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Inspiration The Very First Ideas from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Artist Kang, Un Kim, Bum Su Kim, Chang Kyum Kim, Seung Young Kim, Sung Bok Lee, Gil Rae Lee, Lee Nam Nam, Kyung Min Sung, Dong Hun Yang, Dae Won Yoo, Hyun Mi The Royal Lazienki Museum 3rd October - 29th November 2020
CONTENTS
목차
4
인사말
4
선조의 기원 – 전설과 종교
Foreword
The Origin of Ancestors – Myth and Religion
10
김승영
10
Kim, Seung Young
18
김성복
18
Kim, Sung Bok
26
유현미
26
Yoo, Hyun Mi
선조의 생활 – 삶의 정취
Life of Ancestors - Flavor of Life
36
김범수
36
Kim, Bum Su
44
김창겸
44
Kim, Chang Kyum
52
이길래
52
Lee, Gil Rae
60
이이남
60
Lee, Lee Nam
70
남경민
70
Nam, Kyung Min
80
성동훈
80
Sung, Dong Hun
선조의 발명 – 한글과 한지
Inventions of Our Ancestors - Hangeul and Hanji
88
강운
88
Kang, Un
96
양대원
96
Yang, Dae Won
104
참고문헌
104
Reference
106
작가 약력
106
Biography
인사말
〈One Inspiration – 한국 전통문화에서 찾은 최초의
It is a great pleasure for us to present the exhibition <One Inspiration> in Poland.
아이디어〉 전시를 폴란드에 소개하게 되어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Serving as a “network hub connecting Korea with the world through culture,” the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KOFICE) has been dedicated to promoting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diverse cultural exchanges and contributing to global cultural development at large. To this end, KOFICE has initiated the “Traveling Korean Arts”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문화로 한국과 세계를 잇는 네트워크 허브’로서 다양한 문화교류로 국가 간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세계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중
project in an attempt to support the international tours of Korea’s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in cooperation with overseas Korean Cultural Centers and to encourage international exchanges on the basis of long-term collaborations. The project has connected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out the world, thus establishing a solid foundation for sustainable cultural exchanges.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Traveling Korean Arts)’는 재외한국문화원과 협력하여 한국의 전시와 공연의 해외순회를 지원하고 장기적 협업 과정 중심의 교류를 장려하고자 기획된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국내외 다양한 주체를 연결하여 지속 가능한 문화교류의 기반을 만들고 있습니다.
I am pleased to present One Inspiration: The Very First Ideas from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in Poland in this unprecedented circumstance of the worldwide COVID-19 pandemic. This is an exciting opportunity to see works by eleven leading artists from Korea together in one exhibition. Their contemporary color senses, techniques and media owe their creative inspiration to Korean tradition. I hope viewers can both enjoy and discover more about the colorful characters and charm of Korean culture.
코로나19 확산이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 ‘One Inspiration – 한국 전통문화에서 찾은 최초의 아이디어’ 전시를 폴란드에서 개최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 작가 11명의 작품이 소개됩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여러 작가의 작품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매우 흥미로운 전시가 될 것입니다. 이에 더해 현대적인 색감과 기법, 매체 등으로 표현된 작품들이 한국의 전통 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The Korean Cultural Center Poland aims to further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 and contemporary culture through a range of events, lectures and workshops. I think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that we celebrate the 10th anniversary of the center with this exhibition in which Korean tradition and contemporary culture are harmoniously integrated, and in collaboration with the Royal Lazienki Museum, one of the key museums in Warsaw.
창작되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관람한다면 한국 문화의 다채로운 매력을 한층 더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주 폴란드 한국문화원은 다양한 문화 예술 행사 및 강좌, Presented as part of this project in Warsaw, Poland, <One Inspiration> of SAVINA Museum is a special exhibition displaying creative works by artists representing Korea. The artists found their inspiration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to create these works. The exhibition reminds us of the fact that the mystery of creation is derived from beautiful re-cre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is event is all the more meaningful in that it takes place at the Royal Lazienki Museum, which treasures the tradition of Warsaw. It is my hope that <One Inspiration> will prove to be a touching and comforting experience for citizens of Warsaw despite the global pandemic.
본 사업의 일환으로 폴란드 바르샤바에 소개되는 사바나미술관의 〈One Inspiration – 한국 전통문화에서 찾은 최초의 아이디어〉는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창작한 작품들을 선보이는 전시입니다. 창조의 비밀은 전통과 현대성을 수용하여 아름답게 재창조하는 데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합니다. 바르샤바의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와지엔키 왕궁박물관에서 이 전시를 소개하게 되어 더욱 의미 있게 생각합니다. 전염병이 전 세계를 덮친 이 시대에 본 전시가 바르샤바 시민들께 감동과 위안을 전할 수 있길 바랍니다.
KOFICE will continue its undivided support and devotion in order to ensure more active international exchanges through the arts and culture. Finally, I wish to extend my sincere gratitude and appreciation to Director Ha Yunjin of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Poland, President Lee Myeong Ok of SAVINA Museum and all those who have provided their invaluable support for the success of this meaningful exhibition.
우리 진흥원은 앞으로도 문화예술을 통해 더 능동적인 국제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과 관심을 이어가겠습니다. 주폴란드한국문화원 하윤진 원장님과 사비나미술관 이명옥 관장님을 비롯하여, 뜻 깊은 전시가 열릴 수 있도록 힘써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체험 활동 등을 통해 한국 문화를 현지에 소개하고, 한국의 전통 및 현대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개원 10주년을 맞은 올해, 바르샤바의
In this very difficult time, this exhibition is only possible with the tremendous support of many including the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participating artists and the Royal Lazienki Museum. I would like to thank them all for their contributions.
주요 박물관인 와지엔키 왕궁박물관과 협력을 통해 한국의 전통과 현대 문화가 조화롭게 녹아 든 전시를 선보일 수 있게 되어 더욱 뜻 깊습니다.
여느 때보다 힘든 여건에서 전시회가 개최되기 까지 많은 도움과 관심이 있었습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Ha Yun Jin Director, Korean Cultural Center Poland
사바나미술관, 작가들과 와지엔키 왕궁박물관 등 모든 관계자들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주폴란드한국문화원 원장 하윤진
Kim Yongrak President,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원장 김용락
4
5
인사말
사비나미술관장 이명옥입니다.
I am Lee Myung-ok, the director of th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먼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에서 주최하는 〈One
I am sincerely pleased to hold this exhibition <One Inspiration: The Very First Ideas from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which is sponsored by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t the historic Royal Lazienki Museum in Warsaw and to co-host the exhibition with Korean Cultural Center in Poland.
Inspiration – 한국 전통문화에서 찾은 최초의 아이디어〉전시회를 주 폴란드 한국문화원과 함께 공동 주관으로 바르샤바의 유서 깊은 와지엔키 왕궁박물관에서 개최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It is significant that eleven established artists reveal the creative process - from the finding of their very first ideas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to the production of their artwork which h fuses tradition and modernity. This international art event also includes video materials that allow audiences to appreciate the artworks on display in combination with their sources for inspiration from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이번 전시는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11명의 작가들이 한국 전통문화자원에서 최초의 아이디어를 얻어 전통과 현대성을 융합한 작품이 탄생하게 된 창작과정을 발표하는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영감의 원천인 전통문화자원과 출품 작품을 상호 비교 분석한 영상 자료도 공개되는 뜻 깊은 국제 미술행사입니다.
사바나미술관이 본 전시를 기획하게 된 동기는 문화적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was motivated to put on this exhibition by our intention to provide a successful example of cultural ‘glocalism’. Glocalism is a relatively new term reflecting new concepts, combining globalism and localism. We conceived the exhibition as a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 promotion of Korean culture, globalizing the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 and simultaneously maintaining the identity of Korean art. In other words, this exhibition can be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ansion of culture embracing both the local specialty and global universality of Korean art. Th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aims to build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system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and develop exemplary cases of cultural exchange and collaboration not only with this exhibition but also in the future. Finally,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the participating artists and involved everyone else who made efforts to hold this exhibition successful.
글로컬리즘(glocalism)의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글로컬리즘은 세계통합주의(globalism)와 지역중심주의(localism)가 결합해 탄생한 새로운 개념의 용어입니다. 한국의 전통미를 세계화하는 동시에 한국 미술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한국 문화 글로벌 확산 전략', 즉 한국 미술의 지역적 특수성과 국제적 보편성을 아우르는 문화 확장의 관점에서 기획된 전시입니다. 이번 전시를 포함하여 앞으로도 사바나미술관은 세계 각국 문화예술계와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문화교류의 모범적 협력사례를 함께 발굴해 나가고자 합니다. 끝으로 성공적인 전시회 개최를 위해 작품을 출품해주신 작가들, 노력해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사비나미술관 관장 이명옥
Lee Myung Ok Director,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6
7
선조의 기원 – 전설과 종교 The Origin of Ancestors – Myth and Religion 김승영 김성복 유현미
인간은 존재 자체의 불완전성, 불확실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상(像)을 만들고 주술적인 능력을 기대하며 행복과 평안을 기원해왔다. 기원(祈願)의 행위는 구석기시대 동굴 벽화에서부터 유래를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다양한 기원의 역사를 찾아볼 수 있다. 불교는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에 깊이 자리하고 있으며 수많은 한국 문화유산의 원천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을 모티브로 인간의 감정에 대한 깊은 사유를 담은 김승영의 조각을 만나볼 수 있다. 도깨비는 인간의 기원을 충족시켜주는 신앙의 대상이자 조선시대 서민들의 삶을 어루만져주는 친근한 존재였다. 부(富)를 가져다 주는 행운의 표식인 도깨비방망이는 김성복의 손에서 한국 현대사회의 모습을 투영한 새로운 의미의 작품이 되었다. 불로장생(不老長生)에 대한 염원이 담긴 상징물 ‘십장생(十長生)’은 왕실의 병풍에서부터 서민들의 생활소품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였다. 유현미는 조각, 회화, 사진 등 다양한 매체가 혼합된 작품을 통해 십장생을 현대적인 길상(吉祥)으로 재탄생 시킨다.
Kim, Seung Young Kim, Sung Bok Yoo, Hyun Mi
Humans are not free from their own existential fallibility and uncertainty. Thus, humans have constantly created various imageries, assuming that they could have the magical power to bring happiness and peace to human lives. The act of prayer has a long history as its origin is attested in cave murals as early as Paleolithic times. And so, in Korea, prayers and wishes have long been expressed in a variety of forms. There are ten longevity symbols that are widely used as an expression of the wish for eternal youth. They appear everywhere from screens belonging to the royal family to ordinary items that everyone uses. Buddhism, deeply embedded in Korean sentiments and philosophies, has provided a rich source for Korean cultural heritage. Inspired by Pensive Bodhisattva (National Treasure No. 83), Kim Seung Young created a sculpture which conveys his deep contemplation on human emotions. Goblins, known as ‘dokkaebi’, were worshipped as benign beings in Joseon since it was believed that they could grant wishes and provide comfort. Dokkaebi’s club is regarded as a lucky symbol which brings wealth and, in the hands of Kim Sung Bok, became an art work which consoles those suffering hardships in contemporary life with hope. Yoo Hyun Mi renews these traditional symbols, known as ‘Sipjangsaeng’, as contemporary auspicious symbols, incorporating sculpture, painting and photography.
김승영 Kim, Seung Young
Kim Seung Young uses natural materials such as water, stones and moss, and media including sound, light and machines to make installations. He has constructed a self-reflective and consoling art world. As a creative power, Kim takes emotions which arise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such as pain and sadness, and creates pieces that allow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se feelings. Sadness was inspired by Pensive Bodhisattva (Korean National Treasure No.83), which is an important Buddhist sculpture of East Asia in 6th – 7th century. Kim embodied sadness and distress in a sublime smile of liberation, and changed the pensive pose into a posture of wiping a tear from the eye. Thus, by the artist’s interpretation, the pensive bodhisattva became a human bearing the weight of life. Mind portrays human emotions which are constantly in motion and within. The surface of water in a large cylinder remains still while water in a smaller inner cylinder swirls continuously. It offers the viewer a chance to look towards and reflect on truthful feelings.
김승영은 물, 돌, 이끼 등 자연물과 사운드, 빛, 기계장치 등의 매체를 이용한 설치작업으로 자아성찰과 위안을 주는 작품세계를 구축해온 작가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고통, 슬픔 등의 감정을 작업의 동력으로 삼아 관람객이 직접 경험하고 느낄 수 있게 한다. 작품 〈슬픔〉은 6-7세기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불교 조각품으로 손꼽히는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을 모티브로 했다. 해탈의 미소는 슬픔과 고뇌를 담고, 깊은 사유에 잠긴 자세는 눈물을 닦으려는 듯한 자세로 바꾸면서 삶의 무게가 가득한 한 인간의 형상으로 재해석했다. 〈마음〉은 내면에서 수없이 흔들리고 있는 인간의 감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큰 원통의 물의 표면은 미동 없이 잠잠하지만 가운데 작은 통 속의 물은 쉬지 않고 소용돌이 치고 있다. 관람객들은 본 작품을 통해 내면의 진실된 감정과 마주해보고 성찰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될 것이다.
“ ‘나는 감정의 죄수다. 자신의 이야기를 해야만 하고, 잊어야만 하고, 용서해야만 한다. 그것만이 나를 자유롭게 한다’고 말한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의 말처럼 제 작업은 나와 타자와의 소통의 방식이자 정신적 고통을 덜어주는 수단입니다. 삶을 삶 되게 하는 것,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은 결국 감정입니다.” “I am a prisoner of my emotions. You have to tell your story, and you have to forget your story. You forget and forgive. It liberates you.”1) As Louise Bourgeois said, art is a way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for me and a means of diminishing my psychological pain. What makes a life life and a man human in the end is emotions.” 1) Jerry Gorovoy and Pandora Tabatabai Asbaghi, eds., Louise Bourgeois (Milan: Fondazione Prada, 1997), back cover.
11
슬픔, 브론즈, 88 x 50 x 42 cm, 2016
Sadness, Bronze, 88 x 50 x 42 cm, 2016
마음, 물, 검은색 안료, 스테인리스 스틸, 교반기, 85 x 55 x 55 cm, 2018
Mind, Water, Blacker Pigment, Stainless Steel, Agitator, 85 x 55 x 55 cm, 2018
Detailed cut
한국의 미소, 반가사유상 Korean Smile, Pensive Bodhisattva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은 삼국시대 6-7세기에
Pensive bodhisattva is a type of statue that gained great popularity particularly in 6th – 7th centuri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is a statue of a bodhisattva in pensive pose seated with his right leg resting on his left, and the fingers of his right hand touching his cheek. This kind of statue commonly had some form of crown with jewels, necklaces and bracelets, a garment formed with a waistband, and a lotus leg rest. Pensive Bodhisattva epitomized the ideal of every part of the body in organic harmony and is a precious art piece exemplifying the height of artistic techniques and the aesthetics in ancient Korean sculpture.
걸친 한정된 시기에 성행했다. 좌대에 앉아 왼쪽 다리는 수직으로 내리고 오른쪽 다리를 걸쳐 올린 반가좌(半跏坐)의 자세에 오른쪽 손을 뺨에 댄 채 생각에 잠긴 사유형(思惟形)의 보살상이다. 보관(寶冠)을 쓰고 목걸이나 팔찌를 착용하며 치마는 허리에서 띠를 묶어 고정하고 연화 족좌(足座)를 밟고 있는 것이 공통적인 형식이다. 반가사유상은 신체의 각 부분이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한국 고대 조각의 뛰어난 주조기술과 조형미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Sophisticated casting techniques practic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llowed Pensive Bodhisattva to reproduce a well-proportioned body, lifelike folds in clothing, and a simple yet elegant smile. The slightly upturned toes of the right foot supporting the elbow and the twisting of the arm to touch the cheek with bent fingers demonstrate outstanding expertise in this field. Rounded eyebrows joined to the bridge of the nose and small but slightly raised eyes provide neat and well-defined facial features. The bodhisattva’s smile is completed with moderately raised mouth combined with those calmly closed lips. There is a very similar wooden sculpture from 7th century of the Asuka period, which is a Japanese National Treasure and many exhibitions have been held to compare them. Academic researches and debates continue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Buddhist sculpture from Korea to Ancient Japan and Pensive Bodhisattva i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exploring this issue.
〈반가사유상〉은 삼국시대의 정교한 주조기술을 바탕으로 균형 잡힌 신체, 생동감 있는 옷 주름, 부처의 고졸한 미소를 표현했다. 오른쪽 무릎을 살짝 위로 들어 팔꿈치를 받치고, 팔은 비스듬히 꺾어 구부린 손가락이 뺨에 닿는 구성은 뛰어난 기술을 보여준다. 콧대로 이어지는 부드러운 눈썹과 작지만 살짝 올라간 눈이 시원하고 또렷한 인상을 준다. 입 꼬리가 살짝 올라가면서도 단정하게 다물어져 부처의 신비로운 미소가 완성되었다. 아스카시대 7세기 일본 국보인 목조 반가사유상과 형상이 유사해 비교하는 전시가 종종 기획되며, 한국 불상의 고대 일본 전래와 관련하여 많은 학술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반가사유상〉, 국보 83호, 삼국 7세기 전반, 금동, 높이 93.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Pensive Bodhisattva〉, National Treasure No. 83, Three Kingdoms Period; early 7th century Gilt-bronze, 93.5 cm (height), National Museum of Korea
16
17
김성복 Kim, Sung Bok
Kim Sung Bok presents humorous sculptures inspired by legendary creatures in Korean mythology such as dokkaebi, haetae, and dragons. In Korean folk beliefs, dokkaebi is a familiar being who offers help with material needs and grants wishes to people, and dokkaebi’s club brings wealth. Dreams of Dokkaebi, a wood sculpture, began with stories from the dreams of people at various ages ranging from a five-year-old child to an eighty-year-old man. Dream Spoon merges a club with a spoon and is based on the artist’s observation on current social issues in Korea around particular terms such as ‘soilspoon’ and ‘gold spoon’. Kim conceived this piece to
김성복은 한국의 전설이나 신화 속에 존재하는 도깨비, 해태, 용 등에서 영감을 받아 해학적인 조각을 선보인다. 한국의 민속신앙에서 도깨비는 물질적인 필요나 기원을 충족시켜주는 친근한 존재이며, 도깨비 방망이는 부(富)를 가져다 주는 행운의 표식이다. 작품 〈도깨비의 꿈〉은 5세 아이부터 80세 노인에 이르는 다양한 사람들의 ‘꿈’을 듣고 영감을 받아 제작한 나무조각이다. 도깨비 방망이와 숟가락이 결합된 〈꿈수저〉는 한국의 사회적 이슈인 ‘금수저’, ‘흙수저’ 키워드에서 착안했다. 손잡이를 눌러 흔들리게 해도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서는
encourage young people struggling to get closer to their dreams. Like a roly-poly toy, the piece is tilted every time someone pushes its handle but rights itself. Myth represents a sacred imaginary animal, known as haetae, with a tail shaped like a dokkaebi club. Haetae is a guardian capable of judging good and evil and Kim increases the vividness by painting colorful traditional patterns, known as ‘dancheong’, onto the face of his haetae.
