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서대문구 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2차 전문가 컨설팅 : 최규성 (달꽃창작소 대표) 2020.07.04.(토) 14:00-17:00 / 달꽃창작소 / 최정은, 임성연, 이정아, 박장호, 황윤호 참석 ■ 2020 서대문구 예술교육 샘플 교육프로그램 방향성 (올해 서대문구 샘플 교육프로그램으로 구상 중인 “어린이 동물원”의 구체화를 위해 달꽃창작 소에서 운영했던 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 및 세부적인 기획·진행 방향성을 참고하고 싶음.) ☞ 달꽃창작소에서 예술교육 사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어떤 새 로운 경험을 하게 할 것인가, 우리는 어떤 경험을 할 것인가, 그리고 지역에는 어떤 특별한 경험을 줄 것인가를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한 프로그램의 반복은 없는 것 같아요. 물론 대표 프로그램을 기획하려는 시도를 하긴 했었습니다. 예를 들어 테크놀로지 와 예술을 결합한 융합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기도 했어요. 시도했던 프로그램이 우수 사례로 인정을 받기도 하였으나, 결국 이런 프로그램은 우리가 할 만한 것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어 요. 우리가 할 일은 아이들에게 상상력을 자극시키고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하는 것이라는 깨달 음이 있었죠. 예술가들의 특성은 교육이 메인 활동이 아니고, 보다 유동적이기 때문에 지역 예술가들과 함께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개발한다는 것 또한 쉽지는 않습니다. 콘텐츠가 어디까지 허용되는지 저작권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밖에 없고요. ☞ 세대를 넘어 함께 경험하게 하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참여자들에게 좋은 경험을 준다 면, 그것이 공동의 경험으로 확대된다고 보기 때문이지요. 운영했던 프로그램들 중 “남산 숲 예술학교”의 경우 미취학 아동부터 60대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을 했습니다. 남산의 숲에 서 건축가와 현대무용가, 화가 등과 함께 하는 예술 프로그램이었고, 실행을 위해 서울시 관 계 부서의 담당자를 찾아 미팅을 했었어요. 다행히 적극적으로 도와주시는 분을 만나 숲을 훼 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창작 활동들을 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숲이나 외부에서 프로 그램을 할 때, 밀도 있게 운영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어요. 그렇지만 예상외 로 다들 사부작 사부작 즐겁게 참여하면서 좋은 결과물이 나왔습니다. 자연이었기 때문에 가 능하지 않았나 싶어요. 자연이 주는 힘이라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가 족 단위 참여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밀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조금은 설렁설렁하게 하는 것이 포인트인 것 같아요. 숲이나 자연, 혹은 날씨와 같은 변수 속에서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중심 으로 다가가는 것이죠. 또 다른 프로그램인 “남산 오브제”의 경우 남산에서 자연물을 채집해 와서 중고등학생들과 함께 소품을 만들어서 동네에서 판매까지 해 보는 프로그램이었어요. 내 가 사는 지역과 공간을 다시금 볼 수 있는 경험이었습니다. 특별하지 않아도 참여자들 스스로 성장시킬 수 있는 경험이자 소소한 기회였어요. 지역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장점은 바로 지역을 거점으로 상황에 따라 유동성 있게 진행할 수 있으면서 동네 예술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관 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해 주는 것 같아요. ☞ 지역 청년들과 함께 했던 프로그램으로는 “괴물”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지역 청년들과 함께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을까 해서 독서나 경제 등 보다 실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시도를 해 봤었는데 생각보다 커뮤니티 형성이 잘 되지 않는다는 단점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수업 내용보다도 관계 형성이 중요한 목적이었고, 아예 추상적으로 재미와 유쾌함만을 목적으로 접 근을 했어요. 남산에 사는 괴물을 주제로 함께 레퍼런스를 찾아가면서 잃어버린 한국의 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