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ot
nicot
on the old testament
NICOT 주석 시리즈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구약이라는 험준한 산맥을 횡단 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도와 왔습니다. 최고의 구약 주석으로 자리매김한 NICOT는 신 학자, 목사, 랍비, 신학생을 아우르는 폭넓은 독자층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창세기 Ⅰ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nicot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NICOT 시리즈의 모든 주석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고백하는 복음주의의 입장 을 견지하면서 학문적인 탁월함과 신앙적인 적용을 함께 추구하고 있습니다. 서론에서 는 저자, 기록 시기, 기록 목적, 구조, 신학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본문에서는 히브리어 원문에 대한 저자의 사역과 본문에 대한 세밀한 주석을 제시합니다. 성경을 통해 하나 님의 음성을 새롭게 듣고자 하는 독자들은 이 주석 시리즈가 구약이라는 낯선 세계로
지은이 빅터 해밀턴 (Victor P. Hamilton)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지중해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애즈베리 신학교에서 37년간 구
빅터 해밀턴 지음
떠나는 여정에 도움을 주는 신실하고 신뢰할 만한 안내자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약학을 가르치면서 오경 연구에 몰두했다. 해밀턴은 고대 근동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풍부한 지식 서 개론』, 『출애굽기 주석』 등이 있다.
옮긴이 임요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했고, 남아공에 있는 프레토리아 대학교에서 구약학 박사 학위( Ph.D. ) 를 받았다. 『구약 주해와 텍스트 언어학』을 저술했고, 『한 권으로 읽는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 『구 약과 신약의 관계』(이상 부흥과개혁사)를 번역했다.
임 | 요한 옮김
을 토대로 이번 NICOT시리즈의 창세기 주석을 저술했으며, 그 밖의 저술로는 『오경 개론』, 『역사
창세기Ⅰ Genesis 1~17 빅터 해밀턴 지음 | 임요한 옮김
ISBN 978-89-6092-447-5 978-89-6092-335-5(세트)
www.rnrbook.com
값 28,000원
목차 ■ 저자 서문 │ 8 ■ 약어 소개 │ 10
서론
19
Ⅰ. 명칭 | 21 Ⅱ. 구조 | 23 Ⅲ. 구성 | 34 Ⅳ. 신학 | 63 Ⅴ. 해석의 문제점 | 79 A. 창세기 1장의 “날” • 79 B. 신화로서의 창세기 • 82 C. 족장들과 역사 • 86 D. 족장들의 종교 • 95
Ⅵ. 정경성 | 100 Ⅶ. 히브리 본문 | 102
본문과 주석 Ⅰ. 원시 역사 ( 1:1~11:32 ) | 108 A. 세상 창조 ( 1:1~2:3 ) • 108
1. 태초에 ( 1:1~2 ) • 108 2. 첫째 날 ( 1:3~5 ) • 124 3. 둘째 날 ( 1:6~8 ) • 127 4. 셋째 날 ( 1:9~13 ) • 130 5. 넷째 날 ( 1:14~19 ) • 133 6. 다섯째 날 ( 1:20~23 ) • 135 7. 여섯째 날 ( 1:24~31 ) • 138 8. 일곱째 날 ( 2:1~3 ) • 149
107
B. 에덴 동산과 첫 거주자 ( 2:4~25 ) • 160
1. 정원사 만들기 ( 2:4~7 ) • 160 2. 한 동산, 두 나무 ( 2:8~9 ) • 172 3. 한 동산, 네 강 ( 2:10~14 ) • 178 4. 동산과 명령을 함께 지키기 ( 2:15~17 ) • 183 5. 동물들 가운데서 적절한 돕는 배필? ( 2:18~20 ) • 187 6. 여자 창조 ( 2:21~25 ) • 190 C. 동산에서의 유혹 ( 3:1~24 ) • 200
1. 유혹자의 방법 ( 3:1~7 ) • 200 2. 하나님과 인간이 동산에서 만남 ( 3:8~13 ) • 206 3. 범죄의 결과 ( 3:14~19 ) • 209 4. 새 이름과 새 옷 ( 3:20~21 ) • 221 5. 동산에서 추방당함 ( 3:22~24 ) • 224 D. 형제 분쟁 ( 4:1~26 ) • 237
1. 한 제물은 받고 한 제물은 거절함 ( 4:1~7 ) • 237 2. 재판관과 범죄자 ( 4:8~16 ) • 248 3. 가인의 계보 ( 4:17~24 ) • 257 4. 셋의 출생 ( 4:25~26 ) • 264 E. 아담에서 노아까지: 10세대 ( 5:1~32 ) • 270 F. 하나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 부적절한 관계 ( 6:1~4 ) • 287 G. 대홍수 ( 6:5~9:29 ) • 300
1. 홍수의 이유 ( 6:5~10 ) • 300 2. 땅에서의 부패와 포악함 ( 6:11~12 ) • 306
3. 방주를 지으라는 명령 ( 6:13~22 ) • 308 4. 방주에 들어가라는 명령 ( 7:1~10 ) • 315 5. 홍수의 시작 ( 7:11~16 ) • 322 6. 물이 넘침 ( 7:17~24 ) • 327 7. 물이 물러감 ( 8:1~5 ) • 332 8. 마른 땅이 드러남 ( 8:6~14 ) • 336 9. 노아가 방주를 떠남 ( 8:15~22 ) • 341 10. 하나님이 노아와 맺은 언약 ( 9:1~17 ) • 347 11. 노아의 벌거벗음 ( 9:18~29 ) • 358 H. 민족 목록 ( 10:1~32 ) • 371
1. 야벳 자손 ( 10:1~5 ) • 371 2. 함 자손 ( 10:6~20 ) • 376 3. 셈 자손 ( 10:21~32 ) • 386 I. 시날 사람들과 셈 자손 ( 11:1~32 ) • 393
1. 바벨탑 건설자 ( 11:1~9 ) • 393 2. 셈 자손의 계보 ( 11:10~32 ) • 404
II. 아브라함 이야기 ( 12:1~17:27 ) | 416 A. 아브람의 등장 ( 12:1~20 ) • 416
1. 아브람의 소명 ( 12:1~9 ) • 416 2. 이집트에서의 아브람과 사래 ( 12:10~20 ) • 427
B. 롯과 아브람의 헤어짐 ( 13:1~18 ) • 438 C. 전투자 아브람과 왕들 ( 14:1~24 ) • 448
1. 다섯 왕에게 대항한 네 왕 ( 14:1~12 ) • 448 2. 롯의 구출 ( 14:13~16 ) • 455 3. 아브람이 두 왕을 만남 ( 14:17~24 ) • 460 D. 아브라함 언약 ( 15:1~21 ) • 470
1. 언약의 약속 ( 15:1~6 ) • 470 2. 언약의식 ( 15:7~21 ) • 481 E. 하갈과 이스마엘 ( 16:1~16 ) • 497
