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Page 1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 연차보고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 연차보고서

K o r e a Arts&Culture E d u ANNUAL c at i o n REPORT S e r v i c e 2 0 0 8 A N N U A L RE P O RT 2 0 0 8


Balloon Up.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목차

Blow up the Balloon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01_인사말 02_비전&미션 03_역할 04_CI 소개 05_연혁 06_조직도&업무현황

Journey of the Balloon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01_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02_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03_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04_국제교류.정책공감.지식정보화 사업 05_기관운영성과&기관예산 06_2008 주요사업 스케치

Balloon Up to the World 2009년 사업방향 및 6대 역점 추진과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01_인사말 02_비전&미션 03_역할 04_CI 소개 05_연혁 06_조직도&업무현황

Blow up the Balloon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부풀어 오른 풍선이 국민 여러분을 향해 떠오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마련한「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 계획」의 근본취지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은 우리 사회의 모든 이들이 창조적 관계 맺기를 통해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 육의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고자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이사장 인사말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기름진 밑거름을 통해 뿌리 깊은 문화강국으로 나아가는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앞장서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세계는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새로운 지식이 매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정보통신혁명에 의한 지

또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저소득가정 아동, 노인, 장애인, 다문화 등 사회

식 정보화, 급속한 세계화 추세에 따라 전 세계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뀌어가는 문명사적 전

의 다양한 계층에게도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소통의 창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예

환을 맞고 있습니다.

술교육관련법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며, 그 관련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우리기관의 활동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러 한 관심이 바탕이 되어 국제적으로 폭 넓은 네트워크를 형성해가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을 반영하듯, 이미 전 세계적으로 문화예술분야의 사회공헌을 통해 기업이미지 구축을 시작으로 세부적으로는 문화마케팅, 직원 대상 문화예술교육 등을 실시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다가오는 2009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세계적으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행사, ‘2010 예술교육 세계대회’를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본격적으로 문화산업시대로의 돌입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문화예술분야

앞두고 있습니다. 2009년, 철저한 준비를 통해 ‘2010 예술교육 세계대회’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의 위상을 전 세계

와 산업이 결합했을 때 생성되는 무한한 가치와 성장력을 감지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에 알리고, 나아가 전 지구적인 문화예술교육의 교류와 발전에 앞장서게 됨으로써 세계 문화예술교육의 선도적인 역 할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런 문명사적 전환에서 중요한 것은 개성이 존중되고 서로의 다름이 이해되어야 하는 창의성과 소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수성과 창의력을 개발하여 사회와 소통하는 방법을 가장 자연스

지난 한해의 성과를 바탕으로 2009년에는 보다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하여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

럽게 익힐 수 있는 것이 바로 문화예술교육입니다.

는 창의력을 갖춘 인재양성에 힘을 쏟겠습니다. 보다 국민들에게 살갑게 다가가는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앞장서겠습니다.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한 방향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짧은 길, 직선을 요구했던 것입니다. 문화예술교육은 그 길 안에 묻혀 있던 잠재력을 건드리고 끌어낼 것

여러분의 아낌없는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입니다. 직선은 곡선이 되고, 곡선은 다시 한번 휘어져 새로운 길을 만들 것입니다. 그 곡선에서, 휘어진 그 자리에서, 우리는 지금까지 발견하지 못했던 무한한 에너지와 가능성, 창조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작년 한해를 돌아보면 학교에서 활동하는 예술강사는 2007년보다 80% 증가한 2,100여 명이 참 여, 참여 학교 수는 116%증가한 3,687개 학교, 수혜자 학생 수는 104%증가한 551,014여명이었 습니다. 이는 전국의 3개 학교 중 1개의 학교가 예술강사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 박 용 현

며, 동시에 많은 학생들이 문화예술교육의 혜택을 지속적이고 보다 폭넓게 접하고 있다는 뜻이 기도 합니다.

6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7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원장 인사말 계층과 세대, 인정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문화예술교육의 실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그 길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2009년 목표와 전략

지난 한 해의 성과와 앞으로의 전략에 대해 말씀드리는 기회를 갖게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한 예술 뉴딜 프로젝트를 실현

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5년 2월 설립된 이래, 매년 문화예술교육의 확대를 위해 주

전국의 초중등학교, 복지시설과 연계하여 4천여명의 예술강사지원을 통해 예술가에게는 일자리 창출을, 우리 아이

력해왔습니다. 우수한 성과를 달성 할 수 있도록 성원해주신 전국 각지의 초중고등학교, 문화원,

들에게는 미래지향적 창의교육의 혜택을 주겠습니다. 무엇보다 6개 신규 분야를 확장, 총 10개 분야에 예술강사 선

미술관, 박물관, 문화예술교육 주관단체, 예술강사 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파트너 여러

발하며 예술강사의 배치, 연수, 평가 등에 있어서 체계적인 선진 시스템을 구축하겠습니다.

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이웃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따뜻한 사회공동체를 구현 2008년 성과와 분석

소외계층의 아픔을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적극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여 경제적 격차로 인해 생기는 소외 감과 지역민간의 갈등을 극복하여 사회공동체성을 회복시키겠습니다.

예술강사 사업 확대로 전국 33% 학교가 문화예술교육에 참여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

민간 사회공헌을 연계한 문화예술교육사업을 확산

였습니다. 이를 통해 3,686개 학교, 551,014명의 학생이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성과를 이루었

국가재원은 한정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의 자생력을 확보하고자 민간기업 및 민간기관 등과 연계한 사

습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운영, 예술꽃 씨앗학교 운영, 문화예술분야 교원 전문성 강

회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민간 기업에게는 문화예술을 통한 문화산업 활성화로, 우리나라는 문

화지원 등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였습니다.

화교양국가로 발돋움하는 발판을 마련하겠습니다.

국민 모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발판 마련

글로벌 문화예술교육의 교류와 기여활동을 통한 국가브랜드의 가치제고

무엇보다도 사회 소외계층을 위한 희망프로젝트로서 노인, 장애인, 재소자, 여성결혼이민자 등

2010년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개최국의 위상과 역할에 걸맞은 교류 활동 및 국제기여활동을 하겠습니다. 이

22,838명에게 문화예술교육 참여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올해 사회문화예술교육 평가에서는,

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고, 중남미, 아프리카 권역을 포함한 전 세계 국가와의 네

참여자들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각 해당 장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고조되었다, 대인

트워크를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관계가 좋아졌다, 내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게 되었다 등 사회문화예술교육이 소외계층에 미치 는 영향은 대단히 긍정적이었습니다.

