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디자인인문학 포럼 - 전통 생태지식과 지속 가능성

Page 1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제1회 디자인인문학 포럼

전통 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일시 | 2021년 04월 16일(금) 14:00 ~ 16:00 장소 | 온라인 ZOOM 강사 | 이도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ADD.47011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로 47 동서대학교 뉴밀레니엄관 228호 228 NMbdg., Dongseo University 47, Jurye-ro, Sasang-gu, Busan, 47011, Korea

T. 051-320-4833 E. adcf_dsu@g.dongseo.ac.kr H. http://uni.dongseo.ac.kr/adcf Asia.Design.Center.for.Future

adcf_dongseo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제1회 디자인인문학 포럼

전통 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이도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생태환경학, 경관생태학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장, 환경계획 연구소장 전 아시아에너지환경지속가능발전소 소장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이도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명예교수

차례 1. 전통생태지식  제한자원 물과 경관

2.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1


배경 디자인인문학 포럼은 인문학자들의 강의와 토론을 통해 디자인적 영감을 얻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올해 처음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그 첫 주제를 코로나 이후의 지구와 생태에 관하여 고민해 보고자 지속가능한 환경, 생태중심의 사고, 자연친화, 순환디자인, 인류세와 같은 주제로 포럼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교수님의 저서인 <출근길 생태학>과 강연 자료들을 접하며 생태학적 원리에 관하여 함께 얘기를 나누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디자인인문학 포럼 제1회>로 이도원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지 않을까 해서 여쭤봅니다. 저희 아시아미래디자인연구소에서는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동참하고자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관련한 연구활동을 하고자 하며, 이번 특강으로 대학의 디자인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실천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신경희 연구원님 2월 1일 이메일 저희가 모처럼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를 고민하며 <디자인인문학 시리즈>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장주영 교수님 2월 14일 이메일

2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두 가지 의문 전통생태지식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회복탄력성을 찾아낼 수 있을까? 풍경-마음-디자인은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을까? “우리 마누라”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은 사회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전통 사회의 주요 제한요소 1. 물 2. 식량, 섬유, 목재 3. 에너지(연료)

식량과 섬유, 목재, 연료는 농경지와 숲의 일차생산성에 의지했고,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특히 물 이용도에 크게 좌우되었다. 최근 자료: 이철승. 2021. 쌀 재난 국가. 문학과 지성사. 서울.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3


날씨 속담 1)개미가 줄을 지어 지나가면 비가 온다. 2) 청개구리가 울면 비가 온다. 3)제비가 지면(땅)가까이 날면 비가 온다. 4)물고기가 물 위에 입을 내 놓고 호흡하면 비가 온다. 5) 종소리가 선명하게 들리면 비가 온다. 6) 연못, 호수, 하천에 거품이 많이 일면 비가 온다. 7)마파람이 계속 불면 비가 온다. 8) 달무리나 햇무리가 나타나면 비가 온다. 9)연기가 밖으로 나가지 않으면 비가 온다 10)아침에 천둥 번개가 치면 큰 비가 온다.

고구려와 백제의 물 의자왕 13년(653) 봄에 큰 가뭄이 들어 기근이 매우 심했고, 17년(657) 4월에도 역시 큰 가뭄이 들어 농사 짓는 땅이 붉은 색으로 변했다. 고구려는 멸망 몇 해 전부터 장기적인 가뭄에 따른 기근으로 국가적 위기상황에 빠져 있었고, 당나라는 이를 놓치지 않았다. 지속적인 소모전으로써 고구려의 힘을 빼 놓았고, 결국에는 많은 성들이 끝까지 싸우기보다 일시에 당나라 군에 항복하는 길을 택하였다. 서병국. 1997. 고구려제국사. 혜안

4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측우기 발명

http://www.sejongkorea.org/

가뭄과 측우기 近年以來, 世子憂 旱, 每當雨後, 入土分 數, 屈地見之 근년 이래로 세자가 가뭄을 근심하여 비가 올 때마다 젖어 들어간 푼수(分數)를 땅을 파고 보았다. 세종실록 권23(1441)년 4월 29일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5


가뭄과 기근 경신대기근 1670년 봄부터 지독한 가뭄을 시작으로 태풍, 이상 저온, 황충, 가축 역병, 돌림병으로 시작된 기근은 다음 해까지 계속되었다. 당시 인구 대략 1/5에 해당하는 100여만의 사람이 죽었다. 1695년에 또 다시 2년에 걸친 을병대기근이 발생한다. 이때도 대략 100만 명이 죽었다. 대 기근 피해 기록은 현종실록과 현종개수신록, 승정원일기 등에 나와 있다.

