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차 례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1
1. 연구 목적 및 과제
2
가. 정부 측면
2
나. 사업자 측면
2
2. 과제별 수행 방법론
3
가.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 조사
3
나. 식자재 공급현황 및 개선방안수립
3
다. 시장 환경 및 한식 선호도 조사
4
라. 중국 진출 유망한식 발굴
4
마.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5
3. 한식/한식당 정의 및 범위
6
가. 한식 정의 및 범위
6
나. 한식당 정의 및 범위
8
4. 한식세계화의 정의 및 단계
15
가. 한식세계화의 정의
15
나. 한식세계화의 방향성
15
다. 한식세계화의 단계
16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 현지 시장 환경 및 트렌드
21 22
가. 사회 특징 및 매력도 분석
22
나. 외식 시장 분석
25
다. 지역별 특징 2. 경쟁환경 분석
49 59
가. Ethnic Food의 진출 현황
59
나. Ethnic Food의 경쟁 수준 및 포지셔닝 분석
66
3. 한식 선호도 조사
110
가. 고객 이미지 분석
110
나. 고객 외식 패턴 분석
118
다. 고객 선호도 분석
122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 중국 내 식재료 유통 현황
137 138
가. 시장 규모 및 주요 PLAYER
138
나. 유통 구조 및 트렌드
140
2. 한식당 식재료 수급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145
가. 한식당 식재료 수급 현황
145
나. 한식재료 유통 구조 및 특징
147
다. 중국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149
라. 국내 식재료 유통 현황 및 이슈
153
3. 식재료 유통 이슈
159
가. 공급 측면의 이슈
159
나. 수요 측면의 이슈
161
4. 식재료 유통 및 세계화 성공사례
163
가. McDonald: Regional Food Studio
163
나. KIKKOMAN 간장
166
다. LEE KUM KEE
170
라. Marukome 일본된장(Miso)
175
마. 베르톨리
178
5. 식재료 공급 개선 방향
180
가. 식재료 유통 개선 방안(공급자 측면)
180
나. 식재료 유통 개선 방안(수요자 측면)
183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85
1. 한식당 수 및 지역별 분포
186
2. 한식당 유형 구분
188
3. 한식당 현황 분석
191
4. 한식당 유형별 분석
199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15
1. 분석 시사점을 통한 한식 세계화 전략 방향성
216
가. 한식 세계화를 위한 Drivers
216
나. 중국 시장, 고객 및 한식당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
216
다. 중국에서 성공하기 위한 한식의 단기적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219
라. 중국에서의 한식 세계화를 위한 주요 과제
220
마. 중국 내 한식 세계화를 위한 실행 주체별 전략 과제
221
2. Segment 마케팅 전략 방향성
222
가. 마케팅 전략의 Requirement
222
나. Segment 접근 전략 방향
222
3. Target 고객 및 식당 유형 Mapping
226
가. Target 고객 선정 유형
226
나. 중점 Target 식당 유형
228
다. 성공 요인 분석(업주 인터뷰 근거)
229
4. 한식당 마케팅 전략
231
가. Product / Price
231
나. Place
232
다. Promotion
236
라. Participants
237
마. Physical Evidence
238
바. Process of Assembly
239
5. 한식당 유형별 7P 전략 예시
240
가. 고급 한식당 예시
240
나. 일반 한식당 예시
250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59
1. 대표 성공 식당 및 성공요인
260
2. 한식당 주요 실패 요인
265
3. 유망 한식당 유형
266
가. 한식당 유형
266
나. 유망 한식당 유형
267
4. 중국 내 한식당 유형별 분석
268
5. 유형별 Best Practice 분석
283
가. 고급 전통 식당(Luxury Traditional) - 花乐(Karaku)식당
283
나. 고급 식당(Luxury Restaurant) - J-Cuisine Morio 식당
284
다. 전문 식당(Specialized Restaurant) - 京日面爱面
286
라. 일반 식당(Casual Restaurant) - Bellagio Cafe
287
마. 간이 식당(Convenient Restaurant) / 패스트푸드(Fast Food) - G先生厨房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1. 타겟 고객
289
291 292
가. 중국 고객 특성
292
나. 고객 Segmentation
310
다. 식당별 유망 고객군
313
2. 식당 개업을 위한 인허가 절차 및 관련 법률 가. 외자외식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방법
314 314
나. 기타 규제
316
다. 회사의 설립과 영업허가증
320
라. 상표등록
330
3. 한식당 개업절차 시 고려사항
333
가. 입지 선정
333
나. 업종별·평형별 인테리어 도면
334
다. 중국 현지인 고용
337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341
1. 운영 매뉴얼의 필요성
342
2. 매니저 매뉴얼(Manager Manual)
343
가. 매니저 역할의 정의
343
나. 매니저의 직무 및 책임
343
다. 고객 영접
343
라. 테이블 안내
344
마. 계산
345
바. 기타 매니저 업무
346
3. 홀 직원 매뉴얼(Employee Manual)
348
가. 홀 직원의 역할
349
나. 홀 직원의 업무와 책임
349
다. 서빙 순서
349
라. 위생 및 안전
351
4. 주방 직원 매뉴얼(Chef Manual)
33
가. 위생(Hygiene)
353
나. 안전(Safety)
353
다. 혼잡 시간 주문 관리
354
라. 시설 및 장비 관리
354
마. Line cook의 역할 및 임무
355
바. Prep Cook의 역할 및 업무
355
사. 식재료 구매
356
아. 식자재 재고 관리
356
참고자료 <참고 1> 한식당 중국 진출현황 조사방법
357 358
가. 조사 기간 및 참여 인원
358
나. 조사 방법론
358
<참고 2> 한식당 방문조사 Template
362
<참고 3> 경영주 면담 조사 Template
363
<참고 4> 한식 반응조사 Questionnaire
364
<참고 5> Market Test 설문지
371
<참고 6> 한식당 업주 FGI
373
가. 1차 회의록
373
나. 2차 회의록
382
<참고 7> 충성고객 FGI
394
가. 1차 회의록
394
나. 2차 회의록
399
<참고 8> 중국 유망한식 발굴
405
가. 방법론
405
나. 선정 메뉴
407
<참고 9> 지역별 유통시장 현황
426
가. 베이징
426
나. 상하이
427
다. 다롄
427
라. 칭다오
428
마. 광저우
428
<참고 10> 한식 재료 유통업체 및 마트 List
429
<참고 11> 중국 내 공항 한식당 입점 관련 정보
438
가. 북경 수도 국제 공항
438
나. 상하이푸둥국제공항
445
다. 상하이홍차오 국제공항
448
라.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
449
마. 청도 국제공항
451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연구 목적 및 과제 가. 정부 측면 □ 한식 세계화 정책의 효율적인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의 한식당 현황 및 시 장 정보 제공 · 한식당 중국진출 현황 조사 · 식자재 공급현황 및 개선방안 수립
나. 사업자 측면 □ 기 해외진출 대표 외식기업 및 해외진출 계획을 가진 외식기업 경영인 및 담당 자 인터뷰를 통해 사업자 측면에서의 니즈 파악 · 현지 고객 트렌드 · 중국 한식당 마케팅 방안 · 진출을 위한 절차, 법, 제도적 규제사항 등 □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에 한식당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 개인 또는 현 지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자에게 한식당 해외 진출에 필요한 정보 및 마 케팅 전략에 대한 방향성 제공 · 시장 환경 및 한식 선호도 조사 · 중국 진출 유망 한식 발굴 ·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 중국 진출 가이드북 제작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3
2. 과제별 수행 방법론 가.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 조사 · 방문 및 전화조사(2,032개소) · 한식당 방문 업주 심층 인터뷰, 첨부2 참조(150개소) · 업주 대상 Focus Group Interview, 첨부9 참조(2그룹)
나. 식자재 공급현황 및 개선방안수립 1) 한식당 식재료 수급현황 정량조사 · 한식당 식재료 수급 현황 방문 또는 조사(2,032 개소)
2) 한식당 식재료 수급현황 정성조사 · 한식당 경영주 및 주방장 심층 면담을 통해 상세한 한식재료 수급현황, 한식재 료 구입의 문제점 및 수급 개선방안과 정부의 지원정책 필요부분 등 조사작업 수행(150개소)
3) 식재료 유통시장 분석 · 액센츄어 중국 사무소의 소매업 및 유통부분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현지 식 재료 유통시장의 구조 및 변화, 현지 유통업체의 현황 등에 대한 상세한 분석 수행
4) 한식재료 유통 구조 파악 · 대상국 내 한식 재료의 유통구조 파악을 위해 다양한 한국계 식재료 유통업체 및 한국계(동양계) 마트 등 주요 유통망 인터뷰 수행
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다. 시장 환경 및 한식 선호도 조사 1) 시장 특성 조사 · 액센츄어 Global Database 활용 시장 및 경쟁 환경자료 분석 · 국내외 전문가 인터뷰(업계, 학계 등 약 50여 명)
2) 고객 특성 및 한식 선호 조사 · 대상국 일반인 직접조사(500명 대상 대면 설문조사) · 한식당 충성 고객 Focus Group Interview(2그룹) · 국내 거주 및 방문 외국인 설문조사(100명 대상)
라. 중국 진출 유망한식 발굴 1) 조사 및 개발 · 교수, 업계, 언론인, 특급호텔 쉐프, 국내외 한식당, 외식기업 경영자 등 각계 전문가 자문 · 대상국 한식당 업주 및 주방장 인터뷰 · 한식 메뉴 선호도 및 개선사항 조사
2) Market Test · 해당국가 일반인 대상 시식회 후 의견 수렴(북경: 358명 대상)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마. 한식당 마케팅 전략 수립 1) 시장, 고객 및 경쟁 분석 · 대상국 시장 경제 상황 분석 · 시장 특성 및 고객의 외식 성향/패턴 조사 분석 · 대상국 경쟁구도 분석
2) 한식 경쟁력 분석 · 대상국 일반인 대상 한식 선호도 분석 · 한식당 현 포지셔닝 및 이슈 분석
5
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한식/한식당 정의 및 범위 한식 및 한식당의 정의 및 범위 규정은 마케팅 전략, 정부의 한식당 정책에 직접 적인 주체이므로 명확하고 보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기준 설정 필요
가. 한식 정의 및 범위 1) 기존 자료 조사 · 기존 연구자료를 참고하면, 한식을 규정하는 공통적 기준은 식자재와 조리 방 법이며, 세계화 추세에 따라 한식의 범위도 점차 확장되고 있음 □ 최근 주요 정의 사례 · 한국 외식 정보(2008) -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품을 주재료로 하여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조상 고유 의 조리방법으로 만든 음식 또는 이와 유사한 식자재를 가지고 우리 조상고 유의 방식 혹은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요리한 음식 · 한국 식품 연구원(2008) -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식재료 및 그와 유사한 식재료를 사용하 여 한국 고유의 조리방법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음식으로 한 국 민족의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갖고 생활여건에 알맞게 창안되어 발전, 계승되어 온 음식 · 한국 전통음식 연구소(2006) - 한국음식은 한국에서 생산되는 농·축산물을 이용하여 예로부터 전해 내려 오는 조상 고유의 조리방법으로 만든 음식을 말함. 그러나 최근에는 이와 유 사한 식자재를 가지고 우리 조상 고유의 방식 혹은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요 리한 음식을 통칭 · 식품 산업 진흥법 - 전통식품은 국산 농수산물을 주원료로 하여 가공되고 예로부터 전승되어오 는 우리 고유의 맛, 향, 및 색깔을 내는 식품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7
□ 시사점 · 한국음식을 정의하는 공통적 기준 - 식자재: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농축산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식재료 - 조리 방법: 고유의 조리방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 · 한국음식 정의의 확대 추세 - 과거 한식 정의는 대부분 전통음식에 국한 - 최근에는 한식의 세계화 추세에 따라 고유의 방식 외에 이와 ‘유사한’ 식자재 와 조리 방법을 포함
2) 한식 정의 및 범위 · 기존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세계화를 위해 확장된 개념의 한식을 정의하였으 며, 사용하는 식재료 및 조리 방법 기준에 따라 한식의 범위를 규정 □ 한식의 정의 · 한국음식이란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식재료를 가지고,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조리 방식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리된 음식 을 통칭함 □ 한식의 범위 · 식재료 -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 한국인이 한식조리를 위해 사용해오던, 한국에서 생산되는 주재료(육류, 어패류, 채소/과일류 등) 및 양념(장류, 젓갈류, 기름, 소금 등)을 의미 - 이와 유사한 식재료: 한국에서 생산되는 식재료와 같은 종 또는 그와 거의 흡사한 맛을 내는 외국에서 생산된 식재료
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조리 방식 -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온 조리 방식: 식재료를 음식으로 만드는 조리 과정 에서 메뉴별로 정해져 있는 전통적/보편적인 방식을 의미 - 이와 유사한 조리방식: 지역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조리 온도, 가열/숙성 시간, 순서, 재료의 첨가량 등에 일부 변화를 주는 방식 포함
나. 한식당 정의 및 범위 1) 한식당 정의를 위한 기준 설정 · 한식당을 정의할 수 있는 다양한 기준 중 범위의 확장성과 보편성, 기준의 명 확성을 고려하여 한식 메뉴 비중과 조리 인력을 한식세계화의 방향성에 부합 되는 기준으로 설정 <그림 Ⅰ-1> 기준별 항목 부합도 범위의 범위의 확장성 확장성
보편성 보편성
기준 기준 명확성
한식 메뉴의 메뉴의 비중 조리 조리 인력 인력
정의 기준
제공 제공 방식 방식 한국문화의 한국문화의 상징물 상징물 인종 인종 및 국적 국적
□ 한식 메뉴의 비중: 식당 제공 메뉴 중 한식의 비중 · 범위의 확장성: 한식만을 제공하는 식당만을 한식당이라 할 경우 협소한 범위 이나, 한식의 비중 조정을 통해 확장 가능 · 보편성: 제공 메뉴에 한식이 어느 정도 비중인가 여부는 한식당을 규정하는 기 본적인 요소로 보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 · 기준명확성: 실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명확하게 판단 가능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9
□ 조리 인력: 일정한 교육 이수 또는 경험 소유 여부 · 범위의 확장성: 교육 또는 경험 있는 조리사 비중 등으로 범위 확장 가능 · 보편성: 진정한 한식의 맛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격요건이 필요하다 는 공감대는 이미 형성되어 있음 · 기준 명확성: 일정한 교육 또는 경험에 의해 구분 가능 □ 제공 방식: 일괄적 상차림, 뷔페, 코스, take-out 등 · 범위의 확장성: 한식당 범위가 지정된 기존 제공방식 만으로 제한될 수 있음 · 보편성: 식당의 구분을 제공방식에 따라 하는 것은 일반적이나, 한식당 범위 규정이라기보다는 한식당의 유형과 관련된 요소 · 기준 명확성: 여러 가지 제공방식을 동시에 활용하는 식당이 많아 기준이 명확 하게 구분되지 않음 □ 한국 문화의 상징물: 인테리어, 익스테리어, 종업원들의 복장 · 범위의 확장성: 모던하거나 현지화된 분위기의 식당으로 확장 불가능 · 보편성: 외형적인 부분은 음식에 비해 비본질적인 요소 · 기준 명확성: 한국적인 상징에 대한 범위 구분이 모호 □ 인종 및 국적: 경영주, 조리사, 종업원 등의 한국인종, 국적 여부 · 범위의 확장성: 한국인 또는 교포로 제한 시 한식당 확장성 제한 · 보편성: 기존 사례나 식당 운영 차원에서도 일하는 사람의 인종/국적에 대한 규정은 없음 · 기준 명확성: 구분 기준은 명확
1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해외 자국식당 정의 사례 - 태국 식당 □ 태국 레스토랑의 정의 · 전통 태국 레스토랑: 전통적인 방법으로 조리하여 전통 타이음식의 스타일을 유지하여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 · 모던 태국 레스토랑: 태국음식의 본질적인 맛과 향은 유지하며 전통적이지 않 은 식재료를 이용하여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 □ 정의한 목적과 배경 · 태국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자국의 음식문화를 일정한 기준과 규격으로 알릴 필요 존재 · 정책적 지원(홍보, 교육, 인증 등)을 위해 새로운 규정 필요 · 태국음식의 세계화를 통해 태국산 농산물 수출 증진 도모 □ 태국 식당의 범위 · 식재료: 핵심 메뉴에 들어가는 식재료는 태국산을 사용하여야 하나 현지의 상 황을 고려하여 수입이 불가능 할 경우 유사한 식재료의 이용도 허용함(정책적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70% 이상의 태국산 식재료를 사용해야 함) · 조리 인력: 조리사는 태국 정부에서 시행하는 전문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함 · 메뉴 구성: 태국 레스토랑에서 제공하는 메뉴 아이템 가운데 태국음식이 최소 한 전체 메뉴의 60% 이상을 차지해야 함 □ 특징 및 시사점 · 세계화(Global Expansion)를 목적으로 광의의 범위로 규정 (맛과 향을 유지할 경우 현지 식재료 사용 가능 등)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11
3) 해외 자국식당 정의 사례 - 이탈리아 식당 □ 이탈리안 레스토랑의 정의 · 이탈리아식 조리법과 제품을 위주로 구성된 메뉴를 제공하는 레스토랑 □ 정의한 목적과 배경 · 전 세계에 이탈리아의 특성을 가지지 못한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많이 생겨남 에 따라 제대로 된 이탈리아 음식문화 전달이 필요함 · 정책적 지원(홍보, 교육, 인증 등)을 위해 새로운 규정 필요 · 전통성을 강조하여 이탈리안 레스토랑을 정의함으로 이탈리아산 농산물 및 식 품의 수출을 증진하고자 함 - 이탈리아 음식의 전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협의에 의해 이탈리안 식당의 범 위를 규정 □ 이탈리안 식당의 범위 · 식재료: 중요 식재료는 이탈리아산이어야 함(파스타, 폴렌타, 쌀, 신선과일 및 채소, 올리브오일, 와인, 가공육, 치즈, 커피, 과자류제품 등) - 예를 들어 메뉴, 조리에 사용되는 치즈의 최소 60%는 이탈리아산이어야 함 - 중요 식재료가 해당 국가에서 수입금지인 경우 그 지역의 자격이 있는 공급 자로부터 구입 · 조리 인력 - 조리사로서 전문 자격증을 소유 또는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최소한 6개월 동안 트레이닝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인력 - 레스토랑 내에 이탈리어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최소 한 명은 있어야 함 · 메뉴 구성 - 메뉴와 음식 제공 순서는 전형적인 이탈리아 음식문화를 반영해야 함 -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음식이라도 이탈리아식 레시피에 따라야 함 - 제공되는 전체 음식의 80%는 이탈리아 전통음식으로 구성되어야 함
1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특징 및 시사점 · 이탈리아 음식의 전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협의의 범위 규정 · 세계화보다는 식재료 수출 우선시
4) 해외 자국식당 정의 사례 - 일본 식당 □ 일본 레스토랑의 정의 · 일식당은 테이블에서 행해지는 식사들 중, 아래의 정의에 따른 일본요리 한 개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식당 - 메뉴는 카이세키, 생선초밥, 튀김, 장어, 야키도리, 소바, 우동, 톤모노와 다른 일본 고유의 요리 □ 정의한 목적과 배경 · 해외의 일본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는 일본음식 중 메뉴와 내용이 일반적인 일 본음식과는 완전히 다른 경우가 많음 · 해외의 일본 레스토랑의 상당수가 중식, 태국식, 베트남식 등 다른 아시아 음 식과 함께 혼합되어 제공 · 일식의 특성상 어패류를 생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날것의 가공·소비에 대한 기술·인식과 유통체제 전파하기 위함 □ 일본 식당의 범위 · 식재료: 일본산 주요 식재료와 음료를 사용 · 조리 인력: 경영자나 요리사가 일본음식에 관한 조리기술과 위생관리 등에 대 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 · 메뉴 구성: 조리, 맛, 그릇에 담는 방법이 일본식이어야 함 □ 특징 및 시사점 · JRO(일본레스토랑 해외보급 추진기구)의 지원 대상 선별 목적 · 음식의 특성상 날것의 가공, 유통, 위생 관련 교육 강화를 위한 구분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13
5) 한식당 정의 및 범위 · 한식당은 경제적 목적과 정책적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정책적 의미의 한식당은 한식 비중과 조리 인력에 따라 범위를 규정할 수 있음 □ 한식당의 정의 · 경제적 의미의 한식당: 한국음식이 제공되는 식당 · 정책적 의미의 한식당: 한국음식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가진 사람이 조리한 한 식을 주로 제공하는 식당 □ 한식당의 범위 <그림 Ⅰ-2> 한식당의 범위 도식도 H
2
1
3 정책적 의미 Æ 정책 지원
조리 인력 의 경험 및 교육
경제적 의미 Æ DB 구축 및 세계화 전략 L L
H
한식 메뉴 비중
非한식
· 경제적 의미의 한식당 - 일정한 자격과 기준이 요구되지 않는 포괄적인 의미의 한식당으로서, DB 구 축 및 세계화 전략 수립의 대상
1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정책적 의미의 한식당 - 인증, 교육, 홍보, 재정지원 등 정책적 지원의 적용 대상 - 한식 비중과 조리 인력을 기준으로 한식당 범위 설정 · 한식 비중 - 식당에서 제공되는 전체 메뉴 중 한식 메뉴 비중이 60%를 초과하는 식당 (2007년 aT 기조사 및 태국 사례, 한식당 실태조사 활용) · 조리 인력 - 국적과 상관없이 1년 이상의 한식조리 경험이 있거나 일정 기준의 한식 조리 교육을 수료한 조리사를 보유한 식당 · 정책 지원 대상 준한식당 - 한식으로 구분되지 않으나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국내의 대규모 외식업체 식당(ex: 미스터피자, BBQ)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15
4. 한식세계화의 정의 및 단계 가. 한식세계화의 정의 · 한식세계화는 궁극적으로는 외국인들이 한식을 가정, 식당, 직장 등 모든 곳에 서 접할 수 있도록 대중화, 일상화하는 것 <그림 Ⅰ-3> 한식 세계화의 To-be Picture 직장, 학교 급식
가정
“직원식당의 오늘 메뉴는 김치찌개다”
오늘은 뭘 먹을까?
“집에 가서 그냥 밥이나 먹을까”
외식
마트
“친구를 만나 비빔밥을?”
“마트에 가서 김치와 라면이나 사가야겠다”
나. 한식세계화의 방향성 · 한식당은 외국인에게 한식과 한식문화의 경험을 소개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한 식 세계화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가장 먼저 집중해야 할 주체
1) 한식당의 전략적 중요성 · 한식당은 외국인들이 가장 쉽게 한국 음식과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공간임 · 한식당의 세계화에 따른 파급효과를 바탕으로 한식과 한국산 식재료의 세계화 가 용이해짐
1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진출 단계 면에서의 Feasibility · 음식의 현지화가 특별식 → 일상식의 단계를 거친다고 할 때, 특별식 단계에서 는 식당의 진출이 가장 Feasible한 Option임 · 한식이 대중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식을 가정식/단체 급식으로 사용하거나 마트에서 한식재료를 취급하기는 어려움 <그림 Ⅰ-4> 한식 세계화의 방향성
일상식
단체 급식
가정 / 소매상점
특별식
한식당
한국 마트 / 대형 마트
요리
요리+재료
다. 한식세계화의 단계 · 한식세계화는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계적으로 양적 성장, 활성화, 내재화의 단계를 거쳐 진행 <그림 Ⅰ-5> 한식세계화 단계 양적 성장
Description
Activities
활성화
• 해외에 한식당과 한식당 이용 고객의 숫자를 늘림
• 진출한 한식당의 현지화 역량을 강화하고 영업을 지원함
• 한식당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Coverage를 확대함
• 한식당 및 한식 메뉴를 다양화 하고 고객층을 확대함
• 한식당 숫자 증가 • 한식당 고객 수 증가 • 한식당 Coverage 확대
• 한식당의 다양화 • 한식 메뉴의 다양화 • 고객층의 확대
내재화 • 한식당을 현지화하여 현지인이 한식당을 경영하고 한식을 요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도록 함 • 한식 및 한식 재료를 일상 속에서 구하고 먹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함
• 한식당 운영 주체(업주)의 현지화 • 외국인 한식 요리사 배출 강화 • 한식의 일상식화 • 한식 재료의 일상화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17
1) 양적 성장 · 우선적으로 1단계에서 한식의 양적 성장을 위해서는 Index별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관리하여야 하며, 양적 성장 단계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지표는 한식당 수, 한식당 이용 고객 수임 □ 한식당의 양적 증가 · 한식당 수 증가 Index - 한식당 수 및 증가율 - 한식당 매출액 및 인증제 참여 식당 수 · 한식당의 Coverage 확대 Index - 한식당의 지역별 분포 - 한식당 접근성 □ 한식 고객 증가 · 한국계를 제외한 한식당 고객비중 · 한식당 테이블 회전율
2) 활성화 · 한식이 일정 수준 이상 전파된 후, 2단계인 한식 활성화 단계에서는 한식 및 한식당이 다양화되고, 고객층이 두터워지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한식당 매출액, 한식당 만족도, 한식 인지도, 한식당 이용 고객 수, 고객 중 현지인 비 중 등의 지표를 관리하여야 함 □ 한식당의 활성화 · 한식당 다양화 Index - 종류별/형태별 한식당 개수 및 매출액 - 한식당 객단가 - 수출 식재료 종류 및 금액
1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식당 메뉴 다양화 Index - 한식 대표메뉴 수 - 한식 메뉴 단가 □ 한식당 이용 고객 층의 확대 · 한식당 방문 고객층의 다양성 및 수(국적/연령/소득) · 한식당 테이블 회전율
3) 내재화 · 한식의 고객층이 확대되고, 다양한 한식당이활성화 된 이후, 한식 세계화 3단 계인 한식의 내재화 단계에서는 현지화/일상화를 위해 식재료 수출액 및 종 류, 한식요리사수 등의 지표를 관리하여야 함 □ 한식당의 현지화 · 한식당 현지화 Index - 한식당 업주 중 외국인 숫자 및 비율 - 전통 한식당 외 한식 취급점수 · 한식 요리사의 현지화 - 한식 요리사 중 외국인 숫자 및 비율 - 한식 교육기관 또는 교육과정 수 □ 한식당의 일상식화 · 한식의 일상식화 Index - 한식당 방문 고객 수 및 현지인 비중 - 한식당 방문 고객층의 다양성(연령/소득/인종) - 한식 관련 강좌/출판물 수 · 한식 재료의 일상화 - 수출 식재료 종류 및 금액 - 한식 재료 취급 점포 수 및 식재료 가격
Ⅰ. 연구 목적 및 개요 <그림 Ⅰ-6> 한식 세계화 단계별 핵심 지표 양적 성장
활성화
내재화
한식당 수
한식당 수
한식당 수
한식당 매출액
한식당 매출액
한식당 매출액
한식당 만족도
한식당 만족도
한식당 만족도
한식 인지도
한식 인지도
한식 인지도
한식당 이용 고객 수
한식당 이용 고객 수
한식당 이용 고객 수
고객 중 현지인 비중
고객 중 현지인 비중
고객 중 현지인 비중
식재료 수출액 및 종류
식재료 수출액 및 종류
식재료 수출액 및 종류
한식 요리사 수
한식 요리사 수
한식 요리사 수
19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2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현지 시장 환경 및 트렌드 가. 사회 특징 및 매력도 분석 1) 사회, 지리, 문화적 특징 □ 인구 특징 · 중국은 56개 민족이 거주하는 다민족 국가 - 한족(漢族)이 전체 인구의 9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55의 소수민족이 8% 를 차지 - 소수민족 중 인구가 100만 명 이상인 민족은 좡족(壯族), 몽골족(蒙古族), 조 선족(朝鮮族), 티베트족(藏族), 위구르족(維吾爾族), 만주족(滿洲族, 滿族), 후 이족(回族) 등 18개 민족 - 루오바족(珞巴族) 등 인구가 3천 명 이하인 민족이나, 민족을 구별할 수 없는 73만 명(2000년 시점)의 사람들도 있음 - 소수민족은 주로 동북(東北), 서북(西北), 서남(西南), 각 자치구의 스텝이나 산악 지대, 고원에 살고 있으며, 중국전 국토의 60% 이상에서 거주 - 중국 내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성(省)은 서남부의 윈난 성(雲南 省)으로, 35개 민족이 거주 · 오늘날에는 1970년대 말부터 시행된 개혁, 개방 정책과 1997년, 1999년의 홍콩, 마카오 반환 등으로 말미암아 56개 민족 이외의 민족도 상당수 거주
2) 음식 문화의 특징 · 중국은 다양한 지형과 기후가 나타나며 한족을 비롯하여 56개의 소수민족을 포함하는 다민족 국가 · 중국의 음식문화는 역사적, 지역적, 민족적 특성의 바탕 위에서 형성 - 역사적 측면 : 2000년 전의 기록 - 지역적 측면 : 양자강과 황화를 중심으로 화북지방과, 화남지방, 동쪽과 서쪽 의 음식문화가 다르게 발전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23
- 민족적 측면 : 다민족 국가로서 민족마다 서로 다른 음식문화 발달 · 중국요리의 특징 : 폭넓은 재료의 이용, 맛의 다양성, 풍부한 영양, 손쉽고 합 리적인 조리법, 풍성한 외양 등 · 살아있는 것은 무엇이든 요리의 대상으로 삼고, 식의동원(食醫同源) 사상이 깔 려있음
3) 경제 현황 □ 경제 수준 · WTO에 가입을 하면서 지속적인 대외개방 정책을 추진 · WHO에 가입한 해인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GDP는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복합성장률) 약 14% 수준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세를 보이 고 있다. <그림 Ⅱ-1> 중국의 GDP 성장추이 (단위: billion USD)
644.4
CAGR: 13.9%
551.5 454.2
392.7
259.6
2001
283.1
2002
311.5
2003
342.7
2004
2005
2006
2007
2008
* Source: 중국 국가 통계청, 2009
· 경제규모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성장성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시장 (Source : 중국 국가 통계) - 2011년부터 2015년까지는 7~8%대 성장률 - 2016년부터 2020년은 6~7% 수준으로 지속적인 성장세 - 2020년에 이르면 GDP는 약 15만억 달러를 초월(세계 중등 수입 수준)
2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소득 수준 <그림 Ⅱ-2> 중국의 인당 GDP 성장추이 3,314
(단위: USD) 2,772
CAGR: 14.8% 2,367 2,057 1,806 1,262
2001
1,376
2002
1,543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 Source: 중국 국가 통계청, 2009
· 인당 GDP 수준 : 2001년부터 CAGE 14.8%의 높은 성장 - 2008년에는 $3,314(한화 약 400만 원)을 달성 - 2020년에 이르면 인당 GDP는 약 $10248을 초월할 것으로 전망 · 중산계층이 증가하면서 많은 중국인들이 구매력이 있는 소비자로 변화함으로 써 중국 국내 시장의 소비자의 폭이 확대 - 중국의 급격한 소득수준의 증가에 따라 중국에서는 소득수준이 낮은 도시 빈민 또는 지방의 농민계층이 줄어드는 반면에 기업의 고급 간부들이나 향 진 기업가들의 고소득자와 미화 $1,750~$5,000 수준의 소득계층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25
<그림 Ⅱ-3> 중국의 소득대별 인구분포 1% %
7% 11%
1%
1%
8%
9%
1%
12%
1%
13%
1%
1%
9%
11%
2%
14%
2%
2%
2% 13%
43%
45%
US$5,000-7,500 US$2,500-5,000
상 16% 18%
42%
>US$7,500
US$1,750-2,500
US$1,000-1,750
46%
중
48% 49%
25%
23%
21%
20%
하 16%
12%
11%
2%
2%
9% 1%
7% 1%
5% 0%
2% 0%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12%
$US750-1,000 $US500-750 <$US500
* Source: Morgan Stanley, “ChinaConsumer &Retail” Simmering or Boiling?,” 2006
· 소득수준이 많이 높아져 구매력이 생긴 중국소비자들에 의해 의류, 음식, 주택 관련 제품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재, 서비스, 외식산업에까지 다양하게 시장성 장이 이루어졌음 · 중국 경제는 과거 계획경제 체제 내의 공급자 위주의 시장에서 구매자 위주의 시장 체제로 변화하였음
나. 외식 시장 분석 1) 외식 산업 개황 □ 외식 시장 규모 및 성장률 · 중국의 사회소비품 판매액의 증가 - 2004년부터 2007년까지는 약간의 성장세를 보이다 2008년에는 급격하게 증가
2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중국의 소비 심리 활성화로 인해 사회소비품 판매액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 으로 보임 <그림 Ⅱ-4> 사회소비품 판매 총액 및 증가속도 (단위: 억 위안)
108,488
CAGR: 16.2% 89,210 76,410 67,177 59,501
2004
2005
2006
2007
2008
* Source: 중국 국가 통계청, 2009
· 2008년의 경우 전체 판매액 108,488억 위안 중 도시가 73,735억 위안으로 68%, 농촌이 34,753억 위안으로 32%를 차지 <그림 Ⅱ-5> 2008년 사회소비품 판매 총액 대비 품목별 비중 기타 2% 외식
14%
도소매 판매
84%
* Source: 중국 국가 통계청, 2009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27
· 2008년 사회소비품 판매총액의 품목별 비중 - 도소매 판매가 91,199억 위안으로 전체의 84%를 차지 - 숙박/외식 관련이 15,404억 위안으로 14%를 차지 - 1994년 최초로 1,000억 위안을 돌파한 중국의 외식업은 2008년까지 연속 10년 간 두 자리 수의 고속 증가 추세를 유지 - 2006년에는 외식산업 시장의 규모가 1조 위안을 돌파, 2008년의 소비액은 1조 5,404억 위안에 이르러 전년 대비 24.7% 증가 · 중국 외식산업의 성장세의 이유 - 2008년 북경올림픽 이후 중국의 문화 산업의 개방 및 국민들의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여가 시간이 늘어난 중국인은 원래 “食”에 대한 관심이 높아 소득 이 증가하면 식생활이 다양화·고도화되는 경향이 강함 - 1990년대 말부터의 대형 연휴제도의 도입 등으로 인해 국민의 여가시간이 증 가 하고 있는 점도 국민의 외식수요를 자극 ꋭ 상해나 광주, 심천 등의 대도시에서는 축제일에 고급 레스토랑이나 캐주얼 레 스토랑을 이용하는 가족이 급증하고 있었으며 2008년 8월 북경올림픽 시기에 는 북경의 성급호텔과 외식업의 소비액이 69.4% 증가 <그림 Ⅱ-6> 외식 시장 성장 추이 및 전망 (단위: 억 위안) 6%
35,000 30,000
5%
CAGR: 16.5%
25,000
4%
20,000 3%
CAGR: 20.1%
15,000
2%
10,000
1%
5,000 0
0%
2003
2004
2005
2006 시장규모
2007
2008
GDP 대비 비율
* Source: 중국 국가 통계청, 2009
2010(E) 2013(E)
2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중국 상무부의 내수시장 활성화 정책의 영향 ꋭ 중국 상무부는 2008년 하반기부터 ‘내수시장을 확대하는 데 있어서 특히 외식 업의 발전에 힘써 소비로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발표하면서 1) 대중화 외식 업 발전, 2) 외식업의 안심소비를 위한 식품원료의 품질 관리, 3) 에너지 절약 과 친환경 추진을 통한 지속적 외식 산업 발전의 토대 마련 표방의 세 가지 방 침을 제시 ꋭ 외식산업은 정부에서도 높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산업으로 앞으로도 성장 전망이 밝은 산업임
· 중국인 1인당 2008년 평균 외식 소비지출은 2005년 대비 2배 수준으로 증가하 였는데 이는 특히 2008년 전세계적인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올림픽 등의 외부적 효과로 인해 연평균 23.7% 성장 <그림 Ⅱ-7> 인당 연평균 외식 소비금액 추이1)
* Source: 중국 국가 통계청, 2009
1) 2007년에서 2008년 외식 소비는 23.7% 성장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29
□ 외식 산업 현황 · 중국 외식기업 Top 100은 전체 외식 시장에서 약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또 그중에 Top 10 기업의 매출이 532.25억 위안으로 Top 100 외식기업 전체 매출 의 52.2% 차지 <그림 Ⅱ-8> 100강 기업의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CAGR: 13.3% 1,019 700
2005
Top 10이 전체 매출의 52.2% 차지
806
2007
2008
* Source: 중국 외식 100강 기업 보고서, 2008
· 중국 외식시장에서의 매출 구조가 일부 상위 소수 기업에 집중이 되어 있는 피라미드 형태 - Top 10 기업이 Top 100 외식기업 전체 매출의 52.2%를 차지 - 반면 2억 위안 미만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기업이 전체 Top 100 기업의 63% 를 차지 · Top 100 외식기업 중 식품 원재료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9.3% 수준 이며, 평균 이윤율은 13.37%임
3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9> 2007년 100강 기업 매출별 분포 (단위: 개)
63
1~2 억위안
16
2~5 억위안
10
5~8 억위안
3
8~10 억위안
4
10~20 억위안
3
20~50 억위안
50< 억위안
1
* Source: 중국 외식 100강 기업 보고서, 2008
· Top 10 : 가장 큰 기업으로서는 KFC, 피자헛과 같은 글로벌 외식 체인 브랜드 (Fast Food)였으며 나머지의 대부분은 훠궈(火锅)인데 이는 훠궈(火锅)가 다른 음식들에 비해 이윤율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 Fast Food와 훠궈(火锅)는 단순한 높은 이윤율뿐만 아니라 매출액에서도 확실 한 우위를 보이고 있음 · KFC, 맥도날드 등의 서양식 Fast Food 기업들의 경우 기존 다른 국가에서 성공 한 경험과 선진 경영 시스템, 브랜드파워 등을 활용해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31
<그림 Ⅱ-10> Top 10 외식기업 개요
* Source: 중국 외식 100강 기업 보고서, 2008
· 훠궈(火锅) 기업들은 가족 단위의 외식을 자주 하는 중국식 문화를 공략 · 훠궈(火锅) 요리의 특성 상, 메뉴 및 서비스 표준화와 식자재 대량 유통이 용이 해 대형 체인화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선진서비스 도입으로 많은 매출과 높은 이윤율을 달성
3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11> 2008 기업 유형별 평균 매출 (단위: 개)
40
중식 요리집 20
훠궈
15
Fastfood
10
호텔형 음식점 식품 기업 음식 점
6
레져형 정찬*
6
양식 정찬
기타
2
1
* Source: 중국 외식 100강 기업 보고서, 2008
· 이러한 이유로 중식 요리 집과 훠궈(火锅), Fast Food는 Top 100 외식기업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 <그림 Ⅱ-12> 100강 기업 중 유형별 기업 분포
* Source: 중국 외식 100강 기업 보고서, 2008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33
· 가로축을 기업 평균 매출로, 세로축을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로 하여 기업들을 유형화하여 A, B, C, D유형으로 분류 가능 - A 영역: 평균 매출 및 성장률이 높아 가장 투자 매력도가 높은 대형 성장기 업 유형. 영역을 보면 KFC 그룹 등의 소수 선진 외국계 기업들이 주로 집중 되어 있음 - B 영역: 매출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성장률이 높아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고속 성장 기업 유형. 주로 고소득 층 타겟의 High-end 정찬 레스토랑이 분포 - C 영역: 평균 매출은 높으나 이미 성장세가 둔화된 대중화 성공 기업 유형. 이 유형의 외식기업들은 대부분 외식 산업 가장 초기에 전문 기업화가 이루 어진 훠궈 기업위주로 분포됨 - D 영역: 평균 매출과 성장성 모두 상대적으로 낮아 잠재적 매력도가 비교적 낮은 일반 기업 유형 □ 중국 외식 산업의 특징 <그림 Ⅱ-13> 외식 유형별 시장 발전 추이 (단위: 억 위안)
CAGR
6,539
12.1%
4,008
32.0%
4,426
24.8%
5,833 5,204 4,710 4,342
3,036
3,694 1,700 1,000
2,300
1,200
1,463
1,944
2003
2004
2,477
2,842
3,546
2005
2006
2007
기타 Ethnic Food
Fast Food
중식 정찬
2008
* Source: 중국 외식 산업조사 보고서, 2007, 富士経済
3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중국 외식 시장을 유형별로 나누면 크게 중식, Fast Food, 기타 Ethnic Food의 3가지로 나뉠 수 있음 - 중식: 외식 시장의 다원화에도 불구하고 중국식 정식이 전체 외식 시장의 5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중국을 대표하는 음식인 광동 요리와 사천 요리의 비중이 큼. 그러나 이러한 압도적인 중식 레스토랑의 비중도 자 본력과 선진 시스템을 갖춘 외국계 Ethnic Food의 진출 가속화에 따라 2003년 60%에서 2006년 50%로 하락 추세에 있으며 앞으로도 시장 점유 비중이 지속 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임 - Fast Food: 유럽/미국계가 대부분을 차지, 진출 브랜드 수는 많지 않으나 중식 의 점유 비중을 빼앗으며 빠른 발전 속도로 대규모 기업으로 성공. 대표적으 로는 KFC, 맥도날드, 피자헛 등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중국 기업이 교자, 라면 등의 간단한 중국요리가 메인 메뉴인 Fast Food점도 등장하여, 이 역시 많은 인기와 함께 높은 성장세를 보이나 Fast Food 유형 내에서는 아직 서양 식 Fast food가 주류임 - 기타 Ethnic Food: 중국의 외국 문화에 대한 개방화 확대 및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외식의 다원화 니즈 확대로 Ethnic Food의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유형. 주로 대도시 위주로 보급되어 있으며 아직까지는 이탈리안, 한식, 일식 위주 이지만 점점 태국식, 베트남식 등의 다양한 Ethnic Food가 등장할 것으로 보임 □ 중국 외식기업 유형 · 중국 외식 산업은 규모는 크나, 일부 외자계 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업 규모가 영세하고 경영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음. 특히 중국은 외식 시장이 매 우 분산되어 있어, 특정 기업이 점유율 1%를 넘는 사례가 찾아보기 힘듦 · 로컬기업 유형 - 가장 점포수가 많음 - 일부 대형 프랜차이즈기업(全聚德, 俏江南, 德庄, 小天鹅, 小肥羊, 肯德基, 仙 踪林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영세하게 운영 - 평균 매출이 4백만 위안 정도로 가장 낮은 편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35
<그림 Ⅱ-14> 2004년 중국 외식기업의 유형별 점포 수 및 평균매출 (단위: 백만 위안)
(단위: 개)
14
5,000 4,500
12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10 8 6 4 2 0
로컬 기업
화교계 기업 점포수
외자계 기업
기업 평균 매출
* Source: 중국 통계 연감, 2005 富士経済
· 화교계 기업 - 점포 수가 가장 적음 - 중국 대륙 시장에 진출한 홍콩, 마카오, 대만 기업들을 칭함 - 대부분 중국 경제 발전 초기에 진출하여 식품 및 관련 외식 산업에서 선진 경영시스템 및 프랜차이즈 시장 개척에 기여를 하였으며 비록 점포 수는 가 장 적지만 기업 평균매출은 로컬기업보다 많음 · 외자계 기업 - 가장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음 - 크게 외국계 독자기업과 중국 외자 합병기업으로 이루어지는데, 2008년 신규 설립된 외국 투자의 숙박/외식 기업만 633개로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 - 특히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지속적 경제성장과 관련 규제 완화의 영향으로 외자계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이 급증한 것으로 보임 - 주요 구성 기업으로는 이미 프랜차이즈로 성공한 브랜드파워를 가진 Fast Food 기업이나, 일본, 한국기업들로 구성
3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프랜차이즈 기업의 시장 주도 <그림 Ⅱ-15> 체인점 점포 수 추이 (단위: 개)
전체 외식업 시장의 64%차지 (매출 6,600억 위안)
6,900
CAGR: 11.6% 6,100 5,467 4,963
2003
2004
2005
2006
“프랜차이즈 경영 관리법” 공포
* Source: 중국 외식 산업조사 보고서, 2007
· 중국 외식 산업의 전문화, 대형화에 따라 체인형 기업이 급증 · 풍부한 자금력과 선진 경영시스템을 내세운 서양식 Fast Food과 요리의 특성 상, 메뉴 및 서비스 표준화와 식자재 대량 유통이 용이해 대형 체인화가 가능 한 스촨식 훠궈(火鍋) 체인이 급증 · 2005년부터 공표된 프랜차이즈 경영관리법에 따라 외국계 독자기업의 프랜차이 즈 직접 운영이 가능해지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체인점의 매출은 2006년 기 준 6,600억 위안으로 전체 중국 외식업의 64%나 차지하며 중국 외식 시장을 주도 <그림 Ⅱ-16> 2004년 체인점 유형별 비중 (단위: 개) 2,789
2,678
2,306
7.9% 61.4%
66.7%
프랜차이즈
92.1% 38.6%
33.3%
직영점
2)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기타*
* Source: 중국 통계 연감, 2005 富士経済
· 아직 “프랜차이즈 경영 관리법”의 안정성 미확보로 여전히 직영점의 비중은 특 히 Fast Food 에서는 92.1%나 될 정도로 높지만, 향후 프랜차이즈 경영은 활성 화될 것으로 예상됨 * 기타 : 까페, 바 등을 포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37
□ 중국 외식 시장의 Seasonality · 중국의 외식문화는 관광 및 여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대규모 이동이 많 은 국경일, 연휴를 끼고 소비 특수가 발생 - 10월에는 국경일 및 추석 - 12월에는 연말 특수 - 1~2월에는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 - 국경일, 연휴 소비특수의 사례로서 북경시의 외식 중점 기업 35개의 경우에는 설 7일간의 매출이 344만 위안(한화 약 6억 원)이라는 엄청난 매출을 올렸으며 2008년에는 국경일 기간 북경시의 외식 소비액이 1억 1500만 위안을 돌파하였음 - 소비 특수가 발생하는 대부분의 시기가 9월 이후에 몰려있어 상대적으로 전 반기보다는 후반기에 소비시장 규모가 더 큼 <그림 Ⅱ-17> 2008년 월별 외식 시장 소비 추이 (단위: 억 위안) 1Q: 23.9%
2Q: 22.8%
3Q: 25%
4Q: 28.2% 1,490 1,440 1,460 1,430
1,320
1월
1,180 1,160 1,170 1,190 1,180 1,170 1,220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소비 호황기
* Source: 商贸服务司, 2009
- 한국과는 다르게 중국은 따로 여름 휴가가 없기 때문에 9월 이후에 다가오는 소비 호황기를 충분히 이용한 다양한 홍보, 판촉 활동이 중요하게 작용 - 북경의 유명한 북경오리 전문점 “全 聚德”은 올림픽을 테마로 하는 메뉴 개 발하였으며, 다른 북경의 훠궈 전문점 “东来顺”은 물만두 무료서비스 및 기 념품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판촉 활동을 하고 있음
3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중국 외식 산업 발전 전망 · 외식의 현대화 / 브랜드 화 - 먼저 중국의 산업 발전으로 각 지역의 외식 산업화 기지, 원료 기지, 공업화 기지, 인재 기지의 발전에 따라 현대식 관리 방식이 확대될 것이며 정보기술 의 발전으로 외식업의 데이터베이스가 개선되어 외식 산업 정보 및 미식검 색, 인터넷 예약 등의 서비스가 늘어날 것으로 보임 -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값싼 음식보다는 질 좋은 음식을 선호 하게 됨으로써 각 외식기업들은 이전의 단순한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품질 경쟁, 브랜드 경쟁, 문화적 품위 경쟁으로 전환될 것임 - 높아진 생활수준으로 다양성을 추구하게 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맞추어 다 양한 업태와 체인화, 집단화 그리고 대규모화가 진행되어 기존의 점포 간의 경쟁이 아닌 업태 간의 경쟁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 경쟁의 수준 및 범위 확대 - 기존 동부 대도시를 중심으로 동부연안 지역에만 발달되어있던 외식 시장과 외식 문화는 최근 몇 년 간 대형 외식기업 및 프랜차이즈 기업 출현으로 인 한 시장 포화 및 서부 중소 도시의 생활 수준과 소득 수준 향상으로 외식 문 화가 서부 중소도시로 확장될 것임 - 2007년 全聚德, 味千拉面, 小肥羊의 성공에 이어 谭鱼头, 小南国, 真功夫 등의 40개가 넘는 기업들이 상장하여 외식 시장에 대한 외식기업의 대규모 자본 유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앞으로의 경쟁의 수준 또한 질적으로 향상될 전망 · 외식 경영의 범위 확대 - 기존에는 중식과 석식 위주의 외식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앞으로는 조 식과 야식시장의 신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보임 - 특히 조식의 경우에는 2009년 상무부의 도시 주민의 조식 수요 만족을 위한 ‘조식 시범사업 추진안’을 발표하여 ‘신속, 안전, 편리, 실속’의 조식 공급 시 스템 구축을 추진중임. 구체적으로는 대표기업을 선정하여 그 기업을 주체 로, 현대화된 주식가공 배송 센터를 지주로 해 표준화된 조식 판매망을 형성 하는 계획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39
- 야식의 경우에도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기점으로 야식 배달 수요가 확대됨 에 따라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 식품 시장 규모 및 성장률 · 중국의 식품 시장 또한 꾸준히 성장 - 2000년부터 2005년까지 8.6%의 성장 -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연평균 6.8%의 성장이 전망됨 · 중국 전체적인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대도시 위주의 성장에서 점차 내륙 및 농촌 지역으로 식품 성장의 범위가 확대될 것 · 소득 수준이 높아진 중국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냉동 및 보존 식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 냉동 및 보존 식품의 대부분은 중 식 식품이지만 앞으로 Ethnic Food 외식 시장의 양적, 질적 성장이 예상됨으로 써 Ethnic Food 식품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그림 Ⅱ-18> 항목별 식품 시장 성장 전망 700,000
(단위: 위안)
600,000
기타 유아 식품
500,000
캔/보존 식품
400,000
냉동 식품 면류
300,000
유제품 200,000
아이스크림
100,000
베이커리 제과
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 Source: EuromonitorInternational. Packaged Food in China, March 2006
4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외식 산업 트렌드 □ 불경기에 따른 외식 소비의 변화 · 중국인들에게 “불황 시 어떤 품목의 소비를 줄이겠습니까?”라는 설문조사 결 과, 고급 양식(49%), 서양식 Fast Food(45%), 기타 Ethnic Food(40%), 양주(40%)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 <그림 Ⅱ-19> 불경기 시 항목별 소비 영향도 불황 시 어떤 품목의 소비를 줄이겠습니까? 49%
고급 양식
45%
양식 Fas t Food Ethnic Food
40%
양주
40%
고급 중식
39% 38%
와인 31%
브랜드 커피
27%
중식 패스트푸드 컵라면
25%
포장음료
23%
인스턴트식품
22%
맥주
20%
* Source: 上海速动市场信息咨询有限公司, 2009 중국 프렌차이즈 외식 산업 발전 전략 및 트렌드 보고서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41
<그림 Ⅱ-20> 지역별 외식 소비 감소 비중 불황으로 인해 외식 소비를 줄이겠습니까?