2009년은 4대 문화예술교육 역점과제를 통해 개인은 행복하게, 삶은 풍요롭게 하겠습니다. 꿈과 희망을 가진 사회구 성원을 늘려감으로써 모든 이들이 문화교양을 가진 시민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문화교양을 가진 사람들이 자발적으

문화예술교육인력 양성기관으로의 성장

로 모이면 문화클럽이 활성화되고 수많은 문화클럽이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예술작품에 대한 수요와 문화복지에 대

‘05년 초기 일부 교사연수에 머무르던 연수과정에서 현재는 3천여명에 달하는 예술강사 연수는

한 요구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화향유는 곧 예술창작의 활성화로, 소프트파워 강화로, 문화도시 형성으로 이

물론, 전국 문화시설 관계자 등 상시적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강

어져 우리나라는 품격 있는 문화국가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사 양성, 문화행정 등 중앙 및 지방 행정을 책임지는 공공부문 전문인력 대상 연수까지 그 영역 을 확장하였습니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력을 갖춘 인재양성에 문화예술교육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확신을 갖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끊임없는 도전과 실행을 위해 여러분의 아낌없는 격려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문화예술교육분야 국제적 명성 확보 세계 유일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해외 각국에서 지속적인 기대와 주목을 받아왔으며, 짧은 기간 동안 다수의 국제행사를 개최한 기관의 역량과 다양한 국가?국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이 대 영

단체와의 네트워크 형성능력을 인정받았습니다.

8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9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비전 & 미션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이끄는 힘

문화와 예술이 모두에게 가까워지도록

역할

한국문화예술교 육진흥원은 국민 모두가 전 생애에 걸

누구나 마음 속에 하나씩 품고 있는 문화 예술의 씨앗이 스

쳐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사

스로 발아하게 만드는 일, 그것이 ‘문화예술교육’입니다.

람, 정보, 자원이 모이는 문화예술교육 발전소’라는 비

그 씨앗의 뿌리가 든든하게 내려져 무럭무럭 성장하는 것

전 아래 범 부처 간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문화예술교

이, 그래서 우리 모두에게 문화와 예술이 가까워지도록 만

육 정책 실행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드는 것이 바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역할입니다.

열린 사고 동반 성장

핵심가치

문화예술교육 정책 밑그림을 그려내고 사업을 구체화하는 전 과정의 실천적

Core Value

자세로써 열린 사고로 수평적 소통과 창의적 실천을 모색하며, 고객 지향적

Network

현장 친화적인 정책 수행으로 함께 성장하고자 합니다.

사람, 정보, 자원이 모이는 문화예술 교육 발전소

Vision

문화의 시대, 지식정보화 사회의 주요 동력으로 사람, 정보, 자원이 모여 온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artner

국민에게 풍요로운 삶의 에너지를 전하는 문화예술교육 발전소의 모습을 지 향합니다.

Mediator

모든 국민이 전 생애에 걸쳐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

동시대 모든 이들이 누려야 할 기본 권리로서 국민 스스로가 문화예술교육에

Mission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건강한 문화 예술교육 생태계를 실현하는 것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이상입니다.

10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romoter

Researcher

ANNUAL REPORT 2008

11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CI 소개

모두를 아우르는 정책을 향한 의지

연혁

시작과 도약,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난 4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심볼마크는 삶과 분리되지 않는 문화예술로서의 ‘a’, 참여하는 교육으로서의 ‘e’가

2004년 11월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 후,

자연스레 어우러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을 통해 정책

2005년 재단법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설립된

과 현장,지역과 지역,사람과 사람을 잇는 매듭이 되겠다

이래 4년, 그동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속적으

는 진흥원의 의지를 표현합니다.

로 펼쳐온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이제 잘 다져진 토양 위 로 올라와 활짝 꽃을 피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CI(Coperate Identity)

CI 의미

삶과 분리되지 않는 문화예술

참여하는 교육

정책과 현장, 지역과 지역,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매듭

12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2005. 02

재단법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 1대 김주호 원장 취임

2007. 01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운영

2005. 11

제1회 예술교육 세계대회 아태지역 준비회의 개최 아태지역 예술교육 로드맵 수립

2007. 12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백만명 달성 예술강사 5천명, 학교 및 복지시설 만개 참여

2005. 12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

2008. 01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아카데미 ‘CETA’운영 및 공식 브랜드화

2006. 08

특수법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

2008. 07

제 2대 이대영 원장 취임 구로구 신청사 이전

2006. 12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교육기관 지정

2008. 12

2008 정부업무 정보화 부문 우수기관 선정 및 수상 본부 체제 조직 확장

ANNUAL REPORT 2008

13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조직도 & 업무현황

정책을 실행하는 체계적인 조직

부서별 업무현황

2008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기존 5팀 체제를 교 육진흥원장과 총괄본부장 이하 경영혁신팀, 홍보국제협 력팀, 인력양성팀, 학교교육팀, 사회교육팀, 교육개발팀

부서명

의 1본부 6팀 체제로 개편하여 보다 더 유기적인 협력 관

경영혁신팀

- 공공기관 혁신.청렴, 고객만족도 제고 및 대외협력업무(국회, 정부 행정자료 요구사항) - 경영계획, 예산, 회계, 계약 등 경영업무 - 통합운영 시스템 등 전산관리 유지보수 및 운영 업무

홍보국제협력팀

- 홍보 및 정책공감 확산(출판, 영상물, 대외협력) - 아르떼진 운영 - 국제교류 기획.운영 및 2010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준비

인력양성팀

-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연수사업 기획.운영 - 인력양성 관련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교육기관과의 협력망 구축 - 예술강사.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기본,심화연수)/학교 경영자.관련시설.단체연수/대상별 주제별 특별연수/e-아카데미 운영

학교교육팀

-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예술강사 등) 파견 및 교육활동 지원 - 학교문화예술교육 관련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운영지원 및 상호협력 - 예술강사 파견지원/선도학교 지원/방과후학교 지원/지역사회 연계 사업지원/국악단체 운영지원

사회교육팀

- 사회복지시설(아동,노인,장애) 연계 예술강사 파견지원/군 및 특수분야 지원/문화기반시설연계 지원/다문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시범사업 지원/임대아파트 문화예술교육지원 - 지자체 협력 지원사업 평가 및 사업 총괄 성과 평가

교육개발팀

- 문화예술교육 분야별 교안.교재 및 학술연구/온오프라인 교육콘텐츠 개발 및 자료콘텐츠 분석 사업 -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업별.수혜대상자별 각종 통계 및 조사 - 교.강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대상별 교육과정 및 교보재 개발/문화예술교육사전 개발/교.강사 자율연구모임 지원 등

2010 세계대회 TFT 팀

- 2010 세계대회 준비를 위한 국제회의 준비 - 세계대회 개최를 위한 전문가 운용 및 국제 네트워크 구축 - 세계대회 관련 행정부처 간 업무조정 및 기획

전략기획 TFT팀

- 관련 행정부처 및 국회 예결산.법사위 등 정책 협력업무 - 정책 언론홍보 및 기획 언론사업 등 언론창구 특보 업무 - 대국민 문화예술교육 정책기획 및 기타 전략기획 관련 특명업무

계 아래 핵심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조직도

이사회

원 장

총괄 본부장

전략기획 TFT팀

경영혁신팀

14

홍보 국제협력팀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학교교육팀

2010 세계대회 TFT 팀

사회교육팀

인력양성팀

교육개발팀

업무현황

ANNUAL REPORT 2008

15


Journey of the Balloon 문화와 예술을 가득 담은 풍선이 함께 사는 모두의 가슴으로 다가갑니다.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우리 사회 모든 구성원의 삶 속에서 살아 숨쉬는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는 것이 한국문화예술

01_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교육진흥원의 목표입니다. 이를 위해 2008년 학교와 사회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전문인력 양 성, 국제교류 등 국내외를 아우르는 다각도의 지원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어디 하나 소외된 곳 없이, 문화예술교육의 씨앗을 심기 위해 노력합니다.

