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哲宇 宇 金 哲 2014.10.8(수)-10.13(월) 초대일시.2014.10.8(수) 오후5시30분
인사아트센터 5층 2014.10.8(수)-10.13(월)
초대일시.2014.10.8(수) 오후5시30분
인사아트센터 5층
110-300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41-1 가나인사아트센터 (관훈동 188) TEL_02.736.1020 http://www.insaartcenter.com/
金 哲 宇 金哲宇
Kim Cheol Woo
2017.11.14(화)-11.23(목) 초대일시. 2017.11.14(화) PM5:00 2014.10.8(수)-10.13(월) 관람시간. AM11:00~PM7:00
초대일시.2014.10.8(수) 오후5시30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7전시실
인사아트센터 5층
110-300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41-1 가나인사아트센터 (관훈동 188) TEL_02.736.1020 http://www.insaartcenter.com/
자연을 기록한 몸, 몸을 기록한 그림
김철우는 그의 작업 대부분은 작업실이 아닌 산과 들. 자연의 풍경을 그린다. 그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산을 찾아 다니고 그림을 그리지 않는 일상 에서도 자주 산행과 여행을 해왔다. 그는 문명의 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고 쉽게 살아가기 보다는 그의 몸으로 직접 자연을 만나고 느끼는 삶을 살고 자 하였다. 그래서 먼 길을 걸어서 다니고 늘 작업도구를 챙겨 산에 오르기를 즐겨 하며 작업 방법에 있어서도 디지털 매체나 새로운 매체를 사용하기 보다는 직접적인 느낌을 교감할 수 있는 매체를 사용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작가는 자연 현장에서 시각적으로 경험한 감각을 일방적으로 표출하는 작업, 즉 자연 혹은 작품이라는 것을 타자적 영역에 대상화 시켜 바라보는 위치에서 작업 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작업을 넘어 작가가 자연과 일체가 되어 서로 교감하고 상호작용하는 것 그 자체를 예술이라는 차원에서 받아 들이고 작업화 하고자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예술과 일상은 그의 삶 자체이자 그가 살고 있는 자연에 대한 감각적 교감이었고 물질로서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은 이 과정에 대한 확인하는 행 위였던 것이다. 그래서 그의 작업은 현대미술에서 흔히 노출되는 현학적 논리나 거대한 작품 스케일 같은 과도한 제스춰가 없다. 다만 대자연을 몸으 로 느끼고 그의 시야 안으로 들어온 세계와 교감하였던 기록만이 남아 있음을 알게 된다.
그의 작품을 보면 그림 속에서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가 그린 것은 자연과 도시의 풍경들이기에 그러한 면도 있을 것이지 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부재한 텅 비워진 듯한 그 곳에서 사람의 향취가 느껴진다. 이것은 아마도 그의 붓 터치와 드로잉에는 작가가 자연 가 운데 찾고자 했던 때묻지 않은 순수한 인간상에 대한 애정이 남아 있고, 그 향기가 배어 있어서인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어떤 면에서는 그의 작업이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되어 만들어낸 그림이었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동양의 산수화에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지향하고 물아일체의 감흥을 그리고자 했던 것과 유사해 보인다.
그러한 의미에서 보면 김철우의 작품은 사물 외부의 시각적 현상에 집중하였던 서양의 풍경화와는 달리 동양의 산수화와 닮아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작업은 관념적이고 상상적인 문인들의 산수화나 장소를 소재로 한 단순한 실경산수의 느낌이 아니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처럼 사생하 는 방법을 취하면서도 독자적인 해석을 가하는 차별성이 있다. 작가만의 고유한 회화적 힘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그림을 여러 점을 같이 감상 하다 보면 국내와 해외의 여러 명소를 그려내는 가운데에서도 그의 고유한 필치와 풍경을 해석하는 감각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러한 작가의 해석과 일관된 경향을 보게 되면 김철우의 자연에 대한 철학과 교감하는 감각방식이 무엇인지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그 이유는 작가 가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의 구석 구석을 다니며 자연과 도시 속 장소들을 몸으로 느끼고 그려내면서 대자연의 공간 속에 그 만의 방식으로 생생하게 살아 있는 자신의 시선을 기록하였기 때문이며, 또한 그 기록을 하는 방식에 대한 작가의 독특한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관객 은 그의 작품을 통하여 자연을 새롭게 발견하고 그 자연 속에 살고 있고 자연과 교감하고 있는 인간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동시에 자연을 응시하는 한 인간의 시선으로부터 그 자연과 교감하였던 경험을 마주칠 수 있다.
