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ual report 2009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연차보고서
서울시 구로구 교육진흥원길 11(구로동 102번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Tel 02. 6209. 5900 fax 02. 6209. 5999 email contact@arte.or.kr www.arte.or.kr
ContEnts
Part Ⅰ
062
기관운영성과 및 2009 예산서
Part Ⅱ
10
이사장 인사말
12
원장 인사말
14
비전 & 미션
16
조직도
Part Ⅲ
20
2010년 추진과제 및 전략
Part Ⅳ
24
2009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성과
32
2009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성과
38
2009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성과
44
2009 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사업 성과
52
2009 문화예술교육 R&D 사업 성과
58
주요사업스케치
60
이사회
“예술에 사회성을 교육에 창조성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실현해 나가겠습니다.
PartⅠ
내일을 여는 문화예술교육
기관운영 성과 및 2009 예산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계층과 세대, 인정과 이념의 벽을 허무는 문화예술교육의 길을 생각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마련한 「문화예술교육활성화 종합계획」의 근본취지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우리 사회의 모든 이들이 창조적 관계 맺기를 통해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고자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06 07
기관운영성과 & 2009 예산서
2009 기관 예산서
2009 사업성과 & 기관예산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9년 유아 문화예술교육사업과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첫 단추를 끼웠습니다. 올해 처음 시작하였으나 각 지역에서 호응을 얻으며 사업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 예술강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CETA를 확대 추진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기반을 견고히 하였습니다.
2009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조직혁신으로 업무를 보다 전문화, 사업명
조직화하고, 사회의 소외계층에서 일반시민에 이르기까지 지원사업분야를
2008년 예산
예술강사지원/국고
12,917,000,000
19,580,000,000
1,210,000,000
1,500,000,000
500,000,000
1,100,000,000
지역문화기반시설 연계/국고
-
800,000,000
소외계층아동청소년/국고
-
400,000,000
유아문화예술교육/국고
-
383,000,000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차세대교과서 개발/국고
-
100,000,000
국고, 체육진흥투표권적립금
온라인시스템 및 콘텐츠 개발/국고
250,000,000
500,000,000
문화예술교육기회 확대/국고
940,000,000
-
교원전문성강화/국고
315,000,000
250,000,000
29,000,000
30,000,000
-
25,137,000,000
300,000,000
-
16,461,000,000
49,780,000,000
6,656,000,000
6,000,000,000
확장해 나갔습니다. 문화예술적 경험과 체험이 교육으로 연결되고 효과를
선도학교/국고
발휘하도록 교육의 기회를 확장해 나갔습니다. 더불어 질 좋은 교육 콘텐츠를
예술꽃씨앗학교/국고
양산하고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등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공감대를 넓혔습니다. 지방교육재정
2009 사업성과 •경영혁신 성과
문화예술교육기회 확대사업/국고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평가연구/국고 예술강사지원/지방교육재정
1본부 6팀 체제로 조직개편을 통한 업무 전문화 및 조직화
초등학교바둑교실/체육 소계
•학교 문화예술교육사업 성과
사회문화예술교육/국고
예술강사 지원사업 장르 확대 및 문화예술교육 지원 대상(유아) 확대
•사회 문화예술교육사업 성과
2009년 예산
사회문화예술교육활성화/
생활문화공동체/복권기금
-
1,200,000,000
국고, 복권기금, 체육진흥투표권
예술치유활성화/체육
-
300,000,000
-
340,000,000
6,656,000,000
7,840,000,000
적립금, 기타
수혜대상을 사회 소외계층에서 일반 시민으로 확대
•
문화누리원정대/기타 소계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사업 성과
다문화강사 전문인력 양성/국고
25,000,000
200,000,000
CETA 연수사업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에서 기업 CEO까지 다각화
다문화 교안교재 개발/국고
50,000,000
-
1,147,775,000
1,100,000,000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양성/체육
•문화예술 교육개발사업 성과
전문인력 양성·연수/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CETA/체육
650,000,000
350,000,000
국고, 체육진흥투표권적립금
희소인력 시범/체육
323,000,000
-
시각분야 직무분석/체육
60,000,000
-
•홍보국제협력사업 성과
공간문화연수/체육
18,000,000
-
대내외 언론홍보 강화 및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준비지원
소계
2,273,775,000
1,650,000,000
지식정보화/국고
270,000,000
160,000,000
정책공감/국고
200,000,000
80,000,000
국제협력/국고, 체육
257,900,000
230,000,000
소계
727,900,000
470,000,000
1,380,000,000
1,503,000,000
27,498,675,000
61,243,000,000
문화예술교육 교육연구 개발의 집중화, 전문화
문화예술 기반조성/ 국고, 체육진흥투표권적립금
한국문화예술 교육진흥원 지원/국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지원/국고
합계
•기타: 문화예술위원회 기부금(문화체육관광부 및 공공기관 직원들의 급여 반납금에 대한 봉급나눔사업)
PartⅡ
기관 소개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10 11
이사장 인사말
이사장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이제 우리는 다가올 10년, 다음 100년을 새롭게 준비해야 합니다. 시대를 읽고 미래는 내다보는 눈,
지난 한 해 동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행복한 개인, 풍요로운 삶, 품격 있는 국가를
지금 그 시선이 향하는 곳에 바로 문화예술교육이 있습니다.
만들기 위해 희망과 열정을 품고 숨 가쁘게 달려왔습니다. 감성, 창의, 소통, 공감, 스토리텔링. 이와 같은 능력을 갖춘 사람만이 21세기를 이끌어갈 인재가 될 수 2009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계층과 세대, 학교와 사회는 물론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를
있습니다. 21세기를 선도할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교육패러다임. 그것이 바로 문화예술교육입니다.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온 힘을 기울였습니다. 더 많은 학생들과 문화소외계층에게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꿈과 아픔, 희망과 사랑을 예술로 승화시켜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 수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한 방향으로 사람들을 이끌어가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짧은 길, 직선을
있도록 주력했습니다. 또한 민간 기업과의 파트너쉽을 강화하고 아시아, 유럽, 남미 등 세계
요구했던 것입니다. 문화예술교육은 그 길 안에 묻혀 있던 잠재력을 건드리고 끌어낼 것입니다. 직선은
문화예술 분야 단체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했습니다. 이와 같은 교류를 통해 국제적 명성을
곡선이 되고, 곡선은 다시 한 번 휘어져 새로운 길을 만들 것입니다. 그 곡선에서, 휘어진 그 자리에서,
확보하고, 동시에 국가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는 데 힘썼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발견하지 못했던 무한한 에너지와 가능성, 창조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2010년, 한 세기를 넘고 이제 다시 10년이 지났습니다.
사람이 곧 미래입니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이 우리의 미래를 밝게 열어줄 것입니다.
지금 우리 뒤에는 우리가 거쳐 온 수많은 연대(年代)가 있습니다. ……70년대, 80년대, 90년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5년 설립 이래, 뛰어난 저력을 바탕으로 눈부시게 성장해왔습니다.
2000년대. 우리가 지나온 연대(年代)마다 시대를 사로잡고 세상을 풍미한 패러다임이
이제 세계 각국에서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으며, 우리 기관의 활동을 주목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변화하는 패러다임 속에서 그 파고를 넘고 시대를 지나 2010년 지금
있습니다. 사람을 향한, 동시에 세상과 소통하는 교육진흥원의 발걸음은 멈추지 않습니다.
이곳에 발 딛고 서 있습니다. 시대를 읽는 눈과 미래를 내다보는 시선을 소홀히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특히, 2010년에는 세계적으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행사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고, 국경을 초월한 문화예술교육의 교류와 발전에 앞장서게 됨으로써 세계문화 예술교육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아낌없는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문화예술교육이라는 21세기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을 통해 다가올 10년, 다음 100년을 준비하는 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앞장서겠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
박 용 현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12 13
원장 인사말
품격있는 문화국가, 교양있는 문화사회로 가는 길 원장 인사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그 길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시대가 흘러가고 가치가 달라져도 변하지 않고 눈부시게 존중받는 가치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사람입니다. 시람이 미래이고, 곧 사람이 힘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더 큰 문화한국, 품격있는 대한민국을 꿈꾸고 있습니다. 21세기 일류 국가의 기본인 소프트파워는 결국 문화예술에서 나옵니다. 그리고 문화예술적 잠재력을 끌어내는 문화예술교육이야말로 우리의 미래인 사람, 21세기를 이끌어갈 창의적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해답입니다.
즐거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확산 및 신규분야 발굴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누구나 문화예술교육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29개 문화예술교육 연구를 추진하였습니다. 2010년 목표와 전략 2010년에는 더 큰 문화국가, 품격있는 대한민국이라는 문화정책「 예술에 사회성을, 교육에 창조성」이란 기 관의 비전을 갖고 출발합니다.