02_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03_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04_국제교류.정책공감.지식정보화 사업 05_기관운영성과&기관예산 06_2008 주요사업 스케치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 평가

<2008년 만족도 응답결과 비율(%) > 보통 24.7

학교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

불만족 7.4

문화예술교육의 시작 - 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린이 와 청소년들에게는 창의력과 상상력을, 현장 예술인에게 는 교육 활동과 사회 공헌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지역 여건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확산하고

만족 67.8

자 지역 기관과 단체와의 파트너십을 토대로 한 협력 사 만족

보통

불만족

학교교사

74.5

20.3

5.2

76.3

19.0

4.7

예술강사

52.7

34.9

12.5

업을 실시합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분야별 예술 전문인력의 학교 방문교육을 통해 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해지도록 지원합니다. 지원사업은 온.오 프라인 교육콘텐츠 및 기자재 지원을 통해 초중등학교는 물론 특수학교와 대 안학교에서도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008

틀에 구애 받지 않은 학교의 자율과 그리고 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 어 냅니다. 08년에는 64개의 학교가 참여하여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체험과

지원사업에 참여했으며 551,014명의 학생이 전문 예술강사와 함께 문화예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받았으며 지속적으로 일선 학교의

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습니다.

참여와 확대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추진실적>

<2008년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운영 현황> 20,311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2007

1,764

822

366

137

248

191

2008

2,153

984

450

121

299

299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학생수 2007

527,286

362,438 53,834 26,437 56,956

27,621

2008

551,014

356,410 46,876 56,956 73,605

41,634

학교수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2007

3,157

1,951

413

202

327

264

2008

3,686

2,275

452

243

392

324

프로그램수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07년부터 추진된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운영 지원사업은, 기존 교육과정의

년에는 전국 초중등학교의 33.6%에 해당하는 총 3,679개 학교가 예술강사

강사수

18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운영 지원사업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2007

18,350

12,696

1,632

920

2,041

1,061

2008

19,373

12,569

1,733

1,046

2,578

1,447

5,875

64 학교수

교육횟수

수혜자수 학교수

교육횟수

수혜자 수

* 지정과제

31

3,957

13,695

자율과제

21

1,783

6,436

문화예술교육 교과과정 집중운영학교

2

135

180

* 지정과제 : 주5일 수업제와 연계한 주말학교 운영, 문화기반시설 연계 교육프로그램 운영, 문화예술교육 동아리 활성화,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운영, 학교문화예술교육 신규분야(미디어, 뮤지컬), 학교축제활성화

ANNUAL REPORT 2008

19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기존 운영학교 중 문화예술교육 운영실적이 우수한 소

교사 자율연구모임

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유명 예술가의 학교 방문 행사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

2005년부터 시행한 교사 자율연구모임은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자료 개발, 교수.학습방법의 문제점 개선 및 그 적용과 실천을 위해 활동하는 교사들의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램을 집중 지원하고 있습니다.

연구모임을 지원 합니다. 이를 통해 교과 모임의 연구 분위기 조성 및 정보 교환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돕고 있으며, 2008년도에는 총 11건을 선정, 지 원하였습니다.

모임명

과제명

전국교사풍물모임

교사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남교원오케스트라연구회

방과 후 학교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환경문화교육연구회

전통생태문화를 바탕으로 만화애니 미디어를 활용한 초등환경교육 교재 개발

How to 인형극 동아리

교육과정 연계 문화예술교육 활동 지도안 개발

특수학급 미디어연구회

교육과정 연계 문화예술교육 활동 지도안 개발

미술교육연구모임

교육과정 연계 문화예술교육 활용 지도안 개발 초중등학교 교과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수업연구

C&N초등미술교육연구회

방과 후 학교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조형요소의 다계적 지도를 통한 창의력 신장

문화예술분야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

학교 경영자 연수 교원 전문성 강화 지원은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초중등학 교 경영자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이를 통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목표로 합니다. 2008년 기준으로 8개 지역에서 운영이 된 교원 전

교사실내합주단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실내합주단의 효과적 운영 방안

뮤지컬 “뺀지와 철조망”을 사랑하는 교사모임

뮤지컬 창작 및 공연활동을 통한 인성 및 진로교육의 모델 제시

한국아카펠라교육연구회

교사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공연예술발전연구회

교육과정 연계 문화예술교육 활용 지도안 개발

문성 강화 지원은 학교경영자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의 참여자 수가 전년 대 비 32% 증가한 총 3,461명이 참여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008 학교 경영자 문화예술교육 연수 참여자수>

서울 175 인천 경기 43 460

강 원 733

총계 3,461명

전남 30

광주 249

부산 1,671

제 주 100

20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21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문화예술교육기회 확대사업

지역별 교육 현장 수요가 많은 방과후학교에 문화예술 강사 지원을 실시하여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은 물론 지역 교육 자원을 적극 활 용함으로써 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추진하였습니다. 더불 어 유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도입 및 시행으로 생애 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사업명

사업내용

지원규모

방과후학교문화예술강사 지원

광역 지자체별 민간운영단체 공모

7개 지자체, 민간운영단체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회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

모두에게 평등한 문화예술교육을 꿈꾸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문화 기본권을 누릴 수 있는 사회, 다양한 문화가 인정되는 사 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를 위해 사회 문화예술

운영단체 대응투자 원칙

교육 지원사업을 실시하여 소외된 계층을 포함한 모두에

운영단체별 초중등학교 교육 지원

게 평등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는 사회를 만들고자

지역 단위 학교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20개 프로그램 지원

합니다.

(운영단체 공모 지원) 유아 문화예술교육지원

유아교육 관련 연구(교육과정, 교재 등)

3개 연구 개발

유아교사 연수운영

8개 연수프로그램 운영

사회복지시설 연계 예술강사 지원사업

보육원과 지역아동센터에 6개 분야(국악,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미술)의 예 술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노인복지관 연극교육, 장애인.정신지체 장애아 동의 무용교육,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위한 연극 교육 등을 지원합니다. 9,476

319

수혜시설

초등학교 바둑교실 지원사업

2008년 시범사업으로 추진된 초등학교 바둑교실 지원사업은 입시부담이 없 는 유소년(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창의력과 집중력 개발 등의 교육적 효과의 극대화를 목표로 한 사업입니다. 그 일환으로 전문기사와 교육전문가가 참

321

예술강사

수혜인원

수혜시설

예술강사

수혜인원

아동복지 (보육원)

178

216

6,572

아동복지 (지역아동센터)

42

44

1,264

장애인

67

38

1,297

노인

32

28

343

여해 학교교육과 연계된, 공교육에서의 새로운 바둑교육 모델 개발을 위해 바둑교육 선도학교를 운영하였습니다. 그 결과 2008년도에는 84개학교, 총 6000명의 학생, 79명의 강사, 5000시수가 실시되었습니다.

