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k³ 제8호(2020년 02월)

Page 1

VOL.08 FEBRUARY 2020

www.cmsedu.co.kr cmsblog.kr

통권 제8호 | 발행처 CMS에듀 | 발행인 이충국 | 대표 02-552-8500 | 주소 06551, 서울시 서초구 동작대로 234

인공지능 경쟁 서막 올랐다

‘전 국민 AI 교육’ 시대 작년 12월 정부는 ‘AI 국가전략’을 발표하며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나라’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에 ‘AI 교육 기본 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IT 강국을 넘어 AI 강국으로, 세계의 인공지능 경쟁 서막이 올랐다.

2년 내 대부분 기업 AI 도입, 경쟁 본격화

기술력은 우리나라보다 2년 이상 앞섰고, 중국은 수월한 데이

전문가들은 향후 2년 내 세계 기업 80~90%가 AI를 도입할 것

터 사용 규제를 무기로 거대 자본을 투입해 미국을 맹추격하

으로 전망한다. 이는 모든 사람이 AI 시대를 준비하고 적응하기

고 있다. 1, 2위와의 격차를 앞지르기에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2019년 한국정보화진흥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우리 정부는 작년 12월 ‘AI 국가전략’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AI

AI 관련 특허 등록 건수, 논문 등록 건수, 시장규모, 인공지능

경쟁의 서막을 알렸다. AI를 활용한 지능화 경제 효과 최대 455

기업 수, 스타트업 수 등에서 현저히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

조 원 창출, 삶의 질 세계 10위, 2030년 디지털 경쟁력 세계 3

다. 특히, AI 논문 등록 건수는 중국(440건)이 우리나라(37건)

위 등을 목표로 세웠다. 제조·바이오·의료·도시·물류·국

보다 11.8배 많고 인공지능 기업 수는 미국(2,028개)이 우리나

방 등 각 분야에 AI를 도입하고 활용할 방침이다.

라(26개)보다 78배 많다.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무엇일까? 반도체·스마트폰·5G 등 ICT 선도기술과 경험이 강점으로 꼽힌다. 5G 기술은 세계적 수준을

한국경제연구원이 30명의 AI 전문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자랑하고, 자율주행차·친환경차·커넥티비티 등 모빌리티 기술

21.1%가 우리나라의 AI 관련 산업 규제가 심한 편이라 기술혁신과

또한 주목받고 있다.

신산업 창출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AI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확보와 활용이 관건인데, 최근 데이터3법이 국회를 통과한 것은 그

현격한 AI 수준 격차, 규제 풀고 초협력해야

나마 긍정적. 전문가들은 세계적 기업 구글, 아마존, 애플, 페이스

한국의 AI 수준은 미국, 중국 등에 크게 뒤처진다. 미국의 AI

북처럼 다국적 기업과 초협력하는 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한국의 AI 수준

※ 2019년 6월 기준

1,351건 497건

440건 37건

2.7배

3위 한국

2,028개

1위 중국

특허 등록 건수

6위 한국

465개

26개 11.8배

1,393개

78배

1위 중국

논문 등록 건수

8위 한국

3배

1위 미국

인공지능 기업 수

2위 한국

1위 미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수 자료 : 한국정보화진흥원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