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1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01
02
03
2014 공동작업
올해의 공동 주제: Time & Space
artPhil은 1990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유학전문 미 술학원으로서 전 세계 문화예술계를 주도해 나갈 인재들이 연구하는 창조공간입니다.
제작기간: 2014년 10월 15일 - 26일
아트필은 매년 공동작업을 개최해오고 있습니다. 그동안 매우 창의적이고 재기 발랄한 야심찬 작품 들이 탄생되어왔는데, 10회를 맞이한 올해 아트필 공동작업은 단기간내에 심혈을 기울인 작품들이 훌륭히 완성되었습니다. 학생들은 반 별로 함께 작업을 구상하고 의견을 모아 작품을 제작, 설치하였습니다. 공동주제에 대한 각반의 다양한 시각들을 함께 공유하고 경험 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합니다.
전시기간: 2014년 10월 27일 - 29일 설치장소: 아트필 갤러리 프로젝트 부름 지하1층 & 아트필 6층 옥상
공동작품은 학생들에게 대형 팀 작업의 스케일을 경험하게 할 뿐만 아니라, 포트폴리오 작품으로 사 용할 수도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학생들이 팀 별 로 제작한 작품을 발표, 감상하고 선생님들의 강평 을 받습니다.
심사 평가 기준 및 배점 PROJECT BROOM 지하갤러리
P3 + WKND
과정 평가
컨셉 제출 시간 준수 여부
컨셉 제출 및 사전 준비 과정
10
참여도 / 협동력
팀원 간의 협동, 역할 분담 등
10
작품 평가
표현의 조형성
작품의 논리성, 완성도
25
창의성
개념의 참신함, 재료 사용의 독창성
25
마무리
작품 뒷정리
작품 철거 후 주변 정리
10
최종 발표
컨셉, 제작과정, 발표
작품의 프로세스와 결과물의 완성도
20
A3
E42
ROOFTOP 6층 옥상 E2 P42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A4
05
be SPACE
A3
_06
Dotime Device
A4
_12
Oksang.zip
E2
_18
E42
_26
P3+WKED
_33
P42
_38
Golden Noise
One’s Refraction
The Moment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Table of Contents
A3: Team MoMo 도지은 (Do, Jieun), 전윤지 (Jun, Yunji), 신아힌 (Shin, Ahene Irene), 홍지연 (Hong, Jiyeon)
07
시간과 공간 그 경계를 허물다 be Space 우리의 디자인은 시간과 공간은 공존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공 간이 한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고 시간의 흐름은 변화를 의미한다면 결국 이 두가지 개념의 만남은 경험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통해 우리는 관람객에게 시간과 공간의 공존을 경험할 수 있는 설치 작업 을 하고자 하였다. 기둥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일본의 도리이 길의 형 태를 바탕으로 건축에서 시간을 경험하게 하는 요소인 리듬을 작품 에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객은 일정한 리듬감과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단한 소재가 아닌 유연한 소재인 천을 통해 공간과 시간이 유형의 개념이 아닌 무형의 관념적 개념이라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We started from the idea that time and space are fundamentally the same thing and two different aspects of a single object; if Space refers to the “State” aspect of a matter, Time would be equivalent to its “Change/transition”. And the place where these two concepts reconcile would be “Experience” where one gets to meet with continual and transforming existence of things. Derived from the Japanese Torii path, we used Rhythm in order to lead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changing flow of time. The pillars are made of fabric, signifying that time and space are only concepts that only exist in our minds.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06
작품 사이즈: 7.1m * 4.6m * 2.7m , 작품 재료: 광목천, 타스란, 와이어, 수액팩 등
08
09