우승엽. 2016. 대기근이 온다. 처음북스, 서울

가뭄과 기근 봄에 농사일을 시작한 뒤로 입추까지 단 세 차례 비가 아주 조금 내렸을 뿐입니다. … 중략… 벼는 말할 것도 없고, 기장, 목화, 삼, 깨, 콩 따위와 채소, 마늘, 온갖 과일 종류에서부터 명아주, 비름, 쑥까지 말라 죽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 중략…. 6월 초부터 백성들은 사방으로 흩어져 유랑하고 있습니다. 가슴을 두드리며 울고 부르짖는 소리가 수없이 들리고, 길가에 버려진 어린아이가 헤아릴 수 없이 많습니다. 참담하고 마음이 아파 차마 보고 들을 수가 없습니다. 한여름인데도 이와 같으니 가을은 안 봐도 알 수 있고, 겨울 이후는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기사년(1809) 음력 6월 다산이 보낸 편지 중에서(박혜숙 편역. 2008. 다산의 마음. 돌베개, 서울. 94쪽.

6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가뭄 혹독한 가뭄이 급습했던 1882년 고종은 경천휼민(敬天恤民)하지 못한 자신을 탓했다. 그 해 4월 19일 삼각산·목멱산에서 기우제를 거행했다. 한강·남단·종묘에 나아가 머리를 조아렸고, 5월 18일 사직단에 대신들을 모아놓고 기우제를 지냈다. 6월 10일 난병들이 대궐에 난입한 다음 날(임오군란) 드디어 비가 내렸다. 흙비(土雨)였다. 중앙일보 송호근 칼럼 2015년 6월 16일 논농사와 신라와 조선의 가뭄 피해는 다음 자료 참고 이철승. 2021. 쌀 재난 국가. 문학과 지성사. 서울.

물과 미래 가장 미래지향적이고 국제적인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는 기업들은 전 세계에 걸쳐 있는 자신들의 원료 공급자들이 직면한 수자원 위기를 분석하여 취약한 부분을 선별하고 그들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실천과 보존 방식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도왔다. 예를 들어 유니레버 사의 기술적, 경제적 지원으로 브라질의 토마토 재배 농민들은 미세관개법을 받아들여 물 소모량의 30% 줄이고, 살충제와 살균제에 오염된 유거수 양을 감소시켰다. 양조회사 앤호이저부시는 미국 북서부 태평양 지역의 가뭄으로 큰 타격을 입었을 때, 물 공급망의 중요성을 극명히 깨달았다. 작물 경작에 필요한 물 부족은 맥주 양조의 핵심 요소인 보리 가격을 상승시켰으며, 다른 한 편 댐의 유량 감소로 수력발전 비용이 오르자 알루미늄 맥주 캔의 제조비용도 높아졌다(587쪽). 주경철, 안민석 옮김. 2013. 물의 세계사: 부와 권력을 향한 인류 문명의 투쟁. 서울: 민음사. Solomon, S. 2010. Water: The Epic Structure for Wealth, Power and Civilization. HarperCollins Publishers.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7


접근 문헌

잔류 경관

과거

지도 그림 노래

자료

현재 시각

전통생태지식 옛 경관을 현재 시각으로 바라보고, 과거의 인식은 불확실한 경우도 있다.

경계 관리: 비보숲

19세기 초의 한양도성도 128.6x102.7cm, 호암미술관 소장, 이찬/양보경 1995 재인용. 假山은 도성 水口안 訓練院 동북쪽에 있다. 하나는 물 남쪽에 있고, 하나는 물 북쪽에 있는데, 흙을 쌓아 산을 만들었으니, 地氣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Willows were planted to keep man-made the two mounds stable (Sejo Sillok 1460).

8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세조 6년(1460)에는 버들을 양쪽 언덕에 심어서 조산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植木所라고 하여 어영청에서 관할하였다(新增東國輿地勝 覽, 京都 上, 최원석 2004).