1. 가족 내의 갈등 ( 16:1~6 ) • 497 2. 이스마엘의 출생 ( 16:7~16 ) • 504 F. 언약의 재확증 ( 17:1~27 ) • 516
1. 아브람의 이름 변경 ( 17:1~8 ) • 516 2. 언약의 표징 ( 17:9~14 ) • 525 3. 사라와 이삭 ( 17:15~22 ) • 533 4. 아브라함과 이스마엘의 할례 ( 17:23~27 ) • 538 ■ 참고문헌 │ 543
창세기 I
┃ 저자 서문 ┃
NICOT 창세기의 집필을 제안하고 원고 준비에 필요한 조언을 해 주신 토론토 대학교의 위클리프 대학 R. K. 해리슨 명예교수에게 감사한다. 처음 에 나는 이 엄청난 과제를 시작하는 것에 대해 걱정했지만, 나의 신학교 스 승이자 현재 애즈버리 대학 총장인 데니스 킨로우 박사에게서 자극과 격려 를 받은 후에 이 도전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내가 머뭇거렸던 한 가지 이유 는 창세기에 대해 이미 걸작 ( opus magnum ) 수준에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수 많은 주석들이 있기 때문이었다. 나는 더 앞선 시대로는 궁켈과 스키너의 저서와 더 최근 시대로는 폰 라트와 베스터만의 저서를 염두에 두었다. 한 동료가 창세기 주석가들의 방대한 모음집을 내게 주었을 때 간단히 “그 레 몬에서 얼마나 많은 주스를 만들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나는 창세기 주 석가들의 방대한 모음집에 대해 깊은 감사의 마음을 드리고 싶다. 그러나 내가 이 과제를 시작했을 때, 창세기에 대한 최종적이고 완성된 진술이 아 직 마련되지 않았고 앞으로도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을 너무 일찍 하게 되 었다. 대학 교수평가발전위원회에서 내게 두 차례 업무 휴가를 준 특권에 대해 감사한다. 그래서 나는 강의와 위원회 업무에서 자유로웠고, 본 주석을 연 구하고 집필하는 데 집중하기 위한 지속적인 시간을 허락받았다. 나는 어드만 출판사의 편집자인 개리 리에게 도움을 받았다. 그는 내 원 고를 가장 주의 깊고 끈기 있게 읽었다. 주석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 안해 준 그에게 감사한다. 8
뉴욕 주 로체스터 시에 사는 셰릴 스미스는 주석의 첫 장을 컴퓨터로 입력 해 주었는데, 셰릴에게 감사한다. 그러나 나의 아내 셜리가 주석의 대부분을 워드프로세서로 작업했다. 게다가 엄마, 아내, 주부로서의 책임을 다하면서 도, 이 중요한 과제를 맡았고 그것을 전문적인 방법으로 수행했다. 또한 본 주석을 출판하는 시기 동안 셜리가 격려와 자극을 준 것에 대해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나를 붙드셔서 연구, 성찰, 집필을 하게 하신 하나님의 은혜 에 감사한다. 빅터 P. 해밀턴
< 어드만 출판사의 첨언 > 본 주석은 단권으로 계획되고 집필되었으나, 주석의 분량으로 인해 두 권 으로 출판해야 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제1권인 이 주석에서만 창세기 전체 의 서론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에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2권에는 창세 기 18~50장에 대한 주석만 수록되어 있습니다. 독자의 편리함을 위해 각 권마다 목차, 약어 소개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9
창세기 I
┃ 약어 소개 ┃
AASOR
Annual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AB
Anchor Bible
AJSL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Akk.
Akkadian
AnBib
Analecta Biblica
ANEP J. B. Pritchard, ed., The Ancient Near East in Pictures. 2nd ed.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69
ANET J. B. Pritchard, ed.,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 3rd ed.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69 AnOr
Analecta Orientalia
ANQ
Andover Newton Quarterly
AOAT
Alter Orient und Altes Testament
AOS
American Oriental Series
Arab.
Arabic
Aram.
Aramaic
ARM
Archives royales de Mari
ASTI
Annual of the Swedish Theological Institute
ATR
Anglican Theological Review
AusBR
Australian Biblical Review
10
AUSS
Andrews University Seminary Studies
AV
Authorized (King James) Version
BA
Biblical Archaeologist
BAR
Biblical Archaeology Review
BASOR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BDB F. Brown, S. R. Driver, C. 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Repr. Oxford: Clarendon, 1959
BeO
Bibbia e Oriente
BETS
Bulletin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
BHK R. Kittel, ed., Biblia Hebraica. 3rd ed. Stuttgart: Wurttem bergische Bibelanstalt, 1937
BHS K. Elliger and W. Rudolph, ed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 Stuttgart: Deutsche Bibelstiftung, 19671977
Bib
Biblica
BibOr
Biblica et Orientalia
BiTod
Bible Today
BJRL Bulletin of the John Rylands University Library of Manchester BKAT
Biblischer Kommentar: Altes Testament
BN
Biblische Notizen
BR
Biblical Research
BRev
Bible Review
BSac
Bibliotheca Sacra
BSOAS
Bulletin of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BT
The Bible Translator
BTB
Biblical Theology Bulletin ..
