현지인력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식임. •
최초 시장 진입 이후 현지화 모델을 구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해나가는 단계에서는 투자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확장이 용이한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 혹은 디벨로퍼(지역 개발업자) 지정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함. 단, 현지화와 동시에 운영 표준화가 요구되는 단계이므로 일정 수준의 컨트롤 가능성이 확보되어야 함.
•
한식 수용단계가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로 이행될 때는 커버리지 확대 및 수익성을 추구해야하는 단계이므로 가맹 계약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단, 이때에도 본사의 적절한 관여를 통해 메뉴, 서비스, 인테리어 등 전반적인 한식당 구성 요소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한식당의 정체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② 중견/중소기업 •
초기 자본 및 현지 시장에 대한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독자적으로 진출하기 보다는 현지 기업과의 합자 혹은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을 통해 현지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면서 빠른 현지화를 가능케하는 방법임. 다만, 합자 혹은 마스터 프랜차이지 계약 시 현지 외식 시장에 대한 성공 경험 및 사업 노하우가 풍부한 파트너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
•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해나가는 단계에서는 추가적인 투자에 대한 부담이 적고 확장이 용이한 가맹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
한식 수용단계가 성장기를 넘어 성숙기로 이행될 때는 직영 및 가맹 방식을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전략적 중요도와 상징성이 높은
주요
상권은
직영점
중심으로
운영하며,
가맹점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68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서는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③ 개인 •
한식당 사업 주체가 개인인 경우 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현지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확실한 사업모델 확보 시 독자 진출도 가능하나, 현실적인 여건과 실패 리스크 최소화를 고려한다면 가맹 방식을 통해 이미 현지 시장에 진출하여 검증된 사업모델을 채택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됨.
69
파리
2) 도시별 한식당 시장매력도 및 경쟁강도
파리와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사업 환경을 시장매력도와 경쟁강도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비교함.
시장매력도는 해당 도시에서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행태가 어떤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보고, 한식 취식 경험율과 한식 향후 취식 의향, 한국 긍정적 이미지의 평균값으로 산정함.
경쟁강도는 해당 도시에서 선호 에스닉 푸드(TOP5)가 이미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과 특히 직접적 경쟁 관계에 있는 아시안푸드가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의 평균값으로 보고, 선호 에스닉 푸드 TOP5 점유율과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평균값으로 산정함. [표] 도시별 한식당 시장 매력도 및 경쟁강도 비교 축 구분
지표
파리
싱가포르
한식 취식 경험
30.7
87.2
한식 향후 취식 의향
75.6
85.4
한국 긍정적 이미지 TOP2
63.2
95.6
평균
56.5
89.4
선호 에스닉푸드 TOP5
65.1
85.7
아시안푸드 선호율
47.2
86.9
평균
56.1
86.3
시장매력도
경쟁강도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① 시장매력도 •
싱가포르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 한식 취식 경험, 한식 향후 취식 의향, 한국 긍정적 이미지 등 시장매력도 지표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영주 면담조사 결과, 2005년 드라마 „대장금‟ 방영 이후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한식의
이미지가
높아졌으며
고가의
음식으로
인식됨으로써 시장 매력도 관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음. •
파리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 수치적으로는 싱가포르 대비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경영주
면담조사
결과,
현지고객이
80~90%를
차지하고
있고,
건강식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파리에서 한식은 새롭고 독창적인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어 단기적인 수익성 관점에서는 싱가포르 대비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나 향후 성장 가능성은 양호하다고 볼 수 있음. 또한, 세계 외식시장에서 파리가 차지하고 있는 상징성과 파급력을 고려한다면, 파리는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반드시 공략해야 하는 전략적 중요도가 높은 시장임.
70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② 경쟁강도 •
싱가포르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에서 선호 에스닉 푸드(TOP5)가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의 합이 85.7%로 나타남. 특히 직접적 경쟁 관계에 있는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합이 86.9%로 더욱 높게 나타나, 두 지표의 평균인 경쟁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음.
•
파리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 선호 에스닉 푸드(TOP5)가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의 합이 65.1%로 싱가포르 대비 상대적으로 낮으며, 직접적인 경쟁 관계에 있는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합은 47.2%로 더욱 낮게 나타나, 두 지표의 평균인 경쟁강도는 싱가포르 대비 낮다고 볼 수 있음.2 [그림] 파리 및 싱가포르 시장매력도 및 경쟁강도 비교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시장 잠재력 및 성공 가능성 측면에서 시장매력도는 높고, 경쟁강도는 낮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나 싱가포르, 파리 둘 다 해당되지 않음.
•
두 도시를 비교했을 때, 싱가포르는 시장매력도가 높지만 경쟁강도 또한 높아 시장 진입 시 어려움이 예상되나, 한식에 대한 관심과 경험율이 높고 한류의 영향력 또한 확대되고 있으므로 한국 문화와 연계하여 한식당의 차별적 특성을 강조한다면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
파리는 시장매력도와 경쟁 강도가 싱가포르 대비 둘 다 낮으나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이 세계 외식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파리의 상징성과 파급력을 고려하여 시장매력도를 판단하여야 하며, 경쟁 강도의 경우 수치적으로는 싱가포르 대비 낮으나 아시안푸드가 아닌 타 에스닉 푸드의 선호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파리에서 대표 아시안푸드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함.
2
파리의 경우, 선호에스닉 푸드 TOP5는 이탈리아식, 중식, 일식, 인도식, 태국식의 합이며, 아시안푸드 선호율은 한식을
제외한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합을 의미함. 싱가포르의 경우, 선호에스닉 푸드 TOP5는 일식, 중식, 태국식, 인도네시아식, 인도식의 합이며, 아시안푸드 선호율은 파리와 마찬가지로 한식을 제외한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합을 의미함.
71
파리
3)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유형
도시별 전략 유형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앞서 제시된 6가지 한식당 사업 진출전략 유형을 투자 여력, 위험감수 수준, 통제 용이성, 투자비용 회수 측면에서 평가하였으며, 시장 매력도 및 경쟁강도 비교를 통해 도출된 도시별 시장 특성 및 시사점을 고려하여 적합도가 높은 진출전략 유형을 최종적으로 도출함. [표]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유형 적합도 평가 전략 유형 적합도 주요 특징 파리
싱가포르
직영
파리는 현지고객들에게 한식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를 형성시키는 것이 주요 과제이므로 컨트롤이 용이한 직영점이 바람직함. 싱가포르는 본격적인 시장공략을 위해 사업모델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므로 현지화를 위한 테스트가 용이한 직영점이 바람직함.
√
√
합자
현지 외식시장에 대한 노하우가 풍부한 현지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 하면서 한식당을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파리∙ 싱가포르 둘 다 적합한 유형임.
√
√
인수합병
현지 시장에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거나 입지 매력도가 높은 사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적용이 가능한 유형이나 파리, 싱가포르 둘 다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됨.
마스터 프랜차이지 (Master Franchisee)
싱가포르는 본격적으로 한식당을 확산해나가는 단계이므로 현지 외식시장에서의 경험이 풍부한 가맹 사업자를 통한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됨.
디벨로퍼 (지역 개발업자 지정)
가맹점 계약
파리의 경우,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보다는 통제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직영체인 형태인 디벨로퍼 방식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됨. 통제가 어렵고 변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업 주체가 기업인 경우 파리, 싱가포르 둘 다 적합하지 않은 유형임.
72
√
√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파리 한식당은 성장기로 이행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어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주요한 전략 목표가 되어야 함. 파리에서 적합한 진출 전략 유형은 직영, 합자, 디벨로퍼(지역 개발사업자) 지정방식임.
•
직영방식 : 파리의 경우, 한식에 대한 이미지와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플래그쉽(Flagship)
역할의
한식당이
필요한
상황임.
플래그쉽
레스토랑급의
한식당 아이템을 개발하고 투자, 운영할 수 있는 대자본을 갖춘 대기업 혹은 중견기업 수준에서 가능한 진출전략임. •
합자방식 : 한식에 대한 관심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홍보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파리 현지 시장 및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현지 외식업에서의 마케팅 및 경영능력을 갖춘 프랑스 현지 기업과의 합자방식으로 진입하는 것이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임.
•
디벨로퍼(지역 개발사업자) 지정방식 : 한식에 대한 홍보 마케팅 활동 능력과 의지가 있고, 자본력과 경영 능력을 갖춘 중견 혹은 대기업 파트너를 만나 진행한다면 가능한 진출전략 방식임.
•
그외 직접적으로 가맹사업을 전개하는 것은 아직 한식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어느 정도 형성된 이후에 가능한 진출전략이라고 볼 수 있음.
싱가포르 한식당의 확산 수준은 파리 대비 높으며 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위치해 있으므로 한식당 사업 모델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을 전략 목표로 설정해야 함. 싱가포르에서 적합한 진출 전략 유형은 직영, 합자,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임.
•
직영방식 : 한식에 대한 수용도 및 시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CJ 푸드빌의 비비고가 직영방식으로 싱가포르 1호점을 2010년 12월 오픈하였음. 현지 1호점은 현재의 입점 위치 및 규모를 보았을 때 임대료가 상당히 높은 곳으로 비빔밥 판매를 통해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의견이나 단기적인
수익성
추구보다는
현지시장
노하우를
축적하고
현지화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접근하였음. CJ 비비고와 같은 국내 기업들의 새로운 시도들이 지속됨에 따라 한식 세계화의 구체적인 성공 노하우가 국내 기업들에 축적될 수 있을 것임. •
합자방식 :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싱가포르에서는 크리스탈 제이드와 같이 현지의
외식사업에
대한
성공노하우가
많은
업체와
함께
한식당
사업에
합자방식으로 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 특히, 크리스탈 제이드의 경우는 한식에 대한 붐을 감지하여 크리스탈 제이드 진생 치킨 & 코리언 바비큐라는 한식당 2개점을 싱가포르 현지에서 이미 운영 중임. 이들의 노하우와 국내 대기업
혹은
중견
외식기업의 73
한식에
대한
통찰력이
결합된다면
한식을
파리
확산시키는 데 있어 성공적인 한식당 사업모델이 나올 수 있으리라 여겨짐. •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 :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을 통해 놀부 항아리 갈비 및 BBQ의 경우 각각 2개점, 9개점의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음. 두 업체 모두 한류 붐을 겨냥해 한국에서 인기있는 외식업체임을 매우 강조하였음. 그외 BBQ의 경우는 현지화된 메뉴 도입, 현지 인구의 15% 정도를 차지하는 무슬림을 겨냥한 할랄 푸드 인증제 도입 등 현지화된 사업모델을 구축하였음. 놀부 항아리 갈비도 싱가포르 1호점 개설 시 한국 본사에서 약 3개월간 조리 인력 등을 지원받아 현지에 맞는 메뉴 개발 및 시스템 운영에 많은 노력을 쏟음. 이와 같이 자사의 한식당 컨셉을 현지인들이 원하는 속성에 맞게 어떻게 변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
•
그외 싱가포르로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개인, 현지의 개인 및 교포는 가맹사업을 통해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앞서 언급한 놀부 항아리 갈비 및 BBQ의 경우는 외식업체 운영경험이 없지만 본사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가맹주들이 대부분임.
74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4)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활성화 지원 방안
도시별 특성에 따라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 상황에 맞는 지원 방안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 파리의 경우 한식 및 한식당에 대한 인지도 확보가 중요하므로 한식 및 한국 국가 브랜드에 대한 현지 캠페인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싱가포르에서는 한식에 대한 관심 및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어 한식을 경험해 보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메뉴 개발 지원을 통해 한식에 대한 취식 빈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
현지 한식당 활성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한식당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림]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한식당 지원센터 운영
75
파리
[표]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요약 구분
한식 이미지 재고
내용
대응
한식 시식 행사
세분화된 타겟 관점에서 접근하여 시식행사 이후 실제 한식당 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게 행사 기획 – 프로모션 이벤트를 통해 당첨된 사람에게는 한식당 이용쿠폰 제공 등
시장 정보 및 마케팅 활동 지원
現 진행중
창업 자금 지원
現 진행중 – 홍보 필요
창업 과정 지원
한식당 창업교육 프로그램 혹은 창업관련 정보제공 및 지원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운영
우선적으로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 지원 한식당 해외진출 가이드북에서 제시
한식당 홍보물 운영지원
한식 및 한국 문화/풍경 관련 이미지 뱅크 운영 지원
조속 대응 필요 한식당 점주들의 니즈 高
메뉴 연구 개발 지원
현지인 식문화 특성에 맞게 코스화할 수 있도록 전식 및 후식 메뉴 개발 지원(파리)
메뉴 상세 안내 교육
한식재단 한식 메뉴별 영문표기 및 설명 자료 홍보 필요 –파리 및 싱가포르 교민협회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홍보
종업원 친절 교육 프로그램
현재 타국가 대상으로 진행중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 실시 필요
식당 운영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점들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및 루트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개설
해외 한식당 활성화를 위해 적극 검토
한식 홍보 행사
한식당 오픈 활성화 한식당 오픈 지원
메뉴
한식당 운영 지원 서비스 교육
해외 한식당 창업 & 운영 지원 종합 인터넷 포털 사이트 개설
76
메뉴의 양을 조절하여 소량화시킨 음식들의 세트메뉴 구성으로 한식에 대한 취식 빈도를 증대(싱가포르)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파리의 경우 한식당의 확산 단계가 여전히 진입기에 머물고 있어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한식당 활성화의 전제 조건임.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파리 현지인들에게 한국 문화와 한식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행사와 국가 차원의 캠페인이 전개되어야 함.
•
한국 및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홍보 캠페인 활동이 기본적으로 필요함.
•
한식 체험행사의 경우, 단순한 한식 체험 행사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체험 행사 이후 실제 현지에 있는 한식당 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게 행사 기획하고, 프로모션 이벤트를 통해 당첨된 사람에게는 한식당 이용쿠폰 제공 행사 진행 등 현지인 식문화 특성에 맞게 요리 제공 형태가 코스화 될 수 있도록 전식 및 후식 메뉴 개발 지원이 필요함.
싱가포르의 경우 한식당 확산 단계가 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위치해 있고, 한식에 대한 관심 및 한류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싱가포르 현지인들로 하여금 실제로 한식을 경험해보고 한식당 방문까지 유도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야 함.
•
한식당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한류 연계 캠페인 및 쿠폰 등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
•
현지 고객들은 대부분 한식당 방문 시 Korean BBQ 혹은 삼계탕을 한식당의 대표메뉴로
생각하므로
예상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높은편임.
따라서,
현지
고객들의 한식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중가대 메뉴 구성에 대한 연구 및 제시가 필요함.
예를
들면,
메뉴의
양을
조절하여
소량화시킨
구성으로 한식에 대한 취식 빈도를 높이는 방안들이 필요함.
77
음식들의
세트메뉴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Executive Summary
1. 파리 내 한식당 현황 가. 파리 내 한식당 의 발전 현황 현재 파리 내 프랑스 식당은 세분화, 전문화의 단계에 도달한 반면, 한식당은 초기 출현한 후 성장 단계 넘어가지 못하고, 메뉴의 종류와 범위, 서비스의 형태와 수준도 세분화, 전문화의 단계로 이르지 못한 체, 현재 정체 상태에 있음 나. 파리 내 한식당 경영주 식당 운영 기간 파리 내 현재 운영 중인 한식당 중 10년 이상 된 한식당도 현지에서 파악된 69개의 한식당 가운데 10%정도에 불과한 만큼 현재 파리 내 한식당은 역사가 길지 않은 상황임 다. 파리 내 한식당의 입점 위치 파리 내 각 상권 별로 입점 현황은, 26개가 입점되어 있는 15구가 가장 많은 한식당이 입점되어 있는 상권으로 파악됨. 나머지 상권들의 경우 대체로 5개 미만으로 한식당이 운영되고 있어 한식당의 확장이 상권별로 많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2. 파리 내 한식당 운영 현황 가. 파리 내 한식당 운영 형태 파리 내 현재 운영중인 전체 69개의 한식당 중 53.5%는 법인직영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44.6%는 개인 운영 형태로, 1.7%는 법인 가맹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나. 파리 내 한식당 메뉴 운영 파리 내 한식당이 운영하는 메뉴 수는 한식 메뉴 기준으로 평균 32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한식당에서 판매하는 매출 기준으로 한식 메뉴 중 불고기가 37.9%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돌솥비빔밥(비빔밥)이 17.2%임 다. 파리 내 한식당 인력 운영 파리 내 현재 운영 중인 한식당이 고용한 종업원 수는 매니저는 평균 0.8명이며, 서빙 종업원은 평균 1.8명, 청소 종업원은 평균 0.5명, 조리사는 평균 1.9명 정도를 고용함. 81
파리
매니저는 모두 한국인이며, 서빙은 한국인을 고용하는 경우가 85.9%, 조리사는 한국인을 고용하는
경우가
77.1%,
청소
종업원은
현지인이나
타국인을
고용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한국인 종업원 비중이 69.4% 정도로 나타남 3. 파리 내 한식당 시설 현황 가. 파리 내 한식당 규모 파리 내 현재 운영 중인 한식당의 규모는, 테이블 수를 기준으로 보면 평균 17개 정도이며, 한식당 중 테이블수가 15개 이하인 경우가 전체 한식당 중 66.6% 정도로 한식당의 규모는 대체로 소규모인 경우가 대부분임 4. 한식당 고객 특성 파리 내 한식당의 고객은 한국인의 비중보다 프랑스인의 비중이 2배 정도 많은 편임 일반적으로 한식당을 개업한 경영주들은 초기 경영의 안정화 단계까지 지역내 고객들을 주요 고객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함. 이러한 활동은 현지 파리 현지인을 지속적으로 방문하게 하여 고정 고객으로 형성하게 함
82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Ⅰ. 파리 내 한식당 현황 1. 파리 내 한식당의 발전 현황 •
현재 파리 내 프랑스 식당은 성장 확장 단계를 넘어 메뉴의 종류 및 범위, 제공되는 서비스의 수준, 평균 운영 객단가가 다양해지며, 세분화, 전문화의 단계에 도달하여 있음.
•
그러나, 파리 내 한식당은 초기 출현한 후 성장 단계 넘어가지 못하고, 메뉴의 종류와 범위, 서비스의 형태와 수준도 세분화, 전문화의 단계로 이르지 못한 체, 현재 정체 상태에 있음.
2. 파리 내 한식당 경영주 식당 운영 기간 •
식당의 운영기간은 전체 경영주 69명 가운데 1~3년 미만인 경우가 45.6%이며 3~6년 미만이 25.0%로 나타나, 대부분의 현재 운영 중인 한식당의 운영기간은 5년 정도 된 것으로 파악됨.
•
파리의 경우, 여러 가지 경제적, 법적 문제들로 인해 식당을 운영하다가 타인에게 인수인계 하거나 또 다른 식당을 새롭게 인수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재 운영하고 있는 식당의 경영기간은 길지 않은 것으로 판단됨.
•
그 외에는 9~12년 미만은 2.9%, 12년 이상의 현재의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경영주는 전체 중 7.4%임. [그림] 현재 운영중인 식당 운영 기간
□질문 :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한식당을 운영하신 지는 얼마나 되셨습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83
파리
3. 파리 내 한식당의 입점 위치 •
파리 내 각 상권 별로 입점 현황은, 26개가 입점되어 있는 15구가 가장 많은 한식당이 입점되어 있는 상권으로 파악됨. 그 다음으로 5구와 1구가 7개, 9구가 4개, 2구가 6개, 8구에는 3개, 7구와 10구, 13구가 2개 순으로 한식당이 많이 입점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4구, 6구, 11구, 12구, 14구, 16구, 17구 등은 한식당이 1개씩 입점되어 있어, 한식당의 확장이 많이 이뤄지지 않은 상권으로 나타남. 현재 한식당을 운영하는 경영주들의 의견에 따르면, 한식당 입점하기 좋은 상권은 1구의 오페라 상권, 7구, 3구와 4구에 걸쳐 있는 바스티유, 몽빠르나스, 15구 등이 한식당이 입점하기에 유망한 상권으로 인식되고 있음. [그림] 파리의 주요 상권 분류 및 한식당 분포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84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Ⅱ. 파리 내 한식당 운영 현황 1. 파리 내 한식당 운영 형태 •
파리 내에서 법인 직영으로 운영되는 한식당은 53.6%, 개인이 운영하는 한식당은 44.6%, 법인 가맹으로 운영되는 식당은 1.8%로 대체로 법인직영 또는 개인 운영 등 비가맹점 형태의 한식당들이 대체적임.
•
파리에서의 한식당은 초기 단계에서 성장기로 가지 못하고 있는 만큼 프랜차이즈 형태의 가맹점은 아직 현지에서 없는 것으로 파악됨. [그림] 한식당 운영 형태
□질문 :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한식당은 법인직영/법인가맹/개인운영 중 어떤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85
파리
2. 파리 내 한식당 메뉴 운영 •
프랑스 파리의 한식당이 취급하는 메뉴 중 한식 메뉴 비중은 95.0% 정도로 프랑스 파리의 한식당들은 대체로 한식 메뉴를 주 메뉴로 운영하고 있음.
•
한식당에서 판매하는 매출 기준으로 한식 메뉴 중 불고기가 37.9%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돌솥비빔밥(비빔밥)이 17.2%이며, 보쌈 6.9%, 감자탕 3.4% 순으로 판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인기 판매 메뉴
□질문 : 매출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판매 되는 메뉴는 어떤 것들인가요? 5가지를 말씀해 주세요. 그 메뉴들의 가격은 어떻게 되나요?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메뉴 레시피 운영 관련 현지 경영주의 의견
3
‚ 우리 집에서는 배추김치, 깍두기, 총각김치, 겉절이 네가지 김치를 담그는데, 이 런 발효식품은 한번 맛을 들이면, 헤어날수가 없어요 프랑스 손님들도 익은 김치의 맛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2~3주 정도 숙성시킨 김치를 내지요. 고춧가로, 마늘, 생강은 한국의 특성이나 발효는 유니버살한 부분이죠.‛ ‚프랑스에서 한식 본연의 맛을 잘 재현해 내기 위해서는 바로 이런 보편성을 잘 찾 아서 시장을 개척하고 우리만의 향기를 표현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겠지요.‛ (경영주 인터뷰)
3
파리 봉 식당 경영주 GH 코리아 인터뷰 내용 인용
86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3. 파리 내 한식당 인력 운영 •
파리 내의 한식당에 근무하고 있는 종업원의 현황을 보면 식당별로 평균 매니저 수는 0.8명으로 나타났으며, 서빙 종업원은 1.9명이며, 청소 종업원의 경우 0.5명, 조리사의 경우 평균 1.9명을 고용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종업원별 인원 수
□질문 : 현재 귀하의 한식당 종업원이 몇명입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파리 내 한식당에 고용된 종업원의 국적은 매니저의 경우 모두 한국인으로 구성되어 있음.
•
서빙 종업원의 경우 전체 고용 인원 중에 85.9%가 한국인이며, 청소 종업원의 경우 69.4%가, 조리사의 경우 77.2%가 한국인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 종업원별 국적 구성
4
□질문 : 현재 귀하의 한식당 매니저는 어디의 국적을 소유하고 있습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4
타국인의 경우 중국인, 조선족 등임.
87
파리
5
■ 인력 수급 관련 현지 경영주의 의견
‚프랑스 현지에서는 연변 동포의 노동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간혹 한국에서 온 조리장들이 연변 동포들과의 불화로 인해 한식당 경영주가 어려움 을 겪는 일이 있습니다. 또, 프랑스 현지 식당들은 조리사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 니다. 요리사로서 길을 가기보다는 단기적인 돈을 벌기위해 오다보니 오래 버티기 힘 듭니다.‛
4. 객단가 및 매출 관리 •
파리 내 현재 운영중인 한식당의 메뉴 평균 객단가는 평균€20.2이며, €14 이하인 경우가 42.9%, €15~19인 경우가 36.5%로 나타남.
•
한식당의 매출비중은 점심이 51.4%, 저녁이 46.4%로 점심의 비중이 저녁 대비 다소 높음. [그림] 한식당 객단가 분포
□질문 : 귀하의 한식당의 평균 객단가는 얼마입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5
파리 신정 경영주 GH 코리아 인터뷰 내용 인용
88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Ⅲ. 파리 내 한식당 시설 현황 1. 파리 내 한식당 규모 •
파리 내 현재 운영 중인 한식당의 규모는, 테이블 수를 기준으로 보면 평균 17개 정도이며, 한식당 중 테이블수가 15개 이하인 경우가 전체 한식당 중 66.6% 정도로 한식당의 규모는 대체로 소규모인 경우가 대부분임. [그림] 테이블 수
□질문 :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한식당 내에 테이블 수는 얼마나 되십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좌석 수도 50개 이하인 경우가 70% 정도이며, 평균 좌석수가 46.2석으로 나타남. [그림] 좌석 수
□질문 :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한식당 내에 좌석 수는 얼마나 되십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 주차장 현황 •
파리의
경우
모든
한식당에
주차장이
없음.
프랑스
정부에서
대중교통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정책적 방향에 따라 도심에서 주차장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음.
89
파리
Ⅳ. 한식당 고객 특성 •
파리 내 한식당의 고객은 한국인의 비중보다 프랑스인의 비중이 2배 정도 많은 편임.
•
일반적으로 한식당을 개업한 경영주들은 초기 경영의 안정화 단계까지 지역내 고객들을 주요 고객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함. 이러한 활동은 현지 파리 현지인을 지속적으로 방문하게 하여 고정 고객으로 형성하게 함.
•
파리 내 한식당을 방문하는 고객의 비중은 연령 층이 높아질수록 증가함. 다만, 일반적으로 다른 국가의 음식에 대해 받아들이는 정도가 50, 60대의 경우 일반적으로 낮은 것처럼, 프랑스 내 한식당의 경우도 대체로 주로 방문하는 고객은 30대와 40대의 연령층이 주를 이룸.
Ⅴ. 한식당 향후 발전 방향 관련 제언 •
현재 파리에 있는 한식당은 주로 현지 교민들의 생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규모나 수준이 크게 발전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한국인보다 현지인들의 방문이 많기는 하지만 그 대상이 아직까지는 한식 매니아층을 위주로 구성되어, 한정적이라고 볼 수 있음. 그러나 최근 프랑스 국영 방송에서 한류에 대한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한국 가수들의 공연 연장을 위해 루브르 박물관 앞에서 단체 시위가 일어나는 등 파리 내에서도 한류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 싱가포르의 경우, 2005~2006년 한류 열풍을 시작으로 한식당 수가 급격히 늘어난 것을 볼 때, 이러한 움직임을 바탕으로 파리 현지 한식당도 한 단계 더 확산되고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한식당을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임.
•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파리에 있는 한식당의 정확한 개수는 물론, 운영 상태 및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전혀 관리되고 있지 않은 실정임. 향후 좀 더 체계적인 한식 세계화 및 한식당에 대한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현지의 한식당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고 변화 추이를 살피는 것이 필요함. 이를 위해 2010년 진행된 파리 한식당 진출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파리 현지 한식당의 운영 현황, 고객 특성, 메뉴 분석, 한국산 식재료 사용 여부, 운영 시의 애로사항 및 지원 희망 사항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90
파리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파리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Executive Summary
1. 파리 내 식재료 유통 현황 파리의 경우, 식재료 시장이 매우 발달한 곳이며 소매 유통이 가장 발전한 나라, 대형 할인점의 ‘원조’국가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식재료 유통 메커니즘이 매우 발달해 있음. 파리 내에는 메트로와 헝지스라는 큰 재래식 도매 시장이 있으며, 품질 좋은 다양한 식재료를 판매 하기 때문에 한식당 뿐만 아니라 현지의 음식점 점주들이 식재료 구입을 위해 많이 방문하는 곳임. 2.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시장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현재 파리 내의 한인 수는 250만 명 정도이며, 한식당 규모는 약 70개 정도로 파악됨. 한국산 식품 유통업체의 경우, 도매업체는 없으며 소매점은 약 10개로 파악됨. 현지 한식당들의 한국산 식재료 수급 구조는 아래와 같이 총 2 가지로 나타남. 첫째, 한국 식품 수출업체 → 독일, 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럽 국가의 도소매 식품업체 → 파리 현지의 소매 한인 슈퍼 → 현지 한식당 둘째, 한국 식품 수출업체 → 독일, 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럽 국가의 도소매 식품업체 → 현지 한식당 한식당들이 사용하는 식재료 중 한국산 식재료의 평균 사용 비중은 33.8%로 나타났으며, 특히 양념류는 70.9%로 매우 높게 나타남. 반면 육류의 경우 한국산 제품이 수입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비중이 0%로 나타남. 3.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 파리의 경우, 한국산 식재료 수급이 해외 他 지역에 비해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로는 한국산 식재료의 높은 가격, 한국산 육류 수입 불가, 한식 및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수요, 세관 통과의 어려움으로 나타남.
93
파리
4. 한식 식재료 수출 활성화 방안 한식 식재료 수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식재료의 공급 범위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므로, 한식 식재료의 타겟을 외식업소, 특수 급식소, 개인 소비자로 확대하여 한식 식재료가 개발되어야 함. 또한 현지 시장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현지 한식당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지원으로 한식당 수를 늘리고 현지에서의 인지도를 갖추어야 함. 동시에 한식에 대한 정의를 규정하여 중국 식재료와 혼동을 막고 한식 식재료 고유의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됨. 5. 파리 식재료 시장 개척 성공 사례 파리의 경우, 한국산 식재료를 유통하는 대형 업체는 아직까지 없으며 대부분 다른 유럽 국가를 거쳐서 제품이 들어오거나 소매점을 중심으로 유통되고 있음. 하지만 국내 CJ의 경우, 유럽 시장을 겨냥한 영업 방법으로 유럽 내의 한국산 식품 및 식재료의 저변을 조금씩 넓혀나가고 있음.
94
파리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Ⅰ. 파리 내 식재료 유통 현황 •
파리의 경우, 식재료 시장이 매우 발달한 곳이며 소매 유통이 가장 발전한 나라, 대형 할인점의 „원조‟국가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식재료 유통 메커니즘이 매우 발달해 있음.
•
파리 내에는 메트로와 헝지스라는 큰 재래식 도매 시장이 있으며, 품질 좋은 다양한 식재료를 판매 하기 때문에 한식당 뿐만 아니라 현지의 음식점 점주들이 식재료 구입을 위해 많이 방문하는 곳임. -
헝지스 국제 농수축산물 도매시장은 파리시 중심가에서 남쪽으로 13km 지점에, 파리 남쪽 경계에서 8km에 위치하며, 파리 오를리 공항, 3개의 고속도로, 고속철도와 연결 되어 국내 외 수송이 원활한 교통 요충지. 유럽의 1,800만명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파리로부터 약 250km까지 정기적으로 배달함. [그림] 헝지스의 위치
*Source : Google maps (maps.google.com)
-
메트로는 94지역 비트리 쉬르 센느에 위치해 있으며, 파리에서 차로 약 15~20분정도면 갈 수 있는 거리임. 식자재, 식당 관련 기자재, 식재료 그 외 물, 술 등 다양한 제품들을 취급하는 유통대형창고이며 한국식당들도 자주 찾는 곳임. [그림] 메트로 위치
*Source : 메트로 홈페이지 (www.metro.fr)
95
파리
•
파리의 식재료 시장의 주요 대형 유통 업체로는 까르푸(Carrefour), 오샹(Auchan), 엥테르 마르쉐(INTER MARCHE), 이.르끌레르( E.LECLERC), 그룹 카지노(Groupe Casino) 등 5곳이 있음. [표] 주요 유통업체 Top 5
순위
회사명
전체 매출 (2008)
프랑스 전체 매장 수
점유율 (2010)
취급품목
공급체계 hypermarket
까르푸(Carrefour)
supermarket 869 억 7 천만유로
1
940
24%
전 품목
hard discount stores convenience stores cash &carry hypermarket
오샹(Auchan)
supermarket 395 억유로
2
550
12%
전 품목
auchan drive auchan direct les halles d'auchan intermarche
엥테르마스쉐(Intermarche) 3
348 억유로
3000
13.6%
전 품목
netto restaumarche hypermarket
이.르끌레르(E.Leclerc) 4
347 억유로
561
16.4%
전 품목
supermarket e.leclerc drive Geant Casino
그룹 카지노 (Groupe Casino)
Casino supermarket Monoprix
5
270억유로
-
-
전 품목
Franprix Petit Casino, Spar, Vival Naturalia Leader Price Cdiscount.com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96
파리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Ⅱ.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시장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
현재 파리 내의 한인 수는 250만 명 정도이며, 한식당 규모는 약 70개 정도로 파악됨. 한국산 식품 유통업체의 경우, 도매업체는 없으며 소매점은 약 10개로 파악됨.
•
현지 한식당들의 한국산 식재료 수급 구조는 아래와 같이 총 2 가지로 나타남. -
첫째, 한국 식품 수출업체 → 독일, 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럽 국가의 도소매 식품업체 → 파리 현지의 소매 한인 슈퍼 → 현지 한식당
-
둘째, 한국 식품 수출업체 → 독일, 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럽 국가의 도소매 식품업체 → 현지 한식당 [그림] 한국산 식재료 수급 구조 모형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대부분의 한식당들은 장류(고추장, 간장, 된장 등), 소스류(불고기 소스 등) 등의 양념류를 파리 현지의 한인마트나 슈퍼, 독일, 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럽 국가 내의 한국산 식재료 유통업체를 통해 수급 받으며, 필요한 한국산 야채는 독일의 한국 야채 농장을 통해 수급 받음.
•
육류의 경우에는 대부분 파리 현지 업체를 통해 수급을 받거나 파리 내의 중국계 식재료 유통업체, 파리 현지 재래식 도매시장인 헝지스, 디종 중앙시장 등에서 구입하며 야채류는 주로 중국인 시장, 독일의 야채 농장, 파리 현지 재래식 도매시장을 통해 수급 받거나 그곳에서 직접 구입함. 주류의 경우에는 한국 주류 유통회사에 직접 주문하여 수급 받으며 프랑스 현지산 주류는 주로 시장에서 직접 구입함. 반가공품의 경우 현재 만두, 고사리, 건어물 등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 역시 독일, 네덜란드 등의 다른 유럽 지역의 한국산 식재료 유통업체를 통해 수급 받음. 특히 만두의 경우 한국산 육류 성분이 포함되어 수입 불가 제품이기 97
파리
때문에 중국산 만두를 사용하거나 독일 및 네덜란드의 한국산 식품 유통업체를 통해 수급 받고 있음. •
한식당들이 사용하는 식재료 중 한국산 식재료의 평균 사용 비중은 33.8%로 나타남.
•
특히 양념류는 70.9%로 매우 높게 나타남. 반면 육류의 경우 한국산 제품이 수입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비중이 0%로 나타남.
•
파리 내 한식당들의 구체적인 식재료 수급 상황은 아래의 표와 같음. [표] 파리 한식당 식재료 조달 및 사용 현황
한국산 비중
사용량 Top3
평균
곡류
육류
어패류
채소류
반가공 식품
양념류
주류
33.8%
45.3%
0%
13.7%
16.6%
41.5%
70.9%
49.0%
쌀
소고기
오징어
배추
70.6%
66.2%
20.6%
66.2%
만두/ 만두피
고춧 가루
14.8%
54.4%
녹두
돼지 고기
-
5.9% 밀가루/ 흑미 각2.9%
월 평균 사용량
-
평균 구 입 단가
-
평균 구 매 주기
월 8.2회
-
닭고기 52.9%
연어
무
당면
고추장
소주
17.6%
45.6%
4.4%
47.1%
57.4%
고등어/ 도미 11.8%
양파
컵라면
간장
와인
22.1%
3.0%
33.8%
16.2%
161.1Kg
97.7Kg
17.1Kg
312.0Kg
115.9Kg
32.4Kg
57.7병
€ 21.6
€ 16.2
€ 30.2
€ 21.9
€ 11.9
€ 10.8
€ 28.3
(Kg)
(Kg)
(Kg)
(Kg)
(Kg)
(Kg)
(병)
월 2.5회
월 5.4 회
월 4.8회
월 4.9회
월 3.7회
월 2.4 회
월 1.6회
한국 업체
현지 마트 도매 시장
현지 마트 도매 시장
현지 마트 도매 시장
한국 업체
한국 업체
한국업 체
44.1%
66.2%
58.8%
39.7%
30.8%
42.6%
60.3%
구매처
60.3%
맥주 66.2%
중국
중국
중국
중국
마트/ 시장
시장/마 트
마트/ 시장
마트/ 시장
11.8%
14.7%
13.2%
27.9%
-
한국 업체
한국 업체
7.4%
11.8%
일본 업체 5.9%
중국 시장 11.8%
중국 마트/시 장 10.3%
현지
현지
마트/ 시장
마트/ 시장
4.4%
4.4%
현지업 체 19.1%
중국시 장 1.5%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98
파리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
2009년 기준으로 프랑스 전체 수입량 중 한국 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0.8%로 나타남. 프랑스의 대한국 수출규모는 2008년 대비 17.9% 감소한 약 US$40억, 수입 규모는 약 US$ 43억으로 집계됨. [표] 한국산 수입 현황 (단위 : €100만)
구분
2008년
2009년
구성비(%)
한국
3,904
3.175
0.8
전체
475,634
397,129
100.0 *Source : 농수산물 유통공사
99
파리
Ⅲ.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 •
파리의 경우, 한국산 식재료 수급이 해외 他 지역에 비해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리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로는 한국산 식재료의 높은 가격, 한국산 육류 수입 불가, 한식 및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수요, 세관 통과의 어려움으로 나타남. -
한국산 식재료의 높은 가격 : 파리의 한식당들은 대부분 영세한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식재료의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가 어려움. 또한 한국산 식재료를 취급하는 대형 유통업체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소매점을 통해 소매가로 제품을 구입해야 하며, 다른 유럽 국가를 거쳐서 제품들이 수입되기 때문에 물류비가 상승되고 그로 인해 높은 가격대로 제품을 구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임.
-
한국산 육류 수입 불가 : 한식당의 경우,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컷팅 된 육류를 요구하지만, 현지 육류 공급업체에서는 재료의 낭비, 컷팅 방식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그 요구를 잘 들어주지 않고 있음. 또한 육류 성분 역시 수입 불가 제품으로, 한국산 라면 및 만두 또한 수입이 되지 않아 중국산 제품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음. 한국산 육류의 수입이 허가 된다면 한식당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임.
-
파리 현지 식재료 유통 업체들의 한식 및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수요 : 파리에서는 한식 및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은 상황임. 그렇기 때문에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수요도 낮을 수 밖에 없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한식과 한국산 식품 및 식재료에 대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세관 통과의 어려움 : 프랑스의 경우, 수입품의 세관 통과가 쉽지 않음. 여러 가지 적용되는 규제도 많으며 세금 또한 높기 때문에 다른 유럽 국가들을 통해 제품이 수입되는 경우가 대부분임. 이러한 점은 제품의 수출 경로를 길어지게 하여, 물류비 및 제품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요인임. 세관 통과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각종 인증서 및 등록증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대한 정부 및 관계 부처의 지원이 필요할 것임.
-
한국산 식재료 수입 도매업체 부재 : 파리에는 현재 한국산 식재료를 취급하는 도매업체가 없는 상황임. 이로 인해 파리 현지의 한식당들은 도매가가 아닌 소매가의 높은 가격으로 한국산 식재료를 구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임. 현지의 회사 관련 세금 및 창고 건립 등의 문제,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낮은 인지도로 인해 한식당에만 국한되어 있는 거래처 등의 문제로 인해 현지에 한국산 식재료 도매 업체를 운영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임.
100
파리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Ⅳ. 파리 식재료 시장 개척 성공 사례 •
파리의 경우, 한국산 식재료를 유통하는 대형 업체는 아직까지 없으며 대부분 다른 유럽 국가를 거쳐서 제품이 들어오거나 소매점을 중심으로 유통되고 있음. 하지만 국내 CJ의 경우, 유럽 시장을 겨냥한 영업 방법으로 유럽 내의 한국산 식품 및 식재료의 저변을 조금씩 넓혀나가고 있음. 구체적인 영업 방안은 아래와 같음. -
전략 제품을 이용한 요리 시연 : 현지 조리사들을 상대로 제품을 사용한 요리 를 시연하고 해당 제품에 대한 니즈가 있을 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6 된 제품을 공급
-
일식 대체품으로 시장 진입 : 한국산 식재료 보다 시장이 큰 일식 식재료 시장을 시작으로 유럽 시장에 진입함.
-
유통업체가 아닌 음식점과 컨택 : 한국산 식재료 사용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음식점을 컨택하여, 그 음식점이 거래를 하고 있는 유통 업체를 역으로 소개 받음.
-
한인 도매상 대상의 영업 : 가장 많은 한국산 식품 및 식재료를 취급하는 경우가 한이 도매상이므로 중요한 바이어 중 하나임.
6
각 식당에서 원하는 방식으로 식재료를 공급하는 고객 맞춤 식재료 공급 서비스
101
파리
Ⅴ. 한식 식재료 수출 활성화 방안 •
한식 식재료 수출은 수입업자(현지 유통 기업)와 수출업자들의 인프라와 네트워크 구축 수준과 국가간 수출입 법률의 허용 정도에 따라 달라짐. 법률적 문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수출 허가품목 증대와 관세율을 감소시키도록 노력해야 하는 사안이며, 수입업자와 수출업자들에 대한 문제는 지원과 독려를 통해 인프라의 구축과 개선이 가능함.
•
정부는
수출업자-현지유통기업-한식당을
연결하는
통합
정보망을
구축하여
정보와 서비스를 지원하고, 유럽의 유통 기업과의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한식당의 한식 식재료 수급문제를 해결하고 한식 식재료의 유통이 대형마트와 같은 대중화 채널로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
해야
함.
또한
장기적으로
파리
현지에
연구개발(R&D 기능을 갖춘 물류센터를 건립하여 한식 식재료 수출과 유통 활성화의 기반 조성을 다져야 함. [그림] 통합 정보망 구축 개념도
•
한식 식재료 수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식재료의 공급 범위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므로, 한식
식재료의
타겟을
외식업소,
특수
급식소, 개인
소비자로
확대하여 한식 식재료가 개발되어야 함. •
또한 현지 시장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현지 한식당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지원으로 한식당 수를 늘리고 현지에서의 인지도를 갖추어야 함. 동시에 한식에 대한 정의를 규정하여 중국 식재료와 혼동을 막고 한식 식재료 고유의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야 함.
102
파리 공항 입점관련 정보
파리 공항 입점관련 정보
Executive Summary
1. 샤를 드골 공항 가. 샤를 드골 공항 내 음식점 분포 샤를 드골 공항 내에는 총 58개의 음식점 및 까페가 입점해 있으며, 레스토랑 11개, 바 27개, 패스트푸드 음식점 20개로 구성되어 있음. 그 중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총 3개이며, 덴마크식 음식점이 1개, 레바논/중국/이탈리아식을 모두 취급하는 에스닉 혼합형 음식점이 1개, 일본식 음식점이 1개 입점해 있음. 나. 샤를 드골 공항 입점 샤를
드골
공항과
관리공단(ADP)이
파리
오를리
담당하고
공항의
있으며
경우,
공항
실무적인
입점
관리는
관련
부분은
공항
에스에스피(SSP)와
엘리아스(Eliace)라는 관리 업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 공항 내 입점 절차는 기존에 입점 되어 있었던 매장의 계약 기간 만료 1년 전에 입찰 공고를 게시하고, 공고 이후 6~9개월 정도 입찰 내용에 대한 공고를 진행하여 입찰 지원자를 모집함. 지원자 모집 후 1개월 간 지원자들이 제출한 서류를 검토하여 입점자를 결정하고 통보함. 2. 파리 오를리 공항 가. 파리 오를리 공항 내 음식점 분포 파리 오를리 공항 내에는 총 26개의 음식점 및 까페가 입점해 있으며 레스토랑 2개와 바 24개가 입점해 있음. 그 중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레바논, 중국, 이탈리아식 음식을 동시에 취급하는 1개가 입점해 있음. 나. 파리 오를리 공항 입점 파리 오를리 공항의 경우, 샤를 드골 공항과 동일하게 공항 입점 관련 부분은 공항 관리공단(ADP)이,
실무적인
관리는
에스에스피(SSP)라는
이루어지고 있음.
105
민간
관리
업체에
의해
파리
공항 내 입점 절차는 기존에 입점 되어 있었던 매장의 계약 기간 만료 1년 전에 입찰 공고를 게시하고, 공고 이후 6~9개월 정도 입찰 내용에 대한 공고를 진행하여 입찰 지원자를 모집함. 지원자 모집 후 1개월 간 지원자들이 제출한 서류를 검토하여 입점자를 결정하고 통보함. 3. 보베 국제 공항 가. 보베 국제 공항 내 음식점 분포 보베 국제 공항 내에는 총 4개의 음식점 및 바가 입점해 있으며 레스토랑 2개와 바 2개로 이루어져 있음. 아직까지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입점한 곳이 없음. 나. 보베 국제 공항 입점 보베 국제 공항의 경우, 공항 내 음식점이 4개 밖에 없으며 그 규모도 작은 편이기 때문에 형식화 된 입점 절차가 있기는 하나, 실제 그 절차대로 입점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음.
106
파리 공항 입점관련 정보
Ⅰ. 샤를 드골 공항 1. 샤를 드골 공항 관련 세부 정보 •
설립 연도 : 1974년 3월
부지면적 : 3109만m2
•
터미널 규모 : 여객 터미널 3동(44만 2300m2) 화물 터미널 6동 (24만 8000m2)
•
연간발착 횟수 : 40만 2,717회
•
여객 : 3,529만 3,378명
•
화물 : 107만 2,207톤
•
취항 항공사 : 100개 사
•
관리부서 : 파리공항관리공단(Aéroport de Paris)
2. 샤를 드골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샤를 드골 공항 내에는 총 58개의 음식점이 입점해 있으며, 레스토랑이 11개, 바가 27개, 패스트푸드 음식점이 20개임.
•
그 중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총 2개이며, 덴마크식 음식점이 1개, 레바논, 중국, 이탈리아식을 함께 파는 에스닉 혼합형 음식점이 1개, 일본식 음식점이 1개 입점 해 있음. [표] 샤를 드골 공항 내 음식점 및 바 수 총 58개 레스토랑
바
패스트푸드 음식점
11개
27개
20개 *Source : 샤를드골 공항 홈페이지 (www.paris-cdg.com)
[표] 샤를 드골 공항 내 에스닉 푸드 취급점 수 총 3개 에스닉 혼합형
덴마크식
(레바논&중국&이탈리아식)
일본식
1개
1개
1개 *Source : 샤를드골 공항 홈페이지 (www.paris-cdg.com)
107
파리
3. 샤를 드골 공항 입점 •
샤를 드골 공항과 파리 오를리 공항의 경우, 공항 입점 관련 부분은 공항 관리공단(ADP)이
담당하고
있으며
실무적인
관리는
에스에스피(SSP)와
엘리아스(Eliace)라는 관리 업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
샤를 드골 공항 입점 절차 및 방법 -
샤를
드골
담당하지만
공항
내의
실무적인
음식점 부분의
관리는
공항관리공단(ADP)
경우에는,
샤를
드골
사업개발부에서
공항의
터미널
1,
2(A,B,C,D)는 에스에스피(SSP)라는 관리 업체에서, 샤를 드골 공항의 터미널 2E, 2F, 2G는 엘리아스(Eliace)라는 관리 업체에서 직접 관리함. 이 공항들의 매장은 개인에게
임대하는
형식이
아닌
에스에스피(SSP), 엘리아스(Eliace)가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개 입찰로 매장 입찰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입점 허가가 다른 공항들에 비해 폐쇄적이며 어려움. -
공항 내 입점 절차는 기존에 입점 되어 있었던 매장의 계약 기간 만료 1년 전에 입찰 공고를 게시하고, 공고 이후 6~9개월 정도 입찰 내용에 대한 공고를 진행하여 입찰 지원자를 모집함. 지원자 모집 후 1개월 간 지원자들이 제출한 서류를 검토하여 입점자를 결정하고 통보함. [그림] 샤를 드골 공항의 입점 절차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샤를 드골 공항 내 음식점 운영 관련 사항 -
샤를 드골 공항 내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공항관리공단(ADP)와
관리
업체인
에스에스피(SSP),
엘리아스(Eliace)와의
관계임. 공항관리공단(ADP)와 관리업체들과의 관계가 좋지 않으면 공항 내에서 음식점을 경영하는 데에 불이익이 많기 때문에 공항 내부의 규칙 및 관련 법률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수시로 불시에 방문하여 종업원 교육, 위생 상태 등을 검사하는데, 이러한 검사 결과 역시 공항 내에서 영업을 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함.
108
파리 공항 입점관련 정보
Ⅱ. 파리 오를리 공항 1. 파리 오를리 공항 관련 세부 정보 •
설립 연도 : 1946년
•
부지면적 : 15.3 km2
•
터미널 규모 : 총 2개(Terminal ouest, Terminal sud)
•
연간발착회수 : 222,878
•
여객 : 26,441,000명
•
화물 : 107,000톤
•
취항 항공사 : 33개 사
•
매출액 : 2009년 현재 약 26억 유로(샤를 드골+오를리)
•
영업수익 : 2009년 현재 약 2억 7천만 유로(샤를 드골+오를리)
•
관리부서 : 파리공항관리공단(Aéroport de Paris)
2. 파리 오를리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파리 오를리 공항 내에는 총 26개의 음식점 및 까페가 입점해 있으며 레스토랑 2개와 바 24개가 입점해 있음. 그 중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레바논, 중국, 이탈리아식 음식을 동시에 취급하는 1개가 입점해 있음. [표] 파리 오를리 공항 내 음식점 및 바 수 총 26개 레스토랑
바
2개
24개
*Source : 오를리 공항 홈페이지 (http ://www.airwise.com/airports/europe/paris_ory)
[표] 파리 오를리 공항 내 에스닉 푸드 취급점 수 총 1개 혼합형 (레바논&중국&이탈리아식) 1개 *Source : 오를리 공항 홈페이지 (http ://www.airwise.com/airports/europe/paris_ory)
109
파리
3. 파리 오를리 공항 입점 •
파리 오를리 공항의 경우, 샤를 드골 공항과 동일하게 공항 입점 관련 부분은 공항 관리공단(ADP)이, 실무적인 관리는 에스에스피(SSP)라는 민간 관리 업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
파리 오를리 공항 입점 절차 및 방법
-
파리 오를리 공항 내의 음식점 관리는 공항관리공단(ADP) 사업개발부에서 담당하지만 실무적인 부분의 경우에는, 에스에스피(SSP)라는 관리 업체에서 직영으로 직접 관리함. 이 공항들의 매장은 개인에게 임대하는 형식이 아닌 에스에스피(SSP)가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개 입찰로 매장 입찰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입점 허가가 다른 공항들에 비해 폐쇄적이며 어려움.
-
공항 내 입점 절차는 기존에 입점 되어 있었던 매장의 계약 기간 만료 1년 전에 입찰 공고를 게시하고, 공고 이후 6~9개월 정도 입찰 내용에 대한 공고를 진행하여 입찰 지원자를 모집함. 지원자 모집 후 1개월 간 지원자들이 제출한 서류를 검토하여 입점자를 결정하고 통보함. [그림] 파리 오를리 공항의 입점 절차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파리 오를리 공항 내 음식점 운영 관련 사항 -
파리 오를리 공항 내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공항관리공단(ADP)와 관리 업체인 에스에스피(SSP)와의 관계임. 공항관리공단 (ADP)와 에스에스피(SSP)와의 관계가 좋지 않으면 공항 내에서 음식점을 경영하는 데에 불이익이 많기 때문에 공항 내부의 규칙 및 관련 법률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수시로 불시에 방문하여 종업원 교육, 위생 상태 등을 검사하는데, 이러한 검사 결과 역시 공항 내에서 영업을 하는 데에 있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음.
110
파리 공항 입점관련 정보
Ⅲ. 보베 국제 공항 1. 보베 국제 공항 관련 세부 정보 •
설립 연도 : 1947년
•
터미널 규모: 총 1개
•
여객 : 260만명
•
취항 국가 : 14개 국가 45개 도시
•
취항 항공사 : 블루에어, Ryanair, Wizz에어 총3개 항공사
•
영업수익 : 2009년 현재 약 87만 유로
•
관리부서 : 보베공항관리공단 (Société Aéroportuaire de Gestion et d'Exploitation de Beauvais)
2. 보베 국제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보베 국제 공항 내에는 총 4개의 음식점 및 바가 입점해 있으며 레스토랑 2개와 바 2개로 이루어져 있음. 아직까지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입점한 곳이 없음. [표] 보베 국제 공항 내 음식점 및 바 수 총 4개 레스토랑
바
2개
2개 *Source : 보베 공항 홈페이지 (http ://www.aeroportbeauvais.com)
3. 보베 국제 공항 입점
보베 국제 공항 입점 절차 및 방법
-
보베 국제 공항의 경우, 공항 내 음식점이 4개 밖에 없으며 그 규모도 작은 편이기 때문에 형식화 된 입점 절차가 있기는 하나, 실제 그 절차대로 입점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음.
-
매장 숫자도 적을 뿐만 아니라 개인 소유의 매장도 있기 때문에 입점 기회가 거의 없음. 그렇기 때문에 상시 입점 희망자에게 서류를 받아 두었다가 빈 매장이 생길 경우 서류 검토를 통과한 희망자에게 서류를 받은 순서대로 연락을 하여 입점을 결정함. 또는 기존 매장의 계약 기간 만료 1년 전에 계약 기간 연장 또는 폐점을 결정하며, 이를 보베 공항 홈페이지에 공고를 내어 공개입찰을 하거나 컨설팅 업체를 통해 입점 대상을 파악하여 입점자를 결정함. 111
파리
보베 국제 공항 내 음식점 운영 관련 사항
-
보베 국제 공항은 주로 저가 항공사가 취항하는 공항이기 때문에 음식점 역시 중저가대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음. 메뉴 가격, 종업원 고용 등 음식점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항들이 점주의 자율에 따라 이루어짐. 음식점 운영에 있어서 특별히 신경 써야 할 부분은 정부 기관이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위생 및 안전 검열 부분과 수익금 지불을 위한 매출 신고임.
기타 사항
-
매장의 간판 및 인테리어 부분에 대한 공항 측의 규제는 없으며 프랑스 내에서 지정하고 있는 간판 및 인테리어 관련 법률만 위반하지 않으면 됨.
-
식재료 공급 및 직원 수급은 모두 점주에 의해 자율적으로 일어남.
112
파리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파리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Executive Summary
1. 한식당 운영관련 파리 상권은 크게 1구부터 20구까지 총 20개의 지역으로 구분되며 이중에서 1, 2구와 15 구에 한식당이 가장 많이 분포 해 있으며, 특히 1구와 2구의 ‘오페라’지역에 한식당들 이 많이 밀집되어 있음. 파리 한식당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불고기, 비빔밥 등으로 나타남. 대부분의 한식 당 고객들은 현지인이 80~90% 수준으로, 한국인 보다 현지인의 비율이 절대적으로 많음. 특히 한국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이 있었던 사람들, 건강식과 새로운 것을 즐기는 사람 들이 주로 한식당을 찾는 것으로 보임. 파리 사람들의 경우, 매운맛을 싫어하지는 않지만 아직까지는 그들에게 매운 맛은 낯선 맛으로 받아 들여짐. 그렇기 때문에 색은 빨갛지만 맛과 냄새는 덜 맵게 조리하거나 마 늘 양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맛을 현지화 하고 있음. 또한 서빙과 프리젠테이션 측면에서도 한식도 전식-본식-후식의 코스화를 통해 현지화를 하고 있으며 음식점의 실 내구성에 있어서도 고기구이로 인한 냄새 때문에 환기덕트를 실내에 꼭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현지화를 하고 있음. 2. 성공사례 파리에서 성공한 한식당들은 대체로 동일한 성공요인 이외에도 각 한식당 별 차별적 성 공요인이 존재함. 다양한 성공 요인 중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보면 크게 아래와 같이 구 분할 수 있음. -
성공적인 한식의 현지화
-
식당의 특성에 맞는 메뉴 구성
-
한국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식당의 인테리어
-
친절한 서비스
3. 실패 사례 현지에서 한식당 운영에 실패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음. -
상권에 부적합한 음식점 컨셉
-
재무 운영의 문제
-
불법 고용
115
파리
4. 식재료 관련 Issue 파리의 경우에는 프랑스의 식재료 시장이 워낙 발달하여 있기 때문에 특별히 식재료 수 급에 큰 어려움은 없음. 현지에서 구하기 어려운 재료의 경우에는 유럽에 위치한 다른 국가의 한국농장, 한국산 식재료 유통업체를 통하거나 한국에서 직접수급 받음. 대부분 의 필요한 식재료는 현지식재료 유통업체나 헝지스, 메트로 등의 재래식도매시장을 통해 수급 받거나 구입하고 있음. 5. 종업원 수급 관련 사항 대부분의 종업원은 아는 사람의 소개 또는 현지 한인신문이나 한인커뮤니티의 구인광고 를 통해 고용함. 주방장의 경우에는 조선족 또는 중국인인 경우가 더 많으며 서빙 종업 원의 경우에는 한국인 유학생인 경우가 가장 많음. 현재 한국인종업원의 현지 채용은 다 소 어려움이 있으나, 최근 워킹 홀리데이로 파리에 온 사람들이 현지 한식당에서 근무하 려는 수요가 높아지는 만큼 한국인 채용의 기회는 많아지고 있음. 6.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현지 한식당 점주들이 희망하는 지원정책으로는 인력공급문제의 해결, 간판/메뉴판/홍보 책자작성지원, 활발한 한국 및 한식홍보, 테이크 아웃 손님들을 위한 포장재 지원, 인테 리어 지원 등이 나타남.