옛 문헌 속의 전통지식: 비보숲 역사적으로 新羅(BC 57~AD 935)의 王業을 볼 때, 천여 년이나 된 것은 造山과 種樹를 가지고 空缺한 데를 메꿔 준 것이며, 州府나 郡縣에 있어서도 또한 모두 裨補한 것이 있사오니, 造山과 種木을 가지고 寬闊한 곳을 보충시킨 것입니다. 이제 우리나라 國都에 羅星이 空缺되고 水口가 寬闊하게 되었은 즉, 나성과 수구를 보충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러하오나 흙을 쌓아서 山을 만들어 補缺할려면 成功하기가 어려우니, 나무를 심어서 숲을 이루어 가로막게 하면 작은 노력으로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세종실록 30년(1447) 3월 8일-

경계 보완: 비보

경남 고성군 마암면 두호리 2007년 4월 4일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9


경계 보완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송말2리 리 2005년 년 4월 월 30일 일.

경계 보완

전북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죽장마을 2007년 9월 23일 찍음.

10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경계 보완

전북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죽장마을

내부순환을 위한 토지이용 고향 무정 구름도 울고 넘는 울고 넘는 저 산 아래 그 옛날 내가 살던 고향이 있었건만 지금은 어느 누가 살고 있는지 지금은 어느 누가 살고 있는지 산골짝에는 물이 마르고 기름진 문전옥답 잡초에 묻혀 있네. (1960년대 대중가요)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11


경관과 표면적, 토심, 유기물 분포 표면적

작다

토심 유기물 함량

넓다

깊다

얕다

(높다)

(공간 변이가 크다)

이도원. 2004. 전통 마을 경관 요소의 생태적 의미.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이지은 그림.

A typical village configuration Component

Configuration and water

Acquisition

Outer right wing

Inner right wing

Collection and Retention

Discharge

Inner left wing

Outer left wing

Major function

Forest

Source of water and firewood

Residential area

Human dwelling

Inner field

Food production

Grove and/or pond

Protection

Outer field

Food production

Lee, D., G. Kim, and M. Nam. 2012. Traditional management practices of rainwater at various spatial scales in Korea. A paper presented at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ainwater Harvesting and Management, Goseong, Gyungnam, Korea, 20-24 May, 2012. 그림 출처: 정경연. 2005. 정경연의 부자되는 양택풍수. 평단, 서울 참고로 안상희가 다시 그림.

12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경계관리와 토지이용 자원의 보존과 내부 순환, 공동체 활동을 통한 단합으로 마을이라는 모듈 형성과 되먹임 긴밀성에 기여했다.

구름 습기로 덮인 숲 가설: 습기는 숲의 넓은 표면적에 맺혀서 물이 되고, 그 물은 자연의 생기를 북돋우는 데 기여한다.

문전옥답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13


경남 고성군 고성읍 덕선리 2005년 5월 8-9일

.

이슬과 표면적

경남 고성군 고성읍 덕선리 2008년 8월 13일

14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이슬과 표면적

와카 워터(Warka Water)는 2012년에 개발된 약 9미터 높이의 거대한 꽃병 모양 탑이다. 와카 워터가 공기 중에서 물을 만들어내는 원리는 간단하다. 낮과 밤의 기온 차이가 커지면 풀잎에 이슬이 맺히는 것과 같은 원리다. 와카 워터는 가볍고 탄력이 있는 골풀 줄기를 엮어서 형태를 만들고, 안에는 청사초롱을 연상시키는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매쉬 그물을 매달아 둔다. 골풀을 엮는 패턴은 강한 바람이 불어도 공기가 통과해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꽃병 형태의 커브와 그물의 형태는 이슬을 모으기 위해 정교하게 설계된 것으로, 차가운 공기가 모이면서 맺힌 이슬은 아래로 흘러내려 탑 아래쪽 물통으로 모인다. 사람들은 아래쪽에서 수도꼭지를 열고 물을 받아가면 된다. 어디든 땅 위에 와카 워터를 가만히 세워두고 하루가 지나면 약 95리터의 깨끗한 물을 모을 수 있다. 500 달러(약 50만 원)면 와카 워터 한 개를 설치할 수 있는데, 대량생산하면 단가는 더 낮아진다. http://blog.naver.com/benefitmag/220042889358 http://www.architectureandvision.com/projects/chronological/84-projects/art/563-085-warkawater2-2014?showall=&start=1

이슬못 이슬이 최대한 많이 맺히도록 표면을 가능한 차갑게 만드는 것이다. 이슬못 장인은 먼저 짚을 깔고 진흙을 바른 다음 그 위에 돌을 덮었다. 짚은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해서 밤이면 아래에 있는 흙보다 진흙층이 더 차갑게 만들었다. 표면의 돌은 밤이 되면 주위로 열을 빨리 발산하는 성질이 있어 온도를 더 낮추었다. 이슬못은 한 번 잘 만들어놓기만 하면 공기 중의 물을 이용해 저절로 채워진다. 김정은 옮김. 2010. 강의 죽음. 브렌즈, 서울. 410쪽.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15


한성의 연못

길지혜. 2017. 한성 내 연지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통 마을의 수체계 보기:원터마을

공동우물 마을연못

한필원 2004. 이도원 엮음. 한국의 전통생태학

16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마을 연못과 숲

경남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 콩나물 제공 2002-2004 촬영..

