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H E PI L L A R NEW T E S TA M E N T COM M E N TA RY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야고보서
성경 말씀을 진지하게 연구하는 독자를 대상으로 한 『필라 신약 성경 주석』 (PNTC) 은 무엇보다
PN TC
우리에게 주어진 성경 본문을 명확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은 현재 가 미한 성경 말씀과 성경신학에 대한 민감한 안목으로 엄격한 주해와 해석의 조화, 학문과 목회 의 조화를 꿈꾼다. 주로 NIV 본문 ( 역서는 개역개정을 병기함 ) 이 사용되었지만,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은 헬라어 신 약 성경을 기초로 성경 본문을 해설한다. 이들은 글로 된 성경 말씀이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본문과 깊이 씨름하며, 독자로 하여금 말씀의 의미를 깨닫고 그 의미를 삶에 적용하게 해 준다. 이 시리즈가 취하는 접근 방식은, 우리가 하나님을 판단하지 못하며 하나님이 우리를 지켜보신 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말씀하실 때, 하나님을 안다고 고백하는 그리 스도인은 반드시 경외심, 두려움, 거룩한 기쁨, 순종으로 응답해야 하는데,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 역시 같은 모습으로 응답하며 성경 말씀을 연구한다. 이렇게 집필된 『필라 신약 성경 주
야고보서
장 논쟁되는 주제를 다루지만, 지나치게 학술적인 내용은 피한다. 이 저자들은 현대에도 유의
석』 ( PNTC ) 은 목사, 교사, 신학생뿐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 독자에게 계속 환영받을 것이다.
지은이
더글러스 무( Douglas J. Moo )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Ph. D.) 를 받은 후,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20년간 가르쳤 으며, 현재 휘튼 대학에서 신약학 교수로 있다. NIV 성경 번역 위원회(CBT)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잘 알려진 저서 로는 NICNT 『로마서』 (솔로몬), PNTC 『야고보서』 (부흥과개혁사) 를 비롯한 다수의 주석과 『신약개론』 (은성) 등이 있다.
더글러스 무 지음
옮긴이
강대이
강대이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M. Div.)하고, 미국 고든 - 콘웰 신학교에서 석사 학위(Th. M.) 를, 골든게이트 침례 신학교에서 박사 학위(Ph. D.) 를 받았다. 역서로는 BECNT 『야고보서』, PNTC 『야고보서』 (이상 부흥과개혁사)가 있다.
ISBN 978 - 89 - 6092 - 449 - 9 ISBN 978 - 89 - 6092 - 448 - 2 (세트) www.rnrbook.com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값 20,000원
옮김
THE LETTER OF JAMES
더글러스 무 지음 | 강대이 옮김
목차
■ 시리즈 서문
│
8
■ 저자 서문
│
10
■ 주요 약어
│
12
■ 참고문헌
│
15
서론 Ⅰ. 교회 내 서신
19 |
21
Ⅱ. 특성 및 장르 | 26 Ⅲ. 저자 | 29
A. 주의 형제 야고보에 대한 옹호론
• 29
B. 전통적인 견해에 대한 도전
• 32
C. 최종 평가
• 41
부록
• 43
Ⅳ. 계기 및 연대 | 44
A. 독자 및 그들의 상황
• 44
B. 연대
• 47
Ⅴ. 신학 | 49
A. 하나님
• 50
B. 종말론
• 52
C. 율법
• 53
D. 지혜
• 57
E. 가난과 부
• 58
F. 그리스도인의 생활
• 60
G. 믿음, 행위, 칭의
• 62
Ⅵ. 구조 및 주제 | 68
야고보서 주석
73
Ⅰ. 호칭 및 문안 ( 1:1 ) | 74 Ⅱ. 영적 온전함 추구: 시험이 주는 기회 ( 1:2 ~ 18 ) | 78
A. 시험을 견디는 것이 영적 성숙을 가져온다 ( 1 : 2 ~ 4 )
B. 온전함은 하나님이 믿음으로 구하는 모든 자에게 주시는 지혜를 필요로 한다 ( 1 : 5 ~ 8 )
• 80
• 85
C.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부 또는 가난이 하나님에게서 온 것이라 생각해야 한다 ( 1 : 9 ~ 11 )
• 94
D. 하나님은 시험을 견디는 자에게 상을 주신다 ( 1 : 12 )
E. 하나님은 그의 백성에게 시련을 주시지만, 죄 짓도록 유혹하시지 않는다 ( 1 : 13 ~ 18 )
• 101
• 103
Ⅲ. 영적 온전함의 증거: 말씀에 순종함 ( 1:19 ~ 2:26 ) | 114
A. 성급한 말과 분노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한다 ( 1 : 19 ~ 20 ) • 115
B. 말씀에 순종함이 진짜 기독교의 표지다 ( 1 :21 ~ 27 )
C. 가난한 자에 대한 차별은 하나님 나라의 율법을 어기는 것이다 ( 2 : 1 ~ 13 )
• 136 • 137
1. 공동체 내의 차별은 잘못이다 ( 2:1 ~ 7 )
2. 차별은 하나님 나라의 사랑의 율법을 어기는 것이므로 잘못이다 ( 2:8 ~ 13 )
• 119
D. 믿음을 구하는 것은 행함에서 드러난다 ( 2 : 14 ~ 26 )
• 150 • 161
