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국절 논란에‘두 쪽 나는 광복절’
해”설득에도 요지부동 김 관장은 “뉴라이트 아냐”사퇴 거부 귀국한 파리의 영웅들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역사관을
둘러싼 갑론을박이‘건국절’ 논란으
로 비화됐다. 대통령실이 건국절 제
정 추진설을 공식 부인했지만 갈등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광복회는 김 관
장 임명 철회에 더해 윤석열 대통령
의 건국절 포기 선언까지 촉구하며
15일 광복절 정부 행사 참석을 거부했
다. 해묵은 건국절 이념 논쟁에 여론
“명품가방 사건 외압 의혹 밝혀야”
더불어민주당이‘김건희 특별검사
법’ 수사 대상에 김모 전 국민권익위
원회(권익위) 부패방지국장 사망 사건
을 추가하기로 했다. 권익위가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사건을‘종결’
처리하는 과정에서 대내외적인 압력
이 분열되면서 광복절이 쪼개지는 초
유의 사태로 치닫고 있다. ★관련기사 6면 윤 대통령의‘정치 멘토’로 통하던
이종찬 광복회장이 불을 지폈다. 그
는 국가보훈부가 6일 김 관장을 임명
하자 일제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왜
곡된 역사관의‘뉴라이트’라고 지목했
다. 김 관장이 지난해 12월“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 15일이 진
정한 광복”이라고 한 발언을 문제 삼
았다.
이 회장은 김 관장 임명을 건국절
제정 추진 의도로 판단해 광복절 행
사 보이콧도 주장했다. 광복회는 독립
기념관장 추천 절차를 문제 삼아 오
영섭 임원추천위원장 등에 대해 수사
를 의뢰할 방침이다.
희 특검법’에 담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이 김건희 특검법에 이번 사
건을 넣은 이유는 김 전 국장의 사망
경위가 석연치 않다는 판단에서다. 김
전 국장 사망 이후, 그가 명품가방 수
수 사건을 종결 처리하지 말고 수사
기관에 이첩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
건국절 논란은 2006년 이영훈 당시
서울대 교수 중심의 뉴라이트계 인사
들이‘1948년 건국절’을 주장하면서
불거졌다. 대한민국 건국 시점이 임시
정부 수립일인 1919년 4월 11일이 아
니라 이승만 정부가 출범한 1948년 8
월 15일이라는 것이다. 임시정부와 독
립운동의 역사는 뒷전으로 밀릴 수밖
에 없다.
대통령실은 파장이 커지자“건국절
제정을 추진한 적도 그럴 계획도 없
다”고 선을 그었다. 또 전광삼 시민사
회수석을 보내 이 회장 설득에도 나
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윤 대통령
은 취임 후 첫 광복절인 2022년 경축
사에서 임시정부의 적통을 이미 인정
했고, 1948년 건국절 제정을 추진했 던 과거 우파진영 일각의 역사관을
넘어선 것으로 평가됐다”고 설명했다. 광복회는 요지부동이다. 이 회장은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난 후 취재진에“건국절을 안 하겠 다는 (정부의) 얘기는 들었다”면서도 “액션이 있어야 믿을 것 아니냐”고 지 적했다. 김 관장 임명을 속히 철회해 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하지만 김 관장은 12일 기자회견에 서“저는 독립운동가를 폄훼하고 일
제강점기 식민지배를 옹호한다는 의
미로 말하는 뉴라이트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 자신을 둘러싼 논란을 ‘마녀사냥’과‘인민재판’에 빗댔다. 결
정적으로 김 관장은‘사퇴 의사는 없 냐’는 질문에“그렇다”고 답했다.
나광현^김형준 기자 이민석 인턴 기자 ☞6면에 계속


희생되는 일은 더는 없어야 한다”고
지적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야당은 소속 상임위인 정무위원회
차원의 청문회 추진도 속도를 낼 방침 이다. 민주당·조국혁신당·사회민주당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이날 국회
에서 기자회견을 열고“권익위를 정
했으나 상부가 받아들이지 않아 스트 “권력의 무도함에 애꿎은 공직자들이

문회를 열어줄 것을 요청한다”고 요구 했다. 다만 정무위는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어 청문회 실 시까지는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이 때문에 민주당은 정무위가 어려
울 경우 다른 상임위를 활용하는 방 안도 고민 중이다. 국정조사 개최도 검토하고 있다. 황


내정자에 대해“국방 안보 분야 의 풍부한 현장 경험과 식견을 갖추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