연못과 모기 방제 유기물

모기 유충

미꾸라지

사람

웅덩이와 물을 채운 논에 말라리아의 숙주인 모기 애벌레를 잡아먹는 작은 물고기와 개구리들이 살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많은 것들이 달라진다. Radkau, J. 2002. Natur und Macht (이 이영희경남 옮김.고성군 2012. 자 연과 권력 . 사이언 스북스, 12월 서울. p.20) 영오면 오서리 2008년 26일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17


현대사회와 전통사회의 물질 흐름 전통사회 에너지

CO2,

NO3-, N2O,

섬유/삭량

사용한 물

목재

<참고> 여기서 초록색 글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빨간색 글은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전통사회에서는 CO2 , NO3-, N2O, 물 등이 자원이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오염물질이 되는 상황이 많다.

재활용 자원

에너지

현대사회

물 섬유/식량 목재

이도원, 박수진, 윤홍기, 최원석. 2012. 전통생태와 풍수지리. 지오북, 서울.

긴 운반과정에 자원손실과 에너지 낭비 발생

CO2, NO3-, N2O, 사용한 물

폐기물과 오염물질 발생

연못의 기능 인도의 퇴직경찰 하라데브신 하데자는 들판이 메마르고 우물이 바닥난, 사막이나 다름없는 척박한 마을을 초목이 뒤덮이고, 곳곳에 연못과 우물이 있으며, 풍성한 수확을 하는 마을로 바꿔놓았다… 중국처럼 지하수조나 야외 저수지를 만든 것이 아니라 연못을 이용했다. 연못에 모인 물을 곧바로 이용하지 않고, 토양을 통해 지하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우물물을 다시 채운 것이다. 김정은 옮김. 2010. 강의 죽음. 브렌즈, 서울. 431-2쪽.

18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빗물정원의 효과 Table. Flow Mass Balance (2002-2004) for Haddam, CT Rain Gardens volume (L)

deptha (cm)

% of inflow

Inflow roof runoff precipitation total

312,920 79,607 392,527

1,202 306 1,507

79.7 20.3

Outflow underdrain overflow total

374,580 3,326 377,906

1,438 13 1,451

95.4 0.8 96.3

14,621

56

3.7

Residual a

Depth represents depth of water in the rain gardens.

Dietz, M.E. & J.C. Clausen, 2006, Saturation to improve pollutant.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0(4):1335-1340.

물과 지표면 관리

카나리제도 동쪽 끝 란사로테 화산재 위의 포도재배. 김동희 등. 2006 옮김 (제임스 루어 등 엮음 2003). 지구. 서울: 사이언스북스. 184쪽.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19


물과 지표면 관리

bund 높이 0.5-2 m 길이 50-300 m

The indigenous teras water harvesting system offers grater production security, but its major benefit is that it raises the nutrient-limited yield from some 150-250 kg/ha to some 650 kg/ha through its nutrient harvesting effects (part of abstract) Niemeijer, D. 1998. Soil nutrient harvesting in indigenous teras water harvesting in eastern Sudan. Land Degradation & Development 9:323-330.

물과 지표면 관리 Godfray, H. C. J.; Beddington, J. R.; Crute, I. R.; Haddad, L.; Lawrence, D.; Muir, J. F.; Pretty, J.; Robinson, S. et al. (2010). "Food Security: The Challenge of Feeding 9 Billion People". Science 327 (5967): 812–818. doi:10.1126/science.1185383. PMID 20110467.

http://en.wikipedia.org/wiki/Niger

20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식생과 토양 수분

Ludwig, J. A., B. P. Wilcox, D.D. Breshears, D.J. Tongway and A.C. Imeson. 2005. Vegetation patches and runoff-erosion as interacting ecohydrological process in semiarid landscapes. Ecology 86(2):288-297.

지표 상태와 지표수 분배 부식토는 식물이 쓸 수 있는 영양소도 넉넉할 뿐만 아니라 흙이 물을 저장하는 능력, 곧 토양 수분 보유 능력이 높은 물질이 되니 비옥도를 높이는 것이다. 나무와 미생물, 동물들은 그 물을 나누어 쓰며 숲 생태계를 이룬다.

