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IEL 아볼로 구약 성경 주석(AOTC)의 목표는 성경 말씀의 신성함과 인격적인 면을 동등하게 다루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오늘날에도 여 전히 유효한데, 이 성경의 의미를 온전히 깨닫기 위해서는 성경이 기록된 시대의 언어, 사회, 문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학문적인 접근을 통해 구약 성경을 그리스도인들에
다니엘
AOTC
A POLLOS O LD T ESTAMENT C O M M E N TA RY
다니엘
게 상세히 설명하는 이 주석 시리즈는, 구약 성경이 현대 사회를 사는 독자에게 중요하 고 가치가 있음을 증명한다.
어니스트 루카스 지음 | 김대웅 옮김
세계적인 학자들이 집필한 이 주석 시리즈는 우선적으로 구약을 설교하는 목회자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기획되었다. 하지만 성경을 연구하는 학자나 학생 누구라도 구약 성경을 깊이 배우기 원한다면, 이 주석 시리즈를 통해 그 필요를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영국 켄트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Ph. D.) 생화학 연구소에서 일하다가 침례교 목사가 되었 으며, 영국 리버풀 대학교에서 다니엘서를 연구했다(Ph. D.). 영국 브리스톨 침례 대학의 부학장을 역임하고,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신학·종교학 명예 연구원으로 활동한 저자는 잠언 주석(THOTC), 에스겔 및 다니엘 배경 주석(ZIBBC), 시편과 지혜 문학 교재, 과학과 신앙에 대한 논문 등 다양한 책을 저술했다.
옮긴이 김대웅 경북대학교(B. 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하고(M. Div.) 미국 듀크 대학교를 거쳐(Th. M.) 미국 라이스 대학교에서 구약학을 전공했다(Ph. D.).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구약학 교수 로 섬기고 있으며, 『NIV 스터디 바이블』(부흥과개혁사)에 역자로 참여했다.
어니스트 루카스 지음 |김대웅 옮김
지은이 어니스트 루카스 (Ernest Lucas)
시리즈 편집
데이비드 베이커·고든 웬함
ISBN 978-89-6092-480-2 978-89-6092-479-6 (세트)
www.rnrbook.com
값 25,000원
목차
시리즈 서문 | 6 저자 서문 | 8 약어 소개 | 11
서론
18
1. 성경 본문과 역본 | 20
1.1. 히브리어 본문과 아람어 본문 • 20
1.2. 헬라어 역본 • 20
1.3. 기타 역본 • 22
1.4. 본문 비평 지침 • 22
2. 번역 | 23 3. 다니엘 1-6장 해석하기 | 25
3.1. 문학 유형과 해석 • 25
3.2. 이야기 이해하기 • 32
3.3. 이야기에서 배우기 • 34
4. 다니엘서의 환상 해석하기 | 36
4.1. 환상과 꿈 • 36
4.2. 다니엘 7-8장과 상징적 환상 • 38
4.3. 다니엘 9장, 10-12장의 형식 • 42
5. 다니엘서의 역사적 맥락 | 44
성경 본문과 주석
53
맺음말 1.
연대 | 427
1.1. 역사적 오류 • 427
1.2. 언어학적 주장 • 428
1.3. 다니엘과 예고적 예언 • 429
1.4. 다니엘서, 예언인가 묵시인가? • 431
1.5. 다니엘서와 히브리 정경 • 434
1.6. 결론 • 434
2.
작성 및 저작설 | 435
427
3. 신학적 맺음말 | 439
부록: 다니엘서 추가 본문 1.
아자랴의 기도 및 세 젊은이의 노래 | 441
2. 벨 이야기와 뱀 이야기 | 446 3. 수산나 | 449
참고문헌 | 454
441
다니엘
| 시리즈 서문 |
아볼로 구약 주석 ( AOTC ) 은 가르침을 통해 자신의 위대한 지성을 열정적 이고 강력하게 전파할 수 있었던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유대 기독교인의 이 름을 따른다 ( 행
18:24-25 ).
아볼로는 과거의 사건들을 통해서 자신의 동시대
사회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잘 알고 있었다. 이 주석 시리즈는 아볼로가 했던 일과 똑같은 목적을 추구한다. 이 시리즈의 한쪽 발은 원문의 심대한 세계 속으로 언제나 굳게 내디디면서 다른 한쪽 발은 설교자와 교사와 성 경을 공부하는 학생들로 이루어진 폭넓은 독자 집단을 향해 뻗쳐 있다. 이 시리즈의 편집자들은 학문적 탁월성과 실제적 적용의 통찰을 겸비함으로써 이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능숙한 학자들을 선발했다. 한 언어의 모든 의미를 다른 언어로 옮기기 위해서는 번역자들이 원문과 모국어의 언어적 관습이나 의미론적으로 미묘한 차이에 통달해야 한다. 그 러나 주석가들은 단지 원문의 번역자 역할이라기보다는 해석자 역할을 한 다. 주석가들은 번역자들보다 훨씬 더 견고하고 다양하게 이중적 입장을 가 질 필요가 있다. 즉 한편으로는 주석가들도 번역자들처럼 직접 탁월한 번역 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언어적인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더 나아가 주석가들 은 문학적 관습들, 사회학적이고 문화적인 습관들, 본문의 생산자와 관계자 들의 역사적 환경과 이해와 신학적 관점들에 완전히 정통해야 한다. 또 다 른 한편으로 주석가들은 자기들의 시대와 문화를 알아야 하고, 본문의 최초 청중들과 동시대 독자들 사이의 접촉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주석가들은 본문뿐 아니라 청중까지도 해석할 필요가 6
시리즈 서문
있다. 전통적으로 주석가들은 고대의 본문에 빛을 비추고 뜻을 설명하는 데 만 족해 왔다. 그러나 더 최근에는 우리 시대 상황을 파고드는 주석의 필요성 이 더욱 분명해졌고, 이 시리즈는 본문의 역사적 의미 규명과 그 현대적 적 용을 결합한 방법론을 의식적으로 채택했다. 각 주석의 저자들은 새로운 번 역, 본문 해설, 문학적 형식 및 단락의 구조 및 배경, 본문 주해에 따른 설명 등을 통하여 원문을 철저히 분석한다. 저자들은 각 구절이 성경과 교회 안 에서 어떤 해석적 발전을 거쳤는지 연구한 뒤, 현대 독자들에게까지 그 구 절의 뜻을 있는 그대로 전달한다. 우리는 이 주석이 단지 학자들의 연구를 위한 탁월한 수단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목회자들의 설교를 위한 효율적인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데이비드 베이커 ( David W. Baker ) 고든 웬함 ( Gordon J. Wenham )
7
다니엘
| 저자 서문 |
이 주석은 다른 누구보다 성경을 가르치고 설교할 책임을 가진 분들, 특 히 기독교 환경 속에서 그렇게 하는 분들을 위해 쓰여졌다. 그분들의 여러 필요들을 염두에 두다 보니 나는 이 주석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하게 되 었다. 예를 들어서 나는 ‘본문 해설’에서 상세한 내용을 다 설명하지 않고, 그 대신 본문 비평이나 문법, 특히 히브리어와 아람어 본문을 확정하고 이 해함에 있어서 특별히 중요한 의미론과 관련된 사안들만 다루려고 했다. 이 주석의 나머지 부분은 주로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본문을 다룬다. 그렇게 한 데는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자세한 연구를 마친 내 입장에 서 생각해 볼 때, 다니엘서의 현재 이야기들이나 환상 기사들 이면에 있는 초기 전승들의 형식을 과연 어느 정도나 합리적 확실성을 갖고 복구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기 때문이다. 만약 더 이른 시기 전통들이 가졌던 본문의 모양이 일정 정도의 확실성을 갖고 복구될 수 있다면, 오직 그 전통들이 어 떻게 발전했는지 학자들이 이해할 수 있고 동시에 학문적 토론이나 강연장 의 토론 의제가 되기보다는 교회나 회당에서 교육이나 설교에서 건설적으 로 활용 가능할 때에만 가능할 것이다. 둘째, 우리가 갖고 있는 현재 본문의 이야기들과 환상 기사들이 형식상으로 매우 치밀하게 다듬어졌고, 그 형식 의 완성도가 인정되고 연구되기에 충분할 만큼 가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히브리어 성경을 정경으로 받아들이는 분들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 고 여기는 것은 바로 최종 형식의 본문이기 때문이다. 본서에서 이야기와 환상 기사들의 형식과 구조를 구분하려는 시도는 8
저자 서문
문학 비평 분야에서 행해지는 순수한 학문적 작업이 아니다 ( 형식과 구조를 통해 표현된 예술성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가치는 있다 ).
