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Page 1

Korea-China-Japan

Arts & Culture Education Forum 2013

2013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 2013. 5. 22(수) 10:00 ~ 17:00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indd 1

2013-05-20

2:51:50


.indd 2

2013-05-20

2:51:50


축 사 안녕하십니까! ‘2013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에 참석하신 여러분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바쁜 일정 중에도 방한하신 중국 문화부의 리우 위푸 처장님과 일본 문화청의 사토 토루 과장님께 감사 드리며, 포럼 준비에 애쓰신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지난해 중국에서 열린 ‘제4회 한중일 문화장관회의’에서 도출된 ‘상하이 액션플랜’에 따라 우리나라에 서 올해 처음으로 포럼을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의 포럼은 ‘미래를 대비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한·중·일 3국이 그간의 성과와 한계를 확인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할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자 리가 될 것입니다. 현재 한국은 입시 과열과 학교 폭력, 높은 자살률과 같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사 회 현실에 대해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합니다. 문화예술교육에 내재된 소통 과 공감, 창의성과 상상력으로 우리 사회의 갈등과 소외를 치유하고 국민행복으로 연결되는 값진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존경하는 내외 귀빈 여러분, 모든 국민은 나이, 성별, 장애, 경제적 여건 등에 관계없이 자신의 관심과 적성에 따라 평생에 걸쳐 문화 예술을 체계적으로 교육받을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아야 합니다. 그 동안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예술교 육의 가치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학교와 지역 사회 차원에서 생애 주기별, 수혜 대상자별로 다양한 관련 정책들을 활발히 추진해 왔습니다. 특히 한국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문화융성’을 4대 국정운영 기조의 하나로 삼고 ‘문화가 있는 삶,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문화의 가치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확산되어 국가 발 전의 토대를 이루고, 궁극적으로는 국민 개개인의 행복 수준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화예술교육은 이러한 ‘문화융성’ 비전을 구체화하는 소중한 첫걸음입니다. 우리는 한국, 중국, 일본에 서 자라는 모든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문화예술교육의 씨앗이 풍요로운 일상 속에서 꽃피우기를 희망합 니다. 굳이 거창한 목표를 내세우지 않더라도,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개개인의 삶과 우리의 사회가 조금 더 즐거워지고 건강해지기를 기대합니다. 아무쪼록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맞이하여 열리는 오늘 포럼이 각국의 성공적인 정책 사례와 시행착오를 나누고, 예술교육의 미래비전을 공유하는 생산적인 토론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오늘 열과 성을 다해 발제와 토론에 임해 주실 한·중·일 전문가 여러분, 그리고 행사 관계자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이 자리에 함께하신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3년 5월 22일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조현재 3

.indd 3

2013-05-20

2:51:50


프로그램 내용

시 간 10:00~10:10

개회 및 인사말씀 : 조현재 (Cho HyunJae)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10:10~11:50

1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Locus&Focus)

사회

정정숙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연구실장 중국 리우 위푸 (Liu Yupu) 문화부 문화과학기술사 교육처장 일본 사토 토루 (Sato Toru) 문화청 장관관방 국제과장 한국 김태훈 (Kim Taehoon)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국장

11:50~13:30

오찬

13:30~15:45

2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Best Practice)

사회

이유정 프로젝트 연 대표

주제 1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일본 츠츠미 야스히코 (Tsutsumi Yasuhiko) ‘어린이와 예술가의 만남’ 디렉터 한국 고봄이 (Go Bomi)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 대표

주제 2

일반시민의 문화적 삶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중국 황 항쮜엔 (Huang Hangjuan) 절강성예술직업학원 당위원회 부비서 일본 요시노 사츠키 (Yoshino Satsuki) 아이치대학교 사회인문학부 부교수

주제 3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양성을 위한 정책 사례 한국 정연희 (Jung Yeonhe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 중국 오우 양 찐후 (Ou Yang Junho) 운남문화예술직업학원 원장

15:45~16:00

휴식시간

16:00~17:00

3부

토론 "미래의 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공통과제와 협력방안"

사회

이유정 프로젝트 연 대표

토론

중국 션 찐찐(Shen Jun Jun) 련운항시 예술학교 교장 황 항쮜엔 (Huang Hangjuan) 절강성예술직업학원 당위원회 부비서 일본 츠츠미 야스히코 (Tsutsumi Yasuhiko) NPO ‘어린이와 예술가의 만남’ 디렉터 요시노 사츠키 (Yoshino Satsuki) 아이치대학교 사회인문학부 부교수 한국 정문성 (Jeong Moonseong)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교육학과 교수 정연희 (Jung Yeonhe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

4

.indd 4

2013-05-20

2:51:50


목 차 1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Locus & Focus)

발제자 중국

7

‘성장패턴 전환 중에 있는 중국 예술직업교육’

일본

리우 위푸 (Liu Yupu) 문화부 문화과학기술사 교육처장

사토 토루 (Sato Toru) 문화청 장관관방 국제과장

13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현황’

한국

김태훈 (Kim Taehoon)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국장

35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과거와 미래’

2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Best Practice)

주제 1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발제자 일본

츠츠미 야스히코 (Tsutsumi Yasuhiko) NPO‘어린이와 예술가의 만남’디렉터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놓인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대예술가들의

지속적 워크숍의 효과’

고봄이 (Go Bomi)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 대표

한국

주제 2 일반시민의 문화적 삶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발제자 중국

황 항쮜엔 (Huang Hangjuan) 절강성예술직업학원 당위원회 부비서

81

‘민영 문예공연단체 공연종사자 훈련 및 관리 시스템 혁신

- 저장(浙江)문화예술인재양성기지 사례 - ’

요시노 사츠키 (Yoshino Satsuki) 아이치대학교 사회인문학부 부교수

일본

91

‘예술에 대한 사회적 지원에서 예술을 통한 사회적 지원으로’

주제 3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 사례

발제자 한국

정연희 (Jung Yeonhe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

101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 핵심전략으로서의 매개자 양성 및 재교육’

75

‘아동·청소년을 위한 학교 안팎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 3개 유형 분석’

61

중국

오우 양 찐후 (Ou Yang Junho) 운남문화예술직업학원 원장

117

‘중국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참고자료

129

5

.indd 5

2013-05-20

2:51:50


.indd 6

2013-05-20

2:51:50


1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성장패턴 전환 중에 있는 중국 예술직업교육 중국 ┃ 리우 위푸 (Liu Yupu) 문화부 문화과학기술사 교육처장

7

.indd 7

2013-05-20

2:51:50


.indd 8

2013-05-20

2:51:50


중국

성장패턴 전환 중에 있는 중국 예술직업교육 리우 위푸

중국은 ‘예악상제(禮樂相濟)’를 이론의 핵심으로 하는 전통예술을 20세기 초까지 2천 여 년 간 이어온 유 구한 예술교육의 전통을 지닌 국가이다. 춘추전국 시기부터 공자가 시에서 일어나고 예로 굳게 서며 음악 으로 완성한다는 ‘흥어시, 입어례, 성어악(興於詩, 立於禮, 成於樂)’사상을 제기하였으며, 윤리교육은 전통 예술교육의 종착점이라 할 수 있다. 예술을 통해 고상한 인격을 기르고, ‘인선(仁善)’을 중심으로 하는 윤리 교육에서는 예술의 ‘아름다움(美)’과 과학의 ‘진리(眞)’를 종합한다. 근·현대에 중국에는 바람직한 예술교육의 전통이 존재했다. 1920년대 저명한 교육학자인 차이위안페 이(蔡元培) 선생은 미육(美育), 즉 예술교육을 강력히 제창하고 ‘예술교육으로 종교를 대신한다(以美育代 宗敎)’고 호소하며 사람들이 예술을 자신의 영혼의 정원으로 삼기를 바랐다. 차이 선생은 베이징대학에 중 국 최초의 현대음악교육 기관인 ‘음악전습소(音樂傳習所)’와 중국 최초의 현대미술교육 기관인 ‘화법연구 회(畵法硏究會)’ 를 설립하였고 아울러 중국 최초로 영화를 대학 교육에 도입했다. 같은 맥락에서 1920년 대에 상하이음악전과학교(上海音樂專科學敎)가 건립되면서 현대적인 의미의 전문 음악 인재 양성의 역사 가 시작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된 후 예술학교 인재 양성은 장족의 발전을 하게 된다. 1952 년 고등교육기관에서는 예술전공을 일반 고등교육기관에서 분리하여 독자적인 예술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새로운 교육구도가 형성되었다. 1950년대에 중국 전국에 독립적으로 설립된 예술 고등교육기관은 모두 중국 문화부 소속으로 관리되었 고, 이후 일부 학교는 문화부에서 지방 정부로 편입되어 관리되었다. 2000년에 중국이 고등교육기관 체제 개혁을 실시하면서 문화부는 더 이상 고등예술학교를 관리하지 않게 되었다. 2001년부터 산시(山西)예술 학교를 필두로 한 중등예술학교들이 예술직업학원으로 승격되면서 중국 예술직업 교육은 빠른 발전기에 접어들었다. 지난 10년간 중국 예술직업 교육은 왕성하게 발전했다. 현재 중국 전국에 독립적으로 설립되어 있는 고 등예술직업학원이 41개, 중등예술직업학교가 100여 개이고 예술 전공이 개설된 고등교육기관은 고등예술 직업학원, 사범학교, 종합대학 및 이공계·농업·의학 대학 등을 포함하여 1,600개에 달한다. 2012년 예술 연합고사 응시생은 2011년의 96만 명에서 130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예술계 재학생은 200여 만 명이며 지 속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중국의 예술직업 교육은 성장 패턴을 전환하는 과정에 놓여 있다. 첫째로 학생의 기초성, 종합성, 발 전가능성 교육을 중시하고 직업기능의 부단한 향상을 요구하는 사회발전의 수요를 강조하기 시작하여, 학 생이 기초적인 문화 소양 및 바람직한 도덕성을 갖추도록 하는 동시에 인재의 실전능력과 적응능력을 강 화하고 있다. 둘째로 직업 교육 영역에서 ‘고기를 주고 고기 낚는 법도 알려주는’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학 생이 학습하고 생존할 수 있는 능력과 바람직한 행동습관을 갖추도록 하여 사회 발전에 더욱 잘 적응하도 록 하는 것이다. 셋째로 전공 수업 내용과 예술의 실무를 결합하고 있다. 교실 교육은 학교 교육의 기본적 인 활동 형태이다. 예술직업 교육의 교실 교육은 학생의 주체성이 비교적 많이 발휘되는 기능 교육이기는 하지만 실무 교육의 중요성은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교육 철학에서는 배운 내용의 실제 활용을 강조한다면, 커리큘럼 구조에서는 실제 공연을 교실 교육과 동등하게 중요시 한다. 실무 교육에서 학습자

9

.indd 9

2013-05-20

2:51:51


의 주체성이 제대로 드러나고, 실무 교육이야말로 예술 인재의 성장 규율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전공 개설에 있어서도 음악, 미술, 연극, 희곡, 무용, 영화, 공예, 음악 및 미술 교육 등 단순히 어느 한 예 술 학과 전공을 독자적으로 개설하던 예전의 방식에서 다원적, 종합적 전공으로 확대되는 변화을 보이고 있다. 2011년 3월 예술학은 문학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한 분류의 학과로 승격되어 13번째 학과가 되 었고 그 밑으로 예술학이론, 음악 및 무용학, 연극 및 영상학, 미술학, 디자인학 등 5개의 1급 학과(학과 대 분류), 28개 학부 전공을 개설하고 있다. 이러한 학과 개설은 ‘문화 대발전, 대번영’ 실현에 필요한 예술 전 공 인재, 특히 고급 인재 수요를 충족하기에 유리하다. 중국 문화부는 예술인재 양성의 인재활용 부서로서 산업의 지침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바 있 다. 중등예술직업교육기관과 고등예술직업교육기관은 주로 성(省)급 문화행정 부서에서 관리하고 예술 인재의 초기 전문성 함양을 담당하기 때문에, 고등예술교육에 학생자원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 기 위해 문화부가 ‘중국문화예술정부상, 문화상, 예술학교상’이라는 인재선발 플랫폼을 구축하여야 했고, 각종 경연활동을 개최하여 인재양성의 규범을 제시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여 예술교육의 모범과 방 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했다. 또한 정부의 관리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조치를 취하여 국민의 문 화예술 소양을 제고할 필요가 있었다. 종합해 보면 성장 패턴을 전환하고 있는 중국 예술직업교육은, 특히 최근 10년간 중국 정부가 예술교육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면서 예술직업학교의 규모가 확대되고 시설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학교 운영 환경 및 여건도 최적화되고 있어 끊임없이 우수한 전문 예술 인재들이 배출되고 있다.

10

.indd 10

2013-05-20

2:51:51


중국

转型发展中的中国艺术职业教育 刘玉普

中国是一个有着悠久的艺术教育传统的国家。先秦孔子就提出了“兴于《诗》,立于礼,成 于乐”的思想,以“礼乐相济”为理论核心的艺术教育传统延续了2000多年历史,直到20世纪 初。道德教育可以说是传统艺术教育的终点,通过艺术培养和反映高尚的人格,以“仁善”为 中心的道德教育就此将艺术的“美”与科学的“真”统一起来。近现代,中国有很好的艺术 教育传统,20世纪20年代,著名教育学家蔡元培先生就大力提倡美育,呼吁“以美育代宗教” ,希望人们将艺术当做自己心灵的家园,他在北京大学创建了中国现代音乐教育最早的机构“ 音乐传习所”和中国现代美术教育最早的机构“画法研究会”,同时最早将电影引入大学课 堂。同样是20年代,上海音乐专科学校的创建开始了中国现代意义上的专业音乐人才培养的历 程。1949年,中华人民共和国成立后,艺术院校人才培养得到长足发展, 1952年高等院校进行 了院系调整,把艺术专业从普通高等院校剥离出去,成立单独的艺术院校,从而形成了建制上 院校独立的艺术教育格局。 20世纪50年代,全国独立建制的艺术院校全部归中国国家文化部管理,之后,部分高等艺术院 校陆续从国家文化部划归地方管理。2000年,中国进行了高等院校体制改革,文化部不再直接 管理高等艺术院校。从2001年起,以山西艺术学校为首的一批中等艺术学校升格为艺术职业学 院,中国的艺术职业教育进入了较快的发展期。 在过去的10年,中国艺术职业教育蓬勃发展。目前,全国有独立建制高等艺术职业学院41所, 中等艺术职业院校100多所,全国开设艺术专业的高校包括高等艺术职业学院、师范院校、综 合大学,乃至理工医农等多达1600所,

2012年艺考报考人数在2011年96万的基础上增长至130

万,艺术类在校生200余万人,而且还在大幅上涨。 中国的艺术职业教育正在转型发展中。一是重视学生的基础性、全面性和可发展性教育,开始 强调社会发展对职业技能不断提高的要求,在使其具备基础文化素质和良好道德品质的同时, 强化人才的操作能力和适应能力;二是在其职业技能教育方面,既“授之以鱼,又授之以渔” 。使学生具备较好的会学习、会生存的能力及良好的行为习惯,以更好地适应社会发展;三是 强调专业教学内容与艺术生产实践结合,课堂教育是学校教育的基本活动形态,尽管艺术职业 教育的课堂教育是学生主体性得到较大发挥的技能教育,但实践教育的重要作用仍然是不可忽 略的。在教育理念上,强调学以致用;在课程结构上,把演出实践视为与课堂教育同等重要。 因为只有在实践教育中,受教者地主体性才能得到彻底的张扬,才能更加符合艺术人才的成长 规律。 专业设置上也由主要是单独的音乐、美术、戏剧、戏曲、舞蹈、电影、工艺、音乐和美术教 育等单纯某一艺术学科专业,扩展到多元综合性专业。2011年3月,艺术学从文学中独立出来升 格为学科门类,成为第13个学科门类,下设艺术学理论、音乐与舞蹈学、戏剧与影视学、美术 学、设计学5个一级学科28个本科专业,学科设置更加有利于满足“文化大发展大繁荣”对艺术 专门人才,尤其是高层次人才的需求。

11

.indd 11

2013-05-20

2:51:51


中国国家文化部作为艺术人才培养的用人部门,发挥了重要的行业指导作用,因为中等艺术 职业教育院校和高等艺术职业教育院校主要由省级文化行政部门管理,承担着艺术人才的早 期专业培养,为高等艺术教育输送生源的重任,文化部还通过“中国文化艺术政府将——文华 奖——艺术院校奖”这一平台,举办各类比赛活动,规范、引导人才培养,发挥对艺术教育的 示范性、导向性作用;同时充分发挥政府管理职能,采取措施,提高国民文化艺术素质。 总之,转型中的中国艺术职业教育发展迅速,尤其是近10年,随着国家对艺术教育投入的不断 增加,中国艺术职业院校的规模不断扩大,设施不断改善,办学环境与办学条件不断优化,已 经培养出和正在培养着一批又一批优秀的专业艺术人才。

12

.indd 12

2013-05-20

2:51:51


1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현황 일본 ┃ 사토 토루 (Sato Toru) 문화청 장관관방 국제과장

13

.indd 13

2013-05-20

2:51:51


.indd 14

2013-05-20

2:51:51


일본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현황 사토 토루

1.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연혁)

1968년 문부성(당시) 외부기관으로서 문화청 설치

(문부성 문화국과 문화재보호위원회를 병합)

이후 무대예술 지방순회공연 등의 각종 시책(청소년예술극장, 어린이예술극장 등) 실시 1977년 제1회 전국고등학교종합문화제 개최(이후 매년 실시) 1984년 중학교예술감상교실 운영(기존에 실시했던 순회공연과는 별도로 무대예술단체를 학교에 파견) 2001년 문화예술진흥기본법 제정 2002년 문화예술진흥에 관한 기본방침(제1차 기본방침) 국무회의 의결 2011년 제3차 기본방침 국무회의 의결 현재 「차세대를 책임질 어린이 문화예술 체험사업」 실시

2. 문화청 시책 : 아동 문화예술 체험활동 추진 차세대를 이끌어갈 아이들이 뛰어난 예술 및 전통문화를 접하고 이와 관련된 각종 문화활동 참여 기회 를 얻는다는 것은, 전통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문화예술을 아끼고 존중하는 마음과 태도, 아울러 사회성을 키운다는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문화예술진흥기본법(2001년 공포, 시행)에서도 청소년의 문화예술 활동 및 학교교육 내 문화예술 활동 의 내실화를 강조하고 있다(제23, 24조). 2011년에 책정된 ‘문화예술진흥에 관한 기본방침(제3차)’에서 도 ‘여섯 가지 중점전략 -『문화예술강국』 실현을 위해’ 중 “아동·청소년을 대상 문화예술진흥책의 내 실화”를 세 번째 전략으로서 내세우고 있다. 모든 아동·청소년이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참된 문화예술을 경험하며 감수성과 창조성,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게 함으로써, 차세대 문화예술의 주역은 물론 미래 관객으로 육성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동·청소년의 인성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시책】 ◆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각 발달단계에 맞춘 예술 감상 및 전통문화·문화재와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문화예술 관련 체험형 워크숍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포함한 학교 내 예술교육을 강화 기존에 비해 아동 대상 예술문화체험사업이 크게 확대되었지만, 상기 방침에 따라 현재 문화청에서는 「차세대를 책임질 어린이 문화예술 체험사업」으로 일류 문화예술단체의 초, 중학교 순회공연 또는 예

15

.indd 15

2013-05-20

2:51:51


술가를 초, 중학교에 직접 파견함으로써 차세대 문화주역인 아이들의 창의성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의 함양을 도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예술가를 육성하고 국민들의 예술감상능력을 향상시키 고자 한다. - 순회공연:문화청에서 문화예술단체를 선정, 초, 중학교 등에서 무대예술공연 실시. 사전에 공연 관련 워크숍을 실시하여 학생들을 실제 공연에도 참여시키면서 연기지도 및 관람지도를 병행한다. - 파견사업:개인 또는 소규모 예술단체가 초, 중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강의, 공연, 실기지도 수업 을 진행한다. 또한 1977년부터 전국고등학교종합문화제를 실시하고 있다. 문화예술 관련 동아리의 활동 성과를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동시에 창조활동 추진 및 상호교류 강화를 위한 「전국 고등학교종합문화제*」,「전국고등학교종합문화제 우수학교 도쿄공연」을 광역자치단체(도도부현) 및 전국고등학교문화연맹 등과 함께 매년 개최하고 있다. * 2011년은 후쿠시마현, 2012년은 도야마현에서 개최, 2013년은 나가사키현에서 개최 예정

3.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방침 위에서 언급한 문화청의 방침 외에도 각 지역 지방공공단체와 예술단체 및 지역 학교, 극장, 음악당 이 연계하여 특색 있는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또 조성재단 등 공익단체가 운영하고 있 는 각종 프로그램을 통한 아웃리치활동 파견사업도 실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점점 활성화되고 있는 NPO 주도의 예술 활동을 시작으로 한 기업 및 민간단체 중심의 지원 및 연계협력 또한 필수적이다. ‘새로운 공공(公共)’의 일꾼으로서 이들의 자립적인 활동이 앞으 로 더욱 활발해지길 바란다.

