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facebook.com/artphil.korea
Artphil Institute
2015. 10. 07 — 2015. 10. 29
69 participants / 6 teams / 4 weeks
03
아트필 공동작업 2015 Artphil Institute Collaborative Project 2015 ▶ Introducing Artphil은 1990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유학전문 미술학원으로서 전 세계 문화예술계를 주도해 나갈
Artphil Gallery Project Broom B1
인재들이 연구하는 창조공간입니다.
Artphil 6F
▶ Explanation Artphil에서는 매년 가을에 반 구성원들과 함께 공동작업을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합니다.
E15
공동작품은 학생들에게 대형 팀 작업의 스케일을 경험하게 할 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 작품으로 사용할
E42
P15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학생들은 반별로 함께 작업을 구상하고 의견을 모아 작품을 제작하고
A15
설치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예술창작에 대한 밀도 높고 성숙한 경험들을 나누고 배우게 될
P42
것입니다. 작품들이 현장에 설치되고 나면 이어서 관객들에게 프레젠테이션하는 시간이 있을 것입니다.
A4
그리고 심사를 거쳐 선정된 우수 작품들에 대한 시상이 있을 것입니다. 올해는 특별히 작품의 아이디어 모으기부터 작품 설명에 이르는 전 과정을 세세히 준비하고 기록해서 제출하고 심사받도록 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개 기간
2015. 10. 07 (수) — 2015. 10. 29 (목)
참가 자격
Artphil 재학생
작품 주제
1. 가상과 현실
Virtuality and Reality
3. 버릇
Habit
5. 커넥션
Connection
2. 빅 데이터 4. 집단지성 6. 치유 작품 설치 일시 및 장소
Big data
Collective Intelligence
Healing
2015. 10. 24 (토) 9:00am — 6:00pm
Artphil Gallery Project Broom B1, Artphil 6F 최종 발표 일시 및 장소
2015. 10. 26 (월) 6:00pm
Artphil Gallery Project Broom B1 05
아트필 공동작업 2015 Artphil Institute Collaborative Project 2015
전체 행사 일정 작품 제작 기획 및 컨셉 스터디
2015. 10. 08 (목) — 12 (월) 6:00pm
1차 평가 및 테크니컬 크리틱
2015. 10. 13 (화) 5:00pm
2차 평가 및 테크니컬 크리틱
2015. 10. 16 (금) 5:00pm
작품 스터디 및 작품 일부 사전 제작
2015. 10. 17 (토) — 23 (금)
Gallery Project Broom B1, 6F 작품 제작 및 설치
심사 평가 기준 및 배점
2015. 10. 24 (토) 9:30am — 9:00pm Gallery Project Broom B1, 6F 2015. 10. 26 (월) 6:00pm
10
최종 발표
팀원 간의 협동, 역할 분담 등
10
표현의 조형성
작품의 논리성, 완성도
25
시상식 일시
창의성
개념의 참신함, 재료 사용의 독창성
25
2015. 10. 26 (월) 6:00pm
작품 전시 기간
마무리
작품 뒷정리
작품 철거 후 주변 정리
10
2015. 10. 26 (월) 9:00am — 28 (수) 8:00pm
최종 발표
콘셉트, 제작과정, 결과물 발표
작품의 프로세스와 결과물의 완성도
20
과정 평가 작품 평가
콘셉트 제출 시간 준수 여부
콘셉트 제출 및 사전 준비 과정
참여도, 협동력
Gallery Project Broom B1
Gallery Project Broom B1, 6F 작품 철수
2015. 10. 29 (목) 6:00pm까지 완료 07
아트필 공동작업 2015 Artphil Institute Collaborative Project 2015
Table of Contents P42
Mobius World
11
E42
Visible Abstraction
21
E15
Habitual Energy
33
A4
Wiki Dew
43
P15
HTTP 404 Not Found
53
A15
The Hugging Cube
63 09
Mobius World
Award of Elegance 작품 사이즈 소재
2700×2700×2500mm Hologram, LCD Monitors, Wood Structure, Cotton, Acrylic Boards, Metal Mesh, Acrylic Sticks, Clay, Chrome Spray, LED lights, Branches and leaves
P42 김지호 Jiho Kim
정지윤 Jiyun Jeong
문지혜 Charis Moon
최서원 Seowon Choi
윤소원 Sowon Yun
최지선 Eunice Choi
이민재 Minjae Lee
채원
전지영 Jiyoung Chun
한지수 Jisoo Han
Won Che
정여진 Yeujin Chung 11
가상과 현실 Virtuality and Reality ▶ Design Concept
Level 1 Documentary Film: Film shows the joys and sorrows of lives by screening the
현실 세계는 우리를 감싸고 있는 에너지가 평형을 이룰 때 존재하고, 가상 세계는 그 에너지의 평형이
ordinary days of people. Amplified emotions break the balance of the energy
깨질 때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차원의 관념적 경험을 가능케 한다. 그렇다면 에너지의 평형 상태는
that surrounds people in real world.
