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서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서
ㅈ
Ⅰ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Ⅰ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
운영배경
●
사업목적
1 운영배경
06
●
비전 및 미션
2 사업목적
07
●
조직구성
3 비전 및 미션
08
4 조직구성
09
●
사업연혁
5 사업연혁
12
Ⅱ 416세월호참사 대상자 등록현황 •416세월호참사 피해 현황
20
•416세월호참사 희생자 및 미수습자 가족 관리 현황
21
•416세월호참사 생존자 관리 현황
22
•416세월호참사 센터 등록 외 대상 현황
23
Ⅲ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1 416 심리지원사업
26
2 416 활동지원사업
44
3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사업
64
4 416 통합지원사업
76
5 기획홍보사업
99
6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128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01 ●
운영배경
2014년 4월 16일 안산 단원고 학생 325명을 포함해 일반승객, 승무원 등 모두 476명이 여객선 세월호를 타고 제주도로 가던 중 침몰사고가 발생해 172명만이 생존했고 295명의 희생자와 9명의 미수습자가 발생하는 대형 참사가 일어났다. 참사로 인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한 피해 당사자는 물론, 그 가족들과 지역사회, 그리고 잠수사를 비롯한 많은 지원인력들이 직·간접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
●
02 사업목적 416세월호참사 직간접 피해자의 정신건강증진 및 회복
416세월호참사 직간접 피해자의 역량강화 및 사회적 기능향상
참사 직후부터 이후 비상 체제로 운영되어 오던 경기-안산 통합재난심리지원단을 2014년 5월 1일 안산온마음 센터(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로 전환하여 안산 지역사회와 더불어, 416세월호참사 유가족의 전문적 심리 지원과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원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
안산온마음센터는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와 지원인력 그리고 지역사회의 심리적 외상 치유를 위한 정신건강지원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와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하며, 재난심리지원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공공기반 기관으로써
지역사회 통합촉진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다양한 경험을 축적하고 재난심리지원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적 기관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해 나가고자 한다.
및 공동체 회복
전문서비스 기반 마련
재난심리지원 및
추진근거 4·16세월호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 제35조(안산트라우마센터 등 설치) ① 국가는 피해자와 안산지역 공동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피해자의 종합적인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안산트라우마센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제 1항에 따른 안산트라우마센터는 국가 등이 운영하여야 하며, 안산트라우마센터의 설치·운영 및 운영위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06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07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03 비전 및 미션 트라우마 치유를 통한 개인과 사회의 동반성장 치유와 회복
트라우마로 고통받는 이들에 대한 전문적·지속적·집중적 서비스 제공
전문성 향상
트라우마 치유 및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전문성 함양과 전문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416세월호참사 초기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 중심의 재난심리지원 시스템 구축
공동체 성장
지역사회연대를 강화하고 개인과 사회의 조화로운 공동체 성장 도모
04 조직구성
[2018년 기준]
가 조직도
운영위원회
자문위원회
센터장
우리는 국내 최고의 트라우마 치유기관으로서 온마음을 다해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선언문
하나, 우리는 트라우마로 고통받는 이들과 함께하며, 전문가로서의 책임을 다한다.
부센터장
하나, 우리는 치유와 회복의 과정에 어느 누구라도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하나, 우리는 개인과 공동체의 다양성을 인정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하나, 우리는 특정 개인과 집단의 이익에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중립성을 지켜나간다. 하나, 우리는 사람 중심의 가치를 바탕으로 행복한 삶을 지향한다. 416 가족 성장지원사업
가족 1팀 (유가족)
08
안산온마음센터
가족 2팀 (생존자)
트라우마회복지원 사업
공동체 성장팀
정신건강 의료팀
통합지원팀
역량강화사업
기획홍보팀
행정지원팀
2017년 사업보고서
09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나 인력구성
라 직원세부 현황
구분(단위 : 명)
센터장
부센터장
상임팀장
팀장
팀원
총인원
합계
1
1
1
6
32
41
정신과의사
1
4
5
2
7
10
1
10
11
1
1
2
7
10
1
3
4
정신보건간호사
1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사회복지사
1
행정요원
부서 기관운영
정신건강 의료지원
가족1팀
다 팀별 수행인력 사업
팀명
직역
형태
구분
센터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1
비상근
부센터장
정신보건간호사
1
상근
사업 실무운영 총괄
상임팀장
사회복지사
1
상근
416가족 성장지원사업 조정 416가족협의회 소통
가족 1팀
정신보건전문요원
8
상근
가족 2팀
정신보건전문요원
5
상근
공동체성장팀
사회복지사
5
상근
정신건강 의료지원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4
상근2 비상근2
정신보건전문요원
6
상근
기관운영
416가족 성장지원사업
트라우마 회복지원사업
주요업무 사업방향 및 계획 자문
유가족 및 생존자 사례관리 사회통합 활동 프로그램 지역사회 공동체 성장 프로그램
정신과 전문상담 및 진료, 약물처방
가족2팀
공동체성장팀
416통합지원
트라우마 치유 프로그램
통합지원팀 사회복지사
1
상근 기획홍보
사회복지사 역량강화사업
안산온마음센터
상근
기획홍보팀
행정지원팀
10
4
기관홍보 및 운영기반 마련 정신보건전문요원
1
상근
행정요원
4
상근
행정지원 기관운영 체계 및 직원관리
성명 고영훈 안소라 김선식 한은진 강정훈 이재헌 신철민 서경숙 신양아 신명진 윤순희 김계순 김진배 박소희 임동빈 라보연 박소연 김유진 한정민 오성훈 정지선 김보람 조수연 조서희 김미연 김미숙 조동희 남정우 김효정 서진오 이솔 장현정 박하은 조은비 전은주 유아영 이은희 강영원 황혜숙 인해양 장희선
직위 센터장 부센터장 상임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팀원 팀장 팀원 팀원 팀원
구분 정신과 전문의(비상근) 정신보건간호사(상근) 사회복지사 정신과 전문의(상근) 정신과 전문의(상근) 정신과 전문의(비상근) 정신과 전문의(비상근)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행정요원 행정요원 행정요원 행정요원
인원수 3명
4명
8명
5명
5명
7명
5명
4명
2017년 사업보고서
11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05 2014
12
안산온마음센터
사업연혁
5월 1일
보건복지부-명지병원 위수탁계약
5월 17일
희생자 가족 대상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설명회 진행
5월 19일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임시사무소 설치(안산도시공사)
5월 20일
분향소 유가족 심리지원 부스 운영 시작
7월 8일
‘안산온마음센터’ 명칭 병용
7월 23일
세월호 참사 100일 추모 행사 지원 및 참여
8월 25일
안산온마음센터 공간 마련 완료
9월 4일
부모/교사를 위한 지침서 ‘토닥토닥 너풀너풀’ 발간
9월 5일
안산온마음센터 이전 개소식
9월 15일
0416 힐링센터 쉼과 힘 업무협약 체결
10월 14일
안산소방서 업무협약 체결
10월 27일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자 양성과정 시작
12월 20일
세월호 가족과 함께 하는 안산시민 감사오찬 ‘0416기억하고 함께 걷다’진행
2015
1월 26일
416세월호 참사 유가족 도보행진 동행
2월 2월
안산시-고대안산병원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위수탁 협약
2월 7일
416 희망과 길찾기 1000인 대토론회 진행
2월 26일
제주세월호 피해상담소 업무협약 체결
4월 2일
정신건강의 날 행사 감사패 수상
4월 3일
토닥토닥 너풀너풀 사진전 개최
4월 16일
416 1주기 ‘지난 봄 너의 눈물’ 추모콘서트 진행
4월 16일
416세월호 참사 및 트라우마의 이해를 위한 소책자 ‘온마음을 두드림’ 발간
7월 15일
희망공방 프로젝트 시작
7월 29일
안산지역토론회 ‘416 그후, 지역공동체 회복의 길을 묻다’ 진행
8월 24일
안산온마음센터 비전미션 선포식 진행
8월 28일
500일 추모문화제 동행
9월 23일
안산온마음센터 –자바르떼 업무협약 체결
10월 6일
간접외상지원프로그램(수고했어, 오늘도) 진행
10월 12일
단원고 예비졸업생을 위한 공간 개소식 진행
11월 1일
제1회 ‘엄마랑함께하장’ 플리마켓 진행
11월 7일
청소년토론회 ‘우리가 꿈꾸는 사회, 우리가 바라는 안산’ 진행
11월 21일
단원고 생존학생을 위한 ‘새로운 시작의 밤’ 진행
11월 26일
2015년 안산온마음센터 심포지엄- 심리외상 지원의 현재와 미래 진행
12월 6일
세월호 참사 600일 행사 ‘기억과 약속의 나무’ 진행
12월 9일
416 가족의 밤 송년회 진행
12월 21일
안산온마음센터-구세군 업무협약 체결
12월 28일
2015년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재난 지원 유관기관 심포지엄 진행
2017년 사업보고서
13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1월 2일
2016
14
안산온마음센터
경기도-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위수탁계약
2016
10월 16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진주 전시
10월 27일
단원고 생존학생 사진전 카르페디엠:현재를 살다 전시
1월 2일
416트라우마회복지원팀, 재난위기대응팀, 가족활동지원팀 신설
4월 8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진행
10월 28일
제주 생존자 외상 후 성장 공동체 공유 프로젝트 진행
4월 16일
세월호참사 2주기 추모행사 참여
11월 11일
심리적외상예방프로그램-소방사회복지무요원/의무소방관 진행
4월 23일
416을 기억하는 와동주민한마당 진행
11월 26일
생존자 송년모임 ‘기억의 밤’ 진행
5월 14일
제2회 ‘엄마랑 함께하장’ 플리마켓(14일-15일) 진행
12월 2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목포 전시
5월 23일
잠수사를 위한 치유캠프(1차) 진행
12월 5일
2016년 트라우마 심포지엄 진행
6월 14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은평구 전시
12월 6일
안산온마음센터-공주병원-충청남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업무협약
6월 30일
재난 심리지원 국제전문가 초청 세미나 진행
12월 15일
416 가족 송년회 ‘빛을 밝히다’ 진행
7월 4일
단원고 생존자 외상후 프로젝트 ‘백패스’(5박6일) 진행
12월 19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성남 전시
7월 7일
대시민강좌 ‘영화로 보는 트라우마, 굿바이 트라우마’ 진행
12월 20일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 웹사이트 오픈
7월 9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광화문 전시
12월 26일
단원고 생존자 캠프 ‘The Warm’ 진행
7월 11일
지역별 전문가 양성과정 진행
7월 13일
416 미 발굴 피해자 사업 유관기관 간담회 진행
7월 19일
생존자 가족 캠프‘ 별과 별이 반짝이는 가족캠프’ 진행
7월 21일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 쇼케이스 공연 진행
7월 22일
생산공동체워크샵 ‘사회적기업 탐방’ 진행
7월 28일
하반기 재난심리지원 국제전문가 초청 세미나 진행
8월 02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광주 전시
8월 27일
생존자 가족 야유회 ‘베리굿’ 진행
8월 30일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 연구 진행
9월 24일
안산 건강축제 한마당 홍보부스 운영
9월 28일
잠수사를 위한 치유캠프 2차 진행
10월 1일
생존자 어머니캠프 ‘Mom’s touch’ 진행
10월 8일
제3회 ‘엄마랑 함께하장’ 플리마켓 진행
10월 8일
2주기 추모 전시회 ‘다시, 봄 너희를 담은 시간展’ 창원 전시
2017년 사업보고서
15
안산온마음센터 개요
2017
16
안산온마음센터
1월 2일
경기도-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위수탁계약
2월 23일
제주세월호피해상담소 업무협약 체결
2월 28일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업무협약 체결
3월 17일
3주기 추모 전시회 '너희를 담은 시간 세번째 展' 오픈
3월 20일
지역별재난실무자 1차 교육(광주광역시) 진행
2017
9월 26일
416희망나비포럼 2차-문화예술치유활동을 하는 문화예술인의 이야기 진행
9월 26일
목포인양현장 심리지원 프로그램 진행(이살렌마사지) 시작
9월 28일
Beyond Trauma Symposium‘ 재난현장에서의 심리지원과 응급의료지원 시스템의 협 력방안모색’
10월 13일
제주 외상후성장프로젝트 ‘소통나눔’ 전시회 제주지역 오픈(~22일)
10월 21일
제4회 엄마랑 함께하장 플리마켓(~22일) 진행
3월 23일
세월호 인양으로 인한 미수습자 및 유가족 팽목항/목포 심리지원-동행지원서비스 시작
10월 24일
416희망나비포럼 3차-416세월호참사 후 달라진 안산시민의 이야기 진행
4월 16일
416세월호참사 3주기 추모식 및 '일상에서 기억하다' 추모행사 진행
10월 24일
민간 잠수사 캠프 진행
4월 20일
센터 개발 신체기반안정화기법(LCT) 강사 교육 시작
10월 25일
재난전문가(동료상담가) 과정을 위한 기초교육 시작
5월 26일
지역별재난실무자교육 2차(부산광역시) 진행
11월 3일
제주 외상후성장프로젝트 ‘소통나눔’전시회 서울지역 오픈(~12일)
5월 29일
416세월호참사 재난피해자 종합심리검사 시작
11월 4일
플래시몹 군산 캠패인(~5일) 진행
6월 3일
3주기 추모 전시회 '너희를 담은 시간 세번째 展' 목포시 전시 오픈
11월 4일
대학생 자원봉사자 교육 ‘심리적 응급처치’ 진행
6월 15일
스텔라데이지호 실종자 가족 심리지원 시작
11월 8일
416세월호참사 제주지역 생존자 간담회 진행
6월 22일
상반기 재난심리지원 국제전문가 초청 세미나 '아동청소년PFA' 진행
11월 11일
생존자 가족모임 'Healing Time' 진행
6월 30일
외상후성장 프로젝트 BackpassⅡ 봉사여행(~7월 4일) 진행
11월 13일
후반기 국제전문가 초청 세미나 ‘재난 현장에서의 신체기반 치유와 회복’ 진행
7월 6일
416가족극단노란리본 두번째 '이웃에 살고, 이웃에 죽고' 초연
11월 21일
416희망나비포럼 4차-상처를 딛고 성장한 재난 유가족의 이야기 진행
7월 13일
지역별재난실무자교육 3차(안산시) 진행
11월 24일
가족봉사동아리 ‘희망지킴이’ 김장행사(~26일) 진행
7월 22일
심리지원자원봉사자 보수교육 ‘우리동네 마음지킴이’ 진행
12월 7일
생산공동체 워크숍 ‘홍성 풀무학교 및 마을공동체 사업장 견학’(~8일) 진행
7월 24일
416세월호참사 일반인 가족대책위원회 간담회 진행
12월 9일
생존자 송년회 ‘가족의 밤’ 진행
8월 7일
목포신항만 이동공방 시작(매듭공예, 뜨개공예)
12월 19일
민간잠수사 송년모임 진행
8월 24일
공주정신건강학술문화제 홍보부스 운영(~25일)
12월 22일
416가족 송년회 진행
8월 29일
416희망나비포럼 1차 – 416세월호참사를 바라본 언론인의 이야기 진행
8월 31일
호수동 지역주민교육 시작
9월 1일
단원고등학교 전문의상담 시작
9월 7일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신체기반 안정화 기법(LCT) 진행
2017년 사업보고서
17
Ⅱ
416세월호참사 대상자 등록현황
18
안산온마음센터
●
416세월호참사 피해 현황
●
416세월호참사 희생자 및 미수습자 가족 관리 현황
●
416세월호참사 생존자 관리 현황
●
416세월호참사 센터 등록 외 대상 현황
416세월호참사 대상자 등록 현황
1
416세월호참사 피해 현황
2
416세월호참사 희생자 및 미수습자 가족 관리 현황 전체
희생자 및 미수습자 구분
탑승인원
센터등록 가구 수
센터등록 외 가구
생존자 합계
희생자
미수습자
희생자 구분 희생자
단원고 학생
325명
75명
250명
248명
2명
단원고 교사
14명
3명*
11명
10명
1명
일반승객
72명
39명
33명
31명
2명
인솔자
1명
1명
0명
0명
0명
화물기사
31명
31명
0명
0명
0명
승무원
18명
8명
10명
10명
선원
15명
15명
0명
합계
476명
172명
304명
미수습자
희생자
미수습자 관리인원
파악인원
제주피해 상담소
단원고 학생
248명
2명
245명
2명
0명
3명
0명
단원고 교사
10명
1명
5명
1명
0명
5명
0명
일반승객
31명
2명
3명
2명
27명
0명
1명
0명
승무원
10명
0명
1명
0명
9명
0명
0명
0명
0명
소계
299명
5명
254명
5명
36명
8명
1명
299명
5명
합계
304명
259명
45명
*생존자 중 1명은 사고 직후 사망하였음. (가족1팀에서 등록관리).
68%
15%
7%
3%
단원고학생
일반승객
화물기사
단원고교사
416 세월호 탑승자 현황
20
안산온마음센터
7% 승무원/선원 등
99%
55%
15%
10%
단원고학생
단원고교사
일반승객
승무원
416 세월호 희생자 및 미수습자 가족 등록률
2017년 사업보고서
21
416 세월호 참사 피해 현황
3 416세월호참사 생존자 관리 현황
4 416세월호참사 센터 등록 외 대상 현황
센터등록 생존자 전체인원
구분
센터 등록 외
미등록 관리인원
생존자
생존자 가족
관리인원
파악인원
제주피해 상담소
단원고 학생
75명
72명
19명
0명
3명
0명
단원고 교사
2명
0명
0명
2명
0명
0명
일반승객
39명
6명*
2명
28명
1명
4명
인솔자
1명
0명
0명
1명
0명
0명
화물기사
31명
6명
0명
5명
2명
18명
승무원
8명
0명
0명
6명
2명
0명
선원
15명
0명
0명
0명
15명**
0명
합계
171명
84명
21명
42명
23명
22명
구분
총인원
미등록 파악인원
제주피해상담소
생존자
유가족 및 미수습가족
생존자
유가족 및 미수습가족
생존자
유가족 및 미수습가족
단원고 학생
6명
0명
0명
3명
3명
0명
0명
단원고 교사
7명
2명
0명
0명
5명
0명
0명
일반승객
61명
28명
27명
1명
0명
4명
1명
인솔자
1명
1명
0명
0명
0명
0명
0명
화물기사
25명
5명
0명
2명
0명
18명
0명
승무원
17명
6명
9명
2명
0명
0명
0명
선원
15명
0명
0명
15명
0명
0명
0명
42명
36명
23명
8명
22명
1명
합계
132명 78명
31명
23명
* 일반승객 1명(생존자이면서 유가족-가족1팀에서 등록관리) **선원은 관리하지 않음.