16

.indd 16

2013-05-20

2:51:51


일본

日本における文化芸術教育政策の現状について 佐藤 透

1. 日本における文化芸術教育政策について(概略) (沿革) 1968年 文部省(当時)の外局として文化庁設置

(文部省文化局と文化財保護委員会を併せて設置)

以後、舞台芸術等の地方への巡回公演等の各種施策(青少年芸術劇場・こども芸術劇 場等)を実施

1977年 第1回全国高等学校総合文化祭開催(以後毎年開催) 1984年 中学校芸術鑑賞教室を開始(それまでの巡回公演とは別に、舞台芸術を学校現場に派遣) 2001年 文化芸術振興基本法成立 2002年 文化芸術の振興に関する基本的な方針(第1次基本方針)閣議決定 2011年 第3次基本方針閣議決定 現在 「次代を担う子どもの文化芸術体験事業」を実施

2.文化庁の施策として ~こどもの文化芸術体験活動の推進 次代を担う子どもたちが、優れた芸術・伝統文化に触れたり、それらに関する各種の文化活動 に参加する機会を充実させることは、伝統や文化に対する理解を深め、尊重する態度や、文化 芸術を愛好する心情をはぐくむとともに社会性を伸長するという観点から、大きな意味を持つもの である。 文化芸術振興基本法(2001年公布・施行)においても、青少年の文化芸術活動及び学校教育 のおける文化芸術活動の充実がうたわれているところである(第23・24条)。2011年に策定された「 文化芸術の振興に関する基本的な方針(第3次)について」においても、「六つの重点戦略~『文 化芸術立国』の実現を目指して~」の重点戦略3として、「子どもや若者を対象とした文化芸術振 興策の充実」を掲げている。 \全ての子どもや若者が,学校や地域において本物の文化芸術に触れ,豊かな感性や創 造性,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育む機会を充実することにより,次代の文化芸術の担い手や 鑑賞者を育むとともに,心豊かな子どもや若者の育成に資する。

17

.indd 17

2013-05-20

2:51:51


【重点的に取り組むべき施策】 ◆ できるだけ幼い子どもから若者までを対象とし,子どもの発達の段階に応じて,多彩 な優れた芸術の鑑賞機会,伝統文化や文化財に親しむ機会を充実する。 ◆ 文化芸術に関する体験型ワークショップを通じたコミュニケーション教育をはじめ, 学校における芸術教育を充実する。

従前より子どもに対する芸術文化の体験事業を実施してきたところであるが、上記の方針を 受けて、現在文化庁では、「次代を担う子どもの文化芸術体験事業」として、小学校・中学校 等において一流の文化芸術団体による巡回公演を行い、又は小学校・中学校等に芸術家を 派遣することにより、次代の文化の担い手となる子どもたちの発想力や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 の育成を図り、将来の芸術家の育成や国民の芸術鑑賞能力の向上につなげることを目指し ている。 巡回公演:文化庁が文化芸術団体を選定し、小学校・中学校等において舞台芸術公演を 実施する。その際、事前に公演に関するワークショップを行い、児童・生徒を実演に参加させ るとともに、実演指導又は鑑賞指導を行う。 派遣事業:芸術家個人や小規模グループの芸術家が、小学校・中学校等に訪れ、講話や 実技披露、実技指導を行う。 また、1977年度より、全国高等学校総合文化祭を実施している。高校生に文化部活動の成 果発表の機会を提供し、創造活動の推進と相互の交流を深めるため、「全国高等学校総合 文化祭」(2011年度は福島県、2012年度は富山県で開催、2013年度は長崎県で開催予定)、 「全国高等学校総合文化祭優秀校東京公演」を都道府県、全国高等学校文化連盟などとの 共催で毎年開催している。

3. 日本における文化芸術教育の取組について 以上の文化庁の取組の他に、それぞれの地域において、地方公共団体と芸術団体及び地域 の学校や劇場・音楽堂との連携により、特色のある文化芸術教育活動が実施されている。また、 助成財団などの公益法人等の各種プログラムによるアウトリーチ活動派遣事業等の助成も実施 されている。 あわせて、活性化するアートNPOによる活動をはじめ、企業や民間団体等による支援や連携協 力も不可欠であり、「新しい公共」の担い手としても、それらの自立的な活動が一層促進されるこ とが望まれる。

18

.indd 18

2013-05-20

2:51:51


일본

19

.indd 19

2013-05-20

2:51:51


20

.indd 20

2013-05-20

2:51:51


일본

21

.indd 21

2013-05-20

2:51:52


22

.indd 22

2013-05-20

2:51:52


일본

23

.indd 23

2013-05-20

2:51:52


24

.indd 24

2013-05-20

2:51:52


일본

25

.indd 25

2013-05-20

2:51:52


26

.indd 26

2013-05-20

2:51:52


일본

27

.indd 27

2013-05-20

2:51:52


28

.indd 28

2013-05-20

2:51:53


일본

29

.indd 29

2013-05-20

2:51:53


30

.indd 30

2013-05-20

2:51:53


일본

31

.indd 31

2013-05-20

2:51:53


32

.indd 32

2013-05-20

2:51:53


일본

33

.indd 33

2013-05-20

2:51:53


34

.indd 34

2013-05-20

2:51:53


1부 한중일 문화예술교육의 위치와 초점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과거와 미래 한국 ┃ 김태훈 (Kim Taehoon)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국장

35

.indd 35

2013-05-20

2:51:53


.indd 36

2013-05-20

2:51:53


한국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과거와 미래 김태훈

37

.indd 37

2013-05-20

2:51:53


38

.indd 38

2013-05-20

2:51:53


한국

39

.indd 39

2013-05-20

2:51:54


40

.indd 40

2013-05-20

2:51:54


한국

41

.indd 41

2013-05-20

2:51:54


42

.indd 42

2013-05-20

2:51:54


한국

43

.indd 43

2013-05-20

2:51:54


44

.indd 44

2013-05-20

2:51:54


한국

45

.indd 45

2013-05-20

2:51:54


46

.indd 46

2013-05-20

2:51:54


한국

47

.indd 47

2013-05-20

2:51:54


48

.indd 48

2013-05-20

2:51:54


한국

49

.indd 49

2013-05-20

2:51:54


50

.indd 50

2013-05-20

2:51:54


한국

51

.indd 51

2013-05-20

2:51:54


52

.indd 52

2013-05-20

2:51:55


한국

53

.indd 53

2013-05-20

2:51:55


54

.indd 54

2013-05-20

2:51:55


한국

55

.indd 55

2013-05-20

2:51:55


56

.indd 56

2013-05-20

2:51:55


한국

57

.indd 57

2013-05-20

2:51:55


58

.indd 58

2013-05-20

2:51:55


한국

59

.indd 59

2013-05-20

2:51:55


.indd 60

2013-05-20

2:51:55


2부 주제 1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놓인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대예술가들의 지속적 워크숍의 효과 일본 ┃츠츠미 야스히코 (Tsutsumi Yasuhiko) NPO‘어린이와 예술가의 만남’디렉터

61

.indd 61

2013-05-20

2:51:55


.indd 62

2013-05-20

2:51:55


일본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놓인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대예술가들의 지속적 워크숍의 효과 츠츠미 야스히코

오늘 NPO 활동의 개요와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놓인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시 한 예술가 워크숍의 사례 와 효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먼저 NPO <예술가와 아이들>의 주요사업인 ASIAS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겠다. ASIAS는 Artist’s Studio In A School이라는 의미로서 예술가들이 공립 초, 중등학교 및 유치원, 보육원, 아동보호시설에 직접 찾아 가 교사들과 함께 워크숍 형태의 수업을 진행하는 활동을 통틀어 지칭하는 말이다. 여기서 <예술가와 아 이들>은 각 시설과 예술가를 서로 연결해 주는 코디네이터 역할을 한다. NPO 법인 <예술가와 아이들>은 2000년부터 활동을 시작해 올해로 14년째를 맞이했다. 지난 13년 동안 도쿄 내 450개 시설, 23,300명이 넘 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진행했다. 작년 한 해만 해도 초등학교 58개교, 중학교 6개교, 유치원 13 곳, 보육원 14곳, 아동보호시설 5곳, 총 96개 시설에서 ASIAS을 실시했다. 또한 1년 동안 3,164명의 아동 및 학생을 대상으로, 댄스, 음악, 미술, 연극, 총4개 분야의 워크숍을 395회 진행했다. ASIAS의 특징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워크숍이라는 점이다. 즉 가르침을 주거나 받기만 하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예술가와 아이들 간 쌍방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결과보다는 과정 을, 즉흥성과 생동감을 중시한다. 둘째, 예술가와 교사의 공동작업으로 수업이 진행된다는 점이다. ASIAS 소속 예술가들은 평소 아이들을 가까이에서 지켜보는 교사들의 요청사항을 토대로 함께 상의해 나가며 워 크숍 내용을 직접 검토한다. 그 결과 매번 다른 내용의 워크숍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셋째는 소위 “당대” 예술가를 현장에 투입한다는 점이다. 기존 가치관의 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예술표현 을 창출하는 당대의 전문 예술가를 현장에 보내고 있다. ASIAS 워크숍을 통해 아이들은 ①창의성 ②커뮤니케이션 및 대인관계 능력 ③도전정신 및 긍정성 ④현 실대처능력 및 변화주도력과 같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최근 <예술가와 아이들>이 ASIAS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놓인 아이들 을 대상으로 한 워크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 활동은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놓인 아이들이란 자폐증 등의 장애를 지니거나 학대 받은 경험이 있는 아이 들을 말한다. 먼저 현재 일본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와 아이들이 처한 환경의 변화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하겠다. 현재 일본은 도시화, 정보화, 핵가족화, 지역사회의 쇠퇴, 빈부격차 확대, 빈곤층 및 실업자 증가, 이혼율 상승, 학대 및 가정폭력 증가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아이들은 자연 속에서 뛰어 놀 수 있는 기회 감소, TV게임이나 인터넷에 노출되는 시간 증가, 자폐성향을 보이는 아이들의 증가, 한부모 가정이나 빈곤가정의 아동 증가, 육아방치 및 학대 받는 아이들의 증가,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의 증가 등의 주변 환 경 변화와 맞닥트리고 있어, 아이들 개개인에 대한 어른들의 지원, 대응, 상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문부과학성이 작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공립 초, 중등학교 일반학급 내, 발달장애 가능성이 있는 학생의 비율이 약 6.5%에 달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 학급의 학생수 40명 기준 2.6명이 LD(Learning

63

.indd 63

2013-05-20

2:51:55


Disabilities, 학습장애), ADHD(Attention Defici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장애), 혹은 HFA(High Functioning Autism, 고도자폐증)등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ASIAS에서는 자폐증을 비롯한 발달장애 가능성이 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적극적으로 전개하 고 있다. 이런 아이들은 대부분 집착이 강하거나 타인의 기분 혹은 상황을 파악하는 것에 서툴고, 비교적 집중력이 낮은 탓에 일반 수업이나 학급 운영면에서 문제아 취급을 받는 경우가 많다. ASIAS에서는 이런 장애 아동들의 행동이나 감각적 특성을 문제가 아닌 개성으로 인식하고, 그들의 아이디어나 표현력을 최 대한 살려 칭찬함으로써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 형성에도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냈다. 최근에는 초, 중등학교 특별지원학급 대상 ASIAS를 대폭 확장하고 있으며, 2012년에도 워크숍을 진행 한 총 64개 초, 중등학교 중 45곳이 특별지원학급이었다. 특별지원학급이란 일반학교 내 지적장애아 및 자폐증,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학급으로, 고정학급과 통급교실이 있다. 통급교실은 일반학 급에 출석하는 지적장애아동이나 자폐증, 발달장애 아동이 별도로 주 1~2일 간 참여하는 학급을 말한다. 고정적 특별지원학급을 대상으로 한 ASIAS 워크숍에서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동일한 아티스트가 지 속적으로 같은 학급을 맡는 경우가 많으며, 3~6개월 혹은 1년 동안 매달 워크숍을 실시하거나, 간혹 해를 넘겨 2~3년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워크숍 과정을 통해 무대작품을 제작하여 학교행사에서 발표 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지속적인 노력에 의해 구축된 예술가와 장애아동의 신뢰관계를 토대로 한 ASIAS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장애아동들의 자존감,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및 관계형성 측면에서의 능력 향상을 발견하였다. 특히 언어 외 음악 및 신체표현을 통한 타인과의 즉흥적 교류는 아이 들에게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새로운 것을 함께 창조하는 기쁨을 경험할 수 있는 귀중한 체험이었다. 다음은 아동보호시설 대상 ASIAS 워크숍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아동보호시설이란 다양한 가정 사로 인해 가족과 함께 살지 못하는 아동들이 생활하는 시설이다. 현재 일본 내 약 3만 명에 이르는 아이 들이 아동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 부모로부터 학대를 받아 입소하는 아이들이 가 장 많다. 아동학대 문제는 지속적인 경제 불황으로 인해 최근 급격히 가시화되고 있다. 육아방치 및 학대 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심각하며, 더욱이 학대의 대물림이라는 점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 로 대두되고 있다. 아동보호시설 아이들은 낮은 자존감 및 자아긍정감, 성공체험이나 인정받은 경험 부재, 자기표현에 대 한 억압, 대인관계 형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학력미달, 다양한 행동발달장애, 자신이 있을 곳이 더 이 상 없다는 상실감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발달장애나 반응성 애착장애를 지닌 아동들의 비율이 높은 것 역시 또 다른 특징이다. ASIAS에서는 약 2년 전부터 아동보호시설에 예술가를 파견하기 시작했다. 2012년에는 5개 시설에서 총 51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43일 간 워크숍을 진행했다. 그 중 3개 시설에서는 2011년부터 약 2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ASIAS에서는 일 년 간 꾸준히 동일한 예술가가 동일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워 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아동보호시설을 대상으로 한 ASIAS 워크숍을 통해 아이들은 먼저 자아긍정감 및 자기표현력을 향상시 킬 수 있다. ASIAS 워크숍은 아이들에게 의견이 묵살당하는 일 없이 자유로운 표현이 허용되며, 자신의 표 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얻을 수 있는 시간이다. 시설 직원들 역시 아이들이 ASIAS 워크숍을 통해 자 신들이 존중받고 있음을 느낀다고 평가한다. 자신을 위해 자신만의 공간에 예술가가 직접 방문하여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이들에게 있어 매우 소중한 시간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성 향상 면 에서도 발전을 보인다. 다양성을 존중하고 언어에 구애 받지 않는 표현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타인을 믿

64

.indd 64

2013-05-20

2:51:55


일본

고 교류하는 일에 좀 더 적극적으로 임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ASIAS 활동의 재정기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활동을 시작할 당시에는 민간기업의 사회적책임(CSR) 예산에 따른 지원이 유일한 재원이었다. 그러나 활동 6년째로 접어들면서 도쿄도, 도시 마구, 미나토구 등 지자체로부터 추가 지원을 받아 지자체의 교육예산과 문화예산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 다. 그리고 12년째를 맞이하면서부터 정부지원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ASIAS의 선구적 활동을 통한 민간 부문의 지원을 이끌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활동을 추진해 나감으로써 지자체와 정부 지원까지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2012년 ASIAS의 전체 수입내역을 살펴보면 정부지원 32%, 지자체지원 65%, 민 간지원이 3%를 차지한다.

65

.indd 65

2013-05-20

2:51:55


社会的に弱い立場にある子どもたちを対象とした 現代芸術家による継続的ワークショップの効用 堤康彦

東京で活動しているNPO法人 芸術家と子どもたちの堤康彦と申します。このたびは、このような貴重 な機会を頂きましたことに対して、韓中日の関係の皆さん、特に、韓国の事務局スタッフの方々に感 謝申し上げます。私の発表では、当NPOの活動概要と、その中の、特に社会的に弱い立場にある子 どもたちを対象とした、アーティストによるワークショップの事例と効用をお話します。 はじめに、当NPOの主たる事業である、エイジアス・プロジェクトについてご説明します。エイジアス は、Artist’s Studio In A Schoolの頭文字を取った呼び名で、現代芸術家が公立小中学校や幼稚 園、保育園、児童養護施設等へ出かけて行って、学校の先生等と協力しながら、ワークショップ型の 授業等を実施する活動の総称です。当NPOは、学校などの各施設と、芸術家とを橋渡しするコーディ ネーター役になります。2000年度にスタートし、今年で14年目です。過去13年間で、東京都内を中心 に、450か所で、23,300人を超える子どもたちを対象に実施しています。昨年度1年間では、小学校58 校、中学校6校、幼稚園13園、保育園14園、児童養護施設5施設、合計96か所で実施しました。対象 となった児童・生徒数は1年間で3,164人で、ワークショップの実施日数 は延べ395日間でした。エイ ジアス・ワークショップの主な芸術ジャンルは、ダンス、音楽、美術、演劇の4分野になります。 次に、エイジアスの特徴ですが、主に3つあります。1番目に、ワークショップであることで、これは、す なわち、教える/教えられるという一方向の関係ではなく、アーティストと子どもたち、子どもたち同士が 双方向的な関係をつくることです。また、結果ではなくプロセスを重視すること、あるいは、即興性やラ イブ感を重視すること、などです。2番目に、芸術家と担当教員との共同作業による授業づくりであるこ とが挙げられます。学校の先生や保育士等、普段、対象となる子どもたちのそばにいる先生のニーズ にもとづきながら、アーティストと先生が互いに相談しつつ、手づくり感覚でワークショップの内容を検 討します。結果、一件一件、全て違う内容のワークショップになります。3番目の特徴は、いわゆる“コ ンテンポラリー”の、アーティストを起用することです。既存の価値観を疑い、独自の新しい視点とそれ にもとづく新しい芸術表現を創出するプロフェッショナルのコンテンポラリー・アーティストを起用してい ます。 では、エイジアス・ワークショップを経験して、子どもたちはどんな力を身につけるているのでしょう か?ここでは、4つ挙げました。①創造する力・創造的に考える力、②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他者と 関係する力、③物事にチャレンジする力・前向きに取り組む力、④変化に対応する力・変化を起こす 力、です。 では、次に、当NPOがエイジアスの中でも、近年、特に力を入れて実践している活動として、社会的 に弱い立場にある子どもたちを対象とした、比較的長期にわたる、継続的なワークショップについて、 お話したいと思います。社会的に弱い立場にある子どもたち、というのは、例えば、自閉症スペクトラム 障害など障害のある子どもたちや被虐待経験のある子どもたちなどのことを言っています。 まず、いまの日本社会の課題と、子どもたちを取り巻く環境の変化についてですが、社会の変化とし ては、都市化、情報化、核家族化、地域コミュニティの希薄化、経済格差の拡大、貧困層の増大、失

66

.indd 66

2013-05-20

2:51:55


일본

業者の増大、離婚率の上昇、虐待・DVの増加などが挙げられます。そして、子どもを取り巻く環境の 変化としては、自然の中で遊ぶ機会の減少とテレビゲーム・インターネットに触れる機会の増大、自閉 傾向のある子どもの増加、一人親家庭や貧困家庭の子どもの増加、育児放棄を含む虐待を被る子ど もの増加、自己肯定感を得られない子どもの増加などの傾向がみられ、子ども個々に大人が支援・対 応・向き合うことの必要性が増大しています。 一方、文部科学省が昨年度実施した調査では、公立小中学校の通常学級に在籍する、発達 障害の可能性のある児童・生徒の割合が、6.5%程度に達するという結果が出ています。これ は、1クラス40人学級の場合、2.6人が、LD(Learning

Disabilities学習障害)やADHD(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注意欠陥多動性障害)、あるいは、HFA(High Functioning Autism高 機能自閉症)などの疑いがある、ということです。 エイジアスでは、自閉症スペクトラム障害をはじめとする、このような発達障害傾向の子どもたちを対 象とするワークショップを積極的に展開しています。彼らは、こだわりが強かったり、他者の気持ちやそ の場の雰囲気を推察することが苦手だったり、集中が続かなかったりして、普段の学校の授業や学級 運営では、とかく問題児扱いされてしまうことが多いわけです。エイジアスでは、彼らの行動や感覚の 特性を個性と捉え、彼らのアイデアや表現などを活かし、褒めることにより、彼らと他の子どもたちとの 関係性にも良い変化を与えることが多くなっています。 また、近年、小中学校の特別支援学級でのエイジアスを大幅に増やしています。2012年度、小中学 校で実施した64校のうち、45校が特別支援学級です。特別支援学級というのは、通常の学校に併設 されている学級で、固定学級と通級教室があります。通級教室は、在籍は通常学級の子どもたちが週 に1~2日通う学級です。エイジアスでは、このような特別支援学級で、主に、知的障害児や自閉症・ 発達障害児を対象にワークショップを実施しています。固定級の特別支援学級でのエイジアスワーク ショップでは、比較的長期間継続して、同じアーティストが同じ学級に通う取り組みが多くなっていて、 3ヶ月から半年、あるいは1年間を通じて毎月ワークショップを実施したり、年度を越えて、2~3年間、 継続する場合もあります。また、ワークショップの成果として、オリジナルの舞台作品を創作して学校行 事等の場で、発表することも多くなっています。 このような継続的な取り組みの中で培った、アーティストと障害児との信頼関係をもとに、多くの教育 的効果が生まれています。最も大きな効果としては、障害児たちの自己肯定感の向上、と、他者との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や関係づくりの質的向上、の2つがあげられると思います。特に、言語以外の、音楽 や身体表現による他者との即興的やり取りは、個々の違いを認め合いつつ、共同で何かを生み出す 喜びを味わう貴重な体験となっています。 特 別 支 援 学 級 で の エ イ ジ ア ス ・ ワ ー ク シ ョ ッ プ の 様 子 を 写 真 で ご 紹 介 し ま す 。 (音楽家・作曲家のWS~舞台音楽家・演出家のWS~ダンス・アーティストのWSを紹介) 次に、児童養護施設でのエイジアス・ワークショップをご紹介します。児童養護施設というのは様々 な家庭の事情により、家族と暮らせない子どもたちが生活する施設です。日本全国で約3万人の子ど もたちが児童養護施設に暮らしています。ほとんどの子どもたちには、生存する親がいて、近年、最も 顕著な入所理由は虐待です。子ども虐待の問題は、経済不況が続く中、近年、急激に顕在化してき ており、ネグレクト(育児放棄)を含め、虐待を受けた子どもたちに与える影響は深刻であり、虐待の連 鎖という問題もあり、社会問題化しています。 児童養護施設の子どもたちの特徴としては、次のようなことが挙げられます。低い自尊感情・自己肯

67

.indd 67

2013-05-20

2:51:55


定感、成功体験や認められる体験の低さ、自己表現の抑圧、対人関係を作ることに対するマイナスイ メージ、低い学力、様々な行動上の問題、居場所の喪失などの特徴があり、発達障害や反応性愛着 障害等障害のある子どもの割合が高いことも特徴となっています。 エイジアスでは、およそ2年前から児童養護施設に芸術家を派遣しはじめています。2012年度は、5 施設で、延べ43日間、計51人の子どもを対象に実施しました。そのうち、3施設は前年度からの約2年 間の継続的取り組みです。エイジアスでは、年間を通じて、継続的に、同じアーティストが同じ子ども たちにワークショップを実施します。 児童養護施設でのエイジアスワークショップの効用としては、まず、自己肯定感や自己表現力の向 上が子どもたちに見られます。自由な表現が許される場で、否定されることがなく、自分の表現に対 して肯定的な評価が得られる貴重な時間となっています。また、定期的に自分のためにアーティスト がやって来て、自分のための空間ができる、ということは彼らにとってかけがえのないことだという評価 を、施設職員から頂いています。もうひとつ、大きな効用として、他者との関係性が向上する、というこ とが挙げられます。多様性を尊重し、言語にしばられない表現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することで、他者 を信頼し交流することに積極的になる様子が子どもたちに見受けられます。 児 童 養 護 施 設 で の エ イ ジ ア ス ・ ワ ー ク シ ョ ッ プ の 様 子 を 写 真 で ご 紹 介 し ま す 。 (美術家のWS;ボイラー室でのインスタレーション~ダンスアーティストのWSを紹介) 最後に、これまで述べてきたようなエイジアスの活動を支える財政基盤について、触れておきます。 活動開始当初は、民間企業の社会貢献・CSR予算による支援を受けてスタートしました。その後、6年 目ぐらいから、東京都、豊島区、港区などといった地方自治体との協働が加わり、地方自治体の教育 予算や文化予算を活用することになりました。そして、12年目、つまり一昨年度から、国の支援が加 わりました。つまり、先駆的な活動として、民間部門が支援しはじめ、実績を積んだうえで、その後、 地方自治体や国の支援が受けられるようになってきた、と言えます。昨年度の当NPO全体の財政構 造、すなわち、収入先の内訳としては、国が32%、地方自治体が65%、民間企業が3%となっていま す。 以上で、私の発表を終わります。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68

.indd 68

2013-05-20

2:51:55


일본

[참고자료] 2012년 ASIAS수업 및 워크숍 실시 일람 ASIAS(아시아스) 정의 Artist’s Studio In A School의 약자로 아티스트가 학교로 직 접 찾아가 선생님과 함께 워크숍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는 활 동입니다. ⓐ 도시마구 ‘차세대 문화 전문가’육성사업 2005년부터 도시마구 교육위원회와 함께 도시마구 구립유 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에서 ASIAS 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도쿄 문화발신 프로젝트‘퍼포먼스 키즈 도쿄’ 2008 년부터 도쿄도와 도쿄도 역사문화재단이 공동 주최 하는 사업으로 도내 공립 초, 중등학교(특별지원학급 포함) 와 아동보호시설에서 ASIAS를 실시, 마지막날에는 성과발 표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문부과학성 ‘아동·학생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에 기여하 는 예술표현체험’ 사업 2011년부터 문부과학성, 도쿄도 교육위원회와 함께 도내 공립 초, 중등학교(특별지원학급 포함)에서 ASIAS를 실시 하고 있습니다. No.

