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역사이론 제 2 과학교육관 602 호 041)850-8231 mhlee@kongju.ac.kr
1983. 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학과(문학사-한국근대사) 1992. 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과/역사전공(수료-한국근대사상사) 1994. 3 筑波大學/敎育學硏究科/社會科敎育學硏究室(敎育學修士社會科敎育/歷史敎育) 1998. 3 筑波大學/敎育學硏究科/社會科敎育學硏究室(敎育學博士社會科敎育/歷史敎育)
1983. 3 - 1989. 2 서울 강동중학교/서운중학교/오금중학교 역사교사 1989. 3 - 1991. 9 국립 국악고등학교 역사교사 1998. 1 - 2002.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원/국가수준교육성취도평가팀장 2001. 3 - 2002. 8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2000. 8 - 현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부회장/편집위원장 2002. 1 - 현재 역사교육연구회 이사 1999. 2 - 현재 한국일본학회 이사 2000. 8 - 현재 한국교과교육학회 이사 1999. 8 - 현재 한국교과교육평가학회 이사 1999. 3 - 현재 한국일본교육학회 부회장 2002. 9 - 현재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 2005. 7 - 현재 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운영위원장 2006. 10- 현재 충남자유주의교육운동연합 자문위원 2006. 9 - 현재 서울특별시 교육자문위원 2007. 5 - 현재 육군군사연구소 자문위원
※학위논문 : 콜링우드 역사철학에 기초한 ‘추체험적 역사학습’ 이론의 구성(1998, 박사) (原題 : コリングウッド歷史哲學に基づく「追體驗的歷史學習」理論の構成) 《역사과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중앙교육진흥연구회, 1999. 5〔공저〕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Ⅱ》교육부, 1999. 8〔공저〕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교육부, 2000. 11〔공저〕 《고등학교 세계사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중앙교육진흥연구회, 2000.
5〔공저〕 《社會科敎育事典》ぎょうせい, 2000. 10〔공저〕 《중학교 국사》교육인적자원부, 2002. 3〔공저〕 《고등학교 국사》교육인적자원부,2002. 3〔공저〕 《교과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2003. 9〔공저〕 《21 世紀の歷史認識と國際理解》明石書店, 2004.8〔共著〕 《日韓交流授業と社?科?育》明石書店, 2005.8〔共著〕 《?員養成は今?わる》?育出版,2007.2〔共著〕 「역사학습의 한 방법으로서 ‘추체험’의 가능성」『사회과교육』31 호, 1998. 8 「하나의 과학으로서 역사학론이 역사교육에 제기하는 의미」『初等社會科敎育論叢』창간호,1999. 2 「일본의 소학교 중학년 사회과 ‘지역학습’의 실태 ―千葉縣長生郡一宮町 小學校의 事例를 中心으로―」『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 3 권 1 호, 1999. 2 「사회과 수행평가의 논리와 정착화 방안」『사회과교육』32 호, 1999. 8 「역사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검토」『역사교육』제 79 집, 2001. 9 「일본의 사회과 교육과정」『사회과교육』통권 40 호, 2001. 10 「제 7 차 교육과정기 교과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역사교육』제 82 집, 2002. 6 「통합 사회과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교원교육』제 19 권 제 1 호, 2003. 8월 「930 년대 한국에서 일본인 교사들의 초등역사교육 실천」『일본학연구』제 59 집, 한국일본학회, 2004 년 6 월. 「大學=學校=地域の連携を通じた學校敎育向上プラン」『探究』第 15/16 合倂 號, 愛知敎育大學社會科敎育學會, 2004 年 11 月.
[귀국학생 중학교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12 [고등학교 국사 평가 방법 개선 방안 ―논술형 및 서술형 평가를 중심으로―]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1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개발 연구 ―고등학교 국사―]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9 [미국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분석]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12 [통합 교과로서의 사회과 운영 방안 ―통합사회과 지도를 위한 교사 활용 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1. 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 구축 방안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2 [2002 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시행개선 연구 자료집]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