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존 오웬

Page 1

존 오웬의 신학 김남준 지음 | 175쪽 | 10,000원

존 오웬은 가장 뛰어난 17세기 지성인들 중 하나였으며, 특별히 성령론, 기독론,

이 책은 신학적·목회적 면에서 존 오웬의 영향을 가장 많이 그리고

교회론에 대한 기여에서 자기만의 고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신학자로 평가

깊이 받은 김남준 목사의 존 오웬 신학 안내서다. 존 오웬의 목회와

된다.

신학이 갖는 가치와 중요성, 신학의 배경, 특히 ‘죄와 성화’의 신학에 대한 해설을 깊이 다루었다. 이 책은 목회자와 신학생, 그리고 깊이 있는 신학을 통해 하나님을 더욱 사랑하고자 하는 모든 독자에게 많 은 유익을 줄 것이다.

칼 트루먼은 오웬의 글과 신학의 핵심 요소에 대해 연구한 중요한 책을 선사한 다. 트루먼은 오웬 신학의 역사적 정황을 소개함으로써 17세기 신학에 대한 끊 임없는 논쟁에서 오웬의 저술들이 가졌던 중요성을 탐구하며 오웬 신학이 형성 된 정황뿐 아니라 당시의 지적 문화, 특히 철학, 문학, 신학과 관련하여 그의 지

존 오웬

신학의 이해에 있어 세계적 수준에 있는 김남준 목사가 존 오웬의

세기 최고의 르네상스형 신학자

17

존 오웬 지은이

17세기 최고의 르네상스형 신학자

칼 트루먼 (Carl R. Trueman)

칼 트루먼 지음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세인트 캐서린 칼리지에서

김재모 옮김

석사학위를 받고 애버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정통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 고 펜실베이니아 주 앰블러에 있는 코너스톤 정통 장로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 교(필라델피아 소재)에서 역사신학과 교회사를 가르 치고 있다.

성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보여 준다. 오웬 신학을 성령론적이고 정치적이며 종 말론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트루먼은 오웬 신학의 삼위일체적 구조를 강조하 며 이 신학 연구가 어떻게 실천적 기독교에 대한 오웬의 이해에 영향을 미쳤는

부흥과개혁사 존 오웬 전집 존 오웬 지음

있고 조직신학에 대한 연구가 싹트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종교개혁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한 귀중한 지성과 새로운 조직신학을 위한 역사적 토대를 제시한다.

01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

지성적인 역사 학자들 사이에서 17세기 개혁주의 신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김귀탁 옮김 | 328쪽 | 16,000원

02 시험

김귀탁 옮김 | 152쪽 | 8,000원

03 죄 죽임

김귀탁 옮김 | 196쪽 | 10,000원

04 죄와 은혜의 지배

이한상 옮김 | 176쪽 | 9,000원

05 죄 용서: 시편 130편 강해

박홍규 옮김 | 576쪽 | 29,000원

청교도의 황태자라 불리는 존 오웬의 유산은 21세기인 오늘에도 여 전히 가치가 있다. 그가 남긴 저서들은 성경에 충실하며, 인간을 정 직하게 해부하고, 신앙의 위대한 일들에 대한 경이로운 지식을 밝히 보여 주기 때문이다. 부흥과개혁사판 존 오웬 전집은 이런 오웬의 저서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가장 실천적인 저술로서 죄의 본질과 그 영향력, 그리고 그것을 대하는 신자의 성향과 태도를 명쾌하게 설명

ISBN 978-89-6092-496-3

한다.

www.rnrbook.com 값 12,000원

칼 트루먼 지음 |김재모 옮김

지 분명히 드러낸다.

옮긴이

김재모 한국에서 태어나 18세에 부모 형제와 함께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이민을 갔다. 캘리포니아 주립대 학교인 버클리(B. S.)와 데이비스(Ph. D.)에서 화학 공학을 공부한 후 현 코닝의 전신인 삼성코닝정밀 유리에서 근무했다. 총신대학교(M. Div.)를 졸업했

Reformed Catholic, Renalissance Man

고 안양 열린교회에서 교구 담당 목사로 섬겼다. 지금은 신학 서적 등을 번역하면서 개척을 준비 하고 있다. 역서로는 『스펄전 평전』 (부흥과개혁사)이 있다.


