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 (604)544-5155
COPYRIGHT 2020
제4664호 2020년 9월 12일 토요일 A
The Korea Daily
캐나다 국적 따면 뭐하나, 한국서 살텐데 캐나다국적 한인 20% 한국 거주 추정 F-4비자 1만 5495명, 영주자격 163명 한국에 거주 중인 캐나다 국적 한인 수 는 국적 국가별로 봤을 때 5번째로 많은 데, 캐나다 국적을 취득한 한인 중 상당 수가 한국에 거소증을 만들고 장기체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법무부의 5월 기준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60일 이상 한국 에 체류 중인 외국국적동포는 2013년 이 후 줄곧 증가해 작년까지 87만 8000명이 되었다가 올 5월 기준으로 85만 3889명 으로 감소했다. 이는 전체 체류외국인의 39.8%에 해당한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인 69만 7971명으로 절대적으로 많았고, 이어 미국 4만 4391 명, 우즈베키스탄 3만 6037명, 러시아 2만 7927명에 이어 캐나다가 1만 5658명으로 5번째로 많았다. 5월 현재 총 캐나다 국 적 체류자가 2만 3070명이어서 한인이 아 닌 캐나다인은 7412명이다. 외국 국적재외동포의 체류자격별로 보 면 재외동포비자(F-4)가 46만 3139명으 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이 34만 7515명으로 압도적으로 많 았고, 미국이 4만 4015명, 러시아가 2만 6339명에 이어 캐나다가 1만 5495명으로 4번째로 많았다. 영주(F-5)자격 재외동포 수는 10만 2837명인데, 여기서도 중국이 10만 1397 명으로 가장 많았고, 러시아가 404명, 미 국이 367명, 우즈베키스탄이 269명, 그리 고 캐나다가 163명 순이었다.
한국 공항 입국심사대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홈페이지)
외국국적동포 중 거소신고자는 5월 현 재 46만 1624명으로 작년 말에 비해 0.4% 가 증가했다. 이들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 이 34만 6895명, 미국이 4만 3519명, 러 시아가 2만 6245명 그리고 캐나다가 1만 5441명으로 4번째로 많았다. 즉 6개월 이 상 몇 년간 장기적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캐나다 한인 수가 캐나다 국적을 보유한 한인 수의 약 20%가 한국에 장기 체류 중임을 알 수 있다. 2016년도 인구센서스 에서 한인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는 총 12 만 3305명이었는데, 이중 시민권자 비율 은 70%로 추정됐다. 올해 5월까지 한국 국적 취득자는 4528 명인 반면 국적상실(이탈)자는 1만 6435명 이어서 결국 1만 1907명의 순감소를 기록 했다. 한국 국적상실(이탈)자의 국가별 현 황은 미국이 6144명, 캐나다가 1200명 그 리고 오스트레일리아가 663명 등의 순이 었다. 한국이 저출산 국가로 점차적인 인 구감소가 우려되고 있어, 결과적으로 국 적상실 재외동포를 복수국적 허용 등을 통해 인적 자산화를 해야 할 필요성을 간 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국적별 국적상실․이탈 처리 현황에서 캐 나다인은 올 5월까지 상실이 1132명, 그 리고 이탈이 68명이었다. 국적 상실은 이 민 등으로 한국 국적자였다가 외국 국적 취득으로 한국국적을 잃는 경우이고 국 적이탈은 캐나다에서 한국 국적 부모 사 이에서 태어나 선천적 복수국적이었다가 한국 국적을 포기하는 경우이다. 캐나다 의 국적 이탈은 2018년 749명으로 이전 까지 100명 미만이던 것에 비해 크게 증 가했는데 그 이유는 병역을 마치기 전에 국적 상실이나 이탈을 할 경우 재외동포 (F-4) 비자를 발급하지 않도록 법이 바뀌 었기 때문이다. 5월까지 한국에 입국한 총 외국인 중 캐나다 국적자는 2만 6931명으로 작년 동 기대비 68.9%가 급감했다. 표영태 기자
그래도 가을은 온다 전남 구례군 산동면 사포마을 ‘다랭이논’의 벼가 누렇게 익어가고 있다. 올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 사태 속에 5월 말 모내기를 한 뒤 역대 최장 장마와 한반도를 강타한 9·10호 태풍까지 이겨내고 이제 가을을 맞아 수확을 앞두고 있다.
[연합뉴스]
‘연회장 영업 중지는 인도계 차별 조치’ 연회장사업주연합, “정부가 인도계 커뮤니티 타깃” 단독형 연회장만 중단 대상...“우리 죽이려는 것” BC주 보건당국이 코로나19 방역 강화를 위해 최근 단독형 연회장의 영업을 중 지시킨 데 대해 연회장 행사가 많은 인 도계의 관련 업계에서 ‘인종 차별적 조 치’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이에 따 라 한국에서는 방역을 놓고 과학과 종 교가 각을 세우고 있다면 캐나다에서는 복합문화주의가 과학에 척을 지는 조짐 을 보이고 있다. BC연회장사업주연합(B.C Banquet Hall Association)은 지난 8일 BC질병 관리본부가 발표한 새 방역 조치에 연 회장의 영업 중단이 포함된 것에 대해 인도계 업계와 연회장 이용이 많은 인 도계 문화에 대한 차별적 조처라고 비
판했다. 연합회는 그 근거로 이번 정부 조치 에서 호텔 등에 딸린 연회시설은 제외 된 채 인도계가 가장 많이 진출한 단독 형 연회장만을 영업 중지의 대상으로 삼 은 것을 꼽았다. 연합회 관계자는 그간 정부 방역 지 침을 성실히 따른 결과가 이렇게 나타 났다면서 정부가 인도계를 꼭 집어 타깃 으로 삼은 것이라고 항변했다. 그는 연 회장이 인도계가 가장 많은 인구를 차 지하는 써리시에 대다수 몰려 있는 사 실을 지적하며, 연회장 영업 중지는 연 회장 행사가 가장 보편화돼 있는 인도 계 문화를 타깃으로 한 차별적 조치라
고 주장했다. 보니 헨리(Bonnie Henry) 질병관리 본부장은 10일 이 같은 비판과 관련, “ 연회장 행사를 통해 코로나19 감염이 확 산된 사실들이 보고되고 있다”면서 “특 히 이 행사의 경우 여러 세대가 다 같이 모여 즐기는 자리이기 때문에 감염의 양 상이 특이하고 감염자의 추적 또한 힘든 상황”이라고 조치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그러나 이번 정부 조 치는 그간 정부가 보여온 인도계 차별 정책의 연장선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사례로 정부의 우버(Uber) 승인으로 인도계 종사자가 가장 많은 택시 업계에 타격을 준 점, 농장에 딸린 살림집의 규 모를 제한한 것 등을 꼽으며, 이 모두가 “우리를 죽이려는 부당한 조치”라고 역 설했다. 밴쿠버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