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form-L-2018-EX-Vacationland-KR

Page 1

Vacationland

베케이션랜드



Vacationland

베케이션랜드


Introduction

2

서문


Nayae Lee, Curator, Platform-L The 2018 Summer Exhibition at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is the kickoff exhibition for the space research project series. The contemporary artists, who also belong to the regular user group of the museum, are showcasing new works that incorporate their interpretation of the Platform-L spaces. In the gallery spaces they have chosen along with the curators, they will be installing works that make the optimal use of the space with their unique visual languages. The results will shed a new light on the accustomed use of the gallery, which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16. The artists will make the space as a part of their production process and create works that allow a more dynamic and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and use of the spaces. All the participating artists have shown continued interest in site specific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ir work. The minimum direction has

이나예, 큐레이터, 플랫폼엘

2018년 여름 기획전�«베케이션랜드 (Vacationland)»는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의 공간 연구전으로서 공간의 실 사용자 군에 해당하는 동시대 작가들과 함께 공간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시도와 작업들을 전시의 형태로 소개해보고자 기획되었다. 작가들은 각자가 선택하고 플랫폼엘과 조율하여 결정된 위치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본인의 시각예술 언어를 사용한 작품을 설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관객들이 새로운 공간 경험을 하게끔 유도한다. 개관 후 2년 동안 사용되어 오며 의례적으로 인지하게 된 기존의 공간을 전시의 과정 및 결과물을 통해 새롭게 해석하고 이용함으로써 보다 다각적이고 능동적인 공간 이해와 사용을 바탕으로 한 전시 형태를 구현하고자 했다. 본 기획전 참여 작가들은 기본적으로 공간과 작업간에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작가로 구성되었으며, 기획 초기 단계부터 함께 참여하여 공간 연구전에 부합하는 작품을 구상했다. 작품의 방향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최소화하여 각

3


been provided in the curatorial process allowing them the maximum freedom in producing their works. Platform-L is meant to exist solely as the physical space itself. The title of the exhibition, Vacationland, the definition of which includes resorts, recreational facilities or historic sites is the keyword that runs through all the works presented in the exhibition. Platform-L will assume a temporary and arbitrary identity as a Vacationland. The title, which is a way to let the viewers unwind and enjoy the artwork, appears repeatedly through out the exhibition spaces as a form of posters, signage, and other design elements of the show. The purpose of the show is to let the viewers meander around the building taking a visual, physical, and mental break allowing them more intuitive and sensual encounter with the artworks. Platform-L defines itself as an institution that encourages artists to explore and experiment with creative ideas to provide 4

작가들로 하여금 본인의 작업을 최대한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랫폼엘 공간은 말 그대로 공간 그 자체로서 존재하게끔 의도되었다. 전시 제목으로 사용된 ‘Vacationland’는 휴양지, 관광지, 명승고적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영단어로, 완성된 작품들이 주는 시각적 정보를 관통하는 키워드이자 본 전시를 통해 변모된 플랫폼엘의 임시적이며 임의적인 아이덴티티이기도 하다. 관람객들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방식으로 전시를 관람하게끔 유도하는 장치이기도 한 본 전시의 제목은 포스터를 필두로 하는 시각 디자인물과 사이니지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노출된다. 시각적, 신체적, 정신적 휴식과 휴양을 경험할 수 있는 작품들을 따라 공간을 거닐며 관람객들이 보다 직관적이고 감각적으로 작품을 대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그 경험을 향유할 수 있는 장소로서 자리하고자 함이다. 플랫폼엘은 동시대 예술가들의 창의적인 시도를 통해 관객들에게 다양한 예술체험을 제공하며, 예술을 만드는 사람과 향유하는 사람 모두를 위해 열려 있는 학습과 탐구의 공간이자 국내외 예술가


the audience with unique art experiences, and also as a platform whe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sts and institutions exchange ideas and collaborate. The exhibition is not just a space research project but also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Platform-L is taking. Through the workshop programs that accompany the exhibition, Platform-L intends to function as a platform where the audience communicate with the artists and experience various aspects of art.

및 기관을 위한 교류와 협력의 플랫폼을 지향하는 공간으로서 스스로를 정의하고 있다. 물리적인 공간 특성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공간이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성에 대한 연구이기도 한 본 전시는, 전시와 연계 워크숍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예술가와 관람객 간의 직간접적 소통의 플랫폼이자 다채로운 경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모색한다.

5


Interviews

6

인터뷰


Park Kiljong Platform-L: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Park Kiljong: I have worked on an array of projects under different names including Kiljong Arcade, Park Kiljong, and Park Gagong (“Gagong” means to manufacture or something fictitious in Korean).

Park Kiljong, Moving Slantwise, 2018

박길종

플랫폼엘: 박길종 작가님에 대한 소개를 간략하게 부탁드립니다. 박길종: 2010년부터 길종상가, 박길종, 박가공 등의 이름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플: 박가공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박: 길종상가 활동을 하며 박길종이라고 본명을 말하는

박길종, ‹갸우뚱›, 2018

7


P-L: How did you come up with the name, “Park Gagong”? P K: I thought it would be more interesting to use a different name for the arcade project. I am presenting myself as a fictitious character and also as someone who manufactures things. P-L: How would you describe your work? What kind of message or idea do you try to get across? P K: I make objects, big and small, which are relevant to or go with a specific space. P-L: Can you give me some examples? P K: We have designed and created objects for museums, showrooms, offices, commercial spaces, homes, or any space with a specific purpose, usage and a particular concept.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Considering that the exhibition is 8

것보다 다른 이름으로 소개하면 재밌겠다 싶어, 가공의 인물이면서 물건을 가공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입니다.

플: 평소 어떤 작업을 하시나요? 박: 특정 공간에 어울리는 크고 작은 물건들을 만듭니다.

플: 몇 가지 구체적인 예시로 특정 공간에 어울리는 크고 작은 물건에 대한 소개를 조금 더 해주실 수 있을까요? 박: 미술관이나 전시장, 사무실, 상업공간, 집 등 특정한 주제나 목적, 용도를 가지는 공간에 어울리는 물건들을 구상하고 만들어 왔습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는지요? 이번 전시가 ‘공간 연구전’이라는 점을 고려하고 보았을 때 가장 흥미로운 공간은 어디었나요? 박: 골목을 들어오며 처음 건물을 봤을 때, 직선적인 선들로 이루어진 외관과 중정에서 보이는 부드러운 곡선의 타공 벽면과의 조화가 인상적이었습니다. 2, 3층에서 바라보는 중정의 체스 무늬


an architectural space research project, which part of the building drew your attention the most? P K: I thought the straight lines of the building exterior seen from the street and the curved surface of the perforated walls seen from the linkyard seemed to work really well together. I also liked the chessboard patterns of the linkyard floor seen from above. P-L: What kind of work will you be showing in the courtyard space, which we call linkyard? P K: The title of the work is Moving Slantwise, which means to tilt one’s head in Korean. It is a combination of a squirrel cage ride of an amusement park and a rocking chair. When two people sit across from each other, people cannot see their faces, which makes it a perfect place for them to have a private conversation. P-L: What is the first thing you

같은 바닥도 좋았습니다. 지하의 비밀스러워 보이는 공간들도 흥미로웠습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박: ‹갸우뚱›이라는 이름의 작품으로, 놀이공원에 가면 볼 수 있는 다람쥐통 놀이기구의 모양에 흔들의자의 성질을 합친 구조입니다. 두 명이 균형을 잡고 마주 앉으면 얼굴이 보이지 않아 밀담을 나누기 좋습니다.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박: 전시 의도와의 연결성, 공간에서의 재미, 예산의 적절한 분배입니다.

플: 공간에서의 재미라고 언급해주셨는데, 작가님에게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재미’란 어떤 요소인가요? 시각 경험을 통한 재미가 작품 구성 및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편인가요? 박: 시각 경험과 함께 직접 만져보고 앉거나 사용할 수 있는 촉각적인 부분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9


Park Kiljong, Moving Slantwise, 2018

10

박길종, ‹갸우뚱›, 2018


consider in your art production process? P K: I would say the balance between the relevance to the theme of the exhibition, the fun factor i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budget. P-L: What constitutes a fun factor? How much does the fun that a visual experience provides influence the production of your artwork? P K: In addition to the visual experiences, I consider the tactile sensory activities such as touching or sitting on the object I made as an important part of my work. P-L: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your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P K: I would like to see the viewers reacting to the work with curiosity. “What is this?” “Could I go in there and ride in it?” “Would

플: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박: ‘이게 뭐지?’, ‘들어가서 앉을 수 있나?’, ‘앉으면 넘어지지 않을까?’하며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통에 들어가 앉아서 몸을 갸우뚱거리면 좋겠습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박: 집. 플: 마지막으로 본인만의 휴양지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박: 하루 종일 집에서 한 발자국도 나가지 않고 멍하니 있는 것.