ⓓ 일반(일반학급/특별지원학급) 2000 년부터 “예술가와 아이들” 사무국으로 직접 신청한 공 립초등학교(수도권)를 대상으로 ASIAS를 실시하고 있습니 다. 또한 2008 년부터 공립 초, 중등학교의 특별지원학급( 고정학급 또는 통급수업 내 지적장애/정서장애 아동 등)을 대상으로 ASIAS 실시, 일련의 활동들은 기업, 재단 등의 지 원을 받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요코하마시 ‘요코하마시 예술문화교육 플랫폼/ 학교프로그램’ 2007 년부터 요코하마시 예술문화교육 플랫폼과 협동으로 요코하마 시립 초등학교에서 ASIAS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도시마구 ‘어린이를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 2007년부터 도시마구 문화디자인과와 함께 도시마구 관내 보육원 등에서 ASIAS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미나토구 ‘후레아이 예술사업’ 2008년부터 미나토구 지역진흥과와 함께 미나토구 구립유 치원에서 ASIAS 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도시마구

학년・학급 /학급 수 4,5세/2학급

아동 수 54명

도시마구

4,5세/2학급

47명

도시마구

4학년/2학급

61명

공작

미술

도시마구

특별지원/고정반

20명

공작

미술

도시마구

5,6학년/1학급

74명

통합

미술

기관명

지역

1

니시스가모유치원

2

이케부쿠로 유치원

3

교코 초등학교

교과・영역

장르

아티스트

시기

표현

신체표현

7월

실시 기간 1일

보육, 제작

미술

9월

2일

1월

3일

9월

2일

10월

3일

10~11월

4일

5

니시스가모 초등학교 이케부쿠로 제2 초등학교

6

나가사키 초등학교

도시마구

2,4,6학년/3학급

64명

생활과, 통합

연극

모리시타 마키 야마조에 조셉 이사무 미즈우치 타카히데 나카츠가와 히로아키 미즈우치 타카히데 미츠하시 마코, 가네코 유우나

7

가나메 초등학교

도시마구

특별지원/고정반 /4학년/3학급

57명

체육

신체표현

아오키 나오야

10월

3일

8

시이나마치 초등학교 후지미다이 초등학교 다카마츠 초등학교

도시마구

5,6학년/3학급

81명

통합

신체표현

히가시노 요코

9~10월

3일

도시마구

5,6학년/4학급

111명

연극

야마다 코헤이

10~11월

3일

도시마구

1학년/2학급

67명

국어, 학급활동 등 공작

미술

바레 바레

11월

2일

후추 제7 초등학교 시시보네 초등학교 메이카 초등학교 사사즈카 중학교 히가시오치아이 초등학교 모토카가 초등학교 제3 초등학교 주조다이 초등학교 하케타 초등학교 유메가오카 초등학교

후추시 에도가와구 분쿄구 시부야구

2학년/2학급 4학년/2학급 4학년/2학급 1학년/2학급

63명 63명 56명 64명

체육, 국어 등 체육 통합 보건체육

신체표현 신체표현 신체표현 신체표현

구쓰하라 타츠야 차키 마유미 이와부치 타키코 히가시노 요코

9~11월 1~2월 11~1월 1~3월

11일 8일 10일 10일

다마시

6학년/2학급

61명

통합,체육

신체표현

모리시타 마키

7~10월

9일

고토구 오우메시 기타구 아라카와구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3학년/1학급 특별지원/고정반

13명 29명 37명 17명

생활 통합, 생활 통합, 체육 생활

연극 신체표현 신체표현 연극

다나카와 히로코 Co. 야마다 운 다바타 마키 와타나베 마이

10~12월 11~2월 12~2월 9~11월

12일 10일 9일 11일

히노시

1학년/2학급

48명

통합, 음악

연극

스즈키 타쿠로

7~11월

12일

하치오지시 시나가와구

6학년/2학급 특별지원/고정반

54명 19명

통합 생활, 국어 등

연극 신체표현

다나카와 히로코 모노크롬 서커스

10~11월 9~10월

8일 8일

다마시

4학년/3학급

84명

통합

신체표현

가와무라 나미

7~9월

10일

56명

체육, 통합

신체표현

기타무라 시게미

10~11월

6일

특별지원/고정반

17명

생활

신체표현

다무라 잇코

11~2월

6일

26

야사카 초등학교

에도가와구 히가시무라 야마 시 히가시무라 야마 시

5학년/2학급

25

벳쇼 초등학교 하마카와 초등학교 미나미츠루마키 초등학교 닛타 초등학교 히가시하기야마 초등학교

특별지원/고정반

12명

생활

신체표현

구쓰하라 타츠야

12~2월

7일

4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69 - 46 -

.indd 69

2013-05-20

2:51:56


27 28 29

다치카와시 아다치구 신주쿠구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7명 11명 6명

생활 생활 국어, 생활

신체표현 신체표현 연극

스미다구

특별지원/고정반

33명

체육, 생활

31

와카바 초등학교 니시이코 초등학교 아이지츠 초등학교 제4 아즈마 초등학교 다이몬 초등학교

아라카와구

특별지원/고정반

16명

32

나가사키 초등학교

도시마구

특별지원/고정반

11명

33 34 35 36

츠루카와 중학교 에바라 초등학교 오쿠니시 초등학교 히라노 초등학교 히가시가와 초등학교 로카 중학교 제1 초등학교 시모다 초등학교 샤쿠지이니시 초등학교

마치다시 나카노구 아라카와구 아다치구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16명 5명 12명 23명

생활, 체육 체육, 자립활동 통합 생활 통합 통합, 생활

30

37 38 39 40 41

7일 5일 8일

신체표현

JOU

9~10월

3일

신체표현

12~2월

7일

10~12월

6일

음악 신체표현 음악제 미술

selenographica 미츠하시 마코, 가네코 유우나 나카가와 에리 모리시타 마키 다나카와 히로코 미야모토 미에

2~3월 11월 11~12월 1~2월

3일 3일 4일 5일

연극

고토구

특별지원/고정반

9명

생활

음악

이시자카 가이시

9~12월

5일

세타가야구 세타가야구 마치다시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2학년/2학급

17명 11명 47명

통합 생활 체육과

음악제 신체표현 신체표현

다나카와 히로코 우에무라 나오카 구쓰하라 타츠야

12~1월 12~1월 12~3월

4일 3일 3일

네리마구

특별지원/고정반

10명

생활

신체표현

아라이 히데오

12월

3일

미즈우치 타카히데 가타오카 유스케, 스즈키 준 아라이 히데오, 스즈키 준

11월

3일

1~2월

6일

11~1

6일

미슈쿠 초등학교

세타가야구

특별지원/고정반

14명

생활

미술

43

오쿠자와 초등학교

세타가야구

특별지원/고정반

10명

생활, 음악

음악

마치다시

특별지원/고정반

8명

생활

신체표현

스기나미구

특별지원/고정반

13명

생활, 음악

음악

나카가와 에리

1~2월

3일

아다치구 세타가야구 고토구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특별지원/고정반

18명 17명 21명

생활 생활 음악

신체표현 신체표현 음악

아라이 히데오 구쓰하라 타츠야 미나토 오히로

12~1월 1월 10~11월

3일 3일 3일

이타바시구

특별지원/고정반

20명

통합

음악

나카가와 에리

11월

3일

메구로구

특별지원/고정반

6명

자립활동

음악

미나토 오히로

11~12월

3일

이타바시구

특별지원/고정반

27명

체육

신체표현

자레오 오사무

1~2월

3일

신주쿠구

특별지원/고정반

6명

신체표현

오타구

특별지원/고정반

27명

미술

14명

신체표현

45 46 47 48 49 50 51

52 53

오야마 중앙 초등학교 모모이 제2 초등학교 세키바라 초등학교 소시가야 초등학교 도요 초등학교 가미이타바시 제1 중학교 고혼기 초등학교 아카츠카신마치 초등학교

신주쿠 중학교 야구치히가시 초등학교

모리시타 마키 나카츠가와 히로아키 야마다 운, 가와이 론

7월

1일

7월

2일

8월

1일

54

야토 초등학교

니시도쿄시

특별지원+보호자 /통급

55

다키노가와 제2 초등학교 히가시후치에 초등학교 오모리 제2 중학교

기타구

특별지원/고정반

14명

신체표현

에노모토 유키

2월

2일

아다치구

특별지원/고정반

23명

미술

카부

12월

2일

오타구

15명

미술

카부

12월

1일

58

혼덴 초등학교

가츠시카구

특별지원/통급 특별지원+보호자 /통급 (언어교실)

6명

신체표현

아라이 히데오

10월

1일

59

네리마구

특별지원/통급

25명

신체표현

구쓰하라 타츠야

1월

2일

스미다구

특별지원/고정반

21명

신체표현

모리시타 마키

11월

2일

히노시

특별지원/고정반

20명

음악

미나토 오히로

1월

2일

가츠시카구

특별지원/고정반

12명

음악

나카가와 에리

12월

2일

오타구

특별지원/고정반

14명

미술

다카하시 토코

2월

1일

2월

2일

65

샤쿠지이히가시 초등학교 나리히라 초등학교 시치쇼미도리 초등학교 우메다 초등학교 마고메 제2 초등학교 미나미 제4 초등학교 도요가오카 초등학교

66

67

56 57

60 61 62 63 64

68 69 70 71

.indd 70

1~2월 9~10월 9~10월

42

44

70

우에무라 나오카 오시마 나오 가시와기 요우

마치다시

특별지원/고정반

24명

미술

쇼난다이 조형교실

다마시

2학년/2학급

47명

판토마임

즈카만 아키코

2~3월

2일

히시타 초등학교

요코하마시

4학년/3학급

87명

신체표현

오타 유카리

10월

3일

고마고메 제1 보육원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3명

음악

오비키 히로시

6월

2일

6월

2일

스가모 제1 보육원 니시스가모 제2 보육원 니시이케부쿠로 제2 보육원 이케부쿠로 제2 보육원

-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26명

-

신체표현

조 토시히코, 이토 치나미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9명

-

신체표현

이리테 안나

6월

2일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2명

-

미술

카부

6월

2일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41명

-

신체표현

구쓰하라 타츠야

6월

2일

- 47 -

2013-05-20

2:51:57


일본

73

이케부쿠로 제3 보육원 고난 보육원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2명

-

음악

74

메지로 제1 보육원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7명

-

미술

75

메지로 제2 보육원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2명

-

음악

76

미나미나가사키 제1 보육원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5명

-

신체표현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40명

-

신체표현

도야마 카에

도시마구

5세 아동/1학급

29명

-

신체표현

구쓰하라 타츠야

10~11 월 6월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6명

-

연극

마에지마 노노

7월

2일

도시마구

5세 아동/1학급

11명

미술

미로코마치코

6월

2일

도시마구 도시마구

5세 아동/2학급 5세 아동/1학급

40명 29명

-

연극 신체표현

마에지마 노노 아라이 히데오

6월 6월

2일 1일

미나토구

4,5세 아동/4학급

97명

-

음악

이시자카 가이시

8월

2일

미나토구

4세 아동/2학급

49명

-

신체표현

구쓰하라 타츠야

9월

1일

미나토구 미나토구 미나토구

4,5세 아동/2학급 4,5세 아동/2학급 4,5세 아동/2학급

39명 59명 36명

-

음악 미술 음악

12~1월 10월 6~7월

3일 2일 2일

9월

2일

7월 10월 7월

2일 2일 2일

72

77 78 79 80 81 82

다카마츠 제2 보육원 와카쿠사 보육원 니시이케부쿠로 소라이로 보육원 지하야코도모노이에 보육원 아이신 유치원 나가사키 유치원

도시마구

4,5세 아동/2학급

32명

-

미술

바레 바레

6월

2일

오비키 히로시 미즈우치 타카히데 나카가와 에리 조 토시히코, 이토 치나미, 히로쓰에 치사

6월

2일

7월

2일

6월

2일

6월

1일 2일 2일

85 86 87

미나토미나미 유치원 시로카네다이 유치원 아카바네 유치원 세이난 유치원 모토무라 유치원

88

아자부 유치원

미나토구

4,5세 아동/2학급

38명

-

신체표현

89 90 91

산코 유치원 시바우라 유치원 나카노초 유치원

미나토구 미나토구 미나토구

4,5세 아동/2학급 4,5세 아동/4학급 3~5세아동/3학급

34명 94명 71명

-

신체표현 신체표현 음악

이시자카 가이시 도노무라 유키 이시자카 가이시 조 토시히코, 이토 치나미 이리테 안나 아라이 히데오 이시자카 가이시

코헤이 시

초1~중3

11명

-

신체표현

아라이 히데오

6~2월

12일

미나토 오히로 미즈우치 타카히데

9~12월

12일

9~3월

8일

83 84

93

후타바무사시가오카 학원 베들레헴 학원

94

메구로와카바 학원

92

95 96

도쿄도샤쿠지이 학원 크리스마스 빌리지

기요세 시

초2~6

13

-

음악

메구로구

초1~고1

10명

-

미술

7명

-

신체표현

Co.야마다 운

10~11월

8일

10명

-

신체표현

아라이 히데오

3월

3일

네리마구 아다치구

초3,5,6 ·고1 초3~6

- 48 -

.indd 71

71

2013-05-20

2:51:57


2012年度 ASIAS授業・ワークショップ実施一覧 Ⓓ一般(通常学級・特別支援学級) 2000 年度∼“芸術家と子どもたち”事務局へ直接お申込みいただいた主に公立 の小学校(首都圏)で ASIAS を実施しています。また、2008 年度∼公立小中学 校にある特別支援学級(固定級または通級、知的障害・情緒障害等)を対象にした ASIAS もスタート。これらは、企業・財団などの支援を受けて実施しています。

ASIAS (エイジアス) とは Artist s Studio In A School の略で、アーティストが学校等へ出かけていって、 先生と協力しながらワークショップ型の授業等を実施する活動です。 Ⓐ豊島区「次世代文化の担い手」育成事業 2005 年度∼豊島区教育委員会と協働で、豊島区立の幼稚園・小学校・中学校で ASIAS を実施しています。 Ⓑ東京文化発信プロジェクト「パフォーマンスキッズ・トーキョー」 2008 年度∼東京都・東京都歴史文化財団との共同主催事業として都内公立小中学校 (特別支援学級含む) と児童養護施設で ASIAS を実施。最終日に成果発表を行います。 Ⓒ文部科学省「児童生徒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の育成に資する芸術表現体験」事業 2011 年度∼文部科学省や東京都教育委員会と協働で、都内公立小中学校 (特別支 援学級含む)で ASIAS を実施しています。 No.

名称

地域

学年・学級/クラス数

児童数

Ⓔ横浜市「横浜市芸術文化教育プラットフォーム / 学校プログラム」 2007 年度∼横浜市芸術文化教育プラットフォームと協働で、横浜市立の小学校 で ASIAS を実施しています。 Ⓕ豊島区「子どものための文化体験プログラム」 2007 年度∼豊島区文化デザイン課と協働で、豊島区内の保育園などで ASIAS を 実施しています。 Ⓖ港区「ふれあいアート事業」 2008 年度∼港区地域振興課と協働で、港区立の幼稚園で ASIAS を実施しています。

教科・領域

ジャンル

アーティスト

実施期間

日数

1

西巣鴨幼稚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54 人

表現

身体表現

森下真樹

7月

1 日間

2

池袋幼稚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47 人

保育・制作

美術

山添 joseph 勇

9月

2 日間

3

仰高小学校

豊島区

4 年/ 2 クラス

61 人

図工

美術

水内貴英

1月

3 日間

4

西巣鴨小学校

豊島区

20 人

図工

美術

中津川浩章

9月

2 日間

5

池袋第二小学校

豊島区

5・6 年/ 3 クラス

74 人

総合

美術

水内貴英

10月

3 日間

6

長崎小学校

豊島区

2・4・6 年/ 3 クラス

64 人

生活科・総合

演劇

三橋麻子、金子由菜

10∼11月

4 日間

7

要小学校

豊島区

特別支援/ 固定級 4 年/ 3 クラス

57 人

体育

身体表現

青木尚哉

10月

3 日間

8

椎名町小学校

豊島区

5・6 年/ 3 クラス

81 人

9

富士見台小学校

豊島区

5・6 年/ 4 クラス

111 人

高松小学校

豊島区

1 年/ 2 クラス

67 人

10

特別支援/ 固定級

総合

身体表現

東野祥子

9∼10月

3 日間

国語・学級活動など

演劇

山田宏平

10∼11月

3 日間

図工

美術

バレ・バレ

11月

2 日間

Ⓐ豊島区「次世代文化の担い手」育成事業 計10校(小学校8校、幼稚園2園) 実施日数延べ26日 11

府中第七小学校

府中市

2 年/ 2 クラス

63 人

体育・国語など

身体表現

楠原竜也

12

鹿骨小学校

江戸川区

4 年/ 2 クラス

63 人

体育

身体表現

茶木真由美

1∼2月

8 日間

13

明化小学校

文京区

4 年/ 2 クラス

56 人

総合

身体表現

岩淵多喜子

11∼1月

10 日間

14

笹塚中学校

渋谷区

1 年/ 2 クラス

64 人

保健体育

身体表現

東野祥子

1∼3月

10 日間

15

東落合小学校

多摩市

6 年/ 2 クラス

61 人

総合・体育

身体表現

森下真樹

7∼10月

9 日間

16

元加賀小学校

江東区

特別支援/ 固定級

13 人

生活単元

演劇

棚川寛子

10∼12月

12 日間

17

第三小学校

青梅市

特別支援/ 固定級

10 日間

18

十条台小学校

北区

19

峡田小学校

荒川区

20

夢が丘小学校

日野市

3 年/ 1 クラス 特別支援/ 固定級 1 年/ 2 クラス

9∼11月

11 日間

29 人

総合・生活単元

身体表現

Co. 山田うん

11∼2月

37 人

総合・体育

身体表現

田畑真希

12∼2月

9 日間

17 人

生活単元

演劇

渡辺麻依

9∼11月

11 日間

48 人

総合・音楽

演劇

スズキ拓朗

7∼11月

12 日間

Ⓑ東京文化発信プロジェクト「パフォーマンスキッズ・トーキョー」(小・中学校) 計10校(小学校9校、中学校1校) 実施日数延べ102日 21

別所小学校

八王子市

22

浜川小学校

品川区

23

南鶴牧小学校

多摩市

4 年/ 3 クラス

84 人

総合

身体表現

24

新田小学校

江戸川区

5 年/ 2 クラス

56 人

体育・総合など

身体表現

25

東萩山小学校

東村山市

特別支援/ 固定級

17 人

生活単元

身体表現

26

八坂小学校

東村山市

特別支援/ 固定級

12 人

生活単元

27

若葉小学校

立川市

特別支援/ 固定級

7人

生活単元

28

西伊興小学校

足立区

特別支援/ 固定級

11 人

29

愛日小学校

新宿区

特別支援/ 固定級

30

第四吾嬬小学校

墨田区

特別支援/ 固定級

31

大門小学校

荒川区

特別支援/ 固定級

32

長崎小学校

豊島区

33

鶴川中学校

町田市

34

江原小学校

35

6 年/ 2 クラス

10∼11月

8 日間

9∼10月

8 日間

川村奈実

7∼9月

10 日間

北村成美

10∼11月

6 日間

田村一行

11∼2月

6 日間

身体表現

楠原竜也

12∼2月

7 日間

身体表現

上村なおか

生活単元

身体表現

大島菜央

6人

国語・生活単元

演劇

33 人

体育・生活単元

身体表現

16 人

生活単元・体育

身体表現

セレノグラフィカ

特別支援/ 固定級

11 人

体育・自立活動

演劇

三橋麻子、金子由菜

特別支援/ 固定級

16 人

総合

音楽

ナカガワエリ

中野区

特別支援/ 固定級

5人

生活単元

身体表現

尾久西小学校

荒川区

特別支援/ 固定級

12 人

総合

36

平野小学校

足立区

特別支援/ 固定級

23 人

総合・生活

37

東川小学校

江東区

特別支援/ 固定級

9人

生活単元

38

芦花中学校

世田谷区

特別支援/ 固定級

17 人

総合

39

第一小学校

八王子市

特別支援/ 固定級

11 人

生活単元

40

志茂田小学校

大田区

47 人

特別支援/ 固定級

2 年/ 2 クラス

54 人

総合

演劇

棚川寛子

19 人

生活単元・国語など

身体表現

モノクローム・サーカス

1∼2月

7 日間

9∼10月

5 日間

柏木陽

9∼10月

8 日間

JOU

9∼10月

3 日間

12∼2月

7 日間

10∼12月

6 日間

2∼3月

3 日間

森下真樹

11月

3 日間

音楽劇

棚川寛子

11∼12月

4 日間

美術

宮元三恵

1∼2月

5 日間

音楽

石坂亥士

9∼12月

5 日間

音楽劇

棚川寛子

12∼1月

4 日間

身体表現

上村なおか

12∼1月

3 日間

体育科

身体表現

楠原竜也

12∼3月

3 日間 3 日間

41

石神井西小学校

練馬区

特別支援/ 固定級

10 人

生活単元

身体表現

新井英夫

12月

42

三宿小学校

世田谷区

特別支援/ 固定級

14 人

生活単元

美術

水内貴英

11月

3 日間

43

奥沢小学校

世田谷区

特別支援/ 固定級

10 人

生活単元・音楽

音楽

片岡祐介、鈴木潤

1∼2月

6 日間

44

小山中央小学校

町田市

特別支援/ 固定級

8人

生活単元

身体表現

新井英夫、鈴木潤

11∼1月

6 日間

72

.indd 72

2013-05-20

2:51:57


일본

No.

