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2015 to gether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 ❺P 5 년 간 의 기 록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 년 간 의 기 록
l 발행일 2015년 12월 31일
l 기획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
l 문의 academy@arte.or.kr
l 등록번호 KACES-1570-C015
l 홈페이지 www.arte.or.kr
l ISBN 978-89-6748-168-1(93370) l 기획·제작 (주)조은커뮤니케이션
※ 저작자와 출처 등을 표시하면 자유이용을 허락합니다. 단, 영리적 이용과 2차적 저작물의 작성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2011~2015
to gether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 ❺P 5 년 간 의 기 록
to gether
여는 글
여는 글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예술활동을 통해 받은 감동이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지고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들의 공통 관심사, 현장에서 맞닥뜨렸던 고민들, 보다 나은 문화예술교육의 장을 열어
보고자 하는 열망이 모여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mmunity of Practice)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동안 다양한 주제들과 결과물들이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어, 개별적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기도 하고, 일부 모임들은 이상적인 문화예 술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단체를 구성하는 데에 바탕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해를 거듭하며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가 여러 모습으로 변화하고 성장해왔지만, 변하지 않았던 것은 예술강사 선생님들의 열정, 그리고 이 사회에 더 나은 문화예술 교육을 뿌리내리게 하려는 의지였습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앞으로도 국내외 문화예술교육계의 동향과 필요한 부분들을 파악하여, 양질의 문화
예술교육을 실천하려는 예술강사 선생님들의 노력에 힘을 실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르떼 동아리 활동들을 통해서 예 술강사 선생님들의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키고 학구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예술강사 선생님들의 아이디어들이 모여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방법론도 도출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겠습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계신 선생님들께서 그동안 예술활동에 부단히 쏟은 노력과 시간들 그리고 예술활동을 통해 얻은
감동이 문화예술교육의 참여자들에게 전달되고, 참여자들의 감성과 창의력을 이끌어내어 예술활동을 통해 즐거움뿐 아니 라 진정한 감동을 느끼는 훈훈한 현장의 이야기들이 우리 사회에 더욱 확산되었으면 합니다. 생애주기를 막론하고 더 많 은 참여자들에게 예술활동을 통해 받은 감동이 자신의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지고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문화예술교육의 힘을 믿고 예술강사 선생님들을 응원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장
002
김세린
003
목차
contents
002
여는 글
006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한눈에 보기
014
I.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015
문화예술교육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시작
020
2011~15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변화와 소통, 실천의 기록
026
전문가 인터뷰_ 백령 교수(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028 029
II.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주요 내용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모둠별 학습 주제 035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130 전문가 인터뷰_ 박승희 사무국장(한국액션러닝협회) 132
III.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참여, 그 후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133 140 참여자 인터뷰/ 호중훈(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화애니메이션분야 예술강사)
142
함께한 사람들_ 2011~15 연수 수료자
14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147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oP 5년 간의 기록 (DVD)
005
to gether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아르떼 아카데미 소개 아르떼 아카데미는 문화예술 트렌드 및 현장 사례의 맥락의존적 분석으로 핵심테마를 추출하여 각 대상별 예술기반
02 ArtE Academy 연수 과정 소개 01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02 학교·사회 예술강사 선택연수
창의·인성교육 및 문화적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을 기획하여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협력자, 예비인력에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규 예술강사를 대상
학교 및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경력이 쌓인 강사를 위해 지
필요한 연수 기회를 제공합니다. 문화예술교육 핵심인력 대상별, 내용별, 단계별 연수를 통해 문화적 역량과 전문성을 증
으로 예술강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 역량강화를 위하여 개설됩니다.
속적인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고 예술가이자 예술교육자로서
예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 예술적 경험이 교육현장에서 어떤 의미를
경력 개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연수를 개설 운영합니다.
갖는 지에 대하여 체험을 통해 이해하고,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자신만
예술분야별 교수학습 역량 강화, 예술놀이 체험 워크숍, 창의적 문화예
의 독자적 실행능력을 길러 능동적으로 자신의 교육활동을 실행할 수
술교육 기획 워크숍, 상담기법 등 예술강사의 수요와 현장의 니즈를 반
있도록 합니다. 총 60시수로 구성된 의무연수는 상·하반기 방학기간에
영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리더와 인재를 육성하고자 합니다.
집체식으로 진행되며, 주로 ‘타 분야 예술체험 및 예술통합 프로젝트, 분야별 워크숍, 학교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
01 ArtE Academy (AA) Framework
어 있습니다.
전략
AA Mission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적 인재 양성 및 재교육으로 양질의 문화예술교육 실현
AA Vision
01 전략
02
우리나라 최고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및 재교육 기관
전략
03 전략
04
안정적·전문적 학습 지원을 위한 연수 환경·시스템 구축 문화예술교육 매개자/관계자 대상 우수 연수프로그램 개발·운영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양성의 중앙 연수기관으로서 협력체계 구축 문화예술교육 디지털 수업자료 (e-Resource) 시스템 구축
03 대학(원)생 대상 문화도담 연수
04 주제 중심 문화예술교육 키움(Key-um) 연수
문화도담은 전국 대학생·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예비 문화예
문화예술교육 키움 프로그램은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술교육 기획인력 양성과정입니다. 문화도담 참여자는 각 지역에서 일어
매개자 및 교원, 공무원, 광역센터 담당자 등 문화예술교육 협력자를 대
나는 다양한 문화예술을 이해하며, 우리 일상생활 곳곳에 숨은 문화예
상으로 필요한 핵심 교육내용에 따라 단계별 연수프로그램을 모듈화
술자원을 스스로 탐방하여 발굴하고 공유하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대
한 교육과정 브랜드명입니다. 키움은 열쇠를 의미하는 ‘Key’와 공간을
학(원)생의 시각으로 바라 본 생활 속 문화예술교육 관련한 주제 선정
의미하는 ‘-Um’이 결합된 어휘로, 대상별, 분야별 다양한 연수프로그
부터 기획까지 참여자가 주체가 되어 활동하는 교육과정으로 선배 문
램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핵심 주제 중심의 다소 특별한 문화예술
화예술교육자(강사, 기획자 등)와 예비인력이 함께 하는 ‘체험워크숍’과
교육 키움(Key-Um) 연수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합니다.
‘문화예술교육 인물탐구’ 등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멘토링 제
※ 인문, 창의, 융합, 생각, 감성, 예술, 역량의 7가지 키움(Key-Um)
공, 전문가와의 네트워킹 계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006
007
to gether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oP 한눈에 보기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문화와 성장하는 사람들 W 인생이모작 05 사회 문화예술교육 실무자 역량 강화 연수
06 교원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07 행정인력 문화예술교육 역량 강화 연수
사회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
학교교육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16개 광역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및 한국문화예술
실무자의 창의적인 기획 역량과 문화예술교육 전문
교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이해 및 창의적 교육
교육진흥원 직원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성, 기초 직무 소양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학
및 행정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를 제공합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단
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서울
지역 현장의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간 원활한 네트
체 실무자 및 강사를 중심으로 실제 현장 업무에 도
시교육청, 부산시교육청 등 특수분야 직무연수로 인
워킹 및 동반 성장과 실무자 및 관리자의 전문성 및
움이 되는 의무연수 및 선택연수과정을 구성하여 문
정받아 교원 학점을 연계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역량 강화를 위해 직무 중심의 연수를 개설하고 있습
화예술교육 현장에 양질의 프로그램이 풍부해질 수 있습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Community of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문화정
Practice)’는 특정 지식분야에 대해 관심을 같이하
책 기획역량 강화 및 문화적 리더십 함양을 위하여
는 구성원들이 On/Off-line을 통해 지식을 공유·학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융합의 이해, 생활 속 문화
습·창출하는 실천적 지식 동아리 형태의 연수형태
예술교육 정책현장 탐방 등 문화정책 전반의 교육과
입니다. 무엇보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학문적 접근
정을 기획·운영합니다.
보다는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주제로 매개자 간 자 유롭게 토론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을 발견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학습자 중심의 ‘멘 토-멘티간 밀착형 학습공동체’ 연수를 지향하고 있 습니다.
008
이게 진짜일까?
아르떼 온라인 아카데미 lms.arte.or.kr
2
모둠
1
모둠
1
모둠
cecece
2
모둠
CDE 2012
2012
C.T. 학습/탐구
창의/창출
자색나래
공감/공유
애정사
1
모둠
학습/탐구
총 13모둠 65명
주제별 모둠 분포
2
모둠
4
모둠
4
1
모둠
창의/창출
1
파랑새
쑥쑥자라라! 창의나무야!
AMEDIA
공감/공유
주제별 모둠 분포
하모니
화끈한 소통 [화통] 파이디어
감성스위치 ON
국악TA그룹 [알아가다]
●
기타문의 academy@arte.or.kr
●
■ 2011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대상 CoP(총 3모둠, 14명) ■ 2011 사회 예술강사 CoP(총 6모둠, 29명)
I.O.O.P (객체지향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둠
모둠
AC 팡팡
아르떼 아카데미(AA) 페이스북 www.facebook.com/aakeyum 아르떼 아카데미(AA) 연수신청 hrd.arte.or.kr
모둠
총 9모둠 43명
●
●
3
2011
니다.
09 공무원 문화예술정책 역량 강화 연수
사과양식장
청소년 문화, 푸를청(靑)!
연평오감팀
있도록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08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두명만으로도
■ 2012 상반기 CoP(총 7모둠, 40명) ■ 2012 하반기 CoP(총 6모둠, 25명)
카리스마
8 group art company 예그 모둠
뫼비우스
2
5樂
2013
아츠로 모둠
총 9모둠 40명
창의/창출
주제별 모둠 분포 함께하는 공책
삼색껌딱지 팔보채
4
모둠
5
모둠
5
2
문화예술로 비빔 사고뭉치
1
모둠
모둠
Pas de Trois
2014
공감/공유
따로 그리고 또 같이
아트리딩톤
모둠
감상보감
케미
총 20모둠 81명
학습/탐구
자장가 프로젝트
창의/창출
2015
공감/공유
주제별 모둠 분포
Salon d'Art(살롱 다트)
The 신나Go
학습/탐구
총 10모둠 37명
상상편집소 피플
33m2(아주 작지만 특별한 시작) 춤추는 부장님
서강대미디어 교육연구회
예술로 고고(古go) 에듀메트로
■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대상(Level 4) (총 6모둠, 24명 참여)
■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 일반 참여자 대상(Level 3) (총 14모둠, 57명 참여)
우분트 지글지글놀이터
창의/창출
주제별 모둠 분포 시크릿 서커스
콩닥콩닥 오감여행
용~쏭! 신바람 찰칵찰칵
4
모둠
A-play
마주 학습/탐구
A-act
1
모둠
9
모둠
Art MT
6
노름마치
전! 통합니다
나와 너의 사진 레시피 Nori_Nol.E 스탠 by 미 - 따로 또 같이
공감/공유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C❺P
문화예술교육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시작
문화예술교육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시작 김 주 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 대리)
- 어떻게 하면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할 수 있을까
7년 전 우연히 담당하게 된 연수 업무를 어쩌다보니 지금까지 하고 있다. 타인의 학습을 도와주는 연수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일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람’과 ‘관계’,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어렴풋하게나마 그 고민의 중요성과 그 것이 지닌 힘에 대한 믿음으로 지금까지 같은 부서에서 일을 하고 있다. 해가 지날수록 교육, 학습에 대한 고민과 실천은
I. CoP?
‘사람’과 ‘관계’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있어야 가능함을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론적인 질문은 항상 마음 한 구석에
실행 중심의 지식 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 공동체
자분들에게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어떻게 해야 더 효과적일까? 정규 학교생활을 마친 성인들에게, 더구나 열악하면서도
자리하고 있다. 과연 이런 연수가, 이러한 학습 지원이, 비싼 시간을 쪼개어 연수에 오시는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관계
다이나믹하게 돌아가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계신 분들에게, 어떻게 하면 완전히 몰입할 수 있는, 혹은 실제적 고민과 맞 닿아 있는 연수가 가능할까?
2010년 말 즈음이었을까. 그 다음 해부터 새로운 아카데미를 진행하게 되면서 CoP(Community Of Practice, 이하
CoP)를 문화예술교육 연수방법으로 끌어들였다. 단발성의 연수, 워크숍, 의무연수가 많아지고 있었지만, 물리적인 교육 보다는 좀 더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학습을 우리가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가 고민의 핵심이었다. 그리고 학교 예술강사 에 비해 소그룹이지만, 소위 ‘케바케’의 상황에 놓여있는 사회 예술강사를 위해 좀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연수를 제공할 수 없을까에 대해 팀원들과 함께 고민하면서 일회성 집체 연수의 대안으로 CoP를 시작하게 되었다. 문화예술교육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시작 015
●
2011~15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실천의 기록 020
●
전문가 인터뷰_ 백령 교수 026
015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문화예술교육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시작
사실 처음에 CoP를 운영함에 있어 가장 많이 참고한 것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진행한 예
이 아니라 상황적인 관점에서 본 ‘실행/실천’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Wenger와 Lave가 말한 상황학습은 지식이 상황적인
술경영 CoP였다. ‘공통의 직무나 관심사에 대한 열정에 의해 결합된 비공식적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CoP의 의미처럼, 그 당
것으로 학습자의 삶 속에 그것이 통합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단순히 앉아서 듣는 연수는 진짜로
시 예술경영 CoP에 참여하는 분들의 열정이 고스란히 묻어난 결과물들을 보면서, 이러한 학습 지원 방식으로 문화예술교
‘학습’하는 데, 그리고 그것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게 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에서부터
육계의 수많은 고민과 질문들에 대해 함께 머리 맞대고 결과를 찾아가는 기회를 가지면 자연스럽게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학습의 결과물, 학습을 위해 투자한 시간의 파급력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 마치 화장이나 연애하는 법을 텍스트로 학
학습이 가능할 것 같았다. CoP가 조직에 미치는 비재무적 성과와 공식적 지원에 대한 효과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기도
습한 것과 그것을 실제로 경험 해보면서 학습한 것의 차이랄까.
하면서 많은 기업의 HRD파트에서는 이미 대안적 교육프로그램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문화예술계에서는 많지 않은 방식이 었다.
서는 언제나 배우고 가르치는 관계가 형성된다. 사람은 누구나 타인으로부터 배우며, 모든 교육적 관계 맺음 활동은 사
- 공동체 학습이 이끌어내는 실천적 변화에 대한 믿음
람들 사이의 가르치고 배우는 상호의존적 과정, 동시적 관계 맺음이라고 한다(장원섭, 2015). CoP의 개념은 Wenger와
Lave(1991)의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이론에서 시작되었다. Wenger는 CoP를 ‘동일한 관심사와 일련의 문제, 어떤
부터 6시까지 동일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조직 내 구성원끼리 진행하는 기업의 CoP와는 다소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주제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고 있으면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 분야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보다
예술가이자 문화예술교육 프리랜서로서 유사한 업무를 하면서 비슷한 고민들을 가지고 있는 예술강사들끼리 같은 주제에
깊이 있는 것으로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집단’이라고 정의하며, CoP의 세 가지 중요한 구조적 요소로 ‘지식의 분야(domain
대해 약 3개월간 학습하며 현장에서 실행해보는 과정을 통해 집체식 교육과는 사뭇 다른, 다소 진지한, 고퀄리티의 학습결
of knowledge)’, 그 분야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community)', 그들이 ‘공유하는 실행/실천(shared practice)’이
과를 얻어내며 유대감을 갖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입증하기라도 하듯 서로 관심이 있는 주제로 구성해서 공부하기 위해
있다고 했다.
만난 예술강사들로 구성된 몇몇 CoP들은 학습지원이 끝나도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만들어가면서 문화예술 단체를 만들기도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고 한 공자의 말처럼 여러 명이 모인 모임, 모둠, 조직의 상황 속에
CoP를 통해 얻은 지식은 구성원들에게 다양하고 복잡한 방법으로 유익한 가치를 창출한다(Wenger et al., 2002). 9시
하고, 실제 지역의 문화기반시설/기관(문화원, 문화의집 등)에서 하는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한다.
016
다시 말해, CoP란 같은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인 공동체 속에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그것을
실천하는 집단이다. CoP를 통해 구성원들은 개인적인 학습을 넘어서 공동체 속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학습하고 그 속
에서 지식을 재통합하게 된다. 흔히 CoP를 스터디 그룹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CoP에서의 학습의 초점은 일반적인 지식
산하도록 했었다. 하지만 이 과정 때문에 오히려 모둠활동을 하면서 쓴 돈을 정산하는 데 더 힘을 쏟게 되어 주객이 전도
이러한 CoP는 처음에는 다른 지원사업과 같은 형태로 ‘학습’을 위한 지원비를 교부하고, 모둠별로 자유롭게 쓰고 정
017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문화예술교육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시작
되는 결과가 생기기도 했다. 그래서 2013년부터는 지원금 없이 순수하게 학습을 하고, 다양한 전문가들로부터 자문과 멘
한창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이 연수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전국에서 참여하는 예술강사를 위한 방대한 연
토링을 받아 현장의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싶은 참여자만을 모집했다. CoP를 위한 지원금이 없어지면, 참여자 수의 부
수 프로그램을 온라인 아카데미로 만드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역시나 온라인으로 연수를 하기엔 많은 한계가 있었고
족이나 참여 동기부여 부족으로 전체적인 성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와 달리 정말 진지한 현장의 고민을 가지고 모인
연수 현장 스케치나 연수 성과를 나누는 정도, 맛보기 정도가 가능할 뿐이었다. 이는 아마도 문화예술교육이 가진 특성 때
CoP가 많아지면서 오히려 전체적 학습분위기 조성이나 학습결과의 질도 상당히 높아졌다.
문일 것이다. 지금 시대에 조금은 아날로그적인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에 의해 온전히 몰입된, 타인 혹은 객체와의 ‘관계 맺 음’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줄 수 없는 함께한 따뜻한 경험의 감동과 오랜 기억으로 우리의 태도와 행
사실 본래 CoP는 ‘자발적이고 비공식적인 모임’의 개념이지만, 조직의 전략적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많은 기업
동을 움직이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듯이, 공식적인 CoP 지원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있는 사람들이 모여 혼자 할 때는 볼 수 없 었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다른 모둠의 활동을 함께 공유하면서 전체 참여자들 사이에 진지한 학습의 분위기를 전파하
‘인간은 수많은 경험들을 통해 배운다’는 존듀이의 말처럼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들이
며 자극을 주는 것은 물론, 예술가 협동조합, 예술 단체, 예술 사회적 기업 등의 조직 구성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보면서
함께 모여 3개월 이라는 조금은 긴 시간동안 많은 경험들을 함께 공유할 때에 ‘진정한 배움’이 가능하지 않았을까 생각한
이 CoP의 효과와 성과의 범위가 어디까지일까를 생각하게된다. 물론 동일 조직 내에 있는 구성원들의 CoP가 아니다보니,
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문화예술계에 다소 생소했던 CoP가 이제는 많은 문화예술교육 지원센터, 문화예술 기관 등에서
구성원들을 연결하는 끈이 약해서 지속하기가 굉장히 어렵고, CoP 과정 중에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되는 사이로 관
지역의 실제적 고민을 담아 진행되고 있다. 5년 전, 처음 선생님들과 함께 우왕좌왕하며 시작한 문화예술교육 CoP(아르
계가 악화되어 소멸된 모둠도 종종 있다.
떼 동아리, 학습공동체)를 한발 멀리서 지켜보면서 여전히 놀라는 것은 참여하시는 분들의 대단한 열정과 진지한 고민, 서 로에게 자극되는 노력의 모습들 때문이다.
이렇게 문화예술교육 CoP가 해체되었다가 다른 조합으로 다시 생기기도 하는, 약한 끈으로 연결된 이러한 예술강
사, 문화예술교육 관계자의 지속적인 활동 관계는 핀란드 교육학자 엥게스트롬이 제시한 ‘놋(knot)’의 개념과 비슷하다.
‘놋(knot)’은 임시적인, 일련의 유동적이고 분산된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 모임이라고 한다. 명확한 기한이나 정해진
고 있다. 이러한 유연하면서도 단단한 ‘놋(knot)’과 같은 학습 활동들이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계신 많
종착점이 없는 장기적인 과정인 ‘놋 워킹(knot working)’은 협력하는 사람들 간에 끊임없는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 빠르게
은 분들에게 더욱 확산될 수 있을지 현장의 학습 관계망 관점에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그리고 CoP 지
교류하고 즉흥적으로 실행한다. 마치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있는 많은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활동가, 관계자들이 크고
원을 양적으로 확대하기 앞서 문화예술교육 CoP가 지향하는 것처럼 ‘지속적 학습’이 더욱 다양하게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작은 이슈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모이고 흩어지는 모임이 많아진 지금,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그룹이 아주 큰 실천적
있도록 ‘현장’에 기반 한 실천적 학습의 고민점들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학습관계를 지속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018
하나의 대안적 연수방법으로서 시작한 문화예술교육 CoP와 그 이후의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활동들이 점점 많아지
[참고]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J. LAVE, E. Wenger, 1991) 『일터학습』(장원섭 외, 2012) 『팀의 해체와 놋워킹(From Teams to Knots)』(Engestrom, 2008)
019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2011~15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실천의 기록
2011~15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실천의 기록 01 2011~15년, 모둠 학습의 시작과 연결,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넓고, 깊게 학습하다
되어, ‘모둠학습-학습결과 실행을 위한 사업제안’의 선순환 체계를 위한 토대를 닦을 수 있었습니다. 한편, 2013년 부터는 연수명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라고 명명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연수의 방향과 내용이 담길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권 재 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 주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의 전체 교육 주제는 문화예술교육 현장 중심의 지식형성, 공유, 확산을 위해 매 년 변화해 왔습니다. 2011년과 2012년은 지역문화 CoP, 사회 예술강사 CoP, 아르떼 지식공유 CoP 등 ‘CoP’라고 하는 고유한 명칭을 그대로 연수명으로 사용하여, 전체 학습 주제의 내용적 조언을 줄 수 있는 전문가와 함께 연수 를 진행했고, 모둠별 학습을 돕고자 모둠별 지원금 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법을 고민하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02 2011년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대상 ‘지역문화의 지속가능한 재생’
2011년, ‘지역문화의 지속가능한 재생’을 주제로 진행되었던 CoP 연수는 ‘지역문화아카데미’의 국내외 연수과정을 수료한 연수생들 중 더 학습하고자 하는 희망자들을 위해, 지역문화의 중요성과 이슈에 공감할 수 있도록 진행되었 습니다. 지역문화 인력의 지속적인 자율학습을 유도하고, 연수내용의 현장 접목, 정책 반영 등 결과 도출 후 커뮤니 티를 통한 확산을 목표로 진행된 CoP 연수는 총 3개의 모둠이 4개월 동안 참여하여 다양한 의견 교류 및 학습의 장을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지역문화’ 및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활동가들을 위한 학습을 위한 고민에서 출발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과 한국
이전 연수에서 진행했던 ‘연평오감’ 프로젝트의 구체적 실행을 목표로 하여 CoP를 통해서 각자가 문화예술의 어떤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를 연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졌습니다.
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어떤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했던 모둠도 있었고, 베이비 붐 세대의 문화복지, 청소년 중심 지역문화 활성화 방법도 머리를 맞대고 함께 고민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2011~15 전체 교육 주제의 변화
2011
2012
2013
2014-15
지역문화와 사회문화예술교육, 고민의 출발점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연구, 키워드와 연결하기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아이디어, 하나의 지도에 폭넓게 담기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프로그램, 레시피, 연수 등 구체적으로 정리하기
03 2011년 사회 예술강사 대상 심화연수 ‘분야별/대상별 CoP'
2011년에는 지역문화를 주제로 한 CoP 외에도 사회 예술강사들을 대상으로 한 심화연수가 CoP의 형태로 진행되 기도 했습니다. 기본연수를 수료한 사회 예술강사 간 공동 학습 모임을 자발적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교육 노하우 와 현장 지식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이를 위 해 연수는 ‘분야별 CoP’ 와 ‘대상별 CoP’ 의 두 가지 소주제로 나뉘어서 총 6모둠의 학습활동이 진행 되었습니다. ‘분야별 CoP’ 활동을 통해서는, 연수생들의 교육전문성과 노하우를 모둠학습을 통해 정리하고, 다년간의 교육활동
020
2013년부터는 모둠운영(Process) 전문가와 내용(Contents) 전문가를 분리·지원하여, 연수의 안정적 운영체계를
으로 누적된 교육소스를 서로 공유하고 보완하여, 현장에서 바로 활용가능한 교육콘텐츠를 취합할 수 있도록 유도
마련하였고,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아이디어를 하나의 넓은 지도처럼 참여자들의 머릿 속에 각인될 수 있도록 재구
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각의 다양성을 위한 사물을 보는 5가지의 방법(미술), 연극으로 만나는 창의 프로그램, 스토
성하여 엮어내고자 전체 학습 주제를 제시하였습니다. 이후, 2014~15년은 연수의 전체 주제와 대상을 이원화하거
리 뮤직 중심 아동음악극 제작과 같은 다양한 분야별 교육소스개발서가 제작될 수 있었습니다.
