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arttimesnews.com Vol.4
ArtTimes ArtBooks
Young.Artist21
TM
소개작가 : 지희장, 김수진, 정승연, 오현석
WhiteCube
Cover Artist, Young.Artist #1 지희장 신진작가
에디터노트 : 지희장작가의 작품이 전시되던 아트센터의 건물에 때마침 거의 전층이 중견작가의 작품들이 전시가 되었다. 그래서 장작가의 전시가 있는 층에 들어갈 때 당황을 하게 되었다. 완전 히 다른 세계로 들어온 것 같은 느낌이라고 할지. 특히 우측 벽면에 있는 시원한 블루오션컬러의 설치작품은 지나가던 관람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하는 흡입력이 있다. 입구 정면에 배치된 부드러운 노란색의 작품 또한 마음을 끄는 따스함이 느껴졌다. 원래 작가의 아이콘은 [옥춘]이라는 한국전통 과자인데, 집안이 크리스천이라서 쉽게 접하지 못했다고 한다. 달콤함과 기대감등으로서의 옥춘을 많이 묘사했는데, 이번에는 동그란 형태만을 남기고 공간과 관계에 대해서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고 한다. 사실은 뉴욕에서부터 옥춘에 대한 표현이 더욱 다양하게 되었다. 자연의 장관과 순간의 아름 다움을 초현실적인 아름다움, 스노우쿨링을 하면서 바다속에 들어오는 산개되어 들어오는 빛, 존재 하지만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아름다움, 노을지는 순간의 장면, 나무사이로 빛이 비추 는 모습, 하나하나의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데 집중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오로라. 형체가 없지만, 아름다운 에너지를 표현하고자 하며. 기본적으로 세상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세상에 모습을 드러 내고자 하는 작가의 따뜻한 시선을 볼 수 있었다.
작가노트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사이’가 존재한다. 유난히도 멀게 벌어진 사이의 거리와 다른 두 존재이지만 하나와 같이 가까운 거리도 있다. 존재와 존재, 그리고 그사이의 공간에 대한 집중으로 이번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밤과 새벽의 사이 여름과 늦여름의 사이처럼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변화하는 관계가 있다. 늘 고정적이지 않고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그 사이의 관계 안에서의 자연의 풍경은 이 모든 갈등을 뛰어넘는 초자연적인 힘으로서의 자연의 존재에 집중하게 되었다. 우주 안에 먼지같이 작은 우리는 그 안에서 부딪히고 갈등하고 괴로워하지만 이 또한 잔잔한 대기 의 흐름에 불과하다. 그림같이 아름다운 그 순간의 자연의 관경(the Scene)을 통해 문제들을 한 발 자국 떨어져 넓은 마음으로 바라본다. Jee Hui Chang Education 2011 Doctoral course completion, Hong-Ik University, Fine Art, Seoul 2007 MFA School of Visual Arts, Fine Art, New York 2005 BFA Hong-Ik University, Fine Art, Seoul BFA Hong-Ik University Fiber & Fashion Design, Seoul Solo Exhibition 2013 「The Scene」 Gana Insa Art Center, Seoul 2011 「Sweet Desire」 Gana Art Space, Seoul 2008 「28 Sweet Struggle」 Gallery Soop , Seoul 2008 「Sparkline Twinkling」 Art café Sam, Seoul Group Exhibition 2013 「Hong ik Roots」 Gong Art Space, Seoul 2012 「SVA Korean Alumni Digital Exhibition」 Song-Eun Art Space, Seoul 2011 「The Root of Contemporary Art」 Seoul Art Center, Seoul 2010 「SHASHA」 Gongpyung Artcenter, Seoul
2010 「Hongik Women Artist’s Associate Show」 Chosunilbo Gallery, Seoul 2009 「International Incheon Woman Artist’s Biennale: Archive show, Incheon Art Platform, Incheon 2008 「Sweet Imagination」 Gallery Lux, Seoul 2008 「Feel at home, please! 」 Gallery Ssamzie, Seoul 2007 「CAA New York Area Show」 Time Square Gallery, New York 「SVA MFA a Road Show」 US Tour show, Texas, New Orlando, Missouri 「BAM Brooklyn Nex」Brooklyn, New York 「All for Tomorrow’s Parties」 Visual Art Gallery, New York 2006 「Truth of Matters」West Side Gallery, New York 「Young Emerging Woman Artists’ Show」 New York Design Center, New York 「Permanent Present」 White Box, New York 「CHANGELINGS」 Five Myles gallery, New York 「Outside the Box」 Annex Gallery, New York 「Mirrors, Doors, Windows」 