96% 단원고학생
19%
15%
화물기사
일반승객
416 세월호 생존자 등록률 * 단원고 교사, 승무원 및 선원 등은 등록률 0%
2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23
Ⅲ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01 416 심리지원사업
●
02 416 활동지원사업
●
03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사업
●
04 416 통합지원사업
●
05 기획홍보사업
●
06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16 심리지원사업
01
416 심리지원사업
◎ 2017년 사례관리 실적 [2017.12.31.기준, 단위: 명] ●
유형별 사례관리 달성률 사례관리
구분
전화
방문
내소
우편
목표량
15,180
7,500
3,600
3,600
480
416세월호참사로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족을 대상으로 심리적 지원뿐 아니라 사회적, 일상적인 통합
실 적
16,771
10,321
3,702
2,626
122
지원을 통해 재난으로 인한 2차적인 트라우마 및 위기를 예방하고, 외상 후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달성률(%)
110.5
137.6
102.8
72.9
25.4
416 활동지원사업
합계
촉진하고자 한다. ●
사례관리 실적(월별) 합계
참사 3주기가 지났고 세월호가 인양되었다. 그에 따라 유가족들도 크고 작은 변화들을 겪어내야 했고 사례관리 또한 그러한 변화에 따라 함께 움직여 나갔다. 여러 해가 지났지만 마치 2014년인 듯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가족들이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실인원
818
718
744
668
677
662
682
674
644
713
601
702
672
연인원
16,771
1,354
1,509
1,552
1,319
1,193
1,297
1,484
1,452
1,640
1,121
1,424
1,426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가 사례관리
있는가 하면 조금씩 일상적인 생활을 찾아나가는 가족들도 있다. 그리고 일상적인 생활이 진상규명을 위한 활동이 되어버린 가족들도 있다. 유가족들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해 나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유가족 및 미수습가족 심리지원 현황 1600
외상을 재 경험하며 심리적인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건강한 일상생활로 회복한 유가족의 경우에도 이 같은 상황에서는
1200
다시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심리지원의 최종적 목적은 고통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견딜 수 있는
800
연인원
718
744
1월
2월
668
677
662
682
674
644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601
702
실인원 672
10월
11월
12월
713
416 통합지원사업
것은 유가족이라는 사실과 그로인한 아픔이다. 특히 2017년에 세월호 선체가 인양되면서 대다수의 유가족들이 초기
400
힘을 키우는 것이다. 따라서 병리적 관점에서의 치료와 회복 보다는 성장과 동반자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스스로가
0
가지고 있는 자기치유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개별적이고도 지속적인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9월
노력해왔다. 담당 사례관리자 체계로 가정방문 및 내소, 전화, 문자 서비스 등의 방법을 통해 기념일 애도작업, ●
유형별 사례관리
동반자로서의 노력을 기울였다. 사례관리
안산온마음센터
방문
내소
전화
기타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818
16,771
583
3,702
300
2,626
815
10,321
122
122
2017년 사업보고서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26
합계
기획홍보사업
스트레스 대처기술 교육, 위기관리 등 다양한 사례관리를 제공하였으며 무엇보다 함께 기억하고 함께 걷는
2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2017년 유가족 현황[2017.12.31.기준, 단위: 명]
•월별 유형별 현황
•연도별 정신과 진료 및 전문의 상담 현황
1000 전화 800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계
600
타병원 이용
53
29
27
38
147
약물처방
12
27
21
25
85
전문의 상담
234
93
83
100
510
299
149
131
163
742
400
방문
200
센터내부
내소 기타
0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4월은 3주기가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전화보다는 방문을 위주로 활동하면서 방문실적이 증가하였다. 9월에도 세월호 가 인양된 목포의 심리지원을 본격화하면서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유무에 따라 변동을 보이고 있다.
*2014년이 가장 높았고, 2015년, 2016년에는 감소하다가, 2017년에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점차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사현황
파악관리
일시관리
유지관리
중점관리
집중관리
미평가
PHQ-9 5~9 & GAF 51~70
PHQ-9 10~14 & GAF 41~50
PHQ-9 15~27 & GAF 1~40
계
기준
PHQ-9 0~4 & GAF 71 이상
유가족
50
287
340
116
1
794
%
6.3
36.2
42.8
14.6
0.1
100
구분
강원도
인원 %
0.1%
서울
인천
전남
전북
충남
제주
해외
계
65
3
3
6
8
1
5
1
5
420
15.5
0.7
0.7
1.4
1.9
0.2
1.2
0.2
1.2
100
기타
7
316
1.7
75.3
•신체질환 현황(2014년~2017년 누적) 내과 질환
산부인과 비뇨기과 신경과 질환 질환 질환
심장 질환
안과 질환
외과 질환
이비인후 정형외과 치과질환 과 질환 질환
계
정신건강 심각도를 PHQ-9, GAF를 바탕으로 크게 4단계로 분류
인원
158
14
3
26
9
8
9
6
111
1
345
하였다. 단순한 정신건강부분에 대한 평가로 전반적인 상태를
%
45.8
4.1
0.9
7.5
2.6
2.3
2.6
1.7
32.2
0.3
100
산부인과 질환
비뇨기과 질환
416 통합지원사업
6.3%
중점관리
집중관리
경북
안산
*총 420명이 이사하여, 관리 인원의 52.9%가 이사함. 지역별로는 안산을 포함한 경기도 지역이 90.7%로 대부분 근교로 이사를 하였다.
구분
파악관리
경기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사례관리 구분 구분
합계
416 활동지원사업
1월
●
416 심리지원사업
1200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볼 때 유지관리에 해당하는
14.6%
유지관리
42.8%
160
일시관리
나타났다. 이에 대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치료적인 접근이 필요한
120
36.2%
반면 유지관리 및 일시관리의 경우 예방적 접근 및 다양한 지역 활동
기획홍보사업
관리 구분
경우가 42.8%로 가장 높았다. 중점관리 및 집중관리는 14.7%로
80
촉진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0 0 신경과 질환
심장 질환
안과 질환
외과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정형외과 질환
치과 질환
* 내 과 질환 이환율이 가장 높았고, 정형외과, 신경과 질환 순서로 나타났고, 내과 질환 중 고혈압(38), 당뇨(31) 등 만성질환의 비중이 높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28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29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내과 질환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직장 유지 현황(전체)
•진료 과목별 현황 참사전
2016년 5월
2016년 12월
2017년 12월
인원
426
280
286
312
*%
53.7
35.6
36.0
39.3
*총등록인원 전체(794명) 기준 직장 유지율 참사전 53.7%에서 2016년 초반 감소한 후 조금씩 상승하는 추세로 성인형제자매들이나 자녀들의 취업요인으로 보인다.
구분
정신과
내과 질환
산부인과 질환
비뇨기과 질환
신경과 질환
심장 질환
외과 질환
정형외과 질환
*기타
계
인원
8
13
5
3
6
2
6
21
3
67
%
11.9
19.4
7.4
4.5
9.0
3.0
9.0
31.3
4.5
100
*기타 : 응급의학과 및 이비인후과 진료
•직장 유지 현황(부모)
20
참사전
2016년 5월
2016년 12월
2017년 12월
인원
381
228
225
238
*%
82.3
49.2
48.6
51.4
416 활동지원사업
구분
15 10 5 0 정신과
내과
산부인과
비뇨기과
신경과
심장
외과
정형외과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등록 부모(463명) 인원 기준 직장 유지율 참사전 82.3%에서 2016년 말 48.6% 직장을 유지하다가 2017년에 조금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크게 변화는 없다. 심리적인 부분 외에도 대부분의 부모님들의 연령대가 높아(40대 중후반 이상) 참사 후 재취업이 쉽지 않아 직장 유지율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기타
2017년 유가족 입퇴원 현황 •입원기간별 현황
구분
연인원
인원
67
구분
1일 이내
2일~7일
8일~30일
1개월~3개월
3개월 이상
계
입원율
8.4%
인원(명)
4
37
22
0
4
67
%
6.0
55.2
32.8
0
6.0
100
구분
부
모
조부모
형제자매
자녀
배우자
친인척
계
* 2일~7일 입원율이 높아, 비교적 단기간 입원치료를 받은 것으로 보여지며, 3개월 이상의 경우 담도암과 뇌경색 치료를 위해 장기 입원한 대상 자도 있다.
인원
18
35
7
6
0
1
0
67
3개월 이상 1일 이내
%
26.9
52.2
10.4
9.0
0
1.5
0
100
6.0%
416 통합지원사업
•관계별 입원 현황
6%
*모의 입원율이 가장 높았고, 부모의 입원율이 전체 80%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다. 8일~30일
형제자매
9.0% 조부모
부
10.4%
26.9%
입원기간별 현황
기획홍보사업
32.8%
배우자 1.5%
2일~7일
55.2%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관계별 입원 현황 모
52.2%
30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31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힐링요가
온마음 나눔
성인 미술치료
마음챙김 걷기명상
재난전문가 기초교육
치유의 글쓰기
겨울방학 프로그램(소아·청소년)
416 심리지원사업
●
심신안정신체요법
성과
-애 도 기반 사례관리를 통해 대상자의 다양한 애도 반응을 지원하고, 애도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왔다. -사 례관리자의 변동 없이 지속적인 사례관리서비스가 제공되어, 위기 상황 시 필요한 도움 요청에 있어서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연결 체계를 구축하였다.
416 활동지원사업
-시 간 경과에 따른 대상자의 심리적 변화 및 부부 가족 역동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지원 체계 구축 및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대 면이 불가능한 대상자(타 지역 이사 및 직장 복귀 등)가 증가하고 있어서, 리멤버 카드를 통한 정기적인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정보 제공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사 례관리 경험을 통해 재난경험자에 대한 근거기반의 평가체계의 마련과 애도기반 사례관리에 대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416 통합지원사업
나 프로그램 운영 416세월호참사 유가족들에게 외상적 상실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건강한 애도 과정을 돕고 대인관계증진, 스트레스 해소, 자기이해 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신체요법, 발반사 요법, 힐링요가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적 통증 및 불편감을 완화시키고자 하였고, 치유의 글쓰기, 마음챙김 걷기
기획홍보사업
명상, 온마음 스케치를 통해 심리적인 문제에 개입하여 건강한 애도과정을 돕고 자기 치유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아동·청소년 및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온마음 플러스, 방학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업과 취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를 돕고, 진로탐색 및 감정 환기를 도왔다. 고3 수험생을 대상으로 한 베이커리 및 문화 체험 프로그램 을 통해 수험생뿐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특히 재난전문가(동료상담가) 기초교육을 통해 다양한 활동에 몰입했던 유가족들에게 트라우마 및 자기 이해를 촉진 하고, 온마음 나눔 프로그램과 더불어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자 하였다.
3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3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온마음 플러스(청년 형제자매)
여름방학 프로그램(소아·청소년)
●
프로그램별 참석현황 [2017.12.31.기준, 단위: 명]
상 시
남자의 공부방 정 기
사랑의 빼빼로 만들기
2,776
온마음스케치
유가족 전체
145
8
151
힐링요가
유가족 성인여성
25
18
146
연인원 2,776
마음챙김걷기명상
유가족 전체
15
19
86
압화공예
유가족 전체
20
22
256
온마음 나눔
유가족 전체
28
28
258
재난전문가기초교육
유가족 전체
7
16
61
치유의 글쓰기
유가족 전체
13
12
70
13
25
*27
*37
7
7
겨울방학프로그램
소아청소년 형제자매
2
여름방학프로그램
소아청소년 형제자매
2
*9
*9
공방 발반사요법
유가족
15
11
81
온마음플러스
성인 형제자매
15
13
55
힐링비타민
고3수험생
4
남자의 공부방
유가족 성인남성
명절애도과정
14
27
*20
*36
19
10
88
단원고 희생자 및 교사가족
1
-
255
가정의달 행사
형제자매 (소아청소년,성인)
1
24
24
*31
*31
사랑의빼빼로만들기
형제자매 (소아청소년,성인)
1
28
28
*37
*37
총 17개 프로그램
3,089
232
4,394 *4,433
합계
416 통합지원사업
행 사
유가족 전체
심신안정신체요법
실인원 143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가정의 달 행사-카네이션 만들기
횟수
416 활동지원사업
힐링비타민-베이커리
참여인원
대상
416 심리지원사업
프로그램명
*친구·친인척 포함한 실적.
기획홍보사업
●
대상자별 참석현황 [2017.12.31.기준, 단위: 명] 구
분
연인원
유 가 족
229
4,384
생 존 자
1
2
생존자 가족
2
8
합계
232
4,394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실인원
*일부프로그램(동료상담가교육, 심신안정신체요법)의 경우 생존자 및 생존자 가족이 유가족과 함께 프로그램 참여하였다.
34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3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평가회 실시현황 시기
온마음 스케치 강사
8월
내용 - 미술치료 참석 유가족에 대한 개입내용 논의 - 미술치료 진행 도구 및 치료실 관리에 대한 논의
은혜안마지압원 안마사
10월
- 프로그램 진행시 개선사항에 대한 논의 - 미수습자 가족 심신안정신체요법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
치유의 글쓰기 참여자
11월
-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논의 - 참여자의 주관적 평가 실시
●
재참여 욕구
추천 의향
타프로그램 관심
이용자 평가
재난전문가 기초교육
100
86
100
86
· 프 로그램을 통해 내가 가진 트라우마 증상에 대해 알고, 좀 더 치료가 필요함을 알았다. · 교 육을 통해 상담을 받고 치유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
75
100
75
100
겨울방학 프로그램
83
86
89
69
· 같은 학년이 future lab에 전시되어 있는 것들을 만들 었다고 하니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고, future lab에서 한 작업이 재미있었다.
여름방학 프로그램
93
100
93
100
· 캠 프에서 마음속 이야기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다.
온마음 플러스
50
50
50
33.3
· 원예를 하면서 직장이나 다른 곳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잊어버리는 것 같다. · 내 가 만든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어 성취감이 느껴졌다.
힐링 비타민
100
100
-
-
· 가족·친구들과 직접 만든 빵을 나눠먹을 수 있고, 제과 제빵 기술을 배울 수 있어 좋았다. · 가 족과 함께 문화 활동을 할 수 있어 좋았다.
남자의 공부방
80
80
80
80
· 우 리가 건의한 주제, 다양한 컨텐츠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 프 로그램을 통해 자기 개발 혹은 발전을 할 수 있어 좋았다.
가정의 달 행사
94
94
94
84
· 내가 직접 만든 꽃바구니를 사랑하는 사람(부모님)께 드릴 수 있어 너무 좋았다.
사랑의빼빼로 만들기
94.6
86.5
91.9
-
· 초콜렛에 대한 이론적인 것을 알 수 있어 좋았다. · 건 강한 재료로 만든 빼빼로를 선물해 줄 수 있어 좋았다.
홍보 대상
건수
비고
홍보웹자보 제작
12회
홍보웹자보 발송
3,257건
리멤버카드 발송
184부
홍보물 제작
6회
현수막
홍보물 배포
6건
현수막
합계
3,465건
만족도 분석 프로그램명
전반적 만족도
재참여 욕구
추천 의향
타프로그램 관심
이용자 평가
100
83
83
힐링요가
100
100
100
50
· 스 트레칭, 몸의 근육을 이완하는데 도움이 되어 좋다. · 요 가가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
100
· 처 음에는 단순히 걷기만 했는데 교육받은 내용을 평소에 해보니 안정감이 들었다. · 걷 기명상을 하면 주변 경치도 보게 되고, 계절의 변화도 관찰하게 되면서 기분이 환기됐다.
-
· 다 음에는 교육(베이커리)보다 봉사활동 중심으로 했으면 좋겠다. · 봉사활동을 하면서 내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좋다.
마음챙김 걷기명상
온마음 나눔
36
안산온마음센터
100
100
100
100
100
100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100
기획홍보사업
온마음 스케치
· 세상을 내 기준이 아니라 세상의 기준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 남 아있는 자녀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 주변 사람들에게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을 표현할 수 있었다.
416 통합지원사업
치유의 글쓰기
· 나를 돌아보는 시간, 마음 속 감정을 끌어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 글쓰기 작업을 통해 아픔이 무뎌지기보다 덜 아파지는 것 같고, 아이가 옆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 좋았다. · 프로그램에 참여 후 살면서 할 수 없을 것 같았던 일을 할 수 있는 용기를 얻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전반적 만족도
416 활동지원사업
* 특별프로그램의 경우 생존자 및 생존 자 가족이 유가족과 함께 프로그램 참여하였다.
프로그램명
416 심리지원사업
대상
2017년 사업보고서
3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모임공간 운영
성과
-유 가족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설(공방발반사요법, 스피치, 동료상담가 교육, 고3 수험생 프로그램 등)하거나 진행 형태(집단 프로그램에서 개별 또는 소수 단위)의 변화를 모색하여, 가족 들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온 마음나눔, 발반사요법 등 자신 외에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들이
-센 터 외에 분향소 공방과 가족협의회 회의실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센터 이용에 부정적이거나 거부 ●
하는 유가족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고, 서로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
식수 인원 현황 [2017.12.31.기준, 단위: 명]
보완점 및 향후계획
프로그램이 중단되면서 프로그램 진행에 어려움이 많았다. 향후 유가족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도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유 가족들이 집단프로그램보다는, 개별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이에 대한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대상자별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방식의 다각화를 통해 유가족들의 치료 및 회복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
식수인원
일 평균 인원
22
457
20.8
2월
20
723
36.1
3월
22
710
32.2
4월
20
454
22.7
5월
19
520
27.3
6월
21
309
14.8
7월
21
600
28.6
8월
22
673
30.6
9월
21
598
28.4
10월
12
273
22.8
11월
22
528
24.0
12월
20
504
25.2
합계
242
6,349
26.1
- 1월, 4월, 6월 식수 인원이 감소함. 프로
•일 평균인원
그램이 시작되지 않거나, 중단되어 내소 40
인원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30
- 프로그램 진행 여부에 따라 일 평균 식수
20
인원이 증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가 상주하여 가족들에게 간단한 식사와 다과를 제공한다. 이 공간에서 가족들은 단순히 식사나 다과를 제공받는 차원을 넘어서 가족과 같은 따뜻함과 편안함을 경험하게 된다. Oldenberg(1989)는 집을 제1의 장소, 직장을
10
따뜻함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제3의 장소’로, 무엇보다도 심각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심리적 안정과 가족 친화적
0
분위기를 경험할 수 있는 ‘치유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8
안산온마음센터
- 2016년에 비해 운영일수는 251일에서 242일로 줄었지만, 총 식수인원은 21%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증가하였다.
2017년 사업보고서
39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제2의 장소, 그 외의 친목을 다질 수 있는 공간을 제3의 장소로 명명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모임공간은 가족들에게
기획홍보사업
안정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모임공간을 운영해왔다. 모임공간은 주 5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되며
운영일수
1월
416 통합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에서는 2014년 9월부터 유가족들의 센터 이용을 활성화하고, 내소 시 신체·심리적인 이완 및
구분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4 16가족협의회와 프로그램 진행 상황을 공유하며 가족 상황에 대처하였으나, 3주기 및 인양 등으로 인해
다 모임공간 운영
416 활동지원사업
외상 후 성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수 있었다.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만족도 평가(모임공간 이용자 중 57명이 만족도 평가를 실시함)
•센터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
12.3%
- ‘그렇다’이상의 긍정적 반응 84.2% - 모임공간을 이용하면서 “처음에는 센터
25
22
22
에 가는 것이 낯설고 어색했는데, 시간이
매우 그렇다
20
- 모 임공간을 주로 이용하는 연령층은 40대
52.6%
그렇다
31.6%
와 5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15
7
- 이는 유가족 부모님들이 센터를 많이
지날수록 점점 센터에 가는 날이 기다 려지는 마음이 생기네요”라는 평가가 416 활동지원사업
10
보통이다
3.5%
•연령별 참여자 수
있었다.
이용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5
2
2
1
416 심리지원사업
그렇지않다
1
0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성별 보통이다 50
14%
46명 40
- 모임공간을 이용하는 남녀 비율은 남성
30
11명(19.3%), 여성46명(80.7%)으로 여성
- ‘그렇지 않다’가 0%로, 건의사항이나 발전 방안에서도 “매우 만족합니다.”, “이걸로
매우 그렇다
45.6%
그렇다
40.4%
11명
충분합니다.”라는 평가가 있어, 모임공간 서비스에 대해 대체적으로 거의 만족
것으로 나타났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416 통합지원사업
이 남성보다 3배정도 더 많이 이용하는 20
- ‘그렇다’이상의 긍정적 반응 86%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모임공간 서비스 만족도
0 남성
여성
- ‘그렇다’이상의 긍정적 반응 89.5%
기획홍보사업
•가족 친화적 분위기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사
보통이다
- 대상자가 모임공간에서 전문의나 사례
10.5%
관리자와 따뜻한 차 혹은 식사를 함께
1.8%
보통이다
7%
- ‘그렇다’이상의 긍정적 반응 91.2%로
그렇다
40.4%
것으로 예상된다. - 실제로 모임공간을 이용하면서 “항상 밝게 맞아주셔서 집에 온 것처럼 편안
전체 항목 중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매우 그렇다
49.1%
그렇다
42.1%
- 만족도 조사 중 건의사항 항목에서 “센터 에 자주 나와서 모임공간을 활용 하겠습 니다”라는 평가가 있었다.
하고 좋아요”라는 평가가 있었다.
40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41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하며 가족 친화적 분위기를 경험하였을
매우 그렇다
49.1%
그렇지않다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센터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획득 여부
라 416 심리지원사업 종합평가
1.7%
보통이다
14%
- 모임공간 이용을 통해 센터 및 프로그램 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많은 영향을
그렇다
43.9%
- 이 에 향후, 모임공간 안에 게시판을
유가족 상황을 고려한 사례관리 운영을 통해 신뢰관계형성 및 심리적 안정을 촉진하다.