地域

学年・学級/クラス数

児童数

教科・領域

45

桃井第二小学校

名称

杉並区

特別支援/ 固定級

13 人

生活単元・音楽

ジャンル

46

関原小学校

足立区

特別支援/ 固定級

18 人

生活単元

身体表現

47

祖師谷小学校

世田谷区

特別支援/ 固定級

17 人

生活単元

身体表現

48

東陽小学校

江東区

特別支援/ 固定級

21 人

音楽

音楽

港大尋

49

上板橋第一中学校

板橋区

特別支援/ 固定級

20 人

総合

音楽

ナカガワエリ

50

五本木小学校

目黒区

特別支援/ 固定級

6人

自立活動

音楽

港大尋

51

赤塚新町小学校

板橋区

特別支援/ 固定級

27 人

体育

身体表現

砂連尾理

音楽

アーティスト ナカガワエリ

実施期間

日数

1∼2月

3 日間

新井英夫

12∼1月

3 日間

楠原竜也

1月

3 日間

10∼11月

3 日間

11月

3 日間

11∼12月

3 日間

1∼2月

3 日間

Ⓒ文部科学省 「児童生徒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の育成に資する芸術表現体験」 事業 計 31 校(小学校 28 校、中学校 3 校)  実施日数延べ 144 日 52

新宿中学校

新宿区

特別支援/ 固定級

6人

身体表現

森下真樹

7月

1 日間

53

矢口東小学校

大田区

特別支援/ 固定級

27 人

美術

中津川浩章

7月

2 日間

54

谷戸小学校

西東京市

14 人

身体表現

山田うん、川合ロン

8月

1 日間

55

滝野川第二小学校

北区

特別支援/ 固定級

14 人

身体表現

エノモトユキ

2月

2 日間

56

東渕江小学校

足立区

特別支援/ 固定級

23 人

美術

カブ

12月

2 日間

57

大森第二中学校

大田区

特別支援/ 通級

15 人

美術

カブ

12月

1 日間

特別支援+保護者/ 通級

58

本田小学校

葛飾区

特別支援+保護者/ 通級 (ことばの教室)

6人

身体表現

新井英夫

10月

1 日間

59

石神井東小学校

練馬区

特別支援/ 通級

25 人

身体表現

楠原竜也

1月

2 日間

60

業平小学校

墨田区

特別支援/ 固定級

21 人

身体表現

森下真樹

11月

2 日間

61

七生緑小学校

日野市

特別支援/ 固定級

20 人

音楽

港大尋

62

梅田小学校

葛飾区

特別支援/ 固定級

12 人

音楽

ナカガワエリ

63

馬込第二小学校

大田区

特別支援/ 固定級

14 人

美術

64

南第四小学校

町田市

特別支援/ 固定級

24 人

美術

65

豊ヶ丘小学校

多摩市

47 人

パントマイム

ズッカーマン明子

2 年/ 2 クラス

1月

2 日間

12月

2 日間

高橋唐子

2月

1 日間

湘南台造形教室

2月

2 日間

2∼3月

2 日間

Ⓓ一般(通常学級・特別支援学級) 計14校(小学校12校、中学校2校) 実施日数延べ23日 66

日下小学校

横浜市

4 年/ 3 クラス

87 人

身体表現

太田ゆかり

10月

3 日間

Ⓔ横浜市 「横浜市芸術文化教育プログラム推進事業」  計 1 校 1 カリキュラム 実施日数 3 日 67

駒込第一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3 人

音楽

尾引浩志

6月

68

巣鴨第一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26 人

身体表現

城俊彦、伊藤知奈美

6月

2 日間

69

西巣鴨第二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9 人

身体表現

入手杏奈

6月

2 日間

70

西池袋第二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2 人

美術

カブ

6月

2 日間

71

池袋第二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41 人

身体表現

楠原竜也

6月

2 日間

72

池袋第三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2 人

美術

バレ・バレ

6月

2 日間

73

高南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2 人

音楽

尾引浩志

6月

2 日間

74

目白第一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7 人

美術

水内貴英

7月

2 日間

75

目白第二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2 人

音楽

ナカガワエリ

6月

2 日間

76

南長崎第一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5 人

身体表現

城俊彦、伊藤知奈美、 廣末知沙

6月

1 日間

77

高松第二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40 人

身体表現

東山佳永

10∼11月

2 日間

78

若草保育園

豊島区

5 歳児/ 1 クラス

29 人

身体表現

楠原竜也

6月

2 日間

79

西池袋そらいろ保育園

豊島区

4・5 歳児/ 2 クラス

36 人

演劇

前嶋のの

7月

2 日間

80

千早子どもの家保育園

豊島区

5 歳児/ 1 クラス

11 人

美術

ミロコマチコ

6月

2 日間

81

愛心幼稚園

豊島区

5 歳児/ 2 クラス

40 人

演劇

前嶋のの

6月

2 日間

82

長崎幼稚園

豊島区

5 歳児/ 1 クラス

29 人

身体表現

新井英夫

6月

1 日間

2 日間

Ⓕ豊島区 「子どものための文化体験プログラム」  計16園(公立保育園11園、公設民営保育園1園、私立保育園2園、私立幼稚園2園) 実施日数延べ30日 83

港南幼稚園

港区

4・5 歳児/ 4 クラス

97 人

音楽

石坂亥士

8月

84

白金台幼稚園

港区

4 歳児/ 2 クラス

49 人

身体表現

楠原竜也

9月

1 日間

85

赤羽幼稚園

港区

4・5 歳児/ 2 クラス

39 人

音楽

石坂亥士

12∼1月

3 日間

86

青南幼稚園

港区

4・5 歳児/ 3 クラス

59 人

美術

外村友紀

10月

2 日間

87

本村幼稚園

港区

4・5 歳児/ 2 クラス

36 人

音楽

石坂亥士

6∼7月

2 日間

88

麻布幼稚園

港区

4・5 歳児/ 2 クラス

38 人

身体表現

城俊彦、伊藤知奈美

9月

2 日間

89

三光幼稚園

港区

4・5 歳児/ 2 クラス

34 人

身体表現

入手杏奈

7月

2 日間

90

芝浦幼稚園

港区

4・5 歳児/ 4 クラス

94 人

身体表現

新井英夫

10月

2 日間

91

中之町幼稚園

港区

3・4・5歳児/ 3クラス

71 人

音楽

石坂亥士

7月

2 日間

2 日間

Ⓖ港区 「ふれあいアート」 事業 計9園 実施日数延べ18日 92

二葉むさしが丘学園

小平市

小1 ∼ 中3年

11 人

身体表現

新井英夫

93

ベトレヘム学園

清瀬市

小2 ∼ 6年

13 人

音楽

港大尋

94

目黒若葉寮

目黒区

小1 ∼ 高1年

10 人

美術

水内貴英

95

東京都石神井学園

練馬区

小 3・5・6・高 1 年

7人

身体表現

Co. 山田うん

96

クリスマス・ヴィレッジ

足立区

小3 ∼ 6年

10 人

身体表現

新井英夫

6∼2月

12 日間

9∼12月

12 日間

9∼3月

8 日間

10∼11月

8 日間

3月

3 日間

Ⓑ東京文化発信プロジェクト 「パフォーマンスキッズ・トーキョー」 (児童養護施設) 計5施設 実施日数延べ43日 2012年度合計 児童・生徒数3164人 実施日数延べ395日

73

.indd 73

2013-05-20

2:51:57


.indd 74

2013-05-20

2:51:58


2부 주제 1 아동·청소년의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아동·청소년을 위한 학교 안팎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3개 유형 분석 한국 ┃고봄이 (Go Bomi)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 대표

75

.indd 75

2013-05-20

2:51:58


.indd 76

2013-05-20

2:51:58


한국

아동·청소년을 위한 학교 안팎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3개 유형 분석 고봄이

1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 소개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은 총체적인 예술인 전통연희(춤, 민요, 풍물 등)를 바탕으로 공연과 예술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지역 이야기, 전설, 사회 문제, 축제 등 지역 주민과 예술가의 협업 으로 이루어지는 ‘Community Theater’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한국 내 아동, 청소년 창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학교와 문화기반시설 혹은 예술교육 단 체와 연계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주 5일제가 되면서 학교 수업이 없는 토요일을 활용하여 보다 많은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사례 1에서는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에서 진행했던 <도깨비 세상 속으로>와 <사계절 테마여행>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학교 밖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진행되었던 예술교육의 예산 및 수업운용방식, 프 로그램의 특징, 기대효과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학교 밖 문화기반 시설 등을 이용한 초·중학생 문화예술 체험 워크숍 『2012 초중학생 창의적 문화예술 체험학습 - 서울문화놀이배움터』 【 사업개요 】 서울특별시는 학교 안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생생하고 흥미로운 문화예술 체험 기회 제공을 위하여 체험 형 통합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공모하였다. 이 사업은 서울특별시가 주최하고 2012년 서울시 내 12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으며, 너영나영은 은평문화예술회관에서 은평구 소재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도깨 비 세상 속으로”라는 사업명으로 본 사업을 주관하였다. ○

교육과정명 : “도깨비 세상 속으로!”

교육과정구성 : 민요 속 가사를 통해 상상의 도깨비를 다양한 예술장르로 표현 및 창작하는 통 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교육분야 : 연극 , 음악(민요), 미술, 영상, 무용(탈춤)을 활용한 통합 문화예술교육

교육기간 : 학기 당 1차시(3시간) 9회

수혜인원 : 초등 3 ~ 6학년 9개 학급 (218명)

강사구성 : 주강사 3명, 보조강사 2명 (총 5명)

협력기관 : 은평문화예술회관

지원금액 : 9,300,000원

77

.indd 77

2013-05-20

2:51:58


교육과정 특징 : ‘산도깨비’ 국악동요를 활용하여 전통 장단을 익히고 도깨비라는 전설 속 귀신 을 상상하여 음악, 미술, 영상, 연극의 다양한 예술 장르로 표현해보는 과정이 다. 본 프로그램은 전통 연희가 한국의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나라 문 화 보다 낯설고 어려워하는 초등학생에게 놀이처럼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 록 고안되었다. 이 과정은 장단을 활용한 창의적 움직임, 산도깨비 노래배우 기, 탈 만들기, 탈춤을 보고 도깨비 동작 만들기, 핫시팅을 통해 도깨비에 대해 배우기, 장면 만들어 사진 찍어 리뷰하기로 구성된 체험형 통합예술교육 프로 그램이다.

기대효과 : 창의체험 수업이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학교 내에서 자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이 어려웠던 시기였으므로 당시 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매우 컸다. (프로 그램 홍보 1주일 만에 8회 수업접수 완료, 적극적인 학교의 요구로 1회 추가) 프로 그램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방식의 경험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 한 인식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초등학교와 지역문 화기반 시설과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공유 및 공연 관람 등 의 교류가 이어졌다.

2. 아동, 청소년, 가족을 위한 학교 밖 문화예술 프로그램 『2013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사업개요 】 주 5일제가 시행되면서 아동·청소년과 가족을 중심으로 한 건강한 여가문화 조성 및 인성교육, 공동체 화 합을 도모할 수 있는 주말 문화프로그램의 필요가 제기되면서 문화체육관광부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운영하였다. 이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서울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서울문화재단)가 주관하며, 문화예술교육 운영 역량을 가진 지역 문화예술기관·시설 및 단체(문예회관, 미술관, 박물관, 문화의집, 문화원 등)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2012년 전국 151개 프로그램이 예 술강사 753명에 의해 운영되었고 초,중,고등학생 및 동반 가족 총 9,886명이 참여하였다. ○

교육과정명 : “사계절 테마여행”

교육과정구성 : 사계절 퍼포먼스를 통해 다양한 예술장르를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공연 만들기

교육분야 : 연극, 무용, 사진, 음악 (통합예술교육)

교육기간 : 매주 토요일 8차시 4회기

수혜인원 : 지역 내 초등학교 4 - 6 학년 (1, 2회기 각 25명)

강사구성 : 주강사 4명, 보조강사 1명, 특강강사 7명 (총 12명)

협력기관 : 도봉구건강가정지원센터, 도봉마을예술창작소창고

지원금액 : 27,000,000원

교육과정 특징 : 각 장르의 예술강사가 사계절을 컨셉으로 직접 연출·제작 및 출연하여 다양 한 예술 퍼포먼스 < 봄 : 꽃들에게 희망을 (인형극) / 여름 : 시골아이들의 여름 이야기(무용) / 가을 : 가을음악회(음악) / 겨울 : 사진창작콘서트 “전원일기” (영상)>를 보여준다. 교사로서의 역할 이전에 예술가로서 학생들과 만나는 이 과정은 시각적인 미적 경험을 통해 예술 활동에 대한 기대와 흥미를 촉발한다. 공연관람 후 연극, 사진, 음악, 무용 모둠으로 나누어 모든 참가자가 흥미에 맞

78

.indd 78

2013-05-20

2:51:58


한국

는 장르를 선택하여 직접 예술활동을 체험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감상적 미적과정과 직접 경험하고 표현할 수 있는 체험적 과정을 함께 구성했다는 점이다. 거기에 하나의 장르와 공연에 필요한 다른 예술장르 수업 을 연계한 교류수업은 통합적 예술교육 과정을 제공한다. 예술교육의 결과물 로서 발표회는 감상적 예술에서 체험적 예술로 경험을 확장시키고, 미적 성취 감을 통해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과정이다. ○

기대효과 : 교육과정은 아직 진행 중이나 1기(봄과정)를 기준으로 평가해 볼 때, 다양한 예술장 르를 스스로 결정하는 과정은 참가자의 결단력 및 책임감을 함양시킬 수 있는 기회 가 되었다. 본 과정의 장점은 참가자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흥미있는 것을 깨닮으로 써 자신을 발견하고 잠재력을 개발할 수 있는 시작점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또한 계 절이라는 주제로부터 이미지, 에피소드, 감성 등을 뽑아내어, 단순히 계절을 표현하 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과 연관 지어 은유적이고 상징적으로 예술적인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3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1.‘창의적 체험활동’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예술프로그램 『청소년 창의예술교육 - 서울창의예술 중점운영학교』 【사업개요】 서울문화재단에서는 입시경쟁, 주입식 교육환경 속에서 다양한 영역을 경험하는 과정중심 문화예술교육 을 통해 청소년의 창의성·인성을 함양하고 예술교육 기회가 적은 일반 고등학교(학급단위) 학생을 대상 으로 보편적 기회를 제공하고자 “청소년 창의예술교육·서울창의예술중점운영학교” 사업을 추진하였 다. 이 사업은 서울문화재단이 주최, 주관하고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교육청이 후원한다. 2011년 6개 교 16학급, 487명, 138회(현장체험 27회 포함), 2012년 11개교 37개 학급 1,201명, 431회(현장체 험 62회 포함) 교육이 실시되었다. ○

교육과정명 : “아리랑에 숨겨진 아름다운 사진(2011)”, “콘서트로 만나는 아리랑전시회(2012)”, 포토 에세이 “너 안에 나를 보다(2013)“

교육분야 : 연극, 영상, 음악 (통합예술교육)

교육기간 : 학기 당 12~14차시 (50분 2교시 연속진행)

수혜인원 : 2011년 2개교 4개 학급, 2012 2개교 5개 학급에서 교육 진행, 2013년 현재 2개교 4 개 학급에 교육 진행 중

강사구성 : 주강사 2명, 보조강사1명 (총 3명)

교육과정 특징 : 2011년 “아리랑에 숨겨진 아름다운 사진”에서는 아리랑 가사에서 인물, 사건, 공간을 상상하여 이야기를 창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물의 감정을 주제로 사 진촬영을 하였다. 결과물로 브로슈어와 영상물이 제작되었고 상연회를 통해 피드백을 하였다.

2012년 “콘서트로 만나는 아리랑 전시회”는 좀 더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 과 정를 제공하기 위해 각 학급에서 동일 인물과 이야기를 창작하고 연출노트를 공유하면서 영상, 연극, 음악(전통음악)을 선택, 소그룹으로 연습한 후 서울지

79

.indd 79

2013-05-20

2:51:58


역 창작공간을 이용하여 콘서트를 개최했다. 2013년 포토에세이 ‘너 안에 나를 보다’는 청소년들의 정서와 이야기를 주제 로 2개 모둠이 각기 다른 영상물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본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보편적인 예술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학급 단위로 진행되었고, 정규 교과과정에 예술교육이 교과목으로 포함되면서 학교 밖 예 술교육과의 차별성을 만든 점이다. 그 차별성이란 첫째, 자발적 측면에서 발 견 할 수 있다. 학교 밖에서 진행할 경우 프로그램 홍보를 통해 참가자가 모 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자발성도 높다. 그러나 이 경우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목표를 공유할 수 있는 단계가 별도로 필요하며, 경 우에 따라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학급도 있다. 또한 초등학교와 달리 고 등학교는 입시 위주의 수업환경이므로 예술교육이 주요 과목보다 덜 중요하 다고 생각하는 교사 및 학생들이 있기 때문에, 공부와 관계없이 노는 수업, 혹은 쉬는 수업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이해와 의미를 찾아가는 기회로서 이 사업은 매우 의미 있다고 여겨진다. ○

기대효과 :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접하기 어려운 예술교육을 보다 많은 학급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은 이 사업의 큰 장점이다. 예로 한 학생이 본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자신이 원하는 영상작업을 배울 수 있는 학교로 전학 간 사례도 있었다. 만약 이 학생이 프 로그램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자신의 흥미와 장점에 대해 몰랐을 것이다. 주입식 교 육에 익숙한 참가자에게 작품 제작과정에서 토론을 통해 다른 시각을 이해하고 소 통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영상물이나 공연을 통해 결과물을 공 유하는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무대에 선 기쁨과 성취감을 얻었고, 이는 자존감이 높 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4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의 제안 ‘찾아가는 연희극단 너영나영’은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수행하며 많은 경험을 쌓았고 다 양한 방법을 찾았다. 첫째, 통합 문화예술교육의 강사구성은 각 분야의 전문가로 하고 함께 프로그램을 고안한다. 둘 째,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최소 2명에서 8명의 소그룹 팀티칭을 기본으로 운영한다. 상상 력을 자극시키고 강사와 참가자간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그룹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한 학 급 인원 30명 기준으로 최소 3명의 강사가 3개의 소그룹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셋째, 기획행정과 예 술강사 간 역할을 분리한다. 보조금 지원 사업의 경우 수업관리, 홍보 및 정산 등의 수업 외적 행정 영역이 존재한다. 예술강사가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역할 분 리는 매우 중요하다.

80

.indd 80

2013-05-20

2:51:58


2부 주제 2 일반시민의 문화적 삶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민영문예공연단체 공연종사자 훈련 및 관리 시스템 혁신 - 저장(浙江)문화예술인재양성기지 사례 중국 ┃ 황 항쮜엔 (Huang Hangjuan) 절강성예술직업학원 당위원회 부비서

81

.indd 81

2013-05-20

2:51:58


.indd 82

2013-05-20

2:51:58


중국

민영 문예공연단체 공연종사자 훈련 및 관리 시스템 혁신 - 저장(浙江)문화예술인재양성기지 사례 황 항쮜엔

민영 문예공연단체란 민영 자본의 투자로 창설되고 관련 행정 법령의 승인에 의해 설립 및 운영되는 공 연단체를 일컫는다. 민영 문예공연단체는 영업성, 유동성, 직업화라는 3대 특징을 지닌다.