44%
화남
39%
화동
38%
화중
화북
31%
동북
31%
서남
30%
서북
30%
* Source: 上海速动市场信息咨询有限公司, 2009 중국 프렌차이즈 외식 산업 발전 전략 및 트렌드 보고서
· “불황으로 인해 외식 소비를 줄이겠습니까?”라는 설문조사 결과 - 광동성, 푸젠성 등 가장 외식 문화가 발달하고 시장규모가 큰 화남지방에서 외식 소비를 줄이겠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음 - 이어서 산동성, 장쑤 등이 속해 있으며 화남 지방 다음으로 시장규모가 큰 화동지방이 많았음 - 4번째로 외식 시장 규모가 큰 허난성이 있는 화중지방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 지역적으로는 외식 문화가 발달하고 외식 시장 규모가 큰 지역의 소비자일 수록 경기 변동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드러났음
4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식당별 불경기 대응 전략 <그림 Ⅱ-21> 중식당의 불경기 대응 전략
불경기로 인해 어떠한 영업 전략 상의 변화를 취하고 있습니까? (복수 응답 가능)
변화 없음
12%
메뉴 차별 화
고급 소비 군 공략
48%
5%
중간 소비 군 공략
저가 소비 군 공략
59%
19%
* Source: 上海速动市场信息咨询有限公司, 2009 중국 프렌차이즈 외식 산업 발전 전략 및 트렌드 보고서
· 중식당 - 중식당의 경우 불경기에 대응하여 중간 소비군을 공략한다는 곳이 59%로 가 장 많았음 - 메뉴를 차별화 하여 손님을 끌어온다는 곳이 48%로 두 번째로 많음 - 일부 중식당에서는 저가 소비군을 공략(19%), 고급 소비군 공략(5%), 아무 변 화도 취하지 않는다(12%) 등의 의견도 있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43
<그림 Ⅱ-22> 양식당의 불경기 대응 전략
불경기로 인해 어떠한 영업 전략 상의 변화를 취하고 있습니까? (복수 응답 가능)
14%
변화 없음
메뉴 차별 화
고급 소비 군 공략
57%
4%
중간 소비 군 공략
저가 소비 군 공략
54%
21%
* Source: 上海速动市场信息咨询有限公司, 2009 중국 프렌차이즈 외식 산업 발전 전략 및 트렌드 보고서
· 양식당 - 양식당의 경우 불경기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메뉴로 손님을 끌어들여 불경기 를 극복한다는 대답이 59%로 가장 많았음 - 중간 소비군을 공략한다는 대답이 54%로 두 번째로 많았음 - 또한 일부 양식당에서는 저가 소비군을 공략(21%), 고급 소비군 공략(4%), 아 무 변화도 취하지 않는다(14%) 등의 의견도 있음
4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23> Ethnic 식당의 불경기 대응 전략
불경기로 인해 어떠한 영업 전략 상의 변화를 취하고 있습니까? (복수 응답 가능)
22%
변화 없음
메뉴 차별 화
고급 소비 군 공략
33%
6%
중간 소비 군 공략
39%
저가 소비 군 공략
39%
* Source: 上海速动市场信息咨询有限公司, 2009 중국 프렌차이즈 외식 산업 발전 전략 및 트렌드 보고서
· Ethnic 식당 - 타겟을 하향 조정하여 중간 소비군 또는 저가 소비군을 공략한다는 대답이 각각 39%로 가장 대답이 많음 - 차별화된 메뉴로 손님을 끌어들여 불경기를 극복한다는 대답 33% - 그 다음을 이은 가운데 고급 소비군 공략(6%), 아무변화도 취하지 않는다(22%) 등의 의견 존재 · 특히 3가지 식당 유형 중에서 Ethnic 식당은 불경기에 대응한 영업 전략상의 변 화가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45
□ 외식 관련 소비자 니즈 트렌드 <그림 Ⅱ-24> 외식 관련 소비자 관심도 82%
청결 위생
80%
서비스 품질
환경 보호
73%
소비자 권익
72%
68%
실내 금연 실버 세대용 외식 저칼로리화
60%
57%
* Source: 上海速动市场信息咨询有限公司, 2009 중국 프렌차이즈 외식 산업 발전 전략 및 트렌드 보고서
· 위생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음 - 조류독감, 신종플루 등의 사태로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고객의 관심 고조 - 중국 정부에서도 식품 안전의 제도 확립 차원에서 2009년 6월 1일부터 ‘식품 안전법’을 실행 · 소비자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 수준 향상 - 외식 문화의 대중화, 전문화가 가속화되면서 음식점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지고 있음 - 식당들은 VIP 멤버십 관리, 인터넷 예약서비스 등의 새로운 서비스를 소비자 들에게 제공
4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웰빙식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중국의 급성장하는 경제에 따라 중국인들의 생활과 소비수준이 높아짐에 따 라 건강 및 미용과 관련한 녹색 식품 및 생식, 보양식, 저칼로리/다이어트 식 품 등에 대한 관심 증대
3) 성공 식당 및 KSF2) 분석 □ 중국 최대의 훠궈 전문점 - 小肥羊(샤오훼이양) · 1999년부터 프랜차이즈를 시작하여 2009년까지 399개의 점포를 설립 · 중국 로컬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선진화된 표준화 관리 및 고객 관리, 브랜드 관 리를 통해 중국 500대 기업에 들며 중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외식기업으로 성장 <그림 Ⅱ-25> 小肥羊(샤오훼이양)의 외/내부 전경
· 미국, 캐나다, 일본, 인도네시아, UAE 및 홍콩, 마카오, 대만 등지에서 20개 이 상의 점포 개설하는 등 적극적인 해외 진출을 통해 중식의 국제화, 표준화, 브 랜드화에 앞장서고 있는 중국 최고의 훠궈 전문점
2) KSF : Key Success Factor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47
<그림 Ⅱ-26> 小肥羊(샤오훼이양)의 주력 메뉴인 훠궈
□ 小肥羊의 성공요인 · 표준화 관리 - 小肥羊은 현재 중국에 있는 수많은 훠궈 프랜차이즈의 원조로서 시장을 개 척한 선도자 - 식자재의 표준 유지를 위해 항상 노력을 하는 小肥羊은 현재 본부에서 육류 생산 기지 및 조미료 가공 기지를 관리하여 재료를 가공하고, 가공된 식재료 를 전국 각지로 신속히 보내기 위해 小肥羊에서 직접 운영하는 물류 배송센 터를 운영하여 북경, 심천, 상해, 서안, 제남, 루하 등 6개 주요 중심지에 설 립된 분창고에 배송함. 분창고에 도착한 식재료들은 다시 냉장차량을 통해 전국 300여 개 점포에 육류, 조미료를 배송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 · 고객 관리 - 小肥羊은 고객 관리 측면에서 전국 표준화 - 전국 범위의 멤버십카드를 보급하여 한 장의 카드로 전국 모든 점포에서 통 용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고객 관리에 성공 · 브랜드 관리 - 小肥羊은 이 문제를 코카콜라와 蒙牛(중국 유업회사)와 같은 이미 기존 소비 자들에게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는 기업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어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
4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权金城国际控股集团有限公司(권금성 국제 찬음 관리 회사) · 2000년 9월 설립된 권금성 국제 찬음 관리 회사(이하 권금성)는 전통 한국식 불고기 요리를 주력 메뉴로 한식 보급에 기여 · 현재 북경, 상해에 각각의 관리 유한회사를 설립하여 전국 체인 확대에 주력하 고 있는 권금성은 2008 국가 그린 음식점, 특급 음식점, 외식명가 등 주요 맛집 에 선정되면서 성공적인 체인 전문 기업 중 하나로 손꼽힘 <그림 Ⅱ-27> 权金城의 체인사업 현황
· 2008년에는 사업의 다각화 차원에서 일식 야끼니꾸 전문점과 한식 Fast Food 전문 브랜드 사업을 시작함으로써 사업 확장에 주력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49
다. 지역별 특징 1) 지역 구분 · 중국 23개 성과 5개 자치구, 4개 특별시로 구성되며, 지역별로 경제 규모와 문 화적 특성, 인종 등이 상이 <그림 Ⅱ-28> 중국 지역 구조
23개 23개 성 성 (대만 (대만 포함) 포함) 동북 : 헤롱쟝(黑龙江), 랴오닝(辽宁), 지린(吉林) 화북: 허베이(河北), 산시(山西) 화동: 산동(山東), 지앙수(江苏), 저지앙(浙江), 안휘(安徽), 지앙시(江西) 화남: 광동(广东), 푸지엔(福建), 하이난(海南) 화중: 허난(河南), 후베이(湖北),후난(湖南) 서남: 쓰촨(四川), 윈난(雲南), 뀌주(貴州) 서북: 시아시(陜西), 깐수(甘粛), 칭하이(青海)
5개 5개 자치구 자치구 소수 민족 보호를 위해 지정된 자치 구 - 광시(广西), 내몽고(呢蒙古), 닝시아(宁夏), 시장(西藏), 신장(新疆 )
4대 4대 특별시 특별시 중앙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고 직접 행정 -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텐진(天津), 총칭(重庆)
5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지역별 경제 수준 □ 지역별 경제 수준 · 동부 연해 지방 및 특별 도시들이 가장 인구 밀도도 높으며 소득 수준도 발달 하여 서부 내륙 지역과의 경제수준 편차가 매우 큼 - 4대 특별시중 충칭을 제외한 상하이, 베이징, 텐진 순으로 높은 소득 - 다음으로는 저장성, 광동성, 지앙쑤성, 산동성, 푸찌엔성 순으로 높은 소득 수준 - 소득 수준이 높은 도시는 동부 연안 지역에 위치한 도시임 <그림 Ⅱ-29> 지역별 가구 소득 분포 (단위: 천 위안/per household) 73,124
상하이(上海)
63,029
베이징(北京)
53,175
텐진(天津) 42,214
저지앙(浙江)
37,588
광동(广东)
33,089
지앙수(江苏)
30,255
푸지엔(福建)
산시(山西) 허베이(河北)
동부 연안 지방
33,083
산동(山东)
랴오닝(辽宁)
4대 특별시
24,945 21,103 19,588
칭하이(青海)
18,940
후베이(湖北)
18,786
허난(河南)
18,322
* Source: 2005 중국 국가 통계청
□ 도시/농촌별 경제 수준 · 중국은 장기적으로 도시 발전을 중요시하고 농촌 발전을 중요시하지 않았기에 도시와 농촌의 경제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51
<그림 Ⅱ-30> 도시/농촌 주민 인당 소득 추이 (단위: 위안) CAGR: 13.8%
15,781
13,786 10,493
9,422
11,759
CAGR: 12.9% 3,587
3,255
2,936
2004
2005
2006
도시주민 평균 소득
4,761
4,140
2007
2008
농촌 주민 평균소득
* Source: 2005 중국 국가 통계청
· 중국은 개혁 개방 이후 선부론(先富論)에 전략으로 주로 연해지역, 상공업, 도 시지역에 투자와 발전 계획에 집중했음 · 차별적인 생산성 향상이 결국 소득 격차를 불러왔고 이러한 구조가 이주를 제 한하는 중국 특유의 호적제도 등을 통해 고착됨 · 그 결과 도시와 농촌의 격차는 더욱 커졌고 과잉 농촌인력의 제한적인 도시노 동 투입과 그들의 도시 빈민화로 도시 내의 빈부 격차도 확대 양상 <그림 Ⅱ-31> 주요 도시별 도시/농촌 소득 차 (단위: 위안)
26,690
24,725
2.3배
2.3배
11,400
10,747
10,891
4.4배 2,482
상하이
베이징 도시주민 평균 소득
뀌주
농촌 주민 평균소득
* Source: 2005 중국 국가 통계청
· 도시의 인당 수입은 농촌 인당 수입의 약 3배가량이며 인당 소득이 가장 낮은 지역은 칭하이, 시장, 뀌주 등 서부 지역으로, 특히 뀌주의 경우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가 4.4배 수준
5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지역별 외식 시장 □ 지역별 외식 시장 규모 <그림 Ⅱ-32> 2008년 동/중/서부 지역별 외식 시장 규모
* Source: 商贸服务司, 2009
· 외식 소비 규모 역시 경제 수준에 비례하여 상하이, 베이징, 텐진의 4대 특별시 와 저장성, 광동성 등의 동부 연안지역이 포함된 동부지역이 8,830억 위안으로 가장 시장 규모가 큼 - 동부지역의 시장 규모는 중국 전체 외식 시장의 55% 이상을 차지하며 그 외 중부지역은 25%, 서부지역은 20%의 규모를 형성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53
□ 지역 요리별 특징 · 중국의 유명한 8대 요리체계에는 산동 요리(鲁菜), 지앙수 요리(苏菜), 저지앙 요리(浙菜), 안휘 요리(徽菜), 푸지엔 요리(闽菜), 광동 요리(粤菜), 후난 요리 (湘菜), 쓰촨 요리(川菜) 등 8가지 요리가 포함 <그림 Ⅱ-33> 중국 전통 8대 요리
안휘 요리
산동 요리
후난 요리
지앙수 요리
쓰촨 요리 저지앙 요리
광동 요리 푸지엔 요리
· 산동 요리(鲁菜) - 순수한 입맛을 중요시함 - 내지에서는 입맛이 강하고 신선한 맛을 위주로 하고 연해에서는 신선하면서 담백한 맛이 특징 - 맛이 신선하고 연하며 향이 좋고 또 바삭바삭한 특색 - 특히 탕류의 조리법을 중요시 하며 파와 마늘로 국물 맛을 내는데 익숙하고 생선 요리법에 독특한 조예가 있음
5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지앙수 요리(苏菜) - 재료가 광범위 하며 강물, 하천, 호수, 바다의 생선을 위주로 함 - 칼을 쓰는 솜씨가 섬세하고 요리 방법이 다양하며 데우기, 찌기, 익히기, 훈 제 등의 방법을 많이 사용 - 음식 재료의 원래 맛을 내는데 치중하며 담백하고 신선한 맛을 선호하여 그 풍격이 우아하고 겉모양이 아름다운 특징이 있음 · 저지앙 요리(浙菜) - 음식이 작고 정교하며 모양이 예쁘고 귀여움 - 그 맛은 신선하고 매끈하며 시원한 것 등이 특징 - 향료를 이용해 맛을 내는데 30여 종의 조리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익히기, 찌기, 잡채 볶기, 데우기 등의 방법을 많이 씀 · 안휘 요리(徽菜) - 담백하고 순박하며 자연적인 맛을 그대로 냄 - 맵고 향이 좋으며 또 농도가 알맞다.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아주 엄격하고 불 사용 방법이 독특하다. 음식의 영양 가치를 중요시 하고 원래 맛을 선호 하면서 또 양식이 다양하다. 요리 방법에는 굽기, 오랫동안 푹 삶기, 훈제 등 이 있다. · 푸지엔 요리(闽菜) - 요리 원료는 다양한 편으로 칼을 쓰는 방법이 절묘함 - 탕과 채에 연구가 깊고 변화가 많음 - 요리 방법이 섬세하고 맛을 내는 것을 특별히 중시 · 광동 요리(粤菜) - 월채는 재료의 범위가 넓고 재료 선정이 정밀하며 다양한 변형이 있음 - 맛은 시원하고 바삭바삭하며 신선하면서 연한 특색이 있음 - 월채는 “清而不淡, 鲜而不俗,嫩而不生, 油而不腻”라는 말로 표현되는데 담백하면서도 슴슴하지 않고 신선하면서도 비린 맛이 없고 연하면서도 날것 이 아니고 기름기가 있어도 느끼하지 않다는 뜻임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55
· 후난 요리(湘菜) - 요리의 내재적 미와 외형의 아름다움을 선호 - 음식 재료의 조합을 중시하고 맛이 서로 스며들게 하며 특히 시고 매운맛을 많이 냄 - 일찍 서한 초기부터 찜, 굽기, 회, 탁, 우리기, 납향, 젖히기, 말리기, 부수기 등 여러 가지 기술을 가지고 있었는데, 특히 현재는 약한 불로 천천히 고는 방법이 특이함 · 쓰촨 요리(川菜) - 음식 재료가 풍부하고 맛이 다양하며 대중들의 입맛에 맞기로 유명 - 사천 요리는 신맛, 어향, 괴미(怪味) 등 독특한 스타일을 유지 - 조리의 방법은 볶기, 지지기, 굽기, 기름에 데치기 등을 많이 사용 □ 외식업 발전 5대 집중 지역 / 발전 방향 · 상무부의 전국 외식업 발전 계획 방향에 따라 5대 발전 집중 지역을 선정하여 지원함으로써 해당 지역별 특색 및 관련 식품 생산 기지 육성이 가속화될 전망 <그림 Ⅱ-34> 2009~2013년 외식업의 5대 집중 지역
5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지역별 발전 방향 (1) 북방 요리권 산둥 요리, 텐진 요리, 허베이 요리 기지와 랴오닝 요리, 지림 요리, 헤이룽 장 요리 연구 개발기지를 중점으로 키우고 샨시와 간쑤 등지의 분식문화 발전 (2) 연안 요리권 상해지방 요리, 절강 요리, 안휘 요리 기지를 중점으로 키우고 중식 공업 화 생산기지를 설립 (3) 광동 요리권 광동, 복건, 해남 등을 중심으로 광동 요리, 복건 요리 기지 중점 육성 (4) 매운 요리권 ‘충칭 미식의 성’, ‘쓰촨요리 산업화 기지’, ‘후난 요리문화의 성’, ‘후베이 담 수어마을’ 중점 육성 (5) 이슬람 요리권 ‘우루무치-중국 이슬람 미식의 성’, ‘란저우 중국 쇠고기 국수의 성’, 닝시아 의 이슬람 식품 공업 생산기지 중점 육성 □ 지역별 외식 시장 매력도 · 중국 각 지역을 인구를 가로축으로 하고 인당 GDP를 세로축으로 하여 어느 지 역의 외식 시장이 가장 매력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중점 개발지역, 전략 적 요충지역, 점진적 개발지역, 선택적 개발지역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 · A 영역 : 광동(广东), 산동(山东), 지앙수(江苏), 저장(浙江)의 중점 개발지역 - 인구, 소득 수준 모두 높고, 외식 시장의 규모 및 성장 지속성면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시장으로 1차적 전략 집중지역으로 선택해야 할 것이다. · B 영역 :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텐진(天津)의 전략적 요충 지역 - 외식 문화 발달 수준이 높고 외식 문화에 개방적인 특별도시로서 전략적 중 요도가 높은 지역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57
<그림 Ⅱ-35> 지역별 외식 시장 비중 Size = 외식 시장 규모 (억 위안)
(위안)
80,000 B
A
상하이(上海)
인당 GDP
베이징(北京)
텐진(天津)
저지앙(浙江) 광동(广东) 지앙수(江)
푸지엔(福建)
25,000
칭하이 (青海)
산동(山东) 랴오닝(辽宁) 중국 평균 산시(山西) GDP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총칭(重庆) 후난(湖南) 스촨(四川)
D 0
C 4,000
인구
10,000
(만명)
중국 성 단위 평균 인구
* Source: Accenture Analysis
· C 영역 :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후난(湖南), 쓰촨(四川) 등 점진적 개발지역 - 소득은 낮으나 인구 비중 높아 전략적 중요도는 비교적 낮으나 장기적으로 앞으로의 소득수준이 향상될 것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집중이 필요한 지역 · D 영역 : 랴오닝(辽宁), 산시(山西), 총칭(重庆), 칭하이(青海) 등 선택적 개발지역 - 인구 및 소득수준 모두 낮아 시장 규모 및 성장성 면에서 매력도가 떨어지는 지역 □ 지역 거점 전략 · 중점개발 Hub 도시 선정 - 전략적 요충지와 중점 개발 지역 중 도시별 경제 규모를 평가하여 개발 Hub 도시를 광저우, 쑤저우, 항저우, 칭다오를 선정
5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36> 2008년 도시별 경제 규모(GDP) (단위: 억 위안) 9전략적 요충지
9중점 개발 지역 Hub 도시
9전략적 요충지 13,698
광동
지앙수
저지앙
9중점 개발 지역 Hub 도시 산동
10,488
8,215
7,806 6,701
6,354 5,096
上海
北京
广州
深圳
苏州
天津
重庆
4,781
杭州
4,409
青岛
4,400
无锡
4,300
佛山
3,964
3,960
3,901
3,858
3,855
3,775
3,710
3,560
3,460
宁波
武汉
成都
大连
沈阳
南京
东莞
唐山
烟台
* Source: 商贸服务司, 2009
· 한식 세계화 거점 확장 전략(“3-4-4 전략”) - “3-4-4전략”이란 3대 특별도시 및 4대 중점 개발 Hub 도시, 4대 점진적 개발 Hub로서 먼저 전략적 요충지인 3대 특별도시와 앞서 선정한 중점 개발 Hub 도시인 광저우, 쑤저우, 항저우, 칭다오를 우선적으로 집중 공략한 후에 점 진적 개발 도시인 허난(河南)의 정조우, 후베이(湖北)의 우한, 후난(湖南)의 창샤, 쓰촨(四川)의 청두를 공략하는 전략 <그림 Ⅱ-37> 한식 세계화 거점 확장 전략(“3-4-4 전략”)
• 베이징 전략적 전략적 요충지 요충지
우선 집중 지역
• 상하이 • 텐진
• 광동(广东) : 광조우 중점 중점 개발 개발 Hub Hub 도시 도시
• 산동(山东): 칭다오 • 지앙수(江苏) : 쑤조우 • 저지장(浙江) : 항조우
• 허난(河南): 정조우 점진적 점진적 개발 개발 Hub Hub 도시 도시
• 후베이(湖北): 우한 • 후난(湖南): 창샤 • 쓰촨(四川) : 청두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59
2. 경쟁환경 분석 가. Ethnic Food의 진출 현황 1) Ethnic Food 진출 현황 □ 양식 Fast Food 진출 현황 · 양식 Fast Food는 1978년 KFC가 처음 중국에 진출한 이래 KFC와 맥도날드를 중 심으로 전국적으로 확장 · 2005년에는 2500개 점포가 넘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외식 분야 <그림 Ⅱ-38> 양식 Fast Food 진출 History ‘78년
KFC 북경 前门 1호점 진출
‘90년
맥도날드 深圳 1호점
‘92년
맥도날드 王府井 북경 1호점
‘94년
맥도날드 准海路 상해 1호점 Dicos 청두 1호점
‘97년
KFC 중국 지점 100개 돌파
‘00년
KFC 중국 지점 400개 돌파
‘03년
KFC 중국 지점 850개 돌파, 맥도날드 전국 460개 돌파
‘05년
KFC 중국 지점 1700개(피자헛 포함) 돌파 맥도날드 750개 돌파
* Source: KFC China
6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중국에 진출하여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대표적인 업체는 KFC, 맥도날드, 그리 고 Dico’s가 있음 · KFC - 1978년 중국에 조기 진입하여 가장 빠르게 발전한 Fast Food 기업 - 1993년에는 산시성에서 지역 대리 형식으로 가맹사업을 발전하여 현재 중국 최대 체인 기업으로 부상 · 맥도날드 - KFC에 비해 늦게 중국에 진출하였고 초기에 직영점 위주의 방식을 고수하여 KFC 비해서는 성장세가 더딘 편 - 2003년부터는 직영점과 프랜차이즈 가맹점 방식을 동시 전개하는 전략으로 전국적으로 체인점을 확장 중 · Dico’s - KFC, 맥도날드와 달리 베이징, 상하이 등의 연안 대도시가 아닌 청두와 같은 2급 도시부터 진출하는 차별화 전략을 시도 - 1996년 청두에 1호점 개점 이후 베이징, 상하이 등 13개 도시에 연이어 54개 직영점을 개점 □ 일본계 외식 체인 진출현황 · 중국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상하이는 중국 비즈니스의 요충 지역으로 일본 외식업계의 전략적 거점 지역임 · 1995년에 진출한 아지센 라면과, 2000년에 진출한 와타미를 제외한 거의 모든 일본 외식기업이 2002년~2005년을 중심으로 상하이를 첫 점포로 진출하여 거 점을 확대해 나가는 전략을 사용 · 일본계 외식 체인은 라멘, 우동, 카레와 같은 Fast Food 및 야끼니꾸 전문점 등 의 형태로 중국 대륙에 활발하게 진출 중 · 그 외에도 일본식 선술집인 이자카야 유형도 있으며 이탈리안 레스토랑 및 빵 체인점 또한 진출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61
<그림 Ⅱ-39> 일본계 외식 체인 진출 현황 거점 도시
다렌()
형태
사업 내용
‘95년
상해
중외합자
9라멘 체인 전문점
‘00년
홍콩
독자
9이자카야 체인
‘02년
상하이
중외합자
9덮밥 체인
‘03년
상하이
중외합자
9면 전문점
상하이
중외합자
9이탈리안 레스토랑
상하이
독자
9이탈리안 레스토랑
션전
중외합자
9덮밥 체인
션전
독자
9이자카야 체인
다롄
독자
9두부 요리 전문점
베이징() 상하이()
션전() 홍콩()
‘04년
‘05년
· 라멘 전문점 유형 - 味千라멘은 1997년 사골 라면 전문점으로 상하이에 처음 입성해 40개 점포로 확장 - 味千라멘의 성공을 뒤따라 후쿠오카의 사골 라면 一風堂 역시 중국 진출에 성공하여 5개 점포를 오픈 - 타니카와의 하치반 라멘역시 2005년 1호점 개설 <그림 Ⅱ-40> 일본계 라멘 전문점 味千拉面(왼쪽)과 一風堂(오른쪽)
6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카레 전문점 - 하우스 식품이 1997년 카레 전문점으로 중국으로 처음 진출한 이래 2004년 壱番屋와 공동출자로 카레 전문점 CoCo壱番屋(이치반야) 2점 오픈 하는 등 중국 시장의 확장에 노력 - 카레 전문점의 진출을 통해 일제 인스턴트 카레 식품 매출 확대에도 기여하 는 2차적인 효과도 있음 - 이치반야 이외에도 발틱카레는 2004년 9월 상해에 진출하여, 2004년 내 5개 점포를 개점하는 등의 시장 확대에 힘쓰고 있음 <그림 Ⅱ-41> 일본계 카레 전문 체인점 CoCo壱番屋
· 이자카야 전문점 - 와타미는 和民유한회사를 중국에 설립하여 2001년 11월 홍콩에 11개 점포를 개설하면서 진출 - 2005년 심천에 중국 본토 1호점을 오픈 하면서 중국 시장 확대를 노림 · 이토츠 상사 - 외식 프랜차이즈 사업 전개를 위한 지주회사를 설립하여 중국 시장에 진출 해, 2003년 12월 북경에 야끼니꾸 전문점 ‘牛楽亭’를 개점하여 2004년에 3개 점을 오픈한 이래, 2005년도에는 10개 점으로 확장 - 2010년까지 100개점을 목표 <그림 Ⅱ-42> 일본계 이자카야 전문점 “和民”(왼쪽), 야키니꾸 전문점 “牛楽亭”(오른쪽)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63
· 베이커리 / 레스토랑 유형 - 일본 빵 업계 최대 업체인 山崎(야마자키)빵도 2004년 상하이 백화점의 Tenant를 1호점으로 출점을 통해 베이커리 체인 전개, 중국 시장에 진출 <그림 Ⅱ-43> 일본계 이탈리안 레스토랑 사이제리아(薩莉亜)
- 일본계 이탈리안 레스토랑인 사이제리아(薩莉亜)는 2003년부터 2005년 말까 지 상하이 繁華街에 5개 점포를 오픈 했으며, 북경에도 관리 회사를 설립하 여 점포 확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일본계 파스타 레스토랑인 삐에 뜨로가 2003년 9월에 상하이에 진출
2) 진출 식당 예시(아지센 라멘 - 味千拉面) □ 味千라멘의 입점 및 확장 전략 · 초기 입점 전략 - 味千라멘은 경제규모가 가장 크고 소비자들의 소득수준이 높아 다양한 브랜 드 식당이 자리잡은 상하이부터 공략 - 특히, 상하이의 고급 아파트나 브랜드 식당이 즐비한 淮海路에 위치한 빌딩 의 1, 2층을 이용해 대형 점포를 내고, 점심 시간에 샐러리맨들을 공략하는 데 성공 · 향후 확장 방향 - 북경 올림픽을 앞두고 북경 공항에 제3 터미널에 면적 510평방미터, 좌석 250석 으로 가장 규모가 큰 점포를 오픈 - 북경 공항에는 맥도날드, KFC, 스타벅스 등 세계적인 외식 체인이 출점해 있 으며, 일본 체인으로는 味千ラーメン 이 유일함
6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44> 味千의 최대 규모 점포인 북경 공항점
· 성과 - 처음 중국과 가까운 홍콩에 먼저 1996년 1호점을 낸 이래, 13년 후인 현재 중 국 내 점포 수가 일본에서의 3배 수준으로 최대 라멘 체인으로 성장 - 점포 수는 경쟁사인 규동 전문점 요시노야의 2배 이상인 376점을 개점 <그림 Ⅱ-45> 味千라멘의 중국 내 점포 현황
* Source: www.ajisen.com.cn
· 앞으로의 홍콩, 상해, 광주 등 연해 대도시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사천성의 성도, 운난성의 쿤밍 등의 내륙으로 파고들어, 전국적으로 확장하는 것을 계획 하여 2010년까지 500개 점포를 목표로 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65
□ 味千라멘의 주요 성공 요인 · 메뉴의 현지화 - 味千라멘은 일본 본토 라면의 맛을 중국인의 입맛에 맞게 메뉴 현지화 및 독 자 메뉴 개발 - 일본 국내에서의 메뉴는 면류 5, 6개와 기타 몇 가지 메뉴 밖에 없지만, 중국 에서는 면류, 쌀밥, 요리, 음료 등 4대류 100여 개의 메뉴가 존재하며 라면 메 뉴 또한 중국인이 선호하는 기존의 중국 음식인 우육면, 토마토 소고기면, 새우탕면 등을 일식 라면과 접목시켜 다양한 메뉴를 개발함 - 味千라멘은 반년에 한 번씩 이러한 혁신적인 현지화 메뉴 중 30%의 인기 없 는 메뉴를 도태시키고 신 메뉴를 개발하는 등 끊임없이 현지화에 노력 <그림 Ⅱ-46> 味千라멘의 현지화 메뉴
· 표준화 시스템 - 味千라멘은 전국 어느 점포에 가도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 앙 생산기지에서는 반제품을 제조하여 모든 항목별 표준화 관리 ꋭ 면의 중량, 끓이거나 튀기는 시간, 온도, 조미료의 중량 등에 대해 명확하고 엄 격한 표준 설정 관리 ꋭ 조미료도 사전에 표준에 따라 준비해 전국의 점포의 식품 품질을 통일된 표준 으로 관리
6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전국 각지에 원활한 보급이 이루어지기 위해 중국에 4개의 생산기지를 설립 하고 배송을 위한 물류센터를 운영 ꋭ 생산기지에서 생산된 라면을 물류센터로 배송된 후 물류센터에서 반제품으로 제조한 후 각 점포로 배송
· 타겟 고객 공략 - 소득 수준이 높고 외국 문화에 개방적인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하여, 이에 맞 는 비즈니스 오피스 거리 또는 고급 주택가 인근에 입지를 선정하여 “일본” 의 프리미엄의 이미지를 전달하며 일본 특유의 우수한 서비스와 시스템으로 젊은 층의 취향을 공략하는데 성공하였음
나. Ethnic Food의 경쟁 수준 및 포지셔닝 분석 1) 중국 전체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47> 중국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7.1%
16.6%
French Italian
15.0% 0.5% 0.6% 0.4%
Spanish Mediterian Rusia American 태국 베트남
20.1%
34.5%
인도 싱가포르/말레이
2.7% 0.7%
1.0%
0.8%
일본 한국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중국의 Ethnic Food 식당 점유율 순위 - 일식당이 약 3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한식(16.6%)의 2배 이상을 차지 - 2위는 미국식당(20.1%)으로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67
· 중국의 Ethnic Food는 일식, 한식, 양식, Italian, 프랑스식 5개국 음식의 시장 점 유 비중이 93%에 달해 Ethnic Food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 · 베트남, 인도, 태국 등의 동남아 음식들은 시장 점유율 1% 미만으로 소규모로 분포 □ Ethnic Food별 포지셔닝 <그림 Ⅱ-48> 한식 및 Ethnic Food 포지셔닝 유형별 특징
고가의 특정고객층 식당 식당의 수는 한정적이나 객단가가 높아서 일부 고소 득층 또는 특정 Ethnic 그룹 등 일부 계층 위주로 소비가 이루어지는 식당(프랑 스식 등) - 프랑스 식당은 객단가가 높은 고급 식당 위주로 식당이 분포하고 있어, 일부 부유층을 위한 식당으로 포지셔닝 보편화된 고급 식당 식당의 수가 많고 객단가가 높아, 성공적으로 널리 퍼져 있고 대중화된 고가 식당(일식 등) - 일식당은 객단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퍼져있으며, 많은 중국인들이 다양한 외식 상황에서 이용
6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저가의 대중화되지 않은 식당 식당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객단가가 낮은 식당(인도식) - 인도식은 최근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는 식당으로 아직, 중식이나 멕시칸식 등과 같이 대중화되지 않고 낮은 객단가로 포지셔닝 대중적인 캐쥬얼 식당 식당수가 많고 객단가 낮은 대중화된 에스닉 식당(한 식, 미국식 등) - 한식과 미국식은 중국인들 사이에 널리 퍼진 저가 대중식당으로 포지셔닝 · 한식은 대중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지만 객단가가 타 에스닉 푸드 대비하여 낮 은 수준으로 저품질, 저가의 음식으로 포지셔닝 되어있음 - 한식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중국인이 운영하는 저급 한식당도 상당수
2) 베이징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49> 베이징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9.2%
20.8% French Italian
20.2%
Mediterian Rusia American 태국 베트남
1.2% 1.3%
26.4%
인도 싱가포르/말레이 일본
13.2% 1.5%
1.0%
한국
4.3% 0.9%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69
· 베이징에서의 Ethnic Food 식당의 점유율은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음 - 일식당이 약2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일식당, 한식당, 이태리식당이 각각 20%에서 26%로 유사한 수준으로 분 포하며 미국식당 또한 13%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이 외에는 Ethnic Food에서는 French와 인도가 각각 9.2%, 4.3%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나머지 베트남, 인도, 태국 등의 동남아 음식들이 시장점유율 1% 미만으로 소규모로 분포 □ Ethnic Food별 식당 수 <그림 Ⅱ-50> 베이징 Ethnic Food 식당 수(전체 2,577개) 783
한국 536
일본 Italian
510
American
450
태국
78
French
75
싱가포르
39
Rusia
32
베트남
26
Mediterian
25
인도
2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베이징에 있는 Ethnic Food 식당 총 2,577개 중 한국음식을 파는 식당은 783개 로전체 비중 약 3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일식당이 536개로 두 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Italian(510개), American (450개)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음 · 태국, 프랑스, 싱가폴, 러시아, 베트남, 지중해, 인도 등의 Ethnic Food 식당은 소수에 불과함
7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Ethnic Food별 객단가 현황 <그림 Ⅱ-51> 베이징 Ethnic Food별 평균 객단가 (단 위: 위안 )
French
254 114
태국
102
일본 Mediterian
98
Italian
96 92
인도 Rusia
85
American
85.5
싱가포르/말레이
78
베트남
75
한국
55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베이징에서의 Ethnic Food 중 가장 객단가가 높은 음식은 프랑스식으로 평균 객단가 254위안 - 태국식(114위안), 일본식(102위안) 순 · 한식은 객단가 55위안으로 베이징 내에 있는 Ethnic Food 식당 중 객단가가 가 장 낮은 수준임 - 베이징에서 가장 점포 수가 많은 한식당이 가장 낮은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 어 한식의 이미지의 저급화가 우려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71
<그림 Ⅱ-52> 베이징의 Italian과 American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American 가격대 분포
>500
>500 200~500
13
200~500
13
120~200
14
120~200
14
80~120
80~120
17
50~80 20~50 <20
83 60
17
50~80 20~50
83 60
<2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태리식 - 대부분의 식당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일부 식당은 80 위안 이상의 중고가 가격대도 어느 정도 분포되어 있음 · 미국식 - 대부분이 5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나, 80위안 이상의 식당도 어느 정도 있을뿐더러 500위안 이상의 초고가 식당 또한 분포되어 있어 평균 객단가가 85위안 정도로 균형있게 형성
7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53> 베이징의 일식과 한식의 가격대 분포 한식 가격대 분포
일식가격대 분포
>500
>500
2
200~500
15
200~500
55
80~120 50~80
<20
32 55
80~120
47
20~50
15
120~200
32
120~200
2
28
20~50 <20
8
47
50~80 28 8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식 - 대부분이 50~200위안으로 분포 - 가장 많은 분포도를 보인 가격대는 80~120위안 - 대체적으로 타 Ethnic Food 대비 높은 가격대에 분포되어 있으나 50위안 이하 의 가격대를 제공하는 식당도 존재 · 한식 - 거의 모든 식당이 80위안 이하이며 그중 절반 이상이 50위안 미만으로 형성 이 되어있어 평균 객단가가 최하위임 - 반면 120위안 이상의 가격대를 제공하는 일부 고급 한식당들도 존재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73
□ 주요 상권별 분포 · 베이징에서 주요 상권 중 가장 한식당의 분포도가 많은 지역은 왕징과 우다코 지역으로 한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임 <그림 Ⅱ-54> 베이징 주요 상권별 Ethnic Food 분포도 北太平庄
10
8 12
东直门
5
望京
3
21
7
西单/西四 朝外/三里屯
18
建外大街/国贸
35
16 15
11
9 33
71
한식당
일식당
11 9
13 25
15
22
8
17
19
9
33
中关村
21
26
23 26
24
29
62
13
亚运村
27
24
45
王府井/东单
7
26
79
三元桥/亮马桥
6
5
118
五道口
地安门/什刹海
5
39 42
Italian
12
53
American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왕징은 한국인만 35,000명이 살고 있는 코리아타운 · 왕징지역의 한식당들은 대부분이 한국인 손님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최근 한 식당 포화에 따른 경쟁 심화로 경영난이 지속됨 · “왕징지역의 한국인 식당 중 현재 30% 수준이 도산에 직면했으며, 10%는 거의 매상을 올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업주 인터뷰중) · 우다코지역은 왕징에 비해 잘 운영이 되고 있는데 이는 입지가 베이징 어언대 주변으로서 한국 유학생들이 주로 몰리는 상권이자 거주지역이기 때문임 · 향후 영업 안정성의 강화를 위해서는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 한식당이 많아져 야 할 것임
7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상하이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55> 상하이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0.5%
0.5%
0.5% 1.1% 1.3% 2.4% 8.7% Mediterian 베트남 싱가포르/말레이
42.1%
11.4%
인도 Spanish 태국 French 한국 Italian
14.2%
American 일본
17.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상하이에서의 Ethnic Food 식당에서는 일식당이 42.1%로 절대적인 우위를 보 임. 다음으로는 미국식당이 17.2%로 많았으며 이태리식당도 14.2%로 3번째를 차지함 · 한식은 11.4%로 4번째로 비중이 높았는데 중국 전체 시장에서 3번째, 베이징에 서 2번째의 비중을 차지하던 한식당이 상하이에서는 비교적 낮은 점유율로 부 진을 보이고 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75
□ Ethnic Food별 식당 수 <그림 Ⅱ-56> 상하이 Ethnic Food 식당 수(전체 3,011개) 1073
일본 American
749 518
한국 428
Italian 76
French
60
태국 인도
29
싱가포르
28
Spanish
20
베트남
18
Meaditerian
1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상하이에 있는 Ethnic Food 식당은 총 3,011개로 베이징보다 더 많음 · 그중 한국음식을 파는 식당은 518개로 베이징보다는 적었으며 전체에서 차지 하는 비중 또한 일본(1073개, 36%), American(749개, 25%), 다음의 비중으로 총 518개, 17.3%를 차지함 · Italian은 428개, 14%였으며 태국, 프랑스, 싱가폴, 러시아, 베트남, 지중해, 인도 등의 Ethnic Food 식당이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7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Ethnic Food별 객단가 현황 <그림 Ⅱ-57> 상하이 Ethnic Food별 평균 객단가 (단 위: 위안 ) Fr enc h
314
Spanis h
182
Medit er ian
112
Italian
110
태국
109
일본
107
인도
107
Am eric an
106 82
베트남 한국 싱 가포르
60 5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상하이에서의 Ethnic Food 중 가장 객단가가 높은 음식은 프랑스식 - 평균 객단가가 베이징보다 약 60위안이 더 비싼 314위안 - 그 다음으로는 Spanish(182위안), Mediterian(112위안) 순 - 한식은 객단가 60위안으로 최하위인 싱가포르(53위안)보다 한 단계 위로 최 하위권 · 상하이의 Ethnic Food의 객단가는 대부분 100위안 이상으로 베이징에 비해 상 당히 비싼 편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77
<그림 Ⅱ-58> 상하이의 Italian과 American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500
>500
3 19
200~500 120~200
33
80~120
200~500
10
120~200
10
146
20~50
6
80~120
23
50~80
<20
American 가격대 분포
66
50~80
39 73
20~50 <20
3
35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태리식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의 식당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일부 식당은 80 위안 이상의 중고가 가격대도 어느 정도 분포 · 미국식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20~50위안의 가격대가 가장 많았으나 50~120위안의 가격대도 상당 수 있을뿐더러 500위안 이상의 초고가 식당 또한 분포되어 있어 평균 객단가 가 106위안 정도로 균형있게 형성됨
7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59> 상하이의 일식과 한식의 가격대 분포 일식가격대 분포
>500
한식 가격대 분포
>500
12
200~500
200~500
48
120~200
187
80~120
<20
214
38 143 103
20~50 <20
36
8
50~80
103
20~50
120~200 80~120
123
50~80
3
16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식의 가격대 분포 - 20~50위안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120~200위안대가 많음 - 일식당 내에서도 고급 식당과 일반 저가형 식당으로 크게 나뉘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임 · 한식당의 가격대 분포 - 거의 모든 식당이 80위안 이하인 50~80위안의 가격대로 형성이 되어 있어 베 이징보다 객단가가 약간 높은 것으로 조사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79
□ 주요 상권별 분포 · 상하이에서 주요 상권 중 가장 한식당의 분포도가 많은 지역은 우자오장 지 지역 · 기타 핵심 상권에는 일식당이 압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가운데 한식당의 수 는 적은 것으로 보임 <그림 Ⅱ-60> 상하이 주요 상권별 Ethnic Food 분포도 12
虹桥 南京东路
4
南京西路
9
9
淮海路
5
32 9
36
5
人民广场
28
32
21
일식당
22
12 11
23 31
59
한식당
16
7
36 24
18 10
32
3
18
20
7
五角场/大学区
15
16
29
9
中山公园
7
42
16
Italian
11
25
40
6
八佰伴
陆家嘴
12 30
5
徐家汇
6
28 8
万体馆 静安寺
84
33
American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오각장은 대학구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복단대를 비롯한 재경대, 상해 외 국어대, 동재대 등 여러 유명 대학들이 이 지역에 밀집되어있기 때문임 · 이곳에 한식당이 많은 이유도 대학의 밀집과 연관이 있는데 한국유학생들이 많이 몰리는 상권이자 거주 지역이기 때문임 · 오각장은 상해 정부의 도시 계획 일환으로 상업, 오락, 문화 중심으로 개발되 어 특색을 가진 쇼핑센터들로 구성되어 있어 주요 문화 쇼핑센터로 떠오르고 있음
8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4) 광저우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61> 광저우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10.5%
5.6% 12.7% French Italian American 태국
30.8%
베트남 인도 일본
34.7%
한국
2.2% 1.0% 2.5%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광저우에서의 Ethnic Food 식당의 점유율은 시장 전체 양상이나 베이징, 상하 이의 양상과도 많이 다름 - 미국식당이 34.7%로 가장 많은 식당 점유율을 차지 - 일식이 30.8%로 2위 - 이태리식당도 12.7%로 3위 - 일식과 서양식의 점유율이 높은 이유로는 광저우의 지역적 특성상 서양문화 와 선진문화에 가장 개방적인 사회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 · 이러한 서양문화 선호의 사회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광저우에서 한식은 조사 대상 7개 도시 중 가장 낮은 점유율을 기록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81
□ Ethnic Food별 식당 수 <그림 Ⅱ-62> 광저우 Ethnic Food 식당 수(전체 1,844개) American
491
373
일본
한국
130
Italian
125
인도
35
태국
28
프랑스
26
베트남
2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광저우에 있는 Ethnic Food 식당 총 1,844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하는 음식은 미국식으로 491개, 40%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일식이 373개, 30%로 그 뒤를 추격하고 있다. 한식이 130개, 10%이며 Italian(125개)과 근소한 차이를 보임 · 광저우는 베이징, 상하이와 비교하여 경제수준과 생활수준이 낮아 Ethnic Food 의 수요가 적어 싱가폴, 러시아, 지중해 식당은 없는 것으로 조사됨
8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Ethnic Food별 객단가 현황 <그림 Ⅱ-63> 광저우 Ethnic Food별 평균 객단가 (단 위: 위안 )
French
168
102
일본
Italian
93
70
태국
62
한국
52
American
49
인도
베트남
4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광저우에서의 Ethnic Food 중 가장 객단가가 높은 음식은 프랑스식으로 평균 객단가가 168위안이며, 일식(102위안),이태리식(93위안) 순 · 한식은 객단가 62위안으로 타 도시에서 하위권에 있던 것과는 달리 광저우 내 에 있는 Ethnic Food 식당 중 중간 정도의 가격대를 형성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83
<그림 Ⅱ-64> 광저우의 Italian과 American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American 가격대 분포
1
>500
3
200~500 2
120~200
6
50~80
1
200~500
2
120~200
3
80~120
4
80~120
>500
10 63
50~80
20~50
0
20~50
<20
0
<20
118 7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태리식의 가격대 분포 - 경우 모든 식당이 50위안 이상의 가격대를 형성, 그중 50~80위안의 가격대의 분포도가 가장 높음 · 미국식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20~50위안의 가격대 - 일부 80위안 이상의 가격대도 있었으나 20위안 이하의 가격대 또한 상당수 있어 타 지역 대비 저가로 포지셔닝 되어 있음
8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65> 광저우의 일식과 한식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American 가격대 분포
>500
2
>500
200~500
2
200~500
120~200
64
50~80
67
20~50
2 9
80~120
21
80~120
<20
200~500
17
3
15
20~50 <20
11
22
50~80
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식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20~80위안 사이에 분포 - 가장 많은 분포도를 보인 가격대는 80~120위안 · 한식의 가격대 분포 - 경우 50~80위안 가격대의 분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20~50위안의 가 격대가 많음 - 일부 200위안 이상의 고가 식당도 분포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85
□ 주요 상권별 분포 · 광저우에서 주요 상권 중 한식당의 분포도가 가장 많은 지역은 판위치타 지역 이며 이 상권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한식당의 수가 적음 · 특히 광저우 최고 유동인구 밀집 지역인 티엔허청에는 타 Ethnic Food 대비 한 식당의 수는 매우 소수 <그림 Ⅱ-66> 광저우 주요 상권별 Ethnic Food 분포도 8
番禺其他 1
滨江路沿线
4
2
珠江新城/跑马场
3
6
7
4
15
上下九地区 0
4
11
3
中山二三路/东山口
2
14 15
29
7
27
10
环市东路沿线
18 3 3
5 3 29
일식당
18 23 43
7 27
한식당
5 19
32 7
10
9 13
15
天河北/广州东站
北京路商业区
18
17
石牌/龙口
天河城/体育中心
13
4
中山七八路 0
江南大道沿线
2
34 11
Italian
29
American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중국 제일의 쇼핑몰’인 톈허청 중심의 상권은 10만 평방미터 규모의 대형 쇼핑 몰 및, 전람, 광고, 비즈니스, 체육시설 등 밀집되어, 젊은 층을 포함한 유동인 구 최대 지역으로 앞으로 한식당이 이 지역을 진출하여 공략을 해야 할 것임
8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5) 칭다오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67> 칭다오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7.8%
36.2%
22.0%
34.0%
Italian
American
일본
한국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칭다오에서는 한식과 일식이 전체 시장의 70% 수준을 차지 - 칭다오에서의 Ethnic Food 식당 점유율은 한식당이 36.2%로 가장 높음 - 일식당이 34%로 2위 · 이밖에도 미국식당이 22%, 이태리식당이 7.8%의 점유율을 차지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87
□ Ethnic Food별 식당 수 <그림 Ⅱ-68> 칭다오 Ethnic Food 식당수(전체 339개)
155
한국
94
일본
American
Italian
60
3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칭다오에 있는 Ethnic Food 식당은 총 339개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대비 훨 씬 적음 · Ethnic Food 식당 중 한식당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한식당 155개, 46% - 일식당 94개, 28% - 미국식당 608개, 18% · 칭다오 역시 베이징, 상하이는 물론이며, 광저우보다 경제수준과 생활수준이 낮아 음식의 다양성에 대한 욕구가 없기 때문에 Ethnic Food의 수요가 적어 한 식, 일식, American, Italian의 4대 Ethnic Food를 제외한 Ethnic Food 음식은 없음
8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Ethnic Food별 객단가 현황 <그림 Ⅱ-69> 칭다오 Ethnic Food별 평균 객단가
(단 위: 위안 )
87
American
85
일본
61
Italian
한국
55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칭다오에서의 Ethnic Food 중 가장 객단가가 높은 음식은 미국식으로 평균 객 단가가 87위안으로 타 지역의 최고 객단가 Ethnic Food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 이다. 그 다음으로는 일본(85위안)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며 Italian은 61위 안으로 세 번째를 차지함 · 한식은 평균 객단가 55위안으로 칭다오 Ethnic Food 식당 중 가장 낮은 객단가 였는데 칭다오에서 가장 점포수가 많은 한식당이 가장 낮은 가격으로 제공되 고 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89
<그림 Ⅱ-70> 칭다오의 Italian과 American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American 가격대 분포
0
>500
<500
200~500
200~500
120~200
120~200
1
80~120
1
80~120
1
50~80
5
20~50 <20
3
2
11
50~80 20~50
5
<20
1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태리식의 가격대 분포 - 모든 식당이 120위안 미만의 가격대로 형성이 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가격대는 50~80위안 · 미국식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 -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가격대는 Italian과 같은 50~80위안이며 그 다음으로는 20~50위안 - 미국식은 80위안 이상의 고가의 식당이 상당수 분포하고 있어 평균 객단가 가 높게 형성이 된 것으로 보임
9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71> 칭다오의 일식과 한식의 가격대 분포 일식가격대 분포
한식 가격대 분포
<500
>500 2
200~500
200~500 6
120~200 80~120
0
200~500 80~120
5
50~80
4
<20
669
50~80 6
20~50
497
815
20~50 <20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식의 가격대 분포 - 120위안 이상의 가격대와 80위안 이하의 가격대의 두 가지로 분류 - 특히 중간 가격대인 80~120위안이 없어 칭다오에서의 일식당은 양극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임 · 한식당의 가격대 분포 - 모든 식당이 20~120위안 사이에 분포 - 가장 많은 분포도를 보인 가격대는 20~50위안이다.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91
□ 주요 상권별 분포 · 칭다오에서 주요 핵심 상권에 대부분의 Ethnic Food들이 밀집해 있으며 특히 신흥 상권인 타이동 지역을 제외하고는 한식당이 많이 분포됨 <그림 Ⅱ-72> 칭다오 주요 상권별 Ethnic Food 분포도
8
麦岛大学区
石老人
火车站
台东
香港中路沿线
2
10
李村
1
3
2
일식당
11
15
58
57
Italian
1
4
5
10
한식당
2
1
6
7
1 0
5
12
1
0
2
5
湛山
28
American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미 다른 지역에는 한식당의 분포가 높아 한식당의 추가적인 진출이 불필요 하지만 앞으로의 발전의 가능성이 높은 타이동이 비교적 분포도가 낮아 타이 동 지역을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 한국의 명동과 같이 차 없는 거리로 조성된 신흥 번화가인 타이동은 구매력 높은 유동인구가 많아 높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임
9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6) 항저우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73> 항저우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9.1%
20.2%
35.0%
29.8%
5.8%
Italian
American
동남아
일본
한국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항저우의 Ethnic food 식당 - 미국식당은 35%로 가장 높은 점유율 - 일식당은 29.8%의 높은 점유율로 2위 - 한식은 20.2%로 3위 - Italian식이 9.1%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기타 동남아 Ethnic Food가 5.8%의 소규모 점유율을 차지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93
□ Ethnic Food별 식당 수 <그림 Ⅱ-74> 항저우 Ethnic Food 식당 수(전체 366개)
111
한국
Ame rican
108
82
일본
Italian
동남아
48
17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항저우에 있는 Ethnic Food 식당은 총 366개로 비록 칭다오보다는 조금 많은 숫 자이지만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대비 훨씬 적은 것으로 조사됨 - 한식당은 111개, 3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미국식당이 2위(108개, 29%) · 항저우 역시 베이징, 상하이는 물론이며, 광저우보다 경제수준과 생활수준이 낮아 Ethnic Food의 수요가 적어 일부 동남아 식당 17개(4.6%)를 제외하고는 존 재하지 않음
9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Ethnic Food별 객단가 현황 <그림 Ⅱ-75> 항저우 Ethnic Food별 평균 객단가 ( 단위 : 위안)
102
일본
American
100
동남아
Italian
한국
96
53
51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항저우에서 Ethnic Food 중 가장 객단가가 높은 음식은 일식으로 평균 객단가 102위안이고, 그 다음으로는 미국식(100위안), 동남아 음식(102위안) 순으로 이 어짐 · 항저우에서 한식당은 가장 점포수가 많으나, 객단가 51위안으로 항저우 내에 있는 Ethnic Food 식당 중 가장 낮은 가격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95
<그림 Ⅱ-76> 항저우의 Italian과 American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American 가격대 분포
>500
<500
200~500
200~500
120~200
120~200
4
80~120
4
80~120
1
50~80
22
20~50
13
3
50~80
19
20~50
18
<20
<2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태리식의 가격대 분포 - 이태리 식당의 경우 거의 모든 식당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 · 미국식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 - 80위안 이상의 식당도 어느 정도 있을뿐더러 200~500위안의 고가 가격대 또 한 분포 - 평균 객단가가 100위안 정도로 균형있게 형성된 것으로 조사됨
9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77> 항저우의 일식과 한식의 가격대 분포 일식 가격대 분포
한식 가격대 분포
>500
>500
200~500
3
200~500
12
120~200
12
50~80 9
20~50 <20
80~120
9
80~120
200~500 4
50~80
24
20~50 <20
1
30 1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식의 가격대 분포 - 타 Ethnic Food 대비 고른 분포를 보임 - 50~80위안의 가격대와, 120~200위안의 가격대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임 · 한식당의 가격대 분포 - 거의 모든 식당이 80위안 이하이며 그중 절반 이상이 50위안 미만으로 가격 이 형성됨 - 타 지역에서는 간혹 보이던 고 가격대의 고급 한식당 또한 항저우에서는 찾 아볼 수 없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97
□ 주요 상권별 분포 · 항저우에서는 일부 상권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주요 상권에 한식당이 고루 분 포되어 있는데 항저우 최고의 번화가로 각종 금융 기관 및 5대 백화점, 대형쇼 핑몰 등이 밀집되어 있는 무림광장 연안로 지역이 가장 매력적인 상권임 <그림 Ⅱ-78> 항저우 주요 상권별 Ethnic Food 분포도
朝晖地区 凤起路沿线
6
2
2
南山路 0 吴山广场/河坊街
高新文教区 西湖北线/黄龙 湖滨
11
19
5
한식당
1
6
13
일식당
10
6
5
15
Italian
5
4
4
8
3
2
2
6
武林广场
3
2
3
2
8
1
9
15
城站火车站
4
3
4
古墩路沿线
4
3
2
8 1
5
2
1
5
湖墅南路
American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9 11
9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7) 쑤저우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79> 쑤저우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8.3%
19.5%
39.9%
Italian
American
일본
한국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칭다오에서는 한식과 일식이 전체 시장의 70% 수준을 차지 - 일식당이 40%의 높은 점유율로 1위 - 미국식당이 32.3%로 2위 · 한식은 19.5%로 3위로 조사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99
□ Ethnic Food별 식당 수 <그림 Ⅱ-80> 쑤저우 Ethnic Food 식당 수(전체 366개)
American
129
126
일본
91
한국
Italian
46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쑤저우에 있는 Ethnic Food 식당은 총 366개로 항저우와 같은 수 - 미국식당이 129개로 33%의 높은 비중을 차지 - 근소한 차이로 일식당이(126개) 32%의 2위 - 한식당은 3위로 91개, 23%의 비중을 차지 - Italian이 46개로 12%의 비중을 차지 · 쑤저우 역시 경제수준과 생활수준이 낮아 음식의 다양성에 대한 욕구가 없기 때문에 Ethnic Food의 수요가 적어 한식, 일식, American, Italian의 4대 Ethnic Food를 제외한 기타 Ethnic Food 음식은 없음
10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Ethnic Food별 객단가 현황 · 쑤저우에서의 Ethnic Food 중 가장 객단가가 높은 곳은 일본식으로 평균 객단 가 101위안 · 미국식이 79.8위안, 한식이 68.4위안, 이태리식이 57.3위안으로 2, 3, 4위 · 한식 객단가가 조사 대상 7개 도시 중 가장 높은 도시로 나타남 <그림 Ⅱ-81> 쑤저우 Ethnic Food별 평균 객단가 ( 단위 : 위안) 101
일본
American
79.8
68.4
한국
Italian
57.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01
<그림 Ⅱ-82> 쑤저우의 Italian과 American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American 가격대 분포
>5 0 0
<500
2 00 ~5 0 0
200~500
1 20 ~2 0 0
120~200
80 ~1 2 0
80~120
5 0 ~8 0
21
2 0 ~5 0
9
3 4
50~80 20~50
15 20 19
<20
<2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태리식의 가격대 분포 - 모든 식당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중 대부분이 50~ 80위안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음 · 미국식의 가격대 분포 - 절반 이상의 식당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에 분포 - 80위안 이상의 가격대도 상당수가 분포되어 있어 평균 객단가가 79.8위안으 로 균형있게 형성
10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83> 쑤저우의 일식과 한식의 가격대 분포 일식가격대 분포
한식 가격대 분포
>500
>500
200~500
200~500
120~200
2
120~200
80~120
15
20~50
2
80~120
11
50~80
1
12
19
50~80 12
20~50 <20
<20
8
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식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50~80위안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 가격대를 중심으로 80 위안 이상의 가격대와 20~50위안의 가격대가 동등하게 분포 · 한식당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50~80위안의 가격대에 분포 - 120위안 이상의 가격대를 제공하는 일부 고급 한식당들도 보이는 반면 20위 안 이하의 저렴한 가격대를 제공하는 식당 또한 조사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03
□ 주요 상권별 분포 · 쑤저우에서는 각 상권별로 한식당의 분포의 격차가 매우 크다. 그중 가장 매력 적인 입지로 보이는 곳은 관천지에라는 상권지역 <그림 Ⅱ-84> 쑤저우주요 상권별 Ethnic Food 분포도
常熟市
左岸商业街
16
观前街地区
7
15
2
5
8
十全街/凤凰街
14
6
6
일식당
24
6
33
한식당
13
4
12
5
2
1
1
2
石路地区
4
3
1
2
南门/盘门
3
1
4
4
6
2
5
9
娄葑镇
1
7
6
2
2
吴江市
昆山市
0
7
长桥地区
Italian
American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관천지에는 차 없는 거리로 한국의 명동과 같이 젊은 층과 관광객 유동인구가 많은 최대의 번화가로 이미 7백여 년전부터 쑤저우 안에서 가장 사람들이 몰 리는 상업거리 · 오랜 상업거리인 만큼 오랜 전통의 쑤저우 요리 식당 즐비하여 있고 백화점, 옷가게, 바 등 또한 많이 입점해 있음
10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8) 텐진 □ Ethnic Food별 시장 점유율 <그림 Ⅱ-85> 텐진 Ethnic Food 식당 Market Share 10.6%
31.2%
28.0%
30.2%
Italian
American
일본
한국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한식당, 일식당, 미국식당이 28%~31% 수준으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음 - 한식(31.2%)이 근소한 차이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 - 일식당 30.2%로 2위, 미국식당 28%로 3위 · 이태리식당이 10.6%로 4위, 태국, 베트남, 인도, 프랑스와 같은 기타 Ethnic Food는 텐진에 없는 것으로 조사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05
□ Ethnic Food별 식당 수 <그림 Ⅱ-86> 텐진 Ethnic Food 식당 수(전체 366개)
183
한국
American
107
65
일본
Italian
51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텐진에 있는 Ethnic Food 식당 수는 366개 - 한식당은 183개로 45%의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 - 미국식당이 107개로 26%의 비중을 차지 - 일본(65개, 16%), Italian(51개, 13%) 순 · 텐진 역시 비록 중국 4대 특별시이지만 경제수준과 생활수준이 낮아 음식의 다 양성에 대한 욕구가 없기 때문에 Ethnic Food의 수요가 적어 한식, 일식, American, Italian의 4대 Ethnic Food를 제외한 기타 Ethnic Food 음식은 없는 것으로 조사됨
10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Ethnic Food별 객단가 현황 <그림 Ⅱ-87> 텐진 Ethnic Food별 평균 객단가 ( 단위 : 위안)
116.3
일본
Americ an
Italian
한국
65.4
51.9
42.7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텐진에서의 Ethnic Food 객단가 - 일본이 가장 높아 평균 객단가가 116.3위안 - 다음으로 미국식(65.4위안), 이테리식(51.9위안) 순 - 한식은 객단가 42.7위안으로 텐진 내에 있는 Ethnic Food 식당 중 가장 낮은 가격이자 7개 도시 중 가장 객단가가 낮음 - 한식은 텐진 Ethnic Food 식당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지만 가장 낮은 가격 으로 제공되고 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그림 Ⅱ-88> 텐진의 Italian과 American의 가격대 분포 Italian 가격대 분포
American 가격대 분포
>500
>500
200~500
200~500
120~200
120~200
8
80~120
80~120
8
50~80
30
20~50 <20
19
50~80
29 55
20~50 <20
2
3
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이태리식의 가격대 분포 - 모든 식당이 80위안 이하의 가격대를 형성 - 20위안 이하의 저가의 가격대에도 어느 정도 분포 · 미국식의 가격대 분포 - 대부분이 20~50위안의 가격대 - 80위안 이상의 중고가 가격대에도 소수 분포 - 20위안 미만의 저가 가격대도 일부 분포
107
10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89> 텐진의 일식과 한식의 가격대 분포 일식가격대 분포
한식 가격대 분포
>500
>500 200~500
200~500
3 30
120~200
50~80 20~50
80~120
8
80~120
120~200 8
50~80
2 12
43
20~50 <20
<20
103 28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식의 가격대 분포 - 절반 이상이 120~200위안으로 분포되어 있어 일식의 가격이 타 Ethnic Food 대비 상당히 높게 포지셔닝 되어 있음 - 50위안 이하의 가격대의 식당도 상당수 분포되어 있어 모든 일식이 고가로 포지셔닝 된 것은 아니며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는 일식도 있음 · 한식당의 가격대 분포 - 거의 모든 식당이 50위안 미만으로 형성 - 80위안의 가격대의 분포는 매우 적은 반면 20위안 이하의 저가의 분포도는 상당수 있어 한식의 가격대는 매우 낮게 포지셔닝 되어 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09
□ 주요 상권별 분포 · 텐진에서의 한식당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핵심 상권에 밀집되어 있으며, 일 식과 이태리식의 분포는 저조한 반면 미국식의 분포도가 높은 편이다. <그림 Ⅱ-90> 텐진 주요 상권별 Ethnic Food 분포도
南市
1
6
佟楼/永安道
塘沽区
和平路/滨江道
13
29
한식당
일식당
Italian
23
7
16
41
10
8
5
37
鞍山西道沿线
21
9
29
27
八里台/水上
13 27
2
7
5
2
3
17
小白楼/国际大厦 比萨
4
4
2
15
中山路/狮子林大街
6
2
2
8
图书大厦/人民公园
黄家花园/五大道
9
3
2
2
7
4
11
22
宾水道/体院北 三马路/老城厢
4
2
3
1
9
2
10
28
American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한식당이 많은 지역도 많지만 텐진에서 가장 매력적인 상권은 빈짱따오 지역 - 빈짱따오는 텐진 최대 번화가로 중국 최대 규모의 의류상점이 밀집되어 있 으며 외국계 백화점 및 KFC, 스타벅스, 피자헛 등 각종 외국음식점이 입점하 고 있는 지역 - 현재 한식당의 분포가 다른 Ethnic Food에 비해 가장 많은 편이지만 앞으로 도 이 상권에서의 한식당 분포를 유지/확장해야 할 것임
11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한식 선호도 조사 가. 고객 이미지 분석 1) 연상 이미지 □ 한국에 대한 이미지 <그림 Ⅱ-91> 한국에 대한 연상이미지 TOP 10 25%
드라마/영화 16%
김치 13%
성형/미용 5%
경제
4%
불고기 한국음식
3%
패션/의류
3%
유명스타
3%
축구
2%
서울
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중국인들에게 한국에 대한 연상 이미지를 설문한 결과 드라마/영화가 25%로 가장 높아 한류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한국에 대한 연상 이미지로 성형/미용, 한식, 패션/의류, 유명스타, 스포츠 등 이 조사되었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11
□ 한식에 대한 이미지 <그림 Ⅱ-92> 한국음식에 대한 연상이미지 TOP 10 17%
맛있는 12%
간단한 매운
10%
깨끗한
10% 9%
건강에 좋은 7%
담백한
6%
괜찮은 강한
3%
평범한
2%
다양한
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중국인들에게 한국음식에 대한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한국음식은 맛있 다.”라는 응답이 17%로 가장 많았음 · 그밖에 간단하고, 맵고 깨끗하고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많아 한식이 대부분 좋 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11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식당에 대한 이미지 · 중국인들에게 한식당에 대한 연상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이 나온 응답 은 김치인 것으로 나타남 · 그밖에 청결하고, 맛있다는 긍정적인 이미지가 많이 조사됨 · 드라마/영화, 유명 스타 등의 응답도 상당수 있었는데 한류를 통한 한국문화에 대한 좋은 이미지에서부터 나온 것으로 보여 한류가 끼치는 전반적인 영향력 이 클 것으로 예상됨 <그림 Ⅱ-93> 한식당에 대한 연상이미지 TOP 10 10%
김치 7%
드라마/영화 청결한
6%
맛있는
6%
보리차
6%
성형/미용
6% 5%
불고기 3%
유명스타 매운
2%
양이많은
2%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13
2) EthnicFood별 브랜드 속성 비교 □ 한식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그림 Ⅱ-94> 한식의 브랜드 속성 설문 결과 Luxurious
1.1%
Affordable
9.6%
Diverse
3.3%
Simple
8.2%
Traditional Modern
9.2% 1.7%
Stylish
3.2%
Nutritious
6.2%
Unique Universal
3.0% 1.9%
Healthy
11.8%
Clean
14.3%
Creative Plentiful
3.7% 1.3%
Reliable Fast
5.8% 1.0% 5.6%
St rong Fresh Familiar Family-Oriented
2.0% 3.0% 4.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한식의 브랜드 속성에 대한 설문을 한 결과 중국인은 한식의 속성에 대해 깔끔 하고(14.3%), 건강한 음식(11.8%)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전통적(9.2%)이며 저렴하다(9.6%)는 응답도 많이 조사됨
11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일식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그림 Ⅱ-95> 일식의 브랜드 속성 설문 결과 7.5%
Luxurious Affordable
3.1%
Diverse
3.1%
Simple
5.8%
Traditional
5.7%
Modern
5.7% 4.5%
Stylish
6.1%
Nutritious
5.1%
Unique 3. 4%
Universal
9.0%
Healthy
10.9%
Clean 3.2%
Creative Plentiful
0.2% 4.9%
Reliable 2.8%
Fast St rong
0.6%
Fresh Familiar Family-Oriented
13.0% 2. 9% 2.5%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일식의 브랜드 속성의 경우에는 신선하다(13%)는 인식이 강했으며 깔끔(10.9%) 하며 건강한 음식(9%)이라는 인식도 강한 것으로 나타남 · 그밖에 고급스럽다(7.5%)는 인식도 높은 편으로 조사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15
□ 중식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그림 Ⅱ-96> 중식의 브랜드 속성 설문 결과 Luxurious
1.2% 7.2%
Affordable
11. 9%
Diverse 2.7%
Simple
5.9%
Traditional Modern
0.5%
Stylish
0.6% 9.6%
Nutritious Unique
1.0% 10.6%
Universal 7.6%
Healthy Clean Creative
1.7% 1.0% 6.7%
Plentiful 3.0%
Reliable Fast
1.0% 3.8%
St rong Fresh
1.9% 12.8%
Familiar Family-Oriented
9.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중식의 브랜드 속성은 익숙하며(12.8%), 보편적인(10.6%)이라는 속성이 높게 조사되었음 · 음식이 다양하고(11.9%) 가족적인 분위기(9.2%)라는 응답도 상당수 있었으며 영양가가 있다(9.6%)는 응답 또한 상당수 존재함
11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태국식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그림 Ⅱ-97> 태국식의 브랜드 속성 설문 결과 Luxurious
1. 1% 5.7%
Affordable
7.2%
Diverse Simple
1.0% 3.0%
Traditional
9. 8%
Modern
10.0%
Stylish 4.1%
Nutritious
18.8%
Unique 3.4%
Universal Healthy Clean
1.2% 1.4% 5.9%
Creative Plentiful
1. 1% 4.0%
Reliable Fast
0. 4% 10.4%
St rong Fresh
3.7% 6.9%
Familiar Family-Oriented
0.9%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태국식의 브랜드 속성에 대한 설문을 한 결과 태국의 음식은 독특하다(18.8%) 는 이미지가 가장 강했으며 그 외에 맛과 향이 강한(10.4%) 음식이라는 이미지 와 함께 모던(9.8%)하며 스타일리쉬(10%)하다는 응답이 많았음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17
□ Italian식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그림 Ⅱ-98> Italian식의 브랜드 속성 설문 결과 7.3%
Luxurious 3. 9%
Affordable
5.5%
Diverse 3.1%
Simple
7.3%
Traditional
11. 9%
Modern Stylish
4.5%
Nutritious
4.6%
Unique
4. 7% 6.0%
Universal Healthy