Visual Art Gallery, New York 2005 「Open Studio」 School of Visual Arts, NY, NY 「Love is enough」 Moon Hwa Daily Newspaper Gallery, Korea 「Studio Unit: the First Auction, Hae Chung Gallery, Seoul Korea 2004 「International Art Competition」 Classic Art Gallery, New York, NY 「We-weeeeeeeeeeee」 Main Gallery, Baltimore MD 2000 「2000 World Wide Millennium Competition」 Prize Winner held by Winsor & Newton and sponsored By the UNICEF, the United Nations and Royal Family of Great Britain, London UK Exhibition for the Award: Mall Galleries, London UK/ World Trade Center, Stockholm/ United Nations, New York NY Public collection Gallup Korea
Yonsei University 학력 2011 Ph. D 홍익대학교 미술학과 박사수료 2007 MFA 뉴욕 School of Visual Arts. Fine Art 대학원졸업 2005 BFA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 디자인과 졸업 개인전 2013
「The Scene」 지희 장 개인전, 가나인사아트센터
2011
「Sweet Desire」 지희 장 개인전, 가나아트스페이스
2008
「28_달콤한_ 전쟁」 갤러리 숲
「Sparkline Twinkling」 artcafe 샴 그룹전 2013
「홍익루트전」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2012
「SVA Korean Alumni Digital Exhibition」 송은아트스페이스, 서울
2011
「현대미술의 루트전: 홍익여류화가 협회 30주년 기념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서
울 2010
「SHASHA」 선화예술고등학교 동문전, 서울 아트센터 공평갤러리, 서울
「홍익여류 화가전」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2009
「인천 국제 여성 미술 비엔날레」 아트플랫폼, 인천
2008
「달콤한 상상」 GALLERY LUX, 서울 「Feel at home, please!」 갤러리 쌈지, 서울
2007 「New York Area MFA Show」 College Art Association, Time Square Gallery, 뉴욕 「SVA MFA a Road Show」 미국 순회전- 텍사스, 뉴올리언스, 미조리 「Brooklyn Academy of Music, Brooklyn Next」 퍼포먼스, 브루클린, 뉴욕 「All for Tomorrow’s Parties」 Visual Art Gallery, 첼시, 뉴욕 2006 「Young Emerging Woman Artists’ Show > New York Design Center, 뉴욕
「Permanent Present」 White Box, 첼시, 뉴욕 「CHANGELINGS」 Five Myles, 브루클린, 뉴욕 「Outside the Box」 Annex Gallery, 첼시, 2005 「사랑과 이별전」 문화일보 갤러리, 서울 「Studio Units」 해청 갤러리, 서울 2004 「International Art Competition 」 Classic Art Gallery, 뉴욕 「We-weeeeeeeeeeee 」 Main Gallery, 메릴랜드 2000 「2000 World Wide Millennium Competition > 윈저 앤 뉴턴 주최, UN, Unicef, 영국 황실 후원 Mall Gallery, 런던, 영국/ World Trade Center, 스톡홀럼, 스웨덴/ UN 빌딩, 뉴욕, 미국 작품소장 한국 갤럽 회장실 연세대학교
Encounter with the Noble Nature : Painting of Jee Hui Chang, Aiming Toward Space and Border Yeon Shim Chung (Critic/ Curator) The main topic of Jee Hui Chang's work begins with observing and meditating. This type of artistry is different from what she unfolded during her life in New York. Born and brought up in Korea, Jee Hui Chang went to the U.S. for her masters degree; however, when she returned, she experienced difficulty in adapting to her homeland, and began to reflect her expressions into painting. Through her paintings she expresses observation and meditation that reaches peace and nobleness. Although New York was a choice she made to carry on her life as a nourishing artist, returning to her homeland Korea required adjustment. Throughout her time of adjustment, she came across nature that became a black hole absorbing her soul; in this black hole she learned to face objects and people in a more calm and comfortable way. Despite