Ⅳ. 영적 온전함의 공동체적 차원: 순전한 말과 평화, 단락 1 ( 3:1 ~ 4:3 ) | 192
A. 혀를 제어하는 것은 변화된 마음을 나타낸다 ( 3 : 1 ~ 12 )
• 194
B. 참 지혜는 평화를 가져온다 ( 3 : 13 ~ 4 : 3 )
• 217
Ⅴ. 영적 온전함에 대한 권고 ( 4:4 ~ 10 ) | 239 Ⅵ. 영적 온전함의 공동체적 차원: 순전한 말과 평화, 단락 2 ( 4:11 ~ 12 ) | 253
A. 비판하는 말은 율법을 뻔뻔하게 위반하는 것이다 ( 4 : 11 ~ 12 ) • 253
Ⅶ. 영적 온전함의 세계관: 시간과 영원에 대한 이해 ( 4:13 ~ 5:11 ) | 257
A. 교만한 계획은 하나님의 섭리를 무시한다 ( 4 : 13 ~ 17 )
• 258
B. 부와 권력을 오용하면 하나님의 심판을 초래한다 ( 5 : 1 ~ 6 ) • 268
C. 시련을 인내하며 견디면 하나님의 보상을 받는다 ( 5 : 7 ~ 11 ) • 281
Ⅷ. 마무리 권면 ( 5:12 ~ 20 ) | 293
A. 맹세하지 말라 ( 5 : 12 )
• 294
B. 기도와 병고침 ( 5 : 13 ~ 18 )
• 297
C. 행동에 대한 마무리 권면 ( 5 : 19 ~ 20 )
• 314
| 시리즈 서문 |
주석 시리즈들은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집필되는데, 이 주석 시리즈도 마 찬가지다. 성경 말씀을 진지하게 연구하려는 목사와 교사가 대상인 『필라 신약 성경 주석 시리즈』 ( PNTC ) 는 무엇보다 우리에게 주어진 성경 본문을 명 확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이 시리즈에 참여한 학자들은 현재 가장 논쟁되는 주제를 다루지만, 지나치게 학술적인 정보를 다루지는 않는다. 이 저자들의 이상은 엄격한 주해와 해석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며, 주석과 설교의 혼동없 이 성경신학과, 성경과 현대의 연관성에 민감한 안목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근을 하는 이유는 “실증주의적 학풍”의 방향 ( 헛된 망상 ) 이 사 실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나님을 판단하는 자리에 설 수 없으며, 하나님만이 우리를 지켜보실 수 있다. 하나님이 그의 말씀으 로 우리에게 말씀하실 때, 하나님을 안다고 고백하는 자들은 반드시 적절한 방식으로 응답해야 하는데, 이는 분명 학자들 스스로 정하는 방식과는 다르 다. 그러나 이것은 제어되지 않는 주관성에 은근히 호소하는 것이 아니다. 이 시리즈의 저자들은 가장 “객관성”을 지닌 성경 본문에 공정하고 솔직하 기를 목표로 삼았다. 만약 성경 본문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면, 우리가 경외, 두려움, 거룩한 기 쁨, 순종으로 응답하는 것이 당연하며, 이런 자세는 그리스도인들이 글을 쓸 때도 반영되어야 하는데, 이를 고려해 집필된 『필라 주석 시리즈』는 목 사, 교사, 신학생뿐 아니라 그리스도인 독자 모두에게 환영받을 만하다.
8
시리즈 서문
*
*
*
금세기에 주요 로마서 주석들을 집필한 저자가 호감이 가는 야고보서 주 석을 집필해야 했다는 사실은 언뜻 보기에 다소 놀라운 일일 수 있다. 하지 만 더글러스 무 ( Douglas Moo ) 는 이 일을 해냈다. 그가 집필한 잘 알려진 틴데 일 주석 시리즈 ( TNTC ) 의 야고보서 주석을 확대한 것 이상으로 이 야고보서 주석은 자세하고 새롭게 집필됐으며, 두 가지 강점을 보여 준다. 첫째 강점 은 믿을 수 없을 만큼 평이하다는 점이다. 복잡한 주해 관련 요점이 매우 자 주 다뤄지지만, 무 박사는 그의 입장을 효율적이고 평이한 방식으로 나타내 는데, 이는 모든 독자에게 매우 적절한 방식으로서 부러움을 살만 하다. 둘 째 강점은 사려 깊은 적용점을 부드러운 어조로 전달한다는 점이다. 이 책 이 설교가 아니며 주석임을 잊지 않고서, 무 박사는, 노련한 학자의 냉철한 객관성과 따뜻한 목회적 적용을 통해 성경 본문을 자세히 설명한다. 내가 그의 동료로서 같은 곳에서 함께 섬긴다는 것은 큰 특권이다. D. A. 카슨
9
| 저자 서문 |
이 야고보서 주석을 집필할 기회를 준 『필라 신약 성경 주석 시리즈』의 편집장인 돈 카슨 ( Don
Carson ) 과
어드만스 출판사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이 주석을 읽는 대다수의 독자가 알겠지만, 15년 전 필자는 틴데일 시리즈 에서 야고보서 주석 ( The Letter of James [ Grand Rapids: Eerdmans/ Leicester: Inter - Varsity, 1985 ] ) 을
집필했다. 이 서신을 다시 접하는 기회는 필자에게 매우 유익했으
며, 바라기로는 야고보서를 공부하는 이들에게도 유익했으면 좋겠다. 필라 주석 시리즈는 필자가 야고보서 주석에 할애할 수 있는 지면을 거의 두 배 나 늘려 주었다. 따라서 필자는 배경과 신학 문제를 더 깊이 추적할 수 있었 다. 필자는 야고보가 자신의 실천적 기독교를 설명하면서 헬레니즘적인 유 대 전통을 창조적으로 사용한 것에 전보다 더 깊이 감동받았다. 그리고 필 자는 이 서신의 핵심이 그리스도에게 전적으로 헌신하라는 요청임을 여전 히 확신한다. 변함없이 타협하지 않는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야고보의 요 청은 매우 필요한 것이다. 오늘날 교회는 신앙이 절반으로 나뉘어 있는 신 자들로 가득 차 있다. 그 결과, 신자들의 삶의 많은 영역이 진정한 기독교 가치관에 의해 변화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현실에 처했다. 필자도 이 문제 에서 자유롭지 않다. 아주 무심코 필자의 나이가 “중년”임을 깨달았을 때, 필자는 주와 주의 사역을 향한 필자의 열정이 뒷걸음질 치는 경향이 있음 을 발견했다. 다시 야고보서에 몰두하면서 필자는 바로 이 부분에 날카로운 도전을 받았다. 이 주석을 읽는 모든 독자에게도 같은 영향이 미치길 기도 한다. 10