이 시도는 본문의 의미를 열기 위한
한 가지 수단이다. 한 본문이 자기의 중요한 관심들을 강조하기 위해서 일 정한 구조를 갖추기 마련이다. 특정한 단어나 구절을 사용하는 방식 역시 이런 견지에서 본문의 뜻을 알려 주는 중요한 단서들이다. 각 장의 ‘주석’은 ‘형식과 구조’ 연구에서 제공한 통찰들을 근거로 진행될 것이며, 본문이 제 기하는 다양한 사안들을 상세히 조사함으로써 본문의 더 깊은 곳에서 의미 를 길어 올릴 것이다. 마지막 단계로 ‘해설’에서는 연구의 초점이 본문의 세 부사항에서 벗어나 주요한 신학적 주제들로 옮겨질 것이다. 이 신학적 주제 들은 성경적이고 역사적인 맥락 안에서 주로 논의되겠지만, 우리 시대에 유 용한 암시들도 헤아려 볼 것이다. 하지만 나는 다니엘서를 우리 시대 환경 에 상세하게 적용하려고 하지는 않았는데, 그런 적용은 상이한 상황들에 따 라 크게 달라질 수 있고, 결국엔 각 교사나 설교자가 자신의 청중들에게 직 접 적용해 주어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이 주석의 목적은 그분들이 그 렇게 하실 수 있도록 다니엘서 본문 이해에 있어서 견고한 근거를 제공하 는 것이다. 본 주석이 제공하는 것보다 더 상세한 서론과 참고문헌이 필요한 독자는 골딩게이와 콜린스의 주석서들을 적절히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 J. dingay, World Biblical Commentary, 1989; J. J. Collins, Hermeneia, 1993 ).
E. Gol
본 주석의 목적을
고려할 때, 상세한 다니엘서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인 이 두 주석서가 이미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 내용을 반복하는 것은 불필요하고 부적절하다고 판 단되었다. 독자는 본 주석이 그 두 사람의 주석서들에 많이 의존하고 있음 을 분명히 알게 될 것이다. 본 주석이 나오기까지 몇몇 분들이 수년 동안 나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주셨고, 나는 이곳 지면을 빌어 그분들께 감사드리고 싶다. 리버풀 대학교 에서 나의 다니엘서 박사 학위 연구를 지도했던 앨런 밀러드 ( Alan Millard ) 교 수는 나에게 아카드어를 가르쳤고 다니엘서 이해를 위해 중요한 맥락을 제 공하는 아카드어 자료들도 소개했다. 틴데일 재단은 나의 박사 학위 연구를 위해 필요한 자금의 일부로 연구 지원금을 제공했다. 물론, 아볼로 구약 성 경 주석 시리즈 편집자들이 나를 다니엘서 주석 집필자로 선정하지 않았다 면 본 주석은 세상에 있지 못했을 것이다. 나에게 집필의 기회를 준 편집자들 께, 특히 본 주석의 원고를 보시고 유용한 조언을 해준 고든 웬함 ( Gordon Wenham )
교수께 감사드린다. 본 주석의 출판을 맡아 준 영국 기독 대학생회 9
다니엘
관계자들, 특히 편집 작업을 한 필립 듀스와 조 브람웰에게도 꼭 감사드리 고 싶다. 이 주석서를 쓰던 지난 수년 간 한결같이 내게 힘이 되어 준 아내 하젤과 우리의 두 아들 크레이그와 스튜어트에게도 감사를 전하고 싶다. 다 른 누구보다 내가 박사 과정 연구를 진행하던 시간과 이후 이 주석을 쓰던 여러 해의 기간을 포함해서 언제나 내게 사랑과 지원과 격려를 주었던 내 아내 하젤에게 이 책을 바친다. 어니스트 루카스 ( Ernest Lucas )
10
성경 본문
| 약어 소개 |
성경 본문 1QDan
쿰란 제1동굴에서 발견된 다니엘서 본문 파편
4QDan
쿰란 제4동굴에서 발견된 다니엘서 본문 파편
6QDan
쿰란 제1동굴에서 발견된 다니엘서 본문 파편
Akk.
아카드어
Aq
아퀼라의 다니엘서 헬라어역
Aram.
아람어
BHS K. Elliger and W. Rudolph (ed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 2nd ed., Stuttgart: Deutsche Bibelstiftung, 1977 CD
쿰란 다마스커스 문서
CDC
다마스커스 맹약회의 카이로 게니자 문서
Gen. Rab.
창세기 미드라쉬 ( Genesis Rabbah )
Gk.
헬라어
HB
히브리어 성경
Hebr.
히브리어
K
케티브 ( 기록된 히브리어 본문 )
Luc
루키아누스의 다니엘서 헬라어역
LXX
70인역 11
다니엘
MS ( S )
사본(들)
MT
마소라 본문 ( BHS로 출판됨 )
OG
고대 헬라어역
OL
고대 라틴어역
OP
고대 페르시아어역
pap.
파피루스
pesh.
페셰르
pesh
페시타 (고대 시리아어역)
Q
케레 (읽혀야 할 히브리어 본문)
Syh
시로-헥사플라
Sym
심마쿠스의 다니엘서 헬라어역
Syr
다니엘서 시리아어역
Vg
불가타역
VSS
역본들
Ziegler J. Ziegler, Septuaginta: Vetus Testament Graecum
XVI/2: Susanna, Daniel, Bel et Draco , 2nd ed.,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99
θ
테오도티온의 다니엘서 헬라어역
고대 작품 Adv. Haer.
이레나이우스, 이단 반박
Ant.
요세푸스, 유대 고대사
2 Apoc. Bar.
바룩2서(시리아어 바룩서)
Apoc. Elijah
엘리야 묵시록
Contra Ap.
요세푸스, 아피온 반론
Hist.
헤로도토스, 폴리비오스, 역사
Jerome 히에로니무스의 다니엘서 주석( Jerome’s Commen tary on Daniel , trans. G. Archer, Grand Rapids, MI: Baker, 1958)
Jub.
희년서
m. Ber.
미쉬나, 베라카
12
약어 소개 학술지, 사전, 연속 간행물
1, 2 Macc.
마카베오1, 2서
Praep. Ev.
유세비우스, 복음의 준비
Syb. Or.
시빌의 신탁
Syr.
아피아노스, 시리아 전쟁기
T. Levi
레위의 유언
T. Moses
모세의 유언
T. Naphtali
납달리의 유언
T. Reuben
르우벤의 유언
Wis.
