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
2025년은 한국 교육이 궁극적으로 바뀌게 되는 중요 한 해 입니다. 특히 2028년부터 바뀌는 '대학입시제
도' 개편 확정안이 2025년 고등학교 신입생부터 적
용되면서, 고교 학점제의 도입과 더불어서 고교교육이
전반적으로 바뀌게 되는 한해입니다. 이러한 변화를 이번호 씬짜오베트남에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2025년부터 시행되는 고교 학점제는 우리 나라 고등학교 교육에 매우 의미 있는 변화 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 제도가 어떻게 운 영되고 학생들에게 어떤 혜택을 주는지 자 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고교 학점제의 가장 큰 특징은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사와 진로 에 맞춰 원하는 과목을 직접 선택할 수 있 다는 점입니다. 지금까지의 고등학교 교육 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같은 교실에서 동일 한 과목을 배우는 획일화된 방식이었습니
다. 하지만 새로운 학점제에서는 학생들이 마치 대학교처럼 자신만의 시간표를 만들
어 공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디
지털 미디어에 관심이 많은 A 학생의 경우 를 보면, 기존에는 기본적인 미술 수업 외
에는 자신의 관심 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할 기회가 많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학점제가 도입되면 디지털 디자인, 3D 모델링, 미디어 제작과 같은 전문적인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의 전환이 가져 올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이 변화가 시작되는 시점을 말씀드리면, 2024년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부터 새로운 5등급제가 적용됩니다. 이는 학 생들의 성적 평가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구체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 겠습니다. 예를 들어, C라는 학생이 수학 에서 1등급, 국어에서 2등급을 받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현재의 9등급제에서 는 이 1등급과 2등급 사이의 차이가 매 우 크게 여겨집니다. 하지만 새로운 5등 급제에서는 이 차이가 상대적으로 줄어 들게 됩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기 존에 1등급과 3등급 사이의 간격이 2등 급 차이로 계산되던 것이, 새로운 체제
에서는 1등급 차이로만 반영된다는 것입
니다. 이는 실제 성적 차이에 비해 등급 간의 격차가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옵니 다. 또 다른 예시로 D 학생의 경우를 보 겠습니다. 이 학생은 과학 과목에서는 매
우 우수한 성적을, 영어에서는 다소 낮은
성적을 받았다고 합니다. 9등급제에서는
영어 과목의 낮은 등급이 전체 성적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5
등급제에서는 과학 과목의 높은 성적이 더 강조되면서, 상대적으로 영어 과목의
낮은 성적이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게 됩 니다.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긍정적인 효
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
다. 첫째, 과도한 성적 차이로 인한 학생
들 간의 격차가 완화됩니다. 둘째, 대학
입학 전형에서 내신 성적을 반영할 때 보
다 간단하고 명확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 게 됩니다. 셋째, 대학들이 학생들의 성
적을 평가하고 해석하는 과정이 보다 수
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5등급제로의 전환은 학생들의 학
업 스트레스를 줄이면서도, 보다 실질적 이고
의학 분야에 관심이 있는 B 학생의 경우를 보겠습니다. 이 학생은 고교 학점제 를 통해 의학 기초나 유전자 연구와 같은 전문적인 과 학 과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생물학 실험 과 같은 실습 과목을 통해 실제 연구나 실험을 경험 해볼 수 있어, 자신의 진로를 미리 체험해보고 준비 할 수 있게 됩니다.이러한 변화는 크게 세 가지 긍정 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첫째, 학생 들은 자신이 정말 배우고 싶은 과목을 선택하여 더 깊 이 있는 공부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학습 동기를 높이고 더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둘째, 학생들은 고등학교 때부터 자신의 진로와 관련 된 전문 분야를 탐구하고 준비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는 대학 입시에서도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신 의 진로와 관련된 과목들을 체계적으로 이수했다는 것은 그 분야에 대한 진정한 관심과 준비도를 보여주 는 좋은 증거가 될 것입니다. 