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서
ㅈ
Ⅰ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1 운영배경
06
2 사업목적
07
3 비전 및 미션
08
4 조직구성
09
5 사업연혁
11
Ⅱ 416세월호참사 대상자 등록 현황 •416세월호 참사 피해자 인원현황
16
•안산온마음센터 등록 현황
16
1) 대상별현황(유가족/미수습가족/생존자/생존자가족/일반) 2) 지역별 현황
•안산온마음센터 미등록 대상자 현황
17
1) 대상별현황(유가족/미수습가족/생존자/생존자가족/일반) 2) 지역별 현황
Ⅲ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1 416 심리지원사업
20
2 416 활동지원사업
39
3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66
4 재난위기대응사업
88
5 기획홍보사업
133
Ⅳ 부록 2016년 사업실적
153
Ⅰ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
운영배경
●
사업목적
●
비전 및 미션
●
조직구성
●
사업연혁
01 ●
운영배경
2014년 4월 16일 안산 단원고 학생 325명을 포함해 일반승객, 승무원 등 모두 476명이 여객선 세월호를 타고 제주도로 가던 중 침몰사고가 발생해 172명만이 생존했고 295명의 희생자와 9명의 미수습자가 발생하는 대형 참사가 일어났다. 참사로 인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한 피해 당사자는 물론, 그 가족들과 지역사회, 그리고 잠수사를 비롯한 많은 지원인력들이 직·간접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
참사 직후부터 이후 비상 체제로 운영되어 오던 경기-안산 통합재난심리지원단을 2014년 5월 1일 안산온마음센터 (안산트라우마센터)로 전환하여 안산 지역사회와 더불어, 416참사 유가족의 전문적 심리지원과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원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
안산온마음센터는 416세월호 참사 피해자와 지원인력 그리고 지역사회의 심리적 외상 치유를 위한 정신건강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하며, 재난심리지원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공기반 기관으로써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고 재난심리지원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적 기관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고자 한다.
추진근거 4·16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35조(안산트라우마센터 등 설치) ① 국가는 피해자와 안산지역 공동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피해자의 종합적인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안산트라우마센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안산트라우마센터는 국가등이 운영하여야 하며, 안산트라우마센터의 설치·운영 및 운영위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0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02 사업목적 416세월호 피해자 및 기타 트라우마 대상자의 신체·사회·심리적 지원을 통한
재난 피해지역의 집단적 트라우마에 대한 공동체 회복
일상생활 복귀 및 삶의 질 향상
재난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재난심리지원 응급시스템 구축 및 지원체계 마련
재난 및 트라우마 심리지원 전문인력 양성 및 역량강화
2016년 사업보고서
07
03 비전 및 미션 트라우마 치유를 통한 개인과 사회의 동반성장 치유와 회복
416세월호참사 피해자를 포함한 트라우마로 고통받는 이들에 대한 전문적, 지속적, 집중적 서비스 제공
전문성 향상
트라우마 치유 및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전문성 함양과 전문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416세월호참사 초기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중심의 재난심리지원 시스템 구축
공동체 성장
지역사회연대를 강화하고 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공동체 성장 도모
우리는 국내 최고의 트라우마 치유기관으로서 온마음을 다해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선언문
하나, 우리는 트라우마로 고통받는 이들과 함께하며, 전문가로서의 책임을 다한다. 하나, 우리는 치유와 회복의 과정에 어느 누구라도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하나, 우리는 개인과 공동체의 다양성을 인정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하나, 우리는 특정 개인과 집단의 이익에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중립성을 지켜나간다. 하나, 우리는 사람 중심의 가치를 바탕으로 행복한 삶을 지향한다.
0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04 조직구성 가 조직도
운영위원회
센터장
자문위원회
부센터장
416 가족지원 416 심리지원
416 활동지원
•416유가족 사례관리 • 유가족지원 프로그램
•희망공방 프로젝트 • 가족지원 행사 •416문화 행사 •주민공동체 활성화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
재난위기 대응
•트라우마 평가 시스템 •트라우마 기반 서비스 •생존자 가족지원 •트라우마 회복 네트워크
•재난심리외상 인식개선 •재난 위기 대응 지원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양성 • 교육컨텐츠 개발
기획홍보
•홍보사업 •언론관리 •연구지원 •재난심리 지원 전산관리 •학술대회
정신건강 의료지원
•정신건강 전문진료 •전문 프로그램 운영 •교육지원 및 슈퍼 비전
행정지원
•행정 및 운영체계 관리 •문서관리 •비품관리 •환경조성
2016년 사업보고서
09
나 인력현황 총 36명(상근34, 비상근2) * 비상근 구분(단위 : 명)
센터장
부센터장
삼임팀장
팀장
팀원
총인원
합계
1
1
1
7
26
36
정신과의사
1*
1*
2
4
2
6
9
1
9
10
1
1
2
5
8
1
3
4
정신보건간호사
1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1
행정요원
직원 세부 현황 (2016년 말일기준) 부서 운영
정신건강의료지원
416심리지원
416활동지원
416트라우마회복지원
재난위기대응
기획홍보
행정지원
10
안산온마음센터
성명 고영훈 안소라 전상원 강정훈 한은진 김학철 서경숙 신양아 신명진 윤순희 김계순 김진배 박소희 김선식 정지선 김보람 김수열 조수연 김유진 박소연 김효정 한정민 오성훈 김미숙 조동희 남정우 서진오 이솔 박하은 전은주 조은비 유아영 황혜숙 이채은 김지현 김고운
직위 센터장 부센터장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상임팀장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구분 정신과 전문의(비상근) 정신보건간호사(상근) 정신과 전문의(비상근) 정신과 전문의(상근) 정신과 전문의(상근) 정신과 전문의(상근)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행정요원) 행정요원 행정요원 행정요원
인원수 2명
4명
7명
5명
5명
5명
4명
4명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05 사업연혁 2014
5월 1일
보건복지부-명지병원 위수탁계약
5월 17일
희생자 가족 대상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설명회 진행
5월 19일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임시사무소 설치(안산도시공사)
5월 20일
분향소 유가족 심리지원 부스 운영 시작
7월 8일
‘안산온마음센터’ 명칭 병용
7월 23일
세월호 참사 100일 추모 행사 지원 및 참여
8월 25일
안산온마음센터 공간 마련 완료
9월 4일
부모/교사를 위한 지침서 ‘토닥토닥 너풀너풀’ 발간
9월 5일
안산온마음센터 이전 개소식
9월 15일
0416 힐링센터 쉽과 힘 업무협약 체결
10월 14일
안산소방서 업무협약 체결
10월 27일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자 양성과정 시작
12월 20일
세월호 가족과 함께 하는 안산시민 감사오찬 ‘0416 기억하고 함께 걷다’
2016년 사업보고서
11
2015
12
안산온마음센터
1월 26일
416세월호 참사 유가족 도보행진 동행
2월 2월
안산시-고대안산병원 안상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위수탁 협약
2월 7일
416 희망과 길찾기 1000인 대토론회
2월 26일
제주세월호 피해상담소 업무협약 체결
4월 2일
정신건강의 날 행사 감사패 수상
4월 3일
토닥토닥 너풀너풀 사진전 개최
4월 16일
416 1주기 ‘지난 봄 너의 눈물’ 추모콘서트
4월 16일
416세월호 참사 및 트라우마의 이해를 위한 소책자 ‘온마음을 두드림’ 발간
7월 15일
희망공방 프로젝트 시작
7월 29일
안산지역토론회 ‘416 그후, 지역공동체 회복의 길을 묻다’ 진행
8월 24일
안산온마음센터 비전미션 선포식
8월 28일
500일 추모문화제 동행
9월 23일
안산온마음센터 –자바르떼 업무협약 체결
10월 6일
간접외상지원프로그램(수고했어, 오늘도) 진행
10월 12일
단원고 예배졸업생을 위한 공간 개소식 진행
11월 1일
제1회 ‘엄마랑함께하장’ 프리마켓
11월 7일
청소년토론회 ‘우리가 꿈꾸는 사회, 우리가 바라는 안산’
11월 21일
단원고 생존학생을 위한 ‘새로운 시작의 밤’
11월 26일
2015년 안산온마음센터 심포지엄- 심리외상 지원의 현재와 미래
12월 6일
세월호 참사 600일 행사 ‘기억과 약속의 나무’
12월 9일
416 가족의 밤 송년회 진행
12월 21일
안산온마음센터-구세군 업무협약 체결
12월 28일
2015년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재난 지원 유관기관 심포지엄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개요
2016
1월 2일
경기도-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위수탁계약
1월 2일
416트라우마회복지원팀, 재난위기대응팀, 가족활동지원팀 신설
1월 29일
단원고 생존학생 공간 ‘다락방’ 오픈식
4월 8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4월 16일
세월호참사 2주기 추모행사 참여
4월 23일
416을 기억하는 와동주민한마당
5월 14일
제2회 ‘엄마랑 함께하장’ 프리마켓(14일-15일)
5월 23일
잠수사를 위한 치유캠프(1차)
6월 14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은평구 전시
6월 30일
재난 심리지원 군제전문가 초청 강연회
7월 4일
단원고 생존자 외상후 프로젝트 ‘백패스’(5박6일)
7월 7일
대시민강좌 ‘영화로 보는 트라우마, 굿바이 트라우마’
7월 9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광화문 전시
7월 11일
지역별 전문가 양성과정 - 소진예방 교육
7월 13일
416 미 발굴 피해자 사업 유관기관 간담회
7월 19일
생존자 가족 캠프‘별과 별이 반짝이는 가족캠프’
7월 21일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쇼케이스 공연
7월 22일
경기도청소년복지상담센터 트라우마 교육 생산공동체워크샵 ‘사회적기업 탐방’
7월 26일
선부동 지역주민교육 ‘이기적인 착한 사람’ 종료
7월 28일
하반기 재난심리지원 국제전문가 초청 교류
8월 02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광주 전시
8월 27일
생존자 가족 야유회 ‘베리굿’ 진행
8월 30일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연구 진행
9월 24일
안산 건강축제 한마당 홍보부스 운영
9월 28일
잠수사를 위한 치유캠프 2차
2016년 사업보고서
13
2016
14
안산온마음센터
10월 1일
생존자 어머니캠프 ‘Mom’s touch’
10월 8일
제3회 엄마랑 함께하장
10월 8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창원 전시
10월 13일
경기도 권역별 실무자 교육 - 상실·복잡성 애도에 대한 이해
10월 16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진주 전시
10월 27일
단원고 생존학생 사진전 카르페디엠:현재를 살다 전시
10월 28일
제주 생존자 외상후성장공동체공유 프로젝트
11월 11일
심리적외상예방프로그램-소방사회복지무요원/의무소방관
11월 26일
생존자 송년모임 ‘기억의 밤’
12월 2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목포 전시
12월 5일
2016년 트라우마 심포지엄 “트라우마 치유와 회족을 위한 공공의 기능 및 역할”
12월 6일
안산정신건강증진센터-공주병원-충청남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협약
12월 15일
416 가족 송년회 ‘빛을 밝히다’
12월 19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전’ 성남 전시
12월 20일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 웹사이트 오픈
12월 26일
단원고 생존자 캠프 ‘The Warm’ 진행
Ⅱ 416 세월호참사 대상자 등록 현황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인원현황
●
안산온마음센터 등록 현황
1) 대상별현황(유가족/미수습가족/생존자/생존자가족/일반) 2) 지역별 현황 ●
안산온마음센터 미등록 대상자 현황
1) 대상별현황(유가족/미수습가족/생존자/생존자가족/일반) 2) 지역별 현황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인원현황
1
2
구분
일반인
단원고
총 인원
총 탑승인원
151명
325명
476명
희생자
49명
246명
295명
미수습자
5명
4명
9명
생존자
97명
75명
172명
안산온마음센터 등록 현황
1) 대상별 현황 유가족
미수습자 가족
생존자
생존자 가족
기타
합계
784명
20명
92명
17명
13명
926명
유가족 및 미수습자 가족 형 제 자 매
생존자 일 반 인
단 원 고
자녀
배 우 자
친 인 척
804명 224명 238명 40명 282명 8명
4명
8명 109명 20명 72명
소 계
부
조 부 모
모
소 계
일반트라우마 생 존 자 가 족
소 계
생 존 자
유 가 족
간 접 피 해 자
기 타
17명
13명
2명
0명
11명
0명
2) 지역별 현황 서울시 (5명)
강원도(3명)
인천광역시(9명) 안산시(808명)
경기도(56명)
경상도(5명)
충청도(4명)
전라도(9명)
미파악 16명
16
안산온마음센터
제주도(10명) 영국(1명)
416세월호참사 대상자 등록 현황
3 안산온마음센터 미등록 대상자 현황 1) 대상별 현황 미등록
구분
총탐승 인원
안산온마음센터 등록관리
단원고
선원
일반
합계
476명
362명
3명
15명
96명
희생자
295명
261명
0명
0명
37명
미수습자
9명
9명
0명
0명
0명
생존자
172명
92명
3명
15명
59명
2) 지역별 현황 서울시 (22명)
강원도(2명)
인천광역시(32명) 안산시(4명)
경기도(21명)
경상도(6명)
충청도(3명)
전라도(5명)
제주도(19명)
2016년 사업보고서
17
Ⅲ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416 심리지원사업
●
416 활동지원사업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재난위기대응사업
●
기획홍보사업
01
416 심리지원사업
416 세월호 참사로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족을 대상으로 심리적 지원뿐 아니라 사회적, 일상적인 통합 지원을 통해 재난으로 인한 2차적인 트라우마 및 위기를 예방하고,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촉진 하고자 한다.
가 사례관리 참사 2주기가 지났지만 진상 규명과 학교 교실 존치 등 참사와 관련된 이슈들로 인해 여전히 정상적인 애도 과정을 경험하지 못하고 심리·정서적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유가족들은 일상을 조금씩 회복해 가고 있으나, 여전히 사회적인 이슈나 여러 가지 상황들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이에 유가족들의 애도과정과 외상이후의 성장을 돕기 위해 지속적인 사례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례관리는 포괄성과 지속성 그리고 당사자 중심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진행한다. 병리적 관점에서의 치료와 회복 보다는 성장과 동반자적 관점에 초점을 두며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자기치유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한다. 1:1로 사례관리자를 배정하여 가정방문 및 내소, 전화, 문자 서비스 등의 방법으로 위기 및 욕구 사정에 따라 접촉빈도를 달리하여 사례관리가 이루어졌다. 접촉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멤버카드]를 정기적으로 발송하여 거부의사를 존중함과 동시에 연결이 끈기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여 왔다.
사례관리
2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심리지원 실적(유형별) 합계
방문
내소
전화
기타
부재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899명
20,614명
614명
3,619명
340명
4,143명
897명
12,731명
84명
109명
11명
12명
6월
7월
●
심리지원 실적(월별)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717명
758명
751명
711명
747명
연인원 20,614명 1,673명 2,125명 2,010명 1,712명 1,898명 1,492명 1,483명 1,760명 1,738명 1,525명 1,628명 1,570명
416 활동지원사업
실인원 899명 670명 769명 698명 723명 745명 706명 744명
●
416 심리지원사업
실인원
월별 심리지원 변화추이
•월별현황 2,010
1,898
1,712
1,673
1월
2월
3월
4월
1,760
5월
1,492
1,483
6월
7월
1,738
1,628
1,525
8월
9월
10월
11월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2,125
1,570
12월
사례관리를 본격화 하는 2~3월에 사례관리가 증가함. 5월은 희생자의 기일이 집중된 시기이기 때문에 사례관리가 증가함. 10월경 먼 친인척 등 사례관리의 필요성이 낮아 퇴록이 증가하면서 등록인원수가 감소하여 사례관리가 재난위기대응사업
감소하였다.
•월별, 유형별 현황 방문
내소
전화
부재 및 기타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기획홍보사업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12월
2016년 사업보고서
21
•실인원 769 758
745
744
723
747
717
706
698
751 711
67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실인원은 평균 728명으로, 관리 인원의 85~90% 정도 월별 사례관리가 이루어졌다.
시기에 따른 위험도 분포비율(CGI-S)
●
•위험도 변화 등록시
50
현재
45 40 35 30 25 20 15 10 5 0 2
1 [괜찮다] 1점
3
[저위험] 2~3점
4
5
6
[중위험] 4~5점
7
합계
[고위험] 6~7점
등록초기 CGI-S를 통해 정신건강의 위험도를 평가함. 점수가 높을수록 위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2014년 초기보다 정신건강의 위험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
정신건강 심각도(PHQ-9, GAF) 구분
파악관리
일시관리
유지관리
중점관리
집중관리
기준
미평가
PHQ-9 0~4 & GAF 71 이상
PHQ-9 5~9 & GAF 51~70
PHQ-9 10~14 & GAF 41~50
PHQ-9 15~27 & GAF 1~40
계
유가족
47명
289명
340명
107명
1명
784명
미수습자 가족
2명
5명
4명
9명
0명
20명
합계
49명
294명
344명
116명
1명
804명
%
6.1
36.6
42.8
14.4
0.1
100
22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관리 구분 집중관리 0.1% 416 심리지원사업
PHQ-9 15~27 & GAF 1~40 파악관리(미평가) 중점관리 PHQ-9 10~14 & GAF 41~50 14.4%
6.1%
일시관리 PHQ-9 0~4 & GAF 71 이상
PHQ-9 5~9 & GAF 51~70
416 활동지원사업
36.6%
유지관리 42.8%
정신건강 심각도를 PHQ-9, GAF를 바탕으로 크게 4단계로 분류하였음. 단순한 정신건강부분에 대한 평가로 전반적인
관리 및 집중관리에 대항하는 14.5% 수준임. 중점관리 및 집중관리에 대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치료적인 접근이 필요한 반면 유지관리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방적 접근 및 다양한 지역활동 촉진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볼 때 유지관리에 해당하는 경우가 42.8%로 가장 높았다. 중점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23
●
CANSAS 미충족 현황(응답자 804명) 영역
1. 정신건강영역
2. 물질남용 및 의존 영역
3. 위험성 영역 4. 신체건강 영역
5. 일상생활 영역
6. 사회적 관계 영역
문항
N(%)
심각도 M±SD
순위
1-1 심리적 스트레스
329(40.92)
1.49
1
1-2 정신병적 증상
6(0.75)
1.50
15
1-3 약물(치료) 정보
4(0.50)
1.75
18
1-4 약물 관리
9(1.12)
1.44
14
2-1 음주 문제
46(5.72)
1.43
7
2-2 약물의존 및 남용
2(0.25)
1.50
22
3-1 자해 및 자살위험(자기 안정성)
4(0.50)
2.00
19
3-2 타해위험 (타인 안전성)
2(0.25)
1.00
23
4-1 신체건강
107(13.31)
1.43
3
5-1 자기관리
6(0.75)
1.33
16
5-2 식생활
3(0.37)
1.33
21
5-3 가정관리
4(0.50)
1.50
20
5-4 주간/여가 활동
36(4.48)
1.28
8
5-5 기초학습(기초교육)
0
0.00
29
5-6 전화(이용)
0
0.00
30
5-7 교통수단 이용
1(0.12)
1.00
24
5-8 생활비 관리
1(0.12)
1.00
25
6-1 부부/가족 관계(이성적 관계)
80(9.95)
1.34
4
6-2 부모 자녀 관계
70(8.71)
1.26
6
6-3 자녀 양육
23(2.86)
1.04
11
1(0.12)
1.00
26
117(14.55)
1.19
2
7-1 교육 및 훈련
11(1.37)
1.55
13
7-2 고용 지원
34(4.23)
1.26
10
8-1 교통 및 이동수단
1(0.12)
1.00
27
8-2 거주공간(환경)
1(0.12)
1.00
28
8-3 사회보장혜택
5(0.62)
1.80
17
8-4 법적 옹호
18(2.24)
1.78
12
8-5 인권 및 차별에의 보호
77(9.58)
1.38
5
8-6 안전 및 폭력에의 보호
35(4.35)
1.54
9
6-4 성생활 6-5 대인관계(사회 생활) 7. 학업/직업 기능 영역
8. 지역사회 생활지원 영역
CANSAS를 통해 유가족들의 욕구를 파악한 결과, 심리적 스트레스(329)와 대인관계(117), 신체건강(107)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그 외에도 부부-자녀 등 가족관계의 문제, 음주문제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족들의 신체질환 발생률 증가를 시사하고 있으며 주민 및 기타 대상들과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24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점차 부부 및 부모자녀와의 갈등, 음주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사례관리 및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416 심리지원사업
평가 ●
성과
- 애도 기반 사례관리를 통해 대상자의 애도 반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고인에 대한 애도 감정을 표현 416 활동지원사업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다. - 시간의 경과에 따른 대상자의 심리적 변화 및 애도 과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 다양한 형태와 유연성을 가지고 유가족과의 신뢰를 높혔으며, 위기상황시 사례관리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연결체계를 마련하였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 대상자들의 개별적인 문제나 욕구들이 다양해지고 있어, 이에 따른 사례관리의 방향성 및 사례관리자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 재난경험자에 대한 근거기반의 평가체계의 마련과 애도기반 사례관리에 대한 체계구축 필요하다. - 416참사 유가족에 대한 추적관찰에 대한 데이터 구축 필요하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25
나 프로그램 운영 416세월호참사 유가족들에게 외상적 상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건강한 애도 과정을 돕고, 대인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유가족 대부분은 신체적 개입이나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접근에 대해서는 자연스럽게 참여하였다. 따라서 심신안정신체요법, 힐링 요가, 통증 치료 등 신체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적 통증 및 신체 불편감을 완화시키고자 하였고, 압화공예, 마음챙김 걷기명상, 온마음스케치 등 문화·예술을 접목한 심리적 개입을 통해 심리적인 불편감을 감소시키고 애도과정을 건강하게 승화시키도록 하였다. 온마음 어울림이나 카네이션, 빼빼로 만들기 등 가볍게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관계 및 대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들을 제공하였다. 그 외 남성 및 형제자매 등 특정 대상자들이 소속감을 갖고 서로 지지할 수 있는 집단 프로그램으로 남자의 공부방, 온마음플러스와 같은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
프로그램 사진
•신체기반 프로그램 통증치료
심신안정신체요법
2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힐링요가 416 심리지원사업 416 활동지원사업
•심리기반 프로그램 마음챙김 걷기명상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성인 미술치료
성인집단 미술치료
재난위기대응사업
아동 미술치료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27
전문의와 함께 하는 공방이야기
압화공예
•여가문화 활동 온마음어울림 1회기 - 롯데월드
온마음어울림 2회기 - 볼링
온마음어울림 3회기 - 캐리비안베이
온마음어울림 4회기 – 대부도
온마음어울림 5회기 – 미리내 힐빙클럽
온마음어울림 6회기 - 화담숲
2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성인 남성 프로그램 남자의 공부방 - 바둑
남자의 공부방 - 요리 416 심리지원사업 416 활동지원사업
•형제자매 프로그램 겨울방학 프로그램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사랑의 빼빼로 만들기
재난위기대응사업
카네이션 만들기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29
온마음 플러스(성인 형제자매)
●
프로그램별 참석현황 프로그램명
대상
횟수
심신안정신체요법
유가족 전체
150회
연인원
195명
3,726명
압화공예
유가족 성인여성
35회
45명
474명
통증치료
유가족 전체
6회
29명
56명
2016년 겨울방학 프로그램
유가족 소아·청소년
6회
15명
50명
마음챙김 걷기명상
유가족 성인
29회
28명
171명
온마음스케치
유가족 중 신청자 및 사례관리자의 추천
375회
23명
417명
온마음플러스
유가족 형제자매
13회
12명
83명
온마음 시네마
유가족 형제자매
4회
4명
11명
온마음 어울림
유가족 전체
6회
88명
137명
남자의 공부방
유가족 남성
17회
17명
105명
힐링요가
유가족 성인
51회
47명
277명
전문의와 함께하는 공방이야기
유가족 성인
35회
65명
506명
카네이션 만들기
유가족 성인형제자매, 소아·청소년
1회
30명
30명
빼빼로 만들기
유가족 성인형제자매, 소아·청소년 총 계
●
참여인원 실인원
1회
32명
32명
729회
303명
6,075명
대상자별 참석현황 분
실인원
연인원
유 가 족
구
298명
5,953명
생 존 자
4명
79명
생존자 가족 총
30
안산온마음센터
합
1명
43명
303명
6,075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시기
내용
미술치료 강사
6월
- 미술치료 참석 유가족에 대한 개입내용 논의 - 미술치료 진행 도구 및 미술치료비 지급기준 재공지
은혜안마지압원
12월
- 프로그램 진행시 개선사항에 대한 논의
홍보 대상
건수
홍보웹자보 제작 및 발송
28회 / 4,326건
리멤버카드 발송
93건
self care 프로그램 키트 제작 및 배포
1회 / 255건
총 계
4,448건
비고 416 활동지원사업
●
대상
416 심리지원사업
●
평가회 실시현황
프로그램 안내지 포함
프로그램 만족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압화공예 •만족도 분석 구분
장소
시간
강사
심리적 안정감
추천 욕구
작품 만족도
재참여 욕구
타프로그램 참여 욕구
전체 만족도
%
100
100
100
92
100
100
100
75
100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작품을 만들면서 잡념이 사라지고 자신감이 높아졌으며, 작품을 통해 위로를 받고 다른 재난위기대응사업
유가족들과 친해질 수 있었다. •이용자의 변화 추이 - 정서적 안정감 향상 및 건강한 애도작업 촉진 - 일부 참여자들의 경우 압화공예 강사 자격증취득 등 취업연계
통증치료 •만족도 분석 시간
장소
준비성
진료
추천의향
재참여 욕구
%
71
71
100
86
86
100
기획홍보사업
구분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알고 건강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16년 사업보고서
31
- 간단한 진료를 통한 진단 및 처방에 대해 만족스러웠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유가족 활동 및 심신 불안정으로 자기관리를 소홀히 했던 유가족들이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실천의지를 보였다.