무엇으로 인하여 그 평형을 잃게 되는가? 새로이 열린 가상 세계는 현실 세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 가상이 반영된 현실은 또다시 우리 삶에 어떻게 스며드는가?
▶ What is Object
Reality exists when the energy that surrounds us is in the state of equilibrium. Virtuality
큐브는 현실 세계의 틀을 의미하며, 큐브 속의 나뭇가지와 나뭇잎은 자연으로서 현실을 대표한다.
enables us to go through the ideological experience in the newly-opened dimension
역동적 상태의 에너지를 근간으로 하는 가상 세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현실이 녹아내리기도,
when the energy lost its state of equilibrium. If so, what triggers the energy to lose its
부식되기도, 결정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equilibrium? How does the newly-opened virtual dimension influence the reality? How
The cube represents the real world and branches and leaves in the cube indicates the
does the reality which is in the mirror of the virtual perception permeate back to our
nature as a part of real world. Reality may melt down, burn out, corrode, or crystalize into different forms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with virtuality which is created from
real life?
the unbalanced state of energy. ▶ Work Explanation Level 3 Object: 큐브로 형상화된 현실 세계는 가상 세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변형된다.
▶ Why Hologram
①융해 ②연소 ③부식 ④결정. 현실에서 가상이 열리고, 가상이 현실을 변형시키고, 변형된
가상 세계의 에너지를 현실 세계에서 시각화하기 위하여 허상을 띄우는 기술인 홀로그램이라는 디지털
현실이 원래의 현실로 인식되는 끊임없는 순환작용으로 인하여 현실과 가상의 세계는 점점
테크놀로지가 가장 적합하였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상상과 이성, 허구와 사실, 환상과 실재 사이의
그 경계를 잃는다. 가상과 현실 사이의 묘한 존재론적 중첩의 상태가 발생한다.
단절을 봉합선 없이 이어준다.”
Level 2 Hologram: 평형 상태를 잃은 에너지는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하면서 역동적인 상태를 가지며, 비로소 가상 세계가 열린다. Level 1 Documentary Film: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통해 우리 삶의 크고 작은 희로애락을 본다. 감정의 증폭이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에너지의 균형을 깨뜨린다. Level 3 Object: The real world, which is projected as a cube, undergoes a transform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virtual world, which is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Vol. 2, Pg. 10, 출판사: 천년의 상상, 2014》
Hologram, which is to visualize the virtual image, is the most appropriate technology to visualize the energy in virtual world into a real world. “Digital technology sutures the gap between imagination and rationality, fiction and truth, and illusion and reality without the stitch line.” 《Image Humanities, Vol.2, Pg. 10, Publishing Company: Thousand years Imagination, 2014》
represented as hologram. Types of transformation can be categorized as ①Melting ②Combustion ③Corrosion ④Crystallization. The virtual world is created from the real world, the virtuality transforms the reality, the transformed reality is perceived as the original reality, and this reality becomes a seed to sprout virtuality again. Such lasting circulation among phenomena obscures the boundary of two worlds. The mysterious overlapped state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appears. Level 2 Hologram: The energy becomes dynamic to increase or to decrease after losing its equilibrium. The unbalanced energy opens the virtual dimension. 13
15
17
19
무형의 유형화 Visible Abstraction
Award of Directing 작품 사이즈 소재
2000×1700×5000mm 나무 틀, 아크릴, 필름지, 낚시줄
E42 강지훈 Jihun Kang
유한누리 Hannuri Yu
곽민석 Minsuk Kwack
이시현
Sihyeon Lee
박샛별 Satbyul Park
이혜서
Heseo Lee
서수영 Sooyoung Suh
정현수
Hyunsoo Jung
송지훈 Jihoon Song
최새날
Saenal Choi
안지원 Jiwon Ahn
최준호
Junho Choi
유지연 Jiyeon You
홍준기
Junki Hong 21
빅 데이터 Big data ▶ Design Concept & Context 빅 데이터란 아날로그 환경에서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으로 문자, 영상 등을 포함한 디지털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 집약하는 현상을 뜻한다. 분석기술의 발달과 연계되어 필요한
generate a single perceptible picture to define the word. ⑶ Employing ‘big data’ enables us to envision such broad conceptual phenomenons and sentiments. Deriving from this idea, we decided to develop our project.
정보들을 수집함으로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도, 예측하기도 한다. 검색어 입력을 통해 얻어낸 정보 중 하나인 이미지 정보에 초점을 맞춰 사전조사를 시작했다. 그 결과 유형의 단어는 누구나 예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나거나 그에 대한 상황설명이 많았고 은유적 이미지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형의 단어는 예상 밖의 이미지가 많다는 것을
▶ Project Description “사랑의 최초의 움직임은 필연적으로 무지에 근거할 수밖에 없다.” 사랑은 가장 보편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면서 개인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소재이다. 우리가
발견했고 여기서 얻어지는 이미지 값을 겹쳐 무형의 추상적 개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형상물로써
선택한 문장은 각기 다른 개인적 경험을 토대로 주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문장이다. 따라서 해석의
표현하고자 했다.
