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jeongsook

Page 1





C H O J E O N G S O O K

Wa t e r, M i r r o r o f C o n t e m p l a t i o n


조정숙-소멸하는 존재에 참여하는 시선 박영택(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조정숙은 장노출(노출시간은 ND 1000필터를 사용해서 2~8초 정도를 주었다)의 사진을

엽과 꽃잎들 또한 주어진 자연 조건 속에서 소멸하는 장엄한 운명을 매혹적인 아름다움으

해서 찍었다. 치산 계곡의 경우는 컴컴한 산 속의 깊은 계곡으로 파고드는 빛에 의해 드러난

한 나무와 풀, 꽃 등 주변 자연에서 날아와 떨어진 것들로 이루어진 사진은 모든 생명체의

통해 흐르는 물의 표면을 건져 올렸다. 경주 보문정 호수와 팔공산 치산계곡의 수면을 반복

오전 11시~오후 3시 사이에만 촬영했다. 빛이 있어야 대상은 보이고 그로인해 출현하는 가

시성의 세계는 사진이 사진일 수 있는 절대적 조건의 하나다. 특정한 시간과 빛에 의해 가능 해진 특별한 수면은 다채로운 변화 현상을 현기증 나게 안겨준다. 사람의 눈은 그 흐름을 고

정시키지 못하고 다만 흘려보낼 뿐이지만 사진은 순간의 시간을 응고시켜 놓는다. 지금 막 사라진 흔적들, 지나가버린 것들의 뒤늦은 현존이자 늘 사후적인 결과물이 모든 이미지의 운명이자 사진 이미지의 필연이다.

사진 속에는 물의 흐름이 어지러운 선묘를 남기고 있고 또한 수면으로 난반사 된 물 바깥의

외부세계가 다채로운 색상으로 얼룩져있다. 아울러 그 위로 떠 있는 여러 부유물들이 이리 저리 몰려다니는 형세가 다분히 몽환적인 이미지, 격렬하면서도 지속적으로 흔들리는 흔

적을 안겨준다. 명시적 존재성이 슬쩍 뭉개진 자리에 빛과 색채로 얼룩진 자취만이 돌연 멈 춰 있는 장면이다. 얼핏 그 장면은 모네의 수련 연작이나 추상표현주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회화적 이미지로 다가온다. 모네는 오로지 표면만을 안기는 수면을 캔버스의 존재론적 조 건인 평면성과 일치시키면서 그 평면 위에 평면적인, 표면만의 세계(수면)를 옮겨 놓았던

것이다. 이른바 모더니스트 페인팅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식 속에서 가능한 그림이다. 표면뿐인 수면에 비치는 대기의 현상, 날씨와 빛과 바람과 함께 하늘이 짓는 풍성한 표정,

그 순간적인 기미를 모네는 물감과 붓질의 물리적 흔적으로 응고시켰다. 동시에 그는 사물 에 대한 고정관념이 아니라 인간의 눈이 특정한 빛의 순간에 드러나는 바로 그 대상의 형태

와 색채를 그리고자 했고 그로인해 당연히 수면은 또한 요구되었다. 결국 상이한 빛의 조건 에 따라 달리 보이는 수면의 모습은 색채와 명도의 차이로 인해서다. 이러한 연작을 통해

이제 그림의 정체와 의미는 그리고자 하는 특정 대상이 아니라 캔버스들 사이의 차이의 관 계가 결정하게 되었다.

조정숙 역시 화면과 수면을 일치시키면서 그 수면에서 일어나는 무수한 현상을 기록하고

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봄날 벚꽃 나무에서 눈송이처럼 떨어지는 꽃잎과 수면 주변에 자리

운명을 사뭇 감상적으로 안겨준다. 결과적으로 작가의 사진은 수면에 떨어진 것들이 죄다 물의 흐름에 의해 급속히 쓸려가고 끝내 사라지고 소멸하는 순간을 응시한 결과다. 생각해 보면 물 또한 지속해서 사라지는 중이다. 동일한 물은 없다. 그 물위에 낙하한 생명체들 역

시 물과 함께 일시적 생을 마감하고 사라지는 중이다. 이 두 존재는 맹렬한 시간의 흐름, 속 도 앞에서 속절없이 소멸하고 있다.

자연은 부단히 변화하는 가운데 스스로를 넘어가면서 무수한 생명들을 산포시킨다. 움직 임 속에서 하나의 형태로부터 다른 형태로 쉬지 않고 옮아간다. 그렇게 쉼 없이 움직이면서

기존의 형태를 만들고 부수고 소멸시키면서 또한 생성시킨다. 인간은 그 같은 자연의 생명

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명을 반추한다. 자연의 이 무한영역에 자신의 유한한 생을 은밀히 비 춰보는 것이다. 그러니 자연과 생명체들을 본다는 것, 그것들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유심 히 들여다본다는 것은 인간이 절대적 주체의 자리임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무한

성의 타자성’에 은연중 참여하는 것이다. 그러한 여정을 따라가는 일이 바로 예술의 길이기

도 하다. 그런가하면 불교에서는 시공간을 초월한 어떠한 실체도 인정하지 않는다. 세계는 커다란 운동일 뿐이기에 그렇다. 살아있고, 살아서 움직이는 것은 그대로 있지 않고 변화한 다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제행무상이다. 제행은 만물이 아니다. 물(物)이 고정되어 있기 때 문에 행이며, 살아있는 일체는 그 행으로써 무상한 것이라는 얘기다. 이러한 무상은 슬픔에

앞서 진리이고 세계는 무상함으로 인해 슬프다. 그리고 이 슬픔 때문에 인간은 사람다운 비

애를 간직하고 그 슬픔이 사람다운 삶을 가능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작가는 수면위에 떨 어진 꽃과 낙엽들이 물과 함께 어디론가 흘러가는, 사라지는 일련의 과정을 담담히 기록하

면서 그로부터 자연스레 파생하는 모종의 비애와 슬픔, 생과 사에 관한 다양한 감정에 사로 잡혔던 것 같다. 수면에 떨어진 지극히 가벼운, 덧없어 보이는 생명체의 운명을 응시하면서 여러 상념에 잠겼을 것이다.

