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튜닝의 정석

Page 1

머리말

게이머들을 위한

PC의 정석

현재 PC의 발전은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발전될 것이며 여러 가지 부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옛 날과는 다르게 집집마다 PC한대씩 있는 이 시대에서 PC 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면, 컴퓨터가 고장 나도 자기 스 스로 고칠 수 없고, 돈은 돈대로 쓰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PC 하드웨어에 대해서 “그래도 이

김찬영 지음

정도는 알아야 한다“ 라는 수준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 며, 조금 더 알고 싶으신 독자들을 위해서 마냥 쉽지만은 않은 내용들도 들어있습니다. CPU, VGA, RAM, HDD or SSD같은 컴퓨터 하드웨어들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또 컴퓨터는 잘 모르는데 컴퓨터를 사려고 하시는 분들 은 이 책을 읽으신다면 자신에게 맞는 조립식PC를 잘 고 르실 수 있을 겁니다. 몇 년에 한번 사는 PC를 후회 없이 고르시려면 많은 고민이 들 텐데, 이 책에서는 PC부품 비 교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PC를 고르실 수 있도록 안내해드립니다. 이 책을 통해 자기 PC를 튜닝 하시려는 분들, 컴퓨터를 새로 구매하려는 분들, PC에 대해 알고 싶은 분들에게 도 움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책을 쓸 수 있도록 도와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립

찬영출판

니다.


목차 Chapter① 컴퓨터 부품을 알아보자

Chapter①-01 컴퓨터를 열어보자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PC는 보통 CPU, 메인 보드, RAM, 그래픽 카드, 하드 디스크 혹은 SSD, 파워 서플라이 등으

01 컴퓨터를 열어보자

로 구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CD롬이나 사운드 카드, 랜

02 컴퓨터의 두뇌, CPU

카드 등 여러 부품들이 모여 한 컴퓨터를 이룬다. 이 중

03 메인 보드 - 어떤 것을 골라야 하나?

하나라도 없으면 컴퓨터는 제대로 사용을 할 수 없으니

04 RAM

매우 중요하고, 컴퓨터 부품 특성상 충격이나 고온, 다습

05 VGA(그래픽카드)

에 약하니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PC 부품들은 여러 가

06 HDD(하드디스크) vs SSD

지 제조사에 여러 종류가 있고 부품끼리 서로 맞춰져서 돌아가는 구조다 보니 호환되는 부품들인지도 확인해 봐 야 한다.

Chapter② 내게 맞는 컴퓨터 01 추천 컴퓨터 견적

▲ 보통 컴퓨터의 내부 모습


Chapter①-02 컴퓨터의 두뇌, CPU

컴퓨터 부품들은 어떤 한 회사만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 니라 여러 제조사에서 여러 종류의 부품들이 나온다.

컴퓨터를 살 때 가장 중요시하게 여기는 부품이 바로 CPU이다.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이며 중 앙 처리 장치라고도 한다. CPU는 컴퓨터에서 우리 몸의 두뇌와 같은 일을 한다.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며 데이터 의 흐름을 제어하고 이 CPU에 따라 PC의 성능이 극과 극으로 갈려진다. 이 작고 중요한 CPU에 대해서 알아보 도록 하자. ▼ 인텔 CPU의 모습

CPU도 마찬가지다. CPU 제조회사들은 크게 두 가지 정도 있는데, 인텔과 AMD가 있다. 예전까지는 AMD에서 나온 CPU가 더욱 성 능이 좋았었는데, 인텔에서 최초의 듀얼코어(펜티엄D)를 출시하고 1년 뒤에는 안정성을 겸비한 코어2 듀오, 2008 년에는 4개의 코어를 가진 코어2 쿼드를 출시해 현재 i시 리즈로 세계 최고의 CPU회사 자리를 독점하고 있다. 인텔은 네할렘 아키텍쳐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4세대인 하스웰 아키텍쳐까지 성능과 안정성, 발열 면에서 CPU명 문의 자리를 지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거 희 모든 컴퓨터가 인텔에서 나온 CPU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적하여 AMD에서는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가성 비가 좋은 제품들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AMD는 인텔과는 달리 제품군마다 코드네임이 있다. 같은 코드네임인 경우 숫자가 높을수록 성능이 좋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나 눠서 성능을 비교하기 매우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AMD CPU의 특징은 APU이다. APU는 CPU와 내장 그래 픽카드가 합쳐진 CPU를 말하는데, 이 APU가 가성비가 매 우 좋아서 노트북에 많이 사용이 된다.

