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버전]150325 2014학교문화예술교육실태조사

Page 1

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본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각 지역의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각급 학교의 협조로 추진되었습니다.


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4.1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학교 문화예술교육본부장 정책연구팀장 정책연구팀 정책연구팀

노준석 홍유진 김서연 이윤채

등록 KACES-1440-R007 ISBN : 978-89-6748-125-493370 문의 Tel. (02)6209-5954 Fax. (02)6209-1393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장현선 (주)장앤파트너스그룹 대표

공동연구자 윤혜란 (주)장앤파트너스그룹 이사

연구보조원 김보람 (주)장앤파트너스그룹 과장

(주) 장앤파트너스그룹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7

1. 조사 배경

9

2. 조사 필요성 및 목적

10

3. 학교 교육체계 이해

11

Ⅱ. 조사 방향 및 설계

19

1. 조사 방향

21

2. 조사 수행 체계

23

3. 조사 설계

24

4. 응답 현황

27

Ⅲ. 조사 결과

29

1. 교과군과 문화예술교육

31

2. 창의적체험활동과 문화예술교육

38

3. 동아리활동과 문화예술교육

44

4. 방과후학교와 문화예술교육

53

5. 기타 (현장학습 및 예술축제/예술특색사업 등)

62

참고문헌

73

목차|i


표 목차

[표 1] 학교 문화예술교육 선행연구 분석 ··························································································· 10 [표 2] 2014년 전국 학교수 및 학생수 ································································································ 11 [표 3] 2014년 지역별 학교수 ··············································································································· 12 [표 4] 2014년 지역별 학생수 ··············································································································· 13 [표 5]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 14 [표 6]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 15 [표 7]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 15 [표 8] 일반고ㆍ자율고ㆍ특수목적고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 16 [표 9] 특성화고ㆍ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 17

[표 10] 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의 ·········································································································· 21 [표 11] 2014년 기준 지역별 학교수 (단위 : 개교) ·········································································· 24 [표 12] 조사 항목 정리 ························································································································· 25 [표 13] 지역별 조사 대상 모집단 학교수, 응답 학교수, 응답률 ···················································· 27 [표 14] 초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 33 [표 15] 중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 34 [표 16] 고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 34 [표 17] 초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 36 [표 18] 중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 37 [표 19] 고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 37 [표 20]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 38 [표 21] 학교 급별 창의적체험활동 분야별 실제 운영 시수 ···························································· 39 [표 22] 학교 급별 창의적체험활동 분야별 실제 운영 시수 구성비 ··············································· 39 [표 23]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운영 지역별 초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분야 ·················· 42 [표 24]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운영 지역별 중학교의 문화예술교육분야 ······················ 42 [표 25]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운영 고등학교의 지역별 문화예술교육분야 ·················· 43 [표 26] 학교 동아리 유형 ······················································································································ 44 [표 27] 학교 특징별 1개교당 동아리 평균개수 및 지수 ·································································· 45 [표 28] 학교 특징별 학생 1명당 동아리 평균 개수 및 지수 ·························································· 46 [표 29] 학교 급별 1개교당 동아리 평균개수 및 지수 ····································································· 48 [표 30] 학교 급별에 따른 문화예술동아리수 비율 ············································································ 48 ii|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31] 학교 급별 1개교당 분야별 문화예술동아리 개수 ································································ 51 [표 32] 지역별 초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 51 [표 33] 지역별 중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 52 [표 34] 지역별 고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 52 [표 35] 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 ··················································································· 55 [표 36] 초등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 56 [표 37] 중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 56 [표 38] 고등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 57 [표 39] 지역별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 59 [표 40] 지역별 중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 59 [표 41] 지역별 고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 60 [표 42] 초등돌봄교실 운영 ···················································································································· 61 [표 43] 초등학교 특징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 63 [표 44] 중학교 특징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 63 [표 45] 고등학교 특징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 64 [표 46] 학교 급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현장학습 횟수 ·································································· 64 [표 47] 초등학교의 문화예술현장학습 방문 장소 ············································································ 66 [표 48] 중학교의 문화예술현장학습 방문 장소 ··············································································· 66 [표 49] 고등학교의 문화예술현장학습 방문 장소 ············································································ 67 [표 50] 초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 70 [표 51] 중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 70 [표 52] 고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 71

목차|iii


그림 목차 [그림 1] 학교 급별 교과(군)내 예술교과 시수 비율 ········································································· 18 [그림 2] 학교 문화예술교육 범주 및 체계 ························································································· 22 [그림 3] 조사 수행 체계 ························································································································ 23 [그림 4] 전체 조사 응답률 ···················································································································· 27 [그림 5] 학교 급별 조사 응답률 ·········································································································· 27 [그림 6]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교과(군) 영역 ········································································· 31 [그림 7] 학교 급별 음악교과수업내 국악시수 비율 ·········································································· 32 [그림 8] 학교 급별 체육교과수업내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 32 [그림 9] 음악교과내 국악시수 비율 및 체육교과내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학년별 변화 ······ 33 [그림 10] 학교 급별 음악교과수업 중 국악수업 운영 학교 비율 ··················································· 35 [그림 11] 학교 급별 체육교과수업 중 표현활동(무용)수업 운영 학교 비율 ································ 35 [그림 12] 예술교과 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수업 운영학교 비율 학년별 변화 ··························· 36 [그림 13]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 38 [그림 14] 학교 급별 창의적체험활동 실제 운영시수 ········································································ 39 [그림 15]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창의적특색활동 영역 ·························································· 40 [그림 16] 학교 급별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 운영학교 비율 ··········································· 40 [그림 17] 초등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 41 [그림 18] 중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 41 [그림 19] 고등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 41 [그림 20]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동아리활동 영역 ·································································· 44 [그림 21] 1개교당 동아리 평균 개수 ·································································································· 45 [그림 22] 학생 1명당 동아리 평균 개수 ···························································································· 45 [그림 23] 학교 급별 1개교당 동아리 종류별 평균 개수 ·································································· 46 [그림 24] 학교 급별 문화예술동아리운영 학교 비율 ········································································ 47 [그림 25] 학교 급별 전체 동아리수 및 문화예술동아리수 ······························································ 47 [그림 26] 학교 급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 48 [그림 27] 초등학교 동아리 종류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 49 [그림 28] 중학교 동아리 종류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 49 [그림 29] 고등학교 동아리 종류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 49 [그림 30] 초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 50

iv|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그림 31] 중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 50 [그림 32] 고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 50 [그림 33]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방과후학교 영역 ·································································· 53 [그림 34] 학교 급별 방과후학교 운영 비율 ······················································································· 53 [그림 35] 학교 급별 전체 방과후학교 참여학생 비율 ······································································ 54 [그림 36] 1개교당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 및 문화예술프로그램 수 ··········································· 54 [그림 37] 학교 급별 전체 동아리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수 비율 ················································· 55 [그림 38]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 58 [그림 39] 중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 58 [그림 40]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 58 [그림 41] 초등돌봄교실 운영 비율 ······································································································ 60 [그림 42] 초등돌봄교실 중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비율 ································································ 60 [그림 43]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기타 영역 ············································································· 62 [그림 44] 학교 급별 현장학습 운영학교 비율 ··················································································· 62 [그림 45] 학교 급별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비율 ·································································· 63 [그림 46] 1개교당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평균횟수 ························································ 64 [그림 47] 초등학교의 현장학습 방문 장소 ························································································· 65 [그림 48] 중학교의 현장학습 방문 장소 ····························································································· 65 [그림 49] 고등학교의 현장학습 방문 장소 ························································································· 65 [그림 50] 학교 급별 예술축제 운영학교 비율 ··················································································· 67 [그림 51] 학교 급별 예술특색사업 운영학교 비율 ············································································ 68 [그림 52] 학교 급별 예술특색사업 운영예산 유형 ············································································ 68 [그림 53] 초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 69 [그림 54] 중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 69 [그림 55] 고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 69 [그림 56] 학교 급별 특수학급에 따른 교과외 문화예술프로그램 보유율 ····································· 71

목차|v



I. 서론

1. 조사 배경 2. 조사 필요성 및 목적 3. 학교교육 체계 이해



I. 서론 1. 조사 배경 문화역량 강화를 통해 창의적 문화발전을 이루어내고 문화를 국가발전의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하여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부분에 대한 지표체계 및 기초통계자료 의

확보와

이를

통한

정책방안

마련이

필수적이다.

특히

증거에

기반한

정책

(evidence-based policy)을 형성하고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reliable information)이 필수적이다.1) 그간 국내에서도 국가승인 및 비승인 문화예술분야 통계조사를 많이 진행하고 있다. 그러 나 대부분 공연예술실태조사, 예술단체 실태조사 등 사회문화예술관련 통계에 그치고 있으 며, 학교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론 기존 학교교육 통계에 관한 연구가 있기는 하였으나, 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내 용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기에 부족하거나 2011년도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현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2014년도 기준 학교예술교육 현황을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 육 기초통계자료를 확보하고, 향후 정책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본 조사를 기 획하게 되었다. 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 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발간한 ‘2008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 및 수요조사 연구’ 및 ‘2010 문화예술교육 통계 조사 연구’가 직접적으 로 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통계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하였으며, 아래 분석 내용 또 한 두 조사를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다. 각 연구의 목적이 다르므로 조사 설계 및 내용이 상 이하나, 각 조사별 특징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2008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 및 수요조사 연구‘는 예술강사 수혜학교 및 비 수혜 학 교를 대상으로, 현재 프로그램 및 시수 등에 대한 질문 및 예술강사 수요에 대해 조사하였 다. 주로 실태보다 수요에 대한 비율이 높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교과과정 분류가 현재와 달라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운 상황이다. ‘2010년 문화예술교육 통계 조사 연구‘는 학교 뿐 아니라 사회 문화예술교육 분야까지 아우 르는 조사로, 교육실태 및 정책수요 등에 대해 골고루 질문하였다. 분류 체계 및 설문 문항을 검토해 본 결과, 많은 부분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다루고 있으나, 교육과정 개편 이전의 자료이 므로, 2014년도 현실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1) 문화예술통계 중장기 발전 실행방안 연구, 2011년 11월, 문화체육관광부 자료 참조 I. 서론 |9


[표 1] 학교 문화예술교육 선행연구 분석 2008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 및

