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 빠지다

Page 1

우분투에

빠지다 임영택 지음

섭씨0도


우분투에 빠지다

우분투에 빠지다 초판 2014년 7월 30일 표지 이미지 | https://www.flickr.com/photos/nahuefox/12862209904 (Francisco Villalobos, CC BY 2.0) 지은이 | 임영택 펴낸이 | 임영택 펴낸곳 | 섭씨0도 편집 | 임영택 디자인 | 임영택 *이 책에는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차례 제1장 리눅스? 우분투? 이게 다 뭔가요?

7

리눅스란?

8

우분투란?

8

우분투를 쓰는 이유

8

제2장 우분투, 설치하기

우분투에

11

우분투 디스크 이미지 다운로드

12

우분투,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

13

컴퓨터에 직접 설치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

14

가상 머신을 통한 설치 (세 번째 방법)

16

우분투 첫 부팅

17

제3장 우분투의 초기 설정

19

우분투 14.04의 한글 이슈 해결

빠지다 임영택 지음

20

한글 언어팩 미설치 문제

20

‘한/영’키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

21

한글 글자 윗부분이 안보이는 문제

23

그 외의 문제들

25

버추얼 박스를 사용한다면 - 게스트 확장을 설치하자

25

유니티 환경이 불편하다면? gnome-classic 설치

26

제4장 윈도우 못지않은 작업환경의 구축

27

워드 작업을 해야 할 때 : 리브레 오피스

28

실행하기

28

사용하기

29

포토샵을 쓰고 싶다면 : 김프 이미지 편집기

29

설치하기

29

사용하기

30

음악, 동영상은 어떻게 재생시킬 수 있나요 : Guayadeque, VLC Media Player

30

설치하기

30

사용하기

31

찾아보기 (Index)

32

섭씨0도

4


머리말 여러분이 지금 사용하고 계시는 운영체제는 무엇입니까? “윈도우 XP, 윈도우 7, 윈도 우 8” 등 아마도 버전만 다를 뿐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일 것입 니다. 그럼 굳이 윈도우만 고집하시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요? 컴퓨터 샀을 때부터 깔려 있어서, 남들도 다 쓰니까 사용하시는 것인가요? 우리나라는 윈도우 포화상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윈도 우가 설치되어 있고 심지어 맥에까지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비정품 소프트웨어가 많이 사용되는 곳도 우리나라입니다. 대부분 사용 자들은 토렌트 등으로 윈도우를 불법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거나 컴퓨터 수리점에서 설치 해주는 윈도우를 사용하는 등 부당하게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오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저는 개인적으로 리눅스 운영체제를 추천합니다. 리눅스는 1989년 당 시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 한 운영체제로 개발 후 소프트웨어 자체는 물론, 소스 코드까지 무료 공개되었습니다. 리눅스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프로그래머, 혹은 해커들이나 사용하는 어려운 운영체제 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도 편리하게 바뀌면서 점점 세계 의 각 가정의 보급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눅스인 우분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책에서 우분투의 설치부터 커스터마이징까지 다루게 될 것입니다. 우분투는 미적으로도 아름다우며 기능도 강력하고 사용도 쉬운 리눅스입니다. 우분투를 통해서 리눅스의 세 계에 첫발을 내딛어보세요! (이 책에서는 Ubuntu 14.04 버전으로 설명합니다.)

2014년 6월 임영택

5

6


리눅스란? 리눅스를 모르더라도 윈도우를 모르는 이는 아마 없을 것이다. 리눅스는 윈도우와 마 찬가지로 컴퓨터

1)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한 종류이다. 1991년 핀란드 헬 싱키 대학교 대학원에 재학중이던 리누스 토르발스 (Linus Torvalds)가 사용하고 있었던 OS인 미닉스 의 기능에 만족하지 못하고 취미삼아 개발하기 시 작한 것이 리눅스의 시작이다. 초기에는 시리얼포트 를 이용한 간단한 작업 정도밖에 할 수 없었지만, 계속된 개발 끝에 완전한 파일 제어가 가능해졌고, 토르발즈는 1991년 9월 17일 리눅스 버전 0.01 을 인터넷상에 공개하였으며 이어서 첫 공개버전 인 0.02를 같은해 10월에 공개하였다.

