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신학
고전적 삼위일체와 관계적 삼위일체는 어떻게 다른가?
시리즈 15
비교신학 시리즈 15
비교신학 시리즈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01 기적의 은사는 오늘날에도 있는가 : 네 가지 관점 Are Miraculous Gifts for Today? 리처드 개핀 외 3인 공저 | 이용중 옮김 | 472쪽 | 값 20,000원
02 교회 성장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 다섯 가지 관점 Evaluating the Church Growth Movement 엘머 타운즈 외 4인 공저 | 김석원 옮김 | 376쪽 | 값 16,000원
03 복음을 듣지 못한 사람 어떻게 되는가 : 세 가지 관점 What About Those Who Have Never Heard? 로널드 내쉬 외 2인 공저 | 박승민 옮김 | 240쪽 | 값 11,000원
04 성화란 무엇인가 : 다섯 가지 관점 Christian Spirituality 싱클레어 퍼거슨 외 4인 공저 | 이미선 옮김 | 304쪽 | 값 14,000원
05 이혼 후의 재혼 어떻게 볼 것인가 : 세 가지 관점 Remarriage After Divorce in Today’s Church
06 성령세례란 무엇인가 : 다섯 가지 관점 Perspectives on Spirit Baptism 윌터 카이저 외 4인 공저 | 이선숙 옮김 | 504쪽 | 값 22,000원
07 선택이란 무엇인가 : 다섯 가지 관점 Perspectives on Election 브루스 웨어 외 4인 공저 | 박승민 옮김 | 600쪽 | 값 25,000원
인간 지성이 이해하려는 시도다. 동일본질인 세 위격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두 가지 관점 즉 고전적 관점과 관계적 관점을 제시하며 한 관점에 대해 각각 두 학자가 자신의 견해를 펼친다.
08 한번 받은 구원 영원한가 : 네 가지 관점
V i e w s
o n
t h e
존 파인버그 외 3인 공저 | 이미선 옮김 | 272쪽 | 값 12,000원
10 성경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네 가지 관점 Four Views on Moving Beyond the Bible to Theology
In Search of the Soul
12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 세 가지 관점 Three Views on the Millennium and Beyond 케네스 젠트리 주니어 외 2인 공저 | 박승민 옮김 | 448쪽 | 값 20,000원
13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 다섯 가지 관점
옮김
스튜어트 괴츠 외 3인 공저 | 윤석인 옮김 | 368쪽 | 값 16,000원
외 3인 공저
11 몸과 마음 어떤 관계인가 : 네 가지 관점
임원주
윈터 카이저 외 3인 공저 | 윤석인 옮김 | 512쪽 | 값 22,000원
고전적 삼위일체 관점은 4세기 공의회 의 신조들을 토대로 이 교리를 진술하려는 시도다 . 스티븐 홈즈가 옹호하는 복음주의 관점은 삼위일체 교리를 하나님과 교회 예배에 대한 초대교회의 행습과 교리의 이후 발전에 대해 성경이 말한 것을 이해하 게 하는 일련의 개념적 특징들로 파악한다. 삼위에 대해서 는 신적 생명 안에 논리적으로 질서가 잡힌 두 개의 발생 또는 관계인 낳음과 나옴을 본다. 반면에 폴 몰나르 가 옹호하는 가톨릭 관점은 성령이 성자를 통해 성부로부터 발현한다는 ‘페리코레시스 ’(상호침투, 상호내주)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출생과 발출을
스티븐 홈즈
Predestination & Free Will
o f
t h e
T r i n i t y
현재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세인트메리 대학의 교수며 침례교 목사다.
스티븐 홈즈
케임브리지 대학교(BA), 런던 스펄전 대학(MTh), 런던의 킹스 칼리지
복음주의 관점
(PhD)에서 공부했다.
폴 몰나르 가톨릭 관점
급진적 관점
학교(BA), 세인트존스 대학교(MA), 포드햄 대학교(PhD)에서 공부했다.
4
토머스 맥콜 ( Thomas H. McCall ) 현재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성경신학 및 조직신학 분야의 교 수다. 홉스사운드 성경대학(BA), 웨슬리 성경신학교(MA), 칼빈 신학교 (PhD)에서 공부했다.
토머스 맥콜 신조적 관점
삼위일체에 대한 네 가지 관점
Understanding Spiritual Warfare 월터 윙크 외 4인 공저 | 한화룡 옮김 | 352쪽 | 값 16,000원
www.rnrbook.com 값 15,000원
다. 세인트피터스 대학(BA), 옥스퍼드 대학(PhD)에서 공부했으며 영국 침례교 연맹의 목사다.
옮김
임원주 안양 성결교 신학교와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에서 공부했고(MDiv, ThM) 교회사와 교리사를 강의했다. 평택과 서울에서 담임 목회 사역을 했고 개
는 『아더 핑크의 하나님의 주권』(예루살렘)과 스티븐 차녹의 『하나님을 아 는 지식 1, 2』, 토머스 굿윈의 『믿음의 본질』(이상 부흥과개혁사) 등 다수 가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삼위일체 관점들을 제시함으로써 삼위일체에 ISBN 978-89-6092-452-9 ISBN 978-89-6092-126-9(세트)
현재 옥스퍼드 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며 리젠트파크 대학 연구소장이
『순수교회의 회복』(누가), 『종교권력을 버려라』(가나다) 등이 있고, 역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다. 이를 위해 오늘날 삼위일체 교리를 선도
14 영적 전쟁 어떻게 할 것인가 : 네 가지 관점
폴 피데스 ( Paul S. Fiddes )
혁주의 신학과 특수 침례교회 전통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에는
를 항상 믿어 왔지만 교단과 시대에 따라 이해가 다양했다. 이 책은
에릭 존슨 외 7인 공저 | 김찬영 옮김 | 480쪽 | 값 20,000원
폴 몰나르 ( Paul D. Molnar ) 현재 뉴욕 세인트존스 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다. 커시드럴(Cathedral) 대
신비며 기독교 신앙과 교리의 중심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이 교리
Psychology & Christianity
교(PhD)에서 공부했다.
공저
삼위일체 교리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없을까? 삼위일체는
이해한다.
현재 로스엔젤레스의 남가주 대학교에서 종교 및 시민문화 센터의 연구원
스티븐 홈즈 ( Stephen R. Holmes )
마이클 호튼 외 3인 공저 | 이한상 옮김 | 432쪽 | 값 18,000원
를 진술 관계를 중심으로 이 교리 관계적 삼위일체 관점은 은 관점 적 신조 하는 옹호 이 하려는 시도다. 토머스 맥콜 된 것”으로 내재 로 적으 공통 들에 위격들을 “‘나 - 너’ 관계 주해 분석철학적 해석과 성경 이해한다. 맥콜은 정밀한 파악 들로 실재 로 존재하는 를 통해 위격들을 필연적으 급진적 관점은 삼위일체 한다. 폴 피데스가 옹호하는 본다. 피데스는 일관되 체로 를 관계들로 구성된 공동 관계의 유비를 사용하여 게 체험에 초점을 맞추고 하지만 위격적 실재에 삼위일체를 이해하려고 시도 에 입을 다물어야 대해서는 불가형언하기 때문 한다고 말한다.
D o c t r i n e
스티븐 홈즈 외 3인 공저 | 임원주 옮김
Eternal Security
09 예정과 자유 의지 : 네 가지 관점
제이슨 섹스턴 ( Jason S. Sexton ) 이고, 마스터스 대학(BA) 및 신학교(MDiv, ThM), 세인트앤드루스 대학
T w o
폴 피데스
삼위일체 교리는 셋이면서 하나인 하나님을
Tw o Vi e w s o n t h e D o c t r i n e o f t h e Tr i n i t y
고든 웬햄 외 2인 공저 | 이영란 옮김 | 200쪽 | 값 10,000원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편집
하는 네 명의 선구적인 신학자가 자신의 관점을 제시하고 강조한다.