나, 학습 주제를 더욱 구체화하는 등 연수 참여자들의 깊은 학습 및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
또한, ‘대상별 CoP’ 활동에서는 교육 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예술강사만의 대처 노하우를 취합하여 공유하고자 했
니다. 연수의 안정적 운영으로, 연수 이후에도 모둠별 학습 결과를 실제로 수행하는 등 각 모둠별 연구 활동이 지속
습니다. 아동, 노인, 장애인 등 교육대상별로 수업 현장에서 부딪힐 수 있는 상황 및 어려움을 함께 공유하고, 개인
021
to gether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2011~15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실천의 기록
적인 예술강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탐색해보고자 했습니다. 시설보호 아동들의 수업
문화예술교육 활동가의 내면의 아이디어를 이미지로 상상하고, 개념적으로 정리한 뒤, 다른 모둠구성원들과 함께
중 문제행동 사례를 인터뷰로 취합하고, 문제아동을 주의 집중시키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노인과 장애인의 공통
가공하고 통합하여 재정리하기 위한 본 연수과정에는 총 9개의 모둠이 참여하여 함께 시너지를 만들 수 있었습니
적 특성을 중심으로 연극과 무용 중심 융화 프로그램을 연구·정리해 볼 수 있었습니다.
다. 특히 이 시기부터, 전체연수에는 모둠학습의 회의 진행 방법 등을 도울 수 있는 모둠운영(Process) 전문가와 함께 연수를 진행했고, 전체연수 사이사이 모둠별 학습 시에는 내용적 조언을 줄 수 있는 내용(Contents) 전문가
04 2012년 ‘아르떼 지식나무 (knowledge tree)’부터 ‘창의, 소통, 공감’의 키워드 까지
2011년 지역문화와 사회예술강사의 교육활동을 주제로 한 CoP 연수를 시작으로, 2012년에도 상반기, 하반기 두
를 지원하여, 연수의 안정적 운영체계를 마련했습니다.
번의 CoP 연수가 진행되었습니다. 2012년 연수는, 2011년에 처음 시작한 CoP 연수의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본격
또한 이때부터, 연수 이후에도 모둠별 학습 결과를 실제로 수행하는 연구 활동이 모둠별로 활발해졌습니다. 연수에
적인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기반시설 및 문화예술교육 기관의 기획자, 에듀케이터들이 자발적
참여하면서 만난 내용 전문가와의 인연을 계기로, 실제 학습 실행을 준비하는 모둠도 있었고, 2013년 이후에도 지
학습을 통해 보다 실용적 지식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속적 CoP 연수 참여를 통한 모둠학습을 심화하기 위한 참여자의 의지도 엿보였습니다.
특히, 상반기 연수는 ‘아르떼 지식나무(knowledge tree)’를 제작하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문화예술교육 연구와 사업, 현장이 맥락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였습니다. 그 결과, 다문화와 집단지성, 융합과 통 합, 예술강사를 위한 프로그램 및 매뉴얼 개발, 청소년 진로교육, 박물관 교육 등 다양한 현장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자 하는 7개의 모둠별 학습이 진행되었습니다. 학습 과정은 수업 적용 사례 및 모둠별 연구 결과 발표, 인형 제작 및 인형극 시연 등 다양한 형태로 공유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 기반 네트워크 형성의 기반을 닦을 수 있었습니다.
06 2014년 문화예술교육 현장, 학습내용을 실행하면서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기
2014년에는 연수의 주제와 대상을 이원화하여, 문화예술교육 연계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프로그램 기 획·제안이라는 한층 구체적인 두 가지의 교육 주제로 CoP 연수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모둠학습 실행 전후로 결과 정리를 위한 지식공유 네트워크 모임 연수를 2번 마련하여, 이전보다 모둠학습과정을 실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실행해볼 수 있도록 유도하였습니다. 그 결과, 두 가지의 교육 주제에 각각 14모둠과 6모둠, 총 20모둠이 참여하여,
한편, 하반기에는 ‘창의’, ‘소통’, ‘공감’의 키워드를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해볼 수 있도록, 각 키워드별 실행 전략
가장 많고 다양한 모둠학습이 진행될 수 있었고, 연수 이후에도 각 모둠별 활동이 보다 구체화될 수 있었습니다.
및 실천 방법을 연구하고, 고민해 보는 형태의 연수가 진행되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창의성이 강화되고, 함
우선, ‘문화예술교육 연계 감상교육(Cultural Literacy)’을 주제로 진행된 모둠학습에서는 단순히 예술향유자의 입
께 문화예술교육으로 더불어 살아가면서, 세대·계층 간 이해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자, 6모둠이 모였습
장에서 예술작품을 이해하여 즐기고 평가하는 ‘감상’이 아니라, 보다 넓은 의미의 ‘감상’과 문화적 리터러시를 지향
니다. 그 결과, 곰팡이를 소재로 한 융합교육, 아파트 골목 놀이와 노래, 조손간의 소통을 위한 국악 프로그램 등 훨
하는 교육을 제안하고자 했습니다. 참여자들은 성인 대상 감상교육 매뉴얼 제작, 학교 안&밖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
씬 다양한 모둠학습 과정들과 결과물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발, 미디어&통합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감상교육의 대상, 공간, 분야를 고민하고 학습해 나갔습니다. 그 결과, 모둠 학습내용을 다듬어서 진흥원의 다른 부서의 사업에 참여하면서 학습을 실행하는 경우도, 연수에 참여하면서
05 2013년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Content Map), 현장의 아이디어, 폭넓게 담고 마음껏 상상하기 022
2013년에는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Content Map)을 재구성하는 과제 중심의 모둠학습이 진행되었습니다. ‘문화예
만난 내용 전문가와의 인연을 계기로 모둠학습내용을 토대로 사업을 제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협업하는 사
술교육 자원지도(Content Map)'란 학습주제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아이디어를 마치 하나의 넓은 지도처럼 재구조
례도 나타났습니다.
화 하여 엮어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많은 예술강사들은 수요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
모둠학습과정을 실행해보고자 하는 의지는 아르떼강사양성과정 연수 수료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CoP 연수를
로그램 실제 개발 전, 내면의 아이디어를 구조화하는 것이 가장 어렵지만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응답하였습니다.
통해 더 구체적으로 드러났습니다. ‘예술강사 대상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주제로 진행된 모둠학습 결과, 6모둠 중
023
to gether
3모둠의 학습내용이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습분위기 조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 등 연수 프로그 램으로 개발되어 더 많은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과 학습 내용을 나눌 수 있었습니다.
07 2015년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의 숨겨진 노하우, 비공식적 ‘레시피’로 기록하다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2015년에는 교육 주제를 더욱 구체화 하여,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활동을 생생하게 정리하기 위한 기록집인, ‘레시 피’를 기획·제작하는 연수가 진행되었습니다. 레시피 제작과정을 통해 학교 교육현장 연계 무용 가이드 북 제작, 전 래동요를 활용한 실내 놀이 정리, 발달장애아동과 함께하는 연극 놀이 등 프로그램 기획에서부터 수업활동, 상황대 처 등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습니다.
2011~15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실천의 기록
09 교육 흐름
전체연수 2박 3일 오프닝워크숍
모둠학습 약 6회 -
전체연수 1박 2일 중간점검 워크숍
모둠학습 약 6회 -
전체연수 1일 결과공유회
그 결과, 총 10개의 모둠 중 7개의 모둠이 다양한 현장에 놓인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을 위한 노하우를 교육대상 별, 분야별, 노하우별로 제시하여, 각 모둠 주제별 현장 활동의 노하우가 담긴 ‘레시피’를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연 수 운영기간이 2개월로 짧았으나 학교와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과 노하우가 담 긴 7개의 모둠별 결과물이 비교적 구체적으로 도출되어, 이전보다 모둠학습 참여자들의 ‘모둠학습내용↔결과도출 ↔학습실행’의 의지가 한층 강화되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08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개요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
연수대상
1단계 연수내용
●
024
‘모둠학습-학습실행’의 선순환 체계를 위한 더 높은 도약! 2016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는 더욱 더 참여자 중 심의 ‘변화’를 꾀하고자 합니다. CoP 연수에 처음 참여하는 모둠과 기존에 참여해보았던 모둠을 구분하여 연수 내 용을 기획하고, 모둠별 학습 과정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준비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 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참여자 모집 및 학습 모둠 구성 : 모둠 구성 및 운영계획서 작성, 네트워킹
2단계 학습과제 제시 및 모둠 운영 :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필요한 실용적 모둠학습 주제 선정 및 학습 3단계
기대효과
10 2016년 ‘학습 실행 스튜디오’, 모둠과 모둠의 이야기가 현실이 되다
모둠별 결과도출 및 확산 : 새로운 지식 창출 및 공유, 확산, 결과 정리 등
자발적 학습과 건강한 지식공유를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 사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도출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멘토-멘티 간 밀착형 학습공동체’ 지향
025
to gether
전문가 인터뷰
A. 가 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양적 확장입니다.
참여하는 건수가 2011년 9개에서 2012년 13개
무엇인가요?
Q. 퍼 실리테이터로서 향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하고자 하는 분들께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2013년 9개, 2014년 20개, 2015년 10개입 니다. 이는 진흥원 인력 양성 사업 내에서 이
안 등이 중요합니다. 활동가들은 자신의 현장
사업에 대한 위상이 높아진 것을 의미합니다.
흥원 출발 10년을 맞이해 지난 10년을 성찰
에서 다른 이들과 함께 학습할 주제를 찾아야
또한 활동을 지원하는 방법이 체계를 갖게 된
하고 또 다른 도약을 위한 많은 일들이 진행
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라기보다 예술관련 활
합니다. 그 주제는 현장에 따라 참여하고 있
것도 중요 성과입니다.
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은 또 다른 모습으로
동에 직접 참여하기도하고 새로운 주제를 모색하기
는 사업의 특성과 취지에 따라 변합니다. 문
학습의 주제나 구성 방식의 다양성은 참여자
변화하기 위한 혼돈의 시기일 수도 있습니다.
도하며 이를 학습과정으로 구성하고 실행하는 여러
화예술교육 활동가들의 역량 강화나 전문화
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학습 의지
지금까지 활동을 해왔듯 활동가 스스로가 자
활동에 참여하는 학습입니다.
를 목적으로 참여자의 자발성과 주도성을 기
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 할 수 있
신의 역량을 진단하고 다양한 상황 속에서 전
로 한 현장 활동가들의 지식 체험과 콘텐츠 생산에
반으로 하는 CoP는 관련 활동을 지원하기 위
습니다. 교육의 주제와 모둠학습 주제가 확대
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발전
기여하는 학습 공동체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
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문화
되고 있으며 서술방식이 구체화됐으며 단순
하는 과정을 만들어가는 다양한 활동을 지지
예술교육 관련 여러 영역의 전문가 풀을 제공
한 CoP 주제를 넘어 그 깊이가 깊어지고 있
하고 응원합니다.
해 참여자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이슈 해결의
습니다. 또한 과정에서 발견된 우수사례는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CoP 주제
진입하는 인력의 교육과정에 소개되기도 합
와 활동 방법의 다양화를 위해 CoP 운영체
니다.
계의 정교화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참여자들이 확대되고 있는 것도 고무적인 일
A. C oP(community
of Practice)는 실행을 중심으
흥원에서 진행하는 CoP는 참여 활동가의 자발성
026
Q.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활동에서 중요한 핵심은
활동가의 역량, 지원체계와 방
차별성을 가지나요?
경희대학교 교수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전문가 인터뷰
“CoP 활동 지원을 위한 데이터 확보도 중요” Q.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가 기존의 교육(연수)과 어떤
백령
CoP? 실행중심의 지식체험과 콘텐츠 생산의 학습공동체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과 주도성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A. 기 본적으로는
Q. 문 화예술교육과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만남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일까요?
참여 활동가 스스로 현장에서 발견된 주제나 이슈 를 중심으로 학습과정을 설계하고 진행하는 것입니
A. 현 장의
활동가들에게는 스스로의 콘텐츠를 개발하
다. 이들은 주제를 탐구하고 주제에 대해 함께 연구
고 같은 영역의 협력자들과 공유하고 협력하는 기
하는 이들과 협업하고 주제 관련 전문가와 만나 주
회입니다. CoP를 통해 서로에 대해 깊게 알아가는
제 관련 새로운 지식을 넓히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
시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 이슈를 공유하고 해결하
며 자기화 과정을 가지게 됩니다.
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또한 여러 모
이런 과정은 일반적 집체형 강의가 아니라 워크숍,
둠이 모둠별 주제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한
토론, 현장 방문 등 다양한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
이들의 생각의 폭이 확대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구성하는 자율학습입니다.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
이슈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A. 2 015년
문화예술교육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
입니다. 문화예술교육 활동가들은 여름과 겨 울의 기본, 심화 연수 뿐 아니라 학기 중 다른 Q.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의 2011년~2015년 성과를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활동가들과 온라인, 오프라인을 포함한 다양 한 경로로 만나 학습의 주제를 모색하고 이를 과정으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02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주요내용
모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주요 내용
연도
주요내용
14
2011 지역문화 아카데미 프로그램 일환으로 운영 총 3모둠 참여 전체연수 3회, 모둠학습 8-10회(모둠학습금액지원)
분야별 교육소스개발서 제작 대상별 교육활동 Q&A집 제작
29
2011 사회 예술강사 심화 연수의 일환으로 운영 분야별 CoP 3모둠, 대상별 CoP 3모둠 전체연수 3회, 모둠학습 8-10회(모둠학습금액지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추진된 연구 자료 (공개용/콘텐츠개발, 기초연구 중심)를 현장에 적용가능토록 풀어내어 카테고리화 하고, 결과물을 맵핑하여 ‘아르떼 지식나무 (knowledge tree)’ 제작
40
총 7모둠 참여 전체연수 5회, 모둠학습 8-10회(모둠학습금액지원)
문화예술교육을 기반으로 한 ‘창의’, ‘소통’, ‘공감’의 각 키워드별 실행 전략 및 실천 방법 연구
25
총 6모둠 참여 전체연수 4회, 모둠학습 8-10회(모둠학습금액지원)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 (Content Map)’ 만들기
40
총 9모둠 참여 전체연수 3회, 모둠학습 12회
학교, 사회예술강사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24
총 6모둠 참여 전체연수 3회, 모둠학습 12회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문화예술교육 연계 감상교육 프로그램 기획, 설계
57
총 14모둠 참여 전체연수 4회, 모둠학습 17회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문화예술교육 활동가 사례 공유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레시피’ (기록집) 기획·제작
37
총 10모둠 참여 전체연수 3회, 모둠학습 8회
229
총 61모둠 참여
교육주제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 지역 문화자원 발굴·활용, 지역 특성화, 문화공동체 형성 중심
사회 예술 강사
II. 2011~15 모둠:
2013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2012~13 아르떼강사양성 2014 과정 수료자 2011 연평오감 (悟感) 036
●
인생이모작 039
청소년 문화, 푸를청 040 이게 진짜일까? 043 쑥쑥자라라! 창의나무야! 044 하모니 045 감성스위치 온(ON) 046 파랑새 047 애정사 048 CDE 2012(Creative design education) 052 cecece 053 두명만으로도 054 문화와 성장하는 사람들 W 055 사과 양식장 056 자색나래 057 AMEDIA 061 I.O.O.P (객체지향 교육프로그램 개발) 062 국악TA그룹 [알아가다] 063 파이디어 064 화끈한 소통 [화통] 065 2013 5樂 068 8 group art
2012 C.T.(Creative Thinkers) 051
AC 팡팡 (사과양식장 시즌2) 060
●
●
●
●
●
●
●
●
●
●
●
●
●
●
●
●
●
●
●
●
company 069 노름마치(Inter. play. Arts) 070 뫼비우스 071 삼색껌딱지 072 신바람 찰칵찰칵 075 용~쏭! 076 팔보채 079 함께하는 공책 080 2014 아츠로 083 예그 086 카 리스마 087 Art MT 088 A-act 089 A-play 090 감상보감 093 마주 094 문화예술로 비빔 095 사고뭉치 096 상상편집소 피플 097 서강대미디어교육연구회 098 에듀메트로 099 예술로 고고 (古go) 100 자장가 프로젝트 101 콩닥콩닥 오감여행 104 춤추는 부장님 105 케미 106 Salon d’Art (살롱 다트) 109 33㎡(아주 작지만 특별한 시작) 112 2015 Pas de Trois 115 ●
●
●
●
●
●
●
●
아트 - 리딩톤 116
●
전! 통합니다 117
●
●
●
●
●
따로 그리고 또 같이 118
●
●
●
●
●
●
The 신나Go 121
●
●
●
●
●
●
●
우분트지글지글놀이터 122
●
●
●
●
●
스탠 by 미 - 따로 또 같이 123
“지역문화의 지속가능한 재생”
2011
2012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참여 인원
연수대상
●
Nori_Nol.E 126
●
너와 나의 사진 레시피 127
●
2015
합계
시크릿서커스 128
029
to gether
01 2011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모둠별 학습 주제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연수대상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모둠별 학습 주제
교육주제
연번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지역문화의 지속가능한 재생”
1
반공호 힐링 테라피 프로젝트
연평오감팀
2
B.B(Babyboom)세대 문화복지 활성화
인생이모작
3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구조에 대한 연구
청소년 문화, 푸를청(靑)!
1
(미술) 다른 시선으로 사물과 소통하기
이게 진짜일까?
2
(연극) 연극으로 만나는 창의향상 프로그램
쑥쑥자라라! 창의나무야!
3
(음악) 아동음악극 만들기
하모니
4
몸의 대화, 연극·무용 융화프로그램 연구 (노인과 장애인의 공통적 특성 중심)
감성스위치 ON
5
문제아동을 주의 집중시키는 방법 연구 및 방안
파랑새
6
이럴 땐? 요렇게! (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사회문화예술 선배강사)
애정사
지역 문화자원 발굴·활용, 지역 특성화, 문화공동체 형성 중심
분야별 교육소스개발서 제작
사회 예술 강사 대상별 교육활동 Q&A집 제작
02 2012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모둠별 학습 주제
연수대상
교육주제
우리 원에서 추진된 연구자료 (공개용/콘텐츠개발, 기초연구 중심)를 현장에 적용가능토록 풀어내어 카테고리화하고, 결과물을 맵핑하여 ‘아르떼 지식나무 (knowledge tree)’ 제작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문화예술교육을 기반으로 한 ‘창의’, ‘소통’, ‘공감’의 각 키워드별 실행 전략 및 실천 방법 연구
030
연번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1
집단지성을 이용한 상호문화교육 콘텐츠 제작, 운영 매뉴얼
C.T.
2
융합과 통합의 비교, 분석, 분류를 통한 융합교육의 향후방안연구
CDE 2012
3
스스로 성장하는 fun 음악놀이
cecece
4
장애인예술교육을 위한 관찰방법 연구 및 관찰을 통한 상징행동 분석 - 예술강사 역량강화 모델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두명만으로도
5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진로활동중심
문화와 성장하는 사람들 W
6
인간+인형+소통(인간과 인형의 스토리)
사과양식장
7
박물관 교육; 멘토링 시스템
자색나래
1
곰팡이와 함께 하는 융합교육
AC 팡팡
2
미디어 교육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AMEDIA
3
아동, 청소년을 위한 예술 통합목적지향 프로그램 개발
I.O.O.P (객체지향 교육 프로그램 개발)
4
통하면 통하리라 - 조손간의 소통을 돕는 국악
국악TA그룹 [알아가다]
5
아파트 놀이터에서 회복한 우리 골목 놀이와 노래
파이디어
6
지역사회·세대간의 이슈를 선정도서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과 문화예술체험 놀이로 풀기 (초등학교 3~4학년 중심으로)
화끈한 소통 [화통]
031
to gether
03 2013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모둠별 학습 주제
연수대상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교육주제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 (Content Map)’ 만들기
연번
032
2012~13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교육주제
학교, 사회 예술강사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소소한 문화유산 바로 알기’
5樂
2
맛있는 문화예술을 찾아서
8 group art company
3
통합 예술 모델 탐방을 통한 직장인 대상 1박 2일 프로그램 연구 개발
연수대상
교육주제
노름마치
연번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5
Hi! High Touch [전통문화를 통한 교과연계 문화예술교 육 콘텐츠 체험, 개발]
A-act
6
예술강사를 위한 셀프리더쉽 프로그램, 위대한 나의 발견
A-play
1
청소년들의 꿈과 자아를 찾아갈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수업 지도안 및 교육 커리큘럼 및 사진 지도서 제작
감상보감
2
지친 현대인을 위한 미디어 아트 감상 재창작 힐링 프로그램
마주 문화예술로 비빔
4
자연에서 얻은 순환과 반복을 통한 예술체험 놀이
뫼비우스
3
지역 박물관·미술관을 활용한 청소년 자기주도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5
세대공감! 아버지와 문화예술로 소통해요~
삼색껌딱지
4
물 소스북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고뭉치
6
풀뿌리 문화예술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김밥’ 프로젝트
신바람 찰칵찰칵
5
상상편집소 피플
7
초등교급 예술강사 대상 디자인 프로그램 통합교육활용 MAP 제시
예술의 능동적 감흥을 위한 골목길 리터러시 - 청소년 대상 지역, 마을, 골목길 등 일상에 대해 예술적 으로 접근한 융합예술 감상교육 아이디어 모음집 제작
용~쏭! 6
충청지역 초등고학년 대상 문화예술을 활용한 캠프 프로그램 개발
영상 미디어리터러시를 통한 중학생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서강대미디어교육 연구회
팔보채
문화예술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물」 소스북 제작
함께하는 공책
9
연수대상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모둠별 학습 주제
1
8
04 2014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모둠별 학습 주제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연번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1
교과서에 비타민 C 더하기
아츠로
2
교과연계 통합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및 개발워크숍
예그
3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예술놀이 체험 및 콘텐츠 개발
카리스마
4
Art Cocktail - 송 대리, 예술을 흔들다!
Art MT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문화예술교육 연계 감상 교육 프로그램 기획, 설계
7
조형물을 활용한 통합예술 활동 프로그램 개발
에듀메트로
8
동양의 ‘수호신’ 소재 사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예술로 고고(古go)
9
자장가를 모티브로한 미혼모 대상 통합예술프로그램 구성
자장가 프로젝트
10
뉴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움직임 기반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퇴직(예정)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
춤추는 부장님
11
예술가 리터러시를 위한 아트마케팅 매뉴얼 개발 (기업 펀딩을 중심으로)
케미
12
친구 찾기(넌 누구니?) - 애니메이션 감상수업 프로그램개발
콩닥콩닥 오감여행
13
성인을 대상으로 한 공연/ 시각예술 감상가이드북 제작
Salon d’Art (살롱 다트)
14
청소년을 위한 예술작품 감상프로그램 개발
33m2(아주 작지만 특별한 시작)
033
to gether
05 2015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모둠별 학습 주제
연수대상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034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교육주제
문화예술교육 활동가 사례 공유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레시피’ (기록집) 기획·제작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연번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1
학교무용예술강사 대상 학교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수업운용 가이드 제작
Pas de Trois
2
크게 웃고 크게 움직이는 놀이 12가지 -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음악 놀이활동집 제작
아트-리딩톤
3
중등교육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공예 예술강사 대상 전통을 담은 공예 레시피 제작
전! 통합니다
4
아동대상 음악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레시피 개발
따로 그리고 또 같이
●
5
조선시대 엄친아 문종 - 세종부터 문종까지의 업적 과 조선인들의 생활 풍습을 연극적으로 풀어보기
The 신나Go
●
6
발달장애아동들이 뛰놀며 친구되는 신나는 연극놀이
우분트지글지글 놀이터
7
보육원 아동대상 예술교육 이렇게 하세요~ - 프로그램 설계 시 유의사항, 샘플 제시
스탠 by 미 - 따로 또 같이
8
초등 저학년 전래동요를 활용한 실내놀이 10
Nori_Nol.E
9
특수학교 출강 예술강사 대상 인터뷰 형식 레시피 제작
너와 나의 사진 레시피
10
만화로 보는 예술농부의 땀 - 학교 예술강사들이 활동을 하면서 겪는 어려운 점을 만화로 제작하여 공유
시크릿서커스
2011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대상 CoP 운영 보고서
●
●
연수 명
국내연수 수료자 대상 지역문화 CoP(학습공동체)
추진 목적 지역문화 인력의 지속적인 자율학습을 유도하고, 연수내용의 현장 접목, 정책 반영 등 결과 도출 후 커뮤니티를 통한 확산
●
연수 대상
국내연수 수료자 총 3모둠, 14명 참여
●
연수 기간
2011년 8월 ~ 11월(4개월)
연수 주제
지역문화의 지속가능한 재생 - 지역 문화자원 발굴·활용, 지역 특성화, 문화공동체 형성 중심
●
주요 내용 팀원 간, 팀원과 튜터 간 함께 현장 사례 분석, 관련 정보 및 지식 등을 공유하며, 연수내용 피드백 교류 등 지원 방법
⑴ 수료자 대상 희망모둠을 선착순으로 5개 모둠(4~8인 구성)을 모집하여 CoP운영 지원
⑵ CoP 총괄코디네이터, 모둠별 퍼실리테이터, 주제별 멘토 등 학습에 필요한 전문가 및 모둠운영 을 위한 운영비(제본비, 회의식비) 등 일부지원
참여전문가
⑴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⑵ 김정이(한국예술인복지재단 복지사업팀 복지사업팀장)
●
03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01
l 2011
연평오감(悟感)
Interview
모둠 명
연평오감(悟感)
학습 주제
반공호 힐링테라피 프로젝트
학습 목적
문화 예술 공동체 프로젝트 실행을 위한 리서치 및 프로그램 제안
구성원 명단
총 4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백혜미, 김은미, 김영태, 박성우
학습 결과
⑴ CoP 초반에 국내연수에서 결과물로 제출한 연평오감 프로젝트 기획서를 이번 기회에 구체적
●
●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성과보다 서로의 이야기에 귀기울여주는 게 중요하다”
으로 실행해보는 과정으로 생각하여 연평도를 답사하고, 기획서를 일부 수정하여 공모사업에 지원하는 등 구체적인 단계를 거친 점이 CoP 운영의 대부분의 성과입니다.