저자 서문
주석 시리즈의 편집자인 돈 카슨과 어드만스 출판사의 편집자인 밀턴 에 센버그 ( Milton Essenburg ) 외에도 몇몇 사람이 감사하게도 이 책을 위해 도움을 주었다. 트리니티 신학교의 연구 조교인 스티븐 페글러 ( Stephen Pegler ) 는 참 고문헌을 수집하고 원고를 수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필자의 사무실 조교 인 리 스웨인 ( Leigh Swain ) 은 이 연구의 자료를 위해 필자의 이전 주석을 ‘워 드퍼펙트’ 프로그램에 입력해 주었다. 리 스웨인과 트리니티 신학교 박사과 정 동료인 피어스 예이츠 ( Pierce Yates ) 도 색인 작업을 도왔다. 그러나 누구보 다도 가장 감사하고 싶은 사람은 나의 아내 제니 ( Jenny ) 며, 필자는 이 책을 아내에게 바친다. 제니도 색인 작업을 도왔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더 큰 도 움은, 필자가 자신감이 떨어져 있을 때, 이 일을 계속 할 수 있도록 제니가 용기를 준 것이다. 더글러스 무
11
| 주요 약어 |
AB
Anchor Bible
ANRW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AusBibRev Australian Biblical Review BAGD W. Bauer, W. F. Arndt, F. W. Gingrich, and F. W. Danker,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2d ed.) BK
Bibel und Kirche
BN
Biblische Notizen
BBR
Bulletin for Biblical Research
BDF F. Blass, A. Debrunner, and R. W. Funk,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Bib
Biblica
BSac
Bibliotheca Sacra
BTB
Biblical Theology Bulletin
BZ
Biblische Zeitschrift
CBQ
Catholic Biblical Quarterly
EvQ
Evangelical Quarterly
ExpTim
Expository Times
HTR
Harvard Theological Review
ISB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JBL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2
주요 약어
JETS
Journal of the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JNES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
JR
Journal of Religion
JSNT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JTS
Journal for Theological Studies
KJV
King James Version
LSJ
Liddell-Scott-Jones, Greek-English Lexicon
LW
Luther’s Works
LXX
Septuagint
MM J. H. Moulton and G. Milligan, The Vocabulary of the
Greek New Testament MT
Massoretic Text
NA
Nestle-Aland Greek New Testament (27th ed.)
NAB
New American Bible
NASB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B
New English Bible
NIDNTT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JB
New Jerusalem Bible
NLT
New Living Translation
NovT
Novum Testamentum
NovTSup Novum Testamentum, Supplements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TS
New Testament Studies
PL
Patrologia Latina
REB
Revised English Bible
ResQ
Restoration Quarterly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SBL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SJT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SNTSM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Monograph Series
TDNT G. Kittel and G. Friedrich (eds.),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13
주요 약어
TEV
Today’s English Version
TLZ
Theologische Literaturzeitung
TrinJ
Trinity Journal
UBS
United Bible Societies Greek New Testament (4th ed.)