솔로몬의 지혜
기타 ANE
고대 근동
AV
Authorized (King James) Version of the Bible
GNB
Good News Bible
JB
Jerusalem Bible
n (n).
해설(들)
NEB
New English Bible
NRSV
New Revised Standard Bible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RV
Revised Version
학술지, 사전, 연속 간행물 AB
Anchor Bible
ABD D. N. Freedman (ed.), Anchor Bible Dictionary , 6 vols., New York: Doubleday, 1992
AfO
Archiv für Orientforshung
AJSL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
ANET J. B. Pritchard (ed.), Ancient Near Eastern
13
다니엘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 3rd e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AUSS
Andrews University Seminary Studies
BA
Biblical Archaeologist
BASOR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Bauer&Leander H. Bauer and P. Leander, Grammatik des
Biblisch-Aramäischen , Halle: Niemeyer, 1927 BCBC
Believers church Bible commentary
BDB F. Brown, S, R. Driver and C. A. Briggs (eds.), A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 Oxford: Clarendon, 1979. BSac
Bibliotheca sacra
CBC
Cambridge Bible Commentary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B
Century Bible
CBQM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Monograph Series
CP
Classical Philology
CTA A. Herdner (ed.), Corpus des tablettes en cuneiforms alphabetiques découvertes à 1939, Paris: Guethner, 1963
CW
Christentum und Wissenschaft
DJD
Discoveries in the Judean Desert
DSB
Daily Study Bible
EvQ
Evangelical Quarterly
FoiVie
Foi et vie
FOTL
Forms of Old Testament Literature
FRLANT Forschungen zur Religion und Literatur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 GC
Geneva Commentaries
GKC E. Kautzsch (ed.), Gesenius’ Hebrew Grammar , 2nd ed. (rev. and trans. A. E. Cowley), Oxford: Clarendon, 1990
14
약어 소개 학술지, 사전, 연속 간행물
HDR
Harvard Dissertations in Religion
HO
Handbuch der Orientalistik
HSM
Harvard Semitic Monographs
HR
History of Religions
HTS
Harvard Theological Studies
HUCA
Hebrew Union College Annual
IB G. A. Buttrick et al. (eds.), The Interpreter’s Bible , 12 vols., Nashville, TN: Abingdon, 195257 ICC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IDB G. A. Buttrick et al. (eds.),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 4 vols., Nashville, TN: Abingdon, 1962
IDBSup K. Crim (ed.),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Supplementary Volume , Nashville, TN: Abingdon, 1976
IOS
Israel Oriental Studies
ITC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entaries
JA Journal asiatique JAO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CS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JS
Journal of Jewish Studies
JNES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Joüon P. Joüon, A Grammar of Biblical Hebrew , 2 vols. (trans. And rev. T. Muraoka), Rome: Pontificio Instituto Biblico, 1966
JQR
Jewish Quarterly Review
JSJ Journal for the Study of Judaism in the Persian, Hellenistic and Roman Periods JSO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JSO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15
다니엘
Supplement Series JSP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Pseudepigrapha, Supplement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KPG
Knox Preaching Guides
LBBC
Layman’s Bible Book Commentary
NCB
New Century Bible
NIDOTTE W. A. VanGemeren (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 5 vols., Grand Rapids, MI: Zondervan; Carlisle: Paternoster, 1997
NTS
New Testament Studies
OBT
Overtures to Biblical Theology
OTL
Old Testament Library
OtSt
Oudtestamentische Studiën
PEQ
Palestine Exploration Quarterly
PTA
Papyrologische Texte und Abhandlungen
RB
Revue biblique
RevQ
Revue de Qumran
Rosenthal F. Rosenthal, A Grammar of Biblical Aramaic , Wiesbaden: Otto Harrassowitz, 1974 SAA
State Archives of Assyria
SBLD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Dissertation Series
SBL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Monograph Series
SBLSC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eptuagint and Cognate Studies SBLSP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eminar Papers
SBS
Stuttgarter Bibelstudien
SJLA
Studies in Judaism in Late Antiquity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tevenson W. B. Stevenson, Grammar of Palestinian Jewish
Aramaic , 3rd ed., Oxford: Clarendon, 1962 StPB
16
Studia post-biblica
약어 소개 학술지, 사전, 연속 간행물
StTh
Studia theologica
StudOr
Studia orientalia
SVT
Studia in Veteris Testamenti
SVTP
Studia in Veteris Testamenti pseudepigraphica
TAP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TBC
Torch Bible Commentaries
TCS
Texts from Cuneiform Sources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 10 vols., (trans. G. W. Bromiley), Grand Rapids, MI: Eerdmans, 1964-76 TGUOS Transactions of the Glasgow University Oriental Society TOTC
Tyndale Old Testament Commentaries
TTZ
Trierer theologische Zeitschrift
TynB
Tyndale Bullentin
VT
Vetus Testamentum
VTSup
Vetus Testamentum Supplements
Waltke & B. K. Waltke and M. O’Connor, An Introduction O’Connor to Biblical Hebrew Syntax , Winona Lake, IN: Eisenbrauns, 1990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WMANT Wissenschaftliche Monograph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WTJ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ZA
Zeitschrift für Assyriologie
ZAW
Zeitschrift fü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17
다니엘
서론
히브리어 성경이나 기독교 성경의 개신교 정경에 나오는 형태의 다니엘 서는 그보다 더 광범위한 ‘다니엘 문학’의 일부분이다. 기독교 시대 이전으 로 거슬러 올라가는 다니엘서의 헬라어 형태 속에는 추가 자료들이 들어 있다. ‘아자랴의 기도’와 ‘세 청년의 노래’가 제3장에 추가되는데, 그 세 유 대인들이 풀무불 속에 있는 동안 이 기도들을 드린다. 테오도티온역에서는 다니엘 1장 앞에 ‘수산나 이야기’가 놓여 있다. ‘수산나 이야기’가 다른 헬 라어 역본들에서 12장 뒤에 놓이게 될 때는 ‘벨’( Bel ) 이야기와 ‘용’( 혹은
뱀 )
이야기로 알려진 다른 두 이야기들 앞에 나오는 경우도 있고 뒤에 나오는 경우도 있다. 유대인들과 개신교인들은 이런 헬라어 역본들을 외경으로 여 기지만 천주교인들은 제2정경으로 여긴다. 본 주석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발견되는 다니엘서의 형태에 우선적 관심을 기울인다. 추가적인 헬라어 본 문들에 대한 한글 번역은 부록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이 주석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쿰란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아람어 본문들도 이 광범위한 다니엘 문학의 일부분이다 ( Brooke
& VanderKam [eds.] 1996 참조 ).
