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틀을 가지고 성경을 읽는 것이 가장 좋은가? 그리스도 중심 성경신학 그레엄 골즈워디 지음 윤석인 옮김 334쪽 17,000원
신약의 구약 사용 핸드북 그레고리 빌 지음 이용중 옮김 276쪽 13,000원
구약과 신약의 관계 데이비드 베이커 지음 임요한 옮김 460쪽 22,000원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는 성경만큼이나 오래된 질문이다. 종교개혁가 대부 분 성경을 기초로 연합했으나, 세부 주제에 있어서는 서로 크게 의견을 달리한다. 세례를 받을 자격 은 무엇인가? 그리스도인은 모세 율법에 순종할 의무가 있는가?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는가? 벤저민 머클은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서 세대주의 신학 체계와 언약 신학 체계 사이 의 논쟁을 밝히 보게 해 준다. 머클은 그리스도인이 두 성경을 어떻게 연결해 왔는지를 확인하면서, 불연속성에서 연속성에 이르는 스펙트럼에 여러 관점을 둔다. 두 체계의 관심사에 공감할 수 있는 요소를 정리해 주고 비평적으로 평가한다. 머클은 이 틀을 주의 깊게 해설하면서 독자가 논쟁의 핵심 논제를 파악하도록 돕는다. 머클의 책은 감성보다는 이성에 더 크게 호소하여 누구나 상대 관점을 더 깊이 음미하고 자신의 관점을 분명히 드러내도록 돕는다.
성경의 더 큰 풍경과 맥락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각 절에 대한 이해도 깊어진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런데, 더 큰 관점이라는 것을 제대로 구비할 수 있는가? 벤저민 머클은 여섯 가 지 서로 다른 신학 체계를 탐구하는 유익한 여정에 우리를 초대한다. 머클은 각 관점을 객관적
태초의 첫째 아담에서 종말의 둘째 아담 그리스도까지
으로 서술하고, 개별 입장에 대한 평가도 제시한다. 내가 믿기에 이 책은 오늘날 시중에서 구
존 페스코 지음 김희정 옮김 240쪽┃11,000원
한 확신을 부여할 다양한 신학적 선택지 중에 최고를 얻게 될 것이다. 가장 중요한 업적을 이
할 수 있는 책 중에 가장 유용하다. 학생, 목회자, 교수 모두 복음주의에 속한 사람들에게 충분
복음주의 신학에 관심이 있다면 보통 세대주의 신학과 언약 신학은 알고 있으며, 최근에는 점진적 언약주의와 기독교 재건주의에 대해서도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들 체계의 차이와 이 체계들이 서로 형성하는 관계를 이해하는 일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다행히도 벤저민 머클이 이들 관점에 대한 유익하고 간결한 설명과 비교를 내놓았다. 머클은 자신의 관점을
크리스 브루노 등 지음 전광규 옮김 307쪽 18,000원
인정하면서도 각 체계를 공정하게 제시하고 그러면서 일차 자료를 상당히 많이 활용한다. 이 로써 다양한 입장에 대한 공정하고 병렬적인 일람이 가능해졌다. 마이크 블라흐, 매스터스 신학교 신학 부교수
ISBN 978-89-6092-723-0
www.rnrbook.com 값 22,000원
지은이
벤저민 머클 (Benjamin L. Merkle)
벤저민 머클 지음 | 윤석인 옮김
리폼드 성경 대학(B. R. E.), 웨스트민스터 신학교(M. Div.), 서던 침례 신학교(Ph. D.)에서 공부했다. 지금은 노 스캐롤라이나주 웨이크포리스트의 사우스이스턴 침례 신 학교 신약학과 헬라어 교수다. 『고급 신약 성경 헬라어』, 『평생 배우는 헬라어』, 『장로와 집사에 대한 40가지 질문』
불연속성 고전적 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
의 저자이며, STR과 40가지 질문 시리즈의 편집자다.
옮긴이
윤석인
고려대학교 영문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 고,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케빈 밴후저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개혁신학과 청교도 신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폭넓게 조직신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부흥과개혁사의 번역 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번역
점진적 언약주의
한 책으로는 『그리스도 중심 성경신학』, 『ESBT 언약과 율 법 성경신학』, 『ESBT 출애굽 성경신학』, 『개혁주의 무천
언약 신학 기독교 재건주의
연속성
구약의 그리스도 모형론 윌리엄 맥퀸 지음 이재호 옮김 447쪽 30,000원
벤저민 머클 지음 ┃ 윤석인 옮김
그리스도 중심적 성경 이야기
이스라엘 역사 성경신학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수정 세대주의
루었다. 토머스 슈라이너, 서던 침례 신학교 신약 해석학 및 성경신학 제임스 뷰캐넌 해리슨 석좌교수
트렌트 헌터 등 지음 전광규 옮김 342쪽 18,000원
구약과 신약의 연 속 성 과 불 연 속 성
함께 읽으면 좋은 책
년설 옹호』, 『언약신학』, 『성경 이야기와 구원 드라마』(이 상 부흥과개혁사) 등 다수가 있다.
┃목차┃
┃약어┃ 8 ┃감사의 글┃ 9 ┃서론┃이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네 가지 (의도된) 결과 11 여러분이 믿는 것을 알라 ┃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평가하라 ┃ 여러분의 신학 체 계가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하라 ┃ 책의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라
1장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17 네 가지 주요 질문 20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20 문자적인가 상징적인가┃모형론의 적절한 역할┃구약의 이스라엘 회복 예언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32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 구약 성도의 구원 ┃ 율법을 오늘날 적용하기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37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이 다른 가 ┃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40
결론 45
2장 고전적 세대주의 47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52 문자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상징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인가 ┃ 구약의 회복 예언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61 언약은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 구약의 성도는 어떻게 구원받았는가 ┃ 구 약 율법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71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이 다른 가 ┃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75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가 임하게 하셨는가┃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평가 81
3장 수정 세대주의 85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88 문자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상징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인가 ┃ 구약의 회복 예언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99 언약은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 구약의 성도는 어떻게 구원받았는가 ┃ 구 약 율법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107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이 다른 가 ┃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112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가 임하게 하셨는가┃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평가 118
4장 점진적 세대주의 123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126 문자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상징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인가 ┃ 구약의 회복 예언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138 언약은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 구약의 성도는 어떻게 구원받았는가 ┃ 구 약 율법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147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이 다른 가 ┃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154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가 임하게 하셨는가┃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평가 160
5장 점진적 언약주의 167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171 문자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상징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인가 ┃ 구약의 회복 예언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182 언약은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 구약의 성도는 어떻게 구원받았는가 ┃ 구 약 율법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195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이 다른 가 ┃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204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가 임하게 하셨는가 ┃ 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평가 209
6장 언약 신학 212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216 문자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상징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인가 ┃ 구약의 회복 예언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223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언약 ┃ 언약은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 구약의 성도 는 어떻게 구원받았는가 ┃ 구약 율법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242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이 다른 가 ┃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248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가 임하게 하셨는가 ┃ 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평가 253
7장 기독교 재건주의 258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266 문자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상징적 해석법을 채용하는가 ┃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은 무엇인가 ┃ 구약의 회복 예언은 어떻게 성취되는가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271 언약은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 구약의 성도는 어떻게 구원받았는가 ┃ 구 약 율법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가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284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이 다른 가 ┃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289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가 임하게 하셨는가 ┃ 하나님 나라는 어떻게 완성되는가
평가 296
┃결론┃여섯 가지 신학 체계에 대한 요약 304 고전적 세대주의┃수정 세대주의┃점진적 세대주의┃점진적 언약주의┃언약 신학┃기독교 재건주의
┃참고문헌┃ 320
┃감사의 글┃
교회와 학계 모두를 위하는 책을 집필할 수 있다는 것은 커다란 특권인 동시에 기쁨이다. 이 작업은 결코 혼자서 해낼 수 없다. 나는 산속 오두막에서 개인적으로 시간을 갖는 동안 이 책을 집필했더라 도, 이 책에 언급된 작품을 쓴 모든 성도를 상대로 대화했을 것이다. 이들은 모두 이 과정에서 나에게 가르침을 베풀고 도전해 왔는데, 나는 성경을 성실히 연구하여 성경적이면서도 일관된 신학 및 해석 체계를 제시하려 노력한 사람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나는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신학 체계가 있지만 나 자신의 견해는 언급하지 않으려 노력했다. 그보다 이 책은 설명의 성격을 띤다. 내 목표는 설득하는 것이라기보다 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충분 한 정보가 우리에게 제공될 때 비로소 자기가 지지하는 견해의 실 행 가능성은 도전받게 된다. 누구도 완벽한 체계를 갖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므로,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서 겸허하게 배울 필요가 있다. 인생만 여행이 아니라 성경이 서로 조화되는 방식에 대한 우 리의 이해도 마찬가지로 여행이다. 나는 하나님이 이 여행 과정에 우리에게 인내하신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감사의 글
9
나는 또한 수년 간 나의 고급 해석학 강의( 닌자 의 )를
해석학으로도 알려진 강
수강한 모든 학생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이 책을 위한 아이
디어는 해당 강의를 가르치면서 학생들이 자기 견해가 아닌 다른 견해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하는 필요성을 직접 감지한 데 서 착안했다. 학생들은 이 책의 핵심 구조와 질문을 수정하는 데 도 움을 주었다. 내가 서론 부분의 초안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준 마이 클 가이어, 각주의 모든 참고문헌을 재확인하고 원고를 교정한 엘 리샤 클라크에게 특별히 감사한다. 나는 그들의 견해를 나타내는( 또 는 거의 나타내는 )
부분에 대해 소중한 의견과 정보를 제공해 준 여섯 명
의 학자에게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특히 토미 아이스( 고전적 세대주의 ), 마이클 블라크( 수정 세대주의 ), 크레이그 블레이징( 점진적 세대주의 ), 스티브 웰럼( 점진적 의 ) 에게
언약주의 ),
리처드 린츠( 언약
신학 ),
케네스 젠트리( 기독교
재건주
감사를 전한다. 내가 이 학자들에게서 받은 의견과 정보는
이들의 견해에 대한 설명을 세밀하게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모든 결함은 나 자신의 것이며 이들의 조언을 반영하지 않는다. 끝으로, 나는 하나님의 말씀에 감사하는데, 하나님 말씀은 예수님 을 자기 백성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성취로 계시한다. 하 나님의 모든 약속은 예수님 안에서 “예”와 “아멘”이다( 고후 1:20 ).
