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H E PI L L A R NEW T E S TA M E N T COM M E N TA RY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골로새서·빌레몬서
성경 말씀을 진지하게 연구하는 그리스도인을 대상으로 하는 『필라 신약 성경 주석』 ( PNTC ) 은 은 현재 가장 논쟁되는 주제를 다루지만, 지나치게 학술적인 내용은 피하면서, 성경 말씀과 성 경신학에 대한 민감한 안목으로 주해와 해석의 조화, 학문과 목회의 조화를 꿈꾼다. 필라 신약 성경 주석의 저자들은 헬라어 신약 성경을 기초로 성경 본문을 해설한다. 이들은 글 로 된 성경 말씀이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본문과 깊이 씨름하며, 독자로 하 여금 말씀의 의미를 깨닫고 그 의미를 삶에 적용하도록 돕는다. 이 시리즈가 취하는 접근 방식은, 우리가 하나님을 판단하지 못하며 하나님이 우리를 지켜보신 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말씀하실 때, 하나님을 안다고 고백하는 그리스 도인은 반드시 경외함, 두려움, 거룩한 기쁨, 순종함으로 응답해야 하는데,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 역시 같은 모습으로 응답하며 성경 말씀을 연구한다. 이렇게 집필된 『필라 신약 성경 주석』 ( PNTC ) 은 목사, 교사, 신학생뿐 아니라 그리스도인 독자 모두에게 계속 환영받을 것이다.
더글러스 무( Douglas J. Moo )
PN TC
골로새서 빌 ·레몬서
무엇보다 우리에게 주어진 성경 본문을 명확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
지은이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20년간 가르쳤으며, 현재 휘튼 대학에서 신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NIV 성경 번역 위원회(CBT)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잘 알려진 저서 로는 『PNTC 야고보서』 (부흥과개혁사), 『NIV 적용주석: 베드로후서 유다서』, 『NICNT 로마서』 (이상 솔로몬) 등이 있다.
옮긴이
더글러스 무
신윤수
지음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M. M., Th. D.)했으며,
Div.)
및 성서학을 전공(Th.
장로회신학대학교와 서울장신대학교 등 여러 신학교와 비블리카 아카데미아에서 가르쳤다. 역
서로는 『성경신학의 5가지 유형』 (부흥과개혁사),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문법』 (비블리카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아카데미아),
『칼빈주석 사도행
전』 (크리스천 다이제스트) 등이 있다.
ISBN 978 - 89 - 6092 - 491 - 8 ISBN 978 - 89 - 6092 - 448 - 2 (세트) www.rnrbook.com
값 32,000원
신윤수 옮김
The Letter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
더글러스 무 지음 | 신윤수 옮김
목차
■ 시리즈 서문
│
8
■ 저자 서문
│
10
■ 주요 약어
│
12
■ 성경 본문 및 번역
│
15
골로새서
19
참고문헌 │ 20
서론
48
I. 이 편지는 누구에게 쓴 것인가? 골로새와 골로새 교인들 | 51 II. 누가 이 편지를 썼는가? 저자 문제
| 54
III. 이 편지는 언제 쓰였는가? 저작 시기와 장소
| 69
IV. 골로새서는 왜 쓰였는가? 거짓 교훈
| 76
V. 골로새서는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골로새서의 신학 | 92
A. 그리스도 • 93
B. 우주론과 권세들 • 96
4
C. 교회 • 99
D. 복음 • 101
E. 종말론 • 102
F. 그리스도인의 삶 • 103
주석
108
I. 편지 서문: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를 주로 받았으니……” (1:1~2:5) | 108
A. 서두(1:1~2) • 109
B. 하나님의 아들의 복음의 능력(1:3~23) • 116
1. 골로새 교인들 가운데 나타난 복음의 능력의
증거(감사와 기도) (1:3~14)
2. 복음의 핵심: 창조와 속량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최상권(1:15~20)
• 11 6
3. 복음 안에 제시된 소망(1:21~23)
• 149 • 187
C. 바울의 사역과 그리스도인의 경험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비밀(1:24~2:5) • 199
5
II. 편지 본론: “……그 안에서 행하라”(2:6~4:6)
| 235
A. 문제의 핵심: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삼고 있으라(2:6~7) • 2 3 7
B. 그리스도 중심적 삶에 대한 위협: 거짓 교사들에 대한 경고(2:8~23) • 24 5
1. 그리스도 안에 있는 영적 충만함(2:8~15)
• 245
2. 거짓 교사들의 공허한 약속(2:16~23)
• 285
C.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삶(3:1~4:1) • 3 1 7
1. 위의 것을 생각하라(3:1~4)
•318
2. “옛 사람”과 그 행위를 벗어 버리라(3:5~11)
• 329
3. “새 사람”을 입으라(3:12~17)
• 355
4. 세속적 관계의 주로서의 그리스도 (3:18~4:1)
• 378
D. 기도 권면과 그리스도의 증인(4:2~6)
•408
III. 편지 맺음말: 인사, 계획, 지시(4:7~18)
| 426
6
빌레몬서
455
참고문헌 │ 456
서론
462
I. 기본 개요: 저자, 수신인, 성격 및 기록된 장소
| 462
II. 편지의 배후에 놓인 상황
| 465
III. 빌레몬서의 목적과 중요성
| 472
주석
486
I. 편지 서문(1~3절)
| 486
II. 감사: “믿음의 교제”(4~7절)
| 493
III. 본론: 오네시모와 관련된 바울의 호소(8~20절)