11


I fall if I do?” I would like to see them tilt their head wondering about the work. The ride will make their bodies tilt as well.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P K: My home. P-L: One last question.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P K: Doing nothing at home without stepping out the door all day.

12


Kim Yunha Platform-L: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Kim Yunha: I make what I want to make and do what I want. P-L: What kind of projects have you worked on? K Y: I have been working on a project called Pretty Garbage.

Kim Yunha, Bichiyong Beach, 2018

김윤하

플랫폼엘: 김윤하 작가님에 대한 소개를 간략하게 부탁드립니다. 김: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고 할 수 있는 것을 합니다.

플: 평소 어떤 작업을 이어오고 있으신가요? 김: ‹예쁜 쓰레기›라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플: ‹예쁜 쓰레기›라는 작업은 어떤

김윤하, ‹비치용 비치›, 2018

13


P-L: Could you describe the project a little more in detail? What is the direction it is taking? K Y: I started the project when I came to notice that too much time and money is spent in manufacturing excessive amount of products (rather unpretty products), which are easily consumed and soon go to waste. I wanted to do a project with such garbage, which is to be reconstructed and transformed into something pretty and useless.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Considering that the exhibition is an architectural space research project, which part of the building drew your attention the most? K Y: I liked the perforated walls and the linkyard floor tiles. I also thought how one can navigate through one space to another is intriguing. The space seemed to be well planned out. 14

방향성을 가진 작업인가요? 조금 더 설명 부탁드립니다. 김: 너무 많은 물건들이 굳이 많은 시간과 돈을 들여 (예쁘지 않은 모습으로) 제작되고, 그것들이 너무 쉽게 구매되고 버려지는 것을 보고 시작한 작업입니다. 쓸모를 다해 버려지거나 쉽게 쓰레기가 되어버리는 어떤 오브제들을 재결합하여 예쁘고 재미있는, 그리고 무쓸모한 어떤 것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는지요? ‘공간 연구전’을 고려하고 보았을 때 가장 흥미로운 공간은 어디었나요? 김: 외벽의 타공판, 중정의 바닥 타일 등이 인상적이었고 공간과 공간을 이동할 때의 느낌이 색다르다 생각했습니다. 계획과 정돈이 잘 된 공간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플: 이번 전시에서 소개한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김: ‹비치용 비치›라는 이름의 작업입니다. ‹예쁜 쓰레기›의 큰 사이즈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L: Your work is being exhibited along with Park Kiljong’s piece. How would you describe your work? K Y: Bichiyong Beach is the title of the work. It’s a bigger version of Pretty Garbage. P-L: The title is fascinating. You said it is in line with Pretty Garbage? How so? Could you be more specific? K Y: When I was informed of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 immediately thought of recreating a vacationland of some sort. Playing with homonyms also seemed interesting. The phonetics of the word, beach corresponds with the Korean word meaning “to provide, or to be equipped”. I put together the objects that are easily found at the beach in the summer, the things that go to waste after the vacation season is over, and the cheapies that are thrown out before they are used up. The outcome

플: ‹비치용 비치› 작품 제목이 참 흥미롭네요! ‹예쁜 쓰레기›와 연결되는 맥락에 있는 작업이라고 하시니 어떤 작업인지 예상은 되나, 독자분들을 위해 조금 더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김: 전시 제목을 듣고 휴가지를 만들고 싶다 생각했고, 비치(해변)와 비치(비치하다 할 때의)의 동음이의어가 가지는 재미를 표현해보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여름의 휴가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오브제들, 한 철 쓰고 버려지는 어떤 것들,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구매하고는 쓸모를 다하지 못하는 것 등을 조합해 이상하고 재미있는, 어쩌면 기이하고 무쓸모한 모습의 ‘비치용 비치’를 만들고자 했고, 관람객들이 각자의 방법으로 작업을 즐겼으면 합니다.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김: 작품과 공간과의 연결성, 전시에 참여하는 다른 작가와의 연결성 그리고 공간에서의 쓰임 등을 고려합니다.

15


Kim Yunha, Bichiyong Beach, 2018

16

김윤하, ‹비치용 비치›, 2018


may look strange, funny, and uncanny. I want the viewers to enjoy the beach I provide them in any way they like. P-L: What is the first thing that you take into account when you make an artwork for a specific exhibition? K Y: I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exhibition space, the relationship between myself and other artists in the exhibition and how to make use of the given space. P-L: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the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K Y: I want my work to contrast with a sleek achromatic space of Platform-L. I want it to look casual and somewhat weird yet natural. I want the viewers to feel somewhat uncanny as they approach the work.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김: 무채색의 잘 정돈된, 세련된 느낌의 공간과 대비되는, 아무렇게나 만들어진 혹은 이상한, 하지만 자연스럽다는 느낌을 주는 작업을 선보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관람객이 작품에 가까이 다가갔을 때 묘한 감정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김: 아무것도, 아무 생각을 하지 않아도 걱정되거나 불안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곳. 플: 마지막으로 본인만의 휴양지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김: 어느 여행지가 되었든 얼마나 긴 휴가가 되었든 간에 숙소를 마치 내 집처럼 전환 시키는 것을 좋아합니다. 싸온 짐을 풀 때 마치 이사를 온 듯 물건을 배치하고 정리합니다.

17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K Y: A place where one experiences an anxiety free state of mind without having to think about anything. P-L: One last question.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K Y: Wherever I travel to, however long I stay there, I like to make the place I am staying as homey as possible. I unpack and arrange my belongings as if I have moved into a new home. I like to feel as if I have “lived” there even for a short period of time rather than to feel like I have simply “visited” there.

18

내가 여행을 온 것이 아니라 짧게라도 그곳에서 ‘살다’간다는 느낌을 받는 것을 좋아합니다.


Verythings Platform-L: What kind of a creator’s group is Verythings?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Verythings: We do various interior, landscaping, contents, and branding projects the central concept of which is creating urban nature. There are four of us including visual artists,

Verythings+Shin Sunhye,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베리띵즈

플랫폼엘: 베리띵즈는 어떤 그룹인가요? 간단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베리띵즈: 도시자연을 주제로 공간, 콘텐츠, 브랜딩, 조경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각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원예, 패션디자인, 순수예술을 전공하거나 직업으로 두었던 4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베리띵즈+신선혜,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19


an interior designer, a landscaping designer, and a fashion designer. P-L: Could you describe the types of work you have been engaged in? V: We have been mostly working on commercial projects that border on design, art, and nature. In the beginning, we mainly focused on the general concept of nature perceived as something green, good, lofty and even pious. We have moved onto the images of nature that are sexy, funny, mysterious, and even gloomy at times. We now try to communicate other fascinating aesthetics and values of nature. Through various branding and interior design projects of hotels, restaurants, and banks we represent nature as culture and create experiences that nature can offer within a specific space. We intend to share values and fun 20

크리에이터스 그룹입니다.

플: 평소 어떤 작업을 해오고 있는지, 작업을 통해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 궁금합니다. 베: 최근에는 디자인과 아트, 자연 그 경계에서 상업적인 작업들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처음 작업을 시작할 당시에는 자연이라는 단어가 주는 고결함, 경건함과 자연이 단순히 착하고, 푸르다는 이미지와 같은 일반적인 인식에 보다 집중했습니다. 지금은 여기서 나아가 우리가 경험한 자연의 섹시함, 우스꽝스러움, 신비함, 우울함 등 다른 흥미로운 이미지와 미학적인 가치들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최근 여러 브랜드나 호텔, 레스토랑, 은행 등과 함께 문화로 재현되는 자연, 크고 작은 자연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공간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업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자연을 좋아하지만 도시를 떠날 수 없는 우리와 같은 사람들에게 도심의 삶과 자연이 주는 다양한 경험의 간극을 줄임과


that nature can provide for people who cannot easily get away from an urban environment. We try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life by creating cultural spaces that substitute nature or at least connect to nature.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as an architectural space? Considering the theme of the exhibition, which part of the building drew your attention the most? V: I found its location interesting. It is located in a rather quiet back street in the middle of Gangnam that came to symbolize the urban space. It seemed unlike any other place where galleries and museums are usually located. The linkyard of the building that I tumbled upon one day like a secret garden left me with a lasting impression. I imagined the space to be filled with flowers in full blossom greeting me