작품을 통해 꿈을 실현하기 힘든 젊은 세대들에게 용기를 주고자 한다. 〈신화〉는 도깨비 방망이 꼬리와 수호의 동물인 해태 얼굴에 화려한 색감의 전통 단청문양이 더해진 생동감 넘치는 작품이다.
“한국의 도깨비는 해학적입니다. 남을 괴롭히기보다는 같이 노는 친근한 이미지죠. 도깨비 방망이는 부를 상징합니다. 돼지는 동양적으로 부를 상징하고 이를 쌓은 형상이 부의 축적을 의미하는 것처럼 일상의 희망적인 내용을 조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Korean goblins, known as dokkaebi, are witty. They appear to be friendly enough to play with people rather than distressing them. The dokkaebi’s club signifies wealth. The pig also stands for wealth in the East, so a herd of pigs suggests the growth of wealth. I am interested in expressing hopes in our everyday lives through sculpture.”
19
도깨비의 꿈, 나무에 채색, 26 x 220 cm, 2018 Dokkaebi’s Dream, Painted on Wood, 26 x 220 cm, 2018
신화, 나무에 채색, 60 x 50 x 30 cm, 2018 Myth, Painted on Wood, 60 x 50 x 30 cm, 2018 꿈수저, 스테인리스 스틸, 70 x 45 x 187 cm, 2018
신화, 나무에 채색, 57 x 50 x 25 cm, 2018
Dream Spoon, Stainless Steel, 70 x 45 x 187 cm, 2018
Myth, Painted on Wood, 57 x 50 x 25 cm, 2018
가깝고도 먼 존재, 도깨비 Dokkaebi, A Close and Distant Creature
Dokkaebi is a mystical creature familiar to Koreans. There are many tales of dokkaebi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but it is difficult to define formalized aspects of them. ‘Dotgabi’ – an old version of the word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Seokbosangjeol1), a book published in the period of Sejong the Great, the fourth king of Joseon. ‘Dot’ denotes fire or grain which represent fruitfulness, ‘abi’ means an adult man.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words signifies a man who brings abundance. The ancients believed that dokkaebi had sacred power, and dokkaebi rites praying for a good harvest and a big catch are still held in some regions of Korea. Images of dokkaebi were often used on roof tiles and door handles as it was thought they could prevent disaster and disease.
도깨비는 한국인에게 친근하면서도 신비로운 존재다. 도깨비 이야기는 구전으로 전해져, 정형화된 모습을 규정짓기가 어렵다. 조선 4대왕 세종대왕 때의 간행물 『석보상절(釋譜詳節)』에 처음으로 도깨비의 옛말인 ‘돗가비’가 등장한다. ‘돗’은 생산력을 상징하는 불이나 곡식의 씨앗을 뜻하고, ‘아비’는 남자를 뜻한다. 즉 풍요를 가져다 주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있다. 고대인들은 도깨비를 신성한 능력을 지닌 존재로 여겼고, 지금까지도 한국의 지방에서는 풍년이나 풍어를 기원하는 도깨비 제사가 이어지고 있다. 도깨비 문양은 기와나 문고리 등에 많이 사용되어 재앙과 질병 등을 막아내는 기능을 하기도 했다.
조선시대에는 도깨비의 구체적인 모습들이 만들어졌다.
Further detailed features of dokkaebi were developed in the Joseon period. The goblins were reborn as a character who likes millet tteok2), buckwheat jelly, and alcoholic drinks, and sometimes plays tricks and at other times brings good fortune. After dark, they look like a human but during the day they transform themselves into ordinary objects such as a cooking pot or a pestle and mortar. Dokkaebi consoled commoners who had hard lives by criticizing aristocrats. The only pictorial image of dokkaebi is found in a painting from the Filial Piety of a Devoted Son from the Chae Family series by Heo Ryun, a painter from Joseon. This painting illustrates an episode involving a man named Chae Hongnyeom: One day Chae got caught in a rainstorm on a mountain. He cried out, and then dokkaebi fire appeared and guided him in the right direction. In this painting, dokkaebi fire is depicted as a goblin resembling a short man who carries a burning torch.
수수떡, 메밀묵, 술을 좋아하며 장난꾼이자 재물을 안겨주는 존재로 재탄생 했다. 해질녘에는 사람의 모습이다가 낮에는 솥, 절구 등 물건으로 변신하고, 양반사회를 풍자하여 서민들의 힘든 삶을 어루만져주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유일한 그림 형상은 조선시대 화가인 허련의 〈채씨효행도〉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채홍념이 산길에서 비바람을 맞아 통곡하니 도깨비불이 나타나 길을 이끌어주었다는 내용으로 작은 사람 모양의 도깨비가 횃불을 든 모습이다.
〈도깨비무늬기와〉, 통일신라, 흙, 27.7 x 23.3 x 4.6 cm,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Roof Tile with Dokkaebi Design〉, Unified Silla period, Clay 27.7 x 23.3 x 4.6 cm, Gyeongju National Museum
1) [translator’s note] A life story of Buddha 2) [translator’s note] Tteok is Korean rice cake, made by steaming powdered rice. Steamed rice powder can also be pounded or shaped.
허련, 〈채씨효행도〉, 1869, 견본담채, 23 x 31.7 cm, 개인소장, 한국데이터진흥원 제공 Heo Ryun, 〈Filial Piety of a Devoted Son from the Chae Family〉, 1869, Light Color on Silk 23 x 31.7 cm, Private Collection, Courtesy of Korea Data Agency
24
25
유현미 Yoo, Hyun Mi
Yoo Hyun Mi has presented original works, combining different media: sculpture dealing with actual objects; painting allowing surrealistic expression; and photography and moving images suited to representation. She creates a backdrop space wherein her sculpted objects are installed. Painterly materiality is emphasized, the constructed space becomes surrealistic in the course of being photographed and filmed. Crossing the borders between photography and painting, the two dimensional and the three-dimensional, her work engenders chaos. In this exhibition, Yoo presents a series of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which expresses wishes for health and longevity, based on Korea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raditions such as nature worship, belief in godlike hermits, known as ‘sinseon’, and Taoism. The set of ten longevity symbol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lucky symbols in Korea which illustrates the desire for eternal youth. In Yoo’s work entitled Good Luck -
유현미는 실존하는 사물을 다루는 조각, 초현실적 표현이 가능한 회화, 재현에 탁월한 사진과 영상 등 여러 장르가 혼합된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여왔다. 작가는 배경이 되는 공간을 만들고, 조각한 오브제들을 설치한다. 채색으로 회화적 질감을 살리고, 사진을 찍거나 영상 촬영을 하는 과정을 거쳐 초현실적인 공간을 만들어낸다. 작품은 사진과 그림,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혼돈을 불러 일으킨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의 자연물 숭배사상과 신선사상, 도교를 근원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기원하는 〈십장생(十長生)〉 연작이 소개된다. 한국의 역사 속에서 불로장생에 대한 꿈과 희망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길상(吉祥)이 바로 십장생이다. 〈십장생 No.1〉에서는 수천 년을 사는 영물로 불린 사슴이 초록색 사다리 위 사슴 뿔로 표현되었고, 해와 달은 바닥에 흩어진 공으로 단순화 되었다. 구름과 물은 몽환적인 색감의 배경으로 처리되어 십장생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No. 1, deer antlers on top of a green ladder suggest a deer as an auspicious animal living for thousands of years, and balls scattered over the floor simply represents the sun and stars. Clouds and water, embodied as part of the background in a hazy, dreamlike color tone, call attention to the artist’s contemporary translation of the ten longevity symbols. In Good Luck -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and Books No. 1, the iconography of ten longevity symbols are represented as contemporary objects in an unusual composition: clouds as illustrated clouds in a calendar, water as water in a bottle, a crane as a paper crane, and a peach as a peach floating in the air. These motifs, being so deeply rooted in Korean heritage, sentiment and philosophy, will certainly stimulate audiences’ curiosity and imagination.
도상들의 현대적 해석이 돋보인다. 〈책가도 No.1〉에서도 구름은 달력 그림으로, 물은 생수 병으로, 학은 종이 학으로 표현되었고, 복숭아는 공중에 떠있어 십장생의 도상이 현대적인 오브제로 재 상징화 되는 독특한 구성을 연출했다. 한국인의 정서와 사상에 깊이 자리한
“컴퓨터 그래픽을 통한 이미지 변형 없이, 미술의 지극히
전통유산인 십장생 모티브는 관람객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할 것이다.
아날로그적이며 전통적인 방식을 이용해 완성된 저의 작품에는 건축·조각·회화·사진·영상 등 여러 매체와 관련된 행위와 과정이 누적되어 있습니다. 작업은 꿈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사진으로 완성되며, 조각과 회화, 사진의 프로세스를 모두 거치며 장르를 넘나드는 환영을 보여줍니다.” “I use only analogue and traditional ways to complete a work of art, without manipulation involving computer graphics. The work contains all processes and activities relating to various media such as architecture, sculpture, painting, photography and moving images. After going through phases of sculpting, painting, and photographing, the final results emerge in the form of photography. I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dream and reality and creates an illusion crossing different genres.”
27
십장생 No.1 (사슴, 물, 구름, 해, 달), C-print, 148 x 175 cm, 2011
십장생 책가도 No.1 (거북이, 불로초, 물, 산, 구름, 학, 해, 달, 사슴), C-print, 110 x 98 cm, 2011
Good Luck -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No.1, C-print, 148 x 175 cm, 2011
Good Luck -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and Books No.1, C-print, 110 x 98 cm, 2011
거북이, 비디오, 1분 29초, 2011 Turtle, Video, 1min 29sec, 2011
십장생, 불로장생을 꿈꾸다 Sipjangsaeng, The Dream of Eternal Youth
십장생(十長生)은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열
Sipjangsaeng refers to a set of ten animals and objects which signify a long life. The sun, moon or clouds, mountains, water, rocks, cranes, deer, turtles, pine tree, and mushroom-of-immortality are mostly regarded as ten symbols of longevity but sometimes bamboo and peach are included. In eastern philosophies, the number ten signifies perfection and eternity as it completes other numerals. It is not difficult to assume that iconography of ten longevity symbols has a long history: a poem about sipjangsaeng is included in an anthology entitled Mogeunjip by Lee Saek, an academic and official in the late Goryeo period; images regarding sipjangsaeng are found in a tomb mural from Goguryeo1). Paintings of sipjangsaeng have intense colors to portray theatrically the world of sinseon (godlike hermits). Auspicious animals like deer, turtles, and cranes roam free, peaches and mushrooms-of-immortality grow with the sun, moon, clouds, mountains and rocks in the background. In the court of Joseon, these ten longevity symbols were often painted, praying for health and longevity for the nation and the king, and also given by the king to courtiers as a new year’s gift. Later this iconography was introduced to commoners and widely used in woodcraft, needlework, architecture and more. This is still present as original Korean cultural heritage.
가지 사물을 뜻한다. 해, 달 또는 구름, 산, 물, 바위, 학, 사슴, 거북, 소나무, 불로초를 꼽지만 대나무와 복숭아가 포함되기도 한다. 동양사상에서 십(十)은 모든 수를 갖추는 숫자이므로 완전함, 영원성도 나타낸다. 고려 후기 문신인 이색(李穡)은 『목은집(牧隱集)』에 장생을 기원하는 ‘십장생시(十長生詩)’를 남겼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십장생 도상들이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오랜 역사를 가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십장생도(十長生圖)는 화려한 색채를 사용하여 신선들의 세계를 보다 극적으로 형상화했다. 해, 달, 구름, 산, 바위 등을 배경으로 하고 사슴, 거북, 학 등 상서로운 동물들이 뛰놀거나 복숭아, 불로초 등이 표현되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나라와 임금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며 십장생도를 그렸으며, 새해를 맞이하여 왕이 중신들에게 선물하기도 했다. 십장생도는 점차 민간에도 전해져 목공예품, 자수품, 건축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한국의 고유한 문화유산으로 이어져 왔다.
〈십장생도병풍(十長生圖屛風)〉, 19세기 - 20세기 초반, 비단에 채색 병풍 185.7 x 339.2 cm, 그림 132.8 x 329.4 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Folding Screen with Paintings of Ten Longevity Symbols〉, 19th – early 20th century, Korea, Colors on Silk, Fold Screen 185.7 x 339.2 cm (screen), 132.8 x 329.4 cm (painting),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1) [translator’s note] One of three ancient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32
십장생의 상징적 의미
Symbolism of Sipjangsaeng
해: 만물의 근원, 항상성
Sun: the origin of all things, constancy
달: 순환의 원리, 항상성
Moon: the principle of cycle, constancy
구름: 이상향, 초월의 경지
Clouds: utopia, the state of transcendence
산: 이상향, 절개와 지조, 항상성
Mountains: utopia, constancy
물: 영원한 생명력, 풍요로운 생산성
Water: life, fruitfulness, abundance
돌: 불변성, 항상성
Rocks: permanence, constancy
거북: 만년을 사는 신령한 동물
Turtles: auspicious animals living as long as ten thousand years
학: 신선이 타고 다니는 상서로운 동물
Cranes: auspicious animals as a means of transport for sinseon
사슴: 신선의 벗인 상서로운 동물
Deer: auspicious animals as a friend of sinseon
소나무, 대나무: 영생과 불변, 절개와 지조
Pine trees and bamboo: immortality, constancy
복숭아: 신선계(神仙界)의 열매
Peach: fruits in the world of sinseon
불로초: 신선계(神仙界)의 풀
Mushroom-of-immortality: growth in the world of sinseon
33
선조의 생활 – 삶의 정취 Life of Ancestors – Flavor of Life 김범수 김창겸 이길래 이이남 남경민 성동훈 한국전통의 조각보는 서민들이 자투리 천을 모아 사용했던 생활용품으로써, 점차 배색과 패턴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키며 독창적인 자신만의 조각보를 만드는 한 시대의 문화로 발전했다. 김범수는 버려지는 영화 필름을 색깔 별로 구분해 재배열함으로써 전통 조각보의 패턴을 연상시킨다. 김창겸은 폴리우레탄이나 석고로 만든 도자기 위에 한국의 사계절 풍경과 전통문양을 담은 영상을 투사하여 이미지와 실재, 재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한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인격완성을 위해 학문을 탐구하고 서화를 즐겼다. 이러한 삶의 정취는 선비들의 방인 문방(文房)에 잘 드러난다.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대가로 손꼽히는 정선과 신윤복의 화방 속 그들의 대표 작품, 문방제구(文房諸具) 등과 더불어 남경민 작가 본인을 은유하는 상징물들이 혼재하는 초현실적인 공간을 만나볼 수 있다. 사계절 내내 푸르른 소나무는 곧은 절개, 장수를 상징하며 한국의 나무로 불릴 만큼 한국인의 삶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역사 속 다양한 예술작품에 영감을 주기도 한 소나무는 이길래의 회화적 조각으로 재탄생 했다. 작가는 전통적인 패턴을 모티프로 동시대 사람들의 이야기를 마주하게 한다. 이이남은 동서양의 고전 명화들을 자신만의 고유한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하여 한국 전통의 아름다움을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한다. 이번 전시에서 이이남은 안견의 <몽유도원도>, 김홍도의 <묵죽도>, 정선의 <금강전도>를 재해석한 미디어 작품을 선보이며 한국 산수의 회화적 아름다움을 영상과 빛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성동훈은 한국의 불교적 표현양식과 자신의 경험, 동물형상을 결합하는 실험을 선보인다. 실험의 결과물은 전통과 현대, 강함과 부드러움이 혼재된 현시대를 나타내는 새로운 창조물이다. 작가는 불협화음 같은 상이한 재료로 화음을 일궈 현실 속 일그러진 초상을 폭로하고 무분별하게 공존하는 삶을 역설적으로 표현한다.
Kim, Bum Su Kim, Chang Kyum Lee, Gil Rae Lee, Lee Nam Nam, Kyung Min Sung, Dong Hun
Traditional Korean patchwork called ‘jogakbo’ was an everyday item made by commoners with leftover fabrics and as the skills of arranging colors and designs evolved, jogakbo became a dominant culture: people made their own individual. Kim Bum Su rearranges and assembles discarded film strips by colors, evoking the process of making jogakbo. Using the traditional motif, the artist tells a story of his contemporaries. Kim Chang Kyum projects moving images of landscapes of the four seasons in Korea onto a On Ceramics with traditional patterns l and allows the viewer to ponder about image, the real, and representation. Scholars of Joseon, known as ‘seonbi’, pursued learning and enjoyed painting and calligraphy as a means to cultivate the self and virtue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This lifestyle is well reflected in scholars’ studies, called ‘munbang’. Nam, Kyung Min presents works that depict the ateliers of Jeong Seon and Sin Yun-bok who are recognized as Joseon’s masters of art. In her work, their ateliers become surrealistic spaces where the two artists’ representative works and stationery as well as Nam’s own metaphoric and symbolic objects coexist. Evergreen pine trees which symbolize constancy and longevity are deeply connected to Koreans’ lives - so much so that they are called the tree of Korea. These pine trees which have been an inspiration for many art works in history are reborn as painterly sculpture by Lee Gil Rae. Lee Leenam reinterprets Eastern and Western classical paintings with his own media art, thus expressing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in a new way with digital technology. In this exhibition, he presents media art works reinterpreting Mongyudowondo by An Gyeon, Mukjukdo by Gim Hongdo and Geumgangjeondo by Jeong Seon in an attempt to embody the painterly beauty of Korea’s natural landscapes through moving images and light. Sung Dong Hun brings together Buddhist expression, his personal experience and imageries of animal to represent the current world where traditional and modern, hard and soft are mingled. Harmony made out of disparate materials ironically portrays the distortions and turbulence of our times
김범수 Kim, Bum Su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 narrative structure of a film as well as multiple colors which change depending on the lighting, Kim Bum Su creates lattice structures in different sizes and organic designs using superimposed geometric motifs. Inspired by traditional Korean patchwork ‘jogakbo’ and coloring, known as ‘dancheong’, found in old
김범수는 영화 필름의 고유한 서사적 구조와 빛에 따라 변화되는 화려한 색감을 사용하여, 크고 작은 격자구조와 중첩된 기하하적 문양의 유기적 패턴을 선보인다. 한국의 전통 조각보, 고궁의 단청에서 영감을 얻은 작가는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자신만의 고유한 대칭적 패턴과 격자문양으로 확장시켰다. 아크릴 판으로
palaces, Kim developed his own symmetric designs and lattice structures by adding his contemporary touches. One work, completed by attaching each film fragment to an acrylic structure and furnishing lights in it, pushes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만든 구조물 위에 필름 조각들을 하나씩 붙이고, 조명을 장착한 작품제작으로 평면과 입체,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든다. 8mm, 16mm 등의 다양한 크기와 내용의 버려진 필름을 사용하면서 우리에게 기억된 영화
dimensional and the three dimensional, and painting and sculpture.