2016년 겨울방학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구분
시간
장소
태도
친밀감
스트레스해소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
%
97.6
95.5
97.6
91
94
만두만들기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방학 중에 여가활용을 할 수 있고, 만들기를 통해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이용자의 변화 추이 : 프로그램에 참여한 타또래집단, 사례관리자와 긍정적 관계 형성되었다.
마음챙김 걷기명상 •만족도 분석 상반기 구분
정보유용성
강사
진행절차
장소
전반적 만족도
%
67
33
67
33
33
하반기 마음챙김 자각척도
자율신경 균형도
스트레스 저항도
스트레스지수
자율신경 활성도
프로그램 만족도
사전
37
50
66
83
0
미실시
사후
48
41.5
83
83
17
85
구분 %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의 안정을 느낄 수 있었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프로그램의 내용을 신체기반과 심리기반 7:3의 비율로 수정 후 참여자들의 심리적 거부감이 줄어들어 대상자들의 참여율이 높아졌다. -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참여자간에 긴장감이 감소하고,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모습이 증가하였다.
온마음플러스 •만족도 분석 구분
성별
연령대
장소
시간
강사
작품 만족도
전체적 진행
심리적 안정감
재참여 욕구
추천 의향
타프로그램 참여욕구
%
여성
20대
86.6
54.4
100
79.5
67
67
72.3
71.4
57.1
32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식물에 관한 잘못된 상식을 바로잡고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었으며 주변 화분들에 관심을 갖거나 키우기 시작 416 심리지원사업
하였다. - 프로그램이 늦게 끝나서 아쉽지만 작품은 만족스럽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 뿌듯하였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주간 일정이 많은 청년들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진행시간을 변경하고, 꾸준하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참여율이 증가하였다. - 참여자들의 원예실력이 향상되고, 일부 참여자들은 플로리스트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416 활동지원사업
온마음 시네마 •만족도 분석 성별
나이
장소
일정
타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전체적 만족도
%
남 : 33.3% 여 : 66.7%
20대
100
33.3
66.7
66.7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구분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유가족 중 비슷한 나이대의 사람들끼리 만나 여가를 활용할 수 있어 좋았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유가족 형제자매들 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되었다.
온마음 어울림 •만족도 분석 장소
일정
식사
친밀도
스트레스 해소
전체적 만족도
재참여
추천의향
%
98.1
99
99.4
93.2
97.1
98.5
98
87
재난위기대응사업
구분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재미있고 즐겁다는 긍정적 평가와 거부감(물에 대한)이 일시적으로나마 해소가 되었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학업/취업으로 참여가 어려운 형제자매들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유가족협의회와 일정을 공유하고,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유가족들이 참여할 수 있었다.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33
남자의 공부방 •만족도 분석 구분
일정
시간
식사
강사
내용
장소
목적 달성
재참여 욕구
전반적 만족도
전체 진행
타프로그램 참여욕구
추천 의향
%
62.3
66.6
80
89.5
67.8
77.8
71.3
66.7
66.5
87.5
22.2
55.6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프로그램이 새로운 시각을 갖고 스스로 발전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고, 프로그램의 내용이 유익하고 배울 점이 많았다. •이용자의 변화 추이 -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참여자들 간에 응집력이 생겼다. - 프로그램 내용을 건의하고 사전에 일정을 확인하는 등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 신규 참여자가 늘어났으며 기존 참여자들도 지속적 참여욕구를 보였다.
힐링요가 •만족도 분석 구분
장소
시간
강사
신체 유연성
신체적 통증
스트레스 조절능력향상
타프로그램 참여욕구
추천 의향
전반적 만족도
%
83
67
100
83
83
83
100
100
100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몸의 유연성을 기를 수 있어 좋았다. - 다음에도 요가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면 좋겠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센터 이용을 거부하던 유가족들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 - 프로그램 참여 후 신체이완능력, 스트레스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빼빼로 만들기 •만족도 분석 구분
나이
일정
장소
강사
진행 절차
전반적 만족도
홍보 욕구
재참여 욕구
%
10대 : 62% 20대 : 24% 기타 : 14%
93
93
90
88
93
90
93
34
안산온마음센터
참여 동기
- 지인 선물 55% - 체험(만들기) 욕구 2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빼빼로를 만드는 과정이 재미있어 편안하게 참여할 수 있었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본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유가족들이 증가하였으며, 작년 대비 유가족 416 심리지원사업
형제자매들의 참여율이 높아졌다.
심신안정신체요법 •만족도 분석 구분
구분
목표량
실적
달성도
참여율
%
진행횟수
3,834회
4,023회
104.9%
92.6% (회기 대비 참여인원) 416 활동지원사업
•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 - 평소 아프던 신체부위의 고통이 감소하여 마음이 편안해졌다. - 신체요법 때문에 본 센터에 내소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 유가족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라는 평가가 많았다. • 이용자의 변화 추이
- 유가족들의 신체요법에 참여하려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유가족 활동시에도 신청을 하는 등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전년 대비 참여 인원과 참석율이 증가하였다.
평가 ●
성과 재난위기대응사업
- 유가족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센터 및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율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 경험을 통해 참여율이 높거나 만족도가 높았던 프로그램을 통해 유가족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주요프로그램으로 자리매길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인력의 효율적 배치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 기획, 진행 등을 함으로써 안정적 운영이 이루어졌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기획홍보사업
- 416가족협의회와 프로그램 일정 및 진행 사항을 지속적으로 협의하여 프로그램 참여율 향상을 도모 하고 프로그램의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참여 유가족들의 평가를 반영하여 프로그램 담당자와 강사가 긴밀히 협조하여 프로그램의 일정, 내용 등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6년 사업보고서
35
다 모임공간 운영 때로는 프로그램이나 상담보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편안한 공간이 치유적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 꼭 무엇을 하지 않아도 되고 따뜻한 차 한잔, 식사 한끼를 나누거나 뜨게질을 하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곳이 있다는 것 만으로도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안산온마음센터는 2014년 9월부터 유가족들의 센터 이용을 활성화하고, 내소 시 신체·심리적 이완 및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모임공간을 운영해 왔다. 유가족들을 포함하여 센터에 찾아오는 이들에게 간단한 식사와 다과를 제공하여 센터 공간을 가족 친화적이고 따뜻한 분위기로 조성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주 5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되며 자원봉사자들이 식사와 차를 제공한다. 모임공간 운영 후 센터를 찾는 이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지친 몸과 마음을 이완하고 편안한 쉼을 찾을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모임공간 운영
●
36
식수 인원 현황 구분
운영일수
식수인원
일 평균 인원
1월
20일
299명
15.0명
2월
18일
300명
16.7명
3월
22일
403명
18.3명
4월
21일
310명
14.8명
5월
23일
303명
13.2명
6월
21일
399명
19.0명
7월
21일
365명
17.4명
8월
22일
387명
17.6명
9월
20일
211명
10.6명
10월
19일
491명
25.8명
11월
22일
1,075명
48.9명
12월
22일
686명
31.2명
계
251일
5,229명
20.8명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일일 평균 20.8명이 센터에 내소하여 내소인원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 식수 및 다과 제공에 대해 만족감이 높고, 가족실을 유가족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 하게 되었다. - 모임공간에서 유가족의 자조모임이나 소그룹 모임 등 자발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416 활동지원사업
●
- 가족실 식수 및 다과를 제공하는 자원봉사자의 변동으로 인해 공간 운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됨. 봉사자의 근무 조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내소자들이 모임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만족감을 표현하고 있지만,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 하지 못하였다. 향후 모임 공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실시하여 객관적으로 평가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37
라 416 심리지원사업 종합평가 ●
사례관리 서비스의 안정적 운용 및 유가족과의 신뢰관계를 이뤄가다.
• 심리지원에 대한 불신 및 사례관리자의 변동으로 인해 신뢰간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컸으나 동반자로서 꾸준히 함께해 나간 결과 유가족들의 신뢰감이 차츰 증가하게 되었다. 사례관리자들이 유가족의 다양한 이슈 (교실 존치, 진상규명, 인양 관련 이슈 등)와 관련한 활동에 적극 동참하여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고 유가족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 유가족의 상황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의견을 내는 대상자들의 요구에 중심을 잃지 않고, 일관성 있게 유지 하면서 더욱 신뢰를 얻고 안정적 운영을 도모할 수 있었다. • 반면 애도기반 사례관리의 운영기틀을 체계화 하고 데이터를 축적해 나가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보다 전문성을 강화하고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문턱이 낮은 그리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를 촉진하고 성장을 조력하다.
• 그동안 여러 차례 진행되어 온 프로그램의 성공 및 실패의 경험과 함께 유가족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참여율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긍정적인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통해 일상의 다양한 활동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긍정적이고 유연한 관계를 맺어나갈 수 있도록 연결고리를 마련할 수 있었다고 평가된다. • 그러나 참여율 및 만족도에 대한 비중으로 인해 오히려 PTSD 및 심리치료적 접근 프로그램이 미비하여 참여율이 낮다 하더라도 전문프로그램의 구축과 정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16 심리지원사업
02 416 활동지원사업
416 활동지원사업
416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의 지역사회 공동체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주민의 역량 강화와 인식개선 활동을 통한 주민조직의 활성화를 통해 416세월호 참사 피해자와 지역공동체의 치유 와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1) 416 희망공방운영 분향소 공방은 유가족들에게 자녀를 기억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상호지지와 일상적 노동을 공유하는 자생적이고 자조적으로 만들어진 시공간적 의미를 가진다. 공방에서 진행되는 수공예 활동은 상실의 회복, 유가족간의 소통 등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가 416 희망공방 프로젝트
다양한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많은 유가족들이 참여하고 있다.(2015년 7월~12월에 진행된 희망공방 프로그램에 연인원 1,456명의 유가족이 참여). 일본은 대형재난 이후 피해자들이 수건을 활용한 ‘코끼리 인형’을 만드는 작업을 통해 상실의 극복과 경제적 자립을 추진한바 있다. 416세월호유가족을 대상으로 안산합동분향소 유가족
복귀를 도울 수 있도록 성취감과 미래에 대한 동기부여를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상실감과 우울감을 가지고 있는 유가족에게 집중과 안정감을 가져와 높은 만족도와 참석률을 보였다. 유가족만의 활동을 확대하여 시민체험 및
재난위기대응사업
대기실 내 416공방에서 퀼트, 원예, 냅킨, 우드버닝공예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기억공예품을 만들며 일상생활
‘사회적 경제’(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등)를 만듦으로써 유가족들의 사회통합 및 회복을 촉진하고자 노력하였다. 416 희망공방운영
기획홍보사업
원예공예
냅킨공예
2016년 사업보고서
39
416 희망공방운영
퀼트공예
●
●
우드버닝공예
프로그램 운영실적 구분
횟수
퀼트공예
참여인원 실인원
연인원
28명
44명
534명
원예공예
26명
66명
474명
냅킨공예
30명
52명
674명
우드버닝공예
10명
24명
112명
총계
94명
186명
1,794명
대상
416세월호 참사 유가족
퀼트, 원예, 냅킨공예 프로그램 전반적 만족도
1. 퀼트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
37% 63%
그렇다
매우 그렇다
4%
2. 원예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
그렇지않다
28%
32%
보통
매우 그렇다
36% 그렇다
4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3. 냅킨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
4% 보통
56%
그렇다
매우 그렇다
416 심리지원사업
40%
4.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제안 및 건의사항 416 활동지원사업
- 재료의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 - 자격증반 개설
평가 ●
성과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실생활에 필요한 실용적인 물품을 만드는 것에 대해 만족도가 높았다. - 공예품 만드는 과정을 통해 집중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안정감을 가져와 참여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 416공방 공예프로그램을 통해 유가족의 심리적 안정과 유가족 간의 소통을 통한 관계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프로그램 시행 과정 중 유가족의 일정(국회, 광화문 등)에 따라 휴강과 잦은 변동사항이 많이 발생하였다. 재난위기대응사업
이에 활동하는 유가족과 비활동 유가족의 갈등이 나타나 출석률이 낮아지는 아쉬움이 있어 향후 프로그램 진행 시 일시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여 추진 할 필요성이 있다. - 공예과정을 배우는 단계를 거쳐 향후 자격증 과정의 공예프로그램 개설을 통해 유가족에게 성취감과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41
2) 생산공동체 워크숍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 경제 활동 성공사례 지역을 탐방하여 희망공방 사업에 접목시키며, 현재 분향소 희망공방에서 진행되고 있는 퀼트, 넵킨, 원예 등 기존 공예작품활동 외 새로운 작품 개발을 통한 생산활동의 영역을 확대시키고자 다양한 전문가와 함께하는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선진지역 기관을 탐방하며 향후 희망공방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 되었다.
생산공동체 워크숍
●
프로그램 운영실적 구분
방문일
방문지역
방문기관
참석자
비고
전주
‘협동조합 온리’ 전주청년몰
11명
폐자원 리사이클링을 매개로 하는 협동조합과 전통시장 청년들의 창업공간(공방)을 제공하여 경제 활성화를 이룬 남부시장 전주 청년몰 방문
8.19(금)
9.22(목)
서울
성미산마을 (카페 외 8곳)
8명
성미산마을의 마을공동체 사업탐방. 마을카페를 비롯한 대안학교, 생협, 책방, 공동주택, 되살림 가게, 마을식당, 마을공방을 탐방
10.17(월) ~ 10.18(화)
강원도 인제
남전리 햇살마을 원대리 자작나무숲 하늘내린도리안장례식장
23명
마을기업에 대한 교육 및 유가족 간담회, 햇살마을에서 생산하고 있는 천연비누 체험 실시
부산, 경남
부산 반송마을 김해생명나눔재단 봉하마을 산청·함양사건추모공원 함양 상림공원
39명
반송마을의 지역공동체와 김해 생명나눔 재단의 지역재단 사례교육, 노무현재단의 추모재단의 목적사업 수행 등 교육 진행과 노무현 묘역 및 산청함양사건추모공원 탐방
선진지 역방문
사회적 경제 워크숍
42
11.20(일) ~ 11.21(월)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구분
●
워크숍내용
참석자
비고
9.20(화)
자수공예 1차
10명
9.22(목)
자수공예 2차
9명
9.27(화)
청바지가방 공예
10명
헌 청바지를 가방으로 리폼
9.29(목)
서촌 퀼트가방 공예
9명
독특한 원단으로 유니크한 가방 제작
자수를 통해 기존 상품의 질을 높임
416 심리지원사업
상품개발 워크숍
날짜
생산공동체 워크샵 만족도 문 항
결 과 4.25점 / 5점 만점
2. 서울 지역 탐방 전반적인 만족도 (9월 22일)
4.2점 / 5점 만점
3. 강원도 인제 사회적 경제 워크숍 전반적 만족도 (10월 17일~18일)
4.4점 / 5점 만점
4. 부산, 김해 사회적 경제 워크숍 전반적 만족도 (11월 20일~21일)
416 활동지원사업
1. 전주 지역 탐방 전반적인 만족도 (8월 19일)
4.04점 / 5점 만점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평가
성과
- 사회적 경제 워크숍 현지 전문가에게 생생한 현장에 대한 사례교육을 진행한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유가족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 생산공동체 워크숍을 통해 알게 된 선진지역 기관 단체와 관계를 맺게 되어 향후 유가족을 지원하는 사업에 효과적인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재난위기대응사업
- 416공방의 활성화를 통한 자립기반 마련과 416세월호참사 이전과 다른 대안적 삶에 대한 학습으로 외상 후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4회 진행된 상품개발 워크숍의 횟수를 증가시켜 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진행과 국내 사례를 대상으로 하는 상·하반기 합동 워크숍 진행과 별도로 국외 사례 견학 검토가 필요하다.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43
나 가족행사지원 1) 가족동아리 지원 문화 여가활동을 통해 동질의 아픔을 가진 유가족이 함께 모여 자연스러운 소통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관계형성 과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조모임 구성을 촉진하고 지속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위한 방안을 마련 하였다. 2015년에 구성된 자조모임은 416축구클럽과 416합창단으로 유가족이 자발적으로 모여 운영하고 있으며, 416을 기억하는 문화 행사 등에 많은 참여와 활동을 보이며 당사자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회복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자조모임이 지속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새롭게 구성된 꽃누르미 공예, 풍물, 연극 등의 문화여가 활동을 통해 동아리 모임을 구축하여 심리적 안정과 유가족 간의 관계형성, 지역사회 공동체 회복의 촉진을 도모하였다.
가족동아리 지원
꽃누르미 자격증취득
풍물소리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연극공연
연극포스터 416가족극단 연극포스터
44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가족동아리 지원 실적 횟수
꽃누르미
참여인원 실인원
연인원
18회
5명
74명
풍물소리
15회
9명
54명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28회
10명
178명
총계
61회
24명
306명
대상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416 활동지원사업
평가
●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성과
- 자조모임을 통해 규칙적인 모임 시간을 가지며 구성원간의 팀워크 및 공감대 형성을 이루어 유가족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문화여가활동의 자조모임을 형성함으로써 일상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와 참여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꽃누르미, 풍물소리,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3개의 자조모임 구성 중 활동하는 유가족 중심으로 중복 되는 인원이 있어 향후 자조모임 진행 시 중복인원을 고려하여 새로운 유가족의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재난위기대응사업
- 자조모임의 지속성을 위해 유가족 스스로 능동적으로 모임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2) 416 가족 캠프 유가족 활동이 장기화되면서 형제자매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기보다는 억압하면서 심리·정서적 갈등과 어려움이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가족 부모 및 형제자매들의 감정 환기를 이루어 심리·정서적 어려움 해소 및 가족 간 긍정적 경험을 통한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자리가 필요하였으며, 캠프를 이용한 가족단위의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개선하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다.
2016년 사업보고서
45
기획홍보사업
지속되었다. 실제로 유가족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실시한 CGI-S척도에서 46.2%(총 260명 중 116명)가 심리·정서적
416 가족 캠프
●
캠프 운영 실적 주제
일시
장소
대상
참석인원
내용
별과 별이 반짝이는 가족캠프
8월 11일(목) ~ 12일(금)
가평 일대
유가족 부모 및 형제자매
21명
별자리 프로그램 및 레저 활동 등
●
캠프 운영 만족도
1. 캠프 내용에 전반적으로 만족 하시나요? 19%
- 만족도 평균 점수 : 4.8점 / 5점
그렇다 81% 매우 그렇다
2. 캠프 중 가장 흥미로웠던 2가지를 골라주세요. - 1순위 : 레포츠활동 - 2순위 : 천문대 1) 레포츠활동 중 수상레저에 참여한 15명의 대상자가 가장 큰 만족도를 보였다. 2) 천문대 프로그램 같은 경우, 기존의 자주 접하지 않은 색다른 경험을 함으로써 만족해하였다. 3) 이화원(수목원)과 걷기명상은 폭염의 날씨로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4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캠프 기획 시 대상자의 물에 대한 거부감을 우려하였으나 만족도 조사 결과 수상레저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가 제일 높았으며 물에 대한 두려움을 경감할 수 있는 긍정적인 기회가 되었다. - 가족캠프 활동을 통해 감정 환기를 이룸으로써 심리적 어려움을 경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가족 구성원 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함으로써 정서적 지지체계를 형성하였다. - 담당자만이 아닌 참여자의 의견을 적극 수렴함으로써 추후 개선 된 행사 및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는
416 활동지원사업
계기를 마련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캠프 대상이 가족보다는 부부나 사적모임이 많았으며 추후 행사 기획 시 대상단위를 충분히 고려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 사전답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해 행사 당일 급하게 답사가 진행된 점이 있었으며, 추후 행사 진행 시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사전답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캠프 당시 단원고 교실 이전 문제로 참여자의 심리적 어려움이 있었다. 진행자는 수시로 참여자의 심리·정서적인 부분에 대한 관심을 갖고 적절한 상황대처를 할 필요가 있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47
다 가족행사지원 1) 416 2주기 문화행사 참사2주기를 맞이하여 시민들이 416세월호참사 희생자를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도록 416공방 활동을 통해 완성된 공예작품(압화, 퀼트, 원예, 냅킨)을 모아 4월 한 달 동안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전시실에 전시하였다. 또한 안산지역 뿐만 아니라 타 지역의 많은 시민들이 유가족이 만든 작품을 통해 세월호를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도록 8개 지역 에서 꽃누르미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416 2주기 문화행사
구분
전시 지역
전시기간
관람인원
2주기 추모전시회
안산시 안산문화예술의전당
4. 8(금) ~ 27(수) / 20일간
1,264명
은평구
6. 14(화) ~ 21(화) / 8일간
광화문
7. 9(토) ~ 24(일) / 16일간
광주광역시
8. 2(화) ~ 16(화) / 15일간
전국 순회전시
합계
48
안산온마음센터
창원시
10. 8(토) ~ 14(금) / 7일간
진주시
10. 17(월) ~ 22(토) / 6일간
제주도
10. 13(목) ~ 11.1(화) / 20일간
목포시
12. 2(금) ~ 16(금) / 15일간
성남시
12. 19(월) ~ 25(일) / 7일간 9회
12,352명
13,616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성과
416 심리지원사업
●
- 전시회를 통해 많은 시민들이 416세월호참사를 기억하고 잊지 않겠다는 긍정적 메시지를 전달하였고, 시민들과 세월호 유가족 간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세월호 유가족이 작품 제작과 전시회 구성에 직접 참여해 전시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아성취 경험과 자존감이 향상되었다. - 순회전시의 경우 당초 목표는 3곳이었으나 담당직원과 유가족의 관계망 활용 및 홍보를 통해 타 지역의
416 활동지원사업
요청을 받아 총 8곳에서 전시가 진행되었으며 당초 목표보다 많은 횟수의 전시 및 관람이 이루어졌다. - 타 지역 순회전시의 경우 센터에서 사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여건이었으나 해당 지역의 수행주체들이 전시장소 및 전시회진행 등 준비와 진행을 맡고 센터에서는 전시작품과 홍보문안 등을 제공하는 등 역할분장을 통해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다. - 유가족 작품전시회에 추가 전시되는 작품을 세월호 유가족 자조모임(꽃누르미)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함 으로써 서로간의 관계성이 깊어지게 되었고 준비 및 전시진행 결과에 따른 성과로 자존감이 향상되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2주기 추모전시회 준비기간이 짧았고 2주기 즈음에 준비하면서 전시를 준비하는 유가족들의 ‘기념일 증후군’으로 유가족의 적극적인 활동을 이끌어 내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차기에는 4월 이전에 준비를 완료하고 4월중에는 온전히 추모할 수 있는 기간이 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 순회전시의 경우 지역별, 기관. 단체별 사업을 추진하다보니 전시 컨셉 및 홍보의 통일성이 부족하였다. 향후 순회전시를 추진할 경우 모든 곳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타이틀 및 홍보문안에 대한 준비가 필요
재난위기대응사업
할 것 이다.
2) 프리마켓(엄마랑 함께하장) 운영 유가족에게 희망공방 프로젝트와 더불어 416공방에서 진행되는 수공예 활동은 유가족들의 심리적 치유와 공동체
즐길 수 있는 장터를 개최하고 그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시민들을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으로 활용하여 지역공동체 회복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수익금을 지역사회에 환원함으로써 그 동안 많은 도움을 받은 수혜자에서 기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프리마켓을 통해 소통과 문화의 공간을 가져 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로 유가족과 지역사회 주민이 화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고 평가되고 있다.