116
파리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Ⅰ. 한식당 운영관련 •
파리 상권은 크게 1구부터 20구까지 총 20개의 지역으로 구분되며 1, 2구와 15구에 한식당이 가장 많이 분포 해 있으며, 특히 1구와 2구의 „오페라‟지역에 한식당들이 많이 밀집되어 있음.
•
파리
한식당의경우,
한국적
느낌을
내기
위해
한국적인
소품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음. 한국전통찻잔, 창틀, 전등 등을 통해 한국의 전통가옥 느낌을 표현하고 병풍을 두거나 한글이 들어간 벽지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느낌을 한국적으로 꾸미기도 함. •
파리에서는 한식당의 규모는 성장과 축소 없이 현지에 정착하는 한국인들에 의해 생계형 한식당들이 개업하기 시작한 이래로 그 규모가 비슷하게 유지됨. 주로 일가 친척 혹은 지인이 파리에서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던 것을 계기로 파리에 건너와 한식당을 개업하거나 파리에 체류하기 위한 체류증 획득의 가장 쉬운 방법으로
한식당을
개업하며
대부분의
음식점에서
한가지
메뉴를
전문화
하기보다는 다양한 한식메뉴를 취급하고 있음. 파리 한식당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불고기, 비빔밥 등으로 나타남. 대부분의 한식당 고객들은 현지인이 80~90% 수준으로, 한국인 보다 현지인의비율이 절대적으로 많음. 특히 한국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이 있었던 사람들, 건강식과 새로운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주로 한식당을 찾는 것으로 보임. •
파리 사람들의 경우, 매운맛을 싫어하지는 않지만 아직까지는 그들에게 매운 맛은 낯선 맛으로 받아 들여짐. 때문에 색은 빨갛지만 맛과 냄새는 덜 맵게 조리하거나 마늘 양을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맛을 현지화 하고 있음. 또한 서빙과
프리젠테이션
측면에서도
한식도
전식-본식-후식의
코스화를
통해
현지화를 하고 있으며 음식점의 실내구성에 있어서도 고기구이로 인한 냄새 때문에 환기덕트를 실내에 꼭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현지화를 하고 있음.
117
파리
Ⅱ. 한식당 성공사례 •
파리에서 성공한 한식당들은 대체로 동일한 성공요인 이외에도 각 한식당 별 차별적 성공요인이 존재함. 다양한 성공 요인 중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보면 크게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음.
1. 성공적인 한식의 현지화 •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현지화 단계가 꼭 필요하기 때문에 파리의 시장 상황 및 파리 사람들의 입맛과 기호를 고려한 한식의 현지화는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꼽힐 수 있음.
•
한식의 현지화는 크게 음식의 현지화와 서비스의 현지화로 구분됨. 음식의 현지화는 파리 사람들이 쉽게 한식을 접할 수 있도록 매운 맛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생선 구이의 뼈를 발라 내고 제공하는 방법, 한식을 코스화 하여 제공하는 방법 등이 이루어 지고 있음. 서비스 현지화의 경우에는 와인을 즐겨 마시는 파리 사람들의 식습관을 고려하여 고급 와인 리스트를 구비하여 품질 좋은 와인을 제공하거나 프랑스의 게리동 서비스(손님이 보는 앞에서 생선이나 고기의 뼈를 바르고 소스를 끼얹어주는 서비스)를 시행하는 등의 방법들이 이루어 지고 있음.
2. 식당의 특성에 맞는 메뉴 구성 •
대부분의 파리 내 한식당들이 매우 다양한 종류의 메뉴를 취급하지만 그 중에서도 성공 한식당들의 경우 자신들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메뉴 구성을 갖고 있음.
•
한 식당의 경우, 현지인들에게 다양한 한식 메뉴를 소개하고자 다양한 메뉴를 골고루 맛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적은 양의 메뉴로 구성된 세트 메뉴를 운영하기도 하며, 또 다른 한식당의 경우 현지인들이 좋아하는 비빔밥을 메인 메뉴로 하여 여러 가지 비빔밥 종류만을 운영하기도 함.
•
이러한 각 식당만의 차별화 된 메뉴 구성도 중요한 성공 요인 중 하나로 판단됨.
3. 한국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식당의 인테리어 •
파리 사람들이 한식을 가장 처음 접하게 되는 계기는 주변에 아는 한국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 지기도 하지만 한식당의 외관이나 내부 인테리어에 흥미를 느껴서 방문하는
경우도
발생함.
때문에
한국의
전통적인
가구,
도자기
등으로
고급스러우면서도 한국적인 느낌으로 실내 인테리어를 할 경우에 현지인들의 호기심과 호감을 자극할 수 있음. 118
파리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
실제 한국의 전통 느낌이 강한 도자기나 전통 장식장을 실내에 비치하고, 한국적인 등이나 벽지 등을 실내 인테리어에 활용하는 경우가 많음.
4. 친절한 서비스 •
파리 사람들의 경우 단골 손님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오래 걸리는 편이지만 한 번 단골 손님이 되면 한 식당에 대한 충성도가 매우 높아짐. 때문에 아직까지 한식을 잘 모르는 손님들에게 한식에 대한 설명을 친절히 해준다거나 방문할 때마다 그 손님을 기억하고 알아주는 것 등의 친절한 서비스는 파리 사람들에게 크게 어필하여 지속적으로 재 방문하는 고객층을 형성할 수 있는 요소로 보임.
119
파리
Ⅲ. 한식당 실패 사례 •
현지에서 실패할 수 있는 이유로는 상권에 부적합한 음식점 컨셉, 재무 운영의 문제, 불법 고용 등을 이야기할 수 있음.
1. 상권에 부적합한 음식점 컨셉 •
상권의 특성, 주요 유동 인구들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한식당 컨셉을 선정할 경우 해당 지역에서 손님들의 호응을 얻기 어려움. 그렇기 때문에 사전에 식당을 오픈 할 곳에 대한 충분한 시장 조사 및 이해가 필요함.
2. 재무 운영의 문제 •
파리에서의 식당은, 식당인 동시에 하나의 회사이기 때문에 부채가 많을 경우 원금과 이자를 계속해서 부담해야 하는 위험이 있기 있음. 그렇기 때문에 식당운영에 있어 자금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함.
•
또한 파리에서 식당이 안정화 되는 데에는 평균적으로 2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식당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여유 자금 및 안정화 단계의 자금운영을 위한 식당운영 방안이 사전에 마련되어야 함.
3. 불법 고용 •
파리의 경우, 인력 고용에 따른 인건비와 세금이 부담이 크기 때문에 불법 고용을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함.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당국에게 적발될 경우 큰
패널티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불법고용은 반드시 피해야 할 사항임.
120
폐점하는
한식당
사례가
있었던
만큼
파리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Ⅳ. 식재료 관련 Issue •
파리의 경우에는 프랑스의 식재료 시장이 워낙 발달하여 있기 때문에 특별히 식재료 수급에 큰 어려움은 없음. 현지에서 구하기 어려운 재료의 경우에는 유럽에 위치한 다른 국가의 한국농장, 한국산 식재료 유통업체를 통하거나 한국에서 직접수급 받음. 대부분의 필요한 식재료는 현지식재료 유통업체나 헝지스, 메트로 등의 재래식도매시장을 통해 수급 받거나 구입하며, 두부, 갓, 쑥, 깻잎 등 현지에서 구하기 어려운 한국야채들은 독일의 한국야채농장 제품을 중간상인을 통해 수급 받음. 양념류와 반가공식품의 경우에는 근처의 소매 한인마트를 이용하거나 네덜란드 등에 위치한 다른 유럽국가의 한국업체로부터 수급 받음. 하지만 반가공품의 경우, 제품의 맛을 보장 할 수 없고 수입이 어렵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 상황임.
•
한국산 식재료에 대해서는 멸치, 고춧가루, 장류, 각종 반가공품 등에 대한 수요가 나타남. 이는 대부분 수급이 어렵다기 보다 제품의 품질에 대한 수요가 높음. 중국산 제품의 품질에 대한 불만족, 운송 중 신선도 및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측면 등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을 추구하는 점주들이 존재함.
Ⅴ. 종업원 수급 관련 사항 •
대부분의 종업원은 아는 사람의 소개 또는 현지 한인신문이나 한인커뮤니티의 구인광고를 통해 고용함. 주방장의 경우에는 조선족 또는 중국인인 경우가 더 많으며 서빙 종업원의 경우에는 한국인유학생인 경우가 가장 많음. 이러한 종업원들을 교육하기 위한 메뉴얼을 갖고 있기 보다는 대부분의 한식당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경영주와 직원들이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일함. 교육적인 측면에서 중요시 하는 점은 아직까지 한식에 대해 낯선 현지인들이 많기 때문에 한식을 먹는 방법이나 재료 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할 수 있도록 교육시킴. 현재 한국인종업원의 현지 채용은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최근 워킹 홀리데이로 파리에 온 사람들이 현지 한식당에서 근무하려는 수요가 높아지는 만큼 한국인 채용의 기회는 많아지고 있음.
121
파리
Ⅵ.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
파리 한식당 경영주들은 한식당 개업 단계에서 복잡하고 어려운 인허가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음. 특히 문서로 처리 해야 하는 문제가 매우 많기 때문에 불어가 능숙하지 못 할 경우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또한 굴뚝, 간판 등 식당입지와 매장 등 식당 설립 관련된 조항들이 까다롭기 때문에 매장 내외 인테리어 등의 설비 구축 시 어려움을 많이 겪음. 그리고 파리의 경우에는 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식당을 경영 하면서도 재정상황, 손익분기점등의 지표관리를 꾸준히 하며 경영의 관점에서 식당운영이 필요함.
•
희망지원정책으로는 인력공급문제의 해결, 간판/메뉴판/홍보책자작성지원, 활발한 한국 및 한식홍보, 테이크 아웃 손님들을 위한 포장재 지원, 인테리어 지원 등이 나타남.
122
【 싱 가 포 르】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Executive Summary
1.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싱가포르의 전략적 중요성 싱가포르는 인구 약 430만명의 도시로 많은 글로벌 기업의 아태 지역 본사가 위치하여 고급 외국인 인력의 비중이 높은 국제 도시임(싱가포르 전체 인구 중 영주권자 및 외국인 비중 34%). 또한, 카지노 관광으로 몰려드는 중국인 부호 관광객 증가로 2010년 예상 관광객 1,250만명(전년 대비 관광객 성장율 28.9%)이며 잇따라 카지노 리조트 개장이 이어지면서 관광객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매력적인
도시임.
한식당의
비즈니스
영역이
지역/도시
단위인
점을
감안하면
싱가포르의 시장규모는 결코 작지 않음.
2. 싱가포르 현지에서의 한식의 확산 단계와 가능성 본격적인 성장∙확산 단계에 접어듦. 싱가포르 한식당은 한류 영향으로 4~5년 사이 20여 개에서 현재 60~70여 개로 가파른 성장세에 있음(푸드 코트 포함 시 130여개). 현지 외식업 컨설팅 전문가 및 한식당 점주들은 약 200여 개 수준까지 시장 성장 기회가 있다고 판단. 이러한 점은 소비자 조사를 통해 드러난 높은 취식 경험율(87.2%), 향후 취식 의향율(85.4%)을 통해서도 지지되고 있음. 특히, 약 39%의 사람들이 한류가 한식에 관심을 갖도록 영향을 미쳤다고 응답할 정도로 한류의 한식 관심 확산 기여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한류 붐이 K-Pop 스타 및 한국 드라마를 통해 지속되고 있음.
3. 싱가포르 한식당 활성화의 주체와 식당의 규모 싱가포르에서 한식당을 개업하는 점주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짐. 대형 음식점의 경우 싱가포르 주재 상사원 혹은 개인사업가 출신, 주부이지만 요리에 대한 관심과 자본력을 갖춘 사람들이 운영하여 비즈니스 감각이 뛰어나고 현지인의 식문화를 면밀히 관찰하여 고객제공가치를 높이기 위한 새롭고 독특한 요소(메뉴, 서비스, 한국적 이벤트)를 꾸준히 개발 제공하고 있음. 중소형 음식점의 경우 단순 생계∙정착형으로 시작하여 자본력 및 음식점의 차별성은 상대적으로 부족함.
127
싱가포르
4. 싱가포르 내 한식 이미지 및 대표적인 한식 메뉴 싱가포르 대부분의 한식당은 Korean BBQ 전문점이나 30-50여가지의 다양한 한식메뉴를 취급하고 있음. 다인종이 모여사는 국제도시(중국계, 말레이시아계, 인도계 + 외국인 노동자/고급근로자)라는 특성으로 에스닉 푸드가 일상화되어 있고 중국계인 화교들이 전체 인구의 70% 이상을 차지해 다양한 메뉴를 선호하는 중국인의 식문화를 반영한 음식점들이 많음. 이러한 식문화 특성으로 인해 기존 한식당의 컨셉없는 너무 많은 메뉴 나열은 정돈이 필요하나 특정 메뉴만을 취급하는‘전문점’의 성공 가능성은 낮은 편임. 한식에
대한
이미지는
‘맛있다,
맵고
얼큰하다,
푸짐하다,
다채롭다,
건강하다,
신선하다‟로 요약될 수 있음. 고기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야채, 마늘, 고추, 김치, 다양한 반찬 덕분에 푸짐하면서도 건강에 좋다고 인식하며 김치와 같은 독특한 맛, 매운 맛은 부정적으로 언급되기도 하나 매운 맛은 강도 선택에 대한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극복 가능한 것으로 여겨짐.
싱가포르 한식당 판매 인기 TOP 8 한식메뉴 (1순위 응답 기준) 갈비(17.9%), 삼계탕 (10.7%), 불고기(7.1%), 김치찌개 (7.1%), 돌솥비빔밥(7.1%), 양념갈비/삼겹살(3.6%), 해물파전(3.6%), 떡갈비(3.6%)
싱가포르 소비자 만족도 TOP 10 한식메뉴 대체로 한식 메뉴에 대해서는 80%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임. 불고기(95.1%), 삼겹살(92.8%), 순대(92.5%), 갈비구이(92.4%), 양념통닭(92.2%), 삼계탕(91.3%), 비빔밥(91.1%), 닭볶음탕(90.7%), 보쌈(90.3%), 김치찌개(89.1%)
현지화를 위해 중요한 부분은 맛의 현지화(단맛 및 매운맛 강도 조절)뿐만 아니라 현지인의 식문화 및 식습관 관찰을 통한 ‘메뉴 구성 및 서빙 방식의 현지화’가 더 중요한 이슈임. 한꺼번에 주문한 음식을 서빙, 사이즈별 옵션 제공, 추천 세트를 만들어 메뉴 선택을 도와줌(개인접시 제공 등). 5. 싱가포르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시 시사점 싱가포르 현지에서 성공적인 한식당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이 기획 단계에서 충분히 고려되고 활용되어야 함. 싱가포르인들이 인식하는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128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이미지 및 한류의 세련된 이미지를 충분히 활용, 에스닉 푸드로서의 새로움 및 이국적 분위기를 지속 전달. 고급 한식에 대한 잠재 수요가 존재하며 웰빙 트렌드에 부합하는 한식의 건강 이미지를 지속 부각할 필요가 있음.
6.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 마케팅 기회 및 사업모델 싱가포르 현지 시장 및 경쟁 분석,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시사점을 통해 싱가포르 현지에서의 마케팅 기회를 다음과 같은 3 가지 방향으로 압축함. - 가족 동반형 : 가족 동반 시 방문하는 현지의 대중적 한식당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중고가대의 시장 진입 시 기존 한식당과의 명확한 메뉴 혹은 서비스 프로세스에서의 차별화 필요. - 비즈니스형 : VIP 고객을 모실 정도의 고급스런 한식당은 현지에 부족한 실정임. 한국 사업 파트너를 통해 한식을 선호하게 된 비즈니스 사업가들이 중요한 고객을 모시고 갈 만한 고급스런 분위기와 서비스, 프리미엄 한식에 대한 시장 기회 존재. - 젊은 연인/친구 동반형 : 현지의 어수선하고 산만한 대중적 고깃집 형태의 한식당은 젊은 층이 한류를 통해 가지고 있는 세련된 분위기의 한국문화와 상당히 괴리감이 존재.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젊은 감각의 아늑하고 세련된 분위기를 갖춘 한식당 시장 기회 존재. 위와 같이 도출된 마케팅 기회에 사업모델 대안들을 개발하고 스크리닝을 거쳐 최종 3 개의 모델로 압축함. 첫 번째 사업모델은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맛깔스런 한식으로 손님을 접대하기에 손색없는 ‚격조 높은 한국 음식점‛, 두 번째 사업모델은 민속 주막에서 밥상을 통째로 받아보는 새로운 경험의 ‚한국 민속 음식점‛, 세 번째 사업모델은 K-POP 과 함께 한류가 어우러진 곳에서의 즐거운 식사 ‚젊은 감각의 캐쥬얼 한식당‛임.
7. 싱가포르 한식당 홍보 프로모션 싱가포르의 경우, 오픈 이후 식당 정착이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은 1 년~1 년 반임. 전략적인 주요 시점 및 목적별로 프로모션 기획 및 실행이 필요함(사전 오픈-그랜드 오프닝-방문 시도 촉진-신메뉴 출시 홍보-단골 고객 창출). 또한 프로모션의 실행 주체가 한식당인 점을 고려하여 적은 비용 규모로도 추진할 수 있는 프로모션안을 다수 포함하여 제시함 (소셜 미디어 활용 프로모션, BTL Marketing 등).
129
싱가포르
Ⅰ. 싱가포르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 싱가포르 시장환경 및 특성 가. 싱가포르 외식산업 분석 1) 싱가포르 외식산업 현황 •
최근 싱가포르 경제의 급성장과 여성취업률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소비자 지출 상승으로 이어져 싱가포르의 요식업과 소매부분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함.
[표] 외식시장 규모 전망 Year
$ billion
SG$ billion
2009
3.3
4.8
4.9%
2010 2011
3.4 3.6
5.0 5.2
4.6% 4.4%
2012 2013 2014
3.7 3.9 4.0
5.4 5.6 5.9
4.2% 4.0% 3.9% 4.2%
연평균성장률(CAGR)*: 2009–14
% Growth
*Source: 싱가포르 외식시장 규모 데이터모니터 자료. 2010
[그림] 외식시장 규모 전망
*연평균성장률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외식시장 규모는 카페와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푸드코트 등을 포함한 수치임 *Source: 싱가포르 외식시장 규모 데이터모니터 자료. 2010
130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높은 여성 취업율로 인한 외식시장 활성화 •
싱가포르의 여성 취업률은 73.7%로 아시아 지역 내에서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해 있으며, 높은 여성 취업률로 인해 외식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음. (한국 56.1%, 일본 62.8%)
•
직장 생활로 가정에서 직접 요리를 해서 식사를 해결하기 보다는 간편하게 외식을 선호하는 라이프 스타일이 형성됨.
•
직장에서 일하는 여성의 증가로 인해 싱가포르 가족의 식습관이 가족과 함께 먹는 집에서 전통음식을 즐기던 방식에서 식당에서 서구화된 음식을 즐기는 방향으로 변화함. Females [표] 연령대별 여성 취업률
Per Cent
Singapore
Hong Kong
Japan
SouthKorea
Taiwan
United States
France
25-64
62.6
60.7
61.3
56.6
57.4
68.6
64.9
25-39
73.7
75.5
62.8
56.1
70.1
70.3
70.2
40-49
64.2
60.7
70
62.9
60.5
74.2
75.7
50-54
57.4
48
67
57.4
44.5
71.7
71
55-59
42.9
33.5
58.4
48.1
28.5
63.4
51.8
60-64
25.2
13.1
39
42.9
17.7
44.3
15.2
*Source : KOTRA, Singapore 통계청
싱가포르 외식비 지출 비중 •
2009년 싱가포르 1인당 국민총소득(GNI : Gross National Income)은 US$35,873로 한국대비 높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
•
2007년 GNI가 US$20,956에서 2009년 US$35,873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볼 때, 월가계 지출 규모의 절대적인 수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음. [그림] 연도별 각 국 1인당 GNI 추이 50,000 싱가포르
40,000
한국
30,000
프랑스
20,000
중국 미국
10,000
일본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Source : World Bank Data. 2010년
•
2002/2007 년 연평균 변화률(Average Annual Change)을 통해 월가계 지출에서 식품 및 외식 서비스 이용에 대한 지출 비중 변화률이 4.9%로 증가하는 추세임. 131
싱가포르
[표] 재화 및 서비스 유형별 월 가계 지출 분포도
Type of Goods and Services
Average Annual Change(%), 2002/03 – 2007/08
Distribution(%) 2002/03
2007/08
Total(excluding imputed rental) Total(including imputed rental)
2.7 3.3
-100.0
100.0
Food and Food Serving Services1/ Food and Non-Alcoholic Beverages Food Serving Services*
3.5
21.3
21.6
1.5 4.9
8.9 12.5
8.1 13.5
Clothing and Footwear
2.4
3.4
3.3
Housing and Related Expenditure
5.0
24.6
26.6
Housing and Utilities Imputed Rental of Owner-Occupied Accommodation Furnishings, Household Equipment and Routine Household Maintenance
7.0 6.9
18.8 11.9
22.4 14.2
-2.9
5.8
4.3
Health
5.8
4.7
5.3
Transport
2.5
16.4
15.8
Private Road Transport
3.1
12.0
11.9
Public Road Transport
1.1
4.0
3.6 4.8
Communication
4.1
4.6
Recreation and Culture
-3.1
12.0
8.7
Educational Services Others2/
3.8
5.2 7.8
5.3 8.5
*Source : 싱가포르통계청„월간가계지출보고서‟, 2007.08 실시된 정보 중 가장 최신 자료임. 2009.12월 보고서 *Food Serving Service는 레스토랑, 호커 센터, 푸드 코트 등에서 제공되는 식사 서비스를 포함하는 수치임.
•
싱가포르의 경우 월간 가계 지출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10~30% 정도로 외식 지출 비중이 높게 나타남(한국의 경우 2010년 1분기 외식비 비중 약 8%). [그림] 소득 중 외식 관련 지출 비중 n=500, %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32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2) 싱가포르 외식산업 Trend 분석 ① 싱가포르 외식문화 트렌드 •
웰빙(Well-being), 로하스(LOHAS :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등 건강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 증대의 추세에 따라 싱가포르에서도 건강한 식단을 통해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트렌드가 정착되고 있음.
•
닐슨 싱가포르의 조사에 의하면 싱가포르인의 63%가 건강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가정 주부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2010년 외식문화 트렌드 Top 10 음식 그 이상을 소비 • • • • •
마음으로 먹는 음식 가벼운 아침 메뉴 연장 외식 경험의 중시 따뜻한 가정 식에 대한 수요 요리 학교의 증가
사회 속에서 소비
• 환경을 생각하는 식사 • 영향력 있는 사람을 통한 입소문
건강한 음식 • 먹기 전 따져보기 • 신선식품 수요 증가 • 건강하게 현명하게
*Source : 싱가포르 인터넷 신문 InSing.com 2010.1.7 기사 요약
건강한 음식 •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싱가포르 사람들에게 음식은 이제 생존을 위한 것도, 혀의 즐거움만을 위한 것도 아닌 자신에게 건강을 가져다 주는 중요한 삶의 부분이 됨. 구체적으로 다음 세 가지 트렌드를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음. -
먹기 전에 따져보기 소비자들이 점점 식품의 영양소 표기 사항이나 음식의 재료 원산지가 어디인지 등 자신이 먹을 것에 대해서 더 꼼꼼히 따져봄.
-
신선 식품 수요 증가 가공 식품이 후퇴하고 신선 삭품 트렌드가 가정을 넘어 산업까지 확장될 것이며, 모든 음식들이 현장에서 다듬어져서 소비자에게 더 신선한 맛을 제공할 것임.
-
건강하게 현명하게 먹자 „The Biggest Loser‟ 등 다이어트 관련 프로그램의 영향 등으로 건강을 유지하며 현명하게 먹는 것에 관심이 높아져서 더 영양가 있고 균형잡힌 식단이 주목받음.
133
싱가포르
음식 그 이상을 소비 •
미각적 즐거움, 건강에 대한 기능 등 음식이 자체로서 주는 것을 넘어서 라이프 스타일의 일부로서 „식사‟를 즐기는 트렌드들이 나타나고 있음. 식사를 하는 것이 자신을 더 즐겁고, 행복하며 윤택하게 만드는 삶의 일부라 생각하는 싱가포르인들의 모습이 다음의 트렌드들에 나타남. -
하루 종일 즐기는 아침 기존 대부분의 레스토랑들이 아침 메뉴를 오전 특정 시간대만 제공하였으나, 많은 소비자들이 하루 중 언제라도 가벼운 식사를 가벼운 가격으로 제공하는 아침 메뉴를 찾음에 따라서 점점 여러 레스토랑들이 스크램블과 토스트와 같은 아침 메뉴를 온종일 제공하고 있음.
-
경험의 중시 레스토랑은 어떤 음식을 제공하느냐를 넘어 어떤 „경험‟을 제공하느냐가 중요 해짐. 레스토랑의 컨셉에서부터 종업원, 분위기 등이 전체적으로 제공하는 경험 이 고객이 재방문을 하는 것, 그리고 주위에 추천하는 것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
따뜻한 가정식에 대한 수요 증가 제이미 올리버(Jamie Oliver) 등 TV프로그램에서 일반인들도 음식의 맛에 대해 잘 알고 그것이 쉽게 우리 삶과 하나될 수 있음을 보여줌에 따라서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소박한 식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
요리 학교의 증가 가정 내에서 요리를 해먹는 것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어린 세대 가운데 요리 실력을 키우려는 욕구가 생겨나 요리 학교 수요가 증가함. 특히 사람들이 그들과 그들의 가족이 먹는 것을 스스로 조절하고 싶어함에 따라 그 인기가 더해가고 있음.
사회 속에서 소비 •
음식을 먹는 것이 단순히 „나‟를 위한 행동이었던 과거에 비해 이제 싱가포르 사회에서는 „우리 모두‟를 위한, 그리고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음식 소비가 점차 확대되고 있음. -
환경을 생각하는 식사. 세계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농작물 등 유기농 식품을 선호함.
-
영향력 있는 사람을 통한 입소문 중요.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음식에 대한 블로거들의 증가가
식음료
산업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이제
누구나
레스토랑을 리뷰할 수 있고 그러한 서비스를 통해 음식과 관련된 의견들이 온라인 매체를 통해서 공유될 것임. -
마음으로 먹는 음식 수익의 상당 부분을 제 3세계 국가들의 가난을 종결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하기 위해 기부하는 „Food for Thought‟와 같은 활동 들이 지역 레스토랑과 카페들 사이에서 선구적으로 일어나고 있음.
134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싱가포르인 건강 중시 라이프 스타일 •
닐슨 싱가포르의 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인의 63%가 건강한 음식을 먹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으로 드러났음(건강한 음식을 위해 항상 노력하는 사람이 29%, 상당 부분 노력하는 사람이 34%). [그림] 싱가포르인 건강 중시 라이프 스타일 건강한 음식을 먹기 위해 노력을 하십니까?
*Source : 닐슨 싱가포르(AC Nielsen Research CATI Omnibus, Singapore) 2005년 6월 (발표된 자료 중 가장 최신 자료임) * 표 안의 %는 응답자의 성비 구성을 나타냄
•
구체적으로 건강에 관심이 많은 싱가포르인을 직업으로 구분하여서 보면 가정 주부(76%)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관리자 급의 직종 종사자(PMEBs, 73%), 화이트 칼라(64%), 학생(58%), 블루칼라(52%) 순으로 나타남. [그림] 싱가포르인 건강 중시 라이프 스타일 누가 건강에 관심 많은 싱가포르 사람인가? 건강에 관심이 있는 사람의 비중 52% 58% 64% 73% 76%
*Source : 닐슨 싱가포르(AC Nielsen Research CATI Omnibus, Singapore) 2005년 6월 (발표된 자료 중 가장 최신 자료임) *PMEB는 Professionals, Managers, Executives and Businessmen의 약자로 전문직 종사자를 주로 의미
135
싱가포르
•
이러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음식 조리 방법에 있어서도 건강에 좋은 조리법인 „찜‟이 가장 선호되고(선호도 70%) 실제로 가장 많이 조리에 사용 되고 있음(가장 자주 사용되는 음식 조리 유형 60%). [그림] 싱가포르인 건강 중시 라이프 스타일
싱가포르인들은 어떻게 음식이 조리되길 원하나/ 가장 많이 먹는 음식 조리 유형 (열로) 구운 것
22% 33%
(불에) 구운 것
21% 34%
가장 자주 사용되는 음식 조리 유형
46% 52%
끓인 것
조리된 음식 유형 선호도
54% 60%
튀긴 것
60% 70%
찐 것
*Source : 닐슨 실가포르(AC Nielsen Research CATI Omnibus, Singapore) 2005년 6월 (발표된 자료 중 가장 최신 자료임)
② 한류에 의한 한국음식 문화 확산 •
2005년 이후 싱가포르에 K-Pop, 대장금 등 한국의 문화가 전달되면서 싱가포르 인들 사이에서 한류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싱가포르인들은 한류 문화를 통해 한국의 문화뿐만 아니라 한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친숙함이 증대됨. K-Pop
•
젊은 싱가포르인 사이에서 K-Pop과 원더걸스의 노바디 댄스의 인기 상승 중임.
•
K-Pop 공연시마다 공항과 공연장, 한국식당이 팬들로 북적이고, 싱가포르 언론 에서 특집 판으로 기사 홍보 전개하고 있음. K-Pop Talent Contest
•
대사관은 2008년 가을 코리아 페스티벌에서 싱가포르인을 대상으로 하는 K-pop Contest를 개최함.
•
문화홍보관이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이 대회에 총 120개의 한국팀 참가함. 한류에 의한 싱가포르 한식당 성장
•
드라마 ‘대장금’이 싱가포르 공중파에서 4회나 반복 방영되는 히트를 치면서 5년 전 10여 개에 불과하던 한국음식점이 지금 60여 곳으로 확대됨.
136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그림] 한류에 의한 한국 문화 확산
Crystal Jade Korean Ginseng Chicken & BBQ
•
싱가포르인들이 가장 선호 메뉴로 꼽고 있는 삼계탕은 한인계 한식당 외에도 글로벌 외식 업체인 ‘Crystal Jade Korean Ginseng Chicken & BBQ’에서도 인기메뉴로 판매되고 있음.
•
Crystal Jade Korean Ginseng Chicken & BBQ는 삼계탕 전문점으로 오픈 하였으나 현재 삼계탕 이외에 불고기, 갈비, 구이 등 일반 한식당에서 취급하는 모든 메뉴를 판매함. [그림] Crystal Jade의 매장 전경
▢ Crystal Jade의 판매 음식
137
싱가포르
유통채널별 한국음식 문화 확산 •
대형마트 – Fair Price 대형마트 내 라면시장 -
싱가포르인이 생각하는 3대 인기 한식 메뉴(삼계탕, 불고기, 김치) 중 김치를 활용한 다양한 종류의 라면이 판매되고 있으며, 다른 라면에 비해 김치를 재료로 한 라면의 판매 인기가 높음.
[그림] Fair Price 대형마트 입구
[그림] 한국/일본 음식 판매 코너별도로 존재
[그림] Fair Price 대형마트내 라면판매 코너
▶김치 종류 라면
•
대형마트 – Fair Price 대형마트 내 CJ 가공식품 -
CJ 가공식품 판매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판촉 활동을 전개하고 있음.
-
종류 : 떡볶이 양념장, 부침가루, 불고기∙ 닭 볶음탕 양념장, 쌈장, 고추장, 된장, 팝콘 등
-
CJ Cooking Tips를 통해 제품 구입 후 가정에서 손쉽게 요리할 수 있는 레시피를 제공함. [그림] 대형마트 내 CJ 가공식품
138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
백화점 – 싱가포르 최대 고급 백화점 다까시마야 내 한국 반찬 판매 (오차드 Street 위치) -
백화점 지하 식품 매장 내 한국 반찬 류 판매 코너가 별도로 존재함.
-
구매하기 전에 직접 시식 후에 구입할 수 있음.
-
김치류, 짱아치, 젓갈류 반찬 외에도 소갈비 양념장, 포장용 반가공식 삼계탕을 판매 중임. [그림] 한국 반찬 판매코너
▶포장용 반가공품 삼계탕
•
편의점 – 싱가포르 편의점 내 인기 음료 -
싱가포르 세븐일레븐(7/11)에서 빙그레 ‘a café la’ 음료가 판매 TOP2를 차지하고 있음.
-
판매율이 높은 ‘a café la’는 카운터 옆 진열공간에서별도로 판매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음. [그림] 한국 음료 판매 모습
▢ 판매량이 많은 빙그레 ‘a café la’ 제품이 카운터 옆 공간에 진열된 모습
139
싱가포르
나. 싱가포르 상권 특성 1) 싱가포르의 주요 상권 싱가포르의 행정 구역은 아래와 같이 총 28개의 구역으로 구분됨.
[그림] 싱가포르의 행정구역 구분
•
-
District 1 ~ 8
시티&사우스 웨스트 (City & South West)
-
District 9 ~ 10
오차드/탕린/홀란드 (Orchard /Tanglin / Holland)
-
District 11 & 21 뉴톤/부키티마/클레멘티 (Newton / Bukit Timah / Clementi)
-
District 15 ~ 16 이스트 코스트 (East Coast)
-
District 17 ~ 18 창이/파시 리스 (Changi / Pasir Ris)
-
District 19 ~ 20 세라군/톰슨 (Serangoon / Thomson)
-
District 22 ~ 24 웨스트 (West)
-
District 25 ~ 28 노스 (North)
싱가포르의
전체
지역
중
District
1~15,
21은
흔히
콘도(Condo)
또는
하우스(House)라고 불리는 개인 주택(Private Residential Property)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며, HDB라고 불리는 공영 주택은 District 16~28까지 더 많이 분포되어 있음. •
District 1~8은 시내 지역으로 최근 센토사 섬, 마리나 베이 등의 개발 호재로 많은 콘도 등 신축 건물들이 건설되고 있는 지역임. District 9~11은 전통적인 고급 주택 지역이며 District 15는 이스트 코스트(East Coast) 지역으로 시내와 공항의 접근성이 좋고, 바다와 가까운 쾌적한 환경 덕분에 고급 콘도와 주택들이 자리잡고 있는 지역임.
140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2. 싱가포르 한식 및 한식당 외식행태 분석 가. 싱가포르 현지인 한식 취식 행태 •
싱가포르에서 한식 취식 경험율은 87.2%로, 파리에서의 한식 취식 경험율이 30.7%인 것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한식 취식 의향 역시 85.4%로 높게 나타남. [그림] 한식 취식 경험율
[그림] 한식 취식 의향율 (n=500, %)
(n=500,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한식 취식 경험이 있을 경우, 한식 취식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91.1%, 없다는 응답이 8.9% 나타났으며 한식 취식 경험은 없지만 향후 취식 의향이 있는 경우는 46.9%, 취식 의향이 없는 경우는 53.1%임.
•
한식 취식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한식 취식 의향이 45%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한식 취식 의향율(한식경험 有) (한식 취식 경험이 있는 경우 n=436, %)
[그림] 한식 취식 의향율(한식경험 無) (한식 취식 경험이 없는 경우 n=64,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41
싱가포르
나. 싱가포르 현지인의 한식에 대한 관심 •
한류를 통해 싱가포르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가 높아짐. 특히 2005년 드라마 „대장금‟ 방영 이후 주부층을 중심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과 취식이 높아지기 시작함.
•
한식에 대한 싱가포르 현지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식당의 주요 고객 층이 싱가포르 현지인으로 전환됨.
•
2005년 20여 개였던 싱가포르의 한식당의 수는 드라마 „대장금‟ 방영 이후 증가 세를 보여 2010년 현재 총 51개의 한식당이 있음. 한식을 취식할 수 있는 푸드 코트와 호커 센터를 포함하면 130 여 개임.
•
현지 외식업계 종사자 및 전문가들은 싱가포르 현지인들의 증대된 한식 수요를 감안하여 현재의 두 배 수준으로 한식당이 성장할 기회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음. [그림] 시기 별 싱가포르 내 한식당 수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42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싱가포르 현지인의 한국 이미지 •
싱가포르 현지인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95.6%로 높게 나타났으며, 부정적이라는 응답은 4.4%로 나타남.
•
현재 싱가포르에 불고 있는 한류열풍으로 인해 싱가포르 현지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 그룹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소수 부정적인 이미지에 대한 이유는 „북한‟ 등의 이미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그림] 한국에 대한 이미지 (n=500,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한식에 대한 관심 •
„귀하는 한국 음식에 얼마나 관심이 있으십니까?‟라는 질문에 관심이 있다는 응답이 79% 높게 나타났으며, 관심이 없다는 응답은 21%로 나타남. 이는 한식을 주요 소재로 한 드라마 대장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며 그 외에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됨.
•
특히 20~24세 연령층에서는 ‘매우 관심 있다’는 응답이 19.4%로 높게 나타남. [그림] 한식에 대한 관심 (n=500,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43
싱가포르
한식의 관심에 대한 한류의 영향 •
한류가 한식에 대한 본인의 관심에 영향을 미쳤거나 매우 영향을 미쳤다고 여기는 층은 38.7%로 한류가 한식에 대한 관심 확산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 하였음을 알 수 있음. [그림] 한식의 관심에 대한 한류의 영향 (한식에 관심이 있는 사람 n=395,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44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다. 싱가포르 한식 대표메뉴 분석
싱가포르 현지인의 취식 한식 메뉴에 대한 만족도 •
경험율이 높은 한식 메뉴는 삼계탕이 53.1%이며, 비빔밥은 52.0%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남. 삼계탕의 경우, 싱가포르 현지에서 한국산 인삼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싱가포르 현지인들에게 보양식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
•
항목으로 제시된 대부분의 한식메뉴에 대해 취식 경험자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만족도가 가장 높은 메뉴로는 불고기가 95.1%로 나타났으며 삼겹살, 순대, 갈비구이 등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취식 한식 메뉴에 대한 만족도(4점척도) (한식 취식 경험자 n=431,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위의 표는 각 메뉴 별로 취식 경험과 취식 했을 때의 만족도를 물어보는 방식으로 결과를 얻음. 만족 도(Top2)의 경우, „1. 전혀 만족하지 않음 2. 만족하지 않음 3. 만족함 4. 매우 만족함‟의 보기를 제시하 고 3, 4번을 응답한 사람의 비율을 나타냄. 만족도 (Mean)의 경우 각 메뉴에 대한 응답의 평균 값을 구한 것임
145
싱가포르
싱가포르 한식당의 인기 판매 메뉴 •
현지 한식당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메뉴는 갈비가 17.9%로 나타났으며, 삼계탕이 10.7%, 불고기, 김치찌개, 돌솥비빔밥이 각각 7.1%로 나타났음. [그림]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인기 판매 메뉴 (1순위 응답 기준,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점주 n=39,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46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표] 싱가포르 한식당 판매 인기 메뉴 (1~7순위 기준, 복수응답,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점주 n=39, %)
한식당 판매 인기메뉴
쇠고기류
돼지고기류
닭고기류
쌀류
면류
김치 기반
기타
전체 응답률(%)
불고기
17.9
갈비
32.1
갈비찜
3.6
갈비탕
3.6
삼겹살
10.7
보쌈
7.1
돼지고기 바비큐 돼지갈비 와인안창살 주물럭
14.4
김치 돼지고기
3.6
너비아니
3.6
순대
3.6
삼계탕
42.9
치킨 바비큐
7.1
닭갈비
3.6
찜닭
3.6
치킨 샘플러
3.6
돌솥비빔밥/비빔밥
39.3
떡볶이
10.7
냉면
7.1
잡채
7.1
국수
3.6
쫄면
3.6
김치찌개
14.3
두부김치
3.6
김치라면
3.6
묵은지찜
3.6
파전
25.0
육개장
10.7
감자탕
7.1
부대찌개
7.1
순두부찌개
3.6
부대전골
3.6
전골
3.6
찌개류
3.6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47
싱가포르
한식 평균 가격 •
싱가포르 현지 한식은 푸드코트, 호커센터에서 판매되는 SG$3~5 수준의 음식, 일반 한식당에서 판매되는 SG$20 전후의 음식으로 크게 구분됨.
•
다양한 가격 대의 음식을 제공하는 일식 대비 중간 가격대의 음식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가격 선택폭이 크지 않음. [그림] 싱가포르 한식당 대표 메뉴 가격 (복수응답,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점주 n=39, %)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48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라. 싱가포르 한식당의 한식 현지화 이슈
제품 측면(음식의 맛) •
싱가포르의 경우는 단 맛과 매운맛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단 맛 조정 - 한국음식보다 약간 달게 조정이 필요함.
•
매운 맛 조정 - 덜 맵게 조리 혹은 매운 맛 강도 선택이 가능하도록 옵션의 제공이 필요함. -
싱가포르의 „한상‟의 경우, 메뉴판에 고추 그림으로 매운 정도를 표시하여 손님들이 그 모양을 보고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한국 음식의 본래의 맛처럼 맵지 않도록 음식 맛을 조절하고 있음.
서비스 측면(서빙 및 프리젠테이션) •
주문한 음식은 서빙 순서를 사전 주문 시 물어보는 것이 좋음. 주로 여러 음식을 동시에 맛보며 나눠 먹음.
•
한국 음식에 익숙하지 않아 보통 어떻게 음식을 주문해야 할지 모르므로 다양한 세트 메뉴를 구성 제공하여 객단가도 자동적으로 올라가게 함.
•
아직 생소한 다양한 한국음식을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같은 메뉴라도 사이즈별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아예 소량의 다양한 메뉴로 구성된 특별 메뉴를 구성 ex) 에피타이저 모듬세트 : 전+잡채+떡볶이, 양념 바비큐 모듬세트 : 돼지고기+닭고기+구이용 야채)
•
다른 사람과 음식을 공유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개인 앞 접시를 제공함. -
싱가포르 많은 한식당들이 세트메뉴를 운영하고 있으며 실제로 한식을 잘 모르는 손님들로 하여금 메뉴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는 의견도 한식당 경영주 면담 조사를 통해 들을 수 있었음.
-
„한상‟의 경우, 한식이 양이 많은 것을 문제점으로 생각하여 파전 등의 메뉴를 소(小), 대(大)로 크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적은 양의 다양한 메뉴들을 모아 맛보기 메뉴를 운영하고 있음.
-
한식당 경영주 면담 조사에 따르면, „한국관‟ 경영주의 경우에도 한식 1인분 제공 양이 많아 여러 가지 메뉴를 접해 보고 싶어하는 현지인 또는 외국인들이 다양한 메뉴를 한 번에 먹어보기가 어렵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고, 현지화를 위해서는 1인분의 양을 줄이거나 소량의 다양한 메뉴로 구성된 세트 메뉴 등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함.
149
싱가포르
[그림] 싱가포르 서비스 현지화
‚다양한 음식을 모두 한 테이블 다 깔아놓고 먹기를 좋아한다 –불고기,냉면, 삼계탕, 해물파전을 한꺼번에 서빙‛
‚아직 체험하지 못한 다양한 한국음식을 맛보도록 해물파전 사이즈도 small, large size 로 고를 수 있게‛ ‚객단가를 높이고 한국음식을 어떻게 주문해야 할 지 모르는 고객을 위해 세트 메뉴 구성 제공 - 불고기+된장찌개 +밥 등‛
‚여러 반찬을 함께 먹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점을 고려, 긴 접시에 여러반찬을 조금씩 담아 서빙하여 개인 접시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WK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싱가포르 한식당 점주 인터뷰 中
공간 측면 •
화기 사용하는 공간 분리 -
늘 에어컨을 켜 놓는 싱가포르 사람들에게 실내에서의 화기 사용은 낯선 일임. 때문에 실내 화기 사용에 대한 허가 절차가 까다로우며 쇼핑몰의 경우, 불을 사용하는 공간은 식당 안쪽으로 위치하게 하고, 식당 입구 및 복도 쪽의 좌석에서는 화기를 사용하지 않고 완조리가 된 음식을 서빙함.
-
싱가포르의 „한상‟과 „놀부 항아리 갈비‟의 경우 이처럼 음식점 내부에는 직접 화기를 사용하는 공간, 복도 쪽에는 음식을 모두 만들어 서빙하는 공간으로 구성하고 있음.
문화 측면 •
한국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이 있는 종업원 고용 -
싱가포르에서 한식당을 방문하는 현지인들의 경우, 한식에 대해 잘 모르고 방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식 메뉴 및 먹는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어야
하는
경우가
많음.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
의사소통이
원활하거나 한식 및 한국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종업원을 고용하는 것이 손님들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될 것임. -
실제 싱가포르 내의 „주신정‟에서는 한국어를 잘하고 한식 메뉴를 잘 소개하는 종업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한국어 및 한식 메뉴에 대한 테스트를 치뤄 일정 성적을 얻어야만 매장에서 서빙을 할 수 있게 하고 있음.
-
또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또한 종업원 고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임. 손님들과 제대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면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기 때문임.
-
한식당 „창‟의 경우에는 중국인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저녁 영업준비 시간 동안 영어 수업을 받게 하였고, 그 결과 종업원들의 영어 실력이 늘자 손님에 대한 서비스도 따라서 좋아졌음.
150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Ⅱ. 싱가포르 에스닉 푸드 식당 및 한식당 사례 연구 1.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
싱가포르 현지에서 성공한 에스닉푸드 음식점인 Sakae Sushi, Thai Express, AJISEN에 대한 사례 연구와 주신정, 창, 한상, 놀부 항아리 갈비, 장수 숯불갈비, Crystal Jade 진생 치킨 & BBQ 등 한식당 경영주 인터뷰를 통한 성공 요인 분석, 실패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도출을 종합하여 싱가포르 현지에서의 한식당 핵심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음.
•
WK마케팅그룹의 고유 외식산업 가치 4단계 모델에 따라 시사점을 정의해보면 다음과 같음. [표] 사례 연구를 통한 시사점 구분
제품 가치
-
차별적 컨셉 핵심 레시피 노하우 보유 한국 본래의 맛 유지 다양한 메뉴 제공 현지 식문화와 트렌드를 고려한 메뉴 개발 지속적 메뉴 업데이트
서비스 가치
-
한국적인 차별적 서비스 제공 현지 식문화를 고려한 현지화된 서비스 고객 관리를 위한 특별 서비스 제공 빠르고 간편한 음식 제공
공간 가치
문화 가치
기타
성공 요인
- 컨셉과 타겟을 고려한 명확한 타겟팅을 통한 입지 선정 - 공간을 통한 한국적 이미지 표현 - 유명도와 새로움 강조 - 한국적 정통성을 문화 측면에서 표현 - 한류 붐과 한국 이미지 3활용 -
초기 자금 확보와 수익성 사전 시뮬레이션 관련법의 충분한 숙지 및 철저한 계약 체결 현지인 대상의 지속적인 프로모션 및 홍보 활동 전개 제휴를 통한 역량 강화
제품 가치 -
싱가포르 현지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타 에스닉푸드 음식점뿐만 아니라 기존 한식당과도 차별화된 컨셉을 개발하는 것이 성공의 첫 번째 조건임. 싱가포르 최초의 실내 숮불구이 전문점, 100% 참숯 사용 등 타 음식점과 차별화할 수 있고 고객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차별적 컨셉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함. 또한, 실질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차별적 컨셉을 구현해줄 수 있는 실체적인 차별화 요소가 필요함. 아지센 라면 사례와 같이 „건강하고 맛있는 라면‟이라는 컨셉을 실체화 해주는 „진하고 깊은 맛의 돈코츠 육수‟와 같은 요소가 뒷받침
151
싱가포르
되어야만 성공이 가능함. 또한, 한식당이 한식당으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한국 본래의 맛‟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맛을 지나치게 현지화하여 고유의 정통성을 잃어버린 한식당 실패 사례와 같이 „한국적 맛‟에 대한 확보가 필요함. 고유의 한국적인 맛은 유지하되 메뉴 측면에서는 싱가포르 현지 식문화를 고려한 다양한 메뉴가 제공되어야 하며 현지에서 증가하고 있는 웰빙 트렌드를 반영한 신메뉴 개발도 필요함.
서비스 가치 -
서비스 측면에서는 정통성과 현지화에 대한 적절한 균형 유지가 성공을 위한 핵심 요인임. 우선, 한국적 서비스에 대한 정의가 필요한데 한식당으로서 싱가포르 현지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한국적 정통성‟ 관점에서 명확하게 규명되어야 함. 예를 들면, 한국어로 하는 인사, 한국 전통 방식의 메뉴 서빙, 한복을 입은 종업원 등 한국적 정통성이 서비스로 표현되어야 함. 또한, 다양한 음식을 한 번에 펼쳐놓고 먹는 것을 선호하는 현지 식문화와 개인화된 접시를 선호하는 현지인들의 특성을 고려하는 등 서비스의 현지화도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임. 즉, 한국적인 정통 서비스를 바탕으로 현지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것임. 또한, 타 에스닉 푸드 음식점과의 차별화 관점에서 한국인의 „정‟을 바탕으로 한 특별 서비스 제공도 차별화 요소가 될 수 있음. 예를 들면, 기본 반찬을 무료로 제공하거나 단골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 메뉴를 무료로 제공하는 형태임. 또한, 싱가포르 현지 외식 특성을 고려하여 메뉴를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고 빠르게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 구축도 고려해야 하는 요소임.
공간 가치 -
한식당의 성공을 위해서는 제품, 서비스 가치 측면에서의 성공 요인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성공 요인을 정의하고 이를 확보해야 함. 먼저, 성공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입지 선정을 위해서는 한식당의 컨셉과 타겟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전제되어야 함. 즉, 고급 식당인지 캐쥬얼한 식당인지, 또한 타겟이 객단가가 높은 고객층인지 객단가가 낮은 학생층인지가 먼저 명확히 설정되고 나서 이에 맞는 입지가 선정되어야 함. 입지 선정 시 건물 임대비, 인테리어 공사비 등 초기 투자비 회수 관점에서 해당 상권의 주요 고객층이 이를 커버해 줄 것인지가 고려되어야 함. 또한, 식당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인테리어, 장식물, 식기 등에서 느껴지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한국적 정통성을 표현해주어야 함. 공간은 한식당으로서의 정통성이 실체적으로 표현되는 고객 접점이므로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 효과적으로 구성되어야 함.
152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문화 가치 •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의 문화 가치 측면에서의 „정통성‟은 한상 문화, 좌식 문화 등 ‘고유한 한국 식문화’를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므로 한국 문화의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현지 고객들에게 어떠한 경험을 제공할 것인지가 고민되어야 함. 즉, 현지 고객들이 한식당을 방문한 이후 단지 한국 식당에서 한국 음식을 먹고 나온 것이 아니라 ‘색다르고 독특한 한국 문화의 경험’이 남아야 하는 것임. 또한, 한식당은
기본적으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투영되어
있는
것임.
따라서,
한식당의 컨셉과 타겟 고객에 따라 싱가포르 현지에서 형성되어 있는 한류 이미지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음. 현지 소비자 조사 결과 젊은 고객층에게 한류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들을 주요 고객층으로 하는 한식당의 경우 한류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
153
싱가포르
Ⅲ. 한식당 마케팅 전략 1. 싱가포르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가. 싱가포르 한식당 SWOT 분석 싱가포르 한식당 SWOT 분석
•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이 취해야 할 기본 전략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SWOT 분석 기법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그림] 싱가포르 한식당 SWOT 분석
기회 요인 *높은 에스닉 푸드 수용도(취식율 98.4%) *건강식에 대한 니즈 증가 *경쟁 에스닉 푸드인 일식의 포화 및 정체
위협 요인 *침투율이 크게 높지 않은 에스닉 푸드음식점들도 점차 대형화, 고급화 되면서 현지 고객들을 주요 고객층으로 삼기 위해 노력함
*문화적 경험이라는 차별적 가치에 대한 니즈 부각
강점 요인 *세련된 국가 이미지 보유 *한국문화(한류)의 확산 *신선한, 영양가 있는 등 건강 이미지 보유
[강점-기회 활용 전략]
[강점-위협 전략]
한식/한식당의 건강 이미지를 기본으로 하여
한식/한식당의 건강 이미지를 기본으로 하여 경쟁 에스닉 푸드대비 차별점 강조
국가/한류 이미지를 결합하여 문화적 경험 가치 강화
약점 요인 *한정적인 맛, 독특한 맛 *건강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일식이 더 강함 *젊은층에게 어필 부족 (한국의 세련된 이미지와 현지 한식당 분위기와의 괴리) *High tier 의 고급 음식점 부재
[약점-기회 활용 전략] 맛의 현지화를 통한 수요확장 일식과의 차별화를 통한 일식 수요 잠식 고객별 한식당 컨셉 및 가격 차별적 운영
*중간가격대 음식 부족
154
[약점-위협 전략] 한식/한식당의 약점을 보완하여 경쟁 에스닉 푸드의 빠른 확산 저지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나. 싱가포르 한식당 핵심 마케팅 요인 분석
주요 시사점 •
지금까지 싱가포르 현지 시장에서의 한식당 마케팅 기회를 도출하기 위해 싱가포르 한식당 SWOT 분석 및 핵심 사업화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그림] 주요 시사점
한식당 마케팅 기회 도출
•
싱가포르 현지에서 한식당 사업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현지에서의 한국의 긍정 적인 국가 이미지와 한류의 세련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외식 산업 식당으로서의 반드시 확보해야 할 맛, 위생 및 청결과 같은 본질 가치, 새로움, 이국적 분위기, 정통성과 같은 에스닉 푸드로서 확보해야 할 중요 가치, 친절한 서비스, 메뉴 다양성과 같은 확장 가치를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함. 또한, 건강식, 문화적 경험이라는 싱가포르 현지 외식시장 트렌드와 고급화, 웰빙화되고 있는 싱가포르 내 한식 시장 트렌드 또한 반영이 되어야 함. 이러한 국가 이미지, 일반 외식산업 중요가치,
현지
시장
트렌드를
보유하고
있는
영양,
푸짐함
바탕으로 등의
싱가포르
차별적
건강
현지에서 이미지라는
한식/한식당이 강점
집중한다면 현지에서의 성공적인 한식당 사업 기회를 포착해낼 수 있음.
155
영역에
싱가포르
•
싱가포르 현지 소비자 조사 및 경영주 면담을 통해 도출된 기회 요인을 정리해 보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류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으나 이들이 선호할 만한 세련되고 아늑한 분위기의 한식당이 부재한 것으로 파악되어 이에 대응하는 사업 모델 개발 시 기회가 존재할 것으로 판단됨. 또한, 중장년층의 비즈니스 상황에 부합하는 고급 한식당 역시 부재하여 이에 대응하는 사업 모델 개발 시 기회가 존재할 것으로 보임. 마지막으로, 가족 단위 고객 대상의 중급 식당에 대한 수요도 존재하나 기존 한식당은 특색 없는 고깃집들이 대부분으로 이들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어 현지 고객들에게 인기있는 메뉴 구성과 서비스 차별화가 이루어진다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임.
