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changmin

Page 1

Into a Time Frame Series



Into a Time Frame Series

Lim Chang Min



Into a Time Frame Series



Essays YI Wonkon

5

Kewhong YOON


이원곤

단국대학교 교수 / 미디어예술론

2017

Gallery Bundo, Daegu, Korea

Essays

6

임창민의 미동하는 시적 시공간


임창민은 이질적인 동영상과 정지화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자 신만의 방법으로 새로운 리얼리티를 통합해 내었다. 세상에는 가 상현실이나 위조된 리얼리티에 대한 걱정도 많지만, 그의 작품에 대해 “미동微動하는 시詩적 시공간”이라는 말은 매우 적절한 표현 인 듯하다.

임창민은 정지화상=사진과 동영상을 결합하여 정적인 실내공간을 연출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사진 속 공간은 로비, 호텔 스위트 룸, 기차, 오래된 대학의 복도 등 수많은 사람들의 발걸음과 시선 이 머물렀던 장소들이고, 여기에 창문을 통해 주로 자연의 아름다 운 풍경을 이끌어들인다. 그 풍경은 모니터를 정교하게 삽입시켜 보여주는 동영상이지만 마치 벽에 걸린 그림이거나 시간이 정지 된 듯한 표정을 하고 있다. 이 장면은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 된 시각문화적 전통을 떠올리게 한다. ‘회화는 자연을 향해 열려진 창문’이라 했던 이탈리아 르네상스기의 화가 L. B. 알베르티 식의 이해도 그러하지만, 중국식 정원에서 즐겨 구사하였던 차경借景, appropriative landscape, 지중해 양식의 건축물의 창문, 문인文人의 방에 걸 린 도원경桃源境의 그림 같은 문맥이다. 그리고 그 장소가 도서관이 든 로비이든 호텔이든 여행지이든 그 문맥의 본질적인 속성은 별 로 다르지 않을 성 싶다. 실내=방은 자아自我의 성城과 같은 곳이다. 그곳은 인간의 생존을 온전히 지탱할 수 있도록 만든 물리적, 심리 적 장치이다. 그러니까 이 작가의 카메라가 서 있는 곳은 바로 자 신의 방이자 마음이기도 한 것이다. 모든 실내는 바로 자신이 담겨 있고 존재하는 (자신의) 신체의 은유이고, 창문은 눈의 은유이다. ‘미디어는 인간을 외적으로 확장한 결과’라는 마샬 맥루한의 관점 에서 보더라도, 방은 신체의 외적 투영이고, 인간이 외부와의 접촉 을 끝내고 돌아와 쉬거나 잠자거나 은거하는 자신의 껍질이다. 마 치 우리의 의식이 신체내부에서 눈 혹은 다른 감각기관을 통해 외 부와 만나듯, 이 작품에서는 이 마음의 주인이 창문을 통해 풍경 을 받아들인다.

비오는 창밖을 현실저편의 풍경으로 객관화할 수 있는 안온한 실 내, 외부의 풍경을 안으로 끌여들여 경관을 조합하는 차경差境, 그 리고 이 작품들 중에 “서운만정瑞雲滿庭 : 집안에 상서로운 기운이 가득함, 수시 처중隨時處中 : 중용을 지킴하고 견지아조堅持雅操 : 바른 지조를 견지하라”는 좌우명 을 쓴 편액이 걸려있는, (아마도) 사대부가의 실내라고 짐작되는 그 곳이 그 장소의 정체성을 가장 대표적으로 말해주는 것 같다.

사실, 이와 같은 인식의 틀에 대해서는 예전부터 많은 비유가 있었 다. 하지만 태어나면서부터 꽁꽁 묶인 채, 지하동굴에서 벽만 보고 사는 죄수가 자신의 등 뒤 위쪽에서 타오르는 횃불에 비추인 그림 자만 보고, 그 그림자를 사물의 실재로 착각하며 산다는 동굴의 우 화(플라톤)는 이제는 다시 해석되어야 할 것 같다. 플라톤은 그 동 굴의 죄수가 ‘사물의 그림자를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것으로 고집’ 한다고 한탄하였지만 우리는 늘 그 어두운 방을 통해서 그 방으로 들어온 이미지로부터 세상을 읽어나가지 않는가?

우리는 우리 자신의 눈으로, 그리고 각종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보 고 느낀다. 흔히 육안으로 보는 세계상을 ‘원본’이라고 치고, 미디 어를 통해 보는 세상을 가짜현실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지만, 어떤 때는 그 반대가 진실일 때도 있다. 미디어를 통해서 보는 ‘매개된 현실‘은 원래의 ’리얼리티‘가 미디어 특유의 속성에 의해, 또는 그 것을 다루는 사람의 태도에 의해 매개된 결과일 것이기 때문이다.