┃ 목차 ┃

서문 _ 6

01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9

서론

9

오웬의 생애

11

오웬은 청교도인가 개혁주의자인가

16

르네상스인 오웬

29

오웬과 신학적 논쟁

37

결론

63

02

삼위일체 하나님을 아는 지식

69

서론

69

신학 서론의 문제

70

단순성

74

무량성의 속성

78

보상적인 정의의 속성

83

셋이며 하나이신 하나님: 삼위일체 교리의 수호

91

그리스도의 신격

98

성령의 신격

104

하나님과 피조 세계

111

결론적 후기

128


John Owen

03

언약과 보편적 기독론

131

서론

131

타락 이전의 자연 신학

132

행위언약

139

타락 이후의 상황

149

기독론적 응답

150

은혜언약

151

전통적인 구속언약의 교리적 모체

155

삼위일체적 관계에 대한 언약 용어의 활용

160

언약 개념에 대한 오웬의 연구

166

구속언약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직

169

성육신과 중재 그리고 성령의 기독론적 역할

178

결론

188

교회가 무너지고 서는 조항

191

서론

191

오웬 이전의 개신교 칭의 개념의 발전

193

능동적 의와 수동적 의의 전가

202

오웬과 영원한 칭의

213

믿음과 행위

221

결론

226

04

결론  _ 228


┃ 서문 ┃

늘 그렇듯, 한 책을 마무리하면서 가장 기쁠 때는 저술에 기여 한 이들에게 감사하는 시간이다. 나는 존 웹스터 교수에게 특별히 고맙다. 오웬에 대한 웹스터의 관심은 내가 이 책을 쓰는 데 지대 한 영향을 끼쳤다. 역사적으로 좋은 우연의 일치로, 웹스터가 내 게 이 책을 쓰도록 권유할 때 그는 오웬이 다녔던 옥스퍼드의 크 라이스트 처치 대학의 선임 연구원이었다. 또한 나는 세인트앤드 루스 대학교의 트레버 하트 교수와 맥길 대학교의 더글러스 패로 교수에게 감사하며, 마땅히 학문적으로 받아야 할 주목을 받지 못 했던 존 오웬의 책을 현재 진행 중인 시리즈에 포함하여 출간하기 로 동의한 것에 대해 세라 로이드와 아쉬게이트의 편집부에게 감 사한다. 수차례 기한을 맞추지 못한 게으른 나에게 이들이 욥처럼 위대한 인내를 보여 준 것은 나에게 경이와 감사의 샘물이었다. 또한 나는 나를 돕고 격려한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동료들에 게 감사한다. 2005년 한 학기 동안 학교를 떠나 이 책의 탈고에 집중할 수 있도록 너그러이 허락한 이사회, 초기 영문 도서들을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열람하는 것을 허락한 사서 샌디 핀레이

6

존 오웬


슨 ( 이는

무명의 기부자 덕분에 가능했고 그에게 매우 감사하다 ),

17세기와 관

련된 모든 것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해 준 교회사 분야의 동료 제 프 주이 교수, 언제나 형제애로 나를 격려한 스콧 올리핀트, 딕 개 핀, 빌 에드거, 레인 팁턴,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총장이 자 교회사 분야 교수인 피터 릴백에게도 감사하다. 릴백 총장은 나를 행정 부문에 배치해, 내게 할당된 연구 시간이 소모되기 전 에 이 책을 탈고해야 하는 상황에 몰아넣었다. “내일 자신의 사형 이 집행될 것이라는 생각만큼 사람의 정신을 집중시키는 것은 없 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행정직으로 전배되었음을 확인한 학 자에게도 해당된다. 이런 맥락에서 나는 저스틴 테일러의 독촉 이 메일을 언급하고 싶다. 테일러는 “오웬 책의 원고를 마무리할 때” 가 언제인지 물으면서 나를 끊임없이 괴롭혔고, 나는 마지막 줄을 마무리할 때까지 죄의식에 사로잡혔다. 좋은 친구들인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빌렘 반 아셀트 교수와 칼 빈 신학교의 리처드 멀러에게 내가 사적으로나 지적으로 얼마나 큰 빚을 졌는지는 아무리 표현해도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이들은 귀한 조언과 격려를 해 주었으며, 이들과 나눈 우정과 대화, 특히 위트레흐트에 있는 노천카페에서 수년간 나눈 대화는 아주 소중 하다. 마지막으로 가족에게 감사하고 싶다. 사랑하는 캐트리오나, 내 작업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보도록 도운 존과 피터, 격려와 후원을 아끼지 않은 어머니와 아버지에게 감사하다. 나는 이 책을 조부모에 대한 기억에 바친다.