156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다. 싱가포르 한식당 마케팅 기회 •
싱가포르 현지 시장 및 경쟁 분석,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주요 시사점들을
통해
싱가포르
현지에서의
마케팅
기회를
다음과
같은
3가지
방향으로 압축함. [그림] 한식당 마케팅 기회
-
가족 동반형 : 가족 동반 시 방문하는 현지의 대중적 한식당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중고가대의 시장 진입 시 기존 한식당과의 명확한 메뉴 혹은 서비스 프로세스에서의 차별화가 필요함.
-
비즈니스형 : VIP 고객을 모실 정도의 고급스런 한식당은 현지에 부족한 실정임. 한국 사업 파트너를 통해 한식을 선호하게 된 비즈니스 사업가들이 중요한 고객을 모시고 갈 만한 고급스런 분위기와 서비스, 프리미엄 한식에 대한 시장 기회가 존재함.
-
젊은 연인/친구 동반형 : 현지의 어수선하고 산만한 대중적 고깃집 형태의 한식당은 젊은 층이 한류를 통해 가지고 있는 세련된 분위기의 한국문화와 상당히 괴리감이 존재.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젊은 감각의 아늑하고 세련된 분위기를 갖춘 한식당에 대한 시장 기회가 존재함.
157
싱가포르
3. 싱가포르 고객 세분화 전략 수립 가. 싱가포르 외식 고객 세분화 •
500명의 싱가포르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소비자 외식생활 태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추구 가치별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싱가포르 현지 소비자들을 추구 가치별로 유사한 외식 성향을 지닌 5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음. [표] 싱가포르 외식 고객 요인 추출 및 군집 도출 세분 시장
추구 가치 분위기 추구자
탐험적 고관여자
실리적 건강 추구자
★
★★★
★
★★
★
★
★★
★★★
★
★★★
★
★★★
★★
유명도 추구자
깐깐한 외식 관심자
얼리어댑터 (새로움 추구,
★★
적극적 정보 탐색) 분위기 중시 (독립공간, Date,
★★★
인테리어)
채식 선호
이국적 음식 선호, 외식에 돈/시간 투자
신뢰/맛 중시
★★
★
자기 과시 욕구 (유명도, 창의성,
★
★★★
★★
가격 상관 없음) 건강 중시 & 깐깐한 메뉴 선정
★
★★
158
★★★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나. 싱가포르 한식당 표적 고객층 도출 •
군집 분석을 통해 도출된 5개의 소비자 집단을 주요 항목별로 평가한 후 공략 해야 할 싱가포르 한식당 표적 고객층을 선정함.
•
5개의 각 소비자 집단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준에 따라 도출함. -
첫째, 한식은 싱가포르 현지 고객들에게 타국의 에스닉 푸드이므로 시장 수용성 관점에서 에스닉문화에 대한 현지 고객의 수용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함.
-
둘째, 한식당은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한국의 식당이므로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한 인식이 식당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영향을 줌. 따라서, 과거 한국 방문 경험,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고려함.
-
셋째, 시장성 관점에서 각 소비자 집단의 과거 한식 취식 경험율과 향후 취식 희망율은 어떻게 되는지, 한식당을 얼마나 자주 방문하는지, 또한 1회 방문 시 얼마나 많은 돈을 쓰는지와 같은 한식 이용 행태를 마지막으로 고려함.
•
싱가포르의 경우, 최근 한류에 대한 관심과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한류 관련 항목을 추가적으로 반영함. [표] 한식당 표적 고객층 항목
분위기 추구자
탐험적 고관여자
실리적 건강 추구자
유명도 추구자
깐깐한 외식 관심자
에스닉 문화 수용도(5점척도)
2.6
3.8
2.8
2.0
2.6
한국방문경험율
22%
27.4%
17%
18.6%
26.5%
한국 국가 이미지 긍정율
96.7%
97.9%
94.7%
94.2%
94. %
한식 관심여부
81.3%
85.3%
69.1%
67.4%
89.2%
한류의 한식관심 영향여부
41.0%
50.6%
36.9%
17.2%
40.7%
한류 연예인 선호율
21.6%
29.5%
14.9%
18.6%
20.6%
한식 취식 경험율
87.8%
85.3%
78.7%
86.0%
97.1%
한식 향후 희망율
90.2%
91.6%
79.8%
67.4%
94.1%
한식당 방문 빈도
한달에 한번 이상 (29.27%)
한달에 한번 이상 (45.26%)
한달에 한번 이상 (31.91%)
한달에 한번 이상 (16.28%)
한달에 한번 이상 (35.29%)
한식 1회 외식 지출 금액
SG$19.8
SG$20.2
SG$15.3
SG$16.7
SG$16.6
국가 이미지
한식 취식 행태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59
싱가포르
•
에스닉 문화에 대한 수용도, 한국 및 한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관심도, 한식에 취식 경험율 및 향후 희망율, 지출 금액 등 한식당과의 적합도와 성공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 시 아래와 같은 세 개의 고객층이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의 주요 고객군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됨. ① 분위기 추구자 한국 국가 이미지 긍정율, 한식 취식 경험율, 향후 한식 취식 희망율 등이 높게 나타남. ② 탐험적 고관여자 에스닉 문화 수용도, 한국 국가 이미지, 한식 취식 형태 등 모든 항목에서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남. ③ 깐깐한 외식 관심자 한식에 대한 관심도, 한식 취식 경험율, 향후 한식 취식 희망율, 한식당 방문 빈도 등이 높게 나타남.
160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4. 싱가포르 한식당 유형 별 사업모델 가. 사업 모델 아이템 대안 발굴 및 평가 •
앞서 언급되었던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마케팅 기회 별로 가능한 사업 모델 아이템
대안들을
충분한
아이디에이션을
통해
발굴하고,
이러한
대안들을
평가하여 최종적인 사업 모델을 확정짓게 됨. 즉, 이러한 아이템 대안 발굴 및 스크리닝 과정을 거침으로써 가능한 모든 기회를 충분히 고려함과 동시에 사업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케 됨. 1)
사업 모델 아이템 대안발굴 [표] 한식당 마케팅 기회 별로 가능한 사업 모델 아이템 대안
메뉴와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VIP 고객을 모실 수 있는 고급음식점
젊은층에 어필할 수 있는 분위기
한식당 유형
비즈니스 포지셔닝
차별화 포인트
일반 한식당
주막느낌의 한 상차림 세트 제공 민속 음식점
한국사극에서 보던 한상 차림
일반 한식당
Korean BBQ 뷔페
한국식 BBQ, 풍성한 야채, 한국 반찬을 뷔페식으로 마음껏 푸짐하게
가치, 영양가 높고 건강한 음식
전문 한식당
삼계탕 대표화 음식점
한국 대표 보양식인 고려인삼 삼계탕과 ‘인삼주’로 몸이 좋아지는 느낌
영양가 높고 몸에 좋은 음식, 푸짐함
고급 한정식
현대적 분위기의 전통 한정식
현대적 인테리어의 고급스런 한국 전통한정식 코스
몸에 좋은 음식, 정통성, 현대적 한국 분위기
고급 한정식
전통공연 속 전통 한정식
한국전통기와집같은 인테리어 속에 전통공연을 즐기며 한국전통 한정식 코스
정통성, 몸에 좋은 음식
고급 한식당
창의적으로 연출된 다양한 코스메뉴
기존 한정식 메뉴에 비해 창의적이며 다양한 한국술 시음이벤트
일반 한식당
세련된 분위기의 캐쥬얼 음식점
한류 컨텐츠로 꾸며진 세련된 분위기와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세트메뉴
세련되고 감각적인 분위기 합리적 가격
패스트 푸드
한식 패스트 푸드
패스트 푸드 서빙 방식으로 제공되는 한식 세트메뉴
신속한 서비스, 몸에 좋고 영양가 높은 음식
메뉴 및 주막 인테리어, 방자 복장종업원으로 이국체험
161
제공 혜택/가치 이국적 경험, 정통성, 건강, 재미 푸짐함, 다양함, 가격대비
정통성, 몸에 좋은 음식, 창의적이면서도 현대적 한국 분위기, 재미
싱가포르
2) 사업 모델 아이템 대안평가
제시된 각 한식당 사업모델 아이템을 아래와 같은 체크 포인트를 통해 스크리닝을 실시하여 최종 사업모델 예시 아이템으로 선정 [표] 한식당 사업 모델 아이템 스크리닝
VIP 고객을 모실 수 있는 고급음식점
메뉴와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젊은층에 어필할 수 있는 분위기
구분
형태
메뉴 수용도
서비스 방식 차별화
공간의 새로움
이국적 문화 체험
운영 용이성
고급 한정식
현대적 분위기의 전통 한정식
○
○
◐
◐
◐
고급 한정식
전통공연 속 전통 한정식
○
○
●
●
○
고급 한식당
창의적으로 연출된 다양한 메뉴
●
◐
◐
◐
◐
∨
일반 한식당
주막느낌의 한 상차림 세트 제공 민속 음식점
●
●
●
●
◐
∨
일반 한식당
Korean BBQ 뷔페
●
●
○
○
●
전문 한식당
삼계탕 대표화 음식점
●
○
○
◐
●
일반 한식당
세련된 분위기의 캐쥬얼 음식점
●
○
●
●
◐
패스트 푸드
한식 패스트 푸드
◐
◐
○
○
◐
162
최종선정
∨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선정 근거 : 고급 한정식 - 창의적으로 연출된 다양한 메뉴
•
메뉴의 수용도 : 싱가포르 현지 외식시장에서의 한식의 진입단계가 아직까지 보급 단계이며, 현지 한식당 경영주 면담 결과, 싱가포르 현지인들은 다양한 한국 음식을 맛보길 원하고 있고, 에스닉 푸드가 일상화되어 있어 창의적으로 연출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할 경우 메뉴 수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 VIP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 한정식 식당이므로
•
서비스의 수준은 높으나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정도는 중간 정도 수준임. 공간의 새로움 : 전반적으로 한국식 전통과 현대적 인테리어가 조화된 분위기로 공간의 새로움은 중간 정도 수준임.
•
이국적 문화 체험 요소 확보 : 고급 한정식 식당이므로 메뉴와 서비스 등 본질적인 요소에 집중하여 이국적인 문화 체험 요소는 중간 정도 수준임.
•
운영 용이성 : VIP를 대상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급 한정식 식당으로 이에 상응하는 인력 및 비용 상의 초기 투자 및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 어져야 하므로 운영 용이성은 중간 정도 수준임. 선정 근거 : 일반 한정식 - 주막 느낌의 한상차림 세트 제공 민속 음식점
•
메뉴의 수용도 : 건강하고 푸짐한 한상차림 세트 메뉴로 다양한 메뉴를 한 번에 푸짐하게 먹는 것을 선호하는 싱가포르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한 메뉴 수용도는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 전통 한국식 주막에서 한상차림의 다양한 메뉴를 한국 전통 방식으로 제공하여 서비스 차별화 정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
•
공간의 새로움 : 한국 사극에서 보던 토속적인 분위기에 맞는 인테리어와 가구 배치를 통해 공간의 새로움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이국적 문화 체험 요소 확보 : 한국 전통복장의 직원, 신나는 한국민속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스토리가 담긴 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이국적 문화 체험 요소 측면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운영 용이성 : 한국적 인테리어, 소품, 종업원 복장 등 일정 수준의 초기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므로 운영 용이성은 중간 정도 수준으로 판단됨. 선정 근거 : 일반 한식당 - 세련된 분위기의 캐쥬얼 음식점
•
메뉴의 수용도 : 한류에 대한 관심과 한류의 영향력이 높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선호도가 높은 한식메뉴를 소량으로 담아 합리적 가격에 제공함으로써 메뉴의 수용도는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저가의 캐쥬얼 음식점이므로 서비스 방식의 차별화 수준은 높지 않음.
•
공간의 새로움 : 한류를 느낄 수 있는 세련된 분위기로 연출하여 공간의 새로움 정도는 높을 것으로 판단됨. 163
싱가포르
•
이국적 문화 체험 요소 확보 : 마치 한국에 와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배경음악과 종업원들의 한국말 인사 등 이국적 문화 체험 요소 수준은 높을 것으로 판단됨.
•
운영 용이성 : 한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 등 초기 투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므로 운영 용이성은 중간 정도 수준으로 판단됨.
164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5.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모델 별 구체 전략 가.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모델 구체전략 예시 앞서 최종 선정된 사업모델은 다음 3가지 유형임.
C-MESTAF™(Concept- Menu,
Experience, Space, Target, Area, Financials) 기법을 활용하여 구체화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 •
고급 한식당 - 창의적으로 연출된 다양한 메뉴로 VIP 고객을 모시기에 좋은 고급 한국 음식점
•
일반 한식당 A - 주막느낌의 한 상차림을 제공하는 한국 민속음식점
•
일반 한식당 B - 젊은 층을 위한 세련된 분위기의 캐쥬얼한 한식당 [표]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모델별 구체전략 요약 일반 한식당 A
일반 한식당 B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풀서비스를 제공하는
정형화된 풀서비스를
객단가 SG$100 수준의 고급 한정식 창의적으로 연출된 다양한
객단가 SG$40 수준의 한국 민속음식점
제공하는 객단가 SG$25 수준의 한식당
메뉴로 VIP 고객을 모시기에 좋은 고급 한국 음식점
한상 차림을 제공하는 한국 민속음식점
젊은 층을 위한 세련된 분위기의 캐쥬얼한 한식당
한국 사극에서 보던 주막집에 온 듯한 느낌 한상 차림 메뉴로 건강하고 푸짐한 음식
한류에서 느껴지는 세련된 분위기 상대적으로 저렴한 세트메뉴
30-40 대 가족 동반 혹은
20-30 대 친구 모임 및
회식, 모임
회식, 학생, 직장인 대상의 일반식사 대용
고급 한식당 업태
기본 컨셉
차별화 포인트
기존 한정식 메뉴에 비해 창의적인 조리법과 셋팅 다양한 한국술 이벤트
주요 고객층 및 외식 동기
30-40 대 비즈니스 접대 혹은 특별한 날의 가족행사 모임
메뉴 컨셉
신선한 유기농 고급재료를 사용한 한정식 코스
20-30 대 친구 모임 한국식 숯불구이를 메인으로 다양한 반찬이 푸짐하게 제공되는 한상 차림 메뉴
선호도가 높은 대표 한식메뉴를 소량으로 담아 세트메뉴화하여 다양한 한식을 즐김.
서비스 경험 컨셉
귀한 손님의 탄성을 자아낼 수 있도록 세심한 맞춤형 서비스
신나는 한국민속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스토리가 담긴 서비스
마치 한국에 온 듯한 느낌의 배경음악과 종업원들의 한국말 인사
점포 공간 컨셉
전체적으로 한국식 전통과 현대적 인테리어가 조화된 분위기
한국 사극에서 보던 토속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인테리어와 가구
한류를 느낄 수 있는 컨텐츠와 세련되고 캐쥬얼한 느낌
입지 조건
번잡한 곳보다는 자가용으로 접근 가능하면서 분위기가 좋은 상권이 적절
직장인,학생층 대상의 집객력이 높은 센트럴 지역(Central Region)의 지하철 MRT 인근의 쇼핑몰
165
대중교통으로 접근이 용이한 시내 번화가 센트럴 지역(Central Region) 내에서도 오차드 로드 인근 쇼핑몰
싱가포르
6. 싱가포르 한식당 홍보 판촉 전략
홍보 판촉 전략 수립의 배경 및 목적 •
현지 창업 한식당의 조기 활성화 및 기존 한식당의 활성화를 위한 홍보 판촉 전략 수립이 필요함.
•
일반적으로 해외에 진출하는 한식당은, 오픈 시점에서부터 매출이 안정되어 투자 자금을 회수하기까지의 과정이 한국 내에서 개업한 한식당보다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기 때문에 해외에 진출하는 한식당 점주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 이에 개업 시점부터 매출 활성화 시점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집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모션 방법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자 함.
[그림] 한식당 홍보판촉 전략 개념도
166
싱가포르 한식당 사업환경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단계 별 홍보 판촉 전략목표 및 개요 •
한식당 창업에서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착 단계에 이르기까지 홍보판촉의 주요 시점 및 목표를 크게 5가지로 단계화할 수 있음.
①
사전홍보: 새로운 매장이 오픈함을 알리고 고객의 호기심과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홍보
②
그랜드 오픈: 매장의 오픈 시점에 대대적이고 일시적으로 진행
③
최초방문 유도: 식당에 대한 첫 방문을 유도하기 위한 프로모션
④
신 메뉴 홍보: 신메뉴 출시를 알리기 위한 홍보 프로모션
⑤
단골 고객확보: 자주 방문하는 고객으로 만드는 프로모션
손님에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단골
[표] 단계별 홍보판촉 전략목표 및 개요 단 계
1 단계 사전홍보
2 단게 그랜드 오픈
3 단계 최초방문 유도
5 단계 단골 고객 확보
새로운 메뉴에 대한 고객의 시도 유도, 성공적인 메뉴 확장
고객 충성도를 높여 재방문 유도
방문 경험이 없는 고객의 최초 방문을 이끌어 내기 위한 프로모션
신 메뉴가 개발 되었음을 적극적으로 홍보
자주 방문하는 손님에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단골 고객으로 만드는 프로모션
•실질적 방문유도를 위한 한식당에 대한 호감도 형성 목적의 이벤트 및 쿠폰 행사 • 먹어보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 일으키기 위한 대표 메뉴에 대한 관심 자극 이벤트
• 신메뉴에 대한 관심 자극 이벤트 • 초기 신메뉴 트라이얼을 촉진할 수 있는 할인,쿠폰 이벤트 • 시식 행사, 서비스로 무료음식 제공 시 신메뉴 활용
• 단골고객화를 위해 포인트/멤버쉽 카드 작성 시 할인 혜택 등 적용 • 단골 고객 재방문 활성화를 위한 쿠폰 행사, 특별 서비스 제공
전 략 목 표
인지도 확보 (개점 위치, 업종)
인지도 확보
초기 방문 유도로 경험 고객 확보
개 요
새로운 매장이 오픈 함을 알리고 고객의 호기심과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한 홍보
매장의 오픈 시점에 대대적이고 일시적으로 행하는 프로모션
• 인근 지역 고객 대상 사전 홍보 • 식당오픈 예정임을 알리고, 관심 환기
•오픈 3 개월 간 식당 인지도 증대를 위한 적극적인 광고 •한국/한류에 대한 호감을 한식당에 대한 선호도로 전환시킬 수 있는 이벤트 첫 방문 고객을 지속적인 단골 고객화 할 수 있는 프로모션
세 부 내 용
4 단계 신 메뉴 홍보
167
싱가포르
[표] 단계별 한식당 사용가능한 홍보 판촉방법 요약
구분
광고
시식
이벤트
구체 방법
1 단계 사전홍보
2 단게 그랜드 오픈
현지/ 교포신문
∨
현지/교포잡지
∨
인터넷 검색광고
∨
전단지 광고
∨
시식 샘플링 한류 팬클럽 정기모임 지원 단골 손님 초대
∨
3 단계 4 단계 최초방문 유도 신 메뉴 홍보
∨
∨
∨
∨
∨
∨
인쇄물
판촉물
∨
한식 요리 클래스 온라인 경험담 올리기 생일 이벤트
∨
∨
∨
한복 모형 포토존
∨
∨
선착순
∨
∨
요일별 프로모션
∨
모닝/런치세트 트라이얼(Trial) 세트메뉴 포인트/멤버쉽 프로그램 포스터
∨
∨
∨
∨
∨
∨
∨
∨
∨
∨
∨
∨ ∨
∨
∨
테이블 리프렛 공사 가림막(쿠폰)
∨
∨
∨
캘린더(쿠폰) 쿠폰
∨
∨
단골 무료증정 할인 프로모션
5 단계 단골 고객 확보
∨ ∨
신용카드 바우처
∨
명함 추첨
∨
무료 증정품
∨
한국 기념품
∨
168
∨
∨ ∨ ∨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Executive Summary
1. 파리 및 싱가포르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단계 2010년 10월 기준으로 파리에는 총 70개, 싱가포르에는 총 49개의 한식당이 영업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각
도시
거주인구
만
명당
한식당의
수는
파리가
0.28개,
싱가포르가 0.1개로 파리가 거주인구 대비 약 2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싱가포르의 경우 푸드코트(호커센터 포함)에서 영업하는 한식 취급점은 금번 조사에서 제외된 수로 푸드코트에 진입해 있는 70여개 한식취급점을 포함한다면 0.25개 수준으로 두 도시가 유사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음. 싱가포르의 경우 한국과 한식에 대한 관심과 경험율이 파리 대비 상대적으로 높으며 최근 한류 붐으로 본격적인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로 볼 수 있으나, 파리의 경우 한국과 한식 자체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싱가포르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 본격적인 확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보임. 또한, 한식 취식 경험율은 파리가 30.7%, 싱가포르가 87.2%로 싱가포르 현지인들의 한식 취식 경험율이 파리에 비해 2배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싱가포르의 한식 및 한식당이 파리 대비 상대적으로 더 확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2.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및 한식당 포지셔닝 한식을 홍보하는 데 있어서 타 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만의 차별적인 포지셔닝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영역은 '건강하고 영양가 많은 음식'임. 파리는 고기와 함께 푸짐하게 제공되는 야채 혹은 비빔밥의 건강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단, 일식과 차별화된 건강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비빔밥 혹은
불고기의
채소에서
연상되는
건강한
이미지를
부각시킴으로써
일식
스시의
날생선의 신선한 이미지에서 오는 건강한 이미지와의 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짐. 싱가포르는 보양식으로 인기가 많은 삼계탕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영양가 많은 건강한 음식으로 한식의 차별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짐. 싱가포르에 비해 한식에 대한 관심 및 경험이 낮은 파리의 경우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과 동시에 한식 자체를 알리고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홍보 활동이 필요함.
171
싱가포르
3.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및 한식당 진출전략 한식 세계화의 사업 주체는 한식이 확산되도록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원하는 정부와 실질적으로 한식당 사업을 전개하는 주체인 기업 및 개인으로 구분될 수 있음. 정부, 기업, 개인 각 사업 주체별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 성공적인 현지 한식당 진출과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고 한식 세계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주요 전략 목표는 파리 한식당의 경우 성장기로 이행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어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되어야 하며, 싱가포르 한식당의 경우 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위치해 있으므로 한식당 사업 모델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되어야 함. 한식당의 성공적인 진출 및 성장을 위해서는 진입 초기 테스트샵 운영을 통해 현지 시장 노하우를 습득하고, 현지 네트워크 활용을 통해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현지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업기반 확보 및 현지화 모델 구축 이후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파리의 경우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한식당 활성화의 전제 조건이므로 파리 현지인들에게 한국 문화와 한식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행사와 국가 차원의 캠페인이 전개되어야 하며, 싱가포르의 경우 한식에 대한 관심 및 한류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싱가포르 현지인들로 하여금 실제로 한식을 경험해보고 한식당 방문까지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들이 필요함. 현지 한식당 활성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한식당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172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Ⅰ. 도시별 시장조사 비교에 따른 한식당 진출 전략 도출 1. 싱가포르 및 파리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단계
파리 및 싱가포르 두 도시의 한식 및 한식당 확산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두 도시의 한식에 대한 수용도, 그리고 현지 한식당들의 경쟁력을 비교해 본 결과,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한식에 대한 수용도 및 시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평가할 수 있음.
한식에 대한 수용도 측면 •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 이미지가 높은 편이며, 이에 더불어 한식에 대한 취식 경험 역시 월등히 나타남. (한식 취식경험율 : 파리 30.7%, 싱가포르 87.2%)
•
파리와 싱가포르 모두 한식에 대한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에 대한 만족도는 높음. 파리의 경우 한식 취식률에 비해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을 한 번이라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
한식당의 확산 및 경쟁력 측면 •
각 도시 거주인구 만 명당 한식당의 수는 파리가 0.28개, 싱가포르가 0.1개로 파리가 거주인구 대비 약 2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싱가포르의 경우 푸드 코트(호커 센터 포함)에서 영업하는 한식취급점은 금번 조사에서 제외된 수로 푸드 코트에 진입해 있는 70여개 한식취급점을 포함한다면 0.25개 수준으로 두 도시가 유사한 수준이라고 볼 수도 있음. 또한, 한식당의 평균 좌석수 측면에서도 싱가포르 한식당이 파리에 비해 2배정도 큰 규모로 운영되고 있어 이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비슷한 수준임. (평균 좌석수 : 파리 46.2석, 싱가포르 94.3석)
•
즉, 싱가포르의 경우 단순 생계형 목적의 한식당 창업과 달리 사업성을 높이 평가한 자본력을 갖춘 사업가들이 한식당 창업에 뛰어들어 상대적으로 중대형 규모의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됨.
•
한국인 대비 현지인 고객의 비중은 두 도시 모두 상당히 높아 현지인 중심의 비즈니스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임. (현지인 고객 비중 : 파리 71.7%, 싱가포르 82.4%)
•
또한, 에스닉 푸드 1회 지출 금액 대비 한식당의 객단가가 파리, 싱가포르 모두 높이 나타나 에스닉 푸드 중 한식이 차지하는 위상은 중급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한식당 확산 및 경쟁력이 높다고 판단됨.
173
싱가포르
가. 싱가포르 및 파리 현지인의 외식행태 및 한식 수용도 비교
파리 및 싱가포르 한식 취식행태 비교 •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 이미지가 높은 편이며, 이에 더불어 한식에 대한 취식 경험 역시 월등히 높음 : 한류 열풍으로 싱가포르인들은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한식에 대한 높은 취식율(87.2%)과 향후 한식 취식 희망율(85.4%)과 직접적으로 연관됨. - 파리는 한국 국가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률이 63.2%인 것에 반해 싱가포르는 95.6%가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
•
파리와 싱가포르 모두 한식에 대한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파리의 경우 한식 취식률에 비해 재취식 의향율이 높아 한식을 한 번이라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함. - 파리의 경우 한식을 취식한 경험이 있는 30.7%의 사람들 중 92.2%가 재취식 의향율을 보이며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싱가포르 역시 응답자 중 한식 경험자 87.2% 중 91.1%가 재취식 의향을 보이며 한식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있음.
•
아시아 스타일의 음식에 익숙한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매운 맛‟등 아시아 계통 음식에 익숙한 싱가포르의 한식 선호도는 총 9개의 에스닉 푸드(일식, 중식, 태국식, 인도네시아식, 인도식, 한식, 이탈리아식, 베트남식, 독일식) 중 6.1%로 6위로 나타남. 파리의 경우 총 8개의 에스닉 푸드(이탈리아식, 중식, 일식, 인도식, 태국식, 멕시칸식, 베트남식, 한식) 중 2%로 8위로 나타남.
•
한식당 방문빈도는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높은 편이나, 한식
1회 외식
지출금액은
지출함
파리가
싱가포르보다
외식평균
대비
높은
금액을
:
싱가포르의 경우 에스닉 푸드에 익숙하고 한식당에 대한 접근성과 선호도가 높아 한 달 이내에 한식당을 방문하는 빈도는 높은 편이나,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비용보다는 적은 금액을 지출함. - 싱가포르의 한식당 방문빈도는 31.8%(월 1회 이상 외식 %)이며, 한식 1회 외식지출 비용은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보다 낮은 금액임.(한식 1회 외식 지출금액 SG$17.89 <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
SG$19.2)
- 파리인의 한식당 방문 빈도는 21.2%(월 1회 이상 외식 %)이며, 한식 1회 외식지출 비용은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보다 높은 금액을 지출함.(한식 1회 외식 지출금액 €24.7 > 에스닉 푸드 평균 1회 지출금액 €23.2)
174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표] 싱가포르 및 파리 한식 취식 형태 비교 파리
싱가포르
한국 방문 경험율
4.1%
22.4%
한국국가 이미지 긍정율
63.2%
95.6%
한식 취식경험율
30.7%
87.2%
한식 향후 취식희망율
75.6%
85.4%
한식 재취식 의향율
92.2%
91.1%
한식 선호도(현지식 제외)
8위, 2.0%
6위, 6.1%
한식당 방문빈도
1. 2. 3. 4. 5. 6.
한식 1회 외식지출액 -1인1회기준
맛에 대한 선호
분기에 1회 40.1% 거의 가지 않음 38.7% 한 달에 1회 12.1% 주 2회 이상 3.7% 주 1회 3.1% 2주에 1회 2.3%
1. 2. 3. 4. 5. 6. 7.
€24.7 1. 2. 3. 4. 5.
짠 맛 95% 단 맛 94.0% 매운 맛 82.8% 신 맛 53.0% 쓴 맛 28.0%
분기에 1회 41.6% 한 달에 1회 19.8% 절대 가지 않음 13.8% 거의 가지 않음 12.8% 2주에 1회 9.2% 주 1회 2.2% 주 2회 이상 0.6% SG$17.89
1. 2. 3. 4. 5.
매운 맛 89.8% 단 맛 85.6% 신 맛 78.8% 짠 맛 56.0% 쓴 맛 28.0%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75
싱가포르
나. 싱가포르 및 파리 현지의 한식당 경쟁력 비교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 경쟁력 평가 지표 •
두 도시에서 운영 중인 현지 한식당의 경쟁력 평가를 위해 한식당 성장세(식당 수 증감 추이, 폐점 수),
확산수준(거주인구 당 한식당 수, 한식 취식 경험율),
현지 한식당 형태 및 경영주의 현지 체류경험 및 식당운영 경험, 한식의 프리미엄 수준(한식 평균 객단가, 현지인들의 1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 식당 규모(좌석 수), 식당의 형태(프랜차이즈 점포 수 비중, 전문점 형태의 매장 수)와 관련된 지표를 살펴 보았음. [표] 파리와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경쟁력 비교
한식당 확산 수준
한식당 프리미엄 수준
한식당의 유형
파리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
70개
49개
현지 거주인구 만 명 당 한식당
0.28 개
0.1 개 0.25 개(푸드코트 한식취급점 포함 시)
한식 평균 객단가
€ 20.2 (약 32,000 원)
SG$21 (약 18,000 원)
에스닉푸드 1 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
€ 23.2 (약 36,000 원)
SG$ 19.2 (약 16,000 원)
프리미엄 지표
0.9
1.1
프랜차이즈 점포 수 비중
없음
4.1%
전문점 형태의 매장 수
2개
없음
5년 미만 3.9% 5~10년 미만 17.6% 10~15년 미만 27.5% 16~20년 미만 11.8% 20년 이상 45.1%
1년 이하 4.8% 2~3년 이하 9.5% 4~5년 이하 23.8% 6~9년 이하 33.3% 10~15년 이하 23.8% 20년 이상 4.8%
5년 미만 42.3% 5~10년 미만 34.6% 10~15년 미만 13.5% 16년 이상 9.6%
1년 이하 20.0% 2~3년 이하 40.0% 4~5년 이하 16.0% 5~9년 이하 16.0% 10년 이상 8%
한식당 주요타겟 고객 비중(현지인: 한국인)
현지인 71.7 : 한국인 28.3
현지인 82.4 : 한국인 35.3
평균 월임대료
평균 €2,078 (320만원)
평균 SG$15,878 (1,390만원)
테이블 수
평균 17.1개
평균 22.4개
좌석수
평균 46.2석
평균 94.3석
평균 서빙종업원수
평균 1.9명
평균 4.7명
평균 조리사 수
평균 1.9명
평균 3.3명
경영주 현지 체류기간 경영주 현지 체류경험 및 식당운영경험
경영주 식당 운영경력
현지 한식당 현황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환율은 2011년 6월 기준임
176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다. 싱가포르 및 파리 현지인에 어필하는 한식 대표 메뉴
파리 및 싱가포르 소비자 조사에서 나타난 한식 메뉴별 취식 경험율과 현지 한식당 경영주가 응답한 인기 판매 메뉴를 분석하여 도시별 한식의 대표 메뉴화 가능성이 높은 메뉴 아이템을 도출해 냄.
•
파리에서는 불고기 및 비빔밥 메뉴가 취식경험율 및 현지 한식당에서 판매가 높은 메뉴로 향후 한식 대표 메뉴로서의 가능성이 높음 : 파리에서 불고기는 가장 인기있는 한식 메뉴이며 취식 경험율로는 김밥, 잡채, 비빔밥 순으로 높음. 김밥의 경우는 취식 경험율이 높으나 한식만의 독자적 메뉴로 인식되기 어렵기에 대표 메뉴 고려군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함.
•
싱가포르에서는 삼계탕, 비빔밥 메뉴가 현지 한식당에서 판매가 높은 메뉴이며 또한 취식 경험율이 50%를 상회하여 이미 한식 대표 메뉴로 어느정도 인식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갈비구이 및 불고기의 경우도 한식 대표 메뉴로서의 가능성이 높음. 싱가포르 인구 중 75%를 차지하는 화교들에게 한국산 인삼의 인식이 좋아 보양식으로 삼계탕의 인기가 높은 것으로 추정됨. 이를 증빙하듯 싱가포르의 대표적 외식업체 크리스탈 제이드에서 운영하는 한국 음식점의 이름은 „삼계탕과 바비큐(Jinseng Chinken & BBQ)‟임. [그림] 파리 한식 취식경험 및 한식당 인기메뉴 매트릭스
* 한식당 인기메뉴 : 파리 내 한식당 운영 점수(n=69) * 취식경험율 : 한식 취식 경험자(n=171)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그림] 싱가포르 한식 취식경험 및 한식당 인기메뉴 매트릭스
* 한식당 인기메뉴 :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점수(n=39) * 취식경험율 : 한식 취식 경험자(n=431)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77
싱가포르
2.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 및 한식당 포지셔닝 가.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 포지셔닝 •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 실시한 소비자 조사를 통해 한식을 포함한 대표적인 에스닉 푸드 5종(한식, 이태리식, 일식, 중식, 태국식)을 제시하고 각 음식별로 가장 잘 어울리는 형용사를 5가지씩 선택하게 함으로써 에스닉 푸드별 이미지를 평가하였음.
•
위 데이터 분석 결과, 한식의 차별적 포지셔닝을 위해 가장 유의미하게 해석되는 속성들을 추려되었고 이를 기준으로 포지셔닝맵으로 도식화하였음. -
가로축 1(건강한) / 가로축2(영양이 풍부한) : „건강한‟, „영양이 풍부한‟이라는 속성에서 한식이 상대적으로 차별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기준으로 각 에스닉 푸드의 도시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한식의 향후 타에스닉 푸드 대비 차별성이 높은 포지셔닝 방향을 도출함. -파리의 경우 한식에서 제공되는 채소로 인해 „건강한‟의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싱가포르의 경우 보양식으로 삼계탕이 큰 인기를 얻고 있어 한식이 상대적으로 „영양이 풍부한‟ 이미지를 강하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됨.
-
가로축 3(전통적인) – 에스닉 푸드로서의 이국적이고 새로운 느낌을 제공하는 지가 향후 한식을 지속적으로 소개하고 전파시키는 데 있어 주요한 속성이라고 판단되어 이를 기준으로 한 에스닉 푸드별 포지션을 살펴봄.
-
세로축(고급스러운) : 각 에스닉 푸드별 얼마나 고급스러운 음식으로 혹은 값싸게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고급스러운‟ 값을 기준으로, 그 반대축은 „적당한, 간단한, 편리한‟을 기준으로 각 에스닉 푸드별 포지션을 도출함.
•
결과적으로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 포지셔닝은 고급감을 기본 축으로 건강, 영양, 전통/새로움 측면에서 각각 도출한 결과는 아래와 같음.
고급-건강 측면 •
고급감 측면에서 파리에서는 일식이, 싱가포르에서는 이태리식이 확고하게 높게 고급스러운 음식으로 포지셔닝되어 있음. 한식의 경우는 고급감 측면에서는 타에스닉 푸드 대비 중간 정도의 이미지를 구축 중임.
•
건강 측면에서는 파리 및 싱가포르 모두에서 일식이 건강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단, 한식의 경우 파리보다는 싱가포르에서 한식이 일식에 근접하게 건강한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어 소비자 인상 상에서의 한식의 차별적 포지셔닝 기회는 싱가포르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됨.
178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고급-영양 측면 •
영양 측면에서는 파리 및 싱가포르 두 도시 간 에스닉 푸드별 인식 차이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남. 파리의 경우는 이태리식이 영양가가 높은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경우는 한식이 일식 및 중식에 비해 근소한 차이로 더 영양가가 높은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고급-전통/새로움 측면 •
에스닉
푸드의
친숙도
측면에서는
파리에서는
이태리식이,
싱가포르에서는
중식이 가장 친숙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파리에서의 한식은 평균 보다 낮은 친숙도를 나타내고 있어 상대적으로 새롭고 독특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으며, 싱가포르에서는 타 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이 중간수준의 위치를 점유 중임.
파리
[그림] 싱가포르 및 파리 한식 포지셔닝(1) 싱가포르
[Luxurious – Healthy]
[Luxurious – Healthy]
[Luxurious – Nutrious]
[Luxurious – Nutrious]
[Luxurious – Traditional]
[Luxurious – Traditional]
* 한식 및 각 에스닉 푸드의 위치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나타냄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79
싱가포르
건강-영양 측면 •
건강-영양이라는 두 가지 속성으로 각 에스닉 푸드를 맵핑하였을 경우 한식의 차별적 포지셔닝 구축이 가장 강력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음.
•
특히, 싱가포르에서는 일식대비 건강 이미지는 유사하나 영양적 측면에서는 한식이 더 영양가가 많은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음. 이는 삼계탕과 같은 보양식이 화교가 많은 싱가포르인들에게 어필한 결과로 여겨지며, 파리에서는 이러한 영향력이 낮으므로 파리인에게 어필될 수 있는 한식만의 영양 측면 차별화 포인트 발굴이 필요함
건강-창의적 측면 •
에스닉
푸드가
제공할
수
있는
창의적/현대적(Creative/Modern)인
이미지에
있어서 파리에서는 일식이, 싱가포르에서는 이태리식이 그 이미지를 강하게 점유하고 있음. •
이태리식의 경우는 건강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아 일식이 건강하면서도 창의적이고 새로운 이미지로서의 차별적 위치를 두 도시 모두에서 점유하고 있음. 한식은 건강-창의적 이미지 측면에서 일식보다 다소 낮지만 유사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음.
영양-창의적 측면 •
창의적 이미지 측면에서 파리에서는 한식은 에스닉 푸드로서의 새로움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창의적 이미지로, 싱가포르에서는 서양식 대비 아시안 음식으로 익숙하다는 점 때문에 전통적 이미지에 다소 가깝게 자리잡고 있음.
•
두 도시 모두에서 한식은 에스닉 푸드로서의 새롭고 창의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유지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짐.
180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그림] 싱가포르 및 파리 한식 포지셔닝(2) 파리
싱가포르
[Healthy - Nutritious]
[Healthy - Nutritious]
[Healthy - Traditional]
[Healthy - Traditional]
[Nutritious - Traditional]
[Nutritious - Traditional]
* 한식 및 각 에스닉 푸드의 위치는 평균값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나타냄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181
싱가포르
나.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당 포지셔닝 •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 실시된 한식당 진출현황 조사를 통해 수집된 여러 데이터 가운데 두 도시별 차이를 보여주는 ‘타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당의 프리미엄 수준, 한식당의 규모, 한식당을 방문하는 주요 외식상황’과 같은 지표로 두 도시 간 한식당 포지셔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향후 각 도시에서의 한식당 전략방향을 살펴보고자 함. 한식당의 프리미엄7 가치
•
한식당
프리미엄
수준은
싱가포르가
파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남.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프리미엄 지표는 1.1, 파리는 0.9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싱가포르 한식당이 타에스닉 푸드 대비 더 높게 음식의 가격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볼 수 있음.
한식당 규모(평균 좌석수 기준) •
파리에 비해 싱가포르 내 한식당이 규모면에서 대형화 되어 있음. 싱가포르 내 한식당 평균 좌석는 94.3석으로 파리 내 한식당 평균 좌석 수인 46.2석에 비해 2배 가까이 큰 것으로 나타남. 이것은 두 도시의 한식당 창업계기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파리의 경우 한국인 유학생이 현지 정착을 위한 단순 생계형의 목적으로 중소형의 한식당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고, 싱가포르의 경우는 현지에서의 한식당 사업 기회를 높이 평가하고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좋은 사업가들이 중대형 한식당을 운영하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됨.
외식상황별 한식당 방문 •
파리가 싱가포르에 비해 비즈니스 목적, 사회적 관계 등 격식이 필요한(Formal) 상황에서 에스닉 푸드 음식점을 방문하는 경우가 다소 높게 나타남. 또한, 두 도시 모두에서 한식은 타에스닉 푸드 대비 좀더 격식이 필요한(Formal) 외식 상황에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남.
•
단, 한식 및 한식당 이미지의 고급화를 통해 한식이 보다 더 고급음식으로 포지셔닝되어 진다면 격식있는 외식모임 시의 대안으로 음식의 가격 가치가 한결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임.
7
프리미엄 지표는 각 도시의 한식 평균 객단가와 에스닉 푸드 1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을 비교하여 산출해 냄(프리 미엄 지표 = 한식 평균 객단가/에스닉 푸드 1회 외식 시 평균 지출 금액). 1을 기준으로 지표가 1보다 클 경우, 상대적 으로 한식이 프리미엄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음.
182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그림] 싱가포르 및 파리 한식당 포지셔닝
*Source: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한식 및 한식당의 포지셔닝 방향 •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한식을 향후 홍보하는 데 있어서 타에스닉 푸드 대비 한식만의 차별적인 포지셔닝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영역은 '건강하고 영양가가 많은 음식임.
•
파리에서는 고기와 함께 푸짐하게 제공되는 야채 혹은 비빔밥의 건강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파리 현지인들은 일식 다음으로 한식을 '건강한' 에스닉 푸드로 인식하고 있음. 단, 일식과 차별화된 건강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비빔밥
부각시킴으로써
혹은
일식
불고기의
스시의
채소에서
날생선의
연상되는
신선한
'건강한'
이미지에서
오는
이미지를 '건강한'
이미지와의 차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짐. 이에 반해 싱가포르는 보양식으로 인기가 많은 삼계탕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영양가가 많은 건강한 음식으로 한식의 차별적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짐.
•
또한, 싱가포르에 비해 한식에 대한 관심 및 경험이 낮은 파리의 경우 위에서 제시한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적극적인 한식 홍보활동이 필요함. 장기적으로는 두 도시 모두에서 에스닉 푸드로서의 새롭고 창의적 이미지를 고급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한식당들의 성공 사례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져야 함.
183
싱가포르
3.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및 한식당 진출전략 가.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한식 세계화의 사업 주체는 한식이 확산되도록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원하는 정부의 역할과 실질적으로 한식당 사업을 전개하는 주체인 기업 및 개인의 역할로 구분될 수 있음.
정부, 기업, 개인 각 사업 주체별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 성공적인 현지 한식당 진출과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고 한식 세계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그림] 한식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① 정부
한식 세계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및 지원 활동 •
각 도시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관심도 및 선호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한식관련 홍보 활동을 해야 함.
•
현지에서의 한식당 창업 및 운영 전반에 걸친 지원활동을 해야 함.
•
현지 한식당들의 서비스 및 품질 제고, 그외 전반적인 한식당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한 지원활동을 해야함.
•
해외 각지에서의 한식 활성화를 통한 한식 식재료의 수출 촉진 도모해야 함.
184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② 기업
한식 세계화의 첨병이 될 한식당 사업모델의 구축과 현지 사업 전개 •
기존 국내에서 운영중인 성공적인 한식당 중 해외 진출에 유망한 한식당 사업모델 혹은 현지에 맞는 새로운 한식당 사업모델 개발을 통해 해외에 진출함으로써 한식을 전파하고 선보이는 역할을 해야 함.
•
해외 현지에 맞는 한식 메뉴와 서비스 현지화 작업 등을 통해 한식 세계화의 구체적 성공모델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함.
•
시장 포화상태인 국내 외식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사례 창출로 외식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해야 함.
•
국내 외식업 관련 대기업과 중견 외식업체, 그리고 한식당의 시장 유망성을 높이 평가하는 현지의 외식관련 기업들이 이에 해당함.
③ 개인
한식 세계화의 스피디한 전개를 위한 실전병과 같은 역할 •
현지에서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한식당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거나 현지인에 어필할 수 있는 한식당 사업아이템을 직접 개발하여 운영하는 경우로 현지에서 한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단순 생계형의 목적을 뛰어넘어 한식당의 사업성을 높이 평가하고 참여하는 개인 사업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임.
•
해외 투자 진출에 관심이 있는 국내 거주 개인과 현지 거주 경험을 바탕으로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거나 창업을 하고자 하는 개인들이 이에 해당함.
185
싱가포르
나. 싱가포르 및 파리에서의 한식당 해외 진출전략 1) 한식 확산수준에 따른 진출전략 목표 및 유형
각 도시에서의 한식당 해외 진출전략은 해당 도시별 한식 확산 수준 및 진입 단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전개되어야 함.
실질적 한식당 사업 주체인 기업/개인 중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초기 시장 침투 능력 및 파급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 중심으로 진출 전략을 제시하며 일반적으로 채택 가능한 단계별 진출 전략 유형을 제시함.
단, 실제 진출 시점에서 기업 상황과 현지 환경에 따라 적합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최종 진출전략 유형을 선택해야 함. [그림] 한식 확산수준에 따른 진출전략 목표 및 유형
186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① 대기업 •
초기 자본 및 시장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대기업의 경우에도 시장 진입 초기,
사업모델의
현지화를
위해
테스트샵과
같은
형태의
직영
방식으로
진출하여 현지 시장 노하우를 습득하고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현지 네트워크를 확보해나가는 방식이 바람직함. 인수 자금 및 마케팅 경영 능력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고 빠른 시장 진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수합병 방식도 선택 가능한 옵션이나 이 역시 파견 인력보다는 현지전문가 및 현지인력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식임. •
최초 시장 진입 이후 현지화 모델을 구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단계에서는 투자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도 확장이 용이한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 혹은 디벨로퍼(지역 개발업자) 지정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함. 단, 현지화와 동시에 운영 표준화가 요구되는 단계이므로 일정 수준의 컨트롤 가능성이 확보되어야 함.
•
한식 수용단계가 성장기를 지나 성숙기로 이행될 때는 커버리지 확대 및 수익성을 추구해야하는 단계이므로 가맹 계약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단, 이때에도 본사의 적절한 관여를 통해 메뉴, 서비스, 인테리어 등 전반적인 한식당 구성 요소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한식당의 정체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② 중견/중소기업 •
초기 자본 및 현지 시장에 대한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독자적으로 진출하기 보다는 현지 기업과의 합자 혹은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을 통해 현지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면서 빠른 현지화를 가능케하는 방법임. 다만, 합자 혹은 마스터 프랜차이지 계약 시 현지 외식 시장에 대한 성공 경험 및 사업 노하우가 풍부한 파트너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
•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대해나가는 단계에서는 추가적인 투자에 대한 부담이 적고 확장이 용이한 가맹 방식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
한식 수용단계가 성장기를 넘어 성숙기로 이행될 때는 직영 및 가맹 방식을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전략적 중요도와 상징성이 높은
주요
상권은
직영점
중심으로
운영하며,
가맹점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됨.
187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서는
싱가포르
③ 개인 •
한식당 사업 주체가 개인인 경우 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현지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확실한 사업모델 확보 시 독자 진출도 가능하나, 현실적인 여건과 실패 리스크 최소화를 고려한다면 가맹 방식을 통해 이미 현지 시장에 진출하여 검증된 사업모델을 채택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됨.
188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2) 도시별 한식당 시장매력도 및 경쟁강도
파리와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사업 환경을 시장매력도와 경쟁강도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비교함.
시장매력도는 해당 도시에서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행태가 어떤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보고, 한식 취식 경험율과 한식 향후 취식 의향, 한국의 긍정적 이미지의 평균값으로 산정함.
경쟁강도는 해당 도시에서 선호 에스닉 푸드(TOP5)가 이미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과 특히 직접적 경쟁 관계에 있는 아시안푸드가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의 평균값으로 보고, 선호 에스닉 푸드 TOP5 점유율과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평균값으로 산정함. [표] 도시별 한식당 시장 매력도 및 경쟁강도 비교 축 구분
지표
파리
싱가포르
한식 취식 경험
30.7
87.2
한식 향후 취식 의향
75.6
85.4
한국 긍정적 이미지 TOP2
63.2
95.6
평균
56.5
89.4
선호 에스닉 푸드 TOP5
65.1
85.7
아시안푸드 선호율
47.2
86.9
평균
56.1
86.3
시장매력도
경쟁강도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① 시장매력도 •
싱가포르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 한식 취식 경험, 한식 향후 취식 의향, 한국 긍정적 이미지 등 시장매력도 지표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영주 면담조사 결과, 2005년 드라마 „대장금‟ 방영 이후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한식의
이미지가
높아졌으며
고가의
음식으로
인식됨으로써 시장 매력도 관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라 할 수 있음. •
파리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 수치적으로는 싱가포르 대비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경영주
면담조사
결과,
현지고객이
80~90%를
차지하고
있고,
건강식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파리에서 한식은 새롭고 독창적인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어 단기적인 수익성 관점에서는 싱가포르 대비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나 향후 성장 가능성은 양호하다고 볼 수 있음. 또한, 세계 외식시장에서 파리가 차지하고 있는 상징성과 파급력을 고려한다면, 파리는 한식 세계화 관점에서 반드시 공략해야 하는, 전략적 중요도가 높은 시장임.
189
싱가포르
② 경쟁강도 •
싱가포르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에서 선호 에스닉 푸드(TOP5)가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의 합이 85.7%로 나타남. 특히 직접적 경쟁 관계에 있는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합이 86.9%로 더욱 높게 나타나, 두 지표의 평균인 경쟁강도가 높다고 볼 수 있음.
•
파리의 경우, 소비자조사 결과, 선호 에스닉 푸드(TOP5)가 차지하고 있는 인식 점유율의 합이 65.1%로 싱가포르 대비 상대적으로 낮으며, 직접적인 경쟁 관계에 있는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합은 47.2%로 더욱 낮게 나타나, 두 지표의 평균인 경쟁강도는 싱가포르 대비 낮다고 볼 수 있음.8 [그림] 파리 및 싱가포르 시장매력도 및 경쟁강도 비교
*Source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2010.10)
•
시장 잠재력 및 성공 가능성 측면에서 시장매력도는 높고, 경쟁강도는 낮은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나 싱가포르, 파리 둘 다 해당되지 않음.
•
두 도시를 비교했을 때, 싱가포르는 시장매력도가 높지만 경쟁강도 또한 높아 시장 진입 시 어려움이 예상되나, 한식에 대한 관심과 경험율이 높고 한류의 영향력 또한 확대되고 있으므로 한국 문화와 연계하여 한식당의 차별적 특성을 강조한다면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
•
파리는 시장매력도와 경쟁 강도가 싱가포르 대비 둘 다 낮으나 앞서 기술한 것과 같이 세계 외식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파리의 상징성과 파급력을 고려하여 시장매력도를 판단하여야 하며, 경쟁 강도의 경우 수치적으로는 싱가포르 대비 낮으나 아시안 푸드가 아닌 타 에스닉 푸드의 선호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파리에서 대표 아시안푸드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함.
8
파리의 경우, 선호에스닉 푸드 TOP5는 이탈리아식, 중식, 일식, 인도식, 태국식의 합이며, 아시안푸드 선호율은 한식을
제외한 아시안 푸드 선호율의 합을 의미함. 싱가포르의 경우, 선호에스닉 푸드 TOP5는 일식, 중식, 태국식, 인도네시아식, 인도식의 합이며, 아시안 푸드 선호율은 파리와 마찬가지로 한식을 제외한 아시안푸드 선호율의 합을 의미함.
190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3)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유형
도시 별 전략 유형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앞서 제시된 6가지 한식당 사업 진출전략 유형을 투자 여력, 위험감수 수준, 통제 용이성, 투자비용 회수 측면에서 평가하였으며, 시장 매력도 및 경쟁강도 비교를 통해 도출된 도시별 시장 특성 및 시사점을 고려하여 적합도가 높은 진출전략 유형을 최종적으로 도출함. [표]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유형 적합도 평가 전략 유형 적합도 주요 특징 파리
싱가포르
직영
파리는 현지고객들에게 한식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를 형성시키는 것이 주요 과제이므로 컨트롤이 용이한 직영점이 바람직함. 싱가포르는 본격적인 시장공략을 위해 사업모델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므로 현지화를 위한 테스트가 용이한 직영점이 바람직함.
√
√
합자
현지 외식시장에 대한 노하우가 풍부한 현지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 하면서 한식당을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파리∙ 싱가포르 둘 다 적합한 유형임.
√
√
인수합병
현지 시장에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거나 입지 매력도가 높은 사업자가 존재하는 경우 적용이 가능한 유형이나 파리, 싱가포르 둘 다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됨.
마스터 프랜차이지 (Master Franchisee)
싱가포르는 본격적으로 한식당을 확산해나가는 단계이므로 현지 외식시장에서의 경험이 풍부한 가맹 사업자를 통한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됨.
디벨로퍼 (지역 개발업자 지정)
가맹점 계약
파리의 경우,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보다는 통제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직영체인 형태인 디벨로퍼 방식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됨. 통제가 어렵고 변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업 주체가 기업인 경우 파리, 싱가포르 둘 다 적합하지 않은 유형임.
191
√
√
싱가포르
파리 한식당은 성장기로 이행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어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주요한 전략 목표가 되어야 함. 파리에서 적합한 진출 전략 유형은 직영, 합자, 디벨로퍼(지역 개발사업자) 지정방식임.
•
직영방식 : 파리의 경우, 한식에 대한 이미지와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플래그쉽(Flagship)
역할의
한식당이
필요한
상황임.
플래그쉽
레스토랑급의
한식당 아이템을 개발하고 투자, 운영할 수 있는 대자본을 갖춘 대기업 혹은 중견기업 수준에서 가능한 진출전략임. •
합자방식 : 한식에 대한 관심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홍보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파리 현지 시장 및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현지 외식업에서의 마케팅 및 경영능력을 갖춘 프랑스 현지 기업과의 합자방식으로 진입하는 것이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임.
•
디벨로퍼(지역 개발사업자) 지정방식 : 한식에 대한 홍보 마케팅 활동 능력과 의지가 있고, 자본력과 경영 능력을 갖춘 중견 혹은 대기업 파트너를 만나 진행한다면 가능한 진출전략 방식임.
•
그 외 직접적으로 가맹사업을 전개하는 것은 아직 한식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어느 정도 형성된 이후에 가능한 진출전략이라고 볼 수 있음.
싱가포르 한식당의 확산 수준은 파리 대비 높으며 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위치해 있으므로 한식당 사업 모델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것을 전략 목표로 설정해야 함. 싱가포르에서 적합한 진출 전략 유형은 직영, 합자,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임.
•
직영방식 : 한식에 대한 수용도 및 시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CJ 푸드빌의 비비고가 직영방식으로 싱가포르 1호점을 2010년 12월 오픈하였음. 현지 1호점은 현재의 입점 위치 및 규모를 보았을 때 임대료가 상당히 높은 곳으로 비빔밥 판매를 통해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의견이나 단기적인
수익성
추구보다는
현지시장
노하우를
축적하고
현지화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접근하였음. CJ 비비고와 같은 국내 기업들의 새로운 시도들이 지속됨에 따라 한식 세계화의 구체적인 성공 노하우가 국내 기업들에 축적될 수 있을 것임. •
합자방식 :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싱가포르에서는 크리스탈 제이드와 같이 현지의
외식사업에
대한
성공노하우가
많은
업체와
함께
한식당
사업에
합자방식으로 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 특히, 크리스탈 제이드의 경우는 한식에 대한 붐을 감지하여 크리스탈 제이드 진생 치킨 & 코리언 바비큐라는 한식당 2개점을 싱가포르 현지에서 이미 운영 중임. 대기업
혹은
중견
외식기업의 192
한식에
대한
이들의 노하우와 국내
통찰력이
결합된다면
한식을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확산시키는 데 있어 성공적인 한식당 사업모델이 나올 수 있으리라 여겨짐. •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 : 마스터 프랜차이지 방식을 통해 놀부 항아리 갈비 및 BBQ의 경우 각각 2개점, 9개점의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음. 두 업체 모두 한류 붐을 겨냥해 한국에서 인기있는 외식업체임을 매우 강조하였음. 그외 BBQ의 경우는 현지화된 메뉴 도입, 현지 인구의 15% 정도를 차지하는 무슬림을 겨냥한 할랄 푸드 인증제 도입 등 현지화된 사업모델을 구축하였음. 놀부 항아리 갈비도 싱가포르 1호점 개설 시 한국 본사에서 약 3개월간 조리 인력 등을 지원받아 현지에 맞는 메뉴 개발 및 시스템 운영에 많은 노력을 쏟음. 이와 같이 자사의 한식당 컨셉을 현지인들이 원하는 속성에 맞게 어떻게 변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
•
그외 싱가포르로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개인, 현지의 개인 및 교포는 가맹사업을 통해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앞서 언급한 놀부 항아리 갈비 및 BBQ의 경우는 외식업체 운영경험이 없지만 본사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는 가맹주들이 대부분임.