10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서론
이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네 가지 (의도된) 결과
여
러분이 이 책의 핵심을 탐구하기 전에, 나는 이 책을 읽는 사람이 이 책에서 이익을 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네 가
지 현실적 방법을 함께 나누려 한다. 이 방법들은 여러분이 이 책을 선택한 주된 목적이 아닐 수도 있겠으나, 나는 모든 독자가 진지하 게 검토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여러분이 믿는 것을 알라 우리는 알아야 할 것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할 때까 지 어떤 주제에 대해 얼마나 많이 알지 못하는지를 모를 때가 자주 있다. 여러분은 이 책을 읽을 때 여기서 다루는 여러 가지 질문에 정확히 어떻게 답변할지에 대해 자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어쩌면
서론 ┃ 이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네 가지 (의도된) 결과
11
여러분은 자기 견해가 뚜렷한 일관성 없이 여러 체계를 혼합한 것 임을 깨달을 것이다. 우리 중 많은 사람은 자신의 신학 ‘체계’에서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알지 못하는 위치에 있다. 다시 말해, 우 리는 일관되지 않은 신학 체계를 단언하는 죄를 범한다. 내가 지적 하는 것은 우리가 꼭 자기 신념에 적합한 해답이 있지 않다고 인정 하는 지점이 아니라, 우리의 신학적 입장이 양립할 수 없는 지점, 곧 우리의 왼손이 하는 일을 우리의 오른손이 정말 알게 되면 격렬히 반대할 지점이다. 다양한 신학 체계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자신의 신학 체계의 일 관성을 검증할 수 있다. 아마 우리는 특정 입장을 긍정하면서도 자 신이 그렇게 하는 이유를 확신하지 못할 것이다. 아무쪼록 이 연구 를 통해 여러분이 스스로 무엇을 믿으며, 왜 그것을 믿는지를 깊이 생각할 수 있게 되기를 소원한다. 그래서 확연한 불일치를 발견 한다면 여러분은 하나님의 말씀에서 겸손하게 답을 찾을 수 있다. 결국 우리는 자신이 무엇을 믿는지를 알기 원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더 잘 알기 원할 뿐 아니라 말씀의 하나님도 더 잘 알기 원
한다. 우리는 수치를 당하거나 그리스도를 부끄럽게 하지 않기 위 해 진리의 말씀을 옳게 분별하기 원한다( 딤후 2:15 ). 우리는 “가르치는 사람이 더 큰 심판을 받을 것”임을 알기에( 약 3:1 ) “바른 교훈에 합당 한 것을 가르치기” 위해 진지하게 노력해야 한다( 딛 2:1 ).
12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평가하라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신학 체계를 이해하지 못할 때 그들의 견 해를 무시하거나 그들을 악마화하기 쉽다. 우리와 생각이 다른 사람 들에게 불순한 동기가 있다고 뒤집어씌워 그들의 믿음을 의심하기 가 너무 쉽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세례와 관련해 여러분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으면, 이 사람이 (1) 성경을 잘 알지 못하거나, (2) 살아 가면서 진리를 알지 못하게 하는 은밀한 죄가 있거나, (3) 거짓 교 훈의 미혹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자기 관점에서 보면, 이 사 람의 견해는 이치에 닿지 않으며 완전히 터무니없게 느껴진다. 그러나 일단 우리가 다른 사람의 신학 체계와 해석적 헌신을 이 해하면, 특정 본문에 대한 그 사람의 해석뿐 아니라 그 사람의 견해 도 최소한 이해되기 시작한다. 다른 사람의 견해가 우리의 신학적 관점에 따르면 그럴듯하지 않아 보이는 것도 사실일지 모르나, 일 단 우리가 그 사람의 신학적 안경을 쓰면 그 사람의 견해가 가능한 것처럼 보이고 심지어 그럴듯하게 보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이것은 진리가 상대적이라거나 모든 선택안이 똑같이 실행 가능하다는 뜻 이 아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떤 견해가 교회 역사 전체에서 많은 성 실한 신자에게 지지받고 신봉되는 타당한 이유가 아마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 다른 사람들의 신학 체계를 배움으로써 우리는 자신이 꼭 지지하지 않는 것을 이해하고 심지어 존중할 수 있다.
서론 ┃ 이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네 가지 (의도된) 결과
13
여러분의 신학 체계가 완벽하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하라 나는 이따금 학생들에게 ‘내가 어떤 분야에서 잘못되었다고 확신 하므로 나의 모든 교리적 신념에 전적으로 동의하면 안 된다’고 말 한다. 유일한 문제는 내가 어디서 잘못되었는지를 모른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어디서 잘못되었는지를 안다면 내 신념을 바꿀 것 이다. 그러나 나는 내가 옳다고 생각하므로 내가 있는 곳에 갇혀 있다. 내 신학 체계는 완벽하지 않아도 스스로 다르게 확신하기 전 까지 내가 머무는 곳이다. 하지만 나는 어떤 사람이 정말 자기의 신학 체계를 거의 완벽하 게 생각한다는 사실이 우려스럽다. 어쩌면 이런 사람도 자신이 어 딘가에서 잘못되었음을 인정하겠지만, 자신이 아마 정확성 수준에 서 90%를 상회한다고 판단할 것이다. 물론 몇몇 기본 교리와 관련 해 신자들은 높은 비율의 일관성을 보인다. 그러나 우리가 사소하 거나 더 부수적인 모든 교리와 해석을 놓고 논쟁을 벌이는 모든 다 양한 구절을 정직하게 고려한다면 정확성의 비율은 많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나는 내 천년론 견해가 정말 옳다고 확신한다. 그러나 나 는 또한 (1) 천년론 견해가 중심 교리가 아니며, (2) 성경에서 한 구 절에만 명시적으로 나타나며( 계
20:1-10 ),
(3) 내가 존경하는 견실한
신학자들이 다른 견해를 지지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내가 내 견 해를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전혀 문제 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는 내가 정말 옳다고 믿는다 ).
그러나 나는 또한 내가 틀렸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믿는다. 이것은 어려운 ( 하지만 때로 필요한 ) 부분이며 확신과 겸손을 모
14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두 요구한다.
책의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라 끝으로, 우리는 모두 성경을 부단히 연구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성경의 내용과 교리를 통달하는 것을 추 구하는 문제가 아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하나님에 대해 아는 죄를 짓기 원하지 않는다. 우리가 모든 정답을 알지 못하고 모 든 정답을 결코 갖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 때문에, 우리는 진리의 원 천인 하나님의 계시된 말씀을 늘 가까이해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 을 알기 위해 노력해야 할 뿐 아니라, 더 중요하게 “하나님이 아신 바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갈 4:9 ). 바울처럼 우리도 자신이 이미 도달한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달려가고 있음을 기꺼이 인정해야 한다( 빌 3:12 ). 우리는 하나님 나라를 위해 힘쓰고 자신이 하는 모든 일에 뛰어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결국 우리는 “내가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라고 고백해야 한다( 고전 15:10 ).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에게 진리의 원천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 씀은 또한 우리에게 생명의 원천이기도 하다( 빌 2:16; 요일 1:1 ). 우리는 기독교인으로서 자신의 교리를 진술하기 위해서뿐 아니라, 예수 그 리스도의 형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주야로 묵 상할 필요가 있다( 시 1:2-3 ). 예수님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지식과 믿음을 나타내셨을 뿐 아니라 겸손함도 보이셨다. 실제로 예수님은
서론 ┃ 이 책을 읽음으로써 얻게 되는 네 가지 (의도된) 결과
15
육신이 되신 하나님의 말씀이었다( 요 1:14 ). 그래서 책의 사람은 단순 히 성경을 잘 아는 사람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진 사람이 요( 고전 2:16 ), 자기보다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더 낫게 여기는 겸손한 사람이다( 빌
2:3-5 ).
하나님이 자기 말씀과 성령의 권능으로 우리가
자기 아들의 형상을 본받도록 우리 안에서 계속 일하시기를 기원 한다.
