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시001

Page 1

포트폴리오 제작실기



포트폴리오 제작실기 2017.11.26


눈에 보이는 것 그 너머를 본다는 것 혹은 패러독스의 올가미를 벗어난다는 것 플랫랜드(Flat land)는 말 그대로 ‘평지’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에드윈 A. 애보트(Edwin A.

거기에는 오류 가능성이 늘 잠재해 있음을 작가는 보여주는 것이다. 작업에서 확인되듯이 시

Abbott)의 소설에서는 플랫랜드(Flatland)란 주인공 스퀘어(square)가 사는 세계를 말한

각에서도 감각적 오류와 이로부터의 판단 상의 오인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면 인간 자

다. 여기서 주인공은 여러 차원에서 경험한 것을 자신과 함께 살고 있는 기하도형들에게 그들

체는 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 아래 있어 왔음은 부인할 수가 없다. 그렇다면 존재하고

의 세계인 ‘2차원’의 나라에 돌아와 다른 차원들에서의 경험을 나누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있다는 느낌은 있는데 사실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데 존재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주인공의 경험은 다른 이들로부터 신뢰받지 못하게 되고 결국은 종신형에 처해지게 되

는 말이 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어쩌면 인간의 시각 문화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회

는데 정은희 작가가 그의 전시 주제에 이 소설의 제목을 인용하고 있는 것은 이 소설에서처럼

화 혹은 예술이라는 것 역시 이처럼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 혹은 보이는 것과 보이

차원이나 맥락이 다른 상황에서 경험한 것은 다른 경험을 갖고 있는 이에게 제대로 이해시키

지 않는 것 사이에서 부유하며 그 영역을 늘 탐색하고 모색해 나가는 인간의 행위에 불과하다

기 어려우며 각자 다른 인식을 가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 소설이 자신의 작업과 상당한

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공유 지점들을 갖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것은 정은희 작가는 이처럼 플랫랜드(Flatland)이자 눈 안으로 수렴되는 세계를 매 작가가 공유 지점으로 느끼는 데에는 먼저 그가 회화를 전공했던바 그의 경험을 평면의 캔버

우 정성스럽게, 그러나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되도록, 그리고 보았던 것이 오류임을 관객이

스나 패널에 옮겨내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왔던 점이 한 가지 원인이 되었을 수 있다. 그러

경험적 차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아주 명료하게 그려내고 또 그 상황을 진지하게 만들어내

나 사실 그가 경험하고 있는 3차원 개념의 공간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공간의 지속적인 변

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때 작업을 보는 이들이 주목해야 할 점은 어떤 이가 이처럼 일부

화와 같은 범주도 그의 눈에 있는 망막이라는 2차원의 평면에 수렴될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를 노출시켜 강력하게 드러내고자 할 때, 대부분의 경우 그것을 드러내는 이의 의도는 노출시

에 본질적으로는 시공간의 체계 내에 있는 대상에 대해 그것을 눈의 망막을 통해 정보를 받

켜 눈앞에 보여주는 것, 그 자체에 있지 않은 경우도 많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정은희 작가가

아 인식하게 되는 인간의 신체는 세계와 2차원의 범주 안에서만 상호 관계할 수 밖에 없다는

작업에서 이와 같이 시각적 감각과 인식적 차원의 오류가 눈에 드러나 보이도록 한 것은 사실

생물학적이고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 측면이 더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던 것이라고 해야 할 것

상 그가 자주 전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명제, 즉 ‘눈에 보이는 것이 눈에 보이는 것 그대로가 아

이다. 정육면체의 예를 들어보면 인간이 살고 있는 현재의 일반적 환경에서는 여섯 면을 한꺼

니다’라는 문장은 그 문자적 의미만을 반복적으로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게 아닐 수 있음을 직

번에 볼 수는 가능성은 없다. 단지 평면으로 수렴될 수 있는 한 면 혹은 두 면 많으면 세 면까

시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그것은 그의 작업을 신중하게 뒤집어서 다른 측면들을 읽어 볼 필

지만 볼 수 있다. 또한 무한한 공간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겠지만 무한히 긴 터널 안을 바

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눈에 보이는 것이 실체 혹은 실질이 아닐 수 있다는 작업의 표피적 의

라보게 된다고 하였을 때를 생각해 보면 인간의 눈이 무한의 세계 모두 다를 볼 수 없음은 자

미뿐 아니라 눈에 보이는 것 혹은 감각되는 것으로 인해 놓치고 있는 것들에 대해, 눈에 보이

명하다. 터널 내에서 인간 눈에서의 감각은 무한이 아니라 한 점에서 끝나버린다. 관념적으로

는 것 이상의 것들에 대해 그의 작업을 근거로 하여 찾아 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는 그것은 한 점이 아니라고 생각될 수도 있겠으나 일반적 인간의 눈에서 해상도는 그것을 포 착해낼 수가 없다. 투시법에서는 이 한 점을 소실점이라 하였는데 여기서의 점이라는 것은 눈

