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NT 시리즈에 대한 추천의 글
데살로니가전후서
베이커 신약 주석은 신약 성경의 원어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자들이 헬라어 본문에 대한 세밀한 주석적 설명에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하는 매력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은 독자 친화적인 주석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 I. 하워드 마셜, 애버딘 대학교
데살로니가전후서
추천의 글 “ 웨이마는 독자들이 자주 펼쳐 보고 싶게 만드는,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한 상세하고도 권위 있는 주석을 썼다. 웨이마는 풍부한 연구를 바탕으로 거의 모든 지점에서 사려 깊고 신중한 입장으로 주해한다. 웨이마는 각 단락의 주해와 해설을 위해 논의되어야 할 단락의 문학적 성격과 형태를 제시한다. 웨이마는 데살로니가전후서 연구에서 제기되는 광범위한 쟁점에 대한 현재의 토론을 보여 주면서도, 저자와 해석과 심지어 본문 비평 문제에 대한 전통적 입 장 또한 능숙하게 변호하고 있다. 나는 이 주석이 널리 사용될 것으로 확신한다.”
- 스탠리 포터, 맥마스터 신학교 “ 전문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쉽고, 포괄적이면서도 간결하며, 학문적이면서도 목회적인 주석 이 있을 수 있는가? 웨이마는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해 바로 그런 주석을 내놓았다. 웨이마 의 주석보다 더 상세하고 최신 내용을 다루는 데살로니가전후서 주석을 찾기란 어려울 것이 다. 신중한 판단과 사려 깊은 논의와 분명한 논증을 제시하는 이 주석 덕분에 웨이마는 이 연 구 분야에서 각광을 받게 될 것이다. 이 주석은 학자와 목회자와 학생들 모두에게 하나의 표 준이 되고, 도움이 필요할 때마다 찾는 자료가 될 것이다.”
- 토드 스틸, 베일러 대학교의 트루엣 신학교
지은이
제프리 웨이마( Jeffrey A. D. Weima )
토론토 대학교 위클리프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칼빈 신학교에서 신약 교수로 20년 이상을 가르쳐 왔다. 저서로는 『도외시된 결말: 바울서신 결어의 중요성』 (Neglected the Pauline Letter Closings), Thessalonians)
옮긴이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한 참고문헌 목록』 (An
Endings: The Significance of
Annotated Bibliography of 1 and 2
등이 있다.
제프리 웨이마 지음 배용덕 옮김
배용덕
경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과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역서로는 『휫필드와 웨슬리』, 『손에 잡히는 성경개관』, 『에덴에서 새 예루살렘까지』, 『BECNT 마태복음』,
ISBN 978 - 89 - 6092 - 521 - 2 ISBN 978 - 89 - 6092 - 258 - 7 (세트)
『BECNT 마가복음』, 『BECNT 로마서』 (이상 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
www.rnrbook.com
값 47,000원
제프리 웨이마
지음 | 배용덕 옮김
목차
시리즈 서문 _ 6 저자 서문 _ 9 약어 소개 _ 11 지도 _ 22 데살로니가전후서 서론 _ 23
데살로니가전서 I. 편지 서두 ( 1:1 )
·99
II. 감사 ( 1:2~10 )
·113
특별 해설 1: 데살로니가전서 1장 9b~10절은 바울 이전 것인가? 165
III. 사도적 행동과 부재에 대한 변호 ( 2:1~3:13 )
·171
A. 데살로니가에서 과거 행동에 대한 변호 ( 2:1~16 )
173
특별 해설 2: 데살로니가전서 2장 7절의 본문 읽기
248
B. 현재 데살로니가를 떠나 있는 것에 대한 변호 ( 2:17~3:10 )
259
C. 전환적 기도 ( 3:11~13 )
315
IV.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권면함 ( 4:1~5:22 )
·333
A.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행동에 더욱 많이 힘쓰라는 권면 ( 4:1~12 ) 335
B. 그리스도 강림 때에 죽은 그리스도인들에 관한 위로 ( 4:13~18 )
C. 그리스도 강림 때에 살아남은 그리스도인들에 관한 위로 ( 5:1~11 ) 451
D. 회중의 삶과 예배에 대한 권면 ( 5:12~22 )
V. 편지 결어 ( 5:23~28 )
407
499
·545
데살로니가후서 I. 편지 서두 ( 1:1~2 )
·573
II. 감사 ( 1:3~12 )
·581
III. 주의 날에 관한 위로 ( 2:1~17 )
·641
특별 해설 3: 데살로니가후서 2장 6~7절의 막는 자
735
IV. 반항적인 게으른 자들에 대한 권면 ( 3:1~15 )
·749
V. 편지 결어 ( 3:16~18 )
·815
참고문헌 _ 826
데살로니가전후서
| 시리즈 서문 |
BECNT 시리즈로 알려져 있는 베이커 신약 성경 주석의 핵심 관심사는 잘 알려진 복음주의 사상 체계 안에서 학문적 깊이와 쉽게 읽을 수 있는 내용, 주석적인 세부 사실과 전체에 대한 안목, 비판적인 문제들과 신학적인 깨달 음을 결합시키는 주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본문에 대한 깊이 있고 독립적인 검토에 주목하는 학자에서부터, 견고하지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강해를 갈망하는 생각 있는 평신도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 은 독자의 관심을 이끌어 내기를 바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주석의 핵심 목적은 유일하게 영감받은 하나님의 말 씀인 성경에 대한 설교와 강해에 직접 연루되어 있는 목사와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채워 주는 데 있다. 이 점이 이 시리즈 주석의 직접적인 특징이다. 예 를 들어 진지한 성경 해설자는 난해한 질문들을 다루지 않는 피상적인 주석 에 의존할 수 없고, 또는 일어날 수 있는 문제는 모두 포함하려고 애쓰는 백 과사전과 같은 주석에도 관심이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문의 의미와 직접 관련되어 있는 문제들 ( 비록 도 ) 에
선별된 전문적인 사실들은 추가 주석 부분에서 따로 다루기는 해
초점을 맞추는 것이 이 주석의 목표다.
또한 주석 문제들을 그 자체의 유익을 위하여 다루는 것, 즉 전체적인 주장 의 취지에서 비교적 벗어나 있는 문제들을 다루는 것은 특별히 피하려고 노 력했다. 나아가 한 문단을 생각의 주요 단위로 다루는 강해를 위하여 한 절씩 강해하는 강해 방법을 포기하는 것도 ( 개별 저자들의 재량에 따름 ) 이 노력의 일환이 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주석들은 주장의 전개 과정을 강조하고, 명백히 각 6
시리즈 서문
본문을 이전 및 이후 본문과 관련시킴으로써 가능한 한 분명하게 문맥 속에 서 본문의 역할을 파악하도록 할 것이다. 나아가 우리는 책임 있는 주석이라면 출처가 어디든 최근의 학문적 연구 결과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수주의 신학 전통의 배경 속에 서 이런 시도를 하게 되면 얼마간 도전도 받게 되고, 과거의 결과가 반드시 추천할 만한 견해가 아닌 것도 알게 될 것이다. 어떤 경우에 복음주의 학자들 은 비판적인 학문을 참된 교류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깎 아내리려는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 다른 경우에는 이 교류 가 도를 넘어 신학적 차이들이 무시되거나 억압되어 비판적인 학문과 동화되 는 수준에 이르게 되고, 그리하여 결국은 근본적으로 다른 출발점을 갖고 시 작한 연구의 결과가 아무 차이가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기도 한다. 이 시리즈에 주석을 기고한 학자들은 이런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고 노력한 다. 한편으로, 그들은 전통적인 견해들을 신성불가침 영역으로 간주하지 않 고, 성경 본문이 이 견해를 지지하든지 지지하지 않든지 간에, 본문을 정확히 설명하는 데 전념한다. 다른 한편으로, 오랫동안 고수되어 온 견해에 대하여 말한다면, 그들은 어느 정도 설득력을 갖고 있는 한, 단순히 인기 있는 이론을 취하기 위하여 이 견해를 쉽게 포기하거나 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리고 더 중 요한 것은 기고자들이 성경의 신빙성과 본질적 통일성에 대한 믿음을 공유하 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또 교회 일치 신조들이나 16세기의 종교개혁에서 비롯된 다양한 가르침들과 같이 역사적으로 형성된 기독교 교리를 성경에 대 한 적법한 이해에서 나오는 것으로 판단하고, 따라서 이 교리를 더 깊은 성경 해석을 위한 적절한 뼈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의심할 것 없이 이런 출발점에 따라 연구를 하게 되면, 때때로 본문에 대하여 생소한 견해를 낳기 도 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그래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편견 없 이 본문에 접근하는 저자들은 절대로 이런 위험에 빠질 우려가 없다고 말하 는 것을 우리는 거부한다. 따라서 우리는 신학적 전제들 ( 어쨌든 주석자가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 을 성경 해석 의 장애물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신학적 진공 상태에서 사도 바울을 이해 하기 바라는 주석자는 아리스토텔레스를 그의 전체 작품에 대한 철학적 준거 틀 없이 또는 그의 사상을 상황 속에 의미 있게 적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 는 이차 철학적 범주들에 의존하지 않고 해석하려고 시도하는 것과 같은 오 류에 쉽게 빠지고 말 것이다. 그러나 이 시리즈에 주석을 기고한 학자들은 다 양한 신학적 전통에 속해 있는 자들이고, 그들은 모두 이 일반 원리들을 적절 히 적용하는 데 똑같은 견해를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강조되어야 한다. 결 론적으로 진정 중요한 것은 이 시리즈가 원래의 본문을 정확하게, 분명하게 7