▲ CPU의 크기


흔히들 내장그래픽카드는 성능이 좋지 않아서 별로일 것 이라고 생각들을 하는데, AMD의 APU중에선 성능이 매우 좋아 가벼운 온라임 게임들은 풀 옵션으로 돌릴 정도도

※ 인텔 CPU의 성능 비교 인텔 CPU는 종류가 매우 많아 쉽게 구매하기가 어려운 데, CPU의 성능 비교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있다. 하지만 아무래도 CPU와 GPU(그래픽)을 합친 APU 보단 CPU와 GPU가 분리되있는 컴퓨터가 더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낸다.

1. 아키텍쳐를 확인 아키텍쳐란 쉽게 말하자면 자동차의 연식 혹은 시리즈를 말한다. 비슷한 성능의 CPU라도 아키텍쳐가 다르면 성능 과 안정성이 확연히 차이 나게 된다. 제일 최신 버전의 아키텍쳐는 4세대 하스웰 아키텍쳐로, 성능과 안정성 면 에서 가장 뛰어나다. 1세대 아키텍쳐는 린필드, 2세대는 샌디브릿지, 3세대는 아이비브릿지이다.

2. 코어의 개수 비교 코어의 개수에 따라 CPU의 성능이 극으로 차이나게 된 다. 아무리 성능이 좋은 듀얼 코어도 쿼드 코어를 따라잡 기는 힘들다. 코어 수가 많을수록 성능과 안정성이 올라 가는데, 같은 클럭(CPU의 능력치)인 듀얼 코어 CPU와 쿼 드 코어 CPU의 성능 차이가 두배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안정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코어 수가 많을수록 멀티 태스킹 (두가지 이상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에 적합하고 고사양의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안정적이 고 끊김없이 실행 할 수 있다. 보통 게임용 컴퓨터는 쿼


드 코어이고, 사무용이나 가정용 PC는 듀얼 코어로 구성

5. 캐시 메모리

되어 있으며 서버를 구동하는 컴퓨터는 대량의 연산이 필 요하기 때문에 옥타 코어(8개)이상으로 CPU를 사용한다.

CPU속에 내장된 메모리로써 속도 향상에 관련이 있다. CPU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변 부품들의 속도는 느린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해 주기 위해 있는 것이 캐시 메모리

3. 스레드 수 비교

이다.

스레드란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로, 한

이 외에도 CPU에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지

프로그램은 하나의 스레드를 가지고 있지만, 프로그램 환

만 그리 중요하지 않고 성능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

경에 따라 둘 이상의 스레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는 것들이다.

CPU에서 멀티 스레드를 지원한다면(i3시리즈 등) 그만큼 처리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므로 속도가 빨라진다. 하지 만 커다란 파일을 많이 처리하지 않는다면 스레드 수가 많을 필요는 없다.

4. 클럭 비교 클럭이란 쉽게 말하자면 CPU의 속도를 말한다. MHz(메 가헤르츠)라고 표시하며 1MHz는 초당 100만 주기의 속 도를 나타낸다. 클럭 주파수는 컴퓨터의 전반적인 처리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고, 컴퓨터의 다 른 부품들이 클럭을 따라가야 되기 때문에 클럭 주파수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CPU자체 처리 속도 는 클럭 주파수에 정비례한다.


Chapter①-03 메인 보드 - 어떤 것을 골라야 하나? 메인 보드는 마더 보드라고도 하며, 컴퓨터에서 기본 베 이스를 담당하며 CPU만큼이나 중요한 부품이다. 메인보드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며 여러 부품들 을 이어주고, 이 메인보드의 종류에 맞춰서 부품들을 골 라야 된다. 메인보드에는 CPU나 그래픽카드, 파워 등 모

앞서 말했듯이, 메인보드는 컴퓨터 전체 시스템의 안정 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종류에 따라 들어가는 부품 들도 맞춰야 되니 컴퓨터를 구매할 때 용도에 맞는 메인 보드를 잘 선택해야 한다. 만약 CPU나 그래픽카드는 상당히 고사양인데, 메인보드 가 구식이나 성능이 좋지 않은 것이라면 블루스크린이나 컴퓨터가 자동으로 꺼지는 등 안정성에 문제가 생기고, 다른 부품들의 성능을 100% 끌어 낼 수가 없다.