16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1장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신
학 체계는 전체적 성경 메시지를 이해하려는 시도로 구성 된다. 이상적으로 말하면, 신학 체계는 성경에 대한 충실한
해석에 기인한다. 하지만 신학 체계는 일단 형성되면 우리가 성경 을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이 사실 때문에 신학 체 계를 이해하는 일은 해석학적 시도가 된다. 이런 신학 체계는 두 개 의 폭넓은 입장에 비추어 논의될 때가 종종 있는데, 그것은 바로 세 대주의와 언약 신학이다. 그렇더라도 선택안을 간단한 이분법으로 제시하는 것은 지나친 단순화다. 존 파인버그는 “복음주의의 입장 은 성경의 절대적 연속성에 대한 신념부터 성경의 절대적 불연속성 에 대한 신념으로 이어지는 연속체 위에 둘 수 있다”라고 올바르게
17
지적한다.1) 불연속성의 편에는 세대주의가 있고 연속성의 편에는 언약 신학이 있다. 파인버그는 또한 “두 종류에는 다양성이 존재하 지만, 어느 실제 체계가 연속체의 양 끝에 정확히 위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라고 지적한다.2) 이런 신학 체계를 이해하려면 이 연속 체 상에 있는 다양한 입장을 확인하고 각 입장의 해석 체계를 탐구 해야 한다. 연속체를 따라 불연속성에서 연속성으로 진행하는 이 책은 여섯 개의 다른 신학 체계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런 견해 중 세 가지 는 세대주의와 연관되고 다른 세 가지는 언약 신학과 연관된다. 세 대주의 안에서 나타난 최근의 발전은 불연속성의 편에서 세 가지 다른 입장을 강조하는데, 그것은 고전적 세대주의, 수정 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다.3) 연속성의 편에서 전통적 입장은 언약 신학 이다. 하지만 다른 두 입장도 연속성을 강조한다. 첫째, 최근에 생겨 난 “점진적 언약주의” 입장은 세대주의와 언약 신학 사이에서 중간 입장으로 여겨진다.4) 둘째, 기독교 재건주의는 연속성의 편에서 극
John S. Feinberg, “Systems of Discontinuity,” i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and New Testaments (Wheaton: Crossway, 1987), 64. 2) 앞의 책. 3) Craig A. Blaising and Darrell L. Bock,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Grand Rapids: Baker, 1993, 『점진적 세대주의』, CLC 역간, 2016), 21– 56을 보라. 4) Peter J. Gentry and Stephen J. Wellum, Kingdom Through Covenant: A Biblical-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venants , 2nd ed. (Wheaton: Crossway, 2018, 『언약과 하나님 나라』, 새물결플러스 역간, 2017), 34를 보라. 1)
18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단적 입장을 대표한다. 도표 1.1은 이와 같은 견해들이 연속체 상에 서 차지하는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 준다.
도표 1.1 신학 체계의 분류 언약주의
기독교 재건주의
언약 신학
점진적 언약주의
점진적 세대주의
수정 세대주의
고전적 세대주의
연속성
불연속성
세대주의
이런 신학 체계의 연속체는 세대주의와 언약 신학의 이분법을 넘 어서 논의를 진척하는 데 도움을 준다. 종종 사람들은 특정 본문에 대해 논의하거나 논쟁할 때, 다른 출발점에서 해당 본문에 접근하 고 있어서 서로 동문서답한다. 하지만 다양한 신학 체계를 알면, 어 떤 본문에 대해 논의할 때 토대가 되는 문제를 이해할 수 있고 자기 입장의 일관성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독자들이 자 기 견해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또한 다른 사람 들의 견해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결국 이런 신 학 체계들을 이해하는 것은 성경을 해석하는 데 이로울 것이다. 이 신학 체계들을 설명하고 평가하기 위해, 이 책은 네 가지 주요 질문 에 답변함으로써 각 신학 체계의 해석 체계를 조사할 것이다.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19
네 가지 주요 질문 각 견해는 네 가지 해석학적 질문에 서로 다른 해답을 제시한다. 이 질문들은 사실상 해석법과 관련이 있는데, 이 신학 체계들이 모 두 성경을 전체적으로 해석하려 하기 때문이다. 각 견해에 대한 논 의는 가장 일반적인 질문으로 시작해 더 구체적인 질문으로 진행할 것이다. 이 질문들은 개별적으로 논의하겠지만 많은 면에서 서로 관련이 있다. 그뿐 아니라, 이전 질문에 대한 답변은 이후 질문에 답 변하는 방식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첫째, 우리는 각 견해의 기본 해 석법을 확인하려 시도할 것이다. 둘째, 우리는 각 견해가 언약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을 살필 것이다. 셋째, 우리는 이스라엘과 교 회 간의 관계에 대한 각 견해의 태도를 다룰 것이다. 넷째, 우리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각 견해의 이해를 검토할 것이다. 아래에서 나 는 이후 내용에서 펼쳐질 논의에 대한 길잡이를 제공하기 위해 각 견해를 간략히 탐구하겠다.
1. 기본 해석법은 무엇인가
문자적인가 상징적인가
가장 광범위한 첫 번째 질문은 각 신학 체계가 채용하는 성경에 대한 기본적 접근법과 관련이 있다. 세대주의자와 언약주의자 간의 경계는 보통 문자적 해석 대 비문자적 또는 영적 해석의 문제로 이 해된다. 번 포이트레스는 이 두 신학 체계 간의 거의 모든 문제가
20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문자적 해석의 질문과 연관되어 있다고 제안한다.5) 하지만 존 파인 버그는 “두 진영은 문자적으로 해석한다고 주장하면서도 다른 신학 체계를 끌어낸다. 이 사실은 차이점이 문자주의 대 비문자주의가 아니라, 문자적 해석법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임을 시사한다”라고 주장한다.6) 전통적으로 세대주의자는 문자적 해석 을 역사적-문법적 해석으로 간주했다. 다시 말해, 문자적 해석은 본 문을 역사적·문학적 맥락에 비추어 해석함으로써 저자가 의도한 뜻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실제로 세대주의자는 문자적 해석을 일관되게 사용한다고 지적함으로써 전통적으로 자신을 차 별화해 왔다.7) 하지만 언약주의자도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한다고 주장할 때 가 많다. 언약주의자는 자신이 성경을 비풍유적으로, 그리고 저자가 의도한 뜻에 따라 해석한다는 의미로 이렇게 말한다( 이것은 비유적 언어 나 상징적 언어를 참작한다 ).
더욱이 언약주의자는 신앙 유비, 곧 “성경이 성
경을 해석한다”라는 종교개혁의 원칙도 채용한다. 이것은 역사적문법적 해석과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석을 위한 성경 전 체의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성경의 부분은 전체에 비 추어 이해해야 하고 전체는 부분에 비추어 이해해야 한다. 이 역학 관계는 특히 구약 예언 본문과 관련해 비문자적 해석 또는 영적 해 5)
Vern S. Poythress,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m , 2nd ed. (Phillipsburg, NJ: P&R, 1994), 78.
6) 7)
Feinberg, “Systems of Discontinuity,” 74. Charles C. Ryrie, Dispensationalism , rev. and exp. ed. (Chicago: Moody, 2007), 91–97을 보라.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21
석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두 유형의 신학 체계가 역사적-문법적 해석을 단언한다면, 양쪽 간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은 무엇일까? 부분적으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구약 또는 신약에 부여되는 우선권이다. 허버트 베이트먼은 “성경 우선권은 신구약 중 어느 한쪽에 대한 전제주의적 선호여서 말 그대로 한 사람의 역사적-문법적 해석의 출발점을 결정한다”라 고 설명한다.8) 파인버그는 논쟁의 기본 문제 중 하나가 “계시의 진 전과 신구약 중 어느 한쪽에 부여하는 우선권과의 관계”라고 말하 면서 이 평가에 동의한다.9) 세대주의자와 언약주의자는 신약이 구약을 성취한다는 데 동의 하지만, 언약주의자는 신약이 구약을 이해하기 위한 우선권이 있다 고 강조하는 경향이 있고, 세대주의자는 구약에서 시작해 신약으로 이동하지만 신약에 비추어 구약을 재해석하는 것을 경계한다.10) 이 것은 구약의 다양한 구절들, 특히 이스라엘의 회복 예언에 대한 문 자적 해석이나 상징적 해석과 관련될 때 특징적 문제가 된다. 언약 주의자는 신약의 우선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후의 계시가 구약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도록 허용한다. 언약주의자도 세대주의
8)
Herbert W. Bateman IV, “Dispensationalism Yesterday and Today,” in
Three Central Issues in Contemporary Dispensationalism , ed. Herbert W. Bateman IV (Grand Rapids: Kregel, 1999), 38. 9) Feinberg, “Systems of Discontinuity,” 74. 10) 파인버그는 “일반적으로 연속성을 더 강조할수록 구약을 이해하기 위한 규범 으로 신약을 더 우선시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불연속성을 더 강조할수 록 신구약 각각을 그 자체로 받아들이고 서로를 위한 규범으로 이해하는 경 향이 더 적어진다”라고 주장한다(앞의 책, 79).