7

사진술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카메라 옵스큐라camera obscura가 우 리 신체의 안구眼球와 같은 ‘어두운 방’이라는 사실도 참으로 반추 해 볼만하지만, 그 어두운 방=안구인 눈의 수정체를 통해, 역시 어두 운 방인 카메라의 렌즈를 경과하고, 그 끝이 다시 (어두운) 방에서 창을 통해 바깥에서 오는 빛으로 세상을 본다는 시각의 리얼리티, 또 다른 식으로 보자면 ‘눈’에서 ‘신체’를 거쳐 ‘방’으로 이어지는 3 중의 껍질을 연결하는 창窓, 이 모든 장치의 연쇄에 의해 풍경과 마 음이 만난다는 사실을 이 작품은 일깨워 주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들에서 창밖의 풍경은 한마디로 성소聖所라고 할 수 있다. 서방정토西方淨土나 에덴동산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늘 가꾸 는 내집의 정원도 아니고, 특별히 좋은 경관이나 바다, 설경雪景, 삼 림森林와 같이 작가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경관이며, 그것을 담을 가 장 적절한 시간과 조우하기 위해 작가는 같은 장소를 몇 번이고 반 복해서 찾기도 한다.

그러나 이 ‘창밖의 풍경’이 이 작품에서 오묘한 동력을 얻게 되는 것은 시간과 공간, 안과 밖의 심리적 경계가 애매해 지면서 인식의 역전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칸트를 인용하였지만 ‘시간 이 내적으로, 공간은 외적으로 지각’된다. 그런데 임창민의 작품에 선 밖에 있는 풍경이 동영상 즉 현재진행형인 시간으로, 안에 있는 실내가 정지화상 즉 고정된 공간으로 처리되어 있고, 둘 사이는 매 우 정교하게 봉합되어 있으며, 동영상은 시간이 정지된 것처럼 가 장假裝하거나 최소한의 움직임만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창밖 풍경 에서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변화는 실내풍경의 고정공간에 동결된 시간에 미세한 파동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계무너뜨리 기에 의해 이 풍경은 현실의 것도 기억도 아닌, 아니 둘 모두의 통 합상統合像으로 변형된다.

기본적으로 사진을 출발점으로 하는 임창민의 작업에서, 시간은 실내풍경에 삽입된 모니터=창문에서, 즉 주로 외적外的으로 연출된 다. 여기서 창문의 프레임은 실내의 시간이 동결凍結된 실내공간과 반대로 시간이 살아있는 실외공간의 경계선이 되고, 이 대비는 관 객의 뇌腦에 미묘한 인식의 놀이를 제공한다. ‘시간이 외적으로 지 각되지 않는 것은 공간이 내적으로 지각되지 않는 것과 같다’고 했 던 I. 칸트의 통찰과 대비시켜보면 조금 더 재미있게 보일 것이다.


YI Wonkon

Professor, Dankuk University / Media Art Theory

Vibrant, temporal time-space_Lim Chang Min

Lim combines unconventional moving images and still screens to integrate his own style of reality. While there are present concerns about virtual and fabricated realities,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scribe Lim’s work as “vibrant, temporal time-space.” Lim has emerged into an artist who is well-known to combine photography and video work to portray static interior space. The areas within the photographs depict locations such as hotel lobbies and suites, inside trains, cafeterias and hallways of old universities that have borne the footsteps and gazes of countless people. In these areas, there lies a window that draws in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The scenery is portrayed through video, but resembles paintings hanging on walls or frames of expressions frozen in time. The scenery reminds us of humanity’s oldest video-cultural traditions. The understanding of the Renaissance Italian painter L.B. Alberti, who once said that “painting is a window open to nature,” fits the sort, but the appropriative landscape used so fondly in Chinese gardens, the windows of Mediterranean buildings, and the paintings of Shangri-la in scholar’s rooms all fall within the same context. Whether the location is a library, lobby, hotel, or vacation spot,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at context will likely not change. The interior=room is like a castle to protect oneself. In that vein, it is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mechanism created entirely to support human survival. Therefore, the place where the artist’s camera stands is one’s room and mind. The entire interior is a metaphor for the body that one inhabits and exists within, and the window is a metaphorical element for the eye. Marshall McLuhan once said that “media is the result of extending the human externally.” The room is the exterior projection of the body. It is the shell within which the human being returns to rest, sleep or seclude oneself after one ends contact with the outer world. Just as our conscious mind encounters the exterior through the eye or other sensory organs, in this work, the heart accepts the scenery through the window.

