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우서울(glowseoul)브랜드북

Page 1

2011344

및 제안
김서영 글로우 서울 분석
“Bringing a new light to what is existed before”

왜 나는 글로우서울을 선택했는가

"미래를 설계하는

고유가치를 살려,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 이 문장은 글로우 서울의 모든 활동에 깊이 배어 있었습니다. 그들은

저는 빛나는 공간, 글로우 서울을 만났습니다. 해금을 배우러 다니던 그 전통적인 거리가 어느날 사람들이 북적이는 핫플이
크게 놀랐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누가 해냈는지 찾아보면서 글로우 서울을 알게되었습니다. 글로우 서울은 단순히 상업 공간 을 조성하는 것을 넘어, 지역 고유의 가치를 살리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을 만들어 가는 선구적인 기업입니다. 처음 글로우 서울을 알게 되었을
제 마음 깊은 곳을 울렸습니다. '지역
상권이 이미 형성된 곳을 선택하는
스스로 상권을 만들어가는 혁신적인 방식을 택했습니다. 익선동을 넘어 창신동, 대전으로 이어지는 지속적인 비전이, 이러한 도전 정신과 창의적인 접근 방식이 깊은 감명을 주었고, 나 또한 그런 방식으로 살아가고 싶다는
그렇기에
받았을 때 글로우 서울을 떠올린 것은 제게는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글로우 서울의 비전과 시도들은 단순한 상업적 성 공을
창출하는 데에 중점을
그들의 노력을 지켜보며, 저 또한 그 여정에 동참하 고 싶다는 강한 열망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저는 글로우 서울의 비전을 더 깊이 이해하고, 그들의 시도를 분석하며, 제가 느끼는 개선점을 제안하고 자 이 여정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글로우 서울의 혁신과 따뜻한 비전을 함께 나누고자 하는 개인적인 마음을 담았습니다. 글로우 서울은 단순한 기업이 아닙니다. 글로우 서 울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glow의 과정입니다. 이 책을 통해, 글로우 서울의 철학과 가치를 더 많은 사 람들이 함께 느끼고, 그들의 여정에 동참하기를 희망합니다. 진정한 혁신은 기존의 틀을 깨는 용기에서 비롯되는 법, 글로우 서울은 그 용기를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울 익선동, 그 한가운데에서
되었을때, 저는
때부터, 그들의 비전은
대신,
강한 영감을 갖게 했습니다.
브랜드 북 과제를
넘어서,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진정한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자는 현재를 창조한다."

이 제작물은숙명여자대학교24-1학기<브랜드커뮤니케이션전략> 과제물의 일환으로서, 상업적 목적이 없음을 밝힙니다.

목차

- 프로젝트 (glowseoul.co.kr)

글로우서울

브랜드 요소

브랜드 요소 분석: 글로우 서울

서울시가 만든 서울남산체EB이다. 둥글한 느낌이 특징이 이 폰트는, 독특하고 현대적인 분위기를 전달한다. 브랜드 요소로서 폰트는 단순한 미학 은 아니다. 이는 개성을 전달하는 매체가 될 수 있다. 한국적인 곡선을 사용하는 해당 폰트는, 글로우 서울이 공간 디자인 트랜드를 선도함을 떠올리게 한다. 더하여 절제 되고 현대적인 디스플레이는 미래 지향적인 글로우 서울의 가치와 잘 어울린다. 로고 디자인을 통해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한 셈이다.

브랜드 네임은 ‘GLOW SEOUL’이다. 문법상 문제가 없으려먼, seoul glow가 되어 야 한다. 하지만 ‘글로우 서울’은 의도적으로 해당 문법을 어겨 ‘빛나라, 서울’처럼 읽 게 유도했다. 다짐같은 로고는 그 자체를 하나의 슬로건처럼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로고 끝에 등장하는 지명 Seoul의 표기는 ‘글로우 서울’ 브랜드에게 긍 정적인 이미지를 주었다. 지명의 표기는 제작하는 기업으로서 진정성과 신뢰감, craftmanship의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명품 브랜드 못지않은 책 임감을 지녔다고 보여지기도 한다. ‘글로우 서울’의 폰트는
01
로고: 브랜드 네임과 폰트
GLOW SEOUL

다. 아래로 스크롤하면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수 있도록 하였다.

를 사용하는 사용자들도 배려하였다.