• 3주기와 인양으로 많은 유가족들이 초기 심리적 어려움들을 호소했으나, 지속적인 사례관리를 통해 형성된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유가족들의 심리적 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매우 그렇다
40.4%
●
• 또한 인양현장에 함께 동행함으로써 현장 상황에서 필요한 심리지원을 제공할 수 있었고, 가족들과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적극 활용하여 센터 홍보물 및 프로그램에 ●
유가족의 특성 및 욕구를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시도하여, 외상 후 성장을 도모하다.
• 그동안 진행되어 온 프로그램 운영 경험과 함께 유가족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참여율과
416 활동지원사업
대한 정보를 게시하고 안내 할 필요가 있다.
416 심리지원사업
- ‘그렇다’이상의 긍정적 반응 84.3%
그렇지않다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시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일상의 다양한 활동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평가 성과
• 유가족들의 개별 상황이나 특성이 변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요청이나 욕구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전체 유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 개별 또는 소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일 일 평균 26.1명이 센터에 내소하여 내소인원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프로그램을 시도하여, 변화하는 유가족들의 욕구를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자 원봉사자가 변동 없이 근무하여, 모임공간을 이용하는 가족들에게 신뢰감과 안정감을 주었고, 가족들이 모임공간 이용을 통해 집과 같은 따뜻하고 편안한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 그 외 성장과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가족들이 타인과 소통하고 나눔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고, 지역 사회에 관심을 갖는 계기도 마련하였다. 여전히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많지 않지만, 점차
-만 족도 평가를 통해 모임 공간 이용에 대한 객관적인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이 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향 후 신규 자원봉사자 채용시 모임공간의 목적 및 취지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대상자 및 업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할 계획이다.
●
416 통합지원사업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어 참여가 저조하더라도 치료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제공할 필요성
이용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하였고, 보다 긍정적이고 유연한 관계를 맺어나갈 수 있도록 연결고리를 마련할 수 있었다.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꾀하다.
• 외부 슈퍼비전 및 교육 등을 통해 직원의 역량을 강화하여 질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고, 가족들의 욕구 및 특성에 맞는 개입을 시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가족의 다양한 특성이나 역동으로 인한
• 지금까지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애도기반 사례관리의 운영기틀을 체계화하려 하였으나, 인양 현장에 집중
기획홍보사업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개입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하면서 기초데이터를 정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자료를 정리하고, 체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4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4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16 활동지원사업
●
구분
횟수
냅킨공예
28
가죽공예 퀼트공예
참여인원 실인원 27
연인원 404
20
31
248
26
28
283
냅킨공예지도사 자격증반
19
10
162
합계
93
96
1,097
대상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416 활동지원사업
416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의 지역사회 공동체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주민의 역량
416 희망공방 진행 내용 [단위: 명] 416 심리지원사업
02
●
416희망공방 만족도
강화와 인식개선 활동을 통한 주민조직의 활성화를 통해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와 지역공동체 치유와
냅킨공예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가죽공예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매우아니다
보통이다
5%
5%
그렇지않다
12%
가 416 희망공방 프로젝트 1) 416 희망공방운영 416 희망공방은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416세월호참사 피해가족들이 모여 일상적인 노동활동을 통해 시간을 함께
매우그렇다
그렇다
40% 그렇다
44% 보통이다
50%
44% 416 통합지원사업
하고 상호지지와 결속을 다지는 공간이다. 이곳에서 진행되는 수공예 활동은 단순히 기술을 습득하고 물품을 생산 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산된 공예품을 지역사회의 다양한 행사 등에 참여하여 나누고 습득한 기술을 활용하여 자원봉사 활동 등의 기여로 이어지고 있다. 안산온마음센터는 2017년에도 참여자들의 욕구에 따라 퀼트공예, 냅킨공예, 가죽공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기존의 활동들을 강화하기 위해 냅킨공예지도사 자격증반을 운영하여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하고자 하였다.
퀼트공예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
냅킨공예지도사 자격증반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나요?
보통이다
12%
기획홍보사업
416 희망공방운영
매우그렇다
24% 매우그렇다 그렇다
60%
40%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그렇다
64%
44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4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2) 생산공동체 워크숍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416 희망공방 참여가족들을 대상으로 생산공동체 워크숍을 진행하여 타 지역의 사례를 보고 배우는 시간을 가졌
성과
으며 이 과정을 통해 지역사회 기반의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등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나아가 416 희망공방의
●
장기적 운영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세월호 인양 등 다양한 이슈가 발생하는 와중에도 꾸준한 참여율을 보였으며, 416 공방프로그램에서 생산 된 공예품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생산공동체 워크숍
- 오랜 시간 공방활동을 통해 습득된 기술을 보다 전문적인 수준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욕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이는 ‘냅킨공예지도사 자격증반’의 시범 운영으로 이어졌다. 정해진 커리큘럼과 과제 등을 수행 416 활동지원사업
해야 하는 과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00% 참여율을 보였고 자격증을 취득하는 성과를 나타냈다. - 지역사회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행사의 참여뿐만이 아니라 기술을 바탕으로 강사로 활동하는 유가족들이 나타나는 등 공방참여자들의 기술수준 및 의식수준이 성장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생산공동체 워크숍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회적 경제 및 지역사회 기반의 장기적 유지 방안을 모색할 수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일 정 수준 이상의 기술을 보유하게 된 공방 참여자들의 다양한 욕구 반영을 위해 연간 3개 프로그램을 지속하기 보다는 3개월 정도의 커리큘럼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고자 한다.
생산공동체 워크숍 진행 내용
-공 방이라는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보다 다양한 기회를 통해 지역사회로 나갈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고
구분
방문일
방문지역
방문기관
참석자
생산 공동체 워크숍
12월7일(목) ~ 12월 8일(금)
충남 홍성 홍동마을, 안면도
마을활력소, 갓골목공실 외 8곳
31명
비고
416 통합지원사업
●
이러한 활동을 지지해줄 필요가 있다.
-홍 동 마을 내에 위치한 마을 기관 방문 및 질의응답 - 2017 공방 활동 결과보고
기획홍보사업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46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4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나 416 문화행사
함께손장
1) 제4회 엄마랑 함께하장 416 희망공방 참여자들이 생산한 수공예품을 판매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과정을 통해 피해자에서 기여자로 의 역할 변화를 모색했던 ‘엄마랑 함께하장’ 플리마켓 행사는 지난 3회까지의 진행과정을 통해 단순히 장터로서의 행사가 아닌 다양한 시민들이 가족과 함께 나와 즐기는 안산의 중요한 행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2017년에 진행한
프로그램
‘제4회 엄마랑 함께하장’은 보다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복합 문화 축제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416가족들과
●
·들 무새 ·글 라시안 ·바 느질하다 ·미 새김수제도장 ·몽 실공장, 온칠보 ·나 무를심는사람들 ·니 무, 단이슈슈 ·공 방솜씨맘씨 ·주 미희작가
416 활동지원사업
시민들이 보다 즐겁게 어우러질 수 있는 지역행사로 기획하였다.
핸드메이드 작가 참여 진행
416 심리지원사업
운영방식
제4회 엄마랑 함께하장 진행 내용 날짜
장소
제4회 엄마랑 함께하장
10월 21일 ~ 10월 22일
화랑유원지
대상
참여인원
일반시민
4,374명
416가족
60명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사업명
함께배부르장 운영방식
이색 먹거리 푸드트럭존 진행
함께놀장 운영방식
전문 야외 행사팀 진행
프로그램
함께즐기장
운영방식
전문체험 강사 참여 체험프로그램 진행
프로그램
·나 무망치: 장난감 만들기 ·물 레체험: 초벌도자기 그림 ·천 연염색: 손수건, 스카프 ·고 래액자정리함 ·펠 트로 만드는 나만의 브로치 ·슈 링클 ·걱 정인형만들기 ·매 듭팔찌 만들기 ·우 드마커스 ·양 말인형만들기 ·자 개팬시스티커아트
안산온마음센터
운영방식
프로그램
각종 공연 진행
·버 스킹 ·클 래식(후즈아트) ·퍼 커션(하자센터) ·치 어리더공연 ·플 래시몹 ·사 물놀이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48
기획홍보사업
함께만들장
프로그램
416 통합지원사업
·휴 식공간 진행 ·작 은도서관 형성 ·샌 드아트 프로그램 진행 ·포 니싸이클 ·소 꿉놀이 ·자 동차놀이 ·사 파리 박스 ·컬 러링 아트박스, 보드게임 ·공 룡박스, 대형윷놀이
·아 파스(피자) ·한 끼트럭(쉬림프) ·에 그에디션(쌀국수,스테이크) ·앤 디캔디(솜사탕) ·세 븐데이즈(닭꼬치) ·토 마토마차(아이스크림)
2017년 사업보고서
4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유관기관 참여 전시 및 체험진행
416 심리지원사업
운영방식
제4회 엄마랑 함께하장 참여 만족도
행사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하셨나요?
프로그램
416가족 (15명 응답)
13% 1%
일반시민 (300명 응답)
10%
33% 그렇지않다
54%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평가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운영방식
20%
2%
매우 아니다
하트공작소
67%
416 활동지원사업
·수 녀님이 알리는 세월호 ·와 선사람들 ·문 화생활고리 ·리 본공작소, 얼굴그림, 가죽 ·세 월호전시부스(희망마을) ·시 민치유단 기억고리 만들기
공동작업설치물 진행 ●
성과
-4 회째를 맞이하는 플리마켓 ‘엄마랑 함께하장’ 행사는 안산지역사회 내에서 하나의 주요한 지역행사로
프로그램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통해 다양한 시민들이 부담 없이 공원에 나와 즐기며 416 가족들을 만날 수 있는 장이 되어가고 있다. - 지난 행사들과 비교하여 체험과 놀이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휴식공간을 확충하여 진행하였으며, 스탬프
416 통합지원사업
·스 탬프전담 인력 배치 및 운영요원 추가배치 운영 ·하 트만들기 시민참여형 프로그램 진행 ·하 트공작소에서 사진찍기
투어 미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행사장에 나온 시민들이 416가족들과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지 역 내의 주요한 행사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엄마랑 함께하장’행사는 참여하는 416가족들도 함께 즐길
스탬프 투어 5개의 사진 인화하여 액자제공
기획홍보사업
운영방식
보완점 및 향후계획
수 있는 프로그램을 보다 많이 구성하여 시민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매년 반복되는 홍보 부족에 대한 문제를 안산시와 긴밀하게 협의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50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프로그램
·하 트공작소 미션 ·샌 드아트 미션 · ( 416가족과)하이파이브 미션 ·보 드게임 미션 ·작 은도서관 미션 ·스 탬프투어 미션을 완료한 방문객에 게행사장 내 참여사진을 인화하여 제공
2017년 사업보고서
51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2) 3주기 문화행사 ‘일상에서 기억하다’ ●
행사 당일 화랑유원지 일대에서 ‘일상에서 기억하다’라는 추모문화행사를 기획, 진행하였다. 다양한 공연과 체험형
- 미수습자 수습이 마무리된 후 진행되는 2018년 4주기 추모행사의 경우 다양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시 등이 이루어지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416세월호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다른
416 심리지원사업
보완점 및 향후계획
416세월호참사 3주기를 맞아 지역사회의 다양한 유관기관들과 공동으로 추모행사를 기획하였고 안산온마음센터는
보다 세밀한 기획과 준비가 필요하다. -추 모행사 준비 과정에서 다양한 지역사회 유관기관들과 연계하기 때문에 진행 효율이 낮고 준비시간이
추모행사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였다.
촉박해지는 문제점이 매년 노출되고 있어 보다 적극적으로 안산온마음센터만의 기획을 빠르게 준비 3주기 문화행사 ‘일상에서 기억하다’
할 수 있는 과정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416 활동지원사업
3) 3주기 추모전시회 및 전국 순회전시 2016년 416세월호참사 2주기에 진행하였던 꽃누르미(압화) 작품 전시를 합동분향소가 위치한 화랑유원지 내
제주도 등지에서 소규모의 순회전시를 진행하였다.
3주기 추모전시회 및 전국 순회전시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경기도 미술관과 공동으로 기획하여 보다 풍성하게 진행하여 많은 시민들의 관람을 유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416 통합지원사업
●
3주기 문화행사 진행 내용 사업명
날짜
장소
대상
참여인원
일상에서 기억하다
2017년 4월 16일
화랑유원지
일반시민
3,000명 기획홍보사업
평가 ●
성과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갑 작스럽게 이루어진 세월호의 인양 상황을 맞아 목포신항만 현장에서 진행한 노란리본 만들기 사전 캠페인은 현장을 찾은 시민들과 유가족들이 부담 없이 함께 리본을 만들며 교류할 수 있는 장이 되었다. -3 주기 추모행사 “일상에서 기억하다”를 통해 다양한 시민들이 부담 없이 즐기며 함께 기억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3주기 추모행사의 현장이 슬프고 무겁기만 한 공간이 아니라 함께 웃으며 어우러질 수 있는 공간으로 재구성될 수 있었다.
5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5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4) 2017년 안산온마음센터 송년의 밤 ‘이 길 끝에 봄’
추모전시 및 순회전시 진행 내용 전시 지역
전시기간
관람인원
연말을 맞아 안산온마음센터와 유가족이 한 자리에 모여 한해를 돌아보고 함께 했던 유관기관 및 자원봉사자들에게
3주기 추모전시회
안산시
3월17일(금)~5월 7일(일) / 45일간
10,271명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송년의 밤 행사를 진행하였다.
목포시
6월 3일(토)~6월18일(일) / 16일간
1,500명
제주도
11월 7일(화)~11월29일(월) / 23일간
2,000명
3회
13,771명
전국 순회전시 합계
2017년 안산온마음센터 송년의 밤 ‘이 길 끝에 봄’
416 활동지원사업
평가 ●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성과
-꽃 누르미 전시를 통해 많은 시민들이 전시장을 찾아 세월호참사 이후 유가족들의 삶과 이야기들을 공유
작품의 전국 순회전시로 이어질 수 있었다. -순 회전시 과정에서 유가족들이 직접 전시장을 준비하고 관람객을 맞이하는 경험을 통해 보다 친밀하게 시민들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며 다가갈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다.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하고 느낄 수 있었으며 이는 전시를 준비해온 유가족들의 자부심과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었고, 꽃누르미
‘이 길 끝에 봄’진행 내용 사업명
날짜
장소
대상
참여인원
12월 22일(금)
18:30 ~21:00
DK컨벤션
250명
레크리에이션, 공연, 시상식, 타임캡슐 만들기 등
-경 기도 미술관과 초기부터 긴밀하게 협조하여 원활하게 행사를 진행할 수 있었으며 합동분향소가 있는 화랑유원지 내에서 전시가 진행되며 자연스럽게 3주기 추모행사 등과 연결될 수 있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세 월호 인양 등과 같은 큰 이슈들이 많아 꽃누르미 작품 활동이 크게 약화되어 하반기 들어 작품 생산
●
오히려 부담감으로 작용하여 큰 스트레스가 되기도 하였다.
성과
-평 소 외부 활동을 하지 않던 유가족들이 행사에 참여하여 서로 인사를 나누고 담당 사례관리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을 보이는 등 다양한 교류의 장이 될 수 있었다.
활동이 크게 약화되었고 순회전시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전 시회 진행은 참여자들에게 큰 동기부여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작품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는
416 통합지원사업
●
평가
-4 16가족합창단이 다른 일정을 미루고 메인 공연을 맡아주어 보다 의미 있는 행사가 될 수 있었다. -안 산온마음센터 직원들이 직접 준비한 퍼포먼스 등을 통해 “함께”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었다. 기획홍보사업
-따 라서 향후 전시회 등의 행사 등을 지양하고 꽃누르미 활동을 통해 희생된 아이들을 기억하고자 하는 애도과정에 포커스를 맞춰갈 필요성이 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연 말 행사가 많은 시기라 장소 섭외에 어려움을 겪었고 416가족협의회나 지역 내 유관기관들의 참여를 독려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향후 진행시에는 시기를 조금 앞당기는 등의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평 일 저녁 행사는 직장생활을 하는 유가족 등의 참여가 어렵고, 행사 시작 시점에 많은 유가족들이 도착 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로 추후 행사를 계획할 때 행사일시와 시간을 충분히 고려하여 기획 하여야 할 것이다.
54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5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5) 416기억문화사업단
●
416문화사업단 교육 진행 사업명
단 역시 자체적인 활동을 지속해왔다. 단순히 연극이나 합창을 배우고 소규모 초청공연을 반복하는 형태를 넘어서서
416합창단
보다 전문적인 역량을 키우고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하여 문화컨텐츠를 바탕으로 시민들과 소통하고 함께 할 수 있는
기간 9월 ~ 12월
416극단 합계
사업단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두 개의 모임을 ‘416기억문화사업단’이라는 이름으로 묶어 전문교육, 공연활동,
교육 회기
참여 인원
14회
462명
11회
107명
25회
569명
416 심리지원사업
2016년 경기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진행했던 416가족 연극동아리가 꾸준한 활동을 이어왔고 416가족합창
내부적 역량강화 등을 지원하였다.
416문화사업단 공연 진행 [단위: 명] 구분 416합창단
합계
장소
대상
참여인원
11월 8일
제천 시민회관 앞
416합창단 / 일반시민
13/300
11월 17일
대구 동성로 거리
416합창단 / 일반시민
22/500
12월 15일
조계사
416합창단 / 일반시민
40/310
11월 25일
대구 꿈꾸는시어터
416극단 / 일반시민
10/90
12월 6일
안산 경안고등학교
416극단 / 일반시민
10/110
12월 10일
화성 동산교회
416극단 / 일반시민
10/80
12월 14일
홍성 문화원
416극단 / 일반시민
10/80
12월 24일
안산 화정감리교회
416극단 / 일반시민
10/90
총 8회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416극단
일시
416 활동지원사업
●
416기억문화사업단
125/1,560
평가 416 통합지원사업
●
성과
-활 동에 대한 의지는 있으나 열악한 여건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연극동아리와 합창단이 416가족극단 ‘노란리본’, 416가족합창단으로 전문적인 교육을 받으며 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안 산온마음센터가 보다 긴밀하게 협력, 개입하면서 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 등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었고 이는 안산온마음센터에 대한 신뢰감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기획홍보사업
-공 연일정, 시기 등에 대해 참여자, 강사, 안산온마음센터가 함께 논의하여 무리한 활동을 지양하고 내실을 다질 수 있는 논의구조가 만들어짐에 따라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논의할 수 있게 되었다. -대 부분의 활동이 외부 행사에 초청되어 진행되는 소규모 활동이었으나 2017년에는 오랜 시간 준비를 통한 기획공연을 통해 416가족들이 자신들만의 무대를 만들고 시민들을 만날 수 있게 되어 활동에 큰
56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자부심을 느끼고 의욕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17년 사업보고서
5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416 심리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연 극, 합창 모두 초기에는 416세월호참사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싶다는 욕구에서 출발하여 두 개 사업단 모두 무언가를 배우고 표현한다는 문화활동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고 의무감으로 참여하고 있는 한계를 보이기도 하였다. -4 16가족문화사업단이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극이나 합창 그 자체에 대한 즐거움을 ●
1년간의 활동을 직접 구성하고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교 육과 공연활동 이외에 팀워크를 강화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는 워크숍 등의 활동 등을 함께
주민공동체 활성화 진행 내용 기간
장소
인문학 교육
대상
참여인원
중앙동
8월16일(수)~9월27일(수) (총6회기)
중앙동 주민센터
고독한 나에서 함께하는 우리로
일반시민
130명
호수동
8월31일(목)~10월19일(목) (총7회기)
호수동 행정복지센터
내 공간에서 나답게
일반시민
110명
온마음 센터
11월16일(목)~12월21일(목) (총6회기)
안산 온마음센터
달을 보라고 하면, 달이 아니라 달을 보라는 놈을 보라
일반시민
119명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 주민공동체 활성화 사업
합계
19회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구분
416 활동지원사업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나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어 2018년에 사업기획 과정에서 참여자들과 함께
359명
2015년부터 진행해온 지역주민교육을 2018년부터 피해 집중 동인 고잔동, 와동, 선부동 지역 이외의 지역으로 확장 ●
교육 후 주민모임 진행 내용
센터에 방문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주민모임인 ‘온마음 독서 동아리’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육 참여자들
구분
교육내용
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하여 결속력을 다지고 ‘마중물샘’등을 방문하여 시민 참여형 문화공간 등을 경험할 수
중앙동 주민교육
고독한 나에서 함께하는 우리로
있도록 하였다.