22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23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지방자치단체 협력 지역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에서 아동.청소년.노인.장애 인.다문화 등과 관련된 시설에 교육참여자와 전문강사가 함께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역센터 및 문화기반시설 연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지역센터 및 문화의 집과 연계하여 지역주민, 미취학아동, 청 소년 등에게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사회와의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자 추진하는 사 업입니다. 2,595

8,197

130

350

331

292

지원단체

71

수혜시설

예술강사

지원단체

수혜인원

지원단체

수혜시설

예술강사

수혜인원

저속득가정 아동

62

88

69

2,252

노인

81

94

92

2,462

장애인

82

94

95

1,793

다문화

67

74

75

1,690

재외동포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군, 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체육관광부, 국방부, 법무부, 새터민 아동.청소년 교육지원기관과 협력 하여 군, 교정시설, 소년원학교, 새터민 등 특정분야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 육 활성화를 지원합니다.

94

예술강사 수혜시설

수혜인원

지원단체

예술강사

수혜시설

수혜인원

지역센터 이용

23

43

78

1,245

문화의집 이용

48

51

52

1,350

문화예술이 지닌 창의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와 세계인이 함께하 는 선진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2006년 중앙아시 아 지역 고려인 의견을 수렴한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의 기회 확대와 지 속적인 지원을 요구함에 따라, 2007년 우즈베키스탄 및 카자흐스탄을 시작 으로 2008년도에는 9월 24일부터 10월 18일까지 8일간 우즈베키스탄 지역 고려인, 재외동포 및 현지 아동.청소년 60여명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였습니다.

2,570

182 116 70

지원단체

24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수혜시설

예술강사

수혜인원

지원단체

수혜시설

예술강사

수혜인원

교정시설

17

28

50

578

소년원

7

8

14

127

새터민

7

9

8

138

군 장병

39

71

110

1,727

ANNUAL REPORT 2008

25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사회 문화예술교육 조사연구사업

노인, 장애인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사업지원을 위해 신규교안 및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지역별 사회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수요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평가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의 목표 실현 및 효과를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할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문화예술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전문인력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문화

수 있도록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지원사업 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평가과정

기반시설의 활동가, 고도의 전문인력 등 다양한 분야와 층

에서 다양한 참여 주체의 의견 및 정보를 수집하여, 문화예술교육 실행현장

위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활동을 전

과 정책의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사업평가결과, 교육참여자 만족도는 77%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

개합니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조직된 각 분야의 인력

습자들은 해당장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학습자들의 생각을

들은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자유롭게 표현하는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프로그램 만족도

대상별로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해 노인대상 연극강사에 대 해 매우 만족한다는 비율이 5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경우 장 르별로는 국악 예술강사에 대해 모두 만족(어느정도 만족함+매우만족함)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우수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양질의 교육기획자와 전달자 없이는 실행 되기 어렵습니다.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하는 전문인력 (이른바 에듀케이터)은 문화예술에 대한 충실한 지식 및 이해와 더불어 교육 수요자 특성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제공하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이와같

보통+불만족 10.9

매우만족 31.7

은 인식에 따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을 추진하고 있으며, 2008년 84개기관에 해당 인력이 배치되어 문화예술교 육(기획)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만족 57.5

<2008 지역별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배치현황>

매우만족

만족

보통+불만족

노인연극

55.9

35.3

8.8

장애 무용/연극

44.4

44.4

11.1

아동

27.2

61.7

11.1

강 원 12 서울,경기 44

총계 84명 충청 10

국악 국악

30.0

무용 무용

29.5 31.1

미술 미술 연극 연극 영화 영화 음악 음악

26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70.0 59.1

12.8

62.2 64.1

25.0

6.7

전라 11

23.1 62.5

32.7

경상 5

11.4

56.4

12.5 10.9

제 주 2

ANNUAL REPORT 2008

27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CETA

2006년부터 추진된 아카데미 사업은 2008년부터 사업명을「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초청 워크숍

아카데미 CETA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Arts, 이하 CETA)」로 변경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가 국내외 동향과 사례를 분석, 공유할 수 있도

하고, 문화예술교육 인력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전문성을 보다 더 강화하였습 니다. 특히, 장르별 교육과정 운영을 지양하고, 주제별.경력별 교육과정을 개

록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초청 워크숍’을 추진하였습니다. 영국라반센터, 뉴

설하여 내용의 전문성을 높이고, 새로운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낼 수 있는 다 양한 연구.연수를 운영하였습니다. 총 1,993명의 문화예술분야 기관.단체 실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교육부서, 덴마크 카오스필롯학교 등 다양한 국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기관과 협력.교류하여 국내 현장 전문가의 전문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연수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무자, 교육담당자, 예술강사, 초중등 교원 등이 참여하였으며, 57회의 연수 과정이 기획, 운영 되었습니다.

예술강사 멘토.리더 양성을 위한 ‘예술강사 LC(Learning Coach) 양성과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학교.사회 예술강사 지원사업 활동 경력자 중에 서 향후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한 멘토와 리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핵심 인 력을 발굴, 지원하고자 ‘제1기 예술강사 LC 양성과정’ 을 운영 하였습니다.

28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문화예술을 통한 창의성 계발 연수 예술교육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의 과정을 익히고 창의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창의성 계발 연수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였습니다. 연수 프로그램

국내과정과 국외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된 LC 양성과정은 3개월간의 국내

은 폴리아티스트(소리제작가), 미디어아티스트 등과 함께 창의적 사고의 과 정을 논리적.감성적으로 풀어보고 창의적인 사고의 프로세스를 함께 공유하

과정을 거친 뒤 참여자 21명 중에서 최종 5명을 선발하여 ‘제1기 예술강사

는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기에 창의적 사고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재미있게

LC’ 로 선정, 국외연수(뉴욕한국문화원과 공동주최)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습득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ANNUAL REPORT 2008

29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2008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CETA 실적

희소인력 양성사업

2008년도 신규사업으로, 문화예술 현장에 필요한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직능 을 갖춘 고급 희소인력을 집중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변화하는 문화예술계 인력 수요에 대응하고 국내의 취약한 교육기반을 고려, 해외 연 수기관과의 연계 프로그램 기획 및 시범운영을 통해 희소인력 양성시스템을

횟수

연수일시

대상/참여인원

‘08 문화예술 선도학교 참여교원대상 연수

1

2008.06

교원/65명

2008년도에는 관련 분야별 효과적인 연수 진행.객관적인 성과도출 방안을

부산 음악교사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계 연수

1

2008.07

교원/60명

위해 적합한 연수기관선정에 있어 영국, 미국, 싱가폴 등 3개 권역별 총 12

10

2008.07

교원/360명

개 기관의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체계적인 연수 추진을 위해

2008.08

교원/80명

구분

세부명

기본과정

유치원교사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심화연수

경남유아교육원 연계 유치원 교사대상문화예술교육 연수

1

2008.07

교원/200명

전국 유아교육담당 장학사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1

2008.09

교원/100명

서울 유치원교사대상 국악교육 연수

1

2008.12

교원/30명

예술강사 역량 강화 연수

4

2008.10-12

예비예술강사/76명

구축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2개 기관과의 MOU체결을 통해 사업내용의 충실도 및 안정성, 지속 가능성 을 확보하였습니다.