도리이의 연속되는 공간의 개념은 관념적인 시간의 특성을 가진 유연한 소재인 천을 반복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현실공간과의 차단을 표현해냈다. 천의 두께나 간격의 변화는 빨라지다 느려지는 시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천으로 형성된 공간을 걷는 사람으로 하여금 시간의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천에 표현된 디지털 시계는 다차원으로 공존해 흐르는 무수히 많은 시간들을 나타 내고 이러한 숫자들은 작품의 뒤로 갈수록 형태가 사라지며 결국 시간을 표현 하는 수치는 무의미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물이 담긴 링거를 통해 천에 흐르 는 다양한 색의 물방울 들은 시간은 결국 기억과 경험으로 남으며 살아가는 동 안에도 경험자에 따라 시간의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리는 작품 관람객에게 ‘너는 지금 어디쯤에’ 라는 질문을 통해 어느 시점을 추억하고 바라보며 살아가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By placing flexible materials (pieces of fabric hanging on metal wires) at certain to the surroundings. Varied widths of and intervals between the sheets of fabrics enabled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changing speed of time. The numbers on the fabric symbolize various kinds of Time, which shatter into pieces towards the end, meaning that the seeming absoluteness of Time is only of illusion. The drops of paints let out of bags containing different objects show that Time is remembered/ identified as recollections/experience. Also, the question shown on the ceiling gives the audienc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ir own experiences and think about which point in life –both time- and space-wise- they are living.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intervals, we turned the space into an exclusive space that still have connections
PRESENTATION BOARD
10
11
시간을 재기 위해서 달력과 시계가 있지만, 그것은 그다지 의미가 없다.
共間 [be SPACE]
사실 누구나 잘 알고 있듯이 한 시간은 한없이 계속되는 영겁과 같을 수도 있고, 한 순간의 찰나와 같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 것은 이 한 시간 동안 우리가 무슨 일을 겪는가에 달려 있다. 시간은 삶이며, 삶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니까. - Michael Ende, Momo中
“시간과 공간 그 경계를 허물다.”
1
3
디자인 배경 및 컨셉
작품사진
우리의 디자인은 시간과 공간은 공존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공간이 한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고 시간의 흐름은 변화를 의미한다면 결국 이 두가지 개념의 만남은 경험이 될 것이다. 이러한 생각을 통해 우리는 관람객에게
시간과 공간의 공존
시간과 공간의 공존을 경험할 수 있는 설치 작업을 하고자 하였다. 기둥이
도리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일본의 도리이 길의 형태를 바탕으로 건축에서 시간을 경험하게 하는 요소인 리듬을 작품에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객은 일
리듬
정한 리듬감과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단한 소재가 아
공간과 시간의
닌 유연한 소재인 천을 통해 공간과 시간이 유형의 개념이 아닌 무형의 관
관념적 개념
2
도리이
념적 개념이라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작품설명
도리이의 연속되는 공간의 개념은 관념적인 시간의 특성을 가진 유연한 소재인 천을 반복적으로 설치함으로써 현실공간과의 차단을 표현해냈다. 천의 두께나 간격의 변화는 빨라지다 느려지는 시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천으로 형성된 공간을 걷는 사람으로 하여금 시간의 변화를 느 낄수 있게 한다. 천에 표현된 디지털 시계는 다차원으로 공존해 흐르는 무 수히 많은 시간들을 나타내고 이러한 숫자들은 작품의 뒤로갈수록 형태가 사라지며 결국 시간을 표현하는 수치는 무의미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사 물이 담긴 링거를 통해 천에 흐르는 다양한 색의 물방울 들은 시간은 결국 기억과 경험으로 남으며 살아가는 동안에도 경험자에 따라 시간의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리는 작품 관람객에게 ‘너는 지금 어 디쯤에’ 라는 질문을 통해 어느 시점을 추억하고 바라보며 살아가고 있는 지를 묻고있다. 팀명 - MoMo 팀원 - 도지은 (Do, Jieun), 전윤지 (Jun, Yunji), 신아힌 (Shin, Ahene Irene), 홍지연 (Hong, Jiyeon) 작품 사이즈 - 7.1m×4.6m×2.7m 재료 - 광목천, 타스란, 와이어, 수액팩 등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치업
스케
12
13
“The way you perceive time is subjective to where you stand.”