1.9% 5.1%
Clean 3.5%
Creative Plentiful
2.2% 6.7%
Reliable Fast St rong Fresh Familiar Family-Oriented
1.8% 2.6% 5.1% 6.5% 5.7%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Italian식의 브랜드 속성에 대한 설문을 한 결과 모던하다(11.9%)는 이미지가 가 장 강했으며 고급스럽고(7.3%), 전통적(7.3%)이라는 응답이 많았음 · 기타 신뢰가 가는(6.7%) 음식이며 익숙하고 보편적이라는 인식도 있음
11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국가별 속성 비교 · 일식은 신선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 · 태국은 강한 맛과 향으로 독특하며 스타일리쉬한 이미지 · 이태리식은 보편적이고 익숙하지만 고급스럽고 모던한 이미지 · 한식은 깔끔하고 건강한 이미지로 자리 잡고는 있지만 고급스러움과 모던함은 없었으며 한식당의 수는 많지만 익숙한 이미지도 아님 - 평균 객단가가 매우 낮아 저렴한 이미지로 인식됨
나. 고객 외식 패턴 분석 1) 한식당 이용 현황 · 중국인의 61%가 주 2회 이상 외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됨 · 월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중국인은 90%로 거의 모든 중국인들이 외식을 즐겨 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식당을 주 2회 이상 이용하는 중국인은 9.3%로 한식을 즐겨 먹는 중국인은 적음 · 한식당을 주 1회 ~ 월 1회 정도의 주기로 이용하는 중국인은 67.8%로 절반 이 상인 것으로 나타나 중국인의 한식당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보임 <그림 Ⅱ-99> 중국인의 평균 외식 빈도와 한식당 이용 빈도 61.6%
주2회 이상
29.0%
9.3%
58.5%
주1회~월1회
20.6%
0.8%
년 1회 이상
8.5%
거의 하지 않 11.5% 음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19
· 한식당을 이용하는 중국인들을 나누어 보면 전체적으로 전 연령대에 걸쳐 고 르게 한식당을 이용하고 있으나 40대의 한식당 이용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 났음 - 40대 중에는 주 2회 이상 한식당을 이용하는 사람은 없었으며 한식당 이용을 거의 안한다는 응답이 2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그림 Ⅱ-100> 연령별 한식 이용 빈도 50대~
40대 0%
30대
11%
20대
10%
10대
9%
주2회 이상
24%
19%
57%
15%
14%
61%
10%
23%
58%
18%
64%
주1회~월1회
10%
10%
70%
10%
년1회 이상
9%
거의 안함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한식이 주로 10~30대에게 인기가 많은 것으로 보임 - 10대의 경우에는 한식당을 거의 이용 안한다는 응답률이 가장 낮았음 - 20~30대는 주 2회 이상 한식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됨
12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Ⅱ-101> 소득별 한식 이용 빈도 (단위: 위안) 19,0 00~
7 ,000~11,000 3,000~7,000
51%
주 2회 이상
1 9%
21%
9%
44%
11%
24%
25%
주 1회 ~ 월 1회
5%
21%
61%
7%
~3,000
18%
59%
1 0%
0%
11%0%
62%
14 %
15 ,000~19,000 11 ,000~15,000
78%
11 %
19%
19%
년 1회 이 상
거 의 안함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소득수준별로 보게 되면 소득이 높아질수록 한식당 이용 빈도가 줄어드는 것 으로 나타남 · 3000위안 미만의 소득수준의 중국인의 경우에는 주 2회 이상 한식당을 이용하 는 사람이 19%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음 - 한식당의 평균 객단가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21
2) 한식당 이용 Occasion <그림 Ⅱ-102> 외식 상황별 Ethnic Food 선호도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외식 빈도 순위 - 1위 : 친구모임 28.8% - 2위 : 가족식사 26.8% - 3위 : 일상식 25.7% · 전체적으로 중식 선호가 절대적인 우위에 있음 · Ethnic Food의 상황별 선호도를 보면 먼저 기념일의 상황에는 다른 상황 때보 다 Italian과 French의 선호도가 높음 · 한식은 기념일, 비즈니스 상황에서는 선호도가 다른 Ethnic Food 대비하여 떨 어지고, 친구 모임이나 가족식사와 같은 분위기에서는 다른 상황에 대비 많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12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다. 고객 선호도 분석 1) Ethnic Food별 선호도 □ 한식 및 Ethnic Food 선호도 비교 <그림 Ⅱ-103> 연령별 Ethnic Food 선호도 100
Korean
94
Japanese 81
Italian 32
Thailand
26
French Vietnamese
5
Indian
3
German
3
Maxican
2
Other
2
•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중국 소비자들의 Ethnic Food별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국 음식인 중식을 제 외한 Ethnic Food 중 선호하는 Top3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여 1위 3점, 2위 2점, 3위 1점을 적용하여 순위를 측정함 · 중국에서는 한식과 일식이 가장 대중적으로 선호되고 있는 가운데 한식의 선 호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한식, 일식, 이태리식, 태국식, 프랑스식에 선호도가 편 중되어 있음. 그중 이태리식은 대중적이면서도 1위로 선택되는 빈도가 가장 높 아 소비자들의 선호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23
□ 연령별 선호도 · 연령별 Ethnic Food 선호도를 보면 20대에서 가장 다양한 Ethnic Food의 분포를 보이는 가운데 한식을 가장 선호하는 연령층은 30대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Ⅱ-104> 연령별 Ethnic Food 선호도
50대~ 0%
100%
40대 0%
30대
20대
10대
0%
33%
30%
23%
67%
10%
12%
20%
20%
Korean
French
0%
47%
13%
49%
6%
50%
Italian
0%
Japanese Others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타국의 다양한 음식문화에 대한 수용성과 개방성이 낮아짐 - 40대는 이태리식과 프랑스식 외의 Ethnic Food에 대한 선호가 없음 - 50대에서는 이태리식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이태리식은 전 연령층의 절반 이상이 가장 선호하는 음식으로 나타남 · 일식은 20~30대의 소수가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됨
12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월 소득별 선호도 · 월 소득별 Ethnic Food 선호도에서도 역시 Italian이 전 연령층이 선호하는 음식 으로 나타남 · 한식당의 선호도는 고소득층, 저소득층에서 많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 Ⅱ-105> 월 소득별 Ethnic Food 선호도 (단위 : 元) 19,000~
15,000~19,000
11,000~15,000
~3,000
25%
9%
43%
16%
18%
30%
15% 0%
0% 3%
71%
15%
10%
Korea Frenc Frenc Korea
0%
5% 0%
50%
11%
25%
38%
12%
32%
7,000~11,000
3,000~7,000
0%
75%
50%
6% 0%
5%0%
JapaneOther Other ItaliaItalia Japane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25
□ 한식 선호-비선호 이유 · 한식을 선호하는 이유 - 맛이 있다는 응답이 29%로 가장 많음 - 건강에 좋음(15.5%), 적당한 가격(13.8%), 독특한 요리법(13%)도 주된 한식 선 호 이유로 조사됨 <그림 Ⅱ-106> 한식 선호 이유 / 비선호 이유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비선호 이유 - 단순한 메뉴라는 이유가 32.6%로 가장 많음 - 가격이 비싸서(22.2%), 자극적인 맛과 향(16.3%), 너무 매워서(14%)라는 점이 주된 한식의 비선호 이유 - 적당한 가격이라는 의견과 가격이 비싸다라는 의견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한식당 간의 질적 차이가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12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식당 선호도 □ 식당 선택 시의 중요도 <그림 Ⅱ-107> 식당 선택 시 중요도
평균: 6.1점 7. 5
음식 의 맛 메뉴 의 다양 함
5 .2 7 .0
재료 의 신선 함
5. 6
저 렴한 가 격 신 속함 과 편리 함
5 .2
지리 적 접근 성
5 .2
고급 스러 운 분위 기
5. 4
평 판과 추 천
6 .3
친절 한 서비 스
7 .1 0
2
4
6
8
1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중국인이 식당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3가지 부분은 음식의 맛과 친절 한 서비스 그리고 재료의 신선함인 것으로 파악됨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27
□ 한식당 평가 · 한식당에 대한 평가에서는 음식의 맛과, 식 재료, 서비스 차원에서는 다소 긍 정적인 평가를 보인 반면, 메뉴의 다양성이나 지리적 접근성이 타 Ethnic 식당 에 비하여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 Ⅱ-108> 한식당 평가(타 Ethnic 식당 대비)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12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한식 선호도 □ 최초 연상 한식 · 한식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식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김치가 가 장 많았으며 돌솥비빔밥과 냉면, 된장찌개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 로 조사되었음 · 대부분이 불고기, 바비큐, 갈비, 삼겹살 등의 다양한 육류 음식을 인지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음식 명들이 대체적으로 구체적 인 것으로 보아 중국에서 한식의 인지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Ⅱ-109> 한식당 평가(타 Ethnic 식당 대비) 18.4%
김치
11.6%
불고기
9.3%
돌솥비빔밥
8.8%
냉면
7.0%
바비큐,갈비 삼겹살 떡볶이 된장찌개 김밥
5.4% 4.8% 4.4% 2.4%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 한식 선호도-만족도 조사(20개 메뉴) <그림 Ⅱ-110> 메뉴별 만족도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129
13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전반적인 한식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남 - 가장 만족도가 높은 음식으로는 비빔밥과 불고기 - 닭갈비, 냉면, 잡채, 떡볶이 등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인지도면에서는 죽(31%)과 칼국수(33%)가 가장 낮았으며 그 밖에도 국밥, 닭갈 비, 동치미국수 등이 중국인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음식인 것으로 조사됨
4) 식재료 선호도 □ 육류 선호도 · 육류의 경우 다른 식재료에 비해 선호/비선호가 뚜렷 - 소고기는 전반적으로 선호 - 돼지고기는 선호와 비선호가 비슷함 - 닭고기와 양고기는 중국인들이 비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됨 <그림 Ⅱ-111> 육류 선호/비선호도 선호
25%
30%
돼지고기
양고기
2%
4 9%
소고기
닭고기
비선호
22%
13%
48%
8%
0%
20%
40%
60%
8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100%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 생선류 선호도 · 생선류의 경우 육류와 같이 다른 식재료 대비 선호/비선호가 뚜렷 - 한편으로 새우, 흰살 생선을 선호 - 조개류, 오징어/문어를 상대적으로 비선호 - 붉은 살 생선과 게는 선호와 비선호가 비슷한 비율로 조사됨 <그림 Ⅱ-112> 생선류 선호/비선호도 선호 흰 살 생선
22%
10%
13%
붉 은 살 생선
10%
30%
새우
게
14%
오 징 어 ,문어
13%
조 개류
비 선호
11%
14%
18%
7% 0%
34% 20%
40%
60%
8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100%
131
13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야채류 선호도 · 대부분 선호/비선호가 뚜렷하지 않은 가운데 버섯, 감자, 배추는 선호가 뚜렷 하게 나타났으며 깻잎, 당근, 콩, 도라지의 비선호도 뚜렷함 · 다른 나라에 비해 버섯을 선호하며 깻잎, 당근에 대한 비선호가 높음 <그림 Ⅱ-113> 야채류 선호/비선호도 선호
비선호
13%
배추
3%
무 6%
8%
오이 6%
4% 4%
시 금치 6% 깻잎
20%
1%
호박 4%
4%
양파 4%
6% 1%
18 %
감자 고 구 마 5% 당근
2%
0%
16%
콩 6%
1 4%
버섯 콩 나물
3%
29 %
3%
1%
도 라지 0%
1 2%
2% 20%
40 %
60 %
8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100%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33
□ 양념류 선호도 · 중국인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양념류, 특히 장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됨 · 고춧가루, 고추장, 간장, 된장, 깨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생강, 들깨, 겨자를 비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Ⅱ-114> 양념류 선호/비선호도 선호 마늘 파 생강
비 선호
14%
1 3%
7%
4% 19 %
1% 19%
고추가루 고추장
1 2%
간장
11 %
된장
8% 4% 1% 5%
13%
깨
11 %
3%
들깨
3%
14 %
참기름
7%
9%
겨자
22%
2% 0%
20%
4 0%
60 %
8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100 %
13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곡류 선호도 · 곡류의 선호/비선호는 뚜렷한 편 - 맵쌀의 경우 압도적으로 선호 - 찹쌀, 밀가루, 보리는 비선호하는 경향 - 특히 보리는 압도적으로 비선호가 많음 <그림 Ⅱ-115> 곡류 선호/비선호도 선호
비 선호
58%
맵쌀
찹쌀
3%
17% 17%
21%
20% 20%
밀 가루
40%
보리 4% 4%
34%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기타 식재료 · 기타 식재료에서는 두부, 팥, 녹두를 선호하는 성향을 보인 반면에 젓갈, 해조 류, 인삼을 비선호하는 성향이 나타남 <그림 Ⅱ-116> 기타 식재료 선호/비선호도 선호
비 선호
31 %
두부
12 %
22 %
팥
10%
녹두
14%
인삼
1 3%
2 3%
해조류
12 %
22%
젓갈
6%
7%
0%
26 %
20 %
40 %
60%
80%
1 00 %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Ⅱ. 중국 시장환경 및 경쟁력 분석
135
5) 조리방식 선호도 · 육류의 경우 구워서 먹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볶아서 먹는 것을 선호 · 야채의 경우에는 생으로 먹거나 볶아서 먹는 것을 가장 선호 · 생선류에서는 구이와 회를 선호 <그림 Ⅱ-117> 식재료별 조리방식 선호도 11% 27% 구이
37% 32%
5%
30%
볶음
25%
생(채)
3%
튀김, 전
18%
국, 탕
17%
12%
육류
야채류
37% 16%
8% 22%
생선류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6) 국가별 입맛 분석 · 매운맛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매운맛-단맛-신만-짠맛-쓴맛 순 <그림 Ⅱ-118> 입맛별 선호도 매우 좋아함
5 4.5
약간 좋아함
4 3.5
보통
3 2.5
약간 싫어함
2 1.5
매우 싫어함
1
쓴맛
짠맛
매운맛
신맛
단맛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3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중국 내 식재료 유통 현황 가. 시장 규모 및 주요 PLAYER 1) 시장 규모 · 중국 경제는 중국정부가 민간 부문의 소비를 중점적으로 촉진시키는 정책을 지속하면서 세계적인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성장세임 - 특히 지역별로 낙후지역인 내륙도시의 성장률이 연해지역보다 높아 중국 소 비 시장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 · 중국의 식품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2007년 기준 약 1,044억 달러(RMB 793.1 billion) · 상하이, 북경, 광저우 등 대도시들이 중국 식품 시장의 중심을 이루고 있고 Hypermarket, Supermarket, Convenience Store가 대도시들에서의 식품 판매의 주 를 이룸 · 대도시들의 시장은 점차 포화상태에 다다르고 있으며 식품 체인들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M&A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중 - 식품 시장의 빠른 발전이 브랜드 간 경쟁을 가속화하고 기업 파산 주기를 단 기화시킴 · 소수의 대기업에 의한 시장 장악 현상이 뚜렷함 - 식품 산업은 대체성이 뚜렷하고 빠른 소비품 업종에 속하므로 경쟁이 치열 하면 할수록 이윤이 급속히 감소함 - 그렇기 때문에 일정한 규모를 갖춘 상태에서 선진적인 관리 시스템과 마케 팅 능력을 갖춘 대기업에 의해 장악될 수밖에 없음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39
<그림 Ⅲ-1> 중국 식품 시장 규모 900 800 (in Billion RMB)
700 600 500 400 300 200 100 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 Source: China, PeoplesRepublic of Retail Food Sector ALL ChinaRetail Annual Report, 2008
2) Major Player · 중국의 유통업체는 크게 Hypermarket / Supermarket / Convenience Store로 나누 어짐 - Hypermarket은 CR Vanguard, 월마트, 까르푸 등으로 2007년 중국에서 가장 큰 Hypermarket은 홍콩의 CR Vanguard임 ꋭ CR Vanguard의 매출 규모는 약 502억 위안이며 중국 내 2,539개 매장 ꋭ 까르푸, 월마트, 테스코 등이 대표적인 Hypermarket
- Supermarket은 중국에서 가장 보편화된 형태의 식자재 매장으로 중국 본토 출신인 苏果(쑤꿔)가 전국 1,758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뒤로는 物美 (우마트)가 대표적임 - Supermarket/Hypermarket은 Supermarket과 Hypermarket의 중간 형태로 联华超 市가 전국 3,848개 매장을 가지고 있음 - Convenience Store는 편의점으로, Hypermarket/Supermarket에 비하면 성장이 더딘편임 ꋭ 선두 업체로는 Nonggongshang, Quik C-sTores, Kedi C-stores, 7Eleven 등
14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표 Ⅲ-1> 중국 내 유통업체 매장 수 및 매출액
구분
소유 소매점 브랜드
Nonggongshang 3,226
Convenience Supermarket/ Convenience Supermarket
매장 매출액 점당매출 베이징 상하이 칭다오 수 (억위안) (억위안) (개) (개) (개)
로컬 기업
Supermarket/ Hypermarket
Hypermarket
외자 기업
광저우 (개)
220
联华超市 (리엔화)
3,848
181
苏果(쑤꿔)
1,758
264
物美(우마트)
718
279
世纪联华 (스지리엔화)
110
物美(우메이)
91
華潤萬家 2,539 (CR Vanguard)
다롄 (개)
0.05
N/A
N/A
N/A
N/A
N/A
98
0.89
6
29
0
0
0
79
0.87
15
0
0
0
0
502
家乐福(까르푸)
132
400
3.03
11
19
2
3
5
沃尔玛(월마트)
120
155
1.29
6
3
1
3
0
好又多 (하오요뚜어)
101
132
1.31
4
10
1
3
16
易初莲花 (로터스)
76
157
2.07
8
21
1
0
3
乐购(테스코)
56
118
2.11
2
18
0
3
0
* Source: 中国商业信息中
나. 유통 구조 및 트렌드 1) 유통 구조 · 중국 경제의 빠른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질 좋은 도·소매점이 많아졌지만 중 국 전체적인 유통 채널의 성장은 미미 - 일부 대도시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전국적인 체인망이 확보되지 않았음 · 유통의 시작은 생산자이고, 종착은 소비자 내지 사용자이며, 중간에 상품 거래 활동에 참가하는 중간 상인으로 도매상, 소매상, 대리상 등이 있음 - 도매상과 소매상은 거래 활동 중에 상품 소유권을 확보하여 매매가격의 차 이를 이익으로 확보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41
- 대리상(代理商)은 거래 활동 중에 상품 소유권을 확보하지 아니하고 생산자 로부터 수수료를 취득하는데 통상적으로 거래 금액의 일정 비율을 수취 - 중간 상인은 도매상이나 소매상, 상품의 소유권을 갖는 역할과(중국에서는 이를 찡쑤워(중개판매)라고 함) 대리인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대리상의 역할 (중국에서는 이를 따이샤오(대리판매)라고 함)을 하기도 함 - 중간 판매는 소유권 이전을 전제로 한 매매 행위인데 반해, 대리 판매는 상 품의 위탁 판매이기 때문에 판매되지 않은 제품에 대한 반품 허용 · 대리 판매는 출하물량이 많고 관리가 용이하나 판매 단가가 상승하고, 중간 판 매는 가격 경쟁력 확보와 시장 정보 습득이 용이하나 관리가 어려움 · 중국에서 판매 활동은 중간 판매와 대리 판매의 방식이 이용되며, 때로는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되 먼저 대리상을 통해 대리 판매 방식으로 하고 나중에 중간 판매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활용됨 · 그러나 유통 단계가 많음에 따라 판매 단가 상승, 시장 정보 교류 지연, 대리상 의 영향력 증대 등 불리한 점도 있음 · 생산재는 생산자의 직접 판매가, 소비재는 중간 상인을 통한 간접 판매가 보편 화 · 일반적으로 생산재와 소비재가 각기 다른 유통 형태를 보이는데, 중국 시장에 서 생산재의 80%, 소비재의 20%가 생산자의 직접 판매 방식으로 이루어짐 - 생산재의 경우 수요자의 특별 요구에 의해 제작되어 공급되는 경향이 있는 데다, 수요자의 숫자가 적고, 산업의 집중화에 따라 지역적으로 집중화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 · 소비재의 경우 수요자가 지역적으로 광범위하게 걸쳐 있고 지역에 따른 상관 습 등의 차이로 인해 생산자의 직접 판매보다는 중간 상인을 활용한 방법이 보다 보편화 · 하지만 중간 단계를 많이 거치기 때문에 재고 관리와 대금 회수가 어려움 특히 소매업계에서는 공급원에 대한 물품대금지급을 판매조건부 후불제로 하는 방 식이 보편화되어 있어 거래 리스크가 매우 큼
14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대부분의 유통이 store-by-store, city-by-city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소매점들은 지역 담당 공급업체에 의해 식품을 공급 받음 - 소매점들이 지역 공급업체를 선호하는 이유는 지역 공급업체의 규모가 대체 로 작기 때문에 더 높은 교섭력(BargainingPower)을 갖고 있어 판매되지 못한 재고들을 회수해가게 하고 신제품을 입점하는데 높은 비용을 공급업체에 부 담하게 할 수 있기 때문 - 통합된 유통 시스템의 부재가 신선 재료의 지역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더욱 높였음
2) 유통 트렌드 □ 외국 기업의 진출 가속화 · 2005년 지역, 지분 제한, 수량 등의 제한조치를 모두 폐지하면서 유통시장 전 면 개방화 · 과거의 천편일률적인 신규설립 방식에서 벗어나 M&A 방식도 널리 행해짐 · 이 때문에 외국기업의 수가 증가하며 로컬기업과 외국기업의 경쟁 심화 - Hyper/Super market, Convenience Store의 수 및 매출 증가 · 2008년 100대 유통기업에 포함된 19개 외국기업의 매장 수는 전년 대비 13.1% 증가한 4613개로 조사됨 - 특히 까르푸, 월마트, RT마트와 같은 주요 외국 유통기업은 20%의 증가율을 보임 · 외국기업은 주로 동남연안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대도시의 높은 임대료와 경쟁으로 인해 최근 중소 지방 도시로 진출하고 있음 - 대도시와 지방 중소 도시의 임대료가 약 4배 차이 남 - 금융위기 이후 중국 지방 도시의 임대료가 전체적으로 내려감 · 2008년 9월, 외국 소매점의 심사 및 허가권이 상무부에서 성(省)급 상무부문으 로 이양한 점도 주요 이유로 작용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그림 Ⅲ-2> Hyper/Super market 점포 수
143
<그림 Ⅲ-3> Hyper/Super market 매출 (단위: 억 위안)
25,185
3,332
2,838 21,066
2006
2007
* Source: 国家统计局
<그림 ⅢI-4> Convenience Store 점포 수 17,126
2006
2007
* Source: 国家统计局
<그림 Ⅲ-5> Convenience Store 매출 (단위: 억 위안)
247
13,817
206
2006
2007
* Source: 国家统计局
2006
2007
* Source: 国家统计局
□ 외국 기업의 진출로 소매 유통 다양화 · 중국의 소매 유통이 백화점 위주였으나 외국인 유통기업이 대형 슈퍼마켓, 창 고형 할인점, 편의점, 전문점 등으로 진출하면서 중국 소매 유통 다양화 · 외국 유통 기업은 영업 형태를 불문하고 대부분 다수 매장 확보를 통해 비용을 절감, 대형 슈퍼마켓 분야에 진출한 기업도 이와 같은 방식을 도입해 생산자 로부터 공급 가격을 인하함 · 이 때문에 일반 백화점보다 5%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판매 · 또한 외국인 투자 기업들은 판매 제품의 95% 이상을 중국의 8,000여 개 기업으 로부터 공급받는 등 제품 현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14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중국계 유통 업체의 성장세 둔화 · 2008년 중국계 유통 업체의 매장수가 10.6% 증가하여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성장률 기록 ·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영세 소매 유통업체의 부담이 증가함 - 경쟁으로 인한 판촉 활동으로 100대 체인업체의 매출액 증가폭이 2004년 33% 에서 2008년 18%로 감소 □ 인터넷 소매 시장의 급성장 · 2008년 중국 인터넷 소매시장의 전체 판매 규모는 약 1,282억 위안으로 전년 대 비 128.5%의 성장률 기록 · 중국 인터넷 쇼핑 가입자 수는 8,000만 명으로 전년 대비 45.5% 증가 · 지역별로는 상하이의 거래 총액이 160억 위안, 1인당 연평균 소비량이 2,200위 안으로 1위를 차지 - 그 뒤를 이어 전국 거래 기준으로 광등성, 저장성, 장쑤성, 베이징 순 · 거래 형태별로는 C2C(소비자 간 거래 방식)의 비중이 93.2%로 절대적이며 판매 액은 약 1,19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0.6% 성장 - B2B 판매액은 약 87억으로 전년 대비 198% 성장 <그림 Ⅲ-6> 중국 인터넷 쇼핑시장 거래 규모 750.8
(단위: 억 위안)
531.1
351.7 208.9
2007 상반기 2007 하반기 2008 상반기 2008 하반기
* Source: iResearch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45
2. 한식당 식재료 수급 현황 및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가. 한식당 식재료 수급 현황 □ 한식재료 구분 및 구분별 산지 · 중국에서 한식당들이 구매하는 한식재료는 크게 양념과 가공식품, 신선재료로 구분되며, 신선재료는 곡물, 채소, 육류, 어패류, 과일로 구분 · 신선농산물과 육류의 경우 한국과 중국의 검역 등 비관세 장벽으로 인하여 한 국 농산물의 중국 수출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 · 팽이버섯 등 극소수 품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신선농산물 수입이 금지 · 가격 경쟁력 면에서 한국산이 중국산 신선농산물을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에 수입이 허가된다고 하여도 현지산을 쓰는 것이 낫다는 것이 다수 의견 <그림 Ⅲ-7> 양념 및 주재료의 한국산 구입 비중 73%
12%
양념
주재료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한식당에서 쓰이는 고추장, 된장 등 장류, 통조림(참치, 깻잎 등), 김, 일부 조미 료 등 가공 재료는 한국산 사용 · 중국 내에 한국식품을 수입하는 대부분의 바이어가 양념류의 식재료 취급 · 한국 식품점이 교포 집중 거주지역에 위치하여 한식당들이 이들로부터 식재료 를 구입하는데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조사됨
14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Ⅲ-8> 세부 식재료별 한국산 구입 비중 채소류
16%
어패류
1%
육류
1%
곡류
0.5%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세부 식재료별로는 채소류가 다른 식재료보다 한국산 구입 비중이 높으나 절 대적으로 높은 것은 아님 · 채소류중에서 특히 마늘, 고추의 한국산 구입 비중이 높음 · 어패류, 육류, 곡류의 경우엔 대부분의 한식당이 현지산을 사용함 · 장류를 제외한 식재료에 있어서 현지산과 한국산을 사용하는 것이 맛에 별다 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됨 □ 한식당 식재료 구매 의사결정 및 구매 과정 · 중국 내 대부분 한식당이 식재료를 직접 구매하고 소수의 한식당이 식자재 공 급 업체로부터 공급받고 있음 · 한식당에서 식재료를 구매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크게 4단계로 구분 · 수요예측 단계: 업주와 주방장이 1주에 한 번 이상 기존 메뉴 및 새로운 메뉴 와 고객 수, 패턴 등을 고려하여 협의 - 일반적으로는 사업 초기 단계에는 업주의 영향력이 크나, 사업이 어느 정도 안정화된 이후에는 주방장이 과거의 경험으로 수요를 예측하는 경우가 많음 · 구매처 후보 선정 단계: 구매할 식재료별 특성에 맞는 구매처 후보를 선정 - 일반적으로 육류, 채소 등 한식 특화되지 않은 식재료인 경우 현지 도매 시 장 또는 華潤萬家(CR Vanguard), 家乐福(까르푸) 등의 지역 내 대형 마트를 고려함 - 고추장, 조미료 등 한식 특화된 식재료의 경우, 한국식품점을 고려함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47
· 유통업체 선정 단계: 현지 중식당의 경우 입찰을 통해 공급 업체를 결정하기도 하나 대부분 형식적인 절차이며 ‘꽌시(관계)’가 최종 결정의 기준이 됨. 대부분 의 한식당이 적절 가격 범위에서 ‘꽌시’에 입각한 공급 업체를 결정 · 유통 업체 주문 및 마트 방문 구매 단계: 신선재료의 경우 도매시장에서 직접 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장류와 같은 한국산 식재료는 전화주문을 통하 여 배달받음 <그림 Ⅲ-9> 한식당의 식재료 구매의사결정 및 구매과정
수요예측
• 업주와 주방장 협의
구매처 후보 선정 • 품목별 구매처 후보 선정 - 한국 식품점 - 중국 대형 마트 - 중국 도매상
유통업체 선정 •형식적인 유통업체 미팅을 통한 Sample Test 선정 및 가격 네고
유통업체 주문
마트 방문 구입
나. 한식재료 유통 구조 및 특징 · 중국 내 한식당은 중국의 일반적인 식당과 유사하게 육류, 신선채소류는 도매 시장에서 직접 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장류, 조미료 등 한국산 식재료는 대도시의 경우 한국식품 취급 도매상에게 전화주문을 통한 배달 방식으로 구매 · 중소도시의 경우 도매시장이나 한국식품점에서 구매 · 대표적인 한국식품점으로는 정도, 김씨마트, 제일, 일품, 해진식품 등 □ 한식재료 유통 Mechanism · 한식당에서 쓰이는 식재료중 양념류는 한국산이 대부분이며 신선재료는 99% 현지산 · 양념류와 한식재료가 공식품은 국내에서 수입되거나 또는 CJ(다시다) 등과 같 은 대형 유통기업이 현지 생산하여 한국식품도 매상(낙원유통 등)과 한국식품 점으로 유통시킴
14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식당은 한국식품 도매상 또는 한국식품점에서 한국 식재료 구입 가능 · 신선재료의 경우는 중국 내 한국 식재료 가공 업체가 현지에서 생산하여 포장 과 가공작업을 거쳐 지역 도매상 또는 대형 마트로 공급 - 한식당은 이들로부터 직접 구매하거나 또는 전화주문을 통해 배달 받음 - 이 경우엔 중국산 식자재를 이용하여 한국 식재료로 가공함 <그림 Ⅲ-10> 중국 내 양념류 및 신선재료 유통 구조
국내 원산지
중국 원산지
한국 식재료 가공업체
중국 내 한국 식재료 가공업체
한국 식재료 도매상
한국 식품점 중국식재료 가공 유통업체 기타 해외 원산지
한식당 중국 대형 마트 중국 지역 도매상
□ 한식재료 유통 Trends · 현재 중국에서 자주 이용되는 한국식품점으로는 정도, 김씨마트, 제일, 일품, 해진식품 등이 있음 - 한국 식품점들은 대부분 규모가 크지 않고 체계화된 대규모 유통망이 없는 실정임 - 북경에서 가장 큰 도매상인 낙원유통은 한식당의 경우, 단가가 낮아 마진도 낮고 배달 등의 추가적 비용 손실로 직접 물건을 공급하지 않으며 다른 소규 모 상인들에게만 물품을 공급 - 낙원 유통 외에도 창용유통, 오림유통 등이 있으며 이 중 낙원유통과 창용유 통은 한식자재를 직접 수입하여 소규모 마트 등에 공급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49
다. 중국 한국산 식재료 수출 현황 1) 중국 식재료 수출액 및 비중 <그림 Ⅲ-11> 한국산 식재료 중국 수출액 CAGR (’03~’08) 260.6 Total: 19.4%
Unit : USD million
73.4
215.9
가공재료: 14.9%
(28.2%)
63.5 (29.4%)
138.6
135.6
34.8
34.2
124.8 107.2
(25.1%)
(25.2%)
36.7
47.8
187.2 신선재료: 21.2%
(38.3%)
(34.2%)
(71.8%)
152.4 (70.6%)
103.8 70.5
(74.9%)
101.4 (74.8%)
2003
77.0 (61.7%)
(65.8%)
2004
2005
2006
2007
2008
* Source: 농수산물 무역정보 Data 분석, www.kati.net
· 한국산 식재료의 중국 수출액은 2007년 전년 대비 약 1.7배 상승 - 수산제품은 중국 내 수산품 가공 산업의 발전 및 세계적으로 수산 제품에 대 한 소비 증대로 중국 내 수산 제품 수입이 늘었음 · 2007년 이후 급속적으로 성장하여 왔으며, 2008년 현재 약 2억 6천 달러로 2003 년 이후 연평균 19.4%의 성장세를 나타냄 · 2007년 이후 신선재료와 가공재료의 비중은 각각 70%, 30% 수준 유지
15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중국 신선재료 수출액 <표 Ⅲ-2> 한국산 신선재료 중국 수출액 1000USD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신선재료
70,524
103,818
101,418
76,983
152,383
187,200
곡류
1,789
2,078
2,135
2,521
1,814
2,405
채소류
4,240
5,828
8,096
8,761
5,450
6,741
육류
219
14
624
650
796
1,322
어패류
64,276
95,898
90,564
65,050
144,324
176,731
* Source: 농수산물 무역정보 Data 분석, www.kati.net
· 신선재료 수출액이 2006년에서 2007년에 약 2배 증가 · 신선재료 수출액의 90% 이상이 어패류가 차지하고 있음 - 특히 2008년 어패류의 수출액이 신선재료 수출액의 약 95% 차지 - 중국은 오징어 최대 수입국으로 2008년 어패류의 약 40%가 오징어이고 2006년 부터 오징어 수출량이 크게 증가 · 2008년 채소류는 수출액의 3.6%를 차지하며 2006년 최대 수출을 기록 - 대부분은 채소 종자(약 63%)와 고추(약 5%)임 · 곡류 및 육류의 수출은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곡류 중 대부분은 밀(85.2%)과 보리(10.7%) 수출임 - 육류는 돼지고기가 약 96.7%로 대부분을 차지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51
□ 중국 과일 수출 동향 <그림 Ⅲ-12> 한국산 신선 과일 중국 수출액 (단위: $ thousand)
174
27.8
18.9 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0.3
0
2007년
2008년
* Source: 농수산물 무역정보 Data 분석, www.kati.net
· 2003년을 제외하고 중국 신선 과일 수출 수준은 미미함 · 2003년 이전부터 신선과일 수출량이 감소 추세에 있었음 - 2003년은 전년 대비 50% 감소 · 2001년 WTO 가입이후 과수농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수출형으로 변화하여 우 리나라의 과일 수출량 감소 - 중국은 세계 1위의 과일 생산국임과 동시에 높은 가격 경쟁력으로 과실 수출 국가로 급부상하고 있음 - 사과, 감귤, 배가 주요 수출 품목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품목과 겹침
15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중국 가공재료 수출액 <그림 Ⅲ-13> 한국산 가공재료 중국 수출액 CAGR (’03~’08) 73.4 Total: 14.9%
Unit : USD million
63.5
16.0 주류: 11.1% (21.9%)
12.8 (20.2%)
47.8 8.6 (18.1%)
36.6 9.5
(25.8%)
34.8 6.6
(19.0%)
8.2
10.5
(22.5%)
(30.2%)
18.9
2003
17.7
18.6 (29.2%)
34.2 6.7
(29.5%)
13.2 (27.5%)
11.2
가공식품류: 14.9%
(32.8%)
38.0 26.0
(51.7%)
19.4 장류: 18.6%
(26.4%)
32.1
(51.7%)
2007
2008
(50.6%)
(54.4%)
16.3
(50.8%)
(47.7%)
2004
2005
2006
* Source: 농수산물 무역정보 Data 분석, www.kati.net
· 중국 가공재료의 수출은 2003년 이후 6년간 연평균 14.9%로 성장 · 특히 2006년 이후의 수출증대가 돋보임 · 중국 수출 가공재료 중 50% 이상은 라면, 김치, 조미김 등이며, 이들의 수출액 은 2005년 이후 연평균 32.6%로 성장하고 있으나 비중은 비슷한 수준 유지 · 고추장, 된장, 간장, 춘장 및 조미료 등 장류는 연평균 약 18.6% 성장하여, 2008 년 약 1,940만 달러 수준의 수출을 달성하고 있음 - 대부분은 혼합조미료(21.9%), 간장(9.7%), 된장(5.9%), 고추장(5.6%)임 · 주류는 연평균 약 11.1% 성장하여 약 1,600만 달러 수준의 수출액 달성 - 주류는 소주(47.3%), 맥주(21.3%), 위스키(19.9%)가 대부분을 차지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53
라. 국내 식재료 유통 현황 및 이슈 1) 수출 방식 □ 농산물 수출 방식 · 농산물 수출 방식에는 간접수출과 직접수출이 있음 · 우리나라의 농산물 수출의 대부분은 간접수출 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적극적인 시장 개척이 어렵고, 한국 농산물의 인지도 증진 등에 취약 · 간접수출 - 수출 업체, 브로커 등과 같은 국내외 수출입 중간상을 통하여 수출품을 해외 시장에 판매하는 방식 - 해외 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없어도 간접경로를 통해 수출품을 해외 시장에 진출시킬 수 있음 - 장점 ꋭ 해외 경험이 없어도 쉽게 해외 시장 진출 가능 ꋭ 해외시장 개척에 따른 비용 절감 ꋭ 사업 위험 부담이 적음 ꋭ 계약, 선적, 통관 등 수출업무 관리 부담이 적음
- 단점 ꋭ 수출 경험 및 축적이 어려움 ꋭ 자사제품에 대한 마케팅 통제가 어려움 ꋭ 자사제품에 대한 이미지 구축이 어려움 ꋭ 공고한 시장기반 구축이 어려움
· 직접수출 - 국내의 생산, 가공 업체가 외국의 유통업자나 에이전트와 직접 판매 계약을 체결 - 현지에 자사의 판매지사나 법인을 설립하여 수출품을 직접 유통시키는 수출방식 - 장점 ꋭ 적극적인 시장 개척 가능 ꋭ 확고한 시장 기반 구축 ꋭ 수출업체 자신의 상표 보호 ꋭ 직거래를 통한 마진율이 높음
15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단점 ꋭ 고도의 수출 업무 관리 ꋭ 높은 시장 개척 비용 소요 ꋭ 현지 시장에 대한 정보수집 및 분석이 요구된 ꋭ 사업 위험도가 높음
□ 수출의 단계 <표 Ⅲ-3> 계약수출의 단계 계약
농가 또는 생산자 단체
계약
수출업체
수입업체
도매?소매점
소비자
· 신선채소류의 일본시장 수출은 거의 대부분이 국내 수출업체와 일본 수입업체 간의 계약형태로 이루어짐 · 수출계약은 일본의 수입업체가 물량, 가격, 품질기준, 포장규격 등 제반 조건 을 통보하고 한국의 수출업체가 수용하는 일방적인 형태가 대부분 · 수출은 생산 및 판매관리상의 역할에 따라 자상 상품수출과 주문자 상표부착 (OEM) 수출로 대별됨 □ 수출 물류 현황 · 산지 유통센터에 농산물을 수집하여, 예냉-선별-포장 등 수확 후 관리 작업이 이루어짐 - 수출용 농산물은 내수용에 비해 규격 기준이 엄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세밀한 선별 과정을 거침 - 내수에서는 커다란 문제가 되지 않는 물리적 충격이나 온도 변화 등이 상대 적으로 장시간이 소요되는 수출 물류에서는 심각한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출 농산물은 체계적인 수확 후 관리가 필수적임 - 대부분의 수출 농산물은 생산자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산지 유통센터를 활 용하고 있으며, 마산항이나 광양항에는 농산물 수출물류센터를 설치하여 이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55
를 활용하고 있음 · 국내 운송의 경우 신선농산물 단위 수출 규모가 작아 주로 차량을 이용 - 대규모 화물의 경우에는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나 신 선농산물은 수출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음 - 수출용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산지에서부터 컨테이너 차량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컨테이너 차량을 이용한 수송비가 상대적으로 높아 한구까지는 냉 장차량을 주로 이용함 - 산지에서 선별 및 포장된 농산물은 항구까지는 차량으로 수송되고, 항구에 서 수출용 컨테이너에 옮겨 실은 후 수출국으로 수송됨 · 국외 운송의 경우 대부분 해상 운송을 활용하고 있음 - 송이버섯, 화훼류, 딸기 등 상품의 특성상 필요하거나 긴급 배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경우에는 항공 운송이 이루어짐 · 수출 농산물은 주로 40피트 컨테이너를 활용하고 있음 - 수송 규모가 클수록 단위당 수송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일반적으 로는 40피트 컨테이너를 활용함 - 불가피하게 수송량이 적은 경우에는 20피트나 12피트 컨테이너를 활용하고 있음 - 상대적으로 소량 수출의 빈도가 높은 신선식품의 수출 지원을 위해 농수산 물유통공사에서 21개의 12피트 냉장 컨테이너를 보급하여 수출업체가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컨테이너 적재 시 적재량을 최대화하기 위해팔렛트를 제외하고 수작업으로 적재하기도하며, 수입국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팔레타이징을 하는 경우도 있음 · 해양 수송 시 주요농산물 수출국인 일본까지는 1일 이내, 미국까지는 20일 내 외의 기간이 소요됨 - 일본은 당일 선적하며 이튿날 항구에 도착하며, 미국이나 캐나다는 서부항 구까지 평균 20일, 동부지역까지 최장 35일이 소요됨 - 수출국 내 통관 검역에는 간이 검사의 경우에는 당일 출시가 가능하지만 정
15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밀 검사를 거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3일~5일 기간이 소용됨
2) 주요 수출기업 분류 □ 가공품 수출기업 · 가공품 수출기업은 매출액에서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10% 내외에 불과하 여 기본적으로 내수를 기반으로 한 수출을 추진하고 있음 · 설탕과 사료를 수출하는 대한제당의 경우 24%, 장류, 전분, 김치 등을 수출하 는 대상의 경우 11%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출액 비중을 보이고 있음 · 1억 달러 이상을 수출하는 기업의 주요 수출품목은 설탕, 사료, 장류, 전분 김 치 등이 있음 <표 Ⅲ-4> 매출액 상위 가공식품 수출기업 수출규모 1억
대상기업 대한제당, 대상
$5,000만~$7,000만 CJ 제일제당, 농심, 진로, 삼양사 $3,000만~$5,000 $1,000~$3,000
주요 수출품목 설탕, 사료, 장류, 전분, 김치 설탕, 밀가루, 장류, 유지, 라면, 과자, 소주, 프리믹스
오뚜기, 오리온, 롯데제과, 동원 면류, 유지, 소스류, 과자류, 빵류, 김 F&B 오비맥주, 롯데칠성음료, 매일유 업, 빙그레, 해태제과, 하이트맥주
치, 음료 맥주, 음료, 유제품, 라면, 과자류, 소주
* 출처: 농수산물유통공사(2006년)
□ 협동조합 · 화훼, 김치, 과일, 인삼 등 특정 품목에 특화되어 있는 지역조합 또는 전문조합 23개로 협동조합에서 수출신용장을 개설하여 직접 수출을 추진하는 기업을 말함 · 대표적인 업체로는 김해 대동농협(화훼), 제주도의 감협·중문농협(감귤), 순천 농협 등(김치), 풍기농협 등(인삼), 난 수출 조합, 천안조합(배) 등이 있음 · 대부분이 수출 규모가 작고 수출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낮음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57
□ 농업법인 · 농산무역㈜, ㈜로즈피아, 임실장미 영농조합과 같이 단일품목(파프리카, 장미 등) 중심의 규모가 큰 수출기업 · 김치, 전통주, 버섯, 사과, 배, 화훼 등 단일품목 위주의 영세 수출기업의 집중 도가 높음 · 농협과 농업법인은 50만 달러 미만과 100~500만 달러 수출기업의 집중도가 높 은 편으로 일종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지자체 투자 기업 · 경북통상, 경남무역, 강원무역, 전남무역, 제주교역 등이 대표적임 · 농산물뿐만 아닌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공산품 등 다양한 상품을 수출하는 제3섹터형 지방공기업 ·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기는 하나 규모 면에서는 작음
3) 주요 이슈 □ 불안정한 수출 물량 · 농가 생산 및 출하 규모가 작고 수출업체 운영 규모가 영세하여 수출 경쟁력 향상의 핵심 장애요인이 되고 있음 - 대부분이 내수 중심으로 출하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수출구조가 취약하며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움 - 내수가격과 수출가격 차이가 클 경우 생산자와 수출업체 간에 맺은 계약이 불이행 되는 경우가 많음 · 한국산 농산물을 수입하는 수입회사나 대형 판매업체의 주요 애로사항은 고품 질 수출물량의 안정적 확보의 어려움 - 극동러시아 시장의 경우 한국산 농산물 공급기간이 짧아 원하는 시기에 물 량확보가 어려움(화훼류) - 밤, 딸기 등의 경우 지속적인 공급이 아닌 일회성, 단발성으로 공급되는 경우 가 많아 지속적인 판매활동이 어려움
15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체계적인 품질관리 시스템 미약 · 생산 주체가 많고 출하 규모가 영세하여 수출농산물의 생산과 품질관리를 체 계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움 - 수출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안정성 기준 준수가 어려움 · 수출 농산물 공급체계의 영세성과 불안정성은 수출농산물 출하와 상품화 과정 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어려움 - 수출 농산물 출하 주체가 다양하여 일관적인 품질관리 시스템 적용과 품질 균일성을 높이기 어려움 · 취약한 수출 농산물 품질관리 시스템은 수출 농산물 안정성 기준 조건을 충족 시키지 못하여 수출이 중단되거나 안정성 검사 샘플 비율이 높아져 수출에 장 애를 겪는 사례를 종종 초래함 □ 낮은 가격 경쟁력 · 농식품 수출업체 규모가 영세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에 불리한 여건 - 컨테이너 단위를 전량 채우지 못해 수송할 경우 단위당 수출비용을 높여 가 격 경쟁력을 하락시킴 - 수출 물량의 영세성이나 공급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수출가격 교섭력에서 불리함 · 수출업체 수 과다 및 수출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수출업체 간 경쟁과도, 거 래 교섭력 미흡 등으로 수익구조가 취약함 □ 수출 수익 변동 리스크 · 수출 물량의 불안정성과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수출업체들의 수익 변동성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수출업체 입장에서 수출 물량의 안정적 확보, 품질관리, 마케팅 활동을 체계 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워 수출가격 협상 및 거래가 불안정하여 가격 및 수익 변동성이 큰 경우가 많음 - 수출시장에서 경쟁력이 낮고 전문성이 부족하여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가 많음 - 수익 변동성이 큰 편이어서 소비자를 겨냥한 신상품 개발 등의 R&D 투자가 부족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59
3. 식재료 유통 이슈 □ 중국 북경과 상해에 위치한 한식당 업주들과의 인터뷰 결과, 중국에서 한식 재 료를 구하기는 크게 어렵지 않지만, 한국산 식자재의 전체적인 시장 규모 및 유통 량은 작은 것으로 나타남 · 중국에 중국산을 비롯한 다양한 식재료들이 이미 유통되고 있음 · 대부분의 한식당들이 한국교민들이 밀집되어있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이곳 에 한국 마트들이 집중되어있 어 한국산 식재료를 구하는 일 또한 어렵지 않음 · 저가의 풍부한 중국산 식자재, 한식 식자재의 공급 수요상의 이슈 등으로 인해 한식 식자재 사용량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 중국 내 한식재료의 유통상에는 크게 수요 측면과 공급 측면의 이슈가 존재함 · 공급 측면의 이슈 : 중국산 대비 낮은 가격 경쟁력, 비관세 장벽에 의한 수출제한 · 수요 측면의 이슈 : 공급 안정성 취약, 품질/원산지에 대한 낮은 신용도 부족, 한국산 식자재에 대한 낮은 인지도 및 접근성, 체계적인 R&D 부족
가. 공급 측면의 이슈 1) 중국산 대비 낮은 가격 경쟁력 · 대부분의 한식자재는 중국산 식자재에 비해 가격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 가격 경쟁력의 열세로 현지 식당/급식업체뿐 아니라 한식당에서도 사용을 망 설이는 경우가 다수로 나타남 · 한식당들은 육류, 채소류는 중국산 식자재를 현지 도매시장에서 직접 구입하 는 경우가 대부분 이며 장류, 조미료 등 일부 한국산 식재료만 한국식품 취급 도매상에게 전화를 통한 배달(대도시), 한국식품점 등에서 구매함(중소도시) - “아무리 수입산이라고 생각해도 한국산 식자재는 너무 비싸다는 느낌이 든 다” - “한국산 양념이 꼭 필요하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다”
16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국산 식자재의 비싼 가격 때문에, 현지식 대비 가격을 비싸게 받을 수밖 에 없으며 지속적인 가격 상승으로 영업에 어려움이 있다.” □ 규모의 경제 제한적 · 한국으로부터는 주로 양념류만 수입되고 있으므로, 수입량이 적은 편으로 규 모의 경제가 발생하지 않음 ·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소규모로 들여오다 보니, 물류비 등의 발생이 많음 - “베이징에 한식당이 많다고 하지만 대부분 중국 식자재를 사용하다 보니 한국 식자재 시장은 크지 않습니다. 몇 개의 주요 업체가 수입하는 물량이 전부이 며 물량이 부족하다 보니 수지가 맞지 않아 도산한 식자재 업체도 있습니다” □ 불투명한 유통 구조 · 한식자재는 주로 소규모 한인 마트나 보따리 장사를 통해 유통되며, 불투명한 다단계의 유통 구조를 거치면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짐 - 한국 식자재는 작은 규모의 한국 마트나 기타 한국식품을 취급하는 작은 슈 퍼에서 집중되어 판매 - “불투명한 유통구조로 인해 중간 도매상의 마진이 큰 것 같습니다”
2) 비관세 장벽에 의한 수출 제한 · 검역 등 비관세 장벽으로 인한 수출제약으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식재료 수출 이 제한받고 있음 - 현재 중국은 동물역병유행국가(지역)로부터의 동물 및 관련제품 수출을 금 지하고 있음(2009년 1월 21일) ꋭ 한국은 돼지콜레라 발생국이었다는 사유로 돼지고기 및 관련제품의 수출을 제 한받고 있음 ꋭ 한국은 조류독감 발생국이었다는 사유로 가금류 및 관련제품의 수입을 제한받고 있어, 중국에서 인기가 높은 삼계탕 관련 재료들의 수입이 원천적으로 제한됨
- 팽이버섯 등 극소수 품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신선농산물 수입이 금지되어 있음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61
나. 수요 측면의 이슈 1) 공급 안정성 취약 · 한식재료를 공급하는 업체가 소수에 불과하여 공급 안정성이 떨어지며 원하는 때에 재료를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 - “원하는 양념이 품절될 때가 많아 미리미리 상당량의 재고를 보유하고 영업 하고 있습니다.” · 소규모 수입상에 의존하다보니 환율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이 심한 편
2) 품질/원산지에 대한 신용도 부족 · 중국산 식자재가 한국산으로 표기되어 팔리는 경우가 많아 한국산 식자재에 대한 전체적인 신뢰도 저하 - “수입이라는 명목 아래 속이는 경우도 많고, 한국산이라고 해서 샀는데 나중 에 알고 보면 중국산인 경우도 많습니다.” · 수입과정중의 변질또는 제품규격 차이로인한 품질상의이슈 발생 - “한국 고추장도 브랜드에 따라 맛이 다르기 때문에 조리법을 표준화하기 곤 란한 경우가 많습니다.”
3) 한국산 식자재에 대한 낮은 인지도 및 접근성 □ 인지도 측면 · 중국의 중산층, 상류층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니즈의 고객이 증가 추세임에도 한식 식자재는 명확한 타겟 고객 및 마케팅 전략이 없어 인지도가 낮은 상태임 - 중국 시장은 경제 성장에 따라 고소득층 및 중산층의 구매력이 증가 - 1995년 15%이던 중국 중산층은 최근 몇 년간 매년 1%씩 증가 ꋭ 중국의 일반 중산층은 연소득 $5,000~$12,500 ꋭ 2011년 약 2억 9만 명 정도에 달할 것으로 예측(맥킨지 보고서) ꋭ 2025년까지 5억 2천만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16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중산층의 증가와 함께 전반적인 식품시장과 고급 수입 농식품의 소비도 증 가할 것으로 전망 · 대장금 등 한류로 인해 중국인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한국 산 식자재에 대한 인지도로는 연결되지 않음 · 실질적으로 중국인들이 가정에서 해 먹을 수 있는 한식 요리가 보급되지 않아 일반인들이 한국산 식자재에 대한 니즈가 제한적임 □ 접근성 측면 · 현재 중국인이 대부분을 소비하고 있는 까르푸, 월마트 등의 대형 매장에서는 라면 등의 일부 가공식품을 제외하고는 한식 식자재가 판매되고 있지 않아 현 지인에게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산 식재료는 주로 한국 마트나 기타 한국식품을 취급하는 작은 슈퍼에 서 집중되어 판매됨 - 한국 마트, 한국식품 취급점은 주로 한인 밀집지역에만 위치 · 가격이 비싸고 대량 수요처가 없어, 일반적인 중국 식자재 업체에서는 한국산 식자재를 취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4) 체계적인 R&D 부족 · 중국은 지역별, 계층별로 차별화된 니즈가 존재하여 일반인 대상의 판매를 위 해서는 명확한 타겟을 설정하여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 - 중국의 경우 지역별 요리의 성향이 다르며 선호하는 맛에도 큰 차이가 있음 - 소득의 차이가 큰 만큼 다양한 소비자군이 존재 · 특히 한식 식재료와 같이 가격 경쟁력이 낮은 경우에는 프리미엄 이미지의 강 조, 건강식의 강조, 맛의 현지화, 포장의 고급화 등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이 필 요하지만 R&D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63
4. 식재료 유통 및 세계화 성공사례 가. McDonald: Regional Food Studio · 맥도날드는 제공받는 원료 중 30%는 해외에 의존하고 나머지 70%는 현지에서 생산되는 원료를 사용 · 유통 경로에 있어 맥도날드만의 특징으로는 각 매장이 속해있는 지역에서 생 산되는 원료를 사용하는데, 그렇게 되면 재료가 매장까지 배달되는 시간을 최 대한 줄일 수 있어서 보다 신선한 원료를 제공 · 맥도날드는 식품 유통업체 또는 설비업체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되지 않은 신규업체를 선정하여 그들과 관계를 맺음 - 신규업체는 맥도날드의 협력업체로서 브랜드를 키우며 성장할 수 있도록 맥 도날드가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신규업체들도 열의와 성의를 가지고 협조 - 지금까지 많은 가맹점들이 맥도날드에 충성하면서 각각의 독립적인 기업으 로 성장해 왔음 · 맥도날드는 제품의 품질을 세계적으로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품질 보증 실험소(QualityCentre)를 미국, 유럽, 태평양 지역 등에서 운영하고 있음 - 맥도날드 제품의 품질 외에도 원재료의 품질 및 서비스 전달 시스템을 개선 하여 품질을 전세계에 일관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연구 □ 홍콩의 맥도날드 Food and Quality Assurance Studio(이하 Food Studio) · 홍콩 Food Studio는 아시아, 태평양,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35개 나라에 맥도날 드의 일괄적인 상품의 질과 운영 기준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 · 맥도날드는 홍콩의 지역적 이점을 활용하여 Food Studio를 공급의 중심지 및 교육센터로 활용할 예정임. 또한 이곳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상품 아이디어를 종합하여 새로운 메뉴를 개발
16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맥도날드의 통합 물류 센터 · 맥도날드는 각 지점에 공통되게 좋은 재료가 배달되고 수요와 공급을 효율적 으로 관리, 재고를 줄이기 위하여 One Stop Shopping이라는 컨셉으로 통합 물 류센터(Distribution Center)를 만들고 통합 유통 시스템을 구축 <그림 Ⅲ-14> 맥도날드 통합 물류센터
* Source: National Retail Federation Retail's BIGSHOW 2006
□ 맥도날드 통합 유통 네트워크의 장점 · 공통된 비즈니스모델과 수단(tool) · 자유로운(Borderless) 정보 공유 ·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 ·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 집중된 역량(Centralized competence) · 재무적 이점 · 거래처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65
<그림 Ⅲ-15> 통합 물류센터 효과
* Source: National Retail Federation Retail's BIGSHOW 2006
·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유통 시스템이 통합된 후 맥도날드에서 가장 확연하게 향상된 점은 재고 관리 - 맥도날드의 해피밀(어린이 세트)이 재고가 남지 않고 그날 다 팔리는 날이 목표 범위 내인 경우가 통합 전에는 지점의 45%가 통합 이후 90%가 되었음 · 맥도날드사는 통합하기 전 몇 가지 목표를 세워 두었는데 1) 총이익률의 증가 는 목표치였던 0.15%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2) 원료 낭비는 약 30% 줄어 들었으며 3) 평균 재고량 또한 약 30% 감소하였으며 4) 재고 부족으로 인한 지 점 간 이동의 경우 반으로 줄어들었으며 5) 주문시간 또한 반으로 줄었음
16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나. KIKKOMAN 간장 □ 개요 · 1957년 7월 샌프란시스코에 KIKKOMAN International Inc 설립 · 1983년 가정용 간장 시장에서 현지 화학 간장인 “LaChoy”을 제치고 시장 점유 율 46.8%로 미국 점유율 1위(SAMIREPORT 조사) · 1994년 가정용 간장 시장에서 50%의 점유율 돌파 · 염분을 줄인 “라이트 간장”, “라이트 테리야키 소스”, 야채볶음 전용 “스티어후 라이 소스”, 중화요리용 “스위트 앤드 싸우어 소스” 등 다양한 제품 출시 · 현재 미국 현지인들은 간장을 “Soy sauce” 대신 “KIKKOMAN”이라는 고유명사로 표현 · 대미 기업 진출의 좋은 사례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교재에 사례 연구로서 채택 □ 주요 성공 요인 1) 일본 음식, 간장에 대한 수요 증가 · 미국 체류 일본인의 증가 - 1954년 미국에 수출 5천500킬로리터 중 83.6%가 샌프란시스코, LA, 하와이임 · 재일 미국인의 식생활 - 미군 주둔 기간 7년간 일본에 체류하는 미국인은 군인, 민간인을 합쳐 약 300 만 명이며 남편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간 일본인 여성은 10만 명도 추정 · 일본 열풍 - 1958년 미국 내에 기모노, 정원, 꽃꽂이, 유도 등 일본 고유의 예술과 생활 습 관 등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집중 - KII는 1959년 미국의 간장의 계몽 활동의 일환으로 요리 연구가의 에가미 토 미 씨를 초청하여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의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통 해 간장을 이용한 요리법 등을 소개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67
<그림 Ⅲ-16>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통해 간장을 이용한 요리법 등을 소개
2) 정부의 정책적 지원 · 일본 정부는 간장제품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보다는 농림수산물 수출 촉진을 위한 일본 국내에서의 지원을 실시하고 있음. 이는 주로 수출촉진세미나 개최 및 국내전시 및 상담회 등을 예로 들 수 있음 · 해외에서의 지원은 해외전시 및 상담회 지원, 해외 상설점포 지원 등이 있으 며, 그 밖에 보조사업으로서 농림수산물 등 수출촉진 지원사업의 안내를 하고 있음(판매처, 물류 정보, 산지PR, 브랜드, 팜플렛 등) · 지원의 대상 조건으로는 원료가 일본산이어야 하며, 제조 또한 일본에서 행해 져야 함 · 국내지원, 해외지원, 팜플렛 제공 등의 지원 항목은 농림수산성의 심사를 통해 결정되고 있음 3) 간장의 현지화를 위한 노력 · 일본 음식의 조미료가 아닌 간장을 사용해 미국인 마음에 드는 요리를 개발하 여 간장의 맛을 전파 - KII 사무실에 식품 분석을 위한 기구, 장비 세트를 갖춘 제품 연구 개발실을 설립 - 일본에서 기술 직원을 파견하여 현지 점원과 홈 이코노미스트의 의견을 들 으면서 미국인 가정용 간장의 이용 방법과 새로운 상품 개발 추진 - 그 결과 “Teriyaki”라는 요리 방식을 미국에서 개발
16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ꋭ 미국에서는 집에서도 야외요리 바베큐를 즐겨했지만, 이 고기 석쇠 구이의 양 념에 간장을 사용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그러한 먹는 방법을 바베큐 “Teriyaki” 이라고 칭하게 됨으로써 미국인 일반가정에 침투 성공 ꋭ 이후 1961년, 간장에 조미료를 추가한 바베큐용 소스 “테리야키바비큐 소스”를 미국으로 수출 <그림 Ⅲ-17> 1965년 미국 잡지에 실린 “깃코만 테리야키소스” 광고
· “Delicious on Meat” - 간장은 고기와 궁합이 가장 잘 맞으며 고기 요리는 물론 국물에 드레싱에서 도 잘 어울린다는 인식으로 미국 가정에 없어서는 안되는 조미료로 침투 - “간장은 일본 요리만의 양념” 개념에서 “KIKKOMAN은 소스”라는 개념으로 변경 - 사용 방법의 포인트로서 고기를 구워서 간장을 찍어 먹으면 고소해진다는 것을 소구 · “Good Housekeeping” 보증 - 미국 여성 가정잡지 ‘Good Housekeeping’에서 1909년 이후, 음식 등 상용 가정 용품을 소비자의 입장에서 엄격하게 테스트하여 가장 좋은 것은 “Good Housekeeping” 보증 스티커 부여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69
- 1964년 “Good Housekeeping”에 선정이 되어 보증 스티커를 부착하게 되고, 그 결과 “KIKKOMAN”에 대한 미국인의 믿음 감각을 향상시킴 4) 생산의 현지화 · 미국으로의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운송 비용의 합리화가 문제점으로 대두 - 기존의 생산구조는 간장의 주 원료인 밀과 대두를 미국과 캐나다에서 수입해 서 일본 국내 공장에서 다시 가공하여 수출하는 형태로 운임이 이중 부담 됨 · 1967년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에 있는 제염회사 레슬리 솔트와의 제휴를 통해 1968년부터 부분 생산 실시 - 간장의 보틀링과 함께 미국에서 개발된 테리야키 소스의 제조/보틀링 함 - ꡔProduct of USAꡕ 라벨이 부착되어 운송비 절감과 함께 관세 인하, 그리고 미 국정부기관으로의 납품의 길도 열리게 됨 · 1972년 미국에서의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로 인해 현지 생산체제의 검토를 본 격적으로 시작, “KIKKOMAN Food. Inc” 설립 - 상당한 설비 투자가 필요하지만, 해상 운임과 관세뿐만 아니라 원재료의 조달 도 용이해짐에 따라 비용과 재고량 관리도 수월해짐 · 1974 년 6월 위스콘신주 월워스에 KFI 위스콘신공장 설립 - 원재료의 산지로부터 가까우며 자연에 둘러싸여 있어 양질의 물이 풍부 - 공항, 철도, 도로 등 물류 교통이 좋음 - 지역 사람들의 근면한 노동력 - 공장 경영의 현지화 ꋭ 일본 파견자는 최대한 줄여 현지 인력을 중심으로 운영 ꋭ 원칙적으로 해고를 하지 않는 등 미국식 경영에 일본적인 관리 기법을 도입하 여 노사 관계를 원만하게 이끌어감
17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Ⅲ-18> 미국 위스콘신 KFI 공장 전경
· 1998년 캘리포니아주 호루사무에 제2공장을 설립 - 미국에서 위스콘신 공장과 함께 연간 10만 킬로리터를 생산
다. LEE KUM KEE □ 개요 · 1888년 이금기의 창업자 이강성이 광동에서 설립 · 1932년 설비의 현대화, 제품 판매망의 확장, 상품의 질과 고객 만족, 서비스에 대한 추구는 이금기를 ‘국제적인 회사’로 발전 · 1972년 팬다 굴소스가 출시되어 세계적인 인기 · 2000년 중국 전통 기업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음 · 2001년 이금기사의 유통망은 5개 대륙, 60개 국가로 확장하여 전세계 모든 가 정의 식탁에서 사랑받는 상품으로 발돋움 · 굴 소스 이외에 새우, 갈릭 칠리 등 90가지가 넘는 그들의 제품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요리만도 225가지 이상 · 현재 Xinhui, Huangpu, Hongkong, Malaysia, LA에 공장을 설립하여 생산 중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71
<그림 Ⅲ-19> 동양음식 소스를 대표하는 LEE KUM KEE의 굴소스
□ 주요 성공 요인 1) 현지 음식과의 조화 · 현지인들이 즐겨먹는 음식에 어울리는 맛과 제품을 개발하여 현지 소비자들에 게 침투 · 제품 자체를 홍보하기보다는 제품을 사용한 음식을 홍보 · 잡지 및 홈페이지에 자사 제품을 이용한 음식의 레시피 제공 <그림 Ⅲ-20> LEE KUM KEE 미국사이트에 게재된 스테이크 레시피
17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Ⅲ-21> LEE KUM KEE 일본사이트에 게재된 볶음우동 레시피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73
<그림 Ⅲ-22> LEE KUM KEE 한국사이트에 게재된 된장찌개와 잡채 레시피
· 세계 각국의 현지인들의 다양한 조리법에 맞춘 다양한 제품 출시 - 프리미엄 굴 소스: 풍부한 굴 향의 다목적 소스는 모든 음식의 맛을 배가 - 팬다 굴 소스: 굴 추출물로 만들어진 다목적 소스, 음식을 재우거나 볶을 때 이상적 - 마파 소스: 두부와 다진 돼지고기만 첨가하면 맛있는 사천식 마파두부가 만 들어지는 소스 - 탕수육 소스: 과일 향이 톡 쏘는 애피타이저 용, 각종 튀김 요리를 찍어 먹기 에 좋음 - 블랙 페퍼 소스: 스테이크 그레이비나 볶음요리 양념으로 적합 - 마늘 콩 소스: 향긋한 검은콩과 마늘로 만든 소스. 요리를 볶거나 찔 때 사용
17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바비큐 소스: 각종 고기, 해산물의 재우기, 구이, 그릴, 바비큐에 쓰이는 탁월 한 소스 - XO소스: 미식가들을 위한 소스. 말린 패주, 새우, 매운 고추 그리고 향신료로 만들어진 소스로 고기, 야채, 해산물, 두부, 볶음밥, 파스타, 국수류, 죽, 만두 등에 세련된 맛을 줌. 매운 맛의 XO 소스는 만두, 면, 죽, 스시 등에 좋음 - 치킨파우더: 미국 산 최상급 닭고기로 만든 양념. 모든 음식의 맛을 최고로 증가시킴 - 고추 마늘 소스: 잘 익은 고추와 마늘이 조화를 이룬 소스. 찍어먹거나 볶음 요리에 좋음 - 두반장: 고추와 발효 대두가 어울린 사천식의 칠리소스. 매운 음식을 만드는 데 적합 - 스윗 칠리 마늘 소스: 충분히 숙성된 칠리와 마늘 향이 조화된 소스. 볶음 요 리에 좋음 - 스리라차 칠리 소스: 타이 스타일의 매운 마늘 소스로 신선하고 수분이 많은 태양초로 만들어졌으며 각종 요리에 매운 향으로 이국적 풍미를 더함. 디핑 소스로도 좋음 - 해선장: 선별된 향초와 대두로 만들어진 매콤한 소스. 재움, 구움, 볶음요리 에 사용 - 매실 소스: 절인 중국 매실, 생강, 고추로 만들었으며 구운 고기를 찍어먹는 데 좋은 소스 2) 화교의 영향 · 전 세계 90여 개국에 5,500만 명으로 추정되는 화교인구의 중식 전파 및 현지 음식과의 조화 시도 3) 생산의 현지화 및 위생, 품질에 대한 노력 · 1991년 미국 LA에 55,000평방 피트의 생산 공장 설립으로 생산의 현지화 · 생산에 있어 Zero tolerance를 추구하여 엄격한 위생, 품질 기준을 자사의 위생, 품질 기준으로 도입 - 원재료 획득에서 생산, 포장까지 감시하는 One stop 감시 체계 · 통합 위생 관리망으로 최고의 품질 유지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75
라. Marukome 일본된장(Miso) □ 개요 · 1854년 간장, 된장 양조업 시작, 1967년 Marukome 된장 주식회사로 개칭 · 본사는 일본 나가노시에 위치하며 자본금 1억 엔 규모 · 매년 약 100,000톤의 일본된장 생산 및 2006년 기준 매출액 $250 million · Los Angeles, New York 등 전 세계에 15개의 지사가 있으며 총생산량의 6.2%가 24개의 나라에 수출됨 · 전 세계 시판되고 있는 일본된장 제품 중 20%가 Marukome의 제품으로 세계에 서 가장 큰 일본된장 제조 회사로 자리 잡음 · 2007년 11월에 열린 Worlds of Flavor International Conference& Festival에서 “Leveraging Flavor inthe Japanese Kitchen”이란 주제로 강연 <그림 Ⅲ-23> 세계 최대의 일본된장 회사, Marukome
□ 주요 성공 요인 1) 건강식품임을 강조한 마케팅 · 일본된장은 발효식품으로서 콜레스트롤 수치를 낮춰주고 면역력을 높이며 암 예방에도 효능이 있으나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음 Marukom는 기존 일본된장의 효능을 강조함과 동시에 자사제품의 웰빙화에 노력 · Marukome 미국 홈페이지는 일본홈페이지와 다르게 일본된장의 영양, 효능 등 을 소개하는 내용이 많고 특히 된장 주 구입자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된장과 여성 건강과의 관계에 대해 소개 · TV와 잡지 광고를 통해 일본된장이 건강식품임을 알리는데 노력 · 다이어트소금을 사용하여 일본된장의 짠맛은 지키되 나트륨의 함량은 줄이고 제품에 칼로리 및 영양 성분과 함께 다이어트 소금 함량 표시
17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일본된장의 현지화를 위한 노력 · 일본의 전통적인 음식이 아닌 해외 각국의 사람들이 먹기 쉬운 요리법을 제안 하지 않으면 식습관으로서 침투하기 어렵다고 생각하여 서양식에 맞춘 제품 개발 및 조리법 소개 · 미국에 맞춰 개발된 제품 및 조리법은 미국에서만 소개되고 있음 · “MISO YAKI For Meat”, “MISO YAKI For Fish”, 샐러드 드레싱용 일본된장 - 밥과 국 위주의 일본 식단과 달리 미국은 샐러드와 스테이크, 생선과 같은 정찬 위주의 식단임을 고려 - 고기류와 생선류, 샐러드에 곁들이는 일본된장 소스 개발 - 구체적으로는 고기류엔 사과소스, 생선류엔 머스터드, 참깨소스, 샐러드엔 오리지날, 라즈베리, 비네그레트 드레싱 등이 있음 · 들어가는 재료를 달리하여 단맛, 신맛, 매운맛 등 일본된장의 고유한 맛 이외 에 기호에 따른 선택이 가능 · 미국식 음식에 일본된장을 곁들인 Appetizer, Soup and Salad, Entrée별로 레시피 제작 - 일식당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요리가 아니라 가정에서도 손쉽게 먹을 수 있 는 요리로 인식시키기 위해 노력 ·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형태로 제조 - 장류의 개념이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들을 위해 요리하기 쉽도록 수저로 떠 먹는 용기형 이외에도 페트형, 튜브형 출시 ꋭ 페트형, 튜브형에 들어가는 일본된장은 액체로 된 된장임 ꋭ 이로 인해 조리 과정이 간편해짐
- 간과 양이 조절되어있는 과립형 인스턴트 일본된장 출시 - 컵 안에 두부, 시금치, 대파, 일본된장 등이 들어있어 끓는 물만 넣으면 즉석 에서 미소국을 먹을 수 있는 형태로도 제조 · 디스펜서를 개발하여 가정 외에도 일식당, 호텔, 사무실 등 많은 사람들이 편 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함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77
<그림 Ⅲ-24> 튜브형, 페트형, 컵형 일본된장 용기
3) 생산의 현지화 · 일본에서 생산하여 제품을 전 세계로 유통시키는 과정에서 추가비용 발생 · 2007년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Irvine시에 Marukome 공장 설립 - 투자비용은 약 $1,800million이며 3-acre 규모 - 일본과 연락이 용이하도록 Time zone을 고려하고 Long Beach의 항구들과 가 까운 위치를 선점 · 공장에서 기존 미국 수출량의 두 배를 생산하여 미국 내 유통시킴 - 2006년 미국 수출량이 500톤에 불과했지만 공장이 세워진 뒤 미국에서만 매 년 1000톤 생산 - 2006년 미국 사업규모는 $1.5million이지만 2010년의 예상 미국 사업 규모는 $5million임 · 미국 공장을 중심으로 캐나다, 멕시코, 중앙아메리카로 공급망을 확대시킬 계획 · 미국 내 일본식품 유통을 전문으로 하는 JFC International Inc.와 합작하여 미국 전역으로 제품을 유통 <그림 Ⅲ-25> 미국 Marukome 공장
17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마. 베르톨리 □ 올리브 오일 · 올리브유는 이태리 음식을 만드는데 꼭 필요한 식재료 중 하나이며 샐러드, 파 스타, 튀김 등 다양한 이태리 요리에 사용됨 · 처음에는 많은 사람들이 올리브유 특유의 맛에 거부감을 느꼈으나 이탈리아 음식의 인기와 함께 대중화됨 □ Bertolli 브랜드 · 1865년 프란세스코 베르톨리가 이탈리아 투스카니지방의 Lucca에 올리브유가 게를 오픈 · 1875년 올리브유가 없던 미국으로 이민 간 이탈리아인들이 베르톨리에게 올리 브유 공급 요청을 하여 이탈리아에서 최초로 올리브유 수출 · 현재 유럽시장에서 50%, 전 세계적으로 6.2%로 세계 1위(2007년) · 이탈리아 밀란 부근세계 최대 규모의 공장 운영 <그림 Ⅲ-26> 올리브 오일 시장 점유율
* Source: EuromonitorInternational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79
<그림 Ⅲ-27> Bertolli 올리브오일
□ 성공 요인 1) 대형 유통업체와의 협력 · 각국 최대 유통업체와의 협력 2) 현지 메뉴에 맞는 조리법 제공 · 네덜란드 시장 진출 시, Bertolli가 직접 현지 메뉴에 맞게 제작한 요리법을 제 공하여 식사를 만드는 프로그램 진행 · 90,000번 이상의 식사 진행과 함께 빠르게 입소문을 타게 됨 3) 이탈리아산 강조 · Bertolli 제품은 항상 이탈리아에서 직접 만들어서 판매한다는 점을 강조 · “The Rich Italian Life”라는 슬로건과 함께 Bertolli의 최고경영자는 항상 이탈리아 인임을 강조하여 전통을 살리는 느낌을 줌 4) 엄격한 품질 관리 · EU나 어느 국제 법규보다 엄격한 품질 기준으로 최고의 품질 관리 유지 · 7번에 걸친 품질심사 및 전문 Taster의 엄격한 맛과 품질 관리 · 올리브 수확 후 24시간 내에 올리브유 추출
18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5. 식재료 공급 개선 방향 가. 식재료 유통 개선 방안(공급자 측면) 1) 직거래 장터 제공 · 수요자와 공급자들 사이의 대규모 네트워크 구축으로 인하여 시장의 규모를 키우고, 정보 공유를 통하여 마켓 인텔리전스(Market Intelligence)의 역할 수행 · 중국 내 한식당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실질적으로 수요 상의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 내고, 이를 통해 한국 내 업체 및 중국 내 식재료 유통업체와의 직접적 인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직거래 장터(Market Place) 도입 <그림 Ⅲ-28> 직거래 장터 제공 “국내외 식재료 가공/유통기업과 해외 한식당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On-line 시장 운영” 국내 가공유통기업 Network
기대효과
Market Place (on-line) 시장 정보
제품
용도 및 조리방식
. . .