추진내용

일정

주제/내용

대상/참여인원

소더비 인스티튜트 단기 연수 국내 유치

10.21~24

Connecting Art & Business

현장경력 3년 이상 30명

정책공감

10.25

문화예술 아카이브, 작품 보존과학, 전통악기 연구 미술관교육 등 4개 분 야 전문가 현황 및 국외연수관련 제 안 및 정책 공감 토론 등

현장 전문가 등 30명

소더비 인스티튜트 단기 교육과정 현지 연수 지원

11.20~24

Art Market

현장경력 3년이상 3명

문화예술 희소인력 양성 포럼

11.19

펀드레이징, 한국미술의 국제화 등 4개기관 초청 강연 등 (A&B, 소더 비 인스티튜트 SOAS, The Roundhouse 관계자 참여)

80명

문화예술 희소인력 양성 워크숍

12.22

소더비 인스티튜트 단기 교육과정 현 지연수 지원 결과 공유, 희소분야 전 문가 초청 워크숍

현장 전문가 등 37명

예술강사/34명

프로젝트연수

전문과정

기관단체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4

2008.10-12

기관단체 실무자/120명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연수

3

2008.05

기업교육담당자/25명

2008.06

예술강사/20명

2008.12

예술강사/35명

공간문화 연수 I

1

2008.07

교원/40명

공간문화 연수 II

1

2008.10

교원/40명

다문화 강사 양성과정

10

2008.09-11

예술강사/29명

제1기 예술강사 LC(Learning Coach) 양성과정(국내,국외과정)

11

(국내)2008.09-11

예술강사 경력자/21명

(국외) 2008.12.2-11

제1기 예술강사 LC선발자/5명

행복한 예술교육 만나기 - 강사 : 리처드 용재 오닐, 스테판 재키

2

2008.06

교원/313명

Design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 강사 : 레이첼쿠퍼/영국 랑카스터대학교수

1

2008.10

교육 전문인력/40명

Orchestra as Educator - 강사 : 데토도르 워프러드/뉴욕필하노닉 오케스트라 교육부서 디렉터

2

2008.11

교육 전문인력/80명

2008.11

교원/60명

Creative Leadership Workshop based on Arts & Culture (CLW) - 강사 : 크리스터리젤리우스,나나돌/덴마크 카오스필롯학교

2

2008.10

교육 전문인력/80명

Creative Approach - 강사 : 영국 라반센터 교육부서 디렉터 및 프로그램 리더

2

2009.01

예술강사/80명

총합계

30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58

총 180명 참여

1,993명

ANNUAL REPORT 2008

31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시각예술분야 직무분석연구

시각예술분야 인력의 직무 및 고용실태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시각예술 인

국제교류.정책공감.지식정보화 사업

력의 현장성 강화 방안을 탐색함과 동시에 시각예술 인력의 고용 수월성을 제고하고자 “시각예술분야 직무분석 연구”를 시행하였습니다. 연구의 성과 는 단기적인 현장 적용 뿐만 아니라 향후 시각예술분야 정책에 적극 반영.활

국제교류 정책공감 지식정보화 사업

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문화강사 양성사업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문화의 공존을 이룰 수 있는 다문화사회 조성을 위 해 이주민의 문화를 내국인에게 소개,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 문화강사 양성과정을 수료한 다문화강사는 초중등학교에 파견되어 전문성

문화예술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전문인력들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 사업은 문화예술교육 분야 관계 자와 함께 사업의 성과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문화예술 교육 민간 파트너와의 협력관계 아래 동반 성장을 추구하 는 사업입니다. 2008년 사업은 다양한 방식의 정보 공유

있는 다문화강사로 서 활동하게 됩니다.

및 새로운 영역과의 협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성과가 있

본 과정은 일회성 국외 문화 소개가 아닌, 한국 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었습니다.

을 느끼면서 이해하고 나아가 문화다양성을 인정하고 바라볼 수 있는 시각과 태도를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합니다. 이를 위해 시 행된 2008년도 제1기 다문화강사 양성과정에서는 총 29명(10명의 외국인과 19명의 내국인)의 다문화강사가 배출 되었습니다.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학 교에서 필요한 콘텐츠와 강사를 연결시키고 파견시킬 예정입니다.

문화예술교육 국제협력사업

2008년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 국한하지 않고, 남아메리카, 중앙 및 동남아시아권 등 전세계적 문화예술교육의 국제적 네

<사업추진 일정>

트워크 협력을 위해 노력한 한 해였습니다. 특히 콜롬비아 문화부 주최「IV National Meeting of Arts Education」참가 등을 통해 남미지역 주요 관계

제1기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수업시작(60시수) 제1기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모집

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대해 알리고, 정보를 공유하였

초등학교 다문화강사 시범수업

습니다. 2008. 07

2008. 08

2008. 09

2008. 11

2008. 12

2009

<200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제 네트워크 현황> 서류, 인터뷰 심사

제1기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수료

제2기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덴마크 오스트리아

영국 독일 미국

우즈베키스탄 대만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32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싱가폴

호주

ANNUAL REPORT 2008

33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2010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5년에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아.태지

국제교류.정책공감.지식정보화 사업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사업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은 문화예술교육 포럼 운영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역 준비회의>를 주관하였으며, 이어 포르투갈에서 개최한 <2006 유네스코

발전을 위한 주요과제를 발굴하고 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문

예술교육 세계대회>에 한국대표단으로 참석하여 ‘예술교육 로드맵’ 작성에

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및 지속적 발전을 이끌 사회적 합의기반을 확대하고자

참여하는 등 적극적으로 각국 전문가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습니다. 그리고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 정책공감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보도매

2007년 10월 유네스코 총회에서는 제2회 예술교육 세계대회를 2010년 한국

체를 활용하여 사업관계자들의 신뢰를 획득하는데 성공, 사업 참여율을 증가

에서 개최할 것을 확정하였습니다.

시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보도 성과 >

<2010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관련 추진경과 > 연도

활동내용

2004년

<UNESCO EXPERT SYMPOSIUM ON ARTS EDUCATION IN ASIA>참석 _한국문화예술교육 정책 발표 <2006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개최관련 사항 장관보고

2005년

<2006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준비위원회 회의(포르투칼) <유네스코/IIC아시아 심포지엄> 참석 <2006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아태지역 준비회의> 개최(서울)_‘아태지역 예술교육 권고안’ 체택

2006년

<2006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참석(포르투갈) _차기 예술교육 세계대회의 한국 유치의사 발표 제175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개최 _차기 예술교육 세계대회의 한국 유치 추인

2007년

주유네스코 포르투갈 대사 및 포르투갈 유네스코 사무총장 면담 _차기 예술교육 세계대회의 한국유치에 관한 유네스코의 협력 사항 논의 제34차 유네스코 총회 개최 _차기 예술교육 세계대회 한국개최 확정