목차
■ 발제자 약력
6
■ 약자
9
서론
10
제이슨 섹스턴
1장
고전적 삼위일체: 복음주의 관점
25
스티븐 홈즈
2장
고전적 삼위일체: 가톨릭 관점 폴 몰나르
4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89
Two V i ews on t h e D o c t r i n e o f t h e Tr i n i t y
3장
관계적 삼위일체: 신조적 관점
151
토머스 맥콜
4장
관계적 삼위일체: 급진적 관점
215
폴 피데스
283
결론 제이슨 섹스턴
■ 부록: 용어 해설
297
| |
5
발제자 약력
스티븐 홈즈 ( Stephen R. Holmes )
영국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세인트메리 대학의 부교수며 침례 교 목사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 BA ), 런던 스펄전 대학 ( MTh ), 런던 킹 스 칼리지 ( PhD ) 에서 공부했다. 현재 조직신학 국제저널 (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 ) 의
편집인이며 저서로 『은혜와 하나님의
영광: 조나단 에드워즈의 삶과 신학』 ( Grace and God of Glory: An Account of the Theology of Jonathan Edwards ),
『과거의 듣기: 신학에서 전통의 자
리』 ( Listening to the Past: The Place of Tradition in Theology ), 『삼위일체 교리의 탐구와 성경, 역사, 현대성에 나타난 신론』 ( The Doctrine of God in Scripture, History and Modernity ) 이
Quest for the Trinity: The
있다.
폴 몰나르 ( Paul D. Molnar )
미국 뉴욕 세인트존스 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며 가톨릭 신학자 다. 커시드럴 ( Cathedral ) 대학교 ( BA ), 세인트존스 대학교 ( MA ), 포드햄 대학교 ( PhD, 현대 조직신학 전공 ) 에서 공부했다. 현재 피터랭 ( Peter Lang ) 출 판사 조직신학 분야의 편집장이며 북미 칼바르트 서신협회 ( Karl Barth Society of North America Newsletter ) 의
6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편집인이며 토랜스 신학 펠로우쉽의
전직 회장이자 일반 회원이며 스코틀랜드 신학저널 (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 의
편집 자문이다. 저서로 『하나님의 자유하심과 내재적 삼
위일체 교리』 ( Divine Freedom and the Doctrine of the Immanent Trinity ), 『성육신 과 부활에 대한 현대의 이해』 ( Incarnation Contemporary Understanding ),
and Resurrection: Toward a
『삼위일체 신학자 토머스 토랜스』 ( Thomas F.
Torrance: Theologian of the Trinity ) 가
있다.
토머스 맥콜 ( Thomas H. McCall )
미국 일리노이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성경신학 및 조직 신학 분야의 부교수며 칼헨리신학 연구소장 ( Carl Theological Understanding ) 이다.
F. H. Henry Center for
홉스사운드 성경대학 ( BA ), 웨슬리 성경신
학교 ( MA ), 칼빈 신학교 ( PhD ) 에서 공부했다. 현재 철학 신학 삼위일 체 저널 (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Essays on the Trinity ) 에서
마이클 레
아 ( Michael C. Rea ) 와 공동 편집인으로 섬기고 있고 이 저널에 글을 기 고하고 있다. 은혜의 신학자 아르미니우스 협회 ( Jacob Theologian of Grace ) 에서
Arminius:
키이스 스탕린 ( Keith D. Stanglin ) 과 공동 편집인으
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 『삼위일체인가 유일신론인가? 삼위일체 신 학의 형이상학에 대한 철학자와 조직신학자의 견해』 ( Which
Trinity?
Whose Monotheism? Philosophical and Systematic Theologians on the Metaphysics of Trinitarian Theology ),
『잊혀진 삼위일체와 십자가, 왜 중요한가』 ( Trinity and
the Cross, and Why It Matters ) 가
있다.
폴 피데스 ( Paul S. Fiddes )
옥스퍼드 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며 리젠트파크 대학 연구소장 이다. 1989~2007년에는 이 대학의 학장으로 봉직했다. 세인트피 터스 대학에서 신학과 영문학을 복수 전공하여 두 전공 모두 수석
발제자 약력 |
7
으로 졸업했으며 영국 침례교 연맹에서 목사로 안수받기 위해 공 부하는 동안 옥스퍼드 대학에서 박사 학위 ( PhD ) 를 받았다. 튀빙겐 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친 후 리젠트파크로 돌아와 교리 분 야의 펠로우와 강사로 일했으며 이때 세인트피터스 대학에서도 가 르쳤다. 저서로 『하나님의 창조적인 고난』 ( The Creative Suffering of God ), 『과거의 사건과 현재의 구원: 기독교적 속죄 개념』 ( Past Present Salvation: The Christian Idea of Atonement ),
Event and
『자유와 속박: 문학과 기독
교 교리와의 대화』 ( Freedom and Limit: A Dialogue Between Literature and Christian Doctrine ) ,
『약속된 목적: 신학과 문학의 종말론』 ( The
Eschatology in Theology and Literature ),
Promised End:
『하나님에 참여함과 목회적 삼위일
체 교리』 ( Participating in God: A Pastoral Doctrine of the Trinity ), 『세계를 보고 하 나님을 알다: 현대 말기 문맥에서의 히브리 지혜와 기독교 교 리』 ( Seeing
the World and Knowing God: Hebrew Wisdom and Christian Doctrine in a
Late-Modern Context ) 가
있다.
제이슨 섹스턴 ( Jason S. Sexton )
미국 로스엔젤레스의 남가주 대학교에서 종교 및 시민문화 센터 의 부연구원이다. 마스터스 대학 ( BA ), 마스터스 신학교 ( MDiv,
ThM ),
영국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 PhD ) 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런던 오크 힐 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리들 리홀과 캘리포니아 골든게이트 침례신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쳤다. 『스탠리 그렌츠의 삼위일체 신학』 ( The Grenz ) 을
Trinitarian Theology of Stanley J.
저술했고 데렉 팃볼 ( Derek J. Tidball ) 과 브라이언 해리스 ( Brian
S. Harris ) 와
함께 『스탠리 그렌츠를 추모하면서 삼위일체 중심을 재
방문, 재회복, 재발견함』 ( Revisioning, Renewing, Rediscovering the Triune Center: Essays in Honor of Stanley J. Grenz ) 을
8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저술했다.
약자
ANF
Ante-Nicene Fathers
CD
Church Dogmatics, by Karl Barth
CT
Christianity Today
HeyJ
Heythrop Journal
IJST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
ITQ
Irish Theological Quarterly
JEH
Journal of Ecclesiastical History
JRT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JST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MT
Modern Theology
MwJT
Midwestern Journal of Theology
NPNF 2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2
PG
Patrologia graeca
PL
Patrologia latina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T
Summa Theologiae, by Thomas Aquinas
약자 |
9
| 서론 | 제이슨 섹스턴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신앙과 그 명확한 진술의 선두요 중심이 다. 그리스도인들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항상 믿었으나 삼위일체 교리를 항상 획일적으로 고백한 것은 아니었다. 초대교회 당시의 논쟁들은 이런 현실을 반영했는데, 히브리 사고방식과 그리스 사 고방식은 서로 다른 개념들을 활용하여 삼위일체를 이해했다. 이 후 동서 교회의 명백한 관심사는 초기 공의회의 논쟁들을 통해 얻 어진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이해에 명료성을 더하려는 것이었다. 머잖아 삼위일체 교리는 어느 정도 견고해졌지만 이후 삼위일체 교리가 대두되고 다뤄진 것은 중세와 스콜라 시대 등 몇몇 경우들 을 제외하면 거의 없다. 최근까지는 말이다. 이 책은, 복음주의 내부에서든 더 넓은 기독교 전통 내부에서든, 삼위일체 교리가 일관적으로 이해되거나 활용되지 않는다고 느낀 복음주의 신학 내부의 최근 인식의 결과다. 삼위일체 교리의 구조에 대한 탐구는 2천 년 동안 대부분 비교적 조용했지만 지난 30년에
10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걸쳐 점차 뜨거워지고 있다. 건설적인 노력이, 특히 영어권 신학에 서 계속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길고 치밀한 논 문들을 통해 견해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신 자들은 삼위일체 교리가 기독교의 신앙과 행습에 얼마나 중요한지 질문한다. 하지만 이 문제를 다루기 전에 먼저 어떤 삼위일체 모형 이 논의되고 있고 중요한지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로 이것이 이 책의 취지다. 즉 이 책의 목적은 삼위일체에 대한 여러 논의들을 깨끗이 정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오늘날 삼위일 체 교리의 명확한 진술을 과업으로 수행하는 네 명의 선구적인 신 학자가 삼위일체를 이해하는 최선의 방법을 이 책에서 명료하게 설명할 것이다.
