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최종본

Page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발행인 양현미 발행일 2018. 01.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정책연구팀장 홍유진 정책연구팀 소지영 등록

KACES-1740-R009 ISBN 978-89-6748-232-9(93370)

문의 Tel. (02)6209-5900 Fax. (02)6209-1393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제출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귀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연구진 연구책임자 정경은 초당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임영식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신혜선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조영미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외래교수

연구보조원 황용재 중앙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석사과정 김설아 초당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부과정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연구의 내용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3

1. 연구 목적

3

2. 연구 필요성

3

3. 연구 내용

8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선행연구 분석

13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개념

13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선행연구 검토

16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35

1.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

35

2. 국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52

3.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 요약 및 시사점

75

Ⅳ. 연구방법

83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문헌연구

83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 양적연구

83

3.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93

4. 전문가 자문 조사

97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

101

1. 학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설문 조사 결과

101

2. 학교 밖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설문 조사 결과

161

3.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비교

221

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질적 연구

232

목차|i


Ⅵ. 결론

253

1. 요약

253

2. 정책적 제언

258

참고문헌

265

부록 1: 설문지

269

부록 2: 질적 연구 동의서

279

ii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목차

<표 Ⅱ-1> 학교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의 흐름 ····································································· 19 <표 Ⅱ-2> 2015, 2016 학교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 19 <표 Ⅱ-3> 문화예술교육 세부 분야 ····························································································· 22 <표 Ⅱ-4> 선행연구 개괄 ·············································································································· 25 <표 Ⅱ-5> 국외 선행연구 ·············································································································· 30 <표 Ⅲ-1>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목표 및 기본방향 ·································································· 35 <표 Ⅲ-2>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 36 <표 Ⅲ-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원사업 ··········································································· 37 <표 Ⅲ-4>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도별 추세 ····································································· 38 <표 Ⅲ-5>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 현황 ······················································································· 39 <표 Ⅲ-6> 복지기관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도별 추세 ······························································ 40 <표 Ⅲ-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지역사회 연계 지원사업 ································· 41 <표 Ⅲ-8>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42 <표 Ⅲ-9> 교육부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4대 중점과제 및 실행과제 ····························· 43 <표 Ⅲ-10> 국방부·문화관광부 업무 협력 협의서 ···································································· 44 <표 Ⅲ-11> 국방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45 <표 Ⅲ-12> 법무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46 <표 Ⅲ-13> 법무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46 <표 Ⅲ-14> 산업통산자원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47 <표 Ⅲ-15> 보건복지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47 <표 Ⅲ-16> 여성가족부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문화예술부분 ········································· 48 <표 Ⅲ-17> 여성가족부 협력 방과후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49 <표 Ⅲ-18> 여성가족부 협력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51 <표 Ⅲ-19> 통일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 51 <표 Ⅲ-20> 해외 정책사례 요약표 ······························································································ 52 <표 Ⅲ-21> 아츠마크(Artsmark) 단계별 요약 ··········································································· 55 <표 Ⅲ-22> 음악교육 프로그램 사업개관 ··················································································· 58 <표 Ⅳ-1>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학생수 기준) ········································································ 84 <표 Ⅳ-2>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 표본(학급수 기준) ······························································· 85

목차|iii


<표 Ⅳ-3>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 학급 수 ················································································· 86 <표 Ⅳ-4>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 학급 수 ················································································· 86 <표 Ⅳ-5>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 연구대상 ············································································· 87 <표 Ⅳ-6> 학생 설문 참여 응답자 현황 ····················································································· 88 <표 Ⅳ-7> 학교 밖 설문 응답자 현황 ························································································· 89 <표 Ⅳ-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문항 ····································································· 91 <표 Ⅳ-9>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중 효과 문항 출처 ············································ 92 <표 Ⅳ-10> 정성적 연구를 위한 FGI 질문 체계 (학습자용) ·················································· 95 <표 Ⅳ-11> 정성적 연구를 위한 FGI 질문 체계 (전문가용) ·················································· 96 <표 Ⅴ-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 102 <표 Ⅴ-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 104 <표 Ⅴ-3>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 106 <표 Ⅴ-4> 학생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중복응답) ·································· 108 <표 Ⅴ-5> 학생의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 110 <표 Ⅴ-6>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미참여 이유 ··························· 112 <표 Ⅴ-7>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 114 <표 Ⅴ-8>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 116 <표 Ⅴ-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 118 <표 Ⅴ-1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최근 1년 기준) ················································· 120 <표 Ⅴ-1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 122 <표 Ⅴ-1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 124 <표 Ⅴ-13>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 126 <표 Ⅴ-14>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 128 <표 Ⅴ-15>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 ··········································································· 130 <표 Ⅴ-16>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 132 <표 Ⅴ-17>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 134 <표 Ⅴ-18>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 136 <표 Ⅴ-1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 138 <표 Ⅴ-2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감소 이유 ·························································· 140 <표 Ⅴ-2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증가 이유 ·························································· 142 <표 Ⅴ-2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 144

iv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23> 학생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순위(상위 12위) ························· 146 <표 Ⅴ-24> 학생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2+3순위(상위 12위)/복수응답 ··· 147 <표 Ⅴ-25>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 149 <표 Ⅴ-26>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 151 <표 Ⅴ-27>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 153 <표 Ⅴ-28>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 155 <표 Ⅴ-29>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 157 <표 Ⅴ-3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인식 ··········································································· 159 <표 Ⅴ-3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 162 <표 Ⅴ-32>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 164 <표 Ⅴ-33>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 166 <표 Ⅴ-34>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중복응답) ············ 168 <표 Ⅴ-35>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170 <표 Ⅴ-36>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172 <표 Ⅴ-37>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 174 <표 Ⅴ-38>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복수응답) ················ 176 <표 Ⅴ-3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 178 <표 Ⅴ-4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최근 1년 기준) ····························· 180 <표 Ⅴ-4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 182 <표 Ⅴ-42>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 184 <표 Ⅴ-43>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 186 <표 Ⅴ-44>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형태 ···················································· 188 <표 Ⅴ-45>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 ························································ 190 <표 Ⅴ-4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 192 <표 Ⅴ-47>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 194 <표 Ⅴ-4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 196 <표 Ⅴ-4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 198 <표 Ⅴ-5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감소 이유 ······································ 200 <표 Ⅴ-5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증가 이유 ······································ 202 <표 Ⅴ-52> 학교 밖 청소년의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 204 <표 Ⅴ-53>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순위(상위 12위) ······ 206

목차|v


<표 Ⅴ-54>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2+3순위(상위 12위)/복수응답 · 207 <표 Ⅴ-55>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 209 <표 Ⅴ-56>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 211 <표 Ⅴ-57>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 213 <표 Ⅴ-5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 215 <표 Ⅴ-5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경험 ·············································· 217 <표 Ⅴ-6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인식 ································································· 219 <표 Ⅴ-61>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여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차이 ························· 228 <표 Ⅴ-62>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기가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229 <표 Ⅴ-63>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기간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230 <표 Ⅴ-64>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이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 231 <표 Ⅴ-65> 보호기관 거주 10대 청소년 면접조사 참여자 ··················································· 233 <표 Ⅴ-66>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면접조사 참여자 ······························································· 233 <표 Ⅴ-67> 질적 연구분석 요약표: 10대 청소년 면접조사 참여자 ···································· 249 <표 Ⅴ-68> 질적 연구분석 요약표: 전문가 면접조사 참여자 ·············································· 249 <표 Ⅵ-1>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각 문항별 응답 1순위 ················································ 256

vi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그림 목차

<그림 Ⅲ-1> 국방부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추진체계 ······························································ 45 <그림 Ⅲ-2>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사업 추진체계 ························································ 49 <그림 Ⅲ-3>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업 추진체계 ···················································· 50 <그림 Ⅲ-4>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업 홍보 이미지 ············ 54 <그림 Ⅲ-5> 미국 주립예술진흥원의 2015예산연도 예술교육활동 지원내용 ······················· 69 <그림 Ⅲ-6> 미국 주립예술진흥원의 2015예산연도 ‘예술교육어워즈’ 시상 지역분포 ······· 70 <그림 Ⅲ-7> 싱가포르 예술교육 프로그램 예시 ······································································· 74 <그림 Ⅲ-8> 싱가포르 전국예술교육시상 평가 프레임워크 ···················································· 75 <그림 Ⅳ-1>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83 <그림 Ⅳ-2> 조사문항개발과정 ···································································································· 90 <그림 Ⅴ-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 101 <그림 Ⅴ-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 103 <그림 Ⅴ-3>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 105 <그림 Ⅴ-4> 학생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 107 <그림 Ⅴ-5> 학생의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 109 <그림 Ⅴ-6>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 111 <그림 Ⅴ-7>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 113 <그림 Ⅴ-8>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 115 <그림 Ⅴ-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 117 <그림 Ⅴ-1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최근 1년 기준) ············································· 119 <그림 Ⅴ-1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 121 <그림 Ⅴ-1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 123 <그림 Ⅴ-13>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 125 <그림 Ⅴ-14>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 127 <그림 Ⅴ-15>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 ······································································· 129 <그림 Ⅴ-16>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 131 <그림 Ⅴ-17>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 133 <그림 Ⅴ-18>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 135 <그림 Ⅴ-1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 137

목차|vii


<그림 Ⅴ-2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한 이유 ·············································· 139 <그림 Ⅴ-2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증가 이유 ······················································ 141 <그림 Ⅴ-2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 143 <그림 Ⅴ-23> 학생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상위 10순위 ······························ 145 <그림 Ⅴ-24>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 148 <그림 Ⅴ-25>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 150 <그림 Ⅴ-26>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 152 <그림 Ⅴ-27>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 154 <그림 Ⅴ-28>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 156 <그림 Ⅴ-2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인식 ······································································· 158 <그림 Ⅴ-3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 161 <그림 Ⅴ-3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 163 <그림 Ⅴ-32>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 165 <그림 Ⅴ-33> 학교 밖 청소년의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 167 <그림 Ⅴ-34> 학교 밖 청소년의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 169 <그림 Ⅴ-35>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171 <그림 Ⅴ-36>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 173 <그림 Ⅴ-37>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 175 <그림 Ⅴ-3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 177 <그림 Ⅴ-3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 179 <그림 Ⅴ-4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 181 <그림 Ⅴ-4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 183 <그림 Ⅴ-42>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 185 <그림 Ⅴ-43>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형태 ················································ 187 <그림 Ⅴ-44>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비용 ················································ 189 <그림 Ⅴ-45>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 191 <그림 Ⅴ-4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 193 <그림 Ⅴ-47>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 195 <그림 Ⅴ-4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 197 <그림 Ⅴ-4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한 이유 ··························· 199 <그림 Ⅴ-5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이유 ··························· 201

viii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그림 Ⅴ-51> 학교 밖 청소년의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 203 <그림 Ⅴ-52>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상위 10순위 ··········· 205 <그림 Ⅴ-53>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 208 <그림 Ⅴ-54>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 210 <그림 Ⅴ-55>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 212 <그림 Ⅴ-5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 214 <그림 Ⅴ-57>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 216 <그림 Ⅴ-5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인식 ····························································· 218 <그림 Ⅴ-5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낮은 경험 ················································ 221 <그림 Ⅴ-60>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 동반참여자 ····································· 222 <그림 Ⅴ-61>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및 참여증진을 위한 고려 사항·· 222 <그림 Ⅴ-62>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분야의 차이 ························· 223 <그림 Ⅴ-63>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 지속성의 차이 ························· 223 <그림 Ⅴ-64>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의 차이 ··························· 224 <그림 Ⅴ-65>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 224 <그림 Ⅴ-6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 인지 ············································ 225 <그림 Ⅴ-67> 성별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진입 시기의 차이 ····················· 226 <그림 Ⅴ-68> 성별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경험 차이 ············································ 226 <그림 Ⅴ-69> 성별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차이 ·························································· 227

목차|ix



연구요약

□ 연구 목적 및 연구 내용 1. 연구 목적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적인 참여자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의 현황을 파악하여 참여자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을 제안하 는 것임. ㅇ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청소년 문화예술 교육 현황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라는 두 가지 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였음.

2. 연구 내용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 특성 및 현황 분석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방향 및 분석 체계 수립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정량조사 실시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자 정성조사 실시 ㅇ 조사결과 분석 및 수요자 특성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전략 도출

□ 연구방법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문헌연구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 및 현황 분석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선행연구 분석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 양적연구 2.1 조사 기간 및 조사 대상 ㅇ 조사 기간: 2017. 10. ~ 11.(2개월 간 실시)

연구요약|i


ㅇ 조사 대상: 최종 설문 분석대상자- 학생 3,076명, 학교 밖 청소년 411명 ㅇ 조사 대상 추출방법 - 학생 추출방법: 2016년 교육통계 자료를 근거로 모집단별 0.08% 추출 - 학교 밖 청소년 추출방법: 모집단별 0.08% 추출

2.2 조사 문항 구분

조사 내용 첫 문화예술교육 경험 시기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권유자 최근 1년간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문화예술 예술 참여경험이 없을 경우, 이유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현황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분야 중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의 참여 이유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의 참여 형태

문화예술교육 참여현황 및 인식

문화예술교육 교육 참여시간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영향을 준 사람 문화예술교육 분야 참여 경로 문화예술교육 참여 동반자 문화예술교육 진행방식

문화예술교육 월 평균 교육비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애로사항 학교 정규수업 외에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학교 밖에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문화예술교육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의 증가/감소 정도 문화예술교육 참여 촉진을 위한 요건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분야 문화예술교육 욕구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시기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장소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Ⅱ Ⅲ

문화예술교육 효과 개인 배경정보

최근 1년간 인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 행사, 관람 문화예술교육 효과 정서, 상상력, 진로, 학업, 공감, 유대감, 소속감, 삶의 질 등 (학생) 성별, 연령, 학교 재학여부, 성적, 가정경제수준 (학교밖 청소년) 성별, 연령, 재학 중 학업성적, 가정경제수준, 학교를 그만둔 시기, 학교 그만둔 기간

ii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3 조사 기관 ㅇ 전문리서치 기관인 ㈜글로벌리서치 주관 조사 실시

2.4 분석 방법 ㅇ 주요 조사문항에 대한 기술통계 및 교차 분석 ㅇ 주요 조사 문항에 대한 집단별(교급, 성별, 지역별, 지역규모별, 학생․학교 밖 청소년별 등) t-test, ANOVA 등 실시 ㅇ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실시

3.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3.1 질적 연구 목표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문조사에서 측정이 어 려운 부분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학습경험과 현장의 이슈를 탐색함으로써 향후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정착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3.2 질적 연구 자료수집 ㅇ 본 연구의 정성연구는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청소년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형태 의 문항을 설계함. ㅇ 설계된 문항을 바탕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과 연구자의 현장노 트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

3.3 초점집단면접(Focused Group Interview, FGI) 조사 질문문항 ㅇ 면접조사의 주요 체계는 ① 배경, ② 프로그램의 장점, ③ 프로그램의 단점 ④ 개선방향을 중심 으로 유목화 하여 구성하였음.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자와 전문가로 병합된 교 수자와 기획자 혹은 행정 전문가 대상의 질문 내용을 각 대상자에 적합하게 세부 설계함.

3.4 질적 연구 분석 방법 ㅇ FGI 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 참여자 녹취 파일과 연구자의 현장 노트 자료는 개방형 코딩(open coding)과 축코딩(axis coding) 기법을 통해 조사 참여자의 응답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현 황과 참여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프로그램 효과와 의미 등을 구조화 함.

연구요약|iii


□ 연구결과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설문 조사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설문조사의 주요결과는 전반적으로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그리고 남녀별 참여시기, 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 분야, 교육비, 만족도, 문화예술교육 효과 인지 등 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도 문화예술교육 참여 현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 ㅇ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이 문화예술교육 세부 사항은 아래 표와 같음. 구분

참여 현황 및 인식

욕구

1순위 응답

조사 내용

학생

학교 밖 청소년

첫 문화예술교육 경험 시기

초등학교 재학 중(51.2%)

초등학교 재학 중(29.2%)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권유자

가족(53.5%)

가족(28.8%)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참여(59.6%)

56.3%

문화예술 참여경험이 없을 경우, 이유

시간이 없어서(40.2%)

시간이 없어서(26.9%)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현황

서양악기(32.7%)

대중음악(32.4%)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

음악 분야(39.8%)

음악 분야(35.7%)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 의 참여 형태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리(31.2%)

청소년시설 육(54.7%)

문화예술교육 교육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1~3시간 미만(48.1%)

1~3시간 미만(57.1%)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6개월 이상(52.3%)

6개월 이상(37.6%)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영향을 준 사람

스스로(31.8%)

친구(65.3%)

문화예술교육 분야 참여 경로

인터넷(18.0%)

브로셔/홍보지(13.5%)

문화예술교육 참여 동반자

친구(58.0%)

친구(65.3%)

문화예술교육 진행방식

실습/표현형(56.9%)

실습/표현형(54.7%)

문화예술교육 월 평균 교육비

평균 71,393원/ 무료 24.9%

평균 11,581원/ 무료 58.8%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애로사항

참여할 시간 부족(30.0%)

참여할 시간 부족(27.6%)

학교 정규수업 외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70.1점

79.2점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72.0점

79.6점

만족하지 않는 이유

교육 내용(38.0%)

교육 시간(44.4%)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 정도

줄어들었음(30.3%)

줄어들었음(20.6%)

문화예술교육 참여 촉진을 위한 요건

교육시간 증가(23.5%)

참여 비용 지원(24.1%)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분야

대중음악(13.0%)

대중음악(25.3%)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장소

학교(45.5%)

청소년시설(57.4%)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친구(79.6%)

친구(71.8%)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실습/표현형(44.3%)

실습/표현형(43.6%)

iv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문화예술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상위순위

즐거움(3.87점) 행복(3.81점) 삶의 활력(3.73점)

즐거움(3.91점) 행복(3.81점), (3.78점)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하위순위

성적향상 도움(3.25점)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 (3.40점)

성적향상 도움(3.19점)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 (3.46점)

효과

상상력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심층면접 ㅇ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의 자율적인 수업 분위기가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촉진 에 기여하는 요인이며, 반대로 정형적인 평가 및 내용 전달 중심의 예술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흥미를 느끼는 데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됨.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에 있어, 당사자인 청소년의 의견과 생 활양식에 대한 고려가 저조하고 학업과 아르바이트 등의 활동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ㅇ 학생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나 아직까지 도 학교 교사나 행정인력의 문화예술교육 인식과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그에 대한 개선 을 위한 지원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학교 현장에 문화예술교육에 관련된 자원과 역량이 축적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지원체계가 개선되어야 함. ㅇ 급작스러운 프로그램의 양적 팽창과 일자리 마련이라는 정책적 접근으로 인하여, 형식적이고 반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확산됨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전반적인 질적 퇴보가 진행되었다는 평가를 받게 됨. 따라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해 지역과 연령,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합한 콘 텐츠를 개발하고 제공이 시급하며, 이를 위한 관련 인력 교육과 역량 증진이 필요한 상황임. 또 한 보다 나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운영되기 위해 부처 간 협력 강화와 행정과정 의 유연성이 요청됨. ㅇ 청소년과 전문가 FGI의 주요 도출 테마는 아래와 같음. 청소년 상위구분 배경 내용 환경 향후 개선방향

하위구분

도출 테마

이해

난해한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문화예술교육이 뭐에요?

경험

초등학교 수업과 연극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장점

문화예술교육의 자율적 수업 분위기 선호

참여 장애요인

흥미 유발에 실패한 학교예술교육: 지루함과 정형적 구성

장점

참여 장애요인

시간적 여유와 정보의 부족

문제점

동기 결여: 왜 해야 하죠? 연구요약|v


기대하는 프로그램

관심 있는 예술 활동: 공예

전문가 상위구분

하위구분 대상자 이해

배경 기대효과

내용관련 효능 긍정적 양태

향후 개선방향

청소년의 불분명한 관심사와 의욕상실 온라인 스페이스: 청소년의 또 다른 활동 공간

예술적 감각 활성화 유도 건강한 자아 계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형성 교육활동의 다양화

참여자 간 소통과 만남의 기회를 제공

운영방식

활동중심 학습방법의 효과 체험

환경요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신장

내용 장애요인과 한계점

도출 테마

프로그램의 양적 팽창과 수업의 질적 퇴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연한 획일성

운영방식

어른중심, 행정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지원체계

환경요인

정규교육에서 관찰되는 문화예술교육의 주변화와 도구적 접근 성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부족

정책적 제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개선과 사회적 합의 조성을 위한 지 속적인 노력 필요 프로그램 다양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학교 교사 지원과 역량 개발

□ 제언 1. 제도적 개선 및 부처 간 협력 방안 1.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로드맵 수립 1.2 문화예술교육 이력관리 시스템 개발 1.3 학교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학점 인정 1.4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확대

2. 수요자 중심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2.1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근거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2.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소재 및 구성의 다양화 전개

vi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3. 청소년시설 및 청소년 지도자의 인프라 구축 3.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환경 조성 3.2 학교 교사 및 청소년 시설 운영자의 문화예술교육의 역량 강화

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증진 4.1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확산 4.2 교사와 학부모의 문화예술교육 방향과 목표에 대한 이해 신장 필요 4.3 지원사업 운영기관 실무행정인력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연구요약|vii



Abstract

A Survey o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for youth and Its Policy Implications Principal Investigator Chung, Kyoung-eun, Ph.D.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Counseling , Cho-Dang University

Co-investigators Lim, Young-sik, Ph.D.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hung-Ang University

Shin, Hyesun Shin, Ph.D. Senior Research Fellow, Sookmyung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Cho, Young M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hung-Ang University

□ Research Overview 1. Research Objectives ㅇ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wofold. Firstly, it attempts to identify the current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hich are provided to youth across the nation. Next, it also aims to develop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e survey. ㅇ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investigators have developed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ⅰ) what is the current status quo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vided to the youth in South Korea? and ⅱ) what policy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for youth in general and to provide better quality of the programs with enhanced access to those?

2. Contents of Research ㅇ Document analysis o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related policy, programs, and

요약|i


(selected) cases focused on the youth at home and abroad. ㅇ Research design for the study engaging wit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ㅇ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set and developing related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 Research Methods ㅇ This research has engaged wit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by using document analysis, survey, and interviews. ㅇ Quantitative Research: A Survey

Survey participants were 3,487 youths(3,076 students, 411 out-of-school youths). And they were selected for 0.08% of the population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s analyses have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data set by using t-test and ANOVA methods by using SPSS Statistics 24.

Survey distribution and data collection process were managed by Global Research Co., Ltd. under contract with the research team.

ㅇ Qualitative Research: Focused Group Interviews

For this research, youth at shelter and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have participated in interviews. In total, four times of focuse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aving 7 youths and 9 arts education professional participants. To recruit the interview participants, snowballing sampling was employed. For youth participants, in particular, executive directors and administrative manger of youth shelters have played a gatekeeper role. In order to have holistic view on the subject and the status quo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 teaching artists to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have recruited and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For this study, two sets of interview questions have developed since it involves with two distinctive groups of interview participants. Qualitative data have gathered b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nd the collected data sets have analyzed by using open-coding and axis-coding.

ii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 Key Findings 1. Quant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Sections

Answers (the 1st Choice)

Questions

students

When participating a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years (29.2%)

Who have suggested a regular participation i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Family members (53.5%)

Family members (28.8%)

If participated, in the recent year

yes (59.6%)

56.3%

Time constraints (40.2%) Western musical instruments (32.7%)

Time constraints (26.9%)

The most actively participated genre in the recent year

Music (39.8%)

Music (35.7%)

The most actively participated activity type in the recent year

club activity at school (31.2%)

programs at shelter (54.7%)

1 up to 3 hrs (48.1%) Longer than 6 months (52.3%)

1 up to 3 hrs (57.1%) Longer than 6 months(37.6%)

person(s) who influence most to the decision making of arts participation

self (31.8%)

friend(s) (65.3%)

how learned about the programs

The Internet (18.0%)

brochures (13.5%)

who usually participate with

friend(s) (58.0%)

friend(s) (65.3%)

practice/expression (56.9%) Average 71,393KRW/ Free 24.9% Time constraints (30.0%)

practice/expression (54.7%)

70.1 (out of 100)

79.2 (out of 100)

72.0 (out of 100)

79.6 (out of 100)

Program contents (38.0%) Less than before (30.3%)

Length of a program (44.4%)

Reasons why haven't participated Artistic genre recent year

participated

in

the

participating hours (per week) Participations

out-of-school youths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years (51.2%)

participating duration

program structures or types Average spending o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obstacles for participation Satisfactory activities at Satisfactory activities at

of extra curricular arts schools of extra curricular arts other institutions/org.

Reasons for unsatisfaction Changes of participating hour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pular music (32.4%)

Average 11,581KRW/ Free 58.8% Time constraints (27.6%)

Reduced (20.6%)

요약|iii


Factors that may help to participate in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Perceptio ns and Circumst ances

Preferred genres Preferred place/space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ompanies wish to participate together

Increasing opportunities at schools (23.5%) popular music (13.0%)

supporting the expenses (24.1%) popular music (25.3%)

schools (45.5%)

shelters (57.4%)

friend(s) (79.6%)

friend(s) (71.8%)

Preferable education type

practice/expression centered (44.3%)

practice/expression centered (43.6%)

The first choice answers

Pleasure (3.87) Happiness (3.81) Vitality (3.73)

Pleasure (3.91) Happiness (3.81), Imagination (3.78)

The second choice answers

Better academic achievement (3.25) Sense of belonging (3.40)

Better academic achievement (3.19) Sense of belonging (3.46)

Effects

2. Qualitative Research Data Analysis Out-of-school youths Sections

Categories Perceptions

Backgrounds Experiences Positive aspects Programs Obstacles Circumstances What to improve

Themes Emerged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about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Classes at the elementary schools, Courses integrated with theatre plays Participatory aspects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Cookie-cutter like program structures and boring contents

Positive aspects

Obstacles

Lack of time for and information about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Problems identified

Lack of motivation:

Programs willing to participate

Crafts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Sections

Categories

Themes Emerged

Backgrounds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

Lack of interest and motivation appeared among the majority of youth Acknowledging the online space as another active interacting space for many youth

Expected impact

Enhancing artistic senses of participants

iv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Efficacy Positive aspects

Management Environment

Programs Limitations and Obstacles

Administrative Management Circumstantial factor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Policy implications

Personal empowerment Identity construction as a member of society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of communications personal interactions

and

Experiencing activity-based education pedagog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its importance A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ve expanded, quality assurance appeared to be failed in general. A limited number of successful programs have been duplicated without considering changes of participants and environment. Administrative process centered arts and cultural programs and grant programs Marginalization and instrumentalit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t school system.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its importance Continuing efforts are required for promoting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iming at drawing social agreement on the need of integrated education to all children and the youth. Diversification of the program contents and structure. Supports for educators' empowerment

□ Policy Implications & Suggestions ㅇ Promoting the impact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enhancing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s.

Better access to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cluding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s is in need for students and out-of-school youths so that they can experience benefits of the arts-based education.

Since parents and educators ar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guardians to the youths,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positive impact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o them.

Program administrators or coordinator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or nonprofit organizations should be equipped with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uch as the purpose of the program to provide

요약|v


better quality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ㅇ Developing programs reflecting the need of program participants.

In order to provide quality-assure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understanding the youth who are the targeted participants of the programs is a critical step which should be undertaken.

Program's structures and contents need to be more diversified.

ㅇ Empowering the educators and program coordinators at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s. ㅇ Creating collaborative network among government agencies, schools, and arts educators.

Developing policies for youth arts and cultural education reflecting needs of participants.

Programs for out-of-school youths need to be increased in number and require investment of different resources.

vi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I.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필요성 3. 연구 내용



Ⅰ. 서론

1. 연구 목적 ㅇ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적인 참여자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참여자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 을 제안하는 것임. ㅇ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나뉘어 져 있으므로 참여자를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으로 나누어 조사하고자 함. ㅇ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청소년 문화 예술교육 현황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라 는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였음.

2. 연구 필요성 2.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증대 ㅇ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이 만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으로 여기에 는 미적인 교육, 문화다양성 교육, 매체교육과 문화적 문해교육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들 각각의 요소는 인간의 성숙과 발달에 필요한 다양한 능력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청소년의 발달을 이끌어 내고 있음. 즉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인격적으로 성숙하며 미적능력과 창의적 능력, 더 나아가 소통능력을 발전시켜 한 사람의 건강한 시민으로 자라날 수 있음(정수기·이병곤·박주만·김옥인·유수미·김형태, 2015). ㅇ 미래사회는 문화예술이 중심이 될 것이며 문화예술교육은 감성 뿐 아니라 정서, 사회성, 신체발달을 촉진하는데 일조할 것이므로 중요하게 바라봐야 한다는 공감대 형성이 확대되 고 있음(김재은, 2014). ㅇ 또한 청소년기의 문화예술교육은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보면 문화예술교육의 경험이 성인 기의 문화예술교육의 지속화에 있어서도 시사점이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효과성 연구는 다양한 측면을 통해 시행되었는데, 문화예술교 육은 청소년의 정서발달과 자아정체감 확립에 도움이 되며,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과 감 정 및 정서순화를 용이하게 함. 또한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통해 소통역량이 향상되고 공 감능력과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며, 창의성과 학습 능력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맹영

Ⅰ. 서론|3


임, 김민, 임경희, 2005; Winkley, 1996; Hampshire & Matthijsse, 2010). ㅇ 위기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심리적 안정(즐거움, 안정), 소통(어울림, 공감), 자기발 견(향상된 사고, 감정의 표현, 자신감, 꿈과 미래), 행동변화(활력, 부정적 행동 감소)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ㅇ 영국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은 자존감, 미래 조망, 기쁨 등 개인적 요인을 비롯해 타인이해 및 관용증진,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향상, 지역사회 정체성 및 자부심 고취, 적극적인 지역 사회와 지역의 민주주의 확대 등 집단 및 지역사회 요인에까지 그 효과가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음(Jermyn, 2001). ㅇ 미국의 경우, 공식 보고서인 「The Arts and Achievement in At-Risk Youth: Findings from Four Longitudinal Studies」를 통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발표하였는데 학업성취도(GPA)와

사회참여도(civic engagement)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냄(Catterall,

Dumais, & Hampden-Thompson, 2012). ㅇ 이처럼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들에게 긍정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ㅇ 최근 교육부에서는 함께하는 행복교육, 전인적 인재양성을 위한 2016년 학교예술교육 활 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학생들의 인성과 창의성 함양에 예술교육은 핵 심요소이자 행복교육의 토대이며, OECD 주요 선진국은 창조적·협력적 학교예술교육 기회 확대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 및 공감능력 함양을 강조하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 수요자의 예술교육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지역사회 예술교육 인프라와 재능 기부 등 다양한 예술교육 관련 자원과의 적극적인 연계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음. ㅇ 2008년 교육부와 문체부 간의 문화예술교육진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후 학교 문화예술 교육은 예술교육 활성화 학교가 확대되고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며 일반 학교(일반 중·고등학교)내 특성화된 예술 심화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예술적 소질과 적성 을 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 특히, 예술교과와 타 교과 간의 융합수업, 지역 연계 예술체험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학생오케스트라, 뮤지컬, 연극 등 예술교육지원사업이 내실화되었으며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한 예술분야 전문가의 협력수업이 지속되고 지역 사회와 연계한 학교예술교육의 기회가 확대되는 성과를 가져왔음.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은 초기 단계는 학교문화예술교육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진 측면이 강하지만 2005년 이후부터 학교 이외 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한 사회문화 예술교육도

꾸준히 추진되어왔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

화예술교육의 사업 비중이 2011년 80.5%:15.0%에서 2016년 61%:27%로 사회문화예술교 육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이처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사 회문화예술교육 중 주5일제 수업으로 인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같은 청소년대상 토요

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프로그램과 소외아동․청소년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 부처 간 협력 사업의 증가 등의 영향 인데 이 모든 사업의 주 수혜 대상은 청소년임. 또한 범부처 사업 가운데 법무부와의 협 력 사업은 비행청소년과 범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여성가족부와의 범부처 사 업대상에는 가출 및 학업 중단 청소년을 포함한 학교 밖 청소년이, 보건복지부와의 협력 사업에는 저소득계층 아동․청소년 대상 지역아동센터 문화예술교육이 포함되어져 있음. ㅇ 청소년정책을 전담하고 있는 여성가족부도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청소년의 창의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청소년 동아리 지원을 2017년에 2,500개로 확대 운영할 예정이며 어울림 마당, 나라사랑 체험활동 등 문화, 역사 체험프로 그램을 효율화하고자 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음.

2.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확산 ㅇ 최근 5년간의 문화체육관광부의 재정 증가율을 살펴보면 2010년 3조 1,747억에서 2014년 에는 4조 4,224억, 2015년에는 4조 9,959억으로 연평균 9.7%정도 증가하고 있음. 이 중 문화예술 사업에 투입되는 사업예산은 2013년 1조 6,793억에서 2014년 1조 8,782억, 2015년은 1조 9,868억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문화예술정책백서, 2015). ㅇ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지식문화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력양성 등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이 설립되었으며 학교, 교육시설 및 교육단체 간의 상호 연계협력망의 구축·운영, 문 화예술교육 지원을 위한 학술연구 및 조사, 교육시설 및 교육단체에 대한 지원평가, 교원 의 연수지원,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양성 및 연수, 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 의 확충 및 정비, 문화예술 원격교육 시스템의 구축 및 관리,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위한 국제협력 등을 통해(문화예술정책백서, 2015)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성과 저변 확대에 기여 하고 있음.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6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사업 예산은 1,231억 원이며 이 가운데 학교문화예술교육에 가장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데,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 예술교육의 비중은 2:1 정도 비율임. 앞서 기술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의 비율이 2011년 약 5:1(80.5%:15.0%)에 비해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에 서 청소년들의 여가 시간 등을 활용한 학교 밖의 문화예술교육으로의 확산을 의미하며 점 차 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일상의 교육으로 자리 잡아감을 의미함. ㅇ 학교문화예술교육 중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업은 학교 예술강사 지원 사업으로 2000년부터 꾸준히 지원되기 시작하여 2005년 3,214개교에서 2015년 전체 학교의 70.7% 에 해당하는 8,216개교, 2016년 9,033개교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참여 학 생 수는 2005년 71만 명에서 2015년 266만 명으로 3.7배가 증가하는 성과를 이루었음(윤 Ⅰ. 서론|5


혜란·장현선·김태은, 2015; 윤혜란·황경희·김혜경·옥경인, 2016). ㅇ 또한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경우 복지기관, 부처 간 협력사업, 농산어촌 이동형 교육, 문화예술 명예교사 등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수혜시설은 2,221개 시설로 총 2,434개 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투입되어 1,991명이 교육 강사로 참여하여 총 48,591명이 문화예 술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최근 들어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에서 아동과 청소 년의 수혜가 증가하고 있음(윤혜란 외, 2015).

2.3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쟁점 ㅇ 학교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들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문화예술교육은 공교육 시스템 내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목표 나 가치의 합의가 부재하고 예술강사 중심의 정책이 실행되고 있으며 교사 협력의 문제, 사업수행 방식에 대한 개선 문제, 문화체육관광부 및 관련부처의 협력체계에 대한 부족 등 지난 10년간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한계 등은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음(윤혜란 외, 2015). ㅇ 사회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문화예술교육 또한 해가 거듭될수록 사업의 규모 와 대상이 확대되고 있지만 그동안 사업에 대한 분석이 주로 세부 프로그램 단위와 평가 대상 집단별로 이루어져(김세준·김세훈·민정아·전민정·김명준, 201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전체를 포괄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음. ㅇ 국내의 문화예술통계 관련 조사들은 포괄적인 조사를 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자료 활용이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실시한 조사의 경우 일관성 있는 조사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간 추이를 통한 정책을 개발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 음. 특히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 조사의 경우에는 학교 급의 차이를 살펴볼 수는 있으 나, 수요자인 청소년과 청소년의 특성, 지역별 차이를 살펴보지 못하였으며 학교문화예술 교육의 정책적 함의를 생산하는데 까지는 어려운 측면이 있음. 특히 문화예술관련 통계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참여 실태를 조사하고 구체 적인 행위나 세부내용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 를 정책 사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 ㅇ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정책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과 효과 등에 대한 객관적인 자 료를 축적하고 체계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윤혜란·황경희·김혜경·옥경인, 2016). ㅇ 특히 문화역량 강화를 통해 창의적 문화발전을 이루어내고 문화를 국가발전의 신성장 동 력으로 활용하여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부분에 대한 지표체계 및 기초 통계자료의 확보와 이를 통한 정책방안 마련이 필수적임. 왜냐하면 증거에 기반을 둔 정 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책을 형성하고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가 필수적이 기 때문임(문화체육관광부, 2011; 임영식·정경은·김인설·조영미, 2014). ㅇ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상황과 여건 및 필요성 등을 고 려한 정책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수요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수요 중심의 정책전략 수립이 가능함. ㅇ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문화적 경험과 삶의 질을 증대하기 위해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추진 중이며 특히 문화 예술적 경험이 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 예술교육 지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주요 수요자인 청소년들은 교내와 교외, 지역사회 등 다양한 공간에 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접하고 있지만 문화예술교육의 효율성․수요맞춤형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관련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전략 수립이 필수적임. ㅇ 이에 주요 정책대상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 지역, 사설기관 등을 통해 접하고 있는 문 화예술교육의 참여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통해 수요자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성 있 는 추진방안을 검토하여 정책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즉,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 황 조사를 통해 수요자별 특성에 맞춘 정책을 도출함으로써 과학적인 정책지원의 근거를 제공하고,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 및 활성화 방 안을 모색해야 함. ㅇ 또한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특성상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을 동시에 고 려한 포괄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수립할 수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원과 조사 가 대부분이었음. 우리나라는 학교 재학 학생 수가 청소년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일부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지원은 향후 사회적 투자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이 비행 및 범죄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 외 학교 밖 청소년까지 조사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을 지님. ㅇ 앞서 기술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부분을 살펴보면서 몇 가지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음. 청소년들의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인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점차 확대되어져 가고 있는 데 학교안팎으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종합적으로 조사한 실태조사는 찾아보기 어 려운 상황임. 또한 사회문화예술교육이 대상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하여 문화향유 기회를 늘이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욕구와 문제점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 이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점을 지님. 또한 사회문화예술교육이 추구해야 하는 사회인으로서 의 역량, 사회발전으로서의 문화예술의 문화적, 사회적 가치 발견 등을 소홀히 한 측면도 있음.

Ⅰ. 서론|7


ㅇ 청소년은 현재와 미래의 우리사회의 주인공이며, 모든 청소년을 아우를 수 있는 종합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을 입안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임. 따라서 학교와 사회를 분절 하지 않고 하나의 체계 내에서 총괄적인 현황과 문제점과 개선점들을 도출해 내는 것이 필요함.

3. 연구 내용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 특성 및 현황 분석 -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 검토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 현황, 유사 통계 자료 수집‧조사 및 분석 -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지원 사업 현황 분석 및 문제점 추출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방향 및 분석 체계 수립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범주 및 조사 방향 설정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체계, 표본설계, 조사방법, 분석기준 등 연구 틀 구축 ※ 관련 전문가와의 자문회의(2회 이상)추진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설계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적 활용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한 문항 설계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정량조사 실시 -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동시 조사 실시 - 학생은 교급별․지역규모별 특성을 반영한 표본설계에 따른 조사 실시 - 학교 밖 청소년은 학생 학업중단율을 적용하여 지역규모별 특성을 반영한 표본 설계에 따른 조사 실시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자 정성조사 실시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자를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 실시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장점(효과) 및 문제점 추출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발전 방안 추출 ※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꿈드림’, 대안학교, 청소년쉼터 등의 다양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

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ㅇ 조사결과 분석 및 수요자 특성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전략 도출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통계분석 및 유의미한 데이터 산출 - 인구통계학적 특성(교급별, 성별, 지역별) 및 참여현황(문화예술교육 교육여부, 참여목적, 활용)등 조사결과를 다각적으로 분석 추진 - 정량적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정성적 측면도 반영될 수 있도록 관계자(학생, 교사, 학부모, 문화예술교 육 전문가 등) 대상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 정책방향 및 지원전략을 도출

Ⅰ. 서론|9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선행연구 분석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개념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선행연구 분석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선행연구 분석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의 ㅇ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의 제정과 함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되면서 본격화 된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이러한 사회·문화적 배경과 함께 기존 교육에 대한 대안 모 색으로부터 시작되었음. ㅇ 문화예술교육진흥법은 문화예술교육의 진흥과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문화예술 교육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에 이바 지함을 목적으로 2005년에 제정되었음. ㅇ 동 법률은 총 제5장 34조와 부칙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화예술교육의 목적과 관련 용어 및 기본원칙을 규정하고 있음. 동 법률은 모든 국민은 나이, 성별, 장애, 경제적 여건, 거 주 지역 등에 관계없이 평생에 걸쳐 문화예술을 학습하고 교육받을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 받는다는 원칙을 명확히 하는 한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그에 필요한 지원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음(문화정책백서, 2015). ㅇ 문화예술교육진흥법에서 문화예술교육이라 함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 제1항 제1호1)의 규 정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산업2), 문화재 보호법 제2조제1항3)의 규정에 따른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말함. ㅇ 이러한 제도적 지원과 함께 바르게 확산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사업은 크게 학교문화예술 교육(학교 내), 사회문화예술교육(학교 밖), 그리고 이 두 영역 간의 연계를 통하여 다양한 실천을 모색하고 시도해왔음. ㅇ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영유아보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어린이집, 유아교육법 제2조의 규 정에 따른 유치원과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에서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행 하여지는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며,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제2조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는 문화예술교육시설4) 및 문화예술교육단체5)와 제24조의 각종시설 및 단체6) 등에서 행하는 1)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문화예술이란 문학, 미술(응용미술을 포함한다), 음악, 무용, 연극, 영화, 연예(演藝), 국악, 사진, 건축, 어문(語文), 출판 및 만화를 말한다. 2) "문화산업"이란 문화예술의 창작물 또는 문화예술 용품을 산업 수단에 의하여 기획ㆍ제작ㆍ공연ㆍ전시ㆍ판매하는 것을 업(業)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3) 이 법에서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ㆍ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예술적ㆍ 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 4) "문화예술교육시설"(이하 "교육시설"이라 한다)이라 함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을 말한다. 가.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제1항 제3호의 규정에 따른 문화시설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13


학교문화예술교육 이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을 말함. ㅇ 진술된 법적 내용에서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 내용으로 하거 나 이를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3조의 기본원칙에 따르면 “문화예술교육은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조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음. 이는 협의의 교육목표로 볼 수 있음. 광의의 교육목표를 살펴보면 교육기본법 제2조 교육이념에서 “교육은 홍익인간(弘益人間) 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 영의 이상을 실현하는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함(문화관광연구원, 2016). ㅇ 이렇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의는 법적인 근거가 있기는 하지만 학술적인 측면에서는 명확하게 정의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ㅇ 예술교육은 가장 익숙한 용어로 미술, 음악, 무용 등과 같이 예술 장르별 교육으로서 학문 적 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 문화교육은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전개된 문화연구와 그에 연동되는 문화운동 차원에서 형성되어 온 개념으로 문화예술교육은 예술교육과 문화 교육의 접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정책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임 (김정선·박정유·연해경, 2008). ㅇ 문화예술교육은 크게 ‘문화예술을 위한 교육’과 ‘문화예술을 통한 교육’으로 구분될 수 있 음. 먼저 ‘문화예술을 위한 교육’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적 능력을 연마하는 전문 가 교육이며, 인간의 능력 중 감각기능을 발달시키고 직접 체험하며 문화예술적 재능을 익히는 것으로 예술가 즉, 창작자를 개발하는 교육과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예체능과목인 예술교육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음. ‘문화예술을 위한 교육’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적 능력을 미적체험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며, 문화예술작품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지만, 학교교육에서 정착된 문화예술교육은 음악, 미술 과목에 국한되어 있어 새로운 예술장르와 표현 형식 등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음. 또한, ‘문화예술 을 통한 교육’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여러 가지 감각작용들이 작용하여 인식을 통합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인간의 기본 소양을 기르는 것임.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스스로 표현하 여 문화예술을 창조하고 미적 경험과 감수성을 키우는 교육으로서 의미를 넘어 더 큰 효 과를 창출하기 위한 수단적인 교육을 의미함(고경화, 2003).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문화

나. 다. 라. 5)

「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른 청소년활동시설 「평생교육법」 제2조제2호에 따른 평생교육기관 중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시설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 "문화예술교육단체"(이하 "교육단체"라 한다)라 함은 문화예술교육을 주된 기능의 하나로 실시하는 법인 또는 단체 와 이에 준하는 법인 또는 단체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 6)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노인ㆍ장애인 등 특별한 배려가 필요한 문화적 취약계층을 보호ㆍ지원하는 각종 시설 및 단체에 대하여 사회문화예술교육 관련 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1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예술교육은 통합교육의 모델로 문화예술을 통한 교육으로 방향을 잡는 것이 바람직함. ㅇ 문화예술교육은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접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고, 문화예술적 창의력과 상상력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문화예술 기술과 행위들을 숙련하는 평 생교육임(평생교육진흥원, 2009). ㅇ 문화정책개발원(2000)은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을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잠재능력을 개 발시키고 창조적 통찰력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통합적 인격을 형성하고자 하며, 나아가 일 정한 훈련과정을 통해 사회와 개인 간의 유기적인 통일과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보았음. ㅇ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용어는 문화, 예술, 교육의 합성어로 최근에 등장한 개념임. 이 세 용 어가 합쳐져 복합명사로 쓰이는데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학문적 논란이 많고 교육 현장에 서도 예술교육·문화교육·문화예술교육이라는 용어들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이란 특정 문화예술 장르에 대한 고유한 이론과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이 아 닌 지식과 경험, 장르간의 통합, 타학문과의 융․복합을 추구하는 예술, 문화의 경계를 초월 한 통합교육으로 구체화할 수 있으며, 분절되어 있는 예술 및 기타 장르들을 교차시키거 나 통합하고, 학생 및 일반인들의 예술적 감각과 감수성을 활성화시켜 개인의 자율적인 표현과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음. 이는 곧 문화와 예술 그리고 교육의 융합으로 지식과 경험의 통일성과 학문과의 경계를 초월한 융․복합성의 추구를 강조함. 이 러한 관점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범위를 구분하면, 문화예술교육은 크게 예술적 향유, 생활 속에서의 예술 그리고 예술교육으로 나눌 수 있음. 예술적 향유는 문화예술 작품을 대한 관람, 찾아가는 문화행사 등의 소비활동을 의미하며, 생활 속에서의 예술은 동아리활동 등 의 학생 및 일반인들의 예술 창작활동을 의미하며, 예술교육은 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 으로 하는 예술교육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음. 또한 이 속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장르는 음 악, 국악, 미술, 무용, 연극, 문학, 사진 등 순수예술 관련 지원사업과 건축, 박물관, 도서 관, 출판, 콘텐츠(영화, 게임 등), 애니메이션, 대중음악 등의 문화산업 등이 포함되어 있다 고 정리할 수 있음(윤종현·홍성준·조은주·박주만, 2017). ㅇ 문화예술교육은 국민 개개인의 발전과 성숙은 물론 사회의 문화적 성장과 성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이며, 기존의 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미적 감수성이나 정서 함양, 창의성 육 성을 넘어 궁극적으로는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의 문화역량 강화에 이바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음(윤종현 외, 2017). ㅇ 이상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청소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서술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의를 찾아보기 어려움. ㅇ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문화예술교육 정의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게 문화예 술교육을 ‘음악, 무용, 연극, 미술, 문학 등 다양한 문화예술을 배우고 경험함으로써 살아가 는 데 필요한 창의적인 생각과 예술적 감성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교육’으로 정의하고자 함.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15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선행연구 검토 2.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관련 선행연구 ㅇ 청소년활동 분야에서는 청소년 활동 프로그램의 다각화와 친화적인 프로그램의 보급에 노 력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등 교실수업에서 벗어나 다 양한 활동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고 있음. 즉, 청소년들이 스스로 역량을 개발하고 건강한 발달을 촉진하며 국가발전의 주요 동력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경 험의 제공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것임(최창욱·문호영·김진호, 2015). ㅇ 2014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문화기본법’은 문화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함께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문화정책의 추진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문화의 위상을 높여 문화 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사회의 발전에 국민의 문화적 삶에 대한 정책 방향을 규정 하고자 함. 이는 문화의 중요성과 더불어 문화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체계화와 더불어 국 민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권으로서의 ‘문화권’을 명시한 점에서 문화의 체험과 향 유를 개인이 아닌 국가적 차원으로 확장하는 선언적 의미를 부여함(문화체육관광부, 2014). ㅇ 학교문화예술교육은 2000년 국악교육 지원을 시작으로 2005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출범과 함께 현재 국악, 연극, 무용,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공예, 디자인, 사진으로 확대 정착되고 있음. ㅇ 2006년 6월부터 시행된 문화예술교육지원법으로 인해 더욱 풍성하게 진행되는 계기를 맞 았으며 이에 따라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연관하여 법과 제도의 문제, 교육현황, 교육활동의 구체적인 사례와 담론 연구, 정책비교 연구 등이 이루어졌음(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ㅇ 한편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수요와 특히 학교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창의성 교육과 더불 어 인성교육 측면에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2010년 7월에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 학기술부가 공동으로 ‘창의성과 인성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방안’을 발 표하여 각 급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지원을 강화하며 예술강사 지원사업, 교과교실의 현대 화 등 정책 사업을 더욱 강화하게 되었음. 본 방안은 교과활동에서의 예술교육 강화, 예술 체육 중점학교 활성화 및 확대, 각급 교육기관의 지원확대, 과학과 예술의 통합교육 실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예술교육 강화, 예술교육 지원 협력체계 구축 등으로 정책 이 확대되었음(문화체육관광부, 2015). ㅇ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추진방향(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에 따르면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인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 참여 학교 수가 2005년 3,214개교에서 2016년 9,033개교로 2.8배 증가하였으며 참여 학생 수는 2005년 710,000명에서 2015년 2,660,000명으로 3.7배가 증가하는 성과를 이루었음.

1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ㅇ 2016년 기준으로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5,304명의 강사가 파견되었으며 사업비는 약 860 억 원에 달하고 있음(김석범, 2016). 학교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 전체에서 가장 많 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으며 전체 예산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음. 이 중에서도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이처럼 창의성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학 교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행복한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하고 있음. ㅇ 정부와 교육청은 학교 문화예술을 진흥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으 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었으며 정책사업과 예산 규모 또한 확대 되는 추세에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이 만나는 지점에서 이뤄지는 교육활동으로 미적인 교육, 문화다양성 교육, 매체교육과 문화적 문해교육 등이 포함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요소는 독립적, 병렬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성숙과 발달에 필요한 다양한 능력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학생들의 발달을 이끌어내고 있음. ㅇ 그러나 학교예술교육이 공교육 시스템 내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목표나 가치의 합의가 부재하고 예술강사 중심의 정책이 실행되고 있으며 교사 협력의 문제, 사업수행 방식에 대한 개선 문제, 문화체육관광부 및 관련부처의 협력체계에 대한 부족한 연결고리 등 지 난 10년간 학교 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한계 등은 향후 학교문화예술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ㅇ 이에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정책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서 는 현재 문화예술교육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과 효과 등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축적하고 체계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원, 2017). ㅇ 특히 문화역량 강화를 통해 창의적 문화발전을 이루어내고 문화를 국가발전의 신성장 동 력으로 활용하여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부분에 대한 지표체계 및 기초 통계자료의 확보와 이를 통한 정책방안 마련이 필수적임. 왜냐하면 증거에 기반을 둔 정 책을 형성하고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가 필수적이 기 때문임(문화체육관광부, 2011). ㅇ 정부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현황을 파악하 는 데는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2.2 학교문화예술교육 연구현황 ㅇ 학교문화예술교육은 당위성이나 특정 학제 위주의 만족도 및 수요 조사에 관한 연구, 특정 과목 수업방식의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국가 통계 또한 방과후 학교, 동아 리활동 등을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구조가 아니었음.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17


ㅇ 2008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 및 수요조사 연구는 예술강사 수혜학교와 비수혜학교를 대 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일반적인 현황과 실태, 예술강사 사업에 대한 인식여부를 묻고 향후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였음. ㅇ 2010년 문화예술교육 통계조사연구는 학교 및 문화예술교육 단체의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개발의 준거자료의 목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따라서 학교의 시행현황과 지원정책, 정책수요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음. ㅇ 본격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2014년부터 진행되었음. 학교교육과정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기 초통계자료 확보 및 정책제안을 위한 연구로 진행되었음. ㅇ 2014년도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는 세부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전반적 인 체계를 살펴보기 위해 조사가 진행되었음. 2014년에는 사업과 학교체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하였음. 11,714개교 중 7,984개 학교가 응답하였으며 보고서에 서는 표로만 현황을 표기하여 조사하였음. 따라서 그 실태가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정책 적인 시사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기술되지 못함. ㅇ 2015년 학교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는 전국 초·중·고 11,791개를 모집단으로 하여 조사가 수행되었으며 이 중 9,471개 학교가 조사에 참여하였음. 실태조사는 교육과정 내 문화예 술교육으로 교과군 예술교육 운영현황과 창의적 체험활동과의 연계활동을 조사하였으며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교육으로 토요동아리,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의 실태를 파악하였 음. 문화예술교육 이외로는 자유학기제와 문화예술관련 외부지원사업, 시설 현황을 조사하 였음. ㅇ 2016년 학교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에서는 전국의 초·중·고 11,563개교를 대상으로 조사 가 진행되었음. 학교문화예술교육의 8개 분야와 학교문화예술 분야의 범위를 정의하기 위 해서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동아리활동, 방과후활동 등의 분야를 1차 분류하고 각 학제 별로 자문을 통해 국악, 공예, 영화,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문학, 사진, 연극, 음악, 디자 인, 미술, 기타 총 12개 분야의 76개 세부분야로 정의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음. ㅇ 크게 교과(군)와 창의적체험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교육은 동 아리활동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음. 그러나 학생들이 학교 이 외의 시설에서 개별적으로 받는 문화예술교육이나 청소년문화시설 등 외부시설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까지는 파악하지 않았음. 즉 순수하게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만을 한정하여 실태를 파악하였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1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Ⅱ-1> 학교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의 흐름 2014년

2015년

사업 및 학교체제이해 최적의 조사 수행방식 마련 조사 관련자의 조사목적 공 유, 설득 자료수집 및 추후조사를 위 한 기반마련

2016년

초회 조사에서 부족한

부분

을 보강하여 조사 표본수 확대하여 신뢰성 확보 안정적인 지표결과 확보

공신력

있는

통계로서의

입지 확보 안정적인 지표운영 정량적 수치를 통해 학교문 화예술교육 시사점 및 정책

추적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

제안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ㅇ 2016년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는 2014-2015년도에 설정한 학교문화예술교육체계를 활용하였음. 현재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을 교과(군)과 창의적체험활동으로 구분하였고,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교육은 동아리활동, 방과후활동, 초등돌봄교실 등으로 정리함. 학생들이 학교 이외의 시설에서 개별적으로 받는 문화예술교육이나 청소년 문화시 설 등 외부시설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은 파악하지 않았음. 즉 순수하게 학교 내에서 이 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만을 한정함 ㅇ 교과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업은 음악, 미술, 체육(표현활동수업 중 무용)교과에 한정하였 으며 일부 고등학교에서 진행하는 전문교과 내 문화예술교육은 포함하지 않았음. ㅇ 창의적체험활동에서는 주로 자율활동 특히 창의적특색활동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는 학교가 많아 이를 포함하였으며, 동아리활동에 대한 질문을 구성하여 조사함. ㅇ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교육은 토요동아리, 자율동아리(시수에는 포함되지 않고 학생들이 자 율적으로 결성 및 운영하는 동아리)와 방과후 학교에 대한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함. 이 외 에도 문화예술교육 관련 외부지원사업 등에 대한 질문을 추가하였으며 중학교 자유학기제 전면시행으로 관련 문항을 추가하였음. <표 Ⅱ-2> 2015, 2016 학교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조사 시점

구분

교육 과정 내 문화 예술 교육

교과(군)예술교 육 운영현황

‘15/ ’16 1학기

조사 내용

2015

2016

음악교과 내 국악시수 비율

체육교과 내 표현활동(무용)시수 비율

스포츠클럽 활동 내 표현활동(무용)의 교과군 연 계시수 비율 보통교과 중 예술교과 기본수업 시수 보통교과 중 예술교과 선택수업 시수

창의적

창의적

‘15

창의적

체험활동

시수(자율·동아리·봉사·진로)

-

중 학교 고등 학교

삭제 삭제

삭제

삭제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19


조사 시점

구분

조사 내용

2015

2016

전체 현장체험학습 횟수 및 문화예술교육 현장체험학습 횟수, 현장체험학습 방문 장소

학교 예술축제 운영 여부

학교별 예술특색사업 운영여부

학교별 예술특색사업 형태(외부지원, 자체)

학교동아리 운영여부

전체 동아리 수, 동아리 종류별 동아리 수

문화예술동아리 운영 여부

학교 예술동아리 분야 및 개수

학교 예술동아리 종류별 수, 동아리별 가입 학생 수

중학 교만

삭제

-

추가

방과후학교 운영여부

방과후학교 총 프로그램 수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여부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분야 및 개수

초등돌봄교실 운영여부

삭제

초등돌봄교실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여부

삭제

문화예술교육 관련 외부 지원 사업 유무 및 지원처

동아리활동을 위한 외부 지원 사업 유무

-

추가

민간기관 지원금 여부 및 금액

삭제

학교전체예산

삭제

체험 활동 현장학 습체험 체험 활동 및 창의적 체험활 동과의 연계활 동

예술축 제 및 예술특 색사업

동아리

2015년 기준 3년간 운영시수 ‘15/ ’16 1학기 ‘15/ ’16

‘15/ ’16 2학기

‘15

중학교 자유학기제 ‘16

교육 과정 외 문화 예술 교육

문화 예술 교육 이외

토요동아리 자율동아리

2학기

방과후 학교

‘15/ ’16 4월

초등돌봄교실

‘15

문화에술관련 외부 지원사업

‘15/ ’16

학교예산

‘15

자유학기제 시행여부 문화예술 관련 활동 분야 자유학기제에 문화예술분야 필요성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필요사항 자유학기제 운영시수 예술 활동 이외 타 자유학기제 활동 중 문화예술 관련 활동 유무 진로활동 및 주제선택활동 중 문화예술관련 활동 시수 비율 현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운영형태 현재 운영 문화예술분야 향후 필요한 문화예술 분야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필요사항 학교 예술동아리 종류(창의적체험활동 동아리, 토 요동아리, 창의적체험활동 외 자율동아리) 및 동 아리별 가입학생 수

2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구분 시설

조사 시점

조사 내용

‘15

문화예술교육 보유시설 현황

2015

2016

삭제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21


ㅇ 2016년 현황 조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 교사, 진흥원과의 협의를 통해 총 12 개 분야, 76개 세부분야로 정의함. <표 Ⅱ-3> 문화예술교육 세부 분야 분야

세부분야

국악

사물놀이, 타악, 현악, 관악, 판소리/민요.시조, 기타 국악

공예

도자기공예, 토탈공예, 클레이공예, 종이공예, 퀼트공예, 목공예, 기타 공예

영화

영화제작, 동영상/UCC제작, 비디오아트, 방송, 광고, 영화감상 등

무용

전통무용, 연희, 발레, 방송댄스, 힙합, 댄스체조, 라틴체조

만화/애니메이션

만화창작, 만화감상, 애니메이션, 기타

문학

글짓기, 독서토론, 평론, 기타문학

사진

사진이론, 사진실기, 기타 사진

연극

연극, 인형극, 아동극, 기타 연극

음악 디자인 미술 기타

오케스트라, 목관, 금관, 현악, 기타, 타악, 밴드, 건반, 오카리나, 리코더, 하모니카, 난타, 합창/동요, 오페라/성악, 대중음악/보컬, 뮤지컬, 기타 음악 북아트, POP, 패션디자인, 컴/웹디자인, 건축디자인, 시각디자인, 제품디자인, 디자 인종합, 기타디자인 서양화, 동양화, 드로잉/스케치, 조소/조각, 미술감상/전시관람, 서예, 미술종합, 기타 미술 등 융합예술

ㅇ 2016년도 조사 응답대상은 교사1명이 모든 내용을 알지 못하므로 여러 분야의 교사들이 협력하도록 함. 교육과정부장, 학년부장, 교무부장, 창의적체험활동 부장, 예술부장, 체육· 미술·음악 교사, 동아리담당교사,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또는 실무자, 자유학기제 담당교사 들의 협력을 통해 수집함.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선행연구들은 기초통계 자료를 축적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 지만,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는 조사기관들에 따라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구성 및 교육 내용이 달라지며 기관별 프로그램 및 학습자 현황 또한 기관별로 약간씩 조사항목이 상이 하여 전체적인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세부 영역별 조사가 통일되지 못한 부분이 있음(윤종현 외, 2017). ㅇ 2016년도의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연구를 제외하고는 실태조사를 통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하는지, 학제별 학교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특징이 나 차이점이 반영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

2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3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 현황연구 ㅇ 문화향수실태조사(2016)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여가정책과에서 조사하였으며 문화활동 향유에 대한 국민적 필요성과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향유 경로와 방식에 대한 조사를 통해 궁극적으로 국민문화 향유진행에 기여하고 분석으로 도출된 개선점을 통해 정책수립 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음. 15세 이상 성인 남녀 10,716명을 대상으로 1:1 방문면접을 통해 문화예술 관람 및 참여, 문화예술교육, 문화시설 이용, 문화관련 자원봉사 및 동호회 활동,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지역축제 관람 실태를 조사하였음. ㅇ 국가 청소년활동정책 체계화연구가 2013년도에 수행되었는데 청소년활동정책을 체계적으 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청소년 정책수요자인 청소년, 학부 모를 비롯하여 청소년지도자 및 관련 학계 전문가의 요구파악을 위해 초·중·고등학생(초6, 중2, 고2)을 대상으로 전국규모의 체험활동 및 문화활동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음(한국청소 년정책연구원, 2013). ㅇ 조사영역은 체험활동영역별 참여도(건강보건활동, 과학정보활동, 교류활동, 모험개척활동, 직업체험활동, 환경보존활동, 자기(인성)개발활동, 봉사활동, 사회참여활동, 대중문화활동, 팬덤문화활동, 고급문화활동)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체험활동 영역별 참여방식(학교에서 단체로 참여, 교내 동아리활동, 교외 동아리활동, 청소년 단체활동, 온라인동아리활동, 종 교활동(선교활동 등), 개인적으로 활동(가족과 함께, 학원에서 하는 활동 포함))으로 조사 하였음. 체험활동 장애요인으로 참여하고 싶은 활동 중 참여하지 못한 활동 유무를 살펴 보았으며 그 이유를 조사하였음. 체험활동 적극 참여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 한 요구조사와 체험활동 관련시설 이용경험 조사되었음. 정의적 특성변인으로는 체험활동 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자아존중감, 동기, 몰입, 행복감을 조사하였음. ㅇ 2016 청소년통계는 통계청 사회조사와 초중고 사교육비 현황 조사 등을 바탕으로 10세에 서 24세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통계를 구축하고 있음. 통계청은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를 매년 전국 초·중·고 1,483개 학교의 학부모 약 4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사회조사는 매년 개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 및 인터넷 조사를 실시함. 이러한 조사의 내 용을 바탕으로 청소년통계를 정리하여 발표하는데 이에 따르면 중·고등학교 사교육 참여율 은 68.8%로 증가하고 방과후 학교 참여율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13-24세 청 소년 5명 중 4명 이상은 문화예술 및 스포츠를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남. 2015년 문화예술 및 스포츠를 한 번 이라도 관람한 청소년은 87.1%이며, 이 중 영화관람이 92.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음. 그러나 영화관람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음악·연주회, 미술 관 관람 비율은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생긴다면 여가시간 을 활용하여 여행이나 캠핑 등의 관광활동(50.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문화예술관람 (46.9%)로 나타나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23


ㅇ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는 청소년활동실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청소년활동 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하여 참여정도, 참여방법, 활동참여에 대한 현황과 효과 파악에 초점을 맞추어서 진행하였음. ㅇ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는 근거중심(evidence-based)의 청소년활동정책을 수립하기 위하 여 정기적인 실태조사의 필요성과 활동이 영역별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음. 또한 근거중심 청소년활동정책의 개발과 적용을 과학적으 로 지원하기 위해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를 추 진하기로 함에 따라 2014년도 1차 연구는 청소년 활동 개념을 광의적으로 포괄하고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제언을 실행함. 2015년 도 2차 조사연구에서는 활동 개념에 대한 진중한 모색과 더불어 1차년도 조사도구를 수정 및 보완한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청소년활동 전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실태조사 결과, 전문가의견조사 결과, 전문가자문회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제시하였음. ㅇ 2014년도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에서는 체험활동 참여변인으로 체험활동 영역별 차여여부, 체험활동 영역별 참여방식, 체험활동 전후의 교육여부, 체험활동 장애요인 및 요구, 체험활동 관련 시설의 이용경험, 진로체험 경험여부를 조사하였음. 문화예술활동 참 여는 문화예술행사 관람 및 참여로 관람횟수와 참여횟수를 조사하였음. 정의적 특성변인으 로는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자아존중감, 동기와 진로성숙도, 행복감을 조사하였 음. 연구결과 문화예술활동이 가장 높은 참여율(92.1%)을 나타냈음(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ㅇ 2015년도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에서는 2014년도의 조사문항을 보완하여 청소년 활동참여 실태 중 활동 만족도, 참여경로, 향후 참여하고 싶은 청소년활동, 청소년정책 인 지도가 추가적으로 조사되었으며 정의적 특성에는 기존의 문항 외에 리더십생활기술을 추 가하여 측정하였음. 연구결과, 최근 1년간 청소년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비 율이 94.4%로 높게 나타났음. 이 중 건강보건활동의 참여율이 93.7%로 나타났고 이어서 문화예술활동이 79.7%로 높게 나타났음. 2014년과 비교하여 문화예술활동 참여율이 13.2%가 감소한 결과를 보였음. 특히, 향후 참여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문화예술활동 (21.1%)과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활동(21%)이 가장 선호된 것으로 나타났음(한국청소년정 책연구원, 2016). ㅇ 2016년도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참여경험, 만족도, 장애요인, 활성화요인, 향후 참여하고 싶은 청소년활동 등의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8,6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음. 최근 1년간 청소년활동 에 참여한 청소년은 96.1%로 나타났으며 이중 건강보건활동이 93.6%로 가장 놓게 나타

2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나고 이어서 문화예술활동이 95.2%로 높게 나타났음(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ㅇ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기초통계 자료를 축적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었으나 실태조사를 통해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하는지, 학제별 학교문화예술교 육이 가지는 특징이나 차이점이 반영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음. ㅇ 특히 양적인 연구방법 외에도 연구결과의 의미와 가치가 충분히 담기도록 정성적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 내 융합 수업 등의 변화, 자유학기제로 인한 변화 등을 고려 한 문항 설계가 필요하고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영역과 장르의 기준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 음을 논의하였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ㅇ 이 외에도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보다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는 수요자의 상황과 여건 및 필요성 등을 고려한 실태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 특히, 학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실태조사 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및 지원을 위한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음. ㅇ 청소년체험활동이나 청소년활동실태는 학교문화예술활동 실태조사와 달리 청소년에 대해 조사했으므로 정의적 측면에서의 실태를 동시에 파악하여 청소년의 의식과 가치, 태도 등 을 측정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음. 따라서 이는 기존의 현황과는 다른 측면에서 정 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음. ㅇ 더 나아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안·밖의 다양한 공간에서 진행되 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참여 현황을 조사하고 청소년별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정책 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표 Ⅱ-4> 선행연구 개괄 연구대상/

현황연구

연구 목적

조사내용

2008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 및 수요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예술강사 수혜학교 및 비수혜 학교 대상 수요조사

예술강사 수혜학교 및 비수혜학교 총 500개 예술강사

수혜학교와 비수혜학교의 일반현황, 실태, 예 술강사 사업 인식여부 등 예술강사의 소득활동 교육현황

2010 문화예술교육 통계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문화예술교육실태 및 정책수요 조사

초등학교 642 중학교 327 고등학교 231 총 1200학교 지역사회 408기관

2014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초·중·고등학교 11,714개교 대상 전수조사

2014년 2년 기준: 교과 내 시수비율, 예술축 제, 외부 지원사업, 예산 및 시설 등 학기초 운영 2014년 1학기 기준 현장학습, 문화예술 현장

작성대상자

기본현황 학교 문화예술교육 시행현황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정책 문화예술교육 정책 수요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25


