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성단체연합 2017년 제1차 성평등포럼>
1. 피임과 낙태 관련 최근 이슈와 주요 쟁점
2. OECD 회원국의 피임과 낙태 정책
3. 피임과 낙태 실태 및 정책수요 조사
4. 정책과제
* 이 발표자료는 2014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피임과 낙태 정책에 대한 쟁점과 과제: 여성의 재생산권과 건강권을 중심으로”의 연구보고서 내용을 일부 발췌, 구성한 것임
1. 피임과 낙태 관련 최근 이슈와 주요 쟁점
출처: 김동식 외(2014); 식품의약품안전청·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6.15) 재인용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2016.5.20)
출처: 김동식 외(2014); 보건복지부(2010.3.2) 보도자료 재인용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동아일보(2012.8.24)
2. OECD 회원국의 피임과 낙태 정책
출처: 김동식 외(2014); Oral Contraceptives Over-the-Counter Working Group (http://ocsotc.org),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Emergency Contraception (http://www.cecinfo.org) 재인용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www.law.go.kr)
출처: 김동식 외(2014), http://Chartsbin.com/view/s53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박선영 외(2013), 박형민(2011), 손명세 외(2011), 정현미(2010), UN(2002), Worldabortionlaws(2014) 재인용
출처: 김동식 외(2014); 김해중 외(2005), 박형민(2011), 이미정 외(2010), 정현미(2010), UN(2002) 재인용
출처: 김동식 외(2014); 김해중 외(2005), 박선영 외(2013), 박찬길(2010), 박형민(2011), 손명세 외(2008 2011), 양승조(2014), 이기헌 외(1991), 이사 도모코(2009), UN(2002) 재인용
출처: 김동식 외(2014); 박형민(2011), 손명세 외(2008), 양승조(2014), 이기헌 외(1991), 주호노(2012), UN(2002), 정현미(2010) 재인용
3. 피임과 낙태 실태 및 정책수요 조사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5). 젠더리뷰
출처: 김동식 외(2014)
출처: 김동식 외(2014)
일반의약품이다
출처: 김동식 외(2014)
-응급피임약 기타-사전피임약
출처: 김동식 외(2015), 젠더리뷰
출처: 김동식 외(2014)
4.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