BWANT Beitrage zur Wissenschaft vom Alten und Neuen Testament
BZ
Biblische Zeitschrift ..
BZAW Beihefte zur Zeitschrift fu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
schaft CAD I. J. Gelb, et al., eds., The Assyrian Dictionary of the 11
창세기 I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 Chicago: Oriental Institute, 1956-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CBQM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Monograph Series
CHAL W. Holladay, A Concis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71 CNFI
Christian News From Israel
ConBOT Coniectanea biblica, Old Testament
CT
Christianity Today
CTA A. Herdner, Corpus des tablettes en cune' iformes
alphabe'tiques. 2 vols. Paris: Imprimerie Nationale, 1963 CTJ
Calvin Theological Journal
CTM
Concordia Theological Monthly
CTQ
Concordia Theological Quarterly
CurTM
Currents in Theology and Mission
DD
Dor le Dor
Egyp.
Egyptian
EncJud C. Roth and G. Wigoder, eds., Encyclopaedia Judaica. 16 vols. Jerusalem: Keter, 1971-1972
ETL
Ephemerides Theologicae Lovaniensis
EvQ
Evangelical Quarterly
ExpTim
Expository Times
fem.
feminine
Fest.
Festschrift
FOTL
Forms of the Old Testament Literature
GKC Gesenius’ Hebrew Grammar. Ed. E. Kautzsch. Tr. A. E. Cowley. 2nd ed. Oxford: Clarendon, 1910
GTJ
Grace Theological Journal
HBT
Horizons in Biblical Theology
HeyJ
Heythrop Journal
HKAT
Handkommentar zum Alten Testament
HS
Hebrew Studies
HSS
Harvard Semitic Studies
12
HSM
Harvard Semitic Monographs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HUCA
Hebrew Union College Annual
ICC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IDB(S) G. A. Buttrick, et al., eds.,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 4 vols. Nashville: Abingdon, 1962. Supple mentary Volume. Ed. K. Crim, et al., 1976 IEJ
Israel Exploration Journal
IJT
Indian Journal of Theology
Int
Interpretation
ISBE G. W. Bromiley, et al., ed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 4 vols. Rev. ed. Grand Rapids: Eerdmans, 1979-1988
ITQ
Irish Theological Quarterly
JAA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JANES Journal of the Ancient Near Eastern Society of Columbia University JAO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JASA
Journal of the American Scientific Affiliation
JB
Jerusalem Bible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JBLMS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Monograph Series
JBR
Journal of Bible and Religion
JCS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JEA
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
JES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JS
Journal of Jewish Studies
JNES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JNWSL
Journal of Northwest Semitic Languages
JPOS
Journal of the Palestine Oriental Society
JPT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JQR
Jewish Quarterly Review 13
창세기 I
JRT
Journal of Religious Thought
JSN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JSO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JSOTSup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Supplement Series
JSS
Journal of Semitic Studies
JTS
Journal of Theological Studies
KB L. Koehler and W. Baumgartner, Lexicon in veteris
testament libros. Leiden: Brill, 1958 KD
Kerygma und Dogma
Lat.
Latin
Lesˇ
Lesˇone'nu
LTQ
Lexington Theological Quarterly
LXX
Septuagint
masc.
masculine
mg.
margin
ms(s).
manuscript(s)
MT
Masoretic Text
NAB
The New American Bible
NCBC
New Century Bible Commentary
NEB
New English Bible
NICN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NICOT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NIGTC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JPS
New Jewish Publication Society Version
NKJV
New King James Version
NovT
Novum Testamentum
NT
New Testament
NTS
New Testament Studies
OBT
Overtures to Biblical Theology
Or
Orientalia
OT
Old Testament
14
OTL
Old Testament Library
OTS
Oudtestamentische Studieen
PEQ
Palestine Exploration Quarterly
Pesh.
Peshitta
PIBA
Proceedings of the Irish Biblical Association
pl.
plural
..
PRU C. F. A. Schaeffer, et al., eds., Palais royal d’Ugarit. Paris: Imprimerie Nationale, 1955-
PTR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PTMS
Pittsburgh Theological Monograph Series
RA
Revue d’assyriologie et d’arche'ologie orientale
RB
Revue biblique
RefR
Reformed Review
REJ
Revue des e'tudes juives
RestQ
Restoration Quarterly
RevExp
Review and Expositor
RevQ
Revue de Qumran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SAOC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SBLASP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Abstracts and Seminar Papers
SBLD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Dissertation Series
SBL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Monograph Series
SBT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ScEs
Science et Esprit
SEA°
Svensk Exegetisk A°rsbok
sg.
singular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NTSM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SOTSMS Society for Old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SP
Samaritan Pentateuch
SR
Studies in Religion/Sciences Religieuses
ST
Studia Theologica
StBTh
Studia Biblica et Theologica 15
창세기 I
Sum.
Sumerian
Symm.
Symmachus (ancient Greek version)
Targ.
Targum
T.B.