리눅스의 마스코트인 턱스(Tux) (Larry Ewing, Simon Budig, Anja Gerwinski)

우분투란? 기본적으로 ‘리눅스’만을 거론할때에는 리눅스의 커널2)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통 운

제1장 리눅스? 우분투? 이게 다

영체제로 리눅스를 사용한다는 것은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를 사용한다는 뜻이다. 리눅 스 배포판이란 리눅스의 커널을 바탕으로 GUI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인 X-Window와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덧붙여 패키지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뭔가요? 이 장에서는 리눅스가 무엇인지, 우분투가 지닌 강점은 무엇인지 등 리눅스와 우분투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이 야기 한다.

레드헷 리눅스, CentOS, Debian 등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 양하다.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배포판은 단연 우분투이다. 우분투는 캐노니컬 의 CEO 마크 셔틀워스(Mark Shuttleworth)에 의해 시작되었고 2004년 10월 20일에 최초 버전이 출시되어 지난 2014년 4월에 새로운 버전을 공개하는 등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1)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며, 컴퓨터 사용을 편리하게 해주고 응용 프로그램들의 수행을 도와주며,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네이버 지식백과]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공학 학문명백과, 형설출판사) 2) 커널(kernel)은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으로서, 운영 체제의 다른 부분 및 응용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 비스를 제공한다. (위키백과)

8


우분투를 쓰는 이유 1. 설치와 사용이 쉽다. 우분투의 설치는 간단하다. 그저 CD를 컴퓨터에 넣거나 USB로 부팅한 후 화면의 주어진 지시에 따라 몇가지 버튼만 눌러주면 된다. 우분투의 설치는 CentOS 등 다 른 리눅스 배포판보다도 훨씬 간단하고 쉽다.

2. 바이러스 걱정이 없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윈도우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리눅스나 유닉스계열의 운영체제 에서는 바이러스의 걱정이 윈도우에 비해 비교적 적다. 물론 완전히 걱정에서 해방된다 는 이야기는 아니다. 아무리 리눅스라 할지라도 방화벽 등을 잘 이용하여 보안에 대한 관리를 잘 해야한다.

3. 커뮤니티가 매우 활성화되어 있어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좋다. 윈도우에서 벗어나 리눅스를 사용하기를 결심한 처음 몇 개월은 리눅스에 적응하기가 힘든데다 가끔씩 찾아오는 오류에 골머리를 앓기 마련이다. 이럴 때, 사용자가 많고 커 뮤니티가 활성화되어있는 배포판일수록 문제해결이 쉬워진다. 우분투는 문제 상황을 질문하고 답할 수 있는 서비스(http://askubuntu.com/)를 제공한다. 또한 우분투 한 국 커뮤니티(http://www.ubuntu-kr.org/)에서도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이 우분투의 설치와 설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9

10


우분투 디스크 이미지 다운로드 우분투를 설치하겠다고 결정했으면 우분투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을 차례이다. 여기에서는 우분투의 디스 크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까지만 다룬다. CD나 USB 디스크에 이미지를 기록하는 과정은 우분투 홈페이지의 http://www.ubuntu.com/download/desktop/burn-a-dvd-on-windows, http://www.ubuntu.com/download/desktop/create-a-usb-stick-on-windows 를 참고하자.

제2장 우분투, 설치하기 이 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우분투를 설치하는 과정을 안내한다.

우분투 홈페이지 (http://www.ubuntu.com/)로 이동한다.

상단 메뉴에서 Download를 클릭하고 Ubuntu Desktop을 선택한다.