2009년 성과와 분석
예술강사제도 질적 향상
예술강사 지원사업 교육수요 증가에 따른 지원규모 확대
장르 다변화를 통한 예술가 참여 확대 및 장르별 특성에 따른 선발기준을 마련하고 교육활동 여건을
2009년에는 ’08년 대비 예산규모는 2.8배, 학교 교육과정수는 2.1배, 지원시수는 2.6배 지원을
개선하여 예술강사 지원사업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겠습니다. 더불어 예술강사 지역인력의 선발 확대를 통해
확대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08년 학교당 평균 107.2 시수 지원에서 134시수로 추가 지원함으로써
지역인력 활동을 활성화시켜 시도별 거주자 우선 배치를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매년 실시해오고 있는
예술강사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학교에서 풍부한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게 하였습니다.
예술강사 연수제도를 경력별 전문 연수과정 운영을 통해 강사의 역량을 강화시키겠습니다.
더불어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기존 5개 장르(국악, 무용, 연극, 영화, 만화애니메이션)에서 3개 장르(공예, 사진, 디자인)를 추가 시범운영하였습니다.
미래사회 대비 체계 구축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 유아 및 노인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연령별・대상별 평생
소외계층 문화예술교육 지원 확대로 계층・지역 간 문화 불균형 해소
문화예술교육 지원 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 더불어 학교 안・밖 교육환경에 적합한 어린이・
전국 352개 아동복지시설을 통해 9,410여명의 아동・청소년들이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여 창의 교육을 실현하겠습니다.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특히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 내 문화예술교육의 3개 분야(연극, 음악, 무용)를 확대하여 교육 후에도 노인연극단 활동 등을 통해 사회참여 기회를 늘렸습니다. 2009년에는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 주민의 자발적 문화예술 활동지원을 처음으로 실시하여 지역공동체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였습니다. 전국 18개 지역에 81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11,450여명의 지역 주민이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에 참여하였습니다. 문화예술교육 연수의 양적 및 질적 확대 2009년부터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모든 연수 프로그램을 인력양성팀에서 운영함으로서 연차별 연수 체계 및 매뉴얼 생성 등 체계적인 질 관리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08년 대비 예술강사 연수 만족도는 12.6% 상승하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더불어 교육 수요기관의 자발적 참여
문화시민 네트워크 형성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 등 지역민 스스로 문화 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교육모델을 개발하고 문화교육의 순환적인 구조형성을 위해 사회 공헌을 활성화 하겠습니다. 지역 곳곳에서 시시각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을 다 같이 공감하고 볼 수 있도록 홍보채널 및 네트워크를 다양화 하겠습니다. 글로벌 교류협력 강화 글로벌 지식정보 교류 활성화를 위해 해외 기관 공동 연구사업을 강화하고,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기초 통계조사 및 관리 체계를 정립하겠습니다.
진작을 위한 교원연수를 운영하여 전국 시・도교육청 산하 연수원과의 적극적 연계를 통해
20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더 깊어지고 넓어지겠습니다. 인간 정신을 다루는 문화예술영역의
’08년 대비 208% 연수 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중추 기관으로써 문화적 감수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전통을 계승하는 변화를 지향하겠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우리나라의 뛰어난 문화예술 역량을 분출시켜 우리나라를 일류 문화국가로
언론홍보 역량 강화 및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개최준비 박차
성장시키는데 든든한 힘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아낌없는 격려와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문화예술교육 언론 홍보의 채널 다양화 등을 통해 언론보도를 ’08년 대비 470% 증가하였습니다. 2010년 5월에 개최될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개최준비를 위해 세계대회 연계 5회 연속간담회를 진행하였으며 국외 홍보를 위해서는 해외 문화예술 관련 행사에 참가하여 한국문화 홍보전시 등에 참여하였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
이대영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VISION & Mission
14 15
비전 & 미션
한국 문화예술교육을 이끄는 힘을 키웁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국민 모두가 전 생애에 걸쳐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사람, 정보, 자원이 모이는 문화예술교육 발전소’라는 비전 아래 범 부처 간의 협력을 통하여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행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Core Value
열린 사고 동반 성장
핵심가치 - 열린 사고 동반 성장 문화예술교육 정책 밑그림을 그려내고 사업을 구체화하는 전 과정의 실천적 자세로써 열린 사고로 수평적 소통과 창의적 실천을 모색하며, 고객 지향적•현장 친화적인 정책 수행으로 함께 성장하고자 합니다.
비전 - 사람, 정보, 자원이 모이는 문화예술 교육 발전소
사람, 정보, 자원이 모이는 문화예술 교육 발전소
문화의 시대, 지식정보화 사회의 주요 동력으로 사람, 정보, 자원이 모여 온 국민에게 풍요로운 삶의 에너지를 전하는 문화예술교육 발전소의 모습을 지향합니다.
미션 - 모든 국민이 전 생애에 걸쳐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 동시대 모든 이들이 누려야 할 기본 권리로서 국민 스스로가 문화예술교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건강한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실현하는 것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이상입니다.
vision
모든 국민이 전 생애에 걸쳐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
mission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16 17
조직도 및 팀 업무현황
조직도 및 팀 업무현황
함께 새로운 변화와 발전의 행보를 이어갑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6개 팀은 문화예술교육을 일구어가는 현장에서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가치와 의미를 찾아내고, 지속 가능한 행보를 위한
2010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TFT팀
● 2010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TFT 준비를 위한 국제회의 준비 ●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개최를 위한 전문가 운용 및 국제 네트워크 구축 ●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관련 행정부처 간 업무조정 및 기획
문화예술교육의 명백한 지표들을 발굴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해내고 있습니다. 전략기획 TFT팀
● 관련 행정부처 및 국회 예•결산, 법사위 등 정책 협력업무 ● 정책 언론홍보 및 기획 언론사업 등 언론창구 특보 업무 ● 대국민 문화예술교육 정책기획 및 기타 전략기획 관련 특명업무
이사회 경영혁신팀
● 공공기관 혁신, 청렴, 고객만족도 제고 및 대외협력 업무 ● 경영계획, 예산, 회계, 계약 등 경영 업무
원장
총괄본부장
● 통합운영 시스템 등 전산관리 유지보수 운영 업무
2010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TFT팀
홍보국제협력팀
● 언론홍보 및 온라인 매체 아르떼진 운영 / 대외협력 사업 발굴 운영 / 행사 개최 및 지원 ● 해외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사업 운영 / 아태 지역 문화예술교육 사이트운영 / 재외동포 문화예술교육 사업
전략기획 TFT팀
● 문화예술교육 관련 국내외 홍보물 및 출판 제작
인력양성팀
●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연수사업 기획•운영 ● 인력양성 관련 지역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및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교육기관과의 협력망 구축
경영혁신팀
● 예술강사•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 / 학교 경영자•관련시설•단체연수 / 대상별 주제별 특별연수 /
홍보국제협력팀
국제행사 개최 및 후원
학교교육팀
e-아카데미 운영
●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예술강사 파견 및 교육활동 지원 ● 학교문화예술교육 관련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운영지원 및 상호협력 ● 선도학교 지원 / 예술꽃씨앗학교 지원 / 지역사회 연계 사업지원 / 국악 운영단체 지원 /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인력양성팀 사회교육팀 학교교육팀
● 사회복지시설(아동, 노인, 장애) 연계 예술강사 지원 / 군 및 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 /
다문화 문화예술교육 지원 / 문화기반시설 연계 문화예술교육 지원
●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 지원 / 임대아파트 문화예술교육 지원 ● 지자체 협력 지원사업 평가 및 사업 총괄 성과 평가
사회교육팀 교육개발팀 교육개발팀
● 문화예술교육 분야별 교안•교재 및 학술연구 / 온•오프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자료 콘텐츠 분석 사업 ●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업별•수혜대상별 평가 및 통계 연구 ●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대상별 교육과정 및 교보재 개발 / 문화예술교육사전 개발 /
교사 자율연구모임 지원
PartⅢ
2010 추진과제 및 전략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20 21
2010년 추진과제 및 전략
2010년 추진과제 및 전략
4대 과제 예술강사 지원사업 확대에서부터 문화예술교육 R&D 강화 및 지식정보화 확대, 그리고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개최까지 20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한층 더 새로워진 사업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01 | 예술강사제도 질적 향상
03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문화예술교육 향유권 확대를 위하여
유아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문화예술교육 확대를 위하여 대상별 문화 리더 양성
각급 학교 대상 예술강사 등 각종 재원의 근접 지원 강화
체계 보완 및 지속가능한 연수 운영을 위해 연수원, 운영 인력 등 인프라 보강
1. 선발-교육활동-평가 제도 개선 • 2. 지역 기반 예술강사 운영체계 구축 • 3. 예술강사 연수 체계 전문화
1. 선발-교육활동-평가 제도 개선 • 2. 지역 기반 예술강사 운영체계 구축 • 3. 예술강사 연수 체계 전문화
2009 상반기 예술강사 연수 현장
‘흐르는 문화학교 모단스쿨’ 교육 현장(충남 옥천)
02
04
| 미래사회 대비 체계 구축
| 문화시민 네트워크 형성
|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개최
지역의 문화기반시설 등 유휴 공간을 이용하여 지역 주민 전체가 일상에서 쉽게 문화예술교육을 접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성과의 대내외 가시화 주력, 사회적 인지도• 참여도 향상을 위한 언론 홍보 및
지원체계 강화로 지역사회 촘촘히 문화예술교육 지원모델 구축
대외협력 강화, 지식공유를 위한 통합리소스센터 개발
1. 유아・노인 문화예술교육 확대 • 2. 학교 안・밖 창의 교육 실현 • 3. 계층별 문화불균형 해소
1. 글로벌 지식정보 교류 활성화 • 2. 해외기관 공동 연구사업 강화 • 3. 국내외 기초통계조사 및 관리체계 정립
‘중랑자 이야기’ 연극 현장(서울 중랑구)
라틴 아메리카・카리브 예술 교육 지역회의 참석
뉴욕필하모니 초청 워크숍 개최
PartⅣ
2009 영역별 사업성과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의 시작,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수동적인 문화의 소비자가 아닌 문화의 창조자로 성장시키고, 지역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지역 여건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실질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통해 참다운 교육의 본모습을 찾고자 노력합니다.