| 508
IV. 맺음말(21~25절)
| 554
7
| 시리즈 서문 |
모든 주석은 나름대로의 목적이 있고 이 시리즈도 예외는 아니다. 진지한 목회자와 성경 교사를 위해 기획된 필라 주석은 무엇보다도 우리가 갖고 있는 성경 본문의 뜻을 명확히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주석을 집필 한 학자들은 가장 중요한 당대의 최신 논의와도 소통하고 있지만 지나치게 전문적인 내용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들의 이상은 성경신학 및 현 대의 중요한 문제와 성경의 관련성에 유념하면서, 주석과 설교를 혼동하지 않고, 엄밀한 주해와 해설을 조합시키는 것이다. 이런 접근법을 채택하는 근본 이유는 ‘객관적 학문성’( 실현 망 ) 이라는
불가능한 헛된 희
환상이 실제로는 불경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우리
위에서 우리를 지켜보고 계신다. 즉 우리는 하나님을 판단할 위치에 있지 않다. 하나님이 자신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에게 말씀하실 때, 하나님을 알 고 있다고 공언하는 자들은 적절한 방식으로 응답해야 하며, 또한 그것은 자율적으로 거리를 두고 있다는 인상을 주는 학자가 취하는 자세와는 확실 히 다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통제되지 않은 주관성에 은밀하게 호소하는 것이 아니다. 이 시리즈의 저자들은 본문에 대해서 편협하지 않은 개방성을 추구한다. 그것이 최선의 ‘객관성’이다. 만약 성경 본문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면, 우리는 마땅히 경외심과 모종의 두려움과 거룩한 기쁨과 탐구하는 자세를 갖춘 순종으로 응답해야 할 것이 다. 그리스도인의 글쓰기에는 아무쪼록 이런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런 가치관을 온전히 갖추고 있는 필라 주석 시리즈는 목회자, 교 8
시리즈 서문
사, 학생은 물론 일반 독자들에게도 뜨거운 환영을 받을 것이다. *
*
*
더글라스 무와 나는 오랫동안 같은 대학에서 교수로 봉직했다. 그가 트리 니티 신학교에서 휘튼 신학교로 옮기게 된 것은 후자로서는 엄청난 이득이 었겠지만 나 개인적으로는 손실이었다. 다행히도 우리는 계속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는 내가 긴밀하게 협력해서 작업하는 것을 대단히 행복하게 여기는 두세 명의 학자 중 한 사람임이 확 실하다. 이 시리즈의 독자들은 여전히 영어로 된 최고의 로마서 주석을 다 른 시리즈를 위해서 집필한 후에 나온 그의 필라 야고보서 주석에 이미 친 숙해져 있을 것이다. 골로새서와 빌레몬서는 21세기의 많은 이슈들에 대해서 강력하게 말을 건다. 하지만 현대 학계는 종종 이 서신들의 그럴듯한 “배경”을 구성하기 위해서 막대한 에너지를 소모해 왔고, 이렇게 해서 구성된 배경이 서신의 해석을 결정했다 ( 하마터면 “길들였다”라고 말할 뻔했다 ). 이 배경들은 지금 매우 풍성 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해석들 역시 마찬가지로 풍성하다. 저 자가 이 주석에서 보여 준 많은 강점 중 하나는 다양한 호소들의 상대적인 장점들을 평가하고, 심지어 증거가 그렇게 확고하지는 않을 때 우리가 알 수 없는 것을 지적하고, 그런 다음 본문 자체가 무엇을 말하는지를 분명히 밝힐 수 있는 석의적이고 신학적인 방법으로 본문을 통해서 세심하게 작업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모든 것은 성경 본문이 오늘날의 교회와 어떤 관계 에 있는지 분명하게 암시하는 명료한 산문으로 표현된다. 이 주석을 꼼꼼히 읽는 사람은 이 두 편지 속에 계시되어 있는 내용을 좀 더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이 책이 앞으로 오랫동안 목회자들 가운데서 하나의 “표준”이 된다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다. 다시 한 번 친구에게 깊이 감사드 린다. D. A. 카슨
9
| 저자 서문 |
나는 이 주석을 쓰면서 마치 고향에 돌아온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골로 새서는 내가 1972년에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 ( Trinity School ) 에서
Evangelical Divinity
신약 성경 주해 수업 시간에 헬라어 원문으로 공부했던 첫 번째
책이다. 이 수업에서 작성한 노트가
( 지금은 애석하게도 깊이 묻혀버렸지만 )
이 주석
의 밑바탕이 되었다. 나는 골로새서를 학문적 배경 속에서 가르칠 기회를 잡았을 뿐 아니라 몇몇 교회에서는 가르치고 설교할 기회도 얻을 수 있었 다. 이런 모든 경험, 그리고 나와 함께 공부했던 사람들에게서 배운 것들이 내가 이 위대한 서신을 해석하는 데 자양분이 되었다. 반면에 빌레몬서는 그렇게 많이 연구하거나 강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나는 1980년대 어느 여 름에 한 학회에서 빌레몬서를 본문으로 삼아 세 편의 설교를 연속해서 전 했던 것을 분명히 기억하고 있으며, 내가 그 당시 이 책과 관련하여 주장했 던 많은 점들을 기본적으로 확인하고는 스스로 놀랐다. 참고문헌 작성과 교정 작업에 도움을 준 연구 조교이자 동료인 맷 하 먼 ( Matt
Harmon ),
Norris ) 에게
엘리세 오우오바 ( Elisee
Ouoba ),
그리고 로리 노리스 ( Laurie
감사를 표한다. 아내 제니 ( Jenny ) 는 원고 전체를 마지막까지 읽고
내용 전반에 대한 귀중한 제안을 해 주었다 ( 그녀의 이름을 공저자로 올렸어야 하는데! ). 필라 주석 시리즈에 이 책을 기고할 수 있게 허락해 준 옛 동료 돈 카슨 ( Don Carson ) 에게도
감사한다. 나는 이 책을 머리 해리스 ( Murray J. Harris ) 교수에게
바친다. 그는 1972년 골로새서 수업에서 나의 교수이셨고, 그의 강의는 나 자신이 골로새서에 대해 생각함에 있어서 토대가 되어 주었다 ( 그의 강의는 내용 10
저자 서문
이 보충되어 매우 유용한 주석서로 출판되었다 ).