⑵ 또한, 실행단계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분석하고, 기획서 작성을 위한 CoP를 사양 하고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했습니다.
⑶ CoP를 지속해나가려면, 연평도에 대한 수평적 사고로 시작한 학습보다는 수직적인 학습으로
연평오감(悟感)
백혜미
01 현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
인가요?
각 지역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벽화마을 만들기, 공공미술, 상업벽화제작을 진행하며 지역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고 공유하는 생활문화미술을 만들어 나 가고 있습니다. 지역주민, 아이들, 문화소외계층 등과 함께 문화예술교육도
공공벽화연구소 꺼리
합니다.
접근방법을 달리하여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연평오감은 지난 2011 지역문화전문가 양성과정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연평오감’ 프로젝트의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
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CoP에 참여하기 1년 전, 거창에서 마을미술프로젝트 예술 감독으로 일을 하게 됐습니다. 마을미술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문제들을 조정하고 협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성과 실행을 목표로 추진 및 운영되었습니다.
업하는 과정에서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가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어려움도 많
같은 문화예술 분야에서 일하고 있지만 문화재단, 문화원, 예술 작업, 문화예술교육 등 구성원 각
았습니다. CoP 연수를 통해 참여하는 연수생들과 문제의식과 경험을 나눈
자가 전문적으로 일하는 분야가 다른점이 서로의 부족한 부분들에 대한 상호 협력과 간접 경험의
다면 더 좋은 프로젝트를 만들어 갈 수 있지 않을까하는 마음에 참여하게 됐
축적으로 이어졌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스터디 및 더 확장된 모임 활동 등을 통해 지역 문화
습니다.
예술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일원이 되고자 합니다. 창의/창출
공감/공유
036
0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모둠
지역문화전문가, 활동가, 공무원이 함께해 ‘연평오감’이라는 팀명으로 포격
명과 주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으로 훼손된 연평도에 벽화그리기를 비롯한 지역문화 활동과 정서불안 해소
활동을 하셨나요?
를 위한 예술프로젝트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만들었습니다. 이후 지역 활
037
to gether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동가와 전문가가 함께하며 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을 만나고 현 장을 답사하고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들을 준비했습니다.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활동
연평도라는 특수한 지역성을 상기하며 처음부터 갖고 있었던 마을미술프로젝트
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를 문화예술과 접목시키려는 뚜렷한 목표의식으로 CoP를 진행하다보니 구성원 들 간 진실한 소통이 미흡했습니다. 너무 목표에만 치중한 나머지 각자가 무엇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02
l 2011
인생이모작
원하고 무슨 이야기를 내야 하는지 부족했던 거죠. CoP를 마무리하면서 배운건
모둠 명
인생이모작
학습 주제
B.B(Babyboom)세대 문화복지 활성화
학습 목적
문화예술향유자들의 재능과 헌신의 자산을 사회에 환원하면서 개인의 삶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
●
●
풍요와 나눔을 지속적으로 요구 관철하며 물질적, 지적 수익을 창출하고자 했으며, 현재의 BB세 대의 활동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앞으로 늘어날 미래 BB세대의 참여를 가능케 하는 것입니다. 구성원 명단
총 7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조미란, 김은희, 나명흠, 김효진, 홍지은, 김지식, 전수철
학습 결과
⑴ CoP 초반에 잡은 소외계층이라는 부분이 너무 광범위하여 여러 차례의 모임을 통해 CoP
●
성과를 남기려는 노력보다는 서로의 이야기에 제대로 귀기울여주는 게 중요하다 ●
는 점입니다.
주제를 ‘베이비부머(BB) 세대의 문화복지 활성화’로 최종적으로 잡게 정하게 되었습니다. 0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후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셨나요?
연평오감팀은 CoP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다른 프로젝트를 실현하기 위해 노
잘 된 점이었으나, 프리젠테이션 시 내용 전달 및 공유에 있어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력했습니다. 각자의 기획력, 실행력 등 장점을 절충해 제천에서 생활문화공동체 사업과,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군부대와 교도소에서 범부처 사업도 함께 진행했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습니다. 처음에는 학습공동체로 만나 인간적인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개인
처음 시작할 때 우왕좌왕 했으나 각자 다른 분야의 지역전문가들이 내놓은 아이디어가 하나의 생
의 발전 뿐만 아니라 구성원 모두가 성장하고 도움을 주는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
각으로 모일 때는 감동까지 밀려왔습니다. 특히 멘토 선생님들의 조언으로 주제 선정과 심도 깊
다고 생각합니다.
은 연구, 문제점 발견, 대안 제시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06 향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모두가 현장에서 열심히 뛰고 있는 활동가다 보니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아이디
참여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어를 함께 하며 실질적인 도움이 컸습니다. 연평오감팀 활동이 동료애를 느끼며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지금까지 함께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끈끈한 지속성의 기반이 된 것 같습니다. 서로가 더 많은 발전가능성을 발견하고 성장하고자 노력한다면 일과 관계에 터 닝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038
⑵ 각 팀원들이 공통적으로 고민할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소재와 주제를 정해 학습한 것이 가장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039
0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1
청소년 문화, 푸를청
2011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대상 CoP 현장
모둠 명
청소년 문화, 푸를청
학습 주제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구조에 대한 연구
학습 목적
청소년 문화를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을 통해 누구나 행복해지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는 일상을 만들어 보려는 지역사회 구조 형성방법론을 모으기 위해 CoP를 운영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3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이훈희, 이주연, 김경섭
학습 결과
⑴ 모둠의 구성원들이 직접 경험한 지역에서의 사례를 통해 귀납적 방식으로 접근한 점은 잘된
●
●
점이며, 그것을 실천하는 데 있어 보다 현실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
⑵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의 진정성 있는 가치를 위해 지역사회의 모든 기관과 학교 구성원이 총체 적으로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시점임을 공감했습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각 지역의 박물관을 답사하여 기존의 박물관에 대한 고정관념을 일신하고 주변인들의 의견에도 귀 기울이며 박물관의 개념 정립에 기초했습니다.
두 달이라는 시간을 통해 박물관과 청소년 기관 등 지역사회의 문화기반시설과 연계할 학교의 상황을 돌아보면서 보수성과 일회성, 폐쇄성 등 각 기관들이 가진 문제점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계기를 통해 문제해결 방법으로 처음에는 청소년 중심의 지역문화 활성화를 모색했으나, 주제의 폭이 넓어지면서 지역사회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더
학습/탐구
불어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이라는 모토 아래 유네스코 한국 위원회에서 국가차원의 프로젝트를 구하고 있음을 알게 된 것은 매우 큰 성과였습니다. 각 기관을 중심으로 지역문화 활성화에 대한
창의/창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공감/공유
040
041
to gether
2011 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CoP 운영보고서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
연수 명
2011 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CoP
●
추진 목적
⑴ 기본연수 수료강사의 보다 진화·발전된 예술교육활동을 위한 재교육 및 강사 간 정보 공유의 장 마련 필요성 제기
⑵ 더불어 수료강사의 교육 노하우를 집적(集積)하여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교보재로 제작, 기본 연수를 통해 배포함으로써 기본연수와의 선순환 체계 확보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04
l 2011
이게 진짜일까?
모둠 명
이게 진짜일까?
학습 주제
미술) 다른 시선으로 사물과 소통하기
학습 목적
‘진실-진짜’의의 문제를 먼저 미술과 깊은 연관이 있는 시각에서 다루어 보기 위해
구성원 명단
총 6명(미술분야 사회 예술강사)/ 유원경, 김민아, 이문향, 이수현, 이영경, 김효진
학습 결과
시각의 다양성을 위한 사물을 보는 방법 다섯 가지를 제시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
●
●
●
●
연수 대상
2011년 선발·활동 중인 사회예술강사 중 기본연수 14시수 수료자(총 6모둠, 29명 참여)
●
연수 기간
2011년 9월 25일 ~ 10월 30일(약 1개월 간)
●
연수 사수
총 72시수/ 2개 코스(각 18시수) 2회씩
●
연수 주제
⑴ 분야별 교육소스개발서 제작
⑵ 대상별 교육활동 Q&A집 제작
추진 방향
⑴ 내용 전달식 강의 형태가 아닌 학습공동체(CoP) 지원 방식으로 구성하여 학습자 중심의 연수 지향
⑵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주제, 사례를 함께 토론, 논의할 수 있는 기회 마련
⑶ 현장 활용성이 큰 연수 결과물을 스스로 제작함으로써 발전적인 교육활동촉진
주신 강신주 선생님께서는 예술강사들의 자기스타일 찾기의 중요성을 강조하셨습니다. 또한 구
기대 효과
⑴ 개발된 “분야별 교육소스 개발서(가칭)” 및 “대상별 교육활동 Q&A집(가칭)”을 기본연수 자료 집에 수록, 배포하여, 교육활동 시 실질적인 도움 제공
성원들이 짧은 시간에도 불구하고 진지한 토의를 해주었고, 자료들을 수집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
●
●
⑵ 참여한 우수 강사 중심으로 기본연수에서 관련 강의(‘교육소스 개발서 활용의 실제’ 등)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수강사 역량 개발
●
세 가지를 소개합니다. 그리고 강사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예술교육과 예술강 사의 역할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기술했습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두 달 정도의 짧은 기간 안에 정리하다 보니 여러 부분에서 아직 미흡한 점이 많았으나 이번 활동 을 계기로 예술 강사로서 자신이 가야할 길에 대해 조금은 깊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귀중한 시 간이 되었습니다.
퍼실리테이터 김정이 교수님께 많은 정보와 폭넓은 의견을 들을 수 있었으며, 전문가 강의를 해
었습니다. CoP 활동은 처음이었지만 혼자서 고민하던 문제들을 함께 풀어나갈 수 있고 미흡하게 나마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매우 만족합니다. 또한, 인터넷에서 공유를 통한 정보의 교환 학습/탐구
⑶ 기본연수와 심화연수 간 교육콘텐츠 및 인적 자원의 선순환
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연결되어 많은 시너지 효과를 낳았습니다. 앞으로 다른 CoP와의 정보의 교환도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과 이런 활동들이 계속될 수 있다면 예술강사들이 더욱 많이 성장
창의/창출
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 같습니다.
공감/공유
042
043
0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1
쑥쑥자라라! 창의나무야!
모둠 명
쑥쑥자라라! 창의나무야!
학습 주제
연극) 연극으로 만나는 창의향상 프로그램
학습 목적
오랜 기간 예술강사로 활동한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강사 개개인이 알고 있는 프로그램을 서로
●
●
●
공유하며 정보를 나누면서 팀원 간의 강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강사간의 소통과 교류를 통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교육 프로그램을 확장, 개발하여 수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발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06
l 2011
하모니
시키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5명(연극분야 사회예술강사)/ 김해정, 김미향, 이나경, 김민나, 전상필
학습 결과
⑴ ‘예술 활동을 통해서 창의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창의적이다.’를 모토로 창의
●
●
하모니
학습 주제
음악) 아동음악극 만들기
학습 목적
음악의 창작 분야에 접근하기 어려운 아동을 대상으로 아이들의 생각을 이야기 형식으로 이끌어
●
●
낼 수 있는 다양한 음악 창작활동 방법과 사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음악분야 사회 예술강사)/ 이은경, 강석순, 장예화, 함주현
학습 결과
스토리뮤직은 이야기나 음악의 특정부분 또는 하나의 시점을 가지고 음악이나 이야기를 만들어
●
●
보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작품의 완성도보다 아이들의 스스로 참여한다는 것을 중시하였 습니다. 이후에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스토리뮤직의 또 하나의
성을 끌어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상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결론입니다.
모둠 명
●
의의입니다. 스토리뮤직은 이야기나 음악의 특정부분 또는 하나의 시점을 가지고 음악이나 이야 기를 만들어보는 것이므로 창작 재료의 범위가 넓고 아동 스스로 참여를 바탕으로 하므로 아이들
⑵ 특히, 시설 아동들에게 창의적 사고능력을 열어주어 좀 더 건강하고 성숙한 삶을 살아갈 수 있
의 성취감과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도록 도와주는데 필요한 ‘창의성을 잘 발현시킬 수 있는 연극교육프로그램개발’을 목표로합니 다. 이점은 노인에게도 해당이 되며 대상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⑴ 심화교육과정을 통하여 함께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점은 좋으나 앞으로 방학기간 중에 연수가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⑵ 회의진행에 따른 예산을 확대하여 강사들이 연구에 집중할 시간에 장소나 담당자 섭외 등의 불필요한 노력 없이 본 연구에 집중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⑶ 연구개발에 대한 같은 목표를 갖고 있는 강사들 간의 팀원구성도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⑷ CoP회의를 진행한 후 작성되는 회의록에 대한 담당자의 피드백이 없었습니다. 특히, 카페
학습/탐구
창의/창출
활용이 단순히 회의록을 올리는 수단이 아닌 담당자와의 소통의 장으로! 공감/공유
044
⑸ 전문가나 퍼실리테이터와 함께하는 시간을 더 늘려 다양한 피드백을 받기를 희망합니다.
공감/공유
045
0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1
감성스위치 온(ON)
모둠 명
감성스위치 온(ON)
학습 주제
구분하지 말아요! 함께 갈까요!
●
●
학습 목적
●
- 몸의 대화, 연극·무용 융화프로그램 연구 (노인과 장애인의 공통적 특성중심)
본 연구는 새로운 접근방법의 교안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교안 개발에 초점을 두기보다 교안의 구성내용에 초점을 두고 각각의 활동이 실질적으로 수업에 적용될 때 필요한 사항들을 교사활용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08
l 2011
파랑새
Tip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예술강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 기위함입니다.
모둠 명
파랑새
학습 주제
문제 아동을 주의 집중시키는 방법 연구 및 방안
학습 목적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 수업시 발생하는 아동들의 여러가지 행동들을 이해하고 더 즐겁고 행복
●
●
●
한 수업을 진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을 연구목적으로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아동대상 사회예술강사)/ 박점숙, 김은선, 이현섭, 남정은
학습 결과
⑴ 아이들의 문제행동을 문제행동으로 바라보지 말고 긍정적인 관점에서 그들의 행동을 바라봐
●
●
주고 그 문제행동 속에서의 장점을 찾아내려는 노력을 시도한 것만 해도 큰 성과라 생각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6명(노인, 장애 대상 사회 예술강사)/ 김선희, 장태환, 김은영, 정경림, 권혜영, 박은혜
학습 결과
경험적 현장성을 담아 그것을 토대로 연구한 사례중심의 교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본
들이 아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꾸고 그것을 통해 각자의 예술적 방법을 살려 아이들에게
연구는 새로운 접근 방법의 교안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교안 개발에 초점을 두기보다 교안의 구
풀어내는 장을 만들어주는 것이 예술강사의 몫인 것 같습니다.
●
●
⑵ 비록 긍정적 시선으로 재해석 한 것들이 다 맞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시도를 통해 예술강사
성내용에 초점을 두고 각각의 활동이 실질적으로 수업에 적용될 때 필요한 사항들을 교사활용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Tip으로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은 예술강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에 본 연구가 다양한 대상들을 만나고 있는 예술강사들에게 대안이
연구를 위해 관련된 여러 조사를 하고 CoP구성원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배우면서 교육 현장의 예술강사 선생님들이 느끼는 것이 모두 비슷하고 공통된 것들이라는 것에 서로 공감하고 또한 교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육 장르의 종류를 떠나 교육에 반응하는 우리 아이들의 공통된 모습에 놀라기도 했습니다. 특히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초보 예술강사가 교육 현장에서 처음 접할 수 있는 아동들의 특성을 사전에 미리 이해하고 조금
감성스위치 온 그 속의 나는 나약했지만 특별한 인간관계와 기관의 사회 제도의 통합과 소통, 개인 간의 동일성에 관한 인식을 통해 자신감이 생기고 창의성이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이번 연구는 성공적인 연구라고 자평합니다. 학습/탐구
적응력이 새로운 시대에 도약하는 예술교육과 관련된 의식의 확립에 재정비 되는 개인의 역량강 창의/창출
화에 한 과정이 될 것이며, 나눔의 정신을 국가로부터 받은 혜택을 돌려주는 것이 아니라 이것 자
창의/창출
체가 나 자신을 위한 의무라 생각합니다. 공감/공유
046
공감/공유
047
0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1
애정사
2011 사회 예술강사 심화연수 CoP 현장
모둠 명
애정사
학습 주제
이럴 땐? 요렇게!(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사회문화예술 선배강사)
구성원 명단
총 4명(국악분야 사회예술강사)/ 박지영, 박종현, 최현주, 임상래
●
학습 결과
⑴ 시설보호아동들의 수업 중 문제행동 사례 인터뷰 취합 및 정리
⑵ 시설보호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⑶ 시설보호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른 올바른 접근 방법 연구
⑷ 연구 과정에 대한 컨설팅 및 카테고리 정리 및 관계도 완성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이번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애정사가 겪은 과정들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었습니다. 의견 도 출의 방법, 전문가를 모시는 방법, 결과물을 제작하는 방향 등 모든 단계마다 발상의 전환을 경험 했기 때문입니다. 애정사는 이제 작은 씨앗을 심었다고 생각합니다. 시설 아동을 이해하는 데 있 어 가장 기초적이라 할 수 있는 심리를 공부했으므로 이제는 이를 바탕으로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애정사가 그려갈 그림은 사회문화예술교육을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날을 위해 애정사는 쉬지 않고 노력할 것입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048
049
to gether
2012 상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운영보고서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
연수 명
2012 상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
추진 목적
⑴ 문화예술교육 연구와 사업, 현장이 맥락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학문적 접근보다 현장을 기반으로 한 실용적 지식 공유
⑵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교육기획자, 예술강사 대상 자발적 학습 유도 및 커뮤니티를 통한 네트 워크 형성 도모
●
연수 대상
문화기반시설 및 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기획자(총 7모둠, 40명 참여)
●
연수 기간
2012년 6월 말 ~ 9월 말(약 3개월)
●
연수 주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추진된 연구자료(공개용/콘텐츠 개발, 기초연구 중심)를 현장에 적용가능토록 풀어내어 카테고리화하고, 결과물을 맵핑하여 ‘아르떼 지식나무(knowledge tree)’ 제작
●
주요 내용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10
l 2012
C.T.
⑵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교육기획자 간 자발적인 학습 및 유대를 기반으로 철저한 현장 중심의 학습활동 지원
●
지원 방법
참여자 모집(모둠 혹은 개별 신청) 및 서류 심사 후 CoP 7팀 재구성
●
참여전문가
⑴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⑵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소장)
⑶ 이수정(ASK 컨설팅 대표)
⑷ 김영록(융합형 인재개발연구소장)
⑸ 김현수(관동대학교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교수, 대안학교 ‘성장학교 별’ 교장)
C.T.(Creative Thinkers)
학습 주제
집단지성을 이용한 상호문화교육 콘텐츠 제작, 운영 매뉴얼
학습 목적
집단지성을 이용해 기존의 다문화 교육 콘텐츠를 만드는 연구 모임(CT)의 철학적 배경을 ‘상호
●
●
문화교육’이라는 이론을 바탕으로 두텁게 하고, 참여자와 교육 수혜자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Creative Thinkers)
워크샵 과정으로 매뉴얼화 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민지은(모둠장), 이세라, 이기원, 윤피어난
●
자문회의
총 2명, 2회 진행
⑴ 정영근(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⑵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 소장)
●
⑴ 형식적 학습모임을 지양하고, CoP 운영 지원에 필요한 모둠별 퍼실리테이터, 주제별 멘토 등 을 상시 지원하는 학습자 중심의 ‘멘토 - 멘티 간 밀착형 학습공동체’ 연수
모둠 명
●
학습 결과
●
‘다문화’와 ‘창의력’ 관련 연구내용의 실제 적용 사례 발표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여러 사업과 다른 프로젝트도 병행해야 했기 때문에 이번 CoP전 과정을 붙잡고 나가는 것이 쉽 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팀원들과 협력하면서 서로의 역할을 분담해가는 과정 또한 만만치 않았 습니다. 그러나 나름대로의 의미를 찾으며 잘 마무리했다고 생각합니다.
학습/탐구
처음에 목표했던 것은 매뉴얼을 완성해 책으로 내는 것이었기에 그 목표를 이루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CoP는 그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묻고, 되짚고, 정체성을 발견해나가는 과정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공식적 활동은 마무리 되었지만 이번 활동을 통
창의/창출
해 배우고 느낀점을 토대로 앞으로 매뉴얼 작업을 완성해 나갈 계획이어서 우리의 CoP는 계속 진행형입니다.
공감/공유
050
051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11
l 2012
CDE 2012
모둠 명
CDE 2012(Creative design education)
학습 주제
디자인분야에서 융합과 통합의 비교, 분석, 분류를 통한 융합교육의 향후방안 연구
학습 목적
통합교육과 융합교육의 개념 및 공통점과 차이점 탐구, 통합과 융합 재정립,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
●
●
의 융합교육 분석, 교과활동과 연계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비교 분석 및 향후 융합교육 방안 모색
(Creative design education) 구성원 명단
총 5명(디자인분야 학교 예술강사)/ 김윤정(모둠장), 이효광, 이지은, 임향재, 최양희
●
자문회의
총 4명, 4회 진행
⑴ 김영록(융합형 인재개발연구소장)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12
l 2012
cecece
모둠 명
cecece
학습 주제
music play book(스스로 성장하는 fun 음악놀이)
●
학습 목적
⑴ 아동복지시설 음악 수업을 위한 뮤직 플레이북 연구 개발
⑵ 스스로 지속적 성장 가능한 음악교육 놀이 방법 연구 및 놀이를 통한 음악적 문제 해결방법을
●
●
제시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아동음악분야 사회 예술강사)/ 김민정(모둠장), 이현섭, 김수진, 장예화
●
자문회의
총 3명, 4회 진행
⑵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⑴ ⑵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⑶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⑶ 현경실(한국음악교육학회 회장, 성신여대 교수) ⑷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⑷ 최유미(이화여자대학교 영상디자인학과 교수)
●
학습 결과
●
학습 결과
●
통합과 융합을 나누는 마스터키는 없으며 “디자인이 융합이다“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됨.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통합’, ‘융합’, ‘융합교육’ 개념을 ‘디자인’ 교육으로 구체화 가능함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까지 전개되었고, 최종적으로 디자인 분야에서의 융합과 통합을 정의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 것으로 팀의 의견이 일치하였습니다. 하지만 처음에 의도했던 융합교육의 향후 방안 연구에까지
알았습니다. 그래서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시작한 우리의 작은 노력들이 아이들과 예술강사들에
052
정입니다.
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는 이르지 못하여 아쉬움이 남았고, 향후 ‘디자인 분야의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를 좀더 진행할 예 공감/공유
처음엔 각자가 가진 교안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의견을 모았으나, 지난 2개월 치열하게 고민하고, 우리가 생각했던 information 이 또 하나의 익스포메이션(exformation) 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구하기로 했습니다. 그 실행방법의 중심에는 전문가들의 미팅이 주가 되어 의견을 수렴·정리하는 창의/창출
부서지고, 다듬어지는 과정을 겪으며, 정말 필요한 자료는 양이 아니라 질이라는 것을 깨달으며
CoP 시작 초기에는 융합교안을 만들어보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했습니다. 그러나 퍼실리테이터의 조언으로 그 방향이 수정되어 융합과 통합의 비교, 분석, 분류를 통한 융합교육의 향후 방안 연구
학습/탐구
‘뮤직플레이북’ 매뉴얼 북을 활용한 수업 적용 사례 발표, 아카펠라 시연
공감/공유
<성과와 범위> ⑴ 수많은 음악교안들의 활용도가 낮은 이유를 자료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
⑵ 사회문화 예술강사들의 현실적 상황을 이해하게 되었다. - 배타적 지적 재산권자
⑶ 뮤직 플레이북을 완성하기 위하여 예술강사들이 함께 연구할 수 있는 인터넷 카페 플랫폼(뮤직 플레이 랩)을 구축하고 있다.
053
1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2
두명만으로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모둠 명
두명만으로도
학습 주제
장애인예술교육을 위한 관찰방법 연구 및 관찰을 통한 상징행동 분석
●
●
- 예술강사 역량강화 모델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 목적
●
⑴ 장애예술교육 시 첫 단추를 끼우는 관찰을 정밀하고 세밀하게 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장애대 상의 발달 상태와 상징행동을 분석하여 알맞은 교수안 수립을 위한 발판을 다지는 연구로 예 술교육을 받는 장애인과 장애예술교육을 진행하는 예술교육가들의 예술적, 교육적 이해를 돕 고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장을 돕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⑵ 본 연구물은 소책자로 만들어져 예술교육가와 예술교육기관 또 장애교육 및 복지시설에 제공 하여 예술교육과 장애예술교육 간에 상호 성장과 교류를 모색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14
l 2012
문화와 성장하는 사람들 W
할 예정입니다. 구성원 명단
총 5명(문화예술교육 강사, 기획자)/ 정진영(모둠장), 홍성준, 홍선영, 김영록, 민선해
●
자문회의
총 3명, 3회 진행
⑴ 김연옥(특수교육 교수)
⑶ 류건희(홍보전문가)
●
학습 결과
●
모둠 명
문화와 성장하는 사람들 W
학습 주제
학부모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 Let’s Reset
●
●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진로활동중심 학습 목적
●
진로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6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강사)/ 남수경(모둠장), 윤영애, 오미정, 곽혜신, 전경아, 임미정
자문회의
총 6명, 6회 진행
●
●
⑴ 전아름(문화벤처 CEO 대표)
⑵ 방혜진(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⑶ 김송이(덕이중학교 교장)
⑷ 김종휘(하자센터 센터장)
⑸ 송인수(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
⑹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학습 결과
●
사회, 다양성, 해석, 인식, 유망한 사람 등 7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여 발표했습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장애인 예술강사 대상 매뉴얼 북 연구 과정 발표, 관찰일지 작성 시연
창의/창출
공감/공유
05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진학에 국한 된 진로가 아니라 가능성과 다양한 길이 보이는 진정한 진로에 대한 조언과 지지를 보내는 성숙한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소통, 트렌드, 미래
⑵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학습/탐구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진로설계를 하기 위한 학부모의 올바른 진로 인식에 대하여 연구하고
⑴ 팀티칭 시 관찰 및 관찰 기록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발견했습니다.
