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_ 제 1 장 새로운 출발 :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제 1절·매뉴얼 개발의 목적 제 2절·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제 3절·주요내용 제 4절·활용방안(tips)
006 007 009 014
제 2 장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제 1절·기본 방향 제 2절·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제 3절·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제 4절·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학습내용
018 019 020 025
제 3 장 경험만들기Ⅰ :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제 1절·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 2절·공통프로그램 1 - 바람에 실린 시 제 3절·공통프로그램 2 - 한국의 문화 제 4절·공통프로그램 3 - 시름을 잊게 하는 노래와 몸짓
032 036 042 053
제 4 장 경험 만들기Ⅱ :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제 1절·베트남 하노이 제 2절·영국 런던 제 3절·미국 샌프란시스코 제 4절·중국 웨이하이 제 5절·터키 앙키라 제 6절·케냐 나이로비
070 095 137 165 190 223
제 5 장 추억 만들기 사례 1·한국화로 보여주는 샌프란시스코 : 도시 이야기 사례 2·한국의 오방색과 탈춤의 터키 한마당
225 263
Intro
문/화/예/술/교/육/의/첫/걸/음
전 세계 총 43개국에 펼쳐져 있는 세종학당에서는 오늘도 한국어와 한국문 화를 배우고 가르치는 일들이 쉼 없이 진행되고 있을 것입니다. 세계화 시대 에 다양한 국적, 인종, 언어를 가진 사람들이 우리 언어와 문화를 중심으로 만나고 소통한다는 것은 매우 흥분되는 일입니다. 이처럼 역동적으로 움직 이고 있는 세종학당에 문화와 예술이 함께 한다면 더욱 신명나지 않을까요?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는 현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한국문화와 예술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자 역할을 할 것 입니다.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을 세종학당에서 기획하고 프로 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기 위한 운영 안내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운영 안내 서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예술문화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의 깊이와 멋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ㆍ 한국문화교육의 범위는 한정지을 수 없을 정도로 넓습니다. 본 운영 안내 서에서는 체험적인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를 맛볼 수 있도록 하 는 데 초점을 두었습니다.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합니다. ㆍ 세종학당은 지역마다 운영되는 방식과 교육 환경, 그리고 수강생의 특징 이 모두 다릅니다. 아무리 훌륭한 프로그램이라도 모든 곳에서 성공을 거 둘 것으로 기대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ㆍ 지역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6개의 지역을 중심으로 제시하였습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개발 에 반영하였습니다. ㆍ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과정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운영 안내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길을 찾아갈 수 있도록 인도하는 지도와 같습니다. ㆍ 외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만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실행되기는 어렵습니 다. 따라서 상세화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현지에서 문화예술교 육 프로그램을 만들어갈 수 있는 기본 방향과 자료를 담아내었습니다. ㆍ 운영 안내서에 제시된 기본 틀에 따라 현지에서 수정하고 변형하여, 수강 생들에게 보다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역량을 키워가야 합니다. ㆍ 운영 안내서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수준에 따라 현지 교육 강사가 직접 가 르칠 수 있는 경우와 전문 예술강사가 가르쳐야 하는 경우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ㆍ 전문 예술강사가 필요한 경우, 국내에서 지원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합니다. ㆍ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조정하고 직접 자료를 조사하여 수업을 진행한다면 현지 교육 강사의 문화예술교육 역량이 점진적으로 개발될 것입니다.
자, 이제 함께 세종학당에서 펼쳐지는 문화예술교육의 세계로 한 걸음 내딛어 볼까요?
제1장 새로운 출발 :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제 1절ㆍ매뉴얼 개발의 목적 세계화 시대에 한국 문화 교육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는 곳 가운데 하나가 세종학당이
다. 세종학당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기능을 넘어서 한국 문화를 알리고 소통하는 상호 문화
교류의 장이라는 점은 아래 세종학당의 목적에 잘 나타나 있다. • 문화 상호주의에 입각한 문화 교류 활성화
• 외국어 또는 제2 언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용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 대표 브랜드 육성 및 확산
문화예술교육 운영 안내서는 세종학당이 추구하는 본래의 교육적 목적을 보다 충실히 수행
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가운데 탄생하게 되었다. 보다 생생하고 역동적인 한국 문 화 교육의 방안으로 한국의 문화와 예술에 주목하게 된 것이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는 우리의 예술은 동양의 정신과 함께 멋과 흥을 간직하며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 K-pop, 영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의 열풍으로 세
계는 지금 한국의 문화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 유럽 8개국, 아시아 17개국, 북
아메리카 3개국, 아프리카 4개국, 오세아니아 1개국, 남아메리카 2개국 등 세계 90곳에 설
치되어 있는 세종학당에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운영 안내서는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실행 지침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실시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설계, 실행에 관한 안내와
사례가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세계 어디에나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괄
적으로 제공하기보다는, 지역과 현지 세종학당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 문화 교류의 관점에서 실행할 수 있는 운영의 기본 틀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베트남 하노이, 영국 런던,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웨이하이, 터키 앙카라, 케냐 나이로
비에 소재한 세종학당의 특성에 맞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안내서의 주요 내용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각 지역의 프로그램이 개발된 설계의 과정과 이를 위해 조사된 지역의 특성을 함 께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운영 안내서를 통하여 세종학당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설계하고자 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하여야 하며, 어떤 단계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개발 할 수 있고, 어떤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종합적으로 보여 주고자 하였다. 이 운영 안내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상호 국제 문화 교류를 목표로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경험이 가능하도록 하 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개념과 방향 안내
l 006
•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 6개국 세종학당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에 기초하여 새로운 출발 :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제시
• 학습자의 흥미와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학습 주제 및 학습 내용 제시
•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개념을 핵심 용어를 통하여 명확하게 제시
• 세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정보와 관련한 다양한 교수・학습자료 수록
제 1장
• 실제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하여 세종학당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 구체화
제 2절ㆍ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세계화 시대의 문화 교류 세계화 시대에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문화적 상황 속에서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문화를 성찰하는 문화적 감수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정보 기
술의 발달로 인해 개인들은 주어진 지식이나 관습을 수동적으로 습득하고 배우는 것에 머물지 않고, 문화적 테두리를 일상적으로 넘나들고 있다. 적극적으로 정보를 검색하고, 자율적으로 의미를 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갈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된 것이다. 또한 한류 등을
통해 이제 한국 문화는 외국인들이 자국에서 스스로 찾아, 즐기며, 표현하는 수준으로 확산되
고 있다. 크고 작은 강물이 서로 연결되어 흐르듯이 한국 문화 역시 끊임없이 퍼져 가고 뒤섞 이는 상호 작용 속에서 진화하고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외국에서 향유되는
한국 문화 또한 세계 속에 자라나는 우리 문화의 한 줄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적, 기술적, 경제적, 문화적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구촌의 변화를 고려할 때, 보다 적극적인
한국 문화 교육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제까지의 대외 정책 가운데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한 부분이 문화 외교이다. 효과적인
문화 외교를 실행하는 데에는 한국학, 지역학, 예술, 한국어 교육 등 여러 학문 영역 간의 연 계와 협력이 요구된다. 또한 일방적인 한국 문화의 전달이 아닌, 현지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지역의 다양한 문화 자원을 기반으로 한 상호적인 문화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
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세종학당은 체계적인 문화 외교를 실시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있 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육의 문화적 접근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언어 교육의 도구적, 기능적 차원을 넘어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 능력을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가 지속되어 왔다. 이때 언어 숙달도와 문 화적 숙달도가 비례 관계에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즉 언어 지식이 초급인 학습
007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자의 경우 문화에 대한 지식도 초급이라고 전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외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수강생의 경우 한국어에 대한 실용적 목적을 넘어서 한국 문화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선호로 세종학당을 찾게 된다. 문화적 관심과 탐구로 한국어 학습을 원하는 다양한 연령과 계
층의 수강생을 고려할 때,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의미가 보다 포괄적인 차원에서 정 의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가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동시에 한국 문화에 노출됨을 의
미한다. 다시 말해 언어 교육 현장이 곧 문화 교육의 현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문화적인 내용을 다루게 된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
일상적 문화 요소를 부분적으로 첨가하는 것으로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세종
학당에서는 보다 심층적인 한국적 가치관과 세계관을 접할 수 있는 문화 교육으로의 단계적
인 접근이 필요하다. 한국 문화와 자국 문화, 전통과 현대, 언어와 예술 간의 유기적 관계 설
정을 통하여 한국 문화와 깊이 있는 만남을 갖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세종학
당을 거점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은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교육을 동시에 내실화하는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문화 예술을 통한 적극적 다문화 교육 지역, 계층, 성별 등이 다양한 대상에게 다양성을 인식시키고 문화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
도록 하는 데에 문화 예술은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문화적 만남(cultural encounter),
즉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체험은 지적, 정서적,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처럼 문화 예술은 낯선 타자와의 만남이라도 즐겁고 심미적인 체험이 되도록 한다.
전통과 현대 예술은 넓은 의미에서 한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것이며 집단의 핵심적인
규범, 지혜, 신념들을 담고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는 의복, 축제, 건축물과 같은
민속 예술은 한 문화의 역사, 가치 체계,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훌륭한 대상이다. 요즘에는
예술 작품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작가 개인의 창조성과 예술성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전통문화와 예술은 창의적인 몇몇 개인의 창작물이기에 앞서 그가 속한 집단의 규
범, 이상, 염원 등을 담은 사회적 표현으로 보는 것이 알맞다. 따라서 다양한 수준과 특성을
가진 외국인에게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의 정서, 가치, 사상 등을 보다 쉽고 흥미롭게 가
르칠 수 있다.
문화 예술을 통한 한국 문화 교육에서 기대하는 것은 감정적, 정서적 교감을 통해 개인
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외국인들이 문화 예술을 매개로 한국 문화
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상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학습 대상이 스
스로를 주체적인 참여자로 인식하도록 하여, 보다 주도적인 문화적 탐구자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문화 예술은 지역적, 문화적으로 동떨어진 한국 문화를 감각적, 신체적으로 경험하
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정서적인 연결 고리를 형성하도록 한다.
l 008
새로운 출발 :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제 3절ㆍ주요 내용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과정은 하나의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비유할 수 있다. 한국에 관심을 가진 수강생들과 함께 한국 문화를 맛보는 여행을 떠나는 것이 다. 다음의 내용을 단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보다 행복하고 충실한 여행을 만들어 갈 수 있다.
제 1장
제2장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문화예술교육의 기획 및 운영 2장에서는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고려하고 점
검하여야 할 사항들을 소개한다. 예술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세종학당 수강생들과 함께
떠나는 한국으로의 여행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한다면, 보다 쉽고 친근하게
교육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방적으로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는 것이 아 닌 학습자의 관심과 필요를 고려한 문화적 만남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 운영 안내서는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 강사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자이자
공동 개발자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즉 외부 전문가에 의해 완전히 구성된 대본을 그대로
따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전문 기관, 예술 강사,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 강사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을 바라보 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세종학당 한국 문화 교육에 참여하게 될 다양한 주체들
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공유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방향과 원리를 상세하 게 설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이 장에서는 한국 문화로의 여행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 분명한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전망과 목표를 제시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한국 문화 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의 교수요목이 소개되어 있다. 이는 세종학당 문화예
술교육을 어떤 방향에서 접근하여야 하며, 어떤 내용과 단계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을 설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3장 경험 만들기 I: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3장에서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기본 방향에 기초하여 여러 세종학당에서 공통으로 활
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공통 프로그램은 쉽게 실행할 수 있으며, 4장에서 제시된 지역별 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기초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간단한 활동을 통해서도 한국 문화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문화 체험이 가능한 교
육 내용이 주로 다루어진다. 또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핵심 용어가 한글과 영어로 제시되어 있다.
009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표 1-1〉 공통 프로그램 개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이름
수준
문인화는 그리는 사람의 인격과 학문이 그림
바람에 실린 시:
한글 시로 부채 만들기
기초
에 그대로 드러난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그림 과 시를 동일한 정신성의 표현으로 간주하는
한국 문인화의 특징을 이해하고 체험한다.
공통 프로그램
주요 내용
전통과 현대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한국 영화
한국의 문화:
영화로 만나는
기초
한국 문화의 이해
를 감상한다. 영화에서 찾아 볼 수 있는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다양한 한국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한다.
흥겨운 노래와 몸짓:
기초
전통 민요와 장단
한국 전통 민요의 장단과 가락을 익히고, 한
국인의 흥과 자연스러운 몸짓을 체험한다.
제4장 경험 만들기 II: 국가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4장에서는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 6개국 세종학당의 특성을 설문 조사와 단
체 면접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각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의 강약
점, 기대 효과, 프로그램 개발 방향 등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세종학당에서 지역의 특성과
목적에 맞는 세부 목표를 수립하고,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계 별 교수・학습 활동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각 프로그램의 핵심 용어를 한국어와 현지어로
수록함으로써, 학습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개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업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제 프로그램 운영 시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각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참고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표 1-2〉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이름 한가위-달에게 강강술래 지역별 프로그램
기원하기:
뚜껑을 열어 일상을 담다: 한지 함 만들기
수준 심화
심화
주요 내용 강강술래를 배우면서 한가위 명절의 의미
를 이해하고 한국의 장단과 흥을 체험한 다.
한지로 된 함을 만들면서 일상생활에 사용 된 한국의 문양과 색을 체험한다.
*하노이 세종학당에서는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연중행사’가 설날, 가정 의 달, 한가위, 한글날 진행되고 있다. 한가위 행사를 이용한 강강술래 배우
기 등을 제공하면 한국의 전통 미술, 음악, 무용을 자연스럽게 접목하여 프로
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l 010
〈표 1-3〉 영국 런던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이름
수준
복을 기원하며 새해를 채
비하는 한국의 절기: 동지
새로운 출발 :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영국 런던 세종학당 주요 내용 절기의 의미와 동지에 전해지는 풍습과 전 기초
통 물품을 알아본다. 팥죽과 복조리를 만
들며 한국의 민속 신앙과 정서를 경험한 다.
지역별
한국의 장단: 사물놀이
심화
프로그램
제 1장
사물놀이 단체의 공연을 감상하고 사물놀
이에 사용되는 다양한 악기에 대해 배운 다. 한국의 가락을 익혀 지역 공동체에서
공연한다.
*런던은 세계적인 도시이다. 런던의 세종학당은 영국인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한국 문화를 전파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로서 가능성을
가진 곳이다. 런던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문화 관련 예술 인력들과 협력하여
정기적인 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런던 소재 한국 문화원의 한
국 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거나 지원을 받는 등 다각도의 협력 방안 을 모색할 수 있다.
〈표 1-4〉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미국 샌프란시스코 프로그램 이름 한국화로 보여 주는
샌프란시스코: 도시 이야
기
지역별 프로그램
한국의 색을 영상에 담다: 한국 문화 다큐멘터리
수준
심화
심화
주요 내용 자신의 공간(샌프란시스코)을 산수화의 표
현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적인 미감으로 재 해석하여 표현한다.
대표성 있는 한국 문화를 주제로 기록 영
화를 만들어 유튜브와 같은 누리소통망
서비스(SNS)에 소개한다.
*샌프란시스코 주변에는 Asian Art Museum이나 San Francisco Symphony
등, 활용 가능한 수준 높은 전시 및 공연 공간이 있다. 심도 있는 전통 미술이
나 전통 음악의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이와 같은 공간에서의 전시, 공연을
통해 지역과 활발히 소통할 수 있다. 학생들의 한국 문화에 관한 지적인 요구
도 많아 피상적인 체험을 넘어선 심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011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표 1-5〉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중국 웨이하이 프로그램 이름
수준
주요 내용 한국 드라마를 감상하고 대사를 숙지하여
한국인의 생활 속으로: 드
라마 한국어
생활 한국어를 익힘과 동시에 드라마 상 기초
황을 재현하여 역할극을 완성한다. 완성 된 역할극을 간단한 기기를 활용하여 동 영상으로 촬영한 후 감상하고 토론한다.
K-pop 춤을 통해 한국 젊은이의 감각을
지역별 프로그램
한국의 대중문화 속으로:
K-pop 즐겁게 체험하기
체험하고 신세대 문화 소통 구조를 이해
심화
한다.
조별로
서로의
K-pop
공연을
UCC로 제작하고 유튜브에 올려 공유한
다. *드라마는 중국 현지인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되는 계기이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한류의 대표적인 문화 자원이다. 현지 젊은 학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대중문화의 내용에 한국적인 요소를 접목하여 현
대 사회 한국의 일상생활과 문화를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예술의
경우 중국 전통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 문
화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표 1-6〉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터키 앙카라 프로그램 이름 한국의 선:
곡선의 아름다움
수준
주요 내용 한국의 도자기, 한복, 건축 등에서 부드러
기초
운 곡선을 강조한 한국적 미학을 다양한 시각 자료를 통하여 이해한다. 곡선을 활
용한 문양을 한지로 오려 붙여 생활용품 을 아름답게 꾸민다.
한국 오방색에 담겨 있는 한민족 고유의
지역별 프로그램
한국의 몸짓: 탈춤 마당
심화
사상과 동양의 유교 정신, 음양오행 사상
에 대해 이해하고, 탈춤을 배워 봄으로써
한국적 ‘어울림’으로 터키 문화와의 교감 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한국 기업의 진출 등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터키 현지 인들이 한국 문화를 직접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국
가 간의 우호적 관계에 기초하여 한국 전통문화와 터키 문화와의 공통점을 찾 아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l 012
〈표 1-7〉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이름 신 나게 놀자: 한국의 민 속놀이
수준
새로운 출발 :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케냐 나이로비 주요 내용 그네를 뛰고 씨름을 하며 부채를 만들었 기초
던 단오를 중심으로 한국의 놀이 문화를 이해한다. 단오 부채를 만들어 서로에게 선물하며 단오의 세시 풍속을 경험한다.
지역별 프로그램
신명 나는 한국 문화: 새 롭게 태어나는 난타
제 1장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인 난타의 동영상을
감상하고 그 안에 담긴 한국의 고유 장단
심화
과 소리를 이해한다. 현지의 타악기를 이
용하여 장단과 박자, 상황만으로 구성된 새로운 난타를 공연한다.
*한국과 거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한국적인 재료나 악기 등 수업에 활용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학습 정보를 원활히 제공받기 힘든 상황이다. 케냐
인들은 감정 이입을 잘하고 격동적 몸짓이나 리듬을 즐기는 성향이 있다. 따라 서 현대 음악, 국악, 탈춤 등 리듬과 율동이 강한 프로그램의 호응도가 높을
수 있다.
제5장 추억 만들기: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사례 5장에서는 이 운영 안내서에서 제안한 프로그램의 기본 틀에 따라 실행된 문화예술교육
실천 사례를 제시한다. 이는 문서로 제시된 프로그램의 실제를 생생한 경험과 이야기로 서술
함으로써,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였을 때 어떤 의미와 가능성이 있는지를 구체
적으로 보여 주기 위함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과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실시한
시범 사업의 결과를 중심으로 운영 안내서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이 실제적인 교육 활동으로 구 현되었을 때 참여자들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수업 결과를 통해 보여 준다. 사례는 언
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하였는지의 육하원칙에 따라 현실감 있는 이야기로 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업에 사용되었던 상세 수업 계획, 학습 자료, 활동 사진, 예술 강사 소 감문 등을 통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이 가능한 한 사실적으로 재현되어 있다.
013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제 4절ㆍ활용 방안(tips) 프로그램 설계의 측면 • 이 운영 안내서에서는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 강사를 문화예술교육의 설계자로 가정하 고 있다. 세종학당에서 직접 문화예술교육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료로
개발된 것이다. 전문 예술 강사가 수업을 진행하더라도, 세종학당에서 현지 수강생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 한국 전통문화는 단기간에 그 아름다움이나 멋을 체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여
러 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새롭게 발견하고 그것에 매료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 운영 안내서에 제시된 프로그램 가운데 지역에 알맞은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신 중하게 결정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수강생들이 심도 있는 한국 전통문화에 관심이 있는
지, 한류에 따른 대중문화와 일상을 알고 싶어 하는지, 음악, 미술, 무용 등 어떤 예술 분
야에 관심이 많은지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와 지역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활 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운영 안내서를 바탕으로 서로 연계되는 주제를 다루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제시된 동지에 대한 프로그램의 기본 틀을 바탕으로 또 다른 명절인 정월 대보름 등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다. 최근에는 한국 문
화와 관련한 다양한 동영상이나 음원을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다. 참고 자료로 제시된 것 이외에도 현지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는 시청각 자료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 현지 담당자는 각 프로그램을 교육함에 있어서 현지의 일정과 기후, 관습 등을 바탕으로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그램 운영의 측면 • 전문 예술 강사가 필요한 프로그램인 경우 한국 혹은 지역의 예술 강사를 요청해 수업을
진행하여야 교육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전문 예술 강사가 한국에서 파견된다면 현지 한 국어 강사나 학당장과 사전에 충분히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고,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 법과 수준이 미리 계획될 수 있도록 상호 간의 긴밀한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l 014
• 한국 문화와 예술에 관한 전문적인 용어의 경우 현지어로 번역되어 사전에 교육하는 것이
새로운 출발 :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효과적이다. 정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문화적 개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
다. 또한 각 수업에 관한 상세한 교수・학습 자료를 제작하고 번역하여 미리 학습자들에 게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 문화예술교육에서 교육 환경은 중요한 요소이다. 마음껏 붓질을 할 수 있는 넓은 책상이
필요하고, 멀리 움직일 수 있는 탁 트인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큰 소리로 이야기하고 노 래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이상적인 환경이 없다고 문
제 1장
화예술교육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교육 환경과 특성에 따라 가능한 범위와 내용의 문 화예술교육을 선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한 교육인 만큼 재료의 준비와 수급이 프로그램의 성패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한국에서 양질의 재료를 보급받을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과 동시에 지 역에서 대체할 수 있는 재료가 무엇인지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 참여 학생 수에 따라 교육 강사의 수가 조절되어 효율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015 l
제2장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제 1절ㆍ기본 방향 외국인들이 한국 문화의 정수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매우
전문적이고 부담스러운 일로 다가온다. 하지만 전 세계 모든 외국인이 아닌, 오늘 내가 만나
는 수강생들을 위한 혹은 우리 세종학당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즐거운 상상을 불
러일으킨다. 한국 문화에 대한 어떤 경험을 원하는지 수강생들의 관심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고 행복한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에 대하여 알기를 원하는 우리 학생들이 떠나는 한국 문화로의 여행에 친구 혹은 안내자가 된
다고 가정해 보자. 무엇을 보여 주어야 할까? 한국에 대하여 어떤 생각과 느낌을 갖도록 할
까? 여행을 마칠 때에는 어떤 기억을 갖게 될까? 여행을 함께 하면서 한국 문화 교육자로서
나는 무엇을 느끼게 될까?
수강생들과 함께 하는 여행이라는 측면에서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있
어 학습자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교육은 ‘가르침’의 일방적인 행위가 아닌 ‘배움’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개 발, 운영에 앞서 다음의 질문을 던져 볼 필요가 있다. 수강생들은 어떤 계기로 한국을 알게
되었으며, 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가? 어떤 시각과 입장에서 한국 문화를 바라보고 있는
가? 한국 문화에 대하여 무엇을 알고 있으며, 무엇을 더 알기 원하는가? 세종학당 프로그램에 대한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이와 같은 질문들은 세종학당 수강생들에게 의미 있는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이정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 운영 안내서의 개발을 위해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과 한국을 방문한 세종학당 수강
생들과 대화를 나누어 본 결과 〈그림 2-1〉과 같은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림 2-1〉 수요자 관점에서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l 018
위의 그림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수강생들이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한
국어에 대한 실용적인 필요성보다는 한류, 한국 기업 등과 같은 한국에 대한 호기심과 호감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때문인 경우가 많다. 여기에 세종학당에서 한국어 교육을 넘어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는 이유가 있다. 특히 공감을 이끌어 내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체험의 기회는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즐기고 참여하는 가운데 향유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아가게 한다.
이와 같은 세종학당 한국 문화 교육의 특성을 고려할 때 문화예술교육 운영의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첫째, 세계화 시대 역동적인 한국 문화의 이미지를 구축한다.
둘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한국 문화의 고유성과 함께 문화적 보편성을 고려한 내용을 선정한다.
제 2장
넷째, 지역 문화와의 연계를 통한 상호 문화 교류를 지향한다.
다섯째, 학습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구성주의적 교수 방법을 사용한다.
제 2절ㆍ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세계화 시대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구의 이동과 문화적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
다. 동시에 국제적 위상의 변화와 한류 등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한국 문화는 외국인들에게
간헐적으로 소개되는 차원을 넘어서, 자국에서 직접 즐기며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자신
을 표현하는 수단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지구촌의 변화를 고려할 때 세종학당은 한국 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를 통한 적극적인 외교의 장으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세종학당의 비전은 다음과 같이 설 정될 수 있다.
비전: 전통과 현대의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세계화 시대에 문화적 다양성 과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고 상호 교류하는 문화 외교의 장으로 발전한다. 위의 비전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때에 한국 문화를 알리고 국가 이미지를 고양하
는 교육적 활동이 학습자들에게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가지는지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즉 세종 학당 수강생들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목표가 수립되어 있을 때에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것이다. 교육 목표를 수립함으로써 세종학당에서 제공되는 문화예
술교육을 받았을 때에 수강생들이 무엇을 이해하고, 무엇을 할 수 있게 될 것인지, 즉 학습의 결과로 무엇을 성취하기를 기대하는지 명확히 할 수 있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전문가 양성이나 예술적 표현력을 기르는 데에 목적이 있지 않
다. 따라서 교육 목표는 예술적 의사소통을 통한 미적 체험과,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
019 l
를 통한 다문화적 감수성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세종학당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이 수립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교육 목표: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상호 교류하는 가운 데 세계화 시대 문화적 감수성을 기른다.
제 3절ㆍ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이 운영 안내서는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 강사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자이자
공동 개발자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즉 외부 전문가에 의해 완전히 구성된 대본을 세종학 당에서 받아 그대로 따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 전문 기관, 예술 강사, 세종학
당, 한국어 교육 강사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프
로그램의 개발을 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세종학당 한국 문화 교육에 참여하게 될 다양한 주체들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공유할 수 있는 설계의 기본 방향 과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 운영 안내서에서는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일방적인 문화의 전파가 아닌 상
호 소통의 문화 교류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새로운 문화와의 만남이 서로의 표현 방식
의 변화를 이루어 내는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세계화 시대는 다양한 문화의 보편성
과 특수성이 부딪치면서 융합, 혼용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문화의 만남을 통하여 시공간이 교차하면서 유동적이고 창의적인 문화가 생성되는 것이다.
세계화의 견지에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을 선정할 때 한국 문화가
가지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조화롭게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한국적, 전통적 아름다움
을 가르칠 때에,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민족성을 함께 고려하여 상호 간의 보편적 가치를 발
견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편성과 특수성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 학습자는
거리감이나 거부감을 가지게 될 수 있고, 혹은 식상하거나 유치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림
2-2〉는 문화의 이해에서 보편성과 특수성의 균형이 어떻게 학습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보여 준다.
l 020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제 2장
〈그림 2-2〉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홍순석 김호연, 2009: 82)
멀리 동떨어진 한국이라는 나라의 문화가 오늘 여기를 살아가는 나의 삶과 연결될 때, 한
국 문화 교육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은 여기, 지금(here
and now)의 관점에서 학습자들이 새롭게 한국 문화를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한국 문화 교육의 범위 한국어 교육에서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왔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외국어를 가르치고 학습하는 것이 간
문화적인 차이를 허용하거나 조정하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윤여탁, 2011). 언어 교육의 목표 중 하나가 원활한 의사
소통 능력임에 비추어 볼 때, 목표 언어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언어 학습을 통해 추 구하는 바를 성취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또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도 문화를 알면 보다 쉽게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어와 문화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에 있다. 즉, 목표 언어
의 문화에 대한 이해는 교수・학습을 보조하는 것을 넘어서 언어 교육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문화 교육과 보다 밀접한 관계에서 한국어 교육에 접근하고자 할 때 풀어야 할 문제는
가르쳐야 할 내용인 ‘문화’의 범위가 매우 넓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 문화는 한민족(韓民族)
이 형성해 온 생활 양식의 총체라 할 수 있다. 그만큼 한국 문화는 우리 생활의 거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것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이 광범위하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내용과 범위를 선정할 수 있는 틀이 필요한데, 이때 한국 문화에 대한 다음의 분류
를 활용할 수 있다(박영순, 2006; 임경순, 2009; 조항록, 2004).
021 l
〈표 2-1〉 한국 문화의 분류
구 분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민속 문화 생활 문화
의식주 문화 일상생활 문화
언어
언어문화
문화 문학 제도 문화
관념 문화
제도문화
사상 문화 관념과 가치관 역사 문화
성취 문화
예술 문화 기타
내 용 세시 풍속 등 농경 생활 속에서 나타난 민속. 서민들이 보여 온
생활 양식. 양반들이 보여 온 생활 양식. 성별로 나타난 양상, 시대별로 변천해 온 양상 등
한국인의 의식주 생활과 관련한 기본 내용, 특징적 양상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적 양상. 일상 적인 행위의 이면에 있는 관점 등은 포함하지 않고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
문학적 표현 및 표현적 언어, 설득적 언어, 제보적 언어 등 문학 과 비문학의 언어, 일상의 언어를 망라한 구어, 문어, 다매체 언 어, 문자, 형태, 통사, 의미, 경어법, 속담 및 은유
한국인의 문화적 성향 및 양상을 담고 있는 문학 작품 정치 제도, 경제 제도, 사회 제도, 법률 등 사회의 각 부분에서
나타나는 체계화된 질서와 제도
홍익인간, 주자학적 인간관, 불교 사상, 유교 사상, 철학 사상, 동학사상 등 한국인의 사상적 원류와 주요 특징
우리 의식, 가족주의, 효, 정, 한, 체면 등 한국인의 관념과 가치 관을 나타내는 주요 개념
한국인이 역사적으로 진행하며 쌓아 온 산물들. 즉 문화재, 역사
적 기념물, 역사적 인물과 그 밖의 역사적 문물
음악, 미술, 조각, 건축 등 한국인이 성취해 온 예술적 소산물
대중음악, 대중 무용, 대중 미술, 대중 영화・연극 등 대중문화,
고급 음악, 무용, 미술, 예술 영화・연극 등 고급 예술
위에 속하지 않는 그 밖의 문화 요소들 중 기본적인 것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위의 다양한 형식의 문화 가운데 성취 문
화, 그리고 관념 문화, 생활 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성취 문화 가운데에서도 특히 예 술 문화를 직접적인 제재로 활용하지만, 예술 작품의 결과물 자체가 아닌 그 안에 담겨 있는
문화적 특징, 의미, 가치, 활용을 다루는 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한국 전통의 색
인 오방색을 가르친다고 할 때, 오방색이 무엇인지, 어디에 쓰이는지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음양오행의 사상과 기복 신앙 등 한국인의 집단 무의식을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l 022
한국 문화 교육과 예술 교육의 단계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한국 문화 교육의 내용과 범위를 선정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학습 내용 및 활동
을 단계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이다. 외국인들이 안정감을 느끼되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한
국 문화의 핵심 개념을 선정하되, 이를 점차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배열함으로 써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심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학습
자의 현재, 지금 나의 생활로 시작하여 점차 우리, 타인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연령, 배경, 경제・문화적 수준 등을 고려하여 의식주의 일
상적인 문화에서 시작하여 점차 한국인의 정서, 사상, 민족성을 발견할 수 있는 과정으로
제 2장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2-3〉 문화 이해의 확장 (강승혜 외, 2010: 217)
전문가 양성이 아닌 문화적 이해를 위한 예술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도, 신중하게 단계
를 설정하여 내용과 범위를 확장해 나가야 한다. 일반적으로 예술 교육은 〈그림 2-4〉와 같은 5가지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김문환, 1999). 첫 번째 단계는 만나기(exposure)와 친
해지기(familiarization)이다. 학습할 핵심 개념을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호기심을
가지고 즐겁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 유발은 더욱 중요하다.
두 번째 단계는 지각 훈련하기(perceptual training)이다. 예술 교육의 특징이자 강점은
학습자가 자신의 감각을 활용하여 의식을 일깨운다는 것이다. 직접 만지고, 부르고, 움직이
는 감각 활동은 학습에의 참여를 높이고 지식 위주의 학습에서 느끼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
을 제공한다.
세 번째 단계는 역사적으로 인식하기(historical awareness)이다. 예술은 즉흥적이고 순간
적인 유희인 동시에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깨달음을 담고 있다. 예술적 표현 형식에 담긴 문
화적 의미를 발견하면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네 번째 단계는 작품 감상하기(exemplary appreciation)이다. 감각적 탐색과 역사적 인식
의 뒤에 이어지는 작품 감상은 단순한 좋고 나쁨을 떠난 문화적 재인식이라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예술 작품이 한 개인을 넘어선 시대와 문화의 표상으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023 l
마지막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하기(critical analysis)이다. 비평적 관점에서 작품의 가치를
분석하고 판단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그림 2-4〉 예술 교육의 단계
위의 예술 교육의 단계는 심화의 과정을 보여 주기 위하여 선형적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순환적인 모습을 띠게 된다. 특히 5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예술적 소양뿐
만 아니라 문화적 의식까지 확장되면서 문화적 감수성이 통합적으로 체득될 수 있다. 이와 같 은 단계에 기초하여 김문환(1999)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예술 교육의 체계를 〈표 2-2〉와 같이 제안하고 있다.
〈표 2-2〉 예술 교육의 체계
1~2단계
만나기와 친해지기
⇒ 지각 훈련하기
3단계
역사적으로 인식하기
4~5단계
작품 감상하기
⇒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예술적 창작
언어로서의 예술
역사로서의 예술
미학적 비평
매체 체험
예술을 통한 소통
시간의 연속성
한국 문화의 개념화
예술적 표현
한국 문화의 해석
예술적 양식의 변화
의미의 재구성
기법 활용
자기표현
전통문화와 현재
비판적 분석
위의 체계에서 알 수 있듯이, 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예술 교육은 창작 활동에 국한되지
않는다. 물론 재료와 악기를 직접 만지고 조작하여 무엇인가를 창조하는 과정은 다른 어떤
영역에서 경험할 수 없는 행복한 몰입의 순간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것이 소통, 분석, 해석,
이해, 재구성 등의 인식적 활동의 촉매제로 기능할 때, 예술적 창작의 의미가 삶의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잘하고 못함 혹은 재능이 있고 없음의 차원이 아닌, 나를 발견하고
타인과 공감하는 보편적인 미적 경험으로서 예술 교육의 가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l 024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제 4절ㆍ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학습내용 상호 문화 교류의 장으로서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세계 문화라는 거
시적인 관점에서 한국 문화와 지역 문화를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한국의 문화 원형에 기초하여 세계 다른 문화와 소통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한국의 문화 콘텐츠는 한국적인 정서, 신비감, 호기심과 같은
낯설음을 보여 주면서도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세계적인 보편성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
이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서는 프로그램에서 다루고자 하는 핵심적인 개념을 도출하고, 그 안에서 문화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설계하여야 한다.
제 2장
한국의 문화 원형 문화 예술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을 교육하는 데에 있어 한국 문화 원형의 개념은
유용한 지표가 된다. ‘문화 원형’이란 “전통문화 가운데 그 민족 또는 그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있어서 다른 지역, 다른 민족과 구별되며 아울러 여러 가지로 갈라진 현대형의 본디
모습에 해당하는 문화”를 가리킨다(홍순석 김호연, 2009: 19). 따라서 문화 원형은 본래의 모습, 공통분모, 정체성, 고유성 등의 의미를 담고 있는 개념으로서 한국 문화를 어떻게 정
의하고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위의 정의에서 보듯이 문화 원형은 ‘현대형의 본디 모습’, 즉 현재 문화와의 관련성 속에
서 전수되고 재해석되는 가운데 꾸준히 이어져 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문화
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고유성과 특수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함께 학습하는 사람들 간의 다
양성을 넘어선 보편성을 발견하고 공유할 수 있는 훌륭한 소재가 된다. 또한 다른 문화와의
만남을 촉진하고 한국 문화의 경쟁력을 높이는 기본 요소가 되기도 한다.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선정하는 데에 한국문화콘텐츠진
흥원(현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선정한 문화 원형 과제 목록을 활용할 수 있다. 선정된 과제는 우리 문화 원형의 세계적 자원화를 위해 상영, 출판, 방송, 유통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창작 소
재로 선정된 것이다. 〈표 2-3〉에 제시된 모든 내용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소재 로 활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적인 문화 요소가 어떤 방
향에서 발굴될 수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의 통시적인 관점에서 한국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요소들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2002~2008년 선정 과제는 이야기형, 디자인형, 정보 자료 제공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한국 문화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형의 문화 원형
소재는 다음과 같다.
025 l
〈표 2-3〉 이야기형 문화 원형 선정 과제(2002~2008년) 분류
통시대
신화의 섬-제주 백두산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구비 불교 설화 문학 금강산
고대
고려
조선
근현대
가상 시공간
연오랑
바리공주
바닷속 상상
건국 설화
인귀 설화
한국 정령
세오녀
도깨비
설화 인물 유형 처용 설화
신화의 나라
호랑이 기록 문학
한국 감성 소재
세계
글로벌
신화 원형
연구
조선 시대 대하소설
왕오천축국전
표해록
삼국유사
야담
태평광기
유산기 독립신문,
이
암행어사
야
조선 상업
기 정치 수렵 형 경제 정변
활동
흠휼 전칙,
산업 한강 생활 문화
형구
유배 문화
종교 부적
성신앙
신앙 강릉 단오제 운주사
인물
신라 화랑
삼국사기 역사 인물
공동회
어로
낙동강,
나루, 주막
개항 시대
인천 항구
구한말 정동
오방 대제
선덕 여왕
만민
고려사
인물 유형
고려 여인
조선 기녀 궁중 여성
굿
당제 승려
천년 고택 시나락
신여성
근대 기생 최승희
디자인형의 선정 과제에서는 미술, 공예, 음악, 무용, 국악, 건축과 같은 다양한 예술 분야
와 관련지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소재들을 찾아볼 수 있다.〈표 2-4〉
l 026
〈표 2-4〉 디자인형 문화 원형 선정 과제(2002~2008년)
고구려
회화
미술 공예 디 자 인 형
고대
고분 벽화
고려
탱화
조선
근현대 동물화, 동물
전통 민화
아이콘
풍속화
기산풍속도
감로탱
탐라순력도
범종, 불전 사물 암각화
전통 색채
전통 가구
금속 공예
길상 이미지
도자 문화 원형 서예가 서체
하회탈
한국 석탑
자수 문양
백제 금동
장승
향로
궁중 문양 산조
국악기 음원
고려 가요 종묘 제례악
음악
국악 선율 배경
의(복식) 전통 머리 모양
고려 복식
전통 건축물 구성 요소
고려 시대
주(건축) 사찰 건축
주거
전통 목조 건축
공간
전통 다리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통시대
능화문 수미단
악학궤범
국악 장단
전통 음악 음성 원형
음악 복식 원형
정간보
전통 건축
궁궐 조경
단청 문양
소리 은행
백두 대간 음악 원형
아리랑
근대 음악 원형
제 2장
분류
전통 장신구
전통 한옥
정원, 정자
근대 극장
정보 자료형의 선정 과제는 보다 포괄적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의례, 놀이 등 문화 일반
에 관련된다.
〈표 2-5〉 정보 자료형 문화 원형 선정 과제(2002~2008년) 분류
자 료 형
고려
조선
해상 선박, 해전
한성 도성 복원
지리
뱃길(수상 교통)
대동여지도
천문
보
고대
교통 통신
정
통시대 독도
풍수
풍수지리
의례
죽음 전통 의례
(우주관)
놀이 연희
문화 일반
전통 한선
무궁화
옛길 문화 전통 팔경
토정비결
고인돌
팔관회
화성 의궤 궁중 의례 탈
남사당
땅별지기
아동 교육 여항 문화
글로벌 서울 근대 공간
간이역 저승 세계
한국 천문, 별자리
전통 놀이
얼굴 유형
근현대
궁궐 의례 전통 가례 줄타기
효명 세자, 춘향전
무형 문화재 춤
전통 놀이 춤
전래 동요 택견
러시아 이주사 근대 한국 문화
택견 8마당
027 l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 예술 교수요목 한국의 문화 원형은 문화예술교육에서 한국 전통의 고유성을 중심으로 내용을 선정하고,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전통 예술과 관련한 문화적 이야기를 찾고자 할 때 유용한 요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문 화 원형 자체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세종학당 기관의 성격이나 한국어 학습자라는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다양한 한국 고유 의 문화 요소들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수준과 범위에 적절한지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
다. 강승혜 외(2010: 219~226)가 정리한 한국 문화 교수요목에서 문화예술교육과 밀접한 관련
이 있는 내용을 추려 보면 〈표 2-7〉과 같다.
〈표 2-7〉 문화 예술 교수요목 단계
한국 문화 교육 •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 유발
초급
• 문화적 충격에 따른 부정적 감정 최소화 • 일상적 행위 문화를 중심으로 한 교수 • 기본 사회생활에 대한 적응력
• 한국 사회에 대한 기본적 이해
중급
• 한글 창제와 한국어의 형태적 특징 • 전통 가옥 및 건축 • 서예
• 탈, 한지 공예
• 민요, 사물놀이 • K-pop
• 한국 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탐색 가능
• 전통 민간 신앙
• 자신의 문화와의 비교 및 대조
• 도자기
• 문화적 충격에 따른 부정적 인식 극복 • 체험 학습을 통한 문화 이해
• 기본적인 한국 문화 예술의 감상
고급
문화 예술 교수요목
• 민화, 사군자
• 탈춤, 강강술래 • 드라마
•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 전통 혼례 및 가족
• 다양한 문화 간의 비교 문화적 접근
• 전통 공예
• 한국 문화의 해석 및 재창조
• 사고, 가치, 민족성 등 내면적 의미 이해 • 한국 문화와의 발전적 관계 형성
• 산수화
• 판소리, 전통 악기 강습 • 영화 및 한류 현상
위와 같이 문화 예술 교수요목을 한국 문화, 예술의 핵심적인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선정
하여 정리, 분류하였지만, 이는 기본적인 예시에 불과함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교육 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 요소들만을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풍부한 한국 문화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 문화 교육을 위 한 문화 예술 교수요목이 앞으로 이론적, 실천적 차원에서 개발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덧붙여서 언어 교육의 수준별 단계와 달리 문화예술교육의 단계는 〈표 2-7〉에 제시된 바와
같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음을 밝혀 두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통 공예나 산수화라도 얼
마든지 초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한 국 문화 교육 교수요목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과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를 보여 주고자 한 것이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정규 프로그램과 분리된 별도의 예 술 교육을 진행하는 것과 한국어 교육을 위해 예술을 부가적으로 활용하는 것의 사이에서 이
l 028
루어지게 될 것이다. 어떤 방식이든 예술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사용하게 되고, 그 가운데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종학
행복한 여행 계획하기 : 문화예술교육의 계획 및 운영
당에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을 접목하고 절충하여 유연하게 운영하는 것이 적합하다. 문화 예술을 통한 삶의 이야기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문화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이야기를 한국 문화에 담아
공유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 문화의 다양한 요소들은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삶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언어, 문화, 예술을 통합하여 우리의 모습을 비추어 가는 방식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세계인과 함께 보는 한국 문화 교과서」에서 최준식
(2011)이 그려 내는 한국 예술에 대한 서술에서 이러한 견지를 읽어 낼 수 있다. 다음에 발췌 한 글과 같이 어떤 문화 예술의 내용이든지 생활 속에서 부여하는 한국인의 상징적 의미들을
제 2장
찾아내고 우리의 행동 양식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특성들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가 세계 여러 곳 한국어 학습자들의 삶과 맞닿아 새로운 창조적 표현으로 이어지도 록 해야 한다.
곡선을 그리는 음악
한국의 악기
한국에는 다양한 전통 악기가 있습니다. 국악기들의 대부분은 중국 것에 기원을 두거
나 중국을 통해 들어온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악기들은 중국과는 다른 발전과 변용 과
정을 거치면서 완전히 한국화하여 오늘에 전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인의 심성에 맞 게 주법이 바뀌는가 하면 우리의 심성에 맞지 않는 악기는 사라지기도 했습니다.
…우리 악기의 가장 큰 특징은 한 음 한 음을 정확하게 내기보다는 농현(현악기) 혹
은 농음(관악기), 즉 음을 떠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령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현악기를 상상해 보십시오. 이 악기들은 악기의 몸통(울림통)과 줄이 멀리 떨어져 있는 구조를 백분 활용하여 줄을 격렬하게 흔들어 음을 자유자재로 운영하는 주법을 사
용합니다.
…그럼 한국에서는 왜 농현이 이렇게 중시되었을까요? 그 이유는 확실하게 알 수 없
어 다만 추측만 할 뿐입니다. 한국 음악은 3박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때문에 능청거립
니다.
다른 표현으로는 흥청거린다거나 넘실거린다고 할 수 있지요. 박자를 통해 보면 한국인
들은 딱딱하게 분절되는 것보다 곡선적으로 너울거리는 것을 더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이
분위기는 〈아리랑〉을 불러 보면 금세 알 수 있습니다. 한국 예술에는 이와 같이 직선보다
는 곡선에 대한 지향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농현은 바로 이런 곡선적인 미를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일 겁니다.
-「세계인과 함께 보는 한국 문화 교과서」에서 발췌 (최준식, 2011: 231-234)
029 l
자연과의 소통
공간 감각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우리 조상은 집을 지을 때나 자연을 상대할 때, 아주 독특한 공간 감각을 가지고 접근
했습니다. 그 가장 큰 특징으로는 인위적인 손길은 가능한 한 배제하고 적극적으로 자연과
소통하려는 것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친자연적이라는 것이지요. 그리고 구조적으
로는 대칭적인 것보다 비대칭적인 것을 좋아했습니다. 호방하고 자유분방하다는 것입니다. 이런 성향은 이웃 나라인 중국이나 일본과 비교해 보면 잘 드러납니다.
한국인들은 건축할 때 인간이 자연을 이끌고 나가면서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자연에 맞추어 짓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건물의 구조가 중국과 많이 다릅니다. 중국에서는 인간이 자연을 주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국 건축의 구조는 대체로 똑같습
니다. 정문에서부터 맨 끝에 있는 건물까지 일직선상에 놓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좌우
는 엄격한 대칭을 이룹니다. …창덕궁을 보십시오. 정문인 돈화문이 왼쪽 아래의 구석에
있는 것부터가 파격적입니다. 그리고 정전인 인정전에 가려면 두 번이나 꺾어야 하는 등
매우 자유분방하게 지었습니다.
…그러면 한국인들은 왜 이런 식으로 공간을 디자인할까요? 제가 그동안 공부한 바로
는 한국인들은 틀이나 격식을 거부하는 성향이 대단히 강합니다. 태생적으로 자유분방한 기질을 갖고 태어난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될 수 있는 한
자연에 맞추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런데 자연은 얼마나 자유롭습니까? 그런 자연을 따
르다 보니 한국의 건축들은 창덕궁처럼 매우 친자연적이 됩니다.
-「세계인과 함께 보는 한국 문화 교과서」에서 발췌 (최준식, 2011: 115-122)
l 030
제3장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 교육의 내용 및 방법
제 1절ㆍ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세종학당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이 왜, 어떤 내용으로, 무엇을 향해 가야 하는지 방향이 설정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되었다면, 이제 그 목표를 구체화하고 실제적인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 지역별로 특 성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하기에 앞서, 이 장에서는 여러 세종학당에서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 는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공통 프로그램은 쉽게 실행할 수 있으며, 다음 장에서 다루어지는
지역별 프로그램에 앞서 연계할 수 있는 기초 과정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세종학당 학 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간단한 활동을 통해서도 한국 문화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문화 체험이 가능한 교육 내용이 주로 다루어진다.
여기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틀로서 현지에서 유
연하게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볼 수 있다. 특히 현지 세종학당의 교육 환경, 학습
자 요구, 프로그램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선택하거나 다른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현지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진행할 수 있다. 교육 강사들의 창의성과 상상력을 통하여 현지 세종
학당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할 때 한국 문화 예술의 멋과 의미를 학습자들과 함께 경 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것이다. 공통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교육 목표: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상호 교류하는 가운데 세계화
시대 문화적 감수성을 기른다.
공통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공통 프로그램은 전통 회화, 영화, 국악의 영역에서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어 교육 학습자들이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글 사용과 예 술 교육이 함께 진행될 수 있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정신성의 표현이라는 측면에서
그림과 시를 동일시한 문인화나 시각적 표현과 언어적 표현이 동시에 나타나는 종합 예술인
영화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 한국 예술의 연관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시
된 프로그램은 전통과 현대의 소재가 함께 어우러져 있어 지역 학습자들의 관심과 선호에 따 라 선별하여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l 032
033 l 제 3장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한국인이 그린 회화를 총칭하는 의미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으나, 일
반적으로 한국의 전통적 기법과 양식에 의해 다루어진 회화를 말한다.
종래까지 동양화라는 명칭이 서양화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만들어졌다는
비판 하에, 최근 주체적 입장에서 한국화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 다. 한국화는 종이나 비단 위에 먹이나 물에 녹는 안료(顔料)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모필(毛筆)로 그린다. 동양적 자연관과 가치관에 바탕을 둔 회 화관(繪畵觀)과 화론(畵論)에 입각하여, 중국의 전통 회화와 밀접한 관계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한국화
Korean
painting
를 유지하면서 이를 선별적(選別的)으로 받아들여 한국 특유의 양식을 형 성해 왔다.
refers broadly to any painting done by a Korea artist, but
can be used as a specific reference to a painting done in a Korean traditional style and mode. Oriental Painting was used in
the past to contrast with Western Painting. In contrast, Korean Paintings are drawn on paper or silk using watercolor ink and soft painting brush. Korean Painting is also based on selective
adoption of an Oriental view on nature and values closely
related to Chinese traditional painting to create a uniquely Korean style.
한국의 탈춤은 탈을 쓰고 춤추며 놀이를 하는 일종의 가면극(假面劇)
이라고 할 수 있다. 탈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모두 탈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만이 탈을 쓰기도 한다. 탈춤은 음악의 반주에 따라 춤을 추 면서 노래도 부르는 가무(歌舞)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등장인물이 서 로 주고받는 말과 동작에서 갈등과 긴장이 이어지는 것은 연극(演劇)과
흡사하다. 탈은 대개 나무, 박, 종이 등의 재료로 만들지만 각 지방의 탈 춤마다 서로 다르다. 탈의 모양은 희극적으로 과장된 얼굴 모양을 본 뜬 탈춤
Talchum
(Mask dance)
고정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탈꾼의 역동적인 춤사위와 탈춤의 장소에 따라 탈 자체가 다양한 표정을 만들어 낸다.
refers to a form of mask dance. Some or all characters in
talchum may be wearing masks. Talchum involves both dancing and
singing
with
instrumental
accompaniment.
The
way
characters exchange words and actions, and create conflict and
tension is similar to a play. Masks differ by region and are
usually made out of wood, gourdes, or paper. The shape of the masks is fixed with a comically exaggerated face, but the dynamic dancing of each characters and the place where the talchum takes place create variation.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껍질을 원료로 이용하여 손으로 떠서 만든 한국
한지
Hanji
전래의 종이를 말한다.
refers to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made by hand out of
the bark of the mulberry tree.
l 034
문인들이 서재에서 쓰는 붓[筆] ·먹[墨] ·종이[紙] ·벼루[硯]의 네 가지
문방사우
도구를 일컫는다. 학문하는 선비가 늘 다루는 네 가지 물건으로, 이를 벗
precious
refers to four tools that literary people used in their library:
The four things of the study
으로 의인화하여 나타낸 말이다.
a writing brush, ink, paper, and ink stone. Literary people would often handle and personify these items in their library as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friends.”
1990년대 말부터 드라마와 가요를 비롯한 한국의 대중문화가 아시아
한류
Korean Wave
전역 및 유럽과 중남미 등에서 큰 인기를 얻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refers to a phenomenon since the late 1990s in which Korean
popular culture in the form of dramas and songs gained great popularity across Asia, Europe, and Central and South America.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자녀가 부모가 섬기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으
로 한국은 3~4세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 제도였다. 사회의 구조가 개인이
효
Hyo
(filial duty)
제 3장
아니고 가족이나 가문을 기본 단위로 하는 공동체였기 때문에, 효라는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혀 인간의 기본 규범이 되었다.
refers to the obligation children have to take care of their
parents based on their blood relationship. Traditional Korean households
were
often
large
and
included
three
to
four
generations. Families and not individuals comprised a significant
and deeply rooted social unit and basis for human norms in Korean society.
일상생활 속에서 타인을 대할 때 몸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정성스러
움이며, 그에 대한 공경을 표현하는 구체적인 행동 방식을 의미한다. 이 러한 예절은 오랜 생활 관습을 통해 그 사회에서 공통된 생활 방식으로 예절
Proprieties
정착되어 관습적으로 행해지는 인간관계의 생활 규범이다.
refers to both a sincerity that extends from one’s mind and
body when regarding others in everyday life, and the specific behavior
that
demonstrates
respect.
Such
proprieties
have
become commonplace as long-lived habits and conventions in Korean society.
남에게 공경의 표로 몸을 굽혀 하는 인사. 공경의 정도나 상황 및 대
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절은 은혜에 대한 감사의 감정이 개재되
는 행위로, 공적으로 감사를 표하는 것으로 사용되며, 사적으로는 은혜라 절
Deep bow
는 감정을 나타내는 행위로 사용된다. refers to a manner of greeting and demonstrating respect to others, but differs in degree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subject. A deep bow is an act to show gratitude of kindness,
and can be used to publicly show gratitude and privately to show favor.
035 l
제 2절ㆍ공통 프로그램 1 : 바람에 실린 시
프로그램 1. 바람에 실린 시: 한글 시로 부채 만들기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개요 한국의 전통 회화에서는 그림과 함께 화면 안에 시를 써 넣거나 낙관을 찍는 등 그림과
글이 작품 속에서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인식했다. 시와 글씨와 그림을 하나의 동일체로
본 것이다. 이러한 시서화 일치 정신에 기초하여 한지에 먹과 붓으로 서예를 하고 그림
을 그리는 체험을 통해 한글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작가의 인격과 주관
이 그대로 글과 그림에 나타난다는 한국화의 문인화 정신을 이해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새로운 표현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본 수업은 한글로 시를 지어 서예로 써서 자신만의 한지 부채를 제작한다. 한국 전통 회
화 재료인 붓, 먹, 한지를 직접 사용하는 체험은 수묵에서 드러나는 한국의 자연스러움
과 즉흥성의 미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세종학당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수업으로, 한국어 학습에 새로운 흥미와 관심을 불어 넣을 수 있다. 학습 목표 § 전통 회화에 나타나는 시서화 일치의 사상을 이해하고 글이 그림처럼 화면 안에서 조 화를 이루는 것을 체험한다.
§ 한지에 수묵과 붓을 사용하여 작가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해 보면서, 수묵화를 통해 자신을 수양하였던 한국의 문인 정신을 경험해 본다.
§ 한글 시를 지어 서예로 글씨를 쓰는 작업을 통해 자연스럽고 즉흥적인 한국의 미감과 표현성을 경험한다.
핵심 용어 : 시서화 일치, 문인화 정신, 한글, 시, 서예, 한지, 수묵, 부채
l 036
프로그램의 단계
학습 주제
1단계
한국의 문인화:
1차시
한글로 시 짓기
학습 활동 한글로 시를 지어 세로로 써 본다.
시가 회화의 요소로 작용함을 이해하고 자유로운 형태로 지어 본다.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단계
한글로 지은 시를 한지 위에 붓으로 쓰면서 서예 2단계
2~3차시
한국의 붓:
한글 서예 쓰기
작업한다.
작가의 감정과 인격을 나타내는 문인화적 관점의
제 3장
붓의 작용을 이해한다.
3단계
4~5차시
4단계
6~7차시
한국의 미감: 한지 부채 제작하기
한국의 서명: 낙관 만들기
위에서 제작된 한지 위의 서예 작품을 부채로 제작한다.
자연스럽고 즉흥적인 한국의 미감을 고려해 부채를 꾸민다.
본인의 서명 대신 낙관을 만들어 찍는다. 시서화 일치의 조형 정신이 낙관으로 마무리됨을 이해하고, 서로의 작품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037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의 문인화: 한글로 시 짓기
수업 목표: 한글 시를 짓고, 글씨가 그림과 마찬가지로 회화의 요소로 함께 조화를
이룸을 이해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수업 준비물: 종이, 연필, 예시 작품 동기 유발: 본인이 한글로 시를 짓고 싶은 주제는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시를 지을 주제를 구상한다.
한글로 시를 지어 본다. 한글의 수준에 따라 단어의 나열부터 완성된 시까지 가능하다. 종이 위에 세로로 구성하여 써 본다.
오른쪽에서 왼쪽의 방향으로 진행하여 써 본다.
평가: 한글로 자신만의 시를 지을 수 있는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유롭게 표현하였는가?
2단계
한국의 붓: 한글 서예 쓰기
수업 목표: 한글로 지은 시를 한지에 붓으로 쓰면서 서예를 경험하고, 붓의 움직임으 로 작가의 감정과 인격을 그대로 나타내는 문인화적 관점을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부채 모양으로 자른 한지, 붓, 먹 동기 유발: 둥근 마른모꼴의 연습 종이 위에 한글을 자유롭게 구성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부채 모양의 한지 위에 시를 어떻게 배치할지 구성해 본다. 구성한 방식대로 한지 위에 한글 서예로 시를 써 본다. 한글과 시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예 작품을 제작한다.
붓과 먹을 사용하면서 문인화에 대하여 어떤 느낌을 받았는지 서로 이야기 나눈다.
평가: 자유로운 방식으로 한지 위에 시를 구성하였는가? 붓의 운용과 성질을 이해하고 잘 활용하였는가?
l 038
3단계
한국의 미감: 한지 부채 제작하기
수업 목표: 자신의 시를 쓴 서예 작품을 부채로 제작하고, 즉흥적인 한국의 미감을 고려해 부채로 꾸민다.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수업 준비물: 부채 모양의 한지 위에 시를 쓴 서예 작품, 붓, 먹, 부챗살, 풀 동기 유발: 다양한 한국의 부채 작품을 감상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한국의 부채 작품을 감상한다.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을 나누어 감상한다. 한글과 한글 시를 쓴 자신의 작품에 다양한 문양이나 그림을 그려 꾸민다. 시가 그림과 화면에서 조형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어우러지도록 한다. 글과 그림으로 꾸민 부채 모양의 한지에 부챗살을 붙인다.
제 3장
Ÿ
평가: 한국의 미감인 자연스러움과 즉흥성이 나타나도록 부채를 제작하였는가?
4단계
한국의 서명: 낙관 만들기
수업 목표: 낙관을 만들어 찍으면서 서명과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시서화 일치의 조 형 정신을 낙관으로 마무리하는 경험을 한다.
수업 준비물: 지우개, 칼, 한지, 먹, 인주 혹은 붉은 물감 동기 유발: 본인의 이름을 한글로 소리 나는 대로 써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Ÿ Ÿ
한글로 본인의 이름을 소리 나는 대로 쓰고, 네모 안에 자유롭게 구성해 본다. 한지 위에 먹으로 이름을 쓴 뒤 뒤집으면 지우개에 새겨야 할 형태가 나온다. 지우개에 볼펜 등으로 형태를 옮긴 후 칼로 새긴다.
인주를 찍거나, 지우개의 도드라진 표면에 붉은 아크릴 물감을 조심스럽게 바른다. 부채 위에 적당한 위치를 잡아 낙관을 찍는다. 서로의 작품을 보고 이야기를 나눈다.
평가: 낙관 안의 이름이 흥미롭게 구성되었는가?
작품이 조화롭게 완성되도록 낙관의 자리를 선정하였는가?
039 l
참고 자료 지도상 유의점 Ÿ
한지에 먹과 붓이 운용되는 방식을 체험하게 할 때 붓이 시간과 먹의 농도에 매우 민
감하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또한 붓이 작가의 호흡과 개성을 그대로 반영하게 되는 원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리를 설명한다.
Ÿ
부채에 한글로 구성할 때 너무 획일적인 방법보다 자유로운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학 습자에게 조형적으로 더 흥미로울 수 있다.
Ÿ
부채 제작 재료의 공급이 어려울 경우 이미 만들어진 한지 부채 제품을 사용하거나, 그 냥 한지를 부채 펼친 모양으로 만들어도 좋다.
Ÿ Ÿ
부챗살의 구입이 어려울 경우 부채 모양의 한지 자체로도 전시 등이 가능하다.
서예를 할 때 진한 농묵뿐 아니라 흐린 담묵, 또는 엷은 색선을 쓰면 또 다른 분위기를 낼 수 있다.
Ÿ
한글 서예를 구성할 때 특히 자연스러움과 즉흥성을 강조하면 한국적 미감을 강조할 수 있다.
Ÿ
부채 작업의 경우 전시 효과가 좋아 추가 활동으로 세종학당 내외에서의 전시를 계획해 볼 수 있다.
Ÿ
서예와 함께 간단한 이미지를 먹에 물을 많이 타서 같이 담하게 그리면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예시 작품 Ÿ
다음의 작품은 부채가 아닌 회화 작품으로 부채 모양 그림의 예시가 될 수 있다. 조선
시대 후기 문인화가였던 이인상의 작품으로 글과 그림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는 것 을 잘 보여 준다.
이인상, <송하관폭도>, 23.8 x 63.2cm, 지본담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l 040
- 34 -
낙관 제작 Ÿ
낙관은 전통 회화에서 서명 대신 활용한 방식으로 돌에 칼로 파서 사용하였다. 낙관은 서예와 마찬가지로 동양의 전통 회화에서 꾸준히 발전하였으며, 오늘날 그림의 진위를
살피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세종학당의 학생들에게는 서명의 새로운 방 식이라는 점에서 흥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찍고 나면 화면이 완성되는 것을 느낄 수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있어 성취감을 느끼도록 해 준다. 낙관 제작 시 돌에 파는 것은 숙련도가 있어야 하므
로 지우개 등을 이용해 학생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낙관을 제작할 때는
네모 안에 먼저 본인의 이름을 구성하는데, 네 구획으로 나누어 도장을 찍는다는 의미
인 인(印) 자를 같이 새겨 넣거나 본인의 이름만으로 구성하거나 할 수 있다. 다음은
제 3장
낙관의 예시이다.
한글의 형태적 특징 Ÿ
한글은 배우기 쉽고, 구조가 과학적이어서 오늘날 휴대 전화 문자, 컴퓨터 자판 등을
보면 한글 사용의 용이성을 쉽게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 한글의 형태는 그 모 양이 매우 아름답다.
Ÿ
세종은 한글 창제를 구상하고 이런저런 탐색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말의 소리를 나 타내는 문자를 만들기로 마음을 굳힌 세종은 국어의 소리 도막(음절)을 세 조각(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는 새로운 이론을 세웠다. 그 옛날 독자적으로 개척한 이론과 방법 으로 보기 어려울 정도로 완전한 음소 체계를 수립하였다.