그러나 그는 한 명의 학자와 그리스도인
신사로서의 본을 통해서 나에게 더욱 많은 것을 가르쳐 주셨다. 나는 그의 문하에서 공부하고 그와 함께 섬긴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 더글러스 무
11
| 약어 소개 |
AB
Anchor Bible
ABD
Anchor Bible Dictionary
ABR
Australian Biblical Review
ACCS
Ancient Christian Commentary on Scripture
AnBib
Analecta Biblica
ANF
Ante-Nicene Fathers
ANRW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ANTC
Abingdon New Testament Commentaries
ATD
Das Alte Testament Deutsch
BBR
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
BDAG W. Bauer, W. F. Arndt, F. W. Gingrich, and F. W. Danker,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2d ed.) BDF F. Blass, A. Debrunner, and R. W. Funk,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BDR F. Blass, A. Debrunner, and F. Rehkopf, Grammatik
des neutestamentlichen Griechish
12
BETL
Bibliotheca ephemeridum theologicarum lovaniensium
BevT
Beiträge zur evangelischen Theologie
약어 소개
BFCT
Beiträge zur Förderung christlicher Theologie
BHT
Beitäge zur historischen Theologie
Bib
Biblica
BibLeb
Bibel und Leben
BNTC
Black’s New Testament Commentaries
BR
Biblical Research
BSac
Bibliotheca Sacra
BTB
Biblical Theology Bulletin
BWANT Beiträge zur Wissenschaft vom Alten und Neuen Testament
BZ
Biblische Zeitschrift
BZNW Beihefte zur Zeitschrift fü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CBC
Cambridge Bible Commentary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C
Continental Commentaries
CGTC
Cambridge Greek Testament Commentary
CNT
Commentaire du Nouveau Testament
ConBNT
Coniectanea biblica: New Testament Series
CTJ
Calvin Theological Journal
CTM
Concordia Theological Monthly
DPL G. F. Hawthorne, R. P. Martin, and D. G. Reid (eds.), Dictionary of Paul and His Letters EBib
Études bibliques
EDNT H. Balz and G. Schneider (eds.),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KKNT Evangelisch-katholischer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EvQ
Evangelical Quarterly
EvT
Evangelische Theologie
ExpTim
Expository Times
FB
Forschung zur Bibel
13
약어 소개
FRLANT Forschung zur Religion und Literatur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 GNS
Good News Studies
HCSB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
HKNT
Hand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HTKNT Herders theologischer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HNT
Handbuch zum Neuen Testament
HNTC
Harper’s New Testament Commentaries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IBC Interpretation: A Bible Commentary for Teaching and Preaching ICC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Int
Interpretation
JAA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SN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JSN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Supplement Series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KD
Kerygma und Dogma
KEK Kritisch-exegetischer Kommentar über das Neue Testament (Meyer-Kommentar) KJV
King James Version
LCL
Loeb Classical Library
LN J. P. Louw and E. Nid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Based on Semantic Domains LSJ
Liddell-Scott-Jones, Greek English Lexicon
LXX
Septuagint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New Testament MT
14
Massoretic Text
약어 소개
NA27 E. Nestle and K. Aland (eds.), Novum Testamentum
Graece (27th ed.) NAB
New American Bible
NAC
New American Commentary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rev. ed.)
NCB
New Century Bible
NEB
New English Bible
Neot
Neotestamentica
NewDocs
New Documents Illustrating Early Christianity
NET
New English Translation
NIB
New Interpreters’ Bible
NIBCNT New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NICN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NIDNTT C. Brown (ed.), The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NIGTC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JB
New Jerusalem Bible
NKJV
New King James Version
NLT
New Living Translation
NovT
Novum Testamentum
NovTSup
Supplements to Novum Testamentum
NPNF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TAbh
Neuetestamentliche Abhandlungen
NTS
New Testament Studies
ÖTK
Ökumenischer Taschenbuch-Kommentar
PG
Patrologie graeca
PNTC
Pelican New Testament Commentaries
RB
Revue biblique
REB
Revised English Bible
RevExp
Review and Expositor
15
약어 소개
RNT
Regensburger Neues Testament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SANT
Stud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s
SBB
Stuttgarter biblische Beiträge
SB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BLD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Dissertation Series
SBL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Monograph Series
SBM
Stuttgarter biblische Monographien
SEÅ
Svensk exegetisk årsbok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NT
Studien zum Neuen Testament
SNTSM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SP
Sacra Pagina
ST
Studia theologica
Str-B H. L. Strack and P. Billerbeck,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aus Talmud und Midrasch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TEV
Today’s English Version
TBei
Theologische Beiträge
Them
Themelios
THKNT
Theologischer Hand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TNIV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TJ
Trinity Journal
TLG
Thesaurus linguae graecae
TNTC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TynBul
Tyndale Bulletin
UBS
United Bible Societies Greek New Testament (4th ed.)
UNT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WMANT Wissenschaftlichene Monograph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WTJ
16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약어 소개
WUNT 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en zum Neuen Testament ZB
Zürcher Bibel
ZBK
Zürcher Bibelkommnetare
ZNW
Zeitschrift fü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17
| 성경 본문 및 번역 |
이 주석은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 TNIV ) 을 기초로 한다 ( 한글은 개역개정을 기초로 한다 ). 성경 본문은 각 문단의 주해가 시작되는 부분에 기록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성경 인용은 TNIV를 따른다 ( 한글은 개역개정 또는 TNIV 번역한다 ). 헬라어 신약 성경은 Novum Testamentum Greace ed ) 에서,
( Nestle and Aland, 27th
히브리어와 아람어 구약 성경은 Biblica hebraica Stuttgartensia에
서 인용한다. 외경의 번역은 NRSV을 사용했으며, 위경의 번역은 The Old Testament Pseudepigrapha ( 2 vols.; ed. J. H. Charlesworth; New York: Doubleday, 1983, 1985 ) 을,
사해 사본의 번역은 The Dead Sea Scrolls Study Edition ( 2 vols.; ed.