제품의 포장은 브랜드의 첫인상을 결정짓고,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준다. B2B 공간 솔 루션 기업인 ‘글로우 서울’의 패키지는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이트가 될 것이다. ‘글로우 서울’ 의 웹사이트 패키징은 고급스러우면서도 명확하다. 디자인을 통해 브랜드의 품격과 가치를 전 달하고자
노력이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사이트에 접속하자마자 대표 작업 사진이 교차하
팀 소개, 연락처 탭을 나누어 추가 정보를 얻기 쉽게 배치했
며 나타나고, 상단에는 프로젝트,
기업의 강점과 제공하는 서비를 명시해 놓았다.
브랜드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건축도면의 격자무늬처럼 보이는 +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어, 다양한 기기
인 채널에서 드러나듯 글로우 서울의 색상은 검정과 하양이다. 두 가지 색상은 강력한 대 비를 이루며 현대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준다. 블랙과 화이트는 시간을 초월한 클래식한 조 합으로 깔끔한 시각적 인상을 남기며, 미니멀리즘으로 인한 전문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기도 한 다. 고급스러움이 필요한 패션업계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 조합은 글로우 서울의 산업 분야 와 타겟 오디언스에게도 적합하여 다재다능한 공간 제작 기업이라는 메세지 전달을 돕는다. URL 또한 단순한 웹주소 이상의 가치를 가지는 브랜드 요소가 될 수 있다. ‘glowseoul.co.kr 은 브랜드 명으로 이루어진 간결한 웹주소다. 로고와 조화를 이루어 쉽게 기억할 수 있다. 브 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글로우 서울’ 브랜드의 디지털 접근성에 기여한다. 웹사이트 디자인 : 사이트, 색깔, URL 01 https://glowseoul.co.kr/ 브랜드 요소 분석: 글로우 서울
온라

브랜드 요소 분석: 글로우 서울

CEO 유정수는 글로우 서울의 브랜드 심볼이자 캐릭터로서, ‘글로우 서울’의 브랜드 정체 성 확립에 일조했다. 개인적인 실패를 딛고 일어서, 그 너머의 실패한 상권 마저 살려냈다
서사가 브랜드에 인간적인 면모를 더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노력을 확장해 글로우 서울의 서비스를 ‘도시재생사업’으로 설명하면서, 일관된 스토리를 고객에게 전달했다.
많은 강연, 인터뷰 등에 참여함으로써 브랜드의 비전을 널리 알리고, 실패한 사장님 들을 돕는 방송 등에 출연해 한결같은 방향으로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했다. 브랜드 요소는 앞서의 구체적인 요소 말고도, 무형적인 부분이 존재한다. 타 브랜 드와 차별을 가질 수
서울’의 브랜드 철학은 통일성을 유지하며, 강력한 차별화 지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공간의 미래를 보고, 조명하는 기업’임을 다양한 채널로 전달하기도 한다. 공간이 어떻게 기획되었는지 를 알리는 비하인드 컷으로서의 유튜브와, 변화 이후의 ‘인스타그래머블’한 모습 을 강조하는 SNS채널은 고객에게 브랜드의 철학과 활동을 전달한다. 포트폴리오 가 쌓일 수록 추상적인 철학은 점차 더 개념화되어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다. 모델 = CEO 유정수 브랜드 철학과 온라인 채널 01 ‘글로우서울’은 지금 당장만이 아닌, 5년 후 그리고 그 이상 공간의 미래를 보고 바꾸어 나가는 기업입니다. 공간의 미래와 그 가치를 독보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또한,
있는 관념적 요소인 비전과 철학은 그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소개한 CEO의 스토리텔링과 맞물린 ‘글로우

https://www.cicglobe.com/

CIC FNB는 ‘글로우 서울’의 직접 경쟁 브랜드이다. 외식 사업부터 시작해 공간 솔루션 업체로 변모한 두 스타트업은 여러 모로 닮았다. 웹사이트: 감각적인 배경과 레이아웃, 인터렉티브한 요소가 브랜드에 세련미를 준다. 온라인채널: 웹사이트 이외의 브랜드 채널은 활성화되지 못했다. 접근성이 떨어진다.
CEO 김왕일이
알렸다. 실패와 회복을 강조한 글로우 서울과 달리 CIC는 꿈과 성공을 부각하였다. 로고=심볼: 브랜드 네임을 아름다운 디자인 로고로 만들어, 심볼화 하였다. 브랜드네임: 대표의 철학을 담았으나 비슷한 네이밍의 기업이 많다. URL: 겹치는 이름 탓에 URL에 회사명 이상을 넣어야 해 간결성이 떨어졌다. 
 그러나 해당 약점을 역이용해 브랜드 가치를 전달하는데 사용하였다.
모델: ‘글로우 서울’과 동일하게
브랜드를
CIC FnB 01 브랜드 요소
분석: 경쟁사