현황연구

연구 목적

연구대상/ 작성대상자

조사내용 학습 등 2014년 2학기 기준 창의적 특색활동, 동아리 활동 2014년 4월 기준 방과후학교 교과(군) 예술교육현황, 창의적 체험활동 및 연계활동, 교육과정 외 문화예술교육, 문화예 술교육 이외 교육과정 내, 교육과정 외로 조사 교과군 문화예술교육, 창의적 체험활동과 문 화예술교육, 동아리활동과 문화예술교육, 방과 후 학교와 문화예술교육, 기타(현장학습 및 예술축제/예술특색 사업 등), 학교 문화예술교 육 관련 외부지역사업 중학교의 경우, 자유학기제와 문화예술교육 추가조사

흥원)

기초통계자료 확보

2015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형태 이해, 기초자료 확보

초·중·고등학교 11,791개교 대상 전수조사 / 각 학교 문화예술담당 및 관련 교사

2016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문화예술 교육 정책 추진의 기초자료 활용

전국 초·중·고등학교 11,563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 / 각 학교 문화예술담당 및 관련 교사

교육과정 내, 교육과정 외로 조사 교과군 문화예술교육, 창의적 체험활동과 문 화예술교육, 동아리활동과 문화예술교육, 방과 후 학교와 문화예술교육, 기타(현장학습 및 예술축제/예술특색 사업 등), 학교 문화예술교 육 관련 외부지역사업 중학교의 경우, 자유학기제와 문화예술교육 추가조사

만15세 이상 남녀 10,716명 (전국 17개 시, 도(제주 및 세종시 포함)

1. 문화예술행사 관람실태 문화행사(문학, 미술, 서양음악, 전통예술, 연 극, 뮤지컬, 무용, 영화, 대중음악/연예)관람 실태: 관람률, 관람 횟수, 관람 의향, 문화예술행사 참여경험추이, 의향, 관람지역, 동행자 보완이 필요한 부분 관람방법, 시간대, 정보습득경로 관람기준, 관람의향 2. 매체를 통한 문화예술행사 이용실태 예술행사 참여경험 매체를 통한 문화예술분야 이용경험 3. 문화예술행사 참여 실태 예술행사 참여경험, 의향, 동반자, 시간대 4. 문화예술관련 지출 지출비중(문학, 비문학, 미술, 클래식음악, 전 통예술, 영화, 연극(뮤지컬), 무용, 대중예술 (음악), 5. 문화예술경험 및 의향 문화예술경험여부, 실태 1년 이내 학교교육 외 문화예술교육 경험, 문 화예술행사별 경험, 문화예술교육 의향(교육경 험자, 비경험자),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부)

국민 문화향유의 필요성 및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 향유 경로와 방식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국민문화 향유 진흥 도모, 문화수요파악과 실태분석, 시계열 분석 등을 통한 문화정책의 개선점 도출, 정책수립에 대한 정보 제공

2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현황연구

연구 목적

2009 한국청소년 지표조사IV -아동·청소년활동·문 화지표 (한국청소년정책연구 원)

2013 국가 청소년활동정책 체계화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 원)

2016 청소년 통계

통계청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2014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I (한국청소년정책연구 원)

연구대상/

초등학교 4 고등학교 3

청소년활동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청소년체험활동 및 문화활동 실태조사 실시

통계청과 여성가족부가 작성하여 청소년의 모습을 다각적으로 조명하도록 함

조사내용

작성대상자

초6, 중2, 고2

10-24세 국민(초·중·고· 대학(교) 및 대학원에 재학 중인 사람) 통계청 사교육비조사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 분석

6. 문화예술 공간이용 실태, 방문의향 문화예술활동 공간 이용률 및 이용횟수, 문화 행사 참여의향, 7. 문화관련 활동 문화자원봉사 활동경험, 동호화 참여경험 8. 만족도 관람활동, 참여활동,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변 화추이 9. 기타 역사문화유적지 방문 경험, 축제경험추이, 청소년활동(활동의식, 활동가치, 활동태도/경 험 - 집단활동, 봉사활동, 문화활동, 야외활동, 스포츠활동, 교류활동, 이용시설) 청소년문화(문화의식-문화가치, 문화태도./ 문 화경험 - 순수예술문화, 대중예술문화, 정보문 화) 청소년역랑*정서적/인지적/사회적/시민적/직업 적 역량)

체험활동 영역별 참여도 및 참여방식 참여활동 장애요인 및 요구 체험활동 관련시설 이용경험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자아존중감, 동기, 몰입, 행복감, 학습활동 참여

인구와 가족: 인구추이, 학력인구, 다문화청소 년, 부모와의 활동 및 대화 건강과 교육: 체격, 흡연 및 음주, 사망원인, 사교육 및 방과후 학교 경제활동: 고용률, 실업률, 임금수준, 아르바 이트, 취업경로, 첫직장 이직사유, 직업선택요 인, 선호하는 직장 문화와 여가: 문화활동, 여가활동, 나눔활동, 인터넷이용, SNS 이용,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안전과 의식: 아동학대, 소년범죄, 양성평등 의식, 인권의식, 투표참여

사교육비 현황

초·중·고 1,483개 학교의 학부모 약 43,000명

예체능 및 취미 교양 관련 사교육 현황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참여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참여활성화 정책방안을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4,500명

체험활동 참여여부 및 참여방식과 참여도 체험활동 참여전후의 교육 여부 참여하고 싶었던 체험활동 유무 및 참여 못한 이유 적극적인 체험활동 필요요소 체험활동 관련 시설 이용 경험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련여부 및 횟수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27


현황연구

연구 목적

연구대상/ 작성대상자

제시하는 것

2015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 원)

2016 청소년활동참여 실태조사 연구III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참여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참여활성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

초·중·고등학교 10,506명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참여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참여활성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

전국 초·중·고등학 생 8,627명 (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고, 자율고, 특성화고, 특수목적고를 변형비례 배분함)

조사내용 문화예술행사 참여여부 및 횟수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동기, 자아존 중감, 진로성숙도, 행복감 청소년활동 참여여부 및 참여방식과 참여도 청소년활동 만족도, 참여형태 참여경로, 장애요인, 청소년활동 활성화 요인 참여하고 싶었던 체험활동 유무 및 참여 못한 이유 청소년정책 인지도 청소년활동 관련 시설 이용 경험 문화예술행사 직접 관련여부 및 횟수 문화예술행사 참여여부 및 횟수 활동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동기, 자아존중감, 리더십생활기술, 진로성숙도, 행복감 청소년활동 영역별 참여경험, 만족도, 참여정 도 청소년활동 참여 성취기대수준, 지원정도, 참 여형태, 참여경로, 장애요인, 희망시간, 희망 장소 청소년활동에 참여하고 싶은 대상, 활성화요 인 향후 참여하고 싶은 청소년활동, 관련시설 이 용경험 청소년활동정책인지도 청소년여가시간 활동에 대한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행복감, 공동체의식, 리더십생활기술

2.4 국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연구 ㅇ 국외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로는 영국의 Taking Part Survey가 있음. 이는 영국에 거주 하는 16세 이상의 국민과 어린이(5세-10세, 11세-15세)를 대상으로 문화와 예술, 스포츠 와 미디어에 대한 참여 실태를 파악함. 예술, 박물관 및 미술관, 기록물, 도서관, 유적지, 스포츠로 조사항목을 분류하고 참여유형과 빈도, 만족도, 사회적 자본, 자발적 사회참여, 참여에 대한 방해요소 등에 대해서 조사함. 본 조사를 통해서 문화부문의 데이터는 정책 당국과 실무자, 학자 및 자선단체 등에서 널리 활용하고 있음. 이는 매년 조사하기 때문에 추이를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문화예술 및 스포츠 정책에 반영하고 있음. 문화예술부문은 관람과 참여로 나누어서 실태조사가 진행됨. 관람에는 시각예술, 공예전시 회, 아트전시회, 비디오, 독서, 글짓기, 행사 길거리 공연, 공공예술전시, 공공예술설치, 서 커스, 카니발, 특정문화축제, 극장, 오페라, 라이브음악콘서트, 라이브 댄스이벤트 등을 포

2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함하며 참여는 춤, 노래, 음악적 악기, 작곡, 극장, 오페라, 카니발, 길거리공연, 서커스 시 각예술, 사진, 영향, 비디오, 디지털 예술, 공예, 창작, 글짓기, 독서모임 등으로 구성되어 실태를 파악함. 2017년 조사는 2015년과 2016년의 통계를 살펴볼 수 있음. 또한 동성(혼) 관계, 인종, 장애 종류, 질병유무 등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정보를 수집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문화와 예술, 스포츠 활동의 참여에 대한 실태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있음. ㅇ 미국의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Arts)은 미국 국민들의 문화예술참여에 대 한 실태를 주별로 연구하여 발표하고 있음. 공연예술 및 시각예술분야에서 미국 성인의 예술참여가 어떠한지를 통해서 예술 데이터의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연례 예술기본설문조 사와 참여패턴의 주별 수준을 발표함. 특히 국민들의 참여가 매년 어떠한 변화를 가지는 지 살펴볼 수 있음. 1982년부터 시작된 본 연구는 시각 및 공연예술 참여, 예술작품의 개 인적 공연이나 창작, 도농 간의 예술참여 패턴, 성, 인종 및 민족, 그리고 참가 연령에 따 른 참여 현황과 예술참여자의 직업 등을 분석하여 이를 발표하고 있음. 특히 측정단위를 4단계로 측정하고 있는데 A는 독서 및 음악 선호도, B는 인터넷과 다른 미디어를 통한 참여, C는 여가활동, D는 예술학습으로 나누어서 살펴봄. 문화예술표준활동은 공연예술과 시각예술, 역사유적지, 문화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있음. 참여형태는 참석, 방문, 읽기, 관 람. 감상, 온라인 경험, 공연, 창작, 그리고 강좌수강 등으로 구분하고 있음. 공연예술은 일 반공연예술, 실외공연예술, 음악(재즈, 클래식, 오페라, 라틴, 합창 또는 독창, 그룹, 악기연 주)으로 구분하며 시각예술은 일반적 예술 및 예술가들, 공예행사로 구분하여 조사함. 이 러한 조사는 일반 미국인들의 예술참여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단순 참여 가 아닌 창작활동이나 공연활동, 수업 등의 실태도 파악이 가능하며 특정 지역의 특정 문 화적 참여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더 나아가 각 주별로의 차이와 경향성을 파 악하고 특히, 교육과 빈곤이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예술기관, 지역지도자, 기타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기관과 연계한 교육기회 확대를 꾀하고 있음. ㅇ 캐나다의 문화통계프레임워크는 문화에 대한 포괄적이고 일관성 있으며 비교 가능한 통계 를 활용가능하고 근거 있는 자료로 생산함으로써 문화부분에서의 분석을 체계화하고 국제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음. 아울러 캐나다와 캐나다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 여 경제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의 모든 부분을 다루고 있음. 따라서 창작, 생산, 전파, 전 시, 소비, 참여로 구분하여 실태를 파악함. 이는 UNESCO의 Framework for Cultural Statistics(FCS)의 도구에 기반을 두고 있음. ‘문화’를 사회 또는 사회집단의 정신적, 물질 적, 지적, 그리고 정서적 특질들의 집합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예술과 문학뿐만 아니라 삶 의 양식, 가치 체계, 전통 및 신념들을 포함하고 있음. 문화유산 및 도서관, 라이브공연, 시각 및 응용예술, 도서 및 출판활동, 시청각 매체 및 상호교류 미디어활동, 사운드 녹음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29


등의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있음. 교육 및 훈련, 기록 및 보존, 자금조달과 전문적인 지원여부 등의 물리적 인프라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실태를 파악하고 있 음. 문화예술가들과 관객 및 참여자들의 빠른 변화를 측정하면서 국제적, 세계적인 구조변 화와 국제비교를 하는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하고 있음. 이를 통해 문화분야에 대한 광범 위하고 포괄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새로운 문화적 접근법에 대한 정책적인 방안을 제시하 기도 함. <표 Ⅱ-5> 국외 선행연구 현황연구

연구 목적

Taking Part Survey 2017 (영국)

문화 미디어, 스포츠에 대한 영국인들의 참여 및 요구조사

Survey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Arts (미국)

문화예술 참여 실태

Canadian Framework for Cultural Statistics (캐나다)

문화에 대한 포괄적이고 일관성 있고 비교 가능한 근거에 기반한 통계 제공

연구대상/

조사내용

작성대상자 자국민 만 16세 이상 성인 5-10, 11-5세 어린이 약 14,000명

예술, 박물관 및 미술관, 기록물, 도서관, 유 적지, 스포츠 참여 실태 참여유형 및 빈도, 만족도, 사회적 자본, 자 발적 사회참여(재능공간, 금전적 기부, 자원봉 사), 참여의 방해요소 문화예술 관란, 참여 조사

만 18세 이상 성인대상 약 18,000명

공연예술, 시각예술, 역사유적지, 문학의 활동 참여 실태 연례예술기본설문 문화 및 문화유산, 공연 및 행사, 시각예술 및 공예, 도사 및 출판, 동영상 오디오 및 상 호교류 매체, 디자인 및 창작 서비스 영역 실 태조사 교육 및 훈련, 기록 및 보존, 장비 및 보조매 체 실태 조사

2.5 시사점 ㅇ 지금까지 살펴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통계조사를 통해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ㅇ 첫째, 국내의 문화예술교육 통계조사들은 포괄적인 조사를 하고 있으나 중복되는 조사가 진행되거나 다양한 통계조사가 흩어져 있어서 체계적인 자료 활용이 어려운 측면이 있음. ㅇ 둘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조사의 경우에는 일관성 있는 조사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 기 때문에 연간 추이를 통한 정책을 개발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교 문화예술교육 의 경우에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만을 보고 있기 때문에 수요자인 청소년과 청소년의 특 성, 지역별 차이를 살펴보지 못하였으며 아울러 기초통계 생산에 주력한 측면이 있어 학 교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함의를 만들어내는데 까지는 이르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음. ㅇ 셋째,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통계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다만 다양한 청소년활동 중 문화예술교육으로 나뉘어져 조사가 되고 있기 때문에 문화예

3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술교육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ㅇ 넷째, 국외의 연구들은 개인, 기관 등을 다각도로 조사하고 있으며 국민들을 대상으로 참 여 실태를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행위나 세부내용,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특징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음. 특히, 문화예술에 대한 참여 실태를 단순히 수혜자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참여부분까지도 구체적 으로 조사하고 있음. ㅇ 다섯째, 청소년의 범위를 학교에 국한하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실태조사가 진행 되었음. 현재 전국에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전국적으로 약 0.8%를 차지하고 있음(교육 부, 2015). 그동안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기존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원과 조사 가 대부분이었음. 우리나라는 학교 재학 학생 수가 청소년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일부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지원은 향후 사회적 투자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이 비행 및 범죄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학생 외 학교 밖 청소년까지 조사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 따라서 주요 정책대상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학교, 지역, 사설기관 등을 통해 접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통해 수요자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성 있는 추진방안을 검토하여 정 책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Ⅱ. 문화예술교육 개념과 연구현황 |31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1.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 2. 국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3.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 요약 및 시사점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1. 국내 문화예술교육 정책 1.1 문화예술교육 정책방향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지원 ㅇ 2004년 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로 여러 차례 문화예술교육 발전계획 이 수립되었고 최근 2014년부터는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에 의거하여 문화예술교 육 정책이 실행되고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중장기 추진방향의 비전과 목표는 다음과 같음. ㅇ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목표 및 기본방향에서 비전은 ‘미적 감성과 공감의 상상력으로 여는 문화융성’으로 설정함. 문화예술교육이 일반적인 문화예술활동, 그리고 다른 교육과 가장 차별화된 지점은 ‘미적 감성’개발과 관련되며 이것은 ‘문화의 융성’과 관련됨. ‘공감의 상 상력’은 사회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포괄하는 것으로 ‘문화를 통한 융성’과 관련됨(문화관광 연구원, 2016). 특히 이러한 비전은 문화예술교육의 과정을 매우 중요하게 보는 시각이 담 겨있다고 할 수 있음. <표 Ⅲ-1>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목표 및 기본방향 구분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목표 및 기본 방향

비전

‘미적 감성’과 ‘공감의 상상력’으로 여는 문화융성

목표

문화예술교육의 재도약: 문화예술교육의 지속성장과 수준제고 문화예술교육의 수요자 중심

새로운 형태의 교육사업 진행 현행 문화예술교육사업 개선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 및 네트워크화

지역 문화예술교육 체계 확립 타 부처와 협력체계 강화 문화예술교육 사업 간 연계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의 연계

문화예술교육 내용 및 방법의 다원화

교육내용의 다양성 확보 교육진행의 자율성 확보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고도화

연수(재교육) 프로그램 개선 및 확대 기획 및 연구역량 강화 문화예술교육 제도 개선 국제교류 및 홍보강화

기본방향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35


ㅇ 문화예술교육의 기본방향으로는 문화예술교육의 수요자 중심, 지역화 및 네트워크화, 문화 예술교육 내용 및 방법의 다원화,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고도화로 수요자 즉, 참여자 중심 으로 새로운 형태의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실시하여야 하며 이것이 지역성을 가지고 네트 워크를 통해 확산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따라서 최근 협력체계와 타 부처 업무협약이 강화되고 있음. ㅇ 정부의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목표 및 기본방향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문화예술교 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하고 있음. 여기에는 문화예술교육 참여 자체가 의미 있어야 하며 참여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행복한 활동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그 리고 문화예술교육은 공감과 소통 등의 사회적 기능 또한 중요한 요소임. 이러한 비전하 에 2014년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에서는 ‘행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상생 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내실화’를 목표로 하고 있음. <표 Ⅲ-2>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 구분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2014.2)

주체

문화체육관광부

비전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소통과 공감, 함께 나누는 행복

목표

행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상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내실화

중점과제(추진전략)

행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1.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 2.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 사각지대 해소 3. 문화복지 구현을 위한 생활밀착형 예술교육 상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 1. 지역중심의 프로그램 확충 2. 문화예술교육 전달체계 개선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내실화 1.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활용 2. 문화예술교육 연구기능 확충 3. 국제교류, 협력 활성화 강조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유아 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등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들이 전개되고 있음. ㅇ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지 속적으로 제공하고 체험·학습·창작활동을 능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이에는 복지기관 예술강사 지원사업, 범부처협력 문 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토요문화학교 지원사업, 시민문화학교 지원사업 등이 운영되고 있음. 3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Ⅲ-3>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원사업 구분

학교문화 예술교육

내용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고3 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상상만개’ 드림스쿨 운영사업 아동복지시설 복지기관 예술강사 지원사업 노민문화예술교육 지원 ‘청춘제’ 지역아동센터 범부처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회문화 예술교육

문화예술 교육사 국제교류

대외홍보 전문인력 양성 연구개발

토요문화학교 운영지원 사업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학교 밖 청소년 군부대 근로자 의경부대 지역연계 프로그램 예술감상교육 가족․오케스트라 합창 박물관/미술관 도서관연계 주말문화여행 시시콜콜

장애인복지관/이음센터 노인복지기관/영상미디어 센터 방과후 청소년 청소년비행예방센터/치료감 호소/보호관찰소

청소년 관련 사업 ● ● ● ● ● ●

● ● ●

북한이탈주민 상이군경 광역문화예술교육기관연계 청소년 문화예술 진로탐색 건축문화 어린이는 무엇을 믿는가 아리랑

시민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 사업 직장인 문화예술동호회 활성 직장인 문화충전단 화 지원사업 문화파출소 조성․운영사업 문화파출소 농산어촌 이동 문화예술교육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소외 아동․청소년 오케스트라 지원사업 ‘꿈의 오케스트라’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자율연계 협력기관 사업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운영 문화예술교육사와 함께하는 ‘교육교육이 바뀐다’ 문화예술교육 공적개발원조(ODA) 해외전문가 초청 워크숍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탐방 프로젝트 ‘A-round' 온오프 국제교류사업(한중일 포럼, 국제심포지움) 대외교류/언론홍보/온오프라인 홍보 등 문화예술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

● ● ● ● ● ● ● ●

● ● ● ● ●

전문인력양성(예술강사, 교육, 행정인력, 공무원, 대학원생 등 대상) 연구사업/연구서비스/콘텐츠 개발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37


ㅇ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사업추진을 맡고 교육부가 지원하여 두 부처 간 협력체제가 유지되는 가운데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있 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사업운영 총괄을 맡아 17개 시·도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과 재원을 조성하고 16개의 국악운영단체와 16개의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전국의 초· 중·고등학교를 선정하여 교과과목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과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다양하고 수준 높은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매년 지원하고 있음(문화체육관광부, 2016). ㅇ 학교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전체 예산 중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예술강 사 지원사업이 462억9천6백만 원, 예술강사 지원사업(지방교육재정)이 278억9천9백만 원, 예술꽃 씨앗학교가 40억,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이 10억, 문화예술교육사추진단이 1억5천 만 원 총 793억 4천 5백만 원이 지출되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ㅇ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운영지침에 근거하여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활동을 다각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예술강사와 학교가 보다 효과적으로 협력하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음. ㅇ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각 지역운영기관의 효율적인 사업운영과 안정된 조직 구성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지역운영기관별 전문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운영기관 컨설팅 지원사 업을 실행하고 있음. 지역별 담당 컨설턴트에 의해서 지역별 맞춤형 컨설팅이 운영중임. ㅇ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 및 자치단체, 16개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 센터 및 국악운영단체 등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주체 간의 정책적인 인식을 공유하고 협 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워크숍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소통을 강화하고 있음. ㅇ 이러한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2005년 3,214개교의 참여로 시작하여 2015년 현재 8,216개교가 참여하고 있으며 참여 학생 수는 2005년 710,000명에서 2015년 2,660,000명 으로 3.7배가 증가하였음. 2016년 통계에 따르면 참여 학교 수는 9,027개교로 증가하였으 며 예술강사 수와 지원시수도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표 Ⅲ-4>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도별 추세 단위: 개, 교, 명, 시수

구분 참여학교 수 참여학생 수 예술강사 수 지원시수

2005년

2010년

2015년

3,214 (10,676) 710,000 (7,796,401)

5,436 (11,237) 1,740,000 (7,236,248)

8,216 (11,526) 2,660,000 (6,088,827)

9,027 (13,515) 1,572,232

1,628

4,156

4,916

5,357

156,048

1,130,451

1,455,206

1,572,232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3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016년


ㅇ 예술꽃 씨앗학교는 전국 50개 소규모 초·중·고등학교 전교생이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 는 교육환경을 지원하여 공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효과와 활용도를 높이고 우수모델을 창출, 확산하여 지역의 문화예술교육 거점기관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운영 중임. ㅇ 감성이 풍부한 초등학교시절부터 양질의 문화예술 교육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하 여 학생들이 평생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창의력과 꿈을 펼칠 수 있는 문 화예술교육의 우수모델로 키워냄으로써 공교육 차원에서 모든 학교에 확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됨. ㅇ 매년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관계자인 학교장과 담당교사, 행정실장 등을 대상으로 한 문화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 증진 및 학교 간 네트워킹을 통한 정보교류 및 협력방안을 모색하 고 있으며 사업현장 점검 및 컨설팅을 통하여 학교의 사업 운영역량을 진단하여 교별 사 업 역량 강화 및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및 성과가 확산될 수 있도록 사업 전략을 지원하고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ㅇ 예술꽃 씨앗학교는 2008년 문화예술교육에 힘써온 전국 10개 초등학교를 집중 지원대상 학교로 선정하고 전교생이 원하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4년 동안 매년 1억 원 이내로 집중 지원하는 사업임. ㅇ 2014년 43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시행중이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은 2017년까지 100 개교로 확대되어 운영될 예정임(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이러한 목표를 바탕으로 2016년도에는 초등학교 42개교, 중·고등학교 8개교 총 50개교를 지원하였음. <표 Ⅲ-5>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 현황 단위: 명

구분

2008년

2015년

2016

증감률(%)

참여학교 수

10

20

50

500%

참여학생 수

1,513

3,423

7,637

504.7%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이외에도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예술강사를 지원하고 있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마친 수험생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문화적인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또한 자유학기제를 운영 중인 학교의 ‘예술교과와 자유학기 예술활동’을 특정 요일로 지정하여 학생들의 예술에 대 한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ㅇ 2016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예산 중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은 27%를 차지하며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서 사회문화예술교육지원이 289 억 6천1만원 규모가 배정되었고 소외아동 오케스트라 지원사업이 49억5천8백만 원, 문화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39


예술치유프로그램이 15억4천4백만 원으로 총 354억6천3백만 원을 지출하였음. ㅇ 사회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2조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는 문화예술교육 시설 및 문화예술교육단체와 제 24조의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문화예술교 육 외에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을 의미함(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ㅇ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 복지기관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아동복지시설, 노인복지기 관, 장애인복지시설 예술강사 지원사업이 있음. 2005년 이후 참여 예술강사의 수가 지속 적으로 증가하였음. <표 Ⅲ-6> 복지기관 예술강사 지원사업 연도별 추세 단위: 명

구분 예술강사 수

2005년

2010 233

2015년 325

2016년 539

502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2005년부터 추진해온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아동·청소년, 노인, 장애인, 소년원생 및 교도소 수감자, 군인, 산업단지 근로자 등으로 수혜대상을 세분화하 여 각 집단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패러다임이 문화예술 기능전수 및 일회적 체험 차원의 창의성, 사회성, 문화공동체성 등을 위한 통합 적 차원으로 확대 되도록 하고 있음.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을 새롭게 창출함 으로써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고 예술강사 및 교육수행단체의 평가·컨설팅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연계성을 확보함으로써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음.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문화 예술교육정책과 교육정책, 평생교육정책, 사회복지정책, 다문화정책, 교정행정, 노인, 여성, 여가 정책 등과의 협력기반을 확보해 나가고 있음(문화체육관광부, 2015). ㅇ 이를 위해서 예술 분야별 전문 강사들이 아동복지시설, 아동·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교육 대상자의 특성과 수요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교육현장에서 원활한 교육을 진행하는 복지기관 문화예술 교육지원사업과 제도와 환경적 여건으로 소외된 특수 계층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을 관련 부처와 함께 지원하고 있음. 꿈다락 토요문화학 교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등 문 화예술기관 및 단체 등이 함께 주관하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잡아가 고 있음. 2015년 현재 국공립기관연계 프로그램, 미술관·박물관·도서관연계프로그램, 가족 오케스트라·합창 프로그램, 꼬마작곡가, 미디어문화학교, 예술감상교육 등 총 900개 프로 그램을 기획, 운영하여 약 68,000여명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음. 이외에도 문화예술교 육 대상을 일반시민으로 확대하는 과정에서 추진된 시민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과 소외 아 4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동·청소년 오케스트라 교육지원사업 등도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음. <표 Ⅲ-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지역사회 연계 지원사업 구분

지원사업

년도

내용

관련기관

학교 예술강사지원

2005현재

문화예술교육활성화의 정책방향으로 추진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6개 시도, 광역문화예술교육센터, 국악단체

신규분야 시범사업

2009현재

학교,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 교육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사업

2008현재

문화소외 계층 문화예술 교육

복지기관 예술강사 지원사업

2006현재

학교문화 예술교육 지원

문화예술 교육 기획 프로그램

학교 예술강사에 대한 교육현자의 수요 증가에 따른 새로운 분야 개발 및 적용가능성 전교생 400명 이후의 소규모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4년간 연속 예산지원 문화 소외계층인 아동, 노인, 장애인 대상 아동복지시설, 노인복지기관, 장애인복지기관의 문화예술교육기회 제공 아동, 청소년들이 방학기간 중 일상을 벗어나 낯선 공간에서 예술가와 함께 놀며 작업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을 즐기고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놀이형 캠프 교육 공백기인 1-2월에 문화적 기반이 취약한 곳을 직접 찾아가 문화소외지역의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함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연계

문화관광부, 교육인적자원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학교,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 지방자치단체, 문화의집 협회, 보건복지부,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2010현재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2012현재

소외아동, 청소년 꿈의 오케스트라

2010년현재

아동과 청소년이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예술을 목표로 한 사업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 오케스트라 교육전문기관, 전문 강사

2012년현재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의 문화기반시설과 문화예술단체 등이 참여하여 토요일 아동, 청소년 및 가족이 문화예술 소양을 키우고 또래와 가족 간의 소통하는 여가문화 조성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기관 및 단체

주말 문화예술교육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ㅇ 이 밖에도 2005년 이후 강사, 정책관계자, 기획인력에 대한 연수를 지속하고 있음. 문화예 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학교·사회 예술강사와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사회문화예술 교육 단체 실무자, 초·중등 교원, 행정인력,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 전문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41


가 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문화예술교육의 글로벌 확대를 위한 다각도의 노 력이 문화예술교육의 저변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음. ㅇ 국제교류로는 온라인 홍보와 더불어 해외 전문가를 초청한 포럼 등을 운영함. 연구보고서 와 포럼, 심포지엄 형태로의 연구 사업은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성을 반영한 정책입안과 콘 텐츠 개발에 큰 도움을 주고 있음. ㅇ 청소년정책을 전담하고 있는 여성가족부도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사회를 위한 청소 년의 창의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청소년 동아리 지원을 2017년에 2,500개로 확대 운 영할 예정이며 어울림 마당, 나라사랑 체험활동 등 문화, 역사 체험프로그램을 효율화하고 자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음.

1.2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ㅇ 부처 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2005년도부터 실시되었음. 2005년 문화체육관광부는 국 방부와 법무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군부대 및 교정시설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 공하기로 하였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ㅇ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군부대 지원사업, 교정시설 지원사업, 근로자 지원 사업, 학교 밖 청소년, 지역아동센터, 북한이탈주민, 의경부대 등과 연계하여 운영되고 있 음. 2017년 현재까지 협력 부처의 수와 지원예산 그리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 <표 Ⅲ-8>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구분

부처 간 협력을 통한 문화예술 교육 대상 확대

지원사업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지원 사업

년도

내용

관련기관

2005현재

군부대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실시

국방부

2005현재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실시

법무부

2013현재

청소년비행예방센터, 치료감호소, 보호관찰소 등에서 문화예술교육 실시

법무부

2011현재

방과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실시

여성가족부

2012현재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실시

여성가족부

2012현재

지역아동을 대상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문화예술교육 실시

보건복지부

2014현재

북한이탈주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실시

통일부

4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ㅇ 교육부는 2004년 문화관광부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문화예술 교육을 확장시킴(문화예술정책백서, 2013). 또한 두 부처가 공동 협력하여 학교-지역사회 연계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음. ㅇ 교육부는 함께하는 행복교육, 전인적 인재양성을 위한 2016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ㅇ 학생들의 인성과 창의성 함양에 있어서 예술교육은 핵심요소이자 행복교육의 토대이며, OECD 주요 선진국은 창조적·협력적 학교예술교육 기회 확대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 및 공감능력 함양을 강조하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의 예술교육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지역사회 예술교육 인프라와 재능 기부 등 다양한 예술교육 관련 자원 과의 적극적인 연계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음. ㅇ 2008년 교육부와 문체부 간의 문화예술교육진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후 학교 문화예술 교육은 예술교육 활성화 학교가 확대되고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며 일반 학교(일반 중·고등학교)내 특성화된 예술 심화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예술적 소질과 적성 을 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 특히, 예술교과와 타교과 간의 융합수업, 지역 연계 예 술체험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학생오케스트라, 뮤지컬, 연극 등 예술교육 지원사업이 내 실화되었으며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한 예술분야 전문가의 협력수업이 지속되고 지역사 회와 연계한 학교예술교육의 기회가 확대되는 성과를 가져왔음. <표 Ⅲ-9> 교육부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4대 중점과제 및 실행과제 4대 중점과제

실행과제

1. 학교예술교육 내실화

1-1 1-2 1-3 1-4

예술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학교예술교육지원사업 내실화 교원의 예술교육 전문성 제고 전문 인력 등 학교예술교육 지원

2.학생들의 예술활동 기회 확대

2-1 2-2 2-3 2-4

1학생 1예술활동을 위한 지원확대 감성이 넘치는 행복한 학교문화 조성 예술동아리 확대 및 다양화 다양한 예술교육을 제공하는 학교 육성

3.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학교예술교육

3-1 지역단위 학교예술교육협의체 활성화 3-2 지역연계 협력모델 개발

4. 학교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

4-1 학교예술교육지원기관 운영 4-2 교육기부 연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4-3 학교예술교육 우수사례 확산 및 홍보

ㅇ 그러나 학교 학생들의 예술교육 수요가 증가하는데 반해 예술활동 기회 확대를 위한 부처, 지자체, 유관기관 등 사회적 관심과 참여가 부족하고 예술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미 흡하며 학교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업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이지 못하는 등 한계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43


가 나타나기도 하였음. 이에 학생 누구나 즐겨 참여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해 학교문 화예술교육을 내실 있게 운영하고 예술활동 참여기회를 확대하며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지 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4대 중점과제와 13개 실행과제를 선정하였음(교육부, 2016). ㅇ 국방부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인 군부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문화예술을 매개로 군 장병들의 자기계발과 동료와의 소통과 화합을 이루며 상호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음. 특히 군 복무기간을 개인과 군 조직 모두에게 긍정적인 시간으로 만들 기 위한 교육을 국방부 및 각군 본부와 협력하여 지원하고 있음. ㅇ 특히 국방부는 2008년 문화관광부와 협력 합의서를 서명함으로써 장병들의 병영 문화활동 의 기반을 마련하여 1년 단위로 사업을 공동 실시함(박현정, 2011; 조장원, 2008). <표 Ⅲ-10> 국방부·문화관광부 업무 협력 협의서 협의

세부 내용

1. 기본방향

양 부처는 장병의 문화활동 활성화 등 병영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국민이 함께 할 수 있는 각종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하여 문화, 예술, 체육, 관광 등 관련 분야 정책을 서로 협력하여 추진

2.문화적 지원협력

장병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등을 위하여 다음 사항에 대해 협력함 가. 문화적인 병영생활 프로그램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 공연 및 전시활동 - 문화예술 교육 인력양성 - 장병 문화예술 동아리 활동 활성화 - 병영도서관 운영교육 프로그램 개발 - 우수 영상물 및 도서 보급 - 국군 TV 프로그램 개발 나. 문화적인 병영시설 및 환경조성 다. 기타 양 부처 간 협력이 필요한 사항 등

ㅇ 군부대 문화예술교육 참여대상은 군장병으로 부대 내에서 30회 내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 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강사를 파견하고 프로그램을 지원함. 국방부의 경우에는 예산을 매칭하여 지원하고 있음.

4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그림 Ⅲ-1> 국방부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추진체계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ㅇ 사업의 내용으로는 군 장병의 문화향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 발, 문화예술 공연 및 전시활동 지원, 장병들의 문화예술 동아리활동 지원, 병영 도서관 운영, 우수 영상물과 도서보급, 국군TV 프로그램 개발 등이 있음(박현정, 2011). ㅇ 군부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통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음악, 연극/뮤지컬, 국악, 미 디어, 무용 등 다양하며 주로 음악과 국악 분야를 주요 활동영역으로 삼는 단체들이 많이 참여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ㅇ 지난 11년 간 군부대 지원사업은 참여자수와 참여부대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표 Ⅲ-11> 국방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16년

참여자 수

55

1,687

4,395

6,424

참여기관 수

2

89

270

309

교육단체 수

2

47

125

142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45


ㅇ 2005년 법무부와 협력하여 문화적인 교정시설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정시설, 소년 원학교, 치료감호소, 보호관찰소, 청소년비행예방센터 등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고 있음. ㅇ 법무부 사회복귀과 및 소년과와 협력하여 교정시설 수형자와 소년원학교 재학생들에게 문 화예술교육을 통해 스스로 돌아보는 계기를 부여하고 문화예술을 통한 인성교육을 통해 자율적인 교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지원하고 있음. <표 Ⅲ-12> 법무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교정 시설 소년 원 학교

2005년

2010년

2015년

2016년

참여자 수

36

402

754

814

참여기관 수

1

20

48

51

교육단체 수

3

13

37

43

참여자수

86

430

297

360

참여기관 수

5

9

11

11

교육단체 수

2

9

19

19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법무부 소년과, 보호관찰과, 보호법제과와 협력하여 학교폭력 등 비행 초기 청소년 및 정 신질환 재소자 등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인성함양 및 감성증진, 사회성 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음. <표 Ⅲ-13> 법무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프로그램

교육인원

치료감호소

7

2

8

148

보호관찰소

15

13

15

452

청소년비행예방센터

14

15

15

1,554

총계

36

30

38

2,154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근로자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지원은 산업통산자원부와 산업산업단지공단, 한국테크노파크 협의회가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음. 근로자들의 주체적인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기업 간 교류 및 노사화합 등 문화예술을 통한 근로환경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하 고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4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Ⅲ-14> 산업통산자원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2011년

2015년

2016년

272

666

935

참여기관 수

3

24

35

프로그램 수

3

39

39

참여자 수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보건복지부는 2008년도 장애인차별금지법시행을 통해서 장애인의 문화예술활동 참여와 향 유를 위해 출입구, 위생시설, 안내시설, 관람석, 열람석, 음료대, 판매대 등의 시설의 설치 또는 개조가 장애인에 맞게 적용되도록 하였음. 또한 장애인과 장애인 보조인이 요구하는 경우, 보조인력을 배치하도록 하고 휠체어, 점자안내, 보청기와 같은 장비를 제공할 수 있 도록 시행하였음(보건복지부, 2008). 이러한 시행법에 대한 대상기관은 국가, 지방자치단 체 소속 문화재단, 문화예술진흥 및 문화예술활동 지원기관, 국립중앙도서관, 공공도서관, 국공립 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실시되었고 2012년도에는 민간 종합공연장, 사립대학박물관, 사립대학미술관에도 적용하고 있음. ㅇ 최근 2015년에는 일반 공연장, 스크린 기준 300석 이상의 상영관, 문화의집, 복지회관, 체 육센터, 청소년활동시설, 지방문화원, 사립박물관 및 미술관에도 적용되면서 장애인들이 문화예술활동에 문제가 없도록 지원하는 한편, 세월호 참사관련 아동 청소년 관계 종사자 들을 대상으로 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에서 문화예술 치유프로그램을 지원하기도 하였 음(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ㅇ 보건복지부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협력하여 지역아동센터에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고 있음. 이는 문화예술교육 참여 기회가 부족한 지역아동센터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존감과 문화감수성을 함양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운영됨.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자아를 이해하고 잠 재력을 계발하여 자신의 미래를 열어가고 관계의 즐거움을 통한 공동체 문화를 배우도록 함(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본 사업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과 함께 협력하여 추진 하고 있음. <표 Ⅲ-15> 보건복지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운영단체

교육시설

프로그램

교육인원

지역아동센터

28

615

650

10,456

출처: 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6).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47


ㅇ 여성가족부는 문화체육관광부와 2010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었음(한국문화 관광연구원, 2016). 관련한 예산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 책정하고 있으며 지원사업은 소외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과 가출, 학교 밖, 미혼모 청소년 등 학교 밖 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음(문화예술정책백서, 2013). <표 Ⅲ-16> 여성가족부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문화예술부분 정책목표

실행과제

1. 청소년 문화향유권 강화

1-1 문화예술교육 수혜율 증가 및 문화여가 환경 경험 증진 1-2 여가가 있는 삶 속에서, 행복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기대 1-3 다문화 감수성 함양 및 지역 참여형 콘텐츠 확대

2. 청소년 인성 강화

2-1 청소년 언어 환경 개선 및 지속적 실태조사를 통한 노력 2-2 궁극적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및 보급확대

3. 청소년 건전활동 환경조성

3-1 3-2 3-3 3-4

청소년 건전 활동을 위한 기본권 보호 유해매체 환경 개선 및 필수 규제 영역 유지 청소년 매체 과몰입 예방 및 해소 활동 건전한 매체 소비자로서의 청소년 지원을 위한 교육 확대

출처: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ㅇ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와 연계하여 각 기관별 수요조사를 통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노력하고 있음. ㅇ 2016년에는 청소년수련시설에서 40개의 프로그램에 647명의 청소년이 참여하였으며 청소 년쉼터, 꿈드림, 비인가 대안학교와 같은 학교 밖 청소년 기관에서도 73개의 프로그램을 통해 940명이 참여하였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또한 성폭력, 가정폭력 피해자 를 대상으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ㅇ 이중 방과후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상상학교는 일반, 소외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교육을 통해 문화적 감수성 및 자기이해 증진, 창의성 및 인성 함양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에서 시작함. 청소년수련시설 이용 일반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2017 년에는 11개 운영단체의 46개 청소년수련시설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음. ㅇ 지원방식은 운영단체를 공모하여 선정하고 교육시설을 모집하고 선정함. 단체와 시설의 매 칭으로 참여 청소년을 모집하고 이에 따른 교육을 운영함. 1개 단체 당 3-5개 시설을 담 당하며 1개 프로그램 당 9백만 원을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 ㅇ 2017년 현재 총 3억6천8백만 원의 예산이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 2 억 원을 매칭하여 운영함.

4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그림 Ⅲ-2>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사업 추진체계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표 Ⅲ-17> 여성가족부 협력 방과후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방과후 청소년

2011년

2015년

2016년

457

1,001

647

참여기관 수

34

80

40

교육단체 수

45

72

11

참여자 수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 국청소년쉼터협의회, 학교폭력치유센터(대전해맑음센터) 등에서 주관하고 있고 참여대상은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청소년쉼터, 학교폭력치유센터, 비인가대안학교 등 기타 관련 시 설에 속한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함. ㅇ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각 지원사업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한국청소년상담복지 개발원은 학교폭력 등과 관련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학교폭력치유센터와 연계되어 있 고, 청소년쉼터협의회는 전국의 청소년쉼터 및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과 관련 이 깊음. 또한 서울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도시형 대안학교와 연계되어 있어서 학교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49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서 다양한 지원기관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 수적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ㅇ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문화소풍’은 학교 밖 청소년(가출, 자립, 탈학교 등)의 사회 적 관계성 회복을 통한 자존감 향상과 문화예술 돌봄 기능을 확대하기 위함임. ㅇ 프로그램으로는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자존감 향상 및 관계성 회복을 위한 문화예술 체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창작 프로그램 등으로 연간 약 30회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ㅇ 사업의 지원방식은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함. 지정공모방식은 협력기관인 한국청소년상담복 지개발원과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를 통해 희망교육시설과 분야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 고, 지역별, 분야별 시설 수요에 따라 문화예술단체를 선정하여 매칭함. 일반공모방식은 문화예술단체가 직접 ‘학교 밖 청소년’ 대상 그룹이나 시설을 섭외하여 제안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기도 함. ㅇ 지원규모는 2012년 당시 지원예산은 3억 원이었음. 그러나 2017년 현재는 70개의 교육단 체와 65개의 운영기관에서 73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음. 현재는 9억 4천만 원 상당 의 예산이 지원되고 있음. <그림 Ⅲ-3>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업 추진체계

출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5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Ⅲ-18> 여성가족부 협력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2012년

참여자 수

방과후 청소년

2015년

2016년

459

765

940

참여기관 수

37

72

65

교육단체 수

60

99

70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통일부와 협력으로 운영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도 있음. 북한 이탈주민 특히 민간 대안학교를 이용하고 있는 탈북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관 계성을 확대할 수 있는 문화예술체험 및 창작 프로그램 지원과 하나원 입소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구성되어 운영됨(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ㅇ 본 사업은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인 하나원과 남북하나재단과 협력하여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 등을 실시하고 실무적인 운영을 총괄적으로 관리 하고 있음. <표 Ⅲ-19> 통일부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변화 단위: 명, 개, %

구분 북한 이탈 주민

2014년

2015년

2016년

62

215

151

참여기관 수

1

9

7

교육단체 수

2

9

9

참여자 수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6), 문화예술교육진흥원(2017).

ㅇ 이 외에도 경찰청과 협력하여 문화적 접근성이 떨어지는 의무경찰 부대 소속 의경들을 대 상으로 한 자기계발 및 공동체 관계형성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이 있으며 국가보훈처 및 대한민국상이군경회와 협력하여 국가유공상이자와 그 가족이 문화예술활동을 통해 재활에 힘쓰고 새로운 삶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전국 보훈복지문화대학 내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51


2. 국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2.1 선정기준 ㅇ 해외 정책사례 조사는 주요 대륙별로 한 국가를 선정하여 영국, 미국, 싱가포르를 중심으 로 실행하였음. ㅇ 사례선정 시 검토된 관련자료 및 문헌으로는 각 국가별 문화예술정책의 입안과 수행을 담 당하는 주요기관에서 발간하는 자료와 웹페이지를 중심으로 자료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필 요에 따라 관련 보고서 및 연구논문, 운영기관 발행 문서 및 공신력 있는 언론사의 기사 등이 활용됨. ㅇ 조사대상으로 삼은 해외 사례는 우리나라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과 연관된 내·외부적 환경, 정책 방향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 선별함.

2.2 조사방법 ㅇ 본 해외사례연구의 조사방법은 문헌분석을 기초로 함.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초문헌 조사 및 분석내용을 근거자료로 참고 하였으며, 운 영기관의 역할과 정책 목적, 그리고 운영 중인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분 석하여 기술함. ㅇ 해외 정책사례에 대한 문헌조사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향후 개 선방안에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제공과 시사점을 도출을 목적으로 함.

2.3 해외 정책사례 개관 <표 Ⅲ-20> 해외 정책사례 요약표 국가

기관명

기관 형태

주요 정책사업

세부 프로그램

주요 협력기관

아츠마크(Artsmark) 아츠어워드(Arts Award) 북기프팅(Bookgifting) 교내문창활동(Creative Writing in Schools) 박물관과 학교 프로그램(Museums and Schools Programme) 국립유소년무용단체(National Youth Dance Company) 국립토요클럽(The National Saturday Club)

교육부, 토요클럽기금( The Saturday Club Trust), 청소년 법의회(Youth Justice Board) 등

영국

잉글랜드 예술위원회 (ACE)

공공 기관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5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여름예술대학(Summer Arts Colleges) 아츠마크 파트너십 프로그램(Artsmark Partnership Programme)

음악교육 프로그램

인 하모니(In Harmony) 유소년 음악(Youth Music) 국립유소년음악단체(National Youth Music Organizations) BBC 텐피시즈(BBC Ten Pieces) 음악교육사자격증사업(Certificate for Music Educators) 음악교육허브(Music Education Hubs)

문화교육 챌린지

문화교육 파트너십 브릿지 기관(Bridge Organizations) 문화교육 데이터포털

교육부, 지방정부, 영국영화협회 등

공공 기관

Art Works

직접학습(Direct Learning) 전문가 양성(Professional Development) 전반적 영향 확대 및 증진(Collective Impact)

주립예술진흥원 연합회(NASAA) 등

비영리 단체

2020 Action Agenda

학생의 성취도 향상 교육자와 학교 리더에 대한 지원 교육과 학습 환경 개선 리더십 역량과 지식 개발

주립예술진 흥원연합회 (NASAA)

비영리 단체

주립 예술 진흥원 (SAAs) 활동

지원 사업(grant funding) 예술교육 관련 서비스 연구 활동 협력과 파트너십

국립예술 위원회 (National Arts Council)

공공 기관

전국예술 교육시상 (NAEA)

학교의 예술교육 정책과 계획 평가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평가 학교 예술교육의 영향 평가

국립예술기 금(NEA)

미국

싱가 포르

예술교육 파트너십 (AEP)

교육부, 음악대학, Trinity College London, BBC 등

국립예술기금(N EA), 교육부, 주립예술진흥원 연합회(NASAA) 등 국립예술기금 (NEA), 예술교육 파트너십 (AEP), 교육부, Americans for the Arts 등 교육부의 예술교육 부서 등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53


2.4 국가별 해외정책 사례 2.4.1 영국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주요 정책7) ㅇ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rts Council England, ACE)의 청소년(Children and young people)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영국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현황을 살펴봄. ㅇ ‘청소년(Children and young people)’은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주창하고 있는 ‘모 두가 즐기고, 참여하고, 창작하는 예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기획한 9가지의 우선순위 정책대상 중 하나로 꼽힘.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당위성 및 기대영향: 예술과 문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자 기표현(self-expression)과 상상력 증진, 창의력 함양에 크게 기여하므로 청소년에게 그 기 회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함. 또한 청소년의 예술과 문화 참여를 통해 신장할 수 있는 기 술을 습득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영국의 창의 산업이 성공할 수 있는 동력과 영국 전역의 창의적 재능을 신장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정책 중 하나임. ㅇ 정책사업 주요 파트너: 2012년부터 영국 교육부와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는 ₤267M (한화 약 3,956억 원)의 예산을 음악과 문화교육 프로그램에 투자해오고 있음. 또한 내셔 널 포트폴리오(National Portfolio)8) 지원사업에 선정된 663개의 예술단체와 21개의 박물 관 파트너기관에 공공지원을 하고 있음. 이들 지원금 수혜기관은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주요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는 곳임. <그림 Ⅲ-4>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업 홍보 이미지

출처: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 웹페이지:

http://www.artscouncil.org.uk/how-we-make-impact/children-and-young-people ㅇ ‘청소년(Children and young people)’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 음악교육 프로그램, 문화교육 챌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문화교육 챌린지 7) 잉글랜드 예술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http://www.artscouncil.org.uk/about-us/how-we-make-impact 8) 내셔널 포트폴리오(National Portfolio) 단체로 선정된 예술단체는 일정 기간 동안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 지원 금을 정기적으로 제공받게 됨. 내셔널 포트폴리오(National Portfolio) 지원사업은 3년 주기로 운영되고 있으며, 선 정된 단체는 주로 세계적으로 우수한 수준의 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곳임. 5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는 국내에도 소개된 바 있는 문화교육 파트너십(Cultural Education Partnership, CEP) 사 업과 문화교육 데이터포털을 포함하고 있음. (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Art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mes) ㅇ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총 9가지로 구성되어 있음: 1)아츠 마크(Artsmark), 2)아트 어워드(Arts Award), 3)북기프팅(Bookgifting), 4)학교 창작문학부 (Creative

Writing in Schools),

5)박물관과

학교

프로그램(Museums

and Schools

Programme), 6)국립유소년무용컴퍼니(National Youth Dance Company), 7)국립토요클럽 (The National Saturday Club), 8)여름예술대학(Summer Arts Colleges), 9)아츠마크 파트 너십 프로그램(Artsmark Partnership Programme). ㅇ 위 프로그램 중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와 연관성이 나타나는 아츠마크(Artsmark) 사업, 토요 무료예술 강좌인 국립토요클럽(The National Saturday Club), 그리고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위한 여름예술대학(Summer Arts Colleges)을 살펴 보고자 함. ㅇ 아츠마크(Artsmark) - 본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모든 청소년에게 창작과 실연(perform)의 기회와 뛰어난 예술과 문화를 직접 보고 참여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데에 있음. 예술과 문화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만의 개성과 재능을 개발하도록 돕고 더불어 지식과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자 함. - 아츠마크 사업은 위의 목적에 따라 모든 교실과 배움의 환경이 실현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 잉글랜 드 예술위원회(ACE)는 지원한 학교나 교육 기관에 ‘아츠마크’를 수여하는 데, 수여받고자 하는 학교나 기관에 문화예술교육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함. 제공된 교육 프레임워크는 해당 기관의 교사 나 전문 교육사(education professionals)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개발, 평가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 언급한대로 학교나 교육 기관 및 단체는 ‘아츠마크’ 사업에 지원할 수 있음. 잉글랜드 예술위원회 (ACE)는 제출한 지원서를 바탕으로 '실버(Silver)', '골드(Gold)', '플래티넘(Platinum)' 세 단계로 구분 하여 적합한 ‘아츠마크(Artsmark)’ 단계에 참여함. <표 Ⅲ-21> 아츠마크(Artsmark) 단계별 요약

등급

실버(Silver)

골드(Gold)

플래티넘(Platinum)

기획 단계

초기 개발단계(emergent)

중견 기관(established)

확대 중심(stretching)

개발 목표

전문성 개발

최고 수준의 실행능력 개발

분야 내 의견 조성 수행

평가 항목

가시적 결과

측정 가능한 영향

변화 생성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55


- 아츠마크 프로그램 과정은 각 학교나 기관의 구조나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및 시행됨. 다시 말해, 각 학교나 교육 기관이 가진 역량과 환경에 따라 아츠마크 프로그램 과정이 맞춤형으로 진행된다 는 의미임. 그러나 일련의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됨. 다음은 아츠마크 수여받은 기관이 수행하게 될 프로그램 과정을 6단계로 정리한 것임. ① 등록: 온라인에서 간단한 자가평가서(self-assessment)를 작성함. 이 때, 잉글랜드 예 술위원회(ACE)에서 제공하는 기준을 활용하여 스스로 학교나 단체의 문화예술교육 수준을 평가하고 등록할 수 있음. ② 설명회/워크숍(Development

Day)

참석:

해당

지역의

브릿지

단체(Bridge

organization)9) 인력과 함께 각 기관 당 2인의 스태프(상급 인력 1인 포함)가 ‘Development Day'라고 명명된 설명회에 참석함. 이 때, 향후 계획서(Statement of Commitment)를 작성함. ③ 향후 계획서(Statement of Commitment) 작성 및 제출: 주어진 템플릿에 따라 ‘아츠 마크’ 과정 동안의 목표와 목적을 기술하여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에 제출함. ④ 제시한 목표 수행 및 평가: 2년 동안 ‘계획서’에 기재한 내용과 목표를 수행 및 달성 한 후, 그에 대한 평가를 진행함. 이 과정에서 발생한 자료는 다음 단계인 ‘사례조사’ 작성에 활용될 예정임. ⑤ 사례조사(Case Study) 작성 및 제출: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제공하는 템플릿 에 따라 ‘case study'를 작성하고 제출함. 내용은 ’계획서‘ 제출 이후부터 지속된 아츠 마크 프로그램을 수행한 과정으로 함. ⑥ ‘아츠마크(Artsmark)’ 수여: 사례조사 보고서 제출 후, 10주 안에 아츠마크 수여여부 결과를 통보받음. 수여받은 아츠마크는 향후 2년간 유효함. ⑦ 수여받은 아츠마크의 유효기간이 끝나기 전 다시 지원할 수 있음. 2단계부터 다시 반 복하여 참여함. ㅇ 국립토요클럽(The National Saturday Club) - 본 프로그램은 13-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매주 토요일 오전마다 지역 대학에서 미술과 디자인을 무료로 공부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국립토요클럽’은 ‘미술과 디자인’ 분과 외에도 ‘과학과 공학기술,’ ‘패션과 경영,’ ‘작문과 화술(talking)' 분야도 운영되고 있음. - 국립토요클럽의 ‘미술과 디자인’(National Art and Design Saturday Clubs) 분과를 위한 예산은 토요클럽기금(The Saturday Club Trust)과 교육부에서 공동 지원하고 있음. 토요클럽기금(The Saturday Club Trust)는 13-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토요클럽(Saturday Clubs)'에 지원금을 제공 하고 있음.

9) 후에 살펴볼 ‘문화교육 챌린지(The Cultural Education Challenge)’ 참조. 5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 현재 국립토요클럽은 영국(the UK) 전역 내 60개 이상의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음.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은 100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특별 강의료를 제공받으며, 더불어 갤러리, 박물관, 해당 분야를 선도하는 회사와 마스터 클래스에 방문 및 참여하게 됨. 또한 런던에 위치한 ‘섬머셋 하우스(Somerset House)’에서 전시할 수 있는 기회도 얻게 됨. - ‘국립토요클럽’은 참여하는 청소년의 재능을 키우고, 자신감을 심어주며, 미래에 대한 꿈을 키우도 록 돕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 더 나아가 본 사업을 통해 더 많은 청소년들이 무료 토요수업에 참여하여 창의적인 영국의 차세대로 성장할 수 있기를 바라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 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은 해당 분야에서 요구하는 자격을 얻을 수 있고, 대학에서 공부하는 것에 대한 선행 경험을 가질 수 있게 됨. 또한, 해당 전문분야의 커리어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 평균적으로 프로그램 참여자 30퍼센트 정도가 학위 과정으로 진학하였음. ㅇ 여름예술대학(Summer Arts Colleges) - ‘여름예술대학’ 프로그램은 소년원(Detention and Training Orders, 12-17세 대상)에 수감되어 있는 청소년과 비구금형 보호관찰(Intensive Supervision and Surveillance) 프로그램 중에 있는 청소년 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심화교육 프로젝트임. -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이 청소년들이 역동적인 예술(교육)을 체험함으로써 교육과정, 직업훈련 과정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임. - ‘여름예술대학’ 프로그램은 '청소년 법의회(Youth Justice Board)'와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의 협력을 통해 시작되었음. 본 프로그램은 ‘유니타스(Unitas)'10)라는 단체를 통해 운영하고 있음. 현재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 내 165개 이상의 여름예술대학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2천 명 이상의 청소년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음. - 3주차 교육코스로 각 코스 당 10명의 청소년에게 제공되며, 하루에 5시간 씩 수업이 진행됨. 수업 대상연령은 14-19세로 범죄 재가담률이 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함. - ‘여름예술대학’ 프로그램은 미술, 음악, 드라마, 댄스, 사진, 작문 등 다양한 예술장르의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예술교육을 제공하여 참여 청소년들의 언어능력 및 산술능력을 신장, 그리고 범죄 재가담률 을 낮추는 데에 기여하고 있음. (2) 음악교육 프로그램(Music education programmes) ㅇ 본 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 보다는 음악교육을 통한 창의인력 다원화와 예술 향유자 확 대를 주요 목표로 삼고 있음. 때문에 프로그램 내용은 소외계층을 중심으로 음악교육과 예술 활동 참여기회를 제공하여 음악 향유자 확대 및 숨겨진 재능을 발견하고 성장할 수 10) 유니타스(Unitas)는 교육, 정책, 사법제도, 경영, 사회복지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단체로 사 회에 속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제공하고 지원하는 단체임.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57


있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음. ㅇ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에게 양질의 음악교육을 제공하 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 운영되고 있음. 본 프로그램을 통해 모든 아이들이 독주나 협주로 악기를 연주해보고 또한 노래도 독창과 합창 모두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재능 있는 아이들의 기술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함. <표 Ⅲ-22> 음악교육 프로그램 사업개관

프로그램명

목적 및 내용

주요 협력기관

인 하모니(In Harmony)

소외계층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앙상블 음악 프로 그램 학교의 참여로 이루어지며, 모든 참여 학교에서는 매주 정해진 시간 동안 심도 있는 악기연주수업과 성악을 포함한 다양한 음악가 양성 수업을 제공

교육부, Royal Liverpool Philharmonic Orchestra, Nottingham Music Service 등

유소년 음악(Youth Music)

전국에 걸쳐 400여 개의 수준 높은 음악프로젝트를 진행 소외계층 청소년(유아-25세 포함)을 대상으로 음악 활동(music-making) 참여 기회를 제공 ‘National Plan for Music Education’에 맞추어 프 로그램 제공

Music Education Hubs

국립유소년음악단체(National Youth Music Organizations)

음악적 재능이 있는 청소년의 전문적 음악 역량 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콘서트, 레지던시, 여름학교, 워크숍을 통해 우수 하고 다양한 음악인재를 양성

교육부, Music Education Hubs, 음악대학 등

ㅇ 음악교육사 자격증(Certificate for Music Educators) - 음악교육 프로그램 사업과 병행하여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는 음악교육사 자격증 제도를 함께 운영하고 있음. 2013년에 런칭한 4급수(level 4)까지 프로그램 시행 중임. -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음악교육사와 청소년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음악가의 역량 개발을 촉진하여 청소년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운영하는 사업임.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사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그 대상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자라는 지점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음. - 참여 대상자는 음악교육 분야에 처음 발을 내딛는 교육자부터 경력이 많은 음악교사들까지 새로운 교육방법과 기술을 익히고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현장운영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모든 교육자로 광범위함.

음악(기악, 성악) 분야 교육자

5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학교교사

지역 공동체 음악가 및 워크숍 운영자

교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 음악인

- 교육 내용의 한 예시로 4급수(level 4) 자격증 교육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어린 학생들과 청소년들이 음악을 습득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

학생들의 학습내용 기획, 운영, 평가

실제적이고 전문적인 지식 습득

학생들의 긍정적 태도 촉진

평등, 다양성, 포용에 대한 교육

학생들의 안전과 보호 교육

ㅇ 음악교육허브(Music Education Hubs, MEHs) - 2012년에 설립된 음악교육 허브(MEHs)의 주요 목표는 2011년에 영국정부가 발표한 '음악교육에 대한 국가계획(National Plan for Music Education, NPME)'을 실행 및 운영하는 것임. NPME는 모든 유소년들에게 우수한 음악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제시함. - 음악교육허브(MEHs)는 지역정부, 학교, 예술단체, 지역 공동체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해당 지역에 필요한 음악교육을 제공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음. - 주목할 만한 부분은 음악교육허브(MEHs)가 앞서 살펴본 대부분의 음악예술교육 프로그램과 협력 관계를 맺고 프로그램이 운영하는 과정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임. (3) 문화교육 챌린지(The Cultural Education Challenge)11) ㅇ 문화교육 챌린지(CEC)는 2015년도에 시작된 잉글랜드의 문화교육 정책 목표이자 프로그 램임. 본 정책사업은 청소년 학생들에게 양질의 예술 및 문화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예술, 문화, 교육 분야의 협력을 주창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ㅇ 문화교육 챌린지(CEC)를 수행하기 위해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잉글랜드 전역에 문 화교육 파트너십(Cultural Education Partnerships)기관을 설치하여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문화교육을 지역편향 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함. ㅇ 문화교육 파트너십(Cultural Education Partnerships, CEP) -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영국영화협회(British Film Institute), 헤리티지 복권기금(Heritage Lottery Fund), 잉글랜드 헤리티지(English Heritage)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운영하는 사업임. 문화교 육 파트너십 참여 기관은 문화교육 파트너십그룹(CEP group)라고 불리며, 다음과 같은 업무에 동참하 고 있음. 11)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 홈페이지 참조: http://www.artscouncil.org.uk/children-and-young-people/cultural-education-challenge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59


① 잉글랜드 내에서 시행되는 문화교육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지역 내에서 균일하게 적 용될 수 있도록 노력함. ② 문화교육 파트너십(CEP) 제공하는 개인 및 그룹 대상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교육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홍보함. ③ 보유한 자원과 활동 내용이 잘 공유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검증(test)하는 과정을 통해 잉글랜드의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문화예술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이 때, 3 곳 의 지역구(the City of Bristol, Barking and Dagenham, and Great Yarmouth)를 시 범지역으로 선정하여 프로그램과 자원 활용이 프로그램의 목적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검증하여 수집된 자료를 환류를 위해 활용함. - 프로그램 목적: 예술·문화 단체, 교육기관, 지역정부가 자원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보다 가시적이고 일관성을 갖춘 문화교육 제공을 도모함. 특히, 다자간 협력을 실행하는 가운데 그 결과가 단지 각자 역할을 총합하는 단편적 수준의 협력이 아니라 파트너십 주체 간 유기적 협력을 통해 통합적이고 일관성이 있는 문화교육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삼고 있음. 더불어 자원의 공유를 통해 양질의 문화교육을 학교 안팎에서 학생들에게 제공하고자 함. - 프로그램 내용: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는 잉글랜드 전역의 50 여개의 문화교육 파트너십 기관 을 통해 필요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확산시키고 제공하기 위해 문화교육 파트너십(CEP)사업을 운영 하고 있음.

문화교육 파트너십(CEP) 프로그램에서 파트너십을 조성하고 동일한 혹은 유사 수준의 문화교육 을 잉글랜드 전역에 보급 및 지역 특색에 맞게 개발하는 것을 돕기 위해 ‘브릿지 단체(Bridge Organization)'을 두고 있음. 문화교육 파트너십(CEP)의 거점 단체로써 각 '브릿지 단체’는 학교와 지역 정부 및 공공기관, 자원봉사단체, 대학기관, 음악교육허브(Music Education Hubs), 지원 단체 및 후원자와 함께 협력하여 유·청소년의 문화교육의 전반적인 향상을 위해 노력함.

문화교육 파트너십(CEP)는 또한 지역단위(local) 파트너와 자원을 통해 프로그램이 운영 및 개발되고 있는데, 다음 다섯 가지를 주요한 활동 및 요건으로 제시함. ① 모임을 통한 논의와 의견 공유, ② 지식정보 자료수집과 활동 근거 수집, ③ 파트너십과 거버넌스, ④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질(quality) 확립, ⑤ 자원조달 및 공유 - ‘브릿지 단체(Bridge Organizations)’: 지역별로 분포된 Bridge Organizations는 10개로 지정되었 으며, 이들 단체 운영과 관련하여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재정을 지원하고 교육부의 예산 역시 재정지원에 포함됨.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는 매년 Bridge Organizations 운영에 ₤10M(한화 약 144억 5,500만원) 예산을 투자하여 ‘문화교육 챌린지(Cultural Education Challenge)'를 달성하도

6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록 지원하고 있음. 이들 브릿지 단체의 주된 역할은 문화 분야와 교육 분야를 연결하여 유소년 학생들이 훌륭한 예술과 문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임. 특히, ‘Cultural Education Challenge' 정책 달성을 위해 활동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활성화하는 업무임. ㅇ 문화교육 데이터포털(Cultural Education Data Portal) - 문화교육 데이터포털 운영은 유소년 학생, 인구통계, 예술, 문화,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정보를 제공함. 이 자료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문화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는 데에 용이하 도록 함. - 해당 자료는 연구자, 정책입안자, 예술과 문화 단체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음. 또한, 다음과 같은 목적에 활용될 수 있음. ① 지역단위(local)의 근거기반 교육계획(evidence-based planning), ② 양질의 문화교육 기회와 관련하여 강점과 약점 관찰, ③ 재원조성을 위한 자료 조사 및 활용 -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Teaching Resources Database) 제공: 전문가 간 협력을 중점으로 하는 문화교육 챌린지(CEC) 정책의 일환으로 교육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음. 이는 문화교육 파트너십(CEP)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단체들과 학교 교사 및 예술 강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며 무료로 제공되고 있음. TES Global12), the British Museum, the Royal Shakespeare Company, the V&A and BFI/Into Film와의 협업을 통해 자료들이 제공되며, 교사들이 예술과 문화와 관련된 최상의 디지털 자료를 수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 (4) 요약 및 시사점 ㅇ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시행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영국 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살펴보았음.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핵심은 양질의 예술 교육과 문화교육이 다양한 환경 가운데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에게 제공하는 데에 있음. 따라서 교육부와 청소년 법의회 등 부처 간의 협력을 비롯하여, 지역단위 예술교육기관, 학교, 지역 정부 등 다층적 협력을 중심으로 정책 사업을 운영하고 있었음. ㅇ 본 연구보고서의 정성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내용 중 연관성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다음 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해 볼 수 있음. ㅇ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중 ‘아츠마크(Artsmark)’은 영국 내 12) TES Global은 교사들이 수업계획서와 활용 자료를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세계 197개국의 4백3천만의 등록된 사 용자들이 참여 및 활용하고 있다. 또한 백2천만 개의 자료가 매일 다운로드 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될 만큼 그 활 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61


학교와 교육 기관의 문화예술교육관련 역량 강화를 위한 것으로 지원기관의 상황에 적합 한 과정을 제공하는 유연성을 주목할 만함. 특히,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역량 개발이 과정에 포함되어 있어 지역과 기관에 특화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다는 것에서 실효성을 발견할 수 있음. ㅇ 국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에 관련하여 전문가 FGI에서 지적된 바로 학교 역량 강화에 대한 투자와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 제기되었음. 비록 영국과 한국의 사회, 문화 적 환경 그리고 교육 기관 구조가 다르다는 점을 배제하기 어려우나, ‘아츠마크 (Artsmark)’ 사업의 접근 방식을 통해 더 많은 청소년이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고려사항으로 참고할 수 있겠음. ㅇ 문화교육 파트너십(Cultural Education Partnership) 프로그램은 잉글랜드의 문화교육 정책 으로 볼 수 있는 문화교육 챌린지(Cultural Education Challenge)의 일환으로 그 비전과 목표를 파트너십이라는 방법을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일종의 정책적 툴(policy tool)로 이 해됨. - 소외되거나 배제되는 아이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파트너십과 네트워크를 통해 문화교육의 질과 분배를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음. 주목할 지점은 예술, 문화, 교육 분야의 비영리 단체, 공공기관, 정부가 협력관계를 맺고 운영에 동참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고안했다는 것임. ㅇ 각 정책 사업이 기조와 목적에 맞게 기획되고 있으나, 운영하는 과정에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있음.

예를

들어,

브릿지

단체(Bridge

Organizations)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중 ‘아츠마크(Artsmark)’ 과정 중 지원단체에 조 력/협력 기관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또한, 음악교육허브(Music Education Hubs) 역시 음악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참여하여 협력 기능을 수행함을 볼 수 있음.