셋째, 다양한 선택 과목 을 통해 학생들은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술과 과학을 함께 공부하거나, 인문학과 기술을 접목하는 등 다양 한 분야를 넘나드는 학습이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고 교 학점제는 단순히 교육과정의 변화를 넘어, 학생들 이 자신의 미래를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준비할 수 있 게 돕는 의미 있는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 시작되는 가장 큰 변화는 수시와 정시 전형에서 학생을 평가하는 방식이 더욱 다양해 진다는 점입니다. 이전에는 주로 성적이나 수능 점수와 같은 수치적인 평가가 중심이었다면, 이 제는 학생의 전반적인 역량을 더 폭넓게 평가하려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 학과 과학 성적이 우수하고 봉사활동과 동아리 활동에도 열심히 참여한 E 학생의 경우를 살펴 보겠습니다. 이런 학생은 수시 전형의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왜
냐하면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는 단순히 성적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참여한 다양한 활동과 그 과정에서 보여준 성장 가능성까지 함께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내신 성적은 다소 낮지
만 수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F 학생의 경우는 어떨까요? 정시 전형의 비중이 커지면서 이런
2028년 대입 개편안은 해외에서 공부하는 학 생들에게 상당히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변화의 핵심은 크게 세 가지 측 면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먼저, 학생부 대체 서식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질 것입니다. 국내 학생들의 내신 평가가 기존 9등급에서 5등급 체제로 변경되면서 성적 변별력이 낮아지게 되 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해외 학생들이 제출하는 학생부 대체 서식에 담긴 내용의 중 요도가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해외 학생들은 자신의 학업 성취도와 다양한 교내외 활동을 더욱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꼼꼼히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두 번째로, SAT나 ACT와 같은 표 준화된 학력평가 자료의 필요성이 한층 더 강 화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수능의 난이도가 전 반적으로 하락하고 평가 지표가 부족해진 상황 에서, 대학들이 해외 학생들의 학업 역량을 보 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 기 때문입니다. 특히 국제학교, 한국학교, 현지 학교 등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공부하는 학생 들의 경우, 이러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 화 시험 성적이 더욱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준비 시기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질 것입니 다. 특히 수능 성적을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 는 정시 전형의 비율이 40%로 유지되면서, 수 능 준비에 집중한 학생들의 대학 진학 기회가 보장됩니다.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긍정적인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학생들이 자신의 강점에 따라 수시와 정시 중 유리한 전형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집니 다.둘째, 학생부 종합전형이 강화되면서 성적 이외의 다양한 활동과 경험이 더 중요하게 평 가됩니다. 예를 들어 리더십을 발휘한 경험이 나 의미 있는 봉사활동 경험 등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특정 분야에서 뛰어 난 재능을 보이는 학생들이 그동안의 노력과 성취를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집니다. 결국 이번 대입 전형의 변화는 다양한 방식으 로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면서, 동시에 학생들이 자신의 강점을 살려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나아 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시험 성적만으로 학생을 평가하던 과거의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특성과 잠재력 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려는 의미 있는 변화라 고 할 수 있습니다.