토론의 배경 삼위일체 교리는 오랫동안 잊혔었다. 삼위일체 교리를 묵상하기 보다는 대체로 당연한 것으로 가정해 왔으며 최근 역사에서 변증 의 목적을 위해 이 교리를 활용한 것이 전부였다. 그러다가 이제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신앙고백의 중심에 다시 등장했다. 이 등 장은 20세기에 광범위하게 인지된 삼위일체 교리의 부흥을 뒤따른 것이다. 이 부흥은 대체로 스위스 신학자 칼 바르트 ( Karl Barth ) 가 주 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정된다. 바르트의 글은 지난 60년 동안 삼위일체 교리를 주목하게 만든 배경과 촉매였다. 그런데 20세기 후반에 다른 종류의 삼위일체 신학이 등장하고 발전했다. 이를 이 책은 넓은 의미로 “관계적 삼위일체”로 부를 예정이다. 관계적 삼위일체는 흔히 “사회적 삼위일체”( social Trinity ) 라는 유감 스러운 용어로 불리기도 하지만, 이 책은 더 넓은 개념을 담기에
서론 |
11
적절한 “관계적 삼위일체”라는 용어를 택한다. 이렇게 함으로 우리 는 인간적이고 사회 정치적 관심사에 깊이 기초한 “사회적” 모형 으로부터 관계적 모형을 적절하게 떨어뜨려 놓을 수 있다. 위르겐 몰트만 ( Jurgen Moltmann ) 은 “사회적 삼위일체”라는 개념을 구사한 최 초의 신학자였는데, 하나님과 세상사를 동일시할 뿐 아니라 밀접 하게 결부함으로 세상의 근본 관심사를 제시하기 위해서였다. 1 ) 이 후 레오나르도 보프 ( Leonardo Boff ) 같은 해방신학자들과 여성신학자 캐서린 라쿠나 ( Catherine
Mowry LaCugna ) 가
몰트만의 사상을 발전시켰
으며 그 결과 인간 사회의 정황들 때문에 일어나는 문제들에 기반 을 둔 신론이 생겨났다. 2 ) 이것을 미로슬라프 볼프 ( Miroslav Volf ) 3 ), 밀 라드 에릭슨 ( Millard Erickson ) 과 존 프랭크 ( John Franke ) 같은 복음주의자 들이 어느 정도 발전시켰다. 몰트만과 보프의 마르크스주의적 관심사에 매우 불편해했던 볼 프하르트 판넨베르크 ( Wolfhart
Pannenberg ) 는
자신의 미래주의적 신학
과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에 입각한 관계적 삼위일체론의 초기 모형을 개발했다. 4 ) 이 모형을 스탠리 그랜츠 ( Stanley Grenz ) 같은 복음 주의자들은 더 성장시켰으며 5 ) 데이비드 커닝햄 ( David Cunningham ) 과 1 ) Juœrgen Moltmann, The Trinity and the Kingdom of God: The Doctrine of God (trans.
Margaret Kohl; Minneapolis: Fortress, 1981), p. 19. 2 ) Leonardo Boff, Trinity and Society (trans. Paul Burns; Maryknoll, NY: Orbis, 1988);
Catherine Mowry LaCugna, God for Us: The Trinity and the Christian Life (San Francisco: HarperSanFrancisco, 1991)를 보라. 3 ) Miroslav Volf, “‘The Trinity Is Our Social Program’: The Doctrine of the Trinity and the
Shape of Social Engagement,” MT 14 (1998): pp. 403~423. 4 ) Wolfhart Pannenberg, Systematic Theology (3 vols.; Grand Rapids: Eerdmans, pp.
1991~1998). 5 ) 대작인 Stanley J. Grenz, The Social God and the Relational Self: A Trinitarian Theology
of the Imago Dei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2001)의 서두를 보라. 유행하는 삼 위일체 모형의 활용을 반박하는 논증을 찾는다면, Jason S. Sexton, The Trinitarian
Theology of Stanley J. Grenz (New York: T&T Clark, 2013), chs. 4 and 5를 보라.
12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폴 피데스 ( Paul
Fiddes ) 는
더 나아가 혁신적인 관계적 삼위일체론들
을 제안했다. 6 ) 이외에도 관계적 삼위일체에 속하는 모형들이 교부 문헌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들을 통해 도출되었다. 존 지지울라 스 ( John
Zizioulas ) 7 ) 와
그를 추종하면서 서방의 삼위일체론을 비판한
콜린 건턴 ( Colin Gunton ) 8 ) 의 모형이 이에 해당된다. 삼위일체 교리를 조직신학의 중심에 명확하게 재배치했던 바르트 위에 관계적 모형 들을 발전시킨 신학자들이 있다.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 ( Hans Urs von Balthasar ), Torrance ), 9 )
토머스 토랜스 ( Thomas
Torrance ) 와
제임스 토랜스 ( James
로버트 젠슨 ( Robert Jenson ) 이 바로 그들이며, 아마도 틀림
없이 엘리자베스 존슨 ( Elizabeth Johnson ) 10 ) 도 여기에 속할 것이다. 분 석철학자들과 철학적 신학자들 또한 관계적 모형에 속하는 삼위일 체론을 제안했다. 리처드 스윈번 ( Richard Swinburne ), 코넬리우스 플란 팅가 ( Cornelius Plantinga ), 데이비드 브라운 ( David Brown ), 밀라드 에릭슨, 앨런 토랜스 ( Alan Torrance ), 토머스 맥콜 ( Thomas McCall ) 이 제시한 모형 들이 여기에 속한다. 11 ) 6 ) David S. Cunningham, These Three Are One: The Practice of Trinitarian Theology
(Grand Rapids: Baker, 1998); Paul S. Fiddes, Participating in God: A Pastoral Doctrine
of the Trinity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2000). 7 ) John D. Zizioulas, Being as Communion: Studies in Personhood and the Church
(Crestwood, NY: St Vladimir’s Seminary Press, 1985). 8 ) Colin E. Gunton, The One, the Three and the Many: God, Creation and the Culture of
Modernity: The 1992 Bampton Lectur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9 ) Thomas F. Torrance,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One Being Three Persons
(Edinburgh: T&T Clark, 1996); James B. Torrance, Worship, Community and the
Triune God of Grace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1996)을 보라. 10 ) Elizabeth A. Johnson, She Who Is: The Mystery of God in 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New York: Crossroad, 1993). 존슨이 칼 바르트로부터 상당히 벗어났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Cherith Fee Nordling, Knowing God by Name: A Conversation
between Elizabeth A. Johnson and Karl Barth (New York: Peter Lang, 2010)을 보라. 11 ) Cornelius Plantinga Jr., “Social Trinity and Tritheism,” in Trinity, Incarnation, and
서론 |
13
이 혁신적인 제안들은 하나님의 단순성, 초월성, 불가형언 성 ( ineffability ), 경직된 동서 분리의 거절, 관계적 존재론에 대한 과민 반응 등 같은 이론들로 가득 찬 고전적인 삼위일체론 주창자들의 반 동과 반응을 꾸준히 그리고 점점 더 많이 이끌어 냈다. 이런 반동 가 운데 일부는 교부 문헌에 대한 세심한 해석을 통해 수행되었다. 특 히 미셸 반스 ( Michel
Barnes ) 와
루이스 에이레스 ( Lewis
Ayres ) 는
아우구
스티누스 문헌에 기초한 반응을 내놓았고 12 ) 칼레드 아나톨리오 스 ( Khaled Anatolios ) 와 사라 코클리 ( Sarah Coakley ) 는 니케아 교부들과 갑 바도기아 교부들의 문헌을 철저히 해석했는데 13 ) 결과적으로 이들 은 초기 삼위일체론의 발전에 대해 훨씬 일관된 해석을 제시하면 서 관계적 삼위일체론에 대해 거센 비판을 가했다. 복음주의 신학 자 키이스 존슨 ( Keith
E. Johnson ) 과
브래드 그린 ( Brad
Green ) 은
건턴을
위시한 여러 사람들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술들을 아우구스티누스 가 지지하지 않는 방향으로 해석하고 임의로 활용하는 것에 완강히 반응했다. 반면에 고유한 신학에서의 관계적 전환은 폴 몰나르 ( Paul Molnar ) 와
캐런 킬비 ( Karen
Kilby )
같은 가톨릭 신학자들의 날카로운
Atonement: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Essays (ed. Ronald J. Feenstra and Cornelius Plantinga Jr.; Notre Dam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9), pp. 21~47; David Brown, The Divine Trinity (London: Duckworth, 1985); Millard J. Erickson, God in Three Persons (Grand Rapids: Baker, 1995); Alan J. Torrance,
Persons in Communion: An Essay on Trinitarian Description and Human Participation (Edinburgh: T&T Clark, 1996); Thomas H. McCall, Which Trinity? Whose
Monotheism? Philosophical and Systematic Theologians on the Metaphysics of Trinitarian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2010). 12 ) Lewis Ayres, Nicaea and Its Legacy: An Approach to Fourth-Century Trinitarian
The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idem, Augustine and the Trin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3 ) Khaled Anatolios, Retrieving Nicaea: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Trinitarian
Doctrine (Grand Rapids: Baker, 2011); Sarah Coakley, “Re-Thinking Gregory of Nyssa: Introduction? Gender, Trinitarian Analogies, and the Pedagogy of the Song,”
MT 18 (2002): pp. 431~443. 그리고 이 논점을 다룬 논고들도 보라.