4Q243-244는 다니엘에 관한
궁정 이야기로 보이는데,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묵시적 개요를 담고 있다. 4QpsDanc는 다니엘과 어떤 책을 언급하고 이스라엘 역사를 포괄하는 제사 장들과 왕들의 목록을 전해 주는데, 종말론적 대단원으로 끝난다. 4QpsDand는 다니엘을 사실상 언급하지 않지만, ‘인자’와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들’을 언급하면서 다니엘 7장과의 관련성을 암시한다. 4QPrNab은 나보니두스에 관한 이야기인데, 비록 다니엘이 언급되진 않지만 다니엘 4장과 모종의 유사성을 띤다. 다니엘서는 여러 가지 면에서 난해한 책이다. 다니엘서는 두 가지 다른 18
서론 서론 학술지, 사전, 연속 간행물
종류의 내용, 곧 외국 왕들의 궁정에서 일하는 유대 포로들에 대한 이야기 부분 ( 1-6장 ) 과 이 포로들 중 한 사람이 경험하고 기록한 환상 부분 ( 7-12장 ) 으 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니엘서는 히브리어 ( 1:1-2:4a, 8-12장 ) 와 아람어 ( 2:4b-7:28 ) 두 가지 언어로 기록되었다. 히브리어 부분과 아람어 부분이 전환되는 지점 들은 이야기 부분과 환상 부분이 나눠지는 지점들과 일치하지 않는다. 기독 교 성경에서 다니엘서는 구약 성경의 선지서 목록에 포함되는데, 이에 비하 여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다니엘서가 정경의 세 번째 부분인 ‘성문서’에 포 함된다. 이스라엘 및 바벨론의 지혜 전통들과 다니엘서의 유사성 여부를 비 롯하여, 다니엘서가 히브리 선지자들과 더 친근한지 혹은 후기 유대교 묵시 들과 더 친근한지 여부에 관하여 아직 진행 중인 논의는 바로 이 불일치 문 제들과 맞물려 있다. 이런 난해한 문제들에 관한 논의는 다니엘서의 통일 성, 저작권, 저술 시기, 역사성 문제들과 불가피하게 연결된다. 주석서들 대부분은 이런 사안들을 ‘서론’에서 어느 정도 깊게 다룬 다음, 결론부에 가서야 본문을 어떻게 읽어야 할 지 방향을 제시한다. 종종 그런 주석서들은 결론들을 합리화시키려는 시도밖에는 못하게 된다. 그런 학문 적 시도는 얼마든지 인정될 수 있겠지만, 본 주석의 목적에는 잘 맞지 않는 다. 통상적으로 ‘서론’에 들어가야 할 많은 내용들을 내가 ‘맺음말’로 미루 어 둔 이유는 독자들이 다니엘서 본문에 접근할 때 좀 다른 방식으로, 즉 본 주석이 최종적으로 취하게 된 구성 방식에 따라 접근하기를 바랐기 때문이 다. 나는 이전 단락에서 약술된 현안들을 염두에 두고서 본문에 접근했고, 그럴 때는 본문으로부터 적절한 증거들을 꼼꼼히 제공하되 독자들로 하여 금 각자에게 가장 마음에 드는 입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 증거 들은 다니엘서에 관련된 난제들을 최대한 해결할 수 있도록 맺음말에서 종 합될 것이다. 너무 당연하겠지만, 내가 맺음말에서 몇몇 결론들을 만들어 감에 따라, 다니엘서 본문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나의 결정사항 들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런 결정들이 본문에 억지로 강요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런 해석적 결정들을 뒷받침하는 근거들이 다니 엘서 본문 자체로부터 나오게 되기를, 그래서 독자들에게 분명히 납득되기 를 희망한다. 그러므로 이 주석을 사용하는 분들은 본문에 대한 일련의 특 정한 결론들을 정당화하기 위한 주장 전개에 수동적으로 자기를 맡기지 말 고, 오히려 나와 함께 본문의 의미를 조사하는 작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 다니엘서의 이야기들과 환상들의 신학적 의미가, 전통적으로 서론에서 19
다니엘
다뤄지던 문제들에 대한 해법들과 그리 밀접한 관련은 없다는 깨달음이야 말로 내가 이런 방식의 연구를 통해 하게 된 흥미로운 경험이었다. 이어지 는 ‘서론’의 나머지 부분은 본문 해석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문제들을 다루 기로 하겠다.
1. 성경 본문과 역본 1.1. 히브리어 본문과 아람어 본문 몽고메리 ( Montgomery
1927: 12 ) 의
평가에 따르면, 다니엘서의 마소라 본문에
는 기록된 분문 형태 ( 케티브 ) 와 실제로 읽혀진 본문 형태 ( 케레 ) 에 있어서 많 은 양의 불일치가 나타나고, 또 사본들 간에도 다양한 독법들이 존재한다. 그런 많은 변이형들은 다른 역본들에서 발견되는 변이형들과 일치한다. 여덟 개의 단편적 다니엘서 사본들이 쿰란에서 발견되었다. 그 중 가장 오래 된 4QDanc는 BC 2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 Ulrich 1987: 17 ), 가장 늦은 시기의 사본은 쿰란 거주민들이 가장 나중까지 머물렀던 시기인 AD 1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Trever
1970 ).
2장 4b절에서 히브리어가 아
람어로 전환되는 특징은 1QDan 에서 확인되고 ( Barthélemy a
150-151 ),
& Milik [eds.] 1955:
8장 1절에서 아람어에서 히브리어로 전환되는 특징이 4QDana와
4QDanb에서 확인된다. 1QDanb와 4QDand에 있는 다니엘서 3장의 본문은 헬라어 역본들에서 발견되는 기도문들을 담고 있지 않다 ( Ulrich 1987: 18 ). 콜린스 ( Collins
1993: 3 ) 는
쿰란에서 나온 증거들에 관하여 요약하여 평가하
기를, ‘전반적으로 쿰란의 발견물들은 마소라 본문의 사본 전통이 가진 고 대성을 강력히 입증한다’고 말했다.
1.2. 헬라어 역본 4세기 말 히에로니무스 ( Jerome ) 의 저술에 따르면, 다니엘서의 70인역 본 문이 히브리어와 아람어 본문과 크게 달랐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기존 의 70인역 본문 대신 테오도티온 ( Theodotion ) 번역본을 사용하게 되었 다 ( Collins 1993:3-4의 인용문을 보라 ). 히에로니무스가 다니엘서의 70인역 본문으로 여겼던 것은 지금은 통상적으로 고대 헬라어 번역본 ( the Old Greek ) 으로 지칭 된다. 왜냐하면 70인역의 다니엘서 본문과 70인역 다른 책들과의 관계, 특히 오경의 번역본들과의 관계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교회는 다니엘서의 20
서론 1. 성경 본문과 역본
70인역 본문을 너무나 완강히 거절했고, 다니엘서의 70인역 본문은 오직 세 개의 증거 사본들만 알려지게 되었다. 1 ) 코덱스 키시아누스 ( Codex Chisianus 혹은 MS 88 )
사본은 AD 10세기경에 만들어졌다. 이 사본은 오리겐의
헥사플라 ( Hexapla ) 에 있는 고대 헬라어역의 개정본을 반영한다. 2 ) 시로-헥 사플라 ( Syro-Hexapla ) 의 문자적 번역 역시 고대 헬라어역 본문과 똑같은 형태 를 증거한다. 3 ) 현재 일부분이 더블린의 체스터 비티 도서관에 보관되고 다른 일부분이 쾰른과 바르셀로나에 분산되어 보관되어 있는 파피루스 967은 AD 3세기경에 작성된 사본이며, 오리겐의 헥사플라에 실리기 이전 의 고대 헬라어역 다니엘서 대부분을 수록하고 있다. 파피루스 967에서 7-8장은 4-5장 앞에 놓여 있는데, 아마도 이 장들을 올바른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려는 의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확실히, 고대 헬라어역 다니엘서는 마소라 본문 다니엘서와 특히 4-6장에서 상당히 다르다. 고대 헬라어역 다 니엘서의 자유로운 번역, 해설 첨가, 상이한 셈어 원본 사용에 관한 이유들 은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고대 헬라어역의 작성 연대는 대체로 BC 100년경으로 추정된다 ( Montgomery 1927: 38 ). 테오도티온이 저술한 것으로 알려진 헬라어역은 약 AD 200년경에 고대 헬라어역을 대체했다 ( Hartmann & Di Lella 1978: 78-79 ). 테오도티온역은 마소라 본 문과 유사한 본문에 대한 문자적 번역이다. 전통적으로, 테오도티온이라는 이름의 인물은 AD 2세기 말 무렵에 살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신약 성경에 나타난 다수의 다니엘서 인용구절들은 고대 헬라어역보다는 테오도 티온역을 따른다 ( Hartmann & Di Lella 1978: 80에 있는 사례들 참조 ). 따라서 기독교인들 이 사용하기 전에 이미 ‘원 테오도티온역’이 있었고, 그것이 다시 2세기에 개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학자들은 ‘원 테오도티온역’과 그것의 개정본 사이의 관련성을 부인하면서, 다니엘서의 테오도티온역은 BC 1세 기에 만들어졌으며 원 마소라 본문에 더욱 근접한 고대 헬라어역을 새롭게 번역한 것이거나 혹은 상당히 개정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아퀼라 ( Aquila ) 역과 심마쿠스 ( Symmachus ) 역은 시로-헥사플라와 교부들의 인용문들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 둘은 마소라 본문과 가까운 셈어 본문을 문자적으로 옮긴 것들이다. 마소라 본문과 이 두 번역의 차이는 매우 근소 하기 때문에 마소라 본문의 형태를 확정 짓는 증거 사본 역할 이외에는 다 니엘서 본문 비평에 거의 도움이 안된다 ( Montgomery 다니엘서 헬라어역 ( The
Lucianic Recension ) 은
1927: 28 ).