속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패턴화 한다. 〈숨겨진 감성〉 연작은 물질과 빛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료의 실험과
Making use of discarded films in various sizes such as 8mm and 16mm, Kim concocts visual patterns of film stories in our memory. The Hidden Emotions series experiments with materials using interactions between matter and light. Previously viewed or discarded documentary, theatrical, and cinematic films are organically reformed by the hand of the artist, and render history, culture, and love as a new assemblage. Fantastic light effects allow the viewer to encounter our colorful lives through work exploring an endless extension of stories, sacred energy, and the completion of a narrative.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미 상영되었거나 용도 폐기된 다큐멘터리, 공연, 영화필름은 작가의 손에 의해 재조립 되어 유기적으로 변화된 형태를 보여줌과 동시에 새롭게 조합된 역사와 문화, 사랑을 보여준다. 관람객들은 환상적인 빛의 효과를 이용하여 무한히 확장되는 이야기, 신성한 에너지, 서사의 완성을 표현한 김범수의 작품을 통해 우리들의 다채로운 삶을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에서 감독이 갖던 상상력, 어렸을 때의 상상력, 이런 것들이 자연스럽게 필름으로 재편집을 된다는 생각으로 모으고 또 모아서 한 작품을 만듭니다. 문양이나 전체적인 것이 주인공의 이야기, 하나의 영화, 인생의 주제가 모두 될 수 있도록 이야기를 모아서 편집을 한다는 생각으로 작업을 했습니다.” “What a filmmaker could have imaged for his film, and what I imagined in my childhood, all these can be woven into a new film. Also any designs and an entire outlook could be an inspiration for a story, a film, a theme to discuss life. With this thought, I collect things and make a work from them as if I am an editor.”
37
Detailed cut
숨겨진 감성, 영화필름, 아크릴박스, LED, 45 x 90 x 10 cm, 2018
숨겨진 감성, 영화필름, 아크릴박스, LED, 각 45 x 45 x 10 cm (3ea), 2019
Hidden Emotion, Movie Film, Acrylic Box, LED, 45 x 90 x 10 cm, 2018
Hidden Emotion, Movie Film, Acrylic Box, LED, 각 45 x 45 x 10 cm (3ea), 2019
한국의 색, 오방색 Five Traditional Korean Colors
한국의 지붕, 한국의 기둥 The Roof of Korea, The Pillar of Korea
There are five traditional Korean colors called ‘Obangsaek’. They are based on the concepts of and belief in Yin and Yang as well as the Five Elements: Yin and Yang became earth and sky, then five elements – fire, water, wood, metal, earth – are generated. This idea relates five colors to five directions and gave meanings to them. Yang colors –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 are associated with the four cardinal directions plus the center and they are fundamental colors. In between those five fundamental colors are Yin colors – green, dark blue, bright red, sulphur yellow, and purple. Red corresponds to fire and the south, where all life grows. It signifies the sun, fire, blood, passion, enthusiasm. Black corresponds to water and the north, and signifies human wisdom. Blue is associated with wood, the east, and represents creation and life. This color was believed to have power to exorcise evil spirits and was used when wishing for luck. White stands for metal, the west, truth, life, and purity. This is one reason why Korean people often wore white clothes. Yellow corresponds to earth and signifies the center of the universe. As a noble color, yellow fabric was only granted to the king.
한국의 전통 색을 오방색(五方色)이라 한다. 음과 양의 기운이 하늘과 땅이 되고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의 오행을 생성하였다는 음양오행사상을 기초로 하며 5가지 색과 방위를 연결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사용했다.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 5가지 색은 동서남북과 중앙의 다섯 방위와 연결되며 이는 양색(陽色)으로써 기본색(正色)으로 불린다. 반면 다섯 방위 사이에 놓이는 사이색(間色)은 녹색, 벽색(짙은 푸른색), 홍색, 유황색, 자색으로 음색(陰色)이라 칭했다. 적(赤)은 오행 가운데 화(火)에 상응하며 만물이 무성한 남쪽과 연결된다. 태양, 불, 피 등 정열, 적극성을 뜻한다. 흑(黑)은 오행 가운데 수(水)에 상응하며 북쪽과 연결되어 인간의 지혜를 의미한다. 청(靑)은 목(木)으로써 동쪽에 해당하고 창조, 생명을 상징한다. 귀신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색으로 사용되었다. 백(白)은 금(金)으로 서쪽에 해당하고 진실, 삶, 순결 등을 뜻하며 우리민족이 흰 옷을 즐겨 입는 원인이기도 하다. 황(黃)은 토(土)로 우주의 중심이자 가장 고귀한 색으로 인식되어 임금만이 황색 옷을 입을 수가 있었다.
‘Dancheong’ refers to the use of traditional coloring with ‘obangsaek’ in various designs on wooden structures. The main purpose of ‘dancheong’ is
단청은 오방색을 기본으로 하여 목조 건축물에 여러 가지 무늬와 그림을 그려 놓은 것을 말한다. 건물에 단청을 올리는 가장 큰 이유는 장엄하고 아름답게 장식하여
to enhance the grandeur and sacred mood of the architecture, and secondarily to protect the wood and cover any defects. This traditional coloring, used on murals in tomb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gained its popularity in Korea, China and Japan in conjunction with the acceptance of Buddhism. However, only in Korea is this tradition still practiced. Styles and designs of ‘dancheong’ vary, for example there are ‘gachil-dancehong,’ ‘geutgi-dancheong,’ ‘moru-dancehong,’ and ‘geum-dancheong’1) which
신성한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함이며, 둘째로 목재의 보존과 단점을 보완하게 위함이다. 단청은 삼국시대 고분에서부터 발견되며 이후 불교의 수용과 함께 한국·중국·일본에서 유행했으나, 오늘날까지 단청문화의 전통이 계승되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다. 종류는 가칠, 긋기, 모로, 금단청으로 나뉘며 금단청이 가장 화려하다. 우리나라 단청은 색이 맑고 밝은 특징이 있으며 강한 원색으로 되어 있다. 노송과 같은 붉은색으로 기둥을
is the most splendid. Clear and bright colors are characteristic of Korean ‘dancheong’. It accomplishes dramatic harmony with surrounding nature by assigning red which resembles the color of old pine wood to columns and using green on eaves which recalls pine leaves. This reflects naturalism and the cheery disposition of Koreans who have lived in harmony with nature as a central value of life.
칠하고, 소나무 잎을 연상시키는 녹색으로 처마를 칠하는 등 주변 자연과 극적인 조화를 이룬다. 이는 자연과의 조화를 삶의 근본으로 삼고 살아온 우리 민족의 맑고 밝은 성정(性情)과 자연주의가 투영된 결과이다.
1) [translator’s note] Gachil-dancehong – Coloring with a single color without any patterns or designs. Geutgi-dancheong – Drawing one or two lines after executing ‘gachil-dancheong’. Moru-dancehong – Painting patterns in colors only on edges of the members of the architecture. Geum-dancheong’ – Adding geometric patterns and/or particular designs to ‘moru-dancehong’.
ⓒ Young Hyundai 이윤정
ⓒ KBS 한국방송 [한국의 유산 162회 ‘오방색’] 방송자료
ⓒ Young Hyundai Lee Yoon jung
ⓒ KBS(Korean Broadcast) [Heritage of Korea E.162 'Obangsaek’] Broadcasting Data
40
창덕궁 존덕정 모로단청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 창덕궁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창덕궁
Changdeokgung(Palace) Jondeokjeong Pavilion ⓒChangdeokgung Palace Management Office
Uljin Bulyoungsa(Temple)
Changdeokgung(Palace) Lotus Dancheong (Man of Virtue in Confucianism) ⓒChangdeokgung Palace Management Office
Daeungbojeon Hall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41
창덕궁 연화단청(유교에 따라 군자를 의미)
만인의 작품, 조각보 Work of Everyone, Korean Patchwork
The early use of wrapping cloth is not clearly documented but presumably it began to be used for keeping things safe and for easy transportation. Korean wrapping cloth is called ‘bojagi’ and corresponds to the Chinese letter ‘ ’(bog). Back then, this Chinese letter was often associated with its homonym ‘福’(bog) meaning good fortune. Such a secular belief that ‘bojagi’ can maintain good fortune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this type of cloth. ‘Bojagi’ were widely used by all classes of Korean society. Commoners could not have exquisitecolored cloth according to the social norms of that time. They only got scraps of leftover fabrics from aristocrats and made a larger wrapping cloth by sewing them together. We still see many patchwork fabrics, known as ‘jogakbo’, kept in good condition as many were made especially for ‘hope chests’ and often handed down in families. It began with the purpose of recycling and became a culture, enriching the senses of color arrangement and designs. Natural dyes from plants such as Cape jasmine, indigo, and safflower fostered the development of ‘jogakbo’. Commoners could make their own ‘jogakbo’ by dyeing with accessible materials such as persimmons, soil, and ink. A unique Korean tradition, ‘jogakbo’ with typically bright multiple colors still continues today.
보자기의 초기 사용 시기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물건의 안전한 보관과 간편한 이동을 위해 생긴 것으로 추측된다. 보자기의 한자어 ‘복( )’은 ‘복(福)’과 뜻이 통하는 것으로 믿어졌으며, 보자기에 싸두면 복이 간직된다는 속신이 발달을 활성화시켰다. 모든 계층이 폭 넓은 용도로 보자기를 사용했는데,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는 사회 규율에 따라 평민들은 색(色)이 있는 귀한 천을 지닐 수 없었기 때문에 평민들은 양반들이 짓고 난 여러 가지 색의 자투리 천을 이용해 자신들만의 조각보를 만들게 된다. 특히 혼수품으로 제작된 조각보들은 후손들에게 대물림 되어, 잘 보존된 상태로 현재에도 만날 수 있다. 일종의 재활용으로 시작된 조각보는 배색과 패턴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키며 하나의 문화로 형성되고, 쪽, 치자, 홍화 등 자연 염료로 색색으로 염색하며 더욱 발전했다. 서민들도 감물과 황토, 먹물처럼 쉽게 구할 수 있는 염료로 조각보를 완성하여 우리 민족 특유의 밝고 환한 색색의 조각보를 이어오게 된다.
작자미상, 47 x 47 cm,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작자미상, 76 x 76.5 cm
Unknown Artist, 47 x 47 cm Collection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오죽헌시립박물관 소장 Unknown Artist, 76 x 76.5 cm Collection of Ojukheon & Municipal Museum
42
43
김창겸 Kim, Chang Kyum
Kim Chang Kyum poses endless questions about illusion, image, the real, and representation. He uses video installation and composite photography to show artificial realities. By layering virtual images onto virtual objects such as a polyurethane mirror and a plaster dish, he breaks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and the fictional and challenges our perception and prejudice regarding image. In Water Shadow & Flower 3, images of natural landscapes are displayed on a round white plate as if they are a reflection on the surface of water, and Korean traditional motifs emerge. Swallows fly over lotus flowers in a Korean folk painting and a woman appears and looks towards the viewer. Butterflies fly up freely from a painting and at the end, the artist’s signature comes into sight revealing that everything else was virtual.
작가는 폴리우레탄이나 석고로 만든 거울, 접시 같은 가짜 오브제 위에 가상의 영상을 투사하여, 실제와 허구의 경계를 허물고 이미지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흔들어 놓는다. <Water shadow & Flower3>은 원형의 흰색 접시 위에 영상으로 물이 비춰지고 한국의 자연풍경과 전통 문양이 투사된다. 영상엔 전통 민화에 자주 등장하는 연꽃 위에 제비가 날아가고, 한 여인이 등장하여 관람객과 마주한다. 마지막 장면에는 작가의 낙관이 등장하고 하얀색의 접시 오브제만 보여지면서 모든 것이 가상의 상황이었음을 일깨워 준다.
“물 안을 들여다보면 낯선 사람이 지나가거나 관람객과 마주 본다. 간혹 그림자가 등장하여 상황을 바꾸기도 한다. 그림자라는 것은 일상에서 홀로 존재할 수 없다. 그러나 작품에 나오는 사람들의 그림자는 진짜 같으나 그 주인을 알 수 없다. 진짜인 듯 보이면서 작품 스스로 가짜임을 드러내기도 한다.” “I look into the water and see strangers passing by or the face of a member of the audience. Sometimes a shadow appears and changes the scene. A shadow cannot be cast alone in reality. The shadows of people in my work look real, but we don’t know who they belong to. They appear to be real but simultaneously the work itself reveals they are fabrications.”
45
도자기의 역사, 비디오 설치, 3분20초, 2020 History of Ceramics, Video installation, 3 min 20 sec., 2020
Water Shadow & Flowers 3, 비디오 설치, 4분 30초, 135 x 240 x 23 cm, 2018 Water Shadow & Flowers 3, Video Installation, 4min 30sec, 135 x 240 x 23 cm, 2018
도자기, 전통 문양을 담다 Porcelain Embracing Traditional Motifs
민화, 행복을 기원하다 Folk Painting Wishing for Happiness
Traditional Korean designs employed symbols carrying wishes for a utopian life: designs incorporating pomegranates and grapes symbolize the wish for a son and peonies were an expression of wishing for wealth. During the Joseon dynasty, designs with letters – letters written in a square or a circle – or those with the ten longevity symbols were preferred. Buncheong ware has a more experimental and practical form than celadon or white porcelain and a variety of decorative modes such as stamping and inlaying were applied. Different designs and motifs were used according to each decorative mode. Blue-and-white porcelain, which is a type of white porcelain decorated with cobalt blue, was first produced around the 15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Since a limited amount of cobalt ore was imported, only the rich enjoyed them. Naturally, landscape, portrait, and the so-called Four Gentlemen1) were often painted on the porcelain. However, the range of designs was expanded to include expressions of wishes for longevity and good fortune, and this suggests white-and-blue porcelain was also enjoyed by other classes in later times.
아들의 탄생을 소망하는 석류와 포도, 부귀(富貴)에 대한 소망이 담긴 모란 문양처럼 한국의 전통 문양은 상징적 기호로 이상적인 삶에 대한 기원을 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글자를 사각형이나 원형 안에 써넣은 문자문양, 불로장생을 기원하는 십장생문양 등이 선호되었다. 분청사기는 청자나 백자 보다 자유분방하고 실용적인 형태로 인화문기법(印花文技法), 상감문기법(象嵌文技法) 등 여러 가지 기법이 있으며 각 기법에 어울리는 문양을 넣었다. 백자에 푸른색 안료로 문양을 그리는 조선시대 청화백자(靑 白瓷)는 15세기경 처음 제작되었다. 코발트 안료는 소량만 수입되었기 때문에 부유층만 제한적으로 향유했다. 산수, 인물, 사군자 등이 그려졌으나, 나중에는 장수와 복을 기원하는 문양이 널리 확대되어 여러 계층에서 향유되었음을 보여준다.
With images believed to bring health and happiness, Joseon’s folk painting decorated the commoner’s everyday space. Employing the themes and forms of Court painting or ‘Muninhwa’ (paintings by scholars and writers), folk painting reflected commoners’ tastes and sentiments and created a distinctive style with its unique aesthetic world and satiric overtones. Depending on their use and place to be decorated, folk paintings are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hwahwedo’ portraying flowers, ‘hwajodo’
조선시대 민화(民畵)는 일반 백성들이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고자 일상생활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그린 그림이다. 궁중회화ㆍ문인화의 주제와 기법을 활용하지만, 서민들의 취향과 정서를 반영하고 독특한 조형세계와 해학적인 해석을 통해 개성적인 예술을 창조했다. 용도와 장식장소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는데 꽃을 그린 화훼도, 꽃과 새를 그린 화조도, 꽃과 나비, 벌 등을 그린 초충도, 새 와 동물을 그린 영모도 등이
in which flowers and birds are depicted together, ‘chochungdo’ with flowers, butterflies and bees and ‘youngmodo’ with birds and other animals. Many of
있다. 이러한 소재들은 단독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많았으며 특히 모란꽃은 부귀를 상징하여 혼례식 에 많이
the folk paintings have only one of these elements. In particular, peonies symbolized wealth so they were often used for wedd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more commoners came to have economic power, thus leading to more activ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verse folk paintings satisfying their aesthetic tastes.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에 접어들면서 경제적 능력을 가진 서민층이 늘어나면서 미적 취향을 충족시켜주는 다양한 민화의 생산과 유통이 활발해졌다.
1) [translator’s note] Four Gentlemen refers plum blosso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청화백자불수목문접시, 조선시대
「장흥고」 명분청사기인화문대접, 15세기
청자 구름·학무늬 매병, 고려시대,
높이 2.4 cm, 입지름 16.2cm, 바닥지름 8.5cm
분청사기, 높이 6.8cm, 입지름 13.2cm
30 x 입지름5.2cm, 몸통지름18.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1869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Blue-and-White Porcelain Plate with
〈Buncheong Bowl with Stamped Design and Inscription of ‘Jangheunggo’〉
〈Buncheong Bowl with Stamped Design and Inscription of ‘Jangheunggo’〉 Goryeo dynasty, 30 cm (height) 5.2 cm (diameter-mouth), (diameter-body18.3cm)
Horned Orange Tree Design〉 Joseon dynasty, 2.4 cm (height), 16.2 cm (diameter) 8.5 cm (diameter-base) National Museum of Korea
15th Century, Buncheong Ceramics 6.8 cm (height) 13.2 cm (diameter-mouth)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모란도 병풍, 종이에 채색, 242x74cm, (each) 조선시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Folding screen with paintings of peonies color on paper, 242 x 74 cm (each), Joseon National Museum of Korea
2) [translator’s note] A procurement office to supply items to the court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50
51
이길래 Lee, Gil Rae
이길래는 소나무를 주제로 ‘회화적 조각’을 선보인다.
Lee Gil Rae creates ‘painterly sculpture’ focusing on the pine tree as a subject. Pine tre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Korean people, thus they appear in literature, painting, and many other art forms as a source of inspiration. Lee began to address pine trees in his art as a way of expressing nostalgia for nature maintaining purity in this industrialized world. He organically connects numerous oval copper pipe rings as if they are cells and systematically welds them. By doing so, he obtains that particular texture of pine trees in Korea which resembles a turtle shell. Through the labor-intensive production process, the many hours of delicate work imbue this piece with the vitality and cohesion fundamental to regenerative nature. The artist hopes that humanity and nature can unite through the symbolism of the pine tree which remains green even in the harshest lands. Bearing in mind how long it took to make, the work provides the viewer with an opportunity to ruminate on their own lifetime.