데살로니가전후서
그리고 의미 있게 현대 독자에게 성공적으로 제시하느냐의 여부다. 각 본문을 다룰 때 두드러진 부분을 독자에게 각인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내용을 구분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즉 서론적 주석, 구조에 대한 설명, 결론적인 요약이다. 헬라어 본문에 대한 사본들의 이문 ( 異文 ) 은 저자의 번역 속에서 관련 단어나 어구 둘레에 반 ( 半 ) 괄호 ( 예, 「Gerasenes」 ) 표시를 하고, 그렇 게 함으로써 독자가 사본 문제에 대한 설명을 보도록 강해가 끝나는 지점에 위치한 “추가 주석”을 찾아보게 할 것이다. 자료 표기는 저자 - 연대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이 방식에 따르면, 기본적인 언급이 저자의 성+연도+면수 ( 面 數 ) 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Fitzmyer 1981: 297이다. 이 방식에 대한 유일한
예외로는 잘 알려진 참고문헌들이 있다 ( BAGD, LSJ, TDNT ). 참고문헌은 책 마지 막 부분에 들어 있다. 로버트 야브루 ( Robert Yabrough ) 로버트 스타인 ( Robert H. Stein )
8
| 저자 서문 |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한 이 방대한 주석을 완성해 놓고 보니 상반되는 감 정들이 교차했다. 이 책을 완성해 기쁨으로 들떴던 감정은 내가 거의 20여 년 전에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는 사실에 어느 정도 가라앉았다. 나는 대학원 을 갓 졸업하고 헛된 야망을 가지는 사람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이상주의 적 의식으로부터 데살로니가전후에 대해 제대로 된 주석을 쓰겠다는 마음으 로 시작했다. 그리하여 나는 본격적으로 주석을 시작하는 것보다 먼저 이 두 서신에 대해 지금까지 출간되었던 모든 자료들을 철저하게 살펴보는 일에 착 수했다. 이로 인해 나는 스탠리 포터 ( Stanley E. Porter ) 와 함께 『데살로니가전후 서에 대한 참고문헌 목록』 (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1 & 2 Thessalonians ) 을 출간하 기에 이르렀다. 나는 이렇게 광범위한 연구를 마친 후에야 주석을 쓰기 시작 했지만, 여러 학술 논문들과 데살로니가 서신들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 한 서적들로 인해 진행이 자주 방해를 받곤 했다. 그뿐 아니라 주석을 쓰는 동안 칼빈 신학대학원에서 매년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해 선택 과목을 수강 했던 학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큰 유익을 얻기도 했다. 나아가 이 서신들 에 대한 나의 이해는 세계신약학회 ( Studiorum Novi Testamenti Societas, SNTS ) 연례회 의 동안 “데살로니가 서신”이라는 제목으로 5 개년 세미나에 참여를 하고 후 에는 공동 의장까지 맡음으로써 더욱 향상되었다. 또한 존더반 출판사에서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해 훨씬 간략하고 좀 더 사용하기 쉬운 주석인 『일러 스트레이티드 성경 배경 주석』 ( Illustrated
Bible Backgrounds Commentary , 2002 ) 이
저
술됨으로써 베이커 주석의 출간이 잠시 늦추어졌다. 9
데살로니가전후서
이러한 지체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해 보다 원숙한 이해를 하게 된 기회가 생겼다. 오랫동안 오로지 본문과 소통하는 유익을 얻 은 후에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해 내가 처음 해석을 하면서 소홀히 취급했거 나 완전히 놓쳐 버렸던 견해들과 진리들이 갑자기 뚜렷해지고 흥미진진한 것 으로 되었던 경우들이 수없이 있었다. 세월이 흘러가면서 또한 내가 이 프로 젝트를 시작했을 때 가졌던 순진한 이상주의와 헛된 야망이 산산조각 나는 데도 효과가 있었다. 지금 나는 내가 썼던 책의 결점들과 설득력 있게 내가 설명하지 못한 본문의 쟁점들을 고통스럽게 인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나는 하나님의 말씀의 작은 부분에 대한 주석을 쓸 수 있는 기회를 허락해 주시고 아울러 내 삶에 역사하셨던 다양한 방식 및 이 저술 프로젝트가 마침내 그 결 론에 도달했다는 학문적 경력에 대해서도 하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추 가적으로 나는 하나님께서 이 주석을 사용하셔서 사도 바울을 통해 AD 1세 기 데살로니가에 살고 있었던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에게 하나님께서 무엇 을 말씀하셨으며, 또한 이 고대 편지들을 통해 오늘날에도 그리스도를 따르 는 자들에게 하나님의 뜻을 어떻게 계속 전달하시는지에 대해 독자들에게 보 다 분명한 이해를 주실 것을 기도한다. 나는 이 주석을 완성함에 있어 여러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음을 인정하고자 한다. 베이커 아카데믹 ( Baker Academic ) 과 브라조스 출판사 ( Brazos Press ) 의 편집 책임자인 제임스 ( 짐 ) 키니 ( James Kinney ) 는 이 작업이 지체되어도 은혜롭게 감 당해 주었고 이 프로젝트가 진행되도록 격려를 해 주었다. 시리즈 편집자인 로버트 야브루 ( Robert Yarbrough ) 는 유익하게 개정해 주었을 뿐 아니라 이 주석 의 지나친 분량에도 불구하고 본서를 승인해 주었다. 웰스 터너 ( Wells Turner ) 는 이 주석을 탁월하게 편집해 주었기 때문에 많은 실수를 피하고 전반적인 질 을 향상시켜 주었다. 아울러 2년간 안식년과 저술 휴가를 허락해 준 칼빈 신 학교 행정 책임자들과 이사회에도 감사를 드리는데, 이 모든 일들이 연구하 고 주석을 쓰는 일에 매우 유익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아내 버니스에게 감사를 표하는 것이다. 여보! 지칠 줄 모르는 격려와 자기희생적 지원과 지속적인 사랑에 감사드려요.
10
| 약어 소개 |
일반 참고문헌 §/§§
section/sections
AD
anno Domini, in the year of the Lord
ANRW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edited by
ABD
The Anchor Bible Dictionary, edited by D. N. Freedman et al., 6 vols. (New York: Doubleday, 1992)
H. Temporini and W. Haase, Part 2: Principat (Berlin: de Gruyter, 1972–) Anth. Pal.
Epigrammatum anthologia Palatina, edited by F. Dübner, P. Waltz, et al. (Paris: Firmin-Didot; et al., 1864–)
ASV
American Standard Version
BAGD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by W. Bauer, W. F. Arndt, F. W. Gingrich, and F. W. Danker, 2n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BC
before Christ
BDAG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by W. Bauer, F. W. Danker, W. F. Arndt, and F. W. Gingrich, 3rd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0) 11
데살로니가전후서
BDF
A Greek Grammar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by F. Blass and A. Debrunner, translated and revised by R. W. Funk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
ca.
circa, around
CEV
Contemporary English Version
DPL
Dictionary of Paul and His Letters, edited by G. F. Hawthorne and R. P. Martin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1993)
ed.
edition
Eng.
English Bible versification when this di!ers from the MT or LXX
ESV
English Standard Version
ET
English translation
et al.
et alii, and others
frg(s).
fragment(s)
GNT
Good News Translation / Today’s English Version
Grimm-Thay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Being Grimm’s Wilke’s “Clavis Novi Testamenti,” translated, revised, and enlarged by J. H. Thayer (New York: American Book, 1889; plus reprints) HCSB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
ISB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edited by G. W. Bromiley, fully revised, 4 vols. (Grand Rapids: Eerdmans, 1979–88)
ISV
International Standard Version
JB
Jerusalem Bible
KJV
King James Version
Knox Version
The Holy Bible: A Translation from the Latin Vulgate in the Light of the Hebrew and Greek Originals, trans. R. Knox (1946–50)
lit.
literally
LSJ
A Greek-English Lexicon, by H. G. Liddell, R. Scott, and H. S. Jones, 9th ed. with rev. supplement (Oxford: Clarendon, 1996)
LXX 12
Septuagint
약어 ě†Œę°œ
majority text
đ?”?
mg.