2.4.2 미국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주요 정책 ㅇ

미국의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살펴보기

위해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이 운영하는 예술교육 지원 사업과 예술교육 파트너십(Arts Education Partnerships) 발간 연구 보고서, 주립예술진흥원연합회(National Assembly of State Arts Agencies) 예술교육지원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함. ㅇ 미국의 경우 문화정책을 기획, 관리 및 감독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정부부처가 없으므로 책 정된 국가예산을 통해 예술기금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립예술기금(NEA)의 지원 사업 내용 을 조사하여 간접적으로 미국의 예술교육 정책 방향성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ㅇ 함께 살펴볼 기관은 예술교육 파트너십(AEP)으로 국립예술기금(NEA)과 교육부(US Department of Education) 간의 협력협정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미 전역의 예술교육분야 에 대한 정책, 연구와 관련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연합회임. 6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ㅇ 미국 주립예술진흥원(State Arts Agencies)의 연합회인 주립예술진흥원연합회(NASAA)의 예술교육지원 관련 문헌을 통해 미 전역의 예술교육 지원현황을 조사함. ㅇ 대통령예술·인문위원회(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the Humanities, PCAH) 도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특히 오바마 정부 동안 예술교육 활성화와 확대에 대한 다양 한 활동을 진행해 왔음. 그러나 지난 2017년 8월 이후, 트럼프 대통령 예술·인문위원회는 모든 ‘민간위원들(private members)'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퇴의사를 전함으로써 해산하 게 되었음.13) 따라서 PCAH는 과거 활동내용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를 목적으 로 한 본 연구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관련 보고서 문헌만을 조사·분석 함. (1) 예술교육 파트너십(Arts Education Partnerships, AEP)14) ㅇ 예술교육 파트너십(AEP) 개관 및 역할 - 각 예술교육 파트너십(AEP)은 국립예술기금(NEA)와 미 교육부(US Department of Education) 간의 협력협정을 통해 1995년에 세워진 단체임. 국립예술기금(NEA)와 교육부의 결정으로 예술교육 파트너십(AEP)는 2015년부터 미국교육위원회(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15)의 소속 기관 으로 미국 내 다자간 협력을 통해 운영 중에 있음. - 예술교육 파트너십(AEP)는 미국 전역에서 운영 및 활동 중에 있는 100여개의 예술, 문화, 교육, 기업, 정부, 지원 단체로 구성되어 있는 연합회임. 또한, 네트워크 단체로써 연구, 정책, 실행(practice) 미국의 예술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 - 예술교육 파트너십(AEP)의 신조는 모든 미국 내 학생이 양질의 예술 교육(education in the arts)과 예술을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the arts)을 통해 학업과 일, 삶 가운데 훌륭한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것에 바탕 하고 있음. 따라서 네트워크를 운영에 있어 학생 개개인은 학교 안팎에서 무용, 음악, 극예술, 시각예술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예술을 통해 매일 1)창작하고(to create), 2)활동하고(to perform), 3)배우고(to learn about), 4)경험(to experience)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함. - 예술교육 파트너십(AEP)의 주요 업무는 크게 ① 연구(research), ② 보고서 작성 및 배포(report), ③ 자문(counsel), ④ 심포지엄(convene), ⑤ 소통(communications)으로 구성되어 있음. ㅇ 2020 예술교육 발전계획안(The Arts Leading the Way to Student Success: A 2020 Action Agenda for Advancing the Arts in Education)16) 13) 참조기사: https://www.forbes.com/sites/maddieberg/2017/08/18/trumps-arts-and-humanities-committee-disbands-overhis-charlottesville-response/#5fb32fad6fae 14) 참조: http://www.aep-arts.org/ 15) 미국교육위원회(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는 정책입안자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갖고 필요한 자료를 제 공해주는 등 지원을 통해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더불어 교육 분야의 리더들이 한 데 모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현장에 밀착된 효율적 교육정책을 입안할 수 있도록 현장 리더들의 통찰력 있는 의견으로 부터 정책입안자가 배울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삼고 있다.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63


- ‘2020 예술교육 발전계획안’의 주요 목적은 예술과 교육 분야에서 활동하는 리더들과 예술교육에 대한 공통된 미래비전을 공유하고, 본 계획안을 토대로 협력하여 모든 학교와 공동체에 양질의 예술교 육 기회를 확대 및 제공하는 데에 있음. 특히 본 계획안을 공통된 지향점으로 삼을 때, 협의체 간 효율적인 협력 활동을 기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市)·주(州) 예술교육정책에 구조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 시와 주 단계에서 예술교육정책의 개선이 선행될 때, 미 전역의 정치적, 정책적 입안과정에 반영되도록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가 있음. - 미국 교육부 통계자료에 의하면, 대부분의 주(州)정부에서 예술교육준거(standards for arts education)를 도입하고 공립 초등·중학교에서 예술교육을 시행하도록 정책을 마련 및 시행하고 있으 나, 여전히 수백만 명의 학생들은 예술교육에 대한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하거나 아예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문제를 직시하여 모든 아이들, 즉, 미취학 아동부터 고등학생(pre-K~12) 까지 예술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과 양질의 예술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4가지의 주요 예술교육 정책목표를 제시함. ① 학생의 성취도 향상(Raise Student Achievement and Success) - 목표: 예술을 학생들의 진학과 삶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종합적 준거 시스템에 안착시키는 것. 즉, 예술이 향후 대학 진학뿐만 아니라, 취업과 시민 역량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 준거나 학습활동평가 시스템과 같은 종합적인 기준에 주요 요소로 포함시켜 예술과 예술교육의 효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자 함. - 활동 전략: 대학 진학, 취업, 시민 역량 제고를 위한 준비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 예술교육을 편입시킴. 이때, 실효성과 신뢰성이 있는 예술 항목을 개발하여 추가할 수 있도록 함. 학생들의 예술 분야 학습을 학교, 학군(district), 주(州) 학습활동평가 시스템에 종합적인 포함시 키도록 함. ② 교육자와 학교 리더에 대한 지원(Support Effective Educators and School Leaders) - 목표: 교육자와 학교 리더십 교육 및 지원에 있어 예술 활용과 역할을 강화시키는 것. - 활동 전략: 예술분야 교육자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의 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현장 훈련 프로그램 및 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에 예술을 필수 요소로 포함시키며, 양질의 지원을 제공하도록 함. 지속적인 교육자의 능력향상을 위해 역량개발 과정에 대한 평가 내용과 정보를 제공함. ③ 교육과 학습 환경 개선(Transform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16) Arts Education Partnership (January 2017). "The Arts Leading the Way to Student Success: A 2020 Action Agenda for Advancing the Arts in Education." 6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 목표: 예술기반, 예술통합 학습전략이 접목된 교육 환경으로 개선하여 학생들의 수요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 - 활동 전략: 연구, 정책, 실천을 통해 효율적인 예술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 학생 중심의 학습기회를 제공함. 성취도가 낮게 평가된 학교의 환경 개선을 위해 예술의 역할과 기능을 명확히 기술하여 제공함. 모든 학습 환경에서 기술과 미디어가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방안 마련과 지원을 촉진하도록 함. 학습활동평가 시스템에 부합하는 양질의 예술기반, 예술 통합 교육 기회가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함. ④ 리더십 역량과 지식 개발(Build Leadership Capacity and Knowledge) - 목표: 시·주(州) 및 국가 수준의 예술과 교육계 인사를 대상으로 예술을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핵심 요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식과 능력을 함양시키는 것. - 활동 전략: 교육개선에 참여하는 예술과 교육 분야 주요 이해관계자 간 협력관계를 조성하도록 함. 교육과정 개선의 일환으로 예술교육의 역할과 기여에 대한 기존 자료 및 새롭게 연구된 자료를 마련하 여 제공함. 교육과정 개선에 연관된 자원과 방법의 효율적 활용을 지원 및 확산시키도록 함. ㅇ 예술교육의 혜택(Preparing Students for the Next America: The Benefits of an Arts Education) - 해당 연구보고서는 예술교육이 문화 다양성과 세계화를 특징으로 한 현대사회의 학생들에게 더 없이 필요한 교육임을 주창하는 가운데 예술교육이 제공할 수 있는 혜택(benefits)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음. 특히 향후 경제활동에 참여하게 될 잠재적 일꾼인 학생들은 보다 기술 중심적이고 창의력을 요구하는 환경에 마주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크게 나타난다고 주장함. - ‘예술교육의 혜택’ 연구보고서는 앞서 살펴본 ‘2020 예술교육 발전계획안’에서 제시한 대학 진학(학 교), 취업(직업능력)과 시민 역량(삶)과 연계 및 분류하여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혜택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음. 결론적으로 동 보고서를 통해 예술교육이 가져다줄 수 있는 여러 혜택을 바탕으로 예술교육 및 예술통합교육이 학교 시스템 안에 정착해야하며, 시민사회 안에서 예술교육이 아동·청소 년에게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제고하고자 함. - 학교(arts education for success in school): 문해력과 영어능령을 향상시킴. 수학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줌. 학교 수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배움에 대한 동기를 부여함.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65


비판적 사고 능력 증진에 기여함. 학생과 교사의 학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신장과 같은 학교 문화 향상에 기여함. - 직업능력(arts education for success in work): 유연적 사고와 적응을 포함한 창의적 인재로 성장하도록 도움. 문제해결 능력 강화에 기여함. 협력과 소통의 기술을 키워줌. 리더로서의 소양의 길러줌. - 삶(arts education for success in life): 인내와 끈기를 강화시켜줌. 문화 간 이해를 촉진시킴. 공동체 조성과 시민사회 참여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길러줌. 향후 예술활동에 참여하는 창의 공동체 조성으로 연결됨. (2)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17) ㅇ 본 보고서에서는 국립예술기금(NEA) 중심이 되는 예술분야 지원사업인 ‘Art Works' 중, 예술교육(arts education)분야를 중점적으로 살펴 봄. 국립예술기금(NEA)는 기국의 모든 학생들이 우수한 예술교육에 참여하고, 그 경험을 통해 역량이 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해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음. - 이 같은 기조를 뒷받침하는 예술의 긍정적 영향으로 예술 참여가 학생들이 목표를 달성하고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에 기여한다는 내용을 제시함. 또한,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풍부한 예술경험을 가진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학습 성취도나 사회 구성원으로서 더 나은 모습을 나타낸다고 함. ㅇ 국립예술기금(NEA)의 예술교육 분야 지원금 수혜단체의 50% 정도는 저소득층 지역의 아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집계됨. ㅇ 국립예술기금(NEA)의 예술교육분야 지원 사업은 학생을 중심 프로그램을 주요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대상자는 유아부터 고등학생까지로(per-K-12) 지정하고 있음. 다만 정규교 육 과정에 있는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계층과 사회구조에 속 한 해당 연령대의 유소년을 위한 예술교육을 지원대 상으로 삼고 있음. - 더불어 이들의 예술교육과 관련되어 있는 교사, 예술가, 학교, 공동체 등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음. 이는 더 나은 예술교육이 어린 아이들을 비롯한 청소년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대한 투자로 이해할 수 있음. 17) 참조: https://www.arts.gov/grants-organizations/art-works/arts-education 6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 그러나 단기 프로젝트나 예술향유 중심의 프로그램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됨. ㅇ ‘Art Works' 중 예술교육 지원 분야는 다음 세 가지 항목으로 구분되어 운영 중임. - ① 학습 지원(Direct Learning), ② 전문가 양성(Professional Development), ③ 환경개선 (Collective Impact) ① 학습 지원(Direct Learning) - 본 지원 항목은 예술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과 기술을 증진시켜 잠재력을 발현하도록 돕는 것에 목적이 있음. 예술교육은 21세기 인력이 갖춰야 할 주요 능력 중 하나인 창의력 개발에 기여하기 때문에 특히 학생들이 예술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함. - 학교 안팎에서 운영하는 예술교육 프로젝트 중 단발적이지 않은 즉,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프로그램 을 대상으로 지원함. - 지원 단체는 학생들에게 예술관련 지식 전달에 있어 어떠한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을 기획하고 운영할 것인지 밝혀야 함. 또한 해당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관련 분야 발전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도 지원서에 명시해야 함. - 또한 프로그램 운영 계획안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면서 활용한 자료를 제시하고, 기존의 프로그램에서 어떠한 사항을 발전시켰는지, 그리고 지역 공동체와 어떠한 협력 체계를 갖추고 활용하 고 있는지 기술해야 함. 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생과 지역 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기대하는 지 밝혀야 함. - 지원 대상 프로그램은 학교, 예술단체가 운영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예술가 혹은 예술단체와 협력하여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비예술 단체도 지원 대상에 포함됨. - 프로그램 시행 장소는 학교, 예술단체시설, 커뮤니티 센터, 종교단체시설, 예술작업장, 청소년 보호 시설 등 다양한 시설에서 시행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 대상으로 함. - 2016예산년도에는 194개의 프로젝트가 해당 항목으로 지원금을 수여받았으며, 총 지원금 규모는 $5.8M(한화 약 61억 9,730만 원)에 이름. ② 전문가 양성(Professional Development) - 학교 교사, 예술 전문가(arts specialists), 예술강사(teaching artists), 학교 행정가, 일반 교사와 지역 공동체 리더 등을 대상으로 예술기반 커리큘럼 및 교습방법과 같은 예술교육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둔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항목임. - 본 항목의 지원금 수혜 단체는 예술교사나 관련 행정가를 대상으로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컨퍼런스 를 개최하는 곳으로 보임. 예를 들어, 국립무용교육협회(Nat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의 무용교사 대상 워크숍 및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한 바 있음. - 1987년부터 국립예술기금(NEA)는 주립예술진흥원연합회(National Assembly of State Arts Agencies)와 공동으로 주(州)정부기관 예술교육담당자를 위한 컨퍼런스를 주최하고 있음.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67


③ 환경개선(Collective Impact) - 해당 지원 파트는 학교와 학군(school districts), 공동체 개선을 통해 수백만 명에 이르는 학생들이 예술을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음. - 환경 개선을 위해 지역 내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파트너십 구축을 중점적으로 독려하고 있으며, 파트너십의 주체로 시(市), 주(州) 단위 교육관련 부처, 학부모 단체, 대학, 재단, 기업 등을 대상으로 보고 있음. - 청소년 예술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파트너십, 대화와 협의 채널 구축 계획, 주(州) 단위 예술교육 관련 데이터 수집 등을 지원함. - 다양한 협력 주체와의 파트너십 구축을 지향하는 지원사업인 만큼 장기 프로젝트로 기획된 프로젝 트를 선호하며, 최장 2년까지를 프로젝트 운영기간으로 고려하고 지원사업에 참여할 것을 독려함. - 2016예산년도에는 11개의 프로젝트가 해당 항목으로 지원금을 수여받았으며 총 금액은 $930,000 (한화 약 9억 9,370만 원)에 이름. (3) 주립예술진흥원연합회(National Assembly of State Arts Agencies, NASAA)18) ㅇ 주립예술진흥원연합회(NASAA)는 비영리 단체로 주립예술진흥원(State Arts Agencies, SAAs)의 역량강화를 주요 목표로 운영되고 있음. 미국 50개 주와 6개의 특별관할 지역 예술기관의 협력과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음.19) ㅇ 미국의 주립예술진흥원(SAAs)은 학교 안팎에서 예술교육이 원활하게 운영되고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음. 따라서 방과 후, 학교 밖 예술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으며, 미취학 아동 예술교육을 비롯하여 성인 및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예술교육 프로 그램을 여럿 지원하고 있음. ㅇ 예술교육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립예술진흥원(SAAs)은 지원사업, 예술교육 관련 서비스, 연구활동, 협력과 파트너십 조성을 통한 사업운영을 시행하고 있음. - 지원 사업: 예산연도 2015년 한 해 동안, 주립예술진흥원(SAAs)는 $74M(한화 약 808억 8,800만 원) 이상의 예산을 학교 및 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에 투자함. 지원받은 예술교육 프로그램 의 형태는 수업을 비롯하여 공연과 전시, 전문가 양성, 예술가 상주 프로그램 등으로 나타남. - 예술교육 관련 서비스: 주립예술진흥원(SAAs)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대상은 예술강사(teaching artists)와 예술단체, 학교와 교사(교육자) 등으로 훈련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함. 예술강사에게는 학급 운영과 교육 기술(teaching skills)과 관련된 훈련 과정을 제공하고, 교사를 대상으로는 상주 예술강사 섭외와 협력, 그리고 교실에서 예술가 활용, 통합예술교육 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함. - 연구 활동: 주(州) 단위별 아동·청소년(K-12) 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평가와 조사를 통해 정책에 18) National Assembly of State Arts Agencies (February 2017). "State Arts Agency Fact Sheet." 19) 최보연 외(2016). 주요국 문화예술정책 최근 동향과 행정체계 분석연구. 문화관광연구원. p. 157. 6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대한 근거를 확보하고, 정책입안자 및 공중(the public)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연구 활동을 위해 타 연관 기관과 협력관계를 조성하고, 양질의 연구를 얻기 위해 근거기반연구(evidence-based research)를 지향하고 있음. - 협력과 파트너십: 예술교육에 대한 정책 마련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다양한 파트너십을 맺고 있음. 개략적으로 주 정부 내 교육부, 예술교육 네트워크, 방과 후 단체의 협의체, 교사연합, 대학기관, 예술주창(arts advocacy)단체 등을 꼽을 수 있음. <그림 Ⅲ-5> 미국 주립예술진흥원의 2015예산연도 예술교육활동 지원내용

출처: National Assembly of State Arts Agencies (February 2017). "State Arts Agency Fact Sheet." p. 1.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69


<그림 Ⅲ-6> 미국 주립예술진흥원의 2015예산연도 ‘예술교육어워즈’ 시상 지역분포

출처: National Assembly of State Arts Agencies (February 2017). "State Arts Agency Fact Sheet." p. 2. (4) 요약 및 시사점 ㅇ 미국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정책은 ‘왜 예술교육이 학교를 포함한 학습의 현장에서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통해 제시되고 있음. 예술교육의 참 여기회가 아동·청소년에게 제공되어야 할 이유와 그에 따른 개선방안은 크게 세 가지 분 류로 함축되어 나타남. - 학습준거(core academic standards)에 예술교육 및 통합예술교육을 포함하여 정규학교교육 시스템 에서 예술교육이 행해지고 그로 인한 학습효과가 드러날 수 있도록 함. - 21세기 인력에게 요구되는 주요 능력인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를 함양시키기 위해 학교에서 적합한 예술교육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함. -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예술활동 참여 및 예술교육은 매우 중요함. 따라서 어릴 때부터 예술적 소양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함. ㅇ 국립예술기금(NEA)의 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크게 학생 및 청소년의 학습, 교육자의 역량, 예술교육이 제공되는 환경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 다시 말해, 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시 행되는 장소나 운영주체 등을 세분화하여 지원금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총체적으로 지 원금을 운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임.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비교적 넓은 대상의 지원 프 로그램 중에서 우수한 사업을 중심으로 지원금이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고, 따라서 지원 사업 운영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부분임. 또한 지원 사업의 유연성은 지원하는 7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조적 내용적 다양성에 부합하는 구조로 볼 수 있음. ㅇ 국립예술기금(NEA)의 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저소득층 아이들이 예술교육을 받고 예술 활 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이들 특정 계층의 아이들에게 예술교 육이 들어갈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시행하여, 개인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영향 즉, 교육 의 기회와 사회 구성원으로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 안착할 수 있는 결과로 이끌고자 함. 이러한 개인적 영향을 바탕으로 사회적 안정과 창의적 인력 양성 및 확대 등의 전수효과 를 기대함. ㅇ 동시에 국립예술기금(NEA)는 유년기 초기에 예술교육과 예술 참여 경험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연구 및 조사를 진행하였음. 따라서 예술교육 이 시민의 인생주기 중 초기부터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관련 프로그램 을 기획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ㅇ 무엇보다 예술교육 파트너십(AEP)가 문화부가 부재한 미국에서 문화예술정책을 실행하고 있는 공공독립기관인 국립예술기금(NEA)와 교육부의 협력 협정을 통해 설립된 기관이라 는 점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함. - 문화예술교육을 현장에서 운영하고 실행함에 있어 공교육이 제공되는 학교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 에, 공교육의 정책과 운영을 관장하는 교육부와 예술의 전문성을 갖춘 기관과의 협력은 필수적임. 그러나 각 정부부처의 관심사와 정책실행 방식의 차이로 인해 부처 간 협력이 약속되고 실행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대화와 협의가 필요함. 그러한 가운데 어느 한 쪽에서 해당 사업과 역할을 일임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성과 중립성이 보장된 협의체를 구성, 관련 업무를 전담하도록 하여 미국 전역의 문화예술교육 실무자와 정책입안자를 돕고 공동의 논의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고려해볼 만함. - 다만, 국내에서 예술교육 파트너십(AEP)의 역할과 유사한 기능을 맡고 있는 기관이 있다면, 새로운 기관을 창설하는 대신, 해당 기관의 기능을 다시 살펴보고 관련 정부부처와의 협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독립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겠음.

2.4.3 싱가포르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주요 정책 ㅇ 싱가포르의 예술분야 관련 정부부처가 2012년 커뮤니케이션·정보·예술부(Ministry of Communications, Information, and the Arts)에서 문화·공동체·청소년부(Ministry of Culture, Community and Youth)로 개편됨에 따라 예술과 문화분야에 대한 정책이 사회 적 자본 형성과 생애주기별 문화·예술 참여 중심으로 변화한 것을 발견할 수 있음. - 이때, 싱가포르 문화·공동체·청소년부에서 의미하는 소년(Youth)의 연령은 15세에서 34세로 본 연구에서 의미하는 10대 청소년과는 부분적으로 일치할 뿐, 거리가 있음. ㅇ 예술교육에 대한 정책과 실행은 교육부와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가 운영하는 사업을 통해 진행되는 것으로 관찰됨.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71


ㅇ 따라서 싱가포르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의 주요 사업과 정책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중심으로 조사함. (1) 싱가포르 학생들의 예술참여 현황20) ㅇ 2015년도에 시행된 연령층별 예술 참여 및 향유 실태조사에 따르면, 15-24세 학생들 중 에서 90% 정도는 예술·문화 행사에 참석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함. - 그 중 음악이 55%, 극예술이 54%, 시각예술이 54%로 해당 연령층이 가장 많이 참석하는 예술행사 의 장르로 나타남. - 또한 73%의 응답자가 예술·문화 행사 관람 시 친구와 동행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힘. - 설문에 참여한 학생 중 2명 중 1명은 예술활동에 참여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취미를 목적으로 한다는 응답자가 43%, 수업을 듣는 방식으로 참여한다는 응답자가 42%로 나타남. - 학생들이 예술에 참여하는 이유 중 61%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재미있기 때문으로 나타남. ㅇ 최근 소셜미디어 활성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싱가포르 학생들이 예술·문화 행사 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에 있어 많이 활용하는 매체로 총 62%의 응답자가 소셜미디어를 꼽았음. 그 뒤를 이어 인터넷과 이메일을 활용하는 경우가 총 54%로 많게 나타남. ㅇ 싱가포르 학생들이 참여하고 싶은 예술장르로 음악(48%)을 가장 많이 꼽았으나, 2013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상승세를 나타낸 장르는 공예(Craft)였음. - 2013년도에는 11%의 학생이 참여를 선호하는 예술장르로 공예를 꼽았으나 2015년도에는 8% 증가한 19%의 학생이 공예활동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함. ㅇ 예술활동 참여 공간으로 가장 많이 선호하는 공간은 학교/학교부근과 전문예술기관으로 각각 59%와 23%의 응답률을 나타냄. (2) 국립예술위원회(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21) ㅇ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NAC)에서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주창하며 예술은 싱가포르 국민 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어린 나이 때부터 예술을 접해보아야 한다고 설명함. 이를 바탕으로 국립예술위원회(NAC)는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예술교육을 제공받 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ㅇ 국립예술위원회(NAC) 예술교육분과는 우수한 예술관련 활동이 모든 학교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교육부를 포함한 예술분야 공동체 및 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일하고 있음. ㅇ 예술교육을 통해 국립예술위원회(NAC)는 학생들의 창의력과 예술적 표현력 계발을 도모 20)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2015). "2015 Population Survey on the Arts." 21)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2014). "Arts Education." 7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하며 동시에 싱가포르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고자 함. 향후 학생들이 성장하여 사회 공동체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예술을 통해 자신감과 창의적 역량을 갖춘 성인이 될 것 을 기대함. ㅇ 국립예술위원회(NAC)가 설정한 예술교육 정책목표는 청소년의 사고능력 증진과 공동체 및 문화에 대한 소속감 향상, 자아 정체성 확립, 그리고 학생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예술 교육 제공을 중심으로 함. - 고등학교(secondary education) 전까지는 모든 아이들이 전문예술기관에서 공연 및 전시에 참관해 볼 수 있도록 함. - 고등학교 졸업 전까지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서 예술가 혹은 예술단체와 함께하는 예술교육을 경험 하도록 함. - 고등학교 졸업 전까지 모든 학생들이 문학, 시각예술, 음악, 무용, 극예술(theatre)에 이르는 주요 장르 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함. - 모든 예술강사(arts instructor)는 예술 장르에 대한 훈련뿐만 아니라 교육(teaching and learning)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추어야 함. - 모든 교육부 소속 예술교과 교사(arts teacher)는 싱가포르 출신 예술가, 예술단체 및 기관과 함께 또는 그들이 제공하는 전문적인 예술에 대한 학습과정에 참여해야 함. - 모든 학교는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함. ㅇ 국립예술위원회(NAC) 예술교육분과의 주요 업무는 크게 학생 대상 프로그램, 교사 대상 프로그램, 교수법 연구 프로그램으로 구분되어 있음. 다음은 지원 사업 중 학생 대상 프로 그램으로 싱가포르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예술교육을 통해 정책 방향성을 탐구하고자 함. (3) 국립예술위원회(NAC)의 예술교육 프로그램(Enhancing Arts Learning Experience)22) ㅇ 학생 대상 프로그램은 크게 예술교육(Arts Education)과 교육에서의 예술(Arts in Education)로 세분화되어 있음. - 예술교육(Arts Education)은 학생들이 지식 습득과 현장 방문 등의 체험을 통해 예술적 이해와 기량을 증진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해당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NAC) - Arts Educational Programme(예술교육 프로그램)

Feed Your Imagination(상상력 증진 프로그램)

Words Go Round(워즈고라운드 프로그램)

Artist-in-School Scheme(예술가학교상주 프로그램)

Arts and Culture Presentation Grant(문화예술발표 지원사업)

22) Ibid. & 기관 웹페이지: http://www.nac.gov.sg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73


Dance Talent Development Programme(무용능력개발 프로그램)

- 교육에서의 예술(Arts in Education)은 예술교육을 통해 참여 학생들의 예술외의 역량을 함께 증진 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임. 예를 들어, 비예술교과와의 통합교육이나 사회적 소외계층의 청소년에게 사회로 재진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지원 프로그램들이 해당 구분에 속함. 다음은 관련 지원 사업 리스트임.

Teaching Through the Arts Programme(예술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

Children and Youth At-Risk Partnership Programme(학교 밖 청소년 파트너십 프로그램)

Special Education Partnerships Programme(특수교육 파트너십 프로그램)

Pre-School Arts Programmes(유치원 예술 프로그램)

ㅇ 교육부 파트너십 프로그램: 교사능력개발 프로젝트(Partnership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 본 프로그램은 교육부 소속 예술교사와 학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관장하는 주요 인력에게 전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주요 내용임. 예술을 위한 싱가포르 교사 아카데미(Singapore Teachers’ Academy for the Arts, STAR)와 교육부 예술교육과(MOE Arts Education Branch, AEB)가 협력하여 본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 <그림 Ⅲ-7> 싱가포르 예술교육 프로그램 예시

출처: Singapore National Arts Council (2014). "Arts Education Collateral 2015." p. 5.

- MOE-NAC Master Artists Series는 국립예술위원회(NAC)와 예술을 위한 싱가포르교사 아카데미 (STAR)가 공동 주최하여 운영하며, 강의세션을 통해 교사들이 대표적인 싱가포르 예술가의 작품과 철학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하고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음. - 예술가멘토조직(Artist-Mentor Scheme, AMS)은 예술을 위한 싱가포르교사 아카데미(STAR)에의 7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해 운영되고 국립예술위원회(NAC)가 지원하는 프로그램임. 예술가멘토조직(AMS)의 목적하는 바는 예술가와 파트너가 되어 미술, 음악, 무용, 드라마 장르를 함께 가르침(co-teaching)으로써 교사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임. (4) 전국예술교육시상(National Arts Education Award, NAEA)23) ㅇ 싱가포르 교육부 내 예술교육부서와 국립예술위원회(NAC)는 학교를 대상으로 ‘전국예술 교육시상(NAEA)'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다음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 - 학교에서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그리고 지속가능한 예술교육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 - 프레임워크(framework)fmf 제공하여 모든 학교가 좋은 예술 활동과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이끔. <그림 Ⅲ-8> 싱가포르 전국예술교육시상 평가 프레임워크

출처: National Arts Education, Singapore and Ministry of Education (2015). "National Arts Education Award 2015." p. 2.

ㅇ '전국예술교육시상(NAEA) 프레임워크'는 교육부와 국립예술위원회(NAC)가 협력하여 개발 한 프로그램 개발틀로서 각 학교가 위치한 예술교육 개발과정에서 자체적으로 프로그램 23) National Arts Education, Singapore and Ministry of Education (2015). "National Arts Education Award 2015."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75


평가를 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임. '전국예술교육시상(NAEA) 프레임워크' 를 통해 학교들이 예술교육을 통해 달성해야하는 목표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계획할 수 있 는 길잡이를 제공하고자 함. ㅇ '전국예술교육시상(NAEA) 프레임워크'는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평 가항목은 다음과 같음. - 1단계: 학교의 예술교육 정책과 계획 평가 모든 학생들이 양질의 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예술교육 정책을 단기와 장기적으로 어떻게 반영하 고 있는가? - 2단계: 프로그램 실행 평가 해당 학교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으며, 관련 인력의 역량 개발과 자원의 활용을 최대한으로 하고 있는가? 또한 다른 단체 및 기관과 파트너십을 조성하고 있는가? - 3단계: 학교의 예술교육 영향 평가 학교 내에서 예술과 문화를 촉진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또한, 학교 안에서의 교육 등 예술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밖에서도 예술이 제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가? (5) 요약 및 시사점 ㅇ 싱가포르 청소년의 예술활동 참여 현황과 관련하여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이메일 등이 관 련 정보를 취득하는 데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수단으로 확인됨. 또한 음악이 여전히 가장 관심 있는 예술장르로 꼽히고 있으나, 최근 공예에 대한 활동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남. ㅇ 싱가포르 청소년은 학교나 학교부근에서 제공되는 예술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 었음. ㅇ 싱가포르의 예술교육은 교육부에 설치된 예술교육 부서와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가 중 심이되어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ㅇ 또한 ‘전국예술교육시상(NAEA)'과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국 학교에서 양질의 예술 교육이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수립한 예술교육 정책이 적합하게 반영되고 기능하고 있 는지 확인하고 있었음. 다만, 이러한 직접적인 정책운영(확인) 방식은 싱가포르의 사회민 주주의라는 정치적 이념과 행정 시스템에 깊은 연관성이 있으므로 모든 국가의 행정체계 에서 단편적으로 반영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않도록 해야 함. ㅇ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NAC)의 사업 중, 주목할 만한 부분은 교육부 및 산하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학교 내 교사의 역량 강화를 병행하여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는 것임. 예 술교육 콘텐츠와 교수법 등 학생들이 접하게 되는 예술교육에 직접적인 지원을 함과 동시 에 예술강사와 교사들의 역량 강화에 함께 투자하고 있는 것임. 특히 언급한 학교 내 교 7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사의 예술교육 능력 신장을 위한 지원사업은 교육부 산하기관인 예술을 위한 싱가포르교 사 아카데미(STAR)가 운영하고 국립예술위원회(NAC)는 지원하는 역할로 그 프로그램의 중심에 교육부 내 예술교육 담당부서가 있다는 것을 꼽을 수 있음.

3.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정책 요약 및 시사점 ㅇ 2016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보고서를 통해 제시된 한국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예술교 육에 대한 비전은 참여, 공감, 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참여자로 하여금 행복감을 느낄 수 있 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강조를 둠. ㅇ 한국 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으로 구분 될 수 있음.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은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유아부터 고3 수험생을 포함한 청소년층까지 교육과정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사업을 의미함. 반면, 사 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경우, 소외계층을 중심으로 예술과 문화활동에 대한 능동적 참 여와 학습, 그리고 창작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 의 경우 주요 대상참여자가 다양하기 때문에 법무부, 여성가족부, 통일부 등 여러 관계부 처와의 협력을 통해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ㅇ 또한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 확보를 위해 예술강사, 기획자, 행정 인력 등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음.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 시행을 비롯하여 초·중등 교원, 프로그램 운영기관/단체 실무자, 예술강사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더불어 해외 전문가 초청 포럼과 심포지엄을 국내에서 개최하여 정보자원의 확보에 노력을 기울 이고 있으며, 동시에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콘텐츠 등을 해외 국가에서 도입하고 실행 할 수 있도록 돕는 ODA 국제교류 사업 또한 운영 중에 있음. ㅇ 영국의 사례로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가 시행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을 통해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살펴보았음.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핵심 은 양질의 예술교육과 문화교육이 다양한 환경 가운데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에게 제공하 는 데에 있음. 따라서 교육부와 청소년 법의회 등 부처 간의 협력을 비롯하여, 지역단위 예술교육기관, 학교, 지역 정부 등 다층적 협력을 중심으로 정책 사업을 운영하고 있었음. ㅇ 영국 사례에서 살펴 본 각 정책 사업이 각 프로그램의 기조와 목적에 적합하게 기획되고 있는 동시에, 필요 시, 다른 사업 혹은 유관 기관 간 협력이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 유기 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있음.

예를

들어,

브릿지

단체(Bridge

Organizations)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중 ‘아츠마크(Artsmark)' 프로그램 과정에서 협 력기관으로 움직이고 있었음. ㅇ 영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그들의 예술교육 정책이 총체적인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을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임.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77


ㅇ 미국의 예술교육 정책은 ‘왜 예술교육이 학교를 포함한 학습의 현장에서 필수적 요소로 인 식되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통해 제시되고 있음. 다시 말해, 예술교육의 참여기회가 아동·청소년에게 제공되어야 할 이유와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보임. 이러한 특징은 예술교육이 정규교육 가운데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점을 사회 와 시민을 대상으로 설득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됨. 이에 대한 사회 전반의 합의 과정을 이끌어 내어 예술교육에 대한 정책적 수립 및 시행에 긍정적 영향이 일어날 것을 기대한 다고 볼 수 있음. ㅇ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크게 학생 및 청소년의 학습, 교육자의 역량, 예술교육이 제공되는 환경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 다시 말해, 예술교 육 프로그램이 시행되는 장소나 운영주체 등을 세분화하여 지원금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 라 총체적으로 지원금을 운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임. 이러한 구조의 장점은 비교적 넓은 대상의 지원 프로그램 중에서 우수한 사업을 중심으로 지원금이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고, 따라서 지원사업 운영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부분임. 또한 지원 사업의 유연성은 지원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조적 내용적 다양성에 부합하는 구조로 볼 수 있음. ㅇ 싱가포르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 (NAC)의 사업의 일환으로 교육부 및 산하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학교 내 교사의 역량 강 화를 병행하여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는 것임. 예술교육 콘텐츠와 교수법 등 학생들이 접하게 되는 예술교육에 직접적인 지원을 함과 동시에 예술강사와 교사들의 역량 강화에 함께 투자하고 있는 것임. 특히 언급한 학교 내 교사의 예술교육 능력 신장을 위한 지원 사업은 교육부 산하기관인 STAR(예술을 위한 싱가포르교사 아카데미(Singapore Teachers’ Academy for the Arts)가 운영하고 싱가포르 국립예술위원회(NAC)는 지원하는 역할로 그 프로그램의 중심에 교육부 내 예술교육 담당 기관이 서 있다는 것을 꼽을 수 있음. ㅇ 싱가포르에서는 또한 양질의 예술교육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예술전공 강사들을 교육학에 대한 지식을, 교육부 소속 교사들에게는 전문적인 예술에 대한 이해와 학습경험 을 갖추도록 정책적 선언을 제시하고 있음. 더불어 학교에서 양질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책임이 있음을 명시하여 학생들이 참여하게 될 예술교육에 대한 개선을 유도 하고 있음. 이처럼 예술교육 제공자에 대한 각 역할별 목표와 지향점을 분명하게 명시하 는 방법을 통해 보다 나은 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지침을 제공함. ㅇ 우리나라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크게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을 통한 학생 대상 프로그램 과 소외계층을 중심으로 한 사회문화예술교육에 포함된 학교 밖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을 진행된다고 볼 수 있음. 교육부와 법무부, 여성가족부 등 중앙정부부처와의 협력관계에 더 하여 학교, 예술전문단체, 보호관찰기관, 복지시설 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현장 시설과의 협력관계를 조성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접근성을 높이고, 학생들의

7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참여를 도모하고 있음. ㅇ 이러한 국내 문화예술정책에 대하여 해외 관련 정책 및 사례조사를 통해 고려할만한 시사 점은 크게 세 가지로 도출할 수 있음. 우선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 육 사업 간 유기적 협력 체계를 통해 효율성과 유연성 증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 할 수 있음. 현재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들 중 중복적으로 필요한 자원 공유를 위해 문 화예술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계획안과 정책적 우선순위를 수립하여 세부사업 중심의 프로 그램 운영을 지양하고 행정적 유연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함. 이는 영국 잉글랜드 예술위원회의 사례를 통해 레슨드로잉(lesson-drawing)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ㅇ 국내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대상별 프로그램 지원과 인력 양성지원 중심적으로 운영되 고 있음. 그러나 사회전반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효능에 대한 동의가 없을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긍정적 영향의 파급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움. 또한 문화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동반되어 프로그램이 운영될 때, 프로그램의 지속성이 증 진될 수 있음.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인식개선을 위한 노 력 필요함. 다만,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필요성에 강조함으로써 도구적 측면이 동시에 강 조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유의해야 함. ㅇ 학교 교사 및 예술강사 등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인력자원에 대한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 가 증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 현재 국내에서도 해외 전문가 초청 강연, 워크숍, 연수 등 문화예술교육 인력에 대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그램의 지속성과 체계성에 대하여서는 의구심이 제기됨. 예를 들어,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사에게는 학 교 현장에 대한 이해와 교육학적 지식에 대한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 교사에 게는 예술장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또는 통합교육에 대한 지식과 정보 를 제공해야 함. 동시에 학교와 그밖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현장의 기관 인력을 대상으 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상호 협력에 대한 중요성 등 프로그램 실효성 신장에 도움 이 될 수 있는 연수가 제공되어야 함.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비전문가, 문화예술 전문가이 나 교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인력, 행정실무가 등을 구분하여 각각 업무에 적합한 교육 지원과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적 접근은 앞서 살펴본 영국, 미국, 싱가포르에서 모두 관찰 할 수 있었음. 그만큼 역할별 인력에 대한 역량강화 기회 제공은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필 요한 요소로 이해됨.

Ⅲ. 문화예술교육 정책 |79



Ⅳ. 연구방법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문헌연구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 양적연구 3.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4. 전문가 자문 조사



Ⅳ. 연구방법 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문헌연구 1.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각 부처별 지원 정책 및 현황 분석 ㅇ 청소년 지원정책과 관련된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여성가족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노동 부 등에서 지원하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분석 ㅇ 정부부처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현황 고찰 및 분석

1.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선행연구 분석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관련 선행연구(보고서 및 학술지, 학위 논문 등)를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 ㅇ 조사변인, 조사대상, 효과변인 등의 문헌 메타 분석 실시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 양적연구 2.1 조사개요 ㅇ 조사 대상은 전국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일정 표본(0.08%)을 추출하여 학생 3,600명과 학교 밖 청소년 약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의 협조 공 문을 해당 학교 및 기관으로 발송하였음. <그림 Ⅳ-1>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조사 대상 청소년

학생 3,600명, 학교 밖 청소년 400명

조사 대상 기관

학교 121개교, 학교 밖 청소년 관련기관 130개 기관

자료 수집 방법

리서치 업체 방문 조사 및 학교 자체 조사

조사 기간

2017년 10월 ~ 11월

Ⅳ. 연구방법|83


ㅇ 조사 기간은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 간 실시되었으며, 방문 조사 및 학교 자체 조사로 실시함. ㅇ 조사 대상은 학생 약 3,600명과 학교 밖 청소년 약 400명임. ㅇ 설문 참여 응답자 현황은 최종 학생 3,076부(114개교)와 학교 밖 청소년 411명(29개 센 터)의 설문지가 회수 완료되었음.

2.2 연구대상 추출방법 ㅇ 학생 추출방법: 2016년 교육통계 자료를 근거로 모집단별 0.08% 추출 ㅇ 학생 조사는 학교의 학급 단위로 조사 실시를 전제로 하기에 각 학교의 학급 평균 학생수 를 고려하여 재산출 필요 ㅇ 단, 초중고(일반고), 고등학교에서 특목고, 자율고, 특성화고 제외 <표 Ⅳ-1>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학생수 기준) 구분

초등학생

0.08%

중학생

0.08%

고등학생

0.08%

합계

1,308,339

1,047

1,457,490

1,166

1,752,457

1,402

서울

215,476

172

239,912

192

299,556

240

부산

74,376

60

86,650

69

105,793

85

대구

62,659

50

73,925

59

91,904

74

인천

75,105

60

82,893

66

96,539

77

광주

44,183

35

51,511

41

62,357

50

대전

42,530

34

47,646

38

57,087

46

울산

31,520

25

35,343

28

44,558

36

세종

8,220

7

7,444

6

6,463

5

경기

353,379

283

381,082

305

440,319

352

강원

38,442

31

43,999

35

53,516

43

충북

41,173

33

46,287

37

54,937

44

충남

55,927

45

60,196

48

73,039

58

전북

48,686

39

56,923

46

70,449

56

전남

45,868

37

53,181

43

66,973

54

경북

62,505

50

70,468

56

88,456

71

경남

89,430

72

99,401

80

117,575

94

제주

18,860

15

20,629

17

22,936

18

ㅇ 지역의 규모를 고려하여 대도시 49지역, 중소도시 55지역, 읍면 지역 18개 지역의 총 122 8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개 지역의 학교를 추출함. ㅇ 교급과 지역규모를 고려, 난수표를 활용하여 조사 학교 무작위 추출 ㅇ 난수표의 활용은 엑셀의 난수 발생 기능을 활용하였는데 엑셀 수식란에 난수를 발생시키 는 rand(

) 식을 입력하여 샘플링 함. <표 Ⅳ-2>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 표본(학급수 기준)

시도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북 충남

지역구분

일반고

중학교

초등학교

총합계

대도시

186

384

599

1,169

읍면지역

13

24

48

85

중소도시

349

595

1174

2118

대도시

70

119

219

408

읍면지역

10

15

28

53

읍면지역

42

79

170

291

중소도시

44

83

181

308

읍면지역

15

52

109

176

중소도시

31

76

151

258

읍면지역

24

66

135

225

중소도시

48

120

270

438

대전

대도시

38

88

146

272

세종

중소도시

9

18

37

64

읍면지역

37

97

142

276

중소도시

82

174

327

583

경북 경남 울산

읍면지역

43

81

158

282

중소도시

95

184

342

621

대도시

31

49

86

166

읍면지역

6

14

31

51

대도시

76

166

287

529

읍면지역

5

6

21

32

대도시

45

111

195

351

읍면지역

5

14

29

48

읍면지역

27

80

133

240

중소도시

67

129

283

479

읍면지역

42

160

254

456

중소도시

36

90

172

298

광주

대도시

48

90

153

291

제주

중소도시

21

45

112

178

1,545

3,209

5,992

10,746

부산 대구 전북 전남

총계

Ⅳ. 연구방법|85


ㅇ 지역 규모별로 추출해야 할 학교 수 - 지역 규모를 고려하여 대도시 49개, 중소도시 55개, 읍면지역 18개 지역 학교 총 122개 학교를 연구 대상 학급 수로 확정함. <표 Ⅳ-3>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 학급 수 대도시

중소도시

읍지역

면지역

합계

49

55

13

5

122

<표 Ⅳ-4> 지역별 학생 연구대상 학급 수 시도

지역구분

서울

대도시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읍면지역 중소도시 읍면지역 중소도시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중소도시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대도시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중소도시 대도시 중소도시

경기 인천 강원 충북 충남 대전 세종 경북 경남 울산 부산 대구 전북 전남 광주 제주 총계

일반고

중학교

초등학교

총합계

4

7

6

1

2

2

17 5

6

9

8

23

2

3

2

7

-

-

1

1

1

2

1

4

-

1

1

2

1

1

1

3

-

1

1

2

1

1

1

3

1

2

2

5

1

1

1

3

1

1

1

3

1

1

1

3

1

1

1

3

1

2

2

5

1

1

1

3

2

3

2

7

1

2

2

5

1

2

2

5

-

1

1

2

1

1

1

3

1

2

2

5

1

1

1

3

30

48

44

122

- 지역별 설문 대상 현황은 서울 17개 학교(고등학교 4개교, 중학교 7개교, 초등학교 6개 교), 경기 28개 학교(고등학교 7개교, 중학교 11개교, 초등학교 10개교), 인천 7개 학교 (고등학교 2개교, 중학교 3개교, 초등학교 2개교), 강원 4개 학교(고등학교 1개교, 중학교 2개교, 초등학교 1개교), 충북 5개 학교, 충남 5개 학교, 대전 5개 학교, 세종 3개 학교,

8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경북 6개 학교, 경남 8개 학교, 울산 3개 학교, 부산 7개 학교, 대구 5개 학교, 전북 5개 학교, 전남 5개 학교, 광주 5개 학교, 제주 3개 학교를 선정함. ㅇ 학교 밖 청소년 추출방법: 모집단별 0.08% 추출 • 2015학년도 전체 초‧중등학교 학업중단자 수는 47,070명(전체학생 대비 0.8%)임 • 초등학생의 학업중단율은 0.5%, 중학생 0.6%, 고등학생 1.3%로 나타남(교육통계 자료) • 모집단에서 학업중단율을 고려하여 학업중단 청소년 중 1% 비율로 추출 • 학교 밖 청소년 조사방법: 시설 등의 협조를 통한 조사 <표 Ⅳ-5>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 연구대상 구분

조사 인원

초등학생

0.5%

1%

합계

381

1,308,339

6,542

서울

64

215,476

부산

23

대구

중학생

0.6%

1%

고등학생

1.3%

1%

65

1,457,490

8,745

87

1,752,457

22,782

228

1,077

11

239,912

1,439

14

299,556

3,894

39

74,376

372

4

86,650

520

5

105,793

1,375

14

20

62,659

313

3

73,925

444

4

91,904

1,195

12

인천

21

75,105

376

4

82,893

497

5

96,539

1,255

13

광주

13

44,183

221

2

51,511

309

3

62,357

811

8

대전

12

42,530

213

2

47,646

286

3

57,087

742

7

울산

9

31,520

158

2

35,343

212

2

44,558

579

6

세종

2

8,220

41

1

7,444

45

0

6,463

84

1

경기

98

353,379

1,767

18

381,082

2,286

23

440,319

5,724

57

강원

12

38,442

192

2

43,999

264

3

53,516

696

7

충북

12

41,173

206

2

46,287

278

3

54,937

714

7

충남

16

55,927

280

3

60,196

361

4

73,039

950

9

전북

15

48,686

243

2

56,923

342

3

70,449

916

9

전남

14

45,868

229

2

53,181

319

3

66,973

871

9

경북

19

62,505

313

3

70,468

423

4

88,456

1,150

11

경남

26

89,430

447

4

99,401

596

6

117,575

1,528

15

제주

5

18,860

94

1

20,629

124

1

22,936

298

3

2.3 설문 참여 응답자 현황 ㅇ 설문 참여 응답자 현황은 학생 3,076부(114개교)와 학교 밖 청소년 411부(29개 센터)의 설문지가 회수 완료되었음. ㅇ 먼저 학생의 성별 분포에서 남학생은 41.6%(1,279명), 여학생은 57.1%(1,756명)이었음. Ⅳ. 연구방법|87


ㅇ 학력 분포는 초등학생 30.9%(951명), 중학생 42.6%(1,310명), 고등학생 25.8%(795명), 무 응답 0.7%(20명)로 중학생 설문 응답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지역별 분포는 경기권이 31.1%(956명)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경상권 20.9%(644명), 전라권 16.0%(492명), 충청권 14.6%(448명), 서울권 13.2%(406명), 강원권 4.2%(130명) 순으로 나타남. ㅇ 응답자들의 주관적 평가에 의한 자신의 성적 수준은 잘하는 편이다의 응답은 32.8%(1,010 명), 보통 응답은 48.6%(1,496명), 못하는 편이다의 응답은 17.7%(543명)이었음. ㅇ 또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잘사는 편이라는 응답이 33.9%(1,044명), 보통 수준은 58.4%(1,797명), 못사는 편의 응답은 6.6%(202명), 기타 무응답은 1.1%(33명)로 나타남. <표 Ⅳ-6> 학생 설문 참여 응답자 현황 구분 전체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남성 여성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결과 사례수

%

3,076

100.0

1,279 1,756 41 951 1,310 795 20 1,205 1,445 426 406 956 130 448 644 492 1,010 1,496 543 27 1,044 1,797 202 33

41.6 57.1 1.3 30.9 42.6 25.8 0.7 39.2 47.0 13.8 13.2 31.1 4.2 14.6 20.9 16.0 32.8 48.6 17.7 0.8 33.9 58.4 6.6 1.1

ㅇ 학교 밖 청소년의 설문 참여 응답자 현황 중 성별 분포는 남학생은 41.8%(202명), 여학생

8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은 56.9%(207명)였음. ㅇ 학교 중단시기는 고등학교가 59.9%(246명)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교 20.4%(84명), 무응답 15.6%(64명) 순으로 나타남. ㅇ 지역별 분포는 경상권이 29.9%(123명)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전라권 29.2%(120 명), 충청권 16.5%(68명), 경기권 10.7%(44명), 서울권 8%(33명), 강원권 5.6%(23명) 순 으로 나타남. ㅇ

또한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잘사는

편이라는

응답이

10.5%(43명),

보통 수준은

56.4%(232명), 못사는 편의 응답은 31.4%(129명), 기타 무응답은 1.7%(7명)로 나타남. <표 Ⅳ-7> 학교 밖 설문 응답자 현황 구분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전체 남성 여성 모름/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모름/ 무응답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모름/무응답 상 중 하 모름/무응답

결과 사례수 411 202 207 2 17 84 246 64 33 44 23 68 123 120 80 160 168 3 43 232 129 7

% 100.0 41.8 56.9 1.3 4.1 20.4 59.9 15.6 8.0 10.7 5.6 16.5 29.9 29.2 19.5 38.9 40.9 0.7 10.5 56.4 31.4 1.7

2.4. 조사문항 개발 과정 ㅇ 조사 예비 문항 개발은 문화예술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전국단위 설문 조사 등을 참고로 3 차례의 자문회의와 아르떼와의 협의, 연구진 회의 등을 통해 확정함. ㅇ 선정된 예비문항에 대해 초등학생 5명, 중학생 6명, 총 11명을 대상으로 문항 이해도에 대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에 대해 연구자들과의 논의를 통해

Ⅳ. 연구방법|89


윤문 작업을 실시함. <그림 Ⅳ-2> 조사문항개발과정 문헌 연구를 통한 문항

예비문항 개발

타당도 검증

예비문항 완성

파일럿

검사

문항 스크린

본조사

도출 몗

전문가 자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전문조사

협의

기관

2.4.1 조사문항 ㅇ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실효성을 높이고 수요자인 청소년의 상황과 여건에 맞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의 문항을 개발 하였음. ㅇ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문항을 설계하였으며 조사문항 은 응답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어 및 표현으로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설계하였음. ㅇ 현황 조사를 위해 가장 초점을 맞춘 것은 청소년이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학교 안과 학교 밖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 였음. ㅇ 특히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방 향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하였음.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여건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앞으로 원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참여분야, 희망시기, 참여 동반자, 참여 장소, 교육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통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향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ㅇ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대상에 대한 수요자 중심의 정책추진을 위해서는 학교, 지역, 사설기 관을 통해서 접하고 있는 참여현황을 통하여 중복성이나 비효율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음. ㅇ 특히 청소년 중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현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문을 2종 으로 제작하였음.

9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Ⅳ-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문항 구분

조사 내용 첫 문화예술교육 경험 시기

1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권유 자

2

최근 1년간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3

문화예술 예술 참여경험이 없을 경우, 이유

문화예술교육 참여현황과 인식

문화예술교육 욕구

문항

3-1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현황

4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분야 중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의 참여이유

5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의 참여 형태

6

문화예술교육 교육 참여시간

7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8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영향을 준 사람

9

문화예술교육 분야 참여 경로

10

문화예술교육 참여 동반자

11

문화예술교육 진행방식

12

문화예술교육 월 평균 교육비

13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애로사항

14

학교 정규수업 외에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15

학교 밖에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16

문화예술교육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

17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의 증가/감소 정도

18

최근 1년간 인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 행사, 관람

25

문화예술교육 참여 촉진을 위한 요건

19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분야

20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시기

21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장소

22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23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24 26

문화예술교육 효과

문화예술교육 효과

개인 배경정보

(학생) 성별, 연령, 학교 재학여부, 성적, 가정경제수준 (학교밖 청소년) 성별, 연령, 재학 중 학업성적, 가정경제수 준, 학교를 그만둔 시기, 학교 그만둔 기간, (재학청소년)

DQ1.~DQ4.

Ⅳ. 연구방법|91


ㅇ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하여 청소년 문화 예술교육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정서, 상상력, 미래비전과 진로, 학업, 공감, 유대감 및 소속감, 행복감과 즐거움 자기 활력이 포함된 삶의 질에 대한 내용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음. <표 Ⅳ-9>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중 효과 문항 출처 문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임영식 외(2016)의 스트레스 척도를 한 문항으로 정제함

문화예술교육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Ryff(1989)의 PEAQ (Personally Expressive Activities Questionnaire)와 심 리적 행복감 척도(The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를 참고하여 양 명환1998)이 수정 개발 + 임영식 등 (2011)이 개발한 즐거움 척도 중

창의 상상력

문화예술교육은 상상력이 풍부해지는데 도움이 된다

싱가폴 2015 예술조사

미래 비전

문화예술교육은 나 자신(자신감, 나의 꿈이나 미래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임영식 외(2016) 자존감과 미래시간 전 망 척도를 한 문항으로 믹스함

진로

문화예술교육은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된 다

임영식 외(2013) 척도(문화예술의 일상

학업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

임영식 외(2016) 척도를 기반으로 구성

공감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연수·김성희(2009) 배려척도 중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 는데 도움이 된다

srael 등(1984)+Mitchell 등(1980) 사회적 네트워크 척도

문화예술교육은 주변 사람들을 하나가 되도록 도와준다

싱가폴 2015 예술조사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준다

싱가폴 2015 예술조사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킨다

싱가폴 2015 예술조사

정서

유대감

소속감

문화예술교육은 나를 행복하게 해 준다 삶의질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준다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

9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송현저(2006)+Keaney (2006) 근거 화)

Ryff(1989)의 PEAQ (Personally Expressive Activities Questionnaire)와 심 리적 행복감 척도 (The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를 참고하여 양 명환1998)이 수정 개발 + 임영식(2011)한 즐거움 척도 중 연구진 기존 문헌 참고 구성


2.5 조사방법 ㅇ 전문리서치 기관인 ㈜글로벌리서치 주관 조사 실시 ㅇ 발주기관(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조사 참여 공문 작성 ㅇ 학교 컨택 방법 1단계: 난수표를 사용한 랜덤 샘플링으로 선정된 학교에 문화관광부 협조 공문 발송 후 리 서치 업체에서 학교 컨택 2단계: 122개 학교에 개별 컨택하여, 문화예술 담당 교사 또는 공문 접수자를 찾아 공문 수 신 여부 및 이번 조사에 대한 설명 진행 3단계 : 학교 담당 선생님 연락처를 확보하여 지속적인 컨택과 설득 시도 ▷ 조사 참여가 불가한 경우, 불가 사유 정리 4단계 : 학교 담당 선생님과 학교 방문 일정 조율, 방문이 불가한 경우 자체 조사 가능 여 부를 확인하고, 조율된 일정에 맞게 해당 학교로 설문지와 답례품을 발송 5단계 : 약속된 일정에 맞게 학교를 방문 또는 자체 조사로 완료된 설문에 대한 수거 ㅇ 연구진은 표본대상 학교별 공문 발송 및 수신 확인, 학교 밖 청소년 기관 컨택, 설문조사 진행과정 전체 관리 및 모니터링(설문지 배포 및 수거 관련 문의사항 포함) - 조사 참여자 보상: 참여 학교 및 기관, 참여 청소년 답례품 제공

2.6 분석 방법 ㅇ IBM SPSS 22 버전의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 ㅇ 주요 조사문항에 대한 기술통계 및 교차 분석, 집단별(교급, 성별, 지역별, 지역규모별, 학 생․학교 밖 청소년별 등) t-test, ANOVA 실시 ㅇ 문화예술교육 현황 및 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실시

3.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질적 연구 3.1 질적 연구 목표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문조사에서 측정 이 어려운 부분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학습경험과 현장의 이슈를 탐색함으로써 향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정착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제공하는 과정에 참여한 전문가와 프로그램의 학습대 Ⅳ. 연구방법|93


상인 청소년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다각적 시각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함. 또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학습자를 배제하지 않고 정성연구를 진행하 도록 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노출이 없었던 혹은 선택하지 않았던 경위에 대해 자세히 알 아볼 수 있어 전반적인 현황을 탐색할 수 있도록 목적, 설계함. ㅇ 교육 현장에서 직접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여하는 대상자들을 통해 수집된 탐색 정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장·단점과 참여 동기와 배경, 그리고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내어 제안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함.

3.2 질적 연구 자료수집 ㅇ 본 연구의 정성연구는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청소년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형태의 문항을 설계함. ㅇ 정성연구 참여자는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고루 반영할 수 있도록 기관 및 단체를 선정하여 학습 참여자 및 프로그램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음. ㅇ 본 연구 참여 대상자는 학교와 학교 밖에서 시행 중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되, 경험이 없는 학습자를 제외하지 않음. 따라서 문화 예술교육 참여 경험이 없는 이유와 상황 등 현황에 대한 포착도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음. ㅇ 면접조사 이전, 해당 대상자 혹은 보호자와 전화 및 이메일을 통해 정성연구 과정에 대한 목적과 자료수집 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뷰 참여자와 연구자 간의 상호이해를 도모함. ㅇ 설계된 문항을 바탕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과 연구자의 현 장노트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 또한, 면접조사 전에 해당연구의 목적과 정성연구 과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인터뷰 내용 녹취에 대한 동의를 구함.

3.3 초점집단면접(Focused Group Interview, FGI) 조사 질문문항 ㅇ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한 인터뷰 조사를 위해 정량연구에서 활용된 설문지 문항을 바탕 으로 의미와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설계함. 따라서 연구 전반에 관통하는 정성연구를 실시할 수 있는 문항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한 질적 연구의 특성에 따른 현장의 세부적 이해를 위해 구조화된 접근을 접목할 수 있도 록 함. ㅇ 면접조사의 주요 체계는 ① 배경, ② 프로그램의 장점, ③ 프로그램의 단점 ④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유목화 하여 구성하였음.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자와 전문가로 병 합된 교수자와 기획자 혹은 행정 전문가 대상의 질문 내용을 각 대상자에 적합하게 세부 9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설계함. - 청소년 대상 면접질문: 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② 학습자 관점에서의 문화 예술교육의 장점 혹은 효과, ③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 혹은 개선점, ④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의 참여 촉진요인과 장애요인, ⑤ 학습자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 육에 대한 개선방향 혹은 건의사항 - 전문가 대상 면접질문: ①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기대)효과, ② 현재 청소년 문화예 술교육의 장점과 단점(문제점), ③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촉진요인과 장애요 인, ④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의 고충 혹은 제한점(지원구조, 협력체계 등), ⑤ 현 문화예 술교육에 대한 개선방향과 정책적 건의사항 ㅇ 반구조화로 설계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면접조사 참여자들이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자유롭 게 제시하고 논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노력함.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를 높이고 현장의 현황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대한 오염이 최소화된 자 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함. ㅇ 대상별 설문문항은 다음과 같이 설계함. <표 Ⅳ-10> 정성적 연구를 위한 FGI 질문 체계 (학습자용) 체계

상위 구분

하위 구분 경험/이해

면접질문 I

면접질문 II

면접질문 III

면접질문 IV

배경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운영 및 환경

문화예술 교육의 개선방향

내 용 -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동기

- 어떤 경로와 이유로 참여하게 되었는가? - 어떤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는가?

기대

- 참여 시, 기대했던 내용은 무엇인가? - 참여 시, 기대했던 효과는 무엇인가?

장점

- 무엇이 참여한 프로그램의 가장 좋았던(재미있던) 점인가? -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준 변화(효과)는 무엇인가?

단점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기대에 못 미친 내용은 무엇인가? - 만약에, 문화예술교육에 다시 참여하지 않는다면 이유가 무엇 인가?

장점

-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데에 용이했던 점은 무엇인가? - 무엇이 나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더욱 적극적이게 만들었는가?

단점

- 문화예술교육 참여를 가장 어렵게 했던 요인은 무엇인가? - 문화예술교육 참여 중, 가장 불편했던 점은 무엇인가?

문제점

- 참여했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개선방안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어떻게 변화하기를 바라는가? - 어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생겼으면 좋겠는가? -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

Ⅳ. 연구방법|95


<표 Ⅳ-11> 정성적 연구를 위한 FGI 질문 체계 (전문가용) 체계

면접질문 I

면접질문 II

면접질문 III

면접질문 IV

상위 구분

배경

프로그램의 장점

프로그램의 단점

문화예술 교육의 개선방향

하위 구분

내 용

경험

- 운영 혹은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동기

- 어떤 경로와 이유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는가?

기대

- 참여 시, 의도했던 목적은 무엇인가? - 참여 시, 기대했던 효과는 무엇인가?

내용중심

- 현 문화예술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운영방식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에 무엇이 가장 편리하 고 합리적이었는가?

환경요인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의 촉진 및 확산요인은 무엇인가?

내용중심

- 현 문화예술교육의 단점은 무엇인가? - 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방향성은 적절한가?

운영방식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에 있어 가장 큰 고충은 무엇인가? - 프로그램 운영 중 발견된 제한점은 무엇인가?

환경요인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의 장애요인은 무엇인가?

문제점

개선방안

- 현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현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단점은 무엇인가? - 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 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방안은 무엇 인가?

3.4 질적 연구 분석 방법 ㅇ FGI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가 작성한 현장 노트,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 로 수집된 참여자의 응답 녹취 파일과 이후 기록된 녹취자료로 크게 구분될 수 있음. 이 후, 수집한 자료는 개방형 코딩(open coding)과 축코딩(axis coding) 기법을 통해 조사 참 여자의 응답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현황과 참여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프로그램 효과 와 의미 등을 구조화 함. ㅇ 자료의 분석모형은 질문 설계를 바탕으로 크게 4개의 체계로 분류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 그램 참여 배경, 프로그램 내용과 효과(장·단점), 프로그램 운영, 개선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음.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시사점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됨. ㅇ 또한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 대한 과학적 엄중성(scientific rigor)을 획득하고자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학습자, 교수자와 행정참여자(전문가 집단)를 연구 참여자로 구성하여 연구 9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주제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삼각설계(triangulation) 바탕으로 삼았으며, 자료 수집 이후 구성원검증(member check)과정을 통해 분석 내용의 왜곡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함.

4. 전문가 자문 조사 ㅇ 전문가 자문 조사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설문지 구성 및 문항 구성과 청소년 문화예술 교육의 정책 방향 설정에 대한 내용임 ㅇ 조사의 기간은 2017년 8월부터 12월가지 총 2~3회 진행하고자 함 ㅇ 조사대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학계 및 현장 전문가 ㅇ 자문 내용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문항 구성 및 조사방법 - 2회 -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제언 - 2회 - 전문가 자문위원회 구성 ㅇ 1, 2차 자문위원회 회의 • 일시: 2017년 7월 5일(수), 8일(금) • 자문내용 - 청소년이 이해하기 쉬운 문화예술교육 정의 - 질문의 재배치 - 문화예술교육 분야(장르)의 세부 분야 반영 - 청소년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재정리 -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을 분리하여 질문하는 방안 제안 -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 향유와 관련한 질문의 분리 ㅇ 3차 자문회의 • 일시: 2017년 10월 28일(금) • 자문내용 -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설문 내용의 타당성 검증 - 학교 밖 청소년 인구사회학적 배경 변인 등 ㅇ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의 정례회의 - 연구과정 및 추진방향을 수시로 협의하고 진행상황 공유 - 연구진, 교육진흥원으로 구성된 정례회의 운영 (일정은 교육진흥원과 협의하여 확정)

Ⅳ. 연구방법|97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

1. 학생 문화예술교육 설문 조사 결과 2.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설문 조사 결과 3.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비교 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질적 연구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 1. 학생 대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설문조사 결과 1.1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 현황 1.1.1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ㅇ 설문 응답자들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는 초등학교 재학 중이 51.2%로 가장 높 았으며, 그 다음이 초등학교 입학 전 25.0%, 중학교 재학 중 9.6% 고등학교 재학 중 이 2.4%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Ⅴ-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ㅇ 청소년의 생애주기 동안 교육받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11.4%로 나타났음. ㅇ 여학생은 문화예술교육 참여율이 남학생에 비해 초등학교 전 참여율이 8%p 높았으며, 남 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교육받은 경험이 없는 비율이 7.8%p 높았음. ㅇ 읍면지역의 청소년은 중소도시와 대도시의 청소년에 비해 초등학교 입학 전 문화예술교육 참여 경험이 약 10%p 정도 낮으며 초등학교 재학 중에 문화예술교육을 접하는 비율이 다 른 지역규모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성적 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기가 늦으며 교육 참여경험이 없는 비율도 약 5%p 정도 높음을 알 수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01


ㅇ 가정형편이 좋지 않을수록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기가 늦으며, 교육 참여경험이 없는 비율도 약 6%p 정도 높음을 알 수 있음. <표 Ⅴ-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단위: %, 사례수: 3,076

성별

교급

지역 규모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구분

초등학교 입학 전 (만7세 미만)

초등학교 재학 중 (만7~13세 미만)

전체

25.0

51.2

9.6

2.4

11.4

0.5

남성

20.4

51.7

10.2

1.5

15.9

0.3

여성

28.4

50.7

9.2

3.1

8.1

0.6

무응답

19.5

56.1

12.2

0.0

12.2

0.0

초등학생

30.6

60.9

0.0

0.1

7.9

0.5

중학생

19.8

49.5

16.9

0.1

13.3

0.5

고등학생

27.0

42.3

8.8

8.9

12.6

0.4

무응답

15.0

55.0

20.0

0.0

10.0

0.0

대도시

27.9

48.0

9.1

3.8

10.8

0.4

중소도시

25.2

51.5

9.6

1.9

11.4

0.5

읍면지역

16.0

59.2

11.3

0.0

13.1

0.5

서울권

28.8

47.3

7.6

5.2

11.1

0.0

경기권

24.9

50.5

10.9

2.1

11.2

0.4

강원권

13.8

58.5

10.8

0.8

13.8

2.3

충청권

20.8

58.5

6.7

2.2

11.4

0.4

경상권

30.9

48.4

8.4

0.5

11.0

0.8

전라권

20.9

50.6

12.8

3.7

12.0

0.0

29.2

49.5

8.2

1.8

10.5

0.8

24.1

54.1

8.4

2.5

10.7

0.2

19.7

46.0

15.1

3.3

15.3

0.6

무응답

19.2

53.8

19.2

0.0

7.7

0.0

29.9

48.0

8.6

1.8

11.0

0.7

23.1

53.0

9.7

2.8

11.1

0.3

16.3

51.0

12.9

2.0

17.3

0.5

무응답

24.2

54.5

15.2

0.0

6.1

0.0

10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중학교 재학 중 (만13~15 세 미만)

고등학교 재학 중 (만15~18 세 미만)

교육받은 경험 없음

무응답


1.1.2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ㅇ 학교 정규 수업 이외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을 받도록 최초로 권유한 사람에 대한 질 문에서는 가족이 53.5%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나 자신 27.1%, 학교(교사) 10.7%, 친구 5.2%,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 3.4%, 친척 0.9%, 문화예술동아리 회원이 0.3% 의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Ⅴ-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ㅇ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문화예술교육 권유자를 살펴보았을 때 특이사항은 여학생은 남학 생에 비해 타인의 권유보다는 자기 자신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높음(남학생에 비해 12%p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전라권과 강원권의 학생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가족의 권유보다는 자기 자신의 선택과 학 교 추천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음. 또한 읍면 지역은 가족의 추천보다는 학교(교 사)와 친구의 추천이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높았음. ㅇ 성적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의 선택이나 학교의 권유보다는 가족의 권유가 다른 집단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음. 또한 가정형편이 좋은 학생들의 경우에도 다른 집단에 비해 가족의 권유가 상대적으로 높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03


<표 Ⅴ-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단위: %, 사례수: 2,725

성별

교급

지역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친구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

친척

무응답

문화 예술 동아리 회원

구분

가족

나 자신

학교 (교사)

전체

53.5

27.1

10.7

5.2

3.4

0.9

0.6

0.3

남성

56.3

20.0

12.8

5.7

4.7

0.9

0.7

0.2

여성

51.6

32.0

9.4

4.8

2.7

0.8

0.5

0.3

무응답

55.6

16.7

8.3

11.1

2.8

5.6

0.0

0.0

54.5

25.6

13.1

3.4

4.8

0.3

0.3

0.3

51.0

27.6

11.2

6.6

3.2

1.2

0.8

0.2

56.3

28.3

7.1

5.2

2.3

1.2

0.6

0.3

무응답

61.1

22.2

5.6

11.1

0.0

0.0

0.0

0.0

대도시

55.3

28.3

7.9

3.8

4.2

1.2

0.5

0.6

중소도시

54.9

26.6

10.3

5.5

2.9

0.9

0.8

0.1

읍면

43.5

25.4

20.3

8.6

3.2

0.3

0.3

0.0

서울권

60.1

27.7

5.3

3.0

3.3

1.7

0.0

0.8

경기권

54.2

24.3

9.7

7.8

3.2

1.3

0.4

0.0

강원권

39.3

31.3

15.2

8.9

1.8

0.9

3.6

0.0

충청권

53.1

21.7

16.9

3.5

4.8

0.8

0.3

0.5

경상권

57.8

28.6

8.2

4.5

2.4

0.3

1.0

0.2

전라권

45.0

33.9

13.9

3.7

4.6

0.5

0.5

0.2

58.8

24.4

8.8

4.5

3.3

0.9

1.0

0.2

52.2

28.4

10.8

5.6

3.8

0.7

0.2

0.1

46.7

28.7

14.3

5.2

2.8

1.7

0.9

0.7

0.0

0.0

100.0

0.0

0.0

0.0

0.0

0.0

무응답

58.3

25.0

4.2

12.5

0.0

0.0

0.0

0.0

55.9

26.4

9.6

4.5

3.7

0.9

1.0

0.0

52.4

27.7

11.3

5.1

3.4

0.9

0.4

0.4

51.5

24.6

12.6

9.6

2.4

1.2

0.0

0.0

무응답

48.4

32.3

6.5

9.7

3.2

0.0

0.0

0.0

없음

10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현황 1.2.1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ㅇ 설문 응답자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에 대한 질문에서는 참여 경험 있 음이 59.6%로 나타났음.