14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비판에 의해 최고로 반박을 받았다. 14 ) 삼위일체 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여러 인물들은 몰나르와 킬비를 거들었다. 존 웹 스터 ( John
Webster ),
Vanhoozer ),
프레드 샌더스 ( Fred
조지 헌싱어 ( George
Hunsinger ),
Sanders ) 가
케빈 밴후저 ( Kevin
바로 그들이며 스티븐 홈
즈 ( Stephen R. Holmes ) 의 예리한 저술 역시 일조했다. 15 )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이 미치는 범위는 기독교 전통 전체를 아우 를 정도로 넓은데, 심지어 이 교리의 결핍으로 특히 이름난 현대 복음주의에도 이 신학이 영향을 미쳤다. 물론 혼란은 여전하다. 또 한 전통들이 삼위일체 교리를 표현함에 있어 더 정확해지고 있고 그런 전통에 속하는 현 세대와 다음 세대의 신자들이 더 명확하고 견고한 삼위일체 신앙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삼위일체 신학의 앞길은 이 책이 언급하는 고전적이고 관계적인 관점을 반드시 고 려해야 한다. 각각의 관점은 세상의 소망으로 기독교 신앙의 본질 을 제시하려 애쓰기 때문에 교회의 주목을 끄는 생명력 있는 대안 들을 함께 제공한다. 삼위일체 교리를 가장 잘 이해하는 방법과 삼위일체 교리와 사역 사이의 관련성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을 파악하려 애쓰는 신학 생들과 현장 사역자들이 목회적 논의들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에 삼위일체 교리는 최근에 훨씬 더 큰 주목을 받아 왔으며 이 사실은 14 ) Paul D. Molnar, Divine Freedom and the Doctrine of Immanent Trinity: In Dialogue
with Karl Barth and Contemporary Theology (Edinburgh: T&T Clark, 2002); Karen Kilby, “Perichoresis and Projection: Problems with Social Doctrines of the Trinity,”
New Blackfriars 81 (2000): pp. 432~445. 15 ) 예를 들면 Kevin J. Vanhoozer, Remythologizing Theology: Divine Action, Passion, and
Authorship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Fred Sanders, The Deep Things of God: How the Trinity Changes Everything (Wheaton, IL: Crossway, 2010); and Stephen R. Holmes, The Quest for the Trinity: The Doctrine of God in Scripture,
History and Modernity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12); in the UK: The Holy Trinity: Understanding God’s Life (Milton Keynes: Paternoster, 2012)을 보라.
서론 |
15
다양한 기독교 전통들이 출간한 책자들로 입증된다. 여기에는 삼 위일체 교리를 다루는 논문들, 참고 문헌들, 대중 서적들이 포함된 다. 삼위일체 교리를 이해하려는 출판물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삼위일체 모형들이 각별한 중요성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어 밝은 조명을 받은 경우는 거의 없었으나 이 모형들은 삼위일체론들 사 이에 있는 중요한 차이점들을 밝힌다. 이 책은 복음주의 전통 내의 대표적인 관점 하나와 가톨릭 혹은 주류 개신교 전통 내의 관점 하 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는 주요 신학자들을 열거한다. 각각의 발제자는 자신이 옹호하는 관점의 핵심과 자신의 관점이 왜 삼위 일체 교리를 가장 잘 이해하게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이 논쟁은 복음주의 진영에서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서방 전 통에서 벌어진 논쟁이며, 동방 전통도 점점 이 논쟁에 빠져들고 있 다. 실제로 복음주의의 삼위일체론은 다른 분파들에 비해 덜 명시 적 ( explicit ) 이었는데, 이 사실은 프레드 샌더스로 하여금 그의 최근 저 술에서 복음주의가 “암묵적으로 삼위일체적”이라고 주장하게 했다.
두 관점 이 책이 제시하는 관점들은 일반적으로 진술되고 전통적으로 보 존된 것들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 관점들은 네 개의 판명한 관점들 로 볼 수 있고, 또한 다른 의미에서 네 관점들 모두는 옛 문헌들로 부터 도출되기 때문에 고전적이라고 볼 수 있고, 하나님의 생명 속 에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관계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중 요한 의미에서 즉 여기에 제시된 관점들의 특징들이 언제나 동일 한 정도의 확신으로 견지된 것은 아니었으며 관점들의 제시가 견 실하기는 하지만 포괄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관점들은
16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여전히 형성 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삼위일체 신학 에서 오늘날 가장 크게 존경받는 사상가들 중에 네 사람을 초청해 서 이 책에서 일반적으로 표현된 두 관점을 설명하게 했다.
고전적 삼위일체론 고전적 관점은 전통적인 삼위일체론이 무엇을 의미하며 관계적 삼위일체론과 어떻게, 왜 다른지 설명한다. 이 책은 고전적인 삼위 일체론에 고유한 주요 특징들 즉 관계적 삼위일체론에서 닮은 점 을 찾을 수 없는 특징들을 제시하는 두 편의 논고를 통해 전통적 삼위일체론을 이해하려 한다. 이 두 논고는 고전적 삼위일체 신학 의 본질적인 특색들을 조명한다. 복음주의 신학자 한 사람과 가톨 릭 신학자 한 사람이 이 관점을 제시한다. 이들은 자신들의 모형들 과 접근 방식들 사이에 있는 유사점과 차이점 특히 이 교리의 진술 을 위해 사용한 자료에 대해 강조한다. 스티븐 홈즈는 우리 시대에 관계적 삼위일체론으로 유명했던 고 콜린 건턴의 지도로 런던 킹스 칼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복 음주의적인 침례교 신학자다. 홈즈가 킹스 칼리지에서 수학할 때 지지울라스가 방문 교수로 있었고 앨런 토랜스와 머리 레이 ( Murray Rae ) 가
교수로 재직하고 있었기 때문에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상상
력 넘치는 사고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었다. 하지만 건턴과 함 께 신학을 가르치고 나중에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에서 가르치면서 홈즈는 세상에 알려진 많은 것들이 전통을 전혀 닮지 않은 혁신들 이라는 사실을 확신하게 됐다. 이 확신은 그가 2012년에 출간한 『삼 위일체 교리의 탐구와 성경, 역사, 현대성에 나타난 신론』을 통해 “삼위일체 논쟁에 대한 획기적인 기여”를 하기에 앞서 그의 각종 저술들과 조직신학 국제저널의 편집인으로서의 경력에 나타나기
서론 |
17
시작했다. 16 ) 가톨릭 신학자 몰나르는 포드햄 대학에서 라쿠나와 함께 박사 학 위를 취득하기 전에 목회자 훈련을 받았다. 피터랭 출판사의 『조직 신학 논총』 시리즈의 편집장인 몰나르는 현대의 신학적 전망에 대 해 예리한 눈을 가지고 있다. 2002년에 출간된 몰나르의 저서 『바 르트와 현대 신학에 나타난 하나님의 자유하심과 내재적 삼위일체 교리』는 삼위일체 신학에 크게 기여했다. 홈즈의 역작이 출현하기 10년 전에 몰나르는 이 책을 통해 “추상적인 관계성의 원리나 역사 적 경험의 우월성을 중심으로 구축된 삼위일체 교리로부터 방향을 바꿔 삼위일체 하나님의 주권과 완전성에 기초한 교리로 나아갈 것 을” 촉구했다. 17 ) 이리하여 몰나르의 저서는 현대 신학이 내재적 삼 위일체론을 버리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한 저서로 갈채를 받았다.