구분

예술 강사 지원사업 활용 학교 및

조사 응답 수

예술 강사 학교 : 정확히 언급되지 않음

예술 강사 : 509명

전화조사

전화조사이므로, 설문 내용이 상대적

비교 분석

- 고등 231개

사회 : 408개 대면면접, FAX, 전화조사 및

온라인 조사 병행 실시 2009년 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되기

으로 간단

이전의 조사이므로 현재의 교육

심층적 내용 분석이 어려움 수혜학교 : 일반 현황 2문항, 실태 7문항,

현황과 다소 차이 있음

비 수혜학교 : 일반 현황 3문항, 예술강사 사

업 인식 여부 1문항, 수요 7문항

본 연구와

사회 : 전국 문화예술 단체 학교 : 총 1,200개 - 중등 327개

수요 6문항

범위

행정 담당자

- 초등 642개

학교 : 전국 학교 교육 담당자 또는

- 예술강사 비수혜 학교 500개 문화예술교육 담당자 5명

학교문화예술

- 예술강사 수혜 학교 미 언급

조사 특징

조사 내용

통계 조사 연구

미활용 학교

조사 대상

조사 방법

2010 문화예술교육

수요조사 연구

예술 강사 : 소득활동, 교육현황

국악/연극/영화/무용/만화 애니메이션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움

기본현황 4문항

학교 문화예술교육 시행현황 4문항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5문항

문화예술교육 정책 수요 3문항

디자인/무용/문학/미술/연극/영상/음악/전 통예술/종합

일부만 비교 가능

그 외, 직접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부분은 아니지만, 학교교육 체계 및 내용에 대한 통 계자료들이 존재하며, 이는 대부분 교육부에서 발간, 공시하는 교육통계관련 형태로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매년 발간하는 ‘교육통계백서’, ‘방과후학교 현황’ 등이며, 많은 내용을 담고 있지만, 문화예술관련 학교수업 내용을 전반적으로 포괄하고 있지는 않아 별도의 조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 조사 필요성 및 목적 앞서, 정책 수립을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바뀐 교육과정에 맞는 최신 통계자료를 확보해 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 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기초통계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조사를 추진하였다. 본 조사는 먼저, 본격적인 설문 개발에 앞서 학교 교육체계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어떤 형 태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하는 것이 1차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각종 문헌과 실제 학교현장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기로 하였다. 또한 사전 인터뷰를 통해 구조화한 설문

10|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을 통해, 각 교육영역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특히 문화예술교육 범위에 따라 가장 세밀한 분야까지 훑어 향후 문화예술분야별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 데이터 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중요 분석단위별 특징을 발견하고자 한다.

3. 학교 교육체계 이해 3.1 2014년 전국 학교수 ․ 학생수2) 한국의 학교 급별 구성은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 체계로 되어 있으며, 이 중 의무교육은 중학교까지이다.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원하고 있는 학교의 범위는 초ㆍ중ㆍ고에 한하며, 2014년도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발간한 ‘2014 교육통계연보’에 의한 2014년 전국 초ㆍ중ㆍ고 각급 학교 개황은 아래와 같다.

[표 2] 2014년 전국 학교수 및 학생수 구분 소계 초등학교 과정

초등학교 공민학교 소계

중학교 과정

중학교

학생수

개교

명 5,934

2,728,509

5,934

2,728,509

-

-

3,196

1,718,854

3,186

1,717,911

고등공민학교

4

117

방송통신중학교

6

826

소계

2,375

1,852,534

1,520

1,314,073

일반고등학교 고등학교 과정

학교수

특수목적고등학교

143

66,928

특성화고등학교

499

313,449

자율고등학교

164

144,922

고등기술학교

7

1,026

42

12,136

특수학교

166

25,317

각종학교

43

8,356

11,714

6,333,570

방송통신고등학교

총 계 ※ 기타학교 제외 ※ ‘각종학교’에는 대안학교 및 외국인학교가 포함

2) 2014 교육통계연보, 교육부ㆍ한국교육개발원, 2014 I. 서론 |11


[표 3] 2014년 지역별 학교수

구분

전체 개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ㆍ각종

개교

개교

개교

개교

서울

1,350

599

383

325

43

부산

639

305

171

147

16

대구

448

220

126

93

9

인천

511

242

133

125

11

광주

316

150

89

70

7

대전

304

143

89

64

8

울산

241

119

62

56

4

세종

47

26

13

8

-

경기

2,298

1,195

607

456

40

강원

643

351

162

123

7

충북

484

259

128

86

11

충남

717

405

186

119

7

전북

769

414

210

134

11

전남

831

424

249

150

8

경북

961

478

275

195

13

경남

966

493

269

193

11

제주

189

111

44

31

3

총 계

11,714

5,934

3,196

2,375

209

※ 기타학교 제외 ※ ‘각종학교’에는 대안학교 및 외국인학교가 포함

12|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4] 2014년 지역별 학생수

구분

전체 명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ㆍ각종 명

서울

1,075,360

457,517

286,826

323,093

7,924

부산

378,696

155,754

104,128

116,604

2,210

대구

322,285

131,765

89,506

99,386

1,628

인천

354,828

156,740

94,490

102,203

1,395

광주

222,909

93,163

61,844

66,235

1,667

대전

211,261

91,599

56,825

61,613

1,224

울산

156,912

65,810

42,150

48,276

676

세종

16,084

8,057

4,156

3,871

-

경기

1,632,885

732,307

440,257

454,169

6,152

강원

190,100

80,458

51,976

56,722

944

충북

201,789

86,508

54,970

58,446

1,865

충남

271,881

115,056

80,209

75,679

937

전북

244,146

101,860

67,184

73,817

1,285

전남

231,678

95,720

64,300

70,674

984

경북

312,300

131,307

85,118

93,175

2,700

경남

432,098

186,973

118,535

124,936

1,654

제주

85,376

37,915

23,380

23,653

428

총 계

6,333,570

2,728,509

1,718,854

1,852,534

33,673

※ 기타학교 제외 ※ ‘각종학교’에는 대안학교 및 외국인학교가 포함

3.2 학교 급별 교육과정 한국의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공통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부 터 3학년까지의 선택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 내용은 기본교과, 선택교과,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편성되어 있다.

3.2.1 초등학교 교육과정3) 초․중등학교는 공통 교육과정의 필수과목을 일괄적으로 가르치되, 학생별로 수준별 교육과정 을 운영하게 되어 있다. 교육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 총론’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는 교과(군)와 창의적체험활동으로 편성되어 있다. 3) 교육부 고시 제 2013-7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참조 I. 서론 |13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로 되어 있으며. 초등학교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통합교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창의적 체험 활동’은 자율 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진로 활동 4가지 영역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문화예술교육과 직접적 관련성을 갖는 교과는 예술(음악, 미술)이며, 급별 총 수업 시수 수와 비교해 보면 전체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15.9% 정도이다. 창의적 체험 활동 중에서는 주로 자율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고 있 다.

[표 5]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구

1~2학년

3~4학년

5~6학년

국어 448

408

408

272

272

272

272

204

340

204

204

272

272

즐거운 생활 384

136

204

창의적체험활동 시수

272

204

204

총 시수

1,680

1,972

2,176

국어 사회/도덕

수학 256

수학 교 과

과학/실과

바른 생활 128

(군)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슬기로운 생활 192

창의적 체험 활동 각 영역별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학생, 학급, 학년, 학교 및 지역사회의 특 성에 맞게 학교에서 선택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다. 교육 과정에 의하면, 각 학교는 4가 지 영역의 총 합산 최소 시수만을 규정하고 있으며, 영역별 시수 및 활동은 학교의 상황에 맞게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수업하고 있다.4)

4)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창의적체험활동 교육과정’ 자료 참조 14|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6]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영 역 자율활동

성 격 학교는 학생 중심의 자율적 활동을 추진하고, 학 - 적응 활동 - 행사 활동 생은 다양한 교육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학생은 자발적으로 집단 활동에 참여하여 협동하 - 학술 활동 동아리활동 는 태도를 기르고 각자의 취미와 특기를 신장한 - 스포츠 활동 - 청소년 단체 활동 등 다. 봉사활동

학생은 이웃과 지역사회를 위한 나눔과 배려의 - 교내 봉사활동 - 자연환경 보호 활동 활동을 실천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한다.

진로활동

학생은 자신의 흥미, 특기, 적성에 적합한 자기 - 자기 이해 활동 - 진로 계획 활동 계발 활동을 통하여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한다.

활 동 - 자치 활동 - 창의적 특색 활동 등 - 문화 예술 활동 - 실습 노작 활동 - 지역사회 봉사활동 - 캠페인 활동 등 - 진로 정보 탐색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등

3.2.2 중학교 교육과정5) 중학교 과정 또한 교과(군)와 창의적체험활동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3년간 총 3,366 시수를 수업하고 있다. 이 중 문화예술교육은 교과(군) 중 예술(음악/미술)과 창의적체험활동에서 진행 하게 되며, 예술 시수는 최소 시수를 의미, 수업을 축소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중학교 과정 특징 중 하나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개정된 교육과정으로 신설되었다는 점 이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창의적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으로 매학기 편성하게 되어 있다. [표 7] 중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구 분

교 과 (군)

1~3학년

국어

442

사회(역사 포함)/도덕

510

수학

374

과학/기술·가정

646

체육

272

예술(음악/미술)

272

영어

340

선택

204 창의적체험활동

306

총 수업시간 수

3,366

5) 교육부 고시 제 2013-7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참조 I. 서론 |15


3.2.3 고등학교 교육과정6) 고등학교 교육과정도 교과(군)와 창의적체험활동으로 편성되어 있다. 2010년 6월, 고등학교 유형이 개편되어 2011년 이전에는 일반계고, 전문계고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2012년 이후에는 일반고, 특성화고, 특수목적고, 자율고 4개로 구분되었으며, 이에 따른 교육과정 또한 각각 다르 게 운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고와 자율고, 특수목적고는 교과(군)에 예술(음악/미술)이 편 성되어 있으며, 일반고는 3년간 예술과목으로 10단위를 필수로, 자율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는 5단위만을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한국 현실 상 입시 위주로 학교 교육이 집중되면서, 예술 비 율은 약 2~5%로 줄어드는 것이 현실이다. 다만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다양한 문화예술 동아리 활동을 진행하면서 부족한 문화예술교육 부분을 채워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 8] 일반고ㆍ자율고ㆍ특수목적고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구분

