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합
후원 문의
1800-9971 2016년 2월 1일
1964년 1월 창간 / 제716호
한국민 따뜻한 응원으로 다시 웃는 네팔 학교
한위, 대지진 피해 난디학교에 재건 위한 기금 및 드림패키지 학용품 전달 대지진으로 붕괴된 네팔 학교가 한국 국민들의 따뜻한 후원으로 다시 세워 진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위)는 지난 해 대규모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네 팔 카트만두 난디학교를 지난 1월 12일 방문, 8개월간 국민 후원모금을 통해 마 련한 ‘교육 재건 기금’ 5만 달러(한화 약
6000만 원 상당)와 SK네트웍스가 후원 한 ‘드림패키지’ 학용품 600세트를 전달 했다. 이날 기금 전달식에는 민동석 한위 사 무총장과 캄레쉬와르 쿠마르 신하 유네 스코네팔위원회 사무차장을 비롯, 난디 학교 교직원과 학생, 학부모 등 200여 명 이 참석해 훈훈한 마음을 나눴다.
아프리카 8개국 브릿지 관계자들 첫 회합 한위 공동 주최 ‘2016년 브릿지 아프리카 콘퍼런스’ 2월 중순 말라위서 개최 유네스코한국위원회(한위)와 유네스 코말라위국가위원회가 2월 17일부터 19 일까지 3일간 말라위의 수도 릴롱궤에서 ‘2016년 브릿지 아프리카 콘퍼런스’(2016 Bridge Africa Conference)를 공동 개 최한다. 이번 콘퍼런스의 공동 개최기관 인 말라위유네스코국가위원회는 그간 유 네스코 브릿지 아프리카 프로젝트의 성 공적 수행을 위해 한위와 긴밀히 협력해 오면서, 아프리카 사하라이남지역 교육 지원 사업의 모범 사례를 만들어왔다. 브릿지 사업 개시 이후 최초로 개최 되는 이번 제1차 콘퍼런스에는 기존 6 개 브릿지 사업국(말라위, 르완다, 레 소토, 잠비아, 짐바브웨, 남아공)과 2 개 신규 브릿지 사업국(보츠와나, 스와 질랜드)에서 총 60여 명의 관련자가 참 석할 예정이다. 참석자는 각 나라의 유 네스코국가위원회 사무총장, 정부 교육
관계자, 아프리카 지역 국제기구 관련 자, 국가별 브릿지 지역학습센터(CLC: Community Learning Centre) 대표자 로 구성돼 있다. 최근 신규 사업국으로 합류한 보츠와나와 스와질랜드의 경우 이번 아프리카 콘퍼런스에서 한위와 사 업약정(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민동석 한위 사무총장과 패트리시아 칼리아티(Patricia Kaliati) 말라위 사 회복지부 장관이 공동 주재할 19일 콘퍼 런스 폐회식에서는 브릿지 아프리카 프 로젝트의 공동 비전을 담은 ‘릴롱궤 확 약’(Lilongwe Commitment)이 채택될 예정이다. 한위는 이번 ‘2016년 브릿지 아프리카 콘퍼런스’를 통해 브릿지 아프 리카 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궁극적으 로 ‘아프리카의 교육 자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백영연 브릿지아프리카팀
난디학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인 카트만두 계곡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중 하나로, 지난해 네팔 대지진 당시 학교 건물 3동 중 2동이 붕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한위의 국민 후원모금으로 마련 된 교육 재건 기금은 난디학교의 도서관 과 과학실, 교무실을 짓는 데 사용될 예 정이다. 현재 네팔 정부가 검토 중인 ‘교 실 재건 사업’과 함께 추진될 경우, 난디 학교 학생들은 이르면 오는 12월부터 신 축된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된다.
1947년 개교한 난디학교는 카트만두 의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야간학교를 함 께 운영하며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 해온 학교다. 현재 노천 텐트와 임시학습 센터에서 공부 중인 학생 600여 명 중 약 120명은 생계를 위해 낮에 일하고 밤에 공부하는 야간반 학생들이다. 난디학교 는 지난 2011년 ‘유네스코 브릿지 아시아 기후변화교육’ 사업의 협력기관으로서 한위와 처음 인연을 맺은 바 있다. ▶ 관련 기사 5면
‘지도 한 장으로 만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위, 2016년도 세계유산지도 한글판 발간, 온·오프라인 통해 무료 제공 유네스코한국 위원회(사무총장 민동석)는 문화재 청(청장 나선화) 과 함께 ‘2016년도 유네스코 세계유 산지도 한글판’을 최근 발간했다. 2016년도 유네 스코 세계유산지도에는 지난해 등재된 백 제역사유적지구 사진을 비롯해 석굴암, 불국사, 종묘, 창덕궁 등 한국의 세계유산 12점(문화유산 11점, 자연유산 1점)과 지 구촌 163개국의 총 1031점에 이르는 세계 유산 현황이 담겨 있다. 세계유산지도는 A0(841x1189mm) 크 기의 양면으로 제작되어 세계유산 분포 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특 히 세계유산을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 유산 등으로 구분해 세계유산 목록 전체 의 정확한 위치와 명칭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한다. 유네스코 세계 유산지도는 2002 년부터 유네스 코 세계유산센터 가 발간해왔으며, 2011년부터 세계 유산에 대한 국내 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국어로 제작돼 무료로 배포되고 있 다. 서울 중구 명동 유네스코회관 1층에서 지도를 무료로 수령하거나, 유네스코한국 위원회와 문화재청 누리집을 통해 이미지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다. 또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을 통해 우편으로 받아볼 수 있다(배송비 별 도).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www.unesco. or.kr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네스코와 유산’ 누리집: http://heritage.unesco.or.kr/ ※ 문화재청 누리집: www.ch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