Ÿ
세종은 우리말의 소리들을 낼 때의 발음 기관의 모양을 면밀히 관찰하여 이 모양을 본 떠서 글자를 만들었다. 이것은 문자의 역사에 일찍이 없었던 발상이었다. 서양에도 이
런 생각을 한 학자가 있었으나 그것은 세종보다 400년도 더 뒤의 일이었다. 한글의 형
태는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 사이의 진정한 조화를 추구한 세종의 이상적인 사고를 반 영한다. 한글 창제를 비롯한 세종의 모든 사업은 이 이상의 실현을 위한 것이었다. 한
글 체계 속에 우주의 이치(理)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송하관폭도: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서울: 돌베개 낙관: 박재교(2007). 역사의 얼을 새긴 刀影. 서울: 돌베개
- 35 -
041 l
제 3절ㆍ공통 프로그램 2 : 한국의 문화 프로그램 2. 한국의 문화: 영화로 만나는 한국 문화의 이해
개요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전통과 현대를 배경으로 다양한 한국 영화를 감상하고 한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경험을 갖는다. 본 수업은 각 주별로 한국 문화에 관련한 주제를 정해 영화를 감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에 대하여 토론하는 수업으로 구성된다. 한국 문화 주제는 효와
예절, 한류, 한국 예술, 한국 전쟁, 가족, 사랑, 한국 음식, 친구와 우정, 스포츠 정신, 종
교, 환경 등 12개의 다양한 한국 문화 주제를 통해 시대별 한국 문화를 전반적으로 이
해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한국 영화 감상은 언어 학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어 한국어 교육과 연계한 교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국 영화 감상은 간접 경험을 통해 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이 될 것이다. 영화 감상과 함께 한국어와 한국 문화, 한국인에 대한 궁금증을 해설
과 토론을 통해 이해하도록 하는 학습 과정이다. 현재 DVD로 출시된 한국 영화는 영어
혹은 기타 외국어 자막이 제공되기 때문에 초급 학습자의 경우 현지어로도 감상이 가능
하다.
이 과정은 주중에 실시하는 것보다는 주말(토요일)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
다. 한국 문화에 낯선 혹은 호기심만 가지고 있던 현지인들에게 효과적으로 한국 문화에 관하여 소개하고 한국어 학습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한국 영화에 나타나는 한국 문화 주제를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다양한 한국 문화를 체험한다.
§ 한국 영화 포스터를 통해 한국어 표현을 이해하고 포스터를 직접 제작해 보며 한국 문화와 한국 영화에 대해 이해한다.
§ 한국 영화에 표현된 한국 문화(예절, 결혼식, 돌잔치)를 직접 표현해 본다. 핵심 용어 : 효와 예절, 한류, 한국 예술, 한국 전쟁, 가족, 사랑, 한국 음식, 친구와 우정, 스포츠 정신, 종교, 환경
l 042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왕의
남자>,
<스캔들>,
<광해>,
<취화선>,
<세
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등의 영화를 수강생들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의 연령에 따라 선택하여 감상하고 영화 속에 나타 난 한국의 예절과 효에 관하여 이해한다. 이때 보충
1단계
1~2차시
한국의 효와 예절 그리고 가족
자료로 한국의 예절에 대한 자료(예: 세배)를 제공
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기타 영화는 상황에 맞게 예시 작품을 선택할 수 있다.)
1차시에서 감상한 영화 속에 나타난 한국의 예절을 이해한 후, ‘절하기’를 체험한다. 세종학당에서 준비한
제 3장
한국 전통 의복을 입고 학습하면 효과적이다.
2단계 3차시
한류에 대하여
<미녀는 괴로워>를 감상하고 영화 속에 나타난 다 양한
한류에
관하여
토론하고
K-pop, 성형 미인, 패션 등)
이해한다.
(예:
한국의 음식과 식사 예절을 영화를 통하여 이해한다.
3단계 4차시
한국의 음식과 식사 예절
다른 나라의 다양한 음식들과 식사 예절에 관해 토 론하고 이해한다.
세종학당에서 준비한 혹은 수강생 각자가 준비한 한
국 음식을 체험하고 식사 예절을 익힌다.
최근 한국 영화의 다양한 포스터를 감상하며 포스터
4단계
5~6차시
새롭게 만드는
한국 영화 포스터
속에 나타난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세종학당에서 준비한 혹은 수강생 각자가 준비한 한
국 관련 잡지, 신문, 혹은 영화 포스터를 조합하여 나 만의 한국 영화 포스터를 만든다.
043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의 효와 예절
수업 목표: 영화 속에 나타난 한국의 예절과 효에 관하여 이해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수업 준비물: 영화 <왕의 남자>, <스캔들>, <광해>, <취화선> 등 DVD 동기 유발: 전통 한국 문화와 예절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하여 토론한다.
감상한 영화에 대한 감상 소감을 간략하게 한국어로 적어 본다. (혹은 핵심어만 한글로 작성해 본다.)
Ÿ
교육 자료로 제공된 ‘세배’를 배워 본다.
평가: 한국의 효와 예절을 이해하였는가?
2단계
한류에 대하여
수업 목표: <미녀는 괴로워>를 감상하고 영화 속에 나타난 다양한 한류에 관하여 토 론하고 이해한다. (예: K-pop, 성형 미인, 패션 등)
수업 준비물: 영화 <미녀는 괴로워> 동기 유발: 한류는
이다. 빈칸을 채워 자유롭게 문장을 완성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영화 감상을 통해 한류의 다양한 특성과 종류를 이해한다.
수강생 각자가 생각하는 한류와 각자의 나라에서 경험한 한류에 대하여 토론한다. 한류가 현지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알아본다.
평가: 한류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있는가?
문화 교류 측면에서 한류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가?
l 044
3단계
한국의 음식과 식사 예절
수업 목표: 영화 <식객>을 통해 한국 음식에 대해 이해한다. 다양한 한국 음식에 관 해 토론하고 이해한다.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수업 준비물: 영화<식객>, 한국의 대표 음식 김치, 김밥, 잡채, 떡 등 동기 유발: 현지의 식사 예절 중 특징적인 부분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준비된 영화를 감상한 후, 한국 음식과 식사 예절에 대한 다양한 토론을 진행한다. 모둠별로 외국인이 선호하는 한국 음식 목록을 만들고 이유를 설명한다.
본인들 나라의 다양한 식사 예절을 소개하고 한국의 식사 예절과의 차이점을 이야기한 다.
한국 음식을 체험하고 수강생이 생각하고 느끼는 한국 음식에 관해 이야기한다.
제 3장
Ÿ
평가: 한국 음식에 관해 잘 이해하고 있는가?
4단계
새롭게 만드는 한국 영화 포스터
수업 목표: 다양한 한국 영화를 감상하고, 한국 문화를 나타내는 포스터를 만들어 본다. 수업 준비물: 다양한 한국 영화 포스터 출력물, 종이, 가위, 풀 동기 유발: 자신이 한국 문화를 보여 주는 영화를 제작한다면, 어떤 주제를 담고 싶 은지 이야기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다양한 한국 영화 포스터를 감상하고, 특징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포스터에서 한류의 특성과 현대 한국의 모습을 찾아본다.
기존의 한국 영화 포스터를 콜라주 하여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포스터를 만들어 본다. 서로의 작품을 보고 느낌을 이야기한다.
평가: 한국 문화를 포스터를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하였는가?
045 l
참고 자료 절의 종류와 대상 Ÿ
절의 종류에는 큰절, 평절, 반절이 있다. 남자의 절을 각각 계수배(稽首拜), 돈수배(頓首 拜), 공수배(控首拜)라고 하며, 여자의 절은 숙배(肅拜), 평배(平拜), 반배(半拜)라고 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큰절은 자신이 절을 했을 때 답배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에게 하는 절이다. 또한
관·혼·상·제 등의 의식 행사에도 큰절을 한다. 큰절을 하는 대상은 직계 존속, 배우자
의 직계 존속, 8촌 이내의 방계 존속이다. 직계 존속이란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
이고, 배우자의 직계 존속은 아내의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등이다. 방계 존속은 백
숙부모, 종조부모 등 부모와 항렬이 같거나 높은 가까운 친척을 말한다. Ÿ
평절은 자신이 절을 하면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같은 또래
사이에 한다. 즉,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
케, 친구 사이에 하는 절이다. 친족이 아닌 경우 나이 차가 15년 이내라면 평절로 맞절 한다. 예를 들어 선생님을 비롯한 어른을 뵈었을 때 평절을 하면 어른이 답절을 하
며, 부부간에 결혼할 때, 형제간에 세배할 때는 서로 평절로 맞절을 한다. Ÿ
반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대해 답배할 때 하는 절이다. 대상은 제자, 친구의
자녀나 자녀의 친구, 남녀 동생, 8촌 이내의 나이 차 10년 이내 연장 비속(방계 비 속, 조카 등 항렬이 낮은 친척), 친족이 아닌 16년 이상의 연하자 등이다. 평절을 받
을 관계에서 아랫사람이 성년이 아니면 말로 인사를 대신하는 수도 있으나, 성년이면
반드시 답배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친구의 성년인 자녀가 찾아와 절을 한다면 답배
로 반배를 하는 것이 예절이다. 절하는 방법: 남자 Ÿ
남자의 큰절
1. 공수(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포개 잡는 것)하고 어른을 향해 선다. 2. 공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어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4.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 가까이에 댄다. 이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된다.
5. 공손함이 드러나도록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펴고, 오른쪽 무릎을 세워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를 짚고 일어난다.
6. 공수한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린 후 묵례한다.
Ÿ
남자의 평절
큰절과 같은 동작이나 손을 눈높이로 올리지 않으며, 이마가 손등에 닿으면 금방 일 어나는 차이가 있다.
l 046
Ÿ
남자의 반절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고 무릎 꿇은 자세에서 머리와 엉덩이까지 등이 수평이 되게 엎
남자의 큰절과 평절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드렸다가 일어난다.
남자의 반절
절하는 방법: 여자 Ÿ
여자의 큰절
제 3장
1. 공수(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포개 잡는 것)한 손을 들어 어깨 높이만큼 올리고 시선은 손등을 본다.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나란히 꿇은 다음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 다.
3. 윗몸을 45°쯤 앞으로 굽힌 다음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킨다. 머리를 깊이 숙이지 못하는 이유는 머리 장식 때문이다. 4.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나 두 발을 모은 후 올렸던 두 손을 내려 공수한 후 가볍게 묵례한다.
Ÿ
여자의 평절
1. 공수한 손을 풀어 내린 다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나란히 꿇은 다 음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는다.
2. 몸을 앞으로 30°도 정도 숙이면서 손끝을 무릎 선과 나란히 바닥에 댄다. 3. 잠깐 머물렀다가 윗몸을 일으키며 두 손바닥을 바닥에서 떼며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난다.
4. 두 발을 모으고 공수한 다음 가볍게 묵례한다. Ÿ
여자의 반절
평절을 약식으로 한다. 답배의 대상이 나이가 많이 차이 나면 남녀 모두 앉은 채로 한
손 또는 양손을 바닥을 짚는 것으로 답배한다.
047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여자의 큰절과 평절
여자의 반절
절할 때 참고할 점 Ÿ
공수의 위치
평상시 공수(拱手)는 남자의 경우 왼손이 위로, 여자의 경우 오른손이 위로 가게 한다. 흉사(상례 등)일 때는 공수의 위치가 바뀌어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한다. 제사는 흉사가 아니고, 조상을 받드는 자손이 있어 길사로 본다. 따라서 제 사 때의 공수의 위치는 평상시와 같다.
남자와 여자의 평상시 공수 방법.
제사, 차례, 세배는 평상시와 같고 상례만 반대이다.
l 048
지도상 유의점 Ÿ
한국의 음식을 소개하는 부분에서 단순히 우리나라의 음식만이 아니라 본인들 나라의
음식 문화와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토론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Ÿ
영화 감상을 통하여 한국과 외국의 인사, 식사 예절 등 문화적 차이점을 발견하도록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한다.
예시 작품 Ÿ
한국의 다양한 음식과 식사 예절: 영화 <식객>(2007)
제 3장
8분 28초~10분 19초(DVD)
23분 44초~25분30초(DVD)
Ÿ
영화 포스터
전통 회화, 한국화
한복, 예절, 사랑
한국 역사, 예절, 왕
한국 역사, 예절, 왕
049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l 050
한국 전쟁, 분단
한국 전쟁, 분단
한국 전쟁, 분단
남과 북
한류, K-pop, 성형
가족, 사랑, 돌잔치
폭력, 범죄
가족 관계, 사랑
사랑, 친구
한국의 스포츠
친구
사랑, 친구
한국의 장례 문화
한국의 장례 문화
종교
한국의 스포츠
환경, 재난, 부산
환경, 재난, 한강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한국 음악
제 3장
변화되는 가족
영상을 활용한 수업 Ÿ
영상 자료의 한 부분을 사진 자료로 사용하고 싶을 경우
원하는 화면 고정 →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영상 → 고급 화면 캡쳐 → (저장 위치를 꼭! 정하고) 현재 화면 저장
Ÿ
동영상을 편집하여 보여 주기를 원할 때
1. 파일명 .avi 확장자로 저장된 영상은 일반 편집 툴에서 편집 가능 2. 파일명 .mpeg 확장자로 저장된 영상이나 그 외 확장자로 저장된 영상은 일반 편집 툴에서 편집이 되지 않음. 코덱을 변경하여 사용
유용한 코덱 변환 및 동영상 보기 프로그램 Ÿ
코덱(Codec) :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에 대해, 인코딩이나 디코딩, 혹은 둘 다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일컫는 말 Ÿ
변환 프로그램(conversion program) : 기존의 소프트웨어를 다른 환경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수정하는 프로그램
051 l
Ÿ
다음 팟 인코더(무료 프로그램)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다음 팟 인코더 검색
원하는 영상 파일 전체를 저용량이나 편집용으로 변환할 때 사용
영상의 일부분만 활용할 때 사용 동영상 편집 추천 사이트 VitualDub 다운로드
http://file.naver.com/pc/view.html?fnum=245069&cat=40 사용 설명 블로그
http://susemi99.tistory.com/280 ← 영상 일부분 자르기 녹화 프로그램 다운로드
http://www.ancamera.com/
코덱이 필요 없는 동영상 보기 KMPlayer 프로그램 다운로드
http://www.kmpmedia.net/
l 052
제 4절ㆍ공통 프로그램 3 : 시름을 잊게 하는 노래와 몸짓 프로그램 3. 시름을 잊게 하는 노래와 몸짓: 전통 민요와 장단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개요 한국의 전통 민요는 메기고 받는 소리, 즉 선창과 후창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기는소리
의 가사는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즉흥
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전통 민요는 들썩들썩 능청거리는 즉흥성을 마
음껏 발휘할 수 있는 노래이다. 모든 한국의 전통 민요는 전통 장단에 바탕을 두고 선율
이 만들어져 있다. 그러므로 한국 민요를 배우면서 한국 전통 장단을 자연스레 익힐 수
있고, 그 장단을 몸으로 느낄 수 있다. 장단이란 노래하는 틀을 말하는데, 서양 음악에
제 3장
서 통용되는 리듬이나 박자와는 사뭇 다른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가장 단조로운 멋을 가지고 있는 세마치장단과 능청거리는 어깨춤을 이
끌어 낼 수 있는 굿거리장단에 대해 배우며 두 장단에 맞는 민요들을 불러 보도록 한다.
장단을 배울 때는 양손을 이용하여 무릎을 치며 무릎장단으로 장단을 익히도록 한다. 세
마치장단과 어울리는 민요에는 우리의 대표 민요인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을 들 수 있
다. 굿거리장단과 어울리는 민요는 그 수가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본 수업에서는 단순
한 형태를 띠고 있는 ‘풍년가’를 먼저 배우고, 이어서 ‘늴리리야’를 배우며 한국 전통 장
단과 민요의 해학을 느껴 보도록 한다. 민요와 더불어 20세기 이후 새롭게 창작된 창작
국악가요도 한국 전통 장단의 틀 위에 만들어진 것이 많다. 굿거리장단을 익히기 위해 재미있는 가사로 만들어진 ‘산도깨비’를 배워 본다.
이어서 다 함께 그동안 배운 민요를 부르면서 즉흥성을 발휘하여 민요의 메기는소리 부
분을 학생들 자신이 개사하여 부르고, 다 함께 받는소리로 흥을 돋우어 준다. 상황에 맞
게 자기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표현했던 한국 전통 민요 본연의 살아 숨 쉬는 깊은 맛
을 느껴 보도록 유도한다. 학습 목표
§ 세마치장단과 굿거리장단의 문화적 특징을 이해한다.
§ 세마치장단과 굿거리장단에 맞는 대표적인 한국 전통 민요를 불러 본다.
§ 창작 국악가요를 통해 굿거리장단이 현대에 재해석되어 불러짐을 이해한다.
§ 민요의 가락을 이용하여 노래 가사를 바꾸어 부르며 자기 자신을 표현한다. 핵심 용어 : 민요, 메기는소리, 받는소리, 가창, 장단, 굿거리장단, 세마치장단, 즉흥
성
053 l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1단계
1~2차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2단계
3~4차시
3단계
5~7차시
4단계 8차시
l 054
학습 주제 한국인이
노래하는 틀: 장단
학습 활동 한국 전통 장단의 특징을 이해하고, 기본 장단인 세마 치장단과 굿거리장단을 배운다.
한국인의 전통적인 삶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민요:
한국 전통 민요를 배우고, 그것에 비추어진 한국의 풍
노래에서 찾다
과 어울리는 ‘아리랑’, ‘도라지 타령’, ‘풍년가’, ‘늴리
한국인의 삶을
전통 민요
선율에 담는
오늘의 나의 삶
주고받는 즐거움
습을 이해한다. 앞서 배운 세마치장단이나 굿거리장단
리야’ 등을 배운다.
창작 국악가요인 ‘산도깨비’를 배우며 전통 장단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현대의 노래를 배운다.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한국 전통 민요를 이용하여 메기는 부분에 자신의 이야기나 감정을 개
사하여 불러 본다.
그동안 배운 민요를 다 함께 부르며 즐거운 시간을
갖는다. 한 명씩 메기는소리를 선창하여 모두가 주인
공인 시간을 만들어 본다.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인이 노래하는 틀: 장단
수업 목표: 한국의 기본 장단을 배우고, 무릎장단을 쳐 본다. 세마치장단으로 이루어 진 한국의 대표 민요를 배우면서 장단을 치며 민요를 부르는 과정을 연습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해 본다.
수업 준비물: 수업 PPT 자료, 음원 자료, 장고 동기 유발: 각 나라에는 예부터 전해지는 민요가 있습니다. 한국의 민요는 어떠한 특 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교수 학습 활동: Ÿ
노래하는 틀로서 장단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를 돕는다.
제 3장
Ÿ
한국의 전통 장단 가운데 가장 단조로운 멋을 지니고 있는 ‘세마치장단’에 대해 배우
고, 3분박으로 나누어지는 한국 전통 음악의 특징을 이해한다. Ÿ
세마치장단의 기본형을 이해한다. 세마치장단을 서양 음악의 박자로 표기하면 8분의9
박자의 장단으로, 그것을 악보로 옮기면 아래와 같다.
§ 다음의 기호를 연습하며 세마치장단을 익힌다.
055 l
위의 전통 악보 표기법에서 네모 한 칸은 한 박을 의미한다.
세마치장단은 3박×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3박이 한 박을 이루듯 빠르게 진행한다. (덩), (더덩)은 오른손, 왼손이 함께 양쪽 무릎을 친다. (쿵)은 왼손으로 왼쪽 무릎만 친다.
(따)는 오른손으로 오른쪽 무릎만 친다.
(*변형 장단: 맺는 장단이 어려우면 기본 장단만 배워도 좋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세마치장단을 오른손과 왼손으로 무릎을 치고 입으로 덩, 더덩, 쿵, 따 등 구음을 부
르며 여러 번 익힌다.
1. 호흡 개념(9/8) = 덩(♩.) + 쿵(♩.) + 쿵(♩.) = 덩둘셋, 쿵둘셋, 쿵둘셋
2. 기본 장단(9/8) = 덩(♩.) + 덩 따(♩ ♪) + 쿵따(♪♩) = 덩둘셋, 덩둘따, 쿵따셋
3. 변형 장단(9/8) = 더덩(♪♩) + 덩 따(♩ ♪) + 쿵따(♪♩) = 더덩셋, 덩둘따, 쿵따셋
4. 맺는 장단(9/8) = 더덩(♪♩) + 덩 (♩.) + 따(♩.) = 더덩셋, 덩둘셋, 따둘셋 Ÿ
세마치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치면서 한국의 대표 민요인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을 배워
본다. ‘아리랑’, ‘도라지 타령’의 가사를 다 함께 읽어 보며 뜻을 이해한다. 참고 자료
에 제시된 아리랑(1)의 악보를 보면서 또는 선생님의 가창을 따라 부르며 선율을 익
힌다. Ÿ Ÿ Ÿ
여러 번 따라 부르며 선율과 가사를 익힌다.
세마치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치면서 민요를 같이 부른다.
조를 나누어 한 조는 민요를 부르고, 다른 조는 세마치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친다.
평가: 한국 전통 음악의 장단을 이해하고 세마치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칠 수 있는가? 세마치장단에 맞추어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을 부를 수 있는가?
2단계
민요: 한국인의 삶을 노래에서 찾다
수업 목표: 굿거리장단을 배우고 굿거리장단으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민요를 감상하 여 본다. 굿거리장단 무릎 치기와 함께 ‘풍년가’를 불러 본다.
수업 준비물: 수업 PPT 자료, 음원 자료, 장구 동기 유발: 한국인들은 장단을 이야기하면 ‘굿거리’를 많이 떠올리곤 합니다. 왜 그럴 까요? 굿거리장단을 배워 볼까요?
l 056
교수 학습 활동: § 굿거리장단의 구조를 알아보고 따라 하면서 익힌다. <이어 가는 형: 다는 장단> 1
2
3
ⅰ 덩
기덕 쿵
>
>
4
기덕 쿵
2
3
ⅰ
ⅰ 더러 러러 쿵
1
덩
더러 러러
기덕 쿵
더러 러러 쿵
>
4
ⅰ
l
기덕 쿵
덕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
<맺는 장단>
네모 한 칸은 한 박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굿거리장단은 3박×4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3
박은 보통 빠르기의 속도로 진행한다.
제 3장
(덩)은 오른손, 왼손이 함께 양쪽 무릎을 친다. (쿵)은 왼손으로 왼쪽 무릎만 친다.
(기덕), (덕), (더러러러)는 오른손으로 오른쪽 무릎만 친다.
Ÿ
굿거리장단의 흥겨움을 몸으로 표현해 본다. 덩
양손으로 무릎을 친다. Ÿ
쿵
왼손으로 무릎을 친다.
덕, 기덕, 더러러러
오른손으로 무릎을 친다.
굿거리장단의 틀로 이루어진 민요를 감상해 본다. 그중 가장 쉬운 ‘풍년가’를 제일 먼
저 학습한다. 참고 자료에 제시된 풍년가(1)의 악보에서 가사를 다 함께 읽어 보며 뜻을 이해한다.
Ÿ
‘풍년가’를 여러 번 따라 부르며 선율과 가사를 익힌다. 굿거리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치면서 민요를 같이 부른다. 조를 나누어 한 조는 민요를 부르고, 다른 조는 굿거리
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친다. Ÿ Ÿ
‘풍년가’ 이외의 굿거리장단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다른 민요를 배워 본다.
참고 자료에 제시된 늴리리야(1)의 악보에서 가사를 다 함께 읽어 보며 뜻을 이해한
다. 여러 번 따라 부르며 선율과 가사를 익힌다. 굿거리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치면서 민요를 같이 부른다. 조를 나누어 한 조는 민요를 부르고, 다른 조는 굿거리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친다.
평가: 굿거리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칠 수 있으며, 한국의 흥을 느낄 수 있는가?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풍년가’와 ‘늴리리야’를 노래할 수 있는가?
057 l
3단계
전통 민요 선율에 담는 오늘의 나의 삶
수업 목표: 한국 민요의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의 의미를 이해하고, 계속 변화하거나 반복되는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메기는소리를 개사하여 부
를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수업 준비물: 수업 PPT 자료, 음원 자료, 장고, 종이, 펜 동기 유발: 한국의 전통 민요 선율과 장단에 우리의 이야기를 담아 노래 불러 봅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그동안 배운 민요를 다 함께 무릎장단을 치며 복습한다.
각 민요의 메기는소리 부분이 어느 부분이고, 받는소리 부분이 어디인지 정확히 파악한 다. 참고 자료에 제시된 아리랑(2) 악보에서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를 찾아본다.
Ÿ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 부분의 선율에 맞추어 자신이
가사를 창작하여 불러 본다. Ÿ
지도자가 본보기를 보여 주며, 개사한 가사를 붙여 선창하면 나머지 학생들이 모두 후 창으로 받는소리를 불러 준다.
Ÿ
‘아리랑’의 예처럼 참고 자료에 제시된 도라지 타령(2), 풍년가(2), 늴리리야(2) 악보를
활용하여 메기는소리 부분의 가사를 바꾸어 부른다. 각자 자신이 창작한 가사를 붙여
메기는소리를 부르면, 나머지 학생들이 받는소리로 답한다. Ÿ
여러 학생들이 돌아가며 메기는소리를 부르고, 나머지 학생들은 받는소리로 화답하는
시간을 즐겁게 유도한다. Ÿ
수업을 마무리하기 전에 한국 전통 장단의 틀 위에 새롭게 창작된 노래들이 많이 있음 을 알려 주고, 그중에 재미있는 가사로 만들어진 ‘산도깨비’를 배워 본다.
Ÿ Ÿ Ÿ
‘산도깨비’ 노래를 익히기 전에 굿거리장단에 대해 다시 복습한다.
참고 자료에 제시된 산도깨비의 악보에 따라 가사를 다 함께 읽어 보며 뜻을 이해한다.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산도깨비’를 불러 본다.
평가: 굿거리장단과 세마치장단의 특징을 이해하고 익혔는가?
자신의 이야기를 한국 전통 민요 선율에 맞추어 노래할 수 있는가?
l 058
4단계
주고받는 즐거움
수업 목표: 학습한 장단을 활용하여 민요의 메기는소리 부분을 개사하여 돌아가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노래에 담아 표현해 보고, 다 함께 받는소리로 화답해 준
다.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수업 준비물: 수업 PPT 자료, 음원 자료, 장구 동기 유발: 한국 전통 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쳐 보고 민요를 불러 보니 어떤 기분이 드나요? 한국인이 말하는 ‘흥’은 어떤 느낌이라고 생각하나요?
교수 학습 활동: Ÿ Ÿ
굿거리장단과 세마치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치면서 복습한다.
장단을 손으로 치며 학습한 다양한 한국의 전통 민요를 불러 본다. (예: 아리랑, 도라
Ÿ
제 3장
지 타령, 풍년가, 늴리리야)
한국 전통 민요의 메기고 받는 소리의 형식을 이용하여 메기는소리의 가사를 창작하
여 선창한다. 나머지 사람들은 받는소리로 화답한다. Ÿ
전통 장단인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새롭게 창작된 ‘산도깨비’를 불러 본다. 오늘날의 창작에도 한국 전통 장단이 사용되고 있음을 설명한다.
Ÿ
한국의 전통 장단은 옛 민요나 옛 음악뿐만 아니라 현대의 노래나 음악의 창작에도
많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까지도 현대 한국인과 공존하고 있는 한국인의 장단
임을 이해한다. Ÿ
민요를 부를 때의 분위기나 자신의 감정을 서로 이야기하며 한국적인 ‘흥’에 대해 이
해한다.
평가: 한국 민요의 흥청거리는 선율과 장단을 몸으로 느끼며 한국 민요를 즐길 수 있는 가?
059 l
참고 자료 장단의 개념 Ÿ
장단은 노래하는 틀을 말한다. 장단(長短)의 어원은 ‘길고 짧음’을 이르는데, 긴 박과
짧은 박이 어우러져 장단을 만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장단은 서양 음악의 4분
의3 박자 또는 4분의4 박자보다 훨씬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한국의 전통 음악은 궁중 음악이든 민속악이든 거의 모든 음악이 3박을 기본 박으로
하여 ‘하나 둘 셋, 하나 둘 셋’으로 셀 수 있다. 하지만, 여러 개의 3박이 모여서 기본
장단을 이루기 때문에 서양 음악의 4분의3 박자와는 다르다. 한, 중, 일 3국 가운데 일본 음악이나 중국 음악이 2박을 기본으로 쪼개어지는 데 비해, 유독 한국 음악만이
3박을 기본 박으로 삼고 있다는 것은 우리 음악이 독자적으로 한민족의 정서와 감성
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장단이 ‘세마
치장단’이다. 세마치장단 Ÿ
세마치장단은 민요, 판소리, 농악 등에서 사용하는 한국 전통 음악 장단이다. 세마치
는 ‘세 번 친다’라는 뜻으로, 이 말은 장단을 세 번 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민요에
서는 ‘양산도’, ‘긴 방아 타령’, ‘진도 아리랑’, ‘한오백년’, ‘강원도 긴 아리랑’, ‘밀양 아
리랑’, ‘도라지 타령’, ‘아리랑’ 등을 부를 때 사용된다.
Ÿ
세마치장단으로 된 곡은 활기찬 느낌을 주며, 판소리에서 이 장단을 쓰는 곡은 꿋꿋한 느낌을 준다. 농악에서의 이 장단은 매우 흥겹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Ÿ
l 060
세마치장단을 한국의 전통 악보 표기법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 + ♩. + ♩.
아리랑 Ÿ
세마치장단과 어울리는 민요이다. 8분의9 박자 한 마디는 세마치장단 한 장단에 해당
한다.
아리랑(1) 악보를 보면서 가사의 뜻을 생각해 본다.
Ÿ
아리랑(2) 악보를 보면서 메기는소리 부분의 가사를 창작하여 다 함께 아리랑을 부
제 3장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Ÿ
른다.
도라지 타령 Ÿ
세마치장단과 어울리는 민요이다. 8분의9 박자 한 마디는 세마치장단 한 장단에 해당
한다.
061 l
도라지 타령(1) 악보를 보면서 가사의 뜻을 생각해 본다.
Ÿ
도라지 타령(2) 악보를 보면서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를 찾아본다. 메기는소리 부분의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가사를 창작하여 다 함께 불러 본다.
l 062
풍년가 Ÿ
굿거리장단과 어울리는 민요이다. 8분의12 박자 한 마디가 굿거리장단 한 장단에 해
당한다.
풍년가(1) 악보를 보면서 가사의 뜻을 생각해 본다.
Ÿ
풍년가(2) 악보를 보면서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를 찾아본다. 메기는소리 부분의 가
제 3장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Ÿ
사를 창작하여 다 함께 불러 본다.
063 l
늴리리야 Ÿ
굿거리장단과 어울리는 민요이다. 8분의12 박자 한 마디가 굿거리장단 한 장단에 해
당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늴리리야(1) 악보를 보면서 가사의 뜻을 생각해 본다.
Ÿ
늴리리야(2) 악보를 보면서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를 찾아본다. 메기는소리 부분의 가사를 창작하여 다 함께 불러 본다.
늴리리야
l 064
창작 민요 산도깨비 Ÿ
도깨비는 동물이나 사람의 형상을 한 잡된 귀신으로, 헌 빗자
루, 짚신, 부지깽이, 오래된 가구 등이 밤이 되면 도깨비로 변하여 나타난다고 믿어져 왔다.
Ÿ
도깨비는 사람에게 악한 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장난기가 심
하여 사람을 현혹하고 희롱도 하며, 잘 사귀면 신통력으로 금
Ÿ Ÿ
경험 만들기Ⅰ: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은보화를 가져다주는 등 기적적인 도움을 주기도 한다고 한다. 도깨비는 한국 전통 전래 동화에 많이 등장한다.
산도깨비의 악보를 보고 가사와 장단을 익힌 후 개사해서 불
제 3장
러 본다.
음원 자료 사이트
아리랑: http://www.youtube.com/watch?v=gkM_LXUCMeA
도라지 타령: http://www.youtube.com/watch?v=kjCIwE-x0Ow
풍년가: http://www.youtube.com/watch?v=ObOKVLkB9nM
늴리리야: http://www.youtube.com/watch?v=YYUbgghrGlE
산도깨비: http://www.youtube.com/watch?v=Lxxrs5ZBtlA
* 국립국악원 e-국악아카데미 온라인 강좌 <더불어 함께하는 우리 노래, 민요>를 활용하여 민요를 감상하고, 배우고 불러 볼 수 있다.
http://www.egugak.go.kr/servlets/C_CcLecReqServlet?cmd=ongview&mn=0101&leccode=A01 0052061_2013_0001&sjt_cd=2061
065 l
제4장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 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문화예술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를 관람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직접 참여하
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현지 세종학당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운영 안내서 에서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의 예시로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 6개
국 세종학당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지역 특성화의 방법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프로그램의 개발에 앞서 지역 특성화의 방향을 수립하고 현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다
각도의 자료 수집 과정이 선행되었다. 자료 수집을 통하여 현지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어떠하며,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느 정도인지에 관한 실질적이고 생
생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또한 현지 세종학당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고려 해야 할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기초 조사의 세부 내용과 절차
는 다음과 같다. Ÿ Ÿ
지역의 인구, 경제, 종교, 문화, 교육 등 사회 문화적 문헌 자료
4~5명으로 구성된 한국 체류 중인 해당 지역 외국인들과의 국가별 집중 단체 면접 (FGI)을 통한 한국 문화에의 관심과 수요 조사
Ÿ
현지 세종학당 운영자와의 면접과 서면, 전자 우편 자료 요청을 통한 현지 세종학당의 한국 문화 교육 현황 및 수강생 요구 파악
Ÿ
세계 한국어 대회에 참석한 세종학당 운영자 및 교육 강사 44명과 학습자 67명을 대상 으로 한 설문 조사 실시
Ÿ
6개국 세종학당 수강생의 집중 단체 면접(FGI)을 통한 구체적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
및 요구 파악
〈그림 4-1〉 기초 조사의 절차
l 068
지역별 프로그램의 내용 및 활용 기초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각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의 강약
점, 기대 효과,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 과 절차에 따라 지역의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지만, 국내에서 현지의 구체적
인 상황과 요구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운영 안내서에서는 어떤 방법과 절차를 통해서 지역에 보다 적합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는지 그 과정을 보여 주고 자 하였다. 이후 다른 지역에서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유사한 방법과 절차를 통하
여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현지의 관심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 지역화된 프로그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램을 개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장에는 베트남 하노이, 영국 런던, 미국 샌프란시스코, 중국 하이웨이, 터키 앙카라, 케
냐 나이로비의 6개 세종학당에 해당하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 및 운영
방향이 프로그램에 앞서 제시되어 있다. 이 또한 절대적으로 지켜야 할 확정된 지침이 아닌,
지역 프로그램 설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요소들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상황에 따라 조정하고 변형하여 현지에 보다 적합한 실제적인 내용으로 번안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이 장에 제시된 지역별 프로그램은 현지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는 기본 골격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지에서 여기에 제안된 기본 방향과 프로그
제 4장
램에 세부적인 내용을 덧붙이고, 수강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의미를 부여해 나가야 한다. 이
때 운영 안내서에 수록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이 실제적인 모양새를 갖추게 되고, 생명력 있는
문화 교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장의 각 절은 베트남, 영국, 미국, 중국, 터키, 케냐의 순서에 따라 국가별로 정리되어
있으며, 지역별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 지역의 문화적 특성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 현지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및 방향 •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 지역별 세종학당 특성화 프로그램의 구성 • 지역별 프로그램 2개 - 개요
- 학습 목표 - 핵심 용어
- 프로그램의 단계
-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및 참고 자료
069 l
l 070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의 특성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이유는 선진 문화로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호감을 가지
고 있거나, 취업이나 이주 등의 실제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최근 베트
남의 경제 개발과 기술 발전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문화를 동경하고 추 구하는 경향이 있다. 하노이 세종학당의 학생들은 외국과의 문화 접촉이 많은 상태로 현대적 이고 세련된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많다. 예를 들어 현지에서 이미 프랑스 문화원과 일본 문화
원과의 활동이 매우 활발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공될 문화 프로그램이 기존의 문화적 경험에 부응할 수 있는 수준을 유지할 때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하노이 세종학당의 수강생들은 대부분 젊은 계층으로 한국의 문화 중에서도 대중음악,
영화, 드라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젊은 연령층의 수강생들로 구성되어 K-pop에 대한
인기가 매우 높으며, 대부분의 학생이 여기로부터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점도 주목
해야 한다. 베트남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되는 대중문화에 대한 투자가 적어 상대적으로 질
높은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이나 드라마를 선호한다. 따라서 한국 대중문화의 요소를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높은 관심과 수업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한국 기업의 베트남
진출과 이에 따른 취업 기회의 확대 등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현대적이고 일상적인 생활과 관련된 문화에 대하여 알고자 하는 욕구
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제 4장
현재 한국 문화원에서 운영되는 한국 문화에 관한 교육으로 설날, 가정의 달, 한가위, 한
글날과 같은 특정한 날의 ‘연중행사’를 통한 한국 문화 체험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 ‘요리 수업’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을 위주로 한
한국 문화 체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 문화에 관한 심도 깊은 경험이나 수업은
아직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북부 베트남 사람들이 대개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하노이 세종학당에
서는 좀 더 활동적이고 참여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자연스러운 동기 유발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적극적인 홍보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참고로 베트남은 보
통 7시에 학교가 시작하고 4~6시 사이에는 교통 체증이 매우 심해, 이 시간에 행사를 진행할 경우 학생들의 참여가 어려울 수 있다.
한국 예술 문화와 관련하여 연계 가능한 분야와 장소로는 베트남 예술 대학, 전통 마을,
대사관과 한인회 등이 있다. 베트남의 예술 대학과 연계하여 전통 음악이나, 전통 무용, 대중
음악에 관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전통 마을과 연계하여 전통 도자기, 판화, 실크 등을 이
용한 미술, 공예 활동을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사관과 한인 조직을 통해
서는 서예, 태권도, 전통 악기 등의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강사 등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하노이 세종학당에서는 한국어 교육과 연계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혹은 문화 예술
이 중심이 된 행사형 프로그램의 개발을 희망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진행될 경우 세종학 당의 정규 수업이 오전과 오후 두 차례의 수업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수
요일 오후 5시부터 ‘작은 예술제’가 진행되므로 이와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행사형 프로그 램도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071 l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주중에 오전 오후반을 나누어 진행할 정도로 활발하게 수업이 운영되고 있는 점과 많은
학생들의 참여를 예상할 수 있다는 점을 하노이 세종학당의 강점으로 볼 수 있다.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며 이를 활용할 경우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여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그만큼 한국 문화 확산 및 교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특히 하노이 세종학
당은 한국 문화원에 위치하고 있어 기본적인 문화 행사가 자주 마련되어 있다. 학생들에게 한 국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방안으로 설날에는 <새해맞이 잔치>, 5월 가정의 달에는 <한
국 신문 만들기 대회>, 9월 <한가위 행사>, 10월 베트남 연합 <한글날 행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중행사가 단순한 체험을 넘어서, 심도 있는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와 경험의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기회로 발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학기 중 수업 단계에 맞는 다양한 한국 음식 만들기 수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요
리를 통한 한국 문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이루어질 경우 학습자들의 참여와 관심이 매우 높
아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세종학당의 수강생들이 인터넷을 통한 한국 대중문화와의 접촉 기회
가 많았던 점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다중 매체를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한국 문화 예술의 내용을 담은 사이트나 링크를 소개하여 대중문화에 집중된
학습자들의 관심을 풍부한 한국 문화 전반으로 확장할 수 있다. 다중 매체 활용에 대한 수강
생들의 관심과 준비도는 전문 예술 강사의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고려하여야 할 약점은 한국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관심이 대중문화에 편중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 문화의 원형이나 뿌리를 이해 할 수 있게 하는 전통문화 예술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 친근감을 가지고 접근할 방안이 필
요하다. 베트남 전통문화 혹은 한국 대중문화와의 연계를 통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 록 해야 할 것이다. 기대 효과 베트남은 한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전반적으로 한국에 관
한 관심이 높고 한국 문화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할 경우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국가이다. 특히 자국에서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는 문화 콘텐츠를
한류를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다양한 문화 예술에 대하여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현지에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현재 진행 중인 연중행사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심화
하고 내실화한다면 세종학당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지역에서 한국 문화 교육의 중심지로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세종학당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매우 적극
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정규 수업과 연계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시도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행사형과 정규 프로그램 연계형의 다양하고 종합적인 문화예술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확산하는
데에 다른 아시아 지역과 협력해 나갈 수 있는 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l 072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하노이 세종학당에서 진행될 프로그램은 수강생들의 ‘미래 희망’과 관련 있는 실제적인 문
화 이해를 중심으로 개발할 때 효과적일 수 있다. 기술 경제 개발로 급변하고 있는 베트남의 미래 지향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문화의 소재를 다
룰 때에는 이를 현대적 차원에서 즐기고 향유할 수 있는 방향에서 내용과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의 경우 단기간의 기초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심화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2~3주 단위의 K-pop과 연계된 전통문화 예술교육을 수준별로 구성하여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5~6개의 모듈로 진행한다면 효과적일 수 있다. 전통 예술 분야에 있어서는 가야금, 부채춤,
한지 공예에 대한 관심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야금은 베트남 자국의 악기 구조와 비슷한 점이 많아 거부감 없는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대중음악의 가락을 가야금으로 배우는 식으로
K-pop과 연결하여 전통 악기를 다루게 된다면 학생들의 적극적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한
국 전통문화의 특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 요하다. Ÿ
연중행사를 활용한 프로그램
하노이 세종학당에서는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연중행사’가 설날, 가정의 달, 한
제 4장
가위, 한글날 진행되고 있다. 설날에는 <새해맞이 잔치>, 5월 가정의 달에는 <한국 신문 만들기 대회>, 9월 <한가위 행사>, 10월 베트남 연합 <한글날 행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중행사에 관한 심도 깊은 프로그램을 제시한다면 많은 효과와 참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각 명절의 주제를 활용하여 한국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접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날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한지 복주머니 만들기, 한글날의 의미를 되 새기는 서예 부채 만들기, 한가위 행사를 이용한 강강술래 배우기 등을 제공하면 한국 전통
미술, 음악, 무용 등을 자연스럽게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한국인의 삶에 있어
서 전통 명절이 가지는 문화적 의미를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통하여 느끼고 경험할 수 있
도록 하면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중행사 중 공연이나 전시를 기획한다면,
지역 사회에 한국 문화를 확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에게 성취감과 만족감을 줄 수 있 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Ÿ
한국어 교육과의 연계 과정
하노이 세종학당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의 방향 중 하나는 한글과의 연계된 문화예술교육
이다. 따라서 한글과 연관 지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한글
서예를 쓰면서 선비의 정신을 배운다거나,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전통 한지 공예품을 만들고 한글로 꾸미는 등의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다. 학습자가 관심 있어 하는 K-pop이나 드라마
를 한글과 연계하여 학습할 경우 흥미롭게 참여할 것이다. 다만 노래 가사 혹은 드라마의 대
사를 배우고 따라하는 데에 그치지 말고 자신의 이야기를 한글에 담아내고 음악이나 연극으로
표현하는 등 교육적 목표를 분명히 하여야 한다. 전문 예술 강사의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다양한 전통문화의 소재를 학습자의 관심과 한국어 학습에 접목하여 기존의 프로그램을 심화 하고 발전시키는 데에 문화예술교육을 활용할 수 있다.
073 l
Ÿ
한류를 활용한 프로그램
K-pop은 하노이 세종학당의 수강자들이 가장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한 계기이자 가장 인
기 있는 한국 문화의 부분이다. 이처럼 친숙한 한류 문화 자원과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는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드라마나 영화
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 예술 문화의 프로그램도 좋은 반응을 일 으킬 수 있다. ‘회견하고 영상물로 제작하기’, ‘드라마 속 대사 익히고 영상으로 찍기’ 등의 영
상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정규 프로그램의 결과물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고 하노이 세 종학당의 활동을 홍보할 수 있는 자료 제작이 가능하다.
<표 4-1>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의 특성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내 용 ▪ 자국에 비해 높은 기술, 경제 수준으로 인해 한국 문화는 세련되고, 능동적 이고, 현대적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
▪ 인터넷 등으로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드라마, K-pop을 통해 한국 문화에 인식
관심을 갖게 됨.
▪ 중국, 일본과는 다른 독특하고 신선한 점이 있음. ▪ 한국 기업의 진출과 함께 한국어 학과가 대학에 신설되는 등 한국어 수요가 늘어남.
▪ 문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 베트남의 부족한 문화를 한국 문화로 채울 수 있음. 필요성
▪ 한국 문화에 대한 편중된 인식을 확장시킬 수 있음.
- 한류를 통해 소개된 한국 문화의 단면만 보게 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
▪ 너무 전문적이지 않은 단기간의 체험 위주의 교육이 효과적임. 방향
-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수요층의 연령이 비교적 젊은 점을 고려하여야 함.
▪ 아직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한국 문화를 소개하여 관심 영역을 확장하여야 함.
지역화
▪ 가야금과 같은 전통 악기는 이질감이 없이 친숙함. ▪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에는 수상 인형극이 있음. ▪ 전통문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호함.
프로 그램
- 카드, 부채 등 집에 가져가거나 선물할 수 있는 재미있는 활동
▪ 일상 문화를 포함하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을 다룰 수 있음. - 요리, 한지 공예, 부채춤, 한복, K-pop, 가야금 연주, 패션
l 074
제 1절ㆍ베트남 하노이 하노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교육 목표 세계화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가치를 알리고, 상호 교류하는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깊이 있는 문화적 이해를 도모한다. 첫째,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이해한다.
둘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다양한 전통과 현대의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향유한다. 셋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문화와 베트남 문화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내용 선정의 방향 한류 등으로 한국 대중문화에 관심이 많은 베트남의 특성을 살려 전통과 현대의 문화를
제 4장
접목하여 보다 미래 지향적인 내용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와 베 트남의 전통문화를 프로그램에서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함께 접할 수 있다면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의 참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그림은 현시점(here & now)에서 하노이 세종학당의 학습자들에게 보다 관련성
을 갖는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 대략의 범위를 보여 준다. 명확하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를 지시하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와 지역 문화, 전통과 미래의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균
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075 l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할 때에는 교육 목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교수자,
학습자, 운영 기간, 문화적 특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하노이 세종학당의 특성화 프로그램 개요
베트남 하노이 세종학당 프로그램 이름 한가위-달에게 강강술래 지역별 프로그램
기원하기:
뚜껑을 열어 일상을 담다: 한지 함 만들기
수준 심화
심화
주요 내용 강강술래를 배우면서 한가위 명절의 의미
를 이해하고 한국의 장단과 흥을 체험한다.
한지로 된 함을 만들면서 한국의 문양과 일상에서의 장식과 색을 체험한다.
*하노이 세종학당에서는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연중행사’가 설날, 가정 의 달, 한가위, 한글날 진행되고 있다. 한가위 행사를 이용한 강강술래 배우
기 등을 제공하면 한국의 전통 미술, 음악, 무용을 자연스럽게 접목하여 교유
규 과정을 개발할 수 있다.
l 076
프로그램 1. 한가위-달에게 기원하기: 강강술래
개요 한국의 가장 큰 명절의 하나인 추석, 한가위에는 강강술래를 하면서 달에게 소원을 빌
고 조상에게 감사했다. 한국 명절인 한가위와 강강술래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한국인의 ‘흥’과 장단이 주는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한가위는 크다는 의미의 ‘한’과 가운데라는 의미의 ‘가위’가 합해진 용어로 가을의 한
가운데 가장 큰 명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한가위 명절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손에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달을 맞이하였다. 이때 강강술래는 한 해의 기원과 감사를
함께 나누고 서로 하나 됨을 느끼게 하는 마을 축제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따라서 베
트남 세종학당의 연중행사 가운데 하나인 추석에 강강술래를 배우고 여러 수강생이 함
께 한다면, 한국인의 정서를 느끼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한국어 학습자들과 교감하고 공
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강강술래의 노랫말은 달에 기원하였던 한국의 민속 신앙을 잘 나타낸다. 세종학당 학
습자들이 한 해 동안 자신의 소원을 담아 노랫말을 제작하고 함께 나누는 과정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연계할 수 있다. 강강술래를 돌 때 처음에는 느리다가 점점 빨라지는 전
제 4장
통 무용은 한국의 장단인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
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의 무용과 장단을 통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강
강술래는 서로를 등지지 않고 마주 보며 원을 그리기 때문에 호흡을 같이하는 한국인의
‘하나 됨’의 문화와 한국 무용의 흥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심화된 한국 문화에 대
한 이해를 토대로 세종학당 연중행사의 참여자들이 하나 됨을 체험한다면 의미 있는 교
육적 경험이 될 것이다. 학습 목표
§ 한가위의 유래와 의미를 이해하고 달의 기원을 담은 노랫말을 제작할 수 있다.
§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의 장단을 배우고 강강술래에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다.
§ 서로 마주 보고 원을 그리며 도는 강강술래를 하면서 서로 하나 됨의 한국의 정서 와 ‘흥’을 느낄 수 있다.
핵심 용어 : 한가위, 강강술래, 흥, 한국 장단, 하나 됨
077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1. 한가위-달에게 기원하기: 강강술래 재미나 흥미를 일어나게 하는 감정으로 종교와 예술, 놀이, 노동 등 생활
문화와 관련된 민중적 활동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원래부터 몸 안에 들어 있 어서 밖으로 내놓지 않고는 못 배기는 그런 것, 다시 말해 넘치는 생명력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움직일 수밖에 없는 무의식 상태로서 몸짓의 신명성과 밀 접한 관련이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깨어 있고 밝은 마음가짐이 힘차게 움직이는 상태’로 각자의 내면에 있는
신명이 일제히 밖으로 나와 여럿이 함께 누리는 것을 ‘신바람’이라 한다.
Thú vị hay là hưng phấn được dậy lên từ tình yêu tôn giaó và
nghệ thuật, trò chơi, người lao động được nhìn thấy cùng với sinh 신명(흥) Vui ve
hoạt văn hoá và liên quan đến thành quả hoạt động cuả quần
chúng. Không thể cố giữ cũng như không thể chiụ đựng được nên một lần nữa noí laị rằng để làm cho sức sống được tràn đầy không
còn cách gì khác ngoài việc hoạt động cho đến khi có thể không
còn nhận thức được nữa và chỉ còn mỗi việc thân thể hoạt động có liên quan chặt chẽ với nhau.
Và sau khi tỉnh giấc thì có một tâm hồn sảng khoái trong sáng
sau khi dùng sức mạnh để hoạt động và từng người một đều có suy nghĩ nội tâm thì không nên để trong lòng mà hãy bày tỏ tấm lòng
của mình ra ngoài để cùng nhau hưởng thụ cái hưng phấn vui vẻ đó thì được gọi la “làn gió mát”.” làn gió mát” có nghĩa là: vui vẻ, hưng phấn, hào hức.
뜻, 마음, 생각 따위가 한결같거나 일치한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강강술
하나 됨 Lam
thanh mot
래에서는 상대에게 손을 내밀어, 상대와 손을 맞잡아 화합하며 상대와 힘의 균형을 이루는 과정에서 타인과 하나 되어 어울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ý nghiã, tấm lòng, suy nghĩ đều mang ý nghĩa thống nhất hay là
hòa hợp. Đặc biệt ở kang_kang sullae từ ngày xưa quá trình đưa tay
cho đối phương hay là khi mình và đối phương nắm tay nhau được
thể hiện một cách hòa hợp thể hiện sự cân bằng sinh lực.
한국 전통 음악에서 박자·빠르기·리듬의 주기(周期) 등을 지정해 주고, 때
장단
Nhip
nhac
로는 악장(樂章)을 의미하는 일종의 리듬 형태를 이르는 말이다. 한자를 빌려 ‘長短’으로 적기도 한다.
서양 음악에서는 볼 수 없는 한국 전통 음악의 특징적인 중요한 요소 중
의 하나로, 한국 전통 음악의 구조적인 이해는 물론 감상을 위해서도 중요한 개념이다. 일정한 리듬의 틀을 기본형으로 가지고 있으나 음악의 종류, 지방, 연주자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무수한 변주가 가능하다.
l 078
Ở âm nhạc truyền thống hàn quốc nốt nhạc,nhanh,từng điệu nhạc
của nhip điệu,thỉnh thoảng còn phụ thuộc vào ý nghĩa của người
nhạc trưởng khi điều khiển hình thức nhịp điệu của một loại âm
nhạc truyền thống hàn quốc thi cấu trúc và đương nhiên cả sự thưởng thức âm nhạc là quan trọng nhất mà cái đó chúng ta không
thể naò nhìn thấy được ở âm nhạc các nước phương tây. Dù là một
nhịp điệu cơ bản được công nhận hay các loại nhạc, địa phương,tuỳ nhau.
thay đổi bằng vô số các biên tấu khác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theo người biễu diễn có thể
개인 또는 공동체에 특별한 의미가 있거나 결속력을 주는 사건이나 시기
를 기념하여 의식을 행하는 행위이다.
옛 농민들은 논밭에 곡식의 씨앗을 뿌리고 심을 때, 그해 농사가 잘되어
풍년이 들기를 하늘에 기원하는 잔치를 벌였고, 농사일이 끝나면 풍요로운 농
산물을 수확하게 해 준 하늘에 감사하는 축제를 마련하였다.
강강술래는 팔월 한가윗날 한밤중에 곱게 단장한 호남 지역의 부녀자 수
십 명이 일정한 장소에 모여 손에 손을 잡고 원형으로 늘어서서 춤을 추며 노래를 부르는 축제 행사의 하나이다.
Le hoi
Là hành động được thực hiện bởi một cá nhân hay một cộng đồng
tập thể hay là một sự kiện đòan kết hay là ý thức kĩ niệm thời gian.
제 4장
축제
Ngày xưa những người nông dân khi muốn gieo hạt ngũ cốc ngoài
ruộng năm đó muốn được mùa thì người nông dân thường mở tiệc
cầu nguyện, việc nhà nông kết thúc để cảm tạ ông trời đã cho một
năm được mùa thì người ta mở lễ hội. Kang_kang sullae vào ngày
rằm tháng tám ( ở hàn quốc được gọi là chuseok) vào lúc nữa đêm m
o khu vực Jonla đó hay còn gọi là hôlam có khoảng hàng chục
người phụ nữ được hội họp vào một địa điểm và họ cầm tay nhau xếp thành một vòng tròn được nơí rộng ra vừa
ngày lễ hội rằm tháng tám.
nhảy vừa hát của
강강술래의 기본 대형은 원이다. 원이란 것은 중심에서 어디든 같은 거리에
있다. 따라서 거기에 참가하는 사람은 누구나 평등한 관계임을 뜻한다. ‘강강
술래’라고 소리치면서 계속 둥글게 돌면 자연적으로 중심이 생긴다. 땅과 하
늘을 연결하는 줄이 생긴다. 이는 마치 하늘에서 신을 맞이하는 것과 같다. 원
Vong tron
하늘에서 생존과 번식의 힘을 얻고, 중심에 생존과 번식과 작용을 위한 힘이
발생한다.
kang_kang sullae cơ bản là vòng tròn lớn vòng tròn là du ở điểm
giữa thì cũng có chung một đường những người tham gia đều có
quan hệ một cách bình đẳng. vừa quay vòng vừa hát" kang_kang
sullae"một cách tự nhiên. Tạo thành một đường nơi giữa trời và
đấtt.Lúc này giống như sự chào đón vị
tiên trên trời.
079 l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1단계 1차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2단계
2~3차시
3단계
4~5차시
학습 주제 한국의 기원:
강강술래 노랫말 짓기
한국의 장단: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6~7차시
강강술래 때 부를 노랫말을 4․4조 운율로 지어 본다.
강강술래의 기본 장단을 배운다. 느리게 돌 때의 진양조장단과 빠르게 돌 때의 중모 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배운다.
한국의 하나 됨:
강강술래의 대형으로 원을 그려 돌아 본다.
강강술래 돌아 보기
노랫말, 장단을 결합하여
강강술래 돌아 보기
l 080
한가위의 유래와 의미를 배운다.
자진모리 배우기
한국의 ‘흥’:
4단계
학습 활동
서로 마주 보고 원을 그리며 손을 잡고 돌면서 한국
의 하나 됨의 문화를 체험한다.
노랫말을 덧붙여 강강술래를 돌아 본다. 처음에는 느리다가 점점 빨라지는 장단에 맞추어 강
강술래를 하면서 한국의 ‘흥’을 느껴 본다.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의 기원: 강강술래 노랫말 짓기
수업 목표: 강강술래에 사용될 노랫말을 지으며, 달에 기원하는 한국의 전통을 체험 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수업 준비물: 종이, 연필 동기 유발: 한 해 동안 감사하거나 앞으로 이루고 싶은 소원은 무엇인지 서로 이야기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한가위의 유래와 의미를 배운다.
본인이 한 해 동안 감사하거나 앞으로 바라는 내용을 생각하여 적어 본다. 강강술래 때 부를 노랫말을 4․4조 운율로 지어 본다.
지은 노랫말을 돌아가며 선창하고 다른 팀원들이 따라 (후창)하는 연습을 한다.
제 4장
평가: 한가위의 의미를 이해했는가?
소원을 담아 자신만의 노랫말을 창의적으로 지었는가?
2단계
한국의 장단: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배우기
수업 목표: 강강술래가 느릴 때의 장단인 진양조와 빠를 때의 장단인 중모리, 중중모 리, 자진모리를 익힌다.
수업 준비물: 리듬을 만들 수 있는 재료 동기 유발: 한국의 리듬인 장단을 들어 보세요.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강강술래의 기본 장단인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들어 본다. 강강술래가 느리게 돌 때의 진양조장단을 익힌다.
강강술래가 빠르게 돌 때의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를 배운다.
평가: 강강술래의 기본 장단을 익히고 한국의 리듬을 느꼈는가?
081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3단계
한국의 하나 됨: 강강술래 돌아 보기
수업 목표: 손에 손을 맞잡고 강강술래의 대형인 원을 그리며 강강술래를 돌아 보고 한국의 하나 됨의 문화를 체험한다.
수업 준비물: 통일된 색상 의상 동기 유발: 서로 손에 손을 잡고 원의 대형으로 서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강강술래의 대형으로 원을 그려 돌아 본다.
서로 마주 보고 원을 그리며 손을 잡고 돌면서 한국의 하나 됨의 문화를 체험한다.
느리거나 빠르게 돌아 보고 인원이 너무 많을 경우 자연스럽게 조를 나누어 해 본다.
평가: 서로 강강술래를 돌며 하나 됨의 문화를 체험했는가?
l 082
4단계
한국의 ‘흥’: 노랫말, 장단을 결합하여 강강술래 돌아 보기
수업 목표: 노랫말과 장단을 결합하여 다 같이 강강술래를 돌아 본다. 수업 준비물: 통일된 색상 의상 동기 유발: 본인이 지었던 노랫말로 한 번씩 선창을 해 본다.
Ÿ Ÿ Ÿ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교수 학습 활동:
각자가 지은 노랫말로 선창을 하고 다른 사람이 따라 해 본다. 노랫말과 함께 강강술래를 돌아 본다.
처음엔 느리다가 점점 빨라지는 장단에 맞추어 강강술래를 하면서 한국의 ‘흥’을 느껴
본다. Ÿ
인원이 많을 경우 자연스럽게 조를 나누어 돌아 본다.
제 4장
평가: 강강술래를 돌면서 한국의 ‘흥’을 체험했는지 평가한다.
참고 자료 한가위의 유래 Ÿ
신라 유리왕이 왕녀 두 사람을 시켜 뜰에 여자들을 모아서 두 편으로 나누어 7월 보름
날부터 8월 보름날까지 베를 짜게 하고 그 성적을 평가하여 진 편에서 술과 음식을 마
련하여 이긴 편을 대접하도록 하였다. 이때 노래하고 춤추며 온갖 놀이를 다 했는데 이
를 ‘가배’라 했다. 이 기록을 통해 신라초기부터 8월 15일을 특별한 날로 정해 기념했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Ÿ
‘가배’는 오늘날 <한가위>라는 뜻의 ‘가위’에 해당하는 그 당시 한자의 음차 표기이다.
‘가위’는 가을을 초추, 중추, 종추 세 달로 나누었을 때, 가을의 가운데 즉 ‘중추’의 우
리말 표기이다. 따라서 한가위는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
쳐져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가위의 의미(윤덕노, 2011) Ÿ
한국의 명절은 서양과는 달리 음력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보름달과 연관이 많다.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음력 팔월의 보름달은 가을인 음력 7, 8, 9월의 중간이어서 일 년 중 가장 밝은 달을 볼 수 있다.
Ÿ
추석은 ‘한가위’, ‘가위’, ‘가윗날’, ‘중추절’, ‘가배’ 등 많은 명칭이 있다. 이 날은 설날,
단오절과 함께 한국의 3대 명절 중 하나이다.
083 l
Ÿ
계절적으로 추석은 들판에 오곡이 무르익고 과일이 영그는 때이다. 추석에는 한 해 농
사의 결실을 거두는 것을 기뻐하며, 새 옷으로 갈아입고 햅쌀밥과 송편을 빚어 조상의 산소에 성묘하고 제사를 지낸다.
Ÿ
한가위는 만물이 다 풍성하게 열매 맺는 결실의 계절이므로 가장 좋은 때로 여겨져 왔 다. 예로부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 라는 속담도 있다.
Ÿ
추석이 서양의 명절과 다른 점은 단순히 먹고 즐기는 축제일 뿐 아니라 효도의 정신을 되새기며 후손들이 함께 모여 조상에게 경건하게 차례를 지내는 문화가 있다는 것이다.
'강강술래'의 유래(나승만, 2003)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강강’은 ‘둥근 원을 만들고 돈다.’라는 의미이며, ‘술래’는 ‘수월래’로 ‘도둑이 건너온
다.’는 뜻과 ‘도둑을 잡는다.’는 뜻을 가진다. Ÿ Ÿ
강강술래는 풍농과 만선을 기원하는 공동 굿(제의)의 형식으로 발달되었다.
강강술래가 처음 어떻게 유래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꽤 오래전에 발생한 것으 로 추정되고 있다. 고대 부족 사회의 공동 축제 등이 술래의 시원(始原)으로 생각되기
도 한다. Ÿ
임진왜란 때 왜적에게 군사가 많은 것처럼 가장하기 위해서 부녀자들을 동원하여 남장 을 시키고 손과 손을 마주 잡고 둥그렇게 원을 만들며 춤추게 했더니 이를 본 왜군들
이 달아났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속설에 따라 강강술래 놀이가 임진왜란
때 충무공의 의병술에서 연유되었으며, 그 후 충무공의 전승(戰勝)을 기리기 위하여 연
중행사로 행해져 왔다는 견해도 있다. 이는 강강술래를 행하는 지방이 주로 옛날 충무 공이 왜적들과 싸웠던 남해안 일대라는 사실과, 강강술래가 충무공의 전술에 의해 이뤄 졌다는 점으로 유추(類推)해 볼 수 있다.
Ÿ
강강술래는 주로 한가윗날 밤에 행해졌지만, 지방에 따라서는 정월 대보름 밤을 비롯해
서 봄․여름․가을․겨울 어느 때든지 달 밝은 밤에 수시로 놀아 왔다. 또한 놀이꾼들도 여 자뿐 아니라 남자들도 함께 어울려 놀기도 하였다.