DOTIME DEVICE 단순히 Time이 가지는 사전적 의미에 얽매이 기 보다는, 단어 자체가 가지는 재미난 표현을 기반으로 출발하였다. ‘Do Time’은 ‘Do time in prison(형을 살다)’의 비격식적 표현이다. 이 표현 에서 ‘감옥 안에서의 시간과 밖에서의 시간이 다 르게 간다’라는 기본 테마를 도출하였고 ‘두(two) time’, 즉 ‘두 가지의 다른 시간’이라는 의미를 더 해 작품의 의미를 완성시켰다. 시간은 항상 같은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한 개인이 그 속도를 줄일 수도, 늘릴 수도 없지만 그가 속해있는 공간적 성 격에 따라 시간의 속도가 달리 느껴 질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The work deviated from merely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the word time. One of the unconventional expressions linked to the word is “Do time,” which is an informal way of saying “do in prison and out of prison is the main theme. Also, the English pronunciation of “do” can be A4: 참가인원 총 13명 이주빈(Joobin Lee), 김선경(Seonkyoung Kim), 권혜민(Haemin Kwon), 이윤하(Yunha Lee), 박선민(Sunmin Park), 장승효(Seunghyo Jang), 권해윤(Haeyun Kwon), 이수미(Cristina Lee), 주영은(Youngeun Joo), 김용환(Yonghwan Kim), 차윤하(Yunha Cha), 이은지(Eunjie Lee), 박명재(Park Myungjae)
translated as “two” in Korean. This coincidental connection intensifies the meaning with “two different time in different space”. The time has absolute velocity and the individuals can never control it. However, based on where they belong, the absolute velocity of the time can be differently perceived.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prison time”. On the basis of this word, the time
비대칭 구조물의 중심부는 시간이 흐르는 절
15
대 속도를 의미하며, 이는 자전거 뒷바퀴에 연 결되어 사람이 자전거를 작동시키는 힘에 의 해 일정하게 돌아간다. 전체 디바이스는 비대 칭 형태로써, 그로 인한 양쪽 공간의 차이 때문 에 구조물의 양쪽 끝이 돌아가는 속도가 다르 게 느껴지도록 했다. 그리고 구조물을 구성하 는 10개의 봉 끝에는 LED조명을 설치하여 작 품이 회전하는 모습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The center part of asymmetric structure represents the absolute velocity of time and it is connected to the back wheel of the bicycle. The entire body of the device rotates constantly by the power that is operated by bicycle. It seems to have different velocity of rotation due to the asymmetric structure and gap of each space. Also the LED lights that are installed on the edge of each pole maximize the rotation of the device.