22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자와 같은 기본 해석법( 역사적-문법적 해석 ) 을 채용할지 모르나, 신약 안 에 포함된 예수 그리스도의 더 완전한 계시에 비추어 특정 구절을 이해한다. 그래서 신약은 구약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분명히 하는 데, 구약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는 성취와 관련지어 이해해 야 한다. 세대주의자는 신약을 구약의 완성으로 여기는 이 입장에 동의한다. 하지만 세대주의자는 여기서 끌어낸 결론에 동의하지 않 는다. 세대주의자는 우리의 기본 해석법이 구약에 고정되어야 하며, 신약이 구약을 성취하더라도 구약의 맥락에서 주어진 약속이나 의 미가 없어지지 않는다고 믿는다. 연속체의 양편에 있는 두 신학 체계는 신구약 간의 관계를 결정 하려 시도한다. 신약이 구약에 대해 분명한 우선권이 있다면, 신약 저자가 사용할 때 구약 본문의 의미에 무슨 일이 발생할까? 역사 적-문법적 해석은 신약의 구약 사용을 이해하는 데 충분할까? 더구 나 예수님이 모든 언약 약속에 대한 성취라면, 신약 저자는 민족적 이스라엘과 관련된 미래 성취에 주의하는가? 조나단 룬드는 신약의 구약 사용과 관련된 중요 문제는 “신약 저자가 자기의 주장을 입증 하기 위해 구약 본문에 호소할 때, 자신이 의미하는 것과 구약 선조 가 원래 의도한 것 간의 관계가 중요 문제였다”라고 주장한다.11) 여
11)
Jonathan Lunde, ed., Three Views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Zondervan, 2008), 10–11을 보라. 룬드 는 이 책에서 다루는 세 가지 입장을 구별하는 데 계속 도움을 주는 다섯 가 지 질문을 식별한다. (1) 더 깊은 의미(sensus plenior)는 신약이 구약을 사 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방식인가? (2) 모형론은 어떤 방식으로 가장 잘 이해되는가? (3) 신약 저자들은 자기가 인용하는 구절의 맥락을 고려하는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23
러 신학 체계를 구별하기 위해 나는 (1)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 (2) 구약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회복 예언에 대해 논의하겠다.
모형론의 적절한 역할
모형론은 불연속성에서 연속성으로 이어지는 연속체 상에 놓인 여러 신학 체계의 차이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다. 마크 칼버그 는 “복음주의자 사이에 오래 남아 있는 해석의 차이를 해결하는 것 은 대부분 구약 모형론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올바른 평가에 달려 있다”라고 주장한다.12) 포이트레스는 심지어 이 주제에 대한 더 많 은 논의가 세대주의자와 언약주의자를 더 가깝게 이어 주는 힘을 가질 수도 있다고 시사한다.13) 대부분의 경우, 세대주의자는 성경 해석학에서 모형론의 역할을 무시하거나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 세대주의자가 모형론에서 찾아 내는 문제는 모형이 신약의 원형에서 성취된 뒤에 구약의 자체 맥 락에서 모형이 지니는 의미를 바꾸거나 없애 버릴 가능성이다. 이 와 같은 접근법은 구약의 우선권을 위태롭게 할 것이며, 일관된 문 자적 해석법이나 역사적-문법적 해석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강
가? (4) 신약 저자들이 유대인의 주석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신약의 구약 사 용을 설명하는가? (5) 우리는 신약에 나타나는 구약에 대한 주석적, 해석법적 접근 방식을 모사할 수 있는가? 세 입장은 (1) 월터 카이저가 주장하는 단일 의미, 통일된 지시 대상, (2) 대럴 벅이 주장하는 단일 의미, 다양한 문맥과 지 시 대상, (3) 피터 엔스가 주장하는 더 풍부한 의미, 단일 목표다. 12)
Mark W. Karlberg, “Legitimate Discontinuities Between the
13)
Poythress,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ts , 117.
Testaments,” JETS 28.1 (1985): 19.
24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조를 훼손할 것이다.14) 어떤 사람에게는 이것이 해석에서 모형론의 어떤 역할도 부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신약 저 자가 구약의 모형을 인식하는 방식에 한정된 모형론에 대한 매우 주의 깊은 이해를 의미한다.15) 이 입장의 이면에는 또한 이스라엘이 교회의 모형이 아니며 교회가 구약에서 이스라엘에게 약속된 언약 복을 성취하거나 경험하지 않는다는 신념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고전적 세대주의자와 수정 세대주의자는 교회가 누리는 새 언약 복 을 예레미야 31장 31-34절과 에스겔 36장 24-28절에서 이스라엘 과 세워진 새 언약이 아닌 별개의 언약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 한다. 하지만 일부 세대주의자와 대다수 언약주의자는 신약이 구약을 사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일에서 모형론을 위한 더 큰 역할에 주 의한다. 데이비드 베이커는 모형론을 “모형에 대한 그리고 모형 간 의 역사적·신학적 상응에 대한 연구”로 정의한다.16) 베이커는 더 14)
포이트레스는 “이 지점에서 고전적인 세대주의 해석 이론의 심각한 단점은 모형론적 해석과 문법적·역사적 해석의 통합을 간과한 것”이라고 주장 한다(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ts , 115).
15)
주크는 “모형은 역사적인 실재가 있는 구약의 인물, 사건, 사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인데, 신약에서 이 모형에 상응하고 이 모형을 성취하도록(강화하도 록) 지정된 실제 인물, 사건, 사물을 예비적 방식으로 예시하기(전조로 보여
주기) 위해 하나님이 구상하신 것”이라고 주장한다(Roy B. Zuck, Basic Bible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to Discovering Biblical Truth [Wheaton: Victor, 1991], 176). 16) David L. Baker, “Typology and the Christian Use of the Old Testament,” in The Right Doctrine from the Wrong Texts? Essays on the Use of the Old Testament in the New Testament , ed. G. K. Beale (Grand Rapids: Baker Academic, 1994), 328.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25
나아가 모형을 “다른 사건, 인물, 제도를 위한 본보기나 양식의 역 할을 하는 성경적 사건, 인물 제도”로 정의한다.17) 베이커는 모형론 을 뒷받침하는 두 원칙을 (1) 그것이 역사적인 것이어야 하고, (2) 실질적인 상응을 조건으로 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에드워드 글레니 는 이와 같은 신구약 간의 모형론적-예언적 관계를 확립하는 데 필 수적인 네 가지 기준을 밝히는데, (1) 모형은 역사적 사실( 인물, 행동, 사 건, 제도 ) 과
결부되어야 하며, (2) 원형과의 연관성을 성경 안에서 확
인할 수 있어야 하며, (3) 모형과 원형 사이에 일정한 양식이 존재 해야 하며, (4) 모형에서 원형으로의 단계적 확대나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18) 점진적 세대주의자는 모형론을 역사적-문학적 해석의 일면으로 간주하는데, 모형론은 “이전 역사의 인물이나 사건과 이후 역사의 인물이나 사건 사이에 존재하는 유사성의 양식을 가리키기” 때문 이다.19) 대럴 벅은 상보적 해석법을 옹호하는데, 이것은 앞선 계시 가 원래의 의미를 보완한다면 추가되거나 확장된 의미를 지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신약의 의미는 구약의 의미를 발전시키거나 보완 할 수 있으나, 구약 저자가 원래 의도한 것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그 렇게 하지 않는다.20) 다시 말해, 신약의 원형은 구약의 모형이 자체
17)
앞의 책, 327.
W. Edward Glenny, “The Israelite Imagery of 1 Peter 2,” in Dispensationalism, Israel, and the Church , ed. Craig A. Blaising and Darrell L. Bock (Grand Rapids: Zondervan, 1992), 157–158. 19) Blaising and Bock,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 52. 20) Darrell L. Bock, “Single Meaning, Multiple Contexts and Referents,” in 18)
26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의 맥락에서 지니는 의미를 부정하지 않으며 점진적 계시에 비추어 그 의미를 발전시키거나 확장한다. 따라서 이 해석법은 어느 주어 진 본문에 대한 ‘역사적-주석적’ 읽기와 ‘신학적-정경적’ 읽기를 모 두 포함한다. 역사적-주석적 읽기는 원저자가 자신의 1차 청중에게 그들의 특정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전하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과 관계있다. 신학적-정경적 읽기는 이후 계시에 비추어 본문을 이해 하는 것과 관계있다. 점진적 세대주의자는 일부 구약 언약의 약속이 그리스도와 교회 안에서 부분적으로 성취되는 것을 참작하지만, 이런 연관성이 구약 언약의 약속을 소진하거나 완전히 성취한다고 믿지 않는다. 파인버 그는 “신약의 원형이 구약의 모형이 지닌 의미를 소멸시킨다면, 신 약은 틀림없이 우리에게 그렇게 말할 것이다. 구약 구절에 대한 신 약의 재해석은 구약이 지닌 의미를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도 소 멸시키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신약의 원형도 구약의 모형이 지닌 의미를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도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모형론을 오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21) 언약주의자는 이후의 계시가 앞선 계시에 더 큰 명료성을 제공하 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원저자가 인지했을 수 있는 것 이상으로 발전되거나 확장된 의미를 위한 가능성을 열어 준다. 그래서 점진
Three Views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 ed. Kenneth Berding and Jonathan Lunde (Grand Rapids: Zondervan, 2008), 116. 21) Feinberg, “Systems of Discontinuity,” 79.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27
적 언약주의자인 젠트리와 웰럼은 세 가지 맥락에 비추어 성경을 읽는 방식을 지지하는데, 곧 그것은 본문의 맥락( 인접 맥락 ), 시대의 맥 락( 선행 맥락 ), 정경의 맥락( 정경 전체 ) 이다.22) 언약주의자는 또한 구약의 모형을 예수 그리스도와 새 언약에서 정점에 이르는 모형론적 실재 를 신묘하게 가리키는 그림자로 이해한다.23) 그래서 구약의 모형은 신약의 원형에 자리를 내준다. 이런 신학 체계들 사이에 나타나는 모형론에 대한 다른 이해는 아마 구약의 이스라엘 회복 예언을 해 석하는 방식에서 가장 잘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약의 이스라엘 회복 예언
모형론에 대한 이해의 영향을 받는 중요 문제는 각 신학 체계가 구약의 이스라엘 회복 예언을 해석하는 방식이다. 아마 가장 잘 알 려져 있거나 적어도 가장 많이 논의되는 구약의 회복 예언은 아모 스 9장 11-15절과 이후에 사도행전 15장 14-18절에 인용된 해당 본문일 것이다. 소시는 “야고보가 교회 안에서 이방인을 지원하기 위해 아모스의 예언을 인용하는 대목( 행 15:13–18 ) 은 전통적 세대주의 자와 비세대주의자 간의 논의에서 또 하나의 결정적 본문”이라고
22)
Gentry and Wellum, Kingdom through Covenant , 118–129.
