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DA TRANSFORMER
1
4/25 – 5/24
Waist Down
1 2 3 4 5 6 7 8 9 10
2D Mannequins Spinning Glowing Vacuum Pendulum Lens Context Socle Corset Skirt by Korean Student
1 2 3 4 5 6 7 8 9 10
1
6
2
7
3
8
4
9
5
10
2 D 마네킹 회전 조명 진공 진자 운동 렌즈 배경 받침대 코르셋 학생작품
Waist Down—Skirts by Miuccia Prada
At once formal and playful, public and personal, the skirt is more than a swathe of fabric. From the waist down, a skirt expresses infinite fantasies and stories bot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earer and that of the admirer. Imagine walking. A skirt has a mind of its own: swaying, swinging, overlapping, stretching, inflating, erasing and exposing. Imagine standing still. A skirt may be curiously static, providing a canvas for a picture, patterns or color. Imagine sitting. A skirt may reveal an episode that was hidden behind the surface. The skirt is a plot that unfolds over time, told through the devices of its co-conspirators: material and construction. The work of Miuccia Prada shows us that we must regard the skirt as a mise-en-scène. Since the beginning of her career, the flamboyant panoply of ideas she has worked into her skirts—not to mention her various creations from the waist up—forces us to reconsider their power and potential. When Miuccia Prada designs skirts for each new season, she exercises her vigorous creativity in her favorite form. Her skirts defy convention. From season to season, the skirt persists as an inexhaustible source of inspiration—an ever-morphing means to achieve unique ends. So it is natural that her inventory of work is embedded with curious contradictions: simple and complex, quiet and eloquent, uptight and playful, sinuous and rigid, innovative and nostalgic, amorphous and geometric, flat and voluminous. Occasionally a skirt’s material form is upstaged by its sonic quality: the runway resounds with rustles, sizzles, whizzes, tingles and squeaks. No skirt falls into one simple category; it is always a synthesis of opposing properties. Like a film director who tells a story by framing and sequencing images, Miuccia Prada tailors a story, mood, or idea. She often works against the current, resisting conventions of fluidity by making a skirt stubbornly stiff. Through the manipulation of constraints, she is able to express something beyond cliché, defying standard feminine protocols. Waist Down is a unique exhibition devoted to the skirt, featuring the most outstanding examples from Miuccia Prada’s personal collection from 1988 to the present season. The skirts were selected by the designer in collaboration with AMO. The exhibition design was conceived by AMO to highlight and accentuate
Prada’s diverse ideas and concepts. Waist Down evolves with each relocation. It is always situated at a venue that is not an art space. The inaugural exhibition was staged in 2004-2005 in the Prada Epicenter in the Aoyama district of Tokyo. The second stop was the famous Peace Hotel in Shanghai, facing both the historic Bund and the futuristic Pudong districts. In 2006 the exhibition shifted to the New York Epicenter in SoHo, then to the Beverly Hills Epicenter on Rodeo Drive. Each evolution is interpretative and site-specific, blending existing activities and features of the venue as well as the culture of the host city. Waist Down Seoul is the fifth stop on this world tour and is for the first time sited in a space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exhibition. In the Prada Transformer, Waist Down becomes a kaleidoscope spread over a hexagonal platform, a planetarium of giant mannequins in memorable skirts. Waist Down Seoul is also site-specific in a new way: the exhibition includes skirts and mannequins designed by fashion students from eight design programs in Seoul. We have been impressed by the intensive level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are truly grateful for the cooperation of the faculty of these schools in realizing this unique collaboration. Prada Transformer strives to bridge local and international culture. Waist Down aspires to integrate internationally acclaimed fashion design with seeds of creativity fostered in the host city of Seoul. Beyond the conventional zone of the exhibition, Waist Down at the Prada Transformer is a dynamic intersection of global cultures and ideas.
풍부한 표현력과 장난스러움을 가졌으며, 입는 사람에 따라 다른 느낌을 자아내
Kayoko Ota
청각적 요소가 물질적인 형태를 앞지르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하나의 범주에 속
는 스커트는 단순한 천 조각이 아니다. 스커트는 허리 아래라는 공간을 무대로 입 는 사람은 물론 보는 사람의 관점에서 무한한 판타지와 이야기를 표현한다.
걷는 모습을 상상해보자. 스커트는 스스로 살아 움직이는 듯이 좌우로 또
는 곡선을 따라 흔들리며, 겹쳐지거나 늘어나는가 하면 부풀어오르고, 살갗을 가 리거나 드러내기도 한다. 반면 정적인 상태의 스커트는 그림이나 무늬, 색상을 올 리기 위한 화포가 될 수도 있다. 앉아 있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스커트는 이면에 숨겨진 에피소드를 드러낼지도 모른다. 스커트는 소재와 구조라는 수단을 통해 시간을 두고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미우치아 프라다의 디자인은 우리가 스커트를 미장센(mise-en-scène),
즉 섬세한 요소들이 어우러진 연출이나 상황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 다. 여성복 디자인을 시작한 이래 그녀가 스커트에 적용한 무궁무진한 아이디어
는(그리고 허리 위를 위한 다양한 디자인은) 우리에게 스커트의 힘과 가능성을 재 고하도록 요구해왔다.
미우치아 프라다는 새로운 시즌을 위해 스커트를 디자인할 때마다 그녀의
풍부한 창의력을 발휘한다. 그녀가 디자인하는 스커트는 관습에 도전하며 시즌이 거듭하여도 마르지 않는 영감의 원천이자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새롭고 독특한 결 과로 이르게 하는 도구이다.
이에 미루어볼 때 그녀가 지금껏 디자인한 스커트들이 흥미로운 모순들로
가득한 것은 당연한 듯하다: 단순함과 복잡함, 조용함과 풍부한 표현력, 보수적인 딱딱함과 장난스러움, 유연함과 경직됨, 혁신성과 과거에 대한 향수, 무정형한 구 성과 기하학적 구성, 평면적인 모습과 입체적인 모습 등이 동시에 보인다. 가끔은 살랑대거나 바삭거리고, 솨 하거나 잘그랑거리며, 삐걱거리기도 하는 스커트의 하는 스커트는 없으며, 모두 반대되는 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을 잡고 이미지를 차례로 배열하는 과정을 통해 이야기를 들려주는
영화감독처럼, 미우치아 프라다는 이야기와 분위기, 아이디어를 재단한다. 그녀 는 흐름을 거스르며, 스커트를 고집스러울 정도로 뻣뻣하게 만들어 유연함을 거 부하기도 한다. 제한적인 요소들을 교묘하게 다룸으로써 클리셰를 넘어서는 새로 움을 표현하고 여성미의 일반적인 기준에 반기를 든다.