더불어, 자연의 경험을 불러일으키는 대체 자연들을 통해 계속적으로 자연과 연결되어있는 다양한 문화, 그리고 그 가치와 재미를 공유하고 싶습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는지요? ‘공간 연구전’을 고려하고 보았을 때 가장 흥미로운 공간은 어디였나요? 베: 일단 위치가 매력적이었습니다. 한적한 동네에 있는듯하면서도, 도심을 상징하는 강남 한복판에 위치하여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전시장과는 결이 다른 느낌이랄까요? 가운데 있는 중정 광장이 인상적이었는데, 시크릿 가든과 같이 우연히 길을 걷다 무심코 들어왔는데 이곳에 작은 꽃들이 흐트러지게 펼쳐져 있는 꽃밭이 반겨주면 어떨까 하는 상상을 하기도 했습니다. 건물의 벽들 때문에 아마도 그 꽃밭에 안겨있는 듯한 포근함을 느낄 수도 있을 것 같았습니다. 이 주변 동네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딱 적당한 크기의 광장 공간이라는 생각이

21


Verythings+Shin Sunhye,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22

베리띵즈+신선혜,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as I walked in. I thought I would feel like I was being embraced by the space surrounded by the walls. P-L: What kind of work will you be presenting for the show? V: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is about souvenirs and an act of bringing a piece of what you have experienced on a trip as a token of remembrance. We are all tirelessly on the go. Amongst a bustling life, we strive to find a balance between work and private life. We look for our own ways to find restful space within everyday life. One way is to draw energy from things we have brought from vacations. Some wear a T-shirt with images of the places they have visited. Others decorate their desk with photos of travel images and a souvenir mug cup. Others reminisce about the trips they have taken with the music and the food from their destinations. They

들었습니다.

플: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베: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는 여행지에서 기억의 일부를 가져와 간직하는 행위, 기념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한동안 정말 바쁜 시간에 쫓겨 왔습니다. 우리는 이런 연속적인 바쁨의 시간 속에서 삶과 일의 밸런스를 위해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일상 공간에 안식과 휴양을 만들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합니다. 누구는 여행지에서 사온 멋들어진 광경이 담겨있는 티셔츠로 하루의 스타일을, 누구는 책상 위의 알록달록한 사진과 컵들로, 또 누군가는 음악과 음식으로. 나에게 즐거움을 주던 순간의 기억들이 때로는 오늘, 또 내일의 에너지가 되곤 합니다. 일상이 여행지이자 휴양지가 되었으면 하는 우리에게 그곳에서의 즐겁고 아름다웠던 기억을 가져와, 또 다시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오브제에 기억을 심고, 그것을 같이 공유하는 것. 때로는 누군가의 기억과 아름다움이

23


become a source of energy for tomorrow, if not today. We wish our everyday life is like a vacationland. We bring wonderful memories back to our daily life and plant them in surrounding objects from which they extract energy. Sometimes we get excited fantasizing of going back there. Our project probes into such mechanism of the emotions involving souvenirs. The exhibition will be like encountering a souvenir shop at a vacationland. P-L: What is the first thing that you consider in your art production process? V: I try to concentrate on what interests me the most at the time of the exhibition. I try to organize my thoughts around them, find links among them, and find where my thoughts and ideas have originated from. It is basically about processing thoughts regarding myself and what surrounds me. 24

일상의 에너지로 전환되기도 하며, 어느새 그곳으로 가고 있는 듯한 흥분을 갖게 합니다. 이번 작품은 그런 장치의 작업입니다. 관람객들에게 도심 속에서 만날 수 있는 ‘휴양지 기념품 숍’을 선사하고 싶습니다.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베: 지금 무엇에 관심이 있고, 무슨 생각들로 가득 차 있는지, 그것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그것들을 정렬하고, 연결고리를 찾기도 하고, 어디서부터 시작인지를 알고자 합니다. 결국 나와 우리 주변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하는 것 그것이 가장 우선적인 것 같습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베케이션랜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베: 도심 속에서 ‘휴양지 기념품 숍’을 만나는 기분은 어떨까 생각하며 현실과 판타지가 모호하게 섞인 특별한 숍을 구상했습니다. 그리고 타인의


P-L: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the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V: I thought about what would be like to happen upon a souvenir shop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It would embody a mixture of reality and fantasy. It is also about sharing other people’s memories.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V: A place where one wants to stay. P-L: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V: Choosing a less known place and spending a day without any plans. I like to meet and study local plants. They tell you not jus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but also the lifestyles of the people there.

기억을 나누는 느낌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작가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베: 머물고 싶은 곳입니다. 플: 본인만의 휴양지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베: 유명하지 않은 곳을 택해 목적 없이 하루를 보내는 것, 그곳의 식물들을 만나고 구경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식물을 보다 보면 그 지역의 특징뿐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양식까지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5


Shin Sunhye Platform-L: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Shin Sunhye: I am a photographer based in Seoul. I do fashion and other commercial photography and also shoot for magazines. P-L: Are there other projects outside the commercial

Verythings+Shin Sunhye,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26

신선혜

플랫폼엘: 신선혜 작가님에 대한 간략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는 포토그래퍼 신선혜입니다. 다수의 매거진들과 패션 커머셜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플: 패션 이미지 이외에는 어떤 작업을 진행하시나요? 그리고 그러한 작업을 통해 전달하고자

베리띵즈+신선혜,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photography? If there are, what do you try to communicate through such works? S S: I don’t have a grand objective. I have been keeping a sort of a photo diary. Amongst busy daily schedules, I document and collect everyday images of even trivial moments. It could be a scene from my studio, from the beach during my vacation, a relaxing moment at home, or any moment that I want to record and remember. I started it to capture fleeting moments of emotions and objects. As such images accumulated, they became a visual diary. I want to share emotions evoked by those images with the viewers.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as an architectural space? S S: It was definitely different from other museums. The way you enter the space from the linkyard intrigued me. I

하는 것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신: 거창하거나 특별한 목적을 가지지 않는 저만의 ‘사진 일기’라고 설명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매일 바쁜 일상을 꾸리며 살고 있지만, 오랜 습관처럼 일기를 쓰듯 일상 속 작은 순간들을 기록하고 채집하는 식으로 작업을 합니다. 일을 하고 있던 스튜디오든, 휴가 중의 바닷가 앞이든, 편히 쉬고 있던 한낮의 집안이든, 제가 기억 속에 남기고 싶은 한 찰나를 기록하는 일입니다.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감정들이나 인상 깊었던 오브제들을 마음속에 새겨 두고 싶어 시작한 일인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 그 이미지가 일기처럼 남아 있었습니다. 무작위 하게 찍힌 지난 시간들의 이미지들이 모이고 편집됐을 때 제가 느끼는 순간적인 감정의 환기를 전시를 보는 관람객들과 함께 공감하고 싶습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나요? 신: 일반 미술관과는 확실히

27


thought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in different gallery spaces would merge together in an organic manner. That’s just how I imagined an exhibition would be. I would want the viewers to have a unique visual experience throughout the space. P-L: What will you be showing in collaboration with Verythings? S S: I will be making something out of my documented images of everyday life. They are images of trivial yet special moments. In collaboration with Verythings, we designed and fabricated souvenirs based on my photo diary. We will create a souvenir shop like the one people encounter on a trip somewhere. I want them to feel the excitement and joy they feel on a vacation. P-L: What is the first thing that you consider in your art production process? 28

다른 형태로 느껴졌습니다. 건물 외벽과 전시장 내부로 들어가는 사이의 공간이 주는 매력이 크다고 생각했고, 그 사이의 공간 때문에 각각의 퍼포먼스들이 유기적으로 섞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보는’ 사람들이 재미있는 시각적 체험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플: 이번 전시에서 베리띵즈와 함께 선보일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신: 지극히 사적인 일상으로부터 남겨진 작지만 특별했던 반짝이는 순간의 기록들을 작업으로 표현해냈습니다. 기억 속에 남기고 싶은 순간을 촬영한 작은 이미지의 기록들을 다양한 형태의 기념품으로 제작했습니다. 휴양지에서 누구나 마주쳤을 법한 ‘휴양지 기념품 숍’의 형태로 표현했는데, 관객들이 공간에 들어서는 순간 휴양지에서 느꼈던 기분 좋은 설렘과 흥분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S S: There is a sense of happiness that comes from quotidian emotions evoked by the images within small frames. I want the viewers to feel as if objects and places they have overlooked are starting a conversation with them. I want my photographic images to stimulate their imagination. P-L: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the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S S: The moment the viewers walk into the exhibition space where reality and fantasy worlds overlap, I hope they would feel the excitement they feel at a vacationland.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S S: The place where your imagination is stimulated, where one becomes conscious of the moment.