Babylonian Talmud
TD
Theology Digest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10 vols. Tr. G. W. Bromiley. Grand Rapids: Eerdmans, 1964-1976
TDOT G. Botterweck and H. Ringgren,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Vols. I-. Tr. D. Green, et al. Grand Rapids: Eerdmans, 1974-
TGUOS
Transactions of the Glasgow University Oriental Society
THAT E. Jenni and C. Westermann, eds., Theologisches Hand ..
worterbuch zum Alten Testament. 2 vols. Munich: Kaiser, 1971-1976
TJ
Trinity Journal
TNTC
Tyndale New Testament Commentaries
TOTC
Tyndale Old Testament Commentaries
TS
Theological Studies
TUSR
Trinity University Studies in Religion
TWOT R. L. Harris, et al., eds.,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2 vols. Chicago: Moody, 1980 TynBul
Tyndale Bulletin
TZ
Theologisches Zeitschrift
UF
Ugarit-Forschungen
Ugar.
Ugaritic
USQR
Union Seminary Quarterly Review
UT Cyrus H. Gordon, Ugaritic Textbook . AnOr 38. Rome: Pontifical Biblical Institute, 1965 Vulg.
Vulgate
VT
Vetus Testamentum
VTSup
Vetus Testamentum, Supplements
WC
Westminster Commentaries
16
WMANT Wissenschaftliche Monographien zum Alten und Neuen Testament
WTJ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ZA
Zeitschrift fur Assyriologie
ZAW
Zeitschrift fur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
ZDMG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andischen Gesellschaft
.. ..
..
ZPEB M. Tenney, et al., eds., Zondervan Pictorial Encyclopedia of the Bible. 5 vols. Grand Rapids: Zondervan, 1975 ZTK
..
Zeitschrift fur Theologie und Kirche
17
서론
I. 명칭
I 명칭
“Genesis”( 창세기 )라는 영어 명칭은 70인역의 ‘게네시스’라는 용어를 빌려 음역한 불가타역 ( Incipit
Liber Bresith id est Genesis ) 에서
온 것이다. 영어로는
“origin”( 기원 ) 이 이 단어를 가장 잘 표현한다. 성경 기록 시대 이후 히브리어 용법에서의 명칭은 ‘베레쉬트’인데, 사실 이것은 단순히 1장 1절의 첫 단어 ( 태초에 )를 말한다. 이는 오경의 책들이 첫 단어, 첫 두 단어 또는 첫 절 시작 가까이에 있는 표현에 근거해서 명명되었 던 관습을 따른 것이다. 이 관습에 따라 토라의 나머지 책들이 갖는 명칭은 다음과 같다. 출애굽기는 ‘베엘레 쉐모트’( 이는 ~의 이름들[이니라] ), 레위기는 ‘바 이크라’( 그리고
그가 부르셨다 ),
민수기는 ‘베미드바르’( ~의
광야에서 ),
그리고 신명
1 )
기는 ‘엘레 하드바림’( 이는 말씀[이니라] ) 이다. 첫 다섯 권을 넘어서면 히브리 성경에서 이 관습을 잘 따르지 않는다 ( 따르는 예, “아가,” ‘쉬르 하쉬림’ 그리고 예레미야 애가, ‘에카’ ). 2 )
중세의 일부 히브리어 사본은 “첫 책,” “세상 창조의 책” 그리고 “의인의 책”과 같은 명칭을 사용했다. 랍비 이삭 아브라바넬 ( Isaac 1508년 ) 은
Abrabanel, 1427~
자신의 창세기 주석 마지막에 “‘베레쉬트’는 ‘창조의 책’( 세페르
1 ) 현대 히브리어 용법은 때로 명칭을 축약하거나(출애굽기를 ‘쉐모트’로, 신명기를 ‘데바림’으로), 명
칭에 약간의 변화를 준다(민수기를 ‘바미드마르’[그 광야에서]로). 2 ) 예레미야애가의 영어 명칭인 “Lamentations”는 ‘키노트’의 번역인 70인역 ‘드레노이’와 불가타역 ‘트레니’에서 유래한다. 바벨론 탈무드(Baba Batra 14b, 15a)와 초기 다른 유대 문헌(‘메길라트 키노트’ 표현을 사용하는 예루살렘 탈무드, ˇ sabbat 16:15c)은 이 책의 명칭을 ‘키노트’라고 언급 한다.
21
창세기 I
하 - 브리아 )
또는 ‘형성의 책’( 세페르 하 - 예찌라 ) 이라고 부른다”라고 기록한다. 마
찬가지로 나흐마니데스 ( Nahmanides ) 는 서론에서 “‘예찌라’의 책인 ‘베레쉬 트’는 세상이 새롭다고 가르친다”라고 기록한다. 미드라쉬 하비우르는 “왜 ‘베레쉬트’를 ‘야샤르’( 의인 ) 의 책’이라고 부르는가?”라고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나서 “‘나는 의인의 죽음을 죽기를 원하며’( 민 23:10 ) 라고 기록됐듯이, 이 책에는 의로운 자라고 불리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의 역사가 들어있기 때문이다”라고 대답한다. 창세기는 분명히 기원들과 관련된 책이다. 즉 세상 창조의 기원, 인간의 기원, 문명을 지속시키는 제도들의 기원, 하나님이 자신의 소유로 택하셔서 세상을 복 주는 통로로 삼으신 특별한 한 가족의 기원과 관련된 책이다. 하 나님은 기원에 대한 이 모든 강조점들을 초월해 계신다. 성경을 시작하는 책에는 ‘게네시스 데우’( 신의
기원 ) 도
없고 신에 대한 전기도 없다. 하나님은
‘레쉬트’( 시작 ) 와 ‘아하리트’( 끝 ) 가 없는 분이시다.