<웨이스트 다운>은 1988년부터 이번 시즌까지의 미우치아 프라다의 스커
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아이템들을 선보이는 독특한 전시회다. 여기에 선보
이는 스커트들은 디자이너 자신이 AMO와 함께 선정했으며, 전시 디자인은 프라 다의 다양한 아이디어와 컨셉을 강조하기 위해 AMO가 특별히 고안했다.
<웨이스트 다운>은 이동할 때마다 변화하며, 일반적인 미술전시공간이 아
닌 장소에서 열리는 독특한 순회전이다. 2004/5년 도쿄 아오야마(靑山) 지구의
프라다 에피센터에서 첫 막을 올린 뒤, 상하이로 장소를 옮겨 역사적인 와이탄(外
灘, Bund)과 푸동(浦東) 지구에 있는 평화호텔에서 전시되었고, 2006년에는 뉴 욕 소호(SoHo)에 위치한 에피센터를 거쳐 베벌리 힐스 로데오 드라이브(Rodeo
Drive)의 에피센터로 이동했다. 이 전시는 새롭게 열릴 때마다 개최장소의 특성
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동시에 개최도시의 문화요소들을 융합하여 변화하고 재 해석된다.
<웨이스트 다운 서울>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열리며, 순회전 사상 처음
으로 전시를 위해 특별히 디자인된 공간에서 개최된다. 프라다 트랜스포머에서 막을 올리는 <웨이스트 다운>은 육각형 바닥을 무대로 주마등처럼 펼쳐지는 시각 적 향연, 화려한 스커트들을 입은 거대한 마네킹들로 구성된 플라네타륨을 선보 이게 될 것이다.
<웨이스트 다운 서울>은 서울의 8개 대학에서 패션디자인을 전공하는 학
생들이 디자인한 스커트와 마네킹을 포함함으로써 개최도시의 문화를 새로운 방
식으로 융합하게 된다. 우리는 한국 패션디자인 교육의 높은 수준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이 특별한 프로젝트가 가능하도록 협력을 제공한 각 학교 교수진에 깊 은 감사의 뜻을 표한다.
프라다 트랜스포머는 지역적 문화와 세계적 문화를 연결하는 다리의 역할
을 수행하고자 하며, <웨이스트 다운>은 개최도시 서울에서 자라나는 창의적인 인재들과 세계적인 패션 디자인을 조화롭게 접목시키고자 한다. 프라다 트랜스포 머에서 열리는 <웨이스트 다운>은 전시라는 일반적인 공간을 넘어서 국제적인 문 화와 아이디어가 다이나믹하게 어우러지는 장이 될 것이다. 글 / 카요코 오타
SS – 2004 – 1373R
FW – 2007 – 9Z03TH
FW – 2004 – P1074
SS – 2009 – P1709 SS – 2009 – P1704
SS – 2005 – P1286G
FW – 2007 – P1546
FW – 2002 – 1124
SS – 2007 – P1492
SS – 2005 – P1134 FW – 2001 – 1966
FW – 1990 – P1167R
SS – 1991 – 2561R
SS – 1996 – 1338R
SS – 1998 – 1484R
SS – 1998 – 1485R
FW – 1998 – 1186
FW – 1992 – 1040 SS – 1992 – P1163R
FW – 1998 – 1524R
FW – 1998 – 1511D FW – 1998 – 1510G
FW – 1988 – 1185
SS – 1995 – 8158A
FW – 1996 – 1362
SS – 1995 – 8159A
SS – 1998 – 1471L FW – 1999 – 1643R
SS – 1998 – 1471R
FW – 1999 – 1640R
SS – 2000 – 1760
SS – 1999 – 51090R
SS – 1999 – 1544R
SS – 2003 – 1200
SS – 2003 – 51303 SS – 2003 – 1222
SS – 2000 – 1765R
FW – 2000 – 1806G
FW – 2000 – 1830R
FW – 2003 – 1286V
FW – 2002 – 1121R
SS – 2000 – 1764
SS – 2001 – 1893 SS – 2004 – 1385
FW – 2004 – 81218
SS – 2001 – 1903R
SS – 2001 – 1894R
FW – 2003 – 1286
SS – 2004 – 1368
SS – 2002 – 1045
FW – 2004 – P1043R FW – 2004 – P1060R
FW – 2004 – P1058
SS – 2004 – 1389
SS – 2005 – P1139R
SS – 2005 – 1161R
FW – 2004 – P1072
FW – 2008 – P1645 / P7384
SS – 2006 – P1322
FW – 2004 – 1881
FW – 2004 – P1073R
FW – 2004 – P1069
SS – 2008 – P1593
FW – 2006 – P1424R
Korean Student Exercise
SS – 2001 –1893R
In recent years, Korea and the City of Seoul have been investing human and capital resources into design, cinema and the performing arts. Many Korean universities, especially those based in Seoul, have active departments of fashion design. Fash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vital forces propelling Korea towards a major role in the international design world. Part of the mission of the Prada Transformer was to include input from the local community, especially Korean fashion design students. Prada and AMO approached eight Seoul fashion design programs to participate in a student exercise, the results of which would be included in Waist Down alongside skirts by Miuccia Prada. While we have been impressed by the strong sense of tradition in the work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in Korea, we also recognize the opposing desire to break from the past—to create something entirely new or avant-garde. So we asked students to reflect on Korean aesthetics and traditional culture while creatively exploring the capacity of a skirt. We hoped to provoke a design that would reveal the state of mind of young Koreans actively redefining the future of their country’s fashion design. In Korea, the spring semester begins on the first weekday of March. Although the schedule was very tight, all eight of the schools we approached generously accepted our invitation and organized a three-week student exercise to design a skirt and a mannequin. The professors of each institution selected the projects to be exhibited in Waist Down. It was great honor to work with the eight prestigious schools and truly exciting to organize this collaboration.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sincere thanks to the following schools: Dongduk Women’s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HongIk University, Konkuk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Sejong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Kayoko Ota
지난 몇 년간 한국 정부와 서울시는 디자인과 영화, 공연 예술에 인적 및 물적 자 원을 투자하고 있다. 서울에 소재한 대학들을 중심으로 한국의 많은 대학이 패션 디자인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패션은 한국이 세계 디자인계의 주요 구성원으로 발전하는데 추진력을 제공할 필수적인 분야로 여겨지고 있다.