WTJ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ZNW
Zeitschrift fü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14
| 참고문헌 |
I. 야고보서 주석 Adamson, J. B., The Epistle of James (Grand Rapids: Eerdmans, 1976). Bengel, J. A., Gnomon of the New Testament , vol. 5 (reprint; Edinburgh: T & T Clark, 1860). Burdick, D. W., “James,” in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vol. 12 (Grand Rapids: Zondervan, 1981). Calvin, J., Commentaries on the Catholic Epistles , trans. J. Owen (reprint; Grand Rapids: Eerdmans, 1948). Cantinat, J., Les Épîtres de Saint Jacques et de Saint Jude (Paris: Gabalda, 1973). Chaine, J., L’Épître de Saint Jacques (Paris: Gabalda, 1927). Davids, P., The Epistle of James (Grand Rapids: Eerdmans, 1982). Dibelius, M., A Commentary on the Epistle of James , rev. by H. Greeven (Philadelphia: Fortress, 1976). Frankemölle, H., Der Brief des Jakobus (Gütersloh: Gütersloher, 1994). Hiebert, D. E., James (rev. ed.; Chicago: Moody, 1992). Hort, F. J. A., The Epistle of St. James (London: Macmillan, 1909). 15
참고 문헌
Huther, J. E., Critical and Exegetical Handbook to the General Epistles
of James, Peter, John and Jude (New York: Funk & Wagnalls, 1887). Johnson, L. T., The Letter of James (Garden City: Doubleday, 1995). Knowling, R. J., The Epistle of St. James (London: Methuen, 1910). Laws, S., A Commentary on the Epistle of James (New York: Harper & Row, 1980). Martin, R. P., James (Waco, Tex.: Word, 1988). Mayor, J. B., The Epistle of St. James (2d ed.; London: Macmillan, 1913). Mitton, C. L., The Epistle of James (Grand Rapids: Eerdmans, 1966). Moffatt, J., The General Epistles of James, Peter and Jude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928). Moo, D. J., The Letter of James (Grand Rapids: Eerdmans, 1985). Mussner, F., Der Jakobusbrief (4th ed.; Freiburg: Herder, 1981). Nystrom, D. P., James (Grand Rapids: Zondervan, 1997). Reicke, B., The Epistles of James, Peter and Jude (Garden City: Doubleday, 1964). Ropes, J. H.,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Epistle of
St. James (Edinburgh: T & T Clark, 1916). Ross, A., The Epistles of James and John (London: Marshall, Morgan and Scott, 1954). Schlatter, A., Der Brief des Jakobus (Stuttgart: Calwer, 1956). Tasker, R. V. G., The General Epistle of James (Grand Rapids: Eerdmans, 1956). Vouga, F., L’epître de S. Jacques (Geneva: Labor et Fides, 1984). Windisch, H., Die katholischen Briefe (Tübingen: Mohr, 1951).
II. 기타 자료 Baasland, E., “Literarische Form, Thematik und geschichtliche Einordnung des Jakobusbriefes,” ANRW 2.25.5 (1988) 3,646–84. 16
참고 문헌
Baker, W. R., Personal Speech-Ethics in the Epistle of James (Tübingen: J. C. B. Mohr [Paul Siebeck], 1995). Bauckham, R., James: Wisdom of James, Disciple of Jesus the Sage (London: Routledge, 1999). Blomberg, C. L., Neither Poverty nor Riches: A Biblical Theology of
Material Possessions. New Studies in Biblical Theology. Grand Rapids: Eerdmans, 1999. Cadoux, A. T., The Thought of St. James (London: James Clarke, 1944). Cargal, T., Restoring the Diaspora: Discursive Structure and Purpose
in the Epistle of James (Atlanta: Scholars, 1993). Cranfield, C. E. B., “The Message of James,” SJT 18 (1965) 182–93, 338–45. Crotty, R. B., “The Literary Structure of the Letter of James,”
AusBibRev 40 (1992) 47–48. Goppelt, L.,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2 vols.; Grand Rapids: Eerdmans, 1975, 1976). Hartin, P. J., James and the Q Sayings of Jesus (Sheffield: JSOT, 1991). Hoppe, R., Die theologische Hintergrund des Jakobusbriefes (Würzburg: Echter, 1977). Johnson, L. T., “The Use of Leviticus 19 in the Letter of James,” JBL 101 (1982) 391–401. Klein, M., “Ein vollkommenes Werk.” Vollkommenheit, Gesetz und
Gericht als theologische Themen des Jakobusbriefes (Stuttgart: Kohlhammer, 1995). Maynard-Reid, P. W., Poverty and Wealth in James (Maryknoll, N.Y.: Orbis, 1987). Metzger, B. M.,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United Bible Societies, 1971). Moule, C. F. D., An Idiom Book of New Testament Gree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Penner, T. C., The Epistle of James and Eschatology: Re-Reading an
Ancient Christian Letter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7
참고 문헌
1996). Popkes, W., Addressaten, Situation und Form des Jakobusbriefes (Stuttgart: Katholischer, 1986). Rendall, G. H., The Epistle of St. James and Judaistic Christian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7). Tamez, E., The Scandalous Message of James: Faith without Works Is
Dead (New York: Crossroad, 1990). Turner, N., Syntax, vol. 3 of A Grammar of New Testament Greek, by J. H. Moulton (Edinburgh: T & T Clark, 1963). Wessel, W., “The Epistle of James,” ISBE 2.959–66. Wuellner, W. H., “Der Jakobusbrief im Licht der Rhetorik und Textpragmatic,” Linguistica Biblica 44 (1978–79) 5–66. 외경 ( Apocrypha ) 은 The Oxford Annotated Apocrypha (ed. B. M. Metzger; rev.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7)에서 인용했 으며, 위서 ( pseudepigrapha ) 는 The Old Testament Pseudepigrapha (2 vols.; ed. J. H. Charlesworth; Garden City: Doubleday, 1983, 1985)에서, 필 론 ( Philo ) 은 The Loeb Classical Library에서 인용했다.