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변화가 있습니다. 이 제는 대학 지원 시기인 11~12학년에 임박해서 준비하기보다는, 그 이전부터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준비를 시작해야 합니다. 학업 성취도 는 물론이고, 교과 및 비교과 활동에 대한 꾸준
한 기록과 증빙자료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특 히 해외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경우, 자신의 학업과 활동 경험을 한국 대학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고 설명하는 과정에 더 많은 시 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베트남이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늘리고 있
지만 성과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Vnexpress지가 보도했다. 교육
훈련부에 따르면 2022-23
학년도 기준 290만명 이상
의 학생들이 2008년 시작
된 영어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10년 이상 영어를 공
부했다. 그러나 지난 8년간 고교 졸업시험에서 57%의
학생들이 영어 과목에서 5 점 미만을 기록했다. 국제
영어능력시험 자격증을 보 유한 학생은 전체의 4-5% 에 불과했다. 르반칸(Le Van Canh) 하노이국립대 언어국제학부 전 교수는 " 현재 수업 방식으로는 학 생들이 수업 사이에 배운 내용의 50%를 잊어버린 다"고 지적했다. 교육기술
업체 에드테크 에이전시 (Edtech Agency)의 응우옌 홍한(Nguyen Hong Hanh) 대표는 "외국어 교육이 베 트남 교육기술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분야"라며 "약 750개의 상품과 900만 명 의 온라인 사용자를 보유 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4 년 EF 영어능력지수에 따 르면 베트남은 116개국 중 63위를 기록, 전년 대비 5 단계 하락했다. 동남아시 아에서는 싱가포르, 필리 핀, 말레이시아보다 낮고 인도네시아, 미얀마, 캄보 디아, 태국보다는 높은 수 준이다.
(Vnexpress 2025.01.14)
지난해 베트남의 자동차
판매량이 큰 폭으로 증가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4일 보 도했다. 베트남자동차제 조업협회(VAMA)와 빈패
스트(VinFast 나스닥 증권
코드 VFS), 현대차 조립· 판매업체 현대탄꽁베트남 (HTMV) 등의 자료를 종 합하면, 지난해 베트남시
장 신차 판매대수는 49만 4310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대비 22% 증가한 것 으로, 앞서 역대 최대 판매 고를 기록했던 2022년 (50 만8547대)과 비교해도 차 이는 1만4200여대에 그치 는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VAMA 회원사 합산 판매량 은 34만142대를 기록했고,
뒤이어 빈패스트 8만7000 여대(잠정치), 현대탄꽁 6 만7168대 순을 기록했다.
빈패스트는 정확한 판매대
수를 공개하지 않았다. 지
난해 상반기 시장이 극심 한 침체에 빠졌었던 것을
감안하면 연간 22% 성장
률은 매우 인상적인 성과
로 받아들여진다. 2024년
상반기 자동차 판매대수는
지난 5년래 최저치를 기록
했던 2023년 상반기보다
도 적었기 때문이다. 고전
하던 베트남 자동차업계는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간 시행된 국산차 등록세
50% 한시적 인하 조치로
인해 4분기부터 큰 폭의 반
등을 시작했다. 이때 제조 사와 딜러사들 또한 연말
성수기를 앞두고 대대적인
프로모션에 나서면서 판매 고를 끌어올리는 데 주력 했다. 한편, 작년 유통·제
조사별 실적은 기아와 마
쯔다, 푸조, BMW 등 4대
브랜드 유통사인 쯔엉하
이자동차(Thaco·타코)가 전체 9만7000여대(18.4%)
를 판매하며 시장 1위 기
업으로서 입지를 유지했
다. 다만 판매량은 전년대
비 7% 줄었는데, 이는 기
아와 마쯔다 판매량이 각 각 9%, 15% 감소한 데 따
른 영향이었다. 이에 반해
버스 판매량은 38% 늘면
서 승용차 판매 감소분을
일부 상쇄했다. 토종 전기
차 제조업체 빈패스트 판
매량은 지난 2023년 3만
1월25~2월2일 중부행
베트남 연중 최대 명절인
뗏(Tet 설)연휴가 한주 앞
으로 다가온 가운데 호찌
민발 국내선 귀성 항공편