소나무는 한국의 나무로 불릴 만큼 한민족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예술분야에 깊은 영감을 주어 문학, 명화 등에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길래는 산업화 시대 속에서 순수함을 간직한 자연에 대한 동경으로 소나무 연작을 시작했다. 타원형 동 파이프 고리는 하나의 세포가 되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수백, 수천 개의 고리를 조직적으로 용접하여 한국 소나무인 금강송(金剛松) 특유의 거북이 등껍질 같은 느낌이 살렸다. 노동집약적인 제작방식을 통해 작품 속에는 시간이 누적되고, 자연물의 생성원리인 응집과 생명력을 구현한다. 척박한 땅에서도 생명력을 유지하는 소나무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시간이 켜켜이 누적된 작품을 마주한 관람객들에게는 지나온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수많은 동 파이프 단면들이 물성화 과정을 통하여 영원히 죽지 않는 소나무를 만들고, 나는 이 땅 위에 그것을 식수해 나가고 싶다. 이것이 내가 자연을 사랑하는 방법이며 그 일부인 내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나의 영원한 스승인 자연에게 경의를 표한다.” “A number of cross sections of copper pipe makes an immortal pine tree. I want to plant these trees in this land. This is my way to love nature and a way to love myself as part of nature. I express my reverence for nature which is my teacher eternally.”
53
천년 – 소나무 2019-3, 동 파이프, 동선 산소용접, 290 x 220 x 16 cm, 2019
천년 – 노송 2019-4, 동 파이프, 동선 산소용접, 110 x 180 x 8 cm, 2019
Millennium – Old Pine Tree 2019-3, Copper, Welding, 290 x 220 x 16 cm, 2019
Millennium – Old Pine Tree 2019-4, Copper, Welding, 110 x 180 x 8 cm, 2019
천년 – 노송 2019-5, 동 파이프, 동선 산소용접, 110 x 180 x 8 cm, 2019
Detailed cut
Millennium – Old Pine Tree 2019-5, Copper, Welding, 110 x 180 x 8 cm, 2019
한국의 소나무 The Tree of Korea
예술적 영감의 원천이 되다 Source of Artistic Inspiration
The evergreen pine tree stands for constancy and fidelity in Korea. It is also one of ten longevity symbols, known as sipjangsaeng. Our ancestors celebrated a birth by hanging a straw rope with pieces of pine tree at the entrance to the house and used pine tree furniture throughout their whole lives. After death, they rested in a pine coffin and were buried in a grave under pine trees. In Korea, pine trees are often called ‘Geumgang-song’1) since Geumgang Mountain is a famous habitat. Sometimes they are called ‘Jeok-song’2) due to the trunks being tinged with red. Pine trees growing in Korea are typically very tall, and the timber they provide is particularly strong and long-lasting. One of the largest habitats in Korea is located near a small town called Sogwang-ri (Uljin-gun, Gyeongsang province). This habitat, protected by a special preservation program, is the ‘Geumgang Pine Tree Forest Walkway’ and more than 1.6 million pine trees live here.
사계절 내내 푸르른 소나무는 한국의 역사 속에서 절개와 의지를 상징한다. 또한 장수를 상징하여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 삼기도 했다. 선조들은 금줄에 소나무로 달아 탄생을 축하하고, 평생 소나무 가구를 사용하며, 소나무 관이 묻힌 무덤 주변을 소나무가 지키는 삶을 살았다. 한국 소나무는 금강산에서 많이 자생하여 금강송(金剛松), 줄기가 붉은색을 띄어 적송(赤松)이라고도 불리며 키가 크고 재질이 단단하고 잘 썩지 않는 특징이 있다. 경상북도 울진군 소광리에 위치한 ‘금강소나무 숲길’은 한국 최대의 금강송 군락지로 160여만 그루의 금강송이 현재까지도 특별 보존 관리되고 있다.
The pine tree has served as source of artistic inspiration for literature, painting, and craft. Scholars with A Pine Tree by Jeong Hong-rae depicted scholars in conversation in a wooded valley, rendering an everyday landscape in which pine trees are always around and much appreciated. In Walsong Pavilion, Jeong Seon demonstrated his unique painterly techniques by portraying pine trees to great effect. He placed a dense forest of pine trees in the middle of the picture plane and painted the treetops with blurred outlines so as to resemble clouds.
소나무는 문학, 회화, 공예 작품의 예술적 영감을 주는 원천이기도 하다. 정홍래의 〈소나무와 선비〉 는 계곡 옆에서 담소를 나누는 선비들의 모습을 통해 소나무를 가까이 두고 아꼈던 선조들의 삶의 정취를 보여준다. 조선시대 화가 정선의 〈월송정(越松亭)〉에는 한국의 소나무를 효과적으로 그리기 위해 개발한 독특한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빽빽한 소나무 숲이 화폭 중앙에 놓이고, 먹의 풍부한 번짐 효과를 담은 표현법으로 소나무 잎을 구름처럼 표현했다.
1) [translator’s note] ‘Song’ refers to pine tree. 2) [translator’s note] ‘Jeok’ means red, so ‘jeok-song’ means red pine tree.
정홍래, 〈소나무와 선비〉 18세기, 비단에 엷은 채색, 30.8 x 22.5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울진 금강소나무 숲길’, 울진군청 제공 〈Geumgang Pine Tree Forest Walkway in Uljin〉, Courtesy of Uljn County Office
58
Jeong Hongrae, 〈Scholars with A Pine Tree〉 Ink and Color on Silk, 30.8 x 22.5 cm, 18th Century National Museum of Korea
59
이이남 Lee, Lee Nam
Lee Lee Nam reinterprets Eastern and Western classical paintings with his own media art, thus expressing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in a new way with digital technology. In this exhibition, he presents media art works reinterpreting Mongyudowondo by An Gyeon, Mukjukdo by Gim Hongdo and Geumgangjeondo by Jeong Seon in an attempt to embody the painterly beauty of Korea’s natural landscapes through moving images and light. In this way, the artist lets go of the conventional, fixed form of landscape painting and turns to a more fluid, modern one. Combing what is digital and analogue, the artist evokes spatiotemporal illusions coming from the gap generated by such a heterogeneous combination. The audience feel this changed world both visually and perceptually and experience the tension and amusement found between the visibl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The artis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to serve as a mediator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he ch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a practical and perceptual way. With this, he realizes his original media art coupled with his own digital technology.
이이남은 동서양의 고전 명화들을 자신만의 고유한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하여 한국 전통의 아름다움을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한다. 이번 전시에서 이이남은 안견의 <몽유도원도>, 김홍도의 <묵죽도>, 정선의 <금강전도>를 재해석한 미디어 작품을 선보이며 한국 산수의 회화적 아름다움을 영상과 빛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이처럼 이이남은 과거의 산수화의 형태를 벗어나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현대의 신-산수화로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통합을 시도하며 이질적인 결합에서 오는 간극에 따른 시공간적 환영을 불러일으킨다. 관객은 변형된 세계를 시•지각으로 느끼며 눈에 보이는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간의 긴장과 유희를 체험하게 된다. 이이남은 기술과 예술의 결합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매개하는 동시에 양자의 관계를 실천적, 지각적으로 변형시키고 자신만의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독창적인 미디어 아트를 구현한다.
61
신 몽유도원도, LED TV, 8분 40초, 2019
김홍도-묵죽도, LED TV, 6분 9초, 2013
New-Mongyoudowondo, LED TV, 8min 40sec, 2019
Kim, Hong-Do bamboo Paintings, LED TV, 6min 9sec, 2013
신 금강전도, LED TV, 7분 10초, 2009 New-Geum gang jeondo, LED TV, 7min 10sec, 2009
한국미술의 찬란한 꽃을 피운 조선시대 회화 Painting of the Joseon Dynasty Leading to the Full Blossom of Korean Art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 preserved the tradition of Goryeo’s painting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and adopted Chinese painting selectively, thus making the greatest achievements in Korean art history. The historical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he high quality of paintings, calligraphic works, handicrafts and wooden architecture. In particular, what is notable during this period is the trend of Korean paintings that are independent and naturalistic with their modern sentiment and Confucian aesthetics. An Gyeon, Jeong Seon and Kim Hongdo, painters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are masters of Korean art who formed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ainting. All three of them developed their own characteristic Korean styl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masterpieces like Mongyudowondo by An Gyeon were created to form a Korean painting style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inting of later generations. After him, Jeong Seon and Kim Hongdo continued the painting tradition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dded new styles, thus developing styles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Joseon period. Mongyudowondo by An Gyeon is a painting that depicts Prince Anpyeong’s dream. The real world seen from a horizontal point of view and the precipice described as the godlike hermits’ world stand in contrast to each other as real and ideal landscapes. Geumgangjeondo by Jeong Seon depicts the panoramic view of Mount Geumgang. This piece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real landscape painting which is realistic and unique; the artist painted Korea’s mountains and rivers in the Korean style. Mukjukdo by Kim Hongdo is the artist’s representative work that shows his mature strokes and bold use of the brush and ink with his insight as a man of letters. During this historical period, Korean art made the greatest achievements in East Asian art history by develop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 and by greatly influencing contemporary painters, those of later generations and eve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art.
조선시대는 유교를 기본으로 고려회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중국회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한국 미술 역사상 가장 찬란한 업적을 남긴 시기이다. 회화를 비롯한 서예, 공예, 목조 분야에서 수준 높은 격조가 두드러지며, 특히 근대적 정서와 유교적 미의식을 반영한 독자적이고 자연주의 성향이 강한 한국화 현상이 뚜렷이 나타난다. 조선시대를 관통하는 세 명의 화가인 안견, 정선, 김홍도는 한국회화 발전에 토대가 되는 뛰어난 거장들로 한국의 특색 있는 독자적 양식을 발전시킨 인물들이다. 조선초기에는 안견의 <몽유도원도>같은 걸작이 탄생하며 한국적 화풍을 성취하고 후대의 회화 발전의 토대가 되었으며, 이후 정선과 김홍도가 조선 초기 회화의 전통을 잇고 새로운 화풍을 가미하여 조선중기의 특유의 양식을 발달시켰다.
안견의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수평시점의 현실세계와 선계로 묘사되는 절벽의 모습이 각각 현실경과 이상경으로 그려지며 대조를 이룬다. 금강산의 전경을 한 폭의 그림으로 담은 정선의 <금강전도>는 우리 산천을 우리 화법으로 그린 사실적이고 개성적인 실경(實景)산수화로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김홍도의 <묵죽도>는 그의 문인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완숙한 필치와 과감한 필묵의 사용을 감상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대의 미술은 한국회화의 독자적 특성을 발전시키고 당대 및 후대 화가들을 비롯한 일본 미술발전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동아시아 미술사상 가장 찬란한 업적을 이룬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정선, <금강전도> 1734, 수묵담채, 130.7 x 59㎝, 리움 삼성미술관 소장 Jeong Seon, <Geumgang Jeondo> 1734, Ink and Color on Paper, 130.7cm x 94.1cm, Leeum, Samsung Museum of Art
66
67
한국 산수화의 큰 발전을 이룬 세종대를 대표하는 화가 안견(安堅)
An Gyeon, Painter Represent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 Period That Achieved Great Development in Korean Landscape Painting An Gyeon (?-?) is a painter representing the early Joseon dynasty. He worked for a painting center where artists painted national events as records and the royal family’s portraits. Working for the center, he belonged to a low social class but he earned favor from King Sejong and was appointed as a government official of the fourth rank, which was higher than the one that could be reached by an artist working for the center. In particular, he was close to Prince Anpyeong, King Sejong’s third son. Mongyudowondo, An Gyeon’s representative piece, is a painting that depicts a dream that was dreamed by Prince Anpyeong on April 20, 1447 (lunar calendar).
안견(생졸년 불분명)은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화가로써 당시 국가 행사의 기록화나 왕실의 초상화를 그리는 도화원에 일했다. 신분이 낮은 화원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세종의 총애를 받으며 화원이 오를 수 있는 관직 이상인 정4품의 호군에 제수되기도 하였다. 특히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과 인연이 깊었으며 안견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이 1447년 음력 4월 20일에 꾼 꿈을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안견은 이를 3일 만에 작품으로 완성하였다. 꿈의 내용을 바탕으로 탄생한 <몽유도원도>는 왼편 하단부에서 오른편 상단부로 전개되는 사선구도의 형식을 갖으며 평원의 현실세계와 가파른 산줄기의
An Gyeon completed the work in just three days. Based on the dream, Mongyudowondo has an oblique structure that starts from the lower part on the left and heads to the upper part on the right. The piece shows the real world on the plain, the godlike hermits’ unrealistic world on a steep mountain range and paradise where splendid red peach flowers are in full blossom. In other words,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mountain change depending on the different parts of the story. The piece describes the real world from a horizontal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the precipice, which is described as the godlike hermits’ world, is seen from above. This leads to a contrast between real and ideal landscapes. An Gyeon recreated Prince Anpyeong’s dream in this painting focused on where paradise is located. Meanwhile, the artist boldly omitted the people Prince Anpyeong saw in his dream (Pak Paengnyeon, Choe Hang, Sin Suk-ju and Prince Anpyeong), thus stressing the peacefulness and serenity of nature and showing an even more fantastic image of paradise. Like this, An Gyeon used an unprecedented painting style to be recognized as one of Joseon’s greatest contemporary painters. In this context, he greatly influenced the Japanese art scene during the Muromachi period.
비현실적인 선계, 영롱하고 붉은 복사꽃이 만개한 도원동으로 진행된다. 이야기의 구성에 따라 산세가 달리 표현되는 <몽유도원도>는 수평의 시점으로 현실세계를 묘사한 반면에 선계로 묘사되는 절벽의 모습은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부감법(俯瞰法)을 적용하여 현실경과 이상경의 대조를 이룬다.
안견은 안평대군의 꿈을 재현하여 도원의 장소성을 중심제재로 하여 그림을 그렸지만, 그가 말해준 꿈에 등장하는 인물들(박팽년, 최항, 신숙주, 안평대군)을 과감히 생략하여 대자연의 평온함과 고요함을 살려 더욱 환상적인 무릉도원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안견은 전례 없는 형식의 화법을 구사하며 당대에 가장 뛰어난 화가로 인정받으며 일본의 무로막치 막부 시기의 화단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진다.
68
안견, <몽유도원도> 1447, 비단에 수묵담채, 38.7x106.5cm, 일본 덴리대학 중앙도서관 소장 *CC by 공유마당 An Gyeon, <Mongyudowondo> 1447, Color and Ink on Silk, 38.7x106.5cm, Tenri University Central Library, Japan *CC BY Shared yard
69
남경민 Nam, Kyung Min
Nam is known for paintings of ateliers of masters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such as Gogh, Rembrandt, Picasso and Velazquez, based on her own extensive research. Believing that these scenes of artists’
남경민은 고흐, 렘브란트, 피카소, 벨라스케스 등 서양 미술사 대 가들의 아뜰리에를 담은 〈화가의 방〉 연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아뜰리에의 풍경 자체가 작가
studios themselves mirror herself being an artist, she attempts to embody the artistic identities of masters from both East and West as well as her own. Since 2012, she has addressed important painters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Jeong Seon, Kim Hongdo and Shin Yunbok, as well as traditional culture like ‘munbang’ and ‘chaekgeori’. She also explores traditional architectures like Gyujanggak in the Changdeokgung Palace.
자신을 보여주는 거울이라고 생각 하여 방대한 문헌과 자료연구를 바탕으로 동서양 대가들의 정체성과 작가 본인의 독창적인 예술성을 동시에 담아낸다. 2012년부터 정선, 신윤복, 김홍도 등 한국 전통미술의 대가, 조선시대 문방(文房), 책거리(冊巨里), 창덕궁 규장각 등 전통 건축물 등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작품에서는 조선시대 대가로 This exhibition includes paintings illustrating the ateliers of Jeong Seon and Shin Yunbok who are the great masters from the Joseon period. Nam renders them with surrealistic spaces by placing the old masters’ painting materials together with contemporary items symbolizing herself. In Jeong Seon’s atelier, his famous piece Living in Seclusion in Mountain Ingok [‘Ingok-yugeo’], which portrays the master’s remote house and its surroundings in a valley of Mountain Ingok, is placed on a desk alongside brushes. Juxtaposing this scene with today’s landscape outside the window creates a mysterious atmosphere for the piece. Shin Yunbok’s atelier shows his masterpiece Portrait of a Beauty – known as one of the best portraits of its kind – hung
손꼽히는 정선과 신윤복의 화방 속 그들의 대표 작품, 문방제구(文房諸具) 등과 더불어 남경민 작가 본인을 은유하는 상징물들이 혼재하는 초현실적인 공간을 만나볼 수 있다. 정선의 방에는 인왕산 계곡 에 자리한 정선의 집과 주변 풍경을 담은 작품인 〈인곡유거(仁谷幽居)〉가 서안(書案) 위에 붓과 함께 놓여있고, 창 밖으로 실 제 풍경이 보이며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신윤복의 화방에 는 조선시대 미인도 중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는 〈미인도〉가 걸려 있는데
“나의 작품은 크게 보면 하나의 풍경이지만 그 안에 들어가보면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요소들이 많다. 조선시대와 내가 살고 있는 21세기가 만나는, 시공을 초월한 초현실주의적인 다양한 부분들이
작품 속 여인의 한복 치맛자락이 거울처럼 바닥에 비치며 프레임 밖으로 걸어 나오는 듯하다. 두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찾아 볼 수 있는 날개는 미의 본질을 찾아가는
on the wall. The reflection in the floor of the skirt of the sitter in traditional costume produces the illusion that the beauty is about to walk away from the frame. Wings seen in both pieces suggest the aspirations of many artists who seek the essence of beauty. Both ateliers, in the absence of their owners, become free spaces for all viewers to stay and enjoy the scenes.
예술가들의 이상적 목표를 상징한다. 방의 주인들은
교차하고 조우한다. 작가로서 나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일련의 소품들이
존재하지 않지만 관람객 누구나 그 풍경에 머물고 즐길 수
매개체가 되어 조선시대 거장들과의 연대감 과 교감이 이루어지게
있는 열린 공간이 된다.
되었다고 생각한다.” “At a glance my painting may look as if it depicts a simple scene, but a closer look reveals various metaphoric and symbolic elements in it. Two different times – the Joseon era and the 21st century – are mingled, and surrealistic encounters and exchanges take place beyond time and space. Props representing my identity are the medium by which I express solidarity and shared sympathies with the masters from Joseon.” 1) [translator’s note] Chaekgeori literally means books(‘chaek') and associated things (geori).
71
겸재정선의 화방, 린넨에 유채, 130.3 x 194cm, 2012 Gunjae Jeong Sun’s Atelier, Oil on Linen, 130.3 x 194cm, 2012
신윤복 화방 – 화가 신윤복에 대한 생각에 잠기다, 린넨에 유채 , 162 x 260.6cm, 2012 Shin, Yun Bok’s Atelier – Thinking of the Artist, Shin yunbok, Oil on Linen, 162 x 260.6cm, 2012
조선시대 산수화의 역사를 새롭게 쓴 정선 Jeong Seon: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Korean Landscape Painting Jeong Seon (1676–1759), well-known by the penname Gyeomjae, is the influential figure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Working both as an official and as an artist, and living a modest life, he left behind a great volume of paintings. Discarding the conventions of landscape and “Four Gentlemen”
겸재 정선(1676~1759)은 조선시대 미술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손꼽힌다. 겸재(謙齋)라는 호를 애용하며 겸손의 정신을 바탕으로 관료의 삶과 예술가로서의 삶을 살며 수많은 명작을 남겼다. 기존의 명분과 관념을 중시하는 산수화, 사군자화의 관습을 깨고 조선의
painting based on the prevailing ideas and virtues, he established the “True-view” landscape [‘jingyeongsansu’] which captures the beauty of the natural environment by actually observing it. His new painting style had a profound impac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on major artists of the Joseon period such as Kim Hongdo, Shin Yunbok and Kang Sehwang.