F. G. Martínez and E. J. C. Tigchelaar; Leiden: Brill, 1997 ) 을 한다 ).
18
사용한다 ( 한글은 영어 자료를 번역
V. 골로새서는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골로새서의 신학
골로새서 주석
THE PILLAR NEW TESTA MENT COMMENTARY
THE LETTER TO THE COLOSSIANS
107
The Let ter to the Colossians
골로새서 주석
I. 편지 서문: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를 주로 받았으 니……” (1:1~2:5) 바울 시대의 편지는 몇 가지 표준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서신 양식”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인 그것이 서론, 본론, 그리고 결론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서두 ( 1:1~2 ) 와 감사 ( 1:3~12 ) 는 편지 서론의 정규적 구성요소이기 때 문에, 적어도 그것들은 이 서론 부분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1장 13~20절은 그리스도의 사역 ( 13~14절 ) 과 인격 ( 15~20절 ) 을 서술하는 일련의 관계절에 의해 3~12절과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 하나님에게서 멀리 떠나 있던 골로새 교인들이 하나님과 화목하게 된 것에 대한 바울의 설 명 ( 1:21~23 ) 은 새 단락을 시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단락은 화목하게 됨 ( 20절 ) 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바로 앞의 절들과 연결되고 있으며 동시에 몇몇 핵심 단어와 개념들에 의해서 감사기도 부분과도 연결되고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보라 ). 1 )
으로 본다.
많은 주석가들은 23절 뒤에서 비교적 큰 단락이 끝나는 것
그러나 자신의 사역에 대한 바울의 진술 ( 1:24~2:5 ) 은 1장 전체
에 걸쳐서 중요하게 나타났던 주제들을 상술하고 있으며, 그 주제는 복음의
1 ) 예, Dunn, p. 53; Wolter, p. 49; Luz, p. 193; Lohse, p. 13; Lincoln, p. 554.
108
골로새서 1 : 1 ~ 2
메시지에 응답하는 자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복음의 세계적인 능력, 그리고 복음 및 그것이 선포하는 아들이 유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 하나님에 대한 완전한 지식이다. 따라서 우리는 라이트 ( Wright ) 의 견해를 따라서 골로새서 1장 1절~2장 5절이 하나의 독립적 단락을 이루고 있으며 이 부분에서 바 울은 감사의 궁극적인 이유 ( 그것은 복음의 말씀이 갖는 능력과 충분함이다 ) 를 성찰함으 로써 자신의 전형적인 감사 내용을 크게 확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제안하고 자 한다.2 ) 서신의 이 서두는 2장 8~23절에서 주어지는 거짓 교훈에 대한 바울의 경고들을 위한 무대를 마련한다. 바울은 골로새 교인들이 하나님의 아들의 복음을 붙들 때 그들이 필요로 하게 될 모든 영적인 복과 능력을 공 급받게 되리라는 것을 이해하기 원한다. 그들은 “그리스도 예수를 주로” 받 았기 때문에 그들이 해야 할 일은 단지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의 삶을 계속 해서 사는 것”( 2:6 ) 이다.
A. 서두 (1:1~2) 1:1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된 바울과 형제 디모데는 2
골로새에 있는 성도들 곧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에게 편지하노니 우리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은혜와 평 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Paul, an apostle of Christ Jesus by the will of God, and Timothy our brother, 2 To God’s holy people in Colossae, the faithful brothers and sisters in Christ: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1:1
편지의 서문은 발신자와 수신자를 밝히고 인사말을 건네는 것으로 시작 하는 게 보통이다. A가 B에게 “인사말” 3 ) 을 전한다는 이 기본 패턴은 바울 의 편지 13통 모두에서 나타나지만, 바울은 언제나 여러 가지 수식하는 단 어와 구절을 덧붙여서 인사말을 확장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울은 그 뒤에 따라 나올 편지의 주된 관심사와 강조점들에 대해 종종 모종의 실마리 를 제공한다. 하지만 골로새서에서 덧붙여진 내용은 비교적 사소하고 관례 적인 것으로서 그 뒤에 어떤 내용이 나올 것인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해 주는
2 ) Wright, p. 48. R. E. DeMaris, The Colossian Controversy (Sheffield: JSOT Press, 1994), pp. 41~42; J. Lähnemann, Der Kolosserbrief (Gütersloh: Mohn, 1971), p. 60; Franz Zeilinger,
Der Erstgeborene der Schöpfung: Untersuchungen zur Formalstruktur und Theologie des Kolosserbriefes (Vienna: Herder, 1974), pp. 34~49도 참조. 3 ) 이 간략한 편지 인사말의 예는 행 15:23; 23:26; 약 1:1에서 발견된다.
109
골로새서 주석 1 : 1
내용은 거의 없다. 1절 바울은 자신의 모든 서신에서와 마찬가지로 편지의 저자가 자기 자
신임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헬라 및 라틴 화자들 가운데서 사울 이라는 유대식 이름 대신 바울 ( Paulos )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을 것이다.4 ) 바울은 자신이 “사도”임을 주장함으로써 골로새 그리스도인들에게 편지 를 쓸 수 있는 권한이 자신에게 있음을 신속하게 밝힌다 ( 빌립보서, 데살로니가전후 서, 그리고 빌레몬서를 제외한 그의 모든 서신에서와 동일하다 ).