브랜드 요소 측면 발전 방안

B2B2C 마케팅 (EX) Intel, 오스템 임플란트, Dolby

서울’은 B2B 대상의 서비스업 브랜드이다. ‘글로우 서울’의 고객은 다른 기

업들이므로 최종소비자에게 어필하는 것보다 현재 타깃을 유인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최종고객(소비자)이 고객사(기업)를 택하는 구조이기

에, 최종소비자에게 각인되는 것도 염두해야한다. 물론 고객사에게 질 높은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최종고객으로부터 선택받는 B2B2C기업으로의 변

신은, 서비스의 품질 그 이상의 가치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글로우 서울’의

성장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역방향 마케팅, 즉 최종소비자 마케팅을 제안한다.

‘글로우
01

글로우서울 - 프로젝트 (glowseoul.co.kr)

(glowseoul.co.kr)

글로우서울
- 프로젝트
브랜드 지식

노드, 무작위 도출

따라서, ‘글로우 서울’ 대한 노드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수원 스타필드, 롯데 타임빌라스, 이도 클럽D오아시스, 우물집, 소하염전, 글로우쇼룸, 레인리포트 크루아상(호우주의보), 살라댕템플, 나무솥밥, 바람약과, 돌돌파이, 철기와전, 청수당, 와수수붕어빵, 단풍도넛, 아티스타, 클럽 디 오아시스, 부처스밸리, 홍콩밀크컴퍼니, 12 MINUTES, 소설원 서가, 신라 면세점 ****카페 라, 살라댕앰버시, 소하염전, 치앙 마이방콕, 치즈공업사, Another Side, BBB, 창창, 밀림, 부력, 크림빌라, 도넛정수, 프레쉐어, 페어링, 온천집, 버터하우스, OIC, 낙원역, 워터밀, 실낙원, VIA PUB 솔트, 홍롱롱, 호텔세느장, 더썸머, 심플도쿄, 낙원양과자, 글로우키친

서울, 익선동, 대전, 낙원, 공간 솔루션, 빈집, 폐공장, 노후화된 빌딩, 거리와 골목에 활력 불어넣는 매장, 분조카, 디저트, 창렬, 분위기, 소개팅, 인테리어, 디자인, 트랜드, 인스타, 인스타그래머블, 고급, 움직이는 조형물, 원스톱 시스템, 생기, 공간, 가치, 소생, 새로운 시각, 여행, 지역활성화, 미래, 크리에이티브, 브랜드, 부동산, 설계, 시공, 리테일, 새비지가 든, 유정수대표, 마을, 건축, 조경, 미술, 온기, 성수, 혁신, 검정, MZ, 공간 기획, 중소기업, 포토존, 6:4법칙, 상징적인 인테리어, 지역고유가치 인테리어, 스토리있는 공간 디자인, 포토존있는 F&B, 특이한, 활력, B2B, 새로움, 이벤트, 음식이 아쉬운, 가격이 비싼, 컨셉 공간

02
. 제품/서비스, 브랜드 요소, 사용상황/타겟, 브랜드 이미지로 그룹화해보도록 하겠다. 이번 장에서는, 최종소비자의 브랜드 연상 네트워크를 작성해보기로 한다. 1장의 제안에 기반하여 해당 브랜드 북은 최종 소비자를 중심으로 글로우 서울을 해석하고자 한다. 브랜드 연상 네트워크
시한 노드들은 총 4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제품 및 상호 기준

수원 스타필드, 롯데 타임빌라스, 이도 클럽D오아시스,

우물집, 소하염전, 글로우쇼룸, 레인리포트 크루아상 (호우주의보), 살라댕템플, 나무솥밥, 바람약과, 돌돌파 이, 철기와전, 청수당, 와수수붕어빵, 단풍도넛, 아티스 타, 클럽 디 오아시스, 부처스밸리, 홍콩밀크컴퍼니, 12 MINUTES, 소설원 서가, 신라 면세점 ****카페 라, 살라 댕앰버시, 소하염전, 치앙마이방콕, 치즈공업사, Another Side, BBB, 창창, 밀림, 부력, 크림빌라, 도넛 정수, 프레쉐어, 페어링, 온천집, 버터하우스, OIC, 낙원 역, 워터밀, 실낙원, VIA PUB 솔트, 홍롱롱, 호텔세느장, 더썸머, 심플도쿄, 낙원양과자, 글로우키친 서비스 기준