the speed of the city life of Seoul, her paintings express standing waves and standing objects. Her paintings are like serving an observer's heart in a bowl. Jee Hui Chang does not recreate her selections into an imitative object. Natural light maybe easily encountered in life, but in her artistry the light is not the easily encountered everyday light, but light transfigured into beauty, mystique, awe and even surrealism. Gravels and pebbles are not produced as their shape but reproduced as shadows, while space in between the gravels and pebbles become significant space. This is a compelling point in her topic and technique, reflecting the aesthetics. She is consistent in acknowledging the object and aligning the border without distraction. This type of artistry takes on a role of meditation that holds the artist's heart as one. If we rephrase this in music, her work is compared to a low and quiet rhythm. Her work captures the self-sufficient and secure moment of nature without distracting other's sound. The nature in her art is not intimidating but we can feel the energy of the light radiating the redness and the sunset changing moment to moment. The artist reproduces light, water, sunset, all that is nature recreating itself every moment. We cannot predict the shape of water holding it in our hands, or acknowledge the shape of sunset; these are temporary, immediate and ever-changing objects. However, these ever-changing natural objects know how to peacefully interact and co-exist with each other. Jee Hui Chang recognizes the way of life throughout this process and cultivates the correspondence of life and art. The things we see and picture are by the provision of nature derived from our thoughts and the law of nature. If her art work in New York was based on 'Candy and Sweets' this private division is based on 'Nature' and the abstract artistry of Barnett Newman and Mark Rothko's nobleness. Edmund Burke's <Under Water> was a major art work based on the nature's sublime transforming the
human's trifling emotions into a dwarfish frame. The picture outside the picture and the border of the audience is not distinct but we see ourselves inside the long picture. Kara Walker's shadow puppets or the art works <Green Sunshine>, <Pebble>, <Sunset>, are all art that reminds us of the Middle Ages stain glass shadows encountering with the noble nature. Especially <Green Sunshine> has an unusual view of the observer looking up from the bottom of the tree, while the tree leaves are designed flat. The view is different from Monet's view, but has the view of the Chinese Bada Shanren ink-and wash painting that looks up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part. The bold contrast of the yellow and black colors are as strong as the Chinese Bada Shanren ink-and-wash painting. Jee Hui Chang lays back on the green grass under the sun and admires the 'Dissonance', and discovers the fine dust moving throughout the nature. Jee Hui Chang explores the border of existence using black shadows. The objects' inside and outside, the interior and exterior are the her experience of the difference along the cultural borderline and her connecting the border and the gap.