교과영역

교과(군)

필수 이수 단위

국어

10

수학

10

영어

10

사회(역사/도덕 포함)

10

과학

10

체육

10

예술(음악/미술)

10 (5)

기초

탐구

과 (군)

체육·예술

생활·교양

기술·가정/제2외국어/

16

한문/교양

(12)

소 계

학교 자율 과정

학생의 적성과 진로를 고려하여 편성

86(77)

94(103)

창의적체험활동

24(408시간)

총 이수 단위

204

6) 교육부 고시 제 2013-7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참조 16|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9] 특성화고ㆍ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 배당 구분

교과 영역

교과(군)

필수 이수 단위

학교 자율 과정

국어 기초

수학

25

영어 사회(역사/도덕 포함)

탐구 교 과

과학

보통 교과

체육·예술

15

체육

10

예술(음악/미술)

5

(군)

학생의 적성·진로와 산업계 수요를 고려하여 편성

기술·가정/ 제2외국어/

생활·교양

(29) 10

한문/교양 소 계 전문

농생명 산업, 공업, 상업 정보,

교과

수산·해운, 가사·실업 등

65 86

창의적체험활동

24(408시간)

총 이수 단위

204

3.2.4 교과(군)에서 문화예술교육 비율 비교 창의적체험활동은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 관련 절대적인 시수 비교가 어려워 교과(군)만 비교해 보았다. 비교를 위하여 전체 교과(군) 수업 중 예술교과 에 해당하는 체육과 예술(음악/미술)을 예술교과로 간주하고 해당 시수의 비율을 전체 교과(군) 수업 시수 비율로 계산하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전체 수업 중 약 15.9%의 수업이 체육과 예술(음악/미술)교과에 할당하고 있으며, 중학교는 8.1%, 일반고등학교는 5%, 자율고ㆍ특목고ㆍ특성화고는 2.5%에 해당되어 학 년이 올라갈수록 예술교과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현실이다. 대입제도라는 현실 속 에서 교과(군)내에서만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 서론 |17


예술교과 시수 비율(%)

예술교과 이외 시수 비율(%)

15.9

초등학교

84.1

8.1

91.9

5

95

자율ㆍ특목ㆍ특성화고등학교 2.5

97.5

중학교

일반고등학교

[그림 1] 학교 급별 교과(군)내 예술교과 시수 비율 ※ 예술교과 시수 비율 : 전체 총 수업시간 중 예술교과 시간의 비율을 의미

18|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II. 조사 방향 및 설계

1. 조사 방향 2.조사 수행 체계 3. 조사 설계 4. 응답 현황



II. 조사 방향 및 설계 1. 조사 방향 1.1 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의 ‘문화예술교육지원법’에 의하면,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미술 포함), 음악, 무용, 연 극, 영화, 연예, 국악, 사진, 건축, 어문 및 출판을 말한다.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 내 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으로서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사회 문 화예술교육으로 구분된다고 일반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는 학교에서 실행하고 있는 문화예술 분야(장르)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표 10] 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의 분야

세부 분야

국악

사물놀이, 타악, 현악, 관악, 판소리, 민요, 시조 등

공예

금속 공예, 도예, 비즈공예, 클레이, 종이접기 등

영화

영화 제작, 동영상 제작, UCC 제작, 비디오아트, 방송, 광고, 영화감상 등

무용

전통 무용, 연희, 발레, 방송댄스, 힙합, 댄스체조, 라틴체조 등

만화/애니메이션

만화창작, 만화감상, 애니메이션 등

문학

글짓기, 독서토론, 평론 등

사진

사진, 사진기자 등

연극

연극, 인형극, 아동극, 영어연극 등

음악

오케스트라, 목관, 금관, 현악, 기타, 타악, 밴드, 오카리나, 리코더, 하모니카, 난타 합창, 오페라, 대중음악, 보컬, 동요, 뮤지컬 등

디자인

북아트, POP, 패션디자인, 컴/웹 디자인, 건축 디자인 등

미술

서양화, 동양화, 드로잉/스케치, 벽화, 판화, 조소, 조각, 미술감상, 전시관람, 서예 등

기타

융합 예술 등

1.2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정의 초ㆍ중ㆍ고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교육부에서 고시 하는 「교육과정총론」 등 여러 문헌을 분석하였고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초ㆍ중ㆍ고 교사 인터뷰를 진행하여 전체적인 체계를 구조화해 보았다. 앞서 교과과정을 살펴보았을 때,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은 크게 교과(군)

II. 조사 방향 및 설계 |21


와 창의적 체험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교육은 동아리활동, 방과후 학교, 초등돌봄교실 등이 있었다. 본 조사에서는 학생들이 학교 이외의 시설에서 개별적으 로 받는 문화예술교육이나, 청소년문화시설 등 외부 시설 이용 상황은 제외하고 학교 내에 서 이루어지는 교육만으로 한정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하였을 때,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 및 교육방향에 따라 교육과정 구분을 다 양한 기준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공식적으로는 창의적체험활동 시수에 할당 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교과수업과 연동해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거나 동아리 활동 구분도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는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대체로 대부분의 학교 문화예술 수업 은 [그림 3]의 범위에 포함되고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교과(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업은 음악/미술/체육(무용)에 한하였으며, 예술 고등학교 등 특수한 학교에서 진행하는 전문교과 내 문화예술교육은 포함하지 않았다. 인터뷰 결과,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는 주로 자율활동, 특히 창의적 특색 활동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 하는 학교가 많아 이를 포함하였으며, 동아리 활동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문을 구성하였다.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교육은 토요동아리, 자율동아리(시수에는 포함되지 않고,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결성, 운영하는 동아리)와, 방과후학교에 대한 질문을 구성하였다. 그 외, 학교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시설과, 외부지원 등에 관한 질문을 추가하여 질문을 완성하였다.

[그림 2] 학교 문화예술교육 범주 및 체계

22|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2. 조사 수행 체계 본 조사를 위해

먼저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선행자료 및 학교교육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각종 인터넷 조사를 병행하였다. 또한 실제 초ㆍ중ㆍ고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인터뷰하여,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를 이해하였으며, 이에 따른 설문을 최종 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온라인이지만, 먼저 지방교육청 협조를 얻어 각 학교에 공문을 통해 먼저 설문내용을 사전 배포, 담당교사가 충분히 내용을 숙지하도록 고지하였 다. 또한 사전 설문을 배포하여 실제 조사 수행 전, 교사들의 건의사항을 받아 최종 설문으 로 작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림 3] 조사 수행 체계

II. 조사 방향 및 설계 |23


3. 조사 설계 3.1 모집단 본 조사에서는 2014년도 교육부 협조를 통해 얻은 2014년 학교 리스트를 활용하여, 전국 초ㆍ중ㆍ고/특수각종학교 전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총 모집단은 11,714개교가 되며, 세부 모집단 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11] 2014년 기준 지역별 학교수 (단위 : 개교)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각종학교

서울

599

383

325

43

1,350

부산

305

171

147

16

639

대구

220

126

93

9

448

인천

242

133

125

11

511

광주

150

89

70

7

316

대전

143

89

64

8

304

울산

119

62

56

4

241

세종

26

13

8

-

47

경기

1,195

607

456

40

2,298

강원

351

162

123

7

643

충북

259

128

86

11

484

충남

405

186

119

7

717

전북

414

210

134

11

769

전남

424

249

150

8

831

경북

478

275

195

13

961

경남

493

269

193

11

966

제주

111

44

31

3

189

5,934

3,196

2,375

209

11,714

3.2 자료 수집 기간 : 2014년 10월 13일 ~ 11월 7일 (4주간) 3.3 자료 수집 방법 : 온라인 조사를 기초로, 팩스, 전화조사 병행

24|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3.4 조사 항목 본 조사에서는 조사 항목에 따라 자료의 시점을 다르게 구성하였다. 2014년도 조사임을 감안, 최대한 2014년도 1년간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문항에 따라 1학기 또는 2학기만을 기준 으로 하였다. •2014년 1년 기준 : 교과 내 시수 비율, 예술축제, 외부지원사업, 예산 및 시설 등 학기 초 에 정해져 운영되는 활동은 2014년 1년 동안의 자료를 입력하도록 하였다. 단 창의적체험활동 시수는 2014년 기준으로 하되, 1년 시수가 아닌 전체 총 시수를 입력하도록 요청하였다. •2014년 1학기 기준 :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은 외부 및 내부 상황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집계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실제 진행하였던 1학기만을 기준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2014년 2학기 기준 : 창의적특색활동 및 동아리활동 등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지속적으 로 운영하고 있는 활동은 2학기를 기준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2014년 4월 기준 : 방과후학교는 본 조사를 위한 별도의 집계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자 교육부에서 매년 4월에 진행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조사 자료를 활용하도록 요청하였다.

