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lli museum

Page 1

1

대지현황

공원과 도시의 경계

자연을 연결하는 둘리 뮤지엄 쌍문 근린공원

둘리문화센터(둘리 뮤지엄)

대지위치 지역지구 대지면적 도로현황 연면적 건축면적 건폐율 용적율 구조 층수 최고높이 외부마감 주차개요 조경개요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산240-5번지 제1종일반주거지역 2400㎡ 남측 8m도로 3934.2㎡ 1242.1㎡ 51.8% 134.4% 철근콘크리트조 지하1층/지상3층 20.4m 로이복층유리 + 스틸루버프레임 (상부식재) 29대 30.2%

둘리 언덕 뮤지엄

▌배치계획

▌대지분석

명칭

대지의 지형

토공사를 최소화하는 건물 배치

지형의 흐름을 연결하는 테라스 둘리 뮤지엄은 대지에 순응하며 지형이 연장된 형태로 둘리와 친구 들의 이야기가 담기고 모험이 자라나는 언덕이다.

대지의 낮은 부분

지형의 흐름

쌍문근린공원

테마파크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차도에 의해 분리된 쌍 문근린공원의 흐름을 이어주는 둘리 뮤지엄을 제안한다. 스스로 완 결성을 갖는 조형적인 건축이 아닌, 지형의 흐름에 순응하며 대지의 주거지역

접근성

형상에 어울릴 수 있는 도시조직의 일부로서의 둘리 뮤지엄을 계획

했다. 따라서 새로운 건물은 녹지가 연결되는 형상을 따라 그 형태 둘리 테마파크가 조성되는 쌍문동에서 둘리 뮤지엄은 주거지 와 쌍문근린공원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도시와 공원의 결절점 역할을 하는 동시에,랜드마크로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사업부지의 동측 도로(시루봉길)과 남측에 면한 도로로 인해 쌍문근린공원과 주거지역은 경계를 이룬다. 사업부지가 위치 한 곳은 경계의 교차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단절되어 있던 공원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주변 지형 과 하나가 되는 둘리 뮤지엄을 제안한다. 건물과 지형이 자연 스럽게 얽혀 공원의 일부로서의 건물을 형성한다.

주어진 대지는 약 15m의 높이차를 가진 경사 지이다. 건물을 배치하기 위해 대지의 고저차 를 고려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토공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지의 가장 낮은 부분을 점유하는 형태로 건물을 효과적 으로 배치한다.

공원의 연장으로서 자연의 흐름을 잇는 테라스 를 형성한다. 지형에 순응하며 녹지가 연결되는 형상을 따라 뮤지엄의 형태가 결정된다

가 결정되었고, 계절에 따라 빛의 양을 조절하는 수평루버가 투명한 내부공간을 감싼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