것은 무엇인가요? 신: 작은 프레임 안에 한정된 이미지를 보는 것만으로 일상의 감정들을 환기시키는 것은 아주 행복한 일입니다. 무심코 지나쳤던 공간이나 사물들이 정지되어 말을 걸어오는 기분을 제 사진을 보는 이들이 경험했으면 합니다. 사진 속 이미지들로 또 다른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순간을 남기고 싶습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신: 관람객들이 공간에 들어선 순간 현실과 판타지가 모호하게 섞인 특별한 휴가지에서 느꼈던 기분 좋은 흥분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신: 상상력을 자극하는 공간, 순간이 자리한 곳. 플: 마지막으로 본인만의 휴양지

29


P-L: One last question.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S S: I like visiting a less known place, an unfamiliar spot on a map without any plan or information and spending a day just like any other day.

30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신: 너무 유명하지 않은 지도 속 낯선 이름의 장소로 사전 정보 없이 무작정 떠나 일상을 보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Verythings+Shin Sunhye,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베리띵즈+신선혜, ‹Close your eyes and

you are there›, 2018

31


Lee Jiyeon

Platform-L: Could you introduce yourself? Lee Jiyeon: I am an artist interested in stories within a space where I compose a geometric image with lines or tapes incorporating doors and stairs, which are architectural elements that let people flow in and out of a space.

Lee Jiyeon, Space Drawing 2018_Curious Mapping, 2018

32

이지연

플랫폼엘: 작가 본인에 대한 소개를 간략하게 부탁드립니다. 이지연: 안녕하세요. 문과 계단이라는 공간이동의 요소들을 활용해 테이프(선)로 기하학적 화면을 구성하는, 공간 속 이야기가 궁금한 작가 이지연입니다. 플: 평소 어떤 작업을 이어오고 있는지, 작업을 통해 전달하고자

이지연, ‹공간드로잉 2018_심심한 상상›,

2018


P-L: How would you describe your work? What do you want to communicate through your work? L J: I have been painting under the theme of “space within memories”. At one point, I became curious about what’s beyond a door in the scene I am painting. That curiosity led me to expand my work to the realm of installation. I regard an exhibition space as a playground creating and expanding twodimensional installation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cloth and film into three-dimensional structures. When I was working on “space within memories project”, I was often asked why nothing was happening in the scene I had painted. Some may think the scene is just a background without a story. The background image itself for me is the very beginning and the ending of a story of my memory.

하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이: ‘기억 속 공간’을 주제로 평면 회화 작업을 해오던 중 문 너머의 공간이 궁금해지기 시작했고, 그 호기심이 다양한 설치 작업의 형태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습니다. 기하학적 화면의 회화 작업에서 다양한 재료(연진 필름, 천, 구조물 등)를 이용한 평면적 설치를 하거나, 공간의 구조 자체를 놀이터로 생각하며 즐기는 작업을 합니다. 작업 초기에는 ‘기억 속 공간’을 선보일 때마다 ‘그림 속에 왜 아무것도 없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 기억 속에 존재하는 많은 이야깃거리 중에서 누군가에게는 ‘배경’일 뿐인 공간을 그리는 이유는 다양한 이야기를 연상시킬 수 있는 배경-무대-자체가 가장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떠오르는 ‘기억’이었기 때문입니다. 아직은 반복되는 문과 계단을 그려가면서 그 너머를 궁금해하는 과정 중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끔 작은 오브제들을 그리기도 하는데, 전시장에

33


I am still wondering about what is beyond the doors and the stairs that I repeatedly paint. Although objects sometimes appear in my paintings, I would like the viewers rather than the objects to be part of the painting and complete the story. I want the space created with lines to be enticing. I want to invite the viewers into the painting provoking curiosity about the space and stories represented by the painting. Finding that children are more willing to play around the space I create, I wanted to make it a playground-like space where people can freely move about.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as an architectural space? Considering the theme of the exhibition, which part of the building drew your attention the most? 34

들어서는 관객이 그림 속의 이야기이자 인물, 오브제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싶습니다. 단순한 선의 공간을 보면서 들어가고 싶은, 그림 속 공간과 이야기가 궁금해지는 화면과 공간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어른들보다는 아이들이 쉽게 공간 안에서 뛰노는 모습을 보며, 자유로운 놀이터 같은 공간을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는지요? ‘공간 연구전’을 고려하고 보았을 때 가장 흥미로운 공간은 어디었나요? 이: 전체 공간이 무척이나 재미있었습니다. 퍼포먼스를 보러 플랫폼엘에 처음 왔을 때, ‘기계실(Machine Room)’을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점 자체가 흥미로웠습니다. 이후 다른 작가와 협업으로 플랫폼 라이브에서 공연을 했었는데, 이동식 좌석이나 슬라이드 문, 인포데스크의 활용도 등 공간을 다양한 시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점도 흥미로웠습니다. 또한, 중정을 안고 있으면서 열린 건축물의 구조


L J: The entire space was interesting to me. One day, I came here to see a performance in the Machine Room. I thought the use of the mechanical room as a performance space was a remarkable idea. I then had a chance to collaborate with an artist for a live event and found other appealing elements of the building and their uses. The folded seats, moving wall, the use of the front desk provided me with other interpretations of the building. I also thought that the partly enclosed space of the linkyard actually made the building more embracing. The bridge that linked one exhibition space to another was also interesting. There are hidden spaces that let the audience move around the building in many different ways. It made me want to explore the building looking for other obscure spaces.

자체도 매력적이었습니다. 전시장에서 브리지를 지나 다른 전시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도 쉽게 경험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니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양한 동선을 만들어낼 수 있는 숨은 공간이 많다는 점이 가장 흥미로운 이유인 것 같습니다. (돌아다녀 볼수록 다른 숨은 공간을 찾아보고 싶습니다.)

플: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이: 전시장 안에 월 드로잉과 페인팅 작업을 함께 구성하고자 합니다. 벽에 그려진 드로잉은 바닥까지 연장된 상태로 설치되었는데, 이러한 설치 방식은 오히려 그림이 바닥으로부터 출발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합니다. 2층에서 올라오는 계단과 엘리베이터 앞에서부터 전시장 안으로 관람객들이 지나가는 길을 안내하는 듯한 선이 될 수도 있고, 어딘가 가로막히는(길이 끊긴) 부분을 마주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페인팅 작업들은 천장에 매달아 앞뒤로 그림을 볼 수 있는데, 전시장에서

35


Lee Jiyeon, Space Drawing 2018_Curious Mapping, 2018

36

이지연, ‹공간드로잉 2018_심심한 상상›,

2018


P-L: What kind of work will you be showing? L J: It will consist of wall drawings and paintings. The wall drawings will extend down to the floor. It will give the viewers an impression that the drawings actually start from the floor. They will be lines guiding the audience into the exhibition space from the stairs and the elevator. The viewers may come up against a wall. It took me a long while to conceptualize the paintings that would communicate with the wall drawings. They will be hung from the ceiling allowing the viewers to see them from both sides. The drawings will function like biscuits enticing the viewers up the stairs into the third floor gallery space. P-L: What is the first thing that you consider in your art production process? L J: I examine the gallery space with the theme of

그려냈던 드로잉 작업과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많은 고민이 필요했습니다. 전체적으로 3층을 올라오면서부터(전시장이 들여다보이기 전부터) 작업의 요소가 전시장 안으로 안내(초대)하는 비스킷 역할을 하게 하고자 합니다.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이: 전시 주제와 함께 전시 공간을 살핍니다. 특히 공간에 월 드로잉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더 유심히 공간을 보고 고민합니다. 새로운 건물에 들어설 때나 독특한 공간에 있을 때,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공간감이나 건축적인 요소에 시각적으로 반응하는 편인데, 전시 공간에서도 그런 것 같습니다. 공간 자체가 그림처럼 보일 수 있는 곳, 숨어있는 공간이 있는 곳들에 대해서 흥미를 느끼고 살핍니다. 전시 공간에서는 특히나 높이나 천장과 바닥의 색과 구조도 보게 되는데, 벽에서부터 바닥과 천장까지 연결해 공간 자체가 ‘호기심

37


the exhibition in mind. Wall drawings require a much closer look at the space. I am usually quick to respond visually to a space or its architectural elements, more so with exhibition spaces. I like spaces that are somewhat painterly. I am also attracted to spaces with hidden nooks. I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ceiling heigh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I would like to make the entire space including the ceiling and the floor into a “curiosity box.” P-L: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the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L J: I will be making small changes to the past wall drawing works. The details will be added to the improvisational wall drawings extending down to the floor. I am still in the process of experimenting 38