18
II. 기타 자료
서론
THE PILLAR NEW TESTA MENT COMMENTARY
THE LETTER OF JAMES
19
THE LET TER OF JA MES
야고보서만큼 논란 있던 신약 성경도 드물다. 몇몇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야고보서의 정경성에 대한 이의를 제기했다.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 ( Martin Luther ) 는
야고보서를 “지푸라기 서신”이라 불렀고, 신약 성경에서 덜 중요
한 위치로 격하시켰다. 최근 신학자들은 자주 이 서신을 기독교 신앙의 본 질이 나타나지 않는 유대교의 유물로 치부한다. 그러나 일반 신자들 사이에 서의 야고보서의 위치는, 학계와 신학자들 사이에서 가끔 있는 이 서신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와 매우 대조적이다. 야고보서만큼 잘 알려져 있고 자주 인용되는 신약 성경도 드물다. 야고보서는 아마도 교회 안에서 두세 번째로 유명한 책일 것이다. 아래 나오는 서론의 단락에서, 우리는 몇몇 신학자들 이 왜 야고보서에 대한 어려움을 가져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렇다면 왜 야고보서는 일반적으로 신자들 사이에서 그렇게 유명한가? 이 서신의 세 가지 특성이 그 답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야고보서는 매우 실천적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의 생활에서 특별 한 안내를 찾는 신자들은 이와 같은 강조점을 자연스럽게 고마워한다. 1장 22절은 이 서신을 대표하는데, 이 구절은 신약 성경에서 가장 유명한 명령 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여 자신 을 속이는 자가 되지 말라”( 1:22 ). 야고보서는 이와 비슷한 분명하고 직접적 인 명령들로 가득 차 있다. 사실 야고보서에는 신약 성경의 다른 책들보다 명령형 동사가 더 자주 나온다. 야고보의 목적은 분명한 정보를 주는 것보 다 책망하고 권면하며 용기를 주는 것이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야고보가 20
I. 교회 내 서신
신학에 관심이 없거나 그의 명령에 단단한 신학적 기반이 없는 것은 아니 다. 야고보는 신학에 대해서는 간단히 그리고 암시적으로 다루고, 신학의 외적 실천에 집중한다. 야고보가 신자들에게 매력적인 두 번째 요인은 간결성이다. 야고보는 말 하는 요점을 길게 발전시키지 않으며, 기꺼이 요점을 만들어 다음으로 빠르 게 넘어간다. 사실 야고보서의 주석가들은 자주 이 서신의 분명한 구조를 찾아내는 데 혼동을 겪는다. 그러나 주석가들에게는 골칫거리지만 많은 독 자에게는 유익이다. 독자들은 야고보가 강조하는 요점을 즉시 환영할 수 있 다. 사실 이런 면에서 야고보서는 잠언 같은 구약 성경 및 유대 지혜 문헌과 비슷하다.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은 비슷한 이유로 이런 책을 환영한다. 셋째, 야고보가 풍부하게 사용하는 비유와 예화는 그의 가르침을 이해하 고 기억하기 쉽게 돕는다. 요동치는 바다, 시드는 꽃, 거울에 비친 얼굴의 모양, 말 입에 물린 재갈, 배의 키, 파괴적인 산불, 깨끗한 샘물, 교만한 사 업가, 녹슨 금속, 좀 먹은 옷. 이 모든 것이 사실상 보편적인 호소력을 가진 이미지들이다. 야고보가 집필하는 것에 나오는 직접적으로 자주 언급되는 분명한 요지 를 부인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고보서는 우리의 환경과 전혀 다 른 환경에서 왔다. 야고보가 우리 시대의 교회와 소통하기 원하는 것을 충분 히 인식하기 위해, 우리는 할 수 있는 한 야고보의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 하다. 아래 나오는 단락에서 우리는 야고보서의 여러 상황을 다룰 것인데, 이로써 우리는 하나님이 그의 백성에게 말씀을 전하기 위해 야고보를 사용 한 문맥에서 발견될 수 있는 정확하고 자세한 그림을 얻게 될 것이다.
I. 교회 내 서신 야고보서는 단일 교회에게 쓰인 게 아니라 “열방에 흩어져 있는 열두 지 파”( 1:1 ) 에게 쓰였다. 이처럼 수신자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초기 그리스도인 들은 야고보서를, 수신자가 비슷하게 모호한 베드로전후서, 요한일이삼서, 유다서와 함께, “일반” 또는 “공동”( “보편적”이라는 의미 ) 서신으로 분류했다. 일 반적으로 이 서신들은 하나의 교회에 본거지를 두지 않았기 때문에, 정경으 로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야고보서는 결국 AD 4세기까지 동서양 교회 모두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21
서론
물론 야고보서는 그보다 오래전부터 많은 그리스도인에게 알려졌고 사용 되었다. 이 서신의 이름이 처음 거론된 것은 AD 3세기 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도인들은 저자 이름을 따지 않고 책에서 인용하거나 내용을 사용하 는 습관이 있었다. 따라서 초대 교회에서 야고보서가 얼마나 빨리 사용되었 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야고보의 가르침이 인용되거나 언급된 초기 기독교 문헌을 찾아내는 것에 달려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헌을 찾아내는 것은 항상 쉽지 않다. 왜냐하면 야고보의 가르침 중 상당수가 전통적이기 때문이 다. 야고보서를 언급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단순히 야고보가 다른 많은 유대인 및 초기 그리스도인들과 공유하는 널리 퍼진 교훈을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 메이어 ( J. B. Mayor ) 는 자신의 고전적인 야고보서 주석에서 신약 성 경과 초기 기독교 문헌에 최대한 많이 접근하여 야고보서에 대한 암시를 찾아낸다.1 ) 그러나 이 암시들 중 많은 부분이 평범한 언어나 개념일 뿐, 그 이상의 유사점이 아니라는 것이 증명됐다. 더 냉철하고 실질적인 평가가 최 근 야고보서 주석가인 존슨 ( L. T. Johnson ) 에게서 나왔다. 존슨은 AD 1세기 말 과 2세기 초의 두 기독교 서적이 야고보서에 의존한다는 충분한 논거가 있 다고 생각한다. AD 95년경 로마에서 쓰인 서신인 클레멘스1서 ( 1 Clement ) 와 2세기 초기 또는 중기의 설교 시리즈인 헤르마스 목자 ( The mas ) 가
2 )
바로 그 책들이다.