1. 민영 문예공연단체의 발전 개황 및 교육훈련의 필요성 중국의 민영 문예단체는 정치적·역사적인 요인으로 인해 건국 이래 줄곧 비주류화되고 심지어 탄압을 받는 상태에 처해 있었으나 지하적, 풀뿌리적, 자발적 방식으로 계속 존재하였고 개혁개방 이후에야 다시 금 대중의 시야로 들어서기 시작했다. 현재는 민영 문예공연단체 (민영극단)가 번영과 발전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미 중국 농민의 문화생활 수요를 충족시키는 활력소이자 주력군으로 자리매김 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2009년의 경우 중국 전국에 문화부가 주관하는 각종 예술공연단체는 2,494개인 반면, 민영 문예단체는 약6,800개에 이르고 2012년에는 더 증가하여 10,000개 단체에 달했다. 전국적으로 보면 연극, 곡예, 서커스에서 마술, 곡마, 피영(皮影: 그림자 인형극) 등에 이르기까지 민영 예술원·단의 활약 이 여러 예술 부문에서 두드러지고 있고, 연간 공연회수가 200만 회 이상에 달하고 있다. 민영 예술공연 단체는 농촌문화라는 옥토에 뿌리를 내리고 현지 문화의 저변 및 지방의 특색과 풍습을 속속들이 꿰뚫고 있다. 또한 예술의 유형이 다양하고 공연 형식에 융통성이 있으며 서민들의 삶에 친근하게 다가간다. 이 들의 공연은 빠르게 생산되고 관람료가 저렴하며 자체적으로 시장을 모색한다. 또한 민속 축제나 인생사 의 중요한 의식들과 긴밀히 연결되므로 천시(天時: 시기상의 적절함)·지리(地利: 지리상의 이로움)·인 화(人和: 사람들과의 화합)가 필요하다. 이들은 농촌 문화생활에서의 활약상이 두드러지고 우수한 문화전 통을 계승하여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국민의 수요를 충족시키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역 사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충분히 관심을 받지 못하는고 이들은 시장진입, 재정·세수 지원, 정체 성, 교육훈련, 직업적 평가 등에 있어서 모두 국영 예술원·단과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 은 민영 공연단체의 활발한 발전을 제약했을 뿐 아니라 사회·문화·정치 및 자원분배의 불공평을 야기했 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무원은 2005년 9월에 「영업성 공연 관리 조례」를 공포하였고 「비(非)공유자본 의 문화산업 진입에 관한 국무원의 결정」을 발표하여 사회자본이 개인, 단독투자, 공동조합, 주식 등 형 식의 투자를 통해 민영 문예공연단체를 창설하는 것을 장려하고, 농민과 민간 예술인이 자체적으로 자금 을 조달하여 민영 문예공연단체를 조직하는 것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2005년 11월에는 문화부, 재정부, 인 사부, 국가세무총국 등 총 4개 부처 위원회에서 ‘민영 문예공연단체 장려 발전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여 민 영 문예공연단체의 시장진입을 완화하고 민영 문화예술단체의 공연 심사승인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2009 년 6월 문화부는 ‘민영 문예공연단체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여 민영 문예원·단을 단순한 영리 기관으로 보는 사고방식에서 탈피하여 민영 문예공연단체가 비영리 및 영리 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인정하였다. 아울러 민영과 국영 문예원·단을 차별 없이 대하는 정책을 제시하고 국가에서 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민영 문예공연단체를 명시하였으며, 문화행정 부서는 이들을 중점 문예단·원으로 선발하여 중 점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민영 문예공연단체는 무대 뒤에서 무대 앞으로 진출하게 되었으며

83

.indd 83

2013-05-20

2:51:58


국영 문예원·단과 서로 보충하여 중국 무대예술의 번영을 이끌고 국민대중의 문화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중요한 역할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정책적 지원이 있긴 하지만 현장 운영 과정에서 부딪치는 문제는 여전히 많다. 가장 중요한 모순점은 종 사자들의 소양 향상 관련 사항이다. 주로 이데올로기적 요소가 순조롭게 도입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계되 며, 또한 직업자격의 인정, 업종관리 등 정책의 이행 등이 주로 문제가 된다. 이를 위해 문화부는 민영 극 단원의 소양 훈련 및 향상을 ‘12차 5개년 계획’ 내 중점 사업으로 삼아 추진하고 있다. 저장예술직업학원은 저장 문화예술 인재 양성 기지로서, 저장성 인민정부 판공청이 발표한 ‘민영 문예공연단체 발전 가속화에 관한 의견’(저정판발浙政辦發〔2009〕192호 문서)에 근거하여 저장성 민영 문예공연단체의 전반적인 전 문기능 종합 소양을 조속히 향상시키고 민영 문화강성 사업 가속화, 문화 대발전·대번영을 추진함에 있 어 문예공연단체가 중요한 역할을 힘껏 담당하도록 한다는 취지 아래, 상급 담당 부서의 대대적인 지원을 받으며 저장성 전역 민영 문예공연단체의 교육임무를 적극적으로 담당한 바 있다. 또한 수년간의 실전 훈 련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완벽한 훈련시스템과 효과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민영 문예공연단체가 사회의 수요에 부응하고 종사자들 본인의 업무 소양 제고의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정 부가 민영 문예공연단체를 바른 방향으로 인도하고 규범을 제시하며 문화시장의 선순환 발전을 촉진하도 록 함에 있어서도 기초가 마련되었다.

2. 저장 희곡 민영 극단원 훈련·관리 시스템의 탐색 및 실전 저장 희곡 민영 문예공연단체를 예로 살펴보면, 2010년 이후 저장 예술직업학원은 총 9기의 희곡 민영 극단원 훈련을 맡아 856명의 훈련을 진행하였다. 훈련의 대상은 민영 문예공연단체 관리자(단장), 월극( 越劇)·무극(婺劇)의 주연배우(화단花旦, 소생小生, 노생老生, 채단彩旦 등), 희곡 반주 핵심요원(주호主胡, 비파琵 琶

, 고판鼓板 등), 기술 요원(메이크업, 조명, 음향기술 등)이었다.

(1) 희곡 민영극단의 현황 저장은 중국에서 희곡으로 유명한 성(省) 중 하나로 꼽히는데 이는 중국 희곡이 정식으로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는 송(宋)·원(元)의 ‘남희(南戱)’가 저장에서 탄생해서가 아니고 월(越), 경(京), 곤(昆), 소(紹), 무( 婺), 요(姚), 구(甌), 목(睦), 화(和), 용(甬) 등 여러 종류의 지방극이 존재해서도 아니며, 최근 수년간 민영

극단의 활발한 발전 덕분이다. 저장성에 2005년 9월 등록되어 명부에 올라있는 민영 공연단체는 452개였 고 2012년에는 민영 공연단체가 638개에 달했다. 종사자 수는 약 3만 명, 연간 공연은 28만8천회 이상이 었으며 공연수입은 약 10억8천만 위안에 달해 각각 저장성 전체 문예공연단체 연간 영업성 공연회수 총 회수의 90%와 공연 총수입의 80%를 차지했다. 종사자가 많은 만큼 직업 수준도 일정치 않은 양상을 보이 기 때문에 국민들에게 문화적 혜택을 선사하고 지역문화를 진흥시킬 수 있는 커다란 기회를 가져다주는 한 편, 커다란 도전과 부담을 안겨주기도 하였다. 조사연구에 따르면 현재 저장 희곡 민영극단에 존재하는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 극단 배우의 예술 수준이 천차만별이고, 연령 구조의 고령화를 보이고 있으며 계승인이 부족하다. 문화 소양과 연기 수준이 총체적으로 낮다. ② 프로그램 창작 역량이 빈약하고 무대미술, 조명, 음향 등 기술인력의 전문화 수준이 낮다. ③ 관리 제도가 건전하지 못하고 관리자의 경쟁의식과 혁신능력이 취약하다. ④ 업종의 관리가 어수선하고 우수한 인력과 비우수 인력이 혼재되어 팀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84

.indd 84

2013-05-20

2:51:58


중국

이러한 문제들은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실전 기회의 부족, 실제 현장 수요와 훈련 내용의 불일치, 단계별·수준별 훈련 시스템의 미비, 훈련과 문화산업 관련 직무 진입제도 및 자격인 증, 직명평가와 연계되는 효과적 관리시스템 구축 미비 등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2) 민영 극단 훈련 전략 첫째, 훈련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훈련을 효과적으로 구성하였다. ‘배울 수 있고 쓸 수 있고 실효성 있는 훈련’을 원칙으로 하고 전문기능 및 종합 소양 향상을 중점으로 하여 훈련을 진행하였다. ‘공연이 기본적 으로 중단되지 않고 한여름에만 휴무가 있는’ 민영 문예공연단체의 특징에 근거하여 매년 여름에 집중적 으로 훈련을 개설하여 실시하였다. 학습주기는 15일/기로 정하여 공연과 수업 어느 한 쪽도 지장이 없도 록 하였다. 또한 훈련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희곡 훈련의 분야와 배역이 다양하다는 전문 분야의 특 성을 종합하여 이론집중수업, 실전 소그룹 수업으로 진행하는 ‘이론과 실천의 통합, 학습과 적용의 합일’ 의 훈련 방식을 채택하였다. 둘째, 훈련과 제도 구축의 결합을 강화하고 훈련체계를 정비하였다. 목표의 요구사항과 훈련 대상의 실 정에 따라 강사를 엄선하였다. 선발된 강사 중에는 전문 문예원·단의 리더도 있고 정책연구 전문가도 있 었다. 또한 강의 경험이 풍부한 교사도 있고 유명한 공연예술가도 있었다. 강사들은 기능 전수에 주력하 기도 하고 시야의 확대를 강조하기도 하여 학습자들의 큰 환영을 받았다. 또한 강의 중 훈련체계의 완벽 한 구축을 기하는데 주력하여 3년 동안의 축적을 통해 교내·외 전문 학자들로 구성된 강사진을 구축하였 을 뿐 아니라, 강사들로 팀을 꾸려 『민영 문예공연단체 훈련 실용 교재』를 집필하고 훈련 커리큘럼 및 관리제도를 완벽히 구축하였다. 셋째, 콘텐츠 연구를 본격화하고 관리시스템 혁신을 추진했다. 훈련 실무에 깊이 들어가면서 민영 문예 공연단체의 각 정책을 이행하려면 체계적인 훈련체계와 직명평가가 맞물리는 직업자격 인증제도를 구축 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저장성 문화부 인사처 및 시장처와 적극적인 대 화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① 수준별 훈련 제도 구축: 훈련 레벨을 초급, 중급, 고급 세 등급으로 구분하고 한 등급 상위 훈련에 참 가하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3-4년의 업무 경력을 지녀야 함 ② 직무 관련 증서 제도 마련: 각각의 훈련 레벨에 대응하여 훈련 기준 및 훈련 내용을 설정하고 훈련을 마치고 심사에 합격한 후에 초급, 중급, 고급 직무 합격증을 수여함 ③ 직업평가와 연계된 제도 마련: 훈련 직무 증서를 본 업종에 진입하고 직업평가를 받기 위한 기본 조 건으로 삼음. 초급 직무 증서는 본 업종에 진입하는 자격에 대응되고, 훈련을 통해 취득하는 중급, 고 급 직무증서는 각각 중급, 고급 직무평가의 선행 조건으로 삼음

(3) 민영 극단 훈련의 성과 훈련을 진행한 이후 우리는 민영 문예공연단체에 나타나는 뚜렷한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과거 민영 문예 공연단체의 공연은 주로 농촌에서 진행되었고 이들에게 도시의 큰 극장은 요원한 꿈이었다. 그러나 정부 의 지원과 훈련이 실시되면서 민영 공연단체의 예술 수준이 일정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2012년 11월 저장 성 문화청이 주최한 저장성 민영 문예공연단체 공연에서 훈련을 이수한 문예원·단은 ‘양산박과 축영대( 梁山泊與祝英臺)’, ‘하문수(何文秀)’, ‘화목란(花木蘭)’, ‘양내무와 소백채(楊乃武輿小白菜)’ 등 12개의 대극 을 항저우의 성리극원(勝利劇院)에서 공연하였다. 신 중국 건국 이래 저장성에서 처음 열린 이 민영 극단

85

.indd 85

2013-05-20

2:51:58


합동 공연에서 500여 명의 배우와 스태프들이 자신의 재능을 마음껏 뽐내어 많은 시민의 인정을 받았다. 미약하긴 하지만 농촌에서 도시로 진출한 첫 사례였다. 이들은 시민 관중들에게 인정을 받은 한편 직명을 인정받는 측면에 있어서도 커다란 업적을 이뤘다. 저 장성은 일찍이 2008년에 「민영 공연단체 무대예술인력 예술 전문기술자격 업무평가 신청에 관한 통지」 를 발표하여 민영 문예공연단체 무대예술인력을 성(省) 전체의 예술 전문기술 자격평가 범위에 편입하였 고 2010년에는 예술대회, 레퍼토리 시상 등 분야에서 민영 문예공연단체를 국영 문예원·단과 동등하게 대우하도록 하는 의견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극단 배우와 스태프들은 대부분 농촌에 적을 가 지고 있고 학력도 낮은 편이며, 도제 방식의 기술 전수나 독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011년에 30 개 극단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 중학교 이하 교육 수준을 지닌 배우와 스태프가 60% 이상을 차지하는 극단이 14개에 달하여 조사 대상의 46.7%를 차지했다. 이중 중학교 이하 교육 수준을 지 닌 배우와 스태프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극단이 3개로 조사 대상의 10%를 차지했고 66.2% 이상의 극 단 직원은 본인이 속한 극단의 스승에게 기능을 전수받았다. 전문 기술 직명이 없는 극단은 조사 대상의 51.9%를 차지했다. 이러한 현실에서 동등한 대우나 직명 평가라는 것은 민영 공연단체에게 있어 그림의 떡이고, 눈앞에 두고도 잡을 수 없는 대상에 불과하였다. 민영극단 대상의 레벨별 훈련은 이러한 꿈에 날 개를 달아주었다. 2010년 이후 총 8명이 2급 배우(부고급副高給 직명)로 평가 받았고, 많은 젊은 배우들이 중급 직명(3급 배우)이나 초급 직명(4급 배우) 자격을 얻었다. 전문 기술 직명이 없는 민영 극단에게 이는 실로 쉽지 않은 성과이다. 현재 민영 문예공연단체 배우·스태프의 훈련 및 관리를 강화하는 것 또한 매우 필요한 부분이다. 이 새 로운 영역에 대해서는 훈련 및 관리시스템을 혁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가 해온 탐색과 실전 은 극히 작은 한 단계에 불과하므로 각 전문 학자들의 지도편달을 부탁드리는 바이다.

86

.indd 86

2013-05-20

2:51:58


중국

民营文艺表演团体演职人员培训和管理机制创 —以浙江文化艺术人才培训基地为例 黄杭娟 民营文艺表演团体指的是:由民营资本投资兴办,依照相关行政法令批准设立,从事经营性文艺表 演活动的表演团体,它具有营业性,流动性,职业化三大特征。

一,民营文艺表演团体的发展概况及开展培训教育的必要性 我国的民营文艺团体因为政治与历史的因素,从建国以来一直处于被边缘化甚至被打压的状态, 却一直以地下的,草根的,自发的方式存在,直至改革开放后才再次走到公众视野。而今,不可否认 的事实是民营文艺表演团体(民营剧团)的繁荣与崛起,已成为满足我国农民文化生活需求的生力军 和主力军。以2009年为例,全国共有文化部门主办的各类艺术表演团体2494家,而当年的民营文艺 团体据不完全统计已达6800家,至2012年更是达到了10000家左右。全国范围来看,从戏剧,曲艺, 杂技,到魔术,马戏,皮影等,民营艺术院团的身影活跃在众多艺术门类中,年演出已达200万场以 上。它们根植农村文化沃土,深谙当地文化底蕴和风土人情;艺术品种多样,演出形式灵活,贴近百 姓生活;生产快捷,收费低廉,自寻市场;与民俗庆典与人生仪式紧密相连,得天时地利人和;在活 跃农村文化生活,继承优秀文化传统,满足人民多样化文化需求,发挥着重要作用。但是,由于历史 原因,长期以来民营文艺表演团体的地位没有得到足够的重视,它们的市场准入,财税支持,资格认 同,培训教育,职称评定等方面都不具有国有院团同等待遇,这种状况不仅制约了民营表演团体的进 一步发展,也造成了社会文化政策,资源分配的不公平。在这样的背景下,国务院于2005年9月公布 了《营业性演出管理条例》,发布了《国务院关于非公有资本进入文化产业的若干决定》,鼓励社 会资本以个体,独资,合伙,股份等形式投资兴办民营文艺表演团体,扶持农民和民间艺人自筹资金 组建民营文艺表演团体。2005年11月,文化部,财政部,人事部,国家税务总局四部委出台了《关于鼓 励发展民营文艺表演团体的意见》,放宽民营文艺表演团体的市场准入,简化民营文艺表演团体的 演出审批手续。2009年6月,文化部出台了《关于促进民营文艺表演团体发展的若干意见》,突破了 将民营院团单纯作为营利机构的思路,认为民营文艺表演团体既可以向公益性非营利性机构,也可 以向营利性机构发展,同时提出了民营,国有文艺院团一视同仁的政策,明确符合国家规定条件的 民营文艺表演团体,文化行政部门要将其纳入重点院团予以重点扶持。由此,民营文艺表演团体从 幕后走向了台前,他们与国有院团互为补充,成为繁荣我国舞台艺术,丰富人民群众文化生活的重 要力量。 尽管有政策的扶持,但是,在实施的过程中碰到的问题仍然很多,最重要的矛盾集中在从业人员 素质的提升上。这不仅关系到主流意识形态能否顺利导入,更关系到职业资格认定,行业管理等政 策的落实问题。为此,文化部把民营剧团人员素质的培训与提升当成“十二五”期间的重点工作进 行推进。浙江艺术职业学院作为浙江文化艺术人才培训基地,根据浙江省人民政府办公厅关于加快 发展民营文艺表演团体的意见(浙政办发(2009)192号文件),为尽快提高我省民营文艺表演团体的 整体专业技能综合素质,充分发挥民营文艺表演团体在加快文化强省建设,推动文化大发展大繁荣

87

.indd 87

2013-05-20

2:51:58


中的重要作用的精神,在上级主管部门的大力支持下,积极承担了全省民营文艺表演团体的培训任 务。通过几年的培训实践,逐步建立起一整套完善的培训体系和有效的管理机制。不仅为民营文艺 表演团体适应社会的需求,满足从业人员自身业务素质提升的要求做出了努力,而且也为政府进一 步加强对民营文艺表演团体的引导和规范,促进文化市场的良性发展奠定了基础。

二, 浙江戏曲民营剧团人员培训和管理机制的探索与实践 以浙江戏曲民营文艺表演团体为例,自2010年以来,浙江艺术职业学院共计承办了9期戏曲民营剧 团人员培训班,培训856人,培训对象涉及民营文艺表演团体管理人员(团长),越剧,婺剧类主要演 员(花旦,小生,老生,彩旦等),戏曲伴奏业务骨干(主胡,琵琶,鼓板等),技术骨干(化妆,灯光,音响技 术等)。

(一) 戏曲民营剧团的现状 浙江作为全国的戏曲大省之一,不是因为中国戏曲正式形成的标志——宋元“南戏”诞生于浙 江,也不是因为拥有越,京,昆,绍,婺,姚,瓯,睦,和,甬等众多地方剧种,而是近几年来民营剧团的 蓬勃发展。浙江省2005年9月登记在册的民营表演团体有452家,至2012年,民营文艺表演团体达 638家,从业人员约3万人,年演出28.8万场以上,演出收入约10.8亿元,分别占全省文艺表演团体 年营业性演出场次总量的90%和演出总收入的80%。众多的从业人员,参差不齐的职业水平,一方面 给我们带来了巨大的开展文化惠民,振兴地域文化的机遇,同时也带来了巨大的挑战与压力。 根据调研,当前浙江戏曲民营剧团存在的问题主要表现在:1,剧团演员艺术水平参差不齐,年龄 结构老化且后继乏人,文化素质和演艺水平总体偏低;2,节目编创力量薄弱,舞美,灯光,音响等技 术人员专业化水平低;3,管理制度不健全,管理者竞争意识和创新能力较弱。4,行业管理混乱,人 员良莠不齐,队伍稳定性差。究其原因有:缺少有效提高专业水平的机会和平台;培训内容与实际 需求还不相适应;分层分级培训的体系还不完善;尚未建立起培训与文化行业相关岗位准入制度, 资格认证,职称评审相衔接的有效管理机制。

(二)民营剧团培训的策略 第一,明确培训目标,有效组织培训。以“学得会,用得上,有实效”为原则,以提高专业技能和 综合素质为重点开展培训。根据民营文艺表演团体“演出基本不间断,只有盛夏才歇班”的特点, 我们每年在暑期集中开办培训,确定15天/期的学习周期,保证演出学习两不误。为确保培训的实 效性,结合戏曲培训多门类,多行当的专业特性,我们采取理论集中授课,实践小班教学,“理实一 体,学做合一”的培训方式。 第二,加强训建结合,完善培训体系。根据目标要求和培训对象实情严格遴选教师,所选教师既 有专业院团领导,也有政策研究专家;既有丰富教学经验老师,也有著名表演艺术家;既注重技能 的传授,更强调视野的提升,受到了学员的热烈欢迎。同时,在教学中注重培训体系的建设完善, 通过三年的积累,不仅建立起一支由校内外专家学者组成的师资队伍,而且还组织教师编写了《民 营文艺表演团体培训实用教材》,完善了培训课程和管理制度建设。 第三,深化内涵研究,创新管理机制。随着培训实践的深入,我们越来越认识到,要落实民营文 艺表演团体的各项政策,建立有序的培训体系和与职称评审相衔接的职业资格认证制度已刻不容

88

.indd 88

2013-05-20

2:51:58


중국

缓。为此,我们与浙江省文化厅人事处,市场处积极沟通,提出:(1)建立分级培训制度。培训分 为初级,中级,高级三个等次,参加高一级等次的培训人员需有3-4年工作经历。(2)建立岗位证书制 度。针对每个培训等次对应设定培训标准和培训内容,完成培训且考核合格后分别颁发初级,中级 和高级岗位合格证。(3)建立职称评审衔接制度。将培训岗位证书作为从业准入,职称评审的基本条 件之一,初级岗位证书对应从业准入资格,经培训取得的中级,高级岗位证书分别作为中级,高级职 称评审的前置条件。

(三) 民营剧团培训的成效 开展培训以来,我们欣喜地看到民营文艺表演团体发生的变化。 民营文艺表演团体以往的演出往往都在农村,城市中的大剧场是一个遥不可及的梦想。但是,随 着政府的扶持及培训的展开,民营表演团体的艺术水准得到了一定程度的提升。在2012年11月由浙 江省文化厅主办的浙江省民营文艺表演团体展演活动中,这些经过培训的院团,共带来了《梁山伯 与祝英台》,《何文秀》,《花木兰》,《杨乃武与小白菜》等12台大戏,在杭州的胜利剧院上演。在 这新中国成立以来浙江省首次举行的民营剧团大汇演上,500余名演职员充分展示自己的才能,得 到了众多都市民众的认可,从农村走到了城市,尽管稚嫩,但走出了第一步。 在获得城市观众认可的同时,他们的职称认定也取得了较大的成绩。尽管浙江省早在2008年就颁 布了《关于民营文艺表演团体舞台艺术人员申报评审艺术专业技术资格工作的通知》,将民营文艺 表演团体舞台艺术人员纳入全省艺术专业技术资格的评审范围,在2010年又提出民营文艺表演团体 在艺术赛事,剧目评奖等方面与国有院团同等待遇的意见。但事实是,剧团演职人员大多为农村户 籍,学历层次较低,又以师傅带徒弟或自学为主。2011年,我们在对30个剧团的抽样调查显示,初 中以下文化水平的演职人员占60%以上的剧团达14家,占调查数的46.7%,其中,初中以下文化水平 的演职人员占90%以上的剧团有3家,占调查数的10%;有66.2%的剧团人员是通过本团师傅传授;没 有专业技术职称的剧团占调查数的51.9%。面对这样现状,所谓同等待遇,职称评定对于民营表演团 体来说,就像是空中画饼,看得见却够不着。系统的分级培训让这个梦想插上了翅膀,从2010年以 来,共有8人评上了二级演员(副高职称),一大批青年演员评上了中级职称(三级演员)或具有初级职 称(四级演员)资格,这对于没有专业技术职称相当普遍的民营剧团来讲,实属不易。 当前,加强民营文艺表演团体演职人员培训和管理非常迫切也非常必要,面对这一新领域,创新 培训与管理机制就成为了重中之重,我们的探索与实践只是小小的一步,希望得到各位专家学者的 指正。

89

.indd 89

2013-05-20

2:51:58


.indd 90

2013-05-20

2:51:58


2부 주제 2 일반시민의 문화적 삶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

예술에 대한 사회적 지원에서 예술을 통한 사회적 지원으로 일본 ┃ 요시노 사츠키 (Yoshino Satsuki) 아이치대학교 사회인문학부 부교수

91

.indd 91

2013-05-20

2:51:58


.indd 92

2013-05-20

2:51:58


일본

예술에 대한 사회적 지원에서 예술을 통한 사회적 지원으로 요시노 사츠키

1. 배경 주로 공공회관, 극장, 미술관에서 기획한 예술가 워크숍 및 교육활동은 90년대 중반부터 활성화되 어, 관객양성, 차세대 예술가 및 문화경영 전문인력 양성, 지역사회 내 예술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원의 일환으로써 활성화되어 확산되었다. 또한 이후 문부과학성이 ‘종합 학습 시간’, ‘커뮤니케이션 교육추진사업’을 추진하면서, 예술가가 학교 교육에 참여하거나 공공시설과 학교가 연계하여 기획을 추진하는 사례도 늘었다. 하지만 일본사회의 변화, 즉, 지역 및 가정의 빈부 격차, 사회적 약자를 둘러싼 복지 및 의료문제, 외국인 거주자와 이민 증가에 따른 다문화 공생 문제 등,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과제가 점점 다양화 되면서 예술에 대한 사회적 지원활동의 내용, 목적, 사회적 의의도 조금씩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2. 지진 등 재해의 영향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예술을 통한 사회지원에 대한 관심은 특히 예술 관계자들 사이에서 더욱 높아졌다. “예술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라는 역할론이 재해지역 안팎의 예술 관 계자 사이에서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다양한 예술조직, 특히 민간 예술 NPO가 중심이 되어 기존에 없던 네트워크를 형 성, 중간지원조직으로서 활동을 시작했다. 지진피해지역의 넓은 범위, 심각한 피해 정도, 원전사고 등 다양한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지원의 다양성이 더해져 하나의 조직이나 단체로는 적절히 대응하 기 어려웠기 때문에 예술 관계자가 평소 활동범위나 예술장르를 넘어서 서로 힘을 더하는 것이 필요 했다. 이러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았던 것은 일본의 예술을 통한 사회지원에 있어 참고할 만한 점이다.