은 높은 수요로 인해 현지
항공업계의 520여편 증편
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예
매가 쉽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고 인사이드비나지
가 14일 보도했다. 베트남
민간항공국(CAAV)에 따
르면 10일 기준 베트남항
공(Vietnam Airlines 증권
코드 HVN)과 비엣젯항공
(Vietjet Air 증권코드 VJC),
뱀부항공 등 주요 항공사가
뗏연휴 국내선 522편(13.3
만석 규모)을 증편했다. 그
러나 높은 수요로 인해 뗏
당일(29일)을 제외하면 대
부분 노선이 매진돼 표를
구할 수 없는 상태이다. 현
재 호찌민 떤선녓공항(Tan Son Nhat)에서 출발하는
국내선은 후에(Hue), 뀌년 (Quy Nhon), 탄화(Thanh Hoa), 쭈라이(Chu Lai) 등
중부행 운항횟수가 종전
26회에서 37회로 대폭 늘
어났음에도 일찌감치 매
4855대에서 작년 8만7000 여대로 무려 150%에 가까
운 성장률을 기록, 전체 시 장의 17.6%를 차지하며 2 위를 기록했다. 주목할 만 한 점은 지난 30년간 현지 기업으로서 이 같은 판매 고를 올렸던 자동차 제조 사는 빈패스트가 유일했다 는 점이다. 빈패스트는 구 체적인 판매 정보를 공개
하지 않았으나, 업계에 따 르면 초소형 SUV 전기차 VF3와 크로스오버 전기차 VF5가 전체 판매고의 4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전해
졌다. 현대탄꽁은 전년대 비 282대 줄어든 6만7168 대(13.6%)를 판매해 3위를 차지했고, 뒤이어 도요타 베트남(TMV)이 6만6676 대(렉서스 제외)로 현대탄 꽁을 바짝 뒤쫓았다. 베트 남 자동차시장에서 타코와 빈패스트, 현대탄꽁, 도요 타베트남 등 4대 기업이 차 지하는 비중은 63%에 이른 다. 이들 업체는 현지에서 조립·생산하거나 해외에 서 수입한 차량을 내수시 장에 판매하고 있다. (인사이드비나 2025.01.14)
진된 상태이며, 하노이· 다낭(Da Nang) 노선 또한 90%의 높은 예매율을 보이 고 있다. 현지 항공업계는 올해 뗏연휴가 상대적으 로 길어진 탓에 열차와 버
스 등 비교적 저렴한 육로 귀성편이 조기 매진된 것
이 뗏전후 항공편의 높은 수요로 이어진 것으로 풀 이했다. 베트남은 오는 25 일부터 내달 2일까지 주말 4일 포함, 9일간의 뗏연휴 를 맞이한다. 현재 연휴기 간 호찌민발 국내선 항공 편은 하노이, 다낭, 하이퐁 (Hai Phong), 빈(Vinh) 노 선 주간시간대 운항편이
모두 매진돼 이른 오전이 나 심야시간대 편도 300만 ~500만동(118~197달러) 의 일부 좌석만 예매가 가 능한 상태이다. 베트남항 공은 예상보다 높은 수요 에 증편에 나섰지만, 비즈 니스석을 제외하면 예매가 쉽지 않다. CAAV는 수요 가 높은 노선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증편을 항공업계 에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항공사들 또한 웨트 리스(wet lease,
산업용부동산 성장세 지속
작년 임대료 5%↑
지난해 베트남 산업용부동
산이 꾸준한 수요에 힘입
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
였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4일
보도했다. 전날 부동산컨
설팅업체 CBRE의 최근 시
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해 베트남 기성공장과 창
고 등의 임대료가 전년대
비 2~5% 오르는 등 산업
용부동산시장 전반이 성장
세를 유지한 것으로 확인 됐다. 보고서는 "기성공장
부문은 남부와 북부시장
이 공급과 흡수율, 임대료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장세
를 보였고, 특히 신규공급
은 두 지역 모두 50만㎡씩 늘어 공급과 시장흡수율이
3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북부지방 기성공장 임차
율은 88%로 전년대비 2%
포인트 상승했고 남부지
방 또한 89%로 8%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지역별 월
평균 임대료는 북부가 ㎡
당 4.9달러, 남부가 5달러
로 평균 2% 상승했다. 또
한 기성창고의 경우 북부
지방 시장흡수율이 약 20 만㎡로 지난 2년간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던 반면, 남
부지방은 40만㎡로 2배 가
량 증가했다. 견조한 수요
에 힘입어 작년말 기준 북
부와 남부지방 월평균 임
대료는 ㎡당 4.7달러로 각
각 2.1%, 5.3% 상승했다.