예술꽃씨앗학교(광주 지산초교)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사업 (대구 성명여중)
학교 예술강사(영화)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예술강사 지원사업
26 27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교육기자재 지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효과 제고를 위해 2009년 신규지원 학교 2,027개교에 20개 품목의 교육기자재를 지원하였습니다.
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원품목 : 영화(촬영세트, 녹음장비), 무용(이동식 오디오, 초등무용교재), 만화 애니메이션(디지털 카메라, 조트로프 등), 연극(조명기 세트) 등 20종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분야별 전문인력의 학교 방문 교육을 통해 학교문화예술교육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특수학교, 대안학교에서도 질 높은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교육 콘텐츠 및 기자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2009년에는 기존 5개 분야 지원(국악, 무용, 연극,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외 3개 장르(공예, 사진, 디자인)가
영화 촬영 장비를 활용한 교육 장면
추가적으로 시범운영 되었으며, 3,483명의 예술강사가 전국 곳곳에서 학생들과 함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예술강사 교육활동 평가
• 추진실적
3,483
사업내용
무용
만화 애니메이션
예술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국악 등 5개 분야 예술강사 3,000여 명을 대상으로
2,153
강사수
• 예술강사 교육활동 진행률 - 실시현황/총 평가대상(명)
예술강사 전문성 평가를 추진하였습니다. (연극 등 4개 분야 1,717건)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2008
984
450
121
299
299
사업실적
2009
1,393
743
300
595
452
•2009년 평가방안 및 지표조정 완료(제 3기 교육위원회) •분야별 평가일정 및 평가단 구성
7,574
100%
100%
500/508(명)
383/383(명)
연극
영화
97.4%
97.0%
578/593(명)
234/241(명)
국악
3,687
학교수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99.7%
2008
2,275
452
243
392
325
1,113/1,148(명)
2009
3,717 1,316
475
1,146
920
지역문화예술교육 파트너 교류사업 사업내용 예술강사 지원사업 교육 현장
16개 광역시·도 국악분야 운영단체 및 6개 광역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 업무협력 및 지원 활동을 하였습니다.
1,032,562 393,893
교육시수 국악
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
2008
183,945 58,099 36,778 71,555
2009
485,724 165,520 63,911 202,192 115,215
사업실적 •국악운영단체 연계 워크숍 4회 개최(2월, 5월, 9월, 11월) •광역센터 담당자 워크숍 개최(2월, 국립중앙박물관)
43,516
국악 교육 현장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학교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28 29
학교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 • 2008년 40개교 지원 → 2009년 200개교 확대
사업내용
예술꽃씨앗학교 지원사업
예술교육의 교육과정 내 반영 혹은 자체운영을 통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우수 모델 개발・ 확산을 위한 지원사업입니다.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체험활동 제공으로 학교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예술꽃씨앗학교 지원 대상교
400 %
공교육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집중화를 통하여 우수 교육모델을 창출 및 확산하기 위해
200
2007년부터 추진된 문화예술교육 선도학교 지원사업은 학교 여건과 의지, 목적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운영실적이 우수한 소규모 학교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집중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2008 ~ 2011년 4년간 계속 지원)
40
사업실적 •부산 금성초등학교 등 10개교 사업계획수립지원 및 2009년 예산 지원 (학교당 1억, 총 10억 지원)
속초 대포초 | 국악관현악
2008
•지원대상학교 담당자 교육 워크숍 개최(7월) •지원사업 성과관리 현장평가(12월)
2ㆍ3년차 운영학교
경북 봉화초 | 영화 대구성명여중 문화예술교육 통합수업 현장
학교수(개교)
2009
신규학교
계
지정과제
자율과제
교과집중
60
98
8
34
200
포항 송라초 | 국악, 양악, 미술 광주 지산초 | 국악관현악 울산 반천초 | 관현악
순천 승주초 | 음악, 미술, 영화 광주지산초교 국악관현악 활동 현장 부산 금성초 | 문화예술 통합교육 여수 북초 | 무용, 관현악, 사물놀이, 미술
예술강사 지원사업 신규분야 개발 및 시범사업 • 사업실적
사업내용 디자인, 사진, 문학, 뮤지컬, 공예 등 5개 신규분야 개발 및 시범운영으로 학교
위탁운영기관
대상
공예
한국공예문화진흥원
서울지역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뮤지컬
예술교육지원센터
사진
한국사진교육학회
전국 11개 초등학교 25 학급
문학
한국성우협회
서울 및 대전, 충청권 초등학교 10개교
디자인
한국디자인교육연구학회
서울 초등학교 11개교
교육수요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즐거운 남해 삼동초 | 챔버 오케스트라, 뮤지컬, 마당극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합니다.
제주 남원초 | 영화
부산 스쿨뮤지컬 창단식
디자인 수업 현장
부산지역 중등학교 7개교 ※뮤지컬 배우 남경주 참여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지역사회 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명예교사 활용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내용
17,178
교육부 - 문화부 위촉 명예교사의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 활동을 지원하며,
지역
참여자 수
강사지원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한국청소년진흥센터(보건복지부 공공기관) 업무협약 체결 및
강원
50
4
협력사업으로 전국 92개 지원기관을 선정하여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경기
78
6
을 실행하였습니다.
경남
93
6
경북
89
6
광주
100
7
대구
90
6
• 소외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기관 대상 교육강사 92명 지원
대전
96
6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진행과정 모니터링 및 운영 컨설팅
부산
91
7
서울
97
6
울산
53
5
인천
39
4
전남
76
6
전북
77
6
제주
84
6
•전국 16개 지역청소년진흥센터 대상 사업설명회 추진 •전국 92개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기관 선정
각 명예교사의 렉쳐 콘서트, 교과서 예술작품 만나기 등의 다양한 활동을 지원합니다. 사업실적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함께 하는 음악이야기, 문훈숙의 해설이 있는 발레, 조수미와 함께 만드는 작은 음악회 등 총 35회 개최 / 17,178 명 참여
35 개최수
조수미와 함께 만드는 작은 음악회
김덕수와 함께하는 신나는 연희 무대
글로벌 이슈 대응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내용 녹색 환경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환경보호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개발하고 다문화 사회 도래에 따라 지역사회 학교 다문화 인식제고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실적
사업내용
사업실적
• 총 35회 개최 / 17,178명 참가
30 31
학교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
참여자 수
명예교사
행사명
강수진
강수진의 발레이야기
개최수 참여자 수
1
344
충남
57
5
강은일
국악과 양약의 아름다운 만남
1
350
충북
83
6
김대진
김대진의 음악교실
2
184
계
1,253
92
김덕수
김덕수와 함께하는 신나는 연희 무대
9
2,304
김영세
김영세와 함께하는 생활 속 디자인
2
229
문호숙
문호숙의 해설이 있는 발레
2
304
유아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박종원
박종원의 영화세상
1
183
사업내용
백주영
백주영의 렉쳐콘서트
2
676
취학 전 연령의 유아대상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유아의 표현력 및 창의성 향상과 전인적
송승환
난타와 함께하는 체험교실
3
759
성장 발달에 기여하기 위해 지원하는 사업으로 2009년에는 교육문화적 조건이
오경환
미술관 멘터와의 만남
5
347
상대적으로 열악한 저소득층 밀집지역 유치원에 우선 지원하였습니다.