있다. 깊이가 부재한 수면 위에서 벌어지는 이미지의 다양한 흔적들, 물 위로 몰려다니는 여

“물 위에 떠있는 주검들이 바닥으로 가라앉아 부패를 시작하거나, 어느 한갓진 여

떠있는 존재들은 주변의 나뭇가지와 풀, 꽃들이다. 바람에 의해 수면 위로 낙하한 것들인데

에 떠있는 꽃잎과 낙엽들이, 물의 소용돌이 속에서 어떻게 소멸해 가는가를 살피

러 존재들의 부유하는 모습을 연작으로 기록하고 있다. 끊임없이 흐르고 이동하는 물 위에 이것들이 물의 격렬한 또는 지속적인 흐름에 의해 함께 흔들리고 선회하며 떠내려가는 모 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니까 나무와 대지에서 분리된 것들이 물의 흐름 속에서, 내 눈

앞에서 지금 막 사라지고 있는 중이다. 수면에 반영된 하늘의 기미들 역시 그렇게 변화무쌍 하게 사라지고 있다. 결국 작가가 찍고자 한 것은 물 위에서 부유하는 저 존재들의 흔적으

로 보인다. 사라지고 있는 것들이자 돌이킬 수 없는 존재의 운명들이다. 삶이란 특정한 시 간과 공간 속에서 벌어지는 우발적 사건을 필연적인 운명으로 끌어안고 사는 것처럼 이 낙

울에 떠밀려 존재를 버리는 과정들을 우연한 기회에 보게 되었다. 유속의 시간위 게 되었다. 눈길 주지 않는 곳에서 자라나고, 꽃피우고, 낙엽이 되어 떨어진, 제 생

명을 다한 꽃잎과 낙엽들이 물과 함께 사라지는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았다. 물로 태어나 다시 물로 돌아가는....... 덧없이 소멸하는 부유물들과 끊임없이 반복되는 물의 순환은 나를 반추하게 하는 사유의 거울이다.” -작가노트

04


동양에서 산수화란 산과 물을 그린 것이고 양과 음을 표상화한 그림이자 자연 공간 속에서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존재의 운명성을 가시화한 그림이었다. 특히 우주를 이해하기 위

해 물에 대해 심사숙고하는 장면을 안긴다. 산과 강은 영원성과 변화를 암시하는데 특히 물 은 창조력의 원천이자 풍요로운 생산성 또는 영원한 생명력을 지닌 존재이자 침투와 부딪

침, 씻김과 압착 등을 통해 산과 돌을 천태만상으로 만드는 존재로도 이해했다. 이처럼 동양 인들에게 물은 모든 사유와 철학의 근간이었다. 형태의 다양성과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비

상한 능력을 갖고 있는 물은 자연의 이치뿐만 아니라 사람의 행위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일 반적인 우주 원리들을 개념화하는 주요한 모델’(사라 알란)을 제공해주었던 것이다. 그런 가 하면 산수화에 등장하는 점경의 작은 인물들은 인간사의 짧음이나 무상함을 표현한다.

그리고 그들은 산과 강에 의해 표현되는 공간과 시간 안에 불가피하게 놓인다. 이는 죽을 수

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을 알려주는 동시에 산과 강의 풍경에 의해 상징된 우주 안에 한 사람 을 묘사함으로써 피할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을 지시한다. 이처럼 중국의 회화와 사상은 산과 물의 상관관계를 탐구하며 이 풍경을 끊임없이 해체해온 결과이다. 우리 한국인들 역시 그 런 시선과 마음으로 자연을 대하고 그로부터 인생사의 여러 굴곡심한 감정을 헤아리고 모 종의 지혜를 찾아왔다고 본다. 조정숙의 이 사진 속에도 그런 눈과 마음들이, 산수화에서

엿보이는 물과 생명체의 상관관계가 은연중 투사 되어 있다는 느낌이 든다. 영원히 반복되

는 물의 순환과 덧없이 사라지는 생명체를 통해 자신과 자연이 불가분의 관련성을 맺고 있 음을 절실히 깨달으며 그로부터 치유의 시간 또한 은밀히 다독이는 것이다.


Cho Jeongsook-Viewpoints of Perishing Beings Park Yeongtaek (Professor at Kyonggi University, Fine Arts Critics)

Artist Cho Jeongsook absorbed herself in the surface of water running in

the artist made it inevitable to use water surface as an important motif. In

the photo for a long exposure time (the exposure time was given for 2~8

the long run, the image of the water surface looks different according to

seconds, using ND 1000 filters). The artist continued to took the picture

the terms of different light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olors

of the Bomunjeong Lake in Gyeongju and Chisan Brook in Mt. Palgong.

and brightnes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uch sequence works, the

Chisan Brook can be photographed only from 11:00, a.m until 3:00, p.

identity and meaning of a picture was determined not by a certain object

m, when the light shined brightly in a deep brook through the forest. An

intended to be depicted but by relations between canvases.

object can be seen only by light, and the visibility world appearing by light is one of the absolute terms that a photo can be worthwhile to be