2016년 사업보고서
49
기획홍보사업
의식 강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생산되는 생산품들을 활용하여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고
함께 만나장 •운영방식 416공방 공예품 전시 및 판매, 체험 워크숍 진행 •참여 프로그램 퀼트 : 가방, 인형, 파우치 원예 : 장식용리스, 화분 수예 : 가방, 털실모자, 목도리 양말목체험 : 컵받침, 가방 냅킨아트 : 플라워, 애니멀 우드버닝 : 우드버닝 제품 자수 : 브로치, 매듭, 팔찌 목공 : 가구 등
함께 놀장 •운영방식 놀이활동 전문가와 함께 놀이 프로그램 운영 •참여 프로그램 슛포러브 : 지역소외이웃 기부연계 (318,000원) 아이엠카이트 : 연날리기 체험 및 판매 12가지 전통놀이 : 전통악기, 버나돌리기, 비석치기, 단체줄 넘기, 깃발놀이, 땅따먹기, 제기차기, 강강 술래, 달팽이놀이, 민요배우기, 손뼉치기, 다리찢기놀이
함께 나누장 •운영방식 세월호 관련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 캠페인 운영 •참여 프로그램 수녀님이 알리는 세월호 이야기 : 노란리본 배포 수녀님이 만든 공예품 : 목걸이, 엽서 등 공예품 수녀님이 알리는 세월호 이야기 : 416가족협의회 기억저장소 딴지일보0416노란리본클럽 : 컵받침, 폰걸이, 매듭 등
5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함께 남기장 •운영방식 416 심리지원사업
전문 사진작가 참여 진행 (체험스템프 3개 이상 선착순 100가족) •참여 프로그램 참여 일반시민 : 120명 메이크업, 및 사진촬영 진행
416 활동지원사업
함께 만들장 •운영방식 핸드메이드 작가 참여, 공예 체험프로그램 운영 •참여 프로그램 나무를 심는 사람들 : 미니자석 화분 만들기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마을협동조합 사이 : 목공체험 한국예술문화 명인 : 이수자 전통 고판화 얼굴그림 : 초상화 체험 별들과의 동행 : 서양매듭 체험 이솜하우스 : 팔찌만들기
문화세상 고리 : 세계놀이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 기억고리 만들기
토닥 : 도자기 제작체험
라비공방 : 가죽필통 만들기
윤상지 : 얼굴 초상화 재난위기대응사업
함께 손장 •운영방식 핸드메이드 작가 참여, 판매하는 아트마켓 •참여 프로그램 사랑을 만드는 초코파이 : 수공예 제품
기획홍보사업
그녀들의 공방 : 수공예제품 와동선부동사람들 : 간단한 먹거리 판매 스윗집시 : 실버주얼리 생각놀이터 : 악세서리 판매 도도나무 : 실버 악세서리 티아라 : 실버 악세서리
먼데이디너 : 수공예, 목공예
2016년 사업보고서
51
함께 배부르장 •운영방식 먹거리 부스, 푸드트럭 참여 •참여 프로그램 함께버거 : 버거판매 동네분식 : 분식판매 들무새 바리스타 협동조합 : 커피, 음료 판매 슈퍼스트림 : 커피, 음료판매 에그에디션 : 와플/스테이크/치킨
함께 즐기장 •운영방식 누워서 듣는 이색 작은 힐링음악회 및 음악공연 프로그램 진행 •참여 프로그램 버스킹 : 화랑유원지 숲속 공간 누워 서 듣는 작은 음악회 진행 (1일 3회 양일진행) 청소년 플래시몹 : 10월 9일 가수 (아는동생) : 사인회 진행
●
●
엄마랑 함께하장 운영실적 사업명
날짜
장소
대상
참여인원
제2회 엄마랑 함께하장
2016.05.14.~15.
화랑유원지
일반시민
4,000명
제3회 엄마랑 함께하장
2016.10.08.~09.
화랑유원지
일반시민
3,000명
엄마랑 함께 하장 참여 시민 설문조사 주요 결과
1. 누구와 함께 참여했는가?
혼자
8.6%
가족
61.4%
친구 및 연인
19.8%
기관 단체
8.1%
기타
2% 0
52
안산온마음센터
25
50
75
100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2. 참여시 좋았던 점은?
유가족과의 만남
25.9%
볼거리
16.8% 416 심리지원사업
먹거리
3.6%
즐길거리
19.8%
니눔의 가치 경험
21.3%
자녀교육의 유익
10.7%
기타
2% 0
10
20
30
40
50 416 활동지원사업
45.6%
3. 행사 전반 만족도 80
33.3%
60 40
18.5%
0%
2.6%
0 1
2
3
4
5
그렇지 않다
그렇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20
평가 ●
성과 재난위기대응사업
- 행사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참여한 유가족들은 매우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였고 행사 후 평가과정에서 본인들이 416세월호참사 이후 처음으로 신나게 웃고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며 즐길 수 있는 힐링의 시간이었다고 평가하였다. - 전년도와 비교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정기적인 행사로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을 보이며 참여자들이 증가하고 가족단위의 방문객들이 크게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 수익금을 지역사회에 환원함으로써 수혜자에서 기여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기획홍보사업
●
- 많은 시민들이 참여함으로 인해 긍정적 이미지를 주기 위하여 휴게공간 및 쉼터의 확충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행사장 인근 지역 이외의 보다 폭넓게 홍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2016년 사업보고서
53
3) 주민모임 난장 416세월호참사 피해 집중 지역인 와동, 고잔동을 대상으로 416세월호참사를 기억하고, 주민들 스스로 준비하고 나누는 화합의 장을 제공함으로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 하고 그 과정을 통해 형성된 지역네트워크 모임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민모임 난장
●
주민모임 난장 운영실적 사업명
날짜
장소
대상
참여인원
416을 기억하는 와동 주민 한마당
2016.04.23
와동체육공원 내 신천 운동장
일반시민
450명
고잔1동 즐거운 문화마을 축제
2016.10.21
고잔1동 원고잔 공원
일반시민
700명
●
고잔1동 즐거운 문화마을 축제 만족도 조사 (스티커 판넬 50명 참여) 1. 무엇이 가장 즐거우셨나요? 구분
(명)
구분
(명)
우리동네 이야기 & 노래보따리
15
우리동네 자랑보따리
16
우리동네 야시장 & 영화관
10
다같이 만드는 비빔밥
9
2. 오늘 축제의 만족도는 어떠신가요?
54
구분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미흡
매우 미흡
(명)
19
19
9
3
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안산 지역 내의 유관기관과 지역주민이 모여 하나의 축제의 장을 마련하며 공동체 형성의 큰 의미를 갖게 되었다. - 와동, 고잔동 모두 행사를 통해 직접 무대를 꾸밈으로 어린이부터 노인층 까지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 주민모임난장을 통해 416세월호참사를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축제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 내며
416 활동지원사업
(Ready? Action! 플래시몹 팀 공연, 기억고리만들기 부스) 시민들이 416세월호참사를 즐거운 분위기속에 기억 하도록 유도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행사 진행시 단체 참여가 많고 주체적인 기능을 하는 기관이 없다보니 홍보물 또는 업무분장 등의 시간이 많이 지체 되는 점을 보완하여 향후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준비하고 지속적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으로 진행되는 행사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55
라 주민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운영 1) 주민교육 416세월호참사 이후 지역사회 갈등을 해소하고 주민들의 역량을 강화하여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계기를 마련 하고자 피해자 밀집 지역인 고잔동, 선부동, 와동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과 함께 주민모임 으로 발전시켜 나가도록 유도하여 자생적인 주민모임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주민교육
●
주민교육 실적 구분 고잔동
기간
장소
내용
대상
참여인원
2016.06.07.~10.04. (총10회기)
고잔1동 주민센터
‘렌즈로 본 나의 이웃, 우리마을‘ (사진교육)
일반시민
103명
2016.06.21.~07.26 (총6회기)
석수골 작은도서관
‘이기적인 착한 사람’ (인문학 교육)
일반시민
102명
2016.09.27.~11.08. (총7회기)
선부3동 주민센터
‘실존인가, 존인가’ (인문학 강좌)
일반시민
127명
2016.09.30.~11.25. (총9회기)
0416신나는 마을학교
‘비폭력대회 및 이웃대화 모임’
일반시민
150명
선부동
와동
합계
56
안산온마음센터
32회
482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교육 후 주민모임 진행 현황 교육내용
모임구성
고잔동 주민교육
사진으로 본 우리마을, 우리이웃 (사진교육)
주민출사모임 “고공주” 진행
선부동 주민교육 1차
인문학을 통한 공동체와 시민의 자기자리 찾기
주민 책토론 모임 “온마음 독서동아리” 구성
와동 주민교육
비폭력 대회 및 이웃대화 모임
수업 종료 후 수료증 지급 및 대화모임 진행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416 활동지원사업
평가 ●
성과
- 2015년부터 진행해온 지역주민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가지고 지역에서 진행함에 따라 기존 참여자들과 신규 참여자들간의 교류와 기존의 주민모임으로서의 확장성을 가져올 수 있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자체적인 주민모임의 구성으로 기관이 주도하는 방식이 아닌 스스로 모임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센터의 사업방향성과 주민교육 컨텐츠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 존의 지역사회에서 진행되는 유사 교육들과의 차별성을 강화하고 주민모임의 적극적인 활동을 독려할 예정 이다. 재난위기대응사업
2) 주민모임(시민치유단) 416세월호참사 이후 안산온마음센터는 이웃의 아픔에 관심을 두고 성장과 희망을 품는 안산 시민이 되기 위한 회복리더를 모집하여 시민치유자 양성과정을 진행하며 2년간 15명의 시민치유단이 지속되어 416세월호참사
부스운영 등 지역과 안산온마음센터 행사에 다양하게 참여하며 마을공동체성을 함께 회복하고 강화해 나가도록 노력하고 있다.
2016년 사업보고서
57
기획홍보사업
인식개선을 돕고 지역의 아픔에 동참하고 있음. 1,2주기 캠페인 사업 참여, 노란목도리 나누기, 엄마랑함께하장
시민치유단
●
시민치유단 운영실적 구분
시민치유단 간담회
시민치유단 활동
사진치료 교육
시민치유단 송년행사
일시
장소
대상
참여인원
2016.02.23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12명
2016.04.05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12명
2016.05.06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9명
2016.06.08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12명
2016.07.19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9명
2016.08.23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10명
2016.09.20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8명
2016.10.08
화랑유원지대공연장
시민치유단/일반시민
7회/250명
2016.10.09
화랑유원지대공연장
시민치유단 /일반시민
3회/450명
2016.11.05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예비시민치유단
12명
2016.11.08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예비시민치유단
11명
2016.11.19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예비시민치유단
10명
2016.11.22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예비시민치유단
10명
2016.12.17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15명
합계
58
안산온마음센터
14회 / 840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성과
416 심리지원사업
●
- 월1회 간담회를 통해 팀원 간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사회적 문제를 돌아보며, 하나의 공동체로 나아가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및 사진치료 교육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며 아픈 이웃을 돌아 보는 일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전문 봉사단으로 성장해 나아가고 있다. - 지역과 함께하는 행사에 참여하고 부스운영을 통해, 지역주민을 만나는 뜻 깊은 시간과 함께 416세월호
●
416 활동지원사업
참사에 쉽게 다가가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사업의 불확실성으로 사업을 지속하기 어려웠으나, 시민치유단 팀원들의 의지로 사업이 지속되었다. 준비 시간을 갖고 교육과 간담회를 통해 소통한 시민치유단은 향후 전문 자원봉사단으로 이웃의 아픔을 돌아보고 함께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2) 대시민 강좌 416세월호참사 이후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들을 겪고 있는 안산시민들을 위해 명사를 초청하여 치유와 회복의 시간을 마련하고자 두차례의 대시민강좌가 개최 되었다. 첫 번째는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영화로
안산시민들의 소통을 열어주기 위해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라 “너와 나의 연결고리”」라는 주제로 실시되었다. 유명한 강사를 초정하지는 않았으나 안산시민들의 상황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였고 다양한 방식으로 홍보함에 따라
재난위기대응사업
만나는 트라우마 심리학 “굿바이 트라우마”」라는 주제로 실시하였으며, 두 번째는 여러 가지 갈등을 겪고있는
시민들의 참여가 활발하였다. 영화로 만나는 트라우마 심리학 “굿바이 트라우마”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59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라 “너와 나의 연결고리”
기간
시간
장소
주제
강사
참여인원
2016년 7월 7일
14시~16시
메가박스 안산 중앙점
영화로 만나는 트라우마 심리학
서울EMDR 트라우마 센터 센터장 김준기
110명
2016년 11월 2일
14시~16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열린마음으로 소통하라
커뮤니케이션 클리닉 원장 공문선
167명
총계
●
277명
영화로 만나는 트라우마 심리학 “굿바이 트라우마” 만족도 평가 5%
1. 강좌만족도
매우 그렇지 않다 4%
– 강좌 내용 및 준비가 잘 되었는가?
그렇지않다 38%
만족도 평균 점수 : 4점 / 5점
매우 그렇다 29% 보통이다
2. 기타의견
35% 그렇다
-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를 알게 되어 좋았다. - 트라우마의 정의, 트라우마 지식에 대해 알 수 있어 좋았다. - 트라우마를 이겨내는 여러 가지 방법(안정화기법, 호흡법)을 제안해 준점이 만족스럽다. - 더 적은 인원으로 좀 더 치료적이게 하면 좋겠다. - 몰랐던 사실을 자세히 설명해 주셔서 좋았다. - 접근도가 쉬운 영화로 트라우마를 쉽게 풀어줘서 좋았다. - 인간관계의 안정이 트라우마를 극복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6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라 “너와 나의 연결고리” 만족도 평가 5명
1. 강좌만족도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않다
만족도 평균 점수 : 4.8점 / 5점
6명 55명
416 심리지원사업
1명
– 강좌 내용 및 준비가 잘 되었는가?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34명 보통이다 416 활동지원사업
2. 기타의견 - 소통 기술을 알 수 있어 좋았고, 다양한 예시, 이미지가 좋았다. - 대화의 기술, 듣기의 중요성에 관해 알게 되어 좋았다. - 따듯한 말이 상대를 움직인다는 점을 알게 되어 좋았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공감할 수 있는 기술, 방법을 알려주어 좋았다. - 강사의 열정적 강의와 화면을 적절히 사용한 것이 좋았다.
평가 성과
재난위기대응사업
●
- 유명강사가 아님에도 안산시민의 관심에 기반한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시민들의 참여가 높았으며 두차례 강좌 모두에서 만족도가 5점 만점에 약 4점 수준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 트라우마 및 트라우마 회복방법, 성공하는 소통기술 등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산시민의 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했다고 평가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기획홍보사업
- 안산시 관내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여러 정신건강관련 유관기관에서 대시민강좌를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어 중복될 우려가 있으며 사업의 특수성과 고유성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평가되었다. 따라서 안산시내 다양한 유관기관에서 실시하는 대시민강좌에 참여를 촉진하는 형태로 전환하고자 한다.
2016년 사업보고서
61
마 Ready Action! 플래시몹 캠페인 416세월호참사 1주기에 시작한 Ready? Action! 플래시몹 사업은 이후 연속사업으로 현재까지 활동 되어지고 있다. 안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로 416세월호참사를 청소년들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며, 누구나 부담 없이 함께 즐기며 416세월호참사를 기억하는 캠페인성 활동이며 안산, 성남, 안양, 제주도, 전주, 광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플래시몹을 진행하며 416세월호참사를 기억하는 일에 동참하고 있다.
Ready? Action! 플래시몹 캠페인 사업
구분
기간
장소
대상
참여인원
참여자모집
2016.03.-04.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시 내 청소년
10명
2016.01.07
안산온마음센터
플래시몹 팀원
26명
2016.01.09
안산온마음센터
플래시몹 팀원
20명
2016.04.02
안산온마음센터
플래시몹 팀원
14명
2016.07.16
안산온마음센터
플래시몹 팀원
16명
2016.01.20.~22.
제주도 일대
플래시몹 팀원/일반시민
49회/150명
2016.04.23
와동공원
플래시몹 팀원/일반시민
35회/300명
2016.05.07
안산문화광장
플래시몹 팀원/일반시민
48회/1,000명
2016.05.14
화랑유원지
플래시몹 팀원/일반시민
33회/400명
2016.08.11.~12.
전주, 광주
플래시몹 팀원/일반시민
40회/800명
2016.10.09
화랑유원지
플래시몹 팀원/일반시민
30회/500명
플래시몹 간담회
플래시몹 활동진행
합계
62
안산온마음센터
17회/3,471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청소년으로 이루어진 Ready? Action! 플래시몹 캠페인 사업은 참여자 대부분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로 1회 활동 시 평균 35명 이상의 팀원들이 함께하며, 416세월호 참사를 무겁고 힘든 분위기가 아닌 즐겁게 참여하며 함께 기억하는 일에 동참하였다. 그 결과 2016년 다양한 지역에서 총 6회의 플래시몹을 진행하며 약 3,150명의 일반시민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SNS를 통해 18회 약 7,963명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2년 이상 사업이 지속됨에 따라, 플래시몹 노래, 안무 등 변경이 필요한 시기이며, 졸업과 동시에 대학교로 진학하는 플래시몹 팀원들이 향후 지속적으로 플래시몹 팀과 함께 할 방법을 논의 할 필요성이 있다. 향후 플래시몹 팀원들과의 회의를 통한 관내 유관 기관 및 학교를 연계하여 신입 팀원을 정기적으로 모집하고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대학교로 진학하는 플래시몹 팀원들과 함께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63
바 유가족 네트워크 구축 운영 유가족 네트워크는 2016년 연중으로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그룹 및 세월호 피해자를 지원하는 유관기관과 네트워크 회의 또는 간담회 진행을 통해 피해자 현황 파악 및 피해자 지원 사업 정보 공유와 협력사업을 논의 하며 피해자의 요청에 따른 활동지원 등을 위한 논의구조를 형성하였다.
유가족 네트워크 구축 운영
●
유가족네트워크 운영실적 구분 네트워크 회의 간담회 합계
64
안산온마음센터
대상
횟수
참여인원
세월호 유가족
16회
135명
세월호 유관기관
16회
186명
세월호 유관기관
2회
66명
총 34회
387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성과
416 심리지원사업
●
- 우리 센터와 416가족협의회 심리생계지원분과와 정례적인 간담회 진행으로 서로간 정보 교류와 사업 진행에 대한 협의가 가능해졌다. - 416가족협의회 심리생계지원분과 회의에서 타 기관 사업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의 중복을 예방하고 다양한 사업을 기획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안산지역 내 세월호 유관기관과 협력 회의를 통해 지역 내 세월호 관련 동향 파악과 센터에 대한 홍보 등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유사한 활동을 하는 기관들간에 좀더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상호 협의에 따라 진행하기 위한 유연성을 바탕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416가족과 일반시민들 간의 거리를 좁히다.
• 유가족들의 수공예 활동을 통한 심리적 안정과 치유를 도모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희망공방 공방프로그램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사 416 활동지원사업 종합평가
보다 확장시켜 시민들을 만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로 발전시켜 나갔으며, 이를 통해 당사자들의 치유까지 이끌어낼 수 있었다. • 향후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활동과 기여를 통해 주민공동체의 회복을 위한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준비과정을 진행할 수 있었다. • 또한, 연극동아리, 압화동아리 등의 자조모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전시회, 공연 등의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재난위기대응사업
있는 전환점이 마련되었으며 역량강화를 통해 416공방을 중심으로 사회적 경제 체제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스스로의 치유는 물론 다양한 시민들을 만나서 서로 보듬어줄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
다양한 형태의 주민조직과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회복의 방향을 제시하다.
• 시민치유단, 청소년 플래시몹팀, 주민교육을 통한 다양한 모임 구성을 통해 다양한 연령, 계층의 시민들이
나누는 안산의 주민공동체를 위한 활동을 시작할 수 있었다. • 사업의 담당자가 주도하는 방식이 아닌 자발적 참여와 토론을 통해 진행되는 여러 활동들은 향후 다양한 부분 에서 안산온마음센터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전문자원봉사자이자 지지자로서 지역사회 에서 함께 활동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6년 사업보고서
65
기획홍보사업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모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조직하여 각자 고유한 활동들을 통해 함께 기억하고 아픔을
03 416세월호 트라우마 회복 지원 사업
416세월호 참사의 현장에서 큰 아픔을 겪고 생존한 이들과 가족에게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외상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고 일상적 생활로의 적응과 복귀를 촉진하여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가 사례관리 416세월호 참사 단원고 생존학생들은 2015년까지 단원고등학교 내에서 심리지원을 담당하였으나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는 2016년부터 안산온마음센터로 서비스가 이관되었다. 학교 졸업이라는 큰 변화와 함께 심리지원 담당 기관이 변경되는 것은 생존학생들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큰 어려움을 가져왔다. 특히 생존학생들의 다수가 안산 외지역의 학교에 다니게 되면서 학생들을 직접 만나 사례관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존학생들의 학교로, 활동지역으로, 학생들이 원하는 곳으로 다가가 만나기를 반복하면서 조금씩 신뢰관계를 쌓아갔다. 때로는 학교 선배나 군대 선배로 삶의 고비를 고민하고, 때로는 친구로 함께 여가를 나누기도 하며, 때론 정신건강 전문가로써 상담과 지원을 하는 동반자적 전문가의 관계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정신건강평가와 상담적 접근에 대해서 세월호참사 피해당사자들은 상당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반자와 전문가 사이의 적당한 거리를 조절은 관계를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되었다. 사례관리
6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심리 지원 실적
[2016.12.31.기준]
구분
합계
기타
부재
510명
111명
938명
127명 3,405명
11명
16명
3명
3명
113명
4,420명
91명
488명
96명
758명
110명
3,156명
10명
15명
3명
3명
단원고
72명
3,268명
69명
406명
66명
387명
72명
2,458명
9명
14명
3명
3명
일반
21명
659명
11명
53명
12명
176명
21명
429명
1명
1명
0명
0명
단원고
17명
382명
9명
17명
16명
147명
14명
218명
0명
0명
0명
0명
일반
3명
111명
2명
12명
2명
48명
3명
51명
168명
0명
0명
0명
소계
18명
437명
4명
22명
15명
165명
17명
249명
1명
1명
0명
0명
생존자
3명
75명
0명
0명
2명
32명
3명
43명
0명
0명
0명
0명
간접피해자
15명
362명
4명
22명
13명
133명
14명
206명
1명
1명
0명
0명
본인
416 활동지원사업
95명
416 심리지원사업
4,857명
가족
●
전화
131명
소계
일반 트라 우마
내소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합계
생 존 자
방문
심리지원 실적(월별 변화추이 그래프)
•생존자 & 생존자 가족 심리지원 실인원 단원고 생존자
1월
2월
3월
4월
5월
일반인 생존자
6월
7월
단원고 생존자 가족
8월
9월
10월
일반인 생존자 가족
11월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80 70 60 50 40 30 20 10 70
12월
- 단원고 생존자 가족의 심리지원은 가족 야유회나 캠프 및 봉사활동 프로그램(김장)등의 행사가 있는 6월, 8월, 재난위기대응사업
10월, 12월 때 약간의 변동이 있었으나 월별 변화가 없었음.
•생존자 & 생존자 가족 심리지원 연인원 600
단원고 생존자
500
일반인 생존자
단원고 생존자 가족
일반인 생존자 가족
400 300 200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단원고 생존자의 심리지원의 연인원은 생존자의 대다수가 대학 진학으로 학교를 다니는 학기 중에 비해 방학 기간인 8월에 크게 증가하였다. -생 존자 가족의 심리지원의 연인원은 매월 지속적인 개입이 진행되어 월별 변화의 폭을 보이지 않았다.
2016년 사업보고서
67
기획홍보사업
100
•일반트라우마 심리지원 실인원 18 16 14 12 10 8 6 4 2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일반트라우마 생존자의 심리지원 실인원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12월에 50%이상 감소하는 변동을 보였다. - 일반트라우마 생존자에 대한 주도적인 심리지원을 제공하고 있는 정신건강의료지원팀의 전문의 감원으로 영향이 있다고 비추어 볼 수 있다.
•일반트라우마 심리지원 연인원 60 50 40 30 20 10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일반트라우마 생존자의 심리지원은 3월과 5월, 11월을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하였다. - 일반트라우마 생존자의 6월 이후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9월에 소폭 감소하였다.
●
정신건강 심각도(CGI) 구분
파악관리
일시관리
기준
미평가
괜찮다 [1점]
단원고
0명
0명
59명
12명
본인
유지관리
중점관리
집중관리
저위험 [2~3점] 중위험 [4~5점] 고위험 [6~7점]
계
1명
72명
일반
0명
4명
16명
0명
0명
20명
단원고
0명
2명
8명
5명
0명
15명
일반
0명
0명
2명
0명
0명
2명
일반트라우마
0명
1명
10명
2명
0명
13명
합계
0명
6명
85명
17명
1명
109명
%
0
5.5
78
15.6
0.9
100
생존자 가족
68
[2016. 12. 31. 기준]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단원고 생존자 심각도 추이 괜찮다(1점)
저위험(2~3점)
중위험(4~5점)
고위험(6~7점)
미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70 60 50 40 30 20 10 0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단원고 생존자의 심각도 추이는 사례 개입 진행 초반인 연초에는 등록인원이 적어 비교가 어려워 12월 기준 등록인원과 인접한 인원이 등록된 4월을 기점으로 변화를 보았다.
추이를 보이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도출하였다.