marginal reading
MHT
A Grammar of New Testament Greek, by J. H. Moulton, W. F. Howard, and N. Turner, 4 vols. (Edinburgh: T&T Clark, 1908, 1928, 1963, 1976)
MM
The Vocabulary of the Greek Testament: Illustrated from the Papyri and Other Non-literary Sources, by J. H. Moulton and G. Milligan (reprinted Grand Rapids: Eerdmans, 1976)
MS(S)
manuscript(s)
MT
Masoretic Text (Hebrew Bible)
n(n)
note(s)
27
NA
NA28
NAB NASB NCV NEB NET NewDocs
NIDNTT
NIV NJB NKJV
Novum Testamentum Graece , edited by Eberhard Nestle, Erwin Nestle, B. Aland, K. Aland, J. Karavidopoulos, C. M. Martini, and B. M. Metzger, 27th ed.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93) Novum Testamentum Graece , edited by Eberhard Nestle, Erwin Nestle, B. Aland, K. Aland, J. Karavidopoulos, C. M. Martini, and B. M. Metzger, 28th ed.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012) New American Bible (1986, unless otherwise indicated)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ew Century Version New English Bible New English Translation New Documents Illustrating Early Christianity, edited by G. H. R. Horsley and S. R. Llewelyn (North Ryde, NSW: Ancient History Documentary Research Centre, Macquarie University, 1976–)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Theology, edited by C. Brown, 4 vols. (Grand Rapids: Zondervan, 1975–85) New International Version (2011, unless otherwise indicated) New Jerusalem Bible New King James Version 13
ë?°ě‚´ëĄœë‹ˆę°€ě „í›„ě„œ
NLT
New Living Translation
no(s).
number(s)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đ?”“ papyrus par.
parallel
PG
Patrologia graeca, edited by J.-P. Migne, 162 vols. (Paris, 1857–86)
Phillips
The New Testament in Modern English, by J. B. Phillips (New York: Macmillan, 1958)
REB
Revised English Bible
rev.
revised
RSV
Revised Standard Version
RV
Revised Version
Str-B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aus Talmud und Midrasch, by H. L. Strack and P. Billerbeck, 6 vols. (Munich: Kessinger, 1922–61)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edited by G. Kittel and G. Friedrich, translated and edited by G. W. Bromiley, 10 vols. (Grand Rapids: Eerdmans, 1964–76)
TLG
Thesaurus Linguae Graecae: A Digital Library of Greek Literature (Irvine: University of California, 2001–; http:// www.tlg.uci.edu/)
TNIV 4
UBS
Today’s New International Version The Greek New Testament, edited by B. Aland et al., 4th rev. ed.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United Bible Societies, 1994)
v.l.
varia lectio, variant reading
W-H
The New Testament in the Original Greek, the text revised by B. F. Westcott and F. J. A. Hort (Cambridge et al.: Macmillan, 1881; 2nd ed., 1896)
14
약어 소개
유대교와 기독교 문헌 ʾAbot R. Nat. ʾ Abot of Rabbi
4 Bar.
mena Jeremiou,
Nathan
Things Omitted from
Add. Esth. Additions to Esther An. Tertullian, De anima (The Soul) Antichr. Hippolytus, On
4 Baruch (Paraleipo-
Jeremiah) Barn.
Epistle of Barnabas
Cat. Lect. Cyril of Jerusalem,
the Antichrist
Catechetical Lectures
1 Apol. Justin Martyr,
Cels. Origen, Against Celsus
First Apology
City Augustine, The City of God
2 Apol. Justin Martyr, Ap. Const.
Second Apology
1–2 Clem.
Apostolic Consti-
Comm. Dan. Hippolytus of Rome, Commentary on Daniel
tutions Apoc. Ab.
Apocalypse of
Dial. Justin Martyr, Dialogue with Trypho
Abraham Apoc. Mos.
Apocalypse of
Did.
Didache
Moses
1 En.
1 Enoch (Ethiopic
Apoc. Zeph. Apocalypse of Zephaniah Ascen. Isa.
Apocalypse) 2 En.
Ascension of Isaiah
2 Enoch (Slavonic Apocalypse)
Ep. Augustine, Epistles/ Letters
Ascens. John Chrysostom,
As. Mos.
1–2 Clement
Epistle to the Apostles
On the Ascension
Ep. Apos.
of Our Lord Jesus
Ep. Olymp. John Chrysostom,
Christ
Epistles/Letters to
Assumption of
Olympias
Moses
Eph. Ignatius, To the Ephesians
Autol. Theophilus of Antioch, To Autolycus
1 Esd.
1 Esdras (in the Apocrypha)
Bar.
Baruch
2 Bar.
2 Baruch (Syriac
2 Esd.
2 Esdras (4 Ezra)
Apocalypse)
Gen. Rab.
Genesis Rabbah
3 Baruch (Greek
Haer. Irenaeus, Against
3 Bar.
Apocalypse)
Heresies 15
데살로니가전후서
Hom. 1 Thess. John Chrysostom,
Or. Tatian, Oration to the Greeks
Homilies on 1 Thessalonians
Paed. Clement of
Hom. 2 Thess. John Chrysostom,
Alexandria,
Homilies on 2
Paedagogus(Christ
Thessalonians
the Educator)
Inst. Lactantius, The Divine Institutes
Pesiq. Rab.
Phil. Polycarp, To the Philippians
Jdt.
Judith
Jos. Asen.
Joseph and
Pr. Man.
Prayer of Manasseh
Aseneth
Pss. Sol.
Psalms of Solomon
Jubilees
Quis div. Clement of Alexandria,
Jub.
Quis dives salvetur
L.A.B. Liber antiquita-
(Salvation of the
tum biblicarum
Rich)
(Pseudo-Philo) Leg. Athenagoras,
Res. Tertullia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
Legatio pro
Lit. James 1–4 Macc.
Christianis(A Plea
Rom. Ignatius, To the Ro-
for the Christians)
mans
Divine Liturgy of
Sib. Or.
James
Sim. Shepherd of Hermas,
Magnesians
Sir.
Mart. Isa.
Mart. Pol. Midr. Ps. Midr. Tanḥ
Sirach (Ecclesiasticus)
Smyrn. Ignatius, To the Smyrnaeans
Marc. Tertullian, Against Marcion
Sibylline Oracles Similitudes
1–4 Maccabees
Magn. Ignatius, To the
Strom. Clement of Alexandria, Stromata
Martyrdom and Ascension of Isa-
T. Ab.
Testament of Abraham
iah 1–5
T. Asher
Testament of Asher
Martyrdom of
T. Benj.
Testament of Benjamin
Polycarp
T. Dan
Testament of Dan
Midrash on
T. Gad
Testament of Gad
Psalms
T. Isaac
Testament of Isaac
Midrash Tanḥuma
T. Job
Testament of Job
T. Jos.
Testament of Joseph
T. Jud.
Testament of Judah
Or. Tertullian, De oratione (Prayer) 16
Pesiqta Rabbati
약어 소개
T. Levi
Testament of Levi
Tob.
T. Naph.
Testament of
Ux. Tertullian, Ad uxorem (To His Wife)
Naphtali T. Reu.
Testament of Reu-
Vis. Shepherd of Hermas, Vision(s)
ben T. Sim.
Testament of
Tobit
Wis.
Wisdom of Solomon
Simeon
랍비 문헌 아래에 표기된 약어들은 미쉬나 ( 이 주석서에서는 m.으로 표기됨 ), 토셉 타 (t . ), 바빌로니아 탈무드 (b . ) 및 예루살렘 ( 팔레스타인 ) 탈무드 (y . ) 에 들어 있는 주해들 ( tractates ) 에 대한 명칭을 가리킨다. ʾAbot
ʾAbot
Ḥag.
Ḥagigah
B. Bat.
Baba Batra
Pesaḥ.
Pesaḥim
쿰란/사해 사본 및 관련 문헌 CD Damascus
Documnet , from the Cairo Genizah Ḥev text from Naḥal Ḥever Mas text from Masada papMur papyrus from Murabbaʿat 1Q27 1QMysteries
1QH Thanksgiving Hymns [former numbers bracketed] 1QM
War Scroll
1QpHab
Pesher Habakkuk
1QS Rule of the Community 4Q416
4QSapiental Work Ab
파피루스, 비문, 주화 BGU
Aegyptische Urkunden aus den Königlichen [later Staatlichen] Museen zu Berlin: Griechische Urkunden (Berlin, 1895–)
CIG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edited by A. Boeckh et
CIJ
Corpus inscriptionum judaicarum, compiled by J.-B. Frey
al., 4 vols. (Hildesheim: G. Olms Verlag, 1977)
17
데살로니가전후서
(Rome: Pontificio Institutu di Archeologia Christiana, 1936–); reprinted as Corpus of Jewish Inscriptions: Jewish Inscriptions from the Third Century B.C. to the Seventh Century A.D. (New York: Ktav, 1975) CIL
Corpus inscriptionum latinarum (Berlin: Reimer, 1862–)
IG
Inscriptiones graecae, editio minor (Berlin: de Gruyter, 1924–)
ILS
Inscriptiones latinae selectae, edited by H. Dessau, 3 vols. (Berlin: Weidmann, 1882–1916; plus various reprints)
IT
Inscriptiones graecae, vol. 10: Inscriptiones Thessalonicae et viciniae, edited by C. Edson (Berlin: de Gruyter, 1972)
OGIS
Orientis graeci inscriptiones selectae, edited by W. Dittenberger, 2 vols. (Leipzig: S. Hirzel, 1903–5)
P.Cair. Zen. Zenon Papyri: Catalogue général des antiquités égyptiennes du Musée du Caire, edited by C. C. Edgar (Cairo, 1925–40) P.Col.
Columbia Papyri (New York et al., 1929–)
P.Eleph.
Aegyptische Urkunden aus den Königlichen Museen in Berlin: Griechische Urkunden, Sonderheft: Elephantine-Papyri, edited by O. Rubensohn (Berlin, 1907–)
P.Freib.