루키아누스의
테오도티온역 본문의 수정본이
며, 고대 헬라어역을 활용하되 아마도 아퀼라역과 심마쿠스역도 활용했던 21
다니엘
것 같다. 이 개정본은 AD 2세기 후반 경에 만들어졌다 ( Ziegler 53-56 ).
1.3. 기타 역본 고대 라틴어역 사본들, 즉 히에로니무스의 라틴어역보다 앞선 시기의 사 본들은 교부들의 인용문들과 몇 개의 단편 사본들을 통해서 알 수 있 다 ( Montgomery
1927: 29-32에 있는 목록들 참조 ).
이 사본들은 고대 헬라어역과 테오
도티온역의 영향을 받은 것들이다. 히에로니무스는 다니엘서를 389년과 392년 사이에 라틴어로 번역했다 ( Hartmann & Di Lella 1978: 75 ). 비록 히에로니무 스는 자신의 불가타 ( Vulgate ) 역을 자음으로 된 히브리어와 아람어 본문에 근 거하여 작성했지만, 그는 최소한 헥사플라를 통해서라도 더 이른 시기의 번 역본들을 알고 있었을 것이며, 따라서 그 번역본들의 영향을 상당히 받았을 것이다. 페시타 ( Peshitta ) 혹은 고대 시리아어 번역본은 AD 3세기 기독교인들 의 번역이다. 페시타역은 자음으로 된 히브리어와 아람어 본문에서 직접 번 역되었지만, 동시에 테오도티온역에도 의존했다. 시로-헥사플라는 616/7년경 텔라의 바울이 만든 것으로서 오리겐의 헥사플라에 있는 고대 헬라어역 본문에 대한 문자적인 고대 시리아어역이다. 오리겐의 헥사플라 에는 그가 개발한 비평기호들과 변이형들에 대한 매우 다양한 표기법들이 들어 있다. 콥트어 번역본들은 헬라어 번역본들에 기초하여 만들어졌다. 사히 딕 ( Sahidic ) 번역본은 파편 형태로만 남아 있으며 테오도티온역 본문 형태를 따른다. 보하릭 ( Boharic ) 역본은 헥사플라의 특징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 Ge hman 1927 ).
그 밖의 여러 가지 역본들이 더 존재한다. 아랍어 역본은 테오도티온역 본 문 형태에 대한 번역이다 ( Gehman 1925 ). 아르메니아어역은 아마도 AD 5세기 초에 작성된 것 같다. 이 역본은 테오도티온역에 대한 루키아누스의 헬라어 역을 참조했던 페시타역을 번역한 것이 시초였으나, 나중에는 테오도티온 역의 초기 형태에 더 근접하도록 그리고 동시에 페시타역을 더욱 문자적으 로 번역하는 방식으로 개정되었다 ( Cowe
1992: 419-453 ).
아르메이나어 역본은
조지아 역본의 가장 중요한 근간이 되었다 ( Cowe 1992: 239-252, 288 ). 에티오피 아 역본은 테오도티온역을 매우 자유롭게 번역한 것이다 ( Charles 1929: lviii ).
1.4. 본문 비평 지침 본문들과 역본들에 대한 이 개요는 다니엘서의 히브리어와 아람어 원본에 22
서론 2. 번역
대한 가장 중요한 증거 본문들이 마소라 본문과 쿰란 사본, 헬라어 역본들, 불가타역과 페시타역 등임을 보여 준다. 본문 비평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 준들은 몽고메리의 책에서 발췌하되 ( 1927:56-57 ) 그 이후 학자들의 연구도 고 려했다 ( 특히, Hartmann & Di Lella 1978: 72-84 ). 1. 일반적으로, 역본이 더 오래될수록, 그 역본에 대한 관심도 더 커지고 아마도 그 역본의 권위도 더 커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다양한 역본들의 독 립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것은 곧 역본 집단들이 단일한 증거 본문으로 여겨져야 함을 의미하며, 또한 그런 역본 집단들 중에 발견되는 차이점들은 자세히 조사될 가치가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2. 고대 라틴어역과 테오도티온역의 동일 형태, 테오도티온역과 페시타역 의 동일 형태, 혹은 불가타역과 테오도티온역의 동일 형태는 두 본문이 서 로 의존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일 경우가 흔하며, 이런 책들 간의 불일치 형 태들은 중요한 가치가 있다. 3. 만약 고대 헬라어역과 테오도티온역을 조합한 것이 마소라 본문과 차 이를 보인다면 그것은 큰 의미가 없는데, 그 이유는 테오도티온역이 고대 헬라어역에 의존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4. 고대 헬라어역과 테오도티온역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테오도티온역 이 고대 헬라어역 증거 본문들에 더 이상 남아 있지 않는 독법들을 가끔씩 보여 준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하겠지만, 그렇더라도 고대 헬라어 독법들을 테오도티온역보다 언제나 더 존중해야 한다. 5. 마소라 본문과 고대 헬라어역이 조합된 형태는 매우 신중하게 다뤄져 야 한다. 6. 마소라 본문과 테오도티온역이 조합된 형태는 후대 역본들보다 더 가 치 있게 다뤄져야 한다. 7. 4QDan 사본들과 고대 헬라어역이 조합된 형태가 마소라 본문과 차이 를 보이거나, 혹은 마소라 본문과 테오도티온역이 조합된 형태와 차이를 보 인다면, 그 차이는 신중하게 다뤄져야 한다.