프라다 트랜스포머의 목표 중 하나는 지역 사회의 참여, 특히 한국 패션디
자인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다. 프라다와 AMO는 서울에 있는 8개 대학 의 패션디자인학과에 학생 프로젝트를 의뢰했고, 이를 통해 선정된 작품들은 <웨 이스트 다운>전에서 미우치아 프라다의 스커트 컬렉션과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우리는 한국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전통 인식에 깊은 인상
을 받았으며, 이와 함께 과거에서 벗어나 새롭고 아방가르드적인 것을 창조하려 는 의지 또한 느낄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학생들에게 한국의 미와 전통문화를 재고하는 동시에 스커트가 가진 잠재력을 창의적으로 탐구하여 달라고 부탁했다.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한국 패션디자인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재정의할 젊 은 인재들의 마인드를 엿보고 싶었다.
한국의 봄 학기가 3월에 시작되기에 빡빡한 일정이 될 수밖에 없었음에도,
모든 학교가 우리의 제안을 기꺼이 받아들여 3주에 걸쳐 스커트와 마네킹을 디자 인하는 과제를 기획할 수 있게 되었다. <웨이스트 다운>에서 전시될 작품들은 각
학교의 교수진에 의해 선정되었다. 높은 수준의 패션디자인학과들과 협력하게 된 것은 프라다에게 있어 큰 영광이었으며, 이번 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되 어 기쁘게 생각한다.
동덕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한국예술종
합학교, 사디(SADI, 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세종대학교, 서울대 학교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 글 / 카요코 오타
Turn to the East
A walk in the light
JungWon Chun, JungHun K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Jin-Hyun Ahn Seoul National University
안진현 — 서울대학교
The skirt wraps around the full waist much like a large piece of cloth wraps a gift or object. Using soft, semi-transparent silk organza, Jin-Hyun applied a patchwork of colored cloth in an abstract composition. The bottom end of the wrap is made of rough linen, the inner skirt of gray cotton jersey, while the upper end of the wrap is embellished with a long sash. The skirt is at once a bold visual statement and a nuanced reference to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of wrapping and clothing.
색의 헝겊 조각들을 추상적으로 조합한 패치워크를 더했다. 아랫부
It was raining the day JungWon and JungHun visited the Gyeonghui Palace for inspiration. Touched by the scene’s beauty, they conjured an image of a skirt that blends that memory of the place and a sense of luxury. The skirt consists of an outer pleated skirt dyed dark blue, while the black inner pleated skirt is formed like traditional chima underwear. JungWon and JungHun created a waist sash made of sliced bamboo fibers, inspired by classic Korean men’s hats. The embroidery of thin strips of mother-ofpearl represents raindrops. As a composition, the skirt is evocative of the solemn and hard roof tiles of the palace on a rainy day.
천정원 , 김정훈 — 한국예술종합학교 비가 내리던 어느 날 아이디어를 구상하러 경희궁을 방문한 디자이너들은 그 경치의 아름다움에 반해 고궁의 역사와 화려함을 융합한 스커트의 이미 지를 떠올렸다. 이 스커트는 짙은 파랑으로 물들인 주름 스커트와 전통적인 속치마 형태로 만들어진 검은색 언더스커트에 전통 남성 모자에서 영감을 받아 대나무 섬유로 만들어진 허리띠가 더해졌다. 가느다란 자개 조각들로 만들어진 자수 장식은 빗방울을 형상화하여 비 내리는 날 바라본 경희궁의 엄중하고 딱딱한 기와지붕을 연상시킨다.
이 스커트는 보자기로 선물이나 물건을 싸듯 허리 전체를 감싼다. 디 자이너는 부드럽고 속이 비치는 실크 오간자 소재의 바탕에 갖가지 분은 투박한 리넨 소재로 이루어졌고, 언더스커트에는 회색의 면 저 지 소재가 사용되었으며, 스커트의 윗부분은 긴 띠로 장식되었다. 이 스커트는 강한 시각적 인상을 주는 동시에 한국의 전통적인 포장문화 와 복식문화를 섬세하게 인용한다.
Wearing a Bojagi
My Odds and Ends for Prada
Myoung-Shin Lee Konkuk University
Jongkil Lee HongIk University
이종길 — 홍익대학교
Inspired by traditional Korean package wrapping, MyoungShin chose to work with a natural-colored translucent swathe of silk organza with black outlines to overlay a series of interchangeable skirts. The layered fabrics together manifest the Gyeonghui Palace’s rooflines and tiles and the translucent window frames in the facade. The lines that fan out from the skirt and the subtle curved lines of the ‘window frames’ form a 3-dimensional composition that is representative of a Korean aesthetic. For the exhibition, the skirt and the cover are positioned to recall the palace’s elegant rooflines.
Jongkil made a tight skirt with a high- waist using nylon— a reference to Prada’s history—and a sewing technique from the Korean tradition. Traditionally, small pieces of recycled fabric are folded into geometric fins and sewn together into a line to embellish the sides of pillows and other objects in daily life. In this skirt, many lines of fins are woven to build height. Fins dyed in several colors are combined in such a way to form subtle gradations that transform as they interact with light and shadow along the body. The length of the skirt can be changed using zippers applied at several contour lines.
은 허리선의 타이트한 스커트를 만들었다. 그리고 작은 헝겊 조각들을
이명신 — 건국대학교 한국의 전통 보자기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이너는 속이 비치는 자연색 실크 오간자 한 폭에 검은색 윤곽을 가미하여 스커트의 덮개로 사용 했다. 아래의 스커트는 교체가 가능하며 소재의 레이어링은 경희궁 의 지붕선과 기와, 그리고 외관을 장식하는 반투명 창살을 표현하고 자 했다. 내려갈수록 벌어지는 스커트의 라인과 ‘창살’의 은은한 곡선
미는 한국적인 미학을 표현하는 3차원적 구성을 이룬다. 이번 전시를
위해 디자이너는 나무 뼈대를 디자인하여 스커트와 덮개가 궁의 우아 한 지붕 선을 연상시키도록 했다.
프라다의 역사를 인용하고자 디자이너는 나일론을 소재로 선택하여 높 재활용하여 기하학적 형태로 접은 다음 바느질로 이어 베개 등 다양한 일 상용품에 장식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바느질 기법을 사용했다. 조각들로 구성된 띠는 엮은 듯이 처리하여 높이를 부여했고, 다양한 색상으로 염 색된 조각들이 은은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내도록 연결하여 입은 사람의 신체를 따라 빛과 그림자를 표현하도록 했다. 스커트의 길이는 윤곽선을 따라 더해진 지퍼로 조절이 가능하다.