서문

7


John Owen


1장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서론 존 오웬 ( 1616~1683 ) 은 오늘날 보수적인 복음주의 교회들이나 초 기 근대 지성사라는 매우 좁고 특화된 분야 밖의 신학 세계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름이다. 1 )  이는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왜냐

1 )  존 오웬에 대한 문헌은 많지 않지만 현재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총 24권인 그의

전집은 19세기에 런던 소재 존스톤 헌터(Johnstone and Hunter) 출판사가 재출 판한(1850~1855) 것으로, 이 책에서 우리는 대체로 이 판본을 사용할 것이다. 진 리의 깃발(Banner of Truth) 출판사의 오웬 전집은 제16권의 라틴어 부분과 라틴 어로 쓰인 제17권 전체를 빠뜨렸다. 오웬의 생애에 대해서는 Andrew Thomson, “Life of Dr Owen” in Works 1, xxi~cxxii; Peter Toon, God’s Statesman: The Life and Work of John Owen (Exeter: Paternoster, 1971)을 보라. 오웬의 신학 에 대해서는 Sinclair B Ferguson, John Owen on the Christian Life (Edinburgh: Banner of Truth, 1987); Carl R Trueman, The Claims of Truth: John Owen’

s Trinitarian Theology (Carlisle: Paternoster, 1998); P De Vries, “Die mij heft liefgehad” De betekenis van de gemeenschap met Christus in de theologie van John Owen(1616~1683) (Heerenveen: Groen, 1999); Sebastian Rehnman, Divine Discourse: The Theological Methodology of John Owen (Grand Rapids: Baker, 2002)을 보라. 참고할 가치가 있는 두 편의 논문에는 Alan Spence, “Incarnation and Inspiration: John Owen and the Coherence of Christology”,

1장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9


하면 의심의 여지 없이 오웬은 17세기의 삼사 분기에 영국에서 가장 중요한 신학 지성이었고 당시 유럽에서 두세 번째로 영향력 있는 개신교 신학자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웬은 불 행하게도 패자 편에 있었다. 즉 오웬은 청교도였으며, 1640년대 와 50년대에 영국을 갈기갈기 찢어 놓았던 분쟁의 때에 독립당에 속했다. 청교도와 독립당원으로서 오웬은 패자였다. 역사는 주로 승자가 쓰는 것이기 때문에 오웬은 “대추방령”( 1662 ) 이후의 영국 지성사에서 빠르고 철저하게 쫓겨났다. 1662년의 법령은 비국교 파들이 국교회에서 추방된 사건이었을 뿐 아니라 역사의 저술이 나 영향과 관련하여 정치적, 문화적, 지성적 제도에서 배제된 사 건이었다. 이 상처에, 서유럽 학문 문화 전체가 격변했다는 사실 이 수치를 더했다. 12세기 이후로 확고히 서 있었던 사상의 주제 들과 기본적인 방식들이 이 시기에 세계에 대한 새로운 사고방식 의 빛 아래 재형성되고 수정되었다. 이 측면에서도 다시 오웬은 패자 편이었다. 개혁파 정통주의의 수호자인 오웬의 사상은 대부 분 전통적인 주제와 그것이 구체화하는 사상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 세상이 지나가는 것처럼 위대한 존 오웬의 기여도 지나갔다. 그러나 오웬이 패자 편에 있었다는 사실은 그의 사상이 순전히 평범했음을 나타낸다고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 시대적인 기준으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1989); Kelly Kapic, “Communion with God: Relations between the Divine and he Human in the Theology of John Owen”,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2001)가 있다. Alan C Clifford, Atonement and Justification: English Evangelical Theology 1640~179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0)은 오웬뿐 아니라 백스터(Baxter), 틸롯슨(Tillotson), 웨 슬리(Wesley)를 매우 간략하게 다루는 책이다. 이 책에 대한 반론은 『진리의 주 장』(The Claims of Truth)이라는 책에서 내가 매우 상세하게 논하기 때문에, 여기 서 이에 대해 상세하게 요약하여 독자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

10

존 오웬


로 봐도 오웬의 학식은 매우 심오했다. 오웬은 넓은 의미의 서방 보편 사상의 신학 전통, 중세 학파들과 르네상스 운동에 드러난 고전 철학의 궤적, 개신교와 가톨릭과 이교도에 대한 당대의 신학 문헌들을 섭렵하고 있었다. 사실상 17세기 개혁파 정통주의의 특 징에 대해서나 크롬웰식 계획과 왕정복고 시기의 비국교도들의 정체성에 영향을 끼친 신학적 배경에 대해 알기를 원하는 이에게 오웬보다 더 나은 참고 인물은 없을 것이다.

