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1월 10일 창간
732호
2017년 6월
www.UNESCO.or.kr/NEWS 07 청년
13 브릿지
16 문화유산
‘공포의 스펙터클’에 시민으로서 맞서는 법
2017 글로벌 유스 콘테스트 수상작 소개
르완다에서 온 편지
수중문화유산의 세계와 지속가능발전목표
즐기고 누리고 여행하라
청춘, '만약'이란 이름으로 변화를 꿈꾸다
키갈리 시장의 ‘재봉 소녀’ 마리암의 꿈
해저의 타이타닉호에서 인류의 미래를 묻다
인터넷 게시판을 달구는 흔한 유머 중 이
다가도 문득 “거기 괜찮을까?” 하고 되묻
런 말이 있습니다. “참을 수 없이 외로울
게 되고, 사람 많은 곳은 어디든 안전하지
땐 공포영화를 보세요. 그럼 방 안에 더 이
않은 것만 같고, 단지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상 혼자가 아닌 기분이 듭니다.” 우스갯소
한 발짝 뒤로 물러서게 만드는 그런 공포
리지만 마음 속에 도사린 공포심이 불러일
감을, 어느새 우리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
으키는 심리적 효과를 잘 드러낸 말이기도
이고 있는 건 아닐까요? 하지만 사람들이
합니다. 요즘 연이어 뉴스란을 뒤덮는 테러
더 많이 조심스러워하고 두려워하며 적대
소식을 접하는 여러분의 마음도 혹시 이와
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테러리스트들의 목
같지는 않나요? 테러는 폭력과 공포가 바
표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유네스코는 이 같
로 곁에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그리고
은 우리의 조심스러움에도 명확한 ‘근거’가
알게 모르게 우리 일상과 의식에 영향을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Frederic Legrand - COMEO / Shutterstock.com
04 커버스토리
테러 공포 속, 평화를 꿈꾸는 방법
미칩니다. 휴가철 해외 여행 계획을 세우
관련 기사 04~0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