든 부품들이 장착된다.

▲ 메인보드의 모습

▲ i3-4150 CPU의 포장 박스


예를 든다면, 인텔 하스웰 리프레시 i3 4150 CPU같은

Chapter①-04 RAM

경우는 LGA1150이라는 소켓형식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소켓이란 CPU를 받아들이는 메인 보드의 접촉부를 의미 한다. 이 CPU는 LGA1150이라는 소켓 형식의 메인보드에 장착 될 수 있다. 메인 보드마다 각각의 용도가 있고, 슬롯의 개수도 다르 다. 따라서 자신이 램 슬롯이 몇 개가 필요하고, 그래픽카 드 슬롯은 몇 개가 있어야 되는지에 따라서 골라주면 되 겠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애즈락(ASRock)의 H81M-HDS제품과 기가바이트(GYGABYTE)사의 B85-HDS 을 많이 사용한다. 이 두 회사는 워낙 크고 유명한 회사 다 보니 AS도 걱정없고, 제품의 안정성도 보장되어 있으 며 싸고 무난하다는 장점이 있다. 필자의 컴퓨터도 기가 바이트의 B85제품을 사용한다. 하지만 i7시리즈나 AMD의 옥타코어 CPU를 사용하거나, 자신이 CPU 오버클럭을 한다면 위에 있는 두가지 메인보 드로는 CPU를 장착 할 수 없다. 오버클럭을 한다면 오버 클럭 전용 메인보드를 사용해야 한다.

보통 하드디스크는 CPU의 속도에 비해서 너무 느리다. 이 두 부품이 같이 일을 해야 되는데, 이렇게 하면 병목 현상(어떤 부품의 속도가 느려 전체적인 속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이 현상을 없애주는 것이 바로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램은 하드디스크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꺼 내서 처리하고 다시 하드디스크로 돌려보내기 때문에 지 속적인 기억 능력이 필요 없다. 때문에 램은 컴퓨터를 끄 면 방금 전까지 처리하던 작업들이 모두 데이터가 지워진 다. 이를 휘발성 메모리라 하며 하드디스크같이 데이터를 보관 할 수 있는 장치를 비휘발성 메모리 라고 한다. 램은 컴퓨터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밀접한 관련을 가 지고 있다. 단순히 용량만을 올린다고 해서 속도를 향상 시킨다고 볼 수 없으며, 메모리 속도와 듀얼 채널을 함께 고려한다면 속도를 올리는데 도음을 받을 수 있다. 보통 램은 2기가, 4기가, 8기가를 많이 사용하는데, 인터 넷 서핑만 하는 경우에 2기가, 중급 사양의 게임을 한다 면 4기가, 고사양의 게임을 즐긴다면 8기가를 장착한다.


Chapter①-05 VGA (그래픽 카드) 보통 고사양의 게임을 보면 CPU와 그래픽 카드를 본다. 고사양 온라인 게임의 경우는 서버와 통신 작업을 하며 불러오기 작업을 계속 해 높은 수준의 연산이 필요하고 그래픽을 좀 더 선명하고 빠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 해 뛰어난 성능의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다. 특히 요즈음 나오는 게임들의 그래픽은 정말 사실과 비슷할 정도로 정 교하고 선명하기 때문에, 백만원대의 그래픽카드를 요구 하는 게임도 있다. ▲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삼성 램의 모습 일단 그래픽카드를 만드는 두 유명한 회사는 NVIDIA와 AMD가 있다. NVIDIA는 GeForce제품군으로 유명하고, 우 리나라 게임들에 좀 더 최적화 된 모습을 보여줘서 많은 국내 게이머들의 사랑을 받는다. 해외에서는 실제론 어떤 지는 모르겠지만, 국내에서의 입지는 NVIDIA > AMD이 다. CPU와 마찬가지로 많이 쓰이는 NVIDIA에서 알아보 자.

▲ 지스킬에서 나온 게이밍 메모리의 모습


NVIDIA의 그래픽 카드는 대부분 생소한 단어들과 숫자

※ 어떤 그래픽카드가 내게 맞는 그래픽카드

들로 써져있어서 처음 보면 이게 무슨 걸 의미하는지 알

일까?

수가 없지만, 읽는 방법을 알면 성능 비교하기가 매우 쉽 다.