관계적 삼위일체론 이 관점은 “관계적 삼위일체”라는 용어가 뜻하는 것과 뜻하지 않 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설명하며, 관계적 삼위일체가 어떻게 정의되는지와 전통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보여 주며, 관계적인 교리들을 부각시키는 특징들과 장단점들 특히 “사회적 삼위일체 론”의 여러 형태들을 설명한다. 또한 이 관점은 갑바도기아 교부들 같은 교회사의 인물들, 성경 본문, 분석철학, 비평 이론의 임의적인 활용 등과 같은 원천들을 강조하며, 그러면서도 내내 여러 관계적 삼위일체론자들에게서 전용된 것들 즉 다양한 인류학적, 사회학적, 16 ) Robert Letham, “Old and New, East and West, and a Missing Horse,” in The Doctrine
of the Holy Trinity Revisited: Essays in Response to Stephen R. Holmes (ed. Thomas A. Noble and Jason S. Sexton; Milton Keynes, UK: Paternoster, forthcoming). 17 ) John Webster, “Review of Divine Freedom and the Doctrine of the Immanent Trinity,”
JTS 56 (2005): p. 290.
18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혹은 사회 과학 내의 여러 인격주의적 ( personalism ) 발견물들을 인지 하고 있다. 18 ) 이 관점은 복음주의 신학자와 주류 침례교 신학자에 의해 제시되며 이 둘은 관계적 삼위일체 모형이 어떤 모습을 가지 는지를 혁신적으로 폭넓게 보여 준다. 이들은 관계적 모형이 어떻게 삼위일체 교리를 이해하기 위한 최 선의 방법인지 논증한다. 두 모형은 한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차이 가 있지만 각각 새로운 개념적 도구를 사용하여 신적 생명에 존재 하는 셋과 하나 사이의 관계를 더욱 명확하게 분별하려 하고 현대 나 고전의 삼위일체 교리들이 이 교리의 잠재성을 어떻게 제한했 는지 보여 주려 한다. 따라서 두 학자는 모두 “관계적” 삼위일체 모형이라는 넓은 제목에 적합하며 삼위일체 교리를 현대 배경에서 파악하는 데 알맞은 그림들을 그려 준다. 토머스 맥콜은 관계적 삼위일체론을 주장하는 복음주의 신학자 다. 맥콜은 칼빈 신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웨슬리파 신학자로 서, 분석신학으로부터 신선한 논의를 끌어들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분석철학의 개념적 도구들을 활용함으로써 삼위일체 교리의 쟁점들을 잘 파악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2010년에 출간된 저서 『삼위일체인가 유일신론인가? 삼위일체 신학의 형이상학에 대한 철학자와 조직신학자의 견해』 19 ) 에서 맥콜은 삼위일체 신학의 앞길을 위한 논제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그중에는 삼위일체를 18 ) 이 도구들 가운데 일부는 이 책의 발제자들이 결정적인 거리를 유지하는 것들이다. 그리
고 지지울라스와 건턴 등의 관계적 혹은 사회적 모형들에서 더욱 분명히 활용되었다. 하지 만 우리는 이 가운데 일부를 앨런 토랜스가 쓴 “Reclaiming the Continuing Priesthood of Christ: Implications and Challenges,” in Christology: Ancient and Modern (ed. Oliver D. Crisp and Fred Sanders; Grand Rapids: Zondervan, 2013), pp. 193~195에서 볼 수 있다. Gijsbert van den Brink, “Social Trinitarianism: A Defense against Some Recent Criticisms,” IJST (forthcoming)도 참고하라. 19 ) McCall, Which Trinity? ch. 8.
서론 |
19
“의식과 의지의” 판명한 세 “중심”으로 이해하는 논제와 셋은 사 실상 하나라는 논제가 있다. 우리는 이 책의 공간을 활용하여 이 논제들 중 일부를 명확히 제시할 것이다. 주류 침례교 전통 출신이며 급진적 관계적 삼위일체론을 대변하 는 폴 피데스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튀빙겐 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이때 그는 위르겐 몰트만 세미나 와 에버하르트 융엘 ( Eberhard Jungel ) 세미나에 참석한 적이 있다. 그 리고 그는 옥스퍼드 대학으로 돌아갔다. 피데스의 가장 큰 공헌은 아마 2000년에 출간된 『하나님에 참여함과 목회적인 삼위일체 교 리』 ( Participating in God: A Pastoral Doctrine of the Trinity ) 일 것이다. 이 책은 삼 위의 “위격들”을 “관계들”로나 하나님이 피조물들과 관계를 맺으 시는 활동들로 이해하는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이 활 동들은 삼위일체 교리가 목회적 경험과 동떨어져 발전할 수 없음 을 단언하는데, 거꾸로 목회적 경험은 삼위일체 교리의 이해에 변 혁을 요청한다.
다른 관점들 이 책이 다른 삼위일체 모형을 많이 다루지 않는다는 불평이 제 기될 수 있다. 이미 진술한 것처럼 강력한 분석적 형태의 것이든 유럽 학자들이나 남미의 해방신학자들이나 북미의 학자들이 내놓 은 형태의 것이든 소위 “사회적 삼위일체”가 이 책에는 없다. 명백 한 동방 정교회적 모형도 뺐다. 당연하게도 삼위일체 신학의 발전 들은 교회와 교단의 경계를 넘나들었으며 따라서 모든 전통의 모든 신학들을 제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토머스 토랜스는 몰나르를 확고하게 전용함으로써 적절하게 아타나시우스를 논의의 장으로 불러들인다. 맥콜의 관점도 영원한 나-너 ( I-Thou ) 관계들을 따지는
20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분석철학/신학 전통에서 표현되는 일종의 사회적 삼위일체론과 충 분히 유사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이 책은 최근에 많은 삼위일체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단일 신론이나 양태론 같은 비-삼위일체 관점을 논하지 않는다. 20 )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삼위일체론을 제시하기 위 함이 아니라 오늘날 기독교 삼위일체론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옹호되는 대표적인 소리를 포착하기 위해 노력했다. 따라서 이 책 이 삼위일체 관점들을 제시하는 목적은 두 관점들을 고찰함으로써 삼위일체 신학의 미래와 대화하는 것이다.
고찰 방법 이 책에서 독자들은 정통 기독교 전통을 배경으로 하는 네 저자 들이 자신들의 삼위일체 모형과 방법론을 비교적 유사한 방식으로 확증하는 것을 볼 것이다. 각 발제자는 자신의 관점이 다른 대안들 에 비해 가지는 강점들을 드러낼 뿐 아니라 자신의 관점이 정통 삼 위일체 교리를 어떻게 반영하고 삼위일체를 이해하는 데 왜 가장 적절한 관점인지 논한다. 부드러운 토론과 핵심 논점의 명료한 정리를 위해 각각의 논고는 방법론과 삼위일체 교리 자체와 각 관점이 함의하는 것 같은 특정 한 쟁점 사항들을 다룰 것이다.
20 ) 예를 들면 “Oneness-Trinitarian Pentecostal Final Report, 2002~2007,” Pneuma 30
(2008): pp. 203~224가 있다. Michael Foust의 “T. D. Jakes Embraces Doctrine of the Trinity, Moves Away from ‘Oneness’ View,” CT [Jan. 27, 2012] in the 2012 Elephant Room에서 일어난 Mark Driscoll, James MacDonald, and T. D. Jakes도 확인하라. 이는 www.christianitytoday.com/gleanings/2012/january/td-jakes-embraces-doctrine-oftrinity-moves-away-from.html에서 이용 가능하다(2013년 12월 1일에 접속했음).