“사도”라는 단어는 바울의
편지들에서 다양한 의미를 갖는데, 어떤 때는 단지 “사자”( 예, 8:23 ) 를
빌 2:25; 고후
지칭하고, 또 어떤 때는 “인정받은 선교사”( 예, 고전 9:5~6; 15:7; 갈 2:9; 행
14:4, 14 ) 를
뜻한다.5 ) 그러나 바울이 편지 서문에서 이 단어를 사용할 때, 그
의 의도는 이 단어가 갖는 완전히 “공식적인” 의미를 드러내는 것임이 분명 하다. 즉 “사도”는 그리스도로부터 친히 부르심을 받아 그리스도를 대리하 여 그리스도를 선포하고, 그럼으로써 하나님의 새 백성의 “토대”( “터” ) 역할 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 엡 2:20 ). 비록 바울은 골로새에 있는 교회를 설립 하지도 않았고 그곳을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지만 ( 2:1, 5 ), 그럼에도 불구하 고 그는 자신에 의해 회심한 일꾼인 에바브라 ( 1:7 ) 를 통해서 골로새 교회의 “사도”인 것이다.6 ) “사도”에 덧붙은 “그리스도 예수”라는 문구는 바울을 부르신 분이 그리 스도였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 ( ‘크리스투 예수’를 주격적 속격으로 보는 것이다. 이 개념에 대 해서는 갈 1:1을 보라 ) 일
수도 있지만, 단지 바울의 사도직이 엄밀하게 규정될 수
없는 방식으로 그리스도 예수와 결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 ( 관계의 속격 ) 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7 ) “그리스도”는 바울 서신에서 너무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많은 학자는 이 단어가 호칭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 고 고유명사와 다를 바 없게 되었다고 생각한다.8 ) 하지만 유대교에서 전향 해서 하나님이 약속하신 메시아가 다름 아닌 로마 사람들에 의해 십자가에 4 ) “바울”(파울로스[Pau/loj])라는 이름은 그의 히브리식 이름인 사울이 헬라화된 형태로서 그의 성 이었음이 거의 확실하다(예, F. F. Bruce, Paul: Apostle of the Heart Set Free [Grand Rapids: Eerdmans, 1977], p. 39). 5 ) 이 후자의 범주에 대해서는 특히 E. E. Ellis, “Paul and his Co-Workers,” in DPL, p. 186을 보라.
또 R. Schnackenburg, “Apostles Before and During Paul’s Time,” Apostolic History and the Gospel: Biblical and Historical Essays Presented to F. F. Bruce on His 60th Birthday (ed. W. Ward Gasque and Ralph P. Martin; Grand Rapids: Eerdmans, 1970), pp. 287–303도 보라. 6 ) O’Brien, p. 2. 7 ) BDF §162를 보라. 8 ) 예, Lohse, p. 6.
110
I. 편지 서문: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를 주로 받았으니……” (1:1~2:5) 골로새서 1 : 1
달려 죽은 나사렛 예수라는 확연히 구별되는 주장을 펼쳤던 인물인 바울 같은 유대인이 “그리스도”라는 단어가 갖는 풍부한 연관 의미를 완전히 폐 기할 수 있었겠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9 ) 이 호칭은 구 약 성경이나 유대교에서는 흔히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초기 그리스도인들 은 나사렛 예수가 위대한 다윗 가문의 왕에 대한 일련의 약속을 전부 성취 한 분임을 밝히기 위해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바울은 이 편지의 서문에서 거의 정형화된 표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가 여기서 어휘 선택과 관 련하여 많은 생각을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우리는 바울이 “그리스도” 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골로새의 이방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들의 신앙의 뿌리가 구약 성경에 놓여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기 위해서였다고 주장할 수는 있을 것이다.10 ) 사도행전 9장이 생생하게 보여 주듯이 바울이 사도가 된 것은 그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이 선택해서 된 일이다. 즉 바울이 사도가 된 것은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은” 일이다. 반대파에 맞서서 자신의 사도로서의 자격을 증 명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이 주장은 논쟁적인 공격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에 대한 특히 분명한 사례에 대해서는 갈라디아서 1장 1절을 보라. 그러나 골로새에서 바울의 권위가 도전을 받고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그렇다면 골 로새서 1장 1절에 나오는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라는 문구는 고린도 전서 1장 1절, 고린도후서 1장 1절, 에베소서 1장 1절, 그리고 디모데후서 1장 1절에 나오는 동일한 표현들 ( 그리고 딤전 1:1, “우리 구주 하나님과 우리의 소망이신 그 리스도 예수의 명령을 따라”라는 어구 ) 에서와
마찬가지로, 논쟁적인 분위기를 띠고 있
11 )
지 않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골로새서가 바울의 편지임을 일관되게 인정하지만, 편지의 서두 는 사실상 두 사람을 저자로 소개하고 있다. 즉 바울과 “우리 형제 디모데” 이다. 제2차 선교 여행이 시작될 때부터 바울의 동역자로 그 이름이 소개된 디모데 ( 헹 16:1~3 ) 는 바울의 사역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측근이 되었다. 따라 서 “형제”라는 단어는 바울과 디모데가 사역에 있어서 얼마나 가까운 사이 였는지를 보여 주기 위해 의도적으로 쓰인 것이라고 생각된다.12 ) 디모데는 9 ) Douglas J. Moo, “The Christology of the Early Pauline Epistles,” in Contours of Christology in the New Testament (ed. Richard N. Longenecker; Grand Rapids: Eerdmans, 2005), pp. 186~187; Ben Witherington III, “Christ” and “Christology,” in DPL, 98; Barth/Blanke, p. 137. 10 ) Dunn, p. 46. 11 ) Lightfoot, p. 131. 12 ) O’Brien, p. 3.