Mitteilungen aus der Freiburger Papyrussammlung (Heidelberg et al., 1914–)
P.Giess.
Griechische Papyri im Museum des oberhessischen Geschichtsvereins zu Giessen, edited by O. Eger, E. Kornemann, and P. M. Meyer (Leipzig-Berlin, 1910–12)
P.Grenf. II
New Classical Fragments and Other Greek and Latin Papyri, edited by B. P. Grenfell and A. S. Hunt (Oxford, 1897)
PGM
Papyri graecae magicae: Die griechischen Zauberpapyri, edited by K. Preisendanz (Berlin, 1928–)
P.Lond.
Greek Papyri in the British Museum (London, 1893–)
P.Lond. Lit. Catalogue of the Literary Papyri in the British Museum, edited by H. J. M. Milne (London, 1927) P.Oslo
Papyri Osloenses (Oslo, 1925–36)
P.Oxy.
The Oxyrhynchus Papyri, published by the Egypt Exploration Society in Graeco-Roman Memoirs (London, 1898–)
PSI
Papiri greci e latini, edited by G. Vitelli, M. Norsa, et al. (Florence: Pubblicazioni della Societa Italiana, 1912–)
18
약어 소개
P.Tebt.
The Tebtunis Papyri, edited by B. P. Grenfell, A. S. Hunt, et al. (London et al., 1902–)
P.Wisc.
The Wisconsin Papyri, edited by P. J. Sijpesteijn (Leiden, 1967; Zutphen, 1977)
RIC
The Roman Imperial Coinage, by H. Mattingly, E. A. Sydenham, et al., multiple editions, 10 vols. (London: Spink, 1926–2007)
SB
Sammelbuch griechischer Urkunden aus Ägypten, edited by F. Preisigke et al., vols. 1– (Strassburg: Trübner; et al., 1915–)
SEG
Supplementum epigraphicum graecum (Leiden: Brill; et al., 1923–)
UPZ
Urkunden der Ptolemäerzeit(ältere Funde), edited by U. Wilcken (Berlin, 1927–)
요세푸스 Ag. Ap. Against Apion
J.W. The Jewish War
Ant. Jewish Antiquities
필론 Abraham
Life of Abraham
Migration Migration of Abra-
Alleg. Interp. Allegorical Inter-
ham
pretation
Names
Dreams
Dreams
Rewards Rewards and Punish-
Embassy
Embassy to Gaius
Flaccus
Against Flaccus
ments Sacrifices Sacrifices of Cain and
Flight Flight and Finding Good Person That Every Good
Change of Names
Abel Spec. Laws
Special Laws
Virtues
Virtues
Person Is Free
19
데살로니가전후서
고전 문헌 Aem.
Plutarch, Aemilius Paullus
Age
Cicero, Old Age (De senectute)
Alex.
Dio Chrysostom, To the People of Alexandria (Or. 32)
Ant.
Plutarch, Antony
Apol.
Plato, Apologia of Socrates
Ass
Lucian of Samosata, The Ass
Att.
Cicero, Letters to Atticus
Busybody
Plutarch, On Being a Busybody (De curiositate)
Cael.
Cicero, Pro Caelio
Cat. Maj.
Plutarch, Cato Major (Cato the Elder)
Catullus
Catullus, Poetry of Catullus
Char.
Theophrastus, Characters
Cho.
Aeschylus, Choephori (Libation-Bearers)
Claud.
Suetonius, The Life of Claudius
Con. Apoll.
Plutarch, A Letter of Condolence to Apollonius
Cyr.
Xenophon, Cyropaedia
Demetr.
Plutarch, Demetrius
Demon.
Isocrates, To Demonicus (Oration 1)
Dio Cassius
Dio Cassius, Roman History
Diodorus Siculus Diodorus of Sicily, Library of History
20
Disc.
Epictetus, Discourses
Div.
Cicero, Divination
Duties
Cicero, On Duties (De offciis)
El.
Sophocles, Elektra
Ep.
Julian, Epistles
Ep.
Seneca, Moral Epistles
Flatterer
Plutarch, How to Tell a Flatterer from a Friend (Mor. 4)
Font.
Cicero, Pro Fonteio
Frat. amor.
Plutarch, De fraterno amore (Brotherly Love)
Geogr.
Strabo, Geography
Hell.
Zenophon, Hellenica
Herodotus
Herodotus, History of the Persian Wars
Hist.
various authors, Histories
Icar.
Lucian of Samosata, Icaromenippus
Id.
Theocritus, Idylls
약어 소개
Il.
Homer, Iliad
Inst.
Quintilian, Institutes of Oratory
Laws
Ulpian, Comparison of Mosaic and Roman Laws
Lives
Diogenes Laertius, Lives of Eminent Philosophers
Livy
Livy (Titus Livius), History of Rome
Marc.
Seneca, Consolation to Marcia
Med.
Marcus Aurelius, Meditations
Misc.
Aelian, Miscellaneous Stories
Mor.
Plutarch, Moralia
Nat.
Pliny the Elder, Natural History
Nic. Eth.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Or.
various authors, Orations
Per.
Plutarch, Life of Pericles
Phileb.
Plato, Philebus
4 Philip.
Demosthenes, 4 Philippic
Pis.
Cicero, Against Piso
Pol.
Aristotle, Politics
Polyb.
Seneca, To Polybius on Consolation
Pontic Ep.
Ovid, Pontic Epistles
Prot.
Plato, Protagoras
Rep.
Plato, Republic
Rhet.
Aristotle, Rhetoric
Rom. Ant.
Dionysius of Halicarnassus, Roman Antiquities
Sat.
various authors, Satires
Siege
Aeneas Tacitus, How to Survive under Siege
Symp.
Plato, Symposium
Thucydides
Thucydides,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Vit. Apoll.
Philostratus, Life of Apollonius of Tyana
21
22
이
아
니
해
레기온
아
멜리데
수라구사
시칠리아
보디올
드
리
AD 1세기 로마제국
레
아
티
리
압비오 광장
탈
로마 트레이스 타베르네
곤
리
루
스르디스
아
디
마
달
아 베뢰아
구레네
지중해
라새아
아
살모네
로도
밀레도
아
디
리
니도
에베소
미둘레네
그레데
해
가우다
뵈닉스
미항
겐그레아
아덴
게
에
네압볼리
트라케
암비볼리 사모드라게 아 아볼로니아 시 드로아 앗소 무
빌립보
고린도
데살로니가
도냐
마게
아가야
일
무라
버가
알렉산드리아
루기아
오
가
이집트
바보
구브로
아
유대
안디바드리 예루살렘
가이사랴
시돈
살라미
리 다메섹
수
안디옥
갑바도기아
이고니온 니아 길리기아 루스드라 다소 더베
루
아
디
라
갈
밤빌리
안디옥
아 기 르 비시디아 부
시
아
비두니아
본도
흑해
아
데살로니가전후서
해
| 데살로니가전후서 서론 |
데살로니가 시 전략적 위치 만일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소가 “위치, 위 치, 위치”라면, 데살로니가는 번창하고 주도적인 도시가 될 운명을 타고 났다. 두 가지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데살로니가는 BC 1세기 데살로니가 태생 시 인 안티파트로스 ( Antipater ) 가 데살로니가를 “모든 마게도냐의 어머니”라고 불 렀으며 ( Anth. Pal.
4.428 )
또한 한 지역 비문에는 “마게도냐의 첫째인 주요 도시
[“모도시”]”로 규명되기에 이르렀다 ( CIG
1, 1969 ).
이러한 묘사들이 단순히 현지
주민들의 지나친 긍지를 과장하여 주장하는 것이 아님은 역사가이며 지리학 자인 스트라보 ( Strabo ) 에 의해 입증되었는데 ( 64 BC-AD 24년경 ), 스트라보도 마찬 가지로 데살로니가를 “마게도냐의 주요 도시”로 언급했다 ( Geogr.
7 frg. 21 ).
이 두 지리적 이점 중 첫째는 데살로니가가 바다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데살로니가는 에게 해 전체에서 아마도 최상의 천연 항구를 가 지고 있었다. 이런 요인으로 인해 BC 316~315년에 마게도냐의 왕 카산드로 스 ( Cassander ) 가 데살로니가를 창설했다.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이며 카산드 로스의 장인인 필립 2세의 수도가 펠라 ( Pella ) 근처에 있었다. 비록 내륙에 위 치하긴 했어도 펠라는 루디아스 강을 통해 에게 해로 진출할 수 있었다. 하지 만 루디아스 강의 심한 퇴적물로 인해 카산드로스는 어쩔 수 없이 마게도냐 23
데살로니가전후서
지역을 다스릴 수 있는 중심지로 사용할 새로운 항구와 도시를 건설하지 않 으면 안 되었다. 카산드로스는 그 지역에 있는 26개 마을 주민들을 강제로 통 합해 기존 도시인 테르메 ( Therme ) 로 이주시키고서는 자신의 아내 이름을 따라 신도시 데살로니가로 명명했다 1) ( Strabo, Geogr. Rom. Ant. 1.49.4 ).