아름다운 산천을 직접 찾아가 실경을 담은 진경산수 화(眞景山水畵)를 그렸다. 정선의 새로운 화풍은 김홍도, 신윤 복, 강세황 등 조선시대의 대가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독서여가〉는 50대 초반 정선의 자화상으로, 조선시대 사대부의 생활상을 담은 흔치 않은 사인풍속도(士人風俗圖)다. 방안에는 서책이 가득 쌓인 책장이 있어 학문을 탐구하는 선비임을 나타내고,
조선시대 풍속화의 새로운 바람, 신윤복 People’s Painting, Folk Painting
혜원 신윤복(1758~?)은 양반층의 풍류나 남녀간의
With images believed to bring health and happiness, folk painting decorated the commoner’s everyday space. Employing the themes and forms of Court painting or ‘Muninhwa’ (paintings by scholars and writers), folk painting created not only the aesthetic world mirroring the tastes and sentiments of commoners but also a distinctive style with satiric overtones. Folk painting embraces ‘hwahwedo’ portraying flowers, ‘hwajodo’ in which flowers and birds are depicted together, ‘chochungdo’ butterflies and bees, and ‘youngmodo’ birds and other
연애를 주로 다루었고 가늘고 유연한 선과 다채로운 원색을 즐겨 사용했다. 남성 위주의 조선시대에 여성을 화폭에 본격적으로 등장시켰으며, 특히 천한 신분에 속했던 기녀를 주인공으로 하는 등 사회의 이면을 보여줌으로써 조선시대 풍속화의 새로운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고 평가받는다. 국보 제135호로 지정된 〈혜원풍속화첩〉이 전 해지고 있으며 〈월하정인〉, 〈단오풍정〉, 〈미인도〉 등이 걸작으로 손꼽힌다.
animals. Hwajodo which represents a pair of birds flying together over a field of flowers symbolizes abundance. Birds are always in pairs in folk painting, signifying a married couple in conjugal harmony.
Taking a Break from Reading, a self-portrait of Jeong Seon in his early fifties, is a rare example of genre painting describing a daily scene of an aristocrat-scholar. The bookcase filled with books suggests that the room is owned by a scholar, and a painting attached to the door of the bookcase shows it belongs to Jeong Seon. Among his best masterpieces are two exceptional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Scene of Inwangsan Mountain After Rain (National Treasure No. 216) and Complete View of Geumgangsan Mountain (National Treasure No. 217). Jeong is regarded as a forward-looking painter and pioneer in the late Joseon art world.
책장 문에 장식된 그림을 통해 정선의 방임을 알 수 있다. 정선의 주요 작품으로는 진경산수의 진면모를 담은 국보 216호 〈인왕제색도〉, 국보 217호 〈금강전도〉가 있으며 조선 후 기 화단의 진취적인 개척자로 평가받고 있다.
신윤복, <미인도> 비단에 수묵담채, 114 x 45.5cm, 보물1973호 정선, <인곡유거>
정선, <독서여가>
간송미술관 소장 ⓒ간송미술문화재단
종이에 담채, 27,3 x 27,5cm, 15세기, 간송미술관 소장
견본채색, 24 x 16.8cm, 간송미술관 소장
Living in Seclusion in Mountain Ingok, Jeong Seon Ink and light water color on paper, 27.3x 27.5cm, 18th century,Kansong Art Museum
Taking a Break from Reading, Jeong Seon Color on silk, 24x16.8 cm, 18th century, Kansong Art Museum
Portrait of a Beauty, Shin Yunbok, color on silk, 114 x 45.5 cm, Kansong Art Museum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76
77
조선시대 선비의 방, 문방(文房) A Candlestick to Illuminate One’s Mind and Sensibility
Joseon society was built upon Confucianism. Confucian literati, known as ‘seonbi’, pursued their ideals of personal development by learning and practicing Confucianist philosophies. They studied, wrote, painted, and met with friends in their studies which were called ‘sarangbang’. In particular, the literati’s study was also called ‘munbang’. The contents of the room naturally implied a measure of the owner’s cultural refinement. Items in a munbang were called ‘munbang-jegu’, and the four essential items were ‘munbang-sau’: paper, brush, ink and inkstone. A munbang was normally furnished with writing desks [‘seoan’], inkstone cases [‘yeonsang’] and book selves [‘sabang-takja’]. Other small items like water droppers, paper holders, brush holders, floor lanterns and tea sets could be also found in the room. Munbang-jegu embodied the style of their owner and the spirit of seonbi, demonstrating that even small things were chosen with great care.
조선시대의 근간을 이룬 사상은 유교였으며 선비들은 인격완성을 위해 전통적인 유교의 학문적 너비와 깊이를 더하고자 힘썼다. 학문을 탐구하고 서화(書畵)를 즐기며, 손님과 담소를 나누는 사랑방을 선비들의 방인 문방(文房)이라 불렀고, 주인의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다양한 문방제구(文房諸具)를 갖추게 되었다. 문방제구란 문방에 갖추어 두고 사용하는 모든 기물(器物)을 뜻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것이 문방사우(文房四友)-종이, 붓, 먹, 벼루-다. 가구류에는 책을 읽거나 글씨를 쓸때 사용하는 책상인 서안 (書案), 벼루를 놓아두는 연상(硯床), 책과 문방용품을 보관하는 사방탁자(四方卓子) 등이 있었다. 소품으로는 연적(硯滴), 지통(紙筒), 필통(筆筒), 조명기구인 좌등(座燈), 다구(茶具) 등의 기호용품이 있었다. 이러한 문방제구들은 작은 물건 하나에도 정성 과 멋을 담고 있는 선비정신과 안목을 보여준다.
좌등(座燈) , 조선시대, 24.5 x 24.5 x 77(h)cm
사방탁자(四方卓子), 조선시대, 34 x 36.4 x 132.8(h)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서안(書案), 조선시대, 32 x 76.3 x 34.7(h)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sabangtakja’ (where books and stationery were kept)
‘jwadeung’ (Floor lantern), Joseon, 24. 5 x 77 cm
‘seoan’ (desk for reading and writing) 32 x 76.3 x 34.7(h)cm, National Museum of Korea
34 x 36.4 x 132.8(h)cm,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
78
79
성동훈 Sung, Dong Hun
Travelling through deserts and remote areas in Mongolia, India, China and elsewhere, Sung Dong Hun creates surrealistic and experimental figures,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nomadic life style as well as through artistic imagination. The artist’s experience, in combination with expressions acquired from foreign cultures, contributed to his characteristic portrayal of figures such as Don Quixote fighting against injustice and animals speaking on behalf of humans. A religious figure included in this exhibition is surely one result, rendering the artist’s explor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spread of Buddhism which began in India and continued to Tibet, China, Korea, and Japan. Various cultural icons, their environment and the reality inherent in them are symbolically transformed into religious objects beyond time and space – statues of Buddha from India and China, and Korean bells. They are also integrated into animal imageries and colors of Korean celadon. Celadon beads used in his work emit airy light, speaking for the enthusiasm of artisans and the artistic spirit which once drew breath in Korea, a long time ago. In a series of works entitled. The New Case for Time, Sung unfolds his thoughts about yin and yang in harmony and the current time when nature and civilization, traditional and modern, reality and the surreal are mixed.
성동훈은 몽골, 인도, 중국 등의 사막이나 오지를 탐험하며 유목민적 삶과 예술적 상상력을 통해 초현실적이고 실험적인 캐릭터를 창조해왔다. 작가의 경험은 타문화의 표현양식과 결합하여 불의에 맞서는 돈키호테, 인간의 본질을 대변하는 동물의 형상으로 표현된다. 대표적으로 이번 전시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종교적 형상은 인도에서 시작되어 티베트, 중국, 한국, 일본으로 이어진 불교의 흐름을 작가만의 탐구와 성찰로 다시 해석된 직관적 결과물이다. 다양한 문화 아이콘과 그 환경 속에서 내재되어 있는 현실이 시공간을 초월한 각각의 다양한 종교적 오브제(인도 불상, 중국 불상, 한국의 종)와 동물 형상으로 상징화 되고 한국 전통의 청자 빛 속으로 스며들었다. 작품에 사용된 청자 구슬은 오래 전 한국의 땅에서 숨 쉬었던 예술의 혼과 장인들의 열정을 대변하며 은은한 빛을 발한다. 〈시간의 귀환〉 연작을 통해 작가는 음과 양의 조화, 자연과 문명, 전통과 현대, 현실과 초현실이 혼재된 현시대를 말하고자 한다.
“강함과 부드러움, 근원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 진실과 위장이 혼재된 세상, 즉 사실과 진실, 둘 다 진실을 뜻하지만 서로 같지 않은 이상한 상황, 역설적 왕국, 그것이 내가 바라보는 세상이다.” “Hardness and softness, the original and the artificial, truth and fabrication exist together in the world. Both facts and truths tell the real story but they say different things. I see this strange situation, a kingdom of paradox.”
81
시간의 귀환 – I, 브론즈, 120 x 45 x 70 cm, 2018 The New Case for Time – I, Bronze, 120 x 45 x 70 cm, 2018
시간의 귀환 – II, 청자, 스테인리스 스틸, 철, 브론즈, LED, 102 x 28 x 34 cm, 2019
The New Case for Time – II, Celadon, Stainless Steel, Iron, Bronze, LED, 102 x 28 x 34 cm, 2019
아름다운 빛, 고려청자 Beautiful Color, Goryeo Celadon
Initially influenced by greenware techniques from Zhejiang, China, Goryeo celadon wares were first made in Korea in the 9th or 10th centur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artisans of Goryeo reinterpreted these techniques according to local ideas of beauty and diversified designs and decorations accordingly. Thus, they achieved a highly distinctive quality in celadon. In particular, the exquisite jade color is a manifestation of the originality and aesthetic of Goryeo celadon. This enigmatic color, often considered to be that of a kingfisher’s feathers, perfectly combines shades of green and blue with a translucent quality. Taiping Laoren, a Chinese scholar from the Song dynasty, highly acclaimed the uniqueness of Goryeo celadon, describing “the secret color of celadon from Goryeo”, along with “flowers from Luoyang and silk from Shu” as “the first under heaven” in his book Xiuzhonggin . Goryeo celadon wares were made in a variety of forms. The most common subjects are from nature such as ducks, melons and bamboo shoots as well as Buddhist motifs often representing Buddha and the lotus and Taoist themes such as a monkey with a peach and a phoenix. Various decorative techniques were applied including incised relief, shallow relief, inlay known as ‘sanggam’ and openwork. Celadon wares were produced for everyday dishes, incense burners, ritual vessels and roof tiles. The development of a new style of these wares shaped as animals and plants brought Goryeo celadon to the peak of its popularity. Goryeo celadon had demonstrated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artistic spirit of that period in Korea but its production declined towards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late 14th century). The tradition passed to Buncheong ware which was simultaneously beginning to be produced across the country.
고려청자는 고려시대(9-10세기 경) 중국 절강성의 도자 제작기술의 영향을 받아 최초로 제작되었으나, 고려인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재해석되고 무늬와 장식기법이 다채로워지면서 독보적으로 발전했다. 무엇보다 고려청자의 비색은 기법과 더불어 고려청자의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가장 잘 보여준다. 비색(翡色)은 물총새의 깃털 색이라 해석되는데, 녹색빛과 푸른빛 그리고 투명함이 절묘하게 공존하는 색의 스펙트럼이다. 중국 송나라의 태평노인(太平老人)은 시 〈수중금(袖中錦)〉에서 “낙양의 꽃, 촉 지방의 비단,… 고려 비색…은 모두 천하제일이다.”라고 언급하며 고려청자의 특출함을 칭송했다. 고려 상형청자는 원앙, 참외, 오리, 죽순 등의 자연적 소재와 불상, 연꽃 등 불교적 소재, 그리고 복숭아를 든 원숭이, 봉황 등 도교적 소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형태는 음각, 양각, 상감, 투각 등 다양한 장식기법을 사용하였다. 일상생활 그릇을 비롯한 향로, 제기, 기와, 타일 등을 제작됐으며, 동식물의 모습을 그대로 살리는 상형청자가 만들어지며 절정기를 맞이한다. 한국인의 높은 과학기술과 문화적 역량, 예술혼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고려청자는 고려 후기(14세기 말) 전국 각지에서 만들어진 분청사기로 그 전통이 계승되며 쇠퇴의 길을 걷는다.
백성에게 전하는 소리, 에밀레종 The Sound Gifted to People, Emille Bell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known as the Emille Bell1), is a magnificent temple bell which epitomizes artistic quality in the golden age of Unified Silla. The largest bell in Korea, it was commissioned by King Gyeongdeok, the 35th king of Silla, to honor his father, and completed in the 7th year of the King Hyegong’s reign (771 CE). At the top of the bell, the ornamentation of the suspension loop is in the shape of dragon bending its neck and trying to grasp the bell with its mouth, and clinging powerfully with its legs. The shoulder, ‘yugwak’2), ‘dangjwa’3) and the mouth – part of the body of the bell – are adorned with ‘bosangdangcho’ motifs4), lotus flowers, and Buddhist nymphs. There is also an inscription of 1,037 Chinese letters symmetrically written on the body, which claims that hearing the bell ring brings freedom from suffering, good fortune, and enlightenment and thus, with this gift, King Seongdeok will live in heaven. This Divine Bell was built using the scientific techniques of Korean traditional bell making. The beeswax casting method is complicated and requires a high degree of skill and a long production time. However, its ability to attain delicate designs, smooth and elegant surfaces and stunning sounds is incomparable. Its use had been discontinued after the Joseon dynasty. Then, Won Gwang Sik, a master artisan of bronze casting (Living National Treasure No. 112), after more than ten years of investigation, eventually recreated this traditional method in 1997.
에밀레종으로 알려진 성덕대왕신종은 한국에 남아있는 최대의 거종으로 통일신라시대 극성기 예술을 대표하는 화려한 범종1)이다. 성덕대왕을 기리기 위하여 신라 제35대 왕인 경덕왕(景德王)이 제작을 시작하였고, 그 아들인 혜공왕 7년(771년)에 완성되었다. 종의 정상에는 한 마리 용이 목을 구부리고 입을 벌려 마치 종을 물어 올리는 형상을 취하고 양다리는 종의 천판(天板)을 힘차게 누르고 있다. 몸체인 상대, 유곽(乳廓), 당좌(撞座), 하대는 보상당초문(寶相唐草文), 연꽃, 공양천인상으로 장식되어 있다. 또한 1,037자의 글이 대칭으로 새겨져 있으며, 종소리를 들으면 백성들이 괴로움에서 벗어나, 복을 받게 되며 진리를 깨달아 그 공덕으로 성덕대왕이 극락에 편히 계시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성덕대왕신종은 한국의 과학적인 전통주종공법을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전통 밀랍주조 공법은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제작기간이 소요된다. 타공법과는 비교할 수 없는 섬세한 문양과 깨끗한 표면, 그리고 아름다운 소리를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 이후 그 맥이 단절되었던 것을 성종사 원광식 대표(인간문화재 제112호)가 10여 년간의 연구 끝에 1997년 재현에 성공하여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1) 범종: 절에서 시간을 알리거나 사람들을 모을 때, 또는 의식을 행하고자 할 때 쓰이는 종
1) Temple bells are called ‘beomjong; the ringing of this bell signals the start of a ritual. 2) [translator’s note] Yugwak refers to four square designs, each having nine circular knobs, covering the bell’s shoulder. 3) [translator’s note] Dangjwa refers to a point to be hit to make the bell ring. 4) [translator’s note] The Bosang-dangcho motif is a plant design which combines a fictional flower ‘bosang’ with ‘dangcho’ (vines). ‘Bosang’ is an idealized design made splendid by combining peony and lotus flowers.
〈청자 참외 모양 병〉, 국보 94 호 높이 22.7cm, 입지름 8.8 cm, 바닥지름 8.8 cm, 몸통지름 9.6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덕대왕신종〉, 국보 제029호
〈Celadon Melon-shaped Bottle〉, National Treasure No. 94, H. 22.6 cm, (mouth) D. 8.4 cm, (bottom) D. 7.4 cm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 - 25cm, 무게 18.9t,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National Museum of Korea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National Treasure 29, H. 3.75 m, (mouth) D. 2.27 m, (thickness) 11~25 cm, (weight)
84
18.9t, Gyeongju National Museum
85
선조의 발명 – 한글과 한지 Inventions of Our Ancestors – Hangeul and Hanji 강운 양대원
한글은 창제 원리와 과정이 기록되어 있는 유일한 언어다. 조선 4대왕 세종대왕은 우리말과 한자가 달라 사용하기 어려운 백성들의 고충을 헤아려 1443년 한글을 완성하고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후 한글 창제목적과 설명을 담은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을 편찬하고 목판으로 제작하여 한국의 고유한 종이인 한지(韓紙)에 인쇄하였는데, 한지 또한 선조들이 남긴 우수한 유형문화유산 중 하나다. ‘지천년견오백(紙一千年絹五百)’이라는 말처럼, 한지는 밀도가 높고 매우 견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강운은 작은 한지 조각을 수없이 중첩해 나가면서 공기의 흐름과 겹을 담은 구름의 형상을 만든다. 삶과 죽음이 순환하는 인생의 모습을 소멸과 탄생이 반복되는 자연의 모습에 투영하여 삶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양대원의 〈문자도〉 연작은 한글의 형태 연구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조형미를 만나볼 수 있으며, 우리가 과연 문자의 진정한 의미를 실행하며 살아가고 있는지 되돌아보게 한다.
Kang, Un Yang, Dae Won
Hangeul is the only writing system for which the principles and process of its creation have been clearly documented. It was completed in 1443 by King Sejong the Great, the four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to write Korean. The king understood that commoners were struggling due to ultimate differences in structur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Sejong gave the name Hunminjeongeum to this new writing system which means “proper sounds to instruct the people”. He then compiled the Harae edition of Hunminjeongeum which details the development and the Harae (Commentaries), later explanations of Hangeul. This edition was printed from woodblock on hanji, which literally means Korean paper. Hanji is one of the exceptional tangible cultural heritages gifted by our ancestors. There is an old saying that paper endures a thousand years and fabric endures five hundred. In other words, hanji is famous for its durability and strength. Kang Un depicts clouds which evoke the flow and layers of the air by superimposing countless fragment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e ask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life by projecting aspects of human life — and death onto the cycle of birth and extinction that is nature. Yang Dae Won’s Munjado (literally “letter drawing”) series brings in a new aesthetic based on his research into formal aspects of Hangeul. The viewer is invited to ruminate on the true meaning of each letter represented in the series, and to ruminate on their individual lives.