<그림 Ⅴ-3>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ㅇ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참여여부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최근 1년 동 안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가 다소 높았음(6.9%p). ㅇ 교급별 현황에서는 교급이 높아질수록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 음(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참여는 37.3%p 차이를 보임). ㅇ 지역적으로는 전라권 학생들이 참여가 다른 지역 청소년에 비해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음. 또한 읍면 지역의 청소년이 다른 지역(대도시, 중소도시)에 비해 최근 1년 동안 문화예술 교육 참여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ㅇ 학생들의 성적 수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여부는 성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문화예 술교육의 참여가 높아지고 있음. 또한 가정경제 수준에 있어서도 가정경제 수준이 높을수 록 문화예술교육 참여율도 높아지고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05


<표 Ⅴ-3>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단위: %, 사례수: 2,725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구분

있다

없다

전체

59.6

40.4

남성

55.2

44.8

여성

62.1

37.9

무응답

80.6

19.4

초등학생

78.7

21.3

중학생

55.9

44.1

고등학생

41.4

58.6

무응답

72.2

27.8

대도시

57.3

42.7

중소도시

58.0

42.0

읍면지역

72.2

27.8

서울권

60.1

39.9

경기권

61.1

38.9

강원권

58.9

41.1

충청권

53.1

46.9

경상권

57.4

42.6

전라권

65.4

34.6

63.2

36.8

58.8

41.2

54.6

45.4

무응답

72.0

28.0

66.3

33.7

56.5

43.5

49.7

50.3

무응답

74.2

25.8

10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2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설문 응답자들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서양악기가 32.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드로잉/스케치, 26.2%, 독서토론 18.9%, 대중음악 15.8%, 대 중무용 14.3%, 합창 13.8%, 문예창작 13.4%, 전통악기와 서예/캘리그래피 각각 12.7%, 연극 12.6%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4> 학생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성별에 있어서는 여학생들이 드로잉/스케치, 대중무용 합창, 문예창작, 서예, 금속공예 분 야의 참여가 남학생에 비해 높고, 남학생은 대중음악, 전통악기, 사물놀이 분야에 있어 여 학생보다 참여경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에 있어서는 초등학생은 서양악기에 대한 교육 참여가 월등히 높았으며, 중고등학생은 도로잉/스케치의 참여가 높았음. ㅇ 읍면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독서토론의 참여가 다소 낮았으며 대중음악과 문예창작, 오 케스트라, 사물놀이의 참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성적 수준에 있어서는 성적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서양악기와 독서토론의 참여가 높았으 며, 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생은 드로잉/스케치, 대중음악, 합창의 참여가 경제적 수준이 보통 이상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07


<표 Ⅴ-4> 학생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중복응답) 단위: %, 사례수: 1,625

구분

성 별 교 급 지 역

권 역

성 적 수 준 경 제 수 준

전체 남성 여성 무응답 초 중 고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전 통 악 기

서 예 / 캘 리 그 래 피

연극

영화 (UCC 제작)

오케 스트 라

사물 놀이

13.4

12.7

12.7

12.6

11.3

11.8

11.7

10.3 15.4 6.9 10.0 16.7 14.2 7.7 14.3 10.4 19.5 17.1 13.3 4.5 18.0 12.8 9.9 13.3 13.8 12.7 5.6 13.0 13.4 15.7 13.0

14.8 11.7 6.9 17.3 10.4 6.6 23.1 12.5 13.1 12.4 18.0 7.9 13.6 14.2 16.7 11.7 14.5 12.1 11.2 5.6 14.4 11.4 15.7 8.7

7.6 15.7 13.8 13.9 12.9 9.0 15.4 13.1 13.2 10.1 12.9 9.4 7.6 12.3 18.5 13.1 12.1 12.9 13.5 11.1 12.7 12.6 13.3 13.0

13.5 11.9 17.2 14.8 11.5 9.0 23.1 12.7 13.1 10.9 14.3 11.6 4.5 18.5 9.4 14.1 10.5 13.6 13.5 16.7 13.3 11.5 15.7 21.7

11.8 11.1 10.3 11.0 12.8 9.0 7.7 11.5 11.6 10.1 13.4 10.4 7.6 13.3 12.8 9.2 12.3 11.6 9.2 0.0 11.4 11.3 12.0 8.7

8.8 13.7 10.3 11.2 13.1 10.1 23.1 12.7 9.8 15.4 13.4 11.4 15.2 8.5 10.6 14.5 12.6 11.1 12.4 11.1 9.7 12.6 18.1 13.0

13.2 10.6 20.7 12.9 11.3 9.0 23.1 10.2 8.9 22.8 9.7 11.0 24.2 8.5 15.2 9.9 12.8 11.3 10.4 11.1 9.6 12.5 18.1 13.0

서 양 악 기

드 로 잉 / 스 케 치

독 서 토 론

대 중 음 악

대 중 무 용

합 창

문 예 창 작

32.7

26.2

18.9

15.8

14.3

13.8

32.7 32.8 31.0 46.0 25.4 17.4 30.8 32.8 33.0 31.8 31.8 34.9 27.3 30.8 30.4 35.0 40.1 32.0 18.3 33.3 37.5 30.2 24.1 34.8

22.6 28.2 31.0 26.9 28.3 20.1 23.1 29.2 23.0 28.1 32.7 20.6 18.2 24.2 28.3 32.5 26.1 27.0 24.7 16.7 26.1 27.1 18.1 21.7

18.5 18.6 34.5 24.2 16.1 12.2 23.1 21.3 19.0 13.1 21.2 20.4 13.6 13.3 19.1 19.4 24.2 17.3 11.6 22.2 22.2 16.7 16.9 21.7

18.5 14.1 17.2 8.3 22.5 18.8 15.4 16.7 12.5 22.5 15.2 17.1 18.2 15.2 15.2 14.1 16.3 15.4 15.9 11.1 16.4 15.6 10.8 21.7

4.9 19.5 27.6 13.6 15.4 12.5 38.5 16.6 11.3 17.6 19.4 11.2 12.1 15.6 18.2 11.3 11.0 16.3 14.7 27.8 11.9 15.4 16.9 30.4

10.8 15.0 34.5 14.4 11.5 16.3 38.5 15.9 12.7 12.0 16.6 16.2 7.6 10.0 14.6 10.6 14.5 13.4 12.7 22.2 15.6 13.0 6.0 26.1

10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만 화 웹 툰 애 니 메 이 션

조 소 / 입 체 미 술

목 공 예

시 각 / 영 상 디 자 인

뮤 지 컬

한 국 화

서양 화

금속 / 비즈 / 주얼 리 공예

9.4

8.9

8.3

8.1

7.9

7.6

7.3

7.0

8.9 9.6 13.8 7.7 12.0 7.6 15.4 9.7 9.6 8.2 11.5 9.2 7.6 9.5 7.9 10.2 9.1 8.2 13.9 11.1 9.9 8.5 12.0 21.7

8.4 9.0 17.2 9.7 8.7 6.9 23.1 9.6 8.6 8.2 10.1 10.2 4.5 8.1 8.2 8.1 8.9 9.7 6.0 16.7 10.1 8.0 7.2 21.7

4.7 10.5 6.9 10.0 8.7 3.5 7.7 11.2 6.2 7.5 11.1 7.1 4.5 7.1 7.0 11.7 7.2 9.2 8.0 11.1 9.9 7.2 7.2 13.0

7.3 8.3 17.2 8.7 6.8 9.4 7.7 8.8 8.1 6.4 9.2 7.9 0.0 7.1 7.6 10.6 8.6 8.2 7.2 0.0 10.4 6.4 7.2 13.0

6.6 8.8 3.4 9.4 8.2 3.5 7.7 9.4 7.1 6.4 12.9 5.6 6.1 7.1 10.6 6.0 8.4 7.8 7.2 5.6 8.0 8.0 6.0 8.7

7.1 7.9 6.9 5.4 9.4 8.7 7.7 8.4 7.3 6.4 10.6 6.9 0.0 5.2 10.6 6.4 7.5 7.5 8.4 0.0 7.8 7.3 8.4 8.7

7.1 7.5 6.9 4.2 11.2 5.9 15.4 10.2 5.7 5.2 14.3 6.9 3.0 11.8 4.0 4.2 7.9 6.2 9.2 11.1 7.6 6.3 14.5 13.0

8.6 6.2 3.4 9.9 5.2 4.2 7.7 5.8 7.7 7.9 6.5 7.5 1.5 13.7 5.2 4.9 7.7 7.0 5.6 5.6 8.6 5.8 7.2 13.0


1.2.3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에 질문한 결과, 분야별로는 음악 분 야가 3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미술 19.3%, 연극/영화/미디어 13.9%, 무용 13.0%, 문학 8.6%, 디자인 3.4%, 통합 1.4% 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학생들이 응답한 문화예술교육 가운데 가장 참여율이 높은 문화예술교육의 세부내용은 서양악기가 19.8%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드로잉, 스케치가 10.7%, 대중음악이 9.7%, 대중무용이 9.0%, 독서토론 7.0%, 오케스트라 5.7% 등의 순을 보임.

<그림 Ⅴ-5> 학생의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문화예술교육 분야별로 학생들의 1순위 문화예술교육을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음악분야에 서는 서양악기가 참여율이 가장 높고, 미술분야는 드로잉, 스케치, 디자인분야는 건축/환 경디자인, 무용분야는 대중무용(K_POP/방송댄스), 연극/영화/미디어 분야는 연극, 문학 분야는 독서토론 교육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ㅇ 성별로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서양악기 교육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지만,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서양악기, 대중음악, 독서토론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함. 여학생은 드로잉 /스케치, 대중무용, 오케스트라 교육을 남학생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음. ㅇ 교급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초등학생은 다른 교급에 비해 서양악기와 독서토론의 참여가 월등히 높은 반면, 대중음악은 다른 교급에 비해 참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서양악기를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이 높아지며, 대중음악의 참 여도는 낮아짐. 또한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서양악기를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높아지 며, 오케스트라 참여비율은 낮아지고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09


<표 Ⅴ-5> 학생의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단위: %, 사례수:1,625

구분

전체 성 별 교 급 지 역

권 역

성 적 수 준 경 제 수 준

남성 여성 무응답 초 중 고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서 양 악 기

드 로 잉/ 스 케 치

대 중 음 악

대 중 무 용

독 서 토 론

19.8 22.1 18.6 10.3 30.2 13.5 9.4 0.0 17.4 22.2 18.4 15.2 21.6 15.2 22.3 17.9 21.2 24.9 19.4 10.4 5.6 22.1 19.0 14.5 4.3

10.7 8.1 11.9 24.1 9.1 12.6 9.7 23.1 11.2 9.8 12.0 12.0 10.4 4.5 6.6 12.5 12.7 8.2 12.1 11.6 16.7 8.9 12.1 7.2 17.4

9.7 13.5 7.7 3.4 4.1 14.5 12.8 7.7 10.1 8.0 13.9 10.6 10.2 13.6 8.5 8.8 9.2 8.6 9.9 12.0 5.6 9.7 10.0 7.2 8.7

9.0 2.7 12.4 20.7 7.4 10.4 8.7 30.8 10.7 7.1 10.1 12.9 7.3 10.6 9.0 10.0 7.4 7.0 9.7 10.4 22.2 7.6 9.7 8.4 17.4

7.0 9.1 5.7 10.3 10.6 4.1 5.2 0.0 6.7 8.6 3.4 7.8 7.1 6.1 6.6 6.1 7.8 9.3 6.0 5.2 5.6 8.8 5.9 7.2 4.3

11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합 창

오 케 스 트 라

5.6 5.7 5.1 20.7 7.0 3.9 4.9 30.8 6.8 5.4 3.4 6.9 5.4 6.1 2.8 7.9 4.2 6.1 5.6 3.6 16.7 6.2 5.4 0.0 17.4

5.7 4.2 6.5 6.9 4.6 6.6 5.6 15.4 6.5 5.4 4.5 6.0 3.9 7.6 4.3 7.3 7.4 5.8 4.5 8.8 11.1 5.2 5.5 9.6 8.7

연 극

사 물 놀 이

문 예 창 작

만 화/ 웹 툰/ 애 니 메 이 션

4.9 6.1 4.2 3.4 5.4 4.7 3.8 7.7 4.4 5.9 3.0 6.9 4.6 3.0 8.5 3.0 3.5 3.5 5.2 6.8 5.6 4.4 4.9 8.4 4.3

4.9 6.4 4.1 3.4 5.5 4.4 4.5 7.7 3.7 4.3 9.4 4.1 4.4 10.6 3.3 5.8 5.3 6.3 4.2 4.0 5.6 4.2 5.2 7.2 4.3

4.2 4.2 4.3 0.0 2.8 5.4 5.2 0.0 5.0 3.5 4.1 5.1 4.2 1.5 6.2 4.0 2.8 3.9 4.8 3.2 0.0 4.5 4.0 4.8 0.0

4.3 3.9 4.5 6.9 2.6 6.1 4.2 7.7 4.9 4.4 2.6 4.1 3.5 3.0 3.8 4.3 6.7 3.7 3.9 6.8 5.6 4.7 3.5 7.2 13.0

영 화( UC C 제 작)

전 통 악 기( 국 악 기)

서 예/ 캘 리 그 래 피

건 축/ 환 경 디 자 인

4.1 6.6 2.7 0.0 4.9 3.1 4.2 0.0 4.1 4.3 3.4 4.6 2.9 3.0 4.3 5.8 3.9 4.7 3.8 3.6 0.0 4.2 4.1 3.6 0.0

4.3 5.7 3.5 3.4 6.2 3.0 2.1 15.4 3.7 4.9 4.1 6.0 2.5 6.1 6.6 5.8 2.5 3.9 5.1 2.8 5.6 4.9 3.7 7.2 4.3

3.1 2.0 3.8 3.4 3.0 3.5 2.4 7.7 2.6 4.2 1.5 2.3 2.3 4.5 2.4 4.6 3.9 2.6 2.4 6.4 5.6 2.8 3.5 1.2 4.3

2.3 3.0 4.0 3.0 1.4 2.8 0.0 6.9 3.0 2.2 2.0 4.3 1.4 1.4 0.0 15.4 2.3 3.9 2.8 2.3 1.1 2.6 3.7 5.5 1.7 2.5 3.0 1.5 2.8 5.2 2.4 3.0 1.8 0.4 2.5 2.8 1.8 3.1 4.0 2.4 0.0 11.1 3.2 2.4 1.8 3.2 2.4 2.4 0.0 8.7

뮤 지 컬

현 대 무 용

금 속/ 비 즈/ 주 얼 리 공 예

시 각/ 영 상 디 자 인

서 양 화

한 국 화

댄 스 스 포 츠

2.5 2.7 2.4 3.4 1.2 3.6 3.1 7.7 2.3 1.8 5.2 2.3 2.5 0.0 3.8 0.6 4.6 2.3 2.2 4.0 5.6 2.1 2.8 2.4 4.3

2.7 1.3 3.4 6.9 3.2 2.5 1.7 7.7 3.4 1.9 3.4 2.3 1.2 1.5 2.8 3.0 5.7 1.9 2.8 3.6 11.1 2.3 2.9 2.4 8.7

2.2 2.0 2.3 0.0 1.6 2.7 2.4 0.0 2.6 1.8 2.2 3.7 2.1 0.0 1.9 2.1 1.8 2.3 2.3 1.6 0.0 2.4 1.9 3.6 0.0

2.2 2.5 1.9 6.9 2.2 2.5 1.7 0.0 2.1 2.0 3.0 2.3 2.7 1.5 3.3 1.5 1.4 1.9 2.3 2.8 0.0 2.9 1.7 3.6 0.0

2.2 3.0 1.7 0.0 4.2 0.6 0.7 0.0 0.8 3.1 2.6 0.9 2.1 1.5 8.5 0.3 0.7 2.8 1.8 2.0 0.0 2.8 1.7 3.6 0.0

2.0 2.0 2.1 0.0 2.8 1.4 1.7 0.0 1.3 1.8 4.5 1.4 2.7 3.0 1.4 2.1 1.4 1.9 2.0 2.4 0.0 1.6 2.4 1.2 0.0


1.2.4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 40.2%, 문화예술교육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 21.6%, 흥미있는 문화예술교육 내용이 없 어서 10.7%, 공부에 방해가 되어서 6.5%, 문화예술교육의 정보가 없어서 4.5%, 문화 예술교육을 받을만한 시설이 없어서 2.9%, 가정이 경제적 사정으로(비용부담) 2.5% 등으로 나타남.

<그림 Ⅴ-6>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에 있어 성별 차이는 남학생들이 여학생에 비해 문화예술교 육 자체 관심이 없어서 참여하지 않는 비율이 8.3%p 높은 것으로 나타남. 여학생들은 시 간 부족과 공부 방해에 대한 우려로 인한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가 다른 이유보다 남 학생과 비교해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교급에 있어서는 교급이 높을수록 시간이 없어서의 응답률이 높았으며, 교급이 낮을수록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내용이 없어서의 응답률이 높았음. ㅇ 지역규모에 있어서는 읍면지역은 시간이 없어서와 문화예술자체에 관심이 없어서의 응답 이 다른 지역 규모에 비해 낮은 반면,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내용이 없어서의 이유는 다른 지역에 비해 높았음. ㅇ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시간이 없어서 문화예술교육 참여를 못하고 있으며, 문화예술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와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내용이 없어서의 비율은 낮았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모두 시간이 없어서의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시간이 없어서 문화예술교육 참여를 못하고 있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내용이 없어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11


것으로 나타남. <표 Ⅴ-6>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미참여 이유 단위: %, 사례수:1,100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정의 경제적 사정 으로 (비용 부담)

소질이 없다는 것을 깨달 아서

10.7

6.5

4.5

2.9

2.5

0.1

13.3

11.6

5.4

4.6

2.1

0.6

0.0

18.0

9.0

10.0

7.5

4.4

3.6

3.9

0.2

42.9

14.3

14.3

14.3

0.0

14.3

0.0

0.0

0.0

29.4

23.0

13.9

15.5

6.4

4.8

4.3

2.7

0.0

무응답

21.6

10.9

36.1

26.3

여성

43.4

무응답 초

40.2 남성

전체

교급

문화 예술 교육을 받을 만한 시설이 없어서

시간이 없어서

구분

성별

공부에 방해가 될 것 같아서

문화 예술 교육의 정보가 없어서

흥미 있는 문화예 술교육 내용이 없어서

문화 예술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

36.1

26.1

14.6

10.6

4.6

4.4

1.4

2.2

0.0

49.9

15.7

4.9

8.6

9.1

4.7

4.2

2.7

0.2

무응답

60.0

0.0

20.0

20.0

0.0

0.0

0.0

0.0

0.0

대도시

46.6

20.5

10.2

8.9

5.7

4.8

1.5

1.7

0.0

중소도시

38.1

24.0

7.8

11.5

7.6

4.6

3.3

3.0

0.0

읍면

22.3

14.6

30.1

14.6

4.9

2.9

6.8

2.9

1.0

서울권

41.0

23.6

12.5

6.3

7.6

5.6

1.4

2.1

0.0

경기권

39.7

18.2

15.2

9.1

7.6

5.2

2.1

3.0

0.0

강원권

30.4

39.1

4.3

10.9

10.9

0.0

2.2

2.2

0.0

충청권

39.2

25.3

4.3

16.1

5.9

4.3

3.8

1.1

0.0

경상권

38.9

18.4

11.1

10.2

7.0

4.9

5.3

3.7

0.4

전라권

46.7

22.7

10.0

12.7

2.0

3.3

1.3

1.3

0.0

41.7

16.8

12.3

9.6

10.2

4.8

1.8

2.7

0.0

39.7

23.4

10.2

10.7

5.3

4.5

3.4

2.5

0.2

39.2

24.4

10.5

12.4

3.8

4.3

3.3

1.9

0.0

없음

0.0

0.0

0.0

0.0

100.0

0.0

0.0

0.0

0.0

무응답

33.3

33.3

16.7

16.7

0.0

0.0

0.0

0.0

0.0

45.0

20.8

12.1

9.3

6.4

3.8

2.6

0.0

0.0

39.0

22.0

10.8

10.8

6.8

4.9

3.0

2.6

0.1

33.3

21.4

7.1

15.5

6.0

2.4

3.6

10.7

0.0

무응답

25.0

25.0

12.5

12.5

0.0

25.0

0.0

0.0

0.0

11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5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ㅇ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에 대해서 학생들은 교육 이 재미있어 보여서가 31.1%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 아서, 의무적으로 참여하여 특별한 이유 없음이 각각 12.7%, 스트레스가 해소될 것 같 아서 12.1%, 진로 때문에 10.6%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7>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ㅇ 이외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면, 성취감을 얻기 위해서 8.7%,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서 6.0%,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서 5.2%, 시간을 때 우기 위해서 1.9%, 남들과 다른 차별성을 위해서 1.0%, 부모님의 권유와 가족과의 유대 강화를 위해서 0.9%로 응답하였으며, 기타 의견으로 좋아하기 때문에 1.7%, 더 잘하고 싶어서 0.2%의 의견이 있었음. ㅇ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이유에 대해 성별 응답률은 차이를 보이는데, 문화예술교육에 관 심이 많아서의 참여 이유는 여학생(16.7%)이 남학생(6.2%)에 비해 약 2.5배 정도 월등히 높게 응답하고 있으며, 진로 때문이라는 응답 또한 여학생(13.4%)이 남학생(6.1%)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응답을 나타냄. 이에 반해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서의 참여 이유는 남학 생(9.4%)이 여학생(4.1%)에 비해 높았음. ㅇ 학생의 교급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교급이 높아질수록 교육이 재미있어서의 참여 비중이 낮아지고(초등학생 37.3%, 중학생 30.2%, 고등학생 18.4%), 스트레스 해소(초등학생 9.4%, 중학생 12.1%, 고등학생 18.1%)와 진로 때문(초 등학생 5.5%, 중학생 9.8%, 고등학생 25.3%)에 문화예술교육을 참여하는 이유가 높아짐 을 알 수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13


<표 Ⅴ-7>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단위: %, 사례수:1,625

구분

전체 남 성별 여 무응답 초 중 교급 고 무응답 대도시 지역 중소도시 읍면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권역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성적 수준 하 무응답 상 가정 중 경제 하 수준 무응답

교육 이 재미 있어 보여 서 31.1 33.6 30.0 20.7 37.3 30.2 18.4 30.8 30.0 33.8 26.2 33.2 25.8 48.5 33.6 31.0 33.6 29.4 32.1 32.3 27.8 31.0 31.7 26.5 30.4

문화 예술 교육 에 관심 이 많아 서 12.7 6.2 16.7 6.9 11.0 15.1 11.5 7.7 13.3 11.9 13.5 11.5 14.1 9.1 10.4 13.7 12.4 14.9 12.5 8.8 5.6 12.8 12.7 13.3 4.3

의무 적 참여 로 특별 한 이유 없음 12.7 13.5 12.2 13.8 14.1 12.3 9.7 23.1 11.4 12.5 16.1 10.1 7.7 15.2 12.8 16.7 18.4 11.2 14.4 10.4 16.7 8.9 15.4 10.8 13.0

스트 레스 가 해소 될 것 같아서

진로 때문 에

성취 감을 얻기 위해 서

12.1 12.1 11.8 20.7 9.4 12.1 18.1 15.4 13.0 10.8 13.5 14.7 13.5 16.7 9.0 10.9 9.9 10.7 11.8 15.9 11.1 12.8 11.8 9.6 8.7

10.6 6.1 13.4 10.3 5.5 9.8 25.3 0.0 12.7 10.8 5.6 11.5 11.4 6.1 10.9 11.2 8.8 10.2 9.7 15.1 5.6 10.9 10.0 18.1 4.3

8.7 9.4 8.4 3.4 8.6 8.8 9.0 0.0 9.9 7.7 8.6 8.8 9.8 9.1 6.2 8.2 8.8 9.1 8.9 7.2 5.6 10.9 7.2 7.2 13.0

11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창의 성을 키우 기 위해 서 6.0 9.4 4.1 3.4 8.3 3.8 5.6 7.7 5.4 5.1 10.1 4.6 6.9 4.5 6.6 6.7 4.6 7.7 5.5 4.0 5.6 7.8 4.9 6.0 4.3

친구 들과 어울 리기 위해 서 5.2 5.4 5.1 6.9 5.7 5.2 4.5 0.0 4.4 4.7 8.6 6.5 6.6 6.1 4.7 5.5 1.8 5.1 5.6 4.8 0.0 5.4 5.2 6.0 0.0

시간 을 때우 기 위해 서 1.9 2.5 1.5 3.4 2.0 2.0 1.4 0.0 1.6 1.8 3.0 1.4 1.3 6.1 2.8 2.7 0.7 1.2 1.5 4.4 5.6 1.5 2.2 1.2 4.3

좋아 하기 때문 에 1.7 0.8 2.0 6.9 1.3 1.7 2.1 7.7 1.6 2.0 0.7 0.9 1.7 1.5 1.4 1.8 2.1 1.6 1.7 1.2 11.1 1.1 1.7 2.4 13.0

부모 님 권유

0.9 1.5 0.6 0.0 1.3 0.9 0.0 0.0 0.8 1.1 0.7 1.4 0.8 0.0 0.5 0.6 1.8 1.6 0.6 0.4 0.0 1.8 0.3 1.2 0.0

남들 과 다른 차별 성을 위해 서 1.0 0.8 1.1 0.0 0.4 1.3 1.7 0.0 1.5 0.9 0.0 3.2 0.6 0.0 0.9 0.6 0.7 1.4 0.8 0.8 0.0 0.8 1.0 2.4 0.0

무응 답

0.9 1.0 0.9 0.0 0.4 1.1 1.7 0.0 1.1 0.8 0.7 0.0 0.8 0.0 2.4 1.5 0.4 1.4 0.6 0.8 0.0 1.0 1.0 0.0 0.0

가족 과의 유대 강화 를 위해서 0.9 1.2 0.7 0.0 0.6 1.1 1.0 0.0 0.6 1.2 0.4 1.8 1.2 0.0 0.0 0.3 1.1 1.2 0.8 0.4 0.0 0.6 0.9 2.4 0.0

선생 님이 시켜 서 0.2 0.7 0.0 0.0 0.4 0.2 0.0 0.0 0.0 0.4 0.4 0.0 0.4 0.0 0.5 0.3 0.0 0.5 0.1 0.0 0.0 0.5 0.1 0.0 0.0

더 잘하 고 싶어 서 0.2 0.2 0.2 0.0 0.3 0.2 0.0 0.0 0.3 0.1 0.0 0.5 0.0 1.5 0.0 0.3 0.0 0.4 0.1 0.0 0.0 0.0 0.2 1.2 0.0


1.2.6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ㅇ 학생들이 참여한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를 살펴보면, 학교 내 문화예술교 육 정규동아리 활동의 참여가 31.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개인 문화예술교육/ 개인교습/개인레슨이 30.8%,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자율동아리 활동 11.9%, 방과 후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동 11.7%, 문화기반시설문화예술교육 4.4%, 청소년시설 문화예 술교육 3.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8>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ㅇ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의 성별 차이는 남학생(34.6%)이 여학생(29.4%)에 비해 학 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리 활동의 참여가 높은 반면, 개인 문화예술교육/ 개인교습/ 개인레슨에 대해서는 여학생(33.9%)이 남학생(25.5%)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ㅇ 교급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차이에 있어서는 고등학생은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 동아리 활동 참여형태가 초등학생(31.3%)과 중학생(34.0%)에 비해 24.3%로 낮은 반면, 개인 문화예술교육/ 개인교습/ 개인레슨이 초등학생(32.5%)과 중학생(26.9%)에 비해 35.8% 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개인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다른 교급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됨. ㅇ 성적 수준과 가정경제적 수준에 있어서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차이는 성적이 낮거나 가 정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개인 문화예술교육/ 개인교습/개 인레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남. ㅇ 그리고 가정경제적 수준이 낮은 청소년은 방과 후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동과 청소년시설 문화예술교육 참여형태가 높았음. 또한 성적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자율동아리 활동의 참여형태와 청소년시설 문화예술교육 참여형태가 높았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15


<표 Ⅴ-8> 학생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단위: %, 사례수 :1,625

구분

학교 내 문화 예술 교육 정규 동아 리 활동

전체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 적으 로 참여 한 활동 (유형)

개인 교습/ 개인 레슨

학교 내 문화 예술 교육 자율 동아 리 활동

방과 후 학교 문화 예술 교육 활동

문화 기반 시설 문화 예술 교육

청소 년시 설문 화예 술교 육

31.2

30.8

11.9

11.7

4.4

남성

34.6

25.5

11.8

11.5

여성

29.4

33.9

11.9

12.2

무응답

24.1

31.0

13.8

31.3

32.5

8.4

34.0

26.9

14.6

9.1

24.3

35.8

13.9

4.9

무응답

38.5

15.4

15.4

0.0

대도시

28.9

31.7

13.0

10.2

중소도시

30.5

34.6

11.1

9.7

종교 시설 문화 예술 교육

지역 문화 복지 시설 문화 예술 교육

학교 주관 토요 문화 예술 교육

무응 답

문화 예술 교육 단체 의 문화 예술 교육

3.1

2.8

2.8

2.4

2.1

1.5

4.9

3.4

2.9

2.7

2.0

3.2

1.5

3.9

3.0

2.9

2.6

2.6

1.4

1.5

0.0

10.3

3.4

0.0

10.3

3.4

3.4

3.4

17.1

2.8

1.5

2.0

1.7

1.9

2.8

2.3

4.9

4.6

3.6

2.8

2.5

1.9

0.8

6.9

3.8

3.1

4.9

3.1

0.7

1.4

7.7

7.7

0.0

7.7

7.7

7.7

0.0

5.0

3.1

3.2

2.8

2.4

1.9

2.3

4.4

3.6

2.7

3.2

1.5

2.3

1.3

읍면

38.6

18.0

11.6

20.6

2.6

1.9

2.2

1.5

4.9

1.9

0.4

서울권

25.3

30.9

11.5

12.0

6.0

5.5

2.8

2.3

3.2

1.4

5.1

경기권

25.2

35.6

11.2

11.8

5.0

4.2

3.1

3.5

2.3

1.0

0.6

강원권

33.3

28.8

21.2

10.6

4.5

4.5

0.0

4.5

0.0

0.0

1.5

충청권

34.1

29.9

7.1

10.0

1.4

3.3

3.8

3.3

1.9

7.1

0.5

경상권

36.5

27.4

14.9

11.9

5.2

0.3

2.7

1.8

4.0

1.8

0.6

전라권

37.8

26.9

11.3

12.7

3.2

2.1

2.5

2.1

1.1

1.8

2.5

28.5

34.2

9.6

12.1

4.7

3.3

3.2

3.0

2.8

1.6

2.5

33.5

31.0

11.0

12.5

3.9

2.2

2.5

2.5

1.9

2.3

1.0

30.3

22.7

19.1

9.2

4.8

5.6

3.2

2.8

2.8

2.8

0.8

무응답

27.8

27.8

22.2

0.0

5.6

5.6

0.0

5.6

5.6

0.0

5.6

28.2

34.1

10.2

11.4

4.2

3.4

3.6

2.6

2.6

2.3

1.9

33.7

29.2

13.0

11.6

4.5

2.5

2.3

2.7

2.2

2.2

0.9

27.7

24.1

9.6

16.9

3.6

6.0

3.6

4.8

2.4

0.0

3.6

무응답

26.1

26.1

21.7

4.3

4.3

8.7

0.0

4.3

4.3

0.0

8.7

음악

31.2

34.8

9.7

11.9

4.5

2.8

4.7

2.8

2.0

1.8

1.5

미술

30.4

27.8

13.2

15.3

6.1

5.0

1.3

1.6

1.9

2.1

1.6

디자인

32.4

29.6

8.5

11.3

8.5

14.1

4.2

4.2

1.4

1.4

2.8

무용 연극/ 영화/ 미디어 문학

32.7

26.2

14.2

11.2

4.6

5.8

1.5

1.9

3.8

1.2

3.1

39.9

19.6

17.8

8.2

5.7

5.0

2.1

3.6

2.1

2.5

2.1

28.1

29.2

13.5

11.2

6.7

6.2

3.4

3.4

2.2

2.2

1.1

통합

17.2

24.1

20.7

10.3

17.2

10.3

6.9

6.9

0.0

0.0

3.4

기타

0.0

57.1

0.0

28.6

0.0

0.0

0.0

0.0

14.3

0.0

0.0

11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7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은 일주일 기준 1~3시간 미만이 48.1%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6시간 미만이 19.8%, 1시간 미만이 14.5%, 9시간 이상이 8.8%, 6~9 시간 미만이 7.9%로 나타남. <그림 Ⅴ-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에 대한 성별 차이는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일주일에 문화예술교육을 1시간 미만으로 참여한다는 응답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이에 반해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6시간 이상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음.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에 대한 교급 차이는 초등학생이 일주일에 1시간 미만 참 여가 높은 반면, 고등학생은 6시간 이상의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가 다른 교급에 비해 상대 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지역 규모별로는 읍면지역의 청소년들은 1~3시간 미만 교육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 으로 높고 3시간 이상의 교육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17


<표 Ⅴ-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단위: %, 사례수: 1,625

1시간 미만

1~3시간 미만

3~6시간 미만

14.5

48.1

19.8

7.9

8.8

1.0

남성

18.2

47.6

19.6

5.4

7.9

1.3

여성

12.5

48.4

19.4

9.4

9.6

0.8

6.9

51.7

34.5

6.9

0.0

0.0

초등학생

17.4

48.3

20.2

7.0

6.2

0.9

중학생

11.8

49.3

20.9

8.0

8.5

1.4

고등학생

13.5

45.1

14.9

10.1

16.0

0.3

무응답

7.7

46.2

46.2

0.0

0.0

0.0

대도시

12.3

46.9

20.8

8.1

11.2

0.6

중소도시

16.3

43.7

21.4

8.9

8.2

1.5

읍면지역

14.2

63.3

12.7

4.5

4.9

0.4

서울권

14.7

49.8

17.1

5.5

12.4

0.5

경기권

9.8

55.5

17.7

8.5

7.5

1.0

강원권

16.7

33.3

34.8

7.6

6.1

1.5

충청권

19.0

44.5

19.9

7.6

6.6

2.4

경상권

19.1

41.6

19.8

7.3

10.9

1.2

전라권

13.4

47.0

21.9

9.5

8.1

0.0

12.4

47.8

21.9

8.4

8.2

1.2

15.5

47.9

19.4

8.4

7.9

0.9

16.3

48.2

15.5

5.6

13.5

0.8

5.6

66.7

27.8

0.0

0.0

0.0

14.4

45.1

20.8

8.9

9.4

1.3

14.4

50.5

19.6

7.2

7.4

0.9

15.7

43.4

13.3

8.4

19.3

0.0

무응답

13.0

52.2

21.7

4.3

8.7

0.0

음악

14.2

44.7

24.0

8.8

7.2

1.1

미술

16.9

48.9

16.1

5.8

11.4

0.8

9.9

46.5

15.5

12.7

14.1

1.4

무용

13.5

46.9

18.1

8.8

12.3

0.4

연극/영화/ 미디어

14.2

49.8

18.5

8.2

8.5

0.7

문학

19.1

50.0

18.0

4.5

6.7

1.7

통합

17.2

44.8

20.7

3.4

13.8

0.0

기타

14.3

28.6

14.3

28.6

14.3

0.0

구분

전체

성별

무응답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무응답 가정경 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디자인

11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6~9시간 미만

9시간 이상

무응답


1.2.8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ㅇ 학생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은 6개월 이상이 52.3%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3~6개월 미만은 18.5%, 1~3개월 미만 17.3%, 1개월 미만이 9.3%로 나타남.

<그림 Ⅴ-1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최근 1년 기준)

ㅇ 학생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에 대한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의 경 우 여학생에 비해 1개월 미만 참여가 높으며,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6개월 이상의 장기 적인 참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별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들은 1개월 미만 참여가 가장 낮으며, 6개월 이상 참여 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ㅇ 성적 수준별 차이에 대해서는 성적이 낮은 학생들이 3개월 미만의 참여가 가장 높으며, 6 개월 이상의 참여자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는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19


<표 Ⅴ-1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최근 1년 기준) 단위: %, 사례수: 1,625

구분 전체 성별

지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으 로 참여한 활동 (유형)

3~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무응답

9.3

17.3

18.5

52.3

2.6

남성

12.3

18.4

20.1

46.4

2.9

7.7

16.9

17.0

56.0

2.3

무응답

3.4

6.9

37.9

44.8

6.9

5.8

15.7

15.2

60.2

3.0

중학생

11.3

19.5

21.4

45.8

1.9

고등학생

13.2

17.0

19.1

47.9

2.8

무응답

7.7

0.0

38.5

46.2

7.7

대도시

12.0

16.6

17.5

51.6

2.3

중소도시

8.5

17.3

15.2

55.8

3.2

읍면지역

5.2

19.1

30.0

44.2

1.5

15.2

18.0

18.0

46.1

2.8

서울권

권역

1~3개월 미만

여성 초등학생

교급

1개월 미만

경기권

8.3

17.9

24.9

47.0

1.9

강원권

12.1

13.6

21.2

51.5

1.5

충청권

8.5

18.0

10.4

56.9

6.2

경상권

9.4

17.0

13.7

56.8

3.0

전라권

6.4

16.3

18.4

58.3

0.7

8.2

13.3

18.7

57.6

2.1

8.2

19.0

18.0

52.1

2.8

15.5

21.9

18.3

41.4

2.8

무응답

5.6

5.6

38.9

44.4

5.6

9.4

16.4

17.9

53.4

2.9

9.4

17.9

18.4

51.8

2.4

8.4

19.3

20.5

50.6

1.2

무응답

4.3

8.7

34.8

47.8

4.3

음악

8.6

13.7

16.4

59.2

2.1

미술

7.7

20.4

17.2

51.1

3.7

12.7

21.1

18.3

46.5

1.4

9.6

18.5

19.2

50.8

1.9

14.2

23.8

18.9

40.2

2.8

디자인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11.2

18.0

20.2

47.2

3.4

통합

13.8

24.1

6.9

48.3

6.9

기타

14.3

28.6

0.0

57.1

0.0

12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9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ㅇ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도록 추천한 사람은 스스로 참여가 31.8%로 가장 높 았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의 추천이 29.0%, 학교(교사) 추천 16.1%, 친구 추천 15.9%,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 추천 4.8%, 문화예술 동아리 추천 2.8% 등의 순으 로 나타남. <그림 Ⅴ-1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에 대한 성별 차이는 스스로 참여에 대해 여학생이 남 학생에 비해 14.4%p 높은 반면, 남학생들은 학교(교사)와 가족의 추천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는 교급이 높아질수록 스스로 참여와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 추천, 문화예술 동아리 추천율이 높아지고, 교급이 낮을수록 가족과 학교(교사)의 추천율 이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지역규모로 살펴보면 읍면 지역은 스스로 참여와 학교(교사), 친구의 추천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반면, 가족이 추천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ㅇ 성적 수준이 높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학생은 다른 집단에 비해 가족의 추천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성적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스스로 참여를 선 택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21


<표 Ⅴ-1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단위: %, 사례수 1,625

구분

스스로 참여

전체

31.8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으 로 참여한 활동 (유형)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

문화 예술 동아리

가족

학교 (교사)

친구

29.0

16.1

15.9

4.8

2.8

1.7

0.7

무응답

친척

남성

22.9

31.9

21.8

14.7

4.9

3.5

1.9

0.8

여성

37.3

27.8

12.6

16.3

4.7

2.3

1.4

0.6

무응답

24.1

10.3

24.1

31.0

6.9

3.4

6.9

0.0

26.7

37.9

18.6

12.5

3.3

1.9

1.5

0.6

33.1

24.6

15.1

18.9

5.0

3.3

2.4

0.5

41.0

17.7

11.8

18.1

7.6

3.8

0.7

1.4

무응답

38.5

23.1

30.8

7.7

7.7

0.0

0.0

0.0

대도시

32.8

32.8

15.1

13.1

4.9

2.3

1.6

1.0

중소도시

29.5

30.7

15.1

15.9

5.1

3.6

2.0

0.3

읍면

36.0

15.4

21.3

22.5

3.7

1.5

0.7

1.1

서울권

30.9

42.9

7.8

11.5

4.6

3.2

0.9

2.3

경기권

27.0

27.9

12.3

24.1

4.8

3.5

1.0

0.6

강원권

31.8

24.2

21.2

22.7

1.5

1.5

1.5

0.0

충청권

32.2

23.7

22.3

10.9

5.2

4.3

3.3

0.0

경상권

35.9

27.7

21.6

12.2

4.0

1.2

2.4

0.6

전라권

36.4

26.9

17.3

11.0

6.4

2.1

1.4

0.4

29.9

34.3

15.1

14.5

4.9

2.6

1.6

0.7

32.2

27.1

17.3

17.2

3.9

2.2

1.7

0.6

35.1

23.1

13.9

15.1

7.2

5.2

1.6

0.8

무응답

27.8

22.2

27.8

16.7

5.6

0.0

5.6

0.0

29.7

35.1

13.8

13.1

5.2

3.4

1.8

0.8

33.0

25.5

17.7

17.6

4.4

2.2

1.7

0.6

33.7

22.9

14.5

19.3

6.0

4.8

0.0

1.2

무응답

34.8

26.1

21.7

13.0

4.3

0.0

4.3

0.0

음악

29.4

36.5

14.7

14.2

4.5

2.2

1.3

0.9

미술

33.3

28.6

15.9

14.6

6.6

2.9

1.3

0.5

디자인

32.4

29.6

18.3

11.3

7.0

8.5

0.0

1.4

무용

37.7

22.3

13.8

20.0

6.2

4.2

0.8

0.8

연극/영화 /미디어

31.0

21.7

23.1

16.4

6.0

4.6

1.8

1.1

문학

23.0

34.3

18.0

14.6

8.4

2.2

2.8

0.0

통합

13.8

17.2

24.1

27.6

10.3

6.9

3.4

0.0

기타

28.6

42.9

0.0

14.3

14.3

0.0

0.0

0.0

12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10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ㅇ 학생들이 최근 1년 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에 대해서는 인터넷이 18.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브로셔/홍보지 12.7%, 스마트폰 앱 10.2%, 학교 8.8%, 가족 7.1%, 선생님 6.8%, 포스터/배너 6.0%, 친구 5.3%, 소셜미디어 4.9%, 지 인 3.4%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Ⅴ-1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ㅇ 학생들이 최근 1년 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에 대한 성별 차이는 인터넷과 TV를 통해 정보를 얻게 되는 경우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으며, 여학생은 브로셔/ 홍보지,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얻게 되는 경우가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학생들이 최근 1년 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에 대한 교급별 차이는 고등학 생으로 올라갈수록 인터넷, 브로셔/홍보지를 통한 정보획득이 높고, 초등학생들은 매체 정 보보다는 가족, 학교(교사), 친구 등의 지인들을 통한 정보 획득이 상대적으로 다른 교급 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읍면지역은 스마트폰앱과 학교를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정보획득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 적으로 높은 반면, 가족을 통해 알게 되는 경우는 극히 제한되어 있음. ㅇ 성적 수준에 대한 차이에 대해서는 성적 수준이 낮은 학생이 인터넷,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 획득이 높은 반면, 가족을 통한 정보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가정 경제적 수준에 대한 차이는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인 터넷, 스마트폰앱,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보 획득이 높은 반면, 가족을 통한 정보에는 상대 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23


<표 Ⅴ-1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단위: %, 사례수 1,625

구분 전체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남성 여성 무응답 초 중 고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인터넷

브로셔/ 홍보지

스마트 폰 앱

학교

가족

선생님

무응답

포스터 /배너

친구

소셜 미디어

지인

18.0

12.7

10.2

8.8

7.1

6.8

6.6

6.0

5.3

4.9

3.4

3.1

1.8

21.9 15.8 17.2 14.8 18.9 24.0 15.4 20.3 14.6 22.5 24.4 18.5 15.2 18.5 15.8 15.2 17.5 17.5 21.5 11.1 18.2 17.6 22.9 13.0

8.8 15.5 0.0 11.3 12.4 17.4 0.0 13.8 11.9 12.7 14.7 11.6 15.2 12.8 14.6 10.6 12.8 13.2 11.6 5.6 11.4 13.6 15.7 4.3

10.3 9.8 20.7 9.7 10.1 11.1 15.4 9.6 8.1 17.2 7.8 17.0 6.1 5.7 5.5 9.2 8.8 11.2 10.0 11.1 9.7 10.2 13.3 8.7

8.6 8.9 10.3 9.6 9.3 5.2 23.1 6.7 7.8 16.5 5.1 5.8 18.2 10.0 13.7 8.5 7.7 10.2 6.8 11.1 8.1 9.4 6.0 13.0

7.8 6.7 10.3 11.2 4.7 2.8 7.7 6.7 9.7 1.1 6.5 6.9 7.6 2.8 10.3 7.4 10.3 6.1 2.8 11.1 9.3 5.9 4.8 8.7

8.3 5.9 10.3 8.1 5.8 5.9 7.7 7.8 7.4 3.0 3.2 7.1 6.1 7.6 6.4 9.2 7.0 6.6 7.2 5.6 7.3 6.5 7.2 4.3

7.1 6.5 0.0 5.4 8.7 5.2 0.0 6.2 7.4 5.2 6.5 4.8 0.0 9.0 9.1 6.7 5.6 7.3 7.2 0.0 7.0 6.9 1.2 4.3

5.4 6.2 10.3 4.9 6.9 5.9 15.4 6.3 6.6 3.4 6.5 6.4 6.1 6.6 5.8 4.6 6.3 4.8 8.0 16.7 5.4 6.3 4.8 13.0

4.2 6.0 3.4 6.2 5.7 2.4 0.0 5.2 5.5 4.9 6.0 6.0 7.6 4.3 4.6 4.6 3.9 6.1 6.0 5.6 5.0 5.5 4.8 4.3

4.2 5.3 3.4 0.9 5.7 12.8 0.0 4.5 5.5 3.7 6.5 5.2 6.1 4.3 4.0 4.2 5.1 3.8 7.6 5.6 4.7 4.9 6.0 4.3

3.4 3.4 6.9 4.4 2.5 3.1 7.7 3.6 3.8 2.2 3.7 3.5 1.5 3.8 3.3 3.5 4.9 2.4 2.8 11.1 3.1 3.3 6.0 8.7

4.6 2.1 6.9 4.2 2.0 2.4 7.7 3.4 3.0 2.6 2.8 2.1 3.0 4.7 3.3 3.5 3.5 2.5 3.6 5.6 4.2 2.2 3.6 4.3

1.2 2.3 0.0 2.3 2.2 0.0 0.0 1.8 2.0 1.5 1.4 1.3 3.0 0.5 1.8 3.9 1.6 2.3 1.2 0.0 1.5 2.1 1.2 4.3

12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TV

안내장

우연 하게

스스로

동아리

1.7

1.7

1.4

0.5 2.4 3.4 2.3 1.3 1.0 7.7 1.3 2.2 1.5 0.9 1.5 3.0 2.8 0.6 2.8 1.8 1.8 1.2 5.6 1.6 1.8 1.2 4.3

2.5 1.2 0.0 1.7 1.7 1.4 0.0 1.0 2.3 1.5 1.8 1.3 1.5 3.8 1.2 1.1 2.3 1.5 0.8 0.0 1.6 1.7 1.2 4.3

1.5 1.4 0.0 1.6 1.7 0.3 0.0 1.6 1.6 0.4 2.8 0.4 0.0 1.4 0.3 3.9 1.1 1.7 1.6 0.0 1.5 1.4 1.2 0.0


1.2.11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ㅇ 학생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는 친구가 58.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혼자 23.3%, 부모님/형제자매 9.2%, 동아리 회원 7.4%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13>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혼자 참여와 동아리 회원과 참여하는 경우 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됨. ㅇ 교급별 차이에서는 교급이 높을수록 혼자 참여와 동아리 회원과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다 른 교급에 비해 많은 것으로 확인됨. ㅇ 읍면지역의 경우 친구와의 참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반면, 부모 및 형제자매 등의 가족과의 함께 참여하는 비율은 다른 지역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 ㅇ 성적이 낮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은 청소년은 가족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는 낮 고 동아리 회원과 함께 참여하는 비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25


<표 Ⅴ-13>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단위: %, 사례수: 1,625

성별

교급

지역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부모님/ 형제 자매

동아리 회원

공연 팀원

구분

친구

혼자

전체

58.0

23.3

9.2

7.4

2.7

1.5

0.1

0.1

남성

59.5

21.4

8.9

6.6

3.9

1.5

0.0

0.2

여성

56.8

24.5

9.4

8.0

2.1

1.5

0.2

0.0

무응답

69.0

20.7

6.9

3.4

0.0

0.0

0.0

0.0

59.8

21.3

11.3

5.4

2.9

0.7

0.1

0.0

59.7

22.4

7.6

8.7

2.8

1.4

0.2

0.0

49.7

30.6

7.6

9.4

2.1

3.5

0.0

0.3

무응답

69.2

15.4

7.7

7.7

0.0

0.0

0.0

0.0

대도시

57.1

24.0

9.7

7.6

2.4

1.6

0.0

0.2

중소도시

55.1

23.7

10.5

7.5

2.7

1.8

0.3

0.0

읍면

68.2

20.6

4.1

6.4

3.4

0.4

0.0

0.0

서울권

53.0

27.2

10.6

7.4

1.4

2.8

0.0

0.5

경기권

54.7

26.4

7.9

6.2

3.3

2.1

0.4

0.0

강원권

68.2

12.1

9.1

7.6

3.0

0.0

0.0

0.0

충청권

56.4

25.1

6.2

7.6

3.8

1.9

0.0

0.0

경상권

62.0

19.5

10.3

9.4

2.7

0.3

0.0

0.0

전라권

62.2

20.5

11.3

7.1

1.8

0.7

0.0

0.0

54.3

25.2

11.2

7.2

2.5

1.9

0.0

0.0

62.8

20.9

7.9

6.2

2.8

1.4

0.3

0.1

51.0

27.1

8.4

11.6

3.2

0.8

0.0

0.0

무응답

66.7

16.7

11.1

5.6

0.0

0.0

0.0

0.0

53.7

26.0

11.2

6.8

3.4

1.6

0.0

0.0

61.4

21.4

8.1

7.3

2.4

1.2

0.2

0.0

53.0

24.1

6.0

12.0

1.2

3.6

0.0

1.2

무응답

60.9

26.1

8.7

8.7

0.0

0.0

0.0

0.0

무응답

친척

선후배

음악

53.9

25.8

11.4

7.2

2.7

1.3

0.1

0.0

미술

59.8

22.0

8.7

7.1

2.6

1.6

0.0

0.0

디자인

60.6

25.4

4.2

7.0

5.6

2.8

0.0

0.0

무용

65.8

18.1

6.9

7.3

2.7

2.3

0.0

0.4

연극/영화 /미디어

66.2

13.2

7.8

9.3

5.0

1.8

0.4

0.0

문학

61.8

21.9

9.0

4.5

5.1

1.7

0.0

0.0

통합

58.6

13.8

13.8

3.4

3.4

6.9

0.0

0.0

기타

42.9

42.9

14.3

0.0

0.0

0.0

0.0

0.0

12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12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ㅇ 학생들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형태는 실습/표현형이 56.9%로 가 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강의 교육형 15.0%, 체험형 10.3%, 관람/감상형 10.3%, 창 작/제작형 9.0%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14>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ㅇ 성별 차이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강의 교육형과 체험형(박물관, 미술관 등에 서 배우는 체험형 활동)의 참여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별 차이에서는 고등학생이 다른 교급에 비해 실습/표현형(악기연주, 무용‧ 사진배우기 등)이 적은 편이며, 관람/감상형(독서, 영화‧연극 관람, 미술‧음악감상 등)과 창작/제작형(영 화제작‧창작무용‧문학발표회 등)의 교육 형태는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남. ㅇ 지역 규모에 있어서는 읍면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실습/표현형 진행 형태가 월등히 많 으며 다른 교육 진행 형태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성적 수준에 있어서는 성적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실습/표현형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많고, 성적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강의 교육형과 체험형의 교육 진행을 다른 집단보다 많이 참 여한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27


<표 Ⅴ-14>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단위: %, 사례수: 1,625

실습/ 표현형

강의 교육형

체험형

관람/ 감상형

56.9

15.0

10.3

10.3

9.0

1.8

남성

49.6

17.7

13.0

10.5

9.1

2.5

여성

61.0

13.8

8.2

10.3

9.3

1.3

구분 전체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 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창작/ 제작형

무응답

무응답

62.1

3.4

31.0

6.9

0.0

3.4

초등학생

56.7

18.1

9.1

8.1

8.9

1.3

중학생

58.6

11.5

12.0

10.7

8.5

2.5

고등학생

52.8

16.0

8.7

14.6

11.1

1.0

무응답

69.2

0.0

30.8

7.7

0.0

7.7

대도시

54.1

15.1

11.9

10.6

9.1

2.1

중소도시

53.6

17.4

10.2

11.3

9.6

1.8

읍면지역

72.3

8.2

7.1

6.7

7.5

1.1

서울권

50.7

19.4

14.3

10.6

7.8

1.8

경기권

55.1

15.4

10.0

10.6

9.6

0.6

강원권

66.7

9.1

13.6

7.6

6.1

0.0

충청권

52.6

17.5

7.6

10.4

8.1

4.7

경상권

64.7

11.2

8.5

9.1

10.3

2.7

전라권

56.5

14.8

11.3

11.3

8.8

1.1

59.0

14.5

9.6

8.9

8.6

1.8

56.9

14.9

9.6

10.7

9.7

1.7

51.0

17.1

13.5

12.4

8.8

1.6

무응답

66.7

5.6

22.2

5.6

0.0

11.1

54.9

17.9

10.6

10.2

8.8

1.9

58.5

12.7

9.9

10.7

9.0

1.7

53.0

21.7

10.8

6.0

13.3

0.0

무응답

60.9

4.3

21.7

8.7

4.3

8.7

음악

72.1

12.1

7.6

6.4

3.7

1.2

미술

45.0

16.1

19.0

11.1

12.2

3.2

디자인

33.8

16.9

29.6

15.5

14.1

2.8

무용

61.5

11.2

11.5

10.0

8.1

1.5

연극/영화/ 미디어

37.7

10.3

18.1

19.6

19.9

1.8

문학

18.5

31.5

12.9

28.1

11.2

2.8

통합

27.6

13.8

37.9

13.8

13.8

3.4

기타

71.4

14.3

0.0

0.0

0.0

14.3

12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13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비용은 평균 71,393원으로 나타남. 세부적으로 무료가 24.9%로 가 장 많고, 그 다음이 2~5만원 미만 10.5%, 10~20만원 7.0%, 5~10만원 미만 4.8%, 20~50만원 미만 2.5%, 50만 원 이상은 6.1%, 1~2만원 미만 2.4%, 1만원 미만 0.8% 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15>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

ㅇ 성별로는 남학생의 평균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은 평균 68,473원이며, 여학생은 71,196 원으로 나타남. ㅇ 교급별로는 초등학생 82,397원, 중학생 59,241원, 고등학생 74,145원으로 조사됨. ㅇ 지역규모별로는 대도시 97,723원, 중소도시 73,281원, 읍면 25,149원으로 지역규모별로 차 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ㅇ 성적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무료 교육이 가장 높았으며, 가정 형편에 따라서는 중 수준이 라고 응답한 학생의 무료 교육이 가장 많았음. ㅇ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에 있어서는 연극/영화/미디어 활동이 다른 황동에 비 해 무료 비율이 높게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29


<표 Ⅴ-15>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 단위: %, 원, 사례수: 1,625

구분

무료

1만원 미만

1~2만 원 미만

2~5만 원 미만

5~10 만원 미만

10~20 만원 미만

전체

24.9

0.8

2.4

10.5

4.8

7.0

2.5

6.1

71,393

남성

28.3

0.8

3.4

10.1

3.5

6.9

2.4

1.7

68,473

여성

23.0

0.8

1.9

11.0

5.6

6.7

2.6

1.4

71,196

무응답

17.2

0.0

0.0

0.0

3.4

20.7

3.4

3.4

153,571

21.0

0.4

1.3

12.5

5.1

9.4

2.8

1.5

82,397

31.0

0.8

3.3

8.3

3.9

5.4

1.6

1.6

59,241

20.5

1.7

3.1

10.8

5.9

4.9

4.2

1.7

74,145

무응답

23.1

0.0

0.0

0.0

7.7

7.7

0.0

0.0

34,000

대도시

17.0

1.3

2.1

9.4

6.7

8.1

3.7

1.9

97,723

중소도시

28.0

0.5

2.3

4.3

4.0

7.5

2.3

1.6

73,281

읍면

34.1

0.4

3.4

30.0

2.6

3.0

0.4

0.4

25,149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20~50 만원 미만

50만원 이상

평균

서울권

9.7

1.4

2.8

13.4

7.4

7.8

5.1

2.3

104,700

경기권

17.1

0.8

4.0

14.6

4.8

9.8

2.1

1.5

80,388

강원권

31.8

0.0

1.5

4.5

3.0

3.0

1.5

1.5

41,774

충청권

34.6

0.0

1.9

5.7

2.8

3.8

1.4

1.4

55,727

경상권

33.1

0.0

1.2

9.4

5.2

5.5

1.8

0.9

49,015

전라권

32.2

2.1

1.1

6.7

4.2

6.4

3.2

1.8

73,551

22.8

0.9

2.6

9.3

5.6

6.5

2.8

1.8

86,601

25.0

0.5

1.9

12.7

3.7

7.3

2.3

1.1

63,973

29.9

1.6

3.6

6.8

6.0

7.6

2.4

2.4

62,748

무응답

16.7

0.0

0.0

0.0

11.1

5.6

5.6

0.0

64,285

20.1

1.5

2.3

8.6

5.2

8.6

3.7

1.9

96,714

28.6

0.3

2.4

11.6

4.5

6.3

1.7

0.9

52,070

21.7

1.2

3.6

14.5

3.6

3.6

2.4

6.0

105,780

무응답

17.4

0.0

0.0

0.0

8.7

4.3

4.3

0.0

56,250

음악

22.2

0.5

1.8

11.6

4.9

7.1

2.2

2.0

78,275

미술

24.6

1.3

2.4

10.6

3.7

6.6

3.7

2.1

89,935

디자인

19.7

0.0

5.6

7.0

0.0

5.6

5.6

2.8

133,571

무용 연극/ 영화/ 미디어 문학

28.5

0.4

1.9

10.0

5.0

9.6

3.1

1.5

76,827

33.5

0.7

4.6

5.7

3.6

6.4

3.2

1.8

71,570

24.2

0.6

2.8

11.2

4.5

5.1

3.4

1.7

82,484

통합

24.1

3.4

3.4

6.9

6.9

3.4

6.9

3.4

129,611

기타

14.3

0.0

0.0

14.3

0.0

0.0

0.0

0.0

15,000

13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14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ㅇ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교육에 참여할 시간 부족이 30.0%로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관심 있는 교육 부족 14.2%, 교육비용 부담 10.9%, 참여시설 부족 7.8%, 교통 불편 6.8%, 함께 배울 사람이 없음 6.7%, 교육안내 정보 부족이 4.2% 등으로 나타남. 참여시 어려움이 없음의 응답도 15.5%로 나타남.