-사이즈(m): 2.7 x 2.4 x 2.5 -재료: 철제 앵글, 아크릴, 알루미늄, LED 조명, 자전거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14
PRESENTATION BOARD
DOTIME DEVICE
17
디자인 배경 및 컨셉 단순히 Time이 가지는 사전적 의미에 얽매이기 보다는, 단어 자체가 가지는 재미난 표현을 기반으로 출발하였다. ‘Do Time’은 ‘Do time in prison’을 비격식으로 표현한 말로써 감옥 안에서의 시간과 밖에서의 시간이라는 테마를 기본으로, ‘두(two) time’즉, 두가지의 다른 시간이
10 Pipes
LED Lights
Support Structure
Rubber Band
Acrylic Cylinder
Roller
라는 의미를 더 함으로써, 작품이 가지는 의미를 완성시켰다. 시간은 절 대 속도로 한 개인에 의해서 그 속도를 줄일수도, 늘릴수도 없지만 그 가 속한 공간적 성격에 따라 시간의 절대 속도가 달리 느껴 질 수 있다 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The work deviated from merely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the word time. One of the unconventional expression linked to the word is “Do time,” which is an informal way of saying “do prison time.”. On the basis of this word, the time in prison and out of prison is the main theme. Also, the English pronunciation of “do” can be translated as “two” in korean. This coincidential connection can instensifies the meaning with “two different time in different space”. The time has absolute velocity and the individuals can never control it. However based on where they belong the absolute velocity of the time can be differently perceived. 작품 설명 비대칭 구조물의 중심부는 시간이 가지는 절대 속도를 의미하며, 이는 자전거 뒷바퀴에 연결되어 사람이 자전거를 작동시키는 힘에 의해 일정 하게 돌아간다. 전체 디바이스는 비대칭 형태와 양 쪽 공간의 차이때문 에 구조물의 양쪽 끝이 돌아가는 속도가 다르게 보여지도록 했다. 구조 물을 구성하는 10개의 봉 끝에는 LED조명을 설치하여 작품의 회전성 을 극대화 시켰다. The center part of asymmetric structure represents the absolute velocity of time and it is connected to the back wheel of the bycicle. The entire body of the device rotates constantly by the power that is operated by bycicle. It seems to have different velocity of rotation due to the asymmetric structure and gap of each space. Also the LED lights that are installed on the edge of each pole maximizes the rotation of the device. 사이즈
270 x 240 x 250
소 재
철제 앵글, 아크릴, 알루미늄, LED 조명, 자전거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16
OKSANG.ZIP
우리의 아이디어는 작업실과 옥상의 시간흐름이 다르게 느껴지는 것에서 출
19
발한다. 많은 학생들로 북적이며 시시각각 변하는 작업실과는 달리, 옥상은
빛과 소리, 그리고 오브제를 통하여 시각화한 시간의 상대성
버려진 물건들의 움직임이 거의 없어 정적인 풍경을 만들어낸다. 매일 많은 사람들이 다녀가지만 변화하는 속도나 모습은 너무나도 다른 두 장소. 어쩌 면, 아트필이라는 하나의 공간 안에서 옥상과 작업실의 시간은 서로 다르게 흐르고 있는 것이 아닐까?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시공간-time-space-는 공간의 개념인 3차원과 시간의 개념인 1차원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만약 같은 공간이라 하더라도 시간이 흐르는 속도가 다르다면 어떻게 될까? 시간 의 흐름이 다르다는 것은 곧, 다른 공간임을 의미한다. 한 장소에 존재하지만 다른 특성을 가진 새로운 공간이 탄생하게 되는 것.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좀 더 연구해보기로 했다.
Our idea started from acknowledging how time feels different in the workroom from the roof. The workroom changes by the minute, vibrant with countless students coming in and out throughout the day. On the contrary, the roof remains stationary with abandoned objects staying in their positions. This gave us the idea the time may pass at a different speed in the workroom and the roof. Time - space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ree-dimension and time. But what if time flies at a different speed within a same space? Difference in speed of time means the spaces are different as well. A new space with a different feature is created while existing in the same place. We decided to delve deeper into this phenomenon.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18
20
21
다른 속도로 흘러가는 두 개의 공간을 같아보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느리게 흘러가는 옥상의 시간을 빠르게 압축해보기로 한다. 어떤 object를 압 축하였을 때 구부러지거나 부러지듯이, 압축된 시간이 공간을 왜곡하고 곧 찌그러져 분출 될 것이다. 이렇게 비틀어진 공간 속에서 빛과 소리 역시 함께 쏟아져 나온다. 주위보다 빠른 템포의 박동, 응축된 빛의 발산이 주위와 대조 를 이루며 시공간의 변화를 시각화한다.
What do we need to do to make two spaces mov-
We compress the relatively slow time of roof into a fast moving one. With pressure, time of the roof will distort its space burst out soon as an object tends to bend or fold when compressed. Light and sound together explode from such distorted space. Pulsation of beat faster than its vicinity and the outburst of compressed light contrast with its surroundings, visualizing the change in time and space.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ing at a different speed look like an identical one?