. . .
. . .
제품
주문특이사항
정보
대상국 대형 식재료 유통 기업 예)
주문규격 이토요카도 세이유
물류 외주 동경다마청과 다이에
대상국 별 주요 물류 기업
주문
한식당 Network
• 공급 안정성 확보 - 한식당 Network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 - 대형 가공/유통 업체와의 직접적인 거래를 통한 안정성 확보 • 가격 경쟁력 확보 - 유통구조의 단순화를 통한 가격 인하 효과 • 시장정보의 빠른 반영 가능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81
□ 정부의 역할 · 한식당 네트워크 구축 - 지역별 한식당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주문, 배송 측면 규모의 경제 달성 - 한식당 네트워크의 주문, 배송 구조 설계 · 온라인 마켓 구축 및 관리, 정보수집 &제공 - 표준 중국어 표기법 제공 - 한식 요리법의 표준화 & 중문화 - 중국 실정에 맞는 포장 기법 및 디자인 정보 수집 및 제공 □ 기대 효과 · 수요자 측면 - 다수의 거래자들이 모이게 됨으로 자연스럽게 가격의 투명성이 높아짐 - 다양한 공급자로부터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품질이 좋은 제품을 선택 -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함으로써 좋은 식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 · 공급자 측면 - 다수의 수요자들이 모임으로서 규모의 경제실현 가능 - 다양한 수요자들의 정보가 모임으로서 시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음 · 시장 측면 - 가격의 투명성 및 품질 향상은 전반적인 한식재료에 대한 믿음 증가 - 대규모 네트워크가 형성됨으로써 한식 시장의 규모 또한 빠르게 성장 □ Market Intelligence · 한식을 중심으로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모임으로서 다양하고 많은 정보가 공유될 것이며 시장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음. 또한 이러한 정보 들을 분석하여 중국 시장 실정에 맞는 제품의 종류와 포장 방법을 제공 가능. · 공통된 한식 요리법과 한식 재료의 중문 표기법 및 설명을 쉽게 많은 사람들에 게 제공 가능
18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물류의 효율성 제고 □ 현지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그림 Ⅲ-29> 전략적 제휴 형태 품질보증 물량공급
대 형 가 공/유통 업체
농수산물유통공사 규격화된 품질 적합한 포장
· 현재 중국에서는 까르푸, 월마트 등과 같은 글로벌 대형 유통업체와 더불어 본 토 대형 유통업체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도 대형 유통업체를 통해 많이 이루어 지고 있음 · 정부 차원에서 믿을 수 있는 업체들을 확보하고 품질과 대량 공급을 보장한다 면 보험비용의 부담도 줄일 수 있으며 신용상태의 확인이 절차 또한 간소해 짐 · 단점: 한식재료들이 대량으로 중국 내 대형 가공/유통업체에 공급되면 기존의 한식재료 유통업체와 한인 마트들의 경쟁력을 잃을 수 있음 □ 물류 인프라 구축 · 소규모 유통 업체들의 경우 수출 물량이 작아 독자적인 물류센터를 구축하기 어려움 · 정부에서 일부 업체를 대상으로 물류비를 지원하는 등의 사업을 수행 중이지 만, 장기적인 차원에서 물류센터 건립 등을 통해 수출의 편의를 높여주는 것 이 바람직함 - 특히 수출 물량이 작은 경우 정부에서 소규모 업자 간의 네트워킹 등을 지원 해 연합을 통해 물량을 늘리는 방안도 고려 가능
Ⅲ. 식자재 유통 현황 및 개선방안
183
나. 식재료 유통 개선 방안(수요자 측면) 1) 상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 □ 식자재 가공/유통기업의 연구개발 · 한국산 식재료 중 가공재료의 경우,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경쟁력상 의 문제는 “현지화되지 않은 식재료”와 “포장 등의 전문성 부족”임 - 중국인의 입맛에 맞는 가공 양념 등 개발 - 중국어 표기된 식재료 포장 · 국내 식재료 가공기업들은 현지 시장에 대한 분석 및 연구를 통해 적극적으로 새로운 상품과 포장 디자인을 개선해 나갈 필요가 존재함 □ 정부 차원의 연구개발 지원 · 정부는 한국산 식품의 안전성 및 한식 재료의 우수성을 증명할 수 있는 연구개 발이 필요 - 한국산 식품은 발효식품이 많이 존재하므로 자칫 대장균 수 등의 기준에서 안전성의 위험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될 가능성 존재 -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한식 재료의 안전성과 건강함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필요 가 존재하며, 아울러 정부가 직접 이러한 안정성과 우수성을 홍보할 필요 존재 · 중국에서 유망할 식재료에 대해 검토하고, 기업에 이러한 식품 개발을 장려,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 필요
2) 고급화를 통한 차별화 · 인건비나 원자재 비용을 고려했을 경우, 중국산 식재료와의 가격을 통한 경쟁 은 무의미하므로 식재료의 고급화를 통한 차별화가 필요함 · 식재료 가공기업은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식재료의 추가적인 가공을 통해 경 쟁력을 확보하여야 함 - 한식 조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선가공된 양념류 개발 필요(예를 들어 중 국 시장 특화된 불고기용 소스, 삼계탕용 스프 등) - 포장 및 유통채널 등의 고급화 필요
18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체계적인 마케팅을 통한 인지도 향상 · 고급화, 차별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 - 명확한 타겟 고객을 대상으로 제품, 포장, 유통 방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전 략이 필요 - 한류 및 한국과 한국음식에 대한 관심이 한국산 식재료에 대한 관심으로 연 결될 수 있도록 홍보가 필요 · 기존에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도 가 능함
4) 대형 유통업체 공략을 통한 접근성 강화 · 중국에서는 대형 유통업체들이 빠르게 성장중임 - 중국은 TESCO와 같은 글로벌 유통업체와 현지 유통업체들은 점포 확장 경쟁 중 - 대형유통 업체의 성장과 함께 M&A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음 · 대형 유통업체에 납품하는 중국 내 수입업자와 파트너쉽을 맺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한국산 식자재의 낮은 브랜드 파워, 꽌시를 중요시하는 중국 문화를 감안할 때, 초기 단계에서 대형 유통업체에 납품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음 - 하이퍼마켓과 같은 중국 내 대형 유통업체의 경우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가 공식품의 경우에는 생산자로부터 직접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나, 수입식품의 경우에는 중국 내 수입업자를 통하여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 ꋭ 단 Metro의 경우에는 “Gourmedis”라는 자회사를 통해 직접 구매
· 대형 가공/유통업체에게는 중국 실정에 맞으면서도 한식에 적합한 포장과 규 격화를 요구함으로써 한식 재료의 접근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8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한식당 수 및 지역별 분포 1) 도시별 분포 · 사전 조사 결과 중국에서 총 3,872개의 리스트를 작성하였으며, 전수 조사 결 과 그중 2,032개 식당이 실재 영업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1,981개의 식당 조사완료/ 51개 식당 응답 거부 · 그 외 1,809개의 식당이 연락이 안되었으며 폐업 또는 휴업을 하고 있는 식당 이 31개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됨 <표 Ⅳ-1> 한식당 도시별 분포 구분 베이징
조사완료 503
거부 4
연락안됨 274
폐업/휴업 4
총합계 785
비중 20.3%
상해 텐진 심양
348 10 71
0 1 0
158 341 186
6 1 0
509 353 257
13.1% 9.1% 6.6%
장춘 대련 하얼빈
34 94 22
0 0 0
205 101 168
0 0 0
238 195 190
6.1% 5.0% 4.9%
칭다오 션젼 광조우
127 97 67
6 5 0
22 27 51
0 5 11
155 136 129
4.0% 3.5% 3.3%
난징 항조우 시안
102 102 73
0 0 4
18 10 21
0 0 0
120 112 98
3.1% 2.9% 2.5%
쑤조우 제남 청두
43 53 44
10 0 0
39 14 11
0 0 4
92 67 61
2.4% 1.7% 1.6%
무한 무석 닝보
40 19 19
6 0 10
13 34 18
0 0 0
59 53 47
1.5% 1.4% 1.2%
총칭 시아먼
11 34
0 1
32 5
0 0
43 40
1.1% 1.0%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87
동관 석가장 푸조우
14 7 16
0 0 0
20 19 8
0 0 0
34 26 24
0.9% 0.7% 0.6%
창샤 양조우 포샨
15 6 1
0 0 4
0 8 6
0 0 0
15 14 11
0.4% 0.4% 0.3%
난닝 총합계
9 1981
0 51
0 1,809
0 31
9 3872
0.2% 10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2) 지역별 분포 <그림 Ⅳ-1> 중국 내 한식당 지역별 분포 중부 10.9% 서부 7.8%
동부 81.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동/중/서부 지역별 한식당 및 한국음식 판매업소 분포를 보면 동부지역 81.3%, 서부 7.8%, 중부 10.9%로 동부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내륙으로 들어갈수록 비율이 낮아짐 · 한식당 사업자들은 시장규모와 소비자의 구매력을 고려하여 동부지역에 집중 적으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동부에 위치한 북경, 상해, 텐진 특별시는 중국 평균 GDP의 2~3배며 기타 동 부 연안에 있는 도시들 또한 평균 GDP를 상회함
18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한식당 유형 구분 1) 유형 구분의 필요성 · 고객의 외식에 대한 니즈는 고객군에 따라 상이, 고객의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 한 메뉴, 서비스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객군별로 최적의 한식 당 유형을 매칭 · 연령, 가구 소득 등에 의해 구분되어 특정한 니즈를 가진 고객군을 구분 · 고객군에 적합한 음식, 서비스, 분위기, 가격 등을 가진 한식당 유형을 선정, 효과적인 마케팅 전개
2) 한식당 유형 □ 한식당 유형 구분 기준으로 서비스 방식, 식당의 규모, 한식메뉴 비중, 경영자 국적 등 다양한 구분 기준을 검토하였으나, 전략적 의미의 한식당 유형 구분을 위 한 기준은 객단가와 메뉴의 다양성임 · 서비스 방식: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 중 일부만을 반영하게 되어, 유형의 구 분보다는 유형에 관계없이 운영방안에 따라 달라짐 · 한식메뉴 비중: 한식메뉴의 비중은 한식당의 유형이 아니라 타국가의 음식을 메뉴로 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운영방식 상의 차이 · 경영자의 국적: 정책지원적인 차원에서는 유의미할 수 있으나, 한식당 마케팅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없음 · 식당 규모: 매출 규모에 대한 현황파악이 어려우며, 객단가와 비례하는 경우가 많음 · 객단가는 식당의 Target 고객 및 Positioning을 설명 가능케 하는 요소이며, 다양 성은 Target 고객 및 서비스 방식, Products 전략을 구분할 수 있는 요소 - 객단가는 식당의 Quality와 Luxury함을 나타내는 정량적 기준으로 인당 평균 객단가로 구분(국가별 소득수준 및 경쟁현황에 따라 상이) - 고가: 식당 평균 객단가가 시장 내 High-end식당 객단가와 비슷하거나 높은 한식당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89
- 중가: 식당의 평균 객단가가 시장 내 High-end와 Low-end 기준 사이 - 저가: 식당의 평균 객단가가 시장 내 Low-end식당 객단가와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 · 메뉴의 다양성은 식당의 운영전략과 직접 연계되는 구분 기준으로 고객의 입 장에서 선택 가능한 메뉴의 종류 다양성 – 다양과 단순으로 구분 - 다양은 선택할 수 있는 식당의 주요메뉴 종류가 71)가지 이상이며, 메뉴의 판 매 비중이 분산되어 있는 한식당 - 단순은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식당의 주요메뉴 종류가 7가지 미만으로 제한 적이고, 메뉴의 판매 비중이 2~3개의 메뉴에 집중되어 있는 한식당 □ 한식당 유형 구분 · 한식당 유형은 크게 가격대와 메뉴의 다양성을 기준으로 고급 한정식당, 고급 한식당, 전문 한식당, 일반 한식당, 패스트푸드 한식당, 간이 한식당 등 6가지 유형으로 구분 <그림 Ⅳ-2> 한식당의 유형 구분 1
2
고급 한정식
고급 한식당
(Luxury Traditional)
(Luxury Korean)
고가
가격대
3 중가
4
전문 한식당
일반 한식당 (Causal
(Specialized)
5 저가
Dining)
6
패스트푸드
간이 한식당
(Fast Food)
(Convenient)
단순
다양 메뉴 다양성
1) 약 3,500여 개의 해외 한식당 분석 결과,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메인 메뉴의 개수가 7개를 기 준으로 식당 유형이 유의미하게 상이해짐.
19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고급 한정식(Luxury Traditional) 전통 한정식, 한국적 인테리어의 고급 한식당 으로 한국의 필경재와 같은 한식당 고급 한식당(Luxury Korean) 다양한 메뉴와 고급 서비스가 제공되는 한식당으 로 우래옥과 같은 한식당 전문 한식당(Specialized) 전문 메뉴로 구성된 중가의 한식당을 말하며 본비빔 밥과 같은 전문점 식당 일반 한식당(Casual Dining) 일상적인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한식당으로 명동 본가와 같은 식당 패스트푸드(Fast Food) 저렴한 가격의 전문 메뉴로 구성된 한식당으로 신당동 떡볶이 등과 같은 식당 간이 한식당(Convenient) 가볍고 다양한 메뉴의 분식집형 한식당이며 김밥 천 국과 같은 분식집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91
3. 한식당 현황 분석 1) 유형별 분석 <그림 Ⅳ-3> 중국 내 한식당 유형별 분포
패스트푸드 0.1% 전문 한식당 3%
고급 한정식 식당 간이 0.1% 한식당 고급 2% 한식당 5%
일반 한식당 90%
고급 한정식 식당: 객단가 $14.6 이상의 한정식 식당 고급 한식당: 객단가 $14.6 이상의 7가지 이상의 다양한 메뉴를 가진 한식당 일반 한식당: 객단가 $2.9~$14.6 수준의 7가지 이상 다양한 메뉴를 가진 한식당 전문 한식당: $2.9~$14.6 수준의 7가지 이하의 메뉴를 가진 한식당 패스트푸드 한식당: 객단가 $2.9 미만의 전문점 간이 한식당: 객단가 $2.9 미만의 7가지 이상 다양한 메뉴의 한식당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유형별로는 객단가 $2.9~$14.6대에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대중적인 일반 한 식당이 89.7%로 가장 많음 · 고급 한식당(4.8%), 전문 한식당(3.2%), 간이 한식당(2.2%), 패스트푸드 한식당 과 고급 한정식 식당(각 0.1%) 순
19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메뉴별 분포 <그림 Ⅳ-4> 중국 내 한식당 메뉴별 분포 70.1%
고기구이 고기 찜류
7.5%
비빔밥/볶음밥
7.3%
탕/찌게 백반
7.1%
분식
4.8%
생선류
1.4%
혼합식
1.0%
준식당
0.8%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판매 메뉴별 식당 분포로는 고기구이를 위주로 하는 식당이 70.1%로 가장 많음 - 수육, 갈비찜 등과 같은 고기류를 포함하면 77.6%라는 압도적인 비중으로 10 개의 점포 중 약 8개의 점포가 고기류를 파는 한식당임 · 반면 비빔밥/볶음밥/덮밥 위주의 메뉴와 탕/찌개 백반 위주의 메뉴를 제공하 는 식당이 각각 7% 수준 · 이 외에 분식류/생선류, 주점, 카페 등의 형태로 한식을 제공하는 준식당은 각 각 4.8%, 1.4%, 0.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93
3) 대표자 국적별 분포 <그림 Ⅳ-5> 중국 내 한식당 대표자 국적별 분포 중국인 14%
조선족 20% 한국인 66%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한식당의 경영주 국적은 한국인 65.8%, 조선족 20.1%, 중국인 14%로 조사되어 한국인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4) 영업 기간별 분포 <그림 Ⅳ-6> 중국 내 한식당 영업 기간별 분포 10년 이 상
7. 80%
5~10년
29. 60%
3~5년
2년 미 만
40.40%
22. 2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영업 기간별 분포도를 보았을 때 2년 미만 22.2%, 개업 3~5년 40.4%, 5년~10년 29.6%, 10년 이상 7.8%로 조사됨 · 중국 내 한국 외식기업의 진출 및 한류열풍 이전부터 조선족 밀집지역에 한식 당이 성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62.6%의 가게들은 개업한지 5년이 안되었으며 10년 이상의 전통이 있는 점포는 7.8%에 불과함
19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5)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Ⅳ-7> 중국 내 한식당 운영 형태별 분포 프랜차 이즈 5%
개인 (본점) 45% 분점 48%
법인직 영 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운영 형태별 분포도를 보았을 때 개인(본점) 식당과 분점 식당이 각각 45%, 48% 를 차지하며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 - 분점의 비중이 개인(본점)보다 높은 것은 일부 개인점포 운영자들이 분점 개 점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또한 최근 국내 대형 프랜차이즈 기업의 활발한 중국 진출에도 불구하고, 소규 모 영세한 개인 식당의 비중이 높아 프랜차이즈형 한식당의 중국 진출 분포는 5%에 불과함
6) 조리사별 분포 <그림 Ⅳ-8> 중국 내 한식당 운영 조리사별 분포 한국 28%
조선족 34%
중국 38%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한국인 조리사를 두고 있는 한식당의 비중은 28%에 불과하며, 중국인 38%, 조 선족 34%인 것으로 조사 됨 - 한국인의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95
7) 자격증 유무에 따른 분포 <그림 Ⅳ-9> 중국 내 한식당 조리사 자격증 보유 여부 있음 9%
중국 자격증 1%
없음 9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조리사의 자격증은 보유 여부에서는 90.3%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인이 아닌 조선족과 중국 현지인 조리사의 비중이 대부분임에도 불구하 고, 한식조리사 자격증을 갖춘 조리사는 10% 미만으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조리사의 수가 부족한 것으로 보임
8) 좌석 수별 분포 <그림 Ⅳ-10> 중국 내 한식당 좌석 수별 분포 300석이상
4.4%
200~300석
11.9%
100~200석
28.20%
50~100석
34.80%
20~50석 20석이하
17.10%
3.6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19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좌석 수별 분포 - 20석 이하 3.6%, 50석 이하 17.1%, 100석 이하 34.8%, 200석 이하 28.2%, 300석 이하 11.9%, 300석 이상 4.4% · 100석 이하의 점포, 즉 4인기준 25테이블 정도 이하의 중소규모의 업소가 전체 의 55.5%로 조사됨 · 200석 이상 규모의 식당도 16%를 차지하고 있음 · 대규모 식당을 선호하는 중국인의 취향에 맞게 대형화된 식당의 진출이 필요
9) 객단가별 분포 <그림 Ⅳ-11> 중국 내 한식당 객단가별 분포 $14.6 이상 $11.7~$14.6
3.5%
6.0%
$8.8~$11.7
17.7%
$5.9~$8.8
45.8%
$2.9~$5.9 0~$2.9
24.7%
2.4%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중국 한식당의 72.9%가 $8.8 이하의 가격으로 분포 · 평균 객단가는 $8.2으로 조사됨 · 기타 Ethnic Food 식당의 전체 범주에서 최하위 수준으로서 중국인들에게 한식 은 저렴한 음식이라는 이미지가 고착될 우려가 있음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97
10) 월 매출 규모별 분포 <그림 Ⅳ-12> 중국 내 한식당 월 매출 규모별 분포 >131760
( 월매출, $)
7.5%
450,000~900,000
31.3%
32940~65880
23.0%
13176~32940
24.4%
6588~13176
8.6%
<6588
5.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체의 약 62%가 $32,940(한화 약 39,000,00원) 이상의 상당한 매출을 기록 - 비록 대부분의 식당들이 좌석수도 많지 않고 객단가 또한 낮지만 한식당을 찾는 고객들이 많아 점포당 테이블 회전율이 높은 것으로 보임
11) 종업원 수별 분포 <그림 Ⅳ-13> 중국 내 한식당 종업원 수별 분포 12명 이 상 22.7%
9~11명 9.9%
2명 이하 19.3%
3~5명 28.2% 6~8명 19.9%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한식당의 종업원 수 분포는 2명 이하 19.3%, 3~5명 28.2%, 6~8명 19.9%, 9~11명 9.9%, 12명 이상 22.7%인 것으로 조사됨 · 전체 중 47.5%가 5명 이하의 종업원을 두며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는 식당임 · 12명 이상의 종업원을 고용하고 있는 한식당도 22.7%로 상당 부분을 차지
19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2) 한국인 손님 비중별 분포 <그림 Ⅳ-14> 중국 내 한식당 한국인 손님 비중별 분포
70~100%
5.8%
50~70% 50% 미만
57.5%
36.7%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한국인 손님 비중별 분포를 보면 한국인 손님 비중이 50% 이상인 한식당이 63.3%에 달할 정도로 한인 의존도가 심한 것으로 조사됨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199
4. 한식당 유형별 분석 1) 고급 한정식 식당(Luxury TraditionalRestaurant) · 분석을 위한 표본이 적어 대표성을 갖지 못하므로 생략함
2) 고급 한식당(Luxury FamilyRestaur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Ⅳ-15> 고급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41.2%
고기구이 23.2%
탕/찌게 백반 8.9%
생선류 비빔밥/볶음밥
8.0%
분식
7.9% 7.1%
고기찜류 혼합식
3.7%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메뉴 분포를 보면 고기구이가 41.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탕/찌개 백반이 23.2%, 생선류(8.9%), 비빔밥/볶음밥(8%), 분식(7.9%), 기타 고 기류(7.1%), 혼합식(3.7%) · 고급 한식당의 경우 고기구이의 메뉴 비중이 가장 많기는 하지만 중국 전체 메뉴별 분포보다 비교적 메뉴 분포가 고른 것으로 나타남
20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Ⅳ-16> 고급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 프랜차 이즈 8%
개인 ( 본점) 49%
분점 35%
법인직 영 8%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를 보면 기업형 프랜차이즈 운영보다는 개인 이 운영하는 점포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음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Ⅳ-17> 고급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단위: $) 61%
>131,760 65,880~131,760
31%
32,940~65,880
8%
13,176~32,940
0%
6,588~13,176
0%
<6,588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월 매출을 살펴본 결과 61%의 점포가 $131,760 이상 매출을 올 리고 있음 · $13,176 이하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점포는 없을 정도로 고급 한식당의 월 매 출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됨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201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Ⅳ-18> 고급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19%
200~300석
19%
100~200석
42%
50~100석
19%
20~50석
0%
20석이하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좌석 규모 또한 전체 중 38%가 200석 이상의 대형 식당으로 구성 · 고급 한식당 유형에 50석 미만의 소규모 식당은 없는 것으로 조사됨
20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사례> 대표 식당 예시 : 애강산 · 2006년 법인 직영으로 설립되어 현재 베이징에 2개점을 운영 · 비즈니스 접대용 만찬을 원하는 30대 후반 고소득층과 외국인 주재원을 대상 으로 고급 인테리어 공간에서 고급 등심 및 최고급 식재료를 바탕으로 만든 한정식을 제공 · 장소 또한 번화가를 피해 한산한 공원 지대이면서 인근에 국제학교가 있어 외 국인 손님이 많으며 매우 청결 · 메뉴 구성은 주 고객인 외국인 손님이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류 또한 239가지 음식으로 매우 다양 <그림 Ⅳ-19>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고급 비즈니스 한식당 애강산
· 규모 또한 1호점 800평, 2호점 1,600평 정도의 크기로 조리사를 포함한 평균 종 업원 또한 310명 정도의 기업형 대형식당 · 애강산은 연 매출 70억 원 이상을 올리는 성공을 바탕으로 현재 3호점 오픈을 준비 중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203
3) 일반 한식당(Casual DiningRestaur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Ⅳ-20> 일반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69.8%
고기구이 12.0%
분식
7.9%
탕/찌게 백반
6.5%
비빔밥/볶음밥 고기찜류
1.8%
생선류
1.8%
혼합식
0.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에 비해 고기구이의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중저가대를 형성하고 있는 분식류가 12%로 분포되어 있음 - 고기가 69.8%로 가장 많음 - 분식(12%), 탕/찌개 백반(7.9%), 비빔밥/볶음밥(6.5%), 기타 고기류 및 생선류(각 1.8%), 혼합식 (0.3%) 순으로 분포
20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Ⅳ-21> 일반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분포 프랜차 이즈 3%
개인 (본점) 46%
분점 47%
법인 직영 4%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기업형 프랜차이즈 운영보다는 개인이 운영하는 점포 중심으로 분포 - 운영 형태별 분포도를 보았을 때 개인(본점) 식당과 분점 식당이 각각 46.4%, 46.7%로 전체의 93.1%를 차지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Ⅳ-22> 일반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단위: $)
3.1%
65,880~131,760
30.3% 24.5%
13,176~32,940
25.7% 10.2%
<6,588
6.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반 한식당의 월 매출 분포를 보면 전체 중 50.2%가 중간 위치인 $13,176~ $65,880 사이에 위치 · 월 매출 $65,880(한화 약 780만 원)인 영세형 점포가 6.2%나 차지하고 있는 반 면에 중 가격대의 음식을 파는데도 불구하고 $131,760(한화 약 1억 5천만 원) 이상의 많은 매출을 올리는 식당(3.1%)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205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Ⅳ-23> 일반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4.6%
200~300석
20.4%
100~200석
31.6%
50~100석
31.3%
11.8%
20~50석 20석이하
3.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50석 이하 즉, 4인 기준 12테이블 이하의 소규모 점포가 14.8%인 반면 200석 이 상의 대형 일반 한식당이 25%인 것으로 조사되어 일반 한식당 규모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남 - 20석 이하 3%, 20~50석 11.8%, 50~100석 31.3%, 100~200석 31.6%, 200~300석 20.4%, 300석 이상 4.6% □ <사례> 대표 식당 예시 : 홍동 한국요리 · 2002년 한국인 개인이 상해에 설립 · 대중화된 맛과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중국 현지인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식당 · 홍동 한국요리는 중국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생마늘, 생양파와 같은 너무 강 한 향이나 맛을 지양 · 식당 입지 또한 주변에 학교 및 예술의 거리가 있는 관광지이자 상업지구로서 현지인과 외국인, 관광객 등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자리 잡음 ·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맞게 학생 및 회사원에 맞춘 합리적인 가격대에 음식 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점심시간에는 특선 할인 메뉴를 제공 · 현지화 노력으로 홍동 한국요리의 한국인 손님 비중은 5% 미만으로 한국 손님 의존도는 매우 낮음
20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Ⅳ-24> 대중화된 맛과 메뉴의 일반 한식당 홍동 한국요리
· 홍동 한국요리는 3층 단독건물로서 총 좌석 수는 약 150석으로 종업원은 25명 임. 조리사는 15명 모두 중국인이나 모두 한식조리 경험이 5년 이상 있는 베테 랑임 · 특별한 식당 차원에서의 홍보활동은 없지만 단골 손님, 인터넷의 맛집사이트 의 소개, 연예인과 유명 인사의 방문 등의 입소문을 통해 유명해진 홍동 한국 요리는 약 $58,560 한화 약 7천만 원)의 월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함 <그림 Ⅳ-25> 한국 및 중국 유명인사의 방문이 많은 홍동 한국요리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207
4) 전문 한식당(SpecializedRestaur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Ⅳ-26> 전문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51.9%
고기구이 29.6%
탕/찌게 백반 분식 비빔밥/볶음밥
11.1% 7.4%
생선류 0.0% 혼합식 0.0% 고기찜류 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문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를 보면 고기를 전문으로 파는 식당이 46.4%로 가 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탕/찌개백반을 파는 식당이 29.6%, 만두, 냉면 등 을 파는 분식이 11.1%, 비빔밥 전문점 7.4% 순 · 그 외에 기타고기류, 생선류, 혼합식을 취급하는 전문 한식당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20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Ⅳ-27> 전문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 프랜차이 즈 7%
개인 (본점) 53%
분점 4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문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도를 보면 개인(본점) 식당과 분점 식당이 각 각 53.3%, 40%를 차지하며 전체의 93.3%를 차지함 · 법인 직영으로 운영이 되는 전문 한식당은 없었으며, 명동칼국수와 같은 프랜 차이즈형 전문 한식당은 6.7%를 차지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Ⅳ-28> 전문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131,760
0%
65,880~131,760
(단위: $) 13%
32,940~65,880
33%
13,176~32,940
40%
6,588~13,176 <6,588
13%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13,176~$32,940 구간이 40%로 가장 많았고 $32,940~$65,880가 33%, $65,880~ $131,760과 $6,588~$13,176이 각각 13%인 것으로 조사됨 · 전문 한식당은 $131,760 이상의 대규모 매출을 올리고 있는 점포는 없었으며 $6,588 이하의 소규모 영세 점포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남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209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Ⅳ-29> 전문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0%
200~300석
0%
100~200석
47%
50~100석
33% 20%
20~50석 20석이하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문 한식당의 좌석 규모를 보면 100~200석이 47%, 50~100석 33%, 20~50석 20% 인 것으로 조사됨 · 200석 이상의 대형 식당은 없었으며 20석 이하의 소규모 식당 또한 없는 것으 로 나타남
21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사례> 대표 식당 예시 : 정일미(正一味) · 비빔밥 전문 프랜차이즈 식당인 정일미는 1999년 시작하여 지속된 성공적인 확장을 통해 현재 베이징에만 26개의 분점을 둔 기업 · 비빔밥과 덮밥을 주 메뉴로 함 · 중국의 젊은 층의 바쁜 생활 패턴을 반영하여 빠르고 간단히 먹을 수 있는 한 식메뉴를 구성하였고, 음식들 또한 주문에서 나오는 데까지 3분을 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젊은 층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 · 가격대 또한 $5.9 이하의 음식들로 구성되어 경제적 부담 없이 간편하고 빠르 게 이용할 수 있는 식당 · 포장해서 가져갈 수 있는 테이크 아웃 서비스, 된장찌개와 김치찌개를 고민하 는 고객들을 위해 반으로 나뉜 그릇 하나로 두 가지 음식을 모두 맛볼 수 있는 아이디어 상품 등을 통해 중국 젊은 층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 <그림 Ⅳ-30> 비빔밥 전문 프랜차이즈 식당 정일미(正一味)
5) 패스트푸드 한식당(Fast Food Restaurant) 분석을 위한 표본이 적어 대표성을 갖지 못하므로 생략함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211
6) 간이 한식당(Convenient Restaur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Ⅳ-31> 간이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51.9%
고기구이 41.9%
비빔밥/볶음밥 34.9%
분식 11.6%
탕/찌게 백반 고기찜류
2.3%
생선류
0.0%
혼합식
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비빔밥/볶음밥, 분식이 76.8%를 차지하여 고기구이가 대부분인 다른 유형의 식 당과 구분됨 - 비빔밥/볶음밥 41.9% - 분식 34.9% - 탕/찌개 백반이 11.6%, 고기구이 9.3%, 기타고기류 2.3% 등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Ⅳ-32> 간이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 분점 32.1%
개인 (본점) 67.9%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간이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를 보면 개인(본점)이 67.9%, 분점 32.1%로 분포 · 개인(본점)과 분점이 전체를 차지하며, 프랜차이즈로 운영되는 형태는 존재하 지 않는 것으로 조사됨
21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Ⅳ-33> 간이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131,760
0.0%
65,880~131,760
0.0%
32,940~65,880
0.0%
13,176~32,940
0.0%
6,588~13,176
36.4%
<6,588
63.6%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간이 한식당의 월 매출 유형을 보면 모든 식당이 $13,176의 매출을 올리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남 - 63.6%은 $6,588 이하의 매출을 올리는 소규모 영세형 식당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Ⅳ-34> 간이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0.0% 200~300석 0.0% 100~200석 0.0% 50~100석
23.8%
20~50석 20석이하
57.1% 19.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간이 한식당의 좌석 규모는 모든 식당이 100석 이하의 중소 규모 업소인 것으 로 조사됨 - 20석 이하 19% - 20~50석 57.1% - 50~100석 23.8%
Ⅳ. 한식당 중국 진출 현황조사
213
□ <사례> 대표 식당 예시 : 동반자 한국 숯불구이 식당 · 2004년 조선족이 상해의 오피스 타운 근처에 설립 · 주변에 근무하는 20~30대 중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식당 · 직장인을 위한 점심특선 메뉴 및 다양한 할인 가격을 제공하여 주변지역 회사 원들이 점심시간에 $2.8 이하의 저렴한 가격으로 간단히 먹을 수 있도록 함 · 식당 규모는 5층 상가의 1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좌석 수는 80석 <그림 Ⅳ-35> $2.8 이하의 저렴한 가격의 동반자 한국 숯불구이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1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분석 시사점을 통한 한식 세계화 전략 방향성 가. 한식 세계화를 위한 Drivers 1) 고객 확대 측면(한식의 일상화, 보편화) □ 한식당 및 한식 고객 확대를 위해서는 상품의 매력도 확보, 인식 개선, 접근성 강화가 가장 중요한 Driver · 상품의 매력도 확보란, 세계화의 대상인 한식과 한식당이 현지 고객의 성향에 맞도록 경쟁력을 갖추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Driver임 · 인식 개선은 한식과 한식당에 대한 인지 및 선호도의 개선과 한식에 대한 이해 도 심화를 의미하며 홍보 등을 통해 개선하여야 할 Driver임 · 접근성 강화는 한식당의 위치 측면이나 정서적 측면에서 현지인들이 접근하기 에 용이하고 부담 없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Driver임
2) 사업자 운영 측면(한식당의 사업성) □ 한식당 사업자 측면에서 사업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성과 개점 및 운영의 편의가 담보되어야 함 · 수익성은 가격 구조, 식재료 유통 효율화,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담보 · 개점 및 운영의 편의성은 표준화 및 인력 조달 활성화 등을 통해 담보
나. 중국 시장, 고객 및 한식당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 1) 상품 매력도 및 한식/한식당에 대한 인식 측면 □ 중국 시장에서 한식과 한식당은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 에스닉 푸드 대비 가격이 낮고, 메뉴와 맛에 대한 만족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개선 이 필요함 · 한식은 중국 시장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에스닉 푸드로 조사되었으며, 일식, 이태리식, 태국식, 프랑스식이 그 다음으로 나타나 매력도가 높음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17
· 한국 드라마, 영화의 영향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높고, 김치등 대표 한식의 건강식 이미지, 다른 에스닉 푸드 대비 낮은 가격 등이 한식 선호의 이유로 조 사됨 · 전체적으로는 선호가 높지만 일부 사람들은 한식의 단순한 메뉴(32.6%), 너무 맵고 자극적이기(30.3%) 때문에 한식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메뉴 개발과 현지화가 필요함
2) 접근성 측면 □ 한식당은 다른 에스닉 푸드 대비 가격대가 낮으며, 지역적으로 중국 현지 고객 들에게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됨 · 한식당이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된 것은 고급 한식당도 존재하지만, 조선 족이 운영하는 소규모 간이 한식당이 많아 객단가 평균을 낮춘 것으로 분석됨 · 한식당의 식당 수는 미국식, 일식당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가격 대는 미국식, 인도식과 비슷하거나 낮은 저가의 대중적인 캐주얼 식당으로 포 지셔닝 되어있음 · 지역적으로는 경제가 발달한 동부 연안지역에 집중 분포되어 있고, 특히 한인 타운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 식당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한식당의 분포가 한인 밀집 지역에 집중되어, 중 국인들은 한식당의 접근성이 타 에스닉 푸드 식당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인식 하고 있음
3) 수익성 측면 □ 한식당은 타 에스닉 푸드 대비 상대적으로 객단가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무료 반찬 제공 등의 이유로 한식당 자체의 수익성이 낮고, 그에 따라 품질이 낮은 한식 을 파는 한식당도 많은 것으로 조사됨 · 한식에 익숙한 한국계 고객이 60% 이상을 차지하는 한식당들은 대부분 많은 양의 반찬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객단가가 상승하고, 수익성이 악화되는 현상 초래
21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특히 최근 한국인을 상대로 하는 한인 밀집지역의 식당은 대부분 수익성이 좋 지 않아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조선족 등이 운영하는 생계형 식당에서는 품질이 낮은 저가의 한식 메뉴를 파 는 경우가 많아 전체적인 한식에 대한 이미지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음
4) 개점 및 운영 편의 측면 □ 한식당을 개점하기 위한 Process가 정립되지 않고 운영 Know-how가 공유되 지 않아서, 식재료 수급, 직원에 대한 교육, 조리사 확보 등의 한식당 운영상의 장 애가 존재 · 중국에서 한식당을 개점하기 위한 개점 Process와 운영 Know-how가 정립되지 않고 공유되지 않은 상황으로 대부분의 한식당 업주는 경험을 통해 개점 절차 를 이해하고 있음 - 개점을 위한 시장/입지분석, 인허가 등 법적 제도적 절차에 대한 Process 정 립 및 가이드가 존재하지 않음 - 한식당 운영 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Know-how는 경험이 많은 한식당 업주에게 체계화되어 있으며, 공유되지 않음 · 중국 내 식당들은 원가 절감을 위해 대부분 중국산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한식 재료는 대부분 유통회사, 한인마트 등을 통해 유통되지만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지 않아 공급 안정성이 낮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것으로 나타남 · 한식당 업주 인터뷰를 통해 드러난 한식당 운영의 가장 큰 애로사항 중의 하나 가 직원의 Retention이며, 교육 방안 및 교육 컨텐츠의 부재로 인해 서비스 수 준의 향상이 어려운 점을 토로 - “조선족 직원은 채용이 어렵고 중국인은 관리가 매우 힘들며, 이직을 자주 해 경영에 어려움이 있다”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19
다. 중국에서 성공하기 위한 한식의 단기적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 역사 및 정통성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중국인들에게 전통적인 가치를 제안하는 것은 어려우며, 한류 등으로 알려진 한국의 모던(Modern)한 고급 이미지를 한식 에 적용하여야 함. 또한 정찬을 즐기고 여럿이 모여 식사하는 식문화를 가진 중국 에서는 다양한 메뉴를 나누어 즐길 수 있는 공간,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함. 중국 인들의 보양식 선호 경향에 맞추어 삼계탕 등 보양음식의 포지셔닝이 중요함
1)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한식 이미지 부각 · 최근 급속히 현대화되고 있는 중국에서 현대적인 고급스러움을 통해 한식 이 미지를 가치로 부각시켜야 함 - 중국인들은 전통적인 가치에 있어서는 자국의 문화(식문화 포함)를 가장 우 선시하고 있으며, 타국의 전통이나 역사성에 대해 큰 가치를 두지 않는 경향 이 있음 - 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의 모던(Modren)한 이미지가 중국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있으며, 젊은 계층을 중심으로 이러한 한국의 문화에 대한 동경 이 일고 있음 · 한식의 현대적인 고급스러움을 어필하기 위해서는 한식당의 인테리어와 서비 스를 체계적이고 정갈하며 어느 정도 서구적인 방향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음
2) 중국인 선호에 맞춘 서비스, 공간 제공 · 중국인들은 가족, 친지, 친구들과 함께 정찬을 즐기는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다양한 음식을 나누어먹는 문화가 있으므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와 공간의 제공이 필요함 · 독립적인 방 구조와 원형 테이블 등을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하여야 하며, 큰 Plate에 제공된 한식을 직접 혹은 종업원이 덜어서 나누어 즐길 수 있는 서비 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22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보양음식으로 포지셔닝 · 중국인들은 전 연령대에 걸쳐 보양식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한 식 중 삼계탕, 전복죽 등 다양한 한식의 보양식 이미지를 부각할 필요가 있음 · 한식 자체의 보양 효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중국에서의 마케팅에 적용 하여야 할 것임
라. 중국에서의 한식 세계화를 위한 주요 과제 □ 한식과 한식당의 경쟁력 있는 메뉴, 사업 모델을 개발하여 브랜드화를 통해 한 식당을 개점, 운영하기 쉽도록 하여야 하며, 한식 및 한식당에 대한 이미지, 인식 의 개선을 위한 홍보가 필요함. 또한 식재료 유통, 조리 및 서비스 인력 교육, 시 장에 대한 연구/분석 등 전반적인 한식당 운영 인프라를 갖추는 것이 필요함
1) 경쟁력 있는 상품의 개발을 통한 브랜드화 · 다양한 유형의 한식당 Concept과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사업모델 자체를 브랜 드화하여 중국 내 누구나 한식당을 개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 현지인의 입맛에 맞는 대표적인 한식 메뉴를 개발하고, 레시피를 제공하여 자 체적인 메뉴 개발 역량이 없는 한식당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
2) 한식 및 한식당 홍보 · 한식 자체의 Brand Identity를 개발하고, 한식 홍보의 방향성(보양, 모던한 고급 이미지 등)을 설정하여 다양한 Communication 채널을 활용하여 홍보 · 한식당 유형별 Target의 명확한 설정을 통해 고객 특화된 한식당 홍보
3) 운영 인프라 구축 · 한식 재료 Quality 증대를 위한 연구, 개발 및 브랜드화 · 한식 재료 유통구조 효율화 및 식재료 유통상의 규모의 경제 달성 · 조리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국 내 교육기관 운영 · 한식당 개점 및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가이드 마련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21
마. 중국 내 한식 세계화를 위한 실행 주체별 전략 과제 □ 한식 세계화를 위해서는 정부와 외식기업, 중국 내 기존 한식당이 모두 목표를 가지고 유기적이고 단계적으로 과제들을 수행해 나가야 함
1) 정부의 전략 과제 · 한식 Brand Identity 개발 및 홍보 · 시장 및 고객에 대한 연구, 분석 · 국가별 한식당 유형 기준 마련 및 추천안 제공 · 국가별 유망 한식 표준 레시피 개발 · 한식 메뉴 및 한식 재료에 대한 연구개발 · 한식당 네트워킹 지원 및 교육기관 설립 지원 본 프로젝트의 범위
2) 외식기업의 전략 과제 · 한식당 Concept과 메뉴, 서비스 개발 및 사업모델(프랜차이즈 등) 개발 · 한식당 Brand화 및 홍보 · Operation 및 직원 교육을 위한 매뉴얼 개발
3) 기존 한식당의 전략 과제 · Target 고객 명확화 및 확대 · 메뉴 및 서비스, 식당 환경 개선
22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Segment 마케팅 전략 방향성 □ 한식 세계화의 목표달성을 위해 Segment Marketing 유형으로 Top-down, Bottom-up, Multi-Segment 접근 3가지의 Option 중 Multi-Segment Approach 가 최적의 전략 방안 · Top-down 접근은 오랜 시간을 거쳐 목표 달성을 추구할 경우 바람직하며, Bottom-up 접근은 브랜드가치 훼손의 우려 존재 · Multi-Segment 접근을 통해 다양한 고객군을 동시에 접근, Miss-Targeting의 위험 성 낮으며, 고객군 간의 Synergy 효과 기대, 목표 달성의 시간이 최소화 · Multi Segment 접근 전략을 통해 최고급 한식당과 대중성을 갖춘 한식당을 동 시에 마케팅하여, 브랜드가치뿐 아니라 경제적인 효익을 극대화할 필요
가. 마케팅 전략의 Requirement ·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위해, 전략의 달성을 위한 품질, 시간, 비용의 측면에서의 고려 필요 - Quality(세계화 달성의 질적 측면): 한식의 브랜드 위상 제고 - Time(세계화 달성의 스피드 측면): 주어진 Timeframe 내에 빠른 세계화 실현 - Cost(세계화 달성의 비용 측면): 제한적 Resource 활용의 극대화
나. Segment 접근 전략 방향 · 한식 세계화의 마케팅 전략을 고려할 때, Segment Marketing 유형으로서 Top-down, Bottom-up, Multi-Segment Approach의 3가지의 Option 검토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23
□ Top-Down Approach: <그림 V-1> Top-down Approach Segment C’ Segment C’’
· 시장 규모는 작지만 전략적 중요도(수익성, 파급효과 등)나 차별화 가능성이 큰 고객군을 선 공략 후 기타 Segment로 확장 · 장점: 제한된 Resource로 선택과 집중이 용이하며, 지불 의향이 높은 고객군을 집중 공략할 경우 수익성 확보가 용이 · 단점: Top 고객군에 완전히 정착한 후 확장 가능하므로 시장 확산의 속도 느 림, 명확한 차별화 요인이 없을 경우 고객 확보 어려움 □ Bottom-up Approach: <그림 V-2> Bottom-up Approach
Segment A
· 시장규모가 가장 큰 고객군을 먼저 선 마케팅 후 기타 Segment로 확장하는 전략 · 장점: 선택과 집중에 따른 시장 공략 효과가 크고, 성과 빠름 · 단점: Low-end에 대한 이미지 고착 시 브랜드 위상 저하, 경쟁이 가장 큰 메이 저 시장만을 공략하여 Risky
22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Multi Segment Approach: · 차별적 니즈를 가진 고객군별로 차별화된 Offering을 제공하며, 전체 고객군을 동시에 마케팅하는 전략 <그림 V-3> Multi Segment Approach Segment C
Segment B
Segment A
· 장점: 다양한 고객군을 동시에 공략하여 Miss-targeting의 위험이 적으며, 고객군 간의 Synergy 효과를 기대, 목표 달성의 시간이 짧음 · 단점: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다수의 대상에 Targeting하므로 선택과 집중 어려 워 많은 Resource 소요 □ Segment 마케팅 방향성 · 3가지 Option의 한식 세계화의 목표, 목표 달성의 시간 및 한식 브랜드 위상을 고려할 때, Multi Segment 전략 필요 - Top-down Approach는 한식당 수를 2007년 1만 개에서 2017년에 4만 개까지 확대 목표 달성 불가 - Bottom-up Approach는 한식 브랜드가치의 훼손으로 인해 확장이 어려움 - Multi Segment Approach 전략을 통해 최고급 한식당과 대중성을 갖춘 한식당 을 동시에 마케팅하여, 브랜드가치뿐 아니라 경제적인 효익을 극대화할 필요 - 이를 위해 고객군별 각기 상이한 한식당 유형 및 Pricing, Brand 전략을 개발 하고, 각 Segment 간의 동시다발적 Synergy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략 필요 - 국가별로 시장성이 크고 중요도가 높은 고객군에 적합한 한식당 유형에 비 중을 더 주는 방식으로 Multi 고객 마케팅 전략을 수행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25
□ Premium Segment 실행 방향 및 기대 효과 · Premium Segment에서는 전략적 중요도가 높은 핵심 상권을 대상으로 고급 한 식당을 배치 ·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큰 초기 투자가 필요한 고급 한식당의 개설 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므로 소수 Flagship 성격의 비영리 식당을 정부 가 직접 운영하거나 운영을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 · Premium Segment는 전략 거점 지역에 주요 고급 한식당을 개설하여 한식의 브 랜드 위상을 제고하고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기능 □ Mid Segment 실행 방향 및 기대 효과 · Mid Segment에서는 Pricing의 세분화를 통해 한식을 경험하지 못한 고객뿐 아니 라 경험해 본 고객에게도 다양한 한식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 제공 · Mid Segment는 고급 한식당과 대중 한식당의 Bridge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영역 □ Mass Segment 실행 방향 및 기대 효과 · Mass Segment에서는 저가의 다품종 메뉴를 파는 전략을 통해 다수의 고객 대상 · 다수의 고객을 상대로 하므로 단기간 내에 한식 경험을 확산시킬 수 있고 인지 도를 향상시키는 역할
22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Target 고객 및 식당 유형 Mapping 가. Target 고객 선정 유형 □ 고객의 외식 패턴, 선호 에스닉 푸드와 고객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한식당의 Target 고객은 중상류 청년층, 고소득 청장년층, 중산 청년층, 중산 장년층인 것으로 판 단됨
1) 중상류 청년층 · 기존 중국인 세대와 뚜렷하게 다른 가치관과 소비성향을 가진 계층 · 거의 매일 외식을 하며 한 끼당 약 $10.2~$13.2 정도를 소비 · 유행에 매우 민감한 이들은 트렌디한 식당 분위기에 간편한 Fast Food 형태나 앉아서 오래 즐길 수 있는 Café 형태의 식사를 선호하며 셀프서비스를 선호 · 친구모임이나 일상식으로 주로 외식을 하며 맛있는 음식을 통해 스스로를 표 현한다고 여기어 밥을 살 때만큼은 돈 쓰는 걸 주저하지 않음 · 선호하는 한식은 비빔밥, 닭갈비, 잡채, 삼겹살이며 앞으로 젊은 층이 많이 모 이는 메이저 상권에 분위기 좋은 한식당이 더욱 많이 생기기를 희망
2) 고소득 중장년층 · 주로 외자기업의 임원, 부동산 개발 및 임대업자, 성공한 국영기업 청부업자, 무역업자, 제조업자, 성공한 상인 등으로 대부분 대도시에 거주 · 거의 매일 외식을 하며 일상식의 외식비용은 약 $14.6~$29.2 · 사업상의 외식이 많은 편 · 고가의 의류, 화장품, 핸드백, 액세서리, 휴대폰, 컴퓨터, 고가의 식료품을 소비 하는 주체 · 친구와의 만남 시에는 일식 또는 중식, 기념일에는 고급 양식 뷔페로 한식은 자주 즐기지 않으며 2주에 1회 정도 즐김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27
· 한식 이용 시에는 주로 직장 동료와의 회식이나 비즈니스 접대용으로 삼겹살 과 같은 한국식 고기구이를 선호 · 한국음식의 선호 이유는 간소하고 기름기가 적어 웰빙 음식으로 느껴지기 때 문이며 깔끔하고 화려한 장식의 요리를 선호 · 중국에 한국 음식점 수는 많으나, 고급 한국 음식점이 너무 적으므로 더 고급 스러운 한식당이 많이 생기기 바란다는 니즈가 있음
3) 중산 청년층 · 기성세대 대비 소득 수준이 높고 자기가 번 돈은 자기가 지출하는 스타일이며 유행을 전파하는 것을 좋아함 · 일주일에 약 2회 외식을 하며 소비 비용은 $7.32 정도 · 바쁜 직장생활, 직접 음식을 만들려 하지 않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합리적 인 외식가격 때문에 외식을 선호 · 주 2회의 빈도로 자주 외식을 하지만 한식당은 한식에 친숙한 소수가 모였을 때 또는 친한 친구들과의 가벼운 식사용으로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한 달에 1~2회 정도 이용 · 삼계탕, 냉면, 고기구이, 탕/찌개 등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점심특선 등 저렴하 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메뉴에 대한 니즈, 시내 중심가와 같은 곳에 많이 있었으면 하는 니즈가 있음
4) 중산 중년층 · 중국 소비 시장을 주도하는 계층 · 외식 1회당 평균 $1.46~$7.32를 소비 · 한식은 친구와의 만남일 때 가장 많이 먹으며 한 달에 1~2회 정도 이용 · 상대적으로 한식당을 찾는 빈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여러 사람이 모이 는 모임인 경우에 한식이나 기타 Ethnic Food는 사람마다의 호불호가 강하기 때문에 가급적 피하는 편임
22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식은 서로 한식을 좋아하는 2, 3명의 소수가 모여서 식사할 때 주로 이용함 · 선호하는 음식은 고기구이로 고기와 야채를 한꺼번에 섭취할 수 있고, 다른 음 식 대비 담백하고 느끼하지 않기 때문 · 한식에 대해서는 한국음식 자체의 특색 있는 맛을 유지해야 하며 고급화된 한 식당과 저렴한 대중적 식당 두 가지 방향 모두 강화되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 하였음
나. 중점 Target 식당 유형 목표고객군
한식당 유형
중상류 청년층
고급 한식당 고소득 청장년층
중산 청년층
일반 한식당 중산 장년층
1) 고급 한식당 · 타겟 고객 중 고소득 장년층 등 상류층의 가족모임 또는 비즈니스 회식용 · 고급화된 다양한 메뉴 제공하는 고급 한식당은 한국 전통문화와 연계된 고급 인테리어 및 행사를 통해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지는 고소득층에 어필 · 메뉴 또한 고급 식자재를 이용한 전통요리 위주로 구성이 되며 신선한 재료와 고급스러운 데코레이션을 강조하는 전략을 취함 · 단품별로 가격을 책정하는 고가 전략 · 입지는 북경·상해의 오피스 밀집지역 또는 고급빌라 밀집지역이 적절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29
2) 일반 한식당 · 타겟 고객 중 중산/중상류 청년층의 친구모임 및 회식 또는 중산 중년층의 가 족 외식용 · 중국인들이 가족식사나 모임 등에서 선호하는 “다양한 메뉴를 푸짐한 양과 경 제적 가격”에 제공하는 일반 한식당은 전통 한국의 맛이 강조된 다양한 메뉴 를 제공 · 개개인의 취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메뉴로 세분화를 시켰으며 맛의 조절 옵션이 있어 기호에 맞는 맛을 선택할 수 있음 · 사이즈도 중국인들의 나눠 먹는 문화에 맞추어 사이즈 다양화
다. 성공 요인 분석(업주 인터뷰 근거) □ 상류층 고객 공략 · 특히 구매력이 큰 상류층을 공략하는 고급화 전략 - 중국의 상류층은 구매 관념이 다르기 때문에 상류층을 공략해야 함 - 육류를 예로 든다면, 등심 1인분에 15만 원 정도 하는 고급 식재료를 사용하 여 상류층을 공략함 - 애강산에서는 차이나 포스트를 통해 고위층에 애강산 홍보편지를 보내 상류 층 대상의 홍보를 하고 있으며, 분위기 측면에서도 편안하게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분위기 형성 - 대장금의 한정식은 전통 한정식으로 현지인들이 예약하고 먹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우수한 메뉴임
23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현지화 · 한식 전통의 맛은 유지하되, 현지인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메뉴 또는 맛의 차별 화가 되는 것이 바람직함 - 한국 전통 음식의 맛을 지켜나가되, 주 고객층인 상해인의 입맛에 맞게 맞춤 - 메뉴 가운데 10% 정도는 중국 요리 추가. 80% 이상이 현지인 고객인 만큼 그 들의 입맛을 고려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한국 전통요리 맛을 강조. - 동북음식(조선족)이나, 중국 현지화 된 한국음식이 아니라 중국 현지에서 맛 볼 수 있는 진짜 한국음식 맛을 내려고 노력하되, 몇몇 사람들만이 받아들일 수 있는 특이하고 강한 맛은 피하려고 함. 약간의 한국식 퓨전요리 메뉴 개발 - 현지인들이 좋아하는 한국식 고기구이 위주로 메뉴를 편성 - 현지인 고객들이 좋아하는 Take out 메뉴를 활성화 · 퓨전요리를 통해 한식에 익숙하지 않은 현지인 공략 - 한국음식과 중국음식의 우수한 부분을 접목하여 퓨전요리를 제공 - 우리는 퓨전한식을 제공하는데 색다른 한국음식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어서 고객들이 좋아함 □ 메뉴의 다양성 · 현지인의 외식문화에 맞는 메뉴의 다양함 추구 - 숯불 통 돼지갈비가 테이블에서 구워먹는 것이 아니라 구워서 나오는 것으 로 다양한 부위를 즐길 수 있어 좋아함 ·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한식 메뉴 제공 - 점심식사 메뉴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메뉴를 다른 한식당보다 싸게 즐길 수 있음 - 상추정식은 삼겹살, 된장찌개, 쌈밥을 동시에 싼 가격에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찾음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31
4. 한식당 마케팅 전략 가. Product / Price 1) 주요 고려사항 · 중국인들의 특성상 불황에도 불구하고 외식 산업의 수요 탄력성이 낮은 편임 · Accenture 고객 심층 인터뷰 결과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건강 및 미용과 관련한 녹색식품 및 생식, 보양식, 저칼로리/다이어트식품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 “내 주위 많은 친구들은 한국음식이 살이 안쪄서 좋다는 말을 많이 한다. 기 름을 거의 사용 안한다.” - “한식의 최대 장점은 간소하고 깔끔하다는 점으로 이유는 기름기가 적기 때 문이다.” · 고객 분석 내용(Accenture 고객 설문조사) - 단순한 메뉴(32.6%, 1위), 비싼 가격(22.2%, 2위), 자극적인 맛과 향(16.3%, 3위) 이 한식당의 비선호 이유로 지적됨(AccentureSurvey) - 메뉴의 다양성면에서 타 ethnic 식당보다 열위에 있음(Accenture Survey) - “너무 정통성만을 고집하다 보면, 대중성을 잃게 되는 것 같다.” - “점심 특선 등 저렴하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메뉴 증가가 필요하다.” · 업주 인터뷰(Accenture 업주 심층 인터뷰) - “음식을 먹을 때나, 식후에 한국 음식에서 나는 강한 냄새 꺼림(생마늘, 생양 파, 젓갈 등)” - “너무 한국 정통의 것만 고집하는 것이 오히려 부작용을 불러일으킨다.”
23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전략 방향성 · 음식의 현지화 / 다양한 메뉴 개발 - 현지인의 기호에 맞추어 자극적인 맛과 향을 억제한 음식을 개발/제공 - 현지인들이 선호하는 재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식메뉴 개발 · 다양한 메뉴 개발 - 정기적으로 비인기 메뉴를 없애고 새로운 메뉴를 개발 - 다양한 세트메뉴 개발 - 직장인 대상으로 저렴한 런치세트 개발 · Side Dish의 합리화: 원가부담이 되는 반찬의 가지 수를 줄여 가격을 낮춤으로 서 고객들의 가격부담 해소 - 반찬은 1~2가지만 내놓고 나머지는 별도 가격으로 판매 - 잡채 등 무료 제공되는 반찬의 상품성을 높여 고급화 · 음식의 단품 판매 실시
나. Place 1) 주요 고려사항 · 외식소비 규모 역시 경제 수준에 따른 지역적 차이가 크며, 동부지역이 전국 시장의 55% 이상을 차지함 · 북경의 ꡔ왕징, 우다코ꡕ, 상해의 ꡔ오각장ꡕ 지역 등 한인 밀집지역에 주로 위치 · 고객 분석 내용(Accenture 고객 심층 인터뷰) - 지리적 접근성 면에서 타 ethnic 식당보다 열위에 있음(Accenture Survey) - 근처에 식당이 많아지면 한식당을 더 많이 찾을 것이다(15.8%) - “대부분 시내 중심가의 교통이 편리하고, 서로 만나기 편한 장소 근처의 한 식당을 간다.” - “시내 중심가 등 많은 곳에 식당 수를 늘렸으면 좋겠다.” - “나는 CBD에서일하고 거주하는데 우다코에 가서 밥을 먹자고 한다면 멀어서 가지 않는다. 시간낭비를 하고 싶지 않다”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33
· 업주 인터뷰(Accenture 업주 심층 인터뷰) -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통이 편리하고, 여러 사람이 모이기 편한 곳에서 만남 과 식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식당 영업에 유리하다고 생각…” - “상업지구 혹은 학교주변 한국교민을 대상으로 코리아타운에서 영업을 하는 것보다 현지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장기적 사업을 위해 좋음” - “한식당이 실패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한인타운을 벗어나지 못하는 점이다. 한 인타운을 벗어나 중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개업해야 한다.”