7 frgs. 21, 24; Dionysius of Halicarnassus,
데살로니가 위치를 테르메 만 ( 灣 ) 가장 안쪽에 선정한 이유는
이곳이 깊이 정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험한 남동풍을 막는 탁월한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었다.2) 고대 저자들은 이렇게 유리한 곳에 항구가 위치해 있 는 이점을 언급하였으며 ( Herodotus
7.121; Livy 44.10 ),
데살로니가 항은 오늘날에
도 여전히 분주하고 유익한 항구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바칼로풀로 스 ( Vacalopoulos,
1972:3 ) 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데살로니가는 이 도시가 창설
된 때로부터 ( 316 BC ) 오늘날까지 결코 그 상업적 중요성을 잃어 본 적이 없는 현대 그리스의 유일한 해안 도시다.” 데살로니가를 이롭게 하는 지리적 이점 중 두 번째는 데살로니가가 주요 육지 여행 도로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데살로니가는 BC 2세 기 로마 사람들에 의해 건설된 주요 동서 고속도로인 에그나티아 가도 ( Via Egnatia )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3) 에그나티아 가도는 마게도냐뿐 아니라 훨씬
먼 곳에 있는 여러 주요 도시들과 데살로니가를 연결시켜 주었다. 데살로니 가에서 에그나티아 가도를 따라 서쪽으로 약 420킬로미터쯤 가면 아드리아 해에 있는 디라키움 ( Dyrrachium ) 항구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 이탈리아 해안으로 배를 타고 건너가 아피아 가도 ( Via Appia ) 를 따라 곧장 로마로 갈 수 있다. 데살로니가에서 에그나티아 가도를 따라 동쪽으로 약 690 킬로미터쯤 가면 흑해 끝자락에 있는 비잔티움에 도달할 수 있으며, 아니면 훨씬 이전인 헬레스폰트 ( Hellespont ) 로 가면 소아시아로 나아갈 수 있다. 데살로니가 역시 악시우스 ( Axius ) 강을 따라 북쪽으로 주요 도로를 타고 발칸 반도를 통해 다뉴 브 지역으로 갈 수 있는 에그나티아 가도 교차로에 위치해 있었다. 데살로니가의 위치가 바다와 육지 모두와 관련이 있는 이점들은 데살로니 가의 번영과 수적 성장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들이다. 그린 ( Green, 2002:6 ) 은 다 음과 같이 말한다. “데살로니가의 위대한 성공은 상당 부분이 육지와 바다 및 도로와 항구의 결합에 기인하며, 이러한 것들이 마게도냐와 전체 로마 제국
1) 카산드로스의 아내는 그의 아버지 필립 2세가 마게도냐 남쪽 지역 데살리아(Thessaly)에서 벌어진 중요한 전투에서 승리했던 날에 태어났기 때문에 데살로니케(Thessalonike)로 불리어졌는데, 이는 “데살로니아의 승리”를 의미한다. 카산드로스의 아내는 알렉산더 대왕의 손아래 이복누이다. 2) 테르메 만이 에게 해 남동쪽을 향하고 있긴 하지만, 데살로니가 입구는 테르메 만에서 거의 직각으로 남서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자주 부는 남동풍으로부터 피난처를 항구에 제공한다. 3) 에그나티아 가도가 데살로니가를 바로 가로지르는 것이 아니라 도시 북쪽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 Vickers 1972: 157n4; Makaronas 1951: 387~88.
24
데살로니가전후서 서론
사이의 무역을 용이하게 했다. 마게도냐 전 지역에서 그 어느 곳도 데살로니 가만큼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는 곳이 없었다.” 데살로니가의 성공을 보장하 는 그 밖의 지리적 요소들은 이 도시의 좋은 기후 조건들, 풍부한 강들이 공 급해 주는 비옥한 평원들, 막대한 광물 매장층 ( 금, 은, 철, 구리, 납 ) 및 건축용 목 재를 제공하는 방대한 삼림 등이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 Aemilius Paullus ) 장 군 치하의 로마 사람들이 마게도냐의 부흥을 두려워하여 ( Livy 45.29 ), BC 168년 피드나 ( Pydna ) 에서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가 승리를 거둔 후에 이러한 천연 자원들 사용에 대해 데살로니가인들과 그 밖의 마게도냐 사람들에게 규제들 을 부과했다. 이 승리가 로마 국고에 가져다준 3억 세스테르티우스 ( 대 플리니우 스[Pliny the Elder, Nat. 33.17; Livy 45.40.1]는 총액이 1억 2천 세스테르티우스라고 말한다 ) 는
데살
로니가 주변 지역이 잠재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던 부를 암시한다. “자연이 변 하지 않는 한 데살로니가는 여전히 부유하고 혜택을 받을 것이다”는 밀레티 우스 ( Miletius ) 의 간명한 언급을 통해 입증되었듯이 ( Lightfoot
1893: 255에서 인용 )
고
대 세계의 저자들이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놓치지 않았다. 데살로니가의 번영이 새로운 거주민들을 끌어들였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바울이 도착하기 바로 몇 년 전에 데살로니가는 마게도냐 도시들 중 “어떤 다른 곳보다 더 인구가 많았다”( Strabo, Geogr.
7.7.4; 아울러 Lucian, Ass 46.5를 보
라. 루키아누스는 AD 2세기에 데살로니가를 “마게도냐에서 가장 큰 도시”로 언급한다 ).
데살로니가
인구가 정확하게 어느 정도였는지는 확실히 결정하기가 어렵다. 만일 우리가 전체 거주 지역을 결정하기 위해 도시 성벽 길이를 사용하고 또한 고대 도시 들에 대한 인구 밀도의 전형적인 비율을 감안한다면, 데살로니가 인구는 6만 5천명에서 10만 명까지 산출할 수 있다 ( J. Hill 1990: 45~49; Riesner 1998: 314 ). 이렇 게 되면 데살로니가는 로마 제국에서 상위 10대 대도시에 들어간다.4)
우호적인 정치적 지위 데살로니가는 로마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는데, 이 관계는 정치 적 및 재정적 이득을 기대하면서 의도적으로 조성된 것이었다. BC 168년 피 드나 전투에서 독립 왕국으로서 마게도냐가 무너진 후에 승리자 로마는 마게 도냐를 네 “지방”( μερίδες,
메리데스; 행 16:12를 보라 ) 으로
나누는 분할 통치 전략을
4) 키너(Keener 2014: 2537)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데살로니가는 가령 로마(종종 100만 명의 거주민 이 있는 것으로 추산됨)와 알렉산드리아(때때로 60만 명으로 추산됨)와 같은 거대 도시 중 하나는 아 니었지만, 서머나와 함께 거대 도시를 바짝 뒤쫓아 두 번째 단계의 도시가 되었으며(최대한으로 잡아 서 카르타고와 안디옥 각 도시는 약 50만 명, 그리고 에베소는 40만 명으로 추산된다), 최대한 20만 명 이상의 거주민이 있었다. 보다 보수적으로 추정한다면 4만 명에서 6만 5천명까지 이를 수 있지만, 이 역시 상당한 숫자다.
25
데살로니가전후서
시행하고 데살로니가는 둘째 지방의 수도가 되었다 ( Livy Siculus 31.8.6~9; Strabo, Geogr. 7 frg. 47 ).
44.32; 45.29.9; Diodorus
그 이후 몇 년 동안의 로마 통치로 인해 산
발적인 반란들이 일어나다가 BC 146년에 결국 진압되었으며, 이때 로마는 마게도냐 지역 경계들을 확장시켜 마게도냐를 하나의 속주로 재편성하면서 오직 데살로니가만을 수도라는 특권적 지위로 그리고 로마의 대표자인 총독 의 본부가 있는 곳으로 승격시켰다. 로마가 데살로니가를 속주의 수도로 선택한 것은 데살로니가의 규모 및 부 뿐만 아니라 지방 지도자들이 반란을 이끌기보다는 오히려 로마 제국에 충성 했다는 것에 근거해 있었다. 어떤 명문 ( 銘文 ) 에는 데살로니가인들이 반란을 진압했던 로마의 집정관 메텔루스 ( Metellus ) 를 얼마나 존경했는지, 메텔루스를 데살로니가의 “구원자이며 은인”으로 여겼다고 기록한다 ( IT
134 ).
그 밖에 몇
몇 명문은 지역 문화 단체들 ( 예로 체육관과 그 활동들 ) 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고, 적 대적 이웃들과 반로마적 침략자들로부터 도시를 보호하는 일을 도우며, 로마 에서 데살로니가의 이익을 고취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도움을 제공했던 사람 들인 “로마의 은인들”( Ῥωμαίοι εὐεργέται,
로마이오이 유에르게타이 ) 을
찬미하고 있다.
이렇게 명예를 표시하는 명문들은 친로마적 태도가 데살로니가에 존재했으 며 최소한 데살로니가의 유력한 시민 중 일부는 이러한 관계가 가져왔던 유 익을 보다 풍성하게 향유하기 위해 로마의 통치를 기꺼이 견딜 뿐만 아니라 로마 통치를 열렬히 수용하고자 했음을 보여 준다 ( 특히 Hendrix 1984; 아울러 Green 2002: 16~17을 보라 ).