22
II. 구조
II 구조
성경의 책들 가운데 창세기처럼 개별적인 단위 사이를 분명하게 구분하 는 경계선을 보여 주는 책은 거의 없다. 이런 분명한 구분은 창세기 전체에 서 열 번에 걸쳐 사용되는 ‘엘레 톨레도트’라는 문구로 인해 나타난다. 어떤 곳에서는 이 문구를 “이것은 ~의 이야기 ( 또는
역사 ) 다”로
번역하는 것이 좋
고, 또 다른 곳에서는 “이들은 ~의 후손 ( 세대 ) 이다”로 번역하는 것이 더 좋 다. 이 문구가 나타났을 때 이 두 번역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대부분 이 문구 뒤에 나오는 자료의 성질에 달려 있다. 만약 이 문구 뒤에 계보가 나오면 “이들은 ~의 후손 ( 세대 ) 이다”라는 번역이 더 잘 어울리고, 내러티브가 이어지면 “이것은 ~의 이야기 ( 또는 역사 ) 다”라는 번역 이 더 잘 어울릴 것이다 ( 우리는 연속성을 위해서 “세대”라고만 번역한다 ). 1. 2:4a
“이는 하늘과 땅의 세대라”
2. 5:1a
“이는 아담의 세대라”
3. 6:9a
“이는 노아의 세대라”
4. 10:1a
“이는 노아의 아들들의 세대라”
5. 11:10a
“이는 셈의 세대라”
6. 11:27a
“이는 데라의 세대라”
7. 25:12a
“이는 이스마엘의 세대라”
8. 25:19a
“이는 이삭의 세대라”
9. 36:1a, 9a “이는 에서의 세대라”
23
창세기 I
10. 37:2a
“이는 야곱의 세대라”
자세히 살펴보면 이 문구들 가운데 다섯 문구에서 내러티브가 이어진다. 즉 1번 ( 창조 ), 3번 ( 홍수 ), 6번 ( 아브라함 이야기 ), 8번 ( 야곱 이야기 ), 10번 ( 요셉 이야기 ) 등 이 그렇다. 이 다섯 문구에서 소개하는 표현은 “이것은 ~의 이야기다”라고 읽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성경 번역본은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1장 27a절을 “이는 데라의 후손들이다”( JB ) 또는 “이는 데라 후손의 목록이다”( NEB ) 로 번역한다. 주로 11장 27b~32절에 계보가 나오기 때문이 다. 이외에도 NEB는 25장 19a절을 “이것은 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의 후손 들 목록이다”라고 번역한다. 나머지 다섯 문구는 모두 계보의 제목으로 나온다. 즉 2번 ( ‘아담’의 4번 ( ‘노아의
아들들’의 후손 ),
5번 ( ‘셈’의
후손 ),
7번 ( ‘이스마엘’의
후손 ),
9번 ( ‘에서’의
후손 ),
후손 ) 이
그렇다. 게다가 창세기의 이 다섯 계보는 두 유형 가운데 하나에 속한다. 첫 째 유형은 수직적 계보로, 후손의 한 혈통을 추적한다. 5장 1절 이후 ( 2번 ) “아담부터 노아까지 10세대의 계보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11장 10절 이 후 ( 5번 ) 셈부터 아브라함까지 10세대의 계보에서 볼 수 있다. 이 두 계보는 세 아들을 낳은 사람을 언급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노아: 셈, 함, 야벳 데라: 아브람, 나홀, 하란
창세기에 나오는 계보의 둘째 유형은 수평적 또는 분할된 계보이며, 여기 서 계보는 한 아들 ( 장자 ) 이 아니라 여러 자녀를 통해 추적된다. 이 유형은 10장 1절 ( 4번 ) 에 나오는 셈/함/야벳의 자손들에서 볼 수 있으며, 25장 12절 ( 7번 )의 이스마엘의 12자손들에서, 마지막으로 36장 1절과 9절 ( 9번 ) 에 있 는 에서의 가계도에서 볼 수 있다. 1 ) 이 마지막 세 계보는 창세기의 내러티브
1 ) 다음을 보라. B. S. Childs,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Philadelphia: Fortress, 1979), p. 145. “내러티브 계보”(즉 창 5장) 그리고 “계보 목록” 또는 “지파 계통”(즉 .. 창 10장)에 대해서는 다음을 또한 보라, S. Tengstrom, Die Toledotformel und die literaische
Struktur der priesterlichen Erweiterungsschicht im Pentateuch (Lund: Gleep, 1981). 창세기에 서 계보를 도입하는 4개의 문구(10:1, 25:12, 36:1, 9)를 제외한 후에 남게 되는 7개의 문구는 P(제 사장 자료)에 속하는 창조의 7일과 병행해서 입증해야 한다는 텡스트룀의 새로운 제안은 억지스럽 다. 텡스트룀이 창세기에 나타난 그 문구들의 열한 가지 용법을 두 범주에 맞춰 놓은 것을 어떻게 창세기 저자가 구분할 수 있겠는가?
24
V. 해석의 문제점 A. 창세기 1장의 “날”
V 해석의 문제점
A. 창세기 1장의 “날” 창세기 첫 장에 대한 해석에서는 지구와 인류의 기원에 대한 과학적 지식 과 창조 이야기 사이에 대립이 팽팽하다. 테르툴리아누스 ( Tertullian ) 의 “예루 살렘이 아테네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변형시켜 이것을 표현 하면 “창세기 1장이 과학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라는 질문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관계가 깊다”에서 “전혀 없다”까지에 이른다. 한쪽 극단에는 최신 과학의 발견과 주장이 창세기 1장에 대한 문자적인 해 석과 양립할 수 있다고 보는 자들이 있다. 또 다른 극단에는 창조 이야기와 고생물학이나 열역학 법칙과 같은 것을 조화시키려는 시도는 기술 시대의 환원주의적 정신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확신하는 자들이 있다. 창세기 1장의 “날”을 문자적으로 이해하는 입장은 하나님이 144시간 ( 24시 간 X 6일 )
안에 세상을 창조하시고 사람을 거주하게 하셨다고 가르친다. 1 ) 물
론 이 입장은 하나님이 24시간 전체 기간에 역사하셨는지 아니면 그것의 일부 기간에만 역사하셨는지를 증명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히브리 성경에 서 ‘욤’을 보통 한 주간의 하루로 이해한다는 것을 확증할 필요가 있다. 확 실히 이 단어가 선지서의 “그날에”라는 문구에서처럼 측정하지 않은 시간 의 기간이나 시대 또는 특이하게 긴 기간, 심지어 천 년의 기간 ( 시
90:4 ) 을
1 ) 예, H. Morris, The Remarkable Birth of Planet Earth (Minneapolis: Bethany House, 1972).