호수동 주민교육
내 공간에서 나답게
안산온마음 주민교육
달을 보라고 하면, 달이 아니라 달을 보라는 놈을 보라
주민공동체 활성화 사업
안산온마음센터
주민 책 토론 모임 ‘온마음 독서 동아리’ 참여
주민교육 워크숍 진행 내용 구분
기간
장소
주제
대상
참여인원
주민교육 워크숍
11월 29일(수)
마중물샘 외 2곳
이 가을의 끝을 잡고, 문화산책
주민교육 참여자
13명
2017년 사업보고서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58
모임구성
기획홍보사업
●
416 통합지원사업
하여 진행하였고, 최종 3차 교육을 안산온마음센터에서 진행하여 기존에 거주지 중심으로 참여하였던 안산시민이
5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주민교육 및 워크숍 만족도
라 자원봉사자 관리 결 과
주민교육 전반적인 만족도
100점 만점 / 85.2점
주민교육 워크숍 전반적인 만족도
100점 만점 / 78.5점
416세월호참사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2015년부터 안산지역 청소년들로 구성된 플래시몹 캠페인 활동 전문 봉사단을 조직, 운영하여 안산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지역에서 청소년들과 함께 퍼포먼스를 진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416 심리지원사업
문 항
시민들로 구성된 자원봉사 조직인 ‘시민치유단’은 안산온마음센터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행사에 적극 참여하여 직접 캠페인 부스를 운영하기도 하였고, 정기적으로 분향소 방문 활동 등을 진행하였다.
평가 416 활동지원사업
Ready? Action! 청소년 플래시몹 ●
성과
- 기존에 주민사업을 진행하던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교육을 진행하며 지역적 확장을 할 수 있었고, 416 세월호참사에 비교적 접점이 적었던 시민들을 참여시킬 수 있었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안산온마음센터에서 진행하는 교육을 통해 안산시민들이 센터에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유가족들이 함께 교육에 참여하여 안산시민들과 교육과 토론과정을 공유하며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자발적 주민모임인 ‘온마음 독서 동아리’가 안정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하였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통해
시민치유단
참여자가 확대되고 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416 통합지원사업
●
-안 산 내에 새로운 지역과 연계하여 보다 다양한 지역에서 주민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4 16세월호참사 피해가족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동등한 한명의 시민으로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주 민모임의 내실화를 지원하고 자체적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
Ready? Action! 청소년 플래시몹 진행 내용 [2017.12.31.기준, 단위: 명] 장소
대상
참여인원
플래시몹 신규모집
3월
-
플래시몹 신규 단원
19
4월 8일
시흥 에듀원학원
플래시몹 신규 팀
11
4월 9일
안산온마음센터
플래시몹 신규 팀
8
12월12일
안산온마음센터
플래시몹 팀
39
4월16일
안산화랑유원지
플래시몹팀 / 일반시민
65/600
5월 6일
안산문화광장
플래시몹팀 / 일반시민
70/500
10월21일
안산화랑유원지
플래시몹팀 / 일반시민
24/600
11월4일~5일
군산 일대
플래시몹팀 / 일반시민
84/1,000
플래시몹 간담회
플래시몹 진행
프로젝트 플래시몹
합계
60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일시
기획홍보사업
구분
320/2,700
2017년 사업보고서
61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시민치유단 진행 내용 [2017.12.31.기준, 단위: 명]
마 416 활동 지원사업 종합평가
일시
장소
대상
참여인원
시민치유단 간담회
6월13일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9
●
12월19일
안산온마음센터
시민치유단
12
• 416세월호참사 피해가족들과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역량강화와 인식개선 등의 사업을 2014년부터
공동체 회복을 위한 단계로의 전환점을 맞이하다. 진행해왔으나 서로 연결되고 융합되기 보다는 각각 분절되어 진행된 경향이 있었다.
3월25일
416합동분향소
시민치유단 / 416가족
8/50
4월22일
416합동분향소
시민치유단 / 416가족
6/50
• 2017년은 그 동안의 과정들을 바탕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416세월호참사 피해가족들과 일반시민들의 통합을
시민치유단 기억 활동
10월21일
화랑유원지대공연장
시민치유단 / 일반시민
6/500
적극적으로 유도하였고 그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교육에 유가족들이 함께 참여하고,
41/600
유가족들은 능동적으로 지역사회로 나가려고 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의 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 이는 416세월호참사의 직접적 피해자인 유가족들과 간접적인 피해자인 시민들이 서로에게 다가가는 노력을 시작했음을 의미하며 향후 보다 적극적으로 이를 지지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평가 ●
성과
연습까지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등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애정을 가지고 활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2 016년 광주지역에 이어 군산 지역 청소년단체들과 연계하여 두 지역의 청소년들이 만나 교류하고 함께 캠페인 활동을 진행하면서 자부심을 느끼고 스스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시 민치유단은 자체적으로 활동을 계획하고 방문 하는 등 보다 유가족들에게 가깝게 다가가려는 노력을 하였으며 이는 수동적인 자원봉사자에서 직접 생각하고 움직이는 시민봉사단으로서의 모습을 보였다는
• 416공방을 통한 지역사회 참여의 확대가 가속화된 것은 물론 2017년 실험적으로 진행한 ‘416기억문화사 업단’사업을 통해 기존에 416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이 세상을 향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자신들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하는 방법들 이외에 새로운 방법이 있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문화컨텐츠라는 부담 없는 방법을 통해 재미와 감동을 통해 시민들에게 이야기를 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그것들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 스스로의 회복이 함께 이루어졌다. • 피해자와 일반시민들 간에 느껴지던 서로에 대한 부담감 등의 벽을 허물고 교육, 토론, 문화공연 등의 다양 한 영역에서 한사람의 시민으로서 어우러질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2018년 보다 다양한 시도를 통해 강화해 나갈 것이다.
●
416 통합지원사업
측면에서 참여자들의 내적 성장을 엿볼 수 있었다.
보다 적극적으로 세상속으로 들어가는 다양한 방향을 제시하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기 존에 플래시몹에 참여했던 청소년들이 자발적으로 후배들을 독려하여 참여자들을 모집하고 퍼포먼스
●
416 활동지원사업
시민치유단 공감한컵
합계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보완점 및 향후계획
- 플래시몹 참여자들이 고등학교 졸업 후에도 다양한 형태로 계속 참여하고 후배들을 독려할 수 있는 구조를 정립하여 장기적 관점의 활동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기획홍보사업
- 시민치유단은 2017년 스스로 기획했던 분향소 방문 활동이 세월호 인양 상황과 맞물려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한 아쉬움을 있었으나 향후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할 예정이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6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6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실인원
116
95
93
100
80
64
73
78
82
88
70
76
75
연인원
2,540
346
399
302
201
134
170
166
199
192
104
181
146
416 심리지원사업
03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사업
사례관리 월별 변화추이 [2017.12.31.기준, 단위: 명]
•생존자 및 생존자 가족 심리지원 현황 416 활동지원사업
450 350 250
416세월호참사에서 생존한 이들과 가족들에게 심리지원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150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외상으로 인한 어려움에서 벗어나 긍정의 경험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적응 및
95
93
100
80
50
64
73
78
82
88
70
76
75
연인원 실인원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0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1월
평가
가 416생존자 사례관리 올해 초 세월호가 목포 신항으로 인양되고 세월호 수습작업 중 나온 유류품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416세월호참사는
●
다시 사회적인 이슈가 되었고 생존자들은 그 당시의 악몽을 되새기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대학 생활에
- 416세월호참사 생존자와 가족들에게 외상 후 스트레스로 인한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심리지원
적응해 학업을 이어가고 있는 생존학생 중 남학생들은 병역의무 나이가 되어 학교 휴학 후 군이라는 또 다른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위기상황 시 정서적 안정 및 일상생활의 적응을 도모할 수 있었다.
416 통합지원사업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혼란스럽고 힘겨움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이에 세월호참사 피해를 겪은 이들의 외상 이후 성장
성과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존자의 심리적 변화 및 트라우마로 인한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기
을 돕고자 사례관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동반자 관점을 가지고 정신건강 전문가로서
상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지원체계를 구축하였다.
상담과 지원에 전폭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안산 외 타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생존자의 경우에도 정기적 으로 안내지를 발송하여 필요 시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 단원고 생존자 가운데 남학생들의 군 입대로 인하여 입대 전 심리지원과 더불어 군 입대 후 군 생활 유지에
사례관리 진행 내용 [2017.12.31.기준, 단위: 명] 구분
합계
대한 대상자 및 가족의 심리지원에 대한 방향성 모색이 필요하다.
방문
내소
전화
기타
-재 난 경험자를 위한 심리지원 서비스 및 위기상황 지원 시 활용할 수 있는 구조화된 매뉴얼 마련이 필요
부재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합계
64
116
2,540
81
437
73
471
113
1,419
84
208
5
5
본 인
단원고
72
2,007
62
359
50
291
72
1,191
69
165
1
1
일반
21
194
5
33
4
27
21
108
7
23
3
3
가 족
단원고
20
310
12
36
17
151
17
109
6
13
1
1
일반
3
29
2
9
2
2
3
11
2
7
0
0
안산온마음센터
하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생존 자
기획홍보사업
●
2017년 사업보고서
6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나 프로그램 운영
참여인원 구분
기간
장소
주요내용
횟수
하며, 적응문제 또는 대인관계의 어려움, 일상생활과 생활방식의 변화 등의 이차적 증상으로 고통 받고 있다. 하지만 생존자와 가족들 모두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해서는 거부감과 두려움이 있었고 다양한 일상생활 속에서 치료프로그램
2월~12월
안산온마음센터
단원고 생존자 문화 활동 동아리
10
26
105
가족 봉사동아리
2월~12월
서안산노인병원
생존자 가족 봉사동아리
15
34
136
416추모 애도행사
4월 8일
안산온마음센터
단원고 생존자 애도프로그램
1
9
9
2월 8일
안산온마음센터
형제자매 관계증진 활동
1
13
13
8월30일
안산 소금버스
생존자 집단 모임
1
8
8
가족모임
11월11일
경기도 양평 힐빙클럽
생존자 가족관계 회복 프로그램
1
21
21
가족교육
3월~12월
안산온마음센터
생존자 가족 교육
5
24
47
가족 이음 프로그램
3월~12월
안산온마음센터
생존자 가족 스트레스 이완 및 관리 프로그램
10
22
91
44
83
430
416 활동지원사업
추모애도행사, 가족프로그램, 가족교육 등의 활동을 통해 생존자들이 건강한 애도문화를 형성하고 가족들이 스트레스
연인원
문화동아리
과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생존자와 가족들을 위한 동아리활동과 가족모임, 집단 상담 등이 문화 활동, 봉사활동 등을 매개로 구성원이 서로에게 지지체계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왔다. 또한 416
실인원
416 심리지원사업
416세월호 참사 생존자와 가족들은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나 그외 우울, 불안 등의 증상들을 겪기도
프로그램 운영 진행 내용 [2017.12.31.기준, 단위: 명]
를 해소하고 올바른 보호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집단상담
가족봉사동아리 ‘희망지킴이’
합계
가족모임
가족교육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가족 이음 프로그램
기획홍보사업
66
416추모애도행사
416 통합지원사업
문화동아리 ‘Happy culture’
2017년 사업보고서
6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프로그램운영 서비스 만족도 분석
다 ‘외상 후 성장’공동체 프로젝트
문화동아리 ‘Happy culture’
4.6
-학 교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해소가 어려운데 동아리활동하면서 즐거운 시간 보냈다.
가족봉사동아리 ‘희망지킴이’
4.3
- 희망지킴이 활동을 통해서 어려운 이웃들을 작게나마 도울 수 있어서 보람되고 좋았다.
416추모애도행사
4.5
- 친구들을 기억하고 도움 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4.2
- 동생과 함께 프로그램 참여해서 좋았다. - 고마운 사람들을 생각할 수 있었다.
Happy valentine
이용자 주관적 평가
외상 후 성장은 트라우마에 대응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말하며(Tedeschi & Calhoun, 1995) 외상으로 인한 고통과 혼란 상태에서 이를 견디고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잠재력과 강점을 새롭게 발견하고, 스스로에 대한 확신과 통제감 을 상승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관계교류를 증진하고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여 공감과 위로를 얻어 삶의 변화를 얻어내는 방식으로 개인의 발전과 성장을 지향한다. 416세월호참사 생존자들의 자기긍정성 강화 및 트라우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넓히고 공유하기 위해 두 가지의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프로젝트는 단원고 생존 학생들의 봉사여행 ‘백패스 (backpack+pass)’다. 2016년에 이어 ‘과거를 딛는 여행’에 초점을 맞춰 ‘재난과 정신건강’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
집단상담 Happy meet
가족모임
가족 이음 프로그램
으며 4박5일의 봉사여행과 안전캠페인을 진행하였다. 여행 장소부터 숙소 및 자원봉사 내용까지 참여자와 논의를
4.4
- 다시와도 좋을 것 같다. - 오랜만에 가족들끼리 안부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안전캠페인을 실행하여 재난 발생 시 시민들이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4.0
- 오랜만에 참여했는데 너무 좋았다. - 들어도 자주 잊어버리는데 또 듣고 싶다. - 아이들의 모습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좋다.
4.4
- 꽃을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졌고 또 참여하고 싶다. -뿌 듯함이 느껴졌고 사람이 많아서 상담하거나 자세한 이야기를 못해 인원수가 적은 그룹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면 좋겠다.
-
통해서 계획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참여자들의 주체성을 회복하였고, 재난에 대비하고자 재난방재센터를 방문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가족교육
-아 이들과 오랜만에 모여 고기 굽고 모이는 시간이 좋았다. 편하고 자유로웠다. -센 터에 어색했던 처음과 달리 점점 좋아지고 있다. 프로그램이 마음에 들 경우 참여를 잘했다고 생각한다.
안전 불감증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단원고 생존자)
416 통합지원사업
평가 ●
416 활동지원사업
평균점수 (5점 만점)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성과
- 생존자 가족까지 포괄하여 서비스 지원을 할 수 있었으며 가족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일상생활 과 치료프로그램을 접목하여 가족들에게 정신건강에 대한 접근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백패스-재난 교육
백패스-우토로마을 봉사활동
안전캠페인
안전캠페인
- 동아리 활동을 통해서 생존자와 가족들이 지지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
기획홍보사업
소그룹을 형성하여 공동체 및 관계와의 재연결 기회를 갖게 되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정 신건강에 대해 거부적인 생존자들에게 문화예술과 같이 접근하기 쉬운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정신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건강에 대한 이해와 치료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접근해야 할 것이다. -생 존자 가족은 생존자의 회복과정에서 중요한 동반자이자 협력자인 만큼 가족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올바른 보호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집 단 프로그램 이외 개별적 프로그램이나 소그룹 모임을 선호하여 이러한 부분이 반영되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68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6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백패스(backpack+pass) 진행 내용
봉사여행
주제
6월30일 (1일차)
재난의 이해
7월 1일 (2일차)
일본을 알아보자
7월 2일 (3일차)
remember 우토로
7월 3일 (4일차)
일본을 알아보자
7월 4일 (5일차) 안전캠페인
10월28일
자유가 불다
재난안전
내용 목적 : 재난 및 트라우마 교육 활동 : 지진체험, 지진대응 교육, 트라우마 이해 목적 : 음식 및 문화 체험하기 활동 : 유니버설스튜디오 방문 목적 : 자원봉사 활동 활동 : 한국음식 대접, 아로마 마사지 목적 : 음식 및 문화 체험하기 활동 : 오사카, 교토 자유 관광 목적 : 그룹별 추억 쌓기 및 회상 활동 : 교토 기온거리 걷기, 기모노 체험, 롤링페이퍼 목적 : 사회 안전의식 향상 활동 : 재난 안전교육, 안전인식 조사, 안전박스 배포
지역 일본 오사카
교토 우토로
오사카, 교토
서울-마음전시회 ‘미치도록 살고 싶다展’
●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 진행 내용 [2017.12.31.기준, 단위: 명] 구분
백패스 프로젝트
두 번째 프로젝트는 제주 일반인 생존자들의 ‘소통공감’이다. 2016년부터 안산온마음센터와 제주 세월호 피해상담소 가 협력하여 제주지역의 생존피해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술치료를 통한
내용
날짜
횟수
자조모임
3월10일~11월17일
실적 실인원
연인원
17
14
186
6월30일~7월 4일(4박5일)
1
14
14
10월28일
1
13
13/879*
미술치료 프로그램
3월 3일~8월30일
48
10
123
공예치료 프로그램
4월 3일~5월31일
24
2
40
자조모임
2월24일~12월15일
4
8
19
워크숍
5월27일
1
12
12
마음전시회
10월13일~10월22일(10일), 11월 3일~11월12일(10일)
2
-
1,500*
98
-
1,907
소통공감 프로젝트
효과를 입증한 바 미술치료를 강화하고 작품전시를 통해서 일반인들과 교감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총 77회의 집단 및 개인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주민들과 함께 소통하고 지지와 공감을 얻기
합 계
위해 제주도와 서울에서 마음전시회 ‘미치도록, 살고 싶다展’을 열었다.
416 통합지원사업
봉사여행 안전캠페인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안산시 청소년 수련관
공예치료 작품 416 활동지원사업
일자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 행사참여일반시민
외상 후 성장 공동체 프로젝트(제주 생존자)
●
만족도 분석 및 이용자 주관적 평가 구분
만족도
만족도 분석
이용자 주관적 평가 - 일본이 지진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에 대해 생각 해 볼 수 있었고,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생겼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제주-마음전시회 ‘미치도록 살고 싶다展’
88.6%
안전 캠페인
- 재난현장에서 시민들이 침착하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싶다. -하 루라는 봉사시간이 짧았던 것 같다. - 많은 일정을 다 소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스케줄이었다. - 우리가 직접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나 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좋고,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서 뿌듯했다. -앞 으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실시했으면 좋겠다.
70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71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백패스 프로젝트
만족도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가 46%이며 ‘그렇다’는 전체 45%이며 그렇다 이상이 91%로 긍정적인 응 답을 하였다. 프로젝트 내용 중에서 재난의 이해와 개인역량강화 부분에 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프로젝트의 형태가 대상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기획홍보사업
봉사 여행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구분
만족도 분석
이용자 주관적 평가 - 프 로그램의 진행을 대상자와 함께 계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참여자가 주체적으로 진행 되어 만족감이 높았다.
-
- 당사자의 실력차이가 두드러져 개별적 진행을 원했다.
평가
●
416 심리지원사업
미술/ 공예치료 프로그램
만족도
성과
-단 원고 생존자 학생들이 외부환경에 노출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라우마에 대한 대처기능을 향상시켜 참여자들이 자기 주체성을 회복하고 능동적인 삶 의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79%
- 대 화가 많아졌다 67%(6명)이 만족, 심리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89%(8명) 만족하였고 다음 행사 에도 참여 하겠다 89%(8명), 주위 사람들에게 추천하겠다. 100%(9 명)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만족도 를 나타났다.
소통공감 프로젝트
있도록 하였고, 전시를 통해 일반시민들의 관심과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심리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 제주관광명소에서 치유와 힐링에 도움이 되는 체험활동을 통해 당사자와 담당자가 함께 참여 하여 친밀감을 높인다. - 제주생존자 총인원 24명중 12명이 워크숍에 참여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 -가 족과의 소통을 원하고 가족들의 지지가 필요한 부분이 있어 추후에는 가족과 함께 하는 워크숍 진행을 원하였다. - 제주생존자 대부분 화물운전기사이기 때문에 일정과 시간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하여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참 여자들의 재난 이후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서 접근하고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참여자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워크숍
- 진행 일정과 시간에 대해 66%(6 명)이 보통이하로 나타났고, 자유 로운 의견에 화물운반시기를 고려 해 달라는 의견으로 미루어보아 시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4 16세월호참사로 인한 일반인 생존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미술치료를 매개로 활용하여 표출 할 수
416 활동지원사업
-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서 심리 적인 도움을 주었다 89%(8명)가 만족, 즐겁고 흥미로운 경험이었다. 89%(8명) 만족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에게 재난의 심리적 대응을 교육하고 참여자들이 습득하여 사회기여 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주 세월호 피해상담소와 안산온마음센터가 충분한 소통을 통해 프로젝트 사업의 방향성을 설정해 참여자들의 치유와 회복을 할 수 있는 방법 및 방식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자들의 역량과 환경이 달라 개별 치료를 통해서 프로젝트 진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416 통합지원사업
- 미 술작품과 공예품을 매체로 단절된 관계를 넓히고 지역공동체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장을 마련하였다.