Like Monet, Artist Cho Jeongsook depicts a great deal of phenomenon

called a photo. Special water surface reflected in certain time and light

occurring on the surface of water, in concert with the picture and water

brings multi-changing phenomenon beyond any description, dazzlingly

surface. Specifically, she depicts into her sequence works, various traces

as it seems. The eye of humans can lose the track of a targeted object

of events occurring on the water surface in the absence of profound depth

and can pass it by chance. Meanwhile, the lens of a photo follows every

and a lot of objects floating and gathering onto water. The objects floating

moment, hardening time of the little moment. It is inevitable that a photo

on water running and moving constantly are tree branches, grasses and

is destined to reproduce later, the traces that have just disappeared out

flowers around. They fell on the surface of water by wind. In short, Art-

of our eyesight, and to show the results of every event, case or image of

ist Cho depicted the image that such living creatures were swayed and

the past.

falling down in circles, leaving the track of the strong and constant flow of water. Against the backdrop, objects that were separated from trees

Her photos described the flow of water with intricate line drawing, and the

and the nature have been just getting out of my sight in the flow of water.

world outside water that was reflected randomly on the surface of water

Signs in the sky on the water surface are disappearing in a variety of

is imbued with multiple colors. Also, a lot of the shapes of objects floating

changing forms, as well.

on the water and gathering to and fro leave fantastic and vigorous images and traces that move constantly. This is the scene in which nothing but

In conclusion, what the artist intended to describe might be the traces of

traces imbued with light and colors remains all of a sudden at where ex-

the objects floating on water, in other words, irrevocable beings doomed

plicit beings are crushed slightly. At first glance, the scene is impressed

to disappear. Just as life accepts accidential events occurring in certain

as the picturesque image that is associated as the sequence work of wa-

time and space as the undeniable fate, the fallen leaves and petals sub-

ter lily painted by Claude Oscar Monet and a painting of abstract expres-

limate their solemn fate doomed to perish according to the providence

sionism. Monet corresponded planarity (the ontological term of a canvas)

of the nature into spectacular beauty. Especially, there is a photo that

to the surface of water which accommodated nothing but the surface, and

implies the fate of every living creature in a sentimental tone, all at once.

placed two-dimensional and unidimensional world (surface of water) on

It is very the photo of objects flying and dropping from the natural scenery

the plane. This is a picture that could be drawn when there is an important

around, for instance, petals falling like snowflakes out of cheery blossom,

awareness signaling the starting point of what’s called modernist paint-

and trees, grasses, flowers, etc growing around the water surface. Ulti-

ing. Monet caught the scenes of the moment, for example, the phenom-

mately, the photo of the artist is the product of the result from catching

enon of the air over merely superficial surface of water, a wide variety of

the moments of every object dropping from the water surface, dipping in

expressions that the sky show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weather,

the track of water rapidly, and finally perishing and extinguishing. On re-

light and wind to crystallize such scenes with physical materials, paint-

flection, water remains the constant extinction, also. Thus, water of same

ings and brushes. At the same time, he attempted to paint the shapes

form does not exist. Living creatures falling out on the water wind up their

and colors of an object that caught the eyes of men at the moment of cer-

short life and are about to perish with water. The two beings remain help-

tain light, abandoning the stereotyped idea of objects. Such an attitude of

lessly delete amid rigorous track of time and speed.

06


The nature presents itself and gives birth to numerous living creatures,

In particular, water was understood as the source of creativity and the

in ups and downs. It moves without cease from one form to another one,

being of affluent productivity or permanent vitality that create mountain

through repetitive movements, and never stops creating, destroying and

and stones of all kinds of forms and shapes through osmotic, crashing,

depleting and reproducing the existing forms. Human beings look back

washing and compressive actions. Such as this, water was the funda-

on their life through the life activity of the nature. In other words, they re-

mental element of every contemplation and philosophy for Asians. Wa-

flect on their limited life implicitly in the indefinite universe. Looking close-

ter has extraordinary ability to produce different forms and images that

ly at the nature and living creatures, specifically, the process of the birth

can provide ‘major models (Sarah Alan) to conceptualize the principles

and demise of such creatures does not mean confirming that humans are

of general universe’ applied to humans’ behaviors as well as to the prin-

in the absolute position and status, but engaging implicitly in what’s called

ciples of the nature. Small figures what’s called Staffage containing in

‘indefinity-otherness.’ Following such a track of the journey is the road of

landscape painting represents a short human life and the transiency of

art. Meanwhile, Buddhism does not accept any real objects beyond time

life. And they are inevitably occupied in time and space that mountain and

and space, for the world is merely a big globe. The Buddhist doctrine

rivers suggest. This signals humans’ fate that had no choice but to die

maintains that something living and moving does not remain unchanged

someday,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e track of time that every thing

but changes (what’s called Jehaeng-musang). Here ‘Jehaeng’ does not

cannot go against, by describing a man in the universe symbolized by

mean all things. But strictly speaking, the word Jehaeng’ implies that an

the landscape of mountain and river. As stated above, Chinese paintings

unmoving object assumes an act since it remains intact, and living crea-

and ideas were formed and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tures keep changing for they move continuously. ‘Musang’ (changing) is

correlations between mountain and water, and decomposing the scene

a truth, putting grief aprt from. The world is grievous due to ‘Musang,’

constantly. It is said that our Korean ancestors encountered the nature

(changing) and human beings cherish sorrow as a human emotion, be-

within philosophical system and frameworks; understood severe emo-

cause of such grief, which creates a life like a human being. It seems that

tional cycles in life; and attempted to find wisdom. The photo Artist Cho Jeongsook also reflects implicitly such a perspective and thinking way in

“I happened to see the dead corpses on water sink deep in the

parallel with the correlations between water and living creatures that are

floor and began to be destroyed, and dip into a tranquil stream,

shown in a landscape painting, I feel. Seeing the permanently repetitive

leaving their presence deleted. I investigated how petals and fallen

cycles of water and living creatures perishing transiently, the artist acutely

leaves floating on water amid time of velocity of flow were perishing

realizes that there is the inevitable relationships between herself and the

in a whirl of water. Then I watched the last scene of petals and

nature. Artist Cho Jeongsook hints that healing is possible through such

leaves growing, blooming and falling at somewhere in receipt of no

realization.

attention- the last scene where they cannot long sustain their lives and are going away down to water. Water born as water and returning to water ....... The cycle of water going through ceaselessly repetitive process with objects floating transiently is the mirror of contemplation that made me ruminate.” -Artist’s Note In eastern countries, a landscape painting was the picture of mountain and water drawn, and the picture symbolizing yin-yang, and visualizing the destiny of beings that repeat the birth and extinction in the natural space.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the focus of the painting was to consider seriously about wa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iverse. In landscape paintings, the mountain and river imply eternity and change.