193
싱가포르
4) 파리 및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 활성화 지원 방안
도시별 특성에 따라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 상황에 맞는 지원 방안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 파리의 경우 한식 및 한식당에 대한 인지도 확보가 중요하므로 한식 및 한국 국가 브랜드에 대한 현지 캠페인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싱가포르에서는 한식에 대한 관심 및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어 한식을 경험해 보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메뉴 개발 지원을 통해 한식에 대한 취식 빈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
현지 한식당 활성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수 있는 한식당 지원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림]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한식당 지원센터 운영
194
도시별 한식당 진출전략
[표]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요약 구분
한식 이미지 재고
내용
대응
한식 시식 행사
세분화된 타겟 관점에서 접근하여 시식행사 이후 실제 한식당 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게 행사 기획 – 프로모션 이벤트를 통해 당첨된 사람에게는 한식당 이용쿠폰 제공 등
시장 정보 및 마케팅 활동 지원
現 진행중
창업 자금 지원
現 진행중 – 홍보 필요
창업 과정 지원
한식당 창업교육 프로그램 혹은 창업관련 정보제공 및 지원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운영
우선적으로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 지원 한식당 해외진출 가이드북에서 제시
한식당 홍보물 운영지원
한식 및 한국 문화/풍경 관련 이미지 뱅크 운영 지원
조속 대응 필요 한식당 점주들의 니즈 高
메뉴 연구 개발 지원
현지인 식문화 특성에 맞게 코스화할 수 있도록 전식 및 후식 메뉴 개발 지원(파리)
메뉴 상세 안내 교육
한식재단 한식 메뉴별 영문표기 및 설명 자료 홍보 필요 –파리 및 싱가포르 교민협회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홍보
한식 홍보 행사
한식당 오픈 활성화 한식당 오픈 지원
메뉴
한식당 운영 지원 서비스 교육
종업원 친절 교육
현재 타국가 대상으로 진행중 –파리 및 싱가포르 현지 실시 필요
프로그램
해외 한식당 창업 & 운영 지원 종합 인터넷 포털 사이트 개설
메뉴의 양을 조절하여 소량화시킨 음식들의 세트메뉴 구성으로 한식에 대한 취식 빈도를 증대 (싱가포르)
식당 운영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점들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및 루트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개설
195
해외 한식당 활성화를 위해 적극 검토
싱가포르
파리의 경우 한식당의 확산 단계가 여전히 진입기에 머물고 있어 한식 자체에 대한 관심과 선호를 형성하는 것이 한식당 활성화의 전제 조건임.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파리 현지인들에게 한국 문화와 한식을 효과적으로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행사와 국가 차원의 캠페인이 전개되어야 함.
•
한국 및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홍보 캠페인 활동이 기본적으로 필요함.
•
한식 체험행사의 경우, 단순한 한식 체험 행사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체험 행사 이후 실제 현지에 있는 한식당 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게 행사 기획하고, 프로모션 이벤트를 통해 당첨된 사람에게는 한식당 이용쿠폰 제공 행사 진행 등이 필요함.
•
현지인 식문화 특성에 맞게 요리 제공 형태가 코스화 될 수 있도록 전식 및 후식 메뉴 개발 지원이 필요함.
싱가포르의 경우 한식당 확산 단계가 진입기를 지나 성장기에 위치해 있고, 한식에 대한 관심 및 한류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싱가포르 현지인들로 하여금 실제로 한식을 경험해보고 한식당 방문까지 유도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야 함.
•
한식당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한류 연계 캠페인 및 쿠폰 등 실질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
•
현지 고객들은 대부분 한식당 방문 시 Korean BBQ 혹은 삼계탕을 한식당의 대표 메뉴로 생각하므로 예상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 따라서, 현지 고객들의 한식 수용도를 높이기 위해 중가대 메뉴 구성에 대한 연구 및 제시가 필요함. 예를 들면, 메뉴의 양을 조절하여 소량화시킨 음식들의 세트메뉴 구성으로 한식에 대한 취식 빈도를 높이는 방안들이 필요함.
196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Executive Summary
1. 싱가포르 내 한식당 현황 가.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발전 현황 싱가포르
현지에서의
발전하였으나,
한
한식당은
가지
서비스의
메뉴만을
제공
전문적으로
형태에 판매하는
따른
구분으로는
„전문점‟
형태의
다양하게 한식당은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음. 이는 아직까지 한식이 싱가포르 내에서 발전 초기 단계에 있고, 싱가포르 현지인들에게 알려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으로 판단됨.
나. 싱가포르 내 한식당 경영주 식당 운영 기간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 중인 전체 39개 한식당 중 10년 이상 된 한식당도 조사 대상인 39개의 한식당 가운데 8.0%정도에 불과한 만큼 현재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역사는 길지 않은 상황임. 다.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입점 위치 싱가포르는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센트럴(Central),
웨스트(West),
노스(North),
노스
이스트(North East), 이스트(East) 총 다섯 개의 지역으로 구분됨. 센트럴(Central)지역에는
한식당이
23개가
있으며,
웨스트(West)지역에는
총
9개,
이스트(East)지역에는 7개, 노스(North)지역에는 한식당이 없음. 2.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현황 가.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형태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전체 39개의 한식당 중 76.0%는 법인직영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24.0%는 개인 운영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나. 싱가포르 내 한식당 메뉴 운영 싱가포르 내 한식당이 운영하는 한식 메뉴 기준으로는 평균 49개 정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한식당에서 판매하는 매출 기준으로 한식 메뉴 중 삼계탕이 42.9%로 가장 많이
199
싱가포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돌솥 비빔밥이 39.3%이며, 갈비 32.1%, 불고기 17.9%순임. 다. 싱가포르 내 한식당 인력 운영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한식당에서 고용한 종업원 수는 매니저는 평균 0.9명이며, 서빙 종업원은 평균 4.7명, 청소 종업원은 평균 0.8명, 조리사는 평균 3.3명 정도를 고용함. 종업원 별로 국적은 매니저의 경우 60.6% 정도가 한국인이며, 서빙은 한국인을 고용하는 경우가 43.4%, 조리사는 한국인을 고용하는 경우가 40.0%, 청소 종업원은 한국인을 고용하는 경우가 없음. 라. 객단가 및 매출 관리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한식당의 메뉴 평균 객단가는 SG$ 21.0이며, SG$ 15 이하인 경우가 46.2%, SG$ 21~30인 경우가 26.9%로 나타남. 3. 싱가포르 내 한식당 시설 현황 가. 싱가포르 내 한식당 규모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한식당의 평균 테이블 수는 22.4개 정도이며, 한식당 중 테이블수가 25개 이하인 경우가 전체 한식당 중 77.2% 정도로 한식당의 규모는 대체로 중규모인 경우가 대부분임. 4. 한식당 고객 특성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고객으로 한국인의 비중보다 싱가포르 현지인의 비중이 많은 편임 싱가포르의 경우 한식당을 방문하는 고객층은 대체로 20대와 30대이며, 남성보다는 여성고객의 방문이 더 많음. 20대와 30대의 연령층이 많은 이유는 한국을 방문해 본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식에 대한 구전효과와 K-POP을 중심으로 하는 신한류의 확산에 따라, 20~30대의 젊은 세대 중심으로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호감이 형성되었고, 이는 다시 한식의 선호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200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Ⅰ. 싱가포르 내 한식당 현황 1.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발전 현황 •
싱가포르 현지에서의 한식당은 우리나라의 푸드 코트 개념인 호커센터에서부터 일반적인 캐주얼 다이닝, 패밀리 다이닝 형태까지 나타나고 있으며, 서비스 측면에서는 호커센터는 셀프 서비스 방식, 캐주얼 다이닝과 패밀리 다이닝은 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다양화 되고 있음.
•
그러나
한
가지
메뉴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전문점‟
형태의
한식당은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음. 이는 아직까지 한식이 싱가포르 내에서 발전 초기 단계에 있고, 싱가포르 현지인들에게 알려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으로 판단됨. 현재 싱가포르 현지인들은 여러 가지 한식 메뉴에 대해 궁금해 하며, 한 가지의 한식메뉴를 먹기 보다는 한 번에 다양한 한식 메뉴를 먹어 보고자 함.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 한 가지 한식 메뉴만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전문점‟ 형태의 한식당은 나타나지 않고 있음.
2. 싱가포르 내 한식당 경영주 식당 운영 기간 •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 중인 전체 39개 한식당 중 76.0%는 현 경영주에 의해 운영된지
5년 이하로, 오래되지 않은 한식당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 운영된지
10년 이상 된 한식당도 조사 대상인 39개의 한식당 가운데 8.0%정도에 불과한 만큼 현재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역사는 길지 않은 상황임. [그림] 한식당 경영주의 식당 운영경력
□ 질문 :귀하의 식당 운영 경력은 총 몇 년입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01
싱가포르
3.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입점 위치 •
싱가포르는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센트럴(Central), 웨스트(West), 노스(North), 노스 이스트(North East), 이스트(East) 총 다섯 개의 지역으로 구분됨.
•
센트럴(Central)지역에는
한식당이
23개가
있으며,
오차드
로드에
3개,
에스플러네이드에 1개, 탄종파가에 6개, 뎀시로드와 노베나, 홀란드 빌리지에 1개가 있음. •
웨스트(West)지역에는 총 9개, 이스트(East)지역에는 7개, 노스(North)지역에는 한식당이 없음. [그림] 싱가포르의 주요 상권 분류 및 한식당 분포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02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Ⅱ.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현황 1. 싱가포르 내 한식당 운영 형태 •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전체 39개의 한식당 중 76.0%는 법인직영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24.0%는 개인 운영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
싱가포르에서의 한식당은 일부 경영주가 분점을 내는 정도에서 확장이 되는 초기 성장단계이며, 프랜차이즈 형태의 가맹점은 아직 현지에서 없는 것으로 파악됨. [그림] 한식당의 운영 형태
□질문 :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한식당은 법인직영/법인가맹/개인운영 중 어떤 형태로 운영되고 있습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03
싱가포르
2. 싱가포르 내 한식당 메뉴 운영 •
싱가포르 내 한식당이 운영하는 메뉴 수는 전체 메뉴 기준으로 평균 50개 정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한식 메뉴 기준으로는 평균 49개 정도로, 전체 메뉴 중 한식메뉴 운영 비중은 99.5%정도임.
•
한식 메뉴 중 삼계탕이 42.9%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돌솥 비빔밥이 39.3%이며, 갈비 32.1%, 불고기 17.9%순으로 판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인기 판매 메뉴
□질문 : 매출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판매 되는 메뉴는 어떤 것들인가요? 5가지를 말씀해 주세요. 그 메뉴들의 가격은 어떻게 되나요? * 바차트는 매출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메뉴 1순위, 꺽은선은 매출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매출 1~7순위 중복응답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04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3. 싱가포르 내 한식당 인력 운영 •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한식당에서 고용한 종업원 수는 매니저는 평균 0.9명이며, 서빙 종업원은 평균 4.7명, 청소 종업원은 평균 0.8명, 조리사는 평균 3.3명
정도를
고용함.
종업원
별로
국적은
매니저의
경우
60.6%
정도가
한국인이며, 12.9%가 현지인, 26.5%가 타국인으로 나타남. [그림] 종업원별 인원 수
□질문 : 현재 귀하의 한식당 종업원이 몇명입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서빙 종업원의 경우 현지인의 비중이 43.4%이며, 타국인이 39.7%, 한국인의 비중은 16.9%로 나타남. 청소 종업원의 경우 한국인을 고용하는 경우는 없으며, 현지인의 비중은 28.6%, 타국인의 비중이 71.4%로 가장 높음. 조리사의 경우 한국인을 고용하는 경우가 40.0%, 타국인이 42.1%이며, 현지인을 고용하는 경우는 17.9%로 적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종업원별 국적 구성
9
□질문 : 현재 귀하의 한식당 매니저는 어디의 국적을 소유하고 있습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9
타국인의 경우 미얀마, 필리핀, 조선족, 인도, 베트남 인등임
205
싱가포르
4. 객단가 및 매출 관리 •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한식당의 메뉴 평균 객단가는 SG$ 21.0이며, SG$ 15 이하인 경우가 46.2%, SG$ 21~30인 경우가 26.9%로 나타남.
•
한식당의 매출비중은 점심이 56.7%, 저녁이 42.6%로 점심의 비중이 저녁 대비 다소 높으며, 아침 매출 비중은 0.7%로 대체로 아침 매출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한식당 객단가 분포
□질문 : 귀하의 한식당의 평균 객단가는 얼마입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06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Ⅲ. 싱가포르 내 한식당 시설 현황 1. 싱가포르 내 한식당 규모 •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한식당의 평균 테이블 수는 22.4개 정도이며, 한식당 중 테이블수가 25개 이하인 경우가 전체 한식당 중 77.2% 정도로 한식당의 규모는 대체로 중규모인 경우가 대부분임. [그림] 테이블 수
□질문 :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한식당 내에 테이블 수는 얼마나 되십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한식당의 좌석 수도 평균 94.3개이며 71~100개인 경우가 34.4%, 51~70개인 경우가 21.9%로 나타났으며, 좌석수가 50~100석 정도의 규모인 한식당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좌석 수
□질문 : 현재 운영하고 계시는 한식당 내에 좌석 수는 얼마나 되십니까?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 주차장 현황 •
싱가포르 내 현재 운영중인 39개의 한식당 가운데, 주차장이 있는 한식당은 59.5%로 나타남. 또한, 규모가 클수록 주차장 시설을 보유하는 비율이 높음.
207
싱가포르
Ⅳ. 한식당 고객 특성 •
싱가포르 내 한식당의 고객으로 한국인의 비중보다 싱가포르 현지인의 비중이 많은 편임.
•
싱가포르의
경우
한식당을
방문하는
고객층은
대체로
20대와
30대이며,
남성보다는 여성고객의 방문이 더 많음.
•
20대와 30대의 연령층이 많은 이유는 한국을 방문해 본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식에
대한
구전효과와
K-POP을
중심으로
하는
신한류의
확산에
따라,
20~30대의 젊은 세대 중심으로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호감이 형성되었고, 이는 다시 한식의 선호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Ⅴ. 한식당 향후 발전 방향 관련 제언 •
현재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은
특정
메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기보다는
일반적으로 30~50가지 정도의 다양한 한식 메뉴를 모두 취급하며, 한식당 발전 초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됨. 현지에 불고 있는 한류 열풍,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향후 한식당의 확산 및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한식당을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 •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에서는 싱가포르에 있는 한식당의 정확한 개수는 물론, 운영 상태 및 현황에 대한 정보가 전혀 관리되고 있지 않은 실정임. 향후 좀 더 체계적인 한식 세계화 및 한식당에 대한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현지의 한식당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고 변화 추이를 살피는 것이 필요함. 이를 위해 2010년 진행된 싱가포르 한식당 진출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싱가포르 현지 한식당의 운영 현황, 고객 특성, 메뉴 분석, 한국산 식재료 사용 여부, 운영 시의 애로사항 및 지원 희망 사항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208
싱가포르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싱가포르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Executive Summary
1. 싱가포르 내 식재료 유통 현황 싱가포르의 경우, 농축산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에 많은 식재료 부분들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식품의 90% 이상을 수입하며 특히 농산물의 수입이 많음. 현재 싱가포르에서의 식재료 관련 트랜드는 유기농 식품 소비 확대, 조리 식품 수요 증가, 해외 농산물 수요 증가 등을 꼽을 수 있음. 2. 싱가포르 내 식재료 시장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현재 싱가포르 내의 한인 수는 2만 명 정도이며, 한식당 규모는 2010년 10월 기준, 49개로 파악됨 (호커센터, 푸드코트 등에서 한식을 취급하는 식당까지 모두 포함하면 약 130여 개 정도로 추정됨). 한국산 식품 유통업체는 도소매 모두 포함하여 약 13개로 파악됨. 현지 한식당들의 한국산 식재료 수급 구조는 아래와 같이 총 3 가지의 루트로 구성됨. -
첫째, 한국 내 식품 수출업체 → 싱가포르 현지 도소매 업체 → 싱가포르 현지 소매 한인 슈퍼 → 현지 한식당
-
둘째, 한국 내 식품 수출업체 → 싱가포르 도소매 업체 → 현지 한식당
-
셋째, 한국 내 식품 수출업체 → 현지 한식당
대부분의 한식당들은 장류(고추장, 간장, 된장 등), 소스류(불고기 소스 등), 파우더류 (부침가루, 밀가루 등), 액젓 및 젓갈류를 한국산 식품 유통업체를 통해 수급 받음. 한국 농식품의 싱가포르 수출 금액은 2009년 기준, US$4,870만으로 2008년 보다 약 23.9% 증가하였음. 2007년에는 한국산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싱가포르 농산물 수입액 중 0.6%인 US$2,986만에 불과 했음. 하지만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09년에는 US$4,873만으로 2007년 대비 38.7%의 신장세를 보이며 한국 농식품 수출 비중은 여전히 적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짐. 3. 싱가포르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 싱가포르의 경우, 한국산 식재료 수급이 해외 他 지역에 비해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싱가포르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로는 공급 및 가격 안정성 취약, 211
싱가포르
한국산 육류 수입 불가, 식품 안전성 측면 부족, 싱가포르의 까다로운 수입 규제, 대용량 제품 수입 부족이 나타남. 4. 한식 식재료 수출 활성화 전략 한식 식재료 수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식재료의 공급 범위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므로, 한식 식재료의 타겟을 외식업소, 특수 급식소, 개인 소비자로 확대하여 한식 식재료가 개발되어야 함. 또한 현지 시장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현지 한식당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지원으로 한식당 수를 늘리고 현지에서의 인지도를 갖추어여 함. 동시에 한식에 대한 정의를 규정하고 한국적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야 함.
212
싱가포르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Ⅰ. 싱가포르 내 식재료 유통 현황 •
싱가포르의 경우, 농축산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나라이기 때문에 많은 식재료 부분들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식품의 90% 이상을 수입하며 특히 농산물의 수입이 많음.
•
현재 싱가포르에서의 식재료 관련 트랜드는 유기농 식품 소비 확대, 조리 식품 수요 증가, 해외 농산물 수요 증가 등을 꼽을 수 있음.
•
싱가포르도 점점 서구화 되어가면서, 대형 유통업체들의 매출과 인지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
싱가포르
내의
주요
대형
유통업체로는
엔티유씨
페어프라이스(NTUC Fairprice), 콜드 스토리지(Cold Storage), 쉥 시옹(Sheng Siong), 자이언트(Giant), 까르푸(Carrefour) 등이 있으며, 일부 한국산 식품 및 식재료가 입점한 곳도 있음. [표] 싱가포르 도소매부문 및 대형유통업체 비교표 매출액
매출 순위
업 체 명
설립년도
주 취급품목
엔티유씨 페어프 라이스
1973
농수축산식품, 일용잡화, 가전
1903
농수축산식품, 일용잡화
1985
농수축산식품, 일용잡화
약 SG$ 6.5억
3위
1944
농수축산식품, 일용잡화
Cold Storage 와 통합
4위
1997
농수축산식품, 일용잡화, 가전
SG$ 1.8억
5위
(NTUC Fairprice) 콜드 스토리지 (Cold Storage) 솅 시옹 (Sheng Siong) 자이언트 (Giant) 까르푸(Carrefour)
(2008년) SG$ 18억 (슈퍼부문) 약 SG$ 14억 (그룹전체)
1위
2위
*Source : 농수산물 무역정보 (www.kati.net)
213
싱가포르
Ⅱ. 싱가포르 내 식재료 시장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
현재 싱가포르 내의 한인 수는 2만 명 정도이며, 한식당 규모는 2010년 10월 기준, 49개로 파악됨 (호커센터, 푸드코트 등에서 한식을 취급하는 식당까지 모두 포함하면 약 130여 개 정도로 추정됨). 한국산 식품 유통업체는 도소매 모두 포함하여 약 13개로 파악됨.
•
현지 한식당들의 한국산 식재료 수급 구조는 아래와 같이 총 3 가지의 루트로 구성됨. -
첫째, 한국 내 식품 수출업체 → 싱가포르 현지 도소매 업체 → 싱가포르 현지 소매 한인 슈퍼 → 현지 한식당
-
둘째, 한국 내 식품 수출업체 → 싱가포르 도소매 업체 → 현지 한식당
-
셋째, 한국 내 식품 수출업체 → 현지 한식당 [그림] 한국산 식재료 수급 구조 모형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14
싱가포르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
대부분의 한식당들은 장류(고추장, 간장, 된장 등), 소스류(불고기 소스 등), 파우더류 (부침가루, 밀가루 등), 액젓 및 젓갈류를 한국산 식품 유통업체를 통해 수급 받음.
•
육류의 경우에는 대부분 현지 업체를 통해 수급을 받으며 야채류는 현지 업체 또는 현지 재래식 도매시장인 파시판장을 통해 수급 받거나 그곳에서 직접 구입함. 건조제품의 경우에도 역시 현지 업체 또는 파시판장, 현지 마트 등을 이용하여 수급 받거나 구입함.
•
한식당들이 사용하는 식재료 중 한국산 식재료의 평균 비중은 38.8%로 나타남.
•
특히 양념류는 83.8%, 주류는 81%로 높게 나타남.
•
반면 육류의 경우에는 한국산 육류가 싱가포르로 수입이 금지 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산 재료 비중이 0%로 나타남.
•
싱가포르 내 한식당들의 구체적인 식재료 수급 상황은 아래의 표와 같음. [표] 싱가포르 한식당 식재료 조달 및 사용 현황
한국산 재료 비중
사용량 Top3
평균
곡류
육류
어패류
채소류
반가공 식품
양념류
주류
38.80%
30.60%
0%
16.90%
8.80%
50.80%
83.80%
81.00%
쌀 46.30%
닭고기 56.10%
고등어 29.30%
중국 배추 26.80% 양파 24.40% 배추 12.20%
라면 9.80%
고추장 48.80%
소주 56.10%
172.5Kg
28.6Kg
-
콩 소고기 오징어 17.10% 41.50% 19.50% 찹쌀 돼지고기 새우 12.2% 41.50% 12.20%
한 달 평균 5,872Kg 408.4Kg 69.6Kg 사용량 평균 SG$ 5.8 SG$ 12.6 SG$ 9.9 구입 (Kg) (Kg) (Kg) 단가 평균 월 15.2 구매 월 8.2회 월 4.8회 월 6.8회 회 주기 일본 현지 현지 업체 구매처 업체 업체 19.5% 19.50% 44.10%
당면 9.80% 냉면 7.30%
고춧가루 막걸리 39.00% 39.00% 된장 맥주 26.80% 34.10% 72.5Kg
643.4병
SG$ 3.3 SG$ 6.5 SG$ 11.3 SG$ 21.1 (Kg) (Kg) (Kg) (병)
월13.4회 월 5.9회 월 6.7회 월 4.5회 현지
한국
한국
한국
업체
업체
업체
업체
29.30%
9.80%
43.90%
51.20%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15
싱가포르
•
한국 농식품의 싱가포르 수출 금액은 2009년 기준, US$4,870만으로 2008년 보다 약 23.9% 증가하였음. 2007년에는 한국산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싱가포르 농산물 수입액 중 0.6%인 US$2,986만에 불과 했음. 하지만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09년에는 US$4,873만으로 2007년 대비 38.7%의 신장세를 보이며 한국 농식품 수출 비중은 여전히 적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짐. [그림] 대 싱가포르 한국 농식품 수출동향 (단위 : US$ 백만)
*Source : KOTRA (www.kotra.or.kr – 해외 시장 정보)
•
싱가포르의 주요 대형 유통 업체인 엔티유씨 페어프라이스(NTUC Fairprice), 콜드 스토리지(Cold Storage), 솅 시옹(Sheng Siong), 자이언트(Giant), 까르푸(Carrefour), 다섯 개의 모든 유통업체에서 한국 식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한국 식품을 납품하는 모든 업체들은 단독 에이전트, 독점 대리점, 독점 거래선 등의 형태로 제휴하고 있는 한국 업체의 상품만을 납품하고 있음. 현재 라면, 야채 만두, 김치, 과자, 버섯, 계절과일(포도, 사과, 배, 딸기, 참외) 등이 소개 되어 있음. [표] 싱가포르 대형 식품 유통업체 한국식품 입점 현황 업체명
입점 품목
납품 업체
농심 라면
나스팍 마케팅(Naspac Marketing)
엔티유씨 페어프라이스
삼양/오뚜기 라면
싱 롱 푸드스터프
오뚜기 소스/과자류
(Sing Long Foodstuff)
(NTUC Fairprice)
버섯
챔프 펑지(Champ Fungi)
CJ 소스 및 즉석 식품류
-
라면
나스팍 (Naspac(농심)),
콜드 스토리지(Cold
종가집 김치
Storage)
소스
케이엠지 엔터프라이즈 싱롱(Sing Long(삼양, 오뚜기)) 창고 (KMG Enterprise) 나스팍 (Naspac (농심))
솅 시옹
라면
싱롱 (Sing 오뚜기)) 반 쿤Long (Ban(삼양, Choon) 매장으로 직접 배송 나스팍(Naspac (농심))
(Sheng Siong)
버섯
싱롱(Sing LongChoon) (오뚜기)) 반 쿤 (Ban
버섯
216
싱가포르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업체명
입점 품목
납품 업체
자이언트
라면
나스팍(Naspac (농심))
(Giant)
버섯
싱롱(Sing Long (오뚜기)) 챔프 펑지(Champ Fungi)
라면
나스팍(Naspac (농심))
종가집 김치
Long (오뚜기)) 케이엠지싱롱(Sing 엔터프라이즈 (KMG Enterprise)
까르푸(Carrefour)
소스/과자
싱 롱 푸드스터프
버섯
(Sing Long Foodstuff) 챔프 펑지(Champ Fungi) *Source : 농수산물 무역정보 (www.kati.net))
•
싱가포르의 식품 수입 관련 규정은 매우 까다로운 편이며, 한국산 식품에 대한 수입 규정은 아래와 같음 [표] 한국산 식품에 대한 싱가포르의 수입 규정 품목
1
한국산 수입 제한
구비조건 건별 수입 허가서 (AVA발급)
Fresh Fruits & Vegetables
없음
(신선 과일 및 야채)
농약/잔류화학물질 검사서 수입자 및 원산지 표시 건별 수입허가서 (AVA발급)
2
Fish
없음
(생선, 조개, 해초류 포함)
(굴/새우/게 금지)
보호종 금지 (상어/홍합 등) 수출국 검역 보고서 HACCP
3
수입업자 지정
Irradiated Food
없음
(방사선 조사 식품)
지정된 업자의 라이센스 (AVA) 수출국의 방사선조사 증명서 건별 수입허가서(AVA발급) AVA 승인 가공업체에서 조달 수출국 검역 보고서 HACCP
4
Meat (육류)
금지
경유 불허(직접 배송, 한국 경유 한 제품일 경우에도 수입 금지) 수입자 및 원산지 표시 *한국제품은 허용함
통조림
닭고기만
*Source : 농수산물 무역정보 (www.kati.net)
217
싱가포르
Ⅲ. 싱가포르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 •
싱가포르의 경우, 한국산 식재료 수급이 해외 他 지역에 비해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싱가포르 내 한식 식재료 수급 상의 이슈로는 공급 및 가격 안정성 취약, 한국산 육류 수입 불가, 식품 안전성 측면 부족, 싱가포르의 까다로운 수입 규제, 대용량 제품 수입 부족이 나타남. -
공급 및 가격 안정성 취약 : 싱가포르 시장 내에서 한국산 식재료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어려우며, 한국에서 공급되는 야채 및 과일의 큰 변동 폭으로 인해 안정적인 가격으로 수급 받기가 어려움. 또한 현지의 한국산 식재료를 취급하는 대형 유통 업체가 두 곳 밖에 없기 때문에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 받기가 어려움.
-
한국산 육류 수입 불가 : 한식당의 경우,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컷팅 된 육류를 요구하지만, 현지 육류 공급업체에서는 재료의 낭비, 컷팅 방식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그 요구를 잘 들어주지 않고 있음. 또한 육류 성분 역시 수입 불가 제품으로, 한국산 라면 및 만두 또한 수입이 되지 않아 중국산 제품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음. 한국산 육류의 수입이 허가 된다면 한식당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임.
-
식품 안전성 측면 부족 : 김치, 장류 등과 같은 발효식품, 안전 기준에 통과한 도살장에서 도살된 육류 등 싱가포르의 엄격한 샘플 검사 등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관련 수치 등을 맞추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싱가포르의 까다로운 수입 규제 : 싱가포르의 경우, 수입품에 대한 까다로운 수입 규제가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수입 장벽을 낮출 수 있는 방안 모색과 수출 장려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함.
-
음식점을 위한 대용량 제품 수입 부족 : 구매 횟수 감소 및 용량 대비 경제성 등의 장점을 가진 대용량 제품 수입이 부족하여 소매용으로 수출되는 소용량 단위 포장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향후 음식점 전용의 대용량 제품 수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218
싱가포르 식재료 및 유통현황 및 수급 정보
Ⅳ. 싱가포르 식재료 시장 개척 성공사례 •
한국에서 싱가포르로 식재료를 수출하는 ㈜아태식재료 종합무역상사의 경우, 아래의 단계 별로 현지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
총 6 단계이며, 각 단계는 „1) 싱가포르 현지 시장 파악 – 2) 유력 바이어 접근 – 3) 1차 상담 – 4) 2차 오더 마케팅 – 5) 수출 – 6) 시장관리‟ 로 이루어짐 -
싱가포르 현지 시장 파악 : 현지로의 식재료 수출이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는 싱가포르의 전반적인 외식 특성, 식재료 및 식품 시장의 현황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요함. 그렇기 때문에 현지의 시장 상황 및 특성, 싱가포르인들의 식문화 및 식습관과 한식에 대한 인식 등을 현지 관련 종사자들을 통해 수렴함.
-
유력 바이어 접근 : 수출 첫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유력 바이어들을 선정함. 주로 현지 식재료 대형 업체, 대형 급식소, 호텔, 한인 마트, 한식당 등이 그 대상임.
-
1차
상담
바이어들에게
:
내부적으로 제공하고
제작한
데이터
한국산
베이스
식재료
내의
데이터베이스
식재료
내용들을
자료를 바탕으로
바이어들이 원하는 품질과 조건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고 선정함. -
2차 오더 마케팅 : 1차 상담 이후, 실제적인 계약을 위해 현지로 수입 가능한 제품의 성분, 바이어가 원하는 품질, 식감, 규격, 포장 재질 등을 세부적으로 협의함.
-
수출 : 상담 및 계약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지로 제품이 수출됨.
-
시장 관리 : 바이어와의 지속적인 거래를 위해서 제품의 퀄리티, 배송 문제 등에 대한 불만 및 문제점은 없었는지 파악하고 같은 문제가 또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함. 이를 통해 바이어의 만족도를 높이고 지속적인 재구매를 유도함. *Source : ㈜아태식재료 종합무역상사)
219
싱가포르
Ⅴ. 한식 식재료 수출 활성화 방안 •
한식 식재료 수출은 수입업자(현지 유통 기업)와 수출업자들의 인프라와 네트워크 구축 수준과 국가간 수출입 법률의 허용정도에 따라 달라짐. 법률적 문제는 국가적 차원에서 수출 허가품목 증대와 관세율을 감소시키도록 노력해야 하는 사안이며, 수입업자와 수출업자들에 대한 문제는 지원과 독려를 통해 인프라의 구축과 개선이 가능함.
•
정부는
수출업자-현지유통기업-한식당을
연결하는
통합
정보망을
구축하여
정보와 서비스를 지원하고, 현지 유통 기업과의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한식당의 한식 식재료 수급문제를 해결하고 한식 식재료의 유통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 해야함.
또한
장기적으로
싱가포르
현지에
R&D
기능을
갖춘
물류센터를
건립하여 한식 식자재 수출과 유통 활성화의 기반 조성을 다져야함. [그림] 통합 정보망 구축 개념도
•
한식 식재료 수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식재료의 공급 범위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므로, 한식
식재료의
타겟을
외식업소,
특수
급식소, 개인
소비자로
확대하여 한식 식재료가 개발되어야 함. •
또한 현지 시장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현지 한식당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지원으로 한식당 수를 늘리고 현지에서의 인지도를 갖추어여 함. 동시에 한식에 대한 정의를 규정하고 한국적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야 함.
220
싱가포르 공항 입점관련 정보
싱가포르 공항 입점관련 정보
Executive Summary
1.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분포 싱가포르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에는 총 105개의 음식점 및 까페가 입점해 있으며 까페 32개, 레스토랑 19개, 일반 음식점 17개, 바 10개, 스낵 판매점 7개, 음료 판매점 4개, 패스트푸드점 8개, 푸드코트 4개, 기타 4개로 구성되어 있음. 그 중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26개이며 중국식 10개, 일본식 5개, 인도식 3개, 아시아식 1개, 서양식 4개, 이탈리아식 2개, 터키식 1개가 입점해 있음. 2. 싱가포르 창이 공항 입점 방식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입점 방식은 싱가포르 정부를 통한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과 싱가포르 창이 공항을 통한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The direct approach)’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두 방법 모두 입점 방법은 동일함. 다만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입찰부터 입점까지 과정을 총괄하며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The direct approach)’의 경우는 공항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음. 또한 계약 조건에 있어서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에 비해 협상의 여지가 있음. 3.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운영 관련 사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의 경우, 공항 내의 입점 관련 부서가 음식점들에게 매우 협조적이며 자율권을 많이 제공하는 편이기 때문에 식당과 공항 간의 마찰은 거의 없는 편이지만 청결 및 위생 문제에 있어서는 철저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공항 내 규정을 잘 따라야 함.
223
싱가포르
Ⅰ.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 관련 세부 정보 •
설립 연도 : 1981년
•
부지면적 : 1,695만 8,754m2
•
터미널 규모 : 여객 터미널 4동 (터미널 1, 2, 3, Budget 터미널), 화물 터미널 6동
•
연간발착 횟수 : 18만 4,619회
•
여객 : 2,516만 4,344명
•
화물 : 135만 8,044톤
•
취항 항공사 : 62개 사
Ⅱ.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분포 •
싱가포르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에는 총 105개의 음식점 및 까페가 입점해 있으며 까페 32개, 레스토랑 19개, 일반 음식점 17개, 바 10개, 스낵 판매점 7개, 음료 판매점 4개, 패스트푸드점 8개, 푸드코트 4개, 기타 4개로 구성되어 있음. 그 중 에스닉 푸드 취급점은 26개이며 중국식 10개, 일본식 5개, 인도식 3개, 아시아식 1개, 서양식 4개, 이탈리아식 2개, 터키식 1개가 입점해 있음. [표]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및 까페 수
총 105개 까페
레스 토랑
일반 음식점
바
스낵 판매점
음료 판매점
패스트 푸드점
푸드 코트
기타
32개
19개
17개
10개
7개
4개
8개
4개
4개
*Source : 창이공항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changiairportgroup.com)
[표]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에스닉 푸드 취급점 수
총 26개 중국식
일본식
인도식
아시아식
서양식
이탈리아식
터키식
10개
5개
3개
1개
4개
2개
1개
* 아시아식은 „페이버스 오브 아시아(Favours of Asia)‟, 서양식은 „스웬슨(Swensen‟s), 푸숑 르 바 어 캐비어(Fauchon le Bar A Caviar), 아스톤스 스페셜티(Aston‟s Sprcialties), 얼 스웬슨(Earle Swensen)‟임 *Source : 창이공항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changiairportgroup.com)
224
싱가포르 공항 입점관련 정보
Ⅲ. 싱가포르 창이 공항 입점 방식 •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입점 방식은 싱가포르 정부를 통한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과
싱가포르
창이
공항을
통한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The direct approach)‟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두 방법 모두 입점 방법은 동일함. 다만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입찰부터 입점까지 과정을 총괄하며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The direct approach)‟의 경우는 공항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음. 또한 계약 조건에 있어서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에 비해 협상의 여지가 있음. •
싱가포르 창이 공항 홈페이지(http://www.changiairportgroup.com)와 싱가포르 정부조달 입찰 사이트(http://www.gebiz.gov.sg)를 통해 임대 및 입찰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임대 및 입찰 참여 역시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함.
1.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 (The direct approach) •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The direct approach)은 싱가포르 창이 공항 측과 직접 관계를 맺고 공항 내에 입점을 하는 방식이며, 싱가포르 정부와 관계를 맺는 정부와의 입찰 방식 („tender process’)에 비해 계약 과정에서 입점 관련 세부 사항에 대해 공항 측과 계약 기간 등에 대한 협의가 가능함. [그림] 공항과의 직접계약방식(direct approach)의 입점 절차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25
싱가포르
2. 정부와의 입찰 방식 (The tender process ; Government tender) •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은 ‘공정성, 개방성, 경쟁력’의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입찰부터 입점까지 싱가포르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방식임.
•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에서는 입찰 시 입점을 원하는 기업이 제시하는 가격에 비해 제공 가치가 가장 높은 기업에게 입점 기회가 주어짐.
•
정부와의 입찰 방식(The tender process)은 입찰 금액에 따라 크게 3 가지 방법으로 분류 됨. 입찰 금액이 SG$3,000 미만일 경우 소액구매(Small value purchase), SG$3,000~70,000인 경우 추천 및 견적서 평가(Use of quotations), SG$70,000 이상인 경우 입찰(Use of tenders)의 방법을 통해 입찰에 참여 해야 함. [그림] 정부와의 입찰 방식 (The tender process)의 입점 절차
*Source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26
싱가포르 공항 입점관련 정보
Ⅳ.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운영 관련 사항 •
싱가포르 창이 공항의 경우, 공항 내의 입점 관련 부서가 음식점들에게 매우 협조적이며 자율권을 많이 제공하는 편이기 때문에 식당과 공항 간의 마찰은 거의 없는 편이지만 청결 및 위생 문제에 있어서는 철저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공항 내 규정을 잘 따라야 함.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운영 관련 중요 사항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1. 입점 위치에 따른 매장 컨셉 결정 •
공항 내 음식점은 어떤 항공사 근처에 입점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사전에 공항 내부 음식점 및 근처 항공사 등에 대한 충분한 시장 조사가 필요함.
•
예를 들어, 인도 항공사 근처의 인도 음식점의 경우에는 현지 음식의 맛을 그대로 살리는 편이 더 바람직할 것이며, 말레이시아 항공사 근처의 한국 음식점이라면 무슬림, 힌두교 등의 종교적인 이유로 육식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채식주의자 메뉴 또는 닭고기를 이용한 메뉴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2. 청결 관련 문제 •
싱가포르는 계획 도시로서 환경 및 청결에 매우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나라이기 때문에 공항 내에서 또한 청결 문제에 대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싱가포르
창이
공항
관리
부서와
싱가포르
국가
환경청(NEA,
National
Environment Agency)에서 주기적으로 공항 내 음식점에 대한 청결 검사를 실시하며, 청결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벌금을 발행하므로 항상 매장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
3.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 음식점 대상 품질 관련 모니터링 •
싱가포르 창이 공항은 공항 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공항 내 음식점에 대한 설문 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모니터링 결과가 좋은 음식점들에게는 순위 별로 메달을 수여하고 해당 음식점의 직원들에게는 SG$50 정도의 상품권을 제공함.
227
싱가포르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싱가포르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Executive Summary
1. 한식당 운영 관련 싱가포르의 상권은 크게 Central, West, North, North East, East 총 다섯 개의 지역으로 구분되며 이 중에서 Central 지역에 한식당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음. 특히 이 중에서도 ‘탄종파가’라는 지역에 모여 있는데, 이는 한국 대사관 및 한국 주재원들이 많이 위치한 지역이기 때문으로 파악됨. 싱가포르의 한식당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고기구이 종류(갈비, 불고기 등), 삼계탕, 김치찌개임. 대부분의 성공한 한식당의 고객들은 현지인이 50~90% 수준으로 한국인보다 현지인의 비율이 훨씬 많으며 특히 2005년에 한국 드라마 ‘대장금’이 싱가포르에 방영되면서 고객들이 현지인으로 많이 전환됨. 2. 성공 사례 싱가포르에서 성공한 대부분의 한식당들은 각 한식당들의 성공요인이 존재함. 다양한 성공 요인 중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보면 크게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음. -
다른 식당들과의 차별화
-
싱가포르 시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
-
한국적인 서비스 제공
3. 실패 사례 현지에서 한식당 운영에 실패할 수 있는 이유로는 아래 사항들을 언급할 수 있음. -
전문점 형태의 음식점
-
자금 부족 문제
-
현지인 고객 유치 문제
4. 식재료 관련 Issue 육류의 경우에는 한국산 제품을 전혀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현지의 식재료 공급 업체를 이용하며 야채류의 경우에는 현지 업체를 이용하거나 현지의 ‘파시판장’이라는 재래식 도매시장을 이용함. 싱가포르는 기본적으로 농업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의 농수산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때문에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Needs가 높음.
231
싱가포르
5. 종업원 수급 관련 대부분의 종업원은 인력업체를 통해 수급하거나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 고용함. 주방장의 경우에는 한국인인 경우가 더 많으며 서빙 종업원의 경우에는 제 3국인인 경우가 가장 많음. 6.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싱가포르 현지의 한식당 경영주들이 희망하는 정책으로는 다양한 식자재 공급, 식당 개업 및 운영에 대한 종합 인터넷 사이트 개설, 메뉴판 작성 지원, 음식 영문명 통일 및 홍보, 멤버쉽 카드 제도 지원 등이 나타남.
232
싱가포르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Ⅰ. 한식당 운영 관련 •
싱가포르의 상권은 크게 Central, West, North, North East, East 총 다섯 개의 지역으로 구분되며 이 중에서 Central 지역에 한식당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음. 특히 이 중에서도 „탄종파가‟라는 지역에 모여 있는데, 이는 한국 대사관 및 한국 주재원들이 많이 위치한 지역이기 때문으로 파악됨.
•
싱가포르의 한식당들은 2000년 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한식당 개업은 주로 싱가포르에 정착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이며, 한식의 사업성 및 수익성, 한식에 대한 사명감 등으로 한식당을 개업하며 대부분의 음식점에서 30~50가지 정도의 다양한 메뉴를 취급하고 있음. 그 중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고기구이 종류(갈비, 불고기 등), 삼계탕, 김치찌개임. 대부분의 성공한 한식당의 고객들은 현지인이 50~90% 수준으로 한국인보다 현지인의 비율이 훨씬 많으며 특히 2005년에 한국 드라마 „대장금‟이 싱가포르에 방영되면서 고객들이 현지인으로 많이 전환됨.
•
싱가포르인의 경우, 단 맛을 좋아하기 때문에 대부분 일반 한식보다는 조금 더 달게 조리를 하고 매운 맛의 경우 고객이 매운 맛을 선택할 수 있게 하거나 매운 맛을 약하게 조절하여 맛의 현지화를 하고 있음. 또한 서빙과 프리젠테이션 측면에서도 현지화를 적용하고 있음. 싱가포르 인의 경우, 한 번에 모든 음식을 깔아 놓고 먹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모든 음식을 한 번에 서빙 하며, 다양한 메뉴를 접해볼 수 있도록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음. 또한 다양한 메뉴를 맛보고 싶어하는 특성으로 인해 한 번에 서빙 되는 음식의 양을 줄여서 맛보기 메뉴를 구성하고, 한 식기에 음식을 함께 먹는 음식 쉐어에 대한 거부감으로 개인 앞접시를 제공하기도 함. 뿐만 아니라 음식점의 실내 구성에 있어서도 고기구이로 인한 냄새 때문에 환기 덕트를 실내에 꼭 설치하며, 실내에서 불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많아 불 사용 공간을 따로 분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현지화를 하고 있음.
•
싱가포르 한식당들의 경우, 한국적 느낌을 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함. 특히 한국식 마루를 통해 한국식 좌식 문화를 알리기도 하고 한국적인 다양한 소품을 통해 한국적 인테리어를 함.
233
싱가포르
Ⅱ. 한식당 성공 사례 •
싱가포르에서 성공한 대부분의 한식당들은 각 한식당들의 성공요인이 존재함. 다양한 성공 요인 중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보면 크게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음.
1. 다른 식당들과의 차별화 •
싱가포르 내에서 한식당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대부분의 한식당에서 비슷한 메뉴들을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식당만의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남. 또한 현지에서 성공한 한식당들의 경우 각 식당만이 가진 차별화 전략을 갖고 있었음.
•
한 식당의 경우, 늘 더운 실외에서만 먹을 수 있었던 바비큐를 시원한 실내에서 먹을 수 있다는 최초의 숯불 구이 컨셉을 선정하였고, 또 다른 식당의 경우에는 고소득층을 주요 고객 타겟으로 지정하여 고급 식재료 및 중고가 이상의 메뉴를 구성함. 또한 웰빙 트렌드에 맞게 새싹 비빔밥, 호박 불고기 등 트렌드를 반영한 한식 메뉴를 운영하기도 함.
2. 싱가포르 시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 •
현지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시장 및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와 기호를 충분히 이해해야 함.
•
싱가포르 사람들의 경우, 한 끼의 식사에서 다양한 메뉴들을 맛보는 것을 좋아하며 우리나라처럼 고기를 구워먹고 난 후 밥과 된장찌개, 냉면 등을 먹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주문한 모든 음식을 상위에 펼쳐놓고 먹음. 이러한 싱가포르 사람들의 특성을 잘 이해하여 주문한 음식을 한 번에 서빙 하거나 소량의 다양한 메뉴를 세트화하여 판매하는 등의 방법들을 시행하고 있음.
3. 한국적인 서비스 제공 •
싱가포르는 밑반찬 및 물 까지도 모두 돈을 지불하고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밑반찬이 풍성하게 제공되는 한국식 상차림이나 손님의 생일이나 특별한 손님을 모시고 온 경우 무료로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매우 호의적인 반응을 보임. 또한 한국식 전통 도자기인 „계영배‟를 사용하여 술을 접대하는 등의 한국적인 서비스는 싱가포르 사람들이 기존에 접해보지 못한 문화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되고, 더 나아가 한국 음식에 대한 호감을 갖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함 234
싱가포르 한식당 경영주 면담 및 한식당 현황조사
Ⅲ. 실패 사례 •
현지에서 실패할 수 있는 이유로는 전문점 형태의 한식당, 자금 부족 문제, 현지인 고객 유치 문제 등을 언급 할 수 있음.
1. 전문점 형태의 음식점 •
아직까지 싱가포르에서 한식은 소개 단계라는 의견이 많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다양한 메뉴를 경험해 보고자 하는 싱가포르인들의 기호와 특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메뉴를 취급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
실제 한 한식당의 경우, 삼계탕을 전문으로 하는 전문점을 오픈 하였으나 생각보다 손님들의 반응이 좋지 않아 다시 다양한 메뉴를 취급하게 된 사례도 있음.
2. 자금 부족 문제 •
식당이 안정화 되기까지의 시간 동안 식당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정도의 자금이 뒷받침 되어야 함.
•
한국에서 광우병 사태가 발생했을 때에 그 타격으로 인해 많은 한식당들이 자금 부족 문제로 폐점하게 된 경우가 많음.
3. 현지인 고객 유치 문제 •
현지에서 성공한 한식당의 경우, 이미 주요 고객 층이 현지화 됨.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기에는 싱가포르 내의 한인 사회가 소규모이기 때문에 손님 층을 현지인으로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음.
235
싱가포르
Ⅳ. 식재료 관련 Issue •
육류의 경우에는 한국산 제품을 전혀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현지의 식재료 공급 업체를 이용함. 야채류의 경우에는 현지 업체를 이용하거나 현지의 „파시판장‟이라는 재래식 도매시장을 이용함. 양념류의 경우에는 대부분 한인 식재료 공급 업체를 통해 수급 받으며 식당의 규모에 따라 직접 한국에서 수급 받는 경우도 있음. 드라이 제품(건조식품)의 경우에는 역시 야채류와 마찬가지로 파시판장을 이용하거나 현지 식재료 업체를 통해 공급 받음.
•
싱가포르의 경우 기본적으로 농업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의 농수산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임. 때문에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Needs가 높은 편임. 특히 신선 야채, 반가공품, 한국산 쌀, 한국산 생선에 대한 Needs가 높음.
Ⅴ. 종업원 수급 관련 •
대부분의 종업원은 인력업체를 통해 수급하거나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 고용함. 주방장의 경우에는 한국인인 경우가 더 많으며 서빙 종업원의 경우에는 제 3국인인 경우가 가장 많음. 이러한 종업원 들을 교육하기 위한 나름의 교육 매뉴얼을 갖고 있으며 특히 한국어 및 한식에 대한 교육을 많이 시킴. 하지만 한국인 종업원의 고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한국인 조리사 고용에는 경제적, 물리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름.
Ⅵ. 한식당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
싱가포르에서 한식당을 개업해서 경영하기 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지만 특히 개업단계에서는 복잡하고 어려운 식당 개업 관련 인허가 절차 때문에 많은 애로사항을 겪으며 식당 개업 후에는 종업원 채용 및 교육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음. 특히 한국인 주방장의 경우 비자, 현지 체류 관련 문제 등으로 한국에서 현지로 데리고 오기가 매우 어려움.
•
현지의 경영주들이 희망하는 정책으로는 다양한 식자재 공급, 식당 개업 및 운영에 대한 종합 인터넷 사이트 개설, 메뉴판 작성 지원, 음식 영문명 통일 및 홍보, 멤버쉽 카드 제도 지원 등이 나타남.
236
【 북 경 】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Ⅰ. 북경 사업 환경 분석 Executive Summary 1. 빠르게 발전하는 중국 경제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
중국은 매년 약 10% 대에 가까운 높은 경제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소매 규모 또한 2007년 이후 매년 15% 이상의 성장율을 보이며,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임.
•
중국의 소비 트렌드는 중국의 경제발전의 영향으로 과거의 일상 소비재에 집중되어 있던 소비와는 달리 사치품 및 아웃도어 용품의 소비 증가 등 일상 소비재를 벗어난 소비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외식에 있어서도 고급 외식 시장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중국 외식은 현재 외식이 대중화 되어, 외식 트렌드의 빠른 확산과 함께 간편식이 성장하고 있음.
•
중국 식문화는 전통적으로 음식의 양으로 접대의 융숭함을 판단할 정도로 음식의 양을 중시하고, 한국의 밥과 반찬이 아닌, 밥과 요리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는 외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2. 북경 소비인구의 변화와 외식 문화에의 영향 •
북경 소비 인구는 20~40대가 가장 두텁게 분포하고 있으며,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에 따른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인구 구조적 현상은 1인당 지출 규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다시 북경 외식업, 더 나아가 에스닉 푸드로서 한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인구 측면에서의 변화는 한식과 비빔밥 사업 모델에 있어 고급화, 전문화된 식당에 대한 니즈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됨.
3. 다양화되는 북경 외식 시장 •
북경은 중국의 수도로서 다양한 에스닉 음식간의 경쟁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 과거 북경의 소비자들이 보수적, 중국 음식에의 집착이 강했다면, 근래에 들어 중국의 경제 발전 등과 맞물려 다른 문화에 대한 수용도가 높아지고 있음.
•
북경인의 외식 시 고려 요인은 과거 일상적인 소비를 반영하는 데서 벗어나 다양한 소비 문화를 보이는 소비 행태를 반영하여, 요리의 맛, 위생 등의 요인들이 가장 중요한 241
북경
요인으로 작용하면서도, 단순한 음식 섭취에서 벗어나 건강, 오락, 휴식 지향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음. 4. 북경 에스닉 푸드 시장 내 1위, 한식 •
북경의 에스닉 푸드 시장은 중식과 비교 시 상대적으로 작으며, 상해와 비교 시 인구 수 등의 전체적으로 더 큰 외식 시장을 가지고 있음에도 낮은 평균 방문 횟수, 낮은 취식 비율 등을 나타내고 있어, 에스닉 푸드의 발전 가능성이 상해 대비 높음.
•
에스닉 푸드 시장내에서는 현재 한식이 제 1위의 에스닉 푸드로서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일식이 아직은 그 주요 위치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나, 한식의 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음. 이는 북경의 위치상 동북 지방의 조선족 음식 문화에 대한 높은 경험율로 한식에 큰 저항감이 없는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
현재 한식은 북경 내 에스닉 푸드 시장에서 매장의 수와 소비자의 인식 측면에서 1위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개별 메뉴의 전문점 수준의 경쟁을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또한, 최근 몇 년 사이에 한국 드라마, 한국 축구 등의 영향으로 한국의 작은 소품들이 특히, 20~30세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한류 열풍이 일어났으며, 한류로 인해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 음식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5. 한식 외식 행태와 인식 및 태도 •
북경 소비자들의 절반 이상이 주 1회 이상 한식당을 방문하고 있으나, 메뉴가 바비큐류로 한정되어 있어, 매력있는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여 한식당 방문 빈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한식당 방문 시 지출 비용은 30~50위안이 주를 차지하여 상해보다는 낮은 가격을 형성 하고 있음.
•
한식에 대한 북경 소비자의 태도는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한류의 영향, 취식 한식의 만족도 등이 종합적인 영향을 미쳐 전반적으로 좋은 태도와 관심도를 형성함.
•
기본적인 한식에 대한 좋은 태도는 개별 메뉴인 비빔밥에 대해서도 좋은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24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6. 비빔밥 외식 행태와 인식 및 태도 •
비빔밥은 현재 주요 한식 메뉴중의 하나이나, 하나의 인기있는 메뉴 이상의 역할은 아직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므로 비빔밥 전문점의 개설 시에는 비용적인 측면과 함께 이러한 메뉴 측면에서의 한계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해야 함.
•
북경 소비자는 비빔밥의 선호도, 취식의향, 향후 취식의향 등에 있어 높은 점수를 주고 있어, 비빔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어, 개별 메뉴 수준의 비빔밥을 전문 점포 수준의 비빔밥으로 확대하기 위한 기본적인 선호도는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나, 이러한 확대를 위해 비빔밥 점포만의 소비자 유인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을 보강시켜야 함.
•
비빔밥은 한식 메뉴 중에서도 바비큐류 다음으로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선호하는 메뉴 중 하나로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그러나, 현재 비빔밥은 한식 비비큐류의 취식 시의 보조 메뉴 수준으로 지불 가격대는 한식 평균보다 10위안 이상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어, 비빔밥 가격은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 설계에 있어 점포 컨셉, 서비스 등을 통해 반드시 해소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판단됨.
243
북경
1. 현지 시장환경 및 특성 가. 중국 경제 환경
중국의 경제 수준 •
중국의 경제 환경은 2009년 세계 금융 위기 등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 등에도 불구하고 경제 수준, 소비수준, 저축액 등의 여러 가지 면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나타내고 있음. 이러한 경제 성장세와 맞물려 식량 생산 등의 먹거리에 대해서는 그 성장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중국 외식시장은 규모, 금액 등의 면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중국의 경제 수준(전체 GDP)
중국의 소득수준 •
중국의 소득수준(인당 GDP)은 2005년 $1,709로 한국의 약 1/10 수준이었으나, 2009년 $3,565로 약 2배 이상 성장하며, 한국과의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음.