은희경
작가와 함께하는 청소년 문학교실
1
9
정명훈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함께하는 음악이야기
4
9,497
정호승
시 음악 콘서트
1
623
조수미
조수미와 함께 만드는 작은 음악회
1
1,369
사업실적 •예봉초등학교병설유치원 등 총 114개 유치원 지원(원당 3천 5백만 원 지원) •지원 유치원 담당자·원장 대상 교육워크숍 개최 •지원실적 모니터링 11개교 진행
있습니다. 사업실적 •다문화 예술강사 연수 및 학교 파견 : 서울사당초등학교 등 28개교 대상 1,000여 시수 지원
유아문화예술교육 현장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주체들과,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이 누구에게나 행복하고 즐거운 일이 되는 사회를 만들어 갑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모든 이들의 삶 속에 녹아 든 문화예술교육은 웃음을 찾고 복원해주며 모든 사람들의 사회적 자유와 권리, 그리고 평등을 실현합니다.
다문화 합창단(부산사직종합사회복지관)
세상에 단 하나뿐인 악기, 아르떼 어린이예술창작학교 only on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예술강사 지원사업
지역기반 사회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아동, 노인, 장애인 복지시설 전문 예술강사 파견 사업내용
지역명
유형
장르
사업명
서울 마포구
단독주택
연극
이웃과 함께 문화 만들기
서울 강서구
임대아파트
통합
만나요. 우리 프로젝트
서울 중랑구
임대아파트
연극
문화적 행복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부산 부산진구
임대아파트
통합
마을문화공동체 마중물
대구 달서구
임대아파트
연극
하나되기 희망 문화 프로젝트
대구 남구
단독주택
음악
남구주민악단 창단 및 운영
사업입니다. 문화소외지역(임대아파트 단지, 농산어촌 등) 주민을 대상으로 풀뿌리
인천 동구
단독주택
통합
배다리 생활문화공동체 활성화 사업
문화 활동, 문화공동체 조성을 위한 커뮤니티 아트를 지원합니다.
광주 서구
임대아파트
통합
쌍쌍유촌-문화일촌
대전 중구
임대아파트
통합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경기 고양시
임대아파트
통합
흰돌4단지에서 부르는 하여가
강원 인제군
농산어촌
영화
문학과 소리, 영화가 있는 냇강마을축제
충북 옥천군
농산어촌
통합
흐르는 문화학교 모단스쿨
충남 천안시
농산어촌
미술
이야기가 있는 벽화마을 만들기
충남 공주시
농산어촌
통합
농촌 생활문화공동체의 희망 찾기
전북 전주시
단독주택
통합
떠오르는 재뜸마을! 문이 열리다
전북 군산시
농산어촌
연극
심봉사 도로 눈을 감다
경남 통영시
농산어촌
연극
섬마을에 웃음꽃이 활짝 피네
제주 서귀포시
농산어촌
통합
월평예술마을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운영 및 평가 사업내용
• 2008/2009 예술강사 지원사업 16개 시도별 현황
사회 취약계층의 아동(보육원, 지역아동센터)에게 6개 분야(음악·미술·국악·연극·
336
영화·무용)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에게 연극교육을, 장애인 복지관 이용 장애아동에게 무용교육을 연 30회(60시수) 지원합니다.
34 35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319
344
지역주민들이 문화예술적 활동을 통해 교류를 활성화하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문화예술 창작활동의 주체가 되어 공동체 문화를 회복하고 지역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320
사업실적 •320개 시설, 704개 반, 예술강사 344명 교육활동 지원 •월별 수업일지 검토 및 강사비(강의료, 교통보조금) 지급 •시설 및 예술강사 대상 교육활동평가 실시 완료(교육위원 등 총 64명 평가위원 참여)
2008
2009
2008
시설수(총계)
강사수(총계) 아동전체
시설수(총계)
강사수(총계)
2009
노인
장애인
2008
220
67
32
2009
235
58
30
2008
260
38
28
2009
288
30
31
‘섬마을에 웃음꽃이 활짝 피네’(경남 통영)
‘행복프로젝트 안녕하세요?’(서울 중랑)
문화기반시설 연계 문화예술교육 지원 확대 사업내용 문화기반시설을 중심으로 지역 주민들이 자발성과 주도성, 지속성 등의 힘을 가지고
노인・장애인 신규 분야 시범운영
문화예술 학습 동아리를 만들 수 있는 문화기반시설 중심 지역주민형 문화동아리를
사업내용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문화기반시설에서 지역의 학교-예술가-예술단체와 지속적인
2008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대상 음악/무용교육, 장애인 대상 음악교육 신규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학생들에게 공연・전시 프로그램은 물론 다양한 문화예술 현장
시범운영을 실시하였습니다. 총 5개 사회복지기관에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하였습니다.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업실적
사업실적
•노인 대상 창작무용 프로그램 시범운영(4개 노인복지관)
•우수시설 실무자 대상 성과공유워크숍
•발달장애 아동/어머니 대상 음악 프로그램 시범운영(1개 장애인복지관)
•지원사업 정책평가
•시범운영 교육현장 모니터링(12월)
•문화기반시설 종사자 문화예술교육 연수 지원
노인연극단 ‘뜨는 해’ 정기발표회
문화부 - 지자체 협력 지원사업 평가 및 2010년 사업 선정 사업내용 문화체육관광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지역의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 문화기반시설 관련 협회별 사업수행시설 지원수 문예회관 문화원 문화의 집 박물관 지원수
23
31
32
미술관
총계
7
114
21
2008
2009
수혜시설
예술강사
수혜시설
예술강사
저소득가정 아동
88
69
117
87
노인
94
92
109
99
장애인
94
95
81
77
다문화
74
75
36
38
350
331
343
301
다문화 등과 관련된 시설에 교육참여자와 전문강사가 함께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할 수
계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수혜시설(수) 예술강사(명)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사회문화예술교육 모델 개발 및 활성화
예술치유 프로그램 활성화 시범운영 사업내용 으로 받지 못한 대상에게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군 문화예술교육지원
1,727
문화체육관광부, 국방부, 법무부와 협력하여 군, 소년원, 교정시설인 특정분야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지원합니다. 군장병들의 군대 단결력 증대 및 리더십
71
1,840
39
문학·미술·음악·무용·연극 분야의 예술치유 전문가를 발굴·지원하여 위기 개입이 필요한 대상이 개인을 넘어 가족과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83
공모사업
기획사업
사업수행 단체
3
6
수혜기관
7
26
수혜인원
93
304
사업실적
강화와 수감원들의 심신안정 및 안정적인 수형생활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 국내외 예술치유 전문가 좌담회(5회)
2009년 처음 실시되는 사업으로, 삶에서 치유가 필요한 대상, 공공 지원의 혜택을 상대적
군 및 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내용
36 37
사회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전국 16개 지역청소년진흥센터 대상 사업설명회 추진
42
•전국 92개 소외계층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운영기관 선정 •소외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기관 대상 교육강사 92명 지원
2008
2009
2008
지원단체
2009
수혜시설
2008
2009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진행과정 모니터링 및 운영 컨설팅
수혜인원
• 특수분야 문화예술교육지원
705 36 군 장병 영화제작 수업 현장
안양교도소 조동주 교사
24
16
2008
2009
지원단체
2008
473
28
2009
수혜시설
2008
2009
청소년 연극 치료 캠프 장면
수혜인원
임대아파트 문화예술교육 시범운영
문화부 봉급나눔 ‘문화돌보미 나누고 함께하기’ 프로그램 운영
사업내용
사업내용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아동・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기회를
문화예술 관련학과 청년인턴을 선발, 지역아동센터 아동·청소년이 문학·공연·
제공함으로써 영세민 자녀들이 재능을 개발・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원사업
시각·영상 등의 기관과 연계하여 현장 탐방 및 체험 워크숍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입니다. 청소년대상 뮤지컬 교육지원, 아동대상 오케스트라 교육(현악기) 지원 및
사업입니다. 지역아동센터의 참여신청을 받아 문화예술 분야별 전문 기관의 기존
창작악기 워크숍 지원을 통해 아동・청소년 내면의 도전과 성취욕을 자극하여 자아실현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습니다.
의지를 높일 수 있도록 합니다.