여지가 열려있기 때문에 모두가 다른 뜻으로 이해한다. 하나하나의 단어는 어렵지 않지만 완성된
Resulted from the conversion of an analogue condition to a digital condition, the
문장으로 읽다 보면 매번 다른 생각을 떠올리게 한다. 우리는 이 문장을 통해 디지털로 대체할 수 없고
rapidly rising digital data(including texts, videos etc) encapsulates reality. Incorporating
변환할 수 없는 ‘사랑’이라는 개념을 빅 데이터를 활용해 시각화하고자 했다.
the highly developed analytical prowess to collect needed sources enables us to not
사랑, 최초, 움직임, 필연적, 무지, 근거, 없다
only attain the information we want but also foresee the predictive result. Focusing on a single piece of information acquired from searching an image,
이 7개의 단어는 실제로 형태가 없다. 이 단어를 유형화하기 위해 빅 데이터의 수단 중 유사한 특징을 가진 군집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구글 이미지 검색을 이용했고 각 단어에 맞는 결과물을 도출했다.
we initiated our primary research beforehand. The outcome obtained from researching
그 이후 단어마다 군집을 나누어 픽셀(디지털 이미지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을 연상시키는 정사각형
tangible words conveyed either a figurative expression, a concrete object we all
프레임 안에 관념적인 단어의 이미지 평균값을 담았다. 정사각형 틀을 모듈로 활용하는 콘셉트를 잡고
recognize or an elucidation of a particular event. On the other hand, the outcome
이미지의 병합으로 무형의 단어를 유형으로 만드는 작업을 반복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물은
gained from searching amorphous words showed images that were unpredicted.
다양한 색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결과물은 추상적 단어의 텍스트 데이터가 색과 형태를 가지는
We wanted to show objects as a visible media by multiplying various images from
이미지로 또다시 프레임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searching output.
“The initial movement of love inevitably stems from ignorance” Love is a subjective concept that can predominantly be understood by all
▶ Approach
mankind yet is distinctly distinguished and analyzed by each individual. The phrase we
⑴ 우리는 빅 데이터를 통해 실질적인 형태가 없는 추상적인 개념, 사회현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파악할
chose to resort to differs in the way each person perceives, influenced by experiences,
수 있게 됐다. ⑵ 빅 데이터 중 하나인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하면 형태를 가지지 않는 추상적 단어조차 눈에 보이는 한 장의 이미지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⑶ 따라서 구체적인 형태가 없고 만질 수 없는 현상이나 감정을 유형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 프로젝트를 기획하게 됐다. ⑴ By utilizing big data, we have access to a diverse range of data itself, which does not have a realistic definite form but an abstract conceptualization. ⑵ Searching an image on Google, a search engine representative of big data, demonstrates that even the most nonrepresentational abstract word searched can
wisdom and learning one could have earned during his or her life. Since there are no boundaries or restrictions as to how an individual may interpret this phrase, everyone has the merit of freedom to comprehend however they want. Although each word (in the phrase) is unembellished and fathomable, the phrase itself as a whole is impenetrable when read once. Each time the phrase is read, a new analysis would be reckoned. Incorporating big data, we decided to establish a visual imagery for the idea of ‘love’ that can’t be substituted or adjusted by digital technology. Love, initial, movement, inevitable, ignorance, basis and unavoidable These 7 words(obtained from the phrase we have chosen) in fact have no 23
form. To conjure up an image for each word, we used a source of big data, google, to discover and recognize similarities of images that were displayed as a result of searching each word. Later, we made images of each word in to pixels, which were conveyed as square shaped frames. In these pixels, there would be the mean of images collected for each idealistic word. The result for this procedure were a diversity of varying colors and shapes. Conclusively, our aim was to delineate a tangible form of big data, in which abstract expressions could be shown as images with similar colors and shapes in a frame intended to depict pixels.
25
27
29
31
버릇력 Habitual Energy
Award of Acclaim 작품 사이즈 소재
2000×1700×5000mm 모터, 아이소 핑크, 나무판, 앵글
E15 고은영 Eunyoung Ko
안정록 Jungrok An
김지현 Jihyun Kim
여승협 Seunghyup Yeo
김하연 Hayon Kim
윤나경 Na-kyung Youn
김하은 Ha-eun Kim
이주빈 Joobin Lee
노성일 Sung-il Roh
이호연 Hoyeon Lee
박상우 Alen Park
정솔
박소연 Soyeon Park
정연지 Yeonji Chung
박진수 Chinsu Park
정유진 Youjin Chung
Sol Jeong
33
버릇 Habit ▶ Design Concept & Context
이러한 버릇의 무의식성이 가진 중독성과 우리 안으로부터 쫓아버릴 수 없는 강력한 힘에 집중하여 보는
버릇이라는 단어가 내던져졌을 때, 우리 머릿속은 ‘다리 떨기’로 가득 찼다. 다리 떨기는 흔하지만
이들로 하여금 이를 체감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렇기에 오히려 여러 사람들이 쉬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여 우리는 ‘다리 떨기’와 버릇력을
Habit is an act directed by the unconsciousness. Some habits hare trivial and routine to
조합시켜 생각해보았다.