•
중국인들의 소득수준 향상은 소비의 양과 질의 수준을 높이고 다양한 소비를 촉진하기 때문에 비빔밥 전문점의 중국 진출의 성공 기회 요인으로 작용함. [그림] 중국의 소득 수준(인당 GDP)
24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중국의 소매 총액 •
중국의 소매 규모는 2007년 이후 매년 15% 이상의 성장율을 보이며,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커질 전망임.
•
도시인구의 증가에 따른 소비자 증가와 전반적인 소매규모의 증가는 다양한 소매업종의 성장을 의미하며, 외식업도 이러한 경제 현상과 맞물려 성장이 전망됨. [그림] 중국 소매 총액
245
북경
나. 중국의 소비 트렌드 •
중국의 소비 트렌드는 중국의 경제발전의 영향으로 과거의 일상 소비재에 집중되어 있던 소비와는 달리 사치품 소비의 증가, 아웃도어 용품 소비증가 등 일상 소비재를 벗어난 소비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 중국 소비시장 4대 트렌드 [Source : 21세기경제보도, 사천신문사]
•
첫번째 트렌드 : 개성 중시 소비자 시대 도래 -
개성 중시 소비 트렌드가 확산, 개별 소비자의 취향이 중요해짐. 인터넷을 포함한 각종 매체의 발달로 소비자 영향력이 확대됨.
•
두번째 트렌드 : 사치품 대중화 경향 -
중산층의 소득 수준 증가와 시장 개방의 영향으로 사치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상승함.
•
세번째 트렌드 : 소비 시장에 녹색(Green) 바람 -
중국 정부의 환경보호 강화와 교육 수준 제고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비자 환경의식이 강화되고 있음.
•
네번째 트렌드 : 소비자의 안전의식 제고 -
정보채널의 다양화 및 소비자의 교육수준 상승, 중국 내 빈번한 식품안전문제 발생으로 과거와 달리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
외식업에 있어서는 고급 레스토랑, 전문점 등을 선호하며, 믿을 수 있는 좋은 재료의 음식과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적정한 가격에 제공받는 것을 자신을 위한 소비, 합리적 소비라고 여기는 성향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24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다. 중국 식문화 특징
음식을 소중히 생각하는 중국 음식문화 •
음식에 대한 중국인들의 기본적 마음가짐은 „음식을 하늘처럼 여긴다‟는 고전 속의 한마디로 대신할 수 있음.
•
인간생활의
기본조건인
의식주(衣食住)가
중국인들의
사고
속에서는
식의주
(食衣住)의 순서로 표현해야 할 정도로 식생활에 큰 비중을 둠.
외식의 대중화, 외식 트렌드의 빠른 확산, 간편식의 성장 트렌드 •
개혁개방 이후 경제발전에 따른 개인 소득의 증가와 외래 음식문화의 유입으로 중국인들은 더욱 먹는 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배를 채우던 음식에서 미식과 웰빙을 추구하고 있음.
•
중국
음식문화의
발전이
보여주는
시대적
트렌드는
„외식의
대중화‟, „외식
트렌드의 빠른 확산‟, „콰이찬(간편식)의 약진‟으로 요약할 수 있음.
음식의 양으로 접대의 융숭함을 판단 •
중국인들이 손님을 접대하는 융숭함의 정도는 주인이 준비하는 음식의 양으로 결정되는데, 가족끼리의 집안 밥상이 아무리 조촐하더라도 일단 손님을 맞이하는 상황이 되면 음식의 양이 곧 자신의 체면을 대신하기 때문에 자신의 경제력은 고려되지 않음.
밥과 반찬이 아닌, 밥과 요리의 문화 •
주식과 반찬, 요리를 함께 먹는 한국인의 식습관과는 달리, 중국식 식사는 먼저 차이(요리)로 배를 채우고 뒤이어 주식으로 밥이나 면 등을 주문해 먹음. 가정식 식사의 경우는 주식과 요리를 함께 먹는 경우가 많음. 음식의 평가기준 - 향미색형양의 (香味色形養意)
•
„향미색형양의(香味色形養意)‟ 는 향과 맛, 색깔과 모양, 영양과 의미를 따지고 그 조화를 중요시 한다는 것인데, 중국인들에게 음식은 단지 배를 불리거나 맛으로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그림과 이야기, 분위기를 함께 먹는 것이라 할 수 있음.
247
북경
라. 북경 소비인구 특성 •
북경 소비 인구는 20~40대가 가장 두텁게 분포하고 있으며,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에 따른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인구 구조적 현상은 1인당 지출 규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북경 외식업, 더 나아가 에스닉 푸드로서의 한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향후 이러한 인구의 변화는 한식과 비빔밥 매장의 비즈니스 모델에 있어 고급화, 전문화된 식당에 대한 니즈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됨.
주요 지표 •
북경의 인구는 2008년 상주 인구 기준으로 1,695만명이며 도시 인구 기준 1,439만명 수준임. •
북경의 2008년 국민 소비매출총액은 전년 대비 20.8% 증가한 4,589억위안이며, 1인당 GDP는 전년 대비 23.1% 증가한 9,075위안임. [표] 북경 시 주요 지표 구분
소비
지표 국민 소비매출총액 1 인당 GDP 일인당 가처분소득 도시주민 엥겔지수
단위 억위안 위안 위안 %
지표 4,589 9,075 24,725 33.8
소비자 가격지수(CPI) 인구
전년대비 증가율(%) 20.8 23.1 12.4 1.6 5.1
상주 인구 도시 인구
만명 만명
1,695 1,439
3.8 -
재외국민
명
12,795
27.0
*Source : 중국통계청, 2008년 북경시통계연감
•
북경 인구의 연령구조는 20대 초반에서 40대 중반까지가 가장 두텁게 분포함.
•
산아제한 정책에 따른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는 총 소비자 수의 감소라는 위험 요소와 농촌 인구 및 타지인의 지속적인 유입이라는 긍정적 요소가 모두 외식업의 구조와 형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24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그림] 북경 시 인구 연령구조
•
북경 소비자들의 소비 지출 비용 중 „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32.2%로 가장 높음.
•
소득별 지출에 있어 „고소득층‟의 경우 식품이 차지하는 비율(25.9%)이 중고소득층 (31%)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외식 시 월 지출 비용은 전체 평균 1,175위안으로 나타났으며, 소득별로는 중고소득층의 경우 1,459위안, 고소득층의 경우 1,797위안으로 나타남. [그림] 북경 시 도시주민 가정 평균 인당 소비지출 구조(08년)
249
북경
마. 북경 외식시장 현황
북경의 외식시장 규모 •
북경의 외식시장 규모는 점진적인 성장을 통해 2009년 약 478억 위안 수준을 형성하며, 전년대비 약 16% 성장함. [그림] 중국 도시별 외식시장 규모
외식 문화 및 트렌드 •
외식
소비에
대한
수요
변화는
단순한
음식
섭취에서
건강,
오락,
휴식
지향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
다양한 풍미 및 특색 요리를 즐길 수 있는 음식점과 외국 외식 브랜드들이 북경 외식 시장에 새로운 트렌드를 일으키고 있음.
외식 가치의 변화 •
„건강식 추구‟라는 기본 지향 가치를 기반으로 에스닉 푸드 고유의 음식 맛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외식 형태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음. [그림] 중국의 외식 가치
•
‘내부 인테리어’,‘실내 무드’,‘편안함’,‘서비스 품질 수준’, ‘음악’등 기본적인 맛 이외에 감성적 소구가 중요해짐.
25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북경 내 경쟁 환경 분석 가. 북경 내 에스닉 푸드 현황
에스닉 푸드 취식빈도 •
외식 10회 시 에스닉 푸드의 취식 빈도는 „3회(29.3%)‟,„2회(28%)‟,„4회 (14.9%)‟ 순으로 나타남.
•
외식 10회 중 에스닉 푸드의 평균 취식 빈도는 ‘3.09회’임. [그림] 에스닉 푸드 취식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
주로
취식하는
에스닉
푸드는
1순위
기준으로„한식(64.9%)‟,„일식(28.9%)‟,
„이태리식(4.2%)‟순으로 한식이 타 에스닉 푸드 대비 월등히 높음. [그림]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51
북경
한류의 영향력 증가 •
한국 문화의 전파를 통해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됨.
•
특히, 20~30세의 젊은이들에게 한류의 영향이 크며, 한류로 인해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 음식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25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북경 내 외식 경쟁 현황 •
한식당 매장 수에서 한식은 2011년 현재 일식을 추월한 상태이며, 이러한 한식의 성장세는 국가 이미지나 한류의 영향 등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
1) 북경 에스닉 푸드 음식점 현황 •
한식당의 빠른 성장세와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조사 결과에서 보이는 64.9%의 높은 한식 점유율(일식 28.9%, 이태리식 4.2%), 낮은 비빔밥 취급 한식당 비율 (32.1%)을 감안할 때, 비빔밥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분석됨. [그림] 북경 내 에스닉 푸드 음식점 현황
253
북경
3. 북경 고객 외식행태 분석 가. 일반 외식 행태 북경 내 외식 문화 및 산업 Trend
•
현재 북경은 여러 문화에 대한 수용도가 점점 높아지는 편이며 외식산업은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글로벌화되고 있음.
외식 빈도 •
비빔밥을 일반식으로 제시할 경우는 자주 외식을 하는 42%의 소비자를 타겟으로 저렴하고 간편한 컨셉의 식당과 식단을 제공해야 하며, 비빔밥을 가끔 먹을 수 있는 특별식으로 제시할 경우 나머지 59%의 타겟을 대상으로 한국적인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한국적인 중ㆍ고급 컨셉의 전문점이 제공되어야 함 [그림] 북경인 외식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5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외식 시점 •
북경 소비자들은 „점심 시간‟에 외식을 하는 비중이 52.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저녁(36.7%)‟, „아침(10.7%)‟ 순으로 나타남.
•
중국의 점심 외식 비중이 높은 이유는 한국과 달리 저녁시간에 경제활동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임.
•
입지선정 시에도 점심시간을 기준으로 상권분석을 진행해야함. [그림] 북경인 외식 시점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1인당 평균 외식 비용
•
2010년도 1인당 평균 외식 비용은 1158.5위엔/년 *Source : 음식청서(餐饮蓝皮书))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
주
취식
에스닉
푸드로는
‘한식(64.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식(28.9%)’, ‘이태리식(4.2%)’ 순으로 나타남. [그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55
북경
나. 한식 외식행태
한식당 방문 빈도 •
약 44.8%의 북경인들은 한 달에 1회 이하로 한식당을 방문하는데, 이는 한식당이 주는 다양성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현재 한식당에 방문하여 주로 주문하는 음식은 바비큐류와 비빔밥으로, 바비큐류 이외에 북경인들을 유인할 수 있는 한식 메뉴가 제공 될 경우, 북경인들의 한식당 방문 횟수를 높일 수 있음. [그림] 한식당 방문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한식당 방문 시 지출비용(1인 1회 기준)
•
북경 소비자들의 한식당 방문 시 1인 기준 지출비용은 ‘40~50위안’의 비율이 2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40위안’이 20.6%로 그 다음으로 높음.
•
타 에스닉 푸드 대비 1인 1회 지출비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경인들이 한식 취식에 지출하는 비용은 소득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됨. [그림] 한식당 방문 시 지출 비용>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5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다. 한식 관련 인식 및 태도
한국 이미지 및 한식 관심도 •
한식당 방문 경험자들은 한국의 이미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86.7%)’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한국 음식에 대해서는 42.2%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이미지는 주로 한국 드라마나 음악 등 한류의 영향으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분석됨. [그림]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그림] 한국 음식 관심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57
북경
한식에 대한 만족도 •
한식당 방문 경험자들의 93.2%가 한식에 대해 „만족스럽다‟고 응답하여, 한류의 관심도 보다, 경험에 의한 한식 만족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한식에 대한 만족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5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4. 북경 고객의 비빔밥 외식행태 분석 가. 비빔밥 외식행태
비빔밥 취식 빈도 •
비빔밥 취식 경험자들은 „한 달에 한번(28%)’ 비빔밥을 먹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주 1회(25.4%)’ ‘2주에 한번(22.9%)’ 순으로 비빔밥을 먹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비빔밥 취식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비빔밥 취식 시점 •
북경 소비자들이 비빔밥을 먹는 시간대는 „점심시간‟이 64.6%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저녁‟ 32.5%, „아침‟ 2.3%로 아침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음.
•
북경인들의 일반적인 외식 시점은 ‘점심’이 52.6%로 가장 많지만, 비빔밥의 경우는 일반적 외식 시점보다 점심시간에 더 많이 취식함
•
중국 현지에서 비빔밥 전문점 개업을 위한 상권분석을 하는 경우에 저녁시간이 아닌 점심시간을 기준으로 상권분석을 진행해야 효과적인 입지선정이 가능함. [그림] 비빔밥 취식 시점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59
북경
비빔밥 취식 시 지출 비용(1인 1회 기준)
•
북경
소비자들이
비빔밥을
먹을
때
지출하는
비용은
1인
1회
기준으로
‘20~30위안’의 비율이 26.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30~40위안’이 23.3%로 높게 나타남. •
비빔밥 취식 시 지출하는 비용은 에스닉푸드 외식이나 한식 외식 지출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나타남. [그림] 비빔밥 취식 시 지출 비용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6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비빔밥 관련 인식 및 태도
비빔밥 선호도 •
비빔밥 취식 경험자들의 비빔밥 선호도는 88.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남.
•
비빔밥 선호도는 앞서 조사된 비빔밥 경험자들의 지속 취식 의향과 유사함. [그림] 비빔밥 선호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비빔밥 향후 취식 의향 (비빔밥 경험자)
•
비빔밥 경험자들의 비빔밥 향후 취식 의향율은 92.8%로 매우 높게 나타남. [그림] 비빔밥 향후 취식 의향(비빔밥 경험자)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61
북경
Ⅱ. 북경 비빔밥 전문점 고객 및 포지셔닝 전략 Executive Summary 1. 북경시 외식 고객 세분 시장의 구분 •
에스닉 추구형 (19.4%) : 에스닉 문화를 추구하고 다른 사람과 다른 것을 즐기는 개성적 유희형의 외식 생활 태도를 가지고 있어 외식에서도 새로움과 독창성을 추구함.
•
외식 고관여형 (27.4%) : 음식의 재료, 서비스, 건강적인 요소, 공간 등 외식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높은 관여도를 가지고 있음.
•
실속있는 과시형 (25.6%) : 자기 과시적인 면과 꼼꼼하게 따지는 실속 소비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어 외식에 있어서도 음식점에 대한 평가나 할인 이벤트, 건강, 맛 등의 실속적인 경향과 이용하는 음식점의 명성, 타인에게 보이는 부분 등의 과시적 경향이 동시에 나타남.
•
기본 중시형 (27.6%) : 기본을 중시하는 외식 생활 태도를 가지고 있어 추구 가치 또한, 음식의 기본 요소인 맛, 위생/청결, 건강을 중시함.
2. 핵심 표적 고객 : 에스닉 추구형 세분 시장 •
에스닉 추구형의 추구가치는 새로운 음식, 독창성, 다양한 종류의 에스닉 푸드임.
•
에스닉 추구형은 외식을 주로 친구와 함께 식사를 하는 일상적인 모임 또는 만남일 경우에 하며, 일반적인 식사를 목적으로 외식을 주로 함.
•
외식 시점에 있어서는 주로 점심 식사인 경우 외식을 주로 함.
•
핵심 이용 동기는 음식의 맛과 다양한 메뉴 세분 고객 집단
취식 상황
이용 동기
에스닉 추구형 (Ethnicoriented)
친구들간의 모임/만남 점심식사의 식사용 모임의 저녁식사
모던하고 심플하면서 이국적인 분위기 부드러운 조명과 편안한 좌석 깨끗하고 위생적인 매장과 음식 다양한 메뉴에 의한 넓은 선택의 폭 모임에 적합한 대형 좌석의 구비 푸짐한 양
3. 비빔밥 전문점이 추구하는 포지셔닝 방향 •
한국의
비빔밥
전문점
이미지는
깨끗한,
맛있는,
영양이풍부한,
건강한,
간편한,
다양한등이며, 이를 바탕으로 '깔끔하면서도 영양적 조화로 건강에 좋은 한국의 맛을 새롭고 간편한 형태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을 목표 포지셔닝으로 설정함. 26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
메뉴측면(Quality) -
다양한 비빔밥과 비빔밥 재료를 활용한 일품요리 등을 함께 제공하여 다양하고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
-
타겟 소비자 집단의 메뉴 측면의 키워드 이외에 비빔밥 전문점만이 핵심적으로 집중화하여 제공 할 수 있는 차별적 가치로서 균형, 건강, 조화 등의 개념과 의미를 가진 메뉴 제공
•
핵심 키워드 : 다양하고 넓은 선택의 폭 / 건강 / 영양
서비스 측면(Service) -
제공 서비스는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편안한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이나 식사를 위해 매장의 좌석, 좌석의 규모, 조명, 음악, 분위기 등을 고려함.
•
-
메뉴의 제공 시 중국인의 식습관을 고려하여 메뉴의 종류와 양을 푸짐하게 제공
-
핵심 키워드 : 편안한 서비스와 메뉴의 푸짐함
위생-청결 측면(Cleaness) -
재료 측면에 있어 제공되는 음식의 재료와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의 철저한 위생 관리로 항상 가장 깨끗한 수준의 음식이 제공 될 수 있도록 함.
-
매장 측면에 있어 매장 내외부, 종업원 복장 및 외모, 그릇, 좌석, 비품 등에 있어 위생/청결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핵심 키워드 : 깨끗하고 위생적인 메뉴와 매장
기타 측면 -
매장의
이미지,
분위기
등을
인테리어와
한국적인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함. -
적용가능키워드
: 한국적 분위기 / 모던-심플
263
소품
등을
활용하여
모던/심플하면서
북경
1. 북경시 외식 고객 시장의 구분
에스닉 추구형 •
500명
중
19.4%에
해당하는
97명의
소비자가
‘에스닉
추구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소비자군의 외식 생활 태도는 이국적 음식을 즐기는 에스닉 추구형이면서 로맨틱하고 개인적인 공간을 중시하는 개성적 유희형의 성향도 약하게 나타나며, 추구 가치로는 새로움과 독창성을 중시함.
외식 고관여형 •
500명
중
27.4%에
해당하는
137명의
소비자가
‘외식
고관여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소비자군의 외식 생활 태도는 외식과 관련된 재료, 서비스, 인테리어, 거리 등의 전반적인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소비자 군임. 추구 가치는 음식의 재료, 음식점의 서비스, 건강, 음식점의 공간 등으로 외식 전반적인 사항에 관여도가 높은 세분 집단임.
실속있는 과시형 •
500명 중 25.6%인 128명의 소비자가 ‘실속있는 과시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소비자군의 외식 생활 태도는 음식점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자기 과시적 성향을 기본으로 꼼꼼하게 실속을 따지는 성향이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추구 가치 또한, 음식점에 대한 평가나 할인-이벤트 등, 건강과 맛도 중시하는 실속을 중시하면서도, 이용하는 음식점의 명성이나 타인에게 보이는 부분을 중시하는 과시적 경향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
기본 중시형 •
500명 중 27.6%인 138명의 소비자가 포함되었으며, 이 소비자군의 외식 생활 태도는 맛과 건강을 중시하는 기본 중시형과 로맨틱하고 개인적인 공간을 중시하는 개성적 유희형의 성향이 약하게나마 함께 나타나며, 추구 가치로는 음식의 기본 요소인 맛, 위생/청결, 건강을 가장 중시하는 세분 집단임.
26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비빔밥 전문점 표적 고객층 도출 가. 세분 집단별 평가 •
북경 현지고객들을 추구 가치, 에스닉푸드에 대한 인식, 외식/한식/비빔밥 이용 행태 등으로 분류한 4개의 세분고객 집단을 비빔밥 관련 행태 및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 관점에서 평가함.
•
비빔밥 관련 행태는 비빔밥 만족도, 비빔밥 1회 지출 금액, 비빔밥 취식 빈도를 주요 지표로 하여 평가하였고,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는 방문의향, 신뢰성, 필요성, 독특성을 지표로 하여 평가하였음.
[표] 세분 집단별 비빔밥 관련 행태 및 태도 평가 구분
비빔밥 관련 행태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
내용
Ethnic 추구 형
외식 고관여 형
실속있는 과 시형
기본 중시형
비빔밥 만족도 (%)
92.5%
90.5%
91.3%
93.2%
비빔밥 1회 지출 금액 (위안)
45.6
41.6
49.3
39.2
비빔밥 취식 빈도 (Top3 : 2주 1회 이상)
61%
48.8%
64.2%
53.2%
방문의향 (4점 척도)
3.16
3.03
3.04
3.09
신뢰성 (4점 척도)
3.07
2.99
3.01
2.99
필요성 (4점 척도)
3.02
2.98
3.04
3.02
독특성 (4점 척도)
3.14
2.96
3.00
3.04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65
북경
나. 표적 고객층 선정 •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에서는
„에스닉
추구형‟이
타
세분
집단에
비해
긍정적으로 나타남. •
비빔밥 관련 행태 및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4개의 세분 집단 중 ‘에스닉 추구형’이 북경 비빔밥 전문점의 표적 고객층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됨. 에스닉 추구형 - 추구가치 및 한식/비빔밥 취식 행태
•
외식을 할 경우 에스닉 푸드와 같이 다양하고 새로운 경험을 하고자 하며,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기를 즐기고 음식점이 가지는 독창적인 분위기를 중요시 함.
•
새로운 문화에 대한 높은 수용도를 보이는 계층으로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한식에 대해서도 세분 집단의 77.3%가 한 달에 한 번 이상 한식당을 방문함.
•
비빔밥에 대해 높은 취식 경험율과 만족도, 향후 취식 의향을 가지고 있음.
•
외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위생/청결을
꼽으며,
음식의
맛과
친절한
서비스에도 높은 중요도를 부여함. [그림] 에스닉 추구형 – 추구가치 및 한식/비빔밥 취식 행태 새로운 음식 음식점의 독창성 중시 추구가치 다양한 종류의 에스닉 푸드
34.9%
핵심 구매 고려 요인
위생/청결 (3.38/4.0) 음식의 맛 (3.35/4.0) 친절한 서비스 (3.18/4.0)
한국이미지
한국 이미지 : 긍정 86.6% 한식 관심여부: 53.0%(top2) 한류의 한식관심영향 여부: 75.7.%
한식 취식행태
한식 취식 경험율: 84.4% 한식 만족도 : 91.6% 한식 향후 희망율: 97.6% 한식당 방문 빈도: 77.3% (한달에 한번이상) 한식 1 회 지출금액: 58.4 위안
비빔밥 취식행태
비빔밥 비빔밥 비빔밥 비빔밥 비빔밥
취식 경험율: 79.3% 취식 만족도: 92.5% 향후 희망율: 92.4% 취식 빈도: 90.2% (한달에 한번이상) 1 회 외식 지출금액: 45.6 위안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6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에스닉 추구형 - 취식 상황 및 이용 동기
•
에스닉 추구형은 외식을 주로 친구와 함께 식사를 하는 일상적인 모임 또는 만남일 경우에 하며, 일반적인 식사를 목적으로 외식을 주로 함.
•
외식 시점에 있어서는 주로 점심 식사인 경우 외식을 주로 함.
•
핵심 이용 동기는 음식의 맛과 다양한 메뉴임. [표] 취식 상황 및 이용 동기
세분 고객 집단
취식 상황
이용 동기
에스닉 추구형 (Ethnicoriented)
친구들간의 모임/만남 점심식사의 식사용 모임의 저녁식사
267
모던하고 심플하면서 이국적인 분위기 부드러운 조명과 편안한 좌석 깨끗하고 위생적인 매장과 음식 다양한 메뉴에 의한 넓은 선택의 폭 모임에 적합한 대형 좌석의 구비 푸짐한 양
북경
3.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방향 •
북경 현지 고객 조사를 통해 도출된 한국의 비빔밥 전문점 이미지는 깨끗한, 맛있는,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간편한,
다양한
등이며,
이를
바탕으로
'깔끔하면서도 영양적 조화로 건강에 좋은 한국의 맛을 새롭고 간편한 형태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을 목표 포지셔닝으로 설정함. •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방향은 Q(메뉴/맛), S(서비스), C(Cleaness)와 기타 측면에서 도출함.
1) 메뉴측면(Quality) •
타겟 소비자 유인 요소 -
•
다양한 메뉴의 넓은 선택의 폭
다양한 비빔밥과 비빔밥 재료를 활용한 일품요리 등을 함께 제공하여 다양하고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함.
•
타겟 소비자 집단의 메뉴 측면의 키워드 이외에 비빔밥 전문점만이 핵심적으로 집중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차별적 가치로서 균형, 건강, 조화 등의 개념과 의미를 가진 메뉴 제공함.
•
핵심 키워드 -
메뉴 : 다양하고 넓은 선택의 폭
-
비빔밥의 핵심 가치(추가) : 건강 / 영양
2) 서비스 측면(Service) •
•
타겟 소비자 유인 요소 -
친구들간의 만남 / 모임, 점심 식사, 저녁 모임
-
편안한 / 부드러운 조명과 편안한 좌석 / 대형 좌석 구비
-
푸짐한 양
제공 서비스는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편안한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이나 식사를 위해 매장의 좌석, 좌석의 규모, 조명, 음악, 분위기 등을 고려해야 함.
•
메뉴의 제공 시 중국인의 식습관을 고려하여 메뉴의 종류와 양을 푸짐하게 제공
•
핵심 키워드 -
편안한 서비스와 메뉴의 푸짐함.
26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3) 위생-청결 측면(Cleaness) •
타겟 소비자 유인 요소 -
•
깨끗함 / 위생
재료 측면에 있어 제공되는 음식의 재료와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의 철저한 위생 관리로 항상 가장 깨끗한 수준의 음식이 제공 될 수 있도록 함.
•
매장 측면에 있어 매장 내외부, 종업원 복장 및 외모, 그릇, 좌석, 비품 등에 있어 위생/청결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핵심 키워드 -
깨끗하고 위생적인 메뉴와 매장
4) 기타 측면 •
타겟 소비자 유인 요소 -
•
모던하고 심플하면서 이국적인 분위기
매장의 이미지, 분위기 등을 인테리어와 소품 등을 활용하여 모던/심플하면서 한국적인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함.
•
적용가능키워드 -
즉,
한국적 분위기 / 모던-심플 ‘깔끔하면서도
영양적
조화로
건강에
좋은
한국의
비빔밥을
새롭고
간편하면서도 편안한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을 목표 포지셔닝으로 설정함. [표]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실체화
구분
Key Words
메뉴
다양한/넓은
(Q)
건강/영양
서비스
편안한 푸짐한
(S) 위생-청결 (C) 기타
제공가치
제공 메뉴 종류
본원적 가치
깨끗한 위생적인 모던/심플 한국적 분위기
269
실체화
제공 서비스 제공 음식 메뉴 매장
차별적 가치
매장
북경
Ⅲ. 비빔밥 전문점 마케팅 전략 Executive Summary 1. 비빔밥 전문점 컨셉 도출 시 전략적 고려 사항 •
‘대한민국 이미지’, ‘산업 중요가치’, ‘시장 트렌드’, ‘비빔밥 전문점의 강점’의 4가지 관점에서 가치 및 시사점을 종합하여 최적의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을 수립함.
1) 국가 보증 이미지 : 한국-한류 이미지의 적극적 활용 •
드라마 ‘대장금’으로 촉발된 한류와 한식에 대한 중국 내 폭발적인 붐
•
한식-비빔밥에로의 한류의 적극적인 활용
2) 산업 중요 가치 : 위생-청결, 이색적인 문화 경험 •
중국인의 식습관과 외식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위생-청결 등의 요인 고려
•
외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가치의 다양성(새로움, 이색적인 체험 등)
3) 트렌드 : 건강/웰빙 시장의 성장세 •
산업 중요 가치와 유사하게 소득의 증가와 식품 안전 등의 이슈화
•
에스닉 푸드 본래의 맛을 살린 메뉴의 성장
4) 비빔밥 전문점 강점 영역 : 비빔밥의 간편함, 다양함, 건강함 •
비빔밥 본연의 특징인 다양/건강함을 중점적으로 소구하며 중요시되는 위생-청결, 맛, 서비스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비빔밥 전문점의 가치 극대화
2. 비빔밥 전문점 컨셉 •
한국적 모던함과 메뉴의 다양성을 갖춘 한식 비빔밥 전문점 -
엄선된 고급 재료를 사용한 한식 비빔밥
-
고객 한 분 한 분을 위한 서비스
-
밥과 토핑 뿐 아니라, 소스 국 및 음료까지 my own recipe 주문 방식으로 자신의 입맛에 맞는 비빔밥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즐길 수 있음.
•
직장인들의 식사에서 친구들끼리의 모임, 가족 모임을 위한 최적의 장소
Quality 측면 다양한 토핑과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과 일품 요리 등을 함께 제공하여 맛과 메뉴에 있어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함.
•
Service 측면 제공되는 서비스는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편안한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이나 식사를 고려한 매장의 좌석 배치, 좌석 규모, 조명, 음악, 분위기 등을
27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제공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자신이 골라 만드는 비빔밥(my own recipe)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 •
제공되는 음식의 양 또한 소비자가 대접받는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푸짐하게 제공함.
•
Cleaness 측면 철저한 위생 관리를 통해 재료를 엄선하며,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 매장 내외부, 종업원, 식기와 비품 등에 있어서도 위생과 청결 관리를 철저히 하여 항상 깨끗하고 깔끔한 상태를 소비자에게 제공함.
3. 점포 모델 1) 점포 개요 •
핵심 표적 시장인 ‘에스닉 추구형 소비자’를 타겟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느낌을 주는 에스닉
경험(분위기/즐거움),
뛰어난
맛의
비빔밥,
다양한
메뉴(맛있는),
청결한
위생(믿음)을 제공함. •
•
점포 규모 -
소형 : 100㎡ / 26개 테이블 (2석 테이블 기준) / 52석
-
중형 : 150㎡ / 18개 테이블 (4석 테이블 기준) / 73석
-
대형 : 200㎡ / 24개 테이블 (4석 테이블 기준) / 97석
부서별 인원 구성 -
소형(100) : 총인원 9명, 주방 3명, 홀 6명
-
중형(150) : 총인원 14명, 주방 6명, 홀 8명
-
대형(200) : 총인원 19명, 주방 9명, 홀 10명
2) 메뉴의 구성 •
비빔밥 메뉴를 구성할 시에는 중국인의 식습관, 매장의 규모, 표적 소비자의 선호 재료 및 조리 방법, 표적 소비자의 취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
특히, 중국인의 다양한 메뉴와 푸짐한 양을 원하는 기본적인 식습관과 전문점이 가지는 메뉴 종류의 한계성 간의 절충점을 찾아야 함.
•
소형 규모의 매장의 경우, 회전율의 극대화를 통한 매출 발생이 필요하기에 다양한 종류보다는 비빔밥 단일 품목으로 연계성이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하는 다양한 비빔밥 메뉴의 구성을 해야 함.
•
메뉴의 구성 시, 연계성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 외에 모임이나 다수의 식사 시 주 요리와 함께 취식할 수 있는 부 요리(side menu)나 일품 요리가 필수적임.
•
부 요리(side-menu)는 비빔밥을 보완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요리로써 거부감이 없어야 함.
•
일품 요리는 탕과 전골과 같이 여럿이 함께 나눠 취식할 수 있는 양과 내용으로 구성함. 271
북경
4. 추천 상권 •
상권을 평가하는 기준은 ‘경쟁 강도’와 ‘매력도’로 구분
•
경쟁 강도는 에스닉푸드 레스토랑 확산율과 가격 별 레스토랑 밀집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매력도는 유동인구와 평균 임대료를 기준으로 평가함.
•
북경 상권의 경쟁 강도 현황 -
강한 경쟁 강도의 상권 : 삼리둔, 망경, 왕부정/동단, CBD
-
평균 수준의 경쟁 강도의 상권 : 아시아게임선수촌, 중관촌, 조외, 서단
-
낮은 경쟁 강도의 상권 : 금융거리, 십찰해, 연사, 송문문, 서직문, 동직문
-
경쟁 강도를 기준으로 북경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금융거리, 십찰해, 연사, 송문문, 서직문, 동직문 상권임.
•
북경 상권의 매력도 현황 -
매력도가 높은 상권 : 송문문, 중관촌, 망경, 삼리둔, 서직문, 연사
-
평균 수준의 매력도의 상권 : 동직문, 아시아게임선수촌, 십찰해
-
낮은 매력도의 상권 : 서단, 조외, CBD, 금융거리, 왕부정/동단
-
매력도를 기준으로 북경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송문문, 중관촌, 망경, 삼리둔, 서직문, 연사 상권임.
•
북경의 추천 상권 -
유동인구가 많고 에스닉 푸드에 대한 수용도가 높으며 임대료 수준 또한 적절한 (높은 매력도) 동시에 경쟁 강도가 약한 송문문, 서직문, 연사 상권을 최적 상권 후보로 선정함.
-
상권의 유형, 인구 특징, 컨셉 적합도, 타겟 적합도, 상권 발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송문문 상권과 연사 상권을 최종 최적 상권으로 추천함.
5. 추천 상권(송문문 상권과 연사 상권)의 비빔밥 전문점 모델 평가 •
송문문 상권과 연사 상권 모두 중형 규모의 비빔밥 전문점보다는 소형 규모의 매장의 가능성이 높은 상권으로 이는 해당 상권들이 백화점/쇼핑몰 위주의 상권으로 낮은 회전율과 높은 비용 구조로 인함.
•
투자 회수 기간을 기준으로 소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짧은 회수 기간을 나타냄
•
영업 레버리지도 분석을 기준으로 소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낮은 위험도를 나타냄.
•
전반적으로 송문문 상권과 연사 상권 모두 소형 규모의 매장이 타당함.
•
규모를 확대하여 입점을 하는 것은 높은 재정적 부담을 가질 수 있으므로, 비빔밥
27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전문점은 소규모 매장으로 시작하여 투자 리스크를 줄인 후, 점차 상권과 규모를 확대/ 확장해 나가는 전략이 타당함. 6. 홍보•프로모션 전략 •
•
•
인지도 확보 전략 -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곳의 주변 상권의 고객부터 잠재적으로 방문을 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에게까지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알려 고객의 인식 상에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 고려 대상에 속하도록 하는 전략
-
지역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
잠재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방문 유도 전략 -
고객이 알고 있는 많은 음식점 중에서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전략
-
공동 마케팅을 통한 집객 전략
-
잠재 고객 방문 유도 전략
재방문 유도 전략 -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해 본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하는 전략
-
Lock-in 전략
-
로열티 증대 전략
7. 북경 비빔밥 전문점 적정 메뉴 가격 •
표적집단인 ‘에스닉 추구형’ 소비자의 비빔밥 객단가는 45.6위안이며, 이를 기준으로 상권 별 객단가를 산정함.
•
송문문 상권의 객단가는 북경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에스닉추구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45.6위안), 저가 위주인 상권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표적 집단의 비빔밥 취식 시 1인당 평균 지출 금액과 동일한 46위안으로 산정함.
•
연사 상권의 객단가는 북경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에스닉추구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45.6위안)과 북경의 대표적인 고급 상권으로 고가로 형성되어 있는 상권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49위안으로 산정함.
273
북경
1. 점포 전략 가.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1)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도출 ‘대한민국 이미지’, ‘산업 중요가치’, ‘시장 트렌드’, ‘비빔밥 전문점의 강점’의 4가지
관점에서 각각의 가치 및 시사점을 추출한 후 종합적인 판단을 통해 최적의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을 수립함. [그림] 비빔밥 전문점 컨셉 도출 모형
① 국가 보증 이미지(Hallow Image)
한국 국가 선호도 •
2009년 실시된 한류와 한∙중 관계 평가 보고서에 의하며 중국인들이 한국, 한국 문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깨끗하다(92%), 우수하다(83%), 밝다(77%), 강하다(76%),
사고싶다(71%),
정직하다(65%)로
긍정적인
측면이
매우
높게
나왔음. 특히 ‘깨끗하다’와 ‘밝다’ 의 이미지는 한국 음식에 적용할 수 있는 긍정적 이미지 이며, ‘정직하다’의 이미지는 비빔밥 전문점(한식당)에서 적용 가능한 이미지임.
27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그림] 중국인이 생각하는 국가, 한류문화, 한국상품 이미지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② 외식-에스닉푸드 산업 중요 가치(Industry Value)
외식시 핵심 고려 요소 •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에 의하면, 중국 북경인들이 음식점 선택에 있어 가장 중시하는 것은 ‘위생 및 청결’로 나타남.
•
또한, ‘음식의 맛’, ‘친절한 서비스’, ‘합리적 가격’ 등이 중요한 핵심 고려 요소(Key Buying Factor)로 나타남. [그림] 음식점 선택 시 핵심 고려 요소 (Key Buying Factor)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75
북경
중국 식습관 및 외식 행동 •
식단의 구성은 메인요리+밥(면)으로 구성됨.
•
중국인들은 기본적으로 한 상에 다양한 요리를 함께 놓고 취식하는 것을 즐김.
•
중국인들은 음식이 남지 않을 경우에는 제공되는 음식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생각하여 항상 주문한 음식의 1/3 정도는 남기는 경향을 보임.
•
외식의 경우 메뉴 선택의 다양성을 중시함. (평균 50~100개 이상의 메뉴)
③ 중국 북경 한식 시장 트렌드(Trend)
전반적 외식시장 트렌드 •
현재 중국은 적극적 개방과 경제 성장에 따라 외식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건강/웰빙 트렌드의 영향으로 유기농 관련 시장도 증가하고 있음.
•
북경 시민들의 외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민들의 소비 관념 및 소비 구조도 변화하고 있음. 즉, 외식 소비에 대한 수요 변화는 단순한 음식 섭취에서 건강, 오락, 휴식 지향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
다양한 풍미 및 특색 요리(북경 전통맛, 북경 스낵, 각 지방요리, 궁중요리, 민족특색 요리 등)를 즐길 수 있는 음식점과 외국 외식 브랜드(테마 음식점, 레저 레스토랑 등)들이 북경 외식 시장에 새로운 트렌드를 일으키고 있음.
외식 가치의 변화 •
건강식 추구‟라는 기본 지향 가치를 기반으로 오리지널 에스닉 푸드 맛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외식 형태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음. [그림] 외식 가치의 변화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내부 인테리어‟, „분위기‟, „편안함‟, „서비스 품질 수준‟, „음악‟ 등 기본적인 맛 이외에 감성적 소구가 중요해짐.
27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한식 트렌드 •
현재 한식은 대중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진 상황이며, 다양한 연령대 및 다양한 계층에서 경험율이 높고, 다양한 한식당 형태로 발전 및 분화, 전개 중임 [그림] 한식 트렌드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비빔밥 측면 •
비빔밥은 북경의 많은 한식당에서 판매되는 개별 메뉴에서 벗어나 비빔밥 전문점을 표방하고 개별 점포 개념으로 발전하는 초기 단계에 있음.
•
비빔밥의 선호 이유로는 맛/편리성/영양/깨끗함 등을 그 이유로 들고 있음. (북경 소비자 조사결과 2010.10.)
[그림] 비빔밥 선호/비선호 이유 비빔밥 선호 이유 (n=297) 내용
비빔밥 비 선호 이유 (n=39)
비율
인원
내용
비율
인원
맛이 입맛에 맞는다/ 맛있다
45.7
136
맛이 입맛에 맞지 않고/ 맛이 없다
53.1
21
편리하고/간단하다
14.4
43
요리 양이 적다
11.0
4
영향이 풍부하다
10.0
30
귀칞다
6.5
3
빠르고 영양이 풍부하다
4.9
15
야채가 너무 많고, 좋아하지 않는다
6.2
2
좋아한다
4.7
14
깨끗하고/ 무난하게 먹을 수 있다
3.6
11
맛이 독특하다/ 깊은 맛이 있다
2.7
8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277
북경
④ 비빔밥 전문점 강점 영역(Appeal Factor)
유지 강화 영역 •
유지 강화 영역은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하며 신속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만족되어야 할 영역임
•
위생 및 청결 / 음식의 맛 / 친절한 서비스 / 서비스의 신속성 / 합리적 가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점이 추구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
점진 개선 영역 •
최우선적인 영역은 아니나 차별적 요인의 제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영역임.
•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빔밥 전문점의 컨셉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영역임.
무관심 영역 •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은 영역임.
•
부가적인 혜택과 관련된 요소 또는 기본적인 필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기본적인 요소들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요소들임. (음식의 양 / 메뉴의 다양성 등) [그림] 음식점 선택시 고려요인-만족도/중요도 matrix
27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⑤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수립의 시사점 •
4가지 측면의 고려요소를 종합해 보면, 비빔밥 전문점 컨셉 전략 수립 시 활용 가능한 기회는 1) 국가적 레벨에서의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2) 건강/웰빙에 대한 점차 높아지는 관심을 바탕으로 한 외식시장의 성장 3)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에 의한 중국인의 식생활과 외식산업의 다양화 4) 다른 에스닉푸드와 비교하여 비빔밥이 가진 차별화 속성 등이 있음.
국가 보증 이미지 : 한국-한류 이미지의 적극적 활용 •
한류와 한식에 대한 폭발적인 붐은 드라마 ‘대장금’의 방영으로 촉발됨.
•
한류의 한식-비빔밥으로의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임.
산업 중요 가치 : 위생-청결, 이색적인 문화 경험 •
중국인의 식습관과 외식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위생-청결 등의 요인을 고려함.
•
외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가치의 다양성(새로움, 이색적인 체험 등)
트렌드 : 건강/웰빙 시장의 성장세 •
산업 중요 가치와 유사하게 소득의 증가와 식품 안전 등의 이슈화
•
에스닉 푸드 본래의 맛을 살린 메뉴의 성장
비빔밥 전문점 강점 영역 : 비빔밥의 간편함, 다양함, 건강함 •
비빔밥 본연의 특징인 다양/건강함을 중점적으로 소구하며 중요시되는 위생-청결, 맛, 서비스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비빔밥 전문점의 가치 극대화
2) 비빔밥 전문점 컨셉 도출
앞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바탕으로 비빔밥 전문점의 컨셉 도출
한국적 모던함과 메뉴의 다양성을 갖춘 한식 비빔밥 전문점 •
Key concept -
Quality 측면 다양한 토핑과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과 일품 요리 등을 함께 제공하여 맛과 메뉴에 있어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함.
-
Service 측면 제공되는 서비스는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편안한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이나 식사를 고려한 매장의 좌석 배치, 좌석 규모, 조명, 음악, 분위기 등을 제공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자신이 골라 만드는 비빔밥(my own recipe)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 제공되는 음식의 양 또한 소비자가 대접받는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푸짐하게 제공함.
279
북경
-
Cleaness 측면 철저한 위생 관리를 통해 재료를 엄선하며,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 매장 내외부, 종업원, 식기와 비품 등에 있어서도 위생과 청결 관리를 철저히 하여 항상 깨끗하고 깔끔한 상태를 소비자에게 제공함.
핵심 제공 가치 •
맛/건강 (최고의맛 / 균형잡힌건강)
•
편안함/푸짐함/새로움
•
철저한 위생관리/청결한 매장 4 value
핵심 제공 가치인 맛/건강, 편안함/푸짐함/새로움, 철저한 위생관리/청결한 매장은 4 value로서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 •
•
제품(product) -
맛과 품질에 대한 보증 : 엄선된 고급 재료
-
다양한 선택의 폭 : 비빔밥 외 비빔밥과 어울리는 다양한 메뉴
공간 (Space) -
•
•
모던 / 심플한 공간 :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매장
서비스 (Service) -
인적 서비스 : 편안함을 주는 인적 서비스
-
공간 서비스 :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좌석 배치, 좌석 규모, 조명, 음악,분위기
문화 (Culture) -
독특한 문화적 경험 : 한국적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
-
독특한 서비스 경험 : my own recipe를 통해 내가 자유롭게 만드는 비빔밥
취식 상황 타겟 소비자 층의 취식 상황을 반영 •
친구 모임 / 가족 모임 / 직장인 식사(점심/저녁)
28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메뉴 my own recipe 방식을 통해 다양한 재료의 조합으로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비빔밥을 나만의 비빔밥을 제공함. 취식 상황으로의 모임과 메뉴의 넓고 다양한 폭을 위해 일품 요리 제공 •
기본 비빔밥 재료
•
비빔밥에 제공되는 재료로서 가장 기본적인 밥, 나물 등으로 구성함.
•
선택 재료 -
개인적인 선호차이가 큰 나물 종류와 고기, 소스 등은 선택 재료로 구분하여 개인별 선호 비빔밥을 만들 수 있도록 함.
•
일품메뉴 -
모임이나 다수가 식사할 경우 비빔밥과 더불어 함께 취식 할 수 있는 단품요리로써 비빔밥과의 어울림, 재료의 혼용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구성함.
281
북경
나. 비빔밥 전문점 점포 모델 1) 점포 개요 •
핵심 표적 시장인 „에스닉 추구형 소비자‟를 타겟으로 한국적 전통의 에스닉 경험의 제공(분위기/즐거움), 뛰어난 맛의 비빔밥, 다양한 메뉴(맛있는), 청결한 위생(믿음)을 제공함.
점포 컨셉 •
한국적 분위기와 정취를 편안하게 즐기면서, 대표적인 건강식인 비빔밥을 내가 원하는 대로 만들어 간편하면서도 푸짐하게 먹을 수 있는 비빔밥 전문 한국식 레스토랑
점포 디자인 컨셉 •
점포 컨셉인 ‘한국의 정취와 문화를 즐길 수 있는
한국식 정통 비빔밥
전문점’을 전체 매장 디자인에 반영함. •
한국의 미(예: 전통적인 단아함과 아름다움)를 기본으로 안정감, 편안함 등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한국식 디자인 추구
점포 고객층 •
1차 핵심 고객은 20~40세의 직장인으로 외식 상황으로는 동료, 친구 간의 점심 식사가 주 타겟
•
2차 핵심 고객은 가족을 타겟으로 하며, 외식 상황으로는 가족 단위의 점심 식사가 주 타겟
점포 입지 •
1차 입지 후보는 타겟층과 취식 상황을 고려하여 20~40대 직장인을 핵심 고객으로 하고 학생, 연인, 가족을 부 고객으로 하는 시내 중심지, 주요 상업지역, 대형 마트 또는 쇼핑 센터의 식음료 코너.
•
2차 입지 후보는 가족을 핵심 고객으로 하고 학생, 직장인을 부 고객으로 하는 주택가나 아파트 단지 내 상권
예상 점포 개설비용 •
인테리어, 익스테리어, 홀 설비와 소품, 주방 설비와 소품, 집기류, 인허가 비용 등
•
인테리어와 설비는 중국 현지에서 직접 조달하는 경우가 한국을 통하는 경우보다 훨씬 저렴하기는 하지만 디자인이나 기능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경비가 소요되더라도 국내에서 가져가는 경우가 많음. 28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점포운영
점포 규모 •
현지에서 한식당 규모는 소형이 100㎡이하, 중형이 330㎡내외, 대형은1000㎡ 이상의 규모가 통상적임.
•
비빔밥 전문점의 매장 규모는 전문점이라는 매장 특성에 따른 좁은 소비자층, 최근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부동산 관련비용, 상대적으로 고가의 가격 등의 운영에 있어서의 위험성 고려하여 결정함.
•
WKMG-GH Korea 한식당 실태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규모 기준 하위 30% 점포의 규모인 100㎡를 소형으로, 규모 기준 중위값인 50%의 규모인 150㎡를 중형으로, 상위 30%의 규모인 200㎡ 를 대형의 기준으로 선정함
•
비빔밥 전문점의 좌석 수는 소형 52석, 중형 73석 대형 97석으로 함. [표] 점포 규모별 비교
소형
중형
대형
규모
100 ㎡
150 ㎡
200 ㎡
단위당 객수
1.7 명/3.3 ㎡
1.6 명/3.3 ㎡
1.6 명/3.3 ㎡
테이블 수
13 개(4 석)
(4 석 기준)
26 개(2 석)
18 개
24 개
좌석 수
52 석
73 석
97 석
소형 테이블
중대형테이블
중대형테이블
소형 좌석
중대형 좌석
중대형 좌석
비고
점포 인력 구성 •
1일 법정 근로시간은 8시간으로 이를 넘기지 않도록 하며 인원 구성은 경력 직원과 보조 직원으로 구성하며 그 인력 구성비는 1:2를 기준으로 함.
•
일반적으로 중국의 인건비는 한국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 1인당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나, WKMG-GH Korea 조사 결과 1인당 노동 생산성이 한국의 50%~75% 수준으로, 한국과 대비하여 업무당 필요 인원이 더 많아, 총 급여에 있어서는 국내와 큰 차이가 없음.
283
북경
부서별 인원 구성 •
주방은 세척과 조리, 홀은 서빙과 캐셔로 구분.
•
주방의 인원 구성
•
-
세척과 조리로 구분하여 책임자와 보조 인력으로 인원을 구성함.
-
소형 매장은 책임자 1명, 보조 2명으로 구성하며, 중형 매장은 책임자 2명, 보조 4명, 대형 매장은 책임자 3명, 보조 6명으로 구성함.
홀의 인원 구성은 홀 총괄 매니저 1명과 책임자 1명을 주축으로 보조 인력을 식당 규모에 따라 구성함.
•
-
홀 총괄 매니저 1명을 제외하고 소형은 책임자 1명과 보조 4명, 중형은 책임자 1명과 보조 6명, 대형은 책임자 1명과 보조 8명으로 구성함.
-
홀 총괄 매니저는 수납 및 전체 홀 관리, 인력 관리, 고객 관리를 담당함.
총 인원 -
소형 : 총인원 9명, 주방 3명, 홀 6명
-
중형 : 총인원 14명, 주방 6명, 홀 8명 대형 : 총인원 19명, 주방 9명, 홀 10명
영업 시간 •
영업 시간은 현지에서 운영 중인 한식당 및 타 점포의 영업 시간, 점포의 주 타겟이 점심 식사임을 고려함과 동시에 저녁 식사대의 가족 단위 모임 등을 고려하여 오전 10시 ~ 오후 10시까지로 책정함.
•
오픈 초기에는 원활하게 점포가 운영 될 수 있도록 무리한 영업 시간을 잡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개점 후 3개월 정도의 운영을 거친 후 주변 상권과 내점 고객의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점포의 영업시간과 근무자의 근무 시간 등을 조정하도록 함.
3) 메뉴
메뉴 방향 •
메인 테마 -
•
오감이 즐겁고 균형 잡힌 건강에 좋은 한국식 전통 비빔밥을 푸짐하게 즐기는 메뉴를 구성함.
맛 -
비빔밥 맛의 방향을 정통성과 현지화를 적절히 조화하도록 하여, 한국 정통의 비빔밥을 위한 소스와 토핑과 함께 현지화된 비빔밥을 위한 소스와 토핑도 함께 제공함.
-
소스 : 정통 고추장 소스를 기본으로 중국인이 선호하는 다양한 현지화된 소스의 제공(예시 : 간장레몬소스, 참깨소스, 유자소스, 마요네즈 소스 등)을 통해 고객 거부감을 낮춤.
-
비빔밥 토핑 : 정통의 육회, 소고기 등의 토핑과 함께 중국인이 선호하는 현지화된 비빔밥 토핑을 볶음, 무침, 구이, 튀김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고객에게 제공함. 28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
•
•
재료 -
원부재료의 연계성 : 다양한 메뉴를 선호하는 중국인의 식습관을 고려하되, 원·부재료 간 연계성이 높은 메뉴의 제공/개발로 메뉴의 다양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재료의 활용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원가의 절감도 추구함.
-
조리 편리성 : 조리가 간편한 메뉴를 개발/도입하여 시간당, 노동 단위당 생산성을 높임.
운영 -
정기적인 메뉴 점검 : 정기적으로 메뉴군 별 매출 분석과 고객 반응을 검토하여 고객 선호가 높은 메뉴를 중심으로 메뉴를 구성함.
-
신메뉴 출시 : 매출의 안정성과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신메뉴를 개발함.
-
메뉴의 수 : 중국 식습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토핑을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을 제공함.
-
메인 메뉴인 비빔밥과 함께 일품 메뉴와 같은 개별 요리를 제공함.
-
매장의 규모에 따라 메뉴 수 및 종류는 상이하게 제공함.
가격 -
매장의 객단가는 전략적으로 표적 집단을 고려한 가격을 설정하여야 하며, 이에 매장 상권의 특징, 고객의 소비 성향, 투자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
표적집단인 ‘에스닉 추구형’ 소비자의 비빔밥 객단가를 고려하여 46위안을 기준으로 매장 상권의 특징, 고객의 소비 성향 등을 고려하여 객단가를 산정함.
메뉴의 종류 •
메뉴 종류의 구성 -
비빔밥 메뉴를 구성할 시에는 중국인의 식습관, 매장의 규모, 표적 소비자의 선호 재료 및 조리 방법, 표적 소비자의 취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
특히, 중국인의 다양한 메뉴와 푸짐한 양을 원하는 기본적인 전문점이 가지는 메뉴 종류의 한계성 간의 절충점을 찾아야 함.
-
소형 규모의 매장의 경우, 회전율의 극대화를 통한 매출 발생이 필요하기에 다양한 종류보다는 비빔밥 단일 품목으로 연계성이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하는 다양한 비빔밥 메뉴의 구성을 해야 함.
-
메뉴의 구성 시, 연계성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 외에 모임이나 다수의 식사 시 주 요리와 함께 취식할 수 있는 부 요리(side menu)나 일품 요리가 필수적임.
-
부 요리(side-menu)는 비빔밥을 보완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요리로써 거부감이 없어야 함. 일품 요리는 탕과 전골과 같이 여럿이 함께 나눠 취식할 수 있는 양과
-
식습관과
내용으로 구성함. •
부요리 -
부 요리로는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하면서 거부감이 없는 ‘면 요리’로 구성함.
-
면은 비빔밥이 가지는 밥의 요소와 어울릴 뿐만 아니라, 비빔밥과 원재료간의 연계성 높은 메뉴임.
-
간단한 소형 면과 밥을 함께 제공하는 세트 메뉴로써의 역할도 할 수 있음. 285
북경
•
일품 요리 -
일품 요리로는 한국식 탕과 전골, 불고기류 등으로 구성함.
-
다수가 함께 취식할 경우 함께 나눠 취식하는 식습관을 고려하여 1인분보다는 3~4인 분량의 메뉴로 제공함.
개별 메뉴
① 비빔밥 •
점포의 메인 메뉴
•
토핑 선택, 소스 선택과 서비스 되는 접시 등에서 차별화 요소 부여
•
북경에서의 비빔밥 전문점은 한국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국 정통식 비빔밥의 구성 비율을 타 경쟁사 대비 높임
•
메뉴 적용 대상 매장 : 모든 매장. [표] 비빔밥메뉴구성
운영메뉴
토핑에 따른 다양한 비빔밥 제공
비빔토핑
야채, 육류, 해물 등
비빔소스
매운맛, 순한맛으로 다양하게 구비
용기
도자기, 돌솥, 돌판, 놋그릇, 함지박 등
② 면류 •
면류는 야채, 육류, 해물 등의 토핑과 냉면, 온면, 비빔면의 조합을 통해 제공함.
•
비빔밥과 원부재료간 연계성 높은 면류의 제공으로 효율성을 높임.
•
메뉴 적용 대상 매장 : 모든 매장 [그림] 면류 메뉴 구성
운영메뉴
냉면, 온면, 비빔면 등 면류 제공
토핑재료
야채, 육류, 해물등
용기
도자기
28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③ 일품류 •
일품류 메뉴의 구성은 주로 한식탁에서 여러 명이 함께 주문하고 나눠서 다양하게 취식하는 중국인의 식습관을 고려하여, 음식의 양을 푸짐하게 하여 1접시로 2인 정도가 취식할 수 있는 분량의 음식을 제공함.
•
비빔밥과의 원부재료 연계성 높은 메뉴를 제공함. [그림] 일품류 메뉴 구성
운영메뉴
볶음, 무침, 부침, 구이, 전골등
재료
야채, 육류, 해물등
용기
접시, 전골냄비등
④ 기본찬 •
기본찬은 자극적이지 않은 침채류, 조림류, 절임류, 물김치, 따뜻한 국물 등 총 5종으로 구성하고, 면요리에는 국물을 제외한 3종찬으로 구성함.