II. 조사 방향 및 설계 |25


[표 12] 조사 항목 정리 구 분

시점

교과(군) 예술교육 운영 현황

교 육 과 정 내 문 화 예 술 교 육

창 의 적 체 험 활 동 및

교 육 과 정 외 문 화 예 술 교 육

문 화 예 술 교 육 이 외

창 의 적 체 험 활 동 과 의 연 계 활 동

‘14년

창의적체험활동

‘14년

창의적특색활동

‘14년 2학기

현장학습

‘14년 1학기

예술축제 및 예술특색사업

동아리

토요동아리 자율동아리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14년

‘14년 2학기

‘14년 2학기

‘14년 4월

‘14년

문화예술관련 외부지원사업

‘14년

예산 및 시설

‘14년

문화예술교육 진흥 관련 의견

특수학급

‘14년 4월

26|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조사 내용

해당 교급 초

특수

음악교과내 국악시수 비율(%)

체육교과내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스포츠클럽활동내 표현활동(무용)의 교과군 연계 시수 비율(%)

예술교과 기본수업 시수

예술교과 선택수업 시수 창의적체험활동 시수 (자율ㆍ동아리ㆍ봉사ㆍ진로) - 모든 학년 시수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분야 및 운영시수

전체 현장학습 횟수 및 문화예술교육 현장학습 횟수, 현장학습 방문 장소

학교 예술축제 운영 여부

학교별 예술특색사업 운영 여부

학교별 예술특색사업 형태 (외부지원, 자체)

창의적체험활동내 동아리 이동수업 시작 학년

전체 학교동아리 수 동아리종류별 동아리 수 (창체ㆍ토요ㆍ자율)

학교 예술동아리 분야 및 개수

학교 예술동아리 종류별 수 (창체ㆍ토요ㆍ자율) 동아리별 가입 학생 수

학교 예술동아리 종류(창의적체험활동 동아리, 토요동아리, 창의적체험활동 외 자율동아리) 및 동아리별 가입 학생 수

방과후학교 운영 여부

방과후학교 순 신청자

방과후학교 총 프로그램 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 및 개수

초등돌봄교실 운영 여부

초등돌봄교실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문화예술교육 관련 외부지원사업 유무 및 개수 (외부지원사업명, 지원처)

학교 전체예산, 예술관련 학교예산, 예술교육 관련 기업기부금, 기업명

문화예술교육 보유 시설 현황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청 유무, 미신청 이유, 중단이유, 신청이유, 신규분야 제안

학교, 학교 이외의 지역문화시설과 연계활동을 위해 학교·교사에게 지원되었으면 하는 사항

특수학급 및 순환학급 유무

특수학급 종일반 운영 여부

특수학급 및 순환학급 교과수업 이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여부


4. 응답 현황 조사 결과, 조사 대상 학교 총 11,714개 학교 중, 7,984개 학교가 응답하여 68.2%의 학교가 본 조사에 참여했다. 가장 참여율이 높은 학교 급별은 초등학교였으며 다음은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ㆍ각종ㆍ기타 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학교(%)

미응답학교(%)

31.8

68.2

[그림 4] 전체 조사 응답률

학교 급별 조사 응답률(%)

71.4

68

62.1 46.9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ㆍ각종ㆍ기타학교

[그림 5] 학교 급별 조사 응답률

II. 조사 방향 및 설계 |27


[표 13] 지역별 조사 대상 모집단 학교수, 응답 학교수, 응답률 초등학교 구분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ㆍ각종ㆍ기타학교

모집단

응답 학교

응답률

모집단

응답 학교

응답률

모집단

응답 학교

응답률

모집단

응답 학교

응답률

개교

개교

%

개교

개교

%

개교

개교

%

개교

개교

%

서울

599

449

75.0

383

301

78.6

325

240

73.8

43

22

51.2

부산

305

265

86.9

171

153

89.5

147

96

65.3

16

13

81.3

대구

220

197

89.5

126

106

84.1

93

78

83.9

9

9

100.0

인천

242

207

85.5

133

105

78.9

125

93

74.4

11

6

54.5

광주

150

108

72.0

89

56

62.9

70

37

52.9

7

3

42.9

대전

143

44

30.8

89

28

31.5

64

8

12.5

8

-

-

울산

119

92

77.3

62

51

82.3

56

39

69.6

4

4

100.0

세종

26

21

70.0

13

10

76.9

8

6

75.0

-

-

경기

1,195

744

62.3

607

356

58.6

456

245

53.7

40

3

7.5

강원

351

241

68.7

162

83

51.2

123

57

46.3

7

7

100.0

충북

259

198

76.4

128

89

69.5

86

55

64.0

11

3

27.3

충남

405

229

56.5

186

109

58.6

119

72

60.5

7

2

28.6

전북

414

266

64.3

210

95

45.2

134

53

39.6

11

5

45.5

전남

424

334

78.8

249

198

79.5

150

106

70.7

8

5

62.5

경북

478

351

73.4

275

191

69.5

195

133

68.2

13

7

53.8

경남

493

389

78.9

269

211

78.4

193

137

71.0

11

8

72.7

제주

111

102

91.9

44

32

72.7

31

21

67.7

3

1

33.3

총계

5,934

4,237

71.4

3,196

2,174

68.0

2,375

1,476

62.1

209

98

46.9

28|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


III. 조사 결과

1. 교과(군)과 문화예술교육 2. 창의적체험활동과 문화예술교육 3. 동아리활동과 문화예술교육 4. 방과후학교와 문화예술교육 5. 기타 (현장학습, 예술축제/예술특색사업 등) 6. 학교 문화예술교육 관련 외부지원사업 7.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및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III. 조사 결과 1. 교과(군)과 문화예술교육 1.1 교과(군) : 국악, 표현활동(무용) 문화예술교육

[그림 6]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교과(군) 영역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군) 내 문화예술교육은 음악과 미술이 해당되며, 시수와 내 용이 대부분 규정되어 있다. 단, 교과(군) 중 전문교과는 고등학교에서만 적용하고 있으나, 범위와 운영형태가 다양하여 본 조사에서는 제외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2014년 기준으로 음악교과수업 중 국악 시수 비율에 대한 질문과 문화예술교육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예외적으로 체육교과수업 중 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2가지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또한 실제로 진행했던 운영 시수를 기준으로 응답하도록 요청하였다.

III. 조사 결과 |31


1.1.1 학교 급별 교과(군)내 예술교과 시수 비율

국악시수 비율(%)

29.3

초등음악교과

70.7

17.2

중등음악교과

고등음악교과

국악 이외 음악교과시수 비율(%)

82.8

9.1

90.9

[그림 7] 학교 급별 음악교과수업내 국악시수 비율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16.5

초등체육교과

중등체육교과

고등체육교과

표현활동(무용)이외 체육교과시수 비율(%)

8.9

83.5

91.1

5.4

94.6

[그림 8] 학교 급별 체육교과수업내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32|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음악교과수업 중 국악시수 비율(%)

26.8

30.7

29

체육교과수업 중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30.1 22.7

16.6

16.7

16.4

21.1

16

15.7 9.8

9.1

7.9

15.4 6.5

8.2 4.8

3.6 2.6

초3

초4

초5

초6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그림 9] 음악교과내 국악시수 비율 및 체육교과내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학년별 변화

1.1.2 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예술교과 시수 비율

[표 14] 초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음악교과 표현활동

표현활동

(무용)

(무용)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국악

국악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

%

%

%

%

%

n=4,237

29.3

70.7

100.0

16.5

83.5

100.0

광역시

n=1,274

29.0

71.0

100.0

16.7

83.3

100.0

중소도시

n=1,228

28.9

71.1

100.0

16.5

83.5

100.0

읍면지역

n=1,484

30.1

69.9

100.0

16.5

83.5

100.0

도서지역

n=251

27.8

72.2

100.0

16.4

83.6

100.0

구 분

초등학교 전체

지역별

체육교과 계

※ Base : 전체 응답 초등학교 기준 (n=4,237)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33


[표 15] 중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음악교과 국악

구 분

시수

국악이 외

시수

표현활동

표현활동

(무용)

(무용)외

시수

시수

스포츠클럽활동 표현활동

표현활동

(무용)

(무용)외

시수

시수

%

%

%

%

%

%

시수

시수

%

n=2,174

17.2

82.8

100.0

8.9

91.1

100.0

7.7

92.3

100.0

광역시

n=761

18.0

82.0

100.0

9.4

90.6

100.0

9.9

90.1

100.0

중소도시

n=633

17.3

82.7

100.0

9.0

91.0

100.0

7.1

92.9

100.0

읍면지역

n=688

16.5

83.5

100.0

8.6

91.4

100.0

6.1

93.9

100.0

도서지역

n=92

15.2

84.8

100.0

7.2

92.8

100.0

4.5

95.5

100.0

공학

n=1,647

17.1

82.9

100.0

8.7

91.3

100.0

7.8

92.2

100.0

남중

n=277

15.3

83.7

100.0

5.0

95.0

100.0

2.4

97.6

100.0

여중

n=250

19.6

80.4

100.0

14.4

85.6

100.0

12.4

97.6

100.0

중학교 전체

지역별

체육교과

성별

※ Base : 전체 응답 고등학교 기준 (n=2,174)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16] 고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음악교과 구 분

지역별

성별

국악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

%

표현활동

(무용)

(무용)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

%

%

%

n=1,476

9.1

90.9

100.0

5.3

94.7

100.0

일반고

n=951

9.7

90.3

100.0

5.6

94.4

100.0

자율고

n=107

9.4

90.6

100.0

5.0

95.0

100.0

고등학교 전체

설립목적별

국악

체육교과 표현활동

특목고

n=87

9.1

90.9

100.0

5.6

94.4

100.0

특성화고

n=331

7.3

92.7

100.0

4.7

95.3

100.0

광역시

n=562

9.1

90.9

100.0

6.5

93.5

100.0

중소도시

n=492

9.4

90.6

100.0

5.1

94.9

100.0

읍면지역

n=384

8.7

91.3

100.0

4.3

95.7

100.0

도서지역

n=38

8.4

91.6

100.0

3.3

96.7

100.0

공학

n=918

9.4

90.6

100.0

4.4

95.6

100.0

남고

n=261

8.4

91.6

100.0

1.6

98.4

100.0

여고

n=297

8.8

91.2

100.0

11.5

88.5

100.0

※ Base : 전체 응답 고등학교 기준 (n=1,476)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34|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1.1.3 학교 급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수업 운영학교 비율

국악수업 있는 학교비율(%)

국악수업 없는 학교 비율(%)

96.2

초등학교 (n=4,237)

3.8

85.9

중학교 (n=2,174)

14.1

72.2

고등학교 (n=1,476)

27.8

[그림 10] 학교 급별 음악교과수업 중 국악수업 운영 학교 비율

표현활동(무용)수업 있는 학교비율(%)

93.7

초등학교 (n=4,237)

6.3

60.5

중학교 (n=2,174)

고등학교 (n=1,476)

표현활동(무용)수업 없는 학교 비율(%)

35.2

39.5 64.8

[그림 11] 학교 급별 체육교과수업 중 표현활동(무용)수업 운영 학교 비율

III. 조사 결과 |35


국악수업 없는 학교비율(%)

표현활동(무용)수업 없는 학교비율(%)

64.4

64.3

64.1

69.7

76.4

85.8 83.3

63.8 43.7 7.8 5.4 초3

1.5

7.8

1.6

초4

0.8 초5

1.6 0.8 초6

25.7

18.6 중1

중2

중3

34.5

고1

고2

고3

[그림 12] 예술교과 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수업 운영학교 비율 학년별 변화

1.1.4 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수업 운영학교 비율

[표 17] 초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음악교과 구 분

초등학교 전체

지역별

국악

국악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체육교과 계

표현활동

표현활동

(무용)