그래픽카드도 CPU못지않게 상당히 높은 가격대의 제품

EX) 이임텍 GTX 760 2GB

이다. GeForce TITAN Z의 경우 2014년 8월 기준으로 3,600,000원 정도로 보통 컴퓨터 3대를 사고도 몇십만원 이 남는 금액이다. 하지만 이 그래픽카드를 달고 별 그래

① 이임텍은 그래픽카드 제조사를 말한다. 이임텍 말고도

픽 기술이 필요 없는 게임을 한다거나 인터넷 서핑용으로

기가바이트, 아수스, MSi, ZOTAC 등 여러 그래픽카드

사용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돈낭비이다. 자신이 평소 하는

제조사가 있다.

게임이나 프로그램에 맞춰서 그래픽카드를 사는 것이 현 명하다.

② GTX는 성능 지표로 GTX는 고급형, GTS는 중급형, GS 는 보급형으로 나누어진다.

평소 게임을 하지 않고 웹 서핑만 한다면 그래픽카드는 30시리즈, 혹은 CPU나 메인보드에 내장된 내장형 그래픽

③ 760의 7은 출시된 세대를 의미한다. 숫자가 높을수록

카드로도 충분하다. 중~하 사양의 온라인 게임들(리그 오

최신 세대를 의미한다. 60은 성능을 수치로 나타낸 것

브 레전드, 피파온라인3, 서든어택)같은 경우는 GT640 성

이며 숫자가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보통 60

능 정도면 풀 옵션으로 끊김 없이 즐길 수 있다.

시리즈 이상부터 하이엔드 VGA라고 한다. 크라이시스3, 배틀필드4, 와치독스와 같은 고~초고사양 ④ 2GB는 그래픽카드 메모리의 용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게임들은 기본적으로 GTX760이상의 성능은 되야지 그래

용량이 높을수록 프레임 저하(약간씩 끊기는 현상)이

픽 높음에서 끊김 없이 플레이 할 수 있고, GTX780등 초

줄어든다.

고사양의 그래픽카드라면 풀 옵션으로 플레이 할 수 있

부수적으로, 그래픽카드도 발열이 나기 때문에 카드

다.

자체에 쿨러가 달려있는데, 쿨러가 1개,2개,3개 달려있 는지도 중요하다.


사양에 맞지 않은 게임이나 고사양의 게임의 그래픽설정

Chapter①-06 HDD(하드디스크) vs SSD

을 최고로 하고 장시간 게임을 할 경우 그래픽카드에 문 제가 생기거나 컴퓨터가 발열을 멈추기 위해 강제종료 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래픽 카드를 조심히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하드디스

사용 할 필요가 있다.

크. 저렴한 가격에 큰 용량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또한 고사양의 그래픽 카드는 높은 양의 파워를 필요로 하는데, 그래픽 카드의 필요전력보다 낮은 수준의 파워를

하드디스크는 500기가, 1테라, 3테라 등 여러 용량들이 주로 사용된다.

사용하면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거나 강제종료가 빈 번하게 일어 날 수도 있다. 그 점도 유의해서 그래픽카드

SSD는 하드디스크를 대체하는 차세대 저장 장치이며 아 직까지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매우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

와 파워 서플라이를 고르자.

이 있지만, 하드디스크에 비해 파일 전송 속도는 월등히 높다. 주로 128기가, 256기가 등이 사용된다.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속도”이다. 하드디스크의 평균 파일 전송 속도는 150MB/s인 반면, SSD의 속도는 500MB/s가 넘는 속도를 보여준다.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윈도우와 SSD에 설치된 윈도우의 부팅 속도를 비교하면 10초~20초 정도 차이난다. 윈도우 부팅 시 파일을 읽으 ▲ 이임텍 GTX 760

▲ GeForce TITAN Z

면서 부팅을 하게 되는데, SSD는 읽는 속도가 빨라서 부 팅이나 게임 로딩 속도,파일 설치 속도가 매우 빠르다.