사진으로 만난 물의 은유 물의 변주 박윤배(시인, 화가)

조정숙이 사진에 담아낸 물은, 멈춰있는 물이 아니다. 물은 물을 통해서 또 다른 생명이 생

사진의 배경이 물이면서 동시에 주체로서의 물, 그리고 그 물위에 떠있는 낙엽과 꽃잎 등의

의 대상이다. 매개물로서의 물을 넘어 많은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가 유독 물

생의 상징적 의미 일수도 있고, 나와 무관하지 않은 자연 환경 속에서의 우연적 만남을 지

겨나는 징조이며 동시에 멈춘 시간 이후의 어떤 변화를 갈망하는 유동성을 지닌 내적 갈등 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담아내는 어떤 이유가 궁금해진다.

인상주의 화가 끌로드 모네가 만년의 회화에서 보여주는 물에 비친 풍경들이 그러한 맥락

에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도 보여진다. 해안풍경을 전문으로 그리는 부뎅으로부터 ‘외광파’ 즉 빛에 의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자연의 한 순간 풍광을 화폭에 담아내는 영향

을 모네가 받았다면, 모네가 남긴 물과 관련된 많은 그림들은, 조정숙으로 하여금 사진을 통 해서 은유된 물에 집착하게 만든 요소일 것이다.

인상파화가들이 빛의 변화를 어떻게 그릴 것인가에 관한 깊은 고민 중 ‘포착’ 이란 말은 매 우 의미심장하다. 하고많은 일상과 현실 그리고 첨예화된 문명의 가속도 속에서 아직도 자 연이 예술의 중요 대상이 되는 것도, 어쩌면 원형질로써의 혹은 원소로써의 본질적인 인간 감성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다. 19세기와는 까마득하게 멀어진 21세

등가물들, 즉 질료와 형상의 어우러짐을 만나기까지 그는 얼마나 고단했을까. 그 고단함은 속적으로 탐구해 들어가 의미를 부여하는 하나의 과정이 고스란히 작품에 담겨있다는 것은

그만큼 작품에 진정성이 담겼다는 의미도 된다고 볼 수 있다. 가장 본질적이기는 하나 작가 에게는 다른 것을 하나로 보는 능력이 곧 안목인 것이고, 조정숙이 물 위의 그것을 그것으로 보지 않는 눈은 은유를 아는 눈을 가졌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렇듯 물의 은유를 통해서 그가 자연의 감응을 질료의 뿌리까지 데려간 일정한 형식을 갖 춘 작품으로 구체화되어가는 과정에서의 상상력은 물이 지닌 원형으로의 상징과 무관하지

않으며 낙엽이나 뿌리 채 뽑혀버린 식물은 단순한 식물이 아닐 것이며 죽음의 마지막 기록 이기도 하다. 일전에 그가 아버지의 죽음 직전의 몸을 피사체로 담아낸 것을 보더라도 그가

바라보는 죽음은 물과 무관하지 않아 물로 태어나서 물로 돌아가는 윤회의 한 과정이 문득 상상의 모서리를 자극한다.

기에도 이렇듯 물은 다양한 미학적인 변주를 드러냄에 손색이 없다. 물은 물만이 아닌 빛의

아무튼 조정숙의 단순한 것처럼 보이는 자연의 포착이 은유를 통한 깊은 사유를 끌어내는

울로서의 역할과 작가 심리를 어떻게 반영하는가에 대한 확장적인 의미 요소로도 나름 역

가 아닐까. 바슐라르가 접목greffe을 일러 나무에 다른 눈을 따다 붙이는 것이라고 했듯 그

변화를 포착하기에 가장 유효하며 물에 비친 주변의 자연 혹은 소재들로부터 발색하는 거

할을 한다고 보여 진다. 모네의 후기 물을 그린 그림들을 보면 풍경이면서도 수평선이 없는

풍경화들이 많이 등장한다. 나무와 하늘 구름은 그림의 일부에 투영되고 있으며 이러한 그

점에서 그는 아마도 사진을 찍는 사람이 아니라 사진을 통해 영감을 주는 시인을 닮은 작가 의 사진 속에는 상상력이 접목되어 이질적인 벡터가 함께 자라는 걸로 보여진다.

의 풍경화들은 모네의 말을 빌리면 ‘반사된 풍경화’라 불린다. 그러나 연작으로 그려진 그

조정숙이 선택한 물에는 생명을 낳고 생명을 먹여 살리는 물을 품고 있으며 목숨을 다한

색을 단순하게 관찰한 하나가 전부가 아닌 연작의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하다.