⑵ 장애전문가 + 예술교육가의 능동적인 상호작용과 발전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⑶ 예술교육가를 위한 효과적인 장애인식교육 방법의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⑷ 타 CoP와의 교류의 장점 - 예술강사들의 장애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 확장
⑸ 장애예술교육 연구에 대한 공의성을 재고하게 되었습니다.
학습/탐구
‘유망한 직업보다 유망한 사람이 되는 시대’임을 인식하며, 진학에 국한 된 진로가 아니라 가능성 과 다양한 길이 보이는 진정한 진로에 대한 조언과 지지를 보내는 성숙한 학부모를 위한 진로교 육의 필요성을 제시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소통, 트렌드, 미래사회, 다양성, 해석, 인식, 유망한 사
창의/창출
람 등 7가지 키워드를 해결점으로 찾았고, 그 과정에서 진로교육과 관련된 문헌자료 및 미디어 자료 조사, 학생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학부모 심층 개별 인터뷰와 설문조사, 전문가
공감/공유
멘토의 심도 있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이번 CoP활동은 협업의 즐거움과 라포의 중요성, 유망 한 사람의 정의, 진로의 재인식 등 공부하는 방법을 학습한 유의미한 시간이었습니다.
055
1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2
사과 양식장
16
모둠 명
사과 양식장
학습 주제
인간+인형+소통
학습 목적
인간과 인형의 스토리를 연구하고 인형을 매개로 한 초등 저학년 대상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
●
●
●
그램(인형제작 및 인형극 체험) 아이디어 제시 구성원 명단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총 10명(학교 예술강사 등)/
l 2012
자색나래
모둠 명
자색나래
학습 주제
박물관 교육과 멘토링(Mentoring in Museum)
학습 목적
향후 박물관에서 멘토로 활동하고자 하는 지원자, 멘토링 시스템을 박물관 교육에 도입하고자
●
●
●
하는 박물관 교육 담당자, 박물관의 멘토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반인들이 이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호중훈(모둠장), 이정훈, 곽지영, 김현영, 박미정, 박운용, 임혜진, 조은영, 장경희, 이환표
●
김지현(모둠장), 양슬기, 양태영, 유희정, 황경희, 황진하
●
총 3명, 3회 진행
⑴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
총 3명, 4회 진행
⑵ 장근영(심리학 오딧세이 저자)
⑴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⑶ 최유미(이화여자대학교 영상디자인학과 교수)
⑷ 김미경(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
자문회의
학습 결과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자문회의
학습 결과
‘자아’ 투사 인형을 제작하여 인형극 시연 및 융합교육 아이디어 발표
●
●
●
인형을 중심으로 한 예술중심 융합 프로그램 아이디어! 처음 인형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작했던 우리들의 연구여행은 아기곰에게 딸기를 주려고 안개 았습니다.
학습/탐구
056
지식공유CoP는 아이들과 행복한 예술교실을 만들어 갈 수 있는 희망과 용기를 준 의미있는 시간 으로 남을 것입니다.
함께 ‘소통’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의 집합에서 하나의 지도 결과물들이 생성되고 재미와 동기가 발생하고 협업이 일어나는, 혼자라면 불가능했을 결과물이 탄생하는 과정. 이것이 ‘지식 체험과 생산의 본산지’라는 CoP의 전 과정이었습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자색나래에게 CoP란 통섭(通涉, interdiscipline)입니다. 그리고 물질적인 이득 없이 지식의 체 험, 지식의 도전, 그리고 일어난 지식의 확장과 확산. 팀의 논의가 하나로 수렴되는 과정은 정해진 답을 찾는 일 보다 중요했습니다. 우리는 거기에서 논의와 협의 그리고 소통의 필요성을 알았고,
강사로 살아가는 서로에 대해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나가 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에게 아르떼 공감/공유
를 머릿속에 그려 나간다는 것, 그런 협의를 통한 지식의 공유가 일어나고, 거기에서 새로운 지적
카톡과 온라인 카페에서, 수원과 춘천의 인형극제에서, 초청연구모임과 주제토론모임에서 우리는 인형을 통해 인간을 보았고 융합예술교육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예술
⑵ ⑶ 전태일(명지대학교 교수)
‘박물관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위한 연구 과정 발표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속 가득한 숲속을 두려움과 설레임으로 건너가는 ‘유리 놀슈테인’의 애니메이션 속의 고슴도치 같
창의/창출
총 6명(사회 예술강사, 국립중앙박물관 대학생 멘토)/
공감/공유
스스로의 해답과 세상의 지혜를 찾아갔습니다. 자색나래의 통섭의 과정은 눈으로 보면 작은 결과 지만 실로 거대한 시작을 의미합니다.
057
to gether
2012 상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현장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012 하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운영보고서
●
연수 명
●
추진 목적 참여자 간 자발적 학습공동체 구성을 통한 실용적 지식 공유 및 네트워크 형성 도모
학습자 중심의 ‘멘토-멘티 간 밀착형 학습공동체’ 연수 지향 연수 대상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기획자 등(총 6모둠, 25명 참여)
●
연수 기간
2012년 10월 ~ 12월(약 3개월)
●
연수 주제 문화예술교육을 기반으로 한 ‘창의’, ‘소통’, ‘공감’의 각 키워드별 실행 전략 및 실천 방법 연구
●
지원 방법
참여자 모집(모둠 혹은 개별 신청) 및 서류심사 후 CoP 6팀 재구성
참여전문가
⑴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⑵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⑶ 조에스더(L 컴퍼니 대표)
⑷ 강윤정(the play company 대표)
⑸ 조주연(시민문화네트워크 티팟 대표)
⑹ 전유라(공공미술 프리즘 사무국장)
⑺ 최윤철(부산 금성초등학교 교사)
●
●
058
2012 하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059
1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2
AC 팡팡 (사과양식장 시즌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18
모둠 명
AC 팡팡(사과양식장 시즌2)
학습 주제
곰팡이와 함께 하는 융합교육
학습 목적
발효문화를 생산하는 곰팡이의 활동과 특징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연구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
●
●
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및 제작하고자 합니다.
l 2012
AMEDIA
모둠 명
AMEDIA
학습 주제
미디어 교육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학습 목적
10대들의 미디어 문화를 흥미로만 그치지 않고 교육적 측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
●
●
고민을 통해 문화예술교육과의 소통 지점을 마련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학교예술강사)/ 호중훈(모둠장), 박운용, 임혜진, 조은영
●
●
자문회의
총 3명, 3회 진행
⑴ 정동효(‘생활속의 곰팡이’ 저자)
⑶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
연수 결과물 및 활용 계획
●
⑵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⑴ 융합교육을 위한 곰팡이 탐구북 - 제작
⑵ 모둠별 그래픽 레코딩 제작
⑶ 지역 발효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 기획
총 5명(학교, 사회예술강사)/ 김효진(모둠장), 이영경, 김진영, 고광현, 차용호
●
자문회의
총 4명, 4회 진행
⑴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⑵ 정철(웹툰 작가)
⑶ 강원래(OO은 대학 연구소 제 1소장)
●
활동 내용
●
활동 내용
●
곰팡이와 발효에 대한 개념 토의 → 음식과 곰팡이에 대한 관련성 토의 후 체험 활동(발효그릇 만 들기) → 중간보고 위한 사전모임 진행
주요 피드백
●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060
주요 피드백
●
⑴ 1차 워크숍 과정에서 문제를 풀어나가는 노력 및 ‘곰팡이’ 라는 소재 자체가 매우 ‘창의적’ 이 라고 생각합니다. 은근하게 전달 가능한 비유법, 도식화의 전달 과정이 필요하며, 마지막 활동 계획 및 마무리 정리를 잘했으면 합니다.
⑵ 2차 워크숍 ‘곰팡이’ 라는 소재를 예술교육으로 어떻게 풀어낼지 궁금하며, 책자 정리 시 교육 목적 및 실용적 사례를 분명히 명시했으면 합니다. 더불어 예술교육 뿐 아니라 생태 교육적 관점으로도 확장시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⑷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연수 결과물 및 활용 계획
구성원 명단
미디어 문화예술교육 분석자료 연구 완성, 수업 활용 및 많은 사람과 공유예정입니다. ⑴ 활동 과정 주제 탐구 → 자료조사 → 전문가 회의(2회) 진행
⑵ 모둠별 전문가 회의 진행 여부 안이영노 대표와 정철 작가와 전문가 회의 진행(게임 문화놀이를 통 한 소통과 공감 방법 논의, 미디어로 청소년을 만나는 방법 토론 등) ⑴ 1차 워크숍 모둠별 연구 내용을 그래픽 레코딩 등 시각 모형화를 통해 잘 정리하면 향후 다른 사람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규칙’, ‘자율’, ‘다양성’이라는 키워드는
학습/탐구
모둠별 연구주제와 잘 맞는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예술교육이 필요한 청소 년 및 예비 성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주제를 심도 깊게 고민해보면 더 좋겠습니다.
창의/창출
⑵ 2차 워크숍 ‘그래픽 레코딩’ 등의 기법을 더 활용하여, 모둠 내 미디어교육 시연 결과 및 시사 점을 구체적인 이야기로 전달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 청소년들이 미
공감/공유
디어로 어떻게 변했다’라는 공통의 지표가 도출되길 바랍니다.
061
1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2
I.O.O.P
(객체지향 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둠 명
I.O.O.P(객체지향 교육프로그램 개발)
학습 주제
아동, 청소년을 위한 예술 통합목적지향 프로그램 개발 등에 목적이 있습니다.
학습 목적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강화, 너와 내가 문화예술교육과 더불어 사는 방법, 문화예술을 통한
●
●
●
세대 계층 간 갈등 해소 및 공감대 형성 제시를 위하여 객체지향프로그램 개발 구성원 명단
●
총 4명(학교, 사회예술강사)/ 박덕하(모둠장), 김춘숙, 송민숙, 이혜진
●
총 4명, 4회 진행
⑴ 김이삭(헬로우 뮤지엄 관장)
⑵ 김소영(대전대보건스포츠대학원 교수)
⑶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⑷ 허현주(중부대학교 사진학과 교수)
자문회의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0
l 2012
국악TA그룹 [알아가다]
모둠 명
국악TA그룹 [알아가다]
학습 주제
통하면 통하리라(조손 간의 소통을 돕는 국악)
학습 목적
국악의 시대성을 살릴 수 있는 조손 간의 소통 국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학교 예술강사)/ 최현주(모둠장), 이경아, 유매희, 김혜림
●
자문회의
총 2명, 3회 진행
⑴ ⑵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⑶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
●
●
●
연수 결과물 및 활용 계획
●
연수 결과물 및 활용 계획
⑴ 연수 결과물 조손 간의 소통 체험 프로그램, 프로그램 용 PPT 또는 프레지 파일
⑵ 활동 계획 교육 프로그램 공개 워크숍 및 체험 프로그램 실행
●
활동 내용
●
현장에서 겪는 문제점들을 풀어내어 창의, 소통, 공감 및 지역 소외계층과 학교 예술교육에 큰
도움이 될것이라 예상합니다. 활동 내용
●
프로그램 실행 일정 점검 → 분야별 적용 프로그램 및 교안, 교재 선정 → 통합 프로그램 시연 시
주요 피드백
●
역할 설정 학습/탐구
주요 피드백
●
창의/창출
공감/공유
062
⑴ 1차 워크숍 통합 수업 기획 통한 ‘참여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며, 더 자주 모둠별 모임을 가지면서 통합교육의 효과를 학습해나가야 합니다.
⑵ 2차 워크숍 ‘통합 수업’을 기획하면서 모둠 구성원의 공동의 구체적인 목표가 궁금합니다. 구체적인 모둠 구성원의 이야기, 관점, 모둠 학습의 과정이 정리될 필요가 있어보 입니다.
⑵ 모둠별 전문가 회의 진행 여부 안이영노 대표와 전문가 회의 진행(실천적, 실질적 CoP 구성 및 창의적인 접근법 고민, 인터뷰 대상의 구체화 등 피드백 받음) ⑴ 1차 워크숍 설문조사의 통계적 수치 부분이 우려됩니다. CoP 활동을 ‘설문조사’ 로 풀어내기 보다는 개별 대상자의 인터뷰를 통해 재미있게 풀어나갔으면 합니다. 더불어 개별
학습/탐구
대상자의 인터뷰를 통해 찾은 소재, 문제의식 등을 모둠구성원만의 실천적인 방법 으로 풀어나갔으면 좋겠습니다.(예: 외할머니 - 외손녀의 관계와 친할머니 - 친손
창의/창출
공감/공유
⑴ 활동 과정 주제 관련 연구조사→대상별 설문지 준비 후 조부모, 어린이 인터뷰 진행
녀의 관계 비교)
⑵ 2차 워크숍 전체 모둠별 연구 과정의 이야기를 잘 정리했습니다, 최종 발표 시, 연구 내용의 주 대상(교사)에 맞춰 발표내용을 최종 정리했습니다.
06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21
l 2012
파이디어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2
모둠 명
파이디어
학습 주제
아파트 놀이터에서 회복한 우리 골목 놀이와 노래
학습 목적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에 놀이 프로그램이 어떤 식으로 기여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실재적인 프로
●
●
●
그램을 만들어 실행해보려고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지역특성화 사업 참여 기획자)/ 지은주(모둠장), 박은숙, 김병현, 정경선
●
자문회의
총 4명, 4회 진행
⑴ 조주연(시민 네트워크 티팟 대표)
⑶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⑷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
l 2012
화끈한 소통 [화통]
⑵ 박종호(‘OO은 대학’ 제 1연구소 담당자)
연수 결과물 및 활용 계획
모둠 명
화끈한 소통 [화통]
학습 주제
지역사회·세대 간의 이슈를 선정도서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과 문화예술체험 놀이로 풀기
학습 목적
아동 대상의 현장성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통합예술교육의 실천으로, 아동기에 나타나
●
●
●
는 호기심과 모험심,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요소를 내적동기로 이끌어내어 자아정체성과 사회성 을 향상시키고, 상상력과 창의성을 확장시키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학교예술강사)/ 박미정(모둠장), 이정훈, 나수아, 홍희주
●
자문회의
총 4명, 4회 진행
⑴ 조주연(시민 네트워크 티팟 대표)
⑶ 안이영노(전 기분좋은QX 대표, 전 어린이대공원장) ⑷ 강윤정(the play company 대표)
●
⑵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 연구소장)
●
⑴ 골목 놀이와 노래(현재도 할 수 있고, 부모가 했었던) 수집, 복원
⑵ 노래와 놀이 기록 : 음반, 책, 영상, 사진 등
활동 내용
●
연수 결과물 및 활용 계획
●
⑶ 아파트 놀이터에서 골목놀이 실제 시연
활동 내용
⑴ 활동 과정 주제 탐구 → 자료조사 → 전문가 회의 진행 → 주제의 명확화
●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064
⑴ 1차 워크숍 실제 연구주제와 관련된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하며, 사례 기획시 실제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례에 대한 사전 조사가 꼭 필요합니다. 이후 ‘대구’지역 만의 특색 있는 ‘골목공간’을 찾으려는 노력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⑵ 2차 워크숍 ‘골목’이라는 공간을 ‘공동체성’을 되살려야 할 공간으로 인식하여 접근한 점이 인 상적이며, 화통 모둠의 고민(지역사회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고민) 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⑴ 활동 과정 주제 설정 및 프로그램 실행 구체화 → 사회문화예술교육 및 토요문화학교 프로 그램 사례 조사 →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고민(예: 상반기 CoP 연구
⑵ 모둠별 전문가 회의 진행 여부 조주연 대표와 전문가 회의 진행(주제의 명확한 방향설정 필요, ‘마을 만들기’와 관련된 실제 사례 제시 등)
진행 시 제작한 ‘인형’을 활용한 ‘가면’ 교육 프로그램)
주요 피드백
●
초등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 체험놀이를 토요문화학교 등 지역 기관과 연계하여 시행
학습/탐구
주요 피드백
●
창의/창출
⑴ 1차 워크숍 지난 상반기 CoP 연구 과정을 잘 활용하여 콘텐츠 개발까지 이어지길 바랍니다. 이때 콘텐츠 개발 및 차별화 방안을 고민하여 좋은 사례로 이어졌으면 합니다.
공감/공유
⑵ 모둠별 전문가 회의 진행 여부 조주연 대표와 전문가 회의 진행(타 교육단체와의 차별점 고민 필요, 콘텐츠 개발위한 선행조사, 로드맵, 목표 설정이 중요함)
⑵ 2차 워크숍 ‘해학’을 주제로 콘텐츠를 고민할 때 타 기관, 기반시설의 프로그램을 선 학습하여 콘텐츠의 방향, 목표, 철학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065
to gether
2012 하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현장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01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
●
연수 명
201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mmunity of Practice)
추진 목적 문화예술교육 사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발견과 대안 도출을 위하여 자발적인 현장의 문화 예술교육인력 간 학습을 유도하고,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공유 네트워크 형성
●
연수 대상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기획자, 교사 등(총 9모둠, 40명 참여)
●
연수 기간
2013년 8월 ~ 11월(약 5개월)
●
연수 주제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Content Map)’ 만들기
- ‘문화예술교육 자원지도(Content Map)’ 란?
문 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 각종 아이디어들을 발견 및 재구성하여 엮어낸 자료집(Resource Book)을 의미합니다.
[주제 예시] 모 둠별 분야별·대상별 문화예술교육 아이디어 모음집 제작/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모둠 구성원의 수업 전·수
업 후 노하우가 담긴 영상물 제작/모둠별 수업지도안 학습을 통해 교사용 지도서와 유사한 ‘예술강사 지도 서’ 제작/모둠별 스토리텔링·스토리보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아이디어 웹 페이지·E-book 제작 등 ●
주요 내용 모둠별 교육 프로그램 기획 시 활용 가능한 아이디어 모음집(안) 제작
●
지원 방법
⑴ 온라인 홈페이지(http://hrd.arte.or.kr)를 통한 개별/모둠별 모집 및 운영
⑵ 서류심사로 참여자 선정 후 10개 모둠 구성/선정(모둠별 3~6인)후 활동 지원
참여전문가
⑴ 최치은(연극분야 예술강사)
⑵ 백을규(인하대학교 교수)
⑶ 호중훈(만화애니메이션 분야 예술강사)
⑷ 이수정(ASK 컨설팅 대표)
⑸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
066
067
2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3
5樂
모둠 명
5樂
학습 주제
문화예술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청소년 자존감 키우기’ 융합 프로그램
●
●
(▶주제 변경) 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소소한 문화유산 바로 알기’
관심 분야
공예, 디자인, 연극, 영화
학습 목적
청소년 시기에 잠재된 감성을 자극하여 자존감을 높이고 건강한 인성을 완성할 수 있도록 적합한
●
●
융합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교육 프로그램 계획안을 제작하고자 합니다.
주제 변경 사유 기존 주제 관련 프로그램 개발 중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하였고, 국사의 중요성이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4
l 2013
8 group art company
모둠 명
8 group art company
학습 주제
맛있는 문화예술을 찾아서
관심 분야
미술, 인문학, 심리학, 연극, 성교육, 동화
학습 목적
예술가로서 바라보는 문화예술교육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보다 본 CoP주제를 정했습니다. ‘우리는
●
●
●
●
예술가로서 예술을 즐겁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이 의문점을 시작으로 예술에 대한 고찰을 해보 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
가장 필요한 대상은 사회적 성장,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청소년이라는 의견이
총 5명(극단 대표, 예술강사, 기획자, 청소년센터 팀장)/ 박연두(모둠장), 박근애, 이수현, 이영식, 황윤주
나와 기존의 주제를 변경했습니다. ●
총 3회, 2명 자문회의 진행
⑴ ⑵ 김정이(한국예술인복지재단 복지사업팀 팀장)
⑶ 조벽(동국대학교 석좌교수)
자문회의
구성원 명단
●
총 7명(학교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이승우(모둠장), 김진주, 배정민, 송치규, 이선화, 이성희, 이지은
●
총 5회, 5명 자문회의 진행
⑴ 최재천 교수(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⑵ 김미겸 선생님(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팀)
⑶ ⑷ 여은희, 최영((주)핵교 소속 초등교과체험연구회)
⑸ 황평우(육의전 박물관 관장)
자문회의
학습/탐구
●
⑴ 청소년 대상 시전문화(육의전)를 접목한 융합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⑵ 실제 육의전 박물관과 지속적 교류로, 박물관 내 프로그램 실행 예정
학습 결과
창의/창출
공감/공유
최종 피드백 학습 주제를 실현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체화 한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프로그램 실행 뒤에도,
●
●
⑴ ‘맛있는 예술’ 및 ‘축제’ 개념 정리 및 이해
⑵ 고등학생 대상 ‘청소년 학교 축제’ 프로그램 기획 및 논의
학습 결과
최종 피드백 ‘맛있다’라는 개념을 ‘축제’ 라는 구체적 단어로 도출해나가는 과정은 인상 깊었으나, 이를 보다
●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기업 내 ‘GWP(Great Work Place)’ 개념과 연결지어 ‘축제’의 개 학습/탐구
념을 구조화 해보는 방법 제안)
창의/창출
공감/공유
이를 보완·발전시켜나가는 방법을 고민했으면 합니다.
068
069
2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3
노름마치 (Inter. play. Arts)
모둠 명
노름마치(Inter. play. Arts)
학습 주제
통합 예술 모델 탐방을 통한 직장인 대상 1박 2일 프로그램 연구 개발
관심 분야
통합예술, 심리, 치유, 통합예술치유, 명상, 상담
학습 목적
직장 교육에서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술 강사들의 수익, 일자리 창출, 수익 모델을 만들
●
●
●
●
고자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6
l 2013
뫼비우스
모둠 명
뫼비우스
학습 주제
자연에서 얻은 순환과 반복을 통한 예술체험 놀이
관심 분야
기업연수, 교원연수, 가족형 체험캠프
학습 목적
교실 밖 체험형 융합 수업을 통해 잃어버렸던 감성을 되찾아 가기위한 프로그램을 자연을 모티브
●
●
●
●
로 놀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개발하려고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5명(학교 예술강사, 전문 상담사 및 강사 등)/ 이상열(모둠장), 천비키, 김혜정, 최지희, 유현주
●
구성원 명단
총 3명(영화, 공예분야 학교 예술강사)/ 한경원(모둠장), 안현진, 조광호
●
자문회의
총 8회, 4명 자문회의 진행
●
자문회의
총 3회, 2명 자문회의 진행
⑴ ⑵ 강윤정(더플레이컴퍼니대표)
⑴ 양주현(이화여대 섬유학과 교수)
⑶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⑵ ~ ⑶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⑷ ~ ⑹ 반문섭(한국리더십연구소 전문강사)
⑺ ⑻ 유명화(내면태도교정 컨설턴트)
●
학습 결과
●
직장인, 학생, 교원 대상 ‘예술순환 체험’ 프로그램 개발 작업 진행
최종 피드백 학습 주제가 다소 관념적인 용어이므로 가능하다면 기업담당자가 이해가능한 단어로 변경하는
●
학습 결과
●
액션러닝기법을 통해 직장인 대상 1박 2일 힐링 프로그램 1차 개발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프로그램과 소재 또한, 특정 기업과 조직의 내부 형태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
(캔윌버의 ILP기법을 응용하여 ‘몸, 마음, 의식, 그림자’라는 소재 활용)
할 필요가 있습니다.(예 : 특정 조직만의 노동요 제작하여 함께 부르기 등)
최종 피드백 제안서 작성 시, ‘컨셉’, 즉 이 모둠에서 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개념설명을 하는 부분이 반드시
●
학습/탐구
070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1박 2일 프로그램의 숙박비, 식비 등 실제 소요 예산도 함께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창의/창출
공감/공유
공감/공유
071
2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3
삼색껌딱지
모둠 명
삼색껌딱지
학습 주제
세대공감! 아버지와 문화예술로 소통해요~
관심 분야
국악, 미술, 영화
학습 목적
국악, 미술, 영화 등 문화예술분야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아버지와 아이가 함께하는 문
●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목표를 길게 잡아야 더욱 완성된 프로그램 개발 가능”
화예술체험’을 통해서 부모와 자식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소통할 수 있는 치유적인 효과를 높이 고자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문화감수성, 즉 문화예술이 지니는 미적 소통의 능력과 자존감을 높 이고 심리적인 안정과 더불어 자기정체성 함양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5명(학교예술강사, 교사)/ 김혜옥(모둠장), 신성숙, 이연주, 이인미, 조기선
●
자문회의
총 1회, 1명 자문회의 진행
⑴ 백령(경희대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소장)
●
학습 결과
●
‘세대공감! 아버지와 문화예술로 소통해요’ 1박 2일 프로그램 개발
삼색껌딱지
김혜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영화분야 예술강사
01 현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
학교예술강사, 영화강사입니다.