맨땅

식물이 있는 땅

식물이 있고 거친 지표

지표 모양과 식생에 따라 지표유출수와 투과수 분배량을 비교한 개념도. Belnap 등(2005)의 그림을 참고하여 다시 그림. 이도원. 2020. 출근길 생태학. 지오북, 서울. Belnap, J. J.R. Welter, N.B. Grimm, N. Barger, and J.A. Ludwig. 2005. Linkage between microbial and hydrologic processes in arid and semiarid watersheds. Ecology 86(2):298-307.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21


2.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 지속가능성은 어떤 과정과 상태를 무한히 유지하는 능력을 뜻한다. 1987년 발간된 브룬트란트(Brundtland Report)에서는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미래 세대가 필요한 것을 해치지 않고 현 세대가 필요한 것을 충족하는 것"으로 보았다. As applied to the human community, sustainability has been expressed as meeting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 http://en.wikipedia.org/wiki/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은 인류와 다른 생명이 지구에서 영원히 번영할 가능성으로 정의한다.

Sustainability is defined as the possibility that human and other life will flourish on the planet forever. Ehrenfeld. J.R. 2008. Sustainability by Design.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and London.

22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질문 지속가능발전을 논의할 수밖에 없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가정: 지속불가능한 상황 인식

이 나무는 어떤 어려움을 겪었고 무엇이 이 나무를 쓰러지게 했을까? 어떻게 살아 남았을까?

경기도 화야산 2012년 년 4월 월 14일 일.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점봉산 1995년 3월 18일.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23


질문 얼마나 길어야 지속가능한가? 지구별에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시간은 단지 1000년 뿐이다.

스티브

호킹 2013.

스티브 호킹은 틀렸다. 우리는 고작해야 50년뿐이다. 우리가 문제를 풀든지 망치든지 할 수 있는 시간 말이죠. 재레드 다아아몬드(경향신문 2014.1.1)

무엇이 지속가능해야 할까? 우리가 지속가능하길 바라는 실체 또는 단위는 무엇일까? * 아마도 다음 실체 또는 계가 아닐까? - 나, 가정, 사회, 국가, 국제사회 - 유전자, 사람, 생물, 지구, (우주)

24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지속가능한 단위 사례 국가와 단체를 포함하는 조직이나 우주와 지구, 생물, 유전자, 원자, 소립자, 그 이하 크기인 물질 단위 중에서 자기 속성을 유지하며 지속가능한 단위 또는 계(system)가 있는가? 우리가 지속가능성 또는 지속가능발전을 논의할 때 지속가능하길 바라는 단위는 무엇일까? 아마도 다음이 아닐까? 유전자, 사람, 생물, (지구, 우주) – 나, 가정, 사회, 국가, 국제사회

Systems needed to sustain for humans Cosmos Onsaengmaeng Earth’s life support systems Human societies Economics Humans

Genes

Atoms

Figure 1. Systems that we want to sustain when we talk about sustainability (Modified from Chapin 2009:6). The subjects of white and blue domains are not actively discussed in terms of sustainability yet. Humans seem to suppose that those are beyond their concern or activities. At least white domains may not hold true, however.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25


지속가능성의 바탕 미래 사회의 특징인 급변과 불확실성 속해서도 자연의 혜택인 생태계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사회로 흘러 들 때 지속가능성이 보장된다.

Chapin, F.S., III, G.P. Kofinas, and C. Folke (eds.) 2009. Principles of Ecosystem Stewardship: Resilience-Base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a Changing World. Springer, New York.

질문 무엇이 우리를 지속가능 못하게 하는가? 1. 뜻밖의 타격 또는 교란 (disturbance, shock, or surprise)? 2. 계의 취약성(vulnerability)? 3. 필수제한자원(vital and limiting resources), 또는 “느린 핵심변수”?

26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

2011년 3월 출간 2011년 7월 출간 2012년 4월 출간

2013년 5월 출간8월 출간 2011년

망가지지 않고 살아남기 위한 자기 개발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원래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힘을 일컫는 말로 회복력 또는 높이 되튀어 오르는 탄력성을 뜻한다. 심리학에서는 주로 시련이라 고난을 이겨내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하는 말로 쓰인다.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워즈덤하우스. 서울.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27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교란을 흡수하는 계의 능력이다. 그것은 교란이 작용할 때 계가 일시적으로 변하기는 하지만 본질적으로 기능과 구조, 되먹임 과정, 자치행동을 허용하는 네트워크와 사회적 자본, 제도적 학습을 향상시키는 자원을 잃지 않고 간직하는 능력을 말한다. (Holling 1973, Walker 2006, Nelson 등 2007).