-
기획홍보사업
마음 전시회
- 전시회가 보도 자료를 통해 많이 홍보되었고 일반시민의 높은 관심을 이끌어 냈고 당사자와 가족에게도 큰 치유의 시간이 되었다. - 제주지역의 소외되었던 감정이 서울 전시회에 참여하며 많이 회복되었다는 평가가 있었다. -다 양한 콘텐츠를 통하여 많은 당사자가 참여하여 만족도를 높였다.
72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 활동 참여 등에 대해서도 시민의 관심을 이끌어 냈고 시민들이 작성한 희망 메시지를 통해 당사자의 치유에도 도움이 되었다.
2017년 사업보고서
7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라 416생존자 송년회 ‘가족의 밤’ 416세월호참사 이후 생존자들과 생존자 가족은 우울, 불안과 같이 심리적으로 억압되고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의 만남을 통해 힘을 내자는 메시지나 고맙다는 이야기를 전달하며 서로간의 유대를 확인하는 시간을
경우가 많고 외상 사건에 관한 반추가 성장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지적인 사회적 관계의 도움이 필수가 된다.
보낼 수 있었다.
416 심리지원사업
-생 존자와 가족들이 함께 모이는 기회를 통해 사회적 지지체계를 굳건히 하고 동일한 경험이 있는 집단과
사회적지지는 외상경험으로 인해 힘든 생존자들의 감정적 어려움을 줄여줄 수 있는 중요한 촉진제로 안산 ●
온마음센터에서는 2015년 시작의 밤을 시작으로, 2016년 기억의 밤, 2017년 가족의 밤이라는 주제로 생존자와
보완점 및 향후계획
-송 년행사에 참여자들이 올해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개인적인 소망이나 미래계획을 다지는 시간을 가질 수
생존자 가족들이 모두 모일 수 있는 연말 송년 행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한 해를 마무리하며 한 자리에
416 활동지원사업
있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모일 수 있었으며 송년행사를 통해 같은 아픔을 공유하는 서로를 지지하고 격려하며 따뜻한 연말을 맞아 함께
-생 존자와 생존자 가족이 참여한 활동,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좀 더 이야기를 나누어서 추후, 센터 활동이나
의미 있게 정리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독려할 수 있는 시간을 지속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416생존자 송년회 ‘가족의 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마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사업 종합평가 ●
416세월호참사 생존자들의 심리지원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다.
• 416세월호참사 이후, 생존자들의 심리적 변화 및 트라우마로 인한 어려움을 파악하고 사례관리 및 프로그램
416생존자 송년의 밤 진행 내용 구분
송년회 가족의 밤
일시
12월 9일
장소
더루체
사건에 노출될 경우 어려움이 지속되어 스스로의 마음 돌봄과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적절한 치료법과 교육에 주요내용
생존자 송년회 및 특강
이용자 주관적 평가
4.9
- 너무 재미있었고 행복한 하루였다 - 다 같이 모일 수 있는 자리가 좋다 - 친구, 선생님들 오랜만에 만나서 좋고 재미있었다.
대한 내용으로 점차 당사자들의 피드백을 통해 수정 및 보완을 통한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생존자들의 심리지원 서비스 및 위기상황 지원 시 활용 가능한 매뉴얼 개발을 토대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
시민들에게 지지를 받으며 외상 후 성장의 경험을 하다.
• 단원고 생존자들과 일반인 생존자들의 외상 후 성장 경험을 이끌어내고자 프로젝트를 통한 접근을 하였다.
평가 ●
성과
시간이었고, 2017년 한해 동안 센터에서 진행 되었던 프로그램과 가족들의 경험을 함께 돌아보며 서로
대상으로 안전에 대한 인식개선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일반인 제주 생존자들은 살아남은 고통을 잊고자 미술활동을 하였으며 작품들을 시민들과 나누고자 서울과 제주에서 전시회를 열어 아픔을 함께 나누며 시민들로부터 사회적인 지지를 받고 더불어 외상 후 성장을 할 수 있는 긍정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었다.
이야기를 나누고 상호 지지하는 기회가 되었다.
74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75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트 라우마 경험이 있는 강사를 섭외하여 트라우마 극복에 관련한 강사 본인의 경험을 나눌 수 있는 뜻깊은
단원고 생존자들은 여행에 대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자 봉사여행과 안전교육 캠페인을 구성하여 청소년을
기획홍보사업
평균점수 (5점 만점)
416 통합지원사업
제공 등의 서비스를 체계화하고자 워크북을 구성하였다. 워크북에는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생존자들이 외상 ●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구분
생존자
희생자 및 미수습자
합계(명)
416세월호참사 탑승인원
172
304
476
안산온마음센터 등록
85*
259
344
안산온마음센터 이외 서비스 이용 및 기타
45
9
54
서비스 미등록 관리대상
42
36
78
416 심리지원사업
04 416 통합지원사업
미파악 대상자 현황 [2017.12.31.기준, 단위: 명]
* 1명은 생존했으나 특이사항으로 인해 희생됨.
양성하고 관련 자료를 개발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심리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미파악 대상자 지역별 분포도 [78 명] 서울특별시 (20명)
강원도(1명)
인천광역시(31명)
서비스에 유입되지 못하고 있는 416세월호참사 직·간접 피해자의 발굴 및 지속적 서비스연계체계를 마련
416 활동지원사업
●
416세월호참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비하기 위하여 재난심리지원 인력을
94%
1%
경기도(22명) 충청도(3명)
가 416 피해자 통합지원
4%
1%
1) 416 직접 피해자 미등록 대상 지원
인원 생존자
희생자
서울특별시
11명
9명
인천광역시
17명
14명
경기도
11명
11명
충청도
1명
2명
기타지역
2명
-
42명
36명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하여 서비스 사각지대를 최소화 하고자 한다.
구분
합계 부산시1명
78명
416 통합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는 『416세월호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령』 법35조에 의해 설치되어 416 피해자를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자살충동 등에 대한 조기발견 및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 할 법률상 의무가 있다. 세월호 승선자(구조, 사망, 실종)명단에 따른 관리 대상자는 총 476명으로 이 중 346명은 등록 및 파악되어 심리지원
●
416 피해자 미등록 대상 지원 내용
서비스를 받고 있지만 이를 제외한 80가구는 재난으로 인한 이차적 문제 예방과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구분
본 기관에서는 유관기관과의 간담회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로 유입되지 못한 416 피해자를 발굴하고
개입
고위험군 선별과 서비스 개입 수준을 평가하여 외상회복을 위한 대상자 중심의 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 및 간담회 가족모임
416 피해자 미등록 대상 지원 안내문 발송
애도작업- 추모꽃
· 사례 모니터링
달성정도 627건
· 자원연계 (서비스등록/심리평가)
12회 / 14명
· 안내문 제작 및 발송
5회 / 450건
· 사례 개입 논의를 위한 간담회 개최
3회 / 20명
· 가족모임
1회 / 19명
기획홍보사업
안내문 발송
세부내용
가족 간담회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76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7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
416간접피해자 대상자 현황
●
성과
-미 등록 416 피해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안내문과 소식지를 제작·배포하여 대상자들의
416
정보 수준이 향상되고 개별적 치유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실제로 총 4명 (생존자2명, 유가족
인원
접촉 인원
미접촉 인원
간접피해자
2명
2명
0명
민간잠수사
143명
25명
118명(3명 사망)
범죄피해자
1명
1명
0명
146명
28명
118명
합계
2명)이 서비스 동의 및 등록으로 이어졌다.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일 반인가족대책위원회와 3차례 간담회 및 송년모임을 통해 협조가 필요한 상황을 논의하고 실질적으로 416 활동지원사업
필요한 정보제공 및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었다. 또한 마음을 담아 416 일반인 희생자에게 추모 헌화를 서울특별시 (12명)
하여 유가족들의 정서적 어려운 애도에 공감하고 긍정적 관계 형성이 이루어졌다.
강원도(8명)
인천광역시(14명) ●
경기도(19명)
보완점 및 향후계획
충북(2명) 충청도(5명)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고정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전달 수단은 전화와 우편물이 대부분을 차지
대전(3명)
경북(7명)
하고 있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서비스 투입 과정은 정보 이해에 취약한 노인이나 학생들의 정보격차를
전북(3명)
대구(1명)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4 16 발굴사업의 홍보•안내는 전화 안내, 우편물 발송, 유가족대책위와의 협력 등 여러 매체를 활용해
울산(3명)
형성 할 수 있고 고위험 대상자의 소실(消失)로 이어질 수 있어 방문상담과 같은 대면접촉이 필요할 것
광주(7명)
으로 사료된다.
경남(5명) 부산(21명)
전담(16명)
2) 416 간접피해자 지원
416 통합지원사업
제주(3명) 미파악(17명)
간접 외상이란, 본인이 직접적으로 겪은 것이 아닌 타인의 고통을 전달받음으로 인해 직접적인 외상을 입은 사람들과 같은 고통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을 ‘간접적 외상스트레스,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대리외상’이라고 부른다. Gottfried(2010)는 사회적 지지는 이차적 외상, 대리외상과 정적으로 관련된다고 하였으며, Kemp &
416 간접피해자 지원 단원고캠페인
간접외상예방프로그램 - 안산시교육회복지원청
간접외상예방프로그램 - 안산소방서
Green(1995)은 사회적 지지와 PTSD와의 관계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중재한다는 결과를 기획홍보사업
제시하였다. 416세월호참사의 간접피해자는 가장 대표적인 민간잠수사를 포함하여 단원고 재학생, 희생자와 유가족들의 지인, 416세월호참사의 피해자를 지원하는 인력 등 그 범위는 매우 넓고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간접피해자의 지원 범위를 크게 확대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해 민간잠수사의 지원을 가장 우선순위로 하였으며 단원고 재학생 및 그 밖에 잠수사 캠프
잠수사 송년모임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의뢰 대상으로 한정하여 지원하게 되었다. 심리상담을 포함해 자조모임, 캠프, 교육, 예방프로그램 등 대상의 욕구 및 상황에 따라 조정하여 진행하게 되었다. 이 같은 활동들은 간접피해자의 외상회복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직접피해자 및 간접피해자의 지지체계를 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78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7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416 간접피해자 지원
평가 세부내용
실적 ●
정신건강평가 및 상담
일반 상담 등록 상담
안내문 2차
스트레스 완화 - 스트레스의 이해 및 완화방법 - 힐링키트 사용방법
1회 / 23건
있다. 따라서 단원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캠페인은 416세월호참사에 대한 인식을 완화시켜 학생들 간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정서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이 쉽게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을 높일 수 있었다고 평가된다. -4 16세월호참사 피해자를 지원하는 인력들에 대해서 심리적 어려움 및 소진을 다루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으나 신체안정화기법을 통해 좀 더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었고 이같은 지원인력들이 스스로의
1회 / 12명
정신건강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민 간잠수사의 경우 안산 외 지역에 다양하게 거주하고 있어 서비스접근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1회 / 15명
따라서 해당지역의 자원들을 파악하고 연결하는 방안 및 다양한 형태의 지원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16세월호참사 피해자에 대한 지원인력들의 경우 여러 가지 정서적 어려움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서비스를 받기를 꺼려하는 부분이 크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지원이 제도화 및 시스템화 될 필요가
1회 / 815명
교육
▸대상 : 교육지원청 회복지원단 ▸일시 : 2017년 8월 25일 목요일 10:00~18:00 ▸장소 : 더플레이그라운드 ▸내용 : 신체기반 교육 - 이완교육, 신체교육, 신체의 얼라이먼트 맞추기
1회 / 13명
프로 그램
▸대상 : 안산 관내 소방관계자 ▸일시 : 2017년 10월 16일 ~ 11월 30일 ▸장소 : 안산소방서 체력단련실 ▸내용 : 신체기반 안정화 프로그램 - 사전사후 설문지, HRV측정을 통한 신체상태 점검 - LCT(Living Calm Technic)동작 시행
10회 / 135명
있다.
기획홍보사업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
-유 가족 형제자매가 가장 많이 재학하고 있는 단원고는 416세월호참사의 가장 중심적인 장소라고 할 수
▸대상 : 단원고등학교 재학생 및 교사 ▸일시 : 2017년 7월 20일 목요일 11:30~14:30 ▸장소 : 단원고등학교 ▸내용 : 인식개선 캠페인 -간 이HRV검사, 인식조사, 기억교환미션, 행복액자꾸미기, 스크 리닝(스트레스, 우울)
캠페인
되었으며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416 통합지원사업
송년 모임
▸대상 : 416세월호참사 지원 민간잠수사 ▸일시 : 2017년 12월 19일(화) 19:00 – 21:30 ▸장소 : 리더스나인 서대문점 ▸내용 - 교제 및 나눔의 시간 - 관계지인 초청으로 위로와 감사의 시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특히 캠프를 통해 그동안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공감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마련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캠프 및 송년모임
▸대상 : 416세월호참사 지원 민간잠수사 ▸일시 : 2017년 10월 24일(화) - 25일(수) ▸장소 : 대둔산빌리지 ▸내용 - 회복탄력성에 기반한 스트레스해소프로그램 -정 신건강문제 평가(PHQ-9, PHQ Follow-up, AUDIT-C, PTSD Check List-5, FSSQ, Insomnia Sevetity Index)
불구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캠프, 송년모임 등을 통해 심리지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신뢰관계를
416 활동지원사업
1회 / 24건
성과
-민 간잠수사의 지원이 매우 필요함에도 여러 지역으로 흩어져 있어 지원의 한계가 매우 높았다. 그럼에도
40건 (실인원 8명)
안내문 1차
캠프
80
- 서비스참여 동의 및 등록 - 전문의 상담 및 사례관리
228건 (실인원 46명)
트라우마로 인한 신체적 통증 - body check up program 안내 - 트라우마로 인한 신체적 통증 완화 정보제공
안내문 발송
캠페인, 교육 및 프로그램
초기상담 - 자원연계 및 전문의 상담연계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2017년 사업보고서
81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나 재난심리지원 교육 개발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세부 내용 장소
9월 7일
으로 교육 진행 및 컨텐츠를 배포함으로써 실무자의 전문성 및 역량을 강화한다.
안산더플레이 그라운드
제1,2차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 신체 기반 안정화 기법 ‘Living Calm Technic(LCT)’이론 및 실습
제주도 예술공간 아이
제3차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 신체 기반 안정화 기법 ‘Living Calm Technic(LCT)’이론 및 실습
9월 21일 11월 24일
1) 재난심리지원 종사자 교육
주제 및 강사
인원(명) 33 34
416 심리지원사업
기간
재난 피해자에게 양질의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재난 피해자의 심리지원을 담당하는 실무자를 대상
15
합 계 총 3회 / 82명
제1차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제2차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제3차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
416 활동지원사업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 신체 기반 안정화 기법 ‘Living Calm Technic(LCT)’
전체만족도 5
4.63
4.81
4.68
재난심리전문가 양성교육 평균 만족도
4
1차 – 4.63점
3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2차 – 4.81점
2
3차 – 4.68점
1
1차
2차
3차
지역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교육 - 심리적 응급처치(PFA) 제1차 - 광주광역시
제2차 - 부산광역시
제3차 - 안산시
●
세부만족도
· 본강의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다 4.76
4.70
- 강 의 내용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한 내용으로, 1차 교육 4.62점, 2차 교육 4.76점, 3차 교육 4.70점으로 대체로 높게
4
나타났다.
416 통합지원사업
4.62 5
3
-트 라우마 회복에 필요한 기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교육함
2
교육 컨텐츠 개발 – 재난 및 트라우마 회복키트
으로써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1
회복키트
LCT 포스터
LCT 매뉴얼 및 소책자
LCT DVD
1차
2차
기획홍보사업
0
3차
· 강의 일정과 시간은 적절하였다 4.45
4.67
4.77
-강 의 일정 및 시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한 내용으로, 1차 교육
5
- 1 차 교육에서 트라우마의 이해 및 LCT 개발 배경에 대한 강의
3 2
시간이 다소 부족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2, 3차 교육 진행 시
1
본 의견을 반영하여 이론 및 실습 시간을 조정하여 만족도가 상승하였다.
0
1차
82
안산온마음센터
2차
3차
2017년 사업보고서
83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4.45점, 2차 교육 4.67점, 3차 교육 4.77점으로 나타났다.
4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강의 장소는 적절하였다
5
4.88
4.54
-강 의 장소에 대한 만족도로, 1차 교육 4.76점, 2차 교육 4.88점, 5
3차 교육 4.54점으로 나타났다.
4
전체만족도 4.30
4.63
실습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2
-3 차 교육의 경우, 연습실의 넓은 공간을 활용하여 실습을 진행
1
하기에 적절하였으나 공간이 나누어져 있지 않아 조별 활동을
각 차수에 따른 평균 만족도
3
1차 – 4.30점
2
2차 – 4.61점
1
3차 – 4.63점
0
2차
3차
1차
진행하는데 다소 불편한 부분이 있었다.
· 참여인원의 특성 및 인원수는 적절하였다
●
-교 육에 참여한 인원 수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내용 4.73
5
4.76
4.77
· 본강의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다
3
-교 육에 참여한 인원은 정신건강 실무자 및 재난 관련업무 종사
2
자들로 교육 목적에 맞는 실무자들이 참여하였다. 또한 약 30명
1
정도의 인원이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전체 실습 및 조별 실습을
0
2차
1차
3차
이루기에 적절하였다.
4.30
4.70
4.68
- 강 의의 내용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한 내용으로, 1차 교육 4.30점, 2차 교육 4.70점, 3차 교육 4.68점으로 나타났다.
4 3
-광 주, 부산 등 물리적 거리로 인해 재난심리지원 교육에 참여
2
하기 어려운 실무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만큼, 재난
1
심리지원에서 가장 중요한 심리적 응급처치를 주제로 한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0
2차
3차
416 통합지원사업
1차
지역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교육 세부 내용 기간 3월20일
주제 및 강사
인원(명)
광주광역시 518교육관
제1차 지역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교육 : 심리적 응급처치(Psychological First Aid:PFA)의 이론적 이해 및 가상 재난 현장을 통한 워크숍(실습)
64
5
4.21
4.73
4.36
36
더플레이 그라운드
제3차 지역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교육 : 심리적 응급처치(Psychological First Aid:PFA)의 이론적 이해 및 가상 재난 현장을 통한 워크숍(실습)
19
3
- 강의는 크게 이론, 실습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실습 후 이루어
2
지는 피드백 시간이 조금 부족하다는 의견 외에 전반적 일정에
1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특히 1차 교육 시 피드백 시간에
0
1차
2차
3차
대한 의견을 2차 교육에 반영함에 따라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제2차 지역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교육 : 심리적 응급처치(Psychological First Aid:PFA)의 이론적 이해 및 가상 재난 현장을 통한 워크숍(실습)
-강 의 일정 및 시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한 내용으로, 1차 교육 4.21점, 2차 교육 4.73점, 3차 교육 4.36점으로 나타났다.
4
부산광역시 노블리아 비즈니스 센터
7월13일
· 강의 일정과 시간은 적절하였다
합 계 총 3회 / 119명
84
안산온마음센터
기획홍보사업
5월26일
장소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5
나타났다.
3차
세부만족도
으로, 1차 교육 4.73점, 2차 교육 4.76점, 3차 교육 4.77점으로
4
2차
416 활동지원사업
0
1차
지역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교육
4
- 1 , 2차 교육의 경우 넓은 공간 내에 공간이 나누어져 있어 조별
3
●
4.61
416 심리지원사업
4.76
●
2017년 사업보고서
8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심리적 응급처치 이론 2
· 강의 장소는 적절하였다 4.25
3.91
4.89
-강 의 장소에 대한 만족도로, 1차 교육 4.25점, 2차 교육 3.91점, 3차 교육 4.89점으로 나타났다.