2. 번역 한 언어로 된 본문을 다른 언어의 본문으로 번역하는 일에는 때로는 어려 운 선택이, 또 때로는 적절한 조정 작업이 수반된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 23
DANIEL
성경 본문과 주석
다니엘 1:1-21
다니엘 1:1-21
번역(개역개정 본문에 이어, 저자 사역 본문을 제공함 - 편집자 주) 1 :1
유다 왕 여호야김이 다스린 지 삼 년이 되는 해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루
살렘에 이르러 성을 에워쌌더니 2 주께서 유다 왕 여호야김과 하나님의 전 그릇 얼 마를 그의 손에 넘기시매 그가 그것을 가지고 시날 땅 자기 신들의 신전에 가져다 가 그 신들의 보물 창고에 두었더라 3
왕이 환관장 아스부나스에게 말하여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왕족과 귀족 몇 사람
4
곧 흠이 없고 용모가 아름다우며 모든 지혜를 통찰하며 지식에 통달하며 학문에
익숙하여 왕궁에 설 만한 소년을 데려오게 하였고 그들에게 갈대아 사람의 학문과 언어를 가르치게 하였고 5 또 왕이 지정하여 그들에게 왕의 음식과 그가 마시는 포 도주에서 날마다 쓸 것을 주어 삼 년을 기르게 하였으니 그 후에 그들은 왕 앞에 서 게 될 것이더라 6 그들 가운데는 유다 자손 곧 다니엘과 하나냐와 미사엘과 아사랴 가 있었더니 7 환관장이 그들의 이름을 고쳐 다니엘은 벨드사살이라 하고 하나냐는 사드락이라 하고 미사엘은 메삭이라 하고 아사랴는 아벳느고라 하였더라 8
다니엘은 뜻을 정하여 왕의 음식과 그가 마시는 포도주로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
하리라 하고 자기를 더럽히지 아니하도록 환관장에게 구하니 9 하나님이 다니엘로 하여금 환관장에게 은혜와 긍휼을 얻게 하신지라 10 환관장이 다니엘에게 이르되 내 가 내 주 왕을 두려워하노라 그가 너희 먹을 것과 너희 마실 것을 지정하셨거늘 너 희의 얼굴이 초췌하여 같은 또래의 소년들만 못한 것을 그가 보게 할 것이 무엇이 냐 그렇게 되면 너희 때문에 내 머리가 왕 앞에서 위태롭게 되리라 하니라 11 환관 장이 다니엘과 하나냐와 미사엘과 아사랴를 감독하게 한 자에게 다니엘이 말하되 12
청하오니 당신의 종들을 열흘 동안 시험하여 채식을 주어 먹게 하고 물을 주어 마
시게 한 후에 13 당신 앞에서 우리의 얼굴과 왕의 음식을 먹는 소년들의 얼굴을 비교 하여 보아서 당신이 보는 대로 종들에게 행하소서 하매 14 그가 그들의 말을 따라 열 흘 동안 시험하더니 15 열흘 후에 그들의 얼굴이 더욱 아름답고 살이 더욱 윤택하여
54
번역(개역개정 본문에 이어, 저자 사역 본문을 제공함 - 편집자번역 주)
왕의 음식을 먹는 다른 소년들보다 더 좋아 보인지라 16 그리하여 감독하는 자가 그 들에게 지정된 음식과 마실 포도주를 제하고 채식을 주니라 17
하나님이 이 네 소년에게 학문을 주시고 모든 서적을 깨닫게 하시고 지혜를 주
셨으니 다니엘은 또 모든 환상과 꿈을 깨달아 알더라 18 왕이 말한 대로 그들을 불러 들일 기한이 찼으므로 환관장이 그들을 느부갓네살 앞으로 데리고 가니 19 왕이 그 들과 말하여 보매 무리 중에 다니엘과 하나냐와 미사엘과 아사랴와 같은 자가 없으 므로 그들을 왕 앞에 서게 하고 20 왕이 그들에게 모든 일을 묻는 중에 그 지혜와 총 명이 온 나라 박수와 술객보다 십 배나 나은 줄을 아니라 21 다니엘은 고레스 왕 원 년까지 있으니라 In the third year of the reign of Jehoiakim, king of Judah,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came to Jerusalem and besieged it. 2 The Lord gave Jehoiakim into his power, with some of the utensils of the house of God. These he took to the land of Shinar, to the house of his god, and had them put in his god’s treasury. 3 The king commanded Ashpenaz, his chief courtier, to take some of the Israelites, some of the royal family, and some of the nobles, 4 young men free from any fault, of good appearance, skilled in all wisdom, knowledge and insight, who would have the ability to take a position in the king’s palace. They were to be taught the literature and language of the Chaldeans. 5 The king assigned them a daily portion of his own food and of the wine he drank. They were to be trained for three years, and some of them would then serve the king. 6 Among them were some Judeans: Daniel, Hananiah, Mishael and Azariah. 7 The head courtier gave them names. He named Daniel, Belteshazzar; Hananiah, Shadrach; Mishael, Meshach; and Azariah, Abednego. 8 Now Daniel resolved that he would not defile himself with the king’s food and the wine he drank, and he made a request of the head courtier that he should not have to defile himself. 9 God gave the chief courtier favour and sympathy towards Daniel, 10 but the chief courtier said to Daniel, ‘I fear my lord the king, who has assigned your food and drink. Should he see you looking in worse condition than the young men of your group, you will endanger my head with the king.’ 11 Then Daniel said to the official whom the head of the courtiers had assigned to Daniel, Hananiah, Mishael and Azariah, 12 ‘Test your servants for ten days. Give us vegetables to eat and water to drink. 13 You will observe our appearance and the appearance of the young men who eat the king’s food. Deal with your servants in accordance with what you see.’ 14 He listened to what they said and tested them for ten days. 15 After ten days they looked healthier and better fed than all the young men who ate the king’s food. 16 So the official took away the food and wine assigned for them and gave them vegetables. 17 God gave these four young men knowledge and skill in all literature and wisdom, and Daniel had insight into every kind of vision and dream. 18 When the time came at which 1:1
55
다니엘 1:1-21
the king had said they should be brought in, the head of the courtiers brought them before Nebuchadnezzar. 19 The king spoke with them and did not find among all of them any to compare with Daniel, Hananiah, Mishael and Azariah, so they remained in the king’s presence. 20 Every time the king consulted them on any matter requiring wise insight, he found them ten times better than all the magicians and enchanters in his whole kingdom. 21 Daniel remained there until the first year of Cyrus the king.