2) 전략 방향성 · 외식시장 규모가 큰 동부지역에 입점 · 한인 대상이 아닌 현지인을 대상 영업 - 한인 밀집지역이 아닌 중국 현지인들이 자주 다니며 교통이 편리한 시내 중 심가 또는 주택, 오피스 밀집지역에 입점
23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베이징 <그림 V-4> 베이징 한식당 유형별 Target 상권 Map
· 中关村 : 금융 과학 기술 상업지대로 대학가 및 고급 사무용 빌딩 밀집 · 亚运村 / 朝阳北路 : 고급 빌라 밀집한 신흥 부촌 · 燕莎 : 외국계 오피스 타운 밀집 · 三里屯 / 朝外 : Bar, Club 등 젊은층의 유흥 지역 · 朝阳公园 : 베이징 최대의 공원 지역 · 金融街/ CBD : 월스트리트에 버금가는 경제 중심지 · 西单 / 王府井 : 젊은층 및 외국인 관광객 밀집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35
□ 상하이 <그림 V-5> 상하이 한식당 유형별 Target 상권 Map
· 淮海路 : 명동에 버금가는 10~20대 위주의 고급 상권 · 南京西路: 구매력 높은 젊은층 외국인(대만, 일본 등)이 몰리는 최고급 상권 · 南京东路 / 徐家汇: 중산층이나 현지 관광객 밀집한 최대 규모의 중저가 상권 · 虹桥 : 개발구역의 고급 주거지 및 오피스 위주 상권 · 五角场 : 여러 유명 대학들 밀집된 상업, 오락, 문화 중심지 · 中山公园 / 静安寺 : 관광지 부근 가족 단위 고객이나 관광객 타겟의 대규모 중가 레스토랑 · 浦东/ 陆家嘴: 다국적 기업이 밀집한 경제특구 금융 중심지로 외국인 및 관광 객 밀집
23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다. Promotion 1) 주요 고려사항 · 고객 분석내용(Accenture 고객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 한국음식을 처음 경험하는 주요 루트는 친구 추천(37.9%), 한국인 추천(20%), 모임이나 공공장소(20%) 순으로 많았다.(Accenture Survey) - “한국 드라마는 유독 먹는 장면이 많은데, 그럴 때마다 나도 먹고 싶다는 생 각이 든다” - “추천하면 주변인들이 싫어하지 않는다” - “베이징에 아주 많은 한식당이 있다. 전통적인 맛을 자랑하는 곳도 있을 것 이다. 그러나 몰라서 못 가는 경우도 많다.” - “친구들 소개로 한국식당을 가면 참 만족스럽다. 알려지지 않아 안타까운 마 음이 든다.” · “여러 명 함께 식사 하거나, 여러 연령대가 함께 모이는 경우 무난하게 모두가 좋아할 만한 음식은 중국음식인 것 같다. 한식은 2~3명 소수가 모여서 식사할 때 적합한 것 같다.” · 업주 인터뷰(Accenture 업주 심층 인터뷰) - “금전적으로도 비용이 많이드는 잡지, 티비 등의 광고는 부담스러움”
2) 전략 방향성 · 한류를 이용한 홍보 전략 - 한국 드라마 방영 기간, 한류스타 지역 방문 시 집중적으로 식당 홍보 포스 터 배포 및 할인 쿠폰 제공 · 입소문(Word-of-Mouth) 마케팅 - DIANPING과 같은 맛집사이트에 자세한 식당 소개 및 추천글 게시 고객에게 재방문 시 서비스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37
- 캠페인 참가자 모집 후 목표 고객군이 모이는 지역을 선정하여 입소문 마케 팅을 실시하고 충성고객 소개로 올 경우 할인 또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여 또 다른 입소문 마케팅을 유발 - 캠페인 참가자들이 호텔 직원, 택시기사, 관광 안내원 등 레스토랑을 많이 추 천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자주 식당을 물어보는 방법으로 식당 이미지 상승 · 신규고객 유치 및 Loyalty 증대를 위한 쿠폰 사용 및 고객 이력 관리 - 고객 이력 관리: 멤버십 카드 또는 고객 이용카드를 이용하면 고객의 구매 정보를 기록할 수 있어 어떠한 고객들이 어떠한 메뉴를 많이 이용하는지 알 수 있으며 주 1회 이상 방문 또는 일정금액 이상의 이용 고객을 충성고객으 로 구분하여 특별 관리 - 차별적 프로모션 제공: 멤버십 카드를 이용하여 구매액에 따른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혜택을 주고 충성고객을 위한 Care Program을 개발하고 충성고 객이 선호할 만한 식단과 함께 쿠폰을 제공하는 등의 차별적 프로모션을 제공 · 단체손님 우대 서비스: 5인 이상 단체고객 방문 시 전체 금액의 15% 할인, 회원 일 경우 25% 할인
라. Participants1) 1) 주요 고려사항 · 외식문화의 대중화, 전문화가 가속화되면서, 음식점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 수 준이 고도화됨 · 고객 분석내용(Accenture 고객 설문조사 결과) - 한식당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타 Ethnic Food 대비 약간 좋은 편임
1) 서비스 생산과정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모든 인적 요소를 말하며, 서비스가 유통되는 과정에 참가하여 특정한 역할을 하게 되는 모든 종사원뿐만 아니라 고객까지 의미
23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전략 방향성 · 전 종업원에 대해 친절서비스 교육 실시 - 주문을 받을 때의 예절 교육(예: 손님과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해 무릎 꿇음, 주문 시에 주문 재확인 등) - 항상 웃는 얼굴과 부드러운 말투로 고객을 대하기 위한 연습 실시 - 고객이 원할 시 친절하게 각 메뉴별 설명 및 가이드 - 매월 고객이 뽑은 No.1 친절 종업원으로 선정된 종업원에게 보너스 지급을 통해 고객친절에 대한 동기 부여 · 종업원들의 단정한 용모와 통일된 유니폼
마. Physical Evidence2) 1) 주요 고려사항 · 조류독감, 신종 플루 등의 사태로 건강 및 위생에 대한 고객의 관심 고조 · 요리를 공유하는 문화에서 개별형 식사문화가 유행 및 식당 위생의 중요도 커짐 · Ethnic Food에서 한식당의 수는 일본 양식 다음으로 많으나 객단가는 매우 낮 게 포지셔닝 되어 있어 한식 이미지가 저렴하게 인식되는 것이 우려됨 · 고객 분석내용(Accenture 고객 설문조사) - 한국문화(한류)에 대한 이미지가 한국 식당의 이미지에 큰 영향을 줌
2) 전략 방향성 · 룸 형태의 테이블로 대화를 나누기 편안한 분위기 조성 · 한국적 소품이 잘 어울리게 비치된 인테리어 · 고객 청결을 고려한 서비스 - 구강청결제, 섬유탈취제 등이 배치하여 직장인 고객들을 배려 - 고급스러운 그릇을 사용하여 신뢰감 형성 2) 서비스 과업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형적으로 표출되는 모든 것과 실제로 서비스 생산에 반드시 필요한 물리적인 설비를 모두 포함한 것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39
바. Process of Assembly3) 1) 주요 고려사항 · 고객 분석내용(Accenture 고객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 - 36.9%가 한국 본래의 맛을 강화한다면 한식당을 더 많이 찾을 것이라고 응답 (Accenture Survey) - 한편 17.1%는 맛이 현지화가 되어야 한다고 응답(Accenture Survey) - 한식 비선호 이유 중 16.3%가 자극적인 맛과 향, 14%가 너무 매워서임 (Accenture Survey) - “한국 전통의 맛이 더 좋다. 아직도 한국음식을 안 먹어보았거나 잘 모르거 나 극히 일부분만 아는 중국인이 많다.” - “중국에서는 현지화된 한국음식점이 너무 많다. 조선족들의 식당이 많은데, 개조된 맛보다는 한국 전통의 우수한 맛을 소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 “앞으로 현지인의 음식문화, 습관, 입맛 등을 고려한 음식 맛 개선을 해야 함” - “한식의 현지화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한식만의 특색이 없어진다. 한국음식 자체의 특색 있는 맛을 보존해야 한다” - “고유한 특색 있는 맛은 지켜야겠지만, 현지인의 입맛과 식성을 고려하여 약 간의 현지화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업주 인터뷰(Accenture 업주 심층 인터뷰) - “전통 한국 음식의 맛을 유지하는 한편, 현지인의 입맛에 맞도록 일정부분 현지화하는 것도 중요...” - “한식도 좋아하나 중국인 현지인 입맛에 맞게 한식과 중식을 퓨전 식으로 섞 은 듯한 음식을 많이 선호하는 편”
2) 전략 방향성 · 주문 시 음식의 스타일을 고객이 직접 결정(한국 전통 스타일, 중국 퓨전스타일) - 주문 시 음식의 맵기 정도와 Vegetarian 옵션을 고객이 직접 결정 3) 고객이 서비스 창출 활동에 참여하여 서비스의 전달과 관련된 모든 과정으로서 서비스의 질과 고객 욕구의 충족, 만족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24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5. 한식당 유형별 7P 전략 예시 가. 고급 한식당 예시 고급 한식의 가치를 선보일 수 있는 고급 한식당을 예시로 한식당 진출 구체화 - 식당의 Concept: Korean tradition, Well-being
1) Target 고객 □ Biography · 중국 대도시 30~50대의 고소득층 - 고급 식당에서의 외식 경험이 많음 - 식당 분위기, 서비스, 맛에 대한 높은 기준 - 퓨전음식보다는 전통 음식/맛 선호 - 일반적으로 경제중심지에서 근무 - 외국인과의 식사가 잦음 □ Occasion · 업무 관련 접대용 식사 · 가족모임 및 비즈니스 모임 · 대규모 회사 회식 및 가족/회사 행사
2) 메뉴 구성 □ 주 메뉴 · 모든 메뉴는 단품으로 개별 판매됨 · 전통 한식의 맛을 추구하되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퓨전 메뉴들을 선보임 · 전채, 메인, 후식, 주류로 구성되며 메인은 구이류와 식사류로 나뉨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41
<그림 V-6> 고급 한식당 메뉴 예시 메인 요리 구이류
식사류
등심 스테이크
굴비
양념 갈비
간장게장
떡갈비
삼계탕
꽃등심
비빔밥
안창살
갈비찜/갈비탕
불고기
김치버섯전골
전채
후식
주류
모듬전(김치,해물)
누룽지
전통주
궁중떡볶이
냉면
와인
세발낙지
두텁떡
위스키
어회샐러드
과일
육회
식혜
튀김류
· 최고급 식자재를 사용하여 웰빙 강조 · 전통주에는 매실, 복분자, 약초 등 건강식품을 첨가 · 차는 홍삼/인삼달인 물이나 약초로 달인 약차 제공 □ 코스 요리 · 가격대별로 메뉴의 구성을 다르게 하여 3 코스로 구분 · 코스에 구성된 메뉴는 단품 메뉴로 판매하 지 않고 고급화한 메뉴로 구성
<그림 V-7> 코스요리 예시 코스 A ……………..900 yuan 십전대보 영양죽 킹크랩 샐러드 육회
□ 가격대 · 전채는 150~300위안, 메인요리 중 구이류 는 400~450위안, 식사류는 300위안, 후식은
생등심 스테이크 구절판 단자와 계절별 과일 복분자 막걸리
100위안 선에서 책정 · 코스요리는 1500위안, 1300위안, 1100위안으로 책정
24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입지 및 식당 Interior □ 입지 선정 · 타겟 고객층이 주로 분포하는 곳 선정 · 고급 주거지 및 오피스 위주 상권이 몰려있는 상해 푸동 선정 - 근처 푸동 국제공항이 있어 타국인의 방문도 기대됨 - 외국인 바이어 접대 시 유리 - 고급 식당이 많아 초기 홍보 시 유리 <그림 V-8> 상해 푸동 지역
□ 인테리어 · 특급호텔 수준의 시설 및 서비스를 갖춘 일류 음식점을 목표로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하여 금(金), 수(水)의 개념을 도입 - 물처럼 고요한 정적인 이미지와 금(石)처럼 강직한 이미지를 담음 - 홀 중앙에 수(水)공간과 정자의 형태를 중첩시켜, 평온한 느낌을 줌 - 좌석의 방식을 좌식과 입식을 병행하고 좌식홀에 OPEN KITCHEN을 설치하 여 다양한 공간 체험 - 중앙 좌식홀에 대나무를 이용한 조명으로 자연스러운 빛의 밝음과 어두움을 표현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43
· 도심 속에 자연과 어우러진 여유의 공간임을 강조 · 마당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심어 한국의 곧은 정신을 나타내며 장독대 등 한국 토속 느낌이 나는 소품을 배치 · 식사 후엔 산책로를 통해 가옥을 한 바퀴 둘러볼 수 있게 함 · 정자를 세워 식사 후 차를 마시며 경치를 볼 수 있는 공간 제공 <그림 V-9> 가옥식 건물 예시
24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테이블마다 메뉴판에 수록된 다양한 한식에 대해 소개한 책자를 비치하여 중 국인들에게 한식에 대한 이해를 넓힘 · 한식의 칼로리와 재료 소개 및 건강에 이로운 측면 소개 수록 · 모든 식사 공간은 방으로 제공하며 방 이름에는 개나리, 진달래 등 한국 상징 단어들을 붙이고 방엔 전통 문양의 문이 있음 · 4명이 식사할 수 있는 방 20개, 8명이 식사할 수 있는 방 10개, 10명 이상 단체 가 이용하는 방 5개, 야외형 좌석 100석 배치 · 방중 30%는 VIP를 위한 방으로 사용 <그림 V-10> 룸 예시
· 식기는 한국 자기를 사용하여 고급스러움 강조 · 고기류는 미리 구워 내열 자기에 담아 내 따뜻하게 먹을 수 있게 함 <그림 V-11> 식기 예시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45
4) 운영 및 관리 □ 고객 Flow · 주문 - 고객이 식당에 방문하면 필요한 경우 주차 서비스 제공 - 종업원의 안내를 받아 룸으로 이동 - 미리 예약한 경우엔 음식이 준비되어 있지만 예약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업 원이 메뉴판의 각종 음식을 상세히 설명 · 식사 - 고객이 음식 먹는 속도에 맞추어 적절하게 음식이 제공되며 제공된 음식에 대해 먹는 방법이나 효능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음 - 사전에 예약한 경우나 VIP에 한하여 식사 중 국악 연주 □ 인력 · 주방에 총 20명 배치 - Soup, Desert 4명, Appetizer 4명, Main 8명씩 총 16명의 요리사 배치 - 설거지 전문 인원 4명 배치 · 서빙 총 15명 배치 - 주방에서 룸으로 음식을 나르고 먹고 난 그릇을 정리함 - 서빙 담당 종업원은 한복 착용 · 주차관리 담당 3명, 룸 안내 담당 3명 - 룸 안내 담당 종업원은 한복 착용 · 푸드 리시버: 주방과 서빙 담당 종업원 조율 담당 7명 - 주방에서 제공되는 음식이 올바른 순서로 룸에 전달되는지를 확인하여 빠지 는 음식이 없도록 함 - 고객 입점 시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때에 음식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 - 정장 착용
24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매니저: 각 담당 종업원의 업무 현황을 파악 및 영업 관리 5명 - 직원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오더 내림 - 매일 영업 후 식재료 체크하여 필요한 양 주문 - 정장 착용 · 고객담당 매니저 10명 - 고객 서비스를 중점으로 하여 각자 담당 고객 리스트가 있음 - 담당 고객을 1:1로 관리하여 영업성과를 높임 - 음식이 룸으로 제공될 때 음식에 대한 설명을 하고 그 전 음식에 대한 고객 들의 평을 들어 고객의 입맛 성향을 파악함. - 파악한 입맛 성향을 기록하여 재방문 시 주방에 전달 - VIP 대상 프로모션 주관 - 성과급 제도를 통해 고객 담당 매니저들의 책임감 부여 - 정장 착용 · 카운터 매니저 - 계산 담당 및 식당 운영 관련 모든 재무 사항 담당 · 전 직원 이어폰형 무전기 착용
5) 프로모션 □ 가게 홍보(Recognition) · 중국 고급 패션지 지면광고 - 타겟층이 주로 구독하는 고급 패션지에 기획기사 형식의 광고 게재 - 웰빙을 강조한 한식 컨셉 강조 · 중국 상해 석간 신문에 지면광고 - 동부 대도시 신문 구독률 53.3%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47
□ 고객 유입(Acquisition) · 전략적 제휴 - 타겟이 주로 활동하는 미술관, 오페라, 골프장 등과의 제휴 - 당일 티켓 제공 시 가격 할인 또는 세트패키지 상품 판매 - 고급 호텔과의 제휴를 통해 일반 룸 투숙객 할인 및 스위트룸 투숙객 무료제공 □ 고객 유지(Retention) · 방문 고객 database화 - 첫 방문 고객의 명함을 받아 핸드폰 번호와 주소 명단화 - 명절 등의 기념일에 연하장 송부 - 신년에 한국 전통 모습이 담긴 달력 제공 - 6개월 이상 방문하지 않은 고객에게 안부 문자 보냄 · VIP 고객관리 - 식사 누적 금액이 1만 위안 이상 되는 고객 대상 - VIP 카드와 자기 세트 등 한국 전통 기념품 제공 - 송년회 혹은 신년회 모임 일부 무료 지원 - 매 방문 시 주방장 특별 디저트 제공 · VVIP 고객관리 - 식사 누적 금액이 3만 위안 이상 되는 고객 대상 - VVIP 카드와 가족 스파 여행권 증정 - 개인 식기 세트 별도 준비 및 VVIP 룸 지정 - 6개월에 1회 VVIP 모임을 주최하여 이들 간 새로운 비즈니스 인맥 구축
6) Key Financials □ 초기 투자 비용 · 식당 설립과 정원 조성 등 공사를 위해 기존에 식당이 있던 건물을 구매하였 고, 구매 금액으로 총 23,500,000위안 지출 - 2009년 상해 푸동 기준, 400평 규모
24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인테리어는 한국식 정원 등 조성과 내부 고급 인테리어를 위해 평당 30,000위 안을 지출하여 12,000,000위안의 비용 발생 · 가구, 한식 조리용 조리도구, 냉장고, 식기 등 필요한 집기 등을 구입하는데 총 800,000위안 소요 · 초기 홍보비용으로 820,000위안 지출 - 고급 패션지 월 100,000위안 - 석간 신문 광고 전면 광고 1회당 210,000위안(상해 신민일보) 3회 - 홍보 책자 제작 70,000위안 - 한국 전통 기념품 20,000위안 <그림 V-12> 초기 투자비용 예측 단위: million yuan
12
0.8
0.82
37.1
인테 리어
집기
초 기 홍보 비
Total
23.5
건 물 구매 비용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 운영비용 · 인건비 월 168,500위안 - 인력 운용상 주방 담당 20인, 홀 담당 21인, 매니저 22인이 필요하며 Open 시 간이 8시간으로 1교대 운영 ꋭ 한식 쉐프 월급: 3,000위안 ꋭ 홀 서빙 월급: 1,500위안 ꋭ 매니저 월급: 3,500위안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49
· 식자재비: 월 1,800,000위안 - 객단가 1,000위안 대비하여 30% 정도의 식자재 원가가 발생할 것으로 계산됨 (업주 전문가 인터뷰 및 문광부 ‘한식이 세계를 경영한다’ 참고) - 손님 수 일 200명 기준 · 전기, 가스 및 기타 세금: 월 12,000위안 · 홍보비 월 1,000,000위안 - VIP, VVIP 고객을 위한 서비스비용(한국 전통 기념품, 여행권, 행사 주최, 모 임 일부 지원) - 고객 database 관리비용 <표 V-1> 고급 한식당 운영비용 예측 항목 인건비 식자재비 전기, 가스 및 기타 세금
비용 168,500위안 1,800,000위안 12,000위안
홍보비
1,000,000위안
합계
2,980,500위안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 예상 손익 · 월 매출: 5,4200,000위안 - 객단가(1000위안) × 1일 평균 고객 수(주중 170명, 주말 210명) × 영업일수(30 일) - 일반 한식당의 경우 좌석 수 대비 2~3회전이 평균이지만, 고급 한정식의 경 우 음식의 특징상 평일 0.8회전, 주말 1회전 정도 되는 것으로 조사됨(Accenture Analysis) · 투자 상각비용 - 건물 구매비용을 제외하고 시설 등에 투자한 금액 13,620,000위안을 연 5%씩 상각하는 것으로 가정
25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매출, 운영비, 투자 상각비를 고려하면 1달에 약 2,382,750위안 정도의 순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투자비용을 모두 회수하는 데는 약 5.7년이 걸릴 것으로 예 상됨 <표 V-2> 고급 한식당 예상 손익 항목
비용
월 매출
5,420,000위안
운영비 Total
2,980,500위안
투자 상각비용 예상 손익
56,750위안 2,382,750위안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나. 일반 한식당 예시 Well-being 컨셉을 강조한 다양한 Option 선택으로 한식당 진출 구체화
1) Target 고객 □ Biography · 중국 대도시 30대~50대 중산층 · 회사원 및 전문직 종사자로 평균 이상의 소득 수준 -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사무실에서 일하며 도심에 거주 - 한류에 관심이 높고 유행에 민감함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음 - 업무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높음 - 맛있는 식당을 찾는 니즈 있음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 Occasion · 혼자 혹은 소규모(2~4인)의 동료들과 함께하는 점심식사 · 친구들과의 모임 중 식사 · 가족끼리의 외식 · 스트레스가 높거나 건강 보양식을 먹고자 할 때
2) 메뉴 구성 □ Option · 음식에 허브잎 추가 가능 · 특정 음식과 주류에 한방 약재 추가 가능 - 상황버섯, 인삼, 홍삼, 작약, 황기, 구기자 등 · 주류엔 과실/건강보조식품 추가 가능 - 석류, 오디, 매실, 무화과, 유자 등 - 비타민, 타우린, 콜라겐, 식이섬유 □ 주 메뉴 · 중국인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버전을 준비함 · 비빔밥: 기본, 새싹비빔밥, 참치비빔밥, 돌솥비빔밥 · 삼계탕: 기본, 홍삼삼계탕, 인삼삼계탕 - 메뉴명은 약재의 효능을 살려 불로장생삼계탕 등 건강 이미지 강조 · 전: 김치전, 파전, 호박전, 굴전, 모듬전 · 은행밥, 궁중떡볶이 · 반찬 별도 판매 - 인삼 김치, 오이 소박이 등 채소 위주 · 허브티 제공
251
25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가격대 · 모든 음식의 가격은 기본 가격에 추가한 건강식품 가격을 더함 · 반찬 가격은 20위안 내외, 주류 10위안 · 주류 별도 판매 시 20위안(과실류 1가지 선택) <그림 V-13> 일반 한식당 메뉴 및 가격 예시
식사류 A. 삼계탕 ………………70yuan 1.기본
허브 ………..... 10yuan 한방 약재 ………. 20yuan
2.홍삼삼계탕 ………. 15yuan추가
인삼
작약
3.인삼삼계탕 ………. 15yuan추가
홍삼
황기
상황버섯
구기자
B. 비빔밥 ……………...50yuan 1.기본 2.돌솥비빔밥 3.새싹비빔밥 ………..10yuan추가 4.참치비빔밥 ………..10yuan추가 5.김치비빔밥 ………..10yuan추가
C. 전 …………………..50yuan 1.김치전 2.파전
과실 ………. 10yuan 석류
무화과
오디
유자
매실
건강보조식품 ………. 10yuan
3.호박전
비타민
콜라겐
4.모둠점 ……………..10yuan추가
타우린
식이섬유
3) 입지 및 식당 Interior □ 입지 선정 · 타겟 고객인 30대 이상 중산층이 가장 많이 식사를 하는 장소를 물색 · 중국 수도인 북경의 중관촌에 99㎡(30평) 대의 점포를 임대 - 금융 과학 기술 상업 지대로 대학가 및 고급 사무용 빌딩 밀집 - 회사원들이 점심시간 혹은 저녁시간에 동료들과 방문 - 번화가이기 때문에 친구들과의 모임 장소가 됨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53
□ 인테리어 · 다양한 한식 메뉴를 모던한 분위기에서 제공하는 일반 고기구이 및 한식 전문 점으로 오행 중에서 토(土)의 개념을 접목하여 표현 · 룸에 각각 조명을 설치하여 모던한 느낌의 공간을 연출 · 중앙홀에 OPEN BAR 공간을 두어, 주방과 홀의 공간을 친밀감 있게 연출 · 원목테이블을 사용하여 한방 약재를 연상하게 함 <그림 V-14> 일반 한식당 인테리어 예시
25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허브 및 약재, 건강보조식품 진열 - 각각의 이름과 효능을 기재하여 음식에 대한 지식을 넓힘 - 흥미를 갖게 하며 허브 및 약재 추가 가능성을 높이게 함 - 책자로도 만들어서 테이블에 비치 <그림 V-15> 허브 및 한방 약재
· 1~4인의 소규모 고객뿐만 아니라 대규모 고객들도 많을 것이라 예상 · 2인용 테이블 10개, 4인용 테이블 15석
4) 운영 및 관리 □ 고객 Flow · 주문 - 테이블에 자리 잡으면 종업원이 메뉴판을 들고 옴 - 처음 방문하는 경우 메뉴 선택(옵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리에서 주문 · 식사 - 홀 서빙 담당자가 나온 음식을 서빙 - 식사를 마친 후 입구 옆 카운터에서 계산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255
□ 인력 · 주방 3명 - Hall로부터 주문이 들어오면 주문에 맞게 조리 시작 - 회수된 그릇 설거지 및 식기 물기 제거 - 식재료 손질 - 빠른 음식 제공을 위해 손님이 많이 몰리는 시간을 파악하여 사전에 음식 준비 - 위생을 위해 앞치마와 위생모자 착용 · 홀서빙 3명 - 주문, 음식 제공 및 뒷정리를 담당 - 주문 시 추가 선택에 대한 설명을 상세히 함 - 그린/화이트 계열의 유니폼 착용 · 카운터 1명 - 주로 식당 주인이 맡아 계산에 실수가 없도록 함 - 입구 옆에 위치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손님들에게 친절하게 인사 - 종업원과 주방 인력의 업무 주시 및 교육 실시
5) 프로모션 □ 가게 홍보(Recognition) · 인터넷 블로그/ 소셜미디어 홍보 - 건강에 대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건 및 동영상 개재 - 음식 사진과 음식에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설명 수록 - 식당 방문 후기를 올린 고객에게 소정의 경품 증정 □ 고객 유입(Acquisition) · 런치할인 이벤트 - 회사원들의 점심 방문 횟수를 높이기 위해 11:00am~15:00pm 시간에만 허브 무료 추가 - 기본 메뉴에 추가한다는 개념에 대해 익숙하게 함 - 사람들이 잘 다니는 길목에 포스터 및 입간판 설치
25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고객 유지(Retention) · 고객 쿠폰 관리 - 1회 방문 시마다 쿠폰에 도장을 찍어주어 5회를 채웠을 경우와 10회를 채웠 을 경우 일부 식사 무료 제공 - 5회째 방문 시 한방 재료 무료 제공, 10회째 방문 시 삼계탕과 비빔밥을 제외 한 식사류 무료 제공 기회 부여 - 고객들이 쿠폰을 항상 소지해야 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 쿠폰을 가게에서 대 신 관리 · 건강프로그램 실시 - 식당을 이용하는 고객중 일정 금액 이상 식사한 고객 5명을 추첨하여 건강 프로그램에 응모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짐 - 프로그램은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 전수에 중점 - 프로그램 전과 후의 건강상태를 비교한 결과를 블로그에 올림 - 3개월 주기로 진행
6) Key Financials □ 초기 투자비용 · 식당 설립을 위해 기존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던 상가를 인수하였고 권리 금 600,000위안 지출 · 인테리어는 나무 등의 자재를 활용하고 전반적으로 깔끔하며 고급스럽게 하여 평당 8,000위안을 지출(총 320,000위안의 비용) · 외부 LED간판 8,000위안 · 가구, 조리도구, 냉장고 등 필요한 집기를 구입하는데 총 270,000위안 소요 (오픈키친용 냉장설비, 조리시설, 가구/에어컨, 전기공사 등) · 초기 홍보비용으로 7,700위안 지출 - 인터넷 운영비: 4,700위안 - 소정 경품: 1,200위안 - 한방재료, 건강보조식품 안내 책자: 1,800위안
Ⅴ. 한식당 마케팅 전략 <그림 V-16> 일반 한식당 초기 투자비용 예측 단위: 1000 yuan
270
7.7
1,205.7
집기
초 기 홍보 비
Total
328
600
권 리금
인테 리어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 운영비용 · 인건비 월 24,000위안 - 인력 운용상 주방 3인, 홀서빙 3명이 필요 - Open 시간은 12시간, 카운터는 점주가 직접 담당 ꋭ 한식 쉐프 월급: 2,700위안 ꋭ 홀 서빙 월급: 1,300위안
· 임대비용: 월 16,700위안의 임대비용 발생 - 북경 연간 점포비용이 200,000위안에 근간 · 식자재비 : 손님 1명 방문당 21위안(일 160명 가정) - 객단가 70위안 대비하여 30%의 원가가 발생한다고 가정 - 일반 한식당의 경우 좌석수의 2회전율이 1일 평균 고객 수 · 전기, 가스 요금: 월 5,800위안 · 홍보비(쿠폰 및 전단지 제작) : 8,100위안 - 건강프로그램 ꋭ 교육 강사 섭외: 3,500위안 ꋭ 행사비용: 4,000위안
- 쿠폰 제작: 600위안
257
25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표 V-3> 일반 한식당 예상 운영비용 항목
비용
인건비
24,000위안
임대료
16,700위안
식자재비
100,800위안
전기, 가스 요금
5,800위안
홍보비
8,100위안
합계
155,400위안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 예상 손익 · 월 매출 : 336,000 위안 - 평균 객단가(70위안) × 1일 평균 고객 수(160명) × 영업일수(30일) - 투자 상각비용 - 권리금을 제외하고 시설 등에 투자한 금액 605,700위안을 연 5%씩 상각하는 것으로 가정 - 매출, 운영비, 투자 상각비를 고려하면 1달에 약 178,100위안 정도의 순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투자비용을 모두 회수하는 데는 약 3.4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됨 <표 V-4> 일반 한식당 예상 손익 항목
비용
월 매출
336,000위안
운영비 Total
155,400위안
투자 상각비용
2,500위안
예상 손익
178,100위안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6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대표 성공 식당 및 성공요인 1) 백제원 · 1994년 중국 선양시에서 중국 최초 한국인 독자기업으로 창업 · 여태근 사장은 ‘2009 한국외식경영대상’ 시상식에서 해외 부문 대상 수상 · 백제원이 위치한 선양시 서탑은 코리아 타운으로 발전 · 현재 본점 이외 황토숯불갈비와 불고기, 꼬치 전문점, 사우나, 호텔 경영 · 총 면적 9000㎡, 총 직원 수 300여 명, · 중국정부에서는 한국과의 행사시 항상 백제원 이용 · 중국 내 한식당 중 가장 객단가 높음 <그림 Ⅵ-1> 백제원
□ 성공 요인 · 꾸준한 한국 음식 개발을 통한 다양한 메뉴 제공 - 500여 가지의 메뉴 개발 및 100여 가지의 메뉴판매 - 한국 전통 음식만 고집하지 않고 일식 중식을 섞어 새로운 메뉴 개발 · 음식의 현지화와 전통성의 밸런스 유지 - 한국 고객이 주로 선택하는 약 40%의 음식은 철저한 전통성 고수 - 60%의 메뉴는 중국 고객의 입맛에 맞게 현지화 ꋭ 짜게 먹는 동북 지방의 식습관에 맞게 전체적으로 약간 짠듯하고 따뜻하고 부 드럽게 조리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 식당의 현지화 - 중국 고객은 브랜드와 대형화 선호 - 호텔과 사우나는 백제원의 식당 브랜드를 유지하기 위한 보조 공간 · 서비스 및 환경관리 강조 · 한국문화 전달 - 한국식 회, 사우나, 술안주 등을 최초 전파 - 선양시에서 일식을 대중화시킴
261
26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애강산 · 2006년 한국인이 법인 직영으로 설립, 현재 베이징에 2개 점을 운영 · 1호점 800평, 2호점 1,600평 정도의 크기로 조리사를 포함한 평균 종업원 또한 310명 정도의 기업형 대형 식당 · 중국인 고소득층과 외국인 주재원이 주 고객 · 연 매출 70억 원 이상을 올리는 성공을 바탕으로 현재 3호점 오픈 계획 <그림 Ⅵ-2> 애강산
□ 성공 요인 · 최고 품질의 식자재 수급을 위한 노력 - 식자재 공급을 받는 데 돈을 아끼려는 사고방식이 아닌 비싸더라도 최고의 품질을 추구하려는 자세 - 연말이 되면 앞으로도 좋은 물건 공급하라는 의미에서 식자재 공급상을 모 아놓고 식사와 선물을 대접 · 매월 우수사원, 이달의 스마일 등 상을 뽑아 상과 함께 포상금도 수여하고, 근 무태도가 좋은 종업원은 매니저로 승격시키는 등의 제도로 대고객 친절 서비 스 관리 · 번화가를 피해 한산한 공원 지대이면서 인근에 국제학교가 있어 외국인이 많 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식당 컨셉에 맞는 입지 조건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63
3) 홍동 한국요리 · 2002년 한국인 개인이 상해에 설립 · 한국인 손님 비중 5% 미만 · 연예인과 유명인사의 방문 등의 입소문을 통해 유명해짐 · 월 약 400,000위안(한화 약 7천만 원)의 매출 <그림 Ⅵ-3> 홍동 한국요리
□ 성공 요인 · 중국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생마늘, 생양파와 같은 너무 강한 향이나 맛을 지양 · 주변에 학교 및 예술의 거리가 있는 관광지이자 상업지구로서 현지인과 외국 인, 관광객 등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 ·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맞게 학생 및 회사원에 맞춘 합리적인 가격대에 음식 을 제공 - 점심시간에는 특선 할인 메뉴를 제공
26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4) Pankoo · 상해에서 중국 현지인 4명이 모여 창업한 한국요리 전문점 · 상해에 7개의 직영점 및 식재료 조달을 위한 중앙공장 운영 · 2010년에 베이징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체인망 형성 · 2013년 내에 증시 상장을 목표로 함 · 정통 한국요리보다는 중국화된 한국음식으로 소득이 높은 20대와 30대, 특히 직업여성을 중심으로 많은 인기 <그림 Ⅵ-4> PANKOO
□ 성공요인 · 맛의 현지화 - 돼지기름이 지글거리는 것을 못 참는 중국인의 식성을 파악, 기름기를 완전 히 제거한 삼겹살 제공 - 보통의 고추 가루와 소금의 배합에다 중국인이 즐겨먹는 양고기 꼬치구이를 위한 향신료를 첨가한 고추소금 개발 · 고급스러운 이미지 고수 - 일반 고기구이집과 차별화되는 깔끔하고 모던한 외관 - 내부 또한 고기구이 테이블 위주로 일관성 있게 정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1인용 테이블까지 준비 - 넉넉한 이동 공간으로 고기구이집 특유의 소란스러운 분위기를 최소화 - 식당 명을 중국어로 표기하지 않고 ‘Pankoo’로 쓰며, 한국 요리점이라고 부르 지 않고 영어로 ‘Korean Restaurant’라고 표기 ꋭ 미국식 생활방식과 영어를 선호하는 중국 젊은이의 취향에 맞춤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65
2. 한식당 주요 실패 요인 · 한국사람들이 개업을 하는 경우 맛뿐만 아니라, 인테리어나, 종업원 서비스 교 육 등 많은 부분에서 경쟁력 있고, 잘해 놓는 경우가 많으나 대부분 코리아 타 운에 모여 한정된 시장권에서 서로 경쟁함 · 지나치게 한국 정통의 것만 고집을 하여 현지인들이 선호하지 않음 · 식당 규모를 무턱대고 크게 하여 운영상의 부담을 안고 감 · 직원관리 미흡 - 조리사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맛 유지 어려움
26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유망 한식당 유형 가. 한식당 유형 식당 유형은 메뉴의 다양성과 가격대 2가지를 기준으로 구분이 가능 <그림 Ⅵ-5> 한식당의 유형 구분 1
2
고급 한정식
고급 한식당
(Luxury Traditional)
(Luxury Korean)
고가
가격대
3 중가
4
전문 한식당
일반 한식당 (Causal
(Specialized)
5 저가
Dining)
6
패스트푸드
간이 한식당
(Fast Food)
(Convenient)
단순
다양 메뉴 다양성
고급 한정식(Luxury Traditional) 전통 한정식, 한국적 인테리어의 고급 한식당 으로 한국의 필경재와 같은 한식당 고급 한식당(Luxury Korean) 다양한 메뉴와 고급 서비스가 제공되는 한식당으 로 우래옥과 같은 한식당 전문 한식당(Specialized) 전문 메뉴로 구성된 중가의 한식당을 말하며 본 비빔 밥과 같은 전문점 식당 일반 한식당(Casual Dining) 일상적인 한식 메뉴를 제공하는 한식당으로 명동 본가와 같은 식당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67
패스트푸드(Fast Food) 저렴한 가격의 전문메뉴로 구성된 한식당으로 신당동 떡볶이 등과 같은 식당 간이 한식당(Convenient) 가볍고 다양한 메뉴의 분식집형 한식당이며 김밥천국 과 같은 분식집
나. 유망 한식당 유형 중국의 외식 시장 트렌드와 성공 식당 유형을 고려할 때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 는 고급 한식당과 일반 한식당 유형의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분석됨
1) 고급 한식당 · 타겟 고객 중 고소득 장년층 등 상류층의 가족모임 또는 비즈니스 회식용 · 고급화된 다양한 메뉴 제공하는 고급 한식당은 한국 전통 문화와 연계된 고급 인테리어 및 행사를 통해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는 고소득층에 어필 · 메뉴 또한 고급 식자재를 이용한 전통 요리 위주로 구성이 되며 신선한 재료와 고급스러운 데코레이션 강조하는 전략을 취함 · 단품별로 가격을 책정하는 고가 전략 · 입지는 북경·상해의 오피스 밀집지역 또는 고급 빌라 밀집지역이 적절
2) 일반 한식당 · 타겟 고객 중 중산/중상류 청년층의 친구모임 및 회식 또는 중산 중년층의 가 족 외식용 · 중국인들이 가족식사나 모임 등에서 선호하는 “다양한 메뉴를 푸짐한 양과 경 제적 가격”에 제공하는 일반 한식당은 전통 한국의 맛이 강조된 다양한 메뉴 를 제공 · 개개인의 취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메뉴로 세분화를 시켰으며 맛의 조절 옵션이 있어 기호에 맞는 맛을 선택할 수 있음 - 사이즈도 중국인들의 나눠 먹는 문화에 맞추어 사이즈 다양화
26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4. 중국 내 한식당 유형별 분석 1) 고급 한정식 식당(Luxury Traditional Restaurant) 분석을 위한 표본이 적어 대표성을 갖지 못하므로 생략함
2) 고급 한식당(Luxury Family Restaur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Ⅵ-6> 고급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41.2%
고기구이 23.2%
탕/찌게 백반 8.9%
생선류 비빔밥/볶음밥
8.0%
분식
7.9% 7.1%
고기찜류 혼합식
3.7%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메뉴 분포를 보면 고기구이가 41.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탕/찌개 백반이 23.2%, 생선류(8.9%), 비빔밥/볶음밥(8%), 분식(7.9%), 기타 고 기류(7.1%), 혼합식(3.7%) · 고급 한식당의 경우 고기구이의 메뉴 비중이 가장 많기는 하지만 중국 전체 메뉴별 분포보다 비교적 메뉴 분포가 고른 것으로 나타남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69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Ⅵ-7> 고급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 프랜차이 즈 8%
개인 (본점) 49%
분점 35%
법인직영 8%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를 보면 기업형 프랜차이즈 운영보다는 개인 이 운영하는 점포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음 - 개인(본점)이 49%로 가장 많음 - 분점(34.7%), 프랜차이즈와 법인 직영(각 8.2%) 순
27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Ⅵ-8> 고급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월매출, 위안)
900,000 이상
61%
450,000~900,000
31%
225,000~450,000
8%
90,000~225,000
0%
45,000~90,000
0%
45,000 이하
0%
0~20위안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월 매출을 살펴본 결과 61%의 점포가 900,000위안이라는 상당한 매출을 올리고 있음 · 225,000위안 이하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점포는 없을 정도로 고급 한식당의 월 매출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Ⅵ-9> 고급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19%
200~300석
19%
100~200석
42%
50~100석
19%
20~50석
0%
20석이하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의 좌석 규모 또한 전체 중 38%가 200석 이상의 대형 식당으로 구성 · 고급 한식당 유형에 50석 미만의 소규모 식당은 없는 것으로 조사됨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71
□ 대표 식당 예시 : 애강산 · 2006년 법인 직영으로 설립되어 현재 베이징에 2개점을 운영 · 비즈니스 접대용 만찬을 원하는 30대 후반 고소득층과 외국인 주재원을 대상 으로 고급 인테리어 공간에서 고급 등심 및 최고급 식재료를 바탕으로 만든 한정식을 제공 · 장소 또한 번화가를 피해 한산한 공원 지대이면서 인근에 국제학교가 있어 외 국인 손님이 많으며 매우 청결 · 메뉴 구성은 주 고객인 외국인 손님이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류 또한 239가지 음식으로 매우 다양 <그림 Ⅵ-10>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고급비즈니스 한식당 애강산
· 규모 또한 1호점 800평, 2호점 1,600평 정도의 크기로 조리사를 포함한 평균 종 업원 또한 310명 정도의 기업형 대형 식당 · 애강산은 연 매출 70억 원 이상을 올리는 성공을 바탕으로 현재 3호점 오픈을 준비 중
27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일반 한식당(Casual Dining Restaur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Ⅵ-11> 일반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69.8%
고기구이 12.0%
분식
7.9%
탕/찌게 백반
6.5%
비빔밥/볶음밥 고기찜류
1.8%
생선류
1.8%
혼합식
0.3%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고급 한식당에 비해 고기구이의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중저가대를 형성하고 있는 분식류가 12%로 분포되어 있음 - 고기가 69.8%로 가장 많음 - 분식(12%), 탕/찌개 백반(7.9%), 비빔밥/볶음밥(6.5%), 기타 고기류 및 생선류 (각 1.8%), 혼합식(0.3%) 순으로 분포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73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Ⅵ-12> 일반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 프랜차이 즈 3%
개인 (본점) 46%
분점 47%
법인 직영 4%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기업형 프랜차이즈 운영보다는 개인이 운영하는 점포 중심으로 분포 - 운영 형태별 분포도를 보았을 때 개인(본점) 식당과 분점 식당이 각각 46.4%, 46.7%를 차지하며 전체의 93.1%를 차지하고 있다. - 법인 직영 3.7%, 프랜차이즈 3.1%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Ⅵ-13> 일반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월매출, 위안)
900,000 이 상
3.1% 30.3%
450,000~900,000 24.5%
225,000~450,000 90,000~225,000
25.7% 10.2%
45,000~90,000 45,000 이 하
6.2%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일반 한식당의 월 매출 분포를 보면 전체 중 50.2%가 중간 위치인 90,000~ 450,000위안 사이에 위치 · 월 매출 45,000위안(한화 약 780만 원)인 영세형 점포가 6.2%나 차지하고 있는 반면에 중가격대의 음식을 파는데도 불구하고 900,000위안(한화 약 1억 5천만 원) 이상의 많은 매출을 올리는 식당(3.1%)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27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Ⅵ-14> 일반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4.6%
200~300석
20.4%
100~200석
31.6%
50~100석
31.3%
20~50석 20석이하
11.8%
3.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50석 이하 즉, 4인 기준 12테이블 이하의 소규모 점포가 14.8%인 반면 200석 이 상의 대형 일반 한식당이 25%인 것으로 조사되어 일반 한식당 규모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남 - 20석 이하 3%, 20~50석 11.8%, 50~100석 31.3%, 100~200석 31.6%, 200~300석 20.4%, 300석 이상 4.6% □ 대표 식당 예시 : 홍동 한국요리 · 2002년 한국인 개인이 상해에 설립 · 대중화된 맛과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중국 현지인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식당 · 홍동 한국요리는 중국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생마늘, 생양파와 같은 너무 강 한 향이나 맛을 지양 · 식당 입지 또한 주변에 학교 및 예술의 거리가 있는 관광지이자 상업지구로서 현지인과 외국인, 관광객 등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자리 잡음 ·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맞게 학생 및 회사원에 맞춘 합리적인 가격대에 음식 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점심시간에는 특선 할인 메뉴를 제공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75
<그림 Ⅵ-15> 대중화된 맛과 메뉴의 일반 한식당 홍동 한국요리
· 현지화 노력으로 홍동 한국요리의 한국인 손님 비중은 5% 미만으로 한국 손님 의존도는 매우 낮음 · 홍동 한국요리는 3층 단독건물로서 총 좌석 수는 약 150석으로 종업원은 25명 임. 조리사는 15명 모두 중국인이나 모두 한식조리 경험이 5년 이상있는 베테 랑임 · 특별한 식당 차원에서의 홍보활동은 없지만 단골 손님, 인터넷의 맛집사이트 의 소개, 연예인과 유명인사의 방문 등의 입소문을 통해 유명해진 홍동 한국 요리는 약 400,000위안(한화 약 7천만 원)의 월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그림 Ⅵ-16> 한국 및 중국 유명인사의 방문이 많은 홍동 한국요리
27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4) 전문 한식당(Specialized Restaur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Ⅵ-17> 전문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51.9%
고기구이 29.6%
탕/찌게 백반 분식 비빔밥/볶음밥
11.1% 7.4%
생선류 0.0% 혼합식 0.0% 고기찜류 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문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를 보면 고기를 전문으로 파는 식당이 46.4%로 가 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탕/찌개 백반을 파는 식당이 29.6%, 만두, 냉면 등 을 파는 분식이 11.1%, 비빔밥 전문점 7.4% 순으로 조사됨 · 그 외에 기타 고기류, 생선류, 혼합식을 취급하는 전문 한식당은 존재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남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77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Ⅵ-18> 전문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 프랜차이 즈 7%
개인 (본점) 53%
분점 4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문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도를 보면 개인(본점) 식당과 분점 식당이 각 각 53.3%, 40%를 차지하며 전체의 93.3%를 차지함 · 법인 직영으로 운영이 되는 전문 한식당은 없었으며, 명동칼국수와 같은 프랜 차이즈형 전문 한식당은 6.7%를 차지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Ⅵ-19> 전문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월매출, 위안)
900,000 이 상
0% 13%
450,000~900,000
33%
225,000~450,000 90,000~225,000
40% 13%
45,000~90,000 45,000 이 하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문 한식당의 월 매출을 보면 90,000~225,000위안이 40%로 가장 많았고 225,000~ 450,000위안 33%, 450,000~900,000위안과 45,000~90,000위안이 각각 13%인 것으 로 조사됨 · 전문 한식당은 월 900,000위안 이상의 대규모 매출을 올리고 있는 점포는 없었 으며 45,000위안 이하의 소규모 영세 점포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남
27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Ⅵ-20> 전문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0%
200~300석
0%
100~200석
47%
50~100석
33% 20%
20~50석 20석이하
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전문 한식당의 좌석 규모를 보면 100~200석이 47%, 50~100석 33%, 20~50석 20% 인 것으로 조사됨 · 200석 이상의 대형 식당은 없었으며 20석 이하의 소규모 식당 또한 없는 것으 로 나타남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79
□ 대표 식당 예시 : 정일미(正一味) · 비빔밥전문 프랜차이즈 식당인 정일미는 1999년 시작하여 지속된 성공적인 확 장을 통해 현재 베이징에만 26개의 분점을 둔 기업 · 비빔밥과 덮밥을 주 메뉴로 함 · 중국의 젊은 층의 바쁜 생활 패턴을 반영하여 빠르고 간단히 먹을 수 있는 한 식 메뉴를 구성하였고, 음식들 또한 주문에서 나오는 데까지 3분을 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젊은 층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 · 가격대 또한 40위안 이하의 음식들로 구성되어 경제적 부담 없이 간편하고 빠 르게 이용할 수 있는 식당 · 포장해서 가져갈 수 있는 테이크 아웃 서비스, 된장찌개와 김치찌개를 고민하 는 고객들을 위해 반으로 나뉜 그릇 하나로 두 가지 음식을 모두 맛볼 수 있는 아이디어 상품 등을 통해 중국 젊은 층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음 <그림 Ⅵ-21> 비빔밥 전문 프랜차이즈 식당 정일미(正一味)
5) 패스트푸드 한식당(Fast Food Restaurant) 분석을 위한 표본이 적어 대표성을 갖지 못하므로 생략함
28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6) 간이 한식당(Convenient Restautant) □ 메뉴별 분포 <그림 Ⅵ-22> 간이 한식당의 메뉴별 분포 51.9%
고기구이 41.9%
비빔밥/볶음밥 34.9%
분식 11.6%
탕/찌게 백반 고기찜류
2.3%
생선류 0.0% 혼합식 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비빔밥/볶음밥, 분식이 76.8%를 차지하여 고기구이가 대부분인 다른 유형의 식 당과 구분됨 - 비빔밥/볶음밥 41.9% - 분식이 34.9% - 탕/찌개 백반이 11.6%, 고기구이 9.3%, 기타 고기류 2.3% 등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81
□ 운영 형태별 분포 <그림 Ⅵ-23> 간이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 분점 32%
개인 (본점) 68%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간이 한식당의 운영 형태별 분포를 보면 개인(본점)이 67.9%, 분점 32.1%로 분포 · 개인(본점)과 분점이 전체를 차지하며, 프랜차이즈로 운영되는 형태는 존재하 지 않는 것으로 조사됨 □ 월 매출별 유형 <그림 Ⅵ-24> 간이 한식당의 월 매출별 분포 900,000 이상
0.0%
450,000~900,000
0.0%
225,000~450,000
0.0%
90,000~225,000
0.0%
45,000~90,000
36.4%
45,000 이하
63.6%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간이 한식당의 월 매출 유형을 보면 모든 식당이 90,000위안 이하의 매출을 올 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63.6%은 45,000위안 이하의 매출을 올리는 소규모 영세형 식당 - 36.4%는 45,000~90,000위안 사이의 매출을 기록
28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좌석 규모별 유형 <그림 Ⅵ-25> 간이 한식당의 좌석 규모별 분포 300석이상 0.0% 200~300석 0.0% 100~200석 0.0% 50~100석
23.8%
20~50석 20석이하
57.1% 19.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 간이 한식당의 좌석 규모는 모든 식당이 100석 이하의 중소규모 업소인 것으 로 조사됨 - 20석 이하 19% - 20~50석 57.1% - 50~100석 23.8% .□ 대표 식당 예시 : 동반자 한국 숯불구이 식당 · 2004년 조선족이 상해의 오피스 타운 근처에 설립 · 주변에 근무하는 20~30대 중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식당 · 직장인을 위한 점심특선 메뉴 및 다양한 할인 가격을 제공하여 주변지역 회사 원들이 점심시간에 20위안 이하의 저렴한 가격으로 간단히 먹을 수 있도록 함 · 식당 규모는 5층 상가의 1층을 사용하고 있으며 좌석 수는 80석 <그림 Ⅵ-26> 20위안 이하의 저렴한 가격의 동반자 한국 숯불구이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83
5. 유형별 Best Practice 분석 가. 고급 전통 식당(Luxury Traditional) - 花乐(Karaku)식당 1) 개요 · 상하이에 위치한 전통 일식당 · 고급 코스 메뉴와 일본 전통 문화를 살린 격식 있는 인테리어를 강조해 비즈니 스 접대용 최고급 식당 <그림 Ⅵ-27> 상하이의 전통 고급 일식당 Karaku
2) 성공 전략(4P) □ Product / Price · 점심 코스 메뉴는 총 9가지 종류가 있으며 가격대는 $12.9~$73.2 · 저녁 코스 메뉴는 총 6종으로 활어회 코스, 텐부라 코스 등이 있으며 가격대는 $43.9~$175.7 · 이 밖에 주방장 특선이 $219.6에 제공됨 <그림 Ⅵ-28> 상하이의 전통 고급 일식당 Karaku 메뉴
28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Place · 상해 최대 쇼핑구역 서가회에서 다소 떨어진 한적한 공원 근처에 입지 · 일본 전통 다도, 교토의 꽃가마, 병풍 등 일본 문화를 살린 인테리어가 특징 · 1층 거실에 10개 좌석 구비, 다도문화 및 전통 악기 연주, 2/3층에는 2~12인 실,4층에는 30인 규모의 연회장이 위치 □ Promotion · 현재 멤버십 관리를 통해 멤버에게는 10%를 할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단골 손님을 유치
나. 고급 식당(Luxury Restaurant) - J-Cuisine Morio 식당 1) 개요 · 다양한 일식 퓨전 요리와 전통 사케를 주요 메뉴로 함 · 젊은 층과 외국인들이 많이 몰리는 상권에 입점하여 고객들의 입소문을 타면 서 오픈 1년 만에 북경 대표 음식점 Top 100에 선정되는 등 북경 대표 식당 중 의 하나로 부상 <그림 Ⅵ-29> 북경의 일식 퓨전 요리 식당 J-Cuisine Morio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85
2) 성공 전략(4P) □ Product / Price · 자체 개발 퓨젼 요리 및 다양한 세트메뉴를 개발하여 제공 · 대표 메뉴는 해산물 샐러드($36.6), 소고기 숯불구이($48.3), 스시 특선($20.5), 캘리포니안 롤($10.3~$13.2) 등 · 에피타이져 또한 다양한데 매실 두부 샐러드($5.9), 버섯 샐러드($7) 등이 인기 가 좋으며 일본 사케도 많이 구비되어 있어 일본 본토의 술맛 또한 볼 수 있음 · 전 종업원이 일본어가 유창하며, 이들은 친절하게 메뉴별로 먹는 법에 대해 상 세히 설명해준다. · 점심 코스 메뉴는 총 9가지 종류가 있으며 가격대는 $12.9~$73.1 선 <그림 Ⅵ-30> 북경의 일식 퓨전 요리 식당 J-Cuisine Morio 메뉴
□ Place · 2008년 6월에 오픈한 디럭스급 부티크 호텔, G Hotel 내에 입점한 J-Cuisine Morio 는 베이징 중심의 최신 유행 유흥 지역이자 외국 대사관 밀집지역인 산리툰에 위치 □ Promotion · Sakayori Morio라는 유명 일식 주방장 이름을 내세워 외식 전문지에 기고하는 등 다양한 문화적 활동으로 식당 홍보에 힘쓰고 있음
28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다. 전문 식당(Specialized Restaurant) - 京日面爱面 1) 개요 · 面爱面은 일식 라면을 일반적인 중식 면요리 대비 고가로 책정하고 다양한 라 면 요리를 Fast Food 형태로 즐길 수 있는 전문점으로 포지셔닝 <그림 Ⅵ-31> 북경의 일식 라면 전문점 京日面爱面
2) 성공 전략(4P) □ Product / Price · 다양하고 간편한 일본식 라면 및 사이드 메뉴 구비 · 가격은 중식 면요리 가격 수준인 $2.2보다 높게 책정하여 라면류($2.2~$3.7), 샐 러드류($1~$2.2), 꼬치구이($2.2), 튀김류($2.2~$3.7), 미니 라면 세트-미니라면, 샐러드, 아이스티($3.7), 단무지 등 반찬류($0.4) 선 · 식당만의 오리지널 퓨전 요리를 개발하여 손님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음 □ Place · 중관촌 상가 지역, 왕푸징 푸드코트 등 번화가에 주로 입점하여 지나가던 고객 들이 가볍게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식당 □ Promotion · TV 광고를 실시하고 있으며, 교니치 식품 상사의 일본 식품(찐빵, 떡, 사탕 등) 을 판매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87