사업실적
사업실적
•교육실행단 및 홍보・모니터링단 선정(청년인턴 47명 일자리 창출)
•분야별 교육프로그램 운영(총 4개 지역, 420여 명 참여)
•전국 6개 시・도, 120개 지역아동센터, 2,302명 아동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
•SK텔레콤 ‘해피뮤직스쿨’ 우리 원 이관(1억원)
: 공연, 전시, 영화, 체육경기 연계 사전・사후 및 현장학습 지원 창작악기 워크숍 현장
봉급나눔 초청 행사 현장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사업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창의적인 리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은 현장 중심의 마인드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보다 질 높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교육 프로그램의 경쟁력을 높이고, 교육 강사들에게 보다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창조적인 문화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다문화강사양성과정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가회박물관)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운영사업
예술강사 연수운영 사업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 CETA
학교 예술강사 연수운영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의 전문성 강화 연수, 문화예술교육 인식제고를 위한 공무원 연수 등을 통해 국내 문화예술교육 관련 인력의 역량 강화 및 국내외 동향 경험, 분석 연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실적 •총 28회, 1,131명, 224시간 연수 지원
40 41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사업
• 참가자수
2,922
사업내용
• 아카데미 CETA 추진 실적 세부내용 세부사업명
대상
인원
시각
문화 행정인력 대상 연수
행정인력(공무원)
252
27 43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초청 워크숍
실무자, 예술강사, 공무원 등
257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과정
기관단체 실무자
405
문화체육관광부 신입 공무원 연수
문화체육관광부 신입 공무원
16
21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인턴 워크숍
문화부 및 소속기관 문화행정 인턴
44
19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연수
문화부 소속 공무원
찾아가는 연수 지원
고양문화재단
문화행정인력 대상 연수 기업관계자 연수
• 강의시수
전국 초·중등 학교에 출강하는 국악/연극/영화/무용/만화 애니메이션 분야의 학교 예술
1,235
802
강사의 전문성과 창의적 예술교육 전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해당 분야, 교급, 교육과정, 연차, 시수 기준에 따라 수준별 연수를 운영하였습니다.
420
사업실적 82
•상반기 : 총 5개 분야, 29회, 2,922명, 802시수 연수 지원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21
상반기 분야
18
참가자수(명) 강의시수
1,374
300
-
-
연극
472
100
380
120
영화
224
90
170
60
14
무용
480
192
389
150
행정인력(공무원)
40
18
만화・애니메이션
372
120
296
90
기업CEO
80
6
1,131
224
무용 분야 예술강사 연수 현장
사회 예술강사 연수운영 문화기반시설 실무자 연수프로그램 지원
교육을 기획 운영합니다. 효과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발전시켜갈 수 있도록 실무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지원합니다. 연수 내용은 문화예술교육 기획, 홍보, 운영, 컨설팅 등 직무능력 향상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강의시수
357
301
사업내용
200
학교 외에 아동복지시설, 노인복지관, 장애인종합복지관으로 출강하는 국악/연극/영화/
연수프로그램 기획・지원
120
무용/음악/미술 분야의 사회 예술강사의 전문성과 문화예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해 해당
• 연수프로그램 지원 세부내용 세부사업명
참가자수(명) 강의시수
국악
• 참가자수
문화기반시설 및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전문성 강화 맞춤형
하반기
136
계
사업내용
하반기
•하반기 : 총 4개 분야, 16회, 1,235명, 420시수 연수 지원
분야, 교급, 교육과정, 연차, 시수 기준에 따라 코스별 연수를 운영하였습니다.
상반기
하반기
상반기
하반기
세부내용 문화기반시설(박물관, 미술관, 문화원 등) 종사자 대상 문 화예술교육 전문성 및 실무역량 강화
사업실적 •상반기 : 총 6개 분야, 8회, 357명, 200시수 연수 지원 •하반기 : 총 6개 분야, 10회, 301명, 120시수 연수 지원
사업실적 •총 5회, 40시간, 200명 연수 지원
장애 학생 이해를 위한 예술강사 연수
상반기 분야
하반기
참가자수(명) 강의시수
참가자수(명) 강의시수
아동복지 영화분야
53
25
49
15
아동복지 미술분야
25
25
50
15
아동복지 국악분야
40
25
34
15
아동복지 음악분야
61
25
49
15
아동복지 무용분야
30
25
25
15
아동복지 연극분야
52
25
44
15
장애인 무용분야
31
25
26
15
노인 연극분야
32
25
24
15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교원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
학교경영자 연수
사업내용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를 통해 초중등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할 수 있도록
다문화 사회 조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전문강사 양성 및 관련 인력의
• 사업실적
사업실적
학교 경영자를 대상 연수를 실시합니다. 전국 시・도교육청 및 산하연수원과 연계하여 인천
794
• 사업실적 과정
분야
기간(일) 대상
전문성 강화 연수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총 25회, 3,794명 연수 지원
문화예술교육 사례 및 현장 체험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 지원합니다.
42 43
문화예술교육 인력양성 사업
서울
769
경기
590
총 17회, 691명, 262시간 연수 지원
강원
제1기 다문화 전문강사 심화연수
7
제2기 다문화 전문강사 양성과정
20
장기
144
충북
단기
15
다문화 강사로 활동하고자 하는 자 28
15 108
64
14
지역 다문화센터 담당자 역량 강화 연수 12
지역 다문화센터 담당자
388
60
국외 다문화 교육 전문가 초청워크숍
1
다문화 교육 관계자 50
현장 다문화 강사 연수
8
현장 다문화 강사
2
부산
430
제1기 다문화 전문강사양성과정 참가자
문화예술교육 기관, 단체 실무자
다문화 교육의 이해 연수
900
인원 강의시수
다문화 전문강사 학교 파견 수업 현장
50
계
2
154
36
691
262
※ 장기과정은 42시수(7일) ~ 108시수(20일) 내외로 운영,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사업
단기과정은 6시수(1일) ~ 18시수(3일) 내외로 운영
• 사업실적 제주
사업내용
167
※ 95개 기관, 95명의 전문인력 지원(목표치 : 94개 기관, 101% 달성)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하는 전문인력(에듀케이터)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전문인력의 문화예술에 대한 충실한 지식 및 이해와 더불어 교육 수요자 특성별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제공하기 위해 95개 기관, 95명의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유치원 교사 및 예술강사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사업내용 유치원 교사 및 예술강사가 유아의 눈높이에 맞는 문화예술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 연수를 기획 운영합니다
인천
3
서울
24
16
15
문화예술교육(기획)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연수명
충북
충남
• 사업실적(서울)
4
4
운영횟수
참여인원
지원시간
미술감상 교육과정
2
60
17
유아국악교육과정
2
60
17
예술기반 유아교육프로그램
2
60
18
움직임 교육과정
2
60
16
음악 교육과정
2
60
12
10
300
80
계
경북
3
대전
2
대구
전북
1
8
광주
4
부산
1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결과 자료집 전남
4
예술 기반 유아교육프로그램 연수
강원
경기
제주
3
경남
3
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
문화예술교육의 든든한 토대, 공감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을 가르치는 ‘예술 안에서의 교육’의 한계를 넘어 문화예술을 통한 삶의 교육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이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를 지속적으로 표출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 공감 활동과 대외 협력 활동, 그리고 지식 정보화 사업을 진행하며 사회적인 공감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201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를 유치함으로써 글로벌 네트워크의 장을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제자문회의 참가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정책공감 확산
46 47
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
•출판 및 홍보물
• 출판 및 홍보물 내용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 홍보 • 일간지 보도 - 총 942건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및 지속적 발전을 이끌 사회적 합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종수
제작부수
2008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1
1,500
2008 아르떼진 제작
1
2,000
2009 명예교사 운영사업 홍보 포스터
1
5,000
2009 명예교사 운영사업 홍보 리플렛
1
2,00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홍보용 리플렛
1
10,000
1
2,500
언론매체를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 홍보를 진행하는 사업입니다. 다양한
12월:122건
보도매체 통해 문화예술교육 사업관계자간의 신뢰를 획득하여 문화예술교육의 확대와
11월:106건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수기공모용 홍보 포스터
사업 참여율을 증가시켰습니다.