79
창세기 I
가리키는 곳도 있다. 그러나 특히 ‘욤’이 항상 저녁과 아침으로 구성된 것으 로 묘사되는 것을 고려할 때, 자신들의 해석을 입증해야 할 책임은 창세기 1장의 ‘욤’을 가장 흔하고 일반적인 해석으로 여기지 않는 자들에게 있다. 두 가지를 주의해야 한다. 첫째, “날”을 문자적으로 이해한다고 해서 반 드시 더욱 영적이며 성경적인 해석을 하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본질적으로 더 나은 해석인 것도 아니다. 둘째, 창세기 1장을 보수적으로 읽는 것이 항 상 보수적인 결론을 낳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임스 바 ( James Barr ) 는 창 세기 1장의 날들이 문자적으로 24시간의 날을 의도한 것이라는, 가장 열렬 한 창조론자들의 입장에 동의한다. 2 ) 바는 중대한 해석학적 결정을 내릴 때 현대 해석가들이 “날”에 대해 무엇을 믿는가를 따르지 않고 창세기 1장을 기록한 자가 “날”에 대해 무엇을 믿었는가를 따른다. 창세기 1장을 기록한 자는 자신이 문자적인 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고 믿었다. 이제 지난 몇 세기 동안 과학에서는 우주를 일주일만에 창조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불 합리하며 상식을 벗어난다는 것을 보였다. 이 과학적 발견에서 무슨 결론을 내려야 하는가? 바에 따르면, 과학적 발견은 창세기 1장이 신화와 전설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다. 바는 많은 보수적인 주석가들이 이런 이유로 창세기 1장의 문자적 해석을 피하고 비유적인 해 석으로 대체한다고 보았다. 창세기 1장에 대한 문자주의자의 해석이 도달 하는 결론은 무오한 성경에 신화와 전설의 범주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즉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것의 혼합이다. 바는 성경의 무오를 반박으로부터 지 켜 내려는 목적이 아닌 다른 이유로 비문자적 해석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 을 생각할 수 없었다. 이 점은 아래에서 더 논의할 것이다. “날”을 문자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시대를 가리키는 것으로 읽는 견해도 있다. “오! 예부터 우리의 도움이신 하나님”( O God Our Help in Ages Past ) 이라는 찬양 때문에 잘 알려진 시편 90편 4절은 이 시점에서 입증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창세기 1장에서 사용한 “날”은 수천 년의 역사를 포함할 수도 있 다. 이 해석의 이점은 과학과 더 조화를 이루거나 조화를 이루는 것처럼 보 인다는 것이다. 창세기 1장은 즉각적인 창조를 묘사한 것이 아니라 아마도 수십억 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일어났을 일을 묘사한다. 이 해석을 창조의 여섯째 날에 적용해 보자. 여섯째 날은 인간 창조를 다룬 다. 인류학자들은 종종 아프리카에서 인간과 같은 존재의 유물을 발견했다고
2 ) J. Barr, Fundamentalism (Philadelphia: Westminster, 1978), pp. 40이하.
80
V. 해석의 문제점 A. 창세기 1장의 “날”
발표한다. 이 경우 인류의 기원이 수백만 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창세기의 초기 장들의 인물들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다. 목축, 농경, 도시 건설, 음악, 금속 공예, 배 건설에 참여한다. 이런 기술들은 상대적으로 늦 게 발달했으며 보통 신석기 혁명 ( 즉, BC 10000~8000년 ) 의 인류 조상과 연결된 다. 여섯째 날을 창조의 여섯째 시대로 읽으면 아담 이전의 호모 사피엔스 의 가능성을 열게 된다. 창세기의 날을 지리학적 나이를 가리키는 비유로 해석할 수 있는지의 문 제는 크게 논쟁의 여지가 있다. 우선 ( 결론을 바꾸면서 ) 과학과 조화를 이루려는 관심에서 문맥적 용법에 근거해 히브리어 단어를 이해한 것을 뒤엎게 된다. 게다가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째 날이더라”라는 구절을 매우 자 유롭게 취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적으로 어떻게 채소가 발생하는 시대가 태양과 별이 발생하는 시대보다 앞서는 창조 과정의 주요 단계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 창세기 1장의 “날”에 대한 또 다른 접근은 문학적 해석이다. 이 접근은 “날”을 문자 그대로 또는 문자와는 상관없이 이해할 가능성을 열어 둔다. 이 접근은 창세기 1장의 창조 이야기를 역사적 맥락에 두면서 시작한다. 창 세기 1장은 다신론과 그 다신론에서 나온 신화로부터 우주론에 영향을 받 은 나라들에 둘러싸인 사람들에게 전하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창세기 1장 에 나타난 많은 내용이 명백하게 반이교적이다. 3 ) 이 논쟁은 종교적 관점 ( 이 스라엘의 ) 과
세속적 관점 ( 비이스라엘의 ) 사이의 논쟁이 아니다. 고대 세계에는 무
신론적 전제로 사고하는 찰스 다윈이 없다. 길가메시 서사시나 아트라하시 스 서사시의 저자들이 누구든지 간에 이들은 세속주의자도, 인본주의자도, 불가지론자도 아니다. 기원에 대한 이 신화들에서는 창조보다는 출산에, 자 연 ( 우주론 ) 보다는 신들의 계보에 강조점을 둔다. 창세기 1장은 최소한 부분 적으로 이런 세계관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하기 위해 기록됐다. 저자의 관심 은 신학적이며 역사적이다. 무슨 일이 일어났고 왜 일어났으며 그래서 어떻 다는 것인가에 관심을 가진다. 창세기 1장에서의 사상의 분명한 발전은 세 부분으로 묘사할 수 있다. 첫 째는 2절에서 확인되는 ( 1 ) 어둠, ( 2 ) 물의 심연, ( 3 ) 혼돈한 땅이라는 삼중 적 문제다. 둘째, 첫째 날에서 셋째 날까지는 이런 문제들을 다루는 준비의
3 ) 다음을 보라. G. Hasel, “The Polemical Nature of the Genesis Cosmology,” EvQ 46(1974), pp. 78~80.