오웬의 생애 존 오웬은 1616년 옥스퍼드 근처 스태드햄프턴에서 청교도 전 통의 교구 성직자 헨리 오웬 ( Henry Owen ) 의 아들로 태어났다. 2 )  지 역 문법 학교를 다닌 후 그는 1631년에 옥스퍼드 대학교의 퀸스 대학에 입학했으며 1632년에는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오웬은 옥 스퍼드 대학교를 다닐 때 극도의 자기 훈련을 실천한 것으로 알 려진다. 그는 하루에 네 시간만 자면서 학업에 집중했고 플루트 연주자, 멀리뛰기 선수, 창던지기 선수로서 명성을 날렸다. 학사 학업에 이어 1635년에 오웬은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부제 로 임명받았으며 7년짜리 대학원 과정을 시작했다. 3 )  이때 오웬

2 )  청교도주의에 대한 문헌은 방대하나 청교도의 주요 특징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견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나는 이 책에서 논증을 위해 청교도나 이와 관련이 있는 용어들을, 간소한 의식과 설교의 중심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국교회 에서 행해지는 예배를 개혁하려고 시도하며 엘리자베스 1세가 확립하여 공동기도 서에 상세화한 기초적인 규율 이상으로 교회가 나아가기를 원하는 자들을 일컫는 데 사용한다. 청교도들은 분리주의자들이 아니었으며 1662년 추방되기 전까지는 대체로 국교회 안에 머물러 있었다.  3 )  17세기의 옥스퍼드의 신학 교육 과정, 특히 논쟁적인 상황 아래의 신학 교육 과 정에 대해서는 Nicholas Tyacke, “Religious Controversy” in idem (ed), The

1장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11


의 지도 교수는 토머스 발로우 ( Thomas Barlow ) 였는데, 그는 명민한 형이상학자로 아르미니우스 신학을 맹렬히 반대하던 자였다. 신 학적으로나 형이상학적으로 발로우는 오웬에게 큰 영향을 끼쳤 다. 국교회 문제를 제외한 모든 측면에서 둘은 좋은 친구가 되었 다. 실제로 오웬은 1650년대에 옥스퍼드 대학교의 부총장으로 있 을 때 발로우를 많이 도왔으며, 발로우는 후에 가정에서 설교하다 가 곤경에 빠진 오웬을 돕기도 했다. 4 )  국교회에서 로드당의 세력이 증가하자 오웬은 옥스퍼드를 떠나 버크셔 주에 있던 러브레이스 ( John,

Lord Lovelace )

경의 집에 머물

러야 할 필요를 느꼈다. 1642년에 전쟁이 일어나자 오웬은 런던 으로 돌아왔지만, 오웬의 후원자가 견지한 왕당주의 때문에 그곳 에 오래 머무를 수 없었다. 이 시기 즈음에 오웬은 청교도 신학자인 에드먼드 캘러미 ( Ed­ mund Calamy ) 의

설교를 듣기 위해 앨더맨베리 교회로 갔다. 그러

나 그날 캘러미는 거기 없었고 다른 사람이 대신 설교했다. 오웬 은 누가 대신 설교했는지 기억할 수 없었으나 설교 본문이 마태 복음 8장 26절이었다는 것은 기억했다. 캘러미가 없다는 사실에 오웬은 상심했지만, 실망은 곧 사라지고 큰 기쁨이 그를 사로잡 았다. 이름 모를 설교자 때문에 일종의 회심을 경험했던 것이다. 바로 이때 오웬의 반 ( 反 ) 로드주의적인 교회 정책에 대한 헌신은 많은 청교도의 전형적 특징이었던 경험적 경건함과 결합되었다.

History of the University of Oxford IV: Seventeenth-Century Oxford (Oxford: Clarendon Press, 1997), 569~619를 보라.  4 )  발로우(Barlow)와 오웬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 책 2장을 보라. 발로우의 생애 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들에 대해서는 『국립 전기 사전』(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또는 DNB)의 개정판에 실린 존 스퍼(John Spurr)의 글을 보라.

12

존 오웬


1642년에 오웬은 그의 첫 책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실상』 ( A Dis­ play of Arminianism ) 을

출간했다. 이때 이미 오웬은 교황주의자들이

나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이나 소키누스주의자들을 반박하기 위 해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에 대한 라틴어 글을 사적으로 배포했던 것처럼 보이지만, 『아르미니우스주의의 실상』은 현존하는 오웬의 저술 가운데 가장 처음으로 출간된 것이고 또한 가장 오래된 것 이다. 앞으로 우리는 이 책의 주제와 논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인데, 지금은 이 책이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과의 논쟁에서 중 요했던 철학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문제들을 잘 이해하고 진술하 는 넓고 깊은 신학의 본질적 논점을 확립하기 위해 오웬이 중세 와 당시의 가톨릭 원천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는 사실로 특정 지어진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돌이켜 보면 이 책은 한 신학자가 자신의 경력이 시작될 때 쓴 책인데, 이 책은 오웬에게 즉각적인 명성을 가져다주었으며, 의회 의 종교위원회는 그가 에섹스의 포드햄에서 살도록 허락했다. 포 드햄에서 오웬은 메리 루크 ( Mary Rooke ) 를 만나 결혼했다. 메리는 열한 자녀를 낳았는데 한 명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모두 어릴 때 죽었다. 지역 담당 성직자가 목회자 임명 권리를 부여받은 1646년에 오웬은 포드햄을 떠나야 했다. 하지만 이 해에 오웬은 처음으로 의회에서 설교할 기회를 얻었으며 이로써 새롭고 매우 영향력 있는 공적 사역을 시작하게 되었다. 코그셸로 이사한 후 오웬은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청교도 존 코튼 ( John Cotton ) 이 쓴 소책자 『하나님 나라의 열쇠』 ( The Keys of the Kingdom ) 를