공간 솔루션, 인테리어, 디자인, 원스톱 시스템, 부동산, 설계, 시공, 리테일, 건축, 조경, 미술, 공간 디자인, 공간 기획, 익선동, 대전, 낙원, 디저트, 포토존, 중소기업, B2B, 성수, 사용상황/타겟

소개팅, 트랜드, 인스타, 이벤트, 새로움, 영감, 데이트

가시적인(유형적/물리적 특징)

서울, 검정, 유정수대표, 특이한 인테리어, 지역 상징 인테리어, 스토리있는 공간 디자인, 포토존있는 F&B, 빈집, 폐공장, 노후화된 빌딩, 움직이는 조형 물, 빈 공간, 가 이 비싼, 컨 공 비가시적인(이미지/철학)

거리와 골목에 활력 불어넣는 매장, 분조카, 창렬, 분 위기, 인스타그래머블, 고급, 특이한, 활력, 생기, 가 치, 소생, 새로운 시각, 지역활성화, 미래, 크리에이 티브, 새비지가든, 온기, 혁신, 음식이 아쉬운, 6:4법 칙(넓은 느 ), 가 이 비싼

02 노드 그룹화
MZ, 여행자, 인스타그래머 브랜드 요
브랜드 연상 네트워크

연상 네트워크 모델

스토리있는 공간을 디자인하는 B2B 기업

재생’이라는 좋은 가치 쫓는 기업

포토존을 잘 설계하는 젊은 감각

비해 FnB 서비스 품질이 낮은 편 → 이질적인 느낌을

02 브랜드
주지 않기 위해서라 하지만, ‘보여주기’에 집중한 느낌을 준다 
 정리하면,
 인스타를 위한 공간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다. 기업의 좋은 가치를 자산화 하여 식품 서비스에 녹여야한다.
인사이트 -특색있고,
-‘도시
-인스타그래머블한
-공간에
브랜드 연상 네트워크

성별: 남

직업: 뮤지컬 디렉 , 디자

MBTI: INT

성격: 디테일함,

라 프스타일: 예술활동을 기고,

서를

현실 아닌, 개선의 가

나 : 5 - 젊은
외유내강, 딱 떨 지는 것을 좋아함, 분석적임, 많은 사람들과 울 는 넓은 인간관
소수의 깊은 관계를 더 선호, 사람들과 접촉하는 것을 기기보 는 혼자만의 시간을 좋아
계보 는
패션스타일: 깔끔하고 미니멀 을 추구
영 을 주는 것들을 찾아 , 여가시간에 넓고 조용하고
성을 보자 득보 는 정의를 선택하자 합 적일수록 좋 가 유사한 동식 예쁜 공기정화 식 ‘호접란(화 ) 가 예쁘고 빠른 예민한 말 ‘아할 테 미지가 가 유사한 유명인: 강동원, 키아누 브스, 에 드 언 브로디
0 브랜드 개성
예쁜
에서
가치관:
브랜드가 만약 사람이었다면? = Brand Personali y

개성

직접 경쟁자: CIC

간접 경쟁자: 스타벅스

간접 경쟁자: 맥도날드

글로우 서울 02
브랜드 개성 차트
브랜드

공간 솔루션 브랜드 CIC와 비교하면, 오락/일탈 (excitement)의

CIC는

하나의

리어 철학을 보여주고자 한다. 때문에 매번 공간을 크고 넓게 가져가 확실 한 색다름을 선사한다. 그러나 글로우 서울은 성공한 브랜드를 타 공간으로 분점화 하다보니, 원래의 컨셉을 좁은 공간에서 다시 구현해야하는

경쟁사와의 브랜드 개성 비교 차트 02 인사이트 글로우
성공시키고, 성공한 브랜드의 분점을 내며 남다른 공간 기획 기업으로 떠오르고
로 일상에서
기존의 양산형 프렌차 이즈와는 차별화되어 있기에 분점의 측면에서 강세를 갖는다.
 하지만 비슷한
경우가 생긴다.
 때문에 전체적인 브랜드 개성에서 세련미(Sophistication**)**나 일상 분 리(Excitement)에 약세를 보이는 듯하다. 따라서 소형 다변화 하는 것보다 는, 글로우 서울의 강점을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큰 공간’만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서울은 특별한 인테리어로 브랜드를
있다. 독특하고 인테리어
벗어난 오락의 이미지를 준다는 점에서
이미지가 약하다.
분점없이
공간으로 인테
브랜드 개성