상자’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싶습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이: 지금까지 그려왔던 드로잉들에 간단한 변화를 주는 시각적인 변화를 시도했습니다. 즉흥적으로 그려나간 선 자체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을 다시 그리는 작업으로 벽과 바닥까지 드로잉을 채우고자 했습니다. 작은 화면에 실험하며, 연출될 상황을 미리 고민했습니다. 또한 페인팅 작업에도 변화가 있습니다. 공간 안에 가벽을 설치한 것은 아니지만, 페인팅 자체가 마치 벽이나 문, 또는 기둥처럼 공간의 다른 요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회화 이미지 자체에서도 이전의 화면들과는 다른 특징들이 나타납니다. 월 드로잉 작업을 많이 선보인 듯하지만, 서울에서 그리고 플랫폼엘의 3층 갤러리 공간 정도의 규모에서 회화와 함께 연출한 경우는 처음이라 새로운 스케치북에 새로이 보여주는


with different ideas. I am also attempting something new with my paintings. Without actually building temporary walls, doors, or columns, I am thinking about incorporating my paintings to function as architectural elements. I have never installed my wall drawings with my paintings in the space of this scale. I feel like I have a brand new sketchbook to work on.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L J: For me, a vacationland is getting away from my daily life. At the same time, I want my vacationland to be somewhere familiar. I like the clock to tick more slowly there. Rather than the physical space itself, my attitude or mental state in that moment in time makes the place a vacationland. Even inside a

기분입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이: 저에게 베케이션랜드는 일상으로부터 저를 분리시켜 떠나는 그곳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낯선 곳보다는 가봤던 곳이 더 베케이션랜드와 가까운 것 같습니다. 일상보다는 조금 더 시곗바늘이 여유롭게 돌아가는 곳. 물리적인 장소보다는 그 시간 속에서 제 태도가 어떤 장소를 베케이션랜드로 만듭니다. 예를 들어, 버스 안이나 도서관, 서점, 공항 등도 모두 베케이션랜드가 될 수 있습니다. 플: 본인만의 휴양지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이: 일상으로부터 저를 분리시킬 수 있는 나름 ‘익숙했던’ 곳을 찾곤 합니다. 또 그냥 일상을 낯설게 볼 수 있도록 시간을 보내는 것 자체로 베케이션랜드를 만들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열심히 계획을

39


bus, a library, a bookstore, or an airport could be a vacationland for me. P-L: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L J: I try to look for a familiar place where I can be removed from my daily routines. Sometimes, spending time to detach myself from daily life and observing it from a distance could be an act of vacationing. I used to plan everything in advance to enjoy the vacation. Now I plan only the departure, after which I go about my daily routines there. I like to spend some time alone away from the crowd of people. I would go to a movie or a supermarket at odd times when I am away. It’s hard to find such mundane places that are quiet these days. I need to find other ways to take a new look at banal everyday activities. 40

세워서 떠나는 쉼을 즐겼다면, 요즘에는 일단 출발 계획을 세우는데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떠난 뒤에는 그곳에서 생활하며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약속을 만들지 않고 혼자 시간을 보내기도 하는데, 예전에는 공항에 간다거나 좀 더 부지런히 움직여서 사람이 많지 않은 시간의 극장, 낯선 도시에 도착해서 심야에 대형 마트에 가기도 했습니다. 요즘에는 사람이 없는 곳이 없어서 시간을 낯설게 보내는 다른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Kwangho Lee Platform-L: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Kwangho Lee: Hello. I majored in metal design and now make usable objects and sometimes design different spaces that would house those objects.

이광호

플랫폼엘: 이광호 작가님에 대한 소개를 간략하게 부탁드립니다. 이광호: 안녕하세요. 금속조형디자인을 전공하였고, 현재 쓰임새가 있는 사물들을 만들어 내며 다양한 사물들을 필요로 하는 공간 기획 등을 하고 있는 이광호입니다.

P-L: When you are a part of an exhibition that has little to do with the usage of an object, is it still important to you that your objects are registered as

플: 평소 어떤 작업을 이어오고 있는지, 작업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이: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쓰임

Kwangho Lee, Swimming, 2018

이광호, ‹Swimming›, 2018

41


Kwangho Lee, Swimming, 2018

42

이광호, ‹Swimming›, 2018


“usable” objects?

K L: I will leave the answer for that question for the viewers.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as an architectural space? K L: All the exhibition spaces seemed full of potentials. P-L: What type of work will you be presenting for the show? K L: I have been designing various forms of chairs using nylon material. I am planning to fabricate objects with various patterns and forms that are relevant to the theme of vacationland. P-L: What is the first thing that you consider in your art production process? K L: The space itself. The type of exhibition space dictates the form and installation method of a project. It needs to blend into the space.

새가 있는 사물들을 만들어 내 고 있습니다. 작업을 통하여 무 엇을 전달한다기 보다 다양한 직업 중 하나를 택한 것뿐이며, 스스로 택한 직업 안에서 끊임 없는 탐구를 이어오며 그 탐구 의 결과를 사물들을 통해 표현 하고 있습니다.

플: 쓰임새와 연관 없는 듯 보이는 전시 형태로 선보여질 때도 여전히 작품을 쓰임새가 있는 사물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이: 관람객의 몫으로 남겨두고 싶습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는지요? 이: 모든 공간들이 많은 가능성 을 품고 있어 흥미로웠습니다. 플: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이: 나일론 소재를 이용하여 앉을 수 있는 형태의 작업들을 반복해 왔습니다. 베케이션랜드라는 주제에 부합하는 설치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패턴들과 형태를 가진 사물들을 선보이고자 합니다.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43


P-L: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the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K L: My work involves repetitive labor. There are no distinct features specific to the show. I just want the audience to simply speculate on the process in which the objects are created.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K L: Wherever I am, it can be a vacationland for me however brief the moment may be. P-L: One last question.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K L: Sometimes, my studio is a space for work, and at other times a space for taking a break.

44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이: 공간입니다. 공간에 따라 작업의 형태나 설치방법을 고려하여 해당 공간과 가장 잘 어우러지게 구성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생각합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이: 반복을 통한 작업이 주를 이 루고 있기 때문에 굳이 특이점 을 찾기 보다는 작업의 과정을 연상하며 전시된 작업들을 봐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이: 제가 있는 어느 곳이든 순간적으로도 모든 곳이 베케이션랜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플: 본인만의 휴양지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이: 현재는 작업실이 때로는 일터로 때로는 쉴 수 있는 곳으로 쓰여지고 있습니다.


Misu Kim Platform-L: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Misu Kim: I am Misu Kim of MISU A BARBE whose projects involve knitted objects and fabrics. P-L: How would you describe your work? What kind of message or idea do you try to get across?

Misu Kim + Kwangho Lee, Plant Resting Room, 2018

김미수

플랫폼엘: 김미수 작가님에 대한 소개를 간략하게 부탁드립니다. 김미수: 니트와 패브릭에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는 미수아바흐브(MISU A BARBE)의 김미수입니다. 플: 평소 어떤 작업을 이어오고 있는지, 작업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김: 텍스타일, 패션 디자인

김미수 + 이광호, ‹Plant Resting Room›,

2018

45


M K: At the bases of our commercial and art projects are fashion and textile design. I want people to enjoy colorful fabrics and designs in fashion, textile, or art and as a part of their everyday life. I also create spaces imbued with such design.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as an architectural space? Considering the theme of the exhibition, which part of the building drew your attention the most? M K: I was surprised to find diverse types of spaces that contrast with the simple design of the building seen from outside. I found the bridge and the linkyard interesting. In some ways, the spaces have certain constraints as exhibition spaces, which in fact result in more creative artworks sometimes. P-L: Which work will you be 46

베이스의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제품과 작업 등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의류나 패브릭 제품 외에 다양한 형태의 작업들로 컬러와 패브릭을 즐기고 생활에 녹아낼 수 있는 이미지와 공간을 만들고자 합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는지요? ‘공간 연구전’을 고려하고 보았을 때 가장 흥미로운 공간은 어디었나요? 김: 겉으로 보기보다 더 다양한 공간이 있어 놀랐습니다. 전시장들이 이어지는 복도와 중정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제약이 많은 공간인 만큼 재미있는 작업들을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플: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김: 예전부터 하고 싶었던 휴식 공간에 관련된 설치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패브릭과 함께 ‘인스턴트 바캉스(instant vacance)’ 느낌의 공간을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showing? M K: It is an installation piece that recreates a vacation space. I intend to recreate a space where “instant vacation” can be consumed. P-L: I think the concept of “instant vacation” is really interesting. How did you become interested in creating such space? M K: When we live in a fast paced city like Seoul, we crave for a quiet space of my own. If you take one step back, you can find an isolated space away from noises where you can relax. P-L: What is the first thing that you consider in your art production process? M K: I try to look at things in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I would like to let the viewers come to understand the space. I try not to be explanatory. Whatever aspect of the work the viewers may