(무용)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

%

%

%

%

%

n=4,237

29.3

70.7

100.0

16.5

83.5

100.0

광역시

n=1,274

29.0

71.0

100.0

16.7

83.3

100.0

중소도시

n=1,228

28.9

71.1

100.0

16.5

83.5

100.0

읍면지역

n=1,484

30.1

69.9

100.0

16.5

83.5

100.0

도서지역

n=251

27.8

72.2

100.0

16.4

83.6

100.0

※ Base : 전체 응답 초등학교 기준 (n=4,237)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36|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18] 중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음악교과 국악

구 분

시수

국악이 외

시수

표현활동

표현활동

(무용)

(무용)외

시수

시수

스포츠클럽활동 표현활동

표현활동

(무용)

(무용)외

시수

시수

%

%

%

%

%

%

시수

시수

%

n=2,174

17.2

82.8

100.0

8.9

91.1

100.0

7.7

92.3

100.0

광역시

n=761

18.0

82.0

100.0

9.4

90.6

100.0

9.9

90.1

100.0

중소도시

n=633

17.3

82.7

100.0

9.0

91.0

100.0

7.1

92.9

100.0

읍면지역

n=688

16.5

83.5

100.0

8.6

91.4

100.0

6.1

93.9

100.0

도서지역

n=92

15.2

84.8

100.0

7.2

92.8

100.0

4.5

95.5

100.0

공학

n=1,647

17.1

82.9

100.0

8.7

91.3

100.0

7.8

92.2

100.0

남중

n=277

15.3

83.7

100.0

5.0

95.0

100.0

2.4

97.6

100.0

여중

n=250

19.6

80.4

100.0

14.4

85.6

100.0

12.4

97.6

100.0

중학교 전체

지역별

체육교과

성별

※ Base : 전체 응답 고등학교 기준 (n=2,174)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19] 고등학교 특징별 교과(군)내 국악ㆍ표현활동(무용) 시수 비율 음악교과 구 분

지역별

성별

국악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

%

표현활동

(무용)

(무용)이외

시수비율

시수비율

%

%

%

%

n=1,476

9.1

90.9

100.0

5.3

94.7

100.0

일반고

n=951

9.7

90.3

100.0

5.6

94.4

100.0

자율고

n=107

9.4

90.6

100.0

5.0

95.0

100.0

고등학교 전체

설립목적별

국악

체육교과 표현활동

특목고

n=87

9.1

90.9

100.0

5.6

94.4

100.0

특성화고

n=331

7.3

92.7

100.0

4.7

95.3

100.0

광역시

n=562

9.1

90.9

100.0

6.5

93.5

100.0

중소도시

n=492

9.4

90.6

100.0

5.1

94.9

100.0

읍면지역

n=384

8.7

91.3

100.0

4.3

95.7

100.0

도서지역

n=38

8.4

91.6

100.0

3.3

96.7

100.0

공학

n=918

9.4

90.6

100.0

4.4

95.6

100.0

남고

n=261

8.4

91.6

100.0

1.6

98.4

100.0

여고

n=297

8.8

91.2

100.0

11.5

88.5

100.0

※ Base : 전체 응답 고등학교 기준 (n=1,476)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37


2. 창의적체험활동과 문화예술교육

[그림 13]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창의적체험활동7)은 교과 이외의 활동으로서 교과와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으며, 앎을 적 극적으로 실천하고 나눔과 배려를 할 줄 아는 창의성과 인성을 겸비한 미래지향적 인재 양 성을 목적으로 한다. 창의적체험활동은 기본적으로 자율성에 바탕을 둔 집단 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집단에 소속된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도 아울러 고양하려는 교육적 노력을 포함한다. [표 20]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영 역 자율활동

성 격 학교는 학생 중심의 자율적 활동을 추진하고, 학 - 적응 활동 - 행사 활동 생은 다양한 교육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학생은 자발적으로 집단 활동에 참여하여 협동하 - 학술 활동 동아리활동 는 태도를 기르고 각자의 취미와 특기를 신장한 - 스포츠 활동 - 청소년 단체 활동 등 다.

7)

봉사활동

학생은 이웃과 지역사회를 위한 나눔과 배려의 - 교내 봉사활동 - 자연환경 보호 활동 활동을 실천하고, 자연환경을 보존한다.

진로활동

학생은 자신의 흥미, 특기, 적성에 적합한 자기 - 자기 이해 활동 - 진로 계획 활동 계발 활동을 통하여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한다.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 361호, 창의적체험활동 교육과정 내용 참조

38|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활 동 - 자치 활동 - 창의적 특색 활동 등 - 문화 예술 활동 - 실습 노작 활동 - 지역사회 봉사활동 - 캠페인 활동 등 - 진로 정보 탐색 활동 - 진로 체험 활동 등


2.1 창의적체험활동 시수 및 분야별 구성비 2.1.1 창의적체험활동 시수 무응답학교 제외한 전체 학교 대상

필수이수 시수(교육부 지정) 680

실제 운영 시수

694

306

초등학교 (n=3,975)

408

366

중학교 (n=1,582)

408

고등학교 (n=1,264)

[그림 14] 학교 급별 창의적체험활동 실제 운영시수

2.1.1 창의적체험활동 분야별 시수 및 구성비

[표 21] 학교 급별 창의적체험활동 분야별 실제 운영 시수 무응답 제외한 전체 학교 대상

실제 운영 시수

구 분

총계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초등학교

n=3,975

694

467

132

43

52

중학교

n=1,582

366

125

141

32

70

고등학교

n=1,264

408

165

103

48

92

[표 22] 학교 급별 창의적체험활동 분야별 실제 운영 시수 구성비 무응답 제외한 전체 학교 대상

실제 운영 시수

구 분

총계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초등학교

n=3,975

100.0

67.2

19.1

중학교

n=1,582

100.0

34.0

고등학교

n=1,264

100.0

39.9

봉사활동

진로활동

6.2

7.5

37.9

8.7

19.4

25.5

11.9

22.7

III. 조사 결과 |39


2.2 창의적특색활동 창의적체험활동 중 자율활동으로는 자치, 적응, 행사, 창의적특색활동 4가지 영역이 있고, 학 교재량에 따라 자유롭게 편성․운영하고 있다.

[그림 15]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창의적특색활동 영역

2.2.1 창의적특색활동 중 문화예술교육 운영학교 비율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 운영학교 비율(%)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 미운영학교 비율(%)

72.4

초등학교

27.6

중학교

44.6

55.4

고등학교

45.5

54.5

[그림 16] 학교 급별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 운영학교 비율

40|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2.2.2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초등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분야 (복수응답 %)

46.6

37.2 22.7

국악

무용

20.6

연극

25.3 13.1

13.2

영화

만화/애니

1.9 사진

공예

13.6

디자인

40.4

18.3 3.7 미술

음악

문학

융합

[그림 17] 초등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중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분야 (복수응답 %) 54 24.8

27.8

24.2

국악

무용

연극

24.3

21.9

12.8

만화/애니

사진

22.9 12.3

8

영화

37.1

공예

디자인

4.3 미술

음악

문학

융합

[그림 18] 중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고등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분야 (복수응답 %) 53.9 35.4 22.3

23.5

21.7

49.9

31.5 17.6

14.3

19.6

15.6 3.4

국악

무용

연극

영화

만화/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미술

음악

문학

융합

[그림 19] 고등학교의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III. 조사 결과 |41


2.2.3 학교 특징별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 분야

[표 23]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운영 지역별 초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분야 초등학교 지역별 구 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998

n=908

n=994

n=167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35.6

40.5

36.4

33.5

무용

22.3

22.5

22.8

24.6

연극

20.0

20.5

22.3

15.0

영화

12.3

16.7

11.6

7.2

만화/애니

14.9

15.4

10.4

7.2

사진

1.6

1.8

2.0

3.0

공예

26.7

28.7

21.1

24.0

디자인

15.7

16.1

10.5

6.6

미술

19.1

20.8

16.4

11.4

음악

48.6

54.6

39.0

35.3

문학

45.9

45.0

32.0

32.3

융합

3.3

5.3

2.7

3.6

※ Base :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 (n=3,067)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24]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운영 지역별 중학교의 문화예술교육분야 중학교 지역별 구 분

국악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318

n=272

n=333

n=47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28.8

36.2

20.1

23.5

무용

21.7

30.5

21.9

21.3

연극

12.3

14.7

11.4

14.9

영화

28.0

30.1

24.9

34.0

만화애니

27.7

23.9

16.2

10.6

사진

8.2

9.6

6.9

6.4

공예

20.8

23.9

27.9

25.5

디자인

11.9

14.3

11.1

10.6

미술

18.2

23.5

25.5

31.9

음악

46.9

62.9

53.8

53.2

문학

37.1

36.0

38.1

36.2

융합

4.7

5.9

2.7

4.3

※ Base :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 (n=3,067)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42|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25] 창의적특색활동내 문화예술교육운영 고등학교의 지역별 문화예술교육분야 고등학교 지역별 구 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257

n=220

n=182

n=13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17.9

22.3

26.9

46.2

무용

17.5

18.6

21.4

53.8

연극

34.6

34.5

37.4

38.5

영화

26.1

19.1

25.3

23.1

만화애니

20.2

15.9

16.5

7.7

사진

52.1

49.1

47.8

46.2

공예

12.8

13.6

17.6

7.7

디자인

24.1

18.2

21.4

38.5

미술

47.9

55.5

61.0

46.2

음악

15.6

18.6

12.6

7.7

문학

31.9

31.8

30.8

30.8

융합

3.1

5.0

1.6

7.7

※ Base : 창의적특색활동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학교 (n=672) ※ 학교수가 30개 미만인 경우 해석에 주의 요망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43


3. 동아리활동과 문화예술교육

[그림 20]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동아리활동 영역

동아리활동은 창의적체험활동의 일부분이나 학교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동아리활동이 이 루어지고 있었다. 수업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동아리활동이 수업후 개별활동으로 연장되거나 방과후수업을 하다가 동아리결성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학교 수업과는 별개로 순수한 자율동아 리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본 조사에서는 사전인터뷰, 문헌 등을 참고하여 동아리 종류를 창체동아리, 토요동아리, 자율동아리 3가지로 구분하였다. 동아리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으며, 지역사회 관련 기관 이 주관하는 연계 동아리활동은 제외하였다. 또한 초등학교는 이동 수업을 하는 동아리만을 동아리에 포함하도록 하였다. [표 26] 학교 동아리 유형 구분

정 의

창체동아리

창의적체험활동 수업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교내동아리

토요동아리

토요일에만 모여 활동하는 자율동아리. 토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제외

자율동아리

창의적체험활동과 토요동아리가 제외된 별도 교내동아리. 수업시수에는 포함되지 않음

앞서 교과(군), 창의적특색활동은 교과내 수업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동아리활동은 수업 과 수업 이외의 활동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교과 내, 교과 외와 관계 없이 동아리활동으로 함께 질문하였다.