(glowseoul.co.kr)

글로우서울 - 프로젝트
브랜드 포지셔닝

김전역(남, 21세)

-군대에서 갓 전역함

-대’전역’ 앞, ‘전역’ 기념 사진 찍으러

브랜드 포지셔닝 분석 목표 장 0 브랜드
서울이 진출한 대전역을 중심으로 브랜드 포지셔닝을 분석한다. : 목표
기반하여 해당 브랜드 북은 최종 소비자를 중심으로 글로우 서울을 해석하고자 한다.
포지셔닝 장에서는 글로우
고객에 대한 소비자 페르소나 제시 1장의 제안에
옴 -대전 여행보다는 전역 이벤트로 들림 -애인과 왔음
전역을 축하할 다른 이벤트성 장소가 있 다면
-인스타그램으로 전역 기념 사진을 포스팅할 것임 전역
가는 군인
23세) -대학생 -대전역에서 성심당 빵 먹으러 옴 -대전 여행을 목적으로 함 -친구와 왔음 -성심당을 기본으로, 대전을 누비는 여행객임 -대전역에 도착해 첫 단계로 밥을 먹으려 할 것임 블로그를 써서 여행을 기록할 것임 방금 도착한 대전 여행객 (여행을 시작) 김연구(남, 30세) 직장인(연구원) -대덕특구 내 과학단지에서 일함 -서울 사람이었는데 취업 후 이사함 직장 동료 외, 친구가 아직 없음 서울을 조금 그리워하므로 서울의 분점이라면 갈 것임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음. -대전으로 놀러 오는 친구들이 추천 장소를 묻는 편. 서울
여행
-대전역에 온 목적 자체가 전역 축하임 -가까운 곳에
갈 것임
기념으로 왔다
(마지막을 장식) 김여행(여,
시민이었던 대전 시민 (
을 시작)

포지셔닝

1)경쟁 프레임: 대전 명소 2)직접 경쟁: 식당 )간접 경쟁:

색다른 분위기, 서울에서 경험한 콘텐츠, 인스타 명소로 바이럴 해

경쟁 본질 0 브랜드
근처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핫플 사점 :
차별점
목표시장
: 대전역과의
글로우 서울 대전 포지셔닝 맵
대전역
기차 시간 전에 잠시 머무를 수 있는 공간, 짧은 시간내에 경험 컨텐츠를 제공
:
핵심 욕구
거리, 
 (짧은 시간내에 즐길 수 있는) 이색 콘텐츠

브랜드 포지셔닝

이상점/지향점 설정

현재의 목표 세분 시장과 포지셔닝은 적당한가?

: 이색적이면서도 가까움 = 이론상으로는 적당함 그러나, 서울에도 있는 색다름

만약 y축을 ‘여행지로서 이색적’으로 설정하면 부적절함 더 좋은 목표시장과 포지셔닝은?

: : 서울 영업점의 분점 형식을 버리고, 아예 새로운 대

전만의 콘텐츠를 만들어야함

03

글로우서울 - 프로젝트 (glowseoul.co.kr)

(glowseoul.co.kr)

글로우서울 - 프로젝트

브랜드 공명

글로우 서울, 브랜드 공명 모델 분석 04 브랜드 자산 피라미드 2장의 연상 네트워크를 활용해 최송소비자를 기준으로 글로우 서울의 브랜드 공명 모델 분석을 진행한다

낙후된 지역을 살리고, 소비자의 시각에서

서울의 강력한 브랜드 비전은 기업 고객에게는 효과적으로 어필되고 있으나, 연결고리의 부재로 최종 소비자에게는 닿지 못하고 있다.