416 활동지원사업
-4 ~6월 개입 초반에 비해 중 후반인 7월 이후부터 저위험도가 늘어나 12월까지 유지하였고, 중위험은 반대되는
•일반인 생존자 심각도 추이 괜찮다(1점)
1월
2월
3월
4월
5월
저위험(2~3점)
6월
7월
중위험(4~5점)
8월
9월
고위험(6~7점)
10월
11월
미평가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18 16 14 12 10 8 6 4 2 0
12월
-일 반인 생존자는 1월~12월동안 평균 인원을 유지하여 1년 동안의 심각도 추이를 비교하였다. - 1월 개입 초반에는 저위험 인원이 4명으로 적었으나 2월~7월까지 꾸준히 증가하며 평균 14명을 유지하였다. 8월 에는 잠시 저위험이 감소하며 변동을 보였으나 9월 이후 꾸준히 늘어나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괜찮다(1점)
12
저위험(2~3점)
중위험(4~5점)
고위험(6~7점)
미평가
재난위기대응사업
•단원고 생존자 가족 심각도 추이 10 8 6 4 2 0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단원고 생존자 가족의 심각도 추이는 사례 개입 초반인 연초에는 등록인원이 적어 비교가 어려워 12월 기준 등록인원과 인접한 인원이 등록된 3월을 기점으로 변화를 보였다. - 3~7월 개입초반에는 저위험이 변동의 폭을 보였으나 8월에 급격하게 증가한 후 꾸준히 유지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도출하였다.
2016년 사업보고서
69
기획홍보사업
3월
•일반인 생존자가족 심각도 추이 괜찮다(1점)
저위험(2~3점)
중위험(4~5점)
고위험(6~7점)
미평가
4.5 4 3.5 3 2.5 2 1.5 1 0.5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일반인 생존자 가족은 1월~12월 기준 평균인원을 유지하여 1년 동안의 심각도 추이를 비교하였다. - 1~5월 개입초반에는 심각도 평가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서 미평가 인원이 대다수를 이루었다. - 6월~12월 저위험 유지 및 증가를 보이며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일반 트라우마 심각도 추이 괜찮다(1점)
12
저위험(2~3점)
중위험(4~5점)
고위험(6~7점)
미평가
10 8 6 4 2 0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 일반트라우마는 7월~12월 기준 평균 인원을 유지하여 1년 동안의 심각도 추이를 비교하였다. - 7월~12월 저위험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였고, 반대로 중위험 인원은 감소하는 변동을 보이며 긍정적인 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다.
7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416세월호 참사 단원고 생존학생의 심리지원 서비스가 이관되면서 서비스 등록거부가 우려되었으나 생존학생 75명 중 72명이 서비스에 동의하여 등록관리 되었다. 이는 2015년 말 및 2016년 초에 안산 온마음센터의 역할소개 및 신뢰관계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재난 생존자와 가족들에게 심리지원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및 이해를 높이고 사례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재난 생존자에 대한 사례관리체계를 갖추는데 있어 시간과 경험을 바탕으로 특화된 재난생존자 사례관리 체계 구축마련이 되어야 한다. - 416세월호 참사 생존자의 경우 여전히 정신건강상태 평가에 대한 강한 거부감이 있어 구조화된 심리평가를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시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4 16세월호 참사 일반인 생존자의 경우 물리적 환경에 의해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였음. 해당 지역의 정신 건강증진센터 등을 통한 유기적인 협력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71
나 트라우마 기반 회복지원 서비스 416세월호 참사의 생존자 및 잠수사와 같은 간접피해자들은 우울감 및 무기력감, 울분 등 여전히 심리적 어려움과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있다. 삶의 여러 영역에서 변화를 느낌과 동시에 회복하고자 하는 동기와 욕구도 보여 지고 있다. 트라우마의 치유에 있어 ‘관계’는 매우 큰 치유의 힘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몸은 기억한다]의 저자 베셀 반 데어 콜크는 “정신적으로 외상을 입은 사람은 관계를 통해서,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들, 익명의 알코올 중독자 모임, 참전 군인 단체, 종교 집단, 치료전문가와의 관계 속에서 회복된다. 이러한 관계들은 신체적, 정서적 으로 안심하게 해 주고, 이를 통해 수치스러운 기분, 누군가와 책망이나 판단에서 벗어나 주위에서 일어나는 현실의 일들을 견디고, 마주하고, 처리할 수 있는 용기를 키울 수 있다.”라며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같은 근거와 당사자의 욕구를 바탕으로 자조모임, 야유회, 캠프, 여행 등 관계회복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외적인 위협과 내적인 스트레스를 완충시키고 타인을 도울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 참여자 스스로의 역량강화와 사회적응을 도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자기노출을 통해 객관적인 관점에서 자신을 이해하고 사건 경험을 통합하고 인지적으로 재조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당사자들이 의견을 내고 직접 계획하고 준비해나갈 수 있도록 하여 능동적인 참여를 촉진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진행되었다. 실제로 잠수사들은 자조모임이나 캠프에 대한 높은 욕구와 지속적 운영을 요청하였으며 단원고 생존자 및 가족들 또한 높은 참여율과 만족도를 보였다.
트라우마 기반 회복지원 서비스(단원고 생존자)
72
자조모임1
자조모임2
너나들이-야유회
The Warm-캠프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트라우마 기반 회복지원 서비스(잠수사) 416 심리지원사업
자조모임1
자조모임2 416 활동지원사업
회복을 위한 여행-2차 치유캠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회복을 위한 여행-치유캠프
프로그램 운영실적
●
구분
야유회
시기
참여인원
장소
주요내용
횟수
4회
15명
30명
실인원 연인원
7월 ~ 12월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단원고 생존학생
4월 ~ 11월
경기도 안산온마음센터
배낭여행 사전준비, 사진촬영 배우기, 사진전 사전준비 활동
19회
11명
105명
단원고 생존자
8월
용인에버랜드, 캐리비안베이
놀이기구 체험을 통한 노출치료, 여가활동 통한 부정적 감정 해소 활동
1회
32명
32명
잠수사
5월, 9월
강원도 힐리언스선마을, 전라북도 무주 숲펜션
기공체조 및 리프레싱 마사지를 통한 긴장이완, 일상 회복 및 정신건강 교육
2회
14명
22명
단원고 생존학생
12월
전라남도 구례 지리산온천랜드
온천온혈효과 체험을 통한 긴장이완 및 마음열기 및 지지그룹 형성
1회
23명
23명
캠프
2016년 사업보고서
73
기획홍보사업
잠수사
416세월호 참사 이후의 변한 일상의 변화 및 외상에 대한 경험 공유, 민간 잠수사 재판 참석 지원
재난위기대응사업
자조 모임
대상
만족도 분석 및 이용자 주관적 평가
●
•민간잠수사 구분
이용자 주관적 평가
자조모임
치료필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잠수사들끼리 같이 모여 이야기할 자리가 필요했는데, 그런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뿐만 아니라 소송 이나 보상 등의 법률적인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서로를 독려하는 시간이 좋았다. 앞으로도 캠프는 지속해주기를 바란다.
캠프
•단원고 생존자 구분
만족도
만족도 분석
이용자 주관적 평가 참여자들이 책임성을 갖고 확실하게
자조 모임
82.7%
만족도 문항에서 전체적인 빈도와 평균으로 미루어
규정을 정하여 운영되면 좋겠다.
볼 때 ‘그렇다’ 이상이 99%이상이며 참여자들의
안산온마음센터의 사업 방향과 요구를 수렴
특성상 단원고등학교 졸업생이라는 넓은 범위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되어 좋았다.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싶어 하지 않는 특성이 반영되어
서로에게 지지받고 치유의 기회가 될 수
‘매우 그렇다’의 비중이 적은 것으로 추측된다.
있어서 지속적으로 모임이 유지되었으면 좋겠다.
만족도에서 ‘매우 그렇다’가 59%, ‘그렇다’가 33%로 야유회
90%
전체의 92%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음. 참여자들의 욕구를 기반으로 구성한 것이 긍정적 평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캠프
74
81.9%
안산온마음센터
함께 편안하게 어울릴 수 있는 시간이 도움이 되었다. 취미생활로 지속할 수 있는 활동을 확장하길 원하며 실내보다는 실외의 활발한 활동 및 체험의 야유회가 계획되었으면 좋겠다.
전반적인 만족도 문항에서 ‘그렇다’ 이상이 84%이상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간에서 캠프가
이며, 캠프 내용에 대해서는 다소 만족도가 낮은 것은
이뤄지고 활동적인 캠프 프로그램이
당일 날씨의 변동과 더불어 캠프진행 일정이 지연
구성되었으면 좋겠다.
되면서 참여자들의 불편이 발생하여 반영된 것으로
친구들과 자유로운 일정 안에서 함께
보인다.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좋았다.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단원고 생존자들이 자조모임에 참여를 통해 평소 친밀하지 않은 대상자들과 자주 만나 관계를 형성 하는 접촉 기회가 늘어나며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도를 높일 수 있었다. 토론을 통해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상대방에 대한 의견을 존중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 민간 잠수사들의 자조모임과 캠프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치유과정에 적극적 으로 임하면서 외상적 경험을 극복하고 발전적인 자아로 성장하는 길을 모색할 수 있었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잠수사들의 경우 국가소송 문제 뿐 아니라 세월호특별법에서 피해대상으로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한 여러 문제들이 우선순위에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심리지원을 제공하기에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관련 문제들을 논의할 수 있는 공간제공 및 모임지원 등을 통해 본 기관의 이용률을 높여 자연스럽게 심리지원에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위험의 경우 치료에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75
다 생존자 가족지원 서비스 외상경험은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되며, 생명을 위협당할 만한 사건을 직접 경험한 적이 없고 사랑하는 대상을 상실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심각한 기능 이상과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2015, 재난과 정신건강) 따라서 생존자 뿐 아니라 생존자 가족에 대한 지원 역시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되었다. 특히 단원고 생존 학생의 경우 대부분 안산 외 지역으로 학교를 가게 되면서, 가족이 협력자이며 동반자로 함께하는 것이 필요했다. 생존자 가족들은 생존학생들이 보이는 여러 행동에 대해 때로는 지나치게 민감하기도 하고, 때로는 트라우마로 인한 행동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해 지나치기도 했다. 따라서 생존자를 지원하는 것만큼 가족을 지원하는 것 역시 매우 필요한 부분이었다. 또한 생존자 가족 중 일부는 여러 가지 심리적 어려움으로 집중적인 상담과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도 있었다. 416세월호 참사 이후 다양한 심리·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는 단원고 생존자 가족들에게 가족프로그램, 가족교육, 자조모임, 관계증진활동(캠프 및 야유회), 간담회 등의 활동을 통해 가족의 스트레스를 낮추고 생존자의 보호자로서의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생존자 가족지원 서비스
어머니 캠프
바리스타 프로그램
76
안산온마음센터
가족교육
아로마테라피 프로그램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생존자 가족 지원 서비스 운영 실적
•가족교육 장소
강사
참여인원
3월 23일
•트라우마 총론 - 트라우마 이해
한은진 (안산온마음센터 전문의)
20명
2
4월 27일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Ⅰ - 몸과 마음의 평화지대 찾기
신정식 (트라우마회복지원팀 팀장)
13명
3
5월 25일
•트라우마 생존자 Ⅰ - 경직성과 유연함 기르기
강정훈 (안산온마음센터 전문의)
7명
4
6월 22일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Ⅱ - 수축과 이완의 몸 활동
신정식 (트라우마회복지원팀 팀장)
16명
5
8월 10일
•위기상황의 가족의 역할
오성훈 (트라우마회복지원팀)
15명
6
9월 9일
•부모의 역할 및 자녀와의 의사소통
조선미 (아주대학교 교수)
15명
7
10월 5일
•트라우마 생존자 Ⅱ - 경직성과 유연함 기르기
강정훈 (안산온마음센터 전문의)
19명
8
11월 2일
•가족의 감정 이해하기 - 내 아이의 마음과 만나기
김학철 (안산온마음센터 전문의)
7명
9
11월 12일
시흥 물왕저수지
•부모 자조활동 - 부모역할 고민 나눔
-
16명
10
12월 7일
안산 온마음센터
•해외 재난극복 사례
한은진 (안산온마음센터 전문의)
11명
총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1
안산 온마음센터
주제
416 활동지원사업
날짜
416 심리지원사업
회기
139명
•프로그램 및 기타활동 기간
참여인원
장소
주제 및 내용
횟수 13회
20명
182명
실인원 연인원
2016년 1월~12월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내용 공유 및 협의 지원방안 토의
가족교육
2016년 1월~12월
안산온마음센터
트라우마 및 가족 대처방법 교육
10회
20명
139명
2016년 5월~7월
경기도 안산 허브테라피
아로마테라피 프로그램
5회
10명
48명
2016년 6월~8월
경기도 안산 행복한커피
바리스타 프로그램
8회
8명
64명
2016년 9월~11월
안산온마음센터
아로마테라피 프로그램
5회
20명
100명
2016년 5월~12월
서안산노인병원 지역아동센터
봉사활동 프로그램
11회
18명
137명
2016년 5월
안면도 블루베리농장
와인만들기체험
1회
31명
31명
2016년 8월
안면도 자연휴양림
자연휴양림산책
1회
23명
23명
2016년 10월
강원도 횡성 숲체원
숲 치유프로그램
1회
14명
14명
가족 프로그램
야유회 어머니 캠프
총계
55회 164명
738명
2016년 사업보고서
77
기획홍보사업
가족 간담회
재난위기대응사업
구분
•생존자 가족지원 서비스 만족도 분석 구분
평균만족(5점 만점)
가족교육 가족프로그램
이용자 주관적 평가
4 바리스타
4.6
아로마
4.4
봉사활동
4.6
생존자-가족 관계증진활동
4.5
어머니캠프
4.1
가족자조모임
4.7
• 같은 고민을 가진 부모들끼리 모여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이 있어 좋았다. • 사고 이후에 받기만 했었는데 봉사활동을 통해 받은 것을 돌려줄 수 있었다. • 아로마 및 향기요법 등이 피로나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 되었다.
평가
●
성과
- 가족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일상 활동과 심리·사회적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생존자 가족들에게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가족들의 참여율은 높은 편이며,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모두 5점 만점에 4점 이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2016년에 진행된 서비스의 내용인 단원고 생존자 부모에게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어 상대적으로 형제· 자매 또는 일반인 생존자 가족들이 서비스에서 소외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가족교육 및 간담회, 프로 그램 등에서 참여 대상자가 확대 될 수 있도록 사업 대상자 범위 및 구성을 확대시키고자 한다.
7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라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충격적 경험 또는 극단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한 후에 정서적, 인지적으로 성숙해지는 것을 말하며 회복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심리적 성장을 말한다. 외상 후 성장의 중요한 요소인 공동체
416 심리지원사업
외상 후 성장은 트라우마에 대응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말하며(Tedeschi & Calhoun, 1995) 성장을 지향하는 보다
및 관계와의 재연결을 위해서는 당사자가 주체가 되어 참여하고 사람들과의 교류기회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생존자들이 주변사람 및 대중들과 만나고 지지받는 치유적 기회를 갖게 된다. 생존자의 이야기는 시, 그림, 연극, 타인을 돕는 활동 등 다양한 형태 예술 및 수행적 전환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언어적으로
416세월호 참사 생존자들의 자기긍정성 강화 및 트라우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넓히고 공유하기 위해 두 가지의
416 활동지원사업
설명을 하지 않아도 대중들과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공감을 나누며 소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단원고 생존학생들의 봉사활동 여행 ‘백패스 (backpack+pass)’다. ‘과거를 딛는 여행’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5박 6일의 여행봉사를 다녀왔다. 여행 장소 및 교통편, 여행활동 등 학생들 스스로 선택하고 함께 준비했으며 여행과정 중의 봉사활동을 통해 스스로의 자존감을
(현재를 살다)을 열었다. 이번 여행에 참여한 한 학생은 “대중교통과 물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 불편한 감정들이 있었는데 이번 여행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고 다음번에도 기회가 되면 참여하고 싶다.”라고 이야기 마음을 전했다.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높일 수 있어 더욱 의미가 컸다. 또한 여행과정을 사진으로 다른 생존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사진전 ‘카르페디엠’
백패스(backpack+pass) 일정표 주제
내용
지역
7.4 (1일차)
과거로 떠나는 여행
7.5 (2일차)
신나는 피크닉
7.6 (3일차)
같은 호흡 같은 마음
7.7 (4일차)
먹거리 힐링
- 목적 : 음식을 먹음으로써 행복 느끼기 - 체험활동 : 남포동먹자골목, 감천문화마을, 동백섬, 더베이
7.8 (5일차)
자유가 불다
- 체험활동 : 태종대, 흰여울문화마을, 해운대해수욕장 - 목적 : 바람을 맞으면 자연경관을 마음에 담기 - 마음나누기 : 여행봉사를 하면서 느낀점 나눔
7.9 (6일차)
일상으로 복귀
- 목적 : 과거향수 느끼기 - 체험활동 : 벽화마을, 한옥마을, 남부시장 방문
전라도 전주시
- 목적 : 신체활동을 통한 즐거움 맛보기 - 체험활동 : 전주동물원, 전주객사, 레일바이크 - 목적 : 자원봉사를 통한 마음 나눔 - 봉사활동 : 5월 어머니의 집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
2016년 사업보고서
79
기획홍보사업
- 이동 : (부산광역시 → 경기도 안산)
재난위기대응사업
일자
두 번째 프로젝트는 제주 일반인 생존자들이 미술치료 프로그램이다. 제주지역은 안산 다음으로 가장 인명피해가 많은 지역이다. 제주도는 연강병원과 제주 세월호 피해상담소를 열어 제주지역의 생존피해자와 가족들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안산온마음센터와 제주 세월호 피해상담소 간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실시되었으며 제주 지역 피해 대상에게 좀 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총 12회의 집단 및 개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주민들과 함께 소통하고 지지와 공감을 얻기 위해 ‘소통공감 마음전시회’를 열었다.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단원고 생존자)
백패스-여행봉사활동
까르페디엠(현재를 살다)-사진전 작품
백패스-오월어머니집 봉사활동
까르페디엠(현재를 살다)-사진전시회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제주 생존자)
미술치료 프로그램 워크샵
제주-소통공감 마음전시회
세월호 생존피해자 미술치료 작품 안산-소통공감 마음전시회
80
안산온마음센터
(출처-한국일보)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운영실적 내용
날짜
횟수
여행봉사 프로젝트-백패스
7월 4일~9일(5박 6일)
학부모 설명회
백패스
제주생존자 미술치료
연인원
1회
10명
10명
6월 24일
1회
10명
10명
유관기관 회의
6월 24일, 7월 19일
2회
-
12명
사진전시회-카르페디엠
10월 27일 ~ 11월 3일
1회
-
127명
미술치료 프로그램
9월 ~ 12월
12회
21명
45명
프로젝트 워크샵
10월 28일 ~ 29일(1박 2일)
1회
11명
11명
소통공감 마음전시회
11월
2회
-
125명
20회
52명
340명
416 활동지원사업
실인원
총계
●
실적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만족도 분석 및 이용자 주관적 평가 구분
93.1%
‘매우 그렇다’가 75%이며 ‘그렇다’는 전체 21% 이며 그렇다 이상이 96%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대상자의 의견이 많이 반영되었으며 대상자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인해 긍정적인 만족도 평가를 보였다.
대중교통과 물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 불편한 감정들이 있었는데 이번 여행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고 다음번에도 기회가 되면 참여하고 싶다.
91.6%
‘매우 그렇다’가 49%이며 ‘그렇다’는 전체 51% 이며 그렇다 이상이 100%로 사진전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프로젝트의 외적(구성) 과 내적(효과성)에 대한 만족도가 90점 이상의 점수를 보인 것은 대상자와 지속적인 의사소통 과 의견을 수렴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사진전을 통해 여행 다녀온 것 경험에 대해 나누고 서로 지지와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
-
한 번도 접해보지 않았던 미술이라 는 매체를 통해 현재의 감정을 표출 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스스로 완성 했다는 것에 대해 매우 뿌듯하였다.
92.5%
만족도 평가에 참여한 10명중 100%이상이 ‘그렇다’로 응답을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대화가 많아졌다는 평가에 ‘그렇다’이상의 응답이 100%로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워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목적인 제주 생존자들의 친목을 도모하고 화합의 장 마련이 달성된 것으로 평가된다.
416세월호 참사에 대한 이야기나 정신과적 증상을 터놓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 좋았지만 자유롭게 시작하는데 있어 부족한 점이 아쉬웠다.
-
-
많은 사람들에게 세월호 참사로 인한 아픔과 극복과정을 공유하고 공감받는 느낌이 들어 좋았다.
백패스 프로젝트 카르페 디엠 사진전
미술 치료 프로 그램
제주 생존자 워크샵 미술치료
마음 전시회
2016년 사업보고서
기획홍보사업
이용자 주관적 평가
재난위기대응사업
만족도 분석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백패스 여행 활동
만족도
81
평가
●
성과
- 단원고 생존자 학생들에게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불편한 감정을 발생시켰던 대중교통과 바다의 이미지를 점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심리적 문제에 직면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 제주 일반인 생존자들은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현재의 힘든 감정과 어려움을 표출할 수 있는 경험을 마련하였고 마음전시회의 취지와 같이 지역주민이 416세월호 참사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평가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프로젝트 계획 시 참여자들의 욕구와 의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율을 높이고 생존자들간의 내부갈등과 드러나지 않았던 심리적 문제에 자연스러운 접근방안을 마련하여 회복의 기회 제공이 필요 하다고 사료된다. - 제주 세월호 피해상담소와 사업진행 시 거리상의 문제로 인해 소통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추후 정기적인 미팅을 통해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협력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82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마 트라우마 회복 네트워크 구축
4월 회의에서는 416세월호 참사 2주기 사업공유, 장기사업논의, 기념일 반응 및 응급상황 발생 대처에 대한 회의가 이루어졌으며, 11월에는 연말 사업공유 및 2017년 사업 소개와 더불어 유관기관 종사자들의 간접피해지원 소진
416 심리지원사업
416세월호 참사 생존자와 관련된 안산 관내 유관기관 종사자들과 4월, 11월 총 2회 네트워크회의를 진행하였다.
예방과 관계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기관 사업들의 평가와 정보공유를 통해 중복서비스를 최소화 하고 통합적인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하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트라우마 회복 네트워크 구축 416 활동지원사업
장소
2016년 4월 28일 안산정신건강 트라우마센터 물망초실 2016년 11월 16일
주제 및 내용
참여기관
참여인원
•4~5월 사업공유 및 2주기 논의 사례공유 •응급상황 발생 대처법 안내
쉼표 외 3곳
8명
• 416세월호 참사 심리지원 기관에 대한 간접피해지원(힐링프로그램) •2017년도 사업공유
쉼표 외 3곳
8명
합계
2회 16명 재난위기대응사업
평가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기간
성과
- 각 기관들의 사업에 대해 논의하고 추후 연합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아이디어를 공유함에 따라 대상자들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힐 링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한 유관기관 종사자들의 소진예방에 대해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종사자들 간의 관계증진을 도모할 수 있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기획홍보사업
●
- 네트워크 회의를 통해 각 기관들의 사업에 대한 공유가 이루어졌지만 구체적인 협력방안과 실행에 대한 부분은 논의 시 어려움이 있었고 기관별 사업진행으로 인해 회의 일정을 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각 기관별 정기적인 회의 일정을 정하고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016년 사업보고서
83
바 유가족 및 생존자 송년 모임 416세월호 참사 이후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생존자와 유가족들과 함께 하는 송년행사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유대 관계가 강화되고 한해를 의미 있게 보내고자 송년행사를 개최하게 되었다.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을 위한 ‘기억의 밤’, 유가족을 위한 ‘빛을 밝히다’ 두 번의 행사가 진행되었다. 행사를 통해 심리적지지 및 관계개선과 유대감이 증진 되는 기회가 되었고 송년회와 같은 사회적 활동을 통해 안산온마음센터의 역할을 인식시키고 생존자와 유가족의 사회활동 및 사회관계가 개선될 수 있었다.
유가족 송년 모임 ‘빛을 밝히다’
생존자 송년 모임 ‘기억의 밤’
●
실적
84
기간
장소
주제 및 내용
참여자
참여인원
2016년 11월 26일
더루체
기억의 밤 - 생존자 송년모임
생존자
125명
2016년 12월 15일
AW
빛을 밝히다 - 유가족 송년모임
유가족
221명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생존자와 유가족 참여율이 높았고 행사 진행을 당사자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으로 유대감을 강화하며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 1년 사업을 마무리하며 생존자, 유가족, 유관기관 실무자, 센터직원이 함께 소통하는 자리를 가짐으로써 정보를 공유하며 기존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서로 협력관계로 인식하는 시간이 되었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독립된 공간의 위치 선정 및 공연자 섭외에 대한 신중함이 필요하며, 송년 모임을 통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와 더불어 송년 모임 기획 시 전반적인 concept를 통하여 볼거리 위주의 행사에 치우치지 않고 의미부여와 질적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겠다. - 현 상황에서는 유가족과 생존자 송년의 밤을 각각 달리할 수 밖에 없는 추후 당사자간의 상황이나 욕구에 따라 함께하는 송년행사도 조심스럽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겠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85
사 단원고 생존자(학생) 공간 운영 2016년도부터 단원고 생존학생에 대한 심리지원서비스를 시작하게 됨에 따라 생존학생들의 별도 공간을 마련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에 유가족들이 다수 활용하고 있는 공간을 생존학생들이 함께 사용하는 것은 피해 당사자들 간의 심리적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별도 공간을 마련하여 단원고 생존자 및 가족을 중심으로 사례담당자와의 상담, 멘토링(학습공간), 회의, 자조모임, 인터뷰, 휴식 등의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공간 활용을 통해 생존자 및 가족들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생존학생들에게 안정된 아지트로써의 기능을 제공하였다.
