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훔
< HUM >
앞마당에 태산목 한 그루, 몸이 무겁다고
아우성친다.
정원수는 늦가을에 웃자란 가지를 한번 쳐
내 주고 이른 봄에 한 번 더 다듬어야 한다. 나
무를 가꾸는 일이 오랜 습관처럼 익숙해진 줄
알았는데 지난가을엔 때를 놓쳐 버렸다. 올봄
은 더 큰 정성으로 나무를 가뿐하게 모양내야 겠다. 해마다 말없이 새잎에 꽃을 피우는 나 무. 새순의 꿈으로 겨울을 견디는 나무의 시
간은 언제나 신기하고 묘하다.
관세음보살을 부르는 육자진언 ‘옴마니반
메훔’을 독송한다. 여섯 가지 파스텔 색조 물 감으로 산스크리트어 가로쓰기를 하여 예쁘
게 표구를 한 육자대명왕진언 액자를 거실 정
면에 걸어 놓고 틈날 때마다 외우고 외운다.
먼 이국 땅에서 연을 맺은 큰 스님으로부터 불명 ‘유심화唯心化’를 받은 지 어언 20년이
다. 유심唯心이란 무엇인가. 모든 사물은 그 것을 인식하는 마음에서 비롯되며 마음의 표 현이 궁극의 실재가 되어 나타난다는 의미다.
유심화는 늘 마음을 다스리며 살아가라는 스 님의 깊은 뜻이 담긴 이름이다. 이름에 부응하지 못하는 부끄러운 일상이 오고 간다. 육십갑자를 한 바퀴 돌아온 나이 에도 맞닥뜨리는 크고 작은 일이 매번 마음 을 흔들어 놓는다. 마음의 그릇이 좁고 깊을
수록 상처의 정도를 가늠하기는 어렵다. 잔 뜩 멍이 든 생각들로 며칠 밤을 새우기도 하 고 괜히 가까이 있는 사람을 함부로 탓하며 비난해 댄다.
지난해 봄, 5년 만에 찾아 뵌 스님은 노환 에도 느긋한 표정으로 말씀하셨다. ‘옴마니반
메훔’을 지극정성으로 외우면 관세음보살의
자비로 온갖 번뇌와 죄악이 소멸하고 무량한
지혜와 공덕을 얻는다. 육자진언은 연민과 지 혜의 상징이다. 진언은 마음을 정화하며 자신
뿐만 아니라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모든 우리
존재의 행복을 위한 바람이다. 무게를 더하며 반복되는 일상은 점점 지루 해진다. 하루하루 날이 갈수록 하릴없이 몸
과 머릿속을 짓 누르며 자라나는 군살. 마음
은 비틀어지고 늘어지면서 자꾸 무거워지고
여기저기 주변을 돌며 애면글면 꼰대질에 젖
는다. 지나치게 늘어지거나 여물지 못한 마음
은 끊어내 버려야 한다. 해마다 나뭇가지를 치고 모양을 다듬는 것 처럼 몸과 머릿속에
고향 산사로 돌아가신 스 님. 마음속 태산목 한 그루 같은 스님의 노환
결 국 스님께서 입적하셨다는 소식이 날아왔다. 육자진언이 온 벽면을 가득 채우도록 읊고 또 명상하는 오늘이다. 입적하신 황산 큰 스 님을 추모합니다.
시를 담다
장소인 종로2가를 막 뛰어간다
구절 더 읽느라 뛰는 만큼 늦었다 시가 좋아 시집만 펴서
읽다가 어느새 집에 가는 저녁 시간 버스 타야 하는데 내 발이 서점에 묶여 있다
발 누가 떼어 주세요 이유는 있었지 그림 서적 좀 봐야지 페이지 조금 넘기다 이것은 다음에 보자 했지만 이미 시집만 꽉 찬 책장 앞에 서서 내 손엔 시집이 내 눈엔
뭇 상상이 펼쳐진다
벅찬 가슴에 누군가 밀어도 툭 치고 지나가도 미안해요 말을 건네도
난 모른다 아까워 눈을 떼지 못하고
고개만 끄덕여도 그만이다
얼마든지 시를 읽고 있을 때는
그저 용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