강운 Kang, Un
‘구름’ 연작으로 알려진 강운은 삶과 죽음이 순환하는
Known for a series of works with the theme of ‘clouds’, Kang Un portrays human life using metaphors of natural phenomena in which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recurs. One day, the artist came across some Korean paper by chance in a custom picture-framing shop. Since then he has conducted a variety of experiments with hanji as the medium: this is native Korean paper which traces its history back over a thousand years. In the Air and Dream series, he depicts clouds by superimposing diamond or square shaped fragments of dyed hanji on untreated canvas. Kang captures the flow and layers of the air, persistently repeating the process of scattering, layering and overlaying bits of hanji. The paper’s durability, softness in particular when wet, and variety in coloration enable the artist to try a number of variations. He endeavours to lessen daily anxiety and embrace nature through prayer and performance during which he cuts out and attaches each tiny thin piece of hanji.
인생사를 소멸과 탄생이 반복하는 자연현상에 빗대어 표현하고자 한다. 강운은 우연히 표구사를 지나다가 한지(韓紙)를 마주하게 된 이후 천 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국의 고유한 종이인 한지를 이용해 다양한 매체실험을 하고 있다. 〈공기와 꿈〉연작에서는 염색 한지를 코팅되지 않은 캔버스 위에 붙이고 마름모, 정사각형 모양의 한지 조각을 중첩해 나가면서 구름의 형상을 만든다. 한지 조각들은 흩어지고, 겹쳐지고, 포개지는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며 공기의 흐름과 겹을 담아낸다. 한지의 견고성, 물과 닿으면 부드러워지는 유연성, 색을 입히면 변하는 다양성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한다. 작고 얇은 한지 조각을 오리고 붙이는 수행과 기도의 과정을 통해 일상의 고뇌를 덜어내고 자연을 끌어안으려 한다.
“우리가 눈으로 구름을 볼 때는 마치 솜 같은 형태로 보이죠. 하지만 실상은 끊임없는 순환 구조의 반복으로 이뤄지고 있어요. 땅을 적신 비가 흘러 개울, 강, 바다로 가죠. 작은 물방울들이 증발해서 하늘 위에서 끊임없이 순환하며 구름을 이뤄요. 물방울들은 다시 비의 형태로 땅에 내려오죠. 이 순환 구조에서 삶과 죽음이 계속해서 이뤄지는 우리네 인생사를 느꼈어요. 청년기에 마주한 구름이 마음에 품은 꿈과 방랑이었다면, 장년기의 구름은 인간이라는 미약한 존재로서의 고백과 겸손입니다.” “Clouds might look like cotton candy to our eyes. But they are, in reality, produced through endless circulation. Rains wet the earth then run into a stream, river, and sea. Small water droplets evaporate, and condense into clouds. Water falls back down to earth again in the form of precipitation. This circulation brings to mind the path of human life in which birth and death continually occur. If a cloud encountered in youth tells of dreaming and wandering, a cloud met in manhood tells of confession and humility in an insubstantial human being.”
89
공기와 꿈, 캔버스 위에 염색한지, 한지, 112 x 162 cm, 2016
Air and Dream, Korean Paper, Dyed Paper on Canvas, 112 x 162 cm, 2016
공기와 꿈, 캔버스 위에 염색한지, 한지, 112 x 162 cm, 2016
공기와 꿈, 캔버스 위에 염색한지, 한지, 112 x 162 cm, 2016
Air and Dream, Korean Paper, Dyed Paper on Canvas, 112 x 162 cm, 2016
Air and Dream, Korean Paper, Dyed Paper on Canvas, 112 x 162 cm, 2016
한지의 기원과 역사 The Origin and History of Hanji
한지와 한국인의 삶 Hanji and the Life of Koreans
“지일천년견오백(紙一千年絹五百)” 비단의 수명은 오백년
예로부터 한국인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한지와
“Paper endures a thousand years and fabric endures five hundred.” This is a well-known expression by Sin Wi, a literary person in Joseon, published in a book entitled Gyeongsudang-jeongo.
에 불과하지만, 한지는 천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다.” - 『경수당전고』, 신위(조선시대 문인) -
From cradle to grave, Koreans have lived with hanji. They fixed hanji on a straw rope which was used to announce a birth, and to exchange letters prior to a wedding. The family of the groom would send a letter to the family of the bride with the horoscope of the groom, known as ‘sajudanja’, and another letter, known as ‘honseo’, along with wedding gifts. When someone died, Koreans cleaned and dressed the deceased with hanji and spread fake money made of hanji during the funeral procession. Hanji was mainly used for painting and writing, and later its use was extended to various hanji crafts ranging from artistic objects for royalty to everyday objects in common use. Today hanji is popular not only in the art world but also in many other industries such as fashion and architecture, drawing attention to its breathability, moisture absorp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as an eco-friendly material.
함께 생활했다. 출생을 알리는 금줄에 한지를 꽂았으며, 결혼할 때 한지로 만든 사주단자와 혼서지를 주고 받는다. 생을 마감할 때에는 한지로 염을 했고 장례행렬에서는
Hanji is traditional Korean paper produced through unique ways of papermaking using a bamboo screen. Since its main material is from the paper mulberry tree, known as the ‘dak’ tree, it is often called dak paper. It has many other names such as ‘changhoji’, ‘ganji’, and ‘baejeopji’ depending on its use. As its strength and exceptionally fine quality was recognized in neighbouring countries, hanji was also known as the paper of Goryeo and later of Joseon. In Nihon Shoki (Chronicles of Japan) there is a record of a Goguryeo monk teaching crafts and the making of paper and ink in Japan around 610, suggesting that papermaking had already sprea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The Great Dharani Sutra, the oldest woodblock print in the world, which is believed to be 1200 years old, is exemplary in demonstrating hanji’s high durability and density and therefore its excellence as a significant cultural legacy.
한지(韓紙)는 ‘외발’이라는 도구를 이용해서 뜨는 한국 고 유의 제조법으로 만든 전통 종이다. 닥나무를 원료로 사 용 하여 닥종이, 닥지로 불리거나 용도에 따라 창호지, 간 지, 배접지 등으로 불렀다. 인접국가에서 견고하고 뛰어난 품질을 인정받으며 고려지, 조선지로 불리기도 했다. 『일 본서기』에 610년경 고구려 승려 담징이 일본에 건너가 종 이, 먹, 공예 등을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고 하는 기록이 남 아있으며 그 이전에 제지법이 일반화 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 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약 1200년이 지났지 만 종이의 밀도가 높고 견고하여 한지의 우수성을 잘 보여 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한지로 만든 종이 돈을 뿌려주기도 했다. 과거에는 그림과 글씨를 쓰기 위한 용도부터 궁중에서 쓰던 지장 공예품, 서민들이 사용하던 생활용품까지 다양한 한지공예가 발전해 왔고, 오늘날에는 예술분야뿐만 아니라 통풍, 방습, 항균 작용이 뛰어난 친환경적 특성이 주목 받으며 의류, 건축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부채, 86.7 x 53 cm,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지함(紙函), 한지, 20세기, 14.5 x 57 x 38(h) cm,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Hanji, Courtesy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nd fan,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cardboard box, Han-ji, 20c, 14.5 x 57 x 38(h)cm,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94
95
양대원 Yang, Dae Won
Yang Dae Won has extended his scope from dwelling on his identity to society and nation, to include human suffering from wars, and poverty. He approaches memories and circumstances with sympathy and understanding. The artist has invented his own unique form embodying moderate shapes and colors, finishing so fine as to be close to perfection, and the minimal and symbolic expression of abstract painting. The Munjado series began with Yang’s inner reflection that every misfortune is caused by words. He surveyed scientific principles in the creation of Hangeul and the script’s aesthetic quality and found original beauty in the shapes of different consonants and vowels of Hangeul. Yang’s translation of a writing system into visual language suggests the multiplicity of meanings that a word can deliver.
양대원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사회와 국가, 인류가 겪고 있는 전쟁, 빈곤 등 역사적 문제로 의식의 범위를 확장해오고 있다. 작가는 과거의 모든 기억과 사건들을 연민과 이해의 태도로서 접근하며 눈물과 글자의 형상으로 표현한다. 절제된 형태와 색감, 완벽에 가까운 마감으로 추상회화의 단순하고 상징적인 표현을 담고 있으면서도 작가만의 독창적인 형상을 만들어 냈다. 〈문자도〉 연작은 모든 불행은 언어에서 비롯된다는 작가의 내면 성찰에서 시작되었다. 양대원은 한글의 과학적인 원리와 조형성을 탐구한 후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형태에서 고유한 추상적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그리고 그 형상을 다양하게 조합하고 조형적으로 구현했다. 문자로 전해 내려오는 역사와 법에 대해 의구심을 갖는 작가는 가슴으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자 한다. 관람객들에게 우리가 과연 문자(언어)의 진정한 의미를 실행하며 살아가고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개인적으로는 ‘이별’과 ‘시련’과 같은 아픈 사랑의 추억, 사회적으로는 ‘빈부의 격차’와 같은 사회 문제, 국가적으로는 ‘전쟁의 아픔’ 등 과거의 모든 기억과 사건들을 눈물의 형상과 글자의 형상을 조합해 조형적으로 표현했습니다. 과거의 들추고 싶지 않은 기억과 시간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돼 눈물로 상징화된 아픔들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Hurt experienced on a personal level through a relationship, for example parting from a loved one; on a social level, the gap between the poor and the rich; on a national level, the suffering in war. I represent these memories and circumstances in a variety of visual expressions combining tears and letters. I hop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past, even though it hurts. The miseries that I symbolize as tears should not happen again.”
97
삶, 광목천 위에 한지, 아교, 아크릴 물감, 토분, 커피, 린시드유, 147.7 x 103.5 cm, 2014
앎, 광목천 위에 한지, 아교, 아크릴 물감, 토분, 커피, 린시드유, 147.5 x 106.3 cm, 2014
Life, Korean Paper, Acrylic, Soil, Glue, Coffee and Linseed Oil on Cotton, 147.7 x 103.5 cm, 2014
Awareness, Korean Paper, Acrylic, Soil, Glue, Coffee and Linseed Oil on Cotton, 147.5 x 106.3 cm, 2014
꽃, 광목천 위에 한지, 아교, 아크릴 물감, 토분, 커피, 린시드유, 126 x 148 cm, 2016
Flower, Korean Paper, Acrylic, Soil, Glue, Coffee and Linseed Oil on Cotton, 126 x 148 cm, 2016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한글 Hangeul — Proper Sounds to Instruct People
자음과 모음이 만나다, 과학적인 한글 Consonants Meet Vowels — Scientific Hangeul
조선4대 왕 세종(1418-1450)은 1443년, 말하고자 하는
한글은 소리를 발음하는 원리와 철학을 바탕으로 만든
King Sejong the Great (1418-1450) invented Hangeul, “proper sounds to instruct people” for the many commoners who could not communicate in writing. The Haerae edition of Hunminjeongeum, made of 33 leaves and printed from woodblocks, explains in detail the purposes and the origin of Hangeul. It includes how to pronounce and use 28 alphabetic letters from Hangeul. The commentaries were written by scholars from the Hall of Worthies, known as Jiphyeonjeon, on Sejong’s order. It took 3 years to complete this book. Hunminjeongeum is a unique example of a writing system whose development has been fully documented in a book, including by whom, when, and how it was invented. There is only one in existence. Registered as a ‘Memory of the World’ by UNESCO, it is highly regarded and recognized to be an important piece of international cultural heritage.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펼 수 없는 많은 백성들을 위해 ‘백성 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인 한글을 만들었다. 『훈민정음해 례본(訓民正音解例本)』은 33장의 목판본으로 28자의 각 각의 소리와 쓰는 방법 등 한글의 창제 원리를 상세하게 기록한 것이다. 세종대왕의 명으로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해설서의 편찬이 시작되었으며 3년이 걸려 완성되었다. 전 세계 문자 중에 제작자, 제작시기, 제작원리 등의 모든 기록이 책으로 남아있는 것은 훈민정음이 유일하다. 유네 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계인류 문화유산으 로 중요하게 평가 받고 있다.
Hangeul is a scientifically created script established on principles and philosophies around phonetics. Currently, Hangeul has 24 alphabetical letters including 14 consonants and 10 vowels, however it had 28 letters in the beginning. The early Hunminjeongeum had 4 more letters: ‘∙’ (vowel, under-‘ah’), ‘ㆆ’ (consonant, weak-sound ‘heeut’), ‘△’ (consonant, half ‘siot’), ‘ㆁ’ (consonant, old ‘ieung’).
과학적인 글자다. 현재 사용하는 한글은 자음 14자, 모음 10자를 합해 모두 24자이지만 최초의 훈민정음은 모음 ‘•(아래아)’, 자음 ‘ㆆ(여린히읗), △(반시옷), ㆁ(옛이응)’을 더해 28자였다. 자음 ‘ㄱ, ㄴ, ㅁ, ㅅ, ㅇ’ 다섯 자는 목구멍에서 숨이 나올 때 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 등 발음기관에 닿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를 과학적으로
Based on the survey of sounds, produced when our breath interacts with different vocal organs such as the tongue, lips, vocal cords and teeth, five consonants were born: ‘ㄱ’(giyeok), ‘ㄴ’(nieun), ‘ㅁ’ (mieum), ‘ㅅ’ (siot), and ‘ㅇ’ (ieung). There are three
분석하여 만들었다. 모음 세 자는 ‘하늘(•), 땅(ㅡ), 사람(ㅣ)’의 모양을 본떴는데, 하늘은 해와 같은 양성을, 땅은 달과 같은 음성을, 사람은 중성을 뜻한다. 위 여덟 자를 기본으로 훈민정음의 28자가 만들어졌다.
vowels visually imitating sky (∙), earth (ㅡ), and man (ㅣ): sky signifies yang like the sun, earth yin like the moon, and man neutral. These eight elements are the foundation of all 28 letters of Hunminjeongeum.