44|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3.1 전체 동아리8) 3.1.1 전체 동아리 수

학생 1명당 동아리 평균 개수(개)

1개교당 동아리 평균 개수(개) 53 31

0.084

0.079

중학교 (n=2,174)

고등학교 (n=1,476)

0.066

17

초등학교 (n=4,237)

고등학교 (n=1,476)

중학교 (n=2,174)

초등학교 (n=4,237)

[그림 21] 1개교당 동아리 평균 개수

[그림 22] 학생 1명당 동아리 평균 개수

3.1.2 학교 특징별 전체 동아리 수

[표 27] 학교 특징별 1개교당 동아리 평균개수 및 지수 1개교당 동아리 평균 개수 구 분 전체 설립 형태별

학생수별

지역별

초등학교 개 17

중학교 개 31

1개교당 동아리 지수

고등학교 개 53

국공립 사립 100명 이하 101~400명

17 10 6 13

31 28 7 18

51 56 11 26

401~1,000명 1,001명 이상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23 33 26 20 10 6

37 55 42 37 15 7

52 72 61 61 36 17

초등학교 지수 100

중학교 지수 100

고등학교 지수 100

100 59 35 76 135 194 153 118

100 90 23 58 119 177 135 119

96 106 21 49 98 136 115 115

59 35

48 23

68 32

※ Base : 전체 응답학교 ※ 초ㆍ중ㆍ고 1개교당 동아리 평균 개수를 100으로 간주하여 지수를 산출, 100보다 클수록 전체대비 높음을 의미

8) 문화예술관련 동아리 및 非문화예술관련 동아리를 모두 포함한 수치임 III. 조사 결과 |45


[표 28] 학교 특징별 학생 1명당 동아리 평균 개수 및 지수 구 분 전체 설립 형태별

학생수별

국공립 사립 100명 이하 101~400명 401~1,000명 1,001명 이상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지역별

학생 1명당 동아리 평균 개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개 개 개 0.066 0.084 0.079 0.066 0.086 0.082 0.022 0.076 0.074 0.128 0.195 0.192 0.056 0.080 0.107 0.035 0.054 0.074 0.028 0.047 0.058 0.045 0.062 0.067 0.036 0.093 0.155

0.049 0.129 0.178

학생 1명당 동아리 지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지수 지수 지수 100 100 100 100 102 104 33 90 94 194 232 234

0.068 0.102 0.156

85 53 42 68

95 64 56 74

135

55 141

58 154

86 129

235

212

197

94 73 85

※ Base : 전체 응답학교 ※ 초ㆍ중ㆍ고 1개교당 동아리 평균 개수를 100으로 간주하여 지수를 산출, 100보다 클수록 전체대비 높음을 의미

3.1.3 동아리 종류별 전체 동아리 수

1개교당 창체동아리 평균 개수(개)

1개교당 자율동아리 평균 개수(개)

1개교당 토요동아리 평균개수(개) 39

24 14

3

1

초등학교 (n=4,237)

5 중학교 (n=2,174)

12 2

1

고등학교 (n=1,476)

[그림 23] 학교 급별 1개교당 동아리 종류별 평균 개수

46|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3.2 문화예술동아리 3.2.1 문화예술동아리 운영학교 비율

문화예술동아리 운영 학교 비율(%)

문화예술동아리 미운영 학교 비율(%)

88.9

초등학교 (n=4,237)

11.1

91.5

중학교 (n=2,174)

8.5

95.5

고등학교 (n=1,476)

4.5

[그림 24] 학교 급별 문화예술동아리운영 학교 비율

3.2.2 1개교당 문화예술동아리 개수 및 비율

1개교당 동아리 평균 개수(개)

1개교당 문화예술동아리 평균개수 (개) 53

31 17

초등학교

14

11

9

중학교

고등학교

[그림 25] 학교 급별 전체 동아리수 및 문화예술동아리수 ※ Base : 전체 응답학교 ※ 문화예술동아리가 없는 경우 문화예술동아리 평균개수에서 제외

III. 조사 결과 |47


[표 29] 학교 급별 1개교당 동아리 평균개수 및 지수 1개교당 문화예술 동아리 1개교당 동아리 평균개수

평균개수

문화예술동아리수 비율

(A)

(B)

(B/A)

%

초등학교

17

9

40.9

중학교

31

11

27.6

고등학교

53

14

19.9

구 분

[표 30] 학교 급별에 따른 문화예술동아리수 비율 창체동아리

토요동아리

문화예술

문화예술

자율동아리

문화예술 이외

문화예술

문화예술 이외

문화예술

이외

동아리수

동아리수

비율

비율

%

%

%

%

%

%

%

%

%

초등학교

42.8

57.2

100.0

30.6

69.4

100.0

42.1

57.9

100.0

중학교

32.0

68.0

100.0

29.1

70.9

100.0

30.9

69.1

100.0

고등학교

23.3

76.7

100.0

0.6

99.4

100.0

11.7

88.3

100.0

구 분

동아리수 비율

동아리수

동아리수 비율

비율

동아리수 비율

3.2.3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51

42.9

중학교 (n=2,174)

고등학교 (n=1,476)

문화예술이외 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49

초등학교 (n=4,237)

28

57.1

72

[그림 26] 학교 급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48|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39.8

초등학교 창체동아리

초등학교 토요동아리

문화예술이외 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60.2

13.9

86.1

28.2

초등학교 자율동아리

71.8

[그림 27] 초등학교 동아리 종류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37

중학교 창체동아리

중학교 토요동아리

중학교 자율동아리

문화예술이외 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63

17.3

82.7

19.2

80.8

[그림 28] 중학교 동아리 종류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25.1

고등학교 창체동아리

고등학교 토요동아리 3.3

고등학교 자율동아리

문화예술이외 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74.9

96.7

12

88

[그림 29] 고등학교 동아리 종류별 전체 동아리 가입학생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 가입학생수 비율

III. 조사 결과 |49


3.2.4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초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복수응답 %) 73.8 34.7

24.7

37.3 19.5

43.1

33

27.9

42

37.2

4.1 국악

무용

연극

영화

만화/애니

사진

3.3 공예

디자인

미술

음악

문학

융합

[그림 30] 초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중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복수응답 %) 82.8 50.8 32

국악

50.2 20.3

무용

연극

48.1

36.1

23

19.3

영화

만화/애니

사진

54.6

40.9

3.6 공예

디자인

미술

음악

문학

융합

[그림 31] 중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고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복수응답 %) 75.3

64.2 43.4

30.8

63 32

36.5

36.1

89.4

72.1

30.4 3.5

국악

무용

연극

영화

만화/애니

사진

공예

디자인

미술

음악

[그림 32] 고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50|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문학

융합


[표 31] 학교 급별 1개교당 분야별 문화예술동아리 개수 구 분

초등학교 n=3,768 복수응답 %

중학교 n=1,990 복수응답 %

고등학교 n=1,410 복수응답 %

국악

1.5

1.3

1.2

무용

1.8

1.2

1.3

연극

1.4

1.3

1.2

영화

1.8

1.3

2.6

만화애니

1.8

1.3

1.2

사진

1.1

1.3

1.2

공예

2.4

1.3

1.8

디자인

1.7

1.2

1.6

미술

2.1

1.2

1.5

음악

2.8

1.3

2.5

문학

2.3

1.2

3.0

융합

1.6

1.3

1.4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32] 지역별 초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초등학교 지역별 구 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1,209

n=1,103

n=1,1262

n=194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32.6

37.7

35.3

27.3

무용

26.8

27.5

20.6

22.7

연극

19.3

21.6

18.8

13.9

영화

52.9

43.8

20.8

10.3

만화애니

50.1

38.1

16.2

5.7

사진

4.9

4.1

3.2

5.2

공예

61.4

45.9

26.0

25.3

디자인

44.1

29.6

14.0

8.2

미술

55.7

38.3

22.3

12.9

음악

85.6

80.0

60.9

48.5

문학

57.1

42.6

30.6

18.6

융합

5.5

2.9

1.7

2.6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51


[표 33] 지역별 중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중학교 지역별 구 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733

n=585

n=596

n=76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32.6

29.6

33.6

32.9

무용

60.4

57.9

35.4

22.4

연극

21.6

22.9

16.9

14.5

영화

64.4

58.1

28.2

25.0

만화애니

44.3

47.0

18.8

7.9

사진

26.2

21.2

10.2

9.2

공예

61.9

52.6

29.9

22.4

디자인

32.3

26.7

10.1

6.6

미술

49.1

42.1

32.7

15.8

음악

89.9

88.4

70.3

68.4

문학

65.9

59.0

39.9

27.6

융합

6.4

2.6

1.2

2.6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34] 지역별 고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고등학교 지역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547

n=466

n=362

n=35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29.1

35.4

27.9

25.7

무용

68.4

69.5

55.0

22.9

연극

51.7

47.2

29.3

8.6

영화

83.5

77.0

64.6

34.3

만화애니

40.0

33.3

19.9

14.3

사진

45.3

37.1

24.9

11.4

구 분

공예

37.7

37.3

32.9

28.6

디자인

34.0

34.8

21.3

8.6

미술

71.1

68.5

47.0

28.6

음악

92.5

91.4

84.5

62.9

문학

76.6

76.2

64.6

25.7

융합

4.9

3.6

1.4

-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52|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4. 방과후학교와 문화예술교육

[그림 33]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방과후학교 영역

4.1 방과후학교 운영율

방과후학교 운영학교 비율(%)

초등학교 (n=4,237)

중학교 (n=2,174)

고등학교 (n=1,476)

방과후학교 미운영학교 비율(%)

99.4

0.6

98

90.8

2

9.2

[그림 34] 학교 급별 방과후학교 운영 비율

III. 조사 결과 |53


방과후학교 참여학교 기준 방과후학교 참여학생 (%)