사이미술연구소 이승훈
북한산, watercolor on canvas, 116.8x80.3cm, 2016
성산일출봉, acrylic color on canvas, 162.2x112.1cm, 2016
Machapuchare, watercolor on canvas, 162.2x112.1cm, 2016
울산바위/acrylic color on canvas/162.2x112.1(cm)/2017
오장폭포, acrylic color on canvas, 80.3x116.8cm, 2017
일출봉, watercolor on paper, 35x26cm, 2015
설악산,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6
흥평/watercolor on paper/77x28(cm)/2015
흥평/watercolor on paper/55x22(cm)/2015
흥평, watercolor on paper, 77x28cm, 2015
í?Ľí?‰,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5
추암, watercolor on paper, 36x26cm, 2015
Pokhara,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6
Nagarkot, watercolor on paper, 32x24cm, 2016
Cefalu,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Siracusa,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월류봉, watercolor on paper, 28x77cm, 2017
오장폭포, watercolor on paper, 28x77cm, 2017
정선, watercolor on paper, 28x38cm, 2017
사인암, watercolor on paper, 36x26cm, 2015
토왕성폭포, acrylic color on canvas, 112.1x162.2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Venezia,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Cefalu,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Palermo,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Cefalu,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London, watercolor on paper, 52x33cm, 2017
Venezia, watercolor on paper, 52x33cm, 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25x50cm, 2017
Venezia, watercolor on paper, 25x50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25x50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50x25cm, 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62x23cm, 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Catania,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마들렌,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Siracusa, watercolor on paper, 31x23cm, 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41x31cm, 2017
Catania,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Rome,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Catania, watercolor on paper, 31x41cm, 2017
Palermo,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Catania/watercolor on paper/23x31(cm)/2017
Siracusa,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í?Ľí?‰, watercolor on paper, 26x36cm, 2015
Paris/watercolor on paper/23x31(cm)/2017
Paris, watercolor on paper, 23x31cm, 2017
Venezia, watercolor on paper, 31x41cm, 2017
London, watercolor on paper, 31x41cm, 2017
창덕궁, watercolor on paper, 77x28cm, 2015
도봉산
서 그려 보아야 할 것 같다. 이곳에서 그림을 마무리하고
삼각 피라미드를 먹었다.
는 비달디를 바이올린 주자로서는 만점, 작곡자로는 그
서울의 진산이며 모산인 도봉산은 사계절 모두에게 즐거
떠날 땐 뒤가 무겁다. 올 땐 흥분되고 갈 땐 뒤가 무거워
봄바람의 심술은 개선문 앞마당의 먼지로 보여준다!
저 그런 편, 사제로선 영점이라고 평했지만 우린 비발디
움을 주는 산이다. 서울 어디서든 조망 할 수 있는 산이면
떠나기가 싫어진다. 그게 제주도의 진한 매력인간 보다.
이건 회오리바람도 아니고 도저히 감을 못 잡겠다. 그늘
를 외면할 수 없다.
도 없다. 자리 확보가 제일 큰 관건일 때도 있다. 하루 종
우리 정서와 전혀 다른 화려하고 요란한 장식적 건물 세
그 코스 또한 다양하다. 도봉산이 있어 우리는 사계를 당연 히 즐길 수 있고, 년중 계절의 뚜렷한 바뀜을 느낄 수 있다.
오장폭포
일 햇빛과 바람, 인파로 시달리며 숙소로 간다! 나는 시원
계적이고 무엇? 몇세기전 무엇 무엇?
봄이면 아스라이 떠도는 봄기운이 산 주변에 아지랑이로
첩첩이 빼곡한 산자락 그 사이. 적이고(?) 휘어 흐르는 적
한 레페가 필요하다. 큰병도 단숨에 들이킬 기세다.