‘강강술래’의 특징 (김혜정, 2009) Ÿ Ÿ
강강술래는 흥겹게 놀면서 사람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심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강강술래의 특징은 그 기본 대형이 원이라는 점이다. 원이란 것은 중심에서 어디든 같
은 거리에 있으므로, 거기에 참가하는 사람은 누구나 평등한 관계임을 의미한다. 모든
사람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구경꾼이 아닌 주인공이 되어 참여한다. 어느 한 사람 그냥 서있거나 구경하는 상황을 만들지 않고, 단순한 움직임으로 함께 판을 이끌어 간다. Ÿ
손을 맞잡고 있어 춤을 추는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서로 호흡을 나누고 앞소리와
뒷소리(강강술래)를 부르면서 공감을 형성할 수 있다. 생활 속의 이야기를 노래로 표현
하면서 갈등을 풀어 내기도 하고, 새로운 소망을 담아 내일을 약속하기도 한다. Ÿ
처음에 쉬운 놀이에서 어려운 놀이로 다양하게 이어진다. 느린 가락인 진양조에서 점차 빠르게 진행된다.
‘진’은 ‘느리다’, ‘길다’ 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다양한 놀이가
독립적이면서도 통일성을 가지고 전체로 이어진다.
l 084
놀이 방법 (김혜정, 2009) Ÿ
서로 손에 손을 맞잡고 둥그렇게 원을 지어 돌아가며 노래 소리에 맞추어 춤을 춘다.
노래는 목청이 빼어난 사람이 앞 소리(先唱)를 하고 이에 따라 나머지 사람들이 뒷소리 (合唱)로 받는다.
Ÿ
강강술래는 속도에 따라 진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로 3분하거나 진강강술
래와 자진강강술래로 2분한다. 여기에서 ‘진’, ‘중’, ‘자진’ 등은 상대적 속도로 절대적
인 것은 아니다. 자진강강술래에 들어서면서 강강술래의 본격적인 판이 시작되며, 이
때부터 강강술래의 특성인 역동성이 발휘된다. 그러나 자진강강술래에서도 처음부터 빠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르고 역동적인 것은 아니다. 천천히 시작하지만 점점 빨라져 흥겨워진다. 강강술래의
목소리도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커진다. Ÿ
자진강강술래는 자진모리 장단이 어울리는 악곡이다. 자진모리 장단은 4박이며, 각각의
박은 3개의 작은 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박을 셀 때 ‘하나둘셋 둘둘셋 셋둘셋 넷둘 셋’ 으로 빠르게 세어 나가면 된다.
Ÿ
자진강강술래는 앞소리를 메기는 1장단을 부르고 나머지 사람들이 1장단을 받는 짧은
구조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받는 소리는 항상 빠지지 않고 반복되므로 그 영향력이
크다. 강강술래의 받는 소리는 ‘미~미~라~라~’의 단순한 선율로 되어 있다.
제 4장
강강술래 모습
자료 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4289&docId=1012192&mobile&categoryId=4296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hingom60/7557862
http://newsplu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2/06/2009020600212.html
085 l
프로그램 2. 뚜껑을 열어 일상을 담다: 한지 함 만들기
개요
다양한 사물을 보관하기 위한 ‘함’의 문화는 한국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발달해 왔
다. 결혼할 때 신랑이 신부에게 보내는 함은 주로 화각이나 나무로 만들었으며, 소품을
정리하기 위해서 한지로 함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처럼 단순한 상자를 넘어서 함은 그
용도와 재료에 있어 매우 다양하게 발달해 왔다. 이 과정에서는 한국의 문양을 넣은 한
지 함을 제작하면서, 재질감과 형태를 통하여 한국의 장식적 미감을 경험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한다.
아시아에서 공예는 주로 집이라는 작업 환경에서 이루어지면서 여성의 일상과 관련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되어 있다. 베트남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베트남의 공예는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공예 마을(Craft Village)이라고 불리는 전통 공예 마을이 2,017개에 달할 만큼 발달한 나라이다. 또한 공예는 세계화 시대 국제 여행 산업 가운데 하나로 베트남 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쏟는 분야이기도 하다.
베트남의 공예에 대한 관심을 고려할 때 한지를 활용한 전통 공예 프로그램은 세종학
당 수강생들이 큰 거부감이나 어려움 없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목공예나 칠기 공예는 베트남에서도 흔하게 접할 수 있으나, 한지는 한국 문화의 독특한
멋을 지니고 있어 새로운 한국의 미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재료를 다루기가 쉬워서 전
문가가 아니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자신의 소중한 물건을 담거나, 소중한 사람에게 선물하고 싶 은 함을 제작한다. 학습 목표 § 한국 문양을 담은 한지 함을 제작하면서 한국의 장식미를 경험한다. § 한지가 주는 재질감을 느끼고 활용하면서, 한지의 특성을 이해한다. § 함을 만들고 서로 나누면서, 함에 담긴 문화적 의미를 이해한다. 핵심 용어 : 한지, 함, 한국의 문양, 한국의 색, 한국의 장식
l 086
핵심 용어 프로그램 2. 뚜껑을 열어 일상을 담다: 한지 함 만들기 한국의 함은 옷이나 물건 등을 넣을 수 있도록 네모지게 만든 통으로 여
러 가지 형태로 발달해 왔다. 소품을 넣기 위한 상자도 ‘함’이라 하지만, 오늘
날 ‘함’이라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혼인 때 신랑 쪽에서 채단(采緞)과 혼서지 (婚書紙)를 넣어서 신부 쪽에 보내는 나무 상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함은
그 용도가 무엇이든 소형이므로 큰 가구 위에 올려놓고 장식을 겸한 수장구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收藏具)로 쓰기 때문에, 조형상 형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색채·문양·질감 표현 등에 많은 기교를 나타내고 있다. 형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으
로 단조로우나 전면 뚜껑과 몸체를 연이은 모서리까지 장식이 풍부하다. 자 개·죽장·화각(華角)·교피·자수 등과 같이 재료의 화려함과 복잡한 문양이 시 문된 것 외에는 특히 금구(金具) 장식이 많다.
Ở Hàn Quốc cái hộp thường là hình vuông và có nhiều hình thái
khác nhau thường dùng để đựng quần áo hay các đồ vật. đôi khi
상자(함) Cai hop
cái hộp còn để đựng các tác phẩm nhưng hôm nay chúng ta nói đến
ý nghĩa của cái hộp trong hôn nhân cái hộp có ý nghĩa để dùng các
lễ vật hay là tờ hôn thú của nhà trai gửi qua cho nhà gái. Trong
제 4장
thường ngày cái hộp được dùng vào bất cứ việc gì từ một cái hộp
nhỏ ta có thể đặt lên một đồ vật lớn hơn và còn được dùng làm trang trí hay là dùng các đồ trang sức. cấu trúc của cái hộp không
chỉ đẹp mà còn được thể hiện tính thẩm mĩ nghệ thuật khéo léo một
cách taì năng từ đường nét hay màu sắc. Hình dạng của cái hộp
thường là hình vuông hay hình chữ nhật được trang trí từ những
nét có bàn đến những đường nét phong phú từ mặt trước của hộp
hay la thân hộp đến cả các góc cạnh của hộp.Từ những nguyên liệu
giống nhau như xà cừ,cây tre, cây hoi van và từ những đường nét
đẹp đẽ hay những đường nét phức tạp đều được thể hiện đặc biệt
và phong phú và thường được dùng để đựng tiền vàng và làm trang trí.
무늬의 생김새를 말한다. 조형 미술에서 말하는 문양은 미적 표현의 3요
소인 형체(形體, form), 색조(色調, color combinations), 문양(文樣, pattern)
가운데 하나로, 문양은 시각적(視覺的) 대상으로서 미적 추구심(美的追求心) 이 가장 뚜렷하게 반영된 것이다. 문양은 단순한 무늬가 아니라 어떤 대상에, 문양 Duong net
어떤 목적으로, 어느 위치에 배치하고, 어떤 양식으로 구성하느냐를 분명하게 의도한다. 그럼으로 해서 문양은 일정한 질서에 의해 그 나라나 민족의 독특
한 미술 양식을 지니게 된다. 한국의 문양은 삼국 시대 이래 대체로 불교적
요소가 많지만, 더불어 유교·도교적인 요소도 포용하고 있다. 곧, 공예 미술에
특징적으로 쓰인 길상 문양은 다복(多福)·다수(多壽) 및 자손 번영의 다남(多 男)·다손(多孫)을 상징하는 소재가 많이 나타나 있다.
087 l
Là diện mạo riêng của mẫu mã. nói chung trong nghệ thuật tạo
hình thì có 3 yếu tố cơ bản trong biểu hiện của cái đẹp là hình thể,
màu sắc, và mẫu mã. đường nét không chỉ là những mẫu mã cơ bản
mặc dù ở gốc độ nào, hay mục đích nào vị trí nào, ở cấu trúc nào
cũng được bố trí sắp xếp một cách rõ ràng. vì thế thông qua sự
nhận định một cách trật tự từ đường nét mà chúng ta có thể biết được đất nước đó dân tộc đó có một nền nghe thuật độc đáo sự hiểu biết mỹ thuật đặc sắc.Vào thời đại tam quốc của Hàn Quốc thì
bị ảnh hưởng nhiều bởi yếu tố của phật giáo nhưng ngoài ra còn
bao gồm các yếu tố khác như đạo không,đạo giáo chẳng bao lâu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nữa thì mỹ thuật công nghệ đặc trưng được sử dụng bằng những sự tượng trưng tốt lành được thể hiện trong hạnh phúc,số đông hay là sự sung túc về con cái hay cháu.
어떤 장면이나 부분 등을 인상 깊고 의의 있게 만듦을 의미한다. 장식은
장식되는 대상과의 관계성이 무엇보다 우선적이다. 또한 이러한 외형적 형식 문제 외에 심리적인 필연성도 가진다.
인간에게 존재하는 빈 공간을 메우고 싶어 하는 감정이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대상의 부분으로써 주어진 사물이나 조건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해석하게 하는 부수물이면서, 동시에 인간 감성의 무한한 부분을 다루는 기능 을 지닌다. 장식 Trang tri
Bất cứ hình ảnh hay phần nào đó đều có ấn tượng sâu sắc để
làm nên ý nghia này
Trang trí là để trang trí cho đối tượng có liên quan đến bất cứ
một cái gì đó vẫn có quyền ưu tiên.Thêm vào đó hình dạng như thế này thì vấn đề về hình thức tất nhiên phải mang yếu tố tâm lý.Con
người được tồn tại trên một không gian trống rỗng do muốn chế lập
đi để có thể cảm nhận và để có thể nhìn thấy được.Có nghia là một
phần của mục tiêu với một đối tượng nào đó hoặc điều kiện đặc biệt
qua góc nhìn theo vào đó và cảm nhận của con người đồng thời không có giới hạn được điều khiển theo kỷ năng mang theo bên
mình.
어떤 물체의 실제 촉각에 대한 표면 상태. 시각적인 표면 질감을 의미하기
도 한다. 함은 나무, 종이,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 지는데, 소재에 따라 재질감 Nang khieu
다양한 재질감을 지닌다.
Bất kỳ đối tượng nào trên bề mặt xúc giác thực tế.kết cấu bề mặt
được nhìn theo gốc độ của bề mặt đó được phân chia ra bao gồm là
cây,giấy,vàng .......tất nhiên là được làm từ vật liệu đó để xây dựng
lên.Mỗi loại vật liệu đó nó đều đi theo cảm giác biểu cảm của từng
loại vật liệu đó được mang bên mình.
l 088
프로그램의 단계
학습 주제
1단계
한국의 함: 한지
1차시
2단계
2~3차시
상자 만들기
한지의 멋:
한지 초배하기
학습 활동 육각이나 사각으로 한지 상자를 만들어 본다.
한국의 함이 가지는 형태적인 장식미를 느껴 본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단계
상자에 배색을 맞추어 한지를 바른다. 한지가 주는 재질감을 느끼고 한국의 색을 살려 배색 하여 초배지를 발라 본다.
4~5차시
4단계
6~7차시
문양 만들어
한국의 문양이 가지는 특징과 아름다움을 이해한다.
붙이기
귀면문, 보상화 문양, 모란 문양을 기초로 창의적인
일상을 담기:
한국의 일상 중 소중한 것들을 보관하는 문화를 체험
함에 본인의 소중한 물건
담고 토론하기
제 4장
3단계
한국의 문양:
문양을 제작하여 붙인다.
한다.
본인의 소중한 물건을 담고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089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의 함: 한지 상자 만들기
수업 목표: 한지함의 실용적,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고 기본형을 제작한다. 수업 준비물: 한지 상자 제도본(사각, 육각, 팔각), 두꺼운 종이, 가위, 풀 동기 유발: 본인이 만들고 싶은 다양한 상자의 모양을 그려 본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한국의 함이 가지는 의미와 실용성을 이해한다.
두꺼운 종이로 사각이나 육각, 팔각의 상자 모양을 만든다. 한국의 함이 가지는 형태적인 장식미를 느껴 본다.
평가: 한국의 함이 가지는 의미와 장식성을 이해하였는가? 본인이 원하는 모양으로 상자를 만들었는가?
2단계
한지의 멋: 한지 초배하기
수업 목표: 한지의 재질을 느끼고 아름답게 배색하여 초배한다. 수업 준비물: 색한지, 풀, 가위 동기 유발: 색한지에서 어울리는 색을 2~3개 골라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제작된 상자에 풀칠을 하고 한지로 초배한다.
한지의 얇지만 질기고 윤택한 특징을 이해하고 느껴 본다.
한국의 색을 이해하고 한국적인 색으로 배색하여 조합을 만들어 본다. 귀퉁이, 모서리 부분을 배색하여 장식한다.
평가: 한국적인 색과 한지의 특질을 이해하였는가?
l 090
3단계
한국의 문양: 문양 만들어 붙이기
수업 목표: 한국 문양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문양을 만들어 장식한다. 수업 준비물: 색한지, 풀, 가위 동기 유발: 귀면문, 보상화 문양, 모란 문양, 연화문 등의 한국의 문양을 보고 떠오르는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느낌을 서로 이야기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다양한 한국의 문양을 감상하고 특징과 상징적 의미를 이해한다. 한국의 문양을 변형하여 자신만의 창의적인 문양을 그려 본다.
한지 상자와의 배색을 고려하여 문양 모양을 가위로 섬세하게 오린다. 한지 상자 위에 자신의 문양을 붙인다.
4단계
제 4장
평가: 창의적인 문양으로 한지함을 장식하였는가?
일상을 담기: 함에 본인의 소중한 물건 담고 토론하기
수업 목표: 일상생활에서 소중한 물건을 담아 보관하는 한국 문화를 체험한다. 수업 준비물: 함에 담을 물건 동기 유발: 본인이 ‘함’에 담고 싶은 물건은 무엇인지 목록을 적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소중한 물건을 담아 보관하였던 함의 문화적 의미를 이해한다.
본인이 일상 중 소중하게 생각하는 물건을 자신이 만든 한지 함에 넣어 본다.
서로의 함과 담은 물건을 보면서 무엇을, 왜 소중하게 생각하는지 이야기 나눈다.
평가: 서로의 함에 담긴 의미와 가치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는가?
091 l
참고 자료 지도 시 유의점 Ÿ
한지 함은 소중한 물건과 사람들을 생각해 보고 직접 만들어 선물하는 나눔의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양한 행사와 연계하여 진행할 경우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 다. 예를 들어 수강생들이 제작한 한지 함을 전시하는 행사나 베트남 연중행사 중 가족 의 날을 활용하여 가족에게 한지 함을 선물하는 등의 행사를 기획해 볼 수 있다.
Ÿ
다양한 종류와 색의 한지를 준비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한다.
함의 특징(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함이란 의류·패물 등을 넣어 두는 상자를 일컫는 것으로 특히 전통 혼례에서는 신랑 측 에서 치마저고리 감과 혼서지(婚書紙)를 넣어 신부 측에 보내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
다. 조선 시대의 함이나 궤류(櫃類)는 매우 다양하고 미적으로도 뛰어나다. Ÿ
안방용 함으로는 작은 보석함에서부터 실함·바느질함과 의류를 보관하는 여러 형의 의
궤(衣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사랑방용으로는 연함(煙函)·인함(印函)·문서함·관
모함(冠帽函)·관복함(冠服函) 등이 있다. 재료 또한 다양하여 오동나무, 화각, 한지 등의
다양한 재료가 함에 사용된다. Ÿ
함과 궤를 엄밀히 구별한다면, 함은 소형 상자로서 뚜껑이 위에 있거나 또는 그 후면에
경첩을 단 것이고, 궤는 함에 비하여 비교적 크기가 크며 문판(門板)이 앞면에 부착되
거나 뚜껑을 위에서 씌우게 되어 있어 의류 및 귀중 문서 등을 보관하는 데 주로 사용 된다.
Ÿ
일반적으로 함은 그 용도가 무엇이든 소형이므로 큰 가구 위에 올려놓고 장식을 겸한
수장구(收藏具)로 쓰기 때문에, 형태의 조형적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색채, 문양, 질감
표현 등에 많은 기교를 나타내고 있다. 형태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등으로 단조로우나 전면 뚜껑과 몸체를 연이은 모서리까지 장식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자개·죽장·화각
(華角)·교피·자수 등과 같이 재료의 화려함과 복잡한 문양이 시문된 것 외에는 특히 금 구(金具) 장식이 많다. 그리고 뚜껑 앞에는 앞바탕 장식, 귀퉁이에는 불로초나 당초문의
귀싸개 장식이 있고, 환고리를 운치 있게 달아 놓는다. 재료로는 가볍고 좀이 잘 안 먹 는 오동나무나 결이 고운 소나무·은행나무·배나무가 많이 쓰이고, 내부에는 한지를 바르 고, 겉에는 옻칠을 하여 늘 반들반들하게 광을 내어 썼다.
한지 함 예시 작품
l 092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우리나라의 문양 Ÿ Ÿ
문양은 인간이 지닌 의미 있는 상징적인 사고의 표현물이다.
문양은 일반적으로 모든 물체의 겉에 나타내는 장식 무늬를 말하며, 의식주에 쓰이는
가재도구, 곧 옷감이나 기물·도구 등을 비롯한 공예·조각·건축 등의 조형 미술에 장식적 으로 나타낸 여러 가지 무늬의 형태를 일컬어 문양(文樣, 紋樣)·문채(文彩), 또는 그냥
무늬라 한다. Ÿ
문양의 양식은 크게 기하학적 양식, 식물문 양식, 동물문 양식, 자연문 양식 등으로 나
제 4장
누게 되는데, 이들의 여러 구성법은 모두 좌우상칭(左右相稱)과 리듬이라는 기초적인 예술 법칙의 순리를 특징으로 한다.
Ÿ
삼국 시대의 무늬는 크게 식물문계와 동물문계·운기문계(雲氣文系)로 나눌 수 있으며,
식물문계에는 연화 무늬, 초화(草花) 무늬 외에 수목(樹木) 무늬도 보이고 있다. 통일
신라에 오면 고유문화와 불교 및 당(唐)나라를 통하여 들어온 국제적인 문화 요소가 모
두 융합되어 다양한 가운데 화려하고 세련된 문양을 보여 준다. 보상화(寶相華) 무늬와 당초무늬 등이 대표적이다.
Ÿ
고려는 태조 때부터 통일 신라의 융성하였던 불교의 바탕 위에 유교 사상을 지향하여
격조 있는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였다. 곧, 고려자기의 무늬는 당시 사대부들이 즐겨 찾
았던 들국화, 수양버들, 갈대, 물새, 구름과 학 등이 있는 풍경화적인 정경의 무늬여서
한국적 정취를 자아냈다. 이 밖에도 매화와 대·난초·연꽃·모란과 산새의 무늬 등이 보이 는데, 매·난·국·죽은 군자(君子)의 기상을 뜻하므로 선비들이 가까이하던 것이어서 조선
시대에 와서도 큰 특색을 보이는 무늬 요소가 되었다. Ÿ
조선 시대에 들어오면 초기는 청화 백자(靑華白磁) 등에서 원·명대(元明代) 북종화가(北
宗畫家)의 필법에 못지않게 능숙하고 격조 있는 회화적 장식 무늬가 주를 이루며 나아
가서는 명대 후기부터 성행한 남송화풍의 영향으로 수묵화를 주로 한 운치 있는 문인화 풍의 의장 무늬도 성행하게 되었다.
Ÿ
조선 중기에는 산수·인물뿐 아니라 영모, 화조, 묵매, 묵죽, 포도 등의 그림 소재가 무
늬 의장으로 성행하며, 후기에 와서는 산수 무늬를 중심으로 장생(長生) 무늬, 어개(魚
介) 무늬, 용과 범, 그리고 여러 가지 길상도로 당시의 자연관과 행복관을 반영한 해학
적인 생활 문양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Ÿ
우리나라 문양은 삼국 시대 이래 대체로 불교적 요소가 많지만, 그와 더불어 유교·도교
적인 요소도 함께 포용하고 있다. 곧, 공예 미술에 특징적으로 쓰인 길상 문양은 다복·
093 l
다수·다남·다손 등 자손 번영을 상징하는 소재가 많이 나타나 있다. Ÿ
도자기와 금공 의장 및 건축 의장에 많이 나타나는 화문 형식은 고대의 운문과 연화문 등에서 발전시킨 도안 문양으로서 다양한 형식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건축에 나타나는 창호(窓戶)의 창살 무늬와 단청 등에 주로 보이는 만자(卍字) 무늬·아자(亞字)무늬·정자
(井字) 무늬·전자(田字) 무늬·귀갑무늬·사슬 무늬와 각종 추상적인 무늬도 거의 장생 신
앙과 벽사(辟邪)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이처럼 우리의 문양 요소는 아주 오랜 전통적
생활 관념 속에서 복합적인 신앙 요소를 지니면서 그 의장과 시문 기법에 따라 다양하 게 변천, 발전하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전승되고 있다.
케 한국의 문양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자료 출처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4289&docId=1012192&mobile&categoryId=4296 이미지 출처 한지 함:
상기호(2001). 전통오색전지공예. 서울: 한림 문양:
백승정 외(2008).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한지공예. 서울: 한국공예문화진흥원
l 094
095 l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영국 런던 세종학당의 현황과 특성 영국의 수도인 런던은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총집결되어 새로운 문화적 흐름을 창조
해 내는 세계 문화의 중심지이다. 또한 영국은 자국의 문화적 전통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 다. 반면 영국인들이 한국과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다. 영국과 한
국은 지리적으로 멀리 자리하고 있고, 직접적으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진 시기도 상당히 늦었기 때문이다.
최근 영국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대영 제국이라 칭하는 국호에 어울리지 않게
기울어 가는 경제 규모와 낮지 않은 실업률,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은 콧대 높은 영국
인들이 자세를 낮추고 아시아, 특히 동아시아에 관심을 갖게 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현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영국 내에서는 중국 문화와 중국에 대한 관심이 최고점에 달하고 있다. 서점에는 중국과 관
련된 서적들이 전면에 배치되고, 각 대학에서도 많은 수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받아들여 계
속적인 경제적, 문화적 교류를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동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분
위기는 세종학당에서 적극적으로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하기도 한
다.
런던 세종학당을 발판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시켜 나가기 위하여서는 영국 내
의 다른 도시와 구별되는 런던의 특수성을 올바로 파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
다. 런던은 전 세계 다양한 문화와 사람들이 어우러져 영국 내에서 가장 영국답지 않은 도시 로 탈바꿈한 곳이다. 영국에서 가장 많은 수의 유색 인종이 살고 있는 도시이며, 비영국인들
이 자신의 문화와 종교를 고집하며 살아 나간다. 이처럼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가 용광로에
녹여져 전혀 새로운 무엇인가를 창조해 내고 있다. 즉 아주 영국적인 것과 비영국적인 것, 이 두 갈래가 합쳐지고 갈라져 만들어진 다국적 문화들이 공존하고 있는 도시이다.
런던에 위치하고 있는 세종학당에는 영국인은 물론 타문화 출신의 유색 인종도 많이 참
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개인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분야도
천차만별일 것으로 파악된다. 다양한 관심 분야와 각기 다른 수강생의 이해 수준과 요구를 어 떻게 종합할지가 런던 세종학당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 민해야 할 문제이다.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21세기는 문화 경쟁력의 시대이다. 이미 여러 선진국에서 국가의 발전 전략으로 문화 영
역의 확장을 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시장 확대와 경제적인 부가 가치 창출의 극대화를 추
구하고 있다. 이 시점에 국제도시인 런던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동아시아의 전
통문화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한국 문화의 특성을 알리고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것은 시기적 절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일본과 중국이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특수성과 독특함을 잃
지 않고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온 우리 문화의 독창성은 아시아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가진 런
던 사람들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오늘날 문화는 국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비 물질적 토대로,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
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영국인들은 지극히 개인주의적이고, 쉽게 마음을 터놓는 친구로 발전하기 어려운 성향을
가지고 있다. ‘신사의 나라 영국’이라고 불리는 것도 한 발짝 떨어져서 감정 개입 없이 주변
l 096
인들과 접하고, 겉으로는 서로 좋은 얘기만을 하는 그들의 언어 관습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
다. 표면적으로는 남의 일에 관심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는 영국인들의 속성을 고려할 때, 그
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데에 예술적 교감은 매우 중요한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영국인들이 좀 더 열린 마음으로 한국을 이해하도록 하고 한국 문화와
정서적 교감을 쌓아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친밀하고 깊은 관계 형성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거점으로서 세종학당의 강약점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런던 세종학당은 서유럽 국가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물론 문화예술교육의 거점으로 최상의
지리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끊임없이 교류하고 공존하는 도시이므로
세계 여러 문화와 보편적 특성을 공유하고, 그 안에서 우리만의 독특함과 아름다움을 더욱 선
명하게 드러내며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곳이 바로 런던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배경은 또한 이 지역의 약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너무도 다양한 문
화 유입의 홍수 속에서 정작 영국인들은 우리 문화의 독특함을 찾아내지 못하고 중국, 일본 문
화와 비슷한 동양 문화의 일부분으로만 인식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국, 일본 문화와 차별성 있게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할 것이다.
제 4장
기대 효과 런던은 국제도시이며,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의 런던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문화예술교육이 순조로이 진행된다면 다른 도시에서 얻어
내지 못하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런던은 영국의 타 도시와 달리 전 세계 다양한
인종들이 모여 런던만의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 내며 살아가고 있는 곳이다. 2012년 올림픽의 개최와 함께 전 세계의 이목이 또다시 집중되었던 세계 도시이기도 하다. 런던의 세종학당을
발판으로 성공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가치가 전 세계 다양한 도시로 전파될 수 있는 튼튼한 교두보가 마련될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런던 세종학당에서 전개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이제까지 포장되고 이미지화된 한국
문화의 소개와는 달리, 실제 한국의 과거․현재․미래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 주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또한, 영국인들의 문화적 수준을 고려해
볼 때 단순한 체험보다는 문화적 깊이를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더욱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한국 사회가 보여 준 빠른 변화의 원동력을 문화적 특징에서 찾아
소개하는 것도 영국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좋은 내용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한
국 문화의 근원이 되는 요소들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접근에서, 역동적인 현대 한국 사회를 보 여 주는 방식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가능하다.
097 l
Ÿ
한국 고유의 명절에 따른 한국 전통 풍습과 전통 음식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전통적으로 농경 사회였기 때문에 예로부터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계절의 변화에 따른 한국 고유의 명절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음식, 전통 놀이 문화, 풍습과 관련된 행사 등에 대해 통합적으로 배운다면 일 년 동안 다
양한 체험뿐 아니라 한국의 민속 문화 전반에 걸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고유 명절과 그에 따른 미술, 음악, 놀이 문화, 음식, 풍습, 축제, 의복과 관련된 통합적 프로
그램이 이론 교육과 체험 학습의 적절한 조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면 매년 시기에 맞추어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지침으로 정착될 것이다. Ÿ
대중문화를 활용한 전통과 현대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사극 드라마나 사극 영화의 자료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전통 의상, 생활 방식, 음식 문화,
사회적 관계, 한국인의 예절 등을 주제로 하는 한국 문화와 예술에 대한 프로그램이 개발된다 면 무척 흥미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한국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또한,
실제로 많은 외국인들이 K-pop을 통해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므로 K-pop 따라 부 르기, K-pop 춤 따라 하기 등의 체험 수업도 한국에 대해 친숙해지고 학습의지를 고취시키는 데 긍정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 생각한다. Ÿ
영국 거주 전통 예술인 재능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 사물놀이와 한국의 장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일회성이 아닌 지속 가능하고, 단계
적으로 수준별 프로그램으로 발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 한국에서 파견되는
전문 예술 인력에 모든 프로그램을 의존하기보다, 현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영국 거주 전 통 예술 전문인들 발굴하여 그들의 재능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 향후
지속적인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영국 런던 대학교 SOAS 내의 음악 대학
민족 음악 학과에는 한국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몇몇은 한국 전통 악기 강습
을 다년간 지도할 수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근무하고 있는 나미 모
리슨 양은 수년간 런던과 케임브리지에서 사물놀이를 지도하고 있고 김덕수의 제자로 그 실력
이 뛰어나다. 이러한 영국 거주 전문 예술 인력을 적극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한국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연속성과 지속적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올바른 방향이 될 것이다.
l 098
<표 4-2> 영국 런던 세종학당의 특성
내 용 ▪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 문화에 관심이 높아 인식
지고 있음.
▪ 국제도시 런던에서 한국 문화는 수많은 다양한 문화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음. ▪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런던에서 한국 문화의 독창성을 알리고 상호 교류 함.
- 세계 문화의 보편성과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비교 문화적으로 학습할 수 있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필요성
음.
▪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관심을 활용하되, 중국, 일본과 구별되는 한국 문화 교육이 필요함.
▪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런던에서 한국 문화의 독창성을 알리고 교류함. 방향
▪ 예술을 매개로 열린 마음으로 한국 문화를 즐기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함.
- 한국 문화를 단순히 체험하는 것을 넘어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함.
제 4장
지역화
▪ 지역 대학의 민족 음악학 전공자들과의 연계가 가능함. ▪ 런던 거주 전문 예술 인력 활용이 가능함. ▪ 한국의 절기와 명절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함.
프로 그램
- 명절의 풍습, 음식 등 생활 문화와 예술 문화의 통합적 프로그램
▪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 전통과 현대의 모습을 통시적으로 보여 줌.
- 사극 등의 대중문화 자원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과 역동적인 현대 사회를 동시 에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099 l
제 2절ㆍ영국 런던 §
영국 런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우수한 가치를 알리고, 상호 문화 교류를 통하
여 한국 국가 상표의 가치를 높이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첫째, 한국 전통문화와 관련된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인의 삶과 문화에 대한 한국어 학습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자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영국인들의 관심을 확장한다.
둘째, 양국 간의 상호 문화 교류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이 현지 문화와 조화롭게 융합되어 정 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영국 런던 세종학당을 거점으로 하여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가치를 유럽에 알릴 수 있 는 발판을 마련한다.
영국 런던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선정 방향 본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한국 전통 문화와 전통 예술에 대한 이해
를 높이고, 이에 대한 현대적인 재해석을 논의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선정하며, 이로 인 하여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가치를 나타낼 수 있는 활동에 주안점을 둔다.
아래 그림은 현시점(here & now)에서 런던 세종학당의 학습자들에게 보다 관련성을 갖
는 내용을 선정할 수 있도록 대략의 범위를 보여 준다. 명확하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지시하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와 지역 문화, 전통과 미래의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l 100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할 때에 교육 목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교수자, 학
습자, 운영 기간, 문화적 특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영국 런던 세종학당에서는
제 4장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런던 세종학당의 특성화 프로그램의 개요 영국 런던 세종학당 프로그램 이름 복을 기원하며 새해를 채
비하는 한국의 절기: 동지
수준
주요 내용 절기의 의미와 동지에 전해지는 풍습과 전
기초
통 물품을 알아본다. 팥죽과 복조리를 만
들며 한국의 민속 신앙과 정서를 경험한 다.
사물놀이 단체의 공연을 감상하고 사물놀
지역별
한국의 장단: 사물놀이
프로그램
심화
이에 사용되는 다양한 악기에 대해 배운 다. 한국의 가락을 익혀 지역 공동체에서
공연한다.
*런던은 세계적인 도시이다. 런던의 세종학당은 영국인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한국 문화를 전파할 수 있는 최적의 요새로서의 가능성
을 가진 곳이다. 런던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문화 관련 예술 인력들과 협력하
여 정기적인 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런던 소재 한국 문화원의 한국 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며, 지원을 받거나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
이 필요하다.
101 l
프로그램 1. 복조리를 만들며 새해 채비를 하던 날: 동지
개요 한 국가나 민족이 자연적, 계절적, 민속적, 역사적 특징에 따라 중요한 의미를 부여해
큰 행사와 제사를 지내는 날을 명절이라 한다. 세계 각 나라와 지역의 명절을 통해 우리
는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이해하고 그 민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각 민족이 즐기는 다양한 음식과 놀이, 풍습 등의 다채로운 영역이 모두 명절에 포
괄적으로 함축되고 표현되기 때문이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본 프로그램에서는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을 맞아 겨울 채비
를 하고 새해를 준비하는 ‘동지’를 맞이하는 우리의 모습과 풍습을 알리고, 그와 관련된
옛이야기와 전통 공예를 직접 체험해 보는 기회를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에서의 명절의 의미와 동지에 전해지는 풍습, 동지와 관련된 전통
물품을 알아보고, 동지의 대표 음식인 팥죽을 소개하며 그 재료와 조리법도 추가로 설명
한다. 이와 더불어 팥죽이나 동지와 더불어 우리에게 전해지는 옛이야기를 소개함으로써
한글 교육과 병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으로 복을 기리며 동지 에 제작하였던 복조리를 만들어 보고 우리 조상들이 복을 빌었던 여러 가지 풍습에 대해 서도 알아본다. 학습 목표 § 조상을 섬기고 가족과 공동체의 화합을 다지는 명절을 통해 우리 문화의 핵심적인 특징과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 본 수업은 강의 이해와 이야기하기, 공예품 제작 체험 등의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 공한다.
§ 겨울에 전해진 영국의 전통 풍습에 대해 이야기하며 동서양 문화의 차이와 공통점에 대해 알아본다.
핵심 용어 : 동지, 책력, 팥죽, 동지 부적, 버선, 복조리
l 102
핵심 용어 프로그램 1. 복조리를 만들며 새해 채비를 하던 날: 동지 태양의 일주를 계절의 변화와 관련지어 입춘, 대한 등 24개 시기로 지정
한 것을 말하며, 현재는 태양의 황경(황도 상의 태양의 위치)에 의해 정한
Solar
terms
다. 매월에는 각각 계절의 기(氣)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절기라 한다.
refers to the 24 terms that designates a node in the circuit of the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절기
sun and the change in seasons, and are determined by solar
longitude. Every month contains the gi (spirit) of each season and serves as the basis for each term’s name.
24절기의 스물두 번째 절기.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
은 날이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하였다. 태 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한다.
이 관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
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동지첨치(冬至 동지
제 4장
添齒)의 풍속으로 전하고 있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부른다.
Dongji
(Winter
solstice)
refers to the 22nd term of the 24 terms. It is the time of the
year with the shortest day and longest night. In folk terms, it was
also known as a small New Year. It contains a reference to the sun’s revival and is often celebrated as a holiday. Today, some
observe Dongji eating Dongji adzuki-bean porridge as a way of marking another year’s passing. Also, as Dongji is cold and the
night is long and it is also believed to be the period of time when tigers mate, Dongji is also known as “the day when tigers marry.”
종이에 글씨·그림·기호 등을 그린 것으로 재앙을 막아 주고 복을 가져다
준다고 믿는 주술적 도구를 말한다. 기원은 원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인 류가 바위나 동굴에 해·달·짐승·새·사람 등 주술적인 암벽화를 그린 것에서 찾 부적
Talisman
을 수 있다.
refers to the shamanistic tool that is believed to prevent disasters
and bring good fortune. It can take the form of a piece of paper
with letters, drawing, or symbols on it. Symbols can include the sun, moon, animals, birds, and people that could be found long ago in shamanistic murals.
103 l
한 해의 복을 받을 수 있다는 뜻에서 설날 새벽에 사서 벽에 걸어 두는
조리를 말한다. 조리는 쌀을 이는 기구인데 그해의 행복을 쌀알과 같이 조
복조리
리로 일어 취한다는 믿음에서 생겨난 풍속이다.
Fortune
Strainer
refers to a strainer bought at the dawn of the New Year and
hung on the wall believed to bring fortune. A strainer is a tool used
to wash rice, and the custom stems from the belief that good fortune can be strained like rice.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붉은팥을 삶아 거른 팥물에 쌀을 넣고 쑨 죽을 말한다. 동짓날 절기 음
식의 하나이다. 새알심이라 불리는 찹쌀 경단을 함께 넣어 끓이기도 한다. 동짓날 팥죽을 쑤어 먹기에 앞서 대문이나 장독대에 팥을 뿌리면 귀신을 쫓
팥죽
Patjuk
(adzuki-b ean
gruel)
고 재앙을 면할 수 있다고 여겼다. 이사하거나 새 집을 지었을 때에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과 나누어 먹던 풍습도 같은 의미를 지닌다. refers
to
a
[reddish]
porridge
made
with
filtered
boiled
adzuki-bean and rice, and is one of the foods enjoyed during Dongji. Sticky rice ball cakes can also be added. Before eating
patjuk people sprayed it on gates [and doorways] in order to prevent
ghosts and disasters from entering. When people moved or built a new house they also made patjuk and sprayed it around the house and shared it with neighbors.
l 104
프로그램의 단계
1단계 1차시
2단계
2~3차시
학습 주제 만남:
한국의 명절과 동지 이해하기
전통 물품과 음식 소개:
팥죽, 동지 부적, 버선, 복조리
학습 활동 동양의 24절기에 대해 소개하고, 동지의 의미와 동지
에 전해진 여러 가지 풍습에 대해 설명한다.
동지와 관련 있는 여러 가지 물품에 대해 그 쓰임을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단계
알아본다.
동지의 대표 음식인 팥죽의 기원과 의미에 대해 알아 보고 그 조리법을 배운다.
팥죽이나 동지와 관련된 옛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감
3단계
4~5차시
옛이야기:
한국적 정서를 이해하고 타 문화와 비교
상한다.
옛이야기에 녹아 있는 우리 고유의 권선징악과 두레
제 4장
한국의
정신, 사필귀정에 대해 이해하며 한국인의 감성과 정 서를 이해한다.
더 나아가기: 감상한 한국 전통의 옛이야기를 바탕 으로 본인의 나라에서 겨울에 전해지는 풍습과 관련
된 옛이야기를 서로 공유한다.
한국의 美와
4단계 6차시
기복 사상 이해:
복조리 만들기 - 자연적 아름다움을 표현하여 전통적
자연적 美와
만들었지만, 다양한 재료와 색깔로 현대적 복조리를
복조리를 통한
한국인의 감성 이해
5단계 7차시
문화 나눔:
복조리와 함께
복을 빌며 팥죽 나누어 먹기
으로는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죽사(竹絲)로 엮어서 만들어 본다.
다 함께 팥죽을 조리하여 나누어 먹고, 자신의 복조리 를 전시하며 새해에 이룰 복을 빌어 한국적 기원 사
상과 공동체 의식을 체험하며 마무리한다.
105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만남: 한국의 명절과 동지 이해하기
수업 목표: 동양의 24절기에 대해 이해하고 한국, 중국, 일본의 동양 3국에 전해지는 명절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동지의 의미와 풍습을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강의 PPT 자료 동기 유발: 영국의 명절에 대해 알아본다. (New year's day, Easter, May day, Bank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Holiday, Christmas etc.) 한국의 큰 명절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본다. (설
날, 한식, 단오, 추석) 교수 학습 활동: Ÿ Ÿ
동양의 24절기에 대해 알아본다. 동지의 특징과 의미를 이해한다.
- 추위로 산과 들이 꽁꽁 얼어붙는 양력 12월 22일 무렵에 든다. - 한 해 중에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다. - 달리 생각하면 동지부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진다. - 민간에서는 동지를 한 해의 또 다른 시작이라는 뜻으로 흔히 작은설이라 하였다. -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 도 불린다.
Ÿ
동지의 문화적, 상징적 의미를 이해한다.
- 이 관념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으로 전
하고 있다.
- 동지첨치(冬至添齒)란 동지에 팥죽을 한 그릇 먹으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뜻이다. - 옛사람들은 동지를 태양이 기운을 되찾는 기쁜 날이라 생각했다. - 옛사람들은 동지에 책력을 들여다보며 새해 계획을 세웠다. - 새알심이 나이 수대로 들어 있는 팥죽을 먹었다. 평가: 한국의 동지에 전해지는 풍습과 의미에 대해 이해하였는가?
l 106
2단계
전통 물품과 음식 소개: 책력, 팥죽, 동지 부적, 버선, 복조리
수업 목표: 동지와 관련된 한국의 전통 물품에 대해 소개하고, 동지에 나누어 먹는 팥 죽에 대해 알려 준다.
수업 준비물: 버선, 복조리, 책력, 부적 동기 유발: 새해를 맞이하기 전에 영국 전통 사회에서는 무엇을 준비하였는지 또는 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늘날의 우리는 새해 전에 특별히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한국 전통 사회에서 동지와 관련된 물품을 보여 주고, 그 사용법과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조선 시대에 쓰던 책력과 오늘날 우리들이 사용하는 달력이나 수첩과의 차이점을 이해 한다.
Ÿ
동지에 새해를 준비하던 마음과 손길을 이해한다.
3단계
제 4장
평가: 동지와 관련된 물건들의 의미를 알고 그 풍습을 이해하였는가?
한국의 옛이야기: 한국적 정서 이해를 이해하고 타 문화와 비교
수업 목표: 팥죽과 관련된 옛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소개하며 한국인의 정서와 두레 정 신, 권선징악 사상을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동화 『팥죽 할멈과 호랑이』, 연극 <팥죽 할멈과 호랑이> 동영상 자료 동기 유발: 각자의 나라에서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옛이야기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본
다. 춥고 어두운 동짓날 밤 화롯불 근처에 옹기종기 모여 앉아 할머니의 옛 이야기를 듣던 한국적 정서와 광경을 설명해 준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한국의 옛이야기를 통해 한국적 감성을 이해한다.
한국어 교육의 연장선에서 이야기책을 낭독하고 그 뜻을 다 함께 공유한다.
권선징악, 두레 정신, 사필귀정의 뜻을 이해하고 자신들의 생각을 함께 나눈다.
- 권선징악: ‘선(善)은 권장하고 악(惡)은 징계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고전 소설에 자주 나타나는 주제이다. 선과 악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에 의거하기보다는 유 교의 덕목인 삼강오륜(三綱五倫)에 근거를 두고 있다. 권선징악을 주제로 삼는 소설들 은 올바르고 선량한 인물이 온갖 시련과 난관에 봉착하지만 결국 행복에 도달한다는
이야기 구조를 가진다. 즉 선인(善人)과 악인(惡人)이라는 정형화된 대조적 인물을 등
장시켜 결국 선이 악을 이기고 승리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107 l
- 사필귀정: 처음에는 옳고 그름을 가리지 못하여 올바르지 못한 일이 일시적으로 통용 되거나 득세할 수는 있지만 오래가지 못하고 모든 일은 결국에는 반드시 바른 길로
돌아가게 되어 있음을 뜻하는 말이다.
- 두레: 두레는 원시적 유풍인 공동 노동 조직이며 농촌 사회의 상호 협력, 감찰을 목적 으로 조직된 촌락 단위이다. 두레가 이행하는 공동 노동의 형태는 모내기·물 대기·김매 기·벼 베기·타작 등 논농사 전 과정에 적용이 되었으며, 특히 많은 인력이 합심하여
일을 해야 하는 모내기와 김매기에는 거의 반드시 두레가 동원되었다. Ÿ
이야기에 등장하는 지게, 멍석, 쇠똥, 맷돌, 자라, 밤톨의 뜻을 이해하고, 그 쓰임을 이
해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본인의 나라에서 겨울에 전해지는 풍습과 관련된 옛이야기를 서로 공유한다.
평가: 한국 전통 사회에서 사용되었던 물품의 용도와 쓰임새에 대해 이해하였는가? 더 나아가기: 팥죽 할멈과 호랑이는 한국에서 연극이나 뮤지컬로 활발히 공연 중인 전 래 동화이다. 그 대본을 사용하여 역할극 또는 가면극을 꾸며 볼 수 있다.
한국의 美와 기복 사상 이해:
4단계
복조리를 통한 자연적 美와 한국인의 감성 이해
수업 목표: 자연주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는 복조리를 만들어 보고, 이를 통해 복을 기원하는 한국 전통의 기복 사상을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볏짚 또는 밀짚 약간, 만드는 순서 설명서 동기 유발: 한국의 전통 공예품을 직접 제작해 봄으로써 한국적 정서를 몸소 체험해 봅 시다.
교수 학습 활동 Ÿ
복조리의 모양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쓰임새와 용도를 이해한다.
- 정월 초하루에 만들어 파는 조리는 특별히 복을 가져다준다고 해서 복조리라고 불렀
다. 옛사람들은 동지부터 섣달 그믐날까지 부지런히 조리를 만들었다. 조리 장수가 조
리를 팔기 위하여 초하루 전날 밤부터 복조리 사라고 외치며 돌아다닌다. 각 가정에서 는 밤에 자다 말고 일어나서 1년 동안 쓸 수 있는 양의 복조리를 사는데, 밤에 미처
사지 못한 사람은 이른 아침에 산다. 일찍 살수록 좋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조리는 쌀
을 이는 도구이므로 그해의 행복을 조리로 일어 얻는다는 뜻에서 이 풍속이 생긴 듯
하다. 조리는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가는 죽사(竹絲)로 엮어서 만드는데, 각 가정에
서는 조리 몇 개를 한데 묶어 방 귀퉁이나 부엌에 매달아 두었다가 쓴다. 조리 속에
돈과 엿을 넣어 두면 더욱 좋다고 하였다.
l 108
Ÿ Ÿ Ÿ
볏짚 또는 밀짚을 이용하여 한국의 복조리를 직접 만들어 본다.
빨대, 색종이, 두꺼운 도화지 등 다른 재료를 사용한 현대적 복조리 제작도 가능하다. 자신의 바람 또는 소원을 적어 복조리와 함께 자신의 집에 장식한다.
- 조리 속에 돈, 사탕, 초콜릿 등과 함께 자신의 소원을 적어 자신의 집에 장식하여 복 을 기원하는 것을 경험한다.
5단계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평가: 한국 공예품을 만들어 보며 한국적 정서를 이해할 수 있는가?
문화 나눔: 복조리와 함께 복을 빌며 팥죽 나누어 먹기
수업 목표: 자신이 만든 복조리를 전시하고, 자신의 바람 또는 소원을 적어 기원한다. 팥죽을 만들어 나누어 먹으며 한국의 명절에 느끼는 공동체 의식과 이웃 간 의 사랑을 체험한다.
수업 준비물: 복조리, 팥죽 재료
제 4장
동기 유발: 한국의 명절을 직접 체험하기 위해 다 함께 팥죽을 만들어 나누어 먹고, 지 난 시간에 만든 복조리를 전시하며 각자의 소망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Ÿ Ÿ
지난 시간에 만든 복조리에 소원을 적어 전시한다.
동지에 먹는 팥죽의 유래와 의의에 대해 이해한다. 팥죽의 조리법에 대해 배운다.
사진 및 조리 과정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mnheo 팥죽을 만들며 공동체 의식을 다진다.
한국의 명절에 가족과 친지들이 모여 맛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기쁨을 나누는 것을 체험한다.
평가: 명절 분위기를 체험하고, 동지에 전해지는 풍습을 즐기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는가?
109 l
참고 자료 24절기 Ÿ
고대 중국 주나라 때,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하여 날짜를 계산하는 태음 태양력(음력)
이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계절의 변화는 반영하지 못하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역법이다. Ÿ
절기(節氣)는 태양의 황도 상의 위치에 따라 특징지은 계절적 구분으로, 동지(冬至)를
한 해의 시작으로 하여 춘․하․추․동 4계절에 각각 6개의 절기가 있으며, 한 절기와 다음
절기의 사이는 평균 15.2일 정도 된다. 각각의 명칭은 당시 황하(黃河)강 주변 화북(華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北) 지방의 기후 특징을 나타낸 용어를 붙여 만들었다. Ÿ
우리나라에는 고려 충렬왕 17(1291)년 원(元)나라 사신 왕통(王通)에 의해 도입된 후,
충선왕(재위 1308∼1313) 때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태양의 춘분점(0°)을 기점으로 하여 15° 간격으로 나누어 이를 1년의 각 날짜에 적용하여 매년 날짜가 다를 수 있고, 중국 과도 시차가 있어 실제 우리나라에 적용했을 경우 날짜 차이가 있다. 동양의 24절기 Ÿ
절기(節氣)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특징지은 계절적 구분으로, 동지(冬至)를 한 해의 시
작으로 하여 춘․하․추․동 4계절에 각각 6개의 절기가 있으며, 한 절기와 다음 절기의 사 이는 평균 15.2일 정도 된다.
・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1) 입춘: 입춘은 새해의 첫째 절기이기 때문에 농경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다.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입춘이 되면 도시, 시골 할 것 없이 각 가정에서는 기복적인 행 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2) 우수: 우수라는 말은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이니, 이제 추운 겨울이 가고 이른바 봄을 맞게 되었다는 것이다.
3) 경칩: 겨울잠 자던 동물이 땅속에서 깨어난다는 뜻으로, 날씨가 따뜻해서 초목의 싹이 돋기 시작한다.
4) 춘분: 춥지도 덥지도 않아서 일 년 중 농사일을 하기에 가장 좋은 때이며, 또 기온이 급격히 올라간다. 겨우내 얼었던 땅이 풀리면서 농부들의 손길도 분주해진다.
5) 청명: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말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을 의미하기도 한다. 봄에 막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 활동을 하기에 수월한 때이다.
6) 곡우: 봄의 마지막 절기이다. 음력 3월 중이며 봄비가 백곡(百穀)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 이다. 조기잡이가 성하고 나무에 물이 오르는 시기로, 한 해 풍년을 기원했다고 한다.
7) 입하: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기이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의 미와 ‘초여름’이라는 의미가 같이 쓰인다.
l 110
8) 소만: 본격적으로 여름이 되어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 베기, 잡초 제거로 바쁜 시기이 다.
9) 망종: 망종이란 벼, 보리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 시기는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알맞은 때이다. 그러므로 망종 무렵 은 보리를 베고 논에 모를 심는 절기이다.
10) 하지: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길다.
11) 소서: 소서는 ‘작은 더위’라 불리며, 이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 12) 대서: 한국에서 이 시기에는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가장 심하다.
13) 입추: 여름이 끝나고 가을로 접어들었다는 뜻으로, 아직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기는 하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지만, 밤이 되면 비교적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14) 처서: 입추 무렵까지 기승을 부리던 더위도 한풀 꺾이면서 아침저녁으로 제법 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한다.
15) 백로: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한다. 가을의 기운이 완연히 나타나는 시기 이다.
16) 추분: 이 시기부터 낮의 길이가 밤의 길이보다 더 짧아진다. 농사력에서는 이 시기가 추수기이므로, 백곡이 풍성한 때이다.
17) 한로: 이 시기는 오곡백과를 수확하는 시기이다. 또한 단풍이 짙어지고 제비와 같은
제 4장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시기이다.
18) 상강: 된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이 무렵에는 농촌에서 가을걷이가 한창으로, 수확의 계절이다.
19) 입동: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한다.
20) 소설: 이날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小雪)이라고 한다. 21) 대설: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를 의미한다.
22) 동지: 하지부터 점점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르면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다. 다음 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23) 소한: 작은 추위라는 뜻이다.
24) 대한: 가장 추운 때라는 뜻으로 소한 뒤부터 입춘 전까지의 절기이다. 동지(冬至) (1단계 학습 내용) Ÿ Ÿ
정의: 24절기의 스물두 번째 절기.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中冬至), 그믐
무렵에 들면 노동지(老冬至)라고 한다. 이처럼 우리 민족은 태양력인 동지에다가 태음
력을 잇대어 태음 태양력으로 세시 풍속을 형성시켜 의미를 부여하였다. Ÿ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또는 작은설이라 하였다. 태양의 부활이라는 큰 의
미를 지니고 있어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하는 것이다. 이 관념은 오늘날에도 여전
해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처럼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으로 전하고 있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불린다.
Ÿ
중국 주나라에서는 이날 생명력과 광명이 부활한다고 생각하여 동지를 설로 삼았다. 당
111 l
나라 역법서(曆法書)인 선명력(宣明曆)에서도 동지를 역(曆)의 시작으로 보았다. 『역경
(易經)』에도 복괘(復卦)에 해당하는 11월을 자월(子月)이라 해서 동짓달을 일 년의 시작
으로 삼았다. 동지와 부활이 같은 의미를 지닌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Ÿ
우리나라는 신라에 이어 고려 시대에도 당(唐)의 선명력을 그대로 썼으며, 충선왕 원년
(1309)에 와서 원(元)의 수시력(授時曆)으로 바뀔 때까지 선명력을 사용하였다. 이로 보
아 충선왕 이전까지는 동지를 설로 지낸 것으로 짐작된다. Ÿ
구미(歐美)
각국의
성탄절(크리스마스)도
초기
기독교가
페르시아의
미트라교
(Mithraism)의 동지 축제일이나 태양 숭배의 풍속을 이용해서 예수 탄생을 기념하게
한 것이다. 신약 성서에도 예수의 탄생 날짜 기록은 없다. 농경 민족인 로마 인의 농업 신인 새턴(Saturn)의 새턴네리아 축제가 12월 21일부터 31일까지 성했고, 그중 25일이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특히 동지 뒤 태양 부활일로 기념된 날이었다.
동지 – 궁중 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장주근, 1984) Ÿ
궁중에서는 원단(元旦)과 동지를 가장 으뜸가는 축일로 생각하여 동짓날 군신(君臣)과
왕세자(王世子)가 모여 잔치를 하는 회례연(會禮宴)을 베풀었다.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추어 동지사(冬至使)를 파견하여 이날을 축하하였고, 지방의 관원(官員)들은 임금에게 전문(箋文)을 올려 진하(陳賀)하였다.
Ÿ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관상감(觀象監)에서는 새해의 달력을 만들어 궁에 바친다.
나라에서는 이 책에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어새를 찍어 백관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
것을 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하였다. 이조(吏
曹)에서는 지방 수령들에게 표지가 파란 청장력을 선사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달력
은 내용이나 효용도에 따라서 많이 다르다. 특히 옛날에는 농경 본위의 사회였던 만큼
24절기 등 때에 맞추어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달력이 요긴하였고, 기재 내용도 그에 맞
게 다양할 수밖에 없었다. 요즈음에도 동지 무렵의 연말연시가 되면 새해 달력을 주고
받는 풍속은 여전하다.
Ÿ
황감제(黃柑製)라는 임시 과거를 실시하여 인재를 등용하기도 하였는데, 『동국세시기』
11월조에 제주목에서 귤, 유자, 밀감을 진상하는 일을 적고 있다. 이 귤들을 종묘에 진
상하고 신하들에게도 나누어 준다. 옛날 탐라의 성주가 이를 바칠 때 치하하는 의미에 서 과거를 설치했다. 조선 시대에도 이를 답습하여 성균관과 사학(四學)의 유생들에게
시험을 보이고 귤을 나누어 주었는데 그 과거의 이름을 감제(柑製)라 했다. 내의원에서
는 소의 다리를 고고 여기에 백강(白薑), 정향(丁香), 계심(桂心), 청밀(淸密) 등을 넣어
서 전약(煎藥)을 만들어 진상하였는데, 각 관청에 이를 나누어 주었다. 이 약은 악귀를
물리치고 추위에 몸을 보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Ÿ
동지가 되면 동지하례(冬至賀禮)를 행하며 버선을 선물하는데 이를 동지헌말(冬至獻襪) 이라고 한다. 또 종묘에 청어(靑魚)를 천신하는데 경사대부(卿士大夫)의 집에서도 이를
행하였다고 한다.
l 112
동지 – 민간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장주근, 1984) Ÿ
동짓날이 되어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연못의 수면이 얼어붙어 얼음의 모양이 쟁기로 밭을 갈아 놓은 것처럼 된다. 이것을 용갈이[龍耕]이라고 한다. 『동국세시기』 11월 월
내조에는 “충청도 홍주 합덕지에 매년 겨울이 되면 얼음의 모양이 용이 땅을 간 것같이 되는 이상한 변이 있었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언덕 가까운 쪽으로 세로 갈아 나간 자취
가 있으면 이듬해는 풍년이 들고,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복판을 횡단하여 갈아 나가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혹 갈아 나간 흔적이 동서남북 아무 데로나 종횡으로 가지런하지 않으면 평년작이 된다고 한다. 농사꾼들은 이것으로 이듬해의 농사일을 징험한다. 경남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밀양 남지에서도 용이 땅을 갈아 이듬해의 농사일을 징험한다고 한다(湖西洪州合德池
每年冬 有龍耕之異 自南而北 縱而薄岸則歲穰 自西而東 徑斷其腹則荒 或西或東或南或
北 橫縱不整則荒穰半 農人推之來歲輒驗 嶺南密陽南池 亦有龍耕 以驗年事).”는 내용이
있다. Ÿ
이날은 동지 부적(冬至符籍)이라 하여 뱀 ‘사(蛇)’ 자를 써서 거꾸로 붙여 잡귀를 막는
속신(俗信)이 있으며, 팥죽을 쑤어 먹지 않으면 쉬이 늙고 잔병이 생기며 잡귀가 성행
한다는 속신이 있다. 동짓날 일기(日氣)가 온화하면 이듬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많이
죽는다고 하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긴다. 또 동짓날
이 추우면 해충이 적으며 호랑이가 많다는 믿음이 있다.
예부터 동짓날이 되면 백성들은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겼다.
제 4장
Ÿ
또 일가친척이나 이웃 간에는 서로 화합하고 어려운 일은 서로 마음을 열고 풀어 해결 하였다. 오늘날 연말이면 불우 이웃 돕기를 펼치는 것도 동짓날의 전통이 이어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동지와 관련된 물품(2단계 학습 내용) 조선 시대에는 동지에 관리들에게 새해 책력을 나누어 주
었다. 책력은 옛날 사람들이 쓰던 책 모양의 달력이다. 한 해 의 절기와 그때그때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이 정리
책 력
되어 있어서 일상생활에 쓸모가 많았던 물건이다. 백성들도 동지에 책력을 곧잘 선물하였다.
철에 맞는 선물, 하선동력. ‘하선동력’이란 글자 그대로 풀
이하면 ‘여름 부채, 겨울 달력’이라는 뜻으로 여름에는 부채만 한 선물이 없고, 겨울에는 달력만 한 선물이 없다는 뜻으로
철에 맞는 선물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옛사람들은 붉은 팥에 질병과 못된 귀신을 쫓아내는 힘이 있
팥 죽
다고 믿었기에 작은설인 동지가 되면 붉은팥으로 죽을 쑤어 방이
나 마루, 광 같은 곳에 한 그릇씩 떠다 놓고 대문이나 벽에 뿌리
기도 했다. 설날에 떡국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하
듯이 동지에 팥죽을 먹어야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도 있
었다. 동지 팥죽에는 찹쌀 새알심을 나이 수대로 넣어 먹었다.
113 l
동
지 부 적
버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선
복 조 리
못된 귀신을 쫓거나 복을 불러들이기 위해 종이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놓은 것을 부적이라 한다. 예를 들어 ‘뱀’ 을 뜻하는 사(蛇) 자를 적은 부적 같은 경우, 옛날 사람들은
집 안에 나쁜 기운이 깃들지 못하게 하려고 동지에 이 부적을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였다고 한다.
동지부터 며느리들은 시할머니와 시어머니, 시누이 등 시
집의 여자 어른들께 선물할 버선을 지었다. 이 버선을 ‘동지
헌말’이라고 하는데, 동지부터 정초까지 동지헌말을 신고 다
니면 오래 산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옛사람들은 동지부터 섣달 그믐날까지 부지런히 조리를 만
들었다. 설날 아침 일찍 마을을 돌며 집집마다 마당 안에 복
조리를 던져 놓았다. 이 조리를 벽에 걸어 두면, 조리가 쌀을
일 듯 집 안에 복이 들어온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래서 이
조리를 복조리라고 한다.
옛이야기 - 팥죽 할멈과 호랑이(조대인, 2012) (3단계 학습 내용) 옛날 옛날에 어떤 할머니가 산 밑에서 팥을 심고 있는데, 뒤에서 “어흥” 하는 소리가 나.
뒤를 돌아다보니까 황소만 한 호랑이가 내려다보고 있잖아. “어흥.” 할머니는 깜짝 놀라서 꼼짝도 못 했어.
그런데 호랑이가 “할멈 잡아먹으러 왔다.” 하고 입을 쩍 벌리거든.
“그럼 이 팥밭은 누가 매노. 팥 농사 다 지어서 팥죽 쑤어 먹을 때까지만 기
다려 다오.” 그러니까 호랑이가 산속으로 어슬렁어슬렁 들어가 버려. 그날부터 할머니는 죽을 날만 기다리면서 농사를 지었단다.
어느새 가을이 와서, 팥을 뽑아 잘 떨어서 광 안에 가득 쟁여 놓았어. 할머니는 팥죽을 한 솥 가득 쑤어 놓고 훌쩍훌쩍 울지.
그때 자라가 엉금엉금 기어 와. “할멈, 할멈. 왜 울우?”
“오늘 호랑이한테 죽게 돼서 운다.”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살려 주지.”
할머니가 팥죽 한 그릇을 주니까 자라는 뚝딱 먹어 치우더니 부엌 물 항아리
속에 숨었어. 조금 있으니까 밤톨이 떼굴떼굴 굴러 와.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살려 주지.” 다음에는 맷돌이 왈강달강 걸어와.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살려 주지.”
다음에는 쇠똥이 어기적어기적 기어 와.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살려 주지.”
다음에는 지게가 겅중겅중 걸어오고 멍석이 도르르르 굴러 와.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살려 주지.” 밤톨은 팥죽 한 그릇을 다 먹고 아궁이
속에 숨고, 맷돌은 부엌 천장에 가서 숨고, 쇠똥은 부엌 바닥에 숨고, 지게는 대문 옆에 숨고, 멍석은 마당에 숨었어.
l 114
드디어 호랑이가 할머니를 잡아먹으려고 나타났어,
그런데 날씨가 어찌나 춥던지 “아이구, 추워, 아이구, 추워.” 하면서 들어오
네.
“추우면 아궁이에 가서 불을 쬐렴.” 할머니가 일러 주었지. 그래서 호랑이가 아궁이에 쭈그리고 앉았는데,
‘퍽’ 하고 밤톨이 튀어나오더니 ‘탁’ 하고 호랑이 눈을 때렸어.
이번에는 자라가 호랑이 손을 꽉 물어 버렸지. 호랑이는 쇠똥을 밟아서
미끄러지고, 맷돌이 호랑이 머리 위로 떨어지고, 멍석이 이때다 하고 호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랑이를 말아 버렸어. 지게가 얼른 호랑이를 지어다가 물에 빠뜨려 버렸지.
할머니는 자기를 살려 준 지게, 멍석, 쇠똥, 맷돌, 자라, 밤톨과 함께 덩실덩
실 춤을 추며 좋아하셨대.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물들(3단계 학습 내용) 멍석 탈곡한
곡물이나
채소와 같은 농산물
짐을 얹어 사람이
제 4장
지게
을 말리는 데 사용
지고 다니게 만든 기
하는 일종의 자리를
구.
말한다.
쇠똥
맷돌 곡식을 갈아서 가
루로 만들 때나 물에 불린 곡식을 갈 때
소의 똥.
사용하는 기구.
자라
밤톨 한국에서는
부터
맛이
돕는
효과가
예로
좋으며
혈액 세포의 생성을 동물로 전한다.
있는
낱낱의 밤알.