방과후학교 미참여 학생(%)

72.3

초등학교 (n=4,211)

27.7

64.8

중학교 (n=2,131)

35.2

70.2

고등학교 (n=1,340)

29.8

[그림 35] 학교 급별 전체 방과후학교 참여학생 비율

4.2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4.2.1 학교 급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1개교당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균 개수(개)

1개교당 방과후학교 문화예술프로그램 평균개수 (개)

43 22

21 8

초등학교 (n=4,211)

6

중학교 (n=2,131)

5

고등학교 (n=1,340)

[그림 36] 1개교당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 및 문화예술프로그램 수

54|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방과후학교 문화예술프로그램 수 비율(%)

방과후학교 문화예술이외 프로그램 수 비율(%)

40.1

초등학교 (n=4,211)

59.9

27.5

중학교 (n=2,131)

72.5

12.3

고등학교 (n=1,340)

87.7

[그림 37] 학교 급별 전체 동아리수 대비 문화예술동아리수 비율

[표 35] 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n=4,211

n=2,131

n=1,340

22

23

국공립

21

23

41

사립

31

24

49

100명 이하

10

11

14

101~400명

16

19

21

401~1000명

27

26

38

1001명 이상

38

32

66

구 분

전체 설립 형태별

학생수별

지역별

44

광역시

33

29

52

중소도시

20

23

47

읍면지역

15

17

32

도서지역

11

15

19

※ Base : 방과후학교 운영학교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55


4.2.2 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표 36] 초등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수 구 분

문화예술 프로그램 %

%

%

전체

40.1

59.9

100.0

광역시

33.3

66.7

100.0

중소도시

38.1

61.9

100.0

읍면지역

46.5

53.5

100.0

도서지역

47.7

52.3

100.0

지역별

문화예술이외 프로그램

※ 방과후학교 참여학교 기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37] 중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중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수

지역별

성별

구 분

문화예술 프로그램 %

%

%

전체

27.5

72.5

100.0

광역시

20.7

79.3

100.0

중소도시

27.1

72.9

100.0

읍면지역

34.4

65.6

100.0

도서지역

36.2

63.8

100.0

공학

29.0

71.0

100.0

남중

17.9

82.1

100.0

여중

28.4

71.6

100.0

※ 방과후학교 참여학교 기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56|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문화예술이외 프로그램


[표 38] 고등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프로그램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개수

설립 목적별

지역별

성별

구 분

문화예술 프로그램

문화예술이외 프로그램

%

%

전체

12.3

87.7

100.0

일반고

26.9

73.1

100.0

자율고

16.6

83.4

100.0

특목고

12.9

87.1

100.0

특성화고

7.6

92.4

100.0

광역시

14.2

85.8

100.0

중소도시

7.0

93.0

100.0

읍면지역

10.7

89.3

100.0

도서지역

10.7

89.3

100.0

%

공학

9.7

90.3

100.0

남고

25.6

74.4

100.0

여고

14.0

86.0

100.0

※ 방과후학교 참여학교 기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57


4.3 방과후학교 분야별 운영 비율 및 개수 4.3.1 학교 급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복수응답 %)

52.4 36.6

국악

73.1

58.3

86.5 36.2

24.2

무용

5.9

2.2

3.3

0.6

연극

영화

만화/애니

사진

1.6 공예

디자인

미술

음악

문학

융합

[그림 38]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중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복수응답 %) 84.2

29.9

국악

33.5

무용

8.6

8.1

연극

영화

15.9

만화/애니

30.9

29.8 3.1 사진

22

13

공예

디자인

0.7 미술

음악

문학

융합

[그림 39] 중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복수응답 %) 63.4 35.7 19.8

국악

16.6

무용

9.7

9.8

7.5

4.2

연극

영화

만화/애니

사진

15

19

15.6

0.4 공예

디자인

미술

음악

[그림 40]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분야별 운영학교 비율

58|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문학

융합


4.3.2 학교 특징별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표 39] 지역별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초등학교 지역별 구 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n=1,253

n=1,204

n=1,448

도서지역 n=239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29.5

28.4

49.2

38.9

무용

69.8

60.5

35.2

25.1

연극

7.2

3.9

6.1

7.1

영화

3.4

1.7

1.6

2.5

만화애니

4.5

3.8

2.1

1.3

사진

0.7

0.3

0.6

1.3

공예

75.4

71.3

37.7

26.8

디자인

34.1

33.4

11.1

5.9

미술

81.5

74.8

67.7

54.4

음악

89.1

85.9

85.2

83.7

문학

50.8

42.1

21.4

20.1

융합

2.7

1.3

1.0

0.4

※ 방과후학교 참여학교 기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40] 지역별 중학교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 분야 중학교 지역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n=680

n=545

n=610

n=86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23.7

24.4

40.3

39.5

무용

40.4

34.7

27.0

16.3

연극

8.7

9.2

8.5

4.7

영화

7.4

6.8

9.5

12.8 9.3

구 분

도서지역

20.4

18.7

9.3

사진

3.7

2.0

3.6

2.3

공예

23.4

26.1

38.9

40.7

디자인

13.5

12.5

13.6

8.1

미술

28.1

27.0

36.1

40.7

음악

85.9

85.1

82.3

77.9

문학

27.6

18.2

19.0

23.3

융합

0.3

1.1

0.8

1.2

만화애니

※ 방과후학교 참여학교 기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59


[표 41] 지역별 고등학교의 문화예술동아리 분야 고등학교 지역별 구 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547

n=466

n=362

n=35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국악

14.8

18.4

26.1

22.7

무용

12.2

15.6

23.0

9.1

연극

8.9

10.2

10.4

4.5

영화

9.3

9.4

11.3

4.5

만화애니

5.1

9.8

8.3

-

사진

3.8

4.1

4.8

4.5

공예

8.9

13.9

20.4

36.4

디자인

18.1

12.7

16.1

13.6

미술

40.1

34.8

33.0

27.3

음악

53.6

64.3

73.5

54.5

문학

17.7

20.9

19.6

4.5

융합

0.8

0.4

-

-

※ 방과후학교 참여학교 기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4.4 초등돌봄교실

돌봄교실 운영학교 비율(%)

초등돌봄교실내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학교 비율(%)

돌봄교실 미운영 학교비율(%)

1.9

98.1

[그림 41] 초등돌봄교실 운영 비율

60|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초등돌봄교실내 문화예술 프로그램 미운영 학교비율(%)

44.6

55.4

[그림 42] 초등돌봄교실 중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비율


[표 42] 초등돌봄교실 운영 초등돌봄교실

초등돌봄교실 운영 n=4,237

구 분

지역별

운영

미운영

학교

학교

%

%

n=4,156 계 %

운영

미운영

학교

학교

%

% 55.4

% 100.0

98.1

1.9

100.0

44.6

100명 이하

96.7

3.3

100.0

35.5

64.5

100.0

101~400명

98.5

1.5

100.0

45.7

54.3

100.0

401~1,000명

98.2

1.8

100.0

49.0

51.0

100.0

1,001명 이상

99.4

0.6

100.0

51.0

49.0

100.0 100.0

전체

학생수별

문화예술프로그램 운영

광역시

97.7

2.3

100.0

53.5

46.5

중소도시

99.3

0.7

100.0

46.6

53.4

100.0

읍면지역

98.4

1.6

100.0

37.4

62.6

100.0

도서지역

92.0

8.0

100.0

32.5

67.5

100.0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61


5. 기타 (현장학습 및 예술축제/예술특색사업)

[그림 43] 학교 문화예술교육 체계 중 기타 영역

5.1 현장학습 5.1.1 현장학습 진행율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진행율 현장학습은 학교전체, 학년전체, 또는 반전체나, 동아리전체가 다함께 외부로 현장학습을 가는 경우 모두 포함하여 응답하였다.

현장학습 운영학교 비율(%)

현장학습 비운영학교 비율(%)

77.5

초등학교 (n=4,237)

22.5

중학교 (n=2,174)

72.2

27.8

고등학교 (n=1,476)

73.4

26.6

[그림 44] 학교 급별 현장학습 운영학교 비율 (%)

62|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비율(%)

문화예술 현장학습 비운영학교 비율(%)

초등학교 (n=4,237)

58.8

41.2

중학교 (n=2,174)

58.2

41.8

54.4

고등학교 (n=1,476)

45.6

[그림 45] 학교 급별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비율 (%)

[표 43] 초등학교 특징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현장학습 운영 구 분

않음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 계

운영

운영하지 않음

%

%

%

%

%

%

n=4,237

77.5

22.5

100.0

58.8

41.2

100.0

광역시

n=1,274

87.0

13.0

100.0

70.3

29.7

100.0

중소도시

n=1,228

64.7

35.3

100.0

48.9

51.1

100.0

읍면지역

n=1,484

80.4

19.6

100.0

57.6

42.4

100.0

도서지역

n=251

75.7

24.3

100.0

55.8

44.2

100.0

초등학교 전체

지역별

운영

운영하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44] 중학교 특징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현장학습 운영 구 분

않음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 계

운영

운영하지 않음

%

%

%

%

%

%

n=2,174

72.2

27.8

100.0

58.2

41.8

100.0

광역시

n=761

84.4

15.6

100.0

74.0

26.0

100.0

중소도시

n=633

58.0

42.0

100.0

45.3

54.7

100.0

읍면지역

n=688

72.5

27.5

100.0

53.6

46.4

100.0

도서지역

n=92

66.3

33.7

100.0

50.0

50.0

100.0

전체

지역별

운영

운영하지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III. 조사 결과 |63


[표 45] 고등학교 특징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학교 현장학습 운영 구 분

운영

전체

지역별

운영하지 않음

문화예술 현장학습 운영 계

운영

운영하지

않음

%

%

%

%

%

%

n=1,476

73.4

26.6

100.0

54.4

45.6

100.0

광역시

n=562

80.1

19.9

100.0

65.5

34.5

100.0

중소도시

n=492

71.3

28.7

100.0

49.6

50.4

100.0

읍면지역

n=384

67.7

32.3

100.0

46.1

53.9

100.0

도서지역

n=38

60.5

39.5

100.0

36.8

63.2

100.0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5.1.2 현장학습 횟수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횟수

1개교당 현장학습 평균횟수(개)

1개교당 문화예술 현장학습 평균횟수 (개)