단원고 생존자(학생) 공간 운영
평가 ●
성과
- 단원고 생존학생의 심리·정서 및 포괄적 서비스를 위해 안정감 있는 공간을 지원하고 자조모임을 통해 지지체계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다. - 416세월호 참사 생존자 및 생존자가족들과의 상담 및 개입의 연계 역할을 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로 공간을 활용하여 관계형성에 도움이 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단원고 생존학생들의 대학교 진학으로 인해 공간을 이용하는데 제한적인 면이 있으며 추후 방학기간 등을 이용하여 공간에서 정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자조모임을 실시하여 공간 활성화 방안을 마련 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가족교육 및 프로그램과 같이 규모가 있는 행사를 진행하기에는 공간이 다소 협소하여 활용도가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 점차 안산온마음센터의 본 공간을 함께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8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아 416세월호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종합평가 재난피해 생존자들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구축의 첫 발을 내딛다.
• 416세월호 참사 및 트라우마 생존자들에 대한 지원사업을 새롭게 구성하여 사례관리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점차 경험과 당사자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원체계에 대한 구축을 보다
416 심리지원사업
●
체계화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단원고 생존학생 뿐 아니라 416세월호 참사로 인한 간접 피해 대상자와 및 일반 트라우마 생존자에 대한 서비스 지원체계는 운영근거에 따라 확립해나가야 할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 및 대상자 특성을 고려하여 직접피해대상과 간접피해다상을 분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416 활동지원사업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416세월호 참사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한 걸음 가까이 다가가다.
• 단원고 생존자들의 학교 졸업 및 일반인 생존자들의 외상적 경험이 정신적·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인 사례관리 서비스를 1:1로 제공하여 생존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였다. 외상적 사건은 시간이 지날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정신과적 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심리 상담 및 정신의학적
필요하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치료를 병행을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발전적인 자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포괄적인 개입이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87
04 재난위기대응사업 416세월호 참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재난심리지원 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자료를 개발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심리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서비스에 유입되지 못하고 있는 416세월호 참사 직·간접 피해자의 발굴 및 지속적 서비스연계체계를 마련하여 서비스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가 416 피해자 발굴사업 416세월호 참사의 최대 피해대상은 안산지역 단원고 희생학생 및 생존학생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서비스는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 및 생존학생과 안산지역에 집중되어 제공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세월호 탑승객 중 일반승객은 선원 및 교사를 제외하고 114명에 이르며 이중 희생자는 35명이다. 유가족 및 생존가 가족을 포함하면 대상자 수요는 훨씬 증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산 외지역의 일반승객에 대한 지원 및 서비스는 매우 미흡하였다. 해당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나 여건상 서비스가 충분하거나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는 운영특성 상 뚜렷한 정신과적 진단을 받지 않은 대상을 장기적으로 관리 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소수의 416참사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일반인 피해자들은 초기에 몇 차례 정신건강증진센터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중단된 경우가 많았으며 아예 초기부터 심리지원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경우도 많았다. 후쿠시마 마음케어센터 사례관리 대상자의 진단현황을 살펴볼 때, 장애가 있다고 진단된 사람들이 해마다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신경증성 장애,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경우, 재난 후 3년이 지나면서 전년 대비 약 2배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 사각지대에 있는 대상에 대해서 더욱 각별하게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전체 피해 대상자 중 약 76%는 안산온마음센터에 등록되어있고, 미등록된 24% 중 7%는 해당지역의 서비스를 받거나 혹은 받지 않는 현황이 파악된 상황이며 나머지 17%는 미파악 되었다. 이에 본 기관에 미등록된 대상에 대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정기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필요시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연결망을 유지하기 위해 안내문 및 힐링키트를 발송하였다. 또한 해당지역의
8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정신건강증진센터와 간담회를 통해 서비스지속 현황 및 문제점을 논의하고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일반인가족 대책위원과의 미팅을 통해 필요한 지원부분을 협의하는 과정을 가졌다. 여전히 안산 외 지역을 지원
것으로 보인다.
416 심리지원사업
하는 것은 물리적 거리의 한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미파악 416 세월호 피해자 대상 서비스 안내 현황 (2016년 12월 28일 기준) 1) 미파악 대상자 현황 세월호 승선 총인원
명
미등록인원
안산트라우마센터 등록인원
362 (76%)
476
416 활동지원사업
구분
파악인원 단원고 졸업생
제주세월호피해상담소 관리인원 (제주특별시 거주자)
선원 (재판중)
미파악 인원 (발굴대상자)
3
16
15
80
114(24%)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세월호 승선자 476명 중 362명(76%) 등록, 이 중 미등록 대상자는 114명(24%)으로 미등록 •미등록 대상자 사유 - 단원고 졸업생 3명은 개인사정으로 서비스 등록 거부. - 미등록인원인 제주특별시 거주자 16명은 제주세월호 피해상담소에서 사례관리 진행. - 선원(구조자 15명)은 재판 및 징역으로 복역 중으로 서비스 개입 대상자 제외.
총인원
80명
사망자
재난위기대응사업
2) 미파악대상자 세부현황 (80명) 생존자
승선자
승무원
승선자
승무원
화물기사
교사
인솔자
27명
10명
29명
6명
5명
2명
1명
37명(46%)
43명(54%)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89
•서비스 이용 유무 및 현재 상황 서비스 이용 유무
구분
인원
동의
거부
미파악 (전화부재 등)
총 인원
80명
40명(50%)
9명(11%)
31명(39%)
승선자
27명
16명
4명
7명
승무원
10명
1명
1명
8명
승선자
29명
17명
3명
9명
승무원
6명
3명
1명
2명
화물기사
5명
2명
-
3명
교사
2명
-
-
2명
인솔자
1명
1명
-
0명
희생자 (37명)
구조자 (43명)
• 전화통화로 확인한 결과 미파악 416 피해자 80명 중 40명(50%)은 안산온마음센터에서 진행하는 심리지원관련 안내 홍보물 발송 수취에 동의한 반면 9명(11%)은 심리치료에 대한 거부감, 정부에 대한 불신 등의 사유로 서비스 이용을 거부하였다. 미파악인원인 31명(39%)은 전화부재, 응답보류 등 다양한 이유로 동의여부 파악에 어려움을 보였다.
416 피해자 발굴사업
안내문 및 힐링키트 우편발송
90
안산온마음센터
지역정신건강증진센터 간담회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운영현황 및 실적 구분
세부내용
분류
수집된 정보 체계적 분류 및 분석 (미파악 인원 대상)
1회/114명
사례 개입 논의를 위한 간담회
2회/15명
안산온마음센터 안내문 제작
1회/100개
힐링키트 제작
1회/122개
우편물 발송
안내 우편물 발송 및 수취여부 확인
2회/96명
힐링키트 발송
힐링키트 발송 및 수취여부 확인 (일반인 가족대책위원회 포함 발송)
1회/122개
전화상담
전화상담을 통한 서비스 동의여부확인 고위험군 및 일상생활유지정도 파악
1회/96명
문자안내
관계형성을 위한 <마음케어> 문자발송 서비스 이용 안내 문자 발송
1회/96명
자원조정
12회/16명
사업홍보물 개발
홍보
상담 및 안내
피해자 관리
자원조정
총계
인천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세월호 일반인 가족대책위
국무조정실, 국민안전처, 제주세월호 피해상담소 등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1회/476명
416 활동지원사업
4.16 피해자 관련 정보 수집
비고 416 심리지원사업
발굴
네트워킹
대상자 서비스 안내
실적
23회/1,253명
평가 ●
성과
- 416특별법에 근거한 법적 자문을 얻어 관계부처를 통해 안산온마음센터에 등록되지 않은 416세월호 재난위기대응사업
참사 피해자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 416일반인피해자 가족대책위원 및 일반인 피해자가 집중되어있는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심리지원서비스 및 심리적 외상과 관련된 안내문, 힐링키트, 안내문자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였고 우편물 발송 후 전화안내를 통해 좀더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416일반인 피해자 가족대책위에서 일시적인 관심이 아닌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기획홍보사업
416 미발굴 대상자에게 타 지역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서비스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지역정신건강증진센터 간담회를 통해 416피해자의 심리지원의 한계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416피해자의 심리적 외상와 관련된 교육, 정보제공 등의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2016년 사업보고서
91
나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양성 및 교육 1)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최근 재난 심리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실무자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강화 되어 재난 심리지원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재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교육보다는 이론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실제로 재난 심리지원 실무자로서의 역할 수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세월호참사 초기당시 충분한 교육을 받지못하고 심리지원이 이루어지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고, 이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의 시기별 제공할 수 있는 심리지원서비스가 다르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세월호참사의 뼈아픈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교육커리큘럼을 구성하고 실무에 기반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준비된 재난 심리지원가들을 양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재난심리 전문가 양성 교육
경기도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1차 교육
트라우마, 그리고 회복 – Chapter.2 기억재처리
92
안산온마음센터
트라우마, 그리고 회복– Chapter.1 안정화
트라우마, 그리고 회복 – Chapter.3 외상 후 성장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기간
장소
주제 및 강사
인원
- 이명수(경기도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3월3일
경기중소기업 종합지원센터
- 김준기(EMDR트라우마센터, 인천스마일센터 센터장) - 김희숙(경북대간호학과, 대한간호협회정신간호사회)
106명
416 심리지원사업
경기도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1차 교육 : 트라우마 재난심리지원의 이해와 실제
- 고진선(서울자살예방센터,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 석정호(세브란스병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주혜선(이화트라우마연구실, 한국심리학회) 트라우마, 그리고 회복– Chapter.1 안정화
6월29일
안산에듀센터
- 한은진(안산온마음센터 의료지원팀)
416 활동지원사업
/트라우마 회복 단계의 이해 및 안정화 기법 실습 45명
- 이정명(한국타말파연구소 소장) - 김대호(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8월25일 안산온마음센터
트라우마, 그리고 회복 – Chapter.2 기억재처리/ 지속적 노출치료의 이해
32명
- 최윤경(계명대학교 심리학과)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트라우마, 그리고 회복 – Chapter.3 통합과 재연결/ 외상 후 성장 11월30일
아지트 쉼 협동조합
- 고 석(한국어린이안전재단 대표)
33명
- 안소라(안산온마음센터 부센터장) - 전상원(안산온마음센터 의료지원팀장) 총 계 : 총 4회 / 216명
전체만족도 4점 만점
전반적 사항 5점 만점
4.29 3.3
4.4
4.09
4.46
5점 만점
4.66
4.84
3.25
2차교육
3차교육
기획홍보사업
1차교육
5점 만점
강의 내용
재난위기대응사업
●
4차교육
- 2016 재난심리 전문가 교육 만족도 조사 항목의 전 범위에서 4점 만점 중 3점 이상(제 1차 재난심리 전문가 교육), 5점 만점 중 4점 이상의 만족도임을 확인된다.
2016년 사업보고서
93
●
세부만족도
•제 1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 3.31
•제 1차 교육 만족도 : 3.26점 / 4점
3.3 3.29
• 평가 : 제 1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은 경기도정신건강증진센터와
3.3
3.28
공동주관하여 진행되었으며, 경기도재난심리지원단(G-PAT)의
3.27
교육 참여 의무화 등으로 인해 예상 인원보다 더 많은 교육생들이
3.26 3.25 3.25
3.24 3.23 3.22
참여했으며 만족도 상, 높은 점수의 평가가 나타났으나 교육 시간 내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다루었기 때문에 하나의 주제를 이해하기에는
전반적 사항 강의 내용
복잡했다는 의견이 있었다.
•제 2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 •제 2차 교육 만족도 : 4.38점 / 5점
4.42 4.4 4.4
4.38 4.36
• 평 가 : 제 2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은 트라우마 회복 단계 중 가장 기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안정화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진행했다.
4.34 4.32
특히 1차 교육과 다르게 실습 및 시연의 시간을 마련하여 현장에서
4.3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 교육이 진행된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던
4.28 4.26
4.29
것으로 파악 되었고 전반적 사항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은 편이나
4.24 4.22
교육 장소를 찾아오는 것이 어려웠다는 의견이 많았기 때문에 이후 전반적 사항 강의 내용
교육의 경우, 장소 섭외에 접근성을 고려하여 선정했다.
•제 3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 •제 3차 교육 만족도 : 4.35점 / 5점
4.5 4.46
4.4
• 평가 : 제 3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은 트라우마 회복 단계 중 기억 재처리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속적 노출치료를 주제로 진행했다.
4.3
본 주제의 경우, 실습하는 과정을 가지기에 한계가 있었으나 4.2
worksheet을 통한 1:1 시연 등으로 실제적 이해를 이룰 수 있었으며, 지속적 노출치료 경험이 있는 강사를 섭외하여 다양한 사례를 통한
4.1 4.09 4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전반적 사항에 대한 만족도는 4.09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안산온마음센터는 교육에 참여하기에 좁아서
3.9
94
전반적 사항 강의 내용
안산온마음센터
답답했다는 의견이 있었다.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제 4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 4.9
•제 4차 교육 만족도 : 4.8점 / 5점 4.84
4.8
개인적 성장을 이루는 외상 후 성장을 주제로 진행했다. 대부분의 교육에서는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는 하나, 외상 후
4.75
416 심리지원사업
• 평가 : 제 4차 재난심리전문가 교육은 트라우마 사건을 극복하고
4.85
성장을 주제로 진행한 교육은 전무후무했기 때문에 신선했다는
4.7
의견이 많았다. 또한 외상 후 성장을 이룬 다양한 사례를 통해 교육을
4.65
4.66
이해하고 함께 소통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좋았다는 의견이 많았고
4차례의 교육 중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교육의 전반적 4.55
전반적 사항 강의 내용
사항 또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강의
416 활동지원사업
좌측 표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제 4차 재난심리 전문가 교육은
4.6
방식이 아니었기 때문에 간담회 형식의 강의 형태 등에 대한 요인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평가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성과
- 재난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은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심리지원 또한 시기별로 달리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총 4차례의 재난심리 전문가 교육을 통해 트라우마 회복 단계별로 제공 되는 심리지원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진행하였고, 체계적인 구성으로 교육의 전체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 교육의 만족도 및 평가에 따르면, 대부분의 교육생들은 실습 및 시연에 대한 욕구가 많았던 것으로 파악되었고 재난심리 전문가 교육은 이론을 포함하여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습 및 시연의 시간을
●
재난위기대응사업
마련하여 실제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 4차례의 교육 중 1개의 교육 외에 3개의 교육은 안산지역에서 진행되었는데 교육 만족도 및 평가에 따르면, 안산은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교육에 참여하기에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향후 교육을 진행할 경우, 다양한 지역에서 교육을 진행하는 것도 고려해 봐야 할 것 이다. - 교육에 참여한 교육생들의 경우, 수도권 외 타 지역에서 신청하여 오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로 재난심리 전문가 교육의 수요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재난심리 전문가 교육의 경우, 교육 내용이
기획홍보사업
연속선상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전 교육에 참여했던 실무자가 다음 교육에 이어서 참여 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도권에 있는 정신건강증진센터의 경우, 재난심리 관련 사업을 많이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교육에 참여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어 더 많은 교육생들을 모집하기 위해서는 평점 제시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016년 사업보고서
95
2) 지역별 재난 실무자 교육 재난실무자 교육을 지역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진행하여 재난 상황 시 실무자로서의 역할을 이해하고, 재난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을 돕고자 하며 실무자의 간접외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심리·신체적 피로를 자각하고 업무 소진을 예방하고자 진행하였다. 특히, 향후 진행될 세월호 인양시 나주, 공주 등 인근지역의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기 위하여 심리지원 교육을 제공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지역별 재난 실무자 교육
1차 - 안산시
2차 - 전라남도광역시
3, 4차 – 경기도
●
5차 - 충청남도광역시
지역별 재난 실무자 교육 실적 기간
2016년 7월11일
시간
장소
11시~17시
안산시 평생 학습관
주제 및 강사
인원
지역별 재난실무자 1차 교육 ‘월요일엔 쉼-하자.’ | 타말파 기법을 통한 신체·심리적 소진 예방
33명
- 이정명(한국타말파연구소 소장)
지역별 재난실무자 2차 교육 ‘마음 치료의 시작, 심리적 응급처치’ 2016년 10월6일
10시~17시
나주시 보건소
| 심리적 응급처치이해 및 실습 54명 - 배경렬(전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소라(안산온마음센터 부센터장)
9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시간
장소
주제 및 강사
2016년 10월13일
10시~17시
경기도 여성 비전센터
인원
지역별 재난실무자 3,4차 교육 ‘상실, 충분히 슬퍼하고 기억하라’
46명
| 상실·복잡성 애도에 대한 이해 - 김원(강북정신건강증진센터 센터장) - 최남희(서울내러티브연구소 소장)
2016년 10월27일
10시~17시
의정부시 평생교육 비전센터
416 심리지원사업
기간
- 강정훈(안산온마음센터) - 한은진(안산온마음센터)
44명
- 서경숙(안산온마음센터) - 조동희(안산온마음센터) 416 활동지원사업
지역별 재난실무자 5차 교육 ‘마음 치료의 시작, 심리적 응급처치’ | 심리적 응급처치이해 및 실습 2016년 10월6일
10시~17시
국립 공주병원
- 김현진(충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37명
- 안소라(안산온마음센터) - 김미숙(안산온마음센터) - 조동희(안산온마음센터)
전체만족도
4.48
전반적 사항
4.62 3.71
4.01
4.38
4.55 4.09
4.42
강의 만족도
4.44
재난위기대응사업
●
214명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총계
4.57
기획홍보사업
1차교육
2차교육
3차교육
4차교육
5차교육
- 2016 지역별 재난 실무자 교육 만족도 조사 결과, 평균 4.32점의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2016년 사업보고서
97
●
세부만족도
•지역별 재난 실무자 1차 교육 •1차 교육 만족도 : 4.55점 / 5점
4.65 4.6
4.62
• 평가 : 지역별 재난 실무자 1차 교육은 416세월호참사 당시 현장에 투입된 실무자 및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받은 안산 지역 내에 근무
4.55
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4.5 4.45 4.4
소진 예방을 주제로 하는 교육인 만큼 교육에 참여하는 교육생들이 4.48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교육 장소 환경 및 식사·다과 준비에 대한 고민이 많았으며 이에 따라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남. 또한
전반적 사항
강의 만족도
평소 업무 스트레스 등으로 긴장된 신체·심리적 이완을 돕는 교육 내용에 대하여 4.62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지역별 재난 실무자 2차 교육 •2차 교육 만족도 : 3.86점 / 5점
4.05 4 4.01
• 평가 : 지역별 재난 실무자 2차 교육은 전라남도광역정신건강증진
3.95
센터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진행했다. 교육 홍보, 장소 섭외, 식사
3.9
제공 등 전반적 사항은 전라남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진행
3.85
하였고, 교육 커리큘럼 구성, 강사 섭외 등은 안산온마음센터에서
3.8
진행했다.
3.75 3.7
전반적 사항에 대해서는 장소에 대한 불편함으로 인해 만족도가 3.71
3.65
3.71점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강의 만족도는 4.01으로 전반적
3.6
사항에 비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룹별 피드백 시간이
3.55
전반적 사항
강의 만족도
부족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의견에 따라 타 강의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지역별 재난 실무자 5차 교육에서는 2차 교육의 피드백에 따라 구성을 조정하여 진행한 바 있다.
9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지역별 재난 실무자 3차 교육 •3차 교육 만족도 : 4.46점 / 5점
4.6
4.55 4.5
공동으로 주관하여 진행했다. 교육 장소 섭외 및 교육 홍보 접수 등
4.45
은 경기도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담당하여 진행하였고, 그 외 강의
4.4
커리큘럼, 강사 섭외, 식사·다과 준비 등은 안산온마음센터에서
4.35
진행했다. 전반적 사항의 경우 4.38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4.38
넓은 강의 장소, 준비된 다과, 식사 등에 대해 만족한다는 의견이 많
4.3 전반적 사항
강의 만족도
않지만 자살 유가족 등을 만나는 실무자들에게도 도움이 되었다. 또한 내러티브 치료에 관심에 따라 4.55점의 높은 만족도가 나타냈다.
416 활동지원사업
았다. 강의 내용은 상실과 애도를 다룸으로써 재난 심리지원을 하지 4.25
416 심리지원사업
• 평가 : 지역별 재난 실무자 3차 교육은 경기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와
4.55
•지역별 재난 실무자 4차 교육
4.4
4.42
• 평가 : 지역별 재난 실무자 4차 교육은 경기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진행했다. 4차 교육은 3차 교육과 마찬가지로
4.3
경기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와 역할을 분담하여 진행했다. 4.2
전반적 사항의 경우 장소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 3차 교육에
4.1
비해 4차 교육 장소는 협소하고 접근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었다.
4.09
이에 3차 교육에 비해 낮은 만족도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4
강의 내용은 3차 교육과 똑같이 진행되었으나 교육에 참여한 교육 전반적 사항
강의 만족도
생들의 실무 경력이 3차 교육에 참여했을 때보다 높아 다소 기초적 으로 느껴 만족도가 비교적 낮게 평가되었다.
재난위기대응사업
3.9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4차 교육 만족도 : 4.25점 / 5점
4.5
•지역별 재난 실무자 5차 교육 •5차 교육 만족도 : 4.5점 / 5점
4.6 4.55
4.57
제공 등 전반적 사항은 전라남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진행
4.45
하였고, 교육 커리큘럼 구성, 강사 섭외 등은 안산온마음센터에서
4.44
진행했다. 2차 교육과 주제 및 내용을 똑같이 구성하여 2차 교육의 4.35
전반적 사항
강의 만족도
피드백을 고려하였고, 이에 따라 장소 및 강의 시간에 대한 조정이
2016년 사업보고서
99
기획홍보사업
센터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진행했다. 교육 홍보, 장소 섭외, 식사
4.5
4.4
• 평가 : 지역별 재난 실무자 5차 교육은 전라남도광역정신건강증진
있었다. 장소의 경우, 실습 장소가 한 공간에 모여져 있었기 때문에 교육을 진행하고 참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강의 내용은 그룹별 피드백의 시간을 여유 있게 조정함으로써 실습을 통해 궁금했던 점과 느낀 점을 공유하는 시간이 마련되어 재난 심리지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평가
●
성과
-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의 경우, 재난 심리지원 교육에 참여할 기회가 많지 않음. 이에 따라 지역별로 재난 심리지원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심리적 응급처치(Psychological First Aid:PFA)를 진행하였고, 참여한 교육생들로 하여금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경 기도 내에 있는 실무자들은 경기도재난심리지원단 교육 등 재난 심리지원과 관련한 교육에 참여할 기회가 타 지역에 비해 많은 편이였다. 하지만 재난 현장 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상실과 복잡성 애도를 다룬 교육은 거의 없었으며 이에 따라 본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교육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이론 교육을 넘어 실습 및 시연하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실제로 1차, 2차, 5차 교육의 경우 이론 교육 시간에 비해 실습 시간이 많았고 실습을 통해 교육에 대한 심화적 이해가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경기도정신건강증진센터와 공동으로 주관한 3차, 4차 교육의 경우 상실과 복잡성 애도를 주제로 교육을 진행했기 때문에 실습 시간을 마련하기에는 한계점이 많았다. 이에 따라 실습 교육에 대한 시간이 부족해 아쉬웠다는 의견이 많았다. -지 역별 재난실무자 교육의 경우, 1회 당 50명의 인원을 목표로 했으나 수도권을 제외한 타 지역에서는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재난 심리지원 관련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의 수가 많지 않아 목표 인원을 달성하기는 한계가 있었지만 적은 인원이 참여했기 때문에 실습 위주의 교육이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최 근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재난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 가운데, 피해자들의 물리적 지원뿐만 아니라 심리지원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재난은 불특정 지역·시간에 따라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재난 시 심리지원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며, 그 대비책으로 재난실무자에 대한 교육을 들 수 있다. 특성이 다른 지역을 나누어 지역별 재난실무자 교육을 진행하여 실무자들의 역량을 강화 하기 위한 커리큘럼 개발과 교육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10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3) 국제 전문가 초청 교육 WHO의 정의에 의하면 재난은 “심각한 파괴로 인하여 피해 지역은 생태학적으로나 사회심리학적으로 자신의
않고 사회 전체적인 문제로 발생할 수 있어 사전에 체계적인 시스템과 실무에 기반한 지원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재난을 경험한 해외 주요 나라에서는 재난 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
416 심리지원사업
대처 능력을 초과한 상태”로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재난이 발생하면 신체, 심리적 문제가 개인에 한정되지
중에 있다. 각 나라의 재난 정신건강 시스템은 대부분 심각한 재난을 경험한 이후에 구축되었고, 그 나라 고유의 재난 경험과 사회문화적인 상황에 따라 틀이 정해지고 운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재난 이후의 정신건강 피해를 대처했던 전문가들을 통해 보다 특성화되고 전문적인 재난 심리지원의 기술에 대해 습득하고
지원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 실무적 입장에서 체계적 접근을 위한 방법적 숙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재난 심리지원 관련 국제 전문가를 초청하여 재난 실무 종사자 및 관련 인력에 대해 교육과 상호교류의 기회를
416 활동지원사업
적용할 수 있는 배움과 교류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해외의 사례를 잘 반영하여 재난 심리사회적
제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국내 재난 심리지원 실무인력의 역량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전문가초청교육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국제 전문가 초청 교육 실적 기간
시간
2016년 9시~16시 6월 30일
2016년 7월 1일
9시~16시
주제
고려대학교 전반기 국제전문가 초청 교육 1일차 - 국제 재난 및 트라우마 심리지원 안산병원 2층 대회의실 동향 및 재난 심리지원 시스템 고려대학교 전반기 국제전문가 초청 교육 2일차 안산병원 - 재난 및 트라우마의 실무 기술 교류 13층 회의실 고려대학교 트라우마 레질리언스, 외상 후 성장과 공동체 형성 안산병원 2층 대회의실 및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총계
강사
인원
93명 Yoshiharu kim (일본국립재난정신건강 정보센터 센터장) 31명
Ruth Pat-Horenczyk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교수) 이인자 (일본 도호쿠 대학교 교수)
130명
254명
2016년 사업보고서
101
기획홍보사업
2016년 9시~16시 11월 26일
장소
재난위기대응사업
●
●
전체만족도
•2016년 국제전문가 초청 교류 사업 만족도 5 4.5 4.3 4.5 4.3 4 3.5 3 2.5 2 1.5 1 0.5 0 장소
4.1
4.4
4.2
4.3
진행시간
4.3 4.4
통역
전반기-1일차 4.3
4.6 4.5
4.6 4.6 4.2
강연회 내용
진행준비
전반기-2일차
후반기
4.4 4.6 4.5
4.4 4.6 4.4
재참석 의사
추천의사
- 2016년 국제전문가 초청 교류 사업 만족도 조사 항목의 전 범위에서 5점 만점 중 4점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
세부만족도
•장소만족도 •장소 만족도 평균 : 4.4점/5점 중
5 4
4.3
4.5
4.3
• 평가 : 전반기 1일차와 후반기의 경우 고대안산병원 2층 대강당, 전반기 2일차의 경우 고대안산병원 13층 회의실
3
에서 진행하였고 장소 만족도는 낮지 않았으나 전, 후반기 2
평가에서 모두 서울에서 진행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
1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이 있었다. 접수 인원의 경우 타
0
지역 종사자가 50%(전반기 54.8%, 후반기 64.5%) 가량을 전반기-1일차 전반기-2일차
후반기
차지하였다.