115 l
팥죽 할멈과 호랑이 연극 대본(3단계 학습 내용) 등장인물: 할멈과 호랑이, 밤톨, 자라, 쇠똥, 뾰족한 송곳, 멍석, 맷돌, 지게 배경 : 옛날 산골짜기 마을
해설 : 어디선가 할머니의 울음소리가 들려왔습니다. 그래서 밤톨이 할머니에게 갔습니다.
(밤톨) : (급하게 묻는 목소리로) 할머니, 할머니, 왜 울어요?
(할머니) : (아주 슬프게 울면서) 오늘 저녁에 호랑이가 날 잡아먹으러 온다고 해서 운다.
(밤톨) : (팥죽을 보고 입맛을 다시며) 팥죽 한 그릇 주면 못 잡아먹게 하-지.
해설 : 할머니는 밤톨에게 팥죽을 한 그릇 주었습니다. 밤톨은 팥죽을 먹고 나서 아궁이 속에 숨었습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할머니가 또 엉엉 우는데 , 자라가 엉금엉금 기어 왔습니다. (자라) : (느릿한 목소리로) 할머니, 할머니, 왜 울어요?
(할머니) : (아주 슬프게 울면서) 오늘 호랑이한테 죽게 돼서 운다.
(자라) : (팥죽을 보고 입맛을 다시며 ) 팥죽 한 그릇 주면 못 잡아먹게 하-지.
해설 : 할머니는 자라에게 팥죽을 듬뿍 주었습니다. 자라는 팥죽을 뚝딱 먹어 치우더니 부
엌 물 항아리 속에 숨었습니다. 다음에는 송곳이 콩콩콩콩 튀어 왔어요. 쇠똥이 어 기적어기적 기어 왔습니다.
(송곳, 쇠똥) : (통통, 콩콩 뛰며) 할머니, 할머니, 왜 울어요?
(할머니) : (아주 슬픈 목소리로 펑펑 울면서) 오늘 저녁에 호랑이가 날 잡아먹으러 온다고 해서 운단다.
(쇠똥, 송곳): (팥죽을 바라보며 한목소리로) 팥죽 한 그릇 주면 못 잡아먹게 하-지.
해설 : 할머니는 송곳과 쇠똥에게 팥죽을 주었습니다. 송곳은 팥죽을 먹고 나서 부엌 바닥 에 꼿꼿이 섰습니다. 쇠똥은 팥죽을 먹고 나서 부엌 바닥에 엎드렸습니다.
할머니가 또 엉엉 우는데 맷돌이 콩떡콩떡 뛰어왔습니다. 멍석이 털썩털썩 다가왔
습니다. 지게가 어정어정 걸어왔습니다.
(맷돌, 멍석, 지게) : (다급한 목소리로) 할머니, 할머니, 왜 울어요?
(할머니) : (좀 있으면 죽는다는 목소리로) 오늘 저녁에 호랑이가 날 잡아먹으러 온다고 해 서 운단다.
(맷돌, 멍석, 지게) : (팥죽을 보며) 팥죽 한 그릇 주면 못 잡아먹게 하-지.
해설 : 할머니는 팥죽을 듬뿍 주었습니다. 맷돌은 팥죽을 먹고 나서 부엌 문 위로 올라갔 습니다. 멍석은 팥죽을 먹고 나서 앞마당에 누웠습니다. 지게는 팥죽을 먹고 나서
마당 한구석에 섰습니다.
(밤톨) : (애틋한 목소리로) 할머니가 호랑이에게 잡아먹히는 건 너무 슬퍼.
(자라) : (곰곰이 생각하며) 우리가 할머니를 살릴 방법은 없을까?
(쇠똥) : (좋은 생각이 난 듯 표현하며) 호랑이를 없애 버리면 되잖아? (송곳) : (실망하며) 어떻게 호랑이를 없앨 수 있니?
(맷돌) : (박수를 한 번 치고)우리가 도와 드리면 되지.
(멍석) : (실망하며) 그렇지만, 호랑이보다 덩치도 작고 힘도 없는 우리가 어떻게 호랑이와 맞서 싸우겠니? 난 무서워.
(지게) : (곰곰이 생각하며) 아니야, 좋은 수가 있을 거야. 자, 다 같이 모여 봐.
l 116
(밤톨) : (머리를 잡고) 그래, 우리의 작은 힘이지만 서로 뭉친다면 할머니를 구할 수 있을 거야.
(다 같이) : (큰 목소리로) 그래그래, 우리 한번 해 보는 거야. 하나, 둘, 셋, 파이팅!
해설 : 호랑이가 할머니를 잡아먹으러 왔습니다. 각자 맡은 역할을 어떻게 할까 생각하며 숨어 있었습니다. 호랑이가 집에 들어왔습니다.
(밤톨) : (눈을 감고) 야! 호랑이야, 이거나 먹어라!
(호랑이) : (눈을 감추며) 아야아야! 아, 눈이 뜨겁고 아프잖아!
(자라) : (꽉 깨물며) 으으!!!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호랑이) : (손을 감추며) 아악!! 손이 너무 아파!!
(쇠똥) : (가만히 조용히 있으면서) 이리로 와, 이리로!
(호랑이) : (와당탕 넘어지며) 아악! 쇠똥을 밟고 넘어졌다! (송곳) : (통통 튀며 호랑이에게 간다) 야앗!!!!
(호랑이) : (손을 감추며) 아악!!!! 나 죽네!
해설 : 호랑이가 너무 아파서 할머니를 잡아먹는 것을 포기하고 나가려 하는데 맷돌이 있 었습니다. 맷돌과 멍석은 단단히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호랑이) : (너무너무 아파하며) 아악! 나 죽어, 나 죽어! (멍석) : (막 달려오며) 말아 버릴 테야!! (지게) : (호랑이를 태우고) 가자, 가자!
제 4장
(해설) : 지게는 호랑이를 저 멀리 던져 버렸습니다. 그래서 할머니는 죽지 않았습니다.
볏짚 또는 밀짚을 이용한 복조리 만들기(4단계 학습 내용)
117 l
동지에 먹는 팥죽의 유래와 의의(5단계 학습 내용) Ÿ
옛날 중국 진나라의 공공이라는 사람에게는 늘 말썽을 부려 속을 썩이는 아들이 하나
있었다. 그 아들 때문에 하루도 맘 편한 날이 없었는데, 어느 동짓날 그 아들이 그만
죽고 말았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죽은 아들은 그만 역질 귀신이 되고 만 것이다. 역질
이란 천연두라는 무서운 전염병으로, 그 당시에는 마을에 역질이 돌면 마을 사람들 대
부분이 꼼짝없이 앓다가 죽어 버리니 공공은 자신의 아들이었다 해도 그냥 둘 수가 없 었다. 공공은 생전에 아들이 팥을 무서워했다는 기억을 떠올리고는 팥죽을 쑤어 대문간
과 마당 구석구석에 뿌렸다. 효과가 있었던지 그날 이후로 역질은 사라졌고 이를 본받
아 사람들은 역질 귀신을 물리치기 위해 동짓날이 되면 팥죽을 쑤었다고 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옛사람들은 붉은색을 귀신들이 싫어하는 색이라고 생각했기에 곡식들 중에서도 유난히 붉은색을 지닌 팥을 그런 용도로 사용했다고 한다. 팥죽의 붉은색은 우리 전통의 오방
색(오행의 각 기운과 직결된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의 다섯 가지 기본색)
과 관련이 깊다.
팥죽의 조리법(5단계 학습 내용) 재료: 팥 3컵, 쌀 2컵, 새알심 500g, 소금 약간, 설탕 약간 붉은팥은 씻어 조리로 일어서 잠길 정도의 물을 붓고 끓인 다음 부르르 끓어오르면 찬물을 한 번 붓고, 다시 한 번 끓으면 그 물
을 버린다.
* 물이 최고로 끓어오르면 찬물을 부어서 온도를 낮추어야 부드럽
게 익는다.
* 다시 끓어오르면 소쿠리에 쏟아 삶은 물을 버려야 한다. 설사를
일으키는 성분인 사포닌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다시 새 물을 붓고 센 불에서 끓이다가 끓으면 중불로 낮추고 팥
이 터질 때까지 (1시간정도) 푹 삶는다. 삶으면서 계속 물을 넉넉 히 추가해 주어야 한다. (뚜껑 덮고 삶기)
* 팥의 양이 많거나 묵은 팥일 경우에는 2시간 정도 삶는다.
* 팥은 중간 불에서 은근히 오랫동안 끓여야 색도 예쁘고 더 구수
하다.
팥의 껍질이 터질 정도로 완전히 무르면 믹서에 갈아 체에 내려 거르고 껍질은 버린다.
물을 비교적 넉넉히 넣어 갈아 준다.
l 118
앙금을 가라앉혀 사용한다.
* 팥에는 간을 따로 하지 않는다. 팥을 삶을 때 소금을 넣으면 팥이 무르지 않는다.
* 뜨거울 때 갈아서 체에 내려야 잘 내려간다. 걸러진 팥은 시간이 조금 지나면 아래쪽에 앙금이 가라앉는데 위
쪽의 물만 솥에 따라 붓고 끓으면 미리 불려 놓은 쌀을 넣어 쌀알
이 눋지 않도록 나무 주걱으로 저으면서 끓인다. (쌀알은 생각보 다 빨리 무른다.) 쌀알이 완전히 퍼지면 마지막에 앙금을 넣고 저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으면서 다시 끓인다. 끓을 때 새알심을 넣고 끓여 새알심이 떠오르면 불을 끄고 소금 1 작은 술을 넣어 간을 맞춘다.
* 센 불에서 퍼지지 않도록 빨리 끓여 낸다. 앙금을 넣은 다음에
는 마구 튀기 때문에 화상에 주의해야 한다.
* 소금 간을 살짝만 하여 먹기 직전에 입맛에 따라 소금 간을 더
하면 맛있는 팥죽을 먹을 수 있다.
제 4장
* 설탕을 조금 가미하면 훨씬 감칠맛이 난다.
이미지 출처
버선, 복조리, 지게, 맷돌:
국립국어연구원(2002). 한국문화 길라잡이: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전통문화 233가지. 서울: 학고재
부적, 팥죽: 국립민속박물관(2006). 한국세시풍속사전 :겨울편. 서울: 서울민속박물관 책력: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tra/tra_pop_17.jsp 멍석: 이뮤지엄 http://www.emuseum.go.kr/index.do
쇠똥, 자라, 밤톨: 다음 자연박물관 http://nature.kids.daum.net/top/index.do
팥죽 조리 과정: http://blog.naver.com/mnheo
119 l
프로그램 2. 한민족 신명의 가락: 사물놀이
개요 한국의 사물놀이는 한국 전통 음악 갈래 가운데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큰 사랑을 받
고 있는 음악 갈래이다. 사물놀이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음악 가운데 하나이고, 엄
청난 음량과 강한 박자에서 나오는 역동감 때문에 듣는 사람을 신명의 경지에 빠지게 만드는 음악이다. 아무리 넓은 축구장에서 경기가 벌어져도 사물놀이 한 단체만 있으면
한국 응원단을 다른 나라 응원단이 제칠 수 없듯이, 사물놀이가 내는 소리의 역동성과 강도는 다른 나라의 악기가 감히 따라갈 수 없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전통 음악인 농악과 풍물을 변형하여 탄생한 사물놀이의 가락에는 한민족 특유의 신
명과 흥의 기운이 듬뿍 배어 있다. 본 수업에서는 사물놀이의 음악 구성에서 가장 배우
기 쉬운 영남 농악 가락을 중심으로 길군악부터 시작하여 별달거리, 법고놀이 등 사물놀
이의 대표적인 장단을 배우고 익히며, 약 10~15분의 합동 연주가 가능한 정도의 연주 실력을 연마한다. 이러한 수업을 통하여 한민족 신명의 장단을 익히고, 그것을 연주하며
한민족 고유의 두레 정신과 흥에 대해 직접 경험해 본다. 본 수업은 전문 교육 강사가
필요한 수업이며, 적어도 10회 이상의 수업이 필요하다. 학습 목표
§ 사물놀이의 유래와 악기의 특징, 한국적 장단의 특징에 대해 이해한다.
§ 전문 강사의 지도로 여러 학생들이 다 함께 참여하여 사물놀이 연주를 실현한다. § 한민족의 두레 정신과 신명과 흥을 직접 경험해 본다.
핵심 용어 : 꽹과리, 징, 북, 장구, 장단, 사물, 흥, 신명, 가락
l 120
핵심 용어 프로그램 2. 한민족 신명의 가락: 사물놀이 한국 전통 음악에서 박자·빠르기·리듬의 주기(周期) 등을 지정해 주고, 때
로는 악장(樂章)을 의미하는 일종의 리듬 형태를 이르는 말이다. 한자를 빌려 ‘長短’으로 적기도 한다. 서양 음악에서는 볼 수 없는 한국 전통 음악의 특징
적인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한국 전통 음악의 구조적인 이해는 물론 감상
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일정한 리듬의 틀을 기본형으로 가지고 있으나 음악의 Jangdan
종류, 지방, 연주자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무수한 변주가 가능하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장단
refers to a rhythmic cycle but can also designate beat, tempo, and
a certain meter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Chinese characters it is written as “長短.” It is a feature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Korean music that cannot be found in western music. It is based on a fixed rhythm, but numerous vari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type of music, regions, and performers.
사물이란 원래 절에서 불교 의식 때 쓰인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의 네 가
Samuln ori
(Traditi onal
지 물건을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김덕수의 사물놀이 공연 이후에는 북, 징, 장 구, 꽹과리의 네 가지 민속 타악기로 연주되는 음악과 그 음악에 의한 놀이를 이르게 되었다.
“Samul” originally referred to four instruments used in Buddist
percussi
rituals (Bubgo, Unpan, Mokeu, Bumjong). but nowdays it means four
quartet)
and small gong. Commonly samulnori refers to the music played by
on
제 4장
사물놀이
folk percussion instruments., drum, gong, Jangu (double-sided drum), the four percussions and the play done with the music.
원시적 유풍인 공동 노동 조직이며 농촌 사회의 상호 협력, 감찰을 목적으
로 조직된 촌락 단위를 말한다. 이는 한국 전통 농경 사회의 공동체 정신이 가장 잘 드러나는 생활 양식이다. 집단으로 하는 농악도 ‘두레’라 하고, 농군 두레
Dure
(Farmer s’
coopera tive
group)
들 여럿이 음식을 장만하여 모여서 노는 것도 ‘두레’라 한다. 이와 같이 두레 는 여러 가지 뜻을 가진 말로, 일과 놀이를 아우르는 뿌리 깊은 공동체 정신 이 구현된 것이다.
Refers to primitive group labor and the village unit designating a
farm cooperative. This term denotes the lifestyle that best depicts the
community spirit of Korea’s agrarian society. Both the traditional
music and a gathering held by farmers with various foods are also known as “Dure.” While Dure has several meanings, each manifests
the realizations of a deep-rooted community spirit that embrace both work and play.
121 l
농민들이 악기를 연주하면서 풍농을 기원하고 액운을 막기 위해 행하는 제
반 문화 현상을 일컫는다. 농악은 농사일의 고된 노동을 공동체적 신명으로 푸 농악
Nongak
는 중요한 기능을 지닌다. Refers to
the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farmers played
musical instruments to bring good luck and ward off bad luck. Functionally,
Nongak
community spirit.
vents
the
hard
labor
of
farmwork
via
a
풍악에 쓰이는 기물을 뜻한다. 풍물은 음악 하는 물건, 꽹과리, 징, 장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북을 가리킨다. ‘풍물친다’는 말은 농악기를 두드리며 노는 것을 뜻한다. 풍물 풍물
Pungmul
잽이는 꽹과리나 징 등의 풍물을 치는 사람을 가리키고, 풍물쟁이는 풍물을 만 드는 사람을 일컫는다.
Refers to objects used in traditional farmer's music. It refers to
musical instruments such as small gong, gong, janggu, and drum. “Playing pungmul” means playing with musical instruments.
l 122
프로그램의 단계
1단계 1차시
2단계 2차시
학습 주제 만남:
사물놀이 공연 감상
영남 농악 특징 이해하기
학습 활동 사물놀이 공연을 감상하고, 각 악기의 특징, 음악 갈
래의 기원, 의미 등에 대해 이해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단계
영남 농악의 짜임새를 이해하고 장구, 북, 징을 잡는 법을 배우며, 길군악부터 가락을 익히기 시작하다.
꽹과리는 오랜 시간 배움의 과정이 필요하므 지도자
가 가락 익힘을 이끌어 간다.
각자 자신의 악기를 정하고(장구, 북, 징), 영남 농 3단계
3~8차시
사물놀이 체험
제 4장
악 가락을 익힌다. 악기별로 가락을 따로 익히며 동
시에 함께 어우러지는 합주를 병행한다. 최소한 5~6
회 정도의 가락 익히기 수업이 진행되어야 영남 농
악 전 바탕의 가락을 배울 수 있다. 1.길군악, 2.반
길군악, 3.다드래기, 4.영산다드래기, 5.연결채, 6.별 달거리, 7.열람채, 8.법고놀이, 9.쌍진풀이, 10.맺음
4단계 9차시
5단계
10차시
한국의 두레 정신
공연: 한민족
신명의 가락을
연주하며 흥에 빠진다.
네 가지 악기의 어울림과 서로 협동하여 가락을 만 들어 나가고 다음 가락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통하여
함께 어울리는 공동체 의식을 경험한다.
다 함께 영남 농악을 연주하며 한민족 고유의 신명
과 여러 명이 함께 사물놀이 장단을 연주하며 ‘신명’
과 ‘흥’을 체험하며 마무리한다.
123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만남: 사물놀이 공연 감상
수업 목표: 사물놀이 공연을 감상하고, 각 악기의 특징, 음악 갈래의 기원, 의미 등에 대해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사물놀이 공연 동영상, 사물놀이 악기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동기 유발: 한국의 사물놀이 공연을 감상해 본 경험이 있는지 질문한다.
영국의 타악기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영국의 타악기 합주를 감상해 본 경험이 있는지 질문한다.
교수 학습 활동: Ÿ
한국의 전통 음악 중 사물놀이에 대해 설명한다.
- 사물놀이란 꽹과리, 장구, 북, 징 네 가지 전통 타악기로 연주하도록 편성된 합주 형 태의 음악을 말한다.
Ÿ Ÿ
한국의 사물놀이 공연 영상 자료를 감상한다.
공연 감상 후 각자의 소감을 서로 이야기한다.
- 힘을 느낄 수 있다, 소리가 크다, 절도 있게 연주한다, 연습이 많이 필요할 것 같다 등
Ÿ Ÿ Ÿ
사물놀이의 기원에 대해 이해한다.
어떤 악기가 사물놀이에 사용되는지 알아본다.
꽹과리, 장구, 북, 징의 특징과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평가: 사물놀이 공연에서 사용되는 각 악기의 특징, 장르의 기원, 의미 등에 대해 이해 하였는가?
2단계
영남 농악 특징 이해하기
수업 목표: 사물놀이 연주곡 중에서 가장 쉬운 영남 농악의 짜임새에 대해 이해하고 각 악기를 올바르게 연주하는 자세와 구음을 배운다.
수업 준비물: 북, 북채, 장구, 장구채, 징, 징채 (꽹과리는 전문 교육자가 치며 장단을 지도한다.)
동기 유발: 신명 나는 가락을 같이 배워 봅시다.
l 124
교수 학습 활동 Ÿ
영남 농악의 음악적 짜임새에 대해 배운다.
- 통영(統營)·삼천포(三千浦)·진주(晉州) 등지를 중심으로 발달한 농악 가락이다. 다른 지
방의 농악에 비하여 가락의 변주는 많지 않으나 잔가락으로 몰아가는 것이 특징이며, 여러 가지 진법(陣法) 놀이가 있다. 영남 농악의 연주 순서는 다음과 같다.
- 1.길군악, 2.반길군악, 3.다드래기, 4.영산다드래기, 5.연결채, 6.별달거리, 7.열람채, 8.법고놀이, 9.쌍진풀이, 10.맺음
Ÿ
북채 잡는 법
징채 잡는 법
장구채 잡는 법
꽹과리 채 잡는 법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각 악기의 올바른 연주법에 대해 배운다.
제 4장
Ÿ
악기를 쉽게 배울 수 있는 구음법에 대해 배운다.
평가: 영남 농악의 음악적 짜임새와 각 악기의 올바른 연주법, 구음법을 잘 이해하였는 가?
3단계
사물놀이 체험 - 한국의 두레 정신
수업 목표: 각자의 악기를 정하고(장구, 북, 징), 영남 농악 가락을 익힌다. 악기별로 가 락을 따로 익히며 동시에 함께 어우러지는 합주를 경험한다.
125 l
수업 준비물: 북, 북채, 장구, 장구채, 징, 징채 동기 유발: 한국의 신명 나는 가락을 익혀 봅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영남 농악의 가락을 길군악부터 맺음 가락까지 익힌다.
각 가락을 몇 회 연주하고 다음 가락으로 넘어가는지에 대한 곡의 짜임새를 서로 확인 한다.
Ÿ
악기별로 자신의 가락을 익히고, 다른 악기와 함께 연주하며 가락의 어울림을 느껴 본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다. Ÿ
협업 정신으로 공동체를 만들어 왔던 한국 조상들의 두레 정신에 대해 이해한다.
평가: 영남 농악 가락을 연주할 수 있는가?
4단계
한국의 두레 정신
수업 목표: 네 가지 악기의 어울림과 서로 협동하여 가락을 만들어 나가고 다음 가락으 로 넘어가는 과정을 통하여 함께 어울리는 공동체 의식을 경험한다.
수업 준비물: 북채, 북, 징채, 징, 장구채, 장구 동기 유발: 그동안 배운 것을 연결하여 끊지 않고 연주해 봅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길군악부터 맺음까지의 가락을 끊지 않고 연주해 본다.
네 악기를 모두 연주하지 않고, 한 악기씩 빠졌을 때의 음색과 전체 악기가 함께 연주
할 때의 음색을 비교하여 들어 본다. Ÿ
사물놀이에서 각 악기 간의 협업과 농촌 사회에서의 두레의 의의와 정신에 대해 비교하 며 그 의의를 파악한다.
Ÿ
두레 정신: 두레는 원시적 유풍인 공동 노동 조직이며 농촌 사회의 상호 협력, 감찰을
목적으로 조직된 촌락 단위이다. 그 종류도 다양하여 성별에 따라 남자 두레와 여자 두
레로 나눌 수 있고, 선후에 따라 선생 두레와 제자 두레, 또는 형 두레와 아우 두레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제자 두레나 아우 두레는 선생 두레와 형 두레에 대해서 존경과 복
종을 표시해야 했다. 또한 세대별로는 청년 두레·장년 두레·노인 두레가 있었으며, 농악 의 유무에 따라 농악 있는 두레와 농악 없는 두레가 있었다.
Ÿ
두레 중에서 작은 두레는 6∼10명 정도로 대개 경제적 여건이나 농지 소유 규모가 비 슷한 이웃 사람들끼리 하는 경우가 많았고, 큰 두레는 마을 전체가 소속원이 되어 조직
l 126
되기도 하였다. 한 마을의 경지 분포상 큰 두레를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몇 개의 작은 두레를 만들기도 하였다.
Ÿ
두레가 이행하는 공동 노동의 형태는 모내기·물 대기·김매기·벼 베기·타작 등 논농사
전 과정에 적용이 되었으며, 특히 많은 인력이 합심하여 일을 해야 하는 모내기와 김
매기에는 거의 반드시 두레가 동원되었다. 또한 마을의 공동 잔치로 풋굿이나 호미씻
이와 같은 논농사 이후의 놀이도 함께하였다. 대체로 모내기나 추수를 마친 뒤 공동
작업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이 모여, 음식과 술을 먹고 농악에 맞추어 여러 가지 연희
를 곁들여 뛰고 놀면서 농사로 인한 노고를 잊고 결속을 재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때
토지를 소유한 주인집에서는 많은 음식을 장만하여 흥을 돋우어 주었다. 두레 정신이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란 이러한 두레를 바탕으로 협업을 이루었던 공동체 의식을 말한다. 평가: 끊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연주할 수 있는가?
5단계
한민족 신명의 가락을 연주하며 흥에 빠진다.
수업 목표: 다 함께 영남 농악을 연주하며 한민족 고유의 신명과 흥의 멋을 체험하며 마무리한다.
제 4장
수업 준비물: 소규모 공연장, 관객
북채, 북, 장구채, 장구, 징채, 징, 사물놀이 공연 복장
동기 유발: 그동안 배워 온 가락을 다른 학생들 앞에서 연주하며 뽐내 봅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그동안 배운 사물놀이 영남 농악을 다른 사람들 앞에서 연주한다.
사물놀이가 가지고 있는 역동성과 신명을 느껴 보며 한국인의 흥을 경험해 본다.
평가: 공연을 잘 마무리하였는가?
참고 자료 사물놀이의 기원(1단계 학습 내용) Ÿ
‘농악’, ‘풍장’, ‘메구’, ‘풍물’ 등의 이름으로 불리던 전통 문화 예술은 이른바 ‘백년지속
(白年之俗)’으로서 마을 단위의 공동 노동 조직이던 ‘두레’를 중심으로 발전해 온 놀이
이자, 제사이며, 축제이다. 마을 주위의 산천과 길, 그리고 마을의 앞마당과 심지어는
각 집의 부엌과 샘터에까지도 꽹과리, 징, 장구, 북은 울려 퍼졌고 이를 통해서 마을
사람들은 묵은 원을 풀고 더불어 하나 되는 공동체 정신을 길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아름다운 문화 예술의 전통은 일제의 탄압과 한국 전쟁 그리고 급격한 서구 산업화, 도
127 l
시화 등의 거센 시대적 변화에 휩쓸려 점차 스러져 가다가 197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그 명맥을 잇기도 어려운 지경에 이른다. 사물놀이는 우리의 풍물 굿을 현대의 공연 양
식과 시대적 감수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전통 타악이라는 독립적인 음악 갈래로 발전시 킨 것이다.
Ÿ
따라서 사물놀이는 단독 연주뿐만 아니라 무용 음악, 동서양 관현악단과의 협연, 재
즈와의 협연 등 갈래에 관계없이 그 영역을 무한히 확대시켜 나갈 수 있었으며 또한
서양 음악을 포함한 한국 음악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오늘날 사물놀
이는 전통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큰 위업을 달성한 음악 갈래라고 평가받고 있다. Ÿ
1978년 2월 22일, 23일 양일간에 걸쳐 민속악회 “시나위”에서 타악을 담당하던 김덕
수, 최태현, 이종대와 객원 연주자 자격의 김용배가 종로구 원서동에 위치한 “공간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랑”에서 “제1회 공간 전통 음악의 밤(제11회 민속악회 시나위 정기 연주회)”이란 이 름으로 역사적인 첫 사물놀이 연주회를 가졌다. 그 후, 이광수와 최종실이 기존의 김
덕수, 김용배와 합류하여 본격적으로 ‘사물놀이’의 이름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사물놀이와 풍물놀이(농악)
풍물
사물놀이
사물놀이에 사용되는 악기(1단계 학습 내용)
꽹과리는 사물악기 중에서 가장 작지만 소리의 기운이 가장
요란하고 강한 악기이다. 그래서 흔히 풍물 굿판에서는 꽹과리가 지휘를 맡는데, 이 역할을 하는 사람을 ‘상쇠’라고 한다. 꽹과리의
소리는 그 기운이 매우 양(陽)하여 마치 천둥인 듯 번개인 듯 휘
몰아치며 높은 충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흔히 벼락[雷]에 비유되
곤 한다. 꽹과리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장구와 함께 사물 가락의
흐름을 주도하며 맺고 푸는 맛을 뚜렷이 드러나게 한다.
장구의 역사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구려의 고분 벽
화나 신라 시대의 범종에 새겨진 그림을 보면 장구가 이미 삼국
시대부터 있어 왔음을 말해 준다. 산조 합주나 시나위 등에서의 장구는 반주 악기로 사용되지만 사물놀이에서 장고가 가진 강한
표현력에 힘입어 지휘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장구는 울림통의
l 128
좌우에 낮고 깊은 음을 내는 ‘궁편’과 높고 경쾌한 음을 내는 ‘열
편’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의 음정과 음색으로 꽹과리
와 더불어 화려한 신명을 자아낸다. 그래서 흔히 그 소리를 빗소
리에 비유하곤 한다.
북은 꽹과리와 장구가 이루는 가락의 물결에 기둥을 세우는
역할을 한다. 꽹과리는 가락을 싸잡아 치고, 장구는 가락을 쪼개
어 친다고 할 때 북은 든든한 기둥이 되어 장단의 기본 틀을 지
키는 것이다. 같은 가죽 악기인 장구에 비해서도 보다 인류 보편
적이고 원시적인 형태와 소리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둥둥 떠다니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는 북의 소리는 구름[雲]에 비유된다.
징은 사물놀이뿐만 아니라 대취타나 불교 음악, 무속, 등에 골
고루 쓰인다. 사물놀이에서의 징의 역할은 북이 기둥을 세우고 꽹
과리와 장구가 장단을 채워 나갈 때 그 장단의 전체를 웅장한 울
림으로 감싸는 것에 있다. 꽹과리, 징, 장구, 북의 사물들 중에서
징은 가장 음(陰)한 기운을 가지고 있는 징 소리는 그 긴 여운으
로 말미암아 바람[風]에 비유된다. 참고 : 김덕수 사물놀이 한울림 교육원
제 4장
악기를 쉽게 배울 수 있는 구음법(2단계 학습 내용) [사물놀이에서의 구음 사용법] 명
근원
부호
구음
집
◑
덩(합)
해(海)
○
쿵
북
극(極)
Ⅰ
덕(따)
채
더덕(따닥
겹
결(結)
ⅰ
탈(脫)
᠁
공(空)
◦
구
점(点)
.
더
해(解)
◎
쿠궁
) 러(따르르 )
칭 합
창단
채 채
굴림 샤 이점 찍 는점 겹 북
설명 음양의 합이 조합되어 감기는 것, 북편과 채편이 서로 만난다. 음양이 화해로 풀리는 것,
북편에 굴러 울린다. 음양이 하나의 극을 이루어 마음(心)이 생기는 것,
채편에 열채가 마주친다. 심령(心靈)이 신(神)과 맺어지는 것, 여자가 채편에 겹으로 맺어진다. 해탈(解脫)의 상태,
어느 한쪽에 치우침 없이 북편을 찍어지는 것 숨을 안정시키는 중화(中化) 상태,
어느 한쪽에 치우침 없이 북편을 찍어지는 것 숨도 못 쉬고 있는 상태, 채편에서 찍는 점 음양의 화해가 겹을 이루며 풀리는 것 북편에 겹으로 굴러 울린다.
참고 : 김덕수 사물놀이 한울림 교육원
129 l
영남 농악 가락(3단계 학습 내용) 1. 점고
▶ 점고 둥 둥
둥 둥
둥 둥
둥 둥
듕 둥
갱
갯
둥
둥 둥
...
2. 휘모리 다드래기
▶ 휘모리 다드래기 -쇠 신호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갱
갱
2
3. 길군악
쇠
징
장구
북
모둠
l 130
갱 갱 그랑 그랑 갱 갱 징 덩 당 궁 궁 덩 덩 둥 둥 둥 둥 둥 둥 덩 덩 당 당 덩 덩
갱 갱 그랑 개 개
갱 그랑 그랑
따 따
덩 궁 궁
기 기
덩 덩 궁 궁 궁
개 개
따 따 따
갱 그랑 갱 갱
덩 궁 궁 궁
둥 두 두
둥 둥 둥 둥 두
둥 두 둥 둥
덩 다 다
덩 덩 궁 궁 궁
덩 그 긍 긍
따 따
2 4 ~ 1
기
~ 2 4 ~ 1 2 4 ~ 1 2 4 ~ 1
...
2
131 l 제 4장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징 북
모 둠
징 징 둥 둥 둥 둥 덩 덩 덩 덩
징 두
두 둥 둥
둥그
그
둥그
더 긍
웃다
다
구따
둥 두 둥 둥 둥
두 둥
덩 궁
웃다
두 둥
둥그
둥 덩
긍
덩
징 징 둥 둥 둥 둥 덩 덩 덩 덩
징 두 두
둥그
두 둥 둥
둥그 둥그 더 웃다 긍 긍따 긍따
둥 두 둥 둥 덩
두 둥
덩 궁
웃다
둥그
둥 덩 덩
두 둥
궁
징 징 둥 둥 둥 둥 덩 덩 덩 덩
두 둥그
웃다
징 두 둥 둥 둥 덩 궁 덩
징
징 두 둥
둥 둥
둥그
둥
덩
덩
덩
웃다
덩
~ 두 둥
궁
4. 반길군악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 반길군악(운풍대 가락)
쇠 징
깨 징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갱
개
개
장구
덩
따
따
쿵
따
따
궁
따
궁
따
따
북
둥
둥
둥
둥
모둠
덩
덩
덩
덩
~
* 신호 상쇠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갱
갭
5. 외돌이 가락
▶ 외돌이 가락
쇠 징
개 징
갠
지
개
객
개
갠
지
개
객
장구
덩
따
따
쿵
딱
덩
따
따
쿵
딱
북
둥
둥
모둠
다
(다)
그
(그)
둥
둥
다
(다)
그
~ (그)
* 신호 쇠
개
갠
지
개
객
개
갠
지
개
갠
지
6. 영산다드래기
▶ 영산다드래기
l 132
쇠 징
개 징
갠
지
개 징
갠
지
개 징
갠
지
개 징
객
지
장구
궁
따
따
쿵
따
따
궁
따
따
쿵
따
따
북
둥
둥
둥
둥
모둠
다
그
다
그
4
징
장구
갱
궁
모듬 (주 고
받기 )
덩
덩 둥
두
북
갱
갱
둥 둥 두 둥 더 덩 덩 더 덩
둥
둥 덩
덩
덩
개
갱
개
갱 갱
더
궁
더
덩 덩
두
둥
두
둥 둥
더
덩
더
덩 덩
갱 갱 갠 갱 갱
갱 갱 갠 갱 갱
지
덩 덩 덩 덩 덩 둣 둣 둥 둣 둣 덧 덧 덩 덧 덧
덩 덩 궁 덩 덩 둥 둥 둥 둥 둥 덩 덩 덩 덩 덩
따
그
지
갱
2
따
궁
2
그
둥
2
덩
2
제 4장
쇠
개 갱 갱 개 갱 징 징 더 덩 덩 더 덩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다드래기 맺음
7. 별달거리
▶ 별달거리 * 기본
갠
쇠
갠 지
징
갱
징 징 덩
장
구
갠
따
북 모
둠
덩
궁
쿵
둥 둥 덩 덩
둥
갠 지
갱
갠
갱
지
따 따
징 쿵
쿵
궁
쿵
두
두
둥
두
eld
갠 지 지
따 따
두
덩
갠 징 징 궁 궁 둥 둥 덩 덩
갠 지
갠
지
따 따
갠 지
갠
지
쿵 쿵 두
따 따
두
쿵 쿵
갱 갱
쿵
x2
쿵
두
두
두
두
*변형 가락 1 2
갱
갱
갠지
갱
갱
갠지
갠지
갠
갠지
갱
갠지
갱개
웃지
갱
갱
갠지
갱개
웃지
갱
갠
갠지
갱개
웃지
갱
133 l
3
웃지 갱
갱 갱
웃지 웃지
갱 갱
갠지 웃지
응개 개개
웃지 웃지
갱 갱
갠지
갠지
갠지
갠지
갠지
갠지
갠지
갠
웃지 갱
4
개개 갱
웃지 갠지
개개 갠지
웃지 갠지
개개 갠지
웃지 갠지
갱 갠지
*신호 쇠
신호
*사설
갱 갠지
갱 갱
갠지 갠지
갠 갠
갠지 갠지
갠지 갠지
갠지 갠지
갠 갱
개
개
갱
하늘 보고 별을 따고 땅을 보고 농사짓고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올해도 대풍이요 내년에도 풍년일세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대낮같이 밝은 달아 어둠 속에 불빛이 우리네를 비춰 주네
8. 덧뵈기
▶ 덧뵈기(주고받기) 쇠
개
징
징 궁 둥 덩
장구
북
모둠
개
개
개
따
궁 둥 덩
개
개
개
개
x4
따
궁 둥 덩
따
궁 둥 덩
따
갱 갱
개 개
개 개
갱 갱
덩 덩 둥 둥 덩 덩
따 따 둥 둥 덩 덩
궁 궁
따 따
~
갱
개
개
덩 둥 둥
따 둥 둥
궁
따
~
갱
개
개
x4
9. 버꾸놀이
-버꾸놀이 1 갱 개 징 징 덩 더 등
쇠 징 장구
북
갱
딱 덩 딱 둥 딱 덩
궁 둥
두
덩 덩
모둠
객 개
지
기 기
-버꾸놀이 2 (점점 여리게) 쇠 징
갱 징 장구 덩 북 둥 모둠 덩 * 신호 쇠
신호
l 134
객
지
딱 딱 딱 개
갱
갠
지
갱
북
따 따 따 따 덩
둥
따 따 따 따
두 두 두
더 덩
궁 궁 궁 궁 더 둥 둥 둥 둥 두 덩 덩 덩 덩 더
따 따 따 따 덩
둥
궁 궁 궁 궁 덩 덩 둥 둥 둥 둥 둥 둥 덩 덩 덩 덩 덩 덩
따 따
두 두
덩
따 따 따 따
따 따 따 따 덩 덩 두 두 두 두 둥 둥 더 더
궁 궁 궁 궁
따 따 따 따
둥 둥 둥 둥
x4 x2
따
x4 x2
두
덩 덩 덩 덩
덩 덩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장구
궁 궁 궁 궁 더 덩 둥 둥 둥 둥 두 둥 덩 덩 더 덩 더 덩
x4 x2
10. 쌍진풀이 ▶ 쌍진풀이
쇠 징 장구
북 모둠
갱 개 징 징 덩 더 둥 덩 덩
갱
궁 둥
갱
덩 둥 덩
갱
덩 둥 덩
갱
개
덩 둥 덩
갱 갱
개 개
개 개
갱 갱
덩 덩 둥 둥 덩 덩
따 따 둥 둥 덩 덩
쿵 쿵
따 따
제 4장
-쌍진풀이 1
x4
*신호(뒷장단) 쇠신호
개
개
개
개
개
개
갱
개
개
개
개
갱
덩
따
궁
따
갱
-쌍진풀이 2 쇠
갱
개
개
갱
갱
징
징
장구
덩
따
북
둥
둥
둥
둥
모둠
덩
딩
덩
덩
징 궁
따
8
135 l
* 신호 쇠
신호
갱
개
개
갱
객
객
객
-쌍진풀이 3 쇠
객
징
징
장구
궁
북
둥
모둠
짝
객
객
객
객
개
객
따
궁
따
징 따
따
쿵
따
따
둥
따
따
x4
둥 짝
짝
궁 짝
짝
짝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맺이 가락
쇠
징
개 개 개 개 개 갱 징 징
개 개 개 개 갱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갱 갱 개 개 갱
개 개
개 개 개 갱 갱 징 징
개 개 개
개 개 개 갱 갱
개 개 개
갱 개 갱
개
x4 x2
동영상 자료
사물놀이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Ss3OBaxqno
http://www.youtube.com/watch?v=2eInG50McO4 http://www.youtube.com/watch?v=F-q9tvKrZcQ
이미지 출처
사물, 장구, 징, 꽹과리:
국립국어연구원(2002). 한국문화 길라잡이: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전통문화 233가지. 서울: 학고재
북, 풍물: 국립국악원 블로그 http://blog.naver.com/gugak1951
l 136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현황과 특성 샌프란시스코의 세종학당은 1년에 3학기로 구성되어 초급 4개 반과 중급 2개 반으로 이
루어져 있다. 학생 수는 73명이고 강사는 총 6명이다. 2011년 개원하여 운영 기간은 길지
않으나 캘리포니아 국제 문화 대학의 독립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1991년 설립된
이곳의 한국어 강좌 및 한국학 석사 과정의 운영 이점을 그대로 전수받아 활용하고 있다.
다른 기관에 부속되어 있지 않고 독자적인 한글 교육 기관으로서 독립되어 있는 것 또한 특
징적이다, 다양한 직업과 다양한 인종의 수강생들이 늘고 있어 활발한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업은 일주일에 한 번 목요일 저녁에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전문직에 종사
하고 있어 일을 마친 후 모여서 수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별도로 시간을 내어 수업을 진행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하거나 주말을 이용한 행사 등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수업도 목요일 이외에 학생들이 모이
는 것은 쉽지 않다.
고급반과 중급반의 경우는 한국 문화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우
수 학생 면접에 참여했던 수강생이 현재의 프로그램에서 더 이상의 고급 수준의 한국어와 한
국 문화 교육이 없는 것을 아쉬워할 만큼 심도 깊은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았 으며, K-pop의 열풍과는 또 다른 관심을 보였다.
현재 진행 중인 한국 문화 교육은 주로 수업 가운데 부분적으로 한국 문화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영화 감상이나 노래 학습, 구연동화 속에서의 한국 문화 체
험이 이루어진다. 서예, 국악 아카펠라 등의 전통 예술 문화에 관한 교육이 이루어진 바 있
다. 15주 단위 학기말에는 마지막 수업에서 각 반의 발표회 형식으로 공연이 있으므로 이때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수업 방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샌프란시스코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
에는, 먼저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 1935~2003)가 지적한 바와 같이 오리엔탈 리즘의 영향, 중국인 등의 아시아 이민자들의 높은 비율, 미국 서부의 전반적인 아시아에
대한 높은 관심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이란 동양이 서양
인의 정체성을 확립해 주는 대상으로 여겨졌으며 열등한 동양이 존재하기에 우월한 서양이
존재한다고 생각한 주장이다(Said, 2007). 그러나 이러한 오리엔탈리즘은 서양의 지식인들 사이에 동양에 관한 신비주의적 관심을 불어넣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러한 관심은 아시아 문
화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을 요구하는 경향을 만들어 냈다. 더욱이 샌프란시스코의 경우 금
문교의 건설 당시 이민해 정착한 중국인들의 비율이 매우 높고, 태평양과 연접한 지리적 요
인으로 아시아에 관한 관심이 미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샌프란시스코의
세종학당도 이러한 영향 아래 놓여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세종학당 학생들의 연령이나 인종, 직업 등의 분석을 보면, 다른 지역에
비해 3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직업도 학생보다는 전문직에 종사하는 비
율이 높으며, 한인과 관련된 가족 관계와 대등하게 중국인과 관련된 가족, 친구 관계가 매
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높은 중국인의 비율로 인하여 아시아 문화 전반
에 높은 관심과 이해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그중에서 개인적인 이유, 예를 들어 중국어
보다는 한글이 배우기 쉽다거나 가족 중에 한국과 관련된 사람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세종
학당을 다니고 있는 수강생이 많다. 따라서 아시아 문화 전반에서 한국 문화의 위치와 가치
등에 관한 이해와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세종학당과의 차이점으로는 학생들의 연령대
가 비교적 높고 직장인이 많아 활동적인 대중음악에 관한 선호도가 낮은 편이다. 세종학당이
l 138
빌려 쓰고 있는 건물 자체도 지나친 소음이나 활동에는 제약이 있어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주변의 Asian Art Museum이나 San Francisco Symphony 등의 수준 높
은 전시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심도 깊은 전통 미술이나 전통 음악의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전시나 공연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준 높은 공연은 세종학당뿐 아니라 샌프란시스코 한 인 사회 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생들의 한국 문화에 관한 지적인 요구도 많아 심도
깊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는 중국인 등의 아시아 이민자들의 비율이 높은 인구 분포학
적 특성과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지리적 조건으로 한․중․일의 아시아 문화에 관한 관심이 전
반적으로 높다. 한․중․일 아시아 문화 중 한글은 배우기가 쉽고 과학적이어서 한글을 배우기
위해 세종학당을 찾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 아시아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이
미 하고 있으며, 심도 깊은 한국의 전통문화와 예술을 학습자 스스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글 이외에 내용이 깊은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샌프란시스 코 세종학당에게 매우 필요한 사항이다.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 온 외국인 면접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와 그 주변인 베이 지역에
제 4장
한국 문화를 소개하고 배울 수 있는 기관은 그렇게 많지 않으며, 주로 교회를 중심으로 여
름 야영 등에서 일시적이고 단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샌프란시스코에 거주하는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한국 문화를 전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샌프란시스코가 주변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와 인적 요소, 문화 기관을 갖추고 있으므로 샌프란시스코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이 활성화될 경
우 그 주변의 넓은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강점은 지역 문화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과 접촉 기회가 많아 차별화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습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있다. 세종학당이 전시 가능하다고 밝힌 Asian Art Museum이
나, 국악 공연이 가능한 San Francisco Symphony 경우 그 규모나 수준이 매우 높은 곳으
로 학생들이 전시나 공연을 통해 성취감과 한국 문화에 대한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좋은 기 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샌프란시스코의 예술 대학들은 미국 서부 중에서도 한국 유학생이 많다. 이러한 인력을
강사로 활용할 경우 전문적인 교육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회화나 영상, 음악 계통의 유
학생들이 많아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약점으로는 학생의 대부분이 직장인이어서 수업 시간 이외의
별도의 시간을 내기는 어렵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따라서 한글 수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제시될 수업 내용이나, 별도의 고급반을 위한 한국 예술 문화의 심화 과정을 편성해야 할
것이며, 학기 말 발표회의 기회를 적절히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139 l
기대 효과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 심도 깊은 문화예술교육이 실행된다면 현지인, 이민자, 유학생의
활발한 교류를 통한 한국 문화 교류의 거점으로 세종학당이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문화예술교육은 미국 내 아시아 문화 중에서 한국 문화의 특성과 가치 를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실제로 샌프란시스코에 소개되는 아시아 문화는 일
본과 중국의 예술품이 대부분이며, Asia Art Museum에 전시되어 있는 한국의 예술품은 매
우 적고, 수준 높은 작품들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세종학당의 수준 높은 문 화예술교육은 이러한 한국 문화만의 특성과 가치에 대해 미국 내에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계기 가 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또한 샌프란시스코 주변인 베이 지역의 교회를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한인 사회의 중심
부로서 한국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의 주변 지역에는 많은 한
인들이 거주하지만 실제적인 한국 문화교육이나 체험을 해 볼 수 있는 곳은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이 활성화될 경우 샌프란시스코뿐 아니라 그 지역을 아우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한류의 열풍으로 미국 내에 한국에 관한 긍정적인 관심이 높은 시기에 효과적이고 적절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발과 실행은 한국의 국가 인상과 한국 문화를 구체적이고 긍정적으로 소개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대중적인 현대 문
화보다 깊이 있는 전통 한국 문화에 관한 요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세종학당의 학당장 면접에서 제시된 바는 수업 내용 역시 ‘탈춤, 판소리를 배워서 한인의 날에 발표하기’, ‘국악
아카펠라를 배워서 San Francisco Symphony 와 공연하기’, ‘서예 수업과 한지, 부채를 활용
한 예술 활동을 통해 Asian Art Museum에서 전시하기’ 등 수준 높은 수업과 수준 높은 발
표의 연계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성향이 학구적이어서 신체 활
동이 적극적인 대중문화보다 정적인 문화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업의 내용
은 전통 미술과 전통 음악에 바탕을 둔 깊이 있는 한국 예술 문화의 제시가 적당해 보인다.
예를 들어 한국 회화의 전통 미의식 중의 하나인 문인화의 정신을 소개하면서 간단한 사군
자를 배워 부채에 그린 후 Asian Art Museum에서 전시하기 등의 수업을 제시할 수 있다.
수업의 구성은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처음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초급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1~2주 정도의 단위로 구성된 깊이 있지만, 간단한 실습 내용을 포함
한 수업의 구성이다. 둘째는 한글의 고급 단계로 한국 문화의 깊이 있는 체험을 한 학기 동
안 지속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수업이다. 이 수업은 한글을 오래 배운 경우 고급반이 없어
서 아쉽다는 우수 학생과의 면접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초보 단계의 수업은 1~2교시 단위
로 구성하여 4~5개 정도를 제공하는 것이 적당해 보이며, 고급반의 경우 한 학기 동안 진
행되는 내용으로 2~3가지 정도로 제공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경우 Asia Art Museum
등 주변의 아시아와 관련된 고급 발표 장소를 감안하여 수준 높은 수업을 제시하는 것이 좋
을 듯하다. 또한 이러한 심도 깊은 수업을 위해서는 지역의 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깊이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l 140
Ÿ
초급반을 위한 프로그램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는 기초반을 위한 수업 내에 진행될 프로그램들을 요구하고 있
다. 학생들이 수업 시간 외에 별도의 교육이 어려운 점과, 한글 수업에 관한 열정이 많아 한
글 교육에 깊이를 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요구하는 점을 감안하여 한글 교육과 연계된 문화 예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 이미 실행된 바 있는 서
예에 관한 심도 깊은 프로그램으로 한글 교육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민화 작업을 통한 한글의 상징적 의미 교육 등이 이루어지는 식의 한글과 간단한 한국
Ÿ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문화와 예술 체험이 직접적으로 연계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고급반을 위한 프로그램
고급반에 있는 학생들의 경우 더 이상의 고급 과정이 없는 것을 아쉬워하고 있는 현 실정
에서, 한국 문화와 예술을 중심으로 심화된 고급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은 샌프란시스코 세
종학당의 교육 과정을 심화하고 체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고급반 프로그램의 경우 한국 전통문화의 다양한 분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회화, 서예, 공예, 국악, 영상, 대중음악,
전통 무용의 다양한 분야를 2~3주 정도의 분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분야가 가지는 전
통적이고 심도 깊은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과물을 낼 정도로 작업하여 전시하거나 공연하는 등의 활동을 하면 파급 효과도 좋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진경산수의 부감시,
제 4장
화첩 형식, 시서화 일체 등은 어려운 내용이 될 수 있지만, 이를 화첩 만들기, 화첩을 중심으
로 이미지 만들기, 이미지 모아 진경산수 만들기 등의 구성으로 흥미롭게 편성하면 깊이 있는 한국의 조형 의식을 체험하면서 좋은 작품으로 전시할 수 있는 효과까지 얻게 된다. 이런 방 식으로 각 분야에 걸친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 Ÿ
학기 말 발표회를 위한 프로그램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는 학기 말 발표회가 열린다. 각 반이 발표를 하게 되는데 이와
연계된 프로그램을 제시할 경우 활용도와 참여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의 프로
그램은 수업 중에 조금씩 연습하여 이룰 수 있는 공연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현 강사진이 소화 할 수 있는 내용과 수준이 적절할 것이다. 공연과 결합하여 효과적인 한국 전통 예술을 연계
하여 개발하고 제시하면 전통문화를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141 l
<표 4-3> 미국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특성
내 용 인식
▪ 많은 중국인의 비율로 동아시아 문화 전반에 대한 인식이 높음. ▪ 100년이 넘는 한인 이민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한국 문화의 접촉 기 회가 많음.
▪ 베이 지역에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관이 많지 않음. 필요성
-교회를 중심으로 한 여름 야영 등 단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문화적 도시로 샌프란시스코는 서부 지역의 한국 문화 교육의 중심적 역할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을 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에 있음.
방향
지역화
▪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지역 공동체와 적극적인 교류가 가능하도록 함. ▪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체험이 가능하도록 함. ▪ 수준 높은 전시, 공연 공간의 활용이 가능함. ▪ 한국 유학생 혹은 샌프란시스코 거주 전문 예술 인력 활용이 가능함. ▪ 한국어 수준별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됨.
- 초급의 경우 한국어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체험적, 활동적 프로
프로 그램
그램
- 고급의 경우 한국 문화의 역사와 뿌리를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 학기 말 발표회를 통하여 학습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
-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창의적인 표현을 발표회를 통하여 전시하고 지 역 사회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l 142
제 3절ㆍ미국 샌프란시스코 §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한국적의 고유한 미의식을 이해하고, 다양한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경험을 한다. 세종학당에서 제공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지역 내 한국 문화 교류에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주체적으로 참여한다.
첫째, 한국의 고유한 미의식을 이해한다.
둘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심도 깊은 한국 문화를 경험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지역 내 한국 문화 교류에 참여한다.
§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선정 방향
제 4장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대중문화에 치중
하기보다는 깊이 있는 한국 전통문화의 현대적인 재해석이 가능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 문
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가능한 활동을 중심으로 한다.
아래의 그림은 현시점(here & now)에서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학습자들에게 보다 관
련성을 있는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 대략의 범위를 보여 준다. 명확하게 무엇을 가르칠 것
인가를 지시하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와 지역 문화, 전통과 미래의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143 l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할 때에 교육 목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교수자, 학
습자, 운영 기간, 문화적 특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 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의 특성화 프로그램 개요
미국 샌프란시스코 프로그램 이름 한국화로 보여 주는
샌프란시스코:도시 이야기
특성화 프로그램
한국의 색을 영상에 담다: 한국 문화 다큐멘터리
특징 심화
심화
주요 내용 자신의 공간(샌프란시스코)을 산수화의 표
현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적인 미감으로 재 해석하여 표현한다.
대표성 있는 한국 문화를 주제로 다큐멘터
리를 만들어 유튜브 등과 같은 누리소통망 서비스(SNS)에 소개한다.
*샌프란시스코 주변의 Asian Art Museum이나 San Francisco Symphony 등의
수준 높은 전시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심도 깊은 전통 미술이나 전통 음악의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전시나 공연이 가능하다. 학생들의 한국 문화에 관한 지
적인 요구도 많아 심도 깊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l 144
프로그램
1. 한국화로 보여 주는 샌프란시스코: 도시 이야기
개요 본 수업은 한국 회화에서 보이는 수묵화(먹과 물의 조합으로 이뤄지는 그림 양식)의
표현 양식을 소개하고, 그것을 응용하여 샌프란시스코의 풍경들을 한국화의 산수화 방법
으로 표현하는 것을 주요 내용을 한다. 실기 수업에서는 개인적인 소묘와 자료들을 화첩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에 표현하고, 조 단위의 단체 작품으로 제작하여 전시를 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동양의 3국(한국, 중국, 일본) 문화 중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
로 학생들이 자신의 공간(샌프란시스코)을 한국적인 미감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상호 문화적인 교류와 함께 시공간을 초월한 정신적인 공감을 얻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주로 하게 될 작업은 한국의 전통 회화 재료인 한지 위에 먹과 물, 붓을 사
용하는 수묵 작업이다. 중국과 일본의 미감과는 달리, 한국은 ‘자연 그대로의 꾸밈없는
미감’을 추구해 왔으며, 이것은 수묵 그림에 있어서 ‘자유로움’과 ‘감정의 즉흥적인 표현’
으로 발전되어 왔다. 학생들은 그리고 싶은 풍경들에 감성을 담아서 먹과 붓으로 자유롭
게 그림으로 표현을 하고, 도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야기나 시, 단어들을 한글의 형
태와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개성적으로 표현하는 한글 멋글씨 작업을 하게 될 것이다.
제 4장
이는 한국의 전통 회화 표현 방식들이 그리는 사람의 주관적 감정을 그대로 전달하는 데 효과적임을 체험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쓸 때에 한
국화 붓을 활용하여 미세한 숨결과 감정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경험할 기
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단체 작업을 통하여 화면 속에 함께 표현되는 글과 그림들이 상징
적인 의미를 가지고 관객들에게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을
전시 기회를 통해 확인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역 공동체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활을 뒤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학습 목표 §
샌프란시스코 풍경화 제작을 통해 한국의 하늘에서 본 듯한 산수화의 시각법과 화첩 제작, 시서화 일치의 조형 정신을 이해할 수 있다.
§
한국화의 재료를 사용하여 한지, 먹, 붓의 운용 방법을 익히고 필묵의 표현이 가지 는 미세한 숨결과 감정 전달에 탁월한 정신성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다.
§
한국화 제작을 통해 중국, 일본과 다른 한국의 미감인 자연성, 즉흥성의 태도를 이 해할 수 있다.
핵심 용어 : 자연성, 필묵의 정신성, 즉흥성, 화첩, 시서화 일치, 산수화
145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1. 한국화로 보여 주는 샌프란시스코: 도시 이야기 동양화에서, 산과 물이 어우러진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또
한 자연 자체에 대한 표현인 동시에 인간이 자연에 대하여 보고 느낀 감상을
산수화
Landscape
붓으로 수묵이나 채색을 사용하여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동양인이 지니고 있
는 자연관을 높은 차원으로 이상화시킨 대표적인 표현 형식이다.
refers to Oriental Painting that depicts the beauty of nature. It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entails both impressions of nature and the expression of nature itself
done with brush and ink. It is the articulation of a highly idealized East Asian view on nature.
그림을 모아 엮은 책 혹은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종이를 여러 장 모아 묶
은 책을 말한다. 화책(畫)이라고도 하며 그림의 보관과 감상을 편리하게 하기
화첩
Drawing Pad
위하여 만들어졌고, 규모가 작고 간편하여 문인들이 즐겨 사용하였다.
refers to a collection of paintings or a bundle of papers used to
paint drawings. Also called a drawing book, its small and convenient size was used by men of letters to facilitate the archiving and
presentation of drawings.
하늘 천(天), 땅 지(地), 사람 인(人)으로 우주의 주장이 되는 하늘과 땅
과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천은 인간이 도덕관념과 행위 의식을 가지
고 신명을 아우르며 무형의 사유 세계와 연결됨을 뜻한다. 인은 인간이 살아
가는 데에 인류 그 자체의 생활 방식을 변화 발전시킨 유형의 세계와 천과 지를 이어 주는 존재임을 뜻한다. 지는 산천과 생명체가 상통하고 각종 규칙
천지인
Heaven,
에 적응하며 순응하는 자연이다. 즉 지는 자연 관념, 인은 인간 관념, 무형의
천은 사유 관념이다.
Earth, and
Man
refers to Heaven, Earth, and Man--the pivots of the cosmos.
Heaven signifies human interrelatedness in formless realms and the
afterlife via morality, ideas and consciousness. Man signifies human existence connecting the tangible world with Heaven and Earth. Earth
signifies nature, mountains and streams inter joined with creatures
adapting and complying with various rules. Thus, Earth denotes the concept of nature, Man the concept of human beings, and Heaven the concept of reason.
l 146
생성 변화의 원리로서의 기(氣)를 뜻한다. 원래는 햇빛과 그늘을 의미했지
음양 Yin
만 은 왕조 이후 남녀, 군신, 동정 등의 상반되는 속성이나 적극적인 것과 소
극적인 것을 상징하는 범주가 되었다.
and
(Negativ e and
Positive)
Refers to the spiritual principles pertaining to the formation of and
changes in the universe. The original term referred to the sun and shade, but after the Eun Dynasty it came to symbolize categories of
contrasting properties, such as man and woman, sovereign and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Yang
subject, movement and stasis.
그 자리에서 바로 일어나는 감흥이나 기분에 따라 하는 성질을 뜻하며 주
로 음악의 즉흥성과 즉흥 연주 등 공연 예술에서 많이 쓰인다. 한국의 전통
미술에서 즉흥성은 표현 도구 즉 수묵의 운용에 따른 선의 다양한 표현과 한
번의 움직임으로 표현되는 고유의 멋과 관련이 있다. 일회성으로 표현된 선은
일정하지 않고 변화감이 있어 운율감이 들게 하며 시선의 흐름을 유도하며 Improvi son
운율적 요소를 연출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들게 한다.
제 4장
즉흥성
Refers to impromptu inspiration or feeling, and is mainly used in
the performing arts. In Korean traditional art, improvisation is related
to the various expressions of line made by the usage of tools and a distinct style expressed by a single movement. Lines expressed in an
instant are not constant, and induces the flow of attention by creating variety, and a sense of natural feelings and rhythms.
147 l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1단계 1차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2단계
2~3차시
3단계
4~5차시
4단계
6~7차시
l 148
학습 주제
학습 활동
한국의 자연관과
한국화에서 산수화를 그리기 전 제작되는 화첩의 방
시서화 일치:
화첩 제작하기
한국의 필묵의 정신성:
한지에 그리고 시 쓰기
한국화의 자연성, 즉흥성:
장지에 산수화 만들기
한국화 전시: 전시하기
식을 이해하고 샌프란시스코의 풍경을 모아 화첩을 제작하면서 한국의 자연관과 시서화 일치를 이해한다.
화첩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지에 자유롭게 그리고 시
를 써 본다.
한지, 붓, 먹의 작용을 통해 미세한 숨결과 감정을 전
달하는 필묵의 정신성에 관하여 체험한다.
한지의 그림을 모아 장지에 오려 붙이고 산수화 방 식으로 단체 작품을 만든다.
수묵과 붓의 운용을 통해 그리는 사람의 감정을 나타
내는 방식을 체험하고 한국의 미감인 자연성, 즉흥성
을 이해한다.
단체 작업과 화첩을 모아 전시한다. 영상 작품으로 그림, 풍경, 작업 모습을 같이 상영하 고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의 시서화 일치: 화첩 제작하기
수업 목표: 한국화에서 산수화를 그리기 전 제작되는 화첩의 방식을 이해하고 샌프란 시스코의 풍경을 모아 화첩을 제작하면서 한국화의 산수화 제작 방식을 이
해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수업 준비물: 화첩, 작은 붓, 먹, 샌프란시스코 풍경 사진 동기 유발: 본인이 가장 인상 깊었던 샌프란시스코의 풍경은 어디인지 생각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가장 인상 깊은 샌프란시스코의 풍경과 기억이 담겨 있는 사진을 모아 화첩에 붙인 다.
Ÿ Ÿ Ÿ Ÿ
위의 풍경에서 연상되는 그림을 먹과 붓을 이용하여 화첩에 그린다. 화첩의 연결된 부분을 활용하여, 길게 혹은 한 면만 그릴 수 있다.
그리기에 자신이 없는 경우 연필로 먼저 밑그림을 그리고 먹선으로 그을 수 있다. 풍경에서 연상되는 시를 지어 붓을 사용하여 화첩에 써 본다.
제 4장
Ÿ
농묵뿐 아니라 연한 담묵을 활용하여 조형하면 다채로운 표현이 가능하다.
평가: 화첩의 내용에서 그림과 글이 서로 조화를 이루었는가? 본인만의 풍경에 대한 인상이 강하게 나타났는가?
2단계
한국의 필묵의 정신성: 한지에 그리고 시 쓰기
수업 목표: 화첩에 그려진 풍경을 바탕으로 한지에 먹과 붓으로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쓰면서 작가의 감정과 주관을 미세하게 반영하는 필묵의 강한 정신성에 관
해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다양한 한지, 중간 크기의 붓, 먹, 제작된 화첩 동기 유발: 다양한 한지에 자유롭게 먹과 붓으로 선을 그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제작된 화첩을 바탕으로 다양한 한지 위에 먹과 붓으로 그림을 그린다.
순지, 장지, 화선지, 닥지 등 다양한 한지에 따른 선의 변화를 체험한다.
제작된 화첩을 바탕으로 다양한 한지 위에 먹과 붓으로 시를 쓴다. 그림과 시의 조화
149 l
를 생각하여 표현한다. Ÿ
한글로 시를 쓸 경우 자유로운 방식이 가능하며, 세로로 쓸 경우와 가로로 구성할 경
우를 나누어 실험해 본다. Ÿ
작가의 감정과 호흡을 그대로 민감하게 전달하는 붓의 작용을 체험하고 삼투 현상으
로 인한 수묵이 가지는 표현의 깊이감을 이해한다. Ÿ
번져 나가는 발묵과 붓의 맛을 살리는 갈필 등 다양한 붓의 사용을 체험한다.
평가: 한지에 본인의 그림과 한글로 시 쓰기가 자유롭게 표현되었는가?