the extent that one has difficulty even remembering what his or her habits are. We are
‘다리 떨기’의 작고 사소함을 극대화 시켜 버릇력이 뜻하는 강력함과 중독성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 다리의 떨림을 동시 다발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수백 개의 다리를 벽에 부착한 후 벽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다리 떨림’의 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커다란 벽이 움직이는 듯한 시각적 요소를 더하였다. 작품에 쓰인 다리는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제작 과정이 여러 날 반복되며 곧 우리에게 ‘버릇화’ 되는 것을 경험했다. 또한, 분업하여 반복 노동을 하는 시스템이 공장과 매우 유사하다는 인상을 받아 버릇력을 다루는 공장을 연출하여 실제 제작 과정을 반영하였다.
attempted to examine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people to repeatedly commit such acts without their knowledge. Thus, among many factors of habits, we decided to develop our work on the concept called “habit energy”. Habit energy is the force that makes what might have been a temporary action to be repeated and be sustained. As we continue to repeat certain actions unknowngly, habit is said to have energy of its own. Also, upon observing another person’s habit, we are inevitably affected in
Among many habits, the habit that emitted the most energy was ‘the shaking of legs’.
many ways without our knowledge. For example, when we see someone shaking their
In order to simultaneously depict the faint trembling of legs shaking, we decided
legs, we either tend to mimic their action or become distracted from our work. We
to attach hundreds of legs on a wall. And through the repeated upward and
focused on this very effect habits have on others.
downward movement of the wall powered by a motor, we displayed the powerful energy of habits. The effort put into shaping the legs to materialize our work was very laborious and a rote process. We experienced this process becoming a habit for us. As we developed a system of division of labor and repetition of work, we also got the impression that our work resembled the scene of a factory. Therefore, we projected our interpretation of habits as well as the actual process behind creating our work by a factory that produces habit energy. ▶ Project Description 버릇은 무의식성이 강한 행동이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버릇에 대해 깊이 곱씹어보지 않으면 자각하지 못할 정도로 버릇은 지극히 일상적이고 사소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결코 그 사소함을 떨쳐버릴 수 없다. 버릇력, 쉬이 말해 버릇이 가진 힘이다. 행동은 사회를 받아들이는 우리 마음의 반응이며, 이것이 반복되면 버릇으로 굳어진다. 이때 일회성에 그칠 수 있는 행동을 다시금 반복적으로 지속하게 하는 것, 그리고 그 행동을 멈출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로 버릇력이다. 나아가, 버릇력은 여러사람에게 전파되어지는 이것의 영향력 역시 내포한다. 누군가가 다리를 떨고 있는 것을 보면 어느 순간 함께 다리를 떨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것. 우리는 35
37
39
41
Wiki Dew
Award of Creativity 작품 사이즈 소재
2600×3000×2300mm 그물천, 광섬유, 아크릴 구슬, LED 조명, 모터제어, PIR 센서
A4 김민용 Minyong Kim
이혜림 Hyerim Lee
류재영 Jaeyoung Ryoo
장유진 Yoojin Jang
손지영 Jiyoung Son
조예림 Yelim Cho
송연주 Yeonjoo Song
황지원 Jiwon Hwang
이유빈 Youbin Lee 43
집단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 ▶ Design Concept & Context 개인의 지성은 모이지 않은 채 존재하기 때문에, 대기에 떠도는 수증기와 같이 형체를 갖추지 못한다. 하지만 맺힐 장소를 찾은 수증기가 이슬이 되듯이, 인터넷이라는 개방적인 망 공간 수많은 지점에 개개인의 지성이 맺히고 응축되어 집단화된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탄생한 집단지성은 대중의 필요에 따라 빛이 되기도 하고, 어둠 속에 묻히기도 한다. 때로는 지나가는 바람에 땅에 떨어지기도 한다. 우리는 이러한 현대인의 집단지성을 거미줄에 이슬이 맺히고, 큰 물방울로 응축되고, 흔들려 떨어지는 과정을 통해 형상화하였다. Individual intelligence is not able to exist, just like form of water vapor in the air. However, as water vapor encounters colder air and form tiny water droplets, visible in the form of mist, individual intelligence is condensed, clustered together on an open platform such as the Internet, and becomes collective intelligence. We represent this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same way as the process of dew collecting on spider web. ▶ Project Description 그물천과 광섬유의 엮임은 전체적인 거미줄의 형상을 표현하며, 망 위에 산포한 유리구슬은 아직 응축되지 않은 지성을, 모여있는 구슬은 응축된 지성을 나타낸다. 그물천에 연결된 모터는 모션센서에 감지된 관객의 움직임에 따라 그물 위의 여러 지점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모터의 움직임을 통해, 전체 작품은 다양한 위상으로 동적으로 변이하는 집단지성의 대중 감응성을 보여준다. 이 과정 안에서, 응축된 지성을 상징하는 구슬들은 망 위에서 이동하며 빛이 되기도 하고, 어둠 속으로 사라지기도 하며, 땅에 떨어지기도 한다. The combination of net and fiber optic represents the shape of spider net. The distributed and congregated beads on the net imply collective and individual intelligence, respectively. The stepping motors changes the height of multiple points on the net based on the movement of spectators, which is sensed through the motion sensors. With the movement created by the motors, the entire work shows public susceptibil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morphs into various phases. In these processes, the beads for collective intelligence becomes a light, vanishes into darkness, or falls down to the ground.