Bamboo Wife
Waiting
Il-Hwan Kim SADI
김일환 — SADI
Mi-Kyung Wi Dongduk University
Il-Hwan used a bamboo ‘wife’ (a traditional Korean sleeping cushion woven with strips of bamboo) as a construction material for his skirt in two ways. First, he applied bamboo to a black flare skirt from underneath and smock-stitched the fabric following the directions of bamboo lines. He then made a couple of smaller bamboo wives and attached them inside the skirt in order to create a voluminous form around the waist. The bamboo wives can be taken off so that the skirt reveals the natural line of the waist down. With this skirt, one can switch between exaggerated and natural forms, or formalized and liberated states of being.
은색 플레어 스커트 밑에 대나무 뼈대를 넣은 다음 그 선을 따라 스커트
Mi-Kyung’s skirt conjures a classic fantasy through the creation of a seethrough façade. The simple, tight skirt of a leather-like opaque fabric has an intricate pattern of openings at the bottom, which was laser-cut by hand. Inside the lattice ‘windows’, vertical strips are attached in several colors, representing a traditional Korean color palette. The top end of the skirt is highlighted with a wide waist belt, which is further wrapped around with strings. A cascading drape can be attached to the skirt at the back center with a zipper. This is another device to highlight the evocative latticework.
디자이너는 죽부인을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하여 스커트를 구성했다. 검 에 스목 주름장식을 더했고, 작은 크기의 죽부인 여러 개를 치마 속에 넣 어 허리 주변에 볼륨감을 가미했다. 이 죽부인은 허리 아래의 자연스러 운 라인을 드러낼 수 있도록 탈착할 수 있다. 이 스커트는 자연스러운 형 태나 과장된 형태, 또는 형식을 갖춘 느낌이나 자유로운 느낌을 바꿔가 며 연출할 수 있다.
위미경 — 동덕대학교 이 스커트는 틈새로 안이 보이는 표면을 통해 고전적인 환상을 불러일으킨 다. 가죽을 연상시키는 불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진 이 심플한 타이트 스커 트는 아랫부분에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잘라낸 정교한 무늬를 자 랑한다. 창살처럼 보이는 이 무늬 안쪽에는 한국의 전통색을 대표하는 다 양한 색상의 세로 줄무늬가 부착되어 있으며, 스커트의 윗부분에는 굵은 벨트가 더해진 다음 그 위에 여려 겹의 끈이 둘러 있다. 스커트의 뒷부분에 는 천이 흘러내리는 듯 드리워진 장식을 지퍼로 부착할 수 있으며, 문살을 연상시키는 스커트의 형태를 더욱 강조한다.
Painted in ink
Shade of a tree
Song-eun Ahn Ewha Womans University
Chi-In Lee Sejong University
이치인 — 세종대학교
For this exercise, Chi-In used a tree as a motif to express the merging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the interplay of light and shadow around trees and tree branches is a common theme in traditional Korean artwork. As the body moves in this skirt, the layers of thin and semi-transparent silk ‘tree bark’ flare and flap, opening up to or closing out light, shadow and air. The flares—composed in natural colors—are supported by a white tutu that is worn underneath. The skirt’s mannequin is a continued body of the tree, from which branches stem out.
남을 표현하고자 했다. 나무껍질을 연상시키며 층을 이룬 얇고 속이 비치는
Song-eun’s work demonstrates that a skirt can be a walking canvas. Using sumook —a traditional Korean painting using brush and Indian ink—as her inspiration, Song-eun conceived a textile with a texture much like Korean paper, on which ink runs and blurs. She quilted thin strips of silk organza around and around a large piece of white felt. The subtle combination of the silver, dark gray and white organza strata creates the visual effect of the flamboyant brush strokes. As in sumook, the ‘ink’ smears the white canvas beautifully, floating from the waist down.
안송은 — 이화여대 이 작품은 스커트가 걸어 다니는 캔버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수묵 화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이너는 먹이 자연스럽게 흐르거나 번지는 한지 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는 것으로 시작, 흰색 펠트에 가 느다란 실크 오간자 조각들을 누빔으로써 이 효과를 이루어냈다. 실버, 블랙 그레이, 화이트로 구성된 3색 오간자 조각들은 절묘하게 어우러져
수묵화의 눈부신 붓 터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스커트의 색상은 한 폭의 수묵화처럼 허리 아래로 번지며 흰 캔버스를 아름답게 물들인다.
이번 과제를 위해 이치인은 나무를 모티프로 설정함으로써 전통과 현대의 만 실크 조각들은 입은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너울거리거나 펄럭이면서 빛과 그 림자, 공기에 반응한다. 자연색으로 구성된 이 껍질들은 아래에 있는 발레 스 커트에 의해 지탱되며, 스커트가 전시되는 마네킹 또한 나무 이미지의 연장 선으로 가지가 뻗어나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Waist Down — Display Concept
웨이 스 트 다 운 — 디스 플 레이 컨 셉 트
1
1 2D Mannequins — With movement as one of the key points of the exhibition, there are few forms that illustrate the motion of skirts better than the catwalk photos taken for each collection. The amazing sway of the model’s hips, the frozen position of the skirt — sometimes wildly extended, sometimes stubbornly rigid — expresses perfect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utfit. One of the key weaknesses of skirt display is that being exhibited on mannequins means the skirts find themselves demoted below the eye’s gaze. The luxury of using the printed images is that the image scale can be chosen at will. For the previous exhibitions, the images of walking mannequins were printed onto mirrorbacked plates at the exact scale that the image seemed to emerge out of the ceiling, from the waist down: the huge skirts (like over-sized 2D advertising) were at the viewer’s eye level.
For the Seoul-edition of Waist Down this format uses the pavilion’s structure as a virtual catwalk, on which the mannequins will vault while disregarding height and a substantial number of physical laws.
2D 마네킹 — 움직임을 주요 컨셉트 중 하나로 둔
대신 프린트된 이미지를 사용하면 그 크기를 자유로
이번 전시회에서 각 컬렉션의 런웨이 사진만큼 스커
이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껏 열린 <웨이
트의 움직임을 훌륭하게 그려내는 형태는 드물다. 사
스트 다운>에서는 걸어가는 모델의 허리 아랫부분 이
진 속에 포착된 스커트는 극적으로 펼쳐져 있거나 고
미지가 패널에 프린트된 다음 천장에 설치되었고, 이
집스러울 정도로 빳빳한 모습을 보이며 각 룩의 특성
과정을 통해 대형 광고판을 연상시키는 거대한 스커
을 완벽하게 표현한다. 스커트를 전시할 때 떠오르는
트 이미지가 관객의 눈높이에 맞춰졌다. 패널의 뒷면
문제점 중 하나는 스커트가 마네킹에 걸쳐졌을 때 관
은 거울처럼 처리되어 앞면의 강렬한 이미지와 대조
람객의 일반적인 눈높이 아래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를 이룬다.