플: ‘인스턴트 바캉스’라는 표현이 참 흥미롭네요! 휴식 공간에 대한 관심은 어떤 계기로 갖게 되셨나요? 김: 서울 같은 다소 빠르게 돌아가는 곳에 적응하다 보면 내 공간이나 혹은 오롯이 혼자 있을 수 있는 곳을 찾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 발짝만 나가도 소음이나 사람으로부터 분리되는 공간을 찾게 되는 것 같은데 그게 휴식 공간이 되고 쉬어가는 타이밍이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김: 반대로 관람자의 입장에서 많이 생각하는 편입니다. 이해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설명을 하기보다 각자 다른 감상을 가지더라고 시각적이면서 촉감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을 선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47


Misu Kim + Kwangho Lee, Plant Resting Room, 2018

48

김미수 + 이광호, ‹Plant Resting Room›,

2018


appreciate or understand, I try to allow them visual and tactile understanding of the work. P-L: What are the key features of the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M K: One can create a space in many different ways. A visual transformation of a space could be as powerful as physically relocating oneself to create an effect of a vacation. I would like the viewers to experience such transformation of a space.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M K: For me, a vacation however short it may be is a moment when one feels completely at ease. Various elements of a vacation would be able to provide such comfort without having to get away.

김: 공간을 만드는 것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질적으로 공간을 옮겨가는 베케이션보다 시각적인 변화가 다른 개념의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곳에서 물리적 이동이 아닌 공간의 변화로 각자의 베케이션을 느꼈으면 합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김: 저에게 베케이션은 아주 짧은 시간 일지라도 스스로를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간적인 이동보다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여러 가지 요소가 순간적으로 모이고 편안함을 느끼는 모든 순간이 휴가의 개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플: 본인만의 휴양지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김: 물리적으로 떠날 수 없을 때마다 사람 목소리가 나는 영화나 라디오 같은 것 등을 백색 소음처럼 켜

49


P-L: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K M: With voices from a movie or a radio playing in the background as white noise, I create my own comfort zone in my favorite space and like to think that moment is a kind of a vacation, when I can’t physically get away. If I can get away even somewhere nearby and spend time with people I enjoy sharing a conversation would make a delightful vacation.

50

놓고 좋아하는 공간에 잠시 머무르는 것이 나름의 휴가를 보내는 방법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가까운 곳이라도 즐겁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사람과 함께 갈 수 있다면 가장 즐거운 휴가가 될 것 같습니다.


Yeojoo Park Platform-L: Could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Yeojoo Park: Hello. I am Yeojoo Park, an installation artist.

박여주

플렛폼엘: 박여주 작가님에 대한 소개를 간략하게 부탁드립니다. 박여주: 안녕하세요. 박여주입니다. 저는 설치 미술을 하는 작가입니다.

P-L: How would you describe your work? What kind of message or idea do you try to get across? Y P: I am interested in the boundaries between

플: 평소 어떤 작업을 이어오고 있는지, 작업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박: 저는 공간과 공간 사이의 경계에 관심이 있고, 현실에 있는 공간에서 다른 차원의

Yeojoo Park, The Shrine Within, 2018

박여주, ‹The Shrine Within›, 2018

51


spaces. I like to create a space in reality from which another space in another dimension can be imagined. I deconstruct different elements of painting and transpose them in an exhibition space. I make simplified versions of historical or religious structures such as the Eiffel Tower and the Bridge of Sighs in a more humanfriendly scale offering the viewers an uncanny experience. I guide the audience through spaces with in-between spaces or boundaries such as doors, stairs, and windows leading them into a space of another dimension. P-L: What was your first impression of Platform-L, as an architectural space? Considering the theme of the exhibition, which part of the building drew your attention the most? Y P: I think Platform-L is quite unique. Every space 52

공간을 느낄 수 있는 작업에 관심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회화의 요소를 해체해 공간 안에 재배치하거나, 개선문, 탄식의 다리 등 역사적이거나 종교적인 구조물을 간결하고 인간적인 규모로 치환하여 관객에게 낯선 경험을 선사하는 작품을 선보여 왔습니다. 특히 문, 창, 계단 등 경계가 모호한 공간에 개입하여 일상의 공간을 환기할 뿐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공간으로 인도하는 안내자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플: 플랫폼엘 공간에 대한 첫 인상은 어땠는지요? ‘공간 연구전’을 고려하고 보았을 때 가장 흥미로운 공간은 어디었나요? 박: 플랫폼엘의 공간은 특색 있다고 생각합니다. 각 공간들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이 모두 다른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다른 전시 공간들과 특별히 다르다고 느꼈던 이유는 모던한 갤러리 공간도 있지만 지하 공간이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제가 작업을 한 머신룸은 러프하고 빛이 차단되어 암실이 가능한 공간으로 모던한 갤러리와는


has its distinct feature. I find the basement exhibition space especially interesting. The Machine Room where I will be showing is an unrefined space where light can be completely blocked. The ambience of the underground space is very different from bright modern gallery space we are familiar with. P-L: What will you be showcasing for the exhibition? Y P: The title of the work is The Shrine Within. There are layers of octagonal structures each of which has an arched entrance. It is as if one has to pass through a number of spaces in order to finally enter a shrine. Although you can see the layers from outside, you cannot actually go in there. In the narrative of Franz Kafka’s novel, ‹Before the Law›, the main character continues to experience a situation where he is unable to enter

또 다른 지하 세계의 느낌을 가지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작품은 어떤 작품인가요? 박: 이 작업의 제목은 ‹The Shrine Within›으로 팔각의 구조물 안에 또 다른 구조물이 들어가 있는 형태로 각각의 면은 아치 형태의 입구로 되어있습니다. 마치 신전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서 여러 공간들을 지나야 하듯, 이 구조물 역시 여러 레이어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고, 이 입구들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 봄 직하지만 사실상 들어가기에는 역부족입니다.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법 앞에서」는 문 넘어가 존재하나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됩니다. 소설 속 문지기는 문에 들어가도 좋다고 허락하지만 지금은 안된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는 금지된 것이 아니고 지연, 유보된 것이며, 여기서 시간적 지연을 보여 준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문’은 공간적인 경계의 표시로 공간적 간격을 만듭니다. 이는 우리가 처해 있는 현실일 수도

53


the space beyond the door. Although the gatekeeper has already given him the approval for entry, he keeps delaying it. It’s not a prohibition but a deferment. It is as if the time has been suspended. The door here symbolizes a boundary or an in-between space. It may be representing our reality or a situation where we have built a wall making the communication impossible. The moment one enters the door she is opened up to the world of others where their reality is shared. Looking at the light glowing inside, the viewers imagine what’s inside the structure. We all experience dark sides of the modern society we live in. The dark space may be a metaphor for such darkness. On the other hand, the light illuminating the dark space inside the structure stands for a possibility for a change. This change is made possible by the internal strength of 54

있고 혹은 우리 개개인이 쌓은 장벽으로 소통이 불가능해진 상태이기도 합니다. 그 문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다른 사람의 세계로 들어가 그 실체를 같이 경험함으로써 소통과 공감이 가능해집니다. 문 내부에 있는 모든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는 없지만 그 안에서 우러나는 빛을 통해 내부의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를 사는 우리는 현실과 마주하며 마음속에 어두운 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어둠을 어두운 방, 어두운 공간이라 가정해 보았을 때, 여러 겹으로 쌓여 있는 그 공간 안에서 어둠을 밝혀주는 어떤 존재로 어두운 공간 전체를 변화 시킬 수 있습니다. 작은 가능성의 빛으로 찬란하고 변화무쌍한 공간이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전환은 인간 개개인이 갖고 있는 고유한 내면의 힘이 있기에 가능합니다. 관객들이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그 안에 있는 다양한 빛과 컬러를 발견해 보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an individual. I want the viewers to recognize and discover such light and color looking inside their inner selves. P-L: What is the first thing that you consider in your art production process? Y P: As I am an installation artist, I tend to think about the space first. Then, I try to visualize the narrative I want to get across. P-L: What is the key feature of the work in the show?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your work? Y P: I am planning to control all the lights in the gallery space in order to create a most dramatic effect. I would like the audience to be immersed in the entire space. P-L: Platform-L intends to turn itself into a vacationland in the middle of an urban space. What’s a vacationland for you?

플: 평소 전시 등의 기회로 작품을 선보일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박: 설치 작업을 주로 하다 보니 공간을 먼저 고려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그 공간 안에서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어떻게 하면 시각화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합니다.