핵심 느린 변수의 중요성 A resilient world would have a policy focus on "slow," controll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thresholds. By focusing on the key slow variables that configure a social-ecological system, and the thresholds that lie along them, we have a greater capacity to manage the resilience of a system. In so doing it'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size) of the desirable regime so that the system can absorb more disturbances that might be created by our actions, and so avoid a shift into an undesirable regime. (Alternatively), if we are already in an undesirable regime it enhances our ability to shit out of it.) 백제, 고구려, 신라 , 고려, 조선 멸망의 원인에 대한 의문

28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 지속가능발전은 계의 본질을 잃지 않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정도로 열린 상태에서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열림이 필요하고, 열린 곳으로 갑자기 투입되는 외부 교란을 통제하고 흡수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과거에는 계의 특정 요소들을 최적화함으로써 기존의 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으나 근래에 일단의 연구진은 지속가능성의 열쇠가 사회-생태계의 교란 흡수 능력을 높이는 데 있다는 가정한다(Walker 2006: 9).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 과거에는 계의 특정 요소들을 최적화함으로써 기존의 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으나 근래에 지속가능성의 열쇠는 사회-생태계의 교란 흡수 능력을 높이는 데 있다고 가정한다(Walker 2006: 9).

Resilience, a system’s capacity to absorb disturbances without a regime shift, is the key to sustainability (Walker 2006: 38). Walker, B. and D. Salt. 2006. Resilience Thinking: Sustaining Ecosystems and People in a Changing World. Island Press, Washington, DC.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29


회복탄력성과 지속가능성

Figure 1. A "ball-in-the-basin" representation of resilience. The state of this two dimensional system is the ball. Its dynamics cause it to move to the 'attractor' - the bottom of the basin. The system can change regimes either by the state changing, or through changes in the shape of the basin (i.e., through changes in processes and system function), as shown in (b) http://www.resalliance.org/index.php?id=564&sr=1&type=pop

문턱을 넘어가면 다시 되돌아갈 수 없다.

교란의 정의 흔히 계의 구조를 흩뜨리고, 자원과 기질(substrate)의 이용도 또는 물리적 환경을 바꾸며, 시작과 끝이 분명한 사건을 말한다(Pickett & White 1985).

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사건.

30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교란의 유형 외우(外憂): external disturbance 내환(內患): internal disturbance 예측가능: 주기적 변화, 기억 보존 사건, 예측불가능: 미증유 사건, 기억 상실 사건,

오늘날과 같이 불확실성이 높은 안팎의 교란이 위협할 때 회복탄력성이 높은 계가 지속가능성이 높다.

What Might a Resilience World Be Like 1. 2. 3. 4. 5. 6. 7. 8. 9.

Diversity Ecological Variability Modularity Acknowledging slow variable Tight Feedbacks Social Capital Innovation Overlap in Governance Ecosystem Services

Walker, B. and D. Salt. 2006. Resilience Thinking: Sustaining Ecosystems and People in a Changing World. Island Press, Washington, DC.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31


질문 우리나라 사회-생태계의 회복탄력성 또는 취약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요소는 뭘까? 아마도 필수적이지만 제한적인 자원(예를 들면, 물)이 아닐까? 정책과 디자인 분야는 이 문제를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참고 1, 2번 번은 Walker 교수와 Carpenter 교수의 resilience에 에 대한 짧은 소개 영상입니다. 1. What is resilience? Professor Stephen Carpenter from Zoology Department, University of Wisconsin, explains the meaning behind the concept resilience. http://youtu.be/msiIV5NdLVs 2. The best explanation to resilience Stockholm whiteboard seminar: Brian Walker explains what is resilience in people and ecosystems. http://youtu.be/tXLMeL5nVQk 3번 번 동영상은 TKWB에 에서 제작한 동영상인데, 본 발표 주제와 잘 맞을 것 같습니다. 저도 동영상 보면서 (자 자세히는 잘 못 봤지만) 여러 가지로 재미있고 신기한 것들이 많았습니다. 3. What is the Traditional Knowledge World Bank? http://youtu.be/WbU3DPrnU98 배소연 찾음

32

제1회 디자인인문학포럼


고맙습니다!

전통생태지식과 지속가능성

3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