인가요?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모둠
팀명은 ‘삼색껌딱지’, 구성원은 국악 선생님 두 분, 미술선생님과 음악선생님
과 주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활동
각 한 분, 그리고 영화 담당인 저였습니다. 주제는 1박 2일 캠프 프로그램 형
을 하셨나요?
식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을 통한 가족 간의 ‘새로운 대화와 친밀감 쌓
최종 피드백 주제 선정이 탁월했습니다. ‘소통’이라는 학습주제의 ‘강점’을 잘 파악하여 학부모 캠프 뿐 아니라
기’ 였습니다. 활동은 두 차례 CoP 연수를 통해 주제와 프로그램의 큰 틀을
기업 연수에도 도전해봤으면 합니다. 실제 이 프로그램을 제안 시 실행 기회가 많을 것이라 판단
짜고, 이후 팀원들과 지속적으로 만나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만들기 및 자체
됩니다.
시연해보기, 이후 완성된 프로그램 안을 갖고 CoP참여자 모두 모인 자리에
●
서 PPT 프로그램 소개를 하고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0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가
한 번의 만남으로 끝나지 않고 팀원들과 연수 후에도 지속적으로 만나며 프
기존 다른 교육과 다른 점이 있다
로그램을 연구하고,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과정,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이
면 어떤 부분일까요?
있었고, 그 모두를 지원받았던 점이 달랐습니다.
공감/공유
072
073
to gether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후
우리 팀이 정한 주제 자체가 다양한 예술분야의 통합 프로그램으로, 최소한 하루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셨나요?
나 이틀이 소요됐고, 가족참여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학교에 출강중인 제가 실 무에 큰 도움을 받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예술분야의 접목, 새로운 수업 안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은 계속 머릿속에 구상중이고, 내년엔 새로운 수업 을 시도해볼 생각이니 큰 틀에서는 도움 받고 있다고도 봅니다.
05 마지막으로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
프로그램이 완성된 후 직접 활용 가능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알아보고 실제 시행
아리에 참여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해보며 시행착오를 줄여 더욱 완성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가도록 목표를 길게
분들께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잡으시면 좋겠습니다. 팀원들과의 소중한 시간도 끝까지 함께 가져가보세요.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8
l 2013
신바람 찰칵찰칵
모둠 명
신바람 찰칵찰칵
학습 주제
풀뿌리 문화예술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김밥’ 프로젝트
관심 분야
사진, 문화예술
학습 목적
예술체험을 할수 있는 통합프로그램의 부재와 지역의 특색있는 문화예술프로그램의 부재로 문화
●
●
●
●
예술교육을 향유하고자 하는 갈증을 해소할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대 대해서 잘 알고 이해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사진분야 학교 예술강사)/ 정희정(모둠장), 김종옥, 안성경, 양문옥
●
자문회의
총 1회, 1명 자문회의 진행
⑴ 이수정(ASK컨설팅 대표)
●
학습 결과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과제 수행 및 결과물 공유, 논의
최종 피드백 여러 학습 주제를 단 기간에 학습하려 하지 말고, 하나씩 차근차근 학습했으면 합니다. 긴 시간의
●
모둠구성원 간 생각을 공유한만큼, 향후 나타날 결과물 또한 값질 것이라 기대합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074
075
2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3
용~쏭!
모둠 명
용~쏭!
학습 주제
초등교급 예술강사 대상 디자인 프로그램 통합교육활용 MAP 제시
관심 분야
초등 교급 디자인 통합예술교육
●
학습 목적
⑴ 디자인 통합 교육 프로그램의 부재
⑵ 결과물에 치중한 디자인 교육의 현실
⑶ 현재 예술강사를 대상으로 디자인 프로그램 통합교육을 활용할 수 있는 컨텐츠가 없음
⑷ 현재 나날이 강조되고 있는 “융합교육” 의 중요성
●
●
●
구성원 명단
총 5명(디자인분야 학교 예술강사)/ 최승미(모둠장), 박은형, 남지은, 송지현, 용재현
●
자문회의
총 3회, 3명 자문회의 진행
⑴ 최경원(현 디자인연구소 대표)
⑵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⑶ 윤주용(출판사 대표)
●
●
⑴ 디자인 통합 우수 프로그램 조사를 통한 도구 상자 활용 지침서 개발
⑵ 지침서 내용 중, 수원 화성을 통해 디자인 프로그램 샘플 개발
⑶ 향후 프로그램 정리 및 출판 계획
학습 결과
학습/탐구
최종 피드백 ‘문제 해결의 도구’를 디자인 그 자체로 선정하고 접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기업에서는 디자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여러 생각이 모이면 그 시너지 효과는 상상 이상” 용~쏭!
박은형
01 현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
인가요?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골프업체와 주류회사에서 홍보팀 디자인 담당업무 를 하다가 현재는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서울문화재단 소속 디자인 예술강사 로 활동 중입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디자인분야 예술강사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
진흥원 연수 프로그램 중에 CoP를 알게 됐고 함께 디자인 수업을 공유하고
하신 계기 또는 동기는 무엇인가요?
개발해 나가면서 조금 더 체계적이고 우리가 수업하기 편리한 방법을 찾고 다양한 디자인요소가 더 많이 들어갈 수 있는 우리만의 재미있는 수업을 연 구해 보자는 취지로 참여하게 됐습니다.
03 기존 연수내용과 다른 ‘학습공동체,
기존 연수들은 주제가 정해져있고 정답도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CoP는
아르떼 동아리’만의 차별화된 디자
주제부터 계획 결론까지 온전히 우리 팀의 몫 이였습니다. 그 과정 중에 좌
인실록 활동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절도 하고 실패도 했지만 하나의 주제를 찾아 여러 요소들을 우리 스스로 연
●
창의/창출
인을 적용한 문제해결 과정이 ‘관찰 → 개선 → 시제품 제작 → 적용’으로 나타나고 있으니 참고한 다면 좋겠습니다.
구하고 더 나은 아이디어 발상을 하고 표출하는 과정이 재미있었습니다. 우 리 팀원들의 생각과 감정들을 공유하면서 사이도 돈독해졌습니다. 또 CoP
공감/공유
076
의 강점 중 하나는 연구의 결과 발표 뿐 아니라 그 과정들을 통해 디자인 교
077
to gether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육의 다양한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고 새로운 도전에 대한 용기 를 주는 것입니다.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다른 강의나 학교 수업을 위한 강의를 계획 할 때도 지금은 디
후 실무에 어떤 영향을 끼쳤다고
자인 수업의 대상을 고려하고 더 체계적인 수업을 여러 번 생
생각하시나요?
각해서 기획을 하게 됩니다. 아이디어 발상이나 생각의 융합과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30
l 2013
팔보채
모둠 명
팔보채
학습 주제
충청지역 초등 고학년 대상 문화예술을 활용한 캠프 프로그램 개발
관심 분야
연극, 무용, 음악
학습 목적
충청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존 초등대상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여 지역의
●
●
●
●
특색을 담은 초등대상으로 진행되는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발전이 디자인 수업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다양한 방법으로 주 것을 알 수 있길 바랍니다. 저 스스로도 CoP연수를 통해 얻은 자신감을 가지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진행 할 수 있는 힘도 생겼습니다. 05 향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적극 추천해 주고 싶습니다. 저 또한 다시 기회가 된다면 CoP
참여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에 다시 도전해 볼 생각입니다. 하나의 생각이 여러 생각으로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모이면 그 시너지 효과는 상상이상으로 크지요. 저희 디자인실
총 3명(학교, 사회 예술강사)/ 백옥현(모둠장), 민들례, 유혜정
●
자문회의
총 5회, 5명 자문회의 진행
⑴ 김경섭(한국통합예술교육연구소)
⑵ 조성희(충남교육연구소 사무국장)
⑶ 이지선(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팀장)
⑷ 박미영(아산문화재단 공연예술팀장)
⑸ 임대봉(송남초등학교 교사)
●
⑴ 대상에 특성에 맞는 맞춤형 문화예술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기획
⑵ 실제 행사 운영 : 2014. 1. 13(월) ~ 14(화), 1박 2일 간, 순천향 대학교
학습 결과
록도 그랬습니다. 우선 CoP는 열린 마음으로 시작해야 합니 다. 그리고 단 며칠 만에 끝나는 짧지 않은 CoP이기 때문에 그 과정들을 충분히 즐기면서 모둠원이 하나가 된다면 팀 스스로 도 결과에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구성원 명단
●
제를 찾아내고 알아가는 과정의 즐거움이 소중하고 값지다는
학습/탐구
최종 피드백 학습 주제를 실현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체화 한 것이 인상적입니다. 우선 하나의 프로그램을
●
실현 시킨 뒤, 이를 보완하여 계속 모둠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발전시켜나가는 방법을 고민했으 창의/창출
면 합니다.
공감/공유
078
07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31
l 2013
함께하는 공책
모둠 명
함께하는 공책
학습 주제
물과 융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소재 발굴
●
●
다양한 문화예술과 디자인분야
학습 목적
물 관련 다양한 콘텐츠 중에 문화예술교육소재의 부족으로 물과 융합 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
201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현장
(▶주제 변경) 문화예술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물」 소스북 제작
관심 분야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소재를 발굴하고자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3명(디자인분야 학교 예술강사)/ 최인자(모둠장), 홍정화, 오정화
●
자문회의
총 2회, 2명 자문회의 진행
⑴ 박형환(청심국제문화재단 Water Story 기획자)
⑵ 김현원(연세대 원주의대 생화학과 교수)
●
●
⑴ 정리된 물 콘텐츠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⑵ 현 교과과정에서 진행되고 있는 물 관련 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교과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학습 결과
프로그램 가능성 연구 최종 피드백 가장 이상적인 학습공동체 모둠활동을 진행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과 문화예술교육의 융합이
●
학습/탐구
라는 콘텐츠를 향후에도 잘 발전 시켜서 특화된 노하우가 들어간 프로그램으로 발전 되었으면 합 니다.
창의/창출
공감/공유
080
081
to gether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대상(Level 4)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
연수 명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mmunity of Practice)
●
추진 목적
자발적인 현장의 문화예술교육인력 간 학습을 유도하고,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공유 네트워크 형성
●
연수 대상
2012~13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중 24명 참여(총 6모둠)
●
연수 기간
2014년 2~5월 중 전체교육 2회/ 모둠별 자율모임 총 65회 진행
●
연수 주제
학교·사회 예술강사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 주제 예시
⑵ 저작권 이해를 통한 교보재 개발 워크숍
⑶ 신문지 등 일상 사물을 활용한 창의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⑷ 예술강사를 위한 셀프리더쉽 프로그램 개발
⑸ 국어·음악 등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⑹ 교과연계 통합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개발 워크숍
⑺ 학습분위기 조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 워크숍
⑻ 학습 외 시간을 활용한 예술강사-참여자 간 소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체험 워크숍
지원 방법
2012~13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중 참여희망자 접수·선발
참여전문가
⑴ 문영순(이화여대 영상디자인과 겸임교수)
⑵ 엄광현(상명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강사)
⑶ 김지은(동화작가, 아동문학 평론가)
●
32
l 2014
아츠로
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모둠 명
아츠로
학습 주제
교과서에 비타민 C 더하기/ (교사 대상) 15시수(1박 2일), (예술강사 대상) 18시수(2박 3일)
●
●
프로그램 개발 완료 구성원 명단
총 5명(2012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문지영(모둠장), 최현주, 김현영, 박지영, 서반석
●
자문회의
총 1회, 1명 자문회의 진행
⑴ 김동희(신내초등학교 교사)
●
개발 연수프로그램
●
- 교육 대상
교원(30명) 또는 예술강사(30명)
- 교육 분야
사회, 연극, 영화, 국악, 애니메이션
- 교육 목적
⑴ 교사 대상 현행 교육과정의 교과 분석을 토대로 교과와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하 므로써 학교현장에서 예술 활동을 적용했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⑵ 예술강사 대상 학교예술 강사들이 예술교과를 포함한 타 교과 내용을 이해하고 본인의 장르 에 맞게 연계시킬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여 기존의 교육활동을 진단하고 개선 하는 것을 통해 교육역량과 교육기획 및 개발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학습/탐구
- 교육과정 특징 역사과목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는 현시대에 사회 과목 중 역사영역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으로 개발함으로써 사회 교육과정(초등)과 역사 교육과정(중등)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문화예술 이 추구하는 인간상 사이의 접점을 고려했습니다. 특히 교원 대상 연수 기초에서 심화까지 가능
창의/창출
하도록 강의를 구성하였고 하나의 과목을 정해 강의 간 연계가 가능하도록 설정했습니다. 공감/공유
- 수업지도 내용 아이스 브레이킹 →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사례 탐구 및 실습(사회)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워크숍 082
08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없는 방법만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는 결국 창의적인 문제해결방식 의 사용을 막고, 결과물의 완성을 위해 과정을 무시하게 되는 결과
‟과정이 무시된다면 본질을 무시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아츠로
최현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악 분야 예술강사
01 현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
인가요?
를 가져오게 됩니다. CoP는 그 과정을 통해 배우는 것인데 과정이 무시된다면 본질을 무시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됩니다. 04 문화예술교육과 학습공동체, 아르
CoP는 예술강사들에게 ‘학습을 하기 위한 모임’으로서의 충분한
떼 동아리의 만남이 가지는 의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강사들이 자칫
무엇일까요?
빠질 수 있는 매너리즘을 경계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다른 강사
국악분야 학교문화예술교육강사(10년차), 사회문화예술교육강사(12년차)입
님들의 다양한 생각과 시선을 통해 새롭게 대상을 바라보게 되고,
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선순환구조를 완성하게 도와줍 니다.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
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아는 것을 나누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참여했습니다. 이전 CoP를 통해 대상을 새롭게 바라보고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체 득한 경험이 매우 혁신적이었기 때문에 또 한 번 기대를 가지고 참여한 것입
0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후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셨나요?
니다.
함께 참여했던 구성원들과의 커뮤니티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 커 뮤니티는 정신적, 심리적 안정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에 상호 도움이 되는 관계로 발전했습니다. 다른 강사님들의 아이디 어를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생들의 창의적인 제안의
03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솔직히 말씀드리면 CoP는 결과물보다는 과정에 집중돼야 하는 연구 방법
수용력이 높아졌습니다. 새로 생긴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탐
동아리 연수의 변화와 발전에 대해
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발견하고, 이전에 도
구심으로 인해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느끼신 점이 있다면?
전하지 않았던 방법으로 도전하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것을 통해 배 우는 것이 진정한 CoP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해가 거듭할수록
06 향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쉬운 길보다는 다른 사람은 생각조차 하지 못
아르떼의 학습 동아리는 본질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 이유
참여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한 방법으로 접근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는 과정보다 결과물로 인한 보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과정보다는 결과물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아마 스스로 얼마나 창의적인지, 또 나의 동
에 집중한다면 참여자는 누구나 본인이 잘 알고 있는 그래서 실패의 위험이
084
료가 얼마나 창의적인 사람인지 깜짝 놀라실 겁니다.
085
3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예그
모둠 명
예그
학습 주제
교과연계 통합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및 개발워크숍/ 총 18시수 프로그램(2박 3일) 개발 완료
구성원 명단
총 3명(2012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호중훈(모둠장), 주현아, 채주희
●
자문회의
총 3회, 3명 자문회의 진행
⑴ 정성호(부천 송내초등학교 교사)
⑵ 김병연(부천 중동초등학교 교사)
⑶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장)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34
l 2014
카리스마
모둠 명
카리스마
학습 주제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예술놀이 체험 및 콘텐츠 개발/ 총 18시수 프로그램(2박 3일) 개발 완료
구성원 명단
총 4명(2012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김은정(모둠장), 김상규, 김소연, 이은선
●
자문회의
총 1회, 1명 자문회의 진행
⑴ 김화례(경희대학교 교수)
●
●
●
개발 연수프로그램
●
- 교육 대상
교원(30명) 또는 기본연수 수료 예술강사(30명)
- 교육 분야
예술장르 전 분야(전시+공연)
- 교육 목적
놀이와 영상을 활용한 학습 분위기 조성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주지교과와 예술장르의
개발 연수프로그램
●
- 교육 대상
기본연수 수료 학교 예술강사(30명)
- 교육 분야
교과영역(국어, 사회, 과학)/ 분야(무용, 미술, 만화, 애니메이션)
경계를 넘어 모든 분야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한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함&앎&됨&봄으로
- 교육 목적
주제중심 교과분석 자료와 자체 개발한 아이디어 수렴을 통한 개발도구 프로그램 ‘예술그물’을 중심으로 교과연계 통합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개발 관련 연수를 제안하고자 합니다.
만나는 예술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학습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창의/창출
공감/공유
086
- 교육과정 특징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여러 콘텐츠들을 직접 체험을 통해 이해
- 교육과정 특징 예술강사들에게 쉽고 효율적인 교과연계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마인드맵 프로
를 도모합니다. 특히 ‘함&앎’영역에서는 전시예술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움직임 놀이 Tip과 ‘봄’
그램인 ‘예술그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합니다.(예술그물 : 교과와 예술교육을 연결
영역의 교육과정에서는 공연예술분야에서 갈급해 하는 동영상, 음원 추출 방법 및 감상교육을 위 한 간단한 동영상 제작의 방법을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배울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습니다.
시켜주는 그물) 학습/탐구
- 수업지도 내용 교과연계 예술분야별 교육요소 탐색 → 관계키워드 선정 → 그물로 연결 → 주요활동 정리 →
교과연계 통합문화예술교육 단원명 도출
학습/탐구
- 수업지도 내용 놀이 → 체험 → 개발 → 발표
창의/창출
공감/공유
087
3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Art MT
모둠 명
Art MT
학습 주제
Art Cocktail - 송 대리, 예술을 흔들다!/ 총 8시수 프로그램(1일) 개발 완료
구성원 명단
총 3명(2012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한승기(모둠장), 이문향, 이현미
●
자문회의
총 1회, 1명 자문회의 진행
⑴ 신윤희(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연구원)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36
l 2014
A-act
개발 연수프로그램
●
모둠 명
A-act
학습 주제
Hi! High Touch [전통문화를 통한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및 개발]/
●
●
총 10시수 프로그램(1박 2일) 개발 구성원 명단
총 4명(2013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오광열(모둠장), 김선희, 이승자, 정필이
●
자문회의
총 4회, 3명 자문회의 진행
⑴ ⑵ 김경희(금산여자중학교 교사)
⑷ 윤태호(영남초등학교 교사)
●
- 교육 대상
기업 및 공공기관 직원(실무자 40명)
- 교육 분야
연극, 사진, 미술
●
- 교육 목적
예술 체험을 통해 생각의 다양성을 공감하고 이를 통하여 기업현장에서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 교육 대상
초등교사(30명) 또는 기본연수 수료 학교예술강사(30명)
- 교육 분야
연극, 사진, 만화애니메이션
- 교육 목적
‘색’을 통한 창의력 개발을 화두로, 우리 전통의 순수한 색인 오방색(청, 백, 적, 흑, 황)에서 기초적
개발 연수프로그램
조직 내 또는 조직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학습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 교육과정 특징 기존의 예술체험(연극이나 음악연주 활동, 미술 전시 등)이 아니라 시각예술의 특성을 활용하여
인 연구방안을 찾게 되었으며 아울러 전통문화를 통한 교과연계 프로그램 콘텐츠를 개발 연구하
사물을 관찰하는 다양한 방법과 생각을 시각과 신체를 활용한 방법으로 표현(이미지 스토리텔링)
고자 모둠 학습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체험해 봅니다. 이로써 예술적 사고에 대해 근본적으로 접근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습/탐구
⑶ 이대식(사회과 교사)
- 수업지도 내용 이론 강의 → 팀 빌딩 → 예술활동 체험 → 발표 및 피드백
학습/탐구
- 교육과정 특징 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목에 실려 있는 「꽁지 닷 발 주둥이 닷 발」의 옛 이야기를 각색한 드라마
구조 형식의 게임 콘텐츠 입니다.
이야기 속 주인공이 어머니를 구하기 위하여 색을 얻는 과정에서 미술과목의 우리 전통색인 오방 색을 학습할 수 있으며, 색을 얻는 긴 여정에서는 승경도 놀이라는 우리의 전통놀이를 응용한 ‘강
창의/창출
창의/창출
공감/공유
공감/공유
산愛’ 게임을 통해 사회과목의 우리나라 국토의 산과 강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게임화 한 것이 특징입니다.
088
- 수업지도 내용 디자인과 스토리 → 조화, 공감, 놀이 → 개발 → 발표
089
3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A-play
모둠 명
A-play
학습 주제
예술강사를 위한 셀프 리더쉽 프로그램, 위대한 나의 발견/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현장 -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대상(Level 4)
총 20시수 프로그램(2박 3일) 개발 완료 구성원 명단
총 5명(2013 아르떼 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박지영(모둠장), 김혜림, 박윤미, 박초롱, 안령
●
자문회의
총 1회, 1명 자문회의 진행
⑴ 강민정(아트스피치 부원장)
●
개발 연수프로그램
●
- 교육 대상
예술강사(30명)
- 교육 분야
디자인, 국악, 공예, 연극
- 교육 목적
예술강사에게 이 교육을 통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해 나가는 과정을 겪고 의식적으로 긍정적 기대
와 감성을 갖도록 하여 스스로의 생각과 행동을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합니다.
- 교육과정 특징 각 장르의 요소 추출 및 주제를 중심으로 장르 간 통합된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합니다. 인문
학 등 타 학문과도 연계된 간학문적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방향을 설정하여 이론으로만 접 근되었던 기존의 셀프리더십 프로그램과 차별화를 두었습니다. 그리고 문화예술을 ‘확산적 사고 의 도구’, ‘소통 표현의 도구’, ‘가치 판단의 도구’ 등으로 사용하여 자신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아나 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가이드툴킷(자아발견카드, 목표설정카드 등)을 이용하여 자신을 표
학습/탐구
현하는 데 있어서 교육생들의 참여가 자연스러울 수 있도록 접근했습니다. 창의/창출
- 수업지도 내용 W hat is strength → Find your strength → Make your A-strength → Use your
A-strength 공감/공유
090
091
to gether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 일반 참여자 대상 (Level 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
연수 명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mmunity of Practice)
●
추진 목적
자발적인 현장의 문화예술교육인력 간 학습을 유도하고, 커뮤니티를 통한 지식 공유 네트워크 형성
●
연수 대상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기획자 등 57명 참여(총 14모둠)
●
연수 기간
2014년 2~7월 중 전체교육 4회/ 모둠별 자율모임 총 288회 진행
●
연수 주제
문화예술교육 연계 감상교육(Cultural Literacy) 프로그램 기획·설계
- ‘문화예술교육 감상교육(Cultural Literacy)’란?
38
l 2014
감상보감
단순히 예술향유자의 입장에서 예술작품을 이해하여 즐기고 평가
모둠 명
감상보감
학습 주제
내 꿈으로 그린라이트(라디오부스 - 오프 더 레코드)
●
●
큘럼 및 사진 지도서 제작 관심 분야
기업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대학 커뮤니티
학습 목적
대학(생)들이 고민하는 문제의 상황들을 문화예술 속의 연극으로 활용하여 더 깊이 표현할 수
●
●
하는 ‘감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예술창작/매개자 -향 유자 간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소통’을 목적으로 한 문화에 대한 앎, 기본소양, 문화를 활용하는
능력, ‘문화적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을 의미합니다.
(▶주제 변경) 청소년들의 꿈과 자아를 찾아갈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수업 지도안 및 교육 커리
[주제 예시] 분 야별·대상별 문화예술교육 감상교육 아이디어 모음집 제작/스마트폰 활용 모둠구성원만의 노하우가 담긴
주제 변경 사유 기존 주제 관련 프로그램 개발 중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하였고, 대상을 청소년으
로 변경하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체화 할 수 있는 주제로 변경
‘감상교육 가이드’ 영상 제작 - 감상교육 수업 지도를 위한 수업지도안 및 ‘예술강사 감상교육 지도서’ 제작
구성원 명단
총 5명(학교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김지혜(모둠장), 김아정, 박경희, 박흥서, 정수연
●
자문회의
총 2회, 2명 자문회의 진행
⑴ 엄광현(상명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강사)
⑴ 윤주현(쇼팩토리 실장)
⑵ 이수정(ASK 컨설팅 대표)
⑵ 이상오(연세대 교육대학원 연구주임 교수)
⑶ 김혜옥(영화분야 예술강사)
⑷ 이연주(국악분야 예술강사)
⑸ 이인미(산문초등학교 교사)
⑹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⑺ 곽민철(한국액션러닝협회 인증코치)
● ●
지원 방법
⑴ 온라인 홈페이지(http://hrd.arte.or.kr)를 통한 개별/모둠별 모집 및 운영
⑵ 서류심사로 참여자 선정 후 14개 모둠 구성/선정(모둠별 3~6인)후 활동 지원
참여전문가
●
학습 결과
●
청소년 대상 사진 분야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창의/창출
예술강사와 기획자가 모여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며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현화를 위해 노력한 시 간이었습니다. 그간 주제가 바뀌는 고민과 고충이 있었습니다. 여럿이 모여 진행하다보니 생각이 맞지 않는 부분도 있었고, 호응하며 서로 합을 맞춘 부분 또한 많았습니다. 이번 모둠 운영을 통해 다수의 생각과 의견을 취합해 나간다는 것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공감/공유
092
093
3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마주
모둠 명
마주
학습 주제
입문자를 위한 미디어 아트 감상 재창작 프로그램
●
●
(▶주제 변경) 지친 현대인을 위한 미디어 아트 감상 재창작 힐링 프로그램
관심 분야
공연예술, 감상교육
학습 목적
청소년 시기에 잠재된 감성을 자극하여 자존감을 높이고 건강한 인성을 완성할 수 있도록 적합한
●
●
융합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교육 프로그램 계획안을 제작하고자 합니다.