•진행시간 5
•진행시간 만족도 평균 : 4.2점/5점 중
4
4.4 4.1
• 평가 : 양적평가 점수는 낮지 않으나 1일차 진행 시간의 4.2
경우 해당일 오전에 우천으로 인한 상황으로 시작 시간이
3
지연되었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일정이 미루어진 것이 2
만족도 저하 요인 이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쉬는 시간이 보다 자주 있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통해 후반기 행사 중
1 0
102
쉬는 시간을 50분마다 배정하였으나 만족도 조사 상 전반기-1일차 전반기-2일차
안산온마음센터
후반기
쉬는 시간을 줄여도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강연회 내용 5.0
•강연회 만족도 평균 : 4.5점/5점 중
4.0
4.3
4.5
• 평가 : 강연회 내용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내용상 직무 및 개인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고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3.0
되었으며 기존에 알고 있던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통합할 2.0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가 있었다. 또한 실제 해외
1.0 0.0
416 심리지원사업
4.6
사례에 대해서 듣게 된 것이 도움이 되었으며 내부직원 대상 으로 진행된 전반기 2일차의 치료법 강의 및 안산온마음센터 후반기
사례 공유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강사가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의견을 공유하고 토의 하는 방식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416 활동지원사업
전반기-1일차 전반기-2일차
•진행준비 •진행준비 만족도 평균 : 4.5점/5점 중
5 4.6
4.6
• 평가 : 양적 평가 상으로 평가 시에는 높은 수준으로 보이나
4.2
특히 전반기 1일차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진행 3
시간에 대한 요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교육 홍보의 경우 2
에도 보다 적극적인 방식(다수의 SNS 홍보게시, 기관차원의
1
공문 협조 및 유선연락, 주기적인 교육 일정 선정)이 필요
0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4
할 것으로 보인다. 후반기 행사의 경우 센터 홍보물 부스를 전반기-1일차 전반기-2일차
후반기
별도 운영하였는데 이에 대한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향후 행사에서는 센터 소개 브로셔, 책자, 교육자료, 입식
심리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재난위기대응사업
홍보 게시자료 등을 사전 준비하여 센터 사업 홍보 및 재난
•재참석 의사 5 4
•재참석의사 평균 : 4.5점/5점 중 4.4
4.6
4.5
• 평가 : 국제전문가 초청 교류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많은 인원들에게 제공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전, 후반기를
2
통틀어서 확인되었다. 이를 미루어보았을 때 국제전문가
1
초청 교류에 대한 교육 만족도 및 재참석 의사는 높은 것
0
으로 보인다. 전반기-1일차 전반기-2일차
후반기
2016년 사업보고서
103
기획홍보사업
3
•추천의사 5
•추천의사 평균 : 4.5점/5점 중
4
4.4
4.6
4.4
• 평가 : 국제 전문가 초청 교류 재 참석 의사 및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사가 높은 것으로 보이며 참가자를 통한
3
홍보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진행되는 홍보 시 2
기존 참가 인원에게 우선적으로 홍보하며 지인에게 홍보
1
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0
전반기-1일차 전반기-2일차
후반기
평가
●
성과
- 국제 전문가 교류를 통해 다양한 해외의 재난 심리지원을 간접 경험함으로써 기존의 지식을 통합하고 국내 재난 심리지원의 방향성 및 체계화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 세계적 경험을 통해 재난 심리지원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국내 재난 심리지원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했다고 평가된다. - 해외의 사례를 공유하고 적용하는 것 뿐 아니라, 국내의 사례또한 교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교류 내용을 통해 보다 실무 지향적이고 활용성이 높은 컨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서 재고하게 되었다.
104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 교육 컨텐츠 개발 각종 재난 및 트라우마 사건 이후에 피해자들은 지속되는 심리적 불안정과 긴장으로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을 보이며
또한 트라우마 치료는 단계적 접근이 이루어지는데, 1단계는 안정화(심리교육, 정동조절, 증상조절 기술훈련), 2단계는 기억처리(외상적 기억의 처리, 의미있는 서술적 형태로의 변화), 그리고 3단계인 재통합(대인관계, 사회적/
416 심리지원사업
신체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불편감은 시간이 지나도 쉽게 개선이 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직업적 적응, 삶의 질, 자신감 회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1단계인 안정화는 모든 트라우마 치료 작업의 기초 이며,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 최근 연구 지견이고, 심지어 효과가 입증된 노출치료와 같은 트라우마의 직접적인 치료들과 비교할만하다는 연구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그동안 본 기관에서 진행되어 왔던 프로그램 운영결과 심신안정신체요법은 피해자들에게 가장 접근성이 높은 프로그램이었으며 이를 통해서 피해자들의 신체적, 심리적 안정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었다는 결과를 보였다.
416 활동지원사업
(국립서울병원, 2015,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안정화 프로그램 개발)
(안산온마음센터, 2014, 온마음리포트) 이렇듯 재난 피해자 및 트라우마 대상자의 심리치료 접근 장벽을 낮추고 관계형성을 원활히 하며 긍정적 예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신체 기반 안정화와 관련된 컨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가능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전국의 재난 심리지원 현장에 공유하고 재난 시 효율적인 심리지원을 촉진하여 재난 피해자의 긍정적 예후에 기여해야하는 책임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재난 심리지원과 트라우마 대상자 치유의 1단계 목표인 안정화를 위해 기술적 측면, 구호적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신체기반의 안정화 기법을 개발하고 심리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는 국내 재난 심리지원 실무현장과 관련된 경험적 지식을 구체화 시키고 기술적, 구호적 활용이
지원에 특성화 된 힐링키트를 제작함으로서 향후 실무 과정에서 활용하도록 하며 재난 심리지원 및 트라우마 회복 관련 업무 중인 실무자들에게 교육 자료로서 활용하여 국내 재난 심리지원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컨텐츠 개발을 실시하였다. 재난위기대응사업
(1) 신체표현 예술기반 안정화 기법 개발 •기간 : 2016. 04. 20 – 2016. 12. 31 •공동개발기관 : 한국 타말파 연구소 •안정화 기법 개발 TF구성 : 안산온마음센터 2명, 한국 타말파 연구소 3명 (총 5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05
•추진과정에 따른 flow chart 1단계
개발목적협의 (현장필요성 및 이론적 관점 논의)
2단계
프로그램 구성 원칙 협의 (대상 및 소요시간)
3단계
프로그램 대상논의 및 선정 (대상자 증상파악)
안산온마음센터 정신보건전문요원 /타말파연구소 연구원
1차 프로그램 구성 (구성타당도 검증)
4단계
2차 프로그램 구성
5단계
운영방식 및 움직임 관련 언어전략 수정 (프로그램 수정 및 확정) 1차 시행 및 피드백 수집 (대상자별 적용 및 검증)
6단계
2차 시행 및 피드백 수집 (대상자별 적용 및 검증)
효과성 검증 일관성 유지 위한 주시행자 통제 (타말파연구소)
12개 동작 추출 및 확정 프로그램 최종안 완성 (대상별 특화 프로그램 구성)
안산온마음센터 /타말파연구소
•안정화 기법 대상자 (4집단) - 세월호 참사 생존자/ 세월호 참사 유가족/ 심리지원종사자(정신건강전문가)/ 소방공무원
•안정화 기법 효과성 검증 - 1차 시행 : 2016년 11월 18일 09:00~19:00(총 9팀) - 2차 시행 : 1회차) 2016년 11월 24일 09:00~19:00(총 9팀) 2회차) 2016년 11월 29일 09:00~19:00(총 9팀)
•각 집단별 프로토콜 특성 및 동작 배치 - 개발된 12가지 안정화 동작을 기본으로 각각의 집단에 초기 적용되는 5분 모듈을 구성
10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fight-flight 반응 완결을 통한 안정화 도모 - 초기 5분 모듈 이후 각 대상의 특성에 따른 추가 5분 모듈을 구성하여 총 10분간의 모듈을 구성 416 심리지원사업
: 중추, 미주신경 안정화를 통해 freezing 완결 도모
10분 module • 느린 움직임, 작은 근육, 심부 근육을 활성화하여 중추신경 및 미주신경 안정화 416 활동지원사업
•얼어붙은 반응(Freezing)을 완결 지어 안정화하기
5분 module • 네 군의 대상이 거의 동일한 순서로
유가족 척추 및 흉곽-어깨의
• 큰 움직임이 특징, 직접 접촉, 큰 흐름, 힘, 리듬을 이용하여 안정화 하기 •신체감각을 활성화하여 안정화 하기
생존자 심장의 박동 및 신체 전면 감싸기로 안정화
• 싸우기-도망가기(fight or flight) 반응 을 완결 지어 안정화하기
정신건강전문가
소방대원
눈-목-어깨-흉곽의
복부의 미주신경 이완을
이완을 통한 안정화
통한 안정화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이완을 통한 안정화
진행함. (단, 대상에 따른 지시어가 특화 됨)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07
• 각 대상별 치료 프로토콜 구성 - 각 대상별 프로토콜의 시나리오 형식 보고서 제작 각 대상별 안정화 모듈 생존자
유가족
10분 모둘
10분 모둘
5분 모둘 두드리기 털기 밀기 내려치기 할퀴기 발구르기
5분 모둘 눈·목·어깨 회전범위 늘이기 아기곰 인형 껴안고 머무르기
5분 모둘 두드리기 털기 밀기 내려치기 할퀴기 발구르기
10분 모둘 5분 모둘 두드리기 털기 밀기 내려치기 할퀴기 발구르기
5분 모둘 바로 누워서 머리들어 올리기 엎드려 누워서 머리 들어 올리기 어깨·몸통 회전범위 늘이기 눈·목·어깨 회전범위 늘이기 기지개 켜기
10분 모둘 5분 모둘
바로 누워서 머리들어 올리기 엎드려 누워서 머리 들어 올리기 어깨·몸통 회전범위 늘이기 눈·목·어깨 회전범위 늘이기
5분 모둘 두드리기 털기 밀기 내려치기 할퀴기 발구르기
심리지원활동가(정신건강전문가)
5분 모둘 바로 누워서 머리들어 올리기 엎드려 누워서 머리 들어 올리기 기지개 켜기 머리액자 만들기 눈·목·어깨 회전범위 늘이기
소방공무원
(2) 힐링키트 제작 •일시 : 2016년 12월 12일 ~ 12월 20일 •힐링키트 구성 세부 내용 구분
목적 재난 심리지원 실무 과정 중 통합적인 문제 해결에 활용을 위함.
도구
세부내용 구성내용 참조
기대 효과
세부내용 구성내용 참조
전체구성사진
스트레스 및 수면
108
안산온마음센터
스트레스에 대비하기
패치
편안한 수면 유도하기
안대 핫팩
충분한 수면 취하기
안대
• 스트레스 지수 측정을 통한 자가검진 •심리지원 필요성 자각 •안구 긴장감, 이완유도 •수면 유도 • 채광 관련 환경과 관련된 제한점 해소를 통한 숙면 유도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구분
목적
건강한 기분전환하기
스프레이
아로마 밤
손 지압기
•신체 각 부위 긴장완화 •심리적 이완효과 • 신체 감각 향상을 통한 안정화 도모
•신체 각 부위 긴장완화 •심리적 환기효과 • 신체 감각 향상을 통한 안정화 도모
• 신체 부위별 자극을 통한 혈액순환 촉진 과 신체 이완
감각
기억노트
트라우마 정보 제공
안내문
• 기억 보조 도구를 활용한 기억력 저하 예방 및 불안감 감소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기억력 회복
416 활동지원사업
신체감각 활성화하기
아로마
기대 효과
416 심리지원사업
몸을 부드럽게 만들기
도구
기억
트라우마 관련 인식 향상
재난위기대응사업
인식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09
평가
●
성과
- 재난 심리지원 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제공할 안정화 도구 및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심리지원 종사자들이 효율적으로 심리지원 활동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심리지원이 필요한 대상자에게 외상관련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제공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 트라우마 대상자의 경우 초기에는 심리적 외상의 치유 활동에 대해서 회피하거나 거부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언어적 상담 등의 직접적인 심리지원 활동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와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심리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고 접근성을 높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기존의 트라우마 치료보다 대상자들에게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어 대상자의 예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안산온마음센터가 한국타말파연구소와 공동으로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신체기반의 안정화 기법을 개발하여 트라우마 치유에 대한 확장,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신체기반 안정화 프로그램의 활용에 있어 안정화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인 강사양성이 필요하며 대상자 에게 적용하더라도 대상자 스스로가 활용이 가능한 매뉴얼이나 영상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11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다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양성 및 교육
심리적 외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위기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레질리언스를 강화 할 수 있는 심리지원 교육을 제공하여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재난 시 심리적 외상을 예방하고 정신건강에 대한 홍보와 인식
416 심리지원사업
4.16세월호참사 이후 지역 내 학교, 소방서 등과 같이 트라우마 간접 피해자의 기관을 대상으로 외상 예방교육 및
개선을 증진한다.
4.16세월호참사 이후 안산 지역 내 아동청소년들은 이로 인한 직, 간접 피해에 노출되었다. 이로 인한 심리적 2차
인식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416외상에 피해를 입은 학교 심리지원 및 재난인식교육을 통해 2차 심리적 외상을 예방하고 트라우마에 관련 된 인식을 개선하여 트라우마에 대한 예방 및 정신건강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하였다.
416 활동지원사업
외상 피해를 예방하고 개인 레질리언스향상에 대한 욕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트라우마와 관련 된 정보 및
뿐만 아니라 416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 지역 사회 내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방관련 종사자에 대한 심리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소방관, 의무소방원, 소방 사회복무요원 등 소방관련 기관종사자는 외상 사건 강도 및 노출 빈도를 고려했을 때 PTSD로 이환되기 쉬운 고위험군(high risk group)에 속하지만 외상후스트레스에
심리관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안산소방서에 소속된 기관종사자들의 PTSD의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심리적 외상 회복을 돕고자 외상예방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대한 충분한 교육 없이 사고 현장에 투입되어 화재현장과 사고수습현장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어 이들에 대한
416외상 심리지원 및 재난인식개선 교육 ‘마음그린’
• 트라우마 인식개선과 외상 예방에 목적을 두고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아래와 같이 진행되었다. 2015년 학교
우선으로 신청을 받았고 캠페인, 교육이 제공되었다. • 학교의 사정으로 인해 진행 일시나 참여 여부가 달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전반적인 진행에는 별다른
재난위기대응사업
사업에 참여했던 학교가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416 유가족의 형제 자매가 많은 학교를
무리 없었으며 학교와 함께 트라우마 인식개선 및 외상을 예방하려는 사업 목표에 부합하였다.
마음클린 캠페인
•홍보물 배포 •트라우마 관련 정보 제공
•학생,교사, 부모 외상 예방 교육 구성 •집단 외상 예방교육 진행 (4회기)
마음네트 간담회 기획홍보사업
•트라우마 인식개선 캠페인
마음온 외상예방교육
•유관기관 네트워크 활동 •의뢰체계 구축 •유관기관 회의
2016년 사업보고서
111
마음클린 캠페인
마음온 외상예방교육
마음네트 간담회
-캠 페인의 경우 원래 3개의 학교가 참여 - 스트레스 관리 및 트라우마 예방에 대한 - 지 역사회 기관들의 지속적인 사업회의 하려 하였으나 개별 학교의 사정으로
프로그램 , 교육을 학생, 부모, 관계자
및 간담회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며
인해 총 2개의 학교만 사업이 진행되
에게 제공함으로써 416 간접피해
기관 간의 사업 협조도가 향상되었다.
었고 캠페인 진행 시 예상 인원보다 훨씬
학생들의 정서 및 행동반응을 보다 잘
많은 인원들이 참여하여 트라우마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에
관련 정보나 행사에 관심을 보였다.
있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다 수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참여도 - 학생 교육의 경우 일방적인 교육이 아닌 높은 편이였다.
스트레스 해소 및 안정화 방법에 대한 체험과 실습의 내용으로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효과성 평가에 있어서도 대체로 절반이상의 학생들이 스트레스, 우울도 등이 감소했다.
●
기관종사자 심리외상예방 프로그램 ‘마음톡톡(Talk Talk)’ 스크리닝
전체교육
외상예방프로그램 • 심리적 안정과 신체증상 완화를 위한
•스크리닝 검사 진행 절차 안내
•심리적 외상의 이해 및 스트레스 관리
•스크리닝 검사 결과 분석 및 안내
•회복 탄력성
자기관리 • 영화, 역할극 등 교육자료를 활용한 심리적 외상의 이해
- 자기보고형 설문지(스트레스, 외상사건 - 매 월 실시하는 안산시 전체 소방서 - 소방공무원의 근무 특징상 안산시 18개 척도, 우울, 알코올 남용),HRV를 통해
정기 조회시간에 교육이 진행되었다.
고위험군을 분류 했고 고위험군은
119소방안전센터에 직접 찾아가 심리 외상예방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비밀보장을 원칙으로 개별적으로 - 소방서 교육 담당자와의 협력으로 교육 통보했고 센터 서비스 절차를 적절히
진행에는 큰 무리가 없었으나 많은 - 신 체증상을 위주로 한 프로그램의
안내 했으며 추후 전문의 상담까지 진행
인원이 참석하고 교대근무의 특성상
진행이 참여율과 호응도를 높이는데
하였다.
어수선한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
도움이 되었다. - 소방서에 있는 지원 인력인 의무소방관과 소방복무요원에게도 심리적 외상과 자기 관리에 대한 교육을 영화나 역할극 등 이해하기 쉬운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했으며 교육의 효과성이 높게 평가 되었다.
112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16 재난심리지원 인식개선 - 416외상 심리지원 및 재난인식개선 교육 ‘마음그린’ 416 심리지원사업 416 활동지원사업
416 재난심리지원 인식개선 - 기관종사자 심리외상예방 프로그램 ‘마음톡톡(Talk Talk)’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416외상 심리지원 및 재난인식개선 교육 ‘마음그린’
재난인식개선 캠페인
홍보
시기
05월 27일 10월 20일
기관 및 대상
•경기도 교육청 •단원중학교
트라우마 예방인식개선 캠페인 진행 스크리닝 및 기억교환소부스 운영
•경기도 교육청 •선부중학교 •단원중학교
학생 홍보
실적
2회/1,362명
6회/232건 기획홍보사업
학교 프로그램 진행 시 홍보물 배포 및 온라인 홍보
5월 /10월
매체 및 온라인 홍보
내용
학교 및 기관
재난위기대응사업
구분
3회
2016년 사업보고서
113
구분 교육자료 개발
시기
3월 ~ 12월 학생/부모/기관
교육 트라우마 예방교육
간담회
기관 및 대상
내용
실적
학교 아동청소년 및 부모, 교사 외상 예방 교육 자료 구성
3회
학생 •선부중학교 •단원중학교
오감 활용 학생 외상 예방 교육 ① 스트레스 관리 ② 몸(심호흡/낙서/자세/수면/음식) ③ 마음(아로마/스트레스관리법,안정화) ④ 지지(도움을 나누는 법)
8회/60명
부모/교사 •단원중학교 • 경기도청소년상담 센터
부모/교사 대상 외상 예방 교육 ① 아이의 마음 상처 다루기 ② 아이의 행동 관찰 ③ 아이 마음지키기 ④ 학교 내 트라우마 다루기, 종사자 역량 강화
2회/135명
협력방안 논의
6회/31명
5 ~ 6월 7월
•경기도 교육청 •고잔초 •원일중학교 2월 ~ 12월 •단원중학교 •경일관광고등학교 •단원고등학교 합계
●
30회/1,820명
기관종사자 심리외상예방 프로그램 ‘마음톡톡(Talk Talk)’ 수행방법
대상
시기
교육
소방공무원
5월 10일 9월 8일
소방공무원
9월
외상예방 프로그램
의무소방원 3~11월 소방사회복무요원
정신건강 심리상담
소방공무원
11~12월
합계
114
안산온마음센터
내용
실적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관리 나를 위한 회복탄력성 기르기
2회/ 263명
컨디셔닝프로그램 힐링디브리핑
9회/ 127명
PTSD 교육, 집단상담, 스트레스 다스리기 스크리닝 및 HRV스트레스 측정 상담 안내 문자 및 전화 1:1 정신과 전문의 심리상담 지역사회 자원 안내
3회/ 23명 3회 / 60명
16회 / 16명
33회 / 489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만족도] ●
기관종사자 심리외상예방 프로그램 ‘마음톡톡(Talk Talk)’ - 1차 소방공무원 전체교육
교육은 안산소방서 소속 소방공무원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이해를 돕고 리질리언스 향상을 통한 외상예방에 있어
416 심리지원사업
‘나를 위한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관리’를 주제로 진행 된 소방공무원을 위한 외상예방프로그램 「마음디톡스」 전체
매우 의미 있는 교육이었다. 서면 평가는 소방공무원 12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92명인 74%가 만족도 조사에 참여하였다.
•교육 진행
구분
내용
교육 진행
평점 (100점환산)
1. 전반적인 진행
83점
2. 진행 일정과 교육시간
83점
3. 강사의 진행 방식
85점
416 활동지원사업
<표1> 교육 진행에 대한 내용
<표1>은 안산온마음센터의 교육 진행 및 일정, 강사 진행 방식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세 문항 모두 83점
피로감이 더욱 누적된다는 지적도 있었다. 반면 강사의 진행 방식은 8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로 응답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일부에서는 교육이 매번 PPT 형태의 일방적 정보 제공 형태로 진행되는데 소통을 할 수 있는 조별 활동이나 질의 응답식으로 진행되지 못해 지루함이 있었다는 응답도 있었다. 진행만족도
13%
진행 일정과 교육 시간
2%
2%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1%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12%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36% 그렇다 49%
강사의 진행 방식
매우 그렇다 37% 그렇다 44%
재난위기대응사업
보통이다
17%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이상으로 높은 만족도로 나타났지만 진행 일정에서는 교대 근무를 마치는 오전 조회시간에 교육을 참여하여
매우 그렇다 40% 그렇다 47%
•교육 시설 및 일정
구분 교육 시설 및 일정
내용 4. 나의 정신건강 정도에 대한 이해
평점 (100점환산) 83점
5.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83점
6.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과 방법에 대한 이해
84점
2016년 사업보고서
115
기획홍보사업
<표2> 교육 시설 및 일정에 대한 내용
<표2> 는 2015 안산온마음센터 교육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묻는 질문으로 교육 주제로 제시된 ‘나의 정신 건강 이해’,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이해는 5점 리커트 척도 평균을 100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평균 83점으로 나타났다. 6번 문항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과 방법에 대한 이해의 질문에서는 평균 84점으로 비교적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나의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도움 받을 수 있는 기관/방법
1% 17%
15%
보통이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31%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36%
매우 그렇다 31%
매우 그렇다 38%
그렇다 47%
그렇다 48%
그렇다 38%
•추후 교육 참여 여부 <표3> 추후 교육 참여 여부
24
아니요
68
예
0
10
20
30
40
50
60
70
80
<표3>은 안산온마음센터 전체교육에 또 참여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70%가 긍정적인 대답을 했다.