데살로니가가 마게도냐 북부 야만족의 빈번한 침입을 막아
내는 데 제국의 도움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로마에 대한 이 같은 긍정적 견해 가 향상되었다 ( Papagiannopoulos 1982: 36 ). 그리하여 BC 58년에 데살로니가에서 6개월을 망명생활을 했던 로마의 유명한 정치가 키케로 ( Cicero ) 는 마게도냐를 “로마 사람들에 친근한 충성스러운 속주”로 언급했다 ( Font.
44 ).
데살로니가와 로마 사이의 밀접한 관계는 데살로니가가 제국에서 일어난 내전들에서 핵심 역할을 했다는 것에서도 볼 수 있지만, 너무나도 자주 이러 한 역할이 처음에 패하는 쪽을 도와주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데살로니가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반대하는 세력을 탐색하면서 폼페이우스를 지지했다. BC 48년 폼페이우스가 파르살루스 ( Pharsalus ) 전투에서 수치스러운 패배를 당 하기 전에, 폼페이우스는 데살로니가에서 두 명의 집정관과 200명이 넘는 원 로원들을 모아 전투를 준비하면서 곧 데살로니가를 “진정한” 원로원이 열리 는 일종의 두 번째 로마로 만들었다 ( Dio Cassius 41.18.4~6; 41.43.1~5 ). 약 6년 후 데 살로니가는 다시 로마 내전의 중심부가 되었으며, 이때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암살하는 데 책임이 있는 두 지도자인 브루투스와 카시우스 군대가 카이사르 살해의 두 복수자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 ( 후에 옥타비아누스는 아우 26
데살로니가전후서 서론
구스투스 황제가 되었다 )
군대들과 맞서 빌립보 근처 평원에서 격돌했다. 데살로니
가가 처음에는 브루투스와 카시우스를 지지했으나 빌립보 평원에서 벌어진 두 전투 사이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옥타비아누스로 충성의 대상을 바꾸 어 버렸기 때문에, 브루투스는 자신의 군사들로 하여금 그들이 예상했던 승리 를 거두면 데살로니가를 약탈할 수 있는 권리를 약속했다 ( Appian, Civil Wars Plutarch, Brutus 46.1 ).
4.118;
그 승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은 데살로니가를 위해서는
다행이었다. 브루투스와 카시우스 모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그리고 보다 정 확하게는 옥타비아누스의 손에 의해 패배를 당했다. 두 승리자를 축하하는 개 선문이 데살로니가 성벽의 주요 문들 중 하나인 바르다르 문 ( Vardar Gate ) 에 세 워졌으며, “데살로니가인들의 자유를 위하여”라는 글이 새겨진 기념 메달이 유포되었다 ( Papagiannopoulos 1982: 39 ). 한 쪽 면에는 ‘오모니아’( ΟΜΟΝΙΑ, 화합, 조화, 동지 ) 라는 글과 함께 베일을 쓴 여성 머리가, 그리고 다른 쪽 면에는 ‘데살론[이
케스]/로[메스]’( ΘΕΣΣΑΛΟΝ[ΙΚΗΣ]/ΡΩΜ[ΗΣ],
데살로니가/로마 ) 라는
글과 함께 자
유롭게 질주하는 말이 있는 주화 시리즈가 발행되었으며, 그리하여 안토니우 스와 옥타비아누스의 승리가 로마와 데살로니가 사이의 화합을 어떻게 회복 시켰는지를 기념했다 ( Hendrix 1984: 162~65 ). 데살로니가와 마게도냐 속주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통치를 받고 있었 는데, 안토니우스는 데살로니가에 “자유 도시”( civitas 4.17[10] ) 의
libera ; Pliny the Elder, Nat.
지위를 허락함으로써 데살로니가와 마게도냐 속주가 지지해 준 것
에 대해 데살로니가 시민들에게 보답했다.5) 이렇게 특혜를 받는 지위를 얻게 된 것은 데살로니가 주민들이 지역 문제에 대한 자치권의 수단, 자체적인 화 폐를 주조할 수 있는 권리, 도시 성벽 내에서 군대 점령으로부터의 해방 및 일부 세금 감면 등을 누렸음을 의미했다. 헨드릭스 ( Hendrix 1984: 251 ) 는 이러한 특권적 지위가 “로마인들의 이익에 현저한 충성을 보여 주었던 사람들과 도 시들에게만 허용되었다”고 언급했다. 9년 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BC 31년 악티움 전투에서 옥타비아누스에게 패하자 데살로니가는 다시 로마 내 전에서 패한 쪽을 도와주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데살로니가는 재빨리 패배한 장군에게 경의를 표하는 명문들에서 안토니우스의 이름을 지 우거나 ( 기억의 저주[damnatio memoriae]를 행하는 표준적인 방법으로, 이제는 명예가 더렵혀진 존경 받는 어떤 사람에 대한 기억을 공식적으로 지우는 것이다 )
안토니우스의 이름을 옥타비아누
스로 대체함으로써 로마와 좋은 관계를 보장하고 자유 도시로서 데살로니가 의 특권적 지위를 유지했다. 5) 데살로니가의 “자유”에 대한 증거는 한 명문(IT 6)과 데살로니가에 의해 ΘΕΣΣΑΛΟΝΙΚΕΩΝ ΕΛΕΥΘΕΡΙΑΣ(‘데살로니케온 엘류데리아스’, 데살로니가인의 자유)라고 새겨진 일련의 주화에서 나타난다.
27
데살로니가전후서
이 기간에 데살로니가와 로마의 친밀한 관계는 로마와 로마 은인들에 대한 새로운 종교 의식을 확립함으로써 더욱 발전되었다 ( 에드슨[Edson 1940: 133]은 이러 한 종교 의식의 시작을 BC 41년으로 추정하는 반면, 헨드릭스[Hendrix 1987: 22]는 BC 95년이나 그 이전 으로 추정한다 ).
몇몇 명문에는 “신들과 로마의 은인들에게”( IT 4 ), “로마와 로마의
은인들 모두의”( IT
128 ),
또는 “로마와 로마인들”( IT
32 )
등으로 적혀있다. 여신
‘로마’와 로마의 은인들을 기리는 의식이 확립되면서 그러한 영광을 가장 영 향력 있고 가장 중요한 로마의 은인인 황제에게까지 확대시키는 것은 자연스 러운 일이었다. 카이사르를 숭배하는 신전이 BC 1세기 말에 세워졌으며 이 신전을 섬기는 사제직이 확립되었다. 한 중요한 명문에는 “카이사르의 신전” 및 “[신의] 황제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의 제사장 겸 ‘아고노데테스’[대회 감독관]”라는 칭호를 가진 어떤 인물뿐만 아니라 “신들의 제사장……및 로 마와 로마 은인들의 제사장”을 언급한다 ( IT 함께 ( IT
32, 132, 133 )
31 ).
이 명문 역시 다른 명문들과
황제 숭배와 관련된 관리들이 다른 사제직들보다 우월함을
암시한다.6) 데살로니가가 로마와 좋은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매우 적극적으로 노력했 다는 추가적 증거는 데살로니가가 그 원래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세라페이 온 ( Serapeion ) 을 포함해 핵심적인 모든 성소들이 위치해 있는 도시의 가장 중 요한 위치에 다시 조성된 한 고대 신전이 최근에 재발견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 신전은 현대 도시 중심부의 안티고니돈 광장에 2층짜리 건물을 건립 하던 1936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하지만 이 발견물은 나치 점령군의 침입과 파괴 및 이후에 전후 도시 개발로 인해 곧 사라져 버렸다. 이 신전은 신전 꼭 대기에 위치해 있던 2층짜리 건물이 재개발 계획의 일부로 헐렸던 2000년에 다시 발견되었다. 그 다음에 이 고대 신전은 BC 6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 가지만 로마식 기초 위에 이오니아식 신전으로 재건축되었다는 것이 분명해 졌다. 여신 ‘로마’ 상과 그 외 황제 조각상들도 이곳에서 발견되었지만 로마 이전 시대로 추정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7) 신전의 정확한 재조립을 보장하 기 위한 고고학적 흔적들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 신전이 원래는 후기 고대 시 대에 어딘가에 건립되어 위치해 있다가 그 다음 로마 시대에 데살로니가 중 심부로 이전되었음을 보여 준다. 이 고대 신전의 원래 위치는 데살로니가 남
6) “‘황제의 제사장 겸 경기 감독관’이 언급된 현존하는 모든 사례에서 이 인물은 엄격한 의전을 준수한 것으로 보이는 첫 번째 목록에 들어 있다. 황제의 제사장 겸 경기 감독관이 우선권을 지니며, ‘신들 의’ 제사장이 다음 인용되고, 그 다음으로 로마와 로마 은인들의 제사장이 뒤따르는 것으로 추정된 다”(Hendrix 1984: 312). 7) 이러한 최근의 발견물 대부분이 지금은 데살로니가 고고학 박물관 로비에 전시되어 있다. 안티고니 돈 광장에 위치해 있는 신전 기초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아프로디 테 신전을 개발로부터 보호하려는 전용 웹사이트는 http://www.templeofvenus.gr/을 보라.