Choose your flavour에서 컴퓨터 사양에 맞는 목 록을 선택하고 Download 버튼을 누른다.

기부금을 책정하거나 기부를 원치 않는다면 Not now, take me to the download를 클릭하여 다 운로드를 시작한다.

12


컴퓨터에 직접 설치 (첫 번째 방법과 두 번째 방법) 어떤 방법으로 설치할지 정했다면 실제로 설치해보자. 세 번째 방법으로 설치하고자 한다면 먼저 뒤의 ‘가상머신을 통한 설치’를 보자.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1. 바이오스에서 부팅순서 변경 바이오스에서 부팅순서를 준비한 설치도구에 따라 CD, USB로 바꿔주자. (바이오스는 컴퓨터 부팅 후 Delete 키 등을 누르면 접근할 수 있다. (이것은 컴퓨터 모델에 따라 다르다.))

우분투,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 우분투를 설치할 PC에 현재 아무 운영체제도 설치되지 않은 상태라면 그저 CD를 컴 퓨터에 삽입하고 마우스만 누르면 되겠지만 현재 PC에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다면 우분

2. 화면이 뜨면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고 Ubuntu 설 치를 누르자. (Ubuntu 체험하기를 누르면 설치하지 않고 체험해 볼 수 있다.)

투를 설치 할 세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첫 번째 방법은 윈도우가 설치되어있는 파티션3)을 지우고 우분투를 새로 설치하는 방 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의 윈도우는 사용할 수 없고 우분투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리눅스를 지원하지 않는 정부기관의 웹사이트나, 전자상거래 사이트 등의 이용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두 번째 방법은 윈도우가 설치된 상태에서 우분투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하면 부팅 시에 두 운영체제 중 어느 운영체제로 부팅할지 선택이 가능하여 그때 그때 사용하고 싶은 운영체제를 골라 부팅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방법은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우분투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가상머신이란 컴퓨

3.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한 조건에 맞는지 확인하고 계속을 누른다. (참고- ‘설치 중 업데이트 다운로드’는 체크하지 않는다. 인터넷과 연결하기 때문에 설치가 느려질 수도 있다.)

터를 예뮬레이션4)하는 소프트웨어로, 예를 들어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예물레이션한다든 지, 반대로 리눅스에서 윈도우를 예뮬레 이션 하게 해준다. 가상머신을 사용하면 후에 우분투를 지

4. 첫 번째 방법으로 설치를 진행하려면 ‘Windows

우고 윈도우로 다시 돌아오려 할 때 가상

7을(를) Ubuntu(으)로 바꾸기’를 선택한다. (→5로

머신의 파일만 삭제하면 되기 때문에 첫

넘어가기)

번째, 두 번째 방법보다는 훨씬 간편하다.

두 번째 방법으로 설치하려면 ‘Windows 7을(를 그

윈도우로 복귀가 쉽다는 점에서 개인적으

대로 두고 Ubuntu 설치’를 선택하고 계속을 누른다.

로 초보자들에게 추천하는 방법이다.

(→4-2로 넘어가기)

윈도우8에서 가상머신을 통해 윈도우7을 예뮬레이션하는 모습 3) 디스크 파티션(disk partition) 작업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기억 공간을 "파티션"이라 알려진 별도의 데이터 영역 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 (위키백과) 4) 에뮬레이터(Emulator)는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을 복제한다. 그리하여 두 번째 시스템이 첫 번째 시스템을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위키백과)

13

14


가상 머신을 통한 설치 (세 번째 방법) 이 절에서는 ‘우분투를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의 세 번째 방법으로의 설치를 설명한다. 들어가기 전에 오픈소스 가상 머신인 VirtualBox(https://www.virtualbox.org/)를 먼저 설치하라. (위의 ‘컴퓨터에 직접 4-2. 윈도우가 설치된 공간과 우분투가 설치된 공간

설치’에서 우분투 설치를 완료했다면 다음 장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의 크기를 설정하고 ‘지금 설치’를 클릭한다. 후에 경고창이 뜬다. 충분히 숙지 하였으면 ‘계속’ 버 튼을 누른다. 1. VirtualBox의 메인화면에서 ‘새로 만들기’ 버튼 을 눌러 가상 머신 만들기 창을 띄운다. 2. 이름과 종류를 사진과 같이 입력한다. 3. 다음의 화면에서 지시에 따라 정보를 입력한다.