22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PRESENTATION BOARD 23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24 25
E2: 강진수 JinSu Kang, 김지연 JiYeon Kim, 박찬규 ChanGyu Park, 이상준 SangJoon Lee, 이장원 JangWon Lee, 임희원 HeeWon Lim, 최새날 SeNal Choi
27
Golden Noise 소음의 축적 보통 하찮게 여겼던 오브제들의 소음을 통해 시간성과 공간성 을 재연하였다. 이 세상에는 다양한 소음이 존재하고, 우리는 그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여러 소리가 섞여 때때로는 그 소리 가 무엇인지 알 수 없으나,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이내 그 소음 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일상 속에서 소음은 주목 받지 못하 는 존재이다. 사람들은 오브제들의 소음을 하찮게 여기고, 때 로는 무시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 소음이 특별하다고 생각한 다. 우리는 소음을 인지하기 까지 오랜 시간 그 소음을 들어왔 고, 우리는 마침내 소음만으로도 그 순간의 공간과 시간을 알 수 있게 된다. 우리를 둘러쌓고 있는 소음은 우리의 일상이고, 소음의 축적은 우리의 인생이 된다. 흘러온 우리 인생은 미다 스(midas)의 손을 거쳐간 황금으로 변한 오브제와 같다. 각각 의 소음들은 각각의 스토리를 담고 있고, 나의 역사가 되고, 나를 지탱해 주는 소중한 황금과 같은 존재됨을 나타냈었다.
Through the noise of objects that are normally ignored in life, we re-created time and space. We live in a world where many different noises exist. Although at times the noises get mixed up together, the identity of each noise can be identified if listened carefully. The noises in daily life are normally ignored. People do not care for them. However, we think they are special. We have lived years through the common noises around us, and we even have come to recognize time and space of some instants just by hearing those noises. The noises that surround us are part of our everyday lives, and the accumulation of those noises become our lives themselves. Our lives are like the objects that turned into gold by the golden touch of Midas. Each noise contains its own story. They become our lives’ histories, and they are represented through gold, which is precious and worthy.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26
28
29
The noises that we may easily pass by in our daily lives are recorded and attached to the objects. Just by listening, the noises from different spaces and times make us perceive when it was and where it was that each of the noise was recorded. We specifically used the objects that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our daily lives (starting from pet bottles to electronic devices) to represent the common noises in our daily lives. The spine of this sculpture was built with drums and metal boards, and the other common objects were added around the spine in order to express the build-up of the mixture of noises. This sculpture is balanced in the big picture, however, the way the objects are randomly attached represents our daily lives, and our daily lives are as precious and worthy as gold.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녹음된 소음은 우리가 듣기만 해도, 여기가 어디인 지, 언제인지 지각 (precieve) 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소음의 축적이 나타내는 인 생의 가치를 황금색 오브제로 쌓아 올려 표현하였다. 특히, 일상 생활에서 쓰이 는 가전 제품부터 작은 페트병까지 여러 오브제를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일상 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기본이 되는 뼈대는 드럼통과 철판을 이용하였고, 그 위 에 일상의 오브제들을 덧대는 작업을 통해 소음의 축적을 표현하였다. 이 조형 물은 큰 틀에서는 균형적이지만, 마구잡이로 부착되어 있는 모습은 우리 일상 이고, 이의 귀중하고 가치롭다.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우리가 쉽게 지나치는 일상에서 들리는 소음을 녹음하여 오브제에 매달았다.