Shepherd of Her
야고보서와 헤르마스 목자의 명령 부분 사이의
유사점은 특히 놀랄 만하다. 초기 기독교 저술가인 카시오도루스 ( Cassiodorus ) 는 알렉산드리아에 위치 한 세례문답학교의 수장인 클레멘스 ( Clement ) 가 야고보서 주석을 썼다고 주 장한다. 그러나 이 주석은 발견된 적이 없다. 그리고 클레멘스는 다른 저술 에서 야고보서를 의존하지 않는다.3 ) 알렉산드리아 클레멘스의 후계자인 오리게네스 ( Origen ) 는 야고보의 이름을 인용한 첫 번째 사람이다. 오리게네 스는 이 서신을 “사도” 야고보의 것으로 여겼으며 ( Commentary 126 ),
on John, frag.
이 서신을 성경으로 인용한다 ( Selecta in Psalmos 30:6 ). 오리게네스 작품의
라틴어 번역본에서는 야고보서의 저자를 “주의 형제”로 더 분명하게 말한 다. 그러나 이 추가 호칭의 확실성은 의심이 간다. 몇몇 다른 3세기의 기독교
1 ) 특히 pp. lxix~lxxi, lxxxviii~cix 참조. 2 ) Johnson, pp. 68~80. 3 ) 웨스트컷(B. F. Westcott)은 카시오도루스의 진술에 있는 “야고보”를 “유다”로 읽어야 한다 고 추정했다(A General Survey of the History of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6th ed.; London: Macmillan, 1889], pp. 357~358).
22
I. 교회 내 서신
저술들은 야고보서를 암시한다. 위 - 클레멘스 문헌 중 처녀들에게 보낸 서 신 ( Ad Virgines ) 에서는 야고보서가 성경으로 인용되어 있다. 4세기 초, 역사가 유세비우스 ( Eusebius ) 는 야고보서를 인용할 뿐 아니라 이 서신을 정경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유세비우스는 그 시대의 정경 상태에 대한 조사에서 “논 란 있는 책”으로 지위를 격하시키기도 한다 ( History
of the Church 3.25.3; 2.23.25 ).
이 분류에는, 많은 그리스도인이 성경으로 인정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거부 하는 책들을 포함한다. 야고보서에 대한 의문은 아마도 공동 서신을 거부한 시리아 교회에서 온 것 같다. 예를 들어, 가장 영향력 있는 시리아 신학자 중 한 명인 모프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 ( Theodore of Mopsuestia ) 는 어떤 공동 서신도 정경으로 인정하길 거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고보서는 5세기 의 신약 성경 시리아어 번역본에 포함됐고, 동방 교회의 다른 두 거인에 의 해 인정되고 인용됐다. 그들은 크리소스토무스 ( Chrysostom, 407년 사망 ) 와 테오 도레투스 ( Theodoret, 458년 사망 ) 다. 그러므로 다양한 목소리가 있지만 전체적인 동방 교회는 일반적으로 야 고보서를 성경 문서로 인정했다. 비슷한 유형이 서방 교회에서도 일어났다. 비록 야고보서가 천천히 인정받기는 했지만 말이다. 무라토리 정경 ( 2세기 말 ) 이나 4 )
없다.
몸젠 목록 ( Mommsen
catalog, 360년경의 아프리카 정경 목록 ) 에도
야고보서는
사실상 서방 교회 모두가 야고보서를 인정했다는 가장 오래된 언급
은 4세기 중반에나 나온다 ( 푸아티에의 터 [ Ambrosiaster ] ).
힐라리우스[Hilary of Poitiers]와 앰브로지애스
서방 교회 정경에서 야고보서의 최종적인 위치는 권위자 히
에로니무스 ( Jerome ) 의 승인이 결정적이었다. 히에로니무스는 야고보서를 자 신의 라틴어 번역에 포함시켰고 자주 인용했다. 더욱이 히에로니무스는 야 고보서의 저자를 주의 형제라고 분명히 밝혔다. 아우구스티누스 ( Augus tine ) 도
곧장 뒤를 이었고, 야고보서는 기독교회의 정경으로 확실한 지위를
차지했다. 야고보서가 초기 기독교 정경에 다소 망설이며 천천히 수용됐던 것을 어 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어떤 학자들은 몇몇 초기 그리스도인에 의해 표현 된 야고보서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교회를 위한 이 서신의 진위 또는 권 위에 대한 의심이 우리 마음에 생겨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두 가지 요 인을 볼 때, 이런 결론은 부당하다. 첫째, 우리가 가지고 있는 증거를 볼 때, 4 ) 무라토리 정경에 야고보서가 없는 것은 우발적인 것 같다. 왜냐하면 본문이 훼손되어 있기 때문이
다(Westcott, History of the Canon, 219~220 참조. 그리고 반대되는 해석에 대해서는 Mussner, p. 41 참조).