글로우 서울의 가치가 전달되어 최종 소비자가 공명한다면, 실력있는 디자이너/스토리텔러/마케터가 회사에 지원하는 등 기업 자체에 큰 메리트가 생길 것이다. 차별화될 수 있는 지점임에도 브랜드 메세지가

결론과 인사이트 04 브랜드 공명 모델 인스타그래머블에 치우친 반응: 소비자는 해당 장소를 쉴 공간보다 ‘사진 찍는 공간’으로서 방문한다. 분조카(분위 좋은 카페)의 대명사로 글로우 서울이 꼬리표처럼 능할 수 있다. 소비자는 주변인에게 자벌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넘어서 해당 업에 입사하고자하며, 덕분에 홍보 없이도 좋은 마케터와 자이너가 지원할 것이다. 전달되지 못한 글로우 서울의 가치: 최종소비자는 글로우 서울의 좋은 사회적가치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음식에 상대적으로 불만족하거나 기대했던 것보다 좁은 분점을 마주하는 경우에도 방문 의사가 비탄력적이다. 왜냐하면 소비자는 사진을 위해 ‘일회적’으로 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브랜드 반응 단계에서 ‘단발성 방문에서 긍정적, 반복적 방문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이유가 된다.
것이 어렵다.
공간을 기획하는 글로우 서울은 ‘사람 친화적’ 기업이다. 글로우
이는
때문에 공명 단계에서 ‘재방문’을 이끌어내는
전달통로 없이 소실되는 것이 현재 최종고객과의 유대감이 적은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1,2단계의 성과와 현저성 측면에서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상위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2가지 어려움을 보인다. B2B 솔루션 기업이지만, 최종소비자와의 공명을 이루어 내면 글로우 서울에게 이점으로 작용 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원재료를 밝히듯, ‘from 글로우 서울’을 각인시킬때 각 매장은 연결되어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다. 전체 스토리텔링 및 굿즈 생산이 가능하다.

글로우서울 - 프로젝트 (glowseoul.co.kr)

브랜드 순자본

요소의 선택

글로우 서울은 기억 용이성이 높은 브랜드 네임이다. 일반적 동사 뒤에 한정된

‘서울’이란 지명을 붙이며 기억에 용이한 독특한 조합을 만들어 냈다.

제품 확장성이 높은 간접적 브랜드

풀이적으로 이름지었다. 덕분에 소비자에게 직관적 이미지를 전달할 수

유의미한 브랜드 연상에 도움을 주는 좋은 사례 된다.

브랜드 요소 선택 기준에 따른 분석 05
기억용이
브랜드
네임이라고도
뿐만 아니라 웹사이트도
그대로 이용한 https://glowseoul.co.kr/ 를 사용하기에 공식 웹사이트도 함께 쉽게
유 미 글로우 서울은 자사 인테리어의 방침과 장소명을 연결한 네이밍이다. 기업의 ‘지역 조명’
덧붙여 은유적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브랜드의 편익 을 잘 전달 하는 ‘설득적’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글로우
상호는
컨셉을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있도록 컨셉
할 수 있다.
상호명을
떠올 수 있다.
철학을 상호에
서울의 산하브랜드의
있고,

요소의 선택

차분한 모기업 이미지와는 달리, 산하 fnb브랜드에서는 톡톡튀는 이미지를 보

시각적 경험 등으로 일탈적 장소로 디자인한다. 그리고 그 디자인을 가장 잘 보

여줄 수 있는 인증샷 명소를 SNS를 통해 바이럴하여 알린다. 이렇게 높은 호 감성을

브랜드 요소 선택 기준에 따른 분석 05 브랜드
호감성
글로우 서울은 인테리어업을 주로 하는 b2b기업이기 때문에, 모기업에서는 깔끔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여주며 호감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활용한다. 독특한 컨셉과 새로움, 극적인
최종소비자는 해당 컨셉 공간에
전이성 글로우 서울 이라는 이름은, 공간에 가치를 더하다 ,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다 , 세상에 없던 공간을 만들다 , 고유 가치가 살아난 장소를 디자인하 다’라는 기업만의 철학을 은유적으로 담은 서비스 상호이다. GLOW라는 단어 에 함축적으로 담긴 해당 가치관 덕분에, 글로우 서울의 사업은 카테고리 확장 이 용이해 보인다. 인테리어 업임에도 불구하고 산하 FnB와 외주형 공간 설계 를 병행하는 것에 무리가 없는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일 것이다. 글로우 뒤에 따라 붙은 서울 로 인하여 글로벌적으로도 겹치는 상호명이 존 재하지 않아 지리적 경계 확장성도 높다고 볼 수 있겠다.
형성하게 되면,
방문하고 싶어 다.

방콕)

글로우서울이 법적 보호성을 세밀히 신경쓰고 있음을 수 있다.