4
5
-심 리적 응급처치 이론 2 강의에 대한 만족도로, 1차 교육 4.16점
4.16
으로 나타났다.
4
3
-심 리적 응급처치 교육의 경우,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는 장소,
3
- 1 차 교육에서 심리적 응급처치 이론 1, 2 강의의 내용이 중복
2
팀 빌딩 장소 등이 구분되어 진행되는데 이러한 점에서 3차
2
되는 점을 고려하여 2, 3차 교육에서는 심리적 응급처치 이론 2
1
교육은 적절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공간이 다양하게
1
강의를 진행하지 않았다.
구분되지 않았던 2차 교육에서는 만족도가 다소 떨어졌다.
0
0
2차
3차
1차
2차
3차
4.69
4.7
416 활동지원사업
1차
· 심리적 응급처치 실습 · 참여인원의 특성 및 인원수는 적절하였다 5
-교 육에 참여한 인원 수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내용으 5
4.28
4.55
4.57
4
2 1
1차 교육 4.5점, 2차 교육 4.69점, 3차 교육 4.7점으로 나타났다.
4
-교 육에 참여한 인원을 조별로 나누어 소규모로 교육을 진행할
3 2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생과 강사의 활발한 피드백이
- 1 차 교육의 경우, 공동 주관인 광주광역시정신건강증진센터와
1
공유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안산온마음센터 직원이 강사로
사전 협의를 통해 목표한 인원이 모두 참여하였고 많은 인원이
0
나타났다.
3
-심 리적 응급처치 실습(워크숍)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항목으로,
참여하여 현장 중심적·실제적인 강의를 이룰 수 있었다. 1차
참여함에 따라 시뮬레이션 및 피드백 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
2차
3차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로, 1차 교육 4.28점, 2차 교육 4.55점, 3차 교육 4.57점으로
4.5
416 심리지원사업
5
0
1차
2차
3차
졌다.
시뮬레이션보다 피드백 공유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졌다.
·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교육을 다른 실무자에게도 추천할 의향이 있다. 5
4.53
4.7
4.68
교육 4.53점, 2차 교육 4.7점, 3차 교육 4.68점으로 높게 나타
4
· 심리적 응급처치 이론 1 5
4.29
4.69
났다.
3
4.56
-심 리적 응급처치 이론 1 강의에 대한 만족도로, 1차 교육 4.29점, 2차 교육 4.69점, 3차 교육 4.56점으로 나타났다.
4
2
서 실무자가 지켜야 할 가이드 등에 대한 설명을 다루는데, 1차
1
교육의 경우, 심리적 응급처치 이론 2 강의와 내용이 중복되는
-이 론과 함께 실습(워크숍)을 시행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교육
2
이 이루어졌다는 의견 등을 통해 대체적으로 교육에 대한 만족도
1
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0
1차
2차
기획홍보사업
-심 리적 응급처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기에 앞서 재난 현장에
3
-재 난심리지원 전문가교육에 대한 추천도를 묻는 항목으로, 1차
416 통합지원사업
-2 , 3차 교육의 경우 각 36명, 19명이 참여하여 1차 교육에 비해
3차
부분이 있어 2, 3차 교육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0
1차
2차
3차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86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8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교육 컨텐츠 개발(재난 및 트라우마 회복키트) 도구
효과
케이스
물품 보관
-
-
설명서
키트에 대한 설명
키트설명서
키트 사용법에 대한 이해
생각·마음 정리하기
제작수첩
하루 세 줄 글쓰기를 통한 심리 안정 및 마음 정리
안정된 호흡
복식호흡 유도기
교감, 부교감신경계의 균형
근육통 완화
이완 스프레이
긴장된 근육 이완 및 기분전환
신체감각 활성화
마사지볼
혈액순환촉진과 신체이완
수면
편안한 수면 유도
안대 핫팩
눈의 피로해소 및 수면 유도
스트레스
스트레스에 대비
패치
나의 스트레스 지수 측정 및 스트레스 상황 대비
마음
감각
기억
기억노트
페이지수
52페이지(표지 포함)
주요내용
1) 여는말 2) 배경 3) 전반부동작 4) 후반부동작 5) 대상자별 프로토콜
제 목 포스터
기억력 저하 예방 및 회복
안산온마음센터 신체기반 안정화 기법 LCT(Living Calm Technic) 고요하게 살아가기
1페이지(size : 600*450)
주요내용
1) 12가지 기본 동작 및 명칭 제시 2) 각 집단별 동작 순서 요약표 제시 LCT - Living Calm Technic 고요하게 살아가기
재생시간
DVD 1) 총 62분 28초 DVD 2) 총 118분 33초
주요내용
DVD 1) 안산온마음센터 소개 12가지 기본 동작 : 각 동작별 시범 기본 동작 연속시범 DVD 2) 대상자별 프로토콜 시범 : 유가족, 생존자, 심리지원종사자, 소방대원
안정화 기법 영상자료 (파일, CD) 영상자료
160페이지(표지 포함)
고요하게 살아가기 - Living Calm Technic(LCT)
페이지수
제 목
세부내용 제 목
페이지수 요약본
교육 컨텐츠 개발(교육 및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구분
Action Manual 워크북 LCT Living Calm Technic 고요하게 살아가기 Motion12 열두가지 동작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기억력 회복
제 목
416 활동지원사업
내용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416 통합지원사업
1장 트라우마 안정화 교육의 배경 및 목표 트라우마 관련 신체 기반 교육 연구 동향 및 현황 2장 트라우마 안정화 신체 개입의 교육의 이론적 이해 3장 트라우마 신체기반 안정화 기법 LCT 개발 단계 1) Sussman 프로그램 6단계에 의거한 개발 절차 2) 프로그램 목표 및 특성 3) 예비 프로그램 개발과정 4) 모듈 구성 및 대상별 움직임 배치 주요내용
5) 확정된 프로그램 12가지의 목표 및 효과 6) 각 대상별 프로그램 특성 및 움직임 배치 4장 대상자별 LCT 시나리오 1) 유가족 3) 심리지원 종사자 4) 소방대원 부록 LCT motion 12 동작 요약(포스터) 효과성 검증 : 심리지원종사자, 소방공무원 Reference
88
안산온마음센터
성과
-자 체적으로 개발한 컨텐츠를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실무자에게 새로운 주제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했으며, 다양한 실습 위주의 교육을 통해 현장에 있는 실무자들에게 직접적인 교육이 되었다는 평가가 이루어졌다. 심리적 응급처치(PFA)에 대한 교육 시 416세월호참사 당시 심리지원 활동을 했던 실질적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이 이루어져 실무자들에게 보다 현장감 있고 실질적인 교육이 제공되었다. -한 국타말파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신체 표현 예술 기반 안정화 기법 Living Calm Technic(LCT) 매뉴얼 및 교육 자료들을 통해 재난 피해자를 지원하는 인력들에게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했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2) 생존자
●
기획홍보사업
안정화 기법 매뉴얼 매뉴얼 인쇄물
평가
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제작된 교육 자료를 토대로 타 지역에 있는 실무자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무자들은 재난 피해자들의 긍정적 회복을 위한 자원을 제공하고 심리적 어려움을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017년 사업보고서
8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보완점 및 향후계획
기간
장소
주제
6월22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홀 308B,C
강사
인원(명)
Naru Fukuchi, MD(미야기 재난 정신건강케어센터장) Yuzuru Kawashima(일본 국립재난의학 센터) Miyuki Akasaka(세이브더칠드런 일본)
80
Miyuki Akasaka(세이브더칠드런 일본) Ryoko Ohtaki Narita(일본국립신경정신의학 센터)
30
Dr. Masako Hirasawa(Hannasomatics,Japan대표) Sakiko Asai (Art of Therapy 대표)
115
-자 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할 수 있는 강사를 양성하고 역량을 강화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이 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심 리적 응급처치(PFA)뿐만 아니라 재난 심리지원과 관련한 다양한 컨텐츠에 대해 연구하고, 체계적인
재난 시 아동・청소년 심리지원과 트라우마 치유
심화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실무자들이 재난 현장에서 보다 실질적인 재난 심리지원 활동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 해야 한다. 6월23일
안산 더플레이그라운드
11월13일
서울스퀘어
416 활동지원사업
-신 체 기반 안정화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효과성에 대한 근거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개발된 컨텐츠
416 심리지원사업
●
국제전문가 초청세미나 진행 내용
를 전문가 교육 및 대상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제공함으로서 수행의 효과성을 높이고 실제 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합계
국제전문가 초청세미나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2) 국제 전문가 초청 세미나
재난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신체 기반 접근
총 2회 / 225명
전체만족도
· 2017년 국제전문가 초청 및 교류 사업 만족도 전반기 워크샵
416 통합지원사업
전반기 세미나
후반기 세미나
5 4 전반기 -재난 시 아동・청소년 심리지원과 트라우마 치유
3 2 기획홍보사업
1 0 장소 4.47 4.72 4.29
시간 4.6 4 4.59
통역 4.69 4.72 4.55
강사 4.65 4.74 4.38
진행 4.66 4.32 4.47
재참석 4.63 4.32 4.75
추천의사 4.56 4.52 4.66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후반기 –재난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신체기반 접근
전체 4.59 4.52 4.51
*2017년 국제전문가 초청 교류 사업 만족도 조사 항목의 전 범위에서 5점 만점 중 4점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90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91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세부만족도
· 추천의사
5
4.65
연간 강사 만족도 평균 : 4.59점/5점 4.74
4.38
4
5
-전 반기 교육에서는 재난 시 아동에 대한 심리지원, 후반기 교육 은 재난 트라우마 회복을 위한 신체 기반접근에 대한 내용으로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교육 접수 인원이 시간이 갈수록
의 경우 기존에 초빙하기로 했던 강사의 건강상의 문제로 변경
1
된 점이 만족도를 떨어트리는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
0
3차
증가하였으며 보다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여 많은 인원들이 교육을 알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1차
만, 전반기와 후반기 모두 세미나, 워크샵 간에 실무에서 활용할
2차
3차
416 활동지원사업
2
2차
-국 제 전문가 초청 교류 재참석의사 및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3 2
1차
4.66
하는 의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참가자를 통한 홍보도 기대할 수
주로 일본에 있는 강사를 초빙하여 교육이 진행되었다. 후반기
0
연간 추천의사 평균 : 4.58점/5점 4.52
4
3
1
4.56
많았다.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실습이 포함되었던 것이 만족스러웠다는 의견이 많았다.
· 진행 만족도 4.66
4.32
4.47
●
연간 진행 만족도 평균 : 4.48점/5점
4 3 2 1
평가 성과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5
-국 제전문가 초청 및 교류 사업을 통해 국제적 재난 심리지원의 기준인 아동 심리적 응급처치 교육 워크샵
-대 체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홍보물을 제작하
을 수료하고 이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다는 밑바탕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아동에
여 제공한 부분도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 심리지원의 방법과 특징, 트라우마의 신체기반 접근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었다는 점에서
향후에도 교육 시 홍보물 제작을 통한 센터 활동 홍보 및 센터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정보제공을 별도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0
1차
2차
3차 ●
보완점 및 향후계획 416 통합지원사업
-교 육에 참여하는 인력의 경험정도에 따라 기초교육 및 심화 학습에 대한 욕구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 재참석의사 5
416 심리지원사업
· 강사 만족도
4.63
4.32
4.75
4
연간 재참석의사 평균 : 4.57점/5점
기초적이고 광범위한 기초교육과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심화교육과 같은 형식의 분류를 통해 체계화된
-2 017년 국제전문가 초청 세미나의 경우 ‘아동, 청소년’, ‘신체기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 히 아동 심리지원을 위한 PFA의 경우 국내에의 교육 및 전달체계가 부족하며, 향후 재난 시 아동을 위한
서 참여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었다. 또한 이러한 교육들이
보다 국제적 기준의 심리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아동심리지원에 대한 내부역량강화 및 외부교육의 활성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많은 인원들에게 제공되었으면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재난 심리지원을 위한 신체기반의 접근의 경우 본 센터에서
좋겠다는 의견이 전, 후반기를 통틀어서 확인되었다. 이를
개발한 신체기반 안정화 기법 LCT(Living Calm Technic)을 활용하여 실제 대상자들이 이를 통해 회복
미루어보았을 때 국제전문가 초청 교류에 대한 교육 만족도 및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이러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재난심리지원활동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재참석 의사는 높은 것으로 보인다.
노력해야 할 것이다.
3 2 1 0
1차
2차
3차
기획홍보사업
반의 트라우마 회복’이라는 다소 소외되었던 주제를 조명하면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9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9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1) 재난심리지원 활동
다 재난심리지원 시스템 구축
재난심리지원 전문가 매뉴얼 제작 구분
심리지원 활동에 대해 대비한다.
세부내용 1. 의뢰과정 - 사건발생 및 의뢰접수 - 현황분석
재난심리지원 시스템 구축 재난심리지원전문가 메뉴얼
재난심리지원활동키트
제1차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3. 재난위기대응 시 간접서비스 지원 - 재난 위기 지원 자원 구성 - 교육 자료 및 도구 지원 - 실무자 지원
제2차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구분
매뉴얼 및 키트제작
대상 재난심리지원 매뉴얼
실적 1종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재난응급 심리지원 키트 재난심리지원실무자 / 자원봉사자
키트 설명서
- 설명내용 1. 비접촉식 디지털: 대상자 체온관리 2. 메타 혈압계: 고혈압관리 3. 청진기: 혈압측정 4. 상비약: 응급상황 시 즉각적인 통증완화
기록지
- 3종으로 구성 상담기록지 한국판 사건 충격 척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척도 메모장
3회
기획홍보사업
간담회 및 교육
25개 * 1회 / 배포 미시행
재난 심리 지원 전문가 매뉴얼
빈명함
- 명함제작 1. 현장에서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 2. 심리지원 실무자에 따라 내용이 다르므로 빈 명함으로 제작) *소속, 이름, 연락처로 구성
416 통합지원사업
재난심리지원 시스템 구축
매뉴얼
1. 재난심리지원개입 2. 재난 후 심리적 응급처치(PFA) 3. 재난심리지원 실무자들이 자주하는 질문(Q&A) 4. 부록 ※ 한눈에 보는 단계별 지원활동 및 온마음 Tip(도식화)표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간담회 - 광주광역시
2. 직접서비스 - 심리응급지원 - 재난현장방문 - 스크리닝을 통한 위험군 분류 - 위험군 분류 및 각 분류별 지원서비스
416 활동지원사업
재난 심리지원 시스템 가동
●
416 심리지원사업
●
재난심리지원 활동에 대한 매뉴얼 구축 및 컨텐츠를 개발하고 재난 현장 투입 인력을 관리하여 향후 재난 상황 시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94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9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재난심리지원활동키트 목적
활동키트케이스
물품 보관 및 이동
인원(시민치유단 및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보수 교육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심리적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
약품케이스
상비약 보관
과 더불어 취약 계층에 대한 이해, 삼각화(triangulation)에 대한 개념 등의 내용을 추가하여 교육의 질을
상비약
응급상황 시 즉각적인 통증완화
메타식 혈압계 및 청진기
응급상황 시 발생할 수 있는 고혈압관리
비접촉식 체온계
대상자의 체온관리
힐링키트
눈의 피로 해소, 숙면 유도, 몸의 긴장 완화 등
상담기록지
피해자 연락처, 상담 내용 등을 기록‧작성
정신건강안내지
피해자의 정보수준 향상
416 심리지원사업
- 제 1차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의 경우, 2016년에 진행한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에 참여한
물품
높일 수 있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416 활동지원사업
-재 난심리지원활동키트는 재난 상황 시 심리지원의 1차적 목표인 신체기반의 안정화를 유도할 수 있는 물품으로, 실무자들의 심리지원 활동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향후 키트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대상자 중심의 맞춤형 재난심리지원활동키트를 보완·제작을 해야 한다. -최 근 재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지역별로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자문 요청이 많은 편이였다.
●
간담회 및 교육 구분
간담회
지원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 지역별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교육 진행을 위한 간담회 광주광역시정신건강증진센터 2. 재난 심리지원을 위한 간담회 재난 발생 시 진행 예정이므로 진행하지 않음. 1.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보수 교육(우리 동네 마음지킴이) 2016년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수료자 대상(17명 중 9명 참여) 심리적 응급처치(PFA) 복습
라 416 통합지원사업 종합평가 ●
2.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양성을 위한 교육(마음 더함 플러스+) 대학생 자원봉사자 21명 참여 심리적 응급처치(PFA) 교육 실시
소외된 416미등록 피해자의 마음의 문을 열다.
• 2016년 처음 팀이 구성되면서 416미등록 피해자들을 파악하기 시작하였다. 처음 받는 센터의 관심에 화도 많이
416 통합지원사업
재난심리지원 자원봉사자 교육
세부내용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따라서 간담회를 통하여 재난심리지원에 대해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재난심리
내고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지속적인 관심에 2017년에는 센터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기 위해 타 지역에 거주하는 피해자가 센터에 등록하고 가족모임에도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
• 또한 416세월호 참사의 지원 인력인 잠수사, 안산교육회복지원청, 소방공무원, 단원고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간접외상프로그램, 캠페인, 캠프 송년모임)를 제공함으로써 심리외상의 예방뿐만 아니라 초기발견을 통해 치료서비스에 유입되도록 하였다.
성과
-재 난심리지원활동키트는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로 구성하였 으며, 재난심리지원활동키트 설명서에 구성품에 대한 내용과 사용 방법이 포함되어 있어 실무자들이
-세 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체계를 대비하기 위해 세월호가 인양되는 목포 인근의 지역과 교육지원 및 간담회를 통해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 할 수 있었다.
재난심리지원의 경험을 공유하다.
• 심리적 외상과 치료의 특징을 반영한 교육구성으로 이론과 시연을 같이 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참석자의 만족도 또한 높았다. • 해외 전문가를 초청해 국제에서 통용되는 재난심리지원 시스템에 대한 교류는 재난 실무 현장에서 업무 하는 인력의 역량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 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역별 재난심리전문가교육은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지역의 재난
96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97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기획홍보사업
평가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심리지원전문에게 교육의 기회를 마련하게 되었다.
명실상부한 재난심리지원전문가로서의 위상을 높이다.
• 416세월호참사 초기의 경험을 되살려 2016년 재난위기대응에 대한 시스템을 구축했다면 2017년 재난심
05 기획홍보사업
416 심리지원사업
●
리지원을 위한 여러 가지 컨텐츠(신체기반안정화기법, 회복키트, 재난전문가메뉴얼 등)를 개발했다. 더 나아가 개발된 컨텐츠를 이용해 다양한 기관에 교육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416 활동지원사업
416세월호참사와 트라우마 치유에 대한 정보제공 및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센터의 사업성과를 알려 이용자들에게 센터에 대한 신뢰와 만족감을 극대화 한다. 또한 연구개발 및 416토론회 등을 통해 사업근거 및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가 심리지원 홍보사업 ‘재난’과 ‘트라우마’, ‘스트레스’라는 단어들이 주는 부정적인 이미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모두가 공감할 것이다. 안산온마음센터의 홍보사업은 센터에서 진행하는 사업의 성과를 알리는 데에 그치지 않고, 트라우마 치유와 재난
하고, 센터와의 접근 편의성을 높이는데 주력하였다. 2017년에는 특히 일반시민들에게 아직까지도 어렵고 불편 할 수 있는 416세월호참사 이야기와 트라우마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416 통합지원사업
심리지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에도 힘써왔다. 일반시민에게 친근하고 따뜻하게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
1) 홈페이지 고도화 홈페이지 이용자에 정확한 센터 정보를 제공하고 홈페이지 이용에 편의성을 주기 위해 홈페이지 구성, 디자인 및
추가하여 홈페이지 접속자를 증가시켰다.