<그림 Ⅴ-16>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에 대한 성별 차이에서는 두 집단 간 비교적 큰 차이를 보 이지 않고 있음. 교급별 차이에 있어서는 교급이 올라갈수록 교육 참여시간 부족과 비용 부담의 어려움의 응답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음. 교급이 낮아질수록 관심 있는 교육 부족의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성적 수준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교육 참여시간 부족 의 어려움이 높았음. 성적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교육비용의 부담과 교통 불편, 함께 배울 사람이 없음의 어려움에 대한 응답비율이 높았음. ㅇ 가정 형편 수준에 따른 차이에서는 가정 형편 수준이 좋은 집단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집 단의 학생에 비해 교육 참여시간 부족의 어려움이 높았음. 한편 가정형편이 좋지 않은 집 단의 학생은 다른 집단에 비해 참여시설 부족, 교통 불편, 함께 배울 사람이 없음의 어려 움에 더 많은 응답을 나타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31


<표 Ⅴ-16>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단위: %, 사례수: 1,625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구분

교육 참여 시간 부족

전체

30.0

15.5

14.2

10.9

7.8

6.8

6.7

4.2

3.6

1.0

0.7

0.4

0.3

0.2

0.2

27.5 31.0 48.3 25.0 31.3 40.3 7.7 33.0 29.1 25.8 30.0 30.3 30.3 27.5 29.5 32.2 34.2 27.5 29.1 22.2 33.1 29.1 19.3 21.7

17.2 14.8 6.9 21.9 12.9 5.9 15.4 13.8 19.4 8.6 13.8 14.6 18.2 18.5 11.9 19.8 13.5 17.6 14.3 5.6 15.7 16.3 8.4 4.3

14.7 13.7 24.1 15.2 14.6 10.1 30.8 10.4 12.0 29.2 8.3 16.0 12.1 12.8 16.7 14.1 14.5 15.0 10.0 27.8 11.7 15.7 13.3 26.1

8.9 12.4 0.0 8.4 9.9 19.4 0.0 13.8 10.2 6.0 15.2 11.0 9.1 7.1 14.6 6.4 9.5 10.8 14.7 5.6 9.6 10.5 26.5 4.3

8.4 7.6 3.4 4.8 10.4 9.4 7.7 7.5 8.1 7.9 4.6 8.3 9.1 8.5 8.5 7.8 8.6 7.0 8.4 11.1 7.6 7.6 10.8 8.7

7.1 6.8 3.4 5.4 8.3 6.9 7.7 7.1 5.9 8.6 9.2 7.5 7.6 8.5 5.2 4.2 6.3 6.5 9.2 5.6 8.4 5.5 9.6 4.3

7.8 6.1 6.9 7.0 6.9 5.2 15.4 7.8 6.5 4.9 10.6 5.8 3.0 7.1 5.8 7.1 5.4 6.5 10.0 11.1 6.2 6.3 13.3 13.0

2.7 5.2 0.0 4.6 4.3 3.1 0.0 3.9 3.2 7.5 5.1 4.0 6.1 2.4 5.2 3.5 4.6 3.9 4.4 0.0 3.9 4.8 1.2 0.0

3.5 3.4 10.3 3.6 3.5 2.8 23.1 3.9 3.9 1.9 4.1 3.1 1.5 5.7 4.0 2.5 2.5 4.2 3.2 16.7 2.8 3.8 3.6 17.4

1.3 0.9 0.0 2.0 0.3 0.3 0.0 0.5 1.5 1.1 0.0 1.2 1.5 1.4 0.6 1.8 1.6 0.9 0.4 0.0 0.8 1.2 0.0 4.3

0.7 0.8 0.0 0.7 0.8 0.7 0.0 0.8 0.7 0.7 0.0 0.6 0.0 0.5 1.5 1.1 0.9 0.6 0.8 0.0 1.1 0.6 0.0 0.0

0.3 0.4 0.0 0.1 0.6 0.3 0.0 0.3 0.1 1.1 0.9 0.2 0.0 0.0 0.9 0.0 0.0 0.8 0.0 0.0 0.3 0.4 0.0 0.0

0.5 0.2 0.0 0.6 0.2 0.0 0.0 0.3 0.4 0.0 0.0 0.4 0.0 0.0 0.6 0.4 0.7 0.1 0.0 0.0 0.6 0.1 0.0 0.0

0.0 0.4 0.0 0.1 0.5 0.0 0.0 0.3 0.3 0.0 0.9 0.2 0.0 0.0 0.0 0.4 0.0 0.5 0.0 0.0 0.0 0.4 0.0 0.0

0.2 0.3 0.0 0.6 0.0 0.0 0.0 0.5 0.0 0.4 0.5 0.0 0.0 0.9 0.3 0.0 0.7 0.0 0.0 0.0 0.5 0.1 0.0 0.0

남성 여성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없음

관심 있는 교육 부족

교육 비용 부담

13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참여 시설 부족

교통 불편

함께 배울 사람 없음

교육 안내 정보 부족

무응답

교육내 용이 어려움

재미 없어서

체력적 부담

교육 시간이 김

스트레 스

선생님 의 지도 부족


1.2.15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ㅇ 학생들의 정규수업 외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는 5점 기준 3.81점(100점 환산 70.1점)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밖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은 5점 기준 3.88점(100점 환산 72.0점)으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가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Ⅴ-17>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의 성별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만족도의 점수가 0.02 점p 낮은 편이었음. ㅇ 교급별 차이에서는 교급이 올라갈수록 만족도의 점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ㅇ 지역 규모 차이에서는 읍면지역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가 다른 지역 에 비해 높은 반면, 대도시는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가 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비 해 상대적으로 높았음. ㅇ 학업성적 수준과 가정경제 수준 차이에 대한 문하예술교육 참여 만족도는 학업성적이 낮 을수록,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학교문화예술교육과 학교 밖 문화예술교 육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유형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과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모두 디자인 분야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33


<표 Ⅴ-17>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단위: 점, 사례수: 1,625

학교 문화예술교육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구분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응답평균

100점 환산

응답평균

100점 환산

전체

3.81

70.1

3.88

72.0

남성

3.80

70.0

3.82

70.5

여성

3.82

70.4

3.92

73.0

무응답

3.56

64.0

3.67

66.7

초등학생

4.04

75.9

4.04

76.1

중학생

3.76

69.0

3.86

71.5

고등학생

3.34

58.5

3.58

64.5

무응답

3.64

65.9

3.40

60.0

대도시

3.84

70.9

3.96

74.1

중소도시

3.74

68.5

3.82

70.4

읍면지역

3.92

72.9

3.87

71.7

서울권

3.73

68.2

3.88

71.9

경기권

3.78

69.5

3.91

72.8

강원권

3.79

69.8

3.81

70.3

충청권

3.84

71.1

3.79

69.8

경상권

3.75

68.6

3.79

69.7

전라권

3.95

73.8

4.02

75.4

3.86

71.6

4.02

75.5

3.81

70.3

3.87

71.7

3.65

66.4

3.63

65.6

무응답

3.64

66.1

3.67

66.7

3.89

72.2

4.00

75.0

3.76

69.1

3.81

70.2

3.70

67.5

3.79

69.7

무응답

3.58

64.5

3.72

68.1

음악

3.87

71.7

3.94

73.4

미술

3.84

71.1

3.81

70.4

디자인

3.89

72.3

3.98

74.6

무용

3.82

70.5

3.90

72.4

연극/영화/미디어

3.81

70.3

3.86

71.4

문학

3.65

66.2

3.82

70.6

통합

3.77

69.2

3.86

71.6

기타

4.00

75.0

3.86

71.4

13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2.16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ㅇ 문화예술교육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학생에게 불만족 이유를 확인한 결과, 교육 내 용 불만족(38.0%)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교육 강사(21.7%), 교육 시간(11.4%), 교육 장소(10.2%), 교육 참여자와의 관계(7.2%), 교육 참여자의 수(4.2%)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18>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에 대한 전체 응답 내용은 성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교육 시간과 교육 장소에 대해 불만족의 응답이 상대 적으로 높음. 반면 여학생은 교육 내용과 교육 강사, 교육 참여자와의 관계 부분의 불만족 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ㅇ 가정경제적 수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는 가정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이 교 육 강사에 대한 불만족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교육 장소와 교육 참여자 수에 대 한 불만족도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음. ㅇ 지역규모에 있어서는 읍면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교육 내용의 불만족 이유가 상대적으 로 높았으며 교육 시간과 교육 장소의 불만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대도시의 경우 교육 시간과 교육 참여자 수의 불만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35


<표 Ⅴ-18>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단위: %, 사례수: 166

구분

교육 내용

교육 강사

교육 시간

무응답

교육 장소

참여자 와의 관계

교육 참여자 수

전체

38.0

21.7

11.4

11.4

10.2

7.2

4.2

1.8

29.2

20.0

15.4

10.8

15.4

3.1

4.6

4.6

남성 성별

여성

42.4

23.2

9.1

12.1

7.1

10.1

4.0

0.0

100.0

0.0

0.0

0.0

0.0

0.0

0.0

0.0

26.8

34.1

14.6

12.2

7.3

7.3

7.3

4.9

33.3

20.6

14.3

14.3

7.9

9.5

1.6

1.6

49.2

15.3

5.1

8.5

15.3

5.1

5.1

0.0

무응답

66.7

0.0

33.3

0.0

0.0

0.0

0.0

0.0

무응답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대도시

37.1

16.1

16.1

9.7

11.3

6.5

6.5

1.6

중소도시

36.6

25.6

9.8

9.8

12.2

6.1

3.7

2.4

읍면

45.5

22.7

4.5

22.7

0.0

13.6

0.0

0.0

서울권

44.1

26.5

8.8

0.0

14.7

2.9

5.9

2.9

경기권

41.2

15.7

15.7

13.7

9.8

5.9

3.9

0.0

강원권

33.3

50.0

0.0

16.7

0.0

0.0

0.0

0.0

충청권

27.8

5.6

5.6

16.7

16.7

16.7

5.6

5.6

경상권

39.4

24.2

9.1

21.2

6.1

6.1

0.0

3.0

전라권

29.2

29.2

16.7

4.2

8.3

12.5

8.3

0.0

38.2

27.3

7.3

10.9

7.3

9.1

3.6

3.6

34.3

18.6

15.7

15.7

8.6

5.7

2.9

1.4

41.0

20.5

10.3

5.1

17.9

7.7

7.7

0.0

100.0

0.0

0.0

0.0

0.0

0.0

0.0

0.0

무응답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재미없 어서

33.9

19.6

12.5

14.3

8.9

7.1

5.4

3.6

42.2

22.2

12.2

10.0

8.9

7.8

2.2

1.1

23.5

29.4

5.9

11.8

17.6

5.9

11.8

0.0

무응답

66.7

0.0

0.0

0.0

33.3

0.0

0.0

0.0

음악

32.1

25.9

12.3

13.6

12.3

8.6

3.7

1.2

미술

50.0

14.7

23.5

5.9

8.8

8.8

2.9

0.0

디자인

50.0

37.5

12.5

12.5

12.5

0.0

0.0

0.0

무용

33.3

18.5

14.8

11.1

14.8

7.4

3.7

0.0

연극/영화 /미디어

34.5

31.0

6.9

6.9

10.3

3.4

3.4

3.4

문학

31.8

36.4

4.5

27.3

13.6

0.0

0.0

0.0

통합

50.0

33.3

0.0

0.0

16.7

0.0

16.7

16.7

기타

0.0

0.0

0.0

100.0

0.0

0.0

0.0

0.0

13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3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인식 및 욕구 1.3.1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에 대해, 늘어났다고는 응답은 17.4%, 줄어들 었다는 응답은 30.3%로 나타나 1년 전과 비교해 줄어들었다는 인식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그림 Ⅴ-1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ㅇ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변화에 대해 성별로 살펴보면, 줄어들었다는 응답은 남학생 은 18.1%인 반면 여학생은 21.9%로 나타나 여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 시간 감소를 더욱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변화에 대해 교급별로 살펴보면, 줄어들었다는 응답은 초등 학생은 15.8%, 중학생은 21.8%, 고등학생은 23.9%로 교급이 올라갈수록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ㅇ 지역규모에 있어서는 대도시의 학생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줄어들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 로 높게 나타남. ㅇ 학업 성취 수준에서는 학업 성적이 좋은 집단이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감소를 비교적 더 많이 체감하고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37


<표 Ⅴ-1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단위: %, 사례수: 3,076

구분

변화 없음

늘어남

9.8

20.5

50.7

13.6

3.8

1.6

남성

8.2

18.1

55.7

12.4

3.9

1.7

여성

11.1

21.9

47.4

14.4

3.9

1.3

0.0

36.6

36.6

14.6

0.0

12.2

무응답 초등학생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매우 늘어남

줄어듦

전체 성별

매우 줄어듦

무응답

4.4

15.8

54.2

18.0

4.9

2.7

중학생

10.9

21.8

50.3

12.4

3.7

0.9

고등학생

14.5

23.9

47.7

10.2

2.8

1.0

무응답

0.0

25.0

35.0

20.0

0.0

20.0

대도시

11.4

23.1

43.4

15.9

4.7

1.5

중소도시

9.6

18.4

54.7

12.1

3.2

1.9

읍면지역

5.6

20.2

57.7

12.0

3.5

0.9

서울권

9.6

24.9

45.6

15.0

3.4

1.5

경기권

7.8

21.1

53.0

12.7

4.0

1.4

강원권

10.8

14.6

56.9

13.1

1.5

3.1

충청권

8.9

19.2

54.7

12.1

2.7

2.5

경상권

12.6

19.6

49.8

13.4

3.7

0.9

전라권

10.4

19.5

46.3

16.1

5.7

2.0

10.0

22.2

48.9

13.3

4.4

1.3

9.1

20.1

50.5

15.2

3.6

1.5

11.6

17.9

55.1

10.1

3.7

1.7

없음

0.0

0.0

100.0

0.0

0.0

0.0

무응답

0.0

30.8

42.3

7.7

0.0

19.2

9.6

20.7

46.8

16.2

4.5

2.2

9.8

20.8

52.4

12.8

3.1

1.1

11.4

16.3

55.4

8.4

6.9

1.5

무응답

0.0

24.2

51.5

6.1

3.0

15.2

음악

8.8

20.1

42.0

21.3

5.4

2.4

미술

6.6

20.9

39.2

23.5

5.8

4.0

디자인

5.6

28.2

25.4

26.8

9.9

4.2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6.9

23.5

35.4

21.2

10.4

2.7

7.5

23.1

38.4

19.6

8.2

3.2

문학

6.2

21.9

39.3

23.0

7.3

2.2

통합

10.3

44.8

20.7

17.2

6.9

0.0

기타

14.3

28.6

28.6

14.3

14.3

0.0

13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3.2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변화 이유 1.3.2.1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한 이유 ㅇ 학생들 중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에게 감소 이유에 대해 확인한 결과,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이 48.9%로 가장 높았음. 그 다음으로 학업 부담 17.4%,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 13.1%,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지 않음 8.1%,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 5.9%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2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한 이유

ㅇ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 학업 부담을 더 많이 느끼고 있으며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이 높았음. ㅇ 교급별로는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나타내지만 교급이 높 아질수록 교육 받을 시간 외 학업 부담이 높아지며, 교급이 낮을수록 문화예술교육의 관 심 부족과 주변에서 다른 것을 권하는 이유를 상대적으로 많이 언급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대도시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시간이 부족하여 참여시간이 감소 했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읍면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학업부담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줄어들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음. ㅇ 성적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을 더 많이 응답하였음. 성적 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 이유에 높은 응답비율을 보임. ㅇ 가정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구분에서는 가정 경제적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응답하고 있음. 가정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은 타 집단보다 학업 부담에 대한 이유와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 참여 비용부담, 함께 참여할 사람이 없음에 대한 응답을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응답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39


<표 Ⅴ-2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감소 이유 단위: %, 사례수: 930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구분

학업 부담

전체

48.9

17.4

13.1

8.1

5.9

3.4

2.6

2.4

2.3

1.3

남성 여성 무응답 초 중 고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43.5 51.3 80.0 46.9 47.4 51.8 80.0 54.0 45.4 42.7 48.6 49.1 36.4 42.9 55.6 47.6 51.1 49.2

14.6 19.5 0.0 4.7 17.5 25.6 0.0 16.6 16.8 22.7 14.3 16.6 24.2 28.6 16.9 11.6 19.7 15.6

17.6 10.5 13.3 18.8 15.4 6.6 0.0 11.3 14.8 13.6 12.9 13.7 12.1 10.3 8.7 21.1 10.5 14.4

7.7 8.5 0.0 9.4 7.7 7.9 0.0 9.2 7.4 6.4 11.4 6.5 9.1 6.3 9.7 6.8 7.1 9.4

5.1 6.4 6.7 4.7 6.5 5.6 20.0 3.9 6.4 11.8 3.6 6.5 3.0 7.9 5.8 6.1 5.2 5.0

4.2 3.1 0.0 5.7 3.5 2.0 0.0 3.1 4.0 2.7 3.6 2.9 6.1 3.2 3.9 3.4 5.2 3.0

1.8 3.1 0.0 3.1 2.3 2.6 0.0 1.7 4.0 0.9 1.4 2.2 3.0 1.6 3.4 4.1 3.7 1.4

2.1 2.6 0.0 3.6 1.9 2.3 0.0 1.9 2.0 5.5 2.1 2.2 3.0 3.2 2.4 2.0 1.5 1.8

3.6 1.4 6.7 3.6 2.1 1.3 20.0 1.4 3.2 1.8 0.7 1.8 6.1 4.0 1.4 3.4 1.8 1.8

2.4 0.7 0.0 3.1 1.4 0.0 0.0 1.0 1.2 2.7 0.7 0.4 3.0 1.6 2.9 0.7 1.5 1.4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음악 미술 디자인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통합 기타

43.1 62.5 52.2 48.0 37.5 62.5 53.0 53.8 45.8 45.6

18.1 12.5 18.7 16.0 25.0 12.5 18.2 14.4 12.5 22.8

15.0 12.5 12.3 13.5 14.3 12.5 9.7 7.7 4.2 7.6

6.9 0.0 6.3 9.6 3.6 0.0 7.6 6.7 12.5 10.1

9.4 12.5 6.0 5.5 8.9 12.5 5.5 9.6 8.3 7.6

1.3 0.0 4.4 2.7 5.4 0.0 4.2 3.8 0.0 7.6

3.8 0.0 2.2 2.5 5.4 0.0 3.0 4.8 8.3 6.3

5.6 0.0 2.2 2.0 7.1 0.0 1.7 1.9 0.0 2.5

3.8 12.5 0.6 3.1 1.8 12.5 3.0 1.9 4.2 0.0

0.6 0.0 1.9 0.9 1.8 0.0 2.1 1.9 4.2 1.3

52.3

11.6

7.0

8.1

7.0

2.3

3.5

3.5

2.3

1.2

56.0 43.8 100.0

26.0 25.0 0.0

2.0 0.0 0.0

8.0 6.3 0.0

2.0 0.0 0.0

0.0 0.0 0.0

4.0 18.8 0.0

0.0 6.3 0.0

0.0 6.3 0.0

2.0 0.0 0.0

문화 예술 교육 관심 부족

14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진로 선택 에 도움 되지 않음

문화 예술 교육 의 다양 한 프로 그램 부족

문화 예술 교육 받을 시간 부족

주변 에서 다른 것을 권함

참여 비용 부담

함께 참여 할 사람 이 없음

무응 답

흥미 가 떨어 져서


1.3.2.2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이유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진로에 도움이 됨이 22.4%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이 늘어남 20.1%, 문화예술교육 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 14.0%, 주변의 권유 12.5%, 시간적 여유가 생김 12.3%, 학 업에 도움이 됨 8.2%, 문화예술교육 선생님이 잘 가르쳐 주어서 6.2% 등의 순으로 나 타남.

<그림 Ⅴ-2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증가 이유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증가에 대해 성별로 살펴보면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음. 여학생은 전체 순위와 동일하지만 남학생은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이 늘어남이 22.5%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시간적 여유가 생김이 20.6%로 나타났음. ㅇ 교급별 특징에서는 중고등학생은 진로에 도움이 됨이 가장 높은 반면 초등학생은 문화예 술교육의 관심이 늘어남이 가장 높은 이유로 확인됨. ㅇ 지역 규모별로는 읍면 지역은 진로에 도움이 되어서와 학업에 도움이 되어서 문화예술교 육 참여시간이 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대도시의 경 우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의 증가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ㅇ 성적 수준이 낮은 학생의 경우 진로에 대한 도움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시간 적 여유로 인한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 로 높으며, 성적 수준이 높은 학생은 학업성적에 도움이 되어서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41


<표 Ⅴ-21>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증가 이유 단위: %, 사례수: 536

권역

성적 수준

가장 적극 적으 로 참여 한 활동 (유형)

10.5

13.4

7.2

6.9

5.6

0.0

0.0

0.0

16.7

15.1

16.1

10.1

11.0

3.2

2.8

11.8

10.9

6.2

3.3

6.2

2.8

22.4

20.1

14.0

12.5

13.4

22.5

11.0

11.5

여성

28.0

19.0

15.9

무응답

33.3

0.0

16.7

11.9

19.7

14.2

26.1

25.1

15.2

무응 답

함께 참여 할 사람 이 생김

참여 비용 부담 이 줄어 듦

재미 있어 서 열심 히 함

학교 에서 운영 해서

6.2

4.3

3.9

2.1

0.9

0.6

6.7

6.7

2.9

1.4

0.5

0.5

2.5

4.4

2.5

1.2

0.6

16.7

16.7

0.0

0.0

0.0

1.8

1.4

0.0

2.8

0.9

0.5

37.9

10.7

10.7

8.7

7.8

8.7

1.0

1.9

8.7

1.0

0.0

1.9

무응답

0.0

25.0

25.0

0.0

0.0

0.0

25.0

25.0

0.0

0.0

0.0

0.0

대도시

20.9

23.3

14.9

12.4

13.3

6.4

5.2

4.0

3.2

2.8

0.0

0.8

중소도시

22.2

17.2

13.6

12.2

13.1

8.1

7.2

5.0

5.9

1.4

1.8

0.5

읍면

28.8

18.2

12.1

13.6

6.1

15.2

6.1

3.0

0.0

1.5

1.5

0.0

서울권

24.0

22.7

13.3

16.0

12.0

6.7

6.7

1.3

4.0

4.0

0.0

0.0

경기권

23.9

17.6

13.2

11.9

11.9

8.8

3.8

4.4

5.0

1.9

0.6

0.0

강원권

10.5

26.3

36.8

0.0

10.5

15.8

15.8

0.0

0.0

0.0

0.0

0.0

충청권

28.8

16.7

12.1

10.6

13.6

7.6

7.6

3.0

3.0

3.0

1.5

0.0

경상권

21.8

17.3

15.5

14.5

11.8

7.3

2.7

5.5

3.6

1.8

2.7

1.8

전라권

17.8

26.2

11.2

12.1

13.1

8.4

10.3

6.5

3.7

0.9

0.0

0.9

23.0

19.1

13.5

12.9

10.7

11.2

7.9

3.4

2.2

0.6

0.6

0.0

21.0

21.0

13.2

13.2

12.1

7.1

5.3

3.6

5.7

2.8

1.4

1.1

26.7

20.0

17.3

9.3

17.3

5.3

4.0

9.3

1.3

2.7

0.0

0.0

0.0

0.0

50.0

0.0

0.0

0.0

50.0

0.0

0.0

0.0

0.0

0.0

무응답 가정 형편 수준

20.6

시간 적 여유 가 생김

남성

지역

8.2

주변 의 권유 로

전체

교급

12.3

진로 에 도움 이 됨

문화 예술 교육 의 프로 그램 이 다양 해짐

구분

성별

학업 에 도움 이 됨

문화 예술 교육 선생 님이 잘 가르 쳐 주어 서

문화 예술 교육 의 관심 이 늘어 남

22.7

18.1

14.8

12.0

14.8

7.9

7.9

4.6

5.1

0.9

0.0

0.0

21.0

22.0

13.6

12.9

11.2

9.1

4.9

4.2

3.1

2.1

1.0

1.0

32.3

19.4

9.7

12.9

6.5

3.2

3.2

3.2

3.2

9.7

6.5

0.0

무응답

33.3

0.0

33.3

0.0

0.0

0.0

33.3

0.0

0.0

0.0

0.0

0.0

음악

19.3

20.6

11.5

16.5

13.8

8.7

8.3

4.1

4.1

2.8

1.4

0.0

미술

22.5

19.8

20.7

12.6

8.1

8.1

6.3

3.6

0.9

5.4

0.0

1.8

디자인

19.2

26.9

15.4

19.2

15.4

3.8

3.8

3.8

0.0

7.7

0.0

0.0

무용

30.5

26.8

20.7

8.5

7.3

4.9

4.9

3.7

2.4

3.7

0.0

0.0

연극/영화 /미디어

32.1

17.9

21.8

15.4

2.6

6.4

6.4

2.6

6.4

3.8

1.3

0.0

문학

16.7

16.7

24.1

24.1

3.7

13.0

3.7

1.9

0.0

3.7

1.9

0.0

통합

14.3

42.9

57.1

0.0

0.0

0.0

0.0

0.0

0.0

0.0

0.0

0.0

14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3.3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ㅇ 학생들이 언급한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으로는 문화예 술교육 시간 증가가 23.5%로 가장 중요하며, 그 다음으로 참여 비용 지원 13.7%, 문 화예술교육 시설의 설치 13.5%,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수 확대 12.2%, 함께 참여 할 참여자 확보 10.4%, 문화예술교육 정보 증가 8.5%,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수준 향 상 6.9%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2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ㅇ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문화예술교육 시간 증가와 참여 비용 지원에 대 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함께 참여할 참여자 확보와 문화예술교육 정보 증가 부분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음. ㅇ 교급에 따라서는 교급이 높아질수록 문화예술교육 시간 증가와 문화예술교육 시설의 설치 지원의 중요도를 많이 언급하며, 함께 참여할 참여자 확보 부분에 있어서의 중요도는 낮 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ㅇ 지역규모에 있어서는 읍면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문화예술교육 시설의 설치, 프로그램 수 확대,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수준 향상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는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이 참여 비용 지원을 다른 집단 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언급하였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43


<표 Ⅴ-22>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단위: %, 사례수: 3,076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구분

문화예 술교육 시간 증가

참여 비용 지원

문화 예술 교육 시설 설치

프로그 램 수 확대

함께 참여할 참여자 확보

문화 예술 교육 정보 증가

교육의 내용 수준 향상

문화 예술 교육 동아리 확대

교육 도구 (재료) 지원

전체

23.5

13.7

13.5

12.2

10.4

8.5

6.9

6.1

5.8

5.5

19.0 26.8 26.8 16.6 23.8 31.1 35.0 26.9 22.6 17.4 23.6 20.1 23.8 23.0 27.0 26.0 24.7 22.1 25.0 30.8 23.0 23.8

10.9 15.8 12.2 11.3 15.2 14.1 20.0 13.4 14.5 11.7 13.8 15.3 10.0 12.7 16.5 8.9 13.4 14.6 12.3 7.7 12.3 13.6

13.8 13.3 12.2 11.8 13.4 16.0 0.0 12.5 13.6 16.0 11.8 13.3 16.2 11.2 16.0 13.4 14.2 13.7 11.8 7.7 14.1 13.2

13.9 11.2 4.9 13.0 14.0 8.7 0.0 11.8 11.4 16.2 8.9 10.7 13.1 13.8 14.6 13.2 12.5 12.6 11.2 0.0 11.9 12.9

11.7 9.6 4.9 14.7 11.0 4.5 0.0 11.4 10.3 8.0 11.1 9.1 13.1 10.9 10.2 11.4 10.6 10.8 9.6 0.0 12.3 9.2

9.6 7.6 9.8 10.1 7.9 7.4 10.0 9.0 8.2 7.5 10.6 7.7 8.5 9.6 7.3 8.5 7.7 8.6 9.4 11.5 7.6 9.2

6.8 7.0 4.9 6.5 6.7 7.7 5.0 7.4 5.5 10.1 7.4 8.1 6.9 6.9 7.0 4.1 8.6 5.9 6.6 3.8 6.3 7.1

6.0 6.2 7.3 6.7 6.4 4.9 10.0 5.6 6.6 6.1 5.2 6.5 3.8 5.1 7.5 6.1 6.2 5.9 6.6 7.7 6.5 5.8

5.2 6.3 4.9 6.1 6.5 4.4 5.0 4.8 6.2 7.3 3.4 4.9 13.1 5.4 7.5 5.9 5.8 5.7 6.4 0.0 6.4 5.7

23.3 27.3

23.8 6.1

13.9 9.1

9.4 6.1

12.4 3.0

5.9 9.1

8.9 3.0

6.9 6.1

4.5 0.0

남성 여성 무응답 초 중 고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14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지역사회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확대

무응답

학업 부담 줄여야 함

4.6

2.2

0.8

4.6 6.2 2.4 5.7 5.5 5.4 0.0 5.3 5.2 7.0 6.4 5.2 0.8 7.1 5.1 5.5 5.8 5.6 4.8 0.0 6.9 4.5

4.5 4.7 2.4 4.6 4.1 5.3 0.0 4.4 4.5 5.2 5.2 3.8 1.5 6.3 5.4 3.7 5.3 3.7 5.2 7.7 4.9 4.1

2.4 1.9 12.2 2.8 1.9 1.8 15.0 2.5 2.3 1.4 2.2 2.0 2.3 0.9 3.1 2.8 1.5 2.0 3.5 19.2 2.1 2.2

0.3 1.2 0.0 0.1 0.8 1.6 0.0 1.2 0.6 0.7 1.2 0.8 0.8 0.2 0.9 0.8 1.2 0.7 0.4 0.0 0.7 0.9

8.4 0.0

5.9 12.1

1.0 18.2

0.5 0.0

교육 교․강사 수준 향상


1.3.4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학생들이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대체적으로 교육 분야에 고른 응답 을 보이고 있는데, 1순위로는 대중음악(밴드/보컬/기타(guitar)) 13.0%, 만화/웹툰/애니 메이션 10.0%, 대중무용(K_POP/방송댄스) 8.6%, 서양악기 7.7%, 영화(UCC 제작) 4.7%로 상위 선호 분야로 응답하였음.

<그림 Ⅴ-23> 학생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상위 10순위

ㅇ 학생의 성별 선호도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두 집단 모두 대중음악의 선호도는 높지만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대중무용(K_POP/방송댄스)보다는 만화/웹툰/애니메이션과 영화 (UCC 제작)의 욕구가 높은 반면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영화(UCC 제작) 선호도는 낮고 대 중무용(K_POP/방송댄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됨. ㅇ 교급이 높을수록 대중음악의 선호도가 높아지며 만화애니메이션의 선호도는 낮아짐.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45


<표 Ⅴ-23> 학생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순위(상위 12위) 단위: %, 사례수: 3,076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구분

대중 음악

만화/웹 툰/애니 메이션

대중 무용

서양 악기

영화 (UCC 제작)

뮤지컬

전체

13.0

10.0

8.6

7.7

4.7

3.9

남성 여성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14.6 11.8 9.8 6.1 16.4 15.5 15.0 14.5 11.8 12.7 13.8 11.8 20.8 12.3 15.7 9.6 13.8 12.1 13.8 11.5 13.4 12.7 13.9 9.1

14.2 6.9 9.8 14.1 10.2 5.2 0.0 9.5 10.9 8.7 8.9 8.9 12.3 8.9 12.9 9.8 10.3 10.8 7.6 3.8 9.6 10.3 9.9 9.1

4.5 11.4 17.1 10.6 7.6 7.9 15.0 9.1 8.7 7.3 6.9 9.0 9.2 7.1 9.0 10.2 8.2 8.8 8.5 19.2 8.6 8.3 9.9 18.2

7.1 8.1 4.9 8.5 6.0 9.7 0.0 6.6 9.1 5.9 5.4 7.1 4.6 10.5 7.0 9.8 9.1 7.4 5.9 3.8 6.9 8.5 5.0 6.1

7.5 2.7 4.9 5.9 4.6 3.5 5.0 5.1 4.5 4.5 5.4 3.5 4.6 4.7 5.4 5.7 4.2 5.1 4.8 3.8 5.0 4.6 4.0 6.1

3.1 4.5 0.0 2.6 3.4 6.3 0.0 4.0 3.3 5.4 3.0 5.5 1.5 4.7 2.8 2.6 2.9 4.6 3.9 0.0 3.4 4.1 4.5 0.0

14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드로잉/ 스케치

금속 /비즈 /주얼리 공예

건축/ 환경 디자인

연극

오케스 트라

전통 악기

3.7

3.6

3.3

3.3

3.2

3.0

3.0 4.4 0.0 3.7 4.1 3.3 0.0 3.9 3.7 3.3 5.2 2.8 1.5 4.5 3.1 5.1 2.8 4.1 4.8 0.0 3.0 4.1 4.5 3.0

4.1 3.3 2.4 4.2 3.4 3.1 5.0 2.9 3.9 4.5 3.2 3.9 2.3 6.9 2.3 2.4 3.4 3.7 3.9 3.8 3.7 3.6 3.5 3.0

3.2 3.5 0.0 2.6 3.7 3.8 0.0 4.3 2.4 3.8 4.9 3.3 4.6 3.1 3.9 1.2 4.4 2.7 3.3 0.0 3.3 3.4 4.0 0.0

3.5 3.2 2.4 2.4 3.7 4.0 0.0 4.3 3.2 1.2 6.7 2.6 2.3 2.5 2.2 4.7 3.2 2.9 5.0 0.0 3.1 3.3 5.4 0.0

0.5 5.2 2.4 3.8 3.3 2.5 0.0 2.5 3.7 3.5 2.7 3.5 4.6 1.3 3.7 3.9 2.2 3.9 3.3 0.0 3.0 3.6 2.0 0.0

4.5 1.9 2.4 2.8 3.1 3.1 0.0 3.0 3.1 2.6 2.2 3.0 2.3 3.1 2.8 3.9 3.6 2.3 4.1 0.0 3.1 3.1 2.5 0.0


<표 Ⅴ-24> 학생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2+3순위(상위 12위)/복수응답 단위: %, 사례수: 3,076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구분

대중 음악

만화/웹 툰/애니 메이션

대중 무용

영화 (UCC 제작)

서양 악기

뮤지컬

드로잉/ 스케치

연극

사진

금속/비 즈/주얼 리 공예

시각/영 상 디자인

전체

26.3

25.8

21.7

16.0

15.5

13.1

12.2

11.9

12.0

11.3

10.1

9.6

27.1 25.8 19.5 15.6 30.5 32.2 20.0 27.0 25.6 26.5 22.9 25.0 33.1 27.7 29.7 24.0 27.7 24.9 27.4 23.1 24.7 26.7 31.2 21.2

35.6 18.8 24.4 34.0 27.2 14.2 15.0 25.3 26.7 24.4 24.9 26.0 25.4 28.6 25.0 25.0 27.2 26.3 22.7 15.4 27.5 25.4 22.8 18.2

12.4 28.2 29.3 21.9 21.4 21.9 20.0 21.2 22.7 19.2 17.7 23.5 21.5 19.9 22.5 21.7 21.8 21.7 20.8 26.9 21.6 21.2 24.8 27.3

24.2 10.0 17.1 18.5 15.0 14.6 15.0 16.3 16.0 14.8 15.8 13.8 16.9 17.4 15.7 19.1 17.1 15.8 14.4 15.4 16.4 16.2 10.9 18.2

15.5 15.7 7.3 16.7 13.1 18.5 0.0 14.7 17.0 12.7 12.8 14.1 10.8 16.7 16.8 18.9 18.1 14.8 13.1 7.7 14.0 16.8 11.9 15.2

10.2 15.4 2.4 9.7 12.7 17.9 5.0 13.6 12.1 14.8 13.1 15.8 7.7 13.2 13.7 8.3 11.9 14.0 13.3 3.8 11.8 13.2 19.8 3.0

10.2 13.8 4.9 12.4 13.4 10.2 5.0 12.0 12.7 11.3 12.3 11.3 10.0 14.3 11.3 13.6 9.6 14.5 11.2 0.0 10.0 13.6 12.9 3.0

12.6 11.4 9.8 13.0 10.2 13.3 10.0 11.1 12.3 12.7 11.8 13.4 8.5 14.5 9.3 11.0 11.9 11.7 12.7 7.7 11.5 12.0 13.9 9.1

10.6 13.2 4.9 8.5 13.4 14.1 5.0 10.0 13.4 13.1 11.1 11.8 13.8 14.1 11.3 11.6 11.3 12.7 11.6 7.7 11.4 12.2 13.4 12.1

3.8 17.0 2.4 12.2 11.0 10.9 0.0 9.6 11.9 13.8 7.9 10.9 19.2 8.7 13.5 12.2 8.5 13.4 11.0 0.0 11.6 11.9 6.4 0.0

9.3 10.8 9.8 5.4 10.3 15.5 15.0 10.5 9.5 11.5 10.1 10.4 6.2 9.4 12.3 8.7 9.1 10.4 11.4 7.7 9.7 10.3 11.9 6.1

13.2 6.9 12.2 8.2 10.6 9.6 10.0 9.8 9.8 8.5 9.6 9.6 9.2 8.7 9.3 10.8 10.0 9.1 10.1 11.5 9.3 9.8 9.4 9.1

남성 여성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건축/ 환경 디자인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47


1.3.5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ㅇ 학생들이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장소는 학교가 45.5%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학 원 22.4%, 문화기반시설 17.0%, 청소년시설 9.0%, 지역문화 복지시설 4.6% 등의 순 으로 나타남.

<그림 Ⅴ-24>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ㅇ 성별 차이에 있어서는 남학생은 학교 선호도가 여학생에 비해 높은 반면, 여학생은 남학생 에 비해 학원과 문화기반시설의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됨. ㅇ 교급별 차이에서도 교급이 높을수록 학교 선호도는 낮아지고 문화기반시설과 청소년시설 의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음. ㅇ 지역규모에 따라서는 읍면 지역은 학교와 문화시설기반의 선호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높 았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학원과 문화기반시설의 선호도는 낮고, 청소년시설의 선호 도는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14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25>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단위: %, 사례수: 3,076

성별

교급

지역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구분

학교

학원

문화 기반 시설

전체

45.5

22.4

17.0

청소년 시설 9.0

지역 문화 복지 시설

종교 시설

4.6

1.5

무응답

1.4

0.8

남성

52.0

16.7

15.2

8.2

4.5

1.6

1.6

1.0

여성

41.3

26.9

18.0

9.6

4.7

1.5

0.8

0.6

무응답

22.0

7.3

29.3

12.2

4.9

0.0

24.4

0.0

49.3

27.5

11.5

4.7

4.0

1.6

1.3

1.6

50.2

19.5

14.8

9.8

5.0

1.6

1.4

0.5

33.2

21.5

27.4

13.0

4.7

1.3

0.9

0.4

무응답

40.0

5.0

5.0

10.0

5.0

0.0

35.0

0.0

대도시

44.4

22.8

17.3

9.5

4.7

1.7

1.8

0.8

중소도시

44.0

24.9

15.7

8.9

4.8

1.5

1.2

0.8

읍면

53.5

12.7

20.4

8.2

3.5

1.2

0.9

0.7

서울권

44.3

25.1

11.3

11.1

5.2

2.2

1.7

1.0

경기권

41.7

21.8

20.0

9.1

6.0

1.4

1.5

0.4

강원권

52.3

20.0

10.8

11.5

1.5

2.3

0.8

0.8

충청권

44.0

20.3

18.1

9.4

6.3

2.0

0.9

1.1

경상권

46.6

22.4

18.9

9.2

3.4

1.1

1.9

0.8

전라권

51.8

24.0

13.8

6.1

2.4

1.0

1.2

1.0

45.8

23.6

16.0

8.7

5.0

1.6

0.8

1.2

45.1

22.3

18.2

9.0

4.3

1.3

1.1

0.6

46.8

21.0

15.7

9.6

4.8

2.0

2.0

0.6

무응답

23.1

11.5

11.5

15.4

3.8

0.0

34.6

0.0

44.3

24.5

16.3

9.1

4.6

1.6

1.1

1.1

46.5

22.0

18.0

8.2

4.5

1.2

1.1

0.6

45.0

17.3

12.4

15.3

6.4

3.5

1.0

0.5

무응답

33.3

9.1

9.1

12.1

3.0

0.0

33.3

0.0

음악

42.4

30.4

13.0

6.2

4.5

2.8

1.7

1.3

미술

44.2

27.8

15.1

7.1

5.0

1.3

1.1

1.1

디자인

39.4

25.4

9.9

8.5

7.0

7.0

1.4

2.8

무용

48.5

23.8

11.2

10.4

5.0

2.7

1.2

0.4

연극/영화 /미디어

47.3

14.9

22.4

8.5

3.2

2.8

1.8

1.4

문학

42.7

20.8

19.1

9.0

6.2

3.9

1.1

1.7

통합

44.8

17.2

17.2

10.3

3.4

10.3

0.0

0.0

기타

28.6

42.9

14.3

14.3

0.0

0.0

0.0

0.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49


1.3.6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ㅇ 학생들이 향후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경우 함께 참여하고 싶은 사람에 대해서는 친구 가 79.6%로 월등히 높고, 그 다음으로 혼자 9.8%, 부모님/ 형제자매의 가족과의 참여 희망은 7.2%, 동아리 회원 3.3%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25>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ㅇ 성별 현황에서는 여학생이 부모님/ 형제자매의 가족과의 참여 희망이 남학생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별 차이에서는 전반적으로 친구와의 참여 선호도가 높으나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님/ 형제자매의 가족과의 참여 희망이 다른 교급에 비해 높으며, 고등학생의 경우 혼자 참여 선호가 다른 교급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성적 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혼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부모님, 형제자매 등의 가족과의 참여 선호도는 낮게 나타남.

15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26>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단위: %, 사례수: 3,076

부모님/ 형제자매

동아리 회원

그 외 가족/ 친척

구분

친구

혼자

전체

79.6

9.8

7.2

3.3

1.1

1.3

남성

79.3

9.8

6.5

3.2

1.1

1.3

여성

80.2

9.7

7.8

3.4

1.2

0.9

무응답

65.9

9.8

2.4

0.0

0.0

22.0

초등학생

78.8

7.7

11.6

1.7

2.4

1.1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무응답

중학생

81.1

9.2

5.5

4.5

0.5

1.4

고등학생

79.0

13.0

4.9

3.1

0.5

0.9

무응답

50.0

20.0

0.0

0.0

5.0

25.0

대도시

79.5

10.0

7.6

3.2

0.7

1.6

중소도시

79.7

9.9

6.4

3.1

1.6

1.2

읍면지역

79.8

8.5

8.7

4.0

0.7

0.9

서울권

74.6

14.0

8.4

2.2

1.2

2.0

경기권

80.3

8.3

6.6

3.5

1.0

1.3

강원권

83.1

4.6

10.8

3.8

0.8

0.8

충청권

75.4

12.1

6.5

4.0

2.0

1.1

경상권

81.1

8.9

7.6

4.0

1.1

1.4

전라권

83.3

9.6

6.5

1.8

0.6

1.0

79.3

10.3

8.0

2.6

1.0

0.8

82.0

8.2

7.2

3.1

1.1

1.0

75.0

12.9

5.9

5.0

1.7

1.7

무응답

50.0

15.4

3.8

0.0

0.0

30.8

79.2

9.3

9.5

2.3

1.2

1.1

80.9

9.6

6.3

3.3

1.1

0.9

74.3

13.4

4.0

6.9

1.5

1.0

무응답

54.5

12.1

0.0

6.1

0.0

30.3

음악

77.0

10.6

8.7

3.3

2.2

1.3

미술

78.6

6.9

9.8

4.8

2.4

1.1

디자인

77.5

11.3

9.9

2.8

5.6

0.0

무용

80.8

8.5

6.9

5.8

1.5

1.2

연극/영화/ 미디어

79.4

7.1

7.1

5.0

5.0

1.4

문학

77.5

10.7

8.4

1.7

3.4

0.6

통합

82.8

0.0

6.9

3.4

3.4

0.0

기타

85.7

14.3

14.3

0.0

0.0

0.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51


1.3.7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ㅇ 학생들의 향후 참여할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은 실습/표현형이 44.3%로 가장 높 고, 그 다음으로 체험형 28.2%, 관람/감상형 12.7%, 창작/제작형 9.5%, 강의 교육형 이 8.0%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26>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실습/표현형(악기연주, 무용‧ 사진배우기 등)의 선호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됨. ㅇ 교급별 차이에서는 전반적으로 교급이 높아질수록 실습/표현형의 선호도가 높아지며, 체험 형(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배우는 체험형 활동)의 선호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ㅇ 지역규모에 따라서는 읍면 지역이 실습/표현형 교육의 선호도가 높고, 체험형의 선호도는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음.

[문화예술교육 방식] -강의 교육형 강의 형태교육 -관람/감상형 독서, 영화·연극 관람, 미술·음악감상 등 -체험형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배우는 체험 활동 등 -실습/표현형 악기연주, 무용·사진배우기 등 -창작/제작형 영화제작·창작무용·문학발표회 등

15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27> 학생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단위: %, 사례수: 3,076

실습/ 표현형

체험형

관람/ 감상형

44.3

28.2

12.7

9.5

8.0

1.4

0.2

남성

33.2

30.8

15.6

11.2

10.2

1.5

0.4

여성

53.0

26.0

10.5

8.3

6.4

0.9

0.1

무응답

22.0

39.0

19.5

4.9

4.9

19.5

0.0

초등학생

36.7

30.9

11.5

12.8

10.3

0.9

0.2

중학생

45.9

27.9

13.2

7.8

7.1

1.8

0.3

고등학생

51.6

25.2

13.3

8.2

6.8

0.6

0.0

무응답

15.0

30.0

15.0

10.0

5.0

25.0

0.0

대도시

42.6

30.2

13.0

9.0

8.1

1.7

0.1

중소도시

43.5

27.5

12.7

10.0

8.7

1.2

0.3

읍면지역

52.1

24.6

12.0

9.2

5.2

1.2

0.2

서울권

38.2

33.7

9.4

6.9

12.3

2.5

0.0

경기권

44.2

26.3

12.7

9.5

9.0

1.3

0.1

강원권

44.6

25.4

16.2

5.4

5.4

2.3

0.8

충청권

47.8

27.0

12.7

8.9

5.8

0.7

0.4

경상권

46.0

29.5

13.4

11.8

5.3

1.1

0.3

전라권

44.1

27.2

13.8

10.0

8.7

1.4

0.0

구분 전체 성별

교급

지역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창작/ 제작형

강의 교육형

무응답

없음

46.2

26.1

12.5

10.8

8.5

0.7

0.1

43.6

29.0

13.4

9.4

7.6

1.1

0.2

43.6

29.8

11.0

7.4

8.1

2.2

0.4

100.0

0.0

0.0

0.0

0.0

0.0

0.0

무응답

19.2

23.1

15.4

7.7

7.7

26.9

0.0

없음 상

39.6

28.9

14.2

11.2

9.2

1.1

0.1

46.6

28.2

12.2

8.5

7.0

1.2

0.2

52.0

24.8

8.9

9.4

11.4

0.5

0.5

무응답

24.2

24.2

15.2

6.1

3.0

27.3

0.0

음악

55.8

23.9

8.2

8.0

6.9

1.7

0.2

미술

42.9

32.8

8.2

13.5

7.9

0.8

0.5

디자인

39.4

40.8

9.9

14.1

8.5

0.0

1.4

무용

53.8

26.9

5.8

11.2

8.1

1.5

0.0

연극/영화 /미디어

36.7

32.0

13.5

14.9

5.7

2.8

0.7

문학

32.6

36.0

17.4

11.2

13.5

1.1

1.1

통합

41.4

41.4

6.9

20.7

10.3

0.0

0.0

기타

42.9

42.9

0.0

14.3

14.3

0.0

0.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53


1.4 문화예술행사 참여 경험 1.4.1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ㅇ 학생들이 지난 1년 동안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은 대중음악 관람이 평균 16.2회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영화관 관람이 7.3회, 미술전시회, 무용공연 2.4회, 문학행사, 클래식음악회/오페라, 전통예술공연, 연극공연, 뮤지컬공연은 평균 2회 정도 관람한 것 으로 나타남. <그림 Ⅴ-27>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미술전시회, 클래식 음악회, 무용공연 등의 관람 횟수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에 따라서는 고등학생들이 다른 교급에 비해 무용 공연 관람 외 문화예술행사의 참여 가 상대적으로 낮았음. ㅇ 지역규모에 따라서는 대도시의 학생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전반적으로 문화예술행사의 참 여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가정경제적 수준은 낮은 집단이 클래식음악회 외에 다른 문화예술행사 관람의 참여횟수가 낮았음. ㅇ 지난 1년간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에 비해 문 화예술행사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15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28>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단위: 횟수, 사례수: 3,076

문학 행사

미술 전시 회

클래 식음 악회/ 오페 라

전통 예술 공연

연극 공연

뮤지 컬공 연

무용 공연

2.1

2.4

2.1

2.1

2.0

2.0

2.4

2.1

2.2

1.8

2.1

1.9

2.2

여성

2.1

2.5

2.3

2.1

2.1

무응답

2.0

2.0

2.0

1.2

1.8

초등학생

2.4

2.7

2.3

2.3

2.4

중학생

2.0

2.3

2.1

1.9

고등학생

1.8

1.8

1.9

1.8

구분 전체 남성 성별

교급

지역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1년간 교육 참여 여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영화 관 상영 영화

대중 음악

기타

7.3

16.2

3.0

1.7

7.5

16.2

4.3

1.9

2.8

7.3

16.3

2.5

2.0

1.0

3.1

2.0

1.0

2.5

2.1

8.7

20.5

2.1

1.8

1.8

2.3

7.0

14.5

4.9

1.6

1.8

3.4

6.0

14.3

2.8

무응답

1.0

1.3

1.0

1.3

3.0

2.7

34.3

1.0

대도시

2.6

2.6

2.4

2.1

2.3

2.5

2.5

7.8

18.6

4.6

중소도시

1.7

2.2

1.9

2.1

1.8

1.8

2.4

7.0

14.7

1.7

읍면지역

1.7

2.0

1.7

2.0

1.8

1.7

2.1

7.1

14.2

1.5

서울권

2.9

3.2

2.1

1.8

2.5

2.7

1.9

8.1

17.7

9.7

경기권

1.7

2.0

2.0

2.0

1.7

1.9

2.3

7.5

16.6

2.2

강원권

1.3

2.0

1.6

1.4

1.9

1.6

2.4

7.4

7.6

1.5

충청권

2.5

2.6

2.1

2.6

2.0

1.7

2.8

5.9

14.8

1.0

경상권

2.4

2.5

2.6

2.4

2.3

2.1

2.5

8.1

13.5

3.0 2.2

전라권

1.7

1.9

2.0

2.1

1.8

2.0

2.9

6.6

22.5

2.3

2.5

2.1

2.2

2.1

2.1

2.4

8.2

17.7

2.1

2.0

2.4

2.1

2.0

2.0

2.0

2.2

6.9

16.5

4.6

2.0

1.9

2.0

2.2

1.9

1.9

3.3

6.5

12.8

1.0

무응답

2.3

2.5

3.0

3.0

2.3

2.3

3.0

4.6

3.0

1.0

2.2

2.5

2.0

2.3

2.1

2.4

2.4

8.2

16.1

2.2

2.1

2.2

2.1

2.0

2.0

1.8

2.5

7.0

16.5

3.9

1.9

2.0

2.3

1.3

1.4

1.4

1.5

5.5

14.9

3.0

무응답

2.3

2.5

4.0

3.0

2.3

2.3

3.0

4.9

3.0

1.0

있음

2.2

2.5

2.3

2.2

2.2

2.3

2.4

8.3

17.9

3.9

없음

1.8

2.0

1.6

1.8

1.6

1.6

2.3

6.0

14.3

1.4

음악

2.2

2.4

2.5

2.3

2.0

2.5

1.9

8.7

17.3

2.5

미술

2.5

3.2

2.4

2.3

2.2

3.2

2.0

8.0

24.6

2.5

디자인

3.5

4.3

2.9

3.2

1.8

7.0

2.4

9.1

10.5

2.0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2.4

2.8

2.4

2.5

2.2

2.2

3.0

9.6

26.2

2.0

1.9

2.6

2.2

2.4

2.2

3.3

2.9

8.2

22.4

1.3

2.7

3.0

2.5

2.7

3.8

2.1

2.0

9.4

8.5

1.5

통합

2.2

4.5

2.7

1.5

1.6

2.0

1.0

6.4

10.0

기타

2.0

1.0

1.7

2.0

2.5

3.3

2.0

9.8

4.8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55


1.4.2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ㅇ 학생들이 지난 1년 동안 참여한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는 영화관 상영 영화가 5.7회 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대중음악 평균 4.3회, 무용공연 4.2회, 클래식 음악회/ 오 페라 2.3회, 미술전시회와 전통 예술공연 각각 2.0회, 문학행사 연극공연 뮤지컬 공연 이 각각 1.9회로 나타남. <그림 Ⅴ-28>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영화관 상영 영화, 대중음악의 참여 횟수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에 따라서는 고등학생들이 다른 교급에 비해 미술전시회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문화 예술행사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ㅇ 지역규모에 따라서는 대도시의 학생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전반적으로 문화예술행사의 참 여가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ㅇ 지난 1년간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에 비해 문 화예술행사의 참여 횟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15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29> 학생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단위: 횟수, 사례수: 3,076

문학 행사

미술 전시 회

클래 식음 악회/ 오페 라

전통 예술 공연

연극 공연

뮤지 컬공 연

무용 공연

영화 관 상영 영화

대중 음악

기타

1.9

2.0

2.3

2.0

1.9

1.9

4.2

5.7

4.3

2.9

남성

2.1

2.0

2.2

1.9

2.1

1.9

2.4

4.8

2.1

1.4

여성

1.8

2.1

2.4

2.1

1.8

1.8

5.1

7.5

6.2

3.3

무응답

1.0

2.0

1.0

1.0

1.0

1.0

초등학생

2.0

2.3

2.2

2.2

2.0

2.0

2.4

5.8

5.5

2.7

중학생

1.8

1.8

2.3

1.8

1.6

1.6

6.1

4.6

1.9

2.7

고등학생

2.3

1.9

2.6

2.4

3.4

2.4

4.9

7.9

6.6

3.5

구분

전체 성별

교급

지역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1년간 교육참 여여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무응답

1.0

대도시

2.3

2.3

2.7

2.2

2.3

2.2

3.1

6.3

8.1

3.7

중소도시

1.7

1.8

1.7

1.9

1.6

1.6

6.1

6.2

1.6

1.9

읍면지역

1.8

1.7

2.3

2.1

2.0

1.9

2.9

3.6

2.0

1.0

서울권

1.5

3.0

3.6

2.3

2.7

1.5

2.5

6.3

10.9

3.0

경기권

1.7

1.8

2.3

1.7

1.4

2.1

6.9

6.6

1.7

2.4

강원권

1.4

1.8

1.6

2.3

2.1

2.5

2.0

4.5

1.0

1.0

충청권

2.7

1.6

2.1

2.4

1.6

1.5

2.2

2.8

3.1

1.7

경상권

2.3

2.4

2.3

1.9

2.5

2.2

4.0

6.8

6.8

4.4

전라권

1.6

1.8

2.0

2.2

1.9

1.8

4.1

5.6

2.7

3.3

2.0

2.2

2.1

2.3

2.2

2.3

3.2

6.9

4.7

2.4

1.4

2.0

2.5

1.9

1.9

1.7

2.1

4.9

4.8

4.0

3.7

1.7

1.9

1.9

1.6

1.2

9.6

5.3

1.8

1.7

무응답

5.0

5.0

5.0

5.0

5.0

5.0

5.0

5.0

5.0

2.1

2.1

2.2

2.4

2.0

2.2

2.3

5.3

1.9

2.0

1.8

2.0

2.4

1.9

1.9

1.7

3.1

5.9

6.1

3.5

1.8

1.7

1.8

1.0

1.3

1.1

16.9

6.1

1.5

2.0

무응답

5.0

5.0

5.0

5.0

5.0

5.0

5.0

5.0

5.0

있음

2.0

2.1

2.4

2.2

2.0

2.1

4.6

5.3

4.2

3.1

없음

1.5

1.5

1.4

1.8

1.4

1.3

1.6

6.1

2.0

2.0

음악

2.0

2.1

2.4

2.2

1.9

2.0

2.2

5.1

2.3

3.3

미술

1.8

2.7

2.4

1.9

2.4

1.9

2.1

6.1

10.8

2.0

디자인

1.9

3.4

2.1

2.3

1.7

1.8

4.0

5.2

1.0

2.0

무용

1.7

2.5

2.8

2.2

1.9

2.6

6.8

4.3

2.2

3.5

연극/영화 /미디어

1.4

2.6

1.9

1.9

2.1

2.6

2.6

6.9

1.9

1.5

문학

2.3

2.8

2.1

1.9

2.5

1.3

1.4

3.9

2.5

1.5

통합

2.0

5.2

2.3

1.5

1.6

2.3

1.0

6.5

1.0

기타

4.0

1.5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57


1.5 문화예술교육 효과 인식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의 인식, 즉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심리 및 정서적 안정, 진로 및 학습, 대인관계 및 공동체 의식, 삶의 질, 행복감 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청소년들이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한 분야는 문화예술은 즐거움을 준다에 3.87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음.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은 나를 행복하게 해 준다에 3.81점, 내 삶에 활력을 불어넣어준다 3.73점을 나타냈음. 청소년들은 문화예술 교육이 성적향상에 도움을 준다 부분에 3.25점의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고, 그 다 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자신이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준다는 부분에 있어 3.40점의 점수를 부여하였음.

<그림 Ⅴ-29>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인식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비교적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음 을 알 수 있음. ㅇ 교급별 차이에서는 전반적으로 중학생들이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에 대한 응답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음. ㅇ 학업성적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 인식이 높 게 나타남.

15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30>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효과 인식 단위: 5점 기준, 사례수: 3,076

구분

전체 남성 성별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나의 스트레 스를 줄여줌

상상력이 풍부해 지는데 도움이 됨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 는데 도움이됨

마음을 편안하 게 해줌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됨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됨

다른 사람들 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는데 도움이됨

나 자신을 이해하 는 데 도움이 됨

주변 사람들을 하나가 되도록 도와줌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

나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킴

나를 행복 하게 해줌

즐거움 을 줌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줌

3.61

3.71

3.54

3.72

3.60

3.25

3.68

3.70

3.58

3.40

3.72

3.81

3.87

3.73

3.46

3.63

3.49

3.59

3.45

3.23

3.61

3.58

3.52

3.37

3.62

3.64

3.72

3.62

여성

3.73

3.78

3.57

3.81

3.71

3.25

3.73

3.80

3.62

3.43

3.80

3.93

3.97

3.81

무응답

3.48

3.48

3.48

3.57

3.48

3.30

3.52

3.57

3.48

3.09

3.83

3.57

3.52

3.48

초등학생

3.55

3.76

3.52

3.69

3.64

3.37

3.70

3.74

3.55

3.37

3.71

3.82

3.91

3.75

중학생

3.58

3.62

3.49

3.67

3.56

3.21

3.64

3.68

3.57

3.43

3.66

3.74

3.79

3.66

고등학생

3.76

3.82

3.64

3.84

3.62

3.17

3.74

3.72

3.64

3.40

3.85

3.90

3.94

3.82

무응답

3.00

3.29

2.86

3.14

2.57

2.86

2.86

2.57

2.86

2.43

3.57

2.43

2.29

2.43

대도시

3.66

3.76

3.59

3.77

3.62

3.25

3.74

3.77

3.68

3.50

3.81

3.86

3.91

3.80

중소도시

3.58

3.66

3.47

3.66

3.57

3.22

3.61

3.63

3.49

3.32

3.66

3.77

3.83

3.67

읍면지역

3.61

3.79

3.63

3.75

3.63

3.32

3.74

3.77

3.60

3.40

3.72

3.77

3.84

3.70

서울권

3.55

3.65

3.53

3.68

3.54

3.31

3.65

3.66

3.67

3.49

3.75

3.81

3.85

3.72

경기권

3.67

3.81

3.59

3.78

3.66

3.36

3.73

3.77

3.59

3.36

3.77

3.85

3.91

3.79

강원권

3.42

3.38

3.26

3.48

3.28

2.88

3.38

3.43

3.29

3.22

3.48

3.65

3.71

3.45

충청권

3.52

3.62

3.46

3.63

3.48

3.17

3.59

3.63

3.52

3.32

3.64

3.72

3.74

3.63

경상권

3.72

3.80

3.61

3.80

3.67

3.25

3.74

3.78

3.64

3.52

3.80

3.87

3.95

3.79

전라권

3.55

3.64

3.48

3.66

3.62

3.14

3.69

3.65

3.53

3.36

3.65

3.75

3.83

3.69

3.71

3.80

3.61

3.80

3.64

3.35

3.78

3.76

3.69

3.50

3.86

3.91

3.96

3.84

3.59

3.70

3.53

3.72

3.59

3.22

3.67

3.70

3.55

3.39

3.70

3.79

3.85

3.69

3.51

3.59

3.42

3.56

3.55

3.12

3.53

3.60

3.44

3.24

3.54

3.67

3.74

3.61

무응답

3.50

3.88

3.75

3.75

3.38

3.13

3.75

3.63

3.63

3.50

4.50

3.50

3.38

3.5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59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3.64

3.75

3.57

3.75

3.62

3.32

3.71

3.75

3.60

3.46

3.77

3.84

3.90

3.78

3.60

3.69

3.52

3.71

3.58

3.20

3.66

3.68

3.57

3.38

3.69

3.79

3.85

3.70

3.61

3.73

3.53

3.62

3.65

3.28

3.69

3.76

3.57

3.31

3.74

3.85

3.86

3.67

무응답

3.40

3.47

3.47

3.33

3.40

3.07

3.64

3.07

3.40

3.13

3.93

3.33

3.20

3.40

음악

3.74

3.79

3.60

3.81

3.71

3.39

3.80

3.82

3.68

3.48

3.86

3.97

4.03

3.90

미술

3.73

3.95

3.65

3.80

3.83

3.41

3.69

3.89

3.56

3.43

3.81

3.94

3.98

3.84

디자인

3.68

3.86

3.56

3.77

3.63

3.35

3.61

3.77

3.49

3.41

3.70

3.83

3.85

3.76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3.88

3.93

3.75

3.96

3.95

3.51

3.99

4.09

3.85

3.62

3.93

4.13

4.17

4.02

3.74

3.88

3.70

3.82

3.78

3.42

3.81

3.86

3.70

3.57

3.82

3.96

4.02

3.87

3.71

3.92

3.62

3.77

3.77

3.50

3.80

3.87

3.60

3.46

3.84

3.84

3.95

3.85

통합

3.38

3.66

3.48

3.62

3.86

3.28

3.76

4.07

3.62

3.41

3.66

3.66

3.86

3.93

16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 학교 밖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설문 조사 결과 2.1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 현황 2.1.1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ㅇ 설문 응답자들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는 초등학교 재학 중이 29.2%로 가장 높 았으며, 그 다음이 고등학교 재학 중이 18.2%, 중학교 재학 중 15.8%, 초등학교 입학 전 9.2%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Ⅴ-3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ㅇ 지금까지 한 번도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고 응답한 청소년은 26.5%로 나타나 조 사대상의 1/4 정도가 교육받은 경험이 없었음. ㅇ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에 비해 초등학교 전(만 7세 미만)에 참여율이 약 2.5% 정도 높았으며,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만 16세 이상(고등학교 재학 연령) 교육받은 경험이 약 12% 정도 다소 높았음. ㅇ 성적 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기가 늦었으며 가정형편이 좋지 않을수록 문화 예술교육 참여시기가 늦음을 알 수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61


<표 Ⅴ-3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단위: %, 사례수: 411

초등학교 입학전 (만7세 미만)

초등학교 재학중 (만7세~ 13세미만)

중학교 재학중 (만13세~ 15세)

고등학교 재학중 (만16세~ 18세)

교육받은 경험 없음

9.2

29.2

15.8

18.2

26.5

1.0

남성

7.9

26.7

12.9

24.3

27.7

0.5

여성

10.6

31.9

18.4

12.6

25.1

1.4

0.0

0.0

50.0

0.0

50.0

0.0

16.7

58.3

8.3

0.0

16.7

0.0

7.1

38.1

11.9

16.7

25.0

1.2

10.6

25.6

15.9

16.7

30.5

0.8

6.3

26.6

21.9

29.7

14.1

1.6

15.5

20.7

15.5

19.0

27.6

1.7

9.1

40.0

14.5

12.7

23.6

0.0

1년-2년 미만

14.0

28.1

14.9

9.9

32.2

0.8

2년-3년 미만

3.8

34.0

13.2

22.6

26.4

0.0

3년 이상

2.1

27.1

16.7

18.8

33.3

2.1

모름/ 무응답

5.6

28.2

19.7

32.4

12.7

1.4

서울권

9.1

30.3

3.0

33.3

21.2

3.0

경기권

15.9

36.4

13.6

13.6

20.5

0.0

강원권

4.3

47.8

39.1

8.7

0.0

0.0

충청권

7.4

29.4

14.7

25.0

22.1

1.5

경상권

8.1

30.9

14.6

14.6

30.1

1.6

전라권

10.0

20.8

17.5

17.5

34.2

0.0

12.5

27.5

12.5

16.3

31.3

0.0

11.3

30.6

13.8

20.6

21.9

1.9

6.0

28.6

18.5

17.3

29.2

0.6

모름/ 무응답

0.0

33.3

66.7

0.0

0.0

0.0

9.3

18.6

18.6

14.0

39.5

0.0

11.6

28.9

15.5

16.8

25.9

1.3

5.4

34.1

14.7

21.7

23.3

0.8

모름/ 무응답

0.0

14.3

28.6

28.6

28.6

0.0

구분

전체

성별

모름/ 무응답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모름/ 무응답 6개월

미만

6개월-1년 미만 중단 기간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16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모름/ 무응답


2.1.2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ㅇ 학교 정규 수업 이외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을 받도록 권유한 사람에 대한 질문에서는 가족이 28.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학교(교사) 23.5%, 나 자신 18.5%, 시설의 교 육자 및 지도자 16.9%, 친구 8.3%, 문화예술동아리 회원이 3.0%, 친척 1.0%의 순으 로 나타났음.

<그림 Ⅴ-3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ㅇ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문화예술교육 권유자를 살펴보았을 때 특이사항은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에 비해 타인의 권유보다는 자기 자신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남자 청 소년은 학교(교사)와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의 추천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초등학교 시절에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가족의 추천이 상대적으로 낮고 학교(교사)의 추 천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63


<표 Ⅴ-32>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 단위: %, 사례수: 302

구분

전체

성별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문화예술 교육 최초 참여 시기

학교 (교사)

친구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

친척

무응답

문화 예술 동아리 회원

28.8

18.5

23.5

8.3

16.9

1.0

1.7

3.0

남성

27.4

15.8

26.0

8.9

21.2

0.7

1.4

1.4

여성

30.3

21.3

20.6

7.7

12.9

1.3

1.9

4.5

0.0

0.0

100

0.0

0.0

0.0

0.0

0.0

초등학생

30.0

20.0

40.0

0.0

0.0

10.0

0.0

0.0

중학생

50.6

27.7

11.3

6.7

3.1

1.3

0.8

0.2

고등학생

56.9

26.9

7.2

5.2

2.5

1.3

0.6

0.3

무응답

64.7

17.6

5.9

11.8

0.0

0.0

0.0

0.0

서울권

34.6

19.2

23.1

7.7

11.5

3.8

3.8

3.8

경기권

45.7

25.7

17.1

2.9

11.4

0.0

0.0

2.9

강원권

30.4

17.4

26.1

4.3

0.0

0.0

0.0

21.7

충청권

20.8

26.4

24.5

15.1

7.5

1.9

1.9

1.9

경상권

23.3

17.4

29.1

5.8

20.9

0.0

2.3

1.2

전라권

30.4

11.4

19.0

10.1

27.8

1.3

1.3

0.0

40.0

25.5

20.0

5.5

7.3

1.8

0.0

1.8

29.6

16.0

24.8

8.0

14.4

0.8

2.4

4.0

22.7

18.5

22.7

10.1

24.4

0.8

1.7

2.5

모름/무응답

33.3

0.0

66.7

0.0

0.0

0.0

0.0

0.0

38.5

19.2

26.9

3.8

19.2

0.0

0.0

0.0

29.1

20.9

25.0

8.1

9.9

1.7

1.7

4.7

26.3

15.2

18.2

10.1

28.3

0.0

2.0

1.0

모름/무응답

20.0

0.0

60.0

0.0

20.0

0.0

0.0

0.0

71.1

15.8

10.5

0.0

2.6

2.6

0.0

0.0

36.7

22.5

23.3

6.7

11.7

0.8

0.0

0.8

13.8

16.9

35.4

13.8

10.8

0.0

1.5

7.7

9.3

16.0

21.3

10.7

38.7

1.3

0.0

4.0

0.0

0.0

0.0

0.0

0.0

0.0

100.0

0.0

무응답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가족

나 자신

초등학교 입학 전 초등학교 재학 중 중학교 재학 중 고등학교 재학 중 무응답

16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2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현황 2.2.1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ㅇ 설문 응답자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에 대한 질문에서는 참여 경험 있 음이 56.3% 등으로 나타났음.