111
III. III. 빌레몬서의 목적과 중요성
빌레몬서 주석
THE PILLAR NEW TESTA MENT COMMENTARY
THE LETTER to Philemon
485
The Let ter to Philemon
I. 편지 서문 (1~3절) 1
그리스도 예수를 위하여 갇힌 자 된
바울과 및 형제 디모데는 우리의 사랑을 받는 자요 동역자인 빌 레몬과 2 자매 압비아와 우리와 함께 병 사 된 아킵보와 네 집에 있는 교회에 편 지하노니 3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
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
Paul, a prisoner of Christ Jesus, and Timothy our brother, To Philemon our dear friend and fellow worker— 2 also to Apphia our sister and Archippus our fellow soldier—and to the church that meets in your home: 3 Grace and peace to you from God our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1
을지어다
고대 편지들의 서문은 상당히 자연스러운 패턴을 따라 구성된다. 즉 먼저 저자가 누구인지를 밝히고, 이어 수신인을 밝히고, 마지막으로 인사의 말이 나온다. 예루살렘 공회의 결정을 전달하기 위해 안디옥, 수리아, 길리기아 에 있는 신자들에게 보낸 야고보의 편지는 이런 형식을 보여 주는 신약 성 경의 가장 순수한 사례다. “사도와 장로 된 형제들은 안디옥과 수리아와 길 리기아에 있는 이방인 형제들에게 문안하노라”( 행 15:23b ). 바울 역시 자신의 편지에서 이 형식을 따르지만, 어떤 때는 간략하게 또 어떤 때는 상당히 상 486
I. 편지 서문 (1~3절) 빌레몬서 1절
세하게 각 부분을 부연하는 것이 보통이다. 빌레몬서 1~3절은 편지 서문임 을 누구라도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전형적인 세 부분이 꽤 확장되어 있음 을 보여 준다. 1절 바울 ( 사울의 그리스-로마식 이름[골 1:1 해설 참조] ) 은 편지 서문에서 자신을 “사
도”라고 밝히는 것이 보통이다. 예외는 빌립보서, 데살로니가전후서, 그리 고 빌레몬서다. 앞의 세 편지에서 바울이 “사도”라는 호칭을 빠뜨린 것은 자신과 함께 한 사람 또는 그 이상의 동역자들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일 것 이다. 한편 빌레몬서에 사도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는 것은 이 편지가 개인 적 성격이 보다 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빌레몬서에는 “사도” 대신 “수인”( 개역개정 “갇힌 자” ) 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따라서 빌레몬서 는 바울이 구금된 상태에서 쓴 다섯 통의 편지 중 하나다. 편지의 내용, 수 신지, 그리고 동역자들에 대한 언급을 놓고 생각해 볼 때, 빌레몬서는 에베 소서 및 골로새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우리 는 이 세 통의 편지 모두 바울이 AD 60~61년에 로마에 구금되어 있을 때 ( 행 28:28~30 ) 쓰인 것이라고 잠정적으로 결론짓는다 ( 골로새서 서론, pp. 69~75을 보라 ).
이 세 통의 편지는 빌립보서 및 디모데후서와 더불어 바울이 옥에 갇
혀 있을 때 쓰인 것이지만, 그가 편지의 모두에서 자기 자신을 “수인”이라 부르는 것은 빌레몬서가 유일하다. 어떤 주석가들은 이 호칭은 그가 통상적 으로 주장하는 사도라는 호칭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고 생각한다. 바 울은 자기 자신을 “그리스도 예수의 수인”이라고 부름으로써 자신의 권위, 즉 사도적 소명을 수행해야 하는 자신의 임무로 말미암아 감옥에 갇히게 된 자의 권위를 주장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1 ) 그러나 여기서 바울은 다른 목적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그가 자기 자신을 “수인”이라고 규정한 것은 개인적인 편지를 쓰고 있기 때문만이 아니라 특별히 논쟁적인 전략을 구사 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었다. 빌레몬을 향한 바울의 호소에는 이 편지에 등 장하는 핵심 인물들 사이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암시들이 가미되어 있다.2 ) 바울의 구금은 복음으로 말미암은 그 자신의 희생을 은밀하게 상기시켜 주 며 이로 인해 빌레몬은 그의 요청을 연민을 갖고 바라볼 수밖에 없었을 것 이다.3 ) “바울은 빌레몬으로 하여금 그의 권리를 포기하게 하려고 자기 자
1 ) Lohse, p. 189; Wilson, p. 332. 2 ) 특히 Peterson, Rediscovering Paul (Philadelphia: Fortress, 1985); Chris Frilingos, “‘For my Child, Onesimus’: Paul and Domestic Power in Philemon,” JBL 119 (2000), pp. 91~104를 보라. 3 ) 예, Lightfoot, p. 333; O’Brien, p. 272; Dunn, p. 311을 보라.