숭고한 자연과의 조우: 사이 공간, 경계를 향하는 지희 장의 회화론 정연심(홍익대 예술학과 교수, 비평 및 기획) 지희 장 작업의 화두는 자연을 보고 관찰하며 명상하는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그가 뉴 욕에서 임했던 작업과는 완전히 다른 주제 의식으로 보인다. 그는 한국에서 태어나 석사학위를 취 득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지만, 다시 서울로 돌아와 모국의 생활방식에 새롭게 적응하면서 느낀 어려움을 그림을 그리는 행위를 통해 풀어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를 통해 마음의 평화와 숭고 함에 이르는 관찰과 마음의 상태를 드러낸다. 뉴욕에서의 생활이 유학이라는 선택적 이산이라는 이 름으로, 예술가로서 살아갈 새로운 삶과 지적인 자양분을 제공했더라도, 모국으로의 귀국은 새로운 적응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작가가 만난 자연은 작가의 마음을 흡수하는 블랙홀 이며, 작가는 이 속에서 편안하게 사물과 사람을 대하는 방식을 배우는 여유로움을 가지게 된다. 스피드 있게 돌아가는 서울생활과 달리 그의 그림은 정지된 물결, 정지된 사물의 존재방식을 담담 하게 담아나간다. 그의 그림은 관찰자의 마음을 담아내는 그릇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희 장은 자신이 선택하고 품어내는 자연을 모방적 대상으로 재현하지 않는다. 누구나 일 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의 빛이지만, 그의 작업에서는 가시적인 세계에서 평범하게 묻 혀있는 빛이 아니라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 일종의 경외심, 아니 초현실주의적인 느낌마저 들게 하는 빛으로 변모한다. 자갈이나 조약돌을 그릴 때에도 작가는 조약돌을 보이는 그대로 재현 하지 않고, 우리가 대상으로 보는 돌을 그림자로 처리하고, 조약돌과 조약돌이 서로 부대끼고 있는 틈새와 사이 공간을 중요하게 지정한다. 이 점은 지희 장의 작업에서 주제와 기법 면에서 아주 중 요하게 다뤄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미학적 태도와 사유를 반영하는 결과로 보인다. 각각의 오브제 와 오브제가 서로 존재하는 방식을 인정하고 이러한 사물의 경계를 흐트러지지 않게 바라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작가의 일관적 태도이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작가 자신의 마음을 흐트러지지 않게 잡아주는 명상 역할을 한다. 음악적 운율로 풀어본다면, 그의 작업은 나지막한 사운드를 깔고 조용한 리듬을 보여준다. 타인의 사운드와 영역을 해치지 않으면서 그 자체의 존재로 자족하며 편안하게 자리 잡은 자연을 거의 순 간적으로 포착해낸다. 결코 인간을 위협하는 자연은 아니지만, 화염에 쌓인 듯한 붉은 색채로 발산 하는 불빛과 저녁놀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자연의 기운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작가가 재현 하는 자연의 다양한 측면은 빛, 물, 저녁노을 등으로 매 순간 늘 변화하는 모양새를 간직한 대상들 이다. 물을 손에 담아내면 어떤 모양으로 자리 잡을지 모르며, 저녁노을을 보고 있으면 그 형태는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모양으로 변화한다. 이는 일시적이며 즉각적이어서 결코 늘 같은 형태로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없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변화의 속성을 간직한 일시적인 자연의 대상들은 각기 다른 생물들과 평화롭게 호흡하며 공존의 방식과 자연의 법칙을 일구어낸다. 지희 장은 이러 한 자연에서 삶의 방식을 읽어내며, 삶과 예술의 상응, 조응 (correspondence)을 구축한다. 우리가 보고 그리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자연의 법칙에서 보아온 존재들과 같은 섭리에 따른 것이다. 뉴욕에서의 작업이 ‘사탕’ 등을 이용한 구상적 형식을 따랐다면, 가나인사아트 센터에서 개최되는 이번 개인전에서는 자연이라는 모티브를 사용하지만 바네트 뉴만(Barnett Newman), 마크 로스코 (Mark Rothko)의 추상회화에서 느낄 수 있었던 숭고함을 불러일으킨다. <Under Water>라는 작업 (500x200cm.)은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가 말했던 대자연의 숭고(sublime)함을 대면하게 하 는 대형 작업으로 우리의 인체를 품어내는 자연은 인간의 사사로운 감정들을 모두 삼켜버리고 관 람자의 존재를 왜소하게 만들어버린다. 그림 밖에서 그림과 관람자의 경계가 분명한 것이 아니라, 길게 설치된 그림 ‘속’에 우리의 모습이 담겨지는 것이다. 그러나 카라 워커(Kara Walker)의 새도우 설치, 혹은 중세 스테인드글라스의 블랙 음영을 연상시키 는 <Green Sunshine>, <Pebble>, <Sunset> 등과 같은 대형 작업에서 숭고함은 자연과의 조우로 변 화한다. 특히 <Green Sunshine>은 커다란 나무 밑에서 위에 있는 나무 잎을 바라보는 독특한 관찰 자의 시점을 취하고 있으며, 나무 잎은 디자인적인 평면성을 취하고 있다. 모네가 수련을 위에서 보았던 관찰자의 시점과는 달리, 관찰자가 아래에서 위를 바라보는 관점은 흡사 중국의 팔대산인 (Bada Shanren)의 수묵화에서 볼 수 있었던 관점이기도 하다. 노란색과 검정색의 대담한 콘스라스 트는 팔대산인의 흑백의 수묵화만큼 강렬하다. 장지희는 잔디밭에 누워 바라보는 햇살 속에 공존하 는 “잡음과 불협화음”을 읽어내며, 장엄한 자연 속에서도 미세하게 움직이는 먼지의 존재 등을 통 해 일종의 유머를 발견한다. 작가는 우리가 바라보는 대상을 블랙의 그림자로 존재하게 하는 신비로운 현상을 그려냄으로써, 존 재의 경계를 관찰하고 탐색한다. 지희 장의 작업에 등장하는 대상의 안과 밖, 사물의 내부와 외부 는 문화적 경계 속에서 상이한 경험과 충돌을 경험한 작가가 경계와 틈 사이에서 존재하는 방식을 매개해나가는 과정들을 그린 것이다