<중간지원조직 NPO 단체> Arts Vision Network 311

재해지역 안팎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중간역할 지원 Art NPO Aid

재해지역 복구활동에 종사하는 아트 NPO 또는 예술가 중간역할 지원 JCDN(Japan Contemporary Dance Network)

댄스 아티스트 중심의 복구 지원

93

.indd 93

2013-05-20

2:51:58


ARC>T (Art Revival Connection Tohoku)

미야기현을 중심으로 조성된 아티스트들의 지원활동 ART SUPPORT TOHOKU- TOKYO

도쿄도 지원사업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예술관계자들이 장르나 활동영역의 틀을 넘어 서로 소통하게 되면서 해당 네 트워크를 활용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것은 주목할 만 한 점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해지역 복구작업이 어느 정도 진행되자 그 동안 쌓여있던 지역사회 내 복지, 의료, 교육 등의 현안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했다. 복구지원을 넘어 지역사회에 예술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없는지, 무엇을 위한 예술인지를 고민하게 된 것이다.

3. 지역공동체 내 다양한 활동 지역공동체에서의 ‘학습’은 아이들은 물론 해당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에게 있어 반드시 필요한 부 분이다. 예술적 표현을 통한 타인과의 만남, 서로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배우는 것, 서로의 문제를 에워싸 고 있는 환경이나 사회에 대한 주목을 통한 커뮤니티의 변화, 혹은 새로운 커뮤니티의 형성, 이러한 부분에서 미래 예술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Able Art On Stage

첫 번째로 소개 할 사례는 장애우와 비장애우, 그리고 예술가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같은 시선에서 워크숍을 제작해 가는 과정, ‘Able Art On Stage’이다. 본 프로젝트는 ‘Able Art Japan’이 생명보험회사 ‘메이지야스다생명明治安田生命’으로부터 자금 및 홍보적 측면에서 지원을 받아 2004년부터 5년간 실시되었다. 매년 전국적으로 공연 기획을 공모하여 대략 6~8개 단체를 정해 약 1년간 각지에서 워크숍을 개 최하고, 워크숍이 끝나면 페스티벌 형식으로 도쿄에서 몇 작품을 추가로 공연하는 형식이다. 본 프로젝트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공연 기획을 운영하는 단체 간 교류를 유도하기 위해 중간결 과 보고회의를 다수 가졌던 점이다. 또한 많은 장애우와 함께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 는 다양한 문제와 조언을 서로 공유하였다. 5년간 총 32개 단체가 참여했고, 국제교류기획으로서 영국의 ‘그라이아이 극장 컴퍼니Graeae Theatre Company’의 제니 실리(Jenny Sealey, 2012 런던 패럴림픽 개회식 디렉터)와 지적 장애 배우와 독특한 협연을 펼쳤던 연출가 존 팔머(John Palmer)와도 함께 워크숍 및 작품을 제작했다. 더욱이 강조하고 싶은 점은 평소 만날 일이 없던 사람들이 단지 지원하고 지원받는 관계가 아니 라, 시행착오를 거치며 동등한 위치에서 함께 극을 만드는 동료가 되어 서로 마주 볼 수 있었던 점 이다. 서로의 ‘힘’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공연의 수준이 얼마나 높은가가 아닌, 관객에게 참가자들의 노력을 보여주기 위한 도전 그 자체가 일본 각지에서 일어났던 것이다. ‘장애’를 보는 사람들의 시선이나 고정관념을 바꿀 수 있었고, 장애가 있기 때문에 남들보다 특별 한 것은 아니나, 그러한 장애가 있음으로써 특별한 공연을 만들 수도 있었다. 이러한 모든 것이 아 티스트에게도 많은 발견과 가능성에 대한 기회를 제공했고, 이것이 본 프로젝트의 가장 큰 성과 였다.

94

.indd 94

2013-05-20

2:51:58


일본

양로원 Remix

다음 소개 할 사례는 작곡가 겸 연주자 노무라 마코토(野村誠)의 양로원 음악활동이다. 노무라 마코토는 전위적이며 실험적인 음악활동을 하고 있는 예술가로서, 일본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다 양한 예술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다. 그는 10년 이상 일본 요코하마(横浜)시 소재 양로원 노인 들과 공동 작곡 활동을 해 오고 있다. 그가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한 NPO가 주도했던 프로젝트였지만, 이후로도 10년간 계속해서 양로원 노인들과 함께 작곡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음악의 가능성을 발견하 고 있다. 그에게 있어 양로원 노인들은 단지 작곡·연주 파트너가 아닌, 인생 선배로서 조언을 구 할 수 있는 존재이다. 노인들에게도 노무라 마코토의 양로원 음악활동은 재활이나 위문 활동이 아닌 특별한 시간이다. 양로원 원장의 말에 따르면 그의 음악활동은 양로원 노인들에게 ‘자신이 빛나는’ 시간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양로원이라는 곳은 누군가가 죽고 나면 그 구성원이 바뀌게 되는 곳이다. 노 무라 마코토가 활동을 시작한 10년 전부터 함께해 온 멤버는 이제 1명뿐이다. 하지만 구성원은 바 뀌어도 커뮤니티는 지속되고 있다. 노무라 마코토는 양로원 음악활동을 바탕으로 2009년과 2012년에 요코하마시로 부터 자금 지원 을 받아 공연을 개최하였다. 이 공연은 ‘영상작곡’이라는 그만의 방법으로 영상작가와 함께 편집한 것인데, 연주자의 말이나 움직임을 기록한 영상에 노무라 마코토가 작곡한 음악을 덧입히는 것이 다. 2012년에는 사진가와 협력하여 영상에 현대무용을 더해 한층 더 발전된 작품을 보여주었다. 그의 음악 활동은 예술을 통한 사회지원이라기 보다는, 공동체 형성 그 자체가 예술이라 할 수 있 는 선진 사례이다. 일본과 일본 예술의 미래에 큰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여겨지는 대목이다.

4. 표현을 통한 회복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 일본에서는 이 외에도 노숙자 및 일용직 노동자 지원 예술 활동, 가정폭력 피해를 입는 여성과 아이 들을 위한 예술 활동, 의료 예술 활동 사례도 늘고 있다. 예술을 통한 사회지원활동은 지역공동체 구성원에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그 의의가 전파되어 장애우 및 노인층과 같이 상대적으로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있는 이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리고 그것이 교육이나 복지 등 사회전체의 기반을 뒷받침하는 활동으로 이어진다. 또한 어린이나 젊은이들에게도 예술을 통한 사회지원활동은 학교 밖 사회에서 사람들과 관계를 형 성하며 배움을 터득할 수 있는 장이다. 선생님이 없는 배움의 터전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타인에 대한 이해는 나라, 언어, 종교, 습관, 역사관 등 문화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 문화예술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수용하는 사회를 조성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미래를 향한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동시에 예술가나 예술관계자가 자신들의 활동을 다양한 관점에서 점검하고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발견함으로써 예술이 지닌 힘을 시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예술에 의해 사회의 변화는 사회 속 예술의 가능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예술과 사회가 함께 진화한 다고도 볼 수 있다.

95

.indd 95

2013-05-20

2:51:58


芸術への社会的支援から、芸術による社会支援へ 吉野さつき

1. 背景 みなさん、こんにちは。吉野さつきと申します。現在は、日本の愛知県にある愛知大学で教えて いますが、昨年の春までは、先程発表された堤さんと同じようなアーティストによるワークショップ などの企画やコーディネート、それから、コミュニティアートプロジェクトのようなもののプロデュー スやマネジメントの仕事を、フリーランスでやっていました。現在も、大学で教える傍ら、そうした現 場の仕事も続けています。 今日は、韓国や中国の芸術教育関係のみなさんと交流できる貴重な機会に恵まれたことを、と ても感謝しています。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では、発表に入らせていただきます。 まず、日本のアーティストによるワークショップなどのアウトリーチや普及教育活動ですが、主に 地域の公共ホール、劇場、美術館などが企画するものが、90年代半ば頃から盛んになり、広がっ ていきました。 当初の目的は、主に、観客の育成、次世代の芸術家やマネジメントの担い手の育成、それか ら、地域社会の中での芸術への理解を広めていくというようなものでした。 また、その後、文科省による「総合的な学習の時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教育推進事業」といっ た教育制度の導入により、学校教育にアーティストが関わる場も徐々に増えてきました。それによ り、公共ホールなどが、学校と連携して企画を実施することも増えてきました。ここまでは、これま での方の発表でも触れられた通りです。 このような、アートを普及したり、担い手を育てるといった芸術振興、いわば、芸術への社会的 理解や支援を目的とするものや、学校教育の現場にアートを取り入れるという動きの他に、日本 では、より複雑化、多様化する地域の問題、例えば、福祉や医療、多文化共生、就労支援など につながる活動も増えつつあります。こうした活動は、芸術振興や支援というよりは、芸術による 社会支援、アートが人や地域をどうエンパワーメントできるのか、という視点から、その活動の意 義や成果が問われ、議論がされるようになってきました。

2. 震災の影響 このような議論や活動は、みなさんもご存知の2011年3月11日の、東日本大震災の影響により、 さらに高まってきました。被災地内外での復興支援活動に、アーティストやアート関係者が関わる 中、平時と全く違う状況、多くの人々が「生きる」上で非常に深刻な環境に置かれた中で、いった い「アートになにができるのか?」という問いが、突きつけられたからです。

96

.indd 96

2013-05-20

2:51:58


일본

こうした状況の中、日本では、様々な芸術組織、特に、民間のアートNPOなどが中心となり、そ れまでにはなかったネットワークをつくり、中間支援組織として活動を始めました。これは、被災 地域があまりに広かったこと、被害の深刻さ、原発事故も含めたそれぞれの地域で必要とされる 支援の多様さ、複雑さがあって、一つの組織や団体では、情報収集一つとっても、とても対応で きるものではなかったこともあります。アート関係者が、芸術ジャンルや普段の活動領域の枠を 越えてつながっていくことが本当に必要でした。このような中間支援組織の役割への認識が高ま ったことは、日本の、芸術による社会支援を考える上でも重要な点だと思います。 様々な中間支援組織が立ち上がったのですが、ここでは、そのうちのいくつかをリストアップし ておきます。お手元の資料に、各団体の名前とサイトのURLがあると思うので、具体的な活動に ついては、是非、それぞれのサイトをご覧になってみて下さい。こちら(Art NPOエイドのサイトを 映す)のように、英語の説明があるところもあります。 こうした中間支援組織の活動は、ある程度の復興が進むにつれて、収束したもの、継続してい るものがありますが、継続されていく中で、浮かび上がって来たのが、震災以前から、地域がもと もと抱えていた問題です。高齢者や障害者の問題、女性や子どものDV被害、就労困難者など、 社会的弱者を取り巻く問題と地域の置かれた状況が複雑に関係して見えてくることなどです。 そこから、被災地支援、復興支援という枠を越えて、改めて、地域社会における様々なコミュニ ティの中で、アートになにができるのか、なんのためのアートかということを考え続けることにつな がってきました。

3. 地域コミュニティにおける多様な活動 ここからは、そうした背景もある中、多様化していく地域コミュニティにおける活動についての事 例をいくつかご紹介します。 今回のフォーラムでは、「教育」というのが一つのキーワードになっているかと思いますが、人が なにかを学ぶこと、特に地域コミュニティの中で、いろいろな人たちと関わりながら「学ぶ」というこ とは、子どもにとってだけ必要なことでなくて、その そのコミュニティを構成する全てのメンバーにとって、生涯必要なものだと思います。 アートを通して、誰かの表現に触れることで、他者と出会う。そこから、お互いが抱えている問題 を知ること、つまり当事者について知ることや学び合うこと、その問題を取り巻く環境や社会の在 り方に目を向けていくことによって、コミュニティが変わっていく、もしくは新しいコミュニティが生ま れる、ということに、これからの可能性があると私は考えています。 エイブルアート・オンステージ

まず、一つ目です。「エイブルアート・オンステージ」という活動です。これは、障害者のある人 とない人、そしてプロのアーティストが、ワークショップを通じてお互いを知り、対等に向き合っ て、創作方法や関係を築くことを試行錯誤しながら、最終的に、芸術的クオリティの高い舞台 作品を創り上演していくという試みです。 これは、NPO法人エイブル・アート・ジャパンが、日本の生命保険の会社、明治安田生命と協 同で、資金や広報的な支援を受け、2004年から5年間にわたって実施したプロジェクトです。 毎年、全国を対象に企画を公募して、だいたい6〜8団体程度を選考によって決めて、約一年

97

.indd 97

2013-05-20

2:51:58


かけて、それぞれの地元で、ワークショップの開催、リハーサル、公演までをしてもらって、その 後、フェスティバルという形式で、それらの作品のいくつかを東京で再演してもらう、というのが 基本的な仕組みでした。 このプロジェクトで、注目すべき点としては、選ばれた企画を運営するグループ同士の間の交 流ができるように、途中経過を報告し合うミーティングの場が何回かあって、そこで、様々な障 害のある人たちと一緒に創る中で、それぞれのグループが直面した問題を共有したり、お互い にアドヴァイスしあったり、私も含めた芸術関係者などによる実行委員のメンバーからも助言を 得られたりということがあります。 5年間の間に、32グループが参加して、その他にも、国際交流企画として、イギリスのGraeae Theatre

Companyのジェニー・シーレイ、(昨年のロンドン・パラリンピックのオープニング・セレ

モニーのディレクターの一人です)や、知的障害のある俳優とユニークな実践をしていたジョン・ パルマーという演出家との、ワークショップや作品づくりも行ってきました。 活動の写真をいくつかお見せしますね。 まず、活動支援プログラムから生まれたダンス作品の舞台写真2枚です。 次が、国際交流プログラムの舞台写真です。 さらに、このプロジェクトで特筆すべき点は、同じ社会にいながら、普段出会うことのなかった人 たちが、単に助け合うとか、支援するされるという関係ではなくて、対等に共同創作者、共演者 としてどう向き合うか、という試行錯誤がなされたことです。 お互いの「ちがい」をどう認め合って共同できるか、その結果としての作品のクオリティを高め、 より多くの人たち、つまり観客にそのことを提示できるか、という挑戦が日本の各地で行われた わけです。 「障害」に対する見方、考え方を変えていくことと同時に、障害があるから特別なわけでもない、 しかし、それゆえに生まれる表現もある、そのことがこれまでになかったアート作品を創ることに つながり、関わったプロのアーティストにも多くの発見や、創作の可能性を広げる機会をもたら したことも、大きな成果だったと言えると思います。 ○

老人ホームRemix

もう一つの事例は、野村誠という現代音楽の作曲家で演奏家でもあるアーティストの活動プロジ ェクトです。野村誠は、かなり前衛的で実験的な、多岐にわたる音楽活動を行っているアーティ ストで、日本だけでなく、海外でも様々なアートプロジェクトに参加しています。 彼は、日本の横浜にある特別養護老人ホームで、10年以上にわたって、そこに暮らすお年寄り との共同作曲の活動を続けています。(写真へ) きっかけは、NPOが媒介となったプロジェクトですが、そのプロジェクトが終わった後の10年以 上、彼は、お年寄りとの共同作曲を続けていて、そこから新しい音楽の可能性を見いだしてい ます。お年寄りは、彼にとって、作曲や演奏のパートナーであって、また、人生の先輩として、音 楽やそこで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通して様々なことを教えてくれる存在でもあるのです。 同時に、お年寄りたちにとって、野村さんとの活動は、なにか機能を維持するためのリハビリを 目的とするものや、誰かになにかしてもらうような慰問とは違う、特別な時間になっています。ホ ームの苑長さん曰く「その人自身が輝く」ための時間です。 当然のことですが、老人ホームという場所は、いずれ人が亡くなって、こうした活動のメンバーも 入れ替わっていきます。彼が活動を始めた当初からの、オリジナルメンバーは、現在1名です。 それでも、オリジナルメンバーとともに彼が作曲した歌が引き継がれて、今では、なにか新しい

98

.indd 98

2013-05-20

2:51:59


일본

伝統芸能のようになってきて、音楽を通したコミュニティがそこにあって、メンバーが入れ替わり ながらも続いている、という状況になっています。 この活動をもとにした作品の公演を、野村誠は2009年と2012年に、横浜市の助成金を得て行い ました。その映像を少しですがお見せしたいと思います。この公演は、お年寄りが語る言葉、身 体の動き、そして、共同作曲中の演奏の記録を、野村さんが「映像作曲」と名付けた方法で映 像作家とともに編集し、そこからさらに、新しい音楽を作曲して、映像に映るお年寄りと共演す る、というスタイルで行われました。さらに、2012年の作品では、写真家とコンテンポラリーダンサ ーも加わり、よりメディアミックスな作品へと進化しました。(映像3分ほど) 野村さんの活動は、アートによる社会支援というよりは、コミュニティ形成そのものがアートにな る、というような、かなり先を行く事例ですが、日本におけるアートとコミュニティの関わりの今後を 考える上で、一つの可能性を提示していると思うので、今回ご紹介してみました。

4. 表現による恢復と他者理解がもたらすもの 今回ご紹介した事例の他にも、ホームレスや日雇い労働者の就労支援につながるアート活動を しているNPOや、DVの被害にあった女性や子どものためのアート活動をしているプロジェクト、医 療や看護、介護の領域にアートが関わる例など、現在、日本では、アーティストやアートの力が必 要とされる場が増え、より多様になってきています。 このような場での、アートによる社会支援的な活動は、コミュニティを構成する一人一人をエンパ ワーメントして、芸術表現を通じた、それぞれの心や居場所の恢復につながり、さらに周囲の人 々にその活動の意義が伝わって、自分とは違う環境に置かれている他者、例えば障害者、高 齢者など、社会的弱者とされる人たちへの理解が広まること、関係性が変わること、それが教育 や福祉など社会全体の基盤を支えることに結びつきます。 また、子どもや若者にとっても、そうした場が、学校だけでなく広く社会の中で人と関わり、学び 合う場にもなります。先生のいない学びの場ともいえるでしょう。 さらに、このような形での他者理解は、国、言語、宗教、習慣、歴史観などの異なる人たちの間 でも、芸術や文化を通じて、人と人とをつなぎ、互いを受け入れ合う社会づくりのために大きな 可能性を持つといえます。 同時に、アートの力が試される場でもあって、アーティストやアート関係者が自分たちの活動を 多様な視点から捉え直し、新たな表現の可能性を発見する研鑽の場にもなり得ます。 アートによって社会が変革することは、社会におけるアートの可能性を広げることにもつながる し、アートと社会がともに進化するとも言えるのではないか、と思います。

以上で、私の発表を終わります。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99

.indd 99

2013-05-20

2:51:59


.indd 100

2013-05-20

2:51:59


2부 주제 3 문화예술교육 매개자(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 사례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 핵심전략으로서의 매개자 양성 및 재교육 한국 ┃ 정연희 (Jung Yeonhe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

101

.indd 101

2013-05-20

2:51:59


.indd 102

2013-05-20

2:51:59


한국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 핵심전략으로서의 매개자 양성 및 재교육 정연희

103

.indd 103

2013-05-20

2:52:00


104

.indd 104

2013-05-20

2:52:02


한국

105

.indd 105

2013-05-20

2:52:04


106

.indd 106

2013-05-20

2:52:05


한국

107

.indd 107

2013-05-20

2:52:07


108

.indd 108

2013-05-20

2:52:08


한국

109

.indd 109

2013-05-20

2:52:10


110

.indd 110

2013-05-20

2:52:11


한국

111

.indd 111

2013-05-20

2:52:13


112

.indd 112

2013-05-20

2:52:15


한국

113

.indd 113

2013-05-20

2:52:16


114

.indd 114

2013-05-20

2:52:18


한국

115

.indd 115

2013-05-20

2:52:19


116

.indd 116

2013-05-20

2:52:21


2부 주제 3 문화예술교육 매개자(교육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책 사례

중국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중국 ┃ 오우 양 찐후 (Ou Yang Junho) 운남문화예술직업학원 원장

117

.indd 117

2013-05-20

2:52:21


.indd 118

2013-05-20

2:52:21


중국

중국 문화예술교육 정책 우수 사례 오우 양 찐후

제1부 중국 문화예술교육 인력 육성 체계 1. 일반개념, 지역분포 및 조직구조 1. 일반 현황

(1) 개념

예술직업학교는 일반 학교와 상대되는 직업학교의 한 종류로 문화예술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 는 전문학교이며, 중등예술직업학교와 고등예술직업학원 두 단계로 이뤄진다. 각 단계 별로 다양 한 문화예술 분야 전공을 동시에 개설할 수 있다.