또다른 부동산컨설팅업체
존스랑라살(JLL) 역시 이
와 비슷한 내용의 보고서
를 내놨다. JLL에 따르면
지난해 남부 물류부동산 시
장흡수율은 전년대비 40%
이상 증가했으며, 북부지
방 수요도 안정적인 수준
을 유지했다. 이에따라 작
년 4분기 기준 두 지역의
임대료 또한 전분기대비
소폭 상승했다. 기성창고
임대차 계약은 주로 여러
지방에서 사업체를 운영
중인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나타났
다. CBRE에 따르면, 남부
지방 임차 수요는 주로 가
구와 가전 및 전자제품 제
조업체와 전자상거래 분야
기업에 집중됐으며, 특히
중국계 제조기업의 임대
문의가 전년대비 10%포인
트 늘어 전체의 25% 가량
을 차지했다. 북부지방에 서는 주로 물류와 전자, 생 산자재업에서 많은 임대 차 계약이 체결됐다. 임차 수요는 중국과 현지 기업 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 으며 유럽 기업들도 물류 부동산 임차를 적극적으 로 모색하는 모습이 나타 났다. 한편, 베트남 물류부 동산시장은 공급이 늘어 나면서 투자자간 임대 경 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 로 보인다. JLL에 따르면
올해 박닌성(Bac Ninh)과 흥옌성(Hung Yen), 하이 퐁시(Hai Phong) 등을 중 심으로 북부시장 물류부동 산 공급이 늘 것으로 예상 되며, 남부시장 신규 공급 은 68만4000㎡에 이를 것 으로 전망된다. CBRE는 " 기성창고 임대료는 향후 3 년간 최대 연 4% 상승세를 보일 수 있다"며 풍부한 공 급에도 강력한
빈패스트, 전기차 구매자에 최대 7000만동(2750달러) 지원
내년 1월까지 1년간, 하노이시 구매·등록 조건부
토종 전기차제조회사 빈패
스트(VinFast 나스닥 증권
코드 VFS)가 수도 하노이
의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
을 지원하기 위해 전기차
구매 고객에 최대 7000만 동(2756달러)을 지원하는 등 파격적인 지원에 나선 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4
일 보도했다. 빈패스트는 최근 모기업 빈그룹(Vingroup 증권코드 VIC)이 하
노이에서 개최한 한 행사
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 로 한 소비자 지원계획을 공개했다. 빈패스트는 이 를통해 하노이시를 친환 경 도시로 만드는 데 일조
하고, 나아가 내연차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
는 계획이다. 이에따라 빈
패스트는 자사 전기차 구
매 고객에게 최저 360만동 (142달러)에서 최고 7000
만동의 지원을, 전기오토
바이 구매 고객에는 50만
~300만동(20~118달러)
의 현금성 지원에 나설 계
획이다. 지원대상은 하노
이시에서 자사 차량을 구
매·등록하는 모든 소비자
이며, 지원기간은 내년 1월
말까지 1년간이다. 전기차
지원 수준은 차종과 구매
방식에 따라 결정되며, 배
터리 구매 고객은 구독 이
용자보다 1.67배 높은 지원
을 받을 수있다. 구체적으
로 초소형 전기 SUV VF3 의 경우 배터리 구독 고객 과 구매 고객은 각각 360 만동, 600만동(236달러)의
지원을 받게 된다. VF9 소 비자에게는 배터리 구독시 4200만동(1653달러), 구매 시 7000만동이 각각 지원 된다. 전기오토바이도 모 델과 구매방식에 따라 50 만~300만동이 지원된다.