23)
글레니는 이 입장을 정확히 요약한다. “따라서 구약 전체의 경륜과 이스라엘 의 경험은 완전히 상징적, 한시적, 예비적, 모형적 성격을 띤다. 구약 전체의 경륜과 이스라엘의 경험은 그리스도와 교회 안에서 발견되는 진실한 영적 실 재의 모형으로 여겨진다”(W. Edward Glenny, “Typology: A Summary of the Present Evangelical Discussion,” JETS 40.4 [1997]: 631).
28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지적한다.24) 아모스 9장 11-15절에서 하나님은 대단히 구체적이고 지리적인 용어( 이를테면 땅, 성벽, 곡식, 원수의 패배 등 ) 로 이스라엘 백성의 미 래 회복을 약속하신다. 사도행전 15장 14-18절에서 예루살렘 교회 는 이방인 신자를 교회에 편입하는 방식에 대한 문제와 직면했다. 야고보 사도는 이방인이 구원받고 하나님 백성으로 편입되는 것을 아모스 9장 11-12절에 약속된 내용과 일치하거나 이 내용을 성취 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전통적( 고전적
그리고 수정 )
세대주의자는 사도행전 15장 16-17절이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구약의 회복 예언을 확증한다고 믿는다. 『스 코필드 스터디 바이블』은 “야고보는 아모스 9장 12절이 그리스도가 다시 오실 때 유대인 신자뿐 아니라……‘내 이름으로 불리는’ 이방 인 신자도 있을 것임을 보여 준다고 선언한다”라고 진술한다.25) 여 기서 논리는 그리스도가 다시 오실 때 유대인 신자와 함께 이방인 도 있을 것이므로, 교회는 이방인 신자가 할례를 통해 유대주의자 가 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도행전 15장 1617절에서 야고보 사도가 아모스 9장 11-12절을 언급하는 것은 천 년왕국 동안 이방인이 포함되는 미래의 실재를 확증하는 것이지만, 하나님이 지금 한 이방 백성을 자신에게로 불러내고 계심을 단언하
Robert L. Saucy, The Case for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The Interface Between Dispensational and Non-Dispensational Theology (Grand Rapids: Zondervan, 1993), 76. 25) C. I. Scofield, Frank E. Gaebelein, et al., eds., New Scofield Study Bibl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repr. 1988 with New American Standard translation), 1554(행 15:16). 24)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29
는 것 외에는 현 상황을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아모스 9장 1112절은 민족적 이스라엘에게 주어지는 것이므로 교회에서 성취될 수 없다. 그뿐 아니라, 역사적-문법적 해석법의 사용은 이후의 계시 가 앞선 계시를 바꾸거나 상쇄하는 일 없이 신구약 맥락 모두가 자 신의 고유한 의미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점진적 세대주의자는 사도행전 15장 16-17절이 구약의 회복 예 언에 대한 이미/아직의 성취를 도입한다고 믿는다. 케네스 바커는 “사도행전 15장에서 발생한 일은 아모스 9장의 전체 예언이 점진적 으로 성취되는 하나의 단계를 구성한다( 행 15:12–15 참고 ). 아모스의 이 후 구절( 9:13–15 ) 이 분명히 나타내는 대로, 이것은 최종적이고 완전 한 성취가 아닌 직접적 성취의 사례다”라고 진술한다.26) 점진적 세 대주의는 아모스 9장 11-12절이 이방인의 교회 편입을 통해 부분 적으로 성취되었다고 단언한다. 그렇더라도 이것은 성취의 미래, 곧 천년왕국에서 민족적 이스라엘을 위한 더 완전한 성취를 부정하지 않는다. 전통적 세대주의자처럼 점진적 세대주의자도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분명한 구별을 고수한다. 점진적 세대주의자는 아모스가 민족적 이스라엘을 상대로 구체적 예언을 기록하므로, 민족적 이 스라엘에 대한 이 약속을 무시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생각한다.27)
26)
Kenneth Barker, “The Scope and Center of Old and New Testament Theology and Hope,” in Dispensationalism, Israel, and the Church , 327.
27)
이스라엘 민족에게 주어진 약속을 위해서는 암 9:11을 보라. “내가 다윗의 무 너진 장막을 일으키고 그것들의 틈을 막으며 그 허물어진 것을 일으켜서 옛 적과 같이 세우리라.”
30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그렇지만 점진적 세대주의의 상보적 해석법은 예수님의 시작된 통 치로 말미암는 이방인의 교회 편입과 관련해 아모스 9장 11-12절 의 부분적 성취를 참작한다( 행 2:29–36 참고 ). 벅은 이런 유형의 해석법 이 “신약이 오늘날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를 표현함으로써 이 소망 을 보완하는 방식에 민감한 동시에, 구약을 하나님의 계획에서 이 스라엘과 관련된 것을 여전히 우리에게 말하는 것으로 계속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라고 주장한다.28) 언약주의자는 사도행전 15장 16-17절을 아모스 9장 11-12절에 대한 성취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레러는 “아모스 9장에서 민족적 이스라엘의 회복은 사도행전 15장에서 하나님께 택하심을 받은 유대인과 이방인이 모두 구원받고 교회로 함께 들어가기 위해 모인다는 의미로 하나님이 해석하신다”라고 주장한다.29) 언약주의 자는 다윗의 왕위가 예수님이 부활해 하나님의 우편으로 승천하심 으로 회복되었으며( 시
110:1; 행 2:29–36 참고 )
하나님 나라가 이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언약주 의자는 아모스 9장 11-12절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회복 약속이 유 대인과 이방인의 교회 편입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다 고 이해한다. 이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은 언약주의자에 따라 다양 하지만, 언약주의자가 그렇게 하는 가장 유력한 이유는 (1) 언약주
28)
Darrell Bock, “Hermeneutics of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in
29)
Three Central Issues in Contemporary Dispensationalism , 92–93. Steve Lehrer, New Covenant Theology: Questions Answered (selfpub., 2006), 88.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31
의 해석법이 신약에 우선권을 부여하며, (2) 예언 장르의 본질, (3) 이스라엘의 언약 약속이 그리스도와 교회 안에서 성취되었다는 언 약주의의 이해 때문이다.
2. 언약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각 신학 체계의 해석 체계에 본질적인 두 번째 질문은 언약 간의 관계다. 전통적으로 세대주의자는 성경 안에서 특징적 세대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30) 이 세대들은 많은 성경적 언약( 이를테면 노아 언약, 아 브라함 언약, 모세 언약, 다윗 언약, 새 언약 ) 을
아우르지만, 성경이 조화를 이루
는 방식에 대한 더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반 해, 언약 신학은 세 개의 신학적 언약을 강조하는데, 이 언약들은 성 경적 언약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행위/창조 언약과 은혜 언약이 있으며, 이 두 언약은 모두 영원한 구속 언약에서 발원한다. 언약 신 학은 모든 성경적 신학을 한 은혜 언약의 다른 표현으로 이해 한다.31) 점진적 세대주의와 점진적 언약주의처럼 비교적 새로운 견 해는 성경적 언약 자체를 더 강조한다.
30)
세대는 “하나님이 자기에 대한 인간의 관계를 다루거나 섭리하시는 독특한 방식을 가리킨다”(Blaising and Bock,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 11).