●
기관종사자 심리외상예방 프로그램 ‘마음톡톡(Talk Talk)’ - 2차 소방공무원 전체교육
‘나를 위한 회복탄력성 기르기’를 주제로 진행 된 제2차 소방공무원을 위한 외상예방프로그램 「마음디톡스」 전체 교육은 안산소방서 소속 소방공무원들이 자신의 심리적 취약점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는 동기부여를 통한 심리적 회복탄력성 향상과 PTSD 예방에 있어 매우 의미있는 교육이었다. 서면 평가는 소방공무원 13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101명인 73%가 만족도 조사에 참여 하였다.
11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교육 진행 <표1> 교육 진행에 대한 내용 내용
평점 (100점환산)
1. 전반적인 진행 교육 진행
83.6점
2. 진행 일정과 교육시간
83점
3. 강사의 진행 방식
84.6점
진행 만족도
진행일정과 교육시간
2% 그렇지 않다
1% 3% 매우 그렇지 않다
5%
매우 그렇지 않다
8%
그렇지 않다 8%
2% 매우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36%
매우 그렇다 31%
그렇다 54%
416 활동지원사업
보통이다
보통이다
강사의 진행방식 1%
2%
그렇지 않다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매우 그렇다 39%
그렇다 58%
그렇다 50%
방식은 8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로 응답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일부에서는 교육이 매번 PPT 형태의 일방적 정보 제공 형태로 진행되는데 소통을 할 수 있는 조별 활동이나 질의 응답식으로 진행되지 못해 지루함이 있었 다는 응답도 있었다. 진행 일정과 교육시간은 83점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여 일부는 진행 일정에서는 교대 근무를 마치는 오전 조회시간에 교육을 참여하여 피로감이 더욱 누적된다는 지적도 있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표1>은 안산온마음센터의 교육 진행 및 일정, 강사 진행 방식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강사의 진행
•교육 내용 <표2> 교육 내용
교육 내용
내용 4. 스트레스와 외상에 대한 이해
83.4점
5. 마음 회복활동(명상, 운동)을 위한 동기정도
82.8점
6.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과 방법에 대한 이해
83.8점
스트레스와 외상에 대한 이해 2% 그렇지 않다 7%
평점 (100점환산)
마음 회복활동을 위한 동기정도 2%
2% 매우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7%
매우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7%
2% 매우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36% 그렇다 53%
기획홍보사업
매우 그렇다 34% 그렇다 55%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이해 2%
2%
재난위기대응사업
구분
매우 그렇다 36% 그렇다 53%
2016년 사업보고서
117
<표2> 교육 내용에 대한 질문으로 교육 주제로 제시된 ‘스트레스와 외상에 대한 이해’, ‘마음회복활동(명상, 운동)을 위한 동기 정도는 5점 리커트 척도 평균을 100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평균 83점으로 나타났다. 6번 문항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과 방법에 대한 이해의 질문에서는 평균 83.8점으로 비교적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추후 교육 참여 여부 <표3> 추후 교육 참여 여부
27
아니요
68
예
0
10
20
30
40
50
60
70
80
<표3>은 안산온마음센터 전체교육에 또 참여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67%가 긍정적인 대답을 했다.
●
기관종사자 심리외상예방 프로그램 ‘마음톡톡(Talk Talk)’ - 외상예방프로그램
416세월호참사 이후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겪는 소방공무원의 레질리언스 향상을 위해 진행 된 찾아가는 소방 공무원 외상예방프로그램 「마음디톡스」는 안산소방서 소속 소방공무원들이 동료 간 공감과 상호 지지로 심리안정을 유도하고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셀프힐링법으로 심리적 회복탄력성 향상과 PTSD 예방에 있어 매우 의미 있는 프로그램이었다. 서면 평가는 소방공무원 1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 중 95명인 76%가 만족도 조사에 참여 하였다. •교육 진행 <표1> 교육 진행 구분
교육 진행
118
안산온마음센터
내용
평점 (100점환산)
1. 진행 만족도
89.1점
2. 진행 일정과 교육시간
89.4점
3. 강사의 진행 방식
91.4점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스트레스와 외상에 대한 이해
마음 회복활동을 위한 동기정도
2%
4%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416 심리지원사업
13%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이해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36%
매우 그렇다 34%
그렇지 않다 41%
그렇다 49%
보통이다 22%
그렇다 33%
매우 그렇다 63%
3% 그렇다
91.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로 응답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참여자들이 단순한 교육이론 형태가 아닌 신체를 이용한 이완법을 체험하고 집단 프로그램 형태의 디브리핑으로 업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던 것이 긍정적인
416 활동지원사업
<표1>은 안산온마음센터의 교육 진행 및 일정, 강사 진행 방식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것이다. 강사의 진행 방식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진행 일정과 교육시간, 진행 만족도는 각각 89.4%, 89.1%의 평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일부는 근무를 마치고 참여하여 누적된 피로감으로 집중에 어려움이 있었고 프로그램 중 현장에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 있었다.
•교육 내용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다수의 근무자가 현장으로 출동하면서 프로그램이 중단되거나 분위기가 흐트러진 것이 오히려 참여자들에게
<표2> 교육 내용 구분 교육 내용
내용
평점 (100점환산) 91점
5.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활력 정도
90점
스트레스와 외상에 대한 이해
5%
마음 회복활동을 위한 동기정도
보통이다
그렇다 35%
재난위기대응사업
4. 동료들과의 공감적 지지정도
7% 보통이다
매우 그렇다 60%
그렇다 36%
매우 그렇다 57%
활력 정도는 평균을 100점으로 환산하였을 때 91점, 90점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평소 업무적 대화 에서 벗어나 서로 간의 정서적 지지를 통해 동료애를 느끼고 신체이완요법으로 누적된 피로를 해소와 심리적 안정을 유도 한 것이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사업보고서
119
기획홍보사업
<표2> 교육 내용에 대한 질문으로 프로그램의 주 내용인 ‘동료들과의 공감적 지지정도’, ‘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적
•추후 교육 참여 여부 <표3> 추후 교육 참여 여부
8명
아니요
87명
예
0
20
40
60
60
80
100
<표3>은 안산온마음센터 전체교육에 또 참여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95명 중 87명인 92%가 긍정 적인 대답을 했다.
•교육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 - 자유로운 분위기와 평상시 생활하는 공간에서 진행하니 편안하고 좋았다. - 힐링캠프 시 같이 일하는 전체 팀이 참여하는 방법을 고려해보겠다. - 직원들과 좋은 시간을 보냈다. - 좋은 프로그램으로 생각된다. - 직원들과의 평소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껴졌다. - 의미있는 시간을 보냈으며 분기 1회 이상 했으면 좋겠다. - 월 1회 센터 방문하여 프로그램 진행해주었으면 좋겠다. - 자주 이와 같은 기회가 마련되었으면 좋겠다. - 직원 간 서로 얘기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더욱 친해질 수 있었다. - 서로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 시간대비 효율적인 교육이었으며 자주 이러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면 좋겠다. - 찾아가는 소방교육은 소방공무원의 치유에 있어 좋은 변화라 생각된다.
12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성과
- 416 간접 피해자 관련 기관과 사업 진행 전 간담회를 진행함으로써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사업 각자의 역할을 잘 할수 있어 원할한 진행이 가능했다. - 간접 외상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필요시 도움 받을수 있는 연계 체계를 마련하였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기관의 사정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일정이 변경되거나 참여 어려운 경우 있어 기관 간 사전 협의 시 충분한 조율 시간을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 특히 학교 사업에서 지역 내 정신건강과 관련된 예방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이 많아 중복되는 사업들이 많았고 416 직접 피해자인 유가족의 형제자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형제자매가 많이 분포되어있는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학교를 우선으로 신청 받았지만 일반학생에 비해 형제자매의 참여율이 저조한 부분이 있어 사업의 방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심 리외상예방프로그램의 경우 소방공무원 전체 교육이 찾아가는 심리외상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족이 낮았고 찾아가는 심리외상 프로그램의 경우 교육 횟수를 늘려달라는 요청이 많았다. 찾아가는 심리외상 프로그램의 경우 외부 강사를 통해 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니 프로그램을 늘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21
라 심리지원 자원봉사자 양성 일반 시민(시민치유단, 대학생 포함)을 대상으로 심리지원 자원봉사자 양성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재난 시 재난 심리지원 전문가와 더불어 피해자에게 심리적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고, 자원봉사자의 2차 간접 외상 및 소진 예방을 도모하고자 한다.
416세월호참사와 같은 대형 참사 및 재난 현장에는 여러 단체 및 자원봉사자의 활동지원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활동지원은 주로 구호 및 물적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필요 시 심리지원에 대한 서비스가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자원봉사자는 재난 피해자에 대한 사전적 이해 및 훈련 없이 재난 현장에 투입됨으로써 피해자의 심리적 안정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 자신의 정신건강을 케어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416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 4월, 평소 우울 증상이 있던 416세월호참사 자원봉사자 한 명이 자살하는 사례가 있었다 (SBS뉴스, 2014.07.07.). 이는 재난 현장에 투입되기 전 자원봉사자의 상태 파악 및 재난 피해자에 대한 이해가 없이 바로 투입되어 자원봉사자의 간접외상이 영향을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차별화된 재난심리지원자원봉사자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교육을 받은 자원봉사자가 재난 현장에 투입되어 재난심리전문가와 함께 효율적으로 재난 피해자의 심리지원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자 심리적 응급처치(PFA) 교육을 시행하였다.
자원봉사자교육 - 일반인
122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자원봉사자교육 - 대학생 416 심리지원사업 416 활동지원사업
시간
2016년 10월 10일 ~ 10월 11일
18시 ~ 22시
2016년 11월 26일
10시 ~ 17시
대상
주제 및 강사
인원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2차 양성교육 ‘우리동네 마음지킴이’ 안산시 통반장 및 시민 치유단
김미숙(안산온마음센터)
34명
조동희(안산온마음센터) 박소연(안산온마음센터)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1차 양성교육 ‘마음더함+’
대학생 자원봉사자 김미숙(안산온마음센터)
29명
조동희(안산온마음센터) 총계
63명
전체만족도 4.67
1차
4.9
4.4
시간
4.57
4.8
이론
4.85
4.6
실습
4.85
4.9
이해도
5
5
전반적 사항
4.82
4.8
재 참여의사
5
4.8
기획홍보사업
장소
4.1
2차
추천도
2016 심리지원 자원봉사자 양성교육 만족도 조사 항목의 전 범위에서 5점 만점 중 4점 이상의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사업보고서
재난위기대응사업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기간
123
●
세부만족도
3. 이론 교육 •이론 교육 만족도 : 4.68점 / 5점
4.85 4.8 4.8
4.75
• 평가 : 실습을 진행하기에 앞서 재난 심리지원에 대한 이해를 위한 이론 교육이 진행되었다.
4.7 4.65
1차 교육의 경우, 심리적 응급처치에 대한 이론 교육을 이루었으며
4.6
자원봉사자의 소진 및 간접외상에 대한 내용은 다루지 못한 아쉬움이
4.55
남았다.
4.57
4.5
2차 교육의 경우, 심리적 응급처치에 대한 이론적 교육뿐만 아니라
4.45
1차
2차
자원봉사자의 소진 및 간접외상에 대한 내용까지 다루어 그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게 평가된 것으로 파악된다.
4. 실습 4.9
•실습 교육 만족도 : 4.72점 / 5점
4.85
• 평가 : 이론 교육 후 가상 재난 현장을 통해 재난 심리지원을 경험
4.85
4.8
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4.75 4.7
심리적 응급처치의 경우, 심리지원에 대한 이해가 없었기 때문에
4.65
재난 피해자를 대할 때 부담감이 적었고 그에 따라 오히려 적절한
4.6 4.6
4.55 4.5
심리지원을 이루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또한 실습으로 구성된 자원봉사교육은 전무후무했기 때문에 본
4.45
1차
2차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이해도 4.91
•재난 심리지원 이해 만족도 : 4.87점 / 5점
4.9 4.9
4.89
• 평가 : 심리적 응급처치의 경우 전문가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 또한
4.88
시행할 수 있는 심리지원 서비스이며, 교육 내용을 자원봉사자용으로
4.87
제작함으로써 교육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구성하였다. 특히 재난
4.86
심리지원에 대한 이해가 없었던 시민들이 본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4.85 4.84
4.85
재난 현장에서 자원봉사자의 역할, 재난 피해자들의 심리적 지원
4.83 4.82
124
등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의견에 따라 높은 평가가 1차
안산온마음센터
2차
나타났다.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6. 전반적 사항 •이론 교육 만족도 : 5점 / 5점
6 5
5
• 평가 : 1, 2차 만족도 평가에 참여한 61명 모두 전반적 사항의 만족 도에 대해 ‘매우 그렇다’라고 표시하여 5점 만점 중 5점을 나타냈다.
3 2
진행 상황에 대한 전반적 내용으로는 식사, 다과, 휴식 공간, 교육
1 0
1차
2차
416 심리지원사업
5 4
구성 등이 있으며 대체로 만족한다는 의견이었다.
7. 재참여 의사 •이론 교육 만족도 : 4.81점 / 5점 • 평가 : 1차 교육의 경우, 추후 교육 진행 여부 및 간담회 등에 대한
4.82
계획을 묻는 질문이 많았고 이에 따라 재참여 의사도 매우 높았던 4.8 1차
2차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차 교육에 참여한 시민치유단은 교육에
416 활동지원사업
4.825 4.82 4.815 4.81 4.805 4.8 4.795 4.79
대한 욕구가 높은 편이고, 연속성 있는 모임이기 때문에 교육 재참여가 가능함에 따라 만족도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8. 추천도 •이론 교육 만족도 : 4.9점 / 5점 • 평가 : 1차 교육의 경우 만족도 평가에 참여한 28명 모두 ‘매우 그렇다’에
5
표시하여 5점 만점의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따라 향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재난 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을 진행할 경우, 1차
4.8
본 교육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통해 교육 홍보 등을 이룰 수 있을 것
2차
으로 파악된다. 2차 교육의 경우 재난 상황 시 자원봉사자의 역할이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5.05 5 4.95 4.9 4.85 4.8 4.75 4.7
중요함을 알고 더 많은 자원봉사자들이 교육에 참여하면 좋겠다는 의견에 따라 추천도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재난위기대응사업
평가 ●
성과
- 심리적 응급처치(PFA)는 전문가뿐만 아니라 재난심리지원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자원봉사자 또한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에 참여한 일반인들이 교육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심 리적 응급처치(PFA)의 이론 뿐 아니라 가상의 재난 현장에서 재난 피해자와 지원 인력으로 역할극을 해 봄으로써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교육 효과가 높았다. 기획홍보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심리적 응급처치(PFA) 교육 구성에 있어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아 향후 교육 진행에 있어 이에 대해 고려해보고 조정해야 할 것이다.
2016년 사업보고서
125
마 재난위기대응지원 재난위기대응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해 재난 상황 시 관련 지원 서비스를 구성하고 내용을 마련하여 앞으로의 재난 상황 시 위기대응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재난 상황에서도 대비가 가능한 서비스 지원 , 심리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1) 재난 발생 시 서비스 흐름도 사건발생
출동범위 안산 내 - 무조건 출동 경기도내 경기도 외
의뢰(의뢰서) (3일이내) 출동 및 파악
현장출동
1차 평가
지역기반 지원(간접)
심리응급지원(직접)
실무자 지원
팀 출동
자원 안내 및 연계
스크리닝 위험성 평가
blue 정보제공
yellow (위험군) 트라우마 교육
(직접지원)
126
안산온마음센터
심리적지원이 가능한 센터일 경우 기관 및 실무자 지원
red (고위험군) 심층상담 정신 의학적 접근
응급가이드라인 교육 실무자 간접피해 예방 교육
- 심리적 응급처치 - 고위험군 발견 시 대처 방법 - 스크리닝 교육자료 제공 - 스크리닝 도구지원 - 키트지원
- 소진예방 - 간접피해 예방 - 스크리닝
실무자 피해 예방 교육
고위험군 선별
blue (정상군) 책자 배포 정보제공
yellow red (위험군) (고위험군) 외상예방 심층상담 집중교육 교육2시간 프로그램 2시간
(간접지원)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2) 재난위기대응 서비스 구성 및 안내 사건 발생 이후 의뢰과정 사건발생 및 의뢰접수
416 심리지원사업
●
- 재난 사건이 발생 - 재난의 특성 파악이 필요 - 재난에 대한 필수 정보가 담긴 의뢰 서식을 통해 접수 - 의뢰된 정보를 토대로 분석을 통해 코드 분류를 정하기 - 서비스의 범위와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를 고려
현황 분석
- 의뢰접수 이후에는 무조건 3일내 1차 출동
직접서비스 /간접서비스 분류
- 직접서비스 : 심리적 응급지원이 필요한 경우, 안산 내에서 재난이 일어났을 경우 3일이내 출동 - 간접서비스 : 심리적지원이 가능한 센터가 있는 경우 지역 내 기반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 및 자원 연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416 활동지원사업
외상 사건의 종류/ 재난 생존자의 단계/ 지역사회 자원 파악/ 재난으로 인한 문제 파악 (특정 심리적 문제 , 비특이적 스트레스 반응들, 건강문제, 생활상 문제, 자원손실 등)
재난위기대응 시 직접서비스 내용 Blue(안전군) 심리 응급 지원 (직접서비스)
방문
스크리닝 Yellow(위험군)
위험성 평가 및 대상자 분류
재난위기대응사업
사전 의뢰기관과 조정 및 역할분담 논의
RED(고위험)
심리 응급 지원 •재난 발생 시 의뢰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에 직접 출동 지원 •현장 방문 전 자원을 파악, 의뢰기관과의 역할분담 및 서비스 범위 조정 기획홍보사업
* 사전 조정과정 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 - 재난 상황 시 공식적 협력 요청에 의해 상담지원 인력 참여 - 재난의 규모에 따라 팀의 숫자가 결정되며 최소 3명 이상으로 구성되어 서비스를 제공 * 20명당 1명의 의사와 2명의 전문요원으로 팀 구성
2016년 사업보고서
127
재난 현장 방문 • 재난 현장을 수습하는데 조정 역할을 수행하고 해당 정신건강센터와 협력하여 응급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기개입을 수행 * 재난현장 방문 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활동들 •방문 시 안내책자, 전시물 등을 통해 응급연락처를 포함한 지침과 대응요령 안내 •재난 직후 재해지역에 직접 나가서 활동하는 아웃리치 활동 •재해에 대한 정보제공 •일반적 심리교육 및 간이상담 •구호종사자 및 지역보건 종사자에 대한 심리적 교육 •지역사회와 집단 대상 FPA 및 PTSD 관련 예방 교육 •자원 연계 및 지원
위험군 분류 전 평가 •재난 현장 방문 시 심리적 지원에 필요한 피해자 면담. 선별검사는 선택적으로 진행 •심리적 외상 정도에 따른 위험군 분류 후 개별 서비스 진행 •개인적으로 반응이 다르고 개인차가 있어 외상 사건에 대한 반응을 미리 숙지 기본 평가항목
1. 성별
2. 피해자의 기본정보
내용 여성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불안, 우울증상을 주로 보임, 남성은 알코올 남용, 적개심 이나 행동화 증상 자주 보임
개인력, 가족력, 재난 이전의 신체 질환, 정신과적 질환, 알코올이나 약물 남용, 경제 수준과 사회적 지위, 직업종교 등
3. 신체적 손상 정도 / 가까운 사람의 상실 여부
상실한 부분이 크면 클수록 정신과적 질환의 발생 증가
4. 비 외상성 스트레스
재난, 생계 수단 및 터전, 미래에 대한 계획, 사회적 품위, 법적인 문제
기존의 스트레스 정도, 아동기에 방치나 학대 경험, 과거 다른 재난, 외상 사건의 경험, 5. 대상자 특성
가족 주변의 지지 정도, 부정적 사건을 어떻게 해석해왔는가?, 자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해왔는가?
12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재난현장 방문 시 사용 할 수 있는 선별검사
416 심리지원사업
•외상 관련 선별검사 척도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 (PTDS Checklist: PCL) : 미국의 국립외상후 스트레스장애센터에서 개발한 도구 - 개정판 사건 충격 척도 (IES-R) : 외 상 경험 후 충격과 적응 과정을 평가하는 사건충격척도로 PTSD 증상에 완전히 맞지 않지만 많은 국가에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져 사용 - 외상후 진단척도 (PDS) : 트라우마 진단과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도구
416 활동지원사업
•건강 관련 선별 검사 척도 - 건강질문지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 우울척도 (CES-D) - 스트레스 척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위험군 분류 및 지원 서비스 •심리적 위험성에 따라 분류하여 개별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함. 단계
판단기준
지원 서비스 •징후 감시활동
안전군
•외상으로 인한 별다른 피해가 없는 경우
(Blue)
•스크리닝 안전군
위험군
•외상으로 인한 간접 피해가 있는 경우
•트라우마 안정화 교육
•스크리닝 중위험군
•안정화 실습 프로그램
•안정화 정보제공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일상생활 복귀 유도
(Yellow)
재난위기대응사업
•재난상황 모니터링
•트라우마 관련 정보제공
고위험군 (red)
•재난으로 인한 직접 피해자
•지속적인 정신과 전문의 심층 상담
•스크리닝 고위험군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29
3) 재난위기대응 시 간접서비스 지원
지역기반 지원 (간접서비스)
재난위기 지원 자원 구성
교육 자료 및 도구 지원 실무자 소진 예방 실무자 지원 PFA 교육 및 도구 지원
정보제공 (책자 및 키트 제공 )
고위험군 선별 분류 후 필요 자원 연결
집단교육 및 프로그램
전문의 심층상담연결
재난 위기 지원 자원 구성 •재난 규모에 트라우마센터에서 재난 현장으로 파견 및 지원 업무를 수행 •지역사회를 도울 수 있는 자원을 최대한 발굴 및 조정 •재난 현장 수습하고 연계할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하여 해당 정신건강증진센터와 협력 * 유관기관, 단체 -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 국립정신건강센터, 각 시,군, 구의 정신건강증진센터 - 경찰서, 소방서, 적십자사 등 * 관련 학회, 협회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한국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임상심리학회 -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사 협회, 정신간호학회 등
교육 자료 및 도구 지원 •의뢰기관에 심리적 응급처치 및 외상 관련 된 교육 자료나 책자를 지원 •재난 규모에 따라 지역주민에게 외상 예방 교육 및 프로그램 지원 •재난 규모에 따라 개별 면담 시 활용 할 수 있는 선별검사 및 안정화를 위한 키트를 제공
13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실무자 지원
•소진 예방 교육 •안정화 프로그램 1회 이하 트라우마 고위험군과 서비스 동일
심리적응급처치 교육 및 도구 지원
416 심리지원사업
실무자 간접외상 및 소진 예방
•재난회복지원 관련 물품 지원 (교육용 책자, 센터 리플렛, 기관 안내용 리플렛 등)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 및 지원 (교육 교재 및 키트 지원)
416 활동지원사업
평가 ●
성과
- 416 참사 초기의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 발생 시에 기관 차원의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의 틀을 마련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기관에서 심리지원이 가능한 지역, 지원 범위, 지원지역 내 심리지원기관과의 역할 등 재난위기대응 기관 으로써의 기관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31
바 재난위기대응사업 종합평가 ●
재난 심리지원의 기틀을 마련하다.
• 2014년 416세월호참사 초기 심리적 지원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위기대응시스템을 구축하고 나아가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대상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심리적 응급처치의 체계화, 신체안정화, 힐링 키트 등 컨텐츠 개발이 이루어졌다.
●
416 피해자 대상 심리지원 범위를 넓히다.
• 416 세월호 참사 초기 안산지역을 중심으로 단원고 유가족 심리지원을 진행 했다면 2015년에는 단원고 생존자 심리지원을 확대했고 2016년에는 416 미발굴 사업을 통해 타 지역에 거주하는 미 발굴 피해자까지 심리지원을 확대했다. 그리고 416직접피해자 외 간접피해자의 심리지원에도 힘썼다.
●
재난심리지원전문가로써의 전문성을 향상 시키다.