하지만 가격이 매우 매우 비싸고, SSD는 수명이 짧다는

Chapter②-01 추천 컴퓨터 견적

단점도 있고 아직 발전하는 중이라 앞으로 어떤 제품이 나올지 모르는 상태에서 사는 것은 조금 무리수라고도 본 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컴퓨터를 살 때 중요한 것은 “얼마나 성능이 좋냐“보다는 ”얼마나 자신에게 맞는 컴퓨터이냐“이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자신이 컴퓨터를 주로 어떻게 사용하는

128GB나 64GB의 SSD를 구매해 그 디스크에다가는 윈

지에 맞춰서 컴퓨터를 사야지 효율적인 컴퓨터 구매를 할 수

도우만 설치하고, 1TB의 하드디스크를 사서 그곳에다가

있다. 이 챕터에서는 3가지로 사양을 나누어서 각각 그 부품

영화, 사진, 게임 파일 등 여러 자료를 저장하는 식으로

을 사용하는 이유나 효율, 그 외 여러 가지에 대하여 설명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하겠다.

필자는 SSD는 사용 해 본적은 없지만, 유튜브에서 인터 넷 키는 속도,부팅 속도와 로딩 속도 차이를 보면 체감상 으로 너무나 확실하게 느껴질 정도로 속도는 엄청나다. 하지만 SSD를 살지 HDD를 살지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구매자 당신이다. 필자는 필자의 컴퓨터에 대해서 부팅속 도에 불만이 있거나 게임 로딩이 너무 느리지도 않아서 3TB짜리 HDD 하나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차원이 다른 신세계의 속도를 느끼고 싶다면, SSD 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1. 웹 서핑, 인터넷 강의, 문서 작성만을 위한

하드디스크 : 웨스턴디지탈 500GB

저사양 컴퓨터 1TB은 500GB에 비해 가격이 만원밖에 안 비싸니 용량이 많 위의 제목처럼 컴퓨터로 게임은 하지 않고 가벼운 작업만을

이 필요하겠다 싶으면 1TB를 추천

한다면 컴퓨터에 돈을 많이 쓸 필요가 없다. 컴퓨터는 비싸면 좋고 싸면 안좋은 듯이 사양이 낮은 컴퓨터의 가격은 매우

ODD :

삼성전자나 LG전자의 1~2만원대 제품

싸다. 그리고 게임용이 아니기에 그래픽카드는 내장형 그래픽 카드를 사용한다

ODD는 쉽게 말하자면 CD롬이고, DVD나 음악CD를 많이 가 지고있고 또 자주 사용한다면 필수적으로 넣어야 하겠지만

CPU : 인텔 하스웰 셀러론 G1850

안 그렇다면 구지 안 사도 된다. 필자도 지금 ODD는 사용할 일이 거희 없어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저렴한 가격에 준수한 성능. 복잡한 연산이 필요없는 문서작 성이나 웹 서핑에 어울리는 CPU

컴퓨터 케이스 RAM : 삼성전자 DDR3 2G

컴퓨터 케이스의 종류는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저사양의 컴 퓨터의 경우 높은 파워나 많은 부품들을 필요로 하지 않기

마찬가지로 다중 작업이나 무거운 작업은 하지 않으니 2기가

때문에 저가의 슬림형 케이스를 추천한다. USB 3.0을 지원하

로도 충분하다

는 메인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USB 3.0을 사용한다면 지원 하는 케이스를 구매해야 된다

메인보드 : ASRock H61M-DGS 메인보드는 안정성이 중요하기에 무조건 싼것보다는 앞으로 의 확장성도 고려해 가성비가 좋고 유명한 회사의 제품을 사 용한다


파워 서플라이 : 정격 출력이 500W의 파워

2. 리그 오브 레전드, 피파온라인3, 서든어택

파워도 안정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격 출력

국민 게임인 LOL과 피파온라인3, 서든어택은 인기가 많은

이 아닌 그냥 출력이 500W인 이런 파워는 사용하지 않는다.

만큼 게임 내 최적화를 잘 해놔서 중, 하 사양의 컴퓨터 로도 풀옵션으로 구동 할 수 있다.

랜카드, 사운드카드, CPU쿨러는 내장된 걸 사용한다.

이 사양의 컴퓨터로는 중급사양 게임뿐만 아니라 고사양 게임을 구동 할 수도 있다. 다만 프레임은 좀 떨어진다.

가격 : 약 23만원 (ODD 제외시 21만원)

CPU : 인텔 하스웰 리프레시 i3 4150 i3의 장점은 듀얼코어 이지만 쿼드코어처럼 사용 할 수 있는 슈퍼쓰레딩이라는 기술이 있어서 가성비가 매우 좋 다는 것이다. 4세대인 하스웰 리프레시라 소비 전력, 발 열, 안정성 면에서 매우 좋다.