그러한 맥락에서 다시 그의 작업을 보게 되면 표면적으로 느껴지는 의미 이면에 감춰져 있는

의 위치임을 설명해주는 투시법을 근거로 하여 생각해 본다면 이 소실점은 세계 그 자체가 아

다양한 측면과 의미들을 음미해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그것은 작가가 굳이 관객에게 전달하

니라 인간의 망막에 반영된 가상적 세계이자 실체가 아닌 허상일 수 밖에 없음을 각성하게

고자 하는 어떤 한정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 누구나 삶의 경험에서 느끼게 되는 상

만들 뿐이다.

황들 즉 외적으로 드러나 보이는 것에 대한 감각적 오류와 그 너머의 내적 실질 혹은 관련된 메타적 시각들일 수 있다. 물론 누구에게나 정은희 작가의 작업은 일차적으로는 눈에 보이는

같은 맥락으로 정은희 작가는 그의 작업에서 망막이라는 2차원에 수렴하는 세계에 대해 계

것들에 대한 시각적 환각에 대한 작업으로 읽혀질 것이다. 그러나 작가에게 있어서 작업의 형

속해서 여러 가지 시각적 문제를 의도적으로 발생시킨다. 회화에서 다루게 되는 전통적인 투

식으로 만들어낸 손가락이 가리키는 것은 시각적 환각이 아니라 인간에게 있어서 ‘시각에 대

시법 명암법에 대해서도 독특한 시각적 장치를 활용하여 다양한 혼란을 야기한다. 그 예를

한 것’ 이상의 ‘잘못 보게 되는 것들’, 그리고 ‘잘못 인식하게 되는 것들’과 함께 그 관련된 ‘나

들어보면 몇 가지 색으로 된 안경을 바꿔가며 그의 작업을 보도록 만들기도 하는데 안경의 색

와 세계에 대한 근원적 통찰’, 그 자체를 지시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그의

이 바뀔 때마다 관객은 서로 다른 형태의 공간과 작업을 경험하게 된다. 가장 신뢰하였던 감

작업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라 ‘그 보다 가까이 있는 그 무엇’이 그렇다면 과연 ‘무엇일까’

각기관인 눈에 대한 신뢰를 일부 내려놓을 수 밖에 없도록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

와 같은 좀 더 깊은 문제에 의문을 품으며 그러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읽어가야 할 작업이라

에 존재하는 대상에서 그 물질에 부딪힌 빛 입자나 파동은 세계에 대한 시각 정보 혹은 세계

할 것이다. 그런데 작가는 이러한 의문을 품을 수 있는 영역 그 자체에 대해서는 작업에서 명

를 가리키는 지표가 되어 인간의 감각체계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이때 인간은 시간적

료한 설명이나 묘사를 하지 않았다. 아마도 그것을 수행해내는 것은 작가의 작업을 읽어내고

으로 혹은 공간적으로 차이가 나는 두 가지 이상의 정보들을 비교하면서 그 차이로부터 세계

음미해가는 이들의 해야 할 몫이기 때문이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기에 부

에 대해 순차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시각적 오류를 줄이고 객관적인 사실을 판단하도록 만드

정할 수 없지만 하나의 프레임에 가둬진 가시화된 의미들로 인해 그 이면의 세계를 놓쳐버리

는 것이다. 그런데 정은희 작가의 작업은 그러한 판단에 오류가 발생하는 지점들을 파고든다.

게 만드는 패러독스(paradox)의 이상한 올가미에서 온전히 벗어나고자 하였기 때문일 것이

그리고는 인간의 감각과 인식에는 한계가 분명이 존재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정확한 실질을

다. 그러므로 바로 이 지점을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그의 작업읽기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포착하고 판단하기에는 인간의 시각적 감각 및 시각적 인식은 완벽할 수 없다는 말이다. 시각 은 인간에게 있어서 외부세계에 대해 상당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그러나

사이미술연구소 이승훈


boxes 35 x 68 cm oil on 3D panel 2017


boxes 35 x 68 cm oil on 3D panel 2017

정은희 Jung, Eun Hee 개인전 2017 뉴디스코스 사이아트스페이스기획, 서울 2016 갤러리 일호 기획,서울 2016 지구촌 갤러리 기획,분당, 수지 2016 청림갤러리 초대,서울 2015 Artspace Knot 기획 서울 2014 “gift” 썬갤러리기획 서울 2014 정은희유리소품전 Art Cube 서울 2014 가가 갤러리 기획, 서울 2014 Artspace Knot / Art Cube 서울 2001 한전아트센터기획 서울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