<그림 Ⅴ-32>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ㅇ 초등학교 시절 학업중단을 한 청소년은 최근 1년 동안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경험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교 밖 청소년이 최근 1년 동안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경험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65


<표 Ⅴ-33>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단위: %, 사례수: 302

성별

구분

있다

없다

모름/무응답

전체

56.3

43.0

0.7

남성

57.5

41.1

1.4

여성

55.5

44.5

0.0

0.0

100.0

0.0

초등학생

80.0

20.0

0.0

중학생

54.0

46.0

0.0

고등학생

49.1

49.7

1.2

무응답

76.4

23.6

0.0

서울권

65.4

34.6

0.0

경기권

65.7

34.3

0.0

강원권

47.8

52.2

0.0

충청권

41.5

58.5

0.0

경상권

60.5

39.5

0.0

전라권

57.0

40.5

2.5

56.4

43.6

0.0

58.4

40.8

0.8

53.8

45.4

0.8

무응답

66.7

33.3

0.0

50.0

50.0

0.0

53.5

45.9

0.6

61.6

37.4

1.0

무응답

80.0

20.0

0.0

초등학교 입학 전

52.6

44.7

2.6

초등학교 재학 중

52.5

47.5

0.0

중학교 재학 중

50.8

47.7

1.5

고등학교 재학 중

68.0

32.0

0.0

무응답

75.0

25.0

0.0

무응답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

16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2.2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설문 응답자들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대중음악이 32.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뮤지컬 16.5%, 영화 15.3%. 드로잉/스케치 12.9%, 연극과 사 진 각각 10.6%, 서양악기와 시각 영상 디자인 각각 9.4%, 대중무용 8.8%, 목공예와 만화/웹툰/애니메이션이 8.2%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33> 학교 밖 청소년의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성별에 있어서는 여자 청소년들이 드로잉/스케치, 시각/영상디자인, 대중무용, 목공예, 만 화/웹툰/애니메이션, 서예/캘리그래피, 금속/비즈/주얼리 공예 분야의 참여가 남자 청소년 에 비해 높았음. 남자 청소년은 대중음악, 뮤지컬, 사진 분야에 있어 여자 청소년보다 참 여경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에 있어서는 초등학생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대중음악에 대한 교육 참여가 높았 으며, 중고등학생은 드로잉/스케치의 참여가 높았음. ㅇ 성적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은 대중음악, 뮤지컬, 연극, 서양악기의 참여가 높았으며, 경제 적 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대중음악, 뮤지컬, 영화, 드로잉/스케치, 시각/영상 디자인, 독서 토론 부분의 참여가 경제적 수준이 보통 이하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67


<표 Ⅴ-34>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중복응답) 단위: %, 사례수: 170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드 로 잉 / 스 케 치

연 극

사 진

서 양 악 기

시 각 / 영 상 디 자 인

대 중 무 용

목 공 예

만 화/ 웹 툰/ 애 니 메 이 션

서 예/ 캘 리 그 래 피

금 속 / 비 즈 / 주 얼 리 공 예

독 서 토 론

조 소 / 입 체 미 술

구분

대 중 음 악

뮤 지 컬

영 화 (UC C 제 작)

전체

32.4

16.5

15.3

12.9

10.6

10.6

9.4

9.4

8.8

8.2

8.2

7.1

7.6

7.1

5.3

40.5 24.4 50.0 44.1 26.2 33.3 70.6 8.7 18.2 40.9 44.2 15.6 41.9 32.9 26.6 50.0 38.5 30.4 31.1 75.0

20.2 12.8 25.0 23.5 14.3 14.3 11.8 34.8 0.0 13.6 25.0 4.4 22.6 13.7 15.6 50.0 23.1 18.5 11.5 25.0

14.3 16.3 12.5 17.6 11.9 19.0 11.8 0.0 81.8 9.1 3.8 24.4 6.5 19.2 14.1 50.0 30.8 16.3 9.8 25.0

7.1 18.6 0.0 5.9 14.3 16.7 17.6 17.4 18.2 31.8 3.8 8.9 9.7 15.1 12.5 0.0 30.8 15.2 6.6 0.0

9.5 11.6 0.0 14.7 11.9 7.1 0.0 13.0 9.1 18.2 5.8 15.6 16.1 12.3 6.3 0.0 15.4 12.0 8.2 0.0

13.1 8.1 12.5 14.7 11.9 4.8 17.6 0.0 0.0 18.2 0.0 24.4 0.0 17.8 7.8 0.0 7.7 13.0 8.2 0.0

9.5 9.3 12.5 11.8 10.7 4.8 5.9 21.7 0.0 13.6 5.8 8.9 19.4 8.2 6.3 0.0 0.0 8.7 13.1 0.0

6.0 12.8 0.0 8.8 10.7 4.8 11.8 17.4 27.3 4.5 1.9 11.1 6.5 11.0 9.4 0.0 15.4 8.7 9.8 0.0

6.0 11.6 12.5 11.8 10.7 2.4 5.9 13.0 9.1 9.1 7.7 8.9 9.7 8.2 9.4 0.0 38.5 8.7 3.3 0.0

3.6 12.8 0.0 14.7 8.3 4.8 5.9 4.3 0.0 9.1 13.5 6.7 0.0 9.6 10.9 0.0 0.0 7.6 11.5 0.0

4.8 11.6 0.0 8.8 6.0 14.3 5.9 13.0 36.4 4.5 1.9 8.9 6.5 6.8 10.9 0.0 38.5 7.6 3.3 0.0

6.0 8.1 12.5 5.9 10.7 0.0 0.0 8.7 0.0 9.1 7.7 8.9 9.7 6.8 6.3 0.0 0.0 8.7 6.6 0.0

2.4 12.8 12.5 8.8 7.1 7.1 0.0 13.0 9.1 18.2 7.7 2.2 0.0 8.2 10.9 0.0 7.7 7.6 8.2 0.0

3.6 10.5 0.0 8.8 3.6 14.3 0.0 13.0 0.0 4.5 3.8 13.3 3.2 5.5 9.4 50.0 7.7 4.3 9.8 25.0

4.8 5.8 0.0 8.8 3.6 7.1 0.0 4.3 9.1 4.5 3.8 8.9 3.2 8.2 3.1 0.0 23.1 4.3 3.3 0.0

남성 여성 초 중 고 무응답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16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합 창

마 술

오 케 스 트 라

전 통 악 기

마 술

문 예 창 작

5.3

5.3

4.7

4.1

5.3

4.7

2.4 8.1 0.0 5.9 7.1 2.4 0.0 4.3 0.0 13.6 3.8 6.7 9.7 6.8 1.6 0.0 15.4 4.3 4.9 0.0

2.4 8.1 37.5 5.9 4.8 0.0 0.0 26.1 0.0 0.0 5.8 0.0 6.5 4.1 6.3 0.0 0.0 5.4 6.6 0.0

6.0 3.5 0.0 2.9 7.1 2.4 11.8 8.7 0.0 13.6 1.9 0.0 3.2 6.8 3.1 0.0 0.0 7.6 1.6 0.0

4.8 3.5 0.0 5.9 6.0 0.0 0.0 8.7 0.0 9.1 5.8 0.0 6.5 5.5 1.6 0.0 7.7 5.4 1.6 0.0

2.4 8.1 37.5 5.9 4.8 0.0 0.0 26.1 0.0 0.0 5.8 0.0 6.5 4.1 6.3 0.0 0.0 5.4 6.6 0.0

6.0 3.5 0.0 2.9 6.0 4.8 0.0 4.3 18.2 4.5 0.0 8.9 9.7 4.1 3.1 0.0 0.0 6.5 3.3 0.0


2.2.3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모든 문화예술교육에 질문한 결과 음악 분야가 3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연극/영화/미디어 31.3%, 미술 14.4%, 무 용 6.7%, 디자인 3.7%, 문학 2.4%, 통합 1.5% 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응답한 문화예술교육 가운데 가장 참여율이 높은 문화예술교육의 세부내용은 대중음악(밴드/보컬/기타(guitar)가 26.5%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뮤지 컬과 영화가 각각 10.0%, 사진 8.8%, 서양악기 6.5%, 연극 5.3% 등의 순을 보임. <그림 Ⅴ-34> 학교 밖 청소년의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문화예술교육 분야별로 학교 밖 청소년들의 1순위 문화예술교육을 살펴보면, 음악분야에서 는 대중음악이 가장 참여율이 높고, 미술 분야는 목공예, 디자인분야는 시각/영상 디자인, 무용분야는 대중무용, 연극/영화/미디어 분야는 뮤지컬, 문학 분야는 독서토론으로 나타남. ㅇ 성별로는 남녀 모두 대중음악 교육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지만,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대중음악, 뮤지컬, 영화, 서양악기를 적극적으로 참여함. 여자 청소년은 연 극, 대중무용 교육을 남자 청소년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음. ㅇ 교급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초등학생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다른 집단에 비해 대중음악, 서양악기, 마술의 참여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대중음악 참여 비율이 높아지며, 뮤지컬과 연극도 다른 집단에 비해 참여도는 높았음. ㅇ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대중음악, 만화/앱툰/애니메이션과 영화, 연극을 적극적으로 참여한 비율은 높아지며, 서양악기 참여비율은 낮아지고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69


<표 Ⅴ-35>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단위: %, 사례수: 170

성별 학교 중단 시기

지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구분

대중 음악

뮤지 컬

영화 (UC C 제작 )

전체 남성 여성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26.5 35.7 17.4 50.0 35.3 19.0 31.0 64.7 8.7 9.1 22.7 38.5 13.3 32.3 27.4 23.4 0.0 30.8 23.9 27.9 50.0

10.0 14.3 5.8 12.5 17.6 7.1 9.5 0.0 26.1 0.0 4.5 17.3 2.2 12.9 9.6 7.8 50.0 15.4 8.7 9.8 25.0

10.0 11.9 8.1 0.0 11.8 7.1 14.3 5.9 0.0 63.6 4.5 3.8 13.3 6.5 11.0 9.4 50.0 15.4 13.0 3.3 25.0

사진

서양 악기

8.8 9.5 8.1 0.0 11.8 10.7 4.8 11.8 0.0 0.0 13.6 0.0 22.2 0.0 15.1 6.3 0.0 7.7 9.8 8.2 0.0

6.5 9.5 3.5 12.5 8.8 6.0 4.8 5.9 4.3 0.0 13.6 5.8 6.7 6.5 6.8 6.3 0.0 0.0 6.5 8.2 0.0

17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연극

목공 예

대중 무용

합창

만화 / 웹툰 / 애니 메이 션

5.3 2.4 8.1 0.0 11.8 4.8 2.4 0.0 8.7 0.0 9.1 1.9 8.9 9.7 5.5 3.1 0.0 7.7 6.5 3.3 0.0

4.1 3.6 4.7 0.0 11.8 2.4 2.4 5.9 4.3 0.0 4.5 7.7 0.0 0.0 5.5 4.7 0.0 0.0 4.3 4.9 0.0

4.7 0.0 9.3 0.0 8.8 4.8 2.4 0.0 8.7 0.0 0.0 3.8 8.9 6.5 5.5 3.1 0.0 23.1 5.4 0.0 0.0

3.5 4.8 2.3 0.0 5.9 4.8 0.0 0.0 0.0 0.0 4.5 3.8 6.7 3.2 2.7 4.7 0.0 0.0 2.2 6.6 0.0

4.1 2.4 5.8 0.0 5.9 2.4 7.1 0.0 0.0 18.2 4.5 1.9 6.7 0.0 4.1 6.3 0.0 30.8 2.2 1.6 0.0

드로 잉 / 스케 치

오케 스트 라

독서 토론

3.5 3.6 3.5 0.0 2.9 3.6 4.8 17.6 4.3 0.0 9.1 0.0 0.0 0.0 6.8 1.6 0.0 15.4 4.3 0.0 0.0

2.9 4.8 1.2 0.0 2.9 3.6 2.4 5.9 0.0 0.0 13.6 1.9 0.0 3.2 4.1 1.6 0.0 0.0 5.4 0.0 0.0

2.4 3.6 1.2 0.0 5.9 1.2 2.4 0.0 0.0 0.0 0.0 3.8 4.4 3.2 2.7 1.6 0.0 7.7 2.2 1.6 0.0

마술

금속 / 비즈 / 주얼 리 공예

시각 / 영상 디자 인

댄스 스포 츠

성악

한국 화

3.5 2.4 4.7 25.0 2.9 3.6 0.0 0.0 13.0 0.0 0.0 5.8 0.0 6.5 2.7 3.1 0.0 0.0 4.3 3.3 0.0

2.9 0.0 5.8 0.0 0.0 1.2 9.5 0.0 0.0 0.0 0.0 1.9 8.9 0.0 2.7 4.7 0.0 0.0 2.2 4.9 0.0

2.9 0.0 5.8 0.0 0.0 4.8 0.0 5.9 13.0 0.0 0.0 0.0 2.2 0.0 6.8 0.0 0.0 0.0 3.3 3.3 0.0

3.5 3.6 3.5 0.0 2.9 4.8 2.4 0.0 4.3 18.2 9.1 1.9 0.0 3.2 2.7 4.7 0.0 0.0 3.3 4.9 0.0

2.9 2.4 3.5 0.0 2.9 4.8 0.0 0.0 4.3 0.0 9.1 3.8 0.0 6.5 2.7 1.6 0.0 0.0 3.3 3.3 0.0

2.9 1.2 4.7 0.0 5.9 3.6 0.0 0.0 4.3 0.0 0.0 3.8 4.4 3.2 2.7 3.1 0.0 23.1 1.1 1.6 0.0


2.2.4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는 시간이 없어서 26.9%, 문화예술교육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 21.5%, 문화예술교육의 정보가 없어서 8.5%, 가정이 경제적 사정으로(비용부담)와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내 용이 없어서가 각각 7.7%, 문화예술교육을 받을만한 시설이 없어서 6.2%, 공부에 방 해가 될 것 같아서 3.8%, 등으로 나타남.

<그림 Ⅴ-35>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에 있어 성별 차이는 남자 청소년들이 여자 청소 년에 비해 문화예술교육 자체 관심이 없어서,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내용이 없어서 참 여하지 않는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여자 청소년들은 시간이 없어서와 가정의 경제적인 사정,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만한 시설이 없어서의 미참여 이유가 다른 이유보다 남자 청소년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학업중단 시기에 따른 차이에서는 초등학생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문화예술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의 응답률이 높았으며, 중학생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가정의 경제적인 사정으로(비용 부담) 문화예술교육을 참여하지 못했다는 응답률이 높았음. ㅇ 학업성적이 높은 청소년은 시간이 없어서의 응답률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고, 학업성적 이 낮을수록 문화예술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의 비율이 다소 높았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모두 시간이 없어서의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가정의 경제적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71


수준이 높은 집단은 시간이 없어서와 문화예술교육의 정보가 없어서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를 못하고 있으며,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가정의 경제적인 사정으로(비용 부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표 Ⅴ-36>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 단위: %, 사례수: 130

흥미 있는 문화 예술 교육 내용이 없어서

문화 예술 교육을 받을 만한 시설이 없어서

공부에 방해가 될 것 같아서

7.7

7.7

6.2

3.8

8.3

5.0

11.7

3.3

3.3

17.4

8.7

10.1

4.3

8.7

4.3

100.0

0.0

0.0

0.0

0.0

0.0

0.0

0.0

50.0

50.0

0.0

0.0

0.0

0.0

0.0

중학생

34.5

20.7

13.8

10.3

10.3

6.9

3.4

0.0

고등학생

25.9

21.2

16.5

8.2

5.9

9.4

8.2

4.7

모름/무응답

23.1

23.1

23.1

7.7

15.4

0.0

0.0

7.7

서울권

40.6

23.2

13.0

5.8

8.0

5.8

1.4

2.2

경기권

38.6

18.5

15.9

9.7

7.1

5.2

2.3

2.6

강원권

30.4

39.1

4.3

10.9

10.9

0.0

2.2

2.2

충청권

39.2

25.3

4.3

16.1

5.9

4.3

3.8

1.1

경상권

38.1

19.3

10.6

9.6

6.9

5.5

5.5

4.1

전라권

46.7

22.7

10.0

12.7

2.0

3.3

1.3

1.3

45.8

12.5

8.3

8.3

8.3

4.2

8.3

4.2

13.7

19.6

21.6

13.7

7.8

11.8

5.9

5.9

31.5

25.9

18.5

3.7

7.4

5.6

5.6

1.9

0.0

100.0

0.0

0.0

0.0

0.0

0.0

0.0

38.5

15.4

15.4

23.1

0.0

0.0

7.7

0.0

29.1

25.3

20.3

5.1

1.3

8.9

5.1

5.1

18.9

13.5

13.5

10.8

24.3

8.1

8.1

2.7

0.0

100.0

0.0

0.0

0.0

0.0

0.0

0.0

시간이 없어서

문화 예술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

무응답

문화예 술교육 의 정보가 없어서

26.9

21.5

17.7

8.5

남성

21.7

28.3

18.3

여성

31.9

14.5

모름/무응답

0.0

초등학생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지역

성적 수준

모름/무응답 가정 형편 수준

모름/무응답

17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가정의 경제적인 사정으로 (비용 부담)


2.2.5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ㅇ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에 대해서 학교 밖 청소년 들은 교육이 재미있어 보여서가 31.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15.9%, 의무적으로 참여하여 11.8%, 스트레스가 해소될 것 같아서 11.2%, 진로 때문에 10.0%, 성취감을 얻기 위해서 7.6%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36>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ㅇ 이외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면, 친구들과 어울 리기 위해서 5.3%,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서 4.1%, 시간을 때우기 위해서 2.4%, 남들과 다른 차별성을 위해서, 좋아하기 때문에, 선생님이 좋아서 각각 1.2%로 응답하였으며, 기 타 의견으로 더 잘하고 싶어서 0.6%의 의견이 있었음. ㅇ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이유에 대해 성별 응답률에 차이를 보이는데, 여자 청 소년은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진로의 참여 이유가 남자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 로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청소년은 스트레스가 해소될 것 같아서의 참여 이유가 여자 청 소년에 비해 높았음. ㅇ 초등학생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교육이 재미있어서와 스트레스가 해소될 것 같아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이유가 다른 집단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남. 고등학교 시절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다른 집단에 비해 진로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음. 중학교 시절에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 해서의 이유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남. ㅇ 학업성적이 좋은 집단이 교육이 재미있어 보여서와 진로 때문의 이유를 응답한 비율이 높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73


았으며, 학업성적이 낮은 집단은 성취감을 얻기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집단은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진로 때문에, 성취감을 얻기 위해서의 이유가 높았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은 의무적으로 참여하여 특별한 이유 없음의 응답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음. <표 Ⅴ-37>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 단위: %, 사례수: 170

성별

학교 중단 시기

지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구분

교육 이 재미 있어 보여 서

문화 예술 교육 에 관심 이 많아 서

의무 적으 로 참여 하여 특별 한 이유 없음

스트 레스 가 해소 될 것 같아 서

전체

31.2

15.9

11.8

남성

34.5

11.9

여성

27.9

19.8

무응 답

남들 과 다른 차별 성을 위해 서

좋아 하기 때문 에

선생 님이 좋아 서

2.4

1.8

1.2

1.2

1.2

4.8

2.4

1.2

1.2

1.2

2.4

4.7

3.5

2.3

2.3

1.2

1.2

0.0

0.0

0.0

0.0

0.0

0.0

0.0

0.0

0.0

5.9

11.8

11.8

8.8

0.0

2.9

0.0

0.0

0.0

11.9

14.3

7.1

2.4

2.4

2.4

2.4

1.2

1.2

0.0

11.9

4.8

7.1

7.1

4.8

4.8

0.0

2.4

2.4

4.8

진로 때문 에

성취 감을 얻기 위해 서

친구 들과 어울 리기 위해 서

창의 성을 키우 기 위해 서

시간 을 때우 기 위해 서

11.2

10.0

7.6

5.3

4.1

10.7

14.3

7.1

7.1

6.0

12.8

8.1

12.8

8.1

50.0 25.0

0.0 25.0

0.0

38.2 26.5

2.9

5.9

31.0

10.7

4.8 23.8

모름/ 23.8 무응답

15.5

서울권

17.6

17.6

5.9

17.6

11.8

11.8

11.8

5.9

5.9

0.0

0.0

0.0

11.8

경기권

26.1

26.1

4.3

17.4

13.0

4.3

0.0

8.7

4.3

0.0

0.0

0.0

0.0

강원권

54.5

18.2

0.0

9.1

9.1

0.0

9.1

0.0

0.0

0.0

0.0

0.0

0.0

충청권

36.4

0.0

4.5

13.6 22.7

13.6

4.5

4.5

4.5

9.1

0.0

0.0

0.0

경상권

25.0

19.2

21.2

7.7

7.7

9.6

3.8

3.8

1.9

0.0

0.0

1.9

0.0

전라권

37.8

13.3

13.3

8.9

4.4

4.4

6.7

2.2

0.0

2.2

4.4

2.2

0.0

38.7

12.9

6.5

12.9

16.1

6.5

0.0

3.2

0.0

0.0

3.2

0.0

0.0

31.5 20.5

13.7

12.3

8.2

5.5

8.2

2.7

1.4

1.4

0.0

0.0

1.4

26.6

12.5

12.5

9.4

9.4

10.9

3.1

6.3

4.7

3.1

1.6

3.1

1.6

모름/ 50.0 무응답

0.0

0.0

0.0

0.0

0.0 50.0

0.0

0.0

0.0

0.0

0.0

0.0

30.8

23.1

0.0

0.0

15.4

15.4

7.7

0.0

7.7

7.7

0.0

0.0

0.0

37.0

15.2

7.6

14.1

9.8

5.4

4.3

5.4

1.1

2.2

1.1

1.1

1.1

23.0

16.4

21.3

9.8

8.2

9.8

4.9

3.3

3.3

0.0

1.6

1.6

0.0

모름/ 25.0 무응답

0.0

0.0

0.0 25.0

0.0

0.0

0.0

0.0

0.0 25.0

0.0 25.0

17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2.6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ㅇ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를 살펴보면, 청소년시설 문화예 술교육 54.7%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개인문화예술교육/개인교습/개인레슨이 14.7%,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리 활동의 참여가 12.9%, 학교 내 문화예술교 육 자율동아리 활동 10.0%, 종교시설 문화예술교육 4.7%, 문화기반시설문화예술교육 3.5%, 방과 후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동과 문화예술교육단체의 문화예술교육이 각각 1.8%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37>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ㅇ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의 성별 차이는 남자 청소년(56.0%)이 여자 청 소년(53.5%)에 비해 청소년시설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가 높은 반면, 개인 문화예술교육/ 개인교습/개인레슨은 여자 청소년(17.4%)이 남자 청소년(11.9%)에 비해 높게 나타남. ㅇ 교급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차이에 있어서는 고등학생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학 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리 활동 참여형태가 초등학생 때 학업중단 청소년(12.5%)과 중학생 때 학업중단 청소년(5.9%)에 비해 21.4%로 높았음. 반면 중학생 때 학업을 중단 한 청소년은 청소년시설 문화예술교육 참여 외 개인문화예술교육/ 개인교습/개인레슨이 23.5%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 리 활동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됨. ㅇ 성적 수준과 가정경제적 수준에 있어서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 차이는 성적이 낮거나 가 정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교 밖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학교 밖 청소년에 비해 개인 문화예 술교육/ 개인교습/개인레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남. 또한 성적 수준이 낮은 학교 밖 청소년 들이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자율동아리 활동의 참여형태와 청소년시설 문화예술교육 참여 형태가 높았음. 가정경제적 수준이 낮은 청소년은 청소년시설문화예술교육 외 다른 문화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75


예술교육 참여는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음. <표 Ⅴ-38> 학교 밖 청소년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복수응답) 단위: %, 사례수: 170

성별 학 교 중 단 시 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 장 적 극 적 으 로 참 여 한 활 동 (유형)

구분

청소 년시 설 문화 예술 교육

개인 문화 예술 교육 / 개인 교습 / 개인 레슨

학교 내 문화 예술 교육 정규 동아 리 활동

학교 내 문화 예술 교육 자율 동아 리 활동

종교 시설 문화 예술 교육

문화 기반 시설 문화 예술 교육

방과 후 학교 문화 예술 교육

문화 예술 교육 단체 의 문화 예술 교육

전체

54.7

14.7

12.9

10.0

4.7

3.5

1.8

1.8

남성

56.0

11.9

11.9

8.3

8.3

3.6

0.0

여성

53.5

17.4

14.0

11.6

1.2

3.5

초등학생

50.0

12.5

12.5

25.0

0.0

중학생

55.9

23.5

5.9

8.8

고등학생

44.0

15.5

21.4

무응답

76.2

4.8

서울권

41.2

경기권

지역 문화 복지 시설 문화 예술 교육

학교 주관 토요 문화 예술 교육

1.2

1.2

0.6

1.2

2.4

2.4

0.0

3.5

2.3

0.0

0.0

1.2

0.0

0.0

0.0

0.0

0.0

0.0

8.8

5.9

0.0

0.0

5.9

0.0

0.0

13.1

1.2

3.6

1.2

3.6

0.0

1.2

1.2

2.4

2.4

9.5

2.4

4.8

0.0

0.0

2.4

0.0

23.5

5.9

11.8

5.9

5.9

0.0

0.0

0.0

5.9

0.0

39.1

21.7

21.7

8.7

0.0

4.3

4.3

4.3

0.0

0.0

4.3

강원권

90.9

0.0

0.0

0.0

0.0

0.0

18.2

0.0

0.0

9.1

0.0

충청권

36.4

22.7

22.7

22.7

4.5

0.0

0.0

4.5

4.5

0.0

0.0

경상권

61.5

11.5

11.5

13.5

3.8

1.9

0.0

1.9

1.9

0.0

0.0

전라권

60.0

11.1

11.1

2.2

8.9

6.7

0.0

0.0

0.0

0.0

0.0

41.9

32.3

16.1

3.2

0.0

3.2

3.2

3.2

0.0

0.0

0.0

56.2

12.3

12.3

8.2

6.8

4.1

1.4

1.4

2.7

0.0

0.0

57.8

9.4

12.5

15.6

4.7

3.1

0.0

1.6

0.0

3.1

1.6

무응답

100.0

0.0

0.0

0.0

0.0

0.0

50.0

0.0

0.0

0.0

0.0

53.8

30.8

15.4

15.4

0.0

0.0

7.7

0.0

0.0

0.0

0.0

51.1

15.2

14.1

13.0

5.4

3.3

1.1

2.2

1.1

1.1

0.0

59.0

9.8

11.5

4.9

4.9

4.9

0.0

1.6

1.6

1.6

1.6

무응답

75.0

25.0

0.0

0.0

0.0

0.0

25.0

0.0

0.0

0.0

0.0

음악

47.8

19.4

11.9

7.5

10.4

1.5

0.0

1.5

1.5

3.0

0.0

미술

57.1

14.3

10.7

10.7

0.0

3.6

0.0

0.0

7.1

0.0

0.0

디자인

37.5

12.5

37.5

12.5

0.0

0.0

0.0

0.0

0.0

0.0

0.0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35.7

21.4

14.3

28.6

0.0

0.0

7.1

0.0

0.0

0.0

7.1

76.3

6.8

5.1

6.8

1.7

6.8

3.4

1.7

1.7

0.0

0.0

60.0

20.0

2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50.0

0.0

0.0

0.0

0.0

50.0

0.0

0.0

0.0

통합

17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무 응 답


2.2.7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은 일주일 기준 1~3시간 미만이 57.1%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6시간 미만이 21.2%, 6~9시간 미만과 9시간 이상이 각각 7.6%, 1시간 미만이 5.9%로 나타남. <그림 Ⅴ-3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에 대한 성별 차이는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 년에 비해 일주일에 문화예술교육을 1시간 미만으로 참여한다는 응답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지만 1~3시간 미만 교육 참여 외 3시간 이상 교육 참여는 여자 청소년들은 남자 청 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음.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시기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차이는 초등학교 때 학 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1~3시간 미만 교육 참여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반 면, 그 외 집단은 3~6시간 미만 참여가 가장 많았음. ㅇ 가정 경제적 수준이 높은 집단의 청소년은 다른 집단에 비해 1시간과 1~3시간 교육 참여 비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음. ㅇ 학업 성적이 낮은 청소년은 1시간 미만과 1~3시간 미만의 교육 참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많은 편이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77


<표 Ⅴ-3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단위: %, 사례수: 170

1~3시간 미만

3~6시간 미만

5.9

57.1

21.2

7.6

7.6

0.6

남성

3.6

65.5

19.0

6.0

4.8

1.2

여성

8.1

48.8

23.3

9.3

10.5

0.0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초등학생

1시간 미만

6~9시간 미만

9시간 이상

무응답

12.5

75.0

12.5

0.0

0.0

0.0

중학생

2.9

47.1

29.4

5.9

11.8

2.9

고등학생

8.3

47.6

27.4

8.3

8.3

0.0

무응답

2.4

81.0

4.8

9.5

2.4

0.0

서울권

5.9

70.6

11.8

5.9

5.9

0.0

경기권

8.7

43.5

26.1

17.4

4.3

0.0

강원권

0.0

100.0

0.0

0.0

0.0

0.0

충청권

13.6

40.9

13.6

4.5

22.7

4.5

경상권

5.8

59.6

23.1

5.8

5.8

0.0

전라권

2.2

53.3

28.9

8.9

6.7

0.0

3.2

45.2

19.4

16.1

16.1

0.0

4.1

54.8

27.4

6.8

5.5

1.4

9.4

65.6

15.6

3.1

6.3

0.0

무응답

0.0

50.0

0.0

50.0

0.0

0.0

15.4

38.5

38.5

0.0

7.7

0.0

4.3

55.4

23.9

7.6

7.6

1.1

6.6

63.9

14.8

6.6

8.2

0.0

무응답

0.0

50.0

0.0

50.0

0.0

0.0

7.5 3.6 0.0 28.6

61.2 64.3 75.0 28.6

14.9 10.7 12.5 35.7

9.0 7.1 0.0 7.1

6.0 10.7 12.5 0.0

1.5 3.6 0.0 0.0

0.0

52.5

32.2

5.1

8.5

1.7

0.0 0.0

80.0 100.0

20.0 0.0

0.0 0.0

0.0 0.0

0.0 0.0

음악 미술 디자인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통합

17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2.8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은 6개월 이상이 37.6%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3~6개월 미만은 25.9%, 1~3개월 미만 24.1%, 1개월 미만이 11.2%로 나타남.

<그림 Ⅴ-3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에 대해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여 자 청소년의 경우 3~6개월 미만의 교육 참여가 가장 높으며, 남자 청소년은 6개월 이상 이 약 50% 정도 차지하고 있는 등 장기적인 참여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교급별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 때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다른 집단에 비해 1개월 미만의 참여자가 가장 낮으며, 6개월 이상자의 참여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ㅇ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6개월 미만의 단기 참여 비율이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 높아짐을 알 수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79


<표 Ⅴ-4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최근 1년 기준) 단위: %, 사례수: 170

구분

1개월 미만

1~3개월 미만

3~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무응답

11.2

24.1

25.9

37.6

1.2

남성

9.5

26.2

14.3

48.8

1.2

여성

12.8

22.1

37.2

26.7

1.2

초등학생

37.5

12.5

0.0

37.5

12.5

8.8

26.5

35.3

26.5

2.9

11.9

28.6

27.4

32.1

0.0

무응답

7.1

16.7

21.4

54.8

0.0

서울권

11.8

23.5

11.8

52.9

0.0

경기권

17.4

30.4

34.8

17.4

0.0

강원권

9.1

0.0

9.1

81.8

0.0

충청권

18.2

9.1

13.6

54.5

4.5

경상권

9.6

32.7

25.0

30.8

1.9

전라권

6.7

24.4

37.8

31.1

0.0

3.2

19.4

32.3

45.2

0.0

11.0

17.8

30.1

38.4

2.7

15.6

32.8

18.8

32.8

0.0

무응답

0.0

50.0

0.0

50.0

0.0

0.0

38.5

30.8

30.8

0.0

13.0

17.4

22.8

44.6

2.2

11.5

31.1

31.1

26.2

0.0

전체 성별 학업 중단 시기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0.0

25.0

0.0

75.0

0.0

음악 미술

10.4

20.9

19.4

46.3

3.0

7.1

39.3

35.7

14.3

3.6

디자인

25.0

50.0

12.5

12.5

0.0

무용

14.3

28.6

28.6

28.6

0.0

연극/영화 /미디어

6.8

20.3

28.8

42.4

1.7

문학

0.0

80.0

20.0

0.0

0.0

통합

0.0

50.0

50.0

0.0

0.0

18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2.9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ㅇ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도록 추천해 준 사람에 대해서 스스로 참 여가 47.1%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의 추천이 22.9%, 학교(교사) 추천이 12.9%, 친구 추천 10.6%,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 추천이 7.1%, 문화예술 동아리 추 천이 1.2%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4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에 대한 성별 차이는 스스로 참여에 대해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여자 청소년들은 가족의 추천 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성적 수준이 높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학교 밖 청소년은 다른 집단에 비해 가족 의 추천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성적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스스로 참여를 선택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81


<표 Ⅴ-4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 단위: %, 사례수: 170

가족

학교 (교사)

친구

47.1

22.9

12.9

10.6

7.1

1.2

0.6

남성

52.4

17.9

14.3

11.9

3.6

1.2

1.2

여성

41.9

27.9

11.6

9.3

10.5

1.2

0.0

초등학생

37.5

25.0

12.5

25.0

0.0

0.0

0.0

중학생

50.0

20.6

2.9

17.6

5.9

0.0

2.9

고등학생

41.7

27.4

14.3

8.3

9.5

1.2

0.0

무응답

57.1

16.7

19.0

7.1

4.8

0.0

0.0

서울권

47.1

11.8

17.6

17.6

17.6

0.0

0.0

경기권

39.1

34.8

8.7

26.1

0.0

0.0

0.0

강원권

0.0

36.4

27.3

9.1

18.2

9.1

0.0

충청권

36.4

31.8

13.6

4.5

9.1

0.0

4.5

경상권

65.4

17.3

9.6

5.8

1.9

0.0

0.0

전라권

46.7

20.0

13.3

8.9

8.9

2.2

0.0

38.7

25.8

12.9

12.9

9.7

0.0

0.0

47.9

24.7

13.7

11.0

5.5

1.4

1.4

51.6

20.3

12.5

7.8

6.3

1.6

0.0

0.0

0.0

0.0

50.0

50.0

0.0

0.0

30.8

30.8

0.0

15.4

23.1

0.0

0.0

39.1

26.1

20.7

10.9

4.3

1.1

1.1

62.3

18.0

4.9

8.2

6.6

1.6

0.0

무응답

50.0

0.0

0.0

25.0

25.0

0.0

0.0

음악

50.7

20.9

13.4

10.4

4.5

1.5

1.5

미술

53.6

14.3

10.7

17.9

10.7

0.0

3.6

디자인

50.0

12.5

25.0

12.5

12.5

0.0

0.0

무용

14.3

42.9

28.6

7.1

7.1

0.0

0.0

연극/영화/ 미디어

54.2

22.0

6.8

8.5

6.8

1.7

1.7

문학

60.0

20.0

0.0

20.0

20.0

0.0

0.0

통합

0.0

50.0

0.0

0.0

50.0

0.0

0.0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무응답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시설의 교육자 및지도자

스스로 참여

구분

18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문화예술 동아리

무응답


2.2.10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최근 1년 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에 대해서는 브 로셔/홍보지 13.5%,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터넷이 10.6%, 소셜미디어 10.0%, 지인 7.1%, 청소년지원센터 6.5%, 스마트폰 앱과 선생님 각각 5.9%, 학교 5.3%, 시설교육자 4.7%, 포스터/배너 4.1%, 친구 3.5%, 가족과 동아리 각각 2.9% 등 의 순으로 나타났음. <그림 Ⅴ-4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최근 1년 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에 대한 성별 차이 는 소셜미디어, 지인, 학교를 통해 정보를 얻게 되는 경우가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높으며, 여자 청소년은 인터넷,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정보를 얻게 되는 경우가 남자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성적 수준에 대한 차이에 대해서는 성적 수준이 낮은 학교 밖 청소년이 브로셔/홍보지와 교사를 통한 정보 획득이 높은 반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와 친구, 가족을 통한 정 보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가정 경제적 수준에 대한 차이는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지 인과 시설을 통한 정보 획득이 높은 반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와 포스터/배너, 친 구, 가족을 통한 정보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83


<표 Ⅴ-42>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 구분 전체 남성 성별 여성 초등학생 학교 중학생 중단 시기( 고등학생 교급) 무응답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권역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성적 수준 하 무응답 상 가정 중 경제 하 수준 무응답 음악 미술 디자인 가장 적극적 무용 으로 참여한 연극 등 문학 활동 통합 기타

브로셔 /홍보지 13.5 13.1 14.0 25.0 11.8 16.7 7.1 11.8 26.1 9.1 18.2 15.4 4.4 12.9 12.3 15.6 0.0 15.4 14.1 11.5 25.0 15.6 0.0 15.4 14.1 11.5 25.0 14.3 28.6

무응답

인터넷

11.8 13.1 10.5 0.0 23.5 9.5 9.5 5.9 0.0 0.0 13.6 21.2 11.1 6.5 12.3 14.1 0.0 23.1 7.6 16.4 0.0 14.1 0.0 23.1 7.6 16.4 0.0 7.1 14.3

10.6 9.5 11.6 0.0 11.8 8.3 16.7 5.9 8.7 9.1 9.1 13.5 11.1 16.1 12.3 6.3 0.0 30.8 12.0 4.9 0.0 6.3 0.0 30.8 12.0 4.9 0.0 28.6 14.3

18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소셜 미디어 10.0 11.9 8.1 25.0 11.8 10.7 4.8 5.9 8.7 0.0 4.5 11.5 15.6 16.1 9.6 7.8 0.0 7.7 12.0 8.2 0.0 7.8 0.0 7.7 12.0 8.2 0.0 7.1 0.0

지인 7.1 8.3 5.8 0.0 2.9 7.1 9.5 0.0 8.7 0.0 0.0 5.8 15.6 6.5 9.6 4.7 0.0 0.0 5.4 11.5 0.0 4.7 0.0 0.0 5.4 11.5 0.0 10.7 0.0

청소년 지원센터 6.5 6.0 7.0 12.5 11.8 6.0 2.4 0.0 8.7 0.0 4.5 3.8 13.3 3.2 11.0 3.1 0.0 0.0 5.4 9.8 0.0 3.1 0.0 0.0 5.4 9.8 0.0 0.0 0.0

스마트 폰 앱 5.9 1.2 10.5 0.0 8.8 8.3 0.0 11.8 8.7 9.1 9.1 3.8 2.2 9.7 2.7 7.8 0.0 0.0 6.5 6.6 0.0 7.8 0.0 0.0 6.5 6.6 0.0 3.6 0.0

선생 님 5.9 6.0 5.8 0.0 5.9 6.0 7.1 0.0 4.3 0.0 9.1 7.7 6.7 3.2 2.7 9.4 50.0 7.7 4.3 6.6 25.0 9.4 50.0 7.7 4.3 6.6 25.0 10.7 0.0

학교 5.3 7.1 3.5 0.0 0.0 4.8 11.9 29.4 0.0 0.0 4.5 1.9 4.4 3.2 6.8 4.7 0.0 0.0 5.4 4.9 25.0 4.7 0.0 0.0 5.4 4.9 25.0 7.1 0.0

시설 교육자 4.7 6.0 3.5 12.5 2.9 3.6 7.1 0.0 4.3 0.0 4.5 3.8 8.9 0.0 4.1 7.8 0.0 0.0 2.2 9.8 0.0 7.8 0.0 0.0 2.2 9.8 0.0 7.1 0.0

포스터 /배너 4.1 4.8 3.5 0.0 0.0 7.1 2.4 5.9 8.7 0.0 9.1 1.9 2.2 6.5 2.7 4.7 0.0 7.7 5.4 1.6 0.0 4.7 0.0 7.7 5.4 1.6 0.0 0.0 0.0

단위: %, 사례수: 170

친구

가족

동아리

신문

3.5 4.8 2.3 12.5 0.0 3.6 4.8 11.8 0.0 9.1 0.0 5.8 0.0 0.0 6.8 1.6 0.0 0.0 5.4 1.6 0.0 1.6 0.0 0.0 5.4 1.6 0.0 0.0 0.0

2.9 3.6 2.3 12.5 5.9 2.4 0.0 11.8 4.3 0.0 4.5 1.9 0.0 6.5 2.7 1.6 0.0 7.7 3.3 1.6 0.0 1.6 0.0 7.7 3.3 1.6 0.0 3.6 0.0

2.9 2.4 3.5 0.0 2.9 1.2 4.8 0.0 0.0 36.4 4.5 0.0 0.0 0.0 1.4 6.3 0.0 0.0 4.3 1.6 0.0 6.3 0.0 0.0 4.3 1.6 0.0 0.0 28.6

2.4 2.4 2.3 0.0 0.0 0.0 9.5 0.0 0.0 36.4 0.0 0.0 0.0 3.2 1.4 1.6 50.0 0.0 3.3 0.0 25.0 1.6 50.0 0.0 3.3 0.0 25.0 0.0 14.3

TV 1.2 1.2 1.2 0.0 0.0 1.2 2.4 0.0 0.0 0.0 0.0 1.9 2.2 3.2 0.0 1.6 0.0 0.0 0.0 3.3 0.0 1.6 0.0 0.0 0.0 3.3 0.0 0.0 0.0


2.2.11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는 친구가 65.3%로 가장 높 았으며 그 다음으로 혼자 27.1%, 동아리 회원 7.1%, 친척과 선후배 각각 1.2%, 부모 님/형제자매 0.6%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42>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자 청소년의 경우 남자 청소년에 비해 친구와 참여하는 경우가 상대적 으로 많고 남자 청소년은 동아리 회원과의 참여가 여자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확인됨. ㅇ 학업 성적이 낮을수록 친구와의 참여가 많아지고, 혼자 참여 정도는 낮아지며, 가정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동아리 회원과의 참여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85


<표 Ⅴ-43>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 단위: %, 사례수: 170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동아리 회원

부모님/ 형제 자매

구분

친구

혼자

전체

65.3

27.1

7.1

1.2

1.2

1.2

0.6

남성

63.1

27.4

8.3

1.2

2.4

1.2

1.2

여성

67.4

26.7

5.8

1.2

0.0

1.2

0.0

초등학생

50.0

25.0

12.5

0.0

0.0

0.0

12.5

중학생

50.0

44.1

5.9

2.9

2.9

0.0

0.0

고등학생

64.3

26.2

10.7

1.2

0.0

1.2

0.0

무응답

83.3

14.3

0.0

0.0

2.4

2.4

0.0

서울권

52.9

17.6

17.6

0.0

5.9

5.9

5.9

경기권

56.5

43.5

0.0

0.0

0.0

0.0

0.0

강원권

90.9

9.1

0.0

0.0

0.0

0.0

0.0

충청권

45.5

36.4

4.5

9.1

4.5

0.0

0.0

경상권

73.1

25.0

3.8

0.0

0.0

1.9

0.0

전라권

68.9

24.4

13.3

0.0

0.0

0.0

0.0

58.1

38.7

6.5

0.0

0.0

0.0

0.0

61.6

31.5

8.2

2.7

0.0

1.4

0.0

73.4

15.6

6.3

0.0

3.1

1.6

1.6

무응답

50.0

50.0

0.0

0.0

0.0

0.0

0.0

69.2

15.4

15.4

0.0

0.0

0.0

0.0

64.1

29.3

5.4

2.2

1.1

1.1

0.0

67.2

24.6

8.2

0.0

1.6

1.6

1.6

무응답

50.0

50.0

0.0

0.0

0.0

0.0

0.0

음악

62.7

26.9

9.0

3.0

1.5

0.0

1.5

미술

64.3

32.1

0.0

3.6

3.6

0.0

0.0

디자인

75.0

12.5

12.5

0.0

0.0

0.0

0.0

무용

78.6

14.3

7.1

0.0

0.0

0.0

0.0

연극/영화 /미디어

61.0

27.1

8.5

1.7

1.7

3.4

0.0

문학

80.0

20.0

20.0

0.0

0.0

0.0

0.0

통합

50.0

50.0

0.0

0.0

0.0

0.0

0.0

18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무응답

친척

선후배


2.2.12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형태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형태는 실습/표현형이 54.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창작/제작형 17.1%, 관람/감상형 13.5%, 강의 교육형 12.9%, 체험형 10.0%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43>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형태

ㅇ 성별 차이에서는 남자 청소년의 경우 여자 청소년에 비해 강의 실습/표현형(악기연주, 무 용·사진배우기 등)의 참여가 다소 높고, 여자 청소년은 실습/ 표현형 외 다른 교육 진행 형태에서 남자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를 나타냄.

[문화예술교육 방식] -강의 교육형 강의 형태교육 -관람/감상형 독서, 영화·연극 관람, 미술·음악감상 등 -체험형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배우는 체험 활동 등 -실습/표현형 악기연주, 무용·사진배우기 등 -창작/제작형 영화제작·창작무용·문학발표회 등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87


<표 Ⅴ-44>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진행 형태 단위: %, 사례수: 170

실습/ 표현형

창작/ 제작형

관람/ 감상형

강의 교육형

체험형

54.7

17.1

13.5

12.9

10.0

1.8

남성

60.7

10.7

11.9

9.5

8.3

3.6

여성

48.8

23.3

15.1

16.3

11.6

0.0

초등학생

87.5

0.0

0.0

12.5

0.0

0.0

중학생

52.9

23.5

2.9

14.7

20.6

5.9

고등학생

53.6

10.7

21.4

14.3

8.3

1.2

무응답

52.4

26.2

9.5

9.5

7.1

0.0

서울권

76.5

17.6

5.9

23.5

11.8

0.0

경기권

43.5

0.0

17.4

30.4

13.0

0.0

강원권

0.0

90.9

9.1

0.0

0.0

0.0

충청권

63.6

9.1

13.6

22.7

18.2

4.5

경상권

67.3

9.6

9.6

5.8

3.8

3.8

전라권

46.7

20.0

20.0

6.7

13.3

0.0

58.1

3.2

19.4

19.4

6.5

0.0

52.1

23.3

9.6

15.1

11.0

2.7

57.8

15.6

15.6

7.8

9.4

1.6

0.0

50.0

0.0

0.0

50.0

0.0

38.5

30.8

15.4

23.1

15.4

7.7

56.5

18.5

14.1

10.9

10.9

2.2

57.4

11.5

13.1

13.1

6.6

0.0

무응답

25.0

25.0

0.0

25.0

25.0

0.0

음악

76.1

4.5

9.0

7.5

6.0

3.0

미술

28.6

28.6

21.4

21.4

21.4

3.6

디자인

50.0

37.5

12.5

12.5

12.5

0.0

무용

57.1

28.6

14.3

14.3

14.3

0.0

연극/영화 /미디어

35.6

33.9

10.2

11.9

10.2

3.4

문학

20.0

40.0

0.0

40.0

0.0

0.0

통합

0.0

0.0

50.0

0.0

50.0

0.0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무응답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18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무응답


2.2.13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비용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비용은 평균 11,581원으로 나타남. 세부적으로 무료가 58.8%로 가 장 많고, 그 다음이 1~2만원 미만 3.5%, 2~5만원 2.4%, 5~10만원과 10~20만원 1.2%, 20~50만원 미만 1.8%로 나타남. <그림 Ⅴ-44>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비용

ㅇ 성별로는 남자 청소년의 평균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은 평균 5,725원이며, 여자 청소년은 18,181원으로 나타남. ㅇ 가정 형편별로는 가정형편이 상인 집단은 47,142원, 중인 집단 14,179원, 하 집단은 1,875 원으로 조사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89


<표 Ⅴ-45>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용 단위: %, 사례수: 170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1~2만원 미만

2~5만원 미만

5~10만 원 미만

10~20만 원 미만

20~50만 원 미만

평균(원)

58.8

3.5

2.4

1.2

1.2

1.8

11,581

남성

65.5

4.8

2.4

0

0.0

1.2

5,725

여성

52.3

2.3

2.4

2.4

2.3

2.3

18,181

초등학생

75.0

0

0

0

12.5

0.0

25,714

중학생

47.1

0

2.9

0

0.0

2.9

12,777

고등학생

54.8

7.2

2.4

1.2

0.0

2.4

12,894

무응답

73.8

0

2.4

2.4

2.4

0.0

6,176

서울권

70.6

5.9

0

0

0.0

0.0

769

경기권

47.8

4.3

4.3

4.3

0.0

0.0

5,714

강원권

81.8

0

0

0

0.0

0.0

0.0

충청권

45.5

4.5

0

0

0.0

9.1

45,384

경상권

57.7

1.9

1.9

0

1.9

0.0

6,515

전라권

62.2

4.4

4.4

2.2

2.2

2.2

13,142

51.6

3.2

3.2

0

0.0

3.2

15,000

63.0

2.7

2.8

0

2.7

1.4

10,377

56.3

4.7

1.6

3.2

0.0

1.6

12,093

100.0

0

0

0

0.0

0.0

0.0

46.2

0

0

0

0.0

7.7

47,142

62.0

1.1

3.3

2.2

2.2

2.2

14,179

55.7

8.2

1.6

0

0.0

0.0

1,875

무응답

75.0

0

0

0

0.0

0.0

0.0

음악

53.7

7.5

0

0.0

1.5

1.5

11,279

미술

42.9

0

7.1

3.6

0.0

3.6

21,250

디자인

37.5

0

0

0.0

0.0

0.0

0.0

무용

28.6

0

0

0.0

7.1

14.3

90,000

연극/영화 /미디어

69.5

0

3.4

1.7

0.0

0.0

3,181

문학

40.0

0

0

0.0

0.0

0.0

0.0

통합

100.0

0

0

0.0

0.0

0.0

0.0

무응답 가정 경제 수준

무료

19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2.14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교육에 참여할 시간 부 족이 27.6%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관심 있는 교육 부족 17.1%, 교통 불편 14.1%, 교육비용 부담 11.8%, 참여시설 부족 9.4%, 함께 배울 사람이 없음 8.8%, 교 육안내 정보 부족이 4.7%로 나타남.

<그림 Ⅴ-45>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에 대한 성별 차이에서는 여자 청소년들이 남자청소년에 비해 교통 불편 부분을 상대적으로 높게 응답하였으며, 남자 청소년은 참여시설 부족 부 분에 있어 여자 청소년에 비해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성적 수준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적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교육비용 부담과 참 여시설 부족의 어려움이 높았음. 성적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관심 있는 교육 부족의 어려움의 응답비율이 높았음. ㅇ 가정 형편 수준에 따른 차이에서는 가정 형편 수준이 좋은 집단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집단의 청소년에 비해 교통 불편과 참여시설 부족의 어려움이 높았음. 한편 가정형편이 좋지 않은 집단의 청소년은 다른 집단에 비해 교육 참여시간 부족과 관심 있는 교육 부 족, 교육비용 부담의 어려움에 더 많은 응답을 나타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91


<표 Ⅴ-4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어려운 점 단위: %, 사례수: 170

교 육 에 참 여 할 시 간 부족

관 심 있 는 교 육 부족

교 통 불편

교 육 비 용 이 부 담

께 울 람 없

교 육 안 내 정 보 부족

무응답

재 미 없 어 서

27.6

17.1

14.1

11.8

11.8

9.4

8.8

4.7

1.8

0.6

남성

27.4

16.7

9.5

6.0

14.3

13.1

9.5

2.4

3.6

1.2

여성

27.9

17.4

18.6

17.4

9.3

5.8

8.1

7.0

0.0

0.0

초등학생

37.5

0.0

25.0

25.0

0.0

12.5

0.0

0.0

0.0

0.0

중학생

26.5

17.6

17.6

8.8

2.9

17.6

14.7

5.9

8.8

0.0

고등학생

22.6

16.7

13.1

14.3

9.5

10.7

10.7

7.1

0.0

0.0

무응답

38.1

21.4

9.5

7.1

23.8

0.0

2.4

0.0

0.0

2.4

서울권

41.2

17.6

11.8

11.8

17.6

5.9

0.0

5.9

5.9

5.9

경기권

30.4

13.0

13.0

26.1

4.3

13.0

8.7

0.0

0.0

0.0

강원권

27.3

9.1

9.1

0.0

54.5

0.0

0.0

0.0

0.0

0.0

충청권

18.2

18.2

18.2

13.6

4.5

4.5

18.2

4.5

4.5

0.0

경상권

30.8

17.3

13.5

5.8

9.6

9.6

13.5

5.8

0.0

0.0

전라권

22.2

20.0

15.6

13.3

8.9

13.3

4.4

6.7

2.2

0.0

25.8

16.1

12.9

22.6

9.7

3.2

9.7

0.0

0.0

0.0

28.8

13.7

17.8

8.2

12.3

12.3

8.2

6.8

2.7

1.4

25.0

21.9

10.9

10.9

12.5

9.4

9.4

4.7

1.6

0.0

무응답

100. 0

0.0

0.0

0.0

0.0

0.0

0.0

0.0

0.0

0.0

7.7

15.4

23.1

0.0

0.0

30.8

15.4

7.7

7.7

0.0

23.9

15.2

13.0

14.1

15.2

8.7

9.8

5.4

1.1

1.1

36.1

21.3

14.8

11.5

6.6

6.6

6.6

3.3

1.6

0.0

무응답

50.0

0.0

0.0

0.0

50.0

0.0

0.0

0.0

0.0

0.0

음악

29.9

7.5

16.4

14.9

11.9

10.4

7.5

1.5

3.0

1.5

미술

28.6

25.0

14.3

21.4

3.6

7.1

7.1

7.1

7.1

0.0

디자인

25.0

25.0

12.5

12.5

12.5

25.0

12.5

0.0

0.0

0.0

무용

21.4

14.3

28.6

0.0

14.3

21.4

7.1

7.1

0.0

0.0

연극/영화 /미디어

23.7

16.9

8.5

6.8

13.6

13.6

5.1

6.8

5.1

0.0

문학

0.0

40.0

0.0

20.0

0.0

40.0

0.0

0.0

0.0

0.0

통합

0.0

50.0

50.0

0.0

0.0

0.0

0.0

0.0

0.0

0.0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19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없음

참 여 시 설 부족

함 배 사 이 음


2.2.15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ㅇ 학교 밖 청소년들 가운데 최근 1년 동안 학교에 재학중인 경험이 있는 학교 밖 청소년 대상으로 정규수업 외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5점 기준 4.17 점(100점 환산 79.2점)으로 나타났음. 학교 밖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은 5점 기준 4.18점(100점 환산 79.6점)으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가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Ⅴ-4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의 성별 차이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만족도의 점 수가 낮은 편이었음. ㅇ 학업성적이 낮은 집단이,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집단이 학교문화예술교육과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문학이 학교와 학교 밖 문화예술교 육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학교 문화예술교육 가운데 미술의 경우 만족도가 가장 낮고,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에서는 디자인이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93


<표 Ⅴ-47>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 단위: 점, 사례수: 170

구분

성별

학교 중단 시기(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

학교 문화예술교육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응답평균

100점 환산

응답평균

100점 환산

전체

4.17

79.2

4.18

79.6

남성

4.18

79.5

4.30

82.5

여성

4.16

78.9

4.06

76.6

초등학생

4.13

78.1

4.25

81.3

중학생

4.16

79.0

4.15

78.8

고등학생

4.14

78.6

4.06

76.6

무응답

4.24

81.1

4.45

86.2

서울권

4.24

80.9

4.50

87.5

경기권

4.05

76.1

4.05

76.2

강원권

4.73

93.2

4.73

93.2

충청권

4.18

79.4

4.16

78.9

경상권

4.12

77.9

4.08

77.0

전라권

4.11

77.8

4.12

78.0

4.13

78.3

4.21

80.4

4.32

83.1

4.21

80.4

4.04

75.9

4.14

78.4

무응답

3.50

62.5

4.00

75.0

4.00

75.0

3.90

72.5

4.27

81.7

4.29

82.4

4.05

76.3

4.05

76.3

무응답

4.25

81.3

4.50

87.5

음악

4.20

80.0

4.32

83.1

미술

4.04

76.0

3.96

74.0

디자인

4.14

78.6

3.75

68.8

무용

4.36

84.1

4.36

84.1

연극/영화/미디어

4.23

80.7

4.17

79.3

문학

4.80

95.0

4.80

95.0

통합

4.50

87.5

4.50

87.5

19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2.16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ㅇ 문화예술교육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학교 밖 청소년에게 불만족 이유를 확인한 결 과, 교육 시간(44.4%)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교육 내용(22.2%), 교육 강사와 교 육 참여자와의 관계(각각 11.1%)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47>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에 대한 전체 응답 내용은 성별에 따라 다 소 차이를 보이는데, 여자 청소년은 교육 시간에 대한 불만족이 100.0%였음. ㅇ 가정경제적 수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는 가정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이 교 육 시간에 대한 불만족이 100.0%에 해당하였음. ㅇ 학업성적에 따른 불만족 역시 성적이 좋은 집단의 불만족 사유가 교육 시간이 100.0%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95


<표 Ⅴ-4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불만족 이유 단위: %, 사례수: 170

구분

성별

학업 중단 시기(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교육 내용

교육 강사

교육 참여자와의 관계

무응답

전체

44.4

22.2

11.1

11.1

11.1

남성

28.6

28.6

14.3

14.3

14.3

여성

100.0

0.0

0.0

0.0

0.0

초등학생

100.0

0.0

0.0

0.0

0.0

0.0

50.0

0.0

0.0

50.0

고등학생

66.7

0.0

33.3

0.0

0.0

무응답

33.3

33.3

0.0

33.3

0.0

서울권

50.0

0.0

0.0

50.0

0.0

경기권

0.0

0.0

0.0

0.0

100.0

충청권

0.0

0.0

100.0

0.0

0.0

경상권

66.7

33.3

0.0

0.0

0.0

전라권

50.0

50.0

0.0

0.0

0.0

100.0

0.0

0.0

0.0

0.0

60.0

20.0

20.0

0.0

0.0

0.0

50.0

0.0

50.0

0.0

무응답

0.0

0.0

0.0

0.0

100.0

50.0

0.0

50.0

0.0

0.0

40.0

40.0

0.0

20.0

0.0

100.0

0.0

0.0

0.0

0.0

0.0

0.0

0.0

0.0

100.0

음악

50.0

25.0

0.0

25.0

0.0

미술

100.0

0.0

0.0

0.0

0.0

디자인

100.0

0.0

0.0

0.0

0.0

0.0

33.3

33.3

0.0

33.3

중학생

무응답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

교육 시간

연극/영화/미디어

19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3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인식 2.3.1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에 대해서는 변화 없음이 47.7%, 늘어났다는 응답은 29.2%, 줄어 들었다의 응답은 20.6%로 나타나 1년 전과 비교해 늘어났다는 인식을 비교적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그림 Ⅴ-4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ㅇ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변화에 대해 성별로 살펴보면, 늘어들었다는 응 답은 남자 청소년은 19.8%인 반면 여자 청소년은 26.1%로 나타나 여자 청소년들이 문화 예술교육 시간 증가를 더욱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학업 성취 수준에서는 학업 성적이 좋은 집단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증가를 비교적 더 많이 체감하고 있음. ㅇ 가정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의 청소년들도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증가를 비교적 더 많이 체감하고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97


<표 Ⅴ-4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단위: %, 사례수: 411

매우 줄어듦

줄어듦

변화 없음

늘어남

매우 늘어남

무응답

7.5

13.1

47.7

22.9

6.3

2.4

남성

7.9

14.4

49.0

19.8

4.5

4.5

여성

7.2

12.1

46.4

26.1

8.2

0.0

무응답

0.0

0.0

50.0

0.0

0.0

50.0

초등학생

0.0

16.7

33.3

16.7

25.0

8.3

중학생

7.1

13.1

52.4

20.2

4.8

2.4

고등학생

8.1

14.2

48.8

22.0

4.9

2.0

무응답

7.8

7.8

40.6

29.7

10.9

3.1

서울권

9.1

9.1

36.4

24.2

12.1

9.1

경기권

0.0

20.5

40.9

29.5

9.1

0.0

강원권

13.0

0.0

60.9

17.4

8.7

0.0

충청권

8.8

14.7

48.5

19.1

2.9

5.9

경상권

8.9

17.9

47.2

20.3

5.7

0.0

전라권

6.7

8.3

50.8

25.8

5.8

2.5

6.3

16.3

42.5

27.5

6.3

1.3

8.8

11.3

48.1

22.5

6.9

2.5

7.1

13.7

49.4

21.4

6.0

2.4

무응답

0.0

0.0

66.7

0.0

0.0

33.3

4.7

11.6

65.1

14.0

4.7

0.0

8.2

16.4

46.1

21.6

5.2

2.6

7.8

8.5

44.2

27.9

9.3

2.3

무응답

0.0

0.0

57.1

28.6

0.0

14.3

음악

6.0

10.4

41.8

26.9

11.9

3.0

미술

7.1

7.1

39.3

25.0

17.9

3.6

디자인

0.0

0.0

62.5

37.5

0.0

0.0

무용

7.1

7.1

35.7

35.7

14.3

0.0

연극/영화/미디어

1.7

6.8

33.9

40.7

15.3

1.7

문학

0.0

0.0

80.0

0.0

20.0

0.0

통합

0.0

0.0

0.0

50.0

50.0

0.0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활동(유형)

19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3.2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변화 이유 2.3.2.1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한 이유 ㅇ 학교 밖 청소년들 중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에게 감 소 이유에 대해 확인한 결과,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이 25.9%로 가장 높았음.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 18.8%, 참여비용 부담 14.1%,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이 12.9%, 주변에서 다른 것을 권함 9.4%, 학업 부담과 함께 교 육에 참여할 사람이 없음 각각 8.2%,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지 않음이 4.7% 등의 순 으로 나타남.

<그림 Ⅴ-4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한 이유

ㅇ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청소년들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 여비 용 부담,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 학업 부담을 더 많이 느끼고 있으며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과 주변에서 다른 것을 권하는 비 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는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을 더 많이 응답하였음.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 부분에 있어서 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비율을 보임. ㅇ 가정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구분에서는 가정 경제적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응답하고 있음. 가정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에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비율을 보임.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199


<표 Ⅴ-5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감소 이유 단위: %, 사례수: 85

참여 비용부 담 때문에

문화예 술교육 의 다양한 프로그 램 부족

18.8

14.1

20.0

26.7

32.5

구분

문화예 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

문화예 술교육 의 관심 부족

전체

25.9

남성 여성

무응답

주변에 서 다른 것을 권함

12.9

10.6

6.7

6.7

10.0

22.5

0.0

0.0

중학생

29.4

고등학생

학업 부담

함께 참여할 사람이 없음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지 않음

9.4

8.2

8.2

4.7

11.1

13.3

4.4

15.6

6.7

20.0

10.0

5.0

12.5

0.0

2.5

50.0

0.0

0.0

0.0

50.0

0.0

0.0

17.6

17.6

17.6

5.9

5.9

0.0

11.8

0.0

25.5

21.8

10.9

12.7

14.5

7.3

9.1

7.3

5.5

무응답

30.0

10.0

10.0

0.0

0.0

30.0

0.0

10.0

10.0

서울권

33.3

0.0

0.0

0.0

0.0

50.0

0.0

0.0

16.7

경기권

22.2

22.2

0.0

44.4

0.0

11.1

11.1

11.1

22.2

강원권

66.7

33.3

0.0

0.0

0.0

0.0

0.0

0.0

0.0

충청권

31.3

18.8

18.8

6.3

18.8

0.0

0.0

0.0

6.3

경상권

27.3

18.2

12.1

12.1

12.1

9.1

6.1

15.2

0.0

전라권

11.1

22.2

27.8

11.1

11.1

5.6

22.2

5.6

0.0

38.9

5.6

22.2

11.1

0.0

5.6

11.1

5.6

11.1

25.0

18.8

9.4

9.4

12.5

9.4

6.3

6.3

3.1

20.0

25.7

14.3

17.1

14.3

11.4

8.6

11.4

2.9

가정경 제 수준

28.6

0.0

14.3

14.3

0.0

14.3

0.0

0.0

28.6

26.3

15.8

7.0

12.3

15.8

10.5

8.8

12.3

3.5

23.8

33.3

33.3

14.3

0.0

4.8

9.5

0.0

0.0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분야

음악

45.5

0.0

9.1

0.0

0.0

27.3

9.1

9.1

0.0

미술

25.0

0.0

0.0

25.0

0.0

25.0

0.0

0.0

25.0

무용

0.0

0.0

0.0

0.0

0.0

50.0

0.0

0.0

50.0

40.0

40.0

0.0

20.0

0.0

0.0

0.0

0.0

0.0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초등학생

연극 /영화 /미디어

20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3.2.2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이유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시간적 여유가 생김 24.2%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 23.3%,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이 늘어남 20.8%, 진로에 도움이 됨과 주변의 권유가 각각 16.7%, 문화예술교육 선생님이 잘 가르쳐 주어서와 참여 비용부담이 줄어듦이 각각 7.5%, 함께 하고 싶은 사람이 생김 2.5%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5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이유

ㅇ 성별로 살펴본 참여시간 증가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음.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 에 비해 시간적 여유가 생김과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 문화예술교육의 관 심이 늘어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주변의 권유 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ㅇ 성적 수준이 낮을수록 시간적 여유가 생김과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의 응답 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 수준이 높은 집단은 진로에 도움이 됨의 응답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ㅇ 가정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시간적 여유가 생김과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이 늘어남의 응답 률이 높아지며, 가정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의 응답 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01


<표 Ⅴ-5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 증가 이유 단위: %, 사례수: 120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문화 예술 교육 선생 님이 잘 가르 쳐 주어 서

구분

시간 적 여유 가 생김

문화 예술 교육 프로 그램 이 다양 해짐

문화 예술 교육 의 관심 이 늘어 남

전체

24.2

23.3

20.8

16.7

16.7

7.5

7.5

5.0

2.5

0.8

남성

18.4

20.4

14.3

16.3

24.5

8.2

6.1

10.2

4.1

0.0

여성

28.2

25.4

25.4

16.9

11.3

7.0

8.5

1.4

1.4

1.4

초등학생

80.0

0.0

0.0

0.0

40.0

0.0

0.0

0.0

20.0

0.0

중학생

33.3

23.8

28.6

23.8

9.5

14.3

14.3

9.5

4.8

0.0

고등학생

18.2

27.3

22.7

15.2

10.6

6.1

9.1

4.5

1.5

0.0

무응답

19.2

19.2

15.4

15.4

30.8

7.7

0.0

3.8

0.0

3.8

서울권

33.3

16.7

16.7

33.3

8.3

16.7

16.7

8.3

0.0

0.0

경기권

47.1

23.5

11.8

23.5

11.8

0.0

11.8

0.0

11.8

0.0

강원권

0.0

0.0

33.3

33.3

50.0

0.0

0.0

0.0

0.0

0.0

충청권

33.3

33.3

20.0

20.0

6.7

6.7

6.7

6.7

0.0

0.0

경상권

15.6

31.3

21.9

9.4

21.9

12.5

0.0

3.1

0.0

0.0

전라권

18.4

18.4

23.7

10.5

15.8

5.3

10.5

7.9

2.6

2.6

진로 에 도움 이 됨

주변 의 권유 로

참여 비용 부담 이 줄어 듦

학업 에 도움 이 됨

함께 참여 할 사람 이 생김

무응 답

11.1

14.8

18.5

22.2

14.8

7.4

14.8

7.4

0.0

0.0

23.4

23.4

31.9

12.8

19.1

12.8

6.4

4.3

4.3

0.0

32.6

28.3

10.9

17.4

15.2

2.2

4.3

4.3

2.2

2.2

37.5

12.5

25.0

12.5

0.0

12.5

0.0

12.5

0.0

0.0

25.8

19.4

22.6

17.7

17.7

6.5

4.8

6.5

1.6

1.6

20.8

31.3

18.8

14.6

18.8

6.3

12.5

2.1

4.2

0.0

무응답

0.0

0.0

0.0

50.0

0.0

50.0

0.0

0.0

0.0

0.0

음악

7.7

23.1

23.1

26.9

15.4

11.5

7.7

0.0

0.0

0.0

미술

25.0

41.7

16.7

41.7

16.7

16.7

16.7

8.3

0.0

0.0

디자인

33.3

66.7

0.0

0.0

0.0

0.0

33.3

33.3

33.3

0.0

0.0

14.3

57.1

14.3

14.3

0.0

0.0

0.0

0.0

0.0

30.3

12.1

27.3

21.2

27.3

9.1

3.0

3.0

3.0

0.0

0.0

0.0

0.0

100.0

0.0

0.0

0.0

0.0

0.0

0.0

0.0

50.0

0.0

0.0

0.0

0.0

0.0

50.0

0.0

0.0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통합

20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2.3.3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언급한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으로 는 참여 비용 지원 24.1%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 육 정보 증가 16.5%, 함께 참여할 참여자확보 15.1%,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수 확 대 13.6%, 문화예술교육 시설의 설치 11.9%, 문화예술교육 시간 증가가 9.0%, 문화예 술교육의 내용 수준 향상 7.5%, 문화예술교육 도구(재료) 지원 7.1% 등의 순으로 나 타남.

<그림 Ⅴ-51> 학교 밖 청소년의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ㅇ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참여 비용 지원과 문화예술교육 정보 증가,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수 확대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함께 참여할 참여자확보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음. ㅇ 학업성적에 따라서는 학업성적이 좋을수록 참여 비용 지원과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수 확대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함께 참여할 참여자확보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는 가정형편이 좋을수록 문화예술교육 정보 증가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며, 가정 경제가 어려울수록 문화예술교육 도구(재료) 지원의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03


<표 Ⅴ-52> 학교 밖 청소년의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전체 남성 여성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음악 미술 디자인 무용 연극/영화/미디어 문학 통합

참여 비용 지원

정보 증가

함께 참여할 참여자 확보

24.1 20.3 27.5 50.0 16.7 23.8 26.4 17.2 18.2 18.2 30.4 30.9 20.3 26.7 31.3 26.9 18.5 0.0 27.9 21.6 27.1 28.6 19.4 17.9 12.5 28.6 15.3 20.0 0.0

16.5 14.9 18.4 0.0 8.3 15.5 18.3 12.5 18.2 25.0 39.1 11.8 13.8 14.2 18.8 21.9 10.7 0.0 20.9 17.2 14.7 0.0 16.4 35.7 0.0 14.3 16.9 0.0 50.0

15.1 17.3 13.0 0.0 25.0 13.1 15.0 14.1 9.1 13.6 8.7 10.3 22.0 14.2 6.3 10.0 23.8 33.3 11.6 18.5 10.1 14.3 19.4 10.7 0.0 21.4 18.6 0.0 0.0

20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프로그 램 수 확대

교육 시설의 설치

교육 시간 증가

교육의 내용수 준 향상

13.6 10.4 16.9 0.0 8.3 15.5 11.4 18.8 18.2 15.9 21.7 5.9 16.3 11.7 16.3 13.8 11.9 33.3 14.0 12.5 15.5 14.3 11.9 7.1 37.5 21.4 18.6 40.0 0.0

11.9 12.9 11.1 0.0 0.0 15.5 13.0 6.3 9.1 9.1 8.7 7.4 12.2 16.7 12.5 14.4 9.5 0.0 11.6 12.1 12.4 0.0 11.9 14.3 25.0 28.6 27.1 40.0 50.0

9.0 9.4 8.7 0.0 8.3 4.8 10.2 10.9 9.1 6.8 4.3 5.9 7.3 14.2 12.5 8.1 8.3 0.0 7.0 10.3 7.8 0.0 11.9 3.6 0.0 0.0 1.7 0.0 0.0

7.5 8.9 6.3 0.0 0.0 8.3 7.3 7.8 15.2 6.8 0.0 8.8 9.8 4.2 8.8 5.6 8.9 0.0 4.7 7.8 8.5 0.0 10.4 10.7 25.0 7.1 8.5 0.0 0.0

단위: %, 사례수: 411

교육 도구지 원

지역사회 내 교육 프로그 램 확대

무응답

교강사 수준 향상

문화예 술교육 동아리 확대

7.1 5.0 9.2 0.0 0.0 7.1 5.7 14.1 9.1 4.5 4.3 5.9 6.5 9.2 3.8 6.9 8.9 0.0 2.3 5.6 11.6 0.0 7.5 17.9 25.0 0.0 6.8 0.0 0.0

5.4 5.0 5.8 0.0 0.0 8.3 3.7 9.4 12.1 0.0 0.0 5.9 5.7 5.8 6.3 4.4 6.0 0.0 4.7 5.6 5.4 0.0 9.0 14.3 0.0 0.0 1.7 0.0 0.0

5.1 8.9 1.0 50.0 25.0 7.1 3.7 4.7 9.1 4.5 4.3 7.4 6.5 1.7 2.5 3.8 7.1 33.3 4.7 5.6 3.1 28.6 3.0 7.1 0.0 0.0 6.8 0.0 0.0

5.1 5.4 4.8 0.0 8.3 2.4 6.1 3.1 12.1 4.5 4.3 4.4 4.1 5.0 7.5 4.4 4.8 0.0 4.7 3.9 7.0 14.3 7.5 0.0 12.5 0.0 5.1 0.0 0.0

4.1 3.0 5.3 0.0 0.0 4.8 4.1 4.7 3.0 9.1 4.3 2.9 3.3 4.2 2.5 4.4 4.8 0.0 4.7 4.3 3.9 0.0 3.0 10.7 0.0 7.1 5.1 0.0 0.0


2.3.4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1순위로는 대중음악(밴 드/보컬/기타(guitar)) 25.3%, 뮤지컬 5.8%, 서양악기 5.1%, 만화/웹툰/애니메이션과 연극 각각 4.9%, 드로잉/ 스케치 4.6%, 대중무용과 목공예가 각각 4,4%, 사진 4.1% 등을 상위 선호 분야로 응답하였음.