45
47
49
51
HTTP 404 Not Found
Award of Communication 작품 사이즈 소재
6000×4000×1500mm 철망, 박스, 스판담보루(천), 와이어, 프로젝터
P15 김기태 Kitae Kim
전나라 Nara Jeon
김한욱 Hanwook Kim
최준철 Junchul Choi
박상원 Sangwon Park
김정은 Jeongeun Kim
이정수 Jungsoo Lee
구도윤 Doyoun Koo
이승은 Seungeun Lee
주연수 Yeonsoo Joo
김은혜 Eunhei Kim
김미현 Mihyun Kim 53
커넥션 Connection ▶ Design Concept
위에서 관객들은 디지털 시스템의 한계, 오류를 보게 됩니다.
일반적인 ‘Connection’의 정의인 ‘두 가지 이상의 사실들, 생각들 사이의 관련성’으로 사용하기보다는,
The work is separated into two different spaces: The utopia where people believe
IT 용어에서의 의미인 ‘디지털 시스템 속에서의 접속’에 중점을 두고 출발하였습니다. 성서에서 고대 바빌로니아 인들이 하늘에 도달하기 위해 건설했다고 기록되어 있는 바벨탑
that they might be able to reach the Heavens, and the virtual reality. The wiremesh represents the boundary between the utopia and virtual reality. The instability
(bab=문, el=신)의 염원과 같이, 하늘은 태초부터 인류에게 있어서 끊임없는 탐구 대상이 되어왔습니다.
created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results in the distortion on the surface of
하지만 끝내 바벨탑이 무너지면서 그 바람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었던 것처럼 하늘은 오래전부터
the wire mesh.
깨달을 수 없는 절대 진리와 이상의 상징이 되어왔습니다. 이처럼 인류는 하늘을 이상으로 여기고 연결되어 있기를 바랐으며, 그것을 통해 모든 해답을 찾고자 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인류는 이전과는 다른 방법으로 여전히 하늘에, 그리고 절대 진리에 도전합니다. 그들은 현실보다 더 풍족한 인터넷 디지털 상의 가상세계에 접속해서 그 해답을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품에서 ‘해답/절대 진리’는 여전히 우리에게 ‘잡음’과 ‘오류’로 화답함으로써, 과거의 이상(하늘)에 대한 도전의 결과와 다름없는 혼란과 허무함을 경험하게 합니다. 결국, 과거의 현실(하늘에 닿을 수 있다는 이상을 가지고 있는) 보다 더 현실적인 가상의 오류를 통해 현실로 재우회하여 접속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Connection’ can be defin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ore than two things’ in general terms. However we focused on the narrower IT terminology meaning ‘access inside the digital system’. The Heavens had always been a target of exploration and challenge for mankind from the beginning of time such as could be seen in the story of the Tower of Babel where the ancient Babylonians tried to build a tower in an attempt to reach the Heavens, but failed. Their vain efforts did not lead to the completion of the Tower and ultimately the Tower collapsed. Since then, the unreachable Heavens had consistently been a symbol of absolute truth and ideals. ▶ Project Description 작품은 바벨탑을 통해 하늘에 닿을 수 있다는 이상의 공간과 가상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철망은 이상에서 가상으로의 경계를 의미하는데, 이때 시공간을 초월함으로 이루어지는 불안정함을 철망표면의 왜곡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철망 밑의 공간은 사람들이 꿈꾸는 이상의 공간을 동화스런 분위기로 자아내는데, 이는 아이의 순수한 꿈을 연상시킵니다. 과거의 현실을 이루는 요소 중 바벨탑을 상징하는 기둥은 디지털시스템을 통한 가상세계로의 연결을 디지털 픽셀 큐브로 나타냈습니다. 관객들은 철망에 뚫어져 있는 구멍을 통해 가상세계로 접속하는 행위를 직접 체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철망 55
57
59
61
The Hugging Cube
Award of Construction 작품 사이즈 소재
2800×2800×2800mm 앵글, 철망, 광섬유, LED라이트, 털실, 스폰지, 솜, 프로젝터 빔
A15 문성원 Seoungwon Mun
이예성 Yesong Lee
송지민 Jimin Song
이주호 Juho Lee
신승호 Sam Shin
한만수 Mansu Han
안지민 Jhimin Ahn 63
치유 Healing ▶ Design Concept & Context
pleasant soft and bouncy sensation. During the day, the exposed white angles outline
우리는 살면서 각기 다른 고민과 걱정을 품고 살아간다. 이처럼 고민과 걱정으로 마음을 위로하는 방법
a contained personal space on an open rooftop space. In the evenings, the optical
또한 각자 다르다. 친구와 수다를 떨거나, 가족에게 기대거나, 맛있는 것을 먹거나 등등 고민과 걱정으로
fiber ends shine like stars in Space giving the spatial illusion that makes the audience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는 수 많은 방법을 의논하고 고민한 끝에, 우리는 ‘치유’라는 단어에 심오한 뜻과
feel they are in a much larger cube than it actually is. In the center of the cube we
장황한 설명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출산 후의 아기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해 엄마의 자궁과 같은
created a bubble for one to encapsulate the viewer, inducing a feeling of coziness.