Waist Down — Display Concept
웨이 스 트 다 운 — 디스 플 레이 컨 셉 트
2 Spinning —
3 Glowing —
4 Vacuum —
5 Pendulum —
Ballerinas, dancers, shoppers testing... Skirt spinning is such a famously revealing action that we wanted to show the flow of the material as the skirt spins; the flapping of the light skirts, the opening of the pleats and the shine of the embroidery. A simple household ceiling fan was customized to allow each skirt to be ‘worn’ by the fan. Hung from the protruded structure of the circle at selected heights and operating at speeds decided by the individual skirt characteristics, the temptation to feel the material as it turns is often irresistible.
The layers and construction of the skirts and presence of light are of interest here. Sometimes drawing attention to slits or openings in the skirts, sometimes the seeming density of a fabric, simple lights are fitted inside some of the Prada polyester mannequins. The upper torso is removed and the supporting pole of the existing mannequins is enlarged to bring the mannequin up to eye level. The image of the skirts as oversized lampshades is completed with a floor foot switch, allowing the viewer to switch the light on and off at will.
When opened out, some of the skirts form amazing flower-like shapes, sometimes revealing layered construction, sometimes opening pleats with surprising results. Here, the ‘flowers’ are presented in vacuumsealed plastic, pressed like specimens in a flower collection book. The flowers are hung from the structure, allowing light to filter through the materials in varying degrees. The pressing technique was extended to include skirts which were made from a single piece of material, wrapped around the wearer, which, when unfolded, produce a U-shaped form.
Leg movement is of course the ideal movement to show the skirts off, and we felt it was a pity not to have something that represented this. But moving legs was somehow too empty, too obvious. In the end, a customized car windscreen wiper was used inside the skirts, providing a surprising movement inside the skirt. Hung on standard Prada wooden hangers, the skirts would be indistinguishable from the regular store merchandise...until they start moving.
2
3
회전 — 빙글빙글 돌아가는 스커트는 많은 것을 드
조명 — 이 전시방식에는 스커트를 형성하는 층과
러낼 수 있다. 회전하는 스커트를 통해 소재의 흐름
구조, 그리고 빛이 포인트다. 스커트에 난 트임이나
과 가벼운 움직임, 열렸다 닫혔다 하는 주름 장식, 그
소재의 밀도에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마네킹 안에
리고 자수 장식이 빛을 발하는 모습을 보이고자 단순
간단한 조명이 설치되었다. 상체 부분이 생략된 마네
한 가정용 천장 선풍기를 개조하여 스커트를 입혔다.
킹을 높은 기둥에 올려 스커트가 눈높이에 위치하도
다양한 높이로 천장으로부터 매달려 각 스커트의 특
록 했다. 스커트를 거대한 전등갓처럼 연출하는 조
성에 맞춘 속도에 따라 돌아가는 모습은 직접 만져보
명장치에 스위치를 연결해 관람객이 켜고 끌 수 있
고 싶은 충동을 불러일으킨다.
도록 하였다.
4
5
진공 — 전시되는 스커트 중 일부는 펼치면 꽃을 연
진자 운동 — 다리의 움직임이야말로 스커트를 보
상시키는 아름다운 형태를 갖추면서 층이 진 구조를
여주기에 가장 이상적인 움직임이다. 우리는 이를 표
드러내거나 주름 장식이 펴지면서 색다른 효과를 자
현할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움직이는 다
아내기도 한다. 책갈피에 끼워 말린 꽃처럼 플라스틱
리를 재현하는 대신 자동차의 와이퍼를 개조한 다음
으로 진공포장된 스커트들은 천장으로부터 매달아
스커트 안에 설치하여 색다른 움직임을 부여했다. 일
빛이 소재를 투과할 수 있도록 했다. 한 폭의 소재로
반적인 프라다 옷걸이에 걸린 이 스커트들은 움직이
만 구성되어 펼치면 U자 형태를 갖추는 랩스커트 또
기 전까지 판매를 위한 평범한 상품이라는 착각을 불
한 이런 방식으로 전시되었다.
러일으킨다.
Waist Down — Display Concept
웨이 스 트 다 운 — 디스 플 레이 컨 셉 트
6 Lens —
7 Context —
8 Socle —
9 Corset —
Often, the skirts seem to hold a kind of secret, something not immediately apparent, a clever twist which goes unnoticed. Oversized, custommade glass lenses are directed to one spot to draw attention to the moment on the skirt where the detail can be revealed or identified. Sometimes the information is to be found in a hem detail, sometimes in the printing technique, sometimes in the embroidery. It’s an invitation, a suggestion to discover which turns the viewers temporarily into fashion detectives.
Curtains are produced from panels of the actual skirt material and the matching skirts attached directly to the curtain. Spanned along the structure of the upcoming Film Festival, the application of the skirt to the totally two-dimensional curtain allows direct comparison of the two, revealing construction techniques, details and volume, with the skirts sometimes seeming to disappear in the material, only to leap out as the visitor walks around the curtain.
Some of the skirts are made from such rigid materials that they fail to betray the movement of the legs, not flowing, swaying or bouncing. Surprisingly, the material of these skirts is actually so solid that they can stand up by themselves. These skirts are displayed like multi-colored sculptural busts on top of pure white socles, which, complimenting the paradox of the skirts, are not massive or heavy but lightweight and flexible. Made from rectangular foam blocks painted with white polyurethane paint, the socles deform when pressed by the visitors and then quickly regain their sharp geometric form.
Based on the ability of the Victorian corset to generate sculptural volume, the corset display features six flexible, steel ‘arms’ connected to a central ring, which allow an endless creation of forms. Here, specific aspects of particular skirts can be displayed; sometimes subtle bends to disrupt a pattern and sometimes exaggerated splays to completely open heavily pleated skirts. The corsets stand either at waist height, offering an overview of the skirt, or directly at eye level.
6
7
렌즈 — 스커트는 일종의 비밀, 다시 말해 쉽게 눈에
배경 — 스커트와 같은 소재의 패널로 커튼을 만든
띄지 않거나 놓치기 쉬운 재치 있는 디테일을 지니고
다음 스커트를 그 위에 부착했다. 다양한 사이즈로
있기도 한다. 특별히 제작된 대형 렌즈는 디테일을
제안되는 이 전시방식은 2차원적인 커튼 위에 스커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서 관람객이 패션 탐정의 역할
트를 겹쳐 놓음으로써 직접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을 수행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전시방식을 통해 치
하고, 구조와 디테일, 부피감을 드러내기도 하며, 이
맛단의 디테일이나 프린팅 테크닉, 자수 장식에 숨겨
와 동시에 배경에 어우러져 숨어 있던 스커트가 관
진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
람객이 걸어가는 순간 눈에 띄는 효과를 자아내기도 한다.