287
북경
2. 상권 및 입지전략 가. 북경시 분석
주요 상권 리스트 •
현재 북경시 중심지역에는 이미 성숙된 CBD 상권, 연사(燕莎) 상권, 조외(朝外) 상권,
중관촌
상권,
올림픽
상권
및
왕징
상권
등이
분포되어
있으며,
시단(西单), 왕푸징(王府井), 금융가, 신세계상업구 등 4대 상업구역이 있음. CBD 상권은 북경시 고급상업 비즈니스 센터이고, 중관촌은 IT 하이테크 산업의 집결지이며, 왕징 상권은 북경시의 최대 신흥 중·고급 주택 구역임. •
레저 관광명소로는 후해(后海) 바(Bar)거리, 공인체육관 바거리, 삼리둔(三里屯) 바거리 등이 있음. <그림 Ⅳ-15 북경시 상권 분포 현황>
28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그림] 북경시 주요 상권리스트>
No 1 2 3 4 5 6 7 •
상권 명 한글명칭(한자,중국명칭)
중관촌 (中关村,쭝관춘) 아시아게임 선수촌 (亚运村,아윈춘) 망경 (望京,왕징) 서직문 (西直门, 시즈먼) 십찰해 (什刹海, 스차하이) 금융거리 (金融街, 찐롱지에) 서단 (西单, 시딴)
No 8 9 10 11 12 13 14
상권명 한글명칭(한자,중국명칭)
동직문 (东直门, 똥즈먼) 연사 (燕莎, 옌사) 삼리둔 (三里屯, 싼리뚠) 조외 (朝外, 차오와이) 왕부정(王府井,왕푸징) /동단(东单,똥딴) 송문문 (崇文门, 총원먼) CBD (CBD 상업지구)
북경의 상권은 주로 동부와 북부에 집중되어 있고, 서부와 남부의 경제발전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되어 있음.
289
북경
나. 최적 상권 제시
전체 Flow [그림] 추천 상권 및 모델 운영안 도출 전체 Flow
상권 분석
1) 정량적 상권 분석 2) 정성적 상권 분석 3) 목표 상권 후보안 제시
목표 상권 선정 1) 컨셉-상권 적합성 분석 2) 타겟 소비자 분석 3) 목표 상권 선정
모델 운영안 제시 1) 규모별(대-중-소 등) 2) 매출별(best-average-worst) 3) 최적 모델 제시
•
최종 추천 상권은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종합적으로 수행하여 도출함.
•
정량적 분석 : 경쟁 강도와 매력도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각 상권을 분석하여 추천 상권 후보를 도출함.
•
정성적 분석 : 정량적 분석에서 선정된 추천 상권 후보를 대상으로 상권의 특징, 상권의 장단점, 컨셉 적합도, 타겟 적합도, 상권 발전성 등의 정성적 항목을 평가하여 최종 추천 상권을 도출함.
1) 상권별 정량 평가 •
상권을 평가하는 기준은 „경쟁 강도‟와 „매력도‟로 구분함.
•
„경쟁 강도‟는 상권 평가의 항목 중 중간 저지성, 경쟁점(직접 경쟁/간접 경쟁)의 항목으로 측정 가능하며, „매력도‟는 현재의 상권력, 접근성, 성장 가능성, 누적적 흡입력, 양립성/보완성, 경제성 등을 통해 측정 가능함.
① 경쟁강도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의 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재 운영 중인 북경 내 주요 상권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상권별로 에스닉푸드 레스토랑 밀집도, 가격별 레스토랑 밀집도를 기준으로 상권별 경쟁강도를 평가함.
•
북경 상권의 경쟁 강도 현황 -
북경에서 평균 이상의 강한 경쟁 강도를 지니는 상권은 삼리둔, 망경, 왕부정/동단, CBD 상권임.
-
아시아게임선수촌, 중관촌, 조외, 서단 상권은 평균 정도의 경쟁 강도를 지님.
-
금융거리, 십찰해, 연사, 송문문, 서직문, 동직문 상권은 평균 이하의 낮은 경쟁 강도를 나타내고 있음.
•
추천 상권 -
경쟁 강도를 기준으로 북경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낮은 경쟁 강도를 보이는 금융거리, 십찰해, 연사, 송문문, 서직문, 동직문 상권임. 29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그림] 북경시 경쟁강도에 의한 상권 분석 상권 CBD 중관촌 조외 연사 왕부정/동단 아시아게임선수촌 서직문 십찰해 숭문문 서단 삼리둔 망경 동직문 금융거리 평균
경쟁강도 15 13 12 7 15 13 8 6 8 14 26 26 10 3 12
② 상권 매력도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의 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재 운영 중인 북경 내 주요 상권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상권별로 유동 인구, 에스닉푸드 레스토랑 밀집도, 평균 임대료를 기준으로 상권별매력도를 평가함.
•
북경 상권의 매력도 현황 -
북경에서 평균 이상의 매력도를 지니는 상권은 송문문, 중관촌, 망경, 삼리둔, 서직문, 연사 상권임.
-
평균 수준의 매력도를 지니는 상권은 동직문, 아시아게임선수촌, 십찰해 상권이 있음.
-
서단, 조외, CBD, 금융거리, 왕부정/동단 등의 상권은 평균 이하의 낮은 매력도를 나타내고 있음.
•
추천 상권 -
매력도를 기준으로 북경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높은 매력도를 보이는 송문문, 중관촌, 망경, 삼리둔, 서직문, 연사 상권임. [그림] 북경시 매력도에 의한 상권 분석 상권 CBD 중관촌 조외 연사 왕부정/동단 아시아게임선수촌 서직문 십찰해 숭문문 서단 삼리둔 망경 동직문 금융거리 평균
291
매력도 78 137 89 124 54 103 130 99 165 91 130 133 107 76 108
북경
③ 추천 상권의 선정 •
상권 별 경쟁강도 및 상권 매력도를 기준으로 상권을 사분면에 배치하여 각 사분면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최적 상권을 선정함. [그림] 북경 상권 경쟁강도-매력도 grid
최적 상권 (정량 평가 기준)
•
2사분면에 해당하는 ‘나 영역’ 역시 ‘가 영역’과 마찬가지로 유동인구가 많고 에스닉 푸드에 대한 수용도가 높으며 임대료 수준 또한 적절한 매력도가 높은 상권이며 또한 경쟁 레스토랑 밀집도가 적어 최적 상권의 영역임.
•
해당 상권 : 송문문, 서직문, 연사
29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최적 상권 후보군 정성 평가 •
상권별 정량 평가를 통해 선정된 서직문, 연사, 송문문 3개의 상권 후보군의 특징 및 장단점을 분석하고 비빔밥 전문점 컨셉에 대한 적합성, 타겟 적합성, 상권의 발전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정성적 평가를 통해 최적 상권을 선정함.
최적 상권 •
상권의 유형, 장단점, 인구 특징, 컨셉 적합도, 타겟 적합도, 상권 발전성 등을 고려한 결과 송문문 상권과 연사 상권이 최적의 상권으로 평가됨.
•
송문문 상권은 주요 유동 인구인 젊은 층의 소비 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절대적인 소득은 적어도 왕성한 소비를 하는 젊은 층의 성향을 고려할 때 비빔밥 전문점 에서 제시하는 가격을 지출할 수 있는 실질적인 소비력은 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며, 비빔밥 전문점 컨셉을 통한 에스닉 문화의 경험의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젊은 층의 소비를 충분히 자극할 수 있음. 상권 자체에 있어서도 편리한 교통과 인근 상권과의 높은 연계성 등을 감안할 때 비빔밥 전문점 입지의 최적의 상권으로 선정함.
•
연사 상권은 비빔밥 전문점 컨셉이 상권에 포지셔닝함에 있어, 애매한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있으며, 상권의 발전성 또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기본적인 상권의 특성인 고급 상권, 높은 구매력, 에스닉푸드에 높은 수용도 등을 고려할 때, 비빔밥 전문점의 성공 잠재력 또한 높은 상권으로 비빔밥 전문점 입지의 최적 상권으로 선정함. [표] 최적 상권 후보군 정성평가 요약> 서직문
연사
송문문
상권유형
오피스/의류 도소매단지
고급 생활구역
상업쇼핑센터
등급
중급
고급
중고급
인구특징
학생/젊은 층
상권 근처 고급 아파트 거주민
주변 단지 거주민 / 젊은 층 중심의 상권
컨셉 적합도
★
★★★
★★★★
타겟 적합도
★★
★★★★
★★★★
상권 발전성
★★★★
★★
★★★
종합 평가
★★
★★★
★★★★
293
북경
다. 추천 상권 투자 및 손익 분석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앞서 도출한 두 개의 추천 상권인 송문문과 연사에서 각각 소형과 중형의 매장 규모 별로 예상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여 최적의 매장 형태를 선정 1) 송문문 상권의 예상 투자 및 손익 분석
① 송문문 상권 종합 평가 •
종합적으로 송문문 상권은 중형보다는 소형 규모의 매장의 가능성이 높은 상권으로 이는 낮은 회전율과 높은 비용 구조로 인한 것으로 보임.
•
투자 회수 기간을 기준으로 소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짧은 회수 기간을 나타냄.
•
영업 레버리지도 분석을 기준으로 소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더 낮은 위험도를 나타냄.
•
전반적으로 송문문 상권에서는 소형 규모의 매장이 타당함.
•
규모를 확대하여 입점을 하는 것은 높은 재정적 부담을 가질 수 있으므로, 비빔밥 전문점은 소규모 매장으로 시작하여 투자 리스크를 줄인 후, 점차 상권과 규모를 확대/확장해 나가는 전략이 타당함. [표] 송문문 상권 비빔밥 전문점 종합 평가 내용
구분
평가
투자회수기간
소형(100㎡)
<
중형(150㎡)
짧을수록 우위
영업이익율
소형(100㎡)
>
중형(150㎡)
높을수록 우위
영업 레버리지도 (DOL)
소형(100㎡)
<
중형(150㎡)
낮을수록 우위
2) 연사 상권의 예상 투자 및 손익 분석 ① 연사 상권 종합 평가 •
종합적으로 연사 상권은 중형보다는 소형 규모의 매장의 가능성이 높은 상권으로 이는 백화점 위주의 상권으로 낮은 회전율과 높은 비용 구조로 인한 것으로 보임.
•
투자 회수 기간을 기준으로 소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짧은 회수 기간을 나타냄.
•
영업 레버리지도 분석을 기준으로 소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낮은 위험도를 나타냄.
•
전반적으로 연사 상권에서는 소형 규모의 매장이 타당함.
•
규모를 확대하여 입점을 하는 것은 높은 재정적 부담을 가질 수 있으므로, 비빔밥 전문점은 소규모 매장으로 시작하여 투자 리스크를 줄인 후, 점차 상권과 규모를 확대/확장해 나가는 전략이 타당함. 29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표] 연사 상권 비빔밥 전문점 종합 평가
내용
구분
평가
투자회수기간
소형(100㎡)
<
중형(150㎡)
짧을수록 우위
영업이익율
소형(100㎡)
>
중형(150㎡)
높을수록 우위
영업 레버리지도 (DOL)
소형(100㎡)
<
중형(150㎡)
낮을수록 우위
295
북경
3. 홍보•프로모션 전략 가. 홍보•프로모션 전략 개요 •
비빔밥 전문점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홍보 및 프로모션의 실행이 중요함. 개별 점주들의 효과적인 점포 홍보와 집객을 돕기 위해 비빔밥 전문점의 홍보 및 판촉 가이드를 제공함.
비빔밥 전문점 홍보 판촉 기본 전략 •
일반적으로 해외에 진출하는 음식점들은 현지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안정적 식당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중국에 진출하는 비빔밥 전문점의 성공적인 초기 안착을 위해 현지 사정에 맞는 개업 정보의 확산 및 집객, 그리고 재방문을 위한 홍보 판촉이 필요함. [그림] 홍보 판촉 전략 기본 개념
29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1) 인지도 확보 전략 •
개업 직후부터 비빔밥 전문점을 고객에게 알리는 것은 운영에서 가장 기본적인 일임. 인지도 확보 전략은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곳의 주변 상권의 고객부터 잠재적으로 방문을 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에게까지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알려 고객의 인식 상에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 고려 대상에 속하도록 하는 전략임.
지역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지역 주민, 해당 지역 근무 직장인, 근처 상인 등 근접 지역 고객들의 인지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임.
잠재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지역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들의 인지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임.
2) 방문 유도 전략 •
고객이 알고 있는 많은 음식점 중에서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임. 지역의 업체나 거래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또는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하거나
비빔밥
전문점
근처의
거리에서
고객들에게
혜택을
제공하여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음.
공동 마케팅을 통한 집객 전략 •
지역 업체, 지역 매체, 지역 NGO, 공급업자 등과의 협업 또는 공동 마케팅을 통해 비용 효율성을 확보하고 업체 간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략임.
297
북경
잠재 고객 방문 유도 전략 •
인터넷 또는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 이벤트, 쿠폰 등을 통한 혜택을 제공하여 고객들의 방문을 유도하는 전략임.
3) 재방문 유도 전략 •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해 본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하는 전략으로 고객에게 좋은 경험을 남겨 비빔밥 전문점에 대한 호감을 갖게 하는 전략과 적립식 마일리지와 같이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유도하는 세부 전략의 실행이 가능함.
Lock-in 전략 •
멤버십 혜택, 마일리지, 쿠폰 증정 등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올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旣 방문 고객들의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는 전략임.
로열티 증대 전략 •
방문 고객들이 특별 대우를 받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이벤트나 해당 비빔밥 전문점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을만한 판촉물을 제공하여 고객들에게 좋은 경험을 남김으로써 고객들의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는 전략임.
29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4. 가격 수립 가. 북경 비빔밥 전문점 적정 메뉴 가격
비빔밥 전문점의 가격 산출 •
WK 마케팅그룹-GH Korea의 소비자 조사에서 조사된 소비자 지불 가격을 기준으로 도시별 경쟁 상황과 상권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햐여 가격을 산정함.
•
메뉴에 소요되는 원재료, 급료, 임대료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메뉴별 가격을 산출하고 객단가를 산출함.
소비자 수용 가격 •
비빔밥 취급 한식당의 평균 객단가는 ‘51.3위안’이며 최고가 메뉴 가격은 ‘99.5위안’, 최저가 메뉴 가격은 ‘10.4위안’으로 나타남.
•
대체로 21~50위안 사이 객단가 메뉴를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남.
객단가 •
표적집단인 ‘에스닉 추구형’ 소비자의 비빔밥 객단가는 45.6위안이며, 이를 기준으로 상권 별 객단가를 산정함.
•
송문문 상권의 객단가는 북경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에스닉추구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45.6위안), 저가 위주인 상권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표적 집단의 비빔밥 취식 시
1인당 평균 지출 금액과 동일한
46위안으로 산정함. •
연사 상권의 객단가는 북경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에스닉추구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45.6위안)과 북경의 대표적인 고급 상권으로 고가로 형성되어 있는 상권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49위안으로 산정함.
299
북경
Ⅳ.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Executive Summary 1.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1) CJ푸드빌 비비고 (bibigo) •
진출 내용 -
2010년 8월 왕부정(王府井, 왕푸징) 지역의 동방신천지 (东方新天地, 똥팡신티엔띠) 쇼핑몰에 CJ 단독 직접 투자 방식으로 입점함.
-
25-35세 사무직 여성이 주 고객층이며, 전체 고객 중 여성비율이 70~80%에 달하며, 이러한 고객층은 국내와 거의 유사함.
•
현지화 노력 -
국내에서 운영 중인 비비고의 컨셉의 유지 (셀프 서비스 방식)
-
중국인들의 푸짐한 양 선호 반영 : 1인당 180g의 밥 제공(한국은 1인당 150g)
-
중국인들의 돼지고기 선호 반영 : 비빔밥의 토핑에 돼지고기류 추가
2) 본아이에프㈜ 본비빔밥 •
진출 내용 -
2006년 이후 광동성 동관시에 해외 라이센스 가맹점 형태로 3개점 운영
-
한국 본죽&비빔밥 혼합 매장 모델를 기반으로 본죽&비빔밥에서 취급하는 죽과 비빔밥, 그리고 뚝배기와 전 등의 사이드 디쉬를 취급하는 패스트 캐주얼 식당
•
주요 고객층은 한국문화에 익숙한 중국 현지 대도시 20~30대 여성임.
현지화 노력 -
메뉴 구성의 다양성 확대 : 다양한 비빔밥 토핑과 국수 등의 사이드 디쉬 및 음료 파트 보강
-
모던한 한식으로 차별화 시도 : 중국 내 기존 전통한식과 차별화된 푸드스타일링 및 식기 사용으로 중국 조선족이나 현지인이 모방한 전통한식 대신 한국에서 온 모던한(modern) 느낌의 한식으로 차별점을 소구함.
3) 시사점 •
한국보다 낮지 않은 기본 비용 : 인건비, 임차료 등과 같은 비용이 국내 시장에 비해 중국 시장이 저렴할 것이라는 인식은 맞지 않으며 이러한 점이 사전 손익구조 계획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함.
•
현지 인프라 및 인력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현지화: 현지화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이를 위해서는 현지 인프라와 인력을 충분히 활용해야 함. -
운영 관리부터 메뉴, 서비스, 인테리어, 식기, 유니폼, 메뉴판 등 모든 면에서 현지화를 이루어야 함.
30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
중국 내에서의 한식 외식시장은 한식에 대한 높은 수용성과 친밀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중국 외식고객에 대한 사전 연구와 현지 외식시장 내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 관점의 성공을 위해서는 한국 기업이나 사업가의 독자진출이 아닌 현지인과의 파트너쉽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2. 비빔밥 전문점의 해외 진출 로드맵 •
비빔밥 전문점의 로드맵은 도입기-성장기-성숙기의 시장 상황에 따라 각각 시행착오 단계포위망 돌파 단계형태전환단계 순으로 진행함.
•
시행 착오 단계(도입기) : 성장이 느리고 기복이 심한 단계로써, 운영에 있어 인내와 성실성이 요구됨.
•
포위망 돌파 단계(성장기) : 고속 성장기로 양적-질적 규모를 성장시킬 수 있는 있는 황금시기로써, 과감한 투자와 공격적 경영이 요구됨.
•
형태 전환 단계(성숙기) : 점포가 전환점에 직면하는 시련을 겪게 됨. 형태의 전환이 성공하면 향후 성장속도가 포위망 돌파 단계에 비해 느린 편이지만, 안정적이고 성숙한 국면에 도달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만일 형태 전환이 실패로 돌아가면 폐사 위기에 처할 수 있음.
•
각 단계의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하고, 다음 단계로 이행함.
301
북경
1.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비빔밥 세계화의 사업 주체는 비빔밥이 확산되도록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원하는 정부와 실질적으로 비빔밥 세계화 사업을 전개하는 주체인 기업 및 개인으로 구분될 수 있음.
정부, 기업, 개인 각 사업 주체별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 성공적인 현지 비빔밥 진출과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고 비빔밥 세계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그림]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① 정부 •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및 지원 활동
•
각 도시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관심도 및 선호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비빔밥 관련 홍보 활동
•
현지에서의 비빔밥 전문점 창업 및 운영 전반에 걸친 지원활동
•
현지 비빔밥 전문점들의 서비스 및 품질 제고, 그외 전반적인 비빔밥 전문점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한 지원활동
•
해외 각지에서의 비빔밥 활성화를 통한 한식 식재료의 수출 촉진 도모
30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② 기업 •
비빔밥 세계화의 첨병이 될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의 구축과 현지 사업 전개
•
기존 국내에서 운영중인 성공적인 비빔밥 전문점 중 해외 진출에 유망한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 혹은 현지에 맞는 새로운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 개발을 통해 해외에 진출함으로써 비빔밥을 전파하고 선보이는 역할
•
해외 현지에 맞는 비빔밥 메뉴와 서비스 현지화 작업 등을 통해 비빔밥 세계화의 구체적 성공모델을 제시하는 역할
•
시장 포화상태인 국내 외식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사례 창출로 외식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
•
국내 외식업 관련 대기업과 중견 외식업체, 그리고 한식당의 시장 유망성을 높이 평가하는 현지의 외식관련 기업들이 이에 해당함.
③ 개인 •
비빔밥 세계화의 스피디한 전개를 위한 실전병과 같은 역할
•
현지에서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비빔밥
전문점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거나
현지인에 어필할 수 있는 비빔밥 전문점 사업아이템을 직접 개발하여 운영하는 경우로 현지에서 비빔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단순 생계형의 목적을 뛰어넘어 비빔밥 전문점의 사업성을 높이 평가하고 참여하는 개인 사업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임. •
해외 투자 진출에 관심이 있는 국내 거주 개인과 현지 거주 경험을 바탕으로 비빔밥 전문점을 운영하고 있거나 창업을 하고자 하는 개인들이 이에 해당함.
303
북경
2. 한식당 해외진출 전략 유형 및 사례연구 가. 비빔밥 전문점 중국진출 사례연구
비빔밥 전문점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한 대표적인 국내 외식기업의 사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국 시장 진출전략 수립시 한국 시장과 다른 점들로 인해 각별히 유의할 사항들은 무엇인지 살펴 보고자 함. 10
1) ㈜CJ 푸드빌 비비고(bibigo) ① 개요 •
CJ 비비고 해외진출 1차 대상 도시로 중국 북경, 싱가포르, 미국 LA 3개 지역을 선정하여 2010년 오픈함. 중국의 경우, 2010년 8월 북경 왕부정(王府井,왕푸징) 지역의 동방신천지 (东方新天地, 똥팡신티엔띠) 쇼핑몰에 CJ 단독 직접 투자 방식으로 입점하였음.
•
중국 시장이 1차 전략도시 중 하나로 선정된 이유는 점차 커져가는 중국 내수시장의 소비력과 이를 기반으로 중국에 ‘제2의 CJ’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적 목표에 따른 것임. 또한, 아시아 지역으로서 한식에 대한 수용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한류 등을 통한 국가이미지가 긍정적이다는 점도 한식 사업을 전개하게 된 주요 요인임.
•
주요 고객층: 25-35세 사무직 여성이 주 고객층이며, 전체 고객 중 여성비율이 70~80%에 달함. 이러한 고객층은 국내와 거의 유사함.
② 현지화 노력 •
해외 진출 시에도 국내에서 운영 중인 비비고의 컨셉이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 서울 광화문점 1층은 셀프 서비스 방식(Quick Service Restaurant 형태), 2층은 풀 서비스 방식으로 운영 중인데 이 중 셀프 서비스 방식을 해외 진출 시 적용 중임.
•
중국 고객의 식문화 특성 등을 고려하여 현지화를 위해 차이를 둔 점은, 푸짐한 양을 선호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1인당 150g의 밥을 제공하는 데 반해 중국의 경우는 180g으로 조정하였고, 중국인들이 돼지고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비빔밥에 올라가는 토핑에 돼지고기류를 추가하였음.
10
CJ 푸드빌 비비고 해외진출 실무자 인터뷰, 2011.6.20
30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③ 중국 비빔밥 사업에서의 성과 및 애로사항 •
현재 북경, LA, 싱가포르 3개 도시에서 운영 중인 CJ 비비고 해외점 가운데 북경점이 목표 대비 매출 성과는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음. 10 여개월 중국 비빔밥 사업을 진행하면서 드러나는 애로사항은 다음과 같음.
•
중국 외식시장 트렌드보다 한 템포 빠른 ‘건강’ 컨셉: 아직은 푸짐한 음식을 몸에 좋다고 여기는 것이 중국인의 건강식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임. 즉, 저열량, 고단백, 유기농(야채 위주, 닭가슴살 등)을 내세운 비비고의 비빔밥을 ‘건강한 음식’으로 선호하는 고객층은 아직 중국 시장 내에 제한적임. 예를 들면 고단백을 내세운 닭가슴살보다는 닭다리를 더 선호하는 식임.
•
다양한 메뉴를 원하는 중국인의 특성과 상충되는 제한된 메뉴 : 한국보다 양을 늘렸음에도 양에 대한 불만이 일부 존재하며, 비빔밥 위주의 한정된 메뉴로 고객을 확장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음. 즉, 보통 3-4접시를 한 상에 차려놓고 푸짐하고 다양하게 먹는 중국인의 식문화와 상충됨. 가격 측면에서도 현재의 중국 비비고의 비빔밥은 약 40위안대로 20위안대 안팎에서 먹을 수 있는 일반 비빔밥에 비해 고가인 편으로 여러 가지를 주문하기에 비용적 부담이 장애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④ 향후 중국시장 운영 및 진출 전략 •
메뉴 확장 고려 : 비비고의 비빔밥 컨셉을 흔들지 않으면서 메뉴를 확장하는 것을 고려 중임. 중국인들이 상대적으로 한식에 대해 많이 알고 취식 경험율도 높다 하지만 한식으로 인식하는 메뉴는 많지 않은 상황이며 아직은 좀더 다양한 한식을 소개하는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이러한 상황 속에서 카테고리 킬러(Category killer)
11
성격의 전문점 형태는
현재로서는 조금은 이르다고 보고 있음. •
향후 사업 확대를 위한 진출 전략 : 현재 중국 북경 1호점은 CJ 직접 투자 방식임. 그러나, 중국 내에서의 적극적인 사업 확대를 위해서는 현지인의 네트워킹 및 경험과 노하우가 필수적임. 2012년경에는 합자 (Joint Venture)나 마스터 프랜차이즈 (Master Franchisee)와 같은 방식으로 현지 파트너와 함께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임.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CJ 비비고 북경 1호점은 샘플샵과 같이 중국 시장을 배우고 현지화를 위한 시험을 하는 모델샵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음.
11
198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소매 형태로 완구용품·스포츠용품·아동의류·가전제품· 가구 등과 같이 상품 분야별로 여러 곳에 특화된 전문 매장을 갖추고 이를 집중적으로 판매하는 소매업태를 통틀어 일컬음. 한국의 가전제품 전문매장인 하이마트, 미국의 스포츠용품 전문점 스포츠 오소리티(Sports Authority) 등이 카테고리킬러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305
북경
2) 본아이에프㈜ 본비빔밥12 ① 개요 •
본아이에프㈜는 2006~2009년 기간 중 해외 라이센스 가맹점 형태로 해외 진출을 시도하였으며, 한국 본죽&비빔밥 혼합매장 모델을 기본 베이스로 운영 중임.
•
-
미국의 경우, 총 4개 점포로 뉴욕 1개점, 캘리포니아주 2개점, 조지아주 1개점을 운영 중이며 조만간 뉴욕에 1개점을 추가로 개설 예정임. 일본 의 경우, 동경 신오쿠보 1개점 운영 중
-
중국의 경우 광동성 동관시에 3개점을 운영 중임.
진출 아이템 및 식당 유형 : 본죽&비빔밥에서 취급하는 죽과 비빔밥, 그리고 뚝배기와 전 등의 사이드 디쉬 취급. 패스트 캐주얼 형태의 식당
•
주요 고객층 : 한국문화에 익숙한 중국 현지 대도시 20~30대 여성
•
테스트 샵의 운영 : 중국을 주요 전략 시장으로 선정하고 직원 파견이 용이한 중국 북경에서 직영으로 테스트샵을 2010년 약 1년간 운영하면서 사업모델의 현지화 방안을 개발함. 이 결과 나온 현지화 모델은 2012년 중 동관 시 가맹 매장에 적용 예정임.
•
그동안의 중국 사업 운영을 통해 드러난 한국 고객과 다른 중국 외식 고객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
12
-
메뉴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큰 편
-
음료와 디저트의 비중이 큼.
-
맛보다는 눈으로 음식을 평가
-
셀프 서비스 방식에 대한 상대적 비선호: 맥도날드, KFC같이 유명한 서양식 13 퀵서비스레스토랑(Quick Service Restaurant) 의 셀프 서비스 방식은 수용하나 다른 동양식 음식점은 20위안 이상이라면 테이블에서 서비스 받는 캐쥬얼 다이닝 레스토랑이 적절함.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현지화를 위한 주력 개선포인트는 다음과 같음. -
메뉴구성의 다양성 확대 : 보통 중국음식점의 경우 기본 메뉴가 거의 100가지 수준으로 중국인들의 다양한 메뉴에 대한 선호는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임. 비빔밥을 중심으로 한 메인 디쉬는 유지하되 현지 중국인들이 공통적으로 흔히 먹기에 어느 중국 음식점에서나 쉽게 찾을 수 있는 국수 등의 음식과 음료를 사이드 디쉬 및 음료 파트에서 보강함. 예를 들면 KFC 및 요시노야 음식점에서도 중국인이 흔히 먹는 계란찜을 사이드 디쉬로 제공하고 있을 정도임. 또한, 한국에서는 흔히 메뉴 100가지라고 하면 완전히 다른 100가지 메뉴를 생각하지만 중국의 경우 비빔밥에 사용되는 토핑 및 재료에 따라 2030여 가지 메뉴가 나오고 이에 다른 음식명을 붙여 다른 음식으로 분류하기에 메뉴판의 메뉴가 더 다양해 보이는 부분도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메뉴판 구성이 필요함.
-
모던한 한식으로 차별화 시도 : 중국 내 기존 전통한식과 차별화된 푸드
주석 본아이에프 해외사업 마케팅 실무자 인터뷰, 2011.06.20
13
퀵서비스레스토랑(QSR : quick service restaurants) 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패스트푸드레스토랑 (fast food restautant) '과 동일한 개념임. 음식의 특성이나 서비스 방법, 객단가, 결제 방법 등에 따라 가장 간단한 형태로 이루어진 외식업 형태에 속하며, 국내 외식업체 중에서는 'CJ 비비고', 종합식품기업 (주)아워홈에서 한식 즉석요리 전문점 '밥이답이다'를 운영중에 있음.
30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스타일링 및 식기 사용으로 중국 조선족이나 현지인이 모방한 전통한식 대신 한국에서 온 모던한(modern) 느낌의 한식으로 소구. 즉, 한류 드라마나 영화에서 보았던 모던한 한국의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함. ③ 중국 사업에서의 성과 및 애로사항 •
중국 사업의 성과 및 전략적 시각 : 중국 사업은 당장의 수익보다는 현지에서의 운영 경험과 현지화 노하우를 축적하는 단계로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투자를 시도하고 있는 걸음마 단계라 볼 수 있음. 중국에서의 한식 사업은 지속 성장할 시장이지만 인프라가 국제화되지 않았고 인력과 물가가 급상승 중이라 효율적인 비용관리와
운영이
관건임.
한식과
한국문화는
현대적으로
접근하면
성장
가능성이 높으나 아직 대중화될 정도의 대중적 선호도는 부족한 상황으로 여겨짐. •
애로사항 : 매장과 법인 운영 시 현지 인력 고용 및 관리 상의 문제, 입점 부동산을 확보하는 과정, 현지 법인 설립 과정 등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음.
④ 향후 중국 시장 운영 및 진출 전략 •
현재 중국 광동성 동관시에서 기존 가맹점 인프라 및 고객층을 활용하여 3개점을 운영 중임. 현재까지의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현지화 모델을 보완할 계획이며
3~5년 후에 현지화 사업모델이 구체화 될 것으로 예상됨. 이를
기반으로 중국 1~2성급 도시에 마스터 프랜차이즈 운영을 통해 중국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것을 계획 중임.
307
북경
나. 시사점
국내 대표적인 외식기업 사례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언급된 중국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음. •
한국보다 낮지 않은 기본 비용 : 인건비, 임차료 등과 같은 비용이 국내 시장에 비해 중국 시장이 저렴할 것이라는 인식은 맞지 않으며 이러한 점이 사전 손익구조 계획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함.
•
-
인건비 : 한국에 비해 현지 중국인 종업원들의 노동 생산성은 상당히 낮은 편으로 통상적으로 한국에서 1명의 종업원이 할 일을 중국은 3명 정도가 충당한다고 보는 것이 적절함. 그러므로, 인당 인건비는 싸더라도 결과적으로 총 인건비는 한국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음. 또한, 파트타임과 같은 아르바이트제 개념이 없어서 모두 정규직으로 종업원을 채용해야 하는 점도 인건비를 높이는 요인임.
-
임차료 : 상권 및 입주 건물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지만, 현재 비비고의 경우 브랜드 홍보 효과 등을 고려하여 베이징의 최고 상권 중 하나인 동방신천지 쇼핑몰에 자리잡고 있어 한국의 매장에 비해 2배 수준의 임차료를 내고 있음.
매출원가 관리를 위한 다양한 공급망 확보 : 북경을 중심으로 운영 중인 정일미의 경우 비빔밥을 15-20위안대로 ‘싸고 맛있게’ 제공하는 것이 주요 성공요인으로 이와 같이 매출원가의 적정관리를 위해 다양한 공급망을 확보하고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하는 것이 주요 역량 중 하나로 요구됨.
•
현지 인프라 및 인력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현지화: 현지화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이를 위해서는 현지 인프라와 인력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성공열쇠임. -
운영 관리상: 초기 비용 절감 차원에서 파견 인력으로 해결방안을 찾기보다는 비용이 조금 더 들더라도 현지 전문가를 아웃소싱하는 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실패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임. 예를 들어 현지법인설립 시에도 레스토랑 운영법인의 경우는 일반적 법인 설립과는 다른 특수성이 요구되므로 반드시 외자계 레스토랑 운영법인 설립 경험이 있는 현지 변호사 및 회계사를 고용할 필요가 있으며, 부동산 전문가의 경우는 국제적으로 인지도 및 신뢰도가 있는 회사의 부동산 컨설턴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현지 네트워크 활용: 매출원가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식재료 공급망 확보를 위해서는 현지인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한 부분임.
결과적으로 중국 내에서의 한식 외식시장은 한식에 대한 높은 수용성과 친밀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단, 중국 외식고객에 대한 사전 연구와 현지 외식시장 내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 관점의 성공을 위해서는 한국 기업이나 사업가의 독자진출이 아닌 현지인과의 파트너쉽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또한, 중국 외식시장 내에서 전체 한식이라는 시장파이를 키워나가야 하는 시기이므로 한국 외식기업들의 한식당 및 비빔밥 전문점의 중국 시장 진출은 업계 간 경쟁이라는 관점보다는 상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
30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3.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로드맵 가. 비빔밥 전문점 진출 전략 로드맵
비빔밥 전문점의 로드맵 •
비빔밥
전문점의
로드맵은
도입기-성장기-성숙기의
시장
상황에
따라
각각
시행착오 단계포위망 돌파 단계형태전환단계 순으로 진행함. -
시행 착오 단계(도입기): 성장이 느리고 기복이 심한 단계로써, 운영에 있어 인내와 성실성이 요구됨.
-
포위망 돌파 단계(성장기): 고속 성장기로 양적-질적 규모를 성장시킬 수 있는 있는 황금시기로써, 과감한 투자와 공격적 경영이 요구됨.
-
형태 전환 단계(성숙기): 점포가 전환점에 직면하는 시련을 겪게 됨. 형태의 전환이 성공하면 향후 성장속도가 포위망 돌파 단계에 비해 느린 편이지만, 안정적이고 성숙한 국면에 도달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만일 형태 전환이 실패로 돌아가면 폐사 위기에 처할 수 있음.
•
각 단계의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할 때, 다음 단계로 이행할 수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 단계
309
북경
① 시행 착오 단계 (도입기) •
시장에서의 문제점과 기회를 몸소 느끼고 부딪히며 방향을 조정하여 나아갈 길을 찾는 과정이 „시행 착오 단계‟임.
•
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처 여부가 중요함.
•
시행 착오 단계에서는 발전 방향을 확정하고 그 방향에 대한 기회를 계속적으로 발견하는 노력을 해야함. 또한, 확정된 발전 방향의 실행, 포착된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핵심 역량과 인력을 구축하는 단계임.
•
시행착오 단계에서의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
발전 방향의 수립
-
기회의 발견
-
핵심 역량의 구비
-
인력의 구축 등이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단계 - 시행착오 단계
31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② 포위망 돌파 단계(성장기) •
비빔밥 전문점의 런칭 후 시장의 법칙과 내부적 능력을 함양하는 단계인 „시행착오 단계‟를 지나 성장을 하는 단계임.
•
많은 경쟁자들이나 모방자들의 출현으로 강한 경쟁 강도가 예상되는 단계로써, 경쟁 우위의 확보와 사업의 확장을 함께 고려해야 함.
•
급격한 매출의 상승과 경쟁자와 모방자의 급증하여 나타남.
•
이 단계에서는 빠른 확장과 이를 위한 이윤의 획득, 차별적 우위의 달성, 브랜드의 육성, 실행능력의 강화, 신메뉴 개발 능력, 인력 구축이 가장 중요한 요인들로써, 모방자를 압도하고 경쟁자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더욱 강하게 하는 단계임.
•
포위망 돌파 단계에서의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
빠른 확장과 이윤의 획득
-
차별화 요소의 확보
-
브랜드의 육성
-
집행 또는 실행 능력의 강화
-
신상품(신메뉴) 출시 능력
-
인력의 능력 확충(특히 중간간부) 등이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단계 – 포위망 돌파 단계
311
북경
③ 형태 전환 단계 •
형태 전환 단계는 실질적으로 두번째 포위망 돌파 단계라고 할 수 있음. 첫번째 포위망 돌파 단계는 시행착오 단계를 거친 소기업이 포위망을 돌파한 후 고속 성장하여 초보 단계의 성공 기업이 되는 것이며, 형태 전환 단계는 전 단계에 이루어 낸 결실을 소화하는 과정으로서 새로운 경쟁력을 키워 효율적으로 규모를 전환하는 것.
•
형태 전환의 목적은 앞 단계의 성공을 더욱 공고히 하고 앞 단계에서 누적된 실력으로 소기업의 경영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궤도에 진입하기 위함.
•
형태 전환 단계에서 결적적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
이업 경영 마인드의 전환 : 사업 기반 확장 / 실력 함양
-
핵심 인력 육성
-
제도 완비 및 기업 문화 강조
-
신속한 대응 체제 구축 (대기업 병 방지)
-
집중, 핵심역량 강화 등이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단계 – 형태 전환 단계
31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Ⅴ. 개업 정보 및 식자재 유통 정보 Executive Summary
1. 세금의 종류 •
식당을 운영하며 납부 해야 하는 세금은 총 네 가지가 있으며, 식당 법인 기준으로는 세 가지, 개인 월급 소득 발생시 한 가지가 있음.
•
법인 기준으로 세금 납부 시, 영업세의 경우 매출액의 5%, 부가세는 영업세의 13%, 기업 소득세의 경우 매출액에서 지출 및 세금 등 모든 비용을 제외한 순 이익에 대해 25%를 납세해야 하며, 월급 등으로 개인 소득이 발생 시 개인 소득세가 있음.
2. 세금 납부 방법 •
일반적으로 중국 내 식당의 경우 개인회계사나 회계컨설팅 회사를 이용 하여 세무신고를 하며 적게는 1천위안에서 많게는 5천위안 세무 관련 업무를 외주의 방식으로 처리함.
•
현재 중국 세무국에서는 일괄적으로 인터넷의 온라인 뱅킹을 통한 자동이체 방법으로 세금 업무를 처리하고 있음.
•
기본적으로는 자동이체 납부를 원칙으로 하나, 납부시기가 지났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방문하여 담당자와 상담 후 은행 방문을 통해 처리함.
3. 세금 납부 시기 및 횟수 •
영업세, 부가세, 개인소득세의 경우 중국의 세무신고 기간은 매월 초 1~10일까지, 전월에 있었던 소득과 지출을 정리하여 신고하면 되며, 납부는 매달 10~20일 사이에 가능함.
•
영업세, 부가세, 개인 소득세의 경우 1년에 총 12회를 납세 해야 함.
•
기업 소득세의 경우, 분기별로 1년에 총 4회 납부해야 해야 함.
4. 현지 식재료 유통 •
한식 성장에 따라 한식으로 인해 수입되는 양념류, 음료수 등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음.
•
전반적으로 양념류, 신선식품, 반가공품 등 수입되던 상품은 현지의 제품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원재료 시장에서 중국산의 비중이 한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비중 대비 높아지고 있음.
313
북경
•
외국기업 식품시장 진출 -
멜라민 파동 이후,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녹색식품, 웰빙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자금과 브랜드를 내세운 해외 식품 업체들의 녹색식품·웰빙식품 시장 진출이 증가하고 있음.
•
2008년 기준, 중국 로컬 유통업체의 매장 수는 9,751개, 글로벌 유통업체는 3,024개임.
•
식자재 유통 체계
31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1. 세무 정보 가. 세금 부과 절차 •
초기 식당 개업을 하는 인허가 과정에서 납부해야하는 세금은 없음.
세금 납부 요건 기준 •
설립 과정 중에서 세무 등기증이 나오면, 그 후부터는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자격이 정해지고, 그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매출에 대해서 세금이 부과됨
세금의 종류 •
식당을 운영하며 납부 해야 하는 세금은 총 네 가지가 있으며, 식당 법인 기준으로는 세 가지, 개인 월급 소득 발생시 한 가지가 있음 법인 기준으로 세금 납부 시, 영업세의 경우 매출액의 5%, 부가세는 영업세의 13%, 기업 소득세의 경우 매출액에서 지출 및 세금 등 모든 비용을 제외한 순 이익에 대해 25%를 납세해야 하며, 월급 등으로 개인 소득이 발생 시 개인 소득세가 있음 [그림] 세금의 종류
세금 종류 영업세 부가세 (수도 관리비, 교육세, 도시 건설세) 기업 소득세 개인 소득세
세율 매출액의5% 영업세의13%
기준 식당 법인
순이익의25% 개인 소득세율 부록자료 참조
식당 법인
식당 법인
개인
세금 납부 방법 •
일반적으로 중국 내 식당의 경우 개인회계사나 회계컨설팅 회사를 이용하여 세무신고를 하며 적게는 1천위안에서 많게는 5천위안 세무 관련 업무를 외주의 방식으로 처리함.
•
개인 회계사나 회계 컨설팅 회사는 세무 관련 업무 처리뿐만 아니라 세무컨설팅 및 인사노무관리 자문 등 식당 운영에 관련된 전반적인 것을 컨설팅 해주기에 일반적으로 식당을 운영하는 경영주면 개인 회계사나 회계컨설팅회사를 이용하여 세금 관련 부분을 처리함.
•
세금 납부 시기가 되면, 경영주는 세금 관련하여 업무를 처리해주는 개인 회계사나 회계 컨설팅 회사를 통해 사전에 세금액수와 인출 시기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액수와 납입 기간 내에 해당 금액을 세무국에 납세할 수 있도록 자동이체를 해놓은 구좌에 입금을 하여 처리할 수 있음. 315
북경
•
현재 중국 세무국에서는 일괄적으로 인터넷의 온라인 뱅킹을 통한 자동이체 방법으로 세금 업무를 처리하고 있음.
•
기본적으로는 자동이체 납부를 원칙으로 하나, 납부시기가 지났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방문하여 담당자와 상담 후 은행 방문을 통해 처리함.
세금 납부 시기 및 횟수 •
세금 납부 시기 및 횟수 -
영업세, 부가세, 개인소득세의 경우 중국의 세무신고 기간은 매월 초 1~10일까지, 전월에 있었던 소득과 지출을 정리하여 신고하면 되며, 납부는 매달 10~20일 사이게 가능함.
-
영업세, 부가세, 개인 소득세의 경우 1년에 총 12회를 납세 해야 함.
-
기업 소득세의 경우, 분기별로 1년에 총 4회 납부해야 해야 함. <표 VI-30 세금 납부 시기 및 회수>
세금 종류 영업세 부가세 (수도 관리비, 교육세, 도시 건설세) 기업 소득세 개인 소득세 •
세무 신고기간 매달 초(1~10일)
납부 시기 매달 10~20일
횟수 12회
매달 초(1~10일)
매달 10~20일
12회
분기마감 전달 매달 초(1~10일)
매달 10~20일 매달 10~20일
4회 12회
납부 시기가 지났을 경우 -
-
납부 시기가 지났을 경우, 세무국으로부터 고지서가 나옴. 계좌에 납부기간 내에 입금을 하지 않은 경우 세무국으로부터 고지서가 나오며, 고지서를 받으면, 세무국에 방문하여 세금 영수증을 다시 받아 은행에 방문하여 납부를 해야 함. 세금영수증이 나오면 기간 내에 법인의 구좌가 있는 은행으로 가서 기업업무를 보는 곳에서 납부를 하면 됨. 먼저 세금을 구좌에 납부를 해야 하고 세금 영수증을 은행창구 제출하면 세금 납부가 완료됨.
31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세금 관련 불이익 받는 경우 •
벌금 부과 -
•
첫 번째 불이익은 금액에 대한 패널티로, 세금을 납부해야 기간을 지키지 못 했을 경우 1일 초과 시 일당 세금액의 5/10000에 해당하는 벌금을 납부해야 함.
운영 불이익 -
세금 납부가 지연될 경우 2가지 측면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납부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여러 번 발생하게 되면, 세무국 담당자가 해당 경영주의 업무처리 시 비협조적이라든지, 공무 처리 시 허가를 늦게 내준다든지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세금 면제 •
식당 운영 시 받을 수 있는 세금 면제 제도는 없음.
317
북경
2. 중국 식자재 유통 현황 가. 현지 식재료 유통 전반 •
식품 소매액 증가세 14
-
전국 중대형 소매기업 에 대한 판매액 조사에 의하면 06~08년의 식품의 소매액 증가율은 각각 06년, 25.75%, 07년, 32.09%, 08년27.47%로 높은 수준을 보임.
-
2009년 초 금융위기의 충격이 점차 심해지면서 1~9월 식품류 소매액 증가율이 둔화세를 보였고 연간 증가율은 11.92%에 달함. 2010년 들어 중국정부의 내수진작 정책하에 식품시장 판매가 안정적으로 빠른
-
발전을 보였고 소매액 증가율은 2008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중국 식품 시장 규모
지역 하이퍼마켓(Hypermarket) 업체의 성장 •
•
지역 거점 유통업체 성장 -
대형 마트의 경우 지역 내 거점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에 따른 점포 수 확대가 진행되는 추세임.
-
한식당에 식자재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는 대체로 기업화된 식자재 회사보다는 지역을 거점으로 둔 소상공인 형태의 식자재 공급업자임.
식자재 원재료 값의 상승 추세 -
상해 엑스포 이전까지 중국 내 정책적으로 식자재 억제되었으나, 엑스포 이후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함.
-
녹말 등 원재료의 가격이 2배 이상 증가한 경우가 많아 소비자 가격의 상승도 향후 상승이 불가피한 상태임.
-
원자재 상승 폭을 유통단계에서 흡수하고 있으나, 공급업체 입장에서도 원자재
물가
가격상승이
상승 압력을 오래 버티기는 힘든 만큼,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 불가피함.
14
중국 내 운영중인 중대형 소매점 기업 대상 판매액 조사
31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한식 성장에 따른 한식 식재료의 동반 성장 •
신 한류에 따라 한식의 위상이 중국 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식도 동반 성장하고 있음.
•
한식 성장에 따라 수입되는 양념류, 음료수 등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음.
•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념류, 신선식품, 반가공품 등 수입되던 상품은 현지의 제품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원재료
시장에서
중국산의
비중이
한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비중 대비 높아지고 있음. <표 VI-41 중국의 대한국 식품 수입> (단위 : 억달러, %)
대한국 식품 수입액(a) 대세게 식품 수입액(b) 한국식품의 점유율
2005 2.3 200 1.15
2007 2.8 309 0.91
2009 3 430 0.7
2010
증가율 11.3 22.8
4 560 0.71
<자료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KITA)>
외국기업 식품시장 진출 •
중국내 외자 식품 유통 회사들의 진입이 가속화 됨. 일본 업체는 엔화강세 를 활용해 중국 식품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며 일본합병 중계기구 RECOF 회사의 통계에 의하면 일본 기업들은 자금력과 엔화 강세를 기회로 해외투자를 증가함.
•
2008년
12월,
중국경영신문의
보도에
의하면
일본
ITOCHU(伊藤忠)사는
DingTsin(顶新)그룹과의 합작협의를 맺어 초기 7억 달러에 달하는 금액을 투자해 DingTsin그룹의 20% 주식을 구매할 예정임. •
특히, 멜라민 파동 이후, 녹색식품·웰빙식품 시장 진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녹색식품,
웰빙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외국
식품업체들은 자금과 브랜드를 내세워 중국 식품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음. •
피스타치오 글로벌 최대 공급상인 미국 Paramount Farms는 쓰촨후이지(四川徽记) 회사와 합작해 쓰촨후이지(四川徽记)사에 고품질·무표백·순천연 피스타치오를 제공할 예정임.
•
중서부 지역 음료시장 진출도 시작됨. 중국은 글로벌 2위 음료수 생산지로 2008년 총 생산량은 6,000만톤을 초과할 것으로 보여 연 평균 증가율은 21%에 달하고 있음.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이는 음료 시장에 외국기업의 진출이 이어지고 있음. •
Pepsi사의 경우 향후 2009년부터 향후 4년간 주로 중서부지역 도시에 10억 달러의 투자금액을 추가해 생산라인을 확장할 것이라고 밝힐 정도로 음표시장의 투자가 활성화 됨.
319
북경
중국내 식자재 유통 공급업체 •
2008년 기준으로 보면, 중국 로컬 유통업체의 매장 수는 9,751개, 글로벌 유통업체는 3,024개 정도임 [그림] 중국 내 유통업체 매장 수 및 매출액
32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식자재별 유통 현황 [그림] 신선식품 유통 체계-버섯 사례
[출처: 중국신선농산물 시장진출여건조사, 농수산물 유통공사, 2011년]
•
중국 내 신선식품 유통 구조는 중국산 버섯을 사례로 아래와 같이 4가지로 구분 해볼 수 있음 -
회사+도매시장+ 중개조직(농촌 대리인)+ 농가
-
회사+도매시장+생산판매단일화조직(농산품가공업체포함)+농가
-
회사+소비자도매시장+중개조직(농촌대리인)+산지도매시장+농가
-
회사+소비자도매시장+중개조직(농촌대리인)+산지도매시장+생산기지+영농회+ 1개 유통회사
321
【 상 해 】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Ⅰ. 상해 사업환경 분석 Executive Summary 1. 빠르게 발전하는 중국 경제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
중국은 매년 약 10% 대에 가까운 높은 경제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소매 규모 또한 2007년 이후 매년 15% 이상의 성장율을 보이며,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임.
•
중국의 소비 트렌드는 중국 경제발전의 영향으로 과거의 일상 소비재에 집중되어 있던 소비와는 달리 사치품 및 아웃도어 용품의 소비 증가 등 일상 소비재를 벗어난 소비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외식에 있어서도 고급 외식 시장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중국은 현재 외식이 대중화되어, 외식의 빠른 확산과 함께 간편식이 성장하고 있음.
•
중국 식문화는 전통적으로 음식의 양으로 접대의 융숭함을 판단할 정도로 음식의 양을 중시하고, 한국의 밥과 반찬이 아닌 밥과 요리의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는 외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
2. 상해 소비인구의 변화와 외식 문화에의 영향 •
상해 소비 인구는 35~59세의 비중이 43%, 60세 이상이 22.5%로 중장년층의 비중이 높으며,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에 따른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인구 구조적 현상은 1인당 지출 규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다시 상해 외식업, 더 나아가 에스닉 푸드로서의 한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향후 이러한 인구 측면에서의 변화는 한식과 비빔밥 매장의 비즈니스 모델에 있어 고급화, 전문화된 식당에 대한 니즈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됨.
3. 타 문화에 대한 높은 수용도의 상해 외식 시장 •
상해는 중국의 대표적인 국제 도시로서 타 문화에 대한 높은 수용도를 바탕으로 에스닉 음식이 발달하기에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음.
•
상해는 외국 문화가 타 지역 대비 먼저 유입되는 역사적 배경으로 여러 문화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도시이며, 외식산업은 이러한 상해의 다양한 외식 환경과 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글로벌화되고 있음.
•
상해인의 외식 시 고려 요인은 과거 일상적인 소비를 반영하는 데서 벗어나 다양한 소비 문화를 보이는 소비 행태를 반영하여, 요리의 맛, 위생 등의 요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며, 단순한 음식 섭취에서 벗어나 건강, 오락, 휴식 지향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음.
327
상해
4. 상해 에스닉 푸드 시장에서의 한식 •
상해의 에스닉 푸드 시장은 국제도시로서의 상해의 면모를 볼 수 있듯이 높은 에스닉 취식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에스닉 푸드 시장내에서는 한식-일식-이태리식의 3개 주요 에스닉 푸드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음.
•
현재 한식이 근소하게 상해 내 에스닉 푸드 시장에서 1위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나, 물량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한다면 일식의 압도적인 우위와 그 뒤를 한식이 쫒는 형국임.
•
국가 이미지나 한류의 영향 등으로 인해 인식적인 측면에서 한식은 일식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한 상태이나, 실제 인식을 구현할 수 있는 물리적인 점포 수 등을 감안한다면 아직은 일식에 많이 뒤쳐져있는 상황으로, 시장에서의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점포 수 등의 물량적인 측면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임.
5. 한식 외식 행태와 인식 및 태도 •
현재 한식은 한류 등의 영향으로 주요 에스닉 푸드로서의 위치를 점하게 되었으나, 경쟁 에스닉 푸드인 일식과 이태리식을 압도할 수 있는 경쟁적 차별 우위의 확충이 더욱 시급히 필요함.
•
상해 소비자들의 절반 가까이가 주 1회 이상 한식당을 방문하고 있으나, 메뉴가 바비큐류로 한정되어 있으며, 매력있는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면 한식당 방문 빈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한식당 방문 시 지출 비용은 40~60위안이 60%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북경보다는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음.
•
한식에 대한 상해 소비자의 태도는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한류의 영향, 취식 한식의 만족도 등이 종합적인 영향을 미쳐 전반적으로 좋은 태도와 관심도를 형성하고 있음. 기본적인 한식에 대한 좋은 태도는 개별 메뉴인 비빔밥에 대해서도 좋은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32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6. 비빔밥 외식 행태와 인식 및 태도 •
비빔밥은 현재 주요 한식 메뉴중의 하나이나, 하나의 인기있는 메뉴 이상의 역할은 아직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므로 비빔밥 전문점의 개설 시에는 비용적인 측면과 함께 이러한 메뉴 측면에서의 한계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해야 함.
•
상해 소비자는 비빔밥의 선호도, 취식의향, 향후 취식의향 등에 있어 높은 점수를 주고 있어, 비빔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음.
•
개별 메뉴 수준의 비빔밥을 전문 점포 수준의 비빔밥으로 확대하기 위한 기본적인 선호도는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나, 이러한 확대를 위해 비빔밥 점포만의 소비자 유인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을 보강시켜야 함.
•
비빔밥은 한식 메뉴 중에서도 바비큐류 다음으로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선호하는 메뉴 중 하나로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그러나, 현재 비빔밥은 한식 바비큐류의 취식 시의 보조 메뉴 수준으로 지불 가격대는 한식 평균보다 10위안 이상이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어, 비빔밥 가격은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 설계에 있어 점포 컨셉, 서비스 등을 통해 반드시 해소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판단됨.
329
상해
1. 현지 시장환경 및 특성 가. 중국 경제 환경
중국의 경제 수준 •
2009년 세계 금융위기 당시에도 중국은 ‘바오바(8퍼센트 성장율 유지)’를 달성, 9.1%의 경제성장율을 기록함.
•
2010년도 경제성장율은 약 10%대(BoA 10.1%, BNP파리바 그룹 10.5% 전망 등)로 매년 10%에 가까운 경제 성장율을 기록함.
•
경제가 성장한다는 의미는 소득, 일자리, 소비 등 전반적으로 중국인들의 삶과 후생의 질이 높아 진다는 것으로, 중국인들의 지출성향이 전반적으로 증대되어 생산과 소비의 경제활동 활성화 되고, 그로인해 산업 전반의 성장 기회가 많아짐을 의미함. [그림] 중국의 경제 수준(전체 GDP)
중국의 소득수준 •
중국의 소득수준(인당 GDP)은 2005년 $1,709로 한국의 약 1/10 수준이었으나, 2009년 $3,565로 약 2배 이상 성장하며, 한국과의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음.