밀폐된 환경을 유지하는 것처럼, 한정된 공간은 답답하거나 두려움을 줄 것 같지만 사실 사람들은 그 안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우리는 옥상이라는 트인 공간 안에 한정된 공간을 만들어 밀폐된 공간감의 특징을 살리고, 열 마디 말보다 단 한 번의 포옹이 더 큰 위로가 된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촉감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사용하여 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설치 작품을 계획하였다. We all go through life with different worries and troubles. Likewise we all have different ways of healing ourselves from these worries. Some people gossip with friends, some lean on family, some eat their favorite foods. After discussing the various ways people comfort themselves, we thought it was unnecessary to give a verbose explanation of the word “healing”. Confined spaces might seem suffocating or scary, but in fact confinement makes people feel comfortable, as newborns do when they are wrapped tightly to imitate conditions inside the womb. By creating a restricted space on an open rooftop, we highlight the installation’s confining character. To express “One hug heals more than ten words” ▶ Project Description 열 마디 말보다 한 번의 포옹이 더 위로가 된다는 의미를 담은 〈The Hugging Cube〉는 우리 곁에는 누군가 있다는 것과 그것을 체감하게 해주는 따뜻한 손길을 표현하고자 했다. 어느 각도에서나 관객에게 안정적으로 느껴지는 정사각형 큐브 모양으로 구조를 잡았다. 천장에는 부드러운 털실과 광섬유를 늘어뜨리고, 바닥에는 스펀지와 솜을 깔아 부드럽고 푹신한 느낌을 살렸다. 탁 트인 옥상의 특성으로 인해, 낮에는 하얀 앵글이 드러나 옥상이라는 열린 공간 안에 또 다른 공간을 분리해주어 마치 개인의 영역 같은 느낌을 주고, 밤이 되면 실 사이사이마다 불규칙하게 빛나는 광섬유가 우주의 별처럼 빛나 큐브의 실제 크기보다 더 넓은 공간감을 준다. 큐브 중앙에는 한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는 빈 공간을 만들어 아늑한 느낌을 더욱 살려주었다. 〈The Hugging Cube〉 delivers the message that ‘One hug heals more than ten words.’ We tried to illustrate the people we can lean on in times of trouble and worries and their warmth. We chose the cube shape because its obvious structural stability at any angle calms the audience. By laying sponges and cotton on the floor we underline a 65
67
69
71
Artphil Institute Collaborative Project 2015 Explanation Board • P42 Mobius World
• A4 Wiki Dew
WIKI DEW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개체들이 서로 협력 혹은 경쟁을 통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에 의한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을 말한다. 소수의 우수 한 개체나 전문가의 능력보다 다양성과 독립성을 가진 집단의 ‘통합된 지성’이 올바른 결론에 가깝다는 주장이다.
디자인 배경 및 컨셉 개인의 지성은 모이지 않은 채 존재하기 때문에, 대기에 떠도는 수증기와 같이 형체를 갖추지 못한다.하지만, 맺힐 장소를 찾은 수증기가 이슬이 되듯이, 인터넷이라는 개방적인 망에 수많은 지점에 개개인의 지성이 맺히고 응축되어 집단화된다.그러한 과정을 통해 탄생한 집단지성은 대중의 필요에 따라 빛이 되기도하고, 어둠속에 묻히기도 한다. 우리는 이러한 현대인의 집단지성을 거미 줄에 이슬이 맺히고, 큰 물방울로 응축되고, 흔들려 떨어지는 과정에 빗대어 표현하였다. Individual intelligence is not able to exist, just like form of water vapor in the air. However, as water vapor encounters colder air and form tiny water droplets, visible in the form of mist, individual intelligence is condensed, clustered together on an open platform such as the Internet, and becomes collective intelligence. We represent this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same way as the process of dew collecting on spider web.