30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PRESENTATION BOARD 31
W 257 * H 263 * D 414(cm) 폼보드, 반사판, LED, 프로젝터(foamboard, reflection film, LED lights, projector)
33
One’s Refraction 시공간의 굴절 우리는 시간과 공간의 실재성과 관념성에 대한 사유를 통해 지하철이라는 공 간을 떠올렸다. 지하철은 가장 대중적이고 일상적인 교통수단으로서 우리의 일상과 같이 순환한다. 출발점과 도착점을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탑승 자들은 동일한 시공간을 공유하며 외부와 단절된다. 동시에 주관적으로 인식 해온 개개인의 관념을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끌어온다. 개인들은 그 안에 서 서로의 일상과 단편, 즉흥적인 감정과 같은 단상들을 마주하고 재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지하철이라는 물리적인 공간은 개인들의 추상이 매개되는 철 학적이고 관념적인 공간으로 변화한다. 이렇게 개념화된 지하철이라는 공간 안에서, 다양한 타인들의 생각과 존재는 마치 거울과 유리에 비추어진 빛과 같 이 다양하게 왜곡되고 굴절되며 파편화되어 새로운 하나의 기억으로 압축되고 재생산된다. 이러한 관념적 변화와 함께 지하철이라는 공간은 물리적으로도 완전히 새로운 시공간으로 재탄생된다.
Thinking about the substantiality and ideality of time and space, we recall the subway as a space. An ordinary public transportation, the subway routes with our daily lives. From their departure to destination, passengers share the common time and space while they become reclusive from the outside. Meanwhile, the individuals’ subjective concepts are drawn consciously or subconsciously. The people confront their spontaneous feelings and rethink about their everyday lives in this space. The physical space of the subway transforms to one’s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intermediation. Within this conceptualized space, various minds and existences seem to be the reflection on mirrors and glasses to represent the distortion of our memories fragments. Our daily memory pieces eventually compress and reproduce to new remembrance. These change of ideas completely reborn the time and space of the subway.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32
34
35
우리는 일정한 시간 동안 달리는 지하철의 움직임 및 진동으로 이루어진 모든 궤적을 하나의 실재적 공간 안 에 압축시켰다. 이러한 지하철의 궤적들이 맞닿는 지점 이 모여 연속적인 삼각형 구조를 만들어낸다. 삼각형 구조의 공간 위에 흐르는 영상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흔 히 마주하게 되는 장면의 파편들로, 지하철이라는 물리 적 공간에 관념을 부여한다. 개개인의 일상의 기억들은 공간 안에서의 왜곡과 굴절을 통해 타인의 기억들과 뒤 섞여 새로운 하나의 기억으로 재탄생된다. 이렇게 재탄 생된 기억들로 이루어진 영상은 관람자들로 하여금 마 치 자신들의 일상 또한 그 파편의 일부인 듯한 기시감
We compressed the every trace composed of the movements and vibrations of the subway running through the certain time in a singular space. The points where these traces meet generate continuous triangular structure. The videos played on the facade of the structures are the fragments of our commonly encountered scenes, which provide the abstract notion to the subway which was the non-idealistic space. The everyday memories of the individuals’ reborn as a new mixture of the memories of others through the distortion and refraction in the space. Such regenerated memory provides the viewers of some déjà-vu as if their memories had been the part of the fragment.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을 느끼게 한다.