본문 해설 1절. ‘느부갓네살’: 이 이름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다양한 철자 구성을 보
인다. 주로 나타나는 히브리어 형태는 다니엘서에서처럼 ‘느부갓네살’이며, 예레미야서나 에스겔서에서는 보통 ‘느부갓레살’로 나타난다. 아카드어 형 태는 ‘나부쿠두리-우쭈르’( nabukudurri-uṣur,
혹은 비슷한 변이형 ) 이며,
아마 ‘나부
가/나부여 장자를 보호한다/보호하라!’는 뜻일 것이다. 이 이름은 나보폴라 살의 장자인 세자에게 적합한 이름인 듯하다. 아카드어 ‘r’소리를 히브리어 나 아람어가 ‘n’으로 대체한 것에 대해서는 버거 ( Berger 1975: 227-230 ) 가 언어 학적 근거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반 셀름스 ( van Selms 1974 ) 가 주장한대로, 만약 순전히 언어학적 근거들만 이 자음 교체의 원인이었다면, 왜 예레미야 서나 에스겔서에서는 ‘n’을 가진 형태가 안 나타나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반 셀름스의 제안에 따르면, 바벨론 내부의 반대 그룹들이 느부갓네살과 메 대 공주의 결혼 및 그 둘의 결합으로 태어난 아들 에윌므로닥 ( Evil-Mero dach ) 을
비방하려고 ‘나부쿠두리-우쭈르’를 ‘나부-쿠다누-우쭈르’( nabu-
kudanu-uṣur, ‘나부가/나부여 노새를 보호한다/보호하라!’ ) 로
본명의 일부분을 변조해서
불렀는데, 바로 그 이름이 히브리어와 아람어 ‘느부갓네살’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통혼으로 출생한 자녀들을 ‘노새들’로 불렀다는 사실은 헤로도토스 의 기록에서 증명된다. 그런 식으로 변조된 이름이 유대인 포로들 마음에도 들었을 것이다. 2절. 마소라 본문 2절의 구문은 부자연스럽고 그 내용도 3절과 약간 어색
해 보인다. 여호야김과 성전 기구들이 ‘그의 신의 집’으로 취해졌음을 암시 할 수도 있으나, 여기에는 3절에 소개될 이송 포로들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몽고메리 ( Montgomery
1927: 118 ),
찰스 ( Charles
1929: 8 ),
하르트만과 디 렐
라 ( Hartmann & Di Lella 1978: 127 ) 등은 70인역에는 나타나지 않는 ‘그의 신의 집’ 이라는 표현을 빼고 싶어 한다. 그런 견해는 여호야김이 시날로 끌려갔을 56
본문 해설
가능성을 없앤다. 그러나 골딩게이 ( Goldingay
1989: 10 ) 는
다니엘서 저자가 그
럴 필요가 없을 때도 구문상의 유려함을 잃으면서까지 과도한 반복을 자주 사용한다고 지적한다. 여기에는 ‘하나님의 집’과 ‘그의 신의 집’을 나란히 놓으려는 의도가 반영되었다. 또한 몽고메리 ( 1927:
36-37 ) 도
말했듯이, 70인
역에는 ‘독창적 번역들’이 많이 들어 있다. 여기 ‘엔 토 에이돌리오 아우투’ 는 마소라 본문에 두 번 사용된 ‘그의 신의 집’을 번역한 표현일 수 있다. 찰스는 ‘얼마와’라는 문구를 본문에 삽입하여 ‘왕족과 귀족 얼마와 하나님 의 전 그릇 얼마를’로 번역한다 ( Charles 1929: 8 ). 찰스는 주장하기를, 그래야만 3절과 잘 연결될 수 있으며 현재 형태의 본문에서 ‘얼마와’가 빠지게 된 것 은 동일 단어로 끝나는 두 행을 필사할 때 생긴 문제 ( homoioteleuton ) 때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본문상의 이문들이 없고 또 그 것은 이야기의 구조와 반대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설득력 이 없다. 3절. ‘아스부나스’는 ‘여관주인’ 혹은 ‘방문객 관리인’을 뜻하는 고대 페르
시아어에서 유래한 것 같다. 라코크 ( Lacocque 1979: 21 ) 는 이 단어가 개인의 이 름이 아니라 직위라고 제안했다. 70인역 MS 967은 이 단어를 음역만 했으 나, MS 88은 11절에 있는 ‘아비에드리’에서 유래한 ‘아비에스드리’를 사용 한다. 여기서 아스부나스는 ‘라브 사리심’으로 호명된다. 이 명칭은 전통적 으로 ‘환관장’이라고 번역되었다. 그러나 ‘사리심’은 아카드어 ‘솨 레쉬’에 해당하는 말로서 ‘머리 ( 즉 왕 ) 에게 속한 남자’, 곧 왕의 ‘절친한 친구’를 뜻한 다. 나중에 이 단어는 왕궁을 맡은 신하를 가리키게 되었다. 그런 신하들은 흔히 내시들이었기 때문에 이 단어가 환관장을 뜻할 수 있기는 하지만, 진 짜 내시인 궁중 관리들에게만 사용이 제한된 호칭은 아니다 ( 창 39:1, 7 참조 ). ‘이스라엘 자손’: NEB는 ‘이스라엘 자손’을 한정해 주는 단어 ‘포로들’을 삽입하여 번역함으로써 테오도티온역을 따르는 것 같다. 70인역에서는 ‘큰 자들’이 ‘이스라엘 자손’을 한정한다. 찰스는 테오도티온역과 70인역이 마 소라 본문보다 추가된 부분이 있다는 사실은 마소라 본문에 원래 있었을 ‘골라트’가 훼손되었음을 반증한다고 주장한다 ( 2:25 참조; Charles 1929: 12 ). 그러 나 테오도티온역 본문은 2장 25절에 근거한 주석적 설명일 것이다 ( Mont gomery 1927: 125; Goldingay 1989: 5 ).
그리고 70인역 독법은 ‘귀족’을 뜻하는 번역
이 실수로 중복된 듯 보인다 ( Montgomery 1927: 125 ). 4절. ‘흠’: 케티브 ‘메움’은 이곳과 욥기 31장 7절에만 쓰인다. 이 단어는
케레 ‘움’과 같은 뜻 다른 형태일 것이며, 이는 여러 히브리어 사본들에서 57
다니엘 1:1-21
뒷받침된다. 이 단어는 도덕적 흠결과 신체적 결손을 모두 뜻한다. 5절. ‘왕의 음식’: 음식은 ‘파트-바그.’ 이 히브리어는 고대 페르시아어
‘파티바가’에서 유래했는데 정부가 제공하는 정량의 음식을 가리킨다. 시리 아어로 이 단어는 RSV 번역이 그렇듯이 기름진 음식을 뜻하지만, 여기서도 꼭 그런 뜻이라고 여길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 단어는 열왕기하 25장 30절, 예레미야 52장 34절에서도 언급되듯이 포로들을 위한 일종의 공식적 인 배식을 가리킨다. 마소라 본문에서 두 단어를 잇는 연결선 마켑은 이 단 어를 히브리어 ‘파트’( 한 입, 몫 ) 를 생각나게 하려는 의도를 암시한다. BHS는 5절을 구성하는 두 부분의 순서의 역전을 제안한다. 하르트만과 디 렐라 ( 1978: 127 ) 가 이 제안을 따른다 ( 4절에서도 그렇다 ). 하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을 것이다. 6절. ‘있었더니’: 마소라 본문 및 이를 따르는 테오도티온역은 여기서 단
수 동사를 가진다. 마소라 본문의 난외주가 밝히듯이 복수 동사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하지만 히브리어에서는 복수 주어가 단수 동사를 취하는 용법 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GKC 145o, Joüon 150b를 보라. 7절. ‘장’: 여기 사용된 히브리어 표현은 ‘싸르’이며 ‘라브’가 아니다. 이
단어가 아스부나스 말고 다른 관리를 가리키는 것은 아닐 것이다. 11절. ‘감독하게 한 자’: 여기 사용된 히브리어는 ‘함멜짜르’이며, 아마도
‘보호자’를 뜻하는 바벨론어를 차용하여 만든 단어일 것이다 ( Montgomery 1927: 134; Hartmann & Di Lella 1978: 130 ).
70인역 MS 967은 왜곡된 음역 ‘솔로마로’를 보
여 주지만, MS 88과 시로-헥사플라는 ‘아비에드리’로 나타난다. 몽고메리 의 설명에 따르면 ( Montgomery 1927: 134 ), 여기의 ‘아비에드리’는 콥트어의 영향 을 받은 히브리어에서 유래했고 3절의 ‘아스부나스’를 대신하려고 사용된 것인데, 이것은 두 관리를 동일인물로 잘못 식별한 결과다. 12절. ‘채식’: ‘제로임’은 ‘씨앗’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하며, ‘씨 뿌려진
것’ 즉 고기가 아닌 채소를 암시하는 것 같다. 16절에서 마소라 본문은 변 이된 철자 ‘제레오님’을 보여 주지만, 1QDana는 12절과 똑같은 철자를 가 진 ‘제로임’을 보여 준다. 15절. ‘모든’( 개역개정
‘다른’ ) :
몇몇 히브리어 사본들과 테오도티온역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70인역은 ‘다른’으로 되어 있다. 시로-헥사플라, 불가타역 은 마소라 본문과 일치한다. 20절. ‘지혜로운 총명’( 개역개정 insight ) 라는
58
‘지혜와 총명’ ) :
여기서 ‘총명의 지혜’( wisdom
of
연계형 사용은 다소 의외여서, BHS 등 편집 본문들은 두 단어
형식과 구조
사이에 접속사를 삽입하여 히브리어를 수정하자고 제안한다. 어색한 번역 을 피할 수 있도록 역본들이 그런 수정을 뒷받침해 줄지는 불확실하다. 아 마도 이 연계형은 이사야 11장 2절에서 ‘지혜의 영’이 ‘지혜를 일으키는 영’을 의미하듯이, ‘효과의 생격’으로서 ‘총명을 일으키는 지혜’라는 뜻일 것이다 ( Waltke
& O’Connor 9.5.2c 참조 ).