4V. 버추얼 박스에서 설치중인 경우에는 ‘디스크를 지 우고 Ubuntu 설치’를 선택해 준다.

4. 가상 머신이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면 화면에서 ‘설정’ 버튼을 누른다. 5. 왼쪽에서 ‘저장소’를 선택하고 CD, DVD 드라이 브에서 ‘가상 CD, DVD 디스크 파일 선택’을 클릭 하고 다운받아두었던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 다.

5. 위치, 키보드, 사용자 정보 등을 지시에 따라 입력 하고 설치가 완료되기를 기다린다.

6. ‘시작’ 버튼을 눌러 가상 머신을 시작한다. 나머 지 과정은 위의 ‘컴퓨터에 직접 설치’의 과정과 동 일하다.

우분투의 설치가 끝났으면 다음 절을 보지 말고 ‘우분투 첫 부팅’을 보자.

15

16


우분투 첫 부팅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자동으로 재부팅되고 우분투의 초기화면이 모니터에 뜬다.

또한 키보드 단축키 목록이 화면에 나타난다. 우분투 사용에 있어 아주 편리하므로 알 아두는 것이 좋다. 기본 데스크탑 환경이 다른 리눅스나 윈도우와 많이 다른 유니티(우분투에서 개발한 데스크탑 환경)이지만 사용하기에 직관적인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을 것이다.(불편하다면 3장의 ‘유니티 환경이 불편하다면? gnome-classic 설치’ 부분을 참 고하라) 우분투를 한번 둘러보고 싶다면 우분투의 좌측의 가장 상단에 있는 대시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대시 메뉴부터 둘러보고 간단하게 구경해보자.

17

18


우분투 14.04의 한글 이슈 해결 안타깝게도 우분투 14.04에는 몇 가지 한글 사용 관련 문제가 있다. 다음에서는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 과정을 안 내한다.

한글 언어팩 미설치 문제 한글을 선택하고 설치하였는데도 설치 후에 한글이 표시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른다.

1.

System

Settings를

실행하고

Language

Support를 선택한다.

2. ‘언어 지원 패키지를 완전하게 설치하지 않았습 니다.’ 라는 메시지와 함께 경고창이 뜬다. 설치 버 튼을 누른다.

제3장 우분투의 초기 설정 이 장에서는 설정 후 우분투의 초기 설정 과정을 안내한다.

3. 암호를 입력하고 설치가 이루어진다. 4.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을 한다.

20


‘한/영’키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 설치 직후의 우분투에서는 한/영 키가 동작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설정이 필요하다. 5. 한국어를 선택하고 - 버튼을 누른다.

1. 시스템 설정을 실행한다. 2. 텍스트 입력창을 선택한다.

6. 대시에서 Terminal을 실행한다.

3. 아래에서 + 버튼을 누른다.

7.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엔터를 친다.

sudo apt-get install dconf-editor 8. 암호를 입력하고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conf-editor 4. 한국어(Hangul)을 선택한다.

9. 왼쪽 트리에서 org > gnome > desktop > wm > keybindings 순으로 선택한다.

21

22


10. switch-input-source 항목이 ['<Control>space']

3. 모든 폰트를 한글 폰트로 바꿔준다.

로 되어 있는 것을 ['Hangul'] 로 바꾼다.