8

Essays


The comfortable interior, given objectivity through the scenery beyond reality through the rain-stricken window, the appropriative landscape that combines scenery by drawing in exterior scenery, and of the works, the house of (likely) a noble family with tablets reading Seounmanjeong (a house full of auspicious energy), Susicheojung (maintaining moderation), and Gyeonjiajo (observe proper fidelity) perhaps speak of the identity of the space. To be certain, there have been numerous comparisons of such frames of cognizance. However, Plato’s cave allegory, where a prisoner is chained and thus only ever able to view the shadows cast on the cave walls by a torch behind him, should be reinterpreted. Plato lamented that the prisoner would claim the shadows as more real than reality, but do we not always read the world through the images that flow in the dark room that we inhabit? We observe and feel the world through our eyes and the variety of media. We label the image of the world as seen through the naked eye as the “original,” and believe that the world as seen through media to be a facsimile. However, the opposite is true in many cases. The mediated reality as seen through media is the result of reality being filtered through the intrinsic qualities of media or the intension that utilizes such media. The foundation of photography, camera obscura, merits comparison to our physical eyes within the framework by a dark room. Like the lens of the eye, the (dark) room, light passes through the lens of a similar dark room, the camera. Once more through the window in that dark room, the light that passes through enables us to view the world, or reality. In other words, the window links the three shells, from the eye, body, to the room. The connection of these three organs enables the heart and scenery to meet, as this artwork helps us realize. In these works, the scenery outside the window is, in a sense, the sanctuary. It may not be the Western Paradise or the Garden of Eden, but at the same time it is not the well-cared for garden of one’s house. It is the scenery in the artist’s heart: compelling scenery, snowy landscapes, and forests. The artist continuously searches the same place to discover the appropriate moment to capture.

9

However, the scenery outside the window acquires a sense of vibrancy because the borders between time and space, the psychological boundaries between the exterior and interior become blurred and a change in cognizance happens. As with Kant’s aforementioned opinion, time becomes internal and space becomes external. However, in Lim’s work the scenery of the outside is in the present tense. The interior is frozen, a still space. The two are joined elaborately, and the video assumes that the self is almost still. Therefore the changes happening the outside scenery cause minuscule vibrations in the still space of the interior. Because of such destruction of barriers, the scenery changes into an integration of not just memory or reality, but the image of both. Lim’s work begins fundamentally with photography. Time is mostly expressed externally, through a monitor=window inserted in an indoor scenery. The window frame becomes the border between the frozen indoor scenery and external space. The contrast provides a subtle game of cognizance for the brain. Compare this to the observation of Immanuel Kant, who said “that time is not observed externally is similar to how space is not observed internally,” and the experience may become more interesting.


윤규홍

아트디렉터 / 예술사회학

2017

Gallery Bundo, Daegu, Korea

Essays

10

나머지 공간과 시간이 배제된 지금 여기


세계는 크지도 작지도 않으며, 동일성도 상이성도 아니며, 어디

서 비롯된 것도 비롯되지 않은 것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 에는 형식이 필요하다.

- 니클라스 루만, ‘사회의 예술’

모든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에 관한 고독한 관찰자이다. 예술작품 의 창작은 작가가 세계를 관찰하기 위해 특수한 형식을 도입하는 일이다. 이것도 하나의 양식적인 구분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미술은 작가 혼자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며 완성한 작품이 있 고, 반대로 여러 명의 시선이 대상을 공유한 결과로 드러난 작품 이 있다. 예컨대 인상주의나 표현주의 회화는 앞선 경우에 해당한 다. 종교나 신화적 소재를 다룬 미술, 혹은 팝아트는 후자에 속할 것이다. 내가 쓰는 글이므로 내 마음대로 전자를 사적 시선의 미 술로, 후자를 공적 시선의 미술이라고 이름 붙인다. 미디어 아티스 트 임창민의 작품은 작가가 시선을 독점하는 시적 시선의 미술이 다. 왜 그럴까? 작가가 우리를 이끌고 들어가는 작품 속 공간은 개인만의 공간이 아니다. 미술관의 로비, 호텔 스위트룸, 대학교 건물의 복도와 구 내식당 같은 장소들이다. 수많은 사람들의 발걸음과 시선이 닿았 을 그곳에는 저마다 창이 나 있다. 그 창들 너머에는 새하얀 눈이 내려앉은 산기슭, 파도가 넘실대는 바다, 햇살과 바람을 머금은 나 무가 있다. 그것은 애당초 그 누구의 시선으로도 독차지할 수 없는 자연 환경이다. 이런데도 그의 작품이 순전히 개인적인 시선을 담 은 미술이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다음과 같은 징후 때문이다. 정지된 사진으로 찍은 안의 건물은 이미 다른 사람들이 다 빠져나간 공간 의 느낌을 가지며, 움직이는 영상으로 찍은 밖의 환경 또한 작가가 인적 관계를 맺을 수 없는 고독의 공간이다.