487
빌레몬서 주석 1절
신의 권리도 내려놓았다”( 루터 ).4 ) 바울은 자신이 수인이라고 말함으로써 힘 없는 오네시모와 자신이 동일한 처지에 있음을 부각시킨다.5 ) 아울러 “그리 스도 예수의 수인”이라는 호칭은 이 편지의 또 다른 핵심 주제를 암묵적으 로 보여 주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복음의 견지에서 관계들을 재규정하는 것이다. 바울은 “가이사의 수인”일 수도 있지만 좀 더 심오한 의미에서는 “그리스도 예수의 수인”이다.6 ) 이것은 “수인”이라는 단어가 여기서 영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뜻이 아니다. 즉 바울은 자신이 복음 사역을 위해서 그리 스도에 의해 사로잡힌 자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7 ) 그러나 이 단어는 바울의 구금이 궁극적으로는 인간적 결정에 따른 문제가 아님을 암 시한다. 즉 바울이 수인이 된 것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것이며 또한 그리 스도의 명에 따른 것이다.8 ) 바울과 함께 디모데가 발신인의 한 사람으로 등장한다. 골로새서도 이와 동일하게 시작하며, 우리는 골로새서 1장 1절에 대한 주해에서 디모데에 대한 언급은 그가 이 편지의 공저자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것은 바울이 편지를 쓸 때 디모데가 그와 함께 있다는 것을 정중 하게 밝힌 것으로 보아야 하며, 디모데가 포함된 것은 빌레몬이 그를 알고 있었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 디모데는 3년에 걸친 바울의 에베소 사역 기간 중 적어도 일 정 기간 바울과 함께 있었다[행 19:22] ).9 ) 빌레몬서에는
바울 자신의 인격과 개성이 골
로새서보다 더욱 많이 배어 있는 것이 확실하다. 이 편지는 빌레몬에게 보 낸 것인데, 바울은 그를 “우리의 친애하는 친구와 동역자”( 개역개정 “사랑을 받는 자요 동역자” ) 라
부른다. “친애하는 친구”는 “사랑하는”을 뜻하는 헬라어 ‘아
가페토스’를 번역한 것으로, 이 문맥에서는 형용사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 4 ) Garland, p. 316에서 인용. 5 ) Thompson, p. 206. 6 ) Reinmuth, pp. 22~23. 7 ) 반대 견해, Erwin R. Goodenough, “Paul and Onesimus,” HTR 22 (1929), pp. 182~183. Barth/Blanke, pp. 245~247은 “수인”이라는 단어가 육신적 의미와 영적 의미 모두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8 ) ‘데스미오스’(de,smioj) 뒤에 오는 속격 ‘크리스투 예수’(Cristou/ VIhsou/)는 분류하기가 어려운 속
격 중 하나이며, “수인”과 “그리스도 예수”의 전반적 관계, 즉 어떤 하나의 특별한 뉘앙스에 국한 되어서는 안 되는 그러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바울은 그리스도를 선포 하였기 때문에 수인이 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고, 그리스도를 위하여 수인이 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으며, 그리스도에 속하는 수인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Harris, p. 244를 보라. 9 ) O’Brien, p. 272; Reinmuth, p. 23. 영어 번역본들은 헬라어 ‘호 아델포스’(o` avdelfo.j)를 “우리의 형제”라고 번역함으로써 이 해석을 따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것은 헬라어 정관사에 대한 타당한 해석의 하나이지만, 디모데가 이 편지를 쓰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다는 뜻과는 거리가 멀다.
488
I. 편지 빌레몬서 서문 (1~3절) 2절
다. 예컨대, “사랑하는 동료 일꾼”이라고 번역하는 ESV를 보라 ( NJB; RSV; NLT 도 보라 ).10 ) 그러나
이 둘은 분리된 것으로 유지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된다.
즉 빌레몬은 바울의 가까우면서도 사랑을 받는 친구인 동시에 복음을 위하 여 함께 일하는 동료의 한 사람이다. 바울은 단순히 그리스도인들을 지칭하 기 위해서도 “동료 일꾼”이라는 어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 고후 1:24 ), 대체로 는 중요한 사역에 있어서 자신과 함께 가까이서 일한 사람들만을 가리키기 위해 이 호칭을 사용한다 ( 롬 16:3, 9, 21; 고전 3:9; 고후 8:23; 빌 2:25; 4:3; 골 4:11; 살전 3:2; 몬 1:24 ).
골로새서 2장 1절은 빌레몬의 사랑과 믿음에 대해 “들었을” 뿐이라
는 바울의 주장 ( 5절 ) 과 더불어 바울과 빌레몬 두 사람이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음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동료 일꾼”이라는 어구는 이 둘 사이에 개인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었음을 암시하며, 19절 역시 빌레몬의 회심에 있어서 바울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뜻을 함축하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우리는 빌레몬이 에베소를 방문하는 도중에 회심했으며, 그는 리 쿠스 계곡으로 돌아가기 전에 에베소에서 한동안 바울과 함께 일을 했다고 추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바울이 빌레몬의 사랑과 믿음을 “들었다”고 말 한 것은 그들이 함께 있었던 지가 아주 오래 되었기 때문이었다. 2절 우리의 성경에 나타난 이 편지의 제목 ( 본래는 없었던 것이다 ) 및 이 주석
서에서 이 편지에 대한 지금까지 우리 자신의 설명은 빌레몬을 이 편지의 수신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그러나 2절에 분명히 나타나 있듯이, 바울은 이 편지를 빌레몬뿐 아니라 “자매 압비아와 우리와 함께 병사 된 아킵보” 그리 고 “네 집에 있는 교회”에도 보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어떤 해석자 들은 일차적인 수신인이 이 절에서 발견된다고 주장한다. 이 편지와 그 중 요성에 대하여 대안적 해석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한 녹스 ( John Knox ) 는 바울 자신이 편지를 보낸 사람은 아킵보라고 주장했다. 즉 아킵보가 오네시모의 주인이며, 교회는 그의 집에서 모였다는 것이다.11 ) 녹스는 이 후자는 헬라 어 본문의 어순으로 볼 때 분명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교회”를 수식해 주는 헬라어 대명사 ‘수’( “너의” ) 에서 가장 가까운 선행사는 아킵보라는 것이 다. 빌레몬이 제일 먼저 언급된 것은 단지 바울이 그를 알고 있고 또한 그 자신과 아킵보 사이에서 빌레몬이 중재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했기 때문
10 ) 이 번역은 헬라어 ‘토 아가페토 카이 쉬네르고 헤몬’(tw/| avgaphtw/| kai. sunergw/| h`mw/n)이라는 어 구를 이사일의(hendiadys)로 이해한 것이다(Harris, p. 245). 11 ) J. Knox, Philemon among the Letters of Paul (London: Collins, 1960), pp. 51~59. Cope, “On
Rethinking the Philemon-Colossians Connection,” BR 30(1995), pp. 45~50도 보라.