한글 글자 윗부분이 안보이는 문제

4. 터미널을 실행하고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눈썰미 있는 독자라면 전 단계에서 설정을 하다가 ‘추가’가 ‘주가’로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한글의 윗부분이 잘려 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부분에서 이 문제를 해결해 보자.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igxac

... nanum.conf

(엔터) sudo cp ./90-fonts-nanum.conf /etc/fonts/conf.d/

터) 5. 재부팅 한다.

1.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를 실행하고 Unity Tweak Tool을 검색, 설치한다.

2. 설치된 Unity Tweak Tool을 실행하여 Fonts 선택한다.

23

24

(엔


그 외의 문제들 이외에도 사실 현재 우분투 14.04에는 대시에서 한글 파일/폴더 명이 깨진다든지, 한 글 입력 시에 space가 엉뚱하게 동작한다든지 많은 한글 관련 오류들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오픈소스 특성상 조만간 업데이트 될 것이므로 관련 커뮤니티를 계속해서 방문 3. 암호를 입력하고 설치가 완료되기를 기다린다.

하자.

버추얼 박스를 사용한다면 - 게스트 확장을 설치하자 게스트 확장은 VirtualBox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가상머신의 운영체제를 더 편 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게스트 확장을 설치하면 가상머신상의 운영체제에서 디스 플레이의 해상도 조절, 공유 폴더의 사용등이 가능해진다.

유니티 환경이 불편하다면? gnome-classic 설치 우분투에는 11.04 버전부터5) 기본 데스크톱 환경으로 독자적인 인터페이스인 유니티 (Unity)를 채택하고 있다. 유니티는 윈도우의 UI 뿐만 아니라 기존 리눅스의 데스크톱 환경인 그놈(Gnome), KDE와도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유니티가 편하고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다면 상관이 없지만 유니티에 적응하지 못하는 유저들도 상당 수 있다.

1. 버추얼박스에서 우분투를 실행한 상태에서 ‘장치 - 게스트 확장 설치’를 선택한다.

이런 경우에는 gnome-classic을 설치하여 기존 그놈의 환경을 사용할 수 있다. 아래는 gnome-classic의 설치 과정이다.

1. 터미널을 실행하고 다음을 입력한다. sudo apt-get install gnome-session-flashback

2. 로그아웃한다. 3. 다시 로그인 할 때 gnome-classic으로 로그인 세션을 바꿔준다. 2. 잠시 후 나타나는 실행하겠느냐는 창에서 실행 버튼을 누른다.

5) 데스크톱 에디션에는 11.04버전부터 탑재되었으나 실제로 처음 채택된 것은 우분투 넷북 에디션 10.10에서 부터이다.

25

26


워드 작업을 해야 할 때 : 리브레 오피스 컴퓨터로 자주 하는 일을 꼽으라면 웹서핑, 음악 감상, 드라마 시청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문서 작성도 한 몫을 한다. 문서 작성 하면 한글 워드프로세서나 마이크로소 프트사의 워드가 떠오르는데, 리눅스에서도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을지 의 문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리눅스에서도 당연히 문서작성이 가능하다. 우분투 등 대표 적인 리눅스 배포판의 경우 기본적으로 리브레 오피스라는 문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리브레 오피스의 워드프로세서인 Writer를 실행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다룬다. 실행하기

제4장 윈도우 못지않은 작업환경의 구축 설정까지 완료했으니 이제는 실제로 사용을 해봐야겠지. 이번 장에서는 윈도우와 작업환경이 100%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안 되는 것 빼고 다 되는 우분투와 오픈 소스 공개 소프트웨어의 세계를 소개한다.

리브레 오피스를 실행하려면 대시에서 LibreOffice Writer를 실행시키거나 좌측의 패 널 메뉴에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된다.