10월:115건
문화누리 원정대 홍보포스터
1
1,000
9월:129건
2009 명예교사 운영사업 ‘조수미와 함께 만드는 작은음악회’ 홍보물 제작
4
1,500
기관 브로슈어
1
500
사업실적
8월:48건 7월:97건
•언론홍보 ・일간지 보도 : 총 942건 ・방송매체 보도 : 총 39건 ・특별 기획기사 연재: 총 63건
5월:71건
•아르떼진 운영
4월:64건 3월:47건 2월:27건 1월:30건
• 방송
942건
・ 2009년 9월, 아르떼진의 대대적인 개편으로 문화예술교육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문화일반・예술장르별・교육일반에 관한 기사를 다양하게 다루어 아르떼진의 이용자층을 폭넓게 확보하였습니다. 포털방식의 사이트 운영을 통해 다양한 섹션 마련, 전·현직 기자 및 칼럼니스트들의 기고, 기사 게재율 확대로 콘텐츠의 양적, 질적 향상을 이루었습니다. ・아르떼진 개편 내용 - 섹션 구성: 생활속예술/오!感만족학교/사람과이야기/바다건너이야기/ 마음을움직인/생각더하기/Now&Here/작작(作作) - 월별 기사 업데이트: 국문 25건(전년 대비 13건 증가) 영문 10건(전년 대비 6건 증가) - 주요 독자층: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수행 단체 관계자, 문화예술교육 참여자 등
387 %
470 %
39건
165건 8건 2008
2009
2008
2009
• 특별 기획기사 연재 목록
[조선일보 2009. 10. 17]
매체명
제목
매일경제
‘희망 바이러스’ 세계의 문화예술교육(1)~(5)
경남신문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1)~(5)
경북일보
유럽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가다(1)~(5)
국제신문
복지와 결합한 유럽 문화예술(1)~(4)
전북도민일보
문화예술교육 이젠 ‘소통-나눔’이다(1)~(4)
전북일보
문화예술교육이 행복지수 높인다(1)~(4)
중부매일
사회복지와 결합되는 문화예술교육(1)~(5)
한라일보
예술교육 현장을 가다(1)~(4)
보은신문
사회복지와 결합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주소(1)~(5)
굿모닝용인
문화예술교육으로 여는 미래(1)~(3)
청양신문
문화예술교육이 미래다(1)~(6)
서귀포신문
소통을 꿈꾸는 문화예술교육, 북유럽에서 배운다(1)~(2)
• 아르떼진
• 방송매체 보도- 총 39건
[중앙일보 2009. 04. 28]
・ 개편 행사 - 온라인: 댓글달기 이벤트 실시(총 256건 접수) - 오프라인: 아르떼진 독자와 함께하는 난타공연(총 260명 참여) ・ ‘2009 아르떼진’ 책자 발간 한해 동안 온라인 아르떼진에 게재된 주요 기사를 모음집 형태로 제작 ・ 아르떼진 독자 증가: 41,000여명(전년 대비 28% 증가) • 아르떼 회원수(명)
41,291 28 %
• 일간지
6월:83건
32,147
2008
2009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48 49
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
대외협력 사업 MOU 협력체결 사항
• 문화예술교육 기획시리즈 간담회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분야 관계자와 함께 사업의 성과와 정보를 공유하며, 문화예술교육 민간
사업내용
간담회 주제
간담회 대상
사업입니다.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행사를 개최 및 지원함으로써 새로운 영역과의
문화기반시설 내 교육사업 강화를 통한 지역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박물관・미술관 관련 단체장 대상
협력관계 형성을 시도하였습니다.
유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유아교육관련 단체장
예술치유 활성화
예술치유관련 단체장
2009. 4
부산광역시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 협력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방안
대학협력 전문인력양성 관련 단체장
2009. 6
한국청소년진흥센터
교육진흥원-문화재단 협력 사업 확대 방안 및 상시적 교류 방안
2009. 7
SK텔레콤
문화재단 관계자 대상
2009. 10
Goldsmith University of London(영국)
2009. 11
New York Philharmonic(미국)
2009. 12
한국여성수련원
영역과의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문화예술교육 관련 기관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사업실적 •예술강사 발대식 학교・사회 문화예술교육 강사들의 사명감 고취 및 격려를 위해 최초로 전국의 예술 강사들과 함께 발대식을 진행하였습니다. 전국 예술강사 등 2,000여 명 참석(41건 언론보도)
•문화예술교육 기획시리즈 간담회 진행 우리 원을 중심으로 한 민간 문화예술교육 학회・단체 간 상호 교육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장 마련하기 위해 연속 5회 간담회를 진행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정보 공유를 하였습니다.
•문화예술교육관련 행사 참여 및 후원 : 총 13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해 공공기관, 교육기관, 기업 등 국내와 7개 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사업실적
• 1018영상제 참가작 수 구분 참가작 수
2008
2009
392
354
2009. 2
‘2009 문화예술교육 전망’ 포럼 개최
2009. 4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연계, 이주여성결혼이민자 영화제작 워크숍 시사회 및 언론 홍보(4. 12)
2009. 6
해비치아트페스티벌 아트마켓 참가
2009. 7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연계 포럼 개최
2009. 11
수제닝스 초청 특별워크숍 후원 한국국악교육학회 국제학술회의 후원 제 13회 전국청소년연극제 후원 제 22회 한국청소년연극축제 및 제8회 창작극제 후원 제 1회 오프앤프리 영화제 후원
2009. 12
한국국악협회 국제학술회 후원
아스팔트 위의 고래 간디학교
2010. 1
제 6회 서울 아시테지 겨울축제 세미나 후원
내 친구는 일본인
고현초등학교
2010. 2
어린이 환경뮤지컬 ‘지구를 지켜라 시즌3’ 후원
우리를 행복하게 만든 것
장목중학교
•제 6회 1018영상제
Gleam(미광)
아현산업정보학교
영상 미디어 교육의 효과를 알리고 청소년을 이해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매년 1018 영상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피송
북제주북촌초등학교
비누인형
신현중학교
I don't care
대전동아공업고등학교
・독일 로스토크 예술대학 주관 국제대회 참석, 세계대회 개최,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정책 및 현황 소개 ・중국 ATEC(Asia Theater Education Center) 초청, 세계대회 개최,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정책, 현황 소개. ・아시아 권역 연극과 미디어 사업 교류 증진
Part 2 다큐멘터리
신남초등학교
2009. 6
국제협력 사업 • 제 6회 1018영상제 수상작 리스트 구분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기타UCC (뉴스, 다큐멘터리 등 포함)
부문
수상작품
소속
아르떼 으뜸상 친구를 항한 손짓
계동초등학교
아르떼 아람상 방귀 뀌는 며느리
감정중학교
아르떼 어울림상
아르떼 솜씨상
아르떼 재치상
아르떼 시선상
국제협력 사업내용
독도와 오바아짱
봉화초등학교
연중 상시, 각 시·도 교육연수원과 연계하여 초등 및 중등 교원의 문화예술교육 사례 및
탐정 김똑순
하나인학교
현장 체험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연수프로그램을 운영 지원합니다.
요리사의 꿈
동명중학교
Go Back 1909
전남여자고등학교
Le Ciel & I
예술강사 황지영
사업실적 •문화예술교육 정책 해외 홍보 및 교류 : 총 9건 2009. 2
・영국 Creative Partnership(창의교육 관련 정부산하기관) 초청,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소개
2009. 5
2009. 7
・일본, 중국, 세네갈, 태국의 유네스코 국가위원회 소속 직원교류 프로그램 지원
2009. 10
・베트남 ‘하노이 극&영화 아카데미’ 초청 한국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소개 ・유네스코 아태지역 사무소(태국 방콕) 방문, 아태지역 문화예술교육 협력 사업 협의
2009. 11 제 6회 1018 영상제 수상작들
・일본 ISL(Institute for Strategic Leadership) 방문, ・우리원 사업 및 관련 현황 소개. 향후 일본 문화예술교육 교류 활동 전개 논의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독립행정법인 교원연수센터 교원연수 지원 ・09 라틴아메리카&카리브 예술교육 지역회의 참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뉴욕필하모니 업무협약 체결식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재외동포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업내용
• 참여학생 소감
50 51
문화예술교육 기반조성
지식정보화사업
문화예술이 지닌 창의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와 세계인이 함께하는 선진적인
•아르떼진 www.artezine.kr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2006년 중앙아시아 지역 고려인 의견 수렴을
사업내용
시작으로 매년 추진된 재외동포지원사업은 2009년에는 중앙아시아를 넘어 동남아시아
수많은 정보가 디지털화되고 있는 21세기에 맞춰 문화예술교육도 기관 홈페이지
까지 확대하여 진행하였습니다.