8
9
받침대 — 스커트 중 일부는 빳빳한 소재로 만들어
코르셋 — 조각적인 3차원적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빅
져 다리의 움직임과는 독립적으로 흐르지도, 찰랑거
토리언 코르셋의 특성에 바탕을 둔 이 전시장치는 가
리지도 않는다. 이러한 스커트는 소재의 견고함 덕분
운데의 고리에 연결된 여섯 개의 구부려지는 철제 버
에 아무런 지탱이 없어도 서 있을 수 있다. 스커트를
팀대로 구성되어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스
조각품처럼 전시하는 받침대는 스커트의 모순적인
커트의 특정한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버팀대를 최
특성에 대응하여 크고 무겁기보다는 가볍고 신축성
대한 넓혀 주름이 깊이 잡힌 스커트를 완전히 펼칠 수
이 있도록 만들어졌다. 직육면체 폼 블록에 흰색 폴
도 있고, 살짝 구부려 패턴을 혼란시킬 수도 있다. 이
리우레탄 페인트를 입힌 받침대들은 누르면 변형되
코르셋들은 스커트를 내려다볼 수 있도록 허리 높이
었다가 원래의 기하학적 형태로 되돌아온다.
혹은 눈높이에 설치된다.
Waist Down — The Exhibition
웨이 스 트 다 운 — 전 시
Prada Epicenter Tokyo —
Peace Hotel Shanghai —
2
The traveling exhibition Waist Down opened at the Tokyo Epicenter as an experiment in merging the concepts of exhibition and shopping. Twelve different ways of displaying the skirts were employed over seven floors from the basement to the top level. One of the most striking spaces was the top floor where gigantic two-dimensional mannequins were suspended chronologically in a radial formation. Their mirrored backs reflected Tokyo’s downtown stretching outside the glass façade, creating a mysterious merger between skyline and skirts.
For Waist Down Shanghai, the Peace Hotel—the ground floor lobby as well as the suites floor lobby and three suites each done in Chinese, American and British styles—was chosen to display the skirts. As a beacon of Shanghai’s transformative progress and rich history, The Peace Hotel is one of the city’s most popular landmarks. Presented within this unique site far removed from a conventional art venue, the show explored a new way of communicating an exhibit to visitors.
도시의 화려하고 전설적인 과거를 되돌아보는 위치에 자리잡은
1
도쿄 에피센터 2004–2005
<웨이스트 다운> 순회전은 전시회와 쇼핑
이라는 두 가지 컨셉트를 융합하는 실험적 형태로 도 쿄 에피센터에서 막을 올렸다. 이 전시에는 지하층부 터 최상층까지 건물의 일곱 층에 걸쳐 스커트를 선보 이기 위한 열 두 가지 전시방식이 사용되었다. 그 중 가장 돋보인 공간은 최상층으로, 걸어가는 모델의 모 습을 인쇄한 대형 패널(2D 마네킹)들이 연대순을 따 라 방사상으로 편성되어 천장에 고정되었다. 거울처럼 처리된 마네킹의 뒷면에는 에피센터 건물 밖으로 내려 다보이는 도쿄의 전경이 비춰졌으며, 이를 통해 스커 트들과 도시의 스카이라인이 신비롭게 어우러졌다.
상하이 평화호텔 2005
오늘날 상하이가 변화하는 모습을 목격하는 동시에
평화호텔은 상하이에서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다. <웨이 스트 다운> 상하이전에서는 평화호텔의 지상층 로비와 스위트 층 로비, 그리고 각각 중국식, 미국식, 영국식 스타일로 장식된 세 개의 스위트 룸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미술전시공간과는 거리가 먼 이 독특한 장소에서 새로운 전시 방식을 실험했다.
Waist Down — The Exhibition
3
웨이 스 트 다 운 — 전 시
Prada Epicenter New York —
Prada Epicenter Los Angeles —
Stretching between Broadway and Mercer Street, the entire space of the Prada Epicenter was transformed into a museum for Waist Down New York. The grand cascade on the Broadway side, the stage that folds out of the curved wave, and the long wall connecting the two streets were utilized for discrete installations, while an army of giant suspended twodimensional mannequins unified the space. The way specific conditions in various parts of the Epicenter were appropriated for displays echoed the diverse use of street space in Manhattan.
On the night of the Waist Down opening, the flat aluminum façade of the Los Angeles Epicenter hosted a road show of mesmerising video images of the skirts inside. Various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Epicenter—the see-through display hole ‘buried’ under the front-side floor, the storefront which is always left open to Rodeo Drive, and the ‘hill’ leading up to the upper floor— were all appropriated by the exhibition and redefined in surprising ways.
뉴욕 에피센터 2006
<웨이스트 다운> 뉴욕전에서는 브로드웨이와 머서 스
트리트를 연결하는 뉴욕 에피센터의 공간 전체가 미술관으로 변 신했다. 브로드웨이 쪽에서부터 지하로 파고 들어가는 계단과 맞 은편의 유선형 경사면에서 펴지는 무대, 그리고 긴 벽에는 다양한 스커트의 전시 방식을 적용했고, 공중에 매달린 거대한 2D 마네
킹들의 무리가 그 위를 장식했다. 뉴욕 에피센터를 구성하는 다양 한 공간들이 각기 다른 전시방식을 갖춘 모습은 맨해튼의 거리에 서 일어나는 모습을 반영했다.
4
로스앤젤레스 에피센터, 2007
<웨이스트 다운>이 개최된 저녁, 로스앤젤레스 에피센터의 알
루미늄 외관에는 매혹적인 스커트들의 이미지로 구성된 비디오를 상영했 다. 앞쪽 바닥 아래에 묻힌 듯 설치된 디스플레이 터널이나 로데오 드라이 브 쪽으로 열려 있는 매장의 정면, 위층으로 연결되는 ‘언덕’ 등 로스앤젤레
스 에피센터를 구성하는 다양한 건축적 요소들이 전시회를 위해 활용되면 서 뜻밖의 방식으로 재정의되었다.