읽었다. 오웬은 이 책 때문에 교회 정치에 대한 자

신의 견해를 광의의 장로파에서 독립파로 바꾸었다고 고백했다. 여기서 장로파란 회중 위에서 작동하는 상위의 법정이나 총회에

1장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13


교회의 궁극적인 권위가 있다고 하는 교회론이며, 독립파는 강력 한 장로직을 가지고 있고 평등적인 민주적 제도는 아니지만 교회 의 권위가 개별 회중에게 제한된다는 교회론이다. 오웬의 견해가 바뀌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단기적으로 오웬은 한 장소에 서 회중교회를 시작하는 동시에 성공회 교구 목회자로 섬기기를 결심했다. 이 결정은 오웬이 분리주의자가 아니라는 사실과, 독립 파에 대한 오웬의 헌신이 편협한 분파주의자로서의 헌신과 같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 준다. 그리고 이는 중기적으 로, 증가하는 독립파의 정치적 대의명분, 특히 독립파들의 탁월한 정치적 지도자였던 올리버 크롬웰 ( Oliver

Cromwell ) 이

내세운 대의

명분을 이 젊은 교구 목사가 품도록 촉진했다. 장기적으로 오웬의 결정은 크롬웰 아래에서뿐 아니라 더 중대하게는 1662년 이후 분 리주의자들의 세계에서 신앙의 관용 개념을 공식화하는 데에 기 여했다. 1640년대 영국의 정치 상황에서 오웬에게 가장 중요했던 날은 찰스 1세가 처형된 바로 다음 날인 1649년 1월 31일이었다. 오웬 은 이날 의회에서 설교했다. 그의 설교는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고 그는 다시 4월 19일 하원에서 설교하게 되었다. 이 설교를 올리버 크롬웰이 들었다. 크롬웰은 설교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오웬 을 페어팩스 장군 ( General

Fairfax ) 에게로

데려가 그에게 인사시켰

다. 결과적으로 이 만남은 오웬에게 중요한 순간이었던 것으로 드 러났다. 먼저 오웬은 페어팩스 장군이 아일랜드로 악명 높은 원정 을 갔을 때 군종 목사로 섬겼고, 크라이스트 처치의 학장을 거쳐 이후 1651~1657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부총장으로 일했다. 이 기간에 오웬은 신학자로서 그리고 논쟁가로서 놀라운 명성 을 얻었다. 예를 들면 1647년에 그는 제한속죄에 대한 고전적 이

14

존 오웬


해를 철저하게 변증한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의 죽 음』 ( The

Death of Death in the Death of Christ ) 을

출간했다. 이 책으로

인해 오웬은 또 다른 떠오르는 신학의 별 리처드 백스터 ( Richard Baxter ) 와의

논쟁에 휩싸였는데, 특히 속죄와 칭의의 관계에 대한

이들의 논쟁이 잘 알려져 있다. 1654년에 오웬이 정부에게 하사 받은 임무는 소키누스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이었다. 1655년에 그는 소키누스주의를 비판한 『복음의 변증』 ( Vindiciae Evangelicae ) 을

출간했다. 이 책은 존 비들 ( John Biddle ) 의 두 교리문

답과 폴란드어로 쓰인 대작 『라코비우스 교리문답』 ( the Catechism ) 을

Racovian

상세하게 반박했다.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

의 죽음』과 『복음의 변증』은 오웬의 사상이 성경 해석과 기독교 전통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자신의 견해를 펼치기 위해 복잡한 개 념들을 배치하는 기술 측면에서도 정교해지고 있음을 드러냈다. 『복음의 변증』이 출간되었을 때 오웬의 정치 경력은 절정에 달 했던 것으로 보인다. 1657년 오웬의 전 후원자 올리버 크롬웰이 스스로 왕이 되는 것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 때 오웬은 자신의 강한 공화주의적 관점으로 인해 그와 결별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오웬은 부총장직을 사임했으며 공적 영역의 삶에서 물러났다. 일 년 후 크롬웰이 사망했을 때 오웬은 한때 친밀했던 그의 장례식 에서 아무런 역할도 맡지 않았다. 독립파를 위한 오웬의 활동은 지속되었고 같은 해에 그는 동료 토머스 굿윈 ( Thomas Goodwin ) 등 을 도와 사보이 선언 ( Savoy