‘박수’는 이집트 어에서 기원한 ‘하르툼
밈’의 번역이며, 다니엘서 바깥에서 사용되는 용례에서도 그런 뜻으로 쓰인 다 ( 창
41:8, 24; 출 7:11, 22 ).
‘술객’을 뜻하는 ‘앗샤핌’은 아카드어 ‘아쉬푸’에서
유래했으며 ‘주문을 외는 제사장’에게 사용된 용어다. 70인역 증거본들은 이 구절의 마지막에 첨가된 부분을 보여 주는데, 그 첨가 부분은 MS 967에서는 짧은 형태로 그리고 MS 88과 시로-헥사플라에 서는 긴 형태로 각각 나타난다. 울리히 ( Ulrich 1987: 24 ) 는 4QDana에는 짧은 형 태의 첨가 부분이 있을 수 있는 여백이 있다고 제안했다. 햄 ( Hamm 1969: 134137 ) 은
MS 88의 독법이 MS 967로부터 발전된 독법임을 제시하면서, MS
967의 몇몇 조어방식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행정 자료를 기록한 파피루 스를 연상시킨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MS 967의 독법은 마소라 사본에 대한 헬레니즘 방식의 해설적 첨가라고 제안한다.
형식과 구조 다니엘서의 이야기 해석에 대한 나의 논의에서 ( 서론, 3.1 참조 ), 나는 이 이야 기들이 ‘궁정 이야기’라는 기존의 주장을 수용했다. 나는 또 거기서 1장의 이야기가 대체로 다른 장의 이야기들처럼 ‘경쟁’이나 ‘갈등’의 유형과 잘 맞지 않는다는 사실도 언급했다. 이 점은 1장이 수행하는 이중적 기능을 말 한다. 즉 1장은 다니엘서 전체 특히 여섯 개 궁정 이야기들의 서론이며, 동 시에 1장만의 고유의 이야기도 전달하고 있다. 주석가 대부분은 본 장의 하부 구조에 대하여 동의한다. 골딩게이 ( 1989: 8 ) 는
본 장의 교차배열 구조를 제시한다. A
역사적 서론 ( 1-2절 )
B
훈련을 위해 잡혀간 청년들 ( 3-7절 )
C
시험 이야기 ( 8-16절 )
B’ 청년들이 훈련에서 탁월함을 나타내다 ( 17-20절 ) 59
다니엘 1:1-21
A’ 역사적 종결 ( 21절 ) A와 B는 다니엘서의 나머지 장들의 서론으로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 17절 ( ‘하나님이 이 네 소년에게 학문을 주시고……’ ) 은 앞의 6-7절을 연결하면서 새로운 내용을 다시 시작한다. 21절과 1-2절은 또 다른 고대 근동의 왕을 언급하면서 연결된다. ‘여호와/하나님께서……주셨다’라는 표현은 신학적 으로 중요한데, 세 개 항에서 출현한다 ( 2, 9, 17절 ). C는 그 자체로 하나의 이야기이며, ‘궁정의 경쟁 이야기’ 형식과 약간 유 사하다. 이 형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왕이 스스로 풀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한다. 2. 왕이 거느린 현자들이 그 문제를 풀지 못한다. 3. 영웅이 호출되고 성공한다. 4. 영웅에게 보상이 수여된다. 이 이야기는 네 부분으로 된 같은 구성을 지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에서 는 현자들 대신 궁정 관리들이 등장한다. 1. 왕은 ( 자기가 모르는 ) 어떤 문제에 직면한다 ( 8절 ) 2. 궁정 지도자가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 9-10절 ) 3. 다니엘이 성공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 11-15절 ) 4. 다니엘에게 보상이 수여되어 그의 요청이 수락된다 ( 16절 ) 현재 형태로 볼 때 이 이야기는 문맥과 잘 조화된다. 이 이야기의 문맥은 1-7절이 묘사한 내용에 주로 의존한다. 7절과 8절은 ‘야셈’이라는 똑같은 히브리어로 시작됨으로써 8절이 묘사한 다니엘의 행동이 7절이 묘사한 바 벨론식 개명 강요에 대한 직접적 반응임을 암시한다.
다니엘 1장의 서론적 기능 교차배열 구조의 각 요소들은 다니엘서 전반에서 중요한 서론적 기능을 수행한다. A와 A’는 이야기들과 환상들을 바벨론 포로기 경험이라는 환경 속에 배치시킴으로써 포괄적인 역사적 배경을 제공한다. B와 B’는 다니엘 서의 중심인물들을 소개하면서 그들이 바벨론 궁정에서 일하게 된 이유와 60
DANIEL 아볼로 구약 성경 주석(AOTC)의 목표는 성경 말씀의 신성함과 인격적인 면을 동등하게 다루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오늘날에도 여 전히 유효한데, 이 성경의 의미를 온전히 깨닫기 위해서는 성경이 기록된 시대의 언어, 사회, 문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학문적인 접근을 통해 구약 성경을 그리스도인들에
다니엘
AOTC
A POLLOS O LD T ESTAMENT C O M M E N TA RY
다니엘
게 상세히 설명하는 이 주석 시리즈는, 구약 성경이 현대 사회를 사는 독자에게 중요하 고 가치가 있음을 증명한다.
어니스트 루카스 지음 | 김대웅 옮김
세계적인 학자들이 집필한 이 주석 시리즈는 우선적으로 구약을 설교하는 목회자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해 기획되었다. 하지만 성경을 연구하는 학자나 학생 누구라도 구약 성경을 깊이 배우기 원한다면, 이 주석 시리즈를 통해 그 필요를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영국 켄트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고(Ph. D.) 생화학 연구소에서 일하다가 침례교 목사가 되었 으며, 영국 리버풀 대학교에서 다니엘서를 연구했다(Ph. D.). 영국 브리스톨 침례 대학의 부학장을 역임하고,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신학·종교학 명예 연구원으로 활동한 저자는 잠언 주석(THOTC), 에스겔 및 다니엘 배경 주석(ZIBBC), 시편과 지혜 문학 교재, 과학과 신앙에 대한 논문 등 다양한 책을 저술했다.
옮긴이 김대웅 경북대학교(B. 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하고(M. Div.) 미국 듀크 대학교를 거쳐(Th. M.) 미국 라이스 대학교에서 구약학을 전공했다(Ph. D.).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구약학 교수 로 섬기고 있으며, 『NIV 스터디 바이블』(부흥과개혁사)에 역자로 참여했다.
어니스트 루카스 지음 |김대웅 옮김
지은이 어니스트 루카스 (Ernest Lucas)
시리즈 편집
데이비드 베이커·고든 웬함
ISBN 978-89-6092-480-2 978-89-6092-479-6 (세트)
www.rnrbook.com
값 25,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