81
창세기 I
날이다. 어둠은 빛과 구분된다 ( 첫째 날 ).
날 ).
위의 물은 아래 물과 구분된다 ( 둘째
뭍과 채소가 나타난다 ( 셋째 날 ). 셋째, 넷째 날부터 여섯째 날까지는 개체
군의 날이다 ( 광명체 [넷째 날], 새와 수중 생물 [다섯째 날], 육지 동물과 인간 [여섯째 날] ). 4 ) 첫째 날에서 셋째 날까지와 넷째 날부터 여섯째 날까지 사이의 내용상의 관계는 2장 1절에 나타난다. “천지[첫째 날에서 셋째 날까지]와 만물[넷째 날부터 여섯째 날까지]이 다 이루어지니라.” 처음 세 날과 마지막 세 날 사이의 병 행은 아무리 늦어도 교부 아우구스티누스 ( 『하나님의 도성』 11.6 ) 시대부터는 언급 되었다. 그리고 많은 저자들이 이후로 이 병행에 주목했다. 창세기 1장의 정교한 대칭의 핵심은 양식이 내용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창세기 1장의 창조 이야기에는 여덟 번의 창조 행위가 6일 동안 펼쳐진다. 여기서 하이어스 ( Hyers ) 가 했던 것 ( 즉 7은 완전과 완성을 의미한다 )처럼, 6일+1일을 설명하 기 위해 수비학 ( 數秘學 ) 에 의지할 필요는 없다. 창세기 1장을 문학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여전히 “날”을 24시간의 날로 유지한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하나님이 창조 계획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했는가하는 연대기적 설명이 아니라 하나님의 창조 활동의 비유로서 “날”을 이해한다. 5 )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들이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 단으로 자신을 계시한다. 창조 이야기는 하나님을 말씀하시고, 평가하시고, 계획하시고, 만드시고, 생명을 불어넣으시고, 조절하시는 분으로 묘사한다. 창세기 1장의 의도된 청중은 온전히 이 모델을 구별할 것이다. 창조 이야기 는 6일에 창조하고 일곱째 날 안식하신 하나님도 묘사한다. 자신들의 일주 일 간의 노동 시간에 익숙한 청중은 이 모델 역시 구별할 것이다.
B. 신화로서의 창세기 “신화”라는 단어는 신약의 후대 책에서만 볼 수 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편지하면서 신화에 주목하지 말라고 당부한다 ( 딤전 1:4 ). 후에 바울은 사람들이 진리보다 신화가 더 매력적이라는 것을 알 때가 올 것이라고 예견한다 ( 딤후
4 ) 다음을 보라. C. Hyers, The Meaning of Creation: Genesis and Modern Science (Atlanta: John Knox, 1984), pp. 67~71; “The Narrative Form of Genesis 1: Cosmogonic, Yes; Scientific, No,” JASA 36 (1984), pp. 208~215, 특히 211. 5 ) 다음을 보라. C. E. Hummel, “Interpreting Genesis One,” JASA 38 (1986), pp. 175~185, 특히
181~183.
82
V. 해석의 문제점 B. 신화로서의 창세기
4:4 ).
바울은 디도에게 유대 신화에 빠진 사람들을 꾸짖으라고 가르친다. 이
는 건전한 신앙에서 멀어지게 하는 탈선이다 ( 딛 1:14 ). 베드로는 서신서 수신 자들에게 자신의 메시지 뒤에 있는 확신은 자신이 정교하게 고안된 신화에 근거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의 크신 위엄을 친히 본 자”이기 때문이라고 선 언한다 ( 벧후 1:16 ). 이 신약의 네 본문에서 우리는 잘 알려진 정의로 신화를 접한다. 신화적 인 것은 사실이 아니다. 사실인 것은 신화적이지 않다. 노아 당시 홍수가 신 화라고 한다면 또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신화라고 한다면 듣는 사람은 그 의미하는 바가 이 두 사건이 사실은 허구적 내러티브이며 지어낸 이야 기라는 것을 당연히 받아들이게 된다. 위의 진술을 말하는 자는 노아의 홍 수나 예수님의 부활이 신학적으로는 사실이지만 역사적으로는 사실이 아니 라고 말하며 자신의 입장을 한정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이야기들이 신화라고 믿는 것이다. 그런 이야기들은 역사와 무관하다. 대신 이 이야기 의 역사성을 배제한 채로 신학적 또는 케리그마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이 이야기들을 기각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성경 교사는 금요일 오후 강 의에서 나사렛 예수의 동정녀 탄생을 믿는 믿음에서 자신을 극렬히 분리시 킬 수 있다. 그러나 일요일 아침 교회에서 사도신경 ( 동정녀 마리아에게 나시고 ) 을 암송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그는 금요일 오후의 부인과 일요일 아침의 확 신 사이에 있는 불일치를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 특히 창세기 1~11장의 이야기에 신화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이유는 이 이야기들이 과학 이전의 세계관이나 과학과 무관한 세계관을 나타내기 때 문이다. 과학적 세계관은 초자연적 존재의 작업으로 간주되는 어떤 것도 비 인격적 법칙과 힘으로 운용된다고 해석할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 세계관의 입장에서는 신화로 이해한다. 신화는 진리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일 뿐 아 니라 진리의 거짓 표현이기도 하다. 이 정의에 따르면 신화는 본질적으로 하나님이나 신들 또는 어떤 종류의 초자연적인 힘에 대한 이야기가 된다. 불트만 ( Bultmann ) 은 이렇게 신화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고전적인 정의를 내린다. “신화는 이 세상의 용어로 다른 세계를 표현하고, 인간 생활의 용 어로 신의 세계를 표현하고, 이 측면의 용어로 다른 측면을 표현하기 위해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6 ) 현대인들은 성경의 이런 부분들을 사용하고
6 ) R. Bultmann, Kerygma and Myth, tr. R. H. Fuller, ed. H. W. Bartsch (New York: Harper & Row, 1961), p. 10n2.