The Scene # Green Sunshine mixed media 241x181cm
The Scene # Sunset mixed media 126x85cm
The Scene # Flame mixed media 85x45cm
The Scene # Pebble mixed media 110x163cm
The Scene # Pebble Mixed media_110x163
The Scene # Aurora acrylic on canvas 650x190cm
The Scene # Aurora mixed media 60x90cm
Young.Artist #2 김수진 신진작가
에디터노트 : 전시장에서 만난 김수진작가를 처음에는 못알아 보았다. 관람객들마다 인사하면서 설 명하고 있기에 도슨트하는 학생인가 하는 생각을 했었다. 마치 처음 도슨트역할을 맡게 되어서 열 심히 그리고 관람객에게 관심을 가지고 일자체를 즐기는 느낌. 알고보니 신진작가였었다. 신진작가 들은 각자의 개성이 뛰어난 만큼 만나는 사람들마다 천차만별이었다. 그러다보니 만남을 갖게 되면 기대감을 갖게 되곤한다. 이번에는 어떤 인물인지. 김수진작가는 꼼꼼한 듯하면서도 에너지를 잃지 않고 그리고 길게 기다려주는 힘이 있었다. 하나하나의 선과 색은 어쩌면 전형적인 느낌을 주면서 도 현장에서 작품을 보고 있으면 차분하게 오랫동안 바라보는 힘을 가지고 있었다. 차가운듯하면서 도 그렇게 차갑지만은 않은 느낌. 그러한 차분한 관점으로 그녀는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갔다. 하 지만 스마트폰과 정보화기술로 인해서 인간의 다정다감함을 잃어가는 도시를 표현해 들어가고 있 다. 도트와 포인트, Data, Line등 기계인지, 건물인지, 유기체인지 알 수 없는 느낌들의 조합은 결국 사람들에게 감성을 되살려야 함을 주장하고 싶었던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작가노트 도시 이미지의 재구성
자본주의의 생산력의 발전과 기계화된 산업화는 모든 것을 유동적으로 만들었다. 철도와 운송수단 의 발달은 우리사회를 급속한 도시발달로 이끌었다. 이로 인해 일어 난 시간과 공간의 축소현상은 모든 자연적 정체성을 상실시켰다.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의 시각 경험 역시 교통의 발달이 가져온 현상과 같이 이미지들의 폭주와 현실 감각의 모호화, 시각의 다양성 저하 현상을 야기시켰다. 도로 포장의 발달과 획일화된 구획으로 나뉜 개발 도시, 가스와 석유의 보급으로 인한 밤과 낮의 구분없 는 생활, 사진 복제에 의한 시각 이미지의 폭증,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 등에 의해 대도시는 감각 의 과부화에 걸렸다. 시공간의 정체성이 상실된 스펙터클 사회는 자연스레 생성된 공간과 감성적인 사고를 소외 시킨다. 범람하는 도시의 이미지들은 아름답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자연과 다양성의 부재가 나타나 시각적으로 획일화되었다. 이런 도시 풍경들은 감각의 과부화를 일으키고 시각을 자 극한다. 나의 작업에 나타난 이미지들은 스펙터클 사회의 이미지를 재현함과 동시에 획일화된 도시 공간을 해체시키고 변형시켜, 다양한 요소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하였다. 겉으로 보기엔 복잡해 보이 지만 각각의 요소들은 획일적이고, 일반적인 형태와 색감, 아크릴 물감과 같은 재료로 인해 가볍고 진중하지 못한 느낌을 준다. 화면구성을 도시 풍경에서 볼 수 있는 형태들을 기하학적으로 변형시 키고 캔버스 위에서 재구성 하여 도시의 이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모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 해 도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다양한 이미지의 재창조화를 시도하여 현대 사회와 도시에 만 연한 문제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경원대학교 회화과 가천대학교(舊 경원대) 일반대학원 회화과 재학
전시 2013 가나아트스페이스 “The Image of the City” 개인전 2012 GS타워 The Street Gallery “도시의 숲” 2인 초대전 2012 상원미술관 "신선한 발상-Fresh Idea" 신진작가 초대전 2013 남송미술관 "실재의 귀환" 초대전
Young.Artist #3 정승연 신진작가
기억 No.1 (The Memory No.1), 116.8x80.3cm, Oil on canvas, 2012