23
VI. 구조와 주제
야고보서 주석
THE PILLAR NEW TESTA MENT COMMENTARY
THE LETTER OF JAMES
73
THE LET TER OF JA MES
야고보서 1장
I. 호칭 및 문안 ( 1 : 1 ) 많은 독자가 신약 서신들의 머리말 구절을 중요하지 않은, 격식을 차린 사항으로 취급하며 넘어간다. 그러나 이렇게 하는 것은 실수다. 서신의 서 론은 대개 단순한 이름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또 서론은 앞으로 나오는 서 신의 특성과 목적에 대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주는 방식으로 저자와 수신자를 묘사한다. 야고보서의 서론도 예외는 아니다. 첫째, 야고보는 짧은 이야기나 신학 논문이 아니라 서신을 쓰고 있음을 분명히 한다. 이것을 알면, 우리는 야고보가 쓴 글을 평가하기에 더 좋은 자 리를 차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야고보가 특정한 독자들을 위해 쓰고 있으 며, 주로 독자들의 상황과 필요대로 그가 말하는 것이 결정될 것임을 우리 는 예상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야고보가 이같이 다양한 필요와 문제들을 취급하며, 한 주제에서 다음 주제로 빨리 넘어가더라도 우리는 놀 라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우리는 독자의 필요와 문제가 무엇인지 더 잘 이 해하고자 하는 소망으로 야고보가 말한 것을 주의 깊게 듣기 원하게 된다. 우리는 야고보가 독자의 상황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하지 않을 것으로 예 상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야고보와 독자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정보이기 때 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환경을 모른다. 그리고 우리가 이 상황에 대해 더 74
야고보서 1 : 1
많이 배울수록, 야고보가 독자들에게 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더 정확하 게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우리가 야고보의 가르침을 21세기 독자에게 적용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은 오직 야고보가 원독자에게 무엇을 말하는지를 정 확하게 이해하는 것을 통해서다. 고대 서신은 전형적으로 발송자의 신원, 수신자 언급, 인사말로 시작한 다. 예를 들면, “안티오코스가 율리우스에게 문안드립니다”라는 식이다. 신 약 성경의 서신들은 이렇게 짧은 머리말에 각 요소를 수식하면서, 때로는 머리말을 상당히 길게 확장시킨다. 예를 들면, 로마서에서 바울은 독자를 말하고 인사하기 전에 자신이 누구인지 설명하는 데 여섯 절을 할애한다. 야고보서에서는 더 간결하다. 야고보는 자신의 이름에 단지 짧은 호칭만 추 가하고, 이름이나 거주지로 서신의 수신자를 말하는 대신, 모호하지만 숨은 저의가 있는 신학적 어구로 수신자를 묘사한다. 그리고 야고보는 대부분의 고대 서신이 취하는 간단한 “인사말”을 유지한다. 1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 야
고보는 흩어져 있는 열두 지파에게 문 안하노라
James, a servant of God and of the Lord Jesus Christ, To the twelve tribes scattered among the nations: Greetings. 1
우리가 서론에서 주장한 것처럼, “야고보”는 갈라디아서 1장 9절 ( 또한 2:9, 12; 고전 15:7과 비교 ) 에서
갈
바울이 말한 “주의 형제”며, 예루살렘 초대 교회의
지도자였던 야고보다 ( 행 12:17, 15:13, 21:18 ). 우리는 현대 많은 학자가 이 서신의 저자가 야고보 본인인지 의심한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이 학자들은 AD 1세기 후반에 어떤 사람이 야고보의 이름으로 서신을 썼다고 주장하는 것 같다. 그러나 이 이론은 심각한 어려움에 봉착한다 ( 자세한 것은 서론 참조 ). 우리 는 이 구절의 직접적인 주장을 받아들여야 한다. 즉 초대 교회에서 가장 잘 알려진 주의 형제 야고보가 이 서신을 썼다. 그러나 만약 주의 형제 야고보가 이 서신을 썼다면, 왜 그는 예수와의 특 별한 관계를 언급하지 않았나? 아마도 예수의 형제라는 것이 야고보가 이 서신에서 다른 그리스도인을 충고하기에 좋을 만큼 권위를 주지 않기 때문 일 것이다. 야고보가 이런 서신을 쓸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은 예수와의 혈 연관계가 아닌 영적 관계다. 물론 야고보는 원래 열두 제자 중 하나가 아니 었다. 그러나 바울처럼 야고보는 예수의 부활 후 제자의 서열에 추가되었을 수도 있다. 갈라디아서 1장 19절을 볼 때, 바울이 야고보를 적어도 제자로 75
야고보서 1 : 1
보았음을 알 수 있다. “주의 형제 야고보 외에 다른 사도들을 보지 못하였 노라.” 1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고보는 자신에게 이 지위를 붙이지 않는다. 야고보 는 단순히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라고 자신을 밝힌다. 물론 야고보는 자신을 “종”으로 부름으로써 자신의 종속적인 위치를 인정한다. 사실 NIV에서 “종”으로 번역된 헬라어 단어는 “노예”( NLT 참조 ) 를 의미하기 도 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종”이 되는 것은, 그 사람이 섬기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고 우주의 군주이기 때문에 큰 명예도 따라 온다. 왜냐하면 구약 성경에서 이 칭호가 모세 ( 신 34:5; 단 9:11 ) 와 다윗 ( 렘 33:21; 겔 37:25 ) 과 같은 이스 라엘 백성의 위대한 지도자에게 붙여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울 ( 롬 1:10; 빌 1:1; 딛 1:1과 비교 ) 과