작품설명 그물천과 광섬유의 엮임은 전체적인 거미줄의 형상을 표현하며, 망 위에 산포한 유리구슬은 아직 응축되지 않은 지성을, 모여있는 구슬은 응축된 지성을 나타낸다.그물천에 연결된 모터는 모션센서에 감지된 관객의 움직임에 따라 그물 위의 여러 지점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모터의 움직임을 통해, 전체 작품은 다양한 위상으로 동적으로 변이하는 집단지성의 대중 감응성을 보여준다. 이 과정안에서, 응축된 지성을 상징하는 구슬들은 망 위에서 이동하며 빛이 되기도 하고, 어둠속으로 사라지기도 하며, 땅에 떨어 지기도 한다. The combination of net and fiber optic represents the shape of spider net. The distributed and congregated beads on the net imply collective and individual intelligence, respectively. The stepping motors changes the height of multiple points on the net based on the movement of spectators, which is sensed through the motion sensors. With the movement created by the motors, the entire work shows public susceptibili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morphs into various phases. In these processes, the beads for collective intelligence becomes a light, vanishes into darkness, or falls down to the ground.
광섬유, LED조명, 그물천, 아크릴구슬, 모터제어, PIR센서
TEAM A4
䂮 峕 뇆
Ⰰ ᖼ 쇀 탆
Ⰰ 瓇 ᗈ ᣂ
Ⰰ 瓇 맂 䃇
Ⰰ 䂮 䃇 ᳖
Ⰰ ӈ 颰 粷
Ⰰ 峍 É ꃌ
䐀䔀匀䤀䜀一 䌀伀一䌀䔀倀吀
HTTP 404 Not Found
䂮 ギ
Ⰰ
Visible Abstraction
• P15
2600 x 3000 x 2300
소재
倀㔀开
• E42
사이즈
糇ᢼLj磇 ᠠ挀漀渀渀攀挀琀椀漀渀ᤠ壇 ᗈ壇磇 ᠠ傴 ¬색 瓇쇀壇 곀Ⰰ
Ƭ 곀瓇壇 ⢸㇁ᤠ㳇岸 곀꧆壕ギ 钲Ⰰ 䤀吀
꧆듅탅᳁壇 壇磇 ᠠᒵ색㣑
꓂峑 跁탅᳁壇 ᇈ跁ᤠ탅
ᇉ䓇 傴 鳍壕Æ뗂좲⸀ ㇁᳁탅᳁ ³ ᒼ䲾岸좲䓅磇瓇 壕颲탅 쒳壕ギ Ӈ瓕 璬Ⓛ裕 ギ嶸ᢴ듅 裇钲 ᒼꢼ퇐⠀戀愀戀 㴀 㢻Ⰰ 攀氀 㴀 ⤀壇 ﳅ탆 ﲬ 瓇Ⰰ 壕颲䃇
࣍肽パ 磇墹탅責 裇듅᳁ 䪰蓇웅钲 탐沭
³쇀瓇 ᢴ듅哆뗂좲⸀ 壕색첹 嶰뒰 ᒼꢼ퇐瓇 㒻ࢱ색璺᳁ ᒼ買瓇 瓇듅색색 뮺壕責 ᢴ죅墳 莬飌 ﲷ壕颲䃇 Ⓠ颷ӈ 肽パ 梮䓇 ᣂ 웅钲 ࣈ³쓉겹䃆 瓇쇀壇 쇀헉瓇 ᢴ듅哆뗂좲⸀ 瓇飌 ﲷ磇墹钲 壕颲䓇 瓇쇀㳇岸 ギ 났ᢴ듅 裇ギ粹 ᒼ겷㳇為Ⰰ 莬䓇 뗑瓕 ꢺ 瓕䓇 㻌郇 裕뗂좲⸀ Ӗ³곀賖탅᳁ 磇墹钲 瓇ӈﲬ钲 碹 ⦼閼㳇岸 ӈ裗 壕颲탅Ⰰ 겹 ࣈ³쓉겹탅 쒳ӈ槕좲⸀ 䃇 Ӗ 咳 跔燈峕 磇パ㞱 ᒵ색㣑쇀壇 ¬쇀㣁쒬탅 ᇈ跁瓕᳁ 瓕䓇 㻌 裇뗂좲⸀ 壕색첹 采裔탅᳁ ᠠ瓕⼀ࣈ³쓉겹ᤠ钲 ӈ裗 냆겹탅責 ᠠ ꇇ䳇ᤠﲬᠠⓆ墹ᤠ岸 哖棕㳇岸棃Ⰰ ﲬ炬壇 瓇쇀⠀壕颲⤀탅 ³峕 쒳ӈ壇 났ﲬ䃆 蒹웅钲 㳖肷 ﲬ죕㒻棕䓇 붬壕責 槕좲⸀ 났涭 ﲬ炬壇 Ӗ ⠀壕颲탅 ᄇ䓇 ᣂ 裇钲 瓇쇀䓇 ¬색 裇钲⤀ 咳 ӖLj磇 ¬쇀壇 Ⓠ墹粹 뗑瓕 Ӗ岸 곇냆賖壕 ᇈ跁壕钲 붬䓇 壕責 ᢴ钲 莬藇좲⸀