Declaration ) 을

작성했다. 간단히 말해

사보이 선언이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엄격한 독립파 노선 에 따라 약간 수정한 것이다. 1660년에 왕정복고가 일어나고 1660년대의 클래런던 법령 ( the Clarendon Code ) 으로

청교도주의가 잔혹하게 압제당할 때 오웬은

1장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15


제도와 자신을 확연히 단절시켰다. 1662년의 통일령 ( the Uniformity ) 을

Act of

기해 오웬은 영국 국교회에서 퇴출되었으며 오랜 적

수 백스터와 함께 비국교파 교회의 생명과 사상의 빛이 되었다. 실제로 오웬과 백스터는 차이점들을 잠시 제쳐 놓고 결국에는 실 패한 비국교회의 연합을 위해 잠시나마 함께 일했다. 하지만 국교 회를 나와서도 오웬은 백스터나 존 번연 ( John Bunyan ) 이 당했던 고 난을 당하지 않았고 법정에서 어느 정도의 혜택을 누렸다. 이는 그 가 왕의 처벌에 연루된 적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놀라운 것 이다. 더욱이 오웬은 시간이 날 때마다 방대한 신학 저술에 힘썼다. 예를 들면 그는 1661년에 라틴어로 언약신학에 대한 책인 『신학 전 집』 ( Theologoumena Pantodapa ) 을 썼고, 성령론에 대한 논문들을 발표 했으며 ( 1674~1693. 마지막 논문은 사후 출간됨 ), 『히브리서 주석』 ( 1667~1684. 마지막 책은 사후 출간됨 ) 을

썼다. 『히브리서 주석』은 당시까지 저술된

비평 이전 시대의 히브리서 주석 중에서 가장 탁월한 주석이었다. 또한 오웬은 신앙의 관용의 본질에 대해 사색하는 데에만 아니라 이후 1689년의 입법에 구체화된 것 같은 합의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단편을 쓰는 데에 많은 시간을 보냈다. 1683년에 사망한 그는 비전이 실현되는 것을 눈으로 보지 못했다.

오웬은 청교도인가 개혁주의자인가 오웬 신학의 고유한 모습을 다루기 전에 먼저 우리는 오웬의 사 상을 올바로 이해하게 하는 해석학적 범주들에 대해 예비적으로 언급해야 한다. 가장 명확한 범주는 청교도일 것이다. 비국교도들 의 지도자로서, 캘러미나 굿윈과 견해를 같이 했던 오웬이 청교도 신학자였다고 말하는 것은 분명히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보

16

존 오웬


인다. 나는 이 견해에 반대하지 않지만, 이것이 오웬 신학을 전반 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유익한 역사적 범주라고 말할 확신이 없 다. 5 )  첫째, 위에 언급된 대로, 청교도에 대한 정의나 명확화하기 힘든 청교도주의라는 현상의 본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대해 일치된 견해가 아직 없다. 둘째, 어떻게 정의되든지 간에 청 교도주의는 신학적 내용이 상당히 최소주의적이다. 예컨대 아리 우스와 유사한 존 밀턴 ( John

Milton ) 이

청교도로 분류된다면 가장

기초적인 기독교 교리인 삼위일체조차 청교도주의에 대한 정의 에 포함될 수 없다. 6 )  셋째, 청교도주의는 오웬 사상의 전체적 배 경을 살피기에는 대체로 범위가 너무 편협하다. 이미 다른 곳에서 나는 오웬을 서방 신학 및 철학 사상의 넓고 지속적인 전통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당대의 지적 상황을 잉글랜드나 영국의 것 으로가 아니라 유럽적인 것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상세히 주장한 바 있다. 그러므로 오웬의 사상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모든 측면에서 편협하고 지엽적인 의미를 지니는 “청교도주의”라

5 )  오웬에 대한 나의 저서를 논평한 네덜란드 학자 데브리스(P De Vries)는 내가 오

웬의 사상에 있는 청교도적 차원을 과소평가했다고 그럴듯하게 주장한다. 오웬의 경험적 경건함에 대해 말한 것이라면 데브리스의 주장은 옳다. 하지만 나는 내 저 술이 하나님과 속죄에 대해 말한 것이지 인간의 신앙 경험에 대한 오웬의 견해에 대해 말한 것이 아니라고 말함으로 나 자신을 변호하고 싶다. 더욱이 나는 경험적 경건함에 집중하는 청교도주의에 대한 이해가 이 주제에 접근하는 매우 적절하고 유익한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De Vries, 63, n. 121을 보라.  6 )  밀턴의 신학은 대부분 그의 시에서 추론되어야 하며, 이는 기껏해야 조심스럽고 가설적인 결론을 제공하는 해석학적으로 까다로운 작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많은 『기독교 교리』(De Doctrina Christiana)가 진정한 밀턴의 작품이라면, 그의 신학은 유사 아리우스주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Don M Wolfe et al (eds), Complete Prose Works of John Milton, 8 vols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853~1982), vol 6, 특히 모리스 켈리(Maurice Kelley)의 개괄적 토론을 참고하라. 또한 Barbara K Lewalski, The Life of Joh Milton (Oxford: Blackwell, 2000) 415~441을 보라.