에디터노트 : 조용한 목소리. 마치 체스를 두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대화도중 자신의 생각을 하 나씩 드러내고 있는데, 흔들림이 없다. 나중에 알았지만, 신진작가이지만 몇번의 인터뷰경험이 있었 던 것이다. 그렇다고 식상한 이야기나 너무 있어보이게 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그의 이야기는 울림 이 있었던 것 같다. 인형들을 통해서 기억과 타인과의 접촉 만남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색상이나 분위기가 웬지 영국에 진출한 정우재작가를 떠올리게 한다. 아마도 같은 학교출신이라서 일까했지만, 두작가의 개성이 다르기 때문에 아니라는 생각을 했었다. 아마도 프로페셔널아티스트 를 추구하기 때문에 세련된 모습에서 그런 생각을 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프로필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재학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M.F.A.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B.F.A.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전시 2013. <신진작가발굴전 - 광경.장면.풍경&미장센>, 홍익대학교 박물관 Space2, 서울 <신진작가발굴전 - 동물성, 그곳에서 인간의 위상을 보다>, 밀알미술관, 서울 <Young Artist Fiesta>, 백해영갤러리, 서울 <홍익루트전>,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2012. <단원미술제>, 단원전시관, 안산 <아시아프>, 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1. <Woodworking & Furniture Design Week 2011>, 골든타워, 서울 2009. <다있소展>, 갤러리 소굴, 서울 <홍.보.전.>, BIF보루네오본사, 인천 2013. <Hongik International Art Festival>, Hongik University Museam of art Space 2, Seoul, Korea <Hongik International Art Festival>, MILAL MUSEUM OF ART, Seoul, Korea <Young Artist Fiesta>, GALLERY PAIK HAE YOUNG, Seoul, Korea <HONGIK ROOT>, Gong art space, Seoul, Korea 2012. <Danwon Art contest>, Danwon Art Exhibition, Ansan, Korea <ASYAAF - Asian Students and Young Artists Art Festival>,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Korea 2011. <Woodworking & Furniture Design Week 2011>, Golden Tower, Seoul, Korea 2009. <Daitso>, Gallery Sogool, Seoul, Korea <Hong.Bo.Exhbition>, BIF BORNEO, Incheon, Korea
행복했지만 슬픈 기억들, 162.2x97.0cm, Acrylic on panel, 2012
흔적 (The trace of my memory), 23.5x23.5cm, Acrylic on panel, 2012
행복한 이야기 (My happy story), 116.8x72.7cm, Acrylic, thread, clip and wood on canvas, 2012
어느덧 희미해진 당신의 온기 (I cannot remember your warmth anymore.), 116.8x80.3cm, Oil on canvas, 2012
그리워하는 아이 (I pine for the old days), 112.1x151cm, Oil on canvas, 2013
Young.Artist #4 오현석 신진작가
Remodeling - cycle plastic. 37x 45cm. 2010
에디터노트 : 오현석작가는 성격이 밝은 장난꾸러기 같은 면모와 동시에 진중한 남자의 느낌을 동 시에 주는 독특한 매력을 가진 작가이다. 그의 작품을 보면 프레임이라는 소재로 아트웍을 진행하 는데, 처음에는 단순히 그의 표현대로라면 별것이 아닌 것이 무엇인가 되게 만드는 연금술사와 같 은 모습을 보여준다. 조립식 프라모델의 보조역할수준도 안되는 프레임을 모아서 작품으로 만들어 내고 결국 큰 고궁을 만들기도 하고, 물고기도 만들고, 산수화도 만들어낸다. 다양한 작품으로 표현 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노력을 하는 것 같다. 동양화과 출신으로서 형태는 정신에서 시작하고, 정신 은 형태의 영향을 받아서 서로 상생상극하는 순환의 도를 보여주는 것 같다. 세상에는 갑과 을이 있다고 하지만, 원래 현재의 갑은 예전의 을이었으며, 지금의 을이 영원히 그 포지션대로 있을 것 이라는 보장이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기업들이 불과 50년전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다는 것을 생각해볼 때 세상사의 묘함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얼마전까지 있던 글로벌기업조차 어느순간 사그 라들어버리곤 한다. 이를 통해서 세상의 무상함을 깨우치게 해준다. 영원한 것은 없다. 그렇다고 가 치없는 것들또한 없다. 공이 색이요. 색이 공이다라는 불교의 지혜를 빌리지 않는다해도, 우리는 끝 도 없이 창조되어지고, 파괴되어지는 순환의 세계에서 울고 웃는 그런 존재들이라는 것을 작가는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 같다. 작가노트. 별것 아닌것들이 별것이 되는 과정에서 나는 희열을 느낀다. 어찌보면 열등감에서 시작 되었는지 모르겠다. 별것 아닌것들과 별것들에 대한 관심, 별것 아닌것에 대한 동정 세상의 대부분의 것들이 주류와 비주류로 분리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나의 환경적 열등감은 비주류를 향한 보호본능을 일으켰다.