서론 |
21
삼위일체적 방법론 각 관점은 삼위일체 교리의 기원이 어디인지 그리고 이 교리를 연구하는 데 어느 원천이 최고인지 논한다. 즉 성경과 전통과 문화 에서 가져온 원천이나 교부 시대, 종교개혁 시대, 후기 종교개혁 시 대, 현대의 원천을 살펴본다. 각 발제자는 자신의 관점이 삼위일체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유비를 발견하는지 그리고 관계의 유비나 존재의 유비나 신앙의 유비를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밝힌다. 이 책은 또한 동서의 분열이 옛날과 오늘날의 삼 위일체 사상가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그리고 니케아 신조에 있 는 필리오케 ( filioque ) 구절의 역할 즉 성령이 성부로부터 나오는지 아 니면 성부와 성자로부터 나오는지를 가리키는 용어의 역할에 대해 고찰한다. 이외에도 각 발제자는 자신의 관점을 옹호하기 위해 가 정하는 존재론을 어느 정도 평가한다.
삼위일체 교리 삼위일체 모형들 자체와 관련해서 저자들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 을 서로 구별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서로의 차이점들과 관계 들을 영원성과 구원 경륜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고찰한다. 셋이요 하나인 하나님의 구조가 어떻게 가능한지, 하나님이 어떻게 셋이면서 하나일 수 있는지 주목한다. 또한 각 발제자는 자신의 관 점이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관계를 어떻게 표현하 는지, 신적 임재가 피조물에게 어떻게 매개되는지 ( mediated ) 설명해 달라고 요청 받는다. 또한 이 책은 삼위의 위격들과 관계들, 신적 생명 안의 활동들 등의 특징들, 삼위일체 안에서 일어나는 영원한 나심, 종속, 질서에 대한 질문들, 나옴과 보냄 받음 ( mission ) 의 관계, 하나님의 단순성과 시간성의 문제들을 다룬다.
22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삼위일체의 함의들 남는 지면을 활용하여 각 발제자는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자신의 이해가 기독교 신앙의 상술에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삼위일체 교리가 기독교 윤리학, 종교 간의 대화, 시민 사회에의 참여 등을 어떻게 구체화하는지 설명한다. 각 발제자는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자신의 견해와 그것이 함의하 는 바에 가장 적절하다고 여기는 방식으로 글의 틀을 잡고 전개할 자유가 부여됐으며 그러면서도 자신이 제시하는 삼위일체 교리의 구체적인 개념적 특징들을 강조하기 위해 노력한다. 분명한 것은 짧은 본서가 관점들 사이의 차이점들을 충분히 부각시키기 위해 각 관점의 핵심들만을 제시하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질문들이 남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목적은 고전적 및 관계적 삼위일체에 능숙한 학자들이 삼위일체 모형들을 가까이서 토론하 게 하며 그럼으로써 교회들이 오늘날 중요한 문제들을 정리할 수 있도록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질문들이 적절히 다뤘는지는 독자들의 판단에 맡긴다. 우리는 독 자들이 삼위일체 교리를 삶과 사역에 진심으로 전용함에 더욱 박 차를 가하기를 바란다. 신적 삼위일체 생명의 문제를 철저하게 다 루기는 백만 단어로도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는 각 모형이 기독 교 전통에서 나온 실용적인 접근 방식이며 삼위일체 하나님을 이 해하는 데에 적합하고 흥미로운 방식들을 대표하는 판명한 개념들 을 반영하는 것으로 독자들에게 추천하는 바이다. 따라서 우리는 영 원한 성부에 대해, 말씀이신 유일한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생명의 선물이요 생명을 주시는 분인 성령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 찰하는 네 발제자들과 함께 생각하라고 독자들을 초대한다. 이 책의 논고들을 완성하는 과정의 한 단계로 우리는 2013년
서론 |
23
4월 30일에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모였다. 이 모임에는 앨런 토랜스, 이안 토랜스 ( Ian Torrance ), 모랙 토랜스 ( Morag Torrance ), 조앤 오 도노반 ( Joan O’Donovan ), 돈 우드 ( Don Wood ), 이볼 데이빗슨 ( Ivor Davidson ) 같은 신학계를 선도하는 인물들과, 스코트 해퍼만 ( Scott
Hafemann ) 과
그랜트 마카스킬 ( Grant Macaskill ) 같은 성경학자들, 세인트앤드루스 대 학교 공동체 내에 있지만 신학 세계 바깥에 있는 매우 바쁜 학자 들, 영국 전역에서 온 학자들과 목사들과 평신도들이 참석했다. 수 많은 대학생들과 대학원생들도 참석했던 하루 모임은 세인트앤드 루스 공동체가 오늘날 신학에서 얼마나 생동감이 넘치는지 그리고 삼위일체 교리가 교회와 학문 공동체에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우리는 이 모임을 후원하여 공식적이며 진지한 대화뿐 아니라 식 사와 친밀한 대화와 친선을 만끽할 시간을 발제자들에게 선사한 이볼 데이빗슨 학장, 세인트메리 대학, 호델 개발 회사 ( Hodel’s Development Corporation ),
캘리포니아 복음주의신학 발전기금 (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Evangelical Theology in California ) , Shane ) 과 Miller ),
마이크 셰인 ( Mike
에이미 ( Amy ) 셰인, 데이비드 가자 ( David Garza ), 에릭 밀러 ( Eric
앤디 포세트 ( Andy
Fossett ) 에게
감사한다. 우리는 하이디 섹스
턴 ( Heidi Sexton ), 웬디 딕슨 ( Wendy Dixon ), 우르술라 헤이스 ( Ursula Heise ) 가 편집 최종 단계에서 제공한 기여와 유익한 통찰에 감사하며, 제시 힐만 ( Jesse Hillman ) 과 벌린 벌브룩 ( Verlyn Verbrugge ) 의 놀라운 후원과 카 챠 코브렛 ( Katya Covrett ) 과 존더반 아카데믹 ( Zondervan Academic ) 이 신학 에 대해 시종일관 기울인 열정적인 지지에 대해서도 감사한다. 주후 2013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에서 제이슨 섹스턴
24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1장 고전적 삼위일체 : 복음주의 관점 스티븐 홈즈
서론 삼위일체 교리를 다룬 최근 저서에서 1 ) 나는 역사의 전망에서 주 제에 접근하려 했는데, 본고에서도, 적어도 초기 단계에서는 똑같 이 하고자 한다.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건설적 진술을 어떻게 전개 하고 상술할지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땅을 고르게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삼위일체 교리의 사유를 매우 혼란스럽고 모호하게 만든 수많은 역사의 주장들을 유산으로 물려받았기 때문에 역사에 대한 진지한 작업이 없이는 교리를 올바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나는 이 필요를 역사에 일어났던 사례들로 입증할 수 있다. 17세
1 ) Stephen R. Holmes, The Quest for the Trinity: The Doctrine of God in Scripture,
History and Modernity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2012); UK: The Holy Trinity: Understanding God’s Life (Milton Keynes: Paternoster, 2012).