플: 그렇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의 특이점, 혹은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일까요? 박: 이번 작품은 공간 전체의 조명을 컨트롤 하여 극적인 효과를 내기 위한 연출에 신경을 썼습니다. 이를 통해 관객이 공간 전체에 몰입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플: 이번 전시를 통해 플랫폼엘은 잠시나마 도심 속의 베케이션랜드로 자리하게 됩니다. 본인에게 있어 베케이션랜드는 어떤 곳인가요? 박: 베케이션랜드란 마음의 휴식이라 생각합니다.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나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아채는 것. 그리고 그 내면의 이야기와 적절한 조화를 이루는 것. 그렇게

55


Yeojoo Park, The Shrine Within, 2018

56

박여주, ‹The Shrine Within›, 2018


Y P: For me, a vacationland is a peaceful state of mind. When you listen to your inner voice being mindful of your stream of consciousness and are at peace with your inner self, you are truly taking a break wherever you may be. It is not easy to balance a hectic life. It would be nice if the exhibition can offer anyone visiting Platform-L such a moment. P-L: What’s your own idea of vacationing or taking a break? Y P: Stop what you are doing or thinking and be away from the reality you live in, then your eyes will open up to see things differently. A travel is the most straight forward way. When you get away, you get to see things you have overlooked.

함으로써 어디에 있던 휴식과 같은 삶이 가능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바쁜 현대 사회를 사는 우리에게 그런 여유를 갖는 것이 쉽지만은 않겠지요. 대신 플랫폼엘의 «베케이션랜드»를 통해서 잠시나마 그런 시간들을 저를 포함한 관객들이 가졌으면 합니다.

플: 본인만의 휴양지 혹은 휴가(쉼) 방법이 있다면 소개해주세요! 박: 현실에서 벗어나 다른 세상으로 떠나있으면 잠시나마 하던 일들과 생각들을 멈추고 다른 풍경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합니다. 여행을 가는 것이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겠지요. 여행을 가면 평소에는 무관심하게 지나 보내던 풍경들도 눈에 들어오고 새롭게 보입니다.

57


Artists

58

참여작가


Park Kiljong www.bellroad.1px.kr Park Kiljong is an artist working on an array of projects under different names including Kiljong Arcade, Park Kiljong, and Park Kagong (“Kagong” means to manufacture in Korean). After he graduated from an art school majoring in painting, he acquired various manufacturing skills. He started Kiljong Arcade along with its website in the night of December 24th, 2010. His customized products can be viewed in design studios, shops, restaurants, and museums. His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clude the following: «Life: A User’s Manual» (Culture Station Seoul 284, 2012), «KILJONG ARCADE: Your (My) Convenient World» (D Project Space, 2013), «spectrum-spectrum» (Samsung Plateau Gallery, 2014), «1/2» (Audio Visual Pavilion, 2015), «Graphic

박길종

bellroad.1px.kr

박길종은 길종상가, 박길종, 박가공 등 다양한 이름으로 활동 중이다. 서양화를 전공한 작가는 졸업 후 여러 일을 통해 다양한 기술을 배웠다. 2010년 12월 24일 밤, 길종상가라는 이름의 홈페이지를 개설하면서부터 길종상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1대1로 주문을 받아 제작하며, 디자인 스튜디오, 상점, 음식점, 미술관 등 여러 곳에서 그가 디자인, 제작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인생사용법» (문화역서울 284, 2012), «길종상가: 네(내) 편한세상» (구슬모아당구장, 2013), «스펙트럼-스펙트럼» (플라토 미술관, 2014), «1/2» (시청각, 2015),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일민미술관, 2016),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2016), «오 친구들이여, 친구는 없구나» (아뜰리에 에르메스, 2017) 등의 개인전 및 그룹전에 참여했으며, 2015년부터 지금까지 에르메스의 윈도 디스플레이 작업을 맡고 있다.

59


Design, 2005~2015» (Ilmin Art Museum, 2016), «As the Moon Waxes and Wane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6), and «O Philoi, oudeis philos» (Atelier Hermes, 2017). He has been working as a window display designer for Maison Hermes since 2015. Kim Yunha www.instagram.com/ pretty_garbage Kim Yunha, a sculpture major, reconstructs and recreates found objects of various materials. Being acquainted with Park Giljong by happenchance, she joined Giljong Arcade as a General Store’s coowner and has been involved in the interior, lighting, and decorative object designs. She insists that she makes “pretty garbage that is strictly useless”. She has brilliant ways of making use of 60

김윤하

www.instagram.com/ pretty_garbage

조소를 전공한 김윤하는 일상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오브제들의 서로 다른 물성들을 조합해 작품을 만든다. 졸업 후 우연한 기회로 박길종을 만나, 길종상가의 만물상 사장으로 합류해 공간 디자인과 장식용 소품, 조명 제작 등 다양한 작업을 이어왔다. ‘철저하게 쓸모 없는 예쁜 쓰레기’를 만들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작가는 자신이 선택한 재료를 기발하게 조합해 예쁘지만 쓸모 없는 것을 만든다. 빈티지 제품에 관심이 많아 «코트대전»과 «3, 4, 옷» 등 흥미로운 이벤트를 기획하기도 했다. 박길종과 함께 혹은 따로 길종상가의 구성원으로 «인생사용법» (문화역서울 284, 2012), «길종상가: 네(내) 편한세상» (구슬모아당구장, 2013), «스펙트럼-스펙트럼» (플라토 미술관, 2014), «1/2» (시청각, 2015), «그래픽 디자인, 2005~2015» (일민미술관, 2016),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국립현대미술관


different materials and recreating useless but pretty objects. Her interest in vintage objects led her to organize interesting events such as «Coats Fair» and «Three, Four, Clothes*»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clothes in Korean is similar to that of the word, five.) Her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clude «Life: A User’s Manual» (Culture Station Seoul 284, 2012), «KILJONG ARCADE: Your (My) Convenient World» (D Project Space, 2013), «spectrum-spectrum» (Samsung Plateau Gallery, 2014), «1/2» (Audio Visual Pavilion, 2015), «Graphic Design, 2005~2015» (Ilmin Art Museum, 2016), «As the Moon Waxes and Wane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wacheon, 2016), and «O Philoi, oudeis philos» (Atelier Hermes, 2017). She has been working as a window display designer for Maison Hermes since 2015.

과천관, 2016), «오 친구들이여, 친구는 없구나» (아뜰리에 에르메스, 2017) 등의 개인전 및 그룹전에 참여했으며, 2015년부터 지금까지 에르메스의 윈도 디스플레이 작업을 맡고 있다.

베리띵즈

www.verythings.org

베리띵즈는 대표 윤숙경과 시각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원예가, 패션디자인, 순수예술을 전공하거나 직업으로 두었던 4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크리에이터스 그룹이다. ‘가장 좋은’, ‘최고’를 뜻하는 단어 ‘베리(Very)’와 ‘물건’, ‘사물’을 뜻하는 ‘띵즈(Things)’를 합쳐 ‘가장 좋은 것’, ‘최고의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그룹이다. 멀리 가지 않고도 자연을 가지고 놀 수 있는 어떤 것을 만들고 싶다는 목표 하에 비이커, 아쉬, 커스텀멜로우, 퀸마마마켓, 현대자동차, SM엔터테인먼트, 하나은행, 메종글래드 등과 함께 작업했다. «큐리어스 키친» (구슬모아당구장, 2014), «THEY LIVE: 그들이 산다»

61


Verythings www.verythings.org Verythings is a creators group of visual artists, an interior designer, a landscape designer, and a fashion designer. Verythings is a compound word that combines “Very” meaning extraordinarily and “things” meaning objects. Their projects bring nature closer to the general public and make it enjoyable and fun. Their commercial collaborations include Beaker, Ash, Customellow, Queenmama Market, Hyundai Motors, SM entertainment, Hana Bank, and Maison Glad. They have exhibited their work in various venues such as «Curious Kitchen» (D Project Space, 2014), «They Live» (Studio Concrete, 2016), «Home, Where the heart is» (Arco Art Center, 2014) and «Wellknown unknown» (Kukje Gallery, 2016). 62

(스튜디오 콘크리트, 2016) 등의 개인전과 «즐거운 나의 집» (아르코 미술관, 2014), «유명한 무명» (국제갤러리, 2016)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한 바 있다.