ㄱㄴㄷㄹㅁㅂㅅㅇ ㅈㅊㅋㅌㅍㅎㆆㆁㅿ
자음 17자 Consonant Letters (17) 28자
ㆍ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35.4 x 21.7 cm, 조선시대,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자음 기본자 (ㄱ,ㄴ,ㅁ,ㅅ,ㅇ)
모음 기본자 (하늘, 사람, 땅)
Yongbieocheonga, 35.4 x 21.7 cm, Seoul Museum of History
Basic Consonant Letters
Basic Vowel Letters
102
103
Total 28 Letters 모음 11자 Vowel Letters (11)
참고문헌
십장생 (p32-33)
소나무 (p58-59)
『소나무 인문사전』, 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휴먼앤북스, 2016
『늘 푸른 소나무 - 한국인의 심성과 소나무』, 정동주, 한길사, 2014
『장생의 염원 한국의 십장생문』, 박옥련,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3
『소나무 인문사전』, (사)한국지역인문자원연구소, 휴먼앤북스, 2016
『한국인의 꿈, 십장생』, 김보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울진의 명산 그리고 숲과 나무』, 울진군청, 2006
『한국인의 상징세계』, 구미래, 교보문고, 2000
간송미술문화재단 www.kansong.org
『조선시대 궁중 장식화와 민화』, 박본수, 한국채색학회 학술대회 제6권, 2013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국립고궁박물관 www.gogung.go.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 www.encykorea.aks.ac.kr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www.culturecontent.com
한국학중앙연구원 www.aks.ac.kr
도깨비 (p24-25)
오방색, 단청, 조각보 (p40-42)
『도깨비, 잃어버린 우리의 신』, 김종대, 인문서원, 2017
『사찰 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허균, 돌베개, 2000
『역사 e 5 : 세상을 깨우는 시대의 기록』, EBS역사채널 e 제작팀, 북하우스, 2016
『한국의 단청』,곽동해, 학연문화사, 2002
『조선의 신화와 설화』, 최남선, 홍성사, 1983
『조선조 성균관 교육과 교육문화』,장재천, 아세아 문화사, 2000
『한국의 도깨비』, 임석재, 진홍섭, 임동권, 이부영, 열화당, 1981
『한국의 유교건축』,김지민, 발언, 2002
국립고궁박물관 www.gogung.go.kr
『한국의 미-의상·장신구·보』, 국립중앙박물관, 통천문화사, 1988
국립경주박물관 www.gyeongju.museum.go.kr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www.heritage.go.kr
한국데이터진흥원 www.kdata.or.kr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닷컴 www.culturecontent.com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www.encykorea.aks.ac.kr
반가사유상 (p16-17) 『불교조각1』, 강우반, 강진사, 2003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국립민속박물관 www.nfm.go.kr
『한국불교미술사』, 김리나 외, 미진사, 2011 『한국의 불상』, 황수영, 문예출판사, 1990
고려청자, 에밀레종(선덕대왕신종) (p84-85)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 권강미,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범종의 특성과 변천」, 최응천, 동국대학교, 20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www.encykorea.aks.ac.kr
『신라의 공예미술』,고유섭, 온이퍼브, 2016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범종』, 곽동해, 한길아트, 2006 『고고미술』,홍사준, 한국미술사학회,1962
민화 (p51)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 국립중앙박물관, 2015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강관식, 돌베개, 2001
고려청자박물관 www.celadon.go.kr
국립민속박물관 www.nfm.go.kr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닷컴 www.culturecontent.com
경기도박물관 www.musenet.ggcf.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www.encykorea.aks.ac.kr
조선민화박물관 www.minhwa.co.kr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가회민화박물관 www.gahoemuseum.org 한국문화재재단 www.chf.or.kr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www.encykorea.aks.ac.kr
한글 (p102-103)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최경봉, 시정곤, 박영준 공저, 책과함께, 2008 『한글의 탄생』, 노마 히데키, 돌베개, 2011
도자기 (p50)
『한국의 문자 한글』, 박창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꿈꾸는 우리 민화』, 윤열수, 보림출판사, 2005
간송미술문화재단 www.kansong.org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정병모, 돌베개, 2012
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한국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6
국립한글박물관 www.hangeul.go.kr
『한국의 도자기』, 정양모, 문예출판사, 1991 『한국의 전통문양』, 임영주, 대원사, 2004
한지 (p94-95)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한눈에 보는 한지』, 최영숙·이주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포털 www.culture.go.kr
『한지 – 아름다운 우리 종이』, 이승철, 현암사, 2012
양구선사박물관 www.ygpm.or.kr
국립민속박물관 www.nfm.go.kr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www.culturecontent.com
한지산업지원센터 www.hisc.re.kr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hanji〉 www.hanji1000.kr
104
105
작가 약력 Biography
Kang, Un (b.1966)
강운 (b.1966) 1990
1990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졸업, 한국
University, Korea
주요 개인전 2019
상처, 치유 (신세계 갤러리, 부산, 한국)
2017
Sky, Touch the air (프랑수아 리비넥 갤러리, 파리, Play : Pray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12
물, 공기 그리고 꿈 (포스코 미술관, 서울, 한국)
2005
순수형태 - 소만(小滿) (광주시립미술관 금남로 분관,
2017
내일의 작가전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 외 다수
1998
Korea)
DMZ (문화역 서울284, 서울, 한국) 2019
Analog Emotional Space (갤러리 박영, 파주, 한국)
2010
R.MUTT1917 초대전 (R.MUTT, 춘천, 한국) 외 다수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2018
2019 2018
Time + Time ’ Korea Contemporary Art Now (Da
Contemporary Art 20 of China and Korea (Ucity
문화창조원, 광주, 한국)
Clouds and Flight (Daejeon Museum, Daejeon, Korea)
남도미술 200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한국)
200 Years of the Namdo Art (Busan Museum,
Heritage, Legacy and Light (유네스코 본부, 파리,
Busan, Korea) 2014
프랑스) 코리안 뷰티-두개의 자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Korea) AA Project(Art&Architecture) (Savina Museum,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2017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2017 2016
As the Moon Waxes and Wanes (National
양평, 한국)
Contemporary Museum, Gwacheon, Korea)
동시대적사랑 (리각 미술관, 천안, 한국)
THE MEETING OF ART AND SCIENCE (Posco Gallery, Pohang, Korea) 2015 The Future is now (La Friche belle de mai,
ART로 STEAM展 (포스코 갤러리, 포항, 한국)
2014
Marseille, France)
한-불 수교 기념전, THE FUTURE IS NOW (라프리쉬
Lllusion bite(Gallery Orchard, Seoul, Korea)
벨드베, 마르세유, 프랑스)
2014
The Future is now (MAXXI, Rome, Italy)
illusion bite 환상 깨물기 (갤러리 오차드, 서울, 한국)
2013
Light Art (Pohang Museum of Steel Art, Pohang, Korea)
한-이탈리아 수교 130주년 기념, THE FUTURE IS
The Future is now (National Contemporary
NOW (국립로마현대미술관, 로마, 이탈리아) 2013
2013
Museum, Seoul, Korea)
휘황찬란- 라이트 아트展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한국)
Heritage, Legacy and Light (UNESCO
뉴미디어 소장품전-미래는 지금이다 (국립현대미술관,
Headquarters, Paris, France)
과천, 한국) 외 다수
Kim, Chang Kyum (b.1961) 1995
Studied at Kunstakademie Düsseldorf by
1994
Accademia di Belle Arti di carrara, Sculpture, Italy
1987
B.F.A, Se-Jong University, Painting, Korea
2019
Walk through the Flower Way (Media 338,
2018
Shadow in the Garden (Uri Museum, Incheon,
Kounellis, Germany
All About Korea (White Box Gallery, Munich,
김창겸 (b.1961)
Germany
김범수 (b.1965) Kim, Bum Su (b.1965) 1998
M.F.A, Dept. School of Visual Art, New York, USA
1991
B.A, Dept.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Korea
1995
뒤셀도르프 아카데미 수학, 독일
1994
까라라아카데미 조소과 졸업, 이탈리아
1987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한국
York, 미국
Solo Exhibitions Gwangju, Korea) Korea)
주요 개인전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9
108
KIM BUM SU/SACRED CINEMA (Pontone
Contemporary Love (Ligak Museum, Cheonan, Korea)
THE PASSION, 개관6주년기념 (양평군립미술관,
달은, 차고, 이지러진다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2015
THE PASSION (Yang-pyeong Art Museum, Yang-pyeong, Korea)
2016
Seoul, Korea)
외 다수
(Master of Fine Art) School of Visual Arts, New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Korean Beauty -Two Kinds of Nature (MMCA,
All About Korea (White Box Gallery, 뮌헨, 독일)
10th ANNIVERSARY (Gallery Paryoung, Paju,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한국)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Gwangju, Korea) 2015
2018
AA 프로젝트-공간의 경계와 틈 (사비나미술관, 서울,
Art Museum of GAFA, Guangzhou, China)
구름과 비행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한국)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Gwangju Biennale 2016 (Asia Culture Center,
1998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9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빛, 생명, 물질 (아시아문화전당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한국
Chun-Cheon, Korea)
Seoul, Korea)
Ailleurs est ici (École des filles, Bretagne, France) 2016
R.MUTT 1917 Exhibition 8th (R.MUTT,
파주, 한국)
Xiang Art Space, Taichung, Taiwan)
GAFA, 광저우, 중국)
1991
Korea) 2010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Museum, Seoul, Korea)
중한 현대미술 20인전 (UCITY Art Museum of
Analog Emotional Space (Gallery Pakyoung, Paju,
Selected Group Exhibitions
The Mysterious Landscape of Steel (POSCO Art 2017
2010
십년감수 展, 갤러리박영 개관 10주년 (파주출판단지,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Time + Time' Korea Contemporary Art Now (Da
Emotional City (Jangheung Art Park, Blue Space,
주요 기획전
DMZ (Culture station Seoul284, Seoul, Korea)
Ailleurs est ici (에꼴 데 피, 부르타뉴, 프랑스)
2013
2010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Xiang Art Space, 대만)
2014
Artist of Tomorrow (Sungkok Museum, Seoul,
KIM BUM SU (Gallery KHAN, Goyang, Korea)
2012
Yangju, Korea)
한국)
Pureness Form–Soman (Gumnamno Branch Gallery, Gwangju Museum, Gwangju, Korea)
제철비경 (포스코미술관, 서울, 한국)
2015
Emotional City (장흥아트파크 불루스페이스, 양주,
Water, Air and Dream (Posco Museum, Seoul,
2005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2016
2012
2012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2017
Korea)
Play : Pray (Savina Museum, Seoul, Korea)
2016
한국)
Korea)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2018
우이신설역 문화예술 철도 (우이신설 미술관, 서울, 필름의 구성 (갤러리 KHAN, 고양, 한국)
2016
주요 기획전 2019
2018
Emotional City (Uiartstation Museum, Seoul, Korea)
Gallery, 런던, 영국)
2016
Sky, Touch the air (Francoise Livinec, Paris,
2018
KIM BUM SU/SACRED CINEMA (Pontone
Wound, Healing (Shinsegae Gallery, Busan,
France)
광주, 한국) 1998
2019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9
프랑스) 2016
Fine Art, College of Arts, Chonnan National
Gallery, London, UK)
주요 개인전
2019
꽃길을 걷다 (미디어338, 광주, 한국)
2015
2018
Shadow in the Garden (우리미술관, 인천, 한국)
2014
109
Solo Exhibition (Tachibana Gallery, Osaka, Japan) Mythos (Space22, Seoul, Korea)
2015
김창겸 개인전 (타치바나갤러리, 오사카, 일본)
2014
Mythos (Space 22, 서울, 한국)
花-片 (Ibae Gallery, Busan,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花-片(화편) (이베 갤러리, 부산, 한국) 외 다수
2019
2018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We are Each Other’s Destiny (Savina Museum, Seoul, Korea)
한국)
Feel Art (GS Caltex Yeul Maru, Yeosu, Korea)
강릉국제비엔날레-악의사전 (강릉녹색도시체험센터,
2018
平窓 : Peace Over Window (Pyoungchang, Korea) One Inspiration (Sirota Gallery, Tokyo, Japan) The 2nd Diaoyu Fortress International New Media
平窓 : Peace Over Window (평창의 6개 지역, 평창,
Art Festival 2018 (Chongqing, China)
한국)
2017
INSIDE AFRICA (Dakar museum, Dakar, Senegal)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2016
Uncertainty, Connection, Coexistence (Suwon Ipark Museum of Art, Suwon, Korea)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2015
제 2회 조아성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충칭, 중국)
London Art Fair (Hanmi Gallery, London, UK) Momentum (Total Museum, Seoul, Korea)
2017
INSIDE AFRICA (다카르 현대미술관, 다카르, 세네갈)
2016
불확실성, 연결과 공존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수원,
Links-Locality and Nomadism (The Galaxy
한국)
Museum of Contemporary Art, Chongqing, China)
AHAF HK 2015 (Marcopolo Hotel, Hongkong)
Kim, Seung Young (b.1963)
Links- Locality and Nomadism (갤럭시현대미술관,
2006
M.F.A, Dept. of Sculpture, Graduate School of
1992
B.F.A, Dept. of Sculpture, Hongik University, Korea
김승영 (b.1963)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조소과 졸업, 한국 201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한국
주요 개인전 Knock (김종영미술관, 서울, 한국)
2016
Reflections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11
WALK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09
Traces (CEAAC, 스트라스부르, 프랑스)
2008
흔적 (공간화랑, 서울, 한국)
2001
Ship Project (Nakatsue Village, Oita, Japan)
2000
Paper Plane Project (Harlem, New York, USA)
2002
The Strait Korea)
Picnic on the Ocean Performance (2002년7월29일 대한해협 공해, 한국)
2001
배 Project (Nakatsue Village, Oita, 일본)
2000
종이비행기 Project (Harlem, 뉴욕, 미국)
Kim, Sung Bok (b.1964) 1993 1990
1993
홍익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졸업, 한국
199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한국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8
Korea)
2005
김성복 개인전 (사호갤러리, 도쿄, 일본) 외 다수
2008
Traces (SPACE Gallery, Seoul, Korea)
성북구립미술관 2020 거리갤러리-공공미술 프로젝트:
2019 2018
Kim Sung Bok Solo Exhibition (Gallery Saho, Tokyo, Japan)
2019 2018
2017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Gyeonggi Archive_Now (Gyeonggi Museum,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Ansan, Korea) King Sejong and Music-Hwang Jong (Presidential Archives, Sejong, Korea) Return of Desire (Jungnang Art Center, Seoul,
욕망의 귀환 3인전 (중랑아트센터, 서울, 한국)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세종대왕과 음악, 황종 (대통령기록관, 세종, 한국)
Korea) 2017
갤러리 자운제 개관기념 특별전 (갤러리 자운제, 고양,
Five Hundred Arhats of Changyeong-sa Temple
한국)
Site: Reflection of Our Hearts (National Museum
경기 옛 이야기 특별전 (경기도박물관, 용인, 한국)
Special Exhibition of the Opening -Gallery Jaunje (Gallery Jaunje, Goyang, Korea) Traditional Fairy Tale (Gyeonggi Museum, Ansan, Korea)
Image and Other’s Eye (서산문화예술회관, 서산,
Land of Sisyphus (A-Lounge, Seoul, Korea)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2005
경기아카이브_지금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2020 Street Gallery Public Art Project (Seongbuk
of Korea, Seoul, Korea)
김승영-바람의 소리 (성북구립미술관, 서울, 한국)
Kim Sung Bok Solo Exhibition (Gallery Tomos, Tokyo, Japan)
주요 기획전
Museum of Art, Seoul;, Korea) 2019
2006
Selected Group Exhibitions
Selected Group Exhibitions and Project 2020
Kim Sung Bok Solo Exhibition (Jang-Eun-Sun Gallery, Seoul, Korea)
Knock (KIM CHONG YUNG Museum, Seoul,
WALK (Savina Museum, Seoul, Korea)
Dream of Dokkaebi (Savina Museum, Seoul, Korea)
주요 개인전
김성복 조각전 (Gallery Tomos, 도쿄, 일본)
B.F.A, Dept. of Sculpture, Hongik University, Korea
2010
2006
Traces (CEAAC, Strasbourg, France)
M.F.A, Dept. of Sculpture, Graduate School of Fine Art, Hongik University, Korea
Reflection (KIMSECHOONG Museum, Seoul,
2009
Picnic on the Ocean Performance (7.29.2002,
(MOMA, 뉴욕, 미국)
김성복 개인전 (장은선갤러리, 서울, 한국)
2011
주요 기획전 및 프로젝트
2019
2002
Picnic on the Ocean Performance, P.S.1
2010
Reflections (Savina Museum, Seoul, Korea)
Picnic on the Ocean, P.S.1 (MOMA, New York, USA)
2004
도깨비의 꿈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2020
2004
오늘프로젝트 (서울시청광장, 서울, 한국)
Korea) 2016
The Voice of The People (Seoul Plaza, Seoul, Korea)
2017
2018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8
2017
2017
Fine Art, Hongik University, Korea
충칭, 중국) 외 다수
Reflection (김세중미술관, 서울, 한국)
Bienale, Gangneung, Korea)
김성복 (b.1964)
AHAF 홍콩 2015 (Marcopolo Hotel, 홍콩)
2018
The Dictionary of Evil (Gangwon International
강릉, 한국)
런던 아트페어 (한미갤러리, 런던, 영국) Momentum (토탈미술관, 서울, 한국)
1992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신라를 다시본다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한국)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Feel Art (GS칼텍스 예울마루, 여수, 한국)
2006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AA프로젝트: 공간의 경계와 틈 (사비나미술관, 서울,
우리 모두는 서로의 운명이다 (사비나미술관, 서울)
2015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주요 기획전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2018
Seoul, Korea)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2019
시치프스의 땅 (A-L갤러리, 서울, 한국)
Image and Other’s Eye (Cultural Center of
Contemporary Arts Reflection an Ancient
한국)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Kingdom Silla (Gyeongju National Museum,
하이쿠 조각전 (조시비미술관, 가나자와, 일본)
Haiku Sculpture Exhibition (Josibi Museum,
창령사 터 오백나한- 당신의 마음을 닮은 나한
Gyeongju, Korea)
돌조각의 방법 (모란미술관, 남양,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한국)
Art & Architecture Project (Savina Museum,
2016
Kanazawa, Japan)
2013
서울 미술협회 초대작가전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2018
110
Seosan, Seosan, Korea)
2016
111
In the Manner of Korean Stone Sculpture (Moran
Museum, Namyang, Korea)
서울, 한국) 2013
붉은 수수밭 사이로 (경(鏡)갤러리, 베이징, 중국)
Seoul Art Association's First Writers' Exhibition (Kepco Art Center, Seoul, Korea)
외 다수
Through a Field of Red Sorghum (Jìng(鏡)Gallery,
JeongSun, Korea)
박사과정 수료 1997
조선대학교 대학원 순수미술석사
1995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Lee, Lee Nam (b.1969)
Beijing, China)
주요 개인전 이길래 (b.1961) Lee, Gil Rae (b.1961)
1993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 (조소전공), 한국
1989
경희대학교 미술대학 미술교육학과 졸업, 한국
1993
Korea 1989
제12회 개인전 (오페라갤러리, 서울, 한국)
2019
제11회 개인전 (오페라갤러리, 싱가포르)
2017
제10회 개인전 (오페라갤러리 뉴욕, 미국)
2015
제 9회 개인전 (겸재정선미술관, 서울, 한국)
2012
제 8회 개인전 (갤러리bk, 서울, 한국)
2010
제 7회 개인전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Graduated from Dept. of Art Education,
이이남 개인전, (아트코코갤러리, 룩셈부르크)
2019
다시 태어나는 빛–뿌리들의 일어섬’, (IESA대학,
2018
Re-Animator, (폰토니 갤러리, 런던, 영국)
2016
UPDATE 6, (지브라스트라트 뮤지엄, 겐트, 벨기에)
2019
Singapore) 2017
The 10th Solo Exhibition (Opera Gallery,
2014
2015
주요 기획전
Museum,Seoul, Korea)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2012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2010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0
Asian Art (오페라갤러리, 뉴욕, 미국)
2013
2019
From Nature to Culture (오페라갤러리, 파리,
굿나잇 아날로그 굿모닝 디지털 (코리아 소사이어티
다시 태어나는 빛, (가나아트센터, 서울, 한국)
Lee, Lee-Nam solo Exhibition, Katara Art Center, Qatar
2012
대한민국 유네스코 가입 70주년 기념 특별전 ‘평화를
Monaco)
Welding For Longevity (Cube Art Museum,
Made in Asia (오페라갤러리, 뉴욕, 미국)
Seongnam, Korea)
Transcending Matter (오페라갤러리, 홍콩)
Gyeonggi Archive Now (Gyeonggi Museum, Suwon, Korea)
2019
부산국제아트페어 (백스코, 부산, 한국)
TranscendingMatter (Opera Gallery, Hong Kong)
‘백남준 • 이이남 미디어아트’전, (카이스트, 대전,
한중일 삼국미감전 (삼탄마인 현대미술관, 정선, 한국)
TheDailyLookFromArt (Opera Gallery, Singapore)
한국)
TheArtofMatter (Opera Gallery, Monaco)