한지 위에서 주관적인 감정과 느낌을 섬세하게 드러내는 수묵의 작용과 효과가
잘 나타났는가?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3단계 수업 목표:
한국화의 자연성, 즉흥성: 장지에 산수화 만들기
한지의 그림을 모아 장지에 오려 붙이고 산수화 방식으로 단체 작품을 만든
다.
수업 준비물: 100호 장지, 한지 위의 그림과 시, 붓, 먹, 풀 동기 유발: 장지 위에 자유롭게 한지 그림을 펼쳐 본다. Ÿ Ÿ Ÿ Ÿ
교수 학습 활동:
100호 장지 위에 한지에 제작된 그림과 시를 펼쳐 오려 붙인다.
넓은 한지 위에서 자유로운 행위 예술 형식의 수묵 작업이 가능하다.
펼쳐진 장지를 바닥에 놓고 조의 특성에 맞게 먹을 뿌리거나 굵은 먹선을 긋거나, 여
백에 글을 쓰는 등 단체 작업을 한다. Ÿ
가로로 길게, 세로로 길게 하는 방식의 종이 자체의 변화와 담묵 위주, 농묵 위주, 필
선의 변화 위주 등 각 조의 특성에 맞도록 각각의 장지 작업을 지도하면 전시할 경우
다채로운 작품을 얻을 수 있다. Ÿ Ÿ
한국의 미감인 자연스러움과 즉흥성을 살려 단체 작업한다.
한국의 미감을 작업의 결과에서뿐 아니라 작업의 과정을 통해서 체험한다.
평가: 장지 위의 수묵 작업을 통해 수묵의 특성과 붓의 효과를 잘 나타내었는가? 각자의 개성에 맞는 단체 작업이 이루어졌는가?
4단계
한국화 전시: 전시하기
수업 목표: 제작된 장지 단체 작업과 화첩을 전시하여 감상한다.
l 150
수업 준비물: 장지 단체 작품, 화첩, 영상 작품 동기 유발: 단체별 작품을 전시할 공간을 의논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Ÿ
장지 단체 작업을 종이 재질을 살려 벽에 전시한다.
한지의 모양 자체에 변화를 주면 전시가 다채로운 효과를 볼 수 있다. 개인 화첩을 전시한다.
탁자에 진열하는 방식을 취한다.
한지의 실험 작업도 우수작은 선발하여 전시할 수 있으며, 부채 등에 간단히 그려 함께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Ÿ
전시할 수도 있다.
Ÿ
작업 과정, 한국의 산수화, 샌프란시스코의 풍경을 담은 영상물을 함께 상영한다.
평가: 전시의 준비 과정과 결과가 상호 협력하에 잘 이루어졌는가? 작품이 벽면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전시되었는가?
제 4장
참고 자료 지도상 유의점: 산수화의 이해 Ÿ
1단계에서의 화첩 제작은 우리나라의 산수화 제작 시 실제로 사용한 방식으로, 화가
들은 여러 차례의 밑그림을 화첩에 직접 그려 모아 그리고, 다시 커다란 산수화를 완
성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을 통해 화첩 제작이 산수화 제작을 위한 선행 작업임을 인
식시킨다. Ÿ
서양에서는 원근법이 발달하여 모방에 관한 환영이 이루어지고 합리적인 사고가 가능
해졌다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시각법으로는 산수화에서 주로 사용된, 마치 하늘에 서 내려다본 듯한 ‘부감시’가 있다. 이는 겸재 정선(兼齋 鄭善, 1676~1759)이 금강
전도를 그리기 위하여 금강산의 여러 장소를 수차례에 걸쳐 사생하고, 이를 통합하여
마치 지도와 같이 하늘에서 내려다본 듯한 시점으로 그려 낸 방식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감시에 관한 이해와 조형적으로 그리는 방식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
야 한다. Ÿ
여러 학습자의 그림과 시를 통합하는 방식으로 작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면 안에
서 충분한 조화가 이루어지도록 전체적인 효과를 고려한다. 붓의 사용에서는 ‘골법용
필’이라 하여 인체의 뼈와 같은 구조적인 힘을 요구했고 먹의 표현에 있어서는 ‘기운
생동’이라고 하여 그리는 작가의 감정과 주관이 그대로 다 드러나는 바에 주목하였 다. 이러한 필묵의 작용과 수묵의 표현에 주력하여 재료를 제시한다. 전체적인 단체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한국적 미감인 ‘자연스러움’과 ‘즉흥성’을 강조한다. 극도로
인위적인 중국 미술이나 장식적인 일본 미술과 다른 한국의 미감에 관하여 설명하고
이를 작업에 적용한다.
151 l
1단계 수업 보충 설명 Ÿ
전통적으로 화첩을 만든 방식은 산수화를 제작함에 있어 선행된 과정이었다. 정선은
금강전도를 그리기 전 세 번 금강산을 올랐다고 한다. 두 번은 그의 나이 37, 38세
때였고, 세 번째는 72세 때였다고 하는데 산을 오르는 과정에서 그는 휴대한 화첩에
열심히 풍경들을 옮겼다. 한눈에 모두 들어오는 규모가 아니었기에 특징 있는 곳들을
따로따로 그려서 나중에 한 그림으로 조합을 한 것이 바로 금강전도였다. “금강전도”
는 그가 그렸던 작은 화첩(해악전신사생첩) 속의 금강산 풍경들을 모아서 만든 것이 다. 위 그림들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 시대 산수화는 자기가 마치 헬기를 타고 위에
서 내려다본 듯 화면을 설정한다. 그것은 감상자가 산수화를 마치 산행 안내도처럼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큰 규모의 자연을 한 화면에 표현하기 위한 방식이었다. 동양
의 산수화는 일반적으로 그림의 구도를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점(부감시)으로 잡아
서 제작하였으며, 정선은 “금강전도”를 제작함에 있어서도 위에서 내려다본 시점을 이용하여 한눈에 금강산을 볼 수 있게 만들었다.
Ÿ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는 금강산의 여러 봉우리를 서로 다른 시간에 사생하여 한 화면에
통합함으로써 여러 장소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부감시의 대표적인 예시가 될 수 있다. 왼쪽 상단의 글이나 본인의 이름을 낙관과 함께 써 넣는 것은 시서화 일치에 따른 것
이다.
금강전도(金剛全圖), 정선, 1734년. 국보 제217호, 130.7 x 59㎝. 호암미술관 소장
Ÿ
겸재 정선(兼齋 鄭善, 1676~1759)은 조선 시대에 우리나라를 직접 돌아다니며 그림
으로 그 정취를 표현했던 화가이며 진경산수로 유명하다. 겸재 정선 이전의 산수화는
중국화를 그대로 들여온 것을 모방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정선에 이르러 우리나라
의 산천을 사생하여 그리기 시작했다. 아래의 그림 도판은 앞의 금강전도를 그리기 위한 화첩 안의 그림들이다.
l 152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만폭동, 정선, 33.2 x 22.0cm
단발령 금강산, 정선, 36.0 x 37.4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단계 수업 Ÿ
3단계 수업에 이루어지는 단체 작업은 수묵의 특성을 이해하여 한국의 미감과 함께 각
Ÿ
제 4장
조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전문 강사가 지도한다. 다음은 그 예가 될 수 있다.
1조: 샌프란시스코의 언덕길과 금문교 등의 다리는 샌프란시스코의 상징물이기도 하 다. 이러한 길을 중심으로 하는 구조물을 테이프 감기 작업과 수묵으로 뿌리기 하는
행위 예술로 처리하는 것은 동양의 미술 중 서양의 미술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분
야 중의 하나인 서체 미술에 관한 이해가 될 수 있다. 다음은 샌프란시스코의 특징적
인 금문교의 풍경과 서체 미술의 영향을 받았던 추상 표현주의 미술이다. 장지를 펼
쳐 놓고 필묵으로 수업을 진행할 경우 작가의 감정과 호흡을 그대로 전달하는 기운생
동과 먹선에서 인체의 뼈에 해당하는 골기를 추구했던 골법용필의 미감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장지를 바닥에 펼치고 선을 그을 경우 발생되는 행위 예술적 요소를 극대
화하면 이러한 필선의 이해와 표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Ÿ
2조:
시서화 일치의 문인화가로 가장 유명한 사람은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이
다. 그는 18세기 예단의 총수로서, 뛰어난 화가로, 문장가로, 한성 판윤을 지낸 관리
로, 또 단원 김홍도와 자하 신위의 스승으로도 유명한 인물이다. 그는 스스로 서화를
제작할 뿐 아니라 높은 감식안을 가진 감식인이자 서화 평론가로도 이름이 높았다. 그는 여러 작가의 작품에 서화평을 많이 남기는 방식을 통해 조선 후기 화단의 흐름
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안휘준 외, 2006). 강세황은 시를 그림으로, 그림
을 시로 전환하여 제작하기도 하고 그림이 전하고 싶은 바를 시로 완성하는 등의 시
서화 일치를 아주 잘 보여 주는 작가이다. 다음은 강세황의 작품으로 시서화 일치의
문인화 정신을 잘 보여 준다. 아래의 예시 작품에서 여백에 자연스럽게 쓰인 시 구절
이 그림과 하나 되어 조화롭게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의 글은 그림과 다름
없는 조형 요소로서 그림 안에서 작용한다.
153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강세황, <호가일도>,
견본채색, 조선 시대 이미지 출처
금강전도, 만폭동, 단발령 금강산: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서울: 돌베개
강세황: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staldo&logNo=50036269931
l 154
프로그램 2. 한국의 색을 영상에 담다: 한국 문화 다큐멘터리
개요 한국 음식(불고기, 비빔밥, 김치, 갈비, 잡채, 떡볶이 등), 한복, 태권도, 사물놀이, 서
예, K-pop 등 대표성 있는 한국 문화를 주제로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유튜브 등과 같은
누리소통망 서비스(SNS)에 소개한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수강생의 시각에서 본 한국
문화의 특징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스토리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한다. 또한 시각적으로도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한국 문화 예술에서 받은 인상과 느낌이 보이도록 효과적으로 영상물을 제작한다.
다양한 생활 문화 가운데에서도 조형적이고 예술적인 주제 하나를 선정하여 깊이 있
게 관찰하고 표현한다면 보다 심도 있는 한국 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생활 문화 속에 담긴 한국의 색채를 찾아 이를 강조하는 영상을
제작한다. 한국의 전통 색채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발견하는 가운데 다양한 일상생활 문화 가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 한국 사람들의 생활 양식에 영향을 주는지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한국 문화를 수동적으로 감상하고 습득하는 것을 넘어서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자신 의 시각을 통하여 새롭게 보여 준다.
제 4장
§ 누리소통망 서비스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세계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른 지역의 세종학당이나 한국 문화에 관심이 있는 집단
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한다.
§ 각 지역을 하나로 묶는 한국 문화 다큐멘터리 공모전을 누리소통망 서비스를 통해 개 최하여 적극적으로 한국 문화를 알리는 계기를 마련한다.
핵심 용어
한국의 색, 음식, 한복, 태권도, 사물놀이, 서예, K-pop, 누리소통망 서비스(SNS), 유튜브,
인터넷, 다큐멘터리
155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2. 한국의 색을 영상에 담다: 한국 문화 다큐멘터리 대표적인 한민족 고유의 무술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투기 운동이자
대한민국의 국기이다. 태권도는 아무런 무기 없이 언제 어디서나 손과 발을 이용해 공격 또는 방어하는 무도로 신체 단련을 위한 목적과 함께 정신적 무
장을 통한 올바른 인간화를 중요시하는 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손과 발, 또
는 몸의 각 부분을 사용하여 차기, 지르기, 막기 따위의 기술을 구사하면서 공격과 방어를 한다. 단체전과 개인전이 있으며 개인전은 체급별로 이루어진
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태권도
Taekwo ndo
refers to a classic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as well as an
international and Korean national sport. Taekwondo uses hands and
feet without other weapons for attack and defense. In addition to
physical dexterity, it places a high emphasis on proper humanization via mental discipline. Training includes using hands, feet, and other parts of the body for kicks, punches, and blocks. There are team and
individual competitions, and individual competitions are divided by
weight categories.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한민족 고유의 의복으로서 조선 옷이라고도 한다.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우며, 특히 여자 옷은 짧은 저고
리와 넉넉한 치마가 어울려 옷차림이 단정하고 아담하다. 예복과 평상복이 나
뉘어 있으며 남녀별 성인과 어린이용, 계절별로 나뉜다. 현재는 평상복보다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 경사, 상례, 제례 따위에서 주로 입는다. 남자는
통이 허리까지 오는 저고리에 넓은 바지를 입고 아래쪽을 대님으로 묶으며,
여자는 짧은 저고리에 여러 가지 치마를 입는다. 발에는 남녀 모두 버선을 신
한복
Hanbok
(Korean
는다. 출입을 할 때나 예복으로 두루마기를 덧입는다.
refers to Korean traditional attire, also called Chosun dress. Its
Traditio
beauty comes from the harmonizing of lines and some curves,
Attire)
consisting of a short upper jacket and full skirt. Hanboks can be
nal
including
women’s
costumes
that
are
especially
neat
and
tidy,
divided into formal and casual, as well as separate and seasonal
attire for men and women, adults and children. Today, Hanbok attire
is worn for formal occasions, including: national holidays, funerals, and rituals. Men wear roomy pants that come up to the waist and
are tied at the ankles. Women wear short upper jackets and a variety
of skirts. Everyone wears beoseon (Korean socks), and a durumagi (Korean traditional overcoat) for going out.
l 156
고기나 나물 따위와 여러 가지 양념을 넣어 비벼 먹는 밥으로 골동반(骨
董飯)이라고도 한다. 전주비빔밥이 가장 유명하며, 계절에 따라 재료를 바꾸 어 만든다. 고슬고슬하게 지은 밥 위에 여러 가지 나물을 색을 맞추어 담아내
는 음식으로, 나물은 계절에 맞추어 고르는데 색채와 영양소의 배합을 조화롭
게 구사한다. Bibimba b
refers to a dish of rice served with meat, vegetables, and various
sauces. It is also known as “a dish that moves people’s soul.”
Bibimbab from the Jeonju region (Jeonju Bibimbab) is the most
popular,
and
ingredients
change
with
the
season.
Amongst
its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비빔밥
components, the rice has to be cooked properly and the vegetables
come in a variety of colors. The vegetabl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ason, the harmonious mixing of colors, and their nutritional value.
한국의 대표적인 채소 발효 식품으로 소금에 절인 채소에 젓갈과 양념을
섞어 저온에서 발효시켜 만든 것으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
식 중의 하나이다.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향학적으로 우수하며 특
히 채소가 부족한 겨울철에 비타민의 공급원이 되어 왔다. 지역과 계절, 재료
김치
Kimchi
제 4장
와 조리 방법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
refers to Korean vegetable fermentation. It is a cold fermentation
process typically consisting of a salted vegetable mixed with salted
fish and seasonings, and is essential to every Korean meal. Kimchi with its various minerals and vitamins is nutritious, and has been an
important supply of vitamins in winters when vegetables were scar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kimchi according to region and season that yield differences in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북·장구·징·꽹과리 네 가지 민속 타악기로 연주되는 음악, 또는 그 음악에
의한 놀이로 1978년 ‘사물놀이’라는 이름으로 결성된 풍물 연주 단체에 의해
사물놀이 Samuln ori
(Traditi onal
percussi on
quartet)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초창기에는 네 명이 앉아서 각각 하나의 악기를 연주하
였으나, 이후 서서 연주하기도 하고 연주자의 숫자를 늘리기도 하는 등 차츰
그 범주를 확장하고 있다. refers
to
music
played
with
four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s: the drum; the janggu (double-headed drum); the jing
(gong), and the kkwaenggwari (small gong). It was first introduced in
1978 by the name “samulnori,” denoting a traditional performing band. In its earlier form, four people played each instrument seated,
but later its meaning has shifted as the instruments are now played while standing or by multiple people.
157 l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학습 주제
1단계
한국 문화 주제
1~2차시
2단계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3~4차시
3단계 5차시
l 158
정하기
다큐멘터리 제작 계획 세우기
감상하고 토론하기
학습 활동 한국 문화 찾기 <문화 열차 만들기>를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경험을 토론,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무
엇을 할 것인지 주제를 정한다.
조별로 결정된 한국 문화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완 성한다. 정해진 이야기에 맞는 촬영 계획표를 완성한
다.
완성된 동영상을 감상하고 한국 문화의 특징에 대하
여 알아본다.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 문화 주제 정하기
수업 목표: 한국 문화에 대한 경험을 서로 이야기 나누고 공유한다.
문화 열차 만들기를 통하여 다양한 한국 생활 문화를 익힌다.
수업 준비물: 전지, 색종이, 색연필, 크레파스, 한국 음식, 한복, 태권도, 사물놀이, 서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예, K-pop 등을 소개할 수 있는 사진 혹은 동영상
동기 유발: 본인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해 알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교수 학습 활동: Ÿ
한국 <문화 열차 만들기>
- 학습자 각자가 지금까지 직접 한국 문화를 체험했던 경험들 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내 용과 느낌을 한국 <문화 열차 만들기>를 하면서 공유한다.
- 조별 혹은 개인별로 한국 문화 찾기를 통하여 나온 주제 중 하나를 선정한다. 이때,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조를 구성하거나 개인이 주제를 선택한다. 또는 알고는 있
제 4장
는데 경험하지 못한 한국 문화를 주제로 선택하거나, 잘 알지 못하는 주제를 선택하
여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에 알아 가는 과정도 갖는다. Ÿ
조별 혹은 개인별로 한국 문화에 관한 이야기들을 나누고, 토론한다. 토론한 내용을 바탕으로 무엇을 촬영할 것인가를 발표한다.
평가: 한국 문화에 대한 경험을 생각해 보고 이야기할 수 있는가? 2단계
다큐멘터리 제작: 계획 세우기
수업 목표: 조별로 결정된 한국 문화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작성한다. 정해진 이야기 에 맞는 촬영 계획표를 완성한다.
수업 준비물: 도화지(4절지), 마커, 테이프 혹은 압정(조별 계획표가 도화지 위에 완 성되면 발표)
동기 유발: 정해진 주제에 관하여 연상되는 모든 단어를 이야기해 보자. 교수 학습 활동: Ÿ
1단계 내용을 바탕으로 다큐멘터리 제작 계획표를 그린다. 계획표를 작성할 때 가장 중
요한 것은 육하원칙(누가(who), 언제(when), 어디서(where), 무엇을(what), 왜(why), 어떻게(how))에 의하여 주제를 점검하는 것이다.
Ÿ
다큐멘터리 제작 과정을 위한 다음의 단계를 따라 진행한다.
159 l
1. 육하원칙에 의해 간단한 줄거리를 정리한다.
2. 조별로 할 일을 정한다.(누가 촬영할 것인지, 면접이 있다면 질문 내용은 어떤 것인지 등)
3. 촬영 장비를 결정한다. 전문 영상 제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일상적으로 가정용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는 수준의 준비를 요한다. 요즘
에는 아이패드나 갤럭시탭에서 영상 촬영뿐만 아니라 편집도 가능하다. 또한 누리소통
망 서비스(SNS)에 자료 전송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 게 사용한다.
4. 촬영 일정을 점검한다. 한국 문화원, 한인 타운, 박물관 등 한국의 다양한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장소를 방문하여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함께 제작한다. 혹은 동영상 자료와 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적으로도 가능하다.
5. 최종 다큐멘터리 촬영 계획표(기획서로 대체할 수 있다)를 발표하고 각 조별로 촬영 일 정을 확인한 후 수업을 종료한다.
6. 조별 혹은 개인별로 준비된 주제에 맞는 촬영을 진행한다.
7. 제작된 동영상을 유튜브 등과 같은 누리소통망 서비스에 자료를 전송한다. 평가: 협력적으로 한국 문화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는가? 한국 문화에 대한 자신 의 경험이나 생각을 영상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3단계
감상하고 토론하기
수업 목표: 완성된 동영상을 감상하고 한국 문화에서 발견된 공통된 특징이나 차이점 을 토론한다.
수업 준비물: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인터넷과 빔 프로젝터 교수 학습 활동: Ÿ
2단계에서 제작된 다큐멘터리 작품을 감상하고 토론한다.
- 한국 문화에 대하여 무엇을 배우게 되었는가? - 촬영하면서 어떤 일화가 있었는가?
- 한국 문화 중에 가장 선호하는 것은 무엇인가? - 가족과 친구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평가: 한국 문화에 관한 다큐멘터리 감상과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l 160
참고 자료 지도상 유의점 Ÿ
이 프로그램은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초급 한국어 수강생, 혹은 한국 문화 에 관심이 많은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구성하면 적합할 것이다.
Ÿ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한국 문화에 대한 대략적인 특징을 짧게라도 소개해 주면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다큐멘터리 제작이라고 해서 거창한 장비를 고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일상생활에서 사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Ÿ
용하고 있는 개인 소지품을 활용하여 최대한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 로 한다.
Ÿ
누리소통망 서비스(SNS)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동영상이 단순 동영상의 역할뿐 아
니라 문화 예술의 확산에 널리 활용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문화
자원의 공감대 형성에는 언어 이상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동영상은 말로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이해시키기 쉬울뿐더러 확장성이 높다.
Ÿ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로 촬영할 때에는 소리의 녹음 상태에 각별히 유의할 수 있도
록 수강생들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다.
Ÿ
제작할 때는 서투르더라도 한국어를 사용하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그렇지 못
제 4장
할 경우에는 중요 핵심 단어만이라도 한국어로 소개할 수 있도록 한다. <문화 열차 만들기> 활동 단계 (1단계 수업 활동) 1. 문화 열차에 대하여 소개한다.
2. 개인별 전지, 종이, 색종이, 색연필, 크레파스, 풀 등을 나누어 준다.
3. 전지에 출발역, 간이역, 종착역을 그리고 각 역에 4~5칸의 객차로 된 열차를 그린다.
4. 각 역에 그려진 열차의 객차 부분 상단에 풀칠하고 색종이를 상단 부분만 붙인다.
※주의 사항 - 색종이 상단 부분만 붙여 색종이를 넘겨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각 역의 역할 - 출발역-
출발역의 열차 객차에 붙은 색종이를 넘기고 자신이 알고 있는 한국의 아름다운 문화들을 하나씩 적는다. (예: 절, 윗사람 공경하기, 성실한 삶, 아름다운 건축)
-간이역-
간이역의 열차 객차에 붙은 색종이를 넘기고 한국에 관하여 들었던 왜곡되었거나
부정적이라고 생각되는 문화들을 적어 본다. (예: 불친절, 외국인에 대한 편견 등)
-종착역-
종착역의 열차 객차에 붙은 색종이를 넘기고 자신의 나라와 비슷한 문화를 적어 본다.
161 l
(예: 식사 예절, 결혼식, 어른 공경 등)
6. 완성된 문화 열차를 벽에 붙여 전시한다.
7. 다른 사람의 문화 열차를 감상하고 색종이 밑에 적힌 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색종이 위에 적는다.
8. 완성된 각자의 문화 열차를 확인한다.
추가 활동 및 참고 자료 (2단계 학습 내용) Ÿ
2단계 수업 과정에서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면서 직접 한국 음식, 공예품 등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예를 들어 비빔밥을 만드는 과정을 학생들과 함께 견본으로 제작해 본다. 이때 비빔
밥에 들어갈 각종 나물의 이름과 양념의 이름을 한국어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세종학당 내에서 여건에 따라 김치, 떡볶이를 만드는 과정도 다큐멘터리로 촬영
이 가능할 수 있다. Ÿ
수업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진행한다.
추가 활동 및 참고 자료(3단계 학습 내용) Ÿ
상영된 다큐멘터리에 대한 관객 반응을 점검하여 최다 관객상, 인기상, 우수상 등 작은 영화제를 기획할 수 있다.
Ÿ
수업 시간에 만든 영상을 가족, 친구들을 초청하여 함께 감상하며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다큐멘터리 제작 시 유의점 Ÿ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는 주제에 관하여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Ÿ
음식, 의복 등의 주제에 관하여 관련 사진을 연결하는 것을 넘어서, 주제가 가진 의미, 구체적인 절차 혹은 내용, 문화적 상징성 등을 알아보도록 한다.
Ÿ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한 한국 문화 탐구의 예시: 태권도 [의미와 특징]
- 대표적인 한민족 고유의 무술로,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투기 운동이자 대한민국
의 국기이다. 태권도는 아무런 무기 없이 언제 어디서나 손과 발을 이용해 공격 또는
방어하는 무도로 신체 단련을 위한 목적과 함께 정신적 무장을 통한 올바른 인간화를
중요시하는 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 태권도는 어떤 무기의 사용도 없이 인체를 사용하지만 일편필승의 가공할 공격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태권도는 방어를 우선하는 기술 습득 원리를 강조한다. 이는 평화
와 공정성을 존중하는 태권도의 정신적 기반에서 비롯한다. 이를 통해 태권도는 배우
는 이가 수련의 목적을 결코 남을 공격해서 제압하려는 것이 아니라 자기 극복의 고
결한 태도에 두도록 만든다.
- 신체 운동으로서 태권도는 어린이의 성장 발육, 청장년과 노인의 체력 증진, 여성의 건강과 미용 증진에 큰 효과가 있다. 태권도의 기술 체계와 운동 형태는 신체의 각
분절을 좌우 균형 있게 구사하도록 짜여 있어, 인체 관절의 유연성이 고르게 발달하
l 162
도록 한다. 그리고 문명 발달에 따라 가중되는 정신적 장해, 스트레스 해소에도 큰 도움을 준다.
- 맨몸 투기로서 태권도는 맨손과 맨발로 상대방을 타격하는 기술 체계를 갖는다. 특히 다른 무술과 뚜렷하게 차이를 갖는 것은 위력적이고 다양한 발 기술이다. 발 기술이야
말로 태권도가 세계 최강의 투기라 말할 수 있고 태권도가 차별성 있는 종목으로서 존 재하는 이유이다.
[경기 방법]
- 경기 중에는 손 기술과 발 기술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 타격 부위에 명중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하면 점수를 얻게 된다. 손 기술은 오른 주먹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의 앞부분
을 이용한 공격이어야 유효하며 발 기술의 경우는 복숭아뼈 아래의 발 부위를 이용한
공격이어야 한다. 경기 시간의 경우, 남녀 모두 3분 3회전, 회전 사이 휴식 시간은 1
분이 주어진다. 경기의 시작과 종료는 매 회전마다 주심의 “시작!” 선언으로 개시되
며, “그만!” 선언으로 종료한다.
- 경기 진행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가. 선수는 주심의 “차렷”, “경례”에 따라 감독관을 향해 입례한다.
나. 선수는 주심의 “좌우향우”에 따라 마주 보고 “경례”
제 4장
에 따라 입례한다.
다. 주심의 “준비”, “시작”에 따라 경기를 개시한다.
라. 선수는 마지막 회전이 끝나면 지정된 위치에서 마
주 보고 주심의 “차렷”, “경례”에 따라 입례한 후 바로 서서 판정을 기다린다.
마. 주심은 경기 결과에 따라 승자의 손을 들어 선언한 다. 단, 부상으로 인해 승자가 선수 위치에 서 있지
못할 경우 주심은 자신의 승자 쪽 손을 들어 선언한 다.
바. 선수 퇴장 [태권도 도복]
- 기원: 벽화나 그림 같은 것을 보면 투피스 형태의 복장이 있는데 이것이 전통 복장이라
할 수 있다. 전통 복장을 보면 띠를 두르고 있는데, 그 모습 그대로 따온 것으로 볼 수 있다.
- 철학: ‘삼재 사상’, ‘삼극’이라고 하는 원, 방, 각 즉, 원과 사각형과 삼각형으로 이루 어져 있다. 도복의 상의나 하의를 펼쳐 놓고 보면 모두 사각형이다. 그리고 원은 도
복을 입었을 때 둘레로 둥근 원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각에는 도복 윗옷 옷깃 부
분이 삼각형으로 각이 잡혀 있고, 바지도 삼각형으로 된 천 두 개를 붙여 만들어서 다리를 완전히 180도로 벌리더라도 착용감에 문제가 없도록 한 실용적인 의미와 철
학적인 의미가 그대로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삼극은 우리의 ‘한’ 철학에서 기원한
다. ‘한’이라고 하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한 일(一)도 되고, 왕을
163 l
의미하는 글씨가 되기도 하며, 하나라는 의미도 될 수 있다.
- 변천: 1978년도부터 태권도 도복이 바뀌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실용적인 부분에 기 인하였다. 경기를 하거나 도복을 입고 서로 겨루기를 할 때, 도복이 자꾸 밑으로 내
려가거나, 도복 띠 위쪽으로 옷이 올라와 뒤로 자꾸 처지면서 어깨가 드러날 정도로
벌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뒤집어쓰는 도복으로 변화된 것이다.
- 띠: 도복에서 띠는 숙련의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 초보자로 들어가면 흰색, 그다음 에 노란색, 파란색, 빨간색, 검은색으로 구분된다. 이후 유단자는 새로운 시작의 단계
에서 완숙 단계까지 1단에서 9단까지 있으나, 띠의 색상을 따로 구분하지는 않는다. 학생들이 제작한 한국 문화에 관한 동영상 참고 자료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한복 by Joy and Judy: http://youtu.be/2Z3gVNhoRMU 사물놀이 by Sunwoo and Brian:
http://www.youtube.com/watch?v=T08bMuA8JSg&feature=youtu.be
K-pop by Dayhana, and Akiho: http://www.youtube.com/watch?v=w_qmwNZSjwE 동영상 참고 자료
태권도 시범 공연: http://www.youtube.com/watch?v=1ju8w3Ywwrs
태권도 도복에 대한 설명: http://www.youtube.com/watch?v=rrZYizrW_1w
l 164
165 l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특성 웨이하이(위해, 중국어: 威海, 병음: Wēihǎi)는 산둥 반도의 동쪽에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북․동․남쪽은 황해에 면해 있고, 북쪽 방향은 랴오둥 반도와 가깝고, 동쪽
방향은 한반도와 아주 가깝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중국 내 18개 세종학당 중 한 곳으로,
산동 대학교 위해 분교로 2008년 11월에 개원했다.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웨
이하이는 한국 교민, 한국 기업이 상당수 진출하여 한중 양국이 공존하는 곳이다. 따라서
한국어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아 한국어 수요가 매우 높은 편이다. 현재 웨이하이에는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한국 문화 테마파크가 건설 중에 있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1년 2학기 구성으로 1학기는 2월 말부터 6월까지, 학기는 9월부터 12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월까지 운영된다. 현재 초급 7개 반, 중급 1개 반 총 272명의 학생에 10명의 강사가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학기별 3회 한국 문화 특강을 하고 있으며, 한국어 말하
기 노래 대회나 한국 문화 체험 행사 등을 연 2회 개최, 한글날 기념 백일장도 연 1회 개최하
는 등 문화 행사가 다양하며, 주말 사물놀이반을 운영해 각종 행사에 초청되어 공연을 하고 있
다. 수강생은 20~29세가 주를 이루고, 현지 한국 교민과 교류를 하거나, 한국 기업에 취업하기
위해 수강하는 학생이 많다. 한국 드라마, 음식 등 한류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여성 수강생이
압도적으로 많아 감성적인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대중음악이나 전통 공예를 배우고 싶어 한다. 특히 웨이하이 지역 내 한국인의 수가 3만 명에 달하는 만큼, 한국 문화와 중국 현지 문화와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는 생활 속의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내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특별한 관심은 1996년 최민수, 하희라 주연의 텔레비전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CCTV에서 방영되어 기록적인 시청률(4.2%)을 올리면서 시작
되었다. 1997년 한국 음악을 소개하는 ‘서울음악실’ 방송을 통해 시작된 한류 열풍이 1998
년 말 NRG, 클론 등 한국 가수 공연을 계기로 ‘폭발’했다. 그 이후, 1999년 국내 인기 드라
마 <별은 내 가슴에>가 중국에 소개되어 인기를 얻으면서부터 중국 내 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시작되었다.
‘한류(韓流)’는 중국인들의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열광을 표현하기 위해 2000년 2월 중국
언론이 사용한 말이다. 이후 한국 대중문화 열풍은 중국뿐 아니라 타이완, 홍콩, 베트남, 타
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몽골 등 동남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2000년 이후에는 드라마와 가요, 영화 등의 대중문화뿐 아니라 김치, 고추장, 라면, 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에 대한
선호 현상도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한류 바람에 힘입어 웨이하이 지역은 2010년
을 기준으로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등 약 1,500개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약 3만 명의
한국 교민과 600여 명의 유학생이 생활하고 있다. 연간 한국인 관광객 수는 약 60만 명 안팎 이다. 이처럼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특성은 한국 교민과 한국 기업이 상당이 많으며 한국과도
지리적으로 아주 가깝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한국어의 수요도 높을 수밖에 없다. 그와 더불 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도 상당히 높게 조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사물놀이 교육에 집중하여 지역에 한국의 소리가 울려 퍼
지는 데 많은 공헌을 했다고 자부할 정도로 다양한 활동을 해 왔다. 그리고 서예 전시회,
한복 입기, 김치 만들기 등 한국 전통문화를 중국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해
왔다. 웨이하이 세종학당 수강생들은 대부분이 직장인과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어 낮 시간
동안 시간을 내어 문화 수업에 참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그러나 저녁에 진행되는 수업
에는 참여도가 높아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상황이다.
l 166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경우 한류의 영향과 현지 한국 기업의 활발한 기업 활동과 취업 등
으로 한국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한국 기업에 취업하기 위해 한글을 배우는 젊은
이들이 많이 있다. 한류의 원산지라고 할 수 있는 중국에서는 한국 문화 자원에 대한 관심
이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한국 드라마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과 사랑은 한
국 내에서의 관심과 사랑을 넘어선다. 중국인들은 K-드라마를 통해 한국을 배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한국의 문화적 생태를 드라마를 통해 배우고 있고 동경하고 있다.
특히, 드라마 속에 비친 한국의 예절에 깊은 관심과 존경을 표하고 있다. 아마도 과거에는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중국에도 있었는데 지금은 사라져 버린 예절 문화에 대한 그리움이 많이 작용한 것으로 보
인다. K-드라마와 더불어 한류의 원조이자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극대화되고 있는 K-pop
은 웨이하이 지역뿐 아니라 중국 전 지역에서 초미의 관심사다. 예전에는 노래 자체를 즐겼
다면 지금은 노래와 춤을 동시에 즐기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는 시기를 적절히 활용하여 한국 예술 문화 교육을 시행할 경우 한국어
교육의 효과는 더욱더 극대화될 수 있다.
중국 사회의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배경으로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생활 문화에 관한 관
심은 상당이 높다. 그중에서도 한국 문화는 그들에게 특별히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드
라마, 영화, K-pop에 관한 관심은 점차적으로 전통문화인 사물놀이, 탈춤, 전통 놀이, 서예
제 4장
등으로 그 깊이를 더해 가고 있다. 웨이하이뿐 아니라 중국 전역에서 한국 문화는 자랑스러운 아시아의 선진 문화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과 함께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한 다면 현지 교육 수요자들에게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형성된 한
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한글 교육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 발하여 보급하면 한국 문화의 자긍심을 웨이하이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중국 전역에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강점은 한국에서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며 한국 기업
과 교민들이 상당수 진출하여 ‘코리아타운’이 형성될 정도로 한국 문화가 많이 노출되어 있다 는 것이다. 약 272명의 등록 학생과 10명의 강사진 등이 활발하게 한국어와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리고 ‘한중 우호 한마음 잔치’ 행사를 지역이 주축이 되어 시행하고 있을 정
도로 현지와 한국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학기별 문화 특강과 더불어 다채로운 문화 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주말에는 사물놀이반과 같은 특별반을 운영하여 주중에 배우기 힘든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주중 저녁에 주로 수업이 진행되고 많은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이 처한 상황의 특성상 기본적인 한국 문화 행사가 자주
마련되어 있어서 학생들은 한국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연중 생활 문화 행사(설날, 한가위, 한
글날 등)를 한국에서처럼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연중행사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이 개발될 경우 많은 효과와 참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에서 주최한 한국 문화 행사에서 송편 만들기, 김치 만들기 등의 인기
가 높았다. 줄을 서야 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는데, 그것을 준비하면서 사람들에게 보여 줄
167 l
문서 자료를 구하기가 너무 어려웠다고 한다. 인터넷으로 자료를 제공하여 강사들이 쉽게
뽑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유 팩같이 현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로 첨성대 만들기를 얼마든지 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품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는 길잡이 같은
것을 개발하여 각 언어별로 제공하면 강사들이 언제든지 인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한
지 공예 같은 것도 간단한 설명 자료를 개발하여 자료실을 구축해 놓으면 현지에서 충분히 활
용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자료실 제공은 심도 깊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자료
수급이 어려운 현지 상황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기대 효과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누구나가 인정하듯이 중국은 한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고 중국을 중심으로 주변 국
가로 점진적으로 확산되었을 정도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극대화되어 있다. 한
국과 한국 기업, 한국 문화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웨이
하이는 지역적으로도 한국과 가깝고 한국 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취업을 위해서라
도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 상황에 놓여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과 함께 한국 문화 교육
을 시행할 경우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역이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한글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한글 교육과 연관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질 경우 수강생들의
참여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예 전시회를 한 번 개최했는데 한글이 참 아름답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한글을 통한 세계 전파, 아름다움을 전파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물놀이나 부채춤, 소고춤 같은 우리 전통문화 교육을 통한 공연… 현대적인 태권도인 태무 추면 굉장히 멋지거든요. 한국 문화가 전파되면 한국 문화 강사가 전 세계적으로 고용이 창출되는 효과도 있고 한국의 얼도 알릴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 다. (세종학당 관계자 FGI 중 중국 관계자)
위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은 한국 드라마와 K-pop 등 대중문화에 국한된 관심에
서 벗어나 한국의 고유한 전통문화에까지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한
관심과 더불어 심도 있는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제시할 경우 현지 수강생들에게 더 깊이 있
는 관심과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웨이하이 세종학당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연중
행사를 교육과 접목하여 실행한다면 다양한 기대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프로그램은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교육 과정에 맞게 매주 토요일 특별
강좌를 개설하든지 저녁에 16주 정규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정규 교육 과정으로 1년에 학기별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체제가 정착되
었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 일정을 고려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야 효율적인 진
행이 가능할 것이다. 16주 정규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거나 16주를 4주 혹은 8 주로 나누어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매주 토요일은 자체적으
l 168
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만약에 단기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효과
를 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적합하다는 의견이다.
서예 교육을 통한 서예 전시회를 개최, 사물놀이나 부채춤, 소고춤 같은 한 국 전통문화 교육을 통한 공연, 현대적인 태권도인 태무 교육 및 공연, K-pop, 비보이, 난타, 아카펠라 등 일주일이나 열흘 정도 연습하여 공연이 가능 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등을 선호하고 있고요…. (세종학당 관계자 FGI 중 중 국 관계자)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한국 기업들의 활동과 한국인들의 거주가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노출시키고 있고 이미
이러한 이유로 중국의 젊은이들이 세종학당의 한국어 교육과 기타 프로그램에 가지는 기대가
큰 상태다. 모든 세종학당이 비슷한 수강생들의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하고 생각된다. Ÿ
드라마와 영화 감상을 통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배우기
드라마는 중국 현지인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된 계기이자 가장 선호하고 인
기가 높은 한류의 대표적인 문화 자원이다. 현지 젊은 학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드라마를 이용하여 드라마의 한 부분을 프로그램의 소재로 삼는다. ‘드라마 한국어’, ‘영화 한 국어’ 등의 수업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드
제 4장
라마 <대장금>의 일부 장면을 보여 주고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학생들이 역할을
나누어 한국어로 연기를 하여 한국어를 익히고 이를 연습하여 역할극을 무대에 올릴 수도 있 으며, 영상으로 만들어 상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한국어와 한국 문
화를 체험하게 되어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Ÿ
K-pop 노래와 춤을 통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배우기
K-pop은 드라마와 함께 한류를 이끈 문화 콘텐츠이다. 이미 한국어로 노래하는 것이 어색
하지 않을 정도로 K-pop은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K-pop을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으로 만들면 노랫말 알기와 따라 부르기 등을 통해 자연스 럽게 한국어와 현재의 한국 문화를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노래 따라 부르기와 함께 흥겨운
춤 따라 추기도 병행하면 수강생들이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참여하는 수업이 될 것이다. 학습
자끼리 노래 부르기 대회를 개최하거나 춤 경연 대회를 개최하여 학습자들의 참여를 극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K-pop을 배우고 난 후 뮤직비디오 따라 찍기를 하고 서로 감상하는 기회
를 갖는다면 한국 문화에 대해 거부감 없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Ÿ
한글 서예 쓰기를 통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배우기
자신의 이름을 한국어로 써 보는 서예를 통해 자연스럽게 한국어도 익히고 한국의 서예
도 익히는 수업을 할 수 있다. 이름을 잘 쓰게 되면 ‘이름 꽃 만들기’ 수업에서 한글 이름을
한국화와 접목시켜 ‘꽃 그림’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아름다운 시를 한글로 써
보기 수업은 한국의 시와 한국어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최종 결과물
을 전시하여 수강생들에게 뿌듯함을 안겨 주는 기회도 제공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 과적인 수업이 될 것이다.
169 l
Ÿ
중국 현지 문화와 연계하는 ‘탈춤’ 프로그램
웨이하이 세종학당은 ‘한중 우호 한마음 잔치’를 통해 사물놀이를 길거리에서 공연할 만
큼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 크다. 깊이 있는 한국의 전통문화에 관심이 많으며 이러한 수요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지에서 한국 문화를 알
리고 전파하는 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현지 문화와 연계하여 교육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 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중국의 ‘경극’과 한국의 ‘탈춤’을 연계하여 학습할 경우 학습자가 흥
미롭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나라의 전통문화인 ‘경극’과 ‘탈춤’의 접목은 현지 세종학
당의 문화예술교육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모든 세종학당이 한국 문화 교육에만 집중하다 보면 현지인들에게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는 역부족이다. 융복합 시대에
문화 예술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융복합 교육을 실시하여야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우리 문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화를 사랑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현지 문화와 연계하여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것은 세종학당의 미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표 4-4> 중국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특성
인식
내 용 ▪ 한국 드라마, 영화, K-Pop 등 한류를 통해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게 됨. ▪ 취직을 위해 한국어를 선택함. ▪ 예절 바름, 온순한 여성상, 음식 등 드라마를 통해 한국 문화의 이미지를 형성 함. ▪ 온돌, 선후배, 존경, 가족 관계 등 일상 문화에 관심이 높음. ▪ 한국 제품의 상표 가치로 인해 한국 문화를 선호하기도 함. ▪ 세계화 시대 국가의 독특한 문화를 소개하고 교류하여야 함.
필요성
▪ 한국을 정확하게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위하여 문화 교육이 필요함.
- 한류를 통해 소개된 한국 문화의 단면만 보게 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
▪ 한국 문화 교육을 통해 한국인과 중국인이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방향
-자원봉사 등으로 현지 한국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예술 분야의 전문 인력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함. ▪ 차 문화, 서예, 도예, 경극과 하회탈, 산수화, 연, 놀이 등 비교 문화적으로 접
지역화
근할 수 있음. ▪ 현지에서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유연하게 내용과 수준을 조정하여야 함.
- 현지에서도 교육 강사가 가르칠 수 있는 범위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함.
▪ 대중음악과 드라마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임. 프로 그램
- 한국어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음. - 드라마 장면을 체험하면서 한국 문화를 쉽게 익히도록 함.
▪ 미술과 공예 등 비슷한 부분이 많은 전통적인 것은 보급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전통 악기를 배우기보다는 감상할 수 있는 설명이 있는 전통 음악회 등이 효과 적임.
l 170
제 4절ㆍ중국 웨이하이 §
중국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한국 문화 예술이 가지는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독자적 가치를 체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첫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중국인들의 관심을 확장한다. 둘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문화와 중국 현지 문화와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셋째, 다양한 형식의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중화권에 알릴 수 있는 발 판을 마련한다.
§
중국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선정 방향
제 4장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한국의 전통문화
보다는 대중문화 등을 중심으로 현대에 공감하고 교류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한다. 미래 지
향적인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학습자 스스로 상상해 보고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문화 예술의 경험이 되도록 한다.
아래의 그림은 현시점(here & now)에서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학습자들에게 보다 관련성
을 갖는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 대략의 범위를 보여 준다. 명확하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지시하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와 지역 문화, 전통과 미래의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171 l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할 때에 교육 목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교수자, 학
습자, 운영 기간, 문화적 특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세종학당에서는 다음과 같
은 방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웨이하이 세종학당의 특성화 프로그램 중국 웨이하이 프로그램 이름
특징
주요 내용 한국 드라마를 감상하고 대사를 숙지하여
한국인의 생활 속으로: 드 라마 한국어
기초
생활 한국어를 익힘과 동시에 드라마 상황
을 재현하여 역할극을 완성한다. 완성된 역
할극을 간단한 기기를 활용하여 동영상으 로 촬영하여 감상하고 토론한다.
K-pop 노래 따라 부르기와 춤 따라 추기
특성화 프로그램
한국의 대중문화 속으로: K-pop 즐겁게 체험하기
심화
를 통해 한국의 젊은 문화를 체험하고 신 세대 문화 소통 구조를 이해한다. 모둠별로
K-pop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거나
통해 재미있는 한국 문화를 체험한다.
공연을
*드라마는 중국 현지인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된 계기이자 가장
선호하고 인기가 높은 한류의 대표적인 문화 자원이다. 대중문화 자원을 활 용하여 현대 한국 사회의 일상생활과 문화를 경험하도록 할 수 있다.
l 172
프로그램 1. 한국인의 생활 속으로: 드라마 한국어
개요
드라마는 중국 현지인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된 계기이자 가장 선호하고
인기가 높은 한류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이다. 현지 젊은 학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 고 있는 드라마를 이용하여 드라마의 한 부분을 프로그램의 소재로 삼는다. ‘드라마 한국 어’, ‘영화 한국어’ 등의 수업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도록 한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다. 예를 들어, 드라마 <대장금>의 일부 장면을 보여 주고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과 더불
어 학생들이 역할을 나누어 한국어로 연기를 하여 한국어를 익히고, 이를 연습하여 역할극 을 무대에 올릴 수도 있으며, 영상으로 만들어 상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자 연스럽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체험하게 되어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한국 드라마를 감상하고 대사를 활용하여 생활 한국어를 익힘과 동시에 드라마 상황을
재현하여 역할극을 완성한다. 완성된 역할극을 스마트폰이나 디지털카메라, 아이패드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감상하고 토론한다. 학습 목표
§ 드라마를 활용하여 한국의 일상 문화를 이해한다.
제 4장
§ 드라마 속 장면을 체험하면서 한국어를 보다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한다.
§ 역할극, 영상 제작 등을 통하여 생활 속 한국인의 모습을 재현해 보고 공감한다. 핵심 용어
생활 문화, 한국 드라마, 한국 영화, 역할극, 동영상
173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이름: 한국인의 생활 속으로: 드라마 한국어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안타깝고 슬퍼 응어리진 마음의 상태를 뜻한
다. 한의 속성은 맺힘과 풀림의 계기성과 대립의 묶음들로 설명할 수 있는데,
한
恨
맺힘은 타인에 의한 것이고, 풀림은 스스로에 기인한다. 즉 발생과 생성은 모
두 그 전제 조건이 그에 대처하는 마음의 자세에서 온다고 볼 수 있다.
极其埋怨、冤枉,或可惜、悲伤、纠结的心理状态。恨,有结恨和解恨这对相
对的组合来解释。结恨是因为他人,解恨是自己来做的。也就是说,恨的产生是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从发自前提条件的心理状态而来。
사물에 느끼어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 내지 현상으로 한국에서 정은 인간
본성의
하나로
분류된다.
인간
내면의
속성이면서도
인간
행위의
양태
(modality)이기도 하다. 더 나아가서 인간 의식의 내용이 됨으로써 인간관계
의 매듭을 엮은 기능을 다하기도 하는 것이다. 한국인의 일상생활은 천변만화
하는 의미에 걸쳐 정이란 낱말을 사용해 왔다. 인간 본성·수양·인품·인간관계
정
情
등에 걸쳐 쓰이면서, 자연을 대상으로 삼은 시적(詩的) 체험에까지도 쓰이고 있다.
作为从对事物的感受而来的心理作用和现象,在韩国,情是人的本性的一种。
是人的内心活动,也是人的外在行为。进一步说,因为是人的意识的内容,情也
起到了连结人际关系的作用。韩国人的日常生活是千变万化的,从这样的意义
上,使用了情这个字。这个字用于人的本性、修养、人品、人际关系等方面,也
用于以自然为对象的诗歌写作上。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의 상태로 일종의 신이 난 상태라 할
수 있다. 신명은 종교와 예술, 놀이, 노동이 함께하는 생활 문화와 관련된 민 중적 활동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원래부터 몸 안에 들어 있어서 밖으로 내놓
지 않고는 못 배기는 그런 것, 다시 말해 넘치는 생명력으로 인해 어쩔 수 없 이 움직일 수밖에 없는 무의식 상태로서 몸짓의 신명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
신명(흥) 兴致
(兴)
다.
‘깨어 있고 밝은 마음가짐이 힘차게 움직이는 상태’로 각자의 내면에 있는
신명이 일제히 밖으로 나와 여럿이 함께 누리는 것을 ‘신바람’이라 한다.
因为有趣或是愉快而来的感情状态,被称为有兴致的状态。兴致是和宗教、艺
术、游戏和劳动一起,和生活文化有关的大众活动的产物。原来兴致是在身体
里,不释放到外面来就不行的,也就是借着旺盛的生命力不得不运转的无意识的 状态,和身体语言的兴致有密切关系。“清醒着并带着清爽的心情奋力活动的状
态”,各自的内里所有的兴致都释放出来,和许多人一起享受,这就叫“来劲”。
l 174
프로그램의 단계
1단계
한국 드라마
2단계
한국 드라마
1차시
2~3차시
3단계
4~5차시
4단계
6~7차시
감상하기
대본 만들기
한국 드라마 따라 하기
한국 드라마 따라 찍고
감상, 토론하기
학습 활동 한국 드라마를 감상하고 이해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학습 주제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한국 드라마의 대사 특성을 이해한다.
드라마 등장인물의 대사를 대본을 만든다.
완성된 대본을 가지고 드라마 속 주인공들의 역할을
따라 연기해 본다.
각자 역할을 나누어 대본을 외운다.
제 4장
단계
각자의 역할을 단막극으로 보여 준다.
보여 준 단막극을 드라마에서 본 것처럼 촬영한다.
동영상을 감상하며 드라마를 통한 한국어 경험에 대
하여 이야기 나눈다.
175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 드라마 감상하기
수업 목표: 한국 드라마 감상을 통한 한국 문화에 대한 경험을 토론한다. 수업 준비물: 좋아하는 한국 드라마가 무엇인지 모두 이야기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학습자 각자가 지금까지 보았던 한국 드라마 가운데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과 느낌을 공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유한다.
Ÿ
수강생들이 함께 감상하면서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한국 드라마를 몇 가지 소개한 다.
Ÿ
작품의 내용과 등장인물에 대하여 설명하고, 앞으로 함께 감상할 드라마를 수강생들의
선호에 따라 결정한다. Ÿ
다음 차시에서 감상할 작품에서 하나의 상황을 결정하여 대본을 만든다는 것을 알려 준다.
평가: 한국 드라마에 대한 경험을 토론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2단계
한국 드라마 대본 만들기
수업 목표: 한국 드라마 속의 대사 특성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의 대사를 이용해서 드 라마 대본을 만든다. 드라마 상황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앞 차시에 감상한 한국 드라마, 노트북 컴퓨터, 필기도구, 대본 교수 학습 활동: Ÿ
감상한 드라마 속의 대사들을 주인공들의 이름으로 작성한다.
- 대사가 생각나지 않을 것에 대비해 학생들이 동영상 혹은 DVD를 검색하게 한다. 노 트북을 이용하면 효율적일 수가 있다.
-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강사가 미리 준비한 대본에 빈칸을 만들어 한국어 채워 넣기
를 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수강생들 스스로 한국어 대사를 찾아 한글로 작성해 보는 것이다.
- 강사는 알아듣기 어려운 대사나 단어들을 설명해 준다. 이때 인터넷 정보를 이용하 여 바로 대상을 찾아 사진이나 그림 등으로 단어나 상황을 설명해 주면 효과가 크다.
Ÿ
강사는 1단계에서 보여 준 드라마 내용을 미리 대본으로 만들어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활용한다.
평가: 드라마 대본을 만들면서 상황 속에 나타난 문화적 의미 혹은 특성을 이해하였는가?
l 176
3단계
한국 드라마 따라 하기
수업 목표: 완성된 대본을 가지고 드라마 속 주인공들의 역할을 따라 연기해 본다. 각자 역할을 나누어 대본을 외운다.
수업 준비물: 한국 드라마, 의자나 탁자 (휴게실, 응접실 등 학당 내의 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동기 유발: 한국 드라마 속 인물이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지 이야기를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2단계에서 완성된 대본을 중심으로 이미 정해진 주인공들에게 소리 내어 읽게 하여 드라마 속 대사들을 자연스럽게 연습한다.
Ÿ
두세 명이 나오는 장면이라면 조를 나누어 진행하면 보다 더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으며 수강생들 또한 흥미를 가지고 도전하게 될 것이다. Ÿ
전문 배우처럼 잘할 필요는 없지만 한국어를 말하는 데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표현을
강조하여 수강생들의 말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조별 혹은 개인별로 대사를 읽게 하고 수강생들에게 잘 표현하고 있는지 토론한다.
제 4장
Ÿ
평가: 대본을 연기해 보면서, 한국 문화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것은 무엇인가? 4단계
한국 드라마 따라 찍고 감상, 토론하기
수업 목표: 제작한 대본에 따라 역할극을 하고 이를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감상한다. 직접 상황을 연기해 보면서 느낀 점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수업 준비물: 컴퓨터, 프로젝터, 텔레비전 교수 학습 활동: Ÿ
3단계에서 연습한 드라마 대사를 각자 정해진 역할에 따라 해 본다. - 체험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유도한다.
Ÿ
준비된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으로 역할극을 촬영한다.
- 촬영은 드라마에서 본 내용을 흉내 내어 찍으면 된다. 인터넷이나 텔레비전에 해당 드라마 장면을 틀어 놓고 하나하나 따라 찍으면 된다.
- 학생들이 잘 보일 수 있도록 공간을 밝게 하면 동영상을 촬영하는 데 도움이 된다, Ÿ
촬영된 동영상을 보며 무엇을 배우게 되었는지, 촬영하면서 있었던 일화는 무엇인지, 한국어 표현 중에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인지 등을 서로 이야기한다.
평가: 촬영된 동영상에 나타난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특징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하였는가?
177 l
참고 자료 추가 활동 (2단계 학습 내용) Ÿ
드라마에서 주인공들이 입고 있는 패션을 따라 하는 것도 좋은 체험 활동이 될 수 있
으므로 3단계 수업을 위해서 배역이 정해지면 주인공들의 패션과 비슷한 옷을 준비
하게 하여 학생들에게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 Ÿ
드라마 대사를 완성하기 이전에 한국 드라마 명대사를 찾아서 그 명대사의 의미를 해
석하는 것도 좋은 한국어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자면 드라마 <다모>에
서 “아프냐? 나도 아프다.”라는 대사를 보여 주고 사전적 의미가 아닌 내용상의 의미
등을 이야기하면서 드라마 감상 및 연기의 재미를 높일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드라마에서 시작된 유행어들을 함께 알아보는 시간도 재미있는 수업 안이 될 수 있
다. 특히 시트콤을 예로 들자면 <순풍산부인과>나 <지붕 뚫고 하이킥>의 수많은
유행어들은 외국인들이 드라마를 이해하고 재미를 느끼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
이다.
추가 활동 (3단계 학습 내용) Ÿ
간단한 연극 놀이와 연기 기법을 활용하여 처음 연기해 보는 학생들이 연기에 대한
부담감을 없앨 수 있도록 한다. 4대 감정 표현법과 ‘내 얼굴 찾기’ 등 연기를 재미있
어 하고 집중력을 갖게 할 수 있는 활동을 추가한다. 추가 활동 (4단계 학습 내용) Ÿ Ÿ Ÿ
유튜브나 기타 누리소통망 서비스(SNS)를 통해 동영상을 바로 올리도록 한다. 친구들이나 가족들에게 알려 주어 감상평을 듣고 서로 이야기 나눈다. 한국 문화를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토론할 수 있다.
지도상 유의점 Ÿ
이 프로그램은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초급과 중급, 고급까지 아우를 수 있
는 수업이다. 특히 중국 현지인들이 한국 드라마를 선호하여 즐겨 보고 있으므로 현지
에서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드라마를 주제로 잡아 수업하면 더욱더 효과적인 수업이
진행될 것이다.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드라마 속에 나타난 한국 문화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나 특징을 짧게라도 알려 주면 수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Ÿ
드라마 따라 찍기 촬영이라고 해서 거창한 장비를 고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 일상생
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인 소지품을 활용하여 최대한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Ÿ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로 촬영할 경우 소리의 녹음 상태에 각별히 유의할 수 있도록
수강생들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다. Ÿ Ÿ
제작할 때는 서투르더라도 한국어 대사를 반드시 숙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스마트폰으로 촬영할 때 스마트폰용으로 나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도 소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요즘에는 전문 카메라에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들을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는 앱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Ÿ
l 178
촬영된 영상의 질이 중요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촬영된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 대사의
녹음 음질과 연기를 위한 기본적인 시선 처리 방법과 동선은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
간단하게 녹음 음질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녹음용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방법과
핀 마이크를 활용하는 방법 등 음질 확보와 연기자들의 연기를 드라마처럼 촬영하기
힘든 이유 등을 설명한다면 교육생들이 실제 드라마와 자신들이 촬영하는 장면의 차
이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드라마 촬영은 2~3대의 카메라가 다양한
렌즈로 촬영하며 소리와 영상을 따로 저장하여 편집에서 최종 결과물을 얻어 내는 반
면 교육생들이 촬영한 영상은 카메라 1대로 소리와 영상을 모두 얻어 내기 때문에
소리가 작을 경우를 대비한 재녹음과 기타 장비의 활용법을 설명하면서 이해시킬 수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있을 것이다.
신사의 품격
유령
궁
옥탑방 왕세자
미남이시네요
내 인생의 단비
아내의 유혹
호텔리어
대장금
겨울연가
풀하우스
사랑이 뭐길래
제 4장
드라마 포스터 참고 자료
179 l
드라마 대본 참고 자료: 드라마 <대장금> 중 제 17 회 줄거리 : 산사 일각에서 장금과 민정호가 이야기 나누는 모습을 금영이 보고 참담한
심정으로 산을 내려간다. 금영은 옛일을 회상하며 정호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추스른다.
궁에서는 대비의 두 번째 과제가 내려진다. 한 상궁은 직접 길을 떠난다. 최 상궁과
금영이 출궁하고 없는 사이 웬 수상한 사내가 최 상궁의 방에 숨어들고 내금위장이 직
접 최 상궁의 방을 수색하던 중 정 상궁은 최 상궁의 방에서 수라간 대대로 내려오는
비서를 발견하고 최 상궁이 자신을 능멸한 사실에 분노를 느낀다.
궐에 돌림병이 돌아 내시부에서 대책 회의가 열리고 수라간에 병에 걸린 나인과 상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궁을 궁 밖으로 내보내는 일을 최 상궁이 맡는다. 최 상궁은 이 일을 빌미로 정 상궁을
몰아낼 대책을 생각해 내는데…. 씬1
운암사 일각(낮)
장금과 정호가 걸어오고. 장금: 실은 스승님을 원망했습니다.
정호: …….
장금: 결과가 나빴기에….
늘 칭찬하셨던 저의 재기도 평가하지 않으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어쨌든 저는 노력했으니까요.
정호: …….
장금: 근데 아닙니다.
그때 제가 한 노력은 이기기 위한 노력이었습니다.
여기 와서도 저는 남의 비법이나 알려 달라는 노력뿐이었습니다.
정호: …….
장금: 헌데 비법은 없었습니다.
오로지 거기에 들어간 땀과 정성만이 비법이었습니다.
돌아가실지 모르니 잔수라도 써 어떡해든 드려 보자 한 제 쌀은 마마님의 마음
을 움직이지 못했고.
우직한 처사의 쌀이 마마님을 움직였습니다.
정호: …….
장금: 하여 저의 재기가 저에게 독이라 하신 겁니다. 재기만 승한 사람이 될까 봐요.
정호: (장금을 보고는 웃으며) …부럽습니다. 장금: …….
정호: 참으로 좋은 스승님을 두셨습니다.
목표를 이룬다는 핑계로 서 나인이 편법적인 삶을 살까 두려워하셨나 봅니다.
장금: …….
정호: 하지만 전 믿습니다. 장금: …….
l 180
정호: 잠시 실수를 했을지 모르나.
서 나인은 먹는 사람의 얼굴에 미소가 띠어지는 음식을 만들겠다는 소박한 소망
을 버릴 분이 아닙니다.
하고는 장금을 그윽한 눈빛으로 보는데. 장금 역시 민정호를 보고. 이때, 한편에서 이 둘을 모두 보고 있는 금영의 모습(16부 엔딩). 알 수 없는 배신감과 박탈감을 느끼는 표정이다. 그러고 보면 금영의 손에 쥐어진 보따리 하나.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다시 장금과 민정호.
서로 주고받은 시선에 당황한 듯 고개를 떨구는데…. 이때 나타나는 덕구.
덕구: (붓과 서첩 치켜들고는 오며) 장금아! 장금: (본다)
민정호: (보는데)
덕구: 이거 니 거지?
장금: 예. 또 깜빡 놓고 왔죠?
덕구: 그래. 아궁이 밑에 있더라.
제 4장
(하고는 주는데)
민정호: 아직도 그 큰 붓으로 쓰십니까? 장금: ..(웃으며)예.
덕구: 그나저나 나으리. 여기 계시면 어떡합니까? 민정호: 왜요? 무슨 일 생겼습니까?
덕구: 술 마실 때가 되었습니다. 술시가 가까웠으니까요. 민정호: 예?
덕구: 술을 마시라고 술시가 있는 겁니다. 모르셨습니까? 민정호: 혼자 드시지요.
덕구: 안 됩니다. 아무리 그래도 사찰인데. 혼자 마시다가 들키면…….
원래 나쁜 일은 같이 해야……. (씩 웃으며)제가 원래 물귀신띱니다.
민정호: (웃는데)
덕구가 민정호를 끌고 들어가고
그렇게 가는 덕구와 민정호를 본다.
그런 장금의 시선을 보고 있는 금영.
장금은 어느새 서첩에 뭔가를 쓰고 있다.
씬9 사찰 마당(낮)
-- 중략 ----
처사는 여전히 볕에 나물을 말리고 있고
장금, 옆에 와서는 하나하나 물으며 적고 있다.
181 l
장금: 묵나물로 쓰실 광대사리와 으아리, 쑥부랑이, 단풍취, 미역취, 박쥐나물은 강한 볕에 바짝 말리시려고 마당이나 지붕 위에서 말리시는 거지요?
처사:(생각하다가는) 그런 거 같네유.
장금: (장금, 자신의 서첩에 적고)
표고버섯이나 송이는 사선으로 볕이 들고 통풍이 잘되는 성근나무 밑에서 말리
시는 거구요?
처사: 내가 그랬어유?
장금: (웃고는 또 적는데)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이때.. 장금의 눈앞에 나타나는 작은 붓. 장금.. 보면..
민정호: 쓰십시오.. 장금: ......