• 심리적 외상과 치료의 특징을 반영한 교육구성으로 이론과 시연을 같이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참석자의 만족도도 높았다. • 해외 전문가를 초청해 국제에서 통용되는 재난심리지원 시스템에 대한 교류는 재난 실무 현장에서 업무하는 인력의 역량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 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역별 재난심리전문가교육은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지역의 재난 심리지원전문에게 교육의 기회를 마련하게 되었다.
132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16 심리지원사업
05 기획홍보사업
416 활동지원사업
416세월호 참사 이후 트라우마와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고, 연구지원, 심포지엄 등을 통해 사업의 근거 및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1) 온라인 홍보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유관기관종사자,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심리지원 및 기관에 대해 알리기 위하여 홈페이지와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가 심리지원 홍보사업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운영하였다. 홈페이지는 센터 사업 홍보 및 제작자료 공유를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페이스북 팬페이지는 센터 프로그램을 적시에 홍보하는 매체로 활용하고 있다. 홈페이지는 운영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장착하는 개편을 진행하였고 페이스북 펜페이지는 꾸준한 활동과 이벤트를 진행하여 구독자를 재난위기대응사업
증가시켰다.
1 홈페이지 운영 홈페이지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33
방문객 3,733
4,000 3,500 3,000
2,795
3,072
3,367
3,119 2,805
2,940 2,615
2,485
2,756 2,318
2,500
2,119
2,000 1,500 1,000 500 0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 페이스북 팬페이지 SNS
•구독자(좋아요) 회원 : 996명(2016.12.31.기준)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누적
좋아요 증가
2명
1명
13명
39명
16명
7명
7명
29명
42명
3명
14명
0명
173명
게시글
0명
1명
4명
8명
11명
10명
6명
4명
3명
7명
6명
2명
62명
비고
134
9월 : 13차 소식지 이벤트/홍보행사-SNS좋아요 이벤트 10월 : 14차 소식지 이벤트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10,000
8,945
9,000
9,135 8,203 416 심리지원사업
8,000 6,551
7,000 6,000
4,982
4,768
5,000 4,000
4,635
4,007
3,828
2,352
3,000 2,000 1,000
865
1,115
1월
2월
0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416 활동지원사업
평가
●
성과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홈페이지 게시판을 이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게 구성하고 구글웹로그 분석 기능을 탑재하여 센터자료 관리 및 분석이 용이 해졌다. - 홈페이지 이용자에게 자료 열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접근성을 높이고 재난 및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했다고 평가된다. - 홈페이지 이용자가 센터와 관련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었으며, 게시판 기능변경을 통해 이용자와의 소통기능이 강화되었다.
재난위기대응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홈페이지 고도화를 진행하여 새로운 기능을 탑재하고 페이스북 팬페이지, 재난심리지원플랫폼과 연동이 필요하다. - 홈페이지 홍보를 통해 일반인들의 유입율을 증가시키고 이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재난 및 트라우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추가가 필요하다. - 향후에도 페이스북 펜페이지를 기획홍보행사, 소식지 등과 연계하여 온·오프라인 홍보를 동시에 진행하고 정기 구독자의 유입을 증가시킬 예정이다.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35
2)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 구축 안산온마음센터는 재난심리지원 및 트라우마 관련 전문자료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유하여 재난 및 트라우마 심리지원 분야에서 센터의 역할 및 기능을 확장시켰다.
•개발 및 운영 기간 : 2016년 10월 ~ 12월 •주소 : www.ansantrauma.net / www.ansantrauma.org
통계사이트(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 구축
평가 ●
성과
- 안산온마음센터는 전문자료를 효과적으로 보관하는 동시에 본 센터에서 제작한 자료를 공유하여 재난 직·간접피해자들을 위해 재난 및 트라우마 심리지원의 정확한 대책 및 지원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자료실은 센터자료와 외부자료로 구분하여 업로드를 진행하고 그 자료들을 바탕으로 센터 운영방향과 정책에 참고 할 수 있도록 상호연계 및 분석을 진행 할 예정이다. - 재난심리지원플랫폼은 홈페이지와 연동하여 사업 및 센터 홍보와 더불어 전문자료 다운로드에 편의성으로 향상시키고 센터의 정보제공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13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3) 홍보물 및 홍보자료 제작
제작자료, 홍보물 등을 제작하였다. 사용목적에 따라 홍보물 및 홍보매체를 전략적으로 제작하고 배포함으로써 416세월호참사와 안산온마음센터 사업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416 심리지원사업
416세월호 참사 피해자 및 지역주민들에게 트라우마 및 재난심리지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리플렛, 소식지,
소식지 & 리플렛
416 활동지원사업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홍보물품
재난위기대응사업
●
홍보물 제작 실적 수량
팔찌
4,000개
손수건
300개
스트레스 회복키트
300개
쇼핑백
1,000개
차량스티커
1,000개
네임스티커
2,000개
홍보대상 일반시민 및 유관기관 기획홍보사업
홍보물품
홍보물
유관기관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2016년 사업보고서
137
홍보물
수량
홍보대상
엽서
400개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핸드폰 거치대
1,500개
물병
1,000개
볼펜
2,000개
우산
477개
총계 홍보자료
일반시민 및 유관기관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13,977개 13, 14차 소식지
4,000부
리플렛
2,000부
총계
일반시민 및 유관기관
6,000부
평가
●
성과
- 홍보물은 사용목적(기관방문 및 교육용, 일반배포용)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하고 배포하여 센터 및 사업을 효과적으로 홍보하였다. - 안산온마음센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소식지와 연구전문자료를 제작 하고 배포하여 센터 전반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전문적인 지식정보를 제공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일반시민들이 416세월호 참사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아이템을 기획하고 다양한 종류를 제작하기 보다 질 높은 아이템을 제작하여 폭 넓게 사용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13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 전문자료제작 및 배포 1 트라우마길라잡이 ‘보듬(따)뜻하게’ 추가제작 및 배포 416 심리지원사업
•기간 : 2016년 7월 ~ 9월 •제작 : 1,000부 트라우마길라잡이 ‘보듬(따)뜻하게’ 추가 제작
목차 416 활동지원사업
트라우마, 나만 그런 것이 아니다 소아·청소년의 트라우마 사랑하는 사람을 상실 했을 때 불안온도계, 내 마음의 상태 체크하기 스스로를 돕는 심리치유, 안정화기법
횟수
배포방법
배포부수
재난심리인식개선교육 단원고등학교 마음케어 프로그램
1회
직접배포
800부
유가족
1회
직접배포
75부
지역주민
1회
직접배포
75부
유관기관
2회
직접배포
50부
총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대상
1,000부
재난위기대응사업
2 연구발간집 제작 및 배포 •기간 : 2016년 12월 15일 ~ 12월 27일 •제작 : 400부 연구발간집 제작 및 배포
내용 2014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기반 사회심리 및 안전 기획홍보사업
인식도 조사(1차년도)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기반 사회심리 및 안전 인식도 조사(2차년도)
2016년 사업보고서
139
평가
●
성과
- 안산지역 고등학교에 트라우마교육자료를 배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트라우마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을 도왔다. - 유관기관 실무자에게 전문자료를 배포하여 실무당사자 뿐만 아니라 대상자들에게 트라우마 지식을 전달하였고 스스로 점검·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향후 트라우마 전문 교육자료를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고 배포하여 일반시민에게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지식에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한다.
5) 홍보행사 416세월호참사 이후 안산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트라우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단원구에서 1회, 상록구에서 1회 홍보부스를 운영하였다. 안산시민들이 트라우마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였고 더불어 안산온마음센터와 진행되는 사업에 대해서도 홍보할 수 있는 기회였다.
대내외 홍보행사
14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홍보행사 실적 행사명
장소
진행내용
참여인원
2016년 4월 30일
2016년 마음건강 어울림 한마당
25시 숲의 광장
홍보물 배포, 트라우마 OX퀴즈, 원예치료 체험
350명
2016년 9월 24일
2016년 건강체험 한마당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홍보물 배포, 복식체험(파이프공놀이), 마음안정체험(컬러링), 페이스북 이벤트
566명
총계
416 심리지원사업
기간
916명 416 활동지원사업
평가
●
성과
- 홍보부스에 많은 안산시민들이 참여하였으며, 트라우마 인식개선 뿐 아니라 센터의 사업 및 역할을 함께 알릴 수 있어 효과적이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홍보행사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심유도를 위해 페이스북 펜페이지 [좋아요] 이벤트를 통해 구독자를 모집하였고 이러한 구독자들이 추후 [엄마랑함께하장, 대시민강좌] 등의 센터 행사로 유입되어 긍정적인 홍보효과를 보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홍보부스운영을 통해 트라우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개선과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도모 재난위기대응사업
하였으나 여전히 일반인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좀 더 쉽게 이해할수 있는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기획이 필요하다. - 정신건강과 관련된 유관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행사를 진행함에 있어 기관 간에 소통하고 교류할 기회가 부족했다. 향후 유관기관 네트워크 간담회와 연계하여 기관 간에 교류의 기회를 갖고 행사를 함께 기획 한다면 질 높은 홍보행사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41
나 연구지원 안산온마음센터는 설립 3년차를 맞이하면서 재난 및 트라우마 관련사업,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양성 등 다양한 역할이 요구됨에 따라 사업의 범위와 기능을 재정립하고, 발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대한정신건강재단과 함께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연구결과 요약
•재난심리지원체계 안정화를 위한 관련 법률 및 제도의 보안 - 재난심리지원 관련 법률의 보안 - 재난심리지원 관련 부처 간 협력 필요성 - 국가재난대응체계에 통합된 재난심리지원시스템 구축 -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통한 재난심리지원인력 양성·관리방안 마련 필요 •재난심리지원센터의 중·장기 실행계획 - 416세월호참사 희생자 유가족 및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 지원관련인력에 대한 중·장기적 심리지원방안 마련 - 실무경험과 해외협력을 통한 국가재난심리지원인력 양성·교육·연구기관으로서의 활동필요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
평가 ●
성과
- 안산온마음센터의 지속운영에 대한 필요성 및 심지원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센 터의 효과적인 운영방향 및 기능에 대해 모색해 볼 수 있었다. - 연 구결과가 재난 발생이후 설립된 정신건강트라우마 센터로 공공의 영역에서 심리지원서비스, 체계적인 위기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가지는 의미가 있으며 향후 재난 발생 시 시스템 구축 및 사업운영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연구주제가 많은 자료검토와 해외의 다양한 사례를 살펴봐야하는 과업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기간이 짧았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한 추가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42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다 전산시스템 관리
해왔다. 상시적으로 오류 및 수정사항 등을 파악하여 안정적인 전산시스템을 운영해왔으며, 하반기에는 전산 시스템의 좀 더 편리한 운영을 위해 ATIS 1.0 리뉴얼을 기획하고 진행하였다.
416 심리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의 정확한 실적 및 자료 보존을 위해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위하여 전산시스템을 관리
전산시스템
416 활동지원사업
전산시스템 ATIS 1.0 리뉴얼 내용 구분
개선요건
개발요건
리뉴얼 세부내용 부서생성기능
부서생성, 부서명칭 변경
직원등록기능
부서별 등록기능(부서 분할시 해당업무 자동이전 가능)
개인별 통계 기능
변경 발생 시 개인 실적으로 되어있는 모든 자료를 개인 인사이동으로 변경 가능
권한생성기능
업무별 페이지로 ‘글쓰기’나 ‘보기’ 권한을 각각 부여
개발공통
모든 개발의 업무부분을 객체로 분리
표준 UI/UX 개발
센터에 맞는 UI/UX시스템 구축
시스템 개발
메뉴관리, 메뉴등록관리, 포탈기능 개선 재난위기대응사업
평가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성과
- 기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서 신뢰할 만한 실적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었고, 전산시스템 화면을 재설계하여 편리한 사용환경으로 업그레이드 하였다. 또한 권한관리를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실무자 에게 필요한 업무에 맞추어 전산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기획홍보사업
●
- 시간이 지나면서 대상자의 다양한 욕구와 필요에 의해 자연스럽게 사업과 진행방식의 변화가 나타났지만 현재 전산시스템 상에서는 구현되지 않는 통계와 분석 자료들이 존재한다. 향후 추가적인 개발로 실적 산정에 있어 편리함과 신뢰성을 높이고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사업의 근거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2016년 사업보고서
143
라 운영회의 및 자문회의 안산온마음센터의 원활하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관계공무원 및 도의원, 센터 이용자 대표, 관계전문가 등 총 11명 의 운영위원을 구성하였고 총 3회(3월/6월/12월)의 정기적인 운영회의를 마련하여 센터의 사업계획 및 사업실적, 프로그램 개발·평가에 관한 사항 검토, 지역사회의 협력과 관련된 사항 등을 센터 전반에 관한 주요사항 논의 및 조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전문성 및 체계성 향상을 위해 정신의학, 심리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15명의 전문가를 구성하여 총 3회(5월/8월/11월)의 정기적인 자리를 마련하였다.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대한 자문과 센터 운영 전반 기능 검토, 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등의 논의안건으로 자문을 진행 하였다.
운영회의
자문회의
144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운영위원회의 진행 실적 주요논의
1차
2016년 3월 3일(목)
운영규정 및 연간사업 운영
2차
2016년 6월 23일(목)
단원고 생존학생 심리지원 416세월호 참사 파해자 실태조사 진행여부
3차
2016년 12월 1일(목)
2016년 사업보고 및 2017년 사업계획 공유
1차
2016년 5월 3일(화)
일반시민과 유가족 통합 프로그램 및 협력 방안 416세월호 참사 유가족 전수조사 진행관련
2차
2016년 8월 23일(화)
세월호 선체 인양시 심리지원 및 시스템 구축 방안
3차
2016년 11월 3일(목)
유가족, 생존자, 일반시민의 욕구 수용 및 사업연계 방안
416 활동지원사업
자문회의
일시
416 심리지원사업
운영회의
구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평가 ●
성과
- 센터 운영 전반에 대한 사항과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 및 근거를 확보함에 있어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들을 수 있어 센터의 운영방향 및 역할들에 대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재난위기대응사업
●
- 다양한 전문영역의 전문가로 운영위원을 구성하여 회의를 진행하다보니 운영위원의 회의참석율이 낮았다. 향후에는 더 많은 위원들이 참석할 수 있도록 운영위원회의 일정을 미리 계획하고 공유 할 예정이다. - 정기적으로 운영되는 자문위원회의 외에 관련전문가에게 개별 자문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프로그램 진행시 적절한 자문을 진행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45
마 학술대회 1) 트라우마 심포지엄 2016년 안산온마음센터는 센터의 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트라우마 및 재난심리지원 전문가를 모시고 연구결과를 공유하여 재난심리지원영역 내 공공의 역할, 트라우마센터의 기능에 대해 모색해 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진행내용
강연자
세션1. 재난 및 트라우마센터 운영사례 (좌장 : 하규섭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 단장) 안산온마음센터 운영사례 국립정신건강센터 운영사례 서울스마일센터 운영사례
고영훈 _안산온마음센터장 전경선 _국립정신건강센터 공공정신건강사업팀장 김태경 _서울스마일센터장
세션2. 공공영역의 트라우마센터 기능 및 방향성 (좌장: 황태연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사업 부장) 공공영역의 트라우마센터 기능 및 방향성Ⅰ
석정호 _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부교수
공공영역의 트라우마센터 기능 및 방향성 Ⅱ
백종우 _경희의대 정신건강의학과 부교수 홍영미 _416가족협의회 심리생계분과장
지정토론
김연희 _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이명수 _경기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장 이현정 _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 교수
트라우마 심포지엄
146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트라우마 심포지엄 진행 실적 시간
장소
참여인원
2016년 12월 5일
13시~18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의생명산업연구원
80명
416 심리지원사업
기간
평가 416 활동지원사업
●
성과
- 재난심리지원 및 트라우마 치유 기관의 운영사례를 한자리에서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각 사례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을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수 있었고, 향후 센터의 역할 및 방향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 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결과를 정해진 짧은 시간 안에 요약하여 발표하다보니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기엔 배정된 시간이 부족하였으며 추후 연구결과를 면밀히 논의 할 수 있는 간담회 자리를 추가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연구종료시점에 맞춰 12월에 심포지엄을 진행하게 되면서 시기적으로 많은 유관기관의 실무자들이
재난위기대응사업
참석하지 못하였다. 차후에는 일정을 고려하여 미리 홍보하고 많은 사람들이 참석가능한 일정으로 계획 할 예정이다.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47
바 정신보건 유관기관 네트워크 간담회 정신보건 유관기관의 공동사업 논의 및 심리지원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모임으로 시작하였으며, 사업공유 및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홍보담당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운영하기로 협의하였다. 네트워크 간담회에 참석한 홍보담당자들의 제안을 토대로 홍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노하우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진행하였다.
유관기관 네트워크 간담회
기간
시간
내용
2016년 6월 22일
14시~16시
•안산온마음센터 사업공유 •안산시 사회심리 및 안전인식도 조사 결과 공유 •재난심리지원사업 연대방안 논의
11명
2016년 8월 31일
15시~18시
•홍보담당자 네트워크 운영 방향논의 •각 기관 홍보사업 공유 •공동사업 및 사업연계 방안 논의
6명
2016년 12월 21일
14시~18시
•초간단 스마트포 사진이론 교육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진실습
9명
총계
참여인원
26명
평가 ●
성과
- 안산시 내 안산정신건강증진센터, 안산자살예방센터, 안산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3개 기관이 주축이 되어 사업을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 것으로 긍정적이었다. -네 트워크에 참여한 기관들이 네트워크 운영방향 및 진행내용들에 대한 제안을 하고 토대로 네트워크 운영계획을 세워 동기부여 및 실천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2016년 새롭게 구성된 네트워크 간담회로 각 기관의 일정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 참여 기관수가 적음에도 모든 기관의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하였다.
148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사 직원역량강화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높이고, 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직원교육을 진행하였다. 직원교육은 전직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CPR교육, 홍보글쓰기, 성희롱예방교육 등)로 총 8회 실시하였다.
416 심리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에서는 2016년 5월부터 12월까지 직원의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여, 대상자들에게 제공하는
유관기관 네트워크 간담회 416 활동지원사업
●
직원역량강화(내부교육) 진행 실적 장소
주제
강사
참여인원
2016.05.26 2016.05.31
14:00~16:00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CPR교육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의료진 문성우
26명
2016.06.16
10:00~12:00 안산온마음센터
홍보글쓰기와 SNS운영
소야 이사 강인석
8명
2016.09.06
09:30~11:30
성희롱예방 및 개인정보보호
한국인재양성진흥원 이지영
36명
2016.10.14
10:00~12:00 안산온마음센터
생존자가족 심리지원
대구대학교 교수 현진희
10명
2016.10.19 2016.10.20
10:00~12:00 안산온마음센터
보고듣고말하기
안산시자살예방센터 팀장 한라영
28명
2016.11.17 2016.11.20
10:00~17:00 안산온마음센터
수용전념치료
마음챙김연구소 소장 주혜명
17명
2016.12.20 2016.12.21
09:00~17:30 안산온마음센터
중간관리자교육
한국감마센터 대표 김미영
10명
2016.12.23
10:00~16:00 안산온마음센터
노출치료
계명대학교 교수 최윤경
15명
안산온마음센터
기획홍보사업
총계
재난위기대응사업
시간
150명
2016년 사업보고서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기간
149
●
직원역량강화(내부교육) 만족도 결과
1. 교육만족도 – 직원내부교육은 역량강화 및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만족도 평균 점수 : 3.96점 / 5점
6명 매우 그렇다
7명 보통이다
14명
2. 기타의견
그렇다
2017년도에 추천하고 싶은 교육을 작성해주세요. 1) 웹포스터, ppt, 엑셀 등 행정업무 교육을 하면 좋을 것 같다. 2) 직원스트레스 해소 및 팀워크 향상 교육을 듣고 싶다. 3) 심리적응급처치 교육을 전직원이 들으면 도움이 될 것 같다. 4) SPSS 통계 및 분석 교육, 협동조합, SNS관련 교육을 진행하면 좋을 것 같다.
평가
●
성과
- 외부전문강사를 초청하여, 사업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문교육, 의무교육, 그 외 직무에 필요한 전문교육을 총 8회 실시하였는데, 직원들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만족도가 5점 만점에 3.96점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 전직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CPR교육, 홍보글쓰기와 SNS운영, 성희롱예방 및 개인정보보호, 생존 가족 심리지원, 보고듣고말하기, 수용전념치료, 중간관리자 교육, 노출치료)을 실시하여, 직원들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전직원을 대상으로 사업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전문교육 등을 일회성 강의로 진행되어, 다소 아쉬웠다는 평가가 있어, 향후 전문교육은 연속강의로 진행되어, 심도 있게 배우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된다.
150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아 기획홍보사업 종합평가 온라인 홍보 활성과 기획홍보행사로 친근하게 안산시민을 만나다.
• 페이스북 참여 이벤트와 기획홍보행사를 결합하여 센터의 사업의 관심과 지지를 보낼 수 있는 접근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안산시민이 본 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아 홍보의 방향을 416세월호
416 심리지원사업
●
참사로 인한 시민들의 갈등회복과 트라우마의 이해와 회복에 맞추었다.
●
안산온마음센터 운영근거 및 전문성을 더하다.
통해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 향후 센터 운영의 기초와 방향성으로 제공하였다. 향후 본 기관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해 여러 전문가들 및 관련기관들의 의견을 듣고 이해를 높일 수
416 활동지원사업
•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 연구용역을 통해 센터의 사업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트라우마 심포지엄을
있도록 공론화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재난위기대응사업 기획홍보사업
2016년 사업보고서
151
부록
2016년 사업실적
2016년 사업실적 : 목표 대비 실적 실적
4·16 심리지원 사업
사례관리 목표 15,000건
프로그램 운영 목표 6,621건
모임공간 운영 목표 4,800명
899/20,614명 달성도 137%
303/6,075명 달성도 92%
5,229명 달성도 108%
실적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 사업
사례관리 목표 4,854건
생존자 프로그램 운영 목표 805건
생존자 가족 지원 서비스 목표 20회/230명
민간 잠수사 프로그램 운영 목표 5회/50명
‘외상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 목표 19회/430명
154
안산온마음센터
313/4,420명 달성도 91%
20회/137명 달성도 17%
21회/276명 달성도
120%
가족교육프로그램
6회/52명 달성도 104%
자조모임 캠프
20회/340명 달성도 79%
단원고생존자 / 제주생존자
2016년 사업실적
실적
4·16 활동지원 사업
희망공방운영 (프로그램) 목표 2,000명
가족동아리 지원 목표 700명
지역주민교육 주민공동체 활성화
목표 800명
지역주민 모임 목표 150명
자원봉사 운영 목표 18회/3,520명
유가족 네트워크 목표 16회
2주기문화행사 416 문화행사
목표 1,000명
엄마랑함께하장 목표 5,000명
주민모임난장 목표 450명
186/1,794명 달성도 90%
18/306명 달성도 44%
32회/482명 달성도 60%
14회/840명 달성도 560%
시민치유단
17회/3,471명 달성도 99%
캠페인봉사단
34회/387명 달성도 212%
9회/13,616명 달성도 1,361%
2회/7,000명 달성도 140%
2회/1,150명 달성도 255%
2016년 사업보고서
155
실적
재난위기 대응사업
재난피해자 발굴사업 목표 19회/1,275명
재난심리 전문가 양성 목표 4회/120명
국제 전문가 초청교류 목표 2회/100명
심리지원 자원봉사자 양성 목표 2회/60명
재난 심리지원 인식개선 목표 31회/376명
34회/596명
23회/1,253명 달성도 98%
9회/430명 달성도 358%
2회/254명 달성도 254%
2회/63명 달성도 105%
30회/1,820명 달성도 484%
34회/594명 달성도 99%
기획홍보 사 업
대내외 홍보 행사 목표 2회
대시민 강좌 목표 2회/300명
156
안산온마음센터
학교
2회/916명 달성도 100%
2회/277명 달성도 92%
소방공무원
2016년 사업실적
실적
기획홍보 사 업
정책연구 목표 1건
트라우마 심포지엄 목표 1회/100명
정신보건 유관기관 네트워크 목표 3회/30명
홈페이지 심리지원 사업 홍보
목표 1건
페이스북 목표 게시글 / 월 10건
재난심리지원종합 플랫폼 구축 목표 1건
홍보물품 목표 5건
홍보자료 목표 4건
1건 달성도 100%
1회/80명 달성도 80%
3회/26명 달성도 87%
35,127명 달성도 234%
방문자
62건 달성도 52%
좋아요구독
1건 달성도 100%
11종/13,977개 달성도 220%
5종/7,400부 달성도 125%
2016년 사업보고서
157
발 행 일
2017년 2월
인
2017년 2월
쇄
발 행 처
안산온마음센터
주
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당곡로 33 프라움시티 2층 207
전
화
031-411-1541
팩
스
031-411-1546
홈페이지 http://www.ansanonmaum.net ISBN
979-11-86413-08-1
비매품
ISBN 979-11-86413-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