라. 일반 식당(Casual Restaurant) - Bellagio Cafe 1) 개요 · Bellagio Cafe는 다양하고 경제적인 가격의 메뉴를 위주로 하여 카페와 레스토 랑의 복합 형태로 젊은 층에게 큰 인기를 모으고 있음 · 특히 특색 있는 디저트 메뉴로 입소문을 크게 타고 있음 <그림 Ⅵ-32> 카페와 레스토랑의 복합 형태인 Bellagio Cafe
2) 성공 전략(4P) □ Product / Price · 20여 종의 다양하고 경제적인 가격의 요리를 구비 - 대표 메뉴는 대만식 후추새우($8.3), 매운 고기수육($9.1), 소고기 덮밥세트 ($5), 홍소 소고기면($4) 등이 있으며 음료 20종, 빙수 및 샤베트 50종 구비 - 특히 다양한 초대형 사이즈의 빙수($4)가 이 가게의 트레이드 마크로 많은 인 기를 모으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모든 메뉴가 가격 대비 양이 많고 푸짐한 편
28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Ⅵ-33> Bellagio Caf 메뉴
□ Place · 젊은 층들의 친구 모임에 적합한 카페 느낌의 럭셔리한 인테리어에 종업원들 은 유니폼 및 숏커트 헤어스타일로 통일하여 깔끔하고 전문적인 이미지를 부 여하고 있음 □ Promotion · 푸짐한 양과 좋은 맛 그리고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벨라지오 카페는 입소문 이외에 다른 프로모션 활동을 하고 있지 않음
Ⅵ. 중국 성공 한식당 사례 연구
289
마. 간이 식당(Convenient Restaurant) / 패스트푸드(Fast Food) - G先生厨房 1) 개요 · G先生厨房는 싸고 간편한 Fast Food 메뉴를 신속 편리한 시스템을 활용한 셀프 서비스로 제공하여 학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모으고 있음 <그림 Ⅵ-34> 싸고 간편한 간이식당 G先生厨房
2) 성공 전략(4P) □ Product / Price · 간편하고 저렴한 면 요리, 덮밥 등의 다양한 메뉴가 구성되어있는 이 식당의 대표 메뉴는 고기 야채 덮밥($1.4), 소고기 탕면($1.8), 한국식 돌솥비빔밥 ($2.2), 소고기 대나무 통밥($1.9), 대만식 고기덮밥($2.3) 등이 있으며 그중 가 장 인기가 있는 건 麻辣香锅이라는 요리로 이것은 매운 양념에 여러 재료를 볶아주는 요리로, 재료를 본인이 골라 개인화가 가능하여 큰 인기를 모으고 있음 · 선불카드 구매하여, 본인이 재료를 선택한 후 선택한 재료와 양에 따라 금액이 차감 지불되는 자동화 방식과 셀프 서비스로 소비자들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음
29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Ⅵ-35> G先生厨房의 대표메뉴 麻辣香锅
□ Place / Promotion · 입지는 주변에 KFC, 아지센 라멘 등 다양한 Fast Food 즐비한 번화가에 위치하 고 있으며 홍보는 주로 극장 및 상가 주변에서 홍보 전단지를 배포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29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타겟 고객 타겟 고객 선정은 식당 창업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절차임. 중국 고객 중 외식 빈도와 외식 지출액이 높고, Ethnic Food 선호 및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 되는 고객군으로 타겟을 고려하였을 때, 중상류 청년층, 고소득 중장년층, 중산 장 년층 및 중산 중년층이 한식당 Target 고객군으로 나타남
가. 중국 고객 특성 · 중국 외식 시장의 소비자를 소득, 연령별로 분류 · 소득은 2008년 기준 대도시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고소득층(17,000위안 이 상), 중산층(5,000~17,000위안), 저소득층(5,000위안 이하)으로 분류하였으며 연 령은 청년기(25세 미만), 장년기(25~34세), 중년기(35~54세), 노년기(55세 이상) 으로 분류 □ 연령별 고객 특징 <그림 Ⅶ-1> 연령별 외식 빈도
> 55
거의 매일
35~54
주 1회 이 상 매주 2주 1회
4 8.7%
25~34
월 1회 3개 월 1회
2 3.5%
거의 없음
24 .8%
< 24
0%
20%
3 7.3%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293
· 중국 현지에서 48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25~34세는 전체 중 약 50% 가 거의 매일 외식을 하고, 약 75%가량이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것으로 조 사되어 가장 외식 빈도가 높은 연령층인 것으로 나타남 · 그 다음으로는 24세 미만이 자주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34세 미만의 젊은 층의 외식 빈도가 35세 이상의 연령층 대비 월등 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Ⅶ-2> 연령별 평균 외식비용 (단 위: 위안 )
> 55
35~54
25~34
< 24
0%
20% <30
30~50
40% 50~70
60% 70~90
90~110
80% 110~130
100% > 13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연령대별 평균 외식비용을 본 결과 25~34세의 연령층의 경우 30위안 미만의 외 식비용 소비자는 거의 없었으며 절반 이상이 90위안 이상의 외식비용을 지출 해 가장 외식소비가 높은 연령층으로 나타남 · 55세 이상의 연령층은 25~34세의 연령층과 대조적으로 절반 이상이 50위안 미 만을 외식비용으로 사용하여 외식소비가 적음 · 24세 미만은 70~90위안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가운데 90위안 이상을 지출하 는 사람도 상당수 있음
29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Ⅶ-3> 연령별 외식 목적
> 55
일상식 비즈니스 가족외식 친구만남 기념일 기타
35~54
25~34
< 24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연령별 외식 목적 - 24세 미만은 친구 만남이 가장 많음 - 25~34세는 일상식으로 외식을 가장 많이 즐김 - 35세 이상은 가족 외식 목적이 월등히 높게 분포 - 55세 이상은 모든 응답자가 가족외식이라고 응답 · 다음으로는 응답자들에게 식당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 모든 연령대에서 맛, 재료의 신선도, 서비스를 가장 중요하게 평가 - 55세 이상의 경우에는 가격을 중요하게 평가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295
<그림 Ⅶ-4> 연령별 식당 선택 시 고려요소
>55
서비스 Reputation 분위기 위치 편리성 가격 재료 신선함 메뉴의 다양성 맛
35~54
25~34
<24
3
3.2
3.4
3.6
3.8
4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 소득별 고객 특징 · 17,000위안 이상의 소득자는 모든 사람이 적어도 2주에 1회 이상 외식을 하고 있으며 그중 75%는 거의 매일 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5,000~17,000위안의 소득자는 17,000위안 이상 소득자보다 낮은 외식율을 보이 고 있지만 최소 주 1회는 외식을 하는 사람들이 65.4%에 달함 - 매일 외식을 하는 사람이 36.1% - 주 1회 이상 외식하는 사람이 29.3% · 5,000위안 이하의 저소득자는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외식을 거의 안 한다는 응답이 26.3%로 가장 많음
29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Ⅶ-5> 소득별 외식 빈도
>17000
5000~17000
36.1%
거의 매일 주1회 이상 매주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음
29.3%
<5000
26.3%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그림 Ⅶ-6> 소득별 평균 외식비용 ( 단위 : 위 안)
>17000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5000~17000
>130
<5000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소득수준별 평균 외식비용을 보면 소득 5,000위안 미만의 저소득자의 경우, 평 균 70위안 미만의 비용을 소비하며 끼니를 해결 · 5,000~17,000위안의 경우 주로 50~110위안의 비용을 소비 · 소득 17,000위안 이상의 고소득층의 경우에는 평균 외식비용이 100위안 이상으 로 소득수준 간 외식 평균 비용 차이가 큰 편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 성별 고객 특징 · 성별 고객 특징은 남성과 여성이 빈도, 비용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음 <그림 Ⅶ-7> 성별 외식 빈도
여자 거의 매일 주1회 이상 매주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음 남자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그림 Ⅶ-8> 성별 평균 외식 비용 ( 단위 : 위 안)
여자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130 남자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297
29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25세 미만의 소득대별 고객 특징 · 소득 5,000~15,000위안과 17,000위안 이상 소득층의 외식 빈도가 유사 · 5,000위안 미만의 저소득층의 경우 타 연령대 대비 외식을 빈도가 높음 <그림 Ⅶ-9> 25세 미만의 소득대별 외식 빈도
>17,000
거의 매 일 주1회 이상 매주 5, 000~17,000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 음
<5,000
0%
20%
40%
60%
8 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그림 Ⅶ-10> 25세 미만의 소득별 외식 비용
>17,000 (단 위: 위 안)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130
5,000~17,000
<5,000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299
· 25세 미만의 소득별 외식비용 - 17,000위안 이상의 고소득층은 모든 응답자가 외식 시에 70위안 이상을 소비 하며 110위안 이상의 비용을 쓰는 사람도 상당수 - 5,000~17,000위안의 중산층은 30위안 이하의 응답자도 소수 존재하는 가운데 대부분이 70~110위안 정도 외식비로 쓴다고 함 - 5,000위안 이하의 저소득층은 대부분이 70위안 이하를 쓴다고 응답한 가운데 90위안 이상을 쓰는 사람도 일부 있는 것으로 조사됨 □ 25~35세의 소득대별 고객 특징 <그림 Ⅶ-11> 25~35세의 소득대별 외식 빈도
>17,000
거의 매일 주1회 이상 매주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음
5,000~17,000
<5,000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25~35세의 소득대별 특징을 보면 소득이 높아질수록 외식 빈도가 잦아지며, 특 히 소득 17,000위안 이상의 고소득자의 경우에는 거의 매일 외식을 하는 것으 로 나타남
30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Ⅶ-12> 25~35세의 소득별 외식 비용
>17,000
(단위: 위안)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130
5,000~17,000
<5,000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 소득별 외식비용을 보아도 마찬가지로 소득이 높아질수록 외식비용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소득 17,000위안 이상 고소득자의 경우에는 평균 외식비용이 130위안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음 · 한편 5,000위안 미만의 저소득층은 매일 외식을 하는 사람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음 □ 35~54세의 소득대별 고객 특징 · 35~54세의 소득대별 특징을 보면 소득이 높아질수록 외식 빈도가 잦아지며, 특 히 소득 17,000위안 이상의 고소득자의 경우에는 거의 매일 외식을 하는 것으 로 나타남 · 한편 5,000위안 미만의 저소득층 중 거의 매일 외식을 하는 사람들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대부분이 3개월에 1회 또는 외식을 안 한다고 응답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01
<그림 Ⅶ-13> 35~54세의 소득대별 외식 빈도
>17,000 거의 매일 주1회 이상 매주 2주 1회
5,000~17,000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음 <5,000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소득별 외식비용의 경우에도, 소득이 높아질수록 외식비용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소득 17,000위안 이상 고소득자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130위안 이상의 외식비용을 지출한다고 응답 · 5,000위안 미만의 저소득층은 매일 외식을 하는 사람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으 며 대부분이 30~50위안 정도로 외식비용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였음 <그림 Ⅶ-14> 35~54세의 소득별 외식 비용 (단 위: 위안 ) >17,000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130
5,000~17,000
<5,000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and Analysis, 2009.6 N=482
30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17,000위안 이상 소득군의 연령별 고객 특징 <그림 Ⅶ-15> 17,000위안 이상 소득대 연령별 외식 빈도
35~55
거의 매일 주1회 이상 매주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음
25~34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17,000위안 이상 소득군의 연령별 고객 특징을 보면 25~34와 35~55의 외식 빈도 가 유사하게 나타남 · 대부분이 거의 매일 외식을 하며 일부가 주 1회 이상 정도 외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됨 · 25~55에 비해 25세 이하의 연령층에서는 절반 정도가 거의 매일 외식을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은 주 1회 이상 즐긴다고 응답 · 연령별 외식비용에서도 25~34와 35~55는 큰 차이가 없으며 유사하게 나타났으 며, 대부분은 130위안 이상을 외식비용으로 지출한다고 응답함 · 또한 25세 이하의 연령대에서는 절반 정도가 30~50위안의 비교적 저렴하게 외 식을 하는 반면, 나머지 절반은 90~110위안 정도의 외식을 하는 것으로 양분화 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됨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03
<그림 Ⅶ-16> 17,000위안 이상 소득대 연령별 외식비용 35~55 (단 위 : 위 안 )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130
25~34
<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연령별 외식비용에서도 25~34와 35~55는 큰 차이가 없으며 유사하게 나타났으 며, 이들의 대부분은 130위안 이상을 외식비용으로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 25세 이하의 연령대에서는 절반 정도가 30~50위안의 비교적 저렴하게 외식을 하며, 나머지 절반은 90~110위안 정도의 외식을 하는 것으로 양분화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Ⅶ-17> 17,000위안 이상 소득대 연령별 외식 목적 35~55
일상식 비즈니스 가족외식 친구만남 기념일 기타
25~34
<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연령별 외식 목적으로 보면 연령대별로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이 일상 식의 목적으로 외식을 많이 하며 25세 미만의 경우에는 가족외식의 비중이 상 대적으로 높음 · 25~34세와 35~55세의 일부는 비즈니스의 목적으로 외식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응답
30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5,000~17,000위안 소득군의 연령별 고객 특징 <그림 Ⅶ-18> 5,000~17,000위안 소득대 연령별 외식 빈도
35~55
거의 매일 주1회 이상 매주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음
47.9%
25~34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5,000~17,000위안 소득대의 연령별 외식 빈도 - 25~34세의 경우 거의 매일 외식을 하는 비중이 약 4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35~55세는 외식을 비교적 즐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25세 미만도 대부분이 외식을 즐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5~34세보다는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별 평균 외식비용 - 25세 이하의 경우, 약 20%가 70위안 이하의 외식비용을 지출 - 35~55세의 경우, 30% 정도가 70위안 이하의 외식비용을 지출 - 25~34세는 평균 외식비용이 70위안 이상으로 대부분이 많은 비용을 외식에 지출하고 있어 5,000~17,000위안 소득자 중 가장 매력적인 연령대로 분석됨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05
<그림 Ⅶ-19> 5,000~17,000위안 소득대 연령별 평균 외식비용 ( 단위 : 위안) 35~55
<30 30~50 50~70 25~34
70~90 90~110 110~130 >130
<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연령별 외식 목적을 보면 25세 미만은 친구와의 만남을, 25~34세의 경우 일상 식의 목적으로, 35~55세의 경우 가족외식의 목적으로 외식을 하는 경우가 많 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Ⅶ-20> 5,000~17,000위안 소득대 연령별 외식 목적
35~55
일상식 비즈니스 가족외식 친구만남 기념일 기타
25~34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30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5,000위안 미만 소득군의 연령별 고객 특징 · 5,000위안 미만 소득대의 연령별 외식 빈도를 보면 35~55세는 거의 외식을 즐 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25세 미만이 25~34세보다 외식을 즐기지 않는 사람이 좀더 많은 비중을 나타내 고 있으나 주 1회 이상 외식을 하는 사람의 비중을 보게 되면 25세 미만과 25~34서의 외식 빈도는 상당히 유사함 <그림 Ⅶ-21> 5,000위안 미만 소득대의 연령별 외식 빈도
35~55
거의 매일 주1회 이상 매주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거의 없음
25~34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07
<그림 Ⅶ-22> 5,000위안 미만 소득대의 연령별 외식비용 68.8% 35~55
(단위: 위안)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130
25~34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연령별 외식비용은 35~55세의 경우 30~70위안이 전체의 68.8% 차지 · 25세 미만과 25~34세의 외식비용은 유사함 <그림 Ⅶ-23> 5,000위안 미만 소득대의 연령별 외식 목적
35~55
일상식 비즈니스 가족외식
25~34
친구만남 기념일 기타
<25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25세 미만의 경우 친구 만남의 목적이, 35~55세의 경우 가족외식의 목적으로 외식을 하는 경우가 많음
30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지역별 고객 특징 <그림 Ⅶ-24> 지역별 외식 빈도
북경 거의매 일 주 1회 이상 매주 2주 1회 월 1회 3개월 1회
상해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지역별 외식 빈도는 북경의 경우 거의 매일 외식을 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57.2%인 반면 상해의 경우 11.5%에 불과 · 전반적으로 북경의 외식 빈도가 높음 <그림 Ⅶ-25> 지역별 외식비용 (단위: 위안)
북경
<30 30~50 50~70 70~90 90~110 110~130 >130
상해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북경의 경우 외식비용이 110위안 이상, 상해의 경우 30위안 이상 70위안 이하 인 경우가 많음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그림 Ⅶ-26> 지역별 외식 목적
북경 일상 식 비즈 니스 가족 외식 친구 만남 기념 일 기타 상해
0%
20%
40%
60%
80%
100%
* Source: Accenture Survey and Analysis, 2009.6 N=482
· 북경의 경우 일상식으로 외식하는 비중이 57.7%를 차지 · 상해의 경우 가족, 친구들과의 외식이 68.1%를 차지
309
31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나. 고객 Segmentation 중상류 청년층, 고소득 중장년층, 중산 장년층 및 중산 중년층의 각 고객군은외 식 빈도, 지출액, 외식 목적 등의 외식 형태와 니즈가 다른 고객군과 구별됨
1) 고객 Segmentation <그림 Ⅶ-27> 중국 외식 시장 고객 Segmentation
· 각 고객층 중 노년기의 연령대와 저소득층 중년은 구매력이 낮으며 외식 빈도 가 낮아 외식 시장에서의 중요도가 낮아 고객 분석에서 제외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11
□ 저소득 청년층 · 주 2~3회 외식을 하며 한 끼당 약 30위안 정도를 소비 · 주로 친구 모임과 일상식으로 외식을 즐김 · 주로 친구들의 입소문과 인터넷 맛집 정보를 통해 식당을 접함 · 저렴한 가격과 가격대비 푸짐한 양을 선호하며 깔끔하고 간편한 Fast Food 형 태와 셀프서비스를 선호 · 맛과 식당 분위기 등을 중시하며 유행에 매우 민감함 · 선호하는 한식으로는 비빔밥, 김밥, 파전, 갈비 등이 있었으며 푸짐하고 맛있 는 저가의 한식 Fast Food점이 많이 생기기를 희망 □ 중상류 청년층 · 기존 중국인 세대와 뚜렷하게 다른 가치관과 소비성향을 가진 계층 · 거의 매일 외식을 하며 한 끼당 약 70~90위안 정도를 소비 · 유행에 매우 민감한 이들은 트렌디한 식당 분위기에 간편한 Fast Food 형태나 앉아서 오래 즐길 수 있는 Café 형태의 식사를 선호하며 셀프서비스를 선호 · 친구 모임이나 일상식으로 주로 외식을 하며 맛있는 음식을 통해 스스로를 표 현한다고 여기어 밥을 살 때만큼은 돈 쓰는 걸 주저하지 않음 · 선호하는 한식은 비빔밥, 닭갈비, 잡채, 삼겹살이며 앞으로 젊은 층이 많이 모 이는 메이저 상권에 분위기 좋은 한식당이 더욱 많이 생기기를 희망 □ 고소득 중장년층 · 주로 외자기업의 임원, 부동산 개발 및 임대업자, 성공한 국영기업 청부업자, 무역업자, 제조업자, 성공한 상인 등으로 대부분 대도시에 거주 · 거의 매일 외식을 하며 일상식의 외식비용은 약 100~200위안 · 사업상의 외식이 많은 편 · 고가의 의류, 화장품, 핸드백, 액세서리, 휴대폰, 컴퓨터, 고가의 식료품을 소비 하는 주체 · 친구와의 만남 시에는 일식 또는 중식, 기념일에는 고급 양식 뷔페로 한식은 자주 즐기지 않으며 2주에 1회 정도 즐김
31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식 이용 시에는 주로 직장 동료와의 회식이나 비즈니스 접대용으로 삼겹살 과 같은 한국식 고기구이를 선호 · 한국음식의 선호 이유는 간소하고 기름기가 적어 웰빙 음식으로 느껴지기 때 문이며 깔끔하고 화려한 장식의 요리를 선호 · 중국에 한국 음식점 수는 많으나, 고급 한국 음식점이 너무 적으므로 더 고급 스러운 한식당이 많이 생기기 바란다는 니즈가 있음 □ 중산 청년층 · 기성세대 대비 소득 수준이 높고 자기가 번 돈은 자기가 지출하는 스타일이며 유행을 전파하는 것을 좋아함 · 일주일에 약 2회 외식을 하며 소비 비용은 50위안 정도 · 바쁜 직장생활, 직접 음식을 만들려 하지 않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합리적 인 외식 가격 때문에 외식을 선호 · 주 2회의 빈도로 자주 외식을 하지만 한식당은 한식에 친숙한 소수가 모였을 때 또는 친한 친구들과의 가벼운 식사용으로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한 달에 1~2회 정도 이용 · 삼계탕, 냉면, 고기구이, 탕/찌개 등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점심특선 등 저렴하 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메뉴에 대한 니즈, 시내 중심가와 같은 접근성이 좋 은 곳에 많이 위치하기를 바라는 니즈 존재 □ 중산 중년층 · 중국 소비 시장을 주도하는 계층 · 외식 1회당 평균 10~50위안을 소비 · 한식은 친구와의 만남일 때 가장 많이 먹으며 한 달에 1~2회 정도 이용 · 상대적으로 한식당을 찾는 빈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여러 사람이 모이 는 모임인 경우에 한식이나 기타 Ethnic Food는 사람마다의 호불호가 강하기 때문에 가급적 피하는 편임 · 한식은 서로 한식을 좋아하는 2, 3명의 소수가 모여서 식사할 때 주로 이용함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13
· 선호하는 음식은 고기구이로 고기와 야채를 한꺼번에 섭취할 수 있고, 다른 음 식 대비 담백하고 느끼하지 않기 때문 · 한식에 대해서는 한국음식 자체의 특색 있는 맛을 유지해야 하며 고급화된 한 식당과 저렴한 대중적 식당 두 가지 방향 모두 강화되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 하였음
다. 식당별 유망 고객군 <그림 Ⅶ-28> Target 고객에 따른 식당유형 Mapping 목표고객군
한식당 유형
중상류 청년층
고급 한식당 고소득 청장년층
중산 청년층
일반 한식당 중산 장년층
· 일반 한식당은 중상류 청년층의 친구 만남 혹은 일상식으로 적합한 한식당 유 형으로 다양한 메뉴를 푸짐한 양과 경제적 가격에 제공 · 고급 한식당은 일상식 외식이 많은 고소득 청장년층의 일상식 및 가족 모임용 으로 고급화된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며 한국 전통문화와 연계된 고급 인테리 어 및 이벤트 제공 · 중산 청장년층의 친구 만남 혹은 가족외식용으로 다양한 메뉴를 푸짐한 양과 경제적 가격에 제공하는 일반 한식당
31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식당 개업을 위한 인허가 절차 및 관련 법률 가. 외자외식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방법 · 외국인과 외국법인이 중국에 외식기업을 설립하는 경우에는, ꡔ중외합자경영기 업법ꡕ, ꡔ외자기업법ꡕ 등의 법률과 세부 시행규칙의 규정에 따라 독자기업, 합 병기업, 합작기업의 세 가지 형태 중 하나를 택해야 함 · 기업들은 유한책임회사 또는 주식회사로서 설립이 가능하지만 투자금액 등 많 은 제한으로 인해 실제로 유한책임회사의 비중이 많음 <표 Ⅶ-1> 외자기업의 주요 회사 형태 회사형태
내 용
독자기업
100% 외국자본 회사
합병기업
외국기업과 중국기업이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회사
합작기업
외국기업과 중국기업이 공동사업계약을 바탕으로 회사운영을 하는 것
· 투자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기술공급방식도 있음 - 기술공급방식은 현지기업으로의 자본 투자가 아닌 상표 또는 비즈니스 노하 우를 제공하는 점을 중점으로 둠 · 일반적으로 로열티 방식으로 수입을 얻고 있음 · 독자기업은 일본 본사의 의사대로 운영이 가능하며, 합병회사는 합병 상대인 현지기업이 가지고 있는 판매능력, 유통력 등에 기대를 걸 수 있음 <표 Ⅶ-2> 진출방식별 장·단점 진출형태 독자기업
특징 100% 외국자본
장점 본사의 의사를 반영시키기 쉬 움
단점 자사가 기업 리스크를 전부 부담 높은 투자코스트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합병기업
합작회사
외국과 현지자본 일정 비율
현지기업과
현지 합병상대가 가진 판매, 유통능력, 자본, 인력이 활용 가능
외국자본
의 공동출자
방식
합병의 쌍방이 대등한 상황이 아니라면 최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 움
현지 합병상대가 가진 판매, 이익배분이 반드시 출 유통능력, 자본, 인력이 활용 자비율과 연계되지 않 가능
상표 또는 비즈니스 노 기술공급
315
하우 제공. 일반적으로 출자에 의한 리스크가 없음 로열티 방식으로 수입 로열티 수입 기대 가능 을 얻음
음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 어지지 않았을 경우 브 랜드 파워가 떨어짐
· 기업은 진출방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자사가 가진 경영자원과 미래 환경변화 를 냉정하게 판단하여 최적의 방식을 선택해야 함 - 예를 들어 현지법인을 설립하는 경우에 100% 현지법인으로 할 것인가, 현지 기업의 자본도 포함되는 합병기업으로 할 것인가를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 음. 특히 합병사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중국과 한국이 서로 우세한 분야를 적극 활용하여 그 역할을 명확하게 하여 양자가 책임을 지고 업무를 수행하 는 것이 일반적임. 합병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에는 괜찮지만, 장래에 운영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존재함(사업전개에 관한 의견 불일치 등). 그럴 경우에 역할분담을 명확하게 해두었다면 상호 간에 무엇을 해야 하고 하면 안 되는지가 확실하게 서기 때문에 책임체제가 명확해져 애매한 부분이 사 라져 문제해결에 도움이 됨 · 중국 측과 한국 측의 역할분담에 관해서는 종업원의 채용과 관리 등은 현지 합병기업에게 맡기고, 상품품질관리 등은 한국 측에서 관리하여 상품개발은 양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케이스가 많음 · 기술 제공의 경우에는 브랜드가 잘 유지되는가가 가장 큰 과제임 - 한국 측에서 원하는 품질기준이 중국 현지의 수질, 조미료, 조리방법, 종업원 의 서비스 수준 등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브랜드 이미지 가 실추되는 사태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필요
31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나. 기타 규제 1) 출자비율 · 외자계 외식기업의 진출에 대해 현재 중국 정부에서 출자비율에 대한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음 - 구체적으로는 2004년 4월 발표한 ꡔ외상투자상업영역관리규칙ꡕ에 의해 외국 투자자의 지분비율 규제가 철폐되었음 - 100% 외국자본(외상독자상업기업)기업의 설립도 가능
2) 자본금 · 회사설립의 자본금규정은 ꡔ회사법ꡕ 등의 관련 규정에 따름 - 유한책임회사로 외식기업을 설립하는 경우는 최저 자본금이 30만 위안(한화 약 5천만 원)임 - 주식회사를 설립하는 경우는 ꡔ외상투자주식유한공사의 사소한 문제에 관한 잠정규정ꡕ이 적용되어 최저 자본금은 3,000만 위안(한화 약 50억)임 - 실무에서는 외국자본에 의한 외자계 외식 유한책임회사의 최저 자본금 제한 은 각 지방 정부의 정책에 따라 다름. 예를 들어 상하이시의 징안(静安)구는 14만 달러(한화 약 1억 6천만 원)로 규정되어 있음 <표 Ⅶ-3> 회사설립 최저 자본금 규정 회사형태
최저 자본금
유한책임회사
30만 위안
주식회사
3,000만 위안
· 자본금은 일괄 지급 또는 분할 지급이 인정되는데, 기한일까지 금액을 지급하 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음. 또 분할지급의 경우에는 출자금의 15% 이상, 영업허 가증 교부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최초 지급기한이 정해짐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17
<표 Ⅶ-4> 자본금 지급 기한 지본금 영업허가증 취득일부터
$50만
$50만~100만
$100만~300만
1년 이내
1년 반 이내
2년 이내
$300만
$1,000만
~1,000만
이상
3년 이내
3년 이내
3) 투자총액 · 사업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총투자액은 투자총액이라고 함 · 투자총액과 자본금은 일정 비율로 정해져 있음 ꡔ총투자액 = 자본금 + 외화차입금ꡕ · 실무에서는 자본금으로부터 역산하여 투자총액을 정하는 경우가 많음 - 예를 들어 상하이 징안(静安)구의 최저 자본 14만 달러가 있다면, 투자총액은 20만 달러(14만 달러 ÷ 70%)가 됨. 이 경우에는 외화차입금의 가능액은 6만 달러 <표 Ⅶ-5> 투자총액과 자본금의 관계 투자총액
자본금의 비율
300만 달러 이하
70% 이상
300만 달러 ~ 1,000만 달러
50% 이상(최저 210만 달러)
1,000만 달러 ~ 3,000만 달러
40% 이상(최저 500만 달러)
3,000만 달러 초과
1/3 초과(최저 1,200만 달러)
4) 경영기한 · ꡔ외국투자상업분야관리변법ꡕ에 따라 외상투자상업기업의 경영기한은 일반적 으로 30년을 넘지 않음 · 중서부 지구에 설립하는 외상투자상업기업의 경영기한은 40년으로 제한 · 합병기업의 경우에는 시장의 변화와 기업의 경영방침,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항상 적절한 경영체제를 만들기 위해서 합병기업 간에 경영기간을 명확하게 하 여 이 사항을 계약서에 명기하는 것이 일반적임
31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5) 출점 형태(사업 형태) · 법률상으로는 외식기업의 출점 형태를 제한하지 않음 - 직영방식 또는 프랜차이즈 방식의 두 가지 방식 중 자유롭게 출점 가능 · 직영점과 프랜차이즈의 선택하는 과정에서 진출하는 기업의 역사와 조직체제 등에 따라 체인을 유지하는 능력의 차가 상당할 것이므로 각 기업에 맞게 기 업전략으로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가 중요 · 중국에 진출하는 외식기업은 현재는 직영점으로 전개를 하고 있으며, 직접 중 국 로컬기업과 프랜차이즈 계약을 하고 있는 기업은 드묾 · 체인점을 통한 전개를 진행하는 경우는 지방정부가 허가하는 직영점의 형식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한편 현지의 외식업계에서 프랜차이즈는 ①외부자본의 이용으로 단기간 저비 용으로 사업 확대가 가능하고 ②리스크가 낮으며 안정적인 로열티 수입을 얻 을 수 있다는 장점에서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
6) 출점 장소 규제와 출점 점포수 ·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상하이에서의 점포는 일반적으로 주민의 주택건 물에 출점을 하면 안 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음 · 주택건물 이외의 비거주용 건물을 이용해서 개점을 하는 경우에는 주택, 학교, 병원으로부터 5m 이상 떨어진 장소이어야만 함 · 출점 점포 수의 규제는 관해서는 WTO 가맹 후 철폐되었음 · 영업시간에 관한 규제는 지역에 따라 다름 - 예를 들어 상해의 마오밍로(茂名)는 소음문제로 오전 2시 이후의 영업은 기 본적으로 금지되어 있음
7) 외식기업의 중국 진출에 있어서의 혜택 정책 · 중국은 현재 외자기업의 시장 진출을 적극 후원 · 업종에 따라 네거티브리스트를 설정하여 제한, 제약하는 경우도 있지만 외식 분야는 제한되어 있지 않음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19
· 서비스산업에 있는 외식점포의 경영자체는 내국민과 동일한 대우를 받으며 하 이테크산업 등과 같이 외자투자특별혜택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음 · 하지만 ꡔ중국외상투자기업과 외국기업소득세법ꡕ의 제19조에 의하면 외자계 기업의 이익분배에 관해서는 기업소득세를 납부한 후의 이익에 대한 배당을 국외 주주에게 송금을 하는 경우 20%의 원천소득세가 징수되며 투자장려조치 로서 외국투자자가 외상투자기업(합병기업과 독자기업)으로부터 받는 배당에 는 소득세를 면제하는 규정이 있어 원천과세는 되지 않음
8) 한국으로의 송금규정과 수속 · 이익배당을 중국으로부터 한국에 송금을 하는 수속은 아래와 같지만 현지 법 인(합병회사)의 배당이 인민폐로 배분되었다고 하더라도 중국으로부터 인민 폐로 한국에 송금을 하는 것은 불가능 - 이것은 중국 당국이 해외로의 인민폐 유통을 용인하고 있지 않기 때문 - 인민폐를 한화 또는 미화로 환전을 한 후에 송금을 해야 함 · 해외송금의 경우 납세증명서류로서 기업소득세의 관세설명서, 세무신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그 밖에도 아래와 같은 서류를 은행에 제출해야만 함 ① 회계사무소의 감사보고서 ② 배당에 관한 이사회 결의 ③ 외국투자기업외환등기증(외국에서 가지고온 자본에 대한 등기 증명서) ④ 회계사무소의 험자보고서 (자본금이 지불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회계사무소의 증명서) ⑤ 그 외에 외화관리국이 요구하는 서류 · 은행은 이상의 서류의 진실성을 엄격하게 심사하여 송금을 할 때에 외화등기 증과 세무증명서류에 은행이 송금한 내용을 기재하여 증명서로서 보관
32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다. 회사의 설립과 영업허가증 1) 회사 설립과 영업허가증 취득 수속 · 중국에서 사업을 전개하기로 정한 경우, 회사 설립 수속에 관해서는 합병회사 의 경우 일반적으로 중국 현지기업에 의해 설립 수속이 진행됨 · 100% 현지법인(독자기업)을 설립하려는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해야 하지만, 전 문 대형업체에 의뢰하는 것도 가능 · 외식점포의 개점 영업까지는 크게 ①회사설립, ②영업허가증의 취득 2단계의 절차를 밟아야 함 · 회사의 설립, 영업, 개점 후의 각 업무는 회사 소재지의 구 단위로 행정기관이 관할하는 것이 일반적임 · 식당 개점 절차 - 먼저 시장조사를 진행하여 개점 입지를 정하고 그리고 실제 점포를 찾게 되 는데 이때 개점 예정 지역이나 점포는 음식점으로서 사용하기에 문제가 되 지 않는가를 환경보호국 등과의 관계 부문을 사전에 확인 - 문제가 없다면 회사 설립의 절차를 거쳐서 동시에 점포의 시공 가능 - 회사의 정식 설립 이전에 점포물건과 보증금, 내장비용 등이 발생하는 경우 에는 장래자본금이 장래의 자본금에서 이체할 수 있는 개설준비금을 송금할 수 있도록 임시외화자본계좌를 만들 수 있음 ① 회사설립 - 회사설립의 수순은 먼저 소재지의 공상행정관리국에 회사명을 가등기함 - 회사명의 가등기는 업무일 기준 약 3~5일정도 소요 - 기업명 가등기 후 소재 지역의 대외경제무역위원회에서 회사설립 신청 절차 진행 · 신청서류 목록 - 외상투자음식점기업설립신청서 - F / S 보고서(프로젝트 제안서 대용)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21
- 은행 자본신용증명 - 법인등기증명(개인의 경우에는 신분증명서), 법정대표자 신분증 - 계약서(합병의 경우), 정관 - 설립회사 이사회 명부 - 기업가명칭의 승인통지서 - 기업설립예정등록지, 경영장소사용 증명 - 기타 필요서류 · 이상의 서류가 문제없이 준비되면 약 10일 뒤 ꡔ외상투자기업비준서ꡕ라는 회사 설립허가서가 발행됨 ② 영업허가증의 취득 - 영업개시까지 소방국, 환경보건국, 식품약품 감시관리국, 공공위생 감시관리 국, 공안국 등의 관계관할관청에 음식점 경영에 필요한 각종 증명서와 개업 전의 검사를 신청하여 검사를 받아야 함 - 주요 증명서 취득에는 아래의 표를 참조 - 문제가 없다면 소방국은 ꡔ소방증ꡕ, 환경보건국은 ꡔ환경보호증ꡕ, 식품약품감 시 관리국은 ꡔ식품위생허가증ꡕ, 공공위생감시관리국은 ꡔ공공위생허가증ꡕ 등, 각 관할 부문으로부터 허가증이 발행되는데, 이 허가증과 회사설립허가서인 ꡔ외상투자 기업비준서ꡕ를 가지고 공상행정관리국에 회사등록과 영업허가증 을 취득함 ꋭ 영업허가증의 취득에는 약 10일 정도 소요
- 영업허가증이 취득되었다면 질량기술감독조직 코드관리 부문에 조직 코드 를 취득해서 공안국이 지정하는 장소에 공인을 작성을 해야 함 - 외화관리국에 자본금을 입금하기 위한 계좌를 개설하여 한국으로부터 송금 을 받음 - 동시에 세무국에 세무등기를 하여 발표(영수증번호)를 취득과 납세계좌, 인 민폐 계좌를 개설 - 모든 절차를 종료 시까지 약 3~6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됨
32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표 Ⅶ-6> 허가증 종류별 필수 서류
허가증 종류
필수 서류
식품위생허가증
▪ ▪ ▪ ▪ ▪
법정대리인의 자격증명 경영장소 내부의 구조, 설비평면도 식품에 관한 종업원의 유효한 건강진단서 복사본 기업명칭심사통지서 복사본 경영장소임대협회, 부동산증명 복사본
공공위생허가증
▪ ▪ ▪ ▪ ▪ ▪ ▪ ▪
공공위생허가증 신청서 법정대리인에 관한 증명 기업명칭심사통지서 부동산증명(임대협회서) 건강진단서 경영장소 내부구조, 설비평면도, 통풍관 설계도 주요위생지표관측 결과 기타 필요 서류
환경보호증
▪ ▪ ▪ ▪ ▪ ▪ ▪ ▪ ▪ ▪ ▪ ▪ ▪
건설장소, 내용, 규모 등을 설명하는 건설단체서면 신청 지형도, 각종 배선도 환경영향평가 정유장치, 매연 배출관, 공조계통의 위치에 명기한 건설항목평면도 매연의 처리법과 배출관 설계도 소음처리방법 폐식용유 회수계약 경영장소 증명 주요공정의 작업 흐름, 설비의 모델명, 기술지표 등 공사설계도, 설명 기업명칭의 심사통지서 개발개혁위원회, 상급부문 등의 관련 문서 기타 서류
- 음식점 경영에 있어서 점포의 소방요건, 외견, 위생조건 등 상당히 상세한 부 분이 정해져 있으며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허가를 받을 수 없음 - 개점허가를 받아 영업 중에 조건이 바뀌게 되어 수정을 요구하는 사례도 종 종 있음 - 점포의 시공은 중국의 건축기준, 소방조건 등을 숙지한 기업에 업무를 의뢰 하여 상담 받는 것이 좋음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그림 Ⅶ-29> 회사 설립과 영업허가증 취득의 수순
323
32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점포 환경기준 / 위생기준 · 회사 설립이 되더라도 실제로 외식점포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영업허가증 을 취득할 수가 없음 · 영업허가증 취득 후 평상시 영업할 때에도 환경보호, 소방, 위생, 세무의 기준 등을 위반할 시, 벌칙 또는 영업정지를 받을 수도 있음 · ꡔ음식점위생기준(饭馆卫生标准 BG16153-1996)ꡕ에 의하면 음식점이 영업개시를 하게 되면 점포환경 기준의 시점으로 ①싱크대와 같은 일반 주방 기본 설비 ②식기소독기, 냉장냉동고, ③공간, ④정수설비, ⑤매연 정화장치, ⑥별도의 기름보관장치, ⑦파리 쫒는 팬 또는 라이트, ⑧방음장치, ⑨소방안전설비 등의 설비 정비가 필요 □ 점포환경 기준 · 점포환경 기준은 각 지역에 따라 다르게 관리 - 상하이시의 경우에는 ꡔ상해시음식복무업 환경오염방지관리규정ꡕ이 있는데 ①음식점포 출점 장소에 관한 규제 ②매연 배출방식, 정화설비의 설치에 관 한 규정, ③폐수배출 규정, ④소음과 기타 오염방지 등을 정해두었음 · 음식점포 출점 장소에 관한 규제 - 시내중심부, 신흥지구와 번화가에 음식서비스 개업을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켜야 함 ꋭ 주택지로부터 상당거리를 확보해야 함 ꋭ 매연배출구는 병원 또는 학교로부터 10미터 이상 떨어져있어야 함 ꋭ 건물의 설비에 관해 전용 배연설비 등 오염방지 설비가 있어야 함 ꋭ 건물의 높이가 24미터 이하인 경우 건물의 높이보다 매연 배출구는 낮게 설치 해야 함 ꋭ 건물의 높이가 24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환경오염대책에 맞는 한도에서 원하는 위치에 설치
· 매연 배출과 정화 규정 - ꡔ중화인민공화국 국가기준 음식업매연배출기준(GB18483-2001)ꡕ에 따라 모든 음식업기업은 매연정화설비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됨 - 경영규모에 맞는 조건이 정해져 있으며 매연배출방식에 관해서도 규정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25
- 매연의 정화설비의 가동 기록이 필요하며, 소재지역의 환경보호 부문으로부 터 감독검사 혹은 간이검사에 협력해야 함 - 검사기준에 합격하지 못하면 기간 내에 시정해야 하며 최고 30,000위안의 과 태료가 부과되며 기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는 경우 폐점명령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음 - 게다가 상하이시에는 ꡔ상해시 음식복무업 환경 오염 방지 관리 규정(2004년 1월 1일시행)ꡕ을 제정하고 있다. 음식점이 업주가 가능한 건물에 대해 건물 건축구조로서 전용 배연 설비, 오염방지 설비의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함(구체 적인 설정 범위는 상하이시 환경호보국에 공지) · 쓰레기 처리 규정 - 각 지역에는 음식점, 레스토랑의 쓰레기 처리에 관한 관리변법을 책정 - 상하이지역은 ꡔ상해시 레스토랑 주방쓰레기 관리변법ꡕ에 따라 음식업자가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관해 규정 - 주요 규정사항 ꋭ 음식업자는 매년 위생국에 음식물쓰레기 종류와 산출량을 보고하는 것을 의무 화함. 또한 그 처리방법에도 금지사항이 있는데 이것을 위반했을 경우, 행정권 고, 벌금 등 처벌규정이 적용됨 ꋭ 주방 쓰레기가 발생하는 기업은 주방 쓰레기 중 음식물 찌꺼기와 폐유를 분리 하여 규정을 준수한 수집용기에 담아야 함. 또한 주방 쓰레기와 비주방 쓰레 기를 분류해야만 함 ꋭ 쓰레기 수집운반과 처리는 해당 기업이 직접 하거나 소재 행정지역이 지정하 는 기관에 처리 위탁을 할 수 있음 ꋭ 위탁 처리의 경우는 쓰레기 종류와 수량에 맞게 상당 행정부문(보통 경관환위 국)이 정한 금액과 납부방법으로 지불해야 함
· 폐수배출에 관련된 규정 · 상하이지역은 ꡔ상해시음식복무업환경오염방지관리규정ꡕ에 따라 폐수의 배출 기준이 규정되어 있음 · 폐수는 기름과 분리, 찌꺼기 여과처리 조치가 있어야 함 · 배출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는 폐수는 배출하지 못함 · 냉각수, 오수, 폐수 등 비음료수의 파이프 계통은 식품가공용수의 파이프 계통 과 완전하게 분리되어야 하며 각각 다른 색으로 명확하게 구별해야 함
32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위생기준 · 위생책임자제도 - 중국에는 ꡔ찬음업과 집체용찬배송단위 위생규범(餐饮业和集体用 餐配送单 位 卫生规范)ꡕ에 따라 식품위생관리원을 두어야 함 - 특히 가공경영의 장소 면적이 1500㎡ 이상의 음식점, 레스토랑 식당은 전임 식품위생관리원의 설치가 필요 - 1500㎡ 이하의 경우는 겸임해도 좋으나 3000㎡ 이상의 경우는 검사실을 설치 해야만 함 - 식품위생관리원은 고졸 이상으로 식품위생관리의 경험이 있으며 식품위생 관리원 연수를 받고 연수의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각종 건강합격증명서를 가지고 있어야 함 - 전임 식품위생관리원의 주요 업무는 ①사내에서 식품위생연수를 진행한다. ②사내의 위생관리제도를 만들고 실시한다. ③감독관리, ④종업원의 위생관 리파일 정비 ⑤행정위생부문과의 정보교류 등이 있음 · 외식점포의 각종 처리장에 관한 추장기준 - 위식점포 시설은 식품처리구, 비식품처리구, 식사장소 등이 포함 - 중국은 음식업과 집단용 식품 배송부문, 기업의 식품안전위생관리 강화를 위한 이상의 처리장을 대상으로 ꡔ찬음업과 집체용찬배송단위 위생규범(餐 饮业和集体用餐配送单位 卫生规范)ꡕ을 정하였음(예: 식품처리구의 면접은 식사장소의 면적과 비교하여 설정) <표 Ⅶ-7> 업태별 외식점포의 각 처리장소 면적 식품처리구 면적 *
가공경영장소의 총면적(㎡) 항목
(식품처리구, 식사장소, 비식품처리구 포함)
식품처리구:
절단, 배합,
식사장소
조리장소의
(면적비)
면적**
냉제요리공간 면적***
≥식품처리구 레스토랑
150㎡ 이하
≥1:2.0
면적의 50%≥8㎡
≥5㎡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150㎡ 초과 ~ 500㎡ 이하
≥1:2.2
500㎡ 초과 ~ 3,000㎡ 이하
≥1:2.5
3,000㎡ 초과
≥1:3.0
327
≥식품처리구
≥식품처리구
면적의 50%
면적의 10%
패스트푸드
50㎡ 이하
≥1:2.5
≥8㎡
≥5㎡
스낵
50㎡ 초과
≥1:3.0
≥10㎡
≥5㎡
* 식품처리구란 식품의 조가공, 절단, 배합, 조리, 식품창고, 식기 등의 세척소독장소를 뜻함. 조가공이 란 식품 원재료를 선별, 정리, 해동, 세척하는 가공처리장소 ** 절단, 배합장소란 조가공을 거친 식품을 세척, 절단, 계량, 재료배합 등을 하는 장소. 조리장이란 원 재료 또는 반완성품을 열가공처리하는 장소 *** 냉제요리공간이란 냉차의 처리장으로 통상 가열이 필요없고 즉석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말함
· 화장실 위생규정 - 화장실의 위생상 요구사항(ꡔ음식업과 집단용식품배송기관, 기업위생 가이드 라인ꡕ의 제7조 4항) 1
식품처리구역에 설치되어서는 안됨
2
세척식으로 세척하기 쉬운 자재를 이용하여 항상 청결 유지
3
화장실 내부에 손을 씻을 수 있는 장소가 있어야 함
4
배기장치를 장착하고 적절한 조명을 설치함
5
화장실 배수 파이프는 가공영업장의 배수파이프와 따로 설치함
· 보관장소의 위생규정 - ꡔ찬음업과 집단용식품배송단위 위생규범ꡕ의 7조 11항을 보면 식기류의 위생 상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음 1
식기는 사용 후에 세척하여 전용 청결유지 식기보관함에 보관. 식기보관함에는 해당 보관함에 청결유지보관함이라고 표시함
2
직접 입에 넣는 식품을 만지는 식기와 도구는 사용 전 세척과 소독이 필요하다
3
1회용 식기와 도구는 재사용해서는 안된다
4
소독설비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한다
5
세척소독설비, 시설의 크기와 수는 수요에 맞게 구비되어야만 한다
6
식기, 도구의 세척소독용 싱크대는 각각 전용 싱크대이어야만 한다. 화학소독을 하 는 경우에는 최저 3개의 전용싱크대를 설치해야만 한다
32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업원의 위생규정 - ꡔ찬음업과 집단용식품배송단위 위생규범ꡕ에 따라 신규종업원은 건강합격증 명을 취득해야만 함 - 종업원은 1년에 최저 1회 건강검진을 받아야만 하며, 필요에 따라 임시검사 에 협력해주어야만 함 - 점포에서는 종업원의 건강 파일을 정비, 종업원에 대한 정기적인 위생지식 연수 등을 해주어야만 함 - 추가로 다음과 같은 항목이 규정되어 있음 1
종업원은 청결한 복장을 입어야 하며 2세트 이상의 작업복을 보유해야 함
2
종업원의 손에 상처 또는 고름이 있는 경우,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업무를 지시하면 안됨
3
일하는 중에 머리를 만지거나 기침을 하는 등 식품위생을 오염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됨
4
종업원은 손톱을 길러선 안되며, 매니큐어, 반지허용 불가
5
위생주관행정기관이 주최하는 위생강습에 참가해야 함
· 식품의 위생조건 - ꡔ찬음업과 집단용식품배송단위 위생규범ꡕ에 따라 중국정부는 육류에 대해서 는 병리검사를 그 외의 식품에 대해서는 농약 및 위생검사를 의무화하고 있음 - 각 지방 정부의 식품약품감독관리국은 식재료를 제공하는 식품 메이커와 서 플라이어를 검사 - 점포에 납품되어 조리에 사용되는 식품은 ꡔ식품위생법ꡕ에 따라 점포 측의 책임으로 위생관리를 해야 함 - 지방위생국의 관계부서는 직접 점포에서 검사를 하여 문제가 발견되면 개선 을 명령 - 중독 등 중대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영업정지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 특 히 여름에는 제빙기의 얼음의 오염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음 - 음식조리에 사용하는 원재료, 식품, 음료, 알코올 등의 조달에 있어서는 ꡔ식 품위생법ꡕ에 따라 식재료의 공급자에게 제품합격증명(검험합격증 또는 화 학분석표)의 제출을 요구해야 함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29
- 음식점은 품질보증기한이 지나거나 부패, 변질된 식재료, 식품 등 위생기준 에 미달하는 식재료, 식품을 사용해서는 안됨 - 또한 냉채(중국요리에서 전채로 나오는 요리는 대부분 가열하지 않은 요리 임)는 전문적으로 다루는 전임자가 지정되어 전임자에 의해 전용 조리실과 도구로 전용 소독설비, 냉장설비를 사용해 가공해야만 함 □ 음식점의 주류, 담배 취급에 관한 규제 · 주류는 국가전매품목에 해당되기 때문에 음식점이 주류를 취급하는 경우엔 지 방의 주류전매관리국으로부터 주류경영허가증을 취득해야만 함 · 담배도 주류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허가증이 요구됨
3) 수속 대행 기관 리스트 · 실제로 회사 설립, 점포시설 검사, 영업허가증 취득 등과 같이 번거로운 업무 는 대부분 컨설팅회사에 의뢰가 가능함 · 컨설팅회사는 민간기업은 물론 정부기업도 있음 - 예를 들어 상해시 징안(静安)구에 개점을 하는 경우에는 수속을 일괄적으로 대신해주는 정부업체인 “상해시 징안구 외상투자업무 센터”가 있음 <그림 Ⅶ-30> 상해시 회사 설립, 영업허가 취득 행정 수속 대행 업체(정부계)
33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라. 상표등록 1) 지적재산보호에 관해 · 지적재산보호의 방법의 하나로 상표등록이 있음 · 상표에는 상표법이 있으며 공상국의 산하에 있는 상표국이 담당 · 중국의 상표등록은 한국과 같이 먼저 등록출원을 한 사람이 우선시 됨 · 같거나 유사한 상표가 먼저 중국에 등록이 되어있을 경우, 당연히 중국에서 그 상표를 사용할 수 없음 · 중국 국내에 법인이 설립이 되지 않았더라도 외국기업이 직접 상표등록을 하 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등록을 진행함으로써 이 문제점을 대처 할 수 있음 · 등록수속은 기업이 직접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회계사 또는 특허사무소에 의뢰를 하는 경우가 많음
2) 상표등록의 절차순서 · 상표등록의 절차순서는 먼저 출원서류의 준비를 해야 함 - 원서, 상표샘플, 우선권설명서 등을 준비해야 하며 등록업무를 외부에 위임 한 경우에는 위임장과 함께 중국 상표국에 제출함 · 제출된 서류에 대해 상표국의 심사관이 방식심사를 진행 · 여기에서는 상표등록출원의 원서와 기타 서류의 구비여부를 심사 · 방식심사에서 출원수속 준비가 완벽하며 규정에 따라 출원서류가 기재되었음 이 확인되면, 상표국으로부터 출원이 수리되어 일반적으로 출원일로부터 3개 월 후에 출원인에게 출원번호를 통지 ·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표국에 의해 출원인에게 보정 관련 통지가 옴 · 출원이 수리되면 다음에 실제 심사가 이루어짐 - 실제 심사에서의 심사내용은 ①공적 권익에 관한 요건이 저촉되지 않는가, ② 식별력에 관한 요건이 저촉되지 않은가, ③기존에 없는 상표인가, ④타인의 기 득권에 저촉하지 않는가, ⑤대리인의 부정출원이 아닌가, ⑥ 그 외 사기적 수 단 또는 기타 부정수단에 의한 출원 여부로 심사기간은 통산 5개월 정도 걸림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31
· 실제 심사에서는 출원상표가 등록요건을 충족시켰다고 판단이 되는 경우에는 예비사정이 나와 그 후에 출원공고가 나오게 됨 · 등록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거절되어 출원인은 거절이유를 통 지 받게 됨 - 상표국에 의한 거절사정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할 경우에는 출원인은 거절이 유통지서 수령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상표평심위원회에 재심청구를 신청 · 중국에서는 권리부여전 이의신청제도가 있어 예비심정의 결정이 내려진 상표 에 대해 이해관계자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이의제기를 할 수 있음 - 이의신청 기간은 공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출원공고로부터 3개월의 이의신청 기간 중에 이의신청이 없거나 이의신청이 성립되지 않았을 경우 상표국에 의해 출원상표가 등록사정되어 상표등록증의 교부와 함께 등록 상표가 공고됨 · 상표등록 시에 상표국으로부터 교부되는 상표등록증은 상표권의 존재가 증명 이 되며 상표권 양도, 사용권 설정 등록 등 각종 절차를 진행할 때에 상표등록 증의 원본 또는 사본이 필요해짐 · 등록상표의 보호기간은 등록일로부터 10년 · 10년이 경과한 경우에는, 갱신을 신청해야 하며 갱신 시에는 형식심사가 이루 어짐 · 갱신신청이 인정되었을 시에 갱신증명서를 교부해주며 공고를 하게 됨 · 갱신수속 기간은 상표권 만료일 기준으로 전후 6개월이며 만료일 6개월 이후 에 갱신을 하는 경우에는 추가비용이 필요함
33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표 Ⅶ-8> 상표등록 절차순서 절차 순서
내
용
상표출원
• 상표국에 아래와 같은 서류를 제출 -상표등록출원서 -위임장(중국대리인) -상표견본(가로 세로 5~10CM, 5장) -우선권 설명서(우선권을 주장하는경우 필요)
년에서
방식심사
• 상표등록출원의 원서와 기타 서류가 구비되어 있는가? • 규정에 따라 출원서류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표국이 출원서를 수리하여 일반적으로 3개월후에 출원인에게 출원번호와 함께 통지된다.
년 반 소요
실체심사
1
1
• 출원한 상표가 등록요건을 충족하고 있는가? • 등록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거절되며 출원인에게 거절이유가 통지 • 실제심사는 통상 5개월 정도 걸린다.