이제 더 이상 화가라고 부를 수 없는 지점까지 온 그가 갖가지 영 상 도구 다루면서 서로 다른 매체를 조합하는 기예가라는 점에서, 나는 그가 자신의 솜씨 앞에 경탄하는 관객들을 뒤에서 보며 만족 해 할 것만 같다. 마치 영화관에서 필름을 걸어놓고 사람들에게 영 화를 보여주는 영사실 기사처럼 말이다. 여러 해 전에 나는 대학 원 강의를 하면서 예술이 가진 패러독스를 수업 주제로 삼은 바 있 다. 나는 대학원생들이 예술인 것과 예술이 아닌 것, 즉 예술 작품 과 일상의 구분을 사회학자 에밀 뒤르켕 식으로 성/속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쪽에 초점을 맞췄다. 강의 자료는 내가 쓴 여러 편의 소 설 혹은 에세이 형식의 짧은 글이었다. 그중 한 편에 작가 임창민 이 가상의 인물로 등장했다. 실재와 허구가 뒤섞인 그 텍스트는 작 가가 대구의 스페이스 129에서 벌였던 전시를 토대로 한 픽션이 었다. 난 여기서 그를 낭만성과 실험성이 결합된 미디어 예술가로 묘사했다. 그의 작업은 영화 <시네마 천국>에서 알프레토가 영화 를 극장 밖의 프롤레타리아들을 위해서 광장 건물에 미디어 파사 드로 보여주는 카피 레프트의 입장과도 비슷했지만, 그것과는 별 도의 유희적 태도로도 보였다. <미디어 아티스트 L씨가 새로운 전시회를 열었다. 평론가 Y씨도

그 개인전을 보러갔다. 그런데 Y씨는 전시 중인 미디어 작품이 그 리 낯설지 않았다. 이 작품은 아티스트 L씨가 재작년에 열었던 개 인전 작품 이미지였다. 그때 L씨는 자신이 완성한 동영상을 프로

젝터로 화랑 벽에 걸린 빈 그림 액자 안에 비추었다. 마치 그림이

전시되어 있는 듯하게 말이다. 그런데 이번 전시회에서 그는 같은

동영상을 갤러리 벽 대신에, 화랑 옆 건물 벽에 빛을 쏘아 전시(?) 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 전시회는 특별한 시도를 한 새로운 작업 인가? 아니면, 자기 작품을 우려먹은 재탕 수법인가?>

11

예술에 있어서 내용과 형식 가운데 더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두 고 생기는 패러독스를 소개한 이 글은 지금 임창민이 드러내는 작 품의 기본적인 구조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난 아무래도 그가 형식 우선주의자인 것 같다. 물론, 사적인 시선이 화면 속 모든 면을 통 제한 내용의 이미지 또한 아름답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이 적막하 고도 유려한 이미지는 회화와 사진과 영화가 모인 형식의 구성 아 래에서 빛을 발한다. 내가 보기에 이 세 갈래의 예술은 그의 작품 을 ‘앙상블’로 설명한 많은 비평가들의 생각과 다르게, 자석의 같 은 극처럼 서로를 밀어낸다. 관객의 인지 체계 안에서 상대를 부정 해야 비로소 긍정으로 전환되는 개별자와 전체의 대립은 평면 작 업이나 설치 작업이나 상관없이 그의 모든 작업에 숨어있다. 소리 없이 조용한 그의 미디어 작업은 세상의 실존을 순발력 넘치는 이 성과 감각으로 쉴 새 없이 몰아가는 미디어 아트의 과격함과 거리 를 둔다. 작가는 자신의 작업이 흘러가는 시간에 대한 산뜻한 역설 로 봐주기를 원할지도 모른다.

시선의 담지자로서 그는 항상 자신을 둘러싼 주변 공간을 아련하 고 느리고 차분하고 조용하고 정돈된 안식의 지대로 재배치한다. 창문 밖에 존재하는 한결 역동적이며 속도감 있고 소리가 느껴지 는(그래봐야 그다지 요란하지도 않은) 바깥의 풍경은 그렇다고 순 수한 자연이라고 할 수는 없다. 현대 도시인들의 자연 환경 자체가 실은 인공적으로 조경된 시뮬라시옹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실 재의 환영은 임창민의 작품 속에서 형식 실험이라는 견고한 틀을 만들어 우리 시선을 잡아 둔다. 결코 뒤죽박죽되어 혼란스럽지 않 고 절제된 직선과 원근법의 이미지는 전형적인 촬영 세트장 형식 처럼 제시된 구도를 바탕으로 한다. 이 습관적인 배치는 일종의 클 리셰처럼 보는 우리들에게 미적인 쾌를 준다. 우리가 그의 작품을 본다는 것은 고독한 관찰자로서의 대리 체험 그 자체이다. 우리들 누구나 가본 것 같지만 아무도 가보지 못한 장소, 그가 시도하는 이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질서의 구축은 예컨대 현대미술이 곧잘 선호 하는 혁명의 알레고리보다, 서로 다른 요소가 시간 차이를 두고 느 리게 쌓인 지층의 비유가 더 합당하다.