31)
32
Poythress,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ts , 40.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조건적인가 무조건적인가
언약 간의 관계와 관련된 주요 쟁점은 특정 언약이 조건적 성격 을 띠느냐 무조건적 성격을 띠느냐는 것이다. 성경적 언약은 노아 언약( 창 24 ),
6-9장 ),
아브라함 언약( 창
12, 15, 17장 ),
모세 언약( 출
19:3b–8, 20–
다윗 언약( 삼하 7장 ; 시 89편 ), 새 언약( 렘 31–34장; 겔 33:29–39:29 ) 을 포함
한다. 세대주의자와 언약주의자는 모두 대부분의 성경적 언약이 무 조건적 성격을 띠지만 모세 언약은 조건적 성격을 띤다고 주장 한다. 이 언약들이 언제 어떻게 성취되느냐는 언약이 조건적인지 무조건적인지에 달려 있다. 파인버그는 “나는 세대주의 신학 체계 와 비세대주의 신학 체계 사이에서 언약에 대한 궁극적 차이는 단 순히 조건성 대 무조건성이 아니라, 언약 약속의 어느 측면( 들 ) 을 강 조하느냐에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진술한다.32) 세대주의자는 땅에 대한 구약의 약속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나, 언약주의자는 구약의 계보적 측면( 곧 자손에 대한 약속 ) 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뿐 아니라, 모든 성경적 언약을 조건적 성격과 무조건적 성격을 동시에 띠는 것으로 이해하는 데 찬성하는 운동이 점점 성장하는 추세다. 젠트리와 웰럼은 언약의 무조건적 측면이 언약을 세우고 지키시는 하나님의 성품을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언약의 조건적 측 면은 순종적 언약 상대자의 필요를 드러낸다. 웰럼은 “실제로 언약 안에 의도적 긴장이 있는 것도 바로 이와 같은 혼합 때문인데, 이 긴 장은 성경의 구상이 언약의 발전을 통해 전개되는 과정에서 강화되
32)
Feinberg, “Systems of Discontinuity,” 80.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33
고 오직 그리스도 안에서 해소된다”라고 진술한다.33) 그래서 문제 는 각 신학 체계가 예수 그리스도에 비추어 성경적 언약을 이해하 는 방식이 된다. 세대주의자는 언약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 는 성취를 가리킨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으나, 언약의 많은 측면 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지 않고 이스라엘 백성 중에서 미래 성 취를 기다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언약주의자는 언약이 그리스도 안 에서 성취되며 구약에서 이스라엘에게 약속된 복이 이제 교회로 확 장된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구약 성도의 구원
성경적 언약 간의 관계와 밀접히 결부된 두 쟁점은 구약에서 구 원의 본질, 새 언약 신자의 삶에서 구약 율법의 역할이다. 첫째, 구 약에서 구원 문제는 하나님이 성경 역사에서 다른 시기에 사람들을 다른 방식으로 구원하셨는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대다수 세대 주의자와 언약주의자는 구원이 언제나 믿음을 통해 은혜로 말미암 는다고 단언할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이 입장을 옹호하는 것은 아 니다. 어떤 비평가는 세대주의가 구원의 두 방식을 가르친다고 지 적하는데, “율법 시대 동안에는 율법에 대한 순종이 구원의 조건이 었다면, 은혜 시대 동안에는 구원이 정말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이른다.”34) 예를 들어, 『스코필드 관주 성경』은 은혜의 세대에
33)
Gentry and Wellum, Kingdom through Covenant , 663–664(강조는 원문
34)
Daniel P. Fuller, “The Hermeneutics of Dispensationalism” (ThD diss.,
의 것임).
34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시험의 요지는 더 이상 구원 조건으로서의 율법적 순종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느냐 아니면 배척하느냐인데 여기에 선행이 구원의 열매로 동반한다”라고 진술한다.35) 『새 스코필드 스터디 바 이블』이 이 주석에서 혼란을 초래하는 내용을 해명하고 심지어 삭 제하는 것도 놀라운 일은 아니다.36) 대신에 믿음의 대상이 결정적인 점이 된다. 언약주의자는 구원이 신구약 전체에 걸쳐 믿음을 통해 은혜로 말미암는다는 데 동의한다. 하지만 어떤 언약주의자는 구약 성도를 위해 약속되거나 예기된 메시아에 대한 신앙 의식의 필요를 강조하려 할 것이다.
율법을 오늘날 적용하기
둘째, 율법과 새 언약 신자와의 관계는 성경적 언약에 대한 논의 에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율법이 성취된 방식에 따라 율법과 새 언약 신자와의 관계를 결정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는 주로 두 가
Nor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1957), 144–145. 35)
C. I. Scofield, ed., The Scofield Reference Bibl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09, 1917; 1996년에 『스코필드 스터디 바이블』로 재출 간됨), 1115(요 1:17). 『스코필드 관주 성경』의 모든 인용은 1996년 판에서 가져온 것인데, 1996년 판은 『스코필드 관주 성경』의 원래 주석을 변경 없이 사용한다.
36)
Scofield, Gaebelein, et al., New Scofield Study Bible , 1477(요 1:9). 1967년에 처음 출간된 『새 스코필드 스터디 바이블』의 경우, 프랭크 게블린 이 주도한 개정 위원회가 『스코필드 관주 성경』(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09, 1917)에 수록된 스코필드의 원래 주석을 편집했다. 『새 스코필드 스터디 바이블』의 모든 인용은 1988년에 출간된 NASB에서 가 져온 것이다(29쪽 각주 25를 보라).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35
지 방법이 있다. 율법 일부가 성취되었거나 율법 전체가 성취되 었다. 전통적으로 언약주의자는 율법이 도덕법 측면, 시민법 측면, 의식법 측면으로 구성된다고 이해한다. 언약주의자는 율법의 시민 법 측면과 의식법 측면은 그리스도 안에서 모형론적으로 성취되었 으나, 율법의 도덕법 측면은 새 언약 신자에게 여전히 온전하게 남 아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새 언약 신자는 구약 성도처럼 율법의 도덕법 측면에 대한 의무가 있다. 하지만 세대주의자와 일부 언약 주의자는 율법을 통일체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카슨은 “이 삼중 구별이 오래된 것이어도 신구약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근거로 사용된 것은 신약에서 기원하는 것이 명백히 아니며 아마 시기적으로 아퀴나스 때보다 앞서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37) 이런 체계에서는 율법이 그리스도의 초림으로 완전히 성취되 었다( 렘 31:31–34; 마 5:17–20 참고 ). 새 언약 신자는 이제 “그리스도 안에” 있고 더 이상 “율법 아래” 있지 않으나( 갈 5:18 ), “그리스도의 율법”에 대한 의무가 있다( 갈 6:2 ). 그렇지만 도덕법과 시민법이 오늘날 새 언 약 신자에게 모두 구속력이 있다고 믿는 언약주의자( 이를테면 기독교 재 건주의자 ) 도
37)
있다.
D. A. Carson, “Matthew,” in EBC , rev. ed., ed. Tremper Longman III and David E. Garland, vol. 9 (Grand Rapids: Zondervan, 2010), 174.
36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3.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거나 성취하는가, 교회와 이스라엘은 뚜렷 이 다른가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는 아마 세대주의 신학과 언약 신학 사이에서 가장 본질적인 차이 중 하나일 것이다. 첫째, 세대주의 신 학 체계는 전통적으로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불연속성을 강조해 왔다. 그래서 이스라엘과 교회 간에는 구별이 있는데, 하나님의 구 속 계획에서 저마다 특정 역할이 있다. 고전적 세대주의에서 이 구 별은 대부분 하나님의 구속 목적에 대한 이원론적 이해에 기인하는 데, 한 목적은 이 땅에 속한 백성( 이스라엘 ) 과 연관된 땅과 관계있고, 다른 목적은 하늘에 속한 백성( 교회 ) 과 연관된 천국과 관계있다. 교 회는 하늘에 속한 백성의 일부여서 교회를 위한 하나님의 목적은 이 땅의 백성( 이스라엘 ) 을 위한 하나님의 목적과 별도로 성취될 것 이다. 따라서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지 않으며, 이스라엘과 완전 히 별개며 뚜렷이 다른 것이다. 수정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이 엄격한 구별을 유지 한다. 찰스 라이리는 이 구별을 세대주의의 필수 요소( s ine qua non ) 로 여긴다.38) 라이리는 교회가 그리스도의 십자가 이후에 유대인과 이 방인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성격이 뚜렷이 다르고, 오순절에 시작
38)
Ryrie, Dispensationalism , 45–48. 라이리는 “따라서 세대주의의 본질은 이 스라엘과 교회의 구별에 있다”라고 진술한다(48).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37
되어 휴거로 완성된다는 점에서 시기가 뚜렷이 다르며, 이스라엘이 자기의 고유한 약속을 계속 유지하고 교회가 이 시대에 하나님의 별도 사역으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이스라엘과 뚜렷이 다르다고 주 장한다.39) 점진적 세대주의는 이스라엘과 교회 사이에서 불연속성과 연속 성에 모두 주의한다. 브루스 웨어는 “이스라엘과 교회를 엄격히 구 별하는 극단……그리고 이스라엘과 교회를 절대적으로 동일시하는 극단 사이에는……이스라엘과 교회가 신학적으로 풍부하고 중요한 공통성 요소를 공유하지만 동시에 뚜렷이 다른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중간 입장이 있다”라고 설명한다.40) 점진적 세대 주의자는 민족적 이스라엘이 천년기에 뚜렷이 다른 미래가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스라엘과 교회는 하나님의 한 민족으로 여겨지 는데, 교회는 이스라엘과 교회가 미래에 누리게 될 종말론적 구원 의 시작된 복을 현재에 경험한다. 둘째, 대다수 비세대주의 신학 체계는 전통적으로 이스라엘과 교 회 간의 연속성을 강조해 왔다. 점진적 언약주의도 점진적 세대주 의와 유사하게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측면을 모두 주장한다. 불연속 성과 관련해, 웰럼은 “교회는 새 언약 공동체여서 본질과 구조가 이 스라엘과 다르다 는 바로 그 이유로 구속 역사적 의미에서 새
39)
앞의 책, 144–150.
40)
Bruce Ware, “The New Covenant and the People(s) of God,” in Dispensationalism, Israel, and the Church , 92.