Ⰰ 䂮 ᗈ 䃇
Ⰰ 沭 쒳 Ⓡ
Ⰰ ﳈ ᣂ
Ⰰ 䂮 Ӗ
• E15 Habitual Energy
ᠠ䌀漀渀渀攀挀琀椀漀渀ᤠ 挀愀渀 戀攀 搀攀昀椀渀攀搀 愀猀 琀栀攀 ᠠ爀攀氀愀琀椀漀渀猀栀椀瀀 戀攀琀眀攀攀渀 洀漀爀攀 琀栀愀渀 琀眀漀 琀栀椀渀最猀ᤠ 椀渀 最攀渀攀爀愀氀 琀攀爀洀猀⸀ 䠀漀眀攀瘀攀爀 眀攀 昀漀挀甀猀攀搀 漀渀 琀栀攀 渀愀爀爀漀眀攀爀 䤀吀 琀攀爀洀椀渀漀氀漀ⴀ 最礀 洀攀愀渀椀渀最 ᠠ愀挀挀攀猀猀 椀渀猀椀搀攀 琀栀攀 搀椀最椀琀愀氀 猀礀猀琀攀洀ᤠ⸀ 吀栀攀 䠀攀愀瘀攀渀猀 栀愀搀 愀氀眀愀礀猀 戀攀攀渀 愀 琀愀爀最攀琀 漀昀 攀砀瀀氀漀爀愀琀椀漀渀 愀渀搀 挀栀愀氀氀攀渀最攀 昀漀爀 洀愀渀欀椀渀搀 昀爀漀洀 琀栀攀 戀攀最椀渀渀椀渀最 漀昀 琀椀洀攀 猀甀挀栀 愀猀 挀漀甀氀搀 戀攀 猀攀攀渀 椀渀 琀栀攀 猀琀漀爀礀 漀昀 琀栀攀 吀漀眀攀爀 漀昀 䈀愀戀攀氀 眀栀攀爀攀 琀栀攀 愀渀ⴀ 挀椀攀渀琀 䈀愀戀礀氀漀渀椀愀渀猀 琀爀椀攀搀 琀漀 戀甀椀氀搀 愀 琀漀眀攀爀 椀渀 愀渀 愀琀琀攀洀瀀琀 琀漀 爀攀愀挀栀 琀栀攀 䠀攀愀瘀攀渀猀Ⰰ 戀甀琀 昀愀椀氀攀搀⸀ 吀栀攀椀爀 瘀愀椀渀 攀昀昀漀爀琀猀 搀椀搀 渀漀琀 氀攀愀搀 琀漀 琀栀攀 挀漀洀瀀氀攀琀椀漀渀 漀昀 琀栀攀 吀漀眀攀爀 愀渀搀 甀氀琀椀洀愀琀攀氀礀 琀栀攀 吀漀眀攀爀 挀漀氀氀愀瀀猀攀搀⸀ 匀椀渀挀攀 琀栀攀渀Ⰰ 琀栀攀 甀渀爀攀愀挀栀愀戀氀攀 䠀攀愀瘀攀渀猀 栀愀搀 挀漀渀猀椀猀琀攀渀琀氀礀 戀攀攀渀 愀 猀礀洀戀漀氀 漀昀 愀戀猀漀氀甀琀攀 琀爀甀琀栀 愀渀搀 椀搀攀愀氀猀⸀
• A15 The Hugging Cube
73
Artphil Institute Collaborative Project 2015 Grand Prize Archive 아트필은 1990년 설립 이후 매년 야외수업을 개최했습니다. 2003년 이후 보다 큰 규모의
• 2 014
• 2009
• 2 013
• 2008
• 2 012
• 2007
• 2 011
• 2004
• 2010
• 2003
공동작업을 실행하였고 매년 대상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2014년 이후 공동작업의 대상지가 갤러리와 옥상 공간으로 변경됐습니다. 아래의 링크에서 매년 진화하는 아트필의 작품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2015: vimeo.com/144452331 • 2014: vimeo.com/112181325 다음은 역대 대상 작품 아카이브입니다.
•
2015, Grand Prize E15, 버릇력 Habitual Energy 75
Copyright © 2015 Artphil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 Edited by Junki Hong.
Concept: A '가장 처음의, 가장 좋은, 최고의, 으뜸의'를 연상할 수 있는 알파벳 A를 선으로 표현하였다. 직선의 그래픽 요소가 모여 하나의 큰 형태를 만든다는 점에서 공동작업의 의미를 강조해서 보여준다.
77
Collaborative Project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