Kewhong YOON

Art director / Sociology of art

Here and now, beyond any other dimension of time and space

The world remains the world, sustaining itself behind the forms that establish themselves naturally or artificially, in it. The world remains invisible even when, and precisely when, it is laced with forms. (When one draws a circle, the world is not just outside but also inside the circle; it is what is severed by the circle.) The world enters into the play of forms only as the paradox of the indistinguishability of the distinguished, and it tolerates this paradox as a kind of placeholder that represents the world as unobservable. - Niklas Luhmann, “Die Kunst der Geselleschaft”

12

Essays

An artist is a lonely observer of his or her own artwork. Creating a work of art is similar to creating a distinct form through which the artist observes the world. It might not be right to classify artworks into only two categories; however, I think there is a kind of artwork that is completed by only a single artist who wants to express a subject matter solely from his or her perspective. The other nature of artwork is a result based on variously shared perspectives of others. While paintings of Impressionism and Expressionism might be the former, religious art, mythological art, and Pop art can be categorized in the latter. I feel the former can be an art form that is made from a personal viewpoint while the latter can be classified as one made from the public view. A media artist, Changmin Lim’s artwork is categorized as the former, for which he uses his own poetic perspectives. In his work of art, the places Changmin Lim leads us to are not private places. They are the lobby of an art museum, a hotel suite, a hallway of a university building, and a cafeteria. These places, where a copious number of people must have tread through possess a window, through which we are able to witness a scene of a snow-covered valley, of the choppy sea, and of shiny trees that lean over in the wind. These are not scenes that are gifted to just a single person as they are a part of nature itself. This being said, Changmin Lim’s works can also be categorized as an art form derived from a personal viewpoint because the indoor locations in his still picture seem barren, devoid of people. This void is also evident through the video work that is the moving scene out the window. This scene represents another place of loneliness where the artist is unable to encounter any other beings.


As a multi-talented artist who has exposed himself to a broad spectrum of styles and has worked in various mediums with lots of visual art equipments, I think that Changmin Lim can now revel in his accomplishments and feel a little sense of success by the positive acknowledgements he has received by many people. In essence, he is none other than a cinematographer presenting his film proudly in a projection room full of people. A few years ago, I gave a lecture on the paradox of art. I focused on preparing my students in the MFA program to comprehend and differentiate between what is and what is not defined as art. Basically, to comprehend the difference between artwork and everyday life as the French sociologist, Emile Durkhem pointed out. In the lectures, I used my short stories and essays as references. One of the short stories was based on a true story of Changmin Lim and his exhibitions held in a gallery called ‘Space 129”. In the story, I described him as a romantic media artist who was very enthusiastic working with experimental art projects. At the time, Changmin Lim’s works reminded me of a movie, Cinema Paradiso, in which the main character shows the poor movies outside the theater as an act of copyleft, but they were more intimate and aesthetical.

<A media artist, L held a new exhibition. An art critic, Y went to the gallery to see the exhibition and found it very familiar. The image of the artwork in the exhibition was the very same one that the artist had hung in his previous exhibition.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had projected his video work onto the wall of the gallery, fitting it in the frame, so that it would look like a painting. Now, he was projecting it onto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Would this be considered a new project planned for the new exhibition? Is it a copied and recycled technique used before?>

The text above describes the paradox of art, in which distinctive aspects of a work of art, form and content are compared to each other. It can be an important issue to discuss the structure of Changmin Lim’s artworks. In my opinion, he is a formalist who is concerned more about the form than the content of his work. Of course, it is amazingly beautiful how he controls every aspect of his work with his own perspective. However, sophisticated and peaceful images of his work look more beautiful in the harmony of the composition of his work that features various genres, such as painting, photography and cinema. Although a lot of art critics point out that his work is like an ensemble, I think that those three genres that he uses for his artwork seem to repel one another like the same poles of the magnet push away from each other. The contrast made through contradicting each other contributes to making a desirable entity in the viewers’ cognitive system, and it is what lies in all of his artworks, including his paintings and installation works. The calmness of his media work is what differentiates his work from other media works that describe the existence of the world sensationally. Perhaps, he intends to create a paradox of the swift passage of time through his artwork.

13

As the bearer of his surrounding environment, Changmin Lim always rearranges its scenery into a comfort zone that is peaceful and quiet. Although scenery through the window looks more dynamic and clamorous, it is artificial. Nonetheless, for modern people these days, nature is a simulation, a well-landscaped work. The illusion of the real-world process presented in Lim’s work attracts our attention with its strong frame resulted from his experiment of form. Like the typically arranged set of a TV program, his work is based on stable composition that features restrained lines and a fine command of perspective. His way of composition has become a cliché that gives us aesthetic pleasure which, in turn, elicits empathy with him as a lonely observer. The order of Lim’s world, which depicts a place that seems so familiar but has never been discovered, is about an allegory of the structure of the earth’s strata that changes as time passes.