주제 변경 사유 ‘키스 앤 크라이’는 서정적인 음악과 손의 움직임을 실시간 영상으로 보여주는 통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40
l 2014
문화예술로 비빔
합미디어아트 작품이며 이 작품은 누구나 경험했을법한 인간 내면의 감정에 대한 양한 인간관계 안에서 느꼈던 감정으로 확장해서 이해 할 수 있도록 만들고 싶었 습니다. 또한, 인간관계 속의 다양한 감정과 내 손과 몸이 기억하는 촉각에 대한 추억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생각하도록 구성하고자 주제를 구체화 시켰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5명(예술강사 및 기획자)/ 정승원(모둠장), 김지현, 도은미, 서진화, 임소영
●
자문회의
총 4회, 4명 자문회의 진행
⑴ 조득수(전 한국영화아카데미 애니연출 책임교수)
⑵ 박유신(서울양진초등학교 교사)
학습/탐구
⑶ 유홍영(전 극단사다리 연출가 겸 마임이스트)
⑷ 김태황(문화디자인 PlanB 대표/ 교육기획자)
창의/창출
학습 결과
공감/공유
094
학습 주제
지역 박물관·미술관을 활용한 청소년 자기주도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관심 분야
⑴ 지역문화예술자원 활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⑵ 청소년 자기학습법 개발
⑶ 융복합 통합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 목적
●
청소년을 위한 자기주도적인 프로그램의 부족 및 자율학기제 실행으로 교육과정과 연계한 자기 주도형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증대로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선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예술강사 및 기획자)/ 임승한(모둠장), 김은주, 이정주, 임정숙
●
자문회의
총 4회, 4명 자문회의 진행
⑴ 천윤희(광주비엔날레 큐레이터)
⑵ 조해준(2013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
⑶ 홍남경(국제갤러리 큐레이터)
⑷ 이상훈(군산 여인숙 대표)
학습 결과
●
청소년 대상 SEE, FEEL, CHANGE를 핵심 키워드로 하여 청소년 자기주도형 문화예술프로그램 개발 및 진행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창의/창출 ●
문화예술로 비빔
●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을 통해 감상자에게 이성간의 사랑뿐 아니라 다
●
모둠 명
●
키스앤 크라이 예술체험 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피드백(미실행)
모둠의 목적이 청소년 자기주도형 문화예술프로그램 개발이었기에 모둠구성원들의 학습과 시범 대상군 청소년의 적용을 통해, 공동체 활동과 상호소통이 중심이 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학 습했습니다. 그리고 그로인해 청소년들의 관계와 소통문화를 회복하고 공동체문화에 대한 이해 와 가치를 찾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소년의 공동체 문화가 활성화되길 기대해봅니다.
공감/공유
09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41
l 2014
사고뭉치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모둠 명
사고뭉치
학습 주제
물 소스북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물 교육 프로그램 개발
관심 분야
디자인, 과학, 국어, 놀이
학습 목적
2013년 CoP(모듬 학습 주제 : 문화예술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물 소스북 제작)룰 통해 연구한
●
●
●
●
‘물 소스북’을 활용하여 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단순 체험, 과학실험 위주의 물 교육에서 벗어나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물 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 교, 환경기관 및 단체에 새로운 물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학습주제로 정했습니다.
42
l 2014
상상편집소 피플
모둠 명
상상편집소 피플
학습 주제
예술의 능동적 감흥을 위한 골목길 리터러시 -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이 사는 지역, 마을,
●
●
골목길 등 일상에 대해 예술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융합예술 감상교육 아이디어 모음집 제작 관심 분야
일상문화예술, 청소년, 골목길 리터러시, 지역특성문화
학습 목적
청소년이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과 골목길을 문화적으로 이해하는 리터러시 교육으로 삶의 현장
●
●
이 새롭게 말을 거는 예술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문화교육 콘텐츠 개발을 기대해봅니다. 구성원 명단
총 3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김진희(모둠장), 박예슬, 이승희
●
자문회의
총 3회, 3명 자문회의 진행
⑴ 한상아(부산원도심창작공간또따또가 입주작가)
⑵ 조재중(고무신학교 교장)
●
구성원 명단
●
총 3명(디자인분야 학교 예술강사)/ 오정화(모둠장), 최인자, 홍정화
●
총 2회, 2명 자문회의 진행
⑴ 이재혁(한국 물포럼 사원)
자문회의
⑵ 김승중(환경문화조직위원회)
⑶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
⑴ 물 소스북을 바탕으로 한 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연
●
⑴ 골목길 등 일상문화예술 관련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미완성)
⑵ 교육 프로그램 예시 ‘물 소스북을 바탕으로 한 물 교육 프로그램 개발’
⑵ 모둠활동을 계기로 ‘일상기록문화네트워크’ 지역공동체 결성(일상의 이미지를 채집하고 기록
학습 결과
학습 결과
① 분자야 놀자! - 나만의 물 디자인
하는 활동 전개)
② 물위에 피어나는 그림, 에부르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③ 전설이 살아 숨 쉬는 페이스페인팅 ④ 깨끗한 물이 좋아! - 「I Love Water」보드게임 액션카드 디자인
학습/탐구
●
학습/탐구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창의/창출
간혹 타 분야에서 느끼는 또 다른 시각이 궁금하고 아쉽기도 했지만 ‘만약 타 분야의 사람들과
창의/창출
CoP를 수행했다면 매주 이렇게 모이는 것이 가능했을까?’라는 생각을 모둠원끼리 얘기 나눈 적 공감/공유
096
이 있습니다. 힘들었지만 우리의 내적 성장이 이루어진 시간이었습니다.
공감/공유
⑴ 학습동아리 기간(3월~5월 간 12회 미팅)에 완성적인 연구결과물(아이디어 모음집 제작)을 내기엔 시간적, 물리적 한계가 있었습니다.
⑵ 전체 일정의 축소로 인해 학습동아리별간 네트워크 형성 시간도 부족했습니다.
⑶ 지역팀으로서 가지는 물리적인 문제(비용 및 시간)도 큰 어려움으로 대두되었습니다.
⑷ 프로그램 전체 일정의 변경으로 팀 일정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⑸ 전문가 참여 지원을 통해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목표로 나아가는데 도움을 받았습니다.
097
4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서강대미디어 교육연구회
모둠 명
서강대미디어교육연구회
학습 주제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를 통한 중학생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관심 분야
영상미디어, 영화, 참여 학습프로그램 등
학습 목적
미디어를 통해 형성되는 아이들의 직업 선호도 쏠림 현상을 예방하면서 다양한 진로에 대한 학생
●
●
●
●
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함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44
l 2014
에듀메트로
모둠 명
에듀메트로
학습 주제
조형물을 활용한 통합예술 활동 프로그램 개발
관심 분야
연극, 건축, 무용, 매체 활용 등
학습 목적
조형물을 관찰, 이해하는 과정을 통한 예술적 상상력, 창의성 증대
구성원 명단
총 4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박정현(모둠장), 염창선, 이승아, 이예원
●
자문회의
총 3회, 3명 자문회의 진행
●
●
●
●
●
구성원 명단
●
총 6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황정의(모둠장), 김영환, 박명호, 윤지혜, 이원경, 박행우
●
총 4회, 4명 자문회의 진행
⑴ 송의영(성곡미술관 큐레이터)
⑴ 김정화(강동교육청 중등진로상담 봉사회 회장)
⑵ 홍서연(중앙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
⑵ 조은희(미래엔 출판사 출판본부장 상무이사)
⑶ 황정옥(중앙대 문화예술교육원 외래교수)
⑶ 나은영(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교수)
⑷ 심성호(깨미동(깨끗한 미디어를 위한 교사모임) 부대표, 수원 동신초등학교 교사)
자문회의
학습 결과
●
학습 결과
●
조형물 활용 통합예술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시연 (조각공원 체험 학습 프로그램 형태, 1차시 내용 총 2회 시연)
중학생 대상 진로 탐색 프로그램 관련 수업지도안(1~12차시) 및 학습지 작성(미실행)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098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에 봉착했습니다. 그러나 중등상담 전문가, 영상 리터러시 전문 가와의 만남을 통해 큰 틀의 프레임을 잡을 수 있었고, 밴드를 활용하여 서로 의견을 모으고 활발 하게 논의를 거듭하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 모둠은 운영과정중 목적과 대상이 바뀌는 등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으나 모둠원들이 책임감 을 가지고 동아리 활동에 끝까지 매진한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비교적 자주 만나 학습에
미디어 교육 전문가들이 모인 모둠이라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대상인 청소년에 대한 학습/탐구
매진했지만 프로그램 개발 진행이 더딘 점은 답답했으나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끝까지 노력한 모습에 만족합니다.
창의/창출
공감/공유
099
4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예술로 고고(古go)
모둠 명
예술로 고고(古go)
학습 주제
동양의 ‘수호신’ 소재 사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관심 분야
사진, 고전예술작품, 역사
학습 목적
역사적 예술소재를 사진만의 특성과 접목시켜, 참여자가 이를 재해석하고 직접 표현하는 사진
●
●
●
●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고자 학습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3명(사진분야 학교 예술강사)/ 강은혜(모둠장), 김국화, 정희정
●
자문회의
총 4회, 3명 자문회의 진행
⑴ ⑵ 문현선(이화여자대학교 교수)
⑶ 진소은(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팀)
⑷ 한수지(대인공간 Placemak 큐레이터)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46
l 2014
자장가 프로젝트
모둠 명
자장가 프로젝트
학습 주제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장가 기차 통합예술 프로그램
●
●
학습 목적
●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 김남희(모둠장), 김용순, 정선형, 최승은
●
자문회의
총 3회, 3명 자문회의 진행
⑴ 송금례(맑은샘태교연구소 소장)
⑶ 김민지(문화예술사회공헌 네트워크 사무국장)
●
학습 결과
중학교 1~2학년 대상 동양의 ‘수호신’ 소재 사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연 중
(총 6차시 중기 과정)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을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소스를 찾기 위해 현재 진행되는 여러 전
학습/탐구
일반적으로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사진은 수업의 자료로만 머물러 있으나 이것을 벗어나 사진만의
창의/창출
100
을 제작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① 미술 - 나를 닮은 꽃 찾기 (스케치) 外
② 사진 - 비슷한 모양이나 이미지 수집 外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인 모둠이었던 이유로 프로그램 대상이나 프로그램의 성격을 정하는 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미혼모’라는 대상의 생소함은 물론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장기간 공동으로 제작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접
특성을 살려 사진 자체가 예술이 되고 이를 경험하면서 과거의 예술을 되돌아보는 감상 프로그램 공감/공유
⑵ 교육 프로그램 예시
●
시를 관람하여 사진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을 찾고자 노력하기도 했습니다. 창의/창출
⑴ 미혼모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미실행)
④ 음악 - 매 시간 음악과 함께 움직임 (자장가) 外
‘수호신’에 대한 역사적 피드백은 자문 위원에게 가장 큰 도움을 받았고 프로그램을 떠나 모둠인 원들이 미처 몰랐던 사실이나 재미있는 내용을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자문위원들의 이론적 자료
학습/탐구
⑵ 강영실(이만원 사무국장)
③ 서예 - 붓을 이용한 다양한 선들과 친해지기 外
●
자장가라는 소재가 자연스럽게 유아나 임산모 대상 태교관련 프로그램을 생각하게 하였고, 문화 예술프로그램을 접하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그룹 중 하나인 미혼모를 대상으로 주제를 최종
●
학습 결과
●
(▶주제 변경) 자장가를 모티브로한 미혼모 대상 통합예술프로그램 구성
공감/공유
근하는 방법을 찾고 모둠원이 서로 다른 의견을 조율하는 반복 과정을 통해 성실하게 동아리 운 영을 마무리했다고 자평해봅니다.
101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모에게 간단한 우리 프로그램 소개와 의견 청취 등등 사전 조사를 거쳐 우리는 심리 치료나 성교
‟제작 조언, 분야별 전문가 연결이 아주 큰 도움이었다”
육과 같은 기존의 다른 미혼모 대상의 프로그램 과는 다른 놀이와 소통, 그리고 정서적 안정을 경 험 할 수 있는 장기적 문화예술프로그램을 만들 기로 했습니다.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후
자장가 프로젝트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셨나요?
김남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 예술강사
동아리 구성과 운영에 대한 실제 경험, 프로그램 을 기획하고 제작할 때의 세부적 절차와 과정 등 등이 있겠습니다.
01 현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
진흥원소속 사회예술 강사로서 노인 사진 분야에서 강의하고 있습니다.
인가요?
0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활동
에서 중요한 핵심은 무엇인 가요?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
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구성원들간의 팀워크. 대부분의 다른 동아리들도 그렇지 않을까요?
외국에서 오랫동안 거주하며 모아온 세계 여러 나라의 자장가들이 있었는데 문화예술프로그램으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여러 예술
06 아르떼 아카데미에서 동아리 활동
위에서도 잠시 밝혔듯이 동아리 운영과 프로그램
장르가 융합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그러던 중 진
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어떤 지원
제작에 대한 조언, 분야별 전문가와의 연결이 아
흥원에서 학습공동체를 운영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팀을 구성해 참여하게 됐
을 해주나요?
주 큰 도움이었습니다.
습니다. 0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모둠
팀명은 ‘자장가 프로젝트’로, 김남희(사진), 김용순(서예), 이양경(음악), 정선
07 향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만약 동아리 구성원들이 동아리를 위해서 쏟아야
과 주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활동
형(공예), 최승은(음악)이 함께 했습니다. 미혼모(두리모)를 대상으로 세계의
참여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할 에너지가 100이 있다면 좋은 팀웍을 만드는
을 하셨나요?
자장가를 주 소재로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데 절반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미혼모관련 세미나와 포럼참석, 미혼모 시설 ‘애란원’에 거주하는 십대 미혼
102
103
4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콩닥콩닥 오감여행
모둠 명
콩닥콩닥 오감여행
학습 주제
친구 찾기(넌 누구니?) - 애니메이션 감상수업 프로그램 개발
관심 분야
만화, 애니메이션, 감상교육
학습 목적
‘소통’을 주제로, 만화애니메이션 작품 감상을 통해 나를 돌아보고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
●
●
●
●
프로그램을 제작하고자 학습주제로 선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5명(만화애니메이션분야 학교 예술강사)/ 김효진, 노경해, 하경아, 김혜영, 엄은현
●
자문회의
총 2회, 2명 자문회의 진행
⑴ 한경애(인천미술교육연구모임 ‘틔울’ 회장)
⑵ 김이삭(헬로우 뮤지엄 관장)
●
학습 결과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48
l 2014
춤추는 부장님
모둠 명
춤추는 부장님
학습 주제
뉴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움직임 기반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퇴직(예정)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
●
연수 프로그램) 관심 분야
기업문화예술교육. 움직임기반 예술교육
학습 목적
예술교육과 경험에 소극적인 대부분의 기업현실 및 움직임이라는 예술 매체의 한계로 기존의 주
●
●
제(문화예술을 활용한 조직내 소통, 협력 교육프로그램 기획)를 ‘뉴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움직임 기반 예술교육 프로그램’ 으로 변경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3명(무용분야 학교 예술강사)/ 김량희(모둠장), 김율리아, 박하나
●
자문회의
총 4회, 4명 자문회의 진행
⑴ 정수환(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⑵ 김병호(LG전자 인재육성팀 기획파트)
⑶ 구순자(뉴시니어라이프 대표)
⑷ 이영교(공무원연금공단 고객지원실 교육기획팀장)
●
‘폭풍우 치는 밤에’, ‘드래곤 길들이기’, ‘무림일검의 사생활’ 등 초중등학생용 애니메이션을 활용 하여 감상교육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각 6차시) 및 전문가 피드백(미실행)
●
⑴ 뉴시니어 대상 움직임 기반 예술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제안(공무원연금공단의 퇴직(예정)자
⑵ 프로그램 주요 내용
학습 결과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⑴ 막연하게 생각만 했던 수업의 내용들을 선생님들과 의논하여 연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
⑵ 학습자의 능동적인 활동을 배려하는 수업실행안 연구에 중점을 둔 모둠 학습이었습니다.
⑶ 균형적인 시각을 가지고 접근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돋보였습니다.
⑷ 서로 학습하면서 모르던 부분, 부족한 부분들이 보완되는 것을 느꼈습니다.
⑸ 동아리 모임이 거듭될수록 학교 수업에 더 충실할 수 있었습니다.
⑹ 모임도 즐겁고 생각들이 많았지만 정리가 안되는 어려움도 종종 있었습니다.
대상 집체연수 프로그램의 일부 삽입이 최종 목표임)
하고 생각의 확장이 구체적으로 일어났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104
학습/탐구
① 퇴직(예정)자가 새로운 인생의 정체성을 찾고, 다양한 여가생활을 탐색하여 가치 있는 삶을 설계 할 수 있습니다.
② 은퇴와 노년기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새로운 삶의 변화에 긍정적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창의/창출
공감/공유
③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고 즐거움을 발견하며, 젊고 심신이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④ 공동체의 가치와 다양성, 타인과의 소통이 앞으로 인생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됨을 이해하고 새로 운 방식의 소통을 경험해봅니다. ⑤ 무용예술 경험을 통해 예술적 자아를 발견하고 삶의 질과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105
4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4
케미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모둠 명
케미
학습 주제
예술가 리터러시를 위한 아트마케팅 매뉴얼 개발(기업 펀딩을 중심으로)
관심 분야
장애, 비장애 통합예술교육, 아트 마케팅, 기업펀딩
학습 목적
문화예술 활동 범위를 넓히기 위해 사회공헌사업을 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 이해하고 마케팅 관
●
●
●
●
‟CoP는 인큐베이터, 내 안의 무언가를 성장시켜 준다”
점의 접근이 필요하다는데 동의, 따라서 기업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동등한 형태에서 서로의 요구 (Needs)를 파악하고 기업 펀딩을 통해 기업은 이미지 제고와 사회공헌에 기여하고 예술강사와 단체는 자립성을 극대화하는데 학습의 목적을 두게되었습니다. 특히 모둠원이 참여하고 있는 극 단 ‘작은세상’의 장애, 비장애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중 ‘꿈꾸는 프로그램’(가제)의 검증과 브랜딩 도 함께 하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6명(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강미순(모둠장), 김하나, 박상희, 윤남경, 이진희, 허수정
자문회의
총 4회, 4명 자문회의 진행
●
●
학습/탐구
창의/창출
⑴ 박현준(한국메세나협회 A&B팀 팀장)
⑶ 김민지((사)문화예술사회공헌 네트워크 사무국장) ⑷ 석준호(원마운트 대표이사)
공감/공유
106
⑵ 강민수(한국협동조합 연구소 사무국장)
●
⑴ 아트마케팅 매뉴얼 개발 및 원마운트 회사에 사업기획서 형태 제안
⑵ 사업기획서 제안 : 프로그램(아이들의 오감을 이용한 감각뮤지컬 프로젝트)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이진희
01 현재 하시는 일은 무엇인가요?
북트리가족인문학도서관에서 문화예술코디네이터 겸 마을활동가로 활동하 고 있으며 따복지원센터 마을강사이기도 합니다.
문화예술교육코디네이터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란 무엇
학습 결과
케미
이라고 생각하시나요?
0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는
어떻게 참여하게 되었나요?
CoP는 인큐베이터입니다. 내 안의 무언가를 성장시켜 세상 밖으로 나오게 도와줍니다. 아르떼 연수에서 협동조합을 공부하고 만들면서, 사업 아이템과 대상에 대 한 분석은 필수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또한 정부 지원 사업에 대한 의존 도를 낮추고 자립해 문화예술교육을 할 수 있는 창구를 찾고 싶었습니다. 그 것이 기업과의 파트너십(Partnership)이었고 2008년부터 7년간 운영하면
일차적으로는 구성원들 간에 이해와 배려, 믿음을 견고히 하는 시간이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예술
서 축적된 극단 ‘작은세상’의 장애·비장애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업펀
가 리터러시를 위한 아트마케팅 매뉴얼 개발 _기업 펀딩을 중심으로’라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딩을 위한 목적으로서 ‘꿈꾸는 프로그램’(가제)의 검증과 기업의 만남을 시도
열심히 공부하고, 고민하고 회의를 통해 실제로 사업 기획서를 기업에 직접 제안해보고 함께 공
해보고자 하고자 CoP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유 가능한 매뉴얼개발을 제작해 본다는 것에 큰 의의를 둡니다.
107
to gether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모둠
팀명은 ‘케미’였습니다. 2박 3일의 오프닝 워크숍을 통해 ‘예술가 리터러시를 위
과 주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활동
한 아트마케팅 매뉴얼 개발-기업 펀딩을 중심으로’란 주제를 도출했습니다. 기
을 하셨나요?
업을 대상으로 장애·비장애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판매하고 실제적인 아트 마케팅 매뉴얼을 확보하는 게 목표였습니다. 기획서 작성 및 제안과 매뉴얼개발 이라는 두 개의 목표가 부담 돼 기획서 작성 및 제안에 집중하고 그 사례를 바탕 으로 매뉴얼을 개발하기로 계획을 수정했습니다. 이러한 학습 모임을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50
l 2014
Salon d’Art (살롱 다트)
모둠 명
Salon d’Art(살롱 다트)
학습 주제
성인을 대상으로 한 공연/시각예술 감상가이드북 제작
관심 분야
시각예술, 무용, 감상, 가이드북, 매체
학습 목적
성인의 예술감상 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이드북을 제작하여 활용한다면 일반인은 전시와
●
●
●
●
무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자신이 좋아하는 예술 취향을 스스로 찾을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6월 26일 (주)원마운트 사장과의 미팅을 통해 사업 기획서
자신 나름대로 감상한 전시/공연에 대한 비평적 글쓰기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를 제안해보고 기대 이상의 파트너십 가능성을 이끌어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3명(문화예술교육기획자)/ 권효진(모둠장), 손혜정, 유은순
자문회의
●
05 연수 참여 후 지속적인 모둠 활동
연수 후 모둠원과 장애·비장애 통합연극에 대한 이해와 연구 등을 위한 독서스
●
총 4회, 4명 자문회의 진행
이나 학습결과 활동 연계 사례가
터디 활동을 월 1회 진행하고 있으며 ‘발달장애와 연극치료’, ‘연극치료’, ‘가방 들
⑴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장)
⑵ 이지현(무용평론가)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어주는 아이’ 등을 읽었습니다. 또한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사업인 ‘꿈의
⑶ 정연심(미술평론가)
⑷ 김해주(독립큐레이터)
학교’를 준비 모임도 같이 진행해 2016년에는 장애 비장애 통합연극놀이 학교인
06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활동은 문화예술계 신생 협동조합으로써 많은 배움
후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셨나요?
과 성장을 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생각 이상으로 척박한 문화예술 환경이라는
●
⑴ 온라인 용 가이드 북 1차 개발 및 전문가 피드백(일반인 미공개)
⑵ 가이드 북 세부 콘텐츠
학습 결과
‘꿈의 학교-다함께’를 신청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실을 인식하도록 도왔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도전해보고 희망이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또 한 팀이 돼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새로운
② 무용 학습/탐구
방법으로 회의를 진행하면서 서로를 더 깊이 알아갈 수 있는 기회도 됐습니다. CoP 활동 중 익힌 퍼실리테이팅과 액션러닝 기법, 기획력과 사업계획서 작성법 등은 협동조합활동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체활동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108
① 시각예술 ( 최정화 : 일상에서 흔히 소비되는 플라스틱 바구니로 예술작품 제작/ 마틴 크리드 : 최정화와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는 외국 작가/ 이상원 : 여가 생활을 회화로 표현/ 최 태훈 : 부모님의 생활양식을 분석하여 하루 동안 사용 가능한 멀티태스킹 디바이스 제작)
창의/창출
가 개인의 삶을 작품에 녹여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공감/공유
(피나 바우쉬 : 사랑을 하며 느끼는 희노애락을 춤으로 표현함/ 아크람 칸 : ‘데쉬’안무
저희는 일반인의 예술적 안목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강구, 온라인 매체를 통한 정기적인 콘텐츠 제공을 목표로 지속적인 자문회의를 통해 ‘문해력 향상을 위한 방법’은 방향성을 찾았고, 서로 지 속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동기부여의 힘’을 갖게 되었습니다.
10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목을 갖추게 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강구하고, 온라인 매체를 이용해 정기적인 기사를 발행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게 되었어요. 그런데 보다 즐거운 예술 감상을 제안하기 위해서 우리에
‟계획이 현실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게 가장 필요한 것은 각자의 학습이었습니다. 현대예술의 흐름을 읽고, 주제에 맞는 작가와 안 무가를 선택하고, 작품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쌓여있는 각자의 지식이 필요했거든요. 그래서 6개월간 정보를 리서치하고, 정리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 덕분에 각자의 분 야뿐만 아니라 서로의 분야를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어요.
01 현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
Salon d’Art(살롱 다트)
인가요?