배터리 구매와 구독간 차 액은 50만~100만동이다.
전기자전거 드래곤플라이 (DrgnFly)의 경우 지원액 은 100만동(39달러)이다.
지원대상인 소비자는 차량 번호판 등록까지 마치면 빈 그룹 멤버십프로그램인 빈 클럽(VinClub)의 포인트 형
태로 지원금을 받게 된다. 빈클럽 포인트는 빈그룹 계열사 서비스 이용시 현 금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빈그룹 운수업체 빈버스(VinBus)는 하노이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내달 1일부 터 내년 1월31일까지 1년 간 특정 전기버스 노선 월 정기권 가격의 50%를 지원 할 계획이다. 또한 팜 녓 브 엉(Pham Nhat Vuong) 빈 그룹 총수의 전기택시회사 GSM은 하노이 시민들의 이동 수요 충족을 위해 1년 내내 운임을 할인받을 수 있는 연간 할인 멤버십 패 키지를 출시했다. (인사이드비나 2025.01.14)
올해 베트남의 뗏(Tet 설)
연휴 베트남 방문 외국인
가운데 중국인이 가장 많
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
다고 인사이드비나지가 13
일 보도했다. 글로벌 여행
플랫폼 아고다(Agoda)에
따르면 연휴기간중인 오는
29일부터 내달 2일까지 베
트남 주요 여행지 숙소 검
색량은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해 139% 증가한 것으
로 집계됐다. 아고다는 지
난달 21일까지 3주간, 베
트남 주요여행지 숙소 검
색 및 예약자료를 토대로
분석해 이같이 전망했다.
국가별 검색 증가율은 중 국이 296%로 가장 높았고, 대만과 한국이 각각 123%, 96%로 뒤를 이었다. 여행 지별 숙소 검색량은 푸꾸 옥(Phu Quoc)이 266%로 다낭(119%)과 냐짱(104%) 을 크게 앞질렀다. 베트남 은 오는 25일부터 내달 2 일까지 9일간의 뗏연휴를 맞이한다. 지난해 베트남 을 다녀간 외국인
미하일 미슈스틴(Mikhail Vladimirovich Mishustin)
러시아 총리가 14일 오전 팜
민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의 초청으로 2 일간의 공식 방문을 위해
하노이에 도착했다고 Vnexpress지가 14일 보도했
다.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서 짠반선(Tran Van Son)
정부사무처장관, 레티투항 (Le Thi Thu Hang) 외교 부 차관, 당민코이(Dang Minh Khoi) 주러 베트남 대
사, 벧젯코 겐나디 스테파
노비치(Bezdetko Gennady Stepanovich) 주베트남 러 시아 대사가 러시아 대표 단을 영접했다. 미슈스틴
전체 시장중 매출 3위
일본 유통대기업 이온그룹
(Aeon Group)의 베트남 사
업부 매출이 전(全)시장 가
운데 3번째로 많았던 것으
로 나타났다고 인사이드비
나지가 14일 보도했다. 이
온그룹이 최근 공시한 재
무제표(2024년 3~11월)
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발
생한 매출은 전년동기대
비 13.7% 증가한 125억엔 (7940만여달러)을 기록했
다. 특히 이온몰베트남의
매출과 영업수익은 전사 실적의 3.7%, 9%를, 해외 사업으로 범위를 좁힐 경 우 비중은 16.2%, 43.5%
에 달했다. 또한, 같은 기 간 이온몰베트남의 영업 수익은 일본 303억엔(약 1 억9250만달러, 17.2%↑), 중국 43억엔(2730만달러, 20.1%↓)에 이어 전시장 중 3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에서는 캄보디아 2000만엔(12.7 만달러), 인도네시아 1억 7900만엔(113.7만달러)
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