<그림 Ⅴ-52>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상위 10순위

ㅇ 학교 밖 청소년의 성별 선호도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 해 대중음악, 만화/웹툰/애니메이션, 목공예의 욕구가 높은 반면,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 소년보다 서양악기, 연극, 드로잉/스케치, 대중무용(K_POP/방송댄스) 선호도가 높은 것으 로 확인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05


<표 Ⅴ-53>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순위(상위 12위) 단위: %, 사례수: 411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형편 수준

만화/ 웹툰/ 애니 메이션

구분

대중 음악

뮤 지 컬

전체

25.3

5.8

5.1

4.9

4.9

4.6

4.4

4.4

28.2 22.7 0.0 25.0 32.1 22.0 29.7 30.3 22.7 30.4 23.5 21.1 29.2 25.0 27.5 23.8 0.0 20.9 22.8 31.0 28.6

5.0 6.3 50.0 8.3 3.6 6.9 4.7 3.0 9.1 0.0 4.4 8.9 4.2 7.5 6.9 4.2 0.0 0.0 6.9 6.2 0.0

3.5 6.8 0.0 0.0 4.8 5.3 6.3 6.1 4.5 13.0 1.5 4.9 5.8 5.0 7.5 3.0 0.0 2.3 5.2 6.2 0.0

7.4 2.4 0.0 0.0 6.0 5.3 3.1 0.0 6.8 21.7 2.9 5.7 2.5 2.5 4.4 6.0 33.3 9.3 4.7 3.1 14.3

3.5 6.3 0.0 16.7 9.5 2.8 3.1 6.1 9.1 0.0 7.4 3.3 4.2 5.0 6.3 3.6 0.0 11.6 3.4 5.4 0.0

3.5 5.8 0.0 8.3 7.1 4.9 0.0 3.0 2.3 0.0 10.3 4.1 4.2 6.3 6.3 2.4 0.0 2.3 5.6 3.1 14.3

2.5 6.3 0.0 8.3 4.8 4.5 1.6 6.1 4.5 13.0 7.4 1.6 3.3 3.8 2.5 6.5 0.0 9.3 4.7 2.3 0.0

5.9 2.9 0.0 0.0 1.2 6.1 3.1 0.0 2.3 4.3 4.4 3.3 7.5 5.0 3.8 4.2 33.3 2.3 4.7 3.9 14.3

남성 여성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서양 악기

20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연극

드로 잉/스 케치

대중 무용

목 공 예

금속/ 비즈/ 주얼리 공예

시각/ 영상 디자 인

오케 스트라

영화 (UCC 제작)

4.1

3.9

3.2

2.2

2.2

3.5 4.8 0.0 0.0 1.2 5.7 3.1 0.0 2.3 4.3 5.9 4.1 5.0 3.8 4.4 4.2 0.0 7.0 5.2 1.6 0.0

1.0 6.8 0.0 0.0 2.4 3.7 7.8 0.0 6.8 4.3 0.0 3.3 6.7 2.5 3.1 5.4 0.0 2.3 3.4 5.4 0.0

2.0 4.3 0.0 0.0 1.2 4.1 3.1 0.0 6.8 4.3 2.9 0.8 5.0 3.8 4.4 1.8 0.0 4.7 3.4 2.3 0.0

2.5 1.9 0.0 0.0 1.2 1.6 6.3 6.1 0.0 0.0 2.9 4.1 0.0 3.8 1.9 1.8 0.0 0.0 3.0 1.6 0.0

3.5 1.0 0.0 8.3 1.2 2.0 3.1 3.0 0.0 0.0 0.0 4.1 2.5 2.5 0.6 3.6 0.0 2.3 2.6 1.6 0.0

사진

건축/ 환경 디자 인

서예/ 캘리 그래피

2.2

2.2

2.2

2.0 2.4 0.0 0.0 2.4 2.8 0.0 0.0 0.0 0.0 2.9 4.1 1.7 2.5 1.3 3.0 0.0 2.3 2.2 2.3 0.0

3.5 1.0 0.0 8.3 3.6 1.6 1.6 0.0 6.8 4.3 0.0 4.1 0.0 2.5 1.3 3.0 0.0 0.0 3.4 0.8 0.0

1.0 3.4 0.0 0.0 2.4 2.4 1.6 0.0 2.3 0.0 1.5 2.4 3.3 1.3 1.3 3.6 0.0 2.3 1.7 3.1 0.0

전통 악기


<표 Ⅴ-54>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1+2+3순위(상위 12위)/복수응답 단위: %, 사례수: 411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지역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구분

대중 음악

대중 무용

뮤지컬

만화/웹 툰/애니 메이션

연극

사진

영화 (UCC 제작)

서양 악기

드로잉/ 스케치

전체

35.5

17.3

16.5

15.3

14.6

12.7

11.4

11.2

11.4

9.7

9.7

9.0

9.0

37.1 33.8 50.0 50.0 34.5 33.7 39.1 39.4 34.1 47.8 39.7 26.8 39.2 37.5 34.4 36.3 0.0 27.9 34.9 39.5 28.6

14.9 19.8 0.0 41.7 15.5 14.6 23.4 24.2 20.5 26.1 16.2 13.8 16.7 15.0 19.4 16.7 0.0 23.3 16.4 16.3 28.6

12.9 19.8 50.0 33.3 14.3 17.9 10.9 9.1 22.7 8.7 17.6 18.7 15.0 16.3 18.8 14.9 0.0 11.6 16.4 19.4 0.0

15.8 15.0 0.0 8.3 14.3 15.4 17.2 6.1 13.6 43.5 7.4 17.1 15.8 15.0 15.6 14.3 66.7 23.3 13.8 14.0 42.9

11.4 17.9 0.0 16.7 13.1 15.9 10.9 6.1 20.5 13.0 14.7 16.3 13.3 12.5 18.1 12.5 0.0 16.3 14.7 14.7 0.0

14.4 11.1 0.0 0.0 10.7 13.4 15.6 9.1 9.1 21.7 14.7 8.9 15.8 12.5 13.1 11.9 33.3 14.0 15.5 7.0 14.3

15.8 7.2 0.0 16.7 10.7 11.0 12.5 9.1 9.1 4.3 14.7 9.8 14.2 11.3 10.6 11.9 33.3 11.6 11.6 10.9 14.3

9.4 13.0 0.0 8.3 14.3 11.0 9.4 6.1 11.4 21.7 8.8 12.2 10.8 12.5 13.8 8.3 0.0 2.3 12.1 13.2 0.0

7.9 15.0 0.0 16.7 13.1 12.6 4.7 12.1 9.1 4.3 16.2 8.1 14.2 15.0 15.0 6.5 0.0 11.6 12.5 9.3 14.3

5.9 13.5 0.0 8.3 10.7 9.8 9.4 0.0 6.8 13.0 13.2 5.7 15.0 10.0 6.9 12.5 0.0 7.0 10.3 10.1 0.0

11.9 7.7 0.0 0.0 6.0 11.4 10.9 3.0 11.4 8.7 11.8 7.3 12.5 15.0 8.1 8.3 33.3 4.7 9.5 11.6 14.3

14.4 3.9 0.0 8.3 7.1 9.3 10.9 12.1 11.4 17.4 2.9 10.6 7.5 12.5 9.4 7.1 0.0 11.6 10.8 4.7 14.3

7.9 10.1 0.0 16.7 4.8 9.8 9.4 9.1 11.4 4.3 11.8 6.5 10.0 12.5 10.0 6.5 0.0 4.7 10.3 7.8 14.3

남성 여성 무응답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무응답 서울권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전라권 상 중 하 무응답 상 중 하 무응답

서예/ 캘리그 래피

목공예

건축/ 환경 디자인

시각/ 영상 디자인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07


2.3.5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장소는 청소년시설이 57.4%로 가장 높 고, 그 다음으로 문화기반시설 18.5%, 학원 13.4%, 학교 4.9%, 지역문화 복지시설 3.2%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53>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ㅇ 성별 차이에 있어서는 남자 청소년은 청소년시설 선호도가 여자 청소년에 비해 높은 반면,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에 비해 문화기반시설과 학원의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됨. ㅇ 학업 성적이 낮을수록 문화기반시설과 학원의 선호도가 낮아지며, 학교의 선호도는 높아지 고 있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청소년시설의 선호도는 높아지며, 학원의 선호도는 낮아지 는 것으로 나타남.

20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55>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 장소 단위: %, 사례수: 411

성별

구분

문화 기반 시설

학원

전체

57.4

18.5

13.4

4.9

3.2

3.2

1.0

권역

공부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분야

학교

무응 답

종교 시설

장소 무관 0.7

실습 가능한 편안한 장소

0.7

0.2

남성

61.9

13.4

8.9

6.4

5.0

4.0

1.0

1.0

1.5

0.0

여성

53.6

23.2

17.9

3.4

1.0

2.4

1.0

0.5

0.0

0.5

0.0

50.0

0.0

0.0

50.0

0.0

0.0

0.0

0.0

0.0

초등학생

58.3

33.3

8.3

0.0

0.0

0.0

0.0

0.0

0.0

0.0

중학생

58.3

10.7

20.2

7.1

3.6

3.6

2.4

0.0

0.0

0.0

고등학생

58.9

19.5

13.4

2.8

3.3

3.3

0.0

0.4

0.8

0.4

무응답

51.6

20.3

6.3

9.4

3.1

3.1

3.1

3.1

1.6

0.0

서울권

54.5

9.1

15.2

12.1

9.1

3.0

0.0

0.0

0.0

0.0

경기권

54.5

27.3

13.6

6.8

0.0

4.5

0.0

0.0

0.0

0.0

강원권

60.9

17.4

13.0

4.3

0.0

0.0

0.0

4.3

0.0

0.0

충청권

63.2

14.7

11.8

1.5

4.4

4.4

1.5

0.0

1.5

0.0

경상권

60.2

15.4

12.2

5.7

3.3

4.1

1.6

0.8

1.6

0.0

전라권

52.5

23.3

15.0

3.3

2.5

1.7

0.8

0.8

0.0

0.8

56.3

20.0

21.3

1.3

1.3

2.5

0.0

0.0

0.0

0.0

59.4

19.4

12.5

3.8

2.5

1.9

1.3

0.6

1.3

0.0

56.5

16.7

10.7

7.7

4.2

4.8

1.2

1.2

0.6

0.6

무응답

33.3

33.3

0.0

0.0

33.3

0.0

0.0

0.0

0.0

0.0

48.8

23.3

16.3

4.7

2.3

2.3

0.0

0.0

2.3

0.0

56.9

18.1

14.2

5.6

3.9

3.0

0.9

1.3

0.9

0.0

무응답 학교 중단 시기 (교급)

지역 문화 복지 시설

청소 년시 설

62.0

17.8

11.6

3.1

0.8

3.9

1.6

0.0

0.0

0.8

무응답

42.9

14.3

0.0

14.3

28.6

0.0

0.0

0.0

0.0

0.0

음악

56.7

11.9

22.4

6.0

1.5

3.0

4.5

0.0

0.0

0.0

미술

71.4

3.6

14.3

0.0

10.7

3.6

0.0

0.0

0.0

0.0

디자인

62.5

0.0

12.5

25.0

0.0

0.0

0.0

0.0

0.0

0.0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42.9

28.6

21.4

7.1

0.0

0.0

0.0

0.0

0.0

0.0

69.5

22.0

0.0

0.0

3.4

3.4

1.7

3.4

1.7

1.7

80.0

0.0

20.0

0.0

0.0

0.0

0.0

0.0

0.0

0.0

통합

50.0

0.0

0.0

0.0

50.0

0.0

0.0

0.0

0.0

0.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09


2.3.6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향후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경우 함께 참여하고 싶은 사람에 대 해서는 친구가 71.8%로 월등히 높고, 그 다음으로 혼자 18.5%, 동아리 회원 5.6%, 부 모님/ 형제자매의 가족과의 참여 희망은 3.2%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54>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ㅇ 성별 현황에서는 남자 청소년이 친구와의 참여 희망이 여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 청소년은 혼자 참여 희망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ㅇ 성적 수준이 낮을수록 친구와의 참여 선호도가 높아지며,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혼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21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56>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단위: %, 사례수: 411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공부 수준

가정 형편 수준

가 장 적극적 으 로 참여한 활동 분야

동아리 회원

부모님/형 제자매

무응답

그 외 가족/친척

구분

친구

혼자

무관

전체

71.8

18.5

5.6

3.2

2.2

1.2

0.5

남성

74.3

15.8

5.4

2.5

3.5

1.0

0.5

여성

69.6

21.3

5.8

3.9

0.5

1.4

0.5

무응답

50.0

0.0

0.0

0.0

50.0

0.0

0.0

초등학생

75.0

16.7

0.0

16.7

0.0

0.0

0.0

중학생

66.7

21.4

4.8

4.8

3.6

0.0

0.0

고등학생

72.8

17.9

6.1

2.8

2.0

2.0

0.4

무응답

76.6

17.2

3.1

0.0

1.6

0.0

1.6

서울권

66.7

18.2

3.0

3.0

12.1

0.0

0.0

경기권

65.9

18.2

9.1

9.1

0.0

2.3

2.3

강원권

69.6

34.8

4.3

0.0

0.0

0.0

0.0

충청권

72.1

20.6

7.4

4.4

0.0

1.5

0.0

경상권

73.2

17.1

4.1

2.4

2.4

0.8

0.0

전라권

74.2

15.8

5.8

1.7

1.7

1.7

0.8

68.8

18.8

7.5

7.5

1.3

1.3

0.0

71.3

18.8

5.6

3.1

1.9

0.6

0.6

74.4

17.9

4.8

1.2

2.4

1.8

0.6

무응답

33.3

33.3

0.0

0.0

33.3

0.0

0.0

67.4

18.6

7.0

4.7

4.7

0.0

0.0

75.0

15.9

6.5

2.6

1.3

0.9

0.9

69.0

22.5

3.9

3.9

1.6

2.3

0.0

무응답

42.9

28.6

0.0

0.0

28.6

0.0

0.0

음악

74.6

20.9

3.0

0.0

1.5

1.5

0.0

미술

64.3

25.0

0.0

7.1

3.6

0.0

0.0

디자인

75.0

12.5

12.5

0.0

0.0

0.0

0.0

무용

78.6

14.3

0.0

0.0

0.0

7.1

0.0

연극/영화/ 미디어

74.6

16.9

5.1

3.4

1.7

1.7

1.7

문학

60.0

20.0

20.0

0.0

0.0

0.0

0.0

통합

50.0

0.0

0.0

0.0

50.0

0.0

0.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11


2.3.7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향후 참여할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은 실습/표현형이 43.6% 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체험형 31.1%, 관람/감상형 16.8%, 창작/제작형 8.5%, 강 의 교육형이 6.8% 순으로 나타남. <그림 Ⅴ-55>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실습/표현형의 선호도가 상당히 높았 으며,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체험형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됨. ㅇ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실습/표현형, 체험형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됨. ㅇ 가정 경제의 수준이 낮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실습/표현형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가정 경제의 수준이 높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관람형의 선호도도 다소 높 음을 알 수 있음.

[문화예술교육 방식] -강의 교육형 강의 형태교육 -관람/감상형 독서, 영화·연극 관람, 미술·음악감상 등 -체험형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배우는 체험 활동 등 -실습/표현형 악기연주, 무용·사진배우기 등 -창작/제작형 영화제작·창작무용·문학발표회 등

21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57> 학교 밖 청소년의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단위: %, 사례수: 411

실습/ 표현형

체험형

관람/ 감상형

43.6

31.1

16.8

8.5

6.8

2.7

0.2

남성

37.6

34.7

16.3

6.4

8.9

5.0

0.5

여성

49.8

28.0

16.9

10.6

4.8

0.0

0.0

구분 전체 성별

무응답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분 야

창작/ 제작형

강의 교육형

무응답

없음

0.0

0.0

50.0

0.0

0.0

50.0

0.0

초등학생

33.3

50.0

8.3

0.0

8.3

0.0

0.0

중학생

57.1

26.2

8.3

7.1

9.5

3.6

0.0

고등학생

40.2

32.5

19.9

7.7

7.3

2.4

0.4

무응답

40.6

29.7

17.2

12.5

1.6

3.1

0.0

서울권

51.5

18.2

24.2

3.0

15.2

9.1

0.0

경기권

43.2

36.4

9.1

9.1

11.4

0.0

0.0

강원권

26.1

17.4

26.1

26.1

4.3

0.0

0.0

충청권

48.5

35.3

10.3

7.4

5.9

1.5

0.0

경상권

43.1

31.7

16.3

5.7

5.7

4.9

0.0

전라권

42.5

32.5

20.0

10.0

5.0

0.8

0.8

45.0

33.8

18.8

7.5

8.8

1.3

0.0

44.4

31.9

13.1

9.4

7.5

2.5

0.6

42.3

29.2

19.6

8.3

5.4

3.0

0.0

무응답

33.3

33.3

0.0

0.0

0.0

33.3

0.0

41.9

20.9

20.9

11.6

9.3

2.3

0.0

41.8

33.6

15.9

8.6

7.8

3.0

0.4

48.1

30.2

17.8

7.0

4.7

0.8

0.0

무응답

28.6

28.6

0.0

14.3

0.0

28.6

0.0

음악

62.7

23.9

9.0

4.5

9.0

1.5

0.0

미술

28.6

28.6

17.9

32.1

7.1

3.6

0.0

디자인

37.5

37.5

12.5

25.0

12.5

0.0

0.0

무용

64.3

7.1

14.3

21.4

7.1

0.0

0.0

연극/영화/미디어

40.7

28.8

15.3

18.6

5.1

3.4

0.0

문학

20.0

20.0

0.0

40.0

20.0

0.0

0.0

통합

0.0

50.0

0.0

0.0

0.0

50.0

0.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13


2.4 문화예술행사 참여 경험 2.4.1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최근 1년 동안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은 영화관 관람이 6.5회 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대중음악 관람이 평균 5.0회 미술전시회, 연극공연, 뮤지 컬공연이 1.7회, 전통예술공연 1.6회, 클래식음악회/오페라 1.5회, 문학 행사 1.4회, 무 용공연 1.3회 정도 관람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 Ⅴ-5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ㅇ 성별 차이에서는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영화관 상영 영화 관람의 경험이 상 대적으로 높았으며,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에 비해 연극공연, 뮤지컬 공연 무용공연 등의 관람 횟수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문학행사와 연극공연 관람의 참여도가 다소 높아지며, 학업성적이 낮 을수록 뮤지컬 관람의 참여도가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는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이 뮤지컬 공연 관람의 경험이 다른 집단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남.

21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5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관람 경험 단위: 횟수, 사례수: 411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수 준

가정형 편 수준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문학 행사

미술 전시 회

클래식 음악회 / 오페라

전통 예술 공연

연극 공연

뮤지 컬공 연

무용 공연

영화관 상영 영화

대중 음악

기타

1.4

1.7

1.5

1.6

1.7

1.7

1.3

6.5

5.0

1.0

남성

1.6

1.7

1.5

1.6

1.6

1.6

1.0

8.6

3.2

1.0

여성

1.2

1.6

1.4

1.5

1.9

1.9

1.5

4.9

6.4

-

무응답

-

-

-

-

1.0

-

-

-

-

-

초등학생

1.0

1.0

-

1.0

1.0

1.5

-

3.0

2.0

1.0

중학생

1.3

1.5

1.4

2.0

1.6

1.6

1.0

4.4

2.3

-

고등학생

1.5

1.7

1.5

1.4

1.9

1.9

1.3

6.6

3.0

-

무응답

1.3

1.8

1.5

2.0

1.3

1.2

1.0

9.3

15.9

-

서울권

1.5

1.5

2.0

2.0

1.3

1.3

-

5.0

3.5

-

경기권

1.0

3.0

1.3

1.5

1.0

1.8

3.0

4.5

4.0

1.0

강원권

1.3

1.8

1.0

1.0

1.0

1.6

-

4.9

6.0

-

충청권

1.8

1.4

1.6

1.8

2.8

1.9

1.0

4.9

2.7

-

경상권

1.2

1.7

1.3

1.5

1.5

2.2

1.0

6.0

2.9

-

전라권

1.3

1.7

1.7

1.4

1.7

1.3

1.0

9.1

7.5

-

1.7

2.0

1.6

1.5

2.8

1.4

1.7

11.3

2.2

1.0

1.2

1.4

1.4

1.4

1.4

1.8

1.0

4.3

7.9

-

1.0

1.5

1.4

2.0

1.3

2.0

1.0

5.7

3.9

-

무응답

-

-

1.0

1.0

1.0

-

-

-

-

1.3

2.0

1.0

1.7

1.9

1.4

-

11.2

2.0

1.0

1.5

1.5

1.7

1.5

2.0

1.7

1.3

6.2

7.7

-

1.1

1.8

1.1

1.8

1.1

2.0

1.0

5.6

2.7

-

무응답

-

3.0

1.0

1.0

1.0

-

4.0

-

-

음악

1.6

2.0

1.4

1.8

1.5

1.7

1.0

4.7

2.8

-

미술

1.0

1.8

1.0

1.5

1.0

5.0

-

2.5

10.0

-

디자인

-

1.0

-

-

1.0

1.0

-

3.2

-

-

무용

-

1.0

1.0

-

1.0

1.0

3.0

4.8

23.0

-

연극/영화 /미디어

1.7

1.8

1.4

1.7

2.8

1.6

1.0

6.9

4.3

-

문학

-

-

-

-

-

-

-

7.3

1.0

-

통합

-

-

-

-

-

-

-

20.0

2.0

-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15


2.4.2 문화예술행사참여 횟수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최근 1년 동안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는 대중음악이 3.8회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영화관 상영 영화 3.1회 무용공연 3.0회, 클래식음악회/오페 라 1.8회, 미술전시회, 뮤지컬공연이 1.4회, 문학 행사 1.3회, 전통예술공연 1.0회로 나 타남. <그림 Ⅴ-57>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영화관 상영 영화, 대중음악 참여가 상대적으로 높았음. ㅇ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문학행사와 연극공연 관람의 참여도가 다소 높아지며, 학업성적이 낮 을수록 뮤지컬 관람의 참여도가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음, ㅇ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서는 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이 전반적으로 참여 횟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21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5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행사 참여 횟수 경험 단위: 횟수, 사례수: 411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학업 성적

가정 형편 수준

구분

문학 행사

미술 전시 회

클래식 음악회 / 오페라

전체

1.3

1.4

1.8

1.0

1.1

1.4

3.0

3.1

3.8

1.0

남성

1.5

1.6

2.0

1.0

1.0

1.5

3.0

2.7

3.0

1.0

여성

1.0

1.0

1.0

1.0

1.2

1.4

3.0

3.5

5.0

초등학생

1.0

-

-

-

-

-

-

2.0

중학생

1.0

1.0

1.0

1.0

2.0

-

1.5

-

-

고등학생

-

1.0

1.0

1.1

1.3

3.0

3.6

3.5

-

무응답

2.0

2.3

-

-

1.0

1.3

-

6.0

5.0

-

서울권

1.0

2.0

-

-

1.0

-

-

2.0

-

경기권

1.0

-

-

1.0

1.3

3.0

2.2

7.0

1.0

강원권

-

-

-

-

2.0

1.0

-

-

충청권

1.0

1.0

2.0

1.0

1.5

1.7

3.0

4.7

3.0

-

경상권

-

-

2.0

-

1.0

1.7

-

3.8

2.0

-

전라권

1.7

1.5

1.0

1.0

1.0

-

2.5

5.0

-

1.0

1.0

2.0

1.0

1.3

1.0

3.0

2.8

4.0

1.4

1.8

1.5

-

1.0

1.3

-

2.4

3.5

-

1.0

1.0

-

1.0

1.0

1.7

3.0

4.0

-

-

1.0

-

-

-

-

-

-

1.7

1.3

1.8

1.0

1.1

1.3

3.0

2.9

5.0

-

1.0

1.0

-

-

1.0

1.6

-

3.3

2.0

-

3.0

-

-

-

-

-

-

1.2

1.7

3.0

3.0

3.7

1.0

1.2

4.3

4.0

무응답 최근 1년간 문화 예술 교육 참여 여부

-

- 1.8

1.0 -

-

있음

1.0

1.5

2.0

없음

1.7

1.3

1.0

전통 예술 공연

연극 공연

뮤지 컬공 연

무용 공연

영화관 상영 영화

대중 음악

기타

- 1.0

-

-

-

-

-

-

-

- 1.0

1.0

1.0

- 1.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17


2.5 문화예술교육 효과 인식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인식, 즉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들에게 미치 는 영향을 심리 및 정서적 안정, 진로 및 학습, 대인관계 및 공동체 의식, 삶의 질, 행 복감 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청소년들이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한 분야는 문화예술은 즐거움을 준다에 3.9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음.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은 나를 행복하게 해준다에 3.81점, 상상력이 풍부해진다 3.78점,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와 나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킨다 3.76점 등을 나타냈음. 청소년들은 문화예술교육이 성 적향상에 도움을 준다 부분에 3.19점의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고, 그 다음으로 문 화예술교육이 자신이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준다는 부분에 있어 3.46점의 점수를 부여하였음.

<그림 Ⅴ-58>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인식

ㅇ 성별 차이에서는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에 비해 비교적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음을 알 수 있음.

21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60>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인식 단위: 5점 기준, 사례수: 411

구분

전체 성별 학교 중단 시기 (교급)

권역

성적 수준

가정 경제 수준

나의 스트레 스를 줄여줌

상상력 이 풍부해 지는데 도움이 됨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 는데 도움이됨

마음을 편안하 게 해줌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됨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됨

다른 사람들 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는 데 도움이됨

나 자신을 이해하 는 데 도움이 됨

주변 사람들 을 하나가 되도록 도와줌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

나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킴

나를 행복 하게 해줌

즐거움 을 줌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줌

3.69

3.78

3.60

3.76

3.67

3.19

3.73

3.74

3.66

3.46

3.76

3.81

3.91

3.74

남성

3.61

3.66

3.53

3.61

3.56

3.18

3.66

3.64

3.61

3.42

3.65

3.69

3.82

3.66

여성

3.78

3.90

3.69

3.90

3.79

3.21

3.81

3.84

3.72

3.50

3.86

3.93

4.01

3.83

무응답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초등학생

3.91

4.00

3.73

4.00

3.73

3.36

3.64

3.82

3.64

3.55

3.82

3.91

4.00

4.00

중학생

3.57

3.67

3.55

3.70

3.61

3.10

3.73

3.66

3.59

3.28

3.63

3.77

3.78

3.57

고등학생

3.68

3.74

3.56

3.71

3.63

3.16

3.68

3.69

3.59

3.41

3.72

3.76

3.90

3.71

무응답

3.92

4.07

3.87

3.98

3.95

3.46

4.00

4.11

4.08

3.90

4.08

4.07

4.16

4.07

서울권

3.85

3.94

3.76

3.94

3.79

3.36

3.79

3.85

3.91

3.70

3.88

4.03

4.09

3.88

경기권

3.74

3.81

3.74

3.86

3.81

3.12

3.81

3.77

3.65

3.53

3.74

3.84

3.93

3.79

강원권

3.74

3.91

3.59

3.78

3.96

3.22

3.65

3.70

3.83

3.57

3.87

3.91

4.13

3.83

충청권

3.68

3.77

3.50

3.72

3.63

3.13

3.69

3.60

3.48

3.20

3.81

3.83

3.97

3.74

경상권

3.54

3.70

3.54

3.64

3.60

3.18

3.61

3.74

3.56

3.38

3.56

3.65

3.79

3.63

전라권

3.78

3.78

3.64

3.80

3.63

3.22

3.84

3.79

3.76

3.56

3.87

3.86

3.91

3.78

3.84

3.78

3.68

3.84

3.74

3.36

3.81

3.75

3.70

3.53

3.88

3.96

4.04

3.88

3.82

3.90

3.66

3.84

3.73

3.25

3.83

3.81

3.69

3.46

3.84

3.85

3.99

3.80

3.51

3.68

3.53

3.64

3.59

3.07

3.62

3.69

3.63

3.42

3.63

3.70

3.79

3.62

무응답

3.33

3.00

3.00

3.67

3.33

2.67

3.33

3.00

3.00

3.33

3.00

3.33

3.67

3.33

3.59

3.88

3.63

3.66

3.76

3.39

3.73

3.71

3.68

3.55

3.83

3.98

3.98

3.80

3.66

3.71

3.54

3.68

3.59

3.15

3.68

3.69

3.62

3.36

3.68

3.74

3.86

3.68

3.78

3.87

3.70

3.92

3.77

3.19

3.81

3.85

3.74

3.58

3.86

3.88

3.98

3.82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19


가장 적극적 으로 참여한 활동 (유형)

무응답

3.86

3.71

3.71

4.00

3.86

3.29

3.86

3.71

3.57

3.71

3.71

3.86

4.00

3.86

음악

4.17

4.15

3.91

4.17

4.06

3.35

4.14

4.18

4.09

3.74

4.09

4.18

4.32

4.20

미술

3.67

3.89

3.67

3.59

3.74

3.26

3.70

3.67

3.59

3.48

3.67

3.70

3.70

3.74

디자인

3.63

3.88

3.25

3.25

4.00

3.50

3.63

3.63

3.75

3.38

3.50

3.88

3.88

3.75

무용 연극/영화 /미디어 문학

4.00

3.79

3.93

4.00

3.93

3.79

4.07

4.00

3.93

3.93

4.14

4.14

4.14

4.14

3.85

4.04

3.83

3.98

3.91

3.46

4.13

4.06

4.07

3.80

4.02

4.00

4.11

3.94

4.00

4.20

4.00

3.80

3.80

3.20

4.40

4.40

4.20

4.00

4.40

4.40

4.40

4.40

통합

5.00

5.00

5.00

5.00

5.00

1.00

1.00

3.00

3.00

3.00

4.00

4.00

4.00

4.00

22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3.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비교 3.1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비교 3.1.1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낮은 경험 ㅇ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 를 나타냄. 학생들은 최초 참여시기도 빠르고 문화예술을 교육받은 경험도 학교 밖 청소 년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남. 학교 밖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을 받아보지 못한 청소년이 26.5%로 학생의 2배 이상을 나타내고 있음. 하지만 최근 1년 동안의 문화예술교육의 참 여 경험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그림 Ⅴ-59>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낮은 경험

3.1.2 학교 밖 청소년의 가정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낮은 지지 ㅇ 학교 밖 청소년은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정의 지지가 적은 것으 로 확인됨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는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간 차이가 나지 않지만 문화예술교육 미참여 이유에 대해서는 학생은 학업에 대한 부담 등으로 시간이 없는 이유를 학교 밖 청 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언급하고, 학교 밖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의 정보 부족과 가 정의 경제적 사정이 학교 청소년에 비해 2~3배 정도 높게 나타나고 있음. ㅇ 학생의 문화예술교육 동반 참여자에 있어서도 학교 밖 청소년이 부모님 및 형제자매와 문 화예술교육을 참여하는 비율이 학생에 비해 9배 이상 차이를 보이고 있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21


<그림 Ⅴ-60>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 동반참여자

ㅇ 이러한 차이는 향후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청소년들 은 현재 혼자 참여하는 것보다는 향후 친구와의 참여를 더욱 원하고 있음. 한 가지 유념 해야 하는 것은 학교 밖 청소년들이 최근 1년 동안 부모와 함께 문화예술교육을 참여하는 비율은 현저히 낮지만(0.6%), 향후 부모님 및 형제자매와의 참여를 원하는 비율은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점임. ㅇ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사항에 대해서도 학 생들은 시간 증가를 우선적으로 언급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은 참여 비용 지원을 언급함으 로써 가정경제적 상태의 열악함을 직·간접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음. <그림 Ⅴ-61>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희망 동반자 및 참여증진을 위한 고려 사항

3.1.3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분야의 차이 ㅇ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의 참여분야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가 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남. 학생은 서양악기와 드로잉의 비중

22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이 높지만 학교 밖 청소년은 대중음악, 영화 교육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ㅇ 이는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분야 선정 시 학교 밖 청소년의 욕구와 특성이 반영된 것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음. <그림 Ⅴ-62>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분야의 차이

3.1.4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 지속성의 차이 ㅇ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 학교 밖 청소년 들이 학생에 비해 1시간 미만 참여보다는 1~3시간 교육 참여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됨. ㅇ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들은 문화예술교육이 단기 교육에 머물러 있어 6개월 이상 교육 참 여자에 있어서는 학생과 차이를 보이고 있음. <그림 Ⅴ-63>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 지속성의 차이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23


3.1.5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의 차이 ㅇ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이 고 있음. 이는 학교 밖 청소년들은 문화예술교육 참여 분야에 있어 청소년들의 욕구가 반 영된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참여한 것도 하나의 요인일 수 있음. 이러한 불만족 이유에 대 해 학생들은 교육내용과 교육 강사에 대한 불만족 사유를 가장 많이 언급하고 있고, 학교 밖 청소년은 교육시간가 교육내용을 가장 많이 응답함. <그림 Ⅴ-64>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의 차이

3.1.6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생에 비해 문화예술교육 시간이 늘어났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남. 문화예술교육 시간이 줄어든 이유에 대해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이유는 달리 나타나고 있음. 학생은 참여시간 부족과 학업 부담이 큰 이유를 차지하고 학교 밖 청소년 은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부족과 참여 비용 부담을 상대적으로 높게 응답하고 있음. <그림 Ⅴ-65>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

22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3.1.7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 인지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효과 인지에 대한 차이에서는 대체적으로 학교 밖 청소년이 학생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문화예술교육을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문하예술교육 효과 문항 가운데 학교성적 향상에 도움이 됨, 행복하게 해줌,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줌의 문항에서는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인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아니었음. <그림 Ⅴ-66>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 인지

3.2 성별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비교 3.2.1 여자 청소년들의 조기 문화예술교육과 높은 경험률 ㅇ 남녀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 유의미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은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시 기가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임. 여자 청소년은 초등학교 입학 전 문화예술교육 참여 비율도 남자 청소년에 비해 약 8%p 높고, 교육받은 경험이 없는 비율도 남자 청소 년에 비해 50% 낮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25


<그림 Ⅴ-67> 성별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진입 시기의 차이

ㅇ 최근 1년 동안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율에 있어서도 여자 청소년이 약 7%p 높게 나타나는 데 이러한 참여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283, p<.01)로 나타났음. ㅇ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기간과 참여시간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참여기간 t=-2.331, p<.05, 참여시간 t=3-2.070, p<.05). <그림 Ⅴ-68> 성별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경험 차이

3.2.2 문화예술교육 참여 분야의 차이 ㅇ 청소년들은 성별로 문화예술교육 참여 분야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임. 최근 1년간 가장 적 극적으로 참여한 문하예술교육 상위 5위 내에서 성별 차이를 설펴보면, 남학생의 경우 서 22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양악기 교육과 대중음악, 독서토론의 참여도가 높은 반면, 여학생의 경우 드로잉, 대중무 용의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최근 1년간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참여 중복 응답에 대한 질문에서는 서양악기와 독서토론 참여에 있어 성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음. 이는 여학생들이 서양악기와 독서토론 자체 참 여율은 남자 청소년과 다르지 않으나 이 두 분야에 적극적으로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

3.2.3 여자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 인지 ㅇ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 효과 부분에 있어서도 성별 차이를 보임. 문화 예술교육 효과의 14개 요소 가운데 4개 요소(공감, 성적 관계형성, 공동체 부분)를 제외한 10개의 요소에서 남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ㅇ 하지만 학교 안과 학교 밖의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여자 청소년의 만족도 점 수가 다소 높았지만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음. <그림 Ⅴ-69> 성별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차이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27


3.3 문화예술교육 참여여부, 참여시기, 투입시간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비교 3.3.1 문화예술교육 참여여부의 중요성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경험 여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인지를 살펴본 결 과, 참여여부에 따라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모든 문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나타냄. ㅇ 이는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매우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음. <표 Ⅴ-61>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여부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차이 구분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스트레스를 줄여줌 문화예술교육은 상상력이 풍부해지는데 도움이 됨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도 움이 됨 문화예술교육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줌 문화예술교육은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됨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됨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는데 도움 이 됨 문화예술교육은 나 자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문화예술교육은 주변 사람들을 하나가 되도록 도와줌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 문화예술교육은 나를 행복하게 해줌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줌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줌

22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문화예술 교육 참여여부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참여 미참여

평균 3.83 3.56 3.93 3.65 3.72 3.49 3.91 3.69 3.86 3.51 3.50 3.14 3.89 3.65 3.95 3.61 3.79 3.57 3.57 3.39 3.93 3.68 4.06 3.72 4.12 3.78 3.96 3.65

t

p

6.395

.000

6.560

.000

5.444

.000

5.066

.000

7.675

.000

7.801

.000

5.677

.000

8.036

.000

5.028

.000

3.896

.000

5.894

.000

7.909

.000

7.947

.000

7.275

.000


3.3.2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기의 중요성 ㅇ 청소년들이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가 빠를수록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모든 문항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영향(p<.01)을 보이고 있음. ㅇ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문화예술교육을 일찍 접할수록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 인식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음. <표 Ⅴ-62>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기가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β

t

p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스트레스를 줄여줌

.066

3.919

.000

문화예술교육은 상상력이 풍부해지는데 도움이 됨

.045

2.672

.008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도움이 됨

.049

2.908

.004

문화예술교육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줌

.059

3.458

.001

문화예술교육은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됨

.073

4.311

.000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됨

.049

2.867

.004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는데 도움이 됨

.094

4.784

.000

문화예술교육은 나 자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068

4.032

.000

문화예술교육은 주변 사람들을 하나가 되도록 도와줌

.073

4.283

.000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

.063

3.715

.000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

.047

2.792

.005

문화예술교육은 나를 행복하게 해줌

.066

3.910

.000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줌

.071

4.193

.000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줌

.056

3.311

.001

3.3.3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의 중요성 ㅇ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이 길수록 대체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 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p<.05)으로 나타났음. ㅇ 이러한 결과는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이 길수록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 인식 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음. ㅇ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참여기간이 학교 학업 성적 향상과 지역 및 국가에 대한 소속감 향상 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음.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29


<표 Ⅴ-63>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기간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구분

β

t

p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스트레스를 줄여줌

.106

4.459

.000

문화예술교육은 상상력이 풍부해지는데 도움이 됨

.126

5.321

.000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도움이 됨

.079

3.295

.001

문화예술교육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줌

.102

4.301

.000

문화예술교육은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됨

.096

4.038

.000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됨

.041

1.700

.089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는데 도움이 됨

.087

3.661

.000

문화예술교육은 나 자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096

4.037

.000

문화예술교육은 주변 사람들을 하나가 되도록 도와줌

.062

2.587

.010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

.035

1.478

.140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

.111

4.664

.000

문화예술교육은 나를 행복하게 해줌

.120

5.040

.000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줌

.122

5.155

.000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줌

.104

4.390

.000

3.3.4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중요성 ㅇ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많을수록 문화예술교육 효과 전 문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p<.05)을 미치고 있음. ㅇ 이러한 결과는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길수록 문화예술교육에 긍정적 인식 이 증가한다고 할 수 있음.

23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64>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이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 구분

β

t

p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스트레스를 줄여줌

.094

3.960

.000

문화예술교육은 상상력이 풍부해지는데 도움이 됨

.102

4.326

.000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도움이 됨

.085

3.609

.000

문화예술교육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줌

.083

3.519

.000

문화예술교육은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됨

.108

4.575

.000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됨

.048

2.035

.080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는데 도움이 됨

.074

3.120

.000

문화예술교육은 나 자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121

5.143

.000

문화예술교육은 주변 사람들을 하나가 되도록 도와줌

.073

3.084

.002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

.052

2.204

.028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

.105

4.431

.000

문화예술교육은 나를 행복하게 해줌

.080

3.396

.001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줌

.079

3.333

.000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줌

.090

3.810

.000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31


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질적 연구 결과 4.1 질적 연구 자료수집 과정과 개요 ㅇ 정성연구 분석을 위한 초점집단면접(FGI)은 10대 청소년 대상 2회, 전문가 대상 2회로 총 4회의 면접조사가 시행되었음. ㅇ 본 정성연구에서는 전체 10대 청소년 집단에서 비율상 소규모에 해당하며 정규교육 프로 그램에서 소외된 대상을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을 시행하고자 보호시설에 소속된 10대 청 소년을 면접조사 대상으로 삼았음. 따라서 청소년 보호시설 기관장 혹은 담당 실무자를 통해 면접조사 대상자를 모집함. 이를 위해 문지기(gate keeper) 역할을 맡은 시설 관계자 에게 본 연구사업과 정성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는 과정을 선행하였음. 이후, 시설 관계자의 판단에 근거하여 면접조사 참여자를 소개받고 FGI를 시행함. ㅇ Gate keepers의 판단에 따라 면접조사에 성실히 참여해줄 수 있는 인원을 모집하는 과정 에서 현재 정규교육과정에 속해 있는 학생들의 FGI 참여가 이루어졌으나, 사교육에 참여 하고 있지 않는다는 점과 보호시설에서 제공 중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동일하게 참 여하고 있다는 부분을 고려하여 분석에 포함하였음. ㅇ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를 섭외함에 있어 10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대한 다각적 접근 과 이해를 도출하기 위해 해당 분야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는 전문가를 섭외하고자 함. ㅇ 전문가 대상 FGI에서는 청소년 집단 대상과 구분되어 전반적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현 황을 담고자 함. 다시 말해, 학교 안 교과과정 및 비교과 문화예술교육 활동, 보호시설 내 문화예술교육 활동, 민간 주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등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포 괄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범주로 삼아 집단면접을 시행하였음.

4.1.1 질적 연구 FGI 참여자 구성 ㅇ 면접조사 참여 인원수는 10대 청소년 총 7명, 전문가 총 9명임. 청소년 참여자의 연령은 14세에서 18세까지 넓게 분포된 편에 속하나, 성별이 모두 여자였다는 부분이 한계점으로 인식될 수 있음. 이는 남자 청소년에 대한 접근성이 비교적 낮았던 환경적 요인과 연구자 의 성별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임.

23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표 Ⅴ-65> 보호기관 거주 10대 청소년 면접조사 참여자 소속 서울시 소재 청소년 쉼터

경기도 소재 청소년 쉼터

연령

성별

학교재학 여부

부여코드

17세

고교 재학

A1

14세

정규학업과정 중단

A2

17세

고교 재학

A3

18세

고교 재학

B1

15세

정규학업과정 중단

B2

15세

정규학업과정 중단

B3

15세

불규칙으로 출석

B4

총 참여인원

7명

<표 Ⅴ-66>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면접조사 참여자 구분

1차 FGI

2차 FGI 총 참여인원

소속/역할

성별

전문 분야

부여코드

학계

문화예술

C1

정책연구자

문화예술

C2

예술 강사

연극/통합교과

C3

학계

민간사업분야

C4

실무자

방과 후 사업

C5

실무자

학교 밖 시설 사업

C6

학교 교사

만화/통합교과

D1

장학사

학교 사업

D2

정책연구자

문화예술

D3

9명

4.2 질적 연구 분석 방법 ㅇ 정성연구는 현황분석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정성적 기술연구(Qualitative Descriptive Research) 방법을 도입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함. ㅇ 총 4회의 초점면접조사(FGI)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개방형 코딩(open coding)과 축코딩 (axis coding) 기법을 통해 분석됨. 1차로 시행한 개방형 코딩을 활용한 분석 내용을 바탕 으로 앞서 완료된 정량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를 축으로 삼아 구조화하여 2차 축코딩을 시행함. 이로써 정성연구와 정량연구의 개연성을 높인 통합적 분석을 시도하여, 보다 입체 적인 분석내용을 통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목적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33


4.3 질적 연구 분석 내용 4.3.1 10대 청소년 면접조사 참여자 ㅇ 학교 밖 시설에서 만난 청소년들과의 면담조사를 통해 그들이 생각하고 경험했던 문화예 술교육에 대해 논의를 진행함. 면담조사에서 뿐만 아니라 분석을 통해서도 가장 두드러지 게 도출된 내용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명확한 인식이 자리 잡히지 않았으며, 일반 예술 활동 혹은 기능중심의 예술교육과 혼동하고 있다는 점이었음. ㅇ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설명과 함께 예시를 제공하였으며, 그들의 전반적인 예술 활동 참여경험 중 문화예술교육으로 분류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함. (1) 난해한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문화예술교육이 뭐에요? ㅇ 면담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범주와 특성이 청소년들에게는 난해하고 불분명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음. 특히, 일반 교과중심의 예술교육과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워했음. 미술이랑 문화예술교육이랑 구분하기가 어려운거 같아요. 분간하기가. 어떻게 보면 미술 같기도 하고 어떻게 보면 문화예술 같기도... (A2)

ㅇ 또한, ‘문화’처럼 단어의 광범위한 범주와 포괄적인 정의 때문에 어렵다는 응답과 ‘교육’이 라는 단어가 주는 경험적 선입견으로 문화예술교육 역시 지식전달 중심일 것이라는 추측 이 바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게 너무 어려운 단어잖아요? 그래서 너무 와 닿지 않고, 정확히 제가 이거를 한 거 같은 건 그래도 [...] 계속 어른들이 뭘 만들어 내라, 막 너의 꿈을 보여주는 그런 그림을 만들어내라 아니면 이런 그림을 보고 너는 무슨 생각이 드냐, 이런 거는 많이 해봤지만 정확히 그게 문화예술 교육인지를 모르겠어요. [...] 뭔가 문화예술교육은 교육이잖아요? 그래서 뭔가 저희가 배우고 그런 게 있어야 되는데 그렇다고 하기보다는 그냥 학교에서 뭐를 그날 뮤지컬을 보거나 뭐 미술수업이 있다거나 뭐 그런 식으로 해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A1)

(2) 초등학교 수업과 연극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험이 많지는 않지만, 학교나 청소년 쉼터와 같이 학교 밖 청소년 보호시설에서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대부분 초등학교 시절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것이 있다 혹은 있는 것 같다고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초등학교 정규교육 과정에 서의 통합교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됨. 23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ㅇ 참여했던 프로그램의 주요 장르로 언급된 것은 연극이 중복되게 나타났음. 이 밖에도 뮤지 컬 배우가 강의하는 수업, 미래과학 영화 감상 후 그림 그리기 활동 등에 참여했던 것으 로 나타남. 연극 하셨던 분이 [중학교에] 오셔가지고 우리가 연극할 수 있게 이렇게 약간 자유롭게? 그때도 좀 자유로웠던 거 같아요. 자기가 이렇게 연극 리허설 같은 것도 꾸미고 무대 감독 하고 싶은 사람하고, 막 분장하고 싶은 사람하고, 자기가 하고 싶은 역할 할 수 있게 해줘요. (A2) 여기[쉼터]에서 프로그램 담당하는 선생님이..., 무상으로 봉사하는 쌤들이 오셔서 강의하시거나..., 어떤 단체에서 오시지 않나? (B1, B3, B4)

(3) 문화예술교육의 자율적 수업 분위기 선호 ㅇ 면담조사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참여했던 문화예술교육 중 좋았던 점으로 꼽은 것은 첫째, 선생님(예술강사)의 수업 분위기 그리고 둘째, 자유로운 수업 환경으로 나타남. ‘선생님의 분위기’는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 혹은 선생님이 조성하는 수업 분위기를 의미하 고 있어 ‘자유로운 수업 환경’과 서로 연관되는 지점이 있는 것으로 보임. ㅇ 또한 전부는 아니지만 다수의 면담 참여자가 선생님이 제시한 사물을 따라 그리기 보다는 생각을 표현하는 방식의 수업에 더욱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함. 음... 몸으로 표현할 때는 그러니까 미술시간에는 딱 주제를 정해놓고 이걸 그려라 그러잖아요. 그런데 이런 거[문화예술교육] 할 때는 자유로우니까 뭔가 되게 무지 좋았어요. 자유로웠던 게... 그러니까 자기가 하고 싶은걸 할 수 있는 시간이여서... (A2) 맞아. 그런데 진짜 선생님 분위기에 따라 달렸을 거 같아요. 선생님이 정말 재미없게 하면은 약간 별로 일거 같아요. 군기잡거나 약간... (A1)

(4) 참여 장애요인Ⅰ: 흥미 유발에 실패한 학교예술교육 ㅇ 쉼터에서 제공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좋았던 점이 없다고 응답했던 청소 년들은 프로그램 참여여부가 자발적이지 않고 시키는 것을 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기 때 문이라고 설명함. ㅇ 프로그램 소재 자체에 대해 청소년들이 느끼는 흥미도에 따라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호감 도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임. 별로 이렇게 내용이 이해되지도 않고 한국드라마도 하는데 미국드라마가 솔직히 재미없잖아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35


솔직히. 근데 그걸 소감문으로 쓰라고 하지를 않나. 막 몇 줄 막 이렇게 몇 줄씩 쓰라고...(A2) 막 그런 게 싫었어요. 적어도 8줄. 10줄. 막 재미없었어요. 진짜. (A1, A2, A3)

ㅇ 청소년 면담참여자들은 학교의 예술 교육이 재미없는 이유로 선생님의 생각과 요구가 중 심이 되기 때문에 의욕이 없어진다고 이야기 함. 이 때, 점수 산출이 목적이 되는 교육방 식으로 인해 학생중심의 예술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응답함. 이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지적은 아니지만, 청소년들이 예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는 데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부분임. 약간 중·고등학교는 채점을 명확하게 해야 된다고 해야 되나? 그래서 선생님이 원하시는 그 그런 그림이나 그런 작품이 나오지 않으면 [점수가] 좀 많이 깎이고 그렇다 보니까 많은 아이들이 선생님이 원하는 추구하시는 것 그런 미술을 하는 거예요. 자기가 원하는 것 보다는... (A1) 재밌는 걸 만드는 창작활동인데 그걸 완전 뭐라 해야 되지 진지하게 말해가지고 이렇게, 이렇게 똑같이... (A2) 너무 과도한 설명, 진지한 표정으로... 그 설명을 통해서 너무 자기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는데 그러면 어느 순간부터는 아이들의 머리에서는 창의력이 막 없어지고 약간 떨어지고 그 선생님의 생각을 더 많이 반영하는 그런 게 있어요. (A1)

(5) 참여 장애요인Ⅱ: 시간적 여유와 정보의 부족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어려운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내용은 시간이었음. 학업과 아르바이 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다른 활동에 참여하기에는 여유롭지 않다는 것임. 학교를 다닌다고 하면 평일에 학교가고, 용돈이 필요하면 남은시간엔 알바 가야하고... 아니면 검정고시를 준비하던가... (B1) 그러니까 토요 이런 거 많은데 근데 안하는 애들이 많아가지고 폐지 된 적이 많거든요. 그러니까 그런 거 신청하면 차라리 그때 자고 막 이제 주말이니까... 그러고 말지... (A2)

ㅇ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내용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참여 가 어렵다고 응답함. 더 나아가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도 없고 접해본 경험이 없어 참여를 결정하기가 어렵다고 이야기 함. 너무 안 알려져 있어요. [...] 아직까지도 문화예술교육이 뭔지 모르겠어요. (B3)

23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6) 동기의 결여: 왜 해야 하죠? ㅇ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의사를 묻는 질문에 대해 다수의 청소년 면담조사 참여자가 참여 의지가 없다고 밝혔음. 주된 이유로 전문 예술가가 될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과 재미 없을 것 같다고 설명함. 그러나 그 배경에는 아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분명한 이 해가 자리 잡고 있지 않아 위와 같은 응답이 돌아온 것으로 이해됨. 그렇게 참여하진 않을 거 같은데요...(A3) 구지 그걸 배울 필요가 없잖아요. [...] 약간 그게 자기의 길도 아니고 나중에 커서 뮤지컬 배우가 될 것도 아니고 배우가 될 것도 아니고 영화에 나올 것도 아닌데 구지? (A1)

(7) 관심 있는 예술 활동: 공예 ㅇ 청소년들이 관심을 보인 예술 활동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은 손으로 무엇인가를 만들기였음. 또한, 그 창작의 결과물이 실용적인 것이기를 바랐고, 비즈공예와 같이 액세서리 종류를 만들기를 언급함. 그 밖에도 음악을 들으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는 면담 참여자도 있 었음. 손으로 뭐 만드는 거 창작, 실용성 있는 거, 집에 가서 쓸 수 있는 거 막 이상한 종이접기 그런 거 말고...(A1) 저는 한 가지 오래 집중하는 것을 좋아해서 공예나 만들기 좋아해요. 액세서리 만들거나...(B1)

ㅇ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기를 바랐음. 자신들에게 선택지 가 주어지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음이 나타남. 한가지만해서 ‘이거해라’가 아니라, 여러 가지 있어서 하고 싶은 거 할 수 있게... 여러 가지 종류... (B2, B1)

4.3.2 전문가 면접조사 참여자 ㅇ 다음은 문화예술교육 관련 각 분야별 전문가와 함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정책 적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분석한 결과임. 전문가 대상 FGI 조사 자료 분석에 서는 문화예술교육 대상자 혹은 참여자의 시각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37


등의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거나 일정 기간 이상 관찰에 참여해온 이들의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 ㅇ 전문가 FGI 자료는 인터뷰 참여자의 전문성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사적 배 경과 지식내용을 내포하고 있음. 또한 학교 내 통합교과과정, 학교 밖 시설과의 협업을 바 탕으로 한 부처 간 사업 등 폭넓고 다양한 층위의 문화예술교육을 염두하여 논의가 진행 되었음. ㅇ 다음의 분석 내용은 면담조사 참여자들의 이해하고 있는 대상자, 즉 청소년의 특성을 바탕 으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목적 또는 기대효과, 그리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문화 예술교육에서 드러나는 영향과 문제점을 도출한 것임. 또한, 논의과정에서 제시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여 함께 제시함. (1) 문화예술교육 대상자인 청소년에 대한 관찰과 이해 ㅇ 전문가들이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마주하고 경험했던 요즘 청소년들의 특성과 관심사 를 도출한 내용임. 전반적으로 자신의 흥미와 관심사에 대해 명확한 이미지를 갖고 있지 않으며, 혹은 제시하지 않고 있음이 나타남. 그러나 요즘 청소년들이 활발하게 그리고 적 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곳이 온라인 공간이라는 지적은 유의미하게 다가옴. ㅇ 불분명한 관심사와 의욕상실:

제한된 선택사항에서 결정하는 것이 익숙하여 본인의 관심사를 명확하게 떠올리지 못하 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음. 이러한 특성은 간혹 예술활동 프로그램 참여 이후, 충분한 탐색과 숙고의 과정 없이 예술분야로 진로를 결정하게 되는 것으로 연결되어 나 타나기도 함. 더불어 무엇인가를 하고자 하는 의욕이 상실된 모습이 주로 관찰됨. 아이들이 지금의 문제점이 뭐냐면 자기가 뭘 좋아하는지 모르고 안하려고 한다는 거예요. 그냥 늘어져 있는 거예요. 그럴 경우에 이제 선생님들이 너무너무 힘든거죠. 이것도 해봐라, 이것도 해봐라 계속 찔러주는데 애들은 이미 촉을 다 잃어버린 상황에서... 이렇게 [정규교육제도권] 밖으로 튕겨져 나온 아이들은 그렇단 말이에요. (C2) 우리나라 청소년들한테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이라는 게 없잖아요. [...] 사후케어라는 게 아예 없는 상황에서 이게 너무 강렬하다 보니까 이걸 못 잊고서 저희는 예술가가 되라는 게 아닌데 예술가가 되려는 아이들이 너무 많고 [...] 다른 길은 뭔지 모르겠고 아이들이 아까도 얘기가 나왔지만 자기가 하고 싶은 게 뭔지 모르고 원하는 게 뭔지 모르고...(C4)

23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ㅇ 청소년의 또 다른 활동 공간, 온라인 스페이스:

청소년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또 다른 자아를 만들고 그 자아를 통해 창작활동을 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음. 비단 창작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온라인상에서 생 산되는 콘텐츠에 대한 높은 관심과 소비를 나타내고, 해당 공간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 어나고 있다는 특징을 볼 수 있음. 아이들 같은 경우는 개인 동아리들이 있죠. 온라인을 중심으로... 아이들이 요새 자기가 속해있는 온라인상에 이를테면 가상 자아가 속해 있거든요. 요새 제가 관심 있는 것은 가상자아 창작활동이에요. 아이들은 온라인 생활이 오프라인 생활보다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영향력도 있고... [...] 초등학생들이 얼마 전까지는 장래희망이 웹툰 작가, 아이돌이었다가 순식간에 유튜버로 바뀌었잖아요? 걔네가 보고 만드는 유튜버 활동을 보면 이미 1인 제작자로서 우리가 인위적으로 얘기했던 범주를 이미 뛰어넘어 버린거죠. (D1)

(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기대효과 ㅇ 정규교과 과정의 안팎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 기회가 청소년에게 제공될 때 기대 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음. 예술적, 교육적 측면, 그리고 개인의 자아와 사회적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음.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삶이 궁극적으로는 더욱 풍요로워지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목적과 기대가 있는 것으로 함축될 수 있음. ㅇ 예술적 감각 활성화 유도:

예술에 대한 친숙함 유발과 흥미 고취

삶 속에서 예술을 향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경험과 체험의 기회 제공

예술적 감수성 자극

창의적 시각과 사고 능력 증진

ㅇ 건강한 자아 계발:

자아성찰의 기회 제공

감정해소(catharsis)의 창구 제공

활동을 통한 신체감각과 좋아하는 것에 대한 감각 회복

ㅇ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형성:

사회에 대한 소속감

자연스러운 소통 능력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39


상호 공감 능력

ㅇ 교육활동의 다양화:

교과 개념에 대한 예술적 활동을 통한 접근

획일적 교육과정 상의 예술교육 탈피

지식 혹은 기능중심이 아닌 사람중심의 교육 제공

(3) 현장에서 관찰된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 양태 ㅇ 앞선 분석 내용에서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는 가운데 기대하는 효과가 종합적으 로 제시됨. 반면, 본 항목에서는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하고 목격한 청 소년 문화예술교육의 긍정적 영향과 과거에 비해 활성화된 측면이 드러남. ㅇ 참여자 간 소통과 만남의 기회 제공:

수업시간에 만든 작품을 통해 소통하고 공유하는 부분이 늘어나며, 흥미를 느낌.

일반 교과 수업에 비해 협력 활동이 수월하게 진행됨.

교사에게 학생에 대한 새로운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함. (예: 소극 적인 아이의 모둠별 활동과 표현활동에 참여하는 모습)

인격체로서의 만남이 이루어지고, 관심과 기다림의 허용을 경험함.

ㅇ 활동중심 학습방법의 효과 체험:

예술 활동(예: 연극, 회화)을 통한 과학 교과내용을 학습한 후, 새로운 학습방법에 대한 흥미를 드러냄.

처음에는 활동참여에 소극적이던 학생들도 다른 학우들의 모둠활동 모습을 보고 흥미를 느껴 결국 함께 학습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모습을 관찰함.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포용 과 공동체 생활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신장:

초기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비해 교육청을 비롯한 관련부처의 정책적 협조가 신장됨.

인력, 제도, 연구 등 문화예술교육 관련 자원의 확보도 증가함.

교육의 범주와 인식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남. 어떠한 종류의 교육이든 의미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이다. [...] 예를 들어서 아이들이 삶에서 벌어지는 일로 웹툰을 그려보자 하면 예전에는 교육이 아니다

24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면 지금은 영화를 보고 아이들이 함께 이야기 하는 것도 중요한 교육이다 [라고] 인식 변화들이 있었던 것 같아요. (D1)

청소년 개인이 발언권을 가진 한 인격체로서, 또한 예술창작자로서 스스로와 속한 공동 체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환경과 기회의 활성화가 관찰됨.

(4) 장애요인과 한계점 ㅇ 교육의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포용과 인식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고는 하나, 여전 히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기대효과가 실현되기에는 프로그램 시행과정에서 당면하게 되 는 여러 장애요인과 한계점이 논의됨. ㅇ 정규교육에서 관찰되는 문화예술교육의 주변화와 도구적 접근성:

예술 활동에 대한 노출이 예술교육의 목적으로 강조되고, 향유중심의 정책적 접근이 문 화예술교육을 지속적으로 도구화하고 주변화하게 되는 양상을 나타냄. [기능중심의] 아주 진지한 예술교육보다는 뭔가 이것을 통해 얘들이 향유하고 즐겁고 노출하고 뭔가 우리나라 입시교육과정 중심에서 좀 아이들을 쉬게 할 수 있게 하고 이런 부분들도 굉장히 강조 되었던 거 같아요. [이것이 오래 지속되다 보니 오히려 문화예술교육을] 주변화로 그냥 같이 놓아버리는 상황을 불러 일으켰다. (C1) 왜 자꾸 문화예술을 향유 정책으로서만 [보는가?] 계속 그 안에 있으면 무엇을 위한 도구로서밖에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 [문화]예술교육 자체가 창작과 향유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데, 늘 향유정책의 일환으로서만 다뤄지다 보니까 ‘무엇을 위한,’ ‘무엇을 위한’ 이렇게 끊임없이 입증을 해야 하는 것이에요. 그것을 어떻게 입증합니까? (D3) [정규교과 내에서 봤을 때는] 아무래도 교과에 있는 내용을 목표로 해야[하기] 때문에 [예술강사]가 예술 활동이나 이런 것들을 짜다가도 [교과] 목표에 맞는 걸 하게 되고, 애들이 결국은 이걸 하다 보면 이 개념을 알아야 되는 거잖아... 이런 식으로 하다 보니 예술이 계속 [...] 도구적이나 약간 조금 더 방법적으로 되는 부분이 많다... (C3)

ㅇ 프로그램의 양적 팽창과 수업의 질적 퇴보: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규모가 단기간에 확대됨에 따른 문제점들이 발생함. 가장 대표적 으로 적절한 교육과정을 거치지 못한 새로운 예술강사들의 유입이 발생하게 됨. 더불어 훈련받은 기존의 예술강사들도 배치 받는 학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업에 대한 집중 도가 낮아지고 학생들과의 관계형성이 어려워지는 한계를 경험하게 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41


[교사로서] 학교예술교육에 대해서 예술강사와 협업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마음이 있[었]어요. 근데 문제는 그 때 이후 발전이 없다는 거에요. 최근 문화예술교육사로 흘러가면서 관리가 좀 안된 거 에요 제가 봤을 때... [...] 교육받지 않은 새로운 강사들이 교육받지 않은 채로 [현장에 투입된 거죠] 사실은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가 없는데,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교육을 가르치는 사람의 질을 넘을 순 없죠. (D1) 이 사업이 점점 커지고 하다보니까 학교들도 더 많이 지원하고, 또 많이 지원을 해야 된다라는 행정적 부분에서 그런 부분이 있다 보니까 [...] 저는 전담이었는데 일주일에 5개 학교를 가게 되는 거예요. 그러니까 제도적으로는 더 이사업을 늘려야 되니까 선생님들은 이제 계속 많은 곳에 보내야 되는 게 맞긴 하지만 이게 8차시였던 게 6차시로 줄여지고 또 막 하루 계속 학교들이 달라지고 하다보니까 저희들도 아이들과의 신뢰감 이라든지 라포 형성을 하는데 굉장히 어려움이 있기는 한 거 같아요. (C3)

ㅇ 어른중심, 행정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지원체계:

사교육 시설을 배제하고, 학교와 학교 밖 시설에서 시행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서 발견되는 주요한 문제 중 하나로 실제 행정체계의 제한적 구조와 그 반경 안에서 의 사결정을 하는 행정가 중심의 사업 운영이 도출됨. 이 문제가 다층적으로 여러 이해관 계가 얽힌 행정체계 가운데 관찰되는 것이므로 복수의 지점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찾아 야 한다는 복잡성 역시 함께 지적되어 나타남.

부처 간 협력 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거리가 있는 행정체계에 맞추어 수요조사와 프로그램 대상 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목적에 부합하는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데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됨. 이러한 행정중심 체계로 인해 수 요와 필요가 분명한 대상이 때로 프로그램 참여에서 열외 되는 경우도 발생함. 우리 센터에 이러이러한 아이가 있는데 너무너무 하고 싶고 지원해주고 싶은데 방법이 없냐? 라고 물어보시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그런데 사실은 저는 그거를 충족해 주는 게 맞다고 생각하거든요? [...] 하지만 이게 정책적으로 봤을 때 내년도 예산을 우리가 알 수가 없고 예산이 없고 이런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 애들이 빠져있어요. 이런 활동에서 아이들의 의사결정에 대해선 묻지 않아요. 그런 상황에서 그냥 해야 되는 거죠. 국어선생님이 신청한 연극이기 때문에 연극을 해야 되는 거고 음악선생님이 신청한 음악이기 때문에 해야 되는 거고 이런 부분에 있어서 아이들의 의사는 전혀 반영되고 있지 않다. (C2)

더불어 한 기관 내 행정인력(사업 신청자)과 실제 교육협력과정에 투입되어야 하는 인 력 간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프로그램이 시행되어 미묘한 감정선의 대립과 비효율적 협력구조가 생성되기도 함. 이러한 불협화음은 결국 고스란히 교육 프로그램

24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의 질로 반영되어 대상자이자 참여자인 청소년에게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공급이 어렵게 된다는 내용이 지적됨.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모든 힘들이 그 참여자랑[청소년] 그 프로그램을 이끌어나갈 사람[예: 예술강사]에게 집중이 돼야 맞거든요. 모든 전력을 다해서 집중이 돼야 맞지만 그거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너무 많은 상황인거죠. (C5) 학교 안에는 아무래도 아이들이 신청을 하는 것이 아니고 선생님이나 학교에 행정하시는 분들이 신청하는 거기 때문에 이 사업에 대한 이해도라든지 참여도 요런 부분들에 대해서 굉장히 많이 갈리는 거 같아요. (C3) 동아리 활동은 그래도 수요자인 아이들에 요구가 많이 반영이 되는 그런 교육활동인거죠. 그러다보니 실은 그 동아리 활동을 하는 아이들에 요구를 많이 반영해줄 수 있어야 하는데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인적인 물리적인 어려운 부분이 생길 수밖에 없죠. 학교 안에서의 동아리는 사교육도 아니고 정규교육상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하고 [...] 가르치는 선생님들 수준을 넘어서서 뭔가를 얘기하기는 어렵거든요. (D2) 교사들이 그것을 일이 너무 많아서 내가 내년에 뭘 맡을지도 모르는데 내가 내년 4월에 뭘 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것이 [어럽죠.] 최소 2월이면 가능할 수도 있는데, 그러다보니 내가 요청하면 강사 오는 줄 아시는 선생님들도 계시고, 강사료가 책정이 되어도 어디서 강사를 요청해야하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고... (D1)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연한 획일성:

과거 성공적으로 운영된 적이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내·외부적 조건이 다름에 도 불구하고, 무분별하게 확대 재생산하여 활용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적절성은 물론 다 양성마저 저해되고 있음. 시설담당자들 가운데에서 이렇게 확산된 프로그램의 형식과 구조가 고착되면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새로운 시도와 예술강사의 자율성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게 되는 양상을 나타내기도 함. [학교 밖 예술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교육 과정으로서 공연무대를 만들어보는 기회를 주자, 그리고 성취감을 주자. 이런 기획으로 시작되어서 굉장히 재미있고 반짝반짝 거리는 사업이었는데 [...] 이게 전국사업으로 확산되면서 그리고 이 구조가 마치 유일한 모델인 것처럼 확산이 된 거예요. [...] 시설 측에서는 이 시점에 캠프해주시고 이 시점에 발표회 해주셔야 이제 그림이 산다. 소위 말해서 그런 것들을 요구하게 되고 그러면 사실 참여하는 시작 시점부터 예술가 선생님들, 예술 강사 선생님들은 이걸 내려놓고 너무 많은 것들을 내려놓고 사실 참여할 수밖에 없는... (C6)

행정적 편의와 공정성에 집중된 구조 가운데 설계된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청소년 창의 성 계발과 확장을 자극해야 할 예술활동의 반경을 좁히는 원인으로 지적됨. 지역별 다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43


르게 보유하고 있는 문화, 인력, 공간 등 다양한 자원과 삶의 양식에 따라 다양한 프로 그램이 개발되고 시행될 수 있는 구조여야 마땅하겠으나,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르 는 행정 구조임. 행정적으로 너무 촘촘해요. 그러니까 뭘 하고 싶어도 아까 아이들이 주체가 되어야 된다. 강사가 조금 더 주체적으로 뭔가 기획할 수 있는 여지를 전혀 안주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게 행정적인 체계를... 굉장히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긴 한데 완전히 느슨하게 바꾸던가, 아니면 좀 목적을 달리 하던가 그런 부분을 해야 되는데 사실 갑자기 떨어지는 프로그램이 너무 많고 너무 자세하게 목적성을 지정을 하고, 대상이라든가, 방법이라든가 이런 것들을 너무 촘촘하게 하다보니까... (C4) 지역에서 할 수 있게끔 하는 권한과 책임과 그런 것을 같이 줘서 같이 갈 수 있게, 그 지역에 특성들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반영하여야 하는데 지금은 중앙에서 다 떨어지는 사업이에요. 시·도 센터로 내려간다고 봤을 때, 센터에서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상당히 제약적이에요. 말만 지역 특성화프로그램... 그래서 일률적인 프로그램만 할 수 있는 구조에요. 그 구조를 깨뜨려 주지 않으면 사실은 [발전이] 불가능한... (D3)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부족:

문화예술교육이 학교와 사업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적합한 인식은 프로그램의 양적 확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특히 전문가들 이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기대효과로 청소년의 풍요로운 삶, 새로운 사고와 시각을 위한 창의성 계발 등을 꼽은 반면, 학교 밖 프로그램 시설 담당자나 부모 등의 경우 예술적 기량과 전수효과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피는 경우를 다수 드러내고 있는 것 으로 보임.

