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STOPBUS
ogisadesign d’espacio architects
버스정류장버스 BUSSTOPBUS
보통 버스정류장은 버스안내판과 함께 놓인다. 즉 정류장은 쉘터shelter로서의 기능만을 갖고, 안내판은 정보를
버스정류장버스의 기본적인 재료는 금속이다. 금속은 현존하는 건축 재료 중에서 재활용성이 가장 높다.
전달하는 기호 (SIGN)로서 따로 존재하는 것이다.
생애주기가 지난 후에도 새롭게 가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본 제안은 지금까지 분리되어 있던 쉘터와 기호를 하나로 결합하자는 것이다. 그 방식으로 안내판이나 책자 속에
금속 위 도장의 색채에 의하여 각 정류장의 아이덴티티가 결정된다. 지선버스나 간선버스, 순환버스의 색
서만 볼 수 있었던 픽토그램의 형상이 직관적인 구조체로 확대되는 것을 생각했다. 새로운 쉘터는 곧 도시 내의
채에 따라 정류장의 색이 정해질 수도 있고, 도서관이나 공원, 주거지의 특성에 맞춰 색이 정해줄 수도 있
시각적인 기호로 작용하는 동시에, 공간을 이용하는 시민들로 하여금 스스로 기호가 되는 경험을 하도록 이끌어
다.
준다.
벤치는 내구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며, 차양으로 사용되는 강화유리면에는 햇빛 차단의 성능
기존의 기능적이고 삭막했던 버스정류장은 예술작품이자 체험공간, 안내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직관
을 고려하여 프린팅된 루버가 부착된다.
적이면서도 생소한 디자인은 시민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단순 화된 재료와 시공법에 의해 새로운 쉘터는 그 자체로 경제성과 지속가능성을 갖게 되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기능
버스정류장버스는 적극적으로 확장성을 의도한다. 버스정류장의 규모에 따라 길이는 자유롭게 연장된다.
을 갖는다.
다양한 노선을 위한 정류장에는 단위유닛을 직렬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인지성을 강조하거나 전광판의 역할을 하는 곳에는 층층이 쌓아올릴 수도 있다.
1. 남산을 담는 프레임 버스정류장버스는 그 자체로 시각적 기호가 되는 동시에 풍경을 담는 프레임이 된다. 단순화된 형태의 정류장은
본질적인 형태가 기호가 됨으로써 새로운 정류장은 유지보수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들일 필요가 없다. 조
남쪽으로 펼쳐지는 경관, 남산의 녹지와 석축 등이 담긴 액자와 같은 요소가 된다. 또한 시민들은 버스를 기다리
명이나 전광판 등의 요소는 필수적이지 않다. 무엇보다도 제작비용이 최소화되어 생애주기 동안의 일련의
면서부터 이미 남산의 버스에 앉아 풍경을 바라보고 문학작품들을 만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투자가 줄어들 수 있다. 버스정류장버스는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기에 위치의 이동이 손쉽게 이루어
2. 낯설게하기
진다.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기초만 있으면 쉽게 자리를 옮길 수 있다. 또한 색채나 재료 마감이
안내판 속에서만 보던 형상이 확대된 버스정류장버스는 아이들을 비롯한 시민들에게 시각적으로 낯선 느낌을 부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은 노력으로 전체 분위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여하며 호기심과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직접적으로 정류장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안내판 속의 픽토그램 인간 이 된 것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낯선 느낌과 호기심은 시민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주며, 장소에 대한 기억을 각
궁극적으로 도시의 공공 시설물들은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방적으로 과시하는 형태나 프로
인시킨다.
그램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쉽게 읽히고, 재미를 느끼게 하며, 기꺼이 참여하게 만드는 것이 현재의 공공 디자인에 주어진 임무일 것이다. 그런 관심들이 모여 단계적으로 공공성과 디자인, 그리고 도시에서의 삶
3. 문화공간
에 대한 자각과 성찰로 연장될 수 있다.
최소한의 부재로 이루어진 비어있는 공간은 다양한 콘텐츠가 전시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관리가 요구되는
버스정류장버스는 도시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공간들과 기호들의 화합에 대해 이야기한다. 표면적으
전자제품의 설치를 배제하고, 고정된 틀이 아닌 여러 가지의 텍스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붙을 수 있는 가능성의
로 시민들에게 유쾌함과 즐거움을 주면서, 나아가 우리 주위에 산재한 공간과 기호에 대하여 반추해보는
공간을 계획했다.
기회를 부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 쉘터 버스정류장버스는 도시 인프라로서 기본적인 정류장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충족시킨다. 설치 후 유지관리에 들어 가는 노력이 거의 없도록 하기 위해 부가요소들은 최소화되었다. 구조물의 대부분의 면적은 앉아 쉴 수 있는 벤치 의 영역이 되고, 햇볕과 비를 피할 수 있는 차양이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각진 모서리 부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 의 안전성 역시 중요하게 고려했다.
n4. 보성여중고 (한남대교방향)
BUSSTOPBUS
proto type
BUSSTOPBUS
color
재료 및 디테일 버스정류장버스의 기본적인 재료는 금속이다. 금속은 현존하는 건축 재료 중에서 재활용성이 가장 높다. 생 애주기가 지난 후에도 새롭게 가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금속 위 도장의 색채에 의하여 각 정류장의 아이덴티티가 결정된다. 지선버스나 간선버스, 순환버스의 색채 에 따라 정류장의 색이 정해질 수도 있고, 도서관이나 공원, 주거지의 특성에 맞춰 색이 정해줄 수도 있다. 벤치는 내구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며, 차양으로 사용되는 강화유리면에는 햇빛 차단의 성능을 고려하여 프린팅된 루버가 부착된다.
BUSSTOPBUS
확장가능성 버스정류장버스는 적극적으로 확장성을 의도한다. 버스정류장의 규모에 따라 길이는 자유롭게 연장되며. 다양한 노선을 위한 정류장에는 단위유닛을 직렬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인지성을 강조하거나 전광판의 역할을 하는 곳에는 층층이 쌓을수 있 게 적용하였다.
proto type BUSSTOPBUS
c type
a type
b type
n3. 보성여중고 (시청방향)
BUSSTOP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