사상과도 결부되며 물은 인간을 죽음의 응고로부터 풀어준다고 했으며 이때 사진 속 물위

러한 그림들은 일화도 역사도 지형도 담지 않았으며, 추상화도 아니고 상징화도 아닌 빛과

조정숙의 작품들도 이러한 점에서 연작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보아도 될 듯하다. 한 컷의 사 진으로도 그 느낌은 전달되지만, 모네가 방 전체에 수련을 그린 작품들로 장식하여 끝없는

통일체라는 환상을 창출하려 했던 것처럼 일정한 장소에서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물의 표 정들을 포착한 조정숙의 물의 풍경은 통일체로서의 미학을 지녔다. 또한 고정된 시각을 벗 어나려는 방법적 모색을 물살의 시간적 흐름을 그대로 살려내기 위해 동적인 물살로 화면

의 변화를 꾀한 점은 모네와는 또 다른 사진으로서의 획기적 변신이라는 점이기도 하다. 모 네가 빛의 포착을 위한 연못의 수련을 그려내었다면 그 연못은 그가 그리려는 빛이었다는

것, 이처럼 사진기를 들고 물웅덩이를 찾는 조정숙의 사진행위 또한 빛의 예술이라는 점에 서 물위의 여러 형상들을 형상으로 드러나게 하는 인고의 빛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단지 그의 심리 저변에 물에 대한 은유는 긍정-밝음 기쁨 희망 등-보다는, 부정-어둠 불행함 절망

존재를 품어주는 근원적인 보금자리가 또한 물인 것이다.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재생 에 떠있는 부유물은 인간의 갖가지 유형으로 보아도 될 은유일 것이다. 시인 랭보의 <술 취

한 배>라는 시가 “창백하고 황홀한 부유浮遊처럼 상념에 잠긴 익사체가 이따금 떠내려가 고......,”라고 노래했듯 오필리아 컴플랙스는 물에서의 죽음 또는 물 자체가 가지는 이러한 죽음의 이미지를 작가는 차용하고 있다고 보여 진다. 갈라지며 흐르는 여러 갈래의 물은 과

거 랭보의 시에서 산발한 여자의 머리카락으로도 보여 지기도 한다면 억지일까. 물의 한 양 상에 대한 상징을 나르키소스라고 한다면 분명 그의 감응은 눈에 보이는 현상의 변형을 통 해서 한층 더 독자로 하여금 깊은 사유에 가 닿게 한다.

이렇듯 물위의 변화를 통해 양극 즉 소멸과 탄생의 압축된 상징으로 인화된 그의 사진들은 관망에 의해 포착된 결과물임이 틀림없다.

고통-에서부터 새롭게 물을 만나 무한한 긍정으로의 상승을 꿈꾸는 욕망의 행보와 행위다. 물의 변화하는 형상을 담아낸 것이 그의 작품에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08


명상적 관조에 의해서 물의 거울에 비친 영상들은 바슐라르의 입장에서 보면 조정숙 또한

비친 영상을 실체로 인정하되 끝없이 생성하는 영상으로 간주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 미지들은 개인적인 나르시즘을 넘어서 우주적 나르시즘으로 승화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이 는 것 또한 대지의 참다운 눈은 물인 것처럼 물을 통해서 눈이라는 물의 거울에 그가 기록 한 영상은 감응의 결정체를 드러낸다.

결국 조정숙의 사진 속에 나타난 물의 변형은 화가 모네의 물과는 변별력을 가지며 진일보 한 율동적인 심금의 물로 여타의 질료들을 수용한다. 결국 물은 그의 마음이며 마음은 그

어원적 특성에서도 움직임 animal-animus의 관계로 읽히듯이 움직임의 물을 주제화하 기에 이른다.

아마도 그는 물의 풍경을 모네처럼 수평선을 두지 않고 사진에 담으면서 풍경의 꿈이 꿈 의 풍경을 만나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개안의 길잡이인 물을 통해서 先景候情 시각이 先

情候景으로의 개안은 앞으로의 그의 사진작업의 향방 결정에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결국 물의 상상력은 바슐라르에 의하면 우주적 자기애와 연결되므로 이때 나르키소스라 는 개인은 사라진다고 한다. 그렇다면 개인의 존재론적 고민을 넘어서는 보다 확장된 물

의 거울 속에는 낮선 이미지들 즉 생소하거나 물과는 거리가 먼 어떤 충격적 신선함으로 가득할 것이다.

바란다면, 시인 이백도 물에 비친 달을 두 손으로 건지려다가 물에 빠졌다는 이야기가 있

다. 이때 술에 취한 이백이 건지려 했던 것은 달이 아니라고 한다. 달에 비친 밤하늘도 아니 고, 밤하늘을 비추는 물도, 물에 비친 자기 자신도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온 우주의 이미지

를 건져 올리려 이미지의 우주 속으로 자신을 던지려 했다는 것이다. 자연의 중요한 매개 이며 사유의 거울인 물을 예술적인 여러 각도에서 사진에 담는 과정의 고민이 깊었을 테니, 나름 개안은 했을 터, 부디 사유 깊고 아름다운 감응의 사진들로 각박한 삶을 사는 현대인 에게 감로수 같은 사진들을 많이 남겨주길 바란다.


Transformation of Metaphorized Water in Photos. Park Younbea (Poet, Artist)

The water that Artist Cho Jeongsook described into photos is not static

feeling, but the expressions and scenes of water frequently changing in

water. The water is a sign of the birth of another living creatures through

some place that Cho Jeongsook caught assumed aesthetics as unity.

water, and at the same time, is the object of inner conflicts that has dy-

Thi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as Monet who decorated

namic power aspiring for some change, after time stopped. The water

works of water lily all around the room in order to animate unending illu-

she intended to express implies much symbol beyond the meaning of

sion of unity into the picture. In addition, Artist Cho pursued the methods

water merely as a medium. In the sense, I wonder why she described

for escaping from the stereotyped perspectives by attempting to create a

only water repetitively and constantly.

new picture through the description of dynamic water as part of a bid to reflect the time flow of water as it was. This shows a stark difference from