기획홍보사업
기능을 변경하는 ‘홈페이지 고도화’사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센터에서 진행하는 교육신청기능과 EBook기능을
• 개발 및 운영 기간 : 2017년 5월 ~ 7월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 주소 : www.ansanonmaum.net / www.ansanonmaum.org
98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9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2) 온라인홍보
홈페이지 고도화 변경 전
변경 후
홈페이지,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 SNS(페이스북)을 운영하였다. 홈페이지는 센터 기본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 참여게시판 운영을 통해 교육, 스트레스 자가검진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였고,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은 재난
416 심리지원사업
416세월호참사피해자, 유관기관종사자,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센터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적시에 홍보하기 위해
심리지원전문자료를 제작·수집한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재난 및 트라우마 심리지원 시스템 및 지원정보를 제공 하고 있다. 또한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운영하며 프로그램 및 행사를 적시에 홍보하고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온라인 이용자들의 센터 접근 장벽을 낮추고 있다. 416 활동지원사업
① 홈페이지 운영 홈페이지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성과
416 통합지원사업
평가 •방문자통계 [2017.12.31.기준]
-이 용자중심의 고도화개발로 센터 정보전달이 쉽고 반응형웹, 교육신청, EBook 등의 기능 추가로 홈페이
3000
지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었다. 다양한 기능과 변화된 디자인으로 고도화진행 이후 하반기 평균
2500
방문자는 약 6,706명으로 상반기 평균 방문자의 2배 인원으로 나타났다.
2000
2,805
●
보완점 및 향후계획
-홈 페이지 유지보수 서비스를 통해 서버 및 프로그램 오류를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정보 업데이트와 자료 업로드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인다.
1,311
1,169 1000 719 500
818 542
737
852
872
5월
6월
872
0 1월
2월
3월
4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홈 페이지를 안산온마음센터의 온라인허브로 이용하여 재난심리종합플랫폼 및 SNS(페이스북)으로 접속
1,467
기획홍보사업
1,312
1500
을 유도한다. *홈페이지 고도화 이후 급격히 방문자 증가하였다.
100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01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②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 운영
•구독자 및 좋아요 통계 [2017.12.31.기준] 좋아요증가
게시물
도달범위 6000
40 35
5000
30 4000
25 20
416 심리지원사업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
3000
15
2000
10 1000
5
0 1월
•방문자통계 [2017.12.31.기준] 800
750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좋아요증가
2
3
2
5
2
2
0
34
5
6
8
1
게시글
0
1
2
3
2
5
2
4
4
6
5
1
도달범위
0
461
3,755
1,886
1,644
4,843
1,461
2,152
2,293
2,146
2,298
334
416 활동지원사업
0
700
500
488 413
406
400
338
338
328
412
312
265
218
300
평가
294
200 ● 100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600
성과
-센 터 세미나, 심포지엄 등의 행사와 재난심리지원종합플랫폼에 제작 자료를 업로드 한 이후 방문자 수가
0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416 통합지원사업
1월
증가하였다. -4 16세월호참사 3주기 전 3월에 올린 게시물과, 6월 국제세미나 관련 게시물의 도달반응이 높았으며, 8월에는 공주정신건강학술제에서 진행한 SNS이벤트로 인해 좋아요 수(구독자)가 증가하였다.
③ 페이스북 팬페이지 ●
페이스북 팬페이지
보완점 및 향후계획
-운 영하는 웹페이지의 목적에 따라 정기적으로 관리 운영할 예정이다. 기획홍보사업
-홈 페이지를 센터 온라인 홍보의 허브로 삼아 재난심리지원 종합플랫폼과 SNS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전략을 구상하고자 한다.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10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0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3) 홍보물 제작·배포 소식지와 브로슈어를 제작하였다. 소식지를 통해 센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사업진행내용을 친숙
17차 마음안녕 ‘너의 안부를 묻는 밤’
12월
미수습자 이야기 416희망나비포럼 인터뷰 제주생존자 전시회 416합창단 생존자송년회 기타 정보 및 이벤트
1,500부
하게 전달하였으며 브로슈어를 통해 센터 전반적인 정보와 조직에 대해 안내하였다.
① 소식지 18차 마음안녕 ‘함께 걷는 우리, 지금’
소식지
합계
416 활동지원사업
2,000부
416 심리지원사업
10월
생존자봉사동아리 지역주민교육 엄마랑 함께하장 플리마켓 트라우마 심포지엄 416희망나비포럼 기타 정보 및 이벤트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및 지역주민들에게 센터 역할과 트라우마 및 재난심리지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7,000부
② 브로슈어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브로슈어
416 통합지원사업
•제작기간 : 2017년 3월 ~ 12월 •제작기간 : 2017년 3월 ~ 12월 제작명
제작명 기간
내용
기간
104
안산온마음센터
8월
외상 후 성장프로젝트 백패스 재난심리지원 국제전문가 세미나&워크숍 전문가 기고 시민치유단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이벤트
2,000부
브로슈어 11월 (추가인쇄)
합계
2회
1,000부
200부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16차 마음안녕 ‘트라우마 회복의 문을 열다‘
4월~5월
- 미션 / 조직도 - 연혁 - 조직소개 - 유관기관 - 416기억의 길(연혁) - 센터 기본정보
기획홍보사업
15차 마음안녕 ‘안녕, 참 오랜만이지’
제작부수
제작부수 7월
416세월호참사 3주기 너희를 담은 시간 展 세월호 인양 타임라인 온마음과 함께 본 목포이야기 기관방문/기타 정보 및 이벤트
내용
1,200부
1,500부
2017년 사업보고서
10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제작기간 : 2017년 3월 ~ 12월
평가
홍보물품
제작수량
세부내용
416 심리지원사업
분기 ●
성과
-센 터프로그램 및 416세월호참사의 다양한 이야기를 소식지에 담아 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었다. 또한 회차 별로 컨셉을 정하고 컨셉에 맞춘 이야기 전달로 센터가 진행하는 재난심리지원서비스에 대해 쉽게
3,000개
- 416세월호참사 4주기 추모물품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일반시민, 유관기관실무자 대상 - 길이 220mm, 남녀공용 - 공장과 컨택하여 직접제작
노란리본목걸이
2,000개
- 416세월호참사 4주기 추모물품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일반시민, 유관기관실무자 대상 - 길이 800mm - 세부물품 각각 구입하며 공장조립
A5노트
1,500부
- 사업 및 프로그램 진행시 문구류로 배포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일반시민, 유관기관실무자 대상 - A5사이즈, 64P
거치대볼펜
1,000개
- 사업 및 프로그램 진행시 문구류로 배포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일반시민, 유관기관실무자 대상 - 단색볼펜 - 핸드폰거치대, 터치펜, 액정클리너로 사용 가능
차망보틀
1,000개
- 센터 주요 홍보물품으로 제작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일반시민, 유관기관실무자 대상 - 캘리그래피 작가와 협업으로 진행(재능기부)
핸드폰거치대
600개
- 기관방문자 및 내빈용으로 제작 - 416세월호참사를 상징하기 위해 고래꼬리 모양으로 제작 - 캘리그래피 작가와 협업으로 진행(재능기부)
거치대볼펜 *재제작
1,000개
- 3분기 제작 후 전량 소진되어 재제작 - 상품요건 동일
6종
10,100개
리멤버가죽팔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브 로슈어는 영문번역이 함께 담겨있어 포럼, 심포지엄 등에 참석한 외국연자들에게 센터를 홍보하는데
416 활동지원사업
1, 2분기
용이하였다. 또한 센터가 추구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담은 브로슈어 제작으로 만족도가 높아 1차 1,000부 소진 완료 후 2차 200부 추가 제작하였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소식지가 단조롭지 않도록 구성할 예정이다. - 변경된 조직구성에 따라 브로슈어 내용을 수정하여 추가 제작 하고, 배포할 예정이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소 식지 제작 부수를 분기 사업일정에 맞춰 필요한 만큼 제작하고 또한 새로운 구성과 디자인을 시도하여
3분기
4) 홍보물품 제작·배포
416 통합지원사업
홍보물품
기획홍보사업
4분기
106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합계
2017년 사업보고서
10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성과
●
- 분기별 사업진행일정에 맞춰 적절한 홍보물품을 제작하여 홍보물품 배포 후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
성과
-홍 보부스에 시민 및 유관기관 종사자들이 참여하였으며, 트라우마 인식프로그램 및 홍보물품을 배포하여
- 판매되는 판촉물 구입이 아닌 제작 공장과 직접 접촉하여 새로운 물품을 제작하고, 홍보문구 재능기부를 받는 등 다양한 홍보물 제작방법을 시도하였다.
416 심리지원사업
●
평가
센터의 사업 및 역할을 함께 알릴 수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홍 보행사 이후, 지속적인 관심유도를 위해 페이스북 [좋아요] 이벤트, 소식지 이벤트를 통해 구독자를 모집하였고, 엄마랑 함께하장, 트라우마 심포지엄 등 센터 행사로 유입할 수 있는 기회가 계기가 되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사 업진행에 따른 물품수요와 필요도를 파악하여 센터 정체성을 담은 홍보물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홍 보부스운영을 통해 트라우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개선과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트라우마 관련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하기
5) 기획홍보행사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향후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416세월호참사 이후 일반시민들이 가지고 있는 트라우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시키고, 유관기관 종사자들 에게는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안산에서 1회, 공주에서 1회 홍보부스를 운영하였다. 트라우마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간단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진행하였고, 안산온마음센터와 진행 하는 사업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나 416토론회 기획홍보행사 의 진솔한 이야기를 일반시민들과 나눌 수 있는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공동체 기반의 상처 치유를 위한 ‘416희망 나비포럼’을 개최하였다. 재난전문가들과 함께 국가적 재난대응체계 내에서 재난현장의 응급의료체계와 심리지원
416 통합지원사업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와 함께 시간을 보낸 지역사회 이웃과 씨랜드화재사건, 대구지하철참사를 경험한 유가족들
체계에 대해 이해하고 각 영역에서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Beyond Trauma Symposium’을 진행 하였다. 기획홍보사업
1) Beyond Trauma Symposium ●
기획홍보행사 진행 내용 행사명
장소
진행내용
인원
6월 16일
안산지역 학부모 심리상담 프로그램 홍보부스 운영
안산문화예술의전당
간이 HRV검사 스트레스해소 체험부스 홍보물 배포
64명
8월 25일
공주정신건강 학술문화제 홍보부스 운영
공주 고마센터
복식호흡 체험부스 운영 홍보물배포
440명
안산온마음센터
총 2회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기간
합계
108
Beyond Trauma Symposium
504명
2017년 사업보고서
10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Beyond Trauma Symposium 진행내용
평가
시간
장소
참여인원
9월 28일 (목)
14:00 – 18:00
경기도미술관 대강당
123명
●
416 심리지원사업
기간
성과
-강 연자와 시민들과의 대화를 통해 서로의 감정을 공유하고 공감하며, 공동체 기반의 상처를 치유하고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평가 ●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와 함께 상처를 치유해온 과정이나, 개인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성장한 강연자의
성과
다양한 스토리를 통해 일반시민이 가지고 있던 트라우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할 수 있었다. 416 활동지원사업
-재 난현장에서의 일본의 선진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재난현장에서의 지원체계에 대한 적용점을 모색 ●
하였다. - 재난심리지원과 관련한 전문지식 공유를 통해 센터 운영 및 사업 방향성을 모색하고 전문성을 향상하였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포 럼을 저녁에 진행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현저히 낮았다. 저녁시간이 부담된다는 참석자의 의견이 많아 추후 시간을 고려하여 기획할 필요가 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일 반시민의 참석률을 높이기 위해 접근성이 많은 곳에 홍보를 집중적으로 하거나, 온라인 홍보 시 색다른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B eyond Trauma Symposium을 좀 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기회로 만들기 위해
이벤트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준비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기획해 나갈 예정이다.
2) 416희망나비포럼
올해는 416세월호참사피해자의 어려움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416 세월호참사피해자 건강 및 일상생활 실태조사’를 시작하였고, 그들의 이야기를 집약하여 회복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모니터링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416 통합지원사업
다 연구개발 및 자료제작
416희망나비 포럼
하였다. 재난심리지원전문가 및 유관기관에 센터 연구보고서를 배포하여, 재난심리지원 관련 전문 자료를 공유 하였다.
1)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실태조사
416희망나비포럼 진행 주제
기간
1차
416세월호참사를 바라본 언론인의 이야기
8월 29일(화)
2차
문화예술 치유활동을 하는 문화예술인의 이야기
9월 26일(화)
3차
416세월호참사 후 달라진 안산시민의 이야기
10월 24일(화)
4차
상처를 딛고 성장한 재난 유가족의 이야기
11월 21일(화)
합계
110
안산온마음센터
시간
19시–21시
장소
The play ground
인원
안산온마음센터는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의 신체 및 정신건강, 생활실태를 4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5월~
49명
12월에는 연구TF 회의를 구성하여, 유가족들과 함께 설문문항을 구성하고, 7월~8월에는 당사자 회의를 통해
24명
설문지 pilot test를 진행하고, 자문회의를 진행하였다. 8월부터 11월까지는 실태조사 설명회를 진행하고, 11월부터
20명
본격적으로 센터 내소, 분향소 당직, 가정방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12월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22명
(유가족, 생존자가족) 및 개별 인터뷰(유가족)를 진행하였다.
115명
2017년 사업보고서
111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구분
기획홍보사업
●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실태조사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실태조사 일부결과
구분 성별
기간
대상
내용
참여인원
2017년 4월 ~12월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심리 및 신체건강, 생활실태 등
250명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실태조사 진행 내용 사업내용 당사자 회의 회의
자문 회의 연구TF 회의
IRB 설문제작 설명회
조사원 모집 및 교육
인터뷰
112
안산온마음센터
연구TF 회의 설문지 사전조사 설문지구성 논의 및 완료 IRB 심사 및 완료 설문지, 동의서 제작 실태조사 내부 설명회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설명회
7월
2회
5월 ~ 12월
6회
7월
2회
7월 ~ 8월
1회
9월
1회
8월 ~ 9월
1회
8월
1회
8월 ~ 11월
5회
답례품 준비 및 제작완료
9월
1회
조사원 모집
10월
3회
설문지 매뉴얼 제작 및 코딩북 제작
10월
1회
조사원 및 사례관리자 설명회 및 교육
10월 ~11월
2회
설문조사 진행
9월 ~12월
1회
현지조사(제주도, 인천) 진행
10월 ~11월
2회
코딩 및 통계분석
11월 ~12월
2회
12월
1회
FGI 및 개별 인터뷰 진행
합계
205
100
유가족
169
82.4
생존자
17
8.3
14
6.9
5
2.4
합계
205
100
본인
17
8.3
부
60
29.3
모
84
40.9
형제자매
36
17.6
조부모
4
1.9
배우자
1
0.5
자녀
2
1
친인척
1
0.5
합계
205
100
심한 우울증
우울증이아님
18%
21%
[우울증상 평가(PHQ-9)] 우울증상 평가를 살펴보면, 0-4점 우울증이 아님 41명 (21%), 5-9점 가벼운 우울증 46명(23%), 10-19점 중간정
가벼운 우울증 중간 정도 우울증
23%
38%
도 우울증 74명(38%), 20-27점 심한우울증 36명(18%)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대상자의 79%(156명)는 여전히 우울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불안증 평가(GAD-7)]
중도 불안
29% 불안증없음
43% 경미한 불안
28%
불안증 평가를 살펴보면, 0-4점 불안증 없음이 52명 (43%), 5-9점 경미한 불안 33명(28%), 10-14점 중도불안 35명(29%)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대상자의 57%(68명)가 불안증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2017년 사업보고서
113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설문조사
자문 회의
2회
60.5
생존자가족
횟 수
7월 ~ 8월
124
기획홍보사업
기념품
당사자 회의
여
일반인유가족
피해자와의관계 기간
39.5
416 통합지원사업
설문지 구성
세부내용
백분율(%)
81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피해유형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실태조사 기간
빈도(명) 남
416 활동지원사업
●
N=205명(2017. 12. 20. 기준)
416 심리지원사업
[설문응답자 일반적 특성]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사회적지지]
48명 (25.3%)
PTSD없음
49%
51%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를 살펴보면 PTSD 의심이 97명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지지를 살펴보면, 11점-20 10명 (5.3%)
(49%), PTSD 없음이 101명(51%)로 나타났다.
11~20점 21~30점 31~40점 41~50점 51~60점 61~70점
[외상 후 울분장애(PTED)] 심한장애상태 울분감없음
36% 장기간 울분감
24%
결과로 대상자의 64%(124명)가 외상 후 울분장애를
4명 (2%) 0점
(160명)로 나타났으며 이는 당사자들의 외상후 성장이
9명 (4.5%) 2명 (1%)
2명 (1%)
1~19점 20~39점 40~59점 60~79점 80~98점 99~104점 105점
겪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43명 (25.4%)
none
18%
50명 (29.6%)
49명 (29%)
27명 (16%)
[애도(ICG)]
10점-14점 중등도 49명(29%), 5-9점 경도 43명(25.4%), 0-4점 27명(16%)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대상
0~4점 최소
5~9점 경도
10~14점 중등도
15~30점 중증
으로 나타났다.
416 통합지원사업
자의 58%(99명) 중등도 이상으로 신체증상이 심각한 것
나타났다. 따라서 여전히 많은 대상자들이 애도의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체증상평가(PHQ-15)] PHQ-15를 살펴보면 15점-30점 중증이 50명(29.6%),
애도를 살펴보면, 25점 이상 고위험군 136명(82%)으로
고위험군
아직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점 장기간 울분감 47명(24%)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상 후 성장을 살펴보면 60점미만의 대상자는 80.3%
26명 (13.1%)
77명(40%), 0점-1.5점 울분감없음 70명(36%), 1.6점-2.4
(15.3%), 61점-70점 10명(5.3%)순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K-PTGI)]
41명 (20.6%)
외상 후 울분장애를 살펴보면, 2.5이상 심한장애상태는
40%
명(18.4%), 51점-60점 32명(16.8%), 21점-30점 29명
416 활동지원사업
59명 56명 (29.6%) (28.1%)
점 48명(25.3%), 31점-40점 36명(18.9%), 41점-50점 35
416 심리지원사업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의심
사회적지지는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
36명 35명 32명 29명 (18.9%) (18.4%) (16.8%) (15.3%)
82%
평가 [전문가의 도움 여부] ●
성과
기획홍보사업
-심리적 어려움에 대해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있나요? 예
19%
심리적 어려움에 대해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있는지 질문하였을 때, 아니오 163명(81%), 예 39명(19%)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심리적 어려움에 대해 전문가
81%
의 도움을 받고 있지 않은 대상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정하였고, 당사자 회의를 통해서 설문지 pilot test를 진행하여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의 구체적인 욕구를 반영할 수 있었다. -가 정방문 및 분향소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안산온마음센터 거부자 또는 민감대상자를 조사할 수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아니오
-4 16세월호참사 피해당사자와 함께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민감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단어 또는 문장을
있었고,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자들이 자신의 심리상태 및 신체 상태를 자가 진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도움이 되었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114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1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심리평가 진행내용
-그 동안 다양한 형태로 피해당사자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으나 수치가 적거나 포괄적인 조사가 이루어지
[헤밀턴 우울평가(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해당없음 우울증있음
●
44%
(56%), 우울증 없음이 31명(44%)로 나타났다.
56%
보완점 및 향후계획
우울평가를 살펴보면 우울증 있음이 39명
416 심리지원사업
지 못하였다. 이번 조사를 계기로 지속적인 피해당사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정책적 제안 및 서비스마련에
-본 기초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정기적인 조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다양한 416 활동지원사업
후속 연구를 통해 정책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위한 구조화된 면접
PTSD있음
37%
2)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심리평가
해당없음
63%
(Structured Interview for PTSD)] PTSD를 살펴보면 PTSD 없음이 44명(63%),
참사 이후 대상자들의 현재 심리 및 정서적 상태, 성격 및 행동적 특성, 대인관계 등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상담의
PTSD 있음 26명(37%)로 나타났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416세월호참사 피해자를 대상으로 4월부터 12월까지 심리평가(Full Battery)를 실시하여, 사례관리자가 416세월호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심리평가는 안산온마음센터와 세월호일반인희생자추모관 두 곳에서 진행하여 타 지역 에 거주하는 대상자들(일반인유가족, 일반인생존자)도 진행하였다. 또한 심리평가 실시 후, 증상이 심각한 대상자는
평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례관리자 또는 전문의 상담으로 연계하였다.
● ●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심리평가 진행내용
성과
대상
장소
내용
참여인원
4월 ~12월
416세월호 참사 피해자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일반인희생자추모관
MMPI-2, SIP, SCT, Rorschach, K-WAISIV, HTP 검사
70명
416 통합지원사업
- 심리평가를 통해 대상자는 심리 상태 및 성격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도움이 되었고, 사례관리자
기간
는 416세월호참사 이후 대상자들의 현재 심리 및 정서적 상태, 성격 및 행동적 특성, 대인관계 등을 파악 하여, 상담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었다. -심 리평가 진행 후, 미등록 대상자가 센터에 등록하였고, 전문의 상담 및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유가족 61명, 간접피해자 5명
계기가 되었다.