권효진 독립기획자 (전) 국립국악원 기획단원
현재 독립문화예술기획자로 문화예술교육과 함께 공연, 전시 기획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발레시어터에서 홈리스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문화예술교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후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셨나요?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는 저의 일과 삶에 세 가지 좋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먼저 제가 새롭게 공부하게 된 박물관·미술관 경영석사과정에서 현대예술의 담론을 자주 토론해야 했는
육을 기획·운영하게 되면서 문화예술교육을 처음 접하게 되었어요. 2014년
데 그때 어렵게 느껴지던 시각예술을 CoP 활동을 하면서 좋아하게 되었어요. 둘째, 현장에서 협
부터 독립문화예술기획자로 활동을 시작하면서 더 많은 장르, 더 다양한 작
업할 문화예술교육가 선생님들을 많이 만났습니다. 그 인연으로 2014년에 서울문화재단 창의중
가, 강사 선생님들과 같이 작업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점학교를 같이 진행했고, 2015년 부천문화재단 학습공동체 지원사업도 같이 참여했어요. 내년 에는 자율학기제와 유아대상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원예술 공연과 성북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
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살롱다트의 구성원 세 명은 예술경영지원센터 웹진 평가위원 활동을 하면
창작센터에서 갤러리 공간 지원을 받아 <힘내고자 숨고르기>라는 전시를 하는 등 저의 예술작업
서 만난 사이인데, 각각 미술과 무용 관련된 전공도 했고, 현장에서 근무하
범위가 조금 더 넓어진 점입니다. 특히 통합적 예술교육을 실천하는데도 큰 도움이 됐습니다.
고 있어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때,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공고를 보고 ‘그래 바로 이거야!’하면서 어차피 우리가 하려던 그 공부, 좀 더 빡빡하게 한번 끌고 가보자는 파이팅 넘치는 마음으로 참여를 했습니다. 0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모둠
110
05 문화예술교육과 학습공동체, 아르
문화예술교육을 하면서 자꾸 방법론과 커리큘럼에 갇힐 수 있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이를 극복
떼 동아리의 만남이 가지는 의의는
하려면 항상 관찰, 생각, 공부하는 문화예술교육가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이걸 혼자
무엇일까요?
서 실천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는 성장하는 문화예술
학습공동체의 큰 주제는 감상교육(아트리터러시)이였고, 살롱다트의 소주제
교육가가 되고자하는 강사선생님들에게 공부하는 테두리가 되어주는 것 같아요. 긴 호흡으로
과 주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활동
는 성인대상 시각예술·무용 감상가이드북 제작이었어요.
많이 연구하고 공유하면서 지식이 내 것이 되는 경험. 누가 가진 것을 전달해주는 배움이 아니
을 하셨나요?
저희 모둠은 ‘일반인들이 어떻게 예술을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가’에 대한
라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학습과 쌓이는 경험의 힘은 참 놀라운 것 같아요. 혹시 현장에서
고민과 그 대답을 찾는 시도였습니다. 우선 우리 모임은 일반인의 예술적 안
자생적 학습모임을 조직하고자 하는 분들이 있다면 정말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111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51
l 2014
33㎡
(아주 작지만 특별한 시작)
모둠 명
33㎡(아주 작지만 특별한 시작)
학습 주제
명작의 코드를 읽어라(작품 감상 후 의식주 중심으로 재해석하기)
●
●
예술감상 리터러시와 통합예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학습 목적
아이들이 미술관 관람 후 감상문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정도의 이차원적 교육에서 벗어나 역사
●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현장_ 일반 참여자 대상(Level 3)
(▶주제 변경) 청소년을 위한 예술작품 감상프로그램 개발
관심 분야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및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 좀 더 입체적이고 깊이 있는 감상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자하는 취지로 본 연구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3명(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 박지연(모둠장), 유인옥, 한경희
●
자문회의
총 3회, 3명 자문회의 진행
⑴ 오상은(중앙대 문화예술교육원 강사)
⑵ 조장은(국립현대미술관 교육관)
⑶ 백령(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장)
●
학습 결과
●
추리형식의 의식주 분석을 통한 미술 작품 감상 프로그램 개발(미실행)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창의/창출
우리팀의 핵심 키워드는 <의·식·주>와 <추리> 그리고 <역사와 인문학>입니다.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시기의 ‘자아 찾기’를 돕고자 학생들 스스로 작품에서 엿보이는 시대적 배경을 의·식·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현재의 자기생활과 비교 및 표현해 봄으로써 역사에 비추어본 자기 자신 의 정체성을 찾기를 원했습니다.
공감/공유
112
113
to gether
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
●
연수명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추진목적 현장의 예술강사, 기획자, 에듀케이터를 대상으로 현장인력 간 네트워킹을 강화하여 보다 자율적 이고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실천적 학습모임 지향
●
연수대상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교사 등 총 37명 참여(총 10모둠)
●
연수기간
2014년 7~9월중 전체모임 3회/ 모둠별 자율모임 총 78회 진행
●
연수 주제
문화예술교육 활동가 사례 공유를 위한 기록집 기획·제작
- ‘문화예술교육 활동가의 레시피’ 이란?
52
l 2015
Pas de Trois
모둠 명
Pas de Trois
학습 주제
학교무용예술강사 대상 학교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수업운용 가이드 제작
관심 분야
초등학생, 무용
학습 목적
학교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수업운용으로 예술수업의 필요성과 당위성 제고 및 시너지 효과 창출
●
●
●
●
이 요구 된다는 점과 이러한 주제의식에도 불구 실제 적용 가능한 수업 방안의 부재가 주제 선정 의 이유입니다.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교사 등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가들의 생생한 현장이야기를 담은 기록집을 말합니
구성원 명단
총 3명(무용분야 학교 예술강사)/ 김량희(모둠장), 김율리아, 박하나
회의 현황
총 8회 진행(자문회의 2회 포함)
●
자문회의
⑴ 서예원(청주교육대학교 교수)
⑵ 이경원(서정초등학교 교사)
●
다. 레시피 제작과정을 통해 프로그램 기획에서부터 수업활동, 상황대처 등 다양한 문화예술교육의 현장 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입니다.
- 주제 예시
●
분야별·대상별 학교·사회 문화예술교육 활동 레시피 북 제작 선후배 활동가들의 노하우가 담긴 ‘문화예술교육 기획가이드’
참여전문가
⑴ 조에스더(L컴퍼니 대표)
⑵ 권효진(독립기획자/ 2014 연수 참여)
⑶ 오정화(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디자인분야 예술강사/ 2014 연수 참여)
⑵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⑶ 곽민철(한국액션러닝협회 인증코치)
●
학습 결과
모둠학습 관련 가이드 북 제작
●
활용 방안
⑴ 가이드북 제작과 동시에 예술강사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합니다.
⑵ 초등교육 및 학교 무용예술강사 연수 자료로 활용합니다.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창의/창출
2014년 CoP활동을 하면서 겪었던 시행착오가 이번 모둠을 운영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첫째, 주제가 명확해졌고 둘째, 회의 진행방식이 개선되었습니다. Agenda를 세워 진행해보기도 하고, 모둠대표가 다음 회의 안건을 미리 공지하고 본 회의에서 마무리할 수 있도록 개별 과제를 수행 하는 방식을 취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었던 점이 좋았습니다.
공감/공유
114
115
5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5
아트-리딩톤
모둠 명
아트 - 리딩톤
학습 주제
크게 웃고 크게 움직이는 놀이 12가지
●
●
(▶주제 변경) 사회 예술강사들을 위한 음악 놀이 활동집 제작
관심 분야
아동, 음악
●
학습 목적
⑴ 사회 예술강사로서 매회 겪는 수업활동참고자료 부족
⑵ 아동들의 반복되는 예술교육수업에 대한 지겨움과 흥미 저하
⑶ 예술강사들의 고충을 덜어주고 기관 아동들에게 큰 웃음과 더불어 적극적인 움직임을 유도할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54
l 2015
전! 통합니다
학습 주제
중등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공예 예술강사 대상 전통을 담은 공예 레시피 제작
관심 분야
중학생, 공예
학습 목적
공예 예술강사 간 수업노하우 등 원활한 소통과 지속적인 성장을 돕고, 중등교육현장에서 즉시
●
●
●
활용할 수 있는 공예교육 레시피를 만들고자 모듬학습 주제를 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5명(공예분야 학교 예술강사)/ 김성미(모둠장), 김은희, 박미경, 손나영, 정혜숙
회의 현황
총 8회 진행(자문회의 2회 포함)
●
자문회의
⑴ 주한경(울산고등학교 미술교사)
⑵ 백경미(울산과학기술원 기초 과정부 부교수)
●
보고자 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전! 통합니다
●
수 있는 활동놀이집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초등 고학년 중심의 체계화된 음악 활동집을 만들어
●
모둠 명
●
총 6명(아동음악분야 사회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 손수정(모둠장), 김신영, 김주희, 박영명, 이세진, 장은주
학습 결과
모둠학습 관련 가이드 북 초안 제작 및 수정 중
●
활용 방안
⑴ 공예 강사들이 현장 사례를 공유하고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⑵ 연수결과물을 활용 및 응용하여 매년 지역별로 열리는 공예분야 예술강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
회의 현황
●
총 8회 진행(자문회의 2회 포함)
자문회의
⑴ ⑵ 김현정(대구예술대학교 음악치료학과 교수)
학습 결과
모둠학습 관련 음악 놀이 활동집 제작
활용 방안
신입 사회 예술강사에게 응용하고 참고할 수 있는 수업자료집으로 사용합니다.
●
●
자체연수프로그램에 소개할 예정입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총평
●
학습/탐구
116
●
학습/탐구
창의/창출
창의/창출
공감/공유
공감/공유
같은 분야 공예 예술강사들의 모임이었기에 재료만 제시하여도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만들어 낼 수 있는 아이디어도출과 일의 진행이 원활했습니다. 하지만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과정 이 다소 어려웠으나 이 부분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하여 해결해 나갔습니다.
전통을 담은 공예 레시피에 관한 교안을 제작하는 CoP과정에서 전통과 현대공예가 잘 어우러져 교육 대상인 학생들은 물론이고 공예 예술 강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117
55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5
따로 그리고 또 같이
모둠 명
따로 그리고 또 같이
학습 주제
아동대상 음악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레시피 개발
관심 분야
아동, 음악, 통합 예술
학습 목적
⑴ 다양한 통합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커지는 시대, 예술교과의 본질을 살려 아동대상 음악
●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내 것을 나누고 남의 것 더했을 때 더 나아질 수 있다”
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⑵ 활동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을 지향하고 이런저런 문화예술을 함께하는 통합문화예술교육 레시 피를 제작하고자 합니다.
따로 그리고 또 같이
구성원 명단
총 5명(학교 예술강사, 교사)/ 임하정(모둠장), 한승모, 고은진, 김은선, 최혜선
한승모
회의 현황
총 8회 진행(자문회의 2회 포함)
인제남초등학교 교사
●
자문회의
⑴ 권형숙(편집디자이너)
⑵ 권덕원(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
학습 결과
●
01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
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2015년 1월 각기 다른 분야에서 일하시는 선생님들이 같은 고민과 생각으 로 한 자리에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아이들이 친구들과 함께 노래하며 춤추 며 놀면서’ 배우고 성장하는 그림을 꿈꿉니다.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연수는
다른 연수와 비교해 아르떼 동아리 연수는 일방적인 교육이 목표가 아닌 학
어떤 가치를 지닌다고 보시는지요?
습자들 간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배움을 추구합니다. 우리 팀도 자발적 연
아동대상 음악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이러 쿵! 저러 쿵!’ 레시피(가이드 북) 초안 제작 →
구 모임으로서 의미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2015 아르떼 동아리에 함께 했
추후 다듬어 출판 예정입니다.
습니다. 함께 만들어가는 배움은 일방적인 가르침에 의한 배움보다 훨씬 더 ‘자기화’가 잘 이뤄집니다.
활용 방안
●
프로그램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118
⑴ 교사연수를 통해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새로운 주제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 ⑵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예술단체 강사, 방과 후 학교 예술강사들에게 제공 가능한 자료집 및 활동영상을 제작합니다.
03 기존 연수내용과 다른 학습공동체,
우리 팀은 전래동요와 아카펠라로 접근했습니다. 그러나 유치원생과 초등학
아르떼 동아리만의 차별화된 학습
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아카펠라 악곡과 노래만을 부르는 것을 목표로 하지
방법 혹은 활동에 대해 설명해주신
않았기 때문에 ‘통합’이라는 주제로 접근했습니다. 이 과정에 많은 영향을 준
다면?
것이 아르떼 동아리 연수였고, 다른 팀의 이야기를 듣고 우리의 생각을 보완 해 가며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119
to gether
0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활동에
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공유와 성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동아리에서 결과물은 모두 의 것이 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자칫 참여자들의 생각과 상황에 따라 공개할 수 있는 자료가 매우 제한적일 수 있습니 다. 공동의 목표로 좋은 결과를 만들어 갈 때 그 안에서 구성원 들은 ‘공유’를 강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또한, 이 공유의 과정 안에서 구성원들이 모두 ‘성장’할 수 있어 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내 것을 나누고 남의 것을 더했을 때 나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56
l 2015
The 신나 Go
모둠 명
The 신나Go
학습 주제
조선시대 엄친아 문종 - 세종부터 문종까지의 업적과 조선인들의 생활 풍습을 연극적으로 풀어
●
●
보기 관심 분야
역사, 연극(교과 연계)
학습 목적
연극예술강사가 활용 가능한 연극 활용 역사교육 레시피를 만들고자 모둠 학습 주제로 선정했습
●
●
니다.(레시피 예시 : 역사 속 인물을 통해 배우는 리더쉽) 역사 수업 어디까지 해봤니?
의 생각의 틀을 유연하게 해 계속 더 나아질 수 있어야 합니다. 구성원 명단
●
0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조직을 구성하고, 공동의 프로젝트를 향해 어떤 절차로 이야
후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시나요?
기를 나누고 진행해야 하는지 알게 됐습니다. 또, 그 과정에서
총 5명(연극분야 학교 예술강사 및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한소현(모둠장), 김미애, 김보라, 유은미, 유효정
회의 현황
총 6회 진행(자문회의 1회 포함)
자문회의
⑴ 김영옥(감성단체 여민 대표)
학습 결과
수업 노하우 공유를 위한 수업일지 1차 제작 중
●
활용 방안
⑴ 역사 교육을 어려워하는 연극예술강사들에게 가이드라인 제시
⑵ 레시피를 다양한 예술 수업으로 활용
●
어떠한 대화 방법들이 유용하며 공유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 ●
들이 있는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문화예술 교육 프로젝트에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합
●
니다. 이 연수에서는 그 내용과 철학에 대한 본질은 연수생들 에게 숙제로 남아있었지만 그 외 부분에서는 많은 공부가 됐 습니다. 06 향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우선 강력추천합니다! 새로이 이쪽일을 시작해보건, 새로운 도
참여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분들께
전을 하고 싶은 문화예술교육자나 기획자 분들에게 참 좋은 기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회입니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싶은 경우에도, 또, 내가 함 께 하고 있는 구성원들과 일을 시작할때도 함께 어깨 걸고 공 부하고 일하기에 참 좋습니다!
120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121
5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5
우분트 지글지글 놀이터
모둠 명
우분트지글지글놀이터
학습 주제
발달장애아동들이 뛰놀며 친구되는 신나는 연극놀이
관심 분야
장애, 통합예술(연극, 음악, 미술, 무용)
학습 목적
장애연극 예술교육 현장에서 활동 중인 강사의 현장경험과 프로그램 공유를 위해, 1) 발달장애
●
●
●
●
아동이라는 대상의 특수성, 2) 활동 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도구를 재발견하여 정리하 고자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4명(장애연극분야 사회 예술강사)/ 전오미(모둠장), 강연우, 김보연, 김재인
회의 현황
총 7회 진행(자문회의 1회 포함)
자문회의
⑴ 주윤정(서울대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학습 결과
장애 연극 수업 관련 인터뷰 및 수업일지 형식 레시피 (가이드 북) 제작
활용 방안
⑴ 1차 이용대상
① 예술강사 - 다양한 수업 안 공유, 현장에서의 활용
●
●
●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58
l 2015
스탠 by 미따로 또 같이
⑵ 2차 이용대상 ① 발달장애아동 - 자발성, 성취감, 자신감, 자부심, 친구가 생김, 관계형성
보육원 아동대상 예술교육 이렇게 하세요~ - 프로그램 설계 시 유의사항, 샘플 프로그램 제시
관심 분야
아동, 미술
학습 목적
다른 예술강사가 보육원이라는 특수 환경 속에서 예술강사가 범하기 쉬운 실수를 최소화할
●
●
수 있도록 하기 위해
⑴ 보육원 아동들에게 우리, 같이, 가족이라는 가치가 느껴질 수 있는 예술교육 샘플 제시
⑵ 보육원대상 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시 필수 유의사항
구성원 명단
총 2명(아동미술분야 사회 예술강사)/이영경(모둠장), 한경원
회의 현황
총 9회 진행(자문회의 2회 포함)
●
자문회의
⑴ 함경미(파주보육원 사회복지사)
⑵ 박승희(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학습 결과
모둠활동 관련 교안 형식 레시피(가이드 북) 제작
●
활용 방안
⑴ 사회 예술강사로 경험한 현장(보육원이라는 특수환경 고려)이야기를 담은 프로그램 제안 →
⑵ 타 보육원과의 유기적인 프로그램 연결고리 제시→사회 예술강사, 사회복지기관관계자, 시설
●
아동 대상 수업 설계 레시피 제작 학습/탐구
아동 교육에 활용
② 부모님 - 자녀의 사회성 향상
122
학습 주제
●
●
② 특수교사 -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 공유
스탠 by 미 - 따로 또 같이
●
③ 기획자 - 참여자의 문화예술교육 활동으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 학습/탐구
모둠 명
●
창의/창출
창의/창출
공감/공유
공감/공유
123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Interview
듯’ ‘혼자이면서도 혼자가 아닌 듯’, ‘가족인 듯 가족이 아니다’라고 생각 하는 정서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혼자가 아닌 ‘우리’ 라는 울타
‟풍부한 경험 공유, 제 자신의 성찰은 소중한 경험” 스탠 by 미 - 따로 또 같이
이영경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아동미술분야 예술강사
01 현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
리로 녹여내기 위해 형님 반, 동생 반이 합반해 미술수업으로 풀어냈습 니다. 그 결과, 아이들 스스로가 ‘나’를 넘어서 ‘우리’로 연결이 되고 있음 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04 문화예술교육과 학습공동체, 아르떼
문화예술교육의 다양성에 걸맞게 여러 분야의 강사들이 모둠을 만들어
동아리의 만남이 가지는 의의는 무
함께 의견을 수렴하고 공동의 목적을 위해 과정을 만들고 결과를 도출
엇일까요?
해 가는 경험이 좋았습니다. 나아가 학습자에게 질 높은 교육을 할 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 예술강사입니다. 아동미술을 맡고 있습니다.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가요?
02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
하신 계기는 무엇인가요?
본 동아리는 다년간 한 보육원에 함께 출강하게 된 두 명의 강사가 교육적인
0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항상 자신이 잘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고
후 실무에 어떤 도움을 받으셨나요?
전문가의 피드백도 필요한데 이 때 CoP 연수는 생각의 전환을 가져다
교감을 하면서 시간과 의견을 조율해 합반 수업을 진행하게 됐고 시설관계
준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과 문제 해결력, 효율적
자와 아동들의 호응도가 높아 이런 상황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인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팁, 다차원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심도 있는
참여했습니다. 예술 강사로 경험한 현장의 이야기 (보육원이라는 특수 환경
개발 능력 배양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려)를 담은 수업 설계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미술교육과는 다른 내용을 아 동 복지기관 선생님과 사회문화예술 강사님들께 전하고 또한 한 시설에 배 치 받은 타 분야 강사끼리도 합반으로 하는 수업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0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모둠
124
06 마지막으로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
수많은 관계 맺음의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나와 마음이 맞는 구성원을
아리에 참여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구성원 간 역할분담과 책임감, 서로에 대한 배려
분들께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와 믿음, 끊임없는 소통과 서로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 등이 효과적인
팀명은 ‘스탠 by 미-따로 또 같이’였고, ‘보육원 아동대상 예술교육 이렇게 하
결과물을 도출하는 바탕이 되고 CoP 활동을 건강하게 유지시켜준다고
과 주제는 무엇이었으며, 어떤 활동
세요!’를 주제로 삼았습니다.
생각합니다.
을 하셨나요?
아동복지시설 어린이들은 ‘보육원’을 집이라 부르면서도 ‘남이면서도 남 아닌
125
5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l 2015
Nori_ Nol.E
모둠 명
Nori_Nol.E
학습 주제
초등 저학년 전래동요를 활용한 실내놀이 10
관심 분야
초등학생(저학년), 전래동요, 놀이
학습 목적
⑴ 기존에 있던 전래놀이와 다르면서도 특정 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적용 및 활용이 가능한 놀이 활
●
●
●
●
동 콘텐츠를 연구하고 싶었습니다. 특히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예술놀이 활동 콘텐츠에 대해 연구할 생각입니다.
⑵ 교수자가 쉽게 이해 가능한 매뉴얼 제작 방법도 함께 연구하고자 합니다.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60
l 2015
너와 나의 사진 레시피
모둠 명
너와 나의 사진 레시피
학습 주제
특수학교 출강 예술강사 대상 인터뷰 형식 레시피 제작
관심 분야
특수학교, 사진
학습 목적
매년 학교예술 분야에 선정·지원받는 학교 중에 특수학교가 20% 정도 있지만, 예술 강사들에게
●
●
●
●
기본적인 특수 교육에 대한 연수가 없어 기존 강사나 신규 강사에게 특수학교에 대한 정보와 수업 팁을 레시피로 만들어 도움을 주고자 모둠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구성원 명단
총 2명(사진분야 학교 예술강사)/ 노하나(모둠장), 김가현
회의 현황
총 8회 진행(자문회의 미진행)
학습 결과
모둠활동 관련 인터뷰 형식의 레시피 제작 중
활용 방안
⑴ 특수학교 수업의 경험이 있는 다양한 분야의 선생님들에게 인터뷰 형식으로 레시피를 만들어
●
구성원 명단
●
총 3명(학교 예술강사, 에듀케이터)/ 이보늬(모둠장), 전민정, 정지헌
●
회의 현황
●
총 8회 진행(자문회의 2회 포함)
●
자문회의
●
⑴ ⑵ 이효광(디자인분야 학교 예술강사)
●
학습 결과
모둠활동 관련 매뉴얼 초안 제작
활용 방안
초등학교 저학년 학교현장 수업활용(국악, 연극, 시각수업)
●
●
126
갈 예정입니다.
⑵ 인터뷰자의 약력과 경험담 이야기들을 풀어내며 레시피를 만들어 갈 예정입니다.(10명 정도 인터뷰 및 전문가 자문을 진행할 예정)
학습/탐구
학습/탐구
창의/창출
창의/창출
공감/공유
공감/공유
127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61
l 2015
시크릿 서커스
모둠 명
시크릿서커스
학습 주제
만화로 보는 예술농부의 땀 - 학교 예술강사들이 활동을 하면서 겪는 어려운 점을 만화로 제작
●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운영 보고서
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현장
하여 공유 관심 분야
만화
학습 목적
강사들이 학교에 가서 수업을 진행하며 느끼는 여러가지 어려운 점에 대해서 사례를 수집하고
●
●
분석해서,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 양식을 정리하여 만화의 형식으로 매뉴얼 북을 제작해보 고자 합니다. 구성원 명단
총 2명(만화애니메이션분야 학교 예술강사)/ 박근애(모둠장), 황중선
회의 현황
총 8회 진행(자문회의 미진행)
학습 결과
모둠활동 관련 매뉴얼 북 제작 중
활용 방안
예술강사들 특히 신입 예술강사들이 학교 교육 현장에서 어려운 문제를 접했을 때, 다른 강사들
●
●
●
●
의 사례와 그 대응방법에 예들을 살펴보며, 자신의 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응 방향을 잡을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학습/탐구
창의/창출
공감/공유
128
129
2011~15 모둠 : 학습과 실천의 만남 그 기억에 대한 공유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전문가 인터뷰
“책상 앞에만 머물지 말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보라”
전문가 인터뷰
감성·발상·사고에 익숙한 예술가 분들이 좌
Q. 한 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아르떼 아카데미의 ‘학습
뇌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학습하게 만들
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2011~2015년의 성과를
어 주는 의미도 찾을 수 있겠습니다.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무엇인가요?
한국액션러닝협회 사무국장
자 없이 모두가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효율적인 의
of Practice’
게 하기(대상, 기간, 내용 등)’, ‘주제를 해결하 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기’, ‘자료수집, 전문가
다. 공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많은 팀(모둠)
인터뷰, 현장 답사, 토론’, 상호 코칭과 피드백
들이 실행까지 고민하고 실제 실행하고 있다
(타인과 네트워크),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기,
공감, 소통, 생각하는 방법을 배우는
는 점이죠. 그리고 같은 팀(모둠)이 지속적으
실행하기, 결과에 대해 다시 토론하기의 과정
것을 기본으로 ‘현장’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로 CoP 연수에 참여한다는 점입니다. 커뮤
을 거칩니다. 이런 과정에서 퍼실리테이터는
Community of Practice의 약자입니다.