2008년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사전 준비회의 개최 _제1차 실무조정회의 : 차기 예술교육 세계대회 개최를 위한 조직 구성 등에 관한 협의(08.3.27/서울) _제2차 실무조정회의 : 국내 유관기관들간 역할 분담, 대회일정 및 주제, 아젠다, 조직위원회 구성 및 공 동사업 추진.협약체결 등 논의(08.11.26~27/서울) 유네스코 예술교육 로드맵 유럽 영향평가회의참가(08.5.26~5.27/독일)

2007 2008

<한겨례 2008.0715>

45 165

<대구 MBC 2008.06.28>

기 타 국제회의 참석현황 한국-오스트리아 문화예술교육 비교 심포지엄 참가(08.5.30~31/오스트리아) 2008 World Creativity Summit 참가(08.6.4~6.9/대만) IFACCA ‘08년 아시아지역회의 참가(08.7.1~3/서울) 2010 세계대회 개최관련 남미지역 네트워크 구축(08.11.1~11.15/코스타리카,아르헨티나,브라질) 2010 세계대회 개최관련 콜롬비아 문화부주최 ‘IV National Meeting of Arts Education’ 참가 (08.11.6~11.8/콜롬비아)

아르떼 1018 영상제

2004년부터 지속해온 ‘아르떼 1018 영상제’는 영화, 뉴스, 만화애니메이 션, 드라마, 뮤직비디오 등 시각문화 영역의 온라인 공모를 통해 학생들의 교 육적 관심을 증대시키고 문화예술교육의 성과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2008년 에는 총 392작품이 출품, 24작품을 시상하였으며, 지난 5년간의 축적된 역대 수상작품을 온라인에서 열람가능토록 하기위해 아카이브형태의 영상콘텐츠 온라인서비스 사이트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34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35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문화예술교육 지식정보화사업

문화예술교육 지식정보화 사업은 대외 온라인 서비스 사업과 내부 정보화사

국제교류.정책공감.지식정보화 사업

아르떼 사이트 현황

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외 온라인 서비스 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 기관 홈페이지인 ‘아르떼(www.arte.or.kr)’를 플랫폼으로 하여 제공하는

아르떼 사이트 만족도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와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지원 서비스’ 및 예

2006

술강사 관리 시스템인 ‘통합운영시스템’ 등을 아우릅니다. 또한 뉴스레터와

2007

77

아르떼 웹진과 같은 콘텐츠는 정책공감대 확산을 위한 목적과 문화예술교육

2008

78.9

지식 생태계 조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일방문자수 2005 2006

지식정보화 사업성과

72

2007

지식정보화 온라인 서비스 목록

618 830 3,006 4,084

2008

포털사이트 www.arte.or.kr

가입회원수

진흥원 홈페이지, 문화예술교육 포털서비스

2005

3,344 13,887

2006

23,740

2007

통합운영시스템 ums.arte.or.kr

32,664

2008

예술강사 출결확인 및 관리서비스

아르떼진 artezine.arte.or.kr 매체홍보및 웹진

MOU 체결현황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은 소더비 인스티튜트 오브 아트(Sotheby’s Institute of Art, 싱가폴), 아츠 앤 비즈니스(Arts & Business, 영국), (주)이비더스, 서울

온라인 아카데미 lms.arte.or.kr

시 구로구와 같은 기관들과 MOU를 체결, 사업내용의 충실도 및 지속 가능

예술강사 및 일반인 대상 온라인 연수 시스템

성, 체계적인 연수추진 등의 성과를 이끌어 냈습니다. MOU 체결관련사항

온라인 교육 콘텐츠 mms.arte.or.kr 만화애니/영화분야 관련 콘텐츠 제공

2008. 04 서울시 구로구

정보화부문 우수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표창

2008. 10 (주)이비더스(데일리안)

2008. 11 Sotheby’s Institute of Art(싱가폴)

2008. 11 Arts&Business(영국)

36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37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기관운영성과 & 2008 예산서

2008기관예산서

2008년 예산 총액은 275억원 규모로 사업비 261억(총예산의95%), 기관 운 영비 13.8억(총예산의 5%)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학교문화예술교육 사

관운영성과 기 & 2008 예산서

업은 2007년과 비교하여 예술강사지원 사업 이외에도 새롭게 시작한 다양

효율성을 위한 열린 기관 운영

한 사업에 적절한 예산을 편성하고자 노력하였고,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아 동, 노인, 장애인, 교정시설 등에 대한 문화예술 저변확대를 위해 필요한 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8년 한 해 동안 인사관리

산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장기적 비전을 가지고 확대 발전시켜야 할 전 문인력 아카데미 사업에 대한 예산을 2007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액하였고

의 효율과 조직개편, 사무공간 이전, 맞춤형 복지제도 시

국제교류 사업의 예산 또한 증액하여 보다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

행 등 업무효율화를 추진하였으며, 기관의 투명성 및 청렴

록 하였습니다.

도 제고를 위해 기관 홈페이지 내 신고창구를 개설, 고객 <단위 : 원>

과의 대화창구 마련 등을 통해 기관 안팎에서 요구되는 다 양한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사업명

2008년 예산

2007년 예산

예술강사지원사업/국고

12,917,000,000

10,630,000,000

940,000,000

0

1,210,000,000

490,000,000

교원전문성강화/국고

315,000,000

250,000,000

초등학교바둑교실/체육

300,000,000

0

예술꽃씨앗학교/체육

500,000,000

0

29,000,000

120,000,000

16,211,000,000

11,490,000,000

사회문화예술교육(아동노인장애인)

3,656,000,000

3,900,000,000

사회문화예술교육(교정지역군)

3,000,000,000

3,500,000,000

16,211,000,000

11,490,000,000

1,147,775,000

719,781,000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CETA/체육

650,000,000

150,000,000

희소인력 시범/체육

323,000,000

0

시각분야 직무분석/체육

60,000,000

0

다문화강사 양성과정/국고

25,000,000

0

공간문화연수/체육

18,000,000

0

다문화 교안교재 개발/국고

50,000,000

0

0

400,000,000

2,273,775,000

1,269,781,000

257,900,000

185,000,000

문화예술교육기회 확대사업/국고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국고,체육진흥투표권적립금

기관운영성과

기관의 투명성 및 청렴도 제고 홈페이지 (www.arte.or.kr)에 클린신고 창구 개설로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평가연구/국고

임직원이 “윤리행동강령”을 위반하여 부패행위를 한 경우에는 신고가능

소쀀계 사회문화예술교육활성화/국고

인사관리(평가) 효율화 도모

소쀀계

근태관리시스템 구축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체육

인사평가제도 실시(‘08.12월)

각 팀이 유기적인 협력체계로 업무를 추진 하기 위한 조직개편 5팀 체제에서 1본부 6팀체제로 조직개편

선도학교 운영지원사업/국고

전문인력 양성.연수/ 국고,체육진흥투표권적립금

효율적인 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토대 마련

예술영재육성/체육

사무공간 구로구로 이전(‘08.07월)