다. 이온그룹은 지난 2014 년 호찌민시 이온몰 1호 점을 통해 베트남에 진출 한 뒤, 급속한 현지시장 소 비 성장세에 공격적인 투
자를 이어오고 있다. 오
늘날 하노이, 하이퐁(Hai Phong), 후에(Hue), 빈즈 엉성(Binh Duong) 등지에 복합쇼핑몰을 7곳까지 늘 린 상태로, 현재까지 누적
투자액은 15억달러에 달 하고 있다. 앞서 오노 케이
지(Ohno Keiji) 이온몰 회
장 겸 CEO는 지난달초 도
쿄에서 열린 쩐 탄 먼(Tran Thanh Man) 베트남 국회
의장과의 만남에서 베트남
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확
대 의사를 재확인한 바 있 다. 이와 관련, 이온몰베트 남이 지난달 착공한 북중
총리는 알렉세이 로그비노 비치(Alexey Logvinovich) 부총리, 드미트리 체르니 센코(Dmitry Nikolaevich Chernyshenko) 러시아베트남 정부간 무역경제과 학기술협력위원회 러시아 측 위원장 겸 부총리와 다 수의 장관급 인사들이 동 행했다. 이번 방문은 양국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 계 강화와 올해 주요 양자 활동 준비를 위한 미슈스
틴 총리의 첫 베트남 방문 이다. 러시아는 '신동방정 책'의 핵심 파트너로 베트 남을 중시하고 있으며, 베 트남도 대외정책에서 러시 아를 최우선 협력국 중 하 나로 여기고 있다. 양측은 에너지, 산업 등 주요 협력 사업의 진전상황을 점검하 고 잠재력 있는 분야의 협 력 확대방안을 모색할 예 정이다.
(Vnexpress 2025.01.14)
부 탄화시(Thanh Hoa) 복 합쇼핑몰은 2026년 하반 기중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북부 하롱시(Ha Long)와 중부해안 다낭시 (Da Nang) 탄케점(Thanh Khe)이 곧 개장을 앞두고 있다. 이온몰탄화는 총사 업비 4조1570억동(약 1억 6370만달러), 부지 면적 만 10.5헥타르(10.5만㎡) 에 달하는 중부지방 최대
복합쇼핑몰로 착공 당시 는 이온몰베트남이 그동안 현지에서 건설한 7개 쇼핑 몰 가운데 가장 컸다. 이온 몰베트남은 이어 지난 10 일 동나이성(Dong Nai) 비 엔화시(Bien Hoa)에 총사 업비 6조동(약 2억3630만 달러), 부지 면적 12헥타르 (12만㎡)의 초대형 복합쇼 핑몰을 착공했다. (인사이드비나 2024.01.14)
국제구호 개발 비정부기 구(NGO) 굿피플은 하나
금융나눔재단과 손잡고
베트남 남부 벤째성에 정
수시설을 설치하는 등 식
수 위생산업을 진행한다 고 14일 밝혔다고 인사이 드비나지가 보도했다. 하
나금융나눔재단은 이번
사업을 위해 지난 13일 후
원금 3천만원을 전달했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탄푸 현(Thanh Phu) 학교 2곳 에 역삼투압 방식의 친환 경 정수시설(RO)을 설치 할 예정이다. 메콩강 삼각
주에 위치한 벤째성은 최
근 기후변화로 인해 심각 한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지 역이다. 연이은 가뭄으로
강의 유량이 줄어든 데다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바
닷물이 하천으로 역류, 염
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번 바닷물에 오염된 강
물은 식수는 물론 생활용
수로도 쓰기 어렵다고 굿
피플 측은 전했다. 굿피플
은 지난 2016년부터 베트
남 남부 벤째성, 빈롱성을
중심으로 깨끗한 물을 공
급하는 사업을 추진, 마을
13곳과 학교 7곳에 친환
경 정수시설을 도입한 바 있다.
(인사이드비나 202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