수학여행 온 듯한 학생들의 의미 모르는 소리에 비둘기
나타내고, 풀벌레의 부산함으로 더욱 산의 색은 부드러운
당한 크기의 강. 지리적 고립성. 산골 생활의 고단함. 모든
녹색과 핑크와 흰 색의 꽃가루로 뒤덮힌다. 진한 녹색의 푸
척박함이 존재해도 잃지 않는 삶에 대한 낙천성이 녹아 있
예술의 파리
짧은 영어로 어디서 왔냐? 아저씨 최고다! 내 주위를 떠
르름과 계곡의 흐르는 물소리를 깊숙한 여름밤의 가득찬
는 곳 “정선” 인간의 시야에 딱 들어오는 크기의 적당함이
센강에서 차가 다니지 않는 다리이며 문인들도 즐겨 찾던
나지 않는다. 머릿속이 복작하여 물한잔 마시고 있는데,
별자리로 나타나고, 가을 색은 서서히 붉음으로 변하여 신
잘 어울리는 그런 곳이다. 이젠 사통팔달로 쉽게 접할 수
다리이다. 전에 왔을 땐 온통 자물쇠로 다리의 무게를 이
문듯 화암사에 가고 싶다. 처마와 처마사이, 횡한 여백
성봉 뒤로는 그 절정의 가을색을 머금고 있다.
있고 많은 인적이 오가며 20년 보단 훨씬 많은 훼손과 먹
길 수 있나? 할 정도로 수많은 자물쇠가 온 다리 난간에
에 매달린 풍경소리나 푸른 하늘과 갓바위가 보고 싶다.
겨울이야말로 도봉산의 진가를 가지고 있다. 사패산을 기
고, 놀기 좋은 관광지란 오명과 함께 현대를 겪고 있다.
채워져 있던 생각이 난다. 이곳은 시테섬 산책로 끝에 앉
안개 낀 새벽 예불, 안개를 가르는 새벽 목탁소리가 들리
점으로 칼바람을 맞으며 포대능선을 지나 자운봉을 향하
인간의 욕심은 과연 어디까지 일까?
아 이 다리를 보며 그린 곳이며. 여기서 그린 그림도 꽤 될
는 봉정암에 오르고 싶다. 베네치아는 2월에 와야 한다
며 오봉을 오른쪽에 두고 우이동이나 도봉계곡을 따라 도
평창올림픽에서 단 3일을 위해 500년을 포기한 가리왕산
듯하다. 파리는 도시가 서울 보다 작아 언제든 맘만 먹으
고 한다. 2월 베네치아는 가끔 알타아쿠아(Altaaqua)라는
봉서원쪽으로 하산하면, 년중 묵었던 스트레스는 다 날려
은 5만 그루 이상의 고목이 잘려나갔다. 그런 시설을 꼭 새
면 산책을 할 수 있고 센강은 강을 끼고 걷거나, 뛰거나 하
홍수가 밀어 닥치는데 그때 마르코 광장이 텅빈다고 한
버릴 수 있는 아름다운 산이다. 요즘은 너무 많은 사람이
로 만들어야만 해야 하나? 용평이나 휘닉스 스키장의 시설
기 아주 적당한 곳이다. 또한 연인이나. 사랑하는 사람과
다. 왜일까? 복잡함 보다 텅빈 광장이 보고 싶을까? 오늘
산을 오르내리기 때문에 산은 중병에 신음하고 있다. 출입
을 보완하여 이용하면 될 것 아닌가?
산책하며 자연 키스하고 포옹하기 좋은 사람의 감정의 바
은 일찍 들어가 와인과 살라미로 밤을 보내야 할 것 같다.
종량제를 해야 된다. 코스를 제한하고 년 중 1인이 몇 회 입
아무튼 정선지역을 다니다보면 괜한 심술이 난다.
닥을 자극하기 좋은 장소이기도 하여. 그 감정을 표현한
산 가능하게 해야 한다. 우리만 즐기고 말 것인가?
2,7,12,17,22...는 정선 오일장이다. 배추전, 수수부꾸미에
소설, 영화 등도 많은 작품에서 보여 준다!
체팔루
이 산은 우리가 가꾸고 나눠야 할 우리 산이기 때문이다.
막걸리나 한잔하고 가야겠다.
그림도 센간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부지기 수 인 것 같다.