(www.arte.or.kr)를 플랫폼으로 하여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사업실적
온라인에 기반을 둔 문화예술교육 지식 생태계 조성을 위해 중요한 콘텐츠를 개발,
•우즈베키스탄 거주 고려인 어린이 대상 문화예술교육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간 : 2009. 9. 28 ~ 10. 5 참가 인원 : 총 50명 프로그램명 : 아르떼 어린이캠프_“행복한 초대” 교육 장소 :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 인근 고려인 마을 1개 지역(스베르들로보 마을) 교육 내용 : 고려인 및 인근 소수민족 어린이 대상으로 한국의 전통문화와 세계의 다문화, 세계 음악 등의 통합예술교육, 현지 교육현장 영상촬영 및 사진기록
•베트남 한국학교 학생 및 한국어학과 학생대상 문화예술교육
사업실적 •통합운영 시스템 3차 구축을 통해 사업별 업무관리 기능 추가 개발 "사물놀이, 한복, 한식, 서예 등 즐거운 수업이었습니다. 보통 책으로
(강사평가, 자동배치, 문서발급 자동화)
만 보던 한국문화를 직접 체험해보니 더 재미있었습니다. 각 나라의
•온라인 아카데미 전문 교육과정 개발
전통악기는 그 나라의 영혼을 표현 합니다. 사물놀이 소리를 들을 때
•문화예술교육 통합리소스센터 구축을 위한 시스템 설계
면 저의 온 몸이 같이 흔들립니다." - Truc phuong (트룩 푸엉)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및 사용자 운영지원
기간 : 2009. 12. 21 ~ 12. 27 참가인원 : 총 50명 교육 장소 : 주 호치민 한국문화원(베트남 최대의 상업도시 호치민시 중심 1군에 위치) 사업내용 : 베트남 호치민시에 거주하는 한국인 2세와 베트남 학생들이 함께 한국문화 (사물놀이, 서예, 민요, 한복 입기, 전통음식 만들기 등) 및 베트남 문화를 한 데 어울려 체험함으로써 서로의 문화 및 예술에 대한 이해도 제고
•CETA 아카데미 lms.arte.or.kr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지원 서비스 mms.arte.or.kr
정보화 사업현황 2007
2008
2007
23,740명
32,664명
46,000명
만족도조사 결과
74,8점
76.6점
76.2점
75.8점
연도별 방문자 수
1,119,272명
920,833명
925,455명
2,965,560명
콘텐츠 하트 수
6,152,857회
9,470,630회
8,008,706회
23,632,193회
게시물 등록 수
1,309건
1,589건
6,386건
9,284건
구분 가입회원 수
합계/평균
외부 시스템
•연도별 방문자 수 : 연도별 진흥원 사이트에 방문한 사람 총 합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개최 준비
•콘텐츠 히트 수 : 진흥원 콘텐츠에 클릭하거나, 관심을 보인 수 •게시물 등록 수 : 홈페이지 게시물 등록 건 수(게시판, 자료실 등)
사업내용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실무 준비
내부 시스템 •기관홈페이지 www.arte.or.kr
•웹어워드 코리아 공공부문 최우수상 수상('09.12)
사업실적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개최 준비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사전 조정회의 참석(7월/파리) 국제운영위원회 회의 개최(7월/파리) 국제자문위원회 회의 개최(7월/파리) :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비젼 및 준비방향 (이대영 원장 발표) 추진기획단 발족(10월/서울) 홈페이지 개설 : http://www.artsedu2010.kr/(10월 / * 추진기획단으로 업무 이관) 국제운영위원회 회의 개최(11월/서울) 2010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 창립(12월)
•통합운영시스템 ums.arte.or.kr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회의 개최
문화예술교육 R & D
문화예술교육, 그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이 발전적인 행보를 이어갈 수 있도록 재원을 비롯하여 교육 프로그램, 연수 프로그램, 교안, 교재, 교보재, 통계, 국내외 정보 등의 다양한 자원들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합니다.
각종 연구 결과물이 비치되어 있는 자료실
교과 연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물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54 55
문화예술교육 R & D
향유자 교육 연구
신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자의 창의성 개발, 문화 감수성 신장을 위해 누구나 즐겁게 문화예술교육을
사업내용
접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현장의 변화 및 예술강사의 요구 등을 고려하여 새로운 분야의 교보재 개발을 통한
가르칠 수 있도록 지침서 및 매뉴얼 등의 형태로 연구 결과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장 교육 활성화 기반을 마련합니다.
• 사업 실적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추진기관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 개발 연구(공예)
부산교육연구소
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 개발 연구(문학)
추계예술대 산학협력단
사업내용
사업실적
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 개발 연구(디자인)
인하대 산학협력단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성을 명확히 제시하고 교육환경 변화에 앞서나갈 수 있는
•연구보고서 :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예술기반 유아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화여대 산학협력단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사업입니다.
※ 연구를 통해 제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
대중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방안 연구
명지전문대 산학협력단
1) 예술을 통한 삶의 이해 2) 자신의 작품과 타인의 작품간의 관련성 이해 3) 비평적 문해력의 향상
※ 연구내용 예시 ※ 통합적 예술기반 유아 교육 프로그램 예술영역 •조형 요소 •음악 요소 •움직임 요소
영역 내
영역 간
음악
※ 지침서
유치원 교육 프로그램 5개 생활 영역 11개 생활 주제 조형
움직임
• 학년구분 : 초1~2 , 초3~4, 초5~6 • 내용구성 • 총론 - 교육목표 - 내용 선정과 조직방향 • 강론 - 차시별 교수・학습내용 - 보충・심화 학습 - 교수법, 관련 정보
교과연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업내용
• 사업 실적
특정 장르나 이론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총체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통합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 교보재 개발 연구 사업내용
사업실적
체계적이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방법론을 제시하여 교육체계화 및 실제 적용이
•연구보고서 : 문화예술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용이한 교수자용 교육활동 지침서를 개발하는 연구사업입니다. ※ 매뉴얼 구성내용 매뉴얼 활용법 / 시설・아동에 대한 정보 / 교육과정 체계・목표・핵심개념・성취 기준 / 수업 설계방법 / 강사들 수기 / Q&A / 우수 수업사례
연구보고서
추진기관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 개발 연구(국악)
한국교원대 산학협력단
문화예술 감상교육을 위한 워크북 개발 연구(연극)
나, 너, 우리 교육연극연구소
사회문화예술교육 강사 교수활동 매뉴얼 개발 연구(아동복지시설)
한양대 산학협력단
사회문화예술교육 교수활동 매뉴얼 개발 연구(장애인복지시설, 무용)
영남대 조형연구소 교육문화공동체 결
교과활동 연계 문화예술교육 심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음악, 미술)
※ 음악, 미술 [ 교과활동 ]
(사)한국댄스테라피협회
추진기관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통합 프로그램 개발 연구(전통, 수리) •전통문화예술 학습요소와 일반교과, 예술교과를 연계한 초등(중학년) 대상 통합 프로그램 개발 •수리영역과 예술교과를 연계한 초등(중학년) 대상 통합 프로그램 개발
※ 연구내용 예시
사회문화예술교육 강사 교수활동 매뉴얼 개발 연구(노인복지시설, 연극)
연구보고서
국어
방과후활동 ]
사회
음악
주제 통합적 사고・문화 예술교육
미술
•테크놀로지 및 다문화 연계 초등 (고학년) 대상 음악 심화 프로그램 개발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타 교과 영역간 연계를 통한 초등(중학년) 대상 미술 심화 프로그램 개발
부산교대 예술교육연구소 경희대 교육발전연구소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전문인력 교육 연구
평가, 통계, 기초 연구
예술강사, 기관단체 실무자, 문화 행정인력 및 교사 등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업평가 및 수요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사업의 효과 및
연수 교육과정을 개발・보급하여 경쟁력 있는 문화예술교육 인적자원을 육성하기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정책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새로운 형태의 사업 모델을
위한 연수의 질적 강화를 지원합니다.
제시하고자 합니다.
전문인력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사업 평가, 조사, 통계연구
사업내용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지속적인 역량강화를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점차 다양화되고 있는 전문인력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사업입니다.
• 사업 실적 연구보고서
사업내용 추진기관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업 평가, 조사, 통계 연구를 통해 효율적으로 사업의 집행되고 있는지 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사업을 개선・발전시키기 위한 연구지원 사업입니다.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연수 평가・ 환류와 관련된 연구사업입니다
교사의 전문성 및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자율연구모임 공모 및 지원하는 연구사업입니다. 학교 교육현장에 적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을 위해 문화예술 분야 교과 및 교과간 초?중등 교원 모임을 지원합니다.