Into a Time Frame 12 2014, Pigment Print, LED Monitor 165 x 110 cm

15


Into a Time Frame 14_2 2014,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65 cm

16


Into a Time Frame 10 2014,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17


Into a Time Frame 8 2014,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65 cm

18


19


Into a Time Frame 6 2014, Pigment Print, LED Monitor 165 x 110 cm

20


Into a Time Frame_Ambiguous Scene 1 2015,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21


Into a Time Frame_Teshima 2015,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80 cm

22


Into a Time Frame_Ambiguous Scene 5 2015, Pigment Print, LED Monitor 130 x 83 cm

23


Into a Time Frame_Shanghai Red Wall 2015,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80 cm

24


25


Into a Time Frame_Ambiguous Scene 7 2016, Pigment Print, LED Monitor 72 x 108 cm

26


Into a Time Frame_Ambiguous Scene 4 2016,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65 cm

27


Into a Time Frame_Snow 3 2016, Pigment Print, LED Monitor 60 x 40 cm

28


Into a Time Frame_Naoshima H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79 x 117 cm

29


Into a Time Frame_Bus Stop H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72 x 108 cm

30


Into a Time Frame_Bus Station V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31


Into a Time Frame_Flying to Jeju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72 x 108 cm

32


Into a Time Frame_ Flying to Barcelona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33


Into a Time Frame_Museum in Teshima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34


35


Into a Time Frame_Library Red Sofa 2016,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65 cm

36


Into a Time Frame_Samcheock 2016,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37


Into a Time Frame_Sunset in Spain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65 x 110 cm

38


39


Into a Time Frame_Palace in Seoul H1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65 cm

40


Into a Time Frame_Summer in Kyoto H2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72 x 108 cm

41


Into a Time Frame_Palace in Seoul V1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65 x 110 cm

42


43


Into a Time Frame_Prado Museum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72 x 108 cm

44


Into a Time Frame_Princess Room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72 x 108 cm

45


46


Into a Time Frame_Palace in Kyoto H1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65 x 220 cm

47


Into a Time Frame_Summer in Kyoto H1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10 x 165 cm

48


Into a Time Frame_Summer in Kyoto V1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49


Into a Time Frame_Morning in Jeju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72 x 108 cm

50


Into a Time Frame_Shanghai Red Wall V1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65 x 110 cm

51


Into a Time Frame_Snow in Naoshima 2017, Pigment Print, LED Monitor 108 x 72 cm

52


53



Installation views 2010 - 2017

55


2010

Hankeesuk Gallery, Daegu, Korea

Installation views

56


2014

Gallery Bundo, Daegu, Korea

57


2014

Clayarch Museum, Kimhae, Korea

Installation views

58


2016

Pohang Museum of Steel Art, Pohang, Korea

59


2016

Space B, Daegu, Korea

Installation views

60


61


2017

Gallery Bundo, Daegu, Korea

Installation views

62


63


임창민 林昌敏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영상예술대학원 졸업 New York University 대학원 졸업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현, 계명대학교 Artech College 영상애니메이션과 교수

주요 개인전

2017 임창민전_into a time frame series, 갤러리분도 임창민전, Gallery LEE & BAE 2016 Into a time frame, Space B 2015 시간적형태, Shanghai Contemporary museum of Art 시간프레임속으로, 향촌문화관 2014 임창민전, 갤러리분도 Time Frame, 대구문학관 개관기념전 2013 into another frame, DGDC 갤러리 2012 Another Scene, 508 갤러리 2011 기억공작소_임창민전, 봉산문화회관 2010 뉴미디어아트전, 한기숙갤러리 2009 임창민초대전, 베아트센터 2008 Into Another Space, 갤러리 인더박스 2007 임창민초대전, 베아트센터 2004 임창민_미디어아트전, SPACE129 2003 갤러리룩스 기획 초대개인전_Out Of Control, 갤러리룩스 2000 Unsinkable desire, 80 Washington East gallery

수상

최우수작품상 기초조형학회 국제초대전 문예진흥기금 공모 선정 Award World Studio Foundation New York Award Jack Goodman Technology New York IIE Scholarship Award Award Luminous US

64

Biographie

주요 그룹전

2017

든 것을 기억하는 물(Water That Remembers All), 모 제주김창열미술관, 제주 Lim Chang Min Solo Exhibition, Art Central Hong Kong Think different Live different, JJ중정갤러리 Ever Green Ever Blue, 더 트리니티 & 메트로 갤러리 바람 풍전, 광주 신세계갤러리 Art Pusan 2017, 벡스코, 부산 Art Karlsruhe, Karlsruhe, Germany ART FAIR TOKYO 2017, Tokyo International Forum Hall

2016

Into a time frame_임창민 개인전, KIAF 2016, 코엑스 Art Miami Context, Miami Dubai Photo Exhibition, Dubai Design District, 두바이 TO be continued, Shanghai Contemporary museum of Art, 상하이 디지털산수인, 포항시립미술관 다시, 빛을 말하다(Again, Light the Light), BNK아트갤러리 빛의 바다, 인천신세계갤러리 Red전, 이배갤러리, 부산 Bule전, 광주 신세계갤러리 G_Seoul,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서울 조형아트페어서울, 코엑스 Daegu Art Fair 2016, 엑스코, 대구 Art Pusan 2016, 벡스코, 부산