The scenes reflected through water which Impressionist Claude Oscar

pictures by Monet in the sense. Monet drew a water lily in a pond in order

Monet described into pictures in his late years seem to correspond with

to catch a gleam of light. Here, the pond was light that he intended to de-

those that Artist Cho Jeongsook described, in the context. Judging that

scribe. Artist Cho Jeongsook also tried to find a water hole, with a camera

Impressionist Monet was influenced by Eugène Louis Boudin who mainly

in her hand. Such an act is associated as an act of arts of light, in other

painted coast scenery and by Pleinairisme that described natural land-

words, the work of light that deliberately embodies several shapes on

scapes changed by lights from time to time into a picture, a lot of pictures

water into concrete objects. But the metaphor of water that lies beneath

related to the water that Impressionist Monet painted could be elements

her mind does not reflect positive emotions- brightness, delight, hope but

that made Artist Cho Jeongsook obsessed with the water that was meta-

represents the gesture and act of a desire for a boost on indefinitely pos-

phorized in the photo.

itive energy by giving new birth of water, escaping out of negative emotions- darkness, unfortune, despair, agony. Thus, the important subject of

Impressionists were deeply concerned about how the change of light

her work is the description of the image of the changing water.

would be depicted. At the moment, an object caught their fancies. Here, the word ‘caught’ was extremely significant. The nature still becomes the

Artist Cho must have been deeply delved in integrating water against the

important object of arts in everyday routine, reality, and sharply acceler-

background of the photo and as the main subject, at the same time, with

ating civilization, perhaps because of its attribute that has the very sen-

fallen leaves, petals and the likes floating on the water, in other words,

sitive influence on the fundamental human emotion, as the original form

combining materials with shapes. Such endeavor that the artist showed

or element. In the 21st century that is even farther from the 19th century,

could imply the symbolic meaning of life. And the artist explored an ac-

water still remains too impeccable to keep aesthetic transformation unre-

cidential encounter constantly, in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does not

vealed. Water is the most significant target to catch the moments of the

have nothing to do with me, to give a meaning in it, which suggests her

change of light not alone water. It seems that water plays somewhat role

work reflects true value, I suppose. On the part of an artist, ability to view

as a mirror that reflects natural scenery or subject matters around us and

different objects as a same object would mean a sharp eye sense of the

show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rtist, from the macro-perspectives.

artist, even though viewing from such perspectives is the most basic fac-

Looking at the pictures of water that Monet painted in his late years, the

tor that any artist must have. Artist Cho Jeongsook has an eye that does

scenery and landscape far off the horizon are frequently found. The trees

not view a thing seen on water as the thing, which could become the clear

and clouds over the sky are described in some pictures. Such landscape

evidence that she has a sharp eye for metaphor.

paintings are called ‘reflected landscape painting’ as Monet citied. But such sequence pictures neither portrayed episodes nor history and ge-

Her imagination that she stretched out does not have nothing to do with

ography. A description of light and colors observed at a moment imbues

the original form of water in the process of concretizing the response of

with the style of sequence work but it is neither an abstract painting nor

the nature at an extremely profound level into a substantial work through

an imaginary painting.

metaphor. The fallen leaves or fully picked plants she described might not be considered merely plants, but a syllable of death. Seeing that she

In that sense, it seems that the works of Artist Cho Jeongsook have the

used the body of her father just before his death as a subject for photog-

characteristics of sequence works. A mere photo is enough to deliver the

raphy, the death she views does not have nothing to do with water. Then,

10


my imagination of a process of an eternal cycle of the birth of water and

Finally, the transformation that is shown in the photo of Artist Cho Jeong-

rebirth of water what’s called samsara. penetrates inside my mind, at all

sook makes the distinction with the water described by Artist Monet. The

once.

progressive and rhythmic water that strikes the chord accepts various objects and materials. In the long run, water means her heart, which

Artist Cho Jeongsook caught the nature looking seemingly simple to met-

leads the moving water to be selected as the motif, just like the intricate

aphorize and sublimize through deep deliberation. In that sense, I think

relations between moving animals and animus are woven in etymological

that she is not a photographer but an artist like a poet animating inspira-

terms.

tion through a photo. Just as Gaston Bachelard defined graft as a piece cut from one plant and tied or placed inside a cut in another, her photo

It could be considered that Artist Cho translates the dream of landscape

shows the presence of alien vector in combination with imagination.

into the landscape of dream by describing the landscape of water far off the horizon into a photo, just like Artist Monet did. The water provides the

The water that Artist Cho Jeongsook selected as a motif implies the water

guideline to the change of the viewpoints of describing landscape before

that gives birth of a life and feeds the life. And the fundamental inhabit

sentiment into those of describing sentiment before landscape (change

or nest that embraces creatures at almost extinction is considered water,

whats’ called from Seongyeong-hujeong to Seonjoeng-hugyeong). This

also. This corresponds to the idea of rebirth of Ancient Egyptians that

will become the critical turning point to decide the future direction of her

water melts the clot of humans’ death. The objects floating on water in her

photo work. At last, the imagination of water has something close to do

photo are the symbol that could be regarded as a wide range of types of

with universal self-narcism, and so the man called Narcissus disappears,

humans. Just as the poem Le Bateau ivre (The Drunken Boat) composed

according to Bachelard. In the context, the water mirror extended beyond

by Poet Arthur Rimbaud sang “A pale and fantastic drowned body float-

the realm of individual ontological deliberation would be imagined as the

ing in deep reverie, sometimes.......,” it seems that the artist borrowed

image of inspiring freshness far from unfamiliar objects or water.