성장환경에서 생긴 열등감이 내 유년시절을 불편하게 하지는 않았지만, 감추어 지지도 않았다. 그것이 작업으로 표현되고 있음에도 나는 그것을 인식 하지 못했다. 아니 마음속 깊은 곳에서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완구는 제시된 모델을 재현 할 부품조각이 주류가 된다. 나는 그 주류를 감싸고 있는 프레임으로 시선을 돌린다. 완구에서 프레임은 주류를 보호하고, 모델의 완벽한 재현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나는 주어진 모델의 재현 보다는 비주류의 프레임 자체가 가진 성질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다른 형 식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이들을 주류와 평등한 대우를 받도록하고 그 과정을 즐기는 것이 나의 작업이다. 나의 열등감은 주류에 대한 반항이 아닌, 비주류를 주류의 영역에서 함께 어울리게 활용되어 지고 있는것이다.
프로필 대진대학교 미술학부 한국화전공 졸업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한국화전공 졸업 BFA DEAJIN UNIVERSITY, Gyeonggi-do, South Korea Oriental Painting MFA DEAJIN UNIVERSITY, Gyeonggi-do, South Korea A stydy on amusement expressions of formative arts
수상 대한민국 청년작가초대전 / 미디어 오늘展 ‘금상‘ 제29회 대한민국미술대전 비구상부분 ‘특선’ 제7회 서울미술대상전 한국화부분 ‘입선’ 제6회 경찰문화대전 동양화부분 ‘은상’ 2012 Dec 부산국제아트페어특별전 (BEXCO, 부산)
2011 Jan RECONSTRUCTION (토포하우스, 서울) Invitation Exhibit for Young artists in Korea, Seoul The gold medal The 29th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Seoul The outstanding achievment The 7th Seoul Fine Arts Competition, Seoul The 6th Police Art Festival, Seoul The Silver medal
The 10th Busan International Art Fair Special, BEXCO, Busan 2011 Jan RECONSTRUCTION, Topohaus, Seoul Invitation Exhibit for Young artists in Korea, Seoul O-na Exhibition, Gyeonggi-do Open Sympathy Exhibition, Seoul The 29th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Seoul O-na Exhibition, Seoul The 7th Seoul Fine Arts Competition, Seoul Korean painting of the tradition and the power, Incheon The 6th Police Art Festival, Seoul
그룹전 대한민국 청년작가초대전 / 미디어오늘展 (한전아트센터, 서울) 오나전 (의정부 예술의 전당, 경기도) 열린 공감전 (예술의 전당, 서울)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
오나전-나를 펼치다 (갤러리 가이아, 서울) 서울미술대상전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 분관, 서울) 전통회화의 맥과힘전 (신세계갤러리, 인천) 경찰문화대전 (경찰청, 서울)
소장처 경찰청
MAZINGA V no.5 Acrylic on cardboard. 170x 135cm. 2010
Remodeling- superman plastic. 60x 50cm. 2010
RED FISH plastic. 160x 130cm. 2010
플라스틱 산수. plastic mixed media. 91x 60.5cm. 2012
상상채집 - RED FISH 2. plastic mixed media. 62.5x 65cm. 2012
ArtTimes ArtBooks – Young.Artist21 VOL.4 전자책 초판발행일 2013.10.28 전자책 최종업데이트 2013.10.29 출판번호 2011-000040호 편집 아트타임즈편집부 펴낸곳 화이트큐브 발행 아트타임즈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36 (역삼동, 포시즌빌딩3층 LS비즈니스센터318호) Tel. 0505-878-2049 Fax. 0505-877-2049 arttimesnews@gmail.com www.arttimesnews.com
본 도서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습니다. 개별작품이미지는 저작자에게 저작권이 있습 니다. 무단변형 및 무단 개변조를 통한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