예비심정 / 출원공고
상표등록
• 실제심사를 통해 등록요건을 충족하고 있는 상표는 예비심정이 되어 게 시판에 공고된다. • 예비심정이 결정된 상표는 누구나 이의신청이 가능하며 이의신청기간은 공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다. • 이의신청이 없으면 출원상표가 등록심정되어 상표등록증 교부와 함께 상표등록이 공고된다. • 상표등록증이 발행된다.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33
3. 한식당 개업절차 시 고려사항 가. 입지 선정 · 국내뿐만이 아닌 해외 시장에서도 외식업은 공통적으로 입지가 매우 중요 <표 Ⅶ-9> 입지 선정 시 전략적 고려사항 구 분 접근성 교통
내 용 진입 및 대중교통 수단의 이용 용 이성 주변의 교통량
확장성 확장 공간의 가능성 경쟁
경쟁자의 위치
구 분 가시성 주차
내 용 대로로부터의 가시 범위 충분한 주차 공간
주변환경 상권 특성, 환경 특성 정부
각종 규제, 세금
· 유동인구가 많고 잠재고객 또한 밀집되어 있어 다수의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상권이 가장 매력적 · 하지만 외적요인보다는 내적요인이 상권의 비중을 차지하는데 있어 훨씬 중요 할 수도 있음 · 매력적인 상권은 임대료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고도 이 익을 충분히 남길 수 있느냐를 충분히 검토해야만 함 ·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보다 내 자신이 경영하려는 업종에 한 가지라도 더 유리한 조건을 가진 곳이 좋은 입지 <표 Ⅶ-10> 좋은 입지와 피해야 할 입지 좋은 입지
피해야 할 입지
▪ 유동인구가 많은 곳
▪ 오르막길, 언덕 위의 점포
▪ 배후지가 넓고 소득수준이 높은 곳
▪ 맞은편이 한가한 곳
▪ 퇴근길 동선에 위치한 점포
▪ 인구가 흘러가는 곳
▪ 상권의 중심통로에 위치한 점포
▪ 업종이나 주인이 자주 바뀌는 곳
33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동종의 대형 경쟁업체가 있는 곳 ▪ 인근 상인들의 표정이 밝은 곳 ▪ 금융기관, 대형 유통시설로 가는 길목
▪ 주변 환경이 지저분하고, 빈 점포나 공터 가 많은 곳
▪ 주변에 노점상이 많은 곳
▪ 임대료나 권리금이 유난히 싼 곳
▪ 대형 패스트푸드점 주변
▪ 건물주가 유사업종에 종사하는 곳
▪ 권리금이 있는 점포
▪ 4차선 이상의 큰 도로가 상권을 갈라놓고
▪ 사업장으로 이동시간이 30분 이내인 곳
있는 곳 ▪ 세대수에 비해 점포수가 너무 많은 곳
나. 업종별·평형별 인테리어 도면 · 점포의 시설은 디자인, 설계 및 감리, 시공 등 3가지 작업임 · 점포 만들기는 음식점을 개업하기까지의 업무 중에서 가장 중요 - 인테리어의 비용은 개업투자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 · 디자이너나 설계자의 선정, 그리고 시공업자의 선정이 중요 - 개점한 후에 메뉴 구성에 문제가 생기면 쉽게 변경할 수 있지만 점포만은 마 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어도 간단히 고칠 수 없기에 작업을 의뢰하게 될 디자인, 설계, 시공업자를 면밀히 살피고 해당 분야에서의 실력 면에서도 검 증이 된 업자를 선택 · 이후 점포가 완성되어 인도받을 때까지 어느 정도 기간이 소요되는지, 그 기간 에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함 · 점포와 디자인 업자(설계업자, 설계·시공업자)를 선정하면 개점까지 스케줄 은 설계자와 상담해서 결정하는 것이 좋음 <표 Ⅶ-11> 인테리어 설계도의 체크 포인트 구 분 통로 실내 밝기
내 용 메인통로는 손님과 종업원이 충분히 스쳐 지나갈 수 있는 폭 가능하면 낮에는 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밝기, 룸 조명 조절 가능토록
테이블 크기
여러 상품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크기
테이블 배치
종업원이 식사중 손님의 뒤를 걷지 않게 배치, 옆과의 거리 고려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화장실 위치, 넓이 대기석 주방의 수납선반 주방 배기 햇별 전체 공조
335
기저귀대 등 객층에 맞게 설비를 준비, 대기 손님이 객석을 지나치지 않고 갈 수 있는 위치로 선정 객석에서 대기 손님이 보이지 않게 배치 잡동사니가 모두 수납될 수 있도록 가능하면 많이 설치 주방 온도, 습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고려 서쪽 해를 막는 블라인드를 설치 지나치게 춥거나 지나치게 덥지 않게 하며 화장실 공조 설치
바닥, 벽, 천장 등 가능한 청소하기 쉬운 소재를 사용 밸리어프리 금연석 주방 바닥
객층에 맞추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의자에 대한 배려도 통로나 계단 차 이에도 주의 환기팬의 설치 위치를 주의, 금연석과 흡연석 구역 구분 충분한 경사를 둬서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며 미끄러지지 않는 바닥자재
콘센트
청소할 때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어느 정도 높이가 필요, 여러 개가 필요
스위치
스위치류는 가능한 한 곳에 정리
벌레 대책 스피커 방음 주차장 선긋기 주차장 관리 조명
입구 부근 조명에 벌레가 모이지 않게 초음파 등 설치 현관이나 화장실에 배경음악이 흐르게 하여 부드러운 점포 분위기 연출 손님이 들어왔을 때 말하는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며 주방 소음이 밖 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주의 대형차량이 주차하기 쉽고 접촉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폭넓게 2개선으 로 설치 폐점 후 폭주족 등이 몰려오지 않도록 폐점할 때 시건장치 설치 갈아 끼기 쉬워야 하며 가능하면 전구도 구하기 쉬운 것을 선택, 조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짐 놓는 선반
테이블 밑에 가방 등을 놓는 선반을 설치
설거지 그릇대
식사가 끝난 그릇을 놓는 선반을 설치
바닥의 단 차이 외풍대책 냄새 대책 범죄 대책 주차장 조명
디자인 면에서는 재미있지만, 어두운 곳의 바닥 차이는 위험하다. 조명 등을 이용하여 동선 안내가 필요 공조비용이 들기 때문에 점검이 필요 햇빛이나 풍향으로 인해 정화조나 쓰레기통 냄새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가 있으니 위치에 조심 시건장치, 금고나 계산대의 위치, 설치 방법에도 주의 가능한 밝게, 방범도 고려
33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주방 설비 · 점포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주방은 피크타임에도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튼 튼하게 제작되어 사용하기 좋으며 수도광열비가 낭비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최소한의 종업원으로도 효율성 있게 근무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함 <표 Ⅶ-12> 인테리어 설계도의 체크 포인트 구 분
디샵 기능
내 용 손님의 주문을 주방에 전달하는 장소 완성된 요리를 주방에서 내오는 장소 즉시 그릇에 담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그릇을 잡기 편하게 배치해야 하고, 상판이 작업대가 되는 콜드 테이블이 필요 알콜이나 음료수, 또는 물, 물수건 등의 초기 서비스 도구를 수납하는 장소
팬추리 기능
퇴식대 기능
음료수 주방이라고도 할 만한 중요한 장소 유리컵 종류나 맥주 냉장고, 작업대, 싱크대를 배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작지만 독립적인 주방임 사용한 그릇 등을 놓는 공간. 설거지 식기 보관 장소 규모에 따라 식기세척기 구입 검토 설거지 그릇을 놓는 공간은 반드시 확보할 것 그렇지 않으면 설거지할 그릇이 가득 찼을 때 빈 테이블을 준비할 수 없음 디샵 바로 옆에 있으며 최종적으로 요리를 담는 장소
메인 조리 기능 ‘졸이고’, ‘굽고’, ‘튀기는’ 열원 기능
기초 손질 기능
식재 수납 기능 백룸 기능
여러 가지 기구로 구성되는데 효율적으로 배치하지 않으면 요리 시간이 더 걸리고 종업원을 더 많이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연구해야 함 메인 조리장 옆에 만든다. 닥트를 한 곳에 집중할 것 뒷문과 메인 조리장 사이에 있으며 식재를 손질하고 다듬는 장소 소규모 점포는 메인 주방과 겸함 한가한 시간대는 재료 손질하는 장소가 되고 피크타임에는 조리장이 되며 기능적, 효율적으로 배치를 생각해야 함 냉장고와 냉동고, 그리고 드라이 스토리지(건조창고)의 식재 보관소 냉장고와 냉동고는 주방 안에 배치. 드라이 스토리지는 한 곳에 설치 주방 기능은 아니지만, 뒷문이나 종업원 화장실, 휴게실, 탈의실 등의 공간 여기에 쓰레기장도 첨가하여 구성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37
다. 중국 현지인 고용 □ 고용 형태 · 중국에서는 외식기업의 현지 고용 형태를 크게 외식기업소재지 호적 또는 거 주증을 가진 종업원과, 외식기업 소재지의 호적 또는 거주증을 가지지 않은 타지역에서 온 종업원의 두 종류 나뉨 · 개혁개방 이후 고용형태는 종전의 고정공(정사원)에서 현재는 합동공(계약사 원)으로 바뀜 · 특히 북경, 상해, 광주 등의 연해도시의 음식점에서는 타지역에서 온 종업원이 많음 □ 고용 방법 · 외국계 음식기업의 종업원을 모집할 경우에 주로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 - 민간 인력 컨설팅 회사에 위탁 - 미디어(신문, TV, 라디오)를 통해 모집 - 인터넷 인력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 전문학교 및 직업학교로부터 졸업생 추천 - 인재 중개회사(헤드헌터) - 종업원의 소개 - 교육훈련기관과 연합한 인재육성 - 정부계 인재파견회사 · 현지 법인자격을 가진 기업은 직접 종업원을 고용할 수 있음 · 고용에 따라 종업원 관리, 회사보험 등 복리후생과 같은 의무가 생기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함
33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표 Ⅶ-13> 종업원 고용에 필요한 절차 고용대상자
기업소재지의 호적 또는 거주증을 가진 종업원
고용 측의 절차 ▪ 고용측은 지역의 노동국에 채용등록 절차를 해야만 한다.(노동국 은 중국노동자를 관리하는 정부기관으로 각 지역마다 배치됨) ▪ 노동국의 채용등록 절차와 함께 고용 측에서는 사회보험관리센 터 또는 주택적립금 관리센터에 법정복리후생 절차를 해야 한 다.(법정복리후생이란 양로보험, 실업보험, 의료보험, 산재보험, 생육보험과 주책적립금임)
기업소재지의 호적 ▪ 외래종업원의 사용허가를 취득하여 30일 이내에 종합보험등록수 또는 거주증을 가지지 속을 거쳐야만 함 않은 타지역에서 온 종업원
▪ 노동국의 중개가 필요함 ▪ 종합보험 가입을 해야 함
· 고용관리는 외국계 기업에게 있어서 가장 번거로운 업무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외국계 기업은 직접고용보다는 간접고용을 함 · 간접고용은 정부관계 인재파견회사를 통해 고용하는 방식임 - 이 경우에는 고용측은 개인 이력정보 관리, 복리후생의 의무, 노사협상을 아 웃소싱하게 됨 □ 노동 시간 · 중국 노동법 제36조, 41조, 44조는 모두 노동자의 노동시간에 관한 내용으로 다 음과 같은 내용임 - 노동자의 노동시간은 매일 8시간 이내, 주 평균 노동시간은 44시간 이내 - 고용자는 노동자 1주일에 적어도 1일 휴가를 보장 - 고용자는 생산경영상의 이유로 부득이하게 노동시간을 연장하게 되는 경우 에는 노조와 노동자의 협의 후에 연장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1일 1시간을 넘어서는 안된다. 다만 특별한 이유로 추가 연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노동자 의 건강상태를 보장한다는 전제로 1일 3시간 이내로 연장이 가능하다. 또한 한달에 36시간을 넘어서는 안된다. - 이하 3종의 법정 기준노동시간 이외의 연장시간에 대해서는 고용자는 노동 자에게 기존의 임금보다 더 많은 보수를 해야 하며 만약 고용자가 이 규정을 어길 시에는 규정에 따라 미납분을 노동자에게 주어야 하며 처벌로서 추가
Ⅶ. 중국 내 한식당 개업 시 고려사항
339
적으로 미납금의 25%를 더 지불해야만 한다. ꋭ 평일에 노동시간을 연장한 경우는 노동자 본인 임금의 150%를 지불 ꋭ 휴일 출근으로 대체휴가가 없는 경우 노동자본인 임금의 200%를 지불 ꋭ 법정휴일 출근의 경우에는 노동자 본인 임금의 300%를 지불
□ 법정 복리후생 <표 Ⅶ-14> 법정 복리후생 구 분
내 용
사회보험
양로보험, 실업보험, 의료보험
기업보험
산재보험, 생육보험, 주택적립금
· 보험의무는 각 지역에 노동행정부문이 소속되어 있는 사회보험기관이 담당 · 각 지역구에 따라 세부 규칙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사회보험기 관 담당에 문의해야 함 <표 Ⅶ-15> 2006년 상하이 사회보장비 지불 기준 법정 복리후생
사회보험
납부비 계산 기준 금액
기관, 사업단위 기업, 사회단체
1,200위안 ~ 6,099위안
개인사업자
1,200위안 ~ 6,099위안
노동조직의 정규인원이 아닌 자
635위안 ~ 6,099위안
자유업자
1,200위안 ~ 6,099위안
외래종업원이 납부하는 종합보험비 * Source: 2006年上海市城镇社会保险费标准
항목
개인부담
양로보험 실업보험 의료보험 양로보험 실업보험 의료보험 양로보험 실업보험 의료보험 양로보험 실업보험 의료보험
8% 1% 2% 8% 1% 1% 또는 2%
기업부담
22% 2% 12% 22% 2% 7% 또는 12% 30% 3% 14% 30% 8% 또는 14%
152.5위안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 (Operations Manual)
34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 운영 매뉴얼의 필요성 · 효율적인 한식당의 운영을 위해서는 체계화된 운영 매뉴얼이 필수적임. 식당 에서 필요로 하는 인원은 크게 매니저, 홀 직원, 주방 직원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고객이 식당으로 들어와 테이블 안내를 받고, 메뉴를 주문하고, 식사를 하고 계산을 마친 뒤 식당을 나가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각기 다양한 방법으로 개입을 함. 이외에도 매니저는 식당의 재정 및 직원 관리를 책임 지고 주방 직 원은 식재료 주문 등의 업무를 맡고 있음 <그림 Ⅷ-1> 식당 고객 서비스 절차 고객 퇴장 계산 식사 메뉴 주문 테이블 안내 고객 입장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343
2. 매니저 매뉴얼(Manager Manual) 가. 매니저 역할의 정의 · 매니저는 식당을 대표하는 위치이며 식당의 처음과 마지막 인상을 좌우하고 식당의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지고 있음 · 매니저는 고객의 재방문 결정 의사에 큰 영향을 미침 · 매니저는 모든 고객에게 항상 웃는 얼굴로 대해야 하며 고객을 대하는 매너에 대하여 항상 신경써야 함 · 매니저는 고객이 항상 특별하고 존경 받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최선을 다해야 함
나. 매니저의 직무 및 책임 · 최대한 신속하게 식당에 들어오는 손님을 맞이하고 자리까지 안내를 해드림 · 자리가 없어 고객이 기다려야 할 경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 · 한국음식에 대한 경험이 처음인지 확인하고 한국음식에 대한 설명 및 고객의 선호 음식 성향 파악 · 고객의 식당 방문에 대한 감사 및 재방문 유도 · 고객의 불만 사항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와 고객의 기대 이상의 서비스 제공 · 홀 및 주방 직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을 시 빠른 상황 판단과 대처 · 신속하고 예의 있는 자세의 전화 응대 · 안전과 청결을 최우선시 하는 자세
다. 고객 영접 · 식당의 컨셉과 분위기에 맞는 고객 영접 멘트 준비 · 재방문 고객 및 단골 고객 파악 여부 중요하며, 안부 묻기
34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고객의 매장 입장 시 인사말과 함께 고객 수 파악(추가적 인원 여부 또한 파악 필요) · 고객의 식당 방문에 대한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파악(기념일, 생일 등) · 각 고객에 맞는 영접 서비스 제공 - 비즈니스층 고객일 경우 프로페셔널하고 깍듯하게 영접 - 장년층 고객일 경우 최대한 공손하고 예의 바르게 영접 - 청소년층 고객은 성인 고객을 대할 때와 같은 영접 제공 - 어린이층 고객이 동반할 경우 어린이용 의자 요청 · 식사를 마친 고객이 퇴장 시 - 마지막까지 좋은 인상을 전달해야 함 - 고객의 식사 및 서비스 만족도 확인 및 방문에 대한 감사 전달
라. 테이블 안내 · 매니저는 테이블이 돌아가고 있는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항상 예의 주시해 야함 · 빈 테이블 확인 및 예상 대기시간 계산 · 테이블의 청결 상태 및 세팅 상태 확인 · 테이블 안내 시 고객의 두 걸음 앞서 걷고 고객과의 대화 유도 · 고객이 몇 명인지, 어린이의 동반 여부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추가 의자 및 어 린이용 의자를 배치 · 고객에게 배정된 좌석에 만족하는지 확인 □ 고객이 배정된 테이블에 대하여 불만이 있을 경우 · 신속하게 다른 좌석의 공석 여부 및 세팅 여부 파악 · 고객이 원하는 테이블이 예약되어있을 시 공손하게 알려줌 · 고객이 원하는 테이블이 세팅되어있지 않았을 경우 고객에게 양해를 구한 후 신속하게 세팅 준비를 요청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345
□ 추가적 인원이 있을 시 · 테이블에 배치된 고객 외에 추가적으로 오는 인원이 있는지 파악하고 그룹의 이름과 추가 인원의 이름을 확보 · 추가 인원 도착 시 고객의 이름과 그룹의 이름 확인 후 신속하게 안내 □ 테이블 상황 파악 · 식사가 끝난 테이블의 수 · 세팅 준비 중인 테이블의 수 · 세팅이 끝난 테이블의 수 · 계산이 끝난 테이블의 수 · 단체 좌석이 가능한 테이블의 수
마. 계산 · 계산은 식당에서의 마지막 서비스로서 신속하고 정확한 계산으로 마지막까지 고객을 만족시켜야 함 · 계산서를 제공하기 전 고객의 식사에 대한 만족도를 먼저 확인 · 테이블 번호와 주문한 메뉴를 정확히 확인하고 계산함 · 계산 시 고객에게 주문한 메뉴가 맞는지 확인 · 총금액을 고객에게 제시할 때는 눈을 마주침으로써(eye contact) 고객에게 신뢰 감을 전달 · 계산 시스템의 고장 및 오류 발생 시 당황하는 모습을 고객에게 보이지 말아야함 · 자체적으로 고칠 수 있더라도 시간이 많이 지체될 경우 타 대안을 찾되 고객에 게 양해를 구함
34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바. 기타 매니저 업무 1) 예약 · 정확한 예약 접수는 식당에 필수이며 예약 상황에 따라 식당 운영에 좀 더 신 경 써야 함. · 연락처를 받을 시에는 1번 이상 확인하여 틀리지 않게 주의해야 함 · 예약 시간 접수 시 해당 시간에 예약이 많이 몰려있는지 않은지 확인 · 예약 상황은 주방에도 알려주어 식재료 준비에 지장이 없게 해야 함 · 예약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있어 손님이 몰릴 수 있는 시간대를 미리 예상하여 적절한 대처 · 예약 시 고객에게 동행 손님의 수, 예상 도착 시간 등에 변동이 있을 시 미리 연락을 줄 것을 공손하게 부탁드림 · VIP의 여부를 VIP 리스트를 참고하여 우선 파악 <표 Ⅷ-1> 예약 리스트의 예시 Reservation List 2009년 월 일 요일 예약 시간
고객 수
성 명
연락처
비 고
예약 접수자 예약 접수 날짜
2) 전화 응대 · 전화 응대는 식당에서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만큼 중요하며 향후 잠재적 고 객층을 확보하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화를 받는 자세와 태도가 매우 중 요함. 식당에 처음 전화를 하는 고객은 식당의 첫 인상을 결정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 상대방에게 자신의 신분을 확실히 할 것 · 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경청할 것 · 상대방의 말에 통화가 끝날 때까지 기분 좋은 반응으로 응대할 것 · 왼손으로 수화기를 들고 오른손은 항상 쓸 수 있는 준비를 할 것 · 상대방의 이름과 연락처와 같은 중요 정보는 항상 재차 확인할 것 · 전화를 받을 때에는 항상 차분한 상태에서 받을 것
347
34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홀 직원 매뉴얼(Employee Manual) 가. 홀 직원의 역할 · 홀 직원은 고객의 주문을 받는 곳에서부터 음식을 서빙하기까지 고객과의 지 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고객에게 최대의 만족도를 제공 · 홀 직원은 고객의 재방문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침 · 홀 직원은 식당의 서비스를 대표하는 위치이며 고객의 요구사항 또는 불만사 항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여야 함
나. 홀 직원의 업무와 책임 · 고객이 자리에 앉은 것을 확인한 후 아무런 서비스 없이 오래 기다리지 않게 신속하게 고객에게 인사말 전달과 특별 프로모션, 이벤트 등을 소개 · 한식이 처음이거나 잘 모를 경우 한국문화와 함께 한식에 대해서 친절하게 설 명해야 함 □ 홀 직원의 고객 만족 체크 사항 · 고객을 항상 웃는 얼굴과 기분 좋은 매너로 대할 것 · 고객에게 보이는 모습이 깔끔하고 청결한지 확인 · 언제든지 고객을 맞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함 · 테이블에 앉은 고객을 반갑게 맞이하고 예의주시 할 것 · 고객에게 응답하거나 부를 시 고객의 성과 직급으로 호칭 · 항상 고객을 관심 갖고 필요한 것이 있을 시 경청하며, 고객이 원하기 전에 필 요한 것을 준비하기 · 한식을 잘 모르는 고객에게 입맛에 맞는 음식을 개인적인 경험과 예시를 들어 추천해 주기 · 효율적이고 빠른 서빙으로 고객 만족도 높이기 · 음식 서빙 후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 또는 불만 사항에 대해서 물어보기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349
다. 서빙 순서 <그림 Ⅷ-2> 홀 직원의 서빙 순서의 예시
고객 환영 및 음료 주문 (0)
고객 환송
음료 서빙
식사 주문
주문 입력
(4)
(5)
(0)
디저트 서빙
테이블 정리 및 디저트 주문
(4)
(식사 후)
서빙 확인 및 계산서 제공 (5)
식사 서빙 (주문에 따라 다름)
음식 만족도 확인 (2) ( ) : 해당 서비스 소요 시간
· 고객에게 가장 중요한 음식을 서빙하는 일인 만큼 모든 홀 직원이 통일된 서빙 순서를 따라야만 효율적이며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위 그림은 일반적인 식당의 주문에서 서빙까지의 순서이며 가로 안의 숫자는 고객이 불만을 갖지 않는 수준의 가장 적합한 소요 시간임
1) 고객의 환영 및 음료 주문 · 고객에게 웃으며 식당 방문에 대한 감사 및 환영 인사 전달 · 식사 주문에 앞서 물, 음료, 주류 주문을 받음 · 특별 프로모션 등 오늘의 메뉴가 있을 시 추천
2) 음료 서빙 · 주문한 음료를 서빙하는데까지 4분 정도 소요 · 음료잔을 서빙할 때에는 고객의 입이 닿는 부분인 윗부분이 아닌 아래부분을 잡고 서빙해야 함
35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식사 주문 · 메뉴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여 한식 메뉴에 대하여 재료까지 친절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주문 시 맵거나 맛이 강한 메뉴의 경우 양념의 강도에 대하여 설명 · 메뉴는 정확하게 받아 적되 마지막에는 직접 불러가며 다시 한 번 확인함 · 주문받는 시간은 5분 이상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음
4) 주문 입력 · 주문을 받은 뒤 곧바로 카운터에 정확하게 입력하고 주방에 전달함
5) 식사 서빙 · 정확한 식사 서비스를 위하여 주방에서 나온 식사와 해당 테이블의 주문을 다 시 한 번 확인함 · 서빙 시 메뉴의 이름을 또박또박 알려준 후 주문한 고객에게 서빙 · 해당 메뉴에 같이 나가는 반찬 또는 식기류가 있을 시 제공 · 한식 메뉴 중 물이 많거나 장식된 음식의 경우 쏟거나 흐트러지지 않게 주의할 것 · 불필요한 그릇 및 휴지 등을 고객의 확인 후 제거
6) 음식 만족도 확인 · 음식 서빙 후 고객이 입맛에 맞는 음식을 제공받았는지 확인 · 양념의 강도가 적합한지 확인 · 고객이 요청하기 전 필요한 것들 제공(물, 냅킨, 물티슈 등 ) · 예상되는 불만을 미리 파악하고 예방
7) 테이블 정리 및 디저트 주문 · 고객이 식사를 마쳤다고 판단되었을 시 테이블을 정리해도 되는지 물어본 후 정리 · 물, 음료 등을 리필 여부를 물어보고 디저트 주문을 받음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351
8) 디저트 서빙 · 디저트의 수와 상관없이 식사 인원의 수에 맞게 포크과 스푼 등을 준비
9) 확인 및 계산서 제공 · 고객의 물잔을 채우고 디저트 접시 정리 · 고객이 더 이상의 서비스를 요구하지 않을 경우 계산서 제공 · 계산서를 고객에 전달하기 전 확인 후 신속히 제공
10) 고객 환송 · 식당 방문에 대하여 다시 한 번 감사드림
라. 위생 및 안전 1) 개인 위생 · 고객과의 접촉이 많은 만큼 주방 못지않게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 · 음식 앞에서는 절대 재채기 등 기침을 하지 않아야 함 · 식기구가 귀, 입 등 머리 부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야함
2) 손 씻기 · 재채기, 기침을 한 이후 · 화장실, 흡연 후 · 작업 교대 또는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기 전 · 날생선을 다룬 후 · 입, 코, 귀 등 머리 부분과 손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은 후 · 쓰레기 등 오염된 물질과의 접촉 이후
35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서빙 시 유의점 · 음료컵, 커피잔 등을 서빙할 때에는 입과 닿는 부분인 윗부분에 손이 닿지 않 게 해야 함 · 접시 등을 서빙할 때에는 서로 겹치지 않게 해야 함 · 접시, 컵 등의 음식이 놓이는 부분과 신체가 직접적인 접촉이 없어야 함
4) 미끄럼과 낙하 주의 · 바닥은 항상 깨끗하고 건조한지 확인할 것 · 물건을 옮길 시에는 절대 한쪽 손을 주머니에 넣지 않아야 함 · 어떤 상황에서도 절대 뛰지 말 것
5) 화상 주의 · 뜨거운 것을 옮길 시에는 주변 직원들에게 주의를 줘야 함 · 뜨거운 물 사용 시 반드시 찬물로 돌려놓은 후 끔 · 뜨거운 음식을 조리 시 또는 물을 끓일 때에는 손잡이가 걸리지 않게 옆쪽으로 돌려놓아야 함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353
4. 주방 직원 매뉴얼(Chef Manual) 가. 위생(Hygiene) · 위생은 음식 조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위생이 잘 지켜지지 않았을 시 쉽게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식당에 치명적인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음 □ 식중독 · 식중독이란 섭취한 음식물의 독성 물질 때문에 발생한 일련의 증후군 · 식중독의 증상으로는 원인 물질에 따라 잠복기와 증상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 나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음식물 섭취 후 72시간 이내에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보관 저장해야 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은 후 작업을 해야 하며, 가열 조리식품은 중심부 온도를 74℃ 이상으로 1분 이상 가열하여 익혀 먹어야 한다. 4℃에서 60℃의 온도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온도 구간이므로 뜨거운 음식은 60℃ 이상으로 보관하고 찬 음식은 4℃ 이하로 냉장 보관하여 관리해야 함
나. 안전(Safety) □ 미끄럼과 낙하 방지 · 바닥은 항상 깨끗하고 건조해야 함 · 무언가를 쏟았을 경우 신속하게 제거해야 하며 상황에 따라 다른 직원에게 부 탁하거나 바로 치우지 못할 상황일 경우 명확히 표시를 해두어야 함
35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다. 혼잡 시간 주문 관리 · 고객이 몰리는 시간에는 더욱 더 시간을 철저하게 지킬 필요가 있음 · 혼잡 시간에는 직원들 간의 소통과 협동이 더욱 더 필요함 · 바쁘더라도 위생과 안전 관리는 철저하게 지켜져야 함
라. 시설 및 장비 관리 1) 냉장고 · 냉장고의 온도 상태에 대해서 항상 주시할 것 · 냉장고 내 온도는 어디를 측정하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곳의 온도를 측정
2) 식기 세척기 · 두 달에 한 번 씩은 내부 청소가 필요함 · 식기 세척기 내 물은 자주 갈아줘야 깨끗한 물로 식기구를 세척할 수 있음
3) 그릴 · 그릴은 항상 타지 않게 관리해야 하며 뜨거워진 후 찬물로 씻을 경우 쉽게 망 가질 수 있음
4) 얼음 제조기(ice machine) · 전체 용량의 80% 정도만 얼음이 보관되게 유지해야 하며 초과 시 기계에 무리 가 갈 수 있음 · 외부 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주의해야 하며 필터도 6개월에 한 번은 교체해줘 야 함
Ⅷ. 한식당을 위한 운영 매뉴얼(Operations Manual)
355
마. Line cook의 역할 및 임무 · Prep Cook에 의해 준비된 식재료를 정해진 요리법에 따라 조리 · 주방 및 주방 용품의 청결 상태 관리 및 유지 · 정해진 요리법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조리 · Prep Cook과의 효율적인 의사 소통 □ Line Cook으로써 주의할 점 · 머리카락과 손톱은 항상 깨끗하게 관리해야 하며 손 씻기를 습관화 · 모자 및 유니폼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야 함
바. Prep Cook의 역할 및 업무 · 모든 요리에 들어갈 재료들이 청결하고 안전하게 준비되기 위해서는 Prep Cook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
1) 기본 업무 · 주 요리에 쓰일 재료들을 적합하게 손질하고 신선하게 보관해야 함 · 조리법 매뉴얼에 나온 지시 사항을 정확히 따를 것 · 식재료의 재고 여부를 항상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그날 쓰일 재료의 양을 예상 하여 준비 · 저장되어 있는 재료들의 수와 양을 확인하고 각 재료의 신선도 여부 파악 · 식재료 준비 시 위생 안전 지침 사항을 항상 준수해야 함 · 혼잡 시간에는 메인 주방에서 필요로 하는 재료들을 미리 파악하고 공급
35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사. 식재료 구매 식재료 주문은 주방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 필요량보다 적게 주문할 경 우 식당 비즈니스에 악영향을 미치고 필요량 이상 주문하게 될 경우 재료의 신선 도에 영향을 미치게 됨
1) 식재료 주문 · 주문서에는 전체 식재료 품목, 당일 매출과, 명일 매출, 다음날 예상 매출이 필 요하며 이는 식재료 주문량의 기반이 됨 · 채소류의 경우 잘 썩기 때문에 다른 식재료에 비해 초과 주문되지 않게 유의 · 모든 식재료의 주문량은 부족하게 되어 판매에 지장을 주어서는 안됨 · 월말의 식재료 재고는 해당 월 손익계산에 영향을 주므로 더욱 주의
2) 조리기구 주문 · 조리기구의 재고 파악 및 필요량 조사 · 깨지기 쉬운 물품은 여유 분량을 충분히 확보해야 함 · 조리기구의 주문 여부는 매니저와 상의할 것
아. 식자재 재고 관리 식당 운영에 있어 식재료의 재고 관리는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에 필수 요소 · 당일 재고 - 과거 매출을 기준으로 매일 필요한 식재료의 양을 예측하여 불필요한 재고 가 남지 않게 해야 함 - 특히 채소류와 같이 쉽게 상할 수 있는 물품들은 더욱 더 주의할 것 · 10~20일 재고 - 10일에서 20일 정도의 식재료 소비량을 분석 - 월말까지 필요한 식재료의 양을 예측하여 구매할 때 참고 · 당월 재고 - 한 달 동안 사용한 식재료의 양을 계산하고 다음 달의 필요량을 예측
참고자료
35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 1> 한식당 중국 진출현황 조사방법 가. 조사 기간 및 참여 인원 · 조사 기간 : 2009년 6월 3일부터 2009년 9월 22일까지 진행 · 액센츄어 서울 오피스 및 현지 직원 8명이 참여하여 직접 전화 및 방문 인터뷰 를 수행
나. 조사 방법론 · 본 조사는 2단계에 걸쳐 진행 - 1단계 : 미국 현지 식당의 전수조사를 수행하여 DB를 구축 - 2단계 : 현지식당의 방문조사를 통해 경영주 인터뷰를 수행 <그림> 한식당 전수조사 절차 1단계 : 한식당 전수조사
2단계 : 방문조사 및 경영주 인터뷰
□ 1단계(중국 내의 한식당 전수조사) 수행 방법 · 중국 관련 각종 문헌자료 및 인터넷 검색, 전문가 의견 수렴, 현지 조사원을 통한 현지 한국인 정보지 수집 등을 통해 기초 리스트를 작성하였고, 이후에 방문 및 전화통화를 통해 데이터 수집 및 검증을 진행 · 조사 인원은 중국 거주 1년 이상으로 영어에 능통한 자, 또는 중국인 중 한국 거주 1년 이상으로 한국어에 능통한 자로 중국어와 한국어에 모두 능통한 조 사원들로 구성 · 조사 내용은 업소명, 주소, 전화번호 및 E-mail, 대표자명, 국적, 식당 운영 경 력, 교육 경험 유무, 개업 연월, 운영 형태, 식당 분류, 대표 메뉴, 한식 비중, 재료 중 한국산 비중, 객단가, 좌석 수, 주중/주말 평균 손님 수, 한국 손님 비 중, 직원 수, 조리사 국적, 한식 조리 경력, 자격증 유무, 영업시간, 휴무일, 주 차장 유무, 홈페이지 주소 등
참고자료
359
· 한식당의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을 상세히 기입하여 운영 형태는 개인 운영, 법 인 직영, 프랜차이즈, 분점으로 나누어 구분하였으며, 대표 메뉴는 경영주의 추천 대표 메뉴로 최대 5개까지 기록 · 한식당 전수조사 DB는 중국 현지인도 참고할 수 있도록 모든 항목에 대해 한 국어와 영어, 중국어 세 가지로 제작 □ 2단계(미국 내 한식당 방문 인터뷰) 수행 방법 · 사전 실태조사와 현지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하여 현지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식당을 선정 · 실태조사 업소 선정은 식당 경영주가 한국인이며 한국 음식만을 판매하는 업 소가 1순위, 식당 경영주가 한국인이며 한식을 주 메뉴로 기타 메뉴와 혼합 운 영하는 업소를 2순위로 기준을 정하여 수행 · 방문조사 대상으로 선정한 한식당은 전체 한식당의 10% 인 150개 한식당 <표> 방문조사 대상 한식당 선정 기준 기준
세부 순위 1순위
한국인
한식만 취급
1. 운영 주체가 한국인 또는 한국 기업
2순위
한국인
혼합형
2. 한식메뉴를 중심으로 파는 식당
3순위
중국인
한식만 취급
4순위
중국인
혼합형
· 방문조사를 위해 방문조사 양식과 인터뷰 및 심층면접 문항을 개발하였고, 인 터뷰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방문조사 참여 인원에 대한 사전교육을 진행 · 방문조사를 통해 식당의 내관 및 외관, 건물 형태, 상권 및 입지 분석, 메뉴판 구성, 성공 전략, 식자재 사용 현황, 식자재 공급 이슈, 식당 운영 개선 의견 등 전반적인 식당의 현황, 경영주의 성공전략 및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경영주의 의견을 정리 · 세부 조사 항목으로는 상호명, 한국적 소품 및 강조점, 실내 환경 및 분위기, 리모델링 주기, Sign 가시성, 외관 환경, 건물 형태, 상권, 유동인구, 반경 100m
36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이내 식당 수, 교통수단, 월 임대료, 업주가 생각하는 최적의 입지, 메뉴사진 표기 여부, 메뉴설명 상세도 유무, 메뉴 차별성, 타겟 고객층, 충성고객 유지방 법, 식당 홍보전략, 식당 홍보 문구, 종업원 평균 근무월수, 종업원 교육 및 관 리 노하우, 가격 정책, 식당 이전 및 확장 계획, 식자재 사용 현황, 품목별 구매 처, 구매 주기 및 소요시간, 식자재 공급상의 문제점, 한국산 구매의 필요성 및 용이성, 식자재 가격, 품질 및 신선도, 식당운영에 어려운 점, 표준 레시피 작 성의 필요성, 우수 한식당 인증제에 대한 의견, 한식당 경영 컨설팅 및 교육 지원 필요성, 한식조리사 교육 지원의 필요성, 내용 및 방법, 한식당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 및 방향, 한국식 인테리어 및 문화보급의 필요성, 한식당 홍보 지 원 방안 등을 조사 <표> 한식당 방문조사 항목 및 상세 내용 항목
조사 내용 한국적 소품 및 강조점
내관(Interior)
실내 환경 및 분위기 리모델링 주기
외관(Exterior)
Sign 가시성 외관 환경 형태
건물 형태
소유 여부 건물 층수 식당 해당 층 상권 유동 인구
상권 및 입지
반경 100m 이내 식당 수 교통 수단 임대료(월) 업주가 생각하는 최적의 입지 조건 메뉴 사진 표기 여부
메뉴판 구성
메뉴 설명 상세도 기타 특징
참고자료
361
메뉴 차별성 타겟 고객층 충성고객 유지방법 식당 홍보 전략 성공 전략
식당 홍보 문구 종업원 평균 근무 월수 종업원 관리 및 교육 노하우 가격 정책(방향성) 식당 이전 또는 확장 계획
식자재 사용
월 평균 구매액 한국산 사용 비중 품목별 구매처 구매 주기 및 소요 시간
식자재 공급
식자재 공급상의 문제점 및 원인
이슈
한국산 구매의 필요성 및 용이점 식자재 가격 품질 및 신선도 식당 운영하는데 어려운 점 표준 레시피 작성의 필요성 우수 한식당 인증제에 대한 의견
식당 운영 개선 한식당 경영 컨설팅 및 교육 지원의 필요성, 필요한 교육 내용과 방법 의견
한식 조리사 교육 지원의 필요성, 내용, 방법 한식당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 및 방향 한국식 인테리어 및 문화 보급의 필요성 및 아이디어 한식당 홍보 지원 방안
기타
기타 건의 사항
36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 2> 한식당 방문조사 Template
참고자료
<참고 3> 경영주 면담 조사 Template
363
36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 4> 한식 반응조사 Questionnaire
참고자료
365
36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367
36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369
37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참고 5> Market Test 설문지
Korean Food Tasting Event 请把您的偏好度对今天提供料理打钩以下。谢谢。 料理 宫廷烤牛肉饼 (너비아니) 把牛肉切成薄片, 用酱油调味后烤制的菜肴
评分 1
2
短评 3
4
5
• 味道: • 香味:
Bad
Good
• 嚼感: • 样态:
泡菜豆腐(두부김치 두루치기) 泡菜和豆腐
1
2
3
4
Bad
5 Good
• 味道: • 香味: • 嚼感: • 样态:
猪肉片与拌泡菜(돼지 편육) 把胸肉放在水中煮烂后, 切成片儿吃的美食
• 味道: 1
2
3
4
Bad
5 Good
• 香味: • 嚼感: • 样态:
拌饭(비빔밥) 米饭和各种野菜,牛肉丝, 菜码儿,炒辣酱而做成的饭.
1
2
3
4
Bad
5 Good
• 味道: • 香味: • 嚼感: • 样态:
饺子锅(만두전골) 在调好的汤里把饺子和各 种蔬菜煮后吃的美食.
1 Bad
2
3
4
5 Good
• 味道: • 香味: • 嚼感: • 样态:
371
37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Korean Food Tasting Event 请把您的偏好度对今天提供料理打钩以下。谢谢。 Menu 炖排骨(갈비찜) 在排骨里放罗卜或香菇等蔬菜, 用多种调味后炖成的美食.
Your Rating
Comments • 味道:
1
2
3
4
Bad
5 Good
• 香味: • 嚼感: • 样态: • 味道:
大虾松子汁凉菜(대하잣즙무침) 大虾,松子汁和各种蔬菜 而做成的凉菜.
1
2
3
4
Bad
5
• 香味:
Good
• 嚼感: • 样态: • 味道:
炒年糕(떡볶이) 白米糕和牛肉,各种颜色的干 菜和新鲜蔬菜放在一起做的 食品
鲜鱼煎饼(생선전) 鲜鱼煎饼是在清淡的白鱼肉 沾上面粉和鸡蛋水后用油煎 油成的美食
柿子椒煎饼(피망전) 柿子椒煎饼是将柿子椒放入盐 入稍稍腌制后沾上面粉鸡蛋水 后用油煎油成的美食
南瓜煎饼(호박전) 南瓜煎饼是将小南瓜放入盐 入稍稍腌制后沾上面粉鸡蛋 水后用油煎油成的美食
1
2
3
4
Bad
5
• 香味:
Good
• 嚼感: • 样态:
• 味道: 1
2
3
4
Bad
5 Good
• 香味: • 嚼感: • 样态:
• 味道: 1
2
3
4
Bad
5 Good
• 香味: • 嚼感: • 样态: • 味道:
1
2
3
4
Bad
5
• 香味:
Good
• 嚼感: • 样态: • 味道:
叁鸡汤(삼계탕) 在少鸡的肚子里,放人叁, 大枣,蒜头等后一起熬煮的 保养食品
1 Bad
2
3
4
5 Good
• 香味: • 嚼感: • 样态:
참고자료
373
<참고 6> 한식당 업주 FGI 가. 1차 회의록 제목 피면담자
베이징 한식당 업주 FGI 한식당 업주(고야촌, 해화성, 태풍, 놀부항아리갈비, 애강산)
면담자
손주연
작성일
2009. 6. 11
목적
한식당 운영관련 Issue 파악
1) 한식당의 최적 입지 · 한식당이지만 한국인을 상대로 하는 장사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중국인이 거 주하는 주택지 또는 오피스 쪽이 최적의 입지라는 의견에 모두 공감 · 특히 고소득층 중국인들이 외식이 잦고, 외국음식을 받아들이는 것이 빠르기 때문에 고소득층 중국인 주거단지에서 한국 전통음식을 운영하면 최적이지 않을까라는 의견과 함께 구체적인 입지로 고소득층이 몰려있고 유동인구도 많은 조양구가 매력적인 입지라고 손꼽음 · 실제로 놀부 항아리 갈비와 애강산의 경우 조양구에 입지하고 있는데, 현재의 입지에 대해 주택지와 상업지를 모두 끼고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만족스러 움을 나타냄. · 애강산을 주로 찾는 손님은 중국인, 한국인, 외국인순으로 대부분 중국인이며 고급 레스토랑이기 때문에 고소득층이 많이 찾는다고 함 · 고야촌과 태풍을 제외한 식당 업주들이 최적의 입지라고 생각하는 조양구 지 역에서의 식당 확장을 계획 중에 있다고 함
2) 음식 차별성 · 한식도 좋아하나 중국인 현지인 입맛에 맞게 한식과 중식을 퓨전식으로 섞은 듯한 음식이 많이 선호하는 편
37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국에서도 최고로 꼽히는 음식의 질을 제공하고 있으며, 재료 또한 매우 신선 하고 고급인 점으로 고객들에게 소구함 · 항아리갈비라는 상표권을 가진 오리지날 메뉴를 제공하며 소스도 체인 본점으 로부터 들어오기 때문에 다른 한식당에서 먹는 한국갈비와는 확실히 다른 양 념으로 만들어진 갈비 · 고소득층을 타겟으로 1인분 한국 원화로 15만 원이 넘는 최고급 등심을 제공 · 계절메뉴를 포함 일년에 한번 정도 혁신을 주고 있다. · 워낙 많은 음식을 선보이고 있는데, 다양한 음식을 접해볼 수 있도록 양을 줄 이고 세트메뉴 중심으로 운영하려고 계획 중
3) 고객 관리 ·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중국 현지인들을 고객으로 삼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데 그 이유로는 중국 손님들은 가격이나 서비스보다 친절하고 한국의 맛을 선 보이면 좋아하며 한국 손님보다 훨씬 충성하고 장사에 도움을 준다는 점과 한 국 손님은 소비액이 적을 뿐더러 주로 유학생과 같이 중국에 장기 체류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불안정하다는 의견이다. · 현재 중상류층의 중국인을 상대로 운영을 하고 있으며 한국음식 소개를 많이 해주면서 식혜, 수정과를 직접 만들어 대접하는 등의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 며 항상 재료의 신선함과 품질을 똑같이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4) 프로모션 · 특별한 홍보를 하고 있지 않으며 단골손님을 관리 하는 방식으로 손님을 유지 하거나 단골손님을 통한 입소문을 통해 홍보가 되는 경우가 많다. 금전적으로 도 비용이 많이 드는 잡지, 티비 등의 광고는 부담스러움 · 다른 티비, 잡지와 같은 홍보를 통해 신규고객을 유치하기보다는 현고객들 또 는 주재원 또는 회사 간부들에게 직접 DM 발송을 하는 방식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음
참고자료
375
5) 가격 · 금융위기로 인한 불경기로 인해 대부분 현 가격을 유지하거나 20%의 가격인하 를 실행할 예정 · 애강산같은 경우는 현재 가격이 적당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당분간은 변경할 예정이 없다고 함
6) 종업원 관리 · 종업원 평균 근무 일수가 대체적으로 꽤 긴 편이며 종업원들이 모두 어리고 가정 형편이 좋지 않은 사람이 많아 개인적으로도 따뜻하게 가족처럼 대해줌 · 중국인 종업원을 직접 관리하지는 않는다. 조선족 지배인이 종업원을 직접 관 리하는데, 종업원들이 착하고 일을 열심히 함 · 한번 들어온 종업원은 거의 나가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오랫동안 식당을 운영 해왔지만 한국보다 종업원 교육이 훨씬 수월함. 매월 우수사원, 이달의 스마일 등 상을 뽑아 상과 함께 포상금도 수여하고, 근무 태도가 좋은 종업원은 매니 저로 승격시켜 더욱 더 열심히 하도록 독려함
7) 식당 실패의 원인 · 우다코에 있는 대부분의 식당 업주들이 한국인 유학생을 상대로 장사를 하다 가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고객층을 한국인만으로 보고 있으면 거의 실패를 많이 한다. 나도 계속 중국손님을 유치할 수 있도록 노력을 많이 했다. 중국에 서 한식당을 연다면 무조건 중국인을 상대로 해야 한다. · 요즘은 경제상황이 워낙 나빠서 다들 안좋다. 꼭 어디에 원인이 있다기보다 나 부터도 상당히 어렵다. · 한국인이나 유학생 위주로 타겟을 잡다 보면 금방 손님이 빠지고 경영에 어려 움을 느낄 것이다. 중국인들 상대로 장사하라. 인내심을 가지면 중국 고객들 은 꾸준히 많아진다. 따라서 위치 선정 잘 하고, 인내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대형 식당이 아닌 경우 투자 기간을 못 견디고 실패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
37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대부분 식당 운영에 관한 철저한 정책과 계획이 부족하여 중국 손님 유치에 실패한다. 확실한 정책을 세우고 나서 시작해야 한다.
8) 식자재 공급상의 이슈 · 식재료를 구매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나 한국산 자재가 독점적으로 판 매되다 보니 중국인에 비해 비싸게 구매하게 되며, 중국이라는 지리적 상황 때문에 가격적인 면에서 손해를 본다고 생각함 · 한국산 식자재 취급하는 곳이 워낙 많아서 큰 어려움이 없음. · 중국산 식자재도 한국인들이 가공하는 것들을 쓰므로 품질 면에서도 괜찮다고 생각하며, 해산물이나 육류 또한 신선도가 높음. 하지만 현재 한국산 식자재의 유통구조에는 문제가 있음. 수입이라는 명목 아래 속이는 부분도 없지 않고, 다량 수입을 해야 하는 데 매번 느끼는 것이지만 가격이 너무 높다. · 구하기 쉽다. 하지만 나는 그냥 식당을 운영하는 입장이라 유통구조는 모르겠 으나 단지 구매해서 사용하는 입장에서 아무리 수입산이지만 너무 비싸다는 생각이 든다. · 식자재 공급을 받는데 돈을 아끼려는 사고방식이 아니라 비싸더라도 최고의 품질을 추구하기 때문에 식자재 공급에 있어서 만족하고 있음. 오히려 연말이 되면 앞으로도 좋은 물건 공급하라는 의미에서 식자재 공급상을 모아놓고 식 사 대접과 선물을 준다.
9) 애로사항 □ 전반적인 애로사항 · 북유모 고발센터가 한인 업주들에게 매우 안좋게 작용을 하며, 유학생들이 그 러한 사이트를 악용하고 있음. 업주들이 아무리 모여서 얘기를 하면 뭐하겠나,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자리를 주최하고 있는 농산물유통공사 같은 곳에서 도 와 달라 · 외국인으로서 중국에서 식당을 운영하면서 세무 또는 공상, 노동법적인 부분 에서 어려움을 많이 느낌.
참고자료
377
· 주 고객층이 한국인인데, 올림픽 전후로 거주와 금융위기가 겹쳐 구매력이 많 이 떨어졌음. 중국 손님 유치가 힘든 상황임. 전반적으로 경기가 좋아지면 해 결이 어느 정도 되지 않겠나,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중국 손님을 많이 유치해 야하는데 그게 어려운 상황이다. · 직원 관리, 한국산 식자재의 높은 가격임. 직원 관리는 관리자가 잘하는 수밖 에 없다. 더 따뜻이 대해주고, 인간적으로 다가가는 것이 최종적인 것 같다. 식 자재에 있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물류 센터를 마련해주는 것이 가장 좋 은 방법이다. · 한국에서 한식당을 경영한지 10년이 넘었고, 많은 시행착오와 경험을 바탕으 로 중국에 왔다. 중국은 한국보다 장사하기에 훨씬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데, 한국에 비한다면 중국 에서는 애로사항이 거의 없다. 한국은 열심히 일해서 업장을 키워놓으면 권리 금 운운하면서 세를 올리거나, 나가라고 하는데 중국은 그런 면에서 환경이 아주 좋음. 지금의 애강산도 20년 임대다. 장사 잘 된다고 임대료를 올리거나 나가라고 할 수 없어 매우 합리적임 □ 표준 레시피의 필요성 · 나는 내가 직접 음식을 하고 있다. 음식은 손맛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레시피 같은 것은 필요 없다. · 주방장 바뀌면 맛이 바뀌는 일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꾸준한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주방장에게도 요구하고 있다. · 레시피에 대한 필요성을 못 느낀다. 소형 식당은 다 그렇지 않겠는가? 나는 벌 써 베이징에서만 식당을 10년째 하고 있다. 레시피가 중요한 건 아니다. · 레시피 없는 식당은 그야말로 손맛이라는 건데, 주방장 없으면 어떻게 되는가. 일정한 맛을 유지해서 고객에게 신뢰를 얻는 것은 해외에 있는 한식당이 꼭 지켜야 할 부분이다. · 소형 식당에게는 어떨지 모르겠으나 우리 같은 고급 식당에서는 안 되는 말씀 이다. 예를 들어, 청국장맛이 어느 한식당에 가도 똑같다고 한다면 재미없지 않은가?
37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식당 인증제에 대한 의견 · 도움이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중국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인증제라면 환영 한다. · 어느 정도 고객유치에 도움이 될 것 같아 환영하지만, 우수 식당의 기준은 어 떻게 정하는지 의문이 들며, 공정성에 대해 묻고 싶다. 공정하게 평가하기 위 해서는 메뉴얼을 제공해주고 업주들에게 의견을 물어보는 것은 어떤지. · 정부에서 발급해주는 것이라면 중국인들에게 홍보도 되고 좋을 것 같다. · 어느 정도 고객유치에 도움이 될 것 같아 나쁘지는 않은 방안이지만, 그 공정 성이 실행될 것인가의 문제와, 관리감독의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과거 일련의 정부 관련 정책들이 신뢰를 못 준 부분이 있지 않은가. 그리고 공 정성은 그렇다 치더라도 관리감독이 인증제를 들여오는 것보다 더 중요한 사 안이다. 그 업무를 꾸준히 할 수 있을 것인가를 정부가 먼저 심사숙고 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 평가하기 전에 그러한 준비가 되어있는지 궁금하다. 한식의 고급화가 더 급한 문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 인증제를 통해 고객이 유치가 되느냐 아니냐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중국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느낄만한 준비가 되어 있느냐에 포커스를 두어야 한다. □ 식당 창업, 경영에 관련된 교육과 자문의 필요성 · 규모가 큰 식당이라면 필요하겠지만 소형 식당의 경우는 크게 필요성 모르겠다. · 대사관이나 문화관을 중심으로 한식당을 지원하는 교육 방식(예를 들면, 중국 인 복무원을 한국식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있었으면 좋겠다. · 나는 개인적으로 큰 필요가 없겠지만, 처음 여기서 장사를 시작하는 분들에게 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많은 한국인 소규모 식당 운영자들이 쓴잔을 마시고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 곳이 중국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식당 경영에 대한 주 요한 노하우를 교육하는 것은 좋은 취지라 생각된다. · 있으면 도움은 될 것이다. 한식당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부 차원의 경영컨설 팅은 나쁘지 않지만, 그러한 지원의 지속성에 의문을 가진다.
참고자료
379
□ 조리사 교육 내용 및 참여 의향 · 각 식당마다 맛이 다른데, 조리사 교육을 어떻게 시킨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 다. 모든 식당이다 똑같은 맛을 내라는 말인가? · 한국에서 중국으로 오기 전에 지역별 한식조리사를 분류하여 교육지원을 한다 면, 장기적인 한국음식의 세계화가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 한식조리사 자격증을 가진 중국인을 고용해야 하는데, 그런 면에서 교육지원 은 중국인에게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중국인들이 한식조리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기 어려우므로 중국인들이 접근하 기 쉬운 한식조리사 교육지원은 좋을 듯싶다. · 현재 한국에서도 최고의 조리가가 초빙되어 애강산 셰프로 있다. 준비된 조리 사가 와야지, 와서 교육을 받는 것은 거꾸로 된 것 같다. □ 한식당 네트워크 · 지금 현재 북경에서 가장 유명한 네트워크가 북유모인데, 도움이 되는 것이 아 니라 업주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있다. 작은 일들을 크게 부풀려서 인터넷상 에 공개하여 식당이미지를 추락시키는 일들을 유학생들이 너무 아무렇지 않 게 하고 있다. 힘들게 영업하고 있는 같은 나라 사람들끼리 참 좋지 않은 모습 같다. 우리 업주들이 이야기 많이 하고 있지만 해결 방법이 없다. 우다코를 떠 나고 싶다는 업주가 참 많다. · 한식당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정부 차원에서 한국인 경영 한식당은 매월 함께 세금과 공상 관리를 하면 좋겠다. · 한국 사람들 단결이 안 된다. 우리 호텔 내의 한식당 업주들 간에도 교류가 쉽 지 않은 상황인데, 한식당 전체 네트워크가 만들어지겠는가? 그리고 현실적으 로 필요성도 느끼지 못한다. · 네트워크의 방법이 어떤 것이며, 그 기준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다. 네트워크 에 대한 질문을 자꾸 하는데(예전에 다녀갔다는 농수산물 유통공사 직원을 말 씀하시는 것임) 그 정책에 대한 브리핑이 먼저 있었으면 좋겠다. 계획과 추진 을 한다는 말씀은 많이 들은 것 같은데, 결과는 아직 아무것도 본 것이 없다.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다.
38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북경시내 대형 한식당 업주와 시간이 허락할 때 만남 을 자주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동태 파악도 하고, 여러 가지 정보교환도 많이 한다.
10) 지원 사항 □ 전반적인 지원 사항 · 지금 정부 차원에서 부탁드리고 싶은 것이 앞에도 말한 북유모 고발센터에 관 한 것이다. 없애주었으면 좋겠다. · 아까 말했듯이 조리사 지원해주었으면 좋겠다. 한국에서 조리사교육을 해서 정부가 일부 비용을 부담하여 중국인 요리사를 해외로 보내주는 것이다. · 한식당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위한 TV나 각종 매체를 통한 광고 지원 · 믿을 수 있는 한국의 식자재를 수입해서 쓰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물 류센터 등의 정부차원 방안을 마련해주는 것에 가장 현실성 있다고 생각한다. · 전통적인 한국음식의 우수성을 TV나 잡지를 통해 많이 홍보해주었으면 좋겠 다. □ 인테리어 / 문화 · 여건이 된다면 한국적 인테리어 좋다고 생각한다. 중국인들에게 약간의 어필 을 할 수는 있겠지만, 맛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 · 필요성 많이 느끼지 못한다. 소형 식당들은 경영하는 것도 힘든 상황이다. 인 테리어까지 신경을 쓸 상황이 못 된다. · 고급스러운 한국식 인테리어가 한식당의 이미지를 높일 수 있겠지만, 놀부는 식기류에서 한국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식당에 들어왔을 때 인테리어 에서부터 그런 이국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해드리는 것도 식당의 의무라 생각 한다. · 물론이다. 반드시 필요하다. 인테리어 또한 손님께 드리는 서비스이고, 배려이 다. 돈 많이 든다고 싼 것으로, 대충 인테리어 하면 안된다. 한국에 안가도 되 겠다는 생각이 드실 정도로 잘 꾸며야 한다.
참고자료
381
□ 홍보 지원 방안 · 광고를 해서 한식당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면 좋겠다. 예를 들어, 야후 “거기”와 같은 사이트에 한식당을 찾을 수 있도록 해주면 좋겠다. · 전통적인 한국음식을 소개하고, 웰빙과 고급을 강조하여 홍보해야 한다. · 한류(韓流)라는 것은 한국문화를 의미하는 것인데, 한국의 우수한 문화를 알림 으로써 한국음식 또한 알릴 수 있다. 우수한 한국문화를 알려야 한다. · 정부에서 한식당 중문홍보사이트를 열어준다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므로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전에도 그래왔고, 현재도 그렇듯이 업주의 노력과 끈기가 더욱 중요하며, 정부 차원의 홍보는 어떤 형식이 있는지 예를 들어주면 좋을 것 같다. 개인적인 노 력이 있고, 정부의 도움이 있다면 가장 좋은 조합이 아닌가 싶다. · 개인적으로 한국음식을 홍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아직도 한국음식을 잘 모 르는 많은 외국인들에게 TV광고를 통해 한국과 한국음식을 알릴 수 있다면 도 움이 될 것이다.
38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나. 2차 회의록 제목 피면담자
상하이 한식당 업주 FGI 한식당 업주(홍동한국요리, 칭회루, 재한성, 이모네집, 고찾사)
면담자
성기숙
작성일
2009. 6. 8
목적
한식당 운영관련 Issue 파악
1) 한식당의 최적 입지 · 중국 현지인들과 외국인들, 관광객들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고 유동성이 높은 곳. 맛집을 찾아다니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통이 편리하고, 여러 사람이모이기 편한 곳에서 만남과 식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스럽 게 식당 영업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 어느 곳이던지 그 지역 또는 구역의 대표성을 지닌 곳. 그런 곳에 사람들이 많 이 모이게 되기 때문에 이미 현재 상하이 푸시 지역의 대표적인 外滩에 2호점 오픈했고, 7월 말 상해 푸동 지역 중심 상권지역 중 하나인 미래에셋 건물 내 3호점 오픈 예정임. · 상업지구 혹은 학교주변 한국교민을 대상으로 코리아타운에서 영업을 하는 것 보다 현지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장기적 사업을 위해 좋음. 왜냐하면 코리 아타운에서 하는 식당은 시장 확보 면에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그 밖 에 너무 큰 규모의 한식당 개업은 실패를 초래하기 쉬움. · 학교 주변의 세계 각국 유학생 밀집지역 혹은 외국인 밀집지역이다. 한국인과 중국인 뿐만 아니라 외국인도 한국음식을 좋아하기 때문에 학교 주변에 위치 해 외국인(유학생)도 자연스럽게 고객으로 둘 수 있는 유리한 환경임.
2) 음식 차별성 · 현지화된 맛이 아닌 최대한 한국 정통의 맛을 살리려고 있음. 너무 양념이 강 하게 들어간 음식(간혹 매운 음식을 즐겨먹는 외국인도 있음)이나, 냉면처럼 면이 질겨서 먹기 불편한 음식을 좋아하지 않으며, 갈비찜이나 잡채를 매우
참고자료
383
좋아함. 그 맛에 아직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좋아하지 않은 것이며, 잡채 같은 경우 색깔도 예쁘고 야채와 고기가 함께 어우러져 있고 면도 부드러워 씹는 맛이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 · 다양한 고기 메뉴(한국의 특성화된 메뉴를 결집)를 통해 한곳에서 다양한 고기 맛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함. 불고기, 양념된 갈비, 전류를 좋아함. 냉면, 칼국수 혹은 파 마늘 향이 심하거나 젓갈 맛이 강한 음식 안 좋아함. 기본적으로 외국 손님들은 육류를 선호함. 매우 불고기나 갈비찜구이를 선호하는 편이지만, 양 념갈비도 인기. · 한국 안에서도 지방과 개인에 따라 입맛이 다르듯이 모든 사람들의 입맛을 맞 추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누구나 좋아할 만한 맛이 있다 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어느 정도 달고, 매운 것은 지방과 개인을 넘어서 보 통 누구나 부담 없이 좋아하는 그 정도의 맛을 찾아내려고 노력했다. · 대부분 보편적으로 알려진 한국 음식들은 다 좋아하는 것 같다. 특히 중국이나 일본인의 경우 고기구이류를 가장 좋아하고, 떡볶이, 삼계탕, 불고기, 비빔밥, 전류 등 다양하게 좋아한다.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무침, 나물 등의 음식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 매운맛이 익숙해지고, 좋아해서 한국음식을 자주 찾는 사람이라도, 생마늘이 나 생양파 같은 너무 강한 향이나 맛이 나는 것들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다. · 회, 고기, 비빔밥 등 다양하게 좋아함. 강한 향신료와 맛을 지닌 음식 꺼림. 음 식을 먹을 때나, 식후에 한국음식에서 나는 강한 냄새 꺼림. · 새로운 요리 개발로 새로운 요리 이름(예: 저팔계탕, 장비탕 등)을 지음. 주로 비빔밥이나 고기구이나 삼계탕을 좋아함, 익히지 않은 생야채나 나물류는 좋 아하지 않음. 그 맛에 아직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좋아하지 않은 것이며, 고추 장을 덜 넣은 비빔밥과 고기구이는 맛도 좋고 건강도 좋다고 생각함.
38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고객 관리 · 중국 현지인들이 주 고객이다. 한국 교민을 상대로 하는 영업에는 한계가 있 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지금도 또 이후에도 장기적으로 경영이 가 능하다. · 중국 현지인 및 2010년 상하이엑스포를 방문하게 될 외국고객들이 주 고객이 다. 한국 식당은 식당 경영이라는 부분과 함께 한국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역 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엑스포와 같은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모이는, 그리고 다양한 문화에 대해서 오픈 된 마인드를 갖게 하는 시점에서 한국음식을 알리 는 것은, 이후에 한국 음식의 세계화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변에서 일하시거나, 주변의 지인들의 소개로 알고오시는 분들. 첫 번째는 외 국인들이 좋아하는 회와 스시, 그리고 고기구이 등 일식과 한식 두 가지를 모 두 맛볼 수 있기 때문인 것 같고, 두 번째는 한인타운과 몇몇 식당을 제외하곤, 비즈니스나 접대의 자리에서 식사할 만한 규모와 분위기를 갖춘 한국 식당이 적은데, 본 식당의 분위기와 규모가 그런 부분들을 충족시켜서 인 것 같다. · 현지 젊은 여성을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는데, 왜냐하면 식당이 대학 주변에 위치해 있고, 젊은 대학생 여성의 입맛이 가장이 까다롭고 또한 외식을 좋아 하기 때문에 그들의 입맛과 호감을 산다면 장기적인 사업 운영상 좋다고 생각 하기 때문이다. 외국 유학생인 경우가 많고, 친절과 음식 인테리어에 특히 신 경을 써서 젊은 외국인과 대학생들의 호감을 사려고 노력. 화장실 위생에도 특별히 신경을 씀. ·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외식을 많이 하기 때문에 이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게 중 요하고, 가족단위의 손님은 단골고객으로써 계속 유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 에 장기적 영업을 위해서 이들의 마음을 잡는 게 중요. 첫째로 메뉴에 신경을 많이 쓰는데 외국인이 메뉴에 나와 있는 사진 모양만으로도 그 음식에 대해 잘 판단할 수 있도록 함. 친절한 서비스와 가족 같은 유대 관계가 필요함. · 현지인을 주요 타겟으로 삼는 것이 장기적 식당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
참고자료
385
4) 프로모션 · 지금은 이미 몇 년간 식당을 운영해서 많이 알려져 있다. 손님들께서 자체적으 로 중국 인터넷 사이트에 맛집 등으로 소개도 해 주시고 있으나, 특별히 식당 차원에서 광고하는 것은 없다. 가장 좋은 홍보 방법으로는 사람들이 많고, 유 동성이 큰 상해 중심가(예를 들어 Nanjing Road 등)에 꼭 한국 음식뿐 아니라 한국과 관련된 문화 등의 광고판이나 광고영상들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지속 적으로 한국에 대한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상해 외국인 생활정보지(영문:City)와 교민 신문 통해서 홍보하고 있다. · 고객들이 스스로 올린 인터넷 글이 홍보효과가 생김. 기존 고객들의 생일을 챙 겨드리는 생일문자 발송. 가장 효과적인 홍보 방법으로는 현지 방송국이나 신 문이나 인터넷에 방송되거나 광고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 현지인을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는 만큼 현지에서 방영되고 있는 TV프로그램에 소개되 거나 신문기사에 소개된다면 가장 큰 광고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광고비용도 따로 들지 않는다. · 인터넷이나 방송을 통한 입소문을 주요 홍보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입소문 을 통해 방문하게 되는 첫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는 것 이 중요. 예를 들어 본인의 자비로 광고는 하지 않았지만, 단골손님의 호평에 의해 인터넷과 중국 TV에 소개되거나 방영된 적이 있는데, 이로 인해 자연스 럽게 식당 홍보가 이루어짐. · 오픈 50%할인 행사, 인터넷 홍보와 매월 단기간 할인 이벤트 개최. 유동인구가 적어 단골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는 것인 만큼, 친밀한 유대관계와 친근함 으로 입소문을 내게 하는 데 주력. 홍보를 위해 크게 투자를 하지는 않음.
5) 가격 · 현재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 등의 이유로 당분간은 가격을 더 올리거나 내리기 는 힘들다고 본다. 현재도 이벤트 성으로 점심특가 메뉴, 음식 할인 등을 통해 서 저렴한 가격대의 메뉴를 선보이려고 노력한다.
38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기존의 가격대를 유지할 것이다. 각 매장의 임대료나 기타 등을 고려하여 정해 갈 것. 현재 경기가 좋지 않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가격을 올리기는 무리가 있 다고 본다. · 오히려 주변의 한식당을 포함한 전체 식당에 비해 가장 비싼 편이며, 절대 할 인 행사를 진행하지 않음. 맛에 대한 자부심을 강조하는 경영 마인드, 이러한 경영 전략이 오히려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온 것을 경험. · 주변에 한국 식당이 적지 않은 만큼 그 가격을 의식하지 않을 수없기 때문에, 주변 식당들과 비슷한 가격을 책정한다. 또한 학교주변에 위치해서 가격을 높 게 책정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음. · 고환율시대에 박리다매 형식으로 맛은 유지하면서 저렴함으로 승부. 특히 한 국 유학생 및 교민같은 경우는 환율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가 격 조정은 필수.
6) 종업원 관리 · 오래있는 직원들은 개업 당시부터 지금까지 있기도 하고, 하루 만에 그만두는 사람들도 있고 다양하다. 보통 3, 4개월 일하고 지나면 장기적으로 남을 사람 인지 아닌지 결정되는 것 같다. 현재는 몇몇을 제외하고는 이미 몇 년째 함께 일하는 장기근무자가 많다. 최소한 서빙하는 직원들이 손님들에게 음식에 대 한 맛과 조리방법, 먹는 방법 등을 소개할 수 있을 정도로 직원들에게 먼저 한 국음식에 대해 알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 종업원 관리 부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방 직원들은 좀 오래 남는 편이고, 서빙하는직 원들은 보통 1년 정도 일하는 것 같다. 직원들의 서비스 교육을 중 요시 하고 있다. 현재 조선족 매니저를 두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손님들에 게 음식에 대해서 소개 할 수 있는 정도의 한국음식에 대한 이해, 한국식 서비 스 등을 교육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 최대한 가족적인 분위기와 대우를 해주려고 노력하여 다른 식당에 비해 오래 근무함. 전 직원 가족화가 가장 중요하다. · 종업원들은 주로 타지방에서 돈 벌기위해 상해로 들어온 친구들이 많기 때문
참고자료
387
에 가족 같은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가장 중요. · 매니저에 강한 권한을 줌. 철저한 정신교육과 동시에 친밀한 가족관계의 조화.
7) 식당 실패의 원인 · 현지에서 많은 한국 사람들이 실패하는 것을 보고 아쉬운 경우가 많이 있다. 첫째는, 한인타운을 벗어나지 못하는 점이다. 사실 한국 사람들이 개업을 하는 경우 맛뿐만 아니라, 인테리어나, 종업원 서비스 교육 등 많은 부분에서 경쟁 력 있고, 잘 해 놓는 경우가 참 많다. 하지만 대부분 한국 교민을 대상으로 하 는 한인타운 근처에서 서로 경쟁하다 보니, 대부분 얼마가지 못하고 문을 닫 거나, 중국인들에게 가게를 넘기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인타운을 벗어나 중 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개업해야 한다. · 한국 식당은 식당 경영은 단순히 음식을 파는 것이 아니라, 한국문화를 알리는 것이라는 자부심과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 너무 한국 정통의 것만 고집하는 것이 오히려 부작용을 불러일으킴, 식당 규모 를 무턱대로 크게 하여 운영상의 부담을 안고 감. 한국인이 많이 사는 코리아 타운에 모여 한정된 시장권에서 서로 경쟁하지 말고, 현지인을 대상으로 전략 을 세워야 한다. · 직원 관리에 미흡함. 조리사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맛 유지 어려움. 주요 타겟 인 현지인 유치에 실패. 실제로 조리사를 포함한 종업원 관리에서 상당한 어 려움을 겪고 있는 사실. 현지 종업원들은 10대 중반에서 후반의 어린 친구들이 많기 때문에 이들을 관리하는데 어려움. 조리사의 잦은 이직으로 인한 맛 유 지 어려움. 독특한 한국 음식인 만큼 현지화도 중요.
8) 식자재 공급상의 이슈 · 어려움은 없다. 한국 식료품점도 많고, 배달 등이 가능해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다. 환율에 비례해서 측정한다고는 하 는데, 정확히 언제 어떤 기준으로정하는 것인지 모호하다.
38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큰 문제는 없지만, 간혹 고추장, 고춧가루, 된장 등의 맛이나 품질이 불만족스 러운 경우가 있다. 제품마다 맛이 달라서, 원하는 제품의 수량만큼 구입 어려 운 경우 약간의 고충은 있다. 수출 제품 가격의 표준화라던지, 기준을 정하는 것. 중국 현지에서 한국 식료품 수입량이나, 운송량 등의 완화와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 현지 식료품점이 많이 있어서 구매는 용이하나, 가격이 너무 비싸며 품질은 그 저 그렇다. 한국산 양념 같은 경우에는 간혹 부족한 경우가 있어서, 미리 미리 많이 사둔다. 가격 책정. 한중 양국 정부 간에 무역협정을 통해서 한국에서 중 국으로 한국산 식품 등을 수입 할 때 절차나 규제 완화 등의 국가적 차원의 지 원이 필요. · 근처 한국 식품 판매처가 있기 때문에 역시 어려움 없으나 조금 비싼 편이다. 품질 면에서는 만족함. 중국에서는 식자재 가격으로 조리사들과 공급자와의 뒷거래로 인한 문제가 적지 않음. · 어려움이 크다고 할 수 없으나 제품의 선택이 다소 제한되어 있으며 조금 비싼 편이다. 품질은 만족하나, 중간 도매상의 중간의 마진이 너무 높아 구입시 단 가가 높아진다. 하지만 한국 식당 경영자로써 한국산을 구매하지 않으면 요리 의 맛을 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한국산 구매가 절실하지만 제품 선택이 다소 제한되어 있고 중간 마진이 높아 가격이 비쌈. · 고기구이 전문점인 만큼 한국보다 중국 현지에서는 선호하는 고기 부위가 다 르기 때문에 중국인 공급상과 소통하는데 어려움. 직접 요리를 담당하는 조리 사와 공급상 간의 뒷거래가 종종 큰 문제가 됨. 식재료 구매에 있어서는 어려 움이 크다고 할 수 없으나 제품의 선택이 다소 제한되어 있음. 공급상으로 주 로 교포가 운영하는 공급망을 통해 구매하거나 한국슈퍼에서 구매하며 가격 은 조금 비싼 편이며 가격 변동이 심한 편. 중간 도매상의 중간의 마진이 너무 높아 구입 시 단가가 높아짐. 공급에 차질이 되지 않도록, 환율에 따라 자주 변동하는 가격에 대한 조정 필요.
참고자료
389
9) 애로사항 □ 전반적인 애로사항 · 현재 큰 어려움은 없다. 처음 개업 당시 언어적, 문화적 등의 어려움은 누구나 겪는 것 같다. · 한국음식의 특성상 다대기나, 소스 등의 표준화가 어렵다. 중국 직원들의 잦은 이직이나 서비스 교육 등 또한 어렵다. · 개업 초기 언어 장벽으로 인한 현지인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음. · 한식당 가운데에서도 규모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는데, 작은 규모의 한식당에 까지 지원이 오게 될지에 대한 의문. 오히려 반대로 피해가 될까 우려됨. □ 표준 레시피의 필요성 · 나쁘지는 않지만, 꼭 중요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한국음식은 같은 고추장 이라고 해도 맛이나 농도가 다르다. 또한 현지 조리사에게 가르쳐주거나 할 때도 매 식당마다 각자 자신들의 식당에 맞는 맛의 레시피는 있다. 굳이 정부 차원에서 표준화하여 작성할 필요까지는 없을 거라고 생각한다. · 참고는 되겠지만 집집마다 맛의 특색이 있기 때문에 별로 도움이 되지는 않는 다고 생각. □ 한식당 인증제에 대한 의견 · 현재 본 식당은 부산 동래구와 상해 홍구구가 90년대부터 지속적인 자매결연 의 결실로 양국 구청의 협조 아래 2002년 개업하게 되었다. 올해로 양국 구청 교류의 10년째가 되어, 상해 홍구구에서 양국 구청 교류 10주년 기념이라는 현 수막 한 개를 본 식당에 걸어줬을 뿐인데, 중국 현지인들에게 반응이 좋은 것 같다. 물론현지에도 정부가 인증해 주는 것이 있기는 하지만, 한국정부에서 부 여했다고 하면, 정통 한국 맛이라는 신뢰도가 쌓일 것 같다. 물론, 몇몇 한인타 운의 협회장이라던가 하는 모임들에게만 그런 것들이 돌아가거나 한다면 신 뢰도가 떨어질 것이다.
39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고객 유치면에도 긍정적이지만, 현지에서 위생국 등 각종 절차나 규제 심사 시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인이 사장인 곳에 한하여 부여하되, 객관적이 고 분명한 기준을 세우고 평가해야 불필요한 경쟁 심리를 부추기지 않을 것 같다. · 중국인은 의심이 많기 때문에, 정부의 인증을 받음 식당은 그들의 신뢰를 얻기 에 유리하기 때문에 식당 운영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됨. · 정통 한국식당으로 분별이 어려운 상황에서 인증제도가 도움이 될 거라 생각. · 인증제도로 교포가 운영하고 있는 식당과 차별화를 원함. 한식당의 맛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현지인 혹은 교포의 음식과 정통음식을 분별할 수 있는 인증 제를 원함. · 한국음식점 간판을 내걸고 운영하는 식당 가운데 한국인이 직접 경영하는 곳 은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한국정부가 한국인이 운영하는 식당에만 인증제 도를 부과하기를 희망. □ 식당 창업, 경영에 관련된 교육과 자문의 필요성 · 행정절차, 법적절차 등이 각각의 구역과 구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동일한 서류와 절차 등이 있는데, 그런 부분들조차 잘 모르는 사람들은 당황스 럽고 어렵기만 하다.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서류와 절차, 규정들의 번역이 이루 어져서 한국인이 창업할 때 그런 부분들을 제공받게 한다면 좋을 것 같다. · 현지 사정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 현지 장소, 사람의 특성, 법률상 자문 등 방 면에 도움이 필요, 특히 중국 내에서 외국인이 창업하기 매우 어려움. □ 조리사 교육 내용 및 참여 의향 · 한국 내 신 메뉴(퓨전음식 등) 개발 정보 등을 현지에서 설명회 등의 방법으로 기회 확대, 현지에서 한국 내 한국인 요리사 채용의 네트워크 마련 기대. · 교육지원을 받으면서 시간적으로나 활용방면에서 실제로 얼마나 도움이 될지 미지수, 오히려 인터넷을 통해 얻는 정보가 시간도 절약되고 도움이 된다고 생각.
참고자료
391
· 한국 현지에서 새롭게 뜨고 있는 요리나 음식에 대한 소개 및 교육 받기를 희망. · 전통 한국음식의 맛을 유지하는 한편, 현지인의 입맛에 맞도록 일정 부분 현지 화하는 것도 중요한데, 기본적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위해 조리 사를 위한 교육이 필요. · 정부지원으로 중국 내 한식요리사 취업 기회를 확대하였으면 함. □ 한식당 네트워크 · 현재 상해지역 안에서 조차 한식당 간의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한인타운을 중심으로 그곳에서 운영하시는 분들 간의 조합은 이루어져있는 것 같지만, 사실 한인타운을 벗어난 곳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사람들과의 네트워크는 거의 없다. 일부 몇몇 사람들 간의, 일부 몇 지역 간의 네트워크가 아니라 우선은 상해 여러 지구의 식당들이 함께 연결될 수 있는 단체 등이 필 요하다고 생각한다. · 각 지역 안에서 교류도 중요해지고 긍정적일 뿐더러, 해외나 다른 지역에서 경 영하시는 분들과도 동일한 어려움이나 고민들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서 로 정보를 교류하면 좋은 것 같다. · 중국 내에 이미 大众点评이라는 사이트와 방송국 上海生活时尚 “人气美食”가 크게 성행하기 때문에 한식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보다는 현지 사이트나 방송매체에 관심을 두고 현지인들에게 홍보하는 게 더 좋다고 생각. · 현재 일부 인터넷에 나와 있는 소개 사이트에서는 단체여행 손님이 가는 식당 에 편중되어 있다고 생각. 심지어 교포들이 운영하는 한국식당에 편중되어 소 개되어 있음. · 도움이 되지만 식당마다 노하우 공유가 힘들기 때문에 지속적인 원활한 운영 에 대한 의문.
39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10) 지원 사항 □ 전반적인 지원 사항 · 한국과 한국문화를 알리는 광고, 홍보, 행사들에 대한 지원과 활동들이 지속 적,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함. · 일본 같은 경우 현지 대사관이나 정부를 통해 일회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지원 을 통해 일식이 보편적으로 자리를 잡는 데 성공을 한 것처럼 한식당을 위해 서도 지원해줬으면 함. · 해외에서 자영업을 하는 한국인들에게도 검증된 중소기업 대출, 개인 대출을 활발히 행하여 좀 더 소신 있고 긍지를 갖고 사업 확장을 할 수 있도록 금융혜 택을 받을 수 있었으면 함. □ 인테리어 / 문화 · 한국에 대해서 많이 듣고 볼 때, 한국 음식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생기는 것 같다. 실제로 대장금과 같은 한국드라마를 보고 한국 식당에 와서 그런 음식 들에 대해서 묻고 메뉴를 결정하시는 분들도 많다. · 포스터 및 소품을 전문적으로 개발 및 제작하여 웹 사이트 및 기구나 단체를 통하여 디자인을 소개하거나 구매할 수 있는 방안 마련하면 좋을 듯(예: 인터 넷 구매 공간 및 전문 사이트 마련). · 매우 중요하다. 6년이라는 한식당 경영을 통해서 드라마 대장금이 중국에서 방영된 후 한식에 대한 호감이나 인기가 그 어느 때보다 많았음을 실감하였기 때문에, 문화컨텐츠 개발이 오히려 현지 식당을 직접 지원하는 것보다 훨씬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 · 전통 한국음식의 맛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식당 내부 인테리어가 고객 확보 및 유지에 중요하다고 생각. 하지만 자재 구입 시 통관세, 허가 등의 어 려움으로 인한 한국 전통의 멋을 살리기에 어려움. ·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한국 이미지가 상승되면서 음식에 대한 호기심이나 호 감이 자연스럽게 상승되는 효과를 불러왔음. 혹은 한국재중문화교류센터 등을 통한 적극적인 한국문화나 음식을 알린다면 도움이 될 것.
참고자료
393
□ 홍보 지원 방안 · 중국 현지인들이 많이 모이는 시내 중심가 등에 한국 홍보물을 제작하여, 미디 어와 사진 등으로 광고하고, 한국음식 이벤트 등을 개최하여 알리는 활동이 필 요하다. 중요한 것은 이런 활동들은 당장에 어떤 효과나 이익으로 바로 연결되 지 못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계속 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 내에서 보여주 고, 보고하기 위한 단기적이고, 효율적이지 못한 활동은 낭비라고 생각한다. · 한국음식을 맛 볼 수 있는 음식 이벤트 또는 광고. 식당 안에서는 한국적인 분 위기 연출 등이 좋고, 한국에 대한 관심이 한국음식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39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 7> 충성고객 FGI 가. 1차 회의록 제 목
베이징 충성고객 인터뷰
피면담자1
26세 여성, 회사원, 월 소득 30,000위안 이상
피면담자2
49세 남성, 상장회사 사장, 월 소득 100,000위안 이상
피면담자3
32세 남성, 이탈리안 회사 PR, 월 소득 30,000위안
피면담자4
39세 여성, 베이징 청년보 편집기자, 월 소득 20,000위안
피면담자5
31세 남성, 회계사, 월 소득 40,000위안
면담자 작성일 목적
손주연 2009. 6. 12 한식당 고객 분석 및 Issue 파악
1) 외식 상황 □ 외식 빈도 및 종류 · 일주일에 3-4번한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퇴근 후 친구들을 만난다거나, 주말에 부모님과 외식해서 외식하는 비중이 늘어난 것 같다. · 사업상의 이유로 거의 매일한다. · 싱글이라서 매일한다. · 회식이 잦고 친구 만남이나 모임이 많아서 거의 매일한다. · 싱글이라 거의 대부분 밖에서 식사하며, take-out이나 배달은 10% 정도 이용한다. □ 선호 음식 및 이유 · 일상 시에는 회사 내 구내식당을 이용하고 친구를 만났을 때는 이탈리안, 중 식, 한식을 먹는다. 결정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이탈리안 푸드는 어릴 적부터 많이 먹었고, 한국음식은 한국 유학을 한 남자친구 때문에 자주 먹게 되었다. 주로 남자친구 만났을 때, 또는 한국 친구를 만났을 때 한식을 먹는다.