누적
배우자
부
모
형제자매
자녀
친인척
간접
검사
66명
1명
3명
28명
23명
5명
1명
5명
해석상담
66명
1명
3명
28명
23명
5명
1명
5명
-심 리평가를 통해 중증도 대상자는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례관리자 또는 전문의 상담으로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생존자 2명, 생존자 가족 2명
기획홍보사업
구분
보완점 및 향후계획
-심 리평가를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하였으나 단순히 조사사업이 아닌 당사자에 대한 직접적 서비스로 누적
본인
배우자
형제자매
자녀
검사
4명
2명
1명
1명
0명
해석상담
4명
2명
1명
1명
0명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116
구분
써의 기능을 구축하기 위해 트라우마 평가시스템을 구축하고 종합심리검사이후 프로그램 및 상담으로 연계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2017년 사업보고서
11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3)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보고서 제작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2016년 안산온마음센터는 416세월호참사 피해자뿐만 아니라 재난 및 트라우마에 대한 서비스, 재난심리지원
성과
전문가양성 등 다양한 역할이 요구됨에 따라 ‘안산온마음센터 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해 연구용역을 진행하였다.
●
2017년도에는 연구결과를 유관기관 및 재난심리지원 실무자에 공유하고 재난 및 사고 대비 체계 구축 근거로 사용
-유 관기관 및 재난심리전문가들에게 안산온마음센터의 운영 및 현황을 분석한 자료를 공유하여, 재난심리 지원 기관의 사업을 구상하고,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하기 위해 연구보고서를 제작하였다.
-유 관기관 및 재난심리전문가들에게 안산온마음센터 운영경험과 재난심리지원영역의 전문화 된 서비스 ●
안산온마음센터 기능과 역할정립 보고서 제작 내용
를 분석한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국가 수준의 재난위기 시 체계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으며,
제작 규격
배포대상
제작부수
2017년 11월 ~ 12월
185 ×260
유관기관 및 재난심리지원 실무자
400부
안산온마음센터 기능과 역할정립 보고서 제작
416 활동지원사업
기간
맞춤형 재난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예비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안 산온마음센터에서 발간된 자료들에 대한 외부 관심이 높아 지속적인 자료개발 및 배포가 필요 할 것이며 온라인을 통해 보다 많은 이들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방법 Ⅱ 국내 재난심리지원의 현주소 1. 국내 재난심리지원시스템 구축 현황 2. 안산온마음센터 운영 및 사업현황 진단과 평가
라 전산시스템 관리
Ⅲ 해외 동향 2. 일본: 311 동일본 대지진 피해 지역 센터 3. 태국·홍콩의 재난심리지원센터 활동 주요내용
4. 호주
전산시스템 고도화를 통하여 추가 및 개선 서비스 항목 등을 개발하여 사업 진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신속하고 명확한 데이터 산출을 통해 사업을 체계화 하였다. 또한, 전산시스템 유지보수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전산오류 수정 및 보완하여 시스템을 안정화하는데 기여하였다.
416 통합지원사업
1. 재난 후 시기별 심리지원 서비스 개관
5. 미국 Ⅳ 해외 동향
전산시스템 고도화
전산시스템 유지보수
1. 재난심리지원체계 안정화를 위한 관련 법률 및 제도의 보완 기획홍보사업
2. 재난심리지원센터의 중·장기 실행 계획 3.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도: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Ⅴ 제언 1. 안산온마음센터의 운영에 대한 국가차원의 지원 필요성 2. 안산온마음센터 운영(2014년-2016년)의 성과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3. 안산온마음센터의 향후 과제와 미래 4. 성공적 센터 운영을 위해 보완되어야 할 조치
118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1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전산시스템 ATIS 2.0 고도화 메뉴 설계
마 정신보건 유관기관 네트워크 416세월호참사 피해자와 지역주민의 통합적인 재난심리지원 서비스를 위해 지역 내 유관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 하였다. 유관기관 네트워크는 주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여 목적에 따른 발전방향을 논의하고 재난피해자를 위한 MAIN
ATIS1.0연결(LINK)
시스템 관리
416 심리지원사업
LOGIN
서비스 중복을 피하기 위한 간담회와 회의를 진행하였다.
정신보건 유관기관 네트워크 일반상담
등록관리
프로그램
역량강화사업
조회/통계
❶ 재난등록관리
❷ 재난피해자등록관리
일반상담
❶ 일반상담등록수정
❷ 조회상담진행
등록관리
❶ 사정평가
❷ 개별상담
❸ 연계의뢰
프로그램
❶ 등록
❷ 진행
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역량강화사업
조회/통계 일정/예약
❶ 행사 ❺ 언론관리 ❶ 등록관리현황 ❺ 프로그램 ❾ 전문의실적
❶ 상담실예약현황
❷ 교육 ❻ 연구조사 ❷ 등퇴록현황 ❻ 서비스현황 ❿ 의료현황
❷ 내소일정현황
일정/예약
❹ 퇴록관리
❸ 회의
❹ 홍보
❸ 일반상담 ❼ 역량강화실적 ⓫ 위험군현황
❹ 개별상담 ❽ 역량강화내역 ⓬ 사정평가
●
정신보건 유관기관 네트워크 진행
회차
1차
2차
3차
4차
일시
5월 29일(월)
6월 14일(수)
7월 5일(수)
9월 5일(수)
장소
안산정신건강복지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인원
14명
8명
15명
13명
성과
안산정신건강복지센터
-안 산온마음센터에서 실시한 서비스들을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조회/통계부분을 집중적으로 개발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서비스제공의 흐름을 명확히 알 수
안산자살예방센터 생명사랑위기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안산자살예방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정신건강복지센터 안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안산자살예방센터 생명사랑위기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안산정신건강복지센터 안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안산자살예방센터 안산온마음센터
기획홍보사업
있도록 데이터를 산출하여 유가족 및 생존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근거마련을 위한 기반을
참석 기관
안산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안산정신건강복지센터
416 통합지원사업
평가
●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재난등록
416 활동지원사업
재난등록
더욱 다져나가게 되었다.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다 양해진 프로그램 및 서비스의 성과를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계속 요구되고 있으며 좀 더 다양한 형태 의 데이터의 산출을 필요로 하는 만큼 그에 따른 고도와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0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21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416 심리지원사업
●
자문회의
성과
-안 산지역 내 정신보건 유관기관인 안산정신건강복지센터, 안산자살예방센터, 안산중독관리통합지원 센터와 네트워킹을 통해 각 기관의 사업을 공유하고 연대하여 서비스 연계에 필요한 지원체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정 신보건 유관기관네트워크 체계를 유지하되 기관 홍보 담당실무자간의 네트워킹을 통해 각 기관의 사업진행과정과 홍보 전략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
운영위원회의 /자문위원회의 진행 내용 구분
주요논의
1차
3월 28일(화) 14:00-16:00
세월호 인양에 따른 예비비 전용 승인 건 2017년 센터 운영규정 승인 건
2차
6월 15일(목) 15:00-17:00
세월호 인양에 따른 지원 범위 및 방안 센터 자료보안 시스템 구축을 위한 예산전용
3차
8월 10일(목) 15:00-17:00
인건비 예산범위 내에서 파트인력 채용 416가족 동아리지원사업 운영 방안 및 절차
4차
12월 5일(화) 15:00-17:00
2018년 1월 사업예산 사용 건 연구사업 관련 자문단 구성 건
1차
3월 28일(화) 14:00-16:00
외상 후 성장프로젝트 ‘백패스’사업 논의 ‘PHQ-9’, ‘GAF’측정 결과 공유
2차
6월 15일(목) 15:00-17:00
목포신항만 유가족 지원의 방향성과 과제 센터의 역할 범위 및 주요 성과 논의
3차
8월 10일(목) 15:00-17:00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실태조사 활용 방안 동아리 활성화 운영전략 및 문화사업 확대 방안
4차
12월 5일(화) 15:00-17:00
센터와 가족 간 의사소통 관련 논의 지역사회 연계와 지역 공동체성의 중요성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바 운영회의 및 자문회의
일시
운영회의
센터의 운영 전반에 관한 주요사항 논의 및 조정 등을 통해 센터의 운영방향을 모색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총 10명의 위원을 구성하여 운영위원회의를 진행하였다.또한,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자문과 센터
하였다.
416 통합지원사업
종사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등의 자문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14명 전문가를 구성하여 자문위원회의를 진행
운영회의 자문회의 기획홍보사업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122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23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성과
직원역량강화(내부교육) 진행 내용 기간
시간
장소
주제
강사
참여인원
3월 23일
14:00~16:00
안산온마음센터
사회적경제
사단법인 마을과 사람 이사장 이주원
9명
5월 22일
10:00~17:00
안산온마음센터
신체기반 안정화기법
한국타말파연구소 소장 이정명
15명
-미 수습자 인양 시기로 목포신항만 가족 지원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다. 혼란한 시기에 자문을 통하여 센터 사업 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다 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위원으로 구성하여 센터 운영에 관한 주요사항 등을 함께 논의하고 조정하여
합계
총2회
416 심리지원사업
●
●
24명
센터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
●
보완점 및 향후계획
-향 후에는 정기적 자문회의뿐 아니라 주요 이슈에 따라 별도의 자문위원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형태로
직원역량강화(슈퍼비전) 진행 내용 구분
일시
1
3월 16일 15:00~17:00
박지영교수
-슈퍼비전 OT 및 집단 슈퍼비전 -희생자 최**가구 사례발표 및 논의
전직원
3
8월 23일 13:00~15:00
4
9월 19일 13:00~15:00
-부부상담의 이해 강의 -주요 사례 논의 및 슈퍼비전
5
10월 24일 14:00~16:00
-애도상담(사티어 모델) 강의 -주요 사례 논의 및 슈퍼비전 -미수습자 상담 방향 슈퍼비전
6
11월 28일 14:00~16:00
7
3월 21일 12:00~14:00
김은지전문의
-사례개념화 및 발달과정 교육
8
5월 17일 10:00~12:00
이영문전문의
-개별사례 발표 및 논의
9
7월 25일 10:00~12:00
-박**개별사례발표 및 논의 -사례개념화 교육
10
9월 20일 10:00~12:00
-유**개별사례발표 및 논의 -외상 후 진단 척도, 복합외상질문지 교육
11
10월 18일 10:00~12:00
-박**개별사례발표 및 논의 -신체각성수준의 조절과 행동분석 교육
12
11월 15일 10:00~12:00
-최**개별 사례발표 및 논의 -분노 과정에 대한 안정화 기법
하였다. 직원역량강화
전직원
6월 2일 14:00~16:00
이영이대표
한혜욱센터장
대상
-슈퍼비전 OT 및 집단 슈퍼비전 -희생자 조**형 사례발표 및 논의
2
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직원교육을 진행하였다. 직원교육은 직원을 대상으로 사회적 경제, 신체기반 안정화 기법 교육 2회 진행하였다. 또한 슈퍼비전 교육은 416 가족심리지원팀 6회,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팀 6회 진행
내용
-사례관리자 소진 예방 강의 -주요 사례 논의 및 슈퍼비전
416가족 심리지원팀
416 통합지원사업
안산온마음센터에서는 직원의 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여, 대상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높이고,
슈퍼 바이저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활성화 해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사 직원역량강화
416 활동지원사업
-센 터 대상자에게 적절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 논의를 통해 사업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하였다.
-상담자 역할 강의(사티어 모델) -주요 사례 논의 및 슈퍼비전
기획홍보사업
416 트라우마 회복지원팀
124
안산온마음센터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주혜선교수
2017년 사업보고서
125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평가
연장하여 실태조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416재난 피해자의 삶이 어떠한지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성과
-전 직원을 대상으로 사회적경제, 신체기반안정화기법 교육을 진행하여, 직원들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되었다.
• 416재난피해자와 전문임상심리사가 1:1로 종합심리검사(Full Battery)를 진행하여, 어린시절부터 최근까지 의 삶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참여자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적극적
416 심리지원사업
●
인 참여도를 보였다.
-슈 퍼비전 교육은 416가족심리지원팀과 416트라우마회복지원팀이 진행하여, 가족문제, 사례관리를 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416 활동지원사업
●
보완점 및 향후계획
-전 직원을 대상으로 전문교육을 2회 진행하였으나 교육의 기회가 부족하다는 피드백이 있었다. 향후, 직원 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아 기획홍보사업 종합평가 ●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다.(O2O) 416 통합지원사업
• 소식지, 기획홍보행사 내 이벤트를 통해 웹페이지(홈페이지,SNS등)에 접속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실제 홈페이지 방문자 및 페이스북 팬페이지 좋아요(구독자) 증가하는 등 좋은 반응을 보였다. • 홈페이지 내 참여신청란 개설을 통해서 심포지엄, 국제교류, 416희망나비 포럼 등 유관기관 실무자에서부터 일반시민까지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높였다.
●
재난 및 트라우마에 대한 인식개선에 힘쓰다. 기획홍보사업
• 분기별 1회 제작되는 소식지에 세월호 인양, 미수습자가족의 이야기부터 트라우마에 대한 개념, 전문가 기고까지 416세월호참사와 트라우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일반시민들도 호감을 가질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 2017년 처음 시작한 416희망나비포럼은 416세월호참사와 일반시민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소통의장으로 기획되었으며, 416세월호참사 유가족 뿐 아니라 곁에서 함께해주신 일반시민, 씨랜드 참사, 대구지하철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참사 유가족의 이야기를 함께 듣는 공감과 소통의 시간이었다.
●
416재난 피해자의 삶에 한발 다가가다.
• 2017년 센터에서는 전수조사를 목표로 416가족협의회 심리생계분과와 함께 연구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416재난 피해자의 건강 및 생활실태조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많은 분들이 참여하여 2018년까지 기간을
126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27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심리지원사업
구분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실인원(명)
4
19
14
5
3
3
12
7
9
3
25
연인원(명)
5
68(4)
43(6)
12
6
8
58(9)
37(7)
45(11)
10(7)
287(38)
방문일(일)
2
16
16
5
2
7
30
24
20
8
130
416 심리지원사업
06 세월호 인양에 따른
목포신항만 심리지원 인력 파견 내용
※ 연인원 ( ) 숫자는 정신과전문의 인원 416 활동지원사업
세월호 선체 인양과 수습 과정에 따른 심리적 불안정과 다양한 신체•심리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나 프로그램 운영
세월호 피해자들에게 심리지원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회복, 일상생활 복귀를 도모하고자 한다. 세월호 선체 인양 후 수습 과정에 따른 유가족 및 미수습자 가족들의 심리적 불안정과 다양한 신체•심리적 증상
하였다. 신체기반프로그램으로는 몸마음check-up으로 목포현장에 있는 유가족의 혈당, 혈압 등 신체사정을 통해
가 목포신항만 심리지원 인력 파견 세월호 선체 인양은 미수습자가족에게는 가족을 찾음으로써 유가족이 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에 선체가 거치되어 있는 목포신항에서의 생활은 희망의 시간이기도 함과 동시에 미수습자 가족으로 남을 수도 있다는 것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참사 당시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심리적 고통을 겪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예견되는 가운데 피해자들을 지속적으로 만나왔던 담당자들은 피해자의 정서적 안정과 회복뿐만 아니라 세월호 전담기관 으로서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피해자 곁에서 지속적인 심리지원을 하였다. 센터는 세월호가 인양되어 목포신항에 도착한 3월 31일부터 12월말까지 9개월동안 내•외부적인 상황에 따라 근무형태 및 근무장소를 바꿔가며 목포 신항 현장에서 심리지원을 진행하였다.
증상을 심리기법을 적용해서 완화시킴으로써 안정감을 촉진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신항만 인근 고하도 주변을 걷는 것을 통해 심리, 정서적 안정감과 신체적 이완을 촉진하는 것이었다. 또한 416목포희망공방프로그램 진행 으로 각종 기억공예품 제작 활동을 통한 유가족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고 만들어진 공예품을 매개로 일반 시민 과 소통을 촉진하는 것과 다양한 여가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표출하게 하는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목포신항 현장에서 유가족과 원활한 소통과 업무조정을 위한 간담회를 진행하였다. 또한 미수습자 수습이 종료되고 장례
416 통합지원사업
때문에 고통의 시간이기도 하다. 유가족 및 생존자와 생존자가족 또한 희생자의 마지막 머물렀던 참사의 현장을
자신의 신체에 대해 관심을 갖고 돌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과 ‘이살렌 손길치료’를 통해 만성적인 스트레스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을 완화시키기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크게 신체와 심리, 활동지원으로 나누어 진행
절차를 마친 후 허탈감과 상실감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수습자 가족들의 심리적 불안정과 다양한 신체·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키고, 건강한 일상생활의 복귀를 돕기 위한 심리지원을 진행하였다.
기획홍보사업
프로그램 운영
목포신항만 심리지원 인력 파견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128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29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
●
프로그램 운영 진행 내용 [단위: 명] 유가족
미수습가족 실인원 연인원
실인원
연인원
기초건강체크
27
110
5
이살렌손길치료
9
8
이동공방프로그램
65
합계
-미 수습자 장례 이후 세월호 선체조사를 위해 소수의 유가족만 목포신항에 상주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합계 연인원
22
32
132
5
25
14
34
149
-
-
65
149
-
267
-
47
-
315
구분
대상
가족 수
횟수
장소
힐링여행프로그램
미수습 가족
10회
제주도 힐리언스선마을
6
연인원 24
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여지고 상주하고 있는 유가족의 특성에 맞춘 개별 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할 필요성이 있었다. -미 수습자 가족들의 요청 및 필요성을 근거로 힐링여행, 문화활동, 신체요법 등을 계획하여 개별적으로 홍보 및 참여를 권유했으나 가족들의 관심이나 참여가 기대했던 것보다 많지 않았고, 연말이라 가족들의 개별적인 일정들과 겹쳐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416 활동지원사업
실인원
416 심리지원사업
구분
-연 말에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 전체적인 진행 내용을 논의하고 계획할 시간들이 부족하였고, 가족들의 욕구나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향후 프로그램 계획 시 가족들의 상황 및 욕구를 고려하여, 여유를 갖고 프로그램을 기획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평가 성과
416 트라우마회복지원사업
●
-유 가족의 욕구에 따른 416목포희망공방 운영은 세월호 선체탐방 이외에 무료했던 시간을 공예품을 만드 는데 집중하는 시간으로 대체하였으며, 만든 공예품을 일반 시민에게 나눔으로써 피해자에서 기여자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기 초건강체크가 건강관리에 큰 부분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었으며, 특정 대상자의 경우 평상시 알고 있는 기초건강수치에서 변화된 것을 확인하여 앞으로 발생 가능한 신체질환
416 통합지원사업
을 예방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 이런 힘든 마음도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텐데, 가장 힘든 시간에 함께 해줄 수 있는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이 힘이 된다.”라고 표현하는 분들도 계셨다. - “ 마사지를 받고 나니까 몸이 풀리는 것 같고 편안하고 좋다. 계속 받았으면 좋겠다. 센터에 와서 받는 것이 편하지 않다.”고 표현하였다.
기획홍보사업
-참 여자의 욕구나 성향뿐 아니라 한파 등 외부 요인까지 겹쳐 참여자 평가가 상반되었으나, 언론과 대중들 의 관심에서 벗어나 그동안 지친 몸과 마음에 휴식을 제공하고, 오로지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보완점 및 향후계획
세월호 인양에 따른 심리지원사업
●
-목 포신항에 장기간 거주하면서 나타나는 스트레스 및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고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가족분들에게 권유하였으나 목포현장의 상황으로 인해 진행되지 못하였다.
130
안산온마음센터
2017년 사업보고서
131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 안산온마음센터 -
사업보고서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안산온마음센터-
사업보고서 발 행 일
2018년 3월
인
2018년 3월
쇄
발 행 처
안산온마음센터
주
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당곡로 33 프라움시티 2층 207
전
화
031-411-1541
팩
스
031-411-1546
홈페이지 http://www.ansanonmaum.net ISBN
979-11-86413-10-4
비매 품/무료
ISB N 979-11-86413-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