(2) 지역분포

중국 전역에 예술계 중등직업학교와 예술계 고등예술학교는 총 1,100여 곳이 있다.

(3) 조직구조

거시적 측면에서 중등직업학교와 고등예술학교 두 단계로 학교가 운영된다. 예술직업학교의 조 직구조는 일반적으로 교장 1명 및 여러 명의 부교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학교는 통상 교(校)·계( 系, 혹은 과) 2급 관리체제를 실시한다. 고등학교의 인재양성 단위는 “계(系)”라고 하고 중등직업 학교의 인재양성 단위는 “과”라고 부른다. 이를테면 연극계(과), 무용계(과), 음악계(과) 등으로 칭 하고 이 외에 각 학교 별로 수업관리, 학생업무, 인사관리, 행정서비스 등 부서를 설치하여 학교업 무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2. 커리큘럼 구성

예술직업학교의 커리큘럼 체계는 보통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1그룹: 국가법정정치과정 2그룹: 공통기초문화과정(영어, 컴퓨터, 대학국어 등) 3그룹: 전공기초과정(기초음악이론 및 시창 등) 4그룹: 전공핵심과정(실습교육 포함 / 음악, 조형 등 교과과정)

119

.indd 119

2013-05-20

2:52:21


3. 인재양성 표준 문화예술교육은 중등학교, 전문대학, 학부, 대학원 등 여러 단계에 거쳐 진행되므로 인재양성의 표준 은 다양화의 경향을 띤다. 중등학교와 전문대학의 인재양성 표준은 주로 실용형, 기능형 인재 양성이 며, 학부의 인재양성 표준은 이론과 실천을 효과적으로 접목시키는 종합소양이 비교적 높은 인재양 성이다. 반면 석사와 박사를 포함하는 대학원 단계의 인재양성 표준은 효과적이며 높은 수준의 감상 력과 예술창조력, 그리고 탄탄한 예술이론 연구 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2. 기타 문화예술교육 인재양성기관 현황 유형별 구조를 살펴보면 독립적으로 설립된 예술직업학교 외에도 문화예술교육 인재양성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으로 종합적 성격의 대학, 일반 대학교 및 사범대학의 2급 학원, 즉 부설 학원이 있다. 단계별 구조를 보면 학술적 성격의 예술계 대학원교육, 학부 예술교육, 고등예술직업교육 및 중등예술 직업교육이 있다. 예산지원 주체별로 보면 정부가 운영하는 예술학교도 있고 공립 예술계 학교의 지원을 받는 독립적 사 립학원도 있다. 또한 민간지원의 각종 사회문화예술교육 연수기관도 다수 존재한다.

3.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관리 현황 학교의 인적자원관리는 실질적으로 인사부서와 교학 부서, 고용부서가 함께 담당하며 주요직무는 교사 및 관리·서비스 인력의 선발, 임용, 퇴직 및 각종 사회보험, 복지 등의 보장이 해당된다. 교육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수업품질프로그램, 수업평가, 수업품질 감독관리체계, 수업지도감독 등 관련 제도를 마련하여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본교 문화예술교육 인재에 해당하지 않는 인력의 연수나 재교육은 전문적으로 현직교육을 담당하는 평 생교육학원에서 실시한다. 본교 교사 등의 연수 및 평생교육은 일반적으로 학교 인사부서나 교사가 소속하고 있는 전공 계(과)에 서 함께 담당한다. 정부차원에서는, 공립 고등예술직업학원은 일반적으로 문화부에서 관리를 책임지고, 그 밖의 기타 예술 학교의 경우에는 교육부에서 관리를 책임진다.

4. 관련 법률 및 제도 소개(법률 및 제도 반포일자순) 「중화인민공화국직업교육법」(1996년 5월 15일 반포, 같은 해 9월 1일 실행)은 중국 국가교육사업에서 직업교육의 위상을 정립하고 직업교육의 임무, 국민의 권리 및 정부의 의무, 직업교육 실시의 요구사항 및 제반 제도를 규정하였다. 또한 직업교육의 체계를 명시하고 직업교육의 실시방법, 보장조건 등을 정함 으로써 각 급·각 유형의 직업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법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고등교육법」(1999년 8월 29일 반포, 같은 해 9월 1일 실행)은 고등교육의 학교운영 방 침 및 임무, 국민의 권리 및 정부의 의무, 고등교육의 기본 제도, 고등교육기관의 설립, 조직 및 활동, 고등 교육기관 교사와 교육업무 종사자들의 임직자격 및 요구사항, 고등교육기관 소속 학생의 권익보장, 고등 교육에 대한 투자 및 조건보장 등에 대한 규범을 마련하였다.

120

.indd 120

2013-05-20

2:52:21


중국

제2부 운남문화예술직업학원 소개 1. 운영 현황

(1) 설립 배경

1999년부터「중화인민공화국고등교육법」의 반포 및 실시에 따라 중국 고등교육의 학생 모집정 원 확대가 시작되었다. 2002년 발표된 「직업교육 개혁 및 발전의 대대적 추진에 관한 국무원의 결정」(국발〔2002〕16호)에서 중국정부는 직업교육 발전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하였 다. 자원을 통합하여 보다 많은, 보다 높은 차원의 문화예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윈난성 문화청 의 주도로 윈난성예술학교를 윈난영화학교, 윈난성문화청직공(職工)대학과 합병하여 윈난문화 예술직업학원을 설립하고 윈난성의 유일한 국립 고등예술직업학원으로 발돋움했다.

(2) 주요 연혁

윈난문화예술직업학원의 전신은 1956년에 창건된 윈난성예술학교이다. 윈난성예술학교는 2004 년 4월에 윈난성 인민정부의 승인을 받아 윈난영화학교, 윈난성문화직공대학과 합병하여 윈난문 화예술직업학원을 설립하였고, 중등예술직업교육에서 고등예술직업교육으로 차원을 높여 운영 하기 시작했다. 50여년간 본 학원은 중국교향악단 수석지휘자인 리신차오(李心草) 등 우수한 예 술가들을 대거 배출하여 “홍토고원(紅土高原: 윈난)의 예술가의 요람”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3) 조직구조

본 학원에는 현재 무용계, 연극계, 음악계, 형체예술계, 방송예술계, 종합예술계, 공공관리계, 평 생교육학원 등 8개의 원과 계(系)가 있다. 또한 교무처, 예술실험센터, 과학연구처, 문헌정보센터 등 네4개의 교육관리 및 보조관리 부서가 별도로 있으며 학원사무실, 신입생모집·취업처, 인사 처, 계획재무처 등 행정관리 부서를 두고 있다. 본 학원에는 원장 1명, 부원장 3명, 원장 보좌관 2 명이 있다.

(4) 예산구조

본 학원 예산 관련 주요 출처는 세 곳이다. 첫 번째는 학생 1인 평균 지원금 기준 및 총 학생수에 따라 지원되는 정부지원금이고, 두 번째는 전공별 기준에 따라 학생이 지급하는 학비이다. 세 번 째는 기타 수입으로서 정부가 지원·투자하는 각종 교육항목 및 보조금을 확보하는 경우, 지역사 회에 개방하여 진행하는 직업기능교육, 직업기능검정, 평생교육, 예술교육, 국제문화예술교육 및 교류를 통해 획득하는 수입 등이 이에 해당된다.

2. 전체 커리큘럼 구조 본 학원이 개설하는 커리큘럼은 주로 공통필수과정, 공통선수과정, 전공기초과정, 전공핵심과정, 전공 선수과정, 종합실전과정, 소질함양과정의 7개 과정으로 구분된다. 과정에서의 학습을 통해 필수적인 기 초지식을 습득하고 특정한 실전 훈련을 거쳐 기본 기능을 습득하도록 하며, 소질함양과정을 통해 종합적 인 소질의 확대 및 향상을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

121

.indd 121

2013-05-20

2:52:21


3. 교육과정 소개 ‘양질의 인재양성’, ‘실용’이라는 고등직업교육 커리큘럼 개설 원칙에 따라 본 학원은 전문기능의 근간 이 되는 기본이론 및 실제 직무상의 필요를 함께 고려하여 커리큘럼을 개설하고 ‘양질의 인재양성’ 원칙 에 따라 기본이론 과정을 개설한다. 또한 ‘실용’ 원칙에 따라 실제 직무기능에서 요구되는 바를 분석하 여 커리큘럼을 개설한다. 예를 들어 무용, 연극, 음악, 형체 등 공연예술 위주의 4개 전공을 두고 공통기 초 과목은 ‘양질의 인재양성’ 원칙에 따라 실시하며, 공통으로 개설하는 과정으로는 기초음악이론이 있 고 시창청음, 문예심리학 등의 전공선수 과목을 각각 개설한다. 또한 졸업 후 대학교 학부에 진학하여 학 문을 계속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수요에 따라 문화, 이론지식 등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실제 직무의 기 능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통상 인재양성방안을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경우에는 고용기관의 일선 전 문가를 초청하여 좌담회에 참여하도록 한다. 일례로 공공관리계에 개설하는 비서 전공에서는 다양한 업 종의 비서 업무별 요구사항을 함께 고려하여 비서영어, 여행영어, 다예 등 커리큘럼을 적절히 추가한다.

4. 협력 프로젝트 사례 예술학교 운영의 특징을 감안하여 각 예술학원, 문예원·문예단, 연예회사, 민간협회 등 사회단체와의 교류협력을 심화하고, 장기적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축함으로써 시장지향적 학교 운영 으로 실용적 인재를 양성하고자, 본 학원은 윈난성 문화청의 지도 하에 70여 개 기관으로 구성된 윈난문 화예술직업교육그룹을 설립하였다. 최근 몇 년간 문화체제 개혁이 추진되면서 본 학원은 공익적 성격의 문화사업기관 및 기업으로 성격을 바꾸고, 시장의 주체로 탈바꿈한 문예기업과 함께 인재양성 분야에서 심도 깊은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수혜대상은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뜻있는 청년들이다. 윈난성가무극원(雲南省歌舞劇院)과의 무용 공연 인재양성 협력을 통해 윈난성 25개 소수민족 중 실제로 53명의 우수한 무용공연 학습자를 선발하 였고 전원에게 무료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리저우가무극원(大理州歌舞劇院), 취징시무형유산전승 보호·공연센터 (曲靖市非物質文化遺産傳乘保護與展演中心), 윈난국련문화창의발전유한 공사(雲南國 聯文化創意發展有限公司)와 주문형 인재양성을 진행했으며, 2013년 9월부터는 윈난성전극원(雲南省滇 劇院), 구이저우성 화등극원(貴州省花燈劇院) 등과도 주문형 인재향성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

정이다. 물론 고용기관과 인재양성 기관인 본 학원도 이러한 인재양성 시스템의 수혜자에 포함된다. 고용기관 은 직무에 요구되는 기능, 소질 요건에 따라 직접 인재양성의 단계와 표준을 설정할 수 있고, 전 과정 추 적, 실시간 선별, 향후 고용할 인재 격려 등을 실시하여 직전교육 시간 및 경비지출을 대대적으로 절약하 고 중장기 기획을 위한 인재 비축전략을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고용기관 및 전 체 산업시장과 밀접히 소통함으로써, 진정한 시장지향을 실현하고 인재양성의 기준구조를 최적화하며, 배출하는 인재의 시장적응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학교운영 수준을 안정적으로 제 고하여 견실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정리해 보면, 본 학원과 문화예술 기관 및 기업 협력은 인재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구체적인 협력내 용은 인재양성방안 공동제정, 실전훈련 프로젝트 공동개발 및 커리큘럼화 추진, 실전훈련 기지 공동 구 축, 학생자원 및 졸업생 취업문제 공동해결 등 5개 영역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122

.indd 122

2013-05-20

2:52:21


中国文化艺术教育政策优秀案例 - 云南文化艺术职业学院交流发言材料 欧阳俊虎

第一部分 中国文化艺术教育人力培养体系 一、一般概念、地区分布与组织结构 1. 一般介绍 (1) 概念 艺术职业学校是与普通学校相对的职业学校中的一种,旨在培养文化艺术人才的专门学校。 有中等艺术职业学校和高等艺术职业学院两个层次。每个层次均可同时开办多个文化艺术类 专业。 (2) 地区分布

全国共有艺术类中等职业学校和艺术类高等艺术院校1100多所。

(3) 组织结构 在宏观层面,有中等职业学校和高等艺术院校两个办学层次。艺术职业院校的组织机构设 置,一般设有校长1名,副校长若干名。学校通常实行校系(科)二级管理体制。高等学校 的人才培养单位称为“系”,中等职业学校的人才培养单位称为“科”。如戏剧系(科)、 舞蹈系(科)、音乐系(科)等,此外各校还设有教学管理、学生工作、人事管理、后勤服 务等部门,以保证学校工作的正常开展。

2. 课程构成 艺术职业学校的课程体系主要有四部分构成: 第一块为国家法定的政治课程; 第二块为公共基础文化课程,如英语、计算机、大学语文等; 第三块为专业基础课程,如基础乐理与视唱等; 第四块为专业核心课程(包括实训环节),如声腔、形体等课程。

123

.indd 123

2013-05-20

2:52:21


중국

3. 人才培养规格 由于文化艺术教育跨越了中专、专科、本科、研究生等多个层次,所以其规格呈多样化态势。 中专和专科人才的培养规格主要定位为实用型、技能型人才,本科人才培养的规格定位主要是 理论与实践有效统一的综合素质较高的人才;而研究生层次包括硕士研究生和博士研究生,培 养规格为有较高艺术鉴赏力和艺术创造力,以及较强的艺术理论研究能力的创新性人才。

二、其他文化艺术教育人才培养机构现状 从类型结构上看,除独立设置的艺术职业院校外,开展文化艺术教育人才培养工作的机构还有综 合性大学、普通本科院校和师范院校的二级学院。 从层次结构上看,存在着学术性艺术类研究生教育、本科艺术教育、高等艺术职业教育以及中等 艺术职业教育。 从投资主体上看,有政府主办的艺术院校,也有借助公立艺术类学校的民办独立学院。同时还有 为数众多的私人投资的各种社会文化艺术教育培训机构。

三、文化艺术教育人力资源管理情况 学校的人力资源管理实际由人事部门和基层教学单位、用人部门共同负责,其职责主要是教师及 管理、服务人员的选拔、聘任、辞退以及各类社会保险、福利等保障。 教育品质管理设有教学质量工程、教学评估,教学质量监控体系、教学督导等相关制度进行保 障。 非本校文化艺术教育人才的研修及再教育由专门负责职后教育的继续教育学院来完成。本校教师 等研修和继续教育一般由学校人事部门和教师所在系(科)共同负责。 宏观管理体制上,公立高等艺术职业学院一般由政府主管文化工作的部门负责管理,除此之外的 其他艺术院校则由政府的教育主管部门负责管理。

四、相关法律及制度介绍(依颁布时间顺序) 《中华人民共和国职业教育法》(1996年5月15日颁布,同年9月1日实行)肯定了职业教育在国家 教育事业中的地位,规定了职业教育的任务,公民的权利和政府的义务,实施职业教育的要求和配 套制度,明晰了职业教育体系,对职业教育的实施方法、保障条件等都做了规定,为各级各类职业 教育的开展提供了基本法律依据。 《中华人民共和国高等教育法》(1999年8月29日颁布,童年9月1日实行)对高等教育的办学方 针、任务,公民权利和政府义务,高等教育基本制度、高等学校的设立、高等学校的组织和活动, 高等学校的教师和群体教育工作者的任职资格和要求,高等学校学生的权益保障,高等教育投入和 条件保障等都做了规范。

124

.indd 124

2013-05-20

2:52:21


第二部分 云南文化艺术职业学院介绍

一、学院运营现状 (1) 设立背景 自1999年开始,伴随着《中华人民共和国高等教育法》的颁布实施,中国高等教育迈开了 扩招的步伐。在2002年发布的《国务院关于大力推进职业教育改革与发展的决定》(国发 〔2002〕16号)中,国家作出了大力推进职业教育发展的决定。为整合资源,培养出更多更 高层次的文化艺术类人才,在云南省文化厅主导下,原云南省艺术学校与云南电影学校,以 及云南省文化厅职工大学合并,成立了云南文化艺术职业学院,成为云南省唯一的公办高等 艺术职业学院。 (2) 主要沿革 云南文化艺术职业学院前身为始建于1956年的云南省艺术学校。2004年5月,经云南省人民 政府批准,云南省艺术学校与云南电影学校、原省文化厅职工大学合并办学,成立“云南文 化艺术职业学院”。办学层次从中等艺术职业教育提升为高等艺术职业教育。在五十多年的 办学历程中,学院培养了中国交响乐团首席指挥李心草等一大批优秀的艺术家,被誉为“红 土高原上艺术家的摇篮”。 (3) 组织机构 学院现有舞蹈系、戏剧系、音乐系、形体艺术系、传媒艺术系、综合艺术系,公共管理系以 及继续教育学院等8个院、系。另有教务处、艺术实验中心、科研处、图文信息中心4个教学 管理及辅助管理部门。设有学院办公室、招生就业处、人事处、计划财务处等行政管理部 门。在学院层面,有院长1名,副院长3名,院长助理2名。 (4) 预算结构 学院的经费预算主要来自三个方面:一是政府按照一定的生均标准并根据学生总人数所给予 的拨款。二是根据不同的专业标准收取的学生学费。三是其他收入。包括:争取政府支持、 投入的各类教育项目和补助;学院面向社会开展职业技能培训与职业技能鉴定、继续教育、 艺术培训等取得的收入;学院开展国际文化艺术培训与交流取得的收入等。

二、整体课程结构 学院所开设的课程主要分为公共必修课程、公共选修课程、专业基础课程、专业核心课程、专业选 修课程、综合实践课程、素质拓展课程7大模块.通过课程的学习,掌握必须的基础知识;经过特定 的实践训练,掌握基本技能;通过素质拓展课程,实现综合素质拓展与提升。

125

.indd 125

2013-05-20

2:52:21


중국

三、课程开设情况 按照“够用”、“实用”的高等职业教育课程设置原则,学院的课程设置兼顾专业技能所依托的基 本理论以及实际岗位的需要,按照“够用”原则设置基本理论课程。同时,按照“实用”原则,对 实际岗位的技能要求进行必要的分解并设置课程。譬如,舞蹈、戏剧、音乐、形体艺术这四个以表 演艺术类专业为主的系,公共基础课以“够用”原则来实施,共同开设的课程有《基础乐理》,专 业选修课则分别开设有《视唱练耳》、《文艺心理学》等。而对于希望毕业之后继续到本科院校学 习深造者,则根据学生的需要,提高其对文化、理论知识等掌握的能力。为满足实际岗位的技能要 求,通常在人才培养方案制订或修订的时候,会邀请用人单位的一线专家参加座谈。如在公共管理 系开设的文秘专业中同时考虑不同行业的文秘工作需要,适量增加秘书英语、旅游英语、茶艺等课 程。

四、合作项目案例 鉴于行业办学的特点,为了深化学院与各艺术院校、文艺院团、演艺公司、民间协会等社会团体的 合作与交流,建立长效机制为学院面向市场办学,培养实用人才,学院在云南省文化厅领导下,成 立了由70多家单位组成的云南文化艺术职业教育集团。近年来,在文化体制改革的推动下,学院与 公益性文化事业单位,以及转企改制后作为市场主体的文艺企业在人才培养方面进行了深入合作。 受益对象主要是热爱文化艺术的有志青年。通过与云南省歌舞剧院的合作培养舞蹈表演人才,我们 从云南省25个少数民族中实际选拔了53名非常优秀的舞蹈表演学习者,全部实行免费教育。同时, 学院与大理州歌舞剧院、曲靖市非物质文化遗产传承保护与展演中心、云南国联文化创意发展有限 公司开展订单式培养,以及自2013年9月份起,与云南省滇剧院、贵州省花灯团等合作也延续这一人 才培养机制。 当然这一人才培养机制的受益者还包括用人单位和作为人才培养单位的学院本身。用人单位可以亲 自根据所需岗位的技能、素质要求来设定人才培养的层次与规格,还可以全程跟踪、及时筛选、激 励将要选用的人才,既大大节约了岗前培训的时间和经费开支,也便于将中长期规划的人才储备战 略落到实处。而作为人才培养单位的学院本身,则通过这一机制实现了与用人单位乃至整个行业市 场的无缝对接,为真正面向市场,优化人才培养的规格结构、提高培养人才的市场适应性提供了最 大前提,也为学院稳步全面提升整体办学水平,奠定了坚实基础。 总而言之,学院与文化艺术机构和企业的合作主要内容聚焦于人才培养。可细分为:共同制订人才 培养方案、共同开发实训项目并努力实现课程化、合作共建实训基地,共同解决生源和毕业生就业 问题等5个方面。

126

.indd 126

2013-05-20

2:52:22


축하공연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을 축하하고 기념하며 한국, 중국, 일본은 같으면서도 다른, 고유의 문화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회화작품을 보더 라도, 한중일 모두에게 있어 산(山)과 수(水)는 삶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으나 한중일 삼국은 산과 물, 그 리고 그와 어우른 풍경을 각기 다른 개성으로 표현합니다. 오늘 ‘문화예술교육’으로 한중일 관계자들이 함께 만난 이 자리를 축하하며 소박하지만 의미 있는 공연을 준비했습니다. 중국 연주자가 중국 전통악기를 연주하며, 한국인 무용수가 일본 전통 춤을, 중국계 무용 수가 한국 전통춤을 공연합니다. 서로 순서를 넘겨주고 넘겨받으며 각 나라 고유의 문화를 존중하고, 한 중일 삼국이 함께하는 모습을 작품에 담았습니다. 유 용 현 LIU YONG SEAN Pexstret Dance Theater 예술감독 한국에술종합학교 대학원 재학 아리랑TV 아시아경연대회 ( 대상 ) 말레이시아 전통춤 금상 및 최우수무용수상 서울국제무용콩쿠르 금상 국립현대무용단 국내안무자 초청공연 국립극장 세계국립극장 페스티벌 개막 공연 안무 MOA- MUSIC OF ASIA 장단 단원 Indonesia , China , Malaysia , French , Korea 활동.