신선혜

www.agencyteo.com/artists#!/ artist/31

패션 포토그래퍼로 활동 중인 신선혜는 사진학과를 졸업한 후 패션 매거진의 하우스 포토그래퍼로 5년 동안 근무하다, 돌연 ‘서른이 되기 전에, 첫 배낭여행 때 가장 인상 깊었던 이탈리아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을 실천하기 위해 밀라노로 건너가 사진전문학교를 다녔다. 그 후 다시 한국에 돌아와 GQ, Elle, Vogue, W, Allure, Marie Claire 등 다수의 매거진과 작업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사진 에이전시 아트 허브 테오의 소속 작가로 활동 중이며, 베리띵즈와 함께 «THEY LIVE: 그들이 산다» (스튜디오 콘크리트, 2016)에 참여했다.


Shin Sunhye www.agencyteo.com/artists#!/ artist/31 After finishing her BA in photography, she worked as an in-house photographer of a fashion magazine. She moved to Italy that left a lasting impression on her trip to Europe and studied photography in Milan. She is a member of a photo agency, Art Hub Teo and works mainly as a fashion photographer working for fashion magazines including GQ, Elle, Vogue, W, Allure, and Marie Claire. Together with Verythings, she was a part of the exhibition, «They Live» (Studio Concrete, 2016). Lee Jiyeon www.leejiyeon.co.kr The work of Lee Jiyeon, a painting and printmaking major, is often referred to as space drawings. She uses tapes to draw doors and stairs that connect one space to another. An

이지연

www.leejiyeon.co.kr

회화와 판화를 전공한 이지연은 테이프를 이용한 공간 드로잉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하나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문이나 계단을 테이프 등의 재료로 표현한다. 전시장 벽면과 천장, 바닥을 연결시켜 평면적인 공간을 확장하거나, 끊임없이 이어지는 선들로 문과 계단을 반복적으로 만들어 상상 속 공간을 재현한다. «공간을 헤매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13), «그림 속에 그리다» (영은미술관, 2015), «그리고 그리다가 1043» (갤러리 토스트, 2017) 등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House & Home: 나를 찾다» (제주도립미술관, 2013), «무심» (소마미술관, 2015),

«HELLO, MY FRIEND» (아르코 미술관 스페이스 필룩스, 2016) 등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어린이들을 위한 전시 프로젝트 «솔솔, 색깔바람»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키움, 2017– 2018), «Hello! 마음도시»

63


imaginary space is created with tapes flowing into the ceiling and the floor with repetitive appearance of doors and stairs. She expands the twodimensional exhibition walls into a three-dimensional space. She had the following solo exhibitions: «Wandering the space» (Cheonju Art Studio, 2013), «Drawing within a Drawing» (Youngeun Museum of Contemporary Art, 2015), and «Drawing and drawing 1043» (Gallery Toast, 2017). Her group exhibitions include «House & Home: Looking for Myself» (Jeju Museum of Art, 2013), «Detachment» (Seoul Olympic Museum of Art, 2015), and «Hello, My Friend» (Arco Art Centera, 2016). «A Wind Whistle, colorful winds» (Clayarch Kimhae Museum, Kium, 2017–2018) and «Hello, the city of hearts and mind» (Seoul Children’s Museum, 2017-2018) are exhibition projects for children. 64

(서울상상나라 지하1층, 2017–2018)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광호

www.kwangholee.com

금속디자인을 전공한 이광호는 조명과 가구 등 쓰임새가 있는 사물을 디자인한다. 디자인과 공간이 연결되는 작업을 선호한다. 전선이나 고무호스, 지푸라기 등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나 옻칠, 적동, 돌 등 가구의 재료로는 낯선 소재를 작품의 재료로 활용한다. 이러한 재료를 꼬거나 매듭짓는 등의 다소 일차원적인 방식을 더해 이광호만의 결과물을 완성한다. 펜디, 스와로브스키, 디올,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외 브랜드 및 기업들과 협업을 진행해 왔으며 여러 차례의 개인전과 단체전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들을 선보이고 있다. 그의 작품은 몬트리올 장식미술관,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홍콩 M+ 미술관, 시드니 MAAS 미술관, 대구미술관 등에 소장되어있다.


Kwangho Lee www.kwangholee.com Kwangho Lee, a metal design major, makes usable objects such as furniture and lightings. He is interested in works that make connections between design and space. On one hand, he uses materials commonly used in everyday daily life such as electric wires, rubber hoses, and straws. On the other, he works with red copper oxide and lacquer tree paint unusual for furniture materials. Using rather unsophisticated methods such as twisting and knotting, he creates unique designs. He has collaborated with the international brands such as FENDI, Swarovski, Dior, and Amore Pacific. His works have been shown on an array of venues and are collected by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Montreal Decorative Arts Museum, San Francisco

김미수

www.misuabarbeshop.com 미수아바흐브(MISU A BARBE)를 운영하고 있는

김미수는 니트와 패브릭을 이용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이어오고 있다. 파리에서 패션 디자인을 전공한 작가는 2007년 메종 마틴 마르지엘라와 버나드 윌헴 등 세계 유수 브랜드에서 인턴 및 어시스턴트 디자이너로 근무한 바 있다. 2010년 미수아바흐브를 시작했고, 현재까지 뜨개질을 기반으로 모자와 가방 등 다양한 패션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있음과 없음» (구슬모아당구장, 2015) 등의 전시에 참여했으며, 젠틀 몬스터, 현대카드, 제일모직 등의 브랜드와 협업을 진행했다.

박여주

www.yeojoopark.com

회화를 전공한 박여주는 주로 설치 미술을 하는 작가이다. 빛과 공간을 사용하며, 작품이 설치되는 공간에 건축물을 만들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재료들로 구조물을 만들고, 여기에

65


Museum of Modern Art, Hong Kong M+, Sidney MAAS Gallery, and Daegu Art Museum. Misu Kim www.misuabarbeshop.com The projects by Misu Kim of Misu A Barbe involve knitted objects and fabrics. She studied fashion design in Paris. Since 2007, she has worked for the world’s leading brands including Maison Martin Margiela and Bernhard Willhelm as a designer. She started Misu a Barbe in 2010 and has been making knitted hats, bags and other fashion items. Her work «Being, Not Being» has been showcased at D Project Space in 2015. She has collaborated with Gentle Monster, Hyundai Card, and Cheil Industries. Yeojoo Park www.yeojoopark.com Yeojoo Park, a painting major, is now mostly an 66

빛을 더해 새로운 경험을 이끌어낸다. 개인전으로는 «夜想» (사루비아다방, 2013), «천국보다 낯선» (송원아트센터, 2015), 그룹전으로는 «공간을 열다» (경기도미술관, 2013), «세마 살롱» (서울시립미술관, 2015),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가상현실»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2016), «빈 페이지» (금호미술관, 2017), «플라스틱 판타스틱» (디뮤지엄, 2018) 등에 참여했다.


installation artist. She builds structures using architectural materials and incorporates light and the exhibition space itself to create a unique experience for the viewers.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Night Thoughts» (Sarubia Dabang, 2013) and «Stranger Than Paradise» (Songwon Art Center, 2015). She was a part of the following group exhibitions: «Emerging of the Spac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013), «Salon de SeMA» (Seoul Museum of Art, 2015),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_Virtual Reality» (Suwon I-Park Museum of Art, 2016), «Blank Page» (Kumho Museum of Art, 2017) and «Plastic Fantastic» (D Museum, 2018).

67


Vacationland 2018.7.19–9.16 Organizer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Curator Nayae Lee Assistant Curator Nahyun Maeng Text Nayae Lee Interview Nahyun Maeng, Park Kiljong, Kim Yunha, Verythings, Shin Sunhye, Lee Jiyeon, Kwangho Lee, Misu Kim, Yeojoo Park Translation Myonghwa Jeong Photography Kim Zinho Design Corners

베케이션랜드

2018.7.19–9.16 주최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기획 이나예 진행 맹나현 글 이나예

인터뷰 맹나현, 박길종, 김윤하, 베리띵즈, 신선혜, 이지연, 이광호, 김미수, 박여주 번역 정명화 사진 김진호

디자인 코우너스

Sponsor LOUIS QUATORZE

후원 루이까또즈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Managing Director: Sang un Jeon Curator: Nayae Lee Assistant Curator: Nahyun Maeng PR: Sopp Lee, Yujin Kim, Yeoeun Kim In-House Designer: Hyeyun Lee Administration: Deukyoung Oh, Dohyun Kim Technical Director: Dongwoo Shin All rights reserved. No reproduction, copy or transmission of the publication may be allowed without permission of the publisher. ⓒ Kim Zinho,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기획운영실장: 전상언 큐레이터: 이나예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맹나현 홍보: 이솝, 김유진, 김여은 인하우스 디자이너: 이혜윤 경영지원: 오득영, 김도현 기술감독: 신동우

이 책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전제 및 복제를 금합니다. ⓒ 김진호,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