9.1 6.7 4.9

4.1

3.4 1.7

초등학교 (n=4,237)

중학교 (n=2,174)

고등학교 (n=1,476)

[그림 46] 1개교당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 현장학습 평균횟수

[표 46] 학교 급별 현장학습 및 문화예술현장학습 횟수 1개교당 현장학습 평균횟수 구 분 전체 100명 이하 101~400명 학생수별 401~1,000명 1,001명 이상 광역시 중소도시 지역별 읍면지역 도서지역

초등학교 개 4.9 3.0 5.5 5.7 6.4 8.1 3.5 3.8 2.6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64|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중학교 개 6.7 2.0 3.4 8.1 12.2 13.0 3.9 3.2 1.4

고등학교 개 9.1 1.7 2.9 8.6 13.7 14.0 8.1 3.8 2.4

1개교당 문화예술 현장학습 평균횟수 초등학교 개

중학교 개

고등학교 개

1.7

3.4

4.1

1.1 1.9 1.9 2.4 2.7 1.4 1.4

0.9 1.7 4.0 6.2 6.6

0.7 1.4 3.5 6.5 6.3

2.0 1.5 0.7

3.6 1.7 0.9

1.0


5.1.3 현장학습 방문 장소

초등학교의 현장학습 방문장소 (복수응답 %) 26.5

23.8

15.8

9.6

7.6

미술관

영화관

4.2

3.8 박물관

실내 공연장

기타 체험마을 도서관 야외 공연장

2.7

7.3

3.3

문화원 문예회관 청소년 수련관

2.5

1.6

청소년 수련원

융합

[그림 47] 초등학교의 현장학습 방문 장소

중학교의 현장학습 방문장소 (복수응답 %)

16.9

24.3

22.9

23.3

16 8.4

6.5

미술관

영화관

박물관

실내 공연장

기타 체험마을 도서관 야외 공연장

3.1

7.5

7.6

문화원 문예회관 청소년 수련관

5.5

청소년 수련원

1.6 융합

[그림 48] 중학교의 현장학습 방문 장소

고등학교의 현장학습 방문장소 (복수응답 %)

21.5

25.1

23.4

24.4 7.9

미술관

영화관

박물관

실내 공연장

13.6

10.2

기타 체험마을 도서관 야외 공연장

2.8

9.1

8.2

문화원 문예회관 청소년 수련관

5.5

청소년 수련원

1.6 융합

[그림 49] 고등학교의 현장학습 방문 장소

III. 조사 결과 |65


[표 47] 초등학교의 문화예술현장학습 방문 장소 지역별 구 분

미술관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895

n=601

n=855

n=140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14.6

7.3

7.3

9.2

영화관

7.2

5.0

9.8

8.8

박물관

39.9

20.3

21.0

21.5

실내 공연장

19.8

12.2

16.2

11.2

기타 야외 공연장

6.0

2.9

2.8

3.2

체험마을

31.9

19.1

21.8

17.5

도서관

6.6

1.9

4.5

1.6

문화원

2.9

2.3

3.1

.8

문예회관/ 문화센터

9.3

5.6

7.2

5.2

청소년 수련관

4.2

3.2

2.5

3.2

청소년 수련원

3.1

2.3

2.2

1.6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48] 중학교의 문화예술현장학습 방문 장소 지역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563

n=287

n=369

n=46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미술관

30.2

11.1

8.9

6.5

영화관

39.9

18.8

14.1

9.8

박물관

35.1

17.5

15.1

17.4

실내 공연장

33.8

19.3

16.7

13.0

기타 야외 공연장

9.2

5.2

4.9

4.3

체험마을

17.9

14.2

16.1

12.0

도서관

16.6

5.2

3.1

2.2

문화원

4.5

2.1

2.8

2.2

문예회관/ 문화센터

10.2

6.3

6.0

3.3

청소년 수련관

12.2

7.1

3.6

2.2

청소년 수련원

7.4

4.6

4.8

2.2

구 분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66|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49] 고등학교의 문화예술현장학습 방문 장소 지역별 광역시

구 분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563

n=287

n=369

n=46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미술관

31.7

19.1

11.7

-

영화관

35.6

21.1

16.4

7.9

박물관

31.1

21.7

15.4

13.2

실내 공연장

32.2

21.3

17.7

15.8

기타 야외 공연장

8.7

7.7

7.0

7.9

체험마을

14.2

12.8

13.3

15.8

도서관

16.5

8.5

3.4

5.3

문화원

3.7

2.2

2.6

-

문예회관/ 문화센터

9.8

9.6

8.3

-

청소년 수련관

10.5

9.1

3.9

5.3

청소년 수련원

6.8

4.5

4.7

7.9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5.2 예술축제 운영율 예술축제 운영학교 비율(%)

예술축제 비운영학교 비율(%)

초등학교 (n=4,237)

89.3

10.7

중학교 (n=2,174)

90.6

9.4

고등학교 (n=1,476)

91.7

8.3

[그림 50] 학교 급별 예술축제 운영학교 비율 (%)

III. 조사 결과 |67


5.3 예술특색사업 운영율 예술특색사업 운영학교 비율(%)

예술특색사업 비운영학교 비율(%)

65.9

초등학교 (n=4,237)

34.1

49.3

중학교 (n=2,174)

50.7

37.2

고등학교 (n=1,476)

62.8

[그림 51] 학교 급별 예술특색사업 운영학교 비율 (%)

외부지원으로만 운영(%)

자체예산으로만 운영(%)

외부/자체예산 둘다 운영(%)

초등학교 (n=2,793)

33.8

44.7

중학교 (n=1,072)

47.9

34.7

17.4

고등학교 (n=549)

32.3

48

19.7

[그림 52] 학교 급별 예술특색사업 운영예산 유형 (%) ※ Base : 예술특색사업 운영학교

68|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21.5


5.4 문화예술관련 보유시설 현황

초등학교의 문화예술시설 보유율 (복수응답 %) 61.6

15.1 음악실

미술실

76.5

70.3

41.2

무용실

실내 체육관 / 강당

5.9

12.4

소극장

국악실

49.8

30.4

방송실

시청각실

다목적실

38.3

45.9

시청각실

다목적실

53.6

46.3

시청각실

다목적실

[그림 53] 초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중학교의 문화예술시설 보유율 (복수응답 %) 96.6

94.9 27.2

음악실

미술실

85.5

77.5

무용실

실내 체육관 / 강당

9.6

9.7

소극장

국악실

방송실

[그림 54] 중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고등학교의 문화예술시설 보유율 (복수응답 %) 95.9

24.7

음악실

미술실

93.2

90

89.4

무용실

실내 체육관 / 강당

17.4

11.1

소극장

국악실

방송실

[그림 55] 고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III. 조사 결과 |69


[표 50] 초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지역별 구 분

음악실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1,274

n=1,228

n=1,484

n=251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77.2

74.6

44.1

23.5

미술실

49.8

48.5

32.2

14.7

무용실

20.8

19.2

9.0

1.6

실내체육관/강당

83.0

75.1

61.7

33.1

소극장

7.7

6.8

4.0

3.6

국악실

13.6

16.0

9.8

3.6

방송실

94.8

90.5

56.2

35.1

시청각실

41.6

36.3

19.3

10.0

다목적실

48.2

45.4

51.5

69.3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표 51] 중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지역별 구 분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761

n=633

n=688

n=92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음악실

99.5

99.4

92.7

82.6

미술실

98.6

99.1

90.7

67.4

무용실

44.0

28.6

10.3

5.4

실내체육관/강당

80.7

81.0

72.2

65.2

소극장

11.2

10.9

7.4

4.3

국악실

9.6

12.6

7.8

4.3

방송실

96.7

95.1

68.6

53.3

시청각실

47.7

48.0

22.7

10.9

다목적실

46.5

45.2

46.2

42.4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70|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표 52] 고등학교의 문화예술 보유시설 현황 지역별 광역시

구 분

중소도시

읍면지역

도서지역

n=562

n=492

n=384

n=38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복수응답 %

음악실

98.2

97.6

90.1

97.4

미술실

92.9

94.7

79.7

68.4

무용실

34.3

23.0

14.8

5.3

실내체육관/강당

91.6

90.7

88.0

76.3

소극장

20.1

19.3

12.2

5.3

국악실

10.0

12.4

11.5

7.9

방송실

96.8

95.7

86.7

73.7

시청각실

63.2

58.7

36.7

15.8

다목적실

46.4

44.7

47.4

52.6

※ 타 분류 대비 비율이 높은 수치에 표시

5.5 특수학급 및 문화예술교육 현황 특수학급있으며 교과외 문화예술프로그램 있는 비율(%)

특수학급 없음(%)

특수학급있으나 교과외 문화예술프로그램 없는 비율(%)

초등학교 (n=4,237)

45.1

22.2

중학교 (n=2,174)

27.9

고등학교 (n=1,476)

21.5

32.6

26.9

45.2

18.8

59.7

[그림 56] 학교 급별 특수학급에 따른 교과외 문화예술프로그램 보유율

III. 조사 결과 |71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4 교육통계연보」, 교육부 ․ 한국교육개발원, 2014 「2008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 및 수요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 「2010 문화예술교육 통계 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문화예술통계 중장기 발전 실행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1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공교육에서 예술교육의 위상과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과제 토론회 자료집」, 인천문화재단, 2007 「예술 사교육 실태 및 학부모 인식 조사」,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2014 방과후학교 운영현황」, 교육부, 2014. 11. 24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교육부, 2015. 1. 26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9 교육부 고시 제 2013-7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1-361 창의적체험활동 교육과정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http://www.mcst.go.kr)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http://www.arte.or.kr) 교육부 홈페이지 (http://www.moe.go.kr) 교육 통계 서비스 (http://kess.kedi.re.kr) 한국 교육 개발원 (https://www.kedi.re.kr) 학교 알리미 홈페이지 (www.schoolinfo.go.kr) 국가 교육과정 공시 사이트 (http://ncic.go.kr)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포탈 (http://www.hifive.go.kr) 방과 후 학교 포탈 (https://www.afterschool.go.kr) 창의 인성 교육 플랫폼 크레존 (http://www.crezone.net) 교육부 블로그 아이디어 스토리 (http://if-blog.tistory.com) 기타 각 교육청 홈페이지 및 개별 학교 홈페이지 자료 참조

참고문헌|75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