현장에 가는 이유는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학
니케이션 스킬 향상 등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단순히 수직적으로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즉, 실행공동체죠. 함께 공부하는 데 그치는 기존의
습자가 원하는 것, 학습자가 속해 있는 기관
들의 변화도 주목할 만 합니다. 더 자세히 살
참여자들의 과제가 잘 마무리 될 수 있도록
에서 원하는 것, 즉 그들의 목소리(needs)를
펴보면 기존에는 콘텐츠 베이스로 그들이 원
프로세스마다 그 과정이 잘 이뤄질 수 있도록
듣고, 또 말하지 않아도 잠재적으로 느껴지는
하는 것을 잘 도와주는 것이 퍼실리테이터의
도와주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대상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아울
역할이었습니다. 퍼실리테이터의 스킬이라는
참여자는 대부분 어느 한 분야의 전문가들입
러 본인이 알고 있는 지식·경험·정보에 머물
것에 집중하지 않았고, 그들이 가져온 주제를
서 말하는 CoP는 전문성을 가진 문화예술가가 모
니다. 이런 각 분야의 전문가가 모여서 융합되는 것
지 말고 지식의 확장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합
잘 해결하도록 도와주고, 교사가 그 멤버가
여, 집단지성을 발휘하여 공동의 이슈와 관심사를
이 CoP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야가 다른
니다. 마지막으로 확장된 지식의 실행입니다.
되어 같이 고민해주는 역할이었습니다. 그런
해결하는 것이고, 아르떼는 구성원들이 그것을 잘
사람들이 모였기 때문에 처음엔 타 분야에 대해 이
새롭게 배운 기법에만 집중하지 말고 왜 그
데 2013년도부터 CoP 학습자들과 좀 떨어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도와주는 ‘체계’를 말합니
질감이 있을 수도 있고, 본인의 주장이 강하기 쉽습
기법을 사용 하는지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
져서 조망하여 부족한 부분을 이끌어주고 그
다. 그리고 학습자 즉 참여자 입장에서는 목적과 결
니다. 이걸 깨는 것, ‘본인만 옳다’는 생각을 깨는 과
합니다.
들끼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로 바뀌었
과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함께 학습하는 사람들 간
정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지향하는 통합예
의 소통·공유·공감하는 능력의 배양과 무임 승차
술교육이며 CoP의 의의라고 생각합니다. 우뇌적
어떤 차별성을 가지나요?
견 통합을 이뤄내는 과정을 배워나가는 것이 중요 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A. C oP는
스터디 그룹과 달리 실행공동체 즉 CoP는 어떤 목 적을 가지고 그걸 위해 공부하고 실천, 실행하고 그
Q. 문 화예술교육과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만남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일까요?
실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집단이 같이 모여서 고 민 해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아르떼에
130
프로세스 측면에서 보면 ‘주제 명확하
의 본질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합니
A. 지 난 5년간 CoP가 ‘Community
Q.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란 무엇이며, 기존의 교육(연수)과
역할은 무엇인가요?
A. CoP를
Q. 학 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활동에서 중요한 것은
박승희
Q. ‘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서 퍼실리테이터의
A. C oP
A. C oP는
다고 생각합니다.
131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참여, 그 후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그후
01 2011년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연수대상
반공호 힐링 테라피 프로젝트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
함께한 사람들 142
연평오감팀
●
B.B(Babyboom)세대 문화복지 활성화
인생이모작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구조에 대한 연구
청소년 문화, 푸를청(靑)!
김효진
- 생활문화공동체 사업 진행 - 군부대와 교도소에서 범부처 사업 진행 - 지속적 CoP 연수 참여(2011 사회 예술강사, 2012 하반기, 2014 Level 3)
- ‘콩닥콩닥 오감미술여행’ 단체 설립 후, 2015 학교 밖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참여 중
유원경, 김민아, 이문향
사회 예술 강사
인터뷰(호중훈 강사) 140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백혜미
●
그 후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
모둠명 ●
Ⅲ.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oP 참여,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CoP)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133
모둠학습 주제
●
다른 시선으로 사물과 소통하기(미술)
이게 진짜일까?
연극으로 만나는 창의향상 프로그램(연극)
쑥쑥자라라! 창의나무야!
아동음악극 만들기(음악)
하모니
몸의 대화, 연극·무용 융화프로그램 연구(노인과 장애인의 공통적 특성을 바탕으로)
감성스위치 ON
문제아동을 주의 집중 시키는 방법 연구 및 방안
파랑새
이럴 땐? 요렇게!(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사회문화예술 선배강사)
애정사
-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강의자(선배 예술강사 사례 발표 등) 활동 ●
지속적 CoP 연수 참여
- 이영경 : 2012 하반기, 2015 - 이수현 : 2013
●
김선희, 장태환, 권혜영
-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강의자(선배 예술강사 사례 발표 등) 활동 ●
이현섭
-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강의자(교원연수) 참여 - 지속적 CoP 연수 참여(20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144
13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참여, 그 후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연수대상
02 2012년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연수대상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집단지성을 이용한 상호문화교육 콘텐츠 제작, 운영 매뉴얼
C.T.
융합과 통합의 비교, 분석, 분류를 통한 융 합교육의 향후방안연구
CDE 2012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 - 참여 이후, 하자센터 담당자로 근무 중 민지은 (하자허브팀/ 2015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협력 참여)
●
이효광
-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강의자(선배 예술강사 사례 발표 등) 활동
- 모둠원 중심 ‘꿈더함’ 단체 설립 후, 2015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사업 참여
이현섭, 김수진 - 모둠원 중심 한국문화예술교육멘토링협회 단체 설립, 운영 및 2015 군부대/ 지역아동 ●
스스로 성장하는 fun 음악놀이
cecece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센터 지원사업 참여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장애인예술교육을 위한 관찰방법 연구 및 관찰을 통한 상징행동 분석 - 예술강사 역량강화 모델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두명만으로도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진로활동중심
문화와 성장하는 사람들 W 호중훈, 이정훈, 곽지영, 김현영, 박미정, 박운용, 임혜진, 조은영 -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강의자 (선배 예술강사 사례 발표 등 활동)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미디어 교육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 (관심키워드 : 소통, 공감)
AMEDIA
아동, 청소년을 위한 예술 통합목적지향 프로그램 개발 (관심키워드 : 창의, 소통, 공감)
I.O.O.P (객체지향 교육 프로그램 개발)
통하면 통하리라 - 조손간의 소통을 돕는 국악(관심키워드 : 공감)
국악TA그 [알아가다]
아파트 놀이터에서 회복한 우리 골목 놀이와 노래(관심키워드 : 공감)
파이디어
지역사회·세대간의 이슈를 선정도서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과 문화예술체험 놀이로 풀기(초등학교 3~4학년 중심으로) (관심키워드 : 소통)
화끈한 소통 [화통]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 모둠 성과 - 2012 하반기 연수 참여 계기로, ‘국악 전래놀이’ 연수 프로그램 기획 및 제안, 활동
●
●
인간+인형+소통 (인간과 인형의 스토리)
사과양식장
박운용, 임혜진, 조은영
- 지속적 CoP 연수 참여(2012 하반기) ●
134
AC 팡팡
연수대상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호중훈
- 지속적 CoP 연수 참여(2012 하반기, 2014 Level 4) - 2014 Level 4 CoP 참여를 계기로, ‘교과연계’ 연수 프로그램 기획 및 제안, 활동 곰팡이와 함께 하는 융합교육 (관심키워드 : 창의)
03 2013년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소소한 문화유산 바로 알기’
5樂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 모둠 성과 - 연수 참여 시, 황평우(육의전 박물관 관장)과의 전문가 자문회의를 계기로, 청소년 대상 시전문화를 접목한 ‘육의전 박물관’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연수 후, 실제 육의전 박물관과의 지속적 교류 및 박물관 내 프로그램 실행 노력 진행
- 연수 이후에도 수업 관련 연구 등을 위해 구체적 모둠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135
연수대상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맛있는 문화예술을 찾아서
8 group art company
통합 예술 모델 탐방을 통한 직장인 대상 1박 2일 프로그램 연구 개발
노름마치
자연에서 얻은 순환과 반복을 통한 예술체험 놀이
뫼비우스
세대공감! 아버지와 문화예술로 소통해요~
삼색껌딱지
풀뿌리 문화예술 체험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김밥’ 프로젝트
신바람 찰칵찰칵
초등교급 예술강사 대상 디자인 프로그램 통합교육활용 MAP 제시
136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참여, 그 후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04 2014년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연수대상
●
2012~13 아르떼 강사양성 과정 수료자
연수 이후에도 수업 관련 연구 등을 위해 구체적 모둠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모둠 성과 - 모둠 학습 주제에서 출발하여 기획된, 2014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디자인 선택연수 ‘전통문화 연계 디자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수의 강의자로 참여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교과서에 비타민 C 더하기
아츠로
교과연계 통합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및 개발워크숍
예그
학습 분위기 조성을 위한 예술놀이 체험 및 콘텐츠 개발
카리스마
Art Cocktail - 송 대리, 예술을 흔들다!
Art MT
Hi! High Touch [전통문화를 통한 교과연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체험 및 개발]
A-act
예술강사를 위한 셀프리더쉽 프로그램, 위대한 나의 발견
A-play
청소년들의 꿈과 자아를 찾아갈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수업 지도안 및 교육 커리큘럼 및 사진 지도서 제작
감상보감
지친 현대인을 위한 미디어 아트 감상 재창작 힐링 프로그램
마주
지역 박물관·미술관을 활용한 청소년 자기주도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문화예술로 비빔
물 소스북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고뭉치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
모둠 성과 - 모둠학습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을 교원/ 예술강사 대상 교과연계
연수과정으로 실행 ● 모둠 성과 - 모둠학습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을 예술강사 대상 교과연계 연수과정으로 실행 ● 모둠 성과 - 모둠학습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을 예술강사 대상 콘텐츠 개발 연수과정으로 실행
●
용~쏭!
충청지역 초등고학년 대상 문화예술을 활용한 캠프 프로그램 개발
팔보채
문화예술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물」 소스북 제작
함께하는 공책
●
- 연수 이후에도 수업 관련 연구 등을 위해 구체적 모둠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모둠 성과 - 모둠학습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의 실제 실행 기회 마련
(2014.1.13~14, 순천향 대학교)
●
모둠 성과 - 지속적 CoP 연수 참여(2014 Level 3/ 사고뭉치 모둠) 및 실제 연수생
수업에 적용
137
연수대상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예술의 능동적 감흥을 위한 골목길 리터러시-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이 사는 지역, 마을, 골목길 등 일상에 대해 예술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융합예술 감상교육 아이디어 모음집 제작
상상편집소 피플
영상 미디어리터러시를 통한 중학생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2011~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 모둠 성과 - 연수 참여 시, 조재경(고무신학교 교장)과의 전문가 자문회의를 계기로, 2014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실제 모둠활동 결과 실행 계기 마련 및 2015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중 인문학 프로그램 시범 운영 중
05 2015년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 모둠학습 주제
모둠명
학교무용예술강사 대상 학교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수업운용 가이드 제작
Pas de Trois
서강대미디어교 육연구회
크게 웃고 크게 움직이는 놀이 12가지 사회 예술강사들을 위한 음악 놀이활동집 제작
아트 -리딩톤
조형물을 활용한 통합예술 활동 프로그램 개발
에듀메트로
중등교육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공예 예술 강사 대상 전통을 담은 공예 레시피 제작
전! 통합니다
동양의 ‘수호신’ 소재 사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예술로 고고 (古go)
아동대상 음악중심 통합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레시피 개발
자장가를 모티브로한 미혼모 대상 통합예술프로그램 구성
자장가 프로젝트
뉴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움직임 기반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퇴직(예정)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
춤추는 부장님
예술가 리터러시를 위한 아트마케팅 매뉴얼 개발(기업 펀딩을 중심으로)
케미
친구 찾기(넌 누구니?) - 애니메이션 감상수업 프로그램개발
콩닥콩닥 오감여행
성인을 대상으로 한 공연/시각예술 감상가이드북 제작
Salon d’Art (살롱 다트)
청소년을 위한 예술작품 감상프로그램 개발
33㎡(아주 작지 만 특별한 시작)
연수대상
● 모둠 성과 - 모둠학습결과의 수업 적용 및 연수 후 모둠학습과 관련 된 타 연수에 참여하여 학습 결과 심화
●
김남희
- 모둠학습 참여 후 2015 노인 사진분야 신규 예술강사로 선발, 활동
● 모둠 성과 - 연수 참여 시, 공무원연금관리공단 교육담당자 및 뉴시니어라이프 회사 등에 모둠학습 내용 실행 제안 등 노력
●
이진희
●
138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참여, 그 후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권효진
- 지속적 CoP 연수 참여(2015/ Pas de Trois 모둠) - 통합연극(장애,비장애)에 대한 연구를 위한 독서스터디(월 1회) -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사업 준비 모임 진행중
- 서울문화재단 창의중점학교 진행
- 2015 부천문화재단 학습공동체 지원 사업 함께 참여
- 다원예술공연, '힘내자 숨고르기' 전시
예술강사, 기획자, 교사 등
연수 참여 후 모둠·개인 활동내용
●
연수 이후에도 수업 관련 연구 등을 위해 구체적 모둠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따로 그리고 또 같이
●
모둠 성과 - 모둠별 학습 결과를 토대로 한 자료 출판 준비 중
조선시대 엄친아 문종 - 세종부터 문종까지의 업적과 조선인들의 생활 풍습을 연극적으로 풀어보기
The 신나Go
●
연수 이후에도 수업 관련 연구 등을 위해 구체적 모둠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발달장애아동들이 뛰놀며 친구되는 신나는 연극놀이
우분트지글지글 놀이터
●
연수 이후에도 수업 관련 연구 등을 위해 구체적 모둠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보육원 아동대상 예술교육 이렇게 하세요~ -프로그램 설계 시 유의사항, 샘플 프로그램 제시
스탠by미 - 따로 또 같이
●
연수 이후에도 수업 관련 연구 등을 위해 구체적 모둠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초등 저학년 전래동요를 활용한 실내놀이 10
Nori_Nol.E
특수학교 출강 예술강사 대상 인터뷰 형식 레시피 제작
너와 나의 사진 레시피
만화로 보는 예술농부의 땀 - 학교 예술강사들이 활동을 하면서 겪는 어려운 점을 만화로 제작하여 공유
시크릿서커스
139
to gether
Interview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참여, 그 후 이어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참여자 인터뷰
“CoP는 질문에 대한 답을 혼자 아닌 함께 찾아가는 텃밭” Q. 현 재 소속 또는 하시는 일은 무엇인가요?
A. 경기문화재단
A. 초기
예술강사들의 활동과 비중이 높았다면
그램 연구 모임 ‘예그’의 활동이 참여로 이어졌다고
력이 이뤄지고 있는 것 같아요. 바람직하다고
로 창의적인 질문을 만들게 하고, 그에 따른
생각해요.
봅니다. 특히 학교와 사회, 학교안의 예술강
다양한 활동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
사와 교사가 계속해서 더 적극적으로 만날 수
며 결과에 집착하기보다는 스스로에게 보람
있는 CoP가 되기를 제안해 봅니다.
있고 의미 있는 과정을 만들어 나가는데 있어
Q. 연 수 참여 후 지속적인 학습결과 활동 연계 사례를 소개해
매우 유용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세요. Q. 문 화예술교육과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의 만남
계속 활동하고 있는 ‘예그’팀의 사례를 이
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일까요?
야기하고 싶습니다. 연수 참여 후 아르떼 심화연수, 교육청 교원연수에서 문화예술교육가 및 학교교사
Q. 향 후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하여 공부
하고자 하는 분들께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A. CoP는
양 주체(문화예술교육과 학습공동체)
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무엇보다 가
가 다양하고 생산적인 문화예술적 질문들을
장 기억에 남는 사례는 지속적인 모임과 연구 속에
끊임없이 교환하면서 만나는 지점이라고 생
이라고도 말하고 싶습니다. 진정한 지식의 의
A. C oP는
어깨동무하며 만드는 지식 탐구여행
동기라면 문화예술교육자로서 지속적인
서 교과연계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참가했던 2014
각해요. 그 지점은 개인과 삶의 의미 있는 변
미가 무엇인지, 어떻게 손잡고 새로운 지식에
역량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컸다고 봅니다. 그래서
년 여름 전주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있었던 문화재청
화와 성장에 대한 질문이 만나는 곳이며 그
접근하고 나눌지를 뜨겁게 고민해 봤으면 좋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만화애니메이션 분야 예술강사
2012년 지식공유 CoP 활동가 모집공고가 좋은 동
지원 무형유산 교육 프로그램 시연대회였는데요 우
질문에 대한 답을 혼자가 아닌 더불어 만들어
겠어요. 다양하고 가치 있는 질문들과 만나고
기부여가 되어 활동을 시작했고, 아르떼 동아리 L4
수프로그램상인 국립무형원장상을 수상했던 일입
가는 텃밭 같은 것이 아닐까 합니다.
그것에 접근하는 실천과정 안에서 변화하고
예그
의 경우 아르떼 강사로 구성된 문화예술교육 프로
니다.
호중훈
140
도움이 많이 됐던 것은 교육현장에서 학
이 높아 진 거라고 생각해요. 학생들이 스스
A. 현재까지
가요?
A. 가장
생들과 만날 때 문화예술적인 멘토링 역량
기획 작품 콘티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Q. 학 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에 참여하신 계기는 무엇인
도움을 받으셨나요?
참여와 그에 따른 예술강사들과의 만남과 협
로 활동 중이며 대학에서는 애니메이션 제작과 연 니메이션 영상제작 사업자 대표로 현재 애니메이션
변화와 발전에 대해 느끼신 점이 있다면?
Q. 학 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 후 실무에 어떤
점점 더 다양한 계층의 문화예술관계자들의
소속 만화애니메이션분야 예술강사
출 관련 강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창작 작업은 애
Q. 2 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연수의
A. 근본적인
성장하는 문화예술교육가가 되길 응원합니다.
141
to gether
함께 한 사람들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함께한 사람들
●
감성스위치 ON
김선희 장태환 김은영 정경림 권혜영 박은혜 ●
파랑새
박점숙 김은선 남정은 이현섭 ●
애정사
박지영 박종현 최현주 임상래
2011~2015 연수 수료자
2012 하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
I.O.O.P(객체지향 교육프로그램 개발)
박덕하 김춘숙 송민숙 이혜진 ●
2012 상반기 아르떼 지식공유 CoP 2011 지역문화 국내연수 수료자 대상 CoP
민지은 윤피어난 이기원 이세라 CDE 2012
●
연평오감(悟感)
●
김은미 김영태 박성우 백혜미 인생이모작
조미란 김은희 나명흠 김효진 홍지은 김영태 김지식
민들례 백옥현 유혜정
●
김영록 민선해 정진영 홍선영 홍성준
청소년 문화 푸를청(靑)
이훈희 이주연 김경섭
2013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
5樂
김진주 배정민 송치규 이선화 이성희 이승우 이지은
●
이게 진짜일까?
사과양식장
●
유원경 김민아 이수현 이영경 김효진 이문향
오정화 최인자 홍정화
김량희 김율리아 박하나
●
자색나래
김지현 양슬기 양태영 유희정 황경희 황진하
강미순 김하나 윤남경 이진희 허수정 박상희 콩닥콩닥 오감여행
김혜영 김효진 노경해 엄은현 하경아
(Level 3 / 일반참여자 대상)
고은진 김은선 임하정 최혜선 한승모 스탠by미 따로 또 같이
●
이영경 한경원
Salon d’Art(살롱 다트)
●
권효진 손혜정 유은순 감상보감
●
시크릿서커스
●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Level 4 / 2012-13 아르떼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대상)
김아정 김지혜 박경희 박흥서 정수연 마주
김현영 문지영 박지영 서반석 최현주
노름마치
김은주 이정주 임승한 임정숙
김혜정 유현주 이상열 천비키 최지희
●
●
사고뭉치
상상편집소 피플
●
삼색껌딱지
김혜옥 신성숙 이연주 이인미 조기선
카리스마
●
전! 통합니다
●
김성미 김은희 박미경 손나영 정혜숙
김상규 김소연 김은정 이은선 Art MT
이문향 이현미 한승기 A-act
●
김진희 박예슬 이승희
오광열 이승자 김선희 정필이 A-play
서강대미디어교육연구회
●
김영환 박명호 박행우 윤지혜 이원경 황정의
안
●
우분트지글지글놀이터
●
●
오정화 최인자 홍정화
뫼비우스
김신영 김주희 박영명 손수정 이세진 장은주 강연우 김보연 김재인 전오미
주현아 채주희 호중훈
●
아트-리딩톤
●
예그
●
문화예술로 비빔
박근애 황중선
아츠로
●
도은미 서진화 임소영 정승원 김지현
●
이은경 강석순 장예화 함주현
따로 그리고 또 같이
●
2014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박근애 박연두 이수현 이영식 황윤주
김해정 김미향 이나경 김민나 전상필 하모니
너와 나의 사진 레시피
김가현 노하나
●
8 group art company
안현진 조광호 한경원
●
김미애 김보라 유은미 유효정 한소현 ●
케미
●
●
●
쑥쑥자라라! 창의나무야!
142
임혜진 장경희 조은영 호중훈
춤추는 부장님
●
곽지영 김현영 박미정 박운용 이정훈 이환표
2011 사회 예술강사 CoP
The신나go
●
함께하는 공책
박지연 유인옥 임향재 한경희
곽혜신 남수경 오미정 윤영애 임미정 전경아 ●
Pas de Trois
김량희 김율리아 박하나
33㎡(아주 작지만 특별한 시작)
문화와 성장하는 사람들 W
●
김남희 정선형 최승은 김용순 ●
●
cecece
두명만으로도
자장가 프로젝트
●
●
김민정 김수진 이현섭 장예화 ●
이보늬 전민정 정지헌 ●
팔보채
●
● ●
강은혜 김국화 정희정
박미정 이정훈 나수아 홍희주
김윤정 이지은 이효광 임향재 최양희
Nori_Nol.E (노리놀이)
예술로 고고(古go)
파이디어
화끈한 소통 [화통]
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
강수연 남지은 박은형 송지현 용재현 최승미
국악TA그룹 [알아가다]
지은주 박은숙 김병현 ●
박정현 염창선 이승아 이예원
●
용~쏭!
●
최현주 이경아 유매희 김혜림 ●
C.T.
●
에듀메트로
●
김종옥 안성경 양문옥 정희정
AMEDIA
김효진 이영경 김진영 고광현 차용호 ●
신바람 찰칵찰칵
AC 팡팡
호중훈 박운용 임혜진 조은영 ●
●
령 김혜림 박지영 박초롱 박윤미
143
to gether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국민 모두가 전 생애에 걸쳐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01
창의교육 지원
01 학교교육 (School Arts Education)
02 창의교육 (Creative Education)
- 예술로 사람을, 사람으로 예술을
- 아이들 마음에 예술의 씨앗 심기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진취적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
문화예술교육은 자라는 아이들의 현재와 미래를 풍요롭
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지원합니다. 특히, 학생
게 합니다. 창작과 표현의 기쁨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들의 입장에서 함께 고민하고 역량있는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학생들이
소중한 경험입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을 통해
스스로 예술적 감수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타인과 교감할 수 있는
모든 어린이·청소년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자세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성장하는 학생들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
있도록 창의교육의 기반을 만들어 갑니다.
유하고 이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함께 마련한 「문화예술
- 예술꽃 씨앗학교
-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규분야 개발과 확대
교육활성화 종합계획」의 근본취지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
- 학교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사람, 정보, 자원이 모이는 문화예술교육 발전소’라는 비전 아래 범 부처 간의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행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고 있 습니다.
- 학교 예술강사 교육활동 지원
니다. ※설립근거: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 10조)
02
삶과 분리되지 않은 문화예술로서의 ‘a’
참여하는 교육으로서의 ‘e’
정책과 현장, 지역과 지역,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매듭
예술협력 지원
01 사회교육 (Community Relations)
02 가족문화 (Cultural Relations)
03 지역협력 (Regional Partnerships)
- 행복한 삶과 공존의 문화
- 서로 소통하고 함께 성장하는 문화예술교육
- 건강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문화예술교육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 자라나는 아이들과 가족 구성원 모두가
예술교육 정책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앙과
우리 사회 모든 세대와 계층이 문화예술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지역 간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다
을 배우고 경험하는 조화로운 사회, 한국
서로 소통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문화
양한 기획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예술교육을 만들어 갑니다.
-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 -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
144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문화
주며 사회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소외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 문화가 있는 날 - 인문예술 캠프
145
2011~2015 학습공동체, 아르떼 동아리 C❺P 5년 간의 기록
to gether
03
예술교육 지원
01 정책연구 (Policy Analysis and Research) -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질적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연구 사업과 연구서비스화 사업, 출판 사업, 전문가 연구회 운영을 추진합니다. - 연구 개발 - 연구 서비스화 & 문화예술교육 포럼
02 홍보국제 (Public and International Relations) - 공감과 소통의 문화예술교육의 확장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목표로 대중과 소통하고, 전략적 국제교류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합니다. - 정책 공감 - 문화예술 명예교사 -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개최 -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03 예술교육연수센터 (KACES Arts Education Center) - 문화예술교육의 동반 성장 교육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입니다. 인적 자원의 자질이 높아지면 교육의 수준도 높아집니다. 문화 예술교육진흥원은 창의적인 리더와 인재를 키워 문화예술교육의 주춧돌로 삼고자 합니다. 문화예술교육 관련 인재들의 전문 역량을 높여 문화예술교육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가는 일,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문화예술교육 ArtE Academy : AA -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 : 의무연수, 선택연수, 보수교육 -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연수 :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교원, 행정인력, 공무원, 예비인력 등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