Ophelia complex to express the image of death that death in water or water itself has. Is it preposterous to say the running water divided into

There is an episode of Poet Lee Back who attempted to draw out the

several parts looks like the rumpled hair of a woman shown in the poem

moon over water with his two hands but finally fell into water. It is said

of Arthur Rimbaud? If the image of water is compared to Narcissus, it is

that the thing that he attempted to draw out is not the moon. Moreover,

indisputable that the artist’s sentiment induces readers to contemplate

it was neither water lighting the night sky colors nor himself reflected in

more deeply by transforming an object.

the water. Ultimately, he attempted to throw himself into the universe of the image in order to draw up every image of the universe. Artist Cho

Such as this, her photos were printed as the symbol that represents brief-

Jeongsook must have been deeply concerned about how water, the im-

ly the two opposite concepts, say, extinction and birth, through the chang-

portant medium of the nature and the mirror of contemplation, would be

ing images of water. Considering this, her works are certainly products

described into a photo, from multi-artistic angles. In the course of doing

caught by spectacle.

so, she could change her viewpoints. Therefore, I hope that Artist Cho Jeongsook will allow contemporary people in the harsh wold of reality to

It can be said that the images reflected in a water mirror through the

view and observe a lot of insightful, beautiful and inspiring photos like a

contemplative consideration that Artist Cho Jeongsook expressed could

magic.

be considered unending real images in view of Literature Critics Gaston Bachelard. Such images seem to have a hue of the sublimation into universal narcism beyond individual narcism. This demonstrates that the images in a water mirror that the artist express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true eye of the nature is eye, crystalizes sentiments.



Wa t e r, M i r r o r o f C o n t e m p l a t i o n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

2013,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

2013, archival pigment print

16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3

2013,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4

2017, archival pigment print

18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5

2013, archival pigment print

20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6

2013,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7

2017, archival pigment print

22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8

2017,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9

2017, archival pigment print

24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0

2017,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1

2017, archival pigment print

26



28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2

2017,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3

2013, archival pigment print

30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4

2013, archival pigment print

32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5

2013,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6

2016, archival pigment print

36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7

2016, archival pigment print

38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8

2016,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19

2016,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0

2016, archival pigment print

42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1

2016,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2

2016, archival pigment print

44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3

2016, archival pigment print

46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4

2016,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5

2016, archival pigment print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26

2016, archival pigment print

50



52


조정숙의 사진을 보면 흐르는 꽃잎과 함께 내 몸도 부유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The photo of Cho Jeongsook leads me to feel as my body is floating

던 어느 날...

The moment a white cheery blossom is falling radiantly, and one

하얀 벚꽃이 황홀하게 떨어지던 순간 그리고 가을의 낙엽이 덧없이 수북이 쌓여가 우리는 그 아름다움을 느끼는 동시에 스러짐의 아쉬움을 느끼게 된다.

조정숙은 찰나의 아름다움을 찰나의 순간에 담아 우리에게 전달해 준다.

작가는 오랫동안 작품활동을 해왔다. 이번에 발표하는 시리즈를 통해 본격적으로

작가의 길에 들어선다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 본인만의 섬세한 눈길과 끝없는 의욕 으로 더욱 발전해 나가길 바란다.

- 지도교수 구본창

like petals flowing. day when autumn fallen leaves were scattering around transiently, We feel the beauty and at the same time feel pity for perishing beings. Artist Cho catches the beautiful scene of the moment to deliver us. The artist has performed art works for a long period of time. I think that the series she would show is the first step for her to make the debut as an artist. I hope that she will develop more and more, with her unique delicate eyes and unending enthusiasm for art, in the future.

- Academic Advisor Koo Bohnchang


BIOGRAPHY

학력

2016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진영상학 전공 1987 대구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개인전

2017 물, 사유의 거울초대전, 갤러리 안나, 칠곡 물, 사유의 거울개인전, 트렁크 갤러리, 서울 2015 아버지의 시간경주사진캠프 최우수포트폴리오수상전, 갤러리아르, 대구 아버지의 시간경주사진캠프 최우수포트폴리오수상전, 갤러리나우, 서울 2014 대구비엔날레 갤러리초대전The space of thought, 태갤러리, 대구 2013 투명의 안쪽열린 초대전, 안동문화예술의 전당, 안동 2007 흑백사진초대전-내 안의 풍경, 백장문화원, 대구

단체전

2017 갤러리 안나 개관전-사진 PARTY 전, 갤러리 안나, 칠곡 2016 현대사진영상학회-현실의 재구성, 웃는얼굴 아트센터, 대구 나의 보물전 My Treasure, 석주사진관, 대구 The Taste of Photography 전, 갤러리 아르, 대구 Luz기획전-열흘 붉은 꽃은 없다, 태갤러리, 대구 Unknown point-현대예술사진포럼기획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5 PORTFOLIO7경주사진캠프 최우수포트폴리오 수상전, 갤러리나우, 서울 2014 Time to time-갤러리아르 개관전, 갤러리 아르, 대구 Blind spot 전, CU갤러리, 대구 대구의 힘 예술의 힘, 대구예술제 기획전시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대구사진비엔날레기획마음열기 바라보기 in market 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2011 사진으로 만나다 전, 태갤러리, 대구 대구광역시지회공모 기획전, 고토갤러리, 대구 사인사색전, KBS 대구방송총국, 대구 서울포토페어, 코엑스, 서울 오우가전, 동아미술관, 대구 2010 사인사색전, KBS대구방송총국, 대구 대구사진비엔날레 한일교류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대구-센다이 국제예술교류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인사아트페스티벌, 서울미술관, 서울 2009 사진꾸러미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2008 울산흑백사진페스티벌, 울산문화회관, 울산 2007 사진꾸러미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수상 경력

2015 제19회 포토닷 포티스트 선정작가 2014 제4회 경주현대사진캠프 최우수포트폴리오 수상

2013 보다 읽다 느끼다 전-대구예술제,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그림같은 사진전(Luz기획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전주포토페스티벌,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전주 서울포토페어, 코엑스, 서울