소쀀계 국제협력

맞춤형 복지제도 시행 직원복지 극대화를 위한 맞춤형 복지제도 시행

고객의 문의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민원&제안 등의 내용 수렴

38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28,080,000

270,000,000

300,000,000

정책공감

200,000,000

200,000,000

온라인시스템 및 콘텐츠 개발

250,000,000

160,000,000

2,273,775,000

1,269,781,000

1,380,000,000

1,389,000,000

27,498,675,000

22,421,861,000

소쀀계

고객과의 대화창구 마련 홈페이지 (www.arte.or.kr)에 묻고 답하기, 민원&제안 창구 개설로

0

지식정보화

아시아문화동반자

문화예술기반조성/국고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지원/국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지원

합 계

ANNUAL REPORT 2008

39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2008 주요사업 스케치

큰 호응을 이끈 2008년 사업들

2008 주요사업 스케치

4월 [학교]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운영 지원사업 선정 [학교]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8년 한 해 동안 다채롭고

[학교] 예술강사 자율연구모임 지원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사 자율연구모임 지원사업 공모

의미 있는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러한 사업들이 우리

[사회] 예술강사 지원사업 교육 시작(아동, 노인,장애인)

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주소를 조망하는 것에 그치지 않

[사회] 군/특수분야/새터민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 교육 시작

고 장기적으로 미래를 향한 이정표가 되어줄 것을 확신하

[사회] 지방자치단체 협력 지원 교육수행단체 교육 시작

며 큰 호응을 불러일으킨 주요 사업 몇 가지를 되돌아봅

[사회] 지역주민(문화의집/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대상 문화예술교육 시작 [인력]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의무교육과정 [홍보] 2008 아르떼 해외통신원 선정

니다.

5월 [학교] 문화예술교육분야 교사 자율연구모임 지원

1월

[인력] 전문인력 양성 사업 기관(단체) 선정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학교선정 및 강사배치

[홍보] 유럽지역 예술교육 전문가 심포지엄 참가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상반기 연수 (무용, 국악, 연극 분야) [사회] 예술강사 최종 선발 및 교육수혜기관 최종 선정 [사회] 지방자치단체 협력 지원사업 선정 [인력] 전문인력 양성사업 참여대상 전문인력 채용 [홍보] 문화예술교육 4차 포럼 “문화예술교육 평가와 전망”

6월 [학교]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운영지원사업 사진분야 운영 학교 선정 [학교] 작은학교 어린이 문화예술교육 캠프 [인력] 창의성 개발과정 연수

2월

[인력] 문화예술교육 교원연수(선도학교참여 교원대상)

[총괄] 제6차 이사회

[인력]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초청워크숍_행복한 예술교육 만나기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상반기 연수 (영화, 만화애니메이션 분야)

[홍보] 2008 World Creativity summit 참가

[학교] 신규 예술강사 대상 온라인 연수

[홍보] 문화예술교육 관련 학술행사 지원

[인력] 전문인력 양성 사업 참여대상 전문인력 채용

[사회] 상반기 강사연수 (아동복지, 노인/장애 인분야) [사회] 군/특수분야/새터민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교육수행단체 공모

7월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제2대 원장 취임(이대영 원장)

3월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청사 이전행사

[학교] 지역사회연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세미나

[인력] 교원대상 공간문화 과정 연수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학교 교육 시작

[인력] 유치원교사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학교] 방과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주관단체 공모

[홍보]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세미나

[학교]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운영 지원사업 공모

[홍보] IFACCA 2008년 아시아지역회의 참가

[사회] 1차 특수분야 지원 교정시설 교도관 담당자 워크숍

[사회] 지역주민(문화의집/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 공모 [사회] 군/특수분야/새터민 문화예술교육 수행단체 선정 40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41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2008 주요사업 스케치

8월

11월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중장기 종합 발전전략 연구 보고

[학교]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문제해결 우수 사례 공모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하반기 강사연수(영화,연극,무용,만화애니메이션,국악)

[사회] 2009 예술강사지원사업 교육기관 1차 선정

[사회] 부산국제어린이영화제 및 춘천인형극제 아르떼캠프

[사회] 2차 특수분야 지원 교정시설 교도관 담당자 워크숍

[사회] 노인/장애인 대상 문화예술교육 시범 연구지원 사업 공모

[사회] 2009 지자체협력 지원사업 공모

[사회] 예술강사 지원사업 하반기 강사연수(아동,노인,장애)

[사회] 2009 예술강사 모집 [인력] 제2회 해외 문화예술분야 교수 인력 초빙 연수_뉴욕필 교육부서 디렉터 초청연수 [인력] 2008 문화예술분야 희소인력 양성 포럼 [인력] 2009 전문인력 양성 사업 지원대상 기관 선정

9월

[인력] 2008 유아 국악 교과과정 교안개발 공모

[학교] 신규 예술강사 대상 하반기 온라인 연수

[홍보] 2010 세계대회 개최관련 남미지역 네트워크 구축 출장

[사회] 소년원학교/청소년비행예방센터 문화예술교육 체험 워크숍

[홍보] 제5회 아르떼 1018 영상제 작품 공모

[사회] 노인/장애인 문화예술교육 연구지원 기관 선정 [사회] 아르떼 ‘아시안’ 프렌즈(우즈베키스탄) [인력] 예술강사 LC 양성과정 [인력] 유아교육담당 장학사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인력] 학습공동체 CoP 연수

12월 [총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조직 개편 [총괄] 제8차 이사회 [학교] ‘엘 시스테마’ 창시자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박사 초청 교육세미나

10월 [총괄] 제7차 이사간담회 [학교] 2009 예술강사지원사업 학교 모집 공고 [사회] 문화의 다양성에 관한 한국과 호주의 이해 워크숍(호주다문화재단 초청) [사회] 2009 예술강사지원사업 기관 모집 공고 [사회] 2009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설명회(지자체협력사업 및 예술강사지원사업 중심) [사회] 에버랜드 연계 아르떼 캠프 [인력] 제1회 다문화 강사 연수 [인력] 문화예술분야 전문가 현황 및 양성을 위한 현장 제언 세미나 [인력] 제1회 해외 문화예술분야 교수 인력 초빙 연수_창의적 리더십 워크숍 [인력]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실태조사 수행업체 선정 [인력]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초청 워크숍_창의적 예술교육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이해 [인력] 기관단체 역량강화 연수 [인력] 예술강사 역량강화 연수 [인력] 소더비 인스티튜트 단기과정 국내 초청연수

[학교] 2009년도 예술강사 지원사업 강사 모집 [학교] 2009년도 예술강사 지원사업 학교 선정 [사회] 2009 지방자치단체 협력 지원사업 1차 선정 [사회] 문화기반시설 대상 문화예술교육 시범 사업 [사회] 2008 사회문화예술 교육수행단체 및 예술강사 대상 평가 워크숍 [사회]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영화워크숍 교육 시작(서울여성영화제 상영 예정) [인력] 아카데미 CETA 교육과정 개발 연구 기관 선정 [인력] 사진분야 교육인력 양성 연수 [인력] 창의성 개발과정 연수 [인력] 예술강사 및 기관단체실무자 역량강화 연수 [인력] 문화예술 희소인력 양성 워크숍 [인력] 예술강사 LC 국외연수 결과발표회 [인력] 2009전문인력 양성 사업 전문인력 채용 [인력] 유치원교사대상 국악연수 [홍보] 제5회 아르떼 1018영상제 당선작품 발표