민정호: 그냥 제가 쓰던 겁니다.
저는 많으니 하나 쓰셔도 됩니다.
큰 붓만 보면 제가 답답해서 그럽니다.
장금: ..예 그럼 감사히 받겠습니다.
(하고는 처사에게) 산속에서 이슬을 맞히는 나물도 있던데요?
처사: 에.. 그건.. 마.. (하고는 생각하고)
장금, 조그만 연적에 민정호가 준 붓을 담아 서첩에 받아 적으려는데.. 쓰던 붓 같지가 않아 갸우뚱하고 보는 민정호..
l 182
프로그램 2. 한국의 대중문화 속으로: K-pop 즐겁게 체험하기
개요
K-pop은 한류의 대명사가 되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10억 뷰가 넘
어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본 뮤직비디오로 등극하면서 K-pop은 더욱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은 한국 대표의 문화 자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K-pop이 좋아서 한국어를 배우
고 한국 문화를 사랑하게 될 정도가 된 것이다. 노래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자연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스럽게 이해하게 되므로 K-pop을 이용한 교육은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이다. 본 수업은
K-pop을 따라 부르고, 춤을 따라 하고, 뮤직비디오 따라 찍기를 하며 즐거운 K-pop 놀이
를 통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수업으로 진행된다. 수업 이후에 K-pop 경연 대회나 자신 들이 만든 뮤직비디오를 감상하며 즐겁게 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특히, K-pop은 K-드라마와 함께 웨이하이 세종학당 수강생들이 제일 먼저 한국 문화
를 접한 계기이자 가장 인기 있는 한국 문화이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을 대중음악과 연계 하여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면 수강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높은 참여도를 보일 것으 로 기대된다.
제 4장
학습 목표 § K-pop을 따라 부르며 가사를 외운다. K-pop 가사 내용을 이해하고 직접 써 본다. § 동료들과 함께 K-pop 춤을 익히며 공감하고 협동한다.
§ K-pop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보며 창의적인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한다. 핵심 용어 : K-pop, 한류, 댄스, 뮤직비디오, 가사
183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2. 한국의 대중문화 속으로: K-pop 즐겁게 체험하기 K-Pop은 Korean Pop 또는 Korean Popular Music을 줄여서 부르는 말
로, 한국 외의 나라에서 한국의 대중가요를 일컫는 말이다. 넓게는 한국의 모든 대중음악을 통칭하는 말이지만, 좁게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 대중음악 중 댄 스·힙합·R&B·발라드·록·일렉트로닉 음악 등을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외의 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한국 대중가요를 즐기기 시 작한 후부터 K-Pop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K-Pop의 다양한 장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르 중에서도 세계의 젊은이들 사이에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킨 것은 아이돌
그룹(걸 그룹과 보이 그룹)의 음악이라 할 수 있다. K-Pop 아이돌 음악의 특징
은 단순하고 경쾌한 리듬과 비트감, 따라 부르기 쉬운 멜로디, 흥미로운 노랫말 케이팝
K-Pop
그리고 멋진 춤 실력으로 선보이는 군무라고 할 수 있다. 서구의 팝과는 다른 또 하나의 특징은 시각적 즐거움이 크다는 것이다.
是K-Pop是Korean Pop或Korean
Popular Music的缩写,是指在韩国意
外的国家所唱的韩国大众歌曲。从大的方面来看就是韩国大众音乐的统称,从小 的方面来看是指1990年以后韩国大众音乐中舞蹈、hiphop、摇滚、流行情歌、说 唱、电子音乐等。2000年中后期以后,外国人开始喜欢上了韩国大众歌曲。,这 之后K-Pop这个词开始广泛使用。K-Pop的多种风格中,最收到世界年轻人追捧 的就是偶像团体音乐(男子团体,女子团体)。K-Pop偶像团体音乐的特点是节 奏单纯轻快,易于吟唱,有趣的歌词和酷帅的舞蹈。比起西方的pop,韩国K-Pop 的另一个特点是视觉享受。
l 184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K-pop에 대한 소개와 현지에서 현재를 기점으로 혹
1~2차 시
K-pop의
이해와 따라 부르기
은 최근에 가장 인기 있는 K-pop을 듣고, 뮤직비디오 를 감상한다.
1차시에서 감상한 K-pop의 노래 가사를 보며 따라 부르기를 한다. 따라 부르기가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1단계
가사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해 본다.
K-pop 가사를 통해 한국어의 의미를 되새겨 보며 2단계
3~4차시
K-pop 가사
바꾸어 부르기
한국어로 가사를 써 본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K-pop 가사를 자신의 이야기에 맞게 한국어로
개사를 해 보며 한국어와 좀 더 친숙해진다. K-pop
3단계
5~6차시
K-pop 춤 체험하기
제 4장
을 통한 한국어 체험.
K-pop 뮤직비디오 혹은 인터넷 가요 방송을 통해 K-pop 스타들이 노래와 함께 추는 춤을 따라 배운 다.
1단계와 2단계를 체험한 후, 모둠별로 K-pop 뮤직 4단계
7~8차시
K-pop
뮤직비디오 만들기
비디오 따라 찍기 계획을 세운다. (*세종학당의 여건
에 따라 공연 기획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각 모둠 혹은 단체가 모두 참여하여 자신들만의 뮤
직비디오를 촬영한다. 간단한 편집을 거쳐 완성하고
상영한다. (*세종학당의 여건에 따라 공연으로 대체 할 수도 있다.)
185 l
단계별 교기 학습 활동 1단계
K-pop의 이해와 따라 부르기
수업 목표: K-pop 감상을 통해 K-pop에 대해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인터넷, 시디플레이어, 마이크, K-pop 악보 동기 유발: K-pop을 알고 싶고 좋아하는 이유가 무엇이지 함께 이야기를 나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교수 학습 활동: Ÿ
K-pop에 대한 소개와 현지에서 현재를 기점으로 혹은 최근에 가장 인기 있는
K-pop을 듣고, 뮤직비디오를 감상한다. Ÿ
K-pop이 한류의 대명사로서 어떻게 중국에 소개되었으며 큰 인기를 끌었는지를 설 명해 준다.
Ÿ Ÿ
1차시에서 감상한 K-pop의 노래 가사를 보며 따라 부르기를 한다.
따라 부르기가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가사에 나타난 의미를 파악해 본다.
평가: K-pop 가사의 뜻을 이해하였는가?
2단계
K-pop 가사 바꾸어 부르기
수업 목표: K-pop 가사를 바꾸어 부르며 한국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 수업 준비물: 공책, 인터넷, 시디플레이어, 마이크, K-pop 악보 동기유발: k-pop에 대하여 알고 싶은 점이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K-pop 가사를 통해 한국어의 의미를 되새겨 보며 가사를 한국어로 써 본다.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K-pop 가사를 자신의 이야기에 맞게 한국어로 개사를 해 보
며 한국어를 활용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표현해 본다. Ÿ
서로의 가사를 들어 보고 서로 이야기를 나눈다.
평가: K-pop 리듬에 맞추어 자신의 이야기를 가사에 창의적으로 표현하였는가?
l 186
3단계
K-pop 춤 체험하기
수업 목표: K-pop 뮤직비디오 혹은 인터넷 가요 방송을 통해 K-pop 스타들이 노래 와 함께 추는 춤을 체험한다.
수업 준비물: 인터넷, 시디플레이어, 마이크, K-pop악보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동기 유발: K-pop의 춤에서 어떤 점을 좋아하는지 이야기를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K-pop 뮤직비디오 혹은 인터넷 가요 방송을 통해 K-pop 스타들이 춤을 감상한다. 개인별로 K-pop 춤을 체험한다.
모둠별로 K-pop 춤을 체험한다.
평가: K-pop 댄스를 잘 이해하고 따라 출 수 있는가?
K-pop 뮤직비디오 만들기
제 4장
4단계
수업 목표: K-pop 뮤직비디오 따라 찍기 체험을 통해 K-pop에 좀 더 친숙해지고 한국 대중문화를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인터넷, 시디플레이어, 마이크, K-pop 악보, 카메라, 디지털카메라, 아이패 드 등
동기 유발:
K-pop 뮤직비디오 따라 찍기를 통해 K-pop을 좀 더 이해하고자 한다.
교수 학습 활동: Ÿ
모둠별로 K-pop 뮤직비디오 따라 찍을 계획을 세운다.
- 세종학당의 여건에 따라 공연 기획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Ÿ Ÿ
각 모둠 혹은 단체가 모두 참여하여 자신들만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한다. 간단한 편집을 통해 상영한다.
- 세종학당의 여건에 따라 공연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평가: K-pop의 느낌을 살려 뮤직비디오를 촬영하였는가?
187 l
참고 자료 지도상 유의점 Ÿ
다양한 K-pop을 선택하여 수업을 진행하되 현지에서 수강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K-pop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수강생들이 선호하는 K-pop 조사가 필수적이다.
Ÿ
학생들의 역량과 세종학당의 수업 계획에 따라 각 분야에 따른 K-pop을 소개할 수
있다. 때로는 춤이 없는 발라드 K-pop을 수업에 소개할 수도 있다. Ÿ
한글 교육을 K-pop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할 경우 수강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높 은 참여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므로 한국어를 쉽게 알 수 있는 발라드 곡도 수업에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Ÿ
수강생들끼리 K-pop 경연 대회를 열어 한국어를 잘 구사하는 조에게 상을 주는 것
도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발표력과 창의력을 높일 수 있다.
K-pop 가사와 한글 서예를 접목시켜 자연스럽게 한국어 쓰기를 습득시킬 수도 있으
므로 수강생들의 수준을 파악하여 한글 서예 수업과 연계하여 수업하는 방안도 고려
해 볼 수 있다. Ÿ
수강생들이 체험한 K-pop을 뮤직비디오로 제작하면 함께하는 협동심을 배우고 완성
된 뮤직비디오를 보면서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뮤직비디오의 완성도를
너무 고려할 필요는 없다. 아마추어 정신에 맞게 어떤 촬영 장비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아이패드, 디지털카메라, DSLR 카
메라 등을 활용하여 촬영하고 무비메이커(PC에서 무료로 내려받기), 아이무비(맥) 등의 간편한 편집 틀로 완성하면 된다. 심지어 스마트폰에 쉽게 쓸 수 있는 영상 편
집 애플리케이션도 있다.
Ÿ
추가 활동으로 K-pop 공연과 뮤직비디오(UCC) 경연 대회를 개최하여 수강생들에게 발표의 기회를 제공하고 친구나 일가친척들을 초대하는 행사로 기획할 수도 있다.
동영상 촬영의 3대 미학 Ÿ Ÿ
SIMPLE : 단순하게 만든다.
SURPRISE : 놀라게 만든다.
“왜들 저러는 거지? 어쩌려고? “ 모방을 통해서는 한계가 있다.
Ÿ
SMILE : 웃게 만든다.
단순 개그를 넘어 감상자들이 상상하고 생각하도록 하여, 동영상에 대한 지
속적인 호기심을 유발해야 한다. 한류의 개념 Ÿ
한류(韓流), 또는 코리안 웨이브(Korean Wave), 또는 코리안 피버(Korean Fever)는
대한민국의 대중문화가 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외국에서 대중성을 가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l 188
Ÿ
1996년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중국에 수출되고, 2년 뒤에는 가요 쪽으로 확대되면
서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이 일기 시작하였다. 중국에서 일고 있는 이러한 한
국 대중문화의 열기를 표현하기 위해 2000년 2월 중국 언론이 붙인 용어가 ‘한류’이다. 이후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은 중국뿐 아니라 타이완, 홍콩, 베트남, 타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및 세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 드라마, 가요,
영화 등 대중문화만이 아니라 김치, 고추장, 라면, 가전제품 등 한국 관련 제품의 선호
현상까지 나타낸다. 포괄적인 의미에서는 이러한 모든 현상을 가리켜 한류라고 한다.
Ÿ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K-pop의 특징: 맴돌이곡(hook song) 맴돌이곡이란, 음악적 테마와 짜임새를 총괄하는 음악적 개념 중의 하나로, 흔히, 짧
은 가락(리프, riff)으로 멜로디의 반복적인 진행(進行)이 특징이다. oscillation(진동, 震動)에서 나온 말인 이탈리아어 Ostinato와 유사한 의미로, 악절(樂節; passage) 혹
은 악구(樂句; phrase)를 말한다. 대중음악, 유행가에서 노래를 듣는 사람의 귀를 사
로잡아 ‘사람의 마음을 끌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Ÿ
후크는 일반적으로, 멜로디 혹은 리듬 혹은 멜로디와 리듬 모두가 될 수 있으며, 노
래의 주된 모티프(motif)와 통합되거나 모티프에 접목된다. 최근 국내에서 인기를 얻
고 있는 대중가요들은 대부분, 후크 요소로 사람의 마음을 끌어 유행하고 있다고 할
Ÿ
제 4장
수 있다.
후크라는 용어는 대중음악, 특히 록 음악(rock music), 댄스 곡(dance music) 및 팝
송(pop song)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후렴부의 일부분에서 발견되거나 후렴부 자체를
이루고 있다. Ÿ
맴돌이곡의 대표적인 예로 소녀시대의 ‘Gee’를 생각해 볼 수 있다. 5번 반복되는 ‘Gee’가 후크 요소로 작용하여 다른 노래와 효과적으로 차별화한다.
Ÿ
‘강남스타일’도 반복적인 후렴구를 사용하여 대중의 인기를 끌고 있다.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외우기 쉽고 흥겨운 전통 우리 가락 “숭구리당당”의 멜로디가 한 곡에 100
번 이상 반복되고 있다고 한다. 가장 한국적인 것을 찾아내 접목하여 독창적인 후크
를 만들어 낸 것이다. 반복되는 리듬을 생각하며, ‘강남스타일’ 패러디 영상을 찾아 따
라 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수업이 될 것이다.
K-pop 동영상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A1004411F929205E4705DE E11D67F75BD088&outKey=V127d2202f04acf1eb06064baedd96bed6a226df8092ef91902b264baedd 96bed6a22&width=720&height=438
189 l
l 190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의 현황과 특성 터키 국민은 이슬람 문화와 오스만 제국의 영광에 대해 자부심이 대단히 크다. 터키는 이슬
람을 상징하는 대표적 국가이지만, 기독교 문명을 대표하는 유럽에 편입되어 유럽 공동체(EU) 의 회원으로 가입되기를 수년전부터 갈망해 왔다. 터키 국토의 서북쪽은 러시아 등 유럽 국가
들과 국경을 맞대고 있지만, 동남쪽으로 광대한 영토가 펼쳐져 있고 인구의 대다수가 동남쪽에
모여 있어 터키의 수도인 앙카라도 아시아 쪽에 있다. 이처럼 동서양 문명의 교차점이자, 글로 벌 기업들의 경연장이기도 한 터키에서 한국 기업들이 최근 들어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2010년 이후 현대 차가 내수 시장 1위에 오르며 터키 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고,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LG전자는 현지 합작사를 통해 2009년 이후 에어컨 시장의 55%를 점유, 사실상 시장을 평정
했다. TV 부문에서도 LG전자와 삼성전자는 현지 토종 업체와 네덜란드의 필립스, 일본의 소 니를 누르고 판매 1, 2위를 다투고 있다. 최근에는 원전 건설과 방위 산업 부문까지 우리 기 업의 진출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 외에도 최근 5~6년 사이 CJ, KCC, 대양금속, 현대로템, 효 성 등이 유럽 시장을 겨냥하여 단독 진출 방식으로 터키에 둥지를 틀기 시작한 상태이다. 최
근 한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것도 한국 기업 진출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무관하지 않을 것 이다. 이와 더불어 한국에서 학부, 석사 과정을 공부하고 터키로 돌아가 한국 기업에 취직하
기를 원하는 터키의 젊은이들이 늘어나는 현상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한국 기업의 진출에 따른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은 기본적으로 그들이 갖고 있던
제 4장
아시아적인 감성과 합쳐져, 현재 터키에서는 한국 드라마와 가수들의 인기가 매우 높다. 이러 한 상황에서 세종학당이 한국어 교육뿐 아니라, 한국 문화 교육을 병행한다면, 터키 내에서
한국의 위상과 인지도를 높이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거점으로서 자리매 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쟁 참전으로 ‘형제의 나라’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어 한국에 대해 매우 우호적이다.
또한, 터키 어는 한국어와 어순이 같기 때문에 한국어를 쉽고 친숙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들은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한국 문화 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이점이 될 수 있다. 반면
엄격한 이슬람 국가인 터키에 한국 문화를 전파하기 위하여서는 우선적으로 이슬람 문화에 대 한 일정 정도의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는 것들이 무엇인 지 반드시 미리 숙지해야 할 것이며, 프로그램에서도 종교적, 문화적 갈등을 불러일으킬 만한
요소를 제거하고 신중하게 내용을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 문화의 경우 조심
스럽게 접근하여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터키는 지리적으로 아시아와 유럽의 접경 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스로는 유럽 인
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동시에 아시아적 감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한국인들의 친절에 감사하
고, 동양적 예절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러한 그들의 성향을 반영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소가
족 중심의 개인주의보다는 대가족 중심의 포용성을 더 많이 찾아 볼 수 있는 사회이기도 하다. 터키의 노동력은 80~90년대 이전까지 대다수 독일로 유입되었지만, 현재에는 싼 노동력을
찾아 해외로 진출하는 다국적 기업들로 인해 이전과 다른 경제․산업 구조를 만들어 나가고 있 다. 최근 더 많은 한국 기업이 유럽 시장의 창구로서 터키에 거점을 확보해 놓고 있다. 이러
한 흐름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증대시켜 놓았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전
191 l
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문화예술교육을 통하여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 한 일일 것이다. 이는 한국 기업의 성장에 힘을 실어 주고 날개를 달아 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 낼 가능성이 높다. 세종학당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은 한국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결
과적으로 국가 상표 가치를 높여 한국 경제의 힘을 더욱 성장시키는 결과를 만들어 낼 것이
다. 이를 통하여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국가 경쟁력과 상호 문화 교류의 원천이 만들어 질 수 있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터키의 강점은 지리적 위치에서 찾을 수 있다. 서양 문명의 교차점이자, 글로벌 기업들이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포진한 도시이기도 하다. 앙카라에서 성공적으로 한국 문화 교육을 수행한다면, 이후 전 세계
적으로 넓게 파급되는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터키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의 성공적인
사례는 추후 다른 이슬람 국가와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문화 교류를 시작할 수 있
는 길을 열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터키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은 이미 진출한 한국 기
업들과 동반 성장 할 수 있는 점에서, 거시적으로 경제적인 부가 가치 창출도 기대해 볼 수 있
는 부분이다. 이에 반하여, 이슬람 문화와 종교가 가지고 있는 일면 배타적인 성격을 잘 이해
하지 못하고 섣불리 공격적인 한국 문화 교육의 진출을 시도하다가 오히려 역효과를 거둘 수
도 있다 따라서 터키 문화와 종교를 대하는 데 있어 신중하게 프로그램을 검토하는 노력을 기 울여야 한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Ÿ
한국 전쟁 참전 등 역사적 관계성에서 출발하기
한국 전쟁 참전으로 인하여 한국과 친밀한 상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가족이나 어른으로
부터 한국 전쟁 참전 이야기를 들어 와서, 젊은 사람들도 한국을 낯설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
가 많다. 따라서 한류 등 최근 한국의 대중문화에 관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역사와 전
통에 대한 호기심도 높다. 드라마나 영화를 이용하여 흥미를 잃지 않고 한국어 심화 학습을
실시하도록 하고,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한국 전통문화를 직접 체험하게 해 보는 것도 효과 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터키의 국영 방송에서 방영된 드라마와 한국의 근·현대사를 배경으
로 하는 영화를 통하여 전통 문화 예술과 역사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Ÿ
일상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공예품 만들기
유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한 예절에 대해 설명하고, 터키 문화와의 공통점을 발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한국 문화의 사상적 배경을 보다 친숙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색종
이 혹은 한지로 한복을 만들어 보고, 동양적인 염색과 무늬의 끈과 옷감을 이용하여 전통적 공 예품(컵 받침, 식탁보, 손수건 천연 염색 등) 등을 만드는 체험적인 공예 활동을 활용한다. 프로
그램의 결과물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문화 교육이 끝난 이후에도 오래도록 한국 문화에 대한 기억을 지우지 않고 간직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부채 위에 간단한 붓 그림
으로 멋글씨를 쓰거나 수묵화 등으로 표현하고, 이를 직접 사용하거나 선물하여 주변에 한국 문 화를 알리는 메신저 역할을 담당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좋은 결과를 얻어 낼 것이다.
l 192
Ÿ
대중문화의 활용
K-pop 노래를 따라 부르고 같이 공부한 학습자끼리 대회를 열어 한국 발음에 가장 가까
운 사람을 선정하는 등의 경연 대회식의 교육은 언어 학습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좋은 주 제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K-pop 춤을 배우고 이를 UCC로 만들어 서로 감상하며 즐겁게
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다면 지루하지 않게 한국어를 익히고 한국 문화에 대 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표 4-5>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의 특성 내 용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주제
▪ 역사적인 교류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우호적임. 인식
- 참전 용사인 할아버지 등 어려서 한국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성장함.
▪ 드라마, K-pop을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한국 기업 진출 등으로 취업 등의 기회가 늘어나고 있음. ▪ 한국, 한국 문화에 대하여 접하고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나 창구가 없음.
필요성
▪ 드라마에서 보여 주는 것을 넘어선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제 4장
▪ 한국 문화 교육을 통하여 ‘뿌리’와 같은 배경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한국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문화 교육을 실시할 수 있 방향
지역화 프로 그램
음.
▪ 한국 문화와 예술 속에 담긴 문화적 배경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함. ▪ 한국 문화와 터키 문화와의 공통점을 찾아 친밀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함. ▪ 유대감과 친밀감을 토대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 사물놀이, 부채춤, 탈춤, 음식 만드는 법
▪ 전통 악기 등을 직접 체험하면서 한국 문화를 경험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함.
193 l
제 5절ㆍ터키 앙카라 §
터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변화하는 세계화 시대에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지속적, 미래 지향적, 왜곡되지 않은 바른
방향으로 우리 문화가 가지는 독창성과 가치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체계적으로 세계에 알리 고 이해함을 목표로 삼는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첫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터키 인들의 관심을 확장한다. 둘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전통문화와 터키 현지 문화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셋째,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유럽에 알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
터키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선정 방향 한국과 역사적 관계가 깊은 터키에 위치한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한국에 대한 기억, 감정 등을 떠올리며 어울림, 유대감 등 함께 공유
할 수 있는 지점에 주목하여 내용을 선정한다.
아래의 그림은 현시점(here & now)에서 앙카라 세종학당 학습자들의 삶과 직접적인 관련
성을 갖는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 대략의 범위를 보여 준다. 명확하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를 지시하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와 지역 문화, 전통과 미래의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균형
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l 194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할 때에 교육 목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교수자, 학
습자, 운영 기간, 문화적 특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제 4장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앙카라 세종학당의 특성화 프로그램 개요 터키 앙카라 프로그램 이름
특징
주요 내용 한국의 전통 혼례 의식과 절차, 과정을 이해하면서
한국인의 결혼:
백년해로의 약속
기초
전통 사회에서의 결혼의 의미와 오늘날의 변화된
모습과 의미를 알아보고 터키에서의 그것들과 비교
하여 과거와 현대, 한국과 터키의 결혼의 의미와 풍습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올바르게 이해한다.
특성화 프로그램
한국의 몸짓:
한복과 탈춤 마당
한국 오방색에 담겨 있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과 동 심화
양의 유교 정신, 음양오행 사상에 대해 이해하고,
탈춤을 배워 봄으로써 한국적 ‘어울림’으로 터키 문화와의 교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한국 기업의 진출 등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터키 현
지인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한국 전통문화와 터키 문화와의 공통점을 찾아 공감할 수 있는 문
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유대감을 강화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195 l
프로그램 1. 한국인의 결혼: 백년해로의 약속
개요 오늘날에는 사랑으로 미래를 약속한 남녀가 그 결실을 얻기 위해 가정을 꾸리는 것이
일반적인 결혼의 의미이다. 한국의 전통 사회는 지금과 달리 남녀 구별이 엄격한 유교 사
회로 중매결혼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중매에는 남자와 여자의 생년월일시를 적은 사주단
자로 궁합을 맞추고, 혼사가 정해지면 혼서지와 예물을 담은 납폐함을 보내 약혼을 증명하 였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과거의 혼례는 비록 서로 사랑하는 감정으로 인연이 시작된 것은 아니었으나, 두 집안
간의 성스러운 의식과 절차를 통해 서로에게 지아비로서, 지어미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
하며 정을 쌓아 가며 가정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그 시대의 결혼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겠다. 오늘날의 결혼에서는 남녀가 서로 사랑하는 감정으로 만났지만, 두 남녀의 사랑을
매개로 두 가정이 사돈의 예를 갖추고, 남편으로서 아내로서의 (사위로서, 며느리로서의)
의무와 책임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백년해로란 부부가 백 년 동안 함께한다는 의미로, 부부가 서로 혼인하여 자손을 낳고
백 년이라는 숫자가 의미하는 오랜 세월 동안 갈라지지 않고 서로 아끼고 사랑하며 인생
의 동반자로 행복한 삶을 꿈꾸며 함께 걸어가고자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 양이나 모든 이들의 바람일 것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한국의 전통 혼례 의식과 절차, 과정을 이해하면서 전통 사회에서
의 결혼의 의미와 오늘날의 변화된 모습과 의미를 알아보고 터키에서의 그것들과 비교하
여 과거와 현대, 한국과 터키의 결혼의 의미와 풍습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올바르게 이해한 다.
학습 목표 § 한국의 전통 혼례 의식과 절차, 과정을 배우면서 전통 사회에서의 결혼의 의미를 이 해한다. 터키의 전통 혼례 풍습과 비교하며 두 문화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 오늘날의 결혼 풍습에 남아 있는 전통 혼례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고 그 현대 적 의미를 이해한다.
§ 여성을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였던 전통 장신구를 만들어 보면서 한국 전 통 공예의 독창성을 경험한다.
핵심 용어 : 전통 혼례, 폐백, 백년해로, 전통 장신구
l 196
핵심 용어 프로그램 1. 한국인의 결혼: 백년해로의 약속 혼인을 행할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儀禮)와 그 절차. 혼례는 크게 두 영역
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혼례식만을 말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양가(兩家)에
혼담(婚談)이 오가기 시작하면서 혼인과 관련된 모든 행위를 말한다. 전자는 좁
EVLİLİK
Evlilik zamanı
gerekli olan formalite ve işlemlerdir. Formaliteler iki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혼례
은 의미의 혼례이고, 후자는 넓은 의미의 혼례이다.
bölümde incelenebilir. Birincisi sadece düğün töreni olup, diğer ikincisi ise;
her
iki
tarafın
gerçekleştirdikleri
ailelerinin
ittifak
oluşturarak,
evliliğe
dair
bütün işlemlerdir. Birincisi, dar anlamda bir düğünü
ifade etmekte olup, ikincisi; geniş anlama sahip düğünü ifade eder. 신부가 혼례를 마치고 친정을 떠나 시댁으로 신행(新行)한 뒤에 행하여지는
의례이다. 신부는 미리 친정에서 준비해 온 대추·밤·술·안주·과일 등을 상 위에
GELENE KSEL
올려놓고 시부모와 시댁의 어른에게 근친의 차례대로 큰절을 하고 술을 올린
다.
Gelinin düğünden sonra ailesinin evini bırakıp, eşinin evine gittikten sonra gerçekleştirilen
KUTLAM A
제 4장
폐백
formalitedir. Gelin, önceden ailesinin evinde
hazırlanmış olarak gelen iğde.kestane.içki.meze.meyve v.s gibi mezeleri yüksek bir yere koyup, damatın ailesini ve damatın ailesinin evindeki yaşça büyük bireyi, ayinsel tören eşliğinde selamlayarak, kadehini kaldırır.
백년해로 BİRLİKT
부부의 인연을 맺어 평생을 같이 즐겁게 지낸다는 말로 결혼식장에서 주례
선생님이 자주 하시는 말씀이다.
E YAŞLAN MAK
Eşlerin evlenip, bir ömür boyunca birlikte güzel bir hayat geçirmeleri dileğiyle, nikah memurunun sürekli söylediği ifadedir. ‘함’이란 혼인 때 혼서지(婚書紙), 채단(采緞) 따위를 넣어 보내는 나무 상자
함진아비 SAN
DIK
TAŞIYIC ISI
를 이르는 말이다. ‘함진아비’는 혼인 전날 밤이나 혼인날 신랑 측에서 신부 측 에 보내는 함을 지고 가는 사람을 뜻한다.
Sandık denilen şey, evlenildiği zaman evililk mektubu, ipek v.b eşyaların koyulup, gönderildiği ağaçtan yapılmış kutunun adıdır. “Sandık taşıyıcısı” düğünden bir önceki gece ya da düğün günü,damatın evinden gelinin evine gönderilen sandığı taşıyan kişiye verilen isimdir.
197 l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등에 다는 패물을 뜻
한다. 궁중에서는 물론 상류 사회와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된 장식물이
다. 노리개는 외형상 섬세하고 다채로우며 호화로운 장식이기도 하였지만, 정신 적인 배경으로는 부귀다남·불로장생·백사여의(百事如意) 등의 시대적인 행복관
노리개
을 바탕으로 한 여인들의 염원이 담겨 있었다.
AKSESU
Kadının vücut süsü olarak, kore geleneksel kıyafetinin ceket göğüs
AR
kravatı ya da etek beline takılan mücevher aksesuarına verilen addır. Saraydaki seçkin kesimden halk arasındaki kesime kadar yaygın bir şekilde kullanılan süstür. Noreagi denilen aksesuar; görünüş olarak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zarif,
renkli
ve
ihtişamlıdır
fakat;
manevi
değer
olarak,
zenginlik.ölümsüzlük.kararlılık gibi dönemsel mutlulukları temel alarak, kadınların arzularını barındırmış bulunmaktadır. 부인의 쪽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식품을 말한다. 한자로는 ‘잠(簪)’
이라고 한다. 쪽을 고정시키는 것이 주목적이면서 장식의 구실도 겸하였고, 재 료와 형태에 따라 명칭·용도 등이 달랐다. 형태·재료에 따라 계절에 맞추어 사
비녀 SAÇ TOKASI
용한다.
Kadının, topuz saçının bozulmaması için çubuk şeklindeki süslerin genel adıdır.Çince
karakterinde
“cham” olarak
adlandırılır.
Topuzu
bağlamanın esas amacı; dekorotif unsuru olarak da bağlamak olup, kullanılan malzeme ve duruma göre aldığı isim.kullanımı vs hepsi değişiklik
gösterir.
Duruma,kullanıldığı
malzemeye
göre
mevsimine
uygun olarak kullanılır. 장식으로 여자의 손가락에 끼는 두 짝의 고리를 뜻한다. 안은 판판하고 겉
은 통통하게 만든 고리로서, 고리가 하나로 된 것은 ‘반지’라 한다. 반지는 미
혼·기혼을 가리지 않고 아무나 끼지만, 가락지는 기혼녀가 끼는 것으로 되어 있 다. 재료로 금·은·구리·옥·비취·호박(琥珀)·마노·밀화(蜜花)·산호·진주 등을 사용한
가락지
YÜZÜK
다.
Aksesuar olarak, kadının parmağına taktığı iki çift yüzük anlamına gelir. İç kısmı düz ve yassı, dış kısmı dolgun ve kabartmalı olarak yapılan bir halka olup;
bir halka anlamına gelen “yüzük” olarak tanımlanır.
Yüzük, bekar ya da evli farketmeksizin takılan bir aksesuardır fakat; halka
ise
sadece
evli
kadın
tarafından
takılır.
Malzeme
olarak,
altın.gümüş.bakır.yeşim taşı.bal kabağı.mercan.pırlanta v.s kullanılır.
l 198
프로그램의 단계
1단계
1~2차시
2단계
3~5차시
학습 주제
학습 활동
한국의 전통
한국의 전통 결혼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부부의 인연
결혼:
백년해로
전통 혼례 복식과 조선 여인의 장신구
을 맺어 평생을 같이 즐겁게 지낸다는 백년해로에 대 해 이해한다. 터키의 전통 결혼 풍습과 비교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단계
전통 혼례 복식을 감상하고, 조선 여인들의 장신구에
대해 알아본다. 터키의 공예품과 비교한다.
혼례에 신는 꽃고무신을 오방색 한지를 이용하여 만
3단계
6~7차시
현대 속 전통 혼례의 모습
제 4장
든다.
한국 사회의 현대 혼례에 대해 배우고, 오늘날까지 이
어진 전통 풍습과 변화된 모습에 대해 이해한다. 터키 결혼 풍습의 변화에 대해서도 함께 이야기한다.
199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한국의 전통 결혼: 백년해로
수업 목표: 한국의 전통 결혼 풍습을 이해하고, 전통 혼례의 절차와 과정을 배운다. 수업 준비물: 관련 사진 및 관련 동영상 동기 유발: 한국 전통 사회에서 부부의 연을 맺고, 백년해로를 약속하는 것의 뜻과 의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미를 알아볼까요?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결혼하여 가정을 꾸리는 것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국의 전통 결혼 절차와 풍습에 대해 이해하고 터키의 전통 결혼 풍습과 비교해 본다. 결혼 풍습과 관련된 전통 공예품에 대해 배울 수 있다.
평가: 한국 전통 사회에서 결혼의 의미에 대해 이해하는가? 2단계
전통 혼례 복식과 조선 여인의 장신구
수업 목표: 전통 혼례 복식을 알아보고 조선 여인의 장신구를 통해 한국의 아름다움의 특징을 이해한다. 오방색 한지를 이용하여 꽃고무신을 만든다.
수업 준비물: 관련 사진과 동영상, 전통 장신구, 고무신, 오방색 한지, 딱풀, 사인펜 동기 유발: 여성의 아름다움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터키와 한국의 경우를 비교하며 배워
봅시다. 오방색 한지로 만든 고무신에 터키 정서가 담긴 꽃문양을 그려 넣는 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전통 혼례에서 사용된 남녀의 전통 혼례복을 살펴본다. 전통 혼례식에 사용된 음식을 알아본다.
전통 혼례에서 여성의 아름다움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본다.
- 화려한 한복으로 치장한다.
- 붉은색으로 볼에 연지를 찍고 이마에 곤지를 찍는다. - 화려한 머리 장식으로 치장한다.
Ÿ Ÿ Ÿ
조선 시대 여성들이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했던 장신구에 대해 알아본다. 전통 혼례에 사용되는 한국 전통 오방색에 대하여 알아본다. 꽃고무신 만들기
- 고무신에 딱풀을 이용하여 오방색 한지를 붙인다.
l 200
- 사인펜으로 꽃을 그려 넣는다.
- 한지가 모두 마르면 고무신을 빼낸다.
평가: 한국의 전통 혼례 복식과 여인의 장신구에서 한국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찾아 보았는가? 한지를 이용하여 고무신을 만들고 꾸밀 수 있으며, 오방색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가?
현대 속 전통 혼례의 모습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3단계
수업 목표: 한국의 현대 혼례 의식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요소를 찾아보며 그 의미를 이 해한다.
수업 준비물: 사진 자료 동기 유발: 한국에서 결혼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터키의 결혼 풍습과의 차이점을 알아 봅시다.
Ÿ
제 4장
교수 학습 활동:
현대 결혼 풍습에서 전통적인 요소를 찾아봅시다.
- 현재 한국에서의 혼례 의식은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신랑, 신부가 턱시도와 하얀색의
웨딩드레스를 입고 화려한 서구식의 장식으로 꾸며진 공간에서 치르는 경우가 대부분이
다. 하지만, 신부의 집에 납폐함을 보내고, 신랑, 신부가 시댁 어른들께 폐백을 올리고,
결혼 선물로 부부의 백년해로를 상징하는 나무 기러기 한 쌍을 전달하는 것은 오늘날까 지 이어지는 전통 혼례 풍습이다.
Ÿ
터키의 결혼 풍습과 한국의 결혼 풍습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서로 이야기해 보며 두 문 화권의 차이를 이해한다.
평가: 결혼의 의미에 대해 다른 문화권의 차이점과 유사성을 잘 이해하였는가?
201 l
참고 자료 혼례 절차 (1단계 학습 내용) ① 중매자가 신랑과 신부의 집을 드나들며 혼사를 의논한다.
②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청혼서와 신랑의 사주(四柱)를 보낸
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③ 신부 집에서 신랑 집으로 납폐(納幣)와 전안(奠雁)할 날짜를 정해 택일단자(擇日單子)를 보낸다. ④ 혼사(婚事)가 정해지면 신랑 집에서는 약혼의 표시로 혼서지
(婚書紙)와 함께 신부 치맛감 등 혼수품과 그 내역을 적은 물목단 자(物目單子)를 납폐함(納幣函)에 담아 신부 집에 보낸다. 납폐함
은 혼인을 상징하는 예물이기 때문에 ‘자손번창(子孫繁昌)’이나
‘가내평안(家內平安)’을 뜻하는 ‘수복(壽福)’ 문자와 박쥐 문양으로 장식하였다.
함은 ‘함진아비’라 하여 보통 첫 아들을 낳은 복 많은 사람이 지
게 하였고, 신부 측에서는 함에 손을 넣어 처음 잡히는 옷감 색
에 따라 부부의 장래를 점치기도 하였다.
⑤ 초행: 신랑 일행이 신부 집으로 간다.
⑥ 나무 기러기를 든 기럭아비의 인도로 신랑이 신부 집에 들어
간다. 신부 집에 도착하여 기럭아비가 신랑에게 기러기를 주면
신랑은 기러기를 작은 탁자 위에 올려놓고 장모에게 두 번 절하
고 장모는 기러기를 안고 방으로 들어간다. 옛날에는 살아 있는
실제 기러기를 드렸다고 한다.
⑦ 신랑과 신부가 처음 만나 절하는 의식인 교배례(交拜禮)를 치
르고, ⑧ 서로 합환주 마시는 의식인 합근례(合巹禮)를 치른다.
이러한 예식을 초례라고 하며, 예식을 치르는 곳을 초례청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초례는 신부 집의 대청이나 마당에 차렸다.
l 202
초례상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음양의 화합을 상
징하는 청색·홍색의 촛대, 솔가지와 대나무, 수탉, 암탉, 밤, 대추, 붉은팥, 검은콩 등을 차렸다. 음양의 원리에 따라 신랑은 동쪽에
서며, 신부는 서쪽에 서서 예식을 행하였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⑨ 신랑과 신부가 합방을 한다.
⑩ 대체로 1~3일 후에 신부가 가마를 타고 신랑과 함께 신랑 집
으로 간다.
⑪ 신부가 시부모와 시댁 사람들에게 인사를 한다. ‘폐백(幣帛)’이
제 4장
라고 한다.
⑫ 사당에 신부가 왔음을 고한다.
⑬ 몇 달 후 신랑과 신부가 신부 집에 인사를 간다. 백년해로(百年偕老) Ÿ
부부의 인연을 맺어 평생을 같이 즐겁게 지낸다는 말이다. 한국 속담에 ‘검은 머리가
파뿌리가 되도록’이라는 말이 있듯이 부부가 한번 인연을 맺으면 죽을 때까지 같이 사
는 것을 행복한 삶으로 여긴다. Ÿ
보통 백이라는 숫자는 자연수 100을 가리키지만 때로는 많다는 뜻도 포함하고 있어서
백년해로는 부부가 오랜 세월을 함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 시대의 중매결혼 Ÿ
당시에는 남녀 구별이 엄격한 유교 사회로 중매결혼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중매에는
남자와 여자의 생년월일시를 적은 사주단자(四柱單子)로 궁합을 맞추고, 혼사(婚事)가
정해지면 혼서지(婚書紙)와 예물을 담은 납폐함(納幣函)을 보내 약혼을 증명하였다. Ÿ
혼인 절차는 신랑이 신부 집에 나무 기러기[木雁(목안)]를 바치는 전안례(奠雁禮), 신랑
과 신부가 맞절을 하는 교배례(交拜禮), 합환주를 나누어 마시는 합근례(合巹禮) 순으로
203 l
진행되었다. 중국의 가족 예절서인 『주자가례(朱子家禮)』에는 신랑이 신부를 자기 집으
로 맞이하여 초례(醮禮)를 치르는 친영(親迎)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우리는 관행적으로
신랑이 신부 집에 가서 초례를 치렀다. - 혼사: 혼인에 관한 일.
- 청혼서: 혼인할 때에 신랑 집에서 예단과 함께 신부 집에 보내는 편지.
- 사주: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의 네 간지(干支). 또는 이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 을 알아보는 점.
- 납폐: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보통 밤에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혼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서와 함께 함에 넣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 전안: 혼례 때,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함. 또는 그런 예(禮). 산 기러기를 쓰기도 하나, 대개 나무로 만든 것을 쓴다.
- 택일단자: 혼인 날짜를 정하여 상대편에게 적어 보내는 쪽지.
- 혼서지: 혼서를 쓰는 종이. 검은 비단 겹보에 싸는데 보자기 네 귀에는 다홍 술을 단 금전지를 붙이는 것이 보통이다.
- 물목단자: 물건의 목록, 부조나 선물 따위의 내용을 적은 종이. - 수복: 오래 살고 복을 누리는 일.
- 함진아비: 혼인 때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보내는 함을 지고 가는 사람.
- 기럭아비: 전통 혼례에서, 신랑이 기러기를 가지고 신부 집에 가서 상 위에 놓고 절하 는 전안(奠雁) 의식을 할 때에, 기러기를 들고 신랑 앞에 서서 가는 사람.
- 교배례: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과 신부가 서로 절을 하는 예식.
- 합환주: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 신부가 서로 잔을 바꾸어 마시는 술. - 초례: 전통적으로 치르는 혼례식. - 초례청: 초례를 치르는 장소.
- 대청: 한옥에서, 몸채의 방과 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 - 마당: 집의 앞이나 뒤에 평평하게 닦아 놓은 땅.
- 폐백: 신부가 처음으로 시부모를 뵐 때 큰절을 하고 올리는 물건. 또는 그런 일. 주로 대추나 포 따위를 올린다.
전통 혼례복 (2단계 학습 내용) 신부의 옷차림은 대례복인 활옷에 화관을 쓰거나
원삼에 족두리를 쓴다. 그러나 대체로 전통 혼례식에 전통
혼례복
서는 원삼을 입고 족두리를 쓰며 폐백을 드릴 때는 활옷에 화관을 사용한다. 이때 손은 하얀색 한삼으로
덮는다.
신랑은 바지저고리, 옅은 색의 가벼운 두루마기 위
에 관복을 입는다.
l 204
전통 폐백 음식과 그 의미 (2단계 학습 내용) 전통 폐백 음식과 그 의미
육포
구절판의 9는 부와
시댁 어른들을
행운을 상징하며
존경하고 공경하여
의미한다.
모시겠다는 의미
뒤꽂이
비녀
뜻한다.
완전함과 충만함을
빗치개 가르마를 타는 데 쓰는 도구
떨잠
쪽찐 머리 뒤에 꽂는 장식품
빗접
정성을 다해
쪽을 찌거나
가채를 고정시키는 도구
당혜
얹은머리에
꽂는 장신구로 움직일 때마다 화려한 장식이 떨리면서 우아함을 더했다.
폐백닭 자손번영의 의미를
양가 부녀의
화장용품 등을
신으로 가죽으로
가구
비단을 씌웠다.
넣어 두는 여성용
만들고 겉에는
시어머님의 간식거리로
가진다.
준비하는 의미를
산호가지노리개
장도
자연스러운 산호 가지를 그대로
이용한 산호 가지 단작 노리개
호박 가락지 두 짝으로 된 것을
빗, 가리개,
한과
가락지, 한 짝으로
가진다.
칼집을 갖춘 작은 칼
허리 가리개와 무지기 치마
가는 허리와
된 것을 반지라고
풍성한 엉덩이,
기혼녀만 낄 수
실루엣’의 비밀은
한다. 가락지는
있었고, 미혼녀는 반지를 끼었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부와 자녀번창을
구절판
제 4장
대추 고임
이른바 ‘항아리 속옷에 있다.
205 l
음양오행설(음과 양 그리고 다섯 가지 요소인 흙, 나무, 불, 쇠, 물) Ÿ
우주에는 음(Yin, -)과 양(Yang, +)의 두 에너지가 있고, 우주의 모든 물체는 이 두 에 너지로 이루어졌다는 이론이다.
Ÿ
양과 음의 에너지가 하늘과 땅이 되고, 흙, 나무, 불, 쇠, 물의
다섯 가지 요소(오행)를
만들어 냈는데, 이 요소들이 서로 균형 있게 합쳐져야 질서를 유지하는 것으로 본다. Ÿ
음양이 우주가 진행되는 큰 원리라 한다면, 오행은 음양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진행하는 발걸음, 곧 질서라 할 수 있다.
Ÿ
오방색은 중국의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하여 색채에 구체적인 의미 부여를 부여하였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오방색(노란색, 파란색, 빨간색, 흰색, 검은색) Ÿ Ÿ
색을 보고 좋고 싫음을 따지기 이전에 색에 의미를 우선시한다.
한국의 전통 색상인 오방색은 다섯 방향을 의미한다. 가운데는 노랑, 동쪽은 파랑, 남쪽 은 빨강, 서쪽은 흰색, 북쪽은 검정이다.
Ÿ
노란색: 오행 가운데 흙이며 중앙을 뜻한다. 우주의 중심이며 밝은 빛을 상징하는 양의 기운으로서 가장 고귀한 색이다. 부와 권위를 상징하여 왕의 의복에도 사용되었다. 특
별히 왕 이외에는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게도 하였다. Ÿ
파란색:
오행 가운데 나무이며 동쪽을 뜻한다. 동쪽은 태양이 떠오르는 곳으로 나무가
많아 항상 푸르기 때문에 모든 생명이 태어나고 만들어지는 봄의 색이다. 또한 파란색
은 많은 문화권에서 종교적 믿음이나 평화를 가져오거나 나쁜 기운을 막아 준다는 의미 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Ÿ
빨간색: 오행 가운데 불이며 남쪽을 뜻한다. 남쪽은 항상 태양의 빛을 받기 때문에 붉
다고 생각하였다. 모든 생명이 무성하여 양의 기운이 왕성한 곳이기 때문에 여름을 의
미한다. 창조, 열정, 애정, 적극성을 뜻하며 궁궐이나 민가에서 나쁜 귀신을 물리치는 역할을 했다.
Ÿ
흰색: 오행 가운데 쇠이며 서쪽을 뜻한다. 서쪽은 쇠가 많다고 생각하였으며, 쇠의 빛을
희게 보아 백색으로 표시하였다. ‘흰색’은 물감을 들인 색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색이
라는 의미에서 곧 무색(無色), 자연 그 자체를 의미한다. 가을을 의미하며 결백과 진실, 삶, 순결 등을 뜻하기 때문에 한국인은 예로부터 흰옷을 즐겨 입었다.
Ÿ
검은색: 오행 가운데 물이며 북쪽을 뜻한다. 북쪽은 깊은 골이 있어 물이 있다고 생각
하였으며, 이를 검게 보아 흑색으로 표현했고, 겨울을 의미한다. 한편, 법관의 의상이
검은색인 이유는 인간의 지혜를 관장하는 색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탈속적 인 무상함의 색이기도 한데, 흔히 속세를 떠나 도를 닦는 사람들이라면 검은색의 옷을
걸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Ÿ
한국 사람들은 나쁜 것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오는 방법의 하나로 파란색, 붉은색, 노란 색을 이용하였다.
Ÿ
주술적으로 나쁜 귀신을 물리치거나 예방하는 데는 붉은색과 푸른색이 가장 많이 사용
된다. 동짓날 팥죽을 먹거나 어린아이에게 색동저고리를 입히는 것, 여자아이들이 손톱 을 붉게 물들이는 것, 붉은빛이 나는 황토 집을 짓는 것, 사찰의 단청 등이 그 예이다.
l 206
우리나라와 같이 터키 인들은 아주 진한 빨간색이 아닌 ‘주적색’ 계통을 선호한다.
Ÿ
전통 음식의 색 또한 오방색의 조화를 중요시하였다. 이는 신선로와 구절판 고명 등의
Ÿ
예를 통해 알 수 있다.
파랑, 빨강은 음과 양의 상징인 동시에 남과 여의 상징이기도 한다. 결혼 예복의 기본
Ÿ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색도 파란색, 빨간색이다.
오늘날의 납폐
폐백
함은 혼례를 앞두고 신랑 집에서 신부
폐백은 신부가 시부모, 시댁 어른들에게
집으로 채단과 혼서지를 담아 보내는 상자
처음으로 인사를 드리는 예를 올리는 것이다.
는데, 지금은 신랑의 친구나 신랑의 가까운
서 1~3일 후에 시댁에 갈 때 친정어머니가
이다. 옛날에는 하인이나 사람을 사서 보냈 친족이 직접 가지고 가기도 한다. 함을 가지 고 가는 사람을 ‘함진아비’라고 한다.
함은 장식품에 불과하며 실용적이지 못
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함 대신 가방을 쓰
폐백 음식은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루고 나
싸 주기 때문에 쉽게 상하는 음식이 들어 있 지 않다.
최근에는 예식장 안에 폐백실이 별도로 있
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많이 간소화 되었다.
기도 한다. 함이 신부 집에 도착하면 함을
시어른이 며느리의 치마폭에 밤과 대추를 던
연다.
낳아 번창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받아서 떡시루 위에 올려놓았다가 친족이
제 4장
오늘날의 납폐와 폐백
지며 덕담을 해 주는데, 이것은 자손을 많이
207 l
함진아비
봉치 떡
* 폐백의 다른 의미 폐백은 사제와 군신의 관계에 있어서도 준
비했던 예물로서의 의미가 있다.
임금에게 바치거나 제사 때 신에게 바치는
물건이나 그런 일도 폐백이라 일컫는다.
이미지 출처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오방색(노란색, 파란색, 빨간색, 흰색, 검은색)
http://blog.naver.com/salua?Redirect=Log&logNo=140127878401 결혼준비대백과 http://weddinginfo.wef.co.kr/ 폐백, 식장 등 뉴시스 http://www.ohmynews.com / 닥종이인형 봉숭아
색동저고리 http://blog.naver.com/dlthd33?Redirect=Log&logNo=90027361648 새색시 http://blog.naver.com/bobodoli?Redirect=Log&logNo=100103258934 신선로 http://cafe.naver.com/icimc/690 폐백 음식 http://weddinginfo.wef.co.kr/
비녀, 장도: 국립국어연구원(2002). 한국 문화 길라잡이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전통문화 233가지. 서울: 학고재
이뮤지엄 http://www.emuseum.go.kr/index.do / 호박가락지, 당혜, 뒤꽂이, 노리개
한스타일 http://www.han-style.com/ / 무지기치마
브리태니커 http://www.britannica.co.kr/ / 빗접, 떨잠. 빗치개
l 208
프로그램 2. 한국의 몸짓: 한복과 탈춤마당
개요 본 수업은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의 도구로 탈 공예, 한삼, 탈춤을 이용하며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이고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한다. 한국
색 문화의 기본이 되는 다섯 가지 색, ‘오방색’에 담겨 있는 한국 사람들의 근원적 문화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코드를 이해하고, 그것이 일상생활 및 놀이, 특히 탈춤에 어떻게 녹아들어 있는지 배운
다. 더불어 한국의 놀이 문화 중 하나인 봉산 탈춤을 배우고 여러 가지 탈에 담긴 풍자 적인 등장인물, 옛 한국 사람들의 모습을 체험하며 한국의 ‘이야기’에 한껏 빠져들 수
있다.
조별로 간단한 이야기를 구성하고 각 인물의 특징을 완성하는 탈춤의 기본 동작을
배우고 터키의 전통 무용 동작을 응용한 이야기를 만들 것이다. 현지 터키 문화와의 만 남은 자국 문화에 대한 자존감도 높이며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호감을 유발한다.
함께 완성한 탈춤 이야기는 학습자들의 가족과 친구들 및 한국에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전시와 공연의 형태로 보여질 것이다.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한국의 흥과 신명을 경험할 수 있으며 한국-터키 전통
제 4장
색상과 가면극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며, 더욱 친밀한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계 기가 될 것이다. 학습 목표
§ 한국의 공예와 봉산 탈춤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한다.
§ 직접 탈을 만들어 탈춤을 추면서 한국 문화를 통합적으로 체험한다.
§ 자신의 경험을 담은 봉산 탈춤 이야기를 만들면서 터키 문화와의 관련성을 발견한다. 핵심 용어 : 탈 공예, 한삼, 탈춤, 한복, 어울림
209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2. 한국의 몸짓: 한복과 탈춤 마당 한국의 전통 색상을 뜻한다. 오방정색이라고도 하며, 황(黃), 청(靑), 백(白),
적(赤), 흑(黑)의 5가지 색을 말한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개체가 아닌 관계성을
생각한 민족이다. 이는 색을 사용하는 데서도 나타나는데 그것이 오방색이다.
음과 양의 기운이 생겨나 하늘과 땅이 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목(木)ㆍ화
(火)ㆍ토(土)ㆍ금(金)ㆍ수(水)의 오행을 생성하였다는 음양오행 사상을 기초로 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다. 오행에는 오색이 따르고 방위가 따르는데, 중앙과 사방을 기본으로 삼아 황 (黃)은 중앙, 청(靑)은 동, 백(白)은 서, 적(赤)은 남, 흑(黑)은 북을 뜻한다.
오방색 BEŞ RENK
Kore’nin geleneksel renklerini temsil eder.Sarı, mavi, beyaz, kırmızı, siyah renklerinin bir araya gelmesiyle oluşur. Kore, eskiden beri bireysellikten uzak olup, karşilikli etkileşim halinde yaşayan bir toplum olmuştur.Bunu, renkleri kullanış biçimlerinden de anlamak mümkündür ve bu “5 yön rengi” olarak tanımlanır. Negatif ve pozitif enerji meydana gelip, gökyüzü ve yeryüzü oluşup,tekrardan negatif ve pozitif enerji oluştuktan sonra, Salı.Cumartesi.Cuma.Çarşamba’yı oluşturan beş element, “negatif-pozitif ve beş element” ilkesine dayanmaktadır. Beş elementin, beş rengi ve takip ettiği yönler farklı olup, merkez ve dört yönü esas alarak, sarı renk, orta noktayı; renk, batıyı; kırmızı güneyi; siyah ise
mavi renk, doğuyu;
beyaz
kuzeyi temsil eder.
서로 조화를 이룬 상태. 함께 사귀어 잘 지내거나 일정한 분위기에 끼어들
어 같이 휩싸인 상태를 의미한다. 탈춤이 벌어지는 공간은 특정한 장치가 필요 하지 않다. 곳곳에 횃불을 밝히고 관객들이 빙 둘러앉거나 선 원형의 평면 공
간이면 충분하다. 즉 삶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춤과 놀이이기 때문에 관객과
탈꾼이 하나가 되어 어우러진다. 어울림 AHENK
Birbirleri ile uyum içerisinde olma durumudur. Biraraya gelip, zevkli ve hoş bir atmosfer içerisinde birlikte ortadan uyumlu şekilde yok olma durumudur. Maske dansının genişletildiği boş alanda özel bir donanım gerekmez. Yer yer meşale yakıp, izleyiciler daire kurarak, otutur ya da
sadece dairesel bir alanın olması da yeterlidir. Yaşam
alanının içerisinde gerçekleştirilen dans ve oyun olmasından dolayı, izleyici ya da dans eden kişinin bir kişi olmasıyla oyun başlar.
l 210
황해도 봉산(鳳山) 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가면극이다. 봉산 탈춤은 보통 가
면극처럼 춤이 주가 되고 몸짓과 동작·재담·노래 등이 따르는데, 춤은 팔먹중의 외사위·곱사위·양사위·민사위·무동춤과 취발이의 깨끼춤, 말뚝이의 두어춤, 미얄
KORE GELENE KSEL BONGSA N MASKE DANSI
의 궁둥이춤·까치걸음 등 다양하다. 전체가 7마당 5거리로 구성되었으며, 현재 전하는 어느 가면극보다도 오락성과 예술성이 강하다. Sarı
Deniz
Dobongson
yöresinin
geleneği
olan,
maskeli
piyestir.Bongsan maske dansı, genelde maskeli piyes gibi dans ile birlikte
vücut
hareketleri
ve
vücut,el
ve
ayakların
uyumu.çıkış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봉산탈춤
hareketleri, şarkı v.s eşliğinde olup, dans olarak; eş zamanlı dans, ikili dans, akrobat dansı, müstehcen dans, ikili dans gb çok çeşitlidir. Tamamı 7 sahne ve 5 hikayeden oluşup, günümüzde yayılmakta olan maskeli piyese göre daha eğlenceli olup,sanatsal yönü güçlüdür. 의복의 하나로, 궁중 무용(宮中舞踊)을 할 때 무동(舞童)이나 여기(女妓)가 손
목에 착용하는 긴 소매를 말한다. 백색의 백한삼이 있고 여러 색이 배합된 색
동한삼이 있다. 많은 궁중 무용에서 모양과 길이를 달리하여 사용되고 있다. 다 른 뜻으로는 예복을 갖추어 입을 때 손을 가리기 위하여 두루마기나 여자의 저 고리 소매 끝에 길게 덧대는 소매를 의미하기도 한다.
CEKET KOLU
Tek elbiseden oluşup, saray dansı yapılacağı zaman erkek dansçının,
제 4장
한삼
kadının bileğine giymiş olduğu uzun bir kol kılıfı olarak giydiği elbiseyi ifade etmektedir. Beyaz renkli olup,çeşitli renklerde olan “hansam” lar da vardır. Birçok saray dansı gösterilerinde, görünümü, biçimi ve uzunluğu birbiriyle uyumlu olup, bu şekilde kullanılmaktadır. Bir başka deyişle, tören elbisesi( kutlama elbisesi) giyildiğinde, elleri örtmek için Kore’nin özel ceketi olan “turumagi” ya da kadının ceket kolunun bitiş kısmına uzunca iliştirilmiş olan “kol kısımlarını “ ifade etmektedir.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모양을 만들어 주로 얼굴에 써서 분장(扮裝)에 사용
하는 것으로 오늘날 일반적으로 ‘탈’이라는 말이 가면을 나타내는 한국말로 쓰 이고 있지만, 한국의 탈놀이〔假面劇〕에 사용되는 탈은 모두 얼굴 전면을 덮게
되어 있으며, 탈 뒤에는 ‘탈보〔假面布〕’가 붙어 있어서 이것으로 머리를 동여매 고 후두부를 가리게 되어 있다. 이 점으로 보아 한국의 탈은 그리스 가면이나 기악면(伎樂面)과 마찬가지로 가두에 가깝다. 탈 MASKE
İnsan ve hayvanların yüz figürlerinin yapılıp,yüze çizilip, makyajda kullanılan ve bugün “maske” olarak adlandırılan bu ifade korecede kullanılmaktadır
fakat;
Kore’nin
maskeli
oyunlarında
kullanılan
maskelerin tamamı,yüzün ön kısmına çizilip, saçın arka kısmını ayırmak için kullanılan bez, Korece “talbo” olarak isimlendirilen bu şey; saçı bağlayıp, saçın arka kısmını ayırmış olur. Bu açıdan bakıldığında, Kore’nin maske dansı,Yunan maske dansı ve çalgı aletleriyle benzerlik gösterip, sokak dansı türündedir.
211 l
한국 춤 동작의 기본 단위를 의미한다. 춤사위라는 말은 보편적으로 춤 동
작을 말할 때 쓰인다. 한국의 춤사위는 획일적인 것과 다양하고 자유로운 것의 2원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 첫째 궁중 무용·불교 의식 무용과 농악 무용의 일
부 및 해서 지방의 탈춤, 경기 지방의 탈춤 등과 같이 춤사위가 일정하게 고정 되어 있는 것이 있고, 둘째 무당춤·승무·살풀이와 농악 무용의 일부 및 탈춤의
일부 등과 같이 춤사위가 기본 동작은 있으나 즉흥적으로 그때그때 생성되는
것이 있다. 춤사위는 사람들의 기질이나 미의식의 차이에서도 춤 동작을 달리
하며 지역에 따라서도 형태를 달리한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춤사위 Kore dansının temel figürlerini temsil eder. Bu terim, evrensel olarak DANS HAREKE TLERİ
dans
hareketlerini
anlatmak
için
kullanılır.Kore’nin
dansı,
tekdüze
olmayıp, çeşitlidir ve 2 boyutlu malzemelerle donatılmıştır.İlk olarak, saray
dansı.Budizm
motiflerini
içeren
dans
ile
Koreli
çiftçilerin
geleneksel dans gösterisi altında maske dansı, Gyeonggi eyaletine özgü maske dansı olarak belirlenmiş olup,ikinci olarak; tıbbi dans,Budist dansı,dini ayinsel danslar ve çiftçilerin oynadığı geleneksel danslar altında maskeli danslar ile birlikte Doğu’ya özgü olan bu dans, temel dans hareketlerini içermekte olup,doğaçlama olarak zamanla ortaya çıkmıştır.
Doğu
dansı,
insanların
mizaç
ve
estetik
anlayışındaki
farklılıklara ve bölgesel farklılıklara göre dans hareketleri göstermektedir.
l 212
değişiklik
프로그램의 단계
1단계 1차시
2단계
2~3차시
3단계
만남: 전통 탈 공예, 탈춤을 통한 한국 문 화 이해하기
한국의 얼굴:
전통 탈 만들기
한국의 옷:
한복 체험하고 한삼에 그림 그리기
학습 활동 한복, 탈, 춤이 어우러진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전통 탈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 한지와 오방색의 특성을 살려 나만의 탈을 만든다.
한복을 감상하고 특징에 대하여 알아본다. 한삼에 자신을 나타내는 문양이나 그림을 그리고 멋
글씨로 표현한다.
제 4장
4~5차시
학습 주제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단계
4단계
한국의 몸짓:
6~7차시
춤사위 익히기
5단계
문화 나눔:
8차시
탈춤 마당 열기
타령 장단과 디딤을 배운다. 탈춤의 기본 동작을 익힌다.
탈춤을 공연하고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213 l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만남: 전통 탈 공예, 탈춤을 통한 한국 문화 이해하기
수업 목표: 옛 어른들의 슬기롭고 은근한 미가 있는 전통 공예 탈, 탈춤, 한복을 학습한 다. 우리나라의 자연 풍토에 따라 발전해 한국의 미에 대해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PPT 자료, 필기도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동기 유발: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말해 봅시다. 교수 학습 활동: Ÿ
한국 전통문화 이해하기
- 예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물건이나 풍습이라는 전통의 뜻을 이해한다.
- 전통 공예의 뜻과 종류를 이해하고, 현대 생활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본다. 예) 전통 의상 - 한복
전통 놀이 - 제기차기, 연날리기 등
전통 음악 - 사물놀이, 민요, 판소리 등 전통 혼례 - 족두리와 사모관대
전통 풍습 - 동지 팥죽, 쥐불놀이 등
전통 생활 양식 - 물 긷기, 가마솥에 밥하기, 밭 메기 등
Ÿ
탈과 탈춤, 한복 이해하기
- 전통 한복과 탈, 탈춤은 자연에서 얻어지는 재료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이해한다. - 다음 차시에 쓸 재료의 특징을 알아본다. ㆍ한지 - 닥나무
ㆍ색 한지 - 한지에 색을 입힌 것 ㆍ탈 - 종이 풀
ㆍ오방색 물감 - 자연 속의 식물들에서 체취 ㆍ한삼 - 색동 한삼
ㆍ한복 입는 법 - 남녀 한복 Ÿ
자료 영상물 시청하기
- 옛날 의복과 현대의 의복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 가마솥, 디딜방아, 돌절구, 지게, 장독, 초가집 등 옛날 우리 생활 속 공예품을 살펴보 고 궁금한 점에 대하여 질문한다.