팔레르모는 시칠리의 관문이다. 팔레르모 중앙역에서 한
지금도 파리 시내엔 나처럼 돌아다니다 맘에 드는 장소를
시간이면 시네마천국에서 나오는 조그만 마을 해변 휴양
날 때 마다 나는 괴성! 내 주변에서 그림 그리는 나를 보고
제주
월류정
만나면 이젤 피고 가운 입고, 캔버스와 그릴 대상을 오가
지인 cefalu가 배경이다. 대사 중 “돌아와선 안 돼, 깡그리
제주는 나에게 늘 새로움을 준다. 서울과 제주는 시내서
충청도 산세는 조용하고 커다란 변화 없이 무던함이 보
며. 물감을 발라대는 이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잊어버려야 해, 편지도 쓰지마. 향수에 빠져선 안 돼. 잊어
변두리가는만큼 가까운 곳에 있지만 전혀 다른 문화가 있
여. 그곳 사람들은 많은 일에 답하길 무미건조한 듯 보이
우리도 어릴 적에 덕수궁이나 경복궁가면 이젤 피고 모란
버려 만일 못 참고 돌아오면 널 다시 만나지 않겠어. 알겠
고, 육지에 없는 화산 섬의 독특함와 풍광을 가지고 있어.
기도 한다. 그러나 정(靜) 가은데 동(動)을 감추고 있는 것
이나 향원정을 그리는 이가 꽤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없
지?” 알프레도가 토토에게 한 대사가. 마치 내가 우리 애
호기심의 원천이기도 하다.
이 참된 정이요 정가운데 정은 참된 정이 아니라 하지 않
다. 파리가 달라진 것이라면 센강 거리에 스멀스멀 나는
한테 프랑스로 유학을 갔던 때에 했던 얘기와 거의 같다.
특히 성산일출봉의 풍광은 그 어디에도 견줄만하다. 형
았던가? 충청도의 정이 평온함이라면 충청의 동은 바로
오줌 지린네가 현저하게 없어졌다.
체팔루는 동네가 아름다움의 모든 것을 가지고 있는 듯하
태는 잘 생긴 젊은 배우의 형상이고 내용 또한 교양이 가
이곳 월류봉이다. 주변과의 조화가 물 흐름의 각도와 산
득한 점잖은 신사의 내공이다. 어디하나 흠 잡을 곳이 없
의 높이 그리고 물의 깊이가 실로 달도 머물러 간다는 곳
베네치아
바다. 해변, 오래된 건물이 이뤄낸 골목, 따뜻한 사람들의
다. 계절따라 세련된 옷과 외투를 지니고 있어, 감각 또한
이 황간 지장산, 백화산 사이에 월류봉이다.
오늘도 숙소를 나와 여기저기를 헤맨다. 유독 오늘은 사
인상. 풍성한 식자재와 농산물, 해산물, 과일등.....
람이 많다. 건물도 복잡하고 골목도 복잡하고 술집도 복
부족함이 없는 동네처럼 보인다.
멋진 패션니스트이다. 수년간 성산일출봉을 그려 보다도
다. 맑은 공기와 뜨거운 태양, 아름다운 산, 색깔이 선명한
흥미 있고 진지해진다. 지금도. 일출봉을 중심으로 주변
루블 옆 개선문
잡하다. 아마도 부활절 전 휴가 때문이다. 광장마다 깃
아랍, 노르만, 비잔틴 양식이 섞인 두오모, 전경이 아름다
을 계속 찾아 그릴 자리를 찾고 있는 중이다.
반팔로도 더운 늦은 봄날, 화창하긴 오늘이 최고인 듯, 루
발들 사람들로 가득하다. 비발디는 베네치아에서 성직자
운 로카 바위 절멱, 마리나 광장등을 보며 원주민처럼 골
언젠가 일출봉 동쪽에 배를 띄어 놓고 일출봉을 선상에
불은 항상 장사진을 만들고, 그 옆에 ooo 개선문은 루불의
로 재직했던 피에타 성당을 가본다. 당대 평론가 골르니
목골목을 배회해 본다.
김철우 (金哲宇) 김철우는 1955년 서울에서 태어나 추계예술대학 교 미술학부 서양화과와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제3갤러리, 현대아트갤러리, 갤러리예나 르, 덕원갤러리, 인사아트센터, 갤러리메이준, 예술 의전당 등에서 개인전을 그리고 1983년부터 150여회 의 국내외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주요단체전으로는 제작그룹전, 현대수채회전, 서 울현대미술제, 아시아수채화연맹전 등이 있고 서울 산업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대진대학교, 배재대학 교, 추계예술대학교에서 강의하였으며 현재는 한국 미술협회, 아시아수채화연맹전 회원이다.
Address:㉾02837 서울 성북구 성북로 120 (2F) Mobile:010.6265.6091 Homepage:www.kimcheolwoo.com E.mail:kcww55@naver.com facebook.com/10000086100223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