83
창세기 I
이해하기 위해 비신화화해야 한다. 불트만의 관심은 본문을 비케리그마 화 ( 이것이
철저한 “자유주의자”가 하려는 것이다 ) 하는
것이 아니라 비신화화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불트만이 실제로 비케리그마화를 피하려고 했는지는 논란 의 여지가 있다. 기본적인 해석학적 전제에서 이야기가 역사적인지의 여부 가 중요하지 않고 중요한 것은 이야기의 가르침이라고 하더라도 성경 사건 의 신학적 기여를 이해할 수 있는가? 앞서 나온 신화의 정의는 최소한 세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정의가 너무 포괄적이어서 어떤 종류의 유신론적 진술도 신화적 진술로 환원된다. 둘째, 하나님 또는 신들에 대한 이런 이야기들이 과학이 해체시켰던 진리에 대한 순진한 개념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 고대 세계에서는 과학이 종교 를 뒤따르지 않았고 도리어 종교가 과학에서 흘러나왔다는 사실에 대한 좋 은 근거가 만들어질 수 있다. 7 ) 셋째, 신화에 대한 이런 정의는 신화 연구에 서 나온 것이 아니라 신화가 과학을 반대하는 것에서 나온 것이다. 불트만 은 동양 문헌과 고전 문헌의 신화를 탐구해서 위와 같은 신화의 정의를 내 린 것이 아니다. 신화에 대해 현상학적인 정의가 아니라 합리주의적이며 철 학적인 정의를 내리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창조 이야기나 타락 이야기를 역사도 아니고 신화도 아닌 것으로 해석하는 것에 매우 만족할 것이다. 이 학자들에 따르면 창세기 1~2장이나 3장은 실제로 일어났던 과거 사건들을 묘사한다는 의미에서의 역사가 아니다. 그러나 최소한 신화에 대한 역사적 - 철학적 정의에 입각해 서 볼 때 신화도 아니다. 사실 학자들은 이 단어의 정의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최근에 어떤 학 자는 신화에 대한 아홉 가지의 정의를 구분하고 또 다른 학자는 신화의 열 두 가지 측면을 증명한다. 8 ) 신화에 대한 정의가 많기 때문에 어떤 학자는 창세기 1~11장에 신화가 없다고 말하고 어떤 학자는 완전히 신화적이라고 말한다. 누군가 이 단어를 사용할 때 우리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브레바드 차일즈는 신화에 대한 넓은 정의 ( 신화는 과학 이전의 세계관이다 ) 와 좁은
7 ) 다음을 보라. C. H. Gordon, “Ancient Middle East Religions,” The New Encyclopaedia Britannica, 15th ed. (1986), 24:64. 8 ) 전자는 G. B. Caird, The Language and Imagery of the Bible (Philadelphia: Westminster, 1980), pp. 219~224이다. 후자는 J. W. Rogerson, Myth in Old Testament Interpretation , BZAW 134 (Berlin/New York; de Gruyter, 1974), pp. 174~178이다.
84
nicot
nicot
on the old testament
NICOT 주석 시리즈는 지난 수십 년 동안 구약이라는 험준한 산맥을 횡단 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도와 왔습니다. 최고의 구약 주석으로 자리매김한 NICOT는 신 학자, 목사, 랍비, 신학생을 아우르는 폭넓은 독자층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창세기 Ⅰ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nicot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NICOT 시리즈의 모든 주석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고백하는 복음주의의 입장 을 견지하면서 학문적인 탁월함과 신앙적인 적용을 함께 추구하고 있습니다. 서론에서 는 저자, 기록 시기, 기록 목적, 구조, 신학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본문에서는 히브리어 원문에 대한 저자의 사역과 본문에 대한 세밀한 주석을 제시합니다. 성경을 통해 하나 님의 음성을 새롭게 듣고자 하는 독자들은 이 주석 시리즈가 구약이라는 낯선 세계로
지은이 빅터 해밀턴 (Victor P. Hamilton)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지중해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애즈베리 신학교에서 37년간 구
빅터 해밀턴 지음
떠나는 여정에 도움을 주는 신실하고 신뢰할 만한 안내자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약학을 가르치면서 오경 연구에 몰두했다. 해밀턴은 고대 근동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풍부한 지식 서 개론』, 『출애굽기 주석』 등이 있다.
옮긴이 임요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했고, 남아공에 있는 프레토리아 대학교에서 구약학 박사 학위( Ph.D. ) 를 받았다. 『구약 주해와 텍스트 언어학』을 저술했고, 『한 권으로 읽는 조나단 에드워즈 신학』, 『구 약과 신약의 관계』(이상 부흥과개혁사)를 번역했다.
임 | 요한 옮김
을 토대로 이번 NICOT시리즈의 창세기 주석을 저술했으며, 그 밖의 저술로는 『오경 개론』, 『역사
창세기Ⅰ Genesis 1~17 빅터 해밀턴 지음 | 임요한 옮김
ISBN 978-89-6092-447-5 978-89-6092-335-5(세트)
www.rnrbook.com
값 2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