브랜드 요소 선택 기준에 따른 분석 05 브랜드 요소의 선택 적 성 글로우 서울은 현재 지속적인 디자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심플한 워드마크를 사 용하고 있다. 글로우 서울은 한차례 크게 로고 디자인을 수정한 바 있는데, 더 욱 현대적으로 개선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로고의 형태 자체가 워드마크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 덕분에 계속해서 보다 쉽게 업데이트가 가 하다. 법적보호성 KIPRIS 특허정보 검색에 따르면 글로우 서울의 29개의 자사 브랜드 중 ‘공 고’를 받은 것은
세느장,
워터밀) 이다.
등 록 직전 상태는
(소설원, 소하염전, 살라댕
‘글로우
5개(온천집,
살라댕 방콕, WFH,
3개
서울’를 포함하여 글로우 서울 산하의 21개의 브랜드가 출원 상태이 다. 많은 브랜드들에 대해 모두 빠르게 상표권 등록 심사를 신청하였다는 점에

개발하여 호감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하는

b. 산하브랜드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c. 앞서의 두제안을 믹스하여 산하 브랜드 옆에 모브랜드

브랜드 요소 발전 방향 05 브랜드 요소의 선택 기억용이성: 패턴 활용 브랜드의 색은 모던한만큼 일반적이므로 유의미하거나 기억이 용이하지 음
시각적 착시를 줄 수 있는 브랜드 상호라면 호감성과 기억 용이성을 챙길 수 있음
패턴을 만든다면, 추구하는 고급 서비스 이미지와도 결부될 듯함 호감성: 제작자 표기 산하브랜드 보다 모브랜드의 호감성이 떨어
것을 추천함
a.
b. 명품과 같은 브랜드
a. 모브랜드용 캐릭터/아이콘를
좋겠음: From Glow
캐릭터를 등장시키는 것도 가능 레퍼런스: 대전의 호텔 인테리어 ‘더 휴식’
아늑’을 붙여 기업을 알리고 b2b고객의 검색을 유입
인테리어한 모든 작품에 ‘BY
더휴식 (thehyoosik.com)

- 프로젝트 (glowseoul.co.kr)

글로우서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CDJ(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고객 여정 모델 분석 06

CDJ(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Consider:

Instagram account : space_tamnik, _r.arthur, hyozero_919

고객 여정 모델 분석 06
인스타 #핫플 공격적인 바이럴 방식 선택, mz가 많이 검색하는 매체인 sns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태그 사용 다양한 협력사(계정)들을 통해 반복 노출하여 해당 지역의 명소를 검색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글로우 서울의 fnb가게들을 방문 고려하게

CDJ(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Evaluate:

고객 여정 모델 분석 06
호의적 리뷰와 연관 이미지 사용자는 sns를 통해 카페 이름을 기억한 이후, 교차 검증을 통해 카페 이름 을 검색하게 된다. 이때, 두가지 긍정 평가 요인이 존재 한다. 하나는 높은 별점을 받은 여행 플랫폼 후기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일관 적이고 아름다운 이미지들의 향연이다.

CDJ(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고객 여정 모델 분석 06
Buy: 서비스 구입시에 느껴지는 여유로운 위기와 일탈감 같은 곳을 방문했다고 해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공간 경험은 달라진다 Generated by Chat GPT 인스타 핫플들은 모두 사람이 많다. 그러나 글로우 서울의 매장은 비교적 여유롭게 느껴진다. 글로 우 서울의 1호점들은 모두 사람을 덜 받더라도 드문드문 앉도록 하는 6:4의 빈공간 방침을 차용하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포토존으로 감동을 받고, 이를 보다 여유롭게 즐기면서 구매자로 하여금 ‘여기 오길 잘했 다’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CDJ(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고객 여정 모델 분석 06
Adv cate: 상징적이고 멋진 포토존과 뚝심있는 철학 글로우 서울은 지역을 살리고, 도전적으로 세상에 없던 공간을 만든다. 이들은 상권이 없는 곳에서 상권을 만드는, 다시 말해 사람들을 ‘찾아오게’끔 인테리어하는 공간 솔루션 기업이다. 글로우 서울의 가치와 비전을 아는 소비자들은 이에 공감하며 브랜드를 옹호하고, buy시에 만족한 소비 자들은 인스타에 너도 나도 멋진 경험들을 공유하며 자발적인 추천 컨텐츠를 생산한다. 이에 B2B기업들 도 특색 있고 ‘오고 싶은’ 공간 설계를 다시금 의뢰하며 선순환하고 있는 구조다. 대표의 적극적인 인터뷰 및 미디어 출연과, 철학이 빚어낸 특색 있는 포토존의 과라 할 수 있다. Instagram account datacourse123, all.about.seoul.trip