28
데살로니가 전서
데살로니가전서
데살로니가전서
I. 편지 서두 ( 1:1 ) II. 감사 ( 1:2~10 ) III. 사도적 행동과 부재에 대한 변호 ( 2:1~3:13 ) IV.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권면함 ( 4:1~5:22 ) V. 편지 결어 ( 5:23~28 )
98
I. 편지 서두 ( 1:1 )
I. 편지 서두 ( 1:1 ) 편지 서두는 바울의 다른 몇몇 서신들과 비교해 볼 때 형식상 어떤 주목할 만한 방식으로 변화된 것은 없는데, 이는 아마도 사도와 데살로니가 교회 사 이에 존재하는 우호 관계뿐만 아니라 바울이 전반적으로 데살로니가 교회의 영적인 상태를 기뻐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듯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비교적 이렇게 단순한 편지 서두도 이 편지의 나머지 부분과 연관된 최소한 세 가지 의미심장한 요점을 규정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첫째, 실루아노와 디모데를 공동 발신자로 포함시킨 것은 바울의 편지에 중요성이나 권위를 한층 더 강 화시키는데, 이는 최근에 디모데가 돌아옴으로써 ( 3:6 ) 바울이 데살로니가 교 회의 현재 상황을 잘 알고 있을 뿐 아니라 데살로니가 교회의 현재 상황에서 수신자들로부터 기대되는 마땅한 반응에 대해 바울과 이 다른 지도자들 사이 에 의견 일치가 있음을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보여 주기 때문이다. 둘째, 70인역에서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된 용어인 “교회”( ἐκκλησία, 에클레시아 ) 라는 말과 편지의 수신자들을 동일시한 것은 대부분 이 이방인들로 구성된 데살로니가 교회를 바울이 하나님의 새로운 백성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러한 이해는 편지 다른 곳에서 바울이 이전에 는 이스라엘에 국한되었던 표현을 택하여 이를 데살로니가 신자들에게 적용 할 때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이라는 전치사구와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라는 인사 모두 독 자들의 기원과 진행 중인 삶과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과 그리스도 모두의 근 본적이면서 중대한 역할을 강조한다. 데살로니가 교회는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 혹은 “데살로니가 신자들 자신”이라는 인간 노력의 산물이 아니라 오히려 데살로니가 개종자들에게 “은혜와 평강”을 과분하게 내려 주시는 “하 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신적 주도권의 산물이다.
문학적 분석 편지 서두는 바울서신들과 형식적으로 가장 일치하는 단락으로, 세 가지 서간체 관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발신자 문구인데, 이는 보통 세 가 지 형식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1 ) 바울의 이름. ( 2 ) 칭호, 가장 흔한 것 은 “사도”이지만 ( 고전
1:1; 고후 1:1; 갈 1:1; 엡 1:1; 골 1:1; 딤전 1:1; 딤후 1:1; 딛 1:1 )
때때로
“종”도 나온다 ( 롬 1:1; 빌 1:1; 딛 1:1 ). ( 3 ) “그리스도 예수의”라는 간략한 서술구 인데, 이는 사도직 혹은 “종 됨”의 기원을 나타낸다 ( 살전 1:1; 살후 1:1에는 빠져 있 99
데살로니가전서
다 ).
그 당시 편지에는 이례적인 것으로 바울은 이 발신자 문구 끝에 공동
발신자들의 이름을 포함하면서 자신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사 도”라는 좀 더 권위적인 칭호와 구별해 공동 발신자들을 “형제 ( 들 )”로 동 일시한다. 둘째는 수신자 문구인데, 이는 두 가지 형식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 1 ) 수신자에 대한 명칭으로 대개 그 교회가 위치해 있는 도시나 지 역 이름과 함께 “교회”라는 명사를 사용한다. ( 2 ) 독자와 하나님 혹은 그 리스도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서술하는 간략한 문구로, 가령 “하나님 ( 우 리 )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고전 1:2; 빌 1:1 ) 이다. 바울 편지 서두
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서간체 관습은 인사 문구인데, 이 문구는 세 가지 형식적 요소를 포함한다. ( 1 ) 인사: “은혜와 평강.” ( 2 ) 수신자: “너희에 게.” ( 3 ) 신적 기원: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그 러므로 바울서신 서두의 예상되는 전형적 형태는 다음과 같다. A. 발신자 문구 ( 1:1a ) 1. 발신자 이름 2. 칭호 3. 칭호의 기원을 나타내는 간략한 서술적 문구 4. 공동 발신자 ( 들 ) B. 수신자 문구 ( 1:1b ) 1. 수신자 신원 확인 2. 수신자들과 하나님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서술하는 간략한 문구 C. 인사 문구 ( 1:1c ) 1. 인사 2. 수신자 3. 신적 기원 이 동일한 세 가지 문구가 ( 훨씬 간소화된 형태이긴 하지만 ) 일반적으로 바울 당 시의 세속 편지 서두에 포함되었다는 것은 ( Exler 1923: 24~60; Roller 1933: 57~62; White 1986에 나오는 편지 서두들을 보라 )
바울이 서간체 구성 양식을 창안한 사람이
아니라 그 당시 편지 작성 관습에서 차용한 것임을 보여 준다. 그럼에도 바 울은 이러한 관습을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인사를 “기독교 화”하는 것처럼 바울의 특별한 청중과 구체적 필요에 어울리도록 이러한 관습들을 조정한다 ( 아래의 설명을 보라 ). 아울러 편지 저자로서 바울의 기술은 그러한 편지 서두에서 예상되는 서간체 관습을 바울이 조정하거나 상당 부분 확대시켜 이 서두 단락이 바울 독자들과의 접촉을 수립하거나 유지 100
I. 편지 서두 ( 1:1 ) A. 발신자 문구 ( 1:1a )
시키는 기능을 하게 하는 데서, 그리고 편지 본론에서 전개될 중요 관심사 나 주제를 예상하게 하는 데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바울은 로마서 서두에 서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는 독자들에게 자신이 이방인들을 위해 신적으로 임명받은 사도이며, 자신의 복음을 이방인들과 함께 나눌 책임을 하나님이 부여하셨음을 드러내기 위해 발신자 문구를 상당 부분 확대시킨다 ( Weima 1994b를 보라 ).
이와 마찬가지로 바울은 갈라디아서 서두에서도 발신자 문구
를 윤색하여 자신의 사도직이 인간적 기원이 아닌 신적 기원을 가지고 있 음을 강조함으로써 ( “사람들에게서 난 것도 아니요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도 아니요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도 된 바울은” )
편지 본론을 여는 긴 자서전적
변호에서 자신의 권위적 지위를 수호하기 위해 선제공격을 개시한 다 ( 1:11~2:14 ). 그러나 이러한 확대된 편지 서두와 비교해 볼 때 바울의 데살 로니가전서를 시작하는 서간체 관습들은 단순하면서도 윤색된 것이 없다. 이것은 아마도 바울이 데살로니가 신자들과 누리고 있는 우호 관계 및 데 살로니가 교회에서는 바울의 사도적 지위와 권위에 대해 아무런 질문이 없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주해 및 설명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1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은 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
Paul and Silvanus and Timothy. To the church of the Thessalonians in God the Father and the Lord Jesus Christ. Grace to you and peace ⌜⌝. 1
A. 발신자 문구 ( 1:1a ) [1:1a] 편지는 전형적인 방식으로 발신자 문구를 시작하면서 공동 발신자
들에 대한 언급을 포함시킨다. 즉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 Παῦλος
καὶ
Σιλουανὸς καὶ Τιμόθεος, 파울로스 카이 실루아노스 카이 티모데오스 ).
“바울”( Paul ) 이라는 이름은 ( 헬라어 이형인 ‘파울루스’[Paullus]의 음역이다 )
‘파울로스’[Paulos]는 라틴어 ‘파울루스’[Paulus] 혹은 그
사도가 로마 시민권자로서 ( 행
16:37~38; 22:25~29;
또한 가이사에게 상소할 것이라는 바울의 호소에서도 암시되어 있다[25:10~12, 21, 25; 26:32] )
아마도
가지고 있었을 세 이름, 즉 “이름”( praenomen ), 가문의 근본 창시자 이름 ( nomen gentile ),
성 ( cognomen;
Harrer 1940; Bruce 1977: 38 )
중 하나다. 바울서신에서 바울은
세 번째 이름 혹은 성 ( 姓 )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는 사도의 첫 두 이름은 101
데살로니가전서
알지 못한다. 어떤 노예나 외국인이 시민권을 부여받을 때 그의 첫 두 이름은 자신에게 시민권을 얻게 해 준 로마사람의 이름이지만, 자신의 세 번째 이름 이나 성은 그대로 유지했다 ( Murphy-O’Connor
1996: 41 ).
“바울”이라는 이름은 자
신의 히브리어 이름 “사울”에게서 유래했으며 ( 헬라어 ‘사울로스’는 히브리어 ‘사울’의 헬 라화된 형태다 ),
사도행전 저자는 사도의 생애를 다루는 자신의 내러티브 앞부분
에서 “사울”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 7:58; 13:1~2, 7, 9 ).
