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ISJISUNG - NO. 725
2014년 9월 3일(수)
SARL PARIS-JISUNG 4 rue Péclet 75015 paris ISSN 1627-9249
세계로 통하는 창
N siret : 792 874 513 00015 o
Editeur : Jeong, Nack-Suck 광고문의/기사제보 06 0786 0536
parisjisung@gmail.com
가을 아침 저녁으로는 제법 쌀쌀한
을 만나고 실외 운동도 하면서
날씨를 보이며 옷깃을 여미게
적극적으로 우울한 가을을 극
하는 가을입니다.
복해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난 여름의 푸른 나뭇잎들이
생각합니다.
노란 듯 빨간 듯 헌 책장처럼
가을은 맑은 듯 하면서도 쌀쌀
색이 바래가는 모습을 보고 있
하고, 푸른 듯 하면서도 붉은,
으면, 왠지 모르게 외롭고 쓸쓸
독특한 양면성을 가진 계절인
한 기분이 들기도 하니 어쩌면
것 같습니다. 그런 만큼 변화
"가을을 타는" 것인지도 모르겠
를 기대해 볼 수 있는 유동성의
습니다.
미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름
한국에서는 계절도 계절이거
에는 쨍쨍 내려쬐기만 하는 해
니와, 세월호의 비극과 윤일병
가 있었다면, 가을에는 오늘 비
사건등으로 어수선하고 나라
가 오면 내일은 해가 뜨는 변화
가 갈팡 질팡 하고 있어, 경제
가 있으니 말입니다. 그렇기에
증이란 정신 질환을 겪게 되는
다. 햇빛의 양이 많은 여름에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왕성히 분비되는 세라토닌이
흔히 "가을을 탄다"고 표현되는
가을, 겨울이 되면 그 분비량이
가을의 무기력감, 불안감 등의
줄어들면서 우울한 기분을 유
고 합니다.
정서도 사실은 "계절성 우울증"
발시킨다고 합니다. 계절성 우
음의...패자부활전이라고 할까
암, 에이즈 외에 현대에 들어와
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울증의 기제가 그렇다 보니 이
요? 가을의 우울을 햇빛으로 다
일상에서 가장 빈번히 듣게 되
가을이 되면 이유도 없이 기운
를 떨쳐내는 방법도 비교적 간
스리듯, 가을의 희망은 자숙과
는 병 중 하나가 "우울증"이 아
이 없고, 의욕도 없으며, 매사
단해 보입니다. 바로 실내에만
깨달음으로 실현될 수 있을 것
닌가 생각합니다. 인간 관계의
에 짜증이 나고 감정적으로 불
머물지 말고 외출을 통해 햇빛
입니다.
고리가 약해지고 이기주의가
안해진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을 많이 쬐는 것입니다.
판치는 가운데 친구와 적의 구
의심하고 스스로 이를 극복하
간단한 습관의 변화로 치유할
분이 무색해진 현대의 치열한
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수 있는 만큼, 아름다운 가을을
경쟁 사회 속에서, 기댈 데 없
이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과
방 안에서만 보내기 보다는 밖
는 외로운 개인들은 결국 우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
으로 나가서 활발하게 사람들
와 물가 상승, 또 이와 연계된 취업 시장의 난항이 더해져 자 살 충동까지 호소하며 상담을 받는 사람이 눈에 띄게 늘었다
저는 가을이야 말로 희망의 계 절이라고 생각합니다. 봄이 들 끓는 젊음의 희망이었다면, 가 을은 한 번의 시련을 겪은 다
<정락석/파리지성 발행인>
파리지성 창간15주년 기념 -한글 서예 개관전전시기간 9월16일부터 10월 15일 까지
베르니사즈 9월18일 16시부터 21시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