CDJ(The Consumer Decision Journey)

고객 여정 모델 분석 06
Enjo - 부족한 bond: 단발성 경험의 한계와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필요성 문제: 단발성 경험의 한계 글로우서울은 독특한 공간 솔루션 브랜드로, 처음 방문하는 이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사용자들의 시선을 따라 건축된 구조는 감동과 더불어 일상의 틀을 벗어난 특 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에도 불구하고 글로우서울은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를 안고 있는데, 그 이유와 제안책을 제시하려 한다. 글로우서울의 공간은 처음 방문 시에는 큰 만족을 주지만, 마치 여행지처럼 한번 올 곳'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첫 방문 시 독특한 경험은 이를 bond 해주는 요소가 없어, 일시적인 만족에 그치고 만다. 따라서 고객이 지속적으로 방문하게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고객 충성도를 저해하고, 결국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안: 브랜드 스토리텔링 브랜드 스토리텔링은 고객과의 감정적 연결을 강화하고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로우서울의 매 장은 독특한 인테리어와 경험을 제공하지만, 이를 지속적으로 연결하는 스토리텔링이 부족하여 고객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 지 못하고 있다. 각 매장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대신, 전체 브랜드를 아우르는 강력한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매장마다 독립적인 스토리를 구축하는 대신, 전체 매장을 아우르는 하나의 강력한 브랜드 스토리를 통해 고객과의 감정적 연결을 강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객은 글로우서울의 각 매장이 아닌, 브랜드 전체에 대한 로얄티를 가질 수 있다.
인사이트 06
Journey) 브랜드 스토리텔링: 브랜드북 최종 제안 AI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세계관 확장 앞서의 분석을 포괄하여 최종적으로 제안할 인사이트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으로, 거대한 세계관의 형성이다. 글로우 서울의 장점인 SNS를 활용하여 글로우 서울의 모든 산하 브랜드를 연결하는 것을 추천한다. 글로우 서울은 다양한 F&B 사업을 운영하며, 특별한 인테리어와 이색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는 재방문이나 정기방문보다는 단발성 경험에 그치는 경우가 많은 상황이다. 또한, 다양한 산하 브랜드 간의 연결성이 부족하여 각각이 별개의 사업처럼 느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려고 한다. AI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글로우 산하 브랜드들을 엮는 거대한 스토리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책, 영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것이다. ‘GLOW 세상의 서울 이라 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 사용자를 몰입시키고, 이를 실체화한 통로로서 산하 레이 블들을 접근한다면, 하나하나의 세부 브랜드들은 큰 스토리 내에 연결성을 갖게 된 다. 뿐만 아니라, 자체가 굿즈화되어 고객들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 고, 브랜드의 정체성을 공고히 만든다. 이를 통해 브랜드의 통합성과 연결성을 강 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전략을 통해 고객들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를 유도하고, 브랜드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DJ(The Consumer Decision
Generated by Chat GPT

INFORMATION

발행일자 - 2024.05.27

지은이 -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2011344 김서영

SOURCE

이미지제공 - 글로우서울 (대표:유정수)

자료출

면적의 40%는 비영업 공간 활용 원칙, 인위적 포 존보다 최고의 경험에 초점 | 마케팅/세일즈 | DBR (donga.com

“100년 된 우물 있는 한식집 어때”…핫플 비결은 ‘콘텐츠’다 - The PR 더피알 (the- r.co.kr

월간식당 모바일 (foodbank.co.kr

[남디’S INTERVIEW] 콕, 물, 나무…글로우서울 유정수 대 (namdi.co.kr

글로우서울, 감각있는 공간기획자의 ‘핫플’ 비결 | 로지켓 (logiket.com

도시재생 스타트업 ‘글로우서울’, 60억 투자유치 – 스타트업 스 리 플랫폼 플래텀(Platum

SBS 동네멋집 글로우서울 유정수 대표, "B2C 사업 본격화" < 일반(기업 < 산업·경제 < 기사본문 - 시선뉴스 (sisunnews.co.kr

글로우서울, 감각있는 공간기획자의 핫플 비결 (o enads.co.kr

지역의 고유가치를 살려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듭니다, 글로우 서울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세상에 없던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 있는 글로우 서울 (tistory.com

[eCEO] 숨죽었던 익선동 핫플레이스 만든 ‘글로우서울’ 이야기 - ZDNet korea

“Bringing a new light to what is existed before”
“Bringing a new light to what is existed before”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