Waist Down — The Exhibition Concept
1
도쿄 에피센터
2 상하이 평화호텔 3 뉴욕 에피센터
4 로스앤젤레스 에피센터
5 서울 프라다 트랜스포머
웨이 스 트 다 운 — 전 시 컨 셉 트
Tokyo, Prada Epicenter Shanghai, Peace Hotel
New York, Prada Epicenter
Los Angeles, Prada Epicenter Seoul, Prada Transformer
2
1
3
4
전시 Exhibition 쇼핑 Shopping 관광 Tourism 문화 Culture
5
History of Prada
Prada was established in 1913 by Mario Prada, a man driven by a singular idea: to produce fine products using the best materials available, first-rat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uttingedge design. With this guiding philosophy, the Prada brand rapidly became the benchmark for leather accessories and precious objects. Mario opened the company’s first boutique in Milan’s prestigious Galleria Vittorio Emanuele II shopping arcade, and in 1919, Prada became an official supplier to Italy’s royal household. The legendary Galleria boutique still displays the elegantly crafted bags, trunks, leather accessories and cosmetic cases of the highest quality. The dynamic growth of the small family business into a global powerhouse began when Mario’s granddaughter Miuccia Prada brought her design talents to a partnership with entrepreneur Patrizio Bertelli. Soon after graduating from Milan’s Statale Univer- sity, Miuccia entered into the family business as a design
director for accessories. After studying engineering at the University of Bologna, Patrizio started a factory in Arezzo. Since the end of the 1970s, with Miuccia as creative director and Patrizio as business manager, the partnership of these twin talents has propelled the company forward into a new era. Consistent with its pioneering spirit, Prada was one of the very first luxury brands to collaborate with innovative architects and to set new trends in store design. In 2000, Prada partnered with Pritzker Prize laureates Rem Koolhaas and Herzog & de Meuron to realize ‘Epicenter’ stores in New York, Tokyo and Los Angeles. The result of a careful analysis of the concept of shopping, these unique stores skillfully blend luxury goods, technology, design and architecture with a range of exclusive services and unique sensorial and audiovisual experiences. Today, the Prada line of products includes men’s and women’s leather goods, ready-to-wear and
footwear; Prada is also active in the eyewear, fragrance and mobile phone sectors. Prada stands for tradition and innovation, elegance and functionality, and engagement in fashion and beyond. Prada neither rejects its heritage nor fears bold adventure. A modern brand that is more than just a brand, Prada continues to exert its originality in surprising and dynamic ways. With her radically innovative approach, intellectual style and versatile technique, Miuccia Prada is continually rethinking all the aspects of the creative process. Miuccia has a unique talent for reversing the rules and abandoning convention, all while maintaining the poise and integrity of her work. She rejects the search for consensus and the need to please; often present in her work is a provocative plan to go against expectations—even to displease—and a knowing attempt to mislead. Miuccia’s work determinedly and compellingly seeks out aesthetic contrasts, infusing her work with thoughts linked to her day-to-day experiences
프 라 다의 역 사
and observations of the environment, and bestowing stylistic and formal dignity in unexpected ways and in unexpected places.
Prize) 수상 건축가들인 렘 쿨하스(Rem Koolhaas), 헤르초크 & 드 뫼롱(Herzog & de Meuron) 과 손
을 잡고 뉴욕, 도쿄, 로스앤젤레스에 프라다 ‘에피센 터’를 설립했다. 쇼핑이라는 개념에 대한 깊은 연구 를 통해 탄생한 이 이색적인 공간들은 럭셔리 제품과 테크놀로지, 디자인 및 건축을 하나로 융합, 특별한 서비스와 독특한 시청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오늘날 프라다는 남성 및 여성용 가죽제품과 기
프라다는 1913년 마리오 프라다(Mario Prada)에
성복은 물론 아이웨어와 향수, 휴대전화기에 이르기
의해 설립되었다. 그는 최고의 소재와 제조기술, 그
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이고 있다. 전통을 거부하
리고 최첨단 디자인을 융합한 뛰어난 제품들을 만들
지 않으면서 과감한 혁신적 창의을 추구하는 프라다
겠다는 신념하에 가죽 액세서리 및 럭셔리 제품을 제
는 패션계 안팎을 넘나들며 그 독창성을 새롭고 역동
작하였다. 마리오 프라다는 밀라노의 역사적인 쇼핑
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몰 갈레리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II(Galleria Vit-
혁신적인 접근방식과 지적인 스타일, 다양한 테
torio Emanuele II)에 프라다의 첫 부티크를 열었 고, 1919년에는 이탈리아 왕가의 공식 지정업체로
크닉을 겸비한 미우치아 프라다는 창작의 과정이 가
승인받았다. 이 전설적인 프라다 부티크에는 오늘날
칙을 전복하고 관습을 버리면서도 자신의 디자인에
에도 최상의 품질을 자랑하는 백과 트렁크, 가죽 액
안정감과 기품을 유지하는 뛰어난 재능을 자랑한다.
세서리 및 화장품 케이스 등이 전시되고 있다.
그녀는 합의를 바라거나 모든 이들을 만족시키려고
진 모든 면을 끊임없이 재고한다. 그녀는 주어진 규
소규모의 가족사업으로 시작한 프라다는 마리오
도 하지 않는다. 대신 그녀의 디자인에서는 사람들의
프라다의 손녀 미우치아 프라다(Miuccia Prada)가
기대를 거스르다 못해 과격한 반응을 유도하려는 도
소유한 뛰어난 디자인 감각과 기업가 파트리치오 베
발적인 계획, 그리고 사람들을 오해시키려는 의도가
르텔리(Patrizio Bertelli)가 만나면서 파워풀한 세
자주 발견된다. 미우치아 프라다는 미적 대비를 추구
계적 브랜드로 재탄생했다. 미우치아 프라다는 밀라
하고 일상에서 느낀 생각들과 주변에 대한 관찰을 디
노의 스타탈레(Statale) 대학을 졸업한 지 얼마 후 액
자인에 반영하며 스타일과 품격을 예기치 못한 방식
세서리 디자인 디렉터로 가업에 뛰어들었고, 파트리 치오 베르텔리는 볼로냐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한 뒤 아레초(Arezzo)에서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
었다. 70년대 후반에 맺어진 미우치아 프라다와 파
트리치오 베르텔리의 협력 관계는 미우치아의 창의 적인 시각과 파트리치오의 앞선 기업가적 리더십을 통해 프라다의 새로운 역사를 열었다.
선구자적 정신을 꾸준히 이어가는 프라다는 혁신
적인 건축가들과의 협력으로 쇼핑 공간 디자인의 새 로운 흐름을 창출해낸 최초의 럭셔리 브랜드 중 하 나다. 지난 2000년 프라다는 프리츠커 상(Pritzker
으로 표현한다.