팽 려 영 (彭 麗 穎 / Peng li Ying) 중국 천진음악대학 민족음악과 졸업 한국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학과 (박사수료) AME <Asia Music Ensemble> 리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KBS국악관현악단 등 협연 중국건국61주년, 상해 엑스포, 이탈리아 밀란, 로마, 나폴리 그 외에 다수공연 및 각 방송, 드라마 출연 2010년- 21세기 한국음악프로젝트 장려상 입상 - (AME) 동방 청소년 예술 콩쿠르 쟁 연주 금상 입상

최서영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전문사 서울국제무용콩쿠르 진행팀 세계무형문화재초청시리즈 14 <불과 바람, 화합의 춤>진행팀 민족무용실습발표 지도 및 출연 세계무형문화재초청시리즈 15 <남국의 풍정, 류큐무용> 진행총괄 순조무자년 진작례 복원재현행사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행정조교 재직

127

.indd 127

2013-05-20

2:52:22


.indd 128

2013-05-20

2:52:22


참고자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제교류팀

129

.indd 129

2013-05-20

2:52:22


.indd 130

2013-05-20

2:52:22


참고자료

중·일 문화예술교육 개요 및 사례

중국 기본 방향

사회주의국가인 중국은 사회·경제적 이익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사회주의 문화건설을 기본 정책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회주의 문화시장의 육성을 통해 문화소비를 유도하 고 국민의 문화생활을 풍부하게 하며 중국의 전통을 세계에 전파함으로써, 세계 각국 유 수의 문화예술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문화산업의 전반적인 방향성을 ‘진흥’에 두고 민간자본 투자를 문화영역으 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문명’을 키워드로 서구적 문화기준점을 흡수, 문화수출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80년대 이후 중국은 물질 문명의 급성장에 상응하는 정신문명(문화)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정신문명 건설운 동’을 전개하였는데, 이에는 교육강화, 방송통제, 민족성강화 등을 통해 문화를 선진화 하 겠다는 의지가 내포되어 있었다.

1. 정부 주도형(Top-down) 문화정책 중국은 실질적으로 공산당 1당 독재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중국의 문화정책을 주도하 고 있는 곳은 공산당 집행부서인 ‘중앙선전부’이며, 문화부, 광파통신부, 신문출판총서 부, 문화재관리부 총 4개 산하조직을 각 지역에 파견한 강력한 탑-다운(Top-down) 방 식의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이데올로기 강화 차원의 문화 활용에 적 극적이다.

2. 문화 인프라 구축 중국은 현재 국민의 문화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문화예술 시설기반 정비 및 구축에 힘 을 쏟고 있다. 나이, 성별, 민족,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국민이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예술관, 문화센터 등의 하드웨어적인 인프라를 대 대적으로 건설하여 시설을 확장해 나가고 있을 뿐 아니라, 무형문화유산법안 심의, 문 화산업촉진법 및 대외문화교류조례 입법과 같은 문화예술 관련 법률체계 개선 등 소 프트웨어적 측면에서도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31

.indd 131

2013-05-20

2:52:22


3. 문화수출 중국은 또한 민족성 강화를 바탕으로 한 중국 전통문화의 세계화에도 집중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대외교류 간 교량역할을 할 인재를 키우기 위한 전통문화교육에 힘쓰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2008년 북경 올림픽, 2010년 상하이 엑스포와 같은 국가차원의 이벤트를 적극 개최하여 중국의 문화를 세계에 홍보했을 뿐 아니라, 중국 교육부가 세 계 각 나라의 대학과 협력하여 중국문화 및 중국어를 교육·전파하기 해외에 설립한 기 관인 ‘공자학원’의 규모 확대, 중국 국영 방송국인 ‘신화사’의 해외지사를 150개에서 200 개로 확대하는 등 중국문화의 세계전파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징

1. 전문 인력 육성 중국의 문화예술교육은 사회주의 문화예술 인재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교과 과정에 포함시키거나, 모든 국민이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도록 공공시설 시스템을 구축하여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측면도 있으 나, 그 보다는 전문 문화예술 인재육성에 더 집중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정 책흐름에 따라 대륙 내 중등 및 고등예술전문학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관에서 영재 발굴 및 전문 문화예술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 이념 강화를 위한 전통 교육 중국의 다민족 구성국가라는 특성 상 민족단결교육에 중점을 두지 않을 수 없다. 지금 까지는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한족의 문화 및 특성이 중국의 문화로서 인식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한 가지 문화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교과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민족의 문화, 생활습관 및 풍속 등을 교육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차이를 받아들이고 존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족 및 55개 소수민족의 문화·민족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민족단결을 통해 통일된 사회주의 국가 로서의 중국에 대한 애국심을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관련기관 및 사례

1. 공자학당 공자학원은 중국교육부 직속 사업기관으로서 세계 각 대학과 협력, 중국문화·중국어 의 교육 및 전파를 위해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중국은 공자학원을 통해 세계 각국과의 우호관계를 발전시키고 세계 각국 국민의 중국문화·중국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 는 한편, 각국의 중국어 학습자에게 편리하고 우수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그 목 적을 두고 있다. 전 세계 약 100여 개국 약 400개가 설립되어 있으며, 제1호 공자학원은 공자아카데미라 는 명칭으로 서울에 설립되었다. ‘공자’라는 명칭이 사용되나, 실제로 유교 교육은 하지 않는다.

132

.indd 132

2013-05-20

2:52:22


참고자료

2. 중국문화관 중국 각 지방정부가 지역주민에 문화, 여가활동 및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 립한 기관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각종 전시회, 행사, 공연, 교육 강 좌 및 노인 및 어린이 위한 특화된 문화교육 프로그램 제공, 주민이 직접 참가할 수 있 는 다양한 문화예술행사 개최, 무형문화유산을 수집, 정리 및 연구하여 전시·홍보활 동 및 계승행사 개최, 디지털 정보 서비스 구축, 그리고 전문 강사 양성 활동을 펼치고 있다. ○

광동 문화관 광동 문화관은 1956년 설립되어 문화예술 활동 및 교육사업, 공공문화서비스연구를 전 문으로 하며 연구부서, 기획부서, 상담 및 교육, 비물질 문화유산보호센터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주로 아동 및 노인층 대상 프로그램, 저소득층 아동 대상 미술교육 프로그 램, 민속 노래 대회, 미술·서예·사진 경연 대회, 민속 예술 경연대회, 청소년 미술 공 모전 등 개최, 문화관에서 수강한 지역 주민의 각종 대회 및 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 회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북경 서성구 문화관 1958년에 설립된 북경 서성구 문화관은 베이징 도시 서북부에 위치한 1200평의 대규 모 문화예술센터로 지역주민에게 문화예술 활동 및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행사 운영 을 위한 극장, 스튜디오, 회의, 대강당, 전시실과 수영장, 체육관, 컴퓨터실, 체스·카드 룸, 당구장 등의 부대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며, 중국 경극공연의 계승·발전을 위한 연 구를 진행하고 있다. 교육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문화관 소속 ‘예술교육학교’를 1991년 에 설립하여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민족예술, 악기, 서예, 미술, 태권도, 무용 등 30개 이상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하문 문화관 하문 문화관은 2007년에 설립되었으며, 리허설홀, 미술전시홀, 멀티미디어 전시홀 및 수업용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6~12세의 아동에게 댄스, 미술, 인형극, 오카리나 수업 을 제공하고 있으며, 50~75세의 노인층에는 민속음악, 민속무용, 건강댄스, 인형극, 오 카리나, 서예, 디지털 피아노, 합창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아동·노인 층 대상의 특화된 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주를 차지한다. 또한 2011년 4월 하문 청소년 중국 전통음악 예술 오케스트라를 설립하여 현재 60여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하문시 중요행사 및 해외공연에 초청받고 있다.

3. 중국 문화교육협회 (Chinese Cultural & Educational Association, CCEA) 중국 문화교육협회는 1968년 시카고에 설립되었으며, 타이완 정부 해외중국협의회 (Overseas Chinese Affairs Council)와 협력기관이다. 일리노이주 스코키(Skokie) 시에 첫 중국어 사설학교를 설립하였다. 중국문화, 중국철학, 중국어 수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중 국인을 포함한 미국 내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133

.indd 133

2013-05-20

2:52:22


수업 운영 어린이·청소년·성인반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 16개의 중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교재는 타이완 해외중국협의회에서 제작한 책을 사용하고 있다. 수업은 주판, 공예, 중 국전통무용, 동양화, 중국음악, 무술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업 외에도 시카고 스코 키 축제에 참가하거나, 시카고 어린이 박물관 및 시카고 도서관과 연계하여 박물관· 도서관 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4. 중국 문화교육센터 (Chinese Culture and Education Centre, CCEC) 중국 문화교육센터는 중국 허베이교육청(Department of Education of Hebei Province) 이 미 사우스캐롤라이나 교육청(South Carolina Education Department)과의 협력 하에 스파턴버그(Spartanburg)에 설립한 비영리기관으로써, 미국 중·고등학생에게 중국어, 중국 문화재, 중국 문화예술 관련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15개 이상의 미국 내 중· 고등학교와 협력하고 있으며, 국제 교사교류협회 ITES(International Teachers Exchange Services)를 통해 인증된 중국교사를 선발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

수업 운영 - 교과통합수업 제공 중국 문화교육센터는 지역 중·고등학교와 협력하여 통합교과과정으로 중국어나 중 국문화에 관한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다문화수업과 국제관련 수업과정에 중국 공연 예술, 의상, 음악 등 중국 문화예술 관련 수업을 연계하거나, 세계사·동양사 수업에 중국역사 수업을 연계하거나, 미술수업에 서예수업을, 중국 전통 축제와 다양한 이벤 트를 지역학교와 연계하는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교류프로그램 제공 단지 일방적으로 미국 중·고등학생에게 중국문화를 전파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학 생 역시 미국의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중국학생들에게 미 교과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하계 2~3주 과정의 단기과정부 터 신학기가 시작하는 10월부터 학년이 끝나는 다음해 5월까지 운영되는 장기과정까 지 있으며, 그 대상도 초등생부터 고등생까지 범위가 넓고 교과과정 외 방과 후 활동, 견학 기회, 홈스테이 등을 제공하고 있다.

기타 교과과정의 교류 뿐 아니라, 봄방학과 여름방학에 단기간으로 중국에서 중국문화·중 국어를 배울 수 있는 여름캠프를 제공하고 있으며, 협력학교 학생 중 선발하여 2~3주가 량 현지에 체류하며 중국 비즈니스를 직접 체험하며 그 환경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134

.indd 134

2013-05-20

2:52:22


참고자료

일본 기본 방향

일본은 문화예술이 국민의 풍부한 정신생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불가결한 요소이 며, 이는 곧 국민의 창조적인 경제활동의 원천이 된다는 기조로 문화예술 진흥을 국가정 책의 중심에 두고 새로운 문화예술의 부흥을 지향하고 있다. 특히 2001년 ‘문화예술진흥 기본법’이 제정된 이후, 문화정책은 중요한 주요 국가사업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본의 문화예술정책은 기본적으로 일본 문화예술의 계승, 발전 및 창 조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육성, 어린이 및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 활동 부흥, 국제문화교 류 활성화, 그리고 문화재 보존이라는 큰 틀 안에서 수립되고 있다.

동향

1. 활발한 민간주도 (Bottom-up) 사업 일본은 정부 주도적 ‘선언적 문화정책’보다는 ‘작은 정부, 큰 민간’의 모습을 띈다. 주변 식민지 국가에 대한 ‘문화말살정책’이 존재했던 역사적인 이유로, 일본은 정부주도로 문 화정책을 이끌어간다는 것에 거부감을 보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문화를 담당 하는 정부부처에 ‘문화부’라는 권력의 상위개념을 적용하지 않고 ‘문화청’이라는 명칭 하 에 어디까지나 문화 관련 시스템을 지원하는 역할을 유지하는 데에 머무르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정책’보다는 ‘행정’이라는 용어롤 선호한다. 정부주도형 사업일지라도 중앙정 부가 아닌 지자체별 자체시스템 하에서 운영되는 정책이 다수를 차지한다. 특히 자연재해를 겪으며 정부의 손이 닿기 어려운 사각지대에서의 문화 분야에서는 특 히 민간주도 활동에 힘을 싣고 있으며, 문화정책 관련 정부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심의회’ 라는 자문위원회를 적극 활용하여 민간의 전문적인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2. 문화수출 상업 문화에 강점을 갖고 있는 일본은 해외 유수 문화의 유입·흡수 활동에 적극적이 긴 하나, 그 보다 일본의 문화를 해외에 수출·홍보하는 사업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2011년에는 전문부서인 ‘쿨재팬Cool Japan실’을 신설, 신흥국 시장에 일본의 애니메이션, 만화, 음악, 가전제품, 의복 등을 수출하는 문화산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프 트 산업을 통해 2020년 1조원의 수익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2년에는 일본의 대외 홍보를 위해 외무성 내 ‘홍보 문화외교전략과’를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해외예술가의 일본 내 거주, 창작·제작 활동을 지원하는 ‘크리에이티 브 일본 발신’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대사관·문화관 주최 행사를 통해 국내외 문 화예술전문가 간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일본 문화를 홍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 일본 문화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135

.indd 135

2013-05-20

2:52:22


특징

1. 보편성 일본은 문화예술을 국민의 사회적 자산으로 인식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계승에 힘쓰며, 개인, 가정, 학교, 지역, 국가가 상호 연계하여 문화예술을 발전시키고자 한 다. 다시 말해, 일본은 국민 모두가 향유할 수 있는 문화예술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 이다. 특히 2012년 문화청 총예산 1조 원 중 1,600억 원을 아동·청소년 예술창작 활동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아동·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예술을 접하고 창조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에서는 주로 이와 같은 아동·청소년 대상의 문화예술교육을 ‘예술교육’으로, 지역사 회 시민대상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진흥’으로 구분한다.

2. 자발적인 전통계승 일본 문화청의 예산을 살펴보면, 주요항목 예산대비 문화재 보호(63.3%)에 드는 예산 비 율이 가장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일본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기대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전통 및 문화 관련 교육은 학교 교과과정에 포함되어 있거나, 특별활동 혹은 종합 학습시 간에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도쿄 교육위원회는 일반학교 내 교과과목으로 ‘일본의 전통·문화’를 개설하기도 하였다. 학생들이 전통교육을 받음으로써 일본 전통· 문화에 흥미와 자부심을 갖고, 이를 스스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주체적 자질 및 능력 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일본 전통·문화교육 내용 역시 바둑, 장기, 다도, 화도, 무도, 전통부채, 일본 민속악기, 민화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학생들은 일본의 정신문화를 배울 뿐 아니라 결국에는 해외에 이를 홍보할 수 있는 전통인재로 육성되는 것이다. 또한 국가 차원에서 무형문화재 및 문화재 보존기술 분야 종사자들이 안정적으로 생업에 종사하고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환경 역시 지원하고 있다.

3. 해외 문화의 일본화 일본 문화의 상당부분은 서구문화를 모방한 가치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다 양한 문화를 모방하여 혼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나, 종국에는 그것을 ‘일본화’ 시키는 특 징을 갖고 있다. 유입한 문화를 흡수하여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일본화시킨 새로운 문화를 바탕으로 그들만의 문화를 계승·발전시켜 나가는 동시에, 이 를 역으로 해외에 다시 전파하는 순환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136

.indd 136

2013-05-20

2:52:22


참고자료

관련기관 및 사례

1. ‘차세대를 짊어질 어린이들을 위한 문화예술 체험 사업’ 2002년부터 문화청의 예술문화과가 교육부와 연계하여 해당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 상으로 지역 예술단체·예술가들의 순회공연 및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기 중 학생들에게 현대공연예술 및 전통예술 프로그램을 2개 이상 체험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하고 있다. 2013년도 총 1,477회 공연, 2,612개 참가학교를 기준으로 지원 예산은 총 47억 8400만 엔이 책정되었고, 세부적인 진행비는 각 지역별 교육위원회 및 주최학교 와 협의하고 있다. 순회공연 사업

체험사업

일시

9월 ~ 다음해 3월

7월 ~ 다음해 2월

장소

학교 체육관 및 지역 문화시설

학교 체육관 및 지역 문화시설, 교실 등 학 교재량으로 수업분야에 따라 변동 가능

대상

구성

연계

초·중 ·고등학생 1) 공연 사전 워커숍 본 공연 전에 감상지도 및 실기 지도, 공연 연습 등 실시 2) 본공연 2시간여의 무대 예술 공연을 실시, 학생 들은 공연감상 및 공연 참여 가능 워크숍을 타 교과와 연계하거나 공연을 학교행사와 연계

강사

타 교과 및 특별활동과 연계

정부가 지정한 예술단체 및 예술가(분야별 홈페이지에 공개) ·창

분야

학교에 예술가를 파견, 문화예술을 체험하 는 교육 실시

·오케스트라 ·연극(현대극, 뮤지컬, 인형극 등) · 무용(발레, 현대 무용, 일본 무용, 신체 표현 등) · 전통 예능(가부키, 노가쿠, 닌교조루리, 일본 북, 가부키, 노가쿠, 닌교조루리) ※ 예술적 작품성이 뛰어나면서도 학생들 이 이해하기 쉬운 것으로 작품선정·

·음악(성악, 피아노, 현악기, 관악기 등) ·연극(현대극, 뮤지컬, 인형극 등) · 무용(발레, 현대 무용, 일본 무용, 신체 표현 등) ·대중 연예(만담, 야담, 나니 등) · 미술(조각, 일본화, 서양화, 판화, 서예, 사진 등) · 전통 예능(가부키, 노가쿠, 닌교조루리, 일본 북, 아악, 쟁, 샤미센) ·문학(하이쿠, 낭독 등) · 생활 문화(바둑, 장기, 꽃꽂이, 다도, 화 장 등) · 미디어 예술(미디어 아트, 영화, 애니메

137

.indd 137

2013-05-20

2:52:22


2. 일본 요코하마(横浜)시 ‘ST SPOT’ ST SPOT은 일본 요코하마(横浜)시에서 문화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예술교육을 통해 시민의 창의성을 이끌어 내기 위해 2008년 3월 설립한 비영리 법인단체이다. 예술가 가 학교로 찾아가는 수업을 통해 청소년에게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T SPOT은 임의단체로서 요코하마시, 시 교육위원회, 요코하마 예술문화재단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논의하고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ST SPOT 소속 예술강사 뿐 아니라, 요코하마 지역 내 비영리단체, 예술단체, 문화시설 소속강사들과 협력하여 예술교 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제공하는 프로그램 유형으로는 학생대상 워크숍, 학교교사 워크숍, 일반인 대상 심포지엄, 관계자 네트워킹이 있다. ST SPOT은 각 학교에서 고안한 프로그램 제안서를 ST SPOT에서 취합, 선정하여 요코 하마 시내 문화예술 관련 단체들에 분배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제작·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 제공 대상은 요코하마 시립 초·중·고등학교 및 특별 지원 학교 학생이며, 한 학교 당 한 개의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다. 현재 요코하마 시내 500여개 학교 중 연간 82 개교 이상이 ST SPOT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

수업 운영

수업에서는 악기수업(타악기, 신체타악기, 첼로, 금관악기), 음악감상(성악, 라틴음악, 가스펠, 오페라, 클래식, 전통음악), 미술수업(조각, 목탄, 조형), 무용·연극을 주로 다 룬다. -

체험형 프로그램 ST SPOT의 체험형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3일간 예술강사와 함께 체험 활동을 하는 프 로그램이다. 워크숍 형식으로 진행되며, 아이들의 잠재된 창의력을 끌어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2회로 구성되고 있으나, 2013년부터는 4~12일의 장기 프로그램 형식 도 고려하고 있다.

-

감상형 프로그램 감상형 프로그램은 말 그대로 참여자가 예술 강사들의 연주를 감상하거나 현재 활동 중인 예술가의 이야기를 들으며 문화예술에 대한 교양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하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일본 전통예술 감상을 통한 일본 전통문화 및 전통음악예술에 대 한 이해와 관심을 이끌어 내는 데 주목하고 있다.

3. 창의도시 만들기 일본 문화청 주도 ‘지역사회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 정책의 일부로서, 문화예술을 통해 도 시 이미지를 재생·발전시켜 주민들에 다양한 문화시설 및 환경을 제공해주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들은 공공단체들과 협의하여 지역문화 환경 조성에 직접 참여 하거나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일본 문화청은 매년 우수사례도시를 선정하며, 다른 지역과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역 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138

.indd 138

2013-05-20

2:52:22


참고자료

○ -

우수사례 일본 난토시, 후쿠노 마을 ‘스키야키 밋 더 월드’ 축제 일본 난토시의 후쿠노 마을에서는 ‘스키야키 밋 더 월드’라는 축제를 매년 개최한다. 마 을 주인이 직접 축제의 운영 및 참여를 이끌어 가는 독특한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제 목만큼이나 독특한 이 축제는 마을 내 자치적인 페스티벌 준비 위원회를 두고 있어, 위 원회에서 매년의 페스티벌 콘셉트와 초청 아티스트를 직접 정한다. 축제 운영도 음향 및 조명 등 전문 인력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스태프는 마을 주민이다. 하지만 더 주목 할 만 한 점은 페스티벌 내내 마을 주민들이 직접 일본 전통 음악과 춤 등 다양한 공연 을 펼친다는 점이다. ‘Sukiyaki Meets the World’라는 이름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1963년 일본 가수 사카 모토 큐坂本九가 ‘스키야키’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노래를 미국에 발표했는데, 놀랍게 도 이 곡이 당시 빌보드 차트에서 3주간 1위 자리에 머무르게 되었다고 한다. ‘스키야 키’를 통해 일본이 외국에 알려지게 되었다고 하여 축제 이름을 ‘스키야키 밋 더 월드’ 라 짓게 되었다고 한다.

139

.indd 139

2013-05-20

2:52:22


.indd 140

2013-05-20

2:52:22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