1장 | 고전적 삼위일체 : 복음주의 관점 |
25
기와 18세기 초반의 영국은 대체로 반 ( 反 ) 삼위일체적이었다. 그중 에서 특히 윌리엄 휘스턴 ( William Clarke ) 는
Whiston ) 과
사무엘 클라크 ( Samuel
성서엄수적 ( biblicist ) 반삼위일체론을 전개했다. 즉 이들은
성경을 특히 신약을 다시 읽으면서 유산으로 물려받은 삼위일체 교리가 성경 본문과 맞지 않다고 생각하게 됐다. 2 ) 이와 동시에, 어 쩌면 이보다 약간 먼저 존 톨랜드 ( John Tindal )
Toland ) 나
매튜 틴들 ( Matthew
같은 이신론자들은 삼위일체 교리가 전혀 논리적이지 않다
고 주장하면서 합리주의적 반삼위일체론을 전개했다. 3 ) 두 계보는 존 비들 ( John Biddle ) 의 초기 저서에 의존했다. 비들은 프 란체스코 수도회 ( Friars Minor ) 의 반삼위일체 소키누스주의 교회의 신 앙고백인 라코비안 ( Racovian ) 교리문답을 번역 출판했다. 이 반삼위 일체론의 갑작스러운 유행을 분석하기 위해 우리는 견고하지 않지 만 의미심장한 비들의 진술 즉 “위격이라는 말을 나는 철학자들이 이해하는 것처럼 완전한 ‘지적 기체’ ( 基體, suppositum intelligens ) 를 가리 키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니까 어리석은 자들을 속이기 위한 어 떤 분위기 ( 원문
그대로임. ‘방식’ ) 나
위격적 실재 ( subsistence ) 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는 언급으로 시작하겠다. 4 ) 이 진술에 근거하여 비들 은 신적 삼위가 뚜렷하게 구별되는 위격이라고 하는 주장이 성자와
2 ) William Whiston, Primitive Christianity Reviv’d in Four Parts (London: n.p., 1712);
Samuel Clarke, The Scripture-Doctrine of the Trinity, in Three Parts (London: James Knapton, 1712). 3 ) John Toland, Christianity Not Mysterious: Or, a Treatise Showing that There Is Nothing
in the Gospel contrary to Reason Nor above It, and That No Christian Can Properly Be Called a Mystery (London: n.p., 1696); Matthew Tindal, Christianity as Old as the Creation: or, The Gospel a Republication of the Religion of Nature (London: n.p., 1731). 4 ) John Biddle, XII Arguments Drawn out of Holy Scripture Wherein the Commonly-
received Opinion Touching the Diety [i.e. Deity] of the Holy Spirit, Is Clearly and Fully Refuted (London: s.n., 1647), pp. 2~3, marginal note.
26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성령이 성부와 다른 의지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5 )
용어의 의미 이 예비적 고찰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는 삼위일체 교 리에 사용되는 표준 용어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위격적 실 재”( subsistence ) 는 표준 라틴어 ‘수브시스텐티아’ ( subsistentia ) 를 차용 한 용어며, “존재방식”( mode of existence ) 은 표준 헬라어 ‘히포스타시 스’ ( hypostasis ) 를 번역한 용어다. 두 용어는 모두 삼위일체의 세 위격 을 가리키는 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비들은 두 용어를 버렸다. 비들에게 두 용어는 틀렸을 뿐 아니라 무의미했기 때문에 논증할 필 요도 없었다. 비들은 표준 용어를 버리는 근거를 “위격”( person ) 이라 는 용어에 대한 똑같이 변론의 여지가 없는 정의에서 찾는다. 비들 이 인정한 것처럼 “위격”의 정의는 자기 시대의 “철학자들”에게서 빌린 것이다. 그가 거론한 “철학자들”은 데카르트와 그의 추종자들 로 보인다. 그래서 비들은 “위격”을 철학자들이 의미하는 것으로 재정의했다. 비들은 이 재정의에 근거해서 “위격”을 “존재방식”( mode of being ) 이나 “위격적 실재”( subsistence ) 와 동일시하는 전통을 무의미한 것으로 간 단히 거부했다. 이런 동일시가 영어권 신학 전통의 표준일 뿐 아니 라 스콜라적인 라틴신학과 교부적인 헬라신학과 직결된다는 사실을 무시하면서 비들은 그렇게 했다. 비들 이후에 이런 식으로 재정의한 자들은 휘스턴, 클라크, 톨랜드, 틴들이다. 이들은 로크 ( Locke ) 를 따 라 글을 썼고 가설을 세웠다. 즉 이들은 표준적인 삼위일체 담론의 존재론적 용어들에 대해, 예를 들어 “실체”( substance ) 라는 용어에
5 ) 앞의 책, p. 13.
1장 | 고전적 삼위일체 : 복음주의 관점 |
27
대해, 기발한 정의들을 가정한다. 6 ) 이런 재정의가 당시에는 자연스러웠다. 당시의 유식한 저술가는 “위격”이 무엇을 뜻하는지 잘 알았는데, 훌륭하고 상세한 정의들을 참고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철학사의 동향에 대한 예리한 지식이 없더라도 다른 정의의 여지를 생각할 이유가 없었다. 하지 만 역사적 관점을 가지고 바라보면, 바로 여기에 문제의 본질이 있 다. 핵심 용어들의 의미가 바뀌어 버린 논증이나 진술이 혼란스럽 고 엉뚱해지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이런 어휘론의 문제를 당대 에 꿰뚫어 봤던 유일한 저술가는 위대한 성공회 주교 에드워드 스 틸링플리트 ( Edward Stillingfleet ) 였다. 1697년에 출간한 『삼위일체 교리 의 변증』 ( Discourse in Vindication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 에서 그는 다양한 용어들의 의미 변화를 주의 깊게 추적했다. 7 ) 내가 암울한 근대의 논쟁을 언급하는 이유는 시간적으로 멀리 떨 어져 있는 우리가 용어의 의미 변화를 무심코 전제할 때 교리 논쟁 을 어떻게 새로운 국면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지 위 사례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은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20세기 말의 사유, 특히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논의가 어디서 잘 못되었는지 우리에게 알려 준다. 나는 이 문제가 일차적으로는 유비 ( analogy ) 의 문제가 아님을 먼 저 지적하고 싶다. 내가 믿는 바에 따르면 피조 세계에는 삼위일체 론의 유비가 될 만한 것이 없으며, 인간 사회의 영역에는 특히 더 없 다. 이 점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룰 것이며 여기서는 이것이 핵심이 6 ) 나는 이것을 나의 저서 The Quest for the Trinity, pp. 173~180에서 더욱 상세하게 탐구
한다. 7 ) Edward Stillingfleet, A Discourse in Vindication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With an
Answer to the Late Socinian Objections against It from Scripture, Antiquity and Reason (London: Henry Mortlock, 1697).
28
|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아니다. 나의 요지는 인간의 인격성과 하나님의 위격성 사이에 유 비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위격”이라는 단어가 이전의 진술에서 는 없던 어떤 것, 어떤 지적인 실체를 의미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단어의 의미가 변한다는 것이며 옛날이나 근대의 글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이 문제를 매우 조심스럽게 다뤄야만 한 다. 8 ) 위의 재정의 문제에서의 오류는 “위격”이라는 단어가 인간 실체와 신적 실체에 대해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즉 유비 교리를 버리고 용어의 일의성 주장을 채택한 것이 문제였 다. 이에 대해 나중에 좀 더 다루겠다. 원래 시간이 흐르면 단어의 의미가 변하기 때문에 저자의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가 아는 의미를 본문 속에 넣어 읽기보다는 단어 고유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실제로는 내 가 위에서 거론한 사례처럼 최근 수백 년 동안 일어난 삼위일체에 대한 오해의 대부분은 이 간단한 규칙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임을 나는 확신한다. 특히 “위격”과 “관계” 같은 단어들은 원래의 형이 상적인 의미가 재정의를 통해 없어졌으며 그 결과 “사회적 삼위일 체” 같은 급진적이고 새로운 존재론적 주장들이 삼위일체 교리에 서 나오게 됐다. 고전적 삼위일체 교리의 발전사에는 새로운 존재론적 주장들이 있다. 가장 명백한 주장은 영적인 실체가 그 자체와 맺고 있는 논 리적 관계가 실질적인 구별을 확립해 준다는 주장인데 이 주장은 8 ) 이 문제의 사례를 드는 것은 어렵지 않다. 아이작 왓츠(Issac Watts)는 우연히 삼위일체 교
리를 상세히 진술할 때 이 문제로 고생했다. 그가 쓴 찬송가 중 하나에는 “이 세상 모든 만 물아! 주 앞에 특별한(peculiar) 예물을 드려라”는 구절이 있다. 물론 18세기에 “특별한”은 “개별적”이라는 의미가 있었고 지금은 의미가 다르다. 다른 예로 18세기에 “열정” (enthusiasm)라는 용어는 “광신”(fanatic)을 의미했다. 수십 년을 목회하면서도 “사역 중에 광신(enthusiasm)을 조금도 보이지 않은” 어느 목사를 기리는 기념패에 대해 나는 들은 적 이 있다.