54


출판물

2017 물, 사유의 거울, 마르시안스토리 2016 열흘 붉은 꽃은 없다, Fullcolor 2015 아버지의 시간, Max communicaion 2013 그림 같은 사진전, 풍경소리

현재

현대사진영상학회원

연락처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 두성타운 250동 301호 이메일: chos01@hanmail.net 휴대폰: 010 3382 6727


Education

Group Exhibitions

2017 Kyung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hotography and Motion Picture Major

2017 Open Exhibition in Gallery Anna Photo Party Exhibition, Chilgok

1987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conomy, Daegu University

2016 Modern Photo & Video Association Recomposition of Reality, Smiling Face Art Center, Daegu The Exhibition of My Treasure, Seokju Photo Studio, Daegu The Exhibition of The Taste of Photography Gallery Ars, Daegu Luz Exhibition of No Flower Maintains a Red Flower for 10 days, Tae Gallery, Daegu CAPT Exhibition of Unknown Point, Daegu Culture & Arts Center, Daegu

Solo Exhibitions

2017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 invitation exhibition, Gallery Anna, Chilgok The Exhibition of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 Trunk Gallery, Seoul 2015 The Time of Father at the Best Portfolio Award Winners’ Exhibition of Gyeongju Photo Camp, held in Gallery Ars, Daegu The Time of Father at the Best Portfolio Award Winners’ Exhibition of Gyeongju Photo Camp, held in Gallery Now, Seoul 2014 The Space of Thought an exhibition by invitation to Daegu Biennale Gallery in Tae Gallery, Daegu 2013 The Inside of Limpidness an open invitation exhibition in The Hall of Andong Culture Art Center, Andong

2015 Portfolio 7 at the Best Portfolio Award Winners’ Exhibition of Gyeongju Photo Camp, held in Gallery Now, Seoul 2014 Time To Time an exhibition in commemoration of the opening of Gallery Ars in Gallery Ars, Daegu Blind Spot the exhibition in CU Gallery, Daegu Open Mind an Open Market the exhibition planned by Daegu Photo Biennale and held in Bongsan Culture Center, Daegu

2013 See, Read and Feel the exhibition 1n Daegu Culture & Arts Center, Daegu Picture-like Photo Exhibition an exhibition planned by Luz and held in Bongsan Culture Center Jeongju Photo Festival in Sori Arts Center of Jeonju city Seoul Photo Fair in COEX, Seoul 2011 Let’s Meet via Photo the exhibition in Tae Gallery, Daegu The planned exhibition by Daegu branch, the Photo Artist Society of Korea open competition in Goto Gallery, Daegu Public Exhibition in Korea Broadcasting System Daegu Branch, Daegu Seoul Photo Fair in COEX, Seoul Ouga Exhibition in Donga Fine Arts Gallery, Daegu 2010 Public Exhibition in Korea Broadcasting System Daegu Branch, Daegu Insa Art Festival in Seoul Fine Arts Gallery, Seoul 2009 Photo Package Exhibition in Bongsan Culture Center, Daegu 2008 Ulsan Black and White Photo Festival in Ulsan Culture Center, Ulsan 2007 Photo Package Exhibition in Bongsan Culture Center, Daegu

2007 The Landscape within Myself a black and white photo invitation exhibition in Baekjang Culture Institute, Daegu

56


Priges

2015 Selected the 19th monthly photo dot photist 2014 Won a prize for top portfolio in Gyeongju Contemporary Photo Camp

Publications

2017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 Martian Story 2016 No Flower Maintains a Red Flower for 10 days, Fullcolor 2015 The Time of Father, Max communicaion 2013 Picture-like Photos Exhibition, Pungyeong Sori

Present

member of the Modern photo & Video Association

Contact

250-301, Dooseong Town, sinmae-dong, Suseong-gu, Daegu, South Korea E-mail: chos01@hanmail.net Mobile: +82 10 3382 6727


58


물, 사유의 거울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

물 위에 떠있는 주검들이 바닥으로 가라앉아 부패를 시작하거나, 어느 한갓진 여울

I happened to see the dead corpses on water sink deep in the floor

있는 꽃잎과 낙엽들이, 물의 소용돌이 속에서 어떻게 소멸해 가는가를 살피게 되었

their presence deleted. I investigated how petals and fallen leaves

에 떠밀려 존재를 버리는 과정들을 우연한 기회에 보게 되었다. 유속의 시간위에 떠 다. 눈길 주지 않는 곳에서 자라나고, 꽃피우고, 낙엽이 되어 떨어진, 제 생명을 다

한 꽃잎과 낙엽들이 물과 함께 사라지는 마지막 모습을 지켜보았다. 물로 태어나 다 시 물로 돌아가는....... 덧없이 소멸하는 부유물들과 끊임없이 반복되는 물의 순환 은 나를 반추하게 하는 사유의 거울이다.

- 조정숙

and began to be destroyed, and dip into a tranquil stream, leaving floating on water amid time of velocity of flow were perishing in a whirl of water. Then I watched the last scene of petals and leaves growing, blooming and falling at somewhere in receipt of no attention- the last scene where they cannot long sustain their lives and are going away down to water. Water born as water and returning to water ....... The cycle of water going through ceaselessly repetitive process with objects floating transiently is the mirror of contemplation that made me ruminate. - Cho Jeongsook


CHO JEONG SOOK

Water, Mirror of Contemplation

Photographs © 2017 Cho Jeongsook Texts © 2017 Park Yeongtaek, Park Younbea,

Koo Bohnchang, Cho Jeongsook Catalogue © 2017 Cho Jeongsook Published by MARTIANSTORY Designed by Seo Mingyu Printed by Hyosung Printing, Korea First edition, 500 copies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without the written permission of the publisher. ISBN 978-89-94155-12-8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