시설 담당자, 학교 교사, 부모 등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이해관계자들이 갖고 있는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부족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결국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등과 프로그램 내용과 방향성에 대한 견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귀결 되는 경우로 발견됨. 이는 궁극적으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으로 도출됨. - 기능 중심: 프로그램의 마지막 시차로 구성된 발표회에서 청소년들이 좋은 기량을 선 보이면 해당 프로그램의 성공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 또한 문화예술교육 자 체에 대한 인식이 낮아 수업내용에 대한 이의제기가 발생하기도 함. 시설담당자 선생님들이 얘기하는 그 좋았다는 반응의 포인트는 굉장히 달랐던 거 같아요. 그래서 발표회에서 어떤 아이가 노래를 가장 잘 불렀다. 원래는 못했는데. 근데 그건 저희가 봤을

24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때... 굉장히 물론 그 아이의 기량의 향상도 긍정적인 효과고 [하지만] (C6) 그나마 좀 다르게 생각하시는 [부모님]들 얘기 들어보면 예전에 모차르트 이펙트라던가 [...] 뭐 그러한 얘기를 하시는 분들 결국엔 학습 능력 향상으로 연관되더라고요. (C4) 제가 수업을 할 때 가장 많이 부딪힌 게 학부모였는데 교육과정을 만들어서 진행하면 엄마들이 교장선생님께 전화해서 사회시간에 미술을 하는지, 왜 미술시간에 국어를 하는지 이런 식의... [...] 그것은 사실 신라에 대해서조사해서 스토리텔링 하는 과정에서 한 것이었거든요. 그니까 아직 합의가 교육과정 상에 난제들이 분명히 있는 거죠. (D1)

- 양적평가 중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 시설의 행정 담당자는 상위기관 에서 실시하는 양적평가로 부터 자유롭기 어려움.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가 필요한 청 소년을 찾아 참여를 독려하기보다, 참여자 수를 채워야하는 것이 우선순위에 놓여있 음. 이러한 경우 일부 참여자에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몰리는 결과를 낳기도 함. 10명의 학생을 반드시 채워야 돼. 뭐 이런 부분 [...] 쉼터도 그렇고,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도 그렇고 실적이 어마어마한 걸로 저도 알고 있어요. [관계부처에서] 내려온 실적이라든가 [...] 그 시설담당자도 실적을 채워야하기 때문에 이 친구들[청소년]한테 어떤 이 프로그램을 하면 좋다는 기대효과에 대한 설득이라기보다는 밀어 넣는 상황이 많은... (C5) 소외계층 청소년 사업이었기 때문에 일부 아이들에게 집중된 경향이 좀 있어서 그 아이들이 더 바쁘더라고요.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너무 여러 개를 같이 소화하는 거다 보니까... (C4) 그리고 너무 효과를 양적으로만 파악해요. 그게 제일 큰 문제인 것 같아요. 예술강사 사업에 결과치를 지원하는 학교 수... 그건 진짜 아닌데 이미 그게 [지난] 5개년 동안 그렇게 되어서... 어쨌든 양적으로만 보는 게 제일 문제에요. 그니까 좀 규모를 줄이더라도 질적으로... (D2)

- 통제 중심: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시설에서 관찰된 바에 의하면 프로그램 참여자 통 제가 우선시되어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중심 가치가 퇴색되는 모습을 발견하게 됨. 아이들은 거의 군대식으로 앉어, 일어서, 들어가서해, 나와서해 이런 구조이기 때문에 과연 이런데서 이뤄지는 또 다른 시차시 교육, 시차시 문화예술교육이 과연 이게 문화예술적인 방식의 여기서 말한 효과라는 게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인가? (C2)

(5)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적 제언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개선과 사회적 합의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필요:

10대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에 대해 논의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45


아진 지점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것임. 다시 말해, 현장에서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들에게 적절하게 공급되고 또한 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이며 왜 필요한 지 그 가치에 대 한 학부모, 교사, 행정인력 등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임.

더불어 향유자 양성 카테고리 안에서 시행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책입안자 중심의 인식개선 필요함 (D3). 이제 남은 것은 교사들의 인식개선과 학부모들의 열린 마음 같은 사회적 합의가 남았지... 그렇지만 필요하다면 더 많은 교육과정상에 융통성과... 그것보다 제일 시급한건 인식이에요. [...] 아직도 학교 안에서 예술교육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에 대해서 아직 전반적인 합의가 [없어요.] 그래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인식적인 부분에서 합의가 좀 더 이루어지고... (D1)

24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ㅇ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

청소년은 그들이 가진 다양한 사회·문화·경제적 배경을 통해 독립된 인격체로 자아를 확 립해가는 과정 중에 있음. 따라서 어떠한 자극에 대해 다른 반응을 보이고 내재화 할 수 있음. 이러한 관점에서 앞선 지적과 같이 문화예술교육 사업이 행정 중심으로 계속 해서 매몰된다면, 창의성 증진을 유도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교육의 목적이 퇴색될 수 있음. 따라서 청소년이 참여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이 다양하게 제공될 필요가 있는데, 그에 대해 행정중심의 지원방식을 탈피하고 청소년 중심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제시됨. - 하나의 대안적 예시로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중 ‘일반 공모’ 분야가 언급됨. 지금 학교 밖 청소년에서 일반 공모라는 방식으로 이제 그런 문화예술교육을 하고 싶어 하는 시설 또는 참여하고 싶어 하는 아이들과 단체가 그 합동으로 제안을 할 수 있는 게... [이것은] 아까 말씀하셨던 꿈드림이나 쉼터 외에 어떻게 보면 별개 틀로 학교 밖 배움터나 대안학교나 요런 저희 사업에서 중앙협력기관, 또는 중간지원조직 소속으로 되어있는 시설이 아닌 곳에 있는 그런 사각지대를 발굴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C6)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와 현장의 인력이 중심이 되어 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고 시도하는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 [문화예술교육과 그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확산이 일반적으로 되려면 중앙[정부]에서 이것을 통제하고 흔드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허브가 [조성되고 중심이] 되어서 모델을 만들고 중앙 지역에 책임자나 선생님들이 모여서 논의하고 새로운 모델을 공유하는 지원들을 해줘야 하는... (D1) 모델제시에 대해서 [...] 하나 청원을 하면 끊임없이 파일럿들을 만들어 내고 실험하고 하는 환경 조성을 [해야 함.] (D3)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시설과 공간자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특히 정규 교육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거나 협력이 어려운 경우, 지역 단체를 연계하고 협력하는 방법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제시도 있었음. 지금 뭐 혁신학교나 이런데 보면 동네에 있는 시설들하고 많이 연계를 하잖아요. 그렇게 되면 거기 운영하시는 쪽도 좋아하고요. 전문시설들이 요즘에 굉장히 잘 돼 있잖아요. 작지만 잘 되어 있는데 많잖아요. (C2) [학교에서] 17시간 되는 이 시간에 아이들이 뭐하냐 하면 정말 죄송하지만 기능교육을 하는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47


것이 많아요. 차라리 그 예술가들을 지역에서 센터를 하거나 거점을 만들거나 해서 풍요롭게 인프라를 해놓고 애들이 자유롭게 찾아갈 수 있게... 이게 더디더라도,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이 방향이 맞는 것 같은데. (D2)

ㅇ 학교 교사 지원과 역량 개발:

정규과정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지금도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워크 숍 등 역량 개발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더욱 적극적으로 학교교사의 관심도를 발굴하 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특히, 학교의 정규교과 과정에 문화예술교육이 진입하면서 상생하는 모델을 추구하는 대신, 일방적으로 학교를 프로그램 운영 플랫폼으로만 활용한 것이 문제라는 의견이 모 임. 따라서 지속적인 문화예술교육의 확대와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를 포함한 학교 의 역량 강화와 축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됨. 적어도 학교에서의 모든 교육활동을 이끌고 가는 주체는 교사여야 된다고 봐요. 교사가 중심에 있고, 이 문화예술교육을 잘하고 싶으면 교사의 역량을 강화해주면 되요. 이것을 빨리 효과를 보기위해서 그때그때 학교에 [사업이나 강사를] 투입하는 것은 아니다. [...] 좀 더 적극적으로 접근하면 예술강사와 교사가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고 같은 목적을 통해 같이 진행하는 것... 예를 들면 서울문화재단 [사업] 같은 경우 [...] (D2) 학교에 역량으로 그렇게 계속 축적될 수 있어야 되요. 학교와 교사 선생님들의 역량으로 같이 축적될 수 있어야 되는데 지난 시간동안 치고 빠지고만 한 거에요. (D3) 만약에 연극을 좋아하는 선생님이 연극을 신청했다. 달라져요. 그리고 음악을 좋아하는 선생님이 음악 밴드를 만들었다. 달라져요. 그러니까 이 [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에 맞춰서 들어가는 것도 방법이겠다는 생각이 드는 거예요. [...] 전략적이라고 한다면 관심 있는 선생님과 좀 매치가 되면 되게 선생님도 좋아할 거 같고. 서로 업 될 거 같아요. 그리고 TA 선생님도 자기 콘텐츠 하나 만들어 갈 수 있을 거 같고요. (C2)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통합교육과정 재구성에서 종합문화예술교육이 교육과정상에서 진행된다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그것을 진행할 역량이 분명히 있어요. [...] 어느 정도 교육과정에서 교사한테 자율성을 주고, 거기에 대해서 학부모도 동의가 필요하고, 그러한 것이 필요할 것 같아요. (D1)

24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4.4 질적 연구 요약 및 소결 4.4.1. 질적 연구 분석내용 구조화 <표 Ⅴ-67> 질적 연구 분석 요약표: 10대 청소년 면접조사 참여자 상위구분 배경 내용 환경 향후 개선방향

하위구분

도출 테마

이해

난해한 문화예술교육의 정의: 문화예술교육이 뭐에요?

경험

초등학교 수업과 연극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장점

문화예술교육의 자율적 수업 분위기 선호

참여 장애요인

흥미 유발에 실패한 학교예술교육: 지루함과 정형적 구성

장점

참여 장애요인

시간적 여유와 정보의 부족

문제점

동기 결여: 왜 해야 하죠?

기대하는 프로그램

관심 있는 예술 활동: 공예

<표 Ⅴ-68> 질적 연구 분석 요약표: 전문가 면접조사 참여자 상위구분

하위구분 대상자 이해

배경 기대효과

내용관련 효능 긍정적 양태

향후 개선방향

청소년의 불분명한 관심사와 의욕상실 온라인 스페이스: 청소년의 또 다른 활동 공간

예술적 감각 활성화 유도 건강한 자아 계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형성 교육활동의 다양화

참여자 간 소통과 만남의 기회를 제공

운영방식

활동중심 학습방법의 효과 체험

환경요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신장

내용 장애요인과 한계점

도출 테마

프로그램의 양적 팽창과 수업의 질적 퇴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만연한 획일성

운영방식

어른중심, 행정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과 지원체계

환경요인

정규교육에서 관찰되는 문화예술교육의 주변화와 도구적 접근 성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부족

정책적 제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개선과 사회적 합의 조성을 위한 지 속적인 노력 필요 프로그램 다양성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학교 교사 지원과 역량 개발

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결과|249


4.4.2. 소결 ㅇ 질적 연구 면담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정의나 범주가 청소년에게는 난해한 내 용인 것으로 나타남. 비록 본 연구의 면담조사에 참여한 청소년이 소수이며, 학교 밖 보호 시설에 거주하며 정규교육시스템에서 이탈한 학생들이 다수 포함되어 이들과의 면담내용 만으로 일반화하는 어려움이 있음. 그러나 청소년이 드러내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나 이해가 명확하지 않고 부족하다는 것은 전문가 면담조사에서도 지적된 바 있어 위와 같이 귀결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됨. ㅇ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해는 청소년층뿐만 아니라 부모와 학교 교사, 프로그램 운 영기관 담당자 등 여러 이해 관계자에게서도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도출 되었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개선과 신장된 이해도는 프로그램을 운영하 고 기대효과를 성취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ㅇ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에 있어, 당사자인 청소년의 의견과 생활양식에 대한 고려가 저조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음. 기술의 발달과 확산으로 정보의 공유와 표현의 도구가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자율성이 확보된 환경에 서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바라는 청소년의 필요나 의견은 아직까지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지 않아 프로그램 흥미도나 매력도가 낮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음. 따라서 행정중심, 통제위주, 정체된 소재의 활용을 극복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 환경과 내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ㅇ 문화예술교육이 시행되기 시작한 초기보다 인적, 환경적 인프라가 증가하고 발전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나, 급작스러운 프로그램의 양적 팽창과 함께, 질적 퇴보와 형식적이고 반 복적인 프로그램 운영 역시 적지 않게 발견된다고 지적되었음. 따라서 관련 인력을 대상 으로 한 역량 강화 및 훈련과 청소년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부처 간 협력과 행정과정의 유연성이 요청되고 있음. 중요한 것은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해 지역과 연령,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공할 필요가 대두되었음.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중 중요한 공간으로 학교를 꼽을 수 있으나 아직까지도 학교 교사나 행정인력의 문화예술교육 인식과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그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교육부와 협력을 통해 예술강사를 학교에 파견하고 학교 교 사와 함께 팀을 이루어 문화예술교육 또는 통합예술교육을 진행하는 모델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되고 있는 가운데, 학교 현장에 축적될 수 있는 자원의 투자는 부족한 것으로 보임. 따라서 학교 현장을 위한 인력, 정보, 재정 등의 다양한 자원을 마련하여 현장에 축적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이에 궁극적으로 더 많은 학생들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자가 될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함.

25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Ⅵ. 결론

1. 연구요약 2. 정책적 제언



Ⅵ. 결론 1. 요약 1.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현황 설문 조사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는 학생 3,076명(114개교)과 학교 밖 청소년 411명(26개 센터)을 대상을 진행하였음. 각 대상별로 학교 안과 학교 밖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문화예 술교육에 대한 경험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여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욕구 등을 통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향후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ㅇ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1.1.1 학생 문화예술교육 현황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는 초등학교 재학 중(51.2%)이 가장 많았고, 그 다 음이 초등학교 입학 전(25.0%)이었으며 대체적으로 가족(53.5%)의 권유와 학생 자신들 (27.1%)이 선택하여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됨.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경험에 대해서는 59.6%의 학생들이 참여한 적이 있으며 서양악기(32.7%)와 드로잉/스케치(26.2%), 독서토론(18.9%) 등에 주로 참여하였음,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은 음악 분야(39.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미술(19.3%), 연극/영화/미디어(13.9%), 무용(13.0%) 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은 시간이 없어서(40.2%)와 문화예술교육 자체에 관 심이 없어서(21.6%)의 이유로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않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생들 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는 교육이 재미있어 보여서(31.1%)가 주요 이유로 확인되었음.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는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리 활동 참여 (31.2%)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개인 문화예술교육/ 개인교습/ 개인레슨(30.8%)이었으 며, 교육 진행 형태는 실습/표현형(56.9%)이 가장 많고, 주로 친구(58.0%)와 함께 참여하 거나 혼자(23.3%)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학생들의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은 주로 일주일 기준 1~3시간 미만(48.1%)과 3~6시간 미만(19.8%)이었고, 참여기간은 6개월 이상(52.3%)과 3~6개월 미만(18.5%)이 주였음.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추천자는 주로 스스로 참여(31.8%)와 가족의 추천(29.0%)이 었고, 문화예술교육을 알게 된 경로는 인터넷(18.0%), 브로셔/홍보지(12.7%), 스마트폰 앱

Ⅵ. 결론|253


(10.2%) 등으로 나타남.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비용은 평균 71,393원으로 나타났으며 24.9%가 무료로 교육받았음. ㅇ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교육에 참여할 시간 부족(30.0%)과 관심 있는 교육 부족(14.2%)이 주요 이유임. ㅇ 학생들의 정규수업 외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는 3.81점(5점 기준/ 100점 환산 70.1점)이며, 학교 밖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은 3.88점(5점 기준/ 100점 환산 72.0점)으 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가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문화예술교육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불만족 이유는 주로 교육 내용(38.0%)과 교육 강사(21.7%)였음.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에 대해 늘어났음(17.4%)보다 줄어들었음(30.3%)이 더 많았 는데, 참여시간의 감소 이유는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48.9%)이 가장 많았고, 문화 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주요 이유는 진로에 도움이 됨(22.4%)과 문화예술교육의 관 심이 늘어남(20.1%)으로 나타남. ㅇ 학생들이 생각한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은 문화예술교육 시간 증가 (23.5%), 참여 비용 지원(13.7%), 문화예술교육 시설 설치(13.5%), 문화예술교육의 프로 그램 수 확대(12.2%)로 요약됨. ㅇ 학생들이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육과는 좀 상이 한데, 대중음악(13.0%), 만화/웹툰/애니메이션(10.0%), 대중무용(8.6%)을 상위 선호 분야 로 응답하였고, 희망 장소는 학교(45.5%)와 학원(22.4%)의 선호도가 높았고, 함께 참여하 고 싶은 사람은 대부분이 친구(79.6%)로 응답하였으며, 희망 교육방식은 실습/표현형 (44.3%)과 체험형(28.2%)형으로 나타남. ㅇ 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인식에서는 청소년들이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한 분야는 문화예술 은 즐거움을 줌(3.87점)이며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은 나를 행복하게 해줌(3.81점), 내 삶 에 활력을 불어넣어줌(3.73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청소년들은 문화예술교육이 성적향 상에 도움을 줌(3.25점)에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고,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자 신이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3.40점)에 낮은 점수로 응답함.

1.1.2 학교 밖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최초 참여시기는 초등학교 재학 중(29.2%)이 가장 높았 고, 그 다음이 고등학교 재학 중(18.2%)이었으며 대체적으로 가족(28.8%)과 학교(교 사)(23.5%)의 권유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남.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경험은 56.3%의 학교 밖 청소년이 문화예술교육 참여하였 으며, 대중음악(32.4%), 뮤지컬(16.5%), 영화(15.3%), 드로잉/스케치(12.9%) 등에 주로 참 25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여하였음.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음악 분야(35.7%)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연극/영화/미디어(31.3%), 미술(14.4%) 등의 순으로 나타남.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미참여자들은 시간이 없어서(26.9%)와 문화예술교육 자체에 관 심이 없어서(21.5%)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예술교육 참여 이유는 교육이 재미있어 보여서(31.2%)와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아서(15.9%)가 주요 이유였음, ㅇ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진행 형태는 청소년시설 문화예술교육(54.7%)과 개인문화예술교 육/개인교습/개인레슨(14.7%)이었으며, 브로셔/홍보지(13.5%), 인터넷(10.6%), 소셜미디어 (10.0%) 등의 경로를 통해 스스로(47.1%) 또는 가족의 추천(22.9%)으로 친구(65.3%) 혹 은 혼자(27.1%) 실습/표현형 교육(54.7%)에 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남.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은 일주일 기준 1~3시간 미만(57.1%)과 3~6시간 미만(21.2%)이 주였고, 참여기간은 6개월 이상(37.6%)과 3~6개월 미만(25.9%)이 많았음. ㅇ 문화예술교육 참여비용은 평균 11,581원이며, 58.8%가 무료 교육을 받았음. ㅇ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교육에 참여할 시간 부족(27.6%)과 관심 있는 교육 부족(17.1%), 교통 불편(14.1%)이 주요 어려움이었음.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정규수업 외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만족도는 4.17점(5점 기준/ 100 점 환산 79.2점), 학교 밖에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은 4.18점(5점 기준/ 100점 환산 79.6 점)으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의 만족도가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남. 문화예술교육이 불만 족스럽다고 응답한 학교 밖 청소년은 교육 시간(44.4%)과 교육 내용(22.2%)이 주요 불만 족 이유로 확인되었음.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의 변화에 대해서는 늘어났다(29.2%)는 응답이 줄어 들었다(20.6%)보다 많았는데,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청소년 들의 주된 감소 이유는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25.9%),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 (18.8%), 참여비용 부담(14.1%)이었고,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증가한 이유는 시간적 여유가 생김(24.2%),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23.3%),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이 늘어남(20.8%)이 주요 이유였음.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이 언급한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증진을 위해 중요한 점은 참여 비용 지원(24.1%), 문화예술교육 정보 증가(16.5%), 함께 참여할 참여자 확보(15.1%)로 나타남. ㅇ 향후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대중음악(25.3%), 뮤지컬(5.8%), 서양악기 (5.1%)가 상위 선호 분야였고, 문화예술교육의 희망 동반자로 친구(71.8%), 희망 장소는 청소년시설(57.4%)이 가장 선호하며 교육방식은 실습/표현형(43.6%)과 체험형(31.1%)의 선호도가 높았음.

Ⅵ. 결론|255


ㅇ 학교 밖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의 인식에 대해 질문한 결과, 청소년들이 가장 긍정적으 로 응답한 분야는 문화예술은 즐거움을 줌(3.91점)이며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은 나를 행 복하게 해줌(3.81점), 상상력이 풍부해짐(3.78점) 등으로 나타남. 그리고 청소년들은 문화 예술교육이 성적향상에 도움을 줌(3.19점)에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고,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자신이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줌(3.46점)에 낮은 점수를 부 여하였음. <표 Ⅵ-1>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의 각 문항별 응답 1순위 1순위 응답

조사 내용

참여 현황 및 인식

욕구

학생

학교 밖 청소년

첫 문화예술교육 경험 시기

초등학교 재학 중(51.2%)

초등학교 재학 중(29.2%)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권유자

가족(53.5%)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

참여(59.6%)

56.3%

문화예술 참여경험이 없을 경우, 이유

시간이 없어서(40.2%)

시간이 없어서(26.9%)

가족(28.8%)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현황

서양악기(32.7%)

대중음악(32.4%)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

음악 분야(39.8%)

음악 분야(35.7%)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분야 의 참여 형태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리(31.2%)

청소년시설 육(54.7%)

1~3시간 미만(57.1%)

문화예술교

문화예술교육 교육 참여시간(일주일 기준)

1~3시간 미만(48.1%)

문화예술교육 참여기간

6개월 이상(52.3%)

6개월 이상(37.6%)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영향을 준 사람

스스로(31.8%)

친구(65.3%)

문화예술교육 분야 참여 경로

인터넷(18.0%)

브로셔/홍보지(13.5%)

문화예술교육 참여 동반자

친구(58.0%)

친구(65.3%)

문화예술교육 진행방식

실습/표현형(56.9%)

실습/표현형(54.7%)

문화예술교육 월 평균 교육비

평균 71,393원/ 무료 24.9%

평균 11,581원/ 무료 58.8%

문화예술교육 참여시 애로사항

참여할 시간 부족(30.0%)

참여할 시간 부족(27.6%)

학교 정규수업 외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70.1점

79.2점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만족도

72.0점

79.6점

만족하지 않는 이유

교육 내용(38.0%)

교육 시간(44.4%)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 정도

줄어들었음(30.3%)

줄어들었음(20.6%)

문화예술교육 참여 촉진을 위한 요건

교육시간 증가(23.5%)

참여 비용 지원(24.1%)

문화예술교육 참여분야

대중음악(13.0%)

대중음악(25.3%)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장소

학교(45.5%)

청소년시설(57.4%)

문화예술교육 참여 희망 동반자

친구(79.6%)

친구(71.8%)

문화예술교육 희망 교육방식

실습/표현형(44.3%) 즐거움(3.87점) 행복(3.81점) 삶의 활력(3.73점) 성적향상 도움(3.25점)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 (3.40점)

실습/표현형(43.6%) 즐거움(3.91점) 행복(3.81점), 상상력 (3.78점) 성적향상 도움(3.19점)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 (3.46점)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상위순위 효과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하위순위

25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1.1.3 성별, 참여여부, 참여시기, 참여시간, 참여기간에 따른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ㅇ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 시기도 월등히 빠르며, 문화 예술교육 참여율도 남자 청소년에 비해 높게 나타남. 또한 여자 청소년은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해 남자 청소년에 비해 통계적을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긍정적 인지는 성별에 따른 인지 차이 외에 참여시기가 빠를수 록, 참여시간이 많을수록, 참여기간이 길수록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또한 최근 1년간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음.

1.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심층면접 ㅇ 질적 연구 면담조사를 통해 청소년과 학부모, 교사, 프로그램 운영 기관 담당자를 대상으 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증진과 이해 신장 필요성이 발견됨. 특히 문화예술교육에 대 한 사회 전반의 인식개선과 신장된 이해도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기대효과를 성취하는 데에 중요한 기여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 ㅇ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문화예술교육의 자율적인 수업 분위기가 학생들의 프로그램 참여 촉진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음. 반대로 정형적인 평가 및 내용 전달 중심의 예술교육 방식은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흥미를 느끼는 데에 장 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됨. ㅇ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에 있어, 당사자인 청소년의 의견과 생활양식에 대한 고려가 저조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음. 기술의 발달과 확산으로 정보의 공유와 표현의 도구가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어 있음. 또한, 학업과 아르바이트 등의 활동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ㅇ 학생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교육의 현장이 학교라는 점에서 학교문화예술교육 의 중요성이 강조됨. 그러나 아직까지도 학교 교사나 행정인력의 문화예술교육 인식과 역 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그에 대한 개선을 위한 지원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특 히 학교 현장에 문화예술교육에 관련된 자원과 역량이 축적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지원체계 가 개선되어야 함. ㅇ 급작스러운 프로그램의 양적 팽창과 일자리 마련이라는 정책적 접근으로 인하여, 형식적이 고 반복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확산됨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전반적인 질적 퇴보가 진행 되었다는 평가를 받게 됨. 따라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해 지역과 연령, 사회문화적 환 경에 적합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공이 시급하며, 이를 위한 관련 인력 교육과 역량 증진 이 필요한 상황임. 또한 보다 나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운영되기 위해 부처 Ⅵ. 결론|257


간 협력 강화와 행정과정의 유연성이 요청됨.

2. 정책적 제언 2.1 제도적 개선 및 부처 간 협력 방안 2.1.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로드맵 수립 ㅇ 문화예술교육을 관장하는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문화예술정 책을 수립하고 있음.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중심으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부 처 협력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인 안목으로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로드 맵을 구상할 필요가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 로드맵의 기간은 5년을 주기로 하며 문화예술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방 향으로 설정하되, 각 분야와 중점과제, 그리고 정책과제로 구성하여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의 정책들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화 작업이 필요함. 청소년의 대상은 아동과 청소년, 청년 으로 구분하며,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별도의 접근법, 저소득 가구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지원대책 등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음. ㅇ 본 현황 조사에서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기로 나타났음. 참여시기가 빠를수록 문화예술교육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살펴볼 때 아동과 청소년의 참여, 특히 청소년 시기 이전 참여를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정 책적 지원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또한 가정경제 수준이 낮은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의 접근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을 살펴볼 때, 저소득 가정 청소년에 대한 지원과 문화예술교 육의 가정의 지원이 열악한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청소년 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정책 지원도 시급해 보임. ㅇ 이러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 로드맵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되 청소년 및 문화 예술교육 관련 부서인 여성가족부, 법무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과 함께 통 합적이고 종합적으로 설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특히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시행되고 기본 계획 내 청소년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문화체육관 광부에서의 연계 방안도 매우 중요하기에 제6차 청소년기본계획 안에 청소년 문화예술교 육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2.1.2 문화예술교육 이력관리 시스템 개발 ㅇ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은 여러 연구들에서 상세히 증명되고 있음. 본 조사에서도 정교한 설계는 아니지만 문화예술교육 효과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지 부분을 확인하였고 인구학적 25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배경과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기, 참여시간, 참여기간 등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인 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을 알 수 있었음. 이러한 차이에 대해 현황 조사가 갖는 한계로 깊이 있는 조사와 분석에 있어 한계가 있었음. 소비자 입장에서는 청소년들이 참 여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 발달 상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실제적으로 발 달, 변화되어 가고 있는지 알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음. ㅇ 따라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이력관리 시스템을 개발 하여 청소년들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제공과 참여 현황에 대해 관리 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참여 청소년에게 간단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시스템에서 제공한다면 공신력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현황 및 문화예술교육 현황에 대한 지속적 인 데이터 비교와 청소년들의 발달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것임.

2.1.3 학교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학점 인정 ㅇ 본 조사에서 학교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에 비해 만족도가 낮았음. 학업이 중시되는 한국적 풍토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주요 교과목으로 인정받기도 어려울 뿐더러 학교 안에서의 여러 가지 제약 때문에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 을 것임. 학교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이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단기적 프로그램으로 진행되 는 것을 넘어서서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의 진로교육, 인성 발달 교육 및 자유 학기제 또는 자유학년제와 연계하여 정규 커리큘럼 안에서 융화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함. ㅇ 한편 고등학생은 본 조사에서 대학 진학 부담으로 인해 문화예술교육 참여율이 낮아지고 있 는데, 향후 교육부에서 2022년부터 전면 시행할 개인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과 정 일환인 ‘고교 학점제’와 문화예술교육이 연계 운영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한다 면 문화예술교육 참여 및 효과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2.1.4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확대 ㅇ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에는 학생에 비해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의 가장 높은 비율이 가족(53.5%)인데 반해 학교 밖 청소년은 가족이 22.9%로 나타났음.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문화예술교육 에 대한 가정의 지지가 약한 것으로 드러났음. 따라서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지속적인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및 청소년쉼터와의 연계협력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을 지원하는 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실행할 필요가 있음. ㅇ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시설에서 관찰된 바에 의하면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통제가 우

Ⅵ. 결론|259


선시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흥미도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기에 장애요인이 되 고 있음을 알 수 있음. 학교 밖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이 상대적 으로 낮은 것을 고려할 때,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만으로도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지 모 르겠으나,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중심 가치가 퇴색되지 않고 프로그램의 기대영향을 성취하 기 위해서는 청소년지원센터 등 학교 밖 청소년 대상 기관의 실무자와 예술강사 또는 문 화예술교육사 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대상자에 대한 이해와 라포(rapport) 형성이 뒷받침 된 장기 단위(예: 1년)의 프로그램이 기획되어야 할 필요가 큼.

2.2 수요자 중심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2.2.1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근거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ㅇ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욕구와 다소 상충되는 부분이 있음. 참여하는 문화예술교육의 경우,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에는 참여분야와 참여를 원하 는 분야가 비슷하였으나, 학생의 경우에는 서양악기, 드로잉, 독서토론에 주로 참여하고 있었으나 참여를 원하는 분야는 대중음악, 만화/웹툰/애니메이션, 대중무용 등으로 나타나 고 있음. 청소년의 선호와 바람직성에는 다소 현실적인 차이를 보이겠지만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면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교육 분야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설 계할 필요가 있음. 본 현황 조사에서도 성별의 차이 및 교급의 차이, 성적, 가정 경제적 수준, 학업 중단 등에 따른 차이 등이 일부 발견됨. ㅇ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에 있어, 당사자인 청소년의 의견과 생활양식에 대한 고려가 저조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음. 기술의 발달과 확산으로 정보의 공유와 표현의 도구가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자율성이 확보된 환경에 서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기를 바라는 청소년의 필요나 의견은 아직까지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지 않아 프로그램 흥미도나 매력도가 낮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음. 따라서 행정중심, 통제위주, 정체된 소재의 활용을 극복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 환경과 내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ㅇ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함에 앞서 필히 선행되어야 할 과정은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이해 임.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이 기획되고 진행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 구하고 면담조사를 통해 지적된 부분 중 과거 성공적으로 운영되었던 프로그램이 환경과 지역, 대상자에 대한 고려 없이 무분별하게 복제, 재생산되고 있다는 것이었음. 따라서 현 재 청소년층이 선호하는 예술장르나, 호기심이 있는 소재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바탕으 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되어야 필요성이 대두됨. ㅇ 예를 들어, 청소년 면담조사에서 공통적으로 관심을 표현한 예술장르로 공예를 꼽을 수 있 26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음. 또한, 2015년 시행된 싱가포르 청소년 예술교육 현황 조사에서 공예 관련 예술활동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한 청소년의 수가 2013년도 조사결과에 비해 크게 높아졌으며, 타 장르와 비교해서도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냄. 공예에 대한 공통적인 선호도는 우연의 일 치로 볼 수도 있겠으나, 요지는 청소년이 선호하는 장르와 활동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때 기대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기획을 할 필요가 있 다는 것임.

2.2.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소재 및 구성의 다양화 전개 ㅇ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방향은 수요자 중심, 지역화 및 네트워크화,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의 다원화, 문화예술교육 기반의 고도화에 맞추어져 있음. 이러한 방향으로의 전환과 변화 과정 안에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또한 변화를 거듭하고 있음. ㅇ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이 현장에서 처음 시행되었던 초기보다 인적, 환경적 인프라가 증가하고 발전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나, 급작스러운 프로그램의 양적 팽창과 함께, 질적 퇴보와 형식적이고 반복적인 프로그램 운영 역시 적지 않게 발견 된다고 지적하였음. 따라서 관련 인력을 대상으로 한 역량 강화 및 훈련과 청소년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부처 간 협력과 행정과정의 유연성이 요청되고 있음. 중요한 것은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해 지역과 연령,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를 개발하 고 제공할 필요가 대두되었음. ㅇ 특히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친숙하고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온라인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해 볼 수 있음. 또한 단발성 체험이 아닌 경험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청소년의 프로그램 참여 역할을 단순 학습자에서 적극적 주체로 확대 및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그리고 개인중심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활동을 통한 예술교육에서의 전인성을 갖출 필요가 있음. ㅇ 따라서 예술강사 중심에서 청소년 중심의 다양한 실험을 통한 사례를 만들어 내어 선사례 (case study)를 아카이빙하여 공유하는 방안을 제시함. 그리고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위 한 청소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워크숍 및 지역사회 내 문화예술 전문가와의 협력이 가 능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수립하고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변화에 지원이 필요함.

Ⅵ. 결론|261


2.3 청소년시설 및 청소년 지도자의 인프라 구축 2.3.1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환경 조성 ㅇ 현재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정책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 의 경우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를 중심으로 사업이 세분화되어 나타남. 이에 대하여 현황 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책적 우선순위가 선정될 필요가 있음. 이때 먼저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이 정착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도될 수 있는 환경 을 조성하는 것임. 이는 현장에서 유기적으로 각 지역별 대상별 조건과 환경에 적합한 다 양한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이므로 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임. ㅇ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사업 간 유기적 협력 체계를 통한 효율성 과 유연성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음. 현재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들 중 중복적으로 필요한 자원 공유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계획안과 정책적 우 선순위를 수립하여 세부사업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을 지양하고 행정적 유연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함. 이는 영국 잉글랜드 예술위원회(ACE)의 사례를 통해 레슨드 로잉(lesson-drawing)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ㅇ 국내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대상별 프로그램 지원과 인력 양성지원 중심적으로 운영되 고 있음. 그러나 사회전반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효능에 대한 동의가 없을 경우,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긍정적 영향의 파급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움. 또한 문화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동반되어 프로그램이 운영될 때, 프로그램의 지속성이 증 진될 수 있음.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인식개선을 위한 노 력이 필요함. 다만,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필요성만을 강조함으로써 도구적 측면이 동시 에 강조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유의해야 함.

2.3.2 학교 교사 및 청소년 시설 운영자의 문화예술교육의 역량 강화 ㅇ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은 아직까지 주변화 되어 있으며 교육부의 예산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음. 청소년 시설에서 운영되는 문화예술교육 또한 체험이나 예술 강사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이 현실임. 현재 국내에서도 해외 전문가 초청 강연, 워크 숍, 연수 등 문화예술교육 인력에 대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그 램의 지속성과 체계성에 대하여서는 의구심이 제기됨. 예를 들어,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 육사에게는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와 교육학적 지식에 대한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 며, 학교 교사에게는 예술장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또는 통합교육에 대 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야 함. 동시에 학교와 그밖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현장의 기관 26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상호 협력에 대한 중요성 등 프로그램 실효 성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수가 제공되어야 함. ㅇ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중 중요한 공간으로 학교를 꼽을 수 있으나 아직까지도 학교 교사나 행정인력의 문화예술교육 인식과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특히 교육부와 협력을 통해 예술강사를 학교에 파견하고 학교 교사 와 함께 팀을 이루어 문화예술교육 또는 통합예술교육을 진행하는 모델이 효율적이라고 판단되고 있는 가운데, 학교 현장에 축적될 수 있는 자원의 투자는 부족한 것으로 보임. 따라서 학교 현장을 위한 인력, 정보, 재정 등의 다양한 자원을 마련하여 학교 현장에 자 원이 축적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궁극적으로 더 많은 학생들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의 수혜자가 될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함.

2.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증진 2.4.1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확산 ㅇ 청소년 대부분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 모두 약 40% 이상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지 않고 있었음. 따라서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수 요자이자 주체인 청소년에게 문화예술교육이 일상적인 참여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청 소년들에게는 문화예술교육이 기본적이며 보편적인 권리로써 인식될 필요가 있음. 더 나아 가 참여자뿐만 아니라 창조자가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될 필요가 있으 며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위해서 형식적, 반복적 프로그램 운영으로 청소년들이 도구화되 지 않도록 해야 함. 그러나 아직까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향유자 수준에 머물러 있으 며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하고 만들어갈 시간이나 교육의 기회가 다양하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나고 있음.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들의 자아계발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주체적인 삶을 위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음을 경험하도록 해야 하며 청소년 자신들에게도 이러한 문화 예술교육이 청소년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보편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될 필요가 있음. 이 러한 기반 위에 문화예술교육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2.4.2 교사와 학부모의 문화예술교육 방향과 목표에 대한 이해 신장 필요 ㅇ 문화예술교육은 청소년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새로운 사고와 시각을 통해 건강한 시민 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나 여전히 교사나 학부모들은 예술적 기능이나 기량 의 향상이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중요한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음. 학생의 문화예술교육의 최초 참여 권유자는 가족 53.5%, 청소년 자신 27.1%, 학교(교사) 10.7%, 친구 5.2% 등으 Ⅵ. 결론|263


로 나타나고 있으며 학교 밖 청소년도 청소년 자신이 47.1%, 가족 22.9%, 학교(교사) 12.9%, 친구추천이 10.6%로 나타났음. 면담조사를 통해서도 청소년들이 문화예술교육 참 여 관련 의사결정을 할 때, 직·간접적으로 학부모와 교사의 영향력이 작용하고 있음이 나 타남. 이렇듯 학부모와 교사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주지할 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공유와 이해 신장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따라서

가족이나 학교 교사가 바라보는 문화예술교육이 청

소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학부모과 학교와 지역사회 내 에서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은 기량 중심이 아닌 문화예술을 통한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 의 변화, 자신의 삶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진행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 모의 인식의 변화를 위해서 노력할 필요가 있음. ㅇ 교사와 학부모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나 인식이 부족하여 예술장르나 교과 중 한 쪽 에 편중된 교육내용으로 유도하거나, 학생의 기술적 기량신장에 대한 기대를 강조하게 되 면, 결국 예술강사나 문화예술교육사 등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와 의견충돌이 발생할 수 있 음. 이렇듯 이해관계자 간 발생하는 마찰은 결국 프로그램의 통일된 방향성을 잃게 되는 이유로 작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확 률이 높게 나타남. 따라서 교사와 학부모와 같이 학교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밀접한 관 계를 가진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 인식 개선과 이해 신장은 양질의 프로 그램을 청소년에게 제공하기 위한 필수요소로 인식되어야 함.

2.4.3 지원사업 운영기관 실무행정인력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ㅇ 학교 밖에서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해당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기관 혹은 단체의 실무 담당자가 가진 문화예술교육 이해도와 인식이 프로그램 본래의 의도와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됨. 이 같은 문제점은 전문가 FGI에서도 지적된 바 있음. 기관 행정인력이 예술강사 혹은 문화예술교육사 등 프로그램을 수업현장에서 운 영하는 전문가들과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공유하지 못할 때, 프로그램의 방향성 과 일관성이 변질되어 결국에는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관찰을 통한 비판이 제기됨. 더불어 행정중심, 성과중심의 프로그램 운영과 부족한 문화예 술교육에 대한 인식은 예술적 기량 여부를 중심으로 프로그램 참여자의 성취도를 평가하 는 것에 머무르게 하기도 함. 이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참여자 흥미 유도 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의 실무행정인력을 대상으로 한 인식 개선 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26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참고문헌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학교 주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고경화 (2003).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서울: 학지사,2003 교육부 (2016). 2016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안). 서울: 교육부 인성체육예술교육과. 김남정, 이혜경, 임영식 (2016). 청소년참여 척도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11), 341-362. 김재은 (2014). 아이들에게 예술을 : 21세기 교육의 화두 (문화예술교육). 교육과학사. 김미현, 이현우, 정영근 (2011). 청소년 문화활동의 참여동기, 참여태도, 참여빈도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미래청소년학회지, 8(2), 77-95. 김성진, 박정유, 연해경(2008). 초, 중등학교 교과 통합형 문화예술학교 모형개발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32, 1-36. 김세준, 김세훈, 민정아, 전민정, 김명준 (2014). 2014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현황 조사(2013년 기준).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김현철, 최창욱, 민경석 (2010).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과 청소년 활동정책의 연계방안 연구. 서울: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 맹영임, 김민, 임경희 (2005). 청소년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문화체육관광부 (2011). 문화예술 대표지표 분석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백서 (2013). 문화예술정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4). 2013 문화예술정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5 문화예술정책백서. 서울: 보건복지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6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박소연, 박용호, 임채홍, 곽명신, 장혜윤, 문제영, 유선윤, 최현주 (2015). 2015 학교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효과모델 탐색.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박현정 (2011). 군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발전방안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령(2015). 통합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보건복지부 (2008). 장애인차별금지법시행관련업무설명자료. 보건복지부 (2016).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서울: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송현저 (2006). 문화자본과 쓰기수행의 관계 및 성차,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명환 (1998). 신체활동과 심리적 행복감: 인지적-정서적 상태 측정치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9(2), 113-123. 여성가족부 (2016a). 2016 청소년백서. 서울: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2016b).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7). 2017년 여성가족부 업무계획. 서울: 여성가족부. 윤종현, 홍성준, 조은주, 박주만 (2017). 2016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체계 구축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

참고문헌|265


윤혜란, 장현선, 김태은 (2015). 2015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윤혜란, 황경희, 김혜경, 옥경인 (2016).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연수, 김성희 (2009). 초등학생용 배려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10(4), 2479-2493. 임영식, 정경은 (2013).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개발 연구, 한국교정학회, (59), 127-148. 임영식, 정경은, 김인설, 조영미 (2014).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서울: 한국문 화예술교육진흥원. 장현선, 윤혜란 (2014). 2014 학교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수기, 이병곤, 박주만, 김옥인, 유수미, 김형태 (2015). 학교 주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경기도교육 연구원. 진은설, 임영식 (2011).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가 활동 집단의 특성 그리고 활동 만족도의 관계, 청소년복 지연구, 13(3), 281-303. 최보연, 김면, 김현정, 신혜선 (2016). 주요국 문화예술정책 최근 동향과 행정체계 분석연구. 문화관광연구원. 최창욱, 문호영, 김정주 (2016).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Ⅲ.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최창욱, 문호영, 김진호 (2015).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Ⅱ.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평생교육진흥원 (2009).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평생교육의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서울: 평생교육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토론회. 서울: 한국문화관광 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문화예술교육정책 중장기 추진방향.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문화예술교육 통계조사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새로운 사회를 여는 키워드. 문화예술교육: 2014. 문화예술교육포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2015 사회문화예술교육 중장기 사업전략 연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흥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국고보조사업 실적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2016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체계 구축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문화예술단체실태조사, 서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국가 청소년활동정책 체계화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 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 Ⅲ: 기초분석보고서. Berg, Madeline (August 18, 2017). Trump's

"Presidential Arts And Humanities Committee Disbands Over

Charlottesville

Response,"

Forbes.

Retrieved

from:

https://www.forbes.com/sites/maddieberg/2017/08/18/trumps-arts-and-humanities-committee-d isbands-over-his-charlottesville-response/#5fb32fad6fae Catterall, J. S., Dumais, S. A., & Hampden-Thompson, G.(2012), The arts and achievement in at-tisk youth: Findings from four longitudinal studies. Research Report 55. Washington, DC: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 Sport (2017). Taking Part 2016/17 Quarter 2. Sorpt England, Art

26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Counci England. Hampshire, K R, & Matthijsse, M. (2010). Can arts profects improve young people’s wellbeing? A social capital approach Soc Sci Med, 71(4), 708-716. Jermyn, H.(2001), Arts and social exclusion, United Kingdom: Arts Council England. National Coalition for Core Arts Standards (2016), International Arts Education Standards : A Survey of the Arts Education Standards and Practices of Fifteen Countries and Regions, The College Board, August 2016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2014). "Arts Education."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2015). "2015 Population Survey on the Arts." National Arts Education, Singapore and Ministry of Education (2015). "National Arts Education Award 2015."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2016). Arts Data Profile #11: State‐Level Estimates of Arts Participation Patterns (2012‐2015) Ryff, Carol D. (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0), 37. Winkley, W.(1996),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장애(신현 순 역, 2000),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해외기관 홈페이지 Arts Council England 홈페이지: http://www.artscouncil.org.uk/about-us/how-we-make-impact Arts Education Partnerships 홈페이지: http://www.aep-arts.org/ National Arts Council, Singapore 웹페이지: http://www.nac.gov.sg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홈페이지:https://www.arts.gov/grants-organizations/art-works/arts-education

참고문헌|267



부록 부록 1: 설문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I D

안녕하세요? 본 설문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공동으로 청소년들이 배우고 경험하는 문화예술교 육의 현황 조사를 위해 실시되는 설문조사입니다. 다음의 설문에 대하여 여러분의 의견을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기 바랍니다. 응답한 의견은 앞으로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만드는 데에 소중하게 반영될 것입니다. 설문지에 응답한 내용은 연구 목적 외에는 절대 사용되지 않으며, 통계법 제33조(비밀의 보호 등) 및 제34조(통계작성사무 종사자 등의 의무)에 의거 비밀이 보호됩니다. 몕 발주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몕 연구기관 :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 정경은 교수) 몕 조사기관 : ㈜글로벌리서치 (담당자 : 차화연 연구원 , ☎ 02-3438-1703 / hycha@globalri.co.kr) 2017. 10.

문화예술교육은

음악, 무용, 연극, 미술, 문학 등 다양한 문화예술을 배우고 경험함으로

써 살아가는 데 필요한 창의적인 생각과 예술적 감성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교육을 말합니다. 본 설문에서는 여러분이 학교 안 또는 밖에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 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다음을 잘 읽고 해당되는 곳에 체크(✔)해 주세요.

Ⅰ. 문화예술교육 참여현황 문1. 여러분이 처음으로 학교 정규수업 이외에 정기적으로 학교 안(방과후학교, 동아리활동 등) 이나 밖(학원이나 개인교습 포함)에서 음악, 미술, 무용, 문학 등의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것은 언제입니까? ① 초등학교 입학 전(만 7세 미만)

② 초등학교 재학 중(만 7세~13세 미만)

③ 중학교 재학 중(만 13세~15세)

④ 고등학교 재학 중(만16세~18세)

⑤ 교육받은 경험 없음 (☞문18로 이동)


문2. 문1에서 응답한 것처럼 여러분이 처음으로 학교 정규수업 이외에 정기적인 문화예술교육 (학교 안이나 밖에서 음악, 미술, 무용, 문학 등)을 받도록 권유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① 가족

② 친척

④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학교교사 제외) ⑥ 문화예술 동아리 회원

③ 친구 ⑤ 학교(교사)

⑦ 나 자신

문3. 최근 1년간(2016.9.1.~2017.8.31.) 정기적으로 학교 안(방과후학교, 동아리활동 등)이나 밖 (학원이나 개인교습 포함)에서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강의나 교육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 까? ① 있다

② 없다

문3-1. (문3에서 ‘① 있다’고 응답한 사람만) 최근 1년간(2016.9.1.~2017.8.31.) 참여한 문화예술 교육 분야를 해당 번호에 모두 체크해 주세요.

통합

① 전통악기(국악기) ② 사물놀이 ③ 창/판소리/시조 ④ 서양악기 ⑤ 오케스트라 ⑥ 성악 ⑦ 합창 ⑧대중음악(밴드/보컬/기타(guitar)) ⑨ 한국화 ⑩ 서양화 ⑪ 드로잉/스케치 ⑫ 조소/입체미술 ⑬서예/캘리그래피 ⑭ 목공예 ⑮ 금속/비즈/주얼리 공예 ⑯ 북아트 ⑰ 시각/영상 디자인 ⑱ 건축/환경 디자인 ⑲ 전통무용(한국무용) ⑳ 현대무용(창작무용) 쇶 발레 쇭 쇭 쇷 댄스스포츠 쇸 대중무용(K-POP/방송댄스) 쇭 쇹 연극 쇭 쇭 쇺 뮤지컬 쇻 사진 쇭 쇼 만화/웹툰/애니메이션 쇭 쇽 영화(UCC 제작) 쇭 쇾 문예창작(소설, 시, 희곡, 수필) 쇮 쇭 쇵 독서토론 쇶 통합교육(여러 문화예술영역과 혼합) 쇮

기타

쇷 기타( 쇮

음악

미술

디자인

무용 연극/ 영화/ 미디어 문학

)

(문3-1 응답 후 ☞ 4번 문항으로 이동)

27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문3-2. (문3에서 ‘② 없다’고 응답한 사람만)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신 적이 없 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 때문입 니까? ① 시간이 없어서 ② 문화예술 자체에 관심이 없어서 ③ 가정의 경제적인 사정으로(비용 부담) ④ 흥미 있는 문화예술교육 내용이 없어서 ⑤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만한 시설이 없어서 ⑥ 문화예술교육의 정보가 없어서 ⑦ 공부에 방해가 될 것 같아서 ⑧ 기타( ) (문3-2 응답 후 ☞ 18번 문항으로 이동)


문4. 위 3-1번 문항에서 체크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중 최근 1년간(2016.9.1.~2017.8.31.) 여러 분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분야는 무엇입니까? (한가지만) 음악

① 전통악기(국악기) ⑤ 오케스트라

미술

⑨ 한국화 ⑩ 서양화 ⑬ 서예/캘리그래피 ⑭ 목공예

디자인 무용 연극/영화 / 미디어 문학

② 사물놀이 ⑥ 성악

⑰ 시각/영상 디자인

③ 창/판소리/시조 ④ 서양악기 ⑦ 합창 ⑧ 대중음악(밴드/보컬/기타(guitar)) ⑪ 드로잉/스케치 ⑮ 금속/비즈/주얼리 공예

⑫ 조소/입체미술 ⑯ 북아트

⑱ 건축/환경 디자인

⑲ 전통무용(한국무용) ⑳ 현대무용(창작무용) 쇸 대중무용(K-POP/방송댄스) 쇭

쇶 발레 쇭

쇹 연극 쇭 쇺 뮤지컬 쇭 쇭 영화(UCC 제작) 쇽

쇻 사진 쇭

쇼 만화/웹툰/애니메이션 쇭

쇾 문예창작(소설, 시, 희곡, 수필) 쇭

쇵 독서토론 쇮

통합

쇶 통합교육(여러 문화예술영역과 혼합) 쇮

기타

쇷 기타( 쇮

쇷 댄스스포츠 쇭

)

문5. 최근 1년간(2016.9.1.~2017.8.31.)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교육이 재미있어 보여서

② 스트레스가 해소될 것 같아서

③ 성취감을 얻기 위해서

④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서

⑤ 문화예술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⑥ 시간을 때우기 위해서

⑦ 가족과의 유대강화를 위해서

⑧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서

⑩ 남들과 다른 차별성을 위해서

⑪ 의무적으로 참여하여 특별한 이유 없음

⑫ 기타(

⑨ 진로 때문에

)

문6. 여러분이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은 주로 어떤 형태로 진행됩니 까? ①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정규동아리 활동(학교에서 구성하여 매년 운영되는 동아리 활동) ② 학교 내 문화예술교육 자율동아리 활동(학생들이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하는 동아리 활동) ③ 방과 후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동(학교 문화예술교육 동아리 활동 제외) ④ 학교 주관 토요 문화예술교육 ⑤ 문화기반시설(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공연장, 도서관 등) 문화예술교육 ⑥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등) 문화예술교육 ⑦ 지역문화 복지시설(복지회관, 문화체육센터) 문화예술교육 ⑧ 종교시설(교회, 성당, 절 등의 종교기관) 문화예술교육 ⑨ 개인 문화예술교육(음악학원, 미술학원 등의 사설기관)/ 개인교습/개인레슨 ⑩ 문화예술교육 단체(문화예술교육 법인, 단체 등)의 문화예술교육

부 록|271


문7.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시간은 일주일에 얼마나 됩니까? ① 1시간 미만

② 1~3시간 미만

④ 6~9시간 미만

⑤ 9시간 이상

③ 3~6시간 미만

문8.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문화예술교육의 참여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① 1개월 미만

② 1~3개월 미만

③ 3~6개월 미만

④ 6개월 이상 문9.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도록 추천해 준 사람은 누 구입니까? ① 가족

② 친척

③ 친구

④ 시설의 교육자 및 지도자(학교교사 제외) ⑥ 문화예술 동아리

⑤ 학교(교사)

⑦ 스스로 참여

문10. 최근 1년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어떻게 알게 되었습니까? ① 소셜미디어

② 인터넷

③ 스마트폰 앱

④ 신문

⑤ 포스터/배너

⑥ 브로셔/홍보지

⑦ TV

⑧ 기타(

)

문11.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할 때 주로 누구와 함께 참여하십니까? ① 혼자

② 부모님/형제자매

③ 친척 ④ 친구 ⑤ 동아리 회원

⑥ 기타(

)

문12. 최근 1년간(2016.9.1.~2017.8.31.)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어떻 게 진행됩니까? ② 관람/감상형 (독서, 영화·연극 관람, 미술·음악감상 등)

① 강의 교육형

③ 체험형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배우는 체험 활동) ④ 실습/표현형 (악기연주, 무용·사진배우기 등) ⑤ 창작/제작형 (영화제작·창작무용·문학발표회 등) ⑥ 기타(

)

문13. 여러분께서 최근 1년간(2016.9.1.~2017.8.31.)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는데 드는 교육비는 한 달 평균 어느 정도 입니까? [▶ 월 평균

만원]

문14. 문화예술을 교육받을 때의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입니까? ① 교육비용이 부담 ② 교육에 참여할 시간 부족

③ 관심 있는 교육 부족

④ 교통 불편

⑥ 교육안내 정보 부족

⑤ 참여시설 부족

⑦ 함께 배울 사람이 없음

27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⑧ 기타(

)


문15. 최근 1년간(2016.9.1.~2017.8.31.) 참여한 학교의 정규수업이 아닌 학교에서 진행된 문화 예술교육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①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② 만족하지 않는다

③ 보통이다

④ 만족한다

⑤ 매우 만족한다

⑥ 참여한 적 없다

문16. 최근 1년간(2016.9.1.~2017.8.31.) 참여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만 족하십니까? ①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② 만족하지 않는다

③ 보통이다

④ 만족한다

⑤ 매우 만족한다

⑥ 참여한 적 없다

문17. (문15 또는 문16의 ①,② 응답자만) 문화예술교육에 만족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무엇 입니까? ① 교육 내용

② 교육 강사

⑤ 교육 참여자 수

③ 교육 장소

④ 교육 시간

⑥ 교육 참여자와의 관계

⑦ 기타(

)

[전체 응답자 대상] 문18. 최근 1년간(2016.9.1.~2017.8.31.)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은 1년 전과 비교해서 늘어났습 니까? 아니면 줄어들었습니까? ① 매우 줄어듦

② 줄어듦

(문18의 ①,

④ 늘어남

⟱ 19번 문항으로 이동

⟱ 문18-1.

③ 변화 없음

②응답자만)

최근 1년간

⑤ 매우 늘어남 ⟱

문18-2.

(문18의 ④, ⑤응답자만) 최근 1년간

(2016.9.1.~2017.8.31.)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2016.9.1.~2017.8.31.) 문화예술교육 참여시간이

줄어들었다면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늘어났다면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① 문화예술교육 받을 시간 부족

① 시간적 여유가 생김

②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

②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이 다양해짐

③ 문화예술교육의 관심 부족

③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이 늘어남

④ 주변(부모님, 선생님, 친구 등)에서 다른 것을 권함

④ 주변(부모님, 선생님, 친구 등)의 권유로

⑤ 학업 부담

⑤ 학업에 도움이 됨

⑥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지 않음

⑥ 진로에 도움이 됨

⑦ 함께 참여할 사람이 없음

⑦ 함께 참여할 사람이 생김

⑧ 문화예술교육 선생님이 잘 가르쳐 주지 않아서

⑧ 문화예술교육 선생님이 잘 가르쳐 주어서

⑨ 참여 비용부담 때문에

⑨ 참여 비용부담이 줄어듦

⑩ 기타( ☞ 19번 문항으로 이동

)

⑩ 기타(

)

☞ 19번 문항으로 이동

부 록|273


문19. 청소년들이 지금보다 문화예술교육에 더 많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하다고 생각 합니까? ① 문화예술교육 시간 증가

② 문화예술교육 시설의 설치

③ 문화예술교육 정보 증가

④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수준 향상

⑤ 함께 참여할 참여자(친구, 가족 등) 확보 ⑥ 문화예술교육 교사, 강사의 수준 향상 ⑦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수 확대

⑧ 참여 비용 지원

⑨ 문화예술교육 도구(재료) 지원

⑩ 문화예술교육 동아리 확대

⑪ 지역사회 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확대 ⑫ 기타(

)

문20.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참여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 분야는 무엇인지 체크해 주세요. [▶ 1순위 ① 전통악기(국악기)

음악

⑤ 오케스트라 ⑨ 한국화

미술

3순위 ② 사물놀이

③ 창/판소리/시조

④ 서양악기

⑥ 성악 ⑦ 합창 ⑧ 대중음악(밴드/보컬/기타(guitar)) ⑩ 서양화 ⑪ 드로잉/스케치 ⑫ 조소/입체미술

⑬ 서예/캘리그래피 ⑭ 목공예 ⑮ 금속/비즈/주얼리 공예 ⑯ 북아트 ⑰ 시각/영상 디자인 ⑱ 건축/환경 디자인 쇭 댄스스포츠 ⑲ 전통무용(한국무용) ⑳ 현대무용(창작무용) 쇶 발레 쇷 쇭

디자인 무용

쇸 대중무용(K-POP/방송댄스) 쇭

연극/영화/ 미디어

2순위

쇹 연극 쇭

쇺 뮤지컬 쇭

쇻 사진 쇭

쇼 만화/웹툰/애니메이션 쇭

쇽 영화(UCC 제작) 쇭

문학

쇾 문예창작(소설, 시, 희곡, 수필) 쇭

쇵 독서토론 쇮

통합

쇶 통합교육(여러 문화예술영역과 혼합) 쇮

기타

쇷 기타( 쇮

)

문21.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하기 가장 좋은 시기는 언제입니까? ① 방과 후

② 주말

④ 방학기간

⑤ 기타(

③ 학교 체험활동 시간 )

문22. 문화예술교육을 받고 싶은 장소는 어디입니까? ① 학교

② 문화기반시설(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공연장, 도서관 등)

③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등) ④ 지역문화 복지시설(복지회관, 문화체육센터) ⑤ 종교시설(교회, 성당, 절 등)

⑥ 학원(음악학원, 미술학원 등의 사설기관)

⑦ 기타(

)

274|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문23. 여러분은 문화예술교육을 누구와 함께 참여하고 싶습니까? ① 혼자

② 부모님/형제자매

③ 그 외 가족/ 친척

④ 친구

⑤ 동아리 회원

⑥ 기타(

)

문24 앞으로 문화예술교육을 받는다면 어떤 교육방식을 희망하십니까? ① 강의 교육형 ② 관람/감상형 (독서, 영화‧연극 관람, 미술‧음악감상 등) ③ 체험형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배우는 체험형 활동) ④ 실습/표현형 (악기연주, 무용‧ 사진배우기 등) ⑤ 창작/제작형(영화제작‧창작무용‧문학발표회 등) ⑥ 기타(

)

문25. 최근 1년간 (2016.9.1.~2017.8.31.) 학교에서 단체로 참여하거나 관람한 문화예술 행사를 제외하고 개인적으로 관람하거나 참여한 문화예술 행사는 무엇입니까?

문화예술행사

관람 횟수

행사 참여 경험 횟수

① 문학행사(시화전, 도서전시회 등)

(

)회

(

)회- 예, 시화전 참여 등

② 미술전시회(사진, 서예, 디자인 등)

(

)회

(

)회- 예, 작품 전시 출품

③ 클래식음악회/오페라

(

)회

(

)회- 예, 단원으로 참여

④ 전통예술공연(국악, 풍물, 민속극)

(

)회

(

)회- 예, 단원으로 참여

⑤ 연극공연

(

)회

(

)회- 예, 단원으로 참여

⑥ 뮤지컬공연

(

)회

(

)회- 예, 단원으로 참여

⑦ 무용공연(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

)회

(

)회- 예, 단원으로 참여

⑧ 영화관 상영 영화

(

)회

(

)회- 예, 출연진으로 참여

(

)회

(

)회- 예, 출연진으로 참여

(

)회

(

)회

⑨ 대중음악(가요콘서트)/연예(방송프로그 램 등) ⑩ 기타(

)

부 록|275


Ⅱ. 문화예술교육 인식 문26. 다음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는 문항입니다. 각 문항에 대해 여러분의 의견에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전혀 그렇지 매우 그렇지 보통이다 그렇다 않다 그렇다 않다

문항 1)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4) 문화예술교육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

5) 문화예술교육은 진로 및 전공 선택에 도움이 된 다

6)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

7)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를 가지는데 도움이 된다

10) 내가 속한 지역 및 국가의 소속감을 높여준다

11) 문화예술교육은 나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12) 문화예술교육은 나를 행복하게 해준다

13) 문화예술교육은 즐거움을 준다

14) 내 삶에 활력을 불어 넣어준다

2) 문화예술교육은 상상력이 풍부해지는데 도움이 된다 3)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도움이 된다

8) 문화예술교육은 나 자신(자신감, 나의 꿈이나 미래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9) 문화예술교육은 주변 사람들을 하나가 되도록 도 와준다

Ⅲ. 개인 배경(학생) DQ1. 성별

① 남자

② 여자

DQ2. 학년 초등학교 ① 4학년

② 5학년

중학교 ③ 6학년

④ 1학년

276|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⑤ 2학년

고등학교 ⑥ 3학년

⑦ 1학년

⑧ 2학년


DQ3. 여러분은 공부를 잘 하는 편입니까? ① 매우 못하는 수준

② 못하는 수준

③ 중간

④ 잘하는 수준

⑤ 매우 잘하는 수준

DQ4. 여러분의 가정형편(경제 수준)은 어디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까? ① 매우 어려운 편이다

② 어려운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 잘 사는 편이다

⑤ 매우 잘 사는 편이다

Ⅲ. 개인 배경(학교 밖 청소년) DQ1. 성별 DQ2. 연령

① 남자 (

② 여자

)세

DQ3. 여러분은 학교 다녔을 때 공부를 잘 하는 편이었습니까? ① 매우 못하는 수준

② 못하는 수준

③ 중간

④ 잘하는 수준

⑤ 매우 잘하는 수준

DQ4. 여러분의 가정형편(경제 수준)은 어디에 해당한다고 생각합니까? ① 매우 어려운 편이다

② 어려운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 잘 사는 편이다

⑤ 매우 잘 사는 편이다

DQ5. 여러분이 최종적으로 학교를 그만 둔 시기는 언제입니까? 초등학교 ① 4학년

② 5학년

중학교 ③ 6학년

④ 1학년

DQ6. 학교를 그만둔 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

⑤ 2학년

)년 (

고등학교 ⑥ 3학년

⑦ 1학년

⑧ 2학년

)개월

☺ 지금까지 설문에 응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부 록|277



부록 2: 질적 연구 동의서

면접조사 설명문 및 동의서(학생용)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사업에 대한 조사 참여 협조를 위해 다음의 사실을 설명 드립니다. 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이 배우고 경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정책개 발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의뢰를 받 아 진행하고 있는 연구입니다. 2. 연구참여 대상 본 연구 참여 대상자는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경험의 유무와 관계없이 국내 청소년 (초 등학교 4학년 -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보호자의 동의 필요) 3. 연구기간 총 연구기간: 2017. 9.~2018. 1. 4.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면접(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지며, 약 50-60분간 진행되며 동의여부에 따라 대화 내용이 녹취될 것입니다. 조사를 위한 주요 질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사는 그룹 (3~6명)으로 구성되어 면접조사로 실시되며, 예상시간은 총 50-60분정도입니다. (1)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한 동기 혹은 참여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2)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좋았던 점과 별로였던 점)은 무엇인가요? (3) 나에게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어떤 의미일까요? (4) 향후 문화예술교육에 관련하여 바라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5. 연구참여자 권리와 개인 정보 및 비밀 보장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모든 자료는 오직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본 연구의 결과 는 연구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 록 철저히 익명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또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가 완성되는 시점에서 6개월 이내에 모든 녹음 된 파일은 삭제하여 기록으로 남지 않습니다. 아울러, 여러분께서는 인터뷰 중에 궁금하신 점에 대해 질문하시거나, 인터뷰를 중단할 권리가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6. 연구 참여에 대한 사례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참여자 학생에게 소정의 사례를 할 예정 입니다. 학생에게는 15,000원 상당의 선물(문화상품권)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부 록|279


연구 참여 동의서(청소년용)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향후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개선과 개발, 그리고 관련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소중하게 사용될 것이므로, 본 연구 의 참여를 정중하게 요청 드리고자 합니다. 귀하께서는 본 연구의 설명문을 읽은 후에도 연구의 목적, 절차 및 기간, 연구과정, 연구과정 중 있을지 모를 불쾌감, 연구참여를 통한 혜택, 비밀을 보장하는 방법 등에 대해 연구진에게 추가로 질문할 권리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 연구에 대한 귀하의 참여는 자발적이며, 귀하가 이 연구에 대한 참여를 거부하거 나 또는 참여 도중 중단하기로 결정하더라도 어떠한 벌칙이나 불이익, 혜택을 상실하 지 않음을 미리 고지하여 드립니다. 아래에 서명하시면, 귀하는 이 연구(위에 언급된 정보 포함)에 대해 구두로 설명 받 았고 귀하가 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연구의 학생 조사에 참여하는 것을 동의합니다.

연구참여자 성명____________________ 서명 ____________ 서명일 _____________________

본 연구 참여와 관련한 질문이 있으신 경우 다음 연구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 랍니다.

연구진

소속 숙명여자대학교

이름

280|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신혜선

연락처 hyesun.shin@gmail.com


면접조사 설명문 및 동의서(전문가용)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사업에 대한 조사 참여 협조를 위해 다음의 사실을 설명 드립니다. 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이 배우고 경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정책개 발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의뢰를 받 아 진행하고 있는 연구입니다. 2. 연구참여 대상 본 연구 참여 대상자는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경험의 유무와 관계없이 국내 청소년 (초 등학교 4학년 -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보호자의 동의 필요) 3. 연구기간 총 연구기간: 2017. 9.~2018. 1. 4.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면접(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지며, 약 120분간 진행되며 동의여부에 따라 대화내 용이 녹취될 것입니다. 조사를 위한 주요 질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사는 그룹(5~6 명)으로 구성되어 면접조사로 실시되며, 예상시간은 총 120분정도입니다. (1) 10대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기대효과는 무엇입니까? (2) 현재 10대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의 장점과 단점/문제점은 무엇입니까? (3) 대상자(10대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대한 촉진요인과 장애요인은 무엇으로 보십니까? (4) 관련 문화예술교육 사업 시행 및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의 고충 혹은 제한점이 있다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5) 향후 문화예술교육에 관련하여 개선방향과 정책적 건의사항을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5. 연구참여자 권리와 개인 정보 및 비밀 보장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모든 자료는 오직 연구의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본 연구의 결과 는 연구 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 록 철저히 익명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또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가 완성되는 시점에서 6개월 이내에 모든 녹음 된 파일은 삭제하여 기록으로 남지 않습니다. 아울러, 여러분께서는 인터뷰 중에 궁금하신 점에 대해 질문하시거나, 인터뷰를 중단할 권리가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6. 연구 참여에 대한 사례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전문가 참여자에게 소정의 사례를 할 예정입니다.

부 록|281


연구 참여 동의서(전문가용)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향후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개선과 개발, 그리고 관련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소중하게 사용될 것이므로, 본 연구 의 참여를 정중하게 요청 드리고자 합니다. 귀하께서는 본 연구의 설명문을 읽은 후에도 연구의 목적, 절차 및 기간, 연구과정, 연구과정 중 있을지 모를 불쾌감, 연구참여를 통한 혜택, 비밀을 보장하는 방법 등에 대해 연구진에게 추가로 질문할 권리가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 연구에 대한 귀하의 참여는 자발적이며, 귀하가 이 연구에 대한 참여를 거부하거 나 또는 참여 도중 중단하기로 결정하더라도 어떠한 벌칙이나 불이익, 혜택을 상실하지 않음을 미리 고지하여 드립니다. 아래에 서명하시면, 귀하는 이 연구(위에 언급된 정보 포함)에 대해 구두로 설명 받았 고 귀하가 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연구의 학생 조사에 참여하는 것을 동의합니다. 연구참여자 성명_________________ 서명 ______________

서명일 _______________________

본 연구 참여와 관련한 질문이 있으신 경우 다음 연구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 랍니다. 연구진

소속 숙명여자대학교

이름

282|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방향 연구

신혜선

이메일 hyesun.shin@gmail.com


연구에 도움을 주신 분(가다순

순)

김기남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회장

김선아

한양대학교 미술교육학과 교수

김선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교밖청소년지원부 부원

김인설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김준환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과 주무관

나서경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교육과 사무관

박주만

경기서당초등학교 교사

박윤창

초당대학교 교양교직학부장

서지혜

인컬쳐컨설팅 대표

유영림

초당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장

이복희

인천광역시교육청 장학사

정준수

초당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정행준

초당대학교 현장학습지원센터장

최창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현찬

초당대학교 전략홍보실장

부 록|28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