70Years,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UNESCO, Seoul 2019
2017 2016
'Film & Arts', Rise of Roots, Starr cinema, Tate Modern Museum, London, UK
2018
FINA World Championships Gwangju 2019 ‘Dive into Peace’, Gwangju, Korea Inter-Korean Summit Exhibition ‘Peace a New
Survivances, (세르누치박물관, 파리, 프랑스)
Busan International Art Fair (Bexco, Busan,
SamKukMiGam(SamTanMineModern Museum,
UNESCO-KOREA Building Peace Together for
러시아)
Korea)
2020 MUSEUM WEEK, Gwanghwamun, Seoul, Korea
A Path to Peace, (마르스아트센터, 모스크바,
KoreanContemporary (Opera Gallery, Seoul,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영상예술학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0
4.27 남북정상회담 ‘평화, 새로운 시작’, (판문점 평화의 집, 파주, 한국)
2011
Kalamazoo, Michigan, USA
한국)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 박사
Kalamazoo Museum of Art,
2019년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기념 전시, (광주,
MadeinAsia (Opera Gallery, New York, USA)
2017
Good night Analog Good morning Digital,
테이트모던, 런던, 영국) 2018
Good night Analog Good morning Digital, Kwai Fun Hin Art Gallery, Hong Kong, China
Film & Arts, ‘뿌리들의 일어섬’전, (스타시네마-
Korean Contemporary (오페라갤러리, 서울, 한국)
Korea, China, Japan,
2013
(대한민국역사박물관/유네스코 본부, 서울, 한국)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Korea)
Light being Reborn, Gana Art Center, Seoul, Korea
심다 세계를 품다’,
From Nature to Culture (Opera Gallery, Paris,
Lee, Lee-Nam solo Exhibition, Galerie Michael Schultz, Berlin, Germany
2020 미술관박물관 주간 ‘거리로 나온 뮤지엄’,
한국)
France)
2014
주요 기획전 2020
Good night Analog Good morning Digital, The Korea society gallery, New York, USA
광주, 한국)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2015
굿나잇 아날로그 굿모닝 디지털, (광주시립미술관,
(광화문, 서울, 한국)
112
Bellin, Germany
이이남 비디오 아트, (칼라마주 미술관, 미시건, 미국)
The Monaco Masyers Show (Opera Gallery,
이이남 (b.1969)
At the rising of the roots, Ando Fine Art Gallery,
굿나잇 아날로그 굿모닝 디지털, (콰이펑힌 갤러리,
Asian Art (Opera Gallery, New York, USA)
The Art of Matter (오페라갤러리 모나코)
UPDATE 6, ZEBRASTRAAT Museum, Gent, Belgium The Lights Of Signal, Whitebox museum, Beijing,
현대용접조각전 불로-장생 (성남큐브미술관, 성남,
The Daily Look From Art (오페라갤러리, 싱가포르)
2016
The 7th Solo Exhibition (Savina Museum, Seoul,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Re-Animator, Pontone Gallery, London, UK
China
Gate Avenue (Opera Gallery, Dubai)
2018
Lumière et Liberte, IESA Univerty, Paris, France
2018
이이남 개인전, (마이클슐츠갤러리, 독일)
프랑스)
경기아카이브 지금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한국)
2019
The 8th Solo Exhibition (Galerie bk,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The Monaco Masyers Show (오페라갤러리, 모나코)
Lee Lee Nam solo Exhibition, Artskoco, Luxembourg
홍콩)
Korea)
Gate Avenue (오페라갤러리, 두바이)
2018
The 9th Solo Exhibition (Gyumjaejungsun
B.F.A, Dept. of Sculpture, Chosun University, Korea
갤러리, 뉴욕, 미국)
New York, USA)
2019
1995
이이남 개인전, (카타르 아트센터, 카타르) 2015
M.F.A, Dept. of Fine Arts, Chosun University, Korea
독일)
The 11th Solo Exhibition (Opera Gallery, Seoul, The 11th Solo Exhibition (Opera Gallery,
Completed DFA courses from Dept. of
1997
뿌리들의 일어섬, (안도파인아트 갤러리, 베를린,
Korea)
2011
빛의 시그널, (북경 화이트박스 예술관, 베이징, 중국)
Selected Solo Exhibitions 2020
Ph.D, Dept. of Fine Arts, Chosun University, Korea Communication & Arts, Yonsei University, Korea
파리, 프랑스)
Kyunghee University, Korea
주요 개인전 2020
M.A, Dept. of Sculpture, Kyunghee University,
2020
2017
Future’, Panmunjeom-Joint Security Area, Paju,
이스탄불비엔날레 특별전, ‘taste of tea’,
Korea
(hydarpasa 기차역, 이스탄불, 터키)
Media Art Exhibition for NAM JUNE PAIK &
빌비올라-이이남 2인전, (세인트 제이콥 교회, 겐트,
LEENAM LEE, KAIST, Daejeon, Korea
113
벨기에)
A Path to Peace, Mars Media art center, Moscow,
토포스 - 은유의 장소 (모란미술관, 남양, 한국)
2015
베니스비엔날레, ‘개인의 구축물’전, (베니스, 이탈리아)
Russia
맥락의 재조명, 아트 인 앰버시 프로그램 (미국
2014
동시적 울림, (부에노스 아이레스, 포르타밧 미술관,
Survivances, Cernuschi Museum, Paris, France 2017
아르헨티나) 2009
차 문화 대전, (예일대학교 미술관, 코네티컷, 미국)
2008
제3회 세비아 비엔날레, (알람브라 궁전, 그라나다,
2016
대사관저 하비브 하우스, 서울, 한국)
Istanbul Biennale Special Exhibition, Haydrapasa
2016
2015
BILL VIOLA-LEE LEE NAM, Saint-Jacobaskerk,
2014
아시아의 새로운 물결, (ZKM, 카를스루에, 독일)
2014
Simultaneos Echoes, Fortabat Museum,
2013
1991
2012
2008
1997
덕성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한국
1999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서양화과 졸업, 한국
주요 개인전 2017
Biennale Sevila, Alhambra palpace, Granada, New Asian Waves, ZKM, Karlsruhe, Germany
Korea)
조형아트서울 2017-특별 초대전 (코엑스, 서울, 한국)
Context Revisited, Art in Embassies Program (HABIB House, Seoul, Korea)
The New Case for Time (고아현대미술관, 고아,
Spain 2007
인도) 2016
For My Sincerity (Anygol 아트스페이스, 일산,
Sung, Dong Hun (b.1967)
한국) 2016
두개의 풍경 (에스플러스갤러리, 부산, 한국)
2014
풍경 속에 머물다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10
풍경을 거닐다 (갤러리 현대 강남, 서울, 한국)
2006
남경민전 (영은미술관, 광주, 한국)
2005
화가의 작업실 (레인팩토리, 서울, 한국)
2000
창, 빛 그리고 기억의 편린들 (조흥갤러리, 서울, 한국)
1999 1997
2015
Fake of the Kingdom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14
통곡-용광로의 쇠울림 (동호철강파운데이션, 대만)
1991
Selected Solo Exhibitions
외 다수
B.F.A, Dept. of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2017
Selected Solo Exhibitions Duel Scenery (S Plus Gallery, Busan, Korea)
2014
Staying in the Mindscape (Savina Museum,
2019
The New Case of Time (Museum of Goa, Goa,
2010 2006
깨어있는 꿈 (모란미술관, 남양, 한국) The Forest (갤러리조은, 서울, 한국) 그리하여 마음이 깊어짐을 느낍니다 (사비나미술관,
한국)
Gangnam Space, Seoul, Korea)
탕산국제조각심포지엄 (탕산대롱철강회사, 탕산,
Nam Kyung Min (Youngeun Museum, Gwangju,
중국)
서울, 한국)
2005
Artists’ Atelier (Brain Factory, Seoul, Korea)
2000
Window, Light and the Fragments of Memory
2018
시로타갤러리, 도쿄, 일본)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안양: 오늘의 온도 (안양아트센터, 갤러리미담, 안양,
2017
2017
Korea)
한 공간 네 느낌 (일호갤러리, 서울, 한국)
The Forest (Gallery Joeun, Seoul, Korea)
2016
G-SEOUL 2016 INTERNATIONAL ART FAIR
2018
특별전 (동대문 DDP프라자, 서울, 한국)
Enlightened Mind - The Artists' Way to Meditation
2014
Fake of the Kingdom (Savina Museum, Seoul, The Sonance of Iron Furnace (Dong Ho Steel Foundation, Taiwan)
경기천년 도큐멘타 (경기도미술관, 수원, 한국)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9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서울, 한국)
Section of Korean Modern Sculpture
바다미술제<Ars Ludens: 바다+미술+유희>
(Seosongmun History Museum, Seoul, Korea) Tangshan International Urban Sculpture Symposium (Delong Steel Co Ltd, Tangshan,
India Art Fair 2017 (Kailash Colony Market,
China)
뉴델리, 인도) 2016
Don Quixote come to Jeju (Gallery Nori, Jeju,
Korea)
(부산비엔날레, 부산, 한국)
A Wakeful Dream (Moran Museum, Namyang,
한국)
2015
포스코 창립 50주년 기념특별전 (포스코미술관,
Selected Group Exhibitions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For My Sincerity (Art Space Anygol, Ilsan, Korea) Korea)
지혜의 숲, 파주, 한국)
(Joheung Gallery, Seoul, Korea)
2019
2016
현대공간회 50주년 기념전 (출판도시문화재단
영감의 원천 (구하우스미술관, 양평, 한국)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2016
한국현대조각의 단면展 (서소문역사박물관, 서울,
Walking on the Mindscape (Gallery HYUNDAI
Korea)
India)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Seoul, Korea)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PLAS 2017-Contemporary Art Show (COEX, Seoul, Korea)
주요 기획전 2016
B.F.A, College of fine Art (Sculpture), Chung-Ang University, Korea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2018
M.F.A, Dept. of Painting, Graduate School, Duksung Women’s University, Korea
주요 기획전 2019
Don Quixote Come to Jeju (갤러리 노리, 제주)
Nam, Kyung Min (b.1969)
주요 개인전
The Art of Painting (Hakgojae, Seoul, Korea) Topos – Metaphor (Moran Museum, Namyang,
Tea Culture Invitation Exhibition, Yale University Art Gallery, Connecticut, USA
남경민 (b.1969)
House & Home (Jeju Museum of Art, Jeju, Korea) Korea Tomorrow (Seoul Art Center, Seoul, Korea)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조소학과 졸업, 한국
Argentina 2009
In Search of Lost Time (Gallery Royal, Seoul, Korea)
성동훈 (b.1967)
Venice Biennale ‘Personal Structures - Crossing Borders’, Venice, Italy
Art, Enter into a Book (Kyobo Art Space, Seoul, Korea)
Gent, België 2015
G- SEOUL INTERNATIONAL ART FAIR SPECIAL SHOW (DDP PLAZA, Seoul, Korea)
Railway Station, Istanbul
스페인) 2007
Korea)
2018
Art in Public (Iksan Arts Center Museum, Iksan,
아시아문화원 1주년 기념 <소망나무>
Korea)
(Savina Museum, Seoul, Korea)
(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Fire Art Festa 2018 (Olympic Winter Games
ONE INSPIRATION (Koo House museum,
국회조형전-야외조각프로젝트 (국회의사당, 서울,
PyeongChang, Gangneung, Korea)
2015
미술, 책 에 들다 (교보아트스페이스, 서울, 한국)
2014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갤러리 로얄 ,서울, 한국)
2013
House& Home: 나를 찾다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한국)
Anyang: Dream and Reality (Anyang Art Center,
제5회 낙동강 다원미술제 현대미술 특별기획전
India Art Fair 2017 (Kailash Colony Market, New
코리아 투모로우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
Gallery MiDam, Anyang, Korea)
(대산미술관, 창원, 한국)
Delhi, India)
One Sensation, Four space (Ilho Gallery, Seoul,
풍류남도아트프로젝트 (행촌미술관, 해남, 한국)
2012
Yangpyeong, Korea)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2017
회화의 예술 (학고재, 서울, 한국)
114
Hommage to Posco (Posco Museum, Seoul,
한국) 2015
Korea)
부산 퍼블릭 아트전 (낙동강문화관, 부산, 한국)
2017
2016
115
Sea Art Festival (Busan Biennale, Busan, Korea)
The 1st Anniversary of Asian Cultural Center
2014
타이페이아트페어 (ToSee Art Gallery, 대만)
〈Hope Tree〉 (Asia Culture Center, Gwangju,
장면의 재구성#2, 서울시립미술관 개관전 II부
Korea)
Seoul, Korea) Perfect beauty with no trace of artifice (Vidi
유현미 (b.1964)
National Assembly Art Exhibition (National
(북서울미술관, 서울, 한국)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Seoul, Korea)
정선 국제 불조각축제 (삼탄아트마인, 정선, 한국)
2015
외 다수
Busan Public Art (Nakdong River Museum, Busan, Korea)
Gallery, Seoul, Korea)
1992
NYU 대학원 졸업 (창작미술 전공), 미국
198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한국
2016
Seoul, Korea) 2015
Nakdonggang: A Plural Art Festival (Daesan Art
양대원 (b.1966)
Museum, Haenam, Korea) 2014
Art Fair in Taipei (ToSee Art Gallery, Taipei,
2019
소프트 카오스: 공간 상상 (북서울미술관, 서울, 한국)
2018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 (서양화 전공), 한국
Taiwan)
1993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졸업, 한국
New Scenes #2 (Buk Seoul Museum of Art,
2017
수의 시선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Seoul, Korea)
2016
내 마음속의 서재 (교보 아트스페이스, 서울, 한국)
2014
Physical Numerics (갤러리 분도, 대구, 한국)
2013
COSMOS (일우 스페이스, 서울, 한국)
주요 개인전 2019
密語-왕의 속삭임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16
밀어 密語 (동산방갤러리, 서울, 한국)
2015
검은별 (갤러리담, 서울, 한국)
2013
오래된 눈물 (사비나미술관, 서울, 한국)
(Samtan Art Mine, Jeongseon, Korea)
M.A, Dept. Graduate School of Fine Arts(Painting),
1993
B.A, Dept. College of Natural
Sejong University, Korea
의심 ll (동산방갤러리, 서울, 한국) 외 다수
2019
2019
密語 The secret Language: King's whisper (Savina Museum, Seoul, Korea)
KIAF (어반아트, 코엑스, 서울, 한국)
2018
2016
한라에서 백두까지 회화33인전 (인사아트플라자,
M.A,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USA
1987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외 다수
2019
Soft Chaos (Buk-Seoul Museum of Art, Seoul,
주요 기획전
2017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7
Black Star (Dam Gallery, Seoul, Korea)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2013
Long-standing Tears (Savina Museum, Seoul, Korea) Long-standing Tears (Usine Utopik, Normandy,
선의기세 (아트레온 갤러리, 서울, 한국)
2016
2010
2015
2019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2018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2017
Smaramansang: From Kim Whanki to Yang
Canada, Gallery101 , Ottawa, Canada)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공간의 발견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Fudong (MMCA, Seoul, Korea)
환영과 환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Turning Myself into a Painting (MMCA Children's Museum, Gwacheon, Korea)
Photography, 모스크바, 러시아)
Doubt II (DongSanBang Gallery,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레드 닷 한국화 (나무 모던 앤 컨템포러리 아트갤러리,
2019
The Treachery of Images (Gallery of Classic
LA Art Show (Los Angeles Art Center, 로스엔젤레스, 미국)
COSMOS (Ilwoo space,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
France)
SCOPE (Miami 아트페어, 마이애미, 미국)
Physical Numeric (Gallery Bundo, Daegu, Korea)
2013
Cosmos in Cosmos (Trunk Gallery, Seoul, Korea)
서울, 한국)
한국)
2014
The Library in My Mind (Kyobo Art Space, Seoul,
2014
삼라만상: 김환기에서 양푸동까지 (국립현대미술관,
Seoul, Korea)
Eyes of Number (Savina Museum, Seoul, Korea) Korea)
ONE INSPIRATION (주일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그림이 된 나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미술관, 과천,
2015
2016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密語(A confidential talk) (DongSanBang Gallery,
서울, 한국)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2015
1992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密語-Doubt (Urbanart, Seoul, Korea)
이 순간이 주는 즐거움 展 (비디갤러리, 서울, 한국)
2016
Yoo, Hyun Mi (b.1964)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Selected Solo Exhibitions
ONE INSPIRATION (주캐나다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갤러리101, 오타와, 캐나다)
2017
Taches Taches (St. Lô Stadium, Saint-Lo, France)
Korea) 1996
주요 기획전
2018
2012
시로타화랑, 도쿄, 일본)
Yang, Dae Won (b.1966)
Sciences(Chemistry), Sejong University, Korea
2019
Korean Contemporary Art Exhibition (SeMA Gyeonghuigung, Seoul, Korea)
Cosmos in Cosmos (트렁크갤러리, 서울, 한국)
오래된 눈물 (Usine Utopik, 노르망디, 프랑스) 2010
2013
주요 개인전
1996
The International Fire Sculpture in Jeongseon
Mid-fielder (Gallery All, Seoul, Korea) Shall We Dance (Gallery Dam, Seoul, Korea)
Museum, Changwon, Korea) Pungryu Southam Art Project (Heangchon Art
The Scene in Between (Art Gangnam Gallery,
2016
The Discovery of Space (Gyeonggi Museum of
New Future (Art Space Art 1, 자카르타,
Modern Zrt, Ansan, Korea)
인도네시아)
Daegu Photo Biennale (Daegu Arts Center, Daegu, Korea)
만물상-사물에서 존재로 (서울시립미술관
2015
Illusion and Fantasy (MMCA, Seoul, Korea)
서울, 한국)
KIAF (Urbanart, Seoul, Korea)
남서울생활미술관, 서울, 한국)
천의무봉 (비디갤러리, 서울, 한국)
Pleasure of this moment (Vidi Gallery, Seoul,
세상 속에 거주하기 (부산비엔날레, 부산, 한국)
사이의 풍경 -김선두·양대원 2인전 (아트 강남 갤러리
Korea)
러시아 국제사진페스티벌 (노보시빌스크
앤 컴퍼니, 서울, 한국)
From Halla to Baekdu (Insa Art Plaza, Seoul,
미드필더 (갤러리올, 서울, 한국)
Korea)
Things -From Things to Beings (Seoul Museum
ONE INSPIRATION (Korean Culture Center
Of Art, Seoul, Korea)
2018
쉘 위 댄스 (갤러리담, 서울, 한국)
The Treachery of Images (Gallery of Classic Photography, Moscow, Russia) New Future (Art Space Art 1, Jakarta, Indonesia) 2014
국립연방미술관, 노보시빌스크, 러시아) 외 다수
Multifarious Appearances of Ten Thousand
2013
Japan, Shirota gallery, Tokyo, Japan)
Inhabiting the World (Busan Biennale, Busan,
자유아재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미술관, 서울, 한국)
Power of Line (Artreon Gallery, Seoul, Korea)
Korea)
2012
Taches Taches (St. Lô Stadium, 생로, 프랑스)
SCOPE (Miami Art Fair, Miami, USA)
Russia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Novosibirsk
외 다수
LA Art Show (Los Angeles Art Center, LA, USA)
State Art Museum, Novosibirsk, Russia)
2017
116
RedDot Hankukhwa (NaMu Modern Art Gallery,
117
영감의 원천
ONE INSPIRATION
한국 전통문화에서 찾은 최초의 아이디어
The Very First Ideas from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폴란드 와지엔키 왕궁 박물관
The Royal Lazienki Museum
2020.10.3(토) – 2020.11.29(일)
3rd October - 29th November 2020
ul. Agrykola 100-460 Warsaw Poland
ul. Agrykola 100-460 Warsaw Poland
lazienki-krolewskie.pl/en
lazienki-krolewskie.pl/en
T. (+48) 22-50-60-024
T. (+48) 22-50-60-024
주최·주관
주폴란드한국문화원, 폴란드 와지엔키 왕궁박물관
Hosted by
Korean Cultural Center / Royal Lazienki Museum
공동 주최·주관
폴란드문화유산부, 트래블링코리안아츠,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사비나미술관
Co-host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National Heritage / Traveling Korean Arts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주폴란드대한민국대사관
KOFICE(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박물관 후원
PZU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ponsored by
Ministry of Culture / Sports and Tourism of ROK / Korean Embassy in Poland
Patron of the Museum
PZU
기획
사비나미술관
관장
이명옥
학예실장
강재현
Produced by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김승현, 한상익
Director
Lee, Myung Ok
인턴 큐레이터
고은상, 김상은, 김형식, 송지원, 이경희
Chief Curator
Kang, Jae Hyun
테크니션
유니아트
Assistant Curator
Kim, Seung Hyun / Han, Sang Ik
디자인
물질과 비물질
Curatorial Intern
Kim, Hyung Sik / Kim, Sang Eun / Ko, Eun Sang
번역
손세희, 이성은, 장유경
번역 감수
최문선
Lee, Kyong Hee / Song, jI Won Installation
Uniart Crew
Graphic Design
waterain
발행처
사비나미술관
Translation
Shon, Sei Hee / Lee, Soung Eun /Jang, Yoo Kyung
발행인
이명옥
Proofreader
Choi, Moon sun
Published by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Publisher
Lee, Myung Ok
This catalogue was published in connection with the exhibition One Inspiration held from 3rd October - 29th November 2020 at the The Royal Lazienki Museum, as part of the “2020 Traveling Korean Arts” project. 본 도록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의 '2020 트래블링 코리안 아츠'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No part of this publication can be reproduced in any manner without permission in writing from each copyright holder:
본 도록에 실린 글과 도판은 사비나미술관과 참여작가의 동의없이 무단전재 및 복제할 수 없습니다.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artists, respective authors and other copyright holders.
Ⓒ 2020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Artist
© 2020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Artist
118
119
03310 서울시 은평구 진관1로 93 93, Jingwan 1-ro, Eunpyeong-gu, Seoul 03310, Republic of Korea www.savinamuseum.com T. +82 2.736.4371