PRESENTATION BOARD 36
P3+WKED: Scintillation 강경화 Kyunghwa Kang 김소희 Sohee Kim 김해진 Haejin Kim 류동원 Dongwon Ryu 박예린 Yerin Park 변기범 Kibeom Byun 심지윤 Jee Youn Sim 여연지 Yeonjee Yeo
이규호 이다희 이미경 이소연 이주현 최석준 황희연
Gyu ho Lee Da Hee Lee Mikyung Lee Soyeon Lee Juhyun Lee Sukjune Choi Hui Yeon Hwang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37
W 500 x H 300 x D 650 (cm) 재료 : 밧줄, 철와이어, 쉬폰천, 난석
P42: 서주환, 신주현, 유현진, 이정윤, 이현승, 임정빈, 임지설, 최지혜
39
the moment 찰나 찰나는 극히 짧은 시간, 순간, 시간의 최소 단위를 말한다. 찰나를 현대 시간으로 환산을 하면 ‘75분의 1초’라고 하는데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 관 념에서는 인지하기 힘들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공간에 겹겹이 존재하 는 수많은 찰나의 레이어 중 몇몇은 인식하기도 하고 몇몇은 흘러 보낸 다. 인식된 찰나는 기억 속의 일부가 되어 침잠하기도 하고 다시 떠오르 기도 하면서 다른 찰나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준다. 때문에 찰나는 희미 하지만 강력하다. 우리는 만일 찰나의 집합체인 시공을 깨트릴 수 있다 면, 그것의 강력함을 시각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시공간이 깨 어진 틈으로 시간이 흘러들어와 선을 이루고, 파편화된 공간들은 각각 다 른 찰나를 담아 보여준다. 또한 분절된 시공은 다시 공간에 투영되어 더 큰 공간을 분절하며 확장해 나간다. 이 과정은 또 다른 영향력을 가지는 찰나가 된다.
Chal-na(an instant) is an infinitesimal moment in time. It is the state that people cannot feel in conception of time. Thus, people only perceive some of them but cannot perceive most of them in subconscious. However, some Chal-na which perceived become part of the memory and they are withdrawing into and floating on the space of memory. By doing so, they would have an influence on upcoming Chal-na. This is why Chal-na is vague but powerful. We tried to break time and space in order to visualize the powerfulness of Chal-na and tie up splinters of them. Through the crack, time leaks out and forms new Chal-na. Segmented time and space are projected on the space and widen the subject. This process develops into the other Chal-na.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38
40
41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신사동 576-9의 옥상은 인위적으로 찰나들의 공존을 막지 않 은, 일상성을 가지는 공간이었기 때문에 ‘겹겹이 존재하는 수많은 찰나’가 존재하 던 공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공간을 크게 조작하지 않으며 공간에 파편화된 이미지를 투영하길 원했다. 파편화된 찰나의 이미지는 유리면을 총알이 관통할 때 갈라지고 분절된 조각들이 튀는 모습의 찰나에서 착안했다. 줄로 공간을 입체적으로 분할함으로써 시공간에 생긴 틈을 표현했다. 이에 자연 스럽게 파편들도 함께 형상화 할 수 있었다. 몇몇의 파편에는 반투명한 천으로 면을 이루었다. 반투명한 천은 투영되는 영상을 왜곡하 기도 하고 중첩시키기도 하며 한 공간에 각기 다른 찰나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영 상은 찰나들의 다채로움을 표현하며, 한편으로는 분절된 시공을 또 다시 공간에 투영하여 파편화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바닥에 자갈을 깔아 잘게 파편
Sinsa-dong 576-9’s rooftop, which is our work’s surrounding, does not block the co-existence of the moment intentionally. Because the place contains the character of ordinary life, the layers of the ‘Chal-nas’ are able to exist in the place. Thus, we wanted to project split images without manipulating the place greatly. We create the image of split moments from when broken fragments pop out by a bullet goes through a surface of glass. So, we could shape the other fragments naturally. Some fragments are covered with semitransparent texture. Those semitransparent textures distort the projected image and show us the existence of other Chal-na as they are piled up. The projected images express the diversity of beauty and, on the other side, the split time and space are projected to the space for expanding the fragments. The gravels on the ground indicate the trace of broken fragments in the space.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화된 부스러기가 공간에 흔적을 남기는 느낌을 주고자 했다.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PRESENTATION BOARD 43
2014년 대상
역대 대상 수상작
2003
2009
2004
2010
2007
2011
2008
2012
45
DOTIME DEVICE
2013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TEAM A4
Copyright Š 2014 artPhil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Cover Design by Seung Hyo Jang
ArtPhil Collaborative Project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