Prada — OMA/AMO
In 1999, Prada approached Office for Metropolitan Architecture (OMA) to design a series of stores in the United States. These experimental “Epicenters” were conceived as dynamic new environments to enhance the appeal of the Prada brand. While OMA worked to design the Epicenter architecture, its creative think-tank, AMO, developed a comprehensive content plan to innovate and enrich the shopping experience. Employing their trademark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dynamic research approach, AMO continues to work with Prada to develop strategic plans and reinvent identity. Their focus is on conveying the essence of Prada through non-traditional forms of communication and influence. Over the past ten years, AMO has developed an integrated service model that enables Prada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luxury and exclusivity while reinforcing the diverse and idiosyncratic aura of the brand. Prada and OMA/ AMO collaborations
include: in-store technologies, a series of experiential and service-oriented features designed to enhance the function and aura of the Prada Epicenters; prada.com, a content driven web site that delivers both sophisticated content and a innovative brand image; the environments and documentation for many catwalk fashion shows; and the concept and design for a new permanent exhibition space for the Fondazione Prada in Milan.
프 라 다 — OMA
프라다는 지난 1999년 미국에 새로운 컨셉트의 매
과 영향력으로 프라다의 정수를 알리는 노력을 하고
Metropolitan Architecture)와 교섭을 시작했다. 에피센터(Epicenter)라는 이름을 가진 이 매장들은
익스클루시비티(exclusivity)라는 개념을 탐구하고
장들을 세우고자 하는 목적으로 OMA(Office for
있다. 지난 10년 동안 AMO는 프라다가 럭셔리와 브랜드가 가진 다양하고 특유한 오라(aura)를 강화
프라다라는 브랜드가 가진 매력을 향상시킬 새로운
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 모델을 개발했다.
환경으로 제안되었다. OMA가 에피센터의 건축을
는 쇼핑이라는 행위를 혁신하고 좀더 풍요로운 경험
된 실험적 서비스 기능인 인-스토어 테크놀로지(in-
프라다와 OMA/AMO와의 협력 관계는 프라다
구상하는 동안, OMA의 아이디어 발전소인 AMO
에피센터의 역할과 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자인
으로 변화시키려는 목적 아래 에피센터의 콘텐츠를
store technology), 뛰어난 콘텐츠와 혁신적인 브랜
개발했다.
드 이미지를 제공하는 콘텐츠 중심 웹사이트, 패션쇼
AMO는 다양한 분야를 가로지르는 특유의 접근
장 디자인과 패션쇼 기록 자료, 밀라노에 위치한 미
께 브랜드의 전략적 계획과 아이덴티티 재개발을 끊
새로운 영구 전시공간의 컨셉트와 디자인 등을 포함
임없이 추진하고 있다. 또한, 종래와 다른 전달방식
하고 있다.
법과 다이나믹한 연구방식을 구사하며, 프라다와 함
술재단 폰다치오네 프라다(Fondazione Prada)의
PRADA TRANSFORMER
Architecture OMA (Office for Metro- politan Architecture)/ Rem Koolhaas PRADA Patrizio Bertelli Miuccia Prada
Renato Bodi Kathleen Box Angelica Brancoli Simona Chiappa Johnny Choo Sergio Danese Ivan Deleidi Franco Desci Luca Donati Tomaso Galli Eleonora Goia Jan Kennedy Reese Kim June Lee Marco Previtali Francesca Reali Alessandra Rodolfo Massimo Salimbeni Federica Salmerigo Andrea Scapecchi Daniele Scapecchi Sebastian Suhl Claudio Tonioli Verde Visconti Younghee Yang Silvia Yoon Paola Zancanaro
EXHIBITION
Architecture & Construction
Waist Down— Skirts by Miuccia Prada
OMA Partners Rem Koolhaas Ellen van Loon
Design and Curation AMO
Associates Kunle Adeyemi Kees van Casteren Chris van Duijn Design Architect A lexander Reichert with Hyoeun Kim Yerin Kang Vincent Mc Ilduff David Moon Mariano Sagasta Claudia Romao Eva Dietrich Alex de Jong Wayne Congar Miguel Huelga de la Fuente Gustavo Paternina- Soberon Namjoo Kim SL + A (Steven Leach and Associates) Jonathan Kim Mark Sang Eunmin S&D Byungho Cho Junghun Ahn Munjong Park Hyunduck Lee Byungwook Cho Cocoon Holland BV Alexander van der Zee Nic Mol Simon van de Pol George van Coezand Rob van Coezand Jed Lee Jan Langeraar Rob de Nijs Richard Witte Lighting Arnold Chan Site Management Laurence Geoffrey’s, Ltd.: Laurencina Farrant
Design and Visual Contents Shohei Shigematsu Ippolito Pestellini Laparelli Andreas Kofler Shabnam Hosseini Rob Daurio Wynn Chandra
Korean Student Exercise
Coordinator in Korea Hyoeun Kim
Identity and Editorial Design 2x4, New York: Yoonjai Choi Sungjoong Kim Jonathan Lee Michael Rock
Photography Woojin Park
Korean Translation Charles C. d. Kang
Faculty at Eight Schools:
English Proofreading Samuel Stewart- Halevy Caroline Gambell
Direction AMO
ongduk Women’s D University: Hyonsook Choy, Curation Kayoko Ota Professor (Chairperson of Fashion Design Major, College of Design) Press Office Ewha Womans University: Stephan Petermann Heayeon Kim, Sunhee Park and Junghae Kim, Installation and Professors (Dept. of Construction Fashion Design, College Gruppo Masserdotti Spa of Art and Design) Move Srl HongIk University: Eunmin S&D Hosup Kan and Kisook Ishimaru Co., Ltd. Geum, Professors Maarten de Meester Flocktechniek NL (Dept. of Textile Art and Fashion Design, College of Fine Art) Konkuk University: Hyunjin Ko, Assistant Professor (Dept. of Apparel Desig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Unoc Min, Professor (School of Drama) 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Myungok Lee, Jackie Kim, Sukhee Ko and Juhee Park, Professors (Fashion Design Dept.) Sejong University: Jaeyoon Chung, Professor (Head of Fashion Design Dept.) and Youngsun Yoo, Stylist Seoul National University: Jisoo Ha, Associate Professor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Printing & Binding Haingraph Co., Ltd. Seoul Financial & Technical Support LG Electronics Hyundai Motor Co. Red Resource Inc.
UPS Visit Korea Committee Special thanks to the City of Seoul, Jongno-gu and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www.pradatransformer.co.kr © Prada Spa, 2009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this book may be copied in any form, or transmitted by any electronic, mechanical or other means, without the contributors’ and publisher’s permission. All photo and text rights are held by Prada Spa, Milan.
www.prada-transform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