489
빌레몬서 주석 2절
이었다. 그러나 이런 논증은 설득력이 없다. 그리스-로마 세계의 편지에서 주된 수신자는 거의 언제나 편지에서 가장 먼저 거명되는 인물이었다. 그래 서 대부분의 해석자들은 빌레몬이 기본 수신자라는 데 동의한다. 그는 오네 시모의 주인이었고 이 절에서 언급된 교회는 그의 집에서 모였다. 대부분의 영어 번역본들은 이 문제를 분명히 매듭짓지 않거나, ( 가장 가까운 선행사로 말미암 아 )
심지어 그 집 주인이 아킵보라는 암시를 주고 있다. 그러나 TNIV는 “우
리 자매 압비아와 우리의 동료 병사 아킵보에게도”라는 구절을 대시 기 호 ( — ) 사이에 위치시키고 그럼으로써 빌레몬이 2절 끝의 “너의”라는 대명 사의 선행사임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통상적인 해석을 반영하고 있다 만일 바울이 이 편지에서 정말 말하고자 하는 사람이 빌레몬이라면, 그는 왜 편지 서문에서 눈에 잘 띄는 이곳에 다른 사람들의 이름도 포함시키고 있는 것일까? 다른 편지에서는 그렇게 한 적이 없는데 말이다.12 ) 서문에서 여러 사람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는 그리스-로마 세계의 다른 편지들은 단 일한 개인에게 보낸 편지들이며, 그렇기 때문에 바울이 이렇게 한 것은 전 례가 없는 일은 아니다.13 ) 또한 편지의 대부분은 바울이 한 사람을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데, 4~22절에 걸쳐서 단수 대명사 “너”가 사용되 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바울은 왜 압비아와 아킵보와 빌레몬의 가정 교회를 언급하고 있는 것일까? 그는 어쩌면 단순히 예의 차원에서 그들을 포함시켰을 수 있다. 특히 압비아와 아킵보가 빌레몬의 집에 속한 사람이라 면 더욱 그렇다. 바울은 압비아를 그냥 “우리의 자매”( 즉 동료 그리스도인 ) 라 부 르고 있지만,14 ) 그녀는 빌레몬의 아내였을 가능성이 있다.15 ) 그녀는 남편 빌레몬과 함께 사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것 같은데, 우리는 신약 성경에 서 이처럼 남편과 아내로 이루어진 사역팀의 다른 사례들을 보게 된다 ( 가장 유명한 경우는 아굴라와 브리스길라 부부이다[행 18:2, 18~19; 롬 16:3~4]; 또한 “안드로니고와 유니게” 도 부부였을지 모른다[롬 16:7] ).
하지만 만일 압비아가 빌레몬의 아내라면, 이 편지
에서 거론되고 있는 이슈가 그녀의 남편뿐 아니라 그녀에게도 영향을 미치
12 ) 유일하게 비슷한 경우로 볼 수 있는 것은 빌립보서 1장 1절인데, 여기서 바울은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와 또한 감독들과 집사들”에게 편지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감독들과 집사들은 전체 수 신인에 포함된 중요한 인물들이다. 13 ) Arzt-Grabner, pp. 112~114를 보라. 14 ) 바울은 한 명의 여성 신자(롬 16:1, 15), 일단의 여성 신자들(딤전 5:2), 또는 대표적인 한 명의
여성 신자(고전 7:15; 9:5)를 가리킬 때에 모두 “자매”(아델페[avdelfh,])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15 ) 대부분의 주석가들이 이렇게 생각한다. 예, Lightfoot, p. 306; Vincent, p. 176; Lohse, p. 190; O’ Brien, p. 273; Gnilka, p. 16; Stuhlmacher, p. 30을 보라.
490
T H E PI L L A R NEW T E S TA M E N T COM M E N TA RY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골로새서·빌레몬서
성경 말씀을 진지하게 연구하는 그리스도인을 대상으로 하는 『필라 신약 성경 주석』 ( PNTC ) 은 은 현재 가장 논쟁되는 주제를 다루지만, 지나치게 학술적인 내용은 피하면서, 성경 말씀과 성 경신학에 대한 민감한 안목으로 주해와 해석의 조화, 학문과 목회의 조화를 꿈꾼다. 필라 신약 성경 주석의 저자들은 헬라어 신약 성경을 기초로 성경 본문을 해설한다. 이들은 글 로 된 성경 말씀이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본문과 깊이 씨름하며, 독자로 하 여금 말씀의 의미를 깨닫고 그 의미를 삶에 적용하도록 돕는다. 이 시리즈가 취하는 접근 방식은, 우리가 하나님을 판단하지 못하며 하나님이 우리를 지켜보신 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말씀하실 때, 하나님을 안다고 고백하는 그리스 도인은 반드시 경외함, 두려움, 거룩한 기쁨, 순종함으로 응답해야 하는데,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 역시 같은 모습으로 응답하며 성경 말씀을 연구한다. 이렇게 집필된 『필라 신약 성경 주석』 ( PNTC ) 은 목사, 교사, 신학생뿐 아니라 그리스도인 독자 모두에게 계속 환영받을 것이다.
더글러스 무( Douglas J. Moo )
PN TC
골로새서 빌 ·레몬서
무엇보다 우리에게 주어진 성경 본문을 명확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
지은이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20년간 가르쳤으며, 현재 휘튼 대학에서 신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NIV 성경 번역 위원회(CBT)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잘 알려진 저서 로는 『PNTC 야고보서』 (부흥과개혁사), 『NIV 적용주석: 베드로후서 유다서』, 『NICNT 로마서』 (이상 솔로몬) 등이 있다.
옮긴이
더글러스 무
신윤수
지음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M. M., Th. D.)했으며,
Div.)
및 성서학을 전공(Th.
장로회신학대학교와 서울장신대학교 등 여러 신학교와 비블리카 아카데미아에서 가르쳤다. 역
서로는 『성경신학의 5가지 유형』 (부흥과개혁사),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문법』 (비블리카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아카데미아),
『칼빈주석 사도행
전』 (크리스천 다이제스트) 등이 있다.
ISBN 978 - 89 - 6092 - 491 - 8 ISBN 978 - 89 - 6092 - 448 - 2 (세트) www.rnrbook.com
값 32,000원
신윤수 옮김
The Letters to the Colossians and to Philemon
더글러스 무 지음 | 신윤수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