•
중국인들의 소득수준 향상은 소비의 양과 질의 수준을 높이고 다양한 소비를 촉진하기 때문에 비빔밥 전문점의 중국 진출의 성공 기회 요인으로 작용함. [그림] 중국의 소득 수준(인당 GDP)
33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중국의 소매 총액 •
중국의 소매 규모는 2007년 이후 매년 15% 이상의 성장율을 보이며, 매우 빠른 성장세를 보임.
•
도시인구의 증가에 따른 소비자 증가와 전반적인 소매규모의 증가는 다양한 소매 업종의 성장을 의미하며, 외식업도 이러한 경제 현상과 맞물려 성장이 전망됨. [그림] 중국 소매 총액
331
상해
나. 중국의 소비 트렌드 •
중국의 소비 트렌드는 중국의 경제발전의 영향으로 과거의 일상 소비재에 집중되어 있던 소비와는 달리 사치품 소비의 증가, 아웃도어 용품 소비증가 등 일상 소비재를 벗어난 소비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
중국 소비시장 4대 트렌드 [Source : 21세기경제보도, 사천신문사] •
첫번째 트렌드 : 개성 중시 소비자 시대 도래
•
개성 중시 소비 트렌드가 확산, 개별 소비자의 취향이 중요해짐. 인터넷을 포함한 각종 매체의 발달로 소비자 영향력 확대
•
두번째 트렌드 : 사치품 대중화 경향 -
중산층의 소득 수준 증가와 시장 개방의 영향으로 사치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상승함.
•
세번째 트렌드 : 소비 시장에 녹색(Green) 바람 -
중국 정부의 환경보호 강화와 교육 수준 제고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강화됨.
•
네번째 트렌드 : 소비자의 안전의식 제고 -
•
정보채널의 다양화 및 소비자의 교육수준 상승, 중국 내 빈번한 식품안전문제
발생으로 과거와 달리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외식업에 있어서는 고급 레스토랑, 전문점 등을 선호하며, 믿을 수 있는 좋은 재료의 음식과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적정한 가격에 제공받는 것을 자신을 위한 소비, 합리적 소비라고 여기는 성향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33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다. 중국 식문화 특징
음식을 소중히 생각하는 중국 음식문화 •
음식에 대한 중국인들의 기본적 마음가짐은 ‘음식을 하늘처럼 여긴다’는 고전 속의 한마디로 대신할 수 있음.
•
인간생활의
기본조건인
의식주(衣食住)가
중국인들의
사고
속에서는
식의주(食衣住)의 순서로 표현해야 할 정도로 식생활에 큰 비중을 둠.
외식의 대중화, 외식 트렌드의 빠른 확산, 간편식의 성장 트렌드 •
개혁개방 이후 경제발전에 따른 개인 소득의 증가와 외래 음식문화의 유입으로 중국인들은 더욱 먹는 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배를 채우던 음식에서 미식과 웰빙을 추구하고 있음.
•
중국 음식문화의 발전이 보여주는 시대적 트렌드는 ‘외식의 대중화’, ‘외식 트렌드의 빠른 확산’, ‘콰이찬(간편식)의 약진’으로 요약할 수 있음.
음식의 양으로 접대의 융숭함을 판단 •
중국인들이 손님을 접대하는 융숭함의 정도는 주인이 준비하는 음식의 양으로 결정되는데, 가족끼리의 집안 밥상이 아무리 조촐하더라도 일단 손님을 맞이한 상황이면 음식의 양이 곧 자신의 체면을 대신하기 때문에 자신의 경제력은 고려되지 않음.
밥과 반찬이 아닌, 밥과 요리의 문화 •
주식과 반찬, 요리를 함께 먹는 한국인의 식습관과는 달리, 중국식 식사는 먼저 차이(요리)로 배를 채우고 뒤이어 주식으로 밥이나 면 등을 주문해 먹음. 가정식 식사의 경우는 주식과 요리를 함께 먹는 경우가 많음.
음식의 평가기준 - 향미색형양의 (香味色形養意) •
‘향미색형양의(香味色形養意)’ 는 향과 맛, 색깔과 모양, 영양과 의미를 따지고 그 조화를 중요시 한다는 것인데, 중국인들에게 음식은 단지 배를 불리거나 맛으로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그림과 이야기, 분위기를 함께 먹는 것이라 할 수 있음.
333
상해
라. 상해 소비인구 특성 •
상해 소비 인구는 35~59세의 비중이 43%, 60세 이상이 22.5%로 중장년층의 비중이 높으며,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에 따른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인구 구조적 현상은 1인당 지출 규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상해 외식업, 더 나아가 에스닉 푸드로서의 한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향후 이러한 인구의 변화는 한식과 비빔밥 매장의 비즈니스 모델에 있어 고급화, 전문화된 식당에 대한 니즈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됨.
주요 지표 •
상해의 인구는 2009년 상주 인구 기준으로 1,921만 명이며 도시 인구 기준 1,379만 명 수준임.
•
상해의 2009년 국민 소비매출총액은 전년 대비 8.3% 증가한 106,612억위안임. [표] 상해 시 주요 지표 구분
소비
인구
지표
단위
국민 소비매출총액 억 위안 일인당 가처분 소득 위안 도시주민 엥겔지수 외식부분(Dining Out) 2001 지수 대비 소비자 가격지수(CPI) 지수
08 년
09 년도
전년대비 증가율(%)
98,418 26,675
106,612 28,838
8.3 8.1
114.3
101.8
-10.9
105.8
99.6
-5.9
상주 인구
만 명
1,888.46
1,921.32
1.7
도시 인구
만 명
1,371.04
1,379.39
0.6
재외국민
명
152,045
152,050
0.0
한국인
명
22,736
20,700
-9.0
*Source : 중국통계청, 2010년 상해시통계연감
•
상해의 인구 연령구조는 35~59세의 비중이 43.0%를 차지하고 있으며, 60세 이상이 22.5%로 중장년층의 비중이 매우 높음.
•
산아제한정책에 따른 젊은 세대의 인구 감소는 총 소비자 수의 감소라는 위험요소와 농촌인구 및 타지인의 지속적인 유입이라는 긍정적 요소가 모두 외식업의 구조와 형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33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그림 Ⅱ-11. 상해 시 인구 연령구조>
•
상해 소비자들의 소비 지출 비용 중 ‘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의 37.1%로 가장 높음.
•
소득별 지출 구조는 ‘고소득층(32.8%)’과 ‘중상소득층(32.2%)’의 식품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
고소득층 일수록 식품의 지출 비중은 낮아지지만, 지출 금액으로 비교하면 고소득층일수록 높음. [그림] 상해 시 도시주민 가정 평균 인당 소비지출 구조(09년)
335
상해
마. 상해 외식시장 현황
상해의 외식시장 규모 •
북경의 외식시장 규모는 점진적인 성장을 통해 2009년 약 478억 위안 수준을 형성하며, 전년대비 약 16% 성장함.
•
상해의 외식시장 규모 또한 점진적인 성장을 통해 2009년 약 292억 위안 수준을 형성하며, 전년대비 약 11% 성장함. [그림] 중국 도시별 외식시장 규모
외식 문화 및 트렌드 •
외식
소비에
대한
수요
변화는
단순한
음식
섭취에서
건강,
오락,
휴식
지향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
다양한 풍미 및 특색 요리를 즐길 수 있는 음식점과 외국 외식 브랜드들이 중국 외식 시장에 새로운 트렌드를 일으키고 있음.
외식 가치의 변화 •
„건강식 추구‟라는 기본 지향 가치를 기반으로 에스닉 푸드 고유의 음식 맛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외식 형태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음. [그림] 중국의 외식 가치
•
„내부 인테리어‟, „실내 무드‟, „편안함‟, „서비스 질의 수준‟, „음악‟ 등 기본적인 맛 이외에 감성적 소구가 중요해짐.
33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상해 내 경쟁 환경 분석 가. 상해 내 에스닉 푸드 현황
에스닉 푸드 취식빈도 •
외식 10회 시 에스닉푸드 음식점 방문 횟수는 3.51회로 나타남. [그림] 에스닉 푸드 취식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
주로 취식하는 에스닉 푸드는 1순위 기준으로 ‘한식(35.2%)’, ‘이태리식 (29.4%)’, ‘일식(24.8%)’ 순으로 한식이 타 에스닉 푸드 대비 높음.
•
1~3 순위 복수응답 기준으로는 ‘한식(77.2%)’, ‘일식(77.8%)’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태리식(62.0%)’ 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37
상해
한류의 영향력 증가 •
한국 문화의 전파를 통해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됨.
•
특히, 20~30살의 젊은이들에게 한류의 영향이 크며, 한류로 인해 한국 문화뿐만 아니라 한국 음식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33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상해 내 외식 경쟁 현황 •
현재 한식이 근소하게 상해내 에스닉 푸드 시장에서 1위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나, 물량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한다면 일식의 압도적인 우위와 그 뒤를 한식이 쫒는 형국임.
상해 에스닉 푸드 음식점 현황 •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조사 결과 한식(35.2%), 이태리식(29.4%), 일식(24.8%)의 순으로 나타남. 비록 비빔밥을 취급하는 한식당의 비율이 높음에도 일식당 대비 절반 이하인 점을 감안할 때, 한식당 전체의 발전 가능성은 높을 것이며, 비빔밥 또한 발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됨. [그림] 상해 내 에스닉 푸드 음식점 현황
* 大众点评网(www.dianping.com)은 중국내 가장 큰 검색 및 도시 소비 생활 관련 포털사이트로써, 식음료, 레저오락, 생활 서비스 등의 도시 소비 분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비빔밥 취급 한식당의 경우 WK-GH Korea 조사 결과 비빔밥 취급 한식당 숫자 기준임
339
상해
3. 상해 고객 외식행태 분석 가. 일반 외식 행태
상해 내 외식 문화 및 산업 Trend •
상해는 외국 문화가 타 지역 대비 먼저 유입되는 역사적 배경으로 여러 문화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도시임
•
외식산업은 이러한 상해의 다양한 외식 환경과 문화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글로벌화되고 있음.
외식 빈도 •
비빔밥을 일반식으로 제시 할 경우는 자주 외식을 하는 41%의 소비자를 타겟으로 합리적 소비가 가능한 저렴하고 간편한 컨셉의 식당과 식단을 제공해야 하며, 비빔밥을 가끔 먹을 수 있는 특별식으로 제시 할 경우 60.2%의 타겟을 대상으로 한국적인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한국적인 문화가 반영된 중ㆍ고급 컨셉이 제공되어야 함. [그림] 상해인 외식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외식 시점 •
상해 소비자들은 ‘점심 시간’에 외식을 하는 비중이 54.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저녁(34.4%)’, ‘아침(10.4%)’ 순으로 나타남.
•
중국의 점심 외식 비중이 높은 이유는 한국과 달리 저녁시간에 경제활동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임.
•
입지 선정 시에도 점심시간을 기준으로 상권분석을 진행해야 함. [그림] 상해인 외식 시점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1인당 평균 외식 비용 •
2010년도 1인당 평균 외식 비용은 1158.5위엔/년 으로 경제성장을 이끈 중요한 역량으로 평가됨. (출처: 음식청서(餐饮蓝皮书))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
주 취식 에스닉 푸드로는 ‘한식(35.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이태리식(29.4%)’, ‘일식(24.8%)’ 순으로 나타남. [그림] 주 취식 에스닉 푸드 종류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1
상해
나. 한식 외식행태
한식당 방문 빈도 •
약 38.5%의 상해인들은 한달에 1회 이하로 한식당을 방문하는데, 이는 한식당이 주는
다양성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됨.
현재
한식당에
방문하여
주로
주문하는 음식은 바비큐류로, 바비큐류 이외에 상해인들을 유인할 수 있는 한식 메뉴가 제공 될 경우, 상해인들의 한식당 방문 횟수를 높일 수 있음. [그림] 한식당 방문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한식당 방문 시 지출비용(1인 1회 기준) •
상해 소비자들의 한식당 방문 시 1인 1회 기준 지출비용은 ‘40~50위안’의 비율이 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0~60위안’이 27.4%로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남.
•
타 에스닉푸드 음식점 방문시 1인 1회 지출비용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상해인들이 에스닉푸드 외식에 지출하는 비용은 소득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됨. [그림] 한식당 방문 시 지출 비용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다. 한식 관련 인식 및 태도
한국 이미지 및 한식 관심도 •
한식당 방문 경험자들은 한국의 이미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93.4%)’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한국 음식에 대해서는 67.9%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이미지는 주로 한국 드라마나 음악 등 한류의 영향으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된 것으로 분석됨. [그림] 한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그림] 한국 음식 관심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3
상해
한식에 대한 만족도 •
한식당 방문 경험자들의 99.1%가 한식에 대해 ‘만족스럽다’고 응답하여, 앞서 나타난 한류의 관심도 보다, 경험에 의한 한식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한식에 대한 만족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4. 상해 고객의 비빔밥 외식행태 분석 가. 비빔밥 외식행태
비빔밥 취식 빈도 •
비빔밥 취식 경험자는 ‘2주에 한번(47.4%)’ 비빔밥을 먹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한 달에 한 번(27.3%)’, ‘주 1회(16.4%)’ 순으로 비빔밥을 먹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비빔밥 취식 빈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비빔밥 취식 시점 •
상해 소비자들이 비빔밥을 먹는 시간대는 ‘점심시간’이 62.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저녁’ 이 30.8%로 높으며, ‘아침’은 5.8%로 상대적으로 낮음.
•
상해인들의 일반적인 외식 시점은 점심이 54.6%로 가장 많지만, 비빔밥의 경우는 일반적 외식 시점보다 점심시간에 더 많이 취식함.
•
중국 현지에서 비빔밥 전문점 개업을 위한 상권분석을 하는 경우에 저녁시간이 아닌 점심시간을 기준으로 상권분석을 진행해야 효과적인 입지선정이 가능함. [그림] 비빔밥 취식 시점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5
상해
비빔밥 취식 시 지출 비용(1인 1회 기준) •
상해
소비자들이
비빔밥을
먹을
때
지출하는
비용은
1인
1회
기준으로
‘40~50위안’의 비율이 33.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30~40위안’이 24.9%로 높게 나타나, 생해인들의 소득수준에 비해 1회 비빔밥 취식시 지출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비빔밥 취식시 지출하는 비용은 에스닉푸드 외식이나 한식 외식 지출비용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나타남.
•
조사 결과 1인 비빔밥 가격은 30~50 사이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됨. [그림] 비빔밥 취식 시 지출 비용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비빔밥 관련 인식 및 태도
비빔밥 선호도 •
비빔밥 취식 경험자들의 비빔밥 선호도는 97.6%로 매우 높게 나타남.
•
비빔밥 선호도는 앞서 조사된 비빔밥 경험자들의 지속 취식의향과 유사함. [그림] 비빔밥 선호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비빔밥 향후 취식 의향 (비빔밥 경험자) •
비빔밥 경험자들의 비빔밥 향후 취식 의향율은 97.1%로 매우 높게 나타남. [그림] 비빔밥 향후 취식 의향(비빔밥 경험자)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47
상해
Ⅱ. 상해 비빔밥 전문점 고객 및 포지셔닝 전략 Executive Summary 1. 상해시 외식 고객 세분 시장의 구분 •
기본적 건강 중시형(38.8%) : 음식의 가장 기본 요소인 맛과 위생/청결, 건강을 중시하며 그 중 특히 건강 측면의 요소를 중요시 함.
•
습관적 외식형(28.0%) : 외식을 함에 있어 별다른 선택 기준이 없이, 습관적 외식을 함
•
에스닉 추구형(10.6%) : 에스닉 문화를 추구하고 새로움을 추구함.
•
보조적 수단형(9.4%) : 외식을 함에 있어 음식 그 자체보다도 누구와, 언제 하는지를 중시함. 외식을 수단으로 인식함.
•
실속적 자기과시형(13.2%) : 음식점에 대한 평가나 할인-이벤트 등 실속을 중시하면서도, 이용하는 음식점의 명성이나 타인에게 보이는 부분을 중시하는 과시적 경향이 강함.
2. 핵심 표적 고객 : 기본적 건강 중시형 세분 시장 •
기본적 건강 중시형의 추구 가치는 맛, 서비스, 위생 등의 음식점의 기본 요소와 채소류, 재료의 신선함 등의 건강 요소임.
•
기본적 건강 추구형은 가족들과 함께, 또는 친구와 함께 식사를 하는 일상적인 모임 또는 만남일 경우에 외식을 주로 함.
•
외식 시점에 있어서는 점심 식사인 경우가 많으나, 저녁 식사도 높은 비율로 외식을 함.
•
외식 시 핵심 이용 동기는 다양한 메뉴, 저렴한 가격, 모임에 적합, 깨끗한 환경 등임.
•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한식에 대해서도 세분 집단의 84%가 한달에 한 번 이상 한식당을 방문하며, 비빔밥에 대해서도 높은 취식 경험율과 만족도, 향후 취식 의향을 가지고 있는 집단임. 세분 고객 집단 기본적 건강 중시형 (Basic & Healthy)
취식 상황
가족 식사 모임 친구와의 모임
이용 동기
348
균형 잡힌 영양 다양한 메뉴에 의한 넓은 선택의 폭 다양한 메뉴의 합리적 조합 저렴한 가격 편리하면서도 빠른 제공 학생과 샐러리맨에 적합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3. 비빔밥 전문점이 추구하는 포지셔닝 방향 •
상해 현지 고객 조사를 통해 도출된 한국의 비빔밥 전문점 이미지는 깨끗한, 맛있는,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간편한, 다양한 등이며, 이를 바탕으로 '깔끔하면서도 영양적 조화로 건강에 좋은 한국의 맛을 새롭고 간편한 형태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을 목표 포지셔닝으로 설정함.
•
메뉴측면(Quality) -
다양한 비빔밥과 비빔밥 재료를 활용한 일품요리 등을 함께 제공하여 다양하고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
-
타겟 소비자 집단의 '균형 잡힌' 키워드는 비빔밥의 본원적인 장점 및 특징에 해당되며, 이를 적극적으로 차별화하여 비빔밥 전문점의 핵심 경쟁 우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반영함.
•
핵심 키워드 : 균형 잡힌 건강
서비스 측면(Service) -
제공되는
서비스는 타겟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빠르면서도
편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을 주로 하는 타겟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매장의 좌석 배치, 좌석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야 함. -
비빔밥 재료 구성에 대한 건강, 영양적인 정보의 제공 등을 통하여 표적 시장의 니즈를 만족시키며, 메뉴에 대한 신뢰성 또한 높일 수 있음.
•
-
특히, 학생과 직장인의 식사를 고려하여 음식의 양 또한 푸짐하게 제공하도록 함.
-
핵심 키워드 :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 / 푸짐한 양
위생-청결 측면(Cleaness) -
재료 측면에 있어 제공되는 음식의 재료와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의 철저한 위생 관리로 항상 가장 깨끗한 수준의 음식이 제공 될 수 있도록 함.
-
매장 측면에 있어 매장 내외부, 종업원 복장 및 외모, 그릇, 좌석, 비품 등에 있어 위생/청결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
핵심 키워드 : 깨끗하고 위생적인 메뉴와 매장
기타 측면 -
매장의 이미지, 분위기 등을 인테리어와 한국적인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함.
-
핵심 키워드
: 한국적 분위기 / 모던-심플
349
소품 등을 활용하여 모던/심플하면서
상해
1. 상해시 외식 고객 시장의 구분 •
기본적 건강 중시형 -
•
습관적 외식형 -
•
상해 소비자 500명의 응답자 중 10.6%인 53명의 소비자가 ‘에스닉 추구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소비자 군은 에스닉 음식과 문화를 추구하는 외식 생활 태도를 가지고 있음. 추구 가치에 있어서는 에스닉 음식과 같은 새로운 문화와 경험을 추구하며, 북경 소비자 군의 에스닉 추구형과는 달리 건강 요인도 중시하는 세분 집단임.
보조적 수단형 -
•
상해 소비자 500명의 응답자 중 28.0%인 140명의 소비자가 ‘습관적 외식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소비자 군은 외식 생활 태도 측면과 추구 가치 측면에서 특별한 선택 기준 없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집단으로 어떤 특성 유형에 소구하기보다는 습관적으로 외식을 하는 세분 집단임.
에스닉 추구형 -
•
상해 소비자 500명의 응답자 중 38.8%에 해당하는 194명의 소비자가 ‘기본적 건강 중시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소비자 군의 외식 생활 태도는 음식점의 기본적인 요소들과 건강적인 측면을 중시함. 추구가치 또한 음식점의 가장 기본 가치인 맛과 위생, 청결 관련 측면을 추구하며, 특히, 다른 요소 중에서도 건강 소구적 특성을 강하게 나타냄.
500명 중 9.4%의 응답자인 47명의 소비자가 ‘보조적 수단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외식을 할 때 음식이나 음식점의 요소들 보다 기타 음식점 비관련 요인을 더 중시하는 집단으로 외식을 하나의 보조적 수단으로 인식하는 집단임. 추구 가치 또한 음식 그 자체보다는 함께 외식을 하는 사람(동반자), 어느 시점에 하는 지 등의 요인들을 중시하는 수단적 외식을 하는 집단임.
실속적 자기 과시형 -
500명
중
13.2%인
66명의
응답자가
‘실속적
자기
과시형’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외식 생활 태도는 음식점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자기 과시적 성향을 기본으로 꼼꼼하게 실속을 따지는 성향이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추구 가치 또한 음식점에 대한 평가나 할인 이벤트 등, 가격대비 효용을 중시하는 경제적 측면의 실속을 중시함.
35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비빔밥 전문점 표적 고객층 도출 가. 세분 집단별 평가 •
상해 현지고객들을 추구 가치, 에스닉푸드에 대한 인식, 외식/한식/비빔밥 이용 행태 등으로 분류한 5개의 세분고객 집단을 비빔밥 관련 행태 및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 관점에서 평가함.
•
비빔밥 관련 행태는 비빔밥 만족도, 비빔밥 1회 지출 금액, 비빔밥 취식 빈도를 주요 지표로 하여 평가하였고,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는 방문의향, 신뢰성, 필요성, 독특성을 지표로 하여 평가하였음.
•
또한, 상해의 경우 북경과 달리 타 세분집단과 비교할 때 시장 사이즈가 확연히 차이나는 세분집단이 존재하여 시장성 평가 시 이를 고려하였음. [표] 세분 집단별 시장성 및 수용도 평가 구분
비빔밥 관련 행태
내용
기본적 건강형
습관적 외식형
Ethnic 추구형
보조적 수단형
실속적 자기과시형
비빔밥 만족도 (%)
96.8%
90.4%
90.2%
93.1%
89.5%
비빔밥 1회 지출 금액 (위안)
56.1
49.4
46.1
47.6
56.3
72.9%
53.5%
87.8%
75.9%
63.2%
방문의향 (4점 척도)
3.10
2.98
3.06
3.06
2.98
신뢰성 (4점 척도)
3.01
2.97
3.00
2.94
2.88
필요성 (4점 척도)
3.03
2.96
2.98
2.98
2.94
독특성 (4점 척도)
3.09
2.93
2.89
3.02
3.00
비빔밥 취식 빈도
(Top3 : 2주 1회 이상)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51
상해
나. 표적 고객층 선정 •
세분 집단별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기본적 건강 중시형’이 비빔밥 관련 행태에서 상대적으로 긍적적으로 나타남.
•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에서도 ‘기본적 건강 중시형’이 타 세분 집단에 비해 긍정적으로 나타남.
•
또한, 상해의 경우 '기본적 건강 중시형'의 시장 사이즈가 38.8%로 타 세분 집단과 비교할 때 확연히 크므로 종합적으로 볼 때 '기본적 건강 중시형'이 가장 적합도가 높음.
•
따라서, 비빔밥 관련 행태 및 비빔밥 전문점 관련 태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5개의 세분 집단 중 '기본적 건강 중시형'이 상해 비빔밥 전문점의 표적 고객층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됨.
기본적 건강 중시형 – 추구가치 및 한식/비빔밥 취식 행태 •
외식을 할 경우 음식점과 음식의 가장 기본적인 맛, 서비스, 위생 등의 요소들을 중시함. 특히, 신선한 재료와 같은 건강에 높은 중요도를 부여함.
•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한식에 대해서도 세분 집단의 84%가 한달에 한번 이상 한식당을 방문함.
•
비빔밥에 대해 높은 취식 경험율과 만족도, 향후 취식 의향을 가지고 있는 집단.
•
외식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위생/청결을
꼽으며,
음식의
맛과
친절한
서비스에도 높은 중요도를 부여함. [그림] 기본적 건강 중시형 – 추구가치 및 한식/비빔밥 취식 행태
추구가치 핵심 구매 고려 요인
한국이미지
한식 취식행태
비빔밥 취식행태
음식점의 기본 요소 중시(맛/서비스/위생) 건강 요소 중시(채소류 / 재료의 신선함) 위생/청결 (3.41/4.0) 음식의 맛 (3.41/4.0) 친절한 서비스 (3.39/4.0) 한국 이미지 : 긍정 96.9% 한식 관심여부: 77.8%(top2) 한류의 한식관심영향 여부: 91.5.%
한식 취식 경험율: 92.8% 한식 만족도 : 100% 한식 향후 희망율: 99.4% 비빔밥 전문점 방문 빈도: 84.0% (한달에 한번이상) 한식 1 회 지출금액: 62.9 위안
비빔밥 비빔밥 비빔밥 비빔밥 비빔밥
취식 경험율: 86.1% 취식 만족도: 96.8% 향후 희망율: 98.7% 취식 빈도: 94.2%(한달에 한번이상) 1 회 외식 지출금액: 56.1 위안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5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기본적 건강 중시형 - 취식 상황 및 이용 동기 •
기본적 건강 추구형은 가족들과 함께, 또는 친구와 함께 식사를 하는 일상적인 모임 또는 만남일 경우에 외식을 주로 함.
•
외식 시점에 있어서는 점심 식사인 경우가 많으나, 저녁 식사도 높은 비율로 외식을 함. casual restaurant형의 핵심 이용 동기는 다양한 메뉴, 저렴한 가격, 모임에 적합, 깨끗한 환경 등임. [표] 취식 상황 및 이용 동기 세분 고객 집단
기본적 건강 중시형 (Basic&Healthy)
취식 상황
가족 식사 모임 친구와의 모임
353
이용 동기
균형 잡힌 영양 다양한 메뉴에 의한 넓은 선택의 폭 다양한 메뉴의 합리적 조합 저렴한 가격 편리하면서도 빠른 제공 학생과 샐러리맨에 적합
상해
3.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방향 •
상해 현지 고객 조사를 통해 도출된 한국의 비빔밥 전문점 이미지는 깨끗한, 맛있는,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간편한,
다양한
등이며,
이를
바탕으로
'깔끔하면서도 영양적 조화로 건강에 좋은 한국의 맛을 새롭고 간편한 형태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을 목표 포지셔닝으로 설정함. •
목표 포지셔닝이 상해 현지 고객들에게 제대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겟 소비자를 대상으로 메뉴, 서비스, 매장 등 제공 가치 측면에서 실체화되어야 함.
•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방향은 Q(메뉴/맛), S(서비스), C(Cleaness), 기타 측면에서 도출함.
1) 메뉴 측면(Quality) •
타겟 소비자 유인 요소 -
•
균형 잡힌, 다양한, 저렴한
다양한 비빔밥과 비빔밥 재료를 활용한 일품 요리 등을 함께 제공하여 다양하고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함.
•
타겟 소비자 집단의 '균형 잡힌' 키워드는 비빔밥의 본원적인 장점 및 특징에 해당되며, 이를 적극적으로 차별화하여 비빔밥 전문점의 핵심 경쟁 우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반영함.
•
가격대는 상해의 경쟁 환경을 고려하여 타 에스닉 푸드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공함.
•
메뉴의 제공 시 합리적인 조합을 고려하여 제공하며, 이를 정보화하여 제공함.
•
핵심 키워드 -
비빔밥의 핵심 가치 : 균형잡힌 건강
-
메뉴 : 다양하고 넓은 선택의 폭, 경쟁력 있는 메뉴 가격, 합리적 조합
2) 서비스 측면(Service) •
타겟 소비자 유인 요소 : 편리한, 빠른, 학생과 샐러리맨
•
제공되는 서비스는 타겟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빠르면서도 편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을 주로 하는 타겟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여 매장의 좌석 배치, 좌석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야 함.
•
비빔밥 재료 구성에 대한 건강, 영양적인 정보의 제공 등을 통하여 표적 시장의 니즈를 만족시키며, 메뉴에 대한 신뢰성 또한 높일 수 있음.
•
특히, 학생과 직장인의 식사를 고려하여 음식의 양 또한 푸짐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
35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
핵심 키워드 -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
-
학생과 직장인
3) 매장 측면(Cleaness) •
위생과
청결은
가장
중요시하는
KBF로서
별도의
내용으로
언급이
없어도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임. •
재료 측면에 있어 제공되는 음식의 재료와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의 철저한 위생 관리로 항상 가장 깨끗한 수준의 음식이 제공 될 수 있도록 함.
•
매장 측면에 있어 매장 내외부, 종업원 복장 및 외모, 그릇, 좌석, 비품 등에 있어 위생/청결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항상 깨끗하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4) 기타 측면
•
최근의 한류 열풍을 반영하여 매장이 제공하는 한국적 이미지, 분위기, 이국적인 경험(한국) 등은 표적 시장에 대해 타 에스닉 푸드 레스토랑 대비 추가적인 경쟁 우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매장 인테리어와 소품 등을 활용하여 한국적인 분위기를 낼 수 있도록 함.
즉, ‘합리적인 재료의 조합으로 균형잡힌 영양을 이뤄 건강에 좋은 한국의 비빔밥을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을 목표 포지셔닝으로 설정함. [표] 비빔밥 전문점 포지셔닝 실체화>
구분
Key Words
메뉴
균형잡힌 건강 저렴한 가격 합리적 조합 빠른 편리한 푸짐한
(Q) 서비스 (S) 위생-청결 (C)
깨끗한 위생적인
기타
한국적 분위기
355
제공 가치
실체화 제공 메뉴 종류
본원적 가치
제공 서비스 제공 음식 메뉴 매장
차별적 가치
매장
상해
Ⅲ. 비빔밥 전문점 마케팅 전략 Executive Summary 1. 비빔밥 전문점 컨셉 도출 시 전략적 고려 사항 •
‘대한민국 이미지’, ‘산업 중요가치’, ‘시장 트렌드’, ‘비빔밥 전문점의 강점’의 4가지 관점에서 가치 및 시사점을 종합하여 최적의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을 수립함.
1) 국가 보증 이미지 : 한국-한류 이미지의 적극적 활용 •
드라마 ‘대장금’으로 촉발된 한류와 한식에 대한 중국내 폭발적인 붐
•
한식-비빔밥에로의 한류의 적극적인 활용
2) 산업 중요 가치 : 위생-청결, 이색적인 문화 경험 •
중국인의 식습관과 외식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위생-청결 등의 요인 고려
•
외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가치의 다양성(새로움, 이색적인 체험 등)
3) 트렌드 : 건강/웰빙 시장의 성장세 •
산업 중요 가치와 유사하게 소득의 증가와 식품 안전 등의 이슈화
•
에스닉 푸드 본래의 맛을 살린 메뉴의 성장
4) 비빔밥 전문점 강점 영역 : 비빔밥의 간편함, 다양함, 건강함 •
비빔밥 본연의 특징인 다양/건강함을 중점적으로 소구하며 중요시되는 위생-청결, 맛, 서비스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비빔밥 전문점의 가치 극대화
2. 비빔밥 전문점 컨셉 •
상해의
특성과
소비자
특성,
경쟁
현황
등을
고려하여
비빔밥의
영양과
건강
이미지(fresh & health)를 소구하는 컨셉 의 비빔밥 전문점 유형을 제시함.
합리적인 재료의 조합으로 균형잡힌 영양을 이뤄 건강에 조은 한국의 비빔밥을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
-
균형 잡힌 영양과 건강을 제공하는 다양하고 합리적인 재료가 어우러진 한국식 비빔밥
-
영양과 건강을 고려하여 엄선된 고급 재료를 사용한 한식 비빔밥
-
고객 한 분 한 분을 위한 서비스
-
밥과 토핑 뿐 아니라, 소스 국 및 음료까지 my own recipe 주문 방식으로 자신의 입맛에 맞는 비빔밥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즐길 수 있음.
-
직장인들의 식사에서 친구들끼리의 모임, 가족 모임을 위한 최적의 장소 35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
Quality 측면 균형 잡힌 영양과 건강을 제공하는 다양하고 합리적인 재료가 어우러진 한국식 비빔밥 다양한 일품 요리 등을 함께 제공하여 영양과 건강 뿐 아니라, 맛과 메뉴에 있어서도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함.
•
Service 측면 제공되는 서비스는 최대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며, 편안한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이나 식사를 고려한 매장의 좌석 배치, 좌석 규모, 조명, 음악, 분위기 등을 제공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자신이 골라 만드는 비빔밥(my own recipe)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함. 제공되는 음식의 양 또한 소비자가 대접받는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푸짐하게 제공함.
•
Cleaness 측면 철저한 위생 관리를 통해 재료를 엄선하며,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 매장 내외부, 종업원, 식기와 비품 등에 있어서도 위생과 청결 관리를 철저히 하여 항상 깨끗하고 깔끔한 상태를 소비자에게 제공함.
3. 점포 모델 1) 점포 개요 •
핵심
표적
시장인
좋은(건강,영양)
‘기본적
다양하고
건강향’을
뛰어난
맛의
타겟으로
합리적인
비빔밥(맛있는),
조합으로
자신이
직접
건강에 고르는
(재미/즐거움), 청결한 위생(믿음), 현대적이고 깔끔한 분위기(분위기/편안함)를 제공함. •
•
점포 규모 -
소형 : 100㎡ / 26개 테이블 (2석 테이블 기준) / 52석
-
중형 : 150㎡ / 18개 테이블 (4석 테이블 기준) / 73석
-
대형 : 200㎡ / 24개 테이블 (4석 테이블 기준) / 97석
부서별 인원 구성 -
소형(100) : 총인원 9명, 주방 3명, 홀 6명
-
중형(150) : 총인원 14명, 주방 6명, 홀 8명
-
대형(200) : 총인원 19명, 주방 9명, 홀 10명
2) 메뉴의 구성 •
비빔밥 메뉴를 구성할 시에는 중국인의 식습관, 매장의 규모, 표적 소비자의 선호 재료 및 조리 방법, 표적 소비자의 취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
특히, 중국인의 다양한 메뉴와 푸짐한 양을 원하는 기본적인 식습관과 전문점이 가지는 메뉴 종류의 한계성 간의 절충점을 찾아야 함.
•
소형 규모의 매장의 경우, 회전율의 극대화를 통한 매출 발생이 필요하기에 다양한 357
상해
종류보다는 비빔밥 단일 품목으로 연계성이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하는 다양한 비빔밥 메뉴의 구성을 해야 함. •
메뉴의 구성 시, 연계성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 외에 모임이나 다수의 식사 시 주요리와 함께 취식할 수 있는 부요리(side menu)나 일품 요리가 필수적임.
•
부요리(side-menu)는 비빔밥을 보완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요리로써 거부감이 없어야 함.
•
일품 요리는 탕과 전골과 같이 여럿이 함께 나눠 취식할 수 있는 양과 내용으로 구성함.
4. 추천 상권 •
상권을 평가하는 기준은 ‘경쟁 강도’와 ‘매력도’로 구분
•
경쟁 강도는 에스닉푸드 레스토랑 확산율과 가격 별 레스토랑 밀집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매력도는 유동인구와 평균 임대료를 기준으로 평가함.
•
상해 상권의 경쟁 강도 현황 -
강한 경쟁 강도의 상권 : 사천북로, 서가회, 오각장, 인민광장, 팔백반, 중산공원
-
평균 수준의 경쟁 강도의 상권 : 남경동로, 장강원구
-
낮은 경쟁 강도의 상권 : 남경서로, 회해로, 홍교, 륙가취, 예원
-
경쟁 강도를 기준으로 상해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남경서로, 회해로, 홍교, 륙가취, 예원 상권임.
•
상해 상권의 매력도 현황 -
매력도가 높은 상권 : 오각장, 회해로, 남경동로, 사천북로, 륙가취, 서가회, 홍교
-
평균 수준의 매력도의 상권 : 인민광장, 팔백반
-
낮은 매력도의 상권 : 장강원구, 중산공원, 남경서로, 예원
-
매력도를 기준으로 상해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오각장, 회해로, 남경동로, 사천북로, 륙가취, 서가회, 홍교 상권임.
•
상해의 추천 상권 -
유동인구가 많고 에스닉 푸드에 대한 수용도가 높으며 임대료 수준 또한 적절한 (높은 매력도) 동시에 경쟁 강도가 약한 회해로, 륙가취, 홍교 상권을 최적 상권 후보로 선정함.
-
상권의 유형, 인구 특징, 컨셉 적합도, 타겟 적합도, 상권 발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홍교 상권과 회해로 상권을 최종 최적 상권으로 추천함.
35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5. 추천 상권(홍교 상권과 회해로 상권)의 비빔밥 전문점 모델 평가 •
홍교 상권과 회해로 상권 모두 중형과 대형 규모 모두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상대적으로 중형보다는 대형 규모의 매장의 가능성이 높은 상권으로 이는 높은 회전율과 현재 상해 에스닉 푸드 산업의 활발한 성장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됨.
•
투자 회수 기간을 기준으로 대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짧은 회수 기간을 나타냄
•
영업 이익율과 영업 레버리지도 분석을 기준으로 중형 규모의 매장과 대형 규모의 매장이 거의 유사한 위험도를 나타냄.
•
대형 규모의 매장이 근소한 차이로 더 유리함.
•
상해 상권은 로드샵의 임대료는 저렴하나, 쇼핑몰의 임대료는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쇼핑센터나 백화점이 아닌 로드샵 매장으로 중대형 규모로 매장을 입점하는 것이 유리함.
6. 홍보•프로모션 전략 •
•
•
인지도 확보 전략 -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곳의 주변 상권의 고객부터 잠재적으로 방문을 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에게까지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알려 고객의 인식 상에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 고려 대상에 속하도록 하는 전략
-
지역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
잠재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방문 유도 전략 -
고객이 알고 있는 많은 음식점 중에서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전략
-
공동 마케팅을 통한 집객 전략
-
잠재 고객 방문 유도 전략
재방문 유도 전략 -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해 본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하는 전략
-
Lock-in 전략
-
로열티 증대 전략
7. 상해 비빔밥 전문점 적정 메뉴 가격 •
표적 집단인 ‘기본적 건강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객단가는 56.1위안이며, 이를 기준으로 상권 별 객단가를 산정함.
•
홍교 상권의 객단가는 상해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기본적 건강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56.1위안), 중가 수준의 상권 특성과 현재 에스닉 푸드내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해의 상황을 함께 고려하여 표적 집단의 지출 금액보다는 낮은 359
상해
수준으로 공격적인 가격을 책정하여 북경 송문문 상권과 동일한 46위안으로 산정함. •
회해로 상권의 객단가는 상해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기본적 건강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56.1위안)과 고급 상권의 특성을 반영하여 49위안으로 산정함.
36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1. 점포 전략 가.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1)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도출
'대한민국 이미지', '산업 중요가치', '시장 트렌드', '비빔밥 전문점의 강점'의 4가지 관점에서 각각의 가치 및 시사점을 추출한 후 종합적인 판단을 통해 최적의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을 수립함. [그림] 비빔밥 전문점 컨셉 도출 모형
① 국가 보증 이미지(Hallow Image)
한국 국가 선호도 •
중국인들의
한국,
우수하다(83%),
한국문화에
밝다(77%),
대해
가지고
강하다(76%),
있는
이미지는
사고싶다(71%),
깨끗하다(92%), 정직하다(65%)로
긍정적인 측면이 매우 높게 나왔음. 특히 ‘깨끗하다’와 ‘밝다’ 의 이미지는 한국 음식에 적용할 수 있는 긍정적 이미지 이며, ‘정직하다’의 이미지는 비빔밥 전문점(한식당)에서 적용 가능한 이미지 요인임.
361
상해
[그림] 중국인이 생각하는 국가, 한류문화, 한국상품 이미지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② 외식-에스닉푸드 산업 중요 가치(Industry Value)
외식시 핵심 고려 요소 •
WK 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에 의하면, 중국 상해인들이 음식점 선택에 있어 가장 중시하는 것은 ‘위생 및 청결’로 나타남
•
‘음식의 맛’, ‘친절한 서비스’, ‘합리적 가격’ 등이 중요한 핵심 고려 요소(Key Buying Factor)로 나타남 [그림] 음식점 선택 시 핵심 고려 요소 (Key Buying Factor)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6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중국 식습관 및 외식 행동 •
식단의 구성은 메인요리+밥(면)으로 구성됨
•
중국인들은 기본적으로 한 상에 다양한 요리를 함께 놓고 취식하는 것을 즐김
•
중국인들은 손님을 초대할 경우 음식이 남지 않을 경우 손님에게 부족하게 대접했다는 의식이 있어, 이러한 문화가 식사 전반에 영향을 미쳐 일반적인 식사의 경우에도 항상 주문한 음식의 1/3 정도는 과도하게 주문하고 남기는 경향이 있음.
•
외식의 경우 메뉴 선택의 다양성을 중시함(평균 50~100개 이상의 메뉴)
③ 중국 상해 한식 시장 트렌드(Trend)
전반적 외식시장 트렌드 •
현재 중국은 적극적 개방과 경제성장에 따라 외식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건강/웰빙 트렌드의 영향으로 유기농 관련 시장도 증가하고 있음.
•
상해 시민들의 외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민들의 소비 관념 및 소비 구조도 변화하고 있음. 즉, 외식 소비에 대한 수요 변화는 단순한 음식 섭취에서 건강, 오락, 휴식 지향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
다양한 풍미 및 특색 요리(지역별 전통맛, 궁중요리, 민족특색 요리 등)를 즐길 수 있는 음식점과 외국 외식 브랜드(테마 음식점, 레저 레스토랑 등)들이 상해 외식 시장에 새로운 트렌드를 일으키고 있음.
•
상해의 경우 북경과 달리 상대적으로 중식 패스트 푸드와 작은 가게, 그리고 면류를 하는 집들이 많음. 환경과 위생이 괜찮은 집은 특색 있는 집으로 인지되어 유행되고 있으며, 점심 식사의 경우에도 면을 주 메뉴로 하는 체인점도 증가되고 있어 다양한 점심시장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
상해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만큼 새롭고 신선한 컨셉의 음식에 대한 수용도가 높으며, 도시 전체적으로 외국인의 비중이 높은 점과 젊은 층의 니즈에 따라, 서양풍의 레스토랑이 인기임.
363
상해
외식 가치의 변화 •
‘건강식 추구’라는 기본 지향 가치를 기반으로 에스닉 푸드 오리지널 음식 맛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외식 형태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음. [그림] 외식 가치의 변화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
‘내부 인테리어’, ‘분위기’, ‘편안함’, ‘식당의 서비스 품질’, ‘음악’ 등 음식점의 기본적인 맛 부분 이외에 감성적 소구가 중요해지고 있음.
한식 트렌드 •
현재 한식은 성장 후기 단계로 대중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진 상황이며, 다양한 연령대의 다양한 계층에서 경험율이 높고, 다양한 한식당 형태로 발전 및 분화, 전개 중임 [그림] 한식 트렌드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36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비빔밥 측면 •
비빔밥은 상해의 많은 한식당에서 판매되는 개별 메뉴이지만, 북경과 같이 전문점 수준까지 발전된 점포는 거의 없음. 그러나 향후 빠른 시일에 비빔밥 전문점 형태의 개별 점포로 발달할 것이 예상됨.
•
비빔밥의 선호 이유는 맛, 경제성, 편리성, 영양, 깨끗함 등임. [그림] 비빔밥 선호/비선호 이유
비빔밥 선호 이유 (n=368) 내용
비빔밥 비 선호 이유 (n=9)
비율
인원
내용
비율
인원
59.8
220
익숙하지 않다
22.2
2
21.7
80
쌀이 딱딱하다
22.2
2
10.9
40
먹을 때 느끼하다
11.1
1
편리하고 간단하다
9.8
36
특별한 것이 없다
11.1
1
영양이 풍부하다
5.4
20
입맛에 맞지 않는다
11.1
1
2.4
9
입맛에 짜다
11.1
1
7
습관이 되지 않는다
11.1
1
맛이 입맛에 맞는다/맛있다 맛이 독특/깊은 맛이 있다 요리 종류가 많다/경제적이다
구수하고 맵고 맛있다 맛이 부드럽다
1.9
*Source: WK마케팅그룹 / GH KOREA Survey & Analysis (2010.10)
④ 비빔밥 전문점 강점 영역(Appeal Factor)
유지 강화 영역 •
유지 강화 영역은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하며 신속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만족되어야 할 영역임.
•
위생 및 청결, 음식의 맛, 친절한 서비스, 서비스의 신속성, 합리적 가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점이 추구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
지속 유지 영역 •
최우선적인 영역은 아니나 차별적 요인의 제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영역임.
•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빔밥 전문점의 컨셉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영역임.
점진 개선 영역 •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은 영역임.
•
부가적인 혜택과 관련된 요소 또는 기본적인 필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기본적인 요소들은 반드시 충족되어야 하는 요소들임. (새로운 메뉴, 위치와 접근성, 음식의 양 등)
365
상해
[그림] 음식점 선택 시 고려요인-만족도/중요도 matrix
⑤ 비빔밥 전문점 컨셉 방향 수립의 시사점 •
4가지 측면의 고려요소를 종합해 보면, 비빔밥 전문점 컨셉 전략 수립 시 활용 가능한 기회는 1) 국가적 레벨에서의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2) 건강/웰빙에 대한 점차 높아지는 관심을 바탕으로 한 외식시장의 성장 3)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에 의한 중국인의 식생활과 외식산업의 다양화 4) 다른 에스닉푸드와 비교하여 비빔밥이 가진 차별화 속성 등이 있음.
국가 보증 이미지 : 한국-한류 이미지의 적극적 활용 •
한류와 한식에 대한 폭발적인 붐은 드라마 ‘대장금’의 방영으로 촉발됨.
•
한류의 한식-비빔밥으로의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임.
산업 중요 가치 : 위생-청결, 이색적인 문화 경험 •
중국인의 식습관과 외식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위생-청결 등의 요인을 고려함.
•
외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가치의 다양성(새로움, 이색적인 체험 등)
트렌드 : 건강/웰빙 시장의 성장세 • •
산업 중요 가치와 유사하게 소득의 증가와 식품 안전 등의 이슈화 에스닉 푸드 본래의 맛을 살린 메뉴의 성장
36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비빔밥 전문점 강점 영역 : 비빔밥의 간편함, 다양함, 건강함 •
비빔밥 본연의 특징인 다양/건강함을 중점적으로 소구하며 중요시되는 위생-청결, 맛, 서비스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비빔밥 전문점의 가치 극대화 2) 비빔밥 전문점 컨셉 도출
앞서 도출된 주요 시사점을 바탕으로 비빔밥 전문점의 컨셉 도출
합리적인 재료의 조합으로 균형잡힌 영양을 이뤄 건강에 좋은 한국의 비빔밥을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하는 비빔밥 전문점 •
Key concept -
Quality 측면 다양한 토핑과 재료의 합리적인 조합을 통해 균형잡힌 영양과 건강에 좋은 다양한 비빔밥과 일품 요리 등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공하여 맛과 메뉴에 있어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함. 재료와 토핑을 자유로이 소비자가 고를 수 있는 비빔밥(my own recipe)을 제공하여 합리적인 조합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킴.
-
Service 측면 제공되는 서비스는 타겟 소비자의 니즈와 취식 상황을 반영하여 빠르면서도 편한 서비스와 친구 또는 가족 모임을 위한 매장의 좌석 배치, 좌석의 규모 등을 제공하며, 이와 함께 비빔밥 재료 구성에 대한 건강, 영양적인 정보의 제공, 학생과 직장인의 식사를 고려하여 음식의 양 또한 푸짐하게 제공함.
-
Cleaness 측면 위생과 청결은 매장 운영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써 철저한 위생 관리를 통해 재료를 엄선하며, 음식이 조리되는 주방, 매장 내외부, 종업원, 식기와 비품 등에 있어서도 위생과 청결 관리를 철저히 하여 항상 깨끗하고 깔끔한 상태를 소비자에게 제공함.
핵심 제공 가치 •
맛/건강/새로움 (최고의 맛 / 균형잡힌 영양과 건강 / 합리적 조합)
•
빠른/편안함/푸짐함
•
철저한 위생관리/청결한 매장
367
상해
4 value 핵심 제공 가치인 맛/건강, 편안함/푸짐함/새로움, 철저한 위생관리/청결한 매장은 4 value로서 구체화되어 제공함. •
•
제품(product) -
맛과 품질, 영양에 대한 보증 : 엄선된 고급재료
-
다양한 선택의 폭 : 비빔밥 외 비빔밥과 어울리는 다양한 메뉴
-
합리적 조합 : my own recipe를 통해 내 자신이 자유롭게 만드는 비빔밥
공간(Space) -
•
•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매장
서비스(Service) -
인적 서비스 : 빠르고 편리함을 주는 인적 서비스
-
공간 서비스 : 편리함을 느낄 수 있는 좌석 배치, 좌석 규모, 조명, 음악,분위기
문화(Culture) -
독특한 문화적 경험 : 한류를 기반으로 한 한국적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
취식 상황 타겟 소비자 층의 취식 상황을 반영 •
친구 모임 / 가족 모임 메뉴 my own recipe 방식을 통해 다양한 재료의 조합으로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비빔밥을 나에게 가장 어울리는 나만의 비빔밥을 제공함. 취식 상황으로의 모임과 메뉴의 넓고 다양한 폭을 위해 일품 요리 제공
•
기본 비빔밥 재료 -
기본적으로 비빔밥에 제공되는 재료로서 가장 기본적인 밥, 나물 등으로 구성함.
•
선택 재료 -
개인적인 선호차이가 큰 나물 종류와 고기, 소스 등은 선택 재료로 구분하여 개인별 선호 비빔밥을 만들 수 있도록 함.
•
일품메뉴 -
모임이나 다수가 식사할 경우 비빔밥과 더불어 함께 취식 할 수 있는 단품요리로써 비빔밥과의 어울림, 재료의 혼용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구성함.
36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비빔밥 전문점 점포 모델 1) 점포 개요 •
핵심 표적 시장인 ‘기본적 건강향’을 타겟으로 합리적인 재료의 조합으로 건강에 좋은(건강,영양) 다양하고 뛰어난 맛의 비빔밥(맛있는), 자신이 직접 고르는
(재미/즐거움),
청결한
위생(믿음),
현대적이고
깔끔한
분위기
(분위기/편안함)를 제공함.
점포 컨셉 •
현대적이고 깔끔한 분위기의 음식점에서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건강식인 비빔밥을 간편하면서도 푸짐하게 자신에게 맞는 합리적인 조합을 직접 골라서 먹을 수 있는 비빔밥 전문 레스토랑
점포 디자인 컨셉 •
점포 컨셉인 ‘균형 잡힌 영양으로 건강에 좋은 비빔밥을 경험할 수 있는 비빔밥 전문점’을 전체 매장 디자인과 소품에 반영하도록 함.
•
각 재료별 특징과 영양학적 정보, 비빔밥의 건강 소구적인 면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자료의 활용함.
점포 고객층 •
1차 핵심 고객은 20~40대의 여성으로 외식 상황으로는 직장동료, 친구 간의 점심 식사가 주 타겟임.
•
2차 핵심 고객은 가족 단위를 타겟으로 하며, 외식 상황으로는 가족 단위의 점심 또는 저녁 식사가 주 타겟임.
점포 입지 •
1차 입지 후보는 20~40대 여성을 핵심 고객으로 하고 그 외 학생, 연인, 가족을 부고객으로 하는 시내 중심지, 주요 상업구, 대형 마트나 쇼핑 센터의 외주 구역으로 함.
•
2차 입지 후보는 가족을 핵심 고객으로 하고 여성, 학생을 부고객으로 하는 주택가나 아파트 단지 상권으로 함.
예상 점포 개설비용 •
인테리어, 익스테리어, 홀 설비와 소품, 주방 설비와 소품, 집기류, 인허가 비용 등으로 구성됨.
•
인테리어와 설비는 중국 현지에서 직접 조달하는 경우가 한국을 통하는 경우보다 훨씬 저렴하기는 하지만 디자인이나 기능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경비가 369
상해
소요되더라도 국내에서 가져가는 경우가 많음. •
특히, 중국 현지 조달 또는 공사의 경우 계약서를 허술하게 작성하거나, 철저한 관리 감독이 부실할 경우 최초 예상 디자인, 예상 결과물 등과 최종 디자인, 최종 결과물 등이 많이 다를 수 있어 재시공 또는 재설치의 경우가 잦고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국내에서
조달하는 것이
시간적,
비용적으로 유리한 경우가 다수 존재함. 2) 점포운영
점포 규모 •
현지에서 한식당 규모는 소형이 100㎡이하, 중형이 330㎡내외, 대형은1000㎡ 이상의 규모가 통상적임.
•
비빔밥 전문점의 매장 규모는 전문점이라는 매장 특성에 따른 좁은 소비자층, 최근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부동산 관련비용, 상대적으로 고가의 가격 등의 운영에 있어서의 위험성 고려하여 결정함.
•
WKMG-GH Korea 한식당 실태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규모 기준 하위 30% 점포의 규모인 100㎡를 소형으로, 규모 기준 중위값인 50%의 규모인 150㎡를 중형으로, 상위 30%의 규모인 200㎡ 를 대형의 기준으로 선정함
•
비빔밥 전문점의 좌석 수는 소형 52석, 중형 73석 대형 97석으로 함. [표] 점포 규모별 비교
소형
중형
대형
규모
100 ㎡
150 ㎡
200 ㎡
단위당 객수
1.7 명/3.3 ㎡
1.6 명/3.3 ㎡
1.6 명/3.3 ㎡
테이블 수
13 개(4 석)
18 개
24 개
(4 석 기준)
26 개(2 석)
좌석 수
52 석
73 석
97 석
37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점포 인력 구성 •
1일 법정 근로시간은 8시간으로 이를 넘기지 않도록 하며 인원 구성은 경력 직원과 보조 직원으로 구성하며 그 인력 구성비는 1:2를 기준으로 함.
•
일반적으로 중국의 인건비는 한국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 1인당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나, WKMG-GH Korea 조사 결과 1인당 노동 생산성이 한국의 50%~75% 수준으로, 한국과 대비하여 업무당 필요 인원이 더 많아, 총 급여에 있어서는 국내와 큰 차이가 없음.
부서별 인원 구성 •
주방은 세척과 조리, 홀은 서빙과 캐셔로 구분.
•
주방의 인원 구성 -
세척과 조리로 구분하여 책임자와 보조인력으로 인원을 구성함.
-
소형 매장은 책임자 1명, 보조 2명으로 구성하며, 중형 매장은 책임자 2명, 보조 4명, 대형 매장은 책임자 3명, 보조 6명으로 구성함.
•
홀의 인원 구성은 홀 총괄 매니저 1명과 책임자 1명을 주축으로 보조 인력을 식당 규모에 따라 구성함. -
홀 총괄 매니저 1명을 제외하고 소형은 책임자 1명과 보조 4명, 중형은 책임자 1명과 보조 6명, 대형은 책임자 1명과 보조 8명으로 구성함
•
홀 총괄 매니저는 수납 및 전체 홀 관리, 인력 관리, 고객 관리를 담당함.
총 인원 -
소형: 총인원 9명, 주방 3명, 홀 6명
-
중형: 총인원 14명, 주방 6명, 홀 8명
-
대형: 총인원 19명, 주방 9명, 홀 10명
영업 시간 •
영업 시간은 현지에서 운영 중인 한식당 및 타 점포의 영업 시간, 점포의 주 타겟이 점심 식사임을 고려함과 동시에 저녁 식사대의 가족 단위 모임 등을 고려하여 오전 10시 ~ 오후 10시까지로 책정함.
•
오픈 초기에는 원활하게 점포가 운영 될 수 있도록 무리한 영업 시간을 잡지 않는 것이 좋으며, 개점 후 3개월 정도의 운영을 거친 후 주변 상권과 내점 고객의 성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점포의 영업시간과 근무자의 근무 시간 등을 조정하도록 함.