평가: 전통 공예품, 탈, 탈춤 한복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였는가?
l 214
2단계
한국의 얼굴: 전통 탈 만들기
수업 목표: 전통 한지와 오방색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탈을 만들어 본다. 한국의 정서와 터키의 정서가 어우러진 독특한 그림으로 탈을 꾸며 본다.
수업 준비물: 종이 탈, 붓, 붓펜, 채색 물감(오방색), 접시, 물통, 가위, 고무줄, 한삼 학생 준비물 : 수집된 자료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동기 유발: 한국의 탈을 보면 무엇이 떠오르는지 이야기를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전통 탈의 내용을 기억하며 미리 그려 본다.
만들기 할 탈의 배색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한국적 오방색을 염두에 두고 사인펜이나
색연필로 미리 색칠해 보고 아름다운 배색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Ÿ
탈춤의 주인공이 된 기분으로 전통 공예 재료인 한지를 활용하여 탈 꾸미기를 해 보도
록 한다. 본 수업으로 학습자들은 탈춤과 더욱 친숙해지고 탈의 얼굴 모습을 꾸며 봄으 로써 한국적인 색과 미를 느끼며 자국의 정서를 반영한 독특한 탈을 완성할 수 있다.
3단계
제 4장
평가: 자기만의 개성을 살려 탈에 표현하였는가? 배색과 장식이 아름답게 표현되었는가?
한국의 옷: 한복 체험하고 한삼에 그림 그리기
수업 목표: 준비된 여러 종류의 한복을 입어 보고 입는 법과 옷고름 매는 법을 배운다. 색동 한삼이나 흰 한삼에 그림을 그리고, 멋글씨로 표현한다.
수업 준비물: 탈춤 동영상 자료, 한복의 종류, 한복 입는 법 자료, 흰 한삼, 색동 한삼, 5가지색(오방색) 물감, 한복, 촬영 장비
동기 유발: 아름다운 오방색으로 꾸민 한국의 전통 의상을 체험해 봅시다. 탈춤에 필
요한 한삼에 자신만의 여러 가지 그림이나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감정을 적 어 봅시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한복을 입어 보고 느낌을 이야기해 본다.
한복과 터키 전통 의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이야기해 본다.
색동 한삼이나 흰 한삼에 그림을 그리고, 멋글씨로 느낌을 표현한다.
평가: 한복의 특징과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한삼을 아름답게 장식하였는가?
215 l
4단계
한국의 몸짓: 춤사위 익히기
수업 목표: 한국 전통 탈춤의 기본 춤사위 동작을 학습하고, 한국의 몸짓을 익힌다. 탈 춤의 과정을 함께 하면서 공동체 의식을 갖는다.
수업 준비물: 한삼, 탈, 한복 동기 유발: 한국적 흥을 체험해 봅시다. 한국의 장단에 맞추어 어깨를 들썩여 봅시다. 교수 학습 활동: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Ÿ
탈춤을 통해 한국적 장단을 몸짓으로 체득한다. 교사의 동작을 잘 살피고 적극적으로
배우도록 유도한다. 탈춤 동작 전 과정을 영상으로 기록하여 추후에도 수업이 가능하도 록 한다.
Ÿ
탈춤 춤사위의 기본 동작을 익히고 연습한다.
- 탈 이야기
- 타령 장단과 디딤
- 불림
- 탈춤 기본 동작(고개잡이, 다리들기, 소걸음 또는 제자리걸음) - 탈춤 기본 동작(외사위)
- 탈춤 기본 동작(양사위)
Ÿ
한글 수업 반별로 조를 짜고 조 이름을 정하여 공연 준비를 한다. 자신들의 사연을 담
아 짧은 이야기를 짜 본다.
- 조별로 자유롭게 감정을 실어 터키 전통 춤의 동작을 응용해 본다.
- 한국의 정서와 터키의 정서가 만날 수 있는 독특한 동작을 만들어 본다. - ‘낙양동천 이화정’, ‘얼쑤’, ‘잘한다’ 등의 추임새를 넣어 준다.
§ 탈과 한삼, 탈춤이 조화롭게 이루어졌는지 서로 이야기하여 본다. 평가: 탈춤의 춤사위에 대하여 이해하였는가? 기본 탈춤 동작에 자유로운 창의적 표현 을 덧붙일 수 있는가?
5단계
문화 나눔: 탈춤 마당 열기
수업 목표: 공연에 필요한 도구를 착용하여 조별로 공연을 한다. 한국의 신명 나는 ‘흥’ 을 표현하면서 한국 문화와 터키 문화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짐을 경험한다.
수업 준비물: 작업된 탈, 한삼, 이마받이, 공연장
l 216
동기 유발: 자신이 만든 한삼, 탈과 함께 그동안 배운 탈춤의 동작을 누구에게, 왜 보여 주고 싶은지 이야기를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2차 수업에 연습한 동작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조별로 진행한다. 실기 수업 탈춤 공연을 진행한다.
전 과정은 조원이 단합하여 기획하고 제작을 하며 전체적인 방향성은 전문 강사의 도움 을 받도록 유도한다.
Ÿ
전체적인 공연을 보며 탈춤의 의복과 탈에 나타나는 오방색, 터키 인들이 전통적으로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선호해 온 색감과의 차이 및 공통점을 이해하고 공유하여 두 나라가 더욱 친밀한 유대 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한다.
Ÿ
오방색의 의미와 탈, 한삼 꾸미기에 대해 잘 이해하고 한국적인 색채에 앞으로 지속적 인 관심을 어떻게 이어 나갈지에 대해 함께 논의한다.
평가: 적극적으로 공연에 임하였는가?
제 4장
참고 자료 전통 탈 학습 순서(1단계 학습 내용) 전개
1
순서
전통 공예의 이해
활동
내용
활동 모습
이야기를 통한 공예 요소 알아보기 탈과 탈춤에 대한 영상 자료
준비된 종이 탈에 채색한다. 한국 2
전통 공예
재료의 이해
전통 탈의 그림 그대로를 그릴 필
요는 없다. 오방색을 이용하여 터키 전통 가면의 느낌을 살려도 무관하
다. 자유롭게 자신의 느낌을 반영하
여 자신만의 탈을 완성한다.
완성된 탈은 전시용으로 탈춤 공연 시 3
정리 및 발표
사용할 소품이니 조심스레 건조시킨
다. 탈춤 속의 탈의 역할을 다시 정리 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진다.
217 l
한복 체험하고 한삼에 그림 그리기(3단계 학습 내용) 활동 내용
학습 주제
활동 모습
남, 여 한복을 구분하고
저고리와 치마, 저고리와
한복 입어
바지를 입어 본다. 바른
보기
옷고름 매는 법을 숙지하게 한다.
학습자가 원하는 그림을 흰
부분에 그려 넣게 한다. 멋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글씨로 쓸 한글을 한삼 위
에 써 본다. 천 위에 붓펜을 이용하여 쓰는 것이라 천이
한삼 꾸미기
움직일 수 있다. 천이 움직 이지 않도록 서로 도와 가
면 글자를 쓴다. 개별적인 표현이 담긴 한글 한삼은 탈과 함께 전시를 할 예정
이며 탈춤 공연에 사용할 것이다.
한복의 명칭
여성의 한복
남성의 한복
한복의 변천 Ÿ
삼국 시대에는 대체로 유(저고리), 고(바지), 상(치마), 포(두루마기)를 중심으로 관모(모
자), 대(허리띠), 화(신발)가 더해졌다. 저고리가 엉덩이까지 내려올 만큼 길고, 바지의
통도 넓었으며 남성과 여성이 함께 입는 남녀 공용이었다. Ÿ
통일 신라 시대에 우리나라 고유의 포는 서민들이 주로 입었으며, 귀족들은 평상복으로 만 입었다. 여성들의 새로운 옷으로는 반비가 있었는데, 주로 귀족들이 위에 덧입었다.
Ÿ
고려 시대에는 복식 구조가 크게 변하였으며 특히 귀족층이나 지배층에서는 중국 옷을 그대로 받아들여 입고, 서민층에서는 우리 고유의 복식을 계승하여 입어 복식의 이중
구조가 나타났다.
l 218
Ÿ
조선 시대에는 우리 고유의 복식이 서민복으로 뿌리내렸다. 중기나 후기에 들어서면서
한층 시원해지고 띠 대신 고름을 매기 시작하였으며, 두루마기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말기에는 양반과 서민의 옷 사이에 큰 차이가 없어졌다. 특히 여자 저고리는 후기로 가 면서 길이가 짧아져 오늘날과 거의 같은 모양이 되었다. 마고자를 입기 시작하였고 서
양 문물의 영향으로 조끼를 입기 시작하였다.
- 여자 복식은 치마, 저고리의 기본형이 서민복으로 이어져 왔다. 조선 초기에는 저고리
의 길이가 길고 여유 있는 형태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작고 짧은 저고리에 풍성한 치마, 커다란 머리 모양 등 하후상박(下厚上薄)의 전통 한복미가 나타났다.
- 조선 시대 중엽 이후 복식은 실용화 내지 평등화 쪽으로 기울었고, 말엽에는 양반과 서 여성 복식의 변천
고구려 남녀 복식 Ÿ
고려 여성 복식
조선 시대 여성 복식
조선 중기의 저고리
조선 후기의 저고리
여성 저고리의 변천
조선 초기의 저고리 Ÿ
통일 신라 여성 복식
제 4장
Ÿ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민 사이의 계층 간 복식 차가 줄어들었다.
조선 초기의 저고리
일제 강점기 때에는 여자들의 저고리가 짧아져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한복의 현대적 활용 Ÿ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한복을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만 입게 되었으며, 사람들이 편하 게 입을 수 있는 생활한복이 보급되고 있다. 청학동에서는 아직도 한복을 일상복으로
입고, 국악고등학교, 민족사관고등학교에서는 교복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Ÿ
택견 무술에는 하얀 한복을 입는 것이 통례이며, 첫돌, 환갑, 칠순, 팔순 등의 일부 생일 에는 생일을 맞은 사람이 입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차례 지낼 때 대부분이 한복을 입는다.
219 l
한복 제본 모형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여자 한복 제본
남자 한복 제본
한지 Ÿ
한지는 생각보다 매우 질기며 통풍성과 보온성이 뛰어나 한지로 집안을 도배하거나 창호 에 붙이기도 하였다. 한지에 그림을 그리면 매우 은은하고 독특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Ÿ
닥 섬유 채취와 종이 제작 과정(추원교, 2003)
① 닥나무 가지 베기(거두기) - 농한기인 11월∼2월, 겨울철에 벤다.
② 닥나무 삶기 - 닥나무 가지를 솥에 넣고 삶은 것을 대 닥나무라 하는데 이것은 껍질 을 벗기기 위한 과정이다.
③ 피 바닥 만들기 - 껍질을 익힌 다음 증기가 나무에 깊숙이 밴 상태에서 껍질을 벗기 기 위해 건져 낸다.
④ 백닥 만들기(속껍질) - 처음 벗겨진 껍질을 흑피라 하고 이것이 제지의 원료가 된다. 흑피를 물에 불려서 중간 껍질까지 다 벗긴 것을 백피라고 한다.
⑤ 백닥 말리기 - 겨울에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닥이 얼지 않게 햇볕에 말린다.
⑥ 삶기 - 벗긴 백피를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4∼5시간 정도 양잿물(가성 소다, NaOH)에 삶는다. 옛날에는 콩대, 고춧대, 메밀대, 목홧대를 이용하였다.
⑦ 이물질 세탁하기 - 삶은 닥 섬유를 3단계에 걸쳐서 흐르는 물 위에 올려놓고 뒤집으
며 티를 고른다. 티를 고른 후, 둥근 모양으로 닥을 뭉쳐서 선반 위에 올려놓고 치거나 절구통에 넣고 빻아서 닥의 섬유질이 분해되게 하는데 이것을 고궁시라고 한다.
⑧ 분해된 닥을 물이 반쯤 채워진 지통에 넣은 뒤, 대나무로 만든 풀대로 힘차게 저어서
원료를 잘 풀어 주는데, 이것을 풀대질이라고 하며, 200번 정도 세게 저어 준 뒤 닥풀, 느티나무 즙이 담긴 망태를 넣어 준다.
⑨ 닥풀을 풀대질한 원료 속에 넣고 다시 풀대질을 한다. ⑩ 종이뜨기
- 가눔식 외발 뜨기 : 가장 오래된 방식으로 수분이 빠져나가고 섬유질만 남는다. 두께 가 균일한 종이를 만들기 어렵다.
- 흘림식 외발 뜨기: 5세기 이후 사용되었으며 묶인 틀에 발을 얹어서 앞뒤로 수분을 빼내는 방식으로 가눔식보다 건조가 빠르고 두께가 균일하다.
l 220
⑪ 물기 짜기: 쌓인 종이 위에 커다란 판을 놓고 그 위에 돌멩이를 올려놓고 눌러 줌으로 써 물기를 뺀다.
⑫ 떼어 말리기: 물기를 뺀 종이를 한 장 한 장 벗겨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비가 올 때는 방바닥이나 방 벽에다 펴서 말린다.
⑬ 다듬이질 과정을 거쳐서 완성한다. 그림으로 보는 한지 제작 과정(전통한지공예가협회, 2001)
➁ 닥나무 껍질 벗기기
➂ 닥나무 삶기
➃ 닥나무 껍질에 닥풀 풀기
➄ 한지 뜨기
➅ 외발 뜨기
제 4장
➀ 닥나무 채취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Ÿ
221 l
참고 자료: 다양한 모습의 봉산 탈춤 (4단계 학습 내용)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제1과장 사상좌춤
제1과장 사상좌춤
제2과장 팔먹중춤
제3과장 사당춤
제4과장 노장춤
제5과장 사자춤
제6과장 양반춤
제7과장 미얄, 영감춤
이미지 출처
그림으로 보는 한지 제작 과정:
전통한지공예가협회(2005). 전통한지공예. 서울: 우리출판사(2000)
봉산 탈춤
봉산탈춤.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l 222
한국 문화 교육의 현황과 특성 케냐는 영국의 식민지였던 과거로 인해 한국과는 완연히 다른 문화를 형성하고 있고 아시
아 자체에 관심조차 없었던 지역이었다. 케냐 지역에 선교를 위해 건너간 선교사들을 계기로
한국에 대하여 조금씩 알게 되었다. 현재는 한국에 대한 정보도 과거에 비해 많아지고 무엇보 다 한국 드라마가 방송되면서 한국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방송이 보여 준
한국의 발전상과 기술적인 위상들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반 케냐 인들이 한국에 쉽게 유학을 오거나 여행을 올 수 없으므로 한국에 대해 공부하
고 정보를 얻어서 가능한 장학금을 받아 한국에 유학 오고자 하는 젊은 케냐 인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 대한 정보가 한정적이고 전혀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현지에서 얻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은 정보가 극히 제한적이거나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한국에 와서야 본인들이 생각하 는 한국과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다고 한다. 한국에 유학을 와서 학업을 마치고 본국으로
돌아가면 더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기대 심리가 매우 높다 보니 한국에 대해 매우 우호 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세종학당에도 많은 관심이 모이는 상황이다.
케냐 세종학당에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한국을 잘 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원하
고 있으며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은 있으나 악기를 구할 수 없는 등 프로그램을 진
행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관심에 비해 정보가 부족하며 자료 관리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한국과 거리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한국적인 재료나 악기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하
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자원을 원활히 제공받기가 힘든 상황이다. 그러나 케냐 세종학당은 케
냐의 젊은이들에게 한국의 우수한 문화를 알리고 아프리카의 관문인 케냐에 우리 문화를 깊이
접목하여 궁극적으로 양국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아시아에서 중국에 편향된 케냐의 정치 경제 에 한국이 뿌리 깊게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케냐 세종학당은 한국어 교
육에 치중하지 않고 한국 문화라는 전체에 예술 문화, 생활 문화 등 전반을 다루려고 노력해 왔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케냐 인들은 감정 이입을 잘하고 격동적 동작이나 리듬감이 매우 강하여 문화예술교육 시
국악이나 탈춤 등 움직임이 강한 프로그램의 호응도가 높을 듯하다. 또한 한국 전통 한복을
활용한 공예 예술 등이 적합한 프로그램이라 생각되며 한국의 가면무용에 가야금, 아쟁, 피리
등의 고유 악기와 케냐의 격동적인 춤과 연계를 한다면 많은 호응을 얻어 낼 수 있으리라 기 대된다.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케냐 세종학당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해당 교육 기관의 교육 철학과 목표와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케냐 현지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정의와 상황을 인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단선적인 구조가 아닌, 입체적인 구조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주요 쟁점
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지속력을 높이고 다중 매체 교재 개발 및 교사 지침서 개발 이 시급하며 내용적으로는 내용의 단순성, 문화 항목의 선형적 제시, 현지화의 문제 등이 고
려되어야 한다. 시범 사업이 끝나고 전문 인력이 부족하더라도 지속적인 수업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케냐 현지에 맞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정착할 수 있으리 라 생각된다.
l 224
케냐 세종학당의 문은 현지 일반인 모두에게 열려 있어야 하며 교육의 전개 방식에 있어서
일방적이 아닌 케냐의 문화를 존중하고 상호 교류하고자 하는 문화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열려 있어야 한다.
거점 세종학당으로서의 강약점 케냐는 지정학적으로 아프리카의 관문 역할을 하며, 여러 나라 중 핵심적인 위상을 보여주
는 국가이다. 따라서 케냐에 한국을, 한국 문화를 알리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
다. 케냐 세종학당이 예술을 통한 일방적인 문화 소개가 아닌 상호 이해와 문화 다양성 존중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을 지향하며, 전문 기획을 통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대상국 간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 예술을 주제로 또는 매개체로 활용하여 국제 사회에 있어 국가 이익
의 옹호, 증대를 추구하는 외교의 한 영역으로서 자국의 이미지를 세련되고 긍정적이게 고양
시키려는 노력이 가능하다.
문화 예술과 외교라는 복잡, 미묘한 영역의 합작을 통해 특정 국가의 현실적 목표를 성취
하는 고도의 수단이라는 측면과 더불어 인류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마땅히 수행해야 할 순수한
과제라는 측면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은 상대의 문화를 깊게 이해함으로써 문
화 전반을 효과적으로 엮어 내어 이것이 자연스럽게 세계에 대해 한국 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는 역할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문화를 통하여, 상대방의 문화와 자국의 문화가 함께
제 4장
발전할 수 있어 국가 간의 결속력을 다질 수 있다. 기대 효과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 증진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수 있으며 예술로 정서
적 공감이 가능하여 학당 밖으로 한국 문화 예술의 우수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어 한국의 위상 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현지 문화와의 접목을 통하여 문화를 주고받는 시간이 될 수 있으며
한국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는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학습 중 자연스럽게 자국 문
화와 한국의 생활 문화 저변의 가치(가족, 예절, 친절, 존중)의 비교는 매우 흥미로운 관점이
될 것이며 한국어 이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케냐 현지 학습
자들에게 정확하고 심도 있는 학습 단계를 제공할 수 있어 한국의 과거, 현재에 대한 깊이 있
는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정학적으로 아프리카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문화
의 발전 단계로 볼 때 동아프리카 문화 교류의 거점으로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 다.
프로그램 개발 방향 Ÿ
격동적 동작, 강한 리듬을 좋아하는 성향
한국 어울림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전통 가면무용, 탈춤 등이 현지 정서와 만날 수 있
는 방법을 모색한다. 케냐의 격동적인 전통 민속춤과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에 의한 문화 연계 가 가능하다. 한국 문화 예술에 대한 이해의 도구로 탈 공예, 한삼, 탈춤, 한복, 가야금, 아쟁
을 이용하며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이고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케냐 문화와의 만남을 시도하여 자국 문화에 대한 자존감도 높이고 한국 문화에 대
225 l
한 긍정적인 호감을 유발시킨다. 한지를 이용한 탈 공예, 한삼에 아프리카 문양 그리기, 한국
전통 탈춤 동작을 케냐 전통 춤과 연계하여 배우고 재해석하기, 만든 탈과 한삼을 이용하여
탈춤 공연용 이야기의 줄거리 기획하기, 공연하기 등 다양한 형태로 수업이 가능하며 수업의 난이도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의 수업을 이끌어 낼 수 있다. Ÿ
새로운 미의식의 발견
미국, 유럽과는 다른 한국의 미의식, 아름다운 자연의 영향 아래 발전되어 온 옛 어른들의
슬기롭고 은근한 미가 있는, 우리나라의 자연 풍토에 따라 발전해 온 한국의 미에 대해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 본다. 사군자 따라 그리기, 부채에 먹으로 그리기, 먹과 한지를 이용한 멋글 씨 쓰기, 학습자의 이름을 한글로 써 주고 따라 쓰기 등을 통해 번지는 먹과 한지, 붓글씨의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매력을 느끼게 한다. 한지에 번지는 먹의 느낌은 한국의 미를 잘 표현하는 것임을 느끼게 한
다. 외국인들이 보기에는 한글이 그림처럼 보이는 것을 이용하여, ‘홋’ 자는 모자 쓴 사람으로 보인다든지 하는 등으로 한글을 유형화하여 새로운 그림을 완성하게 한다. 한글에 대한 친근
한 이미지를 주고 자연스럽게 한국적 정서를 느끼게 한다. Ÿ
한류를 이용한 전통과 현대
사극 드라마나 사극 영화 속의 다양한 한복 의상에 대한 학습과 한복, 전통 예복 입어 보
기 체험, 옷고름 매는 법, 큰절하기, 다도, 한국인의 예절 등 한국 전통 생활 문화를 이용하여
한국 배우기가 가능하다. K-pop 따라 부르기, K-pop 춤 연습하고 경연 대회, 현대 드라마의
일부분을 프로그램의 소재로 삼아 역할극을 통한 언어 체험 등은 한국어를 따라 하면서 한국 에 대해 친숙해지게 하고 학습 의지를 고취시킨다. 한국의 전통 놀이(비사치기, 투호, 주사위
놀이, 팽이치기, 제기차기, 공기, 구슬치기, 알 까기, 오목 등)와 한국어로 된 놀이를 즐기면서
한국의 정서와 재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표 4-6> 케냐 나이로비 세종학당의 특성 주제 인식
내 용 ▪ 유럽이나 미국과는 다른 새로운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함. ▪ 한국 문화를 전혀 모른 상태에서 선교사 등을 통해 한국에 대하여 알게 됨. ▪ 태권도, 발전된 기술(LG, 삼성)이라는 한국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 ▪ 케냐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케냐로 유입되는 한국인도 증
필요성
방향
가하고 있음.
▪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한 실정으로 다양한 것을 소개하여야 함. ▪ 서구의 문화와는 다른 ‘한국적’ 전통과 미에 대한 소개가 가능하도록 함. ▪ 한국 문화 교육을 통하여 현지의 한국인과 케냐 인이 교류할 수 있는 공동 사 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
▪ 학습자의 경제적 수준을 고려하여 친숙하게 느낄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함. 지역화 프로 그램
l 226
- 공예, 부채 등은 상류층은 흥미로워하지만, 일반인을 어려울 수 있음.
▪ 인터넷 보급이 미흡한 데 반해 지역 공동체의 결속력이 강함 ▪ ‘같이 하고 같이 먹을 수 있는’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주말 프로그램을 선호함. - 한복, 한식 체험, 축제 등의 행사 형식
제 6절ㆍ케냐 나이로비
Ÿ
케냐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세부 목표 초국가적인 상호 영향력이 심화되고 있는 시대에 한국의 풍부한 문화 예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함으로써 한국 문화의 우수성을 동아프리카에 알리고, 케냐와 한국의 상호 문화교류를 활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성화한다.
첫째, 예술적 체험을 통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문화적인 감수성을 형성한다.
둘째, 상호 교류를 통하여 한국 전통문화와 케냐 현지 문화와의 조화로운 융합을 추구한다.
셋째, 문화 예술을 통하여 한국 문화의 가치를 동아프리카에 알릴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다.
§
케냐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선정 방향
제 4장
본 세종학당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수업 방안의 진행 방향을 제시할 때 한국의 전통문화와
케냐의 전통문화가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한국 문화와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활동에 주안점을 둔다.
아래의 그림은 현시점(here & now)에서 나이로비 세종학당의 학습자들에게 보다 관련성
을 갖는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 대략의 범위를 보여 준다. 명확하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지시하지는 않지만, 한국 문화와 지역 문화, 전통과 미래의 요소들이 어떤 방식으로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227 l
프로그램의 방향 설정 문화예술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할 때에 교육 목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교수자, 학습자,
운영 기간, 문화적 특성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케냐 세종학당에서는 다음과 같
은 방향에서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나이로비 세종학당의 특성화 프로그램 프로그램 이름 신 나게 놀자: 한국의 민
속놀이
특성화 프로그램
신명 나는 한국 문화: 새
롭게 태어나는 두드림 난 타
케냐 특징 기초
주요 내용 그네를 뛰고 씨름을 하며 부채를 만들었
던 단오를 중심으로 한국의 놀이 문화를
이해한다. 단오선을 만들어 서로에게 선물
하며 단오의 세시 풍속을 경험한다.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인 난타의 동영상을
심화
감상하고 그 안에 담긴 한국의 고유 장단 과 소리를 이해한다. 현지의 타악기를 이
용하여 장단과 박자, 상황만으로 구성된 새로운 난타를 공연한다.
*한국적인 재료나 악기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자
원을 원활히 제공받기가 힘든 상황으로 현지에서도 가능한 한국 전통 놀이를
통하여 문화를 이해하도록 한다.
케냐 인들은 감정 이입을 잘하고 격동적 동작이나 박자 감각이 매우 강하여 현
대 음악, 국악, 탈춤 등 박자 감각과 율동이 강한 프로그램의 호응도가 높다.
l 228
프로그램 이름 1. 신나게 놀자: 한국의 민속놀이
개요 본 수업의 목적은 아주 특별한 우리나라 세시 풍속인 단오를 소개하고 단오에 사용
하는 단오선과 전통 놀이를 통하여 한국 문화를 이해, 체험하며 어울림 한마당으로 한국적
정서를 이해하는 데 있다. 세시 풍속은 때가 되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의례로 농경 문화
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농사를 시작하기 전이나 수확하고 나서 풍년에 대한 기원과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감사하는 의미로 신들에게 제사 지내고 농사의 중간마다 생활의 활력을 위하여 휴식과 놀
이판을 벌렸다. 케냐의 주술적 기원의 의미를 담은 작은 공예품을 단오선과 접목함으로써
케냐의 정서가 한국의 단오선에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다. 단오 민속놀이인 그네뛰기와
씨름, 윷놀이 등을 통하여 한국의 흥과 정서를 배우고 느끼며, 케냐 전통 놀이와의 융합은 두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본 수업은 현지 상황에 따라서 놀이 선택이 가능하며 단오에 대한 자료와 전통 놀이에
대한 규칙만 파악된다면 특별 강사가 없어도 수업이 가능하다.
제 4장
학습 목표 § 단오의 유래와 의미를 이해하고 풍년을 기원하며 농사일을 격려하는 정서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 다양한 문화 예술적 요소를 활용하여 전통 놀이와 어울림의 정서를 체험한다.
§ 케냐 놀이와 연관 지어 보면서 한국 문화와 케냐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한 다.
핵심 용어 : 어울림, 전통 놀이, 단오, 단오선(부채), 씨름, 그네뛰기
229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1. 신 나게 놀자: 한국의 민속놀이 음력 5월 5일을 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오(五), 곧 다섯과 뜻이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단오는 일
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 왔다. 단옷날은 계 절적으로 태양 축제에 속한다. 정월 대보름 축제가 달의 축제였다면 단오 축제 는 태양의 축제라 할 수 있다. 단옷날에는 쑥을 비롯하여 익모초 같은 약초를 뜯어 말리는데 인간이 태양신을 가장 가까이 접하는 되는 날이기
때문이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음식으로는 수리취떡과 앵두화채를 먹으며, 창포로 빚은 창포주를 마시기도 한 다. 그리고 봄철의 큰 명절인 만큼 여러 가지 놀이를 즐겼는데 대표적인 놀이로 단오
Dano
는 그네뛰기가 있다.
refers to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as “Dan” means first, and “o” means 5 and
combined indicates the “first-fifth.” Dano has long been regarded as a
day full of energy and celebrated as a holiday. Dano is a solar holiday, while the fifteenth of the New Year is a lunar holiday. During
Dano, people dry motherwort and mugwort for decoction because it is a day when they the sun comes closest to the earth. People also eat
marsh plant rice cake and cherry salad, and drink iris wine. Many games are also held to celebrate the biggest holiday of the spring, and
one of them is swinging (formerly comprised of hay collected from all of the houses in the village).
예로부터 내려오는 한국 전통적 기예의 하나로, 두 사람이 샅바나 띠 또는
바지의 허리춤을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먼저 땅에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결정하는 민속놀이이자 운동 경기이다. 한국은 각 절기마다 독특한 풍습 과 민속놀이가 행해졌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단오절에 씨름이 성행하였다. 봄부 씨름
SSi-
reum
(Korea n
wrestling)
터 쉴 사이 없이 농사일에 바쁘다가 농한기를 맞으면 고된 몸과 정신적인 긴장
을 풀기 위해서도 씨름을 즐겼다. 오늘날에는 명절 때의 전통적인 행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운동 경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refers to a Korean traditional competitive sport or folk game
involving two contestants, each wearing a belt that wraps around the
thigh and waist, attempting to win by power and skill to bring their opponent to the ground. Korea had distinctive customs and folk games
for each solar phase, and ssireum was usually played during Dano. Ssireum was enjoyed as a leisure activity after a spring season of
farmwork. These days it is getting the spotlight as a sport more than a traditional holiday event.
l 230
큰 나뭇가지나 두 기둥 위에 나무를 가로질러 두 줄을 맨 뒤, 줄 아래 발판
을 걸쳐 놓고 거기에 올라앉거나 서서 몸을 앞뒤로 움직여 날게 하는 놀이로 여
자들의 대표적인 민속놀이 중 하나이다. 남자들의 씨름과 함께 단오 때의 대표 적인 민속놀이이며, 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전국적인 그네
Swing
놀이이다.
refers to a popular women’s traditional play activity. Swing playing
involves a foothold that is connected by a rope to a big tree branch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or a column that allows the person on the swing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with ssireum that is predominantly played by men, during Dano swing play is enjoyed across the country by people of all ages.
단옷날에 선물로 주고받는 부채를 말한다. 여름이 시작되는 단오절에 부채를
생산하는 영호남 지역에서 부채를 진상[端午進扇]하면 임금은 여러 자루의 부채 를 시종재신(侍從宰臣)에게 하사[端午賜扇]하며, 부채를 받은 시종재신들은 이를
일가친척과 친지에게 나누어 주는 풍습에서 유래한다. 부채를 받은 사람은 부채 에 금강산 1만 2,000봉을 그리고, 기생·무당들은 버들개지·복사꽃·연꽃·나비·흰 Danosun
붕어·해오라기 등을 그렸다.
제 4장
단오선
refers to a folding fan that is gifted during the Dano holiday in
advance of the summer heat. The Yeongnam area is famous for produced these folding fans that were presented to the king, the king would bestow them to his attendants, and they in turn would distribute
them to their relatives. Popular fans are often decorated with the 12000 peaks of Mt. Geumgang, while giseung and shamans draw pussy willows, flowers, lotuses, butterflies, white carps, and white herons on theirs.
서로 조화를 이룬 상태. 함께 사귀어 잘 지내거나 일정한 분위기에 끼어들어
같이 휩싸인 상태를 의미한다. 단오에 더위를 피하기 위한 부채를 나누어 주며
서로의 안녕을 기원하거나, 함께 음식을 나누어 먹는 등 마을 공동체의 축제를
즐겼다. 이는 개체가 아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중시하는 한국의 민족성
어울림 Har-
mony
인 어울림을 보여 주는 예이다.
refers to the state of being together and surrounded by a certain
atmosphere of friendship. People often share folding fans during Dano
to avoid the heat as they wish for peace, share food and enjoy festivals
with
their
community.
These
festivities
demonstrate
preference for harmony among people over individualism.
the
231 l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단오에 대하여 알아보고 전통 음악, 국악, 한복, 춤이
1단계 1차시
만남:
정서 이해하기
어우러진 한국 문화를 이해한다.
한국의 전통 놀이의 종류를 알아보고 한 가지씩 체험
해 본다. 케냐의 전통 놀이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본 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2단계
2~3차시
한국의 미:
단오 공예품
단오선 만들어 선물하기
단오선의 유래와 특징을 이해한다. 케냐의 공예품에서 도 비슷한 의미의 것이 있는지 비교하여 알아본다.
한지의 특성을 살려 먹의 번짐을 이용한 나만의 단오 선을 만든다.
씨름의 유래와 어원을 알아보고 종류와 규칙을 이해
3단계
4~5차시
한국의 즐거움:
단오 전통 놀이 씨름
한다. 전통 놀이 씨름 감상을 하고 케냐 무예의 의미
와 방법을 비교하여 이야기해 본다.
샅바와 씨름 반바지를 착용해 보고, 씨름의 기본 규칙 을 적용하여 겨뤄 본다.
4단계
6~7차시
5단계 8차시
l 232
한국의 즐거움:
단오 전통 놀이 그네뛰기
문화 나눔:
어울림 마당 열기
그네뛰기의 유래와 어원을 알아보고, 그네뛰기의 종류 와 놀이 규칙을 알아본다.
기존의 그네뛰기 놀이 규칙을 응용하여 개인별, 조별
로 겨뤄 본다.
제작된 공예품인 단오선과 사진 자료를 전시한다.
놀이의 마무리 과정으로, 씨름과 그네뛰기를 통해 선
발된 모둠 및 개인에게 시상하며 함께 어우러지는 장 을 갖는다.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만남: 정서 이해하기
수업 목표: 전통 음악, 전통 의상, 탈, 춤이 어우러진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의 놀 이 문화를 체험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이고 올바른 이해와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수업 준비물: 단오 PPT 및 영상 자료, 제기, 구슬, 오목, 팽이, 비사치기 돌, 윷놀이 동기 유발: 한국 드라마(사극과 현대극)를 보여 주며 현대의 생활과 비교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한국 전통 음악과 관련된 물품을 보여 주고, 그 사용법과 의미에 대해 설명한다. 옛날 의복과 현대의 의복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옛날 우리 생활 속 공예품 자료를 통하여 생활상을 보여 주며 케냐와의 유사점이나 차 이점에 대하여 토론한다. (가마솥, 디딜방아, 돌절구, 지게, 장독, 초가집 등)
Ÿ
한국의 놀이 문화(비사치기, 투호, 팽이치기, 제기차기, 공기, 구슬치기, 알 까기, 오목
Ÿ
제 4장
등) 한국어로 된 놀이를 즐기면서 한국의 정서와 재미를 이끌어 낸다.
학습자들에게 되도록 여러 가지 질문을 하여 정확한 이해가 되도록 유도한다.
평가: 한국 전통과 관련된 내용들의 의미를 알고 그 풍습을 이해한다.
2단계
한국의 미: 단오 공예품 단오선 만들어 선물하기
수업 목표: 단오의 대표 공예품인 단오선의 유래와 역사적인 사용 예에 따른 의미를 알 아보고, 직접 만들어 선물하는 일련의 문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한국의 미를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부채의 종류와 단오선 PPT 자료, 합죽선 혹은 흰색의 원형 부채, 먹, 서 예 붓, 색 물감, 접시 팔레트, 물통, 색실, 구슬 또는 작은 노리개 장신구
동기 유발: 한국의 드라마에 나오는 공예품 및 장신구를 보면서 케냐의 공예품과 비교 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이번 시간에는 단오 때 행했던 부채 주고받기를 위한 단오선 만들기를 할 것임을 안내한다.
역사 속에서 나타나는 단오선의 의미와 이를 주고받는 행위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정서 를 간략히 알아보고 이해한다.
233 l
Ÿ Ÿ
단오선의 종류와 그 안에 그려진 서예, 산수 등의 그림의 예를 보여 준다.
특히 단오선의 구성 요소인 옥추단의 역할과 의미를 이해하고 케냐의 의미 있는 공예품 과 접목하여 자신이 만들 단오선에 적용해 보도록 한다.
Ÿ
한지의 특성으로 먹의 번짐 효과를 이용한 추상적인 그림을 그려 본다.
- 한국의 정서와 케냐의 정서가 만날 수 있는 창의적인 그림을 그린다.
- 그림이 완성된 후 간단한 자신의 이름이나 단어를 한글로 적어 볼 수 있다.
Ÿ
건강을 기원하거나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장식을 단오선에 연결 함으로써 단오선 주고받기에 대한 의미를 이해한다.
평가: 한국의 단오와 단오선의 특징을 이해하였는가? 자신의 개성과 케냐의 문화가 담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긴 단오선을 만들었는가? 부채를 주고받으며 그 의미를 이해하였는가?
3단계
한국의 즐거움: 단오 전통 놀이(씨름)
수업 목표: 농경 문화와 함께 성행한 우리나라 자생 민속놀이인 씨름을 이해하고 경기 를 감상, 규칙을 습득하여 경기를 체험해 본다.
수업 준비물: 씨름 경기를 보여 줄 수 있는 동영상 자료 및 교육 PPT, 편안한 티, 반바 지, 샅바용 청색․홍색 광목, 푹신한 매트, 모래장
동기 유발: 씨름 경기를 영상으로 감상하고, 케냐 무예의 역사적 변천 및 현대적 모습 과 비교하여 이야기를 나눈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영상을 통해 씨름 경기의 흐름과 분위기를 파악한다.
씨름의 어원과 유래를 살펴보는 강의를 통해 한국어와 한국인의 민족성을 이해한다.
- 씨름은 온몸을 움직여 힘과 기술을 겨루는 인간 본능적인 1:1 격투 기술이 무예로 발 달해 온 것으로 전 세계 어느 곳이나 이러한 형태의 무예는 존재함을 설명한다.
- 농경 사회를 바탕으로 발생, 발전해 온 한국 전통적인 무예 중 하나임을 설명한다. Ÿ Ÿ
씨름의 종류와 경기 방법을 알고 케냐의 전통 무예와 비교하여 이야기해 본다. 준비된 복장을 갖추고 씨름을 직접 해 본다.
-자유로운 씨름장의 분위기와 경기를 체험하며, 순박하고 흥겨워 정이 오가는 한국인의 정서를 느껴 본다.
평가: 씨름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였는가? 몸을 부딪쳐 경험하는 씨름을 통해 한국인의 정서를 경험하였는가?
l 234
4단계
한국의 즐거움: 단오 전통 놀이(그네뛰기)
수업 목표: 그네의 유래와 의미를 이해하고, 단오에 행해진 대표 전통 놀이인 그네뛰기 를 배우며 한국 전통 놀이를 경험한다.
수업 준비물: 그네뛰기 PPT 자료, 나무 기둥, 새끼줄, 동아줄, 밑싣개. 부드러운 명주 동기 유발: 어렸을 때 그네를 탔을 때의 느낌을 이야기해 본다. 전통 놀이인 그네뛰기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와 현대 놀이터의 그네뛰기가 어떤 점에서 같거나 다른지 서로 이야기 나눈 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한국 전통 놀이 그네뛰기의 유래 등을 역사적 문헌 및 서화 자료 등을 통해 설명한다. 그네의 구조와 그네뛰기의 방법 및 다양한 놀이 규칙을 알아본다.
습득한 놀이 규칙을 바탕으로 그룹별 그네뛰기를 경험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케냐 인의 놀이 정서로 새로운 규칙도 만들어 적용해 본다.
Ÿ
한국의 과거 여성들이 즐겨 했던 그네뛰기 놀이의 의미를 되새겨 가며 한국인의 문화와
제 4장
정서를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다.
평가: 그네뛰기 놀이의 규칙을 이해하고 케냐의 놀이에 적용해 보았는가? 한국인의 놀 이에 담긴 정서를 이해하였는가?
5단계
문화 나눔 : 어울림 마당 열기
수업 목표: 단오선을 만들고 씨름과 그네뛰기 놀이의 과정을 담은 사진과 함께 전시한 다.
수업 준비물: 제작된 단오선, 종이, 양면 우드록, 옥추단 대신 달린 장식의 의미 준비.
테이프, 칼, 자, 스크린, 씨름과 그네뛰기 과정을 담은 사진으로 만들어진 영 상.
동기 유발: 한국의 전통 놀이 가운데 케냐 어린이들이 좋아할 것 같은 놀이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자신이 만든 단오선의 옥추단 부분에 달릴 장식의 의미를 간단히 한글로 적어 단오선과 함께 전시한다.
Ÿ
한국의 전통 놀이 씨름과 그네뛰기를 경험해 보고 케냐 인의 정서로 재해석해 본 놀이 결과를 영사막에 비치는 영상 자료를 보며 자유롭게 이야기 나누어 본다.
235 l
Ÿ
케냐의 전통 놀이와의 공통점, 차이점을 비교해 가며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과정 속
에 한국인의 전통 놀이 문화와 한국인의 정서를 몸소 체험하고 함께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다. Ÿ
단오선 전시회와 한국의 신명 나는 놀이마당 경험을 통해 느낀 점을 공유하고 한국 문 화와 케냐 문화의 어울림 마당을 체험한다.
평가: 전시를 통하여 양국의 전통놀이 차이 및 공통점을 이해하였는가? 한국의 문화에 대해 친숙하게 느끼게 되었는가?
참고 자료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지도상 유의점 Ÿ
예시 작품을 보며 그대로 그리기보다는 자유로운 감성으로 먹의 번짐 효과를 활용하도 록 지도한다.
Ÿ
단오 음식 중 하나인 앵두화채를 연상하는 붉은 점 표현을 지도하지만, 케냐 인의 정서 에 맞는 다양한 색 사용도 가능함을 알려 준다.
Ÿ
단오선에 옥추단 대신 부착할 장신구에 선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이나 고리 구조가 있 어야 함을 미리 알려 준다.
Ÿ
씨름을 배우고 직접 경험할 때 간단한 규칙을 적용하고 기본 동작들로 경기를 하며 케 냐의 기술도 접목하여 경기 규칙을 정할 수 있음을 일러둔다.
Ÿ Ÿ
그네뛰기 놀이 시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지나친 경쟁심을 유도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한국 부채 예시 작품
매화와 시가 함께 표현된 부채
l 236
단오선의 다양한 종류
단오선 Ÿ
부채는 접었다가 쉽게 펴고 또 편 것을 쉽게 접을 수 있는 물건으로 꽃이 피고 만물이 성쇠하는 이치를 나타내고 있는 상징물로 볼 수 있다.
Ÿ
해(양)의 기운이 최고인 수릿날(단오)에 태양빛 도상의 부채를 선물하는 보편화된 습속
은 태양빛의 방사성의 형태적 특성을 지닌 부채와 밀접한 연관을 생각해 볼 수 있다. Ÿ
우리 민요에 나타난 부채: ‘가을에 곡식을 팔아 첩을 사고, 오뉴월이 되니 첩을 팔아
부채를 산다.’ 풍속지에 나타난 부채: ‘여름 선물은 부채요, 동지 선물은 책력’ Ÿ
조선 시대 궁중에서는 단오 때 왕이 신하에게 부채를 선물했고, 이 단옷날 공조(工曹)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에서 만들어 임금에게 진상한 부채를 ‘단오선’이라 했다. 임금은 진상받은 부채를 재상
을 비롯한 신하들에게 하사하였다. 부채를 받은 사람은 부채에 금강산 1만 2천 봉, 화 조도, 수복도 등을 그리고 기생․무당들은 버들개지, 복사꽃, 연꽃, 나비, 흰 붕어, 해오
라기 등을 그렸다. Ÿ
부채는 바람을 일으키고 먼지와 오물을 날리기도 한다. 이와 연관, 부채가 재앙을 몰고 오는 병귀 같은 불가사의 사(邪)를 쫓는다고 믿었다. 단오에 부채를 선물하는 이유이기 도 하다.
Ÿ
부챗살이 촘촘하고 성긴 것으로 그 부채 주인의 벼슬과 신분의 정도를 어림할 수 있었 는데, 촘촘할수록 신분이 높았다. 또한 부채 끝에 다는 패물로도 신분 식별이 가능했다.
제 4장
비취나 호박, 서각 등은 품수가 높은 벼슬이고, 옥이나 쇠붙이면 중간 품수이며 쇠붙이 면 낮은 신분으로 볼 수 있다.
Ÿ
3품 이상의 벼슬아치에게 하사하는 단오선에는 내의원에서 만든 ‘옥추단’에 구멍을 뚫
어 부채 끝에 다는데, 가지고 다니다가 복통이나 급한 병이 생기면 이 옥추단을 긁어
물에 타 마심으로써 응급 처치를 했다. Ÿ
단오의 부채는 태양빛 상징, 피서, 벽사, 신분 정도를 나타내는 특별한 도상으로서 다양 한 기능을 했다.
그네뛰기 Ÿ
우리나라의 그네에 관한 기록은 고려 시대부터 나타난다. 고려 현종(顯宗) 때 중국 사
신 곽원(郭元)이 “고려에서는 단오에 추천 놀이를 한다.”라는 말을 전했다. Ÿ
그네는 고려 시대에는 상류 계층에서 화려한 놀이로 즐겼다. 이규보의 시를 통하여 고
려 시대에 민간에서도 단오에 그네뛰기가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통은 조선
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15세기 후반에 한양 한복판인 종로 네거리 뒷골목에 화려하 게 그네 터를 설치하고, 도성을 남북 두 패로 나누어 내기를 하였는데, 장안의 부녀자
들이 모여들어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Ÿ
그네뛰기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성행했던 놀이로서, 남성들의 씨름과 더불어 여성들
이 하던 대표적인 단오놀이이다. 굳센 체력, 고도의 긴장감, 기민성 그리고 박진감 등으
로 대변되는 그네뛰기는 곱상함과는 거리가 먼 발랄한 젊음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네뛰
기는 주로 동네 처녀들이나 젊은 부녀자들이 많이 놀았다. 단옷날 곱게 단장을 하고 여
럿이 어울려 치맛자락을 나부끼며 그네를 타며 자태를 자랑하였다. 바깥출입이 거의 없 던 부녀자들은 그네를 타면서 생활 속의 응어리를 풀어내기도 하였다.
237 l
Ÿ
그네는 버드나무, 느티나무, 소나무의 가지에 매기도 하고, 평지에 두 기둥을 세우고 기
둥 윗부분에 가로지른 나무에 매기도 한다. 후자를 ‘땅그네’라고 한다. 그넷줄은 볏짚이
나 삼으로 만든 새끼줄이나 동아줄을 이용한다. 땅그네를 특별히 화려하게 꾸밀 때에는
색 헝겊으로 그네 틀을 장식한다. 그넷줄 아랫부분에 두 발을 올려놓는 부분을 밑싣개 혹은 앉을깨라고 한다. 그리고 손으로 잡는 부분에는 안전줄을 달아 놓는다. 안전줄은
부드러운 무명으로 만들며, 두 손목과 그넷줄을 매어 놓는다. Ÿ
그네 뛰는 방법은 외그네 뛰기와 맞그네 뛰기(쌍그네 뛰기)가 있다. 전자는 한 사람이
뛰는 것이고, 후자는 두 사람이 마주 서서 함께 뛴다. 맞그네 뛰기는 본격적인 외그네
뛰기 다음에 여흥으로 뛰는 것이 일반적이다. Ÿ
그네뛰기의 다양한 놀이 방법: 첫째, 그네가 닿을 만한 곳에 있는 나뭇가지나 꽃가지를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목표물로 정해 놓고 그네를 굴러 앞으로 나아가 그것을 발끝으로 차거나 입에 무는 방 법으로, 이것은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둘째, 그네 앞쪽에 방울 줄을 높이 달아 놓고
그것에 닿도록 하는 방법으로, 밑에서 조종하여 방울 줄을 점점 높여감으로써 최고 높 이를 측정한다. (15세기 즈음 시행 추정) 셋째, 앉을깨 밑에 자눈[尺目]을 박은 줄을 매
어 놓고 그넷줄의 정지 지점부터 공중으로 몇 미터 올라갔는지를 측정하여 우열을 결정 하는 방법으로, 이것은 근래에 창안된 것이다.
씨름 Ÿ
두 사람이 상대방의 샅바를 잡고 손과 발, 그리고 몸을 이용하여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 로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 고유의 운동이다.
Ÿ
씨름은 우리나라에서 자생된 전통 민속놀이의 하나로, 우리나라 역사상 농경 문화와 함 께 성행하였다. 씨름은 전통적으로 단오·백중·추석에 주로 행해졌는데, 작게는 마을 단
위에서부터 크게는 고을 단위로까지 행해졌다.
Ÿ
기술: 방어 기술, 공격 기술, 되치기 기술이 있으나 기본적인 기술의 원리는 공격 기술
과 같다. 현대 씨름에서는 공격 기술이 단순히 하나의 기술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2~3가지의 기술을 동시에 사용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 기술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상 대방을 공격하는 추세이다.
Ÿ
씨름 대회에서 우승하면 일반적으로 황소를 주었으며, 자기 마을 선수가 우승하면 상품
으로 받은 황소에 선수를 태워 행진을 하는가 하면 온 마을이 잔치를 벌이기도 하였다. 그 무렵의 민가에서 가장 귀한 재산 중의 하나가 소였을 것이며, 농사의 대부분이 소의 힘을 빌려야 하였던 그 시대의 농경 사회에서 황소만큼 푸짐한 상품은 없었을 것이다.
Ÿ
우리나라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난 순수 우리 경기인 씨름은 온몸을 움직여 힘과 기술을 겨루는 운동이므로 체력·기술·투지의 세 가지 조건이 요구되는 운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씨름은 신체를 조화롭게 발달시키고 힘을 기르며, 정확한 판단력과 인내심, 균형 감각,
안전 능력 및 건전한 사회성을 길러 주는 체육적인 효과가 큰 운동이다. 또한, 순박하
면서도 흥겹고, 누구나 할 수 있으며 장소나 시설, 경비의 큰 제한을 받지 않을뿐더러
경기자나 관람자들 모두가 흥미를 가질 수 있어 여가 선용으로도 매우 적합한 사회 체 육의 하나이다. 특히, 씨름은 다른 투기와는 달리 맨살과 맨살이 직접 닿는 가운데 서
로의 체온이 오가는 운동으로 정이 서로 통하는 우리 민족성과 일맥상통하는 경기이다. Ÿ
l 238
원시인들은 생존을 위해 격투 기술을 점차 발달시켜 나갔으며, 여기에서 씨름이 1대 1
의 격투 기술로 개발되어 널리 응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Ÿ
인간의 지적 향상과 집단의 정치적·경제적 발달에 따라 씨름은 무예로 발달해 왔다. 개
인적 방어술이었던 씨름이 무술의 하나로서 발전하게 되는 것은 사회의 발전에 따른 필 연적인 결과였다.
Ÿ
씨름은 그네와 함께 우리의 민속놀이로서 쌍벽을 이루고 있다. 씨름은 풍물놀이(속칭
농악)가 백성들의 기쁨을 나타내기 위해 때와 장소에 구애됨 없이 연주되는 것처럼 사
회의 경사스러운 일에 수시로 행해졌다. 우리 민족은 각 절기마다 독특한 풍습과 민속
놀이가 행해졌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단오절에 씨름이 성행하였다. Ÿ
경기장 즉, 민속으로 행하여 온 씨름판은 오늘날과 같이 규정된 바가 없었으며, 사람들
Ÿ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이 많이 모일 수 있는 광장(큰 마당)이면 씨름판 구실을 할 수 있었다.
역사의 다른 어원: 우리나라 말 중에 ‘-꾼’이 붙은 것이 많은데, 이 ‘꾼’자가 붙은 말로
불리는 사람은 그 일을 직업적 또는 습관적으로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장사 꾼·사냥꾼·농사꾼·나무꾼·구경꾼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에 ‘씨름꾼’도 있다.
Ÿ
씨름의 종류: 또한 왼씨름·오른씨름·띠씨름도 1972년에 대한씨름협회가 ‘왼씨름’ 한 가
지로 통일함으로써 구태여 왼씨름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보다는 ‘씨름’으로 통하게 되
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씨름 하면 왼씨름을 가리키는 것이 된다.
① 왼씨름: 샅바를 오른쪽 허벅다리에 낀 다음 허리에 돌려 매고 오른쪽 어깨를 맞댄
뒤 오른손으로는 상대방의 허리샅바를, 왼손으로는 상대방의 다리에 낀 샅바를 잡고 동
제 4장
시에 허리를 펴고 일어남으로써 경기가 시작되는 씨름이다.
② 오른씨름: 왼씨름과 반대로 샅바를 왼쪽 허벅다리에 낀 다음 허리에 돌려 매고 왼쪽
어깨를 맞댄 뒤 왼손으로는 상대방의 허리샅바를, 오른손으로는 다리에 낀 샅바를 잡고 동시에 허리를 펴고 일어남으로써 경기가 시작되는 씨름이다.
③ 띠씨름: 띠를 허리에 두어 번 둘러 감은 뒤 그것을 잡고 하는 씨름인데, 곳에 따라
‘허리씨름’ 또는 ‘통씨름’이라고도 부른다. 이 밖에 바씨름이 있었는데, 김홍도가 그린
<씨름도>의 씨름이 바로 이것이다. Ÿ
기본 경기 방법: 우선 씨름판을 벌이려면 넓은 마당이 있어야 하고, 이 마당에 맞붙을
두 사람이 마주 꿇어앉는다. 이 두 사람은 샅바를 매고 서로 어깨를 맞댄 뒤 오른손으
로 상대방의 허리샅바를 먼저 잡고 왼손으로는 상대방의 허벅다리에 건 샅바를 잡는다. Ÿ
양편의 준비 태세가 다 되었으면 심판의 구령에 따라 동시에 허리를 펴고 일어나면서
시합이 시작된다. 두 사람은 모든 재간을 다 써서 상대방을 먼저 넘어뜨리려고 안간힘
을 쓰는데, 무릎 이상의 몸체가 먼저 땅에 닿는 편이 지게 된다. Ÿ
샅바는 청·홍색 광목(16수) 전폭으로 한다. 샅바의 길이는 허리와 허벅다리 둘레에 맞도 록 신축성 있게 조절하여 만든 협회의 공인된 샅바이어야 한다. 경기 복장은 씨름하기 에 적합한 짧은 반바지를 입고 소속 표시는 좌측 재봉선에 부착한다.
239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씨름장면이 담긴 풍속화
샅바의 명칭
씨름 경기 모습 및 기술
이미지 출처
부채: http://blog.naver.com/seochun2002?Redirect=Log&logNo=10110665590 씨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641&docId=538977&imageNo=6&categoryId=164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641&docId=579264&imageNo=7&categoryId=1641 샅바의 명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96.1.5, 한국학중앙연구원
l 240
프로그램 이름 2. 신명나는 한국 문화: 새롭게 태어나는 두드림 난타
개요 본 수업은 사물놀이의 장단을 소재로 한 비언어극으로서 한국적 뮤지컬이라 할 수 있
다. 이야기 중심의 극에서 과감히 언어를 제외한 비언어극을 선보이므로 언어의 소통으로 발생하는 교감의 장애물을 과감하게 제거하여 정서적 교감을 이끌어 내는데 매우 용이하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다. 난타는 마당극과 사물놀이 등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이끌어 낸 ‘신명’을 현대적 에너지 로 변용, 확장하여 공감을 이끌어 낸다. 한국 연극이 현대화 과정 이후 해외 관객들에게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드러내기 위해 ‘샤머니즘’ 혹은 ‘한’을 전달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 다면 난타는 한국 고유의 ‘신명’을 전경화함으로써 에너지와 활력이 넘치는 한국성의 또
다른 면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 장단을 조화롭게 연결한 곡의 연주를 통하여 어려운 장단의 곡도 쉽게 연주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 전통 장단을 난타로 연주
하면서 특정한 전문가만이 연주할 수 있다는 고정 관념을 벗어 버리게 되고 즉흥적인 박 자감과 다양하게 연결된 장단의 곡을 연주할 때마다 성취감이 고조된다.
본 수업으로 창작과 문화 활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와 자
제 4장
발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창의성이 발휘, 다양한 아이디어로 창작된
다. 또한 갖가지 생활용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소리와 장단, 박자감을 표현할 수 있다. 학 습자들이 한국인의 끈끈한 ‘정’과 신명 나는 ‘흥’을 체험하고 한국 전통 사회가 가지고 있 던 ‘함께’의 의미에 대해서도 이해하게 되며 양국 간의 만남의 축제가 될 것이다. 학습 목표 § 한국의 박자감을 배우면서 한국적인 흥과 신명을 이해한다.
§ 사물놀이 장단의 이해를 통하여 한국 전통도 학습하고 비언어극으로서 현대 대중문화 의 새로운 공연 양식을 체험한다.
§ 공연을 통하여 한국과 케냐 문화와의 조화로운 융합이 가능하다. 핵심 용어 : 두드림, 어울림, 신명, 흥, 난타, 국악
241 l
핵심 용어 프로그램 2. 신명 나는 한국 문화: 새롭게 태어나는 두드림 난타 한국 전통 가락인 사물놀이 장단을 소재로 주방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익살
스럽게 그린 뮤지컬 공연으로 대사 없이 장단과 박자, 상황만으로 구성되어 있
다. <난타>의 매력은 흔한 주방용품인 칼·도마·냄비·프라이팬·접시 등의 모든 재료들을 이용하여 강렬한 전통 장단을 만들어 내는 데 있다. 일상의 도구와
소품을 두드려 소리를 내는 힘찬 연주는 색다른 볼거리이다. 또한 관객이 직접 무대에 오르는 등 관객 참여도가 높은 것도 강점이다. 관객들은 깜짝 전통 혼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례의 신랑 신부가 되기도, 만두 쌓기 게임에서 열심히 경쟁을 하기도 하며, 배 우와 함께 장단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난타 Nanta
refers to a contemporary musical performance that expresses the
rhythms and beat of a comic happening staged within a kitchen, and
is inspired by Korean traditional sulmunori. Nanta’s appeal combines intense
traditional
rhythms
with
common
kitchen
utensils
as
instruments, such as: knives, cutting boards, pots, frying pans, and
dishes. These everyday tools and props are used to create an
unconventional and powerful performance. In addition, bringing an
audience member to the stage to take part in a traditional wedding
reenactment, compete in a dumpling making competition, or engage
in a percussion performance with the actors provides a strong element of the show.
재미나 흥미를 일어나게 하는 감정으로 종교와 예술, 놀이, 노동이 함께하는
생활 문화와 관련된 민중적 활동의 산물로 볼 수 있다. 원래부터 몸 안에 들어 있어서 밖으로 내놓지 않고는 못 배기는 그런 것, 다시 말해 넘치는 생명력으
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움직일 수밖에 없는 무의식 상태로서 몸짓의 신명성과
신명(흥) Sin-my ung
밀접한 관련이 있다. ‘깨어 있고 밝은 마음가짐이 힘차게 움직이는 상태’로 각
자의 내면에 있는 신명이 일제히 밖으로 나와 여럿이 함께 누리는 것을 ‘신바
람’이라 한다.
(Spirit, Joy and Excitem ent)
refers to emotions that evoke joy and excitement, and as a fruit of
popular activity involving religion, art, play, and labor. It is something
already exists from inside the body and cannot be kept inside. In
other words, it is related to the spirit or flow of life that makes people move. “Sinbaram” refers to “a state of movement for an awakened mind and bright attitude” and when an individual’s inner Sinmyung extends outward (akin to feeling ecstatic).
l 242
리듬(rhythm)은 규칙을 가지고 움직이는 소리의 흐름을 의미한다. 음표의
길이, 강약, 음의 셈여림, 빠르기 등에 따라 되풀이되는 흐름을 뜻한다. 넓은 뜻의 리듬은 시간 예술·공간 예술을 불문하고 신체적 운동, 심리적·생리적 작용
과 연관되어 있다. 리듬 Rhythm
refers to a pattern of sound or movement. It can connote a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continuing flow of notes, accents, dynamics, and tempo. A broader
definition of rhythm goes beyond art or music, and pertains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defined by tempo
and space.
전통 가면극이나 탈춤의 특징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열린 원형의 마
당에서 공연된다는 점이다. 마당이라는 공연 공간은 특정 연극을 위해 특별히
제작한 무대와는 달리, 보통 땅바닥이나 열린 터에 관객들이 무언가를 구경하
기 위해 둥글게 둘러선 원의 가운데 공간이다. 유동적이고 일시적으로 생겨 났
다가 소멸하는 극적 공간인 것이다. 따라서 열린 야외의 원형 마당에서 펼쳐지
마당 Madang (yard)
제 4장
는 전통극은 서구적 드라마와는 전혀 다른 시·공간적 운용 원리 하에서 진행된 다.
refers to one of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raditional mask
play or Talchum (masked dance)--performance in an open round
madang (yard). Madang is a common space or open yard where audiences can watch shows and differs from a stage designed
specifically for a performance. It is a fluid and improvised space.
Therefore,
different
than
western
performances,
traditional
performance in open round spaces pertain to a different sense of time and space management.
243 l
프로그램의 단계
단계
학습 주제
학습 활동 두드림 난타에 대하여 알아보고 기본 장단을 배워 본
1단계 1차시
만남:
난타 감상
다.
영상을 보며 한국인의 흥, 신명, 동작을 통하여 정서
를 느껴 본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2단계
2~3차시
한국의 리듬:
난타 기본 장단 치기
한국적 장단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한다. 난타 동작을 배워 본다.
뮤지컬 난타와 국악 프로그램 난타를 체험한다.
난타의 특성을 살려 나만의 동작과 연주를 만든다. 3단계
4~5차시
한국의 즐거움:
모방을 통한 난타 즉흥 연주
4분의4 박자를 중심으로 한 모둠별 장단 창작 장단 창작 후 연결하여 연주하기
모둠별 난타의 장단 조합하기 (자유로운 재료)
4단계
6~7차시
l 244
문화 나눔:
어울림 마당 열기
난타를 연주회를 하고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 나눈다.
단계별 교수 학습 활동 1단계
만남: 정서 이해하기
수업 목표: 난타를 즐겁게 감상하고 사물놀이 장단을 이해한다. 수업 준비물: 난타 PPT 및 영상 자료, 장구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동기 유발: 난타 영상을 감상하며 주변에 있는 것 가운데 악기가 될 수 있는 것이 무엇 일지 이야기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Ÿ
http://www.youtube.com 에서 난타를 검색하여 영상을 보여 준다. 난타가 무엇이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한다.
감상을 토론한다.(때리고 두들기는 공연, 공연의 줄거리 파악, 사용되는 음악의 특징파
악, 사용되는 장단의 특징 파악, 인상 깊은 점과 전반적인 느낌에 대한 토론) Ÿ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한 뒤 도마 장면 영상을 보여 주어 한국의 흥, 정서와 재미를
이끌어 낸다.
Ÿ
학습자들에게 되도록 여러 가지의 질문을 하여 정확한 이해가 되도록 유도한다.
제 4장
Ÿ
사물놀이 장단인 점고, 칠채, 육채를 이해하도록 한다.
평가: 난타 내용들의 의미를 알고 기본 장단을 이해하였는가?
2단계
한국의 리듬 : 난타 기본 장단 치기
수업 목표: 박자감 향상을 위한 기본 장단 치기를 배워 본다. 수업 준비물: 난타 채, 난타 음악, 타악기나 도구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 동기 유발: 장단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학습자가 익숙한 도구를 사용하여 두들겨 보 고 악기로서 어떤 느낌을 주는지 이야기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이번 시간에는 난타 기본 장단을 배울 것을 안내한다.