8:1, 3; 9:1, 8, 11, 22, 24; 11:25, 30; 12:25;
“바울”은 다소 흔한 성이었으며 또한 “작은”( little ) 이라는 애정 어
린 의미나 “어린”( small ) 이라는 경멸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 Hemer 1985: 183 ). 바울이 자신의 이름을 편지 서두의 첫 번째 요소로 언급하는 것은 현재의 서간체 관습과는 반대지만 그리스-로마 세계의 서간체 관습과는 전적으로 일치한다. 이러한 관습에 대한 유일한 예외는 우리가 고위직에 있는 사람에 게 보내는 탄원서에서다. 그러나 바울은, 통상적으로 “사도”라는 칭호를 첨가 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자신이 독자보다 열등하거나 동등하기 보다는 독자 들에게 권위를 가진 사람으로 편지를 쓴다 ( 고전 1:1; 딤후 1:1; 딛 1:1 ).
1:1; 고후 1:1; 갈 1:1; 엡 1:1; 골 1:1; 딤전
따라서 데살로니가 교회에 보내는 바울의 편지들에서 이러한
“사도”라는 칭호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인상적이다. 이 칭호를 빠트린 것에 대한 가능한 설명은 몇몇 다른 편지와는 대조적으로 ( 특히 로마서, 고린도전후서, 갈라 디아서 ),
바울의 사도직이 데살로니가 교회에서는 쟁점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편지 서두에서 바울은 자신의 권위적 지위를 주장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에 보내는 두 편지에서 자신의 사도직 을 단 한 번 언급하며 ( 살전 2:7a ), 이 단 한 번의 예도 바울의 권위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정반대의 요점을 보여 주는 데 기여한다. 즉 바울은 데살 로니가 신자들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는 사도로서 자신의 권위를 이기적이 고 고압적 방식으로 주장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데살 로니가 신자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자기희생적으로 노동을 했다. 그러나 몇 년 뒤에 바울의 사도직에 대한 반복된 도전 때문에 바울은 편지 서두에서 자신의 사도직에 대해서 명백히 할 뿐 아니라 공동 발신자들을 포함한 다양 한 동역자의 지위와 자신의 권위 있는 지위에 차별성을 두기도 했다 ( 예로 고전 1:1, “‘사도’로 부르심을 받은 바울과 ‘형제’ 소스데네는.” 아울러 고후 1:1; 골 1:1도 보라 ).
비록 그 당시 편지에서 흔한 서간체 관습은 아니었다 해도 바울은 흔히 그 렇듯이 이곳에서 실루아노와 디모데라는 공동 발신자들의 이름을 포함시킨 다. 이 두 사람을 언급한 것은 두 가지 관련된 질문을 불러온다. 첫째, 데살로 니가전서를 기록하는 데 있어서 공동 발신자들이 있다면, 그들의 역할은 무 엇인가? 둘째, 만일 바울이 데살로니가전서의 궁극적인 혹은 실제 저자로 드 러난다면, 바울이 실루아노와 디모데를 공동 발신자들로 포함시키는 의미는 102
I. 편지 서두 ( 1:1 ) A. 발신자 문구 ( 1:1a )
무엇인가? 첫째 질문과 관련하여, 데살로니가 나머지 부분에서 1인칭 복수 “우리”를 광범위하게 사용한 것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실루아노와 디모데가 데 살로니가전서 작성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는 결론을 내리도록 만들었다. 이 러한 상황은 편지의 주제, 구조, 심지어 어휘에 이르기까지 세 사람 모두가 기 여한 공동 작업의 상황과 비슷하다. 그러나 이러한 시나리오와 반대되는 것 으로 본문에서 1인칭 단수로 의미심장하게 바뀌는 세 경우가 나오는데, 이는 데살로니가전서에 나오는 1인칭 복수가 문자적으로가 아닌 문학적으로 이해 되어야 함을 암시한다는 것이다. 첫 번째 경우는 2장 18절에 나오는데, 이곳 에서 데살로니가를 바울이 다시 방문하려는 것이 처음에는 복수로 표현되다 가 ( “우리가 너희에게 가고자 했다” ) 그 다음에 단수로 되어 있는 개인적 감탄사로 분 명히 말한다 ( “사실
나 바울은 한번 두 번 너희에게 가고자 했다” ).
두 번째 경우는 3장
1~2절과 3장 5절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수미상관 구조다 ( inclusio ). 즉 복수 표 현인 “이러므로 우리가 참다 못하여……디모데를 보내노니 이는 너희를 굳건 하게 하고 너희 믿음에 대하여 위로함으로”는 단수 표현인 “이러므로 나도 참다 못하여 너희 믿음을 알기 위하여 그를[디모데] 보내었노니”로 대체된 다. 세 번째 경우는 5장 27절에 나오는데, 이 구절에서 편지는 단수로 되어 있 는 강력한 권면으로 마무리된다. “내가 주를 힘입어 너희를 명하노니 모든 형 제에게 이 편지를 읽어 주라.” 이 세 본문은 ( 살후 2:5와 3:17도 보라 ) 비록 실루아노 와 디모데의 이름이 공동 발신자로 포함되어 있다 해도 바울이 데살로니가전 서의 실제 저자이며 따라서 편지 전체에 사용된 복수형은 문자적으로가 아닌 문학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은 두 번째 질문을 불러일으킨다. 즉 “바울이 데살로니가전서 의 실제 저자인데 왜 실루아노와 디모데가 공동 발신자로 포함되었는가?”이 다. 바울의 서간체 관습이 결코 우발적인 것이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든 바울 의 설득 전략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공동 발신자들을 언급한 것이 단순히 예 의상 하는 말 이상의 그 무엇이 포함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 반대 1992: 21 ).
견해는 Williams
도티 ( Doty 1973: 30 ) 에 따르면 그 당시 세속 편지는 “저자가 그 편지에
권한을 부여했다는 것을 설명하면서 저자가 무엇을 말했는가를 보증하기 위 해” 편지 배달부의 이름을 종종 언급했다. 그리하여 실루아노와 디모데가 이 런 이유로 편지 서두에 언급되었을 수도 있다 ( 아울러
Wanamaker 1990: 68도 보라 ).
그러나 편지 배달부를 언급하거나 추천하는 일은 대개 편지 서두가 아니라 편지 마무리 부분에 등장하며 ( C. Kim 1972 ) 또한 이런 일은 다른 곳에서 바울의 관습으로 보인다 ( 롬 16:1~2; 엡 6:21~22; 골 4:7~9 ). 실루아노와 디모데의 이름을 포 함시킨 보다 가능성 있는 이유는 두 사람 모두 데살로니가 교회에서 핵심 역 103
BECNT 시리즈에 대한 추천의 글
데살로니가전후서
베이커 신약 주석은 신약 성경의 원어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자들이 헬라어 본문에 대한 세밀한 주석적 설명에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하는 매력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은 독자 친화적인 주석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 I. 하워드 마셜, 애버딘 대학교
데살로니가전후서
추천의 글 “ 웨이마는 독자들이 자주 펼쳐 보고 싶게 만드는,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한 상세하고도 권위 있는 주석을 썼다. 웨이마는 풍부한 연구를 바탕으로 거의 모든 지점에서 사려 깊고 신중한 입장으로 주해한다. 웨이마는 각 단락의 주해와 해설을 위해 논의되어야 할 단락의 문학적 성격과 형태를 제시한다. 웨이마는 데살로니가전후서 연구에서 제기되는 광범위한 쟁점에 대한 현재의 토론을 보여 주면서도, 저자와 해석과 심지어 본문 비평 문제에 대한 전통적 입 장 또한 능숙하게 변호하고 있다. 나는 이 주석이 널리 사용될 것으로 확신한다.”
- 스탠리 포터, 맥마스터 신학교 “ 전문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쉽고, 포괄적이면서도 간결하며, 학문적이면서도 목회적인 주석 이 있을 수 있는가? 웨이마는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해 바로 그런 주석을 내놓았다. 웨이마 의 주석보다 더 상세하고 최신 내용을 다루는 데살로니가전후서 주석을 찾기란 어려울 것이 다. 신중한 판단과 사려 깊은 논의와 분명한 논증을 제시하는 이 주석 덕분에 웨이마는 이 연 구 분야에서 각광을 받게 될 것이다. 이 주석은 학자와 목회자와 학생들 모두에게 하나의 표 준이 되고, 도움이 필요할 때마다 찾는 자료가 될 것이다.”
- 토드 스틸, 베일러 대학교의 트루엣 신학교
지은이
제프리 웨이마( Jeffrey A. D. Weima )
토론토 대학교 위클리프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칼빈 신학교에서 신약 교수로 20년 이상을 가르쳐 왔다. 저서로는 『도외시된 결말: 바울서신 결어의 중요성』 (Neglected the Pauline Letter Closings), Thessalonians)
옮긴이
『데살로니가전후서에 대한 참고문헌 목록』 (An
Endings: The Significance of
Annotated Bibliography of 1 and 2
등이 있다.
제프리 웨이마 지음 배용덕 옮김
배용덕
경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과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에서 공부했다. 역서로는 『휫필드와 웨슬리』, 『손에 잡히는 성경개관』, 『에덴에서 새 예루살렘까지』, 『BECNT 마태복음』,
ISBN 978 - 89 - 6092 - 521 - 2 ISBN 978 - 89 - 6092 - 258 - 7 (세트)
『BECNT 마가복음』, 『BECNT 로마서』 (이상 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
www.rnrbook.com
값 47,000원
제프리 웨이마
지음 | 배용덕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