1:1; 갈
베드로 ( 벧후 1:1 ) 처럼, 야고보도 이 서신을 시작하면서
독자를 부를 권위, 그리고 충고할 권위가 있는 칭호로 자신을 말한다. “하나님의 종”이라는 칭호가 평범한 반면,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라는 설명 전체는 그렇지 않다. 신약 성경에서 여기에만 이 같은 용어 가 나온다. 야고보는 “하나님”과 “주”라는 칭호 모두를 예수에게 적용해서 “하나님이자 주이신 예수 그리스도” 2 ) 라고 하려고 했을 수 있다. 그러나 우 리는 이 칭호가 반대로 나오는 것이 야고보의 의도였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오히려 야고보의 요점은 그가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 모두 를 섬긴다는 점이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라는 복합어에 너무 익숙한 나 머지 “그리스도”가 칭호며 구약 성경과 유대교에서의 “메시아”와 같은 단 어라는 사실을 잊곤 한다. 이 칭호는 구약 성경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 지만, 신약 시대에는 마지막 날에 유대인들이 고대하던 구원자/왕을 가리 키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야고보가 추가한 “주”라는 칭호는 매우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예수에 대한 이해를 반영한다. 베드로가 오순절 설교에서 주장했던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말이다.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이 예수 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 행 2:36 ). 이복형제인 예수에 대한 야고보의 견해가 같은 가정에서 함께 자란 시기 이후로 완전히 변화 되었다!
1 ) “오직”(개역개정 “외에”)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에이 메’, 즉 “외에”며, 전에 나온 진술 전체를 가 리키는 것 같다. 즉 “[베드로 외에] 주의 형제 야고보 외에 다른 사도들을 보지 못하였노라.” 예, R. N. Longenecker, Galatians (Waco, Tex.: Word, 1990), p. 38 참조. 2 ) Vouga, pp. 31, 36. 또한 M. Karrer, “Christus der Herr und die Welt als Stätte der Prüfung: Zur
Theologie des Jakobusbriefes,” KuD 35 (1989) pp. 168~173 참조.
76
T H E PI L L A R NEW T E S TA M E N T COM M E N TA RY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야고보서
성경 말씀을 진지하게 연구하는 독자를 대상으로 한 『필라 신약 성경 주석』 (PNTC) 은 무엇보다
PN TC
우리에게 주어진 성경 본문을 명확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은 현재 가 미한 성경 말씀과 성경신학에 대한 민감한 안목으로 엄격한 주해와 해석의 조화, 학문과 목회 의 조화를 꿈꾼다. 주로 NIV 본문 ( 역서는 개역개정을 병기함 ) 이 사용되었지만,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은 헬라어 신 약 성경을 기초로 성경 본문을 해설한다. 이들은 글로 된 성경 말씀이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본문과 깊이 씨름하며, 독자로 하여금 말씀의 의미를 깨닫고 그 의미를 삶에 적용하게 해 준다. 이 시리즈가 취하는 접근 방식은, 우리가 하나님을 판단하지 못하며 하나님이 우리를 지켜보신 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하나님이 성경을 통해 말씀하실 때, 하나님을 안다고 고백하는 그리 스도인은 반드시 경외심, 두려움, 거룩한 기쁨, 순종으로 응답해야 하는데, 이 주석 시리즈의 저자들 역시 같은 모습으로 응답하며 성경 말씀을 연구한다. 이렇게 집필된 『필라 신약 성경 주
야고보서
장 논쟁되는 주제를 다루지만, 지나치게 학술적인 내용은 피한다. 이 저자들은 현대에도 유의
석』 ( PNTC ) 은 목사, 교사, 신학생뿐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 독자에게 계속 환영받을 것이다.
지은이
더글러스 무( Douglas J. Moo )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Ph. D.) 를 받은 후,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20년간 가르쳤 으며, 현재 휘튼 대학에서 신약학 교수로 있다. NIV 성경 번역 위원회(CBT)의 회장을 맡고 있으며, 잘 알려진 저서 로는 NICNT 『로마서』 (솔로몬), PNTC 『야고보서』 (부흥과개혁사) 를 비롯한 다수의 주석과 『신약개론』 (은성) 등이 있다.
더글러스 무 지음
옮긴이
강대이
강대이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M. Div.)하고, 미국 고든 - 콘웰 신학교에서 석사 학위(Th. M.) 를, 골든게이트 침례 신학교에서 박사 학위(Ph. D.) 를 받았다. 역서로는 BECNT 『야고보서』, PNTC 『야고보서』 (이상 부흥과개혁사)가 있다.
ISBN 978 - 89 - 6092 - 449 - 9 ISBN 978 - 89 - 6092 - 448 - 2 (세트) www.rnrbook.com
THE PILLAR NE W TESTA MENT COMMENTARY
값 20,000원
옮김
THE LETTER OF JAMES
더글러스 무 지음 | 강대이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