28


사용하기

김프의 설치는 우분투의 다른 소프트웨어처럼 간단하다. 패널 메뉴에서 우분투 소프트 웨어 센터를 실행하고 김프를 검색하여 설치버튼을 누르면 된다. 사용하기

기본적인 사용은 한글과 워드와 유사하다. 우분투의 독특한 UI 때문에 기본상태에서 는 메뉴가 뜨지 않는다는 것 외에는 매우 유사한 소프트웨어이다. 만약 메뉴를 사용하 고 싶다면 상단 바에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된다. 또한 이외에도 리브레 오피스에는 파워포인트, 엑셀의 대체프로그램도 존재하니 사용 해보기를

김프를 실행시키면 도구들이 위치되어있는 윈도우, 캔버스, 설정이 위치한 윈도우의 세가지 윈도우가 뜬다. 좌측에서 여러 기능을 가진 툴을 선택할 수 있고 상단 메뉴에서 도 강력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가 있다.

권한다.6)

음악, 동영상은 어떻게 재생시킬 수 있나요 : Guayadeque, VLC Media Player 포토샵을 쓰고 싶다면 : 김프 이미지 편집기

우분투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음악 플레이어와 동영상 플레이어에서는 유감스럽

사진 편집, 간단한 그림그리기 등을 위해서 리눅스에는 오픈소스소프트웨어인 김프가

게도 재생시킬 수 없는 파일들이 너무 많고 사용에도 불편하다. 그러나 자유로운 사용

있다. 포토샵 못지 않은 기능을 제공하므로 포토샵의 대체 소프트웨어로 적합하다. 김프

이 가능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중에서도 기능도 편리하고 사용도 간편한 소프트웨어가

를 설치해보고 사용해 보자.

많다. 그중에서도 여기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Guayadeque(음악 플에이어), VLC Media Player(동영상 플레이어)를 소개한다.

설치하기

설치하기 설치는 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Guayadeque와 VLC를 검 색하여 설치 버튼을 눌러주면 끝이 난다.

6) 더 많은 기능을 보고싶다면 http://ko.libreoffice.org/features/ 를 참고하자

29

30


사용하기 실행이 되면 파일을 열어서 감상하면 된다.

찾아보기 (Index) (G) gnome-classic Guayadeque

26

30

(V) VirtualBox

16

VLC Media Player

30 (ᄋ)

(‘)

예뮬레이션

‘한/영’키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 21

우분투 홈페이지 운영체제

(ᄀ)

유니티

가상머신

13

게스트 확장

25

김프

11 13

8 17, 26

(ᄏ)

29

캐노니컬 커널

8

8

(ᄃ) 대시

17

(ᄐ) 턱스

8

(ᄅ) 리누스 토르발스

8

리눅스 8 리눅스 배포판

(ᄑ) 파티션

13

8

리브레 오피스

28

(ᄒ) 한글 글자 윗부분이 안 보이는 문제 21

(ᄆ)

한글 언어팩 미설치 문제

마크 셔틀워스

8

(ᄇ) 바이오스

31

14

32

20


사진 자료 *밑에 표기가 없는 사진 자료는 저자가 직접 제작한 사진입니다. **주소, 저작권자 순으로 표기하였습니다. 표지이미지 | 서지에 표시 각 장별 시작이미지 제1장 | https://www.flickr.com/photos/woutervddn/5552340881/, Wouter Vandenneucker (CC BY-SA 2.0) 제2장 | https://www.flickr.com/photos/themactep/119330053/, themactep

(CC BY-NC-SA 2.0)

제3장 | https://www.flickr.com/photos/a_mason/4021444, Andrew Mason

(CC BY 2.0)

제4장 | https://www.flickr.com/photos/ueros/4429941637, Giuseppe Imperato (CC BY-NC-SA 2.0)

참고 자료 http://www.ubuntu-kr.org/viewtopic.php?p=119136, 우분투 14.04 한글 이슈 정리

도움 자료 ***다음은 독자들을 위한 도움 사이트입니다. http://www.ubuntu.com/, 우분투 홈페이지 http://www.ubuntu-kr.org/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http://askubuntu.com/ askubuntu!

이 책은 마포구청 논술지원비로 제작되었습니다.

3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