38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롭다”라고 지적한다.41) 연속성과 관련해, 교회는 그리스도와의 연합
덕분에 종말론적 이스라엘로 이해된다. 그래서 화이트는 “언약 신 학이 가르치는 대로 이스라엘이 교회와 같은 것이 아니라, 예수님 이 이스라엘의 절정과 성취요 교회가 언약 대표이신 예수 그리스도 께 연합되어 있어서 종말 이스라엘이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42) 언
약 신학에서 압도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연속 성이다. 이 연속성은 신구약 전체에 걸쳐 하나님의 한 백성을 인정 하는 은혜 언약에 대한 이해에 기초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의 결실로서, 예수 그리 스도 안에서 성취되는 하나님의 은혜 언약에 기초한다.43) 기독교 재 건주의도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연속성에 주의한다. 데이비드 칠턴 은 “태초부터 하나님께는 언제나 한 언약 백성이 있었다. 신약 교회 는 단지 거짓된 이스라엘이 끊어진 뒤에 이어진 진실한 ‘하나님의 이스라엘’( 갈
6:16 ) 과
다르지 않다”라고 주장한다.44) 많은 사람은 언
약 신학자와 기독교 재건주의자가 “대체 신학”을 신봉한다고 비판
41)
Gentry and Wellum, Kingdom Through Covenant , 801(강조는 원문의 것 임).
42)
A. Blake White, What Is New Covenant Theology? An Introduction
43)
Michael Horton, Introducing Covenant Theology (Grand Rapids:
(Frederick, MD: New Covenant Media, 2012), 45(강조는 원문의 것임). Baker, 2006, 『언약 신학』, 부흥과개혁사 역간, 2009), 131. 44)
David Chilton, Paradise Restored: A Biblical Theology of Dominion (Tyler, TX: Dominion Press, 1985, 『낙원의 구속사』, 도서출판 그리심 역 간, 2006), 126.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39
한다.45) 하지만 두 신학 체계의 대표 인물들은 일반적으로 이 혐의 를 부인한다.
로마서 11장 26절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각 신학 체계가 이스라엘과 교회 간의 관계를 바라보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추가로 도움을 주기 위해, 각 신학 체계가 이 쟁점과 관련된 몇몇 중요 본문, 특히 로마서 11장 26절( “그리하여 온 이스라엘이 구 원을 받으리라” ) 과
갈라디아서 6장 16절( “무릇 이 규례를 행하는 자에게와 하나님의
이스라엘에게 평강과 긍휼이 있을지어다” ) 을
다루는 방식을 보일 것이다.
4. 하나님 나라는 무엇인가
구약은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예기한다. 예수님의 메시지는 하나 님 나라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나님 나라는 사도적 가르침에서 중 심이 되는데( 행 19:8; 28:23, 31 ), 요한계시록은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성경 의 가르침을 절정적으로 끝맺는다. 소시는 “이 모든 것은 하나님 나라가 비록 성경의 유일한 주제는 아니어도 웅대한 주제 중 하 나라는 결론으로 이어진다”라고 진술한다.46) 우리는 각 신학 체계 가 하나님 나라의 (1) 시작과, (2) 완성을 이해하는 방식을 구체적으 로 살필 것이다.
Michael J. Vlach, Has the Church Replaced Israel: A Theological Evaluation (Nashville: B&H, 2010)을 보라. 46) Saucy, The Case for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 81. 45)
40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세대주의자는 하나님 나라의 미래 실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첫째, 고전적 세대주의자와 수정 세대주의자는 모두 하나님 나라를 완전히 미래의 실재로 기대한다. 예수님은 자신의 지상 사역 동안 하나님 나라를 시작하지 않으셨다. 예수님은 하나님 나라를 이스라 엘에게 제안하셨으나, 이스라엘 백성이 이 제안을 거부했을 때 이 제안은 철회되어 하나님 나라는 임하지 않았다.47) 일부 고전적 세대 주의자는 “하나님 나라”와 “천국” 간의 구별을 고수한다. 사이러스 잉거슨 스코필드는 하나님 나라가 보편적인 것으로서, 오직 거듭남 을 통해서 들어가며 주로 내면적이고 영적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천국은 “메시아적이고 중보적이며 다윗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 땅 에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 3:2; 고전 15:24, 25 ).”48) 다른 곳에서 스코필드는 천국이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메 시아적 지상 통치”라고 설명한다.49) 천국은 일차적으로 민족적 이 스라엘에게 주어진 다윗 언약의 약속( 삼하 7:7-10 ) 이 메시아를 통해 성 취되는 것과 관계있다. 그래서 “천국”은 예수님의 사역에서 나타나 기 시작했으나 이스라엘이 배척하자 천년기까지 유예되었다. 결국 하나님 나라와 천국은 영원 상태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하지만 라 이리는 어떤 사람이 천국과 하나님 나라를 나누는 이 구별이 비교
47)
이를테면 Stanley D. Toussaint and Jay A. Quine, “No, Not Yet: The Contingency of God’s Promised Kingdom,” BSac 164 (2007): 131– 147을 보라. 저자들은 “이 나라는 현재에 존재하지 않는데, 이스라엘이 예수 님을 배척했을 때 이 나라가 유예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31).
48)
Scofield, Scofield Reference Bible , 1003(마 6:33).
49)
앞의 책, 996(마 3:2).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41
적 사소한 것이어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세대주의의 견해에 결정 적이지 않다고 지적한다.50) 둘째, 점진적 세대주의는 일차적으로 하나님 나라를 미래의 실재 인 것으로 이해하지만, 하나님 나라가 현재에 어느 정도 실현된다 는 사실도 참작한다.51) 점진적 세대주의는 별개의 나라들보다 하나 님 나라에 대한 통일된 그림을 제안한다. 이것은 고전적 세대주의 나 수정 세대주의와 다른데, 고전적 세대주의와 수정 세대주의는 두 개의 분리된 나라가 서로 함께 작용하며, 결국 하나로 합쳐지는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점진적 세대주의자는 온 창조에 대 한 하나님의 보편적 지배가 한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 안에서 이 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지배와 통합되고 중첩된다고 이해한다. 모 든 창조에 대한 하나님의 지배와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지배 간의 관계는 성경의 점진적 전개를 통해 발전된다. 다윗 언약 및 다 윗과 솔로몬의 통치가 특별히 주목받는데, 다윗과 솔로몬의 통치는 장차 도래할 종말론적 나라의 모형 역할을 한다.52) 하나님 나라는
50)
Ryrie, Dispensationalism , 180–181. 라이리는 “세대주의자의 분류 안에서 이 구별을 고수하는 사람도 있고 고수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이것은 전혀 결 정적이지 못하다”라고 논평한다(180). 라이리는 나중에 이 구별이 “부차적이 고 중요하지 않은 요소”라고 부언한다(181).
51)
파인버그는 “여기서 세대주의자 중에서 기본적 차이는 더 오래된 세대주의자 가 이 나라를 완전히 미래로 밀려난 것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더 현대적인 세대주의자는 이스라엘과 세계를 위한 나라의 완전한 실현은 미 래를 기다리지만, 이 나라의 분명하게 영적인 측면은 교회 안에서 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라고 주석한다(“Systems of Discontinuity,” 82).
52)
42
Blaising and Bock,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 229.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그리스도의 강림, 성령의 내주, 교회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지배의 영적 복을 누림을 통해 현세에 시작된다.53) 점진적 세대주의 는 이런 유형의 현재적 성취에 주의하지만, 하나님 나라는 일차적 으로 여전히 미래의 실재며 이 땅에서, 그리고 이후에 영원 상태에 서 그리스도의 천년 통치를 통해 최종적으로 실현될 것이다.54) 셋째, 거의 모든 비세대주의 신학 체계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 미/아직의 이해를 고수한다.55) 조지 래드는 아마도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정의를 제공할 것이다.
우리의 중심 논제는 하나님 나라가 인류 가운데 자신의 지 배를 확립하기 위해 힘 있게 일하시는 하나님의 구속적 통치 며, 말세에 종말론적 행동으로 나타날 이 나라가 악을 정복하 고 인간을 악의 권세에서 건지고 하나님의 통치의 복으로 이 끄시는 예수님의 인격과 사역으로 인간 역사에 이미 들어 왔다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는 두 개의 위대한 순간을 수반하
53)
앞의 책, 255–262.
Darrell L. Bock, “The Reign of the Lord Christ,” in Dispensationalism, Israel, and the Church , 57. 또한 Blaising and Bock,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 268을 보라. 55) Michael J. Vlach, “New Covenant Theology Compared with Covenantalism,” MSJ 18.1 (2007): 201–219. 블라크는 “나라의 문제는 새 언약 신학자와 언약 신학자가 유사하다는 인상을 주는 문제다. 어느 진영도 자기 체계가 어느 구체적인 천년론 견해로 꼭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 한다. 언약 신학자와 새 언약 신학자 진영 안에서도 무천년론자, 후천년론자, 역사적 전천년론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제언한다(218). 54)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43
는데, 그것은 역사 안에서 나타난 성취[이미]와 역사의 마지 막에 나타날 완성[아직]이다.56)
점진적 언약주의는 성경적 언약의 점진적 전개, 그리고 예수 그리 스도 안에서 나타나는 언약의 성취가 하나님 나라를 현재적 실재와 미래 소망으로 정의하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57) 언약 신학은 하 나님 나라의 이미/아직의 속성을 은혜 언약이라는 통일된 주제를 통해 고찰한다. 기독교 재건주의는 하나님 나라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으로 임하고 현세에 교회를 통해 완성되며 그리스도의 재림으 로 절정을 이룬다고 이해한다.58) 기독교 재건주의자에게는 하나님 나라의 미래 실현이 여전히 남아 있으나,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실 재가 중요하게 강조된다. 드마는 “재건주의자는 하나님 나라를 죄 인이 복음을 받아들이고 성경에 따라 새로운 삶을 살아갈 때 나타 나는 현재적 실재로 여긴다. 들어와야 하는 나라는 결코 없는데, 우 리가 그 나라에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59) 언약 순종과 세 상에서 교회를 통한 성령의 구원 사역은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실
56)
George E. Ladd,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 rev. ed. (Grand Rapids: Eerdmans, 1993, 『신약신학』, 대한기독교서회 역간, 2001), 89–90.