참고자료
395
· 점심은 집에서 먹는 경우가 많고, 친구와 만나면 일식이나 중식을 먹으며, 기 념일에는 내가 주주로 있는 Golden Jaguar 뷔페로 친구들을 초대한다. 외식 메 뉴는 상황에 따라 멤버에 따라 내가 정하며 서양식처럼 느끼하지 않은 일식과 한식을 좋아한다. · 일상식은 주로 회사 근처의 한국 식당을 간다. 메뉴 결정은 사람들의 의견을 물어가며 최근에 간단하고 맛있어서 한국음식을 일상식으로 먹고 있음. · 다양하다. 주로 중식이나 이탈리안 음식, 일식, 태국 음식을 자주 먹는 것 같 다. 메뉴는 대상에 따라 다르고, 주로 상대방의 의견에 따라주는 쪽이다. 개인 적으로 베트남 음식과 한식, 일식 좋아하고 한국 친구를 만나거나, 개인적으로 먹고 싶을 때 한식을 찾는다. · 일상에는 회사 주위에 있는 일식이나 한식을 가며 친구와의 만남 시에는 메뉴 선택이 다양하나 주로 ethnic food를 먹는다. 메뉴 선택 시에는 사람들의 의견 을 수렴하여 결정하며 일식과 한식. 일본과 한국에서 생활한 경험을 바탕으로 깔끔한 두 나라 음식을 사랑함. 평상시에도 한식을 즐겨먹으며, 한국 친구를 만나면 거의 한국음식을 먹음.
2) 외식 소비 패턴 · 일인당 70-80위안 정도로 정찬 시에는 두 배 정도 더 쓴다. 술과 안주는 거의 먹지 않으며 가끔 커피를 마신다. ·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간편식은 100-200위안이고, 정찬은 1000위안 정도. 커피나 음료 거의 안한다. 음식은 그때그때 다르다. 술을 마시면 소비가 많아 진다. 상황에 따라 소비가 달라지는 것이다. · 평균적으로 100위안 내외를 쓰며 정찬 시에는 가격 차이가 많이 난다. 10배 정 도. 평소에 커피를 많이 마시고 술은 마시지 않는다. · 200위안 이상으로 정찬 시에는 2배 정도 차이난다. 커피는 회사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거의 소비가 없고 술은 거의 마시지 않는다. · 간편식은 샌드위치 같은 경우 20위안 정도일 때도 있고, 주로 커피와 샌드위치를 먹으면 60위안 정도 평균적으로 소비하고 정찬일 때는 200-300위안 정도 소비함.
39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브랜드 이미지 □ 한국 이미지 · 남자친구가 부산에서 학교를 다녀서, 무의식 중에 부산이라는 이미지가 많이 떠오른다. 이미지와 소비는 크게 상관이 없다, 상대방이 먹자고 하면 먹는다. · 호텔 초대로 한국 호텔에 있는 카지노를 몇 번 가서 카지노가 떠오른다. 한식 소비에 큰 관련이 없다. · 분단국, 한국에 대한 정보가 없다. 책에서 본 것이다. · 성형과 드라마, 주변 인물들을 통해 받은 이미지이다. 한국 드라마는 유독 먹 는 장면이 많은데, 그럴 때마다 나도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 아름다운 산, 내가 근무했던 대전, 그리고 회덮밥. 나는 회덮밥을 사랑한다. 한 국에서 주재원으로 있었던 6개월간 쌓인 이미지인 것 같다. 한국 이미지와 한 식 소비는 큰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나는 이미 한식에 익숙하고, 어느 나라에 있어도 한식은 항상 먹을 것이다. □ 한국음식 이미지 및 추천 여부 · 살이 안 찐다. 가끔 추천하는데 좋아한다. · 깨끗하다. 추천은 그다지 하지 않는다. · 간단하고 맛있다. 추천하면 주변인들이 싫어하지 않는다. · 먹음직스럽고 풍성하다. 추천하는 편이다. 반응 좋다. · 회덮밥, 내 친구들은 내가 한국음식을 좋아하는 것을 안다. 의외로 한식을 접 해보지 못한 친구들이 많다. 한 번 한식을 먹은 친구들은 모두 좋아했다.
4) 한식 경험 □ 한식당 이용 패턴 및 선호 이유 · 한식을 매우 자주 먹으며 주로 친구의 소개로 여러 식당을 간다. 좋아하는 음 식은 삼겹살과 냉면인데 너무 맛있고 원래 고기를 좋아하는데, 기름을 쫙 빼 서 먹을 수 있어서 좋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다양한 한식을 먹어보았는데 그
참고자료
397
중에 자장면을 먹고 정말 놀랐다. 너무 맛있었다. 중국의 자장면과 많이 달랐 다. 달콤하고 내 입맛에 잘 맞았다. 한식의 최대 장점은 살이 안찌는 것. 내 주 위 많은 여자친구들은 한국음식이 살이 안쪄서 좋다는 말을 많이 한다. 한식 은 기름을 거의 사용 안한다. 먹고 난 뒤 바로 배가 부르지만 한 두 시간 지나 면 한국음식은 금방 다시 배가 고파진다. 아마도 heavy한 재료를 쓰지 않고, 조리할 때도 기름을 많이 사용 안해서 그런 것 같다. 남자친구가 한식에 대한 소개를 많이 한다. · 가끔 한식을 이용하며 여러 군데를 간다. 주로 먹는 한식 메뉴는 내가 육식을 좋아해서 불고기와 삼겹살인데 특히 한국식 삼겹살이 특이하고 맛있다. 가장 인상 깊었던 한식은 서울에서 한국 합작회사와 함께 한 저녁식사였는데, 다양 한 많은 음식이 많아서 이름은 모르겠으나 데코레이션도 좋았고, 음식이 깔끔 했다. 한식의 최대 장점은 간소하고 깔끔하다는 점으로 이유는 기름기가 적기 때문이다. · 거의 매일 먹는데 회사 근처에 딱 한 곳의 한국음식점이 있다. 거의 그곳에만 간다. 주로 먹는 음식은 냉면과 김치볶음밥으로 너무 맛있다. 고기를 좋아하 지 않는데, 한국음식은 heavy하지 않아 좋다. 아직 최고라 말할 수 있는 고급 한식점을 경험해보지 않았다. 친구도 있으니 소개받고 싶다. 한식의 최대 장 점은 간단하고, 필요한 영양소는 다 있을 것 같은 느낌인데 냉면만 봐도 위에 계란, 고기, 야채가 올라가 있다. 한 끼로 충분한 영양소를 다 제공하는 것 같다. □ 한식당에 실망한 경험 및 현지화 필요 여부 · 한국 자장면을 좋아해서 CJ面吧에 갔는데 맛은 없고 비쌌다. 한국 프랜차이즈 로 알고 있는데, 한국 자장면 맛이 아니었다 개인적으로 맛의 현지화에 찬성 하지 않는다. 한국 전통의 맛이 더 좋다. 아직도 한국음식을 안 먹어보았거나 잘 모르거나 극히 일부분만아는 중국인이 많다. 더 많은 한식의 홍보가 필요 할 것 같다. · 특별히 실망한 적은 없고 한국음식점은 많은데 고급 한국음식점은 너무 드물 다. 서라벌 애강산 정도. 고급스러운 한식당이 많이 생기기를 바란다.
39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식을 먹고 실망 한 적은 없다. 집 가까이에 한식당이 있다면 자주 갈 것 같 다. 내가 한국음식을 워낙 좋아한다. 최근 몇 년간 가장 많이 먹은 음식이 중 국음식보다 한국음식인 것 같다. · 한국 여행갔을 때, 신문사에서 단체로 식당을 갔는데, 삼계탕이 나왔다. 이게 뭔가 했다. 회사가 사는 것이었지만, 매우 실망스러웠다. 물에 삶은 닭이 한 마리 나온 줄 알았다. 단체로 가서 내내 음식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나로써는 식당과 집의 거리는 크게 문제 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베이징에 아주 많은 한식당이 있다. 전통적인 맛 을 자랑하는 곳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몰라서 못 가는 경우도 많다. 홍보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일식당이나 기타 웨스턴 음식점들은 그런 것에 인색하지 않은데 한식당은 제대로 된 홍보를 잘 안하는 것 같다. 여러 가 지 홍보 방법이 있을 것이다. 친구들 소개로 한국 식당을 가면 참 만족스럽다. 알려지지 않아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 크게 실망한 적이 없다. 아마도 내가 좋은 곳에만 간 것일까? 예를 들어 나는 CBD에서 일하고 거주하는데 우다코에 가서 밥을 먹자고 한다면 나는 차라리 주말에 한국을 다녀오겠다. 너무 멀다면 가지 않는다. 시간 낭비를 하고 싶지 않다. 중국에서는 현지화된 한국음식점이 너무 많다. 조선족들의 식당이 많은 데, 개조된 맛보다는 한국 전통의 우수한 맛을 소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399
나. 2차 회의록 제 목
상하이 충성고객 인터뷰
피면담자1
25세 여성, 회사원, 월 소득 4,000~5,000위안
피면담자2
24세 여성, 회사원, 월 소득 7,000~8,000위안
피면담자3
37세 남성, 대학원생/잡지기자, 월 소득 3,000~4,000위안
피면담자4
26세 여성, 교사, 월 소득 15,000위안
면담자
성기숙
작성일
2009. 6. 9
목적
한식당 고객 분석 및 Issue 파악
1) 외식 상황 □ 외식 빈도 및 종류 · 일주일에 1회 이상 외식을 한다. 혼자서 살기 때문에 해먹는 것보다 외식이 맛 도 있고 해서 집에서 음식을 하는 경우가 적다. 모임이 늘어난 것도 영향이 있 는 듯 · 일주일에 1회 정도 외식을 하는데 그다지 많이 하지는 않는다. 보통 가족과 함 께 집에서 먹는다. · 혼자서 살다 보니, 거의 매일 저렴한 음식을 위주로 외식을 하게 된다. · 일주일에 2회 이상 외식을 한다. 바쁜 직장 생활과, 대다수 젊은 사람들이 직 접 음식을 만들려고 하지 않는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 합리적인 외식가격 증 가 때문에 외식을 많이 하는 것 같다. □ 선호 음식 및 이유 · 일상에는 중국음식을 먹지만 친구와의 만남에는 한식 아니면 피자를 즐겨 먹 는다. 메뉴는 특정 인물이 정하기보다는, 모임의 성격이나 모인 사람들의 취향 에 맞춰 상황에 맞게 결정한다. 가격, 맛과 식당의 분위기 등을 기준으로 고려 해서 결정한다. 아무래도 중국음식을 많이 선호하게 되는 것 같다. 주로 부담 없이 이탈리아 음식이나, 일식 등을 많이 먹기도 하지만, 여러 명 함께 식사 하거나, 여러 연령대가 함께 모이는 경우 무난하게 모두가 좋아할 만한 음식
40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은 중국음식인 것 같다. 친한 친구 한두 명과 편하게 만나는 자리나 한국과 한 국음식에 관심이 많은 사람과 함께 식사하는 경우에 한식을 주로 이용한다. · 평소 먹는 음식의 90%가 중식이고 가끔 친구와의 만남일 때 중식, 한식, 일식 등 다양한 메뉴를 선택한다. 메뉴는 다 같이 함께 정한다. 각자 자기가 좋아하 는 것을 시키고, 동시에 그 식당의 추천 메뉴나, 특색 있는 음식 등을 고려한 다. 가격 또한 메뉴를 결정할 때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상해음식, 광동 음식, 홍콩음식으로 많이 선택하게 되는 것 같다. 대부분의 상해인들은 단 음 식을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다. 다수가 모였을 때는 모든 사람이 한식을 다 좋 아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 2-4명 가량의 소수가 모였을 때 주로 한식을 먹는다. · 평소에는 저렴한 중국음식을 즐기지만 친구와의 만남일 때 한식, 이탈리아 음 식 등 다양한 메뉴 선택. 그날 계산을 하는 사람 혹은 평소 음식을 잘 시키는 사람이 결정한다. 함께 모인 사람들의 식성, 연령, 가격, 식당의 분위기, 맛 등 을 고려한다. 고향이 산동지역이어서, 상해나 광동식의 단 음식을 그다지 좋아 하지 않는다. 산동음식, 사천음식 등을 좋아하며 한국식당에서 고기구이도 즐 겨먹는다. 여러 사람이 모이는 모임인 경우, 한식이나 기타 타문화권 음식은 피한다. 한식은 2, 3명의 소수가 모여서 식사할 때 적합한 것 같다. · 일상식으로는 저렴한 중국음식을 주로 먹으며 친구와 만날 때 주로 다양한 Ethnic Food를 즐긴다. 메뉴를 정할 때는 주로 부모님이나 음식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정한다. 가족과 친구들 대부분이상해 사람이기 때문에 익숙한 상해음 식 맛을 좋아한다. 한식은 소수가 모였을 때, 친한 친구들과의 가벼운 식사를 하기 편한 음식이다.
2) 외식 소비 패턴 · 평균적으로 한 번 외식 때 50~150위안을 쓴다. 간편식은 정찬과 약 2, 3배 정도 차이가 난다. 커피나 술 등의 부분에 많은 소비를 하지는 않는다. 식사할 때 음료를 시키거나 혹은 가끔 친구들과의 만남을 할 경우 커피나 음료, 아이스 크림점을 찾는 정도이다.
참고자료
401
· 1인 기준 50~100위안의 식사를 한다. 간편식은 10~30위안, 정찬의 경우는 매우 다양하다. 보통 100위안 이상은 지출하는 듯. 보통 식사 위주로 외식비를 지출 하기 때문에, 커피나, 술 등의 지출은 아주 적다. · 한 끼에 10-50위안 정도의 식사를 한다. 간편식은 10~20위안, 정찬의 경우는 매 우 다양하다. 보통 100위안 이상은 쓰는 듯하다. 전체 생활비의 50% 이상이 외 식비로 지출되며 커피나 술에 지출하는 비용은 거의 없다. 술에 쓰는 비용은 한 끼 식사의 5% 가량 지출한다. 따로 커피나, 술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지는 않는다. 다만 모임 등에서 여러 명이 식사하는 경우 간단하게 술을 한두 병 시 키는 경우가 있다. · 1인 기준 50위안 정도로 간편식은 20~50위안, 정찬의 경우는 매번 다르다. 보통 100~300위안 정도 하는 것 같다. 커피나 술에 지출하는 비용은 거의 없다. 커 피나 술 등을 좋아하지 않는다. 대부분 식사 위주로 외식한다.
3) 브랜드 이미지 □ 한국 이미지 · 연예인, 패션아이템들, 화장품, 음식 등이 떠오른다. 개인적으로 한국 연예인 이나 음악에 관심이 많은 이유도 있고, 개인적으로 한국 스타일의 패션이나 화장품 등을 좋아한다. 한국에 관심을 갖다보니 자연스럽게 음식도 좋아하게 된 것 같다. 예를 들어 한국 드라마 같은 것을 보면서, 한국음식을 먹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그래서 먹어 본 경우도 많다. · 한국음식, 연예인, 민족단결, 예의가 떠오른다. 한국 드라마와 주변 한국인 지 인들을 통해서 형성된 것 같다. 개인적으로 본래 한국음식을 좋아하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어떠한 이미지와는 상관없이 정기적으로 한번씩 한국음식을 찾 게 되는 것 같다. · 한반도 지도, 북한이 떠오른다. 어린 시절 학교에서 받았던 교육 때문인 것 같 다. 한국에 대한 어떤 이미지 때문이 아니라, 개인적인 음식 취향에 따라 소비 하는 것 같다. · 서울이 떠오른다. 한국의 대표되는 수도이고 드라마 같은 곳에서 종종 나와서.
40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한국음식 이미지 및 추천 여부 · 기름기가 적고, 마늘이나 고춧가루 같은 매운 양념이 떠오른다. 부대찌개, 춘 천닭갈비 등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음식들도 떠오른다. 한식을 좋아해서 주변 인에게 추천해본 적이 있다. 떡볶이, 불고기, 비빔밥 등 보편적인 한국 음식들 은 대체로 무리 없이 좋아하는 것 같다. 하지만 새롭고 독특한 것을 그다지 좋 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싫어하는 것 같다. · 고기구이, 매운맛, 붉은색이 떠오른다. 한국음식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 아서, 일반적으로 추천하지 않는 편이다. 보통은 특정한(한식을 좋아하는) 지 인 및 친구들과 함께 먹는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 사이에서는 서로 메뉴를 추 천하기도 한다. · 김치, 고기구이, 비빔밥이 떠오른다. 주변인에게 자주 추천을 하는데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고,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대부분은 그럭저럭 좋아하는 것 같다. · 김치, 냉면이 떠오르며 젊고 친한 사람들에게는 종종 추천한다. 맛있다고 한다.
4) 한식 경험 □ 한식당 이용 패턴 및 선호 이유 · 가능하다면 매일이라도 먹고 싶다. 일반적으로 1달에 1, 2회 정도 한국식당에 서 외식을 하는 것 같다. 여러 종류의 한식당을 가는 경우가 많다. 약속이나, 그때 상황에 맞추어 가깝고 만나기 편한 장소에서 식사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 런 것 같다. 대부분 시내 중심가의 교통이 편리하고, 서로 만나기 편한 장소 근처의 한식당을 간다. 좋아하는 음식은 삼겹살, 해물파전, 떡볶이, 김치찌개 인데 가장 보편적인 한국음식이라는 점과 일반적으로 함께 식사하는 사람이 무리 없이 좋아하는 음식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먹어본 한식 중에 가장 맛있 는 한식은 안동찜닭, 춘천닭갈비, 삼겹살이다. 삼겹살은 보통 중국인들과 마찬 가지로 언제 어디에서 먹어도 맛있는 음식인 것 같다. 안동찜닭과 춘천닭갈비 는 올 초 한국 여행 갔을 때 먹었는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 아쉽게도 상해에 서는 두 음식을 하는 식당이 없는 것 같고, 또 있다 하더라도 한국에서 먹었던 맛과는 분명 다를 것 같다. 한식만의 매력은 맵지만, 매운맛 속에 단맛과 입안
참고자료
403
에 가득 퍼지는 독특한 맛이 입맛을 돋우는 것 같다. 한식에 관한 정보는 한국 드라마 같은 것을 보고 호기심에 찾아서 먹어보거나, 여행책자나 인터넷 추천 음식 등을 통해서 알아간다. · 일반적으로 1달에 1, 2회 정도 한국음식을 먹는다. 집 근처의 한두 곳을 자주 찾는 편이다. 물론 다양한 식당에서 다양한 메뉴와 맛을 경험하고 싶은 마음 은 있지만, 편하고 익숙하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한두 곳의 식당을 자연스럽 게 자주 찾게 되는 것 같다. 가장 좋아하는 한식은 불고기, 잡채, 떡볶이, 김밥, 김치찌개이다. 개인적으로 입맛에 잘 맞기 때문이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한식 은 한국에서 먹었던 회였는데 예를 들어 산낙지 같은 경우는 중국에서 먹어 보지 못한 것이어서, 특별하고 재미있었다. 처음에는 조금 징그러웠지만, 맛을 보니 독특하고 맛있었다. 한국음식만의 장점은 향, 매운맛, 진하고 깊은 맛이 다. 한식의 어떤 맛은 중국의 특정지방 음식의 맛과 유사한 듯하다. 개인적으 로 인터넷 등에서 정보들과, 주변 한국 친구들과의 교류 중에서 알게 되었다. · 일반적으로 1달에 1, 2회 정도 한 곳을 가는 편이다. 가깝고, 분위기 좋고, 서비 스가 좋다. 한식당에 가면 고기구이 위주로 많이 먹는다. 개인적으로 입맛에 잘 맞기 때문이며, 함께 먹는 사람들도 무리 없이 누구나 좋아하기 때문이다. 또 고기와 야채를 한꺼번에 섭취할 수 있어서 좋다. · 일반적으로 1달에 1, 2회 정도 한식을 즐기는데 한 곳만 자주 가는데 가까워 편하고, 그곳의 맛에 익숙해져서 간다. 주로 먹는 한식은 계절에 따라 다르다. 여름엔 냉면을 자주 먹고, 겨울에는 고기구이나, 탕, 찌개 등 따뜻한 음식을 많 이 먹는다. 냉면의 경우 새콤달콤한 맛이 좋다. 제일 좋아하는 한식은 여름에 먹는 냉면이다. 입맛에 맞는다. 새콤달콤하고 시원해서 여름에 적합한 음식인 것 같다. 한식의 장점은 간장 등으로 요리한 달달한 맛이 상해인의 입맛에 맞 는다. 주로 식당의 추천 메뉴를 먹으며 주변인의 추천으로 식당을 찾는다. □ 한식당에 실망한 경험 및 현지화 필요 여부 · 한국 여행 중 포장마차에서 가볍게 이것저것 시켜서 먹어 본 적이 있는데, 가 격은 비싸고 양은 매우 적어서 실망한 적이 있다. 한식의 현지화는 반대한다.
40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상해에서 정통 한식을 맛 볼 수 있는 곳은 사실 한국인들이 많이 거류하고 있 는 한인타운 근처이다. 그런 몇 곳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내중심가에 위치한 한 식당들은 그 맛이 너무 현지화되어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렇게 현지 화는, 한국음식을 잘 모르는 중국인들의 경우 이런 현지화된 한식의 맛을 정 통 한국음식의 맛으로 오해하고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 평소 아쉬워 하고 있었다. 한국에서 정통 한식의 맛을 경험한 사람들은 대부분 나와 같은 생각이다. 적당한 가격 선에서 중국인들이 많이 모이는 중심가에 한국 식당을 많이 개점하여, 일반인들에게 김치찌개, 된장찌개, 김치 같은 한식에 대해서 알리고 친숙하게 한다. 또한 모든 중국인들이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것이 아 니므로 한식당에도(일반적으로 중국음식에서 매운 요리들은 매움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아주매움, 약간매움, 안매움으로) 고춧 가루가 들어간 매운 음식에 그 매운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매운 음식 을 잘 먹지 못하는 사람들도 한식을 즐길 수 있게 해야한다. · 아직 한식을 먹고 실망을 한 적이 없다. 현지화에 찬성하는데 모든 음식에는 고유의 특색이 있기 마련인데, 너무 정통성만을 고집하다 보면, 대중성을 잃게 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같은 요리라고 할 지라도 중국 내에서도 각 지방에 따라 전체적인 맛과 향이 다르다, 이처럼 한국음식도 현지인의 입맛과 취향을 고려하여 변해야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 로 현지인의 음식문화, 습관, 입맛 등을 고려한 음식 맛 개선을 해야 함 · 맛이 없는 경우. 이전에 먹었던 맛과 너무 확연한 차이를 느끼는 경우 실망한 다. 한식의 현지화에 대해서는 반대한다. 한식만의 특색이 없어진다. 한국음식 자체의 특색 있는 맛을 보존해야 하며, 고급화된 식당과 저렴한 대중적 식당 두 가지 방향이 모두 필요하다. · 맛이 없는 경우나 양이 많이 줄어든 경우 실망한다. 현지화에 대해서는 동의한 다. 고유한 특색 있는 맛은 지켜야겠지만, 현지인의 입맛과 식성을 고려하여 약간의 현지화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점심 특선 등 저렴하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메뉴 증가, 시내 중심가 등 많은 곳에 식당 수를 늘렸으면 좋겠다.
참고자료
405
<참고 8> 중국 유망한식 발굴 가. 방법론 · Research &Analysis, Decision Making, Develop, Feed Back, Confirm의 4단계를 거 쳐 대표 메뉴를 개발 <그림> 메뉴개발 방법론 1. Research & Analysis
2.Decision Making
3. Develop
4. Feedback & Confirm
1) Research &Analysis 단계에서는 시장 조사 및 고객/업주 인터뷰 수행 · 중국 고객 Survey 분석 -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음식이나 조리법, 식자재를 조사 · 중국 외식 Trend 분석 - 중국의 외식산업 최근 Trend에 대해 조사 · 한식 자체 경쟁력 분석 · 중국 내 한식당 업주 인터뷰 분석 - 업주 인터뷰를 통해 고객이 선호하는 한식 메뉴, 레시피와 식자재 조달 용이 성 조사
2) Decision Making 단계에서는 메뉴 선정을 위한 기준 및 1차 후보 메뉴 선정 · 유망한식 메뉴 선정 기준 - 매력도 측면 : 메뉴 선호도, 식재료 선호도, 조리법 선호도 등 - 가능성 측면 : 식재료 조달 가능성, 조리 용이성, 법적 규제 등 · 1차 후보 메뉴 선정 · 검증 interview - 20여 명의 학계, 기업인, 호텔 한식당 조리장 등을 대상으로 1차 후보 메뉴의 적합성 검증
40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Develop 단계에서는 Recipe를 개발하고 국내 중국인 대상의 테스트 수행 · 선정 한식 레시피 개발 · 선정 한식을 기반으로 한 코스/세트 메뉴 개발 · 국내 체류 중국인 대상 Test <그림> 메뉴 개발
4) Feedback &Confirm 단계에서는 현지인 대상의 테스트를 거쳐 Recipe 수정 · Market Test 및 Feedback 반영 · 최종 평가회 개최 · DB작업 및 사진/동영상 촬영 <그림> 중국 Market Test
참고자료
나. 선정 메뉴
권역별 유망한식 메뉴개발 Recipe [중국] -단품메뉴 5종
갈비 찜 너비아 니 삼색 전 떡볶 이 삼계 탕
-코스요리 4종
407
40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09
41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11
41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13
41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15
41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17
41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19
참고자료
Dessert Menu Development [두텁편 & 복분자 배숙]
421
42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23
42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자료
425
42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 9> 지역별 유통시장 현황 가. 베이징 <표> 2007년 베이징시 유통 형태별 비교 항목
기업 수
점포
종업원 수
영업면적 (㎡)
판매액 (억 위안)
Hyper/Super market
27
1,553
51,627
2,090,460
315.9
Conveniencex Store
11
701
5,797
102,332
18.4
* Source: 北京信息统计网
· Hypermarket의 기업 및 점포 수가 Convenience Store의 약 2배임 <표> 2007년 베이징시 Hyper/Super market 경쟁 현황 상호
베이징 점포 수
중국 내 점포당 평균 매출 (억 위안)
家乐福(까르푸)
11
3.03
乐购(테스코)
2
2.11
易初莲花(로터스)
8
2.07
好又多(하오요뚜어)
4
1.31
沃尔玛(월마트)
6
1.29
世纪联华(스지리엔화)
6
0.89
物美(우메이)
15
0.87
* Source: 北京市商业信息中心
· Hypermarket의 경우 외국계 소매 업체가 우위이지만 중소형 슈퍼마켓은 로컬 기업이 시장을 주도 · 베이징 소비자의 대형 슈퍼마켓에 대한 평가에서 고객 만족도 74.11점, 긍정적 기업 이미지 77.88점, 고객 충성도 74.73점, 고객 불만족도 32.94점으로 소비자 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경화시보)
참고자료
427
나. 상하이 <표> 2007년 상하이시 Hyper/Super market 경쟁 현황 상호
상하이 점포 수
중국 내 점포당 평균 매출 (억 위안)
家乐福(까르푸)
19
3.03
乐购(테스코)
18
2.11
易初莲花(로터스)
21
2.07
好又多 (하오요뚜어)
10
1.31
沃尔玛(월마트)
3
1.29
世纪联华 (스지리엔화)
29
0.89
소유회사
월마트
* Source: 上海市商业信息中心
· 2008년 상하이의 소매유통 네트워크는 총 12,608개로 이 중 Hyper/Super market 은 2,078개, 편의점은 4,135개임 · Hyper/Super market의 경우에는 2007년 점포 수 기준으로 世纪联华(스지리엔화) 가 가장 많은 점포를 보유하고 있으나 점포당 평균 매출액은 외국계 소매업체 들이 더 높음 · 점포의 분포에 있어서易初莲花(로터스), 家乐福(까르푸), 乐购(테스코) 등 외국 기업간 경쟁이 심함
다. 다롄 <표> 2007년 다롄시 Hyper/Super market 경쟁 현황 상호
다롄 점포 수
중국 내 점포당 평균 매출 (억 위안)
家乐福(까르푸)
3
3.03
乐购(테스코)
3
2.11
好又多(하오요뚜어)
3
1.31
沃尔玛(월마트)
3
1.29
소유회사
월마트
* Source: 大连市商业信息中心
42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로컬기업인 따샹(大商)그룹의 매출액이 55% 점유율을 차지하면서 독보적인 위 치에 있기 때문에 기타 소매기업의 시장 경쟁이 어려워짐 · 다롄 소매업의 점포당 평균 면적은 1.12㎡에 불과 · 최근 월마트와 까르푸가 Hypermarket 시장에 진출하여 외국기업과 로컬기업의 경쟁이 시작됨
라. 칭다오 <표> 2007년 칭다오시 Hyper/Super market 경쟁 현황 상호
칭다오 점포 수
중국 내 점포당 평균 매출 (억 위안)
家乐福(까르푸)
2
3.03
易初莲花(로터스)
1
2.07
好又多(하오요뚜어)
1
1.31
沃尔玛(월마트)
1
1.29
* Source: 青岛市商业信息中心
· 칭다오의 Hyper/Supermarket은 다른 대도시에 비해 그 숫자가 많지 않음 · 그러나 칭다오의 잠재력을 감안하면 향후 활발한 진출이 예상됨
마. 광저우 <표> 2007년 광저우시 Hyper/Super market 경쟁 현황 상호
광저우 점포 수
중국 내 점포당 평균 매출 (억 위안)
家乐福(까르푸)
5
3.03
好又多(하오요뚜어)
16
2.07
易初莲花(로터스)
3
1.31
* Source: 廣州市商业信息中心
· 광저우는 전문 도매시장의 발달로 소비자 구매 중 상당 부분이 전문 시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유통 채널로서 전문 도매시장의 영향력이 큼
참고자료
429
<참고 10> 한식 재료 유통업체 및 마트 List <표> 한식재료 구매처 현황 지역
업체명
북경 25시편의점
연락처
주소
6470-2121
북경 가락동정육점
8472-9925
북경 경복궁김치
8471-2091
북경 경풍식품
8770-0897
북경 고려식품
6547-7258
북경 고모네반찬전문점
6477-2967
북경 광주정육식품점
6586-5733
북경 금마차식품
6464-9880
북경 금시홍일마트
5209-8075
望京
북경 낙원슈퍼
6470-7733
望京3區
북경 낙원식품
6470-6841
북경 대미식품
6875-4326
북경 대항로24시편의점
6234-1178
북경 동서식품
8430-2432
북경 동원식품
8430-2432
북경 두산식품
8490-3882
북경 락원식품
6473-7545
望京
조양구
五道口非常
북경시조양구왕징서원3구316동1층 北京市丰台区南四环中路城南嘉园益城园16号楼乐
북경 롯데마트 꽁이시챠오점
8756-4521
북경 롯데마트 쓰다우커우점
6437-8008
북경 롯데마트 양차오점
6725-1166
北京市丰台区大红门西路19号
6437-8008
朝阳区酒仙桥路12号
북경 롯데마트 청원먼점
6717-8003
北京市崇文区崇外大街18号国瑞城中区3号楼地下
북경 롯데마트 통저우점
6051-8827
북경 롯데마트 왕징점
6437-8008
북경 맛있는김치
5131-0156
북경 묘향산김치
6558-9533
북경
롯데마트 지우시앤챠오 점
天玛特公益西桥店 北京市海淀区四道口路2号(京果商厦地下一层) 原四道口果品批发市场
北京市通州区通惠北路甲27号(八里桥农产品中心 批发市场内) 广顺北大街17号六佰本商业区
비고
43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북경 미도파정육점
8472-3070
북경 미은식품점
6231-1742
북경 미키24시편의점
8286-3725
望京 해정구오도구화청가원8동내
북경 믿음마트
8476-3467
世宗大厚
북경 부광음식상가
8472-5207
北京市 朝陽區왕징남호종합시장 17호
북경 삼신식품
6472-6424
북경 서울마트
6460-9178
牛王廟
북경 성우슈퍼
6471-1551
望京 望京
북경 성호가24시편의점
6471-7615
북경 소망김치
8471-7229
북경 순의구한국마트
6746-5743
북경 스마일슈퍼
6234-5201
북경 신라식품
6495-1414
북경 신호마트
6427-4359
북경 싸울아비
8267-3355
五道口
북경 아름단가게
8657-2943
北京市 通州區 北苑 77號(北苑배)
북경 아지매식품
8155-7043
북경 엄마손김치
6475-5448
북경 오림마트
6475-0732
북경 왕징식품
6470-8013
북경 왕징식품
6470-8013
북경 용유동한국식품
6547-7259
북경 우래식품
6475-0876
북경 우리집반찬
8658-6705
북경 은주식품
6475-6193
북경 은혜마트
8448-5741
북경 이모네반찬
6474-6576
북경 이민마트
6474-5051
북경 정도식품
6474-2504
북경 정원식품
8125-7232
북경 정일품정육점
6478-6238
북경 조은식품
6475-5721
북경 종갓집김치
6461-9671
북경 진달래정육점
8448-5451
북경 진향식품
6239-9131
왕징시서원3구312동1층
북경시서호종합시장
南湖市場
望京來廣營朝來萬通批發市場2區4排32號
참고자료
북경 창안편의점
6439-8856
북경 창용24시편의점
6470-8013
북경 창용식품
5127-6086
북경 천일마트
8266-3812
북경 청록원김치
8902-1351
북경 청록원식품
8902-2755
북경 청보식품
8778-1385
북경 초월우신정육점
8456-4687
북경 팔통25슈퍼
6470-2121
북경 평양묘향산김치
8576-4242
望京4區 五道口
望京3區
북경 푸른나무
6231-8113
五道口
북경 프라임마트
6475-2371
望京
북경 프라임정육점
6471-5072
望京
북경 하나마트
6475-4121
望京
북경 하선정김치
6152-0360
북경 하오마트
8286-3729
북경 한상김치 왕징점
8491-3068
북경 한성궁식품
8457-4748
북경 한얼푸드콤
5127-6063
북경 항수유기농입쌀
6470-4255
五道口
望京
북경 해오름마트 왕징점
6477-2733
조양구
북경 해오름마트24시
6477-2733
望京
북경 해은식품
8658-7180
북경 홍보식품
6474-7693
북경시조양구왕징남호종합시장C-59호
북경 홍승희찬방
8090-0666
綜合市場
북경 후레쉬마트
6474-5051
望京
북경 E마트
6475-4689
북경 E마트
8286-5553
五道口
북경 KBS한국슈퍼
8286-6720
五道口
북경 PANDA편의점
6472-5112
청도 강양식품
319-1118
청도 개미식품
591-8912
청도 고향옥김치
482-3770
청도 금호식품
870-3388
청도 농심식품 청도점
527-0168
청도시고과원주주로동단
431
43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청도 다원식품 청도점
234-1210
청도 다해식품
526-2025
청도 대교식품
725-9042
청도 대남식품
520-2460
청도 동방식품
311-3466
평도시란적진
청도 미리나식품
587-1327
청도 사랑의 반찬집
762-6778
청도 산구식품
575-8518
청도 삼성식품
572-5306
청도 삼양식품
889-7211
청도시홍콩동로산동두촌 평도시곽좡진와자구촌
청도 세유식품
232-5511
청도 송원식품
569-2502
청도 순이네식품
471-9028
청도 순창마트
588-3583
청도 신송식품
471-6302
靑島市市南區香港花園彎仔區8號樓 청도시동해로51호화달아파트
청도 신원식품
848-8134
래서시연대로109호
청도 엘림마트
889-2648
청도시고과원진령로8호한중상무중심1층 래서시강산진
청도 오성식품
641-1295
청도 옥해식품
328-1371
청도 우리식품
333-3118
청도 우창식품
338-8883
청도 유정진식품
482-5157
청도 유진식품
773-7416
청도 일미식품
889-1729
청도 장가루식품
413-2798
청도 정원식품
322-3138
청도 준영식품
229-1508
청도 지모한국식품
858-8122
청도 지수네식품
762-4311
청도 진수성찬
763-8581
청도 진이식품
775-2270
청도 창원식품 이촌점
762--0400
청도 창원식품
471-0539
청도 창원한국식품
771-1539
청도 천지식품
616-1411
평도시운산진홍산촌
청도시성양구전왕탄촌남탄공업원
청도시성양구남탄촌
참고자료
청도 천하식품
323-2677
청도 청도경복궁김치
6402-3889
청도 청록식품
773-1747
청도 청복식품
227-9446
청도 청양마트
776-5080
上海市长宁区娄山关路83号新虹桥中心大厦1004A 室 청도시성양구후전촌
청도 청원
786-7120
청도시성양구동촌
청도 청원리식품
775-3977
청도시성양구
청도 청초식품
323-2677
청도 청해식품
587-1267
청도 케터링식품
588-1267
청도 태농식품
641-1401-2
청도 풍성식품
234-1383
청도 풍원식품
251-0599
청도 풍화식품
783-9220
청도 한국식품
853-5141
청도 한국종합식품
589-8700
청도 한국청양식품
720-0002
청도 한마음식품
386-3478
청도 한성식품
889-1357
청도 한양식품
482-3541
청도 한양한국식품
763-9013
청도 한영식품
520-5355
청도 한한홍마켓
763-8990
청도 호호식품
562-6567
청도 희선당식품
레서시강산지공업원
청도시홍도진서대양촌
靑島市海口路78號
李村河路1160號맞은편
213-1268-9
청도 K마트 동해로본점
801-3345
靑島市崂山區海口路68號凱伦花圓2號樓101網点
청도 K마트 청양점
776-6655
靑道市城陽區長城路南端 靑道市市南區基隆路8號
청도 KSF한국종합식품
589-1950
상해 1004마트
3431-1004
상해 강강술래식품
6270-8866
상해 상해
갤러리아할인마트 롱바 이점 갤러리아할인마트 중산 공원점
6465-0171 5118-7045
고북신구보석공우35호102실
433
434 상해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갤러리아할인마트 민항 구점
3432-3761
상해 경복궁김치
6114-5035
상해 국화네식품 청가쵸점
6446-1071
상해 국화네식품 태양시장점
6261-0375
상해 국화네식품 포동점
6242-2920
상해 국화네정육점
6446-1071
상해 김씨마트
6405-4556
상해시 민항구 홍천로 1000호 정정빌딩 1층(풍도 국제상가 건너편) 홍송로 63호
상해시홍중로436농23호
상해 낙원식품
6208-0559
상해시고북고양로1102호
상해 다원식품
6262-9464
상해시자덩로275호
상해 동해편의점
5476-1673
상해시민행구홍송로381호
상해 련화식품
6261-5662
상해 만나식품
6461-1240
상해 무지개마트
5485-4735
상해 미미정육점
5033-9979
상해 백씨 육류 도매센터
2917-7481
上海市浦东区花园石桥路162号 浦东 丁香路1187(靠近芳甸路)렌양까르푸 중국은 행 건너편 마트,식 당 도매 전문
상해 부자아빠김치 포서점
5102-9005
상해 상해순창마트
3416-0426
상해시칠신로보남서로15호
상해 상해장춘식품상점
6372-2926
上海市浦西区淮海中路619号
상해 서울마트
6270-9930
상해 순창마트
3415-0426
상해 씨티마트
6461-7942
상해 아리랑식품
5449-0763
상해 엄마솜씨
5102-8295
상해 엘림농원김치
6495-6057
상해시홍교로1919호 上海市闵行区吴中路2358号(상해엔젤유치원 맞은 편) 上海市闵行区七莘路3333号万科城市花园7区21号 109 上海市闵行区沪青平公路101弄2号楼203室
상해 영덕식품
6449-7052
上海市闵行区红松路龙白公寓105号102室
상해 오아시스편의점
6402-9154
상해시홍정로황화로85농1호101실
상해 온누리식품
5413-0645
상해 우리집김치
6275-6416
상해 이선옥김치
6242-1404
上海市长宁区延安西路2299号
참고자료
상해 장금식품
6591-1557
상해 장백산토산식품
6449-8894
상해 제일식품
6268-5429
상해 종가집김치
6451-7486
상해 청도경복궁김치 포서점
6402-3889
상해 청도경복궁김치 포동점
5895-0929
상해 청수김치
6442-2309
상해 포동서울식품
5891-9034
상해 포동한국식품
5877-2832
상해 포동Q마트
6954-5128
상해 포동Q정육점
5833-5838
상해 하오마트 정육점
3432-0745
상해 한국식품점
133-7189-2806
상해 한도식품
130-0032-5677
상해 해진식품
6261-0378
435
上海市长宁区娄山关路83号新虹桥中心大厦1004A 室 상해시 민행구 금휘로 上海田本园实业有限公司 上海市闵行区都会路2385 号101室
룽바에, 상해 햇찬방
6449-6929
상해 햇찬방 완커점
6461-9225
상해 행복한마트
6208-4321
상해 화기한국식품
6242-5248
상해 K마트
5476-1182
텐진 가나마트 안산시도점
2737-4770
텐진 가나마트 오룽점
8829-7751
텐진 가나마트 화위엔점
2373-5971
텐진 가동정육점
8829-8232
텐진 경북식품
2373-3753
텐진 고기나라수랏간
8741-1003
텐진 고려식품
2939-1280
텐진 광동식품 메이쟝점
8838-2831
텐진 광동식품 홍칸점
2749-5377
텐진 구구식품
2223-5054
홍승루 78호
구베이 배달 가능
상해시홍송로96호A좌
43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텐진 금화식품
2631-2253
텐진 대미식품
2746-4417
텐진 대양식품
2392-5377
텐진 대장금식품
2688-8320
텐진 대정식품
2421-2476
텐진 대한식품
2734-7111
텐진 동북식품
2824-3738
텐진 두루식품
2338-1670
텐진 마을식품
8851-6593
텐진 목단강식품 동려구점
2493-3325
텐진 목단강식품 왕딩디점
2361-2040
텐진 목단강식품 재경대점
8139-3871
텐진 무궁화식품
8873-0178
텐진 문철식품
2355-5533
텐진 반찬나라
2738-0729
텐진 백예식품
2661-2303
텐진 부광식품
2392-8000
텐진 상아식품
2854-0860
텐진 상우식품
2521-5155
텐진 서울마트
2497-4100
텐진 서울식품 천진개발구점
6629-2207
텐진 서울식품 함수구점
2851-0072
텐진 성미식품
2746-4417
텐진 세도한국식품
2583-1591
텐진 수원식품
8829-7751
텐진 쉐라톤슈퍼마켓
2392-2808
텐진 신세계식품점
2496-3377
텐진 아세아식품
2644-0640
텐진 아씨슈퍼
2530-2332
텐진 엄마손김치
2748-0900
텐진 연옥식품
2644-0540
텐진 우리마트
2747-7953
텐진 유복식품
2371-6513
텐진 일봉식품
2373-5492
텐진 지미김치
2391-8114
참고자료
텐진 지성식품
8351-2253
텐진 지월식품
2497-7616
텐진 지현식품
8879-0638
텐진 진선식품
8988-2685
텐진 진성식품
2392-9488
텐진 진향식품 남개구점
2395-1543
텐진 진향식품 메이쟝분점
8838-3353
텐진 진향식품 양촌점
2934-5239
텐진 진향식품 화웬분점
2373-0040
텐진 창룡식품 동려구점
2497-3661
텐진 창룡식품 아오청점
2393-3322
텐진 창룡식품 하서구점
8829-4949
텐진 창해식품
8836-8073
텐진 천강식품
8112-8897
텐진 천일식품
2493-1563
텐진 청록원김치
2301-8422
텐진 청송식품
2355-1958
텐진 청양식품 양촌점
1333-201-5939
텐진 청원식품 남개구분점
2748-4663
텐진 청정원식품
2496-7814
텐진 청정원식품 분점
2748-4663
텐진 청해진식품
8395-7110
텐진 풍년식품
8493-0466
텐진 풍림식품
2395-7873
텐진 하나마트
2337-6637
텐진 하이마트 왕란점
2392-1334
텐진 한마음정육점 아오롱점
8829-2461
텐진 한마음정육점 탕구점
5982-5175
텐진 한일식품 양촌점
8216-0664
텐진 한정성식품
2367-4400
텐진 할매식품
2499-3167
텐진 해룡식품
2662-1779
텐진 향란식품
8493-2333
텐진 화혁식품
2803-0002
텐진 E마트
2749-8283
437
43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참고 11> 중국 내 공항 한식당 입점 관련 정보 가. 북경 수도 국제 공항 1) 일반 개황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 베이징 차오양 구에 위치한 베이징 제일의 국제공항 · 국영기업인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유한공사에 의하여 관리 · 2차 세계대전 전쟁배상금 청구의 철회에 대한 회답으로 일본 내각에 의해 제 공된 저리의 정부 개발원조(ODA)를 통하여 1999년 2터미널을 신축 · IATA 코드는 베이징의 예전 로마자표기인 “Peking”에서 유래해 ‘PEK’임 <그림> 북경수도국제공항
·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은 2003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사스) 사태 이 후로 매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제일 크고 가장 교통량이 많은 공항으로 성장 · 베이징을 기점으로 하여(화물편을 제외한) 120여 개 도시를 연결하는 중화인민 공화국 제1의 항공사인 에어차이나의 메인 허브이기도 하며 그 밖에 하이난항 공과 중국남방항공 역시 이 공항을 지역 허브로 삼고 있음
참고자료
439
· 지난 10년간 공항 교통량 세계 순위에서 가파르게 상승 · 2001년에는 2418만 명을 수송함으로써 승객 수송량수로 세계 30위에서 밑돌았 으나, 2008년에는 5594만 명의 수송량을 기록하여 세계 8위 기록 - 2005년 1월부터 9월까지 승객 수송 인원은 3014만 3003명이며, 1997년 이후로 홍콩 국제공항을 제치고 중화인민공화국 최대의 공항이 됨 · 2008년 수도 공항은 431,670회의 이착륙 수를 기록함으로써 세계에서 21위를 기록(아시아 유일의 30위권 공항) · 화물처리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8년에는 1,365,768톤수를 처리 하여 세계18위 기록 · 승객수송 기준으로는 2005년에 아시아에서 2위, 세계에서 14위를 기록 · 베이징수도 공항은 2008년에 두바이 국제공항 3터미널에 이어 단일 터미널로 는 두 번째로 큰 3터미널을 개장
2) 항공편 현황 · 국내선이 81.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한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의 비중이 12.6%로 연간 약 700만 명 정도로 추정 · 유럽 항공편은 3.9%로 연간 약 218만 명이 공항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 <그림> 항공편 지역별 비중 아프 리 카 0.3%
유럽 3.9%
북미 1.5%
아 시아 12.6%
국내 81.7%
* Source: AccentureAnalysis(http://en.bcia.com.cn/ 참고하여 작성)
44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 Concessions · 2005년부터 2008년까지의 북경수도국제공항의 연도별 concessions 매출액은 연 평균 22.31%의 급성장을 보임 · 특히 2008년에 급격하게 성장하였음 - 2008베이징 올림픽의 영향으로 공항 이용객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 <그림> 북경수도국제공항 연도별 Concessions 매출액 176
(단위: Million USD)
104 64
2005
84
2006
2007
2008
* Source: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Company Limited 2008 Annual Report
· 2008년의 북경수도국제공항 각 항목별 매출액 비중을 보면 Concessions 매출액 의 비중은 공항이용료(23.2%), 이착륙비용(22.1%)보다 많은 26.1%로 공항이 얻 고 있는 수익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그림> 2008년 북경수도국제공항 항목별 매출액 비중 Rentals 11.7%
Other 0.6%
Passenger Charges 23.2%
Concessions 26.1%
Airport fee 15.6%
Aircraft movement fees and related charges 22.1%
* Source: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Company Limited 2008 Annual Report
참고자료
441
· Concessions Businesses별 매출액 비중을 보면 광고를 통한 수익이 54.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음식점이 차지하는 비중은 6.5%임 <그림> 2008년 북경수도국제공항 Concessions Businesses별 매출액 비중 Ground ha ndling service 6.3%
Air Catering 0.5% Other 0.6%
Restaurants and food shops 6.5%
Advertising 54.6%
Retailling 31.5%
* Source: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Company Limited 2008 Annual Report
4) 음식점 · 음식점은 총 92개이며, 그 중 2008년 신설한 제3터미널에 많은 음식점이 입점 · 디저트, 카페 등의 기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 한식당은 3개소로 일식(11개소) 대비 적은 비중 차지 <표> 북경수도국제공항 외식 업체 분류 구분
한식
중식
이슬람
양식
패스트푸드
일식
태국식
기타
계
T1
0
4
0
1
1
0
0
5
11
T2
1
10
1
0
3
4
0
12
31
T3
2
5
1
1
3
7
1
30
50
계
3
19
2
2
7
11
1
47
92
* Source: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Company
44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 바쁘게 이동하는 공항 이용객의 특성에 맞는 음식점 입점 - 카페가 공항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음(37%) - 중식의 대부분은 가볍게 먹을 수 있는 패스트푸드성 음식점이 대부분 - 일식의 경우에도 요시노야와 같은 패스트푸드성 일식집이 입점 <표> 북경수도국제공항 외식업체 List 구분
위치
식당명
취급 품목
영업시간
연락처
1층
星巴克咖啡 STARBUCKS COFFEE
카페
8 : 00-22 : 00
010-64540916 010-64585214
时光咖啡 COFFEE TIME
중식
7 : 00-21 : 00
중식 패스트푸드
7 : 00-21 : 00
010-64540813
서양식
7 : 00-21 : 30
010-64540812
카페
6 : 00-23 : 00
010-64590766
카페
7 : 00-21 : 00
010-64585794
上岛咖啡 UBC Coffee
카페
7 : 00-22 : 00
010-64506022
星阳舫餐厅
중식
10 : 00-21 : 00
010-64540820
空港休闲中心
찻집
7 : 00-22 : 00
010-64598882
중식 패스트푸드
6 : 00-22 : 00
010-64540829~30
서양식 패스트푸드
7 : 00-23 : 00
010-64506003~4
保持联络 乐杰士餐厅 Le Jazz 2층 제1 터미널
3층
坤丝咖啡 The Queen’s Café 酷浪咖啡 Coolava Islands
紫悦餐厅 肯德基 KFC
지하 清真餐厅 1층
제2 터미널
할랄 요리
10 : 00-21 : 00
010-64592954
华园餐厅
중식 패스트푸드
10 : 00-21 : 00
010-64592954
中华美食街
중식 패스트푸드
10 : 00-21 : 00
010-64592954
肯德基 KFC
서양식 패스트푸드
6 : 30-23 : 00
010-64563139
寿寿女
일식
6 : 00-22 : 30
010-64597005
麦麦面
일식
6 : 30-21 : 00
010-64590316
坤丝咖啡 The Queen’s Café
카페
7 : 00-21 : 00
010-64540832
중식 패스트푸드
6 : 30-20 : 30
010-64598530
카페
6 : 00-00 : 00
010-64596130
서양식 패스트푸드
7 : 00-23 : 00
010-64563137
카페
-
010-64598130
중식 패스트푸드
6 : 30-21 : 00
010-64598532
일식
6 : 30-21 : 00
010-64598066
花漾咖啡厅 Lei Café 1층
坤丝咖啡 The Queen’s Café 肯德基 KFC 星巴克咖啡 STARBUCKS COFFEE
2층
花漾咖啡厅 Lei Café 麦麦面
참고자료
赛百味 SUBWAY 서양식 패스트푸드 好食汇 중식 패스트푸드 卡森堡咖啡厅 카페 Fort Carson 时光咖啡 COFFEE TIME 카페 麦麦面 일식 酷浪咖啡 카페 Coolava Islands 星巴克咖啡 STARBUCKS COFFEE 카페 百怡咖啡 카페 BLENZ COFFEE 花漾咖啡 Lei Café 중식 패스트푸드 佰客氏 디저트, 아이스크림 花漾咖啡 Lei Café 중식 패스트푸드 花廊 한식 花漾咖啡 Lei Café 중식 패스트푸드 水果捞
-
24시간 7 : 30-17 : 00
010-64598045 010-64595415
6 : 00-21 : 00
010-64535665
-
-
6 : 30-23 : 00
010-664589332
6 7 6 6 7
30 30 00 00 30
010-64598523 010-64585214 010-64593559 010-64590796 010-64593298
: : : : :
30-20 00-21 30-21 00-24 00-19
: : : : :
010-64595335
-
010-64590828
空港休闲中心
찻집
24시간
010-64590999
仙姆莱克酒吧
바
24시간
010-64598578
중식
7 : 00-21 : 00
010-64590885
味千拉面
일식 패스트푸드
24시간
010-64532698
好食汇
중식 패스트푸드
6 : 00-21 : 00
010-64558315
东方既白
중식 패스트푸드
6 : 00-22 : 00
010-64532711/ 2710
카페
6 : 30-21 : 00
010-64558781
花漾咖啡 Lei Café 好食汇 凯丝恩贝 Kiss'n Bake
2층
-
6 : 30-23 : 00
时光咖啡 COFFEE TIME
제3 터미널
010-64590308 010-64598402
아이스크림
星阳舫
1층
6 : 00-9 : 30 6 : 30-21 : 00
중식 패스트푸드
紫悦餐厅 3층
443
카페
6 : 30-22 : 00
중식 패스트푸드
6 : 30-21 : 00
010-64558310
제과, 제빵
-
-
魔姫咖啡
카페
6 : 30-21 : 00
010-64558304
坤丝咖啡 The Queen’s Café
카페
-
-
耶士 SPR COFFEE
카페
6 : 30-21 : 00
010-64558779
明阁
일식
7 : 00-21 : 30
010-64532563
바
24시간
010-64558386
한식
6 : 00-24 : 00
010-64558399
必胜客 Pizza Hut
서양식 패스트푸드
6 : 00-22 : 30
010-64532713
坤丝咖啡 The Queen’s Café
카페
6 : 00-18 : 00
010-64532692
仙姆莱克酒吧 花廊
444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3층
4층
花漾咖啡 Lei Café 花漾咖啡 Lei Café 麦麦面 水果捞 酷浪咖啡 Coolava Islands 星巴克咖啡 STARBUCKS COFFEE 麦当劳 Mcdonalds 花漾咖啡 Lei Café 耶士 SPR COFFEE 花漾咖啡 Lei Café 凯丝恩贝 Kiss'n Bake 上岛咖啡 UBC Coffee 花漾咖啡 Lei Café 麦麦面 天使冰王 TCBY 成龙咖啡 花漾咖啡 Lei Café ARTIST咖啡工坊 星阳舫 好食汇 面爱面
카페 카페 일식 아이스크림, 디저트
6:30-22:00 6:30-22:00 6:30-21 : 00 6:30-22:00
010-64558333 010-64558335 010-64558773
카페
6 : 00-22 : 00
010-64532655
카페
-
-
서양식 패스트푸드 카페 카페 카페 제과, 제빵 카페 카페 일식 아이스크림 카페 카페 카페 중식 중식 패스트푸드 일식
24시간 6:30-22:00 6:30-22:00 6 : 00-21 : 30 6:30-22:00 6:30-21 : 00 6:30-21:30 6:00-21:30 6:30-22:00 6 : 00-24 : 00 9 : 30-21 : 00 7:00-21:30 6:00~항공운행 종료시
010-64532651 010-64532930 010-64558330 010-64558299 010-64558298 010-64558769 010-64558318 010-64585214
6:30-22:00
010-64558332
哈根达斯 Haagen-Darz 아이스크림 星巴克咖啡 STARBUCKS COFFEE 카페 魔姫咖啡 카페 雅品 할랄 요리 空港休闲中心 찻집 舍廊居 한식 麦麦面 일식 汉堡王 Burger King 서양식 패스트푸드 泰辣淑 태국요리 罗杰斯 서양식
6:30-22:30 6 : 00-22 : 00 6 : 30-21 : 00 7 : 00-22 : 00 6:30-21:00 6:00-22:00 6 : 30-22 : 00 24시간
010-64558296 010-64558301 010-64558763 010-64558788 010-64558308 010-64558294 010-64558761 010-64540687
吉野家
7 : 00-21 : 00
010-64558783
24시간
010-64558788
酷浪咖啡 Coolava Islands
카페
花漾咖啡 Lei Café
카페
일식 패스트푸드
5층 空港休闲中心 * Source: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Company
찻집
010-64532655
참고자료
445
□ 음식점 입점 절차 및 방법
북경수도국제공항유한회사 ·담당자 : 郝先生 (Mr. Hao) ·연락처 : 86-10-6450-7799 ·E-Mail : jjjc@bcia.com.cn
나. 상하이푸둥국제공항 1) 일반 개황 · 상하이 푸둥 구역에 위치 · 1999년 10월 1일 기존의 상하이 훙차오국제공항을 대신하기 위해 설립 · 2005년 3월 17일 제2활주로 개설, 2007년에 제2청사 완공 · 장기적인 계획으로 4개의 활주로와 4개의 터미널이 개설되어 연간 8천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전망 · 2007년 2892만 명의 승객 수송량 기록
446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상하이푸둥국제공항
2) 항공편 현황 · 같은 상하이 지역 내에 로컬공항인 홍차오 공항이 있어 베이징 수도공항 대비 국내선 항공편의 비중이 낮은편 · 아시아 지역의 항공편이 39.2%로 연간 약 1133만 명이 상해 푸동 공항을 이용 하는 것으로 추정됨 · 그밖에 유럽이 6.3%, 미국, 캐나다의 북미지역이 5.1%를 차지 <그림> 항공편 지역별 비중 유럽 6.3%
북미 5.1%
오세아니아 2.0%
남미 0.1% 국내 47.3% 아시아 39.2%
* Source: Accenture Analysis(http://en.bcia.com.cn/ 참고하여 작성)
참고자료
447
3) 음식점 · 입점한 음식점은 총 14점으로 공항 규모 대비 적은 숫자 · Ethnic Food보다 중식의 비중이 높음 · 카페와서 양식을 같이 제공하는 곳도 상당수 존재 <표> 상하이푸동국제공항 외식업체 입점 현황 한식
중식
이슬람
서양식
패스트푸드
일식
태국식
기타
계
1
4
0
2
1
2
0
4
14
* Source: www.dianping.com
<표> 상하이푸동국제공항 입점외식업체 세부 현황 식당명
취급 품목
영업시간
연락처
鲜而纯快餐店
중식
-
-
雅品五店
서양식
-
-
梦田园茶艺店
찻집
-
-
哈根达斯
아이스크림
-
-
汉堡王
서양 패스트푸드
-
-
味千拉面
일식
-
-
上海人家
중식
-
-
霍普生达咖啡休闲餐厅
서양식
-
-
Caffe Ritazza
카페
-
-
沧浪亭
중식
-
-
豪普生达咖啡
카페
-
-
沙龙餐厅
일식
-
-
美林阁
중식
-
-
香锅饭
한식
-
-
* Source: www.dianping.com
448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다. 상하이홍차오 국제공항 1) 일반 개황 · 상하이 서부에 위치 ·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이 건설되기 전까지 유일한 국제공항 · 국내선은 총 60개 노선, 국제선은 2007년 한중일 항공협약으로 서울의 김포국 제공항과 도쿄의 도쿄 국제공항(하네다)만 운행 <그림> 상하이 홍차오국제공항
□ 음식점 · 공항에 입점한 대부분의 음식점이 중식을 취급 · 타공항과는 대조적으로 카페보다 식당이 대부분 · 서양식을 제외한 타 Ethnic Food는 없음 <표> 상하이홍차오국제공항 외식업체 분류 한식
중식
이슬람
서양식
패스트푸드
일식
태국식
기타
계
0
7
0
3
2
0
0
1
13
* Source: www.dianping.com
449
참고자료
· 공항 이용객의 특성상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패스트푸드점이 상당수 입점 <표> 상하이홍차오국제공항 외식업체 List 식당명
취급 품목
영업시간
연락처
肯德基
서양식 패스트푸드
-
-
金师傅馄饨
중식 패스트푸드
-
-
鲜而纯快餐店
중식
-
-
麦当劳
서양식 패스트푸드
-
-
东方既白
중식 패스트푸드
-
-
嘉兴五芳斋
중식
-
-
周记饭店
중식
-
-
美林阁
중식
-
-
新元素
서양식
-
-
Bricco cafe
서양식
-
-
沙龙
서양식
-
-
光明新鲜屋
음료
-
-
虹港大酒店自助餐厅
중식
-
-
* Source: www.dianping.com
라. 충칭 장베이 국제공항 1) 일반 개황 · 1990년 1월 22일 개항 · 1998년 국제공항으로 명칭 변경 · 2006년 연간 승객 수 805만 명 달성 · 현재 130여 개의 국내 및 국제 노선 운항
450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그림> 충칭 장베이국제공항
2) 음식점 · 공항이라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간단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카페, 아이스크 림 전문점이 많음 · 서양식을 제외한 타 Ethnic Food는 없음 <표> 충칭 장베이국제공항 외식 업체분류 한식
중식
이슬람
서양식
패스트푸드
일식
태국식
기타
계
0
2
0
1
1
0
0
8
12
* Source: Chongqing Airport Group Co., Ltd
· 제1터미널에 입점한 외식업체는 없음 <표> 충칭 장베이국제공항 외식 업체 List 구분
제2 터미널
식당명
취급 품목
영업시간
연락처
天使冰王 TCBY
아이스크림
6:30-21:00
-
哈根达斯 Haagen-Darz
아이스크림
6:30-21:00
-
凯丝恩贝 Kiss'n Bake
제과, 제빵
6:30-21:00
-
서양식 패스트 푸드
6:30-22:00
-
蓝宇餐厅
중식
6:00-23:00
-
蓝宇中餐厅
중식
6:30-21:00
-
德克士 dico's
451
참고자료
林顿餐厅
서양식
7:00-21:00
-
虹桥咖啡
카페
6:00-23:00
023-67155006
虹桥咖啡
카페
6:00-23:00
-
花漾咖啡 Lei Café
카페
7:00-21:00
-
花漾咖啡 Lei Café
카페
7:00-21:00
-
花漾咖啡 Lei Café
카페
7:00-21:00
-
* Source: Chongqing Airport Group Co., Ltd
마. 청도 국제공항 1) 일반 개황 · 산동성 청도시 청양구 위치 · 연간 이용객 수 약 800만 명 · 국내선 78개 노선, 국제선 14개 노선 운항 <그림> 청도 국제공항
452
한식당 중국 진출 가이드북
2) 음식점 · 타 공항대비 입점 식당수가 적음 · 대부분 카페가 입점 · 서양식을 제외한 타 Ethnic Food는 없음 <표> 청도 국제공항외식 업체 분류 한식
중식
이슬람
서양식
패스트푸드
일식
태국식
기타
계
0
2
0
2
0
0
0
5
9
* Source: Qingdao International Airport Group Co., Ltd
· 국제선보다는 국내선에 많은 외식업체 입점 - 이용객 비율(국내선 80%, 국내선 20%) <표> 칭다오 국제공항외식업체 List 구분
국내선터미널
국제선터미널
식당명
취급 품목
영업시간
연락처
济南华美
카페
-
-
蔚蓝时代
카페
-
-
上海凯津
카페
-
-
青岛金秋
카페
-
-
北京华卓
중식
-
-
北京华卓
중식
-
-
空港大酒店
서양식
-
-
统联
카페
-
-
空港大酒店
서양식
-
-
* Source: Qingdao International Airport Group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