음표와 박자에 대하여 설명하고 박과 박자, 리듬의 개념을 이해하도록 한다.
- 박(beat): 음악의 시간적인 진행을 규칙적으로 나누는 기본 단위. 각 마디의 첫 박은 강박을 갖는다.
- 박자(time): 일정한 수의 박이 모여서 음악적인 시간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245 l
- 리듬(rhythm): 음의 강약과 장단 따위의 규칙적인 흐름을 가진 형태로 주어진 박자 안 에서 여러 가지 음표나 쉼표로 배열된 것이다.
Ÿ Ÿ
채 잡는 방법과 타법을 체험한다.
기본 박과 2분박, 3분박, 4분박 리듬 치기를 익힌다.
- 4분의4 박자는 기본 박인 4분음표가 한 마디에 4개 들어 있는 박자로서 ‘강 약 중강 약’의 규칙적인 강과 약의 세기를 가지고 있다.
- 4분의4 박자의 한 마디를 2등분하게 되면 2박이 된다.
- 기본 박을 3분박으로 나눌 수 있는 박자는 8분의6 박자, 8분의9 박자, 8분의12 박자이 지만, 4분의4 박자의 리듬도 한 박을 3분박으로 나누어 3분박의 리듬으로 바꾸어 연주
할 수 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 난타 연주에서 4분음표의 기본 박으로 4분의4 박자를 연주하는 법을 익힌 후 한 박을 2분박, 3분박, 4분박으로 쪼개어 연주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배워 나간다.
Ÿ Ÿ
중간에 학습자들의 이해 정도를 확인한다.
휘모리장단 등 간단한 사물놀이 장단을 배운다(최병삼, 2000). 덩: 오른손과 왼손으로 함께 친다. 쿵: 왼손으로만 친다.
덕: 오른손으로만 친다. *양손으로 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악기는 덩과 쿵 부분만을 연주한다.
l 246
휘모리 변형 장단으로 다양하게 장단을 연습한다.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Ÿ
3단계
제 4장
평가: 사물놀이 장단의 특징을 이해하였는가?
한국의 즐거움 : 모방을 통한 난타 즉흥 연주
수업 목표: 2단계에서 학습한 기본 리듬 치기를 응용하여 자유롭게 개인별, 모둠별 즉 흥 연주(Improvisation)를 해 보고, 공연을 위한 간단한 이야기를 구성한다.
수업 준비물: 난타 채, 난타 음악, 모둠·개인별 타악기나 도구(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 동기 유발: 케냐의 젬베 연주에서 즉흥 연주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Ÿ
다양한 물건을 두드려 보고 타악기를 선정한다.
잦은 리듬은 높은 소리와 맑은 소리가 나는 금속으로 만든 도구로 선정하도록 안내한
다.
- 꽹과리 및 징 대용 : 놋그릇, 스테인리스 쟁반, 프라이팬, 냄비 뚜껑, 도마, 책상, 의자, 다듬이 채
Ÿ
완만한 리듬을 연주하는 리듬 악기로서의 도구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재질을 선정한다.
- 북 및 장구 대용: 페트병, 정수기 물통, 쓰레기통 Ÿ Ÿ
모둠별 난타의 리듬을 조합한다.
채의 선택은 가늘고 긴 것, 두껍고 짧은 것, 가늘고 짧은 것 등으로 선택한다.
247 l
Ÿ
연주할 때는 손을 활용한 한 손으로 치기, 양손으로 치기, 번갈아 치기, 채 세워서 치
기, 뉘여서 치기, 채 교대하기, 채 돌려서 치기 등을 응용한다.
평가: 연주하는 모둠의 특색과 성격에 맞게 다양한 악기를 선정하였는가? 창의적으로 장단을 만들고 익혔는가?
4단계
문화 나눔 : 어울림 마당 열기
수업 목표: 난타의 동작에 한국의 흥에 대해 느껴 보며 케냐의 흥, 리듬과 연계하여 재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해석하여 연주한다.
수업 준비물: 난타 연습 장소, 음향, 발표회장, 난타 영상 동기 유발: 연주를 통해 어떤 느낌을 전달하고 싶은지 이야기해 본다. 교수 학습 활동: Ÿ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 리듬과 이미 알고 있는 가락의 리듬과 전통 장단을 연결 한다.
Ÿ
부분적으로 연주했던 악곡을 전체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완성된 곡을 난타의 여러 기 법을 사용하여 연주를 통해 발표한다.
Ÿ Ÿ
한국의 정서와 케냐의 정서가 만날 수 있는 독특한 동작, 리듬을 만들 수 있다
한국의 신명 나는 ‘흥’을 케냐 인의 몸짓과 리듬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하여 문화의 어울 림 체험이 되도록 한다.
평가: 난타 공연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표현해 보고, 케냐 문화와의 유대감을 경험하였는가?
참고 자료 난타의 특징과 장점 (1단계 학습 내용) Ÿ
한국 전통 가락인 사물놀이 장단을 소재로 한 난타는 비언어극으로서 대중문화의 새로
운 공연 양식인 한국적 뮤지컬이다. 난타의 음악적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장단, 반복된 강약의 변화와 다채로운 기본 박의 분할에 따른 박자 유형 그리고 기존에 알고 있는
노래의 일부분의 박자를 적절하게 삽입하여 연결하는 데 있다. Ÿ
한국의 전통 장단을 조화롭게 연결한 곡의 연주를 통하여 어려운 리듬의 곡도 쉽게 연
주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통 장단을 난타로 연주하면서 특정한 전문가만이 연
주할 수 있다는 고정 관념을 벗어 버리게 되고 즉흥적인 리듬과 다양하게 연결된 장단 의 곡을 연주할 때마다 성취감이 고조된다(전연희, 2012).
Ÿ
l 248
난타는 창작과 문화 활동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와 자발적 참
여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창의성이 발휘되어 다양한 아이디어로 창작되고 갖가지 생활용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소리와 장단으로 박자감을 표현할 수 있다.
Ÿ
복잡하고 다원화된 현대 시대에는 사람들의 변화가 눈에 두드러진다. 음악에 대한 개인
의 선택 욕구와 활동 욕구가 많아지고 있다. 개방화된 다양한 통로로 지식을 얻고 있는
학생들에게 현대 시대의 감각에 맞는 새로운 리듬을 통하여 흥미를 더해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이에 알맞은 하나가 난타 활동이다.
Ÿ
가락 위주의 틀에 박힌 연주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특성에 맞는 적극적인 음악 활동으로 음악의 3요소 중 하나인 박자 활동만으로 음악을 만들 수 있다. 서로 다른 성향의 박자 끼리 적절하게 조합하여 하나의 통일된 악곡으로 표현한다.
음표를 눈으로 읽고, 입으로 말하고, 머리와 몸, 발로 움직임을 표현하고 박자를 치면서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Ÿ
접근하다 보면 학생들은 신선한 자극을 받을 수 있다. 한 손으로 두드리거나, 양손으로 두드리거나, 두 팔을 교대로 두드리며, 또한 몸을 움직이면서 박자의 흐름새를 느끼면
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연주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부담감이 없는 음악의 흥미로움 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임재우, 2007).
Ÿ
난타 연주의 또 다른 이점은 다양한 형태의 박자와 반복된 강약의 변화에 의한 다채로 움이다. 기본 박의 분할에 따른 박자 유형 그리고 이미 알고 있는 노래 일부분의 박자
를 적절하게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Ÿ
박자에 어울리는 다양한 소리를 가진 악기를 선택하고 연주하는 가운데 소리의 어울림
제 4장
을 발견하고 주변의 생활 도구는 모두 악기가 될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과 창의성을
길러 주며 기존의 서양의 타악기와 전통 악기만 사용해야 한다는 왜곡된 생각 없이 어
느 곳에서나 자신이 좋아하는 박자를 생활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페트병으로, 젓가락 등으로 악기처럼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난타 지도 시 유의점(임지연, 2005) Ÿ Ÿ
기본 박, 분할 박을 반복적으로 연주하여 난타의 기초를 세운다.
음악실의 타악기와 책상, 의자 등 생활 도구 치기를 통하여 자유롭게 리듬 치기를 하여 난타 연주의 분위기에 접근한다.
Ÿ
개인별 난타 연주 시에
- 입으로 박자를 읽고 난 뒤에 채를 가지고 신체 표현을 하며 연주한다. - 민음표, 분할 박, 점음표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연주한다.
249 l
- 난타 악곡의 처음 부분은 기본 박과 분할 박의 연주를 여러 번 반복하여 익숙해질 때 까지 연주한다.
- 창작한 장단은 손뼉치기와 채 치기를 해 보며 빠르기와 셈여림, 강약을 넣어 다양하게 연주한다.
- 개인적으로 주어진 악곡을 연주한 후에는 창의적으로 즉흥 연주를 한다. - 기존의 즉흥 난타 곡을 듣고 모방하여 연주한다.
Ÿ
모둠 연주 시에
- 연주를 시작하기 전에 박자를 입으로 읽고 충분히 맞춘 후에 악기 연주하기
- 창작한 장단을 손뼉치기와 입으로 박자에 맞춰 읽고 난 뒤에 익숙해지면 한 손 또는
두 손을 이용하여 연주 가능한 빠르기로 연주하고, 익숙해지면 빠르기와 셈여림, 강약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을 넣어 보고 전체적으로 속도를 빠르게 하여 연주한다.
- 사용할 악기를 정할 때 가장 어울리는 악기가 무엇인가,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고려 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연주를 시도한다.
- 너무 난해하고 복잡하게 연주되지 않도록 악곡 작곡의 규칙을 생각하며 연주한다.
- 장단의 표현 시 세상의 모든 소리와 모든 도구는 악기가 될 수 있다는 열린 사고를 가지고 창의적인 발상을 가지고 다양한 타악기로 연주한다.
- 난타 악곡을 연주할 경우에 스스로 연주하도록 노력하되, 리듬이 어려운 부분은 교사 나 잘 연주하는 친구의 연주 소리를 듣고 모방하면서 연주한다.
- 전통 장단은 어떤 장단을 사용하였는지 전통 장단 사이사이에 어떤 창작 장단을 넣을 것인지 미리 예상하면서 연주한다.
Ÿ Ÿ Ÿ Ÿ
난타 기법을 바탕으로 하여 적극적인 채의 활용과 신체 표현을 통해 난타를 연주한다. 동작은 큰 동작과 작은 동작 등의 다양한 신체 표현을 한다.
자신감 있는 얼굴 표정과 여유를 가지고 장단에 일치하는 동작을 사용한다.
박자감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동작의 통일과 채의 높이, 연주하는 매 순간 손의 놀림과
몸의 움직임, 그리고 머리의 까닥임까지 충분히 고려하되, 옆 사람의 연주 소리를 들으 면서 리듬을 일치시킨다.
Ÿ
눈으로 연주하는 채의 움직임을 보고 박자와 빠르기를 맞추면 절대로 안 된다. 눈으로
보는 것은 그만큼 귀로 듣는 것보다 지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귀를 기울여
자신의 연주 소리뿐만 아니라, 단원의 연주 소리에 귀를 기울여서 박자감을 일치시키도 록 해야 한다.
Ÿ
곡이 끝나고 난 뒤에 재미있는 몸동작을 추가함으로써 관객을 웃게 만들어, 연주자와
관객이 연주회를 통하여 일체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l 250
즉흥 연주의 개념과 특징 (3단계 학습 내용) Ÿ
즉흥 연주의 개념(이흥수, 1992)
- 즉흥 연주(Improvisation)는 미리 준비된 악보나 줄거리에 의하지 않고 연주자에 의하 여 직접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주를 말한다.
- 즉흥 연주란 악보에 의존하지 않고 떠오른 영감을 음악적 감각을 토대로 유기적 생성
의 원리를 통해 즉흥적으로 표현하고 연주하는 행위로서 기존의 악곡을 변형하고 노래 와 악기로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것을 뜻한다.
Ÿ
즉흥 연주와 창작
- 즉흥 연주 활동은 모든 음악 행위가 통합된 상태로, 음악을 만들어 내기 위해 박자,
경험 만들기Ⅱ: 지역별 문화예술교육의 내용 및 방법
강세, 길이, 빠르기 등의 흐름결과 관계되는 요소들과 음높이, 음계, 화음 등 음향과 관 계되는 요소들을 창의적으로 개성 있게 결합,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음악적 구성력과 창조적 표현 능력이 요구되는 면에서 일반적인 작곡 행위와 비슷하 기도 하나, 작곡에 비해 음악적 감각을 통한 유기적 생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Ÿ
선생님의 연주를 듣고 즉흥 연주 하기
- 난타 활동에서 난타 장단의 기본 유형과 작곡된 연주 악보는 연주 장소와 개인의 느낌
과 성향에 따라서 또는 모둠원의 의견이 반영된 즉흥 연주를 창의적으로 자유롭게 표현 할 수 있다.
- 아래의 악보를 교사가 쳐 주고 학습자가 장단을 만들어 답하게 하거나 즉흥적으로 박
Ÿ
제 4장
자를 바꾸어 부르게 하는 활동을 다채롭게 할 수 있다.
위의 곡을 연주할 때에는 먼저 교사의 연주를 듣고 즉흥 연주 하기와 개인별로 연결하 여 연주하기를 통해 난타 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두 개의 채를 가지고 한 손 또
251 l
는 양손을 교대로 사용하거나, 양손으로 동시에 연주한다. 장단을 연주할 때는 기분과
감정에 따라 너무 빨라지지 않도록 속도를 유지한다. Ÿ
모둠별 박자 꼬리 이어 치기
- 모둠별로 둥그렇게 모여서 a)모둠원이 2마디를 즉흥 연주 하면 b)옆에 있는 모둠원이 2마디를 듣고 모방하여 친 다음 1마디를 추가시키되 a-b, a-a' 형태의 묻고 대답하기
형식으로 즉흥 연주 하면 c)다음 옆에 있는 모둠원이 6마디를 친 다음 1마디를 추가하 면서 연주하고, 나중에는 전 모둠원이 즉흥 연주 한 것을 연결하여 연주한다.
동영상 자료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난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12&aid=00022124 04
http://blog.naver.com/redfox0505?Redirect=Log&logNo=150137889076
난타 즉흥 연주: http://blog.naver.com/samulhacker?Redirect=Log&logNo=150110489276
l 252
제5장 추억 만들기
운영 안내서의 기본 틀에 따라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면 어떤 새로운 이야기
가 만들어질 수 있을까? 현지 세종학당 수강생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운영하는 과정에는 어 떤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을까?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어떤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까? 운영 안내서의 프로그램을 읽고 난 후에는 이와 같은 질문들이 떠오를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답은 실제 경험을 통하여 발견되고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문화
예술교육을 통한 세종학당 한국 문화 교육의 의미와 가능성은 다양한 실천 사례를 통하여 구 체화되어 갈 것이다.
본 운영 안내서에서는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의 실제적인 윤곽을 그려 내기 위해, 제3장의
프로그램 가운데 2개를 선정하여 현지 세종학당에서 실행하였다. 시범 사업은 운영 안내서의
현장 적용 가능성과 세종학당 운영자 및 수강생의 만족도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세 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능성을 발견하기 위한 것으로, 본 운영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안내서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이 실제적인 교육 활동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으며, 참여자들에
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다음에 제시되는 2개의 사례는 수업의 참여 관 찰을 토대로 재구성된 수강생, 운영자, 예술 강사의 경험을 담은 이야기들이다.
l 254
사례 1ㆍ한국화로 보여주는 샌프란시스코 : 도시이야기 ○ 한국화로 보여주는 샌프란시스코: 도시 이야기 ○ WHEN 프로그램은 2012년 12월 6일(목)부터 8일(토)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되었다. 3일간의
연수에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사전 예약을 받아 진행하였으며, 목요일, 금
요일 저녁과 토요일 오전에 수업과 발표가 이루어졌다. 수업은 3시간씩 진행되었으며, 발표회 까지 포함하여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구성되었다. ○
WHERE
100년이 넘는 이민 역사를 갖고 있는 샌프란시스코는 미주 지역 여러 독립 운동가들이 활
동했던 곳이며 미국인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도시 중의 하나이다. 주변에 UC 버클리, 스
탠포드 대학교가 있으며, 시내에는 UC 샌프란시스코와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 등 세계 최 고의 대학들이 자리 잡고 있는 교육 도시이다.
추억 만들기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은 캘리포니아 국제 문화 대학과 연계한 독립형 모델이라 할 수 있
다. 2011년 9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및 재외 동포 1.5세, 2세와 3세에게 한국어 와 한국 문화를 폭넓고 깊이 있게 보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현재는 기초반, 고
제 5장
급반 그리고 회화반까지 폭넓게 운영되고 있으며, 소식지 만들기, 멋글씨 수업, 한국 요리 만
들기, 한국 노래 배우기, 동화 구연 대회 등을 통하여 한국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 회를 제공하고 있다.
255 l
○ WHO 시범 사업의 주체는 운영자, 교육 강사, 수강생의 3그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운영자는
한국에서 시범 사업을 기획하고 주관하는 운영자와 현지 세종학당에서 공동 연수를 준비하는
운영자로 다시 구분될 수 있다. 두 운영 기관의 소통과 공감이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성공 적으로 진행하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어 교육 환경 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연수 일정, 참여자 규모와 요구, 교실 환경, 전시 공간 등
을 사전에 파악하고 조율하는 데에 있어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연
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현지 세종학당에서 함께 교육 활동에 참여한다는 의식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언어적, 문화적 경계를 극복하고 예술을 통하여 공감하고 한국 문화를 체험하는
데에 현지 세종학당의 운영자 및 강사의 가교 역할이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다.
수강생이 깊이 있는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연수를 진행하는 예술 강사
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산수화를 주제로 한 이번 시범 사업에서는 동양화를 전공한 예술 가이자 전문 강사가 수업을 진행하였다. 한국에서 온 전문적인 예술 강사가 한국화의 정신을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설명하고, 붓과 먹을 사용하는 시범을 보이며, 수강생의 작품에 전문적인 비평을 해 줄 때에
수강생들은 한국 문화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예술 강사를 통해 수강생들은 단지 한국 문 화에 대해 전해 듣는 것이 아니라, 체화된 한국 문화를 만나고 상호 작용 하는 데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는 연수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 예술 강사의 역할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번 시범 사업에는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수강생 및 지역 한인 25명과 강사 및 직원 10
명으로 총 35명이 수업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한국어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 재외 동포
등으로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여러 연령층의 수강생으로 구성되었다. (통계 결과) 수강생들
은 4개의 긴 탁자에 5~6명의 조로 나뉘어 수업에 참여하였다. 서로의 작품을 보고 이야기하
며 토론을 통해 공동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수강생들은 자연스럽게 산수화와 샌프란시스코라 는 주제를 중심으로 상호 작용 할 수 있었다. 새로운 문화에 대한 이해 못지않게 예술 매체를
통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서로를 알게 되는 과정 자체가 수업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는 요인 으로 작용하였다. ○ WHAT 프로그램의 내용은 제4장 3절에 제시된 틀에 따라 진행되었다. 실제로 진행된 수업의 세부
내용을 학생들에게 배포된 학습 자료를 통해 그려 볼 수 있다.
한국화로 보여 주는 샌프란시스코 - ‘도시 이야기’ 본 실기 수업은 한국 회화에서 보이는 수묵화(먹과 물의 조합으로 이뤄지는 그림 양식)
의 표현 양식을 소개하고, 그것을 응용하여 샌프란시스코의 풍경들을 한국화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데 있습니다. 학생들은 3회에 걸쳐 샌프란시스코 풍경화를 위한 실기 수업을 할 것입니다.
l 256
실기 수업에서는 개인적인 소묘와 자료들을 화첩에 표현하고, 조 단위의 단체 작품으로
제작하여 전시를 하는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 동양의 3국(한국, 중국, 일본) 문화 중 한국
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공간(샌프란시스코)을 한국적
인 미감으로 표현하는 과정은 상호 문화적인 교류와 함께 시공간을 초월한 정신적인 공감 을 얻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학생들이 주로 하게 될 작업은 한국의 전통 회화 재료인 한지 위에 먹과 물, 붓을 사용
하는 수묵 작업입니다. 중국과 일본의 미감과는 달리, 한국은 ‘자연 그대로의 꾸밈없는 미 감’을 추구해 왔으며, 이것은 수묵 그림에 있어서 ‘자유로움’과 ‘감정의 즉흥적인 표현’으
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학생들은 그리고 싶은 풍경들에 감성을 담아서 먹과 붓으로 자유롭게 그림으로 표현을
하고, 도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야기나 시, 단어들을 한글의 형태와 재료의 특성을 이
용하여 개성적으로 표현하는 한글 멋글씨 쓰기 작업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한국의 전 통 회화 표현 방식들이 그리는 사람의 주관적 감정을 전달하는 데 효과적인 양식이라는
것을 체험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쓰는 붓의 사용에 있어서
미세한 숨결과 감정의 전달이 가능하다는 것을 공감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단체 작업 을 통하여 화면 속에 함께 표현되는 글과 그림들이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관객들에게
추억 만들기
보이는 전시의 기회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을 돌아보고, 주변을 환기하는 사고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제 5장
‘한국화로 보여 주는 샌프란시스코 - 도시 이야기’의 작업을 위해서 실기 대상자분들은
샌프란시스코 주변의 도시 공간 속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인상적인 풍경들에 관한 자료들
을 수집해 주셔야 합니다.
자료들은 직접 찍은 주변의 사진 출력물이나 각종 잡지 등에 나타
난 샌프란시스코 풍경들, 엽서 사진들이며, 직접 그린 그림도 좋습니
다. 그 대상으로는 자연물, 건물, 공공 시설물, 도시 공원, 집, 가족,
사람들이 될 수 있습니다. 수집된 자료와 관련된 개인적인 글이나, 그 것과는 관련이 없는 도시 생활에 관한 개인적인 글, 시, 단어 등을 한
글로 작성하여 가져오시면 됩니다. 분량은 자유입니다.
수집된 그림들은 1차 실기 수업에서 제공될 화첩(12x17cm, 26면)
위에 직접 그리거나, 오려서 붙이는 콜라주 작업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수집된 글들은 1차 실기 수업에서 화첩 위에 먹과 붓을 이용
하여 한글 멋글씨 작업을 할 것입니다.
257 l
▪ 첫날에는 지필묵, 음양, 천지인, 여백 등 한국화의 조형 요소에 대한 강의를 듣고 실제 붓 과 먹으로 실험을 한 후 각자 가지고 온 샌프란시스코의 그림 자료를 참고로 하여 개인 화첩
을 시작하였다.
1일차 수업 세종학당 준비물 : 화첩, 붓, 먹, 접시, 물통, 가위, 풀. 학생 준비물 : 수집된 자료들. 1차 실기 수업을 진행합니다. 지난 시간 동안 여러분들이 준비해 온 샌프란시스코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자유롭게 화
첩에 직접 그리거나, 오려 붙이는 콜라주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제공된 한국의 전통 회화
재료를 재미있게 이용하여 그려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한 면씩 사용하거나, 또는 면을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넓게 펼쳐서 자유롭게 그림 재료들을 화첩에 옮겨 보세요.
그림 재료의 화첩 작업이 완성되면, 샌프란시스코에 관한 글을 써 봅니다.
글은 한글로 쓰며, 생각나는 단어들을 나열해도 되고, 긴 문장으로 도시에 대한 개인적
인 경험담을 써도 됩니다. 제공된 붓과 먹에 물을 첨가하여 화첩 위에 번지거나, 또는 마 르게, 진하게 또는 흐리게 한글 멋글씨 작업을 해 보세요. 자유롭게 글의 느낌을 반영하여 자신만의 개성이 드러나게 만들고, 화첩 위에 쓰기 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첩은 앞으로의 실기 수업에 계속 가져와야 하며, 개별적인 표현이 담긴 중요한 자료
로 단체 작업과 함께 전시를 할 예정입니다.
다음 수업에서는 단체 작업을 위한 한지(한국 전통 종이) 작업을 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이 제작한 화첩의 글과 그림들을 한지에 표현하는 시간입니다. 다음 준비물을 꼭 가져오세요.
l 258
▪ 둘째 날에는 작은 한지에 자신의 주제로 시화를 수묵으로 그리고 조별로 대형 한지에 오려 붙이기 작업을 시작하였다. 조별로 예술 강사로부터 조금씩 다른 표현 방법을 지도받고 이를
응용하여 샌프란시스코의 도시 풍경을 담은 공동 작품을 제작하였다. 2일차 수업
세종학당 준비물 : 한지, 붓, 먹물, 접시, 물통, 단체 작업용 한지, 풀. 학생 준비물 : 화첩.
본 수업은 제공된 한지에 여러분들의 화첩에 담긴 글과 그림들을 옮겨서 그리고 글을
쓰는 작업을 하는 시간입니다.
학생들은 가장 흥미롭게 그릴 수 있는 여러 장면의 그림을 자신의 화첩에서 선택한 다
음, 가져온 재료들을 이용하여 한지에 그림을 1인당 2~3장씩 자유로운 방식으로 그려 봅 니다. 전문 강사의 조언을 참고하여 수묵 소묘의 방법으로 한지에 그림을 그립니다.
한지 작업은 단체 작업을 위한 것이며, 조별 단체 작업의 종이 크기는 160x130cm입니
다. 따라서 제공된 한지에 다양한 크기로 그림을 그려 보세요. 그런 다음, 한지에 그린 그
림과 멋글씨들을 활용하여, 단체 작업용 한지에 최종적으로 옮겨 그리거나, 형태대로 잘라 서 풀로 붙이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추억 만들기
단체 작업의 특성을 위해 실기 방법은 조별로 다르게 진행됩니다. 그리는 방법들은 전
문 강사의 조언을 참고로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단체 작업에서 각 조마다 다른 느낌을
제 5장
표현하기 위한 것입니다. 주요 재료는 한국 회화의 전통 재료인 한지와 먹, 물, 붓입니다. 단체 작업에서 붓으로 그림을 표현하거나 한글 멋글씨를 쓸 때, 자신 있게 표현하고, 있는 그대로의 느낌을 꾸밈없이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단체 작업의 중심 주제는 4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 상징적 그림과 함께 한글 멋글씨 작업을 오려 붙이기로 구성하는 방식
2) 그림 표현과 함께 수묵화의 선과 면을 이용한 행위 예술 작업을 하는 방식
3) 마스킹 테이프를 이용하여 금문교가 만들어 내는 선과 대기의 느낌을 표현하는 방식
4) 주어진 영역에 자신이 생각하는 샌프란시스코의 모습을 그리고 선으로 연결하는 방식
259 l
▪ 셋째 날에는 조별 작업과 개인 화첩을 마무리하고, 부채에 수묵화를 그리는 활동으로 프로
그램을 정리하였다. 제작된 모든 작품을 세종학당 벽에 전시하고, 수묵으로 쓴 시를 낭독하며 소감을 나누는 시간으로 연수가 마무리되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 HOW & WHY 전반적인 참가자의 반응을 볼 때 시범 사업은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시범 사업 후 평가회에서 현지 세종학당의 한 강사는 이번 문화 예술 프로그램이 ‘here &
now’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본 운영 안내서 제4장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각 세종학당의 여건을 조사하여 지역적, 문화적 특성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
을 고안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샌프란시스코의 도시 이야기’라는 프로그램의 제목도 공동
l 260
연수의 내용이 오늘 그곳에서의 삶을 중심으로 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시범 사업의 결과
는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이 앞으로 세종학당 문화 예술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 가 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 주고 있다. 이제까지 한국 문화 교육이라고 하면 수강생의 입장
에서는 먼 옛날 한국이라는 나라의 전통과 문화를 배우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
지만 이번 프로그램은 현재 샌프란시스코를 살아가는 수강생들 자신의 삶을 산수화라는 한국 문화에 투영하여 새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공동 작업을 하면서 수강생들은
각기 경험한 다양한 샌프란시스코의 모습을 담아내면서 같고도 다른 그들의 생활 공간을 재발 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수묵화 표현에 몰입하고 공감하면서 한국과 미국 또한 다르지만
같음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상호적인 문화적 감수성은 수업 마지막 날 발표한 한 참가자의 시에 잘 표현되어 있다.
문방 세 친구 붓, 먹물, 한지 이 도구들, 마음과 물질을 연결합니다. 그리고 이 도구들, 한국과 미국을 연결합니다. 추억 만들기
지금 우리는 한국의 아름다움을 봅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고향의
제 5장
아름다움으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팀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왜 필요한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이번 사업에서 부분적이
나마 찾아볼 수 있다. 한국 문화 교육을 통하여 세종학당이 한국어 교육 기관과 차별화된 문
화 교류의 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술 매체는 보다 직감적이고 감각
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 내는 데에 유용한 도구가 된다. 자신의 감각
과 신체를 움직여 탐색하고 표현하는 과정은 단지 한국 문화를 아는 것을 넘어 한국 문화에
참여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따라서 짧은 시간의 교육을 통해서도 몰입도가 높고 친밀한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수묵화는 특히 효과적인 표현 매체로 활용되었
다. 연수에서는 붓과 먹을 다루는 올바른 방법보다는 긴 털을 가진 한국 붓이 제공하는 자유
로운 감정 표현과 먹이 가지는 즉흥적이고 유연한 표현을 즐기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 다. “Language is no barrier.”라는 한 참가자의 소감과 같이 예술은 언어적이고 인지적인
장벽을 넘어서 문화 간 공감을 이끌어 내는 강력한 소통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이번 사례를 통 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서 예술 강사는 한국 문화와 샌프란시스코의 참가자들을 이
어 주는 연결 고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예술 강사의 경험과 조언은 이후 세종학당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기획, 운영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261 l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 한국화 수업을 마치고 예술 강사 이주원 이번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서 전문 강사로서 현지 학생들에게 한국화를 지도한 이주
원입니다. 먼저 금번 프로젝트를 통해 문화적 교류의 장을 열어 준 관계 부처와 담당자분
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샌프란시스코 세종학당에 관하여 조사를 하고 현지에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를 연구원
분들과 개발하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했던 점은 그곳의 문화 수준과 학생들의 언어 능
력은 어떠하며, 흥미로운 동기 유발로 한국적인 미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형태는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무엇일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논의들이 결과적으로는 실제 수업 상황에서 유효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가왔으며, 완전하게 적용되었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전문 강사 로서 반드시 전달하고자 했던 필수적인 한국화의 개념들을 이해시킬 수 있었습니다.
실제 수업 과정을 분석해 보면, 학생들의 언어 수준이 다양한 것과 세대별 차이에 의한
이해도의 차이, 그리고 전문적인 용어에 관한 통역 과정에서의 사전 조율 부족이 초기의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어려움들이었습니다. 하지만 곧 한국화 실기 과정에서 한국화 표현
재료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지역에 관한 기록과 개인적인 감성을 표현하는 것에 많은 흥미
와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다른 문화라고 인식되어 왔던 것들이 서로
공감할 수 있는 공통분모를 가지게 되었고, 학생들은 자신의 실기 작업에 적용할 수 있었
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배움의 자세였다고 할 수 있는데요, 참여자의
능동적인 반응이 수업의 분위기를 즐겁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그 과정 속에서 현지 한국어 강사들의 역할 또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수업 내내 개인적으로 느꼈던 가치가 있었다면, 그것은 제공된 수업 콘텐츠 속에서 현
지 학생들이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고 개성적인 표현으로 자유롭게 완성시켜 나가는 모습과
이를 통한 작품의 조형성이었습니다. 개인 작업(한지, 화첩, 부채 작업)과 단체 작업 모두
흥미 있는 조형성을 가지고 완성도 높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이질적이고 낯선 감각이라 할
수 있는 두 개의 문화 형태들이 하나로 조화롭게 만들어지는 것을 경험한 것이 제겐 중요
한 가치였다고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세종학당의 문화예술프로그램들이 현지 학생들에게 제공되어, 서
로 다른 문화가 조화롭게 섞일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가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람이고요,
전문 예술 강사를 통한 문화 교류가 촉진제가 되어 소통의 기회를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
으면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지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수업 콘텐츠의 개발과, 콘텐츠 속에 담아내어야 할 필수적인 한국성에 관한 탐구가 지속되 어야 한다고 확신합니다.
l 262
사례당2ㆍ한국의 오방색과 탈춤의 터키 한마당 ○ 한국의 오방색과 탈춤의 터키 한마당 ○ WHEN 프로그램은 2012년 11월 14일(수), 16일(금), 17일(토) 3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수
전 1주간 한국 문화에 대한 현지 교사들의 사전 수업이 있었고, 연수 기간에는 하루에 3시간
씩, 토요일에는 오후 공연까지 포함하여 총 12차시의 수업이 진행되었다. 마지막 날에는 150 명의 관람객이 참여한 가운데 탈춤 공연을 가졌다. 또한 연수의 내용과 관련한 한지, 오방색, 한복, 전통 공예품, 봉산 탈춤 공연 사진 등을 2012년 11월 12(월)부터 30일(금)까지 터키 앙
카라 한국 문화원에 전시하였다. ○
WHERE
터키 국민은 이슬람 문화와 오스만 제국의 영광에 대해 자부심이 대단히 크며 한국 전쟁에
참전한 ‘형제의 나라’라는 개념을 갖고 있어서 한국에 대해 매우 우호적이라 할 수 있다. 유럽
추억 만들기
과 아시아를 잇는 지리적인 위치로 인하여 아시아적인 감성이 있어 한류와 한국 기업의 진출 등으로 한국 드라마의 인기가 매우 높다.
현재 터키 내에 세종학당은 앙카라를 포함하여 총 4곳이 있으며, 터키의 앙카라 세종학당
제 5장
은 재외 공관 연계형 구조로 앙카라 대학교 부설 언어 학원 TÖMER에 2010년 11월 개원하였
다. 학기는 9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학기 구성 없이, 한 강좌를 2개월(8주) 단위로 운영하며,
초급, 중급 70여 명으로 구성되어 강사 3명이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수강생의 주요
연령대는 20~29세로 한국 대중문화부터 전통 문화 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한국 문화에 관 심을 보인다. 터키 현지에서는 한국 문화 체험의 기회가 방송, 대중 매체 등을 제외하고는 거
의 없는 상황이라 실제적 체험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선호하며 이번 프로그램과 같이 한글 교 육이 병행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길 원한다. 현재는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한
학기당 3시간 내외의 문화 교육 시간을 편성하여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 영하고 있다.
263 l
○ WHO 시범 사업의 주체는 제1절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운영자, 교육 강사, 수강생의 3모둠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에서 본 사업을 주관하였던 단체에서는 이번에 개발된 운영 안내서의 기본
수업 내용을 구체화하고, 이에 필요한 교수 학습 자료와 재료를 준비하여 실제적인 교육 활동
으로 살을 붙여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현지 세종학당과의 소통을 통하여 교육 장소 와 공연 및 전시 장소, 수업 기간 등을 조정하고 준비하였다. 동시에 현지 세종학당에서는 참
여자를 모집하고 홍보하는 가운데 가능한 한 많은 수강생들이 본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에 다니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체험 프로그램 을 구성, 전시와 공연에 가족과 친구, KOREA-FANS 메일링 서비스, 앙카라 한인회, 문화원
공식 누리집 홍보 및 문화원 공식 전자 우편 서비스, 누리소통망 서비스(SNS)를 통한 홍보가
진행되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가 자원봉사자 및 조별 지도자로 참가하여, 사전 점검 회의에 도 참석하고 원활한 교육 운영에 기여한 점은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한국
문화 교육에 직접 참여하고 기여하면서 보다 상호적으로 한국 사람들의 방식들을 직접적으로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번 프로그램의 경우 공예 전문가와 봉산 탈춤 전문가가 함께 교육 강사로 참여하여 더욱
전문적이고 의미 있는 한국 체험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 한국의 색을 이용하여 자신의
탈을 만들고, 한글이 담긴 한삼을 제작하여, 직접 탈춤을 배우고 공연하는 과정에서 두 명의
예술가가 전문 강사로 협업하여 지도함으로써 통합적인 경험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이와 같
은 수업의 전 과정은 탈춤이라는 하나의 제재에서도 한국 문화를 총체적이고 복합적으로 학습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즉 공예, 무용, 한글이 하나로 어우러져 한국적 정서를 담아내는
것을 직접 체험하였던 것이다. 두 예술 강사는 수업 시간을 나누어 공예와 탈춤의 전문 영역
을 깊이 있게 지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연을 통해 두 영역의 학습 경험이 연결되고 통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참가자들이 수업 시간 중 던지는 성숙한 질문에 예술 강사들은 풍부
한 경험을 바탕으로 심도 있는 답을 제공하였으며, 학습 결과물에 대한 시의적절한 반응을 함 으로써 교육의 효과와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었다.
시범 사업은 앙카라 세종학당에서 한글 공부를 하고 있는 초․중급의 학습자 중 선착순 5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발적인 신청을 통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3일의 수업 진행 과정에서
참여도가 매우 높았다. 또한 한국 문화에 관심 있는 터키 인들과 현지 교포들 150여 명이 마 지막 날의 탈춤 공연 관람을 통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따라서 공연과 전시를 포함하여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은 수업 참가자에 국한되지 않고 현지인들의 폭넓은 참여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파급 효과도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WHAT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내용은 제4장 5절에 제시된 틀에 따라 진행되었다. 현지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일방적으로 한국 문화를 보여
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참가자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경험을 통해 터키 문화와 접점을 찾도록 함으로써 상호적인 문화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l 264
▪ 프로그램은 1주 동안 현지 교사들의 사전 수업 후 총 3일간 진행되었다. 예술 강사가 진행
한 첫째 날 수업에서는 공예 수업으로 한국 공예의 우수성과 탈 공예 대한 강의를 시각 자료 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직접 오방색을 활용하여 탈을 만든 후, 한글 멋글씨를 담은 한삼을 만 들면서 한국적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세부내용
준비물
-한국 민족의 자연주의 사상에
학생:
대한 설명
1-30분( 30)
오방색 개요 소개
-오방색의 소개
-오방색이 활용되는 봉산탈의
강사:
점을 언급)
-재료 설명 -봉산 탈의 채색 예시 사진 및
실물을 보고 연필로 밑그림을 그린다.
31-
(60)
으로 탈 채색하 기
아크릴 물감, 종이
팔레트, 물통, 연필,
-탈 채색하기 계획 소개
90분
아크릴붓, 5색
(부분적으로 터키 색과의 공통
소개
오방색
채색 안된 봉산탈,
-준비된 5색 아크릴 물감의 농
한지, 딱풀
채색된 봉산탈
예시, 봉산탈 사진, 금색 아크릴 물감
봉산탈 채색 예시 이미지
도를 유의해가며 탈의 넓은
봉산 탈춤 영상
-눈과 주변의 세부 묘사를 그
봉산 탈춤에
면을 채색한다.
려준다.
-부분적으로 금채 포인트로 마 무리한다.
자료(동영상)
등장하는 다양한 탈 이미지 자료(PPT)
-건조 91-
105분 (15)
106-
135분 (30)
단어 수집
한삼에 멋글씨
-양국의 색과 문화에서 오는
공통점, 차이점을 비교해가면
의견을 자유롭게 나눈 후 몇
가지 단어로 정리하여 수집
사진을 참고하여 자신만의 필
-사회자: 탈 채색, 한삼 멋글씨 수 업 시작 안내 및 강사 소개
-진행팀: 강사 마이크, 봉산탈 예시 와 이미지
-영상팀: 파워포인트, 스크린 준비
-TA: 학생들 책상 위에 탈 채색 준 비물 세팅, 봉산탈, 5색 아크릴 물
감, 붓, 팔레트, 물 채워진 물통, 연필
-진행팀: 봉산 탈 채색 예시 이미지
배포. 쉬는 시간을 위한 간단한 다 과준비
-영상팀: 동영상과 이미지 자료 연 속 플레이 유지되도록 관리, 수업
과정 촬영
-TA: 5색 아크릴 물감 책상마다 채
워주기, 물통의 물 관리, 수업 전반 지원
-진행팀: 의견 나누며 다과가 이루 필기를 위한 공책과 연필
어진 후 책상을 정리한다.
-영상팀: 수업 과정 촬영
-TA: 터키 학생들의 정서에 맞게 이미지를 심어주며 자유로운 감상,
상상을 유도 -진행팀: 한삼과 붓펜을 나누어준다.
한삼 멋글씨 시간이 끝나면 학생들
-의견을 나누어 정리된 단어들
을 예로 보여주는 서예 작품
유의점
추억 만들기
주제
제 5장
시간
한삼, 붓펜
체로 자유롭게 표현하기
책상 위를 정리한다.
-영상팀: 서예 작품 자료를 스크린 에 보여준다. 수업 과정 촬영
-TA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을 도와
주며 수업 전반 지원 -진행팀: 건조된 탈과, 술, 탈보, 고 -한 켠에 건조시켜놓은 채색된 136-
180분 (45)
탈
마무리 정리
탈을 오방색 술, 검은 탈보,
고무줄과 함께 바느질하여 공 연에 사용할 수 있게 마무리
-강사 수업 종료
-사회자의 프로그램 종료 안내
무줄, 실, 바늘, 가위를 나누어준다.
오방색 술, 검은
-영상팀: 수업과정 촬영 마무리, 기 념 촬영 준비
탈보, 고무줄, 실,
-TA: 사회자 프로그램 종료 시 한
스테이플러
비닐을 나누어주며 각 학생의 이름
바늘, 가위,
명씩 앞으로 안내 및 기념 촬영.
을 적고 탈과 한삼을 보관한다.
-사회자: 프로그램 종료, 다음 준비 물 안내
265 l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 둘째 날에는 종합 예술인 탈춤을 배우면서 한국의 춤, 음악, 언어를 동시에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고유성과 정통성을 단시간에 깊이 있게 경험 할 수 있었다. 시간
주제
세부내용
준비물
스크린,
-파워포인트 강의를 통해 한국의 1-
30분 (30)
한국
가면극의 이해
가면극과 봉산탈춤의 내용 이해 한다.
-터키 전통춤의 영상자료를 통해 비교 및 공통점 감상한다.
빔프로젝터, 노트북,
의자(학생 수에 따라 + α) 강의자의 봉산탈과 탈춤의상
-10가지 봉산탈춤의 기본 동작을
강사 선생님의 시범을 보며 장구
31-
90분 (60)
탈춤의 기본 동작
익히기
장단에 맟춰 배운다.
1. 불림
2. 고개잡이 3. 고개잡이 4. 발들기
5. 황소걸음 6. 겹사위
l 266
유의점
-사회자: 탈춤의 기본 동작 수업 시 작 멘트와 강사 소개를 한다.
-진행팀: 강사 마이크, 학생들 의자 배치 및 강의 후 의자 수합하여 정 리한다.
-영상팀: 파워포인트, 스크린 준비,
수업 내용 사진 및 전문 영상 촬영 한다.
-TA: 입구에서부터 학생들을 인솔 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는 배열로
착석시킨다.
학생
-진행팀: 강의 때 사용된 의자들을
동작
루어지도록 한다. 입구쪽 테이블에
편안한 운동복 명찰 강사
장구 1개. 음향 시스템.
잘 정리하여 실기수업이 원활히 이 간단한 다과를 준비해 놓는다.
-영상팀: 강의를 위한 빔프로젝터 및 스크린 설비를 정리하고 수업
내용을 사진을 찍는다. 전문 영상촬
영장비로 수업 전반의 내용을 촬영
하고 학생 개개인의 디테일도 기록
7. 외사위 8. 겹사위
강의자
9. 양사위
무선마이크 및
10. 외사위
스피커
11. 앉아뛰어 외사위
12. 앉아뛰어 겹사위 91-
100분 (10)
휴식
-잠시 휴식시간을 가지며 간단한 다과를 즐긴다.
간단한 음료와 비스킷
한다.
-TA: 학생들의 수업을 지켜보며 어 려움을 느끼는 학생을 돕는 등 수
업 전반의 어시스트를 한다.
-진행팀: 다과를 마친 후 뒷 정리를 신속히 한다.
-전반부에 이어 나머지 기본 동작 을 배운다.
-전체가 함께 조화를 이루어가며
-진행팀: 강당의 의지 및 뒷정리를
합동춤을 배운다. 강사 선생님이
돕는다. 기념 촬영을 마친 학생들을
미리 준비한 탈춤 의상, 더거리
80)
및
합동춤 배우기
-강의 시간에 본 터키 전통춤의 영상물을
바탕으로
봉산탈춤과
함께 어우러지게 표현하는 자유
로운 시간을 갖는다. 공예시간에
자신이 만든 탈과 한삼을 사용해 보기도 한다.
-강사수업을 종료한다.
-사회자가 프로그램 종료 멘트를
공예시간에
만든 탈, 한삼, 탈춤의상 및 더거리
영 및 기념촬영, 스테이지를 미리
준비한다.
-TA: 학생들의 탈춤의상 경험 시 어시스트 및 기념 촬영에 협조한다.
-사회자 :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다
음 준비물 안내와 17일 공연 및 오
추억 만들기
180분
기본동작
동선에 맞게 출구로 인도한다.
-영상팀: 수업과정 사진 및 영상 촬
전 연습 일정을 안내한다.
한다.
제 5장
101-
를 경험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267 l
▪ 마지막 날에는 조별로 공연 내용 줄거리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지
금까지 배운 한국 정서와 터키 정서가 접목되었으며, 참가자들이 직접 만든 내용으로 최종 공 연 줄거리를 완성하였다. 시간
1-
40분 (40)
주제
봉산탈춤
기본동작
합동춤 총 복습
세부내용
준비물
-전 시간에 배운 10가지
학생
봉산탈춤 기본 동작을 강
사에 장단에 맞춰 복습한 다.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이
몸에 익으면 합동춤을 함
께 복습한다. 41-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60분 (20) 61-
70분 (10)
71-
120분 (50)
팀 구성하기
휴식시간
121(60)
구성하고 팀명을 정한 후
팀 대표를 선정한다.
의 융합을
용을 상기하여 한국의 흥
바탕으로
한 스토리
명찰
강사
장구, 봉산탈, 탈춤의상
팀 이름을
적을 노트
및 필기도구
안내와 동시에 수업시작을 알린다.
-진행팀: 강사 마이크와 장구를 준비한다.
-영상팀: 수업 내용 사진 및 전문 영상을
촬영한다. 단체 및 개인의 디테일을 촬영 한다.
-TA: 입구에서부터 학생들을 인솔하여 춤 연습을 위한 배열로 위치시킨다.
-진행팀: 각 팀의 명칭과 팀 대표 이름을 수합하여 노트에 기록한다.
휴식한다.
-그룹별로 자유롭게 진행
터키전통춤
티셔츠,
-사회자: 오늘의 연습내용에 대한 간략한
-다음 수업 내용을 위해
봉산탈춤과
구성
180분
-8명을 한 조로 하는 팀을
청바지와 흰
유의점
한다. 수업시간에 배운 내
과 장단에 터키 전통춤을
접목시켜 스토리를 구상 한다.
점심시간
-진행팀: 각 팀장에게 노트와 필기도구를 공연 내용을 간략히 정리할 노트와
필기도구
제공한다.
-영상팀: 그룹별 스토리 구성 및 춤 연습
의 자연스러온 모습을 촬영한다. 전반적 인 장면과 개인 디테일을 촬영한다.
-TA: 학생들의 연습 과정 중 질문을 받
거나 도움을 주며 전반적인 어시스트를
한다.
점심 식사
-진행팀과 TA: 터키 학생들에게 준비된 점심을 제공한다.
-오전에 구상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동작 연습을 한
다.
-진행팀: 테이블에 준비되어 있는 목중의
-서로의 동작을 보완해주 며 공연을 위해 리허설한 다.(탈과 한삼 착용)
181-
300분 (40)
-강사 선생님의 지도와 감 공연연습
독으로 최종 점검을 한다.
-팀별 공연 순서를 정한 다.
-공연 순서에 따라 어떤 팀이 봉산탈춤 의상과 더
거리를 입게 될지 결정한 다.
-공연 순서와 팀 대표자의
스토리를 발표한다. 동선
l 268
상과 더거리를 선발된 팀의 각 학생에게
공예시간에 만든 탈과
한삼, 장구,
목중의상 및 탈춤의상, 더거리
나누어준다.(8명씩 2팀으로 총 16명-첫 번째 팀과 마지막 팀)
-영상팀: 사진과 영상을 촬영한다. 팀별
리허설을 보고 공연 시에 촬영을 계획한 다.
-TA: 팀 대표의 스토리 발표 연습을 확
인해주고 리허설 및 공열을 위해 탈춤 의상 및 더거리를 입을 때 도와준다. 수
업의 전반적인 어시스트를 한다.
등을 고려하여 최종 리허
설을 한다.
알리며 시작한다.
야외무대,
-진행팀: 강사 무선마이크를 준비하고 각
한다.
조명, 음향,
서에 다라 안내, 등장, 퇴장 시 동선을
301-
360분 (60)
결과 발표 공연,
전시관람, 클로징
-리허설 순서대로 사회자
의 안내에 따라 등장하며
스탠드,
장비(스피커, 마이크,
공연한다.
탈춤 음악),
다 각 팀의 공연 내용을
의자, 생수,
-팀별 공연이 시작할 때마 팀 대표가 발표하며 시작
한다.
공연장 수건
팀의 학생들을 그룹별로 위치시키고 순 고려한다. 필요에 따라 공연자에게 물을 공급한다.
-영상팀: 촬영을 위해 조명과 기타 설비 를 확인한다. 공연 모습 사진 및 영상을
촬영한다 .
추억 만들기
-손병만 선생님이 공연을
제 5장
-사회자의 멘트로 공연을
269 l
▪ 마지막 날 최종 공연에는 대략 150명의 관람자들이 참석하였다. 현지 사물놀이 단체의 공
연 후 전승자 손병만 강사의 공연에 이어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이 조별 토론을 통해 창작한 5 개 조의 창의적인 탈춤 발표가 이어졌다. 공연이 모두 끝나고 합동 탈춤과 터키 전통 수피
춤, 관람자들까지 모두 함께한 싸이 ‘강남스타일’ 노래에 맞춘 말춤으로 공연이 흥겹게 마무리 되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l 270
○ HOW & WHY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강생들의 한국어 구사 능력은 중급 정도였지만, 언어 능력이 곧
문화적 수준과 일치하지 않음을 수업 기간 동안 참가자들이 보여 준 몰입과 성숙한 토의를 통 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 문화 예술에 관심이 높았으나 그동안 충분한 기회를 얻지 못하였던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한국 문화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
연스럽게 자신의 문화와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게 되는 다문화적 감수성을 형성할 수 있었
다. 설문 조사에도 대부분의 수강생들이 이와 같은 경험의 기회를 자주 갖게 되기를 희망하였 고, 기회가 된다면 다시 참여할 의지가 있으며 지인에게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을 추천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이번 시범 사업은 세종학당 수강생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시범 사업이 어떤 면에서 앙카라 세종학당에 기여하였는가에 대하여 두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로 한국 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현지인들에게 전문적인 예술 강사로부터 교육을 받고 그들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는 의미 있는 기억으로 남을 수 있다. 세종학
당의 수강생들 가운데에는 한국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제로 한
번도 한국에 방문할 기회가 없던 사람들이 다수 있다. 이들에게 한국 문화의 정통성을 보여
주는 한복, 탈, 복주머니와 같은 전시물과 한지와 같은 양질의 재료, 더 나아가 한국 문화를
이어 가는 전문 예술 강사들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쉽게 잊히지 않을 강력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지 찾아가 보여 주는 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 함께 어우러
추억 만들기
지고 흥겹게 즐기는 한국 문화는 현지 수강생들에게 한국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 게 한다. 특히 이번 시범 사업에서는 한복 4종, 탈춤 사진, 탈, 복주머니, 한지 5종, 각종 자 료 등 준비해 간 전시물과 재료, 그리고 탈춤 더거리(탈춤 의상 1벌)를 세종학당에 기부하여
제 5장
이러한 한국 문화에 대한 추억이 상기되고 이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로 이번 시범 사업에서 성공적이었던 부분은 현지 교육 강사와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만드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현지 교육 강사들은 사전 교육의 과정에서 스스로
한국 공예와 탈춤에 대하여 학습하고 지도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로 직 접 참여하여 이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 교육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은
운영 안내와 교수 학습 자료가 제공된다면 자신들도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교육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은 수강생들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매개자 교육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문화 교육에 대한 현지의 자생력 차 원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실행의 전 과정
에서 현지 한국어 강사들의 역할을 미리 설정하고, 지속적인 소통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강사들의 전문성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앙카라 세종학당 문화예술교육에서도 예술 강사는 체화된 한국 문화를 보여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술 강사들의 경험과 조언은 다음과 같다.
271 l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봉산 탈춤 체험 수업을 마치고 탈춤 강사: 손병만 어느 나라건 그 나라의 문화는 실로 다양할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우리나라의 문화는
너무나 다양해서 한국 사람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저도 문화 예술을 하고 있
는 사람이지만 저 또한 체험해 보지 못한 것이 많은데 하물며 전공이나 하는 일이 다른 분 들이야 더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이번에 세종학당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정말 중요한 사업이라고 생각합
니다. 언어를 가르치고 그곳에서 그 언어와 관련된 문화 예술을 병행해서 가르친다는 것은 큰 효과를 낼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문화예술교육 사업들도 있겠지만 저는 세종학당에
서 언어와 함께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좋을 거라 생각합니다.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2012년 여름 세계 한국어 대회를 통해 해외에서 오신 선생님들께 짧은 시간 동안 탈
춤을 가르친 적이 있는데 그때 제가 선생님들께 선생님들이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식견을
가지고 계셨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 말은 한국에서 아무리 유능한 전문 강사
가 파견이 되어도 현지에 계신 선생님이 하려고 하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모르면 전문 강 사가 하는 일을 도와줄 수도 없고 서로 힘들어 하다가 프로그램을 끝내게 되는 경우가 있
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파견되는 강사와 의견 조율을 많이 하기만 해도 해결이 되는 문제
입니다.
이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콘텐츠화되어 선생님들께 알려질 것입니다. 그때 현지의
세종학당에서는 어떤 프로그램이 맞을 것인지 깊게 생각해 보시고 파견되는 강사와 많은
연락과 교류를 통해서 훌륭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그
리고 한 가지 더 얘기하자면 이런 교육 사업이 꾸준하게 진행될 거라는 확신을 주어야 하
는데 그렇지가 못한 실정입니다. 그래서 현지 선생님들은 많은 현지 인원들이 접했으면 좋
겠다는 생각으로 “무조건 많이 하면 안 되겠냐?”라는 말씀들을 하시는데 무슨 일이든 적정
인원이 있듯이 이런 체험 수업도 적정 인원이 좋습니다. 세종학당 수업에도 정원이 있는
것처럼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 하는 일은 인원을 정해 놓고 해야 좋은 것 같습니다.
세종학당에서 시작하는 문화예술프로그램이 다양한 한국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영원했으면 좋겠습니다.
l 272
터키 앙카라 세종학당 한국 공예 수업을 마치고 공예강사: 이은 오방색을 담은 탈 채색과 탈춤 배우기 내용은 두말할 나위 없이 한국적이며 한국인의
정서를 터키 인에게 전달하기 충분하였습니다. 단순한 이벤트성 문화 교육으로 남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겉으로 보이는 부분과 결과만을 볼 것이 아니라, 그들이 이와 같은 프로그
램에 참여함으로써 한국 문화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 경험하게 되는지, 그리고 그 결과 한
국 문화에 대한 지식적, 정서적 이해도가 얼마나 확장될 것인지 등 보다 본질적인 부분을
우선적으로 고민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강사 파견 이전에 현지에 있는 선생님들이 앞으로 배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내용 이
해가 충분히 있어야 프로그램의 핵심 개념들이 학생들에게 잘 전달되어 효율적인 예술 교 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번 터키 시범 사업에서는 촉
박한 일정으로 인해 이러한 현지 강사의 선행 교육에 한계가 있었지만, 현지 참여 강사들
의 순발력으로 수업을 무리 없이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이번 프로
그램에 참여하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같은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생
각됩니다.
터키 인의 한국 문화에 대한 열정적인 관심으로 이번 프로그램에는 50명가량의 많은 추억 만들기
인원이 참여하였습니다. 이에 자원봉사자들 및 스태프들의 도움 인력은 충분하였으나, 전문
강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참여 학생의 수에 따라 충분한
제 5장
수의 전문 강사를 파견하여 보다 효율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길 기대합니다.
강사의 현지 언어 수준이나 수강생의 한국어 능력과는 별도로 전문 통역을 위한 인력
배치를 통해 수업의 질을 높이고 예술 강사에 대한 학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다만 수업 진행에서 강의 내용 전달을 위한 통역 시간을 예측하여, 수업 시간이 부족하여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계획하여야 합니다.
앞으로 터키 세종학당에서 같은 내용의 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할 경우 이번 시범 사업
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향후
강사 및 학습 내용의 통일성을 바탕으로 짜임새 있는 연중 문화 프로그램을 거시적으로 계 획하여, 수박 겉 핥기 식의 체험 이벤트가 아닌 한국 문화의 내면을 심도 있게 이해하며
미적 경험의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이어 나가시길 기대합니다.
273 l
참고 문헌 강승혜 외(2010). 한국 문화 교육론. 서울: 형설.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서울: 돌베개.
국립국어연구원(2002). 한국 문화 길라잡이: 한국인이 꼭 알아야 할 전통문화 233가지. 서 울: 학고재.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편(2003). 세시풍속. 서울: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민속박물관(2006). 한국세시풍속사전: 겨울 편. 서울: 서울민속박물관.
김문환(1999). 문화교육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김혜정(2009). 우리 몸에 새겨진 삶의 노래, 강강술래. 서울: 민속원.
박영순(2006).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화론. 서울: 한림출판사. 박재교(2007).
역사의 얼을 새긴 刀影. 서울: 돌베개.
백승정 외(2008). 쉽고 재미있게 배우는 한지공예. 서울: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상기호(2001). 전통오색전지공예. 서울: 한림.
안휘준 외(2006). 한국의 미술가. 서울: 사회평론.
윤덕노(2011). 떡굴을 먹으면 부자가 된다. 서울: 청보리.
윤여탁(2011). 「한국문학의 세계화 제문제: 지표와 전망」. 국어교육, 136, 175-195. 이홍수(1992).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세광음악.
임경순(2009). 한국어문화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의 이해.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재우(2007). 「난타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임지연(2005). 「난타공연을 통한 사물놀이 리듬지도」.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연희(2012). 「상업화와 소통-비언어극 <난타>의 극적 전략」. 비교한국학회 20(2), 533-557. 조항록(2004). 「한국어 문화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한국언어문화학, 1(1), 199-219. 장주근(1984). 韓國의 歲時風俗. 서울: 螢雪出版社.
조대인(2012). 팥죽할머니와 호랑이. 서울: 보림출판사.
전통한지공예가협회(2005). 전통한지공예. 서울: 우리출판사.
최병삼(2000). 사물놀이 배우기. 서울: 학민사
최준식(2011). 한국 문화 교과서. 서울: 소나무
최창주(2000). 봉산탈춤.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추원교(2003). 우리의 공예문화. 서울: 예경
한미라(2004). 한국인의 생활사. 서울: 일진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2009).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지침서개발연구-공예. 서울:한국 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편(199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홍순석 김호연 편(2009). 한국 문화와 콘텐츠. 서울: 채륜. Edward W. Said. (2007). Orientalism. (박홍규 역) Abeles, H. F.,
Hoffer, C. R.,
오리엔탈리즘. 서울: 교보문고.
Klotman, R. H. (1990). Foundation of Music
Education, 방금주 역. 음악교육의 기초. 서울: 삼호출판사.
l 274
참고 사이트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culture_2008/kor/index.jsp 국립국악원 www.gugak.go.kr
국립국악원 블로그 http://blog.naver.com/gugak1951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결혼준비대백과 http://weddinginfo.wef.co.kr/
다음 자연박물관 http://nature.kids.daum.net/top/index.do
뉴시스 www.newsis.com
박씨네 우리옷 http://www.phanbok.co.kr/ 브리태니커 http://www.britannica.co.kr/
안동음식문화 http://www.andong-food.co.kr/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
우리문화 http://uriculture.com/index.html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유튜브 http://www.youtube.com
이뮤지엄 http://www.emuseum.go.kr/index.do 한국문화재보호재단 http://www.chf.or.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folkency.nfm.go.kr/main/main.jsp 추억 만들기
한스타일 http://www.han-style.com/
제 5장
참고 동영상 온라인 강좌
http://www.egugak.go.kr/servlets/C_CcLecReqServlet?cmd=ongview&mn=0101&leccod e=A010052061_2013_0001&sjt_cd=2061 음원 및 동영상
아리랑: http://www.youtube.com/watch?v=gkM_LXUCMeA
도라지 타령: http://www.youtube.com/watch?v=kjCIwE-x0Ow 풍년가: http://www.youtube.com/watch?v=ObOKVLkB9nM
늴리리야: http://www.youtube.com/watch?v=YYUbgghrGlE 산도깨비: http://www.youtube.com/watch?v=Lxxrs5ZBtlA
사물놀이: http://www.youtube.com/watch?v=-Ss3OBaxqno http://www.youtube.com/watch?v=2eInG50McO4 http://www.youtube.com/watch?v=F-q9tvKrZcQ 학생 다큐멘터리 제작 동영상 참고 자료
http://youtu.be/2Z3gVNhoRMU
http://www.youtube.com/watch?v=T08bMuA8JSg&feature=youtu.be
275 l
http://www.youtube.com/watch?v=w_qmwNZSjwE
태권도: http://www.youtube.com/watch?v=1ju8w3Ywwrs
http://www.youtube.com/watch?v=rrZYizrW_1w
K-pop 안무 배우기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A1004411F929205E 4705DEE11D67F75BD088&outKey=V127d2202f04acf1eb06064baedd96bed6a226df8092ef9 1902b264baedd96bed6a22&width=720&height=438 프로그램
http://file.naver.com/pc/view.html?fnum=245069&cat=40 http://susemi99.tistory.com/280 http://www.ancamera.com/ http://www.kmpmedia.net/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l 276
자문위원 및 사업 관계자 자문위원 최준호 곽재성 문효진 강현화 조항록 윤금진 강현주 이삼형 김재욱 최정순 이주원 서승미 이왕용 황정옥 김상규 서반석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 경희대 국제대학원 교수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전문위원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상명대 한국언어문화교육원 원장 국제교류재단 문화예술교류부 부장 인하대 시각정보디자인과 교수 한양대 국어교육과 교수 한국외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교수 배재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 교수 한양대 건축학과 겸임교수 경인교대 음악교육과 교수 강남대 회화디자인학부 교수 경성대 무용학과 외래교수 영화예술강사 영화예술강사
연구진 책임 김선아 한양대 응용미술교육과 교수 공동 민경원 순천향대 영화애니메이션학과 교수 변계원 숙명여대 한국문화교류원 시간강사 김선영 한양대 건축학과 강의교수 김혜진 국립공주대 영상보건대학 조형디자인학부 교수
사업 기획 담당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 정연희 국제교류팀장 김자현 국제교류팀 박보연
세종학당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길라잡이
발행인 박재은 발행일 2013.2.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국제교류팀 등록 �����-1251-�005� � ISBN 97�-�9-67��-0�2-�� 93370� ��인� (주)예����
문의 �e�.� (02)6209-5900 �a�.� (02)6209-5999 �-�a��.� kaces@arte.or.kr www.arte.or.kr ⓒ�� ����� ���� ���� ���� ���� ���� ����� 주��� 바랍니다.� � � �� 문��� ���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