[홍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데일리안 업무협약 체결

42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8

43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01_예술강사 지원사업 확대 및 다양화를 통한 예술 뉴딜 정책 실현 02_이웃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지역 문화공동체 구현 03_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전문인력 연수과정 대폭 개선 04_민간 사회공헌 연계 사업 확대를 통한 문화예술교육 자생력 확보 05_글로벌 문화예술교육의 교류와 기여활동을 통한 국가브랜드의 가치 제고 06_문화예술교육 R&D 강화 및 지식정보화 확대

Balloon Up to the World 여러분의 꿈을 담은 상상력 풍선이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갑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문화예술교육의 단단한 토양을 다지기 위해 첫 걸음을 옮긴지 어느덧 4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오직 앞만 보며 뚝 심 있게 걸어왔기에 이제는 명실상부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중추가 되었 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그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향해 나아가려 합니다.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역점과제 2

2009년 사업 방향 & 6대역점 추진과제

새로운 도약을 위한 6대 과제

지역 문화 공동체 구현

이웃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개인의 문화교양 함양은 물론 내 이웃, 지역 주민과의 문화적 소통과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문화

예술강사 지원사업 확대에서부터 문화예술교육 R&D 강

로 행복한 개인, 따뜻한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겠습니다.

화 및 지식정보화 확대까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과제내용

2009년을 맞아 한층 더 새로워진 정책을 추진합니다. 이 러한 계획은 자생력 강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지역 문화 공동체를 구현하고 나아가 국가브랜드의 가치 제고까지 목표로 합니다.

1

임대아파트 거주 주민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 임대아파트 어린이, 청소년 및 주민 대상 70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2

문화시설 연계 시민 문화예술학습 활동 시범지원 문예회관, 문화원, 문화의집, 박물관, 미술관 연계 총 50개 활동 지원

3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 운영 기초생활권 등 전국 15개 내외 지역 선정, 지역 공동의 문화예술 활동 지원

역점과제 1

예술 뉴딜 정책

예술강사 지원사업 확대 및 다양화 전국 초중등학교 및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한 예술강사 파견을 확대함으로써 예술가에게는 사회적 일자리를, 어린이.청소년에게는 창의교육을, 소외계층 에게는 문화복지를 제공하겠습니다.

역점과제 2

전문인력 연수과정 개선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 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양적 확대로 인해 교육의 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문화예 술교육 전문인력을 위한 연수과정을 통합적 관점에서 대폭 개선하고, 상시적

과제내용

46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으로 연수를 실시 하겠습니다.

1

4,799개 학교 대상 예술강사 3,483명 파견 전년 대비 학교 130% 증가, 예술강사 161% 증가

2

331개 아동,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 대상 예술강사 373명 파견 전년 대비 시설 104% 증 가, 예술강사 116% 증가

1

학교, 사회 예술강사 연수과정 통합운영 및 체계화 학교, 사회 예술강사 연수과정 통합 운영 체계 마련 및 3,856명 대상 연수 실시

3

학교 예술강사 수업 6개 분야 신규 개발 문학, 공예, 뮤지컬, 미디어, 사진, 디자인 분야 총 250개교 시범운영

2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아카데미 CETA 확대 운영 문화예술교육 리더 양성, 다문화강사 양성 등 총 30개 연수과정 운영

4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 대상 2개 분야 신규 개발 음악, 무용 분야 총 13개 시설시범운영

3

지역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활동 지원 전국 94개 문화시설 연계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배치 및 활동 지원

과제내용

ANNUAL REPORT 2008

47


blow up the balloon

journey of the balloon

balloon up to the world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08년 사업내역 및 성과보고

2009년 사업 방향 및 6대 역점 추진 과제

역점과제 6

역점과제 4

문화예술교육 자생력 확보

민간 사회공헌 연계 사업 확대 문화예술교육의 자생력 확보를 위해 국고 외에 기업 협력 등을 통한 민간 자

R&D 강화 및 지식정보화 확대

R&D 강화 및 지식정보화 확대 대상별 교육과정 및 교보재의 체계적 연구, 정부 문화예술교육 사업에 대한

원을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재원 마련의 차원을 넘어 민 간 영역 내에서 자발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 확대.발전하는데 밑거름이 될 거

종합적 평가를 위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겠습니다. 이와 함께 문화예술교 육 통합운영 시스템을 확대.구축하여 사업 관리를 효율화하고 관련 통계자료

라 기대합니다.

를 체계적으로 데이타베이스화 하겠습니다.

과제내용

과제내용

1

기업 협력 문화예술교육 메세나 사업 추진 전경련 협조, 3개 이상 기업 협력 문화예술교육 사회공헌 사업 실시

1

문화예술교육 연구개발 체계화 및 질적 수준 제고 문화예술 교육과정.교재 전문인력 연수과정 사업평가 업무의 일원화

2

민간 교육인프라 연계 저소득 어린이.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기회 제공 음악, 미술학원 등과 연계 해당 지역 내 저소득 계층 무료 교육 추진

2

학교.사회 예술강사 및 전국 지원사업 통합 운영시스템 확대 구축 예술강사 및 지원사업 통합관리 시스템 확대 구축 및 통계관리 체계 마련

3

사회 각 분야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언론매체 공동협력 홍보 강화 3회 이상 지상파 특집 방송물 제작.방영, 신문사 공동 캠페인 추진

3

문화예술교육 온.오프라인 콘텐츠 D/B 재정비 및 대외 서비스 온.오프라인 교육자료 통합관리체계 마련 및 오프라인 자료실 시범운영

역점과제 5

국가브랜드 가치제고

글로벌 문화예술교육의 교류와 기여활동 2010 세계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해외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 가겠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글로벌 허브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겠습니다.

과제내용

48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1

2010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준비 정책 결정자, 사회 각 분야 오피니언 리더 참여의 세계대회 조직위원회 발족

2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지식정보 공유 아태지역 10여개 국가와 협력, 아태 문화예술교육 사이트 시범운영

3

문화예술교육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중남미, 아프리카 등 네트워크 취약 국가와의 교류 강화

ANNUAL REPORT 2008

49


이사회

2대 이사회 (2008-2011)

이사장

상임이사(원장)

박용현

이대영

두산건설 회장, 전경련 부회장(비상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이사 *가나다순 나열

김성열

김준교

김화숙

노소영

박순태( 당연직이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장

원광대학교 교수

아트센터 나비 관장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국장

배혜령

심은석 ( 당연직이사)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정책국장

오세곤

이규대

이운형

청운대학교 교수

순천향대학교 교수

(주) 예솔씨앤씨 대표

세아제강 회장

정갑영

정재형

주원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

동국대학교 교수

미디어윌 회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8 연차보고서 등록번호 | KACES-0950-R002 발행인 | 이대영 발행일 | 2009. 04 발행처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소 | 서울시 구로구 교육진흥원길 11(구로동 102번지)

감사(비상임))

이 헌 서울시 고문변호사,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 사무총장

기획.제작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홍보국제협력팀 편집.디자인 | (주)마커스얼라이언스 제작 | 디자인플러스 ISBN 978-89-92682-05-3


ISBN 978-89-92682-05-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