RAM : 삼성 DDR3 4GB 3기가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지만 게임 로딩이나 렉을 조 금이라도 없애기 위해 가격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 4기가 를 추천한다.


메인보드 : ASRock H61M-DGS

컴퓨터 케이스

앞에서 말했다싶이 메인보드는 안정성, 소켓 호환여부만

종류는 미들형 케이스를 추천하며, 케이스 자체에 쿨러가

확인하면 되기에 이 제품이 제일 적당하다.

달려있는 케이스를 추천한다. 달려 있지 않아도 상관없지 만, 아무래도 안정성이 제일 중요하니 발열을 막기 위해 쿨러가 달려있는 케이스를 추천한다.

하드디스크 : 웨스턴디지탈 1TB HDD 게임을 설치하고 이것저것(?) 넣다 보면 500기가가 적다

파워 서플라이 : 정격 출력 500W이상(600W도

고 생각 될 수도 있으니 1TB를 사도록 하자.

추천) 지포스 7시리즈 그래픽카드는 500W도 괜찮지만 컴퓨터

그래픽 카드 : 지포스 GT740

로 핸드폰 충전을 한다든지 이것 저것 많이 연결한다면 600W를 추천한다.

아무래도 게임을 하는 컴퓨터다 보니 내장 그래픽으로는 한계가 있어도 너무 있다. 그래픽 명가인 지포스의 새로 나온 7시리즈, 중사양인 40대를 고르면 웬만한 총게임, RPG게임은 무난하게 구동 될 것이다. 특히 7시리즈는 발열과 소음이 적어 안정성 면에서 뛰어 난 모습을 보여준다.

가격 : 약 45만원


3. 배틀필드4, 스카이림, 아키에이지 위 3종류의 게임은 대표적인 고사양 게임들이다. 현란한

메인보드 : ASRock H61M-DGS 설명하지 않겠다.

전투, 공성전, 실사 같은 그래픽은 높은 사양의 그래픽카 드와 CPU를 요구하고, 성능이 올라가는 만큼 안정성도 뒤따라줘야 하니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하드디스크 : 웨스턴디지탈 1TB HDD 이것 역시 중요하지 않다.

CPU : 인텔 4세대 제온 E3-1230V3 쿼드코어에 8쓰레드를 가지고 있으니 i7과 비슷한 성능을

그래픽 카드 : GTX760

낸다. 하지만 가격이 저렴한 이유는 이 CPU는 내장그래 픽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어차피 외장형 그래픽카드를

고사양 게임들은 그래픽카드가 거의 한 50% 먹어주기 때

추가하기 때문에 필요 없다. 게이머들에겐 최상의 선택

문에 돈을 좀 써야 될 필요가 있다. GTX760정도면 앞으

CPU쿨러는 기본을 사용해도 되고 따로 사도 되긴 하지

로 나오는 고사양 게임들도 충분히 상, 중상 옵션으로 돌

만, 풀옵션으로 몇 시간 하거나 오버 클럭을 하지 않는

릴 수 있을 것이다. 풀 옵션을 원한다면 GTX770 혹은

이상 기본 쿨러도 나쁘지 않다

GTX680도 괜찮다..

RAM : 삼성 DDR3 8GB

컴퓨터 케이스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가 왔다 갔다 하기 때문에 램의 필

파워 쿨링이 되는 쿨러가 여러개 달려있는 미들형 케이스

요성은 더욱 더 높아진다. 8기가 정도면 그 어떤 게임을

를 사용해야 된다. 성능이 높아지니 발열을 확실히 잡아

하는데 있어서 부족하지 않다.

야 된다.


파워 서플라이 : 정격 출력이 600W이상인 파

마치며

워 그래픽 카드 자체에는 500W이상의 파워로도 된다고 나

여기까지 읽어주신 독자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와 있지만, 성능 저하, 갑자기 꺼지는 등 그런 불상사가

이 글을 통해서 자신에게 맞는 컴퓨터를 고르고,

발생 할 수도 있다. 무조건 안정적으로 600W이상을 사용

컴알못에서 탈출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하자. 2014.08.31 김찬영 가격 : 약 90만원 (GTX770 사용시 103만원, GTX680 사용 시 108만원)


이 책은 마포구청 논술지원비로 제작되었습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