371
상해
3) 메뉴
메뉴 방향 •
메인 테마 -
균형 잡힌 영양식으로 건강에 좋은 뛰어난 맛의 건강식 비빔밥을 강력히 소구하며, 다양한 보조 메뉴로 푸짐하고 간편하게 즐기는 메뉴를 구성함.
•
맛 -
비빔밥의 맛의 방향은 현지화를 지향하여, 현지화된 비빔밥을 위한 소스와 토핑을 위주로 제공함.
•
재료 -
원부재료의 연계성 : 다양한 메뉴를 선호하는 중국인의 식습관을 고려하되, 원·부재료 간 연계성이 높은 메뉴의 제공/개발로 메뉴의 다양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재료의 활용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원가의 절감도 추구함.
-
조리 편리성 : 조리가 간편한 메뉴를 개발/도입하여 시간당, 노동 단위당 생산성을 높임.
•
운영 -
정기적인 메뉴 점검 : 정기적으로 메뉴군 별 매출 분석과 고객 반응을 검토하여 고객 선호가 높은 메뉴를 중심으로 메뉴를 구성함.
-
신메뉴 출시 : 매출의 안정성과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신메뉴 개발함.
-
메뉴의 수 : 중국 식습관을 고려 하여 다양한 토핑을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을 제공함.
•
-
메인 메뉴인 비빔밥과 함께 일품 메뉴와 같은 개별 요리 제공함.
-
매장의 규모에 따라 메뉴 수 및 종류는 상이하게 제공함.
가격 -
매장의 객단가는 전략적으로 표적 집단을 고려한 가격을 설정하여야 하며, 이에 매장 상권의 특징, 고객의 소비 성향, 투자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
표적집단인 ‘기본적 건강 중시형’ 소비자의 비빔밥 객단가를 고려하여 56위안을 기준으로 매장 상권의 특징, 고객의 소비 성향 등을 고려하여 객단가를 산정.
메뉴의 종류 •
메뉴 종류의 구성 -
비빔밥 메뉴를 구성할 시에는 중국인의 식습관, 매장의 규모, 표적 소비자의 선호
재료
및
조리
방법,
표적
소비자의
취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
특히,
중국인의
다양한
메뉴와
푸짐한
양을
원하는
기본적인
식습관과
전문점이 가지는 메뉴 종류의 한계성 간의 절충점을 찾아야 함. -
소형 규모의 매장의 경우, 회전율의 극대화를 통한 매출 발생이 필요하기에 다양한 종류보다는 비빔밥 단일 품목으로 연계성이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하는 다양한 비빔밥 메뉴의 구성을 해야 함.
-
중형 규모 이상의 매장의 경우, 연계성 높은 원부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비빔밥 37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외에 모임이나 다수의 식사 시 주요리와 함께 취식할 수 있는 부요리(side menu)나 일품 요리가 필수적임. -
부요리(side-menu)는 비빔밥을 보완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요리로써 거부감이 없어야 함.
•
부요리 -
부요리로는 중국인에게 가장 익숙하면서 거부감이 없는 ‘면 요리’로 구성함.
-
면은 비빔밥이 가지는 밥의 요소와 어울릴 뿐만 아니라, 비빔밥과 원재료간의 연계성 높은 메뉴임.
•
간단한 소형 면과 밥을 함께 제공하는 세트 메뉴로써의 역할도 할 수 있음.
일품 요리 -
일품 요리로는 한국식 탕과 전골, 불고기류 등으로 구성함.
-
다수가 함께 취식할 경우 함께 나눠 취식하는 식습관을 고려하여 1인분보다는 3~4인 분량의 메뉴로 제공.
개별 메뉴
① 비빔밥 •
점포의 메인 메뉴
•
토핑 선택, 소스 선택과 서비스 되는 접시 등에서 차별화 요소 부여
•
비빔밥류는 야채, 육류, 해물 등의 토핑과 고추장을 기본으로 5~6가지의 비빔 소스를 이용하여 제공함. 비빔밥의 종류와 조리 방식에 따라 도자기, 돌솥, 돌판, 놋그릇 등의 다양한 용기를 메뉴에 맞게 적용하여 사용함.
•
상해의 비빔밥 전문점은 비빔밥의 건강/영양/균형적인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켜 경험할 수 있도록 건강/영양 비빔밥의 구성 비율을 타 경쟁사 대비 높임
•
메뉴 적용 대상 매장 : 모든 매장. [표] 비빔밥 메뉴 구성
운영메뉴
토핑에 따른 다양한 비빔밥 제공
비빔토핑
야채, 육류, 해물 등
비빔소스
매운맛, 순한맛으로 다양하게 구비
용기
도자기, 돌솥, 돌판, 놋그릇, 함지박 등
373
상해
② 면류 •
면류는 야채, 육류, 해물 등의 토핑과 냉면, 온면, 비빔면의 조합을 통해 제공함.
•
비빔밥과 원부재료간 연계성 높은 면류의 제공으로 효율성을 높임.
•
메뉴 적용 대상 매장 : 모든 매장 [표] 면류 메뉴 구성
면류
운영메뉴
냉면, 온면, 비빔면등면류제공
토핑재료
야채, 육류, 해물등
용기
도자기
③ 일품류 •
일품류
메뉴의
구성은
주로
한식탁에서
여러
명이
함께
주문하고
나눠서
다양하게 취식하는 중국인의 식습관을 고려하여, 음식의 양을 푸짐하게 하여 1접시로 2인 정도가 취식할 수 있는 분량의 음식을 제공함. •
비빔밥과의 원부재료 연계성 높은 메뉴를 제공함.
•
1차 조리는 주방에서, 2차 조리는 홀에서 이동식 버너를 사용하여 제공
•
메뉴 적용 대상 매장 : 중형/대형 매장 [표] 일품류 메뉴 구성
일품류
운영메뉴
볶음, 무침, 부침, 구이, 전골등
재료
야채, 육류, 해물등
용기
접시, 전골냄비등
④ 기본찬 •
기본찬은 자극적이지 않은 침채류, 조림류, 절임류, 물김치, 따뜻한 국물 등 총 5종으로 구성하고, 면요리에는 국물을 제외한 3종찬으로 구성함.
•
예시) 백김치, 장조림, 야채초절임, 나박김치, 국
37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상권 및 입지전략 가. 상해시 분석
주요 상권 리스트 •
현재 상하이 행정 구역은 도심 핵심 지역, 도심 주변 지역(이하 주변 지역으로 약칭함), 근교 지역, 원교 지역의 4개 구역으로 나뉨. 그 중 핵심 지역과 주변 지역을 합하여 시내라고 부르고 있음. -
주변 지역은 훙커우(虹口), 쉬훼이(徐匯), 창닝(長寧), 푸퉈(普陀), 자베이(閘北), 양푸(楊浦) 등 다섯 개 지역이 포함되며, 각 지역의 전부 혹은 대부분이 내외환선 사이에 자리 잡고 있음. 대개 해방 후에 건설되었음.
-
근교
지역은
포함하고,
푸둥(浦東), 민항(閔行), 바오산(寶山), 자딩(嘉定) 4개
원교
지역은
쑹장(松江),
진산(金山),
칭푸(靑浦),
지역을
난후이(南匯),
펑셴(奉賢), 충밍(崇明)의 여섯 개 구(區)·현(縣)을 포함함. [그림] 상해시 상권 분포 현황
9
12
1
5
6 3
8 11
2
375
4
7
13
10
상해
[표] 상해시 주요 상권리스트
No
상권 명 한글명칭(한자,중국명칭)
No
2
남경서로(정안사 포함)(南京西路, 난징시루) 서가회(徐家汇, 쉬쟈휘)
3
회해루(淮海路, 화이하이루)
10
4
륙가취(陆家嘴, 뤼쟈취이)
11
5
인민광장(人民广场, 런민꽝창)
12
6 7
팔백반(八佰伴, 빠바이빤) 남경동로(南京东路, 난징똥루)
13
1
376
8 9
상권명 한글명칭(한자,중국명칭)
중산공원(中山公园, 쭝샨꽁위 엔) 오각장(五角场, 우지아오창) 장강원구(张江园区, 장지앙위 엔취) 홍교(虹桥, 홍치아오) 사천북로(四川北路, 쓰촨베이 루) 예원(豫园, 위웬)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추천 상권 제시
전체 Flow [그림] 추천 상권 및 모델 운영안 도출 전체 Flow
•
최종 추천 상권은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종합적으로 수행하여 도출함.
•
정량적 분석 : 경쟁 강도와 매력도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각 상권을 분석하여 추천 상권 후보를 도출함.
•
정성적 분석 : 정량적 분석에서 선정된 추천 상권 후보를 대상으로 상권의 특징, 상권의 장단점, 컨셉 적합도, 타겟 적합도, 상권 발전성 등의 정성적 항목을 평가하여 최종 추천 상권을 도출함. 1) 상권별 정량 평가
•
상권을 평가하는 기준은„경쟁 강도‟와 „매력도‟로 구분함.
•
„경쟁 강도‟는 상권 평가의 항목 중 중간 저지성, 경쟁점(직접 경쟁/간접 경쟁)의 항목으로 측정 가능하며,„매력도‟는 현재의 상권력, 접근성, 성장 가능성, 누적적 흡입력, 양립성/보완성, 경제성 등을 통해 측정 가능함.
① 경쟁 강도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의 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재 운영 중인 상해 내 주요 상권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상권별로 에스닉 푸드 레스토랑 밀집도, 가격별 레스토랑 밀집도를 기준으로 상권별 경쟁강도를 평가함.
•
상해 상권의 경쟁 강도 현황 -
상해에서 평균 이상의 강한 경쟁 강도를 지니는 상권은 사천북로, 서가회, 오각장, 인민광장, 팔백반, 중산공원 상권임.
-
평균 수준의 경쟁 강도를 지니는 상권은 남경동로, 장강원구임.
-
남경서로, 회해로, 홍교, 륙가취, 예원 상권은 평균 이하의 낮은 경쟁 강도를 나타내고 있음.
377
상해
•
추천 상권 -
경쟁 강도를 기준으로 상해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낮은 경쟁 강도를 보이는 남경서로, 회해로, 홍교, 륙가취, 예원 상권임. [그림] 상해시 경쟁강도에 의한 상권 분석
② 상권 매력도 •
WK 마케팅 그룹 - GH Korea의 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재 운영 중인 상해 내 주요 상권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상권별로 유동 인구, 에스닉 푸드 레스토랑 밀집도, 평균 임대료를 기준으로 상권별 매력도를 평가함.
•
상해 상권의 매력도 현황 - 상해에서 평균 이상의 매력도를 지니는 상권은 오각장, 회해루, 남경동로, 사천북로, 륙가취, 서가회, 홍교 상권임. - 평균 수준의 매력도를 지니는 상권은 인민광장, 팔백반임. - 장강원구, 중산공원, 남경서로, 예원 등의 상권은 평균 이하의 낮은 매력도를 나타내고 있음.
•
추천 상권- 매력도를 기준으로 상해의 비빔밥 전문점 추천 상권은 높은 매력도를 보이는 오각장, 회해로, 남경동로, 사천북로, 륙가취, 서가회, 홍교 상권임.
37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그림] 상해시 매력도에 의한 상권 분석
③ 추천 상권의 선정 •
상권 별 경쟁강도 및 상권 매력도를 기준으로 상권을 사분면에 배치하여 각 사분면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최적 상권을 선정함. [그림] 상해 상권 경쟁강도-매력도 grid
최적 상권 (정량 평가 기준) •
2사분면에 해당하는 ‘나 영역’ 역시 ‘가 영역’과 마찬가지로 유동인구가 많고 에스닉 푸드에 대한 수용도가 높으며 임대료 수준 또한 적절한 매력도가 높은 상권이며 또한 경쟁 레스토랑 밀집도가 적어 최적 상권의 후보가 될 수 있는 영역임.
•
해당 상권 : 회해로루, 륙가취, 홍교 379
상해
2) 최적 상권 후보군 정성 평가 •
상권별 정량 평가를 통해 선정된 회해루, 륙가취, 홍교 3개의 상권 후보군을 각 상권의 특징 및 장단점을 분석하고 비빔밥 전문점 컨셉에 대한 적합성, 타겟 적합성, 상권의 발전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정성적 평가를 통해 최적 상권을 선정함.
① 최적 상권 •
상권의 유형, 장단점, 인구 특징, 컨셉 적합도, 타겟 적합도, 상권 발전성 등을 고려한 결과 홍교 상권과 회해루 상권이 최적의 상권으로 평가됨.
•
홍교 상권은 상업 지구가 발달하여 현재도 비빔밥 전문점 컨셉에 적합한 상권이며 향후 교통의 중심지가 되어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상권이며 현재 일본인의 비중이 높아 일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향후 유동 인구의 성격이 더욱 다양화 될 것으로 보여 일식 이외의 에스닉 푸드 레스토랑에 기회가 생길 것으로 기대되는 상권임.
•
회해로 상권은 관광객이 많은 상권이지만 에스닉 수용도가 높으며 주요 타겟이 될 수 있는 직장인들이 대부분이고 중가 레스토랑이 주류를 이루어 가격에 대한 적합성이 높음. 또한 주요 상권들과 인접하여 있어 현재도 기본 유동인구가 매우 많은 상권이지만 앞으로의 발전 또한 기대할 수 있는 상권임. [표] 최적 상권 후보군 정성평가 요약> 홍교
륙가취
회해로
상권유형
오피스/상업지구
오피스/상업쇼핑/관광지
오피스/관광지
등급
중급
고급
고급
인구특징
직장인
화이트칼라 직장인/관광객
화이트칼라 직장인/관광객
컨셉 적합도
★★★★
★★
★★★
타겟 적합도
★★★
★★★
★★★
상권 발전성
★★★★★
★★
★★★★
종합 평가
★★★★
★★
★★★
38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다. 추천 상권 투자 및 손익 분석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앞서 도출한 두 개의 추천 상권인 송문외와 이안사아에서 각각 소형과 중형의 매장 규모 별로 예상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여 최적의 매장 형태를 선정 1) 홍교 상권의 예상 투자 및 손익 분석
① 홍교 상권 종합 평가 •
종합적으로 홍교 상권은 중형과 대형 규모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상대적으로 중형보다는 대형 규모의 매장의 가능성이 높은 상권으로 이는 높은 회전율과 현재 상해 에스닉 푸드 산업의 활발한 성장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됨.
•
투자 회수 기간을 기준으로 대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짧은 회수 기간을 나타냄.
•
영업 이익율과 영업 레버리지도 분석을 기준으로 중형 규모의 매장과 대형 규모의 매장이 거의 유사한 위험도를 나타냄.
•
홍교 상권에서는 대형 규모의 매장이 근소한 차이로 더 유리함.
•
홍교
상권을
포함한
상해
상권은
로드샵의
임대료는
저렴하나,
쇼핑몰의
임대료는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쇼핑센터나 백화점이 아닌 로드샵 매장으로 중대형 규모로 매장을 입점하는 것이 유리함. [표] 홍교 비빔밥 전문점 종합 평가>
내용
구분
평가
투자회수기간
중형(150㎡)
>
대형(200㎡)
짧을수록 우위
영업이익율
중형(150㎡)
=
대형(200㎡)
높을수록 우위
영업 레버리지도 (DOL)
중형(150㎡)
=
대형(200㎡)
낮을수록 우위
2) 회해로 상권의 예상 투자 및 손익 분석 ① 회해루 상권 종합 평가 •
종합적으로 회해루 상권은 중형과 대형 규모의 가능성이 거의 동일한 상권이나, 대형이 근소한 차이로 유리함.
•
회해루 상권은 백화점 위주의 상권으로 높은 회전율과 상해의 높은 에스닉 푸드 발전성, 낮은 비용 구조 등으로 좋은 조건을 가진 상권임.
•
투자 회수 기간을 기준으로 대형 규모의 매장이 중형 규모의 매장보다 더 짧은 회수 기간을 나타냄.업 레버리지도 분석을 기준으로 중형과 대형 규모간의 차이가 없어 위험도에는 거의 동일한 수준임. 381
상해
•
상해 상권은 전반적으로 로드샵의 임대료는 저렴하나, 쇼핑몰의 임대료는 고가로 형성되어 있어, 쇼핑센터나 백화점이 아닌 로드샵 매장으로 중대형 규모로 매장을 입점하는 것이 유리함. [표] 회해루 비빔밥 전문점 종합 평가
내용
구분
평가
투자회수기간
중형(150㎡)
>
대형(200㎡)
짧을수록 우위
영업이익율
중형(150㎡)
=
대형(200㎡)
높을수록 우위
영업 레버리지도 (DOL)
중형(150㎡)
=
대형(200㎡)
낮을수록 우위
38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3. 홍보•프로모션 전략 가. 홍보•프로모션 전략 개요 •
비빔밥 전문점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홍보 및 프로모션의 실행이 중요함. 개별 점주들의 효과적인 점포 홍보와 집객을 돕기 위해 비빔밥 전문점의 홍보 및 판촉 가이드를 제공함.
비빔밥 전문점 홍보 판촉 기본 전략 •
일반적으로 해외에 진출하는 음식점들은 현지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안정적 식당 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중국에 진출하는 비빔밥 전문점의 성공적인 초기 안착을 위해 현지 사정에 맞는 개업 정보의 확산 및 집객, 그리고 재방문을 위한 홍보 판촉이 필요함. 이에 비빔밥 전문점 개업 후 홍보 판촉의 목적에 따른 전략들을 정리함. [그림] 홍보 판촉 전략 기본 개념>
383
상해
1) 인지도 확보 전략 •
개업 직후부터 비빔밥 전문점을 고객에게 알리는 것은 운영에서 가장 기본적인 일임. 인지도 확보 전략은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곳의 주변 상권의 고객부터 잠재적으로 방문을 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에게까지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알려 고객의 인식 상에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 고려 대상에 속하도록 하는 전략임
.
지역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지역 주민, 해당 지역 근무 직장인, 근처 상인 등 근접 지역 고객들의 인지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임.
잠재 고객 인지도 확보 전략 •
비빔밥 전문점이 위치한 지역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들의 인지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임.
2) 방문 유도 전략 •
고객이 알고 있는 많은 음식점 중에서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임. 지역의 업체나 거래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또는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하거나
비빔밥
전문점
근처의
거리에서
고객들에게
혜택을
제공하여 방문을 유도할 수 있음.
공동 마케팅을 통한 집객 전략 •
지역 업체, 지역 매체, 지역 NGO, 공급업자 등과의 협업 또는 공동 마케팅을 통해 비용 효율성을 확보하고 업체 간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략임.
38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잠재 고객 방문 유도 전략 •
인터넷 또는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 이벤트, 쿠폰 등을 통한 혜택을 제공하여 고객들의 방문을 유도하는 전략임.
3) 재방문 유도 전략 •
해당 비빔밥 전문점을 방문해 본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하는 전략으로 고객에게 좋은 경험을 남겨 비빔밥 전문점에 대한 호감을 갖게 하는 전략과 적립식 마일리지와 같이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유도하는 세부 전략의 실행이 가능함.
Lock-in 전략 •
멤버십 혜택, 마일리지, 쿠폰 증정 등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올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旣 방문 고객들의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는 전략임.
로열티 증대 전략 •
방문 고객들이 특별 대우를 받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이벤트나 해당 비빔밥 전문점에 대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을만한 판촉물을 제공하여 고객들에게 좋은 경험을 남김으로써 고객들의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는 전략임.
385
상해
4. 가격 수립 가. 상해 비빔밥 전문점 적정 메뉴 가격
비빔밥 전문점의 가격 산출 •
WK 마케팅그룹-GH Korea의 소비자 조사에서 조사된 소비자 지불 가격을 기준으로 도시별 경쟁 상황과 상권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햐여 가격을 산정함.
•
메뉴에 소요되는 원재료, 급료, 임대료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메뉴별 가격을 산출하고 객단가를 산출함.
소비자 수용 가격 •
상해 비빔밥 취급 한식당의 운영 메뉴 평균 객단가는 21~30원, 31~40이하인 경우가 20.6%로 가장 높으며, 41~50원 이하가 19.0%로 나타남.
•
대체로 21~50위안 사이 객단가 메뉴를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남. 객단가
•
표적 집단인 ‘기본적 건강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객단가는 56.1위안이며, 이를 기준으로 상권 별 객단가를 산정함.
•
홍치이오아 상권의 객단가는 상해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기본적 건강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56.1위안), 중가 수준의 상권 특성과 현재 에스닉 푸드내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해의 상황을 함께 고려하여 표적 집단의 지출 금액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공격적인 가격을 책정하여 북경 송문외 상권과 동일한 46위안으로 산정함.
•
화이하이루 상권의 객단가는 상해의 핵심 표적 소비자 집단인 ‘기본적 건강형 집단’의 평균 비빔밥 지출 금액(56.1위안)과 고급 상권인 화이하이루 상권의 특성을 반영하여 49위안으로 산정함.
38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Ⅳ.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Executive Summary
1.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1) CJ푸드빌 비비고 (bibigo) •
진출 내용 -
2010년 8월 왕부정(王府井, 왕푸징) 지역의 동방신천지 (东方新天地, 똥팡신티엔띠) 쇼핑몰에 CJ 단독 직접 투자 방식으로 입점함.
-
25-35세 사무직 여성이 주 고객층이며, 전체 고객 중 여성비율이 70~80%에 달하며, 이러한 고객층은 국내와 거의 유사함.
•
현지화 노력 -
국내에서 운영 중인 비비고의 컨셉의 유지 (셀프 서비스 방식)
-
중국인들의 푸짐한 양 선호 반영 : 1인당 180g의 밥 제공(한국은 1인당 150g)
-
중국인들의 돼지고기 선호 반영 : 비빔밥의 토핑에 돼지고기류 추가
2) 본아이에프㈜ 본비빔밥 •
진출 내용 -
2006년 이후 광동성 동관시에 해외 라이센스 가맹점 형태로 3개점 운영
-
한국 본죽&비빔밥 혼합 매장 모델를 기반으로 본죽&비빔밥에서 취급하는 죽과 비빔밥, 그리고 뚝배기와 전 등의 사이드 디쉬를 취급하는 패스트 캐주얼 식당
•
주요 고객층은 한국문화에 익숙한 중국 현지 대도시 20~30대 여성임.
현지화 노력 -
메뉴 구성의 다양성 확대 : 다양한 비빔밥 토핑과 국수 등의 사이드 디쉬 및 음료 파트 보강
-
모던한 한식으로 차별화 시도 : 중국 내 기존 전통한식과 차별화된 푸드스타일링 및 식기 사용으로 중국 조선족이나 현지인이 모방한 전통한식 대신 한국에서 온 모던한(modern) 느낌의 한식으로 차별점을 소구함.
3) 시사점 •
한국보다 낮지 않은 기본 비용 : 인건비, 임차료 등과 같은 비용이 국내 시장에 비해 중국 시장이 저렴할 것이라는 인식은 맞지 않으며 이러한 점이 사전 손익구조 계획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함.
•
현지 인프라 및 인력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현지화: 현지화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이를 위해서는 현지 인프라와 인력을 충분히 활용해야 함. -
운영 관리부터 메뉴, 서비스, 인테리어, 식기, 유니폼, 메뉴판 등 모든 면에서 현지화를 이루어야 함.
387
상해
•
중국 내에서의 한식 외식시장은 한식에 대한 높은 수용성과 친밀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중국 외식고객에 대한 사전 연구와 현지 외식시장 내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 관점의 성공을 위해서는 한국 기업이나 사업가의 독자진출이 아닌 현지인과의 파트너쉽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2. 비빔밥 전문점의 해외 진출 로드맵 •
비빔밥 전문점의 로드맵은 도입기-성장기-성숙기의 시장 상황에 따라 각각 시행착오 단계포위망 돌파 단계형태전환단계 순으로 진행함.
•
시행 착오 단계(도입기) : 성장이 느리고 기복이 심한 단계로써, 운영에 있어 인내와 성실성이 요구됨.
•
포위망 돌파 단계(성장기) : 고속 성장기로 양적-질적 규모를 성장시킬 수 있는 있는 황금시기로써, 과감한 투자와 공격적 경영이 요구됨.
•
형태 전환 단계(성숙기) : 점포가 전환점에 직면하는 시련을 겪게 됨. 형태의 전환이 성공하면 향후 성장속도가 포위망 돌파 단계에 비해 느린 편이지만, 안정적이고 성숙한 국면에 도달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만일 형태 전환이 실패로 돌아가면 폐사 위기에 처할 수 있음.
•
각 단계의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하고, 다음 단계로 이행함.
38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1.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비빔밥 세계화의 사업 주체는 비빔밥이 확산되도록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고 지원하는 정부와 실질적으로 비빔밥 세계화 사업을 전개하는 주체인 기업 및 개인으로 구분될 수 있음.
정부, 기업, 개인 각 사업 주체별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 성공적인 현지 비빔밥 진출과 사업 전개가 가능해지고 비빔밥 세계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그림]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사업 주체별 역할
① 정부 •
비빔밥 세계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및 지원 활동
•
각 도시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관심도 및 선호도를 제고시키기 위한 비빔밥 관련 홍보 활동
•
현지에서의 비빔밥 전문점 창업 및 운영 전반에 걸친 지원활동
•
현지 비빔밥 전문점들의 서비스 및 품질 제고, 그외 전반적인 비빔밥 전문점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한 지원활동
•
해외 각지에서의 비빔밥 활성화를 통한 한식 식재료의 수출 촉진 도모
389
상해
② 기업 •
비빔밥 세계화의 첨병이 될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의 구축과 현지 사업 전개
•
기존 국내에서 운영중인 성공적인 비빔밥 전문점 중 해외 진출에 유망한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 혹은 현지에 맞는 새로운 비빔밥 전문점 사업모델 개발을 통해 해외에 진출함으로써 비빔밥을 전파하고 선보이는 역할
•
해외 현지에 맞는 비빔밥 메뉴와 서비스 현지화 작업 등을 통해 비빔밥 세계화의 구체적 성공모델을 제시하는 역할
•
시장 포화상태인 국내 외식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사례 창출로 외식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
•
국내 외식업 관련 대기업과 중견 외식업체, 그리고 한식당의 시장 유망성을 높이 평가하는 현지의 외식관련 기업들이 이에 해당함.
③ 개인 •
비빔밥 세계화의 스피디한 전개를 위한 실전병과 같은 역할
•
현지에서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비빔밥
전문점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거나
현지인에 어필할 수 있는 비빔밥 전문점 사업아이템을 직접 개발하여 운영하는 경우로 현지에서 비빔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단순 생계형의 목적을 뛰어넘어 비빔밥 전문점의 사업성을 높이 평가하고 참여하는 개인 사업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임. •
해외 투자 진출에 관심이 있는 국내 거주 개인과 현지 거주 경험을 바탕으로 비빔밥 전문점을 운영하고 있거나 창업을 하고자 하는 개인들이 이에 해당함.
39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한식당 해외진출 전략 유형 및 사례연구 가. 비빔밥 전문점 중국진출 사례연구
비빔밥 전문점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한 대표적인 국내 외식기업의 사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중국 시장 진출전략 수립시 한국 시장과 다른 점들로 인해 각별히 유의할 사항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함. 15
1) ㈜CJ 푸드빌 비비고(bibigo) ① 개요 •
CJ 비비고 해외진출 1차 대상 도시로 중국 북경, 싱가포르, 미국 LA 3개 지역을 선정하여 2010년 오픈함. 중국의 경우, 2010년 8월 북경 왕부정(王府井,왕푸징) 지역의 동방신천지 (东方新天地, 똥팡신티엔띠) 쇼핑몰에 CJ 단독 직접 투자 방식으로 입점하였음.
•
중국 시장이 1차 전략도시 중 하나로 선정된 이유는 점차 커져가는 중국 내수시장의 소비력과 이를 기반으로 중국에 ‘제2의 CJ’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적 목표에 따른 것임. 또한, 아시아 지역으로서 한식에 대한 수용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한류 등을 통한 국가 이미지가 긍정적이다는 점도 한식 사업을 전개하게 된 주요 요인임.
•
주요 고객층 : 25-35세 사무직 여성이 주 고객층이며, 전체 고객 중 여성비율이 70~80%에 달함. 이러한 고객층은 국내와 거의 유사함.
② 현지화 노력 •
해외 진출 시에도 국내에서 운영 중인 비비고의 컨셉이 거의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 서울 광화문점 1층은 셀프 서비스 방식(Quick Service restaurant 형태), 2층은 풀 서비스 방식으로 운영 중인데 이 중 셀프 서비스 방식을 해외 진출 시 적용 중임.
•
중국 고객의 식문화 특성 등을 고려하여 현지화를 위해 차이를 둔 점은, 푸짐한 양을 선호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1인당 150g의 밥을 제공하는 데 반해 중국의 경우는 180g으로 조정하였고, 중국인들이 돼지고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비빔밥에 올라가는 토핑에 돼지고기류를 추가하였음.
15
CJ 푸드빌 비비고 해외진출 실무자 인터뷰, 2011.6.20
391
상해
③ 중국 비빔밥 사업에서의 성과 및 애로사항 •
현재 북경, LA, 싱가포르 3개 도시에서 운영 중인 CJ 비비고 해외점 가운데 북경점이 목표 대비 매출 성과는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음. 10 여개월 중국 비빔밥 사업을 진행하면서 드러나는 애로사항은 다음과 같음.
•
중국 외식시장 트렌드보다 한 템포 빠른 ‘건강’ 컨셉: 아직은 푸짐한 음식을 몸에 좋다고 여기는 것이 중국인의 건강식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임. 즉, 저열량, 고단백, 유기농(야채 위주, 닭가슴살 등)을 내세운 비비고의 비빔밥을 ‘건강한 음식’으로 선호하는 고객층은 아직 중국 시장 내에 제한적임. 예를 들면 고단백을 내세운 닭가슴살보다는 닭다리를 더 선호하는 식임.
•
다양한 메뉴를 원하는 중국인의 특성과 상충되는 제한된 메뉴 : 한국보다 양을 늘렸음에도 양에 대한 불만이 일부 존재하며, 비빔밥 위주의 한정된 메뉴로 고객을 확장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음. 즉, 보통 3-4접시를 한 상에 차려놓고 푸짐하고 다양하게 먹는 중국인의 식문화와 상충됨. 가격 측면에서도 현재의 중국 비비고의 비빔밥은 약 40위안대로 20위안대 안팎에서 먹을 수 있는 일반 비빔밥에 비해 고가인 편으로 여러 가지를 주문하기에 비용적 부담이 장애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④ 향후 중국시장 운영 및 진출 전략 •
메뉴 확장 고려 : 비비고의 비빔밥 컨셉을 흔들지 않으면서 메뉴를 확장하는 것을 고려 중임. 중국인들이 상대적으로 한식에 대해 많이 알고 취식 경험율도 높다 하지만 한식으로 인식하는 메뉴는 많지 않은 상황이며 아직은 좀더 다양한 한식을 소개하는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이러한 상황 속에서 카테고리 킬러(Category killer)
16
성격의 전문점 형태는
현재로서는 조금은 이르다고 보고 있음. •
향후 사업 확대를 위한 진출 전략 : 현재 중국 북경 1호점은 CJ 직접 투자 방식임. 그러나, 중국 내에서의 적극적인 사업 확대를 위해서는 현지인의 네트워킹 및 경험과 노하우가 필수적임. 2012년경에는 합자 (Joint Venture)나 마스터 프랜차이즈 (Master Franchisee)와 같은 방식으로 현지 파트너와 함께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임.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CJ 비비고 북경 1호점은 샘플샵과 같이 중국 시장을 배우고 현지화를 위한 시험을 하는 모델샵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음.
16
198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소매 형태로 완구용품·스포츠용품·아동의류·가전제품· 가구 등과 같이 상품 분야별로 여러 곳에 특화된 전문 매장을 갖추고 이를 집중적으로 판매하는 소매업태를 통틀어 일컬음.한국의 가전제품 전문매장인 하이마트, 미국의 스포츠용품 전문점 스포츠 오소리티(Sports Authority) 등이 카테고리킬러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39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본아이에프㈜ 본비빔밥17 ① 개요 •
본아이에프㈜는 2006~2009년 기간 중 해외 License 가맹점 형태로 해외 진출을 시도하였으며, 한국 본죽&비빔밥 혼합매장 모델을 기본 베이스로 운영 중임. -
미국의 경우, 총 4개 점포로 뉴욕 1개점, 캘리포니아주 2개점, 조지아주 1개점을 운영 중이며 조만간 뉴욕에 1개점을 추가로 개설 예정임. 일본 의 경우, 동경 신오쿠보 1개점 운영 중
•
중국의 경우 광동성 동관시에 3개점을 운영 중임.
진출 아이템 및 식당 유형: 본죽 & 비빔밥에서 취급하는 죽과 비빔밥, 그리고 뚝배기와 전 등의 사이드 디쉬 취급. 패스트 캐주얼 형태의 식당.
•
주요 고객층: 한국문화에 익숙한 중국 현지 대도시 20~30대 여성
② 현지화 및 차별화 노력 •
테스트 샵의 운영 : 중국을 주요 전략 시장으로 선정하고 직원 파견이 용이한 중국 북경에서 직영으로 테스트샵을 2010년 약 1년간 운영하면서 사업모델의 현지화 방안을 개발함. 이 결과 나온 현지화 모델은 2012년 중 동관 시 가맹 매장에 적용 예정임.
•
그동안의 중국 사업 운영을 통해 드러난 한국 고객과 다른 중국 외식 고객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
메뉴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큰 편
-
음료와 디저트의 비중이 큼.
-
맛보다는 눈으로 음식을 평가
-
셀프 서비스 방식에 대한 상대적 비선호: 맥도날드, KFC같이 유명한 서양식 퀵서비스레스토랑(Quick
Service
Restaurant)
18
의
셀프
서비스
방식은
수용하나 다른 동양식 음식점은 20위안 이상이라면 테이블에서 서비스 받는 캐쥬얼 다이닝 레스토랑이 적절함. •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현지화를 위한 주력 개선포인트는 다음과 같음. -
메뉴구성의 다양성 확대: 보통 중국음식점의 경우 기본 메뉴가 거의 100가지 수준으로 중국인들의 다양한 메뉴에 대한 선호는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임. 비빔밥을 중심으로 한 메인 디쉬는 유지하되 현지 중국인들이 공통적으로 흔히 먹기에 어느 중국 음식점에서나 쉽게 찾을 수 있는 국수 등의 음식과 음료를 사이드
디쉬
및
음료
파트에서
보강함.
예를
들면
KFC
및
요시노야
음식점에서도 중국인이 흔히 먹는 계란찜을 사이드 디쉬로 제공하고 있을 정도임. 또한, 한국에서는 흔히 메뉴 100가지라고 하면 완전히 다른 100가지 메뉴를 생각하지만 중국의 경우 비빔밥에 사용되는 토핑 및 재료에 따라 20-
17
주석 본아이에프 해외사업 마케팅 실무자 인터뷰, 2011.06.20
18
퀵서비스레스토랑(QSR : quick service restaurants) 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패스트푸드레스토랑 (fast food restautant) '과 동일한 개념임. 음식의 특성이나 서비스 방법, 객단가, 결제 방법 등에 따라 가장 간단한 형태로 이루 어진 외식업 형태에 속하며, 국내 외식업체 중에서는 'CJ 비비고', 종합식품기업 (주)아워홈에서 한식 즉석요리 전문점 '밥이답이다'를 운영중에 있음.
393
상해
30여가지 메뉴가 나오고 이에 다른 음식명을 붙여 다른 음식으로 분류하기에 메뉴판의 메뉴가 더 다양해 보이는 부분도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메뉴판 구성이 필요함. -
모던한
한식으로
차별화
시도:
중국
내
기존
전통한식과
차별화된
푸드스타일링 및 식기 사용으로 중국 조선족이나 현지인이 모방한 전통한식 대신 한국에서 온 모던한(modern) 느낌의 한식으로 소구. 즉, 한류 드라마나 영화에서 보았던 모던한 한국의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함. ③ 중국 사업에서의 성과 및 애로사항 •
중국 사업의 성과 및 전략적 시각 : 중국 사업은 당장의 수익보다는 현지에서의 운영 경험과 현지화 노하우를 축적하는 단계로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투자를 시도하고 있는 걸음마 단계라 볼 수 있음. 중국에서의 한식 사업은 지속 성장할 시장이지만 인프라가 국제화되지 않았고 인력과 물가가 급상승 중이라 효율적인 비용관리와
운영이
관건임.
한식과
한국문화는
현대적으로
접근하면
성장
가능성이 높으나 아직 대중화될 정도의 대중적 선호도는 부족한 상황으로 여겨짐. •
애로사항 : 매장과 법인 운영 시 현지 인력 고용 및 관리 상의 문제, 입점 부동산을 확보하는 과정, 현지 법인 설립 과정 등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음.
④ 향후 중국 시장 운영 및 진출 전략 •
현재 중국 광동성 동관시에서 기존 가맹점 인프라 및 고객층을 활용하여 3개점을 운영 중임. 현재까지의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현지화 모델을 보완할 계획이며 3~5년 후에 현지화 사업모델이 구체화 될 것으로 예상됨. 이를 기반으로 중국 1~2성급 도시에 마스터 프랜차이즈 운영을 통해 중국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것을 계획 중임.
39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나. 시사점
국내 대표적인 외식기업 사례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언급된 중국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음. •
한국보다 낮지 않은 기본 비용: 인건비, 임차료 등과 같은 비용이 국내 시장에 비해 중국 시장이 저렴할 것이라는 인식은 맞지 않으며 이러한 점이 사전 손익구조 계획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함. -
-
인건비 : 한국에 비해 현지 중국인 종업원들의 노동 생산성은 상당히 낮은 편으로 통상적으로 한국에서 1명의 종업원이 할 일을 중국은 3명 정도가 충당한다고 보는 것이 적절함. 그러므로, 인당 인건비는 싸더라도 결과적으로 총 인건비는 한국에 비해 결코 낮지 않음. 또한, 파트타임과 같은 아르바이트제 개념이 없어서 모두 정규직으로 종업원을 채용해야 하는 점도 인건비를 높이는 요인임. 임차료 : 상권 및 입주 건물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지만, 현재 비비고의 경우 브랜드 홍보 효과 등을 고려하여 베이징의 최고 상권 중 하나인 동방신천지 쇼핑몰에 자리잡고 있어 한국의 매장에 비해 2배 수준의 임차료를 내고 있음.
•
매출원가 관리를 위한 다양한 공급망 확보: 북경을 중심으로 운영 중인 정일미의 경우 비빔밥을 15-20위안대로 ‘싸고 맛있게’ 제공하는 것이 주요 성공요인으로 이와 같이 매출원가의 적정관리를 위해 다양한 공급망을 확보하고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하는 것이 주요 역량 중 하나로 요구됨.
•
현지 인프라 및 인력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현지화: 현지화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이를 위해서는 현지 인프라와 인력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성공열쇠임. -
운영 관리상: 초기 비용 절감 차원에서 파견 인력으로 해결방안을 찾기보다는 비용이 조금 더 들더라도 현지 전문가를 아웃소싱하는 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실패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임. 예를 들어 현지법인설립 시에도 레스토랑 운영법인의 경우는 일반적 법인 설립과는 다른 특수성이 요구되므로 반드시 외자계 레스토랑 운영법인 설립 경험이 있는 현지 변호사 및 회계사를 고용할
필요가
있으며,
부동산
전문가의
경우는
국제적으로
인지도
및
신뢰도가 있는 회사의 부동산 컨설턴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현지 네트워크 활용: 매출원가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식재료 공급망 확보를 위해서는 현지인의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한 부분임.
결과적으로 중국 내에서의 한식 외식시장은 한식에 대한 높은 수용성과 친밀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단, 중국 외식고객에 대한 사전 연구와 현지 외식시장 내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 관점의 성공을 위해서는 한국 기업이나 사업가의 독자진출이 아닌 현지인과의 파트너쉽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또한, 중국 외식시장 내에서 전체 한식이라는 시장파이를 키워나가야 하는 시기이므로 한국 외식기업들의 한식당 및 비빔밥 전문점의 중국 시장 진출은 업계 간 경쟁이라는 관점보다는 상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음.
395
상해
3. 비빔밥 전문점 중국 진출전략 로드맵 가. 비빔밥 전문점 진출 전략 로드맵
비빔밥 전문점의 로드맵 •
비빔밥 전문점의
로드맵은
도입기-성장기-성숙기의
시장 상황에 따라 각각
시행착오 단계포위망 돌파 단계형태전환단계 순으로 진행함. -
시행 착오 단계(도입기): 성장이 느리고 기복이 심한 단계로써, 운영에 있어 인내와 성실성이 요구됨.
-
포위망 돌파 단계(성장기): 고속 성장기로 양적-질적 규모를 성장시킬 수 있는 있는 황금시기로써, 과감한 투자와 공격적 경영이 요구됨.
-
형태 전환 단계(성숙기): 점포가 전환점에 직면하는 시련을 겪게 됨. 형태의 전환이 성공하면 향후 성장속도가 포위망 돌파 단계에 비해 느린 편이지만, 안정적이고 성숙한 국면에 도달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만일 형태 전환이 실패로 돌아가면 폐사 위기에 처할 수 있음.
•
각 단계의 이러한 도전들을 극복할 때, 다음 단계로 이행할 수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 단계
39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① 시행 착오 단계 (도입기) •
시장에서의 문제점과 기회를 몸소 느끼고 부딪히며 방향을 조정하여 나아갈 길을 찾는 과정이 „시행 착오 단계‟임.
•
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처 여부가 중요함
•
시행
착오
단계에서는
발전
방향을
확정하고
발전
방향에
대한
기회를
계속적으로 발견하는 노력을 해야 함. 또한, 확정된 발전 방향의 실행, 포착된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핵심 역량과 인력을 구축하는 단계임. •
시행착오 단계에서의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
발전 방향의 수립
-
기회의 발견
-
핵심 역량의 구비
-
인력의 구축 등이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단계-시행착오 단계
397
상해
② 포위망 돌파 단계(성장기) •
비빔밥 전문점의 런칭 후 시장의 법칙과 내부적 능력을 함양하는 단계인 ‘시행착오 단계’를 지나 성장을 하는 단계임.
•
많은 경쟁자들이나 모방자들의 출현으로 강한 경쟁 강도가 예상되는 단계로써, 경쟁 우위의 확보와 사업의 확장을 함께 고려해야 함.
•
급격한 매출의 상승과 경쟁자와 모방자의 급증하여 나타남.
•
이 단계에서는 빠른 확장과 이를 위한 이윤의 획득, 차별적 우위의 달성, 브랜드의 육성, 실행능력의 강화, 신메뉴 개발 능력, 인력 구축이 가장 중요한 요인들로써, 모방자를 압도하고 경쟁자를 극복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더욱 강하게 하는 단계임.
•
포위망 돌파 단계에서의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
빠른 확장과 이윤의 획득
-
차별화 요소의 확보
-
브랜드의 육성
-
집행 또는 실행 능력의 강화
-
신상품(신메뉴) 출시 능력
-
인력의 능력 확충(특히 중간간부) 등이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단계-포위망 돌파 단계
398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③ 형태 전환 단계
•
형태 전환 단계는 실질적으로 두번째 포위망 돌파 단계라고 할 수 있음. 첫번째 포위망 돌파 단계는 시행착오 단계를 거친 소기업이 포위망을 돌파한 후 고속 성장하여 초보 단계의 성공 기업이 되는 것이며, 형태 전환 단계는 전 단계에 이루어 낸 결실을 소화하는 과정으로서 새로운 경쟁력을 키워 효율적으로 규모를 전환하는 것.
•
형태 전환의 목적은 앞 단계의 성공을 더욱 공고히 하고 앞 단계에서 누적된 실력으로 소기업의 경영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궤도에 진입하기 위함.
•
형태 전환 단계에서 결적적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
이업 경영 마인드의 전환 : 사업 기반 확장 / 실력 함양
-
핵심 인력 육성
-
제도 완비 및 기업 문화 강조
-
신속한 대응 체제 구축 (대기업 병 방지)
-
집중, 핵심역량 강화 등이 있음. [그림] 비빔밥 전문점 발전단계-형태 전환 단계>
399
상해
Ⅴ. 개업 정보 및 식자재 유통 정보 Executive Summary 1. 세금의 종류 •
식당을 운영하며 납부 해야 하는 세금은 총 네 가지가 있으며, 식당 법인 기준으로는 세 가지, 개인 월급 소득 발생시 한 가지가 있음.
•
법인 기준으로 세금 납부 시, 영업세의 경우 매출액의 5%, 부가세는 영업세의 13%, 기업 소득세의 경우 매출액에서 지출 및 세금 등 모든 비용을 제외한 순 이익에 대해 25%를 납세해야 하며, 월급 등으로 개인 소득이 발생 시 개인 소득세가 있음.
2. 세금 납부 방법 •
일반적으로 중국 내 식당의 경우 개인회계사나 회계컨설팅 회사를 이용 하여 세무신고를 하며 적게는 1천위안에서 많게는 5천위안 세무 관련 업무를 외주의 방식으로 처리함.
•
현재 중국 세무국에서는 일괄적으로 인터넷의 온라인 뱅킹을 통한 자동이체 방법으로 세금 업무를 처리하고 있음.
•
기본적으로는 자동이체 납부를 원칙으로 하나, 납부시기가 지났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방문하여 담당자와 상담 후 은행 방문을 통해 처리함.
3. 세금 납부 시기 및 횟수 •
영업세, 부가세, 개인소득세의 경우 중국의 세무신고 기간은 매월 초 1~10일까지, 전월에 있었던 소득과 지출을 정리하여 신고하면 되며, 납부는 매달 10~20일 사이에 가능함.
•
영업세, 부가세, 개인 소득세의 경우 1년에 총 12회를 납세 해야 함.
•
기업 소득세의 경우, 분기별로 1년에 총 4회 납부해야 해야 함.
4. 현지 식재료 유통 •
한식 성장에 따라 한식으로 인해 수입되는 양념류, 음료수 등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음.
•
전반적으로 양념류, 신선식품, 반가공품 등 수입되던 상품은 현지의 제품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원재료 시장에서 중국산의 비중이 한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비중 대비 높아지고 있음.
400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
외국기업 식품시장 진출 -
멜라민 파동 이후,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녹색식품, 웰빙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자금과 브랜드를 내세운 해외 식품 업체들의 녹색식품·웰빙식품 시장 진출이 증가하고 있음.
•
2008년 기준, 중국 로컬 유통업체의 매장 수는 9,751개, 글로벌 유통업체는 3,024개임.
•
식자재 유통 체계
401
상해
1. 세무 정보 가. 세금 부과 절차 •
초기 식당 개업을 하는 인허가 과정에서 납부해야하는 세금은 없음.
세금 납부 요건 기준 •
설립 과정 중에서 세무 등기증이 나오면, 그 후부터는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자격이 정해지고, 그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하는 매출에 대해서 세금이 부과됨.
세금의 종류 •
식당을 운영하며 납부 해야 하는 세금은 총 네 가지가 있으며, 식당 법인 기준으로는 세 가지, 개인 월급 소득 발생시 한 가지가 있음.
•
법인 기준으로 세금 납부 시, 영업세의 경우 매출액의 5%, 부가세는 영업세의 13%, 기업 소득세의 경우 매출액에서 지출 및 세금 등 모든 비용을 제외한 순 이익에 대해 25%를 납세해야 하며, 월급 등으로 개인 소득이 발생 시 개인 소득세가 있음. [표] 세금의 종류
세금 종류
세율
기준
영업세
매출액의5%
식당 법인
부가세 (수도 관리비, 교육세, 도시 건설세)
영업세의13%
식당 법인
기업 소득세
순이익의25%
식당 법인
개인 소득세
개인 소득세율 부록자료 참조
개인
세금 납부 방법 •
일반적으로 중국 내 식당의 경우 개인회계사나 회계컨설팅 회사를 이용 하여 세무신고를 하며 적게는 1천위안에서 많게는 5천위안 세무 관련 업무를 외주의 방식으로 처리함 개인 회계사나 회계 컨설팅 회사는 세무 관련 업무 처리뿐만 아니라
•
세무컨설팅 및 인사노무관리 자문 등 식당 운영에 관련된 전반적인 것을
•
컨설팅
해주기에
일반적으로
식당을
운영하는
경영주면
개인
회계사나
회계컨설팅회사를 이용하여 세금 관련 부분을 처리함 •
세금 납부 시기가 되면, 경영주는 세금 관련하여 업무를 처리해주는 개인 402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회계사나 회계 컨설팅 회사를 통해 사전에 세금액수와 인출 시기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액수와 납입 기간 내에 해당 금액을 세무국에 납세할 수 있도록 자동이체를 해놓은 구좌에 입금을 하여 처리할 수 있음 •
현재 중국 세무국에서는 일괄적으로 인터넷의 온라인 뱅킹을 통한 자동이체 방법으로 세금 업무를 처리하고 있음
•
기본적으로는 자동이체 납부를 원칙으로 하나, 납부시기가 지났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방문하여 담당자와 상담 후 은행 방문을 통해 처리함
세금 납부 시기 및 횟수 •
세금 납부 시기 및 횟수 -
영업세, 부가세, 개인소득세의 경우 중국의 세무신고 기간은 매월 초 1~10일까지, 전월에 있었던 소득과 지출을 정리하여 신고하면 되며, 납부는 매달 10~20일 사이게 가능함.
-
영업세, 부가세, 개인 소득세의 경우 1년에 총 12회를 납세 해야 함.
-
기업 소득세의 경우, 분기별로 1년에 총 4회 납부해야 해야 함. [표] 세금 납부 시기 및 회수
•
세금 종류
세무 신고기간
납부 시기
횟수
영업세
매달 초(1~10일)
매달 10~20일
12회
부가세 (수도 관리비, 교육세, 도시 건설세)
매달 초(1~10일)
매달 10~20일
12회
기업 소득세
분기마감 전달
매달 10~20일
4회
개인 소득세
매달 초(1~10일)
매달 10~20일
12회
납부 시기가 지났을 경우 -
납부 시기가 지났을 경우, 세무국으로부터 고지서가 나옴. 계좌에 납부기간 내에 입금을 하지 않은 경우 세무국으로부터 고지서가 나오며, 고지서를 받으면, 세무국에 방문하여 세금 영수증을 다시 받아 은행에 방문하여 납부를 해야 함.
-
세금영수증이 나오면 기간 내에 법인의 구좌가 있는 은행으로 가서 기업업무를 보는 곳에서 납부를 하면 됨. 먼저 세금을 구좌에 납부를 해야 하고 세금 영수증을 은행창구 제출하면 세금 납부가 완료됨.
403
상해
세금 관련 불이익 받는 경우 •
벌금 부과 -
•
첫 번째 불이익은 금액에 대한 패널티로, 세금을 납부해야 기간을 지키지 못 했을 경우 1일 초과 시 일당 세금액의 5/10000에 해당하는 벌금을 납부해야 함.
운영 불이익 -
세금 납부가 지연될 경우 2가지 측면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납부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여러 번 발생하게 되면, 세무국 담당자가 해당 경영주의 업무처리 시 비협조적이라든지, 공무 처리 시 허가를 늦게 내준다든지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세금 면제 •
식당 운영 시 받을 수 있는 세금 면제 제도는 없음.
404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2. 중국 식자재 유통 현황 가. 현지 식재료 유통 전반
현지 식재료 유통 산업 경향 •
식품 소매액 증가세 19
-
전국 중대형 소매기업 에 대한 판매액 조사에 의하면 06~08년의 식품의 소매액 증가율은 각각 06년, 25.75%, 07년, 32.09%, 08년, 27.47%로 높은 수준을 보임.
-
2009년 초 금융위기의 충격이 점차 심해지면서 1~9월 식품류 소매액 증가율이 둔화세를 보였고 연간 증가율은 11.92%에 달함. 2010년 들어 중국정부의 내수진작 정책하에 식품시장 판매가 안정적으로 빠른
-
발전을 보였고 소매액 증가율은 2008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그림] 중국 식품 시장 규모
지역 하이퍼마켓(Hypermarket) 업체의 성장 •
•
지역 거점 유통업체 성장 -
대형 마트의 경우 지역 내 거점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에 따른 점포 수 확대가 진행되는 추세임.
-
한식당에 식자재를 공급하는 공급업체는 대체로 기업화된 식자재 회사보다는 지역을 거점으로 둔 소상공인 형태의 식자재 공급업자임.
식자재 원재료 값의 상승 추세 -
상해 엑스포 이전까지 중국 내 정책적으로 식자재 억제되었으나, 엑스포 이후 가격이 폭발적으로 상승함.
-
녹말 등 원재료의 가격이 2배 이상 증가한 경우가 많아 소비자 가격의 상승도 향후 상승이 불가피한 상태임. 원자재 상승 폭을 유통단계에서 흡수하고 있으나, 공급업체 입장에서도 원자재
-
물가
가격상승이
상승 압력을 오래 버티기는 힘든 만큼,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 불가피함.
19
중국 내 운영중인 중대형 소매점 기업 대상 판매액 조사
405
상해
한식 성장에 따른 한식 식재료의 동반 성장 •
신 한류에 따라 한식의 위상이 중국 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식도 동반 성장하고 있음.
•
한식 성장에 수입되는 양념류, 음료수 등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음.
•
그러나, 전반적으로 양념류, 신선식품, 반가공품 등 수입되던 상품은 현지의 제품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원재료
시장에서
중국산의
비중이
한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비중 대비 높아지고 있음. [표] 중국의 대한국 식품 수입 (단위 : 억달러, %)
대한국 식품 수입액(a) 대세게 식품 수입액(b) 한국식품의 점유율
2005 2.3 200 1.15
2007 2.8 309 0.91
2009 3 430 0.7
2010 4 560 0.71
증가율 11.3 22.8
<자료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KITA)>
외국기업 식품시장 진출 •
중국내 외자 식품 유통 회사들의 진입이 가속화 됨. 일본 업체는 엔화강세 를 활용해 중국 식품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며 일본합병 중계기구 RECOF 회사의 통계에 의하면 일본 기업들은 자금력과 엔화 강세를 기회로 해외투자를 증가함.
•
2008년
12월,
중국경영신문의
보도에
의하면
일본
ITOCHU(伊藤忠)사는
DingTsin(顶新)그룹과의 합작협의를 맺어 초기 7억 달러에 달하는 금액을 투자해 DingTsin그룹의 20% 주식을 구매할 예정임. •
특히, 멜라민 파동 이후, 녹색식품·웰빙식품 시장 진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녹색식품, 웰빙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외국 식품업체들은 자금과 브랜드를 내세워 중국 식품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음.
•
피스타치오 글로벌 최대 공급상인 미국 Paramount Farms는 쓰촨후이지(四川徽记) 회사와 합작해 쓰촨후이지(四川徽记)사에 고품질·무표백·순천연 피스타치오를 제공할 예정임.
•
중서부 지역 음료시장 진출도 시작됨. 중국은 글로벌 2위 음료수 생산지로 2008년 총 생산량은 6,000만톤을 초과할 것으로 보여 연 평균 증가율은 21%에 달하고 있음.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이는 음료 시장에 외국기업의 진출이 이어지고 있음.
•
Pepsi사의 경우 향후 2009년부터 향후 4년간 주로 중서부지역 도시에 10억 달러의 투자금액을 추가해 생산라인을 확장할 것이라고 밝힐 정도로 음표시장의 투자가 활성화 됨.
406
비빔밥 전문점 해외 진출 전략
중국내 식자재 유통 공급업체 •
2008년 기준으로 보면, 중국 로컬 유통업체의 매장 수는 9,751개, 글로벌 유통업체는 3,024개 정도임 [표] 중국 내 유통업체 매장 수 및 매출액
407
상해
나. 식자재별 유통 현황 [그림] 신선식품 유통 체계-버섯 사례
[출처: 중국신선농산물 시장진출여건조사, 농수산물 유통공사, 2011년]
•
중국 내 신선식품 유통 구조는 중국산 버섯을 사례로 아래와 같이 4가지로 구분 해 볼 수 있음 -
회사+도매시장+ 중개조직(농촌 대리인)+ 농가
-
회사+도매시장+생산판매단일화조직(농산품가공업체포함)+농가
-
회사+소비자도매시장+중개조직(농촌대리인)+산지도매시장+농가
-
회사+소비자도매시장+중개조직(농촌대리인)+산지도매시장+생산기지+영농회+ 1개 유통회사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