1장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17


는 범주를 매우 조심스럽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7 )  그러므로 시대 배경을 고려하여 오웬의 사상을 탐구하는 방법 중 내가 가장 유용하게 사용할 범주는 “개혁파 정통주의”다. 이유 는 “개혁파 정통주의”가 청교도주의보다 정의하기가 더 쉽고 덜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개혁파 정통주의라는 용어는 벨기에 신앙 고백,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 도르트 신조 같은 대륙의 신앙고백

이나,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대소 교리문답에 표현되어 있는 개신 교 사상 전통을 가리킨다. 역사적으로 볼 때 이 전통은 울리히 츠 빙글리 ( Huldrych Oecolampadius ),

존 칼빈 ( John

Zwingli ) ,

요하네스 오이콜람파디우스 ( Johannes

마르틴 부처 ( Martin

Calvin ),

Bucer )

같은 종교개혁자들이나

하인리히 불링거 ( Heinrich

Bullinger ),

피터 마터

버미글리 ( Peter Martyr ), 피에르 비레 ( Pierre Viret ) 같은 한 세대 이후 의 종교개혁자들에 그 직접적인 뿌리를 두고 있다. 8 )  이 전통의 발전을 분석한 리처드 멀러 ( Richard Muller ) 는 그 역사 를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었다. 지금은 이런 시간 구분이 어쩔 수 없이 조금 모호하게 보이지만, 이것을 개혁파 전통주의의 발전에 느슨하게 적용한다면 해석학적 목적에 유용하기에 잠깐 주목하 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첫째 시기는 츠빙글리의 『67개 신 조』 ( Articles ) 부터 하이델베르크 신앙고백까지로 ( 1523~1563 ), 일반적 인 개혁주의 견해들에 대한 기초적인 진술이 이루어진 시기다. 둘 째 시기는 초기 정통주의 시대 ( 1563~1640 ) 다. 이는 개혁신학이 대

7 )  The Claims of Truth, 9~13에 있는 나의 설명을 보라.  8 )  개혁파 정통주의에 대해서는 Richard A Muller,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4 vols (Grand Rapids: Baker, 2003); 또한 Carl R Trueman and R S Clark (eds), Protestant Scholasticism: Essays in Reassessment (Carlisle: Paternoster, 1998); Willem J Van Asselt and Eef Dekker (eds), Reformation and Scholasticism (Grand Rapids: Baker, 2001)을 보라.

18

존 오웬


학교에서 자리를 잡고, 이전 세대가 확립한 기초적인 견해들을 이 해하고 상세화하며, 따라서 방법적인 정교함과 자기 각성을 고양 하기 시작한 시기로, 이런 고양 때문에 피터 라무스 ( Peter Ramus ) 가

사용한 혁신적인 방법론뿐 아니라 전통적인 중세 스콜

라주의의 용어와 방법론들이 확연하게 전용되기 시작했다. 예수 회 수도사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 Robert

Bellarmine )

같은 섬세한 가

톨릭 변증가들과 루터파 정통주의의 등장으로 인해 점점 복잡해 지는 논쟁 환경과, 아르미니우스주의와 소키누스주의의 출현이 초래한 개혁파 개신교주의의 분열은 새로운 위협들에 직면하고 있었던 개혁신학 유산을 지키고 재정의하기 위해 체계를 더 정교 화할 것을 요청했다. 이 모든 것은, 예를 들어, 1640년의 개혁신학 이 왜 1540년에 진술된 개혁신학과 다르게 보이는지를 이해하게 하는 배경을 제공한다. 셋째 시기인 고정통주의 시기 ( 약 1640~1700 ) 는 신학자요 성직자 로서 왕성하게 활동했던 오웬의 삶 전체를 포함한다. 넷째 기간인 후기 개혁파 정통주의 시기 ( 1700~1790 ) 는 여기서 크게 중요하지 않다. 셋째 시기에 있었던 아르미니우스주의와 소키누스주의의 위협은 논쟁적인 것들을 통합하여 신학을 체계화할 필요가 생겨 나게 했다. 이 시기는 18~19세기에 신학 체계를 전체적으로 개조 하게 했던 새로운 과학과 철학의 전망들이 승리하기 직전이었으 며, 두 진영의 위협은 이 시기가 개혁신학의 체계적 정교화의 절 정이었다고 말하게 하는 핵심 요소다. 오웬이 평생 두 진영과의 논쟁에 몰두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그는 멀러가 묘사하는 신학 자 유형에 정확히 들어맞는다. 오웬의 개혁신학의 핵심 영역에 대해서는 후에 논의할 것이므 로, 지금은 16~17세기 개혁 사상의 방법론적이고 신학적인 발전