2015

강정현대미술제, 디아크, 대구 현대미술박물관에 스며들다, 경기도박물관, 경기도 인_대구 미디어파사드 2015 임창민/류재하전, 달서문화재단 Daegu Art Fair 2015, 엑스코, 대구

2014

감성미디어전 Mind Space, 클레이아크미술관, 김해 광주국제미디어페스티발, 미래의 빛 Light of the Future, 광주문화재단 Hypoxis Aurea전, KUK갤러리 개관 기념전, 대구 이야기하는 사물, 이야기하는 공간전, 부산신세계 갤러리, 부산

2013

GIFT FROM RESENT, 서울스퀘어 미디어캔버스, 서울 Better than Universe,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배종헌 임창민 2인전, 봉산문화예술회관, 대구 12인의 시대미전,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 제3의공간_일상의 오브제, 경북대학교미술관, 대구 예술, 창조공간에 들다,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2

실험적프로젝트,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삶+소통 2012 영상예술의 도시-대구, 대구국립박물관, 대구 한기숙갤러리 개관 10주년 특별전, 한기숙갤러리, 대구 현대미디어아트전, 대안공간 스페이스가창, 대구 Smart Media Art전, 국민아트갤러리, 서울 Dartist전, 대구미술관, 대구

2011 Digital Artexmoda, 경북대학교미술관, 대구 파라테크놀로지,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Cityscape of Daegu, 대구국립박물관, 대구 PINK ART FAIR SEOUL 2011, INTERCONTINENTAL SEOUL COEX, 서울 Now in Daegu 2011, 대구 Edition No전, 갤러리M 호텔아트페어, Novotel Amvassador, 대구 Trans-, Trans-, Transition : A detour to Paju City, 메이크샵아트스페이스, 파주 Another Landscape, 봉산문화예술회관, 대구

2006

대한민국청년 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뉴프론티어전 시민예술_영상, 행위, 월곡공원, 대구 대구국제뉴미디어아트페스티발,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SPECTRUM Light전, 성남아트센터, 분당 미술관 페스티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Navigate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Daegu Contemporary Art Exhibition, 대구시민회관 전시실, 대구 Seoul remains, 인사동 선아트센터, 서울

2005

문예진흥기금 공모 선정작가 초대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디지털 센스&센세이션, 필로갤러리, 대구 청계천을 거닐다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A Parallel History-2005 시안미술관 특별전, 시안미술관, 대구 30YEARS MESSAGE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0 창조공동체를위하여전, 서울산업대학교 100주년 기념관갤러리, 서울 Digital Artexmoda, 경북대학교미술관, 대구 2009

청년미술프로젝트, KT&G 특별전시장, 대구 미술 사람을 보다전, 봉산문화회관, 대구 Deconstruction vs Construction, 김영섭화랑, 서울

2008

Colorful Convergence, 경북대학교미술관, 대구

2007

Le Monde New Media Art Exhibition, 베아트센터, 경기도 현대조각과 뉴미디어전, 의정부 예술의전당, 의정부 대구국제뉴미디어아트페스티발,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오픈 스튜디오 페스티발, 대구 봉산문화회관, 대구 무_로부터 From Nothingness,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스튜디오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1가 304-3 T. 010 2360 5534 E. nyapril@naver.com

65


LIM CHANG MIN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Media Art Production, MFA New York University, Art in Media, MA Keimyung University, Applied Fine Arts, BF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7 into a time frame series, Lim Chang Min Solo Exhibition, Gallery Bundo Lim Chang Min Solo Exhibition, Gallery LEE & BAE 2016 Into a time frame, Space B 2015 Lim Chang Min Solo Exhibition, Shanghai Contemporary museum of Art Into a time frame, Daegu Hyangchon Cultural Center 2014 Lim Chang Min Solo Exhibition, Gallery Bundo Time Frame, Daegu Hyangchon Cultural Center 2013 into another frame, DGDC Gallery 2012 Another Scene, 508 Gallery 2011 Invited Solo Exhibition, Bongsan Cultural Center 2010 New Media Art Exhibition, Hankeesuk Gallery 2009 Lim Chang Min Media Art Exhibition, BeArt Center 2008 Into Another Space, Gallery In the Box 2007 Lim Chang Min Media Art Exhibition, BeArt Center 2004 Lim Chang Min Media Art Exhibition, SPACE129 2003 Out Of Control, Gallery Lux 2000 Unsinkable desire, 80 Washington East gallery

Awards

BEST AWARD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Seoul SELECTED Arts Council Korea Fund, Seoul AWARD World Studio Foundation, New York AWARD Jack Goodman Technology Award, New York IIE Scholarship AWARD Luminous Award, New York