57)
Gentry and Wellum, Kingdom through Covenant , 648–654, 718–746.
58)
게리 드마는 “나라에 대한 이 ‘이미-아직’의 견해는 성경적으로 건전하며, 다 양한 천년론 관점에서 성경을 믿는 수많은 학자가 지지해 왔다”라고 주장 한다(Gary North and Gary DeMar, Christian Reconstructionism: What
It Is and What It Isn’t [Tyler, TX: Institution of Christian Economics, 1991], 96). 59) 앞의 책, 99.
44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현을 특징지을 것이다.
결론 세대주의 신학 체계와 비세대주의( 언약주의 ) 신학 체계 간의 차이를 명확히 하려는 시도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과거에도 많은 사람이 이 작업을 했으며 논의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 경우가 많 았다.60) 포이트레스가 올바르게 지적하는 대로,
세대주의와 언약 신학 간의 논쟁에서 양 진영이 모두 옳을 수는 없다. 한 입장이 옳고 다른 입장은 틀릴 수도 있다. 아니 면 한 입장이 일반적으로 옳아도 여전히 상대 입장에서 배울 점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중대한 진리를 간과하지 않으려 면 하나 이상의 관점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이는 일이 중요 하다.61)
이 책은 불연속성에서 연속성으로 이어지는 연속체 상에서 신학 체계의 전 범위를 인정함으로써 훨씬 완전한 방식으로 이 대화를 해 나가기 위해 노력한다.
60)
이를테면 Feinberg,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 Bateman, Three
Central Issues in Contemporary Dispensationalism ; Poythress,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m 을 보라. 61) Poythress, Understanding Dispensationalism , 7.
1장 ┃ 불연속성과 연속성의 신학 체계에 대한 소개
45
다양한 신학 체계를 식별하고 각 신학 체계를 똑같은 주요 질문 에 대입함으로써, 독자들은 이 신학 체계들을 서로 구별하는 요소 를 더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스라엘, 교회, 하나님 나라 의 문제가 다양한 신학 체계 간의 논의에서 전면에 두드러질 때가 자주 있지만, 이런 신학 체계를 구별하는 요소들 사이에 더 큰 명료 성을 제공하는 것은 해석학, 성경적 언약에 대한 이해, 신약의 구약 사용과 관련된 더 미묘한 문제인 경우가 종종 있다. 어느 한 저자가 특정 견해를 완벽하게 규명하는 일은 불가능하므로, 이 책은 각 신 학 체계 안에서 다른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음을 인정 하면서 각 신학 체계를 대표하는 세 명의 주요 학자와의 소통을 시 도할 것이다. 고전적 세대주의는 존 다비, C. I. 스코필드, 루이스 체 이퍼가 대표할 것이다. 수정 세대주의는 찰스 라이리, 존 월부어드, 드와이트 펜터코스트가 대표할 것이다. 점진적 세대주의는 크레이 그 블레이징, 대럴 벅, 로버트 소시가 대표할 것이다. 점진적 언약주 의는 피터 젠트리, 스티븐 웰럼, 새 언약 신학의 주요 대표 인물들이 대표할 것이다. 언약 신학은 마이클 호튼, 팔머 로버트슨, 메러디스 클라인이 대표할 것이다. 끝으로 기독교 재건주의는 R. J. 러시두니, 그렉 반센, 게리 노스가 대표할 것이다.
46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어떤 틀을 가지고 성경을 읽는 것이 가장 좋은가? 그리스도 중심 성경신학 그레엄 골즈워디 지음 윤석인 옮김 334쪽 17,000원
신약의 구약 사용 핸드북 그레고리 빌 지음 이용중 옮김 276쪽 13,000원
구약과 신약의 관계 데이비드 베이커 지음 임요한 옮김 460쪽 22,000원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는 성경만큼이나 오래된 질문이다. 종교개혁가 대부 분 성경을 기초로 연합했으나, 세부 주제에 있어서는 서로 크게 의견을 달리한다. 세례를 받을 자격 은 무엇인가? 그리스도인은 모세 율법에 순종할 의무가 있는가? 교회는 이스라엘을 대체하는가? 벤저민 머클은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서 세대주의 신학 체계와 언약 신학 체계 사이 의 논쟁을 밝히 보게 해 준다. 머클은 그리스도인이 두 성경을 어떻게 연결해 왔는지를 확인하면서, 불연속성에서 연속성에 이르는 스펙트럼에 여러 관점을 둔다. 두 체계의 관심사에 공감할 수 있는 요소를 정리해 주고 비평적으로 평가한다. 머클은 이 틀을 주의 깊게 해설하면서 독자가 논쟁의 핵심 논제를 파악하도록 돕는다. 머클의 책은 감성보다는 이성에 더 크게 호소하여 누구나 상대 관점을 더 깊이 음미하고 자신의 관점을 분명히 드러내도록 돕는다.
성경의 더 큰 풍경과 맥락을 충분히 이해한다면 각 절에 대한 이해도 깊어진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런데, 더 큰 관점이라는 것을 제대로 구비할 수 있는가? 벤저민 머클은 여섯 가 지 서로 다른 신학 체계를 탐구하는 유익한 여정에 우리를 초대한다. 머클은 각 관점을 객관적
태초의 첫째 아담에서 종말의 둘째 아담 그리스도까지
으로 서술하고, 개별 입장에 대한 평가도 제시한다. 내가 믿기에 이 책은 오늘날 시중에서 구
존 페스코 지음 김희정 옮김 240쪽┃11,000원
한 확신을 부여할 다양한 신학적 선택지 중에 최고를 얻게 될 것이다. 가장 중요한 업적을 이
할 수 있는 책 중에 가장 유용하다. 학생, 목회자, 교수 모두 복음주의에 속한 사람들에게 충분
복음주의 신학에 관심이 있다면 보통 세대주의 신학과 언약 신학은 알고 있으며, 최근에는 점진적 언약주의와 기독교 재건주의에 대해서도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들 체계의 차이와 이 체계들이 서로 형성하는 관계를 이해하는 일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다행히도 벤저민 머클이 이들 관점에 대한 유익하고 간결한 설명과 비교를 내놓았다. 머클은 자신의 관점을
크리스 브루노 등 지음 전광규 옮김 307쪽 18,000원
인정하면서도 각 체계를 공정하게 제시하고 그러면서 일차 자료를 상당히 많이 활용한다. 이 로써 다양한 입장에 대한 공정하고 병렬적인 일람이 가능해졌다. 마이크 블라흐, 매스터스 신학교 신학 부교수
ISBN 978-89-6092-723-0
www.rnrbook.com 값 22,000원
지은이
벤저민 머클 (Benjamin L. Merkle)
벤저민 머클 지음 | 윤석인 옮김
리폼드 성경 대학(B. R. E.), 웨스트민스터 신학교(M. Div.), 서던 침례 신학교(Ph. D.)에서 공부했다. 지금은 노 스캐롤라이나주 웨이크포리스트의 사우스이스턴 침례 신 학교 신약학과 헬라어 교수다. 『고급 신약 성경 헬라어』, 『평생 배우는 헬라어』, 『장로와 집사에 대한 40가지 질문』
불연속성 고전적 세대주의
점진적 세대주의
의 저자이며, STR과 40가지 질문 시리즈의 편집자다.
옮긴이
윤석인
고려대학교 영문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 고,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케빈 밴후저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개혁신학과 청교도 신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폭넓게 조직신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부흥과개혁사의 번역 위원으로 섬기고 있다. 번역
점진적 언약주의
한 책으로는 『그리스도 중심 성경신학』, 『ESBT 언약과 율 법 성경신학』, 『ESBT 출애굽 성경신학』, 『개혁주의 무천
언약 신학 기독교 재건주의
연속성
구약의 그리스도 모형론 윌리엄 맥퀸 지음 이재호 옮김 447쪽 30,000원
벤저민 머클 지음 ┃ 윤석인 옮김
그리스도 중심적 성경 이야기
이스라엘 역사 성경신학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수정 세대주의
루었다. 토머스 슈라이너, 서던 침례 신학교 신약 해석학 및 성경신학 제임스 뷰캐넌 해리슨 석좌교수
트렌트 헌터 등 지음 전광규 옮김 342쪽 18,000원
구약과 신약의 연 속 성 과 불 연 속 성
함께 읽으면 좋은 책
년설 옹호』, 『언약신학』, 『성경 이야기와 구원 드라마』(이 상 부흥과개혁사)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