1장 | 고전적 삼위일체 : 복음주의 관점 |
29
비교신학
고전적 삼위일체와 관계적 삼위일체는 어떻게 다른가?
시리즈 15
비교신학 시리즈 15
비교신학 시리즈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01 기적의 은사는 오늘날에도 있는가 : 네 가지 관점 Are Miraculous Gifts for Today? 리처드 개핀 외 3인 공저 | 이용중 옮김 | 472쪽 | 값 20,000원
02 교회 성장운동 어떻게 볼 것인가 : 다섯 가지 관점 Evaluating the Church Growth Movement 엘머 타운즈 외 4인 공저 | 김석원 옮김 | 376쪽 | 값 16,000원
03 복음을 듣지 못한 사람 어떻게 되는가 : 세 가지 관점 What About Those Who Have Never Heard? 로널드 내쉬 외 2인 공저 | 박승민 옮김 | 240쪽 | 값 11,000원
04 성화란 무엇인가 : 다섯 가지 관점 Christian Spirituality 싱클레어 퍼거슨 외 4인 공저 | 이미선 옮김 | 304쪽 | 값 14,000원
05 이혼 후의 재혼 어떻게 볼 것인가 : 세 가지 관점 Remarriage After Divorce in Today’s Church
06 성령세례란 무엇인가 : 다섯 가지 관점 Perspectives on Spirit Baptism 윌터 카이저 외 4인 공저 | 이선숙 옮김 | 504쪽 | 값 22,000원
07 선택이란 무엇인가 : 다섯 가지 관점 Perspectives on Election 브루스 웨어 외 4인 공저 | 박승민 옮김 | 600쪽 | 값 25,000원
인간 지성이 이해하려는 시도다. 동일본질인 세 위격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두 가지 관점 즉 고전적 관점과 관계적 관점을 제시하며 한 관점에 대해 각각 두 학자가 자신의 견해를 펼친다.
08 한번 받은 구원 영원한가 : 네 가지 관점
V i e w s
o n
t h e
존 파인버그 외 3인 공저 | 이미선 옮김 | 272쪽 | 값 12,000원
10 성경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네 가지 관점 Four Views on Moving Beyond the Bible to Theology
In Search of the Soul
12 천년왕국이란 무엇인가 : 세 가지 관점 Three Views on the Millennium and Beyond 케네스 젠트리 주니어 외 2인 공저 | 박승민 옮김 | 448쪽 | 값 20,000원
13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 다섯 가지 관점
옮김
스튜어트 괴츠 외 3인 공저 | 윤석인 옮김 | 368쪽 | 값 16,000원
외 3인 공저
11 몸과 마음 어떤 관계인가 : 네 가지 관점
임원주
윈터 카이저 외 3인 공저 | 윤석인 옮김 | 512쪽 | 값 22,000원
고전적 삼위일체 관점은 4세기 공의회 의 신조들을 토대로 이 교리를 진술하려는 시도다 . 스티븐 홈즈가 옹호하는 복음주의 관점은 삼위일체 교리를 하나님과 교회 예배에 대한 초대교회의 행습과 교리의 이후 발전에 대해 성경이 말한 것을 이해하 게 하는 일련의 개념적 특징들로 파악한다. 삼위에 대해서 는 신적 생명 안에 논리적으로 질서가 잡힌 두 개의 발생 또는 관계인 낳음과 나옴을 본다. 반면에 폴 몰나르 가 옹호하는 가톨릭 관점은 성령이 성자를 통해 성부로부터 발현한다는 ‘페리코레시스 ’(상호침투, 상호내주)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출생과 발출을
스티븐 홈즈
Predestination & Free Will
o f
t h e
T r i n i t y
현재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세인트메리 대학의 교수며 침례교 목사다.
스티븐 홈즈
케임브리지 대학교(BA), 런던 스펄전 대학(MTh), 런던의 킹스 칼리지
복음주의 관점
(PhD)에서 공부했다.
폴 몰나르 가톨릭 관점
급진적 관점
학교(BA), 세인트존스 대학교(MA), 포드햄 대학교(PhD)에서 공부했다.
4
토머스 맥콜 ( Thomas H. McCall ) 현재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성경신학 및 조직신학 분야의 교 수다. 홉스사운드 성경대학(BA), 웨슬리 성경신학교(MA), 칼빈 신학교 (PhD)에서 공부했다.
토머스 맥콜 신조적 관점
삼위일체에 대한 네 가지 관점
Understanding Spiritual Warfare 월터 윙크 외 4인 공저 | 한화룡 옮김 | 352쪽 | 값 16,000원
www.rnrbook.com 값 15,000원
다. 세인트피터스 대학(BA), 옥스퍼드 대학(PhD)에서 공부했으며 영국 침례교 연맹의 목사다.
옮김
임원주 안양 성결교 신학교와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에서 공부했고(MDiv, ThM) 교회사와 교리사를 강의했다. 평택과 서울에서 담임 목회 사역을 했고 개
는 『아더 핑크의 하나님의 주권』(예루살렘)과 스티븐 차녹의 『하나님을 아 는 지식 1, 2』, 토머스 굿윈의 『믿음의 본질』(이상 부흥과개혁사) 등 다수 가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삼위일체 관점들을 제시함으로써 삼위일체에 ISBN 978-89-6092-452-9 ISBN 978-89-6092-126-9(세트)
현재 옥스퍼드 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며 리젠트파크 대학 연구소장이
『순수교회의 회복』(누가), 『종교권력을 버려라』(가나다) 등이 있고, 역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다. 이를 위해 오늘날 삼위일체 교리를 선도
14 영적 전쟁 어떻게 할 것인가 : 네 가지 관점
폴 피데스 ( Paul S. Fiddes )
혁주의 신학과 특수 침례교회 전통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에는
를 항상 믿어 왔지만 교단과 시대에 따라 이해가 다양했다. 이 책은
에릭 존슨 외 7인 공저 | 김찬영 옮김 | 480쪽 | 값 20,000원
폴 몰나르 ( Paul D. Molnar ) 현재 뉴욕 세인트존스 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다. 커시드럴(Cathedral) 대
신비며 기독교 신앙과 교리의 중심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이 교리
Psychology & Christianity
교(PhD)에서 공부했다.
공저
삼위일체 교리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없을까? 삼위일체는
이해한다.
현재 로스엔젤레스의 남가주 대학교에서 종교 및 시민문화 센터의 연구원
스티븐 홈즈 ( Stephen R. Holmes )
마이클 호튼 외 3인 공저 | 이한상 옮김 | 432쪽 | 값 18,000원
를 진술 관계를 중심으로 이 교리 관계적 삼위일체 관점은 은 관점 적 신조 하는 옹호 이 하려는 시도다. 토머스 맥콜 된 것”으로 내재 로 적으 공통 들에 위격들을 “‘나 - 너’ 관계 주해 분석철학적 해석과 성경 이해한다. 맥콜은 정밀한 파악 들로 실재 로 존재하는 를 통해 위격들을 필연적으 급진적 관점은 삼위일체 한다. 폴 피데스가 옹호하는 본다. 피데스는 일관되 체로 를 관계들로 구성된 공동 관계의 유비를 사용하여 게 체험에 초점을 맞추고 하지만 위격적 실재에 삼위일체를 이해하려고 시도 에 입을 다물어야 대해서는 불가형언하기 때문 한다고 말한다.
D o c t r i n e
스티븐 홈즈 외 3인 공저 | 임원주 옮김
Eternal Security
09 예정과 자유 의지 : 네 가지 관점
제이슨 섹스턴 ( Jason S. Sexton ) 이고, 마스터스 대학(BA) 및 신학교(MDiv, ThM), 세인트앤드루스 대학
T w o
폴 피데스
삼위일체 교리는 셋이면서 하나인 하나님을
Tw o Vi e w s o n t h e D o c t r i n e o f t h e Tr i n i t y
고든 웬햄 외 2인 공저 | 이영란 옮김 | 200쪽 | 값 10,000원
삼위일체란 무엇인가
편집
하는 네 명의 선구적인 신학자가 자신의 관점을 제시하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