연구보고서
추진기관
아그막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 모형 구축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역량기반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임팩트
증거기반 문화예술교육 통계 데이터 개발 연구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녹색환경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톨릭대 산학협력단
예술강사 지원사업 성과 평가
리서치 21
온라인 아카데미 다문화교육 콘텐츠 개발
위두커뮤니케이션
사회문화예술교육사업 성과 평가
포커스리서치
방과후 문화예술교실 지원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문화리서치 피오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평가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사업 실적
예술강사 지원사업 평가 워크숍
연구보고서
추진기관
예술강사 상/하반기 연수 만족도 조사 및 평가
장앤파트너스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사업 및 문화예술 교육 CETA 연수 프로그램 평가
중앙대 산학협력단
사업 발굴 및 개선 연구 사업내용 기존 사업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하여 교육 및 정책 환경 변화에
교사 자율연구모임 지원 사업내용
• 사업 실적
역량기반 예술강사 연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전문인력 교육을 위한 연수 평가 사업내용
56 57
문화예술교육 R & D
대처하는 새로운 형태의 사업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사업입니다. • 교사 자율연구모임 지원 현황 연구명
추진기관
거제지역센터로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도예프로그램 매뉴얼 제작
거제도연구회
장애아를 위한 만화 콘텐츠 제작과 이를 활용한 지도안 개발
장애아 만화 콘텐츠 개발교육 모임
문화예술교육 개념 정립
전통연희예술단의 안정적 재정 확보를 통한 전통계승방안 연구
하늘소리
사업내용
사진과 영화를 이용한 주제 통합형 수업 모델 개발
사각형프리즘 (어린이 미디어 교육 연구회)
문화예술자원을 활용한 서평 동영상 프로그램 개발
경기도초중등학교도서관 교과교육연구회
문화예술의 마중물로 품어내는 감성의 역사수업
부산역사마루연구회
문화예술교육 관련 용어 혼재에 따른 정책 사업 추진 시 혼선 초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사전 편찬 관련 기초 연구사업입니다.
• 사업 실적 연구보고서
추진기관
사회문화예술교육 체계화 연구
가톨릭대 산학협력단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 사업 실적 연구보고서
추진기관
문화예술교육 개념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아시아문화네트워크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06
ARTE 2009년 발자취
58 59
2009년 주요사업 스케치
09
_ Jun
_ Sep
전략기획
1차 연속간담회 문화기반시설 연계 문화예술교육
학교교육
명예교사 김덕수 '김덕수와 함께하는 신나는 연희무대' 2회
학교교육
사진학회워크숍
인력양성
해외전문가초청워크숍(골드 스미스대학)
학교교육
명예교사 백주영 '백주영의 렉쳐콘서트'
홍보국제
법무부 연수원 : 문화예술교육 특강
학교교육
부산뮤지컬학교입학식
학교교육
제3기 교육위원회 간담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09년 한해 동안 다채롭고 의미 있는 사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사회교육/홍보국제 전국문예회관연합회 제주해비치 아트페스티벌 참가
학교교육
명예교사 간담회
전략기획
2차 연속간담회 유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인력양성
다문화교육전문가 초청워크숍
그러한 사업들이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의 현주소를 조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미래를
학교교육
명예교사 김덕수 '김덕수와 함께하는 신나는 연희무대' 2회
학교교육
명예교사 오경환 '미술관 멘토와의 만남'
학교교육
무용분야지역워크숍
인력양성
지역 기관단체 실무자 연수
향한 이정표가 되어줄 것을 확신하며 큰 호응을 불러일으킨 주요 사업 몇 가지를 되돌아봅니다.
경영혁신
한국 청소년진흥센터와의 업무협약 체결
인력양성
공무원 고위정책 과정 운영
인력양성
직무연수 운영
인력양성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기관 단체장 워크숍
홍보국제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학교교육
국악강사 학교수업 참관
학교교육
명예교사 정명훈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함께하는 음악이야기'
학교교육
연극 강사 학교수업 참관
학교교육
명예교사 오경환 '미술관 멘토와의 만남'
경영혁신
10차 이사회
전략기획
3차 연속간담회 예술치유 활성화
홍보국제
파리국제자문 회의
2009 한해 동안 진흥원이 남긴 발자취를 소개합니다.
01
04
_Jan
_ Apr
경영혁신
2009시무식
사회교육
문화나눔이 출범식
인력양성
2009 문화체육관광부 신입공무원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경영혁신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의 업무협약 체결
학교교육
상반기 예술강사 연수
홍보국제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준비회의
홍보국제
제5회 아르떼1018영상제
경영혁신
부산광역시교육청과의 업무협약 체결
학교교육
명예교사 송승환 '난타와 함께하는 체험교실'
학교교육
명예교사 강수진 '강수진의 발레이야기'
학교교육
명예교사 김덕수 '김덕수와 함께하는 신나는 연희무대'
02
_ Feb
05
전략기획
기관 업무보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학교교육
제2기 교육위원회 이임식
홍보국제
2009 Creative Partnership 회의
학교교육
연극교육위원회
경영혁신
중앙교육위원장 회의
사회교육
육군문화예술정책설명회
학교교육
명예교사 김덕수 '김덕수와 함께하는 신나는 연희무대'
홍보국제
문화예술교육포럼
학교교육
명예교사 송승환 '난타와 함께하는 체험교실'
사회교육
육군본부포럼
홍보국제
드라마 아카데미 국제포럼 및 2010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준비회의
참가관련 국외 출장
학교교육
명예교사 문훈숙 문훈숙의 해설이 있는 발레'
학교교육
명예교사 김덕수 '김덕수와함께하는 신나는 연희무대'
학교교육
평가단 워크숍
학교교육
명예교사 은희경 '작가와 함께하는 청소년 문학교실'
03
_ Mar
홍보국제
예술강사발대식
인력양성
다문화 교육인력 양성 좌담회
경영혁신
9차 이사회
홍보국제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준비회의
_ May
07
_ Jul
10
_ Oct
인력양성
교원대상 뉴욕필하모니 초청 워크숍
인력양성
중앙교육위원장단 및 강사협의회 워크숍
학교교육
제1기 다문화강사 양성과정 학교파견
사회교육
교정시설사회복귀담당자대상 워크숍
홍보국제
드라마 아카데미 국제포럼 및 2010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준비회의 참가 관련 국외 출장
경영혁신
영국 골드스미스 대학과의 업무협약 체결
인력양성
하반기 예술강사 연수
전략기획
4차 연속간담회_대학 협력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전략기획
서울국제영상미디어 교육포럼
홍보국제
2009 유네스코 국가위원회 직원교류 문화동반자 방문
인력양성
해외전문가초청워크숍(미술교육_그레엄설리번 교수)
학교교육
명예교사 오경환 '미술관 멘토와의 만남'
학교교육
지역신문기자 대상 문화예술교육정책이해 강의
전략기획
5차 연속간담회 문화재단 협력 사업 확대 방안
인력양성
공무원대상 문화예술교육 특강
인력양성
하반기 무용 중등특강
학교교육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시범사업 중랑구 현장 방문
홍보국제
KBS 수요기획_신다빈치프로젝트 방영
사회교육
문화부공무원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운영
경영혁신
SK텔레콤과의 업무협약 체결
사회교육
군문화예술교육 워크숍강연
인력양성
연극강사 연수 입소식
홍보국제
남미&카리브 예술교육지역회의 참석
인력양성
학교경영자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홍보국제
MBC 특집다큐_내 안의 나를 깨우다 방영
홍보국제
유네스코 문화분과위원회
경영혁신
뉴욕필하모니와의 업무협약 체결
08
11
_ Nov
12
_ Aug
_ Dec
인력양성
초·중교감 자격연수
학교교육
명예교사 조수미 '조수미와 함께 만드는 작은 음악회'
학교교육
명예교사 정명훈 '마에스트로 정명훈과 함께하는 음악이야기'
홍보국제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조직위원회 창립총회
학교교육
명예교사 김대진 '김대진의 음악교실'
홍보국제
MBC 프라임_세상에 단 하나 방영
사회교육
문화누리원정대 청년인턴 발대식
경영혁신
한국여성수련원과의 업무협약 체결
경영혁신
11차 이사회
경영혁신
2009 종무식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nual report 2009
제 2대 이사회(2008-2011)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기관으로 성장하겠습니다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두루 갖추고 사회적으로 신망이 두터운 각계 인사들로 구성된 이사회는 국민 개개인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가와 사회의 창의적인 문화역량 강화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진흥과 발전을 지원합니다.
•가나다순 배열
이사장
박용현 이사장
이대영 상임이사(원장)
두산건설 회장, 전경련 부회장(비상근)
한국문화예술교육 진흥원장
이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연차보고서 김성열 이사
김준교 이사
김화숙 이사
노소영 이사
박광무 당연직이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장
원광대학교 교수
아트센터 나비 관장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국장
발행인│이대영 발행일│2010. 01. 31 발행처│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www.arte.or.kr / www.artezine.kr 문의│02-6209-5900 기획│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홍보국제협력팀 디자인│네오포커스 등록번호│KACES-0950-R002
ISBN│987-89-92682-33-6 93060
배혜령 이사
심은석 당연직이사
오세곤 이사
이규대 이사
청운대학교 교수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정책국장
순천향대학교 교수
(주) 예술앤씨 대표
Ⓒ본 자료집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자료집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이운형 이사
정갑영 이사
정재형 이사
주원석 이사
이현 감사(비상임)
세야제강 회장
한국문화관광연구원장
동국대학교 교수
미디어윌 회장
서울시 고문변호사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 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