1장 개혁파 르네상스인 존 오웬

19


존 오웬의 신학 김남준 지음 | 175쪽 | 10,000원

존 오웬은 가장 뛰어난 17세기 지성인들 중 하나였으며, 특별히 성령론, 기독론,

이 책은 신학적·목회적 면에서 존 오웬의 영향을 가장 많이 그리고

교회론에 대한 기여에서 자기만의 고유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신학자로 평가

깊이 받은 김남준 목사의 존 오웬 신학 안내서다. 존 오웬의 목회와

된다.

신학이 갖는 가치와 중요성, 신학의 배경, 특히 ‘죄와 성화’의 신학에 대한 해설을 깊이 다루었다. 이 책은 목회자와 신학생, 그리고 깊이 있는 신학을 통해 하나님을 더욱 사랑하고자 하는 모든 독자에게 많 은 유익을 줄 것이다.

칼 트루먼은 오웬의 글과 신학의 핵심 요소에 대해 연구한 중요한 책을 선사한 다. 트루먼은 오웬 신학의 역사적 정황을 소개함으로써 17세기 신학에 대한 끊 임없는 논쟁에서 오웬의 저술들이 가졌던 중요성을 탐구하며 오웬 신학이 형성 된 정황뿐 아니라 당시의 지적 문화, 특히 철학, 문학, 신학과 관련하여 그의 지

존 오웬

신학의 이해에 있어 세계적 수준에 있는 김남준 목사가 존 오웬의

세기 최고의 르네상스형 신학자

17

존 오웬 지은이

17세기 최고의 르네상스형 신학자

칼 트루먼 (Carl R. Trueman)

칼 트루먼 지음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세인트 캐서린 칼리지에서

김재모 옮김

석사학위를 받고 애버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정통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 고 펜실베이니아 주 앰블러에 있는 코너스톤 정통 장로교회에서 목회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 교(필라델피아 소재)에서 역사신학과 교회사를 가르 치고 있다.

성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보여 준다. 오웬 신학을 성령론적이고 정치적이며 종 말론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트루먼은 오웬 신학의 삼위일체적 구조를 강조하 며 이 신학 연구가 어떻게 실천적 기독교에 대한 오웬의 이해에 영향을 미쳤는

부흥과개혁사 존 오웬 전집 존 오웬 지음

있고 조직신학에 대한 연구가 싹트고 있는 지금, 이 책은 종교개혁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한 귀중한 지성과 새로운 조직신학을 위한 역사적 토대를 제시한다.

01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

지성적인 역사 학자들 사이에서 17세기 개혁주의 신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김귀탁 옮김 | 328쪽 | 16,000원

02 시험

김귀탁 옮김 | 152쪽 | 8,000원

03 죄 죽임

김귀탁 옮김 | 196쪽 | 10,000원

04 죄와 은혜의 지배

이한상 옮김 | 176쪽 | 9,000원

05 죄 용서: 시편 130편 강해

박홍규 옮김 | 576쪽 | 29,000원

청교도의 황태자라 불리는 존 오웬의 유산은 21세기인 오늘에도 여 전히 가치가 있다. 그가 남긴 저서들은 성경에 충실하며, 인간을 정 직하게 해부하고, 신앙의 위대한 일들에 대한 경이로운 지식을 밝히 보여 주기 때문이다. 부흥과개혁사판 존 오웬 전집은 이런 오웬의 저서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가장 실천적인 저술로서 죄의 본질과 그 영향력, 그리고 그것을 대하는 신자의 성향과 태도를 명쾌하게 설명

ISBN 978-89-6092-496-3

한다.

www.rnrbook.com 값 12,000원

칼 트루먼 지음 |김재모 옮김

지 분명히 드러낸다.

옮긴이

김재모 한국에서 태어나 18세에 부모 형제와 함께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이민을 갔다. 캘리포니아 주립대 학교인 버클리(B. S.)와 데이비스(Ph. D.)에서 화학 공학을 공부한 후 현 코닝의 전신인 삼성코닝정밀 유리에서 근무했다. 총신대학교(M. Div.)를 졸업했

Reformed Catholic, Renalissance Man

고 안양 열린교회에서 교구 담당 목사로 섬겼다. 지금은 신학 서적 등을 번역하면서 개척을 준비 하고 있다. 역서로는 『스펄전 평전』 (부흥과개혁사)이 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