66

Biographie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7

Water That Remembers All, the Jeju Kim Tschang-Yeul Museum of Art Lim Chang Min Solo Exhibition, Art Central Hong Kong Think different Live different, JJ Jungjung Gallery Ever Green Ever Blue, The Trinity & Metro Gallery Wind, Summer specials exhibition, Shinsegae Gallery, Kwangju Art Pusan 2017, Busan Art Karlsruhe, Karlsruhe, Germany ART FAIR TOKYO 2017, Tokyo International Forum Hall

2016 Lim Chang Min Solo Exhibition, KIAF, Coex, Seoul Art Miami Context, Miami Dubai Photo Exhibiton, Dubai Design District, Dubai TO be continued, Shanghai Contemporary museum of Art, Shanghai Digital Sansuin, Pohang Museum of Steel Art Again, Light the Light, BNK Art Gallery Bule, Summer specials exhibition, Shinsegae Gallery, Kwangju G_Seoul, DDP, Seoul Plastic Art Fair, Coex, Seoul Daegu Art Fair 2016, Daegu Art Busan 2016, Busan 2015

Kangjung Contemporary Art Festibal, D arc Contemporary Art into a museum, Kyunggido museum. In Daegu_Media Facade 2015 Daegu Art Fair 2015, Daegu

2014

Mind Space, Clayarch museum, Kimhae Light of the Future Gwangju Media Festival Hypoxis Aurea, KUK Gallery Summer specials exhibition, Shinsegae Gallery, Busasn, Kwangju

2013 GIFT FROM RESENT, Seoul Square Media Canvas, Seoul Better than Universe, Daegu Media Art ZKM 2013, Daegu Art Factory Lim Chang Min and Bae Jong Heon, Bongsan Cultural Center 12 Artists, Beomeo Art Street Digital Artexmoda, Kyungbuk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Art Museum Daegu Contemporary Art 2013, Daegu Cultural Center


2012

Experimental Project, Daegu Art Factory, Daegu Communication in the city, Daegu National Museum, Daegu 10th Anniversary Exhibition, Hankeesuk Gallery Contemporary Art Exhibition, Gachang Studio Gallery Smart Media Art Exhibition, Kookmin Art Gallery Dartist, Daegu Museum, Daegu

2011 Digital Artexmoda,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Art Museum Para-Technologies, Pohang Museum of Steel Art Cityscape of Daegu, Daegu National Museum Pink Art Fair Seoul 2011, Intercontinental Seoul Coex 2011 IAAF World Championship in Daegu_ Anniversary Exhibition Now in Daegu Edition No Exhibition, Gallery M Hotel Art Fair, Novotel Amvassador Trans-, Trans-, Transition : A detour to Paju City, Makeshop Art Space Another Landscape, Bongsan Cultural Center

2006

Gallery Mong Openning Show, Gallery Mong Korea Young Artist Bienale, Daegu Culture and Art Center New Frontier Exhibition, Wolgok Park Daegu International New Media Art Festival Light into Life, Seongnam Art Center Anniversary Festival Museum Festival, Seoul Museum of Art Navigate, Daegu Culture and Art Center Daegu Contemporary Art Exhibition, Daegu Art Center Seoul remains, Sun Art Center

2005

Digital Sense and Sensation, Philo Gallery Visible or Invisible, Seoul Museum of Art The Decisive Moment, Hoam Art Hall A Parallel History-2005, Cyan Museum FROM DAEGU-30YEARS MESSAGE, Daegu Culture and Art Center

Studio

2010 *.do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Digital Artexmoda,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Art Museum 2009 ‘Garden of Desire’ 2009 Young Art Project, KT&G Arts look at a person, Bongsan Cultural Center Deconstruction vs Construction, Kimyoungsub Gallery 2008 Colorful Convergence,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Art Museum 2007

Le Monde New Media Art Exhibition, BeArt Center Exhibition of New Media Art Festival, Uijungbu Art Center Daegu International New Media Art Festival Open Studio Festival, Daegu Bongsan Art Center From Nothingness, Daegu Culture and Art Center

304-3 Dongindong 1ga, Junggu, Daegu, Korea T. +82 010 2360 5534 E. nyapril@naver.com

67


2016

Art Miami Context, Miami, USA

68




LIM CHANG MIN Into a Time Frame Series 2017. 10. 16 - 11. 15

All Images © LIM Changmin Texts © YI Wonkon, Kewhong YOON Catalogue © Gallery Bundo

36-15, Dongdeok-ro, Jung-gu, Daegu, 41952, South KOREA T. +82 53 426 5615 / F. +82 53 426 2655

Design & Production MARTIANSTORY

www.bundoart.com

Date of Publication 2017. 10 Edition 500 Copies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reproduced or transmitted in any form or by any means, electronic or mechanical without written permission of the publisher.




Into a Time Frame Series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